건강과 작업과학kaoscinema.or.kr/data/1533715424.pdf건강과 작업과학 korean journal of...

78
건강과 작업과학 Korean Journal of Health and Occupational Science Vol. 1, No. 1, May. 2018 제 권 제 호창간호 1 1 ( ) 2018 5월 ISSN 2586 7970

Upload: others

Post on 05-Jul-2020

18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건강과 작업과학Korean Journal of Health and Occupational Science

    Vol. 1, No. 1, May. 2018

    제 권 제 호창간호1 1 ( )

    년2018 5월

    ISSN 2586 7970-

  • 창간호 발간사

    지난 겨울 한국작업과학회를 창립하고 이제 첫 학회지를 선보이게 되었습니다 연구가 사회를. ‘

    바꾼다 는 어느 작업과학 교수님의 말씀을 따라 저희 학회지는 작업’(Research can change a society)

    과학의 체계적인 연구지식을 생산하고 지원하는 일에 열심을 다할 것입니다.

    학회지 명칭인 건강과 작업과학 은 우리의 작업(Korean Journal of Health and Occupational Science)

    과학을위하여또한국제사회에서의네트워크형성을위해한국 을넣었고 작업과학의지향(Korean) ,

    점인인류의건강을표방하고건강관련한모든학제의연구들을아우르기위해건강 을넣(Health) 었

    습니다 앞으로 사회학 인류학 경영학 장애학 등의 인문사회분야와의 학제간 연구도 본 학회지를. , , ,

    통해 소개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창간호에 실린 편의 논문은 모두 초청논문 으로 구성하였습니다 작업과학 교육4 (invited papers) .

    및 연구를 하시는 극동대학교 순천향대학교 대구대학교의 교수님 작업기반 임상을 체계적으로, , ,

    하고 계신 부천 순천향대학교의 선생님의 귀한 글을 받아 싣게 되었습니다 작업과학을 알기 쉽게.

    그러나깊이있게개관하는논설로시작하여마지막엔작업기반임상사례보고를배치하였는데 작업,

    과학과 작업기반 임상을 이해하기 위한 첫 단추로 손색이 없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또한 고령자의.

    시간사용 분석과지루함 에대한고찰논문이소개되어있어서 현재의임상을성(time use) (boredom) , 찰

    해보는 데에 도움이 되고 또한 추후 연구주제 선정에 도움이 될 만한 참신한 주제라고 생각됩니다.

    창간호는논문뒤편에 기관소개 와 작업과학도서서평 을싣고있습니다 강서구치매안심센터.「 」 「 」 와

    영천시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근무하고계시는선생님들이도와주셔서꾸미게되었고 세분의교, 수님의

    도움을 받아 작업과학 공부 및 교양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좋은 책들에 대한 서평을 실었습니다.

    창간호를받아보시는떨림과참신하고알찬글들을읽어가는기쁨이있으시기를기대합니다 지. 금은

    발돋움하는학회지라부족한점이많이보이시더라고너그러이대해주시고앞으로의발전을격려해

    주시기를부탁드립니다 또한학회지발간에학회회원및독자여러분의지속적관심을부탁드립니다. .

    감사합니다.

    월 월2018 5

    한국작업과학회 편집위원장 김 환

    대구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차 례

    작업과학 가슴은 뜨겁게 머리는 차갑게,- - ······················································································· 7

    김지현

    지역사회 복지관을 이용하는 고령자의 특성에 따른 작업 영역 별 시간 사용 분석

    예비 연구(Pilot Test)- - ················································································································· 19

    한다영 이성아․

    지루함과 작업치료 문헌고찰- - ········································································································ 29

    유경진 주상훈 김환․ ․

    작업기반 중재이후의 클라이언트의 인식과 작업참여의 변화 증례보고- - ····································· 51

    정주희

    서 평 ··················································································································································· 63

    기관소개 ·············································································································································· 67

    제 권 제 호 창간호1 1 ( ) 2018. 5.

    건강과 작업과학

  • CONTENTS

    Occupational Science : A passionate heart and cool head ······················································ 7

    JiHyun Kim

    A study of Time use and Occupational area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who using local elderly welfare center : A pilot test ····························································· 19

    Han Da-young Lee Seong-A․

    Boredom and Occupational Therapy : A literature review ····················································· 29

    Yoo, Kyung-Jin Ju, Sang-Hun Kim, Hwan․ ․

    Changes of client’ perception and occupational participation after occupation-based

    intervention : A case-report ········································································································· 51

    Jeong, ju-hee

    Book review ······································································································································· 63

    My workplace ···································································································································· 67

    Vol.1, No.1 May. 2018

    KoreanJournal of HealthandOccupational Science

  • 작업과학 7

    작업과학

    가슴은 뜨겁게 머리는 차갑게,- -

    김지현

    극동대학교 작업치료학과

    Occupational Science : A passionate heart and cool head

    JiHyun Kim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Far East University

    요약 이 글은 작업치료 철학과 작업과학에 대한 한국 작업치료인의 관심과 이해와 수용을 촉진하기 위한 논설이다 작업치료인: .

    은 작업치료 직종의 철학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것에서부터 직업인으로서의 그 내재적 전문성이 구축된다 할 수 있다 작업치료.

    철학은 인간은 작업적 존재이다 라는 대전제에 기초한 존재론과 직종의 지식을 성찰하는 인식론과 임상행동원칙을 정립하는‘ ’

    가치론으로 구성되어 있다 작업치료 철학을 살펴보다보면 자연스럽게 작업과학이라는 학문을 만나게 된다 작업과학은 직종의. .

    위기를 맞은 세기 후반 작업치료를 뜨겁게 사랑하는 선구자들의 철학적 성찰을 배경으로 출현하였기 때문이다 작업치료 선20 , .

    구자들은 당시 직종의 전문지식에 대해 냉철하게 비판하기 시작했고 작업치료 직종의 본질적 필수적 핵심적인 지식은 작업, , ,

    에 대한 지식이라는 인식론을 구축하였다 이러한 철학을 배경으로 작업치료를 위해 작업에 대한 지식을 생성해내는 학문인. ,

    작업과학이 탄생된 것이다 이렇듯 작업과학은 작업치료사들에 의해 작업치료학에서 파생된 첫 기초과학이다 초기 작업과학. , .

    은 작업적 본성을 지닌 인간과 인간의 작업에 대해 탐구하는 기초 사회과학 학문으로 태동하였고 오늘날에는 인간 작업 건, - -

    강 환경의 관계를 탐구하는 인간과학으로 성장 발전하였다 작업과학은 작업치료를 옹호하고 사회의 작업적 건강을 지원한다.-

    는 따듯한 목적을 가졌으나 그 기반지식을 형성하고 구축하고 활용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차가운 과학적 태도를 지니고 있다, .

    오늘날의 한국 작업치료는 직종의 전문성과 당위성을 보다 자신 있게 피력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우리의 추론 내용과.

    방식에 대해 점검하여 오늘날 요구되어지는 근거기반치료의 틀에 맞춰나갈 필요가 있다 작업과학은 작업치료로 하여금 직종.

    의 철학이 명확히 반영되는 본질적이고 핵심적인 지식 즉 작업참여에 대한 지식을 내적으로 구축함과 동시에 외적으로 표명하,

    는데 있어서 보다 체계적이고 분석적일 수 있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당대와 미래사회가 새롭게 요구하는 역할과 기능에 대한. ,

    근거와 비전을 제시해 줌으로써 작업치료가 인간사회의 작업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확장시켜주는 데에 기여한다.

    주제어 근거기반치료 작업과학 작업치료 작업치료 철학: , , ,

    Abstract : Profession’s philosophy and occupational science(OS) calls for attention and acceptance of occupational ther-

    apy(OT) profession in Korea. A train called philosophy of OT will take you to a stop named OS. OS has been emergent

    from philosophical reflection, especially cool-headed epistemology by world OT leaders with passionate hearts in late 20C.

    OS has born as a first basic science of OT focused on knowledge of occupation, and now has grown as a human science

    addressing more broad issues about occupational engagement. Korean OT need to be more self-confident to advocate for

    our unique professionalism, justification and legitimacy. In order to do that, we need essential and core knowledge reflect-

    ing our philosophy clearly and coherently. In addition, our reasoning paradigm need to be examined within evidence-based

    practice frame. OS help OT profession to have essential and core knowledge reflecting our philosophy, more importantly

    in scientific, systematic and rich way. By employing contemporary and cutting edge knowledge that OS generate, we can

    make our current practice more autonomous and powerful, plus support our potential innovative roles hereafter as well.

    Key word : Evidence-Based Practice(EBP), Occupational Science(OS), Occupational Therapy(OT), Philosophy of occupa-

    tional therapy

  • 8 건강과 작업과학 Vol. 1, No. 1, 2018. 5.

    서 론.Ⅰ

    이 글은 건강과 작업과학(Korean Journal of Health

    학회지를 통해and Occupational Science) ‘작업치료 철

    학(philosophy of occupational therapy) 과’ ‘작업과학

    (occupational science) 에 대한 한국 작업치료인의 인’

    식과 이해를 높이고자 하는 본인의 첫 번째 착수(着

    이다) .手

    작업치료 직종의 패러다임 변화와 확대는 국제사회

    에서 지속해서 이뤄지고 있다(Gustafsson, Molineux, &

    Bennet, 2014; Hocking & Clair, 2011; Keesing &

    Rosenwax, 2011; Molineux, 2011; Parnell & Wilding,

    더불2010; Rudman 2018; Rudman & Dennhardt, 2008).

    어 최근 국내 작업치료 직종에도 많은 변화와 도전이

    일고 있다 임상과 연구의 관심이 작업수행의 신체기.

    능적 요소에서 작업 건강 웰빙의 역동적 관계로 점- -

    차 이동하면서 수단 및 결과로서의 작업(occupation as

    이 더욱 다양하게 시도되고 탐mean, occupation as end)

    구되고 있다 직종 내외부적으로 촉구되고 있는 근거.

    기반치료 는 작업치료사들이 작(evidence-based practice)

    업중심 또는 작업중점(occupation-centered) (occupation-

    나아가 작업기반 중재에 대focused) (occupation-based)

    해 이전보다 더 고민하도록 만들고 있다(Fisher, 2013;

    한국의 격변하는 사회문화와 정Gail Whitefor, 2002).

    책의 소용돌이 안에서 작업치료 직종은 본래의 역할

    과 기능을 강화함과 더불어 새롭게 기대되는 책임을

    감당해 나가기 위한 고군분투를 해가고 있으며 학계,

    또한동시대적이며미래지향적인교육을놓치지않기위

    해 노력하고 있다전국대학작업치료 교수협의회( , 2018).

    이러한 시대적 변화와 도전은 한국 작업치료로 하

    여금 과거 현재와 미래에 대한 철학적 성찰을 촉구하,

    고 있다 는 전문직업인으로서의 삶을 시. Ann Wilcock

    작하는 개인이 갖추어야 할 첫째 되는 근본은 그 직,

    종의 쐐기돌 이라 할 수 있는 철학에 대한 이(keystone)

    해와 수용이라고 역설 하였다( ) (Wilcock, 1999b).力說

    즉 작업치료 전문가라면 작업치료 철학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것에서부터 그 내재적 전문성이 구축된다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질문을 해 본다. .

    작업치료 철학은 무엇인가 우리는 알고 있는가? ?

    누군가 우리에게 묻는다면 우리는 대답할 수 있는가?

    간단하고 일반적인 한 문장으로 보편적인 작업치료

    철학을 설명할 수 있는가?

    이 질문들에 대해 우리 중 누군가는 그렇다 누군가,

    는 아니다 누군가는 잘 모르겠다고 답할 것이다 그, .

    리고 누군가는 심지어 이런 생각을 할 수도 있겠다.

    작업치료에 철학이란 것이 있기는 한가?

    작업치료는철학을갖고있다(Schell, Schell, & Gillen,

    가 직종의 철학에 대해 논2014). Wilcock(1999b, 2000)

    할 그 당시와 달리 오늘날에는 작업치료 철학이 근대

    철학의 보편적 틀에 기초하여 정리되어 있으며 길고,

    복잡할 수 있는 설명을 포괄할 수 있는 간단한 문장도

    제시되어 있다. “인간은 작업적 존재이다(Human is

    occupational being) 라는 존재론 적 대전제로” (ontology)

    부터 시작되어 지식철학인 인식론 과 행(epistemology)

    동철학인 가치론 으로 이어지는 방대한 작업(axiology)

    치료 철학을 모두 다루는 것은 본 논설의 주요 목적과

    한계를 벗어나는 일이다 다만 이 글은 작업치료 철학.

    에 대한 독자의 관심과 흥미를 불러일으키고자 하는

    본인의 포석 으로써 작업과( ) ,布石 학과 관련이 깊은 인

    식론에 대해서만 간략히 살펴보고자 한다 작업치료.

    직종의 철학(professions’ philosophy)에 대해 더욱 상세

    히 살펴보고자 하는 이에게는 Willard & Spackman’s

    판의 장을 읽Occupational Therapy 12 3 어보기를추천한

    다 한국작업과학회. (Korean Academy of Occupational

    Science-Challenging, Inspiring, Empowering All; KAOS-

    의 창립대회 또는 제 회 춘계학술대회 자료CINEMA) 1

    집을 확인해 보는 것 또한 간략하게 대체할 수 있는

    보완적 방법이다한국작업과학회( , 2017).

    작업치료 철학이라는 기차를 타고 달리다 보면 자

    연스럽게 작업과학이라는 환승 정류장을 만난다 작.

    업과학이라는 학문이 세기 후반에 시작된 작업치료20

    직종의 철학적 성찰을 배경으로 출현하였기 때문이

    다 작업과학은 년대 후반 탄생한 이후 많은 논문. 1980

  • 작업과학 9

    을 통해 소개되어 왔다(Barlott, Shevellar & Turpin,

    2017; Clark et al., 1991; Dickie, Cutchin & Humphry,

    2006; Hocking, 2000; Hocking & Clair, 2011; Pierce et

    al., 2010; Rudman, 2018; Wilcock, 2005; Yerxa, 1993).

    작업과학이 우리나라에 처음 공식적으로 소개된 것은

    년이다 은 그의 종설 작업과학2000 . Kang(2000) , ‘ (occu-

    에 대한 이해를 통해 작업과학의 역pational science) ’

    사적 탄생배경 관련 관점의 변화 정의 학문적 체계, , ,

    와 정체성 사회적 역할 및 연구 방향 그리고 작업치,

    료 임상과의 연관성에 대해 살펴보며 국내 작업치료

    사들이 알기 쉽도록 작업과학을 소개해주었다 안타.

    까운 것은 이후 학계에 작업과학을 주제로 한 논문은,

    더 이상 단 한 편도 출간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한국.

    의 이 특유한 현상은 여러 측면에서 그 이유와 함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차후의 논문을 통해 고찰.

    하기로 하고 본 논설은 년 전 국내에 단 한 번 소개, 18

    되고 말았던 작업과학에 대해 다시 소개하며 작업치

    료 직종의 관심과 수용을 요청하고자 한다.

    작업과학은 작업치료 직종의 위기감이 팽배했던 시

    절작업치료를뜨겁게사랑하는선구자들이직종의정

    체성 고유성 전문성 당위성 체계성 등을 확립하기, , , ,

    위해노력하면서맺어진학문적열매이다 작업치료선.

    구자들의 직종에 대한 그 뜨거운 사랑은 당시 작업치

    료 직종이 집중하고 표명하던 전문지식(professional

    에대한냉철한비판으로이어졌고 그결과knowledge) ,

    직종 고유의 본질적 필수적 핵심적인 전문지식을 형, ,

    성 하고 구축 하고자 하는 학문이 탄생하게( ) ( )形成 構築

    된 것이다 그것이 바로 작업과학이다 작업과학의 성. .

    질은 그래서인지 뜨거우면서도 차갑다 작업과학을 바.

    라보는작업치료인들의반응또한뜨겁기도하고차갑

    기도 하다 작업과학은 지난 년간 그렇게 열정과 냉. 30

    정 사이를 오가며 발전해 왔다 작업과학자들이 이 흥.

    미로운 냉온성 을 점차 능숙하게 운전해가면서( )冷溫性

    작업과학은더욱견고해지고풍미가더해지고있는듯

    하다 이에본인도이글을통해작업치료철학과작업.

    과학을 소개함에 있어 한국 작업치료 직종에 대한 뜨

    거운가슴과차가운머리를오가며논설해보고자한다.

    작업치료 철학과 작업과학.Ⅱ

    작업치료 철학1. (Philosophy of Occupational

    Therapy)

    철학(philosophy)은 지식지혜 와 사랑/ (sophia) (philos)

    이라는 단어의 합성어로써 앎에 대한 사랑을 의미, ‘ ’

    한다 자기 자신과(Kim, 2018; Ruona & Lynham, 2004).

    자신이 관심 있는 대상에 대해 질문하고 알려고 하는

    그 모든 활동은 철학이라 할 수 있다 철학은 우리의.

    행동을 이끄는 가정 신념 관점 가치관 원칙들이 무, , , ,

    엇인지 의식적으로 찾아보려하는 의식적 사고의 틀

    이며 또 찾아진 그 틀에 기초하(framework of thinking)

    여 의사결정 해나가고자 하는 하나의 사고방식(mode

    이다of thinking) . 직종의 철학(professions’ philosophy)

    이란 직종 내 전문인의 의사결정과 임상행위 선택의

    시금석 으로써 임상가와 연구자와 교육자(touchstone) ,

    가 하는 모든 것들을 유지하고 안내해주는 토대가 되

    는 것이다(Gustafsson et al., 2014, Schell et al., 2014).

    다시 말해 직종의 철학은 그 직종의 모든 사람의 의,

    사결정과 행동들을 이끄는 공통된 가정 신념 관점, , ,

    가치관 원칙들에 대해 그것이 무엇인지 알고 싶어 하,

    고 마음 사랑 이를 찾고자 하는 의식적 사고 활동(: ),

    (: 앎 그리고 찾았다면 이후의 의사결정과 행동을), ,

    그것들에 의해 해나가는 것 행동 모두를 포함하는(: )

    것이라 하겠다.

    오늘날 한국 작업치료가 시작하고자 하는 철학적

    성찰은 세계의 작업치료 선구자들에 의해 먼저 시작

    된 바 있다 세기 중반 작업치료는 실증주의. 20 (positiv-

    와 환원주의 에 입각한 기술방법istic) (reductionism) (te-

    ch 탐구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nique) (Gustafsson et

    세기 후반에 이르면서 발생한 인권운동al., 2014). 20 ,

    건강과 장애의 사회적 모델 출현 임상분야 수요의 다,

    양화 및 세분화라는 시대 상황적 배경은 당시 미국의,

    작업치료 지도자들이 직종의 정체성 고유성 전문성, , ,

    당위성 등의 확립을 위한 자기반성과 철학적 성찰을

    시작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를 통해 직종의 관점은 오.

    랜 시간 동안 잃어버리고 잊고 있었던 직종의 뿌리였

  • 10 건강과 작업과학 Vol. 1, No. 1, 2018. 5.

    던 작업중점의 관점으로 이동하며(occupation-focused)

    전인적 철학을 되찾아 가기 시작한다(holistic) .

    작업치료 철학의 맥을 찾아 올라가다 보면 그 끝에

    서 만나게 되는 이가 있는데 바로 정신의학자, Adolph

    이다 가 년 발표한Meyer . Adolph Meyer 1922 “The phi-

    는 오늘날의 작업치료losophy of Occupational Therapy”

    직종철학의 기초를형성하였다(Breines, 1986; Cutchin,

    2004; Hooper & Wood, 2002; Ikiugu & Schultz, 2006;

    실용주의 계몽주의 인본주의 수공예Meyer, 1922). , , ,

    운동 구조주의 실존주의 전체주의 등은 작업치료의, , ,

    가치 믿음 관점 원칙 곳곳에 녹아있는 굵직한 철학, , ,

    사상들이다 이에 나아가 작업치료(Schell et al., 2014).

    는 깊이 있는 자기반성과 성찰적 질문을 통해 오늘날

    작업치료만의 직종 철학을 정립하였다.

    우리는 누구인가?

    우리는 어떤 관점으로 대상세계를 바라보는가?

    우리는 무엇을 알고 있고 무엇을 모르며

    무엇을 알아야 하는가?

    우리는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가?

    작업치료 철학은 Willard & Spackman’s Occupational

    최신판 에 잘 설명되어 있다 이 책은 작Therapy (2014) .

    업치료 직종의 철학에 대해 근대철학의 일반적 대3

    요소인 존재론 인식론 가치, (ontology), (epestemology),

    론 을 활용하여 체계적으로 기술하고 있다(axiology) .

    존재론은 우리가 참으로 존재한다고 믿는 것이 무엇

    인지 본질적 존재가 무엇인지에 대한 철학이고 인식, ,

    론은 우리의 지식 앎에 있어서 그것의 본질 핵심 구, , ,

    조 형태 활용 등에 대한 성찰이고 가치론은 우리의, , ,

    가치 실현을 위해 어떻게 행동함이 옳고 선하고 아름

    다운지에 대한 방법론적 철학이다 책에서는 이 대. 3

    요소의 틀에 맞춰 작업치료의 철학적 고찰을 위한 질

    문과 이에 대한 응답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고 있다; 1)

    존재론 작업치료에 있어 가장 실제적인 것은 무엇인-

    가 인간의 작업적 본성 인식론 작업치료에서? : ; 2) -

    의 지식은 무엇인가 작업에 대한 지식 가치론? : ; 3) -

    작업치료에 있어 올바른 행동은 무엇인가 상호협력? :

    적치료 작업중심치료 맥락반영 치, , (context-reflective)

    료(Table 1).

    작업치료 철학(philosophy of occupational therapy)은

    “인간은작업적 존재이다(human is occupational being)”

    라는 대전제에서 시작되며 이 존재론적 참 명제로부,

    터 시작되어 이어지는 인식론과 가치론은 작업치료에

    대한 우리의 앎을 더욱 깊고 견고하게 만들어 준다.

    앞서 작업과학이 철학적 성찰로 인해 맺어진 열매라

    고 한 것은 이 세 요소의 철학 중 특히 인식론적 성찰

    과 관련이 깊다 어느 학문이든 그 학문 분야 지식의.

    특성을 근본적으로 명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우선

    그 학문의 앎 에 관한 인식론적 탐구가 이뤄(knowing)

    져야 한다 인식론적 성찰은(Kim, Sung, & Jang, 1992).

    아는 것과 모르는 것 그 자체의 문제가 아니라 내가,

    무엇을 알고 무엇을 모르는지 즉 나의 앎에 대한 성,

    찰이다.

    여 년 전 작업치료 선구자들의 그 인식론적 성찰30

    또한 작업치료 전문인인 우리는 과연 무엇을 알고 무“

    Philosophical Frame Subject Question Answer

    Ontological Being What is Most Real for Occupational Therapy? Occupational Nature of Human Being

    Epistemological Knowing What is Knowledge in Occupational Therapy? Knowledge of Occupation

    Axiological Acting What is Right Action in Occupational Therapy?

    Collaborative Practice

    Occupation-Centered Practice

    Context-Reflective1)

    Practice

    1) a liberal translation based on extracted meaning of the sentence "collaboration with clients-and-environment-as-a-whole to achieve

    meaningful and satisfying participation in occupation"(Schell et al., 2014)

    Table 1. Brief Statement of Questions-Answers in Philosophy of Occupational Therapy

  • 작업과학 11

    엇을 모르는가 라는 질문에서 시작되었을 것이다 작?” .

    업치료 철학자들은 이어지는 다음의 질문들을 점검해

    나가면서 작업치료 인식론을 정립하였다.

    ∙작업치료에서 알아야 하고 입증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지식은 무엇인가?

    ∙작업치료의 광범위한 지식들은 어떻게 구조화될( )

    수 있는가?

    ∙작업치료 지식은 어떻게 획득될 수 있는가?

    ∙작업치료 지식은 어떻게 사용하는 것인가?

    ∙그래서 작업치료가 지식의 본질에 대해 갖고 있

    는 관점과 태도는 무엇인가?

    위의 질문들에 대하여 당대의 인식론은 작업치료에

    있어 필수적이고 핵심적이고 가장 중요한 지식은 작

    업에 대한 지식 이라고 답한(knowledge of occupation)

    다 이 해답은 과연 국가나 문화에 따라 또는 개인에. ,

    따라 달라질 수 있는 부분일까 혹 이 명제에 동의가?

    되지 않는 작업치료인이 있을까 그렇다면 그의 인식?

    론은 어떤 것일까 혹 한국 작업치료는 이 명제에 대? ,

    해 어색함이나 불편함을 느끼는가 진부함이나 식상?

    함을 느끼는가 아니면 깊게 공감하는가 철학에는? ?

    해답은 있어도 정답은 없다고 생각한다 정답은 아마.

    도 신의 영역일 것이다 철학적 질문에 대한 해답은.

    개인의 깨달음과 풀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자신,

    만의 철학을 성립한 수많은 철학자들이 배출됨도 그

    러한 연유이다 그러나 직종의 철학은 개인의 철학이.

    아닌 집단 철학 공동체 철학이다 따라서 개인에 따, .

    라 달라질 수 있는 여지는 극히 제한적이다 직종의.

    철학은 그 직종이 공동으로 공유되고 선포하는 신념

    과 가치이기 때문이다.

    우리보다 앞서 여 년 전부터 시작된 간호철학 연20

    구에서도 인식론적 고찰은 주요한 주제가 되곤 한다

    강영안 인식론은 무엇이 지식인지 뿐만 아니( , 2002).

    라 지식의 구조와 방법 앎의 형태에 대한 탐구도 수,

    반한다 등 이 중 앎의 형태와 방법과 관련(Kim , 1992).

    하여서는 인식의 질료적 측면 지식의 원천에서 논(: )

    의되곤 하는데 이 때 분류되는 인식의 질료는 흔히,

    이성 경험 권위 직관 등이다 등, , , (Choi, 2009). Kim

    은 간호 임상 전문가의 인식론을 논함에 있어서(1992)

    직관 이 앎의 중요한 한 방법으로 간주하여야(intuition)

    한다고주장한바있는데 이는임상에서직관의활용과,

    필요가 높은 작업치료에게도 매우 의미 있는 논의이다.

    칸트 는 지성적 직관은 신의 영역이고 인간은(Kant)

    감성적직관만이가능하다하였고 데카르트, (Descartes)

    는 참 진리를 인식하는 두 가지 길인 직관과 연역 중

    직관이 연역보다 단순 명백하므로 보다 확실하다 하

    였고 베르그송 은 직관에 많은 정도의 차가, (Bergson)

    있고 직관에는 시간적 지속성과 직관 대상과의 정신

    적 연결이 포함된다고 하였다 서양철학은 직관에 대.

    해 다소 중립적이거나 비판적인 입장의 경향을 보이

    는 반면 동양철학은 상대적으로 여러 앎의 방식 중,

    직관을 우위에 놓는 경향이 있다 등 이러(Kim , 1992).

    한 문화적 내지는 철학적 차이 때문인지 실로 한국 작

    업치료 임상은 경험 권위 직관에 의한 지식이 과학, ,

    과 이성에 의한 추론적 지식보다 우세하게 작용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철학자들이 의 논리적 가능성과 가knowing

    치에 집중하는 반면 과학자들은 논리적 합리성에 집,

    중하기 때문에 직관보다는 실험적 및 추론적 근거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과학자들에게는 획득된 지.

    식 근거의 실용성과 유효성 또한 중요하다 최근 보건.

    의료직에 요구되는 근거기반치료는 근거지식의 유형,

    수준 유효성 등에 대한 점검을 불러일으키며 임상에,

    서 전통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이 직관에 대해 고민하

    고 비판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어떤 직종의 근거지식.

    은 대중사회와 다른 직역으로부터 그 직종의 전문성

    과 당위성을 인정받을 수 있는 공식적인 방법이기 때

    문이다 근거기반치료의 관점에서 한국 작업치료의.

    직관적 인식론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방법은 임상

    에서 활용되는 그 직관적 지식의 구조와 형태와 기전

    을 최대한 과학적으로 가져가는 것이다 작업과학은.

    작업치료 임상에서 활용되는 전문적 직관을 관찰할

    수 있고 검증할 수 있는 과학적 지식으로 변환시켜줌

    으로써 작업치료가 근거기반치료에 한 발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도록 도와준다.

  • 12 건강과 작업과학 Vol. 1, No. 1, 2018. 5.

    작업과학2. (Occupational Science)

    과학(science)은 자연과 인문사회 안에서 발생하는

    어떤 패턴 을 비판적으로 찾거나 활용하는 것(pattern)

    이라 하였다 즉 과학(Blanche & Henny-Kohler, 2000). ,

    은 우리가 찾고자 하는 어떤 패턴과 관련하여 관찰, ,

    실험 조사 등의 체계적 방법을 통해 정보를 찾고 그,

    렇게 얻어진 정보 또한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그 패턴

    의 일반적 필연적 본질적 관계나 기전을 찾는 것이, ,

    다 과학의 기본적 의도는 새로운 지식을 생성하되 그.

    연구를 엄격하고 철저하게 하는 것이다(Hocking &

    여기서 엄격과 철저라 함은 흔히 과학적Clair, 2011).

    이라 칭하는 비판 이성 체계 분석적임을(scientific) , , ,

    의미한다 철학과 과학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돕는 한.

    문장은 철학은 과학의 어머니‘ (philosophy is mother of

    이다라는것이다science) ’ (Blanche & Henny-Kohler, 2000).

    철학은 학문의 근원이자 바탕으로 철학이(Kim, 2018),

    전체적이고 보편적이라면 과학은 분과적이고 조건적

    이다 철학과 달리 과학은 필연적으로 가설. (hypothesis)

    이나 전제 가 필요하다 과학은 자연현상이나(premise) .

    인문 사회현상의 패턴에 주목하며 기전이나 관계를

    밝히되 그것의 가치와 당위에 대한 판단은 철학에 바,

    탕을 둔다 철학은 과학연구의 도덕적 지침이자 해석.

    의 틀이 되고 거꾸로 과학은 철학을 지원하는 일종의,

    근거자원이 된다 철학과 과학의 이러한 관계를 이해.

    하는 것은 작업치료 철학과 작업과학의 관계를 이해

    하는 데 도움이 된다.

    작업과학(occupational science)은 앞서 언급한대로

    직종의 위기에 맞선 작업치료 선구자들의 철학적 성

    찰을 배경으로 지식기반 작업치료, (knowledge-based)

    의 필요성 대두에 대한 반응으로 탄생한 학문이다

    (Hocking & Clair, 2011; Pierce, 2014; Wilcock, 1999b).

    년 의 사상을 이어받은1980 Mary Reilly Elizabeth J.

    는 복잡하고 모호한 작업에 대해 과학적으로 탐Yerxa

    구하고 설명하는 작업과학이 작업치료를 발전시키는

    밑거름이 된다며 작업과학의 필요성에 대해 공개적으

    로 역설 하였고 년에 미국 남캘리포니아 대( ) , 1989力說

    학에 첫 작업과학 교육과정이 세워지면서 작업과학은

    학문 으로 성장 발전하는 그 여정을 시작하(discipline)

    게 된다(Dickie et al., 2006; Kang, 2000).

    학문1) (Discipline)

    는자신의저서Pierce(2014) ‘OCCUPATIONAL SCIENCE

    FOR OCCUPATIONAL SCIENCE FOR OCCUPATIONAL

    에서 학문이 갖추어야 하는 특징적 요소THERAPY’ ,

    들 핵심 문제 구체적 의도(a core problem), (a specific-

    작업 업적 연구 학회intent), (a body of work), (research

    학회지 학위를 수여하는 대학 교societies), (journals),

    육과정(academic departments awarding disciplinary de-

    에기초하여작업과학의학문적특징을기술함grees)-

    으로써(Table 2) 작업과학은 학제 간 연구 주제의 일종

    이 아닌 학문 그 자체임을 주장하였다(Table 2).

    작업과학은 작업치료학에서 파생된 그리고 작업치,

    료사들에 의해 세워진 첫 기초 사회과학(basic social

    학문이다science) (Blanche & Henny-Kohler, 2000; Hocking

    & 작업치료학이 전문분Clair, 2011; Wilcock, 1999b).

    A core problem Occupation

    A specific intent Support occupational therapy through research into occupation

    A body of work Increased emphasis on occupation-based practice, numbers of articles & books

    Research societies many national or regional occupational science research societies

    Journals published by the research societies

    Degree program many academic program exist

    * Summarized based on Pierce, 2014

    Table 2. Disciplinary Features of Occupational Science

  • 작업과학 13

    야 이자 응용과학 이라고 한(profession) (applied science)

    다면 작업과학은 기초과학 이다, (basic science) (Pierce,

    공학이나 경제학의 기초과학이 수2014; Kang, 2000).

    학이고 의학의 기초과학이 생물학이고 약학의 기초, ,

    과학이 생화학이듯 작업과학은 작업치료학의 기초과,

    학인 셈이다 작업과학은 작업을 핵심문제로 다루는.

    연구를 통해 직종의 지식기반치료를 지원한다는 구체

    적 의도를 갖고 있다 때문에 작업과학은 직종의 고유.

    성과 전문성을 보강해준다.

    와 그의 동료들은 작업과학이 건Elizabeth J. Yerxa

    축학 직업상담학 환경공학 산업심리학 운동학 여, , , , ,

    가학 작업치료학과 같은 직종을 지원해주는 기초과,

    학이 되어야한다고 주장하며 작업과학의 인식론적 유

    익함이 작업치료에 국한되지 않을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놓기도 하였다 작(Christiansen & Townsend, 2011).

    업과학이 다양한 분야와 융합되며 생성해내는 새로운

    지식은 보다 혁신적이고 확대된 작업치료 서비스를

    지원하는 근거 자원이 된다 이처럼 작업과학은 작업.

    치료 직종의 내적 강화와 외연 확장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는 기능이 있다.

    작업 지식2) (Knowledge of Occupation)

    기초과학 은객관적으로 새로운과학적(basic science)

    지식을 찾는 것이다(Blanche & Henny-Kohler, 2000).

    기초과학으로써의 작업과학은 인간의 작업(human oc-

    과 관련된 새로운 과학적 지식을 찾는 학문이cupation)

    다 작업과학은 그 명칭(Dickie et al., 200; Yerxa, 1993).

    에서부터 학문 탐구의 초점이 작업임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초기의 작업과학자들이 집중하여 탐구하.

    고 정립한 작업에 대한 지식으로는 작업에 대한 정의

    분류 본성 형태(definitions), (classification), (nature), (forms),

    기능 요소 속성(functions), (elements), (properties), 의미

    가치 자원 특성(meaning), (values), (sources), (character-

    영향 등이 포함된다istics), (impact) .

    인간작업에 대한 연구는 작업의 주체인 인간(human

    에 대한 탐구를 수반한다 가 발being) . Wilcock(1999a)

    표한 의 개념은 의 내용‘Doing-Being-Becoming’ Doing

    인 작업 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던 작업과학(occupation)

    의영역을 그자체하기 을하는주체 되Doing ( ), Doing (:

    기), 그리고 에 의한 주체의 변화 되어감로 확Doing (: )

    장시키는데에기여하였다 과. Christiansen Townsend(2011)

    는 작업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특정한 인식론적 관점

    이나 패러다임만을 적용하지 않고 모든 기초적 정보

    를 다 조사할 것을 제안하기도 하였는데 이는 누가,

    무엇을 언제 어디서 어떻(who), (what), (when), (where),

    게 왜 에 해당하는 정보들이다(how), (why) .

    작업에 대한 탐구가 작업의 주체인 인간에 대한 탐

    구로 이어지고 이는 다시 인간의 삶과 인간사회에 대,

    한 관심으로 확대되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하고도 마

    땅한 일이다 작업과학은 기초 사회과학에서 유래하.

    였지만 오늘날의 작업과학은 인간 작, (human being)-

    업 건강 환경 참여(occupation) (health) (context)- - -

    와 관련된 현상을 연구하고 이를 인간사(participation)

    에 적용하는 인간과학 에 더 가깝다 할(human science)

    수 있다(Blanche & Henny-Kohler, 2000; Hocking &

    Clair, 2011; Rudman, 2018; Wilcocx, 1999).

    전문적 교육과정이나 교재에서 다루는 작업과학 주

    제들을 살펴보는 것은 당대의 작업과학 지식의 내용

    과 범위와 구조를 파악하는 좋은 힌트가 될 수 있다.

    본인이 대학원에서 작업과학을 수강할 때 사용되었던

    교재는 의Hasselkus(2002) “The Meaning of Everyday

    이었는데 작업치료학을 공부하면서 처음Occupation” ,

    접해보는 교재의 문학성 때문에 적잖은 충격을 받았

    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같은 책 판에 수록된 주제는. 2 ,

    의미 공간과 장소 문화와 작(meaning), (space & place),

    업 장애 웰빙(culture & occupation), (disability), (well-being),

    발달 영성 창의성(development), (spirituality), (creativity 등)

    이 포함되어 있다 학부생에게 추천(Hasselkus, 2011).

    할 수 있는 또 다른 작업과학 교재 하나는 Christiansen

    과 의Townsend(2011) “Introduction to occupation: The

    이다 이 책이 다루고 있는Art and Science of Living” .

    작업과학 주제는 문화 발달 사회집단의 작업적 본성, , ,

    작업적이행 작업균형 과(transition), (occupational balance)

    웰빙 장소 일과여가 작업적정당성, (place), , (occupational

    작업 박탈 등으로 문justice), (occupational deprivation)

    화 발달 웰빙 장소 등의 주제는 두 책에서 공통으로, , ,

  • 14 건강과 작업과학 Vol. 1, No. 1, 2018. 5.

    다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현재 미국에서 작업과학 박사과정을 운영하는 대표

    적인두대학은남캘리포니아대학(University of Southern

    과 채플힐 북캐롤라이나대학California, USC) (University

    이다 이 두 대학의 최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

    신 작업과학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여 년 전의 그것10

    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실로 인간과학,

    으로써 작업과학의 지식 범위와 구조에 대한 당대의

    인식론이 잘 반영되어 있음을 엿볼 수 있다 은. Table 3

    의 작업과학 학위과정에서 개설되는 교과목 정보USC

    이고 는 채플힐 북캐롤라이나대(Zemke, 2016), Table 4

    학이 작업과학 교과목 한 과목에서 다루는 수업 주제

    에 대한 정보이다(Dickie, 2016).

    연구3) (Research)

    작업과학에는 양대 산맥이 있다 첫 번째 산맥은.

    를 필두로 미국 남캘리포니아 대학Elizabeth J. Yerxa

    을 중심으로 형성 두 번째 산맥은 를 필, Ann Wilcock

    두로 호주에서 형성된 것이다 첫 번째(Pierce, 2014).

    미국 산맥은 작업과학의 탄생배경에 필연적으로 작업

    치료 직종을 지원한다는 일차적 목표에 충실히 하고

    자 하여 이론과 연구의 방향에 있어 내향적인 경향을

    띠고 있고 주로 작업치료의 자율성과 효과성을 지지,

    하는 전략적 서술적 연구 에 보다(descriptive research)

    집중되어 있다 두 번째 호주 산맥은 직종 내부가 아.

    닌 외부 즉 사회로 향하는 외향적 경향을 띠고 있고, ,

    그래서 사회적 수준 의 작업과 대규모(population level)

    의 작업패턴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정책을(large-scale)

    강조하고 그래서 학제 간 연구(interdisciplinary re-

    를 강조한다search) .

    작업과학의 이 두 주류는 건강한 긴장 관계를 통해

    작업과학 연구의 성장과 성숙을 이끌어가고 있다 연.

    구를 통해 지원하고자 하는 건강의 수준이 개인적 수

    준이냐 사회적 수준이냐 그 초점에 차이가 있을 뿐,

    두 산맥에서 생성되는 지식은 모두 클라이언트 개인

    과 그들이 살아가는 세상의 작업적 건강과 웰빙을 상

    호보완적으로 촉진한다(Frank & Zemke, 2009; Hocking

    et al., 2014; Parnell & Wilding, 2010; Rudman, 2018;

    Rudman et al., 2008).

    작업과학은 신경과학 생리학 예방의학 노인학 의, , , ,

    공학 등과 같은 전통적 학문과 결합하면서 의료 및 사

    회 임상과의 연계성을 높여왔다(Elizabeth, Ellen, &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작업을 이해하는 상호교류적 관점 인간 행동과 관련된 복잡성 이론 건강에 대한 작업적 관점 작업과 성별 작업과 시간 작업과 장, , , , ,

    소 작업과 물체들 체화된 작업 작업과 에이전시 작업과 정체성 작업과 연령, , , , ,

    A transactional perspective to understand occupation, Complexity theory in relation to human behavior, Occupational

    perspective of health, Occupation and Gender, Occupation and Time, Occupation and Place, Occupation and Objects,

    Embodied Occupation, Occupation and Agency, Occupation and Identity, Occupation and Age.

    Table 4. Topics of An Occupational Science Subject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작업 일생에 걸친 건강과 장애 다양한 정체성과 생활스타일의 작업적 표현 지속가능한 생활스타일 창출 인간 작업 유형 기능 및; ; ; ; ;-

    의미의 본질 뇌 마음 신체 자신 가족 일상에 대한 관점 장애 작업 건강관리 체계 작업적 재건과 사회적 변화 삶 이야기 생산; , , ; ; , , ; ;-

    의 서술적 행위를 통한 자신의 창출 사회적 상호작용의 서술적 구조 묘사 치유 작업; , ,- -

    Occupations, Health and Disability across the Lifespan; Occupational Expressions of Diverse Identities and Lifestyles; Creating

    a Sustainable Lifestyle; The Nature of Human Occupation-Form, Function, and Meaning; The Brain-Mind, Body, and Self;

    Perspectives on the Daily Life of Families; Disability, Occupation, and the Health Care System; Occupational Reconstructions

    and Social Transformations; Creating the Self through Narrative-Acts of Life Story Production; and The Narrative Structure of

    Social Interaction-Narrative, Healing, and Occupation

    Table 3. Courses for Occupational Science Degree

  • 작업과학 15

    현대 작업과학의 주제인 인간 작업Barbara, 2009). - -

    건강 환경의 관계가 가진 다면성은 작업과학 사회,-

    학 인류학 철학 심리학 교육학 환경학 정책학 등, , , , , ,

    여러 인문사회 학문의 학제간 또는 다학제간 연구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어 향후 작업과학 연구의 기회,

    기능 기여 등은 지속해서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

    학회4) (Academic Society)

    1 년국제작업과학회999 (International Society of Occu-

    가 창립된 이래 호주 유럽연합pational Science, ISOS) , ,

    영국 캐나다 미국 일본은 발 빠르게 학회를 창립하, , ,

    여 작업과학과 작업치료의 발전을 도모해왔다 학회.

    를 통한 활발한 작업과학 연구 활동은 오늘날 이들이

    작업치료 선진국이 될 수 있는 중요한 디딤돌이 되어

    주었다 특히 작업과학은 기존의 작업치료 임상을 강.

    화할 뿐만 아니라 작업치료 직종의 새롭고 혁신적인

    역할을 위한 지식기반을 형성해 줌으로써 작업치료의

    영역 확대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Hocking et al., 2014;

    Keesing & Rosenwax, 2011).

    작업과학은 사실 세계 어느 곳의 작업치료사에게도

    완전히 새로운 것이나 외래의 것이 아니다(foreign)

    그럼에도 불구하고(Blanche & Henny-Kohler, 2000).

    특정 지역이나 나라에서는 작업과학에 대한 이해나

    수용 또는 적용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외래에서 발, .

    생한 특정 학문이나 학풍이 현지에서 수용되고 자리

    잡히는 것이 어려운 이유는 보통 문화 타당성(cultural

    내지는 철학적 적합 의 문제relevance) (philosophical fit)

    때문이다(Hocking & Clair, 2011; Polatajko & Welch,

    따라서 작업과학이 한국 작업치료에 정착하여2015).

    한국 작업치료를 뒷받침해주고 한국 사회의 작업적

    건강과 웰빙을 지원하는 데 잘 활용되기 위해서는 한

    국 문화와 체계 안에서의 충분한 검토와 검증이 수반

    되어야 할 것이다.

    최근 년 월 일 국내에작업과학을연구하는, 2017 11 25 ,

    모임인 한국작업과학회‘ (Korean Academy of Occupational

    Science-Challenging, Inspiring, Empowering All; KAOS-

    가 창립하였다 한국작업과학회는 다른 작CINEMA)’ .

    업치료 및 작업과학 선진국들보다는 그 시작이 많이

    늦지만 구별되는 긍정적인 특징이 몇 가지 있다 첫, .

    째는 학회의 구성과 창립이 특정인이나 특정 그룹의,

    기획이 아닌 여러 사람의 필요와 공감이 충분히 예열

    과정을 거치며 자연스럽게 융합되어 그 시너지에 의

    해 이뤄졌다는 점 둘째는 다른 나라의 경우 보통 작,

    업과학이 작업기반중재를 이끌고 학계의 주도에 대해

    임상의 반응이 뒤따라온 반면 한국은 이미 임상의 작,

    업기반중재 시도와 욕구가 형성되어 있고 치료사들

    스스로 자신의 임상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는 지식과

    자원에 대한 갈증을 품고 있는 상태라는 점 셋째는,

    학회의 주요 구성원에 임상가의 참여가 많아 지식과

    임상의 연계성을 높일 수 있는 시스템이라는 점이고,

    마지막으로는 작업과학이라는 학문의 복합적이고 다

    면적인 특징이 학회의 운영 및 연구 활동 전반에도 적

    용되는 원칙이라는 점이다한국작업과학회 한( , 2017).

    국작업과학회가 한국 문화에 맞는 작업과학 연구를

    통해 한국 작업치료의 발전을 도모하고 한국인과 한

    국 사회의 작업적 건강과 웰빙을 촉진하고 나아가 국

    제 학회들과 상호교류하며 인류와 국제사회의 작업적

    건강 도모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해 본다.

    결 론.Ⅲ

    작업치료 전문인은 작업치료 직종의 철학에 대해

    이해할 필요가 있다 철학에는 존재론과 인식론과 가.

    치론이 있다 하였다 본 논설은 세 부문의 철학 중 인.

    식론을 주요하게 다루고 있으나 기본적으로 철학을,

    대할 때는 부분적으로나 개별적으로가 아닌 전체적으

    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세 부문의 철학은 뫼비우스의.

    띠처럼 연결되어 있어서 하나가 다른 하나에 지속해

    서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존재론이(Schell et al., 2014).

    인식론으로 이어지고 가치론은 그 인식론을 반영한,

    다 이 중 인식론은 지식에 대한 철학적 성찰인데 작. ,

    업치료 인식론은 작업치료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며

    다른 모든 지식을 구조화하고 통합하는 것은 작업에

    대한 지식 이라고 말한다 작(knowledge of occupation) .

    업과학은 작업에 대한 지식을 생성하는 기초과학 학

  • 16 건강과 작업과학 Vol. 1, No. 1, 2018. 5.

    문으로써 작업치료 철학의 그 인식론과 연관된다, .

    우치다 타츠루는 그의 저서 푸코 바르트 레비스‘ , ,

    트로스 라캉 쉽게 읽기 교양인을 위한 구조주의 강, -

    의에서 우리는 무엇을 모르는가 라는 물음을 정확’ ‘ ?’

    하게 인지하고 나면 우리가 거기에서 필사적으로 눈‘

    을 돌리려고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밝혀낼 수 있다고’

    하였다 나아가 그는 무지라는 것은 단순히 지식의 결.

    여가 아닌 알고 싶지 않다라는 마음가짐을 갖고 한‘ ’

    결같이 노력해온 결과라고 지적하였다이경덕( , 2013).

    만약 당신이 작업치료에 대해 알고자 하는 마음이 있

    다면 당신은 이미 작업치료 철학자의 길에 들어선 것

    이다 나아가 알기 위해 노력하고 또 안 것을 실천한.

    다면 진정한 철학자요 전문인일 것이다 만약 당신이.

    작업치료에 대해 알고 싶지 않은 마음가짐으로 한결

    같이 노력하고 있다면 당신은 무지한 자요 작업치료, .

    전문인이라 할 수 없을 것이다 실로 전문인으로서의.

    근본은 알고자 하는 철학적 태도에 있기 때문이다

    혹시 당신에게 작업치료 관련 지식(Wilcock, 1999b).

    중 필사적으로 눈을 돌리려고 하는 어떤 것이 있는가?

    오늘날의 한국 작업치료는 직종의 전문성과 당위성

    을 보다 자신 있게 피력할 필요가 있다 때론 치열한.

    전투가 필요하기도 하다 이는 작업치료 직종 전체 집.

    단의 전투일 뿐만 아니라 작업치료 전문가 개인에게

    도 해당된다 작업치료 임상 연구 또는 교육을 향상. ,

    하고자 하는 개개인의 매일의 노력 또한 자신만의 작

    은 전투인 것이다 역사적으로 가치 있고 훌륭했던 많.

    은 전투에는 늘 투철한 정신 이 있었다 정신과(spirit) .

    철학은 불가분의 관계로써 정신은 철학을 대변한다, .

    작업치료 전문가로서 우리의 전투에도 정신이 필요하

    며 그 정신은 우리의 철학으로부터 나온다 한국 작, .

    업치료가 투철한 신념과 정신을 갖춘다면 즉 직종의,

    철학을 확고히 한다면 우리 직종의 분투와 그리고 매,

    일의 작업치료 임상 연구 및 교육은 승패를 떠나 이, ,

    미 의미 있고 가치 있는 전투가 되지 않겠는가?

    나아가 전투를 승리로 이끌기 위해서는 지식

    과 기술 과 전략 이 필요하다(knowledge) (skill) (strategy) .

    이 글은 이 중 지식에 주목하고 있다 철학은 투철한.

    정신 전략은 조직적 장군 기술은 실전( ), ( ),精神 將軍

    훈련으로 연결된다면 지식은 병마 즉( ) , ( ),實戰 兵馬

    오늘날의 무기에 해당한다 전투를 함에 있어서 뛰어.

    난 전략을 수립하는 훌륭한 장수와 실전 훈련으로 단

    련된 기술을 보유하고 있더라도 사용할 병마무기가( )

    부실하다면 승리할 수 없을 것이다 작업치료를 보다.

    더 자신 있게 피력하고 나아가 직종의 발전을 이루기

    위한 그 전투에 있어서 필수적이며 핵심적인 무기는

    바로 작업에 대한 지식 작업과학이다, .

    현대전에서 첨단의 무기는 승리와 직결되곤 하는

    데 그렇다면 현대 작업치료에 필요한 첨단 무기는 무,

    엇일까 오늘날 보건의료직 전반에 걸쳐서 강하게 요?

    구되고 있는 것은 근거기반치료이다 이에 우리는 작.

    업에 대한 지식의 획득과 활용에 있어서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근거기반의 틀에 맞춰 우리의 추론 방식을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작업치(Gustafsson et al., 2014).

    료사는 근거 수준을 높이기 위해 작업에 대한 지식을

    보다 과학적인 방식으로 획득하고 활용해야 할 것이

    다 작업과학은 작업에 대한 지식을 과학적으로 탐구.

    하고 추론하는 학문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작업과학. ,

    은 마치 세기 작업치료의 첨단 무기처럼 여겨지기21

    도 한다.

    한국 작업치료가 직종 고유의 정신을 지키며 첨단

    무기까지 장착한다면 즉 작업치료 철학을 유념하고,

    작업과학 근거를 잘 활용한다면 오늘날 우리의 전투,

    는 의미 있음에서 나아가 이제 승리로까지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1] 강영안 전인 간호의 철학적 기초. (2002). . 전인간

    호과학연구 학술모음집(1), 233-260.

    [2] 이경덕. (2013). 푸코 바르트 레비스트로스 라캉, , ,

    쉽게 읽기 교양인을 위한 구조주의 강의- 갈라.

    파고스.

    [3] 전국대학작업치료교수협의회. (2018). 전국대학작

    업치료 교수협의회 동계워크샵 자료집 작업치-

    료교육의 방향 및 목표 대전 전국대학작업치료. :

  • 작업과학 17

    교수협의회.

    [4] 한국작업과학회. (2017). 한국작업과학회의창립대회

    자료집 한국작업과학회 창립배경- 서울 한국작. :

    업과학회.

    [5] Barlott, Shevellar & Turpin, (2017). Becoming mi-

    nor Mapping new territories in occupational science.

    Journal of Occupational Science, 24(4), 524-534.

    [6] Blanche, E. I., & Henny-Kohler, E. (2000). Philosophy,

    science and ideology: A proposed relationship for

    occupational science and occupational therapy.

    Occupational Therapy International, 7(2), 99-110.

    [7] Christiansen, C. H., & Townsend, E. A. (2011).

    Introduction to Occupation: The Art and Science of

    Living.

    [8] Choi, Y. H.. (2009). Is Intuition a Source of

    Knowledge?. Studies in Philosopy East-West, 51(1),

    275-297.

    [9] Clark, F. A., Parham, D., Carlson, M. E., Frank, G.,

    Jackson, J., Pierce, D., et al. (1991). Occupational

    science: Academic innovation in the service of oc-

    cupational therapy’s futur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5(4), 300-310.

    [10] Dickie, V. (2016). A course in occupational science for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Journal of Occupational

    Science, 23(4), 519-524.

    [11] Dickie, V., Cutchin, M. P., & Humphry, R. (2006).

    Occupation as transactional experience: A critique

    of individualism in occupational science. Journal of

    Occupational Science. 13(1), 83-93.

    [12] Elizabeth, B. C., Ellen, S. C., & Barbara A. B.,

    (2009). Willard &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1th ed.) Baltimor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3] Fisher, A. G. (2013). Occupation-centred, occupa-

    tion-based, occupation-focused: Same, same or dif-

    ferent? Scandinav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21(S1), 96-107.

    [14] Frank, G., & Zemke, R. (2009). Occupational ther-

    apy foundations for political engagement and social

    transformation. In N. Pollard, D. Sakellariou, F.

    Kronenberg, & H. van Bruggen (Eds.), A political

    practice of occupational therapy (pp.111-135).

    Philadelphia: Churchill Livingstone Elsevier.

    [15] Gustafsson, L., Molineux, M., & Bennett, S. (2014).

    Contemporary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The

    challenges of being evidence based and philosoph-

    ically congruent. Australian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61(2), 121-123.

    [16] Hasselkus, B. R. (2002). The Meaning of Everyday

    Occupation. Thorofare, NJ: Slack.

    [17] Hasselkus, B. R. (2011). The Meaning of Everyday

    Occupation (2nd ed.). Thorofare, NJ: Slack

    [18] Hocking, C. (2000). Occupational science: A stock

    take of accumulated insights. Journal of Occupational

    Science, 7(2), 58-67.

    [19] Hocking, C., & Clair, V. W. S. (2011). Occupational

    science: Adding value to occupational therapy. New

    Zealand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8(1), 29.

    [20] Hocking, C., Kronenberg, F., Nayar, S., Stanley,

    M., Wicks, A., Wilson, L., et al. (2014). Addressing

    diverse occupational needs: What new knowledge

    do European and New Zealand occupational thera-

    pists seek?. New Zealand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1(2), 39.

    [21] Ikiugu, M. N., & Schultz, S. (2006). An argument

    for pragmatism as a foundational philosophy of occu-

    pational therapy.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3(2), 86-97.

    [22] Kang, D. H., (2000). A Comprehensive Approach to

    Occupational Science.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8(1), 121-127.

    [23] Keesing, S., & Rosenwax, L. (2011). Is occupation

    missing from occupational therapy in palliative

    care?. Australian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58(5), 329-336.

    [24] Kim, H. J., (2018). A Study on Nursing Philosophy

    and Research in Nursing Perspective. Korea Society

  • 18 건강과 작업과학 Vol. 1, No. 1, 2018. 5.

    for Wellness, 13(1), 295-306.

    [25] Kim. M. S., Sung. M. S., Jang. H. J., (1992).

    Intuition in Philosophy of Nursing Scienc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4(2), 178-192.

    [26] Molineux, M. (2011). Standing firm on shifting

    sands. New Zealand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8(1), 21-28.

    [27] Meyer, A. (1922). The Philosophy of Occupational

    Therapy. Archives of Occupational Therapy, 1, 1-10

    [28] Parnell, T., & Wilding, C. (2010). Where can an oc-

    cupation-focussed philosophy take occupational

    therapy?. Australian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57(5), 345-348.

    [29] Pierce, D., Atler, K., Baltisberger, J., Fehringer, E.,

    Hunter, E., Malkawi, S., et al. (2010). Occupational

    science: A data-based American perspective. Journal

    of Occupational Science, 17(4), 204-215.

    [30] Pierce, D. (2014). Occupational Science for Occu-

    pational Therapy. New jersey: SLACK.

    [31] Polatajko, H. J., & Welch, C. (2015). Knowledge

    uptake and translation: A matter of evidence or of

    philosophy.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82(5), 268-271

    [32] Rudman, D. L. (2018). Occupational therapy and

    occupational science: building critical and trans-

    formative alliances. Cadernos de Terapia Ocupacional

    da UFSCar, 26(1), 241-249.

    [33] Rudman, D. L., & Dennhardt, S. (2008). Shaping

    knowledge regarding occupation: Examining the

    cultural underpinnings of the evolving concept of

    occupational identity. Australian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55(3), 153-162.

    [34] Rudman, D. L., Dennhardt, S., Fok, D., Huot, S.,

    Molke, D., Park, A., et al. (2008). A vision for oc-

    cupational science: Reflecting on our disciplinary

    culture. Journal of occupational science, 15(3),

    136-146.

    [35] Ruona, W. E., & Lynham, S. A. (2004). A philo-

    sophical framework for thought and practice in hu-

    man resource development. Human Resource Devel-

    opment International, 7(2), 151-164.

    [36] Schell, B. A., Schell, J.W., & Gillen, G. (2014).

    Willard &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2th

    ed.). Baltimor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37] Whiteford, G., & Fossey, E. (2002). Occupation:

    The essential nexus between philosophy, theory and

    practice. Australian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49, 1-2.

    [38] Wilcock, A. A. (1999a). Reflections on doing, being

    and becoming. Australian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46(1), 1-11.

    [39] Wilcock, A. A. (1999b). The Doris Sym Memorial

    Lecture: Developing a philosophy of occupation for

    health. British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2(5), 192-198.

    [40] Wilcock, A. A. (2000). Development of a personal,

    professional and educational occupational philoso-

    phy: An Australian perspective. Occupational Therapy

    International, 7(2), 79-86.

    [41] Wilcock, A. A. (2005). Occupational science: Bridg-

    ing occupation and health.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2(1), 5-12.

    [42] Yerxa, E. J. (1993). Occupational science: A new

    source of power for participants in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of occupational science, 1(1), 3-9.

    [43] Zemke, R. (2016). Extending occupational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Science, 23(4),

    510-513.

  • 지역사회 복지관을 이용하는 고령자의 특성에 따른 작업 영역 별 시간 사용 분석 19

    지역사회 복지관을 이용하는 고령자의 특성에

    따른 작업 영역 별 시간 사용 분석

    예비 연구(Pilot Test)- -

    한다영 이성아* **․

    순천향대학교 일반대학원 순천향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A study of Time use and Occupational area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who using local elderly welfare center : A pilot test

    Han Da-young* Lee Seong-A**․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Graduate School. Soonchunhyang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Soonchunhyang University**

    목적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고령자의 특성에 따라 생활시간 사용과 작업영역 별 시간 사용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자는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세 이상의 고령자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들의 시간사용은 작업 설문: 65 20 .

    지 로 조사하였고 작업 영역은 작업치료 실행 체계 를 기준으로(OQ) ,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 OTPF- )Ⅲ Ⅲ

    하였으며 놀이 영역은 제외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라 연구대상자의 작업영역 별 시간 사용의 빈도분석을 하였다, . .

    결과 남녀 모두 휴식과 수면 영역이 제일 많은 시간 남 여 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연령에서 일상생활: ( 36.8%, 31.85) . ,

    수단적 일상생활 휴식과 수면 여가 영역을 사회참여 교육과 일에서 보다 많은 시간을 사용하였다 또한 정신적 과거력 및 의, , , .

    학적 과거력이 있는 사람들은 사회적 참여 교육과 일의 영역에 시간을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었다 반려자와 사별을 한 대상, .

    자와 독거 형태의 대상자가 대부분의 작업 영역에서의 많은 시간을 사용하였다 인지수준에서는 인지가 높은 대상자가 작업 영.

    역 대부분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복지관을 이용하는 고령자의 특성 및 인지 특성에 따른 시간 사용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일과: ,

    와 작업 영역의 분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제한점을 보완하며 다양한 맥락에서 고령자의 시간 사용에 대한 연구가 진행.

    된다면 보다 전략적인 작업을 고령자에게 제시하고 의미 있는 치료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주제어 인지수준 고령자 작업영역 시간사용: , ,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use of daily time and occupational area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who using local elderly welfare center.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 elderly people over 65 years old who using local elderly welfare center. The

    time use of subjects research by occupational questionnaire and Occupational areas based on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 OTPF- . The play area was excluded. The collected time were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deⅢ Ⅲ -

    scriptive statistics according to subject’s characteristics.

  • 20 건강과 작업과학 Vol. 1, No. 1, 2018. 5.

    Results 남 여: Both men and woman had the most resting and sleeping areas ( 36.8%, 31.85), In all subject’s ages used

    more time ADL, IADL, rest & sleep and leisure than social participation, education and work. The subjects with mental

    history and medical history had spent less time in areas of social participation, education and work. The subjects of

    spouse dead and alone used a lot of time in most occupational areas. At the cognitive level, At the cognitive level, it was

    found that the high cognitive subjects spend a lot of time in most of the occupational areas.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e study has identifi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elderly characteristics and the time

    use of occupational areas, we found out distribution of subject’s routine and occupational areas. Therefore, If we study the

    time use of elderly in carious contexts, we should suggest more strategic occupation for the elderly and lead to mean-

    ingful intervention.

    Key words : Cognitive level, Elderly, Occupational Areas, Time use

    서 론.Ⅰ

    우리나라는 의학의 발달로 전체 인구 중 고령자 인

    구 비율이 년에 들어서면서 로 고령사회로2017 14%

    진입했으며 년에는 로 인구의 고령화는 계, 2026 20.8%

    속 진행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Statistics Korea,

    인구의 고령화로 인하여 많은 문제들이 발생되2015).

    고 있는데 그중 노년기에 접어들며 전보다 많은 시간

    을 보내는 대부분의 고령자들은 자신의 역할을 인지

    하지 못하고 의미 없는 시간을 보내며 일상생활의 의

    미에 혼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Yang, 2007).

    고령자들은 노년기의 시간들을 어떻게 잘 유지하며

    건강하게 보낼 수 있을지 고민해야 한다 또한 많은.

    고령자들이 늘어난 시간에 대해 무엇을 하며 어떻게

    보내야 할 것인가는 큰 과제 중 하나이다 그러므로.

    성공적인 노화를 위해 자신의 일상생활을 어떻게 사

    용하는지 확인하고 분석하는 것은 큰 의미를 가지고

    있다(Yang, 2007).

    작업은사람에게있어삶의의미를부여해주는중요

    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작업을 위해(Kielhofner, 2002).

    적절한 시간 관리가 필요하게 된다 시간은 작업을 위.

    해일상생활을구성하는기준이된다 시간을효과적으.

    로사용한다는것은삶의질과건강을향상시키기위하

    여자기관리 일 여가그리고휴식을균형있게계획하고, ,

    참여하는 것을 의미한다(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2002; Christiansen, & Matuska, 2006).

    작업치료에서는치료와평가및성과의기준으로작

    업 을 사용하고 있으며 미국작업치료사 협(occupation) ,

    회는 작업치료 실행 체계(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에서 작업을 일상생활활동Framework- ; OTPF- )Ⅲ Ⅲ

    수단적 일상생활활동(Activity Daily Living, ADL),

    여가(Instructional Activity Daily Living, IADL),

    놀이 사회참여 휴(Leisure), (Play), (Social Participation),

    식과 수면 교육 그리고 일(Rest and Sleep), (Education)

    등 개로 정의하였다(Work) 8 (American Occupational

    인간의 활동에 대한 연구Therapy Association, 2008).

    들에서 인간의 존재 가치는 자신에게 중요한 활동이

    무엇인지 얼마나 많이 참여하는지에 따라 달라지며,

    이렇게 참여하고 있는 활동들은 삶의 질과 밀접한 관

    계를 갖고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또한(Baum, 1995).

    일상생활에서 작업균형은 건강과 웰빙 을(Well-being)

    증진시키며 삶의 질과도 큰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고령자의 시간사용을 파(Christiansen, 1996).

    악하는 것은 인간의 삶의 질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작

    업치료에서 자신에게 의미있고 가치있는 역할과 기,

    능을 실현하도록 돕는다(Liddle & McKenna, 2000).

    국내 선행연구에서도 시간사용과 작업 균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한국인의 생애주기별 작업영역에.

    대한 시간사용을 조사하여 생애주기 별 시간사용과

    성별에 따라 시간사용에 차이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또한 과 은 유아기(Hong & Lee, 2010). Hong Kim(2014)

    아동 어머니의 작업영역을 분류하여 시간사용의 차이

  • 지역사회 복지관을 이용하는 고령자의 특성에 따른 작업 영역 별 시간 사용 분석 21

    를 분석하였고 과 는 경수 손상, Hong, Jang Seo(2011)

    환자의 작업영역 별 시간사용을 비교하여 제시하였

    다 고령자의 인구가 증가하고 중요함에 따라 생활시.

    간조사를 토대로 한 설문지를 통해 조사연구를 하여

    노인들의 시간 사용에 대한 실태조사를 하였다(Lee,

    과 또한 통계청에서 실시Park, Yoo, Jeong Cho, 2012).

    한 년 생활시간조사를 토대로 시설 거주 노인과2009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시간사용을 분석하였다(Park,

    와Jeon, Lee Kim, 2014).

    그러나 시간 사용에 대한 선행연구의 수가 적고, 65

    세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도 미미한 실적이다 또.

    한 발표된 연구들 중 지역사회 고령자의 인지와 특성

    들에 따른 작업영역의 시간 사용을 확인 한 논문은 없

    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고령자

    의 특성에 따라 생활시간 사용을 분석하여 작업영역

    별 시간 사용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에 대해 알아보

    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방법.Ⅱ

    연구대상1.

    본연구는천안시에소재한 노인복지관을이용하A 는

    세이상의고령자 명을대상자로하였다 대상자의65 20 .

    선정기준으로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자, MMSE-DS

    평가시 점이상인자 의사소통이가능한자로하였24 , 다.

    선정된대상자에게는본연구의취지를이해하고참여

    에 동의한 후 연구동의서에 서명한 대상자로 하였다.

    연구도구2.

    작업 설문지1) (Occupational Questionnaire, OQ)

    작업 설문지 는 와(OQ) Smith, Kielhofner Watt(1986)

    에 의해 개발된 것으로 한 개인이 시간을 어떻게 보내

    는가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한 평가도구이다 인간작.

    업모델 에 근거를(Model of Human Occuqation, MOHO)

    둔 설문지로 시간사용 정도를 분석할 수 있다(Smith,

    평가방법은 대상자의 하루Kielhofner, & Watts, 1986).

    일과를 동안 분마다 나누어진 시간 간00:00 12:00 30∼

    격을 채우고 각 시간대 마다 가장 중요한 활동들을,

    목록화 한다 활동을 목록화한 뒤에 각 활동에 대한.

    수행도 중요도 흥미도에 대한 점수를 기입한다, , . OQ

    의 검사 재검사 신뢰도는 시간대별 활동 활68.0%,-

    동유형 활동수행 활동가치 활동87.0%, 77.0%, 81.0%,

    즐기는 정도는 일치를 보였으며 동시타당도는77.0% ,

    검사와 비교한 결과 활동Household Work Study Daily ,

    의 형태 개인 활동 분류 방법은 일치하82.0%, 90.0%

    였다(Riopel, 1982).

    알렌 인지 수준 판별 검사2) (Allen Cognitive Level

    Test Screen, ACLS)

    는 년 알렌 인지 배터리ACLS 1985 (Allen Cognitive

    의 한 부분으로 인지기능을 평가하는 도구이Battery)

    다 작업치료 계획을 세우거나 지역사회 복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세 개의 서로(Jeong et al., 2008).

    다른 바느질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을 통해 인지 수준

    을 판단할 수 있다 검사시간의 제한은 없으나 약. 20

    분 정도 소요되며 가죽판 한 개시각적인 문제가30 , (∼

    있을 경우 큰 크기의 가죽판 으로 시행할; Large-ACLS

    수 있음 가죽끈에 사용되는 바늘 두 개), Perma-Lok ,

    가죽끈 두 개 한 쌍의 왁스칠 된 실과 바늘로 구성 되,

    어있다 난이도가 증가하는 홈질 감침. (Running stitch),

    질 코도반 바느질 을(Whipstitch), (Single cordovan stitch)

    검사자의 시범과 지시에 따라 순서대로 실시한다 점.

    수는 에서 까지며 점수가 높을수록 높은 인지3.0 5.8 ,

    수준을 나타낸다 개발 당시의 검사자간 신뢰도는. .95,

    검사 재검사신뢰도는 로나타났다.75 (Newman, 1987).-

    연구 절차3.

    대상자들의 시간 사용은 작업 설문지 를 통해(OQ)

    분 단위의 활동 형태로 조사되었고 이를 작업치료 실,

    행 체계(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Ⅲ

    에서 제시한 가지 작업 영역기본적 일상생OTPF- ) 8 (Ⅲ

  • 22 건강과 작업과학 Vol. 1, No. 1, 2018. 5.

    활 수단적 일상생활 교육 일 놀이 여가 사회적 참, , , , ,

    여 휴식과 수면을 기준으로 재분류 하였다 일반적, ) .

    특성에 따라 작업영역 별 시간 사용을 빈도분석을 통

    해 확인하였다 또한 알렌 인지 판별 검사 를. (ACLS)

    이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인지 수준을 확인하고 이를

    기준으로 활동 별 시간 사용에 대해 알아보았다.

    자료분석4.

    자료 분석은 을 사용하여 분석하SPSS Version 20.0

    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각 특성에 따른 작.

    업영역 별 시간사용 수준 별 시간사용을 기술, ACLS

    통계의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Ⅲ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1.

    본 연구의 대상자는 총 명으로 남자 명 여자20 6 , 14

    명이였고 대상자의 연령은 세 명 세70 74 6 , 75 79 3∼ ∼

    명 세 명 세 명 세 이상이 명이였, 80 84 6 , 85 89 4 , 90 1∼ ∼

    다 대상자의 의학적 과거력은 없음 명 만성질환. 5 , 11

    명 뇌졸중과 빈혈이 각각 명이였다 정신적 과거력, 2 .

    은 없음 명 있음 명으로 나타났다 대상자들의 학14 , 6 .

    력은 무학 명 초졸 명 중졸 명 고졸 명 대졸 이3 , 9 , 4 , 3 ,

    상이 명이였다 결혼 상태는 사별 명 배우자 생존1 . 11 ,

    명이였다 동거 형태는 독거 명 가족과 거주 명9 . 9 , 11

    이였다 종교는 무교 명 불교 명 기독교 명이였. 6 , 9 , 5

    다 수행 수준은 점 명 점 명 점. ACLS 4.4 5 , 4.8 1 , 5.4 1

    명 점 명 점 명으로 나타났다, 5.6 4 , 5.8 9 (Table 1).

    성별과 연령의 작업영역 별 시간 사용2.

    일반적특성 중 성별과연령의 작업영역 별시간 사

    용을 본 결과 남자와 여자 모두 휴식 및 수면 영역 여,

    가 영역 순으로 가장 많은 시간을 사용하였다 그 외.

    의 영역별 시간 사용으로는 남자의 경우 영역ADL ,

    영역 사회참여 영역 교육 영역으로 사용하였IADL , ,

    고 여자의 경우 영역 영역 교육 영역 사, IADL , ADL , ,

    회참여 영역 일 영역으로 시간 사용을 사용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연령 별로보았을 경우 모든연령대에서 휴식 및수

    면 영역 여가 영역 순으로 가장 많은 시간을 사용량,

    을 보였다 세인 연령대의 대상자가 가장 많은. 80 84∼

    작업 영역에 참여하고 있으며 세 이상인 대상자는, 90

    가장 적은 작업 영역에 참여하고 있었다(Table 2).

    의학적 과거력과 정신적 과거력의 작업영역 별3.

    시간 사용

    의학적 과거력으로 비교하였을 때 뇌졸중을 가지고

    있는 대상자의 경우 여가 영역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만성질환을 가진 대상사가 가장,

    많은 작업 영역을 참여하고 있었다.

    정신적 과거력으로 보았을 경우 과거력이 없는 대

    상자가 많은 작업 영역에 참여하고 있었다(Table 3).

    학력과 동거형태 배우자 상태의 작업영역 별4. ,

    시간 사용

    학력으로 작업영역 별 시간 사용을 보았을 때 무학

    인 경우 영역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사용하고IADL

    있었으며 수면 및 휴식 영역 영역 여가 영역, , ADL , ,

    사회 참여 영역 일 영역 순으로 나타났으며 수면 및, ,

    휴식 영역 여가 영역 순으로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

    었다 또한 무학의 경우 가장 많은 작업 영역에 참여.

    하고 있었으며 대학교 졸업이상의 대상자가 가장 적,

    은 작업 영역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거.

    형태에서는 모두 휴식 및 수면 영역과 여가 영역,

    영역 영역 순이였고 독거하는 대상자가ADL , IADL

    더 많은 작업 영역에 참여하고 있었다 배우자 상태.

    별로 보았을 때 배우자가 없는 대상자가 더 많은 작업

    영역에 참여하고 있으며 수면 및 휴식 영역과 교육,

    영역을 제외하고 더 많은 시간을 사용하고 있었다

    (Table 4).

  • 지역사회 복지관을 이용하는 고령자의 특성에 따른 작업 영역 별 시간 사용 분석 23

    Classification Frequency(%)

    GenderMale 6(30.0)

    Female 14(70.0)

    Age

    70 74∼ 6(30.0)

    75 79∼ 3(15.0)

    80 84∼ 6(30.0)

    85 89∼ 4(20.0)

    90∼ 1(5.0)

    Medical history

    No 5(25.0)

    Chronic disease 11(55.0)

    Stroke 2(10.0)

    Anemia 2(10.0)

    Mental historyNo 14(70.0)

    Yes 6(30.0)

    Education level

    Uneducated 3(15.0)

    Elementary school 9(45.0)

    Middle school 4(20.0)

    High school 3(15.0)

    College 1(5.0)

    Marital statusBereavement 11(55.0)

    Spousal survival 9(45.0)

    living arrangementLive alone 9(45.0)

    Family and residence 11(55.0)

    Religion

    No religion 6(30.0)

    Buddhism 9(45.0)

    Christianity 5(25.0)

    ACLS level

    4.4 5(25.0)

    4.8 1(5.0)

    5.4 1(5.0)

    5.6 4(20.0)

    5.8 9(45.0)

    ADL :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Table 1.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N 20)=

  • 24 건강과 작업과학 Vol. 1, No. 1, 2018. 5.

    Domains

    n(%)

    Gender Age

    Male Female 70 74∼ 75 79∼ 80 84∼ 85 90∼ 90∼

    ADL 25(17.4) 62(18.5) 26(18.1) 13(18.1) 28(19.4) 15(16.1) 5(20.8)

    IADL 24(16.7) 68(20.2) 32(22.2) 12(16.7) 31(21.5) 10(10.8) 7(29.1)

    Rest and sleep 53(36.8) 107(31.8) 46(31.9) 26(36.1) 42(29.2) 36(38.7) 9(37.5)

    Leisure 31(21.5) 76(22.6) 34(23.6) 18(25.0) 31(21.5) 24(25.8) 3(12.5)

    Social participation 6(4.2) 10(3.0) 2(1.4) 1(1.4) 5(3.5) 6(6.5)

    Education 5(3.5) 11(3.3) 4(2.8) 2(2.8) 5(3.5) 2(2.2)

    Work 2(0.6) 2(1.4)

    ADL :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Table 2. Time use of Occupational areas according to gender and age

    Domains

    n(%)

    Medical history Mental history

    No Chronic disease Stroke Anemia No Yes

    ADL 19(16.2) 45(17.2) 9(18.8) 12(25.0) 62(18.5) 27(18.8)

    IADL 23(19.7) 57(21.8) 5(10.4) 6(12.5) 63(18.8) 26(18.1)

    Rest and sleep 43(36.8) 89(34.0) 15(31.3) 12(25.0) 116(34.5) 44(30.6)

    Leisure 29(24.8) 54(20.6) 18(37.5) 13(27.1) 70(20.8) 38(26.4)

    Social participation 3(2.6) 7(2.7) 1(2.1) 2(4.2) 11(3.3) 2(1.4)

    Education 10(3.8) 3(6.3) 12(3.6) 7(4.9)

    Work 2(0.8) 2(0.6)

    ADL :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Table 3. Time use of Occupational areas according to medical and mental history

    Domains

    n(%)

    Education level Living style spouse state

    Uneduca

    ted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High

    schoolCollege

    Living

    alone

    Family and

    residence

    Spouse

    dead

    Spouse

    survival

    ADL11

    (15.3)

    40

    (18.7)

    11

    (15.3)

    14

    (19.4)

    5

    (20.8)

    42

    (19.4)

    45

    (18.8)

    48

    (18.2)

    39

    (18.1)

    IADL24

    (33.3)

    34

    (15.9)

    11

    (15.3)

    11

    (15.3

    7

    (29.2)

    40

    (18.5)

    52

    (18.1)

    56

    (21.2)

    36

    (16.7)

    Rest and sleep23

    (31.9)

    70

    (32.7)

    25

    (34.7)

    27

    (37.5)

    8

    (33.3)

    68

    (31.5)

    91

    (30.6)

    84

    (31.8)

    75

    (34.7)

    Leisure9

    (12.5)

    57

    (26.6)

    20

    (27.8)

    15

    (20.8)

    4

    (16.7)

    50

    (23.1)

    60

    (26.4)

    62

    (23.5)

    48

    (22.2)

    Social participation3

    (4.2)

    4

    (1.9)

    3

    (4.2)

    2

    (2.8)

    7

    (3.2)

    7

    (1.4)

    8

    (3.0)

    6

    (2.8)

    Education9

    (4.2)

    2

    (2.8)

    3

    (4.2)

    7

    (3.2)

    9

    (4.9)

    4

    (1.5)

    12

    (5.6)

    Work2

    (2.8)

    2

    (0.9)

    2

    (0.8)

    ADL :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Table 4. Time use of Occupational areas according to education level, caohabitation style, and marital status

  • 지역사회 복지관을 이용하는 고령자의 특성에 따른 작업 영역 별 시간 사용 분석 25

    수준 별 시간 사용5. ACLS

    수준 별로 시간 사용을 본 결과 수준에서ACLS 4.4

    는 수면 및 휴식 영역 영역 여가 영역 영, IADL , , ADL

    역 사회 참여 영역 일 영역 순으로 나타났으며, , , 4.8

    수준에서는 수면 및 휴식 영역 여가 영역 영역, , ADL ,

    영역 교육 영역 사회참여 순으로 나타났다IADL , , .

    수준에서는 수면 및 휴식 영역 영역5.4 , ADL ,

    영역 여가 영역 사회 참여 영역 순으로 나타났IADL , ,

    고 수준에서는 수면 및 휴식 영역 여가 영역5.6 , ,

    영역 영역 사회 참여 영역 교육 영역 순IADL , ADL , ,

    으로 나타났다 수준에서는 수면 및 휴식 영역 여. 5.8 ,

    가 영역 영역 영역 교육 영역 사회 참여, ADL , IADL , ,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Table 5).

    고 찰.Ⅳ

    본 연구는 예비 연구로서 지역사회 복지관을 이용

    하는 고령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영역 별 시간 사용

    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일반 노인들의 시간사용의 실태를 분석한 연구에서

    시간 사용을 측정하는 도구들이 일상생활활동과 여가

    는 측정하였지만 다른 작업 영역을 평가한 도구가 없

    었고 작업치료사가 노인들의 시간사용을 정확하게 파

    악하기 위해서는 각 활동들을 에 의한 작업영역OTPF

    가지로분류할수있는기준이마련되어야한다는연8

    구 결과가 있었다 과 이에 연구(Kang, Park Park, 2017).

    에서 연구대상자의 시간 사용을 에 있는 작업영OTPF

    역으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모든 수준에서 휴식및 수면 영역에서가장

    많은 시간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면시.

    간과 관련된 많은 연구들에서 보고된 바와 같은 결과

    를 보였다 또한 휴식 및 수면 영역을 제외하고 대부.

    분의 시간을 영역과 여가 영역에서 많은 시간을IADL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또한 선행연구의 결

    과와 일치한다(Chang, 2012; Chilvers et al., 2010).

    연구에서 본 연구와 동일하게Hong & Lee(2010) 65

    세 대상자를 노년기로 표기하여 성별의 시간사용을

    본 결과 영역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더 많은 시간IADL

    을 보내고 있었고 여가 영역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많

    은 시간을 보내고 있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영역과 여가 영역에서 모두 여자가 남자보다 더IADL

    많은 시간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는 거주지역에 따라 지역사회Park(2010)

    거주노인과 시설 거주노인의 시간사용을 보았으며,

    연구에서는 결혼한 여성 노인과 과부가Kalen(2014)

    된 여성노인의 시간 사용을 비교한 논문도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의학적 과거력과 정신적 과거력이

    있는 사람들은 사회적 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