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연구년 특별연수제도에 대한 유치원교원의 인식 및 요구...

21
- 221 -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제도에 대한 유치원교원의 인식 및 요구 분석* 본 연구는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제도에 관한 유치원교원의 인식과 요구를 파악하고 이를 토 대로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지역별로 비례 표집한 전국 국공립유치원교원 총 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에 참여한 유초중등교원 및 시도 교육청 학습연구년 담당 장학사를 면담하였다 설문조사 및 면담 분석 결과 유치원교원들은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제도의 선발기준 운영 방식 의무사항 등에 대한 인지도가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발인원 규모의 확대 병설유치원과 농어촌지역의 대체교사 확보 원장 과 동료교사의 적극적인 독려와 지원 연수프로그램의 다양화 및 참여교원의 자율성 확대 등 을 요구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유치원교원의 학습연구년 특별 연수제도의 선발인원 할당제를 도입하고 설립유형별 사립유치원교원 포함 직위별 원장 원감 포함 로 선발대상을 다양화한다 또한 학습연구년의 취지를 고취하고 참여교원의 책무성을 강 화함과 동시에 참여교원에게 자율성을 확대하도록 한다 아울러 학습연구년의 성과를 현장에 서의 교수 및 교원연수에 적극 활용하며 학습연구년 교원 및 시도교육청간의 연수프로그램 및 관련 정보를 공유하고 교류를 활성화하도록 한다 주제어 : 유치원교원, 학습연구년 정책, 교사 전문성 개발 본 논문은 년도 육아정책연구소 보고서 유치원 교원의 학습연구년 특별연수 운영모형 개발 를 토 대로 작성됨 교신저자 원고접수 심사 수정완료

Upload: others

Post on 27-Oct-2019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제도에 대한 유치원교원의 인식 및 요구 분석*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8HR1PBdl_10_EBACB8... · - 224 - 박하다아울러유치원교원의

- 221 -

韓國敎員敎育硏究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2014, Vol.31, No.1, pp.221~241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제도에 대한 유치원교원의

인식 및 요구 분석*Analysis on Perspectives and Needs of Kindergarten Teachers on

the Study Leave System*

문 무 경(육아정책연구소 선임연구위원)

정 주 영(육아정책연구소 부연구위원)**

요 약

본 연구는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제도에 관한 유치원교원의 인식과 요구를 파악하고 이를 토

대로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지역별로 비례 표집한 전국 국공립유치원교원 총 316명

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에 참여한 유초중등교원 및 시도

교육청 학습연구년 담당 장학사를 면담하였다. 설문조사 및 면담 분석 결과, 유치원교원들은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제도의 선발기준, 운영 방식, 의무사항 등에 대한 인지도가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발인원 규모의 확대, 병설유치원과 농어촌지역의 대체교사 확보, 원장

과 동료교사의 적극적인 독려와 지원, 연수프로그램의 다양화 및 참여교원의 자율성 확대 등

을 요구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유치원교원의 학습연구년 특별

연수제도의 선발인원 할당제를 도입하고 설립유형별(사립유치원교원 포함), 직위별(원장, 원감

포함)로 선발대상을 다양화한다. 또한 학습연구년의 취지를 고취하고 참여교원의 책무성을 강

화함과 동시에 참여교원에게 자율성을 확대하도록 한다. 아울러, 학습연구년의 성과를 현장에

서의 교수 및 교원연수에 적극 활용하며, 학습연구년 교원 및 시도교육청간의 연수프로그램

및 관련 정보를 공유하고 교류를 활성화하도록 한다.

주제어 : 유치원교원, 학습연구년 정책, 교사 전문성 개발

* 본 논문은 2013년도 육아정책연구소 보고서 ‘유치원 교원의 학습연구년 특별연수 운영모형 개발’를 토대로 작성됨

** 교신저자 : [email protected]

*** 원고접수(14.01.29). 심사(14.02.27). 수정완료(14.03.21)

Page 2: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제도에 대한 유치원교원의 인식 및 요구 분석*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8HR1PBdl_10_EBACB8... · - 224 - 박하다아울러유치원교원의

한국교원교육연구 제31권 제1호

- 222 -

Ⅰ. 서론

OECD(2012)는 유아교육과 보육의 질 향상을 위한 가장 중요한 정책수단으로 교사 자격

기준과 양성과정 및 현직연수, 근무여건의 개선을 강조하였다. 취업모의 증가, 이주민 가정

의 증가, 유아기 서비스에 대한 교육적 관점의 강조 등으로 인하여 유아교사에게 요구되는

직무와 역할의 수행이 양과 질, 내용의 측면에서 한층 강화되는 추세이다. 따라서 OECD

회원국들에서는 유아교사 양성교육 및 지속적인 현직연수를 통한 전문성 향상을 위한 다

양한 방안과 전략들이 논의되고 있다.

우리정부는 ‘유아교육 선진화정책’(2009∼2012)에서 초·중등교원정책과 연계하여 우수한

유치원 교원 확보 및 자질 향상을 위한 정책 방안을 모색, 추진하여 왔다(교육과학기술부,

2009). 그 대표적 정책으로 수석교사제 도입, 원장공모제를 통한 국공립유치원장 임용, 교

원능력개발평가 도입을 통한 교원의 전문성 신장 유도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정책들은

최근 수립된 ‘유아교육발전 5개년 계획’(2013∼2017)에 포함되어 지속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교육부, 2013).

교원의 자질 향상, 즉, 전문성 신장은 양성, 임용과 배치, 직무와 자격연수, 근무여건 등

의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야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각종 연수

제도는 현장교원을 대상으로 교사로서의 전문성과 일반적인 자질을 함양하기 위해 의무적

또는 자발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현직연수의 내용과 형식이 교육현장의 요구와 괴

리가 생기면서 지식위주의 강의식 연수방법, 연수기관의 전문성 부족, 연수기관의 질 관리

미흡, 기관중심의 의존적 연수방식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신현석․전상훈, 2008, 전

제상, 2010). 이에, 2010년 시범 실시된 ‘교원의 학습연구년제’는 현직교원의 효과적인 재교

육의 방안으로 주목받게 되었다.

교원의 학습연구년제는 초․중등교원이 1년간 수업과 업무부담에서 벗어나 학습과 연구

에 몰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로서, 교원능력개발평가 결과가 우수한 교원을 대상으

로 제공되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12). 교원의 학습연구년제의 실시는 우리나라 교직사

회와 교원 연수제도에 있어서 큰 변화를 의미한다. 즉, 휴식과 재충전을 위한 안식년의 의

미보다는 우수한 경력교사가 자신의 관심주제를 자기계획 하에 심도있게 학습하는 개별맞

춤형의 연수를 실시한다는 점에서 ‘학습연구년 특별연수’로 지칭된다.

교원의 학습연구년제에 관한 국내연구는 주로 이미 시행되고 있는 초·중등부문에 국한되

어 있으며(유아 부문에는 전무한 실정임),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1) 교원의 전문성

및 역량 강화 방안으로 학습연구년제 시행을 제안한 연구(김이경 외, 2011; 김정원 외,

Page 3: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제도에 대한 유치원교원의 인식 및 요구 분석*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8HR1PBdl_10_EBACB8... · - 224 - 박하다아울러유치원교원의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제도에 대한 유치원교원의 인식 및 요구 분석

- 223 -

2013), 2) 학습연구년제에 대한 교원의 요구도 및 인식 분석 연구(안세근 외, 2008; 문현진,

2013), 3) 학습연구년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전제상, 2008). 이러한 기존연구들의 주요 결

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김정원 외(2012)는 교원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사교육체제의 한 방안으로 학습연구년의

기회 확대를 주장하였다. 학습연구년은 휴식이 아닌 재교육프로그램이므로 10년 주기로 모

든 교원에게 참여 기회를 제공하고, 수동적인 집합교육보다는 참여자의 연구주제에 적절한

연수를 받을 수 있는 자율성을 부여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한편, 서울시에 재직 중인 초등

교원을 대상으로 교원의 학습연구년 제도에 관한 인식조사를 실시한 문현진(2013)의 연구

에서는 높은 비율의 교사들이 학습연구년제의 목적을 교원의 사기진작 및 재충전에 두는

것으로 나타나, 우수교원 인센티브로써 제공되는 학습연구년제의 원래 시행 취지와는 다소

거리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김은영(2013)은 학습연구년에 참여중인 초․중등 교원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하여 지원동기, 선발과정, 초기 활동 계획 및 수행, 문제점 등을 파

악하였다. 면담한 교사들의 지원동기는 신체적·정신적 소진에 따른 재충전, 주변의 권유,

전문성 신장 등으로 파악되었고, 관련 애로사항으로 학습연구년에 대한 학교 내의 부정적

인 분위기와 동료교사의 학습연구년 참여에 따른 업무과중 등이 지적되었다. 부희영 외

(2012)는 학습연구년제에 참여한 교원을 대상으로 개선방안에 대한 의견조사를 분석한 결

과, 연수 프로그램의 다양화, 선발과정의 전문성과 공정성 제고, 기존의 연수 및 파견 제도

의 정비, 학습연구년제 대상 확대 등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개선방안은 선발인

원 확대와 자율연수 기회 확대 등을 강조한 상기 연구들과 유사하였다.

초·중등교원의 학습연구년제가 2010년 시범운영을 거쳐 2011년부터 전국적으로 시행된

것에 비해, 유치원교원의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제도는 2013년 9월에 처음으로 6개월간 시범

적으로 운영되었다. 시범운영에서는 7개 시·도에서 각 1명씩 총 7명이 선발되었고, 1인당 5

백만원씩 지원되었다. 연수프로그램은 교육부의 위탁으로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원에서

실시되었으며, 국내·외 우수교육기관 방문연수, 집합연수, 주제별 연수, 개인연구, 체험연수

로 구성되었다(교육부․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원, 2013). 유치원교원의 학습연구년제는

2014년도 본격적인 전국 시행을 위하여 2014년 1월 현재 여러 시·도교육청에서 이미 선발

절차가 진행되어 학습연구년 참가교원을 확정하였다.

유치원교원의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제도는 우리나라 유치원의 현황과 특수성을 세심하게

고려하여 시행될 필요가 있다. 이는 현재 지원대상자가 교원능력개발평가를 받은 국공립단

설유치원 교원에 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병설유치원 및 농어촌지역의 경우, 업무

인수인계가 가능한 숙련된 대체교사의 확보가 어려워 기관장의 허가를 받을 가능성이 희

Page 4: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제도에 대한 유치원교원의 인식 및 요구 분석*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8HR1PBdl_10_EBACB8... · - 224 - 박하다아울러유치원교원의

한국교원교육연구 제31권 제1호

- 224 -

박하다. 아울러, 유치원교원의 선발규모가 초․중등교원에 비해 현저히 작기 때문이기도

하다(문무경 외, 2013). 또한 유치원교원의 학습연구년제는 초․중등교원과 마찬가지로 시

도교육감 재량에 의하여 제반 사항들이 결정되므로, 시도별로 1∼2명의 유치원교원이 수십

명의 초․중등교원에 흡수되어 특별연수를 실시하는 양상이 초래되기 쉽다.

현재 유치원교원의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제도에 대한 국내연구는 전무한 상황이므로 현

장의 적극적인 제도 수용 및 성공적인 정착을 위하여 유치원교원의 관련 인식과 요구를

제대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교원의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제도

에 관한 유치원교원의 인식과 요구를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제도의 목적, 연수 운영방식, 애로사항 등에 대한 유치원교원

의 인식을 어떠한가?

둘째,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유치원교원의 요구는 무엇인가?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에서는 전국 17개 시도교육청별로 국공립유치원교원 총 474명을 비례표집하였으

며, 총 316명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이는 현재 유치원교원의 학습연구년 특별연수 지원 자

격은 교원능력개발평가를 받은 교사에 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

는 2012년도에 처음으로 국·공립단설유치원 교원을 대상으로 시범적으로 실시되었으며,

2013년도부터 3학급 이상의 전국 국·공립유치원과 3학급 이상의 사립유치원 중 희망하는

소수의 유치원에서 실시되고 있다.

응답자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근무하는 유치원의 소재지는 대도시 41.1%, 중소도시

37%, 읍면지역 21.8%였으며, 단설유치원 35.1%, 병설 유치원 64.9%에 근무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연령은 40대 37%, 30대 35.4%로 30∼40대가 많고, 교직경력은 20년 이상의 교원이

34.2%로 가장 많은 것으로 파악되었다(<표 II-1> 참조).

Page 5: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제도에 대한 유치원교원의 인식 및 요구 분석*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8HR1PBdl_10_EBACB8... · - 224 - 박하다아울러유치원교원의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제도에 대한 유치원교원의 인식 및 요구 분석

- 225 -

<표 Ⅱ-1> 응답자 특성

단위: %, (수)

구분 백분율(수) 구분 백분율(수)

기관 소재지 유치원교사 자격

대도시 41.1(130) 정교사 2급 17.7( 56)

중소도시 37.0(117) 정교사 1급 75.0(237)

읍면지역 21.8( 69) 원감,원장 7.3( 23)

기관 유형 직위

단설 35.1(111) 부장교사, 원감 38.0(120)

병설 64.9(205) 일반교사 62.0(196)

연령 경력

20대 16.8(53) 5년 미만 18.7( 59)

30대 35.4(112) 5~10년 미만 22.8( 72)

40대 37.0(117) 10~20년 미만 24.4( 77)

50대 이상 10.8( 34) 20년 이상 34.2(108)

최종 학력

대졸 42.1(133)

대학원 이상 57.9(183)

전체 100.0(316)

2. 자료 수집 및 분석

본 연구를 위해 교원의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에 관한 국내외 연구결과를 분석하여 설문

지를 구성하였고, 유아교육 학계 및 현장전문가 6명에게 서면자문 및 검토를 받아 수정, 보

완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문항은 총 31문항으로, 주요 내용은 <표 II-2>와 같다.

<표 Ⅱ-2> 설문조사 내용

구분 내용

응답자 일반현황 지역규모, 연령, 경력, 설립유형, 직위, 소지자격증, 최종학력

학습연구년에 대한 인식

학습연구년제 전반에 대한 인지도, 지원동기, 지원시 애로사항,

효과적 시행을 위한 조건, 기대효과

학습연구년 운영 관련 요구

선발인원 규모, 선발전형 기준 및 절차, 연수프로그램,

학습연구년 결과보고 방식 및 활용

본 연구의 조사를 위해 17개 시·도 교육청별, 경력별(5년 미만, 5년 이상-10년 미만, 10년

이상-20년 미만, 20년 이상)로 비례표집된 국공립유치원 교원에게 이메일로 설문지를 발송,

회수하였다. 응답자료는 빈도, 백분율, 평균 및 표준 편차 등의 기초분석과 지역규모, 경력,

Page 6: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제도에 대한 유치원교원의 인식 및 요구 분석*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8HR1PBdl_10_EBACB8... · - 224 - 박하다아울러유치원교원의

한국교원교육연구 제31권 제1호

- 226 -

직위, 학력 수준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석, t검증 및 f검증을 실시

하였다.

또한 유치원교원 학습연구년의 현황, 실제 운영체계, 애로사항 등을 파악하기 위하여 각

시·도 교육청 학습연구년 담당 장학사 총 7명과 2013년도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에 참여 중

인 유․초․중등교원 총 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가 수행되던 시점

에서는 유치원교원 학습연구년 참여경험이 있는 유치원교사가 극히 제한적이며, 참여기간

또한 매우 단기에 불과하여 2010년도부터 시행되어온 초중등교원 학습연구년제에 참여한

교사들을 면담하여 운영 실태와 시사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심층면담 내용을 전사하여

연구진과 면담대상자 간 교차검토를 실시하였다. 심층면담 대상 및 내용은 다음 <표 Ⅱ-3>

과 같다.

<표 Ⅱ-3> 심층면담 대상 및 내용

구분 면담자 면담자 수 내용

학습연구년교원

학습연구년 시범운영 참여 유치원교원

3 선발전형, 지원동기,

위탁 및 개별연수 내용,

연수 만족도, 개선요구사항 등 2013년 학습연구년 참여

초중등교원 4

담당공무원

서울, 전북, 강원도 교육청 담당 장학사

3목적 및 취지, 선발전형,

선발인원, 예산, 복무관리,

기관위탁, 해외 연수,

예산 사용, 결과보고 등

강원도 담당 장학관 및 장학사 2

경기도 담당 장학관 및 장학사 2

Ⅲ. 연구 결과

1.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제도에 대한 유치원교원의 인식

가. 학습연구년제 전반에 대한 인식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제도에 대한 국공립유치원교원의 인지도는 전반적으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학습연구년제가 시행되고 있으며 그 목적과 취지에 대해

서는 64.5%의 응답자가 알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학습연구년 특별연수 대상자

Page 7: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제도에 대한 유치원교원의 인식 및 요구 분석*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8HR1PBdl_10_EBACB8... · - 224 - 박하다아울러유치원교원의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제도에 대한 유치원교원의 인식 및 요구 분석

- 227 -

선발 기준 및 선발인원에 대해 ‘전혀 모르거나 별로 알지 못한다’는 견해가 69.3%로 매우

낮은 인지도를 보였고, 학습연구년 운영 사항(연수기간, 횟수, 처우, 프로그램)에 대해서도

74.4%가 모른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제도의 의무사항에 대해서 77.5%

가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인지도가 특히 낮음을 알 수 있다.

2013년 유치원 교원의 학습연구년 시범운영에 참여하고 있는 유치원교사, 학습연구년 특

별연수를 담당하고 있는 시도 장학사등과의 면담 결과에서도 비슷한 견해가 파악되었다.

즉, 초·중등 교원의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의 경우에는 지난 2~3년간 이미 시행되어 오고 있

으며 학습연구년 특별연수 참여 교사들의 활발한 홍보로 참여도와 인지도가 높은 편이나,

유치원교원의 학습연구년은 2013년에 처음 시범 운영되어 그 시행 역사가 짧을 뿐만 아니

라 교원능력개발평가가 실시된 3학급 이상의 단설유치원 교사에 국한되어 시행된 연유로

상대적으로 학습연구년제에 대한 유치원교원의 인지도가 낮다. 2014년부터 본격적으로 초

중등과 함께 전국단위로 시행되므로 향후 유치원교원 학습연구년제에 대한 인지도는 향상

될 것으로 사료된다.

<표 Ⅲ-1>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제도에 대한 인지도

구분전혀

모르고 있다별로

알지 못한다어느 정도 알고 있다

매우 잘 알고 있다

평균

학습연구년제 시행 및 목적 취지 7.3 28.2 52.5 12.0 2.69

대상자 선발 기준 및 선발 인원 20.9 48.4 24.1 6.6 2.16

학습연구년 운영 사항 25.0 49.4 22.2 3.5 2.04

학습연구년의 의무 사항 27.5 50.0 19.3 2.8 1.97

계(수) 100.0 (316)

나. 유치원교원의 학습연구년제 지원 이유 및 지원 시 애로사항

유치원교원의 학습연구년제에 지원하고자 하는 가장 큰 이유는 ‘교원의 전문성 향상

(49.1%)’과 ‘휴식을 통한 재충전(32.6%)’으로 나타났다. 교원의 경력별, 지역규모별로 유의미

한 차이를 보였는데, 교직경력 20년 미만 교사는 ‘교원의 전문성 향상’을, 20년 이상 교사

는 ‘휴식을 통한 재충전’을 가장 큰 지원 이유로 응답하였다.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

교사 모두 유치원교원의 학습연구년 지원 이유로 ‘교원의 전문성 향상’을 가장 많이 응답

하였으나(각각 40.0%, 54.7%, 56.4%), 대도시에서 근무하는 교원의 경우 중소도시 및 읍면

지역 교원에 비하여 ‘자기계발’(23.1%)을 상대적으로 많이 선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2013년 초․중등교원의 학습연구년 특별연수 참여하고 있는 교사들과의

심층면담 결과와 유사하였다. 면담대상자의 대부분이 전문교과분야에서의 전문성 신장과

Page 8: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제도에 대한 유치원교원의 인식 및 요구 분석*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8HR1PBdl_10_EBACB8... · - 224 - 박하다아울러유치원교원의

한국교원교육연구 제31권 제1호

- 228 -

10년~20년의 교직생활에서 발생한 심리적 소진을 개선하기 위한 재충전의 시간을 갖기 위

해 학습연구년에 지원했다고 하였다. 또한 학습연구년 특별연수라는 흔치 않은 기회를 갖

게 된 것에 대한 자부심과 함께 재충전 및 전문성 신장 등의 지원 목적은 어느 정도 충족

되었다고 인식하였다.

<표 Ⅲ-2> 학습연구년제 지원 이유단위: %, (수)

구분 재충전 전문성 향상자기계발

미래 교직 준비

기타 계(수) x2(df) 

전체 32.6 49.1 14.6 3.2 0.6 100.0(316)

대도시 31.5 40.0 23.1 4.6 0.8 100.0(130)

17.013(8)*중소도시 33.3 54.7 8.5 2.6 0.9 100.0(117)

읍면지역 33.3 56.5 8.7 1.4 0.0 100.0(69)

5년 미만 13.6 62.7 16.9 6.8 0.0 100.0(59)

30.705(12)**5년~10년 미만 22.2 59.7 15.3 2.8 0.0 100.0(72)

10년~20년 미만 35.1 44.2 15.6 3.9 1.3 100.0(77)

20년 이상 48.1 38.0 12.0 0.9 0.9 100.0(108)

부장교사, 원감 39.2 44.2 14.2 1.7 0.8 100.0(120)5.019(4)

일반교사 28.6 52.0 14.8 4.1 0.5 100.0(196)

*p<.05, **p<.01, ***p<.001

유치원교원의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제도의 여러 가지 혜택에도 불구하고 학습연구년제

지원시 예견되는 어려움에 대해 절반 이상(62%)의 교사가 ‘부담스러운 연구성과 평가 및

의무조항’을 꼽았다. 또한 ‘복잡한 선발기준 및 절차(23.6%)’와 ‘경력관리의 어려움(8.3%)’도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인식하였다. 지역규모별, 경력별, 직위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

는데, 대도시 교원의 경우는 경력관리의 어려움, 읍면지역 교원은 선발기준과 절차의 복잡

함으로 응답한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경력 5년 미만의 교원 및 일반교사는 유치원장

과 동료교사의 소극적인 태도, 경력 20년 이상의 교원, 주로 원감과 부장교사는 경력관리가

어려움을 지적한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유치원교원의 학습연구년 특별연수 지원시의 어려움에 대해서는 2013년 유치원교원의

학습연구년 시범운영에 참여하고 있는 유치원교사와 학습연구년 특별연수를 담당하고 있

는 시·도 장학사등과의 면담에서도 나타났다. 우선 초․중등학교에 비해 교사의 총 인원수

가 현저히 적은 국공립유치원의 경우, 교직경력 10년 이상의 교사의 부재로 인한 업무 공

백을 대신할 만한 숙련된 대체교사를 구하기 어렵고, 이로 인해 동료교사들의 업무가 가중

되는 상황이 발생하기 때문에 원장과 교사 모두 학습연구년 지원에 소극적, 심지어는 부정

Page 9: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제도에 대한 유치원교원의 인식 및 요구 분석*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8HR1PBdl_10_EBACB8... · - 224 - 박하다아울러유치원교원의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제도에 대한 유치원교원의 인식 및 요구 분석

- 229 -

적인 태도를 보이기도 하였다. 특히, 읍면지역의 유치원교사의 경우 대체교사 확보 문제는

더욱 심각한 실정이다.

한편, 교직경력인 10년 이상, 정년 5년 미만 교사의 경우 승진 및 경력관리 때문에 지원

을 꺼리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실제로 일부 시도교육청에서는 교원의 학습연

구년 지원대상자에 원감을 포함시키지만, 원장 승진에 대한 부담감과 원장연수 참여 때문

에 실제 지원자가 없었다고 토로하였다. 이외에도 복귀 후 업무부담 과중과 현장 재적응에

대한 우려, 연수프로그램의 다양성 부족, 위탁기관에의 접근성 문제, 경력교사 부재에 따른

학부모의 불만 등의 이유로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에 지원하기 어려움을 알 수 있었다.

<표 Ⅲ-3> 학습연구년제 지원 시의 어려움

단위: %, (수)

구분선발절차의 복잡함

의무조항

경력 관리의 어려움

유치원의 소극적 분위기

계(수) x2(df) 

전체 23.6 62.4 8.3 5.7 100.0(314)

대도시 21.5 56.2 16.9 5.4 100.0(130)

23.330(6)**중소도시 22.6 69.6 2.6 5.2 100.0(115)

읍면지역 29.0 62.3 1.4 7.2 100.0( 69)

5년 미만 26.3 45.6 8.8 19.3 100.0( 57)

28.851(9)**5년~10년 미만 22.2 66.7 6.9 4.2 100.0( 72)

10년~20년 미만 22.1 71.4 6.5 0.0 100.0( 77)

20년 이상 24.1 62.0 10.2 3.7 100.0(108)

부장교사, 원감 22.5 60.0 14.2 3.3 100.0(120)10.354(3)*

일반교사 24.2 63.9 4.6 7.2 100.0(194)

*p<.05, **p<.01

다. 학습연구년 운영요소의 타당성

응답한 유치원교원들은 현행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의 기간, 처우, 의무사항은 주로 타당

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지원 자격, 선발 기준 및 선발 규모에 있어서 타당하지 않다는

견해가 25〜35% 수준에 달하였다. 학습연구년 기간(시범운영은 6개월, 2014년부터 1년), 처

우(급여, 호봉, 교육경력 100% 인정), 의무사항(연수종료 후 1개월 내 결과보고서 제출, 1년

간 컨설팅 요원으로 활동)에 대해서는 90%이상이 보통 이상으로 답하여 매우 타당하다고

판단하였다.

한편, 교원 학습연구년 대상이 모든 경력교원이 아니라 교원능력개발평가 결과 우수교원

에 제한적인 점에 약 20%의 교원이 타당하지 않다고 응답하였으며, 원장, 원감, 수석교사

Page 10: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제도에 대한 유치원교원의 인식 및 요구 분석*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8HR1PBdl_10_EBACB8... · - 224 - 박하다아울러유치원교원의

한국교원교육연구 제31권 제1호

- 230 -

를 포함하는 것에 대해서도 약 20%의 교원이 적절하지 않게 생각함을 알 수 있다.

지원 자격 중 교원능력개발평가 최상위권에 해당하는 교원에 대해서는 20%에 가까운 교

사가 반대견해를 보였고, 교직경력 10년 이상, 정년 잔여기간 5년 이상에 대해서는 약 15%

내외의 교사가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또한 담당 장학사들은 향후 사립유치원 교사들에

게도 교원능력개발평가가 실시될 예정이므로 학습연구년 특별연수 대상자에 사립유치원

교사를 포함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무엇보다도 시도교육별로 1명씩

선발하는 것에 대하여 약 35%가 타당하지 않다고 응답하여, 선발 인원규모가 운영요소 가

운데 반대의견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치원교원의 학습연구년 대상자 선발절차는 1차 서류전형, 2차 연구능력평가, 3차 면접

전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선발기구는 각 시도교육청 내 특별연수 심사위원회 또는 별도의

선발위원회를 구성하여 운영하며, 선발기준은 교원능력개발평가 결과를 반드시 포함하고,

자기학습계획서, 원장 추천, 연구역량 평가 등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1차 서류심사의 주

요 기준으로 교원능력개발평가 점수가 포함되고, 그 배점이 높게 차지하는 것에 대해서는

타당하지 않다는 의견이 약 25%로 적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요컨대, 4명 중 1명의 교원

은 학습연구년 대상, 지원 자격 및 선발기준에 있어서 교원능력개발평가 최상위점수 1%의

교원에 국한하는 것을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하고 있다.

<표 Ⅲ-4> 2013년 유치원교원 학습연구년 특별연수 요소의 타당도

단위: %, (수)

구분전혀

타당하지 않음

별로 타당하지 않음

보통대체로 타당함

매우 타당함

평균 계(수)

운영 기간 (2014년부터 1년) 1.9 4.7 25.6 49.7 18.0 3.77 100.0(316)

횟수: 전 교직생애 중 1회 1.3 15.4 21.8 36.2 25.3 3.69 100.0(312)

시도교육청별 1명씩 (총 17명) 4.9 29.8 34.6 24.3 6.5 2.98 100.0(309)

교원능력개발평가 결과 우수교원 3.3 16.6 23.8 42.3 14.0 3.47 100.0(307)

원장(감), 수석교사 참여 여부 3.2 17.7 28.1 41.6 9.4 3.36 100.0(310)

교원능력개발평가 최상위권 교원 5.1 19.9 23.8 37.9 13.2 3.34 100.0(311)

교직경력 10년 이상 2.9 11.4 19.0 44.4 22.2 3.72 100.0(315)

정년 잔여기간 5년 이상 2.6 14.3 22.1 39.9 21.1 3.63 100.0(308)

서류전형/연구능력 평가/면접 - 4.1 16.8 59.2 19.9 3.95 100.0(316)

전문기관 위탁연수 1.0 4.8 23.8 52.7 17.8 3.82 100.0(315)

급여, 호봉, 교육경력 100% 인정 0.6 1.3 6.1 32.6 59.4 4.49 100.0(310)

연수종료 1개월 내 결과보고서 제출 0.3 1.6 13.9 49.1 35.1 4.17 100.0(316)

1년간 컨설팅 장학요원으로 활동 0.5 0.5 13.9 49.0 36.1 4.20 100.0(202)

Page 11: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제도에 대한 유치원교원의 인식 및 요구 분석*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8HR1PBdl_10_EBACB8... · - 224 - 박하다아울러유치원교원의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제도에 대한 유치원교원의 인식 및 요구 분석

- 231 -

라. 학습연구년 연수형태의 선호도

국공립유치원 교사들이 가장 선호하는 학습연구년 연수형태는 위탁연수와 개별연수를

함께 실시하는 형태였다. 응답대상 중 위탁연수와 개별연수의 혼합 형태를 선호하는 교사

는 73.7%, 개별연수 중심을 선호하는 교사는 13.9%, 위탁연수 중심을 선호하는 교사는 12%

로 나타났다. 그러나 시도교육청 교육이념과 예산 등의 시행여건에 따라 학습연구년 프로

그램이 매우 다른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서 학습연구년 참여교사들의 선호도와 만족도가

상이하게 나타났다. 특히, 자신의 전문교과 분야와 다른 학과에 위탁된 학습연구년 참여

교사의 경우에는 대학 위탁교육의 실효성에 대한 불만을 나타냈다.

위탁연수와 개별연수에 대한 비중은 해당교원의 역량과 학습연구년을 지원한 목적 및

동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학습연구년을 신청하면서 본인의 전문분야 신장에 대한 뚜

렷한 계획을 가지고 있는 교사의 경우에는 국내외 상관없이 100% 자율연수를 희망하였다.

반면, 학문적 소진으로 인한 전문성 향상을 원하는 교사의 경우에는 대학의 위탁교육을 해

선호하였다. 이처럼 학습연구년 지원 목적에 따라 연수형태의 선호도가 다르므로 개별교원

의 지원 목적에 부합되게 연수프로그램의 형태 및 위탁연수와 개별연수의 비중이 조정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표 Ⅲ-5> 학습연구년 연수형태 선호도

단위: %, (수)

구분 비율(빈도)

위탁연수 + 개별연수 73.7

개별연수 중심 13.9

위탁연수 중심 12.0

계(수) 100.0 (316)

마. 학습연구년제의 기대효과

본 조사에 응답한 국공립유치원교원의 대부분(약 90%)이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제도가 자

신의 직업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인식하였다. 유의한 수준의 차이는 아니

지만, 지역규모별로는 대도시 교원들의 평균(4.36, 5점 만점)이 가장 높았고, 중소도시(4.29)

와 읍면지역(4.30) 교원의 만족도는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교직경력 5년 미만 교사의

평균(4.46), 부장교사와 원감의 평균(4.36)이 다른 집단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시도교육청의 담당 장학사들 역시 학습연구년을 통한 교원의 직업만족도 향상에 대한

Page 12: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제도에 대한 유치원교원의 인식 및 요구 분석*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8HR1PBdl_10_EBACB8... · - 224 - 박하다아울러유치원교원의

한국교원교육연구 제31권 제1호

- 232 -

피드백을 실제로 받고 있었다. 시도교육청에서 참여했던 교사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만족도

조사결과에 의하면, 학습연구년 특별연수 자체에 대한 만족도는 물론, 교사라는 직업에 대

한 만족도도 학습연구년 실시 이전보다 향상되었음이 보고되었다. 특히 학습연구년 특별연

수를 통해 직업만족도가 향상되면 교사 경력 10년차 이상에서 종종 발생하는 심리적 소진

과 직업적 매너리즘을 방지할 수 있어 긍정적인 효과를 충분히 거두고 있다고 평가하였다.

<표 Ⅲ-6> 직업만족도 향상에의 도움정도

단위: %, (수)

구분전혀그렇지

않다그렇지 않다

보통 그렇다매우 그렇다

평균 계(수) t/F

전체 0.6 1.9 7.6 44.1 45.7 4.32 100.0(315)

대도시 0.8 1.6 6.2 43.4 48.1 4.36 100.0(129)

.324중소도시 - 2.6 10.3 42.7 44.4 4.29 100.0(117)

읍면지역 1.4 1.4 5.8 47.8 43.5 4.30 100.0( 69)

5년 미만 - - 5.1 44.1 50.8 4.46 100.0( 59)

1.8295년~10년 미만 - 1.4 2.8 50.0 45.8 4.40 100.0( 72)

10년~20년 미만 - 2.6 6.6 47.4 43.4 4.32 100.0( 76)

20년 이상 1.9 2.8 13.0 38.0 44.4 4.20 100.0(108)

부장교사, 원감 1.7 1.7 6.7 38.7 51.3 4.36 100.0(119).691

일반교사 0.0 2.0 8.2 47.4 42.3 4.30 100.0(196)

직업만족도 향상과 마찬가지로 설문에 응답한 교원의 대부분(95%)이 학습연구년 특별연

수제도가 향후 담당하게 될 유아의 학습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인식하였다.

유의한 차이는 아니지만, 지역규모별로는 대도시(4.42)와 읍면지역 교원(4.42)이 중소도시

교원(4.36)보다, 직위별로는 일반교사(4.37)보다 부장교사, 원감(4.45)이 더 높은 평균값을 보

였다. 경력별로는 교사경력 5년 미만 교사의 평균(4.47)이 가장 높았고, 20년 이상 교사의

평균(4.32)이 가장 낮았다. 2013년도 유치원교원 학습연구년 시범운영에 참여한 교사들도

학습연구년 특별연수 기간 동안 학습한 이론을 바탕으로 향후 담당하게 될 유아들을 지도

하는데 더 자신감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였다.

Page 13: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제도에 대한 유치원교원의 인식 및 요구 분석*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8HR1PBdl_10_EBACB8... · - 224 - 박하다아울러유치원교원의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제도에 대한 유치원교원의 인식 및 요구 분석

- 233 -

<표 Ⅲ-7> 유아의 학습과 발달에의 도움정도

단위: %, (수)

구분그렇지않다

보통이다 그렇다매우그렇다

평균 계(수) t/F

전체 0.6 5.4 47.5 46.5 4.40 100.0(316)

대도시 0.8 3.8 47.7 47.7 4.42 100.0(130)

.379중소도시 - 8.5 47.0 44.4 4.36 100.0(117)

읍면지역 1.4 2.9 47.8 47.8 4.42 100.0( 69)

5년 미만 - 5.1 42.4 52.5 4.47 100.0( 59)

.8935년~10년 미만 - 2.8 51.4 45.8 4.43 100.0( 72)

10년~20년 미만 1.3 3.9 46.8 48.1 4.42 100.0( 77)

20년 이상 0.9 8.3 48.1 42.6 4.32 100.0(108)

부장교사, 원감 0.8 5.0 42.5 51.7 4.45 100.0(120)1.148

일반교사 0.5 5.6 50.5 43.4 4.37 100.0(196)

2. 유치원교원의 학습연구년제에 대한 요구

가. 전반적인 요구

학습연구년제의 효과적인 시행을 위한 전반적인 요구에 대하여 우선순위로 1, 2위를 조

사한 결과, 1순위의 최다응답 순서는 ‘선발의 공정성 보장 등을 위한 학습연구년제 운영체

계 확립(44.7%)’, 그 다음으로 ‘다양하고 내실 있는 연수프로그램 마련(22.7%)과 시도교육청

별로 지원예산 확보(10.0%)로 나타났다. 1순위와 2순위를 합한 경우에는 ‘선발의 공정성 보

장 등을 위한 학습연구년제 운영체계 확립(60.8%)’, ‘다양하고 내실 있는 연수프로그램 마

련(52.1%)’은 동일 순위로 많이 선택되었고, 그 다음으로는 ‘선발된 교원에게 학습연구년

시행에 대한 보다 큰 자율성 부여(28.8%)’로 나타나서 1순위 선택 시의 응답결과(즉, 지원

예산 확보)와 다름을 알 수 있었다. 즉, 유치원교원 학습연구년제의 효과적인 시행을 위해

서는 주변의 적극적인 지원과 협조, 학습연구년제에 대한 정확한 안내와 홍보, 선발절차의

공정성이 확보될 필요가 있다.

Page 14: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제도에 대한 유치원교원의 인식 및 요구 분석*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8HR1PBdl_10_EBACB8... · - 224 - 박하다아울러유치원교원의

한국교원교육연구 제31권 제1호

- 234 -

〈표 Ⅲ-8〉 학습연구년제의 효과적 시행을 위한 전반적인 요구

단위: %, (수)

1순위 비율 1+2순위 비율

선발의 공정성 보장 등을 위한 학습 연구년제 운영체계 확립

44.7선발의 공정성 보장 등을 위한 학습 연구년제 운영체계 확립

60.8

다양하고 내실있는 학습 연구년 특별연수 프로그램 마련

21.7다양하고 내실있는 학습 연구년 특별연수 프로그램 마련

52.1

시도교육청별 지원 예산 확보 10.0선발된 교원에게 학습 연구년 시행에 대한 더 큰 자율성 부여

28.8

선발된 교원에게 학습 연구년 시행에 대한 더 큰 자율성 부여

8.7 대체인력 확보 16.8

대체인력 확보 7.1 원장 및 유치원의 적극적 지원 풍토 16.8

원장 및 유치원의 적극적 지원 풍토 6.1 시도교육청별 지원 예산 확보

학습연구제 특별연수 성과의 공유 및 확산 1.3 학습연구년 특별연수 성과의 공유 및 확산 6.8

학습연구년 특별연수 기관 선정 0.3 학습연구년 특별연수 기관 선정 2.6

계(수) (309)

나. 선발 규모 관련 요구

유치원교원의 학습연구년 지원 대상 교사에 해당하는 인원의 2~3%로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이 50%, 신청인원에 따라 선발인원을 조정해야 한다는 의견이 35.8%, 현행대로 선발하

자는 견해는 13.3%로 조사되었다. 시·도교육청의 담당 장학사들 역시 전국의 교사 분포비

율을 바탕으로 인원이 배정되는 초․중등 교원의 경우와 같은 방식으로 유치원교원 학습

연구년 선발규모가 결정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표 Ⅲ-9〉 유치원교원 학습연구년 선발 규모

단위: %, (수)

구분 비율(빈도)

선발 인원을 대상 인원의 2~3%로 확대해야 한다 50.0

신청 인원에 따라 선발 인원을 조정해야 한다 35.8

적절하며 현행대로 해야 한다 13.3

계(수) 100.0 (316)

Page 15: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제도에 대한 유치원교원의 인식 및 요구 분석*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8HR1PBdl_10_EBACB8... · - 224 - 박하다아울러유치원교원의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제도에 대한 유치원교원의 인식 및 요구 분석

- 235 -

다. 학습연구년 특별연수 프로그램 운영 관련 요구

효과적인 학습연구년 특별연수가 실시되기 위한 보완점으로 ‘위탁연수 프로그램의 다양

화’에 대한 견해가 가장 많았다. 또한 ‘충분한 개별연구시간의 확보’가 약 30%, ‘위탁연수

기관의 다양성 확보’가 약 20%로 나타났다. 즉, 국내외의 다양한 연수프로그램이 마련되고,

개인적인 연구시간 확보를 위해 자율성이 충분히 보장되기를 원함을 알 수 있다.

2013년 시범 운영되고 있는 학습연구년 특별연수 참여한 유치원교사의 면담결과, 특정연

수기관에 일괄 위탁되어 개별연수에 대한 요구도가 비교적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면담

한 교사들은 연수기관이 제공하는 강의수강과 세미나 이외에도 개인의 관심주제를 심도

깊게 연구할 수 있는 개별연수의 기회가 열려있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특히, 위탁연수 시

에 대부분 연수비용이 참여교사에게는 전혀 지급되지 않으므로 개별적인 관심주제에 적합

한 여타의 연수프로그램을 이수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아울러 초·중등교원의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와 연계하여 학문적 정보교류와 연구주제의

확대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특히, 초등교원들과의 교류를 통해 유치원교육과정과

초등저학년 교육과정의 연계에 대한 이해의 폭을 확대할 수 있는 장이 필요하다고 인식하

였다. 나아가, 같은 지역 교원들과의 연구 소모임 등을 통해 유·초·중등의 모든 학교급별

교육과정에 대한 학문적 이해를 증진하기를 희망하였다.

<표 Ⅲ-10> 학습연구년 특별연수 프로그램 운영 관련 요구

단위: %, (수)

구분 비율(빈도)

위탁연수 프로그램의 다양화 40.9

충분한 개별연구 시간 확보 30.0

위탁연수 기관의 다양성 확보 18.8

권역별 스터디 그룹 구성 5.8

인적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 제공 4.5

계(수) 100.0 (313)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의 관심 주제 또는 영역, 내용에 대한 요구를 5점 만점 기준으로 살

펴본 결과, 유아평가가 4.44점으로 가장 높았고, 유아와의 상호작용 방법이 4.42점, 각과 교

수법/수업모형이 4.38점, 부모교육 및 의사소통 방법이 4.35점으로 그 다음 순으로 높게 나

타났다. 반면, 실내외 교실환경에 대한 내용은 3.92점으로 가장 낮았고, 다문화 유아교육과

Page 16: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제도에 대한 유치원교원의 인식 및 요구 분석*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8HR1PBdl_10_EBACB8... · - 224 - 박하다아울러유치원교원의

한국교원교육연구 제31권 제1호

- 236 -

일반교양이 각각 3.99점으로 3점대로 나타났다. 이외의 기타 관심주제 및 내용으로 교육행

정 및 관련 업무, 실제 체험위주의 영역(악기, 레크리에이션, 마술, 응급처치 등), 유아 행동

판별 및 지도, 상담 및 심리학, 심리치료, 지능검사 관련 연수, 기타 교육(컴퓨터 활용능력,

효, 외국어, 점자교육 및 수화지도 등) 등이 요구되었다.

<표 III-11> 학습연구년 특별연수 관심주제

단위: %, (수)

구분전혀 관심 없음

관심 없음 보통임 관심

있음

매우 관심있음

평균(5점기준)

계(수)

1. 각과 교수법/ 수업모형 - 1.0 12.7 33.4 52.9 4.38 100.0(314)

2. 유아와의 상호작용 방법 - 1.0 10.9 33.5 54.6 4.42 100.0(313)

3. 인성 및 기본생활습관 지도 - 1.3 17.3 36.4 45.0 4.25 100.0(313)

4. 혼합연령학급 지도 - 1.6 22.2 38.3 37.9 4.13 100.0(311)

5. 누리과정 운영 전반 - 3.9 16.2 42.7 37.2 4.13 100.0(309)

6. 교수매체 활용 및 교육공학 0.3 2.6 13.8 44.9 38.5 4.19 100.0(312)

7. 실내외 교실환경 개선 - 5.8 23.6 43.7 26.9 3.92 100.0(309)

8. 부모교육 및 의사소통 방법 - 1.3 12.9 35.7 50.2 4.35 100.0(311)

9. 기관운영 관리 0.3 2.3 15.6 42.9 39.0 4.18 100.0(308)

10. 유아평가 0.6 - 9.6 35.0 54.7 4.44 100.0(311)

11. 다문화 유아교육 0.3 3.5 21.3 46.1 28.7 3.99 100.0(310)

12. 장애통합교육 - 2.3 19.9 41.5 36.3 4.12 100.0(311)

13. 일반교양 0.3 2.9 25.6 39.6 31.5 3.99 100.0(308)

14. 예체능 계열의 교육 0.7 2.0 19.9 44.1 33.3 4.08 100.0(306)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제도에 관한 유치원교원의 인식과 요구를 살펴보았다. 연

구문제를 중심으로 주요결과를 정리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연구년 특별연

수 운영 및 모형, 선발절차, 프로그램 등에 대한 국공립단설유치원 교사들의 인지도가 대

체로 낮게 나타났다. 이는 2013년에는 유치원교원의 학습연구년 특별연수가 시범 운영되었

기 때문에 교원능력개발평가가 실시된 단설유치원 위주의 공문 발송에 기인하며, 학급 수

가 적은 병설유치원과 대체교사를 수급하기 어려운 읍면지역의 유치원교원들에게는 현실

적으로 제도 수용이 어렵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이는 전국적으로 모든 공․사립유치원 교

원을 대상으로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제도의 취지와 전반적인 운영 방식에 대한 적극적인

Page 17: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제도에 대한 유치원교원의 인식 및 요구 분석*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8HR1PBdl_10_EBACB8... · - 224 - 박하다아울러유치원교원의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제도에 대한 유치원교원의 인식 및 요구 분석

- 237 -

홍보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둘째, 응답한 유치원교원들은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제도에 대하여 전문성 향상과 심리적

소진 개선을 위한 재충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제도로 여기나, 학습연구년 지원 시 발생

하는 의무조항에 대한 부담감과 선발절차의 복잡함을 걸림돌로 인식하였다. 이는 학습연구

년 특별연수제도의 선발 및 운영에 관한 절차를 쉽고 명확하게 안내하는 노력이 충분하지

않음을 나타내며, 동시에 개별보고서를 제출하는 기존의 의무사항을 관심주제에 따라 팀별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향후 학습연구년 오리엔테이션 및 컨설팅 지원 시에 교원의 업무가 과중하지 않도록

시도교육청의 지원이 요구된다.

셋째, 현행 유치원교원 학습연구년제 특별연수의 기간, 처우 등은 대체적으로 타당하게

평가되었으나, 지원 및 선발 기준과 선발 규모에 있어서 타당하지 않다는 견해가 상대적으

로 많았다. 무엇보다도 과도하게 적은 선발인원에 대한 불만이 크게 나타나, 이를 해소하

기 위하여 선발대상자의 2~3%로 확대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견해가 지배적이었

다. 또한 학습연구년제 시행의 주요한 취지가 교원능력개발평가 결과 우수교원에 대한 사

기 진작과 보상을 위한 것이기는 하나, 최상위 1%보다는 범위를 확대하여 보다 많은 유치

원교원들이 지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김정원 외(2012)의 연구에서는 학

습연구년을 휴식이 아닌 재교육의 일환으로 간주하여 ‘모든’ 교원에게 참여기회를 제공할

것을 제안하였다. 궁극적으로는 모든 유치원교원에게 학습연구년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이상적이나, 현재 학습연구년제는 교원능력개발평가제도의 정착을 위한 수단적 기능과 전

문성 신장을 위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여야 함을 고려할 때 단계적으로 지원 자격 및 선

발기준을 완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

넷째, 효과적인 학습연구년 특별연수를 위해서는 다양한 연수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한

다는 요구가 가장 많았다. 특히 국내연수의 경우 대부분의 시도교육청에서 지역에 위치한

대학에 일괄 위탁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학과의 다양성이나 연수생의 주제에 부합하는 전

공의 확보가 현실적으로 어려워 대학에 위탁되는 연수교원이 불만족하게 되는 것으로 해

석된다. 이는 비록 유치원교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아니나, 부희영 외(2012), 김정원 외

(2012)의 학습연구년 연수프로그램의 다양화 및 자율화를 강조한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이상의 주요 결과를 토대로 유치원교원의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제도의 정착 및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연구년과 안식년을 구분하여 교

원의 전문성 신장과 교원능력개발평가 우수교원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이라는 학습연구년

의 목적 및 취지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학습연구년제의 운영이 교원 개인의 이익을 위한

Page 18: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제도에 대한 유치원교원의 인식 및 요구 분석*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8HR1PBdl_10_EBACB8... · - 224 - 박하다아울러유치원교원의

한국교원교육연구 제31권 제1호

- 238 -

것이 아니라 유치원교육 발전에 기여한다는 공익을 우선으로 해야 한다는 책무성을 우선

적으로 숙지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전문성 향상, 교직에 대한 사명감 제고 등의 연수결과

물이 충실히 산출될 수 있도록 학습연구년의 기본 운영 방향이 명확히 설정되고 공유되어

야 한다.

둘째, 유치원교원의 학습연구년 선발인원 규모에 있어 시도별로 일정 비율 또는 인원수

를 의무적으로 할당하는 방식의 쿼터제 도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는 초·중등교원과의

공개경쟁절차를 거치는 경우 상대적으로 유치원교원이 불리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또

한 상대적으로 유치원교원 수가 많은 시도교육청에서는 자체적으로 선발비율을 정하고 그

에 상응하는 연수비용을 지원하는 방안이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경기도교육청

의 경우 연수지원비용을 교원 1인당 1천만원 대신 5백만원으로 하고, 대신 선발인원을 2배

로 확대하였다.

셋째, 장기적으로 학습연구년 특별연수 대상에 사립유치원 교원을 포함시키도록 한다.

2013년도부터 사립유치원에서도 교원능력개발평가제도가 시범적으로 실시되고 있으며, 향

후 전면 확대 시행될 예정이므로 공․사립에 제한 없이 공평한 연수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그러나 교원 수를 근거로 나눠주기 식의 선발인원 할당은 지양되어야 하고, 공정한 선발절

차를 거쳐 정확한 지표와 근거로 공개 경쟁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사립유치원 교원의 이

직 및 이동을 고려하여 학습연구년을 마친 후 혜택을 받은 동일한 시도에서 최소 3년 이

상의 근속을 의무화할 필요가 있다.

넷째, 향후 일반교사 뿐 아니라 원감, 원장도 유치원교원의 학습연구년 특별연수 대상자

에 포함하는 방안도 추진되어야 한다. 캐나다에서는 관리직급의 교장, 교감에게 리더십 함

양을 위한 ‘관리직급 교원 학습연구년제(Managerial Study Leave)'가 시행되고 있다. 유치

원 원감, 원장의 경우 단위유치원 교육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치에 있으

므로, 개인과 기관의 발전을 위해 전문성 개발 기회를 부여해야 한다. 다만, 학습연구년 기

간에 대해서는 동·하계 방학 기간을 이용하여 학습연구’년‘을 대신하여 학습연구’월‘을 시

행하는 방안도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학습연구년 참여교원의 자율성을 확대하고 개별적인 요구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

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학습연구년 참여교원을 충분한 역량과 경력을 갖춘 교원이므로

시도교육청의 과도한 관리감독과 정형화된 연수프로그램 운영 형식을 탈피하여, 개별교원

의 자발성과 특성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방향이 바뀌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명

하달식의 지시적 연수체계를 지양하고 학습연구년 참여교원들과 담당 장학사간의 지속적

인 대화와 논의를 통해 운영프로그램과 형식을 조정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또한 시도별로

Page 19: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제도에 대한 유치원교원의 인식 및 요구 분석*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8HR1PBdl_10_EBACB8... · - 224 - 박하다아울러유치원교원의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제도에 대한 유치원교원의 인식 및 요구 분석

- 239 -

학습연구년 운영의 노하우와 우수 사례를 공유하여 연수프로그램과 활동에 관한 정보를

개방하는 노력과 방안이 구체화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유치원교원의 학습연구년제에 대한 국내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교원능력개발평가가 실시된 국공립유치원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를 실시하였으므로 향후에는 사립유치원교원을 포함하여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제도에 대한

보다 총체적인 인식 및 요구를 분석하고 공·사립유치원교원간의 잠재적인 차이를 비교할

필요가 있다. 이외에도 선발절차의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서류전형의 배점 조정 및 선발

위원의 자질 검증, 대체교사 확보를 위한 정부의 재정지원, 학습연구년의 효과에 대한 체

계적인 연구 수행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연수프로그램의 다양화를 위하여 구체적인

내용, 운영방식 등에 주안점을 둔 연수프로그램 개발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이와 같

은 지속적인 후속연구를 통하여 보다 내실 있고 효과적인 유치원교원의 학습연구년 특별

연수제도가 성공적으로 정착되기를 기대한다.

Page 20: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제도에 대한 유치원교원의 인식 및 요구 분석*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8HR1PBdl_10_EBACB8... · - 224 - 박하다아울러유치원교원의

한국교원교육연구 제31권 제1호

- 240 -

▣ 참 고 문 헌 ▣

교육과학기술부(2009). 유아교육 선진화정책, 보도자료

교육부(2013). 유아교육발전 5개년 계획, 보도자료.

교육부,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원(2013). 2013년 유치원 학습연구년 특별연수 오리엔테이션 자료.

김은영(2013). 학습연구년 교사들의 지원과 선발, 초기 참여에 관한 질적연구. 2013년 한국교육행정학

회 제168차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265-295.

김이경, 박상완, 이태상(2005). OECD 한국 교원정책 검토 결과에 대한 비판적 분석. 한국교육, 32(2),

297-319.

김이경, 정수현, 박호근, 박상봉, 박병선, 김주영, 정성훈(2011). 교원사기 진작방안 연구. 교육과학기

술부.

김정원, 김기수, 정미경, 홍인기, 이정윤, 이미영(2012). 미래형 교사교육체제 구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문무경, 정주영, 임지희(2013). 유치원교원의 학습연구년 특별연수 운영모형 개발. 육아정책연구소.

문현진(2013). 교원 학습연구년제에 대한 초등교원의 인식 분석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부희영, 홍성창, 전제상(2012). 교사 학습연구년제 요구 분석 및 발전 방향 탐색. 한국교사교육학회지,

29(2), 123-148.

신현석, 전상훈(2008). 교원연수제도의 문제와 개선에 대한 역사적 신제도주의적 분석. 교육문제연구,

32, 167-192.

안세근, 권동택, 한재갑, 김항원, 하석진, 이성재, 이재곤(2008). 교원연구년제 도입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전제상(2008). 교원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원능력개발평가의 결과 활용방안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10).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따른 교원연수지원 요구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7(4), 369-394.

OECD(2012). Starting Strong III. Paris: OECD

Page 21: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제도에 대한 유치원교원의 인식 및 요구 분석*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8HR1PBdl_10_EBACB8... · - 224 - 박하다아울러유치원교원의

학습연구년 특별연수제도에 대한 유치원교원의 인식 및 요구 분석

- 241 -

ABSTRACT

Analysis on Perspectives and Needs of Kindergarten Teachers on

the Study Leave System

Mugyeong Moon & Joo-young Jung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he study intends to understand perspectives and needs of kindergarten teachers on the

study leave system, and to provide measures for improvement.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316 public kindergartens teachers nation-wide. A group of teachers

and superintendents at local offices of education were interviewed regarding their

experiences on the study leave system.

It was found that responded teachers showed a considerably low level of awareness of

the study leave system in general, such as selection criteria, general operation, and

obligations. In particular, the teachers highlighted a need to increase numbers of teachers

eligible for the study leave, to secure enough substitute teachers, especially in elementary

school attached kindergartens in rural areas, to encourage and support teachers in applying

for the study leave, to develop and implement a variety of study leave programs, and to

allow teachers to have greater autonomy in undertaking of their study leave, and so on.

Based on major findings of the study, several measures to improve the study leave

system are suggested as follows: initiating a quarter system in order to provide kindergarten

teachers with more opportunities for the study leave; offering opportunities for the study

leave to teachers working in private kindergartens; strengthening the accountability of

teachers for their study leave; utilizing outcomes of the study leave; sharing the study leave

programs actively among teachers in different provinces.

Key words : kindergarten teacher, study leave system, professional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