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기초분석 건설기계 성장동력산업연구실 선임연구위원 ... atlas reedrill...

80
산업기초분석 건설기계 성장동력산업연구실 선임연구위원 정만태 건설기계산업의 개요 산업의 정의 광의의 개념 건설기계와 관련된 모든 사업 즉 제조 매매 임대 정비 폐기하는 사업 을 총체적으로 지칭 건설기계용 부품 건설기계에 부착되는 어태치먼트 건설 현장에 사용되 는 모든 장비 및 도구를 포함하며 부품생산에서 조립에 이르는 종합 제 조 산업 그림 건설기계산업의 개념 협의의 개념 기계적인 동력을 이용하여 건축 도로 항만 철도 발전 농지조성 하천 상하수도 등의 시설공사에 효율적 능률적으로 활용되는 수단으로 쓰 여 지는 건설용 기계를 제조하는 산업 건설기계 완제품 조립 산업으로 산업적 측면의 개념

Upload: others

Post on 31-Aug-2020

3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산업기초분석 건설기계

    성장동력산업연구실 선임연구위원 정만태

    건설기계산업의 개요

    산업의 정의

    광의의 개념

    건설기계와 관련된 모든 사업 즉 제조 매매 임대 정비 폐기하는 사업

    을 총체적으로 지칭

    건설기계용 부품 건설기계에 부착되는 어태치먼트 건설 현장에 사용되

    는 모든 장비 및 도구를 포함하며 부품생산에서 조립에 이르는 종합 제

    조 산업

    그림 건설기계산업의 개념

    협의의 개념

    기계적인 동력을 이용하여 건축 도로 항만 철도 발전 농지조성 하천

    댐 상하수도 등의 시설공사에 효율적 능률적으로 활용되는 수단으로 쓰

    여 지는 건설용 기계를 제조하는 산업

    건설기계 완제품 조립 산업으로 산업적 측면의 개념

  • - 2 -

    산업의 분류

    용도에 따른 분류

    표 용도별 분류

    용도별 품 목

    토공 기초기계도저 굴삭기 휠로우더 백호우 로우더 스키드스티어로우더 스크레이퍼 모터그레이더 등

    운반 하역기계지게차 덤프트럭 크레인 콘크리트 믹서트럭 콘크리트펌프카 콘크리트믹서트레일러 기중기차 등

    포장기계로울러 노상안전기 콘크리트피니셔 콘크리트살포기 아스팔트피니셔 아스팔트살포기 골재살포기 노면파쇄기 등

    기타기계콘크리트뱃칭플랜트 아스팔트믹싱플랜트 쇄석기 천공기 항타 및 항발기 사리채취기 공기압축기 콘크리트펌프 등

    기능에 따른 분류

    굴삭 및 운반기계 적재기계 운반기계 정지기계 다짐기계 포장기계

    굴착기계 골재생산기계 도로용 기계 등으로 분류

    사용지역 및 용도에 따른 분류

    육상기계 해상기계 농업기계 광산기계

    산업의 특성

    경제적 특성

    자본집약적 산업

    품목이 광범위하므로 다품종 소량생산이 불가피한 대규모의 시설투자

    가 요구되는 산업

  • - 3 -

    규모의 경제가 요구되는 산업

    만 여개의 부품 조립 생산의 형태로 각 기종별 일괄생산이 불가 대량생

    산체제를 위한 경제적 생산규모가 요구되며 경제수량 미달에 따른 원가

    부담으로 기술개발 투자가 매우 어려운 산업

    전방산업인 건설업에 대한 종속성이 높은 수출 지향형 산업

    내수에 의존할 경우 전방산업인 건설업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산업

    으로 건설경기의 기복이 심한 우리나라의 경우 계획 생산이 어려워 수

    출에 사활을 걸어야 하는 수출 지향형 산업

    부가가치가 높은 산업

    가공단계에서 정밀한 기술을 요하고 첨단기술화 경향 및 일괄 대량생산의

    메리트가 큰 특성을 지닌 부가가치가 높은 산업

    대당 가격이 비싸고 중량이 무거운 제품

    재고 누증에 따른 운전자금 압박과 해외 수출시 운송비가 수출 가격경쟁

    력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

    관련 산업의 파급효과가 큰 국가기간산업

    건설기계 제조 매매 임대 정비 폐차 등에 이르기까지 관련종사자가

    매우 다양한 산업이며 기계 전기 전자 소재 요소 건설 조선 등 산

    업 전반에 걸 쳐 상호 연관된 국가기간산업

    공작기계 조선 등에 비해 열악한 국내 환경

    과거에 정책 산업으로 육성보다는 규제에 더 중점을 두었으며 이러한 영

    향으로 연구소 학계 등 관련 분야가 전무하고 블루칼라로 인식되어 건설

    기계산업 기피

    산업화

  • - 4 -

    수요의 패턴이 보유개념에서 산업으로 변화

    기술적 특성

    기술 집약적 산업

    소재 및 부품에 이르기까지 기계산업 전반의 기술이 종합적으로 요구되어

    기술개발 기간이 길고 장기적인 기술투자가 필요

    핵심기술의 경우 해외 도입이 불가피

    종합 기계기술 산업

    기계산업 전반에 종합적인 기술이 요구되는 산업

    엔진 동력전달장치 유압장치 모터 펌프 밸브류 전 자제어

    장치 등 다양한 부품의 가공 조립산업으로 관련 부품공업 표준화 공

    용화 의 경쟁력확보가 수반되는 산업

    기술개발의 기간이 길고 장기적인 기술투자가 필요한 산업

    가공 공정관리 등 종합적인 생산기술력이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이 크며 제품

    의 주기가 긴 산업으로 환경 친화적 장비의 개발 등 특수 신기종 개발의 메리

    트가 매우 큰 산업

    축적된 고급기술이 요구 되는 산업

    선진국의 경우 인간공학적 설계와 메카트로닉스화가 급속히 진전 되어 첨단 디

    지털화되어 가고 있으며 제조기술은 중국 등 개발도 상국에 이르기까지 성숙

    되어 가고 있는 산업

    기능의 다양성 및 효율화가 증대되는 산업

    다기능 고효율의 류 개발 가능성이 무궁무진하여 관련 산

    업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한 산업

  • - 5 -

    세계 건설기계산업의 현황 및 전망

    세계 건설기계시장의 환경 변화

    세계 건설기계 시장은 기종의 변화 중고 시장의 확대 임대업 비중의 증가

    친환경 및 인공지능형 건설기계 기술개발 중국 등 개도국의 수요 증가 및

    확산 등 변화를 계속하고 있음

    표 건설기계시장의 최근 패러다임 변화

    소형 기종의 인기세

    세계 건설기계시장의 주요 수요처인 북미와 유럽지역에서 도심지 협소

    지역 공사의 증가로 인한 소형 기종 건설기계의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

    미니 굴삭기 미니 휠로더 미니 도져 백호우 로더 텔레스코픽 핸들러 미

    니 덤퍼 스키드 스티어 로더 등의 수요 증가가 가속화

    미니 굴삭기의 경우는 도심지의 협소 지역 공사 증가에 따른 소선회

    굴삭기의 수요 증가가 가속화

    중고 건설기계 시장의 확대

    장비 성능의 향상에 따른 중고 건설기계 선호도 증가 및 선진시장의

  • - 6 -

    중고 건설기계 규제 강화로 중국 동남아등 제 시장에 중고 건설기계의

    수요 확대

    렌탈 사업의 진전

    미국 유럽 일본 등 선진 세계 건설기계 시장의 렌탈업이 증가추세에

    있으며 대량구매 및 가격의 극단적 억제수단으로 거대 렌탈사 등장에 따

    른 건설기계의 가격 경쟁이 심화

    건설사업의 입찰 및 건설 프로젝트의 특성상 대부분의 운영자는 필요한

    건설기계를 구매하는 대신 렌탈을 선호

    임대를 할 경우 초기 대규모 구매자금이 필요하지 않고 유지보수와 보

    관비용을 줄일 수 있음

    최근 대규모 렌탈업체인 등의 경우 시

    장 확보를 위한 가격경쟁이 치열한 것으로 나타남

    부품의 모듈화

    종래 단품위주의 조달을 모듈화를 통하여 납기 단축 및 경제성 제고

    등으로 모듈화 확대 및 변화

    중국 인도시장의 수요 급증

    중국과 인도 중심으로 급속한 건설산업의 수요 증가로 인한 건설기계의

    수요가 급증

    중국의 경우 휠로더 인도는 백호우 로더 수요의 증가율이 두드러졌으며

    중국은 세계의 공장으로써 수요나 생산 측면에서 높은 위상을 차지하고

    있음

    중국은 건설기계 전기종에 걸쳐 세계 시장규모의 를 차지하고 있

  • - 7 -

    으며 특히 휠로더나 크레인의 경우 전 세계 수요의 를 상회

    굴삭기는 한국 일본 구미업체가 곱급의 를 차지하고 있으나 휠

    로더의 경우는 중국 로컬업체가 차지하고 있는 상황

    최근 세계 최대 휠로더 시장의 장점으로 메이저 기업들의 중국 휠로

    더 사업 진입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등의 경

    우 중국 로컬메이커와 가 진행 중임

    세계 최대 건설기계 수요시장에 대비한 선진메이커의 중국 거점화를

    위해 완제품 뿐만 아니라 주요 부품의 합작생산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으며 생산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

    인도의 경우는 최대의 백호우 로더 시장으로 기 진출한 영국의 시장점유율

    위가 현지 공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굴삭기의 경우는 등 일본

    업체 중심으로 현지 공장 운영 및 판매 상위 기록

    기술의 고도화 친환경 로봇화 중심의 기술개발

    건설기계 시기별 기술트랜드

    년대 기본 사양 향상 엔진 출력 작업 범위 굴삭력 견인력

    년대 생산 능력 및 효율 향상 엔진마력유효활용시스템 에너지 절감

    년대 쾌적성 운전 조작성 거주성 정비성 외관 디자인 등

    년대 환경에 대한 글로벌 대응 저소음 저배기 가스

    미래의 건설기계 기술의 발전 전망은 환경 안전 기계가 조화를 이룬 인

    간 중심의 기술이 요구될 것임

  • - 8 -

    그림 미래 건설기계의 기술 전망

    환경 측면에서는 리사이클링 바이오 오일 연료 절감 기술인 하이브리드

    기술 개발

    안전 측면에서는 운전자의 편의성과 쾌적성 안전에 초점이 맞추어져 자

    동화 무인화 작업자 안전 기술이 요구

    기계 측면에서는 메카트로닉스의 기술 심화로 인해 자동 제어 시스템

    무선 원격 송수신 구동 시스템 등에 초점이 맞추어져 기술이 진화할 것임

    의 가속화

    글로벌 무한 경쟁시대의 도래에 따라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기 위한

    가 활발히 추진되어 상위 개사의 전체 건설기계시장에서 차지하

    는 비중은 점점 높아지고 있음

    년말 기준 전체 건설기계시장에서 차지하는 상위 개사의 시장점

    유율은 로 나타났으며 크레인의 경우 지게차의 경우

    에 달하였음

  • - 9 -

    자회사 설립 및 합병으로 부품의 품질을 유지하고 기술제휴 및 이전을 통

    한 무역마찰을 해소하고 있으며 현지화 및 합작생산 체제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세계 주요 기업들은 합종연횡을 통해 취약한 제품을 추가

    또는 보완하여 전 제품군 생산체제를 추구하고 있음

    그림 세계 건설기계업계 현황

    CAT三菱重工

    Eda Barber-Greene Artix Bitelli

    합병(Shin Caterpillar Mitsubishi)

    매수 매수 매수 매수

    고마츠Dresser

    FAIHanomag

    합병(Komatsu Dresser)

    매수 매수 매수 매수

    Demag

    PartekModular Mining

    합병(Demag Komatsu)해체 해체 및 매수

    TEREXKoehring Baraga

    ProductsFruehauf Mark Ind 매수

    매수

    매수 매수

    Simon Access

    TATRAAmerican CranePeiner

    CMHC

    Gru Comedil

    Fermec

    Atlas Reedrill

    매수매각

    Unit Rig PPM NA &PPM Europe

    O&K Mining Fuchs매수

    매수 매수 매수Payhauler Schaeff

    Cedarapids Powerscreen

    Amida매수

    매수매수

    DEERE 합병(Deere-Hitachi)Hitachi 합병(Fiat-Hitachi)

    Liebherr Wiseda

    VOLVO Clark-Michigan

    Benati EHHE

    Baraga Products

    매수

    매수해체 합병(Hitachi-Kobelco)

    매수

    Euclid매수 합병

    VME VCEZettelmeyer

    AkermanPerjob

    Champion 삼성매수

    매수매수

    매수 매수

    CNH

    Link-Belt매수

    합병(LBX)

    住友建機

    住友重機械크레인

    매수매수

    유압굴삭기 공급

    해체

    분사

    Fiatallis

    FiatagriFiatgeotech New-Holland CNH

    Ford-NH O&K

    CASE International Harvester Poclain매수 매수

    住友重機械工業JCB 합병(JCB-SCM)

    Kobelco

    매수 합병(CNH-Kobelco)

    CAT三菱重工

    Eda Barber-Greene Artix Bitelli

    합병(Shin Caterpillar Mitsubishi)

    매수 매수 매수 매수

    고마츠Dresser

    FAIHanomag

    합병(Komatsu Dresser)

    매수 매수 매수 매수

    Demag

    PartekModular Mining

    합병(Demag Komatsu)해체 해체 및 매수

    TEREXKoehring Baraga

    ProductsFruehauf Mark Ind 매수

    매수

    매수 매수

    Simon Access

    TATRAAmerican CranePeiner

    CMHC

    Gru Comedil

    Fermec

    Atlas Reedrill

    매수매각

    Unit Rig PPM NA &PPM Europe

    O&K Mining Fuchs매수

    매수 매수 매수Payhauler Schaeff

    Cedarapids Powerscreen

    Amida매수

    매수매수

    DEERE 합병(Deere-Hitachi)Hitachi 합병(Fiat-Hitachi)

    Liebherr Wiseda

    VOLVO Clark-Michigan

    Benati EHHE

    Baraga Products

    매수

    매수해체 합병(Hitachi-Kobelco)

    매수

    Euclid매수 합병

    VME VCEZettelmeyer

    AkermanPerjob

    Champion 삼성매수

    매수매수

    매수 매수

    CNH

    Link-Belt매수

    합병(LBX)

    住友建機

    住友重機械크레인

    매수매수

    유압굴삭기 공급

    해체

    분사

    Fiatallis

    FiatagriFiatgeotech New-Holland CNH

    Ford-NH O&K

    CASE International Harvester Poclain매수 매수

    住友重機械工業JCB 합병(JCB-SCM)

    Kobelco

    매수 합병(CNH-Kobelco)

    자료

  • - 10 -

    세계 건설기계산업의 시장 개관

    세계 건설기계업체들의 매출규모 세계 대 기업 기준 는 년 억

    만 달러를 달성하여 경기 불황 속에서도 전년대비 신장세를

    보였음

    최근 추이를 보면 년 억 만 달러를 기록한 이후 지속적으

    로 증가하다가 년 억 만 달러를 기록하였으나 이후 글로벌

    경기 후퇴로 년 억 만 달러로 큰 폭으로 위축되었음

    년 하반기부터 신흥국 시장에서의 수요 증가에 힘입어 증가 추세

    세계 건설기계산업에서 미국 일본 중국 등 개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

    출액 기준으로 년 약 억 달러로 세계시장 전체의 약 에 달

    할 정도로 높음

    그림 세계 건설기계산업의 매출 추이

    자료 한국건설기계산

    업협회 자료 등 참조

    주 대수는 크레인 지게차 제외

    세계 대 건설기계업체 매출 기준

  • - 11 -

    표 세계 건설기계산업 주요국의 매출규모 및 점유율 현황

    단위 백만 달러

    순위 국가명 보유업체수 매출액 점유율

    미국

    일본

    중국

    스웨덴

    독일

    한국

    영국

    프랑스

    오스트리아

    자료 한국건설기계산

    업협회 자료 등 참조

    주 세계 대 건설기계업체 매출액 보유업체수 기준

    세계 건설기계산업의 주요 지역별 매출비중을 보면 년 기준 위는

    아시아지역으로서 일본 중국 한국 인도 터키 등 개국이 진입해있고

    매출규모는 억 만 달러로 세계시장의 를 차지하였음

    위는 미국과 캐나다가 속한 북미지역으로 매출규모는 억 달러

    로 나타났으며 세계시장점유율은 를 차지하였다 위는 스웨덴 독

    일 핀란드 영국 프랑스 등 개국이 속한 유럽임

    유럽의 수요부진으로 유럽 전 업체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매출규모는

    억 만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세계시장점유율은 로 나타났음

    마지막으로 위는 남아공이 속한 아프리카로 매출 억 만 달러 세

    계시장점유율은 로 나타났음

    미 일 중 건설기계산업의 시장동향

    미국

    미국 건설기계산업의 내수규모는 년 금액기준으로 약 억 달러에

  • - 12 -

    달한 것으로 추정되며 대수기준으로는 약 만 여대로 년 정점

    에 달했던 약 만여대에는 여전히 못미치고 있음

    미국의 경우 세계 건설기계 상위 대 기업에 Caterpillar, Terex, John

    Deer, CNH, Oshkosh Access Equipment, Manitowoc Crane Group,

    Astec Industries, Boart Longyear, Vermeer 등 9개 업체가 진입

    미국 건설기계산업의 시장구조는 년도 기준으로 외국산 비중이

    수준에 달했으나 금융위기 이후 대로 급락하였고 년 기

    준 자국내 생산비중과 수입비중이 각각 로 추정되어 자국내

    생산비중이 강세를 유지

    미국 건설기계시장은 험지용 덤프트럭 등 광산장비 아스팔트페이버 등

    포장장비 스키드로더 등 다양한 품목군을 형성하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

    의 경우 굴삭기 등 토공장비가 주류를 이루고 있음

    미국 건설기계시장은 년 총 대를 형성한 가운데 스키드스티어

    로더 트랙로더 굴삭기 백호로더 휠로더 등의 기종이 대 주력기종으로

    나타났음

    각 품목별 점유율을 살펴보면 스키드스티어로더는 대로 트

    랙로더는 대로 굴삭기는 대로 백호로더는

    대로 휠로더는 대로 를 점유한 것으로 나타났음

    표 미국 건설기계산업의 자국내 생산과 수입 비중 추이

    단위 대

    국내생산

    비중

    수 입

    비중

    내수

    자료 한국건설기계산업협회 자료 등 참조

  • - 13 -

    일본

    일본의 건설기계산업의 생산규모는 년 억 달러로 전년대비

    증가하였으며 이 중 유압식 굴삭기가 전체의 약 수준인 억 달러

    이며 도저가 인 억 달러 크레인이 인 억 달러 미니굴삭기가

    인 억 달러 규모로 나타났음

    일본의 경우 세계 건설기계 상위 대 기업에Komatsu, Hitachi건기,

    Kobelco건기, Sumitomo 중공업, Tadano, Kubota, Kato Works,

    Furukawa, Takeuchi, Aichi, Maeda Seisakusho 등 11개 업체가 진입

    주요 품목별 증가추세를 보면 미니굴삭기가 년 기간 동안 연평

    균 씩 증가율을 보여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유압굴삭기가

    의 도저는 연평균 성장하는데 그쳤으며 크레인은 연평균

    로 하락세를 보였음

    일본 건설기계 수출은 년 억 달러로 년 이후 연평균

    씩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음

    생산에서 차지하는 수출비중은 년 에서 년 로 감소

    하였으며 년에는 까지 올라갔으며 년 년에는

    를 기록하였음

    지역별 수출현황을 살펴보면 년에는 아시아 비중이 가장 높고 북미

    중동 유럽 순이었으나 년에는 북미 비중이 제일 높게 나타나

    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아시아 유럽 오세아니아 순으로 나타났음

  • - 14 -

    표 일본 건설기계산업의 주요 기종별 생산추이

    단위 백만달러

    연평균증가율

    유압식 굴삭기미니 굴삭기

    도저크레인기타계

    자료 일본건설기계공업회 각 연도

    표 일본 건설기계산업의 지역별 수출 현황

    단위 백만달러

    구분아시아북미유럽

    오세아니아중동

    아프리카

    자료 일본건설기계공업회 각 연도

    중국

    중국은 년 세계 대 건설기계업체에

    등 개 업체

    가 진입

    년 중국 건설기계산업의 생산은 전년대비 감소한 억 달러

    규모이며 수출은 전년대비 증가한 억 달러 수입은 전년대비

    감소한 억 달러로 억 달러의 무역흑자를 기록

  • - 15 -

    중국 건설기계 주요 품목별 수출입 현황

    단위 : 대, 백만달러

    구분수출 수입

    대수 금액 대수 금액무한궤도 굴삭기

    휠 굴삭기기타휠로더도저

    모터그레이더롤러크레인

    전동식지게차엔진식지게차

    자료 중국공정기계협회

    주요 품목별 수출입 현황을 보면 무한궤도식 굴삭기 수출 및 수입이 각

    각 억 달러에 달했으며 휠 굴삭기는 수출이 만 달러에 불과하였

    다 휠로더 수출이 억 달러를 넘어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크

    레인 수출도 억 달러를 넘어섰음

    지역별 수출입 현황을 보면 중남미로의 수출이 약 인 억 달러 규모

    이며 그 다음으로 동남아 지역이 인 억 달러 미국과 유럽이 각각

    수준인 억 달러를 기록

    러시아로의 수출이 인 억 달러 일본으로의 수출은 인 약 억

    달러 우리나라로의 수출도 인 억 만 달러 규모

    수입은 유럽으로부터의 수입이 전체 수입의 인 억 달러 규모이며

    일본으로부터의 수입이 인 억 달러 규모이고 우리나라로부터의

    수입도 인 억 달러로 위 규모이며 미국으로부터의 수입은

    인 억 만달러 수준

    주요 수출국 위권 순위는 미국 러시아 일본 브라질 인도네시아 호

    주 베네수엘라 태국 인도 사우디아리비아 이며 우리나라가 위를 기

  • - 16 -

    주요 수입국 위권 순위로는 일본이 위이고 그 다음으로 우리나라가

    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독일 미국 스웨덴 네덜란드 이탈리아 오스트리

    아 프랑스 영국 순

    그림 중국 건설기계산업의 지역별 수출 현황

    자료 중국공정기계협회

    세계 업체 동향

    캐터필러 세계 건설기계 시장 위점유율 약

    년 매출실적기준 전년대비 나 대폭 매출성장을 이룬 미국의

    로 매출액은 백만 불로서 부동의 위를 차지

    미국의 경기회복에 힘입어 매출액이 대폭 증가하였고 세계 시장 점유율도 전년

    의 에서 로 대폭 증가

    신규 시장 확대

    중국 등 신흥국 시장 확대를 위해 국가 생산설비 증설 상하이 신규부품 유

    통센터 등

    중국 시장에서의 주도권 확보 및 인도 구소련 지역 선점

    친환경 기술개발 주력

  • - 17 -

    친환경 추세에 맞는 고효율 저배기 저소음 장비 연구개발 주력을 바이오

    연료 사용 건설기계 개발 등

    코마츠 세계 건설기계 시장 위 점유율

    일본의 는 세게 건설기계시장의 위업체로 년 백만 불

    매출에 점유율은 로 지난해의 보다 약간 감소

    매출규모는 중국 사업 등의 부진으로 백만 불로 지난해보다 정

    도 감소

    신흥시장의 시장 확대

    중국 인도 등 신흥국 시장을 전략적으로 진출시장으로 선정

    해당 시장에서의 선도적 지위 유지 및 점유율 확대에 주력 현재 중국시장

    점유율 위

    투자확대

    점점 강화되는 건설기계 관련 환경규제에 대응하여 친환경적 고효율 건설

    기계 개발에 대한 투자 강화

    기존대비 배출량 이상 절감할 수 있는 엔진을 최초로 개발 성공함

    에 따라 시장 지배력 확대 예상

    세계 건설기계 시장 위 업체 현황

    세계 건설기계 위 업체는 지난해 위에서 한 계단 뛰어오른 히타치건기로

    서 매출액은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성장하여 억불을 돌파했으며

    는 를 차지

    세계 건설기계산업 위 업체는 지난해 위였던 볼보건설기계로서 주시장인

    유럽 중국 한국의 동반 부진으로 전년보다 의 매출감소율을 보이며

  • - 18 -

    순위 업체명 국가명매출액

    백만불

    세계

    시장점

    유율

    전년비

    미국

    일본

    일본

    스웨덴

    중국

    중국

    독일

    미국

    미국

    한국

    중국

    핀란드

    일본

    영국

    미국

    한국

    미국

    미국

    독일

    중국

    매출은 백만 불로 세계시장 점유율은 수준

    세계 건설기계 위업체는 중국의 로서 중국 내부시장의 극심한 불황속

    에서도 적극적인 해외수출 및 로 전년보다 가 성장하며 매출액은

    백만 불이며 세계시장 점유율은

    표 세계 건설기계업체의 매출 순위 점유율 현황 년 기준

    자료

  • - 19 -

    순위국가명

    업체수업체명 매출액

    점유율비고

    미국 개

    건설기계 주요 생산국가별 매출 및 시장 점유율 현황

    국가별 매출 및 시장 점유율 현황을 살펴보면 세계 위인 미국은 자국

    경기 회복에 따라 거의 전 업체의 매출이 늘어남

    세계 기업 그룹에 개 업체가 진입했고 총 매출은 억

    만 불로 전년대비 가 증가 점유율은 로서 나 높아짐

    세계 위는 일본으로서 세계 기업 그룹에 개 업체가 진입했고

    총매출은 억 만 불로 전년대비 증가하였고 세계시장점유율

    은 전년보다 떨어진 임

    위는 중국으로 세계 기업 그룹에 개 업체가 진입하여 지난해보

    다 개사가 줄어들었으며 매출은 억 만 불로 지난해의 억

    만 불보다 감소

    중국의 긴축정책에 따른 수요의 대폭적인 감소로 매출이 감소하였고 특

    히 상위 개 업체를 제외한 거의 모든 업체들의 매출이 급감

    세계 위는 스웨덴으로 세계 기업 그룹에 개 업체가 진입했고

    매출은 가 줄어든 억 만 불로 세계시장점유율은 지난해

    에서 로 감소

    세계 위는 세계 기업 그룹에 개 업체가 진입한 독일이며 매출

    은 가 감소한 억 만불이고 세계시장점유율은 에서

    로 감소

    표 주요 국가별 건설기계업체별 매출 현황

    단위 백만불

  • - 20 -

    소계

    일본 개

    건기

    건기

    중공업

    소계

    중국 개

    소계

    스웨덴 개

    소계

    독일 개

    소계

    한국 개

    두산인프라코어

    현대중공업소계

    핀란드

  • - 21 -

    영국

    프랑스 개

    소계오스트리아

    자료

    세계 건설기계 주요업체별 사업 영역

    세계 건설기계업체들의 사업영역을 보면 굴삭기 로더 지게차를 주력으로

    생산하고 있으며 특히 핵심인 엔진을 자체 제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엔진을 제외한 부품 생산업체 대부분은 저마다 특화된 기술을 가지고 해당

    제품에만 주력하는 양상을 가지고 있음

    그림 세계 건설기계 주요업체 사업영역

    자료 각사 홈페이지

  • - 22 -

    경쟁 환경의 변화와 향후 전망

    경쟁환경은 시장 기술 업체 간의 경쟁 규제측면에서 지속적으로 변

    화하고 이러한 변화에의 적절한 대처가 생존에 필수요소로 대두 하고

    있음

    그림 경쟁 환경 주요 요인

    시장 환경

    - BRICs 시장 확대- 소형 렌탈사업 증가- 도심지 공사 증가- 유가, 원자재 가격 상승

    기술 환경

    - Compaction - Hybrid- IT기술- Safety- ROPS/FOPS/TOPS

    경쟁 환경

    - Full-Line Up 구축- M&A 확대- 중국업체의 급속 성장- 부품 Sourcing- Module화, 공용화

    규제 환경

    - 소음, 배기가스 규제강화- RoHS, REACH- EMC- CE, CCC, UL Mark- Certification

    시장 환경

    - BRICs 시장 확대- 소형 렌탈사업 증가- 도심지 공사 증가- 유가, 원자재 가격 상승

    기술 환경

    - Compaction - Hybrid- IT기술- Safety- ROPS/FOPS/TOPS

    경쟁 환경

    - Full-Line Up 구축- M&A 확대- 중국업체의 급속 성장- 부품 Sourcing- Module화, 공용화

    규제 환경

    - 소음, 배기가스 규제강화- RoHS, REACH- EMC- CE, CCC, UL Mark- Certification

    시장에서의 경쟁 환경 변화

    시장환경은 가격측면에서의 변화 임대시장의 규모 증가 구매패턴

    의 변화 신흥 시장의 확대 소형장비의 수요 확대가 이루어지고 있음

    표 주요부문별 경쟁환경 변화

  • - 23 -

    구 분 변화방향 경쟁 환경 변화

    가 격 저가화

    가격경쟁력 유지를 위한 지속적인 제품 혁신 과 모듈화 부품공용화를 통한 저가화 경쟁배기가스 규제 강화에 따른 엔진 및 후처리 기술및 원자재가격 인상 등으로 가격 상승 요인 잠재

    임대 시장 확대선진국 중심으로 임대시장 규모 확대신제품 구매 대상은 개발도상국임대시장 확대

    중고 시장 확대성능향상에 따른 중고 건설기계 선호도 증대선진시장 중심으로 중고 건설기계 규제 강화개발도상국 중심의 수출 확대

    구매 가격 중시

    인터넷을 활용한 구매 패턴 증가브랜드 보다는 가격 중시

    신흥 시장수요증가 및 경쟁심화

    중국 인도 등 시장에서의 수요 증가중국 중심의 건설기계 제조업체 경쟁력 증대

    소형장비 수요확대도심지 공사 리모델링 등 증가로 소형 장비수요 확대협소지역에서의 공사 증가로 소선회 등 장비 증가

    기술에서의 경쟁 환경 변화

    기술 환경에서는 장비 및 주요 핵심부품의 화 환경 규제 관

    련 기술개발 기술을 응용한 기술개발을 지향

    또한 안전 위주의 기술 경쟁 성능 및 내구성 향상 기술 연료저감 기술

    감성공학 기술 등이 변화하고 있음

  • - 24 -

    표 기술에서의 경쟁환경 변화

    구 분 변화방향 경쟁 환경 변화

    부품 화소선회 등 소형장비 개발을 위한 핵심부품의 컴팩트화 소형 중심에서 중대형에 이르기까지 확대

    환경

    배기가스저감

    저소음

    친환경

    연료전지 등 저 배기가스 대책형 엔진 기술개발

    등 후처리 장치 기술 개발저소음 냉각 팬 흡차음재의 기술개발바이오 오일 개발

    접목을

    통한

    첨단화

    무인화 원격제어 자동 굴삭 제어 시스템 개발위성통신 및 이동 통신을 이용한 장비 정 보 및 위치 파악작업장치 위치 제어 시스템 개발

    안전

    운전자

    보호 및

    현장무재해

    무인화 로봇화 개발 정적 안정성 및 동적 안정성 확보기술과부하 자동 감지 및 운전자 경고 시스템 접근 감지 기술

    성능 내구

    제품 수명연장

    작업성 신뢰성 향상 기술등 내구성 향상 기술

    구조물의 장수명화 소재 개발

    연료 성 에너지고유가에 따른 연비 향상 기술고강도 경량 소재를 이용한 제품 개발엔진 펌프 액튜에이터 등 최적화 기술

    감성 편의성추구등 네트워크 통합 기술

    운전실 인테리어 최적화 기술운전자 편의성 및 안락성 향상 기술

    기업에서의 경쟁 환경 변화

    건설기계 생산업체의 추구 업체간의 및 상호 협력 가

    속화 중국 현지 업체의 급속한 성장 등의 변화 양상

    부품의 아웃소싱 가속화 영업방식의 변화 수평적 분업이 기업의 경쟁변

    화 요소로 대두

  • - 25 -

    표 기업에서의 경쟁 환경 변화

    구 분 변화방향 경쟁 환경 변화

    생산기종추구

    건설기계 제품군별 용량별 생산라인 구축전문에서 종합 건설기계 제조업체로의 변화다양한 옵션장비 개발 가속

    전략적 제휴합종 연횡가속화

    글로벌 종합 건설기계 제조업체 중심캐타필라 고마츠 히다치 등 설립 및 전략적 제휴 를 통한 생산품목 보완전문 제조업체가 글로벌 업체의 주요 협력 대상완제품 뿐만아니라 부품업체도 인수합병 활발

    후발국 약진

    중국업체의 성장

    년 부터 세계적인 건설기계 제조업체로 두각세계 대 업체에 개업체가 진입최대 수요시장을 바탕으로 급속 성장세계 생산의 로 세계 위권이나 년내에 위권으로 도약 가능성

    부품 공급가속화

    가격경쟁의 심화로 부품의 저가화 전략제 시장의 저가 부품업체에 아웃소싱부품 공용화 및 모듈화 추세 가속부품조달시스템 기술 노하우 이전

    영업방식매매패턴

    변화

    장비 및 운전자를 함께 제공하는 영업시스템 도입수요고객과 전략적 제휴 확대인터넷을 활용한 전자상거래 확대

    업체간 분업

    수평적분업무역마찰 해소 방안업체간 상호 윈 윈 전략 협력수요가 감소하는 기종 증가

    규제에 따른 경쟁 환경 변화

    최근 선진국을 중심으로 소음규제 배기가스 규제 화학물질 규제 전자

    파 규제 강제인증 규제 등이 강화되고 있으며 이에 준하는 장비 수준이

    곧 경쟁의 척도로 작용

  • - 26 -

    표 규제에 따른 경쟁환경 변화

    구 분 변화방향 경쟁 환경 변화

    소 음대응

    저소음을 위한 흡차음재 엔진 냉각팬 등 변화규정에 따른 저소음 단계 규제

    배기가스및

    대응

    배기가스 규제 강화로 전자엔진 및 시스템 개발

    연료전지 등 에 대한 투자 증가단계 규제 대응 엔진 개발

    화학물질도장 등 규제 강화

    유럽 중국 등 유해물질 사용제한지침유럽의 신화학물질관리제도

    전자파 규제강화 등 전자파 규제

    강제인증인증규제

    강화유럽 중국 미국 등 강제인증 대응

    또는 공인 인증

  • - 27 -

    우리나라 건설기계산업의 년 동향과 년 전망

    년 건설기계 내수는 시장 포화로 전년대비 가량 감소 전망

    년 한국 건설기계산업은 내수와 수출의 양적 성장으로 생산 판매 모

    두 전년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년 완성품 생산 및 판매는 대 및 대로 전년대비 각

    수준으로 증가하며 두 부문 모두 수치상으로는 역대 최대치를 경신

    한 것으로 나타남

    다만 그 내실을 들여다 보면 뚜렷한 상 하 양상으로 하반기 이후 지

    속된 내수 및 수출 침체 품목 내 규격별 및 수출지역별 수출 형태에 따

    른 판매 물량과 금액 간의 차이로 실질적으로는 내수와 수출 모두 마이

    너스 성장한 것으로 추정됨

    한국건설기계산업협회 자료 이용

  • - 28 -

    그림 건설기계산업의 수급 동향과 전망

    자료 한국건설기계산업협회

    주 년 실적은 월 기준 한국건설기계산업협회 추정치임

    년 건설기계 생산과 판매는 모두 전년대비 증가세를 보일 전망이며

    증가율은 각 가량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고 판매 중 내수판매는 감

    소세를 수출은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며 각 증감률은 한 자리 수

    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됨

    표 건설기계산업 현황 완성차 기준

    단위 대

    자료 한국건설기계산업협회

    주 국내판매는 국내생산 기준

  • - 29 -

    표 년 품목별 생산 판매 전망 완성차 기준

    단위 대

    자료 한국건설기계산업협회

    주 년 실적은 월 기준 추정치임

    년 건설기계 완성차 내수판매는 총 대로 전년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완성차 내수판매는 소형 굴삭기의 약진과 지게차 판매가 견인한 가운데

    굴삭기 내수판매는 지자체 소형 관급공사 증가와 휠타입 톤 및 톤

    굴삭기의 교체 수요로 소형 굴삭기 판매가 상반기를 중심으로 크게 증

    지게차 판매는 설비투자 증대 유통업 특수 클린사업장 지원 등으로 전

    년에 이어 견조한 증가세를 달성한 것으로 나타남

  • - 30 -

    다만 년 건설기계 내수판매는 소형 굴삭기 및 지게차 등 중소형 장

    비는 증가세를 보인 반면 대강 사업 종료로 수요가 급감한 톤급 이상

    굴삭기와 휠로우더 등 대형장비의 감소세로 판매 금액은 감소해 실

    질적으로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표 년 건설투자 전망

    단위 조원

    자료 한국건설기계산업협회

    년 국내 판매는 대형 국책사업 부재 및 정권교체기 정부 지출

    년 증가율을 견인했던 중소형 장비 시장의 정체로 년 대비 감소세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되며 년 국내판매는 총 여대로 전년대비

    가량 감소할 것으로 보임

    건설기계 국내판매의 선행지표가 되는 예산과 건설투자 부문을 살

    펴보면 년 예산은 년 집행 금액보다 여억원 증가한

    조 억원이 배정되어 전년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예산 전체로 보면 지난 년 조원 보다 높은 수준은 아니지만 대

    강 사업 및 여수 엑스포 사업을 제외할 경우 년 조원 이후 년

    만에 최대치인 것으로 나타났고 도로와 철도 등 교통 를 중심으로

    예산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그러나 신규 예산 투자 방침이 완공 위주의 투자로 정해짐에 따라 신규

    예산 투입이 진행되는 사업은 도로 건 항만 건 댐 및 상수도 건 철

    도 건에 불과해 예산 확대에 따른 건설기계 수요에는 한계가 을

    것으로 보임

    또한 년 소형 건설기계 수요를 주도하던 지자체 및 공공기관의 소형

  • - 31 -

    관급 공사의 신규 발주도 년 대비 크게 약화될 전망

    년 이후 년 연속 지자체 재정자립도 하락 및 지방부채 증가 자산

    규모 조원 이상의 개 공공기관의 부채규모 및 부재비율 증가로

    년 지자체 및 공공기관의 건설투자 증대는 기대하기 힘들 전망

    품목별로 살펴보면 상기 언급한 건설 산업의 환경으로 국내 굴삭기 판매

    는 감소세로 전환될 전망

    년 지자체 소형 공사 증가 및 교체 주기로 상반기 중 크게 증가한

    톤 및 톤급 휠타입 소형 굴삭기 판매가 시장 포화로 둔화될 전망임

    대형 굴삭기의 실수요 감소세가 지속되며 연간 굴삭기 내수판매는 전년

    대비 가량 감소할 전망

    특히 년 사이 가량 판매가 감소한 톤 이상 크롤라 굴

    삭기 판매는 경기 위축에 따른 유동성 부족 실수요 감소 및 중고 수출

    감소 사이클이 지속되며 년 연속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

    휠로우더의 경우 실질적인 대형장비 수요 견인 요소가 없는 가운데

    년에도 가량 감소할 전망이며 도로 및 소형 건설 현장의 위축으

    로 스키드스티어로우더 역시 추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

    한편 년 중대형 장비의 교체주기가 도래했으나 경기 위축 및 유동

    성 문제로 급에 수요가 대거 몰린 콘크리트펌프의 경우 주택 미분양

    사태 지속 공공건축 부문의 저성장세 등 전반적인 건설투자 위축으로 감

    소세로 전환될 전망

    건설기계 수출은 연간 성장 기대 중국 시장 회복으로 하반기 중

    점진적 증가세 시현 전망

    년 건설기계 완성차 수출은 주력 시장인 중국과 유럽 수출의 하락세

    에도 불구하고 북미 시장과 신흥시장의 수출 호조세에 힘입어 총

    대를 기록 전년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 32 -

    완성차 수출 물량은 년 수출 경기 회복 이후 년 연속 역대 최대치

    기록을 경신한 것으로 나타남

    그러나 년에는 완성차 물량 수출 증가율과 부품을 포함한 건설기계

    산업 수출 금액 증가율이 다른 양상이 나타남

    년 관세청 기준 부품을 포함한 건설기계 수출액은 억 달러로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중국 내 현지판매가 격감함

    에 따라 현지 공장 조립용으로 수출되는 굴삭기 부품조립체 수출

    이 크게 감소한 데 기인함

    년 건설기계 수출은 중국 시장의 회복으로 물량과 금액이 모두 증가

    율을 기록할 전망이나 증가율은 모두 가량으로 소폭 성장에 그칠

    전망

    상반기에는 년 상반기 호실적에 대한 기저효과와 세계 경제 성장 둔

    화에 따른 수요 감소로 감소세를 보일 전망이며 하반기에는 중국 및 미

    국 시장의 회복으로 점진적인 회복세를 시현할 것으로 전망

    지역별로 살펴보면 중국 수출은 소폭 회복 미국 및 신흥시장 수출은 보

    합 유럽 수출은 년 대비 하락세가 전망

    년 중국 수출은 하반기에 점진적 회복세가 예상되며 전체 수출은

    년 수준 내지 내외의 증가율이 전망

    중국 수출은 신정부 출범에 따른 금융 완화 및 경기 부양 대책에 대한

    기대감 상승으로 소비심리는 금년 대비 개선될 전망이나 시장 내 적채

    된 대량 재고로 상반기 내 가시적인 회복은 어려울 전망

    한편 년 국내 업계의 중국 내 굴삭기 판매는 여대로 전년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중국 굴삭기 시장은 연간 총 여대로

    전년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 - 33 -

    년 중국 굴삭기 시장규모는 년과 비슷한 규모를 형성하되 구성

    비에 있어서는 소형 비중이 상승할 전망

    소형 정비공사 위주의 건설 시장 회복 도시화에 따른 농촌의 소형 건설

    기계 수요 증가 소득 수준 상승에 따른 휠로우더 대체장비 구매 확산

    경향으로 소형 굴삭기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

    표 년 건설기계산업 전망 금액 기준

    단위 십억원 백만불

    자료 한국건설기계산업협회

    북미 수출은 년 고성장에 따른 기저 효과로 정체를 보일 것으로 전

    망된다 북미 수출은 년 급락세 이후 년 이후 회복세를 보

    였으며 년 상반기 중에 최고점에 도달한 것으로 분석됨

    이 같은 수출 호조는 리먼사태 전후 장기 불황으로 적체된 유휴장비의

    교체주기 도래 미국의 주택경기 개선 및 대선 레이스에 따른 경기 부양

    기대감으로 수요 시장이 빠른 속도로 회복된 데 기인함

    년 북미 수출은 상반기에는 감소세가 하반기에는 증가세가 예상되는

    가운데 연간 실적은 년 수준을 유지할 전망

    년 호조세에 대한 반작용 미국의 재정절벽 리스크 우려 및 집권 초

    기 재정 긴축의 영향으로 상반기 중에는 소비심리와 건설기계 수출이

    다소 위축될 것으로 전망

  • - 34 -

    아세안 중남미 중동 등 신흥시장의 역시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보일 것

    으로 전망되며 년 상반기 까지 높은 증가율을 유지했던 신흥시장 수

    출은 하반기 글로벌 경기 후퇴의 영향으로 성장세가 둔화되었으며 이 같

    은 경향은 년 상반기끼지 지속될 전망

    중국 및 미국 경기가 성장세로 전환되는 하반기 중 자원 수출 비중이 높

    은 신흥국가를 중심으로 점진적인 증가세를 시현할 것으로 전망

    한편 유럽 수출은 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거나 소폭 하락할 것으

    로 전망

    독일 등 일부 시장을 제외한 남 서유럽국 재정불안 및 불확실성 지속으

    로 건설시장의 위축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며 유럽 경기의 장기 침체

    의 영향에 따른 러시아 경기의 동반 위축 시 유럽 수출의 추가 하락세

    는 불가피할 전망

  • - 35 -

    건설기계산업의 경쟁력 분석

    생산경쟁력

    생산 경쟁력 종합

    건설기계산업의 종합적인 생산 경쟁력은 일본 및 미국 등 선진국 대비

    정도 열위이고 중국과 대비해서는 정도의 우위를 보임

    표 경쟁국과의 생산경쟁력 비교

    구분 한국 일본 중국 미국

    리드타임

    납기

    보유설비

    품질관리

    공정관리

    자동화

    종 합

    부문별 경쟁력

    생산성

    납기 보유설비 품질 관리 등 전반적인 면에서 일본 미국 대비 정

    도 열위를 보이고 있으나 중국과 비교해서는 우위를 보임

    최근 생산 공정의 자동화 및 로봇화 도입으로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었

    음 두산인프라코어 등의 이전과 함께 설비교체 등이 기대되어 생산성은

    년 내 의 추가 향상이 전망됨

  • - 36 -

    리드타임

    원자재 및 부품의 발주에서 완제품 생산시점까지를 기준으로 한국의 경우

    일본 및 미국 대비 각 대비 정도의 열위를 나타냄

    이는 한국업체의 경우 부품의 외주 많은 반면 선진국의 업체

    의 경우는 대부분 자체 생산 및 공급에 기인함

    국내 부품업체 등의 집중육성을 통한 경쟁력 요소 강화 전략이 절실함

    납기

    한국업체의 평균 납기는 제품 주문접수 후 수요가 인도 시점까지 일 개

    월이 소요 됨 다량생산기종 일

    제품 주문 접수 후 원자재 구매 오더 개월 전

    안전 재고 적정 재고 수준은 내수의 경우 생산계획대비 대이며 수출용

    납기측면에서는 자국업체의 수요가에 대한 자국 내 생산제품 기중으로 선국

    국과 동등한 수준이며 중국 대비 정도의 위위 수준임

    보유설비

    일부 업체의 경우 노후 장비로 선진국 대비 열위 개도국 대비 우

    위를 보임

    자동 및 로봇화 관련 생산 설비는 주로 외국산이며 품질 성능 등 여러

    면을 고려할 때 국산설비는 외산대비 의 격차를 나타내어 국산

    설비의 채용을 꺼리고 있음

  • - 37 -

    표 건설기계 부품 국산설비 경쟁력 비교

    구 분 평가 항목 경쟁력 외산대비 수준수요업체 시각외산대비 수준 공급업체 시각

    설비 품질

    신뢰성

    성능

    자동화

    가동 편리성

    설비영업

    마게팅

    브랜드 이미지

    구입가격

    구입조건

    설비 유지보수

    내구성

    유지보수 가격

    용이성

    종 합

    품질 공정 관리

    품질 공정관리의 경우 전통적으로 일본 업체가 상당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었으나 최근 수년 동안 미국은 일본 업계의 벤치마킹 을 통하여 상당한

    수준의 선진화를 이룩함

    자동화

    한국 업체의 경우 생산 설비라인에서의 자동화 및 로봇화가 많이 이루어졌

    으나 용접라인과 도장라인을 제외하고는 소량 생산으로 인한 효율성 규모의

    경제 문제로 과감한 투자가 이루어 지지 않고 있음

    일본의 경우는 충분한 로봇산업을 기반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생산 자동

    화 라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미국도 자동화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가 이루

    어지고 있음

    반면 중국의 경우는 자동화에 대한 인식 부족과 선진 생산시스템의 취약

    으로 한국 대비 의 격차를 갖고 있음

  • - 38 -

    품질경쟁력

    종합 경쟁력

    완성장비의 품질 경쟁력을 보면 한국산 제품은 범용굴삭기 및 로우더 엔

    진식 지게차에서는 선진국과 대등한 수준이나 상대적으로 중국 등 개도

    국 장비 수준과도 근접

    선진국과의 품질경쟁력의 차이 이유는 기술력을 충분히 활용하여 앞서가는

    건설기계의 제작에 전력을 다하는 등의 많은 투자 결과

    예 생산라인의 용접로봇 투입 등

    중국은 외국 선진업체와의 합작을 통하여 품질 향상을 꾀하고 있으나 내

    수시장 가격차이로 인하여 단기 효과는 미미하나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상당한 품질 파급효과 기대

    표 주요 건설기계 품질 경쟁력 비교

    구 분 한국 일본 중국 미국 유럽

    굴삭기

    로우더

    지게차엔진식

    밧데리식

    자료 일본 중국 현지 실태조사 및 업계 전문가 의견 반영

    지게차의 경우 한국업체는 는 어느 정도 인정을 받고 있으

    나 지게차의 부품 채용도가 거의 중국산으로 중국산 대비 품질 우

    위 인정 못 받음

    중국 지게차 시장은 이상이 저가 시장으로 이에 대한 시장 공략을 위

    하여 중국 부품 채용을 통한 저가화 전략을 추진함

  • - 39 -

    중국 지게차업체의 투자 비율은 안휘의 경우 기타 기업은

    안휘의 경우는 를 통한 기종 다양화를 통하여 개 이상의 기종 개발

    부문별 경쟁력

    첨단장비와 핵심부품의 품질수준은 선진국 대비 경쟁력이 취약하여 수입

    의존도가 높으나 범용제품은 대등한 수준

    선진국은 주요 핵심부품 위주로 품질경쟁력 제고에 주력

    표 부문별 품질경쟁력 비교

    구분 한국 일본 중국 미국

    내구성정밀도불량률품질인증

    작업성 성능디자인

    수요자만족도

    미국은 사와 기타 업체의 품질 편차가 크고 일본의 경우는

    등 주요 업체의 품질 편차가 크지 않음

    표 품질 향상을 위한 선진국의 주요 부품 개발 동향

    자동제어기술 무인작업화를 위한 원격제어장치 개발

    시스템개발 유압시스템 유연성 향상

    성능개선설계 작업상태에 따른 및 속도조정 최적화

    의 방향 속도 등을 전자식으로 조정

    마이크로컴퓨터 이용 연료절감 엔진과 펌프제어방식

  • - 40 -

    내구성

    내구성 측면에서는 일본 대비 미국 대비 정도 열위이나 중국

    대비하여 정도 우위

    내구성은 사용 환경이 사용 지역 및 운전자 성향에 따라 매우 달라 정량

    적인 비교는 어려움

    국내시장의 경우 최악의 조건으로 외국제품 중 사 제품이 유

    일하게 국내 작업 환경에 적응

    선진국 수요가의 경우는 작업 환경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건설기계 토사

    용 자갈 및 암석용 를 사용하나 한국 및 중국 등 개도국 시장에서는 전

    천후 사용으로 고장율 높음

    정밀도

    조립공차 등 정밀도 부분에서는 선진국 대비 이상 차이가 있으며 중

    국과 대비해서는 정도 우위를 보이고 있음

    작업 시 등 정밀도 부분에서는 선진국 대비 대등한 수준임

    불량률

    불량률은 부품업체의 영세성으로 선진국 대비 경쟁력이 떨어지며 조립

    정밀도에 절대적 영향을 미침

    중국은 한국과 대비하여 불량율이 정도 높으나 미국 및 일본은

    정도 한국 대비 낮음

    품질인증

    품질인증 및 디자인 분야는 한국업체의 품질 격차 해소에 유리한 분야로

    선진국 대비 대등한 수준임

  • - 41 -

    한국업체의 경우 디자인 평가에서도 세계적으로 높은 수준의 인정을 받

    고 있음

    작업성

    기본 성능면에서는 선진국 제품과 대등한 수준임

    미국 일본 대비 정도 열위 중국 대비 수준 우위

    기본물성

    친환경 및 운전자 편의성 측면 일본 등 선진국 대비 의 열위를 보

    이고 있으나 중국 대비하여 우위

    부품 조달 및 측면 지역적 특성에 따라 다르나 주요 경쟁시장인

    중국에서는 일본산 대비 동등한 수준

    가격경쟁력

    종합 경쟁력

    선진국 대비 가격경쟁력 우위 유지하고 있으나 생산성 생산 규모

    등 가격경쟁력 구성 요소 중의 일부는 일본 미국 중국산과 대비해서는

    정도 열위

    표 부문별 품질경쟁력 비교

    구 분 한국 일본 중국 미국 유럽

    굴삭기

    로우더

    지게차엔진식

    밧데리식

    자료 일본 중국 현지 실태조사 및 업계 전문가 의견 반영

  • - 42 -

    중국 시장에서는 중국산 한국산 일본 미국 및 유럽 산 과는 각 정

    도의 가격차를 보이고 있음

    표 중국시장에서의 가격 경쟁력 비교

    구 분 일본 한국 중국 미국 유럽

    굴삭기

    로우더

    주 한국업체는 중국시장 로우더 판매실적 거의 없어 비교 어려움

    동남아 등에서는 경쟁국 제품과 치열한 경쟁

    일본 중고 제품과의 경쟁 심화

    중국 브라질 등 저가 공세에 따른 가격경쟁력 약화

    미국 시장에서 수요가 가장 많은 굴삭기의 경우 한국산 제품이 미국

    일본 중국산 대비 의 가격 우위를 점하고 있음

    표 미국내 굴삭기 판매가 비교

    구 분 미 국 일 본 유 럽 중국 한 국

    가격경쟁력

    미국내 판매가격 천불

    주 톤급 굴삭기 미국 내 주 경합 품목

    자료 업계 실태조사

    지게차의 경우 중국시장에서 현대와 두산의 판매 증가폭이 크며 이는 부

    품의 중국 에 따른 가격 인하에 기인

    현대 두산 대 는 선에서 중국 부품 채용

    과거 지게차 대 가격으로 중국산 지게차 대 구입 가능했으나 현

    재는 대 수준으로 가격 폭 좁혀짐

  • - 43 -

    핵심 부품별 가격 경쟁력

    핵심 부품별 가격경쟁력은 국산화 정도에 따라 일본 미국 등 선진국과

    대비하여 정도의 격차 발생

    표 굴삭기 및 핵심부품의 가격경쟁력 비교

    단위

    구 분 국산화율 한국 일본 미국

    굴삭기메인펌프메인콘트롤밸브선회모터주행모터엔 진선회베어링트랜스엑슬

    주 국내 대표적 완성품 및 부품 소재업체 응답 기준 작성

    중국은 핵심부품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여 비교 대상에서 제외

    서비스경쟁력

    종합 경쟁력

    서비스 부분에서의 종합경쟁력은 미국 일본 한국 중국 순이며 선

    진국과는 열위 중국과는 이상의 우위를 점함

    표 경쟁국과의 서비스경쟁력 비교

    구분 한국 일본 중국 미국조직인력

    기술수준신속성

    부품공급능력부품가격종 합

  • - 44 -

    부문별 서비스 경쟁력

    조직 및 인력

    조직 및 인력 면에서 선진국 대비 열위나 중국대비 정도 우위

    를 보이고 있음

    일본의 경우 평균 이상이 정년 평균 세 까지 근무하며 재고용 또

    는 정년퇴직 후 계열사에서 근무

    이러한 추세는 현상으로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으나 기본적으

    로 숙련 인력의 활용 측면에서 일본업계가 선택하는 것임

    현상 년대 호황 시 대규모 고용 후 년대 불황으로 고용 기피

    조직 및 인력을 비롯한 제반 측면의 경쟁력 확보가 향후 총체적인 경

    쟁력 확보의 최우선 평가 요인으로 부상

    기술수준

    한국업체의 경우 낙후된 기술 수준 극복을 위해 의 기술 수

    준 향상을 위하여 현지 파견 교육 및 본사 초청을 통한 집중 교육 실시

    이러한 노력을 바탕으로 그동안 뒤져 있던 기술 수준을 선진국 대비

    정도로 끌어올려 상당한 수준으로 접근하였음

    신속성

    서비스의 신속성 면에서는 일본 업체와는 거의 대등한 수준 미국 업체와

    는 정도의 갭을 유지하고 있음

    딜러의 렌탈 사업화 지원 및 렌탈업자의 관리 영역 확대 등으로 딜러

    및 렌탈사에 대한 기술 및 서비스 지원이 경쟁력 확보를 통하여 서비

    스 신신속성 확보

  • - 45 -

    본사요원의 전천후 기술 지원으로 상당한 부분을 극복하였음

    중남미 아프리카 등 선진국 소외 지역에 대한 마켓 경쟁력 확보

    부품공급능력

    부품공급 능력에서 선진국 대비 정도 열위

    현지 부품센터의 부족 등의 요인

    신속성 저가 정품의 부품 공급을 통한 의 차별화로 경쟁력 극복

    부품가격

    부품 가격은 일본 및 미국 등과 각 정도로 경쟁력이 취약함

    중소 부품업체의 기술 수준 향상 및 주요수요지역에 대한 부품창고 설치 및

    망 강화를 통하여 저렴한 가격의 신속한 공급 추진이 경쟁력 향상의 관건임

    기술경쟁력

    종합 경쟁력

    굴삭기 지게차 로더 등 범용장비는 생산기술 측면에서는 세계적인 기술

    수준 정도에 근접했으나 높은 신뢰성을 요하는 장비와 첨단장비 개발

    에서는 선진국 대비 열위

    굴삭기는 일본 미국 유럽의 선진업체와 전체적으로 약 년의

    기술 격차를 보이고 있으며 중국과 기술 격차는 약 년의 기술

    격차를 보이고 있음

    소형과 대형제품 일부 및 무인화 및 화 제품에서 기술적인 격차가

    벌어져 있음

  • - 46 -

    로우더는 일본 미국 유럽의 선진업체와 전체적으로 약 년의

    기술 격차를 보이고 있으며 중국과 기술 격차는 약 년의 기술

    격차를 보이고 있음

    특히 대형제품에서 기술적인 격차 큼

    지게차 일본 미국 유럽의 선진업체와 전체적으로 약 년의

    기술 격차를 보이고 있으며 중국과 기술 격차는 약 의 기술 격

    차를 보이고 있음

    대형 엔진식 일부 및 화 제품에서 기술적인 격차가 벌어져 있음

    크레인 등 기타 품목에서는 약 년 이상의 기술격차를 보이고 있음

    국산화율 휠타입 궤도식

    표 주요 품목별 기술 수준 비교

    구 분 한 국 일 본 중 국 미 국 유 럽

    굴삭기톤급톤급톤급

    로 더루베급루베급루베급

    지게차

    전동식톤미만엔진식톤이상

    기타 크레인펌프카 도자 등

    부문별 기술 경쟁력

    부문별로 선진국 대비 약 년 정도 뒤처지나 중국과는 상대적

    으로 년 정도 앞서고 있음

  • - 47 -

    표 경쟁국과의 기술경쟁력 비교

    구 분 한국 일본 중국 미국

    투자

    연구 인력

    특 허 기 술

    핵심원천기술

    설계기술

    생산기술

    투자

    투자 비율은 미국 일본 등 선진국 주요 건설기계업체 약 대비

    수준으로 평균적으로 적으나 전체 투자액에서는 선두업체인 미

    국 일본 사의 수준

    표 주요 경쟁사 별 매출액 및 투자율

    국 가 주요 건설기계업체조사년도매출액억 달러 투자 비율

    미국

    스웨덴

    일본

    한국두산현대

    중국

    투자비 총액에서는 선진국 대비 약 배 더 높은 격차를 가지고 있으

    며 최근 중국의 경우도 개인 기업을 중심으로 대 이상의 투자

    중국 국영기업은 수준 지게차 업체

  • - 48 -

    품 목한국

    일본

    중국

    미국

    특이 사항

    굴삭기

    다른 건설기계에 비하여 투자가 높은 편이나 미국 일본 등 선진국과 투자 비율 격차는 평균적으로 약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

    로우더

    굴삭기에 비하여 투자가 낮은 편이며 선진국 특히 미국과 투자 비율은 격차가 약 이상으로 크며 중국과도 투자 비율에서 약 정도로 우위가 적음

    지게차투자가 낮은 편이며 미국 일본 등

    선진국과 투자 비율 격차는 평균적으로 약 떨어지는 것으로 조

    주요 품목의 경쟁력은 굴삭기 분야가 타 품목 대비 비교 우위에 있

    는 것으로 분석 됨

    표 분야의 주요 품목별 기술경쟁력 비교

    연구인력

    일본 미국 등의 연구 인력은 산업 규모 대비 한국의 이상 보유

    한국의 건설기계산업의 연구 인력은 일반기계 산업의 연구인력대비

    수준임 일본은 수준

    굴삭기 로다 지게차에 집중되고 상대적으로 품종수도 적은 관계로 연구

    인력이 집중 현상이 있음 그러나 원천 및 기반기술의 연구 인력은 평균

    치 더 높은 격차를 갖고 있음

    국내 업체별 연구인력

    절대연구 인력 수는 총 종업원 수 대비 전체적으로는 대기업은

    수준으로 절대적으로 낮은 수준임

  • - 49 -

    구 분일반기계기타기계

    건설기계

    건설기계 비중 사 사

    박사 기술사

    석 사

    학 사

    기 타

    연구인력 계

    전 종업원 수

    품 목한국

    일본

    중국

    미국

    특이 사항

    굴삭기미국 일본 등에 비하여 국내기업은 평균적으로 약 적으나 국내 건설기계 연구 인력의 약 의 인력이 집중

    로우더미국 일본 선진국 대비 국내기업은 평균적으로 약 크게 적으며 중국 연구 인력에 비하여도 약 우위로 크게 앞서 있지 못함

    지게차국내기업은 평균적으로 약 적으며 중국 연구 인력에 비하여도 약 이내로 우위로 크게 앞서 있지 못함

    표 연구인력 비교

    단위 명

    자료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업체 인사자료

    주요 품목별 연구인력 부문의 경쟁력은 지게차 분야가 타 품목 대비 비

    교 우위에 있는 것으로 분석 됨

    표 연구인력 분야의 주요 품목별 기술경쟁력 비교

    특허

    특허 등록 건수는 선진 기업체 미국 일본 사 대비 국

    내 기업은 약 이하 수준이나 연구관련 인력 수준을 감안하면 다른

    외국 기업에 비하여 비교적 동등한 수준임

  • - 50 -

    표 주요 기업의 특허등록 건수

    업체 합계

    현대

    두산

    연도별 주요 업체별 특허현황

    그림 연도별 업체별 특허 현황

    년 이후로 특허수가 전체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임

    선도업체 미국 일본 에 비하여 국내 기업의 총 특허

    수는 약 수준으로 절대적으로 특허 출원이 적음

    이는 관련 기술의 개발 및 선행기술 연구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추측됨

  • - 51 -

    주요 업체별 연도별 특허현황

    건 년 년

    그림 특허 현황

    연도 합계

    건수

    건 년 년

    그림 특허 현황

    연도 합계건수

  • - 52 -

    건 년 년

    그림 특허 현황

    연도 합계

    건수

    현대중공업 건 년 년

    그림 현대중공업 특허 현황

    연도 합계

    건수

  • - 53 -

    품 목한국

    일본

    중국

    미국

    특이 사항

    굴삭기선진국 대비 약 큰 격차를 가지고 있으나 상대적으로 중국보다는 약 이상 크게 앞서고 있으며 기술료 수입을 얻고 있음

    로우더선진국에 비하여 약 큰 격차를 가지고 있으나 상대적으로 중국보다는 약 이상 앞서고 있음

    지게차특허 보유는 선진국에 비하여 약

    격차를 가지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중국보다는 약 앞서고 있음

    두산인프라코어 건 년 년

    그림 두산인프라코어 특허 현황

    연도 합계

    건수

    특허 부문의 품목별 경쟁력은 지게차의 경쟁력 정도가 비교 우위에 있음

    표 특허 분야의 주요 품목별 기술경쟁력 비교

  • - 54 -

    품 목한국

    일본

    중국

    미국

    특이 사항

    굴삭기원천 및 기반기술은 선진국에 비하여 평균치 더 다소 낮은 약 격차를 갖고 있음 중국과는 격차가 약 이상 기술 우위를 가지고 있음

    로우더선진국에 비하여 평균치 보다 낮은 격차를 갖고 있음 중국과는 격차가 약 이나 범용장비에서는 중국과 큰 격차가 없음

    지게차선진국 대비 평균치 더 다소 높은 약

    격차를 갖고 있음 중국과는 격차가 약 정도 기술 격차를 가지고 있음

    원천기술

    핵심 원천기술은 선진국 대비 약 년 정도 뒤처지나 중국과는

    상대적으로 년 정도 앞서고 있음

    현재 원천기술을 수입하여 기술료를 선진국에 제공하고 있지 않으며 중

    국 등 현지 공장에서 국내 기술에 대하여 기술료 수입을 받고 있음

    그러나 첨단 기술 범용 장비 및 주력 기종 굴삭기 이외의 기술에 대한 원

    천기술은 격차가 매우 크나 선진국의 기술이전 기피에 따

    원천기술 분야에 있어서의 품목별 경쟁력은 품목별 유사한 것으로 분석 됨

    표 원천기술 분야의 주요 품목별 기술경쟁력 비교

    설계기술

    설계기술은 범용장비의 경우 선진국과 대등한 수준이나 첨단 건설기계

    및 원천설계 기술은 경험 및 등에서 여전히 뒤떨어

    져 있음

  • - 55 -

    구 분 한 국 일 본 중 국 미 국 유 럽

    제품 설계기술

    모듈 통합 설계기술

    요소 부품 설계기술

    해석기술

    특히 무인 지능화 화를 위한 첨단 설계기술과 핵심 유압기기 장수

    명화기술 통합파워트레인 모듈 기술 전자 유압제어 시스템기술 신뢰성

    확보 기술 등의 설계 기술은 취약 설계기술 분야임

    표 경쟁국의 설계기술 수준

    설계 부문의 경쟁력은 주요 품목별로 유사한 것으로 분석됨

    표 설계 분야의 주요 품목별 기술경쟁력 비교

    인프라

    설기계 관련 전문 연구개발 인프라는 선진국 대비 매우 열악한 수준

    미국 내에 개소 및 해외 개 일본 중국

    영국 독일 센터

    일본 내에 약 개 연구소 해외에는 제품군별 총 개의

    연구소

    국내 업체의 경우 자체 연구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나 장비나 인력 면에서

    해외 선진 업체의 수준임

  • - 56 -

    건설기계산업의 발전전략

    중장기 비전

    세계 위의 생산국 도약

    한국 건설기계산업은 시장다변화 및 시장에 적합한 제품 기술 경쟁력 강

    화를 통해 년까지 세계생산의 세계 수출의 를 차지하여

    세계 위의 건설기계 생산국으로 도약

    국내 대 수출품목으로 년 억불 수출 달성

    굴삭기 로우더 지게차의 세계 위 위상

    굴삭기 로우더 지게차의 경우 년 한국은 각각 세계 위 위 위의

    산업국으로 성장하고 년에는 세계 위 위 위로 발전

    년 국내 대표기업의 세계 위권 건설기계 생산업체로 성장

    년 현대중공업 두산인프라코어 모두 매출기준 세계 위 년

    세계 위권 업체로 성장

    년 현대중공업 두산인프라코어의 매출기준 세계 시장점유율은

    이상 년 시장점유율은 이상으로 확대

  • - 57 -

    그림 건설기계산업의 발전비전

  • - 58 -

    발전전략과제 도출

    활용 및 체계 구축

    제품에 대한 경쟁력 확대

    한국형 제조혁신을 건설기계로 확대 적용하여 생산성 향상

    세계적인 부품전문기업을 육성함으로써 저가격에 부품 조달

    대표적인 부품전문기업 미 독 독 등

    그림 건설기계산업의 가격 및 생산성 제고

    구축 및 전략적 제휴 적극 추진

    전기종 생산라인을 구축하여 수요자 에 적극 대응

    등은 개 전기종 생산라인을 구축한 반면 국내

    업체는 개 기종에 대한 생산라인을 구축한 실정

    경쟁업체와 상호제휴를 통해 판매망 확대 및 판매비 절감

    해외 사례 미 일 미 일 등

  • - 59 -

    핵심기술 보완 및 부품 장비 강화

    중심 핵심기술 보완

    주요 건설기계 별 취약기술 보완 및 기술 확보

    굴삭기 첨단굴삭기용 배기가스저감 디젤엔진 설계 및 제조 저소음 핵

    심부품 개발

    세계적인 환경규제 강화에 적극 대응키 위한 차세대형 엔진 및

    유압분야 개발 년까지 및 대응

    핵심부품 유압펌프 모터 감속기 등 의 저소음화 기술 개발

    선진국형 로더 설계 및 제조 기술 개발

    국내외 소음 및 진동관련 각종 규제 대처 해외규정 유럽

    기준 기술 개발

    대외 경쟁력 확보를 위한 핵심부품인 유압부품 등 개발 기술

    차세대 지게차 설계 및 제조 기술 개발

    대외경쟁력 확보를 위한 핵심 기능품인 및 엔진 설계

    및 제작 기술

    변속 품질 향상 및 내구성 향상을 통한 성능개선 기술

    크레인 수출전략화를 위한 차세대 크레인용 시스템

    설계 및 제조 기술

    건설기계 다품종화 및 부가가치 향상을 위한 설계 및 제작

    기술 개발

  • - 60 -

    핵심부품 및 장비 강화

    기술발전 및 환경규제 강화 등에 대응하기 위한 핵심부품 강화

    그림 핵심부품의 기술 및 품질 경쟁력 제고 목표

    핵심장비에 대한 강화

    표 투자 확대가 필요한 국산 생산설비

    용 도 주요 생산 설비 예

    핵심부품 및 제품 생산을 위한 전용 생산 장비

    난형 냉간 복합 단조 프레스 장비차원 치형 가공 장비 등

    양산 라인에서 제품의 측정 및 성능 확인을 위한 전용 검사 장비

    정밀도 자동측정 장비유압 제어라인 성능 자동검사 장비엔진 성능 자동 측정 장비 등

    신제품 개발 및 제품의 양산시 필수적인 시험장비

    변속기 복합 성능 및 부하시험 장비차체 내구성능 평가시험 장비 등

    국산 부품 장비 인프라 강화

    핵심부품 및 제품 생산을 위한 전용 생산 장비 구축 기술 자금 및 구입

    지원

    난형 냉간 복합 단조 프레스 장비 차원 치형 가공 장비 등

  • - 61 -

    양산 라인에서 제품의 측정 및 성능 확인을 위한 전용 검사 장비 및 정밀도

    향상을 위한 기술 개발

    정밀도 자동 측정 장비 유압 제어라인 성능 자동 검사 장비 엔진 성능

    자동 측정 장비 등

    시제품 개발 및 제품의 양산시 성능 및 품질 평가를 위한 필수적인 장비

    구축 기반 구축

    변속기 복합 성능 및 부하시험 장비 차체 내구성능 평가시험 장비 등

    관련 기술 통합화 및 정보화

    대기업 내 외간 및 중소기업간 기술 인력 프로세스 등 품질향상을 위한

    제조 요소 정보화 추진

    인력 및 장비 재배치 통합을 통한 원가절감 납기단축 품질향상 및 새로

    운 가치창출을 제조프로세스 혁신 통합 추진

    차세대 건설기계 기술 선점

    신기술 융합 건설기계 시스템 및 모듈 개발 원천 기술 확보를 위한 추진

    체계 구축

    개발대상 기술별 및 핵심 모듈별 개발과제를 도출하여 산 학 연 공동

    으로 발굴 지원하여 일류화 전문기업 육성 추진

    기업주도형 과제 실용화 원천 기술과제 중심

    학 연주도형 과제 원천 및 기반 기술과제 중심

    국가기술개발로드맵 건설기계로드맵 투자로드맵 건설기계공업 통계 등을

    통해 기술별 및 핵심모듈별 기술을 분석하고 기업의 수요 및 전문위원회의

    기획 평가를 통해 대상기술 도출 체계 구축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기술 개발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관련 기술 로드

  • - 62 -

    맵을 수정하여 기술 개발의 방향 설정 및 유지

    주요 건설기계별 목표 지향적 원천기술 기술 확보

    지능형 자율작동 건설기계 핵심 모듈 및 시스템 기술 개발

    메카트로닉스화 스마트 엑튜에이터 기술 개발

    안전성 증대 지능형 다기능 제어밸브 시스템 기술 개발

    복합 정밀화 펌프기술 개발

    연동화 지능형 센싱 및 작업 통합 시스템

    저소음 고신뢰성 및 복합화 통합제어 파워트레인

    내구성 향상 고기능

    연료전지 건설기계 핵심 모듈 기술 개발

    복합동력 최적화 연료전지 동력전달장치

    고효율화 연료전지 고출력 동력원

    복합화 및 모듈최적화 연료전지 고출력 유압기기

    전자제어 연료전지 유량제어형 컨트롤 밸브

    고출력 및 고속화 다기능 연료전지 펌프

    초경량 고강성 건설기계 프레임 최적화 설계 기술

    건설기계 로봇화 기술 개발

    건설작업용 자율주행 및 작업 로봇 모듈 및 시스템

  • - 63 -

    건설기계 로봇 통합 및 독립제어 원천기술 개발

    수출 활성화를 위한 기반 구축

    수출 현지 금융회사 설립 및 운영

    국내 할부금융사를 주요 수출국 현지에 설립하도록 유도하여 국내 업체

    의 금융조달 비용을 경감시킴으로써 가격경쟁력 확보

    미국 씨티리스사의 경우 자국 업체와 외국 업체를 차별 대우

    자국업체 외국업체

    적극적 해외 판매망 구축

    해외 공관을 활용한 지속적인 해외 현지의 우수 바이어 발굴 및 네트워

    크 강화

    딜러의 대형화 신규 딜러 확보 및 우수 딜러에 대한 인센티브 도입

    주요 지역을 대상으로 딜러 미팅 및 교육 강화

    우수 딜러들을 정기적으로 한국에 초청

    해외시장진출 지원책 강화

    해외전시회 참가 지원

    국내 건설기계 중 해외시장 진출 유망품목에 대한 해외전시회 참가 및

    무역사절단 지원 강화

    건설기계산업이 새로운 수출동력화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는 실정으로 고

    려하여 수출시장 개척을 위해 국내 전시회의 해외개척 사업 및 해외 전

    시회의 한국관 참가사업에 대한 정부지원규모를 확대하는 방안 강구

    비교적 국내기업이 많이 참여하는 전시회의 경우 아직 한국관이 구성되지 않은

    전시회에 대한 지원 강화

  • - 64 -

    예를 들어 해외 전시회 참가 지원의 경우 중소기업의 경우 참가부스 전액 대

    기업의 경우 만원 한도의 지원이 필요

    표 해외전시회 참가 현황

    전 시 회 명 개 최 기 간 개 최 장 소 한국관 구성 비 고

    미국 라스베가스 한국관 구성 정부지원 확정

    프랑스 파리 한국관 구성 정부지원 확정

    중국 북경 개별참가

    러시아모스크바 개별참가

    브라질상파울로 개별참가

    일본 도쿄 한국관 구성 정부지원 확정

    중국 상하이 한국관 구성 정부지원 확정

    독일 뮌헨 한국관 구성 정부지원 추진

    맞춤형 마케팅 컨설팅 지원

    기업에서 해외 시장에 적극 진입할 수 있는 전략을 기획하고 추진하기

    위해서는 간단한 시장조사 차원이상의 해당 기업에 맞는 마케팅 컨설팅

    진출시장 및 품목 정보에 대한 수요예측 및 시장분석을 지원할 경우 기

    업은 기술개발 및 생산에 보다 전념할 수 있어 경쟁력 있는 제품을 생

    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시장조사 및 분석과 연계하여 제품 디자인 개선 지원 또는 각 종 인증

    획득 지원도 병행

    중소기업의 해외인증획득 지원범위 확대 및 절차 완화

    미국 등에서 요구하는 제품인증 등 및 시스템인증 에

  • - 65 -

    대해 지원범위를 보다 확대

    현재 수출요건을 갖추고도 수입국에서 요구하는 인증마크가 없어 중소

    업체가 수출하지 못하는 사례 발생

    중기청 등에서 관련 지원을 하고 있으나 여전히 제한적

    해외규격인증획득에 소요되는 비용의 까지 지원하되 지원 한도를

    천만원으로 설정 품목 만원 품목 만원

    내수중심으로 운영하다 수출지역에 초기 진출하는 중소업체의 경우 그

    대상이 단일품목이 아닌 경우가 많아 이들에 대한 인 증시 소요비용이

    과다발생되고 절차 및 관련서류 제출 요청이 많아 수출 확정 후 대응하

    기에는 역부족

    글로벌 소싱 정보 및 홍보 지원 강화

    중소 부품업체가 해외 수출을 증대하기 위해서는 해외 건설기계업체의

    글로벌 소싱 정보를 실시간 탐색할 수 있는 기반 구축이 필요

    특히 미국 건설기계업체의 개방형 조달 확대로 인해 대미 수출 기회가

    확대되고 있으나 범용 단품은 인터넷 등 다양한 조달 경로를 통해 거

    래가 이루어지고 있어 국내 중소부품업체가 이를 독자적으로 파악 하여

    공급하기는 역부족

    해외 주요 건설기계업체나 바이어들이 국내 부품업체의 홈페이지나 브

    로슈어를 쉽게 접근하여 분석할 수 있는 지원체계 마련

    건설기계관련 서비스시장 진출 활성화

    국내 건설기계업체는 제품 판매 대비 높은 수익성을 시현하고 있는 건

    설기계관련 서비스 시장으로 상업영역을 확대

    건설기계관련 서비스시장은 단순한 부품교체에서 컨설팅 고장 수리

    유지 보수 유휴설비 재활용 금융서비스 등을 전반적으로 포괄하는 개념

  • - 66 -

    건설기계 완제품 판매에 대한 제품 수명주기 완제품 서비스 수요를 분석

    하는 능력 제고

    건설기계관련 서비스 시장에 진출에 대한 기업차원의 인력수급 계획 수

    립 필요

    해외건설업체와 건설기계업계간의 협력체제 구축

    해외 건설 현장에서의 국산 건설기계 사용을 촉진하기 위한 해외건설업

    체와 건설기계업체간의 협력체제 구축

    특히 해외 건설 현장용 장비의 담보 활용 방안 강구

    국내 플랜트 업계의 기술수준은 선진국에 비해 열위로 평가됨

    플랜트의 경우 엔지니어링의 원천기술 및 기본설계 분야와 기자재 분야

    는 선진국의 내외 수준

    원천기술의 경우 선진국의 주요 업체들이 독점하고 있어 국내 업체들의

    진입이 어려움

    표 선진국 대비 국내 플랜트 건설 기술수준 선진국

    단위

    구분엔지니어링(E) 기자재

    (P)

    시공/관리

    (C)원천기술 기본설계 상세설계

    정유/석유화학 55 80 95 70 98

    Oil & Gas 40 50 80 50 90

    발전/환경 60 70 95 75 95

    담 수 65 75 95 85 98

    해 양 75 85 98 80 98

    (종합) (50) (60) (90) (65) (95)

    자료 기획재정부 외 플랜트 수출확대 및 경쟁력 제고 방안

    국제 표준화 활동 강화

    가 선진국 배기가스 규제 대응 표준 개발

    미국의 배기가스표준인 에 적극 대응한 표준개발

  • - 67 -

    미국 환경보호청의 환경규제 강화에 적극 대응하기 위한 배기가스저감 디젤엔

    진 표준개발

    대상부품 배기가스저감 디젤엔진 저소음 유압핵심부품

    디젤엔진의 배기가스 적용기준

    년 적용 년 적용

    년 적용 년 적용

    미국 환경보호청 의 배기가스 규제

    건설기계는 디젤기관이기 때문에 배기가스에 대한 공기오염도

    가 높아 미국은 년부터 농업용 트랙터 굴삭기 불도저 등 도로

    를 주행하지 않는 비도로차량의 디젤기관에 대하여 규제

    최근 선진각국은 디젤엔진의 배기가스에 함유된 유해화학물질의 제품안전

    성 여부가 중요한 무역규제 요인으로 작용

    장비별 전략핵심 표준개발

    수출전략산업화 가능 차세대 크레인 표준개발

    세계시장 수요가 크고 지속적인 증가로 수출전략 산업화가능

    모바일크레인의 트랜스미션 전후축 액슬 핵심클러치부품 센서경보시스템 등

    대상기종 크레인

    소음 및 진동관련 규제에 대응한 로우더용 유압시스템 설계표준개발

    미국의 소음 및 진동관련 규제에 적극 대응필요

    로우더용 유압시스템 급 이하

  • - 68 -

    차세대 지게차 첨단 동력전달장치 표준개발

    변속감각성과 내구 경쟁력 있는 성능개선 필요 등 종 개발

    동력전달장치 트랜스미션 액슬 밸브 엔진

    건설기계표준 선진화를 위한 국제활동 강화

    국제표준 선진화 구축을 위한 국제표준화 활동 강화

    한 중 일 크레인 국제표준 심포지엄 을 미국을 포함한 국제표준 심포지

    엄으로 확대추진

    미국 일본 중국 한국 개국이 참여하는 국제표준심포지엄으로 확대 지원

    활동 강화

    토공기계류 및 건설기계류분야의 한미간 긴밀한 협력강화

    미국 단체표준에 우리기술의 반영

    민간 전문가 국제표준화 활동 지원

    상호인정 적극 추진으로 수출경쟁력 강화방안 모색

    건설기계는 일반기계와는 달리 자동차 농기계 등과 같이 원동기가 부착된

    장비로 수출시 미국 환경보호청의 배출가스 인증을 받아야 함

    건설기계 표준선도를 위한 국제표준 네트워크 구축강화

    건설기계 표준의 국내 외 확산 및 보급으로 국제경쟁력 확보와 시장선점

    이 필요

  • - 69 -

    건설기계 선진국인 미국과의 국제표준 협력강화

    성능평가 인증센터 및 건설기계산업 연구소 설립

    건설기계 성능평가 및 인증센터 설립

    선진국과 동등한 인증센터를 구축하고 상호 연계함으로써 민간차원 인증

    으로 발생한 새로운 무역장벽에 효과적 대응

    민간차원의 인증으로 새로운 무역장벽을 쌓고 있는 선진 각 국과 동등

    한 성능평가 및 시험인증센타 구축을 통한 상호인정 토대 마련

    추진 방법 산학연 공동 추진체 구성 및 정부 지원 요청

    추진 기간 년간 소요금액 억원 정부지원 억원

    건설기계산업 연구소 설립

    산업 규모 대비 타 산업 대비 전문 연구소 부재로 정책 수립에 어려움

    건설기계 국내외 마케팅에 필요한 정보 조사 분석

    정부의 정책에 필요한 심층 조사 연구

    과제 발굴

    추진방법 산학연 공동 추진체 구성 출연 및 정부 지원 요청

    건설기계학과 신설 및 체계적 인력육성

    인력 양성의 필요성

    건설기계는 년 이후 수출산업화가 상대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성장세 지속을 위하여서는 건설기계 구조의 고기술 고부가가치 상품 위

  • - 70 -

    주로 재편하고 마케팅 구축이 필요

    이에 적합한 건설기계 기술 인력이 필요

    중저가제품의 경우 후발국의 산업발전과 국내 임금상승 등의 요인으로 장기

    적으로는 경쟁력이 감소될 것으로 전망되며 후발국의 산업발전은 핵심부품

    및 기술에 대한 수요를 증대시켜 대응 여하에 따라 건설기계산업의 기회가

    될 수 있음

    단순조립 생산라인은 후발국으로 이전하고 우리나라는 건설기계기술 인력을

    고급인력으로 양성하여 핵심부품 및 설계기술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여야 함

    유럽 미국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환경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추세로 건설기계

    의 수출에 주요한 무역장벽이 될 것이므로 환경관련 기술투자 환경규제에

    대한 건설기계 기술 인력이 요구

    반면 건설기계분야의 젊은 기술 인력이 생산현장 기피 신규채용 억제 등 건

    설기계분야의 인력이 고령화 되어가고 있어 기술전달이 단절되고 있음

    이를 극복하고 건설기계의 지속적 발전을 하기 위해서는 국가적 지원 하에 건

    설기계 기술 인력을 확보함

    세계일류건설기계 창출형 산업구조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기술개발시스템이 시

    장 추종형 에서 세계시장 수요분석을 통한 시장 선점형으로의 혁신

    적 구조전환에 필요한 건설기계 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필

    요함

    교육 훈련 기관의 필요성

    건설기계시장의 새로운 환경이 형성되고 있으므로 현재 국내 건설기계산업의

    제반문제를 극복하고 경제 환경변화에 적극 대응하여 국내 의 경쟁력을

    세계 유수 들의 수준으로 상향시키기 위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