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보돈의 기본적인 사양관리 · 2020. 10. 23. · 318 2020. 10월호 2020. 10월호319...

4
현장&실전 테크닉 체크포인트 2020. 10월호 318 1. 격리/순치를 확실하게 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격리/순치란 기존 모돈이 보유하고 있는 특정 병원 체에 후보돈을 노출시키는 과정이다. 후보돈이 병원체 에 노출되어 순치 동안에 자체의 면역력을 가질 수 있 도록 한다. 병원체에 노출된 시간이 길수록 높은 면역 성을 가지게 되며, 약 12주를 권장한다. 농장마다 다르지만 격리/순치사가 있는 농장이 있고 없는 농장이 있다. 격리/순치사가 없는 농장에서는 비 육사 또는 군사돈방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는 매우 위험하기 때문에 독립적인 공간에 따로 구분 해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격리/순치사가 없을 경우 물론 환경이 좋은 신축 돈사를 운영하는 것도 좋 지만, 독립적인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우선이라 생각 한다. 실제 농장에서는 창고를 개조해서 쓰는 경우가 후보돈의 기본적인 사양관리 대부분 농장에서는 생산성적을 높이기 위해 총산자수가 많고 포유능력이 우수한 종돈을 선호한다. 농장을 방문하다 보면 80% 이상 유전능력이 우수한 종돈을 도입하고 있지만, 생산성적은 기대만큼 나타나지 않는다. 우리는 그 종돈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한다. 본인은 농장의 첫 단추인 후보돈부터 집중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농장에서는 모돈 갱신율에 따라 후보돈 입식시기를 매월 또는 격월, 분기별로 나눈다. 농장에서는 후보돈 입식부터 체계적인 관리를 시작해야 한다. 한 상 욱 부장 CJ Feed&Care 축산기술센터

Upload: others

Post on 31-Oct-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후보돈의 기본적인 사양관리 · 2020. 10. 23. · 318 2020. 10월호 2020. 10월호319 있다. 이처럼 격리/순치사는 거창하게 운영하지 않아도 독립적인

2020. 10월호318 3192020. 10월호

현장&실전 테크닉

체크포인트

2020. 10월호318

1. 격리/순치를 확실하게 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격리/순치란 기존 모돈이 보유하고 있는 특정 병원

체에 후보돈을 노출시키는 과정이다. 후보돈이 병원체

에 노출되어 순치 동안에 자체의 면역력을 가질 수 있

도록 한다. 병원체에 노출된 시간이 길수록 높은 면역

성을 가지게 되며, 약 12주를 권장한다.

농장마다 다르지만 격리/순치사가 있는 농장이 있고

없는 농장이 있다. 격리/순치사가 없는 농장에서는 비

육사 또는 군사돈방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는 매우 위험하기 때문에 독립적인 공간에 따로 구분

해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격리/순치사가 없을

경우 물론 환경이 좋은 신축 돈사를 운영하는 것도 좋

지만, 독립적인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우선이라 생각

한다. 실제 농장에서는 창고를 개조해서 쓰는 경우가

후보돈의 기본적인 사양관리

대부분 농장에서는 생산성적을 높이기 위해 총산자수가 많고

포유능력이 우수한 종돈을 선호한다.

농장을 방문하다 보면 80% 이상 유전능력이 우수한 종돈을 도입하고 있지만,

생산성적은 기대만큼 나타나지 않는다.

우리는 그 종돈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한다.

본인은 농장의 첫 단추인 후보돈부터 집중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농장에서는 모돈 갱신율에 따라 후보돈 입식시기를 매월 또는 격월, 분기별로 나눈다.

농장에서는 후보돈 입식부터 체계적인 관리를 시작해야 한다.

한 상 욱 부장

CJ Feed&Care 축산기술센터

318-321 체크포인트-한상욱.indd 318318-321 체크포인트-한상욱.indd 318 2020-09-18 오전 9:15:432020-09-18 오전 9:15:43

Page 2: 후보돈의 기본적인 사양관리 · 2020. 10. 23. · 318 2020. 10월호 2020. 10월호319 있다. 이처럼 격리/순치사는 거창하게 운영하지 않아도 독립적인

2020. 10월호318 3192020. 10월호

있다. 이처럼 격리/순치사는 거창하게 운영하지 않아도 독립적인 공간에서 따로

관리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2. 적정 초교배 일령 및 체형관리

외부에서 후보돈 입식 시 대부분 150~160일령 / 90~100kg으로 입식되어 군

사돈방에서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군사돈방 특성상 개체별 사료관리는 어려우

나 개체별 현황판 관리로 후보돈 특이사항을 기록(생년월일, 발정 횟수, 발정 주

기 등)해야 한다.

(표 1) CJ 격리/순치단계별 프로그램

구분 기간 내용 절차

격리기간 2주 격리단계• 도입 후보돈 임상 관찰 및 질병검사

• PRRS 항체검사 및 기타 전염병 검사

순치기간 7주

바이러스·세균 노출

(2차)

• 도입돈에 PRRS바이러스 감염(백신 등)

• 자돈 합사(6~10주령의 초기 양성돈)

• 분만사 분변 접촉(대장균 면역 획득)

순치 평가

(1개월 후)

• PRRS 항체, 항원검사

• 양성 시 순치 회복기간 준수

• 음성 시 순치 재료(분변 등) 강화, 백신 접종

백신 접종 • 구제역, 돼지열병, 돈단독, 파보 등

회복기간 3주 안정기 • 바이러스 배설이 중지되고 체력 회복

합계 12주 권장기간 • PRRS 등 농장 내 질병 면역력 확보

▲ (사진 1, 2) 독립적인 공간 확보 후 격리/순치사 운영

318-321 체크포인트-한상욱.indd 319318-321 체크포인트-한상욱.indd 319 2020-09-18 오전 9:15:432020-09-18 오전 9:15:43

Page 3: 후보돈의 기본적인 사양관리 · 2020. 10. 23. · 318 2020. 10월호 2020. 10월호319 있다. 이처럼 격리/순치사는 거창하게 운영하지 않아도 독립적인

2020. 10월호320 3212020. 10월호

군사돈방에서는 실질적으로 개체별 체형관리가 어려워 스톨 이동 후 체형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간혹 농장에서 교배 복수를 맞추기 위해 교배일령 및 체형을 무

시하고 초교배를 시키는 상황이 발생한다.

체성장과 성성숙이 안 된 상황에서 초교배

시 정상적인 산자수를 보이다가 2산차에 갑

자기 산자수가 떨어지는 2산차 증후군이 발

생한다. 이는 충분한 일령과 체중이 도달하

지 않은 상태의 후보돈이 분만하고, 포유기

간 동안 과도하게 체손실이 발생할 때 나타

나는 현상이다. 즉 다산성 모돈의 능력을 최

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후보돈부터 체형을

만들어 교배를 해야 모돈의 연산성, 산자수,

수태율을 높일 수 있다.

후보돈 적정 초교배 일령은 250~260일

령 / 체중 150kg, 즉 체성숙과 성성숙에 도

달할 시 초교배를 진행해야 한다. ▲ (사진 4) 후보돈은 체성숙과 성성숙에

도달할 시 초교배를 진행해야 한다.

(표 2) 체성숙과 성성숙 도달 전 초교배 시 나타나는 현상

초교배 일령 약 220일령 초교배 체중 약 120kg

번식성적

구분 분만율 총산자수

1산차 평균 78% 10.4두

2산차 평균 73% 10.2두

▲ (사진 3) 후보돈 입식 후 개체별 현황판 관리

다산성 모돈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후보돈부터 체형을 만들어

교배를 해야 모돈의 연산성,

산자수, 수태율을 높일 수 있다.

후보돈 적정 초교배 일령은

250~260일령 / 체중 150kg,

즉 체성숙과 성성숙에 도달할 시

초교배를 진행해야 한다.

318-321 체크포인트-한상욱.indd 320318-321 체크포인트-한상욱.indd 320 2020-09-18 오전 9:15:432020-09-18 오전 9:15:43

Page 4: 후보돈의 기본적인 사양관리 · 2020. 10. 23. · 318 2020. 10월호 2020. 10월호319 있다. 이처럼 격리/순치사는 거창하게 운영하지 않아도 독립적인

2020. 10월호320 3212020. 10월호

3. 웅돈 접촉을 통한 발정 유도

후보돈의 경우 매우 예민하고 발정 지속시간이 짧아 웅돈 노출을 통해 발정을 유

도해야 한다. 후보돈의 일령을 정확히 알고, 그에 따른 적절한 조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간혹 무발정이나 미약발정 확인을 못해 교배 타이밍을 넘기는 경우가 있다.

이때 가장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웅돈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본인은 관리자의 능력이 아무리 좋아도 웅돈만큼 정확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즉 후

보돈 입식 후 180일령 이후부터 웅돈을 조금씩 노출시켜 주어야 한다. 여건이 어려

울 경우 스톨 이동 후 꼭 웅돈을 노출시켜 발정을 유도해야 한다. 웅돈은 한 마리를

지속적으로 노출시키기 보다 교체하여 노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 … ◇ … ◇ … ◇

우수한 후보돈이 유전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철저한 관리를 통해 농장

의 생산성적을 높이길 바란다.

◀ (사진 5) 웅돈 노출을 통해

발정을 유도하고

교배 타이밍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원고에 대한 궁금한 사항은

글쓴이에게 문의바랍니다.

☎ 글쓴이 연락처 : 010-9480-8591

문의사항

318-321 체크포인트-한상욱.indd 321318-321 체크포인트-한상욱.indd 321 2020-09-18 오전 9:15:432020-09-18 오전 9:15: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