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실태에 대한 비교 연구. 연구학교와...

31
교육행정학연구 제호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실태에 대한 비교 연구 지역 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박사과정 상명대학교 교수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변화 전략으로 활용되고 있는 연구학교와 혁신학교 제도가 학교 현 장에서 어떻게 수용 전개되고 있는지를 질적 복수사례연구 방법을 활용 하여 비교 분석하고 향후 제도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찾는데 있다 이를 위해 지역 연구 학교 개교와 혁신학교 개교를 대상학교로 표집하였으며 문헌분석 심층면담 참여관찰 등 다양한 자료수집 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의 틀로 제시된 각 학교의 지정 과정 운영 과정 운영 결과의 측면에서 사례 유형내 분석 사례 유형간 분석을 실시한 결과 공모 동기의 순수성 주제 선정의 자율성 운영 체계 및 역할분담 교사들의 참여방식 상위기관의 지원방식 등에서 다양한 이슈들이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 사례학교들은 상위기관의 지원방식에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때로는 신제도주의자 들이 말하는 동형화 와 디커플링 을 통해 핵심기술 인 교수 학습의 실제를 보호하기도 하고 때로는 구성원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교수 학습 개선 전략을 주도하면서 독특한 차이를 만들어가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구학 교와 혁신학교 제도개선을 위한 시사점으로 운영의 전 단계에서 단위학교의 준비도 확보 급기관의 통제 관리보다는 지원 지도 중심의 전략의 중요성을 함께 제시하였다 주제어 연구학교 혁신학교 사례연구

Upload: others

Post on 10-Feb-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실태에 대한 비교 연구.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 구물도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그동안의 연구들을

교육행정학연구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014, 제32권, 제1호, pp. 75~105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실태에 대한 비교 연구

: A 지역 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1)

김 은 영(상명대학교 박사과정)**

장 덕 호(상명대학교 교수)***

요 약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변화 전략으로 활용되고 있는 연구학교와 혁신학교 제도가 학교 현

장에서 어떻게 수용 전개되고 있는지를 질적 복수사례연구(multiple case study) 방법을 활용

하여 비교 분석하고, 향후 제도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찾는데 있다. 이를 위해 A 지역 연구

학교 2개교와 혁신학교 2개교를 대상학교로 표집하였으며, 문헌분석, 심층면담, 참여관찰 등

다양한 자료수집 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의 틀로 제시된 각 학교의 지정 과정, 운영 과정, 운영 결과의 측면에서 사례 유형내

분석, 사례 유형간 분석을 실시한 결과, 공모 동기의 순수성, 주제 선정의 자율성, 운영 체계

및 역할분담, 교사들의 참여방식, 상위기관의 지원방식 등에서 다양한 이슈들이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 사례학교들은 상위기관의 지원방식에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때로는 신제도주의자

들이 말하는 동형화(isomorphism)와 디커플링(decoupling)을 통해 핵심기술(core technology)

인 교수-학습의 실제를 보호하기도 하고, 때로는 구성원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교수-학습 개선

전략을 주도하면서 독특한 차이를 만들어가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구학

교와 혁신학교 제도개선을 위한 시사점으로 운영의 전 단계에서 단위학교의 준비도 확보, 상

급기관의 통제 관리보다는 지원 지도 중심의 전략의 중요성을 함께 제시하였다.

[주제어]:연구학교, 혁신학교, 사례연구

* 본 연구는 2013년도 상명대학교 교내연구비를 지원받아 수행하였음. 1)

** 제 1저자

*** 교신저자

▣ 접수일(2014. 2. 28), 심사일(2014. 3. 23), 게재확정일(2014. 4. 2)

Page 2: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실태에 대한 비교 연구.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 구물도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그동안의 연구들을

76 교육행정학연구

Ⅰ. 서 론

본 연구는 새로운 교육개혁 아이디어의 실험적 적용을 위한 연구학교 제도와 단위학

교중심의 학교변화 전략으로 최근 추진되고 있는 혁신학교 제도가 학교 현장에서 어떻

게 수용․전개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학교 현장에 보다 적합한 변화전략으로서 연구학

교 및 혁신학교 운영 정책에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새로운 정책을 도입하

거나 교육제도 또는 교육실천 기법의 변화 등을 통하여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노력은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끊임없이 강조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교의 질

적 변화를 유발하려는 국가수준의 개혁 정책 및 제도적 노력들은 상당부분 실패하였으

며, 성공하더라도 부분적 성공에 그치는 경우가 많았다(Tyack & Cuban, 1995;

Hargreaves & Shirley, 2009; 정병호 외, 2008). 특히, Tyack & Cuban(1995)은 20세기 미

국의 교육개혁가들이 실행한 수많은 교육개혁 프로그램들이 마치 아마추어 대장장이들

이 쇠를 연마해나가는 모습과 같음을 ‘Tinkering toward utopia'라는 책 제목에서 비유한

바 있다. 개혁가들의 의도와 이상적 계획과는 달리 학교 현장에서의 실천은 의도와는

다른 방향으로 전개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는 그러한 개혁안들이 학교 조직의 복잡한

특성과 문화, 학교가 의존하고 있는 외부 환경과 학교 조직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충분

히 고려하지 못했기 때문이다(Fullan & Hargreaves, 1996). 교육개혁이 학교현장에서 구

체화되는 과정에서 본연의 목적을 이루고 의도한 바를 거두기 위해서는 일선에 있는 교

사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학교 현장의 자발적인 연구․개발 노력이 수반되어야 한다(진동

섭·김병찬, 2004; Elmore, 2007; Fullan & Hargreaves, 1996). 최일선인 학교 현장에서 정

책과 실행사이에 괴리가 발생한다면 제아무리 강력하고 합리적인 정책이라 할지라도 충

분한 효과성을 거두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Fullan, 2007; Evans, 2001; 양성관 외,

2011; 진동섭․김병찬, 2004).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연구학교와 혁신학교 제도는 개별적인 학교 조직이 갖는 복잡

한 특성과 문화, 여건 등을 최대한 변화의 실천과정에 반영하고, 정책과 실행사이의 괴

리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단위학교 중심의 효과적인 학교 변화 전략이라 할 수 있

다. 연구학교 제도는 새로운 교육정책이나 신기술을 확산시키고 단위학교 내 연구풍토

를 조성하여 교육의 질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신철균·장용석, 2010; 유택열,

2002). 연구학교 제도는 전형적인 관주도의 하향식 학교 변화 전략으로서 보다 학교의

교육목적을 명확히 하고, 그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수단과의 연결성을 강화함으로써 단

위 학교의 구조적 이완성(structural looseness)을 극복하기 위해 교육행정관료들에 의해

자주 활용되어 왔다. 반면 혁신학교는 기존의 학교의 재구조화 전략에서 한발 더 나아

가 변화 가운데 개선을 가져오는 혁신(innovation)을 추구하는 학교모델로서 학교공동체

Page 3: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실태에 대한 비교 연구.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 구물도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그동안의 연구들을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실태에 대한 비교 연구 77

구성원들의 자발적이고 주체적인 참여를 이끌어내어 구성원들의 행동과 신념, 문화의

변화를 추구한다(장훈․김명수, 2011). 이러한 혁신학교는 교육감 직선제를 계기로 경기도

와 서울시, 전라북도 등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는 상향식 학교 변화 전략이

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단위학교 조직의 구성원들에게는 학교 자체 계획을 통해 변화

를 기획하고 실천해나가야 한다는 책무성의 관점에서 혁신학교를 연구학교의 연장선상

에서 인식하는 경향도 있으며(이부영, 2011; 심경은, 2013), 연구학교 제도의 한계를 극

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혁신학교를 소개하기도 한다(박붕서, 2012).

현재 적지 않은 연구자들이 연구학교 또는 혁신학교의 효과성을 분석하고 문제점과

개선방안들을 내놓고 있다(신철균, 2011; 백현준, 2009; 오형문, 2009, 홍성자, 2011; 송순

재·이정민, 2011; 김성천, 2011; 경태영, 2010). 그러나 현재 각각의 정책이 정책 추진의

주체가 되는 교사들에게 어떻게 받아들여지고 있는지 분석하고, 각각의 변화 전략이 발

생시키는 단위학교 운영 실태를 현장의 관점에서 비교 ․분석한 연구는 아직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상위기관의 상반된 지원 및 관리방식(연구학교의 하향식 전략 vs.

혁신학교의 상향식 전략)을 가진 두 개의 학교 변화 모델이 각각의 학교로 지정된 과정,

운영의 과정, 성과도출의 과정 속에서 당초 변화 목표를 충실히 달성하고 있는지를 질

적인 복수사례연구 기법을 활용하여 탐색하고자 한다. 각각의 전략이 채택하고 있는 제

도의 내면을 살펴봄으로써 각 전략이 학교 운영의 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를 비교 ․분석하고 향후 연구학교 제도와 혁신학교 제도의 개선을 위한 실천적 시사점

을 찾고자 한다.

Ⅱ. 제도 현황 및 선행연구 검토

1. 제도 현황

연구학교는 “교육정책․교육과정․교육방법 및 교육자료 개발 등과 관련된 문제를 연구

하고 그 결과를 보급․활용함으로써 현장에 적합한 교육정책을 시행하여 교육 현장 개선

및 교육의 질을 제고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는 것(서울특별시교육청, 2012)으로 ‘연

구학교에 관한 규칙’(교육과학기술부, 2004)과 ‘연구학교에 관한 규칙 일부 개정에 따른

연구학교 운영계획’(교육과학기술부, 2008)에 따라 운영된다. 혁신학교는 「초·중등교육

법」 제61조 및 동법 시행령 제105조에 따른 자율학교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훈령(교

육과학기술부, 2010)에 근거한다.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규칙이나 규정을 비교했을 때 나타나는 가장 큰 특징은 연구

Page 4: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실태에 대한 비교 연구.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 구물도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그동안의 연구들을

78 교육행정학연구

구 분 연구학교 혁신학교

목표

교육정책, 교육과정, 교육방법, 교육자료 개발

등과 관련된 문제를 연구하고 그 결과를 보

급․활용함으로써 현장에 적합한 교육정책을

시행하여 교육현장 개선 및 교육의 질 제고

배움과 돌봄의 책임교육을 실현하여 공교육

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고, 학교의 자율성·

민주성과 공동체 구성원의 자발성에 기초한

소통과 협력의 새로운 학교 문화 창조

관련

법규

- 연구학교에 관한 규칙(교육과학기술부령

제11호, 2008.7.30.)

- 연구학교에 관한 규칙 일부 개정에 따른 연

구학교 운영계획(교육과학기술부, 2008.8.5.)

-「초·중등교육법」 제61조 및 동법 시행령

제105조

- 자율학교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훈령(교

육과학기술부 훈령 제185호, 2010.7.29.)

지정

권자시·도교육감 시·도교육감

절 차

각과 연구학교 운영계획 제출→연구학교 공

모계획 시행→연구학교 계획서 심사 선정→

선정 결과 통보→연구학교 운영비 지원→연

구학교 운영→공개보고회 실시→정산서, 보

고서 제출→연구학교 운영 종결

혁신학교 공모계획 시행→혁신학교 운영계획

서 심사 선정→선정 결과 통보→혁신학교 핵

심교원 연수→혁신학교 운영비 지원→혁신학

교 운영→평가 실시→혁신학교 계속 운영 여

부 결정

운영

기간6개월 이상 ~ 3년 4년

운영

방법

- 과제 부여 기관(부서), 시교육청·지역교육

청 및 직속기관(교육연구정보원 등)과 협력

하여 내실 있는 운영 지도

- 단위학교의 추진계획에 따른 운영

- 예비혁신학교 지정을 통한 준비기간부여

- 혁신학교 선도 요원 연수

- 혁신학교추진자문위원단을 통한 컨설팅

- 단위학교의 특색을 살린 운영

인적

지원

내용

- 연구학교의 장의 요청에 따라 연구수행에

필요한 교원을 연구학교에 우선 배치 가능

(규칙 제6조)

- 유공교원 승진 가산점(월 0.010점) 부여

- 내부형 교장공모제 확대, 교사 초빙권 50%

부여, 전입 희망 교사의 이전학교 근무 연

한 적용 해제 및 혁신학교 지정 첫 해에

한해서 근무 비희망 교사 전보 허용

- 승진 가산점 미부여

<표 1>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비교

학교는 특정 주제 중심의 방향성 있는 연구를 통해 학교 변화를 추구하고, 혁신학교는

학교 문화와 수업의 혁신을 통해 학교 변화를 추구한다는 것이다. 교당 지원경비, 승진

가산점의 부여 여부 등에서도 차이가 있다. 연구학교에는 교당 1,000만원 내외의 지원금

이 주어지고 혁신학교에는 1억~2억원 내외의 지원금이 주어진다. 연구학교에는 승진가

산점이 인센티브로 주어지고 혁신학교에는 주어지지 않는다. 그 밖에 지정권자와 절차,

운영방법, 환류 계획, 교사 참여 기준 등은 연구학교와 혁신학교 모두 유사하다.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규정, 지침 등에서 나타나는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Page 5: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실태에 대한 비교 연구.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 구물도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그동안의 연구들을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실태에 대한 비교 연구 79

구 분 연구학교 혁신학교

교당

지원

경비

- 교재·교구·도서의 구입비, 교육자료 개발·

제작비 및 인쇄비 등 필요한 운영비를 예

산 범위 내에서 지원(규칙 제7조)

- 학교당 1000만원 ~ 2000만원 내외

- 프로그램 개발․운영비, 연수 운영비, 전문기

관 컨설팅비, 학습자료 및 교구․기자재 구

입비, 보조 인력 인건비 등 지원

- 학교당 최대 2억원 이내 운영비 지원

성과

평가

- 연구학교 계획서, 보고서, 운영보고회

- 산출물 : 중앙교수학습센타(www.edunet.

net) 교원 연구활동(연구학교) 네트워크에

탑재

- 연차 평가 : 학교별로 매년 자체평가실시

- 중간 평가 : 2년차에 중간평가 실시

- 종합 평가 : 4년차에 종합평가 실시

환류

계획

- 지정 해제 : 연구 결과가 미흡한 학교

- 우수 연구결과의 보급 및 확산 : 각종 연수

프로그램에 반영․강의, 우수실천 사례집, 장

학자료 등 일반화 자료 제작․보급, 연구학

교 우수 교원을 교원연수 강사․장학요원 활

용 권장 등

- 지정 해제 : 중간 평가 결과 미흡 및 민원이

나 갈등 유발, 사회적 문제를 야기한 학교

- 우수 사례 발굴․확산 : 매체 활용 홍보 및

교직원 연수 및 워크숍 자료, 전체 학교의

혁신을 위한 자료로 활용

교사

참여- 신청 시 교원의 50%이상 동의 필요

- 신청 시 교원의 50%이상 동의 필요

- 신설교의 경우 희망자 주로 배치

주 : 교육과학기술부(2004; 2008; 2010), 서울시교육청(2008;2010;2012) 등을 바탕으로 재구성함.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기반이 되는 제도나 규칙, 규정의 차이는 운영 측면에서

다양한 차이를 만들어낼 것으로 예상된다. 지원금의 차이는 프로그램 운영의 질적 차이

를 만들어낼 것이며 주제가 정해진 방향성 있는 변화와 학교의 총체적 변화를 추구하는

전략 사이에는 서로 다른 효과성이 존재할 것이다. 승진 가산점의 부여 여부도 서로 다

른 문화를 형성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추진 과정에서 각각의 제도

적 특성이 어떠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개혁의 주체인 교사들은 이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비교할 필요가 있다.

2. 선행연구 검토

현재까지 지정된 연구학교 수 만해도 3만 여개에 달하고, 이를 전문적으로 연구한 연

구물도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그동안의 연구들을 크게 둘로 나누면 단위학교의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하는 질적 연구(유정, 2009; 허양원·문윤섭, 2010; 신철균, 2011)와 연구

학교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 조사를 통해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찾는 연구(신상철, 2000;

백현준, 2009; 김정곤, 2009)로 나뉜다. 이들 연구들은 공통적으로 연구학교 제도가 관주

도의 정책 관련 주제 및 지정 과정으로 인하여 교사들의 자발성을 이끌어내지 못하며,

긍정적 결과 일변도의 획일적이고 형식적인 보고서와 이벤트성 보고회로 이루어지며,

Page 6: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실태에 대한 비교 연구.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 구물도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그동안의 연구들을

80 교육행정학연구

지속성이 부족한 단발성 운영에 그치고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김태숙, 2007; 신임선,

2001; 유정, 2009; 백현준, 2009; 신철균, 2011; 홍성자, 2011). 이 밖에도 가산점을 따기

위한 교사들의 점수따기용 제도로 악용되고 있으며(백현준, 2009), 승진에 관심이 없는

교사들은 피해 의식을 느끼고(유정, 2009), 주제에 대한 교사들의 전문성 부족으로 인해

주무 담당 부장교사 중심의 편중된 업무체계(허양원․문윤섭, 2010; 이병헌, 2006)를 갖게

되며 수행과정에서의 성과체계에도 오류가 많음을 지적한다(오형문, 2009). 신철균과 장

용석(2010)은 이러한 연구학교의 문제를 연구학교 전수조사를 통한 통시적 분석 연구에

서 연구학교가 제도화 과정에서 “개별 정권의 의제를 실현하기 위한 도구”로 활용되었

고, “연속성이 상실된 단기적․단절적 운영 양태”, “중앙집권식 교육개혁”의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문제들로 인하여 연구학교 제도는 국민권익위원회

(2012)로부터 강력한 운영시정 권고를 받기도 하였으며 현재 지정 학교 수가 축소되고

는 있으나, 여전히 교육 현장에서 가장 강력하고 보편적인 학교 변화 전략으로 활용되

고 있다.

혁신학교는 짧은 운영기간에 비해 비교적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우선 혁신학교가

기존의 경쟁 중심의 학교 교육으로 인한 문제 상황들을 해결하여 현재 학교교육의 위기

상황을 극복하고, 새로운 교육의 패러다임을 모색하여 교육의 본질을 회복하자는 취지

로 만들어졌다거나(송순재·이정민, 2011), 특정 주제 중심의 교육개혁보다는 학교문화,

교육과정, 수업, 평가 등 학교의 전반적인 변화를 통해 학교 교육의 질을 높이려는 가치

지향적인 특징을 갖는 학교라는 개념화 연구(김성천, 2011)가 있다. 또 혁신학교는 다양

한 자율성의 부여, 교사들 상호간에 협력적인 관계 형성 지향, 수평적․민주적 운영 시스

템을 가진 학교 조직 문화로의 혁신, 교원의 행정 업무 경감을 통해 자율적으로 연구하

는 교사상 회복 등을 주요 정책으로 한다는 정책적 지향성에 관한 연구(이성대, 2011;

성열관, 2011; 전병관, 2012)와 사례별 혁신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김수경, 2011; 송순재·

이정민, 2011, 허봉규, 2011; 백병부·성열관, 2011; 장훈·김명수, 2011; 박붕서, 2012), 사회

적 연결망을 통한 참여 교사들의 관계 연구(김영화, 2012; 최병호, 2012)가 있다. 혁신학

교의 성과에 관해서는 성적이 하락되고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만족도가 감소된다거나(조

선일보, 2012.11.30.; 동아일보, 2013.1.24.), 주변 집값의 상승요인이 되고 학부모의 만족

도가 높다(경향신문, 2013.3.15.; 한국경제매거진, 2013.3.11.; 엔디엔뉴스, 2013.2.12.) 는 보

도 등 상반된 결과를 두고 논쟁이 거듭되고 있다.

연구학교와 혁신학교는 모두 단위학교를 중심으로 운영된다. 따라서 추진 목적에 맞

는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추진 계획을 세우며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은 동일한 사회․문화적 맥락 아래 놓인 같은 교사들이다.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학교에서 당초 의도한 변

화와 개혁의 실행과정에서 나타나는 정책과 실행 사이의 정합성에 초점을 맞추어 교사

Page 7: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실태에 대한 비교 연구.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 구물도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그동안의 연구들을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실태에 대한 비교 연구 81

들의 참여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당초에 각 정책이 의도한 바대로 구현되고 있

는가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삼고자 한다. 특히, 학교 개혁을 이루고자 하는 서로 다른

전략이 비교적 균질화된 배경을 가지고 있는 학교 구성원들에게 시도될 때 각각의 규정

이나 규범은 어떻게 구성원들의 행동을 제약하고 활성화하는지, 또 그 안에서 각각의

규범이나 규정이 구성원들에 의해 어떻게 재구조화되는지 연구하는 것은 학교 변화를

위한 정책이 어떤 방향으로 계획되고 추진되어야 하는지를 가리키는 하나의 시금석으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Ⅲ. 연구 방법 및 분석의 틀

1. 복수 사례 연구(Multiple Case Study)

본 연구는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제도적 환경(법령, 규칙 등)이 학교 현장이라는 실

제적인 맥락 안에서 단위학교의 교육활동을 어떻게 활성화하고 또 어떻게 제약하는지

알아보고 그 속에서 숨어있는 의미를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연구학교와 혁

신학교라는 서로 다른 사례에 관한 심층적 분석과 설명에 적합한 다중 사례 연구 방법

을 활용하였다(Merriam, 1988, p.21). 사례 연구는 “사례가 특정한 상황 속에서 갖는 복

잡성과 특수성을 포함하는 행위에 대한 이해”를 돕는데 적합하기 때문에(Stake, 1995;

정종원, 2012에서 재인용, p.97), 연구․혁신학교에서 일어나는 복잡하고 특수한 상황과 그

안에서 일어나는 행위자들의 반응에 대하여 연구하기에 적합하다. 특히, 다중 사례 연구

는 여러 사례를 통하여 사례 간에 공유하고 있는 특성이나 사례 별로 차이가 나는 특성

들을 파악함으로써 다양한 해석을 가능하게 한다는 장점을 갖는다(정종원, 2012).

2. 연구 대상학교

연구대상교의 선정을 위하여 최대편차(Maximum variation) 표집방법에 의하여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2개의 연구학교와 2개의 혁신학교를 선정하였다. 최대편차 표집방법

은 각 사례별 특징을 충분히 보여주며 다양한 사례를 표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reswell, 2007). 선정된 학교의 특징 및 선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

Page 8: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실태에 대한 비교 연구.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 구물도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그동안의 연구들을

82 교육행정학연구

사이버연구학교

- 학교 특색사업을 발전시켜 연구학교가

된 경우

- 사이버가정학습의 활성화를 주제로 2

년간 연구학교 운영

평가연구학교

- 교육청 평가정책의 전환기에 연구학교

를 운영하게 된 경우

- 1차년도에는 성취도평가, 2차년도에는

수시평가로 주제가 변경됨

신설혁신학교

- 신설교로서 교사 전보희망자 100%로

시작

- 혁신학교 철학에 대한 공유 및 혁신의

지가 강한 교사공동체가 특징

기존혁신학교

- 기존학교로서 학교장 발의, 교직원

100% 지지를 받아 지정

- 혁신학교 지정 후 교사연수를 통하여

혁신학교의 비전 및 철학을 공유

[그림 1] 연구 대상교의 특징

3. 연구 참여자

연구 참여자1)의 표집에 있어서도 최대편차 표집방법을 사용하였다. 사례 운영을 주도

적으로 이끌어간 교장 또는 교감, 부장교사와 같은 주도적인 참여자는 물론 소극적 참

여에 그친 일반교사들도 표집하여 서로 다른 입장에서의 해석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학교구분 이름 직위 성별 교육경력 학교구분 이름 직위 성별 교육경력

사이버

연구학교

강민석 교감 남 34

신설

혁신학교

김준수 교장 남 34

김성아 부장 여 31 정진철 부장 남 28

박민지 부장 여 29 정미진 교사 여 21

임아영 교사 여 22 박소영 교사 여 11

박정미 교사 여 18

기존

혁신학교

홍정남 부장 남 13

조은혜 교사 여 16 김영선 부장 여 16

평가

연구학교

박미옥 교감 여 36 김수련 교사 여 10

이정숙 부장 여 25 한지민 교사 여 13

조민정 교사 여 21 기타

혁신학교

원시준 부장 남 24

정혜미 교사 여 33 정지우 교사 여 18

<표 2> 면담자 인적사항

4. 자료 수집 및 분석

연구 자료의 수집은 문서자료, 심층면담, 참여관찰로 이루어졌다. 우선, 연구학교와 혁

1) 연구 참여자의 이름은 익명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모두 가명으로 처리하였다.

Page 9: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실태에 대한 비교 연구.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 구물도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그동안의 연구들을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실태에 대한 비교 연구 83

신학교의 개념 및 도입배경, 운영의 실제 등에 관한 문헌연구를 위하여 경기도교육청

및 서울시교육청에서 발간한 혁신학교 연수 자료집, 여러 진보교사 단체의 교사 연수

세미나 자료집과 관련 저널, 혁신학교와 연구학교의 교육과정 또는 연구보고서, 운영보

고회 자료집 등의 각종 문서자료들을 수집하였다.

심층면담은 교장, 교감, 부장교사와 교사 등을 대상으로 2012년 1월부터 4월까지,

2013년 3월부터 6월까지 2회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면담 시간은 짧게는 30분부터 길게

는 2시간까지 진행하였다. 면담은 반구조화된 면담기법(semi-structured interview

approach)을 활용하였으며 면담 내용은 녹음하여 전사하였다. 면담 전후의 주요 상황에

대한 기술도 전사내용에 포함시켰는데 이는 당시의 정황이나 순간적으로 떠오르는 생각

등을 간단히 메모하는 것 등이 자료 분석에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Bogadan & Biklen, 2007).

참여관찰은 단위학교 협의회 및 운영보고회 참관 등의 형태로 이루어졌는데 연구 목

적을 밝히고 직접 관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이 밖에도 다른 혁신 및 연구학교에

참여한 교사들과의 간헐적인 만남을 통한 정보도 자료로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범주화하고 분석하는 방법으로는 사례 유형내 분석과 사례 유형간 분

석을 실시하였다. 사례 유형내 분석에서는 동일한 학교 변화 전략을 가진 학교 사례를

개별적으로 분석하면서 각 사례의 추진 과정에서 나타나는 이슈를 찾아내었고, 이후 동

일한 제도적 환경을 가진 사례들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사례 유형간 분

석에서는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사례별로 추출된 주요 이슈를 비교하면서 각각의 특징

이 갖는 공통점과 차이점에 주목하며 주제들을 찾았다.

전체적인 분석은 근거이론에서 제안하는 개방형 코딩, 축 코딩, 선택적 코딩과 유사한

방식으로 이루어졌다(유기웅, 2012; Creswell, 2007). 최종적으로 자료의 검증을 위하여

연구 참여자 확인 작업을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 확인 방법은 전체 글쓰기 과정 또는

완료 시점에서 연구 참여자로 하여금 연구결과를 검토하여 의견을 제시하도록 요청하

고, 이를 연구 결과에 반영하는 방법으로 내용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

이다(이종규, 2006; 김영천, 2012; Creswell, 2007). 이를 위해 본 연구에 참여한 교사 중

4명에게 검토를 의뢰하고, 제시된 의견들을 반영하였다.

5. 분석의 틀

본 연구의 초점은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실태를 비교 ․분석하는 데 있으므로,

이러한 운영 실태를 잘 드러낼 수 있는 운영의 단계를 포착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운영의 과정을 지정 과정, 운영 과정, 운영 결과로 구분하고, 각 사례별로 어떠한 차이

Page 10: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실태에 대한 비교 연구.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 구물도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그동안의 연구들을

84 교육행정학연구

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탐색하고자 한다. 지정 과정에서는 주된 공모의 동기는 무엇이

었는지, 주제를 선정함에 있어서 단위학교 내 선택권의 확보 정도와 절차는 어떠하였는

지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한다. 운영 과정에서는 어떠한 운영 및 관리체계가 작동하였는

지, 그리고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 학교내 구성원 간 역할분담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에

중점을 두고, 운영 결과 면에서는 교육과정 운영상에서 나타나는 성과와 교사들의 참여

정도를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연구학교와 혁신학교를 가르는 근본적인

차이가 바로 외부환경으로서의 상위기관과의 관계(연계, 협력, 지원 등)인 점에 착안하

여 이를 운영 실태의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설정하고, 그 영향의 정도와 양상

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간단히 나타내면 [그림 2]와 같다.

[그림 2] 분석의 틀

Ⅳ. 연구 결과

1. 연구학교 사례 내 분석

가. 사이버연구학교

사이버연구학교는 학교 특색사업으로 추진하던 연구과제가 연구학교 운영 주제로 공

고되면서, 연구학교로 지원하여 선정된 경우이다. 사이버연구학교에는 연구학교 가산점

을 필요로 하는 교사 몇 명이 있었고, 이미 2008년부터 매 학년말이면 연구학교 신청을

위한 교사투표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러나 해마다 교사들의 충분한 지지를 얻지 못하

Page 11: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실태에 대한 비교 연구.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 구물도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그동안의 연구들을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실태에 대한 비교 연구 85

여 공모에 참여하지 못했다. 그러던 중에 2009년 학교 특색사업으로 추진했던 교육활동

이 2010년 연구학교 주제로 제시되자 84.6%의 지지를 얻어 연구학교에 공모를 하여 지

정을 받은 것이다. 사이버연구학교 교사들은 2009년에 비슷한 주제로「교육방법혁신

팀」이라는 교사동아리를 운영했던 까닭에 어느 정도 관련 주제에 대한 전문성이 확보

되어 있었으며 이는 일반교사들의 지지를 얻는 원동력이 되었다.

사이버연구학교는 주무부장을 비롯한 전 교사가 연구 주제에 관한 전문성을 확보한

상태에서 연구학교를 시작하게 되었으므로 비교적 순조롭게 연구 활동에 착수할 수 있

었다. 그러나 ‘연구학교는 승진가산점이 필요한 일부 교사들이나 하는 것이며 핵심적인

교육활동을 방해하는 부가적인 일’이라는 연구학교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으로부터 자유

로울 수는 없었다.

“교장, 교감이나 점수 따려고 하는 사람들 몇 명이 점수 따려고 연구학교를 한다는 마음이

깔려 있잖아. 다른 사람들에게는 힘들고 귀찮은 거. 이게 박혀있어. 해봤자 힘들고 얻어지는

것도 없고, 그런 것이 박혀있어. 그래서 선생님들이 이미 대할 때 동기 자체가 신선하지가 않

아.”- 사이버연구학교 김성아

이를 불식시키기 위하여 학교장을 비롯한 교내 추진팀은 주제에 대한 교육적 가치를

공유함은 물론 교수학습과 관계된 부분은 확대 실시하고, 그 밖의 형식적인 요소는 최

소화하였다. 역할분담에 있어서도 일반적인 연구학교에서는 기존 학교 업무에 또 하나

의 연구학교 업무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지만 사이버연구학교에서는 기존 업무를

중심으로 역할을 분담하였다. 또한 연구학교 운영으로 인해 정규 교육과정이 파행 운영

되지 않도록 교내외 행사를 조정하여 형식적으로 운영되는 행사나 교육활동, 교육적 효

과가 적은 활동들은 과감히 폐지 또는 축소하였다. 그 결과 사이버연구학교는 연구학교

운영을 성공리에 마치고 사이버학급 운영 우수학교가 되었으며 연구학교 운영이 끝난

지 2년이 지난 지금도 전(全) 학급이 사이버학급을 개설하여 운영 중이다.

본 사이버연구학교 사례는 연구학교 제도의 전형적인 형태를 보여준다. 공모 동기는

일반적인 선행연구 결과와 동일하게 승진가산점을 필요로 하는 일부 교사를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나, 전체 교사들의 의견을 존중하는 의사결정과정이 정직하게 수반되었으며,

2년의 부결 과정을 거쳐 교사들 모두에게 익숙하면서도 교육적 가치가 공유된 주제를

선정하여 공모하였다. 연구학교의 운영에 따른 업무 추진에 있어서도 연구학교에 대한

부정적인 교사들의 인식을 의식하고, 계획수립 단계에서부터 전 교사들의 적극적인 참

여와 지지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었다. 단위학교의 강점을 최대한 살린 연

구 주제와의 조우, 구성원들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진행된 연구 활동은 교사들

의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 내었으며, 그 결과, 선행연구(김태숙, 2007; 신임

Page 12: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실태에 대한 비교 연구.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 구물도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그동안의 연구들을

86 교육행정학연구

선, 2001; 유정, 2009; 백현준, 2009; 신철균, 2011; 홍성자, 2011; 백현준, 2009)와는 달리

일회적인 운영이 아닌 지속적인 운영으로 이어졌다. 아쉬운 점은 연구학교 정책을 추진

하는 상위기관인 시․도교육청이나 교육지원청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별다른 협력관계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지원보다는 형식적 관리 수준에 그쳤다.

나. 평가연구학교

평가연구학교는 국가수준의 학업성취도평가가 전면 실시되고 성취도평가 관련 전문성

신장연수가 활발하게 시행되는 등 평가와 관련된 사회적 이슈가 강했던 시기에 평가를

주제로 연구학교를 운영하였다. 당시에는 학생들의 성적 통지 방법을 다양화하고 이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성취도를 올리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평가연

구학교에는 개인적으로 이러한 평가 프로그램을 개발 중이던 정영길 교사가 재직 중이

었다. 마침 그 해에 성취도평가 관련 연구를 희망하는 학교가 없어서 추가 공모가 있었

으며 지역교육청에서는 평가연구학교에 공모를 권유했다. 승진가산점을 받기를 희망하

는 교사들이 있었던 평가연구학교에서는 시간이 촉박한 가운데 계획서를 작성하기 위하

여 정 교사에게 도움을 청하였으며 정 교사의 수락으로 연구학교가 시작되었다.

“학교에서 연구학교를 필요로 했던 사람들이 있었고, 교육청에서는 이게 아무도 신청을 안

하니까 학력평가 쪽으로 추가 신청이 온 거예요. 그러니까 이 사람(주무 담당자)이 이쪽에 대

해서 어느 정도 깊이 있게 알고 있으니까. 학력평가 쪽으로. 그럼 이 사람한테 네가 한 번 써

봐라 하고 진행을 한 거지, 쉽게 이야기 하면.” - 평가연구학교 이정숙

그러나 평가연구학교에서 선택한 연구주제는 정 교사 개인의 전문성에 기반하고 있었

으므로 다른 교사들에게는 생소하고 어려운 주제였다. 문항 동등화 작업, 프로그램화 작

업 등은 단순히 문제를 출제하는 것 이상의 전문성을 요구하였다. 업무추진을 위해 컴

퓨터 활용 능력이 우수한 교사들이 추진팀으로 선정되었으나 이들은 학교 행정에 익숙

하지 못한 저경력 교사 위주의 팀이라 연구학교를 이끌어가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결

국 모든 일은 정 교사에게 집중되었으며 과중한 업무 부담과 전체 교사들의 호응을 얻

지 못한 연구학교의 운영은 총체적인 난국을 맞이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 교

사는 연구 결과를 제대로 마무리하지도 않은 채 다른 교사들과 감정의 골만 깊이 남기

고 이듬해에 다른 학교로 전근을 가버리고 말았다. 같은 해에 연구학교의 총책임자인

교장도 퇴임을 하였다.

더욱이 그 해 말에 A 지역의 교육감이 바뀌면서 학업성취관련 평가정책이 급선회하

여 수행평가 중심의 체제로 전환되었다. 평가연구학교 교사들은 이전의 연구 주제를 지

속할 것이지 아니면 새로운 정책 방향에 따른 연구 주제로 전환할 것인지 결정해야 했

Page 13: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실태에 대한 비교 연구.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 구물도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그동안의 연구들을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실태에 대한 비교 연구 87

다. 평가연구학교는 위기를 불러온 연구 주제를 정책 변화에 맞추어 변경하였으며 분열

된 교사들을 다독여 연구학교를 마무리 하였다.

본 평가연구학교 사례는 형식적인 의사결정 과정을 거쳐 무리하게 연구학교 지정을

받았던 경우이다. 공모 동기 및 지정 과정을 살펴보면, 대상학교의 추가 모집이 필요했

던 교육청의 편의주의적 행정과 승진가산점을 목적으로 연구학교에 공모하고자 했던 단

위학교 일부 교사들의 담합이 빚어낸 실패 사례라고 할 수 있다. 그 과정에서 주제는

일부 교사를 중심으로 채택되었으며 운영 체계도 일부 교사들이 연구학교 전체를 이끌

어 가야 하는 과중한 부담을 안고 시작되었다. 참여 동기도 충분히 확인되지 않은 상태

에서 일부 교사를 중심으로 시작된 연구학교 활동은 이미 갈등을 내재하고 있었다고 하

겠다. 결국 단위학교 구성원들의 참여도는 부적인 방향으로 제고되었으며 단위학교 내

중간관리자의 인적․물적 지원도 충분히 받지 못하였음이 관찰되었다. 상위기관인 교육지

원청과 광역시교육청의 대처 방안도 형식적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몇 차례의 컨

설팅을 통해 연구 주제를 이어갈 것인지에 대한 협의와 문제 해결을 위한 협의를 제외

하고 연구 주제에 대한 전문성 신장을 위한 지원은 거의 없었다. 무엇보다도 주요 정책

에 대한 연구 필요성에서 시작된 정책연구학교의 주제가 1년 만에 변화된다는 것 자체

가 논리적으로 엄청난 모순을 안고 있었다.

두 연구학교 사례를 비교 ․분석해 보면 공모 동기는 동일하였으며, 업무 분담체계에

있어서 일부 교사들이 업무를 추가적으로 더 분담하였음은 동일하였다. 그러나 의사결

정과정을 충분히 거쳐 단위학교의 역량과 부합하는 주제를 지정받은 사이버연구학교는

평가연구학교에 비해 연구 활동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졌다. 그에 따라 참여 문화에

도 차이가 있어서 사이버연구학교는 전체 교사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 낸 반면, 평

가연구학교는 지속적인 구성원 간 갈등의 초래와 신뢰의 상실을 야기함으로써 단위학교

의 기초적인 교육역량 마저도 위협받았음을 알 수 있다. 상위기관과의 연계․협력 면에서

는 두 학교 모두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지시적․중앙집권적 한계(신철균·장용석, 2010)를

벗어날 수 없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혁신학교 사례 유형내 분석

가. 신설혁신학교

신설혁신학교는 대단위 아파트 단지 조성과 함께 생겨난 신설교로 2011년 개교 때부

터 혁신학교로 지정을 받았다. 다른 혁신학교들처럼 혁신 예비학교 단계를 거치지는 않

았으나 A 지역 혁신학교 지정․운영 계획 및 초등학교 교사 전보확정위원회(2010.12.7.)의

합의사항에 의거하여 전원이 근무 희망 교사로 구성되었다. 교장 및 교감도 혁신학교의

Page 14: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실태에 대한 비교 연구.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 구물도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그동안의 연구들을

88 교육행정학연구

성공적인 정착을 위하여 추천 또는 자원을 하였다. 80% 이상의 교사들이 개교 이전에

이미 학습공동체를 구성하여 혁신학교의 철학 및 비전에 대하여 학습하였으며, 대부분

혁신학교 철학을 실천하기 위하여 신설혁신학교에 지원하였다.

신설혁신학교는 혁신이 주제인 만큼 기존의 학교 체제 및 교육과정을 토대로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었다. 기존의 2학기제를 4학기제로 개편하여 봄과 가을에 1주일 정

도의 짧은 방학기간을 만들었으며 수업시간도 80분간 공부하고 30분 쉬는 블록타임제로

운영한다. 교사들이 행정 업무보다는 수업에 전념할 수 있는 풍토를 만들기 위해 행정

업무를 전담하는 교무행정전담팀을 운영하는데 행정팀을 제외한 일반교사들은 학급 업

무 이외의 행정업무에는 전혀 관여하지 않는다. 학교 행사 및 모든 의사결정은 교사들

의 협의체인 다모임을 통해 이루어진다. 심지어는 교장․교감의 고유 권한인 담임 배정이

나 부장선발과 같은 인사행정도 다모임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다. 모든 의사결정이 교사

들의 협의를 통해 이루어지다보니 회의가 자주 열리고 회의 시간도 길어져서 퇴근이 늦

어지거나 갈등 상황이 만들어지기도 하며 업무효율은 다소 떨어진다고 하겠다.

혁신학교 지원금은 다양한 교육과정 운영에 사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용처로는 행

정업무지원 인력의 채용과 외부 강사를 활용한 1인 1예 교육, 학급별 체험활동 지원 등

을 들 수 있다. 신학년도 준비 과정에서도 2월 중순이 되어서야 새 학급의 담임을 발표

하는 일반학교와는 달리 12월에 이미 담임배정을 끝내고 방학기간에 신학년도 학년팀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고 교육활동에 대한 준비를 미리 하는 것도 특징적이다.

그러나 2012년부터는 교사 전보 상의 지원이 사라져서 일반학교와 동일한 방법으로

교원이 전입되는 까닭에 혁신학교 근무를 희망하지 않는 교사들이 대거 전입되어 어려

움을 겪고 있다. 또 수시로 열리는 ‘다모임’은 교사들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전제로 하

는 까닭에 의사결정과정에서 이해관계가 얽히거나 의견이 다른 경우 조정과정에서 마음

의 상처를 받는 경우가 관찰되었으며, 동시에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마음을 나누려고 하

는 역동적인 움직임도 감지되었다.

본 신설혁신학교 사례는 전형적인 혁신학교의 모습을 보여준다. 신설혁신학교의 구성

원들은 민주적․협력적 학교 문화를 만들고 수업의 혁신을 가져오겠다(김성천, 2010)는 의

지를 가지고 모였다. 이러한 지원 동기는 혁신학교 운영 과정에서의 물리적․심리적 부담

을 극복하고 자발적인 참여로 이어졌다. 이는 자발적인 교사들의 참여가 혁신학교 성공

요인이라는 선행연구(장훈·김명수, 2011; 송순재·이정민, 2011)와 일치하고 있다. 주제도

학교 교육 전반에 대하여 다루고 있으므로 교사들이 모두 잘 알고 있는 부분을 다룬다.

운영 체계 면에서는 행정업무는 행정팀에게 집중되지만 학급과 밀착된 교육활동에 지원

금과 자율권이 확대되었고 모든 결정이 교사협의체에서 이루어지는 만큼 교사들의 적극

적인 참여문화 형성이 용이하다. 상위기관의 지원은 혁신학교의 교육활동을 전폭적으로

Page 15: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실태에 대한 비교 연구.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 구물도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그동안의 연구들을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실태에 대한 비교 연구 89

지원하고 있었다. 단일의 교육목표를 가진 교사들이 한 학교에 모일 수 있는 여건을 마

련해주고 작은 학교 하나의 운영비에 해당하는 막대한 지원금을 지급해주며 혁신학교

철학에 대한 각종 연수 및 컨설팅을 지원해주는 등 기존의 정책이나 제도에서 보기 드

문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나. 기존혁신학교

기존혁신학교는 편부, 편모가 많고 다가구가 밀집해 있는 열악한 교육여건을 가진 학

교로 평소에 갈 곳이 없어 운동장을 배회하는 아이들이 많은 것을 안타깝게 여기던 교

장 선생님이 교사들을 설득하여 혁신학교가 되었다. 교직원 협의회의 100% 지지를 받았

으며 혁신학교 지정 이후 교사들은 혁신학교의 비전 및 철학에 대해 공부하고 있다.

교육과정의 운영 및 학교 문화의 측면에서는 일반학교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인

근에 주말 농장을 구입하여 전교생에게 노작활동을 통한 생태 교육을 실시한다는 점,

스케이트 타기, 1인 1악기 지도를 위해 악기를 제공한다는 점 등이 일반학교와 차별화

된다. 그 밖에도 6학년에는 중학교의 교과지도 방식과 초등학교의 담임제를 절충한 담

임 및 교과전담의 팀티칭식 지도 방식이 새롭게 도입되었으며 매일 아침 교무실에 차와

빵을 준비해놓고 교사들에게 제공하는 등 비공식적인 소통 과정을 통하여 혁신 마인드

를 제고하고 소통의 문화를 만들어가고 있다. 교사들은 대체로 협조적이었으나 주요 의

사결정 및 제안이 학교장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혁신 마인드가 관리자에 의해 주도되는

경향이 있었다. 또 혁신의 방향이나 개혁 의지 등은 명확하지 않은 편이고 학교 여건을

개선하고 우수한 프로그램을 만들어 학생들에게 유익한 교육 기회를 제공해주는 것에

좀 더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업무분담 체계는 1, 2차 년도에는 일반학교와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나 2차년도

컨설팅장학을 통하여 시정 권유를 받고 신설혁신학교와 같이 일반교사들은 행정업무에

서 제외하는 교무행정팀 체제로 전환하였다.

본 기존혁신학교 사례에서 공모 동기는 학생 교육여건을 개선하고 질 높은 교육기회

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이는 신설혁신학교의 구성원들이 강력한 혁신의지를 가지고 자

원한 것과 거의 맥을 같이 한다. 그러나 신설혁신학교가 학교문화 혁신, 수업혁신 등으

로 혁신 주제가 명확했던 것에 비해, 기존혁신학교의 혁신 주제는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으며, 그저 교육활동 전반에 걸쳐 ‘내실 있는 운영’을 목표로 하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교사들의 참여문화도 신설혁신학교는 전교사 협의회인 ‘다모임’이 학교 행정 전

반에 걸친 주도권을 쥐고 있는데 비하여, 기존혁신학교는 주도권은 여전히 학교장에게

있고, 교사들의 권한이 조금 더 늘었으며 적극적으로 협조하는 형태일 뿐이다. 상위기관

과의 연계․협력 측면에서는 인사상의 특별한 지원은 나타나지 않으며, 비교적 자율권이

Page 16: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실태에 대한 비교 연구.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 구물도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그동안의 연구들을

90 교육행정학연구

존중되고 있으나, 단위학교의 필요에 의해서가 아니라 상위기관의 컨설팅장학에 의해

교무행정팀의 구성 체계를 성공적인 혁신학교 모형과 유사하게 전환한 것은 이른바 조

직이 활동에 필수적인 자원을 상위기관에 의존하면서 나타나는 강제적 동형화(coercive

isomorphism)2)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3.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사례 유형간 분석

앞에서 제시한 사례 유형내 분석에서는 연구학교별, 혁신학교별 실천 사례를 분석의

틀에 따라 범주화하여 각 사례별로 나타난 독특한 특성에 초점을 두어 분석하였다. 사

례 유형간 분석에서는 각 사례들에서 나타난 특성들을 통합하여 정리하고, 이를 주제

중심으로 특성화하여 대비하는 형태로 분석결과를 보다 구체화하고자 한다.

가. 공모 동기 : ‘순수한 교육 개혁인가?’ vs. ‘다른 의도가 개입되어 있는가?’

공모 동기가 순수한가 그렇지 않은가 하는 것은 각 연구․혁신학교의 추진과정 전반에

걸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연구학교든 혁신학교든 지정을 받게 되면 공통적으로

이전보다 할 일이 많아지게 된다. 교사들은 싫든 좋든 늘어난 일을 감당해야만 하는 것

이다. 그런데 그 과정에 ‘교육 개혁’이라는 목적이외에 ‘승진가산점’과 같은 일부 교사의

다른 의도가 개입되어 있을 경우 대다수의 교사들은 부정적인 반응을 보인다. 두 연구

학교 사례는 공모 동기에 ‘일부 교사들의 승진가산점의 획득’이라는 의도가 개입되어 있

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다른 교사들은 이를 냉소적이고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연구학교? 점수 따려는 사람들이 모인 학교 아니에요? 점수에 연연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그런 일을 맡기면 훨씬 더 공평하고 객관적인 자료가 나올텐데. 해봐서 아시잖아요. 얼마나

엉터리인가.” - 평가연구학교 정혜미

반면 혁신학교에서는 연구학교에서 인센티브로 작용하는 ‘승진가산점’을 거부함으로써

공모 동기의 순수성을 확보하였으며, 신설혁신학교는 보다 적극적인 지원자들을 구성원

으로 확보할 수 있었다.

2) 신제도주의자들이 말하는 동형화(isomorphism)는 동일한 제도적 환경 속에 있는 조직이 서로

닮아가는 현상을 말한다(DiMaggio & Powell, 1983, 1991). 조직은 적절하다고 사회적으로 인

정받는 조직과 비슷한 형태를 갖춤으로써 조직의 정당성 및 생존 가능성을 높이는 것이다.

특히, 강제적 동형화(coercive isomorphism)는 정치적 압력의 작용과 정당성의 확보를 위해서

어떤 조직이 의존하고 있는 다른 조직으로부터 공식적, 비공식적 압력이 있거나 혹은 조직에

대한 사회의 문화적 기대라는 압력에 의해 조직 형태가 수렴되어 가는 과정에서 동질화되어

가는 것을 말한다.

Page 17: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실태에 대한 비교 연구.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 구물도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그동안의 연구들을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실태에 대한 비교 연구 91

“우리 학교 선생님들은 혁신학교 오기 위해서 공부를 대단히 많이 했어요. 참 충격적이었

어요. 모든 사람들이 혁신학교에 대해서 공부를 해가지고 온 사람들이더라구요. 점수 상관없

이 순수하게 내가 원해서 온 것이기 때문에 열심히 해야 한다는 생각이 충천했어요.” - 신설

혁신학교 정미진

그러나 공모 동기가 순수하지 않더라도 학교 특성을 고려한 주제 선정과 구성원들의

의사를 최대한 존중하는 합의 과정을 거치면 성공적인 운영이 가능하다는 것을 사이버

연구학교 사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연구학교의 제도화 과정에서 동기요인으로

유입된 ‘승진가산점’이 대다수의 교사들에게 동기요인으로 작동하기보다는 불만요인으로

작동하고 있는 것과 ‘혁신학교 지원금’이 혁신학교의 순수하지 못한 공모 동기로 작용하

는 사례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것도 분석 과정에서 드러났다.

“우리 학교도 혁신학교 예비학교를 거쳐서 혁신학교가 됐습니다. 우리는 이미 혁신학교의

요소를 다 갖추고 있기 때문에 더 혁신할 것이 없습니다.(하하) 그러니까 혁신보다는 우리 학

교에서 하고 싶은 일을 하기 위한 예산 마련이 주된 목적입니다.” - 기타 혁신학교 원시준

나. 주제 선정 : ‘주어진 주제 중에서 선택’ vs. ‘가장 잘 아는 주제를 선택’

주제 선정에서 어느 정도의 자율성이 있었는가 하는 것도 운영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

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통상적으로 연구학교의 주제는 연구학교에 관한 규칙(2008.7.30

교육과학기술부령 제11호)에 의거하여 해마다 12월~1월경에 단위학교에 공문으로 안내

되며, 주요 정책 과제를 중심으로 제시된다(신철균, 2011). 따라서 ‘청렴 덕목 함양을 위

한 교육프로그램 및 자료 개발 연구’, ‘체험․실천형 에너지절약 교육 방법 및 자료개

발3)’(서울시교육청, 2012)과 같이 교과 관련성이 적거나 심지어는 생소한 연구 주제들도

상당수 있다. 단위학교에서는 주어진 주제들 가운데 하나를 선택할 수밖에 없으며 연구

를 위한 전문성의 확보는 부차적인 문제가 된다. 사이버연구학교와 같이 연구 주제에

관한 전문성이 확보되어 있는 경우는 드물다. 전문성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운영

은 선행연구를 모방하거나 흉내만 내는 방식으로 진행될 여지가 많다. 게다가 전문적인

연구가 익숙하지 않은 교사들은 연구 방법이나 결과 등에서도 다양한 오류를 범할 수

있는 소지가 많다(오형문, 2009; 신철균, 2011; 김인희, 2007).

“개인별 학업성취 프로파일 구축을 통한 학력신장 방안이 주제였는데 시험을 볼 때 학생

들이 답안을 OMR 카드에 작성하고 성적 프로파일을 만들어서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방식이

었죠. 하드웨어적인 면에서 볼 때 단위학교 수준에서는 하기 힘든 일이었어요. 교사들부터 그

3) 2012년 연구학교 지정 운영계획에 제시된 연구 주제이다.

Page 18: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실태에 대한 비교 연구.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 구물도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그동안의 연구들을

92 교육행정학연구

게 어떤 것인지 잘 몰랐거든요.” - 평가연구학교 조민정

단지 몇 사람만이 알고 있거나 심지어 모두가 잘 모르는 상태에서 필요에 의해, 주어

진 주제 중에서 선택해야하는 불확실한 상황은 필연적으로 모방적 동형화4)(mimetic

isomorphism) 현상으로 이어졌으며 이로 인한 전문성의 부족은 형식주의(formalism)5)를

유발시키고 있었다(김인희, 2007).

반면 혁신학교의 연구 주제는 교육 그 자체이다.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교육 활

동이 주제가 되며 학교의 본질인 가르치고 배우는 활동에 집중할 수 있는 학습 공동체

의 구축이 핵심이 된다. 실천 방법도 단위학교 구성원들이 협력하여 만들어가는 방식을

택한다. 즉 교사들이 가장 잘 할 수 있는 일을 하고 싶어서 하게 된다는 것이다.

“가장 좋았던 것은 남의 눈치 안보고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다는 것이었어요. 왜

일반학교에서는 그럴 수 없잖아요. 그런데 여기서는 내가 생각하는 것을 할 수 있게 지원을

해주니까 뭔가 해볼 수 있어요. 교사들과 서로 의논해 가면서 새로운 것을 시도할 수 있어서

좋아요.” - 기존혁신학교 한지민

전 교사가 ‘잘 알고 있는 주제를 선택’하여 협의하며 운영할 수 있다는 것은 전문적

학습공동체(Senge, 1990; 양성관 외, 2011; Levin, 2001; Fullan, 2007) 형성의 기본 요소

이며, 이는 늦은 시간까지 진행되는 회의와 초과근무를 수용하는 것으로 표현되었다.

다. 운영 체계 및 역할 분담 : ‘교무 행정 중심의 일부’ vs. ‘교수-학습 중심의 다수 ’

연구학교 사례에서 업무분장을 보면 [그림 3]과 같은 이중적 업무 조직도가 나온다.

즉 평소에 담당해야 할 업무와 연구학교 추진을 위한 업무가 하나 더 있는 것이다. 사

례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업무 과중 현상은 단위학교 운영에서 본질이라고 할 수 있는

‘교수-학습 중심’의 운영 체계보다는 ‘교무 행정 중심’의 운영 체계를 조장한다. 이러한

이중적 조직 체계의 유지는 연구학교로 인해 기존의 학교운영이 위협받지 않으려는 전

형적인 본질과 형식의 유리(decoupling) 현상으로 이어진다.

4) 모방적 동형화(mimetic isomorphism)는 제도주의 이론에서 주장하는 동형화의 한 종류로서

조직이 동일 환경 내의 다른 성공적인 조직을 모방하는 것을 의미한다. 흔히 조직이 추구하

는 목표나 방향이 불확실할 때 성공적이라고 인정받는 조직을 모방함으로서 조직의 불확실한

환경을 극복하고 효율성과 효과성을 획득하기 위해 합리적 탐색보다는 모방의 과정을 택하는

과정이라 하겠다(DiMaggio & Powell, 1983; 1991).

5) 김인희(2007, p.32)는 형식주의를 ‘집단의 구성원이 공유하는 행동양식으로서 사물의 본성보다

외양, 목적보다 수단, 내용보다는 형식을 상대적으로 중시하는 문화적 행위’라고 정의하고 형

식주의적 행동 유형의 특성으로 가장(假裝, simulation), 타협, 피상적 학습, 소극적 실천 등을

들고 있다.

Page 19: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실태에 대한 비교 연구.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 구물도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그동안의 연구들을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실태에 대한 비교 연구 93

[그림 4] 신설혁신학교의 업무조직표

[그림 3] 사이버연구학교의 이중적 업무 조직도

반면 신설혁신학교는 학교 조직표를

[그림 4]와 같이 기존의 피라미드식

구조가 아닌 역삼각형 형태의 조직구

조로 변경하는 등 혁신의 의미를 살려

이전과는 다른 ‘교수-학습 중심’의 학

교조직을 구성하고자 노력하였다. 또

한 교무행정팀을 조직하여 행정을 전

담하고 담임교사는 수업 및 학급 관련

업무만을 전담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기존혁신학교는 2차년도까지는 일반학교와 동

일한 형태의 업무분장이 이루어졌으며, 기존 체제 속에서 혁신학교의 비전을 실천하고

자 하였다. 즉, 연구학교와 유사한 형태로 운영한 것이다. 그러다가 3차년도에 이르러

신설혁신학교와 같은 형태로 전환하였는데 이는 학교 자체의 요구에 의해 전환되었다

하기 보다는 상위기관의 요구에 반응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운영 체계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차이는 공모 동기 및 주제 선정 등의 지정 과정에서

나타나는 사례별 특성과 통합되어 실제적인 역할 분담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연구학

교의 경우 정도의 차이는 있었으나 ‘일부’ 교사가 좀 더 업무 부담을 지는 형태로 나타

났으며, 혁신학교의 경우 역시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다수’의 교사가 역할을 분담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Page 20: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실태에 대한 비교 연구.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 구물도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그동안의 연구들을

94 교육행정학연구

라. 교사들의 참여 : ‘너희들만의 잔치’ vs. ‘내가 만드는 공동체 ’

공모 동기, 주제 선정과 같은 지정 과정에서의 차이, 운영 체계 및 역할 분담 등에서

의 차이는 교사들의 참여에도 상당한 차이를 만들었다. 연구학교의 사례에서는 몇 사람

이 앞장서서 추진을 했으므로 ‘나의 연구’라는 생각보다는 ‘너희들만의 잔치’라는 의식이

지배적이다. 이러한 교사들의 참여 양상은 주책임자의 역할을 맡은 단위학교 연구부장

이나 기타 주무 부장을 중심으로 모든 일이 편중되게 만드는 데 중요한 작용을 하고 있

었다. 그리고 일반 교사들은 교실 수업이 최대한 방해를 받지 않는 선에서 부분적인 참

여와 도움(함께 연구한다기보다는)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소극적이고 수동적인 참여가

일어나고 있었다.

“그렇지. 네가 찬성해서 한 거니까 너 혼자 해. 그런 것이잖아. 그러면서 어쩔 수 없이 해

야 하는 최소한의 것만 하자. 뭐 이런 거지” - 사이버연구학교 김성아

반면 혁신학교의 교사들은 자발적으로 학교 교육활동에 참여하는 양상을 보였다. 특

히 신설혁신학교의 경우 교사들은 개교이전부터 학습공동체를 구성하여 함께 공부했으

며 이러한 ‘자발성의 원리’를 본인들은 물론 학교 운영 전반에 그대로 적용하고 있었다.

“우리 학교의 참여 원칙은 자발적인 참여예요. 선생님도 그렇고 학부모도 그렇고 학생들도

그렇고. 학교 행사가 있을 때는 자원을 받아요. 순수하게. 여지껏 자원자가 없어서 행사를 못

한 적이 없죠.(하하)” - 신설혁신학교 김준수

“대부분 잘 할 수 있는 선생님이 지원을 하셔요. 지원자가 없으면 팀장님이 하시구요. 그

런데 때로는 다른 사람들한테 너무 미안하기도 해요. 못하는 사람도 마음이 편하진 않은 거

죠.” - 신설혁신학교 박소영

학교 현장에서는 다양한 사람들과 다양한 요구가 공존하느니만큼 지나치게 기다리는

시간이 길어진다거나 자원하지 못하는데서 오는 자책감으로 괴로워하는 등의 부작용도

관찰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혁신학교에서는 자원해서 온 것이니만큼 함께 최선을

다해보자는 생각이 지배적이었으며 이는 ‘내가 만드는 공동체’라는 의식으로 이어졌다.

기존혁신학교의 경우에는 이러한 의식이 다소 약하게 나타났다.

마. 성과 : ‘지속성이 있는가’ vs. ‘단절적인가’

각 사례학교의 교육과정 운영 면에서의 성과를 살펴보면 우선 사이버연구학교는 연구

학교가 끝난 지 2년이 지난 지금까지 연구 주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연구에

Page 21: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실태에 대한 비교 연구.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 구물도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그동안의 연구들을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실태에 대한 비교 연구 95

적용했던 사이버학급을 전(全) 학급이 개설하여 운영하며 수업 및 평가, 학급 홈페이지

등으로 여전히 활용하고 있다. 반면 평가연구학교의 경우 관련 자료가 거의 남아 있지

않으며 심지어는 아이들의 각종 검사 자료조차 제대로 피드백이 되지 못한 것으로 확인

되었다.

“그러니까 그 일 년 동안 수도 없이 검사했던 그 자료도 하나도 없어서 그 다음 해에 활

용을 못했어요. 그래서 그 다음 해에 우리끼리 발표를 할 때도 그거랑 어긋난 다른 주제로

또 발표를 하게 된 거예요. 지금도 남아있는 것이 아무것도 없어요.”- 평가연구학교 정혜미

신설혁신학교는 설립 초기에 25학급 586명으로 시작되었으나 2년이 지난 지금 43학급

1,146명으로 학생 수가 늘고 학교 규모도 커졌다. 전입생이 너무 많아서 학급당 학생 수

도 혁신학교 기준인 25명을 훨씬 넘는 30명 수준이다. 신설혁신학교에 들어오기 위해

전학을 오는 학생들이 늘고 있다는 보도가 이를 뒷받침한다(한국경제매거진, 2013.

3.11.).

“아이들이 계속 늘어서 걱정이에요. 공교육에 적응하지 못하는 아이들이 이 학교에서 마지

막으로 한 번 더 해보자고 찾아오시는 분들이 많아요. 그래서 올해는 우리 반도 학생수가 30

명이 넘었어요.”- 신설혁신학교 박소영

기존혁신학교는 초기에 비해 혁신학교로서의 개혁 의지나 철학에 대한 교사 연수가

줄었고 수업 혁신이나 개혁에 대한 관심도도 낮아졌으며 일반적인 교육복지특별지원학

교와 유사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어서 학생 수의 증가라든가, 지역 선호도의 상승 등과

같은 뚜렷한 성과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바. 상위기관의 지원 방식 : ‘부분적 통제의 원리에 따른 형식주의적 관리’ vs. ‘신뢰의

원리에 따른 이례적인 지원‘

각 사례 간 분석에서 특징 있게 드러나는 부분은 상위기관의 지원 방식이었다. 연구

학교는 제도화된 지침에 따라 정해진 지침을 준수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대부분

단위학교 중심의 자율적인 추진이 이루어지지만 신뢰의 원리에 따른 자율이라기보다는

방임에 가까웠다. 다만 부분적으로 통제의 원리가 철저하게 적용되는 부분이 있었는데

이는 보고서 또는 보고회와 같은 부분이었다.

각 연구학교는 주제와 특징이 서로 달라서 주제에 맞는 운영보고회가 이루어지는 것

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시․도교육청별 지침에도 학교마다 특성을 살려 추진하도록 하

고 있다. 그러나 30여개 이상의 연구학교 보고회를 총괄하는 교육지원청의 입장은 이와

Page 22: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실태에 대한 비교 연구.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 구물도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그동안의 연구들을

96 교육행정학연구

달라서 모든 연구학교에 동일한 운영보고회의 순서를 제시하고 일률적으로 따르도록 지

시를 내렸다. 결국 모든 연구학교는 상위기관의 지시에 순응해서 순서를 변경해야만 했

다. 이는 강제적 동형화 현상이 일어났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모든 연구학교의 운영보고

회가 유사하다는 선행연구(유정, 2009; 백현준, 2009; 홍성자, 2011)의 원인을 추측할 수

있도록 해주는 사례라 하겠다.

“저희는 다른 학교의 교사 또는 학부모들이 사이버가정학습의 활용 방법과 장점을 알고

많이 동참하도록 하는 게 주된 운영 목적이었어요. 그래서 사이버학급의 운영 방법에 대한

연수, 학부모의 운영 사례 등을 보고회 순서로 정했죠. 그것만 해도 시간이 부족하거든요. 분

과협의회는 의미가 없었어요. 하지만 어떻게 해요. 교육청에서 꼭 하라는데. 할 수 없이 분과

협의회를 준비해서 했답니다.”- 사이버연구학교 임아영

반면 혁신학교는 신뢰의 원리에 따른 강력하고 이례적인 지원을 받았다. 우선 시교육

청의 전폭적인 지원 아래 이론 전문가와 현장 교사들로 이루어진 혁신학교 준비위원회

가 구성되어 첫 혁신학교의 탄생 이전에 6개월간 준비 작업을 했다. 철저한 준비기간을

거쳐 연구진이 현장에 투입되었고 신설혁신학교도 연구진이 개교요원으로 발령을 받은

경우이다. 신설혁신학교는 교장, 교감 선생님도 혁신학교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 특별

히 파견된 경우이며 교사들도 초등학교 교사 전보 확정위원회의 합의사항에 의거하여

전원 희망교사로 구성되었다. 성과의 평가도 초기 혁신학교의 경우 연구학교와 같은 보

고회나 수업공개 등의 규범화된 절차 없이 학교 자체 평가를 중심으로 시행하도록 하였

다. 즉, 이는 ‘신뢰의 원리에 기반한 이례적인 지원’이라 하겠다.

“평가요? 교사 스스로 반성하는 거지, 보고서를 낸다던가 하는 것은 없었어요. 음, 교육청

에 내는 것은 없었죠. 학급을 어떻게 운영했는지에 대한 평가도 없었어요.” - 신설혁신학교

정미진

경비 면에서도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에 대한 지원에는 큰 차이가 있었다. 혁신학교의

경우 일반적인 학교 기본 운영비의 30~40%에 이르는 1억~2억원 내외의 지원금을 받았

으나 연구학교 지원금은 통상 1,000만원 내외이다. 이는 운영보고회나 보고서 인쇄 등

연구학교 추진을 위한 실 경비에도 미치지 못하는 금액이다.

“지원금이요? 보고회 때 보고서와 참관안내 책자 두 권을 인쇄했더니 300만원이 들어갔어

요. 써볼게 없죠. 최대한 아껴서 아이들 학습 자료도 만들긴 했지만 뭔가 제대로 된 프로그램

을 운영하기는 힘들었어요.” - 사이버연구학교 박민지

반면 혁신학교는 상당한 지원금을 이용하여 학교의 특색을 살리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Page 23: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실태에 대한 비교 연구.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 구물도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그동안의 연구들을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실태에 대한 비교 연구 97

구 분 연구학교 혁신학교

상위

기관의

영향

(규범,

지침

등의

제도적

환경)

① 승진가산점이 단위학교 교사들에게 인센티브

로 부여되나 대다수의 교사들에게는 의미 없

음. 일부 교사만 환영하는 풍토.

② 관주도의 정책관련 주제 제시 및 공고 후 신

청까지의 기간이 짧아 전교사가 익숙한 주제

를 찾기가 어려움.

③ 일반적인 학교 업무 이외에 연구학교로 인한

추가적인 업무 부담이 있음.

④ 상위기관의 기계적인 공모 절차 및 선정, 운영

보고회 위주의 형식적 관리 및 연 1천만 원

내외의 낮은 지원금.

① 승진가산점이 부여되지 않음.

② 학교 운영 전반에 걸친 광범위한 주제를 다루

므로 전교사가 잘 아는 주제를 다룸.

③ 추가적인 업무 부담이 있으나 교무행정전담팀

을 구성하여 행정과 담임교사의 업무를 분리

함.

④ 혁신학교 설립 준비를 위한 6개월간의 전문가

협의회의, 뜻을 가진 교사들이 한 학교에 모일

수 있도록 하는 전보 상의 지원, 연 1억~2억에

해당되는 막대한 지원금 등 상부기관의 이례적

인 지원

주요

여건

특징

사이버연구학교 평가연구학교 신설혁신학교 기존혁신학교

- 학교 특색사업을 발전

시켜 연구학교가 된

경우

- 사이버가정학습의 활

성화를 주제로 연구학

교 운영

- 교육청 평가정책의 전

환기에 연구학교를 운

영한 경우

- 1차년도에는 성취도평

가, 2차년도에는 수시

평가로 주제가 변경됨

- 신설교로서 교사 전보

희망자 100%로 시작

- 혁신학교 철학에 대한

공유 및 혁신의지가 강

한 교사공동체가 특징

- 기존학교로서 학교장

발의, 교직원 100% 지

지로 지정

- 혁신학교 지정 후 교

사연수를 통하여 혁신

학교의 비전 및 철학

을 공유

단위

학교의

반응

양태

→ 실패와 좌절, 2년간의

기다림 끝에 적절한

주제를 만나 구성원

의 합의를 이끌어냄.

전문성신장을 위한

자체 연수 및 정보

공유 활발.

→ 다수 교사들의 부정

→ 추가 공모에 따른 시

간적 제약으로 주제

선정 및 절차에 무리

가 따름.

→ 일부 교사들에게 업

무 부담이 편중되는

결과를 가져왔으며

관리진의 리더십 부

→ 개교 이전에 이미 교

사 학습공동체를 구

성하여 교육 비전 공

유 및 학교 교육과정

편성을 위한 준비모

임을 실시함.

→ 교육발전을 위해 헌

신한다는 자긍심이

→ 혁신에 대한 비전 공

유 및 타 혁신학교

벤치마킹을 통하여

혁신학교의 틀을 만

들어가지만 기존의

의사결정시스템이 유

지됨.

→ 교육발전을 위해 헌

<표 3> 사례별 연구 결과와 주요 특징 요약

운영한다. 신설혁신학교는 정규 교육과정인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전문 강사를 활용

한 1인 1예 문화예술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학급별로 일정 금액을 지원해서 담임교사가

자유롭게 사용하도록 하였다. 기존혁신학교는 전교생에게 악기를 지급하였고, 인근에 커

다란 주말 농장을 구입하여 모든 학생이 작물을 직접 가꾸고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

공하였다. 이런 활동은 학부모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게 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우리 학교에서는 1인 1예 수업을 하는데 그 분야의 전문가들을 강사로 써요. 아이들이 아

주 좋아하는 시간이죠. 물론 강사비는 혁신학교 지원금에서 나오지요. 또 학급마다 버스를 대

절해서 1~2회 학급 현장학습을 갈 수 있는 돈이 지원이 되요. 학급별로 자유롭게 체험학습

계획을 세울 수 있어서 좋아요.”- 신설혁신학교 정미진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에 대한 사례 분석 결과와 주요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Page 24: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실태에 대한 비교 연구.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 구물도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그동안의 연구들을

98 교육행정학연구

구 분 연구학교 혁신학교

적인 인식을 불식시

키고자 교육과정 검

토를 통해 불필요한

부분은 축소하고 조

정하여 추가적인 업

무 부담을 최소화하

고 교육적 효과는 최

대화 할 수 있는 여

건 마련.

→ 상부기관의 요구에

따라 운영보고회 는

일반적인 형식을 따

름. 강제적 동형화 현

상 발생.

→ 연구학교 종료 이후

에도 지속적인 운영

이 이루어짐.

재로 인하여 교사들

간의 갈등과 반목이

심화되고 분열을 초

래함.

→ 낯선 주제와 빈약한

전문성의 한계를 극

복하지 못한 채 교육

청의 평가정책의 변

화에 따라 주제를 변

경하고 서둘러 마무

리함.

→ 연구 주제와 교수-학

습 간에 디커플링 현

상이 발생하였으며 형

식적인 운영에 그침.

→ 단기적 ․단절적 운영

에 그침.

있으며 지원금을 활

용하여 학급 체험활

동, 창의적 체험활동

등 다양한 프로그램

을 운영함.

→ 수업중심 업무체계

구축. 교무행정팀은

기피함.

→ 자발적인 참여 원칙

에 따라 전교사가 학

교 운영에 참여하며

전교사 모임인 다모

임에서 학교 행정 전

반을 협의함.

→ 교사들의 참여가 활

발하고 적극적이며

학부모의 호응이 큼.

→ 학급 수, 학생 수가

약 2배로 늘어남.

신한다는 자긍심이

있으며 지원금을 활

용하여 지역사회 복

지를 위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함.

→ 업무체계는 혁신학교

컨설팅에 의해 신설

혁신학교와 유사한

형태로 전환됨. 모방

적․강제적 동형화 현

상이 나타남.

→ 교사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분

위기 형성에 힘입어

소그룹단위 모임이

확산되고 있음.

→ 현재 일반적인 복지

학교 형태로 운영됨.

Ⅴ. 결론 및 제언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에 대한 질적 복수 사례연구를 통한 분석 결과, 지정 과정, 운영

과정 및 결과, 상위기관의 지원 방식 등에서 몇 가지 주요 이슈를 발견하였다. 전반적으

로 보았을 때, 각 학교는 상위기관의 지원 방식에 반응하며 때로는 동형화 또는 디커플

링 기제를 활용하여 핵심기술인 교수-학습 보호 전략을 구사하고 있었고, 때로는 적극적

인 변화 발전으로 결정적 차이를 만들어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연구학

교와 혁신학교 사례에서 나타나는 교사들의 참여방식이나 선행연구에서 밝혀낸 현상에

대한 의미를 좀 더 심층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연구학교는 공모 동기가 순수하지 못하고, 연구 주제도 주어진 것들 가운데서 선택해

야 하는 제약이 따른다. 업무 체계 및 역할 분담도 교수-학습보다는 연구학교 추진을 위

한 교무행정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일부 교사에게 업무 부담이 편중된다. 다수의 교사들

은 수동적, 소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상위기관의 지원방식도 형식적이고 비효율적이

다. 반면 혁신학교는 상위기관의 ‘신뢰의 원리’에 따른 이례적인 지원에 힘입어 학교 개

혁의 의지를 가진 교사들이 가장 잘 아는 주제를 선택하여 학교를 새롭게 바꿔 나가며,

업무 체계가 교수-학습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일견 연구학교 변화 전략은 실패하였고, 새롭게 시작하

Page 25: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실태에 대한 비교 연구.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 구물도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그동안의 연구들을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실태에 대한 비교 연구 99

는 혁신학교의 변화 전략은 성공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보다 깊이 있게 운영의 내면

을 살펴보면, 같은 상황에서 서로 다른 성과를 보이는 두 사례가 사례 유형 내에서 대

비되어 나타나기도 하며, 때로는 4개 학교의 사례가 모두 같은 문제점을 도출하고 있음

을 알 수 있다.

첫째, 상위기관의 지원 방식과 관리전략은 연구학교와 혁신학교 교육활동의 전 과정

에 결정적 차이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혁신학교의 구성원들이 하나의 학교에 자원하여

모일 수 있는 인사상의 지원이 없었더라면, 일반 학교 운영비의 30~40%에 해당하는 막

대한 지원금이 제공되지 않았더라면, 그리고 신뢰의 원리에 입각한 자율성의 확보가 아

니라 고부담 평가(high-stake testing)가 이루어지는 체제로 운영이 되었더라면, 지금과

같은 교사들의 헌신과 몰입을 이끌어 내기는 쉽지 않았을 것이다. 연구학교에 주제 선

정을 위한 폭넓은 가능성이 열리거나 혁신학교처럼 연구 주제 중심의 교사 공모를 통해

구성원들이 자발적으로 학교를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더라면, 일부 교사들에게

만 동기 요인이 되는 승진가산점 대신에 모든 교사들에게 의미 있는 인센티브가 주어진

다면, 상위기관에서 연구학교의 전문성을 보완하고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되고

실제적인 지원이 이루어진다면, 지금과 같이 다수의 교사들이 연구학교에 소극적으로

참여하는 문화가 이어질 것인가? 실제로 현재 혁신학교에는 이례적인 인사상의 지원이

끊어지고 정기전보에 의해 혁신학교를 희망하지 않는 다수의 교사들이 유입되고 있으며

그로 인한 갈등과 문제 상황이 만들어지고 있다. 자발성을 중심으로 하는 교사 문화의

특성도 신설혁신학교에 비해 기존혁신학교에서는 덜 관찰된다. 연구학교의 경우에도 주

제 선정만 적합하게 이루어져도 또는 단위학교 내에서의 지원만 잘 이루어져도 기대 이

상의 성과를 거둘 수 있음을 사이버연구학교 사례에서 볼 수 있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둘째, 연구학교 사례에서 보이는 교사들의 소극적인 참여와 혁신학교 사례에서 보이

는 교사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의미하는 바를 보다 명확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연구학

교 사례에서 조직이 보여주는 소극적인 참여는 연구학교의 지정 및 운영 과정에서 드러

난 학교의 현실과 연구학교의 운영이라는 당면한 과제 수행간의 괴리현상을 극복하고

핵심 기술인 교수-학습을 보호하기 위한 교사들의 소리 없는 외침이 아닐까? 혁신학교

사례는 자율성과 단위학교의 특수성을 지원하는 제도적 환경(institutional environment)

속에서 역시 교수-학습을 적극적으로 발전시키고 있는 것이고, 학교의 핵심 기술인 교수

-학습 체제를 보호하기 위한 또 다른 모습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학교 변화 전략 중에서 어느 전략이 더

우수한 전략인가를 묻기에 앞서 학교 변화의 핵심적인 요인인 교사들이 무엇을 중심으

로 반응하고, 어떠한 동기에 의해 움직이는가를 우선적으로 확인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

Page 26: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실태에 대한 비교 연구.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 구물도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그동안의 연구들을

100 교육행정학연구

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교육부, 시․도교육청 차원에서는 연구학교의 운영 주제의 선정 단계에서부터 운

영, 지도, 성과 관리의 전 단계에 걸쳐 지정에 앞서 체계적인 준비를 해야 한다. 혁신학

교는 도입 초기부터 혁신의 철학과 비전을 공유하고 인사관리 상의 제도적인 제약을 부

분적으로 해제함으로써 지정에 앞서 체계적인 준비를 하였다. 이는 혁신학교 운영 과정

에서 구성원들의 자발성을 끌어낼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다. 따라서 연구학교가 본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려면 연구학교 정책에서는 먼저 의례적인 정책 과제는 과감히 축

소하고, 학교의 핵심 기술을 강화시킬 수 있는 주제를 선정하며, 공모 이전에 충분히 연

구의 이론적 배경과 유관 기관과의 협력적 관계 구축을 지원하는 계획을 수립하는 노력

이 필요하다. 학년말에 연구주제를 제시하고 1, 2개월 안에 연구계획서를 제출하여 심사

하는 것은 관련 주제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 및 운영 과정의 내면화를 이끌어내기 어렵

다. 주제의 내면화를 위해서는 출발부터 학교에 필요하며 도움이 되는 주제들을 교사들

의 자발적인 동의에 의해 채택하는 것이 필요하다(진동섭 외, 2008). 정책상의 필요에

의해 추진하는 경우에도 정책의 취지와 필요성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원의 공

감대를 얻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신철균, 2011). 따라서 현행 연구학교의 지정 방식

을 대폭 수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구를 위한 이론적 토대의 확보 역시 단위학교의 몫

으로 돌리기보다는 대학이나 연구기관 등과 협력 관계를 맺어 공동 연구를 수행하는 방

향으로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연구의 전문성을 확보하고 실질적인 성과를 도출

해낼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연구․혁신학교의 제도화 과정에서 이루어진 규정과 지침에 따른 형식적 관리에

서 한 단계 나아가 연구․혁신학교를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고, 외부 환경

의 측면에서의 동형화의 압력을 줄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대부분의 연구학교가 비슷

비슷한 보고회, 형식적인 운영, 일부 교사의 참여라는 동일한 현상을 보이는 것은 학교

가 의존하고 있는 상위기관의 지원방식과 무관하지 않다. 연구학교의 변화 전략이 실효

를 거두기 위해서는 형식적인 간섭과 결과 보고는 지양해야 할 것이다. 이는 혁신학교

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체계적인 성과 관리 및 점진적인 확산을 통하여 혁신학교 제도의

내면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새롭게 일어나고 있는 교사들 사이의 변화, 혁신의 학교

문화가 천천히 자생력을 갖고 전파되도록 기다려 줘야 한다. 혁신학교의 접근법은 교수-

학습을 중심으로 한 기술적 환경(technical environment)은 강화하고 상위기관 등의 제

도적 제약(institutional constraints)은 약화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이는 교육기관

과 단위학교 구성원간의 비전 공유와 교사들의 참여를 위한 원동력이 되었다. 비전의

공유는 점진적으로 이루어졌을 때 효과적이며, 조직의 실패를 인정하고 즉시 공유하는

Page 27: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실태에 대한 비교 연구.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 구물도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그동안의 연구들을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실태에 대한 비교 연구 101

시스템을 갖추었을 때 효과적으로 작동한다(Harford, 2009). 일반학교에서 혁신의 필요

성을 공감하고 서서히 점진적인 변화를 이끌어갈 수 있도록 동형화의 압력을 줄이는 방

향으로 추진 방향을 재조정해야 한다.

본 연구는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질적 복수 사례 분석을 통하여 연구학교와 혁신학

교를 비교 ․분석한 것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A 지역 일부 연구학교와 혁신학교를 토대

로 연구가 이루어졌으므로 모든 연구학교와 혁신학교로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한계가 있

다. 단위학교 책임 경영이 확산되면서 교육개혁의 전략으로서 단위학교 차원의 실험들

이 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앞으로 연구․혁신학교를 비롯한 단위학교 차원의 교육개혁

전략들에 관한 보다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Page 28: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실태에 대한 비교 연구.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 구물도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그동안의 연구들을

102 교육행정학연구

참고문헌

경태영(2010). 나는 혁신학교에 간다. 서울: 케이앤제이 맘에드림.

국민권익위원회(2012). 교육분야 연구학교 운영의 투명성 제고 방안. 국민권익위원회 의결

(2012.11.19.).

교육과학기술부(2008). 연구학교에 관한 규칙 일부 개정에 따른 연구학교운영계획. 교육과학기술

부(2008.8.5.).

교육과학기술부(2010). 자율학교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훈령 185호. 교육과학기술부(2010.7.29.).

교육부(2004). 연구학교에 관한 규칙. 교육부.

김성천(2011). 혁신학교란 무엇인가. 서울 : 케이앤제이 맘에드림.

김수경(2011). 혁신학교 운영의 실태와 성과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9(4). 145-168.

김영천(2012). 질적 연구방법론 Ⅰ. 파주: 아카데미익스프레스.

김영화(2012). 학교조직혁신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초등학교 교원의 사회연결망 특성을 중심

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인희(2007). 학교의 형식주의와 학교혁신의 관계에 관한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25(3), 29-56.

김태숙(2007). 초등 연구학교 운영에 대한 교사와 전문직의 인식 조사.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붕서(2012). 한국 혁신학교운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백병부·성열관(2011). 교사의 혁신적 태도 및 신념의 내면화 결정 요인분석: 경기도교육청의 혁

신학교 관련 연수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28(3), 101-125.

백현준(2009). 연구학교 운영 실태분석을 통한 학교 운영의 내실화 방안, 제31회 교육연구논문.

서울: 교육연구정보원.

서울특별시교육청 초등교육정책과(2008-2011). 2008-2011 초등 연구학교 신규지정 계획.

서울특별시교육청 초등교육정책과(2012). 2012 서울특별시 연구학교 공모계획.

서울특별시교육청(2010). 2011 전반기 지정 서울형 혁신학교 핵심요원 연수. 혁신학교 연수자료.

서울특별시교육청(2012). 2012학년을 준비하는 서울형 혁신학교 선도요원 연수자료. 혁신학교 연

수자료.

성열관(2011). 혁신학교 : 경쟁과 차별에서 배움과 돌봄으로. 서울: 살림터.

송순재, 이정민(2011). 혁신학교 운영 과정 질적 연구. 서울특별시교육연구정보원.

신상철(2000). 연구학교 운영에 관한 분석 연구.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임선(2001). 초등학교 연구·시범학교의 운영 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조사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철균(2011). 연구학교 운영 과정 분석: 신제도주의 이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신철균, 장용석(2010). 연구학교 제도의 특성 분석: 연구학교 주제 변화를 중심으로. 교육행정학

연구. 28(2), 281-305.

심경은(2013). 초록초등학교 교사들의 혁신학교 참여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전주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양성관 외(2011). 학교 변화와 혁신: 패턴, 원리, 당면과제. 서울: 학지사.

Page 29: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실태에 대한 비교 연구.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 구물도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그동안의 연구들을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실태에 대한 비교 연구 103

오형문(2009). 연구학교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교육연구논총. 30(2), 1-22.

유기웅(2012). 질적연구 설계. 유기웅외 공저(2012).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161-180). 서울:박영사.

유정(2009). 초등 정책연구학교 사례를 통해 본 연구학교 운영 실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유택열(2002). 연구학교와 운영. 서울: 교육과학사.

이병헌(2006). 연구학교 운영에 대한 담당교사와 일반교사의 인식과 갈등. 신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이부영(2011). 혁신학교 무엇을 ‘혁신’하고 무엇을 ‘경계’해야하나?. 우리교육(봄). 116-127.

이성대(2011). 혁신학교의 성과와 문제, 그리고 향후 과제. 공립형 혁신학교의 현황 진단 및 과

제 심포지움 자료집(17-30).

이종규(2006). 질적 연구방법론. 서울: 교육과학사.

장훈, 김명수(2011). 경기 혁신학교 운영사례 분석: 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

육연구. 11(1), 311-333.

전병관(2012). 서울형 혁신학교 정책의 이해. 2012 서울형 혁신학교 설명회 연수 자료.

정병호 외(2008). 교육개혁은 왜 매번 실패하는가? 서울: 창비.

정종원(2012). 사례연구. 유기웅 외 공저(2012).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93-117. 서울: 박영사.

조상식(2011). 중등 서울형 혁신학교의 과제 및 성공전략에 관한 연구: 5대 영역 15대 전략. 서

울특별시교육청.

진동섭, 김병찬 (2004). 단위학교 자율경영체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진동섭, 홍창남, 김도기(2008). 학교 경영 컨설팅과 수업컨설팅. 경기: 교육과학사.

최병호(2012). 혁신학교 참여 교사들의 교육관 재구성과 연결망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하연섭(2003). 제도 분석: 이론과 쟁점. 서울: 다산출판사.

허봉규(2011). 혁신학교 운영모델탐색: 경기도 혁신학교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허양원, 문윤섭(2010). 지속가능 발전교육 연구학교 적용 과정에서의 참여 교사 경험 이해. 환경

교육. 23(3), 17-34.

홍성자(2011) 연구학교 운영의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Bogdan, R. C. Biklen. S.K.(2007).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ies and methods. Boston: Person Education.

Creswell, J. W.(2007). Qualitative Inquiry &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조흥식·정선욱·김진숙·권지성(역).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서울: 학지사.

DiMaggio, P. & Powell, W.(1983). The iron cage revisited: Institutional isomorphism and

collective rationality in organizational field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8(2): 147-160

Elmore, R.(2007). School reform from the Inside Out. Harvard Education Press.

Evans, R.(2001). The Human Side of School Change. Josseybass.

Fullan, M. & Hargreaves, A. (1996). What’s worth for fighting for in your school. 최의창 (역).

학교를 개선하는 교사. 서울: 무지개사.

Fullan, M.(2007). The new meaning of educational change(4th ed.), Teachers College Press.

Page 30: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실태에 대한 비교 연구.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 구물도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그동안의 연구들을

104 교육행정학연구

Harford, T. (2009). The Logic of Life : The rational economics of an irrational world. 이진원 역

(2010). 경제학 콘서트 2. 서울 : 웅진지식하우스.

Hargreaves, A. & Shirley, D.(2009), The Fourth Way: The Inspiring Future for Educational

Change, CA: Corwin press.

Levin, B.(2001). Reforming Education: From Origins to Outcomes. Routledge Falmer.

Merriam, S. B.(1988).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s in education. San Francisco,

CA: Jossey-Bass.

Senge, P. M.(1990). The fifth discipline: The art & practice of the learning organization. New

York: Currency Doubleday.

Stake, R. E.(1995).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Tyack, D. & Cuban, L.(1995). Tinkering toward utopia: Acentury of public school reform.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경향신문, 2013.3.15., 교육·입시성적이 낮다? 전교조 학교?… 혁신학교 쟁점과 오해들.

동아일보, 2013.1.24. 서울형 혁신학교 만족도, 학년 올라갈수록 하락.

엔디엔뉴스, 2013.2.12, 문용린 교육감 덕분(?)에 혁신학교 몸값 올라 상현초 등 혁신학교 보내려

위장전입에, 전셋값 차이까지 보여.

조선일보, 2013.11.30. 年2억 들인 혁신학교 성적, 주변 학교보다 부진.

한국경제매거진, 2013. 3.11, 혁신학교 주변 전셋값 ‘고공비행’, ‘공립 맘에 안 들어’…新맹모들

‘우르르’.

Page 31: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실태에 대한 비교 연구.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 구물도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그동안의 연구들을

연구학교와 혁신학교의 운영 실태에 대한 비교 연구 105

Abstract

A Comparitive Study on the Operating Status of

Research Schools and Innovation Schools

: Focused on the Cases of Elementary Schools of "A" Region

Kim, Eun-Young(Sangmyung University)

Jang, Deok-Ho(Sangmyung University)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onfirm the current state of the policy of

research schools and innovation schools, which have pursued strategies for change of

their schools, with qualitative case studies for how they have been pursued in the

schools, to compare and analyze the meaning of them and to investigate practical

implications to improve the systems. Two research schools and two innovation

schools in Seoul were selected for purposive sampling and qualitative multiple case

studies with literature analysis,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which

were employed for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research.

The study drew some principal issues from the purity of the motive for public

participation, autonomy in selecting subjects, the features of operating systems and

role allocation, teacher's participatory culture and the supporting methods of the

upper authorities by analyzing the case types in similar and different categories from

the aspects of the selection process, the process of operation and the result of the

system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schools showed that they sometimes used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tection strategies by isomorphism or decoupling

phenomenon and made a crucial difference, lead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improvement strategy by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response to the supporting

methods of the upper authorities. Finally, the study suggested practical policy

implications to improve the system of a research school and an innovation school.

[Key words] research school, innovation school, multiple case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