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3 혈액투석 적절도 충족률 향상 활동 - hira내용...

10
병원명 병원명 병원명 병원명 병원명 병원명 병원명 병원명 병원명 병원명 부서명 부서명 부서명 부서명 부서명 부서명 부서명 부서명 부서명 부서명 [2018년 3월호 뉴스레터 기사3] 혈액투석 적절도 충족률 향상 활동 연세대학교 용인세브란스병원 Ⅰ. 활동의 필요성 Ⅱ. 문제의 개요

Upload: others

Post on 01-Jul-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기사3 혈액투석 적절도 충족률 향상 활동 - HIRA내용 2015.11월12월2016.1월2월3월4월5월6월 개선계획 및 활동방향 설정→ 문제분석 → 사전조사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병원명병원명병원명병원명병원명병원명병원명병원명병원명병원명

부서명부서명부서명부서명부서명부서명부서명부서명부서명부서명

[2018년 3월호 뉴스레터 기사3]

혈액투석 적절도 충족률 향상 활동

연세대학교 용인세브란스병원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매년 질 향상(QI) 활동 우수사례 발표회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연세대학교 용인세브란스병원은 혈액투석 적절도 충족률 향상 활동으로 2017년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QI우수사례 공모전에서 우수사례로 선정되어 구연 발표하였

습니다. 이를 소개합니다.

Ⅰ. 활동의 필요성

2009년부터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혈액투석 환자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하여 정기적인 혈액투석

적정성 평가를 통하여 혈액투석의 질적 수준을 지속적으로 평가함으로써 의료기관의 자발

적인 질 향상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투석의 궁극적인 목표는 환자가 말기신부전이 없었을 때와

같이 오랜 기간 동안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투석을 조절하는 것이며 이에 대한 성과

지표로 혈액투석 적절도 충족률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원에서도 혈액투석 환자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하여 적절도 충족률을 얼마나 달성하는지에 대한 평가 및 개선 활동의 필요성이 대두

되었습니다.

Ⅱ. 문제의 개요

본원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실시한 2012년 혈액투석 적절도 충족률은 91.7%이었으나

2013년도에는 81.8%로 하락되었으며 이는 2013년 동일종별 기관보다 10.0%정도 낮은

결과 값이었습니다. 또한 2015년, 2016년 기관우선순위 임상질지표 주제로 선정되어 지속적인

질 개선을 위해 본 주제를 선정하게 되었습니다.

Page 2: 기사3 혈액투석 적절도 충족률 향상 활동 - HIRA내용 2015.11월12월2016.1월2월3월4월5월6월 개선계획 및 활동방향 설정→ 문제분석 → 사전조사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1.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혈액투석 적절도 충족률

년도 지표평균

귀원 백분위 순위전체 동일종별 동일지역

2012년 혈액투석 적절도 충족률 89.4 90.5 88.2 91.7 54.5

2013년 혈액투석 적절도 충족률 91.1 91.8 91.1 81.8 82.6

2. 용인세브란스 기관우선순위 임상질 지표 선정

Ⅲ. 팀구성

1. 팀장: 이OO 신장내과 교수

2. QI 리더: 김OO 간호과장

3. QI옵저버: 손OO 적정진료관리실 간호사

4. 팀원: 인공신장실 간호사

Ⅳ. 핵심지표

1. 핵심지표 선정

가. 지표: 혈액투석 적절도 충족률

나. 자료수집 방법: 의무기록, 전산자료

다. 자료수집 빈도: 분기별(3개월)

라. 자료수집 대상: 환자별 혈액투석 적절도 혈액검사 결과 (spKt/V 또는 URR<65%)

마. 자료수집 분석(산출식)

1) 지표 – 혈액투석 적절도를 충족한 환자수 / 본원 신장실 내원 환자 중 혈액투석

적절도를 실시한 환자수*100

※ 혈액투석 적절도 미충족: spKt/V <1.2 또는 URR<65%

Page 3: 기사3 혈액투석 적절도 충족률 향상 활동 - HIRA내용 2015.11월12월2016.1월2월3월4월5월6월 개선계획 및 활동방향 설정→ 문제분석 → 사전조사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 목표선정 기준

가. 2013년 동일지역 혈액투석 적절도 충족률이 91.1%, 본원 목표를 92.0%로 선정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

Ⅴ. 진행일정

내용 2015.11월 12월 2016.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개선계획 및 활동방향 설정 →

문제분석 →

사전조사 및 결과 분석 →

개선활동 및 중간보고 → →

중간보고 →

활동효과분석 → → →

보고 →

Ⅵ. 자료수집

1. 혈액투석 적절도

가. 자료수집 방법: 의무기록, 전산자료

나. 자료수집 대상: 2015년 9월 환자별 혈액투석 적절도 혈액검사 결과

(spKt/V 또는 URR<65%)

다. 데이터 분석자료

라. 데이터 분석결과: 혈액투석 적절도 충족률 85.0%로 동일종별보다 낮은 결과값을 보임

Page 4: 기사3 혈액투석 적절도 충족률 향상 활동 - HIRA내용 2015.11월12월2016.1월2월3월4월5월6월 개선계획 및 활동방향 설정→ 문제분석 → 사전조사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Ⅶ. 분석 및 해석

1. 원인분석-Fishbone diagram

2. Four-block Matrix

3. 분석 및 해석

가. 혈액투석 적절도가 낮은 환자는 투석치료에 대한 인지가 부족하여 투석시간 및

횟수에 대한 이행도가 낮은 것이 주요 원인으로 나타남

나. 적정성평가에 대한 관심부족으로 교육 및 홍보 등이 필요

다. 지표관리를 위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개선활동 필요

Page 5: 기사3 혈액투석 적절도 충족률 향상 활동 - HIRA내용 2015.11월12월2016.1월2월3월4월5월6월 개선계획 및 활동방향 설정→ 문제분석 → 사전조사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Ⅷ. 개선활동

1. 혈액투석 적절도 낮은 대상 환자 관리

가. Dialyzer 교체 (Low- Flux 에서 High-Flux 로 교환하거나 Surface가 넓고 Urea

Clearance가 높은 것으로 교환함)

나. 투석시간과 횟수 조절

다. Blood flow를 빠르게 조절

라. 매월 URR검사를 시행하여 평가하고 계획

마. 환자에게 혈액투석 적절도에 대한 평가와 관리의 필요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협조요청

바. 혈액투석 적절도 낮은 대상 환자에게 1:1 맞춤 개선관리

2. 지표관리담당자 선정 & 직무

가. 투석 적절도 체크리스트 관리

나. 분기별 자료수집 후 환자별 혈액투석 적절도 혈액검사 결과 확인

다. 분기별 자료결과 분석 후 보고(부서장, QI실)

라. 지표관리 담당자 직무기술서 작성

Page 6: 기사3 혈액투석 적절도 충족률 향상 활동 - HIRA내용 2015.11월12월2016.1월2월3월4월5월6월 개선계획 및 활동방향 설정→ 문제분석 → 사전조사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3. 전산(통계)

적정진료관리실에 의뢰하여 원내 통계분석프로그램(CDRS)로 투석 전・후 BUN결과 확인

4. 교육

가. 평가지표에 대한 교육

나. 투석적절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교육(요소청소율, 치료시간 단축, 혈액 채취 오류 등)

다. 타 병원 벤치마킹

Page 7: 기사3 혈액투석 적절도 충족률 향상 활동 - HIRA내용 2015.11월12월2016.1월2월3월4월5월6월 개선계획 및 활동방향 설정→ 문제분석 → 사전조사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5. 홍보

가. 지표결과 값 부서 내 게시

나. 분기별로 환자에게 [혈액투석 적절도 충족률 향상]상 수여

6. 모니터링 및 피드백

가. 정기적인 투석기기 점검

나. 분기별 모니터링하여 부서별 피드백 및 적정진료관리실에 결과 값 보고

Page 8: 기사3 혈액투석 적절도 충족률 향상 활동 - HIRA내용 2015.11월12월2016.1월2월3월4월5월6월 개선계획 및 활동방향 설정→ 문제분석 → 사전조사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다. 원내 임상질지표 공유게시판에 결과 공지

○ 원내 공유게시판

○ 원내 공유 게시판 결과값 공지

Page 9: 기사3 혈액투석 적절도 충족률 향상 활동 - HIRA내용 2015.11월12월2016.1월2월3월4월5월6월 개선계획 및 활동방향 설정→ 문제분석 → 사전조사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개선활동 전

(2015년 3분기)

개선활동 후

(2015년 4분기~2016년 2분기)증감(%)

목표

달성율(%)

85% 94% 9.0% 102.2%

Ⅸ. 개선활동의 효과

1. 혈액투석 적절도 충족률은 개선활동 전 85%에서 개선 활동 후 94.0%로 목표 달성함

○혈액투석 적절도 충족률(%) Run chart

Ⅹ. 유지관리

1. QI개선활동 이후 측정한 2016년 3분기 혈액투석적절도 충족률이 89.7%로 측정되어

원인분석 후 개선활동 함

- 투석이행도가 낮은 환자에 대해 1:1 교육 및 보호자에게 교육 실시

- [혈액투석적절도 충족률에 대한 삶의 질 향상]에 관한 팜플렛 제작하여 제공

- 지속적인 지표관리 강조 ○ 팜플렛

Page 10: 기사3 혈액투석 적절도 충족률 향상 활동 - HIRA내용 2015.11월12월2016.1월2월3월4월5월6월 개선계획 및 활동방향 설정→ 문제분석 → 사전조사

INSIDabcdef_:MS_0001MS_0001

INSIDabcdef_:MS_0001MS_0001

2. 2017년에도 기관 임상질지표 주제로 선정되어 지속적인 지표관리를 시행하고 있음

3. 2017년 상반기 혈액투석적절도 충족률(%)은 94.6%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음

○ 혈액투석 적절도 충족률(%) Run chart

4. 2017년에는 혈액투석 적절도 충족률뿐만 아니라 칼슘X인 충족률도 추가하여 개선

활동을 하고 있음

Ⅺ. 결론 및 제언

1. 결론

가. 혈액투석 적절도 충족률은 개선 전 85.0%에서 개선 후 94.0%로 9.0%개선되어 개선

목표(92.0%)에 도달함

나. 혈액투석 적정성 평가에 대한 지표관리 및 개선활동을 통해 의료진의 관심과 필요성을

인식하는 계기가 됨

다. 궁극적으로 혈액투석적절도 충족률이 향상됨으로써 혈액투석 환자의 삶의 질과

의료의 질에 이바지하였다고 생각됨

2. 제언

가. 향후 지속적인 지표개선을 위해서는 의료진의 관심과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혈액투석 적절도 충족률뿐만 아니라 혈액투석적정성 평가영역에 대한 경영진의

관심과 투자가 필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