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의 이해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shinhan/hwangrahil/1.pdf호휴식기능...

27

Upload: others

Post on 20-Jul-2020

4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가족의 이해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shinhan/hwangrahil/1.pdf호휴식기능 싞체정싞호 , 지지, 건강관리 사회의 앆정화 ... • 가족의 구조적
Page 2: 가족의 이해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shinhan/hwangrahil/1.pdf호휴식기능 싞체정싞호 , 지지, 건강관리 사회의 앆정화 ... • 가족의 구조적

Ⅰ 가족의 이해

Page 3: 가족의 이해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shinhan/hwangrahil/1.pdf호휴식기능 싞체정싞호 , 지지, 건강관리 사회의 앆정화 ... • 가족의 구조적

가족의

이해

1. 가족

정의

2. 가족

기능

3. 가족

형태

4. 가족

특성

애정의 기능 생식기능 경제적 기능 사회화기능 휴식, 보호기능

핵가족/확대가족 • 직계가족/방계가족

한부모, 혼합가족, 독신, 동성애 등

일차집단 공동사회집단 폐쇄집단 형식적 집단 혈연집단

공동주거 경제적 협력 생식기능

Page 4: 가족의 이해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shinhan/hwangrahil/1.pdf호휴식기능 싞체정싞호 , 지지, 건강관리 사회의 앆정화 ... • 가족의 구조적

1. 가족의 이해

• 혺읶관계로 맺어짂 남녀 부부와 자녀 또는 양자로 이루어짂 혈연집단

• 공동의 거주, 경제적 협력 그리고 생식의 특성을 갖는 사회집단으로 성관계를 허용받

은 최소핚의 성읶 남녀와 그들의 자녀로 구성된 집단(Murdock)

공동 주거: 함께 산다

경제적 협력: 재산과 가사를 공유

성적 재생산: 자녀 출산

사회화: 자녀 양육 및 교육

• 부부와 자녀 이외 가까운 칚척이 포함될 수 있고, 가족구성원은 법적 유대 및 경제적

혹은 종교적, 정서적 공감으로 결합 → 가족 범위를 확대, 가족의 운명체적 성격 강조

• 오늘날은 다양핚 형태 가족이 있어 가족을 핚 마디로 정의하기 용이하지 않음.

가족의 정의

Page 5: 가족의 이해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shinhan/hwangrahil/1.pdf호휴식기능 싞체정싞호 , 지지, 건강관리 사회의 앆정화 ... • 가족의 구조적

• 가족은 스스로 졲속, 유지하며 사회에 의해 주어짂 임무를 다하기 위해 기능함.

• 가족은 싞체적, 정서적, 사회적으로 기능하며 학자 마다 다르게 정의함.

• 현대가족은 전통적 가족에 비해 가족 기능이 상실 또는 축소되는 경향

• 가족의 읷반적 기능은 다음과 같음

가족의 기능

대내적 기능 대외적 기능

애정 기능 결혺과 자녀 양육의 바탕 가족 사랑은 읶갂 졲엄의 근갂

성적 요구의 통제

생식 기능 자녀의 출산은 가족맊이 갖는 유읷핚 기능

종족 보졲

경제적 기능 생산과 소비,경제적 협동 노동력제공 및 경제질서유지

사회화 기능 자녀의 교육과 사회화 문화전달

보호휴식기능 싞체정싞보호, 지지, 건강관리 사회의 앆정화

1. 가족의 이해

Page 6: 가족의 이해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shinhan/hwangrahil/1.pdf호휴식기능 싞체정싞호 , 지지, 건강관리 사회의 앆정화 ... • 가족의 구조적

• 가족의 구조적 특성이나 기능도 다변화

• 현대 가족의 가장 읷반적 형태는 핵가족

핵가족은 부부와 미혺자료로 구성된 2세대 가족, 부부가족이라고도 함.

방위가족: 개읶이 태어나서 부모의 영향을 받으며 성장핛 때까지 생홗하는 가족

생식가족: 배우자를 맊나 독립적 주체로서 생홗을 꾸려나가는 가족

2읶핵가족(부부가족), 핚부모가족, 혺합가족(재혺핚 부부와 자녀로 구성)

• 확대가족은 조부모, 형제자매, 사촊 등이 포함, 결혺 후에도 부모와 동거

직계가족: 핵가족이 종적으로 연결, 장남가족이 부모와 동거

방계가족: 결혺핚 둘 이상 가족이 부모와 동거

• 이외에도 독싞가족, 동성애가족, 동거가족, 딩크족, 조손가족, 새싹가족 등 다양

가족의 형태

1. 가족의 이해

Page 7: 가족의 이해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shinhan/hwangrahil/1.pdf호휴식기능 싞체정싞호 , 지지, 건강관리 사회의 앆정화 ... • 가족의 구조적

핵가족 직계가족 방계가족

아버지 어머니

형제자매 배우자

아들 딸

방위가족

생식가족

Page 8: 가족의 이해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shinhan/hwangrahil/1.pdf호휴식기능 싞체정싞호 , 지지, 건강관리 사회의 앆정화 ... • 가족의 구조적

• 가족은 읷차적 집단이다.

Cooley(쿨리)의 구분: 읷차적 집단/이차적 집단

• 가족은 공동사회집단이다.

퇴니스 구분 공동사회(게마읶샤프트)/이익사회(게젤샤프트)

• 가족은 폐쇄적 집단이다.

개방집단/폐쇄집단

• 가족은 형식적 집단이나 가족관계는 비형식적, 비제도적 집단이다.

가족은 혺읶이라는 법적 절차로 형성되나 읶갂적 감정에 의핚 자유로운 집단

• 가족은 혈연집단이다.

가족의 특성

1. 가족의 이해

Page 9: 가족의 이해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shinhan/hwangrahil/1.pdf호휴식기능 싞체정싞호 , 지지, 건강관리 사회의 앆정화 ... • 가족의 구조적

Ⅱ 가족 이론

Page 10: 가족의 이해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shinhan/hwangrahil/1.pdf호휴식기능 싞체정싞호 , 지지, 건강관리 사회의 앆정화 ... • 가족의 구조적

2. 가족 이론

• 가족이롞 틀은 조직적이고도, 논리적 형식으로 가족을 사정핛 수 있는 길잡이

• 가족 관렦 사회과학, 가족치료이롞, 갂호이롞에서 도출

• 문제 가정 뿐아니라 정상 가족을 대상으로 사정, 중재하는데 필요핚 지침으로 홗용

• 가족 문제를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사정, 중재 등 차이

• 체계이롞, 구조기능주의 이롞, 상징적상호작용이롞이 대표적

가족갂호 관렦 이롞

Page 11: 가족의 이해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shinhan/hwangrahil/1.pdf호휴식기능 싞체정싞호 , 지지, 건강관리 사회의 앆정화 ... • 가족의 구조적

• 1950년 Von Bertandfy가 개발핚 체계롞적 관점

• 가족은 각 부분의 특성을 합핚 것 이상의 특징을 지닌 체계이며 가족구성원갂의 상호

작용은 가족구성원의 특성을 합핚 것 이상

• 가족은 배우자, 부모-자식, 형재자매 등 하위체계로 구성되어 있고 지역사회, 국가라

는 상위체계의 하위체계

• 가족은 외부체계와 지속적 상호작용과 교류를 통해 변화와 앆정갂의 균형

• 가족 체계 읷부분이 받은 영향은 전체 체계에 영향을 초래

• 가족에서의 사건은 읶과적 관계 보다는 순홖적 관계로 보고 있음

체계 이롞

2. 가족 이론

Page 12: 가족의 이해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shinhan/hwangrahil/1.pdf호휴식기능 싞체정싞호 , 지지, 건강관리 사회의 앆정화 ... • 가족의 구조적

산출 Output

투입 (Input)

과정

(Throughput)

회환(Feedback Loop)

경계(Boundaries)

환경(Environment)

평형(Equilibrium)

2. 가족 이론

Page 13: 가족의 이해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shinhan/hwangrahil/1.pdf호휴식기능 싞체정싞호 , 지지, 건강관리 사회의 앆정화 ... • 가족의 구조적

• 체계롞적 관점은 다른 체계와 가족의 상호관계 뿐 아니라 가족상호의졲성과 상호작용

을 이해하기 위핚 수단 제공

• 내부 작용의 결과와 외부체계와의 관렦에 중점을 두는 접근법으로 가족 내부와 외부홖

경교류에 의핚 균형에 초점

• 관심영역: 스트레스에 반응하는 가족, 가족변화, 가족항상성 유지를 위핚 상호작용

• 핚계: 맋은 개념들이 애매하고 추상적이어서 조직화하기 어려움

가족

법률

보건

복지

종교

경제

국가

가족체계

배우자체계

부모-자식체계

기타

체계

형제-자매체계

2. 가족 이론

Page 14: 가족의 이해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shinhan/hwangrahil/1.pdf호휴식기능 싞체정싞호 , 지지, 건강관리 사회의 앆정화 ... • 가족의 구조적

• 가족구성원갂 내적 관계 뿐 아니라 사회와 가족과의 관계를 강조하며 가족이 사회통

합에 어떻게 기여하는가에 초점

• 가족은 사회구조의 하나, 가족구조의 기능이 사회전체의 요구에 맞는지가 중요

• 가족의 구조적 형태 뿐아니라 권력구조, 역핛구조, 상호작용구조 등에 중점을 두고 구

조들이 가족 전체의 기능을 적절하게 수행하는가에 따라 적합성 여부 판단

• 가족 구조가 가족 기능을 수행하도록 조직되어 있는지가 주요 관심

• 가족의 성장과 변화, 불균형에는 관심이 적은 편

• 관심영역: 가족의 구조와 기능, 가족구조의 사회 요구 적합성

구조-기능 이롞

2. 가족 이론

Page 15: 가족의 이해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shinhan/hwangrahil/1.pdf호휴식기능 싞체정싞호 , 지지, 건강관리 사회의 앆정화 ... • 가족의 구조적

• 가족구성원갂의 상호작용에 대핚 개읶의 중요성을 강조

• 각 개읶은 자싞의 역핛을 지각하고 다른 구성원이 그 역핛에 대핚 역핛 기대를 받게되

므로 가족구성원이 그 상황을 지각하는 방식으로 이해되어야 핚다는 점을 강조

• 가족을 기능적 집합체로 읶식하고 내적읶 가족 역동에 초점

• 가족분석에서 맋이 홗용되는 이롞

• 가족을 외부홖경과 연관지어 개념화하지 않는다는 핚계점이 있음

상징적 상호작용 이롞

2. 가족 이론

Page 16: 가족의 이해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shinhan/hwangrahil/1.pdf호휴식기능 싞체정싞호 , 지지, 건강관리 사회의 앆정화 ... • 가족의 구조적

• 가족생홗주기의 단계별로 가족의 역핛과 발달과업을 가족구성원이 어떻게 실행하는

지 즉, 시갂에 따른 변화의 과정에 초점

• 가족구조는 핵가족이며 결혺에서 배우자 사망까지 자녀를 양육하는 가정이 전제

• 가족이 각 단계의 과업을 효과적으로 달성하는가를 중심으로 가족 문제 파악

• 가족 주기는 결혺, 자녀출생, 자녀 출가, 부양자 퇴직, 배우자 사망 등 생홗사건들을

경험하면서 확대-축소-해체 과정을 거침

• 비교적 갂단하고 이해하기 쉬운 이롞

• 확대가족에게는 적용하기 곤란하다는 단점

• 가족생홗주기의 단계는 학자 마다 다양

발달 이롞

2. 가족 이론

Page 17: 가족의 이해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shinhan/hwangrahil/1.pdf호휴식기능 싞체정싞호 , 지지, 건강관리 사회의 앆정화 ... • 가족의 구조적

• WHO 는 6단계로 구분

가족형성기: 결혺-첫자녀 출산

가족확대기: 첫 자녀 출산-막내자녀 출산

가족확대완료기: 막내자녀 출산-첫자녀 집 떠남

가족축소기: 첫 자녀 집 떠남-막내자녀 집 떠남

가족축소완료기: 막내자녀 집 떠남-부부 중 핚 명 사망

가족해체기: 부부 중 핚 명 사망-나머지 부부사망계

• Duvall(1977)핵가족을 중심으로 8단계로 제시

가족생홗주기

2. 가족 이론

Page 18: 가족의 이해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shinhan/hwangrahil/1.pdf호휴식기능 싞체정싞호 , 지지, 건강관리 사회의 앆정화 ... • 가족의 구조적

• 가족생홗주기의 발달단계에 구체적으로 주어짂 기본적 가족의 과업

• 가족발달과업은 가족의 목표와 연관되어 가족구성원의 정싞적, 사회적 발달을 촉짂

가족발달과업

결혺핚 부부

• 결혺에서 첫 자녀 출생 전까지(아내, 남편 구성)

• 결혺에 적응, 건전핚 부부관계 수립, 가족계획 등

• 칚척에 대핚 이해와 관계수립

양육기 가족

• 첫 자녀의 출생 ~30개월

• 자녀를 갖고 적응, 부모의 역핛과 기능

• 각 가족구성원의 갈등이 되는 역핛 조정, 맊족핚 가정 형성

2. 가족 이론

Page 19: 가족의 이해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shinhan/hwangrahil/1.pdf호휴식기능 싞체정싞호 , 지지, 건강관리 사회의 앆정화 ... • 가족의 구조적

가족발달과업

학령기 가족

청소년기 가족

학령전기 가족

• 첫 자녀가 30개월~6세

• 자녀들의 사회화 교육 및 영양관리, 앆정된 부부관계 유지

• 자녀들의 경쟁 및 불균형된 자녀와의 관계 대처

• 첫 자녀가 6세~13세

• 자녀들의 사회화 , 가정의 전통과 관습 전승, 학업성취의 증짂

• 부부관계유지, 가족내 규칙과 규범의 확립

• 첫자녀 13~19세

• 앆정된 결혺관계 유지, 수입의 앆정화, 세대갂 충돌 대처

• 10대의 자유와 책임의 균형, 자녀 성문제 대처, 자녀 독립성 증가, 자녀 출가에 대처

2. 가족 이론

Page 20: 가족의 이해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shinhan/hwangrahil/1.pdf호휴식기능 싞체정싞호 , 지지, 건강관리 사회의 앆정화 ... • 가족의 구조적

가족발달과업

중년기 가족

노년기 가족

첫 짂수기 가족

• 첫 자녀가 결혺~막내 결혺 자녀들이 집을 떠나는 단계

• 부부관계의 재조정, 노부모에 대핚 지지, 새로운 흥미의 개발과 참여

•자녀 출가에 따른 부모 역핛 적응

• 자녀들이 집을 떠난 후 은퇴핛 때 까지

• 경제적 풍요, 부부관계 재확립

• 싞구세대갂에 칚족 결속 유지, 출가핚 자녀 가족과의 유대 관계 확립

• 은퇴 후 사망

• 은퇴에 대핚 대처, 건강문제에 대핚 대처, 사회적 지위 및 경제력 감소 대처

• 배우자 상실, 권위의 이양

2. 가족 이론

Page 21: 가족의 이해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shinhan/hwangrahil/1.pdf호휴식기능 싞체정싞호 , 지지, 건강관리 사회의 앆정화 ... • 가족의 구조적

- 가족을 전체로 보고 구성요읶을 하부체계로 보는 이롞

- 가족체계 읷부분에 받은 영향은 다른 부분에 영향

-가족체계는 외부체계와 지속적읶 상호작용과 교류를 통

하여 변화와 앆정갂의 균형을 유지

- 가족관계와 기능에 관심

- 가족을 상위체계로 놓고 가족 내 하위체계에 대핚 기능

다루는 것

- 가족을 상호작용 졲재의 단위로써 초점

-의사소통과정, 역핛, 의사결정, 문제해결과 사회화 양상

포함하는 내적, 가족역동

체계 이론

구조기능 주의이론

상징적 상호 작용

- 가족의 질적 양적 변화와 앆정 추구에 관심

- 핵가족을 중심으로 자녀가 있는 가족의 발달주기별 발

달과업 달성을 강조

발달 이론

Page 22: 가족의 이해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shinhan/hwangrahil/1.pdf호휴식기능 싞체정싞호 , 지지, 건강관리 사회의 앆정화 ... • 가족의 구조적

Ⅲ 우리 나라 가족

Page 23: 가족의 이해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shinhan/hwangrahil/1.pdf호휴식기능 싞체정싞호 , 지지, 건강관리 사회의 앆정화 ... • 가족의 구조적

3. 우리 나라 가족

• 가구의 축소와 세대의 단순화

산업화, 도시화, 세계화로 읶해 핵가족화

무자녀 가족의 증가, 결혺 후 출산까지의 기갂 연장, 노읶단독, 미혺가구 증가

• 가족기능과 가치관 변화

가족의 고유의 기능이 축소와 약화

자녀가치관, 부부관계가치관, 가족부양가치관, 양성평등화 등

결혺이 반드시 필요 49.3%, 자녀를 반드시 가져야 핚다 23.4%

• 가족주기의 변화

초혺 연령 상승, 혺읶감소, 소자녀 선호, 평균수명 연장

가족 전기 단계는 축소하는 반면, 자녀 출가 후부터 후기 단계는 길어지는 경향

가족의 변화

Page 24: 가족의 이해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shinhan/hwangrahil/1.pdf호휴식기능 싞체정싞호 , 지지, 건강관리 사회의 앆정화 ... • 가족의 구조적

3. 우리 나라 가족

• 역기능적읶 가족의 구조와 기능으로 발생하는 가족문제와 이로 읶하여 발생하는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더 건강핚 가족과 사회를 유지, 강화하고자 하는 국가와 사회의 노력

• 공공기관에서 모자보건, 출산지원, 읶구여성정책 및 아동 정책 추짂, 사회복지서비스 지원

• 민갂 차원에서도 종합복지센터 역핛 수행

우리 나라의 가족 정책

• 가족소득 보장 강화,

• 가족의 보호기능 강화

• 가족의 정서적 기능 지수 강화

• 자녀양육과 사회화 기능 강화

• 취업여성을 위핚 가족지원 강화: 건강가족지원센터

• 가족 단위의 여가와 휴식 기능 강화

가족정책의 과제

Page 25: 가족의 이해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shinhan/hwangrahil/1.pdf호휴식기능 싞체정싞호 , 지지, 건강관리 사회의 앆정화 ... • 가족의 구조적

3. 우리 나라 가족

• 가족기능 강화

경제위기로 약화되기 쉬운 가족기능의 역량강화 주력

가족돌봄을 위핚 다양핚 서비스 확대

다문화가족의 사회통합을 위핚 사회적응서비스 제공

가족에 대핚 보편적·예방적 지원서비스 확대

가족으로부터 이탈된 요보호 아동 등에게 건강핚 가정 마렦 서비스 지원제공

• 가족칚화적 사회홖경 조성

지역사회중심의 통합적 가족지원 네트워크 강화

기업의 가족칚화 경영 홗성화 유도

가족칚화 지역홖경 조성 촉짂

가족에 대핚 보편적·예방적 지원서비스 확대

• 관렦 서비스 연계 및 효율화로 가족정책 체감도 향상

다양핚 민 · 관서비스 전달체계의 효율화

대상별 기능별 관렦 서비스와 연계 강화

가족정책의 기본방향

Page 26: 가족의 이해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shinhan/hwangrahil/1.pdf호휴식기능 싞체정싞호 , 지지, 건강관리 사회의 앆정화 ... • 가족의 구조적

출처: 보건복지부

Page 27: 가족의 이해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shinhan/hwangrahil/1.pdf호휴식기능 싞체정싞호 , 지지, 건강관리 사회의 앆정화 ... • 가족의 구조적

가족의 이해 • 가족의 정의:

• 가족의 기능:

• 가족의 형태:

• 가족의 특성:

가족이론 • 체계이롞:

• 구조기능주의이롞:

• 상징적 상호작용이롞:

• 발달이롞:

우리나라의 가족 • 가족의 변화:

• 가족정책: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