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 주요 산유국의 석유 가스 개발 전략 · 2020-02-27 · 자료: eia (2016b) <...

13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34호 2016.9.23 3 중동 주요 산유국의 석유 가스 개발 전략 지역협력연구실 신상윤 부연구위원 ([email protected]) 중동 산유국들은 산업다각화 등을 통해 경제를 고도화하면서도, 동시에 석유가스 수익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음. 이란은 새로운 석유가스 개발 계약 방식인 IPC를 적용하여 해외 투자를 유치하고 있으며, 2021년까지 석유가스 탐사, 개발 및 생산에 약 1,000억 달러를 투자하여 생산과 수출을 확대할 계획 사우디아라비아는 최근 비전 2030을 통해 비석유가스 부문 개발 및 비중 확대를 천명하였지만, 석유가스 부문에 대해서도 2019년까지 약 1,500억 달러의 투자 계획을 수립 이라크는 2020년까지 100만b/d이상의 원유 증산을 추진하고 있으나, IS와의 내전과 쿠르드 자치정부와의 갈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음. UAE는 2018년까지 50만b/d 이상, 쿠웨이트는 2020년까지 100만 b/d 이상의 원유 증산을 추진 중 중동 주요 산유국들의 이 같은 목표치와 달리 외부 기관들은 보수적인 전망치를 제시하고 있으나, 각국이 이의 달성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경우 향후 중동 지역의 석유가스 부문에서 관련 사업 참여 기회가 확대될 것임. 1. 개요 ¡ 중동 주요 산유국인 사우디아라비아 , 이라크 , UAE, 쿠웨이트는 20162분기 역대 최고치의 원유를 생산하였음 . 이란 역시 제재 이전 수준으로 생산규모를 대부분 회복하였으며 , OPEC내 최대 산유국인 이들 5개국은 경쟁적으로 생산을 확대하고 있음 . 이는 2014년 하반기부터 저유가 기조가 확산되면서 OPEC이 물량 조절을 통한 가격 결정자 역할을 포기하고 회원국별로 각자 증산을 통한 수익 확대를 추진한 결과로 분석되고 있음 . 이들 국가들은 단기 유가 하락을 감수하더라도 , 낮은 생산 비용을 활용하여 증 산함으로써 시장점유율을 확보하고자 노력 중에 있음 . 타 산유국들의 원유생산 비용은 배럴당 20~40달러이나 , 중동 산유국들은 10러 내외로 세계 최저 수준임 . 이 같은 단기 증산뿐만 아니라 , 중장기적 석유 가스 생산용량 확대를 위해 막대 한 투자 계획을 수립하고 있음 . ¡ 이들 국가들은 석유 가스 생산 확대를 통해 기대 수익 극대화를 추진함과 동시 , 경제 구조 다각화와 석유 가스 부문의 전체 경제의존도 축소를 위해 노력하 “중동 산유국들은 산업다각화 등을 통해 경제를 고도화하면서, 동시에 석유・가스 수익 극대화 전략을 추진 중”

Upload: others

Post on 14-Mar-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중동 주요 산유국의 석유 가스 개발 전략 · 2020-02-27 · 자료: EIA (2016b) < 이란 원유 생산 실적 및 전망(2011~2017년) > (단위 : 백만 b/d) ‒그러나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34호 2016.9.23 3

중동 주요 산유국의 석유・가스 개발 전략

지역협력연구실 신상윤 부연구위원([email protected])

▶ 중동 산유국들은 산업다각화 등을 통해 경제를 고도화하면서도, 동시에 석유・가스 수익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음.

▶ 이란은 새로운 석유・가스 개발 계약 방식인 IPC를 적용하여 해외 투자를 유치하고 있으며,

2021년까지 석유・가스 탐사, 개발 및 생산에 약 1,000억 달러를 투자하여 생산과 수출을 확대할 계획

▶ 사우디아라비아는 최근 ‘비전 2030’을 통해 비석유・가스 부문 개발 및 비중 확대를 천명하였지만,

석유가스 부문에 대해서도 2019년까지 약 1,500억 달러의 투자 계획을 수립

▶ 이라크는 2020년까지 100만b/d이상의 원유 증산을 추진하고 있으나, IS와의 내전과 쿠르드

자치정부와의 갈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음.

▶ UAE는 2018년까지 50만b/d 이상, 쿠웨이트는 2020년까지 100만 b/d 이상의 원유 증산을 추진 중

▶ 중동 주요 산유국들의 이 같은 목표치와 달리 외부 기관들은 보수적인 전망치를 제시하고 있으나,

각국이 이의 달성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경우 향후 중동 지역의 석유・가스 부문에서 관련 사업 참여

기회가 확대될 것임.

1. 개요

¡ 중동 주요 산유국인 사우디아라비아, 이라크, UAE, 쿠웨이트는 2016년 2분기

역대 최고치의 원유를 생산하였음.

‒ 이란 역시 제재 이전 수준으로 생산규모를 대부분 회복하였으며, OPEC내 최대

산유국인 이들 5개국은 경쟁적으로 생산을 확대하고 있음.

‒ 이는 2014년 하반기부터 저유가 기조가 확산되면서 OPEC이 물량 조절을 통한

가격 결정자 역할을 포기하고 회원국별로 각자 증산을 통한 수익 확대를 추진한

결과로 분석되고 있음.

‒ 이들 국가들은 단기 유가 하락을 감수하더라도, 낮은 생산 비용을 활용하여 증

산함으로써 시장점유율을 확보하고자 노력 중에 있음.

‒ 타 산유국들의 원유생산 비용은 배럴당 20~40달러이나, 중동 산유국들은 10달러 내외로 세계 최저 수준임.

‒ 이 같은 단기 증산뿐만 아니라, 중장기적 석유・가스 생산용량 확대를 위해 막대

한 투자 계획을 수립하고 있음.

¡ 이들 국가들은 석유・가스 생산 확대를 통해 기대 수익 극대화를 추진함과 동시

에, 경제 구조 다각화와 석유・가스 부문의 전체 경제의존도 축소를 위해 노력하

“중동 산유국들은 산업다각화 등을 통해 경제를 고도화하면서, 동시에 석유・가스 수익 극대화 전략을 추진 중”

Page 2: 중동 주요 산유국의 석유 가스 개발 전략 · 2020-02-27 · 자료: EIA (2016b) < 이란 원유 생산 실적 및 전망(2011~2017년) > (단위 : 백만 b/d) ‒그러나

4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34호 2016.9.23

고 있음.

‒ 지나치게 높은 석유・가스 의존을 탈피하여 자국 경제를 유가 변동과 같은 외부

충격에 흔들리지 않을 만큼 안정화 및 고도화시키기 위한 의지가 반영된 것임.

‒ 산업다각화와 경제고도화를 위한 국가 전략으로서, 사우디아라비아의 비전

2030, 이란의 6차 5개년 경제사회개발계획, UAE의 비전 2021 등이 포함됨.1)

2. 이란의 경제 및 석유・가스 개발 전략

¡ 이란은 석유의존적 경제구조에서 탈피하고 전반적인 산업을 고도화하고자, 1989년부터 5년마다 개발계획 (Five-Year Development Plan)을 수립하여 추진하여

왔음.2)

‒ 현재 이란은 6차 5개년 계획을 추진 중이며, 해외 기업과의 협력에 적극적이지

않았던 이란의 경제정책과 핵개발 의혹에 따른 경제 제재로 인해 그동안의 성과

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였음.

‒ 제 6차 5개년 개발계획은 3대 가치(저항 경제, 과학기술 개발, 우수한 문화) 구현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의회에서의 최종 승인을 기다리고 있음.

※ 저항 경제(Resistance Economy): 내부의 자원을 활용하고 역량을 키워서, 외

부 충격에 흔들리지 않는 굳건한 경제를 구축한다는 의미임.

‒ 연평균 경제 성장률 목표 8%의 달성을 추구하며 공기업과 금융 분야 개혁을 추

진하겠다는 계획이 포함되어 있음.

‒ 제 6차 계획 하에서 이란의 석유가스 정책은 해외 투자 유치에 주력하여 해외

자본과 기술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하고 정책을 실행하는 것을

최우선 과제로 여김.3)

¡ 이란은 1979년 이슬람혁명 이후, 해외 기업들과의 석유가스 개발 협력을 위해

적용해왔던 바이백(Buyback) 계약 방식 대신, 새로운 IPC(Iranian Petroleum Contract)를 도입할 예정

※ 바이백 계약방식: 해외 투자 기업이 탐사와 개발을 마치면 투자 설비와 자산

일체를 이란 정부가 수령하여 생산하고 운영하는 이란 고유의 석유가스 개발

계약 방식

‒ 1979년 이전까지 조광 계약, 생산물 분배 계약, 서비스 계약 등 다양한 방식을

적용하며 해외 기업과 협력관계를 유지하였음.4)

‒ 이슬람 혁명 이후 이란은 해외 투자 기업의 생산물 소유를 금지하는 바이백 방

1) 손성현(2015)

2) Iran Project(2015)

3) NIOC(2015)

4) Mina(2014)

“이란은 제 6차 5개년 개발 계획을 추진 중이며, 석유가스 투자 유입 확대를 위해 IPC를 도입”

Page 3: 중동 주요 산유국의 석유 가스 개발 전략 · 2020-02-27 · 자료: EIA (2016b) < 이란 원유 생산 실적 및 전망(2011~2017년) > (단위 : 백만 b/d) ‒그러나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34호 2016.9.23 5

식만 적용하여 계약을 체결해왔음.

・ 그러나 바이백 방식은 투자기업들이 대부분의 위험과 비용을 부담하게 하는

계약 방식이라는 비판이 많았고, 특히 2008년 프랑스 Total의 철수 이후 지

난 5월 중국의 Sinopec 및 CNPC와의 재계약 이외에는 실적이 없는 상황5)

・ 이에 따라 이란 내부에서부터 바이백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는 것이 요구되

었고, 새로운 계약 방식 적용 필요성이 대두되었음.

‒ 그 결과 새로운 석유개발 계약방식인 IPC가 도입되었고, 그간 보수 강경 세력으

로부터의 반대도 많았으나 최종적으로 올해 9월 의회에서 승인을 받게 되었음.6)

・ IPC는 바이백 방식에 비해 투자 회수기간이 늘어났고, 지출된 비용을 모두

인정받아 환급받을 수 있게 되었으며, 초과생산 발생 시 수수료 수익을 얻게

된다는 점에서 투자기업에게 유리한 측면을 가짐.

・ NIOC 회장 알리 카도르 (Ali Kardor)는 IPC를 적용한 첫 투자 유치 프로젝트

로 South Azadegan 유전에 대한 입찰을 10월 중 실시할 것이라고 밝혔으며, 향후 43개의 석유가스전 개발에 IPC를 적용할 것이라고 언급하였음.7)

・ 세부 사항들은 국제 석유가스 기업들을 대상으로 2017년 1월 테헤란에서 열

릴 국제 컨퍼런스를 통해 공개될 예정임.8)

¡ 이란은 2016년 1월 경제제재 해제 이후 지속적으로 생산량을 과거 정상 시 수

준으로 복귀하고 시장 점유율을 되찾겠다고 공언해 왔고 현재 대부분 이를 달성

하였으며, 2021년 480만 b/d의 원유 생산 목표를 제시하고 있음.9)

‒ 골드만삭스나 바클레이즈와 같은 금융기관들과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은 이란

의 원유 생산량이 제재 이전 수치로 복귀하는 것은 2017년 중반 이후에나 가능

할 것으로 전망한 바 있음.10)

5) MEES(2016)

6) Press TV(2016c)

7) Press TV(2016c)

8) Platts(2016)

9) Oil Price(2016)

10) 에너지경제연구원(2016a)

“이란은 2021년까지 480만 b/d의 원유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음”

Page 4: 중동 주요 산유국의 석유 가스 개발 전략 · 2020-02-27 · 자료: EIA (2016b) < 이란 원유 생산 실적 및 전망(2011~2017년) > (단위 : 백만 b/d) ‒그러나

6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34호 2016.9.23

자료: EIA (2016b)

< 이란 원유 생산 실적 및 전망(2011~2017년) >

(단위 : 백만 b/d)

‒ 그러나 2016년 5월 기준으로 이란은 이미 약 440만 b/d11)와 약 260만 b/d12)의

원유 및 컨덴세이트 생산량과 수출량을 기록하면서 절대량 기준으로 제재 이전

생산량과 수출량을 이미 모두 회복하였음.

‒ NIOC의 국제협력 담당 임원 모센 감사리 (Mohsen Ghamsari)는 2016년 7월

이란의 목표는 2021년 580만b/d의 원유와 컨덴세이트 생산이며, 수출 목표는

원유 및 컨덴세이트 합쳐서 400만 b/d이라고 밝힘.13)

¡ 가스의 경우 막대한 매장량에도 불구하고 국제 가스시장에서의 이란의 역할은

미미한 상황이나, 제재 해제의 기회를 놓치지 않고 해외자본과 기술을 유치하여

생산 능력을 확충함으로써 중장기적으로는 막대한 천연가스 매장량 보유에 걸

맞는 물량을 생산하고 수출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하고 있음.

‒ 연구기관 BMI에 따르면 2015년 이란의 천연가스 생산은 약 185Bcm이었고

2016년에는 약 216Bcm으로 상승하였다가, 2025년까지 큰 증가 없이 220Bcm 정도에 머무를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음.14)

‒ 이와 같은 보수적인 전망은 자본과 기술의 부족과 불확실성, 오랜 기간이 소요

되는 LNG설비 건설 등을 원인으로 판단하고 있음.

11) Trend News Agency(2016)

12) CNN(2106)

13) Oil Price(2016)

14) BMI(2016)

“이란은 그동안 미미했던 가스 생산국으로서의 역할을 확대하기 위해 노력 중”

Page 5: 중동 주요 산유국의 석유 가스 개발 전략 · 2020-02-27 · 자료: EIA (2016b) < 이란 원유 생산 실적 및 전망(2011~2017년) > (단위 : 백만 b/d) ‒그러나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34호 2016.9.23 7

가스 생산량 (Bcm)

가스 생산량 연간 변화율 (%)

자료: BMI (2016), p.25

< 이란 천연가스 생산 실적 및 전망(2014~2025년) >

‒ 반면, 핵협상 타결 직후인 2015년 8월 National Iranian Gas Company (NIGC) 회장 하미드 레자 아라키 (Hamid-Reza Araqi)는 2019년경 천연가스 생산량이

약 110Bcm 증대되어 약 300Bcm에 이를 것이며, 10Bcm 수준인 천연가스 수

출량은 2021년 약 66Bcm으로 확대할 계획임을 발표한 바 있음.15)

¡ NIOC 회장 카도르는 2016년 3월 석유・가스 생산 증대를 위해 2021년까지 약

1,000억 달러 투자에 해당하는 구체적인 재원조달 계획을 제시하였음.16)

‒ 석유・가스 탐사, 개발 및 생산을 위한 투자자금 조달계획은 국가개발기금 140억 달러, 일괄수주계약 100억 달러, 자본시장조달 80억 달러, 은행 대출 120억

달러, NIOC 자금 310억 달러, IPC 개발계약 250억 달러로 구성되어 있음.

¡ 이란은 원유 및 컨덴세이트 정제를 6차 경제개발계획의 핵심부문으로 선정하면

서 정제시설 용량을 2020년에 320만b/d로 확대하는 계획을 수립하였음.

‒ 이란의 2016년 기준 정제설비용량 규모는 196만b/d에 달하며, 이는 세계 10위권에 해당하는 수준임.17)

‒ 이란은 전통적으로 석유제품의 순수출국이었으나 휘발유에 한해서는 생산이 국

내 소비를 충족시키지 못했기 때문에 수입에 의존해왔음. 그러나 현재 건설 중

인 정제시설이 완공되면 급격한 수요 증가가 발생하지 않을 경우 국내 휘발유

수요를 충분히 충족시키고 수출까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됨.

‒ BMI는 현재 진행 중인 정제설비 공사의 지연 등을 이유로 2018년경 이란의 정

15) Trend News Agency(2015)

16) Shana(2016)

17) BMI(2016)

“이란은 2021년까지 석유⋅가스 증산을 위해 약 1,000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

Page 6: 중동 주요 산유국의 석유 가스 개발 전략 · 2020-02-27 · 자료: EIA (2016b) < 이란 원유 생산 실적 및 전망(2011~2017년) > (단위 : 백만 b/d) ‒그러나

8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34호 2016.9.23

제설비 용량이 약 235만 b/d로 확대되겠으나, 그 이후 2025년까지 설비규모는

크게 변동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18)

자료: BMI(2016), p.30

< 이란 정제 시설 용량 및 석유 제품 생산 실적 및 전망

(2014년 ~ 2025년) >

‒ 한편, National Iranian Oil Refining and Distribution Company (NIORDC) 회장 압바스 카제미 (Abbas Kazemi)는 2016년 6월 테헤란에서 인터뷰를 통해 정

제시설 용량을 2020년에 320만 b/d로 증대시킬 계획임을 설명하였음.19)

・ 또한 약 140억 달러를 투입하여 Isfahan, Tabriz, Tehran, Bandar Abbas, Abadan의 5개 정제시설을 현대화하고 생산될 석유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Abadan 정제설비는 정부가 재정을 부담할 계획이나

다른 시설에는 투자 기업을 유치할 예정이라고 밝혔음.

・ 2016년 2월 석유부 장관 잔가네는 석유화학 플랜트 건설을 위해 약 500억

달러,20) 정제시설 확장 및 개선 등의 석유가스 하류 부문에 약 200억 달러

의 투자유치를 고려하고 있음을 발표하였음.21)

18) BMI(2016)

19) Bloomberg(2016)

20) IRNA(2016)

21) Fars News(2016)

“이란은 2020년 320만 b/d의 원유 및 컨덴세이트 정제용량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음”

Page 7: 중동 주요 산유국의 석유 가스 개발 전략 · 2020-02-27 · 자료: EIA (2016b) < 이란 원유 생산 실적 및 전망(2011~2017년) > (단위 : 백만 b/d) ‒그러나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34호 2016.9.23 9

< 이란의 석유 정제시설 건설 계획 >

정제시설용량

(b/d)

NIORDC가 공개한

진행 상황세부사항

Perslan

Gulf Star360,000

⋅2016년 중반 1단계

설비가 가동 예정⋅휘발유 생산에 중점

Hormuz 300,000 ⋅발주 계약 체결⋅Soroush, Norouz, South Pars 지역

원유 (중질유/초중질유) 이용

Pars

(Shiraz)120,000

⋅기본설계 19%,

⋅총 공정률 2.9%

⋅2009 Euro-V 기준 충족 제품 생산

을 목표로 하며, South Pars 지역

가스 컨덴세이트 이용

Kermanshah

(Anahita)150,000

⋅발주계약 체결단계

이며 기본설계 진행

⋅민간 기업에 의해 개발될 예정.

North Dezful, Naftshahr, Male

Kooh 지역 원유 이용

Tabriza

(Shahrlar)150,000

⋅기본설계 43.8%

⋅총 공정률 2.35%

⋅Euro-5 가솔린 생산을 목표로 하며,

North Dezful, Maroon, Kashagan

지역 원유 이용

Khuzestan

(Abadan)180,000

⋅기본설계 25%

⋅총 공정률 1.02%

⋅Azadegan, Yadavaran, Jofeir 지역

의 원유 (중질유) 이용

Caspian

(Golestan)300,000

⋅예비 타당성조사가

계획되어 있음.⋅인근국가로 수출 목표

자료: BMI (2016), p.33

¡ 이란은 생산된 석유・가스를 국내외로 운송할 수 있는 인프라 건설 확대를 계획

하고 있으며, 송유관과 가스관뿐만 아니라 LNG 설비 건설도 추진하고 있음.

‒ 기존에 구축되어 있었으나 활용하지 못했던 이라크 쿠르드 자치정부와 연결된 송유

관을 통해 원유수출을 추진하고 있으며, 최근 이집트의 수메드(Suez-Mediterranean: SuMed) 송유관을 통해 유럽으로 원유 수출을 시작하였음.22)

‒ 이란과 이라크는 2013년 이란 사우스 파르스(South Pars) 가스전에서 생산되

는 천연가스를 10년간 가스관을 통해 이라크로 수출하는 프로젝트에 합의한 바

있으나, 이라크 측 치안 불안으로 인해 수출은 지연되고 있음.23)

‒ 이란은 파키스탄, 인도, 오만과도 가스관을 구축하여 가스를 수출하기 위한 계

획을 추진 중임.

・ 對파키스탄 가스관의 이란 측 구간은 이미 20억 달러가 투자되어 완공되어

있는 상태이며, 2018년 파키스탄 구간이 완공되어 수송이 시작되면 21.5 MMcm/d 규모의 이란 가스가 파키스탄으로 수출될 예정24)

・ 이란 차바하르 항구와 인도 구자라트 주를 연결하는 해저 가스관은 파키스

탄의 배타적 경제 수역을 우회하여 1,400km 길이로 건설될 계획이며, 45억

달러가 투자되어 31.5 MMcm/d의 천연가스를 수송할 예정25)

22) Mehr News(2016)

23) Press TV(2016b)

24) Press TV(2016a)

25) Tribune(2016)

“이란은 석유가스 인프라 건설 확대를 추진 중”

Page 8: 중동 주요 산유국의 석유 가스 개발 전략 · 2020-02-27 · 자료: EIA (2016b) < 이란 원유 생산 실적 및 전망(2011~2017년) > (단위 : 백만 b/d) ‒그러나

10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34호 2016.9.23

・ 또한 이란은 총 길이가 175km에 이르고 예상 공사비용이 약 15억 달러인 해

저 가스관을 건설하여 오만의 LNG 액화시설을 활용하여 자국의 천연가스를

수출할 예정26)

‒ NIGC社 아라키 회장은 기존에 추진되다가 중단된 LNG 프로젝트들을 2018년까지 완공하여 약 40Mt(55 Bcm)의 LNG를 수출할 계획을 밝혔으나,27) 이 같

은 목표에 대해 외부 기관에서는 투자 부족 등을 이유로 회의적인 시각을 제기

하고 있음.

3. 사우디아라비아의 경제 및 석유・가스 개발 전략

¡ 사우디아라비아는 지난 4월 ‘비전 2030’을 발표하여 경제를 다각화하고 고도화

하면서, 비석유・가스 부문 개발 및 비중 확대 의지를 제시하였음.28)

‒ 건설, 방위산업 등의 전략산업을 육성하여 비석유・가스 부문으로부터의 정부재

정 수입을 현재보다 6배 이상 증대시키고, 방위산업과 에너지산업 전반의 국산

화 비율을 50%~75% 수준으로 확대시키겠다는 목표를 설정하였음.

‒ 주요 재원조달 방안으로 국영기업의 주식시장 상장을 고려하고 있으며, 특히, 국영석유기업인 아람코의 지분 약 5%를 국내외에 자본시장에 상장시켜 1,000억~1,500억 달러를 조달할 계획임.

‒ 비석유・가스 비중 확대 계획이 석유・가스 부문 축소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국가 핵심인 석유・가스 부문에 대한 투자 역시 큰 폭으로 늘리면서 균형 있는

성장을 추구하겠다는 것으로 분석됨.

¡ 국영석유기업인 아람코는 올해 5월 제시한 중장기 전략을 통해 2025년까지 새

로운 기술을 도입하고, 원유생산 회수율을 증대시켜서 약 1,000억 배럴의 보유

매장량을 추가적으로 확보할 계획을 발표하였음.29)

‒ 아람코는 석유・가스 부문 전반에 걸쳐 2015~2019년 기간 동안 총 1,500억 달

러의 투자유치 계획(국내: 750억, 해외 750억)을 수립하였음.

‒ 쿠라이스(Khurais)유전과 샤이바(Shaybah) 유전을 통해 증산을 실행할 것이며, 2018년까지 55만b/d 규모의 추가 원유생산 능력을 확충할 계획임.

‒ 세계 7위 수준인 정제설비 용량을 2017년까지 300만b/d수준으로 확대하고 미

국에 이어 세계 2위의 석유 제품 수출국이 되고자 함.

¡ 사우디아라비아의 2015년 기준 천연가스 매장량은 8.3Tcm으로서 세계 6위에 해

26) PEDEC(2016)

27) Maritime Executive(2015)

28) Saudi Arabia(2016)

29) Reuter(2016)

“사우디아라비아는 비전 2030을 통해 균형 있는 경제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석유・가스부문에 대해서도 1,500억 달러의 투자 계획을 공표”

Page 9: 중동 주요 산유국의 석유 가스 개발 전략 · 2020-02-27 · 자료: EIA (2016b) < 이란 원유 생산 실적 및 전망(2011~2017년) > (단위 : 백만 b/d) ‒그러나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34호 2016.9.23 11

당하며, 약 106Bcm의 천연가스를 생산・공급하였음.30)

‒ 천연가스 수출계획은 급격한 확대를 지향하지는 않으나, 비전2030을 통해 가스

생산을 2배로 증가시키면서 국내 가스관 네트워크 확장을 추진할 계획을 제시

하고 있으며, 증산된 천연가스는 내수 충족에 주력할 것으로 여겨짐.

4. 이라크의 석유・가스 개발 전략

¡ 이라크는 2013년 ‘국가종합에너지전략’을 발표하여, 2030년까지 6,000억 달러

투자를 통해 약 900만b/d의 석유생산 능력 확충 목표를 제시하고 있음.

‒ 이라크는 전후 재건과 인프라 건설에 주력하면서 산업 다각화에도 관심을 가지

고 있지만, 석유・가스 증산과 수출 증대에 국가역량을 더욱 집중시키고 있음.

‒ 이라크는 2016년 8월 현재, 약 435만b/d를 생산하여 340만 b/d 정도를 수출하

고 있으며, 2020년까지 550만~600만b/d 생산을 중간 목표로 설정하였음.31)

※ IEA는 투자저해 요인들로 인한 해외 투자유입 부족 때문에 이라크의 2021년 생산

량은 2015년보다 27만b/d 증가한 462만b/d에 불과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32)

‒ 생산능력 확충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유전개발 확대, 회수율 증진을 위한 해수

주입 인프라 구축, 수출 인프라 건설 등이 요구되지만, IS와의 내전과 쿠르드 자

치 정부와의 갈등 등이 지연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

・ 지속되고 있는 IS와의 내전으로 원유 생산과 수송에 차질이 빚어질 뿐 아니

라, 해외 석유・가스 기업의 투자유치 결정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

・ 2015년 기준 쿠르드 자치정부 관할 지역에서 생산되는 원유생산 비중은 전

체 이라크 생산의 약 15%(80만 b/d)에 달하고 있으며, 자치정부가 원유 판매

수입을 기반으로 자치권 확대를 추진하면서 분리 독립운동 확산을 우려하는

이라크 중앙 정부와 수익 배분을 놓고 갈등이 전개되고 있음.33)

¡ 이라크는 천연가스 탐사・개발을 확대하여 매장량에 걸맞게 생산량을 확대하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해외 투자자본 유치활동을 확대하고 있음.

‒ 2015년 가스 생산량과 국내 수요가 거의 일치하였는데, 이라크는 향후 증산을

통해 확보된 잉여물량을 수출하는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수출 인프라의 부족

문제를 해결해야하는 과제를 안고 있음.

‒ 이라크는 천연가스 개발 촉진을 위해 로열더치쉘이나 미쓰비시와 같은 해외 기

업들과 협력하고 있으며, 특히, 합작기업을 설립하여 자본과 기술 확보를 추진

하고 있음.

30) BP(2016)

31) EIA(2016a)

32) IEA(2016)

33) EIA(2016a)

“이라크는 국가종합 에너지전략을 통해 2030년 900만 b/d의 원유 생산목표를 수립

Page 10: 중동 주요 산유국의 석유 가스 개발 전략 · 2020-02-27 · 자료: EIA (2016b) < 이란 원유 생산 실적 및 전망(2011~2017년) > (단위 : 백만 b/d) ‒그러나

12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34호 2016.9.23

자료 : EIA(2016), Mid-Term Oil Market Report

< 이라크 원유 생산 실적 및 전망(2010~2021년) >

5. UAE와 쿠웨이트의 경제 개발 및 석유・가스 개발 전략

¡ UAE는 2010년 ‘비전2021’을 발표하여, 교육, 의료, 건설, 정보통신 기술 산업

발전과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추진하고 있음.34)

‒ 비전2021은 ∆단결된 사회와 주체성 보존, ∆안전한 사회 및 공정한 제도, ∆경

쟁력 있는 지식경제, ∆우수한 교육 시스템, ∆탁월한 보건 및 의료, ∆지속가능

한 환경과 인프라 등 6개의 주요 분야로 구성되어 있음.

‒ 재생에너지, 운송・물류, 교육, 보건의료, 과학기술, 수자원, 우주산업 등 7개 분

야의 기술 육성을 추구하면서 환경조성, 정부혁신, 민간혁신, 인재혁신 등이 강

조되고 있음.

¡ UAE의 국영석유기업인 ADNOC은 향후 약 250억 달러를 투자하여 2017년까지

350만b/d의 원유생산 목표를 제시하였으나, 최근 목표달성 시점을 2018년으로

수정하였음.35)

‒ UAE는 현재 297만b/d의 원유를 생산하는 세계 8위의 산유국이며, 주변 산유국

들에 비해 해외 기업들에게 좀 더 유리한 계약 방식을 제시하면서 석유・가스 탐

사, 개발 및 생산 부문을 확장시키고 있음.

※ IEA는 UAE의 목표치보다 훨씬 보수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으며, 2021년 생

산량은 약 320만 b/d로 전망함.36)

34) UAE Vision 2021 홈페이지

35) National Business(2016)

36) IEA(2016)

“UAE는 250억 달러를 투자하여 2018년까지 350만 b/d 원유를 생산할 계획”

Page 11: 중동 주요 산유국의 석유 가스 개발 전략 · 2020-02-27 · 자료: EIA (2016b) < 이란 원유 생산 실적 및 전망(2011~2017년) > (단위 : 백만 b/d) ‒그러나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34호 2016.9.23 13

자료 : EIA(2016), Mid-Term Oil Market Report

< UAE 원유 생산 실적 및 전망(2010~2021년) >

¡ 쿠웨이트는 2010년 수립한 ‘비전2035’에 따라 석유・가스 산업 확대뿐만 아니라, 금융 및 물류 허브로의 도약과 국가 인프라 건설 확대, 관광 활성화 등을 추진

하고 있음.37)

‒ 중기 목표로 2035년까지 6차례의 5개년계획을 수립・이행할 예정이며, 현재

2015~2019년에 해당하는 두 번째 5개년 개발계획을 실행하고 있음.

‒ 그러나 저유가 상황 지속으로 인한 재정악화 등으로 인해 장기발전 목표 중 상

당 부분의 달성 시기는 연기되고 있는 상황임.

¡ 쿠웨이트는 국영석유기업인 KPC를 중심으로 약 530억 달러를 투자하여 2020년까지 400만b/d 원유 생산능력 확충 목표를 설정하고 있음.38)

‒ 쿠웨이트의 원유생산은 세계 9위 규모인 약 287만b/d에 달하며, 석유・가스와

석유화학을 합쳐 두 부문이 국가 재정수입의 94%와 국가 GDP의 52%를 차지

하고 있음.

6. 시사점

¡ 중동 산유국들은 산업다각화 등을 통해 경제구조를 고도화하고 석유・가스부문의

국가경제 의존도를 축소하는 한편, 석유・가스부문 수입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동

시에 추진하고 있음.

‒ 즉, 단기적으로 국제유가 하락을 감수하더라도 낮은 생산비용을 활용하여 증산

함으로써 시장점유율을 높이고자 하며, 중장기적으로 막대한 투자를 통해 석유

37) 손성현(2015)

38) Market Watch(2016)

“쿠웨이트는 530억 달러를 투자하여 2020년까지 400만 b/d 원유를 생산할 계획”

Page 12: 중동 주요 산유국의 석유 가스 개발 전략 · 2020-02-27 · 자료: EIA (2016b) < 이란 원유 생산 실적 및 전망(2011~2017년) > (단위 : 백만 b/d) ‒그러나

14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34호 2016.9.23

⋅가스 생산, 수출을 확대하면서 지속적인 국가발전을 도모하고 있음.

¡ 중동 국가들은 석유・가스자원 개발 및 수출역량 확충을 위해 국가별로 차별화된

대응전략을 모색하고 있으나, 공통적인 기조는 생산능력 확충을 위한 기술 선진

화, 해외자본 유치, 상류・중류의 인프라 확충 등으로 분석되고 있음.

‒ 이란은 새로운 석유・가스 개발 계약방식인 IPC를 적용해서 해외 투자를 유치함

으로써 생산 능력을 확충하고자 하며, 사우디아라비아는 석유가스 부문에 대해

서 2019년까지 약 1,500억 달러의 투자 계획을 수립・추진하고 있음.

¡ 중동 국가들이 추진하고 있는 석유・가스 증산계획이 실현될 경우, 중동 산유국

의 국제 석유시장 시장점유율은 확대될 전망임.

‒ 이라크는 2020년까지 100만 b/d이상의 원유 생산능력 확충을 추진하고 있으며, UAE는 약 50만 b/d (2018년), 쿠웨이트는 약 100만b/d (2020년)의 원유 증산

계획을 실행 중이므로, 이는 향후 중동국가의 석유 공급력 증대에 기여할 것으

로 보임.

‒ 그러나 이라크는 IS와의 내전과 쿠르드 자치정부와의 갈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라크를 포함한 여타 중동 산유국은 직면하고 있는 해외자본 유치의

어려움이라는 과제를 보유하고 있음.

¡ 중동 산유국들의 석유・가스 생산수준의 지속적 유지 및 확대에 필수적인 요건은

투자재원의 안정적 확보와 생산・수출인프라 확충으로 판단되고 있음.

‒ 이에 중동 산유국이 추진할 석유・가스자원 개발・탐사, 정제설비 확충 및 고도

화, LNG설비 구축 분야에서 우리나라 기업이 진출하여 비교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해야할 때로 판단됨.

참고문헌

손성현, “중동 주요국의 개발 전략과 한국의 기회”, 「세계와 도시」 11호, 2015 에너지경제연구원,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4호, 2016.1.29

BMI, Iran Oil and Gas Report, 2016Bloomberg, “Iran plans oil-Refinery Expansion to Cut Gasoline Imports”, Jun

12 2016 BP,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2016, 2016 CNN, “Iran's oil exports have tripled since late 2015”, Jun 16 2016EIA, Country Analysis Brief: Iraq, 2016a EIA, Short-Term Energy Outlook, 2016b Fars News, “Zanganeh: Iran Oil Industry Needs $200b Development

“중동 주요 산유국들의 석유・가스 증산 추진에 따라, 관련 사업 참여 기회 확대가 예상됨”

Page 13: 중동 주요 산유국의 석유 가스 개발 전략 · 2020-02-27 · 자료: EIA (2016b) < 이란 원유 생산 실적 및 전망(2011~2017년) > (단위 : 백만 b/d) ‒그러나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34호 2016.9.23 15

Investment” Feb 9 2016IEA, Mid-Term Oil Market Report, 2016Iran Project, “Iran’s 6th development plan; Upgrading the defense and

deterrence." 2015. Iran Project. Jul 11 2015 IRNA, “Zanganeh: Petrochem sector needs $50b investment” Feb 14 Maritime Executive. 2015,“Iran to Complete Five LNG Plants in Three

Years.” Nov 25 2016Market Watch, ,“Kuwait confirms plans for record oil production at 4 million

barrels a day.” May 10 2016 MEES, ,“Iran Takes Major Step towards New Contracts. But will IOCs

Bite?” Jul 15 2016Mehr News, “Egypt SuMed pipeline accepts Iran oil.” Apr 30 2016 Mina, Parviz., “Oil Agreement in Iran.” 2004National Business, “Adnoc keeps output target but monitors market

conditions, says chief executive.” Apr 3 2016 NIOC, “The Sixth Development Plan and the Significance of Oil and Gas in

the Economic Development.”2015Oil Price, “Iran aims to double oil exports, These Are the hurdles” Jul 11

2016 PEDEC, “Iran, Oman pick route for gas pipeline.” Apr 3 2016Platts, “Iran to launch new upstream oil and gas contracts in January.” Sept

6 2016Press TV, “Iran-Pakistan gas pipeline to complete by 2018.” 2016a Press TV, “Iran says ready to start Iraq gas exports.” 2016b Press TV, “Iran parliament endorses new oil contract.” 2016cReuter, “Saudi Aramco finalizes IPO options and plans global expansion.”

May 12 2016Saudi Arabia, Vision 2030, 2016 Shana, “Development Projects to Continue Despite of $18 p/b Oil” Mar 1

2016 Tribune, “India set to sign agreement with Iran for undersea gas pipeline.”

Mar 15 2016 Trend News Agency, “Gas export goal in Iran's 6th Development Plan.” Aug

31 2015Trend News Agency, “Iran's oil output surpasses 3.8 million barrels per day.”

Jun 14 2016EIA 홈페이지, https://www.eia.gov(검색일 : 2016.9.13)UAE Vision 2021 홈페이지, www.vision2021.ae/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