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의 근무시간 내 외 직무부담 비교 분석 연구¹€이경... · 2017-01-09 ·...

22
敎育行政學硏究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009, Vol. 27, No. 4, pp. 87~108 교사의 근무시간 내외 직무부담 비교 분석 연구 김 이 경(충남대학교 교수) . 유 수 정(충남대학교 박사과정) 김 미 정(충남대학교 박사과정) 요 약 본 연구는 교사들이 정규 근무시간뿐만 아니라 근무시간 외에도 직무를 수행하고 있음에도 이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다는 문제인식에서 출발하여, 고 교사들의 근무시간 내외의 직무부담을 총체적으로 조사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교수학습과 직접 관련이 있는 직무와 그렇지 않은 직무를 구분하고, 각 직무별 소요시간을 조사하기 위해 전국 공립 고 교사 1,557명에 대한 설문조사자료를 토대로, SPSS 12.0(window)을 사용하여 술통계방법, t-검정,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방법을 사용하였고, Scheffé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 교사들의 근무시간 내 직무 소요시간은 주당 총 43.12시간 으로, 그 가운데 교수학습 관련 직무에 32.58시간(전체의 75.57%)을 소요하였고, 초등 교사들은 수업부담이 과중한 반면, 중등교사 가운데 저경력, 평교사, 담임교사의 직무부담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근무시간 외에는 주당 평균 9.91시간을 소요하였는데, 특히 중등교사의 근무시간 외 추가부담이 많았다. 근무시간 내외를 합산한 주당 평균 직무 소요시간은 평균 53.03시간으로 노동법에 제시된 48시간보다 많았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초등 및 중등 교사의 직무부담 경감 방안 및 비교수학습 직무 부담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과 더불어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주제어] 교사 직무부담, 직무 소요시간, 중등 교사, 교원 잡무 . 서 론 학교의 역할과 기능이 변모하고 교육개혁이 상시화되면서 교사들이 수행하는 직무도 점차 달라지고 있다. 학교에 부과된 역할을 직접 현장에서 실천하는 사람은 다름 아닌 교사들이기 때문이다. 이는 비단 교사들이 가르쳐야 하는 수업시수의 증가에 따른 부담이

Upload: others

Post on 22-Feb-2020

3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교사의 근무시간 내 외 직무부담 비교 분석 연구¹€이경... · 2017-01-09 · 2001). 여기에서는 교사의 직무 영역을 수업계획, 성적 처리, 학생

敎育行政學硏究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009, Vol. 27, No. 4, pp. 87~108

교사의 근무시간 내․외 직무부담 비교 분석 연구

김 이 경(충남 학교 교수) .

유 수 정(충남 학교 박사과정)

김 미 정(충남 학교 박사과정)

요 약

본 연구는 교사들이 정규 근무시간뿐만 아니라 근무시간 외에도 직무를 수행하고 있음에도

이에 한 심이 부족하다는 문제인식에서 출발하여, ⋅ ⋅고 교사들의 근무시간 내․외의

직무부담을 총체 으로 조사할 목 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를 해 교수․학습과 직 련이

있는 직무와 그 지 않은 직무를 구분하고, 각 직무별 소요시간을 조사하기 해 국 공립

⋅ ⋅고 교사 1,557명에 한 설문조사자료를 토 로, SPSS 12.0(window용)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방법, t-검정,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방법을 사용하 고, Scheffé 사후 검증을

실시하 다. 연구결과, ⋅ ⋅고 교사들의 근무시간 내 직무 소요시간은 주당 총 43.12시간

으로, 그 가운데 교수․학습 련 직무에 32.58시간( 체의 75.57%)을 소요하 고, 등 교사들은

수업부담이 과 한 반면, 등교사 가운데 경력, 평교사, 담임교사의 직무부담이 상 으로

많았다. 근무시간 외에는 주당 평균 9.91시간을 소요하 는데, 특히 등교사의 근무시간 외

추가부담이 많았다. 근무시간 내․외를 합산한 주당 평균 직무 소요시간은 평균 53.03시간으로

노동법에 제시된 48시간보다 많았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 로 등 등 교사의 직무부담

경감 방안 비교수․학습 직무 부담을 해결하기 한 방안과 더불어 후속연구에 한 제언을

제시하 다.

[주제어] 교사 직무부담, 직무 소요시간, ․ 등 교사, 교원 잡무

Ⅰ. 서 론

학교의 역할과 기능이 변모하고 교육개 이 상시화되면서 교사들이 수행하는 직무도

차 달라지고 있다. 학교에 부과된 역할을 직 장에서 실천하는 사람은 다름 아닌

교사들이기 때문이다. 이는 비단 교사들이 가르쳐야 하는 수업시수의 증가에 따른 부담이

Page 2: 교사의 근무시간 내 외 직무부담 비교 분석 연구¹€이경... · 2017-01-09 · 2001). 여기에서는 교사의 직무 영역을 수업계획, 성적 처리, 학생

88 敎育行政學硏究

추가되었다는 것뿐만 아니라, 그들이 수행하는 직무의 본질과 요구가 달라졌음을 의미

한다.

특히, 1990년 이후 자율화와 분권화로 변되는 새로운 지배구조 패러다임의 등장

으로, 소 단 학교 책임경 제 등과 같은 새로운 제도가 교사의 직무부담을 증가시키

는 주범으로 지 되었다(Leithwood et al., 1996; Naylor, 2001; Wylie, 1997). 즉, 교사들

은 앙 교육당국의 책무성 요구에 부응해야 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학생집단의 요구,

때때로 학교행정가, 동료, 학부모 지역사회 구성원들의 상충되는 요구를 충족시켜야

한다. 그 결과 교사들의 직무부담은 증가하고 교사들은 끊임없는 스트 스와 직무 불만

족에 시달리며, 종종 탈진 상태에 빠지기도 한다. 따라서 과도한 직무부담이 교사들의

교직 선택을 해하거나 교직을 선택한 교사들이 이직하도록 하는 요인 가운데 가장 심

각한 것으로 지 되기도 하고(Barmby, 2006), 교사의 과도한 직무부담이 문성 진 노

력을 둔화시키는 요인으로 지 되기도 한다(정 수, 2003).

과연 우리나라 교사들의 직무부담은 어느 정도일까? 직무부담은 크게 교수․학습과

련된 직무와 련되지 않은 직무로 나 어 볼 수 있다. 교수․학습 련 직무의 핵심

을 차지하는 것은 수업부담이다. 사실, 국제비교 에서 볼 때, 한국 교사들의 수업

부담은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교사의 연간 평균 수업시수를 비교한

OECD(2009)의 최근 조사에서도 우리나라 등 교사의 수업시수는 OECD 평균보다 다

소 높지만, 학교와 고등학교는 상당히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이는 매년 발표되는

결과와 일치한다. 그러나 같은 자료에서 우리나라의 학 당 학생수나 교사 1인당 학생

수는 OECD 평균을 훨씬 상회할 뿐만 아니라 교사 비 사무직원 비율은 가장 낮은 국

가 가운데 하나로 분류되고 있다. 이러한 자료는 우리나라 교사들은 지원인력들이 수행

해야 하는 직무까지 맡아서 방 인 역할을 수행하므로 근무강도가 매우 높다는

을 뒷받침하기도 한다(김진환, 2009).

그러나 연구자들은 교수-학습 문가로서 교사 본연의 업무가 아닌 업무, 즉 ‘잡무’의

과다는 종종 교사들의 문가로서의 신념을 장에 용하지 못하도록 방해하거나(조인

진, 2005), 교사의 직무부담을 증가시키는 한편, 문 직무 수행을 해하고(신상명 외,

2007; 이윤식․박안수, 2000), 교직 갈등을 유발한다(이규만․김용흔, 2007)고 지 하며,

교사의 근무여건 개선을 해 잡무 경감의 요성을 강조한다(김명수, 2001).

교사의 직무부담과 련된 이러한 논의들은 계속해서 새로운 쟁 을 제시하고, 교사

의 근무여건을 개선하기 한 자료를 제공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사들이 정규 근무

시간뿐만 아니라 근무시간 외에도 학교나 가정에서 계속해서 직무를 수행한다는 은

다소 간과되는 경향이 있다. 즉, 교직은 통상 으로 정시에 출퇴근하는 직업으로, 퇴근

과 더불어 교사의 직무도 바로 끝나는 것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종종 교사

Page 3: 교사의 근무시간 내 외 직무부담 비교 분석 연구¹€이경... · 2017-01-09 · 2001). 여기에서는 교사의 직무 영역을 수업계획, 성적 처리, 학생

교사의 근무시간 내⋅외 직무부담 비교 분석 연구 89

들이 받는 에 비해 노력하지 않는다는 비 의 근거로 활용되기도 한다. 근무시간

외 직무부담은 비단 우리나라 교사들의 실만은 아니다. 리티시콜롬비아 지역에 근

무하는 등교사들 역시 정규 근무시간에 학생들을 가르치기 해서 수업담당 시간의

일곱 배 가량을 학교 밖에서 투여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Malcolmson, 1999).

이와 같이 교사들의 직무수행이 근무시간 외로 연장된다는 은 교사의 직무부담을

연구함에 있어서 근무시간 외를 포함하여 총체 으로 조사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과연

우리나라 교사들의 경우, 정규 근무시간이 끝나면 그들의 직무도 끝나는가? 그들의 직무

가 근무시간 외로 연장된다면, 교수․학습 련 직무와 비교수․학습 련 직무 가운데

어떤 직무에 한 부담이 더 많은가?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인식에서 출발하 다. 이에, 본 연구의 목 은 ․ ․고 교사

들의 직무부담을 근무시간 내뿐만 아니라 근무시간 외까지 포함하여 총체 으로 조사하

는 것으로, 교사 본연의 업무인 교수․학습 련 업무와 그 지 않은 비교수․학습

련 업무로 구분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근무시간 내 교수․학습

련 직무와 비교수․학습 련 직무의 소요시간은 어떠한가? 둘째, 교사의 근무시간 내

교수․학습 련 직무와 비교수․학습 련 직무 소요시간은 배경변인(학교 , 경력, 직 ,

담임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교사의 근무시간 외 교수․학습 련 직무와

비교수․학습 련 직무의 소요시간은 어떠한가? 넷째, 교사의 근무시간 외 교수․학습

련 직무와 비교수․학습 련 직무 소요시간은 배경변인(학교 , 경력, 직 , 담임여

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다섯째, 근무시간 내․외를 합한 교사의 총체 직무부담은

어떠한가?

Ⅱ. 이론 배경

1. 교사 직무부담 개념과 직무 역 구분

교사의 직무부담(workload)은 수업 교수 이외의 활동, 정신 부담인 사명감, 책임

감, 태도, 물리 학 규모, 시설, 근무시간, 법규상 복무, 휴가, 그리고 기타 사회 인 요

구 등에 의해 부과되는 활동으로 정의되며(서정화, 1995), 교과지도와 생활지도가 직무부

담의 핵심을 구성하지만 기타 다양한 학교사무도 교사의 직무부담을 가 시킨다(남정걸,

1997).

일반 으로 교사의 직무부담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역은 수업에 한 부담

Page 4: 교사의 근무시간 내 외 직무부담 비교 분석 연구¹€이경... · 2017-01-09 · 2001). 여기에서는 교사의 직무 영역을 수업계획, 성적 처리, 학생

90 敎育行政學硏究

즉, 수업 부담이므로 교사의 직무부담을 교사의 핵심 직무인 수업에 을 두어 수업

부담의 개념으로 규정하기도 한다. 그러나 교사의 직무부담을 과 하게 하는 요인 가운

데에는 교과지도 이외의 업무, 교직원 구성, 교사 1인당 학생수 등도 원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김남순, 2002) 수업 이외의 비교수⋅학습 련 업무가 포함된다.

교사의 직무부담을 조사하기 해서는 교사가 수행하는 직무에 한 역 구분이 필

요하다. 교사의 직무수행 역을 구분하려는 시도는 외국에서 먼 이루어졌으며, 우리

나라에서는 교무분장 업무나 수업시수 운 , 교사평가기 을 마련하기 한 노력의 일

환으로 비교 최근에 이루어졌다.

교사의 직무 역을 구분한 연구 가운데, 주삼환 외(1996)는 학교 업무를 크게 학생지

도 련 업무와 리 업무로 나 고, 이를 다시 학습지도, 생활지도, 학 경 특별

활동, 행정 리, 외 계, 연구 연수, 기타의 7가지 세부 역으로 구분하 다. 박

숙 외(1999)는 정 주당 수업시수를 설정하기 하여 교사의 직무 역을 수업지도, 학

생지도, 학 경 , 연수활동, 학교 교육과정 운 , 지역사회 외 력, 행정사무 등

총 7개로 구분하 다. 한편, 박덕규 외(2003)의 연구에서는 교육청 수 , 학교 수 으로

교사 직무를 구분하고, 수업운 , 생활지도, 학생평가, 자기연찬, 학교행사 참여, 학 경

, 학교행정, 가정․사회 력 사회활동 역 등 세부 직무를 8개 역으로 제시하

다. 김이경 외(2005)는 수업 지도, 학생 지도, 학 경 ,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 , 학

부모 외 계, 학교 경 지원, 연수 활동의 7개 역으로 교사 직무를 구분한

뒤, 다시 각 역별로 세분화하여 17개의 역을 설정하 고, 한유경 외(2008)의 연구

에서는 수업, 학생지도, 학 경 , 연수, 학교교육과정 운 , 행정사무, 학부모 계를 포

함한 외 계로 구분하 다.

한편, 미국은 교사의 직무수행 기 개발의 일환으로 1987년 설치된 교사자격기 국

가 원회(NBPTS, 2002)에서 교사의 핵심 직무를 다섯 가지로 제시하 다. 즉, 학생 학습

을 한 교사의 헌신, 교과 지식과 교수 방법, 학생 학습 리와 감독, 체계 교육실천

과 경험, 학습 공동체 구성이다. 국에서는 교사의 직무부담을 경감시키기 한 연구의

일환으로 교육부의 지원 하에 교사 직무 연구가 수행되었다(PriceWaterhouseCoopers,

2001). 여기에서는 교사의 직무 역을 수업계획, 성 처리, 학생 감독, 학 경 , 결석

학생 리, 학생 수행 리 지원, 학생의 학업성취 보고, 학생에 한 행정 지원,

행정업무 처리, 일과 시간 구성 등 총 열 가지로 구분하여 제시하 다.

이상에서 검토한 국내⋅외 교사 직무수행 역은 교수⋅학습과 비교수⋅학습 역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교실 수업을 담당하는 교사가 반드시 수행해야 하는 직무와 사

무직원 보조 인력이 수행할 수 있는 직무를 포 하고 있는 바, 이를 교실 수업 담당

교사가 직 수행해야 하는가를 기 으로 정리하면 다음 <표 1>과 같다.

Page 5: 교사의 근무시간 내 외 직무부담 비교 분석 연구¹€이경... · 2017-01-09 · 2001). 여기에서는 교사의 직무 영역을 수업계획, 성적 처리, 학생

교사의 근무시간 내⋅외 직무부담 비교 분석 연구 91

<표 1> 교사 직무수행 역에 한 선행 연구

연구 주체교사 직무수행 역

교실 수업 담당 교사 직무 교실 수업 비담당 교사 직무

주삼환 외(1996) 학습지도, 연구 연수생활지도, 학 경 특별활동, 행

정 리, 외 계, 기타

박 숙 외(1999)수업지도, 학교 교육과정 운 , 연

수활동

학생지도, 학 경 , 지역사회

외 력, 행정사무

박덕규 외(2003) 수업운 , 학생평가, 자기연찬

생활지도, 학교행사 참여, 학 경 ,

학교행정, 가정․사회 력 사회활동

김이경 외(2005)수업지도,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

, 연수활동

학생지도, 학 경 , 학부모 외

계, 학교경 지원

한유경 외(2008) 수업, 연수, 학교교육과정 운학생지도, 학 경 , 행정사무, 학부

모 계를 포함한 외 계

[미국]

교사자격기 국가 원회

(NBPTS)(2002)

학생 학습을 한 교사의 헌신, 교

과 지식과 교수 방법, 학생 학습

리와 모니터링, 체계 인 교육

실천과 경험, 학습 공동체 구성

[ 국]

교사 직무 연구(2001)

수업계획, 성 처리, 학생 수행

리 지원, 학생의 학업 성취

보고

학생 감독, 학 경 , 결석학생

리, 학생에 한 행정 지원, 행정업

무 처리, 일과 시간 구성

2. 교사의 직무부담에 한 선행연구

교사의 질은 학생 성취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삶과 성장에도 커다란 향을 미치며

(Ingersoll, 2007; Santiage, 2002), 교사의 근무여건은 보수와 더불어 교수․학습의 질에

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로 간주되고 있다(OECD, 1998). 따라서 교사의 직무부담에 직

․간 으로 련되는 선행연구들은 교사의 직무를 구분하여 실태를 분석하는 과정에

서 직무수행 소요시간을 조사하는 연구들이 주류를 이루었다.

가령, 교사의 직무수행 실태 분석(김이경 외, 2005; 박덕규 외, 2003; 박 숙 외, 1999;

한유경 외, 2008), 교사의 직무부담 분석(한상원, 2003), 교사의 직무부담 경감 방안(김명

수, 2001; 김창주, 2003; 신상명 외, 2007) 등이 수행되었고, 이들 연구에서는 직무수행

기 을 개발하기 하여 직무수행 실태를 분석하거나, 직무 역에 따른 근무 여건이나

직무부담을 학교 별 차이를 고려하여 분석하고 있다. ⋅ 등 교사들의 직무부담을

가 시키는 원인으로는 주당 수업시수의 과다(김명수, 2001), 공문서 처리의 부담(김명수,

2001; 신상명 외, 2007; 한유경 외, 2008) 등이 지 되었다.

외국에서는 교사의 직무부담과 련하여 다양한 에서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먼 ,

Smaller et al.(2001)은 질 연구방법을 통하여 캐나다 온타리오주 등교사의 직무부담

Page 6: 교사의 근무시간 내 외 직무부담 비교 분석 연구¹€이경... · 2017-01-09 · 2001). 여기에서는 교사의 직무 영역을 수업계획, 성적 처리, 학생

92 敎育行政學硏究

을 조사하 다. 그들은 교사의 직무를 수업, 학생감독, 방과후 활동, 학생 부모 상담,

교수․학습 비 성 사정, 직무 련 출장, 행정 지원 문성 계발 활동, 식사시

간 등 총 8개 역으로 구분하여 조사한 후, 등교사가 주당 평균 48.4시간을 소요하고

있음을 밝 냈다. 그들은 신자유주의 교육개 의 여 로 교사들은 다양한 공식, 비공

식 학습활동을 수행해야만 살아남을 수 있고, 직무 소요시간으로 계상되지 않은 비공식

학습에도 주당 12시간을 소요하므로 교사들의 직무부담이 크다고 결론지었다.

교사의 직무부담 증가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는 연수도 다수 수행되었다. 가령,

Atkins(2003)는 학 규모와 교사의 직무부담 간의 계를 분석한 결과, 학 규모가 크면,

특히 등학교 고학년과 등학교에서 교사들의 학생평가 련 업무가 증가한다는 에

주목하 다. 즉, 학 의 학생수가 많으면 학부모에게 보고하는 시간, 학생들의 수업방해

행동 리, 학생기록부 리, 학생들의 교외 생활 감독 등에 소요하는 시간이 증가하므

로 교사 직무부담을 이려면 학 규모를 감축해야 한다고 주장하 다. 한, Selwood

& Pilkington(2005)은 학교에 만연한 료제 병폐와 문서주의를 교사 직무부담 증가의

주범으로 지 하 다. 즉, 학생 시험 채 , 학생 감독, 서류 보 , 각종 서식 등 문서를

기반으로 하는 직무만 감축해도 직무부담이 크게 경감될 것으로 보고, ICT를 활용하여

종이 문서를 폭 감소시키는 방안을 제안하 다.

한, 직무부담의 증가가 교사들에게 미치는 향을 밝힌 연구 가운데, Barmby(2006)는

국의 수학, 과학, 어 교사를 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서 교사의 직무부담 증가

와 학생 훈육의 어려움이야말로 교사들이 직면하는 가장 큰 문제라고 지 하면서, 이

두 가지가 교사들이 교직을 기피하거나 이직하는 원인을 제공한다고 주장하 다. 이와

유사하게, Smithers & Robinson(2003)은 교사들이 교직을 떠나는 세 가지 가장 요한

이유로 과도한 직무부담, 정부의 교육개 안, 그리고 직무 스트 스를 들었고,

Whitehead etal.(1999)도 과도한 직무부담, 학 경 , 직업불안정성을 교직의 가장 심각

한 문제로 들고 있다. 이들은 모두 직무부담의 증가가 교사와 교직에 부정 향을 미

친다는 을 밝히고 있다.

교사의 직무부담을 직무스트 스나 직무만족과 련시킨 연구 가운데, Naylor(2001)는

과도한 직무부담은 교사의 스트 스를 증가시키고, 이는 다시 교사들의 직무만족도 감

소, 학생 요구에의 부 한 응, 그리고 심지어는 심리 장애로 인한 결근 등을 유발

한다고 주장하 다. 한편, Butt & Lance(2005)는 국의 교육기술부(DfES)가 교사 직무

부담을 이기 해 수행한 로젝트의 성과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교사의 직무부담과

직무 만족도 간에는 부 계가 있음을 밝혔다. 교사의 직무부담을 이기 해서는

수업 보조교사, 상담교사, 행정업무 지원, 회계업무 지원 등의 보조 인력 확충이 필요하

다는 처방(DfES, 2002; Gunter et al., 2005)과 더불어, 교사들의 직무가 학교의 지원 인

력에 재분배되어야 한다는 방안(PriceWaterhouseCoopers, 2001) 등이 제안되었다.

Page 7: 교사의 근무시간 내 외 직무부담 비교 분석 연구¹€이경... · 2017-01-09 · 2001). 여기에서는 교사의 직무 영역을 수업계획, 성적 처리, 학생

교사의 근무시간 내⋅외 직무부담 비교 분석 연구 93

학교구분 등학교 학교 고등학교

경 력

10년 미만 192 141 162

10년~19년 127 207 185

20년~29년 119 122 158

30년 이상 95 20 24

계 533 490 529

부장교사 150 152 128

교 사 384 339 397

계 534 491 525

담임여부

담 임 499 301 274

비담임 33 182 178

계 532 483 452

소 계 535 492 530

합 계 1,557

Ⅲ. 연구 방법

1. 연구 상

본 연구의 조사 상은 국의 공립학교 교사들로, 학교 소재 지역 학교 규모를

고려하여 등학교 49개교, 학교 68개교, 그리고 일반계 고등학교 34개교를 한국교육

개발원에서 제공하는 표집 로그램을 사용하여 유층 표집하 다. 설문조사지 3,000부를

등교사는 학년을 고려하고, 등교사는 과목을 고려하되, 학교 규모에 따라 차등을 두

어 배부하 다. 회수된 설문지 2,002부( , , 고 각각 728부, 627부, 647부) 가운데 결측

데이터를 제외한 유효 설문지 1,557부를 분석에 활용하 다.1) 설문조사는 2005년 9월 29

일부터 10월 13일까지 총 15일 간 진행되었다. <표 2>는 연구 상 교사의 배경을 학교

별로 보여 다.

<표 2> 연구 상 교사의 개인 배경

단 :명

주: 각 배경변인별 소계의 차이는 결측값(무응답)으로 인한 것임.

2. 조사 도구 개발 조사 방법

교사의 직무부담을 조사하기에 앞서 교사의 직무 역 내용을 구분하 다. 각종 선행

연구를 토 로 교사의 직무를 교수․학습과 련된 업무 비교수․학습 련 업무를 포

1) 이 연구에서 분석한 데이터는 �김이경 외(2005). 교원의 직무수행 실태 분석 기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수집된 설문조사 자료를 재가공한 것이다.

Page 8: 교사의 근무시간 내 외 직무부담 비교 분석 연구¹€이경... · 2017-01-09 · 2001). 여기에서는 교사의 직무 영역을 수업계획, 성적 처리, 학생

94 敎育行政學硏究

함하여 총 10개 역으로 구분하고, 이러한 역구분이 타당한지 확인하기 해서 ․

등 교사들 가운데 교무부장과 연구부장 총 6명에게 자문을 구하 고, 일부 수정을 거쳐 최

종 확정되었다(<표 3> 참조). 조사지는 조사 시 을 심으로 지난 1주일 동안 교사들이

각 역별 직무에 할애한 시간을 시간과 분 단 로 직 기재하도록 설계되었으며, 먼

근무시간 내와 근무시간 외를 구분하여 고 마지막에 총 시간을 합산하여 도록 하 다.

<표 3> 교사 직무 수행 소요시간 분석을 한 의견 조사지 문항 구성

구분 내 용 문항 내용 문항수

교수⋅학습련 직무

수업담당시간 주당 수업시수

10

수업계획 비 학습계획안, 교수⋅학습 과정안, 자료 비

과제물 검사 학생평가 학습과제물 검사, 시험출제 성 사정

자기계발활동 독서, 연수, 공개수업참

비교수⋅학습

련 직무

생활지도 학생상담, 기본생활습 교우 계지도

학 경 련 업무 학 환경 조성⋅ 리, 학생 자치활동지도

학부모 상담 조 학부모 상담 수행 각종 력 업무

학교경 지원업무 각종 원회 의회, 학교행사업무

각종 공문서 련 업무 각종 공문서 처리(기안, 작성, 결재), 서류정리

3. 자료 분석

본 연구에서 도출한 자료는 SPSS 12.0(window용)을 사용하여 분석하 으며, 교사의

직무부담을 악하기 해 학교 별로 각 직무 역의 근무시간 내 소요시간과 근무시

간 외 소요시간을 산출하고 그 비율을 분석하 다. 학교 에 따라 각 직무 역별 소요

시간의 차이가 있는지 악하기 해 기술통계방법과 t검정, 일원분산분석방법(one-way

ANOVA)을 사용하 고, 집단들 간에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해 scheffé 사후 검증을 실시하 다.

Ⅳ. 연구 결과 해석 논의

1. 근무시간 내 교사의 직무부담 비교

․ ․고 교사들이 교수․학습 련 직무에 소요한 시간을 학교 별로 보면 먼 ,

‘수업담당시간’의 경우, ․ ․고 교사가 각각 25.89시간, 19.20시간, 17.47시간으로, 학

교 이 낮아질수록 소요시간이 증가하 고, 이는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다(<표

4> 참조). 교수․학습 련 직무 가운데 수업을 제외한 직무를 보면, ‘수업계획 비’

Page 9: 교사의 근무시간 내 외 직무부담 비교 분석 연구¹€이경... · 2017-01-09 · 2001). 여기에서는 교사의 직무 영역을 수업계획, 성적 처리, 학생

교사의 근무시간 내⋅외 직무부담 비교 분석 연구 95

에 , , 고 교사 각각 5.07시간, 5.69시간, 7.61시간을 소요하여 학교 이 높아질수록

증가했으며, ‘자기계발활동’은 (2.05시간), (2.20시간)에 비해 고등학교 교사들의 소요

시간(2.79시간)이 많았다. 그러나 ‘과제물 검사 학생평가’의 경우, (3.13시간), 고(3.10

시간)에 비해 등 교사의 소요시간(3.56시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4> ․ ․고 교사의 근무시간 내 직무별 소요시간 비교

단 : 시간

직무 구분학교

평균 F 사후검정고

교수⋅학습

직무

수업담당시간 25.89 19.20 17.47 20.85 953.814*** 고< <

수업계획 비 5.07 5.69 7.61 6.12 77.341*** < <고

과제물 검사 학생평가 3.56 3.13 3.10 3.26 7.950*** 고= <

자기계발활동 2.05 2.20 2.79 2.35 15.190*** = <고

소계 34.52 28.02 28.18 30.23

교수⋅학습

직무

생활지도 2.83 2.97 2.78 2.86 1.175  

학 경 련 업무 2.35 1.95 1.87 2.06 10.453*** 고= <

학부모 상담 조 1.02 0.95 0.92 0.96 1.666

학교경 지원업무 2.10 2.07 2.11 2.09 0.051

각종 공문서 련 업무 2.07 2.86 2.41 2.45 19.799*** <고<

기타 0.14 0.11 0.10 0.12 0.867

소계 44.89 38.82 38.27 40.65

합 계 47.08 41.13 41.16 43.12

*p<.05, **p<.01, ***p<.001

한편, 비교수․학습 련 직무의 경우, ‘생활지도’에는 평균 2.86시간을 소요하 고, 학

교 에 따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각종 공문서 련 업무’의 경우, (2.07

시간), 고(2.41시간), (2.86시간) 순으로 높아서 학교 교사들의 공문처리 소요시간이

상 으로 많았다. ‘학 경 련 업무’는 (1.95시간), 고(1.87시간)에 비해 등학교

교사(2.35시간)의 소요시간이 많았는데, 이는 등학교의 학 담임제의 특성을 반 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교수․학습 비 비교수․학습에 소요된 시간을 체 으로 볼 때, 교수․학습 련

직무에는 등학교 교사(36.57시간)가 (30.22시간), 고(30.97시간)에 비해 월등히 많은

시간을 소요했는데, 이는 등교사의 수업 부담이 등교사에 비해 7~9시간이 더 많기

때문에 나타나는 상이다. 비교수․학습 련 직무의 경우, ‘각종 공문서 처리’에는

학교의 교사들이, ‘학 경 ’에는 등학교 교사들이 다른 학교 교사들에 비해 시간을

더 많이 소요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체를 합산해서 볼 때, 등학교(10.51시간), 학교

(10.91시간), 고등학교(10.19시간)의 소요 시간 는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Page 10: 교사의 근무시간 내 외 직무부담 비교 분석 연구¹€이경... · 2017-01-09 · 2001). 여기에서는 교사의 직무 영역을 수업계획, 성적 처리, 학생

96 敎育行政學硏究

     단 : 시간

직무 구분 학교교직 경력

F 사후검정10년 미만 10년--19년 20-29년 30년 이상

교수⋅학습

직무

수업담당시간25.75 26.40 26.13 25.20 1.883

19.70 19.14 18.84 18.65 2.225

고 17.86 17.83 16.72 16.92 6.257*** 1,2>3

수업계획 비5.17 5.08 4.61 5.45 1.872

5.83 5.88 5.40 4.50 1.575  

고 7.61 7.89 7.37 7.13 0.540  

과제물 검사 학생평가3.63 3.47 3.60 3.45 0.257  

3.35 3.18 2.98 2.15 2.279

고 3.26 3.21 2.74 3.50 2.288

자기계발활동1.92 1.84 2.26 2.34 1.932  

1.90 2.25 2.57 1.65 2.681* 1<3

고 2.86 2.60 2.88 3.33 0.702

교수⋅학습

직무

생활지도2.90 2.88 2.70 2.81 0.331  

3.18 3.14 2.76 1.30 5.585** 1,2,3>4

고 2.64 2.98 2.68 2.96 0.843

학 경 련 업무2.46 2.23 2.28 2.37 0.712  

2.27 2.21 1.38 0.60 10.957*** 1,2>3>4

고 1.88 2.11 1.69 1.29 1.938

학부모 상담 조0.97 1.08 1.08 0.96 0.751  

1.01 0.92 0.94 0.75 0.691

고 0.84 0.98 0.92 1.04 0.731

학교경 지원업무2.12 2.14 2.15 1.85 0.661  

2.12 1.97 2.23 1.90 0.537

고 1.95 2.18 2.23 1.92 0.634

각종 공문서 련 업무2.13 2.04 2.11 1.95 0.304  

2.77 2.97 2.95 1.85 1.615

고 2.55 2.47 2.35 1.63 1.454

기타0.11 0.19 0.11 0.19 1.004

0.03 0.12 0.15 0.21 1.937

고 0.10 0.14 0.04 0.29 2.501

합 계47.17 47.35 47.01 46.56 0.206  

42.17 41.80 40.21 33.56 7.497*** 1,2,3>4

고 41.55 42.39 39.61 40.00 2.898* 2>3

2. 배경 변인에 따른 근무시간 내 직무부담 비교

가. 교직경력별 직무 소요시간

․ ․고 교사들의 근무시간 내 직무 소요시간을 교직경력별로 보면, 등학교 교

사의 경우 경력에 따라 거의 차이가 없었으나, 학교와 고등학교의 경우 경력 교사

들의 소요시간이 고경력 교사에 비해 상 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5> 참조).

<표 5> ․ ․고 교사의 근무시간 내 교직경력별 직무 소요시간 비교

*p<.05, **p<.01, ***p<.001

Page 11: 교사의 근무시간 내 외 직무부담 비교 분석 연구¹€이경... · 2017-01-09 · 2001). 여기에서는 교사의 직무 영역을 수업계획, 성적 처리, 학생

교사의 근무시간 내⋅외 직무부담 비교 분석 연구 97

교수⋅학습 련 직무를 보면, ‘수업담당시간,’ ‘수업계획 비,’ ‘과제물 검사 학

생평가’에서 교직경력이 증가함에 따라 직무 소요시간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 다. 그러

나 고등학교 교사의 ‘수업담당시간’에서만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20년 경력

을 기 으로 경력 교사의 수업 부담이 상 으로 많았으며, ‘자기계발활동’의 경우,

20~29년 경력 교사들의 소요시간이 상 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수⋅학습 련 직무의 경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직무는 학교 교

사의 ‘생활지도’와 ‘학 경 련 업무’ 다. ‘생활지도’의 경우, 고경력 교사, 특히 30년

이상된 교사의 소요시간은 1.30에 불과하여, 평균 3시간 정도를 소요한 경력 교사와

상당한 차이를 보 다. 한, 학교 교사의 ‘학 경 련 업무’에서도 교직경력별 소

요시간 차이가 두드러졌는데, 경력이 낮을수록 소요시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 직 별 직무 소요시간

교사의 직 에 따른 직무 소요시간을 보면, 교수․학습 련 직무와 비교수․학습

련 직무 간에 다소 차별화되는 경향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교수․학습 련 직무의 경우, 평교사와 부장교사 간 직무 소요시간에 있어서 차이가

나는 역은 ‘수업담당시간’뿐이다. 즉, 학교와 고등학교 일반 교사의 수업 시간은 각

각 19.54와 17.77시간으로 부장교사의 18.53 16.57시간보다 1시간 이상 많았고, 이 차

이는 통계 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업계획 비,’ ‘과제물 검사,’ ‘자

기계발활’동 등 기타 교수․학습 련 직무에 소요된 시간은 ․ ․고 모든 학교 에

서 교사의 직 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6> 참조).

한편, 비교수․학습 련 직무에 있어서, ‘생활지도,’ ‘학 경 련 업무,’ ‘학부모 상

담 조,’ ‘학교경 지원업무,’ ‘공문서 련 업무’ 등에 할애한 시간은 평교사와 부

장교사 간에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각 직무별로 보면, ‘생활지도’와 ‘학부모

상담 조’에 있어서는 학교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평교사의 소요시간이

부장교사보다 많았다. ‘학 경 련 업무’는 학교와 고등학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

었는데, 역시, 평교사의 소요시간이 부장교사보다 많았다. 반면, ‘학교경 지원업무’

‘각종 공문서 처리업무’는 모든 학교 에서 부장교사의 소요시간이 평교사보다 많았다.

‘학교경 지원업무’의 경우 평교사와 부장교사 간 소요시간 격차는 , , 고 각각

0.58, 0.81, 1.08시간으로, 학교 이 높아질수록 그 격차도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는 학교경 을 지원하기 한 부장교사들의 직무부담도 상 으로 증가한다는 것을 의

미한다.

Page 12: 교사의 근무시간 내 외 직무부담 비교 분석 연구¹€이경... · 2017-01-09 · 2001). 여기에서는 교사의 직무 영역을 수업계획, 성적 처리, 학생

98 敎育行政學硏究

<표 6> ․ ․고 교사의 근무시간 내 직 별 직무 소요시간 비교

      단 : 시간

근무시간 내등학교 학교 고등학교

부장 교사 t 부장 교사 t 부장 교사 t

교수⋅학습

직무

수업담당시간 25.76 25.95 -0.486 18.53 19.54 -3.614*** 16.57 17.77 -4.242***

수업계획 비 5.07 5.08 -0.018 5.61 5.73 -0.407 7.07 7.77 -1.631

과제물 검사 학생평가 3.60 3.54 0.285 2.99 3.20 -1.052 2.92 3.14 -1.042

자기계발활동 2.05 2.05 0.008 2.07 2.26 -0.886 2.41 2.91 -1.794

소 계 36.48 36.62 29.2 30.73 28.97 31.59

교수⋅학습

직무

생활지도 2.70 2.88 -1.051 2.46 3.20 -3.623*** 2.85 2.78 0.304

학 경 련 업무 2.42 2.32 0.679 1.31 2.24 -5.360*** 1.36 2.06 -3.399**

학부모 상담 조 0.97 1.04 -0.825 0.81 1.00 -2.284* 0.91 0.94 -0.319

학교경 지원업무 2.50 1.92 3.322** 2.63 1.82 4.343*** 2.93 1.85 5.270***

각종 공문서 련 업무 2.71 1.82 5.888*** 3.41 2.62 3.600*** 2.87 2.26 2.848**

기타 0.21 0.11 1.805 0.13 0.10 0.715 0.08 0.11 -0.737

소 계 11.51 10.09 10.75 10.98 11.0 10.0

합 계 47.99 46.71 1.733 39.95 41.71 -2.202* 39.97 41.59 -1.777

*p<.05, **p<.01, ***p<.001

다. 담임여부에 따른 직무 소요시간

교사의 담임 여부에 따라 근무시간 내 직무 소요시간을 분석한 결과, 담임교사의 소

요시간이 비담임 교사보다 더 많았고, 그 주된 원인은 ‘수업담당시간,’ ‘생활지도,’ ‘학

경 업무,’ ‘학부모 상담 조 업무’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보다 구체 으로 보면, 먼 , 교수․학습 련 직무 가운데 ‘수업담당시간’의

경우 모든 학교 에서 담임교사의 시수가 비담임교사보다 많았고, 특히 등학교의 경

우 그 차이가 7.85시간으로, 학교(0.93시간) 고등학교(1.24시간)의 차이와 비교할 때

상당한 격차임을 알 수 있다(<표 7> 참조). 이는 등학교의 수업이 담임교사 심으로

이루어지는 특성을 반 하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 ‘자기계발활동’의 경우 모든 학교 에

서 담임교사보다 비담임교사의 소요시간이 많았고, 등학교와 학교는 통계 으로 유

의한 차이를 보 다.

한편, 비교수․학습 련 직무의 경우, 담임교사들은 비담임교사들에 비해 ‘생활지도,’

‘학 경 련 업무,’ ‘학부모 상담 조’ 등에 더 많은 시간을 소요하는 경향을 보

다. 특히, ‘학 경 련 업무’는 담임과 비담임 간 소요시간 격차가 , , 고 각각 0.67,

1.86, 1.97시간으로, 학교 이 높아질수록 격차가 커질 뿐만 아니라, 타 직무에 비해 담임

과 비담임 간 격차도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학교경 지원’ ‘각종 공문서 처

리 업무’에는 비담임 교사가 담임교사에 비해 더 많은 시간을 소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13: 교사의 근무시간 내 외 직무부담 비교 분석 연구¹€이경... · 2017-01-09 · 2001). 여기에서는 교사의 직무 영역을 수업계획, 성적 처리, 학생

교사의 근무시간 내⋅외 직무부담 비교 분석 연구 99

직무 구분학교

평균 F 사후검정) 고

교수⋅학습

련직무

수업계획 비 2.14 3.16 3.54 2.95 38.672*** < <고

과제물 검사 학생평가 0.83 1.73 1.51 1.36 37.219*** < <고

자기계발활동 2.23 2.60 2.79 2.54 4.260* < =고

소 계 2.97 4.89 5.05 4.30

교수⋅학습

직무

생활지도 0.42 1.03 1.25 0.90 52.722*** < <고

학 경 련 업무 0.51 0.55 0.64 0.57 1.745  

학부모 상담 조 0.33 0.55 0.43 0.44 11.525*** <고<

학교경 지원업무 0.39 0.58 0.52 0.50 4.946* < =고

각종 공문서 련 업무 0.39 0.72 0.58 0.56 10.020*** < =고

기타 0.10 0.08 0.13 0.10 0.985  

소 계 5.01 8.32 8.47 7.27

합 계 7.34 11.00 11.39 9.91 48.824*** < =고

<표 7> ․ ․고 교사의 근무시간 내 담임여부에 따른 직무 소요시간 비교

      단 : 시간

직무 구분등학교 학교 고등학교

담임 비담임 t 담임 비담임 t 담임 비담임 t

교수․학습

수업담당시간 26.40 18.55 12.594*** 19.58 18.65 3.390** 18.00 16.76 4.516***

수업계획 비 5.07 5.09 -0.034 5.53 5.92 -1.265 7.71 7.38 0.799

과제물 검사 학생평가 3.60 3.00 1.607 3.05 3.29 -1.233 3.18 2.81 1.914

자기계발활동 1.98 3.21 -3.579*** 2.05 2.46 -2.076* 2.54 2.80 -1.024

소 계 37.05 29.85 30.21 30.32 31.43 29.75

교수⋅학습

직무

생활 지도 2.87 2.30 1.750 3.37 2.37 5.134*** 3.36 2.23 5.121***

학 경 련 업무 2.39 1.72 2.441* 2.67 0.81 12.351*** 2.83 0.86 10.865***

학부모 상담 조 1.00 1.25 -1.574 1.09 0.69 5.141*** 1.20 0.55 7.619***

학교경 지원 업무 1.98 3.71 -5.456*** 1.85 2.41 -3.199** 1.93 2.03 -0.575

각종 공문서 련 업무 1.97 3.56 -5.636*** 2.56 3.35 -3.738*** 2.11 2.61 -2.467*

기타 0.14 0.13 0.173 0.05 0.20 -3.220*** 0.08 0.12 -0.804

소 계 10.35 12.67 11.59 9.83 11.51 8.4

합 계 47.40 42.52 3.585*** 41.80 40.15 2.110* 42.94 38.15 5.602***

*p<.05, **p<.01, ***p<.001

3. 근무시간 외 교사의 직무부담 비교

․ ․고 교사들이 근무시간 외에 학교나 가정에서 각종 직무에 소요한 시간을 교수․

학습 비교수․학습 련 직무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교수․학습 비 비교수․학습 직

무에 소요한 시간은 각각 6.84시간과 3.07시간으로, 69:31의 비율로 나타났다(<표 8> 참조).

<표 8> ․ ․고 교사의 근무시간 외 직무별 소요시간 비교

단 : 시간

*p<.05, **p<.01, ***p<.001

Page 14: 교사의 근무시간 내 외 직무부담 비교 분석 연구¹€이경... · 2017-01-09 · 2001). 여기에서는 교사의 직무 영역을 수업계획, 성적 처리, 학생

100 敎育行政學硏究

근무시간 외에 수행하는 직무의 총 소요시간은 등학교(7.34시간), 학교(11.0시간),

고등학교(11.39시간) 순으로, 학교 이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 다. 교수․학습

련 직무의 경우, ‘수업계획 비’, ‘과제물 검사,’ ‘자기계발활동’ 모두 , , 고 순

으로 소요시간이 많은 것으로 일 되게 나타났다. 한 비교수․학습 직무의 경우에도,

학교와 고등학교 간 차이가 없거나(‘공문서 련 업무’, ‘학교경 지원업무’), 순 가

바 직무(‘학부모 상담 조’)는 있지만, 등보다 등 교사의 소요시간이 모든 항

목에서 상 으로 많아서, 근무시간 외에 등 교사의 직무부담이 상 으로 큰 것으

로 나타났다.

4. 배경 변인에 따른 근무시간 외 직무부담 비교

가. 교직경력별 직무 소요시간

근무시간 외 경력에 따른 교사의 직무 소요시간을 보면 뚜렷한 경향이 발견된다.

체 소요시간 평균을 보면, 모든 학교 에서 경력이 증가할수록 소요시간이 감소하고 있

다. <표 9>에 제시된 바와 같이, 경력 10년 미만 ․ ․고 교사의 평균 소요시간은 각

각 8.77시간, 13.97시간, 12.60시간인 데 반해, 30년 이상 교사의 평균은 각각 5.65시간,

4.75시간, 7.80시간으로, 최 경력과 최고 경력 간의 소요시간 차는 각각 3.12, 9.22, 4.80

시간이나 되며, 특히, 학교 교사의 격차가 가장 크다. 한, ‘생활지도’나 ‘학부모 상담

조’를 제외한 부분의 직무에서 경력 교사들이 고경력 교사보다 더 많은 시간

을 소요했는데, 특히 10년 미만의 교사들의 소요시간이 많았다(<표 9> 참조). 이러한 결

과는 경력 교사들의 추가 부담이 많거나 그들의 직무 수행 숙련도가 낮아서 이를 해

결하기 해 퇴근 후에도 노력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교수․학습 련 직무의 경우, ‘수업계획 비,’ ‘과제물 검사 학생평가,’ ‘자기계

발활동’ 모두에 있어서 학교 에 계없이 10년 미만이나 10~19년 경력 교사들의 직무 소

요시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시간 내․외의 직무 소요시간을 종합 으로 볼 때,

경력 교사들은 ‘수업계획 비,’ ‘과제물 검사 학생평가’ 등의 직무를 완수하기

해 고경력 교사들에 비해 근무시간 외에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다고 단할 수 있다.

한편, 비교수․학습 련 직무의 경우에서는 조 다른 양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학

경 련 업무,’ ‘학교경 지원업무,’ ‘공문서 련 업무’의 경우, 유독 학교에서 10

년 미만 경력 교사와 20~29년 경력 교사의 소요시간이 타 경력 교사들에 비해 많았는

데, 이는 학교 경력 교사들의 근무시간 외 비교수․학습 련 직무부담이 타 학교

에 비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Page 15: 교사의 근무시간 내 외 직무부담 비교 분석 연구¹€이경... · 2017-01-09 · 2001). 여기에서는 교사의 직무 영역을 수업계획, 성적 처리, 학생

교사의 근무시간 내⋅외 직무부담 비교 분석 연구 101

      단 : 시간

직무 구분 학교교직 경력

F 사후검정10년 미만 10년--19년 20-29년 30년 이상

교수⋅학습

련직무

수업계획 비2.68 2.22 1.71 1.47 7.893*** 1,2>3,44.13 3.05 2.47 1.55 12.227*** 1,2>3>4

고 3.79 3.74 3.20 2.63 2.112

과제물 검사 학생 평가1.06 0.87 0.57 0.64 5.067** 1,2>,3,42.31 1.76 1.16 0.75 8.621*** 1>2>3,4

고 1.98 1.39 1.29 0.83 5.546** 1>2,3,4

자기계발활동2.66 2.47 1.85 1.54 4.603** 1,2>3>43.31 2.38 2.42 1.05 4.632** 1>2,3,4

고 3.07 2.72 2.78 1.75 0.992

비교수⋅학습

련직무

생활지도0.52 0.43 0.29 0.39 2.060 1.11 1.11 0.87 0.60 1.562

고 1.42 1.30 1.08 0.96 1.260

학 경 련 업무0.58 0.58 0.41 0.37 1.602  0.84 0.45 0.40 0.30 4.609** 1>2,3,4

고 0.64 0.73 0.58 0.32 0.790

학부모 상담 조0.40 0.32 0.23 0.36 1.737  0.58 0.58 0.53 0.20 1.410

고 0.45 0.47 0.37 0.31 0.648

학교경 지원업무0.40 0.44 0.34 0.38 0.224  0.74 0.47 0.68 0.00 4.155** 1,3>2

고 0.53 0.48 0.56 0.50 0.217

각종 공문서 련 업무0.39 0.46 0.36 0.36 0.323 0.90 0.53 0.93 0.15 4.294** 1,3>2>4

고 0.58 0.59 0.58 0.46 0.084

기타0.08 0.10 0.09 0.15 0.344 0.04 0.03 0.20 0.15 4.160** 3>4>1,2

고 0.15 0.09 0.16 0.04 0.451

체8.77 7.87 5.86 5.65 8.912*** 1,2>3,4

13.97 10.36 9.66 4.75 13.704*** 1>2,3>4고 12.60 11.52 10.60 7.80 3.438* 1,2>3,4

<표 9> ․ ․고 교사의 근무시간 외 교직경력별 직무 소요시간 비교

*p<.05, **p<.01, ***p<.001

나. 직 별 직무 소요시간

근무시간 외 교사들의 직무 소요시간이 직 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교수․

학습 련 직무의 경우 뚜렷한 경향을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비교수․학습 련 직

무의 경우, 등 부장교사(7.93시간)와 고등 부장교사(11.95시간)의 평균 소요시간이 평교

사의 소요시간(각각 7.14시간, 11.23시간)에 비해 많았고(<표 10> 참조), 그 가운데, ‘학교

경 지원’과 ‘공문서 련 업무’의 소요시간 차이는 통계 으로 유의하 다. 이러한 결

과는 부장교사들의 비교수․학습 련 직무가 근무시간 외의 부담으로 이어지고 있음을

말해 다.

반면, 학교의 경우, ‘생활지도,’ ‘학 경 ’, ‘학부모 상담 조’는 평교사의 소요시

간이 많은 반면, ‘학교경 지원’과 ‘공문서 처리’의 경우에는 부장교사의 소요시간이 많

은 것으로 나타났다.

Page 16: 교사의 근무시간 내 외 직무부담 비교 분석 연구¹€이경... · 2017-01-09 · 2001). 여기에서는 교사의 직무 영역을 수업계획, 성적 처리, 학생

102 敎育行政學硏究

      단 : 시간

직무 구분등학교 학교 고등학교

부장 교사 t 부장 교사 t 부장 교사 t교수⋅학습

련직무

수업계획 비 2.08 2.17 -0.428 2.84 3.30 -1.767 3.42 3.58 -0.532과제물 검사 학생평가 0.81 0.84 -0.298 1.36 1.89 -2.603* 1.54 1.51 0.148자기계발활동 2.35 2.19 0.618 2.37 2.70 -1.081 2.68 2.84 -0.428

소계 5.24 5.2 6.57 7.89 7.64 7.93

교수⋅학습

직무

생활지도 0.37 0.44 -0.946 0.97 1.06 -0.643 1.39 1.22 0.928학 경 련 업무 0.55 0.49 0.582 0.40 0.61 -1.840 0.68 0.63 0.324학부모 상담 조 0.38 0.32 0.974 0.47 0.59 -1.408 0.48 0.41 0.865학교경 지원업무 0.61 0.31 3.431** 0.72 0.51 2.030* 0.63 0.48 1.653각종 공문서 련 업무 0.65 0.29 4.231*** 0.87 0.65 1.610 0.85 0.48 3.069**기타 0.13 0.09 0.776 0.10 0.07 0.690 0.28 0.08 2.946*

소계 2.69 1.94 3.53 3.49 4.31 3.3합 계 7.93 7.14 1.309 10.10 11.36 -1.660 11.95 11.23 0.885

<표 10> ․ ․고 교사의 근무시간 외 직 별 직무 소요시간 비교

*p<.05, **p<.01, ***p<.001

다. 담임여부에 따른 직무 소요시간

교사의 담임 여부에 따른 근무시간 외 직무 소요시간을 분석한 결과, 체 인 시간

을 볼 때, 담임교사 비 비담임교사의 소요시간은 , , 고 각각, 7.39 : 7.15시간, 11.24

: 10.80시간, 12.43 : 9.83시간으로 담임교사의 소요시간이 작게는 0.22시간( 등)에서 크게

는 2.61시간(고등)까지 차이가 있었다(<표 11> 참조).

이를 직무별로 볼 때, 교수․학습 련 직무는 체 으로 담임교사의 소요시간이 많은

반면, 비교수․학습 련 직무는 학교 에 따라 다른 경향을 보인 가운데, 고등학교 에서

‘공문서 처리 업무’를 제외한 담임교사의 소요시간이 반 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11> ․ ․고 교사의 근무시간 외 담임여부에 따른 직무 소요시간 비교

      단 : 시간

직무 구분등학교 학교 고등학교

담임 비담임 t 담임 비담임 t 담임 비담임 t교수⋅학습

련직무

수업계획 비 2.19 1.58 1.468 3.16 3.21 -0.212 3.98 3.10 3.098**과제물 검사 학생평가 0.87 0.30 2.627** 1.85 1.58 1.380 1.60 1.31 1.598자기계발활동 2.21 2.64 -0.849 2.54 2.73 -0.641 2.69 2.65 0.115

소계 5.27 4.52 7.55 7.52 8.27 7.06

교수⋅학습

직무

생활지도 0.43 0.27 1.077 1.17 0.84 2.523* 1.57 0.90 3.969***학 경 련 업무 0.53 0.15 2.135* 0.74 0.25 4.571*** 0.91 0.39 3.762***학부모 상담 조 0.32 0.50 -1.509 0.66 0.41 3.193** 0.55 0.22 4.630***학교경 지원 업무 0.37 0.77 -2.483* 0.50 0.69 -1.890 0.53 0.46 0.809각종 공문서 련 업무 0.37 0.79 -2.665** 0.60 0.94 -2.638** 0.52 0.65 -1.106기타 0.10 0.15 -0.563 0.02 0.15 -3.400** 0.08 0.14 -1.157

소계 2.12 2.63 3.69 3.28 4.16 2.76합 계 7.39 7.15 0.207 11.24 10.80 0.581 12.43 9.82 3.438**

*p<.05, **p<.01, ***p<.001

Page 17: 교사의 근무시간 내 외 직무부담 비교 분석 연구¹€이경... · 2017-01-09 · 2001). 여기에서는 교사의 직무 영역을 수업계획, 성적 처리, 학생

교사의 근무시간 내⋅외 직무부담 비교 분석 연구 103

5. 근무시간 내․외 합산 직무 소요시간 비교

근무시간 내․외를 합산하여 교사들의 직무 소요시간을 학교 별로 비교․분석한 결

과, (54.42시간), 고(52.55시간), 학교(52.13시간) 순으로 많았다(<표 12> 참조). 이를

근무시간 내․외로 구분하여 볼 때, 먼 , 근무시간 내의 경우, (47.07시간), 고(41.17시

간), 학교(41.13시간) 순으로 등학교 교사의 직무부담이 으로 많았는데, 그 이

유는 수업부담과 더불어 수업에 추가되는 수업 비, 과제물 검사 학생평가 등의 직

무부담도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한편, 근무시간 외 직무 소요시간의

경우 고등학교(11.39시간), 학교(10.99시간), 등학교(7.34시간) 순으로 나타나 근무시

간 내와 조 으로 등교사의 직무부담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12> 참조).

이를 직무 종류별로 볼 때, 모든 교수․학습 련 직무의 경우, 근무시간 내에는 등

학교 교사의 소요시간이 많은 반면, 근무시간 외에는 학교와 고등학교 교사의 소요시

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수․학습 련 직무의 경우, 근무시간 내에는 등교사가 ‘학 경 련 업무’에

가장 많은 시간을 소요하 고, ‘공문서 련 업무’에는 등학교 교사가 더 많은 시간을

소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근무시간 외에는 ‘학 경 련 업무’를 제외한 모든

직무에서 등학교 교사의 소요시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12> ․ ․고 교사의 근무시간 내․외 합산 직무 소요시간 비교

단 : 시간

직무종류등학교 학교 고등학교 근무시간 내 근무시간 외

내 외 내 외 내 외 F 사후검정 F 사후검정

교수⋅학습

직무

수업담당시간 25.89 19.20 17.47 953.814*** 3<2<1

수업계획 비 5.07 2.14 5.69 3.16 7.61 3.54 77.341*** 3<2<1 38.672*** 1<2<3

과제물 검사 학생평가 3.56 0.83 3.13 1.73 3.10 1.51 7.950*** 3=2<1 37.219*** 1<2<3

자기계발활동 2.05 2.23 2.20 2.60 2.79 2.79 15.190*** 1=2<3 4.260* 1<2=3

계 36.57 5.2 30.22 7.49 30.97 7.84

교수⋅학습

직무

생활지도 2.83 0.42 2.97 1.03 2.78 1.25 1.175 52.722*** 1<2<3

학 경 련 업무 2.35 0.51 1.95 0.55 1.87 0.64 10.453*** 3=2<1 1.745

학부모 상담 조 1.02 0.33 0.95 0.55 0.92 0.43 1.666 11.525*** 1<3<2

학교경 지원업무 2.10 0.39 2.07 0.58 2.11 0.52 0.051 4.946* 1<2=3

각종 공문서 련 업무 2.07 0.39 2.86 0.72 2.41 0.58 19.799*** 1<3<2 10.020*** 1<2=3

기타 0.14 0.10 0.11 0.08 0.10 0.13 0.867 0.985

계 10.51 2.14 10.91 3.51 10.19 3.55

체47.08 7.34 41.13 11.00 41.16 11.39 87.232*** 3=2<1 48.824*** 1<2=3

54.42 52.13 52.55

*p<.05, **p<.01, ***p<.001

Page 18: 교사의 근무시간 내 외 직무부담 비교 분석 연구¹€이경... · 2017-01-09 · 2001). 여기에서는 교사의 직무 영역을 수업계획, 성적 처리, 학생

104 敎育行政學硏究

Ⅴ. 결론 제언

본 연구를 통해 ⋅ ⋅고 교사들의 근무시간 내․외 직무부담을 교수․학습 련

직무와 비교수․학습 련 직무로 구분하고 각각의 소요시간을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 ․고 교사들은 근무시간 내 교수․학습 련 업무에 평균 32.58시간, 비교

수․학습 련 업무에 평균 10.54시간을 소요하 다. 교수․학습 련 직무 비 비교수․

학습 련 직무의 비율은 75.57% 24.43%로, 약 3 : 1에 해당한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

라 교사들이 근무시간 내에 수행하는 직무 가운데 25%는 지원인력(support staffs)들이 수

행할 수 있는 직무라는 것을 의미한다. 근무시간 내 비교수․학습 련 직무를 과다하게

수행함으로써 교사 본연의 직무인 교수․학습 련 직무의 수행에 차질을 빚을 수 있으

며, 특히 근무시간 내 자기계발 활동 수행시간이 짧다는 은 문제로 지 될 수 있다.

둘째, 근무시간 내에 ⋅ ⋅고 교사들이 각종 직무에 소요한 시간을 배경 변인(교직

경력과 직 , 담임여부)별로 분석한 결과, 등교사들은 반 으로 수업부담이 많았다.

반면, 등교사의 경우, 경력 교사, 평교사, 담임교사들이 수업지도, 생활지도, 학 경

, 학부모 상담 조 등 학생과 직 련되는 직무부담이 상 으로 과 한 반면,

학교경 을 지원하기 한 직무부담은 부장교사들이 더 많이 지고 있었다.

셋째, 근무시간 외 교사의 직무부담을 분석한 결과, 주당 평균 9.91시간을 소요하 고,

등보다는 등교사의 직무부담이 상 으로 큰 것으로 나타나 근무시간 내의 상황과

조를 보 다. 근무시간 외 등교사의 교수․학습 비 비교수⋅학습 직무 소요시간

은 69:31의 비율로, 근무시간 내와 비교할 때 비교수⋅학습 직무부담이 과 하여 등교

사의 근무시간 외 비교수⋅학습 직무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넷째, 근무시간 외 직무부담을 배경 변인(교직경력과 직 , 담임여부)에 따라 분석한

결과, 반 으로 교직경력이 을수록 직무부담이 컸고, 특히 10년 미만 경력교사들의

추가 부담이 많았다. 종합 으로 볼 때, 경력 교사, 평교사, 담임들의 근무시간 외 직

무부담이 반 으로 많았으나, 교수․학습 련 직무는 평교사의 부담이, 비교수․학습

련 직무는 부장교사의 부담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근무시간 내⋅외를 모두 합친 주당 직무 소요시간은 평균 53.03시간으로,

(54.40시간), 고(52.55시간), 학교(52.13시간) 순으로 많았고, 이는 우리나라 노동법 제

51조의 근로시간이 48시간을 과할 수 없다는 규정에 비추어 볼 때 모든 학교 에서

이를 과하고 있음을 보여 다. 특히, 근무시간 외의 직무 소요시간은 , , 고 각각

7.34시간, 11.0시간, 11.39시간으로, 교사들이 정시에 출퇴근하는 것으로 알려진 통념과

달리, 교수․학습 련 업무는 물론, 비교수․학습 련 업무를 학교와 가정에서 추가

Page 19: 교사의 근무시간 내 외 직무부담 비교 분석 연구¹€이경... · 2017-01-09 · 2001). 여기에서는 교사의 직무 영역을 수업계획, 성적 처리, 학생

교사의 근무시간 내⋅외 직무부담 비교 분석 연구 105

으로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 다.

이상의 분석 결과는 교사의 직무부담의 경 이 학교 과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다

르므로, 교사의 직무부담을 경감하는 방안도 차별 으로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분

석 결과를 토 로 직무부담 경감에 기여할 수 있는 제언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등교사의 교수․학습 련 직무부담을 일 수 있는 책이 필요하다. 등교

사는 등에 비해 수업 부담이 과 하고, 이는 수업과 련된 수업계획 비, 과제물

검사, 학생평가 등의 직무부담을 추가로 발생시킨다. 특히, 담임교사의 직무부담이 비담

임 교사에 비해 과 한 은 담임 기피 상이나 등교사의 교수 문성 하향으로 이어

질 수 있다. 따라서 부분 담임제로 운 되는 등교사의 직무부담을 이기 해서는

교과 담 교사의 확충 등의 방안을 보다 획기 으로 실천에 옮길 필요가 있다.

둘째, 등교사들의 비교수⋅학습 련 직무를 경감시킬 수 있는 방안이 요청된다. 특

히, 10년 미만 경력 평교사이면서, 담임을 맡고 있는 교사들의 수업 비수업 련

직무 부담이 상 으로 높은 만큼 이들을 겨냥한 맞춤형 지원이 요구된다. 수습기간도

없고 입직 연수도 불충분하여 직무수행 숙련도가 낮은 상황에서 경력 교사들에게 과

한 부담이 가되는 상은 교사의 성공 인 교직 입직과 정착을 해할 수 있다. 이

를 해결하기 해서는 경력 교사들의 교수․학습 문성 향상을 한 재직연수 강화

와 더불어, 수업시수 경감 등의 지원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사들의 핵심 직무를 국가 차원에서 정의하고, 비핵심 직무는 과감하게 사무

보조인력이나 문인력에게 분담시키려는 노력이 시 하다. 교사 비 지원인력의 비율

에 한 OECD의 조사에서 우리나라는 매번 열악성을 면치 못하고 있는 바, 지원인력의

결여는 교사들의 교수⋅학습과 련 없는 직무의 강도를 높이고, 이는 다시 교사의 핵

심 직무인 교수⋅학습의 질을 낮추는 결과를 래한다. 교사가 핵심직무인 교수․학습

에 념할 수 있도록 수업 도우미와 상담교사, 행정요원 등과 같은 비수업 담당 보조인

력의 확충이 필요하다.

넷째, 교사들의 직무 부담과 직무 강도에 한 재인식이 필요하다. 정시 출퇴근하고

비교 쉬운 직업이라는 막연한 인식에서 벗어나서, 그들이 실제로 수행하는 직무를 양

․질 으로 조사하려는 추가 노력이 필요하다. 학생의 성취에 있어서 교사의 요성

과 특히, 교수․학습 련 직무의 요성은 강조되는 반면, 한 지원과 재교육

은 상 으로 등한시되어 교직은 어렵고 까다로운 직업으로 인식되고 있다

(OECD, 2005). 이러한 결과는 장기 으로 교직 희망자의 양과 질을 하시킴은 물론,

직 교사의 근무의욕과 사기도 하시킬 수 있다. 이에, 교사의 직무 부담과 직무 강도

를 보다 심도 있게 밝히고, 특히 비교수․학습 련 직무 부담이 교수․학습 련 직무

의 수행에 어떤 향을 미치는가 등을 구체 으로 밝힐 수 있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Page 20: 교사의 근무시간 내 외 직무부담 비교 분석 연구¹€이경... · 2017-01-09 · 2001). 여기에서는 교사의 직무 영역을 수업계획, 성적 처리, 학생

106 敎育行政學硏究

참고문헌

김남순(2002). 교사의 역할구조와 일과시간 활용에 한 연구. 교육문제연구, 17, 55-78.

김명수(2001). 보수 근무여건에서의 교직발 종합방안 실행과제. 한국교원교육연구,

18(2), 157-182.

김이경⋅한만길⋅박 숙⋅홍 란(2005). 교원의 직무 수행 실태 분석 기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김진환(2009). 교사를 한 교직실무. 서울: 학지사.

김창주(2003). 등교원의 업무경감 방안 연구. 충남 학교 행정 학원 석사학 논문.

남정걸(1997). 교육행정 교육경 제2개정 . 서울: 교육과학사.

박덕규 외(2003). 교원의 표 수업시수 설정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박 숙(1999). 학교 별, 직 별, 취득자격별 교원 직무 수행기 에 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서정화(1995). 교육인사행정. 서울: 세 사.

신상명․김정순․김태수(2007). 교원의 잡무경감 방안.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이규만․김용흔(2007). 기혼교사들의 직장-가정 갈등의 결정요인에 한 연구. 교육행정학

연구, 25(3), 219-241.

이윤식․박안수(2000). 교사발달을 해하는 조직 ⋅개인 요인에 한 연구. 교육행정학

연구, 18(1), 97-126.

정 수(2003). 교직사회의 갈등과 교육공동체 형성. 한국교육평론, 한국교육개발원.

조인진(2005). 학교 교사들의 교육 신념의 장 용성에 한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2(2), 335-351.

주삼환 외(1996). 교원의 정체성 확립을 한 교사의 직무수행 모형 개발 연구. 서울특별시

부교육청.

한상원(2003). 등교사의 직무부담과 문성에 한 인식. 경인교육 학교 교육 학원

석사학 논문.

한유경․박상완․서경혜․ 제상(2008). 교사 직무 수행실태 분석. 열린교육연구, 16(3), 183-206.

Atkins, J. (2003). Class sizes and teacher workload: Teachers' views. Educational

Review, 16(2), 13-18.

Barmby, P. (2006). Improving teacher recruitment and retention: The importance of

workload and pupil behaviour. Educational Research. 48(3), 247-265.

Butt, G., & Lance, A. (2005). Secondary teacher workload and job satisfaction.

Educational Management Administration & Leadership. 33(4), 401-422.

Department for Education and Skills (2002). Time for standards Reforming the school

workforce. London: Department for Education and Skills.

Page 21: 교사의 근무시간 내 외 직무부담 비교 분석 연구¹€이경... · 2017-01-09 · 2001). 여기에서는 교사의 직무 영역을 수업계획, 성적 처리, 학생

교사의 근무시간 내⋅외 직무부담 비교 분석 연구 107

Department for Education and Skills (2003). Raising standards and tackling workload: a

national agreement. London: Department for Education and Skills.

Gunter, H., Rayner, S., Thomas, H., Fielding, A., Butt, G., & Lance, A. (2005). Teachers,

Time and Work: Findings from the Evaluation of the Transforming the School

Workforce Pathfinder Project. School Leadership & Management. 25(5), 441-454.

Ingersoll, R. M. (2007). A comparative study of teacher preparation and qualification in six

nations. Philadelphia, PA: Consortium for Policy Research in Education.

Leithwood, K., Menzies, T., Jantzi, D., & Leithwood, J. (1996). School restructuring,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 amelioration of teacher burnout. Anxiety,

Stress & Coping. 9(3), 199-215.

Malcolmson, J. (1999). Time under pressure: Elementary teacher workload in nine Lower

Mainland schools. Vancouver: E. V. Christensen Consulting.

Naylor, C. (2001). Teacher workload and stress: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on human costs

and systematic failure. British Columbia Teacher's Federation research report,

Vancouver, Canada.

NBPTS (2002). What teacher should know and be able to do. www.nbpts.org/pdf/coreprops.pdf.

OECD (1998). Education policy analysis. Paris: OECD.

OECD (2005). Teachers matter: Attracting, developing and retaining effective teachers. Paris: OECD.

OECD (2006, 2009). Education at a glance: OECD indicators. Paris: OECD.

PriceWaterhouseCoopers (2001). Teacher workload study. London: Department for

Education and Skills.

Santiago, P. (2002). Teacher Demand and Supply: Improving Teaching Quality and Addressing

Teacher Shortage. OECD Education Working Paper 1.

Selwood, I., & Pilkington, R. (2005). Teacher workload: Using ICT to release time to

teach, Educational Review, 57(2), 163-174.

Smaller, H., Hart, D., Clark, R., & Livingstone, D. (2001). Informal/formal learning and

workload among ontario secondary school teachers. NALL Working Paper.

Smithers, A., & Robinson, P. (2003). Factors affecting teachers' decisions to leave the

profession. Nottingham: Department for Education and Skills.

Whitehead, J., Preece, L., & Maughan, S. (1999). Teacher supply: is there a

disjuncture between policy and practice? The case of mature students,

Research in Education, 62, 22-31.

Wylie, C. (1997). Self-Managing Schools Seven Years On: What have we Learnt?

Wellington: New Zealand Council for Educational Research.

Page 22: 교사의 근무시간 내 외 직무부담 비교 분석 연구¹€이경... · 2017-01-09 · 2001). 여기에서는 교사의 직무 영역을 수업계획, 성적 처리, 학생

108 敎育行政學硏究

Abstract

Teacher Workload Study: Comparison between Teaching and

Non-teaching Workload in Korea

Kim, Ee-gyeong(Chungnam National University)

Yoo, Su-jung(Chungnam National University)

Kim, Mi-jung(Chungnam National University)

This study investigated teacher workload both within office hours and after

hours in order to find out actual workload. Under the assumption that teachers

spend considerable amount of time in non-teaching duties, workload was

investigate across teaching and non-teaching duties.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3,000 public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and a total of 1,557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SPSS 12.0(window).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one-way ANOVA was conducted. Data analysis showed that the average

total hours per week spent by teachers within office hours was 43.12. They

spent 32.58 hours, which was 75.57% of the total, in teaching-related duties.

Elementary teachers' teaching duty was relatively heavier than secondary

teachers, since they have to teacher all of the subject matter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revealed depending upon elementary teachers' personal

backgrounds. On the other hand, among secondary teachers, the general

workload of less experienced teachers tended to be heavier, while department

heads spent more time in non-teaching duties. Teachers spent an average of 9.91

hours per week after office hours. In general, secondary teachers' workload after

office hours was heavier than elementary teachers. All together, teachers spent a

total of 53.03 hours per week, which is 5 hours more than Korean Labor Law

recommends. Based on the findings, policy recommendations were suggested to

reduce teachers' workload in teaching and non-teaching duties.

[Key words] teacher workload, teacher working hours,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non-teaching duties

▣ 수일(2009. 10. 29), 심사일(1차 : 2009. 11. 21), 게재확정일(2009. 1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