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 가봉 - kisaafrica’ (hipssa)의 수혜를 받고 있음 2. 담당기관 aninf(national...

13
라. 가봉 ITU 글로벌 사이버보안 지수(Global Cybersecurity Index, GCI) · 가봉의 사이버보안 지수는 5가지 하위 지표에서 모두 우리나라보다 매우 뒤처져 있음 (상, 중, 하) 국가명 2017 GCI 지수 및 순위 5대 하위 항목 평가 종합 지수 순위 법제 기술 조직 역량 협력 가봉 0.139 128 대한민국 0.782 13 ICT 관련 주요 지수 · 가봉의 전반적인 ICT 발전 수준은 ITU 조사국 167개국 중 하위권에 속해 있음 지표명 가봉 한국 점수 순위 점수 순위 ITU ICT 발전지수(IDI 2017) 4.11 114 8.84 1 접근(Access) 부문 4.51 116 8.99 8 활용(Use) 부문 3.85 97 8.57 3 기술(Skills) 부문 3.86 134 9.08 3 ITU 글로벌 사이버보안 지수(GCI 2017) 0.139 128 0.782 13 UN 전자정부 지수(2018) 0.431 125 0.892 3 ICT 관련 주요 통계(ITU, 201년 말 기준) · 가봉의 유선통신 보급률은 최하위권이나 이동통신 보급률은 매우 높음 항목 가봉 한국 가입자수(천 명) 보급률(%) 가입자수(천 명) 보급률(%) 유선전화 21 1.0 28,035 56.1 유선브로드밴드 15 0.74 20,555 41.1 이동통신 2,663 131.5 61,295 122.7 인터넷 이용률 48.1% 92.7% ‘17년 GDP(십억달러) 14.62 '17년 인구수(천명) 2,025

Upload: others

Post on 22-Mar-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라. 가봉

∎ ITU 글로벌 사이버보안 지수(Global Cybersecurity Index, GCI)

· 가봉의 사이버보안 지수는 5가지 하위 지표에서 모두 우리나라보다 매우 뒤처져 있음

(● 상, ● 중, ● 하)

국가명

2017 GCI 지수 및

순위5대 하위 항목 평가

종합

지수 순위 법제 기술 조직 역량 협력

가봉 0.139 128 ● ● ● ● ● ●

대한민국 0.782 13 ● ● ● ● ● ●

∎ ICT 관련 주요 지수

· 가봉의 전반적인 ICT 발전 수준은 ITU 조사국 167개국 중 하위권에 속해 있음

지표명가봉 한국

점수 순위 점수 순위

ITU ICT 발전지수(IDI 2017) 4.11 114 8.84 1

접근(Access) 부문 4.51 116 8.99 8

활용(Use) 부문 3.85 97 8.57 3

기술(Skills) 부문 3.86 134 9.08 3

ITU 글로벌 사이버보안 지수(GCI 2017) 0.139 128 0.782 13

UN 전자정부 지수(2018) 0.431 125 0.892 3

∎ ICT 관련 주요 통계(ITU, 201년 말 기준)

· 가봉의 유선통신 보급률은 최하위권이나 이동통신 보급률은 매우 높음

항목가봉 한국

가입자수(천 명) 보급률(%) 가입자수(천 명) 보급률(%)유선전화 21 1.0 28,035 56.1유선브로드밴드 15 0.74 20,555 41.1이동통신 2,663 131.5 61,295 122.7인터넷 이용률 48.1% 92.7%

‘17년 GDP(십억달러) 14.62

'17년 인구수(천명) 2,025

5. 아프리카 시장 - 가봉

정보보호 산업 개요

1. 보안 환경

▶ World Economic Forum의 The Global Information Technology Report 2016에 따르면, 중서부 아프리카

국가인 가봉의 네트워크 준비지수(NRI, Network readiness index)는 2.9로 전 세계 143개국 중 122위임

• 미국 CIA(Central Intelligence Agency)에 따르면 가봉 인구는 170만 명, 0-14세 인구는 42.1%, 인터넷

사용자는 39.3%, Facebook 사용자는 36만 명, 모바일 가입자는 290만 명을 기록함

• 가봉을 포함한 중부아프리카는 석유를 비롯한 풍부한 천연자원을 바탕으로 한 신흥 경제부상지역으로

전력, 통신, 교통 등 인프라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통신 인프라 면에서 많이 낙후된

지역임

▶ ITU 2017년 IDI지수에 따르면 가봉은 4.11로 114위를 차지하면서 2016년 3.62(118위) 에 비해 0.5 상승해

지수 상 가장 많이 상승한 국가 3위에 오름

• 가봉의 부문별 IDI지수는 액세스 부문은 2016년 대비 0.15 상승한 4.51, 활용부문은 1.07 증가해 3.85를

기록해 활용 부문의 개선이 눈에 띔

• 나미비아, 잠비아, 모리셔스와 함께 IDI 지수의 상승이 가장 활발한 국가로 손꼽히며 아프리카 국가

중에서는 6위를 차지

▶ 가봉은 보안 솔루션 회사 Rapid7이 2016년 6월 분석한 바에 따르면 세계에서 가장 보안이 취약한 50개

국가로 분류되며 취약성에서 12위에 랭크됨120

120 Telegraph.co.uk, "Mapped: The countries most vulnerable to cyber-attacks", 2016.6.10

5. 아프리카 시장 - 가봉

그림 _ 세계 50대 보안 취약국

[출처] http://www.telegraph.co.uk

▶ 글로벌 사이버 지수를 제공하는 Knoema에 따르면, 가봉 사이버 보안의 글로벌 순위는 28위, 4개 평가

부분인 사이버보안의 법률, 기술, 조직 및 사이버보안 대응 능력 등은 수치로 산정되지 않아 보안 분야의

낮은 수준임이 드러남

그림 _ 글로벌 Cyber Security Index : Gabon

[출처] https://knoema.com

5. 아프리카 시장 - 가봉

▶ 가봉은 2013년 6월 대규모 사이버 공격에 의해 정부 웹사이트가 공격을 받았으며, 6개 정부 사이트

모두가 다운되어 사이버 공격 이후 한동안 정상적인 작동을 하지 못함

• 보코 하람의 사이버 테러, 광고를 가장한 링크를 통한 바이러스 공격 등 기업을 대상으로 한 범죄도

많이 일어나고 있음

• 2017년 가봉 BGFI 금융지주회사는 선불은행카드에 대한 해킹으로 150억 세파프랑 이상의 피해가

발생

2. 인터넷 및 통신 환경

▶ 가봉 통신 시장 개관

• 가봉의 통신 시장은 정부가 3개의 모바일 텔레콤 라이센스와 2개의 ISP 라이센스를 부여하고

독립적인 규제 기관을 설립한 1999년 자유화됨

• 가봉 텔레콤은 모로코의 Maroc Telecom이 51%의 지분을 인수한 2007년 민영화되었으며, Maroc

Telecom은 2016년 6월 가봉 텔레콤을 Moov Gabon과 합병하여 모바일 네트워크 사업자 수를

4개에서 3개로 줄였으며 Airtel Gabon, Libertis가 LTE 서비스 개시

• 모바일 시장과 달리 가봉의 유선 및 인터넷 부문은 경쟁이 심하고 가격이 높아 저개발국으로 남아

있음

• SAT-3/WASC/SAFE 해저 케이블에는 충분한 국제 대역폭이 있지만 이 시설은 가봉 텔레콤이 독점하고

있음

• Orange Telecom이 2008년부터 14개 통신 사업자와 협력하여 구축하기 시작한 ACE 해저케이블은

프랑스와 가봉 사이 12,000km를 연결하며 가봉은 2011년 이 케이블에 연결되어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지원 능력이 차차 개선됨

▶ 유선통신

• 2017년 기준 가봉의 유선통신 가입회선 수는 2016년 대비 12.1% 증가한 21,235회선을 기록, 인구

당 보급률 1.05%를 기록함

5. 아프리카 시장 - 가봉

그림 _ 가봉 유선통신 가입회선 수 및 보급률

(단위: 회선, %)

18,49818,758

18,946

21,235

0.990.97

0.96

1.05

0.90

0.92

0.94

0.96

0.98

1.00

1.02

1.04

1.06

17,000

17,500

18,000

18,500

19,000

19,500

20,000

20,500

21,000

21,500

2014 2015 2016 2017

가입회선 수

보급률

[출처] ITU Statistics DB(2018)

▶ 브로드밴드

• 2017년 기준 가봉의 브로드밴드 인터넷 가입회선 수는 2016년 대비 0.34% 감소한 14,967선을 기록,

인구 당 보급률 0.74%를 기록함

그림 _ 가봉 브로드밴드 가입회선 수 및 보급률

(단위: 회선 ,%)

10,80011,082

15,01814,967

0.58 0.57

0.76 0.74

0.00

0.10

0.20

0.30

0.40

0.50

0.60

0.70

0.80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2014 2015 2016 2017

가입회선 수

보급률

[출처] ITU Statistics DB(2018)

5. 아프리카 시장 - 가봉

▶ 이동통신

• 2017년 기준 가봉의 이동통신 가입회선 수는 2016년 대비 10.1% 감소한 2,663,243 회선을 기록, 인구

당 보급률 131.5% 를 기록함

그림 _ 가봉 이동통신 가입자 수 및 보급률

(단위: 명, %)

2,932,731

2,821,555

2,962,486

2,663,243

156.35

146.18149.64

131.51

115.00

120.00

125.00

130.00

135.00

140.00

145.00

150.00

155.00

160.00

2,500,000

2,550,000

2,600,000

2,650,000

2,700,000

2,750,000

2,800,000

2,850,000

2,900,000

2,950,000

3,000,000

2014 2015 2016 2017

가입자 수

보급률

[출처] ITU Statistics DB(2018)

5. 아프리카 시장 - 가봉

정보보호 시장 현황

1. 시장 규모

시장 개요

▶ 2017년 기준 가봉 정보보안 시장 규모는 420만 달러 수준으로 추정

• 시장조사기관 Technavio의 2015년 자료121를 활용해, 2017년 시장규모를 추계하는 회귀식을

구했으며, 이를 2017년 변수에 적용하는 방법을 취해 420만 달러 규모를 도출122

2. 주요 사업자 현황

시장 특성 및 경쟁 강도

▶ 가봉 사이버 보안 시장의 경쟁자 및 시장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자료는 파악하기 쉽지 않음

• Symantec 및 Cyberoam 등 여타 아프리카 지역에서 마케팅 활동을 하고 있는 글로벌 IT솔루션 기업의

활동이 가봉에서는 감지되지 않음

• 하지만, Microsoft, IBM, Cisco 등 네트워크 및 기본적인 IT 솔루션 기업은 현지에 진출해 제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교육 과정 개설 및 가봉의 디지털화를 지원하는 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주요 사업자

▶ IPX Gabon

• IPX Gabon은 광케이블, VSAT 및 무선서비스를 통해 가봉 및 아프리카 등의 30개국에 인터넷을

제공하는 사업자로 음성 및 비디오 컨퍼런스, WAN 및 LAN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함

• IPX는 오일 및 가스 기업, 은행, 정부, PTT(Push to Talk) 서비스기업, 모바일 사업자 등의 다양한 기업

121 Technavio, Global Information Security Products and Services Market 2015-2019(2015)122 GDP와 인구규모를 독립변수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 계수의 p값이 낮은 GDP 데이터를 활용했으며, 국가별 GDP 편차가

크게 나타나 LOG값을 취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재실시하여 추정의 정확도를 제고함. 데이터가 있는 22개 국가의 시장규모와 GDP에 기울기인 1.09544492562193를 곱해서 산출했으며, Y절편인 –0.668571234를 계산하여 세네갈 등 데이터가 없는 8개 국가의 GDP에 곱해서 추정

5. 아프리카 시장 - 가봉

및 통신업체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며 미국, 이라크의 주요 방위사업자 및 아프리카에 이르기까지 오일

및 가스 기업 등 주요 보안을 필요로 하는 기업을 위한 전문지식을 개발함

그림 _ IPX Gabon이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프리카 35개국

[출처] IPX Gabon

• (실시간 인터넷 트래픽 모니터링) IPX는 사이버보안 위협을 경감시키기 위한 네트워크 제어 및 보안이

강화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고객이 IPX 광케이블 및 VSAT 대역폭 사용자인 경우 IPX는

방대한 바이러스 및 네트워크 공격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사전에 필터링 메커니즘을 제공함

• (휴대폰 통신 암호화) IPX는 안전치 않은 스마트폰을 통해 이루어질 때 지역 범죄자 등이 핸드폰

통화를 도청할 수 있기 때문에, IPX는 음성통화 망에 암호화 엔진 및 링크를 탑재하여 ios, 안드로이드,

블랙베리 등을 통한 안전을 보장함

• (사이버 보안 컨설팅) IPX는 개별 기업이 지켜야할 자산 목록을 만들게 도와주며, 이러한 컨설팅에는

하드웨어, 네트워킹 하드웨어, 통신 채널 및 운영 절차 등이 포함되어 기업 조직 및 이해관계자가

보안의 기본안을 생성할 수 있도록 지원함

▶ Bull Gabon

• ATOS 그룹의 IT시스템 통합, 사이버보안, 빅데이터 기업의 가봉 법인

5. 아프리카 시장 - 가봉

3. 주요 동향 및 이슈

▶ 가봉텔레콤은 사이버 보안 솔루션 리더인 Arbor Networks와 협력하여 2018년 6월 APS 기술솔루션을

출시해 고객의 400,000개 이상의 IP를 보호할 방침이라고 발표함

• Arbor Networks에 따르면 가봉텔레콤은 월 평균 743건에 달하는 디도스 공격을 받은 것으로 나타남

• 특히, 이 솔루션은 디도스공격의 피해가 큰 기업 고객을 중점적으로 보호

• 동 사업을 위해 가봉 텔레콤은 10억 세파프랑을 투자할 계획

▶ Microsoft와 가봉의 수도 리브르빌은 2016년 3월 CityNext 프로그램의 구현에 관해서 파트너십을

체결함(2016. 3)

• 2013년에 CityNext Program을 개시하면서 Microsoft 글로벌 퍼블릭섹터 부분의 부사장인 Laura

lpsen은 새로운 성장 및 사회적 기회 제공을 위해 지구촌의 디지털 환경을 구축하는 것을

지원하겠다고 언급함

• Microsoft는 클라우드 및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리브르빌을 스마트시티로 구축할 예정임

• CityNext 프로그램으로 Microsoft는 가봉의 수도가 교통, 전력, 헬스, 교육, 소셜 서비스, 인프라, 수자원

및 법률 및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 필요한 기술적 솔루션을 개발할 수 있게 지원할 계획임

• 리브르빌의 CityNext 구현은 가봉 정부와 UNAIDS의 파트너십 프로그램의 일부로 가봉의 CityNext는

2015년 세네갈에 이어 CityNext를 수용하는 2번째 아프리카 국가임

5. 아프리카 시장 - 가봉

정보보호 정책 및 기관 현황

1. 관련 법령 및 정책

관련 법령 및 규제

▶ 가봉 사이버 범죄에 대한 법령 및 규제는 다음과 같은 법률을 통해 이뤄짐

• Draft Law on Cybercrime

• Draft Law on Cybersecurity

▶ 아동의 온라인 보호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어 준수됨

• Articles 255 and 263 of the Criminal Code

▶ 2018년 2월 가봉 통신·디지털경제·문화·예술·전통부 장관이 제안한 사이버보안 및 사이버범죄 방지 규제

관련 법률명령(Ordonnance n° 15 du 23 février 2018)안을 국무회의에서 채택

• 전화사기, 사이버스페이스에서 행해지는 모든 위반 행위 정의 및 척결, 전자통신 및 정보시스템

네트워크에 대한 신뢰성 구축, 필수 IT인프라 보호, 지적재산권 보호를 위한 정보보호기술 활용 촉진,

데이터 보안 등을 골자로 함

주요 전략 및 정책

▶ 가봉 정부의 National Cybersecurity Strategy

• 가봉은 공식적으로 공표한 국가 차원의 사이버보안 전략을 보유하고 있지 않음

▶ 가봉 정부의 사이버 보안 로드맵

• 가봉에는 국가차원의 사이버 보안에 대한 정부 로드맵을 구현하는 과정에 있음

▶ 표준 개발을 위한 시스템 부재

• 가봉 정부는 공식적으로 승인된 표준개발을 위한 특정 분야의 연구 인력 및 프로그램/프로젝트 등을

보유하고 있지 않음

• 가봉 정부는 공공 및 민간에 적용할 수 있는 실제 사이버 공격에 대응한 최적의 대응 사례와 가이드를

5. 아프리카 시장 - 가봉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이 부재함

▶ 대내외 협력 체계 부재

• 가봉은 사이버 보안 대응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는 대내외 협력 시스템 및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있지

않음

▶ 자국 내 공공 분야 간 협력

• 가봉은 공공 분야에서 ANINF(National Agency of Digital Infrastructures and Frequencies)를 통해

사이버 보안 대응 시스템을 상호 공유하여 활용할 수 있는 분야에 특화된 프로그램이 존재

▶ 공공 분야 파트너십

• 가봉은 공공 및 민간 분야에서 사이버 보안 대응 시스템을 상호 공유하여 활용할 수 있는 공식적으로

알려진 프로그램이 없음

▶ 국제 협력

• 가봉은 ITU-IMPACT initiative의 일원으로 관련 사이버 보안 서비스 이용이 가능함

• 가봉은 EU/ITU의 공동 투자 프로젝트인 ‘Support for Harmonization of the ICT Policies in Sub-Sahara

Africa’ (HIPSSA)의 수혜를 받고 있음

2. 담당기관

▶ ANINF(National Agency of Digital Infrastructures and Frequencies)

• ANINF는 디지털 인프라 및 주파수 관리국으로 국가 사이버 보안 전략, 정책 및 로드맵 구현을

책임지는 기관임

• 가봉은 ANINF에 의해 유지되는 정보시스템 보안 정책을 가지고 있음

▶ 전자통신우정규제당국(Autorité de Régulation des communications Electroniques et des Postes)

• 2012년 법률명령(Ordonnance n°000008/PR/2012)으로 창설된 가봉 전자통신우정규제당국은 통신

및 우정 사업자의 라이센스, 허가, 수주 등에서의 불공정거래 감독, 소비자 보호, 규제 마련

5. 아프리카 시장 - 가봉

그림 _ 가봉 정보통신 및 보안 관련 조직

[출처] Ministry of Digital Economy, Communication & Post 홈페이지

▶ CIRT

• 가봉은 현재 공식적으로 인정되는 국가 CIRT를 설립하고 있음

• ITU는 2010년 가봉에 대한 CIRT 설립에 대한 평가를 지휘한 바 있음

3. 규제 및 인증제도

▶ 정부 차원의 인증 시스템 부재

• 가봉 정부는 공식적으로 승인된 인증을 위한 국가(특화된 분야 포함) 사이버 보안 프레임과

국가차원의 에이전시 또는 공적부분의 전문가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지 않음

▶ 정부 보안 표준 프레임워크 존재

• 가봉 정부는 보안 표준을 위한 공식적으로 승인된 인증을 위한 국가(특화된 분야 포함) 사이버 보안

프레임을 보유하고 있음

5. 아프리카 시장 - 가봉

4. 최근 정책 동향 및 이슈

▶ 가봉의 보안정책 책임 기관인 ANINF는 글로벌 보안기업인 Kaspersky Lab와 MOU를 체결함 (2016.6)

• ANINF는 가봉의 디지털 개발 전략을 구현하는 정부조직으로 통신, 방송 및 IT 등을 포함한 모든

디지털 프로젝트의 계획, 설립 및 응용 등에 관한 관리를 책임지고 있음

• 2016년 6월 23일 가봉 Libreville에서 ANINF의 책임자인 Alex Bernard Bongo Ondimba와 Kaspersky

Lab의 부회장인 Veniamin Levtsov 간 협약으로 성사된 MoU는 IT보안 분야의 협력에 동의한다는

내용

• ANINF와 Kaspersky Lab의 MoU 하에서 Kaspersky Lab은 공동활동을 통해 자사의 전문기술 및 참여를

공유함으로써 가봉의 보안위협 해결, 전문가 훈련 등을 할 수 있게 지원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