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unews.com 수강신청 방식 드디어 바뀌나pdf.snunews.com/1925/192501.pdf · 위기의...

1
수강신청 운영 개선 TF팀(TF 팀)이 16일(월) 4차 회의를 갖고 총학생회(총학)에 개선안을 제시 했다. 개선안은 희망 교과목을 담 는 ‘장바구니’ 제도와 추첨제를 골자로 한다. TF팀은 총학에 이 에 대한 학생 사회의 의견 수렴 을 요청했으며 이후 구체적인 사 항을 구성할 예정이다. 개선안은 이르면 내년 1학기 수강신청부터 반영된다. TF팀은 수강신청 과정에 이어 진 크고 작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 3월 관련 부처 교직원 과 보직 교수를 중심으로 조직됐 다.(『대학신문』 2016년 4월 3일 자) 정보화본부 이덕임 정보서비스팀 장은 “보완을 거친 최신 서버라 고 해도 선착순 방식의 수강신청 에서는 예기치 못한 문제가 생긴 다”며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새 로운 방식이 필요하다”고 설명했 다. TF팀은 3차례의 회의를 거쳐 수강신청 문제의 현황을 공유하 는 한편 타 대학의 제도를 참고해 개선안을 마련했다. 개선안은 현행 완전 선착순제 대신 장바구니 제도와 조건에 따 른 선착순제와 추첨제를 실시하 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일차적으 로 학생들은 일정 기간 동안 수강 희망 교과목을 최대 24학점까지 자신의 장바구니에 담는다. 이 기 간 이후 신청 인원이 정원 이하인 교과목은 곧바로 수강신청이 완 료된다. 수강할 수 있는 학점보다 많은 학점이 신청됐다면 조정 기 간에 신청을 취소할 수 있다. 수강신청 인원이 교과목의 정 원을 초과할 경우 장바구니에 강 의를 담은 학생들 간의 선착순 신청이나 추첨이 추후 이뤄진다. TF팀은 이 방식에 따라 △경쟁률 300% 초과 시 추첨제(1안) △경 쟁률 200% 초과 시 추첨제(2안) △완전 추첨제(3안)을 제시했다. 예를 들어 1안에 따르면, 경쟁률 이 100%~300%인 교과목의 경우 기존 방식과 같이 장바구니에 해 당 교과목을 담았던 학생들 간의 선착순 수강신청이 추후 이뤄진 다. 반면 경쟁률이 300%를 초과 하는 교과목의 경우 추첨을 통해 해당 학생들에게 자리를 배분하 는 방식이다. 3안은 정원을 초과 하는 모든 교과목에서 추첨을 통 해 자리를 배분한다. TF팀은 “1 안 혹은 2안을 채택할 경우 선착 순 수강신청 기간에 홀·짝 분리 신청을 유지하나 현행처럼 고정 적이지는 않을 것”이라며 “1학기 에 홀수 학번이, 2학기에 짝수 학 번이 먼저 신청하는 등의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지현 기자 [email protected] 삽화: 이철행 기자 [email protected] 발행인: 성낙인 주간: 임경훈 부주간: 김월회 편집장: 김윤주 SNUnews.com 서울대학교 대학신문사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1 전화: 880-5213〜5215 FAX: 872-9511 1925호 2016년 5월 23일 (월) 1952년 2월 4일 창간 [주간] 수강신청 방식 드디어 바뀌나 위기의 저널리즘, 그 미래를 모색하다 혹자는 지금을 굳이 기사를 읽 을 이유가 없는 시대라고 말한다.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등의 SNS 를 통해서 쉽고 빠르게 많은 정보 를 접할 수 있고, 한 주제에 대한 사람들의 다양한 의견을 실시간 으로 확인할 수 있다. 모바일 기 반의 새로운 플랫폼을 통해 많은 양의 정보를 마주치는 사람들에 게 굳이 기사를 읽어야 하는 이유 를 설명하는 것은 어려운 일일 것 이다. 일반적으로 기자의 손을 거 쳐 보도되는 글이나 방송 등의 매 체를 저널리즘이라 한다면, 기사 가 읽히지 않는 현실은 가히 저널 리즘의 위기라 할 만하다. 이러한 위기 속에서 저널리즘이 새로운 길을 찾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을 해야 할까? 데이터 저널리즘과 로봇 저널리 즘은 그러한 노력의 대표적 사례 다. 데이터 저널리즘은 범람하는 데이터의 홍수 속에서 유의미한 방향으로 데이터를 처리해 이를 사람들에게 제공하는 기사의 형 태다. 로봇 저널리즘은 인공지능 프로그램의 정보 처리 알고리즘 을 이용해 인간의 손을 거치지 않 고 간단한 수준의 기사를 작성할 수 있는 기술이다. 저널리즘의 미 래를 위해 저널리즘의 당사자들 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까를 고 민해야 하는 상황에서 로봇 저널 리즘은 단순한 기사의 작성을 로 봇에게 넘김으로써 인간이 한층 심층적이고 복합적인 기사의 생 산에 전념할 수 있게 해준다. 이처럼 학계에서 새로운 저널 리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 행되고 있으며 여러 언론사들 에서도 앞다퉈 새로운 저널리 즘 방식의 도입을 시도하고 있 다. 그렇다면 이 노력들은 지금 까지 어떤 발자국을 남겼고 앞 으로 어떤 발걸음을 내딛게 될 까. 이에 대한 답을 듣기 위해 hci+d 연구실(human computer interaction+design laboratory) 의 이준환 교수(언론정보학과), 김동환 씨(언론정보학과 박사과 정·12)와 SBS 뉴미디어 팀 소속 의 한창진 데이터 분석가(언론정 보학과·02졸)를 만났다. 이경인 기자 [email protected] 골칫덩이 사립박물관, 보물창고로 거듭나려면 ▶8면 국내 사립박물관의 현황을 짚어보고 발전 방향을 모색한다. 히로시마의 구름 아래 가려진 생을 비추다 ▶4면 원폭 2세 피해자들의 삶과 이들을 지원해온 강제숙 위원장의 활동에 대해 들어봤다. 사회 막이 내리고 지난 14일(토) ‘서울대학교 총연극회’의 ‘열두 번째 밤’이 인문소극장(14동)에서 관객들의 박수갈채 속에 막을 내렸다. 12 일부터 3일간 공연한 ‘열두 번째 밤’은 인문소극장 개관을 기념하는 첫 번째 공연이다. 앞으로 인문소극장에서 서울대 구성원들의 공 연 문화가 발전하길 기대한다. 사진: 강승우 기자 [email protected] 문화 대학신문이 112기 특채기자를 모집합니다. △모집부문: 취재, 사회, 학술, 문화, 사진, 삽화 △지원마감: 6월 5일(일) 자정 △지원방법: 대학신문 홈페이지의 지원서를 이메일로 제출([email protected]) △문의: 편집국(880-5214) 부편집장(010-2793-5148) △혜택: 활동비, 장학금, 취재·사진 교육 등 종간 후 속보는 대학신문 인터넷 홈페이지(www.snunews.com)와 페이스북, 스누라이프를 통해 업데이트됩니다. 이번 학기 종간합니다 ▶2면으로 이어집니다 ▶5면으로 이어집니다

Upload: others

Post on 15-Oct-2019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SNUnews.com 수강신청 방식 드디어 바뀌나pdf.snunews.com/1925/192501.pdf · 위기의 저널리즘, 그 미래를 모색하다 혹자는 지금을 굳이 기사를 읽 을

수강신청 운영 개선 TF팀(TF

팀)이 16일(월) 4차 회의를 갖고

총학생회(총학)에 개선안을 제시

했다. 개선안은 희망 교과목을 담

는 ‘장바구니’ 제도와 추첨제를

골자로 한다. TF팀은 총학에 이

에 대한 학생 사회의 의견 수렴

을 요청했으며 이후 구체적인 사

항을 구성할 예정이다. 개선안은

이르면 내년 1학기 수강신청부터

반영된다.

TF팀은 수강신청 과정에 이어

진 크고 작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 3월 관련 부처 교직원

과 보직 교수를 중심으로 조직됐

다.(『대학신문』 2016년 4월 3일 자)

정보화본부 이덕임 정보서비스팀

장은 “보완을 거친 최신 서버라

고 해도 선착순 방식의 수강신청

에서는 예기치 못한 문제가 생긴

다”며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새

로운 방식이 필요하다”고 설명했

다. TF팀은 3차례의 회의를 거쳐

수강신청 문제의 현황을 공유하

는 한편 타 대학의 제도를 참고해

개선안을 마련했다.

개선안은 현행 완전 선착순제

대신 장바구니 제도와 조건에 따

른 선착순제와 추첨제를 실시하

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일차적으

로 학생들은 일정 기간 동안 수강

희망 교과목을 최대 24학점까지

자신의 장바구니에 담는다. 이 기

간 이후 신청 인원이 정원 이하인

교과목은 곧바로 수강신청이 완

료된다. 수강할 수 있는 학점보다

많은 학점이 신청됐다면 조정 기

간에 신청을 취소할 수 있다.

수강신청 인원이 교과목의 정

원을 초과할 경우 장바구니에 강

의를 담은 학생들 간의 선착순

신청이나 추첨이 추후 이뤄진다.

TF팀은 이 방식에 따라 △경쟁률

300% 초과 시 추첨제(1안) △경

쟁률 200% 초과 시 추첨제(2안)

△완전 추첨제(3안)을 제시했다.

예를 들어 1안에 따르면, 경쟁률

이 100%~300%인 교과목의 경우

기존 방식과 같이 장바구니에 해

당 교과목을 담았던 학생들 간의

선착순 수강신청이 추후 이뤄진

다. 반면 경쟁률이 300%를 초과

하는 교과목의 경우 추첨을 통해

해당 학생들에게 자리를 배분하

는 방식이다. 3안은 정원을 초과

하는 모든 교과목에서 추첨을 통

해 자리를 배분한다. TF팀은 “1

안 혹은 2안을 채택할 경우 선착

순 수강신청 기간에 홀·짝 분리

신청을 유지하나 현행처럼 고정

적이지는 않을 것”이라며 “1학기

에 홀수 학번이, 2학기에 짝수 학

번이 먼저 신청하는 등의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지현 기자 [email protected]

삽화: 이철행 기자 [email protected]

발행인: 성낙인 주간: 임경훈 부주간: 김월회 편집장: 김윤주 SNUnews.com 서울대학교 대학신문사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1 전화: 880-5213〜5215 FAX: 872-9511

1925호 2016년 5월 23일 (월)1952년 2월 4일 창간 [주간]

수강신청 방식 드디어 바뀌나

위기의 저널리즘, 그 미래를 모색하다

혹자는 지금을 굳이 기사를 읽

을 이유가 없는 시대라고 말한다.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등의 SNS

를 통해서 쉽고 빠르게 많은 정보

를 접할 수 있고, 한 주제에 대한

사람들의 다양한 의견을 실시간

으로 확인할 수 있다. 모바일 기

반의 새로운 플랫폼을 통해 많은

양의 정보를 마주치는 사람들에

게 굳이 기사를 읽어야 하는 이유

를 설명하는 것은 어려운 일일 것

이다. 일반적으로 기자의 손을 거

쳐 보도되는 글이나 방송 등의 매

체를 저널리즘이라 한다면, 기사

가 읽히지 않는 현실은 가히 저널

리즘의 위기라 할 만하다. 이러한

위기 속에서 저널리즘이 새로운

길을 찾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을

해야 할까?

데이터 저널리즘과 로봇 저널리

즘은 그러한 노력의 대표적 사례

다. 데이터 저널리즘은 범람하는

데이터의 홍수 속에서 유의미한

방향으로 데이터를 처리해 이를

사람들에게 제공하는 기사의 형

태다. 로봇 저널리즘은 인공지능

프로그램의 정보 처리 알고리즘

을 이용해 인간의 손을 거치지 않

고 간단한 수준의 기사를 작성할

수 있는 기술이다. 저널리즘의 미

래를 위해 저널리즘의 당사자들

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까를 고

민해야 하는 상황에서 로봇 저널

리즘은 단순한 기사의 작성을 로

봇에게 넘김으로써 인간이 한층

심층적이고 복합적인 기사의 생

산에 전념할 수 있게 해준다.

이처럼 학계에서 새로운 저널

리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

행되고 있으며 여러 언론사들

에서도 앞다퉈 새로운 저널리

즘 방식의 도입을 시도하고 있

다. 그렇다면 이 노력들은 지금

까지 어떤 발자국을 남겼고 앞

으로 어떤 발걸음을 내딛게 될

까. 이에 대한 답을 듣기 위해

hci+d 연구실(human computer

interaction+design laboratory)

의 이준환 교수(언론정보학과),

김동환 씨(언론정보학과 박사과

정·12)와 SBS 뉴미디어 팀 소속

의 한창진 데이터 분석가(언론정

보학과·02졸)를 만났다.

이경인 기자

[email protected]

골칫덩이 사립박물관,

보물창고로 거듭나려면▶8면

국내 사립박물관의 현황을 짚어보고

발전 방향을 모색한다.

히로시마의 구름 아래

가려진 생을 비추다▶4면

원폭 2세 피해자들의 삶과 이들을 지원해온

강제숙 위원장의 활동에 대해 들어봤다.

사회

막이 내리고 지난 14일(토) ‘서울대학교 총연극회’의 ‘열두 번째 밤’이 인문소극장(14동)에서 관객들의 박수갈채 속에 막을 내렸다. 12

일부터 3일간 공연한 ‘열두 번째 밤’은 인문소극장 개관을 기념하는 첫 번째 공연이다. 앞으로 인문소극장에서 서울대 구성원들의 공

연 문화가 발전하길 기대한다. 글․사진: 강승우 기자 [email protected]

문화

대학신문이

112기 특채기자를

모집합니다.

△모집부문: 취재, 사회, 학술,

문화, 사진, 삽화

△지원마감: 6월 5일(일) 자정

△지원방법: 대학신문 홈페이지의

지원서를 이메일로

제출([email protected])

△문의: 편집국(880-5214)

부편집장(010-2793-5148)

△혜택: 활동비, 장학금,

취재·사진 교육 등

종간 후 속보는 대학신문 인터넷

홈페이지(www.snunews.com)와

페이스북, 스누라이프를 통해

업데이트됩니다.

이번 학기

종간합니다

▶2면으로 이어집니다

▶5면으로 이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