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 a형 구제역 발생 · 2018-05-25 · ()스 232 2018. 5월호 2. a형 구제역이...

6
돈(豚)스케치 2018. 5월호 230 1. 13개월 만에 구제역 재발 2018년 3월 26일 19시 40분, 경기도 김포시 대곶면의 한 양돈농가에서 구제역 의심신고가 있었다. 하루 전인 3월 25일, 네 마리의 모돈에게서 사료섭취 부 진이 관찰되었지만 농장 관리자는 급수문제로 판단했다. 다음날인 3월 26일 17시, 전날 사료섭취가 부진했던 2~4 산차 모돈들의 콧등과 발굽, 그리고 유두에 물집이 관찰되 었다. 추가로 포유자돈 1두가 폐사하고, 이유자돈 10두에 서 발굽 탈락 등 증상이 나오면서 구제역 의심신고를 하게 되었다. 이 농장은 구제역 백신을 철저하게 시행하는 농장이었 기 때문에 구제역을 의심하기 쉽지 않았을 수 있고, 의심했 다고 하더라도 왜 구제역 증상이 나오는지 이해하기 힘들 었을 것이다. 하지만 농장에서는 용기 있게 신고를 해 주었 고, 만약 이때 신고를 하지 않았다면 피해가 얼마나 커졌을 지 생각만 해도 두렵다. 용기 있게 신고해 준 농장에 아무 런 불이익이 없길 바란다. 사실 최초 신고 농장에 대해서는 좀 더 빠른 신고를 위해 불이익이 아니라 오히려 포상을 검토하는 것도 필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일부에서는 해당 농장에 발굽 탈락이 있었고, 돼지 A형 구제역 발생 김 현 일 CTO (주)옵티팜 한국양돈수의사회 학술부 이사

Upload: others

Post on 07-Jul-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돼지 A형 구제역 발생 · 2018-05-25 · ()스 232 2018. 5월호 2. a형 구제역이 두려운 이유 경기도 김포시 대곶면의 a형 구 제역이 두려운 이유는

돈(豚)스케치

2018. 5월호230

1. 13개월 만에 구제역 재발

2018년 3월 26일 19시 40분, 경기도 김포시 대곶면의 한 양돈농가에서 구제역 의심신고가 있었다.

하루 전인 3월 25일, 네 마리의 모돈에게서 사료섭취 부진이 관찰되었지만 농장 관리자는 급수문제로 판단했다.

다음날인 3월 26일 17시, 전날 사료섭취가 부진했던 2~4산차 모돈들의 콧등과 발굽, 그리고 유두에 물집이 관찰되었다. 추가로 포유자돈 1두가 폐사하고, 이유자돈 10두에서 발굽 탈락 등 증상이 나오면서 구제역 의심신고를 하게 되었다.

이 농장은 구제역 백신을 철저하게 시행하는 농장이었기 때문에 구제역을 의심하기 쉽지 않았을 수 있고, 의심했다고 하더라도 왜 구제역 증상이 나오는지 이해하기 힘들었을 것이다. 하지만 농장에서는 용기 있게 신고를 해 주었고, 만약 이때 신고를 하지 않았다면 피해가 얼마나 커졌을지 생각만 해도 두렵다. 용기 있게 신고해 준 농장에 아무런 불이익이 없길 바란다.

사실 최초 신고 농장에 대해서는 좀 더 빠른 신고를 위해 불이익이 아니라 오히려 포상을 검토하는 것도 필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일부에서는 해당 농장에 발굽 탈락이 있었고,

돼지 A형 구제역 발생

김 현 일 CTO(주)옵티팜

한국양돈수의사회 학술부 이사

230-235 돈스케치-김현일.indd 230 2018-04-22 오후 3:52:42

Page 2: 돼지 A형 구제역 발생 · 2018-05-25 · ()스 232 2018. 5월호 2. a형 구제역이 두려운 이유 경기도 김포시 대곶면의 a형 구 제역이 두려운 이유는

◐ 돼지 A형 구제역 발생

2018. 5월호 231

일부 가피가 형성되었다는 판단이 있어 의심신고가 늦은 것 아니냐는 의견도 있었지만, 연이어 진행된 NSP 검사에서 임상증상을 나타내는 돼지 4두와 동거축 12두 모두가 NSP 항체를 가지고 있지 않아 의심신고가 많이 늦지 않았음을 증명했다.

참고로 NSP 항체는 감염 후 빠르면 5일 이후 검출이 가능하다. (그림 1)은 우리나라에서 2008년에 발표한 논문에서 인용한 자료로 이 논문은 2002년 구제역 발생에 대한 소중한 자료를 담고 있다. 제목은 ‘2002년 대한민국에서 발생한 구제역의 역학적 특징(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2002 Outbreak of Foot-and-Mouth Disease in The Republic of Korea)’으로 2002년 발생한

구제역의 역학적 특징, 임상증상에 대한 주옥 같은 분석, 무엇보다 정확한 통계가 들어 있다.

이 자료를 보면, 농장에 바이러스가 감염되고 나서 짧게는 7일, 길게는 약 2주 후에 임상증상이 발견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Wee, Yoon et al. 2008). NSP는 최소 5일 이후에 검출되므로 해당 농장에서 NSP가 검출되지 않았다는 것은 해당 농장에 감염이 시작된 지 5일이 되지 않았다는 뜻이다.

그런데 구제역도 구제역이지만 이보다 더 큰 문제는 해당 농장의 항원 검사 결과가 A형 구제역이라는 점이었다. 우리나라 현재 상황에서 돼지에서 발생한 A형 구제역은 정말 큰 문제이다. 왜 그럴까?

(그림 1) 구제역바이러스에 노출된 다음 잠복기(보통 5~10일)를 거친 다음 증상이 있으나 발견하지 못하는 기간(2~6일)을 지나고 나서 임상증상이 관찰된다.그러니까 감염되고 보통 7~16일 사이에 임상증상이 관찰되는 셈이다.

230-235 돈스케치-김현일.indd 231 2018-04-22 오후 3:52:42

Page 3: 돼지 A형 구제역 발생 · 2018-05-25 · ()스 232 2018. 5월호 2. a형 구제역이 두려운 이유 경기도 김포시 대곶면의 a형 구 제역이 두려운 이유는

돈(豚)스케치

2018. 5월호232

2. A형 구제역이 두려운 이유

경기도 김포시 대곶면의 A형 구제역이 두려운 이유는 우리나라가 돼지에 A형 구제역 백신을 접종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지금 소에서는 O+A 구제역 백신 접종을 하지만 돼지에서는 O형 항원만 접종하고 있다. 돼지에 A형 항원을 접종하고 있지 않은 이유는 주변 국가에서 O타입(type)에 비해 A타입 구제역의 발생 자체가 적고, A형은 소에서 더 잘 걸리기 때문에 소에 접종을 잘 한다면 돼지에 감염될 확률을 낮출 수 있다는 다분히 생물학적인 판단 때문이다. 참고로 2010년부터 2016년까지 발생한 구제역 A형 발생 87건 중에서 돼지에서의 발생은 3%밖에 되지 않는다.

돼지 A형 감염 사례는 모두 중국과 우리나라 사례로 돼지에서 잘 발생하지 않는다는 과학적 분석을 바탕으로 돼지에 A형 항원을 빼고 접종하고 있었다. 여기에 추가로 백신에 항원이 추가될수록 백신 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에 가장 위험한 O타입에 대한 백신부터 실시하고, 나중에 위급상황 발생 시 바로 접종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이 발생하는 항원은행 형태로 대비하자는 경제적인 판단도 고려되었다.

결과적으로 돼지에서는 A형 구제역 항원을 접종하지 않고 있었기 때문에 만약

돼지가 A형 구제역에 감염될 경우 지금까지 해 오던 백신과 혈청형이 달라 백신을 전혀 접종하지 않은 상태와 같아 크게 확산될 위험이 있었다. 그럼 돼지에 O형 항원을 접종했더라도 A형 항원에 대해서는 전혀 방어가 안 되는 걸까?

3. A형은 방어할 수 없는 O형 백신

이번에 김포에서 구제역이 최초 발생한 농장의 경우 백신을 철저히 접종하는 농장이었다. 이렇게 판단할 수 있었던 근거로는 우선 백신 접종 내역과 재고 내역이 잘 정리되어 있었고, 농장 내 백신 공병도 확인이 되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항체 양성률인데 2017년 3월 검사에서 모돈은 100%, 자돈은 90%의 양성률을 보였으며, 2017년 10월 검사에서는 모돈과 자돈 모두 100% 양성률을 보였다. 한 마디로 축주의 백신 접종 상태에 대해서는 의구심을 가질 부분

230-235 돈스케치-김현일.indd 232 2018-04-22 오후 3:52:43

Page 4: 돼지 A형 구제역 발생 · 2018-05-25 · ()스 232 2018. 5월호 2. a형 구제역이 두려운 이유 경기도 김포시 대곶면의 a형 구 제역이 두려운 이유는

◐ 돼지 A형 구제역 발생

2018. 5월호 233

이 없는 상태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4산차 모돈에

서 구제역이 발생했고, 포유자돈도 폐사되는 등 그 임상증상도 명확했다. O형 항원이 접종된 상태라고 하더라도 혈청형이 다르면 방어가 잘 되지 않을 수 있다는 기존 실험 결과와도 일치하는 결과였다(Rweyemamu, Booth et al. 1978). 뿐만 아니라 같은 A형이라도 바이러스에 변이가 일어나 차이가 많이 나면 방어능이 떨어질 수 있다는 부분도 여러 연구를 통해 이미 증명되어 있다(Brehm, Kumar et al. 2008).

4. 미스터리했던 두 번째 사례

경기도 김포시 대곶면의 한 양돈농가에서 구제역 의심신고가 있고 나서 실시한 역학조사에서 차량 방문 등 역학관계가 확인된 농가들에 대한 리스트가 만들어졌다.

이미 3km 이내의 농장은 감염 위험성이 높아 살처분이 진행된 상태였다. 3km 밖의 농장 중에서도 GPS 기록을 근거로 해당 농장을 방문했던 차량을 역추적해서 차량이 방문한 농장은 역학 농장으로 묶이게 되었다. 대곶면의 농장과 12.7km 떨어진 하성면의 한 농장도 그런 농장이었다.

이 농장에 대해 실시한 정밀 임상예찰과 항원 검사에서는 아무 이상이 발견되지 않았는데, NSP 항체 검사에서 항체 양성 돼지 2두가 발견되었다. 규모는 약 3,000두

정도 되는 농장이었다. 참고로 우리나라는 2017년 11월 이후 NSP 항체 양성 동물이 발견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었다.

이틀 뒤인 3월 30일, 농장 전체에 대해서 실시한 146두 확대 검사에서 26두 NSP 항체 양성돈이 추가로 발견되었고, 다음날 실시한 항원 검사에서 13두의 항원 양성 돼지가 발견되었다. 처음에는 항원 양성반응이 약해 시퀀싱이 되지 않았지만 추가로 실시한 농림축산검역본부 정밀 검사에서 항원 양성반응과 시퀀싱을 통해 A형 구제역바이러스임이 확인되었다.

지금까지 설명한 내용으로는 아무것도 이상할 것 없는 내용인데 왜 본인이 ‘미스터리’하다는 표현을 썼느냐면 항원 양성과 NSP 양성 정도에 비해 해당 농장의 임상증상이 너무 약했기 때문이었다.

모돈 발굽 탈락과 유두 물집 형성, 자돈 폐사, 자돈 발굽 이상 등을 보인 첫 번째 농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임상증상을 보여 검역관들이 살처분을 하면서 하나하나 들여다 보았을 때 임상증상을 나타낸 돼지가 겨우 발견될 정도라는 후문이다.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돼지의 경우에는 O형 항원만 접종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김포지역의 경우 O+A 백신이 일부 공급된 것으로 파악되었고, 해당 농장도 O+A 2가 백신이 2017년 12월에 공급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일부에서는 백신 접종이 임상증상 차이에 영향을 주지 않았을까 생각하고 있다.

230-235 돈스케치-김현일.indd 233 2018-04-22 오후 3:52:43

Page 5: 돼지 A형 구제역 발생 · 2018-05-25 · ()스 232 2018. 5월호 2. a형 구제역이 두려운 이유 경기도 김포시 대곶면의 a형 구 제역이 두려운 이유는

돈(豚)스케치

2018. 5월호234

왜 같은 A형 항원인데 김포시 대곶면의 농장과 하성면 농장이 그렇게 다른 양상을 보인 원인이 무엇이었는지 이번 구제역 발생이 끝나고 나서 정밀하게 살펴보아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5. 김포, 강화 지역의NSP 양성 농장

앞 에 서 설 명 한 것 처 럼 2017년 11월 이후 NSP 양성농장은 발견되고 있지 않다. 그런데 이번 구제역 발생 이후 실시한 김포 지역의 구제역 NSP 검사에서 2018년 4월 5일 현재 6개 소사육 농가와 2개의 돼지농가에서 양성이 발견되었다. 타 지역 데이터와 비교해도 매우 높은 양성률로 김포 지역에 구제역바이러스 노출이 있었다는 구체적인 증거이기도 하다.

그런데 6개의 NSP 양성 소농가들을 자세히 살펴보면, 44개월령 한우(구제역 백신 8차 접종)부터 105개월령 17번의 구제역 백신을 접종받은 소들이 포함되어 있어 백신 접종으로 NSP 항체 형성 가능성에 대해서도 정밀하게 분석할 필요가 있다.

참고로 지금 판매되고 있는 구제역 백신들은 NSP 항원이 정제되어 제거된 백신이지만 백신에 소량 NSP 항원이 남아

있을 수 있어 계속 반복 백신 접종을 받을 경우 항체가 생성될 수도 있다. NSP 항체 형성 확률에 대한 통계 분석도 필요한 상태이다.

6. 앞으로의 구제역 상황, 어떻게될까?

본인이 지금 이 원고를 쓰고 있는 시점은 2018년 4월 8일이다. 본인이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능력은 없지만 조심스럽게 이번 A형 구제역은 이대로 마무리가 되거나 몇 차례 소규모 발생이 있고 나서 마무리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한다. 한마디로 대규모 발생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판단한다. 그렇게 판단하는 이유는 3월 27일부터 4월 1일까지 전국의 모돈과

이번 A형 구제역은 이대로 마무리가 되거나몇 차례 소규모 발생이 있고 나서 마무리될 가능성이 높다. 한마디로 대규모 발생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판단한다.그 이유는 3월 27일부터 4월 1일까지 전국의 모돈과위험지역의 자돈 백신 접종이 실시되었기 때문이다.

230-235 돈스케치-김현일.indd 234 2018-04-22 오후 3:52:43

Page 6: 돼지 A형 구제역 발생 · 2018-05-25 · ()스 232 2018. 5월호 2. a형 구제역이 두려운 이유 경기도 김포시 대곶면의 a형 구 제역이 두려운 이유는

◐ 돼지 A형 구제역 발생

2018. 5월호 235

위험지역의 자돈 백신 접종이 실시되었기 때문이다.

그럼 백신을 접종하고 나서 얼마나 있으면 면역 효과가 나타나는 걸까? 1998년 구제역표준연구소인 퍼브라이트연구소는 매우 중요한 연구 결과를 논문으로 발표한다. 구제역 백신을 접종하고 0, 2, 3, 4, 5, 7일에 구제역바이러스를 공격 접종한 결과 0~3일까지는 방어가 안 되었지만 4일차부터 임상증상을 보이는 동물의 수에 차이가 나타나기 시작했다(Salt, Barnett et al. 1998). 긴급 백신 접종 후에 구제역 전파 속도가 늦춰지고 신규 발생이 감소하는 패턴은 지금까지 여러 국가의 긴급 백신에서 관찰되었다. 그러므로 조심스럽게 이번 A형 구제역 발생은 곧 잦아들 것으로 예측해 본다.

7. 남은 과제

이제 우리에게 남겨진, 정말 중요한 과제는 이번 구제역이 어떤 경로로 국내에 유입되었는지를 밝혀내는 일이다. 그 감염 경로를 알아야 대책을 마련할 수 있다. 그동안 계속 공항에서 소독도 했고, 검역도 실시했지만 바이러스는 유입되고 있다. 그동안 생각하고 대책을 마련했던 경로가 아닌, 또 다른 경로가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학계와 검역당국, 그리고 업계 전문가가 모두 머리를 맞대고 고민해야 할 부분이다.

◑ Brehm, K., N. Kumar, H.-H. Thulke and B.

Haas (2008). "High potency vaccines induce

protection against heterologous challenge

with foot-and-mouth disease virus." Vaccine

26(13): 1681-1687.

◑ Rweyemamu, M., J. Booth, M. Head

and T. Pay (1978). "Microneutralization tests

for serological typing and subtyping of foot-

and-mouth disease virus strains." Journal of

Hygiene 81(01): 107-123.

◑ Salt, J., P. Barnett, P. Dani and L. Williams

(1998). "Emergency vaccination of pigs

against foot-and-mouth disease: protection

against disease and reduction in contact

transmission." Vaccine 16(7): 746-754.

◑ Wee, S. H., H. Yoon, S. More, H. M. Nam,

O. K. Moon, J. M. Jung, S. J. Kim, C. H. Kim, E.

S . L e e a n d C . K . P a r k ( 2 0 0 8 ) .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2002

Outbreak of Foot‐and‐Mouth Disease in The

Republic of Korea." Transboundary and

emerging diseases 55(8): 360-368.

상기 원고에 대한 궁금한 사항은글쓴이에게 문의바랍니다.☎ 연락처 : 010-3308-7753

문의사항

참고문헌

230-235 돈스케치-김현일.indd 235 2018-04-22 오후 3:5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