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cript
Page 1: 뇌신경계분야 중재적시술

뇌신경계분야 중재적시술

2008. 8.30

Page 2: 뇌신경계분야 중재적시술

2

ll. 경피적 뇌혈관 약물성형술

lll. 혈관색전술

Ⅳ. 동맥스텐트 인정기준

Ⅴ. 혈관조영촬영술

l. 심사제도의개요

Page 3: 뇌신경계분야 중재적시술

3

Ⅱ Ⅱ . . 심사제도의 개요심사제도의 개요

행위별수가제 하에서는 양질의 서비스가 가능한 반면수입증대를 위한 행위량 증가가 수반되므로

적정진료여부에 대한 심사 필요

비용 효과적인 문제의료행위의료행위 재원부담의 한계재원부담의 한계

행위별수가제 (Fee-For-Service)

‘심사제도의 개요심사제도의 개요 -- 심사의 필요성

‘심사제도의 개요심사제도의 개요 -- 심사의 필요성

Page 4: 뇌신경계분야 중재적시술

4

o 정의 요양기관에서 청구한 요양급여비용 심사 시 내용적인 적합성 및 비용적인

적합성 여부를 확인함에 있어 적합성 여부에 대한 판단기준이 되는 실체 적인 내용을 의미함 .

o 종류

국민건강보험법령상 심사기준 기타 심사기준 법 제 39 조의 규정에 의한 요양급여의 기준 - 국민건강보험 요양급여의 기준에 관한 규칙 -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사항 법 제 42 조의 규정에 의한 정해진 요양급여

비용의 내역 - 요양급여비용의 산정내역 ( 보건복지부 고시 )

보건복지부 행정해석 심사평가원장이

진료심사평가위원회의 심의기준을 거쳐 정한 요양급여비용의 심사기준( 심사지침 )

심사제도의 개요심사제도의 개요 - - 심사의 법적근거 및 필요성심사제도의 개요심사제도의 개요 - - 심사의 법적근거 및 필요성

Page 5: 뇌신경계분야 중재적시술

5

국민건강보험요양급여의기준에관한규칙( 별표 1)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 ( 제 5 조제 1항관련 ) 4. 치료재료의 지급 치료재료는 약사법 기타 다른 관계법령에 의하여 허 가ㆍ 신고 또는 인정된 사항 ( 효능ㆍ 효과 및 사용방법 ) 의 범위안에서 환자의 증상에 따라 의학적 판단에 의 하여 필요적절하게 사용한다 , 다만 , 안전성ㆍ

유효성 등에 관한 사항이 정하여져 있는 치료재료중 진료에 반드시 필요하다고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 는 치료재료의 경우에는 허가ㆍ 신고 또는 인정된 사 항 ( 효능ㆍ 효과 및 사용방법 ) 의 범위를 초과하여 사용 할수있다

국민건강보험요양급여의기준에관한규칙( 별표 1)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 ( 제 5 조제 1항관련 ) 4. 치료재료의 지급 치료재료는 약사법 기타 다른 관계법령에 의하여 허 가ㆍ 신고 또는 인정된 사항 ( 효능ㆍ 효과 및 사용방법 ) 의 범위안에서 환자의 증상에 따라 의학적 판단에 의 하여 필요적절하게 사용한다 , 다만 , 안전성ㆍ

유효성 등에 관한 사항이 정하여져 있는 치료재료중 진료에 반드시 필요하다고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 는 치료재료의 경우에는 허가ㆍ 신고 또는 인정된 사 항 ( 효능ㆍ 효과 및 사용방법 ) 의 범위를 초과하여 사용 할수있다

Page 6: 뇌신경계분야 중재적시술

6

요양기관요양급여비용

심사평가원접수

청구 녹색기관녹색기관

지표기관지표기관

정밀기관정밀기관명세서

인계전산입력 ,교정 및 명세서 점검 업무 ( 서면 )

심사위원회심사(3 차심사 )

- 심사기준설정- 합의결정이 필요한 사항

심사결과자료출력

통보 통보

공 단급여비용

지급

요양기관조정 및

지급내역 확인

각종 진료비 통계출력

심사전산점검

심사직원심사(1 차심사 )일반사항 및 심사기준 범위내 심사

심사위원심사

(2 차심사 )

전문의학적 판단에 의한 진료의 적정성여부 심사

심사제도의 개요심사제도의 개요 -- 심사처리절차 및 방법

심사제도의 개요심사제도의 개요 -- 심사처리절차 및 방법

Page 7: 뇌신경계분야 중재적시술

7

건강보험심사평가원건강보험심사평가원건강보험심사평가원건강보험심사평가원

모든 요양기관에 적용 가능한모든 요양기관에 적용 가능한심의사례 선정심의사례 선정

모든 요양기관에 적용 가능한모든 요양기관에 적용 가능한심의사례 선정심의사례 선정

자료 및 의견요청자료 및 의견요청자료 및 의견요청자료 및 의견요청

보험급여기준( 의약단체 , 학회 , 요양기관 등 )

보험급여기준( 의약단체 , 학회 , 요양기관 등 ) 요양급여비용 명세서요양급여비용 명세서

진료심사평가위원회심의진료심사평가위원회심의진료심사평가위원회심의진료심사평가위원회심의

• 고가 ( 절대적 , 상대적 )

• 다빈도 실시• 기타 문제

• 고가 ( 절대적 , 상대적 )

• 다빈도 실시• 기타 문제

검토검토검토검토

심의사례축적심의사례축적심의사례축적심의사례축적

심사시심사시문제제기문제제기

심사시심사시문제제기문제제기

질의질의질의질의 청구청구청구청구

관련학회관련학회관련학회관련학회

• 임상적 유용성• 국내실시현황• 국내•외 학회 인정여부 등

질의기관질의기관질의기관질의기관

• 시술목적 및 적응증• 시술방법 , 소요인력 및 시간 • 장단점 비교 등

기초자료조사기초자료조사기초자료조사기초자료조사

• 문헌검토• 기존 심사기준 및 사례와의 비교분석 등

심사제도의 개요심사제도의 개요 -- 심사기준설정과정심사제도의 개요심사제도의 개요 -- 심사기준설정과정

Page 8: 뇌신경계분야 중재적시술

8

‘2008. 요양급여 인정기준변경사항‘2008. 요양급여 인정기준변경사항

적응증 : 지주막하 출혈후 혈관 연축시술개요 : 혈관조영술 , 협착혈관 확인 -> 미세도관의 삽입 및 협착혈관 초선택 -> 미세도관을 통한 약물주입 ☞ 뇌혈관 풍선혈관성형술 ( 자 659 가 ) 과는 달리 지주막하 출혈후 혈관연축에 시행하며 미세도관 삽입 및 초선택 을 통하여 파파베린 등 약제를 주입함

적응증 : 지주막하 출혈후 혈관 연축시술개요 : 혈관조영술 , 협착혈관 확인 -> 미세도관의 삽입 및 협착혈관 초선택 -> 미세도관을 통한 약물주입 ☞ 뇌혈관 풍선혈관성형술 ( 자 659 가 ) 과는 달리 지주막하 출혈후 혈관연축에 시행하며 미세도관 삽입 및 초선택 을 통하여 파파베린 등 약제를 주입함

자 659-1 경피적 뇌혈관 약물성형술자 659-1 경피적 뇌혈관 약물성형술

Page 9: 뇌신경계분야 중재적시술

9

심사사례 1심사사례 1

상병 : 중대뇌동맥의 거미막밑 출혈수술 : 경피적뇌혈관약물성형술재료 : prowler catheter 150cm 이상 (J4091013) 등영상의학과결과지 : - MCA 의 superior division 과 inferior division 을 각각 superselection 하여 1.5mg 씩 의 nimodipine 을 추가로 infusion 함

상병 : 중대뇌동맥의 거미막밑 출혈수술 : 경피적뇌혈관약물성형술재료 : prowler catheter 150cm 이상 (J4091013) 등영상의학과결과지 : - MCA 의 superior division 과 inferior division 을 각각 superselection 하여 1.5mg 씩 의 nimodipine 을 추가로 infusion 함

Page 10: 뇌신경계분야 중재적시술

10

심사사례 2심사사례 2

상병 : 상세불명의 거미막밑 출혈수술 : 경피적뇌혈관약물성형술 -> 동맥내주사로 조정재료 : J.S angio catheter 전규격 (J4001014) 등영상의학과결과지 : - Rt proximal ICA 에 위치한 catheter 를 통해 nimodipine 3mg infusion 함

☞ 경피적뇌혈관약물성형술 (vasospasm 치료 ) 은 microcatheter 를 사용한 초선택 약물주입이 아닌 경우 인정하지 않음

상병 : 상세불명의 거미막밑 출혈수술 : 경피적뇌혈관약물성형술 -> 동맥내주사로 조정재료 : J.S angio catheter 전규격 (J4001014) 등영상의학과결과지 : - Rt proximal ICA 에 위치한 catheter 를 통해 nimodipine 3mg infusion 함

☞ 경피적뇌혈관약물성형술 (vasospasm 치료 ) 은 microcatheter 를 사용한 초선택 약물주입이 아닌 경우 인정하지 않음

Page 11: 뇌신경계분야 중재적시술

11

‘2008. 요양급여 인정기준변경사항‘2008. 요양급여 인정기준변경사항

적응증 : 1.Wide neck 뇌혈관 동맥류에 의한 지주막하 출혈 2.Wide neck 외상성 뇌혈관동맥류에 의한 지주막 하 출혈시술개요 : 혈관조영술 , 동맥류 확인 및 수술영상위치 선택-> 보조적 풍선도관 또는 스텐트 삽입 -> 미세도관의 삽입 및 동맥류 초선택 -> 미세도관을 통한 동맥류내 코일 삽입 ☞ 동맥류의 경부가 넓은 경우 보조적 풍선이나 스텐트 지 지하에 시술을 하여야 하며 시술이 과정이나 시간의 차이 가 많음

적응증 : 1.Wide neck 뇌혈관 동맥류에 의한 지주막하 출혈 2.Wide neck 외상성 뇌혈관동맥류에 의한 지주막 하 출혈시술개요 : 혈관조영술 , 동맥류 확인 및 수술영상위치 선택-> 보조적 풍선도관 또는 스텐트 삽입 -> 미세도관의 삽입 및 동맥류 초선택 -> 미세도관을 통한 동맥류내 코일 삽입 ☞ 동맥류의 경부가 넓은 경우 보조적 풍선이나 스텐트 지 지하에 시술을 하여야 하며 시술이 과정이나 시간의 차이 가 많음

자 664 가 (1) ( 가 )혈관색전술 - 뇌혈관 - 동맥류 - 보조물지지자 664 가 (1) ( 가 )혈관색전술 - 뇌혈관 - 동맥류 - 보조물지지

Page 12: 뇌신경계분야 중재적시술

12

뇌동맥류코일색전술시 코일이 모혈관으로 빠지지 않게 막아주는 Neuroform microdelivery Stent System 은 구경이 2mm 이상 , 4.5mm 이하의 모혈관에 생긴 광경동맥류 (Wide Neck Aneurysm) 에 사용한 경우에 인정함 .

※ 코일색전술시 광경동맥류 (Wide Neck neurysm): Neck( 동맥류입구 ) 이 4mm 이상이거나 동맥류 체부의 직경 / 경부의 직경이 2 미만인 경우

고시 제 2006-38 호 ( 치료재료 ), 2006-05-25 ( 적용일 : 2006.6.1)

뇌동맥류코일색전술시 코일이 모혈관으로 빠지지 않게 막아주는 Neuroform microdelivery Stent System 은 구경이 2mm 이상 , 4.5mm 이하의 모혈관에 생긴 광경동맥류 (Wide Neck Aneurysm) 에 사용한 경우에 인정함 .

※ 코일색전술시 광경동맥류 (Wide Neck neurysm): Neck( 동맥류입구 ) 이 4mm 이상이거나 동맥류 체부의 직경 / 경부의 직경이 2 미만인 경우

고시 제 2006-38 호 ( 치료재료 ), 2006-05-25 ( 적용일 : 2006.6.1)

뇌동맥류코일색전술시 사용하는 Neuroform microdelivery Stent System 인정기준뇌동맥류코일색전술시 사용하는 Neuroform microdelivery Stent System 인정기준

Page 13: 뇌신경계분야 중재적시술

13

심사사례 1심사사례 1

상병 : 비파열성 대뇌동맥류수술 : 혈관색전술 - 뇌혈관 - 동맥류 - 기타의경우 보조물지지로 산정 가능재료 : Neuroform 3 microdelivery stent system (J5236021) GDC 전규격 (J3033001) *6 Microplex complex coil 전규격 (J3033027)*4 진단방사선보고서 : - Left superior hypophyseal a. 로 생각되는 ICA 의 medial aspect 에 약 7.9 *4.8mm 로 measure 되는 unruptured aneurysm 이 있으며 neck size 는 약 4.5mm 임 . Left ICA 에 4*15mm Neuroform stent 를 insertion 함

상병 : 비파열성 대뇌동맥류수술 : 혈관색전술 - 뇌혈관 - 동맥류 - 기타의경우 보조물지지로 산정 가능재료 : Neuroform 3 microdelivery stent system (J5236021) GDC 전규격 (J3033001) *6 Microplex complex coil 전규격 (J3033027)*4 진단방사선보고서 : - Left superior hypophyseal a. 로 생각되는 ICA 의 medial aspect 에 약 7.9 *4.8mm 로 measure 되는 unruptured aneurysm 이 있으며 neck size 는 약 4.5mm 임 . Left ICA 에 4*15mm Neuroform stent 를 insertion 함

Page 14: 뇌신경계분야 중재적시술

14

심사사례 2심사사례 2

상병 : 중대뇌동맥의 폐색 및 협착수술 : 혈관색전술 - 뇌혈관 - 동맥류 - 보조물지지재료 : hyperform occlusion ballool catheter 전규격 (J4024002) nexus detachable coil system 전규격 (J3033273) 영상의학과결과지 : - Initially we placed hyperform balloon on aneurismal neck. An then, we placed microcatheter on aneurismal sac. First coil frame was made with Cordis MiniComplex Fill2.5*2.5 coil under balloon inflation. After deflation of balloon, we closely observed coil stability, and detached first coil.

상병 : 중대뇌동맥의 폐색 및 협착수술 : 혈관색전술 - 뇌혈관 - 동맥류 - 보조물지지재료 : hyperform occlusion ballool catheter 전규격 (J4024002) nexus detachable coil system 전규격 (J3033273) 영상의학과결과지 : - Initially we placed hyperform balloon on aneurismal neck. An then, we placed microcatheter on aneurismal sac. First coil frame was made with Cordis MiniComplex Fill2.5*2.5 coil under balloon inflation. After deflation of balloon, we closely observed coil stability, and detached first coil.

Page 15: 뇌신경계분야 중재적시술

15

‘2008. 요양급여 인정기준변경사항‘2008. 요양급여 인정기준변경사항

적응증 : 1. 뇌혈관 동맥류에 의한 지주막하 출혈 2. 외상성 뇌혈관동맥류에 의한 지주막하 출혈 3. 내과적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세균성 색전에 의한 뇌혈관 동맥류 4. 파열위험이 있는 뇌혈관 동맥류시술개요 : 혈관조영술 , 동맥류 확인 및 수술영상위치 선택 -> 미세도관의 삽입및 동맥류 초선택 -> 미세도관을 통한 동맥류내 코일 삽입

적응증 : 1. 뇌혈관 동맥류에 의한 지주막하 출혈 2. 외상성 뇌혈관동맥류에 의한 지주막하 출혈 3. 내과적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세균성 색전에 의한 뇌혈관 동맥류 4. 파열위험이 있는 뇌혈관 동맥류시술개요 : 혈관조영술 , 동맥류 확인 및 수술영상위치 선택 -> 미세도관의 삽입및 동맥류 초선택 -> 미세도관을 통한 동맥류내 코일 삽입

자 664 가 (1) ( 나 )혈관색전술 - 뇌혈관 - 동맥류 - 기타의경우자 664 가 (1) ( 나 )혈관색전술 - 뇌혈관 - 동맥류 - 기타의경우

Page 16: 뇌신경계분야 중재적시술

16

뇌혈관 색전술시 사용하는 뇌동맥류의 GDC(Guglielmi Detachable coil) 및 Detachable coil(Mechanical detachable 재료 ) 은 다음과 같이 인정함 1. 적응증 - 내과적인 문제나 고령 등 수술 및 마취 위험도가 높아 수술이 곤란한 경우 - 해부학적으로 수술적 접근이 어려운 경우 - 출혈 후 중증 신경학적 장해가 있는 경우 (Hunt & Hess grade Ⅳ,Ⅴ)2. 인정개수 : 실사용량으로 인정함 고시 제 2005-101 호 ( 치료재료 , 2005,12,30)

뇌혈관 색전술시 사용하는 뇌동맥류의 GDC(Guglielmi Detachable coil) 및 Detachable coil(Mechanical detachable 재료 ) 은 다음과 같이 인정함 1. 적응증 - 내과적인 문제나 고령 등 수술 및 마취 위험도가 높아 수술이 곤란한 경우 - 해부학적으로 수술적 접근이 어려운 경우 - 출혈 후 중증 신경학적 장해가 있는 경우 (Hunt & Hess grade Ⅳ,Ⅴ)2. 인정개수 : 실사용량으로 인정함 고시 제 2005-101 호 ( 치료재료 , 2005,12,30)

GDC(Guglielmi detachable coil) 및 Detachable coil 의 인정기준GDC(Guglielmi detachable coil) 및 Detachable coil 의 인정기준

Page 17: 뇌신경계분야 중재적시술

17

관련 제 규정 (1) 의료법 제 21 조 ( 진료기록부등 ) 1) 의료인은 각각 진료기록부 ~ 그밖의 진료에 관한 기록 ( 이하” 진료기록부등”이라 한다 ) 을 비치하여 그 의료 행위에 관한 사항과 소견을 상세히 기록 하고 서명하여야 한다 .

관련 제 규정 (1) 의료법 제 21 조 ( 진료기록부등 ) 1) 의료인은 각각 진료기록부 ~ 그밖의 진료에 관한 기록 ( 이하” 진료기록부등”이라 한다 ) 을 비치하여 그 의료 행위에 관한 사항과 소견을 상세히 기록 하고 서명하여야 한다 .

진료기록부 참조, 상이하게 기재된 Coil의 인정개수에 대하여

진료기록부 참조, 상이하게 기재된 Coil의 인정개수에 대하여

Page 18: 뇌신경계분야 중재적시술

18

심사사례 1심사사례 1

상병 : 후교통동맥의 거미막밑 출혈시술 : 혈관색전술 - 뇌혈관 - 동맥류 - 기타의경우재료대 : microplex complex coil 전규격 7*1 GDC 전규격 *2 조정 ( 시술기록지상 coil 7 개 만 확인됨 )

☞( 뇌 혈관 색전술시 반드시 coil 의 규격에 따른 사용량이 기록되어 있는 시술기록지를 첨부하여야 함 )

상병 : 후교통동맥의 거미막밑 출혈시술 : 혈관색전술 - 뇌혈관 - 동맥류 - 기타의경우재료대 : microplex complex coil 전규격 7*1 GDC 전규격 *2 조정 ( 시술기록지상 coil 7 개 만 확인됨 )

☞( 뇌 혈관 색전술시 반드시 coil 의 규격에 따른 사용량이 기록되어 있는 시술기록지를 첨부하여야 함 )

Page 19: 뇌신경계분야 중재적시술

19

심사사례 2심사사례 2

상병 : 전교통 동맥의 거미막밑 출혈시술 : 혈관색전술 - 뇌혈관 - 동맥류 조정재료대 : GDC 3*1 조정

☞ECA 의 pseudoaneurysm 에는 분리형코일 불인정

상병 : 전교통 동맥의 거미막밑 출혈시술 : 혈관색전술 - 뇌혈관 - 동맥류 조정재료대 : GDC 3*1 조정

☞ECA 의 pseudoaneurysm 에는 분리형코일 불인정

Page 20: 뇌신경계분야 중재적시술

20

심사사례 3심사사례 3

상병 : 중대뇌동맥의 거미막밑 출혈시술 : 혈관색전술 - 뇌혈관 - 동맥류재료대 : GDC 전규격 16*1 6 개 조정

☞Rt.MCA 의 5mm 뇌동맥류에 16 개의 분리형코일사용은 과다사용으로 6 개의코일 조정

상병 : 중대뇌동맥의 거미막밑 출혈시술 : 혈관색전술 - 뇌혈관 - 동맥류재료대 : GDC 전규격 16*1 6 개 조정

☞Rt.MCA 의 5mm 뇌동맥류에 16 개의 분리형코일사용은 과다사용으로 6 개의코일 조정

Page 21: 뇌신경계분야 중재적시술

21

Detachable coil 은 뇌동맥류를 위해 개발된 치료재료로서 동정맥루 (CCF) 에 사용시 detachable balloon 을 우선하여 사용하거나 , 특별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 인정토록 기논의된 바 있음 .그러나 , Detachable balloon 이 제조사 변경 등의 문제로 현재 수입이 전혀 안되고 있으므로 동정맥루 (CCF) 에 일차적으로 Detachable coil 의 사용을 인정함이 타당함 .따라서 , 동 사례에서 동정맥루 (CCF) 를 막기 위해 사용된 5 개의 Detachable coil 은 인정함 . 그러나 , 동정맥루의 폐색을 시도하다가 빠져나간 coil 이 ICA flow 를 감소시킴에 따라 부득이 하게 ICA 를 폐색할 수밖에 없었고 , 이때 Detachable coil 2 개를 사용하였다고 하나 , 혈관의 폐색은 Detachable coil 의 적응증이 되지 않을뿐 아니라 , 일반 fibered coil 을 사용하는 것이 통상적인 방법이므로 혈관폐색에 사용된 Detachable coil 2 개는 인정하지 아니함 . 진단방사선과 , 2006,1,17 , 사례

Detachable coil 은 뇌동맥류를 위해 개발된 치료재료로서 동정맥루 (CCF) 에 사용시 detachable balloon 을 우선하여 사용하거나 , 특별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 인정토록 기논의된 바 있음 .그러나 , Detachable balloon 이 제조사 변경 등의 문제로 현재 수입이 전혀 안되고 있으므로 동정맥루 (CCF) 에 일차적으로 Detachable coil 의 사용을 인정함이 타당함 .따라서 , 동 사례에서 동정맥루 (CCF) 를 막기 위해 사용된 5 개의 Detachable coil 은 인정함 . 그러나 , 동정맥루의 폐색을 시도하다가 빠져나간 coil 이 ICA flow 를 감소시킴에 따라 부득이 하게 ICA 를 폐색할 수밖에 없었고 , 이때 Detachable coil 2 개를 사용하였다고 하나 , 혈관의 폐색은 Detachable coil 의 적응증이 되지 않을뿐 아니라 , 일반 fibered coil 을 사용하는 것이 통상적인 방법이므로 혈관폐색에 사용된 Detachable coil 2 개는 인정하지 아니함 . 진단방사선과 , 2006,1,17 , 사례

동정맥루 (CCF)에 Detachable balloon 선행 없이 사용된 Detachable coil의 인정여부 동정맥루 (CCF)에 Detachable balloon 선행 없이 사용된 Detachable coil의 인정여부

Page 22: 뇌신경계분야 중재적시술

22

심사사례심사사례

상병 : 대뇌혈관의 동정맥 기형시술 : 2/15 혈관색전술 - 뇌혈관 - 동맥류 GDC 전규격 *4 SAPPHIRE NXT DETACHABLE COIL*5 2/20 혈관색전술 - 뇌혈관 - 동정맥기형 ( 동정맥루포함 ) ->post embolization 시술후 응급으로 시행 ECHELON MICRO CATHETER 150cm 이상 -> AVM 시술시 색전물질 glue 사용 ☞ 동정맥기형에서 발생한 동맥류는 glue 사용으로 충분히 색전을 시행할수 있음 따라서 2/15 일 시행한 색전술 및 코일 모두 조정

상병 : 대뇌혈관의 동정맥 기형시술 : 2/15 혈관색전술 - 뇌혈관 - 동맥류 GDC 전규격 *4 SAPPHIRE NXT DETACHABLE COIL*5 2/20 혈관색전술 - 뇌혈관 - 동정맥기형 ( 동정맥루포함 ) ->post embolization 시술후 응급으로 시행 ECHELON MICRO CATHETER 150cm 이상 -> AVM 시술시 색전물질 glue 사용 ☞ 동정맥기형에서 발생한 동맥류는 glue 사용으로 충분히 색전을 시행할수 있음 따라서 2/15 일 시행한 색전술 및 코일 모두 조정

Page 23: 뇌신경계분야 중재적시술

23

‘2008. 요양급여 인정기준변경사항‘2008. 요양급여 인정기준변경사항

적응증 : 뇌혈관 동정맥기형시술개요 : 혈관조영술 , 공급혈관 확인 및 혈류분석 –> 미세도관의 삽입 및 공급혈관 초선택 -> 미세도관을 통한 색전물질 주입

적응증 : 뇌혈관 동정맥기형시술개요 : 혈관조영술 , 공급혈관 확인 및 혈류분석 –> 미세도관의 삽입 및 공급혈관 초선택 -> 미세도관을 통한 색전물질 주입

자 664 가 (2) ( 가 )혈관색전술 - 뇌혈관 - 동정맥기형 ( 동정맥루포함 ) - 뇌혈관

자 664 가 (2) ( 가 )혈관색전술 - 뇌혈관 - 동정맥기형 ( 동정맥루포함 ) - 뇌혈관

Page 24: 뇌신경계분야 중재적시술

24

‘2008. 요양급여 인정기준변경사항‘2008. 요양급여 인정기준변경사항

액체형 색전물질인 “ Onyx Liquid Embolic System”은뇌동정맥기형 질환 색전술시 중합반응시간이 서서히 일어나며 혈관과 닿는 순간에 굳어져 혈관의 완전폐색이 가능하며1 회 시술로 많은 양의 혈관을 막을 수 있고 색전물질이 다른 부위의 혈관을 막는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바 , 뇌동정맥기형 ( 뇌경막동정맥루 포함 ) 에 한하여 3 개까지 인정하고 , 동 인정개수를 초과하여 사용한 경우에는 그 비용을 전액 본인부담토록 함

액체형 색전물질인 “ Onyx Liquid Embolic System”은뇌동정맥기형 질환 색전술시 중합반응시간이 서서히 일어나며 혈관과 닿는 순간에 굳어져 혈관의 완전폐색이 가능하며1 회 시술로 많은 양의 혈관을 막을 수 있고 색전물질이 다른 부위의 혈관을 막는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바 , 뇌동정맥기형 ( 뇌경막동정맥루 포함 ) 에 한하여 3 개까지 인정하고 , 동 인정개수를 초과하여 사용한 경우에는 그 비용을 전액 본인부담토록 함

액체형 색전물질“ Onyx Liquid Embolic System”인정기준액체형 색전물질“ Onyx Liquid Embolic System”인정기준

Page 25: 뇌신경계분야 중재적시술

25

심사사례 1심사사례 1

상병 : 대뇌혈관의 동정맥 기형수술 : 혈관색전술 - 뇌혈관 - 동정맥기형 - 뇌혈관 *2 onyx liquid embolic system 전규격 (J3042073) 3*2 ->1vial 조정영상의학과결과지 ’08.6.18) microcatheter와 guide wire 를 이용하여 2 개의 feeder 를 superselection 하여 onyx 로 embolization 시행하였음 총 3cc 를 사용하였고 final angio 상 intranial aneurysm 을 포함하여 약 50% 색전되었음 ’08.7.3) MCA 의 parietal branch와 ACA 의 pericallosal branch 를 superselection 한후 onyx 4.3ml 사용하여 embolization 시행

☞ 1.5cc/1vial 이므로 실사용량 인정

상병 : 대뇌혈관의 동정맥 기형수술 : 혈관색전술 - 뇌혈관 - 동정맥기형 - 뇌혈관 *2 onyx liquid embolic system 전규격 (J3042073) 3*2 ->1vial 조정영상의학과결과지 ’08.6.18) microcatheter와 guide wire 를 이용하여 2 개의 feeder 를 superselection 하여 onyx 로 embolization 시행하였음 총 3cc 를 사용하였고 final angio 상 intranial aneurysm 을 포함하여 약 50% 색전되었음 ’08.7.3) MCA 의 parietal branch와 ACA 의 pericallosal branch 를 superselection 한후 onyx 4.3ml 사용하여 embolization 시행

☞ 1.5cc/1vial 이므로 실사용량 인정

Page 26: 뇌신경계분야 중재적시술

26

‘2008. 요양급여 인정기준변경사항‘2008. 요양급여 인정기준변경사항

적응증 : 뇌경막 동정맥루시술개요 : 혈관조영술 , 공급혈관 확인 및 혈류분석

-> 미세도관의 삽입및 공급혈관 초선택 -> 미세도관을 통한 색전물질 주입

적응증 : 뇌경막 동정맥루시술개요 : 혈관조영술 , 공급혈관 확인 및 혈류분석

-> 미세도관의 삽입및 공급혈관 초선택 -> 미세도관을 통한 색전물질 주입

자 664 가 (2) ( 나 ) 1)혈관색전술 - 뇌혈관 - 동정맥기형 ( 동정맥루포함 )- 뇌경막동정맥루 ( 동맥경유 )

자 664 가 (2) ( 나 ) 1)혈관색전술 - 뇌혈관 - 동정맥기형 ( 동정맥루포함 )- 뇌경막동정맥루 ( 동맥경유 )

Page 27: 뇌신경계분야 중재적시술

27

‘2008. 요양급여 인정기준변경사항‘2008. 요양급여 인정기준변경사항

적응증 : 뇌경막 동정맥루시술개요 : 혈관조영술 , 공급혈관 확인 및 혈류분석 -> 미세도관의 삽입및 병변 정맥동 선택 -> 미세도관을 통한 코일 삽입

적응증 : 뇌경막 동정맥루시술개요 : 혈관조영술 , 공급혈관 확인 및 혈류분석 -> 미세도관의 삽입및 병변 정맥동 선택 -> 미세도관을 통한 코일 삽입

자 664 가 (2) ( 나 ) 2)혈관색전술 - 뇌혈관 - 동정맥기형 ( 동정맥루포함 )- 뇌경막동정맥루 ( 정맥경유 )

자 664 가 (2) ( 나 ) 2)혈관색전술 - 뇌혈관 - 동정맥기형 ( 동정맥루포함 )- 뇌경막동정맥루 ( 정맥경유 )

Page 28: 뇌신경계분야 중재적시술

28

‘2008. 요양급여 인정기준변경사항‘2008. 요양급여 인정기준변경사항

적응증 : 뇌경동맥해면동루시술개요 : 혈관조영술 , 동정맥루 위치 및 크기확인 -> 분리풍선도관의 준비 -> 분리풍선도관 삽입 및 동정맥루에 위치 -> 분리풍선 도관팽창 및 동정맥루 폐색확인

적응증 : 뇌경동맥해면동루시술개요 : 혈관조영술 , 동정맥루 위치 및 크기확인 -> 분리풍선도관의 준비 -> 분리풍선도관 삽입 및 동정맥루에 위치 -> 분리풍선 도관팽창 및 동정맥루 폐색확인

자 664 가 (2) ( 다 )혈관색전술 - 뇌혈관 - 동정맥기형 (동정맥루포함 )- 뇌경동맥해면동루

자 664 가 (2) ( 다 )혈관색전술 - 뇌혈관 - 동정맥기형 (동정맥루포함 )- 뇌경동맥해면동루

Page 29: 뇌신경계분야 중재적시술

29

‘2008. 요양급여 인정기준변경사항‘2008. 요양급여 인정기준변경사항

적응증 : 두경부 동정맥기형시술개요 : 혈관조영술 , 공급혈관 확인 및 혈류분석 -> 미세도관의 삽입 및 공급혈관 초선택 -> 미세도관을 통한 색전물질 주입

적응증 : 두경부 동정맥기형시술개요 : 혈관조영술 , 공급혈관 확인 및 혈류분석 -> 미세도관의 삽입 및 공급혈관 초선택 -> 미세도관을 통한 색전물질 주입

자 664 가 (2) ( 라 )혈관색전술 - 뇌혈관 - 동정맥기형 (동정맥루포함 )- 두경부

자 664 가 (2) ( 라 )혈관색전술 - 뇌혈관 - 동정맥기형 (동정맥루포함 )- 두경부

Page 30: 뇌신경계분야 중재적시술

30

‘2008. 요양급여 인정기준변경사항‘2008. 요양급여 인정기준변경사항

적응증 : 뇌종양 ☞ 동맥경유화학요법은 뇌종양색전술과는 달라 초선택이 필요없는 시술로 신설함

적응증 : 뇌종양 ☞ 동맥경유화학요법은 뇌종양색전술과는 달라 초선택이 필요없는 시술로 신설함

자 664 가 (3) 주혈관색전술 - 뇌혈관 - 종양 - 뇌에 화학요법제를 주입하는 경우

자 664 가 (3) 주혈관색전술 - 뇌혈관 - 종양 - 뇌에 화학요법제를 주입하는 경우

Page 31: 뇌신경계분야 중재적시술

31

‘2008. 요양급여 인정기준변경사항‘2008. 요양급여 인정기준변경사항

적응증 : 뇌종양시술개요 : 혈관조영술 , 공급혈관 확인 -> 미세도관의 삽입 및 공급혈관 초선택 -> 미세도관을 통한 색전물질 주입

적응증 : 뇌종양시술개요 : 혈관조영술 , 공급혈관 확인 -> 미세도관의 삽입 및 공급혈관 초선택 -> 미세도관을 통한 색전물질 주입

자 664 가 (3)( 나 )혈관색전술 - 뇌혈관 - 종양 -두경부자 664 가 (3)( 나 )혈관색전술 - 뇌혈관 - 종양 -두경부

Page 32: 뇌신경계분야 중재적시술

32

‘2008. 요양급여 인정기준변경사항‘2008. 요양급여 인정기준변경사항

적응증 : 내경동맥 질환시술개요 : 안내도관 삽관 및 내경동맥 선택 -> 혈관조영술실시 및 결과 확인 -> 풍선도관 삽관 및 풍선 팽창 -> 혈관조영술실시 및 결과 확인

적응증 : 내경동맥 질환시술개요 : 안내도관 삽관 및 내경동맥 선택 -> 혈관조영술실시 및 결과 확인 -> 풍선도관 삽관 및 풍선 팽창 -> 혈관조영술실시 및 결과 확인

다 260 라주내경동맥 폐색검사 ( 조영술료 포함 )다 260 라주내경동맥 폐색검사 ( 조영술료 포함 )

Page 33: 뇌신경계분야 중재적시술

33

두개강내 동맥 (intracranial artery) 스텐트 삽입술은 다음과 같이 인정한다 .

가 . 유증상의 70%이상 두개강내 대혈관 협착 ( 내경동맥 , 추골동맥 , 기저동맥 ) 나 . 혈관내막 박리가 있는 경우 등 다 . 상기’가 , 나’의 경우 이외에는 임상자료가 축적될 때까지 사례별로 인정 한다 .

(2005.9.20 중심조 ( 심사지침 )

두개강내 동맥 (intracranial artery) 스텐트 삽입술은 다음과 같이 인정한다 .

가 . 유증상의 70%이상 두개강내 대혈관 협착 ( 내경동맥 , 추골동맥 , 기저동맥 ) 나 . 혈관내막 박리가 있는 경우 등 다 . 상기’가 , 나’의 경우 이외에는 임상자료가 축적될 때까지 사례별로 인정 한다 .

(2005.9.20 중심조 ( 심사지침 )

두개강내 동맥스텐트 인정기준두개강내 동맥스텐트 인정기준

Page 34: 뇌신경계분야 중재적시술

34

심사사례 1심사사례 1

상병 : 대뇌동맥의 상세불명 폐색 또는 협착에 의한 뇌경색증수술 : 경피적 혈관내 금속스텐트 삽입술 – 뇌혈관진료기록부 right cavernous ICA symptomatic stenosis>70% CC) 환자 Drowsy mentality 및 Rt side weakness, dysarthria소견 보여 ER visit ☞ 유증상 70%이상 협착으로 인정

상병 : 대뇌동맥의 상세불명 폐색 또는 협착에 의한 뇌경색증수술 : 경피적 혈관내 금속스텐트 삽입술 – 뇌혈관진료기록부 right cavernous ICA symptomatic stenosis>70% CC) 환자 Drowsy mentality 및 Rt side weakness, dysarthria소견 보여 ER visit ☞ 유증상 70%이상 협착으로 인정

Page 35: 뇌신경계분야 중재적시술

35

심사사례 2심사사례 2

상병 : 척추뼈동맥의 폐색 및 협착 비파열성 대뇌동맥의 박리수술 : 경피적 혈관내 금속스텐트 삽입술 – 뇌혈관재료 : STENT --> 수기료 및 재료대 조정

☞ 제출된 영상자료를 확인한 결과 좌추골동맥의 두개강 내 부위에 스텐트삽입술이 이루어졌고 환자의 임상증상 을 감안할때 PICA 의 혈관내박리를 의심할만한 상황으 로 보이나 , 좌추골동맥의 70%이상의 협착과 추골동맥 의 박리 및 출혈소견은 확인되지 않으므로 수기료 및 재료대 조정

상병 : 척추뼈동맥의 폐색 및 협착 비파열성 대뇌동맥의 박리수술 : 경피적 혈관내 금속스텐트 삽입술 – 뇌혈관재료 : STENT --> 수기료 및 재료대 조정

☞ 제출된 영상자료를 확인한 결과 좌추골동맥의 두개강 내 부위에 스텐트삽입술이 이루어졌고 환자의 임상증상 을 감안할때 PICA 의 혈관내박리를 의심할만한 상황으 로 보이나 , 좌추골동맥의 70%이상의 협착과 추골동맥 의 박리 및 출혈소견은 확인되지 않으므로 수기료 및 재료대 조정

Page 36: 뇌신경계분야 중재적시술

36

2. 두개강내 동맥 (intracranial artery) 협착시 사용되는 관상동맥용 스텐트 (coronary stent, 보험코드 : J5231 – J5232) 는 현재까지 뇌혈관용 스텐트로 식약청에서 허가받은 제품이 없고 , 두개강내 동맥 (intracranial artery) 협착시 스텐트를 이용하는 시술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 환자의 생명이 위급하여 진료의 차질이 우려됩니다 .3. 이런 특수한 상황을 감안하여 현재까지 관상동맥용 스텐트의 두개강내 사용을 인정해 왔으며 , 현재 우리부에서 안정성 , 유효성 등에 관한 사항이 정하여져 있는 치료재료 중 진료에 반드시 필요하다고 보건복지부 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치료재료의 경우 허가사항의 범위를 초과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관계법령을 개정할 예정이므로 , 환자의 생명과 관련되고 대체 품목이 없는 치료재료에 대해서는 사용을 인정하되 , 동 치료재료가 남용되지 않도록 심사에 철저를 기하시기 바랍니다 . 보험급여팀 -2402 (2007,7,27)

2. 두개강내 동맥 (intracranial artery) 협착시 사용되는 관상동맥용 스텐트 (coronary stent, 보험코드 : J5231 – J5232) 는 현재까지 뇌혈관용 스텐트로 식약청에서 허가받은 제품이 없고 , 두개강내 동맥 (intracranial artery) 협착시 스텐트를 이용하는 시술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 환자의 생명이 위급하여 진료의 차질이 우려됩니다 .3. 이런 특수한 상황을 감안하여 현재까지 관상동맥용 스텐트의 두개강내 사용을 인정해 왔으며 , 현재 우리부에서 안정성 , 유효성 등에 관한 사항이 정하여져 있는 치료재료 중 진료에 반드시 필요하다고 보건복지부 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치료재료의 경우 허가사항의 범위를 초과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관계법령을 개정할 예정이므로 , 환자의 생명과 관련되고 대체 품목이 없는 치료재료에 대해서는 사용을 인정하되 , 동 치료재료가 남용되지 않도록 심사에 철저를 기하시기 바랍니다 . 보험급여팀 -2402 (2007,7,27)

두개강내 동맥 (intracranial artery) 협착시 사용되는 스텐트 관련 협조요청

두개강내 동맥 (intracranial artery) 협착시 사용되는 스텐트 관련 협조요청

Page 37: 뇌신경계분야 중재적시술

37

Jostent Coronary Stent Graft(Bare Type,J5603) 는 식품의약품안 전청으로부터 관상동맥용 스텐트로 사용목적이 허가된 치료 재료로서 , 현행 국민건강보험요양급여의기준에 관한규칙 ( 별 표 1)요양급여의적용기준및방법 4. 치료재료의 지급과 동 치료재료의 산정기준 ( 고시 제 2005-51 호 ,‘05.7.25) 범위 외에 해당되는 경우이므로 , 사용된 재료대는 인정하지 아니함 .아울러 대체 품목이 없고 임상적 유용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치료재료의 경우 허가사항 범위 외에도 사용 가능토록 법적 근거 마련이 필요함 . 중앙심사평가조정위원회 결정사항 ('06.12.4)

Jostent Coronary Stent Graft(Bare Type,J5603) 는 식품의약품안 전청으로부터 관상동맥용 스텐트로 사용목적이 허가된 치료 재료로서 , 현행 국민건강보험요양급여의기준에 관한규칙 ( 별 표 1)요양급여의적용기준및방법 4. 치료재료의 지급과 동 치료재료의 산정기준 ( 고시 제 2005-51 호 ,‘05.7.25) 범위 외에 해당되는 경우이므로 , 사용된 재료대는 인정하지 아니함 .아울러 대체 품목이 없고 임상적 유용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치료재료의 경우 허가사항 범위 외에도 사용 가능토록 법적 근거 마련이 필요함 . 중앙심사평가조정위원회 결정사항 ('06.12.4)

뇌혈관에 사용한 관상동맥용 Jostent Coronary Stent Graft(Bare Type) 인정여부뇌혈관에 사용한 관상동맥용 Jostent Coronary Stent Graft(Bare Type) 인정여부

Page 38: 뇌신경계분야 중재적시술

38

심사사례 1심사사례 1

상병 : 비파열성 대뇌동맥류수술 : 경피적 혈관내 금속스텐트 삽입술 - 경동맥재료 : TSUNAMI GOLD 전규격 (J5231229) ☞ 경부내경동맥 비파열성동맥류로써 뇌동맥류가 아니며 박리성 동맥류의 가능성이 희박하여 관상동맥용 stent 삽입은 불인정

상병 : 비파열성 대뇌동맥류수술 : 경피적 혈관내 금속스텐트 삽입술 - 경동맥재료 : TSUNAMI GOLD 전규격 (J5231229) ☞ 경부내경동맥 비파열성동맥류로써 뇌동맥류가 아니며 박리성 동맥류의 가능성이 희박하여 관상동맥용 stent 삽입은 불인정

Page 39: 뇌신경계분야 중재적시술

39

심사사례 2심사사례 2

상병 : 목동맥의 폐색 및 협착수술 : 경피적 혈관내 금속스텐트 삽입술 - 경동맥재료 : RYUJIN 전규격 (J4081429) ☞ 두개강외 혈관에는 PTCA balloon catheter 사용불가

상병 : 목동맥의 폐색 및 협착수술 : 경피적 혈관내 금속스텐트 삽입술 - 경동맥재료 : RYUJIN 전규격 (J4081429) ☞ 두개강외 혈관에는 PTCA balloon catheter 사용불가

Page 40: 뇌신경계분야 중재적시술

40

경동맥 스텐트 삽입술은 다음과 같이 시행한 경우에 인정하되 , 협착의 정도 (%) 는 NASCET measurement criteria 에 따르며 , 스텐트는 한 병변당 1 개 사용을 원칙으로 함 .

두개강외 경동맥 (extracranial carotid artery) 1) 유증상의 70% 이상 경동맥협착 2) 유증상의 50 ~ 69% 경동맥협착 가 ) 외과적 수술 접근이 어려운 부위의 협착 나 ) 수술치료의 고위험군 환자 - 80 세 이상 고령 - 울혈성 심부전 (congestive heart failure)class lll/lv and/or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30% - 6 주이내 개심술이 필요한 경우 - 반대측 후두신경마비 (contralateral laryngeal nerve palsy))

경동맥 스텐트 삽입술은 다음과 같이 시행한 경우에 인정하되 , 협착의 정도 (%) 는 NASCET measurement criteria 에 따르며 , 스텐트는 한 병변당 1 개 사용을 원칙으로 함 .

두개강외 경동맥 (extracranial carotid artery) 1) 유증상의 70% 이상 경동맥협착 2) 유증상의 50 ~ 69% 경동맥협착 가 ) 외과적 수술 접근이 어려운 부위의 협착 나 ) 수술치료의 고위험군 환자 - 80 세 이상 고령 - 울혈성 심부전 (congestive heart failure)class lll/lv and/or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30% - 6 주이내 개심술이 필요한 경우 - 반대측 후두신경마비 (contralateral laryngeal nerve palsy))

두개강외동맥 ( 경동맥 및 추골동맥 ) 스텐트 인정기준두개강외동맥 ( 경동맥 및 추골동맥 ) 스텐트 인정기준

Page 41: 뇌신경계분야 중재적시술

41

다 ) 기타 - 혈관내 치료가 필요한 다발병소 (tandem lesion) - 혈관박리로 인한 혈류 감소 또는 협착 - 섬유이형성증후군 , 타카야수 동맥염 (Takayasu arteritis) 로 인한 협착 - 방사선치료로 인한 혈관협착 - 경동맥 내막절제술 (carotid endaterectomy, CEA) 후 재협착 - 혈관궤양이 관찰된 경우 (ulcerative plaque) 3) 무증상의 80% 이상 경동맥협착 4) 기타 ( 증상 또는 협착의 정도와 상관없이 시행가능한 경우 )가 ) 반대측 경동맥의 폐색을 동반한 50%이상의 경동맥 협착나 ) 가성동맥류 (Pseudoaneurysm)다 ) 동정맥루 치료를 위해 다른 방법이 가능하지 않을 경우두개강외 추골동맥 (extracranial vertebral artery) 1) 유증상의 70% 이상 추골동맥 협착2) 추골동맥 박리로 혈류 감소 또는 출혈 위험이 있는 경우 등

다 ) 기타 - 혈관내 치료가 필요한 다발병소 (tandem lesion) - 혈관박리로 인한 혈류 감소 또는 협착 - 섬유이형성증후군 , 타카야수 동맥염 (Takayasu arteritis) 로 인한 협착 - 방사선치료로 인한 혈관협착 - 경동맥 내막절제술 (carotid endaterectomy, CEA) 후 재협착 - 혈관궤양이 관찰된 경우 (ulcerative plaque) 3) 무증상의 80% 이상 경동맥협착 4) 기타 ( 증상 또는 협착의 정도와 상관없이 시행가능한 경우 )가 ) 반대측 경동맥의 폐색을 동반한 50%이상의 경동맥 협착나 ) 가성동맥류 (Pseudoaneurysm)다 ) 동정맥루 치료를 위해 다른 방법이 가능하지 않을 경우두개강외 추골동맥 (extracranial vertebral artery) 1) 유증상의 70% 이상 추골동맥 협착2) 추골동맥 박리로 혈류 감소 또는 출혈 위험이 있는 경우 등 ( 보건복지부고시 제 2005-61

호 ,’05.9.9)

Page 42: 뇌신경계분야 중재적시술

42

심사사례 1심사사례 1

상병 : 목동맥의 폐색 및 협착수술 : 경피적 혈관내 금속스텐트 삽입술 - 경동맥 재료 : carotid wall stent진료기록부 : 내원 11 일 전부터 dizziness, dysarthria 있어 걷기 힘들고 몸을 못가누는 증상 보임 severe(70%)stenosis, Rt. Proximal ICA

☞ 유증상의 70%이상 경동맥협착으로 인정

상병 : 목동맥의 폐색 및 협착수술 : 경피적 혈관내 금속스텐트 삽입술 - 경동맥 재료 : carotid wall stent진료기록부 : 내원 11 일 전부터 dizziness, dysarthria 있어 걷기 힘들고 몸을 못가누는 증상 보임 severe(70%)stenosis, Rt. Proximal ICA

☞ 유증상의 70%이상 경동맥협착으로 인정

Page 43: 뇌신경계분야 중재적시술

43

심사사례 2심사사례 2

상병 : 목동맥의 폐색 및 협착수술 : 경피적 혈관내 금속스텐트 삽입술 - 경동맥재료 : jostent supreme system -> 수기료 및 재료대 조정

☞ 혈관조영상 좌측 내경동맥 협착이 약 50%정도로 관찰되 고 있으며 무증상으로 적응증이 되지 않음 )

상병 : 목동맥의 폐색 및 협착수술 : 경피적 혈관내 금속스텐트 삽입술 - 경동맥재료 : jostent supreme system -> 수기료 및 재료대 조정

☞ 혈관조영상 좌측 내경동맥 협착이 약 50%정도로 관찰되 고 있으며 무증상으로 적응증이 되지 않음 )

Page 44: 뇌신경계분야 중재적시술

44

건강보험요양급여행위 및 그상대가치점수 제 2 부 제 3 장 제 2 절 “혈관조영촬영 주 : 1,2 주 : 1. 양측 혈관촬영의 경우는 해당부위별 촬영점수의 50%를 가산하여 산정하고 , 다혈관 ( 각 항목으로 분류된 부위별 혈관 ) 을 선택적으로 조영 촬영한 경우에는 두번째 혈관 촬영부터 각 해당 부위별 점수의 50%를 산정한다 . 2. 혈관조영촬영을 하는 각 항목별로 분류된 분지 이외의 혈관에 조영촬영을 실시한 경우에는 해당분지의 모혈관에 의하여 항목별로 산정한다

건강보험요양급여행위 및 그상대가치점수 제 2 부 제 3 장 제 2 절 “혈관조영촬영 주 : 1,2 주 : 1. 양측 혈관촬영의 경우는 해당부위별 촬영점수의 50%를 가산하여 산정하고 , 다혈관 ( 각 항목으로 분류된 부위별 혈관 ) 을 선택적으로 조영 촬영한 경우에는 두번째 혈관 촬영부터 각 해당 부위별 점수의 50%를 산정한다 . 2. 혈관조영촬영을 하는 각 항목별로 분류된 분지 이외의 혈관에 조영촬영을 실시한 경우에는 해당분지의 모혈관에 의하여 항목별로 산정한다

동시에 진단목적으로 다혈관에 시행한 혈관조영촬영에 대하여동시에 진단목적으로 다혈관에 시행한 혈관조영촬영에 대하여

Page 45: 뇌신경계분야 중재적시술

45

같은 날 동일 혈관에 혈관조영술과 중재적시술을 시행하는 경우 수기료 산정방법에 대한 인정기준 ( 고시 제 2007-77 호 ,‘07.8.30) 은 ‘동일에 진단목적의 혈관조영술과 중재적 시술의 수기료는 각각 산정하되 , 혈관조영술은 해당혈관의 소정점수의 50%를 산정하며 최대 3혈관까지 산정’토록 규정하고 있음 .

또한 현행 「건강보험 행위급여 ·비급여 목록표 및 급여상대가치점수」의 제 1편 제 2 부 제 9 장 처치 및 수술료 〔산정지침〕에 의거 ‘동일피부 절개 하에 2 가지 이상 수술을 동시에 시술한 경우 주된 수술은 100%, 제 2 의 수술부터는 50%로 인정’하고 있으며 , 15일이내 재수술시 기간 산정 ( 고시 제 2007-77 호 ,‘07.8.30) 에 대해서도 ‘동일 상병 또는 그 합병증으로 15 일 이내에 재수술을 시 소정 수술료의 50%를 산정’토록 하고 있음 .

같은 날 동일 혈관에 혈관조영술과 중재적시술을 시행하는 경우 수기료 산정방법에 대한 인정기준 ( 고시 제 2007-77 호 ,‘07.8.30) 은 ‘동일에 진단목적의 혈관조영술과 중재적 시술의 수기료는 각각 산정하되 , 혈관조영술은 해당혈관의 소정점수의 50%를 산정하며 최대 3혈관까지 산정’토록 규정하고 있음 .

또한 현행 「건강보험 행위급여 ·비급여 목록표 및 급여상대가치점수」의 제 1편 제 2 부 제 9 장 처치 및 수술료 〔산정지침〕에 의거 ‘동일피부 절개 하에 2 가지 이상 수술을 동시에 시술한 경우 주된 수술은 100%, 제 2 의 수술부터는 50%로 인정’하고 있으며 , 15일이내 재수술시 기간 산정 ( 고시 제 2007-77 호 ,‘07.8.30) 에 대해서도 ‘동일 상병 또는 그 합병증으로 15 일 이내에 재수술을 시 소정 수술료의 50%를 산정’토록 하고 있음 .

같은날 동일 혈관에 혈관조영술과 중재적시술을 시행하는 경우 혈관조영술 수기료 산정방법 같은날 동일 혈관에 혈관조영술과 중재적시술을 시행하는 경우 혈관조영술 수기료 산정방법

Page 46: 뇌신경계분야 중재적시술

46

따라서 , 혈관조영술과 중재적 시술을 동일에 연속적으로 시행한 경우라 하여도 , 대퇴동맥천자 외에는 두 시술에 중복 되는 부분은 없으므로 전혀 별개의 과정으로 소정 수기료를 각각 인정함이 타당하다고는 하나 , 수기료 산정방법에 있어서는 타 과와의 형평성 등을 고려할 때 같은날 동일 혈관에 중재적 시술 전에 시행하는 진단목적의 혈관조영술은 50%만 인정함이 타당하므로 , 현행 인정기준을 유지하기로 함 .

아울러 동 건은 비파열성 대뇌동맥류 상병으로 동일에 진단적 혈관조영술을 시행한 후 연속하여 혈관색전술을 시행한 경우로 현 인정기준에 의거 혈관조영술은 50%만 인정함 .[2008.4.28 진료심사평가위원회 ]

따라서 , 혈관조영술과 중재적 시술을 동일에 연속적으로 시행한 경우라 하여도 , 대퇴동맥천자 외에는 두 시술에 중복 되는 부분은 없으므로 전혀 별개의 과정으로 소정 수기료를 각각 인정함이 타당하다고는 하나 , 수기료 산정방법에 있어서는 타 과와의 형평성 등을 고려할 때 같은날 동일 혈관에 중재적 시술 전에 시행하는 진단목적의 혈관조영술은 50%만 인정함이 타당하므로 , 현행 인정기준을 유지하기로 함 .

아울러 동 건은 비파열성 대뇌동맥류 상병으로 동일에 진단적 혈관조영술을 시행한 후 연속하여 혈관색전술을 시행한 경우로 현 인정기준에 의거 혈관조영술은 50%만 인정함 .[2008.4.28 진료심사평가위원회 ]

Page 47: 뇌신경계분야 중재적시술

47

심사사례심사사례

상병 : 전교통 동맥의 거미막밑 출혈수술 : 혈관색전술 - 뇌혈관 - 동맥류 - 기타의경우 두경부동맥조영 - 전뇌동맥 * 1 ->0.5 조정 두경부동맥조영 - 내경동맥 * 1 -> 조정

☞ 같은날 동일 혈관에 중재적 시술 전에 시행하는 진단 목적의 혈관조영술은 50%만 인정

상병 : 전교통 동맥의 거미막밑 출혈수술 : 혈관색전술 - 뇌혈관 - 동맥류 - 기타의경우 두경부동맥조영 - 전뇌동맥 * 1 ->0.5 조정 두경부동맥조영 - 내경동맥 * 1 -> 조정

☞ 같은날 동일 혈관에 중재적 시술 전에 시행하는 진단 목적의 혈관조영술은 50%만 인정

Page 48: 뇌신경계분야 중재적시술

48

감사합니다산다는 것은

이 세상을 좀 더 나은 곳으로 만들고 가는 것 ...


Top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