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e reports - koreamed synapse · 1072 korean circulation j 2001;31(10):1071-1074 에...

4
1071 Case Reports Korean Circulation J 2001;31( 10) :1071-1074 편두통 환자에서 Imigran ® (Sumatriptan) 복용 직후 발생한 혈관연축성 협심증 1예 포천중문의대 분당차병원 순환기내과 최기현·김태용·최재혁·옥재욱·박진찬 오재인·조윤경·황경화·임상욱·차동훈 A Case of Vasospastic Angina Pectoris Occurring Following Administration of Oral Imigran for Migraine Ki-Hyun Choi, MD, Tae-Yong Kim, MD, Jae-Hyuk Choi, MD, Jae-Wook Ok, MD, Jin-Chan Park, MD, Jane Oh, MD, Yoon-Kyung Cho, MD Kyung-Hwa Hwang, MD, Sang-Wook Lim, MD and Dong-Hoon Cha, MD Division of Cardi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Pundang CHA Hospital, Pochon Joongmoon Medical College, Sungnam, Korea ABSTRACT Imigran ® ( sumatriptan) , a 5-hydroxytryptamine ( HT) derivative, is highly effective in aborting attacks of migraine and cluster headache. The drug is generally well tolerated. However tolerated, although up to 8% of patients consistently have demonstrate chest symptoms, including chest pressure, tightness, and pain, often mimicking angina pectoris.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se chest symptoms are caused by coronary vas- oconstriction, and that this effect may be mediated by endothelial dysfunction. This can be reversed by the administration of glyceryl trinitrate. We report a case of vasospastic angina pectoris occurring after the adm- inistration of oral sumatriptan in a patient with migraine. ( Korean Circulation J 2001 ; 31( 10) : 1071-1074) KEY WORDSSumatriptanMigraineAngina pectoris, variant. 편두통의 병태생리는 확실히 밝혀진 바는 없으나, 뇌 혈관의 확장이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 되고 있다. 1) Imigran(성분명;sumatriptan)은 비교적 최근에 개 발된 편두통 약물이며, 신경염증물질(neuro-inflam- matory peptide)의 유리를 억제하여 뇌혈관의 수축을 유발하는 것으로, 2) 대부분의 편두통, 군발성 두통환자에 서 치료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4) 그러나 이 약물의 부작용으로 관상동맥의 경련성 수축에 기인한 여 러 임상상이 보고되었으며, 3~8%에서 흉부압박감, 전흉 부통증, 협심증 유사증상을 일으킨다. 5-9) 이는 관상동맥 내피세포의 기능성 장애를 일으켜 혈관이 수축되어 유발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만성적인 편두통을 가진 환자에서 sumat- riptan 복용 후 유발된 혈관연축성 협심증을 치험하였기 논문접수일:2001년 7월 18일 심사완료일:2001년 8월 24일 교신저자:김태용, 463-070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 351번지 포천중문의대 분당차병원 심장내과학교실 전화:(031) 780-5860·전송:(031) 780-5857 E-mail:[email protected]

Upload: lexuyen

Post on 20-May-2019

22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1071

Case Reports Korean Circulation J 2001;;;;31((((10))))::::1071-1074

편두통 환자에서 Imigran®(Sumatriptan) 복용 직후

발생한 혈관연축성 협심증 1예

포천중문의대 분당차병원 순환기내과

최기현·김태용·최재혁·옥재욱·박진찬

오재인·조윤경·황경화·임상욱·차동훈

A Case of Vasospastic Angina Pectoris Occurring Following Administration of Oral Imigran���� for Migraine

Ki-Hyun Choi, MD, Tae-Yong Kim, MD, Jae-Hyuk Choi, MD, Jae-Wook Ok, MD, Jin-Chan Park, MD, Jane Oh, MD, Yoon-Kyung Cho, MD Kyung-Hwa Hwang, MD, Sang-Wook Lim, MD and Dong-Hoon Cha, MD Division of Cardi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Pundang CHA Hospital, Pochon Joongmoon Medical College, Sungnam, Korea ABSTRACT

Imigran® (sumatriptan), a 5-hydroxytryptamine (HT) derivative, is highly effective in aborting attacks of migraine and cluster headache. The drug is generally well tolerated. However tolerated, although up to 8% of patients consistently have demonstrate chest symptoms, including chest pressure, tightness, and pain, often mimicking angina pectoris.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se chest symptoms are caused by coronary vas-oconstriction, and that this effect may be mediated by endothelial dysfunction. This can be reversed by the administration of glyceryl trinitrate. We report a case of vasospastic angina pectoris occurring after the adm-inistration of oral sumatriptan in a patient with migraine. ((((Korean Circulation J 2001;31((((10)))):1071-1074)))) KEY WORDS:Sumatriptan;Migraine;Angina pectoris, variant.

서 론

편두통의 병태생리는 확실히 밝혀진 바는 없으나, 뇌

혈관의 확장이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

되고 있다.1)

Imigran(성분명;sumatriptan)은 비교적 최근에 개

발된 편두통 약물이며, 신경염증물질(neuro-inflam-

matory peptide)의 유리를 억제하여 뇌혈관의 수축을

유발하는 것으로,2) 대부분의 편두통, 군발성 두통환자에

서 치료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4) 그러나 이

약물의 부작용으로 관상동맥의 경련성 수축에 기인한 여

러 임상상이 보고되었으며, 3~8%에서 흉부압박감, 전흉

부통증, 협심증 유사증상을 일으킨다.5-9) 이는 관상동맥

내피세포의 기능성 장애를 일으켜 혈관이 수축되어 유발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만성적인 편두통을 가진 환자에서 sumat-

riptan 복용 후 유발된 혈관연축성 협심증을 치험하였기

논문접수일:2001년 7월 18일

심사완료일:2001년 8월 24일

교신저자:김태용, 463-070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

351번지 포천중문의대 분당차병원 심장내과학교실 전화:(031) 780-5860·전송:(031) 780-5857

E-mail:[email protected]

Korean Circulation J 2001;31(10):1071-1074 1072

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증 례

환 자:이○흥, 남자, 40세.

주 소:30분 전부터 발생한 전흉부통증.

현병력:환자는 내원 당일 편두통약인 Imigran® 50

mg을 복용하고 30분 후 호흡곤란, 목부분이 답답한 증

상과 함께 전흉부통증이 발생하여 본원 응급실로 내원

하였다. 흉통은 쥐어짜는 듯한 양상이었으며, 좌측어깨

로 방사되었고, 30분 동안 지속되었다.

상기 환자는 편두통으로 6년 전부터 간헐적으로 증상

이 있을때 Imigran을 50 mg씩 복용하였으며, 그 당시

Imigran® 복용 후 약 30분 정도 지나 30~60분 동안 지

속되는 호흡곤란과 목부분이 답답해지는 증상이 2차례

있었으나 병원에 가지 않고 지낸 기왕력이 있었다.

과거력:특이사항 없음.

개인력:20년간 하루 1갑 정도의 흡연력이 있었다.

가족력:특이사항 없음.

진찰 소견:내원 당시 혈압은 160/100 mmHg, 맥박

수는 68회/분, 호흡수는 32회/분였다. 환자는 급성병색

을 보였으며 의식은 명료하였다. 청진상 심박동은 규칙

적이었으며 심잡음은 들리지 않았다.

심전도 소견:표준 12유도 심전도 검사상 전흉부유도

(V1-4)에 3 mm의 ST분절 상승과 초급성 T파가 관찰되

었고, III, aVF에서 ST-T파 변화가 관찰되었다(Fig. 1).

검사 소견:단순 흉부 X선 촬영상 특이 소견 없었으

며, CK 105 U/L(38~160 U/L), CK-MB 1.12 ng/

mL(0~0.5 ng/mL), Troponin-T<0.010 ng/mL(~0.1

ng/mL)으로 정상소견이었다. 혈중 총 콜레스테롤 176

mg/dL, HDL 콜레스테롤 28 mg/dL, LDL 콜레스테롤

113 mg/dL였다.

치료 및 임상경과:흉통은 니트로글리세린 설하투여

에 반응하여 호전되었으며 Isosorbide dinitrate 및 He-

parin(5000 U 정주 후 시간당 1000 U 점적)을 정주

하면서 1시간 후 시행한 심전도상 전흉부유도 및 III,

aVF에서 관찰되었던 ST-T파 변화는 정상으로 되었다

(Fig. 2).

내원 2일째 시행한 관동맥조영상 좌전하행지 중간부

에 60%의 협착이 관찰되었다(Fig. 3).

환자는 퇴원 후 amlodipine 5 mg을 투약받으며 흉

통없이 지내고 있다.

고 찰

편두통 치료에 쓰이는 Imigran®(성분명;sumatrip-

Fig. 1. ECG at admission shows ST segment elevation with tall T wave in V1-4 and reciprocal ST-T changes in lead III, aVF.

Fig. 2. ECG taken after intravenous isosorbide dinitrate infusion shows no pathologic ST-T changes in precord-ial and limb leads.

Fig. 3. Left coronary angiogram with cranial angulation (AP cranial) view shows 60% stenosis of the mid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1073

tan)은 5-Hydroxytryptamine(5-HT1B/1D)수용체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약물로 대부분의 편두통, 군발성

두통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3)4) 작용기전은 신

경염증물질(neuro-inflammatory peptide) 유리를 억

제하여 뇌혈관의 수축을 일으키기 때문이다.2) 신체의 대

부분 다른 부위의 혈관들은 5-HT2 수용체를 매개로 혈

관수축을 일으키기 때문에 sumatriptan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알려져 왔다.12) 그러나,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관상동맥에 5-HT1 유사수용체가 있으며, 관동

맥 질환이 있거나 또는 동맥경화성의 관상동맥은 5-

HT1 유사 수용체를 매개로 혈관수축이 유발된다고 보

고되었다.12-14) 따라서 관상동맥 질환의 위험성이 있는

환자에서는 sumatriptan을 복용하기 전에 심장혈관계에

대한 검사를 할 것을 권유하고 있다.13)14)

Sumatriptan의 일반적인 부작용으로 관상동맥의 경련

성 수축에 기인한 여러 임상상이 나타나며, 약물 투여

후 심전도상의 허혈성 변화, 협심증, 부정맥, 심근경색증

그리고 사망 등이 유발된 것으로 보고되었다.5-9) 또한

3~8%에서 흉부압박감, 전흉부통증, 협심증 유사증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100~300 mg을 경구

복용 한 경우에는 환자의 3%에서, 4~8 mg을 피하주사

로 투약한 경우에는 5%에서 흉통과 흉부압박감을 호소

하였으며, 특징적인 심전도 변화를 보이는 경우는 0.1~

0.2%로 드물다고 알려져 있다.2)3)10)

흉통의 다른 원인으로, 이 약물을 치료용량보다 많은

양을 피하주사 하였을때 식도에 비정상적인 수축이 유발

되어 흉통이 발생하였다는 보고가 있으나,15) 또 다른 연

구에서는 식도내압의 변화와 상관없이 흉통이 유발되었

다는 보고가 있다.15)16) 따라서 앞으로 위장관의 수축기

전과 연관된 가슴의 통증에 대하여는 충분한 연구가 필

요하리라 생각된다.

임상적으로 흉통은 약물 투여 후 1~2시간 이내에 주

로 발생되며,19) glyceryl trinitrate를 투여하면 호전된

다고 보고되어 있다.20) 그러나 2시간 이상 흉통이 지속

되면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증을 감별을 위해 심전도, 심

장효소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권장된다.5) 본 증례의 경우

에서도 환자는 응급실 내원 직후 니트로글리세린 설하투

약으로 흉통이 완화되었으며 isosorbide dinitrate 정맥

투여로 흉통이 소실되었다.

Sumatriptan 투여 후 흉통이 잘 유발되는 인자로는

고혈압, 레이노현상(Raynaud phenomenon), 협심증,

심근경색증의 가족력, 흡연력 등이 알려져 있으며, 이는

혈관내피세포의 기능성장애에 기인한다고 생각되고 있

다.17)18) 본 증례에서 환자는 가족력상 허혈성 심장병은

없었으나, 흡연력이 있었고, 입원 중 고혈압이 진단되었

으며, 관상동맥조영상 좌전하행지 중간부에 60%의 협착

이 있었다. 국내에서는 조 등11)이 sumatriptan 제제를

피하주사로 사용하고 편두통에 대한 치료효과를 보고한

바 있으나, 약물 투여 후 협심증 발생에 대한 보고된 바

가 없다.

결론적으로 sumatriptan 제제 투여가 필요한 경우에

는 심혈관계 증상 및 흡연력이나 기타 관동맥질환의 위

험인자 유무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필요한 경우에는

약물투여 전에 심혈관계에 대한 검사가 선행되어야 할 것

으로 사료된다.

요 약

Sumatriptan은 비교적 최근에 개발된 편두통 약물이

며, 신경염증물질의 유리를 억제하여 뇌혈관의 수축을

유발하는 것으로, 대부분의 편두통, 군발성 두통 환자에

서 치료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3~8%

에서 흉부압박감, 전흉부통증, 협심증 유사증상을 일으

킨다.

저자들은 만성적인 편두통을 가진 환자에서 sumat-

riptan 복용 후 유발된 혈관연축성 협심증을 치험하였기

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중심 단어:Sumatriptan;편두통;협심증;혈관연축.

REFERENCES

1) Lance JW. A concept of migraine and the search for the ideal headache drug. Headache 1990;30(1 Suppl):17-23.

2) Cady RK, Wendt JK, Kirchner JR, Sargent JD, Rothrock JF, Skaggs H Jr. Treatment of acute migraine with subcu-taneous sumatriptan. JAMA 1991;265:2831-5.

3) The Subcutaneous Sumatriptan International Study Gr-oup. Treatment of migraine attacks with sumatriptan. N Engl J Med 1991;325:316-21.

4) The Sumatriptan Cluster Headache Study Group. Treat-ment of acute cluster headache with sumatriptan. N Engl J Med 1991;325:322-6.

5) O’Connor P, Gladstone P. Oral sumatriptan-associated transmural myocardial infarction. Neurology 1995;45: 2274-6.

6) Ottervanger JP, Paalman HJ, Boxma GL, Stricker BH. Transmural myocardial infarction with sumatriptan. La-ncet 1993;341:861-2.

Korean Circulation J 2001;31(10):1071-1074 1074

7) Curtin T, Brooks AP, Roberts JA. Cardiorespiratory di-stress after sumatriptan given by injection. BMJ 1992; 305:713-4.

8) Inman W, Kubota K. Cardiorespiratory distress after su-matriptan given by injection. BMJ 1992;305:714.

9) Abrahamsen B, Christiansen BD. Angina pectoris after sumatriptan (Imigran). Ugeskr Laeger 1992;154:3602-3.

10) Brown EG, Endersby CA, Smith RN, Talbot JC. The sa-fety and tolerability of sumatriptan: an overview. Eur Ne-urol 1991;31:339-44.

11) Joo JH, Lee SC, Sung SM, Jung DS, Park KH. The Cli-nical Efficacy of Subcutaneous Sumatriptan (Imigran) for? Acute Treatment of Migraine. Korean J Neurol 1995; 3:543-50.

12) MacIntyre PD, Bhargava B, Hogg KJ, Gemmill JD, Hi-llis WS. Effect of subcutaneous sumatriptan, a selective 5HT1 agonist, on the systemic, pulmonary, and coronary circulation. Circulation 1993;87:401-5.

13) Kaumann AJ, Frenken M, Posival H, Brown AM. Vari-able participation of 5-HT1-like receptors and 5-HT2 receptors in serotonin-induced contraction of human iso-lated coronary arteries. 5-HT1-like receptors resemble cl-

oned 5-HT1D beta receptors. Circulation 1994;90:1141-53. 14) Golino P, Maseri A. Serotonin receptors in human coro-

nary arteries. Circulation 1994;90:1573-5. 15) Houghton LA, Foster JM, Whorwell PJ, Morris J, Fow-

ler P. Is chest pain after sumatriptan oesophageal in ori-gin? Lancet 1994;344:985-6.

16) Hood S, Brine D, Maclntyre PD, Hillis WS. Sumatriptan-induced chest pain. Lancet 1994;344:1500-1.

17) Zeiher AM, Drexler H, Saurbier B, Just H. Endothelium-mediated coronary blood flow modulation in humans: ef-fects of age, atherosclerosis, hypercholesterolemia, and hypertension. J Clin Invest 1993;92:652-62.

18) Zeiher AM, Schachinger V, Minners J. Long-term cigar-ette smoking impairs endothelium-dependent coronary ar-terial vasodilator function. Circulation 1995;92:1094-100.

19) Dechant KL, Clissoid SP. Sumatriptan: a review of its pharmacodynamic and pharmacokinetic properties, and therapeutic efficacy in the acute treatment of migraine and cluster headache. Drugs 1992;43:776-98.

20) Palmer J, Feldman R, Mancini GB, Zimmerman M. Gl-yceryl trinitrate reversal of post-sumatriptan coronary artery narrowing. Lancet 1995;345:13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