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e report / 증례 컴퓨터 단층촬영(omu ct)을 통해 …case report / 증례 컴퓨터...

12
133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제 27 권 제 3 (2014 8 )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4;27(3):133-144 pISSN 1738-6640 eISSN 2234-4020 http://www.ood.or.kr http://dx.doi.org/10.6114/jkood.2014.27.3.133 Case Report / 증례 컴퓨터 단층촬영(OMU CT)을 통해 진단 평가된 비부비동염 5례 이규진 1) ·윤영희 1) ·최인화 1)* ·고성규 2)* 1)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 강동경희대한방병원 안이비인후피부과 2)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경희대학교 한의학임상연구 및 의약품 개발센터 5 Cases of Rhinosinusitis Diagnosed and Evaluated by OMU CT Kyu-Jin Lee 1) ·Young-Hee Yoon 1) ·In-hwa Choi 1)* ·Seong-Gyu Ko 2)* 1) Department of Ophthalmology, Otolaryngology and Dermatology,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and Department of Ophthalmology, Otolaryngology and Dermatology, Kyung Hee University Korean Medicine Hospital at Gangdong 2)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and Center for Clinical Research and Drug Development, Kyung Hee University Abstract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effect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on rhinosinusitis by showing OMU(ostiomeatal unit) CT(computed tomography). Methods : The clinical study was done on 5 cases of rhinosinusitis patients diagnosed by OMU CT. The patients were treated with herbal medicine and acupuncture. OMU CT was taken after treatment. Results & Conclusions : After treatment, 5 rhinosinusitis patients were improved in symptoms and remarkable resolutions of rhinosinusitis in OMU CT were observ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Korean medical therapy could be a safe and effective intervention in rhinosinusitis and we need to have more studies for objective evaluations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Key words : sinusitis; OMU CT; herbal medicine ⓒ 2014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This is an Open Access journal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Upload: others

Post on 12-Feb-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133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제27권 제3호(2014년 8월)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4;27(3):133-144pISSN 1738-6640 eISSN 2234-4020

    http://www.ood.or.kr

    http://dx.doi.org/10.6114/jkood.2014.27.3.133

    Case Report / 증례

    컴퓨터 단층촬영(OMU CT)을 통해 진단 평가된

    비부비동염 5례

    이규진1)·윤영희1)·최인화1)*·고성규2)*

    1)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 강동경희대한방병원 안이비인후피부과 2)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경희대학교 한의학임상연구 및 의약품 개발센터

    5 Cases of Rhinosinusitis Diagnosed and Evaluated by OMU CT

    Kyu-Jin Lee1)·Young-Hee Yoon1)·In-hwa Choi1)*·Seong-Gyu Ko2)*

    1)Department of Ophthalmology, Otolaryngology and Dermatology,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and Department of Ophthalmology, Otolaryngology and Dermatology,

    Kyung Hee University Korean Medicine Hospital at Gangdong2)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and Center for Clinical Research and Drug

    Development, Kyung Hee University

    Abstract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effect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on rhinosinusitis by

    showing OMU(ostiomeatal unit) CT(computed tomography).

    Methods : The clinical study was done on 5 cases of rhinosinusitis patients diagnosed by OMU CT. The patients

    were treated with herbal medicine and acupuncture. OMU CT was taken after treatment.

    Results & Conclusions : After treatment, 5 rhinosinusitis patients were improved in symptoms and remarkable

    resolutions of rhinosinusitis in OMU CT were observ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Korean medical therapy could

    be a safe and effective intervention in rhinosinusitis and we need to have more studies for objective evaluations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Key words : sinusitis; OMU CT; herbal medicine

    ⓒ 2014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This is an Open Access journal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제27권 제3호(2014년 8월)

    134

    교신저자 : 최인화, 서울시 강동구 상일동 149

    강동경희대학교병원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교실

    (Tel: 02-440-6235, E-mail: [email protected])

    고성규, 서울시 동대문구 경희대학교 한의학과 예방의학교실,

    한의학임상연구및의약품개발센터

    (Tel : 02-961-0320, E-mail : [email protected])

    ∙접수 2014/7/11 ∙수정 2014/8/7 ∙채택 2014/8/14

    Ⅰ. 서 론

    만성 비부비동염은 한 개 이상의 부비동 점막의 비

    가역적 병변이 초래된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1) 전 세

    계적으로 흔하게 진단되는 질환 중의 하나이다2). 최

    근 유럽이나 북미에서는 비폐색이나 농성 비루와 같

    은 주관적 증상을 진단의 가이드라인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객관적인 근거로 비내시경을 통해 중비도의

    부종이나 농성 비루, 혹은 비 용종을 확인하거나, 컴

    퓨터 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CT)을 통해

    부비강내 염증 소견을 확인하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3).

    비부비동염의 한의학적 치료법에 관한 기존 연구로

    는 실험 연구, 증례 보고, 임상 연구 등이 소수 있으

    나, 대부분 환자의 증상 호소에만 기반하여 진단하였

    고, 일부는 단순방사선 촬영으로 진단하여 치료결과

    를 확인하였다. CT는 부비동의 해부학적 구조, 연부

    조직의 변화, 부비동과 상악동구 복합과 안와 및 두개

    내의 합병증을 정확하게 보여주기 때문에 모든 연령

    대의 환자에서 추천되는 검사법이다4). 이에 저자들은

    CT 촬영으로 진단 및 치료 종결을 확인한 비부비동염

    환자의 한방 치험 5례를 CT 촬영 소견과 함께 보고하

    는 바이다.

    Ⅱ. 증 례

    1. 증례 1(Fig. 1-4)

    1) 성명 : 진 O O M/5

    2) 주증상 : 청체(淸涕), 동반된 탁체(濁涕), 후비루,

    재채기, 기침, 현훈

    3) 발병일 : 2009년 1월 초

    4) 과거력 : 만 3세경 알레르기 비염 진단, 만 1세

    경 아토피피부염

    5) 가족력 : 알레르기 비염(부, 모, 형), 아토피피부

    염(형)

    6) 현병력:

    ① 만 3-4세경 이비인후과의원에서 알레르기 비염

    진단 받은 후 간헐적으로 치료해옴.

    ② 평소 열감기 잦고, 편도선염, 발열 등으로 강동

    경희대병원 이비인후과, 응급의학과 방문 후 항

    생제 복약을 포함한 치료를 2008년의 경우 월1

    회 정도 해옴.

    ③ 2009년 1월 12일 청체와 동반된 탁체, 기침, 발

    열 등으로 이비인후과 내원하여 편도선염, 중이

    염 진단 하에 한방안이비인후클리닉으로 의뢰

    됨. 해열제 복약 중이었으며 한약치료 없이 1월

    12일, 15일, 19일 침치료 시행함.

    ④ 2009년 1월 29일 이비인후과 처방 복용 이후에

    도 증상 호전 없었으며, OMU CT 상 범부비동

    염, 비용종 진단되었으며 한방치료 시작함.

    7) 치료기간 : 2009년 1월 29일~2009년 3월 5일.

    8) 치료경과

    ① 1/29: 청체와 탁체 다량, 비폐색 심, 비점막충혈,

    후비루. 小靑龍湯 合 補中益氣湯, 1일 1첩 3회.

    ② 1/30: 청체와 탁체 지속, 비폐색 심, 수면시 비출

    혈 소량. 托裏消毒飮 加 人蔘8g, 肉桂 2g (酒水

    相半), 1일 1첩 3회.

    ③ 1/31~2/19: 청체 및 탁체 감소, 비폐색 호전, 비

    점막 충혈 호전, 후비루 감소, 비출혈 1회/1일.

    托裏消毒飮 合 荊芥連翹湯 (酒水相半), 1일 1첩

    3회.

    ④ 2/20~3/5: 청체 감소, 탁체 소실, 비점막 충혈

    소실, 비폐색 감소. 補兒湯 加 薄荷, 白芷, 蒼耳

    子4g, 防風, 細辛 辛夷, 連翹, 貝母3g, 黃芩2g,

  • 이규진 외 3인 : 컴퓨터 단층촬영(OMU CT)을 통해 진단 평가된 비부비동염 5례

    135

    1일 1첩 3회.

    2. 증례 2(Fig. 5-8)

    1) 성명 : 진 O O M/7

    2) 주증상 : 비색, 비류탁체, 객담, 해수

    3) 발병일 : 2009년 1월 초

    4) 과거력: 만 5세경 알레르기 비염 진단, 만 1세경

    아토피피부염

    5) 가족력 : 알레르기 비염(부, 모, 제), 아토피피부

    염(제).

    6) 현병력

    ① 만 5세경 이비인후과의원에서 알레르기 비염 진

    단 받은 후 간헐적으로 치료해옴.

    ② 평소 열감기 잦고, 편도선염, 발열 등으로 잦은

    병원 방문, 항생제 복용함.

    ③ 2009년 1월 5일 발열, 인후통으로 강동경희대병

    원 이비인후과 방문하여 편도선염, 중이염 진단

    하에 한방안이비인후클리닉으로 의뢰됨. 해열제

    복약 중이었으며 한약치료 없이 1월 12일 15일

    19일 침 치료 시행함.

    ④ 2009년 1월 29일 이비인후과 처방 복용 이후에

    도 증상 호전 없었으며, OMU CT촬영 상 범부

    비동염, 비용종 진단되었으며 한방치료 시작함.

    7) 치료기간 : 2009년 1월 29일~2009년 3월 5일

    8) 치료경과

    ① 1/29~1/31: 비폐색 심함, 비점막 충혈, 구호흡,

    탁체 다량, 후비루, 객담, 해수. 加味防風通聖散,

    1일 2첩 3회.

    ② 2/1~2/19: 비폐색 지속, 탁체 감소, 객담, 해수

    간헐적. 加味防風通聖散 加 麻黃, 半夏薑製4g, 1

    일 2첩 3회.

    ③ 2/20~3/5: 비폐색 호전, 濁涕 소실, 객담, 해수

    소실. 荊芥連翹湯 加 玄蔘 8g, 金銀花, 麥門冬,

    蒼耳子, 滑石6g, 甘草4g, 1일 2첩 3회.

    3. 증례 3(Fig. 9-12)

    1) 성명 : 배 O O M/5

    2) 주증상 : 비색, 비류탁체, 객담, 후비루

    3) 발병일 : 2006년 11월

    4) 과거력 : 2001년과 만1세경 결핵, 알레르기 비

    5) 가족력 : 없음

    6) 현병력

    ① 알레르기성 비염 진단 받았으며, 평소 상기도 감

    염이 잦은 남환.

    ② 2006년 11월부터 후비루 심해지며, 비류탁체 및

    비색 등의 증상 심하여 2007년 1월 19일 내원

    하여 단순방사선 촬영(PNS X-ray), OMU CT

    상 범부비동염 진단받고 한방 치료 시작함.

    7) 치료기간 : 2007년 1월 20일~2007년 3월 19일

    8) 치료경과

    ① 1/20~2/15: 비폐색 심, 청체와 탁체 다량, 후비

    루 다량, 대변硬. 葛根湯 加 桔梗, 石膏, 大黃,

    辛夷, 細辛 3g, 1일 1첩 3회.

    ② 2/16~2/25: Acute tonsillitis, 편도비대, 발적,

    후비루, 탁체 증가. 破隘湯, 1일 1첩 3회.

    ③ 2/26~3/16: 인후통 소실, 탁체 및 후비루 감소.

    葛根湯 合 生薑瀉心湯, 1일 1첩 3회.

    4. 증례 4(Fig. 13-16)

    1) 성명 : 최 O O M/8

    2) 주증상 : 비색, 비류탁체, 객담, 후비루, 두통

    3) 발병일 : 2008년 9월경

    4) 과거력 : 2009년 9월 왼팔 골절 수술, 2008년

    두드러기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제27권 제3호(2014년 8월)

    136

    Fig, 1. 2009.01.29Before treatment, mucosal edema, nasal congestion and

    watery discharge.

    Fig. 2. 2009.03.05After treatment, improved mucosal edema, nasal congestion

    and watery discharge.

    Fig. 3. 2009.01.29Before treatment, inflammatory change result in obstruction of bilateral middle meatus. Opacification and mucosal

    thickening of bilateral pansinus are noted.

    Fig. 4. 2009.03.06After treatment, CT shows resolution of paranasal sinusitis.

    Fig. 5. 2009.01.29Before treatment, mucosal edema, nasal congestion, watery

    discharge.

    Fig. 6. 2009.02.26After treatment, improved mucosal edema and nasal

    congestion.

  • 이규진 외 3인 : 컴퓨터 단층촬영(OMU CT)을 통해 진단 평가된 비부비동염 5례

    137

    Fig. 7. 2009.01.29Before treatment, inflammatory change result in obstructionof bilateral middle meatus. Opacification and mucosal

    thickening of bilateral pansinus are noted.

    Fig. 8. 2009.03.06After treatment, abnormal soft tissue lesion is not seen.

    Fig. 9. 2007.01.24Before treatment, mucosal edema, nasal congestion, watery

    and purulent discharge.

    Fig. 10. 2007.02.28After treatment, improved mucosal edema and nasal congestion.

    Fig. 11. 2007.01.19Before treatment, inflammatory change result in obstruction of right middle meatus. Opacification of right frontal, ethmoida and sphenoid sinus and mucosal thickening of

    bilateral maxillary sinus are noted.

    Fig. 12. 2007.03.16After treatment, no significant inflammatory lesion in nasal cavity

    and paranasal sinus, except retention cyst in right maxillary antrum.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제27권 제3호(2014년 8월)

    138

    Fig. 13. 2009.10.01Before treatment, mucosal edema, nasal congestion and

    purulent discharge.

    Fig. 14. 2009.11.09After treatment, improved mucosal edema, nasal congestion

    and purulent discharge.

    Fig. 15. 2009.10.01Before treatment, Opacification and mucosal thickening of

    bilateral pansinus are noted.

    Fig. 16. 2009.11.17 After treatment, normal finding of OMU CT.

    Fig. 17. 2014.01.18Before treatment, mucosal edema, nasal congestion, purulent

    discharge and post nasal drip.

    Fig. 18. 2014.03.25After treatment, improved mucosal edema, nasal congestion,

    purulent discharge and post nasal drip.

  • 이규진 외 3인 : 컴퓨터 단층촬영(OMU CT)을 통해 진단 평가된 비부비동염 5례

    139

    Fig. 19. 2014.01.16Before treatment, Opacification and mucosal thickening of

    ethmoidal sinus are noted.

    Fig. 20. 2014.03.31After treatment, resolution of sinusitis.

    5) 가족력 : 없음

    6) 현병력

    ① 4~5세경까지 잦은 목감기 열감기로 응급실에

    자주 내원함.

    ② 2007년경에 비부비동염 있어 강동경희대병원

    소아과에서 치료 받았으나 차도가 없었음.

    ③ 2008년 9월경부터 찬바람 불면서 청체 시작하

    고 일주일 정도 지나면서 탁체, 코골이, 두통,

    구취가 나타남.

    ④ 2009년 9월 두통으로 강동경희대병원 소아과에

    서 PNS X-ray상 비부비동염 진단 받은 후 한방

    치료 원해 2009년 10월 1일 내원하여 OMU

    CT 상 범부비동염 진단되었으며 한방 치료 시

    작함.

    7) 치료기간 : 2009년 10월 1일~2009년 11월 16

    8) 치료경과

    ① 10/1~11/3: 비폐색 심, 탁체 및 후비루 다량, 객

    담, 두통. 荊芥連翹湯 加 玄蔘 8g, 牛蒡子, 黃芪 6g, 款冬花, 麥門冬, 薄荷, 白朮(炒), 辛夷, 前胡,

    皂角子, 蒼耳子, 天花粉 4g, 細辛, 麻黃, 桑白皮, 生地黃 3g, 貝母 2g, 1일 2첩 3회.

    ② 11/4~11/11: Acute nasopharyngitis, 발열 3

    8℃, 인후통, 비폐색 감소, 탁체 다량, 신종플루

    검사 음성. 淸咽利膈湯(제제약), 1일 2회, 1회 1

    포.

    ③ 11/11~11/15: 발열 37℃, 인후통 감소, 비폐색

    감소, 탁체 감소. 淸咽利膈湯(제제약) 1일 2회,

    1회 1포, 防風解毒湯(제제약) 1일 1회, 1회 1포.

    ④ 11/16~11/28: 발열 소실, 인후통 소실, 비폐색

    소실, 탁체 감소, 객담, 후비루, 두통 소실. 荊芥

    連翹湯 加 玄蔘 8g, 牛蒡子, 黃芪 6g, 款冬花, 麥門冬, 薄荷, 白朮(炒), 辛夷, 前胡, 皂角子, 蒼耳子, 天花粉 4g, 細辛, 麻黃, 桑白皮, 生地黃

    3g, 貝母 2g, 1일 2첩 3회.

    5. 증례 5(Fig. 17-20)

    1) 성명 : 김 O O F/37

    2) 주증상 : 후각저하, 비폐색, 후비루, 두통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제27권 제3호(2014년 8월)

    140

    3) 발병일 : 2013년 12월경

    4) 과거력 및 가족력 : 없음

    5) 현병력

    ① 3~4년전부터 간헐적으로 비염이 지속되었음.

    ② 2013년 12월경 감기기운이 시작되면서 비염이

    심화되어 후각 장애 발생, 이비인후과의원 내원

    하여 CT 촬영하여 비부비동염 진단 하에 수술

    권유 받았으나, 수술 전 한방치료 받기 위해

    2014년 1월 18일 강동경희대병원 한방안이비인

    후클리닉에 내원하여 치료 시작함.

    6) 치료기간 : 2014년 1월 18일~2014년 3월 31일

    7) 치료경과

    ① 1/18~1/20: 후각저하(냄새를 못 맡음), 비폐색,

    후비루, 두통. 仙方敗毒湯, 1일 2첩 3회.

    ② 1/21~2/10: 후각저하 호전(간헐적으로 냄새 맡

    음), 비폐색 및 후비루 호전. 仙方敗毒湯 加 生

    地黃 12g, 牛蒡子 6g, 丁香, 黃芪 4g 減 柴胡 3g, 1일 2첩 3회.

    ③ 2/11~3/3: 후각저하 소실, 후비루 호전. 仙方敗

    毒湯 加 生地黃 12g, 牛蒡子, 牛膽南星, 蒼耳子

    6g, 丁香, 黃芪 4g 減 柴胡 3g, 1일 2첩 3회. ④ 3/4~3/17: 후각저하 소실, 후비루 간헐적으로 발

    생. 仙方敗毒湯 加 生地黃 12g, 蒼耳子, 麻黃

    8g, 牛蒡子, 牛膽南星 6g, 丁香, 黃芪 4g 減 柴胡 3g, 1일 2첩 3회.

    ⑤ 3/18~3/31: 후각저하 소실, 후비루 및 비폐색 간

    헐적 발생. 仙方敗毒湯 加 生地黃 12g, 黃芪, 蒼耳子 8g, 麥門冬, 白芍藥, 牛膽南星 6g, 丁香, 牛

    蒡子 4g 減 柴胡 8g, 1일 2첩 3회.

    Ⅲ. 고찰 및 결론

    만성 비부비동염은 한 개 이상의 부비동 점막의 비

    가역적 병변이 초래된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1) 1978년

    Messerklinger5)에 의해 개구비도 단위(Ostiomeatal

    Unit, OMU) 개념이 도입된 이래, 중비도의 점막비후

    외에도 OMU 부위의 폐쇄로 인한 환기장애로 섬모운

    동의 장애와, 비점액의 저류 및 세균의 2차적 감염이

    초래되어 유발된다고 알려져 있다6,7).

    2000년대 들어 비부비동염이라는 용어가 부비동염

    이라는 용어를 대체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부비동염

    이 아닌 비부비동염이 올바른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이는 대부분의 경우 비염과 부비동염이 동시에 존재

    하기 때문인데, 부비동염이 비강 기도의 염증 없이 단

    독으로는 발생되지 않기 때문이다6,8). 비부비동염은

    복합적인 병인을 가지는 질환으로, 감염, 알레르기,

    해부학적 이상, 면역학적 이상 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나타날 수가 있는데, 개구비도 단위(Ostiomeatal

    Unit, OMU)에 폐색을 초래하여 비부비동염을 일으

    킨다고 알려져 있다9,10).

    비부비동염의 진단은 일차적으로 환자 본인의 주요

    증상 및 증후를 기반으로 하며, 비내시경 소견이나

    CT 소견은 진단의 강력한 근거가 된다6). 비부비동염

    의 증상을 통한 진단과 비내시경, 단순방사선 촬영,

    CT 촬영 등의 객관적 진단 자료를 기반으로 하는 진

    단을 비교하는 연구에서는, 증상에만 기반한 비부비

    동염의 진단은 결함이 있을 수 있다고 하였다12,13). 이

    중 단순방사선 촬영은 저렴한 비용 때문에 많이 사용

    하지만, 뼈의 구조나 연부조직의 병리 변화를 확인하

    여 비부비동염을 진단하는 데에는 유용하지 않다. 비

    내시경은 비용종이나, 비강내 부종, 분비물, 가피를

    확인할 수 있으며, 치료 초기의 상태 평가 및 치료 과

    정중 경과관찰에 용이하다6). CT는 부비동 내에서의

    점막의 염증을 감별하는데 민감도가 높으며, 부비동

    의 해부학적 구조, 연부 조직의 변화, 부비동과 상악

    동구 복합과 안와 및 두개 내의 합병증을 정확하게

    보여주기 때문에 만성 비부비동염의 진단에 있어서

    표준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치료 후 변화 상태를 평가

    하는데 유용하다13-7). 또한 Pallanch 등18)은 비부비동

    염의 평가를 위해 점수 체계 마련 등의 다양한 방법

  • 이규진 외 3인 : 컴퓨터 단층촬영(OMU CT)을 통해 진단 평가된 비부비동염 5례

    141

    들이 시도되고 있으나, CT 만이 비부비동염의 증상의

    정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고 하였다.

    만성 비부비동염은 항생제와 국소스테로이드제로

    치료하지만 근거는 제한적이고, 치료 결과 역시 전적

    으로 만족할 만한 수준이 아니며, 주관적 증상 경감이

    나 객관적 증상의 호전을 동시에 잡을 표준화된 방법

    이 없다6,19). 이러한 이유로, 한약의 사용이 점차 증가

    하고 있다는 국외의 보고20)가 있으며, 최근 연구에서

    는 비부비동염 환자의 15~50%가량에서 한약 등의 보

    완대체의학을 이용하고 있다고 하였다21-3). 하지만 한

    약 치료의 근거 및 효과를 제시하는 문헌은 매우 적

    다. Ruoling 등24)은 그 이유를 만성 비부비동염 질환

    의 진단 자체의 어려움, 한약 및 침 치료 문헌들의 객

    관적인 평가지표의 부재, 임상연구 가이드라인의 부

    재 등으로 꼽았다.

    본 증례보고에서 저자는 기존의 국내 한의학 보고

    와는 달리, 한약치료의 효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환자의 주관적인 증상 기술 외에도 CT 촬영으

    로 치료 전후를 비교하였다. CT 촬영은 진단에만 의

    미가 있는 것이 아니라 치료 초기의 자료를 제시함으

    로써, 추후의 치료 경과를 평가할 수 있도록 돕는다9,17).

    본 증례의 환자 5명은 모두 비부비동염으로 진단을

    받았고, 그 중 4명(증례 1~4)은 소아 환자로 알레르기

    의 기왕력을 가지고 있고, 이비인후과 및 소아과에서

    항생제를 반복 복용하여 왔으나 치료에 반응하지 않

    았던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환자들은 CT 촬영을 통

    해 비부비동염으로 진단을 받은 이후 본인의 나이 및

    체중에 맞는 용량의 한약을 각각 36에서 70여 일 동

    안 개인의 변증에 따라 小靑龍湯 合 補中益氣湯, 加味

    防風通聖散, 葛根湯, 破隘湯, 荊芥連翹湯 가미방, 仙方

    敗毒湯 가미방을 복용하였다. 상기 처방들은 모두 비

    과 질환에서 다용되는 한약 처방이다28). 침구치료는

    상기 4례의 경우 환자들이 소아인 점을 고려하여 취

    혈 부위를 최소화 하였으며, 주 2~3회 合曲, 太衝, 足

    三里, 迎香穴을 선용하여 15분간 유침하였고, 성인 환

    자의 경우 경항부에 5분간 부항 시술을 한 후 合曲,

    太衝, 足三里, 迎香, 印堂, 翳風, 太陽에 15분간 유침하였다.

    증례 1의 환자는 알레르기 비염에 동반된 범부비동

    염, 비용종 환자로 청체와 후비루가 주증상이었다. 이

    에 치료 초기에 小靑龍湯을 처방하였고, 청체가 감소

    한 이후 托裏消毒飮을 처방하였다. 托裏消毒飮은 허

    증인 비부비동염에서 염증을 소멸하고 후비루를 없애

    주는 처방으로, 초중기의 비부비동염에 다용되며 후

    비루 증상에 보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처방이다. 본

    증례에서는 人蔘을 8g 가미하였고, 酒水相半煎하여

    약력이 상부로 미치도록 하였다. 비증상이 호전된 이

    후에는 조리를 위하여 補兒湯을 투약하였다. 補兒湯

    은 체력을 기르고 면역이 향상되도록 구성된 처방으

    로, 氣血을 보충함으로써 전체적인 체력의 향상을 도

    모하였다25).

    증례 2의 환자 역시 알레르기 비염에 동반된 범부

    비동염, 비용종 환자였으며 망문문절과 비내시경 상

    의 비강상태는 모두 비교적 실증에 해당하였다. 환자

    의 주호소는 심한 탁체와 비폐색이었기 때문에 實熱

    의 제거를 위하여 加味防風通聖散을 사용하였다. 加

    味防風通聖散은 防風通聖散에서 麻黃, 大黃, 芒硝를

    빼고 木通, 白芷, 葛根, 細辛, 蒼耳子, 辛夷, 川椒皮,

    麥門冬을 가한 처방으로 風熱의 壅盛으로 表裏가 모

    두 實하여 비폐색, 비류탁체, 두통 등이 심한 증상에

    사용 된다25,26). 환자의 증상 호소와 비내시경 관찰 상

    비증상이 소실된 이후에는 荊芥連翹湯으로 조리를 하

    였다. 荊芥連翹湯은 消散風熱, 消腫排膿, 補陰淸熱의

    작용이 있어 腎經風熱 및 腎虛風熱로 인한 이, 비, 인

    후, 기관지의 만성염증성 질환과 알레르기성 질환을

    치료하는 처방으로, 본 증례에서는 실증의 치료 이후

    잔존한 비부비동염의 증상을 腎虛風熱로 변증하고 사

    용하였다27).

    증례 3의 환자는 알레르기 비염에 동반된 범부비동

    염 환자로, 표증에 변비, 변혈 등의 리증을 겸하였기

    에 葛根湯에 桔梗, 石膏, 大黃, 辛夷, 細辛을 가미한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제27권 제3호(2014년 8월)

    142

    처방을 투약하였다25). 이후 비증상 호전되던 중 환자

    가 급성 편도선염에 이환되어 10일 동안 破隘湯으로

    처방을 변경하였다. 破隘湯은 辨證奇聞에 기록된 처

    방으로 桔梗 3錢, 甘草 2錢, 柴胡 1錢, 白灼藥 5錢, 玄

    蔘 3錢, 麻黃 1錢, 天花粉 3錢, 山豆根 1錢으로 구성

    되며 雙乳蛾 등의 질환에 사용된다. 破隘湯 복용으로

    편도선염이 완화된 이후에는 지속적인 비부비동염의

    치료와 상한 이후의 흉민, 소화불량, 구역감 등의 조

    리를 위하여 葛根湯 合 生薑瀉心湯을 처방하였다.

    증례 4의 환자는 알레르기 비염은 없는 범부비동염

    환자로, 주증상은 비폐색과 후비루였다. 발병일로부터

    1년 이상 경과한 점, 1개월전 골절로 인한 수술을 시

    행한 점 등을 고려하여 荊芥連翹湯에 가감하여 처방

    하였다. 蒼耳子散(辛夷, 細辛, 薄荷, 蒼耳子)은 코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약물로 구성되어 합방으로 다용

    되는데, 본 증례에서 역시 형개연교탕에 창이자산을

    합방하고, 生地黃, 麥門冬, 玄蔘, 牛蒡子, 黃芪, 白朮(炒)로 보음 및 청열시키고 款冬花, 前胡, 皂角子, 天花粉, 麻黃, 桑白皮, 貝母로 거담시키도록 처방하였다25,27). 이후 증상 호전되던 중 감기로 인한 고열 및 인

    후통으로 淸咽利膈湯을 투여하였다. 청인이격탕은 인

    후통의 변증시치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처방으로,

    金銀花 12g, 荊芥, 防風, 連翹, 桔梗, 玄蔘, 貝母, 甘

    草, 天花紛, 白殭蠶 4g, 薄荷 3g, 黃芩, 牛蒡子, 梔子 2g으로 구성되어 있다28). 이후 감기 증상 소실 후 잔

    존한 비폐색과 후비루 증상을 치료하기 위해 荊芥連

    翹湯 가미방을 처방하였다.

    증례 5의 환자는 성인으로, 감기가 시작된 이후 나

    타난 후각저하와 후비루가 주증상이었다. 내원하기

    전 이비인후과의원에서 CT를 촬영하여 비부비동염

    진단 받고 수술을 권유받았으나 한방치료를 받아 본

    후에 수술 여부를 결정하고자 하여 내원하였다. 비부

    비동염의 증상이 있으면서 후비루가 생길 때 염증을

    없애는 작용을 하는 仙方活命飮과 발산시키는 敗毒散

    이 조화롭게 작용하도록 구성된 仙方敗毒湯에서 柴胡

    의 양을 줄이고 生地黃, 牛蒡子, 丁香, 黃芪로 보음

    청열 시키도록 처방하였다25,26,29). 이후 증상 진행 여

    부에 따라 기존 처방에 가미하여 치료하였다. 후각저

    하 증상이 호전되어 치료 종료 시점에서 이비인후과

    의원에서 시행한 후각검사 상 9종 중 7종의 냄새를

    인지할 수 있게 되었다.

    증례 1과 증례 2의 환자는 범부비동염에 비용종이

    동반된 경우로 한약 및 침치료를 시작한 지 35일 경

    과 후 CT 소견 상 모든 부비동의 염증 및 용종이 소

    실된 것을 확인하였다. 증례 3의 환자는 비용종이 동

    반되지 않은 범부비동염으로 한약 및 침치료 중 1회

    의 상기도 감염이 있었고 약 55일 경과 후 재촬영한

    CT 상에서 모든 부비동의 염증이 소실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증례 4의 환자는 범부비동염으로 한약

    및 침치료 중 1회의 상기도 감염이 있었고, 약 47일

    경과 후 CT 소견상 부비동의 염증이 소실된 것을 확

    인하였다. 증례 5의 환자는 이비인후과의원에서 CT

    촬영하여 비부비동염으로 진단 받은 후 한약 및 침치

    료를 시행하였고, 약71여일 경과 후 이비인후과의원

    에서 재촬영하여 부비동의 염증이 소실된 것을 확인

    하였다.

    본 연구는 CT로 진단된 비부비동염 환자에게 한약

    및 침치료 후 CT 상에서 병변이 소실됨을 확인한 보

    고이다. 비록 5례의 소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증례

    보고이나 이전의 보고들과는 달리 진단과 치료의 평

    가에 주관적인 증상 외에 객관적인 평가지표인 CT를

    사용하였다는 점이 차별화될 수 있으며, 향후 한의계

    에서도 객관적인 진단과 평가에 진단기기를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진료체계가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생

    각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 한의약선도기술개발사업의

    지원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임(HI12C1889).

  • 이규진 외 3인 : 컴퓨터 단층촬영(OMU CT)을 통해 진단 평가된 비부비동염 5례

    143

    Reference

    1. Taylor A. Sinusitis. Pediatr Rev. 2006;27:395-7.

    2. Zacharisen M, Casper R. Pediatric sinusitis.

    Immunol Allergy Clin North Am. 2005;25:313

    –32. 3. Leung RM, Chandra RK, Kern RC, Conley

    DB, Tan BK. Primary care and upfront

    computed tomography scanning in the

    diagnosis of chronic rhinosinusitis: a

    cost-based decision analysis. Laryngoscope.

    2014;124(1):12-8.

    4. Leo G. Rhinosinusitis and associated disorders

    in children: an introduction. Pediatr Allergy

    Immunol. 2007;18(Suppl 18):5-6.

    5. Messerklinger W. Endoscopy of the nose.

    Baltimore:Urban and Schwarzenberg. 1978:

    6-33.

    6. Fokkens WJ, Lund VJ, Mullol J, Bachert C,

    Alobid I, Baroody F, et al. European Position

    Paper on Rhinosinusitis and Nasal Polyps

    2012. Rhinol Suppl. 2012 ;23:1-298.

    7. Chiapasco M, Felisati G, Zaniboni M, Pipolo

    C, Borloni R, Lozza P. The treatment of

    sinusitis following maxillary sinus grafting

    with the association of functional endoscopic

    sinus surgery (FESS) and an intra-oral

    approach. Clin Oral Implants Res. 2013;

    24:623-9.

    8. Benninger MS, Ferguson BJ, Hadley JA,

    Hamilos DL, Jacobs M, Kennedy DW, et al.

    Adult chronic rhinosinusitis: definitions,

    diagnosis, epidemiology, and pathophysiology.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3;129:S1–S32.

    9. F Triulza, S Zirpoli. Imaging techniques in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rhinosinusitis in children. Pediatr Allergy

    Immunol. 2007;18(Suppl 18):46–9.10. Lee SJ, Shin SH, Kim CG, Ye MK, Chang

    HW. The relationship between anatomical

    variation of nasal cavity and paranasal

    sinusitis.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02;45(11):1069-72.

    11. Pokharel M, Karki S, Shrestha BL, Shrestha I,

    Amatya RC. Correlations between symptoms,

    nasal endoscopy computed tomography and

    surgical findings in patients with chronic

    rhinosinusitis. Kathmandu Univ Med J

    (KUMJ). 2013;11(43):201-5.

    12. Eggesbø HB. Radiological imaging of

    inflammatory lesions in the nasal cavity and

    paranasal sinuses. Eur Radiol. 2006;16(4):

    872-88.

    13. Tahamiler R, Canakcioglu S, Ogreden S,

    Acioglu E. The accuracy of symptom-based

    definition of chronic rhinosinusitis. Allergy.

    2007;62:1029–32.14. Leung R, Chaung K, Kelly JL, Chandra RK.

    Advancements in computed tomography

    management of chronic rhinosinusitis. Am J

    Rhinol Allergy. 2011;25(5):299-302.

    15. Leo G, Triulzi F, Incorvaia C. Diagnosis of

    chronic rhinosinusitis. Pediatr Allergy

    Immunol. 2012;23(22):20-6.

    16. Bhattacharyya N, Fried MP. The accuracy of

    computer tomography in the diagnosis of

    chronic sinusitis. Laryngoscope. 2003;113:

    125-9.

    17. Likness MM, Pallanch JF, Sherris DA, Kita

    H, Mashtare TL Jr, Ponikau JU. Computed

    tomography scans as an objective measure of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제27권 제3호(2014년 8월)

    144

    disease severity in chronic rhinosinusitis.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14;150(2):

    305-11.

    18. Pallanch JF, Yu L, Delone D, Robb R,

    Holmes DR 3rd, Camp J, et al. Three-

    dimensional volumetric computed tomographic

    scoring as an objective outcome measure for

    chronic rhinosinusitis: clinical correlations and

    comparison to Lund-Mackay scoring. Int

    Forum Allergy Rhinol. 2013;3(12):963-72.

    19. Russell PT, Bekeny JR. Oral antibiotics and

    the management of chronic sinusitis: what do

    we know?. Curr Opin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14;22(1):22-6.

    20. Blanc PD, Trupin L, Earnest G, Katz PP,

    Yelin EH, Eisner MD. Alternative therapies

    among adults with a reported diagnosis of

    asthma or rhinosinusitis: data from a

    population-based survey. Chest. 2001;120:1461

    –7.21. Rotenberg BW, Bertens KA. Us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al

    therapies for chronic rhinosinusitis: a

    canadian perspective. J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10;39(5):586-93.

    22. Yakirevitch A, Bedrin L, Migirov L, Wolf M,

    Talmi YP. Use of alternative medicine in

    Israeli chronic rhinosinusitis patients. J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9;38(4):

    517-20.

    23. Newton JR, Santangeli L, Shakeel M, Ram B.

    Us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by patients attending a rhinology

    outpatient clinic. Am J Rhinol Allergy.

    2009;23(1):59-63.

    24. Guo R, Canter PH, Ernst E. Herbal medicines

    for the treatment of rhinosinusitis: a

    systematic review.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6;135(4):496-506.

    25. Lee SG. New Korean Medicine Clinical

    Otolaryngology. 1st ed. Seoul:Jung dam

    publishing. 2007:57, 68, 92, 98, 116, 138, 145.

    26. Kim JH, Kim TB, Chae BY. 12 Cases of

    Paranasal Sinusitis by Oriental Medicine. J

    Korean Med. 1994;19(2):113-21.

    27. Lee HJ, Park EJ. A Clinacal Study on the

    Herbal Medicine Therapy Treating Pediatric

    Chronic Sinusitis and Otitis Media. J Pediatr

    Korean Med. 1999;13(1):205-26.

    28. Kim JB. Oriental Medical pathology and

    clinical treatment in throat pain. Korean J

    Oriental Medical Pathology. 1996;10(2):41-9.

    29. Park MC, Hong SU. The Effects of

    Sunbanghwalmyung-eum Extract on Acute

    Sinusitis-induced Mouse. J Korean Oriental

    Med 2009;30(2):133-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