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tudyontheidentitiesoftheuyghurhui 위구르족 … · 韓國中東學會論叢第 號, 30-3...

17
, 30-3 韓國中東學會論叢 , 2010, 223- 韓國中東學會 256 위구르족 회족 무슬림의 정체성과 문화접변 양상 연구 1) 황병하 * 서론 . 위구르족 무슬림의 정체성 . 회족 무슬림의 정체성 . 위구르족 무슬림과 회족 무슬림의 갈등 . 위구르족 무슬림과 회족 무슬림의 한족 문화접변 양상 . 결론 . 조선대학교 외국어대학 아랍어과 교수 * 224 30-3 韓國中東學會論叢 第 <Abstract> A Study on the Identities of the Uyghur Hui Muslims and Their Acculturation Hwang, Byung-Ha Chosun University This paper is designed to research on the identity of the Uygur muslim, Hui muslim and their acculturation into the Chinese culture. The culture and identity of the Uyghur people of Xinjiang have been shaped by cultural, linguistic, geographic, and historic interactions with China and surrounding Islamic civilizations since the 7th century. However, the culture and identity of the Hui people have been shaped by political, linguistic, cultural interactions with China and Islam since 19th century. By the 20th century, Hui people have acculturated into Chinese civilizations, but after the Iranian Islamic revolution in 1979 they have resisted the Chinese government. However, after the big migration of Hans into Xinjiang from 1949, both the Uyghurs and the Huis have resisted the Chinese culture and government. In this paper, three major topics on the Muslims in Xinjiang and China are described. In chapter , the Uyghurs' identity is presented. The Uyghurs' identity is regulated by various characteristics, such as ethnic(Turk), religious(Islam), linguistic(Turkish), geographic(Oasis), and cultural(Chinese) elements. Since 1949, China has planned various policies to weaken their identity through acculturation into Chinese culture, but till now never succeeded. In chapter , the Hui Muslims' identity is described. They have Arab-Persia origins, Chinese speaking Muslims, and descendants of Arab and Chinese couples. Most of them have acculturated into the Chinese culture. In chapter , the conflicts between Uyghur Muslims and Hui Muslims are described. They are all Muslims, but the Uyghur Muslims regard Hui Muslims as Chinese

Upload: others

Post on 25-May-2020

3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 30-3韓國中東學會論叢 第 號

    , 2010, 223-韓國中東學會 256

    위구르족 회족 무슬림의 정체성과 문화접변․양상 연구

    1)황 병 하*

    차 례

    서론.Ⅰ

    위구르족 무슬림의 정체성.Ⅱ

    회족 무슬림의 정체성.Ⅲ

    위구르족 무슬림과 회족 무슬림의 갈등.Ⅳ

    위구르족 무슬림과 회족 무슬림의 한족 문화접변 양상.Ⅴ

    결론.Ⅵ

    조선대학교 외국어대학 아랍어과 교수*

    224 30-3韓國中東學會論叢 第 號

    A Study on the Identities of the UyghurHui․Muslims and Their Acculturation

    Hwang, Byung-Ha

    Chosun University

    This paper is designed to research on the identity of the Uygur

    muslim, Hui muslim and their acculturation into the Chinese culture.

    The culture and identity of the Uyghur people of Xinjiang have been

    shaped by cultural, linguistic, geographic, and historic interactions with

    China and surrounding Islamic civilizations since the 7th century.

    However, the culture and identity of the Hui people have been shaped

    by political, linguistic, cultural interactions with China and Islam since

    19th century. By the 20th century, Hui people have acculturated into

    Chinese civilizations, but after the Iranian Islamic revolution in 1979

    they have resisted the Chinese government. However, after the big

    migration of Hans into Xinjiang from 1949, both the Uyghurs and the

    Huis have resisted the Chinese culture and government.

    In this paper, three major topics on the Muslims in Xinjiang and

    China are described. In chapter , the Uyghurs' identity is presented.Ⅱ

    The Uyghurs' identity is regulated by various characteristics, such as

    ethnic(Turk), religious(Islam), linguistic(Turkish), geographic(Oasis), and

    cultural(Chinese) elements. Since 1949, China has planned various

    policies to weaken their identity through acculturation into Chinese

    culture, but till now never succeeded. In chapter , the Hui Muslims'Ⅲ

    identity is described. They have Arab-Persia origins, Chinese speaking

    Muslims, and descendants of Arab and Chinese couples. Most of them

    have acculturated into the Chinese culture. In chapter , the conflictsⅣ

    between Uyghur Muslims and Hui Muslims are described. They are all

    Muslims, but the Uyghur Muslims regard Hui Muslims as Chinese

  • 위구르족 회족 무슬림의 정체성과 문화접변 양상 연구 황병하:․ 225

    people. Because they are already acculturated into China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This is the reason why the Uyghurs hate and criticize

    Huis. In chapter , the pattern of Muslims' acculturation and theirⅤ

    responses against the Chinese policies are presented. There are three

    responses against the Chinese soft and hard policies, including Hans

    migration and economic assistance. The Chinese hard policies slow

    acculturation by polarizing Uyghurs and Hans. And hard policies

    provoke violent and strong resistance by Uyghur nationalists and

    Islamic fundamentalists. They try to prevent Chinese acculturation

    policies from affecting Muslims' acculturation. On the other hand, soft

    policies tend to accelerate Uyghur acculturation into Chinese culture

    and state. By the 20th century, the Uyghurs show various responses,

    violent and non-violent, according to their standards of education,

    economy, and living places. In conclusion, most of the Uyghurs want

    to be good Muslims and some of them are already acculturated into

    Chinese culture. But from the Chinese Muslims' point of view, the

    most important thing to be considered by the Chinese people is that

    "are they really ready to accept Muslims as Chinese or not".

    Key words : Islam, Chinese Muslims, Uyghurs, Huis, Hans, Acculturation,

    Identity

    226 30-3韓國中東學會論叢 第 號

    서론.Ⅰ

    중국의 무슬림을 대표하는 두 집단은 위구르족 무슬림과 회족 무슬림이다.

    위구르 무슬림은 주로 신장위구르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반면 회족 무슬림은,

    중국 전역에 분포되어 있다 년 기준으로 신장위구르 지역에는 다양한. 2003

    민족들이 거주하고 있으며 총 인구수는 만 명에 달한다, 1,934 .2) 신장위구르

    지역에는 총 개 민족이 거주하고 있는데 김장구47 (Millward 2007, 306-307;

    외 에서 재인용 그중 규모가 가장 큰 집단은 위구르족이며 두 번2008, 113 ), ,

    째는 한족이고 그 다음으로 카자흐족 회족, , ( ; Hui; Tungans),回族 3) 몽골족,

    키르기스족 타지크족 만주족 시버족 우즈벡족 다고르족 타타르족 러시아, , , , , , ,

    인 순이다.

    중국의 무슬림 집단은 년 월 일 위구르 지역이 공식적으로 중국1884 11 18

    청나라 영토로 편입되어 신장 으로 개칭되기 전까지 명목상 하나의( ) (Xinjiang)

    집단으로 간주되었으며 오늘날처럼 위구르족 무슬림이나 회족 무슬림으로 분,

    명하게 구분되지 않았다 하지만 두 집단이 중국 정부와 중국 내 이슬람권에.

    의해 구분되기 시작한 시점은 년이며 본격적으로 구분되기 시작한 시점1884 ,

    은 년 중국공산당 정권이 수립되고 한족의 신장지역 이주 정책이 적극적1949

    으로 추진되면서부터이다.

    중국 무슬림들의 성격과 정체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년1884 , 1949

    년 년의 정치 사건들이 중국 무슬림들에게 어떤 영향을 끼쳤는가에 대, 1979

    한 고찰이 선행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중국 무슬림 집단의 구분을 연구하다.

    보면 각 집단의 역사적인종적문화적 특성보다는 정치적정책적 특성이 중국․ ․ ․

    2) 년 기준 총인구수는 만 명이며 위구르족 만 명 한족 만2003 1,934 , 882 (45.62%), 771명 카자흐족 만 명 회족 만 명 이다 출처(39.87%), 135 (6.99%), 87 (4.48%) .( :http://www.xjts.cn)

    3) 회족은 중국 개 소수민족들 중 정치적으로 가장 성공한 민족으로 간주되고 있다55 .전체 인구는 만 명 년 기준 에 불과하지만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이981 (2008 )자 국무원 부총리인 후이량위를 배출하였다 그는 중국 최대 산업인 농업을 총괄하고.있으며 년 월 쓰촨성 대지진 때 원자바오 총리와 함께 현장에서 구조 활동을, 2008 5진두지휘한 인물이다 주간조선 호 년 월 일( , 2065 , 2009 7 27 , p. 72).

  • 위구르족 회족 무슬림의 정체성과 문화접변 양상 연구 황병하:․ 227

    의 대 이슬람 정책에 더 많은 영향을 끼쳤음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중국의 신장 지배는 정신적문화적으로 인정을 받지 못하고 있다 위구르인.․들은 중국의 지배를 인정하지 않고 있으며 현재의 지배를 중국의 식민지 지,

    배로 간주하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중국 정부가 국가 정책.

    으로 추진하고 있는 대규모 한족 이주정책은 신장 지역의 문화와 언어 그리

    고 전통에 많은 변화를 야기하고 있다 중국은 한족의 이주와 한족의 경제권.

    장악으로 신장 지역을 한족 문화권으로 동화 또는 통합시키며 이를 통해 위,

    구르의 이슬람 정체성을 축소시키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신장의 위.

    구르족은 년부터 진행된 한족의 대규모 이주정책에 강력히 저항하고 있1949

    으며 년 이란의 이슬람혁명 성공과 이슬람원리주의의 유입 이후 독자적, 1979

    인 이슬람문화와 종교를 유지하기 위해 분리주의 운동도 불사하고 있다 황병(

    하 2009, 111).

    중국 정부는 신장 위구르족의 이슬람 운동과 민족주의 운동을 테러주의로

    간주하여 강력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 중국 정부가 위구르족의 이슬람 운동과.

    민족주의 운동을 제압하면서 취하고 있는 정책의 특징은 크게 두 가지이다.

    하나는 대규모 한족 이주를 통해 일차로 신장 지역의 인구구성 비율을 한족

    우위로 조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위구르 이슬람문화의 한족 문화로의 동화를

    추진하는 정책이며 다른 하나는 중국어를 구사하고 한족문화로 동화된 회족,

    무슬림을 통해 위구르족 무슬림을 분열시키고 세력을 약화시키는 정책이다.

    본 논문은 중국 무슬림 집단은 왜 양분되었는가 위구르족 무슬림과 회족,

    무슬림의 중국 내 위상과 역할은 무엇인가 그리고 두 집단은 중국의 한족문,

    화 동화정책에 각각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가를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차로 신장위구르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위구르족의 정체성과 회1

    족의 정체성을 살펴보고 차로 위구르족 무슬림과 회족 무슬림의 갈등관계를, 2

    살펴보며 마지막으로 두 집단의 중국 한족문화로의 문화접변 또는 동화 현, ( )

    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차적으로 신장위구르 지역의 이슬람과 중. 1

    국의 이슬람을 이해하는 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차로 중국 이슬람의 두 집단, 2

    인 위구르족 무슬림과 회족 무슬림의 갈등과 협력관계에 관한 역사적 근거를

    제공할 것이고 마지막으로 실크로드의 인종적종교적문화적 교류관계를 이해, ․ ․

    228 30-3韓國中東學會論叢 第 號

    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위구르족 무슬림의 정체성.Ⅱ

    위구르족의 기원과 통합적 개념의 위구르족1.

    위구르족은 중앙아시아의 투르크계 부족으로서 정재훈 남북조( 2005, 19)

    시대부터 중국에 알려지기 시작하여 현재 중국의 신장위구르 자치구와 중앙

    아시아에 살고 있는 민족을 일컫는다.4) 이 민족의 역사적 기원은 위구르족이

    바스밀 부족과 카를룩 부족과 연합하여 돌궐 제국을 멸망시(Basmil) (Qarluq)

    키고 몽골 북서쪽 오르콘 강 계곡의 외튀겐 산에 건설한 위(Orkhon) ( tüken)Ӧ구르 유목제국 에서 찾을 수 있다 위구르라고 알려진 부족들은 이(744-840) .

    전에 투르크 또는 튀르크 제국 또는 칸 제국 을 구성한 민족들 중( ) (khanate)

    하나였다 위구르 유목제국의 역사를 체계적으로 연구한 개설서는 거의 없다. .

    왜냐하면 위구르 유목제국 시기에 대한 기록이 거의 없고 있어도 내용이 편,

    파적이기 때문이다.5) 더욱이 중국에 의한 한문 사료에는 중국의 일방적이고

    4) 위구르 라는 단어는 음운학적으로 우이구르로 읽는 것이 타당하며 언(Uygur, Uigur) ' ' ,어학적으로 투르크어 연합 또는 결합 또는 연맹 에서 유래했다고 전해지고‘ ’(uy+gur)있다 위구르라는 명칭의 기원은 남북조북위 시대에 가오체천막을 옮기기 위해 소. ( ) (가 끄는 수레 고차 고거 수나라 때 위흘 당나라 때 회흘 또는 회골; , ), ( ), ( )魏紇 回紇

    빠르기가 매와 같다 송나라와 원나라 때 외오아라고 불린데서 찾을 수 있으( : ),回鶻며 위구르족이 회족으로 불리게 된 배경은 당나라 때 이들을 회홀 또는 회골로 부른,데서 찾을 수 있다 회골은 년 국호변경 이후부터 사용되었다 중국은 위구르인들. 788 .을 훈족 흉노족 의 직계 후손으로 간주하고 있다 따라서 중국이 인식하고 있는 위구( ) .르의 기원은 기원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말할 수 있다 위구르와 중국의 관계는.초기 상호협력 몽골과 원나라 시기 위구르족 등용 한족들의 반발 위구르족→ → →과 한족의 대립과 충돌 청나라의 위구르 영토 편입 편입에 대한 위구르족의→ →반발 위구르의 독립국가 건설과 대립 위구르족의 한족문화 동화와 저항의 과→ →정을 거치고 있다.(http://kin.naver.com/popup/opendic)

    5) 본 논문은 위구르 유목제국의 역사를 기술하면서 정재훈의 위구르 유목제국사『 』와 밀워드 의(2005) (Millward) Eurasian Crossroads-A History of Xinjiang『 』을 자료로 활용하였다(2007) .

  • 위구르족 회족 무슬림의 정체성과 문화접변 양상 연구 황병하:․ 229

    편파적인 기록이 대부분이어서 역사적 맥락에 대한 해석의 어려움이 있다 이.

    를 극복하기 위해 고대 투르크 문자로 새겨진 비문 자료와 소그드 문자 자료

    들이 위구르 유목제국 역사를 객관적으로 이해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

    다 정재훈( , 22-23).

    신장위구르 지역의 역사는 외부로부터 이 지역으로 유입된 이주의 역사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이 지역으로 처음 이주민이 유입된 시기부터 청나라 시기.

    까지의 이주 역사를 시기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역사적으로 위구르 유목제국은 돌궐과는 적대적이었지만 당나라와는 우호

    관계를 유지하였다 위구르족은 세기 중반 돌궐 제국의 혼란을 틈타 중앙아. 8

    시아 초원지대를 정복하였고 년 몽골 중앙부에 카라 발가순, 744 (Kara

    의 오르두 발리크 를 수도로 하는 위구르 제국을 건설Balgasun) (Ordu Baliq)

    시기 역사 특징

    BC 700 사카족 이주- (Saka) 이란계-

    BC 100-

    AD 200

    흉노 의 침입- (Xiongnu)

    한나라의 침입-

    흉노의 천산 산맥 북부지역 장악-

    한 제국의 남부지역 장악-

    200-700 이란계 민족의 침입- 불교 마니교를 믿음- ,

    700-

    투르크계 민족의 이주-

    -이슬람 유입

    당나라의 지배-

    투르크 카르룩 위구르족의 지배- , ,

    카르룩족과 함께 이슬람의 유입-

    카라칸 제국 수립- (Karakhan)

    800-1200 위구르 제국 등장-투르판 지역-

    처음에 불교를 믿음-

    년대1200 몽골의 지배- 주민의 대부분은 투르크계-

    1227-1334차가타이 칸 국의-

    통치-이슬람으로 개종

    년대 중반1300 -

    년대1500무굴리스탄의 통치- 투르크계 민족의 이슬람문화가 지배-

    년대1500 카자크족 이주- 신장의 북부지역 지배-

    년대1600 오이라트 몽골- (Oirat) 신장의 북부지역 통치- (Junghar)

    년대1700 청나라의 지배-

    몽골의 지배력 쇠퇴-

    카자크족 위구르족 한족 회족 유입- , , ,

    한족과 회족의 본격적 이주-

    위구르족 전체 주민의- : 62%

    한족과 회족 전체주민의- : 30%

    230 30-3韓國中東學會論叢 第 號

    하였다 위구르 유목제국의 창시자는 쿠틀룩 빌게 퀼 카간. (Qutluq Bilge Küll

    이었다 그는 년 돌궐의 잔여세력을 소탕하고 바스밀과 카를룩Qaghan) . 747 ,

    등과 같은 경쟁상대를 제압하며 당나라로부터 제국의 위상을 인정받기 시작,

    했다 그의 노력으로 위구르 제국은 주변 세력에 대한 군사적 우위를 확보하.

    였고 신생국가로서의 발전을 도모하였으며 중국 당나라로부터 인정을 받기, ,

    시작하였다 위구르족은 흉노나 돌궐과는 달리 당나라와 지속적인 우호관계를.

    유지하였다 이 시기 당나라의 통치자는 현종이었다 당시 서쪽으로 세력을. .

    팽창하던 당나라는 년 고구려 유민 출신 고선지 장군을 파미르 고원으로747

    파견하여 티베트 토번 를 점령하였다 하지만 아랍이슬람의 동부 지역으( : ) .吐蕃

    로 세력을 팽창하던 당나라 군대는 년 타슈켄트를 원정하면서 엄청난 약750

    탈을 자행하였으며 이는 투르크족으로 하여금 아랍이슬람 압바스 제국 군대,

    를 끌어들이는 원인이 되었다 아랍이슬람 압바스 군대는 년 돌궐과 티베. 751

    트 등과 연합하여 당나라 군대와 중앙아시아 탈라스 강 유역에서 격돌하였다.

    이 당시 당나라 군대는 투르크계 위구르족 군대의 지원을 받았다 하지만 고.

    선지가 이끌었던 중국 당나라 군대는 년 탈라스 강 전투에서 아랍과 돌궐751

    과 티베트 연합군에게 패하였다 탈라스 전투의 패배로 중국 당나라의 트랜스.

    옥시아나에 대한 영향력은 급격하게 약화되었다 하지만 투르크족들에게 이슬.

    람이 전파되면서 중앙아시아는 이슬람의 영향을 받게 되었으며 이런 현상은,

    오늘날까지 지속되고 있다.

    년 당나라 장수 안록산 은 안사의 난 을 일으켰755 (An Lushan) (755-765)

    다 년 위구르족은 당나라의 요청으로 안사의 난을 제압하기 위해 장안과. 757

    낙양으로 군사원정을 떠났다 낙양을 탈환한 위구르 군대는 당나라 통치지역.

    으로 영향력을 확대하였다 위구르족은 유목과 정착 농경 사회가 혼합된 문화.

    를 발전시켰으며 낙양 원정 이후 마니교를 받아들였고 페르시아의 소그드, ,

    문화도 수용하였다 동시에 위구르족은 당나라를 도와준 대가를 톡톡히 뽑아.

    냈다 위구르족은 중국의 낙양 시를 약탈하였고 당나라로부터 조공으로 매년. ,

    비단 만 필을 받아냈으며 당나라 공주와 혼인관계를 맺었고 당나라에 공급2 , ,

    하는 말에 터무니없이 비싼 가격을 부과하였다 위구르족의 위세가 당당했던.

    시기에 위구르 제국과 중국 당나라 사이의 견마무역 교류협정은 거의 위구르

  • 위구르족 회족 무슬림의 정체성과 문화접변 양상 연구 황병하:․ 231

    족이 주도하였고 강압적으로 체결되었다.

    위구르 제국은 년부터 년까지 최전성기를 누렸다 년 위구르 카759 779 . 762

    간 보귀 는 제국의 국교를 페르시아계 소그드인으로부터 전달받은 마니(Bögü)

    교로 정했다 이는 유목민족 최초로 정착민의 종교를 갖게 된 것과 위구르 유.

    목민들이 정착화된 것 그리고 위구르인들이 농경사회로 탈바꿈한 것을 의미

    하였다 결국 위구르족은 마니교를 통해 유목민의 정착화와 도시화를 이룩했.

    으며 문자도 제공받았고 문자를 바탕으로 정착문화를 발전시켰음을 알 수, ,

    있다 하지만 유목민의 정착화 이후 위구르 제국은 내부적으로 반목을 겪었고.

    군사적으로 세력이 점차 약화되어 결국 년 알타이 산맥 북쪽 스텝지역에840

    거주하던 투르크계 유목 민족 키르기스 족 에게 멸망하였다(Kyrgyz, Qirghiz) .

    위구르 제국이 멸망한 후 위구르족은 유목 민족으로 돌아가지 않고 키르기

    스 족에게도 흡수되지 않았다 위구르 제국은 씨족 연맹이 붕괴되면서 개의. 3

    왕국인 깐수 위구르 감주국 돈황 위구르 사주국 투르판 위구르 과주국 로( ), ( ), ( )

    분열되었다 위구르인들은 깐수 신장 천산산맥 서쪽 등 여러 방면으로 분산. , ,

    되었으며 주요 집단들은 오늘날의 우루무치 이전의 와 투르판 이, ( Beshbaliq) (

    전의 이 위치하고 있는 천산산맥 북쪽 베쉬발릭 과 남쪽 쿠차 지역Khocho) ( ) ( )

    으로 이동하여 위구르 왕국을 건설하였다.

    위구르 제국이 멸망한 후 서쪽으로 이주한 위구르 부족들은 준가르와 타림

    분지에 살던 다른 투르크계 부족들과 함께 베쉬발릭 투르판 쿠차 왕국을 설- -

    립하였다 이 과정에서 이들은 인도 유럽어족의 토착민인 토카라인들과 융합. -

    하였다 현재 위구르족이 투르크계뿐만 아니라 인도 유럽계 문화를 계승하고. -

    있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서 연유한 것이다.

    위구르 지역의 중앙에는 카라코야 왕국 이 있었다 이 왕국은(856-1335) .

    이디쿠트 신성한 부 영광 카라코야 왕국 지배자 가 통치하였으며 투르판과( , ; ) ,

    베쉬발릭과 쿠물 그리고 쿠차에 기반 한 불교국가였다 이 왕국은 년 몽. 1209

    골제국의 칭기즈칸에게 복속되었으나 년까지 영주국가로 존속하였다, 1335 .

    위구르 지역의 서쪽에 설립된 국가는 카라한 위대한 칸 왕국(Kara Han; )

    이었다 카라한 왕국은 위구르족이 년 제국의 멸망 이후 천산산맥 서쪽. 840

    추이강 계곡으로 이동하여 설립한 국가 였다 카라한 왕국은(940-1212) . 934

    232 30-3韓國中東學會論叢 第 號

    년 술탄 사툭 부그라 칸 시기에 이슬람으로 개종하(Satuq Bughra; 920-956)

    였으며 사마르칸트의 사만조와 함께 불교 위구르 이디쿠트 왕국과 불교 스키,

    타이 토카라 호탄 왕국에 맞서 이슬람을 수호하고 전파하는 역할을- (Khotan)

    담당하였다 황병하 카라한 왕국은 중앙아시아에 건설된 최초의 투르크( , 112).

    계 이슬람 국가로서 수도는 추이강 계곡의 발라사군이었으나 후에 카슈가르,

    로 옮겨졌다.

    카라한 왕국의 패권은 이슬람 문화와 예술의 발전에 중요한 계기가 되었

    다 이 왕국의 통치 기간 동안 많은 이슬람관련 건물과 시설들이 건축되었다. .

    여기에는 모스크 마드라사 학교 카라반 숙소 등이 포함되었다 또한 이 기, ( ), .

    간 동안에 위구르 지역에는 아랍이슬람 문학과 학문도 전파되었다 사마르칸.

    트 부하라 카슈가르는 아랍이슬람 학문의 중심지로 발돋움하였으며 많은 학, , ,

    문적 발전을 이룩하였다 하지만 카라한 왕국은 셀주크제국의 침공을 받고 속.

    국이 되었으며 후에 서요의 지배를 받다가 년 칭기즈칸 의, 1209 (1155-1227)

    몽골군대에 점령당했다.

    년 칭기즈칸은 둘째 아들 차가타이에게 중앙아시아 지역을 분배하였1225

    다 차가타이 칸 국에는 이슬람이 광범위하게 전파되었으며 무슬림들이 대다. ,

    수를 차지하였다 년 카간에 오른 투헤이루티에무얼 티무르 은 차가타이. 1346 ( )

    칸 국의 통일과 중앙아시아 지역에 대한 통치권을 회복하기 위해 무슬림들의

    지지를 필요로 하였다 그는 년 이슬람교에 입교하였으며 정식으로 이. 1352 ,

    슬람을 국교로 인정하였다 이로써 그는 위구르 지역을 통치한 몽골의 카간.

    중에서 처음으로 이슬람을 받아들인 인물이 되었다 이후 그는 샤마니즘을 고.

    집하는 몽골 대신들을 이슬람으로 강제 개종시켰으며 각 지역으로 전도사를,

    파견하여 몽골인들에게 이슬람을 전파하도록 명령하였다 이때 많은 수의 몽.

    골인들이 이슬람으로 개종하였다 한편 베쉬발릭과 투르판 지역의 민족들은.

    세기 야르칸드 칸 국 이 세력을 확장할 때까지 이슬람으로 개15 (1514-1678)

    종하지 않았으며 여전히 마니교와 불교 등을 고집하였다, .

    지금까지 내용을 종합하면 위구르 제국을 건설한 위구르족은 원래 투르코,

    몽골 스텝지역의 유목민으로 출발하였다 하지만 이들은 정착도시를 건설하- .

    였으며 위구르 지역에 정착하기 이전 농업에 종사하였다 이 당시 위구르족, .

  • 위구르족 회족 무슬림의 정체성과 문화접변 양상 연구 황병하:․ 233

    은 무슬림이 아니었다 반대로 이들의 카 간 보귀는 마니교 신자였다 후에. .

    투르판의 위구르 제국은 불교를 받아들였으며 도시의 대중들 사이에는 네스,

    토리우스 기독교가 전파되었고 보편적으로 이들은 이슬람을 반대하였다 몽, .

    골의 위구르족은 큰 코와 턱수염을 가진 아랍인 이란인 인도 유럽계통 인종, , -

    들과 혼인관계를 맺었으며 투르크 계통 인종들 위구르족은 이들 중 한 집단, (

    이었음 이 도착하기 전까지 타림분지의 토착민으로 살았다 따라서 위구르족) .

    은 오늘날 위구르족의 인종학적 선조들 중 하나임에 분명하지만 그렇다고 위,

    구르 제국의 위구르족이 현재 위구르족을 대표하는 유일한 선조는 아니었음

    을 알 수 있다 더욱이 종교적문화적으로 유목민 위구르족들은 마니교와 불. ․교를 숭배했던 반면 타림분지와 투르판에서 정착생활을 했던 농경 위구르족,

    만이 후에 이슬람으로 개종하였다 따라서 이 시기에 이(Millward 2004, 40).

    슬람을 믿었던 정착 위구르족은 전체 위구르족의 일부였으며 이들은 세기, 19

    와 세기 초까지도 전체 위구르족을 대변하거나 대표하지 못했다고 말할 수20

    있다.

    결론적으로 초기에 위구르족은 몽골 지역의 투르크 계통 스텝 지역의 정,

    착민 그리고 샤마니즘과 마니교를 숭배하는 유목민 집단을 모두 지칭하였다

    그 후 위구르족은 신장의 투르판 지역을 중심으로 불교 마니교(744-840). , ,

    네스토리우스 기독교를 믿는 오아시스 정착민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으

    며 위구리스탄 으로 알려진 시기 동안에는(844-932), (Ughuristan) (932-1450)

    투르판 오아시스 지역에 정착했던 원래 불교도 투르크 사회 구성원들을 지칭

    하는 용어로 사용되었고 이후 투르크계 유목민들이 대거 이슬람으로 개종하,

    면서 위구르라는 용어는 인종적으로 투르크계 위구르족 종교적으로 위구르족,

    무슬림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따라서 년까지 위구르라. 1450

    는 용어는 신장위구르 서부지역의 투르크계 무슬림들과 위구르 사회 일반 구

    성원들을 모두 포함하는 용어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세기 중엽 이후. 15

    위구르족은 위구르족 무슬림을 지칭하는 인종적종교적 개념으로 사용되었으․며 세기 말까지 위구르족 무슬림은 회족 무슬림과 동일한 개념으로 통용, 19

    되었다.

    234 30-3韓國中東學會論叢 第 號

    위구르족의 정체성2.

    세기에 불교도 위구르족이 이슬람으로 개종한 후 위구르족의 종교와 문15 ,

    화는 이슬람을 중심으로 유지되었지만 위구르족의 정체성은 세기까지 제, 20

    대로 정립되지 못했다 지금까지 위구르라는 용어는 위구르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투르크계 오아시스 정착민을 지칭하면서 의도적으로 인종적 동질성을

    강조하는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위구르라는 용어가 본격적으로 인종적, ․문화적 의미를 지니기 시작한 것은 년 이래 투르크계 무슬림인 오아시스1450

    지역 정착민들을 위구르로 지칭하면서부터였다 이에 따라 위구르라는 용어는.

    위구르 지역의 다수 인종인 투르크계 주민들을 지칭하는 의미로 확대되었다.

    하지만 이후에도 위구르라는 용어는 강력한 인종적 정체성을 형성하지 못했

    다 왜냐하면 중국 당국과 구소련 당국은 새롭게 정립된 위구르의 강력한 인.

    종적 정체성이 위구르족을 통치하는데 정치적으로 결코 유리하지 않다는 점

    을 인지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특히 중국은 위구르족의 이슬람을 약화시키기.

    위해 이슬람권을 무리하게 종족별로 분리하거나 때로는 동일 종족을 성향에

    따라 분열시키기도 하였다.

    위구르 정체성은 세기 들어 새롭게 정립되기는 했지만 위구르 오아시스20 ,

    지역에 상존하고 있는 문제점은 여전히 해결되지 못했다 현재 위구르인들은.

    오아시스 지역별 문화적 차이를 무시하고 위구르족의 문화적 동질성과 정체

    성 확립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타림분지 주변의 개 오아시스. 6

    에 거주하(Khotan, Yarkand, Kashgar, Uch-Turpan, Yangi-Hissar, Aksu)

    고 있는 위구르족은 강력한 문화적 동질성에 동의하고 있으며 모두 투르크계,

    언어를 구사하고 있다 위구르 민속학자인 니잠딘 유슈윤. (Nizamdin Yüsüyün)

    은 오늘날 위구르에 개 집단7 (Dolans, Lopliks, Abdals, Keriyaliks,

    이 존재한다고 말했Kashgarliks, Turpan & Hami, Kuldjaliks or Taranchi)

    다 이중 타란치족 은 땅 경작자의 의(Rudelson & Jankowiak 2004, 303). (Ili)

    미로서 오아시스에 정착한 투르크인들의 집단이었으며 년까지 별개의, 1949

    인종 집단으로 간주되었다 하지만 이들은 오늘날 위구르족의 일원으로 간주.

    되고 있다 돌란족은 카슈가르 근처 메르키트 지역에 거주하였고 로. (Merkit) ,

  • 위구르족 회족 무슬림의 정체성과 문화접변 양상 연구 황병하:․ 235

    플릭족은 로프 노르 근처에 거주하였으며 압달족은 위구르 남부지(Lop Nor) ,

    역에 거주했던 집시족으로 이슬람의 이단파인 알라위 파를 신봉하였다(Alavi) .

    이와 같이 위구르족의 정체성은 원초적으로 지리적 환경에 의한 문화적 차이

    와 이로 인한 내부적 모순을 안고 있었다.

    위구르족의 동족혼인 관행은 한편으로 오아시스 부족 중심의(endogamy)

    강력한 개별적 혈연중심 체제를 만들어 냈지만 다른 한편으로 오아시스 부족,

    간 광역화된 상호 협력 관계의 발전을 저해하였다 전 세계 투르크계 부족들.

    중 오직 위구르족만이 동족혼인 제도를 유지하고 있다 이로 인해 각 오아시.

    스별 위구르족의 정체성은 비교적 강력하게 유지되고 있는 편이다 하지만 중.

    요한 사실은 오아시스의 개별적 정체성 강화가 단일 정치체제 하의 집단적

    단일화와 상호 협력 체계 구축을 방해하고 있다는 점과 범 위구르 정체성과

    민족주의를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위구르 민족주의 지식인들의 노력

    을 좌절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신장위구르 지역의 지리적 환경이 중국 당국의.

    이 지역에 대한 강경정책을 좌절시키고 있다는 점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

    다 하지만 그 이상으로 위구르족들에게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것.

    또한 사실이다 중국 정부는 수 세기 동안 신장위구르 지역의 지리적 악조건.

    을 극복하고 위구르족의 집단적 정체성 확립을 방지하기 위해 한족 이민정책

    과 경제개발정책 등 다양한 강온정책을 추진해 왔지만 세기의 국내외 정치20

    적 상황으로 별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정부의 위구르족에 대한 인종정책은 청나라 의 정책들과(1644-1911)

    유사성을 지니고 있다 두드러진 특징들 중 하나는 정책의 타깃이 다양한 문.

    화적 전통을 가진 광범위한 위구르족 지역이 아니라 단일의 개별적 전통과

    정체성을 지닌 오아시스 중심의 개별 위구르족으로 한정되었으며 정책의 방,

    식은 상황에 따라 온건 관용 과 강경 불관용 정책을 동시에 취했다는 점이다( ) ( ) .

    청나라는 위구르 이슬람세력이 반정부 폭력 시위를 주도하는 세력으로 등장

    하자 이슬람의 대중적 표현을 강력하게 탄압하는 급진적 방식으로 대응하였

    으며 위구르족 이외의 다른 민족들을 동원하여 이슬람세력을 견제하였다 이, .

    는 중국 공산당이 신장 지역 토착민들을 통제할 때 저항의 여지를 거의 남겨

    두지 않고 강경하게 탄압한 것과 신장의 위구르족 구성 비율을 조정하기 위

    236 30-3韓國中東學會論叢 第 號

    해 한족 이주민을 유입시킨 것과 같은 조치였다 청나라 관리들은 신장위구르.

    지역을 통제하기 위해 만주족 회족 한족 등 중국 중부와(Manchus), , (Hans)

    동부지역 주민들의 신장위구르 지역 유입을 장려하였으며 문화적 다양성의,

    허용과 발전이 신장위구르 지역뿐만 아니라 티베트 등 여러 다른 인종들의

    범 인종적 민족주의 단결운동을 좌절시키는 효과적 방법이라고 생각했다

    (Rudelson & Jankowiak, 304).

    청나라 정책은 범 인종적 저항을 약화시키는 데는 성공하였으나 각 지역,

    의 인종적 불안을 완전히 해소시키는 데는 성공하지 못했다 이로 인해 청나.

    라 정책에 반대하는 위구르 이슬람세력의 소요와 폭동은 년 만주족 정권1911

    이 붕괴될 때까지 지속되었으며 이런 상황은 민족주의 세력이 통치했던 시기,

    에도 마찬가지였다 년 중국 공산당 정권이 우루무치로 입성했을 때 신. 1949

    장위구르 지역은 중국 중앙 정부와 완전히 두절되고 단절된 상태였다 따라서.

    역사적 관점에서 고찰한다면 현재 신장위구르 지역에 존재하고 있는 위구르

    족과 한족 간 인종적 반감과 적대감은 세기 이후 본격화된 중국의 신장위19

    구르 지역에 대한 강경정책과 수세기동안 이 지역을 고립시킨 필연적인 지리

    적문화적 단절에서 그 원인이 찾아져야 한다.․년 이후 중국 공산당 정권은 신장 지역에 대한 통치권을 강화하기 위1949

    해 신장위구르 지역 제 인종 집단 간 내부 갈등을 인위적으로 조장하는 정책

    을 추진하였다 중국 공산당 정권은 신장위구르 지역의 범 위구르 반정부 운.

    동을 저지하기 위해 친 중국 입장을 취했던 신장위구르 지역 소수 민족 카자

    흐족의 목소리를 강화시켰으며 이를 통해 오아시스 중심의 정착 위구르족 대,

    카자흐족 등 다른 소수 유목민 집단 간의 분쟁을 유발시켰다 이는(Ibid, 305).

    청나라가 위구르 이슬람세력에게 취한 정책과 동일한 정책이었다.

    년부터 시작된 중국 정부의 분열과 정복 정책에 대한 신장 위구르족1949

    의 대항 전략은 이슬람을 통한 정체성 회복이었다 이슬람은 위구르족에 대한.

    중국의 분열 정책을 극복할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이었다 특히 년 이란의. 1979

    이슬람혁명이 성공한 이후 중앙아시아로부터 전수된 이슬람원리주의의 이념

    과 정책은 위구르족의 정체성을 인종적 개념에서 종교적 개념으로 전환시키

    는 계기가 되었다 이슬람을 바탕으로 새롭게 정립된 위구르족의 정체성은 서.

  • 위구르족 회족 무슬림의 정체성과 문화접변 양상 연구 황병하:․ 237

    로 다른 문화적언어적 집단들을 통합하는 의미를 담고 있었기 때문에 위구르․라는 용어는 위구르족에게 세력 회복의 중요한 계기를 제공해주었다 이로 인.

    해 대략 토착원주민의 가량이 위구르족으로 정의되었으며 위구르라는95% ,

    용어는 인종적 정체성을 대변해주는 용어로 발전하였다 하지만 중국 공산당.

    정권이 수립된 년부터 지금까지 여 년 동안 위구르족의 정체성은 위1949 60

    구르인 집단 전체에 총체적으로 적용된 것 아니라 일부 가계나 혈통이나 부,

    족 등에 정치적사회적 목적으로 적용되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기 말 이후 위구르족의 정체성은 중국 정부의 인종적정치적사회적20 ․ ․분열과 정복 정책을 극복하고 이슬람을 중심으로 하는 종교적 정체성 확립과

    확산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오늘날 위구르족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요소는 대략 다음 가지로 요약될5

    수 있다 첫 번째는 위구르 인종적 요소이다 모든 위구르인들은 인종적으로. .

    투르크계 위구르라는 정체성을 지니고 있다 두 번째는 이슬람 종교적 요소이.

    다 위구르인들은 모두 이슬람을 믿는 무슬림이라는 정체성을 지니고 있다. .

    세 번째는 투르크 언어적 요소이다 위구르인들은 위구르 지역이 투르크계 언.

    어를 말하는 투르크 제국의 한 부분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네 번째는 오아시.

    스적인 요소이다 카슈가르 투르판 아크수 등지에 거주하고 있는 위구르인들. , ,

    은 자신들만의 독특한 오아시스 문화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다섯.

    번째는 논란의 소지가 있는 중국적인 요소이다 일부 중국문화에 동화된 위구.

    르인들은 자신들을 중국의 시민으로 간주하고 있다 위구르족(Ibid, 117-120).

    의 정체성을 논할 때 위 가지 요소가 통합적으로 단일하게 적용될 수는 없5

    다 그만큼 위구르 지역은 이미 단일성보다는 다양성과 다변성이 존재하는 지.

    역으로 변모하였다 따라서 현대 사회에서 위구르인들은 일부 극단적인 민족.

    주의자들을 제외하고 사회적 관계설정이나 정체성 문제에서 위 가지 요소들5

    중 적절한 항목들을 유리하게 적용하고 활용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위구르의 정체성을 언급할 때 한족이나 중국 정부에 대항하는 위구르족의

    유일한 무기가 이슬람이었다는 주장에는 무리가 따를 수도 있다 왜냐하면 중.

    국에는 이슬람을 믿고 있는 민족이 위구르족뿐만 아니라 회족도 있기 때문이

    다 현재 중국에는 중국어를 구사하는 무슬림 회족들이 만에서 만. 900 1000

    238 30-3韓國中東學會論叢 第 號

    명 정도 살고 있다 회족들은 중국 전역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한족 문화. ,

    에 상당 부분 동화되어 있고 정부로부터 강력한 지원을 받고 있다 일부 위, .

    구르인들은 회족은 엄밀하게 민족이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

    하고 현재 중국 정부는 무슬림 민족을 개로 구분하고 있는데 그중에 회족10 ,

    도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구분은 중국 정부의 위구르 정체성 약화와 위구르.

    족 분열 그리고 위구르족의 한족 문화로의 동화 정책에 유리한 분위기를 조

    성하기 위한 조치였다 결국 신장의 위구르족(Fuller & Lipman 2004, 339).

    무슬림들은 중국의 분열과 정복 정책 이전에는 하나의 집단으로 간주되었으

    나 중국 정부의 의도적 분열 정책으로 위구르족 무슬림들은 위구르족 무슬림,

    과 회족 무슬림으로 구분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일부 위구르인들이 회족을 민.

    족 집단으로 인정하지 않는 것은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다 회족 무슬림의 주.

    장에 의하면 이들은 이슬람을 바탕으로 형성되어 중국의 이슬람역사 초기부

    터 중국의 한족 문화에 동화된 집단이었다 회족과는 달리 위구르족은 종교와.

    언어와 문화 그리고 역사에서 한족과는 별개의 집단이었다 위구르족은 중앙.

    아시아 지역으로부터 종교적 언어적 인종적 영향을 받은 민족들이었다 따라, , .

    서 위구르의 정체성 확립과 한족의 지배로부터 독립을 쟁취하려는 시도에 영

    향을 끼친 요소들 중 이슬람은 여러 요소들 중 하나였으며 언어적문화적지, ․ ․리적 요소도 정체성 확립에 영향을 끼친 부분들이었음을 인정할 수밖에 없다.

    중국 정부의 회족 무슬림 인정은 신장위구르 이슬람에 대한 주요 정책 중 하

    나이다.

    현재 위구르 민족주의 운동에서 이슬람의 역할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지

    만 이슬람을 중심으로 한 위구르 정체성 확립은 점차 강화되고 있다, (Ibid,

    역사적으로 위구르의 민족주의 운동에서 위구르 지식인들은 종교적 분342).

    리보다 민족적 차원에서 분리주의 운동을 전개해 왔다 위구르 지식인들이 민.

    족적 분리주의 운동을 주장하고 있는 배경에는 이슬람이라는 종교적 요인보

    다 위구르족이라는 민족적 요인이 정체성 확립에 더 시급하고 중요하다는 의

    미가 담겨있다 하지만 이들은 현재 이슬람 세계에서 통용되고 있는 중요한.

    정치적 이념인 이슬람 원리주의의 영향력을 간과하고 있는 것 같다 현재 이.

    슬람국가의 대부분에서 정치이슬람은 대중적 저항과 반대운동의 핵심적 이념

  • 위구르족 회족 무슬림의 정체성과 문화접변 양상 연구 황병하:․ 239

    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 연장선상에서 이슬람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는 위구르.

    족 무슬림들은 한족의 지배에 대한 위구르의 저항을 비 무슬림의 지배에 대

    한 무슬림의 민족적 저항운동으로 간주하고 있으며 그 근본이념을 정치이슬,

    람에서 찾고 있다 이로 인해 향후 신장위구르 지역에서 전개될 위구르 민족.

    주의 저항운동에서는 이슬람이 세속적 민족주의 이념보다 더 강력한 구심점

    으로 작용할 것이다 문제는 중국 정부가 이슬람을 근거로 하는 위구르 민족.

    주의 저항운동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느냐에 달려있다.

    결론적으로 향후 위구르 민족주의 운동에서 이슬람은 점차 그 역할을 강화

    해 나갈 것이다 위구르 민족주의 운동의 강도는 한족의 대규모 이주와 맞물.

    려 필연적으로 강해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슬람은 위구르 민족주.

    의 정서와 위구르족 정체성 그리고 민족적 단결력을 강화시키면서 세속적 위

    구르 지식인들에게 선택을 강요하게 될 것이다.

    회족 무슬림의 정체성.Ⅲ

    회족 무슬림의 조상은 중국의 이슬람역사 초기에 아랍이나 페르시아 등에

    서 중앙아시아를 통해 중국의 신장위구르 지역으로 유입된 외국인 무슬림이

    었으며 이들은 이슬람역사 초기부터 중국으로 유입되어 중국 여성들과 상호,

    교류하고 결혼한 후 중국에 정착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회족은 순수하게 초.

    기 아랍인과 페르시아인의 후손들로서 이슬람문화와 교역을 바탕으로 형성되

    어 중국의 한족문화로 동화된 집단을 일컫는 용어임을 알 수 있다.6) 반면에

    6) 회족들은 원나라 때 색목인으로 간주되어 한족보다 더 높은 대접을 받았다 명나라 때.대규모 선단을 이끌고 동남아 인도 중동을 넘어 아프리카 동부 해안까지 항해했던, ,정화 도 회족 출신이다 그의 원래 이름은 마화 였는데 회족들은 이슬람의( ) . ( ) ,鄭和 馬和창시자인 마호메드무함마드 의 성을 따라 마씨 성을 자주 사용하였다 회족들은 명( ) .나라 황제 주원장도 회족 출신이었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그의 용모가 한족의 용모와,달랐으며 그의 아내인 마황후의 성씨가 마씨였다는 점에 근거한 주장이었다 회족들, .의 주 거주지는 닝샤 회족자치구이다 이 지역은 실크로드 상에 위치하고 있다( ) . .寧夏이 지역은 농업과 상업이 발전한 지역으로 천하황허부닝샤 하늘 아‘ ’( :天下黃河富寧夏래 황하의 부는 닝샤에 있다의 지역이다 하지만 이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회족은) .

    240 30-3韓國中東學會論叢 第 號

    위구르족은 회족과는 달리 이슬람 종교와 투르크 언어와 문화 그리고 중앙아

    시아 투르크 역사를 공유하며 신장에 살고 있으면서도 중국의 한족문화에 동

    화되지 않고 있는 별개의 집단이다 위구르족은 중앙아시아 지역으로부터 종.

    교적 언어적인종적 영향을 받은 민족이다· · .

    중국의 무슬림이 초기부터 위구르족 무슬림과 회족 무슬림으로 구분된 것

    은 아니었다 위구르족이 인종적민족적으로 집단을 형성하기 시작한 후. 8C ·

    년 경 위구르족 무슬림이 등장할 때까지 위구르족 무슬림과 중국화 된1450

    회족 무슬림은 그저 위구르 무슬림 또는 중국 무슬림일 뿐이었다 이후에도.

    위구르족 무슬림과 회족 무슬림의 구분은 분명하지 않았으며 이슬람문화와,

    종교를 공유하는 중국 신장위구르 지역의 무슬림일 뿐이었다 중국의 역사에.

    서 위구르족과 회족은 동일한 개념으로 간주되었기 때문에 청나라 이전까지

    의 역사에서 위구르족과 회족을 구분하는 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었다.7) 하지

    만 청나라는 세기 말 신장위구르 지역의 위구르족 무슬림들을 제압하고 신19

    장위구르 지역을 중국 영토로 편입하는 과정에서 중국어를 구사하며 한족 문

    화에 동화된 신장위구르 지역 주변의 회족 무슬림 집단을 활용하였으며 이후,

    이 지역에서는 정치적문화적 이유로 위구르족 무슬림과 회족 무슬림이 구분․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종교적으로 두 집단은 여전히 이슬람을 따랐으며 사. ,

    상적으로 년 한족의 대규모 이주 사건과 년 이란의 이슬람혁명 성1949 1979

    공과 이슬람원리주의의 유입 이후 보수적 입장을 공유하고 있다.

    전체 만 명 중 만 명에 불과하다 이는 닝샤 자치구 전체인구 만 명981 211 . 610 (2008년 기준 의 에 불과하다 현재 이 자치구 내에는 이주한 한족들이 가장 많이 거) 35% .주하고 있다 회족들은 아랍상인의 후예답게 중국 대륙 전체에 흩어져 살고 있다 닝. .샤 자치구 내에는 개의 칭전스 모스크 가 있으며 여명의 이슬람3300 ( : ) , 4000淸眞寺종교지도자인 아홍 이맘 과 명의 이슬람 성직자 겸 스승인 만라물라( : Imam) 6000 ( :

    들이 있다 주간조선Mullah) ( 2009, 73).

    7)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위구르라는 명칭의 기원은 남북조북위 시대에 가오체천막( ) (을 옮기기 위해 소가 끄는 수레 고차 고거 수나라 때 위흘 당나라 때 회흘; , ), ( ),魏紇

    또는 회골 빠르기가 매와 같다 송나라와 원나라 때의 외오아이며 위( ) ( : ), ,回紇 回鶻구르족이 회족으로 불리게 된 배경은 당나라 때 이들을 회홀 또는 회골로 부른데서찾을 수 있다 일부에서는 이슬람교 를 지칭하는 한자 회 는 이슬람 성지 메. ( ) ( )回敎 回카에 있는 정사각형 카으바 주위를 도는 신도들을 상징한다고 말하고 있는데 회족이,라는 용어의 등장 시기 및 배경과 회교라는 용어의 등장 시기 및 배경은 차이가 나기 때문에 역사적 사실에 근거한 주장은 아니다.

  • 위구르족 회족 무슬림의 정체성과 문화접변 양상 연구 황병하:․ 241

    중국 신장위구르의 북서부 지역에 주로 거주하고 있는 회족의 인종적종교․적 정체성은 아랍과 페르시아 등 아랍이슬람 지역으로부터 전해진 이슬람 전

    통과 불가분의 관계를 지니고 있다 신장위구르 지역에서 회족은 인종적 정체.

    성뿐만 아니라 종교적 정체성으로 단결과 단합을 이루고 있는데 이는 이슬람,

    이 회족의 정체성 확립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이다 최근 신.

    장위구르 지역에 등장하고 있는 이슬람의 부흥과 생활방식의 강화 현상은 중

    국 정부의 사회적경제적 강경정책에 대한 무슬림 회족의 인종적종교적 대응․ ․도 한 몫을 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년대 말 중국 신장위구르 지역의 무슬림은 약 천만 명에 달했으나1990 2 ,

    정부 당국에 의해 임의로 개 소수 집단으로 분산되었다 이중 가장 대규가10 .

    큰 집단은 각각 백만 명 이상에 달했던 회족 집단과 위구르족 집단이었다8 .

    회족이 위구르족 등 다른 무슬림들과 달랐던 점은 그들은 살고 있는 지역에

    서 중국어를 사용하고 중국 문화에 일정 정도 동화되었다는 점이다 하지만.

    회족을 제외한 나머지 개 집단들은 중국에 살면서도 투르코 알타이어 또는9 -

    인도 유럽어 등을 차용하고 있다 결국 회족이 나머지 개 집단과 구분되는- . 9

    이유는 종교적 차이가 아니라 바로 언어 문제 때문이었음을 알 수 있다.

    회족 무슬림들은 중국 전역에 널리 퍼져있지만 나머지 개 집단은 신장위, 9

    구르의 북서부 지역과 칭하이 그리고 깐수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년에, . 1982

    처음으로 실시된 인구통계조사에 의하면 회족들은 중국의 전체 행정구역 중

    인 개 행정구역에 거주하고 있었지만 개 행정구역에는 무슬림97% 2,372 , 64

    회족들이 전혀 거주하고 있지 않았다 전체 회족들 중 은 신장의 닝샤 지. 1/6

    역에 거주하고 있었다 그 다음으로 회족이 많이 살고 있었(Gross 1992, 91).

    던 지역은 헤난 이었다(Henan) .

    무슬림 회족들은 중국 전역에 널리 퍼져 있었기 때문에 회족의 정체성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작업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중국 전역에서 한족 문화.

    와 함께 살고 있었던 회족의 정체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중국의 이슬람이라

    는 일반적인 틀로 접근하기 보다는 중국 한족의 거대한 공동체 속에서 하나

    의 외로운 섬으로 살고 있는 무슬림 회족의 독특한 삶의 방식에 대한 이해라

    는 특별한 틀로 접근해야 한다.

    242 30-3韓國中東學會論叢 第 號

    년 이란 이슬람혁명 이전까지 무슬림 회족들은 중국의 한족들 틈에서1979

    정체성에 대한 특별한 고민이나 문제없이 중국인의 일원으로서 중국 한족 문

    화에 동화하면서 비교적 평온하고 안정적인 삶을 살고 있었다 하지만. 1979

    년 이란의 이슬람혁명 성공 이후 전통보수주의 이슬람과 급진적 성향의 이슬

    람이 중앙아시아로부터 중국의 무슬림들에게 전달되기 시작하였다 이는 회족.

    들에게 무슬림의 정체성을 고민하게 만드는 계기가 되었다 그동안 한족과 회.

    족이 한 마을에서 공동체를 형성하며 협력관계를 유지했던 사회적 분위기는

    년 이후 점차 변하기 시작했다1979 .

    년 이후 무슬림 회족들이 집단적으로 거주하고 있던 지역에서는 이슬1979

    람의 전통적 보수주의 성향이 점차 강화되었다 이들의 변화는 식생활에서 이.

    슬람의 깨끗함과 청결을 유지하려는 노력에서 목격되었다 이슬람의 할랄.

    허용 에 해당하는 이슬람식 생활방식 청(halal: ) ‘qing zhen'(pure and true:

    진 을 유지하기 위해 초대를 받아 중국 한족의 가정을 방문하는 회족들은 거)

    의 대부분 해바라기 씨나 과일만을 요구하였다 이슬람 음식문화의 청결 유지.

    에 대한 보수적 입장과 점증되는 이슬람식 식습관의 유지 노력은 회족과 한

    족 사이의 상호 교류와 의사소통을 제약하고 접촉을 제한하는 요인이 되었다.

    년 이후 무슬림 회족들의 종교적 활동 강화와 보수주의적 생활방식1979

    유지는 년 중국 공산당의 종교제도 개혁조치 이후 폐쇄되었던 모스크에1958

    활기를 불어넣었으며 제한된 종교 활동에도 활력을 제공하였다 이후 무슬림, .

    회족 사회에는 다양한 변화들이 일어났다 그중 가장 대표적인 변화는 예배에.

    참석하는 무슬림 숫자의 증가 이슬람 종교의식의 철저한 준수 그리고 이슬, ,

    람 교육의 강화였다 년 이후 모스크 합동예배에 참석하는 무슬림의 숫. 1979

    자는 점차 증가하였으며 라마단 단식 기간 동안 각 무슬림 가정에서는 적어,

    도 명 이상이 단식을 하였다1 (Ibid, 93).

    교육적 측면의 변화는 이슬람 교육기관인 마스라사 교육의 활성화였다.

    년 이후 공립학교 입학생 수는 감소한 반면 모스크에 딸려 있는 코란을1979 ,

    가르치는 사립 마드라사에 입학하는 학생 수는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무슬림.

    회족의 아이들은 학교 공부보다 집이나 모스크에서 코란을 공부하였다 이러.

    한 현상은 중국 공산당 간부들에게 종교적으로 매우 민감한 사안으로 간주되

  • 위구르족 회족 무슬림의 정체성과 문화접변 양상 연구 황병하:․ 243

    었다 하지만 무슬림 회족 아이들이 공립학교보다는 모스크 부설 코란학교를.

    선택하는 현상은 더욱 두드러졌다 년에 중국 이슬람의 작은 메카로 알. 1982

    려진 깐수성 헤조우 에서는 공립학교 학생 수의 비율이 에서(Hezhou) 78%

    이하로 떨어졌다 무슬림 회족들이 자식들을 공립학교에 보내길 주저한50% .

    이유는 중국어나 영어 등 주요과목을 공부해 봤자 그 가치를 제대로 인정받

    지 못하고 미래의 희망도 뚜렷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학교교육을 마친 무슬림.

    회족들은 한족들에 비해 직업을 얻을 수 있는 기회가 현저히 낮았다(Ibid,

    회족들에게는 공교육보다 농업 수공업 등 가업에 종사하거나 코란과 아95). ,

    랍어를 공부하여 이슬람관련 직업이나 이맘이 되는 것이 훨씬 유리했다.

    중국 문화혁명 기간 동안 대중적 인기를 끌었던 담배와 음주는 년 이1979

    후 회족 사회에서 금지되었으며 회족 여인들은 히잡을 쓰도록 요구받았고, ,

    젊은 남녀의 만남은 엄격하게 제한되었다 한편 한족들과의 결혼은 엄격하게.

    제한되었으며 일단 회족과 결혼한 한족 여성은 무슬림으로 개종해야 했,

    다 중국 사회 내에서 무슬림의 숫자가 증가한 원인은 한족의 개종.(Ibid, 96).

    에서 기인한 것이 아니라 무슬림의 이주와 상호결혼관습에서 기인한 것이었

    음을 알 수 있다.

    무슬림 회족 사회의 보수주의화에 대한 중국 당국의 반응은 신중했다 회.

    족들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의 중국 당국은 과거와 같은 강압적 조치를 취하

    기보다는 회족 사회의 장점을 인정하는 편이었다 하지만 중국 당국은 여전히.

    회족 사회의 종교적 원리주의 현상을 걱정하였으며 등소평 이후 중국 공산당,

    의 년 작업이 불과 수년 만에 물거품으로 변하는 것에 충격을 받았다 중30 .

    국 당국은 회족들에게 이슬람 전통에 근거한 회족의 인종적 관습 유지를 허

    용하였고 종교와 민족성을 별개의 문제라고 주장하였지만 회족들은 두 개념, ,

    을 결코 별개의 개념으로 간주하지 않았으며 이슬람은 회족들의 정체성 확립,

    에서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244 30-3韓國中東學會論叢 第 號

    위구르족 무슬림과 회족 무슬림의 갈등.Ⅳ

    신장위구르의 이슬람문화는 단일 민족의 문화가 아니라 두 민족의 혼합문

    화 형태를 띠고 있다 이로 인해 신장의 위구르족 이슬람문화는 모스크 건축. ,

    종교의식 언어 그리고 교육 등에서 회족 이슬람문화와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는 신장 지역의 이슬람문화가 종교 분파뿐만 아니라 인종에 따라서.

    다양한 모습을 띠고 있다는 의미이다 위구르족 무슬림과 회족 무슬림 사이의.

    차이점은 모스크 형태 등 건축예술과 언어교육 문제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목

    격되고 있다.

    신장위구르 지역의 모스크 형태는 종교적 분파나 수피 종단에 따라 구분되

    는 것이 아니라 인종과 민족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있다 중국의 모스크 형태.

    를 살펴보면 크게 위구르족의 모스크와 회족의 모스크로 구분된다 위구르족.

    의 모스크는 중앙아시아 오아시스 지역의 모스크 형태를 따르고 있지만 회족,

    의 모스크는 청나라 시기부터 중국 불교사원의 스타일을 따르고 있다 중앙아.

    시아 오아시스 지역의 모스크 형태를 따르고 있는 위구르족의 모스크는 햇볕

    에 말려 만든 어도비 벽돌 외벽 타일 돔 그리고 작지만 두드러진 첨탑 등, ,

    전통적인 이슬람 모스크의 형태를 갖추고 있다 회족은 위구르족의 모스크를.

    방문하지 않고 위구르족은 회족의 모스크를 방문하지 않는다 위구르족은 회, .

    족을 무슬림이라기보다는 중국인들이라고 간주하고 있으며 회족은 위구르족,

    을 후진적이고 봉건적인 사람들이라고 간주하고 있다.

    세기까지 신장 지역에서 투르크계 언어를 구사하는 사람들의 대부분은20

    투르크어 하나만을 말하거나 문맹자들이었다 이들 중 읽고 쓸 줄 아는 사람.

    들은 이슬람 종교학교인 마드라사에서 아랍어나 페르시아어를 공부한 사람들

    이었다 년대까지 신장지역 주민들 중 일부 엘리트 계층만이 중국어 러. 1950 ,

    시아어 영어 등 국제 언어를 공부하였다 이러한 분위기는 현대로 접어들면, .

    서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다 현재 위구르인들은 학교에서 중국어를 공부하고.

    있으며 중국어 습득을 사회적 발전과 능력 발휘의 필수조건으로 간주하고 있,

    다 하지만 여전히 상당수의 위구르인들은 중국어를 위구르 문화에 대한 식민.

  • 위구르족 회족 무슬림의 정체성과 문화접변 양상 연구 황병하:․ 245

    주의 언어의 산물로 간주하고 있다.

    현재 신장위구르 지역의 모스크와 사립 종교기관에서는 위구르 청소년들에

    대한 교육 문제가 뜨거운 이슈로 등장하고 있다 이 문제는 위구르 정체성 확.

    립을 위한 위구르 언어교육과 이슬람 교육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위구르인들.

    은 자식들이 이슬람의 언어인 위구르어를 습득하지 않고 어떻게 이슬람의 전

    통을 유지할 수 있는가에 의문을 가지고 있다 현재 중국식 교육과정을 이수.

    하고 있는 위구르 학생들은 위구르인도 아니고 무슬림도 아닌 상태로 남아

    있다 중국식 고등교육을 받고 성공한 많은 위구르인들은 위구르 언어를 거의.

    구사하지 못하며 일부는 전혀 읽지도 못하고 있다 이들은 중국식 교육을 통, .

    해 중국에 완전히 경도되어 있기 때문에 위구르의 전통적인 이슬람 생활방식

    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위구르 민족주.

    의자들에게는 매우 비극적인 상황이었다.

    위구르족 무슬림과 회족 무슬림의 한족 문화접변 양상.Ⅴ

    위구르족 무슬림의 문화접변1.

    현재 위구르족 무슬림들은 신장위구르 지역이 중화인민공화국에 의해 식민

    지 상태에 있으며 이 지역의 문화는 중국 정부에 의해 말살되고 있고 자원, ,

    은 착취당하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하지만 이 지역의 현재 상황에 대한 위와.

    같은 도식적 인식은 신장위구르 지역의 토착민들이 중국 정부의 도전을 어떤

    방식으로 대응하였는가를 파악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주고 있다 사실 신장위.

    구르 지역의 정착민들은 중국 정부의 한족 이주정책이나 산아제한정책 등 강

    경정책에 대해 적극적 저항에서부터 부분적 수용까지 다양한 스펙트럼을 보

    여주고 있다 문제는 이들의 반응이 결코 통합된 단일 형태로 나타나지 않는.

    다는 데 있다 신장위구르 지역 토착민들의 정체성 확립 노력과 중국 정부의.

    정책에 대한 대응 전략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이들의 정체성이 인종적지․

    246 30-3韓國中東學會論叢 第 號

    리적종교적언어적 요인으로 다양성을 띠고 있었으며 원래부터 강력한 것이,․ ․아니었고 유동적이었음을 인지해야 한다.

    년 이래 중국 정부는 한족의 이주정책과 경제지원정책 등 다양한 방1949

    식을 통해 신장위구르족의 정체성을 약화시켜 왔다 중국 정부의 정책에 대해.

    신장위구르 민족들은 사회적종교적경제적 입장에 따라 문화적 수용과 소극적․ ․저항 그리고 적극적 저항 등 다양한 반응을 보여주었다.

    문화접변 또는 문화변용 의 측면에서 신장위구르 지역의 주(acculturation)

    류 문화인 위구르 문화는 중국 문화의 유입과 접촉으로 이주 문화인 중국 한

    족 문화에 접변 또는 변용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일부 위구르족 지식인들과.

    회족 등 신장위구르 민족들 중 일부는 중국 정부의 정책에 대한 신뢰를 바탕

    으로 중국 문화를 적극적으로 또는 소극적으로 수용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신장위구르 지역에 대한 경제적 지원과 중국어 우위정책을 바

    탕으로 위구르족을 중국 사회로 편입시키는 문화접변 현상이 일어나기를 기

    대하고 있다 위구르족의 중국 문화로의 접변 현상은 일부 위구르 지식인들과.

    청년들에게서 목격되고 있다 이들은 경제적 이유 때문에 중국 사회로 쉽게.

    편입되었으며 중국어와 세속적 교육을 받은 위구르 청소년들은 중국 사회에,

    서 공정한 경쟁을 거쳐 중국 사회로 동화되고 있다 년부터 시작된 중국. 1978

    의 교육개혁정책은 년경 신장으로 확대되었으며 교육을 통한 위구르족1985 ,

    의 중국 문화접변 현상은 점차 확대되었다 하지만 중국의 한족 이주민들과.

    일부 위구르 지식인들을 통해 진행되고 있는 위구르족의 중국 문화접변 현상

    은 원초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다 위구르족은 중국 정부에 의한 문화접변 현.

    상이 가속화되는 과정에서 위구르족의 언어와 전통문화가 점차 상실되고 있

    다는 사실을 목격하였으며 한족의 집단 이주로 한족과 위구르족의 혼인이 확,

    대되면 문화적 붕괴와 문화탈락현상이 현실화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위구르족은 중국의 소수 민족들 중 가장 보수적인 문화전통 즉 이슬람 문,

    화전통을 유지하고 있다 위구르인들은 비록 도시에서 중국어를 구사하는 일.

    부 지식인들이 한족 동료들과 친분관계를 유지하며 문화접변 현상을 보여주

    고 있지만 이러한 현상이 공개적인 상호 혼인관계까지 확대되지는 않을 것으,

    로 믿고 있다 한족과 회족 사이의 문화접변 현상과는 달리 한족과 위구르족. ,

  • 위구르족 회족 무슬림의 정체성과 문화접변 양상 연구 황병하:․ 247

    은 실질적으로 결코 결혼을 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위구르족은 이슬람의 관습.

    을 따르기 때문이다 이슬람은 한족과의 결혼 자체를 문화적 금기로 간주하고.

    있다 윌리엄 클락 에 의하면 년 현재 신장 지역에서. (William C. Clark) 1999

    목격되고 있는 한족과 위구르족 사이의 혼인관계의 사례는 거의 존재하지 않

    았다(William 1999, 99).

    중국 정부는 경제적 지원이라는 온건정책으로 한족의 이주라는 강경정책으

    로 야기되고 있는 위구르족의 불만과 반발을 무마시키려 하고 있다 하지만.

    위구르족은 한족의 이주를 년 이래 신장 지역 토착민들이 직면하고 있는1949

    가장 커다란 도전으로 간주하고 있다 년대부터 년대 중반까지 계. 1950 1980

    속된 한족의 이주정책은 중국의 대표적인 강경정책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현,

    대 위구르 민족주의가 발생하게 된 가장 중요한 요인이었다 현재 위구르족의.

    정체성 확립 의지는 한족의 유입에 대한 직접적 반발로 해석되고 있다. 1985

    년까지 중국 정부는 위구르족의 비난이나 반대의 목소리를 공개적으로 차단

    하였다 년과 년 사이에 비교적 온건한 정책들이 추진되면서 위구. 1985 1989

    르족은 비로소 자신들의 고통을 토로할 수 있었다 이 시기에 위구르족은 중.

    국의 강경정책에 대해 폭력에 의지하기 보다는 비폭력 저항으로 맞섰다.

    년 중국 정부는 신장에 대한 새로운 온건정책을 추진하였지만 상당수1985 ,

    위구르 지식인들은 이미 신장 지역에 대한 위구르의 통치가 힘들다는 점을

    알고 있었다 중국 정부의 강경정책이 오아시스 거주 위구르인들의 결속력을.

    약화시켰다면 온건정책은 범 위구르 민족주의 운동을 약화시켰다 중국의 강, .

    경정책에 맞서 대부분의 위구르인들은 비폭력적 수단으로 저항하였으며 전국,

    적으로 강경투쟁과 저항을 주창한 일부 위구르 지식인들은 중국 당국에 의해

    투옥되거나 감금을 당했다 중국의 문화에 동화된 많은 위구르 지식인들은 종.

    교적으로 반 이슬람 입장을 취하고 있으며 서구식 과학과 교육만이 위구르를,

    발전시킬 수 있다는 현실적 세속주의 입장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의.

    견해는 오아시스 거주 이슬람 보수주의자들에 의해 중국 정부의 정책에 대한

    일종의 편들기로 간주되고 있다.

    위구르족이 결속되지 못하고 분열상을 보이는 배경에는 위구르 지식인들의

    친 중국적 행동만 있는 것이 아니었다 보다 근본적인 이유는 대부분의 역사.

    248 30-3韓國中東學會論叢 第 號

    과정에서 정치적으로 위구르인들이 결속력을 발휘하지 못했으며 지리적사회, ․적경제적으로 조금씩 입장을 달리 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로 인해 위구.․르족은 중국의 강경정책에 효율적으로 대응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년 사태 후 중국 정부는 위구르족 극단주의 저항운동단체들을2001 911․분쇄한 후 공식 발표를 통해 년부터 년까지 신장 지역에서 여1990 2001 200

    차례 이상의 테러 활동이 전개되었으며 이로 인해 명이 사망하였다고 말, 162

    했다 위구르 저항운동단체는 이슬람원리주의와 위구르 민족(Hutzler, 2001).

    주의 세력이 주도하였다 하지만 이들의 공격은 중국 정부의 강경한 억압과.

    탄압만을 유발할 뿐 중국 정부로부터 구체적인 해결 방안을 제시받지 못했다.

    중국 정부의 강경정책과 무자비한 탄압은 위구르인들의 좀 더 적극적인 폭력

    저항운동으로 이어졌으며 때로 중국 정부에 심각한 딜레마로 돌아왔다 중국, .

    당국은 이슬람을 신장 지역에서 위구르인들이 겪고 있는 사회적정치적 좌절․감의 분출 수단으로 간주하지 않았고 오히려 이슬람 자체를 이러한 좌절감의

    근본 원인으로 간주하였다.

    위구르족의 폭력적 저항운동은 중국 당국의 강경 진압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었다 년 월 중국 당국은 위구르족의 이슬람 운동에 대해 대. 1990 4

    대적인 탄압을 감행하였다 이 사건으로 카슈가르 근처의 바렌 에서는. (Baren)

    중국 경찰과의 충돌과정에서 천명의 위구르인들이 사망하였다 이 사건은 서3 .

    방 언론에 의해 또 다른 중국 이라고 표현되기도 하였다“ ”(The Other China)

    이 사건에 대해 위구르인들은 중국 정부가(Rudelson & Jankowiak, 316).

    대중적 인기를 얻었던 위구르 물라 종교 지도자 를 제거한데서 그 원인을 찾( )

    은 반면 중국 당국은 위구르인들이 중국인 산아제한 담당 관리를 공격한데서,

    그 원인을 찾았다 바렌 사건의 발생 이후 중국 당국은 이슬람 종교를 위구르.

    족 저항의 근원이자 도구로 간주하기 시작했다.

    위구르족의 저항운동과 분리주의 운동에 대해 중국 정부는 내부에서 원인

    을 찾기보다 외부에서 그 원인을 찾았다 중국 정부는 위구르족의 종교적인. ․종적 저항운동이 중국 당국의 위구르인들에 대한 정책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

    라 중앙아시아의 신생국가들로부터 신장 지역으로 유입된 세력들과 아라비아

    반도 이슬람국가에서 유입된 조직에 의해 조장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신장위.

  • 위구르족 회족 무슬림의 정체성과 문화접변 양상 연구 황병하:․ 249

    구르 지역에서 중국 정부의 타도 대상은 위구르 분리주의와 불법적인 종교

    행위들이었다 하지만 위구르인들의 저항운동은 소규모 원리주의(Ibid, 317).

    조직 형태로 진행되었으며 중심 세력이 존재하지 않았다 더욱이 신장 지역, .

    의 분리주의 저항운동은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점차 계획적으로 조직화되

    고 과격화되는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이는 중국 정부로서는 커다란 위협이었.

    다 왜냐하면 중국 정부는 위구르인들의 저항 능력과 규모와 목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년 테러사건 이후 탈레반과 알카에다에 대한 전쟁이 본격화되면2001 911․서 중국 정부는 신장 지역에 대한 억압정책을 더욱 강화하였다 중국 정부는, .

    미국의 대 테러전쟁 분위기를 활용하여 신장 지역에 대한 반테러 진압작전을

    확대하였다 년 중국 정부는 신장 지역과 중국 전역에서 활동 중인 개. 2002 8

    위구르 테러단체를 공개하였다 이중 동 투르키스탄 이슬람운동. (The Eastern

    동 투르키스탄 이슬람당Turkistan Islamic Movement; ETIM), (The

    알라의 동 투르키스탄 이슬람당Eastern Turkistan Islamic Party), (The

    이슬람개혁당Eastern Turkistan Islamic Party of Allah), (The Islamic

    그리고 이슬람 전사들 개Reformist Party) (The Islamic Holy Warriors) 5

    단체는 종교관련 단체들이었으며 동 투르키스탄 국제운동, (The Eastern

    과 동 투르키스탄 해방조직Turkistan International Movement) (The

    그리고 위구르 해방조직Eastern Turkistan Liberation Organization) (The

    은 좀 더 세속적인 성격의 정치조직들이었Uyghur Liberation Organization)

    다 년 미국과 중국 그리고 유엔은 위 개 단체들 중 을 무장조직. 2002 8 ETIM

    으로 간주하여 국제테러조직의 명단에 올려놓았다 은 년 바렌 사. ETIM 1990

    건 이후 위구르 저항운동을 시작하였다 이 당시 평화롭게 시위하던 학생들에.

    게 중국 당국이 무력을 사용하여 강경한 탄압을 감행하자 위구르족 행동주의

    자들은 파키스탄의 종교학교 마드라사로 피신하였으며 여기에서 을 설, ETIM

    립하였다 중국 당국은 은 년 초부터 신장 지역으로 무기와 요원들. ETIM 1998

    을 보내고 있는 오사마 빈 라덴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간주했다(Ibid,

    전해지는 바에 의하면 아프가니스탄에서 생포되어 관타나모 수용소로318).

    보내진 알카에다 요원들 중 적어도 명은 출신 위구르인이었다2 ETIM (Human

    250 30-3韓國中東學會論叢 第 號

    Rights Watch 2005, 15).

    현재 위구르족은 중국 정부의 위구르족에 대한 문화접변 정책의 수행으로

    양분 양상을 보이고 있다 전통적인 보수적 이슬람문화를 준수하고 있는 오아.

    시스의 위구르인들은 중국의 문화접변 정책에 반대하고 있는 반면 도시의 위,

    구르인들은 빠르게 한족 문화로 동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중국어를 구사.

    하는 위구르인들은 구사하지 못하는 위구르인들에 비해 종교적으로 덜 보수

    적이다 이로 인해 위구르인들 사이에서는 중국어를 구사하는 능력 자체가 세.

    속 사회에서 한족들과 더 많은 접촉을 가질 수 있는 기회의 의미로 간주되고

    있다 하지만 도시 거주 위구르인들의 한족 문화 동화 노력에 비해 한족들의.

    위구르 문화 이해 노력은 너무 빈약한 것 같다 왜냐하면 도시 거주 위구르인.

    들은 중국어를 구사할 수 있는데 반해 신장 거주 한족들은 거의 위구르어를

    구사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우루무치에 거주하면서 중국어를 구사하.

    는 위구르인들은 다른 위구르인들로부터 경멸적 비난을 받고 있다(Rudelson

    & Jankowiak, 313).

    중국 한족 문화로의 문화접변에서 비교적 적극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는 도

    시 거주 위구르인들이 가지고 있는 최고의 딜레마는 교육문제이다 문화접변.

    과 관련하여 오늘날 위구르인들이 가지고 있는 최대의 고민은 자식들을 중국

    어 사용 학교로 보낼 것인가 아니면 위구르어 사용 학교로 보낼 것인가의 문

    제이다 위구르 지식인들은 중국어 사용 학교에서 교육을 받으면 위구르족의.

    힘과 능력이 강화될 것이라고 믿고 있다 하지만 이들의 주장은 위구르 문화.

    와 언어를 준수해야 민족적 경쟁 능력을 가질 수 있다는 보수주의자들에 의

    해 도전을 받고 있다 이러한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위구르인들은 사.

    내아이는 중국어를 사용하는 학교로 보내고 여자아이는 위구르어를 사용하는,

    학교로 보내는 절충방법을 택하고 있다.

    회족 무슬림의 문화접변2.

    회족은 위구르족과는 달리 중국의 한족 문화에 비교적 쉽게 동화하고 있

    다 중국 정부의 입장에서 변방의 소수 민족 중 한족 문화로 접변과 변용이.

  • 위구르족 회족 무슬림의 정체성과 문화접변 양상 연구 황병하:․ 251

    일어난 가장 이상적인 민족은 회족이었다 비 투르크 계통으로 중국어를 구사.

    하는 무슬림인 회족들은 정치적 측면에서 세기 중엽 이후 신장 지역으로19

    완전히 편입되었다 이들은 현재 신장 지역의 한족과 위구르족 사이에서 중간.

    적중재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 위구르족은 회족을 타우즈 수박 라는. (tawuz: )․경멸적 용어로 부르고 있다 왜냐하면 회족은 어떤 문제에서는 한족의 편을.

    들고 어떤 문제에서는 위구르족의 편을 들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위구르족, .

    은 회족이 겉으로는 무슬림 상징적으로 녹색 인 척하지만 속으로는 공산당원( )

    상징적으로 홍색 이라고 비난하고 있다( ) (Ibid, 310).

    위구르족과 회족 사이의 적대적 관계 역사는 청나라로 거슬러 올라간다.

    청나라는 신장의 위구르족을 정복하기 위해 회족 군대를 동원하였으며 이후,

    중국 공산당 정권은 신장위구르족을 통치하기 위해 무슬림이면서 중국어를

    구사하는 회족 관리와 군대를 활용하였다 중국 정부의 입장에서 회족은 신장.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중요한 중개자였다 왜냐하면 회족은 위구르족과 통할.

    수 있는 이슬람을 종교로 가지고 있었으며 중국 정부와 통할 수 있는 한족의,

    중국어를 사용하였기 때문이다.

    신장에서 위구르족과 근접거리에 거주하고 있는 회족들은 중국어와 위구르

    어를 동시에 구사하고 있다 이들은 위구르족의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데 위. ,

    구르 학교에서 중국어를 가르치는 회족 교사들은 중국 정부의 문화적 관용의

    한 단면을 보여주고 있으며 사회적으로 성공한 대표적인 본보기로 간주되고,

    있다 중국 한족 문화에 동화된 회족들은 중국의 충실한 시민임과 중국의 문.

    화적 전통에 대한 자부심 그리고 세계 속의 중국의 역할 등을 강조하고 있다.

    회족의 한족 문화접변은 회족과 위구르족 사이의 관계를 악화시키고 있다.

    이로 인해 현재 신장 지역에서는 위구르족과 회족과 한족들이 별개의 집단으

    로 존재하고 있다 가정과 모스크와 식당에도 인종적 경계와 장벽이 존재하고.

    있다 세 인종 사이의 가시적인 사회적 경계는 겉으로 드러나 있지 않지만. ,

    인종 간 문화적종교적경제적 경계와 견제는 현재 진행형으로 진행되고 있다.․ ․위구르족은 회족 식당에서 식사는 하지만 회족 식육점으로부터 고기는 사지

    않는다 왜냐하면 위구르족은 회족의 할랄 허용 고기와 정직성을 신뢰하지. ( )

    않기 때문이다 음식에 대한 선호도는 위구르족과 회족과 한족 사이의 문화적.

    252 30-3韓國中東學會論叢 第 號

    차이와 경계를 설정하는 주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는 왜 한족이 위구르족.

    식당에서 식사를 하지 않고 왜 위구르족이 회족 식육점에서 고기를 사지 않,

    는가에 대한 해답을 제시해주는 대목이다.

    한족과 회족은 모두 중국어를 구사하기 때문에 서로 교류가 잦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실상을 그렇지 않다 왜냐하면 일부 한족들은 회족이 무슬.

    림이기 때문에 언젠가는 한족을 배신하고 위구르족의 편을 들 것이라고 생각

    하기 때문이다 위구르족은 회족과 같은 무슬림이지만 회족이 언젠가는 위구. ,

    르족을 배신하고 동일한 언어를 사용하고 동일한 문화를 공유하고 있는 한족

    의 편을 들 것이라고 두려워하고 있다 위구르족과 회족 사이의 상호 불신과.

    경계심은 중국 정부가 원하는 회족의 중개자적 역할과 위구르족의 중국 문화

    로의 접변 또는 동화에 결코 긍정적으로 작용하지 못하고 있다 회족이 중국.

    한족 문화에 완전히 동화되고 문화접변을 이루는 데는 약 내지 년이700 800

    걸렸다 하지만 현재의 상황을 감안할 때 위구르족의 한족 문화로의 접변과.

    동화는 더 오랜 기간이 걸리거나 아예 불가능할 지도 모른다 역사적으로 중.

    국이 회족을 중국인으로 인정한 것은 세기 명나라 시기였다15 (Ibid, 311). 7

    세기부터 중국으로 유입되기 시작한 회족 무슬림들은 중국인들과 혼인관계를

    맺은 후 중국에 정착하고 중국 문화에 동화되었지만 세기 중반 이후의 정, 20

    치적 상황을 고려해 볼 때 중국 정부의 회족 무슬림에 대한 문화 동화 노력

    에는 적신호가 나타나고 있다 또한 세기 이후 중국 역사를 통해 드러난. 19

    위구르족과 회족의 갈등 관계를 통해 짐작할 수 있는 사실은 위구르족이 한

    족이나 회족과 결혼할 가능성은 거의 없으며 상호 소통을 통한 위구르족과,

    회족 사이의 화해 가능성도 부정적이라는 점이다.

    결론.Ⅵ

    지금까지 중국 당국은 신장을 중국으로 편입시키기 위한 야심찬 계획과 정

    책을 수립하였다 가장 대표적인 정책은 신장 지역으로 한족의 대규모 이주정.

  • 위구르족 회족 무슬림의 정체성과 문화접변 양상 연구 황병하:․ 253

    책과 경제발전 정책 그리고 이슬람 탄압정책이었다 년대 초 중국의 정. 1990

    책 입안자들은 신장위구르 지역의 경제 발전이 위구르 민족주의분리주의 운․동을 약화시키고 국가적 통합을 이룰 것이라고 확신했다 현재도 중국 정부는.

    신장위구르 지역으로의 중국인 노동력 이동과 이주가 정치적 통합과 불안 요

    인 제거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대규모 한족 이주는 인구.

    구성 비율의 불균형과 경제적 이득의 불공평한 분배를 야기하여 신장위구르

    의 반발을 불러 일으켰으며 결국 정치적 긴장관계를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 .

    결론적으로 위구르족의 정체성 회족의 정체성 그리고 한족 문화에 대한,

    위구르족 및 회족의 문화접변과 저항 양상에 대한 고찰을 통해 현재 신장위

    구르 지역의 이슬람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점을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중국 한족의 대규모 이주는 신장위구르의 이슬람을 급격하게 위협하,

    고 있다 신장 지역에 거주하는 위구르인들의 비율은 년 에서. 1949 75% 2000

    년 이하로 감소되었다 한족의 이주와 급격한 인구증가 년 에서50% . (1953 6%

    년 는 인구중심지의 변화 및 도시의 발달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2000 40.6%)

    지고 있었다 이로 인해 신장 지역의 대다수 위구르인들은 중국의 한족 이주.

    정책과 신장의 한족 문화접변 정책을 이슬람 종교와 문화에 대한 가장 심각

    한 위협으로 간주하고 있다 신장의 위구르인들은 한족의 대규모 이주가 자신.

    들의 문화와 사회에 위협을 가할 것이고 결국 중국 정부의 이슬람에 대한 통

    제를 가능하게 할 것이라는데 동의하고 있다.

    둘째 위구르인들은 신장 지역에 대한 중국의 패권을 식민지 지배로 간주,

    하고 있다 중국은 청나라 이후 지난 년 동안 신장 지역을 지배하고 있다. 250 .

    중국 당국은 신장 지역에 대한 중국의 통치 역사를 년이라고 말하고 있2000

    지만 위구르인들은 지난 년 동안의 중국 지배 역사를 식민주의로 간주하, 250

    고 있다 중국의 신장 지역 지배에 대한 정치적 합법성 문제는 신장위구르 지.

    역 무슬림들에게는 심각한 문제였다 현재 신장위구르 지역에서는 중국의 국.

    가권력이 법을 통해 이슬람 종교와 교리에 따라 생활하고자 원하는 무슬림들

    을 규제하고 있지만 많은 무슬림들은 자신들의 가정에서 여전히 이슬람 종교,

    를 준수하고 있다.

    셋째 무슬림들에 대한 단속과 탄압정책은 이슬람 정체성을 파괴하기 위한,

    254 30-3韓國中東學會論叢 第 號

    조치이다 신장의 위구르인들은 중국 정부가 이슬람의 관행을 따르거나 이슬.

    람식 위구르 관습을 따르는 자들에게 압력을 행사하거나 차별정책을 시행하

    고 있다는데 동의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불법적인 이슬람 종교행위로 이맘이.

    아이들에게 이슬람을 가르치는 행위 이슬람 원리주의를 주창하는 행위 종교, ,

    지도자가 참석하여 이슬람 서적을 강독하는 행위 종교지도자가 참석하여 사,

    적 모임을 갖는 행위 중국의 무슬림들을 다른 지역의 무슬림과 연결시키는,

    행위 등이라고 언급하였다 중국 정부의 강력한 탄압과 감시는 위구르족과 회.

    족의 이슬람 정체성을 인정하지 않겠다는 의미이며 이슬람을 통한 민족 단결,

    과 단합을 미연에 차단하겠다는 의미이다.

    넷째 위구르인들에 대한 취업기회의 박탈은 이슬람을 파괴하기 위한 수단,

    이다 신장의 위구르족 무슬림들은 중국 정부의 투자로 인한 경제적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으며 취업의 기회도 박탈당하고 있다 중국 정부의 관리들은, .

    언어의 수월성과 소통의 측면에서 위구르족보다 한족을 선호하고 있으며 중,

    국 정부의 공식적인 종교정책에 따라 국가투자 부문 공사현장에서 이슬람식

    종교행위를 금지하고 있다.

    위와 같이 중국 정부의 이슬람에 대한 탄압과 감시가 강화된 상황 속에서

    위구르족 무슬림들은 의지할 곳도 없고 갈 곳도 없었다 이들은 스스로 삶을.

    개척해야 했으며 역설적이게도 그 길을 이슬람에서 찾았다 년 이후 무, . 1979

    슬림들이 자식들을 중국 학교에 보내지 않고 모스크 소속 마드라사에 보내는

    이유도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었다 무슬림들의 사회적종교적 규범은 중국의. ․그것과 달랐으며 이미 오래 전부터 확고하게 정립되어 있어서 중국의 철학과,

    전통으로 대체될 수 없었다 중국의 무슬림들은 예배 축제 달력 음식습관. , , , ,

    결혼 장례 여행 거주 등에서 이슬람 방식을 따랐으며 중국 정부는 이런 이, , , ,

    슬람문화를 정책으로 풀 수는 없었다 결국 중국의 무슬림들은 중국인의 일원.

    이 되길 원한다 할지라도 중국인들의 시각에서 이들은 여전히 무슬림 회족과

    무슬림 위구르족일 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