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n sensibility responses and visual satisfaction

11
J. Korean Soc. Living Environ. Sys. Vol. 20, No. 7, pp 887~897(2013) 887 20 7 2013 교회 예배공간의 조명환경에 대한 감성 반응 시각적 만족도 분석 김지나 1 ·이지현 2 ·김수영 1 1 연세대학교 실내건축학과, 2 한국과학기술원 문화기술대학원 Analysis on Sensibility Responses and Visual Satisfaction for Lighting Environment in Worship Space of Church Jina Kim 1 , Ji-Hyun Lee 2 and Sooyoung Kim 1 1 Department of Interior Architecture & Built Environment,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2 Graduate School of Culture Technology, KAIST, Daejeon, Korea Abstract : This study examines the sensibility responses and visual satisfaction for lighting environments in the worship space of churches. Survey was performed with images of three worship spaces where a variety of lighting conditions were used. Forty nine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For three worship spaces, the variation of visual perception, sensibility responses, and visual satisfaction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lighting conditions. Results indicate that overall impression of lighting environments improved when low color temperature of light, contrast of light, and indirect lighting fixtures were used for indoor wall surfaces. In order to create religious sensibility in worship space, the dis- tribution of light with hierarchy is more important than the elements of decorative light. Overall satisfaction for lighting environments in the worship space of church showed a strong correlation with the contrast of light, the distribution pattern of light,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light, and sensibility responses such as familiar and stable feeling about lighting environments. Key words : Sensibility responses, Visual satisfaction, Lighting environment, Worship space, Visual perception, Contrast of light, Distribution of light 1. 공간에서 재실자가 인지하는 공간감은 일차적으로 시각적 지각에 의하여 발생되며, 시각적 지각은 공간 적용된 다양한 실내 디자인요소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Kim, Lee, & Kim, 2012). 공간을 구축하는 디자인요소 중의 하나인 조명은 공간 지각에 효과 적으로 작용되는 주요한 요인이다. 조명은 재실자가 공간을 감성적으로 지각하도록 매개체 역할을 하며 실자의 공간 이용행태에도 영향을 준다(Seuntiens & Vogels, 2009; Vogels, 2008). 그리고 조명환경에 대한 시각적 지각과 그에 따른 감성 반응은 전반적인 공간 만족도에 영향을 준다(Rim, Lee, & Kim, 2012). 다양한 용도의 건축물 , 특히 종교건축에서 재실 자의 감성은 조명환경에 의하여 변화되어 조명 디자인 요소에 대한 고려가 중요하다(Dixon, 1995). 재실자는 교회건축에서 나타나는 빛의 분포형태 연출방식의 영향을 받으며 종교적 감성을 체험하게 된다. 예배의 식을 비롯한 다양한 종교적 활동이 이루어지는 예배공 간은 교회공간에서 감성적인 조명환경이 더욱 중요한 공간이다. 역사적으로 예배공간에서 빛은 신성에 대한 상징적 표현이나 믿음에 대한 일반적 표현으로 사용되 었으며, 종교적 경험에 있어서 필수적 요소로 인식되 왔다(Roberts, 2004). 현대 예배공간에서도 빛은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되 , 디자인요소로서 예배의 전례와 의식 등의 다양한 활동을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예배공간의 명환경을 위해서는 조도 휘도와 같은 물리적 측면 교신저자: 김수영 ( 120-749)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 50, 연세대학교 실내건축학과 전화번호 : +82-2-2123-3142 E-mail : [email protected]

Upload: others

Post on 18-Oct-2021

5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Analysis on Sensibility Responses and Visual Satisfaction

J. Korean Soc. Living Environ. Sys.Vol. 20, No. 7, pp 887~897(2013)

887

한 국 생 활 환 경 학 회 지제 20 권 제 7 호 2013년

교회 예배공간의 조명환경에 대한 감성 반응 및 시각적 만족도 분석

김지나1·이지현2·김수영1

1연세대학교 실내건축학과, 2한국과학기술원 문화기술대학원

Analysis on Sensibility Responses and Visual Satisfaction

for Lighting Environment in Worship Space of Church

Jina Kim1, Ji-Hyun Lee2 and Sooyoung Kim1

1Department of Interior Architecture & Built Environment,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2Graduate School of Culture Technology, KAIST, Daejeon, Korea

Abstract : This study examines the sensibility responses and visual satisfaction for lighting environments in the worship

space of churches. Survey was performed with images of three worship spaces where a variety of lighting conditions

were used. Forty nine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For three worship spaces, the variation of visual perception,

sensibility responses, and visual satisfaction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lighting conditions. Results indicate that

overall impression of lighting environments improved when low color temperature of light, contrast of light, and indirect

lighting fixtures were used for indoor wall surfaces. In order to create religious sensibility in worship space, the dis-

tribution of light with hierarchy is more important than the elements of decorative light. Overall satisfaction for lighting

environments in the worship space of church showed a strong correlation with the contrast of light, the distribution

pattern of light,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light, and sensibility responses such as familiar and stable feeling about

lighting environments.

Key words : Sensibility responses, Visual satisfaction, Lighting environment, Worship space, Visual perception,

Contrast of light, Distribution of light

1. 서 론

공간에서 재실자가 인지하는 공간감은 일차적으로

시각적 지각에 의하여 발생되며, 시각적 지각은 공간

에 적용된 다양한 실내 디자인요소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Kim, Lee, & Kim, 2012). 공간을 구축하는 실

내 디자인요소 중의 하나인 조명은 공간 지각에 효과

적으로 작용되는 주요한 요인이다. 조명은 재실자가

공간을 감성적으로 지각하도록 매개체 역할을 하며 재

실자의 공간 이용행태에도 영향을 준다(Seuntiens &

Vogels, 2009; Vogels, 2008). 그리고 조명환경에 대한

시각적 지각과 그에 따른 감성 반응은 전반적인 공간

만족도에 영향을 준다(Rim, Lee, & Kim, 2012).

다양한 용도의 건축물 중, 특히 종교건축에서 재실

자의 감성은 조명환경에 의하여 변화되어 조명 디자인

요소에 대한 고려가 중요하다(Dixon, 1995). 재실자는

교회건축에서 나타나는 빛의 분포형태 및 연출방식의

영향을 받으며 종교적 감성을 체험하게 된다. 예배의

식을 비롯한 다양한 종교적 활동이 이루어지는 예배공

간은 교회공간에서 감성적인 조명환경이 더욱 중요한

공간이다. 역사적으로 예배공간에서 빛은 신성에 대한

상징적 표현이나 믿음에 대한 일반적 표현으로 사용되

었으며, 종교적 경험에 있어서 필수적 요소로 인식되

어 왔다(Roberts, 2004).

현대 예배공간에서도 빛은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되

며, 디자인요소로서 예배의 전례와 의식 등의 다양한

활동을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예배공간의 조

명환경을 위해서는 조도 및 휘도와 같은 물리적 측면

교신저자: 김수영 (우 120-749)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

50, 연세대학교 실내건축학과

전화번호 : +82-2-2123-3142E-mail : [email protected]

Page 2: Analysis on Sensibility Responses and Visual Satisfaction

888 김지나·이지현·김수영

한국생활환경학회지

뿐만 아니라 기도, 명상, 예배, 행사 등을 위한 심리적

환경에 대한 질적, 심미적, 감성적 측면이 중요하게 고

려되어야 한다(Roberts, 2004; IESNA, 1991).

예배공간은 종교적 목적에 부합되고 사용자에게 만

족감을 주는 환경으로 계획되어야 한다. 조명은 공간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실내 디자인요소로서, 예배공

간의 본질적 목적인 재실자의 종교적 감성 고취에 기

여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따라서 예배공간에 적합하며,

재실자의 시각적, 심리적 만족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조명 디자인요소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교회 예배공간의 조명환경에 대한 시

각적, 심리적 만족도 향상에 영향을 주는 조명 디자인

요소의 도출을 위하여, 다양한 조명환경 조건이 조성

된 예배공간의 사진이미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실

시되었다. 교회공간 조명환경에 대한 전반 인식특성이

조사되었고 설정된 예배공간의 조명환경에 대한 시각

적 지각에 따른 감성 반응 및 시각적 만족도가 설문결

과에 근거되어 분석되었다.

2. 연구방법

2.1. 대상공간 선정 및 실내 환경인자 구성

교회 예배공간의 조명환경에 대한 감성 반응 및 시

각적 만족도의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 사용된 대상

공간의 범위는 1990년 이후 완공된 국내외 주요 교회

건축물로 한정되었다. 먼저 범위 내에서 수집된 예배

공간 140곳의 사례 중, 실내 마감재가 주로 흰색 계열

로 사용되어 조명환경에 대한 시각적 지각에서 실내

마감재의 영향이 최소화되어 있는 12곳의 사례가 선

정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조건하에 조명 디자인요소에

서 상이한 차이를 보이는 대표적인 예배공간 3곳의 사

례가 대상공간으로 최종 선정되었다. 설문조사에 사용

된 대상공간의 사진이미지는 Figure 1에 나타나 있다.

A공간은 중심축형의 원형 평면형태로 구성되어 있

다. 예배공간에서 예배참석자들이 앉는 공간인 회중석

의 중앙으로 강단부가 돌출되어 있으며, 회중석은 강

단부의 전면과 좌우측으로 배치되어 있다. 천장, 벽,

바닥은 모두 흰색으로 마감되었으며, 거친 질감의 콘

크리트가 벽의 마감재로 사용되었다. 회중석에서 바라

보는 정면인 강단부의 벽은 창문이 없는 곡면으로 이

루어져 있으며, 강단부 천장의 모서리 라인을 따라 형

성된 얇은 창으로부터 유입되는 자연광은 벽을 따라

하부로 점진적으로 분포되어 있다(Kim, 2005; Park,

2007).

B공간은 장축형의 직사각형 평면형태이며, 강단부

와 회중석이 분리되어 배치되어 있다. 천장은 흰색 도

장된 콘크리트로 마감되었으며, 바닥은 석회석으로 마

감되었다. 회중석에서 바라보는 정면인 강단부의 벽에

는 금빛 메탈패브릭(metal fabric) 커튼이 설치되어 있고,

강단부의 좌우측과, 강단부의 맞은편인 회중석의 후면

벽에는 수직의 목재루버 스크린이 설치되어 있다. 건축

매스(mass)는 외부의 단순한 직육면체 매스 내부에 또

다른 직육면체 매스가 구성된 이중구조로 되어 있다.

Figure 1. Images of selected worship spaces.

Page 3: Analysis on Sensibility Responses and Visual Satisfaction

교회 예배공간의 조명환경에 대한 감성 반응 및 시각적 만족도 분석 889

제 20 권 제 7 호 2013년

외부 매스의 유리벽을 통과하여 유입되는 자연광은

예배공간인 내부 매스로 광범위하게 유입된다. 회중석

에서 바라보는 정면인 강단부 벽으로부터의 빛은 메탈

패브릭 커튼 마감을 통과하면서 공간 내부로 유입되고,

강단부 좌우측 벽으로부터의 빛은 수직의 목재루버 스

크린을 통과하면서 제한적으로 유입된다. 예배공간의

수직 및 수평조도는 각각 비교적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다(Detail, 2001; Liao, 2004).

C공간은 장축형의 직사각형 평면형태이며, 강단부

와 분리된 회중석이 강단부의 형태를 따라 돌아가며

배치되어 있다. 벽과 천장은 흰색의 플라스터(plaster)

로 마감되었고, 바닥은 콘크리트로 마감되었다. 건축

물의 지붕에는 7개의 라이트 스쿠프(light scoop)가 설

치되어 있다. 투명한 유리의 경사진 패널에 의하여 외

부 자연광을 효과적으로 실내로 유입시키는, 천장의

채광창(skylight)인 라이프 스쿠프 구조를 통하여 다양

한 방향으로부터 빛이 유입된다(Radetsky & Brons,

2013; Steven Holl Architects, 1997). 사진이미지에 나

타난 예배공간에는 동쪽과 서쪽 방향의 라이트 스쿠프

로부터 자연광이 유입되는데, 일부는 공간으로 직접

유입되고 다른 일부는 채색된 패널에 의하여 반사되거

나 컬러렌즈(color lens)를 통과하면서 굴절되고 투과

되며 유입된다. 이에 따라 빛의 다양한 분포형태와 색

채감이 벽과 천장의 마감재 위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백열전구가 적용된 펜던트 조명기구에 의한 장식적인

빛이 회중석 영역의 상부에 분포되어 있다(Dixon,

1995; Seattle University, n.d).

2.2. 설문항목 및 피험자 사전교육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내용은 설문에 참여한 피험자

에 대한 일반사항, 교회공간 조명환경에 대한 피험자

의 사전인식, 대상공간 사진이미지에서 나타난 조명

환경에 대한 시각적 지각, 감성 반응 및 시각적 만족

도로 구성되었다. 설문내용은 Table 1 ~ Table 3에 나

타나 있다.

설문조사가 진행된 실험공간은 A대학 강의실이다.

설문조사가 시작되기 전에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설문

진행에 대한 사전교육이 실시되었다. 사전교육 내용에

는 설문 진행에 대한 전반사항, 설문항목, 설문에 사용

된 용어에 대한 설명 및 응답척도의 활용방법 등이 포

함되었다. 사전교육이 실시되는 동안 피험자는 실내의

조명환경에 순응하게 되어, 순응시간의 부족으로 인하

여 발생될 수 있는 설문 데이터의 오류는 방지되었다.

사전교육이 실시된 후, 교회공간의 조명환경에 대한

피험자의 전반적인 인식특성과 대상공간의 사진이미

지에서 나타나는 조명환경에 대한 설문조사가 실시되

었다. 대상공간 조명환경에 대한 시각적 지각에 따른

감성 반응 및 시각적 만족도의 평가를 위하여, 3개 대

상공간의 사진이미지가 빔 프로젝터(beam projector)

에 의하여 강의실 전면에 설치된 스크린에 투사되었다.

사진이미지는 진행순서에 따라 대상공간마다 1개씩

순차적으로 투사되었다.

빔 프로젝터에 의하여 투사된 사진이미지를 이용한

시각적 지각에 대한 주관평가의 유효성은 선행연구에

서 검증되었다. 동일한 경관조명환경에 대한 현장 실

험, 사진이미지를 이용한 실험, 컴퓨터 그래픽이미지

를 이용한 실험에서 시각적 지각에 의한 주관평가의

비교 분석 결과는 대부분의 항목에서 유사한 것으로

보고되었다(Lee, Yu, & Kim, 2003).

Table 1. Questionnaires for Visual Perception

No. Contents

Q1 Does the light make you feel space bright?

Q2 Does the light make you feel space visually warm?

Q3 Does the light make you feel space decorative?

Q4 Does the light make you feel space dynamic?

Q5 Doesn't the light make you feel eye fatigue?

Table 2. Questionnaires for Sensibility Responses

No. Contents

Q6 Does the light make you feel space pious?

Q7 Does the light make you feel space interesting?

Q8 Does the light make you feel space concentrating?

Q9 Does the light make you feel space soft?

Q10 Does the light make you feel space familiar?

Q11 Does the light make you feel space stable?

Table 3. Questionnaires for Visual Satisfaction

No. Contents

Q12 Are you satisfied with the brightness of light?

Q13 Are you satisfied with the contrast of light?

Q14Are you satisfied with the distribution of light and

fixture?

Q15Are you satisfied with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light?

Q16 Are you satisfied with the color of light?

Q17Do you feel positive overall satisfaction for light-

ing environments?

Page 4: Analysis on Sensibility Responses and Visual Satisfaction

890 김지나·이지현·김수영

한국생활환경학회지

투사된 대상공간의 사진이미지에서 나타나는 조명

의 색상은 이미지를 투사하는 빔 프로젝터의 사양에

따라 다르게 표현될 수 있다. 본 연구에 사용된 빔 프

로젝터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방식으로 광

원출력은 4,000안시(ANSI) 루멘(lumens)이다. 프로젝

터에 적용된 명암비는 3,000 : 1이며, 1,024 × 768의 해

상도로 이미지가 투사되고 모든 색상의 재현이 가능하

다(Samsung, 2009). 빔 프로젝터는 천장에 설치되었고,

이미지는 가로 5 m, 세로 7 m의 스크린에 투사되었다.

설문조사는 일몰 후 저녁시간대에 실시되었으며, 실

험공간의 실내 전기조명은 모두 소등되고 외부의 빛은

블라인드(venetian blind)로 차단된 조건에서 진행되었다.

설문이 진행된 실험공간의 조건은 Figure 2 ~ Figure 3

에 나타나 있다.

피험자는 교회공간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20 ~ 40대

남녀로, 남자 18명과 여자 31명으로 구성되었다. 피험

자는 스크린에 투사된 사진이미지에 대한 시각적 지각

에 따른 감성 반응 및 시각적 만족도를 평가하는 각 설

문항목에 대하여 Table 4에 표기된 의미분별 척도법

(Semantic Differential Methods)의 5단계 척도에 따라

응답하였다.

2.3. 데이터 모니터링

본 연구에서 설문조사가 실시된 실험공간의 조명환

경은 Figure 2에 나타나 있다. 실험공간의 조명조건과

스크린에 투사되는 대상공간 사진 이미지의 조명조건

분석을 위하여, 책상면의 조도 및 휘도와 스크린의 휘

도가 측정되었다. 이는 3개의 대상공간 이미지가 스크

린에 투사될 때마다 순차적으로 측정되었다.

설문지를 읽는 행위에 영향을 주는 책상면의 수평조

도는 Figure 3에 표시된 대로 설문이 진행된 각 책상면

에 대하여 측정되었다. 조도는 CIE(Commission Inter-

nationale de l’Eclairage)에서 제안하는, 측정오차가 가

시광선 파장범위의 6%를 초과하지 않는 조도계로 측

정되었다(Kim & Kim, 2007; Konica Minolta, 2008).

또한, 특정 대상을 읽는 행위가 이루어지는 책상면

및 이미지가 투사되는 스크린의 휘도가 측정되었다.

책상면의 휘도는 각 책상마다 가로, 세로 및 대각선 방

향으로 균일한 간격을 갖는 6개의 측정점에 대하여 시

계방향으로 측정되었다. 스크린의 휘도는 스크린 표면

에서 가로, 세로 및 대각선 방향으로 균일한 간격을 갖

는 25개의 측정점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측정되었다.

피험자가 스크린으로부터 감지하는 휘도는 피험자의

위치에서 스크린을 바라보는 각도에 따라 차이가 있다.

그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스크린의 휘도는 설문

조사 시와 동일하게 각 책상의 의자에 앉아 스크린을

향한 자세로 측정되었다. 조도 및 휘도 측정은 일몰 후

Figure 2. Photos of the survey area.

Figure 3. Floor plan of the survey area.

Table 4. Voting Scale

Answer Voting scale

Strongly agree 2

Agree 1

Neither agree nor disagree 0

Disagree -1

Strongly disagree -2

Page 5: Analysis on Sensibility Responses and Visual Satisfaction

교회 예배공간의 조명환경에 대한 감성 반응 및 시각적 만족도 분석 891

제 20 권 제 7 호 2013년

저녁시간대에 실내 전기조명이 모두 소등되고 외부의

빛은 블라인드로 차단된 조건에서 실시되었다.

3. 결과 및 고찰

3.1. 실험공간 및 대상공간의 조명환경

대상공간 A, B, C의 사진이미지가 스크린에 투사되

어 설문이 실시된 실험공간에서, 피험자가 앉은 책상

면과 스크린에 대한 조도 및 휘도분포가 측정되었다.

각 대상공간 이미지가 스크린에 투사된 실험공간의 책

상면 평균조도 및 평균휘도는 Figure 4에 나타나 있다.

A, B, C의 이미지가 순차적으로 투사된 조건에서, 책

상면의 평균조도는 각각 2.34 lx, 4.25 lx, 2.21 lx로 나

타났고 책상의 표면으로부터 발생되는 평균휘도는 각

각 0.5 cd/m², 0.77 cd/m², 0.44 cd/m²로 나타났다.

각 대상공간 이미지가 투사된 조건에서 스크린으로

부터 발생되는 휘도분포는 Figure 5에 나타나 있다. C

공간 이미지가 투사된 조건에서, 스크린의 각 측정점

에 대한 휘도분포 변화는 스크린의 전체 범위에서 가

장 다양하게 나타났다. 한편, A공간 이미지가 투사된

조건에서는 국소 영역에 한하여 높은 휘도가 나타났고,

B공간 이미지가 투사된 조건에서는 상대적으로 대부

분의 영역에서 균일하게 높은 휘도분포가 나타났다.

스크린의 평균휘도는 B공간의 이미지가 투사된 조건

에서 73.88 cd/m²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C공간 이미

지가 투사된 조건에서 25.32 cd/m²로 가장 낮게 나타

났다.

각 대상공간 이미지가 스크린에 투사된 경우, 스크

린의 이미지 표면(target surface)에서 발생되는 휘도

(target luminance)와 이미지 표면 및 주변 영역에서 발

생되는 대비(contrast)는 Figure 6에 나타나 있다. A, B,

C의 이미지가 투사된 조건에서 이미지의 표면 및 주변

영역에서 발생되는 대비는 각각 22.14, 23.63, 20.83으

로 분석되었다. 이는 각 대상공간 이미지가 스크린에

투사된 경우, 스크린의 대비가 수치적으로 큰 차이 없

이 나타나 실험공간의 조명환경이 유사하게 유지된 것

을 의미한다. 따라서 투사된 이미지에 대한 피험자의

반응은 실내에 조성된 조명환경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각 공간의 이미지에 대

하여 피험자가 감지하는 시각적 지각에 따른 감성은

이미지에 나타난 조명환경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Rim, Lee, & Kim, 2012).

3.2. 조명환경에 대한 피험자 인식특성

대상공간의 조명환경에 대한 시각적 지각에 따른 감

성 반응 및 시각적 만족도의 효과적인 분석을 위하여,

교회공간 조명환경에 대한 피험자의 전반적인 사전

인식특성이 조사되었다. 설문내용은 피험자의 종교적

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실내 디자인요소 및 조명 디자

인요소와 교회공간에서 중요하다고 인식되는 조명환

경에 대한 선호도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 적용된 종

교적 감성의 의미는 ‘경건한 느낌’으로 한정되어 사용

Figure 4. Luminance and illuminance on desktop.

Figure 5. Luminance from screen.

Figure 6. Luminance from target surface of screen and

contrast at screen.

Page 6: Analysis on Sensibility Responses and Visual Satisfaction

892 김지나·이지현·김수영

한국생활환경학회지

되었다.

조명 디자인요소는 빛의 밝기, 빛의 색, 빛의 분포

형태, 빛의 대비, 빛의 위치 및 유입방향 등으로 세분

화되어 조사되었다. 교회공간의 조명환경은 시각적

활동을 위한 높은 조도, 기도 및 명상을 위한 낮은 조

도, 자연광의 유입 등으로 분류되어 조사되었다. 교

회공간 조명환경에 대한 피험자의 사전 인식특성은

Figure 7 ~ Figure 9에 나타나 있다.

피험자의 종교적 감성에 영향을 주는 실내 디자인요

소는 Figure 7에 나타나 있다. 피험자의 89.8%는 공간

디자인요소나 종교장식 디자인요소보다 조명 디자인

요소에 의하여 경건한 느낌을 받는 것으로 응답하였

다. 공간 디자인요소에 의하여 경건한 느낌을 받는다

고 응답한 피험자는 73.5%에 해당되었다. 반면, 피험

자의 16.3%는 경건한 느낌에 공간 디자인요소가 영향

을 주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종교장식 디자인요소가

경건한 느낌에 영향을 준다고 응답한 피험자는 57.2%

로 나타났다.

피험자의 종교적 감성에 영향을 주는 조명 디자인

요소의 세부항목에 대한 분석은 Figure 8에 나타나 있

다. 피험자의 83.6%는 빛의 위치 및 유입방향에 의하

여 경건한 느낌을 받는다고 응답하였고, 빛의 밝기에

따라 종교적 감성이 자극된다고 응답한 피험자는

85.7%로 나타났다. 건축면이나 조명기구로부터 발산

되는 빛의 분포형태가 경건한 느낌에 영향을 준다고

응답한 피험자는 55.1%로 나타났다.

교회공간에서 조명의 기능에 대하여 피험자가 인식

하는 중요도는 Figure 9에 나타나 있다. 기도 및 명상

을 위한 낮은 조도가 중요하다고 응답한 피험자는

93.9%로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고, 영역 및 기능에

따른 차별화된 조도가 중요하다고 응답한 피험자는

91.9%로 나타났다. 시각적 활동을 위한 높은 조도가

중요하다고 응답한 피험자는 85.7%이었다.

교회공간 조명환경에 대한 피험자 집단의 전반적인

사전 인식특성의 분석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피험자

집단의 종교적 감성은 실내 디자인을 구성하는 요소들

중, 주로 조명 디자인요소에 의하여 변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명 디자인요소 중에서 종교적 감성

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는 빛의 위치 및 유입방향,

빛의 밝기, 빛의 색인 것으로 나타났다. 빛의 밝기에 대

해서는, 밝은 조도보다 기도와 명상을 위한 낮은 조도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영역 및 기능에

따른 차별화된 조도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3. 조명환경에 대한 시각적 지각에 따른 감성 반

응 및 시각적 만족도

조명환경에 대한 시각적 지각에 따른 감성 반응 및 시

각적 만족도는 전반적인 공간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주

된 요인으로 작용된다. 본 연구에 사용된 대상공간 이미

지에서 나타나는 예배공간 조명환경에 대한 시각적 지

각, 감성 반응 및 시각적 만족도는 Figure 10 ~ Figure 12

에 나타나 있다.

Figure 7. Subject’s preference to design elements of space.

Figure 8. Subject’s preference to design elements of lighting.

Figure 9. Subject’s preference to lighting environments.

Page 7: Analysis on Sensibility Responses and Visual Satisfaction

교회 예배공간의 조명환경에 대한 감성 반응 및 시각적 만족도 분석 893

제 20 권 제 7 호 2013년

대상공간의 조명환경에 대한 시각적 지각은 Figure 10

에 나타나 있다. 밝은 느낌(Q1)은 B공간에서 매우 높

게 지각되었고(Q1, M=1.41), A공간은 밝음과 어두움

의 경계에서 약간 밝은 쪽에 가깝게 지각되었다(Q1,

M=0.22). C공간의 밝기에 대한 느낌은 A공간에 대한

느낌과 비슷한 정도로 나타났다(Q1, M=0.20). 따뜻한

느낌(Q2)은 A공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Q2, M=

0.92), A공간의 조명조건은 따뜻한 색온도로 지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B공간은 차가운 느낌과 따뜻한 느낌

사이의 중간 톤(tone)의 느낌으로 감지되어(Q2, M=

0.02), 대상공간 중에서는 가장 높은 색온도의 조명조

건으로 지각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C공간의 조명조

건은 따뜻한 느낌에 가깝게 지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Q2, M=0.57).

장식적인 느낌(Q3)은 C공간에서 가장 높게 지각되

었다(Q3, M=0.80). 반면, A공간은 절제된 느낌으로 지

각되었고(Q3, M=-0.31), B공간도 절제된 느낌에 가깝

게 지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Q3, M=-0.16). 동적인

느낌(Q4)의 정도는 C공간에서 가장 높았으나(Q4,

M=0.18) 아주 우세한 정도는 아니었다. A공간은 정적

인 느낌으로 지각되었다(Q4, M=-0.41). B공간은 동적

인 느낌과 정적인 느낌 사이에서 중간적인 느낌을 주

는 것으로 나타났다(Q4, M=0.08). 눈의 피로감(Q5)은

A공간의 조명조건에서는 전반적으로 감지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Q5, M=0.71). C공간에서도 대체로

눈의 피로감이 감지되지 않은 반면(Q5, M=0.57), B공

간의 조건은 눈에 약간의 피로감을 주는 것으로 나타

났다(Q5, M=-0.12).

조명환경에 대한 시각적 지각의 분석결과, A공간의

조명환경에서는 정면 벽의 일부분에 한정된, 점진적인

빛의 분포형태에 의하여 정적이고 절제된 느낌이 감지

되며 눈에 피로감은 감지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C공간의 조명환경에서는 다양한 높이와 다각도

에서 유입되는 빛의 분포형태에 의하여 장식적이며 동

적인 느낌이 감지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B공간은 중간

톤의 색온도로 감지되는 빛이 정면 및 좌우측 벽면 전

체에서 광범위하게 유입됨에 따라, 밝은 느낌이 우세

하여 눈에 피로감이 감지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A와 C공간의 조명환경에서는 따뜻한 색온도와 너무

밝지도 어둡지도 않은 중간적인 밝기의 빛이 지각됨에

따라 눈에 피로감이 감지되지 않는 것으로 파단된다.

대상공간의 조명환경에 대한 감성 반응은 Figure 11에

명시되어 있다. A공간이 대상공간 중에서 가장 경건한

느낌(Q6)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Q6, M=0.49). 반면, B

공간에서 경건한 느낌이 상대적으로 가장 약하게 인지

되었으며(Q6, M=0.18), C공간은 A와 B공간의 중간적인

범위로 나타났다(Q6, M=0.31). 흥미로운 느낌(Q7)은 A

공간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고(Q7, M=0.04), B공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Q7, M=0.57). C공간도 흥미로운 느

낌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Q7, M=0.51).

집중되는 느낌(Q8)은 A공간에서 가장 높고(Q8,

Figure 10. Visual perception of lighting environments.

Figure 11. Sensibility responses for lighting environments.

Figure 12. Visual satisfaction for lighting design elements.

Page 8: Analysis on Sensibility Responses and Visual Satisfaction

894 김지나·이지현·김수영

한국생활환경학회지

M=0.37), C공간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Q8, M=-

0.14). 부드러운 느낌(Q9)도 A공간에서 가장 높게 나

타났다(Q9, M=0.86). B공간은 부드러운 느낌을 주기

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Q9, M=-0.02) C

공간은 부드러운 느낌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Q9,

M=0.59).

친근한 느낌(Q10)의 분포는 경건한 느낌의 분포 결

과와 매우 흡사하게 나타났다. A공간의 조명조건에서

친근한 느낌이 감지되었고(Q10, M=0.43), C공간에서

도 대체로 친근한 느낌이 감지되었다(Q10, M=0.31).

B공간에 대한 친근한 느낌은 상대적으로 낮게 감지되

었다(Q10, M=0.12). 안정적인 느낌(Q11)은 A공간 조

건에서 높게 나타났고(Q11, M=0.94), B공간(Q11,

M=0.29)과 C공간(Q11, M=0.35)에서도 안정적인 느낌

이 감지되었다.

조명환경에 대한 감성 반응의 분석결과, A공간에서

는 정면 벽에 한정되어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빛의 위

치 및 유입방향에 의하여, 집중되는 느낌이 감지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점진적으로 유입되는 빛의

분포형태와 따뜻한 느낌으로 지각되는 색온도에 의하

여, 부드럽고 안정적이며 친근한 느낌이 감지되는 것

으로 분석된다. 이에 따라 경건한 느낌은 높게 감지되

는 반면, 흥미로운 느낌은 다소 낮게 감지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B공간에서는 정면 및 좌우측의 높은 천장고의 벽면

을 가득 채운 중성적인 색온도의 빛에 의하여, 다른 공

간들에 비하여 긴장되며 친근하지 않은 느낌이 감지되

는 것으로 판단된다. C공간에서는 다른 공간들에서 나

타나지 않은 다양한 패턴의 빛의 분포형태로 인하여

흥미로운 느낌이 지각되는 반면, 집중도는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성 반응의 분석결과에서 흥미로운

느낌의 공간과 경건한 느낌의 공간이 반대되는 결과

가 나타남에 따라, 흥미로운 느낌을 주는 조명환경은

경건한 느낌을 주는 조명환경과 대조되는 것으로 판

단된다.

대상공간의 조명 디자인요소에 대한 시각적 만족도

는 Figure 12에 나타나 있다. 빛의 밝기(Q12)에 대한

만족도는 가장 밝게 지각되었던 B공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Q12, M=0.51), C공간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

다(Q12, M=0.22). 따라서 빛의 밝기 측면만 고려한다

면, 밝은 조명조건에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볼 수 있

다. 그러나 피험자의 전반적인 인식특성의 분석결과에

의하면, 교회공간에서는 기도 및 명상을 위한 낮은 조

도의 조명환경이 더 선호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따라

서 교회공간의 조명환경은 영역 및 기능에 따른 차별

화된 조도가 적절히 분포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빛의 대비효과(Q13)에 대한 만족도는 C공간에서 가

장 높게 나타났고(Q13, M=0.43), A공간에서도 유사한

정도로 높게 나타났다. B공간에 대한 응답은 긍정과

부정 사이의 중성적 분포로 나타났다(Q13, M=0.00).

이와 같은 결과는 전체적으로 균일한 밝기에 의하여

빛의 대비가 없는 조명환경은 선호되지 않는 것을 의

미한다. 반면, 빛의 다양한 대비정도가 나타난 C공간

에서 가장 높은 만족도가 나타나, 빛의 대비가 있는 차

별화된 밝기의 조명환경이 선호되는 것으로 분석된다.

빛의 분포형태(Q14)에 대한 만족도는 A공간(Q14,

M=0.33)과 B공간(Q14, M=0.35)에서 유사하게 긍정적

으로 나타났다. 반면, 장식적인 느낌으로 지각된 C공

간의 빛의 분포형태에 대한 만족도는 다른 공간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았다(Q14, M=0.16). 이는 장식

적인 빛은 종교적인 감성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이

상대적으로 낮다고 판단한 피험자들의 사전 인식특성

에 근거하여, 절제되지 않고 다양하게 나타난 빛의 분

포형태는 예배공간에서 선호도가 높지 않은 것으로 판

단된다.

빛의 높이 및 유입방향(Q15)에 대한 만족도는 A공

간에서 높게 나타났다(Q15, M=0.49). 이는 강단부가

있는 정면 벽에 한정된 빛의 위치, 벽면 상부로부터 하

부로 내려오는 빛의 유입방향, 점진적으로 퍼지는 빛

의 분포형태에 대한 시각적 만족도는 높은 것을 의미

한다. 빛의 높이 및 유입방향에 있어서 B공간(Q15,

M=0.33)과 C공간(Q15, M=0.24)의 조명조건에 대한

만족도도 대체로 긍정적이나 A공간에 비하여 낮게 나

타났다.

빛의 색(Q16)에 대한 만족도는 시각적 지각의 분석

결과에서 따뜻한 느낌의 조명조건으로 감지된 A공간

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Q16, M=0.53). 이는 따뜻한

색온도의 빛이 예배공간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효과적

인 조명 디자인요소로 작용됨을 의미한다.

3.4. 조명환경에 대한 전반 만족도

대상공간의 조명환경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에 영

향을 주는 감성 반응 및 조명 디자인요소의 파악을 위

하여, 다중선형 회귀분석방법(multiple linear regre-

ssion)이 적용되었다. 회귀분석에 적용된 종속변수는

전반 만족도(Q17)이고 시각적 지각, 감성 반응 및 시

각적 만족도에 대한 설문문항 중 전반 만족도를 제외

Page 9: Analysis on Sensibility Responses and Visual Satisfaction

교회 예배공간의 조명환경에 대한 감성 반응 및 시각적 만족도 분석 895

제 20 권 제 7 호 2013년

한 모든 문항이 독립변수로 설정되었다. 그리고 설정

된 신뢰도 수준(Sig.= 0.05)에 충족되는 독립변수만이

최종적으로 선택되어 각 예측식에 포함되었다.

다중선형 회귀분석에 의한 예측식은 Table 5 ~

Table 7에 나타나 있다. 각 예측식은 신뢰도 수준 0.05

이하를 보이며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각 예측

식에 대한 결정계수(r²)는 0.54 ~ 0.66의 범위에서 변화

되었다. 이는 조명환경에 대한 전반 만족도(Q17)가 종

속변수로 적용된 조건에서 독립변수들을 이용하여 예

측하는 경우, 각 예측식에 대한 변화량(error variance)

이 최소 54%에서 최대 66%까지 감소되는 것을 의미

한다.

A공간에서 감지된 조명환경에 대한 전반 만족도

(Q17)는 빛의 분포형태(Q14), 안정적인 느낌(Q11), 빛

의 대비효과(Q13), 빛의 색(Q16)에 대한 만족감에 의

하여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예측

식에 선정된 4개 요인 중 전반 만족도에 가장 효과적

으로 작용된 인자는 빛의 분포형태 및 대비효과인 것

으로 나타났다. A공간에 대한 전반적인 시각적 만족

도 및 감성 반응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정면 벽 상부에

한정되어 하부로 내려오는 빛의 위치 및 유입방향과

점진적으로 퍼지는 빛의 분포형태는 절제되고 집중되

며 안정된 느낌을 주고 눈에 피로감을 주지 않는 것으

로 분석된다. 또한 낮은 색온도의 빛이 대비되며 나타

나는 경우, 부드럽고 친근한 느낌을 주는 것으로 분석

된다. 이러한 조명 디자인요소들은 경건한 느낌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예배공간의 전반 만족도를 높이

는 것으로 판단된다.

B공간에서는 빛의 분포형태(Q14)와 빛의 밝기(Q12)

가 전반 만족도(Q17)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조명 디

자인요소로 나타났으며, 가장 효과적으로 작용한 인자

는 빛의 분포형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밝

고 색온도가 중성적인 느낌으로 지각되는 B공간의 조

명조건에서는, 벽면 및 천장면 전체에 균일하게 퍼져

있는 빛의 분포형태도 전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C공간에서는 빛의 위치 및 유입방향(Q15), 친근한

느낌(Q10), 빛의 대비효과(Q13), 경건한 느낌(Q6)이

전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주요한 인자로

나타났다. 그리고 C공간의 전반 만족도에 가장 효과적

으로 작용된 조명 디자인요소는 빛의 대비효과와 빛의

위치 및 유입방향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예배공간

내에서 밝기의 차이가 있는 조명조건에 대하여 만족도

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공간 조명환경의 조건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본 연구에 사용된 3곳의 대상공간 조명환경에 대한 전

반적인 만족도에 영향을 준 주요 조명 디자인요소는

빛의 분포형태, 빛의 대비효과, 빛의 위치 및 유입방향

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4. 결론 및 향후 연구

본 연구에서는 교회 예배공간의 사진이미지를 대상

으로 설문조사가 실시되어, 조명환경에 대한 시각적

Table 5. Relationship between Overall Satisfaction and

Lighting Environments of Space (A)

Variable

Unstandardized

Coefficient t Sig.

B Std. Error

(Constant) -0.14 0.12 -1.20 0.24

Q14 0.41 0.09 4.40 0.00

Q11 0.29 0.09 3.12 0.00

Q13 0.31 0.11 2.68 0.01

Q16 0.21 0.10 2.16 0.04

ANOVA r² = 0.65, F(4, 45) = 20.22, Sig. = 0.00

Table 6. Relationship between Overall Satisfaction and

Lighting Environments of Space (B)

Variable

Unstandardized

Coefficient t Sig.

B Std. Error

(Constant) 0.01 0.10 0.13 0.90

Q14 0.55 0.11 5.17 0.00

Q12 0.36 0.11 3.38 0.00

ANOVA r² = 0.54, F(2, 47) = 27.06, Sig. = 0.00

Table 7. Relationship between Overall Satisfaction and

Lighting Environments of Space (C)

Variable

Unstandardized

Coefficient t Sig.

B Std. Error

(Constant) -0.03 0.09 -0.35 0.73

Q15 0.32 0.09 3.56 0.00

Q10 0.29 0.08 3.64 0.00

Q13 0.34 0.12 2.70 0.01

Q6 0.16 0.07 2.16 0.04

ANOVA r² = 0.66, F(4, 45) = 21.04, Sig. = 0.00

Page 10: Analysis on Sensibility Responses and Visual Satisfaction

896 김지나·이지현·김수영

한국생활환경학회지

지각에 따른 감성 반응 및 시각적 만족도가 분석되었

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교회공간 조명환경에 대한 사전 인식특성의 분석

결과, 교회공간에서는 균일한 조도분포보다 공간의 기

능 및 영역에 따라 차별화된 조도와 국부 영역에서 빛

의 대비효과가 나타나는 조명환경이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배공간에서는 높은 조도보다 기도 및 명

상을 위한 낮은 조도가 선호되었고, 낮은 색온도의 빛

에 대하여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3000K

정도의 낮은 색온도의 빛에 의한 국부조명으로 적절한

조도의 변화를 조성하는 것이 일반적인 교회 예배공간

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2) 예배공간 조명환경에 대한 시각적 지각에 따른

감성 반응 및 시각적 만족도의 분석 결과, 국소 영역에

한정되어 점진적으로 분포되는 간접조명방식은 정적이

고 안정되며 절제된 느낌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

면, 다양한 분포형태로 빛이 유입되는 경우, 장식적이고

동적인 느낌이 조성됨에 따라 흥미로운 느낌이 조성되

는 한편, 산만한 느낌이 형성되어 시각적인 만족도는 상

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흥미로운 느낌

을 주는 조명환경은 경건한 느낌을 주는 조명환경과 대

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회 예배공간에서 종

교적 감성이 충족되는 조명환경을 위해서는 장식적이

고 화려한 요소의 빛보다는, 공간 위계에 따라 대비되

는 적절한 빛의 분포 계획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회중석에서 바라보는 정면인, 강단부 벽면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유입되는 빛의 위치 및 유입방향은

집중되는 느낌을 주고, 따뜻한 색온도의 빛은 친근하

고 안정된 느낌을 주며 시각적 만족도가 높아 예배공

간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천장고가 높은

벽면 전체에서 광범위하게 유입되는 균일한 밝기의 빛

은 흥미로운 느낌을 주는 반면, 긴장되고 친근하지 않

은 느낌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예배공간의 조명설계

시 세심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3) 예배공간 조명환경에 대한 전반 만족도는 조명

디자인요소 중에서 빛의 대비효과, 빛의 분포형태, 광

원의 위치 및 빛의 유입방향, 밝기, 색온도, 안정적인

느낌, 친근한 느낌, 경건한 느낌과 상관성이 높게 나타

났다. 특히 빛의 분포형태 및 대비효과에 의한 영향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예배공간에 대한 전반

적인 공간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효과적인 빛의

대비에 의한 빛의 분포형태가 고려되어야할 것으로 판

단된다.

본 연구는 실제 공간에서의 직접적인 경험이 아닌

빔 프로젝터에 의하여 투사된 대상공간의 사진이미지

를 이용한 주관평가가 진행된 것으로, 피험자의 인지

정도에 차이가 있을 수 있는 한계점이 있다. 이에 따라

향후에는 현장 조건 또는 실험실 조건에서 실내 디자

인요소가 통제되고 조명 디자인요소의 다양한 변화가

적용되는 실험연구가 실시되어, 공간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조명환경이 세부적으로 분석되는 추가적인 연

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후 기

본 논문은 2013학년도 연세대학교 학술연구비의 지

원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임.

REFERENCES

Detail Magazine Online (2001). Church of the Sacred

Heart in Munich, Retried September 25, 2013, from

http://detail-online.com/inspiration/church-of-the-

sacred-heart-in-munich-103830.html

Dixon, J. M. (1995). Gathering and reflecting light. Pro-

gressive Architecture, 76(6), 54.

IESNA (1991). Lighting for Houses of Worship (RP-25-

91). New York, NY: Illuminating Engineering Society

of North America, 3-46.

Kim, J. S., Lee, J. H., & Kim, S. Y. (2012). Variation

of Spatial Cognition According to Visual Perception

and Psychological Responses for Lighting Environ-

ments in Rest Space. Korean Journal of Air-Condi-

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24(5), 443.

Kim, S. Y. & Kim, J. H. (2007). The impact of daylight

fluctuation on a daylight dimming control system in

a small office. Energy and Buildings, 39, 9.

Kim, Y. H. (2005). A study on the defining of identity

for catholic church architecture in Korea, Unpub-

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Seoul, 56

Konica Minolta (2008). Illuminance and Luminous meter

operation manual.

Lee, J. S., Yu, J. Y., & Kim, B. S. (2003). The Validity

Verifying of Evaluation Object Method Proposal in

Subject evaluation experiment for Exterior Lighting,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17(4), 1-7.

Liao, Y. (2004). Church of the Sacred Heart. Retried

September 25, 2013, from http://figure-ground.com/

herz-jesu-kirche/

Park, Y. C. (2007). Chodang catholic church. Retried

September 25, 2013, from http://pychea.com/10023223807

Page 11: Analysis on Sensibility Responses and Visual Satisfaction

교회 예배공간의 조명환경에 대한 감성 반응 및 시각적 만족도 분석 897

제 20 권 제 7 호 2013년

Radetsky, L. & Brons, J. (2013). Light scoops: A design

guide. New York, NY: Lighting research center, Rens-

selaer.

Rim, M. Y., Lee, J. H., & Kim, S. Y. (2012). Cognitive

Effects on Lighting Environment for Improvement of

Spatial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Comfort.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24(6), 497-498.

Roberts, N. W. (2004). Places of worship. John Wiley &

Sons, 1-209.

Samsung (2009). Projector User manual. Retried Sep-

tember 25, 2013, from http://www.samsung.com/sec/

support/model/SP-G94A/KR-downloads?download-

Name=UM

Seattle University (n.d.). Chapel of Saint Ignatius. Retried

September 25, 2013, from http://www.seattleu.edu/

chapel/

Seuntiens, P. J. H. & Vogels, I. M. L. C. (2009). Atmo-

sphere creation: the relation between atmosphere and

light characteristics. Eindhoven: Philips Research.

Steven Holl Architects (1997). The Chapel of St. Ignatius,

Retried September 25, 2013, from www.steven-

holl.com

Vogels, I. M. L. C. (2008). Atmosphere metrics: Devel-

opment of a tool to quantify experienced atmosphere.

Dordrecht: Philips Research, Probing Experience, 8,

25-41.

투 고 일: 2013. 9. 30

수정접수일: 2013. 12. 3

게재승인일: 2013. 12.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