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space] 창조와 혁신의 공유공간 만들기 : 3가지 관점으로 코워킹오피스...

Post on 07-Jun-2015

15.356 Views

Category:

Business

14 Downloads

Preview:

Click to see full reader

DESCRIPTION

[NSPACE] 창조와 혁신의 공유공간 만들기 : 3가지 관점으로 코워킹오피스 사례분석 - 공간혁신과 코워킹오피스 문화 관계, 국내외 사례 - 디캠프, 청년허브, 스페이스노아, 오픈콘텐츠랩, 오픈소스카페, wework, impact hub... 2014년 주목해야할 공간들도 모아보았습니다. / 본 자료는 (주)앤스페이스에서 제작했습니다. / office@spacecloud.kr

TRANSCRIPT

“창조와 혁신의 공유공간 만들기”주식회사 앤스페이스 정수현

“혁신은 공간을 재구성하는 것에서부터 나온다.”D.school 공간기획, IDEO 설립자 데이비드 켈리

Coworking공간, 커뮤니티, 소셜 네트워크가 필요한 이들을 위해

디캠프스타트업들을 대상으로한 창업 생태계 허브, 다양한 행사 및 관련 프로그램 제공

청년허브청년들의 자립을 위한 정책지원, 공간지원, 다양한 프로그램

스페이스노아행사모임 대관공간, 콘텐츠 커뮤니티, 코워킹 오피스

500 +

projects

Coworking

incubating coordinating networking

- 투자적 접근- 목표 타겟 대상이 선명함- 스타트업- 신규사업 발굴, 투자 연결- 엑셀러레이팅- 데모데이, 컨퍼런스, 이벤트- 평가 및 성과 측정, Exit

- 서비스적 접근- 목표 타겟 대상이 다양함 - 신규 사업 또는 프로젝트, 학생- 비지니스 / 운영진 수익모델- 프로그램, 홍보 연계 등- 네트워킹 파티, 관련 이벤트 - 운영 자율

정책형 비지니스형 커뮤니티형

- 참여적 접근- 목표 타겟 대상이 모호함- 다양한 직업군, 프리랜서- 멤버십 / 회비 등의 운영모델- 자체 프로그램 협업 - 자체 네트워킹 행사 연계- 멤버십, 동호회적 성격

운영체제

비지니스형 정책형 커뮤니티형

공간 소유 / 임차 정부 / 중간조직 민간 / 공헌형

운영 주체 직접 운영 위탁 운영 공동 운영

수입 마련 자체 운영 예산 배치 공동 사업

모델 스페이스노아 디캠프, 청년허브 오픈콘텐츠랩

서비스 공간대관, 코워킹 정책 관련 시민캠퍼스

형식 임대사업 정책사업 커뮤니티 사업

이용 대상 자율 선택 / 마케팅 정책 대상 / 타케팅 목표 그룹

지자체공간 적용가능한 공간운영 가이드라인

참고해볼만한 2014년 공유공간 in SEOUL공간 + 인큐베이팅 / 코디네이팅 / 커뮤니티 / 프로그램

선정릉역 D.CAMP 시청역 스페이스노아 불광역 청년일자리허브

역삼역 오픈콘텐츠랩

광화문 드림엔터

선릉역 MARU180

공간기획 소셜픽션 5가지 물음

공간 자원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어떤 운영체제로 돌아가는 가

어떤 구성원들이 이용하길 바라는가

경제적, 사회적 가치는 있는가

어떤 콘텐츠들이 생성되는가

더 많은 공간이 오픈되고 더 넓은 네트워크가 공유되는 세상을 꿈꾸는 주식회사 앤스페이스

대표 정수현 / office@spacecloud.kr / 010-2817-5159 / @오픈콘텐츠랩

top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