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단연구(cross sectional study) -...

Post on 24-Jun-2020

4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s

Preview:

Click to see full reader

TRANSCRIPT

시간차원

• 횡단연구(cross sectional study)

– 한 시점에서 사람이나 상황의 표본, 또는 단면을 연구하는 것

– 문제점: 설명을 위한(즉 why에 대한 대답) 횡단연구는, 한 시점에서 실시한 관찰에 근거하여 여러 시점에 발생하는 인과과정을 설명해야 하는 내재적 문제점을 안고 있음

– 예) 스냅사진 vs 비디오

• 종단연구(longitudinal study)

– 여러 시점의 관찰에 기반한 연구 – 추세연구(trend study): • 시간에 따른 모집단의 변화를 조사 • 주의: 모집단의 변화라고 해서 반드시 모든 사람을 조사하는 것은 아님(표본이용가능)

• 예: 수십 년 간의 인구 센서스 비교

– 코호트 연구(cohort study) • 특정 하위집단(즉, 코호트)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변화 하는지 조사 • 코호트는 같은 연령집단(예, 7080)과 다른 연령집단(예, 2000년에 결혼한 사람) 모두 사용가능 • 베이비 부머, 7080 등

– 패널연구 (panel study) • 동일한 사람을 대상으로 반복측정 • 대상에 상관없이 동일인 여부만 따짐

• 3가지 유형의 종단연구 비교

– 연구대상의 차이:

• 추세연구: 모집단, 혹은 모집단에서 추출한 표본

• 코호트: 특정 하위집단,

• 패널연구: 모집단이던 특정 하위집단이든 대상에 규정 없음, 동일 샘플에 대해 반복측정이 관건

• 종단연구의 장단점

– 장점: 과정에 대한 이해가능(스냅사진 vs 동영상)

– 단점: 시간적, 금전적 부담. 패널소실(패널연구의 경우_일반화문제)

다음은 무슨 방법일까요?

비교를 의미

같은 집단을 의미

2000년

50대

60대

70대

40대

30대

다음은 무슨 방법일까요?

50대

60대

70대

40대

30대

1990년 2000년

비교를 의미

같은 집단을 의미

50대

60대

70대

40대

30대

다음은 무슨 방법일까요?

1990년 2000년

비교를 의미

같은 집단을 의미

50대

60대

70대

40대

30대

50대

60대

70대

40대

30대

다음은 무슨 방법일까요?

비교를 의미

같은 집단을 의미

50대

60대

70대

40대

30대

50대

60대

70대

40대

30대

1990년 2000년

80대

Q 다음은 1990년도와 2000년도에 측정한 세대별 미니스커트 착용비율이다.

시간의 변화에 따라 착용비율에 차이가 있는가?

40%

30%

1990 2000

40%

40%

30% 30대

40대

50대

연구프로젝트 설계 방법

• 출발 – 연구프로젝트의 목적규명

• 어떤 유형의 연구?

• 탐색적 연구? 기술적 연구? 아니면 설명적 연구?

• 수업과제물? 졸업논문

• 정보취득? 전문학술논문

• 개념화(conceptualization) – 연구하고자 하는 모든 개념에 대한 의미의 구체화

• 특히, 서베이와 실험에서는 인터뷰보다 높은 구체화가 요구됨

– 덜 구조화된 조사(예, 개방형 인터뷰)는 개념의 상이한 차원, 측면 또는 의미 발견이 가능

연구과정 흐름도

– 조사방법의 선택 • 실험, 서베이, 질적현장연구, 비개입적 연구, 평가연구 등과 같은 다양한 조사방법 중 목적에 부합하는 조사방법의 선택

• 최선의 연구설계는 복수의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서로 다른 장점을 이용하는 것

– 조작화(operationalization) • 변수의 측정기법에 대한 결정

• 변수의 의미는 측정기법에 의해 결정

• 조작화의 예, 자료수집방법 결정, 설문지 문항의 작성,

– 모집단(population)과 표집(sampling) • 모집단: 결론을 얻고자 하는 집단. • 표본:

– 관심이 있는 모집단의 모든 구성원을 모두 연구하는 것이 불가능함으로 이상적으로 수집하고 연구할 수 있는 자료 가운데서 선택된 집단.

– 표본의 선택은 구체적이어야 함. » 학생: 전업학생? 시간제 학생? 외국인 학생? 편입생?

• 표집: – 표본을 모집단에서 추출하는 과정 – 주의: 설문은 표본에서 자료를 추출하는 과정 – 표집의 예:

» 서베이나 내용분석: 확률표집기법 » 현장조사자: 연구상황에 대해 균형잡힌 모습을 보여줄 정보원의 선택

» 실험: 비교가능 하도록 연구대상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할당

• 탐구의 오류 및 해결방안 중 표본관련문제: – 표본수의 부족—과잉일반화. – 대표성 없는(편향된 표본)-선별적 관찰

• 관찰 – 경험적 자료를 수집하는 행위

– 능동적인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 “측정”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함.

– 관찰의 예

• 서베이: 자기기입형 설문 혹은 전화를 이용한 설문 등

• 자료의 처리 – 사회과학 자료가 양적 혹은 질적 분석을 위해 처리 또는 변환되는 과정

• 예, 서베이에서 적어놓은 답변을 분류하고 정보를 컴퓨터로 이전하는 과정(코딩)

– 분석 •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탐구를 시작하게 한 흥미, 아이디어 그리고 이론을 반영할 목적으로 자료들의 해석하는 행위

• 기술적 분석: 빈도분석, 그래프

• 설명적 분석: T-TEST, ANOVA(분산분석), 회귀분석

– 적용 • 수행한 연구와 결론의 이용

• 리포트 작성, 학술대회에서의 발표, 보고서 작성

• 차후연구에 대한 제언… 등

연구계획서

연구계획서를 참고하여 향후 조별과제를 수행할 것

top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