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r; cardio pulmonary resuscitation bls; basic life...

Post on 06-Sep-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s

Preview:

Click to see full reader

TRANSCRIPT

제 4 장 심폐소생술 (CPR; Cardio Pulmonary Resuscitation

BLS; Basic Life Support)

1. 심폐소생술의 정의와 단계

1) 심폐소생술의 정의 및 단계

• 심폐소생술이란 심정지 환자의 멈추어진 심장의 자발순환을 회복시켜 환자의

사망을 방지하는 일련의 응급처치 과정을 말한다.

기본소생술

(BLS : Basic life

support)

• 발견자가 심정지 확인, 119신고, 기도열기, 인공호흡, 가

슴압박, 자동 제세동기에 의한 제세동 등의 기본 응급처

치를 시행하는 심폐소생술의 초기 단계를 말한다.

전문 심장 소생술

(ACLS :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 심정지 환자가 병원에 도착한 이후에 의료진에 의하여

시행되어지는 전문기도유지술, 제세동, 약물투여 등 전

문 응급처치를 말한다.

1. 심폐소생술의 정의와 단계

1) 심폐소생술의 정의 및 단계

• 최근에는 일반인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자동 제세동기

(AED :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가 개발됨

• 현장에서 자동제동기를 이용하여 제세동 처치를 실시

하는 것 또한 기본 소생술에 포함되어 강조되고 있다.

2. 심폐소생술의 필요성

1) 심폐소생술의 정의 및 단계

• 심혈관 질환 및 노령화에 따른 심정지 환자의 증가

• 심정지는 하루 중에서 오전 8~10시 사이 가장 많이 발생하며, 오후 6~8시에

그 다음으로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가정에서 일반인에 의한 심폐소생술의 중요하다.

2. 심폐소생술의 필요성

최초목격자에 의한 심폐소생술의 중요성

• 심장이 멎었을때 5분이내 심장이 다시 뛴다면 뇌손상 없이 완전 회복

• 5분 경과 : 허혈성 뇌손상

2. 심폐소생술의 필요성

소생의 사슬

소생의 사슬은 빠른 신고, 목격자에 의한 심폐소생술, AED를 이용한 제세동(현장에서 이루어

짐), 전문 심장소생술의 4단계

이 과정이 서로 잘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는 개념을 지칭하여 소생의 사슬이라함

3. 성인 기본 소생술

1. 의식확인 및 도움요청

심장마비를 목격 의식이 없는 환자를 발견

의식상태를 확인

119 구급대에 구조 요청

3. 성인 기본 소생술

환자의 자세

• 딱딱하고 평평한 바닥에 반듯하게 눕혀야

한다.

• 환자의 머리, 목, 어깨 몸통 등을 하나의

축으로 비틀지 말고 통나무를 굴리듯이

동시에 돌려야 한다. 머리가 일직선의 축

으로부터 통나무 굴리듯이 동시에 돌려야

한다.

• 심정지 환자가 쓰러지면서 목(경추)에 손

상을 받은 경우에 통나무 굴리기(Log roll)

법을 사용하지 않는다 (척추손상을 악화)

3. 성인 기본 소생술

2. 가슴압박

구조자의 팔꿈치를 환자의 양측 젖꼭지를 연결한 선과 흉골이 만나는 지점(가슴 중앙)

30회 실시한다.

3. 성인 기본 소생술

3. 기도열기 및 호흡확인(기도열기)

손가락을 아래턱의 한쪽 뼈 부분에 둔다.

치아가 거의 맞물리도록 턱을 위로 들어 올린다.

주의사항

턱을 들어 올리는 손가락으로 턱 아래 부위의

연부조직을 깊게 눌러서 오히려 기도폐쇄를 유

발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3. 성인 기본 소생술

3. 기도열기 및 호흡확인(기도열기)

구강의 이물질과 구토물은 기도폐쇄 및 흡인을 유발하므로 제거하여야 한다.

3. 성인 기본 소생술

구조자는 환자의 기도를 열린 상태로

유지하면서 환자의 입과 코 부위에 자

신의 귀를 대고 5초 이상 10초 이내에

환자의 자발호흡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호흡확인은 눈으로 환자의 가슴이 오

르내리는지를 보고, 귀로 환자의 호흡

음을 듣고, 빵으로 공기의 흐름을 느끼

는 방법으로 시행한다.

3. 기도열기 및 호흡확인(호흡확인)

3. 성인 기본 소생술

호흡확인 시 환자의 자발호흡이 없는 경우

에 구조자는 환자의 기도를 열린 상태로 유

지하면서 한손으로 환자의 코를 막고 입으

로 환자의 입을 완전히 덮은 다음 1초 동안

가슴이 충분히 올라올 정도로 숨을 불어 넣

어야 한다.

첫 번째 인공호흡으로 환자의 가슴이 올라

오지 않는다면 기도열기를 다시 시행한 뒤

에 인공호흡을 시행하며, 가슴압박이 지연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2회 이상 초과

하여 인공호흡을 시행하지는 않는다.

4. 인공호흡

3. 성인 기본 소생술

5.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의 반복

1) 단단한 바닥에 눕힌다.

2) 의복을 벗긴다.

(가슴이 보이도록)

3) 무릎을 꿇고 누르고자 하는 곳이

내 중심선과 일치하도록 위치한다.

4) 가슴중앙에 한손을 손꿈치가 닿도

록 놓는다.

5) 다른한손으로 깍지를 낀다

6) 팔꿈치는 곱게 펴고, 팔은 바닥과

수직이 되게한다.

3. 성인 기본 소생술

5.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의 반복

3. 성인 기본 소생술

7) 약 4~5cm 깊이로 분당 100회 속도로 30회 가슴 압박한다.

8) 압박된 가슴이 완전히 올라오도록 노력 해야한다

-흉강내부의 압력을 상승시켜 심장으로의 혈액 혈류량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이때 올바른 자세를 위해 구조자의 손이 가슴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9) 교대자가 있을 시 2분주기로 30번 가슴압박 2번 불어넣기를 교대한다.

-가능한 가슴압박이 5초 이상 중단되지 않아야 한다.

10) 심폐소생술을 멈추는 경우

119전문 요원이 도착 시

생명의 징후를 보일 시-스스로 호흡, 의식 확인 될 때

CPR을 할 수 있는 다른 사람과 교대할 경우

처치원이 너무 지쳐 더 이상 계속 할 수 없을 경우

5.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의 반복

3. 성인 기본 소생술

회복자세

부상자의 다리를 똑바로 펴고 구조

자에게 가까운 팔을 편안하게 위를

향해 올리고 손바닥이 위로 가게 한

다.

반대편 팔을 가슴을 가로질러 잡아

당겨 손등이 구조자에게 가까운 쪽

의 볼에 닿도록 한다.

3. 성인 기본 소생술

회복자세

다른손으로 무릎을 세우고 발바닥

은 땅에 닿도록 한후 구조자 쪽으로

무릎을 당겨 돌린다.

잡아당긴 다리의 무릎과 엉덩이가

직각이 되게 한다.(기도 개방이 유

지되도록 한다)

4. 소아 및 영아 기본 소생술

소아 심정지에서 소생의 사슬

1세-8세까지의 소아와 1세 미만의 영아에서의 심정지는 성인과 달리 주로 호

흡부전, 영아 돌연사 증후군, 패혈증, 손상 등의 비심장성 원인에 의해 유발

성인(제세동 처치)과 달리 심정지 발생의 예방이 우선

4. 소아 및 영아 기본 소생술

소아 심정지에서 소생의 사슬

심정지의 예방, 목격자에 의한 심폐소생술, 빠른신고, 빠른소아 전문 소생술

4. 소아 및 영아 기본 소생술

1. 의식확인 및 도움요청

환아가 반응이 없다면 주변 사람에게 119 구급대 신고 요청

즉시 기본 소생술 시작

만약 도움 요청할 사람이 없다면 5주기의 기본소생술(가슴압박30회, 인공호

흡 2회)시행한 다음 119 신고

4. 소아 및 영아 기본 소생술

2. 기도열기 및 호흡확인(기도열기)

성인 심정지 환자에서와 같음

주의사항

1세 미만의 영아는 머리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과도하게 머리를 뒤로 젖힐

경우 기도폐쇄가 유발

4. 소아 및 영아 기본 소생술

3. 인공호흡

4. 소아 및 영아 기본 소생술

3. 인공호흡

기도를 열린 상태로 유지

한손은 코를 막고 구조자의 입으로 환아의 입을 완전히 덮은 다음 1초 동안 가슴이 충

분히 올라오도록 숨을 불어 넣는다.

첫번째 인공호흡 후 가슴이 올라오지 않는다면 기도열기를 다시 시행후 인공호흡 실시

크기가 작은 영아는 구조자의 입으로 환아의 입과 코를 한꺼번에 막은 다음 인공호흡

실시

4. 소아 및 영아 기본 소생술

4. 가슴압박

소아 가슴압박 위치는 성인과 같음

가슴 압박 깊이는 가슴 두께의 1/3~1/2정도이다.

구조자는 환아의 크기에 따라 한 손 또는 두 손으로 가슴압박을 실시한다

4. 소아 및 영아 기본 소생술

1세 미만의 영아는 가슴압박 깊이는 1/3~1/2 정도

구조자는 두 손가락으로 가슴압박 시행

회복자세

소아의 회복자세는 성인과 동일하다

영아의 경우 머리를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한태 양

손으로 안는다.

이는 영아의 혀 또는 토사물이 기도를 막는 것을

방지한다

5. 연령에 따른 기본 소생술의 시행방법

심폐소생술의 분류 및 응급처치 항목

구분 성인 소아 영아

연령 8세 이상 1세~8세 1세 미만

가슴압박 위치 가슴 중앙 가슴 중앙 가슴 중앙 직하부

가슴 압박 방법 두 손으로 두 손 또는 한 손 두 손가락

가슴 압박 깊이 4~5cm 가슴두께의1/3~1/2 가슴두께의 1/3~1/2

자동제세 동기 사용 사용 미사용

top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