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터민아동을 위한 아동복지실천 새터민아동 의 개념

Post on 06-Jan-2016

236 Views

Category:

Documents

10 Downloads

Preview:

Click to see full reader

DESCRIPTION

새터민아동을 위한 아동복지실천 새터민아동 의 개념. 새터민아동의 개념과 유형. 1. 새터민아동의 현황과 특성. 2. 새터민아동의 문제. 3. 4. 새터민아동을 위한 복지서비스 현황. 개선방안. 5. 학습목표. 새터민아동의 개념 과 유형 을 이해한다 . 새터민아동의 현황 과 특성 을 이해한다. 1. 새터민아동의 개념. 1 ) 개념 북한이탈주민 : 월남자 , 월남귀순자 , 귀순용사 , 탈북난민 , 북한이탈주민 , 북한출신 남한이주자 , 귀순동포 등 새터민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TRANSCRIPT

새터민아동을 위한 아동복지실천새터민아동의 개념

1

2

3

새터민아동의 개념과 유형

새터민아동의 현황과 특성

새터민아동을 위한 복지서비스 현황4

새터민아동의 문제

5 개선방안

학습목표

• 새터민아동의 개념과 유형을 이해한다 .

• 새터민아동의 현황과 특성을 이해한다 .

1) 개념

• 북한이탈주민 : 월남자 , 월남귀순자 , 귀순용사 ,

탈북난민 , 북한이탈주민 , 북한출신 남한이주자 ,

귀순동포 등

• 새터민

– “ 새로운 터전에서 삶의 희망을 갖고 사는 사람”

– “ 북한이탈주민” 2005 년 통일

1. 새터민아동의 개념

1) 새터민아동의 현황

• 과거의 북한이탈 동기–북한체제 불만 – 식량난

• 최근의 경향 –북한사회에 대한 회의감–더 나은 삶을 추구–더 나은 교육 기회–이미 남한으로 입국한 가족들과 함께 살기 위해서–경제적으로 성공하기 위해서

2. 새터민아동의 현황과 특성

새터민아동의 개입 필요성

가족단위의 북한이탈주민 증가

아동의 입국비율 증가

새터민 아동들의 국내 정착문제

새터민아동의 적응 문제

새터민 아동 개입 필요성

2. 새터민아동의 현황과 특성

2) 북한 아동의 특성

(1) 북한 아동들의 가치관

• 북한의 체계• 아동과 청소년은 영웅적인 공산당 혁명가로서

당과 수령에게 충성

• 사회주의 체제수호에 헌신

• 북한 이탈주민 아동 , 청소년들의 가치관 • 집단주의적 가치관 : 협조와 희생 , 평등

강조 교육

• 사회주의와 주체사상

• 국가에 대한 주체성과 민족성 강함

• 공식가치 지향

• 국가의 안전과 집단의 이익 , 생활의 평등 중요시

2. 새터민아동의 현황과 특성

 (2) 북한 아동들의 심리특성

• 아동과 청소년들 특성

① 집단 생활태도의 형성 : 조기교육을 통하여 아동과 청소년들에게 질서지키기 , 집단적 책임 완수하기 ,

상급자 명령에 복종하기 등을 훈련시키고 있어 이로 인하여 생활태도가 획일화 , 집단화

경향 .

2. 새터민아동의 현황과 특성

② 김일성 부자 우상화 교육과 충성심 :

북한의 아동들은 유치원 때부터 김일성에 대한 흠모의 감정을 갖도록 훈련을 받는다 , 이를 통하여 김일성 부자에 대한 우상화와 충성심을 교화하고 있다 .

2. 새터민아동의 현황과 특성

③ 수동성과 타율성 :

아동과 청소년 , 성인 모두 조직과

집단에 소속되어 있다 .

아동들은 권위주의 통제 분위기

속에서 자신의 능동적인 판단과

선택의 훈련이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수동적이며 , 자율성이 부족하다 .

2. 새터민아동의 현황과 특성

 (3) 북한 아동들의 학교생활

• 북한 아동들의 하루 일과

– 집단등교 , 집단생활 , 집단하교 , 방과 후

단체 활동 참석 .

– 학교생활 : 소년단 , 사회주의 청년동맹 ,

붉은 청년 근위대 , 교도대 등의 조직 편성

– 엄격한 정치사상 및 군사 교육과 훈련

– 거의 모든 학생 “의무노동” 참여

2. 새터민아동의 현황과 특성

• 북한의 중등교육 내용과 특성

- 공산주의 이념과 김일성 주체사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정치사상 교육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

- 자기희생의 기꺼이 감수하는 집단주의 정신 , 생각과 건설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노동애호 정신과 근검절약 정신 등 공산주의 도덕성을 강조하고

있다 .

- 실습이나 노동 , 조직 활동에 투입되는 시간이 많다 .

실습과목은 학교에서 운영하는 농장 등에서 실습을 겸한 노동과 농촌과 건설현장에서 노력지원

활동으로 이루어진다

3. 새터민아동의 문제

1) 북한 아동의 인간관계 특성• 학교 교사와 학생들간의 또래 및 인간관계 특성

– 학생과 교사와의 관계

• 교사와 학생 간의 엄격하게 정해진 학교규율이

전반적인 학교생활을 통제하고 있다 .

• 대부분의 학생들은 교사가 요구하는 일이나 작업지시 ,

학교의 지시사항은 무조건 복종하고 따른다 .

• 학생평가는 개인의 학습능력보다는 부모의

출신성분과 사회적 지위 등이 더 많이 작용한다 .

3. 새터민아동의 문제

– 학생들 간의 관계

• 집단화 현상 : 지역적 그리고 부모의 권력에 의한 계층화이다 .

• 북한 내부의 조직이 돈과 부모의 권력으로

수직 구조화 되어있기 때문에 일반 학생들은 지역이나 친구의 강요에 의해 집단화 된다 .

• 공부를 잘하는 간부 자녀들은 학급 내

집단화를 묵인하거나 비호해주기도 한다 .

3. 새터민아동의 문제

• 남한의 아동들의 특성 – 장점 • 자유로움 , 적극성

– 단점• 개인적 , 이기적

• 북한 청소년들의 특성 – 장점• 단결력 , 협력성

– 단점• 수동적 , 소극성

3. 새터민아동의 문제

학습정리

• 새터민 :

새로운 터전에서 삶의 희망을 갖고 사는 사람 .

• 새터민 아동 특성

북한아동들의 가치관 , 심리특성 , 학교생활 ,

인간관계특성 .

top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