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경제의 현황과 미래 전망

Post on 01-Jan-2016

56 Views

Category:

Documents

1 Downloads

Preview:

Click to see full reader

DESCRIPTION

베트남 경제의 현황과 미래 전망. 경영기획실 2006. 11. 2. 베트남 경제의 약진 현황 베트남 정부의 개발 정책 베트남 경제의 애로 요인 베트남 경제의 미래 전망. 내용 목차. 2001~05 년 사이 연 7.5% 의 경제성장세 - 05 년은 9 년 이래 최고인 8.4% 성장 기록 1990 년 이래 수출성장 속도 중국 능가 - 연 수출성장률 25% 이상 - 쌀 수출은 태국을 능가하고 , 브라질의 강력한 커피 수출 경쟁국으로 등장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TRANSCRIPT

베트남 경제의 현황과 미래 전망

경영기획실 2006. 11. 2

2

1. 베트남 경제의 약진 현황

2. 베트남 정부의 개발 정책

3. 베트남 경제의 애로 요인

4. 베트남 경제의 미래 전망

내용 목차

3

2001~05년 사이 연 7.5%의 경제성장세

- 05년은 9년 이래 최고인 8.4% 성장 기록

1990년 이래 수출성장 속도 중국 능가

- 연 수출성장률 25% 이상

- 쌀 수출은 태국을 능가하고 , 브라질의 강력한 커피 수출

경쟁국으로 등장

2000년 25%의 농업 생산 비중을 2010년까지 15%로 낮추며 공업국 변신

1. 베트남 경제의 약진 현황

4

( 단위 : US 불 )

자료원 : The Economist

구 매 력 平 價 (PPP) 란 모든 나라 통화 1 단위의 구 매 력 이 같 아 지 도 록 환율이 결정되어져야 함을 의미

BRICs 등 신흥개도국의 경우 PPP 기준으로 환산된 GDP 가치는 미국과의 물가 차 이 로 인 해 명 목 환 율 가치보다 2 배에서 최고 5 배까지 높아짐

<도표 1> 구매력 平價 지수로 본 개인 소득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7000

8000

9000

태국 중국 베트남 필리핀

1990 년2005 년

5

구 분 2004 년 2005 년

GDP( 억불 ) 443 531

1 인당 GDP( 불 ) 534 638

산업생산 증가율 (%) 16.1 17.2

연평균 인플레율 (%) 7.7 8.3

실업률 (%) 5.6 -

환율 ( 대달러 ) 15,746( 동 ) 15,851( 동 )

수출 ( 억불 ) 248 322

수입 ( 억불 ) 291 369

경상수지 ( 억불 ) -16 -4.9

외채 ( 억불 ) 166 160

외화보유고 ( 억불 ) 68.4 83.0

<표 1> 주요 경제지표

6

구 분 01~05 년 목표 01~05 년 성과 06~10 년 목표

경제개발지표

GDP 성장률 7.5% 7.5% 7.5~8%

1 인당 GDP 410 불 600 불 ( 추정 ) 1,000 불 (10 년 )

농업 20~21% 20.5% 15~16%

제조건설 38~39% 41.0% 42~43%

서비스 38~39% 38.5% 41~42%

연 수출증가율 14~16% 16.2% 14~16%

사회개발지표

고용창출 (5 년 ) 750 만명 750 만명 800 만명

인구증가율 1.2% 1.4% 1.12%

빈곤층 비율 17%(01 년 ) 17%(05 년 ) 15~16%(10 년 )

자료원 : 베트남 정부

<표 2> 주요 개발 지표

7

고도 경제성장 지속 추진 - 베트남 정부는 2006~10 년까지 2 차 5 개년 경제개발계획을 수립하여 연 8% 대의

성장을 유지하려 함 - 이를 위해서는 외국자본 유치가 필수적임을 인식해 투자유인 법령과 인센티브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겠다는 정책의지 피력 - 특히 베트남 중부지방인 후에省 , 꽝남省 , 꽝응아이省 , 빙딩省 등에 도로 , 전기 , 통신 , 공업용수 인프라를 갖춘 공단 및 경제특구를 조성하려 함

중공업 분야 집중 투자 - 전력 , 석탄 , 원유 , 가스 , 철강 , 시멘트 산업에 투자 집중

공기업 구조조정

- 2010 년까지 전체 공기업 중 1,000 개만 남기고 모두 민영화 (05 년까지 총 5,655개

중 2,996 개의 조정 완료 ) - 중요 공기업은 한국의 재벌식으로 사업다각화와 수직계열화를 추진

2. 베트남 정부의 개발 정책

8

대상 기업 산업분야 구조조정 시한

Housing Bank of Mekong Delta

금융 2006 년 말

Vietnam GeneralAgricultural Materials

농업 2006 년 말

Vietnam TelecomService Co.

통신 2006 년 말

3 Memebers ofVietnam Cement Co. 시멘트 2006 년 말

Bank of Investment &Development of Vietnam

금융 2007 년 말

24 Members of Vietnam Elec. & AllElec. Generating Factories

전력 2007 년 말

Vietnam Shipbuilding Industry Co. 조선 2007 년 말

<표 3> 주요 구조조정 대상 공기업

9

2. 베트남 정부의 개발 정책

외국인 투자유치 확대

- 05년 외국인 투자 58억불 유치 성공 , 06년 7월 차별 철폐를 위한 통합회

사법 발효 , 투자허가절차 간소화를 위해 지방정부에 권한 이양

- 기존의 64개 각 省별 투자보다는 남부, 중부 , 북부의 권역별 연계 투자

를 정책적으로 유도

- 외국투자기업에 숙련 노동력 제공을 위한 직업 교육 강화

WTO 가입 추진 - 06년 말 가입을 목표로 농업보조금, 이중가격제 폐지 , 미국 및 멕시코와

FTA 추진

10

부정부패 만연 - 국제투명성기구가 발표한 2005 년 국가별 CPI( 부패인식지수 ) 순위 조사에서

158 개국 중 107 위에 랭크 (한국 40 위 , 중국 78 위 , 인도 88 위 , 러시아 126 위 ,

나이지리아 152 위 )

- 2003 년에는 133 개국 중 100 위 , 2001 년에는 91 개국 중 75 위로 평가

남북 지역 격차 - 호치민 (구 사이공 ) 중심의 남부와 하노이 중심의 북부는 시장경제를 받아들

인 역사적 경험에 따라 통일 후 31 년이 지난 지금도 경제적 격차가 상존

- 문제는 하노이의 당 지도층이 이 격차를 줄이기 위해 경제적 입지 요건을

무시한 채 대형 프로젝트를 가급적 북부로 유치하려는 데 있음

- 이런 정치적 이유에 의한 입지 지정은 외국기업들의 투자 유치에 적지 않은

걸림돌로 작용

3. 베트남 경제의 애로 요인

11

3. 베트남 경제의 애로 요인

인플레 압력 가중 - 국제유가 급등에 따른 석유화학제품 수입가 인상 , 재정적자 폭이 늘어남

으로 인한 통화 팽창 요인에 의해 물가 상승 요인이 점점 커짐

- 급격한 경제성장에 따른 당연한 경제적 비용지불이지만 , 사회주의 국가의

정책적 미숙함으로 적절한 인플레 통제에 실패한다면 90 년 대 초 러시아에

서와 같은 엄청난 사회적 혼란을 야기할 수 있음

낙후된 금융시스템 - 국영기업들에 대한 비효율적 신용제공의 누적으로 악성부채가 2003 년의

경우 125 억불에 달해 총부채비율의 위험 수위 5% 를 넘는 7.2% 를 기록

- 04 년과 05 년에 들어 3~4% 선으로 줄었지만 , 사회주의 체제로 인한 금융

인프라의 낙후성은 조만간 경제성장 템포를 막는 커다란 저해 요인으로

등장할 수 있음

12

중국의 대체 투자국으로 급부상

- 중국 남부지역과의 지리적 근접성 , 더 유리한 생산성 대비 임금수준 , 최근

나타나기 시작한 China Risk 는 외국기업들에 중국을 대신할 만한 대체 투자

국을 찾게 함

- 구미계 기업 및 한국 , 일본 , 대만 기업들은 동남아의 지리적 허브 역할과

매력 있는 소비시장으로서의 여건을 갖춘 베트남을‘ The Next 중국’투자국

으로 보고 2000 년도부터 본격적인 투자 Rush 를 행하고 있음

- 2006 년 말로 예정된 WTO 가입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연 7% 이상의 고공

성장세를 2010 년까지 확실히 보일 것임

4. 베트남 경제의 미래 전망

13

( 단위 : 건 , 백만불 )

자료원 : 베트남 투자기획원 (MPI)

<도표 2> 연도별 외국투자 유치 실적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4500

00 년 01 년 02 년 03 년 04 년 05 년

승인 건승인금액실제투자액

14

4. 베트남 경제의 미래 전망

동남아의 신흥 공업국으로 약진

- 베트남 정부는 경제의 거시적 방향을 ‘수출 드라이브’로 확정하고 , 06~10년

기간 동안 연평균 7.5~8.0%의 GDP 성장 , 2010 년 인당 소득 1,000불 , 연간

수출증가율 14~16%를 달성하겠다는 개발계획안 제시

- 인텔은 2006년 하노이 근교에 6억불을 투입하여 아시아에 6번째의 자사

반도체 칩 공장을 설립하기로 결정하여 베트남을 동남아의 정보 강국으로

변신시키겠다는 하노이 정부의 정책 의지에 동조

- WTO 가입을 계기로 중국 남부경제권과의 연계가 심화되어 전자부품을 생산

하여 중국 조립공장으로 공급하는 분업구조가 본격적으로 활성화되어 정착될

것임

top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