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rylamide ( 2-propenamide )61 대기 중 오염물질의 흡입 노출량은 ଞ물질 위ଦ성...

44
1 화학물질의 위해성에 관한 자료 Acrylamide ( 2-Propenamide ) 대표등록자 : SNF코리아㈜

Upload: others

Post on 02-Feb-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Acrylamide ( 2-Propenamide )61 대기 중 오염물질의 흡입 노출량은 ଞ물질 위ଦ성 가의 구체적 방법 등에 관ଟ 규정 (국립 경과ଞ원고시)에 제시된

1

화학물질의 위해성에 관한 자료

Acrylamide

( 2-Propenamide )

대표등록자 : SNF코리아㈜

Page 2: Acrylamide ( 2-Propenamide )61 대기 중 오염물질의 흡입 노출량은 ଞ물질 위ଦ성 가의 구체적 방법 등에 관ଟ 규정 (국립 경과ଞ원고시)에 제시된

55

10. 노출 평가

Page 3: Acrylamide ( 2-Propenamide )61 대기 중 오염물질의 흡입 노출량은 ଞ물질 위ଦ성 가의 구체적 방법 등에 관ଟ 규정 (국립 경과ଞ원고시)에 제시된

56

10. 노출평가

[표 37] 노출시나리오 개요

노출시나리오 수량(톤/년)

산업적/전문적 용도 소비자

용도 제품 범주 공정 범주 환경배출 범주

표준산업

분류코드

제조 혼합(조제) 산업적/전문적

사용

ES 1.

화학물질의 제조

사업장 1: 약 56,575 t/y

사업장 2: 약 8,800 t/y

사업장 3: 약 12,000 t/y

O O - - PC_19 PROC_1

PROC_2

PROC_8b

ERC_1 C 제조업 (10~33)

20119- 기타

기초유기화학물질

제조업

ES 2. 고분자 중

합에 사용되는

단량체

사업장 4: 약 50,000 t/y

사업장 5: 약 90 t/y

사업장 6: 약 4,800 t/y

사업장 7: 약 150 t/y

사업장 8: 약 150 t/y

사업장 9: 약 100 t/y

사업장 10: 약 6,200 t/y

사업장 11: 약 950 t/y

사업장 12: 약 140 t/y

사업장 13: 약 2,000 t/y

사업장 14: 약 20 t/y

사업장 15: 약 4,500 t/y

사업장 16: 약 7,630t/y

- - O - PC_19

PC_20

PC_32

PROC_1

PROC_2

PROC_3

PROC_8a

PROC_8b

PROC_9

ERC_6a

C 제조업 (10~33)

20499-그외 기타

분류안된 화학제

품 제조업

C 제조업 (10~33)

20493-접착제 및

젤라틴 제조업

Page 4: Acrylamide ( 2-Propenamide )61 대기 중 오염물질의 흡입 노출량은 ଞ물질 위ଦ성 가의 구체적 방법 등에 관ଟ 규정 (국립 경과ଞ원고시)에 제시된

57

10.1 노출시나리오 1 : Acrylamide의 제조

10.1.1. 노출시나리오 1의 개요

10.1.1.1. 노출시나리오에 포함되는 활동 및 공정에 대한 기술

[표 38] 노출시나리오에 포함되는 활동 및 공정에 대한 기술

제목 Acrylamide의 제조

용도확인 SU8 대규모 화학제품(석유제품 포함) 제조

공정 범주 PROC_1, PROC_8a, PROC_8b

제품 범주 PC_19. 중간체

표준산업 분류코드 20119- 기타 기초유기화학물질 제조업

환경 활동 및 공정 설

기여시나리오-E1: 기초유기화학물질 제조에 따른 환경 중 배출

① 주요 분류체계(MC)

- 사업장 1, 2, 3: Ib_밀폐공정에서 사용

② 산업분류체계(IC): IC 3. 화학 산업 : 합성에 사용되는 화학물질

③ 용도분류체계: 55. 기타

④ 환경 배출범주: ERC_1 화학물질의 생산

- 해당 사업장: 사업장 1,

⑤ 총 제조량 : 77,375 t/y

<제조량>

구분

제조량(t/y) IC별 제조량(t/y) 작업일수

IC분류 사업장

IC 3 사업장 1 56,575

77,375 t/y

약 350일

IC 3 사업장 2 8,800 약 350일

IC 3 사업장 3 12,000 약 350일

<배출정보>

1. 전국적

- 대기 : 2,363 kg/y, 수계 : 0 kg/y, 토양 : 0 kg/y

2. 국지적

① 사업장1 : 대기 : 632 kg/년, 수계: 0 kg/년, 토양: 0 kg/년

② 사업장2 : 대기 : 31 kg/y, 수계 : 0 kg/y, 토양 : 0 kg/y

③ 사업장3 : 대기 : 644 kg/y, 수계 : 0 kg/y, 토양 : 0 kg/y

*Acrylamide의 ‘2015 배출량 조사’ 결과 활용

위해성 관리대책 - 대기오염방지시설은 국소배기장치 및 스크러버 설비를 통하여

Page 5: Acrylamide ( 2-Propenamide )61 대기 중 오염물질의 흡입 노출량은 ଞ물질 위ଦ성 가의 구체적 방법 등에 관ଟ 규정 (국립 경과ଞ원고시)에 제시된

58

이루어지며, 폐수 및 폐기물의 경우 전량 위탁처리를 하기 때문에

추가 위해성 관리 대책은 필요하지 않음.

소비자 활동 및 공정 설

해당 없음

위해성 관리대책 해당 없음

작업자 활동 및 공정 설

① 기여시나리오-W1:

노출 우려가 거의 없는 밀폐된 연속 공정

*활동 및 공정 : 원료물질들의 혼합 공정 및 반응기내 합성반

응을 통한 일련의 Acrylamide의 제조공정

*공정범주 : PROC_1

*작업시 물질의 상태 : 액체 (작업온도 : 25℃)

*혼합물의 조성 : 50~100%

*작업시간 : 일일 4시간 이상

*작업조건 :

- 밀폐시스템 내에서 물질의 처리

- 국소배기장치 & 강화된 환기장치를 갖춘 실내

- 피부노출 차단 장갑 착용(APF_20)

- 흡입노출 차단 마스크 착용 (효율 95%이상)

② 기여시나리오-W2:

간헐적인 노출이 있는 밀폐된 연속 공정(운전자 설비 보수)

*활동 및 공정 : 제조된 Acrylamide 출하를 위해 파이프라인을

통해 탱크로리로 이송하는 공정, 단계 공정별 샘플링 작업

이동형 저장시설(탱크로리)을 통하여 제품 출하

*공정범주 : PROC_2

*작업시 물질의 상태 : 액체(작업온도 : 25℃)

*혼합물의 조성 : 50%

*작업시간 : 일일 15분 이하

*작업조건 :

- 샘플링 작업이 가능한 밀폐시스템 내에서 물질의 처리

- 국소배기장치 & 강화된 환기장치를 갖춘 실내

- 피부노출 차단 장갑 착용(APF_20)

- 흡입노출 차단 마스크 착용 (효율 95%이상)

③ 기여시나리오-W3:

고정형 저장용기에 저장 또는 저장용기로부터 이송, 운반 (저

장)

*활동 및 공정 : 생성된 Acrylamide를 고정형 탱크시설에 저장

*공정범주 : PROC_8b

Page 6: Acrylamide ( 2-Propenamide )61 대기 중 오염물질의 흡입 노출량은 ଞ물질 위ଦ성 가의 구체적 방법 등에 관ଟ 규정 (국립 경과ଞ원고시)에 제시된

59

*작업시 물질의 상태 : 액체 (작업온도 : 25℃)

*혼합물의 조성 : 50%

*작업시간 : 일일 15분 이하

*작업조건 :

-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시스템 사용

- 국소배기장치 & 강화된 환기장치를 갖춘 실내

- 피부노출 차단 장갑 착용 (APF_20)

- 흡입노출 차단 마스크 착용 (효율 95% 이상)

위해성 관리대책 - MSDS 숙지

- 일일 작업시간 관리

- 기본 직업훈련을 통한 보호구 착용

-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시스템 사용

- 국소배기장치 & 강화된 실내 환기시설 운영

- 피부노출 차단 장갑착용(APF_20)

- 흡입노출 차단 마스크 착용(효율95%이상)

[표 39] 작업자 노출시나리오와 관련된 운영 조건 및 위해성관리대책

물질 식별정보 공정 시나리오 공정 범주 위해성 관리대책

노출 시나리오 1

-작업자1

노출 우려가 거의 없

는 밀폐된 연속 공정

PROC_1 -밀폐시스템 내에서 물질의 처리

-일일 4시간 이상 작업

-기본 직업훈련을 통한 보호구 착용

-국소배기장치 & 강화된 실내 환기시설

운영

-피부노출 차단 장갑착용(APF_20)

-흡입노출 차단 마스크 착용(효율95%이

상)

노출 시나리오 1

-작업자2

간헐적인 노출이 있

는 밀폐된 연속 공정

(운전자 설비 보수)

PROC_2 -샘플링 작업이 가능한 밀폐시스템 내에

서 물질의 처리

-일일 15분 이하 작업

-기본 직업훈련을 통한 보호구 착용

-국소배기장치&강화된 환기장치를 갖

춘 실내

-피부노출 차단 장갑 착용(APF_20)

-흡입노출 차단 마스크 착용(효율 95%

이상)

노출 시나리오 1

-작업자3

고정형 저장용기에

저장 또는 저장시설

로부터 이송, 운반

PROC_8b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시스템 사용

-일일 15분 이하 작업

-기본 직업훈련을 통한 보호구 착용

Page 7: Acrylamide ( 2-Propenamide )61 대기 중 오염물질의 흡입 노출량은 ଞ물질 위ଦ성 가의 구체적 방법 등에 관ଟ 규정 (국립 경과ଞ원고시)에 제시된

60

-국소배기장치 & 강화된 실내 환기시설

운영

-피부노출 차단 장갑착용(APF_20)

-흡입노출 차단 마스크 착용(효율95%이

상)

10.1.2. 노출예측

10.1.2.1. 환경 노출 개요

10.1.2.1.1. 환경 배출예측

[환경 배출 산정 방법]

환경 배출량은 ‘2015년 전국 및 사업장별 배출량 조사’ 결과를 활용 하였음.

[표 40] 환경 배출 정보

구분 국지적 배출(ton/yr)

근거 대기 수계 토양

<시나리오1-사업장1> 6.32E-01 0.00E+00 0.00E+00 ‘2015 배

출량 조사’ <시나리오1-사업장2> 3.10E-02 0.00E+00 0.00E+00

<시나리오1-사업장3> 6.44E-01 0.00E+00 0.00E+00

10.1.2.1.2. 환경 노출수준 예측

[표 41] 환경 중 예측농도-국지적

구분

국지적 농도

근거 대기 담수 침전물

토양 하수처

리시설 농경지 목초지

<시나리오1-사

업장1>

5.61E-04 1.68E-09 4.73E-09 1.10E-03 1.10E-03 -

Simple

box Korea

v2.0

<시나리오1-사

업장2>

2.76E-05 1.68E-09 4.73E-09 5.40E-05 5.41E-05 -

<시나리오1-사

업장3>

5.72E-04 1.68E-09 4.73E-09 1.12E-03 1.12E-03 -

10.1.2.2. 인체노출

10.1.2.2.1. 환경을 통한 인체 간접 노출

10.1.2.2.1.1. 대기오염에 의한 인체 노출

Page 8: Acrylamide ( 2-Propenamide )61 대기 중 오염물질의 흡입 노출량은 ଞ물질 위ଦ성 가의 구체적 방법 등에 관ଟ 규정 (국립 경과ଞ원고시)에 제시된

61

대기 중 오염물질의 흡입 노출량은 『화학물질 위해성평가의 구체적 방법 등에 관한 규정』 (국립환

경과학원고시)에 제시된 수식을 활용하여 산정하였음. 대기 중 화학물질농도는 사업장 중 가장 많은

배출량을 지니는 노출시나리오1-사업장3의 대기 환경 농도 예측 값을 사용하였고 호흡률, 노출기간,

체중 및 평균 노출 기간 등 수식 내 인자는 고시 [별표 5]에 제시된 인체 노출계수 자료를 적용함.

수식 내 인자 중, Acrylamide의 경로별 흡수율은 Acrylamide의 독성동태 연구결과(Sumner SC,

2003)를 통해 확인한 흡수율을 적용하였다. (경구,경피 경로 흡수율: 6%, 흡입경로 흡수율: 55%)

[표 42] 대기 중 화학물질에 대한 흡입 노출량 산정

(단위:mg/kg-day)

구분* 평가항목 국지적

<시나리오 1-사업장1> 평생일일평균 노출량(LADD) 2.00E-05

일일평균 노출량 (ADD) 6.30E-05

<시나리오 1-사업장2> 평생일일평균 노출량(LADD) 9.86E-07

일일평균 노출량 (ADD) 3.10E-06

<시나리오 1-사업장3> 평생일일평균 노출량(LADD) 2.04E-05

일일평균 노출량 (ADD) 6.43E-05

10.1.2.1.2. 토양오염에 의한 인체 노출

10.1.2.1.2.1. 경구

토양 중 오염물질의 경구 노출량은 『화학물질 위해성평가의 구체적 방법 등에 관한 규정』 (국립환

경과학원고시)에 제시된 수식을 활용하여 산정하였음. 토양 중 화학물질농도는 사업장 중 가장 많은

배출량을 지니는 노출시나리오1-사업장3의 토양 환경 농도 예측 값을 사용하였고, 토양섭취량, 노출

빈도, 체중 및 평균 노출 기간 등 수식 내 인자는 고시 [별표 5]에 제시된 인체 노출계수 자료를 적용

함.

수식 내 인자 중, Acrylamide의 경로별 흡수율은 Acrylamide의 독성동태 연구결과를 통해 확인한

흡수율을 적용하였다. (경구 및 경피경로 흡수율: 6%, 흡입경로 흡수율: 55%_(Sumner SC, 2003))

[표 43] 토양 중 화학물질에 대한 경구 노출량 산정

(단위:mg/kg-day)

구분* 평가항목 국지적

<시나리오1-사업장1>

평생일일평균노출량 (LADD) 농경지 1.50E-05

목초지 1.50E-05

일일평균 노출량 (ADD) 농경지 4.71E-05

목초지 4.71E-05

<시나리오1-사업장2>

평생일일평균노출량 (LADD) 농경지 7.36E-07

목초지 7.37E-07

일일평균 노출량 (ADD) 농경지 2.31E-06

목초지 2.32E-06

Page 9: Acrylamide ( 2-Propenamide )61 대기 중 오염물질의 흡입 노출량은 ଞ물질 위ଦ성 가의 구체적 방법 등에 관ଟ 규정 (국립 경과ଞ원고시)에 제시된

62

<시나리오1-사업장3>

평생일일평균노출량 (LADD) 농경지 1.53E-05

목초지 1.53E-05

일일평균 노출량 (ADD) 농경지 4.80E-05

목초지 4.80E-05

10.1.2.2.1.2.2. 흡입

*토양 중 오염물질의 흡입 노출의 경우 하수종말처리장에 의해 토양매립이 이뤄지는 휘발성 물질

에 대해 평가를 수행한다. (등록대상기존화학물질 선정 및 노출시나리오,노출평가(1)- 국립환경과학원,

2016). Acrylamide는 반휘발성물질이며, 하수종말처리장으로 노출이 고려되지 않기 때문에 토양 중

오염물질의 흡입노출 평가를 생략하였다.

10.1.2.2.1.2.3. 경피

토양 중 오염물질의 경피 노출량은 『화학물질 위해성평가의 구체적 방법 등에 관한 규정』 (국립환

경과학원고시)에 제시된 수식을 활용하여 산정하였음. 토양 중 화학물질농도는 사업장 중 가장 많은

배출량을 지니는 노출시나리오1-사업장3의 토양 환경 농도 예측 값을 사용하였고 노출빈도, 피부흡

수율, 체중 및 평균 노출 기간 등 수식 내 인자는 고시 [별표 5]에 제시된 인체 노출계수 자료를 적용

함.

[표 44] 토양 중 화학물질에 대한 경피 노출량 산정

(단위:mg/kg-day)

구분* 평가항목 국지적

<시나리오1-사업장1>

평생일일평균노출량 (LADD) 농경지 1.43E-10

목초지 1.43E-10

일일평균 노출량 (ADD) 농경지 4.51E-10

목초지 4.51E-10

<시나리오1-사업장2>

평생일일평균노출량 (LADD) 농경지 7.03E-12

목초지 7.05E-12

일일평균 노출량 (ADD) 농경지 2.21E-11

목초지 2.22E-11

<시나리오1-사업장3>

평생일일평균노출량 (LADD) 농경지 1.46E-10

목초지 1.46E-10

일일평균 노출량 (ADD) 농경지 4.59E-10

목초지 4.59E-10

10.1.2.2.2. 소비자 노출

[표 45] 소비자에 대한 노출 정도

구분* 노출경로 예측 노출 농도 측정 노출 농도 설명/측정

자료의 출처

대푯값

사용여값 단위 값 단위

Page 10: Acrylamide ( 2-Propenamide )61 대기 중 오염물질의 흡입 노출량은 ଞ물질 위ଦ성 가의 구체적 방법 등에 관ଟ 규정 (국립 경과ଞ원고시)에 제시된

63

<시나리오1>

급성-경피 노출

소비자 노출 없음

급성-흡입 노출

급성-경구-노출

만성-경피 노출

만성-흡입 노출

만성-경구 노출

10.1.2.2.3. 작업자 노출

[표 46] 작업자에 대한 노출 농도

구분* 노출경로 예측 노출 농도 측정 노출 농도 설명/측정

자료의 출처

대푯값

사용여부 값 단위 값 단위

<시나리오1> -

작업자1

만성 흡입 4.44E-04 mg/m³ - -

ECETOC

TRA

만성 경피 1.71E-03 mg/kg-day - -

<시나리오1> -

작업자2

만성 흡입 4.44E-03 mg/m³ - -

만성 경피 6.86E-03 mg/kg-day - -

<시나리오1> -

작업자3

만성 흡입 1.11E-03 mg/m³ - -

만성 경피 3.43E-02 mg/kg-day - -

*시나리오 1에 해당하는 공정분류(기여시나리오)에 따라 구분하여 노출평가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각각 작성.

Page 11: Acrylamide ( 2-Propenamide )61 대기 중 오염물질의 흡입 노출량은 ଞ물질 위ଦ성 가의 구체적 방법 등에 관ଟ 규정 (국립 경과ଞ원고시)에 제시된

64

10.2 노출시나리오 2 : 고분자중합에 사용되는 단량체

10.2.1. 노출시나리오 2의 개요

10.2.1.1. 노출시나리오에 포함되는 활동 및 공정에 대한 기술

[표 47] 노출시나리오에 포함되는 활동 및 공정에 대한 기술

제목 고분자중합에 사용되는 단량체

용도확인 SU3: 산업적 사용

공정 범주 PROC_1, PROC_2, PROC_8a, PROC_8b, PROC_9

제품 범주 PC_19. 중간체, PC_20. 응집제, PC_32. 폴리머 준비 및 화합물

표준산업 분류코드 20493-접착제 및 젤라틴 제조업

20499-그외 기타 분류안된 화학제품 제조업

환경 활동 및 공정 설명 기여시나리오-E2: 고분자 제조 공정에 따른 환경 중 배출

① 주요 분류체계(MC)

-사업장 4~16: Ib_밀폐공정에서 사용

② 산업분류체계(IC): IC 3. 화학 산업 : 합성에 사용되는 화학물질

③ 용도분류체계: 33. 중간체

④ 환경 배출범주:

ERC_6a : 다른물질로 변환되는 산업적 사용(중합체의 사용)

- 해당 사업장: 사업장 4 ~ 16

⑤ 총 취급량: 76,142.25 t/y

취급량

구분 평균

취급량(t/y)

IC별 취급량(t/y) 작업일수

IC분류 사업장

IC 3 사업장 4 49,875 t/y

76,142.25 t/y

약 250일

IC 3 사업장 5 85.25 t/y 약 250일

IC 3 사업장 6 4,800 t/y 약 290일

IC 3 사업장 7 150 t/y 약 150일

IC 3 사업장 8 156 t/y 약 149일

IC 3 사업장 9 100 t/y 약 350일

IC 3 사업장 10 6,115 t/y 약 365일

IC 3 사업장 11 950 t/y 약 250일

Page 12: Acrylamide ( 2-Propenamide )61 대기 중 오염물질의 흡입 노출량은 ଞ물질 위ଦ성 가의 구체적 방법 등에 관ଟ 규정 (국립 경과ଞ원고시)에 제시된

65

IC 3 사업장 12 132 t/y 약 250일

IC 3 사업장 13 1,904 t/y 약 250일

IC 3 사업장 14 15 t/y 약 240일

IC 3 사업장 15 4,500 t/y 약 365일

IC 3 사업장 16 7,360 t/y 약 365일

배출량

① 전국적: 대기: 2,363 kg/년, 수계: 0 kg/년, 토양: 0 kg/년

(‘2015년 배출량 조사 결과’ 기준)

② 사업장 4: 대기: 632 kg/년, 수계: 0 kg/년, 토양: 0 kg/년

사업장 5: 대기: 74 kg/년, 수계: 0 kg/년, 토양: 0kg/년

사업장 6: 대기: 0 kg/년, 수계: 0 kg/년, 토양: 0 kg/년

사업장 8: 대기: 1.4 kg/년, 수계: 0 kg/년, 토양: 0 kg/년

사업장 9: 대기: 109 kg/년, 수계: 0 kg/년, 토양: 0 kg/년

사업장 10: 대기: 0 kg/년, 수계: 0 kg/년, 토양: 0 kg/년

사업장 11: 대기: 1 kg/년, 수계: 0 kg/년, 토양: 0 kg/년

사업장 12: 대기: 0 kg/년, 수계: 0 kg/년, 토양: 0 kg/년

사업장 15: 대기: 25 kg/년, 수계: 0kg/년, 토양: 0 kg/년

(Acrylamide ‘2015년 배출량 조사결과’)

사업장 7: 대기: 0 kg/년, 수계: 0 kg/년, 토양: 0 kg/년

사업장 13: 대기: 0 kg/년, 수계: 0 kg/년, 토양: 0 kg/년

사업장 14: 대기: 0 kg/년, 수계: 0 kg/년, 토양: 0 kg/년

사업장 16: 대기: 255.3 kg/년, 수계: 0 kg/년, 토양: 0 kg/년

(각 사업장 제공 배출량정보 활용)

위해성 관리대책 - 대기오염방지시설은 국소배기장치 및 스크러버 설비를 통하여 이

루어지며, 폐수 및 폐기물의 경우 전량 위탁처리를 하기 때문에 추

가 위해성 관리 대책은 필요하지 않음.

소비자 활동 및 공정 설명 해당 없음

위해성 관리대책 해당 없음

작업자 활동 및 공정 설명 ① 기여시나리오-W1:

노출 우려가 거의 없는 밀폐된 연속 공정

*활동 및 공정 : 50% 수용액 상태의 Acrylamide 사용공정 (원

료물질의 교반, 중합반응 공정)

*공정범주 : PROC_1

*작업시 물질의 상태 : 액체 (작업온도 : 25℃)

Page 13: Acrylamide ( 2-Propenamide )61 대기 중 오염물질의 흡입 노출량은 ଞ물질 위ଦ성 가의 구체적 방법 등에 관ଟ 규정 (국립 경과ଞ원고시)에 제시된

66

*혼합물의 조성 : 50%

*작업시간 : 일일 4시간 이상

*작업조건 :

- 밀폐시스템 내에서 물질의 처리

- 국소배기장치 & 강화된 환기장치를 갖춘 실내

- 피부노출 차단 장갑 착용(APF_20)

- 흡입노출 차단 마스크 착용 (효율 95%이상)

② 기여시나리오-W2:

간헐적인 노출이 있는 밀폐된 연속 공정(운전자 설비 보수)

*활동 및 공정 : Acrylamide 단량체(monomer) 중합반응을 통

하여 고분자를 제조하는 공정, 샘플링 작업 활동

*공정범주 : PROC_2

*작업시 물질의 상태 : 액체 (작업온도 : 25℃)

*혼합물의 조성 : 1% 이하

*작업시간 : 일일 1시간 이하 작업

*작업조건 :

- 샘플링 작업이 가능한 밀폐시스템 내에서 물질의 처리

- 국소배기장치 & 강화된 환기장치를 갖춘 실내

- 피부노출 차단 장갑 착용(APF_20)

- 흡입노출 차단 마스크 착용 (효율 95%이상)

③ 기여시나리오-W3:

밀폐된 회분 공정 (합성 또는 배합)

*활동 및 공정 : Acrylamide 단량체(monomer) 중합반응을 통

하여 고분자를 제조하는 공정

*공정범주 : PROC_3

“작업시 물질의 상태 : 액체 (작업온도 : 50℃~80℃ )

*혼합물의 조성 : 1% 이하

*작업시간 : 일일 1시간 이하

*작업조건

- 샘플링 작업이 가능한 밀폐시스템 내에서 물질의 처리

- 국소배기장치 & 강화된 환기장치를 갖춘 실내

- 피부노출 차단 장갑 착용(APF_20)

- 흡입노출 차단 마스크 착용 (효율 95%이상)

④ 기여시나리오-W4:

비고정형 저장용기에 저장 또는 저장용기로부터 이송,운반

*활동 및 공정 : 탱크로리, tote, 드럼 및 말통등의 이동형 저장

Page 14: Acrylamide ( 2-Propenamide )61 대기 중 오염물질의 흡입 노출량은 ଞ물질 위ଦ성 가의 구체적 방법 등에 관ଟ 규정 (국립 경과ଞ원고시)에 제시된

67

시설을 통하여 생산된 제품 출하

*공정범주 : PROC_8a

*작업시 물질의 상태 : 액체(작업온도 : 25℃)

*혼합물의 조성 : 1% 이하

*작업시간 : 일일 15분 이하

*작업조건 :

- 국소배기장치 & 강화된 환기장치를 갖춘 실내

-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시스템 사용

- 피부노출 차단 장갑 착용 (APF_20)

- 흡입노출 차단 마스크 착용 (효율 95% 이상)

⑤ 기여시나리오-W5:

고정형 저장용기에 저장 또는 저장용기로부터 이송,운반

*활동 및 공정 : 원료(Acrylamide)를 50%수용액 상태로 고정형

탱크시설에 저장 및 입고

*공정범주 : PROC_8b

*작업시 물질의 상태 : 액체 (작업온도 : 25℃)

*혼합물의 조성 : 50%

*작업시간 : 일일 15분 이하

*작업조건 :

- 국소배기장치 & 강화된 환기장치를 갖춘 실내

-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시스템 사용

- 피부노출 차단 장갑 착용 (APF_20)

- 흡입노출 차단 마스크 착용 (효율 95% 이상)

⑥ 기여시나리오-W6:

저장된 주입 라인에서 소형 용기에 주입하는 공정

*활동 및 공정 : 생산된 고분자 제품을 tote, 드럼 및 말통 형태

로 저장 및 출고 (제품 소분/출하)

*공정범주 : PROC_9

*작업시 물질의 상태 : 액체(작업온도 : 25℃)

*혼합물의 조성 : 1% 이하

*작업시간 : 일일 15분 이하

*작업조건

- 국소배기장치 & 강화된 환기장치를 갖춘 실내

-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시스템 사용

- 피부노출 차단 장갑 착용 (APF_20)

- 흡입노출 차단 마스크 착용 (효율 95% 이상)

위해성 관리대책 -MSDS 숙지

Page 15: Acrylamide ( 2-Propenamide )61 대기 중 오염물질의 흡입 노출량은 ଞ물질 위ଦ성 가의 구체적 방법 등에 관ଟ 규정 (국립 경과ଞ원고시)에 제시된

68

[표 48] 작업자 노출시나리오와 관련된 운영 조건 및 위해성관리대책

물질 식별정보 공정 시나리오 공정 범주 위해성 관리대책

노출 시나리오 2

-작업자1

노출 우려가 거의 없

는 밀폐된 연속 공정

PROC_1 -밀폐시스템 내에서 물질의 처리

-일일 4시간 이상 작업

-기본 직업훈련을 통한 보호구 착용

-국소배기장치 & 강화된 실내 환기시설

운영

-피부노출 차단 장갑착용(APF_20)

-흡입노출 차단 마스크 착용(효율95%이

상)

노출 시나리오 2

-작업자2

간헐적인 노출이 있

는 밀폐된 연속 공정

(운전자 설비 보수)

PROC_2 -샘플링 작업이 가능한 밀폐시스템 내에

서 물질의 처리

-기본 직업훈련을 통한 보호구 착용

-일일 1시간 이하 작업

-국소배기장치 & 강화된 실내 환기시설

운영

-피부노출 차단 장갑착용(APF_20)

-흡입노출 차단 마스크 착용(효율95%이

상)

노출 시나리오 2

-작업자3

밀폐된 회분 공정

(합성 또는 배합)

PROC_3 -밀폐시스템 내에서 물질의 처리

-기본 직업훈련을 통한 보호구 착용

-일일 1시간 이하 작업

-국소배기장치 & 강화된 실내 환기시설

운영

-피부노출 차단 장갑착용(APF_20)

-흡입노출 차단 마스크 착용(효율95%이

상)

노출 시나리오 2

-작업자4

비고정형 저장용기

에 저장 또는 저장용

기로부터 이송, 운반

PROC_8a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시스템 사용

-기본 직업훈련을 통한 보호구 착용

-일일 15분 이하 작업

-국소배기장치 & 강화된 실내 환기시설

-일일 작업시간 관리

-기본 직업훈련을 통한 보호구 착용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시스템 사용

-국소배기장치 & 강화된 실내 환기시설 운영

-피부노출 차단 장갑착용(APF_20)

-흡입노출 차단 마스크 착용(효율95%이상)

Page 16: Acrylamide ( 2-Propenamide )61 대기 중 오염물질의 흡입 노출량은 ଞ물질 위ଦ성 가의 구체적 방법 등에 관ଟ 규정 (국립 경과ଞ원고시)에 제시된

69

운영

-피부노출 차단 장갑착용(APF_20)

-흡입노출 차단 마스크 착용(효율95%이

상)

노출 시나리오 2

-작업자5

고정형 저장용기에

저장 또는 저장시설

로부터 이송, 운반

PROC_8b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시스템 사용

-기본 직업훈련을 통한 보호구 착용

-일일 15분 이하 작업

-국소배기장치 & 강화된 실내 환기시설

운영

-피부노출 차단 장갑착용(APF_20)

-흡입노출 차단 마스크 착용(효율95%이

상)

노출 시나리오 2

-작업자6

저장된 주입 라인에

서 소형 용기에 주입

하는 공정

PROC_9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시스템 사용

-기본 직업훈련을 통한 보호구 착용

-일일 15분 이하 작업

-국소배기장치 & 강화된 실내 환기시설

운영

-피부노출 차단 장갑착용(APF_20)

-흡입노출 차단 마스크 착용(효율95%이

상)

10.2.2. 노출예측

10.2.2.1. 환경 노출 개요

10.2.2.1.1. 환경 배출예측

[환경 배출 산정 방법]

환경 배출량은 ‘2015년 전국 및 사업장별 배출량 조사’ 결과를 활용 하였음.

[표 49] 환경 배출 정보

구분 국지적 배출(ton/yr)

근거 대기 수계 토양

<시나리오2-사업장4> 6.32E-01 0.00E+00 0.00E+00

‘2015 배출량

조사’

‘업체제공배

출량정보’

<시나리오2-사업장5> 7.40E-02 0.00E+00 0.00E+00

<시나리오2-사업장6> 0.00E+00 0.00E+00 0.00E+00

<시나리오2-사업장7> 0.00E+00 0.00E+00 0.00E+00

<시나리오2-사업장8> 1.40E-03 0.00E+00 0.00E+00

<시나리오2-사업장9> 1.09E-01 0.00E+00 0.00E+00

<시나리오2-사업장10> 0.00E+00 0.00E+00 0.00E+00

<시나리오2-사업장11> 1.00E-03 0.00E+00 0.00E+00

Page 17: Acrylamide ( 2-Propenamide )61 대기 중 오염물질의 흡입 노출량은 ଞ물질 위ଦ성 가의 구체적 방법 등에 관ଟ 규정 (국립 경과ଞ원고시)에 제시된

70

<시나리오2-사업장12> 0.00E+00 0.00E+00 0.00E+00

<시나리오2-사업장13> 0.00E+00 0.00E+00 0.00E+00

<시나리오2-사업장14> 0.00E+00 0.00E+00 0.00E+00

<시나리오2-사업장15> 2.50E-02 0.00E+00 0.00E+00

<시나리오2-사업장16> 2.55E-01 0.00E+00 0.00E+00

10.2.2.1.2. 환경 노출수준 예측

[표 50] 환경 중 예측농도-국지적

(단위:mg/kg-day)

구분

국지적 농도

근거 대기 담수 침전물

토양 하수처

리시설 농경지 목초지

<시나리오2-

사업장4> 5.61E-04 1.68E-09 4.73E-09 1.10E-03 1.10E-03 -

Simple

box

Korea

v2.0

<시나리오2-

사업장5> 6.57E-05 1.68E-09 4.73E-09 1.29E-04 1.29E-04 -

<시나리오2-

사업장6> 5.14E-08 1.68E-09 4.73E-09 2.07E-10 2.07E-10 -

<시나리오2-

사업장7> 5.14E-08 1.68E-09 4.73E-09 2.07E-10 2.07E-10 -

<시나리오2-

사업장8> 1.29E-06 1.68E-09 4.73E-09 2.44E-06 2.44E-06 -

<시나리오2-

사업장9> 9.68E-05 1.68E-09 4.73E-09 1.90E-04 1.90E-04 -

<시나리오2-

사업장10> 5.14E-08 1.68E-09 4.73E-09 2.07E-10 2.07E-10 -

<시나리오2-

사업장11> 9.39E-07 1.68E-09 4.73E-09 1.74E-06 1.74E-06 -

<시나리오2-

사업장12> 5.14E-08 1.68E-09 4.73E-09 2.07E-10 2.07E-10 -

<시나리오2-

사업장13> 5.14E-08 1.68E-09 4.73E-09 2.07E-10 2.07E-10 -

<시나리오2-

사업장14> 5.14E-08 1.68E-09 4.73E-09 2.07E-10 2.07E-10 -

<시나리오2-

사업장15> 2.22E-05 1.68E-09 4.73E-09 4.35E-05 4.36E-05 -

<시나리오2-

사업장16> 2.27E-04 1.68E-09 4.73E-09 4.45E-04 4.45E-04 -

Page 18: Acrylamide ( 2-Propenamide )61 대기 중 오염물질의 흡입 노출량은 ଞ물질 위ଦ성 가의 구체적 방법 등에 관ଟ 규정 (국립 경과ଞ원고시)에 제시된

71

10.2.2.2.인체노출

10.2.2.2.1. 환경을 통한 인체 간접 노출

10.2.2.2.1.1. 대기오염에 의한 인체 노출

대기 중 오염물질의 흡입 노출량은 『화학물질 위해성평가의 구체적 방법 등에 관한 규정』 (국립환

경과학원고시)에 제시된 수식을 활용하여 산정하였음. 대기 중 화학물질농도는 사업장 중 대기/수계/

토양의 배출량이 0인 사업장을 제외한 사업장들의 대기 환경 농도 예측 값을 사용하였으며, 호흡률,

노출기간, 체중 및 평균 노출 기간 등 수식 내 인자는 고시 [별표 5]에 제시된 인체 노출계수 자료를

적용함.

수식 내 인자 중, Acrylamide의 경로별 흡수율은 Acrylamide의 독성동태 연구결과를 통해 확인한

흡수율을 적용하였다. (경구 및 경피경로 흡수율: 6%, 흡입경로 흡수율: 55%_(Sumner SC, 2003))

[표 51] 대기 중 화학물질에 대한 흡입 노출량 산정

(단위:mg/kg-day)

구분* 평가항목 국지적

<시나리오 2-사업장4> 평생일일평균 노출량(LADD) 2.00E-05

일일평균 노출량(ADD) 6.30E-05

<시나리오 2-사업장5> 평생일일평균 노출량(LADD) 2.35E-06

일일평균 노출량(ADD) 7.83E-06

<시나리오 2-사업장8> 평생일일평균 노출량(LADD) 4.61E-08

일일평균 노출량(ADD) 1.45E-07

<시나리오 2-사업장9> 평생일일평균 노출량(LADD) 3.46E-06

일일평균 노출량(ADD) 1.09E-05

<시나리오 2-사업장11> 평생일일평균 노출량(LADD) 3.36E-08

일일평균 노출량(ADD) 1.06E-07

<시나리오 2-사업장15> 평생일일평균 노출량(LADD) 7.93E-07

일일평균 노출량(ADD) 2.49E-06

<시나리오 2-사업장16> 평생일일평균 노출량(LADD) 8.11E-06

일일평균 노출량(ADD) 2.55E-05

10.2.2.2.1.2. 토양오염에 의한 인체 노출

10.2.2.2.1.2.1. 경구

토양 중 오염물질의 경구 노출량은 『화학물질 위해성평가의 구체적 방법 등에 관한 규정』 (국립환

경과학원고시)에 제시된 수식을 활용하여 산정하였음. 토양 중 화학물질농도는 사업장 중 대기/수계/

토양의 배출량이 0인 사업장을 제외한 사업장들의 토양 환경 농도 예측 값을 사용하였으며, 토양섭취

량, 노출빈도, 체중 및 평균 노출 기간 등 수식 내 인자는 고시 [별표 5]에 제시된 인체 노출계수 자료

를 적용함.

수식 내 인자 중, Acrylamide의 경로별 흡수율은 Acrylamide의 독성동태 연구결과를 통해 확인한

흡수율을 적용하였다. (경구 및 경피경로 흡수율: 6%, 흡입경로 흡수율: 55%_(Sumner SC, 2003))

Page 19: Acrylamide ( 2-Propenamide )61 대기 중 오염물질의 흡입 노출량은 ଞ물질 위ଦ성 가의 구체적 방법 등에 관ଟ 규정 (국립 경과ଞ원고시)에 제시된

72

[표 52] 토양 중 화학물질에 대한 경구 노출량 산정

(단위:mg/kg-day)

구분* 평가항목 국지적

<시나리오2-사업장4>

평생일일평균노출량 (LADD) 농경지 1.50E-05

목초지 1.50E-05

일일평균 노출량(ADD) 농경지 4.71E-05

목초지 4.71E-05

<시나리오2-사업장5>

평생일일평균노출량 (LADD) 농경지 1.76E-06

목초지 1.76E-06

일일평균 노출량(ADD) 농경지 5.53E-06

목초지 5.53E-06

<시나리오2-사업장8>

평생일일평균노출량 (LADD) 농경지 3.33E-08

목초지 3.33E-08

일일평균 노출량(ADD) 농경지 1.05E-07

목초지 1.05E-07

<시나리오2-사업장9>

평생일일평균노출량 (LADD) 농경지 2.59E-06

목초지 2.59E-06

일일평균 노출량(ADD) 농경지 8.14E-06

목초지 8.14E-06

<시나리오2-사업장11>

평생일일평균노출량 (LADD) 농경지 2.37E-08

목초지 2.37E-08

일일평균 노출량(ADD) 농경지 7.46E-08

목초지 7.46E-08

<시나리오2-사업장15>

평생일일평균노출량 (LADD) 농경지 5.93E-07

목초지 5.93E-07

일일평균 노출량(ADD) 농경지 1.86E-06

목초지 1.87E-06

<시나리오2-사업장16>

평생일일평균노출량 (LADD) 농경지 6.07E-06

목초지 6.07E-06

일일평균 노출량(ADD) 농경지 1.91E-05

목초지 1.91E-05

10.2.2.2.1.2.2. 흡입

*토양 중 오염물질의 흡입 노출의 경우 하수종말처리장에 의해 토양매립이 이뤄지는 휘발성 물질에

대해 평가를 수행한다. (등록대상기존화학물질 선정 및 노출시나리오,노출평가(1)- 국립환경과학원,

2016). Acrylamide는 반휘발성물질이며, 하수종말처리장으로 노출이 고려되지 않기 때문에 토양 중

오염물질의 흡입노출 평가를 생략하였다.

Page 20: Acrylamide ( 2-Propenamide )61 대기 중 오염물질의 흡입 노출량은 ଞ물질 위ଦ성 가의 구체적 방법 등에 관ଟ 규정 (국립 경과ଞ원고시)에 제시된

73

10.2.2.2.1.2.3. 경피

토양 중 오염물질의 경피 노출량은 『화학물질 위해성평가의 구체적 방법 등에 관한 규정』 (국립환

경과학원고시)에 제시된 수식을 활용하여 산정하였음. 토양 중 화학물질농도는 사업장 중 대기/수계/

토양의 배출량이 0인 사업장을 제외한 사업장들의 토양 환경 농도 예측 값을 사용하였으며, 노출빈도,

피부흡수율, 체중 및 평균 노출 기간 등 수식 내 인자는 고시 [별표 5]에 제시된 인체 노출계수 자료를

적용함.

[표 53] 토양 중 화학물질에 대한 경피 노출량 산정

(단위:mg/kg-day)

구분* 평가항목 국지적

<시나리오2-사업장4>

평생일일평균노출량 (LADD) 농경지 1.43E-10

목초지 1.43E-10

일일평균 노출량(ADD) 농경지 4.51E-10

목초지 4.51E-10

<시나리오2-사업장5>

평생일일평균노출량 (LADD) 농경지 1.68E-11

목초지 1.68E-11

일일평균 노출량(ADD) 농경지 5.28E-11

목초지 5.28E-11

<시나리오2-사업장8>

평생일일평균노출량 (LADD) 농경지 3.18E-13

목초지 3.18E-13

일일평균 노출량(ADD) 농경지 9.99E-13

목초지 9.99E-13

<시나리오2-사업장9>

평생일일평균노출량 (LADD) 농경지 2.48E-11

목초지 2.48E-11

일일평균 노출량(ADD) 농경지 7.78E-11

목초지 7.78E-11

<시나리오2-사업장11>

평생일일평균노출량 (LADD) 농경지 2.27E-13

목초지 2.27E-13

일일평균 노출량(ADD) 농경지 7.13E-13

목초지 7.13E-13

<시나리오2-사업장15>

평생일일평균노출량 (LADD) 농경지 5.67E-12

목초지 5.68E-12

일일평균 노출량(ADD) 농경지 1.78E-11

목초지 1.79E-11

<시나리오2-사업장16> 평생일일평균노출량 (LADD)

농경지 5.80E-11

목초지 5.80E-11

일일평균 노출량(ADD) 농경지 1.82E-10

Page 21: Acrylamide ( 2-Propenamide )61 대기 중 오염물질의 흡입 노출량은 ଞ물질 위ଦ성 가의 구체적 방법 등에 관ଟ 규정 (국립 경과ଞ원고시)에 제시된

74

목초지 1.82E-10

10.2.2.2.2. 소비자 노출

[표 54] 소비자에 대한 노출 정도

구분* 노출경로 예측 노출 농도 측정 노출 농도 설명/측정

자료의 출처

대푯값

사용여부 값 단위 값 단위

<시나리오2>

급성-경피 노출

소비자 노출 없음

급성-흡입 노출

급성-경구-노출

만성-경피 노출

만성-흡입 노출

만성-경구 노출

*시나리오 2에 해당하는 제품범주별로 구분하여 노출평가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각각 작성.

10.2.2.2.3. 작업자 노출

[표 55] 작업자에 대한 노출 농도

구분* 노출경로 예측 노출 농도 측정 노출 농도 설명/측정

자료의 출처

대푯값

사용여부 값 단위 값 단위

<시나리오 2-

작업자1>

만성 흡입 4.44E-04 mg/m³

ECETOC

TRA

만성 경피 1.71E-03 mg/kg-day

<시나리오 2-

작업자2>

만성 흡입 8.89E-05 mg/m³

만성 경피 6.86E-04 mg/kg-day

<시나리오 2-

작업자3>

만성 흡입 2.67E-04 mg/m³

만성 경피 3.43E-04 mg/kg-day

<시나리오 2-

작업자4>

만성 흡입 4.44E-04 mg/m³

만성 경피 6.86E-03 mg/kg-day

<시나리오 2-

작업자5>

만성 흡입 1.11E-03 mg/m³

만성 경피 3.43E-02 mg/kg-day

<시나리오 2-

작업자6>

만성 흡입 2.22E-04 mg/m³

만성 경피 3.43E-03 mg/kg-day

*시나리오 2에 해당하는 업체별 공정분류에 따라 구분하여 노출평가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각각 작

성.

Page 22: Acrylamide ( 2-Propenamide )61 대기 중 오염물질의 흡입 노출량은 ଞ물질 위ଦ성 가의 구체적 방법 등에 관ଟ 규정 (국립 경과ଞ원고시)에 제시된

75

10.3 전체적인 노출

10.3.1. 환경 노출

10.3.1.1. 환경 배출 예측

전국 단위의 매체별 배출량은 ‘2015년도 화학물질 배출량 조사결과’를 적용하였다.

[표 56] 환경 배출 정보

구분 전국 배출량(ton/yr)

근거 대기 수계 토양

전체 사업장 2.36E+01 0.00E+00 0.00E+00 ‘2015 배출

량 조사’

10.3.1.2. 환경 노출 수준 예측

확인된 배출량 정보를 바탕으로 ‘한국형 다매체 동태모형’을 이용하여 도출한 전국 환경 중 예측농

도는 다음과 같음.

[표 57] 환경 중 예측 농도

구분

전국 농도

근거 대기

(mg/m3)

담수

(mg/L)

토양 (mg/kg)

자연지 농경지 도시산업용지

전체 사업장 5.14E-08 1.68E-09 2.07E-10 2.01E-10 2.17E-10

Simple

box Korea

v2.0

10.3.2. 인체 노출

10.3.2.1. 환경을 통한 인체 간접 노출

전체 사업장에 대한 전국 규모의 환경을 통한 매체별 인체별 인체간접 노출량은 다음과 같음.

10.3.2.1.1. 대기오염에 의한 인체 노출

대기 중 오염물질의 흡입 노출량은 『화학물질 위해성평가의 구체적 방법 등에 관한 규정』 (국립환

경과학원고시)에 제시된 수식을 활용하여 산정하였음. 대기 중 화학물질농도는 전국규모의 대기 환경

농도 예측 값을 사용하였고, 호흡률, 노출기간, 흡수율, 체중 및 평균 노출 기간 등 수식 내 인자는 고

시 [별표 5]에 제시된 인체 노출계수 자료를 적용하였음.

수식 내 인자 중, Acrylamide의 경로별 흡수율은 Acrylamide의 독성동태 연구결과를 통해 확인한

흡수율을 적용하였다. (경구 및 경피경로 흡수율: 6%, 흡입경로 흡수율: 55%_(Sumner SC, 2003))

[표 58] 대기 중 화학물질에 대한 흡입 노출량 산정

(단위:mg/kg-day)

구분 평가항목 전국적

Page 23: Acrylamide ( 2-Propenamide )61 대기 중 오염물질의 흡입 노출량은 ଞ물질 위ଦ성 가의 구체적 방법 등에 관ଟ 규정 (국립 경과ଞ원고시)에 제시된

76

구분 평가항목 전국적

전체 사업장

평생일일평균 노출량(LADD) 1.84E-09

일일평균 노출량 (ADD) 5.78E-09

10.3.2.2.1.2. 토양오염에 의한 인체 노출

가. 경구

토양 중 오염물질의 경구 노출량은 『화학물질 위해성평가의 구체적 방법 등에 관한 규정』 (국립환

경과학원고시)에 제시된 수식을 활용하여 산정하였음. 토양 중 화학물질농도는 사업장1의 토양 환경

농도 예측 값을 사용하였고, 토양섭취량, 노출빈도, 체중 및 평균 노출 기간 등 수식 내 인자는 고시

[별표 5]에 제시된 인체 노출계수 자료를 적용하였음.

수식 내 인자 중, Acrylamide의 경로별 흡수율은 Acrylamide의 독성동태 연구결과를 통해 확인한

흡수율을 적용하였다. (경구 및 경피경로 흡수율: 6%, 흡입경로 흡수율: 55%_(Sumner SC, 2003))

[표 59] 토양 중 화학물질에 대한 경구 노출량 산정

(단위:mg/kg-day)

구분 평가항목 전국 노출량

전체 사업장

평생일일평균노출량 (LADD)

자연지 2.82E-12

농경지 2.74E-12

도시산업용지 2.96E-12

일일평균 노출량 (ADD)

자연지 8.87E-12

농경지 8.61E-12

도시산업용지 9.30E-12

나. 흡입

*토양 중 오염물질의 흡입 노출의 경우 하수종말처리장에 의해 토양매립이 이뤄지는 휘발성 물질

에 대해 평가를 수행한다. (등록대상기존화학물질 선정 및 노출시나리오,노출평가(1)- 국립환경과학원,

2016). Acrylamide는 반휘발성물질이며, 하수종말처리장으로 노출이 고려되지 않기 때문에 토양 중

오염물질의 흡입노출 평가를 생략하였다.

다. 경피

토양 중 오염물질의 경피 노출량은 『화학물질 위해성평가의 구체적 방법 등에 관한 규정』 (국립환

경과학원고시)에 제시된 수식을 활용하여 산정하였음. 토양 중 화학물질농도는 사업장1의 토양 환경

농도 예측 값을 사용하였고, 노출빈도, 피부흡수율, 체중 및 평균 노출 기간 등 수식 내 인자는 고시

[별표 5]에 제시된 인체 노출계수 자료를 적용하였음.

[표 60] 토양 중 화학물질에 대한 경피 노출량 산정

Page 24: Acrylamide ( 2-Propenamide )61 대기 중 오염물질의 흡입 노출량은 ଞ물질 위ଦ성 가의 구체적 방법 등에 관ଟ 규정 (국립 경과ଞ원고시)에 제시된

77

(단위:mg/kg-day)

구분 평가항목 전국 노출량

전체 사업장

평생일일평균노출량 (LADD)

자연지 2.70E-17

농경지 2.62E-17

도시산업용지 2.83E-17

일일평균노출량 (ADD)

자연지 8.48E-17

농경지 8.23E-17

도시산업용지 8.89E-17

Page 25: Acrylamide ( 2-Propenamide )61 대기 중 오염물질의 흡입 노출량은 ଞ물질 위ଦ성 가의 구체적 방법 등에 관ଟ 규정 (국립 경과ଞ원고시)에 제시된

78

11. 안전성 확인

Page 26: Acrylamide ( 2-Propenamide )61 대기 중 오염물질의 흡입 노출량은 ଞ물질 위ଦ성 가의 구체적 방법 등에 관ଟ 규정 (국립 경과ଞ원고시)에 제시된

79

11. 안전성 확인

11.1 노출시나리오 1 : Acrylamide의 제조

11.1.1. 환경

환경에 대한 안전성확인을 수행한 결과 노출시나리오1에 대한 환경영역 위해도 결정비(예측농도

(PEC)/예측무영향농도(PNEC))가 1이하로 위해성관리가 되고 있는 것을 확인 하였음.

[표 61] 환경에 대한 안전성 확인-국지적

매체 구분 PEC PNEC PEC/PNEC 논의

담수

<시나리오1-사업장1> 1.04E-09

0.32

3.25E-09 위해도

없음 <시나리오1-사업장2> 1.04E-09 3.25E-09

<시나리오1-사업장3> 1.04E-09 3.25E-09

침전물

<시나리오1-사업장1> 2.94E-09

해당없음 <시나리오1-사업장2> 2.94E-09

<시나리오1-사업장3> 2.94E-09

농경지

<시나리오1-사업장1> 7.14E-04

해당없음 <시나리오1-사업장2> 5.70E-05

<시나리오1-사업장3> 1.11E-03

목초지

<시나리오1-사업장1> 7.15E-04

해당없음 <시나리오1-사업장2> 5.70E-05

<시나리오1-사업장3> 1.11E-03

하수처리설비

<시나리오1-사업장1>

해당 없음 <시나리오1-사업장2>

<시나리오1-사업장3>

*Acrylamide는 침전물, 토양 및 하수처리 설비에서의 예측무영향농도(PNEC)를 도출하지 않았으므로,

환경매체에 대한 안전성 확인은 수행하지 않았다.

11.1.2 인체 건강

11.1.2.1. 환경을 통한 인체 간접 노출

11.1.2.1.1. 비발암 위해도.

11.1.2.1.1.1. 대기.

대기 중 흡입 노출로 인한 비발암 위해도 결정비는 한국형 다매체 동태모형에서 얻은 예측농도

(PEC) 및 일일평균노출량(ADD), 무영향수준(일반인), 호흡률, 체중을 고려하여 산정하였음.

대기를 통한 인체 간접 노출 위해도 확인은, 흡입 노출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난 사업장 3에 대

하여 수행하였으며, 비발암 위해도 결정비는 1이하로 위해 우려가 없는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표 61] 대기 중 흡입 노출로 인한 비발암 독성 위해도

Page 27: Acrylamide ( 2-Propenamide )61 대기 중 오염물질의 흡입 노출량은 ଞ물질 위ଦ성 가의 구체적 방법 등에 관ଟ 규정 (국립 경과ଞ원고시)에 제시된

80

구분* 지역 PEC

(mg/m³)

노출량

(mg/kg-day)

DNEL

(mg/m³) 위해도 결정비*

<시나리오1-사업장3> 국지적 5.72E-04 6.43E-05 0.0084 3.44E-02

*위해도 결정비 = 노출량(mg/kg/day) ÷ [무영향수준 (mg/m³) x 호흡률 14.3 m³/day ÷ 체중 64.2 kg]

11.1.2.1.1.2. 토양.

가. 경구.

토양 중 경구 노출로 인한 비발암 위해도 결정비는 한국형 다매체 동태모형에서 얻은 예측농도(PEC)

및 일일평균노출량(ADD), 무영향수준(일반인)을 고려하여 산정하였다. 토양 중 경구 경로를 통한 인

체간접노출 위해도 확인은 노출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난 사업장 3에 대하여 수행하였으며, 비발

암 위해도 결정비는 1이하로 위해 우려가 없는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표 62] 토양 중 경구 노출로 인한 비발암 위해도

구분 지역 PEC

(mg/kg)

노출량

(mg/kg-day)

DNEL

(mg/kg/day) 위해도결정비*

<시나리오1-사업장3> 농경지 1.12E-03 4.80E-05 0.005 9.60E-03

목초지 1.12E-03 4.80E-05 0.005 9.60E-03

*위해도 결정비=노출량(mg/kg/day)÷무영향수준 0.005 mg/kg/day

나. 경피.

토양 중 경피 노출로 인한 비발암 위해도 결정비는 한국형 다매체 동태모형에서 얻은 예측농도

(PEC) 및 일일평균노출량(ADD), 무영향수준(일반인)을 고려하여 산정하였다. 토양 중 경피 경로를 통

한 인체간접노출 위해도 확인은 노출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난 사업장 3에 대하여 수행하였으며,

비발암 위해도 결정비는 1 이하로 위해 우려가 없는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표 63] 토양 중 경피 노출로 인한 비발암 위해도

구분 지역 PEC

(mg/kg)

노출량

(mg/kg-day)

DNEL

(mg/kg/day) 위해도결정비*

<시나리오1-사업장3> 농경지 1.12E-03 4.59E-10 0.005 9.18E-08

목초지 1.12E-03 4.59E-10 0.005 9.18E-08

*위해도 결정비=노출량(mg/kg/day)÷무영향수준 0.005 mg/kg/day

다. 흡입.

*토양 중 오염물질의 흡입 노출의 경우 하수종말처리장에 의해 토양매립이 이뤄지는 휘발성 물질에

대해 평가를 수행한다. (등록대상기존화학물질 선정 및 노출시나리오, 노출평가(1)- 국립환경과학원,

2016). Acrylamide는 반휘발성물질이며, 하수종말처리장으로 노출이 고려되지 않기 때문에 토양 중

오염물질의 흡입노출 평가를 생략하였다.

Page 28: Acrylamide ( 2-Propenamide )61 대기 중 오염물질의 흡입 노출량은 ଞ물질 위ଦ성 가의 구체적 방법 등에 관ଟ 규정 (국립 경과ଞ원고시)에 제시된

81

11.1.2.2.1. 발암 위해도

확인된 위해도가 ‘허용 가능한 초과발암 위해도(acceptable risk)’ 범위내로 나타난 사업장에 대해서

는 실측을 통한 상세한 위해성 평가 등의 추가적인 발암위해도 평가를 통한 개선이 필요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위해성에 관한 자료 내에서 노출평가에 사용된 환경 농도 예측은 [Tier I] 에 해당하는

<Simple box korea v2.0> 모델을 통하여 Worst 한 농도를 바탕으로 평가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실제

발암 위해도는 평가된 위해보다 더 적을 것으로 판단된다.

추가적으로 고려할만한 사항으로는 Acrylamide의 수용해도 및 이분해성 특성이다. Acrylamide는

매우 높은 수용해도를 갖는 물질이며 그 제조공정(노출시나리오 1)과 사용공정(노출시나리오 2) 모두

물을 수반하는 특징을 갖는다. 이를 바탕으로 볼 때, 실질적으로 환경 중으로 배출되는 Acrylamide의

배출량은 더 적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해볼 수 있으며, 또한 이분해성 특징으로 환경 중에 배출되어

도 쉽게 생 분해되어 영향이 더 적을 것으로 예상해볼 수 있다.

11.1.2.2.1.1. 대기

대기 중 흡입 노출로 인한 발암 위해도는 한국형 다매체 동태모형에서 얻은 예측농도(PEC)으로부

터 산정된 평생일일평균노출량(LADD)과 흡입 경로 발암 계수를 통하여 위해도를 결정하였다.

노출시나리오 1에 대한, 대기 중 흡입 노출로 인한 인체 간접 노출 발암 위해도 결정비는 <사업장

2>에서 10-6 이하로 위해 우려가 없는 수준으로 확인 되었지만, <사업장 1, 사업장 3>에서의 발암

위해도 결정비는 10-6~10-4 범위내로 ‘허용 가능한 초과발암 위해도(acceptable risk)’에 해당하는 것

으로 확인 되었다. (참고: 위해성 기준 설정 방안 연구 최종보고서, 2008, 환경부)

[표 64] 대기 중 흡입 노출로 인한 발암 독성 위해도

구분* 지역 PEC (mg/m³) 노출량 (mg/kg-day) 발암 위해도 결정비*

<시나리오 1-사업장1> 국지적 5.61E-04 2.00E-05 6.40E-06

<시나리오 1-사업장2> 국지적 2.76E-05 9.86E-07 3.16E-07

<시나리오 1-사업장3> 국지적 5.72E-04 2.04E-05 6.53E-06

*발암 위해도 결정비 = 노출량(mg/kg/day) x [흡입경로 발암계수: 0.32 (mg/kg/day)-1]

11.1.2.2.1.2. 토양

가. 경구

토양 중 경구 노출로 인한 발암 위해도는 한국형 다매체 동태모형에서 얻은 예측농도(PEC)로부터

산정된 평생일일평균노출량(LADD)과 경구 경로 발암 계수를 통하여 위해도를 결정하였다.

노출시나리오 1에 대한, 토양 중 경구 노출로 인한 인체 간접 노출 발암 위해도 결정비는 <사업장

2>에서 농경지, 목초지 모두 10-6 이하로 위해 우려가 없는 수준으로 확인 되었지만, <사업장 1, 사

Page 29: Acrylamide ( 2-Propenamide )61 대기 중 오염물질의 흡입 노출량은 ଞ물질 위ଦ성 가의 구체적 방법 등에 관ଟ 규정 (국립 경과ଞ원고시)에 제시된

82

업장 3>에서의 발암 위해도 결정비는 10-6~10-4 범위내로 ‘허용 가능한 초과발암 위해도

(acceptable risk)’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참고: 위해성 기준 설정 방안 연구 최종보고서,

2008, 환경부)

[표 65] 토양 중 경구 노출로 인한 발암 독성 위해도

구분* 지역 PEC (mg/kg) 노출량 (mg/kg-day) 발암 위해도 결정비*

<시나리오 1

– 사업장1> 국지적

농경지 1.10E-03 1.50E-05 7.65E-06

목초지 1.10E-03 1.50E-05 7.65E-06

<시나리오 1

– 사업장2> 국지적

농경지 5.40E-05 7.36E-07 3.75E-07

목초지 5.41E-05 7.37E-07 3.76E-07

<시나리오 1

- 사업장3> 국지적

농경지 1.12E-03 1.53E-05 7.80E-06

목초지 1.12E-03 1.53E-05 7.80E-06

*발암 위해도 결정비 = 노출량(mg/kg/day) x [경구경로 발암계수: 0.51 (mg/kg/day)-1]

나. 경피

토양 중 경피 노출로 인한 발암 위해도는 한국형 다매체 동태모형에서 얻은 예측농도(PEC)로부터

산정된 평생일일평균노출량(LADD)과 경피 경로 발암 계수를 통하여 위해도를 결정하였다.

평가 결과, <노출시나리오 1> 에서의 토양 중 경피 노출로 인한 인체 간접 노출 발암 위해도 결정

비는 모든 사업장에서 10-6 이하로 발암 위해 우려가 없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표 66] 토양 중 경피 노출로 인한 발암 독성 위해도

구분* 지역 PEC (mg/kg) 노출량 (mg/kg-day) 발암 위해도 결정비*

<시나리오 1

– 사업장1> 국지적

농경지 1.10E-03 1.43E-10 4.58E-11

목초지 1.10E-03 1.43E-10 4.58E-11

<시나리오 1

– 사업장2> 국지적

농경지 5.40E-05 7.03E-12 2.25E-12

목초지 5.41E-05 7.05E-12 2.26E-12

<시나리오 1

- 사업장3> 국지적

농경지 1.12E-03 1.46E-10 4.67E-11

목초지 1.12E-03 1.46E-10 4.67E-11

*발암 위해도 결정비 = 노출량(mg/kg/day) x [경피경로 발암계수: 0.32 (mg/kg/day)-1]

다. 흡입.

[표 67] 토양 중 흡입 노출로 인한 발암 독성 위해도

구분* 지역 PEC (mg/m³) 노출량 (mg/kg-day) 발암 위해도 결정비*

<노출시나리오1> 농경지

해당없음 목초지

Page 30: Acrylamide ( 2-Propenamide )61 대기 중 오염물질의 흡입 노출량은 ଞ물질 위ଦ성 가의 구체적 방법 등에 관ଟ 규정 (국립 경과ଞ원고시)에 제시된

83

*토양 중 오염물질의 흡입 노출의 경우 하수종말처리장에 의해 토양매립이 이뤄지는 휘발성 물질

에 대해 평가를 수행한다. (등록대상기존화학물질 선정 및 노출시나리오, 노출평가(1)- 국립환경과

학원, 2016). Acrylamide는 반 휘발성물질이며, 하수종말처리장으로 노출이 고려되지 않기 때문에

토양 중 오염물질의 흡입노출 평가를 생략하였다.

11.1.2.2. 소비자

- 해당사항 없음

11.1.2.3. 작업자

노출시나리오 1의 작업자 노출에 대한 안전성 확인을 수행한 결과, 각 기여시나리오 별 흡입 및 경

피 노출에 대한 위해도 결정비 값이 모두 1이하로서 작업자에 대한 위해도가 충분히 통제되고 있음

을 확인할 수 있다.

[표 68] 작업자에 대한 안전성 확인

구분* 노출경로 노출농도 독성 평가항목

/주요 영향

DMEL 위해도

결정비 값 단위 값 단위

<시나리오1> -

작업자1

만성 흡입 4.44E-04 mg/m³

발암성 결과

활용

0.08 mg/m³ 5.55E-03

만성 경피 1.71E-03 mg/kg-day 0.09 mg/kg-day 1.90E-02

<시나리오1> -

작업자2

만성 흡입 4.44E-03 mg/m³ 0.08 mg/m³ 5.55E-02

만성 경피 6.86E-03 mg/kg-day 0.09 mg/kg-day 7.62E-02

<시나리오1> -

작업자3

만성 흡입 1.11E-03 mg/m³ 0.08 mg/m³ 1.39E-02

만성 경피 3.43E-02 mg/kg-day 0.09 mg/kg-day 3.81E-01

Page 31: Acrylamide ( 2-Propenamide )61 대기 중 오염물질의 흡입 노출량은 ଞ물질 위ଦ성 가의 구체적 방법 등에 관ଟ 규정 (국립 경과ଞ원고시)에 제시된

84

11.2 노출시나리오 2 : 고분자 중합에 사용되는 단량체

11.2.1. 환경

환경에 대한 안전성확인을 수행한 결과 노출시나리오2에 대한 환경영역 위해도 결정비(예측농도

(PEC)/예측무영향농도(PNEC))가 1이하로 위해성관리가 되고 있는 것을 확인 하였음.

[표 69] 환경에 대한 안전성 확인-국지적

매체 구분 PEC PNEC PEC/PNEC 논의

담수

<시나리오2-사업장4> 1.04E-09

0.32

3.25E-09

위해도 없음

<시나리오2-사업장5> 1.04E-09 3.25E-09

<시나리오2-사업장8> 1.04E-09 3.25E-09

<시나리오2-사업장9> 1.04E-09 3.25E-09

<시나리오2-사업장10> 1.04E-09 3.25E-09

<시나리오2-사업장15> 1.04E-09 3.25E-09

<시나리오2-사업장16> 1.04E-09 3.25E-09

침전물

<시나리오2-사업장4> 2.94E-09

해당 없음

<시나리오2-사업장5> 2.94E-09

<시나리오2-사업장8> 2.94E-09

<시나리오2-사업장9> 2.94E-09

<시나리오2-사업장10> 2.94E-09

<시나리오2-사업장15> 2.94E-09

<시나리오2-사업장16> 2.94E-09

농경지

<시나리오2-사업장4> 7.14E-04

해당 없음

<시나리오2-사업장5> 1.41E-04

<시나리오2-사업장8> 2.44E-06

<시나리오2-사업장9> 2.32E-04

<시나리오2-사업장10> 9.23E-06

<시나리오2-사업장15> 4.35E-05

<시나리오2-사업장16> 4.44E-04

목초지

<시나리오2-사업장4> 7.15E-04

<시나리오2-사업장5> 1.41E-04

<시나리오2-사업장8> 2.44E-06

<시나리오2-사업장9> 2.32E-04

<시나리오2-사업장10> 9.25E-06

<시나리오2-사업장15> 4.36E-05

<시나리오2-사업장16> 4.45E-04

하수처리설비 <시나리오2-사업장4>

해당 없음 <시나리오2-사업장5>

Page 32: Acrylamide ( 2-Propenamide )61 대기 중 오염물질의 흡입 노출량은 ଞ물질 위ଦ성 가의 구체적 방법 등에 관ଟ 규정 (국립 경과ଞ원고시)에 제시된

85

<시나리오2-사업장8>

<시나리오2-사업장9>

<시나리오2-사업장10>

<시나리오2-사업장15>

<시나리오2-사업장16>

*Acrylamide는 침전물, 토양 및 하수처리 설비에서의 예측무영향농도(PNEC)를 도출하지 않았으므로,

환경매체에 대한 안전성 확인은 수행하지 않았다.

11.2.2 인체 건강

11.2.2.1. 환경을 통한 인체 간접 노출

11.2.2.1.1. 비발암 위해도

11.2.2.1.1.1. 대기.

대기 중 흡입 노출로 인한 비발암 위해도 결정비는 한국형 다매체 동태모형에서 얻은 예측농도

(PEC) 및 일일평균노출량, 무영향수준(일반인), 호흡률, 체중을 고려하여 산정하였음.

대기를 통한 인체 간접 노출 위해도 확인은, 흡입 노출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난 사업장 4에 대

하여 수행하였으며, 비발암 위해도 결정비는 1이하로 위해 우려가 없는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표 70] 대기 중 흡입 노출로 인한 비발암 독성 위해도

구분* 지역 PEC

(mg/m³)

노출량

(mg/kg-day)

DNEL

(mg/m³) 위해도 결정비*

<시나리오2-사업장4> 국지적 5.61E-04 6.30E-05 0.0084 3.37E-02

*위해도 결정비 = 노출량(mg/kg/day) ÷ [무영향수준 (mg/m³) x 호흡률 14.3 m³/day ÷ 체중 64.2 kg]

11.2.2.1.1.2. 토양.

가. 경구.

토양 중 경구 노출로 인한 비발암 위해도 결정비는 한국형 다매체 동태모형에서 얻은 예측농도

(PEC) 및 일일평균노출량(ADD), 무영향수준(일반인)을 고려하여 산정하였다. 토양 중 경구 경로를

통한 인체간접노출 위해도 확인은 노출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난 사업장 4에 대하여 수행하였

으며, 비발암 위해도 결정비는 1이하로 위해 우려가 없는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표 71] 토양 중 경구 노출로 인한 비발암 위해도

구분 지역 PEC

(mg/kg)

노출량

(mg/kg-day)

DNEL

(mg/kg/day) 위해도결정비*

<시나리오2-사업장4> 농경지 1.10E-03 4.71E-05 0.005 9.42E-03

목초지 1.10E-03 4.71E-05 0.005 9.42E-03

*위해도 결정비=노출량(mg/kg/day)÷무영향수준 0.005 mg/kg/day

Page 33: Acrylamide ( 2-Propenamide )61 대기 중 오염물질의 흡입 노출량은 ଞ물질 위ଦ성 가의 구체적 방법 등에 관ଟ 규정 (국립 경과ଞ원고시)에 제시된

86

나. 경피.

토양 중 경피 노출로 인한 비발암 위해도 결정비는 한국형 다매체 동태모형에서 얻은 예측농도

(PEC) 및 일일평균노출량(ADD), 무영향수준(일반인)을 고려하여 산정하였다. 토양 중 경피 경로를

통한 인체간접노출 위해도 확인은 노출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난 사업장 3에 대하여 수행하였

으며, 비발암 위해도 결정비는 1 이하로 위해 우려가 없는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표 72] 토양 중 경피 노출로 인한 비발암 위해도

구분 지역 PEC

(mg/kg)

노출량

(mg/kg-day)

DNEL

(mg/kg/day) 위해도결정비*

<시나리오2-사업장4> 농경지 1.10E-03 4.51E-10 0.005 9.02E-08

목초지 1.10E-03 4.51E-10 0.005 9.02E-08

*위해도 결정비=노출량(mg/kg/day)÷무영향수준 0.005 mg/kg/day

다. 흡입.

*토양 중 오염물질의 흡입 노출의 경우 하수종말처리장에 의해 토양매립이 이뤄지는 휘발성 물질

에 대해 평가를 수행한다. (등록대상기존화학물질 선정 및 노출시나리오, 노출평가(1)- 국립환경과

학원, 2016). Acrylamide는 반휘발성물질이며, 하수종말처리장으로 노출이 고려되지 않기 때문에

토양 중 오염물질의 흡입노출 평가를 생략하였다.

11.2.2.1.2. 발암 위해도

확인된 위해도가 ‘허용 가능한 초과발암 위해도(acceptable risk)’ 범위내로 나타난 사업장에 대해서

는 실측을 통한 상세한 위해성 평가 등의 추가적인 발암위해도 평가를 통한 개선이 필요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위해성에 관한 자료 내에서 노출평가에 사용된 환경 농도 예측은 [Tier I] 에 해당하는

<Simple box korea v2.0> 모델을 통하여 Worst 한 농도를 바탕으로 평가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실

제 발암 위해도는 평가된 위해보다 더 적을 것으로 판단된다.

추가적으로 고려할만한 사항으로는 Acrylamide의 수용해도 및 이분해성 특성이다. Acrylamide는

매우 높은 수용해도를 갖는 물질이며 그 제조공정(노출시나리오 1)과 사용공정(노출시나리오 2) 모

두 물을 수반하는 특징을 갖는다. 이를 바탕으로 볼 때, 실질적으로 환경 중으로 배출되는

Acrylamide의 배출량은 더 적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해볼 수 있으며, 또한 이분해성 특징으로 환

경 중에 배출되어도 쉽게 생 분해되어 영향이 더 적을 것으로 예상해볼 수 있다.

11.2.2.1.2.1. 대기

대기 중 흡입 노출로 인한 발암 위해도는 한국형 다매체 동태모형에서 얻은 예측농도(PEC)으로부

터 산정된 평생일일평균노출량(LADD)과 흡입 경로 발암 계수를 통하여 위해도를 결정하였다.

노출시나리오 2에 대한, 대기 중 흡입 노출로 인한 인체 간접 노출 발암 위해도 결정비는 대부분의

Page 34: Acrylamide ( 2-Propenamide )61 대기 중 오염물질의 흡입 노출량은 ଞ물질 위ଦ성 가의 구체적 방법 등에 관ଟ 규정 (국립 경과ଞ원고시)에 제시된

87

사업장에서 10-6 이하로 위해 우려가 없는 수준으로 확인 되었지만, <사업장 4, 사업장 9, 사업장

16>에서의 발암 위해도 결정비는 10-6~10-4 범위내로 ‘허용 가능한 초과발암 위해도(acceptable

risk)’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참고: 위해성 기준 설정 방안 연구 최종보고서, 2008, 환경부)

[표 73] 대기 중 흡입 노출로 인한 발암 독성 위해도

구분* 지역 PEC (mg/m³) 노출량 (mg/kg-day) 발암 위해도 결정비*

<시나리오 2-사업장4> 국지적 5.61E-04 2.00E-05 6.40E-06

<시나리오 2-사업장5> 국지적 6.57E-05 2.35E-06 7.52E-07

<시나리오 2-사업장8> 국지적 1.29E-06 4.61E-08 1.48E-08

<시나리오 2-사업장9> 국지적 9.68E-05 3.46E-06 1.11E-06

<시나리오 2-사업장11> 국지적 9.39E-07 3.36E-08 1.08E-08

<시나리오 2-사업장15> 국지적 2.22E-05 7.93E-07 2.54E-07

<시나리오 2-사업장16> 국지적 2.27E-04 8.11E-06 2.60E-06

*발암 위해도 결정비 = 노출량(mg/kg/day) x [흡입경로 발암계수: 0.32 (mg/kg/day)-1]

11.2.2.1.2.2. 토양

가. 경구

토양 중 경구 노출로 인한 발암 위해도는 한국형 다매체 동태모형에서 얻은 예측농도(PEC)로부터

산정된 평생일일평균노출량(LADD)과 경구 경로 발암 계수를 통하여 결정하였다.

노출시나리오 2에 대한, 토양 중 경구 노출로 인한 인체 간접 노출 발암 위해도 결정비는 대부분의

사업장에서 농경지, 목초지 모두 10-6 이하로 위해 우려가 없는 수준으로 확인 되었지만, <사업장 4,

사업장 9, 사업장 16>에서의 발암 위해도 결정비는 10-6~10-4 범위내로 ‘허용 가능한 초과발암 위

해도(acceptable risk)’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참고: 위해성 기준 설정 방안 연구 최종보

고서, 2008, 환경부)

[표 74] 토양 중 경구 노출로 인한 발암 독성 위해도

구분* 지역 PEC (mg/kg) 노출량 (mg/kg-day) 발암 위해도 결정비*

<시나리오 2

– 사업장4> 국지적

농경지 1.10E-03 1.50E-05 7.65E-06

목초지 1.10E-03 1.50E-05 7.65E-06

<시나리오 2

– 사업장5> 국지적

농경지 1.29E-04 1.76E-06 8.98E-07

목초지 1.29E-04 1.76E-06 8.98E-07

<시나리오 2

– 사업장8> 국지적

농경지 2.44E-06 3.33E-08 1.70E-08

목초지 2.44E-06 3.33E-08 1.70E-08

<시나리오 2

– 사업장9> 국지적

농경지 1.90E-04 2.59E-06 1.32E-06

목초지 1.90E-04 2.59E-06 1.32E-06

<시나리오 2 국지적 농경지 1.74E-06 2.37E-08 1.21E-08

Page 35: Acrylamide ( 2-Propenamide )61 대기 중 오염물질의 흡입 노출량은 ଞ물질 위ଦ성 가의 구체적 방법 등에 관ଟ 규정 (국립 경과ଞ원고시)에 제시된

88

– 사업장11> 목초지 1.74E-06 2.37E-08 1.21E-08

<시나리오 2

– 사업장15> 국지적

농경지 4.35E-05 5.93E-07 3.02E-07

목초지 4.36E-05 5.93E-07 3.02E-07

<시나리오 2

– 사업장16> 국지적

농경지 4.45E-04 6.07E-06 3.10E-06

목초지 4.45E-04 6.07E-06 3.10E-06

*발암 위해도 결정비 = 노출량(mg/kg/day) x [경구경로 발암계수: 0.51 (mg/kg/day)-1]

나. 경피

토양 중 경피 노출로 인한 발암 위해도는 한국형 다매체 동태모형에서 얻은 예측농도(PEC)로부터

산정된 평생일일평균노출량(LADD)과 경피 경로 발암 계수를 통하여 결정하였다.

토양 중 경피 노출로 인한 인체 간접 노출 발암 위해도 결정비는 모든 사업장에서 10-6 이하로 위해

우려가 없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표 75] 토양 중 경피 노출로 인한 발암 독성 위해도

구분* 지역 PEC (mg/kg) 노출량 (mg/kg-day) 발암 위해도 결정비*

<시나리오 2

– 사업장4> 국지적

농경지 1.10E-03 1.43E-10 4.58E-11

목초지 1.10E-03 1.43E-10 4.58E-11

<시나리오 2

– 사업장5> 국지적

농경지 1.29E-04 1.68E-11 5.38E-12

목초지 1.29E-04 1.68E-11 5.38E-12

<시나리오 2

– 사업장8> 국지적

농경지 2.44E-06 3.18E-13 1.02E-13

목초지 2.44E-06 3.18E-13 1.02E-13

<시나리오 2

– 사업장9> 국지적

농경지 1.90E-04 2.48E-11 7.94E-12

목초지 1.90E-04 2.48E-11 7.94E-12

<시나리오 2

– 사업장11> 국지적

농경지 1.74E-06 2.27E-13 7.26E-14

목초지 1.74E-06 2.27E-13 7.26E-14

<시나리오 2

– 사업장15> 국지적

농경지 4.35E-05 5.67E-12 1.81E-12

목초지 4.36E-05 5.68E-12 1.82E-12

<시나리오 2

– 사업장16> 국지적

농경지 4.45E-04 5.80E-11 1.86E-11

목초지 4.45E-04 5.80E-11 1.86E-11

*발암 위해도 결정비 = 노출량(mg/kg/day) x [경피경로 발암계수: 0.32 (mg/kg/day)-1]

다. 흡입.

[표 76] 토양 중 흡입 노출로 인한 발암 독성 위해도

구분* 지역 PEC (mg/m³) 노출량 (mg/kg-day) 발암 위해도 결정비*

<시나리오 2-사업장4> 전국 3.19E-08

- 국지적 3.64E-04

Page 36: Acrylamide ( 2-Propenamide )61 대기 중 오염물질의 흡입 노출량은 ଞ물질 위ଦ성 가의 구체적 방법 등에 관ଟ 규정 (국립 경과ଞ원고시)에 제시된

89

*토양 중 오염물질의 흡입 노출의 경우 하수종말처리장에 의해 토양매립이 이뤄지는 휘발성 물질

에 대해 평가를 수행한다. (등록대상기존화학물질 선정 및 노출시나리오, 노출평가(1)- 국립환경과

학원, 2016). Acrylamide는 반휘발성물질이며, 하수종말처리장으로 노출이 고려되지 않기 때문에

토양 중 오염물질의 흡입노출 평가를 생략하였다.

11.2.2.2. 소비자

- 해당사항 없음

11.2.2.3. 작업자

노출시나리오 2의 작업자 노출에 대한 안전성 확인을 수행한 결과, 각 기여시나리오 별 흡입 및 경

피 노출에 대한 위해도 결정비 값이 모두 1이하로서 작업자에 대한 위해도가 충분히 통제되고 있음

을 확인할 수 있다.

[표 77] 작업자에 대한 안전성 확인

구분* 노출경로 노출농도 독성 평가항목

/주요 영향

DMEL 위해도

결정비 값 단위 값 단위

<시나리오2> -

작업자1

만성 흡입 4.44E-04 mg/m³

발암성 결과

활용

0.08 mg/m³ 5.55E-03

만성 경피 1.71E-03 mg/kg-day 0.09 mg/kg-day 1.90E-02

<시나리오2> -

작업자2

만성 흡입 8.89E-05 mg/m³ 0.08 mg/m³ 1.11E-03

만성 경피 6.86E-04 mg/kg-day 0.09 mg/kg-day 7.62E-03

<시나리오2> -

작업자3

만성 흡입 2.67E-04 mg/m³ 0.08 mg/m³ 3.33E-03

만성 경피 3.43E-04 mg/kg-day 0.09 mg/kg-day 3.81E-03

<시나리오2> -

작업자4

만성 흡입 4.44E-04 mg/m³ 0.08 mg/m³ 5.55E-03

만성 경피 6.86E-03 mg/kg-day 0.09 mg/kg-day 7.62E-02

<시나리오2> -

작업자5

만성 흡입 1.11E-03 mg/m³ 0.08 mg/m³ 1.39E-02

만성 경피 3.43E-02 mg/kg-day 0.09 mg/kg-day 3.81E-01

<시나리오2> -

작업자6

만성 흡입 2.22E-04 mg/m³ 0.08 mg/m³ 2.78E-03

만성 경피 3.43E-03 mg/kg-day 0.09 mg/kg-day 3.81E-02

Page 37: Acrylamide ( 2-Propenamide )61 대기 중 오염물질의 흡입 노출량은 ଞ물질 위ଦ성 가의 구체적 방법 등에 관ଟ 규정 (국립 경과ଞ원고시)에 제시된

90

11.3 전체적인 노출

11.3.1. 환경

전국규모의 환경에 대한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모든 노출시나리오에 해당되는 사업장들의 환경

중 예측농도를 계산하였고 모든 환경영역에서 예측농도(PEC)/예측무영향농도(PNEC) 비(ratio)가 1

이하로 위해 우려가 없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표 78] 환경에 대한 안전성 확인-전국

매체 PEC PNEC PEC/PNEC 논의

담수 1.04E-09 0.32 3.25E-09 위해도 초과하지 않음

토양

자연지 1.28E-10

해당 없음 농경지 1.25E-10

도시산업용지 1.35E-10

*토양 예측무영향농도(PNEC)를 도출하지 않았으므로, 환경매체(토양)에 대한 안전성 확인은 수행하

지 않았다.

11.3.2. 인체 건강

11.3.2.1. 환경을 통한 인체 간접 노출

11.3.2.1.1. 비발암 위해도

11.3.2.1.1.1. 대기

대기 중 흡입 노출로 인한 비발암 위해도 결정비는 한국형 다매체 동태모형에서 얻은 전국규모의

예측농도(PEC) 및 일일평균노출량, 무영향수준(일반인), 호흡률, 체중을 고려하여 산정하였음.

대기 중 흡입 노출로 인한 전국규모의 인체 간접 노출 비발암 위해도 결정비는 1이하로 위해 우려

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음.

[표 79] 대기 중 흡입 노출로 인한 비발암 독성 위해도

구분* 지역 PEC(mg/m³) 노출량(mg/kg-day) DNEL(mg/m³) 위해도 결정비*

전체사업장 전국 5.14E-08 5.78E-09 0.0084 3.09E-06

*위해도 결정비 = 노출량(mg/kg/day) ÷ [무영향수준 (mg/m³) x 호흡률 14.3 m³/day ÷ 체중 64.2 kg]

11.3.2.1.1.2. 토양.

가. 경구.

전국 규모의 토양 중 경구 노출로 인한 비발암 위해도 결정비는 한국형 다매체 동태모형에서 얻은

전국 규모의 예측농도(PEC) 및 일일평균노출량(ADD), 무영향수준(일반인), 호흡률, 체중을 고려하여

산정하였으며, 비발암 위해도 결정비는 1이하로 위해 우려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표 80] 토양 중 경구 노출로 인한 비발암 위해도

구분 PEC(mg/kg) 노출량(mg/kg-day) DNEL(mg/kg-day) 위해도 결정비*

Page 38: Acrylamide ( 2-Propenamide )61 대기 중 오염물질의 흡입 노출량은 ଞ물질 위ଦ성 가의 구체적 방법 등에 관ଟ 규정 (국립 경과ଞ원고시)에 제시된

91

자연지 2.07E-10 8.87E-12 0.005 1.77E-09

농경지 2.01E-10 8.61E-12 0.005 1.72E-09

도시산업용지 2.17E-10 9.30E-12 0.005 1.86E-09

*위해도 결정비=노출량(mg/kg/day)÷무영향수준0.005mg/kg/day

나. 경피.

전국 규모의 토양 중 경피 노출로 인한 비발암 위해도 결정비는 한국형 다매체 동태모형에서 얻은

전국 규모의 예측농도(PEC) 및 일일평균노출량(ADD), 무영향수준(일반인), 호흡률, 체중을 고려하여

산정하였으며, 비발암 위해도 결정비는 1이하로 위해 우려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표 81] 토양 중 경피 노출로 인한 비발암 위해도

구분 PEC(mg/kg) 노출량(mg/kg-day) DNEL(mg/kg-day) 위해도 결정비*

자연지 2.07E-10 8.48E-17 0.005 1.70E-14

농경지 2.01E-10 8.23E-17 0.005 1.65E-14

도시산업용지 2.17E-10 8.89E-17 0.005 1.78E-14

*위해도 결정비=노출량(mg/kg/day)÷무영향수준0.005mg/kg/day

다. 흡입.

*토양 중 오염물질의 흡입 노출의 경우 하수종말처리장에 의해 토양매립이 이뤄지는 휘발성 물질

에 대해 평가를 수행한다. (등록대상기존화학물질 선정 및 노출시나리오,노출평가(1)- 국립환경과학

원, 2016). Acrylamide는 반휘발성물질이며, 하수종말처리장으로 노출이 고려되지 않기 때문에 토

양 중 오염물질의 흡입노출 평가를 생략하였다.

11.3.2.1.2. 발암 위해도.

11.3.2.1.2.1. 대기.

전국 규모의 대기 중 흡입 노출로 인한 발암 위해도는 10-6 이하로 위해 우려가 없는 수준 인 것으

로 확인하였다.

[표 82] 대기 중 흡입 노출로 인한 발암 독성 위해도

구분* PEC (mg/m³) 노출량 (mg/kg-day) 발암 위해도 결정비*

전체사업장 5.14E-08 1.84E-09 5.89E-10

*발암 위해도 결정비 = 노출량(mg/kg/day) x [흡입경로 발암계수: 0.32 (mg/kg/day)-1]

11.3.2.1.2.2. 토양.

가. 경구

전국 규모의 토양 중 경구 노출로 인한 발암 위해도는 10-6 이하로 위해 우려가 없는 수준 인 것으

로 확인하였다.

Page 39: Acrylamide ( 2-Propenamide )61 대기 중 오염물질의 흡입 노출량은 ଞ물질 위ଦ성 가의 구체적 방법 등에 관ଟ 규정 (국립 경과ଞ원고시)에 제시된

92

[표 83] 토양 중 경구 노출로 인한 발암 독성 위해도

구분 PEC (mg/kg) 노출량 (mg/kg-day) 발암 위해도 결정비*

전국

농경지 2.07E-10 2.82E-12 1.44E-12

자연지 2.01E-10 2.74E-12 1.40E-12

도시 상업용지 2.17E-10 2.96E-12 1.51E-12

*발암 위해도 결정비 = 노출량(mg/kg/day) x [경구경로 발암계수: 0.51 (mg/kg/day)-1]

나. 경피

전국 규모의 토양 중 경피 노출로 인한 발암 위해도는 10-6 이하로 위해 우려가 없는 수준 인 것으

로 확인하였다.

[표 84] 토양 중 경피 노출로 인한 발암 독성 위해도

구분 PEC (mg/kg) 노출량 (mg/kg-day) 발암 위해도 결정비*

전국

농경지 2.07E-10 2.70E-17 8.64E-18

자연지 2.01E-10 2.62E-17 8.38E-18

도시 상업용지 2.17E-10 2.83E-17 9.06E-18

*발암 위해도 결정비 = 노출량(mg/kg/day) x [경피경로 발암계수: 0.32 (mg/kg/day)-1]

다. 흡입

*토양 중 오염물질의 흡입 노출의 경우 하수종말처리장에 의해 토양매립이 이뤄지는 휘발성 물질

에 대해 평가를 수행한다. (등록대상기존화학물질 선정 및 노출시나리오, 노출평가(1)- 국립환경과

학원, 2016). Acrylamide는 반 휘발성물질이며, 하수종말처리장으로 노출이 고려되지 않기 때문에

토양 중 오염물질의 흡입노출 평가를 생략하였다.

11.3.2.2. 작업자 노출 (유출원의 조합)

시나리오 별 작업자의 전체적인 위해도를 노출시나리오 별 각 기여시나리오의 노출경로 위해도의

합으로 나타내었다. 아래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시나리오에서 제시한 위해 관리 기준을 적용하

는 경우 작업자의 위해도는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 85] 작업자에 대한 안전성 확인

구분 위해도결정비

(만성 흡입)

위해도결정비

(만성 경피)

위해도결정비

(만성 흡입+경피) 논의

노출시나리오 기여시나리오

노출시나리오 1

작업자1 5.55E-03 1.90E-02 2.46E-02 위해도없음

작업자2 5.55E-02 7.62E-02 1.32E-01 위해도없음

작업자3 1.39E-02 3.81E-01 3.95E-01 위해도없음

노출시나리오 2 작업자1 5.55E-03 1.90E-02 2.46E-02 위해도없음

작업자2 1.11E-03 7.62E-03 8.73E-03 위해도없음

Page 40: Acrylamide ( 2-Propenamide )61 대기 중 오염물질의 흡입 노출량은 ଞ물질 위ଦ성 가의 구체적 방법 등에 관ଟ 규정 (국립 경과ଞ원고시)에 제시된

93

작업자3 3.33E-03 3.81E-03 7.14E-03 위해도없음

작업자4 5.55E-03 7.62E-02 8.18E-02 위해도없음

작업자5 1.39E-02 3.81E-01 3.95E-01 위해도없음

작업자6 2.78E-03 3.81E-02 4.09E-02 위해도없음

Page 41: Acrylamide ( 2-Propenamide )61 대기 중 오염물질의 흡입 노출량은 ଞ물질 위ଦ성 가의 구체적 방법 등에 관ଟ 규정 (국립 경과ଞ원고시)에 제시된

94

12. 참고문헌

Page 42: Acrylamide ( 2-Propenamide )61 대기 중 오염물질의 흡입 노출량은 ଞ물질 위ଦ성 가의 구체적 방법 등에 관ଟ 규정 (국립 경과ଞ원고시)에 제시된

95

12. 참고문헌

Allan S (1995). CT-566-94 Acrylamide skin sensitisation in the guinea pig. Huntingdon Research

Centre Ltd., Huntingdon, Cambs. England. Report no. CTI 2/940899/55.

Auld R, Bedwell S (1967). Peripheral neuropathy with sympathetic overactivity from industrial

contact with acrylamide. Canad. Med. Ass. J., 96, 652-654.

Cooke D (1991). Aquatic Toxicity Tests versus Onchorhyncus mykiss. Testing laboratory: United

States Testing Company, Inc., Hoboken, NJ, USA. Report no.: 063102-4. Owner company: American

Cyanamid Company, Wayne, NJ, USA. Report date: 1991-02-20.

Dooms-Goossens A, Garmyn M, Degreef H (1991). Contact allergy to acrylamide. Contact

dermatitis, 24(1), 71-72.

Dulak LH (1989). A Lifetime Oncogenicity Study in Rats with Acrylamide. Testing laboratory:

Tegeris Laboratories Temple Hills, MD. Report no.: 85033. Owner company: American Cyanamid

company Wayne, New Jersey. Report date: 1989-06-27.

Davenport J, Farrell D, Sumi M (1976). “Giant axonal neuropathy” caused by industrial chamicals.

Neurol., 26, 919-923

European Union (2002), EU Risk Assessment Report.

European Chemical Agency, (2011). Guidance on information requirements and chemical safety

assessment Part A: Introduction to the Guidance document.

Friedman M, Dulak L, Stedham M (1995). A lifetime oncogenicity study in rats with acrylamide.

Fundam. Appl. Tox., 27, 95-105

Garland T, Patterson M (1967). Six cases of acrylamide poisoning. Brit. Med. J., 4, 134-138

Johnson KA et al (1984). Acrylamide: A two year drinking water chronic toxicity-oncogenicity study

in Fischer 344 rats. Testing laboratory: Mammalian and Environmental Toxicology Research

Laboratory, Heal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USA. Report no.: Final Report. Owner company:

Dow Chemical. Report date: 1984-09-21.

Knaap A, Kramers P, Voogd C, Bergkamp W, Groot M, Langebroek P, Mout H, van der Stel J,

Verharen H (1988). Mutagenic activity of acrylamide in eukaryotic systems but not in bacteria.

Page 43: Acrylamide ( 2-Propenamide )61 대기 중 오염물질의 흡입 노출량은 ଞ물질 위ଦ성 가의 구체적 방법 등에 관ଟ 규정 (국립 경과ଞ원고시)에 제시된

96

Mutag., 3(3), 263-268.

Lambert J, Matthieu L, Dockx P (1988). Contact dermatitis from acrylamide. Contact. Derm. 19(1),

65

Licata-Messana L (1997). Inhibition test (72 hours) in freshwater unicellular algae Selenastrum

capricornutum. Testing laboratory: S. E. P. C., 69490 Sarcey, France. Report no.: G104. Owner

company: SNF SAS, 42163 Andrézieux, France. Study number: TR/242. Report date: 1997-01-02.

Manciaux X (1997). Acute oral toxicityin rats. Testing laboratory: C.I.T., Miserey, France. Report no.:

14797 TAR. Owner company: SNF SAS. Study number: TR256. Report date: 1997-01-29.

McHugh J (1987). Assessment of airborne exposure and dermal contact to acrylamide during

chemical grouting operations. US EPA Contract No. 68-02-4252.

Mercier O (1997a). Acrylamide - Primary cutaneous irritation and corrosivity test in the rabbit.

Report No. 59996. Chrysalis Preclinical Services, Les Oncins, 69593 L'Arbresle, France.

Mercier O (1997b). Acrylamide (aqueous solution at 50%) - Primary cutaneous irritation and

corrosivity test in the rabbit. Report No. 57596. Chrysalis Preclinical Services, Les Oncins, 69593

L'Arbresle, France.

Mercier O (1997c). Acrylamide - Ocular irritation and reversibility test in the rabbit. Report No.

60096. Chrysalis Preclinical Services, Les Oncins, 69593 L'Arbresle, France.

Mercier O (1997d). Acrylamide (aqueous solution at 50%) - Ocular irritation and reversibility test in

the rabbit. Report No. 57696. Chrysalis Preclinical Services, Les Oncins, 69593 L'Arbresle, France.

Stockhausen GmbH (1995). Skin sensitisation of acrylamide (50%) on guinea pigs. Chemische

Fabrik Stockhausen GmbH, D-47705 Krefeld, Germany. Final Report no. 138/95.

Sumner, et al (2001) Metabolism and distribution of acrylamide in rats and mice following

inhalation exposure or dermal application. Testing laboratory: CIIT, Research Trianle Park, NC, USA.

Report no.: 99043. Owner company: Cytec Industries, Nalco Chemical Co., Ciba Inc., SNF SAS.

Report date: 2001-02-05.

Tsuda H. et al (1993) Acrylamide induction of DNA damage, chormosomal aberrations and cell

transformation without gene mutations. Mutagenesis 8(1):23-29.

Page 44: Acrylamide ( 2-Propenamide )61 대기 중 오염물질의 흡입 노출량은 ଞ물질 위ଦ성 가의 구체적 방법 등에 관ଟ 규정 (국립 경과ଞ원고시)에 제시된

97

Tyl, RW, et al (1998) Modified Dominant Lethal Evaluation of Acrylamide Monomer Administered

by Gavage to Male Long- Evans Rats. Testing laboratory: Research Triangle Institute, Research

Triangle Park, NC, USA. Report no.: 65C-6821-200. Owner company: Acrylamide Monomer

Producers Association, Washington, DC, USA. Report date: 1998-02-06.

Thompson CM (1982). Dyamic 48-Hour Acute Toxicity of Acrylamide Monomer to Water Fleas

(Daphnia magna). Testing laboratory: Analytical Bio-Chemistry Laboratories, Inc. Report no.: 29736

(DAP). Owner company: American Cyanamid Company, Nalco Chemical Company, Dow Chemical,

USA, Standard Oil of Ohio. Study number: Unknown. Report date: 1982-12-28.

Wang, XM (1991). Modified OECD Test for ready biodegradability of CT-444-90E. Testing

laboratory: United States Testing Company, Inc. Report no.: 063102-4. Owner company: American

Cyanamid Company. Report date: 1991-02-20.

SICKLES, D., BRADY, S. T., TESTINO, A., FRIEDMAN, M. A., AND WRENN R. W. (1996). Direct Effect

of the Neurotoxicant Acrylamide on Kinesin-Based Microtubule Motility. Journal of Neuroscience

Research 46: 7-17.

US EPA, 2010, Integrated Risk Information System (IRIS) Chemical Assessment Summary –

Acrylamide.

환경부, 2015, 등록신청자료의 작성방법 및 유해성 심사 방법 등에 관한 규정, 환경부고시 제 2015-

19호.

국립환경과학원, 2016, 등록대상기존화학물질 선정 및 노출시나리오, 노출평가( I ), 발간등록번호 11-

1480523-003030-0.

국립환경과학원, 2015, 유전독성시험 평가에 관한 지침.

국립환경과학원, 2006, 위해성평가의 대상물질 선정기준, 절차 및 방법 등에 관한 지침, 고시 제2006-

30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