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장p193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박다솜

25
6장. 수행평가

Upload: minsoo-jung

Post on 04-Jul-2015

216 views

Category:

Education


1 download

DESCRIPTION

제6장193p_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_4박다솜 교육평가 담당교수 정민수 수석교사 엠디랑 http://mdrang.net

TRANSCRIPT

Page 1: 제6장p193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박다솜

제 6장. 수행평가

Page 2: 제6장p193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박다솜

목차

1. 수행평가의 성격

2. 수행평가 방법

3. 수행평가 과제의 개발과 시행

Page 3: 제6장p193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박다솜

제 6장. 수행평가

1.수행평가의 성격

2. 수행평가 방법

3. 수행평가 과제의 개발과 시행

Page 4: 제6장p193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박다솜

수행평가란?

지속적, 가시적 수행

학생들이 자신의 지식과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능력이 어느 정도인지 평가하기 위한 방법

목적 : 교수-학습 과정 개선, 개별학생 지도 조언

Page 5: 제6장p193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박다솜

기존 평가 vs 수행평가

비교 측면 기존 평가 수행평가

평가대상(사고)

낮은 수준의 암기, 이해력 고등정신능력

평가대상(지식유형)

결과 과정+지식

평가방법 선택형 지필검사 다양한 방법

평가상황 인위적인 시험 실제 상황 or 유사 모의상황

평가방법성격

간접적 (검사위주) 직접적 (관찰위주)

Page 6: 제6장p193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박다솜

수행평가의 유사용어

대안적 평가서술형이나 논술형 문

항 강조

실기시험 평가지필<실기시험

기억하는 것<할 줄 아는것

직접적 평가직접적 방법 중시

Ex) 도덕성->관찰평가

포트폴리오 평가과정, 향상도 중시

지속적 통합적 평가

실제적 평가평가상황 = 실제상황

참, 상황지향적, 자연주의적 평가

특수 사례

Page 7: 제6장p193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박다솜

수행평가의 특징

- 학생 스스로 정답구성- 실제상황에서 교육목표 달성했는가 평가- 절차적 지식의 습득 중시- 전인적인 평가 중시- 집단 평가 시 학생상호간의 협력 유도- 교수-학습과정과 통합된 형태로 이루어짐- 다양성을 인정하면서도 타당한 평가

실시상의 비효율성(시간, 공간, 비용)적절한 학습자료의 부족질 관리의 어려움(타당도, 신뢰도, 객관성, 변별도 확보등)

문제점

Page 8: 제6장p193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박다솜

제 6장. 수행평가

1. 수행평가의 성격

2.수행평가 방법

3. 수행평가 과제의 개발과 시행

Page 9: 제6장p193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박다솜

수행평가 방법

연구보고서법

포트폴리오법

관찰법

면접법

구술시험

논문형 검사토론법

실기시험

실험 실습법

컴퓨터 시뮬레이션

자기평가 및 동료평가 보고서법

Page 10: 제6장p193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박다솜

수행평가 방법 – 논문형 검사

! 수험자가 답을 구성개인의 생각이나 주장을 창의적이고 논리적이면서설득력 있게 조직하여 작성

! 논문형 검사 작성

평가 영역 구체화하여 검사목표 설정

알맞은 문제상황 설

모범답안, 채점 기준

표 작성

Page 11: 제6장p193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박다솜

수행평가 방법 – 포트폴리오법

• 단편적-> 종합적

• 일회적-> 지속적, 전체적

포트폴리오 : 학생의 발달과 학습에 대한 기록과 증거물들을

일정한 기간 동안 시간의 흐름에 따라 구체적인 목적을 가지고

의도적으로 모아놓은 것

Page 12: 제6장p193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박다솜

수행평가 방법 – 포트폴리오법

! 포트폴리오의 장점

교수와 평가 통합

학생이 평가과정에 적극 참여함으로 학습행동의 장점 약점 파악

/학습개별화에 기여

학생이 평가 과정에 적극적 참여

교사에게 학생의 학습,발달에 대한 정보 제공

교사의 수업행동을 구체적이고 용이하게 함

! 분류

• 생성 유형에 따라 – 자연발생적/ 정기적/계획된 경험

• 적용 대상에 따라 – 학생/연구/전문가/개인

• 활용 목적에 따라- 학습/전시/평가

Page 13: 제6장p193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박다솜

수행평가 방법 – 관찰법

! 관찰을 통해 일련의 정보를 수집하는 측정방법

! 주의사항

- 계획적으로 관찰

- 주관이나 편견 배제

- 관찰목적에 근거한 방법으로 기록

- 여러상황 관찰으로 신뢰도 높여야

Page 14: 제6장p193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박다솜

수행평가 방법 – 면접법

! 질문과 대답을 통해 지필평가나 서류심사 만으로 알수 없는 사항들을 알아보는 평가

! 장점 : 사전에 알 수 없던 심도깊은 정보, 융통성 발휘가능, 많은 양의 정보

! 좋은 면접의 조건 : 공감대 형성/ 면접자의 훈련과 경험

! 구조화에 따른

면접의 분류

구조화된면접

비구조화된 면접

반구조화된 면접

Page 15: 제6장p193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박다솜

수행평가 방법 – 구술시험

! 학생이 자신의 의견을 발표하도록 하여 학생의 준비도, 이해력, 표현력, 판단력, 의사소통능력 등을 직접적으로 평가

! 면접과의 차이점?

면접 : 정의적 영역(인성, 태도) 중심

구술시험 : 개별적인 대면 상황 + 교실 수업상황

Page 16: 제6장p193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박다솜

수행평가 방법 – 연구보고서법/ 토론

• 학생의 능력 흥미에 적합한 주제를 선택하여 학생나름대로 자료 수집, 분석, 종합하여 연구보고서로 작성하여 평가하는 방법

• 교사의 역할 : 연구진행상황 주기적 확인/ 적절한 지도/ 평가항목에 따라 평가

• 교수-학습활동 + 평가활동

• 토의식 수업에서 학생들을평가

Ex)찬반토론법

장점 : 논문형 검사와 구술시험

정보 모두 얻을수 있음

단점 : 학생수가 많은 경우 개별학생 발언기회 적음

연구보고서법

토론법

Page 17: 제6장p193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박다솜

수행평가 방법 –실기시험/ 실험실습법

• 실제 상황에서 할 줄 아는능력을 중시하여,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수행능력평가

Ex) 배구의 서브, 리시브 등의 자세, 강도,회수 평가 -> 실제 배구 게임 운영, 상황대처능력 평가

• 주로 자연과학 분야

• 어떤 과제에 대해 학생이 직접 실험 실습한 후 결과 보고서 제출

• 교사 : 실험 실습 중의 조작적인 능력, 문제해결 과정을종합적으로 평가

실기시험 실험실습법

Page 18: 제6장p193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박다솜

수행평가 방법 – 컴퓨터 시뮬레이션

! 시간적, 공간적, 경제적 제한으로 조작해 볼 수 없는상황을 컴퓨터로 모의하여 실제와 유사한 상황을 제공하는 평가

! 장점 : 절차가 컴퓨터에 기록 과정의 평가 용이

채점 시간 단축

Page 19: 제6장p193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박다솜

수행평가 방법 – 자기.동료평가 보고서법

<자기평가 보고서법>

• 학습자 스스로 평가하는 학습자 중심교육

• ‘기준설정’ ‘기준적용’을 통해 독립적인 자기 평가

<동료평가 보고서법>

• 학생이 학생을 서로평가

• 교사는 평가기준 학생에게 명백히 전달

• 상호 협력적인 관계 속에서 이뤄져야

Page 20: 제6장p193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박다솜

제 6장. 수행평가

1. 수행평가의 성격

2. 수행평가 방법

3.수행평가 과제의 개발과 시행

Page 21: 제6장p193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박다솜

수행평가 과제의 개발, 시행 절차

평가 목적과 방향 설정

수행 평가의 시행

수행 과제의 상세화

평정과 채점

Page 22: 제6장p193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박다솜

평가 목적과 방향 설정

<평가의 목적은 무엇인가?>

개인진단, 집단평가, 성적제공, 특별반 편성, 선발, 자격 부여, 검증

<평가 결과의 활용>

평가의 유형

규준참조 평가 – 학생들의 상대적 위치 측정 / 선발

준거참조 평가- 주어진 목표에 얼마나 도달했는가 측정 / 강약점 진단

Page 23: 제6장p193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박다솜

수행 과제의 상세화

<평가 내용 및 기능 진술>

평가 내용 : 단원이나 제재 ~ 교과

평가 기능 분류 : 지적 영역의 교육목표 분류학, 정의적 영역의 행동목표 분류학, 심동적 영역의 행동목표 분류학

<수행 준거 설정>

* 수행의 주요요소 빠짐없이/ 각 요소별로 수준을 상세히 정의

<준거 설정시 유의사항>

1. 기본기능과 고급 기능의 균형

2. 준거의 수를 적절히 유지

3. 개발된 준거를 정기적으로 재검토

Page 24: 제6장p193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박다솜

수행 평가의 시행

<자료 수집 방법>

구조적 방법 : 평가 시간, 과제 미리정하여 관찰 평가/ 진학,졸업 관련, 고부담 평가

자연적 방법 : 자연 그대로 관찰하고 평가/ 비용적게듬, 시간이 많이 걸림

<수행과제의 양>

학생에게 중대한 영향을 줄수록, 성취목표의 범위가 넓을수록, 학생 수행이수준의 경계선에 있을 수록 과제의 양 많아

과제가 학생의 활동 어느정도 필요, 할애된 시간에 따라결정

일관성있는 수행일 경우 적어도 신뢰

Page 25: 제6장p193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박다솜

평정과 채점

평정자 : 특정한 경우 제외하고 교사, 학부모, 학생 모두 가능

<채점 방법>

총체적 채점 : 모든 준거를 하나의 평가로 종합적인 판단/ 단일한수행지수/시간 적게

분석적 채점 : 수행 준거 각각에 대해 독립적인 판단/여러 개의 판단, 평정/장단점비교가능

<기록방법>

체크리스트, 평정척도법, 일화기록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