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북구마을만들기센터(녹색사회연구소)

17
성성성성성성성성성성성성 성성성 성성성 성성 성성성성성성성

Upload: green-korea-united

Post on 12-Jun-2015

663 views

Category:

News & Politics


0 download

DESCRIPTION

녹색연합 녹색사회 연구소에서 실행하고 있는 성북구 마을만들기 지원센터에 관한 내용입니다.

TRANSCRIPT

Page 1: 성북구마을만들기센터(녹색사회연구소)

성북구마을만들기지원센터파견의 배경과 역할

녹색사회연구소

Page 2: 성북구마을만들기센터(녹색사회연구소)

출발은 생태마을 ~

1997

1998

생태마을운동 시작생태마을 지침서 발간진도리 생태마을 기본계획 수립

금산군 건천리 생태마을 기본계획수립강화도 지속가능한 발전방안 연구생태마을 길잡이 발간

2000 산청 안솔기 생태마을 기본계획 수립 ( 대안학교 + 생태마을 )문당리 발전 100 년 계획 수립 ( 환경농업마을 )

• 언론과 결합하여 생태마을 개념 확산• 다양한 생태마을 유형 발굴• 생태마을 관련 정책 근간 제공 ( 환경부 , 산림청 , 지방자치단체 등 )• 도시에서의 운동 필요성 제기

성과

Page 3: 성북구마을만들기센터(녹색사회연구소)

새로운 미션• 주민참여형 도시생태마을 사례 발굴• 대안적 도시재생 사례 발굴성과

• 주민참여 , 주민실천만으로의 한계 , 제도화 , 정책화 연계 안됨• 실질적인 실현을 위해서는 제도 , 정책 , 거버넌스화 필요• 주민교육 , 소통 , 협의를 위한 행정 - 주민을 연계하는 중간지원 조직( 기관 ) 의 필요성•시단위가 아닌 구단위에서의 중간지원 역할 필요

한계와

과제

Page 4: 성북구마을만들기센터(녹색사회연구소)

도시에서의 새로운 주민참여운동

2004~2008

2007~2010

도시 생태마을 사례지 발굴서울시 마포구 성미산 주민활동 지원 ( 지속적인 주민교육 , 지렁이퇴비 , 자전거모니터링 / 캠페인 ,골목길축제 , 카쉐어링등 )부산시 물만골공동체 활동 지원 생태도시 시민강좌찾아가는 생태도시 시민강좌 ( 은평구 , 도봉구 , 성북구 )뉴타운정책 / 뉴타운사업 환경성 평가 / 생태도시 실현에서의 시민참여 방안 / 서울시마을만들기지원센터 제안 등 정책토론회

2008~2010 장수마을 대안재개발운동 지원 ( 시민강좌 1 기 수료생이 진행 )

• 생태도시 실현은 이론과 정책만으로 실현 한계• 시민교육 , 주민교육 커리큘럼 개발• 주민참여 실천사례 발굴 , 주민활동 지원• 주민참여형 도시생태마을 , 생태도시 실현 ( 생활정치 실현 )

목표

Page 5: 성북구마을만들기센터(녹색사회연구소)

2011 년의 발자취2 월 ~6 월 나눔과미래 , 장수마을 , 녹색사회연구소 성북구마을만들기센터 토론회 기획 및 준비7 월 성북구의회 마을만들기 조례 상정 ( 구청 발의 )11 월 박원순 서울시장 취임 , 성북구 센터 예산 1 억 배정12 월 성북구마을만들기지원센터 위탁관리 공고 12.27 센터 개소식

Page 6: 성북구마을만들기센터(녹색사회연구소)

연구소의 비젼• 거버넌스형 도시마을만들기 모델 발굴• 주민교육 , 주민역량 강화 , 주민참여의 보편화• 주거환경 , 복지 , 환경 ( 생태 ), 사회적 경제가 통합된

도시재생 사례 발굴

Page 7: 성북구마을만들기센터(녹색사회연구소)

연구소의 역할• 그 동안 연구소에 진행한 생태도시 시민강좌 ,

주민참여 워크숍 교육 , 주민참여 마을만들기 지원 등의 경험을 활용하여 2011 년 12 월 27 일 발족한 < 성북구마을만들기지원센터 > 의 주민교육 , 주민참여 사업을 수행

Page 8: 성북구마을만들기센터(녹색사회연구소)

마을만들기 지원센터성북구

- 살기좋은 마을공동체 창출을 위한 -

Page 9: 성북구마을만들기센터(녹색사회연구소)

더불어 잘 살수 있는 공동체 건설

목표

비젼 사람을 키우고 , 남기는 마을만들기

추진주체 및 주민조직 지원으로 자치적 능력강화 교육 , 연구 , 조사를 통한 지역사회 현실 이해 마을이 갖는 장소의 가치와 정체성 유지 , 차이의 공존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하는 마을만들기 관 - 민 거버넌스 마을만들기

물리적 · 경제적 · 사회적 환경개선

주민참여형 마을만들기를 위한 공공 · 단체 · 주민간 파트너쉽 형성

1. 마을만들기 지원센터의 목표와 비젼

Page 10: 성북구마을만들기센터(녹색사회연구소)

2-1. 조사연구 및 정책개발

마을만들기 활동분석및 평가 , 정책개발

■ 성북구 지역사회내 인적 , 물적 , 사회적 , 역사 문화적 , 경제적 자원에 대하여 조사와 분석

■ 마을만들기 사업 분석 및 평가■ 주민참여 법정 도시계획 수립 , 10 분도시 프로젝트 ,

정비예정구역 재생사업 등 정책개발

마을만들기 지역자원 조사분석

마을만들기 활동 분석 및 평가 · 정책개발

세부운영계획

Page 11: 성북구마을만들기센터(녹색사회연구소)

2-2. 주민조직 발굴 및 활동 지원

주민조직 발굴 및 조직화지원

마을만들기 주민활동 지원

■ 지역자원조사를 통해 주민참여 활동이 가능한 주민조직 , 문제 해결이 시급한 주민조직을 발굴 지원 ■ 설명회 , 간담회 , 마을회의 등을 통한 주민조직 육성 ■ 주민조직과 시민단체간 네트워킹 강화

■ 초기 : 공모사업 , 시범마을 사업형태로 주민활동 지원

■ 정착 : 도시재생 , 마을기업 등 확장된 주민활동 지원

세부운영계획

Page 12: 성북구마을만들기센터(녹색사회연구소)

2-3. 마을리더 만들기

주민리더 및 주민역량강화 교육

■ 구민들의 참여폭과 마을만들기 역량을 키우기 위하여 도시아카데미 , 찾아가는 동단위 마을만들기 학교 진행

■ 공모사업 , 시범마을 사업에 참여하는 주민리더와 마을주민들 대상으로 워크숍 , 사례발표회 ,

연수 진행

세부운영계획

Page 13: 성북구마을만들기센터(녹색사회연구소)

2-4. 주민참여 도시재생 마을만들기

노후주택 유지보수로 주민정주권 보장

공동체가 살아있는 마을만들기

해피하우스 사업단지 , 휴먼타운 구역지정 추진

■ 노후 주택 밀집지역의 도시재개발 압력을 해소하고 주민 정주권 보장 , 사회적기업 , 영세자영업 등의 일자리 창출

■ 저소득층 밀집거주지역의 커뮤니티 복원으로 공동체 살리기

■ 구역지정으로 국토해양부 , 서울시로 부터 행정 및 예산 지원

세부운영계획

Page 14: 성북구마을만들기센터(녹색사회연구소)

2-5. 마을홍보 및 파트너쉽 강화

Company Logo

마을만들기 홍보와 주민교류 활동

민 · 민 네트워크 구축

세부운영계획

■ 찾아 가는 마을만들기 사업설명회 , 소식지 발간 , 지원센터 홈페이지 구축 , 마을만들기 박람회 , 토론회 등 다양한 홍보 강화

■ 성북구내 시민단체 , 종교단체 , 6 개 대학 등 다양한 조직의 전문성을 마을만들기 주민활동에 지원하도록 하고 단체간 코 - 웍 (co-work) 사업 추진 유도

민 · 관 · 전문가 협력체계및 공동학습

■ 지원센터와 전문가 성북구청내 관련부서가 상호역량 강화와 팀웍 구축을 위한 민 · 관 · 전문가 공동학습 ( 스터디 , 연수 ) 진행

Page 15: 성북구마을만들기센터(녹색사회연구소)

2-6. 국 · 내외 홍보와 교류

Company Logo

국내 홍보 및 교류

국제 교류

세부운영계획

■ 연중 언론보도 및 국내 마을만들기 주민조직 , 지자체 등과 교류활동 활성화 ■ 전국마을만들기네트워크 , 전국지방자치박람회 등 외부 공모사업 및 세미나 등에 참여■ 마을만들기를 하고 있는 농촌지역 지자체와 도 - 농 교류 진행

■ 성북구 마을만들기를 홍보하고 다양한 정보습득을 위하여 해외 지방자치단체 , 조직등과 교류 활 동 예 ) 일본도쿄 교지마지구 , 오이타현 유후인정 , 영국리버풀 등

Page 16: 성북구마을만들기센터(녹색사회연구소)

2-7. 사회적기업 · 마을기업 · 청년기업 연계

Company Logo

마을만들기사업 공동실천 추진

세부운영계획

■ 2012 년 네트워크 구성과 공동교육에 치중 ,

2013 년부터 현장 활동 참여

■ 아동교육 관련 사회적기업이 저소득층 밀집구역의 마을만들기에서 방문교육 , 멘토링 프로그램 연계 시행 등

기업별 전문분야 사업에 참여

Page 17: 성북구마을만들기센터(녹색사회연구소)

3. 시 설 현 황

사회적기업 허브센터사회적기업 허브센터

2 층

구립어린이집구립어린이집

1 층

마을만들기 지원센터마을만들기 지원센터

3 층

사회적기업 인큐베이팅성북센터

사회적기업 인큐베이팅성북센터

4 층

도시농업 실습장도시농업 실습장

옥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