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회지방선거 투표율분석 보고서(최종)

37
제1장. 조사 개요

Upload: sungkyu-lee

Post on 21-Jun-2015

1.143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DESCRIPTION

선관위가 발표한 지방선거 투표율 자료입니다.

TRANSCRIPT

Page 1: 제5회지방선거 투표율분석 보고서(최종)

제1장. 조사 개요

Page 2: 제5회지방선거 투표율분석 보고서(최종)

- 2 -

조사목적

본 조사는 2010년 6월 2일 실시한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투표율을 성별,

연령대별, 지역별로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으며, 앞으로 실시될 각종

선거의 투표율 제고 등 선거관련 제반 연구의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하고자 함.

조사 ․ 분석 내용

❏ 성별, 연령대별 투표율

❏ 선거인 및 투표자의 성별, 연령대별 분포

▪ 시․도별 분포 / 구․시․군별 분포

▪ 행정구역 크기(도․농)별 분포

❏ 재외국민 성별, 연령대별 분포

▪ 시․도별 분포

▪ 행정구역 크기(도․농)별 분포

❏ 외국인 성별, 연령대별 분포

▪ 시․도별 분포

▪ 행정구역 크기(도․농)별 분포

조사방법

1. 일반국민❏ 모집단 : 전국 13,388개 투표구 / 선거인 38,851,159명

❏ 표본수 : 투표구 1,407개 / 선거인 4,033,027명 (전체 선거인의 10.4%)

❏ 표본추출방법 : 체계적 무작위 추출법(Systematic Random Sampling)

Page 3: 제5회지방선거 투표율분석 보고서(최종)

- 3 -

❏ 조사대상 표본은 다음과 같이 4단계를 거쳐 선정됨.

▪제1단계 : 구․시․군선거관리위원회별 투표구를 실제 투표율의 내림차순으로 정렬

▪제2단계 : 구․시․군선거관리위원회마다 전체 투표구 수의 10%를 조사대상으로 산출

▪제3단계 : 전체 투표구를 조사대상 투표구 수로 나누어 체계적인 무작위 추출을 위한

등간격 산출

▪제4단계 : 산출된 등간격 수의 1/2에 해당하는 수를 산출하여 조사대상 최초 투표구로

선정하고 매 등간격 마다의 투표구를 조사대상 투표구로 선정

<예시> 서울특별시 종로구의 경우

□ 제 1단계 : 실제 투표율 내림차순으로 정렬No 위원회명 투표구명

선거인수(A)

부재자수(B)

일반선거인수(C=A-B)

투표자수(D)

투표율(D/C*100)

1 종로구 무악동제2투 2,119 37 2,082 1,298 62.34

2 종로구 창신제3동제3투 2,388 57 2,331 1,425 61.13

3 종로구 청운동제1투 1,959 40 1,919 1,157 60.29

4 종로구 사직동제3투 2,032 39 1,993 1,182 59.31

5 종로구 삼청동제2투 1,523 28 1,495 869 58.13

6 종로구 청운동제2투 1,496 31 1,465 847 57.82

7 종로구 평창동제4투 2,464 49 2,415 1,373 56.85

8 종로구 삼청동제1투 1,893 22 1,871 1,062 56.76

9 종로구 혜화동제3투 3,160 77 3,083 1,745 56.60

․․․․․․․․․․․․

․․․․․․․․․․․․

․․․․․․․․․․․․

․․․․․․․․․․․․

52 종로구 이화동제2투 2,665 46 2,619 1,216 46.43

53 종로구 숭인제2동제2투 2,460 42 2,418 1,096 45.33

54 종로구 숭인제2동제1투 1,640 15 1,625 733 45.11

□ 제 2단계 : 조사대상 투표구수 산출 (54 ☓ 0.1 = 5.4 ≒ 5개)□ 제 3단계 : 등간격 산출 (54 ÷ 5 = 10.8 ≒ 11)□ 제 4단계 : 조사대상 최초 투표구 선정과 그 다음 조사대상 투표구 선정 - 최초 투표구 : 11 ÷ 2 = 5.5 ≒ 6 - 2번째 투표구 : 6 + 11 = 17, 3번째 투표구 : 6 + 11 + 11 = 28,… - 최종 표본 투표구 : 6 → 17 → 28 → 39 → 50

❏ 조사기간 : 2010. 7. 16 ∼ 8. 13

Page 4: 제5회지방선거 투표율분석 보고서(최종)

- 4 -

2. 재외국민❏ 모집단 : 재외국민 선거인 57,128명

❏ 표본추출방법 : 선거인명부에 의한 전수조사

❏ 조사기간 : 2010. 7. 16 ∼ 8. 13

3. 외 국 인❏ 모집단 : 외국인 선거인 12,878명

❏ 표본추출방법 : 선거인명부에 의한 전수조사

❏ 조사기간 : 2010. 7. 16 ∼ 8. 13

조사 및 분석 방법

❏ 일반국민은 조사대상 투표구로 선정된 투표구의 선거인명부를 기초자료로,

재외국민과 외국인은 전체 투표구의 선거인명부에 의하여 선거인의 성별,

연령대별, 투표여부를 전산 프로그램에 입력

❏ 전산 프로그램에 의하여 집계된 데이터를 다음의 세부 영역별로 분석

▪성별, 연령대별 투표율

▪시․도별, 구․시․군별, 행정구역 크기(도․농)별 투표율

▪과거 선거와의 투표율 비교

수 특이사항

❏ 성별, 연령대별 투표율은 표본대상 지역의 조사에 의한 제반 정보를 근거로

분석하였음

❏ 국내거소신고가 되어 선거인 명부에 올라와 있는 재외국민 및 외국인이 참여

하게 되어 이에 대한 조사․분석을 실시하였음

Page 5: 제5회지방선거 투표율분석 보고서(최종)

제2장. 실제 투표율과 비교

Page 6: 제5회지방선거 투표율분석 보고서(최종)

- 6 -

실제 투표율과 표본조사 투표율과의 오차

❏ 표본조사에 의한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전국 투표율은 54.9%로 실제

투표율 54.5%와 0.4%p의 오차가 발생함.

❏ 지역별로 오차를 살펴보면 부산, 인천, 서울, 대구 등의 대도시의 오차가

0.1%p 이내로 낮은 반면, 경북, 전북, 충남 등 표본수가 작은 지역은 각각

1.8%p, 1.6%p, 1.5%p로 다소 높게 나타남.

(단위:%)

구 분 실제 투표율(A) 표본조사 투표율(B) (B)-(A)

전 국 54.5 54.9 +0.4

서 울 53.9 53.8 -0.1

소 계(특별시) 53.9 53.8 -0.1

부 산 49.5 49.5 0.0

대 구 45.9 46.0 +0.1

인 천 50.9 50.9 0.0

광 주 49.8 50.9 +1.1

대 전 52.9 53.5 +0.6

울 산 55.1 54.5 -0.6

소 계(광역시) 50.0 50.2 +0.2

경 기 51.8 52.1 +0.3

강 원 62.3 63.0 +0.7

충 북 58.8 59.9 +1.1

충 남 56.5 58.0 +1.5

전 북 59.3 60.9 +1.6

전 남 64.3 64.8 +0.5

경 북 59.4 61.2 +1.8

경 남 61.8 62.4 +0.6

제 주 65.1 64.8 -0.3

소 계(도) 56.8 57.6 +0.8

❏ 이번 조사의 경우 시․도별 전체 평균 오차가 0.4%p로 최근 실시한 제18대

국회의원선거(2008. 4. 9)의 오차 0.2%p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음.

Page 7: 제5회지방선거 투표율분석 보고서(최종)

- 7 -

선거인수 분석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확정된 선거인수는 38,851,159명으로 전체 인구

49,974,331명의 77.7%이며, 선거인수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임.

<그림 1> 최근 선거의 인구수 및 선거인수 변화

0

1,000

2,000

3,000

4,000

5,000

(만 명)

인구수(A) 46,818,901 47,424,300 48,139,782 48,191,877 48,426,757 48,855,598 49,219,516 49,315,006 49,974,331

선거인수(B) 32,537,815 33,482,387 34,744,232 34,991,529 35,596,497 37,064,282 37,653,518 37,796,035 38,851,159

(B)/(A) 69.5% 70.6% 72.2% 72.6% 73.5% 75.9% 76.5% 76.6% 77.7%

98

2회 지선

00

16대 국선

02

3회 지선

02

16대 대선

04

17대 국선

06

4회 지선

07

17대 대선

08

18대 국선

10

5회 지선

❏ 선거인의 남녀 구성비는 남자의 비율이 49.3%(19,149,251명), 여자의 비율이

50.7%(19,701,908명)로 나타나 여자의 비율이 다소 높았음.

❏ 연령대별 선거인수 비율은 40대가 22.4%(8,710,931명)로 가장 많았고, 30대

21.4%(8,319,786명), 60세 이상 19.4%(7,553,069명), 20대 17.9%(6,933,838명),

50대 17.2%(6,681,400명)순으로 나타났으며 19세 유권자는 652,135명으로

전체의 1.7%를 차지함.

<그림 2> 선거인의 성별 분포 <그림 3> 선거인의 연령별 분포

남자

19,149,251 명

(49.3%)

여자

19,701,908명

(50.7%)

19세(1.7%)

60세이상

(19.4%)

50대(17.2%)

40대(22.4%)

30대(21.4%)

20대(17.9%)

Page 8: 제5회지방선거 투표율분석 보고서(최종)

- 8 -

❏ 선거인의 지역별 분포를 살펴보면, 경기에서 전체 선거인의 22.6%(8,761,840명),

서울이 21.1%(8,211,461명)로 나타나 두 지역이 43.7%를 차지하고 있음.

❏ 서울을 포함한 광역시 이상의 선거인수(18,118,309명)가 전체 선거인의

46.6%를 차지하고 있음.

<그림 4> 선거인의 지역별 분포

21.1

7.35.0 5.4

2.7 2.9 2.2

22.6

3.1 3.0 4.1 3.7 3.9 5.5 6.5

1.1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46.6 53.4

(단위:%)

선거별 실제 투표율 비교

1. 역대 지방선거 투표율 비교

❏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68.4%) 이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48.9%)까지

투표율이 하락추세를 보였으나,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51.6%) 이후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음.

<그림 5> 역대 지방선거 투표율 변화

68.4

52.7 48.9 51.6 54.5

`951회지선

`982회지선

`023회지선

`064회지선

`105회지선

(단위:%)

Page 9: 제5회지방선거 투표율분석 보고서(최종)

- 9 -

2. 최근 선거간의 투표율 비교

❏ 1998년 이후 실시된 각종 선거의 투표율을 분석한 결과 대통령선거의 경우

70% 내외로 타 선거에 비해 높은 투표율을 보였으나 16대 대선(70.8%) 대비

17대 대선(63.0%) 투표율이 7.8%p 낮아졌음.

❏ 국회의원 선거의 경우에도 17대 총선(60.6%) 대비 18대 총선(46.1%) 투표율이

14.5%p 낮아졌음.

❏ 한편 지방선거는 최근 선거에서 타 선거와 달리 투표율이 다소 높아지는

추세를 보임(51.6%→54.5%).

<그림 6> 최근 선거의 투표율 변화

52.7 57.248.9

70.860.6

51.663.0

46.154.5

`982회

지선

`0016대

국선

`023회

지선

`0216대

대선

`0417대

국선

`064회

지선

`0717대

대선

`0818대

국선

`105회

지선

(단위:%)

Page 10: 제5회지방선거 투표율분석 보고서(최종)

제3장. 투표율 비교분석

Page 11: 제5회지방선거 투표율분석 보고서(최종)

- 11 -

성별 투표율

❏ 이번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투표율은 54.9%로 남자 투표율은 55.1%, 여자

투표율은 54.7%로 성별 투표율의 차이는 크지 않았음.

❏ 2002년 대선 이후 국회의원선거에서 남자의 투표율이 다소 높은 특징을 보이고

있으나, 대선과 지방선거의 경우 남녀 투표율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남.

<그림 7> 최근 선거의 성별 투표율 변화

71.3 70.363.0 59.2

52.3 51.963.3 63.1

48.4 44.355.1 54.7

`02

16대 대선

`04

17대 국선

`06

4회 지선

`07

17대 대선

`08

18대 국선

`10

5회 지선

남자 여자

'0216대 대선

'0417대 국선

'064회 지선

'0717대 대선

'0818대 국선

'105회 지선

(단위:%)

연령대별 투표율

❏ 연령대별 투표율은 60세 이상이 69.3%로 가장 높고, 20대 후반이 37.1%로

가장 낮았음. 20대 후반이후 연령대가 높을수록 투표율이 높아지는 특징을 보임.

❏ 한편 20대의 경우, 20대 전반이 20대 후반보다 높은 투표율을 보이고 있음.

이는 20대 전반 군 복무자의 부재자투표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임.

❏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처음으로 선거권이 부여된 19세의 투표율은

47.4%로 투표율이 가장 낮은 연령대인 20대 후반(37.1%)보다 10.3%p 높은

것으로 나타남.

Page 12: 제5회지방선거 투표율분석 보고서(최종)

- 12 -

<그림 8> 연령대별 투표율

47.4 45.837.1 41.9

50.055.0

64.169.3

19세 20대

전반

20대

후반

30대

전반

30대

후반

40대 50대 60세

이상

(단위:%)

❏ 이번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연령대별 투표자수 비율을 살펴보면, 60세

이상(24.7%)과 40대(22.5%)가 상대적으로 높았고, 다음으로 50대(20.2%),

30대(17.7%), 20대(13.4%) 순으로 나타남. 선거인수 비율은 40대가 22.4%로

가장 높았으나, 투표자수 비율은 60세 이상이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음.

<그림 9> 연령대별 선거인수/투표자수 비율 비교

13.4

21.4

17.7

22.4

22.5

17.2

20.2

19.4

24.71.5

1.7 17.9선거인수비율(%)

투표자수비율(%)

19세 20대 30대 40대 50대 60세 이상

(단위:%)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와 비교시 대부분의 연령대에서 투표율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19세(37.9%→47.4%), 20대 전반(38.3%→45.8%), 20대 후반(29.6%→37.1%) 등 젊은 층의 투표율이 대폭 상승하였음.

Page 13: 제5회지방선거 투표율분석 보고서(최종)

- 13 -

❏ 20대, 30대 등 저연령층의 경우 투표율이 높은 대통령선거와 타 선거간의 투표율

격차가 크게 나타나는 반면, 60세 이상의 고연령층의 경우 선거별 투표율이

70% 내외로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그림 10> 최근 선거의 연령대별 투표율 변화

19세 20대

전반

20대

후반

30대

전반

30대

후반

40대 50대 60세

이상

(단위:%) '10 5회 지선 '08 18대 국선 '07 17대 대선

'06 4회 지선 '04 17대 국선 '02 16대 대선

‘10 5회 지선 47.4 45.8 37.1 41.9 50.0 55.0 64.1 69.3

‘08 18대 국선 33.2 32.9 24.2 31.0 39.4 47.9 60.3 65.5

‘07 17대 대선 54.2 51.1 42.9 51.3 58.5 66.3 76.6 76.3

‘06 4회 지선 37.9 38.3 29.6 37.0 45.6 55.4 68.2 70.9

‘04 17대 국선 - 46.0 43.3 53.2 59.8 66.0 74.8 71.5

‘02 16대 대선 - 57.9 55.2 64.3 70.8 76.3 83.7 78.7

지역별 투표율

1. 시도별 투표율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투표율은 광역시 이상의 7대 도시 투표율이

51.8%, 9개 도지역의 투표율이 57.6%로 나타나 도지역의 투표율이 다소 높았음.

❏ 광역시 이상의 7대 도시 중에는 울산이 54.5%로 가장 높았고, 대구가 46.0%로

가장 낮았음.

❏ 9개 도지역 중에서는 전남과 제주가 각각 64.8%로 가장 높았고, 경기가

52.1%로 가장 낮았음.

Page 14: 제5회지방선거 투표율분석 보고서(최종)

- 14 -

<그림 11> 시도별 투표율

53.8 49.5 46.050.9 50.9 53.5 54.5 52.1

63.0 59.9 58.0 60.9 64.8 61.2 62.4 64.8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57.6(단위:%)

51.8

❏ 이번 지방선거에서는 지난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와 비교시 대구(48.5%→46.0%),

경북(61.5%→61.2%), 제주(67.3%→64.8%) 지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의 투표율은

상승하였음.

❏ 특히 인천(44.3% → 50.9%)의 투표율 상승폭(+6.6%p)이 가장 크게 나타남.

<표 1> 최근 선거의 시도별 투표율 변화

(단위:%)

구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105회 지선

53.8 49.5 46.0 50.9 50.9 53.5 54.5 52.1 63.0 59.9 58.0 60.9 64.8 61.2 62.4 64.8

‘0818대 국선

45.8 42.9 45.1 42.5 42.4 45.3 45.8 43.7 51.5 49.3 48.2 47.5 50.0 53.1 48.3 53.5

‘0717대 대선

62.9 62.1 66.8 60.3 64.3 61.9 64.6 61.2 62.6 61.3 60.3 67.2 64.7 68.5 64.1 60.9

‘064회 지선

49.8 48.5 48.5 44.3 46.3 49.4 52.8 46.7 58.7 54.7 55.8 57.9 64.3 61.5 57.8 67.3

‘0417대 국선

62.2 61.9 59.3 57.4 60.2 58.9 62.0 59.7 59.7 58.2 56.0 61.2 63.4 61.5 62.3 61.1

‘0216대 대선

71.4 71.2 71.1 67.8 78.1 67.6 70.0 69.6 68.4 68.0 66.0 74.6 76.4 71.6 72.4 68.6

‘023회 지선

45.8 41.8 41.4 39.3 42.3 42.3 52.3 44.6 59.4 55.8 56.2 55.0 65.6 60.4 56.5 68.9

Page 15: 제5회지방선거 투표율분석 보고서(최종)

- 15 -

2. 행정구역 크기별 투표율

❏ 행정구역 크기별로 투표율을 살펴보면 면지역이 66.5%로 가장 높았고, 읍지역

60.6%, 중소도시 54.2%, 특별시 53.8%, 광역시 50.2% 순으로 나타남.

❏ 2000년 이후 실시한 각종 선거와 마찬가지로 면지역 투표율이 가장 높았음.

<그림 12> 최근 선거의 행정구역 크기별 투표율

70.871.4

70.770.3

69.572.3

61.162.4

60.460.3

59.863.1

52.1 49.948.049.2

59.666.7

63.262.9

63.262.0

63.866.1

46.346.0

43.745.147.9

55.154.953.8

50.254.2

60.566.5

`02

16대 대선

`04

17대 국선

`06

4회 지선

`07

17대 대선

`08

18대 국선

`10

5회 지선

전국 특별시 광역시 중소도시 읍 면

'02 16대

대선(전체)'04 17대

국선(전체)'06 4회

지선(전체)'07 17대

대선(전체)'08 18대

국선(전체)'10 5회

지선(전체)

(단위:%)

'

성별․연령대별 투표율

❏ 성별․연령대별 투표율의 경우, 남자 60세 이상이 76.3%로 가장 높은 반면,

남자 20대 후반이 34.9%로 가장 낮게 나타남.

❏ 남자 투표율의 경우 20대 후반이 34.9%로 매우 낮은 투표율을 보인 가운데,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투표율도 점차 높아짐.

❏ 여자의 경우에도, 20대 후반이 39.5%로 가장 낮고, 60세 이상이 64.0%로 가장

높아 남자와 마찬가지로 연령이 높아질수록 투표율도 동시에 높아짐.

❏ 19세와 20대 전반, 50대, 60세 이상에서는 남자 투표율이, 20대 후반과 30대

전․후반, 40대의 경우 여자 투표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 남자 20대 전반(50.8%)의 경우 군 복무로 인한 부재자투표의 영향으로 20대

전반 여자(40.3%), 20대 후반 남자(34.9%)에 비해 투표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특징을 보임.

Page 16: 제5회지방선거 투표율분석 보고서(최종)

- 16 -

<그림 13> 성별․연령대별 투표율

0

20

40

60

80

100(단위:%)

남자(%) 55.1 51.2 50.8 34.9 38.8 46.7 54.2 64.9 76.3

여자(%) 54.7 43.1 40.3 39.5 45.1 53.3 55.9 63.4 64.0

전체(%) 54.9 47.4 45.8 37.1 41.9 50.0 55.0 64.1 69.3

전체 19세20대전반

20대후반

30대전반

30대후반

40대 50대60세이상

전체 투표율 = 54.9%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와 비교시 투표율 증가율은 남자 19세(+9.9%p)에서,

감소율은 여자 50대(-4.1%p)에서 가장 크게 나타남.

❏ 한편 20대의 경우 타 연령층에 비해 남성, 여성 모두 투표율 증가가 두드러

져, 젊은 층의 선거에 대한 관심이 높았던 것으로 분석됨.

<표 2> 최근 선거의 성별․연령대별 투표율 변화(단위:%)

성별 남자 여자

연령별 19세 20대전반

20대후반

30대전반

30대후반 40대 50대 60세

이상 19세 20대전반

20대후반

30대전반

30대후반 40대 50대 60세

이상

‘10 5회지선

51.2 50.8 34.9 38.8 46.7 54.2 64.9 76.3 43.1 40.3 39.5 45.1 53.3 55.9 63.4 64.0

‘08 18대국선

38.6 40.9 23.4 29.6 38.9 49.6 63.1 74.3 27.3 24.1 25.0 32.5 40.0 46.1 57.5 59.1

‘07 17대대선

55.2 55.6 39.9 47.9 56.2 66.0 77.3 83.3 53.1 46.2 46.0 54.7 60.8 66.7 75.8 71.2

‘06 4회지선

41.3 44.8 27.4 33.7 43.0 54.8 68.9 78.7 34.2 31.3 31.9 40.4 48.3 56.1 67.5 65.4

‘04 17대국선

- 52.6 41.1 51.5 60.0 67.5 77.2 80.7 - 39.0 45.6 54.9 59.7 64.4 72.3 65.0

‘02 16대대선

- 63.1 51.9 61.5 69.6 76.5 84.7 85.6 - 52.3 58.6 67.1 72.0 76.2 82.7 73.9

Page 17: 제5회지방선거 투표율분석 보고서(최종)

- 17 -

수 성별 ․ 시도별 투표율

❏ 이번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남자의 투표율이 전국 평균(55.1%)보다 높은

상위 3개 지역은 제주(65.4%), 전남(64.3%), 강원(64.1%)이고, 여자 역시 투표율이

전국 평균(54.7%)보다 높은 상위 3개 지역은 전남(65.3%), 제주(64.2%), 경남(62.9%)임.

❏ 남자의 투표율이 전국 평균 투표율(55.1%)보다 낮은 하위 3개 지역은 대구

(45.2%), 부산(48.7%), 인천(50.9%)이고, 여자의 투표율이 전국 평균 투표율

(54.7%)보다 낮은 하위 3개 지역은 대구(46.8%), 부산(50.2%), 광주(50.4%)

로 남자 투표율 하위 지역과 비슷한 특성을 보임.

<그림 14> 성별 ․ 시도별 투표율

(단위:%)

남자(%) 55.1 53.9 48.7 45.2 50.9 51.3 54.8 55.1 52.7 64.1 60.7 59.1 61.2 64.3 60.8 61.9 65.4

여자(%) 54.7 53.6 50.2 46.8 50.8 50.4 52.2 53.9 51.5 61.9 59.2 56.8 60.6 65.3 61.5 62.9 64.2

전국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표 3> 성별 ․ 시도별 투표율 비교

(단위:%)

구분 전국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남자(A)

55.1 53.9 48.7 45.2 50.9 51.3 54.8 55.1 52.7 64.1 60.7 59.1 61.2 64.3 60.8 61.9 65.4

여자(B)

54.7 53.6 50.2 46.8 50.8 50.4 52.2 53.9 51.5 61.9 59.2 56.8 60.6 65.3 61.5 62.9 64.2

격차(A-B)

+0.4 +0.3 -1.5 -1.6 +0.1 +0.9 +2.6 +1.2 +1.2 +2.2 +1.5 +2.3 +0.6 -1 -0.7 -1 +1.2

❏ 남녀 투표율의 격차가 큰 지역은 대전(+2.6%p), 충남(+2.3%p), 강원(+2.2%p)

등으로 나타남.

❏ 반면 남녀 투표율의 격차가 가장 적은 지역은 인천(+0.1%p) 이었음.

Page 18: 제5회지방선거 투표율분석 보고서(최종)

- 18 -

<표 4> 성별 투표율 상․하위 3개 지역

(단위:%)

구분투표율 상위 3개 지역 투표율 하위 3개 지역

남자 (55.1) 여자 (54.7) 남자 (55.1) 여자 (54.7)

1위 제주 (65.4) 전남 (65.3) 대구 (45.2) 대구 (46.8)

2위 전남 (64.3) 제주 (64.2) 부산 (48.7) 부산 (50.2)

3위 강원 (64.1) 경남 (62.9) 인천 (50.9) 광주 (50.4)

성별 ․ 행정구역 크기별(도 ․ 농별) 투표율

❏ 이번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투표율이 전체 평균보다 높은 행정구역은

남녀 모두 읍, 면지역임.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와 비교했을 때 면지역 남․여를 제외하고 모든 지역의

남․여 투표율이 상승하였음. 면지역의 경우 남자는 변동이 없었으며, 여자는

0.5%p 하락하였음.

<그림 15> 성별, 행정구역 크기별 투표율

55.1 54.7 53.9 53.650.1 50.2

54.6 53.860.6 60.3

66.3 66.7

전국 특별시 광역시 중소도시 읍 면

남자 여자(단위:%)

Page 19: 제5회지방선거 투표율분석 보고서(최종)

- 19 -

<표 5> 최근 선거의 성별 ․ 행정구역 크기별 투표율 변화

(단위:%)

구 분 전체 특별시 광역시도

소계 중소도시 읍 면

제5회전국동시지방선거

(2010. 6. 2)

남자(A) 55.1 53.9 50.1 57.9 54.6 60.6 66.3

여자(B) 54.7 53.6 50.2 57.3 53.8 60.3 66.7

제18대국회의원선거(2008. 4. 9)

남자(A) 48.4 48.0 45.9 49.8 47.3 50.2 56.3

여자(B) 44.3 44.1 41.5 45.8 42.9 45.6 54.0

제17대대통령선거

(2007.12.19)

남자(A) 63.3 62.9 62.9 63.6 62.4 64.3 66.4

여자(B) 63.1 62.9 63.5 62.9 61.7 63.4 65.9

제4회전국동시지방선거

(2006. 5.31)

남자(A) 52.3 49.8 48.1 55.1 49.8 59.8 66.3

여자(B) 51.9 50.1 48.0 54.5 48.7 59.5 67.2

제17대국회의원선거(2004. 4.15)

남자(A) 63.0 64.2 62.1 63.0 62.6 61.9 64.7

여자(B) 59.2 60.7 58.8 58.8 58.0 57.7 61.5

제16대대통령선거

(2002.12.19)

남자(A) 71.3 71.8 70.9 71.4 71.1 70.3 72.8

여자(B) 70.3 71.0 70.6 69.9 69.5 68.8 71.8

연령대별 ․ 행정구역 크기별(도·농별) 투표율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40대 이상의 투표율은 면지역이 74.2%로 가장 높았고, 광역시 지역이 57.1%로 가장 낮게 나타남.

❏ 19세의 경우 읍지역의 투표율이 가장 낮았으나, 20대, 30대, 40대 이상은 광역시의 투표율이 가장 낮은 특징을 보임.

<그림 16> 최근 선거의 연령대별, 행정구역 크기별 투표율 변화

47.449.347.7

46.844.846.6

41.1

43.6

38.340.9

41.243.5 46.2

46.8

41.547.6

50.649.4

62.460.3

57.1

61.4

68.874.2

19세 20대 30대 40대 이상

(단위:%)전국 특별시 광역시 중소도시 읍 면

Page 20: 제5회지방선거 투표율분석 보고서(최종)

- 20 -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와 비교하면 19세, 20대의 경우 모든 지역에서 투표율이

상승하였음.

❏ 반면 40대 이상은 중소도시를 제외하고 모두 투표율이 하락하였음.

<표 6> 최근 선거의 연령대별 ․ 행정구역 크기별 투표율 변화 (단위:%)

구분 전국 특별시 광역시도

소계 중소도시 읍 면

제5회전국동시지방선거

(2010. 6. 2)

19세 47.4 49.3 47.7 46.5 46.8 44.8 46.6

20대 41.1 43.6 38.3 41.4 40.9 41.2 43.5

30대 46.2 46.8 41.5 48.3 47.6 50.6 49.4

40대 이상 62.4 60.3 57.1 65.6 61.4 68.8 74.2

제18대국회의원선거(2008. 4. 9)

19세 33.2 35.5 34.7 31.6 33.0 28.2 29.6

20대 28.1 30.5 27.3 27.4 27.8 26.0 27.3

30대 35.5 36.2 32.8 36.5 36.4 36.9 36.9

40대 이상 57.1 56.8 54.0 58.6 55.5 59.0 64.8

제17대대통령 선거(2007.12.19)

19세 54.2 57.8 56.5 51.7 54.0 48.3 46.0

20대 46.6 49.9 48.0 44.3 45.7 43.1 40.2

30대 55.1 54.4 55.2 55.3 55.6 56.7 52.2

40대 이상 72.4 72.1 72.2 72.6 71.4 73.1 75.0

제4회전국동시지방선거

(2006. 5.31)

19세 37.9 40.9 38.6 36.3 35.7 36.5 38.4

20대 33.8 35.3 32.1 33.9 31.9 37.3 38.4

30대 41.4 40.0 37.8 43.7 40.9 49.6 50.8

40대 이상 63.8 61.3 59.0 66.8 60.7 71.3 77.0

제17대국회의원선거(2004. 4.15)

20대 44.7 50.6 45.4 41.4 43.4 39.4 36.2

30대 56.5 57.8 55.5 56.4 57.6 55.2 51.3

40대 이상 69.9 70.3 69.3 70.1 69.1 69.1 72.5

제16대대통령 선거(2002.12.19)

20대 56.5 61.5 57.3 53.6 55.9 51.0 48.5

30대 67.4 66.9 67.2 67.6 68.5 66.2 65.0

40대 이상 78.9 78.8 78.9 79.0 78.1 78.5 81.1

성별 ․ 연령대별 ․ 시도별 투표율

❏ 이번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19세 투표율은 광주광역시에서, 20, 30대는

제주, 40대 이상은 전남에서 가장 높았음. 한편 19세에서 충남, 20대, 30대,

40대 이상에서는 대구광역시가 가장 낮은 투표율을 보임.

❏ 19세의 투표율은 광주광역시가 50.5%로 가장 높았고, 충남이 41.4%로 가장

낮았음. 성별로 남자는 경남(57.3%)에서 가장 높은 반면, 전남(48.4%)에서

가장 낮았고, 여자는 서울(49.6%)이 가장 높았고 충남(32.6%)에서 가장 낮았음.

Page 21: 제5회지방선거 투표율분석 보고서(최종)

- 21 -

❏ 20대 투표율은 제주가 48.9%로 가장 높았고, 대구광역시가 35.3%로 가장 낮았음.

성별로 남․녀 모두 제주(남자 : 52.1%, 여자 : 45.5%)가 가장 높고 대구광역시

(남자 : 37.3%, 여자 : 33.0%)가 가장 낮았음.

❏ 30대 투표율 역시 제주(57.0%)가 가장 높은 가운데, 대구광역시(35.4%)가 가장

낮은 투표율을 보임. 성별 또한 마찬가지로 남․여 모두 제주(남자 : 55.2%,

여자 : 58.9%)가 가장 높고 대구광역시(남자 : 30.9%, 여자 : 40.0%)가 가장 낮았음.

❏ 40대 이상 투표율은 전북이 73.3%로 가장 높았고, 대구광역시가 52.8%로 가

장 낮았음. 성별로도 남․녀 모두 전남(남자 : 74.4%, 여자 : 72.3%)가 가장

높고 대구광역시(남자 : 52.8%, 여자 : 52.8%)가 가장 낮았음.

<표 7> 성별 ․ 연령대별 ․ 시도별 투표율

가장 낮은 투표율 가장 높은 투표율

구분19세 20대 30대 40대 이상

소계 남자 여자 소계 남자 여자 소계 남자 여자 소계 남자 여자

전국 47.4 51.2 43.1 41.1 42.2 39.8 46.2 43.1 49.5 62.4 64.0 60.9

49.3 49.1 49.6 43.6 44.0 43.3 46.8 44.7 48.9 60.3 61.7 59.0서울

48.1 52.6 42.8 37.1 38.2 35.8 38.9 34.3 43.5 56.4 56.8 56.0부산

47.5 52.6 40.8 35.3 37.3 33.0 35.4 30.9 40.0 52.8 52.8 52.8대구

45.6 49.0 41.8 40.2 40.2 40.3 43.3 40.0 46.6 57.5 59.2 56.0인천

50.5 53.9 46.7 39.5 41.6 37.4 44.0 39.4 48.4 57.3 59.5 55.4광주

48.9 54.0 43.0 39.8 41.8 37.4 47.0 44.0 50.0 60.7 63.7 57.8대전

47.0 56.7 35.1 39.9 41.4 38.2 46.0 42.6 49.6 63.0 64.9 61.0울산

47.6 49.4 45.8 41.7 42.4 40.9 45.9 43.1 48.8 58.2 60.4 56.1경기

43.3 49.2 36.1 40.9 43.7 37.6 55.0 52.3 57.8 71.4 73.8 69.1강원

47.9 55.1 39.4 41.9 43.2 40.5 50.7 47.7 53.9 68.3 70.8 66.0충북

41.4 48.8 32.6 36.6 38.4 34.6 47.9 44.2 52.1 66.7 70.0 63.6충남

49.3 55.2 42.6 42.6 45.1 39.9 48.7 44.7 53.0 68.9 70.7 67.3전북

44.4 48.4 40.1 41.8 44.2 38.8 50.9 46.7 56.0 73.3 74.4 72.3전남

42.4 50.9 33.1 37.3 39.9 34.3 47.4 42.9 52.3 71.2 72.0 70.4경북

48.6 57.3 38.5 44.4 45.5 43.1 52.4 48.3 56.7 70.8 71.9 69.9경남

48.7 53.9 42.2 48.9 52.1 45.5 57.0 55.2 58.9 71.7 72.9 70.6제주

Page 22: 제5회지방선거 투표율분석 보고서(최종)

제4장. 재외국민 투표율 비교분석

Page 23: 제5회지방선거 투표율분석 보고서(최종)

- 23 -

재외국민 선거인수 분석

1. 재외국민 선거인의 성별 분포

❏ 재외국민(57,128명)의 남녀 구성비는 남자 42.6%(24,346명), 여자 57.4%(32,782명)로

나타나 여자의 비율이 높았음.

❏ 연령대별 비율은 50대(27.6%)와 60세 이상(25.2%)가 높은 편임.

<그림 17> 재외국민의 성별 분포 <그림 18> 재외국민의 연령별 분포

20대(10.5%)

30대(14.0%)

40대(22.0%)

50대(27.6%)

60세이상

(25.2%)

19세(0.7%)

2. 재외국민 선거인의 지역별 분포

❏ 선거인의 지역별 분포를 살펴보면, 서울이 전체 선거인의 50.6%(28,926명)로 절반

이상 차지하고 있음.

❏ 또한 경기 지역에서 26.1%(14,912명)로 나타나 서울과 경기 두 수도권 지역의

비율이 76.7%로 대다수를 차지함.

<그림 19> 재외국민 선거인의 지역별 분포

50.6

4.5 2.1 3.5 0.8 1.7 0.5

26.1

1.5 0.9 1.3 1.2 0.7 1.3 1.6 1.6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46.6 53.4(단위:%)

남자

24,346명

(42.6%)

여자

32,782명

(57.4%)

Page 24: 제5회지방선거 투표율분석 보고서(최종)

- 24 -

성별 투표율

❏ 이번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재외국민 전체 투표율은 11.8%로 남자 투표율은

13.2%, 여자 투표율은 10.8%로 남자의 투표율이 여자보다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남.

<그림 20> 재외국민의 성별 투표율

11.8 13.210.8

전체 남자 여자

(단위:%)

연령대별 투표율

❏ 연령대별 투표율은 60세 이상이 14.8%로 가장 높은 반면, 19세에서 투표율이

5.6%로 가장 낮았음.

❏ 그 밖에 20대 전반(8.7%), 30대 전반(9.2%), 30대 후반(10.6%), 40대(10.7%),

50대(12.6%)에서는 20대 후반(7.2%)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투표율을 보임.

특히 20대 후반 이후 연령이 높아질수록 투표율은 높았음.

<그림 21> 연령대별 재외국민 투표율

5.68.7 7.2

9.2 10.6 10.712.6

14.8

19세 20대

전반

20대

후반

30대

전반

30대

후반

40대 50대 60세

이상

(단위:%)

Page 25: 제5회지방선거 투표율분석 보고서(최종)

- 25 -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재외국민 연령대별 투표자수 비율을 살펴보면, 60세

이상에서 31.5%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50대(29.3%), 30대(19.9%) 등의

순이었음. 선거인수 비율은 50대(27.6%), 투표자수 비율은 60세 이상(31.5%)이

가장 높았음.

<그림 22> 연령대별 재외국민 선거인수/투표자수 비율 비교

14.0

11.8

22.0

19.9

27.6

29.3

25.2

31.50.3

0.7

7.1

10.5선거인수

비율(%)

투표자수

비율(%)

19세 20대 30대 40대 50대 60세 이상

(단위:%)

지역별 투표율

1. 시도별 투표율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재외국민 투표율은 강원(15.5%), 전남(15.3%), 충남(14.9%)

지역에서 높은 수준을 보임. 반면 대구(7.0%), 인천(8.0%), 울산(8.9%), 부산(9.4%)

지역에서는 10% 미만으로 낮은 수준을 보임.

<그림 23> 시도별 재외국민 투표율

11.89.4

7.0 8.010.4

12.48.9

12.815.5

12.314.9

12.215.3

11.910.6

13.1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12.9

(단위:%)

11.3

Page 26: 제5회지방선거 투표율분석 보고서(최종)

- 26 -

2. 행정구역 크기별 투표율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재외국민 투표율은 면(14.0%)에서 가장 높았음.

다음으로 중소도시(12.8%), 읍(12.4%), 특별시(11.8%) 순이었으며, 광역시가

9.0%로 가장 낮았음.

<그림 24> 행정구역 크기별 재외국민 투표율

11.8 11.8

9.0

12.8 12.414.0

전국 특별시 광역시 중소도시 읍 면

(단위:%)

수 성별․연령대별 투표율

❏ 성별․연령대별 투표율의 경우, 남자와 여자 모두 60세 이상(남자 : 15.9%,

여자 : 13.8%)에서 가장 높았음. 또한 남자와 여자 모두 20대 후반(남자 :

5.3%, 여자 : 8.3%)에서 가장 낮았음.

<그림 25> 성별 ․ 연령대별 재외국민 투표율

0

10

20 (단위:%)

남자(%) 13.2 4.2 8.9 5.3 7.4 11.6 13.0 13.8 15.9

여자(%) 10.8 6.6 8.4 8.3 9.9 10.2 9.0 11.5 13.8

전체(%) 11.8 5.6 8.7 7.2 9.2 10.6 10.7 12.6 14.8

전체 19세20대전반

20대후반

30대전반

30대후반

40대 50대60세이상

전체 투표율 = 11.8%

Page 27: 제5회지방선거 투표율분석 보고서(최종)

- 27 -

성별 ․ 시도별 투표율

❏ 이번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재외국민 남자의 투표율이 전체 남자 투표율

(13.2%)보다 높은 지역은 전남(18.7%), 강원(18.1%), 충북(16.5%), 충남

(15,3%), 대전(15.0%), 경기(14.4%), 제주(14.1%), 경북(13.7%) 등 8개 지역이었음.

❏ 여자 투표율의 경우 전체 여자 투표율(10.8%)보다 높은 지역은 충남(14.5%),

강원(13.5%), 전남(12.6%), 제주(12.4%), 전북(11.7%), 경기(11.6%), 서울(11.0%)

등 8개 지역이었음.

<그림 26> 성별 ․ 시도별 재외국민 투표율

0

20

40(단위:%)

남자(%) 13.2 12.9 11.1 6.0 9.0 12.6 15.0 12.2 14.4 18.1 16.5 15.3 12.8 18.7 13.7 12.6 14.1

여자(%) 10.8 11.0 8.2 7.6 7.3 8.9 10.5 6.4 11.6 13.5 8.8 14.5 11.7 12.6 10.5 8.9 12.4

전국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표 8> 성별 ․ 시도별 재외국민 투표율 비교(단위:%)

구분 전국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남자(A)

13.2 12.9 11.1 6.0 9.0 12.6 15.0 12.2 14.4 18.1 16.5 15.3 12.8 18.7 13.7 12.6 14.1

여자(B)

10.8 11.0 8.2 7.6 7.3 8.9 10.5 6.4 11.6 13.5 8.8 14.5 11.7 12.6 10.5 8.9 12.4

격차(A-B)

+2.4 +1.9 +2.9 -1.6 +1.7 +3.7 +4.5 +5.8 +2.8 +4.6 +7.7 +0.8 +1.1 +6.1 +3.2 +3.7 +1.7

❏ 지역별 남녀 투표율 차이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지역에서 남자의 투표율이

여자의 투표율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대구 지역에서는 여자(7.6%)가 남자

(6.0%)보다 투표율이 더욱 높았음.

Page 28: 제5회지방선거 투표율분석 보고서(최종)

- 28 -

성별 ․ 행정구역 크기별(도 ․ 농별) 투표율

❏ 이번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면지역의 투표율이 남자(15.0%)와 여자(13.1%)

모두 가장 높았음.

<그림 27> 성별 ․ 행정구역 크기별 재외국민 투표율

13.210.8

12.911.0 10.4

8.1

14.511.5

14.6

10.9

15.013.1

전체 특별시 광역시 중소도시 읍 면

남자 여자 (단위:%)

연령대별 ․ 행정구역 크기별(도 ․ 농별) 투표율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19세는 특별시(7.9%), 20대와 30대는 중소도시

(각각 8.8%, 11.5%), 40대 이상은 면(15.3%) 지역에서 가장 높았음.

<그림 28> 연령대별, 행정구역 크기별 재외국민 투표율 변화

5.6

7.9

4.33.0

0.00.0

7.98.1

6.0

8.8

4.94.3

10.010.1

7.5

11.5

6.2

8.9

12.812.9

9.7

13.614.315.3

19세 20대 30대 40대 이상

(단위:%)전국 특별시 광역시 중소도시 읍 면

Page 29: 제5회지방선거 투표율분석 보고서(최종)

- 29 -

순 성별 ․ 연령대별 ․ 시도별 투표율

❏ 이번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재외국민 투표에서는 서울, 부산, 대구, 경기

지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19세 투표자는 없는 것으로 나타남.

❏ 20대 투표율은 제주에서 11.3%로 가장 높았으며 전북에서 2.4%로 가장 낮았음.

한편 성별 투표율 분석결과 남자의 경우 인천(12.5%)에서, 여자는 경남(13.9%)에서

가장 높았음.

❏ 30대의 투표율은 전북에서 12.8%로 가장 높았으며 광주가 4.7%로 가장 낮았음.

한편 성별 투표율 분석결과 남자의 경우 울산(22.2%)에서, 여자는 충남(12.1%)에서

가장 높았음.

❏ 40대 이상의 투표율은 강원에서 18.5%로 가장 높았던 반면 대구에서 7.2%로

가장 낮았음. 한편 성별 투표율 분석결과 남자의 경우 강원(20.7%)에서, 여자는

충남(18.1%)에서 가장 높았음.

<표 9> 성별 ․ 연령대별 ․ 시도별 재외국민 투표율

가장 낮은 투표율 가장 높은 투표율

구분19세 20대 30대 40대 이상

소계 남자 여자 소계 남자 여자 소계 남자 여자 소계 남자 여자

전국 5.6 4.2 6.6 7.9 7.2 8.3 10.0 10.0 10.0 12.8 14.3 11.5

서울 7.9 7.8 7.9 8.1 7.2 8.7 10.1 9.5 10.4 12.9 14.2 11.7

부산 5.0 0.0 7.7 6.3 10.3 3.3 5.7 3.6 6.8 10.3 12.2 8.9

대구 33.3 0.0 50.0 3.4 2.2 4.2 7.3 5.4 7.9 7.2 6.5 7.8

인천 0.0 0.0 0.0 7.4 12.5 4.7 8.5 8.0 8.8 8.0 8.9 7.4

광주 0.0 0.0 0.0 10.7 0.0 13.0 4.7 5.0 4.5 11.5 14.1 9.4

대전 0.0 0.0 0.0 5.1 5.0 5.2 10.8 10.9 10.7 13.8 17.0 11.3

울산 0.0 0.0 0.0 5.1 5.0 5.3 10.4 22.2 7.7 9.5 12.9 6.4

경기 3.5 0.0 5.6 9.1 8.2 9.9 11.4 12.3 11.1 13.5 15.4 12.0

강원 0.0 0.0 0.0 3.3 3.0 3.7 5.1 9.4 3.5 18.5 20.7 16.6

충북 0.0 0.0 0.0 4.7 4.2 5.0 9.7 16.0 6.4 14.2 18.2 10.3

충남 0.0 0.0 0.0 3.1 5.0 1.7 11.5 9.5 12.1 17.6 17.1 18.1

전북 0.0 0.0 0.0 2.4 0.0 4.0 12.8 16.7 11.3 12.9 13.3 12.5

전남 0.0 0.0 0.0 5.6 10.0 0.0 7.5 20.0 5.7 17.0 19.4 14.8

경북 0.0 0.0 0.0 5.0 2.6 7.3 10.1 7.7 10.6 13.1 15.7 10.9

경남 0.0 0.0 0.0 10.4 6.5 13.9 8.6 15.6 6.0 11.0 13.0 9.2

제주 0.0 0.0 0.0 11.3 10.0 12.1 6.5 3.7 7.7 14.2 15.4 13.1

Page 30: 제5회지방선거 투표율분석 보고서(최종)

제5장. 외국인 투표율 비교분석

Page 31: 제5회지방선거 투표율분석 보고서(최종)

- 31 -

외국인 선거인수 분석

1. 외국인 선거인의 성별 분포

❏ 외국인(12,878명)의 남녀 구성비는 남자 44.0%(5,666명), 여자 56.0%(7,212명)로

나타나 여자의 비율이 높았음.

❏ 연령대별 비율은 40대(28.7%)와 50대(20.5%)가 높은 편임.

<그림 29> 외국인의 성별 분포 <그림 30> 외국인의 연령별 분포

20대(15.6%)

30대(19.0%)

40대(28.7%)

50대(20.5%)

60세이상

(14.9%)

19세(1.3%)

2. 외국인 선거인의 지역별 분포

❏ 선거인의 지역별 분포를 살펴보면, 서울이 전체 선거인의 34.1%(4,390명)로 가장

많았음.

❏ 또한 경기 13.2%(1,700명), 인천 11.6%(1,491명)로 나타나 외국인 선거인의

대다수가 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 지역에 분포하고 있었음.

<그림 31> 외국인 선거인의 지역별 분포

34.1

6.73.4

11.6

1.8 2.8 1.5

13.2

4.8 3.7 4.1 3.9 2.5 2.0 2.7 1.2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61.8 38.2(단위:%)

남자

5,666명

(44.0%)

여자

7,212명

(56.0%)

Page 32: 제5회지방선거 투표율분석 보고서(최종)

- 32 -

성별 투표율

❏ 이번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외국인 전체 투표율은 35.2% 남자 투표율은

28.5%, 여자 투표율은 40.4%로 여자의 투표율이 남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남.

<그림 32> 외국인의 성별 투표율

35.228.5

40.4

전체 남자 여자

(단위:%)

연령대별 투표율

❏ 연령대별 투표율은 40대가 48.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50대(40.7%),

30대 후반(34.3%), 60세 이상(30.3%), 30대 전반(24.0%) 등의 순이었음.

❏ 19세(13.7%), 20대 전반(13.9%), 20대 후반(18.3%)은 타 연령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투표율이 낮았음.

<그림 33> 연령대별 외국인 투표율

13.7 13.918.3

24.0

34.3

48.5

40.7

30.3

19세 20대

전반

20대

후반

30대

전반

30대

후반

40대 50대 60세

이상

(단위:%)

Page 33: 제5회지방선거 투표율분석 보고서(최종)

- 33 -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외국인 연령대별 투표자수 비율을 살펴보면, 40대에서

39.5%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50대(23.7%), 30대(16.1%) 등의 순이었음.

선거인수, 투표자수 비율 모두 40대가 가장 높았음.

<그림 34> 연령대별 외국인 선거인수/투표자수 비율 비교

7.3

19.0

16.1

28.7

39.5

20.5

23.7

14.9

12.90.5

1.3 15.6선거인수

비율(%)

투표자수

비율(%)

19세 20대 30대 40대 50대 60세 이상

(단위:%)

지역별 투표율

1. 시도별 투표율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시도별 외국인 투표율은 전남(67.2%), 강원(54.6%),

전북(52.2%) 지역에서 높은 수준을 보임. 반면 인천(19.1%) 지역은 20% 미만으로

타 시도에 비해 낮은 수준을 보임.

<그림 35> 시도별 외국인 투표율

29.1 33.3 32.6

19.1

41.2 36.531.1

36.2

54.645.4 49.6 52.2

67.2

47.5 46.034.6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45.8(단위:%)

28.6

Page 34: 제5회지방선거 투표율분석 보고서(최종)

- 34 -

2. 행정구역 크기별 투표율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외국인 투표율은 면(69.8%)에서 가장 높았음. 다음으로

읍(53.1%), 중소도시(38.6%), 특별시(29.1%) 순이었으며, 광역시가 28.0%로

가장 낮았음.

<그림 36> 행정구역 크기별 외국인 투표율

35.229.1 28.0

38.6

53.1

69.8

전국 특별시 광역시 중소도시 읍 면

(단위:%)

수 성별․연령대별 투표율

❏ 성별․연령대별 투표율의 경우 남자는 50대(37.1%), 여자는 40대(57.3%)에서

가장 높았음. 또한 남자는 20대 전반(14.5%), 여자는 19세(12.7%)에서 가장 낮았음.

<그림 37> 성별 ․ 연령대별 외국인 투표율

0

20

40

60 (단위:%)

남자(%) 28.5 14.6 14.5 16.1 22.0 23.6 30.2 37.1 35.4

여자(%) 40.4 12.7 13.4 20.6 25.7 41.8 57.3 44.5 25.5

전체(%) 35.2 13.7 13.9 18.3 24.0 34.3 48.5 40.7 30.3

전체 19세20대전반

20대후반

30대전반

30대후반

40대 50대60세이상

전체 투표율 = 35.2%

Page 35: 제5회지방선거 투표율분석 보고서(최종)

- 35 -

성별 ․ 시도별 투표율

❏ 이번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각 시도별 외국인 남자의 투표율은 전체

남자 투표율(28.5%)보다 대부분 높았으나, 인천(18.3%), 울산(25.3%), 서울(25.6%),

경기(26.6%) 등 4개 지역은 낮게 나타남.

❏ 외국인 여자 투표율의 경우 전체 외국인 여자 투표율(40.4%)보다 높은 지역은

전남(73.3%), 강원(59.7%), 전북(57.8%), 경북(54.5%), 충북(52.7%), 충남(52.5%),

경남(49.2%), 광주(46.7%), 경기(42.3%), 대전(40.7%) 등 10개 지역이었음.

<그림 38> 성별 ․ 시도별 외국인 투표율

0

20

40

60

80 (단위:%)

남자(%) 28.5 25.6 31.2 33.0 18.3 33.3 30.3 25.3 26.6 43.9 34.7 44.5 39.6 44.1 37.1 37.0 38.8

여자(%) 40.4 32.5 35.5 32.2 19.9 46.7 40.7 35.0 42.3 59.7 52.7 52.5 57.8 73.3 54.5 49.2 29.4

전국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표 10> 성별 ․ 시도별 외국인 투표율 비교(단위:%)

구분 전국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남자(A)

28.5 25.6 31.2 33.0 18.3 33.3 30.3 25.3 26.6 43.9 34.7 44.5 39.6 44.1 37.1 37.0 38.8

여자(B)

40.4 32.5 35.5 32.2 19.9 46.7 40.7 35.0 42.3 59.7 52.7 52.5 57.8 73.3 54.5 49.2 29.4

격차(A-B)

-11.9 -6.9 -4.3 +0.8 -1.6 -13.4 -10.4 -9.7 -15.7 -15.8 -18.0 -8.0 -18.2 -29.2 -17.4 -12.2 +9.4

❏ 지역별 외국인 남녀 투표율 차이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지역에서 여자의 투표율이

남자의 투표율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대구(남자 : 33.0%, 여자 : 32.2%)와 제주

(남자 : 38.8%, 여자 : 29.4%)는 남자 투표율이 여자보다 높았음.

Page 36: 제5회지방선거 투표율분석 보고서(최종)

- 36 -

성별 ․ 행정구역 크기별(도 ․ 농별) 투표율

❏ 이번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면지역의 투표율이 남자(52.4%)와 여자(72.8%)

모두 가장 높았음.

<그림 39> 성별 ․ 행정구역 크기별 외국인 투표율

28.5

40.4

25.632.5

25.7 30.2 33.142.5

38.1

59.452.4

72.8

전체 특별시 광역시 중소도시 읍 면

남자 여자(단위:%)

연령대별 ․ 행정구역 크기별(도 ․ 농별) 투표율

❏ 연령대별, 행정구역 크기별 외국인 투표율 비교 결과 모든 연령대에서 면지역의

투표율이 가장 높게 나타남. 한편 19세에서는 중소도시, 20대와 30대는 광역시,

40대 이상은 특별시에서 투표율이 가장 낮았음.

<그림 40> 연령대별, 행정구역 크기별 외국인 투표율 변화

13.7

17.214.0

7.012.5

33.3

16.416.0

12.1

20.021.6

30.429.827.2

22.1

33.633.1

65.2

41.8

34.034.4

44.5

62.6

74.5

19세 20대 30대 40대 이상

(단위:%)전국 특별시 광역시 중소도시 읍 면

Page 37: 제5회지방선거 투표율분석 보고서(최종)

- 37 -

순 성별 ․ 연령대별 ․ 시도별 투표율

❏ 이번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외국인 투표에서는 부산, 광주, 대전, 충남, 경북,

경남, 제주 지역에서 19세 투표자는 없는 것으로 나타남.

❏ 20대 투표율은 충북에서 32.9%로 가장 높았으며 제주에서 7.4%로 가장 낮았음.

한편 성별 투표율 분석결과 남자의 경우 충북(34.3%)에서, 여자는 강원(34.3%)에서

가장 높았음.

❏ 30대의 투표율은 전남에서 66.7%로 가장 높았으며 인천이 18.1%로 가장 낮았음.

한편 성별 투표율 분석결과 남자의 경우 강원(45.7%)에서, 여자는 전남(73.0%)에서

가장 높았음.

❏ 40대 이상의 투표율 또한 전남에서 72.7%로 가장 높았으며 인천에서 21.9%로

가장 낮았음. 한편 성별 투표율 분석결과 남자의 경우 충남(57.5%)에서, 여자는

전남(76.7%)에서 가장 높았음.

<표 11> 성별 ․ 연령대별 ․ 시도별 외국인 투표율

가장 낮은 투표율 가장 높은 투표율

구분19세 20대 30대 40대 이상

소계 남자 여자 소계 남자 여자 소계 남자 여자 소계 남자 여자

전국 13.7 14.6 12.7 16.4 15.4 17.3 29.8 22.8 35.2 41.8 34.3 47.3

서울 17.2 19.2 15.8 16.0 14.6 17.3 27.2 22.6 31.7 34.0 29.9 38.0

부산 0.0 0.0 0.0 15.7 17.3 13.9 22.3 14.8 29.9 42.4 40.9 44.0

대구 25.0 50.0 0.0 15.1 13.2 18.2 24.6 20.7 27.8 40.1 42.5 37.4

인천 17.4 21.4 11.1 9.3 12.4 6.5 18.1 17.2 19.0 21.9 20.0 23.9

광주 0.0 0.0 0.0 10.3 13.6 5.9 39.5 37.5 40.9 49.7 40.4 55.1

대전 0.0 0.0 0.0 9.7 9.7 9.7 24.4 17.9 27.6 50.5 43.8 54.8

울산 25.0 0.0 50.0 15.4 21.4 8.3 25.7 10.0 32.0 35.9 30.2 39.7

경기 4.0 7.1 0.0 19.4 14.9 24.1 30.3 21.6 36.1 42.1 32.4 47.5

강원 16.7 0.0 33.3 29.7 24.1 34.3 44.4 45.7 43.8 61.3 48.9 66.6

충북 20.0 33.3 0.0 32.9 34.3 31.7 38.7 25.9 48.6 49.8 36.7 58.1

충남 0.0 0.0 0.0 22.4 11.5 29.3 31.0 26.5 34.0 59.4 57.5 60.3

전북 16.7 0.0 25.0 13.5 23.5 5.0 50.6 30.4 57.6 57.1 44.6 62.5

전남 100.0 100.0 0.0 14.8 18.8 9.1 66.7 37.5 73.0 72.7 53.5 76.7

경북 0.0 0.0 0.0 17.9 12.5 21.7 35.7 18.8 46.2 58.0 47.2 65.4

경남 0.0 0.0 0.0 15.9 20.0 13.8 47.9 38.9 50.9 51.7 42.1 54.8

제주 0.0 0.0 0.0 7.4 0.0 16.7 32.4 40.9 20.0 43.8 50.0 3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