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에 함께 읽을 책 절기서당 선화

3
절절절절 김김김 - 김김김 김김 , 김김김김 김 김 김김 김김김 김김 . 24 김김김 김김 김김 김김 , 김김 김김 , 김김김김김 김김 김김 . 김김김김 , 24 김김김 김김김김 김 김김김김김 !

Upload: green-korea-united

Post on 14-Jun-2015

50 views

Category:

Documents


1 download

TRANSCRIPT

Page 1: 5월에 함께 읽을 책 절기서당 선화

절기서당김동철 - 송혜경 지음 , 북드라망

내 몸 안의 우주의 리듬 .24 절기를 따라 때에 맞게 , 철에 맞게 , 자연스럽게 사는 방법 .

그러니까 ,24 절기를 바탕으로 한자기개발서 !

Page 2: 5월에 함께 읽을 책 절기서당 선화

책소개

절기는 태양이 15 도씩 움직일 때마다 나타나는 기후적 변화다 . 즉 , 태양은 15일마다 스텝을 달리하며 새로운 사건을 발생시킨다 . 태양이 그해의 첫발을 내딛으면 땅속 깊이 봄이 시작되고 ( 입춘 ), 두번째 스텝을 밟으면 얼음이 녹는다 ( 우수 ). 그리고 세번째 발자국에선 개구리와 벌레들이 튀어나온다 ( 경칩 ). 그리하여 절기는 농경사회에서 농사력으로 기능했다 .

언제 씨를 뿌리고 , 모내기를 하고 , 추수를 하는지가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결정되었기 때문이다 . 의역학상으로 가장 잘사는 법은 우주의 리듬과 일치를 이루며 사는 것 , 그러므로 절기를 어기지 않고 ‘때 맞춰’ 농사를 짓는 것 자체가 천지자연과의 합일과 다름없었다 . 절기력이 농사력이 된 것은 최대한 우주의 흐름에 맞춰 살고자 한 노력의 결과였다 .

농경사회가 아닌 지금 , 절기는 무용한 것일까 ? 이제 태양의 움직임은 더 이상 우리에게 아무런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것일까 ? 필자들이 24 절기 속으로 뛰어든 것은 이런 이유에서였다 . 농부가 절기대로 1 년 농사를 해내듯이 , 우리 역시도 절기의 리듬을 타면 한 해의 계획을 실현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 . 다시 말해 농사가 아니더라도 절기의 리듬을 현대의 그것으로 변환시키면 ‘지금 ,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한 질문에 답을 구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Page 3: 5월에 함께 읽을 책 절기서당 선화

얼어붙어 있던 겨울을 광분한 황소처럼 들이받고

흔적을 남기지 않을 정도로 깨부수는 것에서 봄은 시작된다 .

무엇보다 자신을 옭죄는 족쇄부터 파괴하는 것이 우선이다 .

봄의 생기는 기존 질서를 뿌리치고

새로운 현장으로 나아가려는 몸부림에서 온다 .

딱딱한 껍질에 머물러 있기를 거부하는 씨앗처럼

그리하여 그 마음은 마침내 껍질을 깨고 , 단단한 지표면을 뚫고 ,

여린 줄기로 나온다 . 바로 거기 , 봄이 나온 것이다 .

- 절기서당 , 17p 입춘 , 생기를 세우다 中

소만 ( 小滿 ), 욕으로 채우는 시절5 월의 푸름이 짙어감에 따라 농부의 속도 벌겋게 타들어간다 . 보릿고개다 . 지금은 상상하기도 어려운 보릿고개는 소만 즈음에 찾아왔다고 한다 . 만물이 조금씩 차오른다는 뜻의 소만과 기아에 허덕이는 보릿고개 사이에는 거리감이 느껴진다 . 언뜻보면 전혀 어울리지 않는 둘은 알고 보면 한 쌍이다 .(중략 ) 보릿고개에 처한 이들은 저절로 한 생각에 집중한다 . ‘ 오늘 일하지 않으면 내일 굶는다’는 현실은 정신을 빠릿빠릿하게 하고 손끝을 야무지게 한다 . 덕분에 가을에 거둘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 ..( 중략 )생은 극이 동반되어야 진정한 살림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