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2~369)170Ⅱ-5(2)ok 2011.11.25 4:45 am 페이지362 mac01...

4
‘우리 동네 구자명 씨’는 맞벌이를 하고 있는‘구자명 씨’의 고단한 출근길 모습을 통해, 가정의 안식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시대 여성의 삶의 단면을 보여 주는 시이다. 작품에 드러난 문제의식을 공유 하면서 작품을 감상해 보자. 362 362 362 362 362 362 362 362 362 362 362 362 362 362 362 362 362 362 362 362 362 362 362 362 362 362 362 362 362 362 362 362 5. 문학과 삶 5. 문학과 삶 5. 문학과 삶 5. 문학과 삶 5. 문학과 삶 5. 문학과 삶 5. 문학과 삶 5. 문학과 삶 5. 문학과 삶 5. 문학과 삶 5. 문학과 삶 5. 문학과 삶 5. 문학과 삶 5. 문학과 삶 5. 문학과 삶 5. 문학과 삶 5. 문학과 삶 5. 문학과 삶 5. 문학과 삶 5. 문학과 삶 5. 문학과 삶 5. 문학과 삶 5. 문학과 삶 5. 문학과 삶 5. 문학과 삶 5. 문학과 삶 5. 문학과 삶 5. 문학과 삶 5. 문학과 삶 5. 문학과 삶 5. 문학과 삶 5. 문학과 삶 작품 선정 취지 ‘우리 동네 구자명 씨’는 우리 사회의 보편적 모습이라고 할 수 있는 맞벌 이 여성‘구자명 씨’를 통해 맞벌이 여성에 대한 우리 사회의 이해와 관심이 부족하다는 문제의식을 보여 주는 작품이다. 학생들은 이 작품을 통해 문학 활동이 우리 사회가 지닌 현재의 문제에 대해 고민할 수 있게 해 준다는 것 깨닫고 능동적으로 미래의 과제를 고민할 있을 것이다. 나아가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다양한 문제에 대해 소통의 길을 제시하는 문학의 역할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도록 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작품 연구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비판적, 의식적, 동정적 •어조: 연민과 비판의 어조 •제재: 출근길에 본 여자의 잠 •주제: 여성의 희생을 강요하는 현실에 대한 비판 •특징 - 영화의 오버랩 기법처럼 시상을 전개함. - 시상이 전환되면서 의미가 확대됨. - 구체적 인물을 설정하여 보편적 현실을 드러냄. - 주인공을 팬지꽃, 안개꽃에 비유함으로써 삶의 고단함을 표현함. •구성 - 1~7행: 출근 버스에서 졸고 있는 구자명 씨 - 8~16행: 구자명 씨의 일상에 대한 추측 - 17~24행: 여성의 희생을 강요하는 현실에 대한 비판 핵심 정리 1. 시상 전개상의 특징 출근 버스에 타자마자 졸음에 빠진 구자명 씨의 모습에 그녀의 고단한 일 상을 상상하여 겹치면서 시상을 확대하고 있다. → 영화의 오버랩 기법 2. ‘팬지꽃’과‘안개꽃’의의미 팬지꽃은 키가 작고 흔한 꽃이며, 안개꽃은 늘 주된 꽃을 둘러싼 배경으로 사용되는 꽃이다. 그러한 꽃들의‘아픔’과‘멍에’는눈에잘띄지도않고그 존재 가치를 인정받지도 못하는 구자명 씨의 고통스러운 처지를 잘 나타내고 있다. 이처럼 이 작품에서는‘팬지꽃 아픔’ , ‘안개꽃멍에’라는적절한비유를 통해 구자명 씨의 삶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3. 우리 문학에 나타난 여성들의 삶 •‘잠노래’ : 농사일과 집안일 등 바쁜 일과를 보내고 나서도 밤늦게까지 바느 질과 다림질 등 남은 집안일을 해야 했던 옛날 우리나라 여인들의 애환이 담 겨 있음. •‘시집살이노래’ : 봉건 사회의 대가족 제도에서 여자가 겪어야 하는 시집살 이의 고뇌가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있음.

Upload: others

Post on 11-Jul-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352~369)170Ⅱ-5(2)OK 2011.11.25 4:45 AM 페이지362 mac01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재원이고큰미술관에서부관장으로일하는여성이다

‘우리 동네 구자명 씨’는 맞벌이를 하고 있는‘구자명 씨’의 고단한 출근길 모습을 통해, 가정의 안식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이 시대 여성의 삶의 한 단면을 보여 주는 시이다. 작품에 드러난 문제의식을 공유

하면서 작품을 감상해 보자.

3 6 23 6 23 6 23 6 23 6 23 6 23 6 23 6 23 6 23 6 23 6 23 6 23 6 23 6 23 6 23 6 23 6 23 6 23 6 23 6 23 6 23 6 23 6 23 6 23 6 23 6 23 6 23 6 23 6 23 6 23 6 23 6 2 5. 문학과 삶5. 문학과 삶5. 문학과 삶5. 문학과 삶5. 문학과 삶5. 문학과 삶5. 문학과 삶5. 문학과 삶5. 문학과 삶5. 문학과 삶5. 문학과 삶5. 문학과 삶5. 문학과 삶5. 문학과 삶5. 문학과 삶5. 문학과 삶5. 문학과 삶5. 문학과 삶5. 문학과 삶5. 문학과 삶5. 문학과 삶5. 문학과 삶5. 문학과 삶5. 문학과 삶5. 문학과 삶5. 문학과 삶5. 문학과 삶5. 문학과 삶5. 문학과 삶5. 문학과 삶5. 문학과 삶5. 문학과 삶

작품선정취지

‘우리 동네 구자명 씨’는 우리 사회의 보편적 모습이라고 할 수 있는 맞벌

이 여성‘구자명 씨’를 통해 맞벌이 여성에 대한 우리 사회의 이해와 관심이

부족하다는 문제의식을 보여 주는 작품이다. 학생들은 이 작품을 통해 문학

활동이 우리 사회가 지닌 현재의 문제에 대해 고민할 수 있게 해 준다는 것

을 깨닫고 능동적으로 미래의 과제를 고민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다양한 문제에 대해 소통의 길을 제시하는 문학의 역할에

대해서도생각해보도록하는계기가될수있을것이다.

작품연구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비판적, 의식적, 동정적

•어조: 연민과비판의어조

•제재: 출근길에본여자의잠

•주제: 여성의희생을강요하는현실에대한비판

•특징

- 영화의오버랩기법처럼시상을전개함.

- 시상이전환되면서의미가확대됨.

- 구체적인물을설정하여보편적현실을드러냄.

- 주인공을팬지꽃, 안개꽃에비유함으로써삶의고단함을표현함.

•구성

- 1~7행: 출근 버스에서졸고있는구자명씨

- 8~16행: 구자명씨의일상에대한추측

- 17~24행: 여성의희생을강요하는현실에대한비판

핵심정리

1. 시상전개상의특징

출근 버스에 타자마자 졸음에 빠진 구자명 씨의 모습에 그녀의 고단한 일

상을상상하여겹치면서시상을확대하고있다. → 영화의오버랩기법

2. ‘팬지꽃’과‘안개꽃’의의미

팬지꽃은 키가 작고 흔한 꽃이며, 안개꽃은 늘 주된 꽃을 둘러싼 배경으로

사용되는 꽃이다. 그러한 꽃들의‘아픔’과‘멍에’는 눈에 잘 띄지도 않고 그

존재가치를 인정받지도 못하는 구자명 씨의고통스러운 처지를 잘 나타내고

있다. 이처럼 이 작품에서는‘팬지꽃 아픔’, ‘안개꽃 멍에’라는 적절한 비유를

통해구자명씨의삶을구체적으로형상화하고있다.

3. 우리문학에나타난여성들의삶

•‘잠노래’: 농사일과 집안일 등 바쁜 일과를 보내고 나서도 밤늦게까지 바느

질과 다림질 등 남은 집안일을 해야 했던 옛날 우리나라 여인들의 애환이 담

겨있음.

•‘시집살이 노래’: 봉건 사회의 대가족 제도에서 여자가 겪어야 하는 시집살

이의고뇌가사실적으로표현되어있음.

(352~369)170Ⅱ-5(2)OK 2011.11.25 4:45 AM 페이지362 mac01 T

Page 2: (352~369)170Ⅱ-5(2)OK 2011.11.25 4:45 AM 페이지362 mac01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재원이고큰미술관에서부관장으로일하는여성이다

3 6 3[2] 문학과 공동체

맞벌이 부부 우리 동네 구자명 씨

일곱 달 된 아기 엄마 구자명 씨는

출근 버스에 오르기가 무섭게

아침 햇살 속에서 졸기 시작한다

경기도 안산에서 서울 여의도까지

경적 소리에도 아랑곳없이

옆으로 앞으로 꾸벅꾸벅 존다

차창 밖으론 사계절이 흐르고

진달래 피고 밤꽃 흐드러져도 꼭

부처님처럼 졸고 있는 구자명 씨,

그래 저 십 분은

간밤 아기에게 젖 물린 시간이고

또 저 십 분은

간밤 시어머니 약시중 든 시간이고

그래그래 저 십 분은

새벽녘 만취해서 돌아온 남편을 위하여 버린 시간일 거야

고단한 하루의 시작과 끝에서

잠 속에 흔들리는 팬지꽃 아픔

식탁에 놓인 안개꽃 멍에■

그러나 부엌문이 여닫히는 지붕마다

여자가 받쳐 든 한 식구의 안식■

아무도 모르게

죽음의 잠을 향하여

거부의 화살을 당기고 있다 “지리산의 봄”(1987)

고정희(高靜熙, 1948~1991)

시인. 역사와 현실과 일상의 삶

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공동체적

삶을 아름답게 만들어 가려는 실천

적 의지를 시로 옮겼다. 주요 작품

으로시집“초혼제”, “지리산의봄”,

“아름다운 사람 하나”등이 있다.

■ 멍에 쉽게 벗어날 수 없는 구

속이나 억압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안식(安息) 편안하게 쉼.

이 작품은 시적 화자가‘구자명

씨’의 출근길 모습을 지켜보는 형

태를 띠고 있다. ‘구자명 씨’가 졸

고 있는 모습을 보고 그녀의 고달

픈 하루 일과를 상상해 봄으로써,

직장 일과 가사라는 이중고(二重苦)

에 시달리는 우리 사회 여성의 삶

을 진솔하게 다루고 있다. 늘 가까

이에 있지만 무심코 넘겨 버리게

되는, 우리 주변 사회적 약자에 대

한 관심이 돋보이며, 사회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 의식이 잘 드러나고

있다.

02 우리동네구자명씨 고정희

- 여성사연구 5

출근버스에서졸고있는구자명씨

구자명씨의일상에대한추측

여성의희생을강요하는현실에대한비판

맥락읽기 Q&A

① 시적 대상은 누구인가? ⇡ 맞

벌이 부부이자 생후 7개월의 아기

를 두었으며, 출근길 버스에서 졸

고있는우리동네구자명씨

② 구자명 씨가 버스에서 졸고 있

는 이유를 추측한 부분은? ⇡ 그

래저십분은~버린시간일거야

③ 이 작품에서 키가 작고 부서지

기쉬운연약한꽃의이미지, 작은

꽃망울의 이미지를 통해 눈에 띄

지 않는 여성의 희생을 표현한 시

어 둘은 무엇인가? ⇡ 팬지꽃 아

픔, 안개꽃멍에

④ 시적 화자의 구자명 씨에 대한

태도는 어떠한가? ⇡ 1~10행: 객

관적인 태도, 11~24행: 동정하고

연민하는태도

고정희의 생애 및 작품 세계

(ppt) 활용

‘우리 동네구자명씨’낭송(플래시), 먹장구름 속에잠긴절반의

하늘: ‘우리동네구자명씨’작품해설(hwp) 활용

우리 시대 여성의 전형성을 갖고 있는

구체적인물을설정함.

공간적인배경을구체적으로제시하여현실감을부여하고있다.

구자명씨가조는시간

희생한

눈에잘띄지않는여성의희생형상화

여성은늘보조적인위치에서희생할수밖에없다는사회구조적인식의표현

‘구자명씨’라는구체적개인을‘여자’라고지칭함으로써이시의문제의식을확대하고있다.

여자가희생함으로써누릴수있는식구들의안식

① 너무 피곤하여 죽은 것처럼 깊이 든 잠을

표현 ② 피곤함이 마치 죽음처럼 구자명 씨

의삶을갉아먹고있음을표현

피곤하지만잠조차제대로잘수없는절망적상황의표현

『 』: 잠이 부족한생활을하고있음을알수있다.

『 』: 피곤에찌든모습

『 』: 계절과시간이흘러가도구자명씨에게는고달픈일상이끊임없이반복되고있음을표현하였다.

(352~369)170Ⅱ-5(2)OK 2011.11.25 4:45 AM 페이지363 mac01 T

Page 3: (352~369)170Ⅱ-5(2)OK 2011.11.25 4:45 AM 페이지362 mac01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재원이고큰미술관에서부관장으로일하는여성이다

3 6 4 5. 문학과 삶

1 ‘우리 동네 구자명 씨’를 읽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1) 이시를‘구자명씨’에대한시적화자의태도를중심으로두부분으로나누어보자.

(2) 팬지꽃과 안개꽃에 대한 다음 설명을 보고, 이 시의 화자가‘팬지꽃 아픔’, ‘안개

꽃멍에’라고표현한이유를말해보자.

(3) 이 시의 화자는‘구자명 씨’의 삶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다음의 시구를 참고

하여구체적으로말해보자.

다가서기

그러나 부엌문이 여닫히는 지붕마다

여자가 받쳐 든 한 식구의 안식이

아무도 모르게

죽음의 잠을 향하여

거부의 화살을 당기고 있다

팬지꽃 흔하게 볼 수 있는 꽃이고, 줄기의 높

이가 12~25cm인 키가 작은 꽃이다.

안개꽃 꽃망울이 작고 소박하며 꽃대가 가늘

고 연약한 꽃이다. 장미나 카네이션을 한층 돋

보이게 해 준다.

예시답|1행에서 10행까지시적화자는출근버스에서졸고있는구자명씨를관찰하며구자명씨에대한정서적반

응은없이객관적인거리를유지하고있다. 그러나 11행에서부터 24행까지시적화자는구자명씨가그렇게졸수밖에

없는이유를상상해보며직장일과가사에이중으로시달리는구자명씨를동정하고연민하는태도를취하고있다.

예시답|이시의주인공인구자명씨는직장일과가사에이중으로시달리는고단한삶을살지만가정과사회속에

서 그 역할과 의미를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고 무심하게 지나쳐 버리는 존재이다. 키가 작고 흔한 팬지꽃이나 늘 배

경으로사용되는안개꽃또한눈에잘띄지도않고그존재가치를인정받지도못하며무심하게지나쳐버리게되는

존재라는점에서구자명씨와비슷하기때문에이시의화자는구자명씨를보며이두꽃을떠올렸을것이다.

예시 답|구자명 씨의 삶은 아픔과 멍에로 가득 차 있으나, 이 삶이 한 식구의 안식을 만들어 주고 있다. 때문에 자

신의 삶을 희생해서 한 식구의 안식을 만들어 가는 구자명 씨의 삶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고 할 수도 있고, 한편으

로는 구자명 씨가 그런 의무감과 희생정신 때문에 잠조차 제대로 잘 수 없는 절망적 상황에 처한 것으로 보고 부정

적인시각으로보고있다고도할수있다.

이끌기|시적 화자의 어

조와 비유적 표현을 통해

‘구자명 씨’의 삶에 대한

시적 화자의 태도를 파악

하도록한다.

작품정리(ppt), 학습 활동예시답안(ppt) 활용

(352~369)170Ⅱ-5(2)OK 2011.11.25 4:45 AM 페이지364 mac01 T

Page 4: (352~369)170Ⅱ-5(2)OK 2011.11.25 4:45 AM 페이지362 mac01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재원이고큰미술관에서부관장으로일하는여성이다

2 ‘우리 동네 구자명 씨’를 우리 사회의 모습에 비추어 생각하는 활동을 해 보자.

(1) 이 시에 나타난‘구자명 씨’의 삶을 우리 사회 여성의 보편적인 삶의 모습이라고

할수있는지, 자신의생각을이야기해보자.

(2) (1)과 관련하여 영화나 드라마에서‘구자명 씨’와 같은 인물을 찾아보고, 그 상황

을구체적으로설명해보자.

(3)‘구자명 씨’와 같은 삶의 양상을 바꾸기 위해 우리 사회가 노력할 것에는 어떤 것

들이있을지써보자.

깊게이해하기

3 6 5[2] 문학과 공동체

3 자신의 주변에서 소외된 삶을 살아가는 사람이 있는지 찾아보고, 그 인물을 소재로 삼

아‘우리 동네 구자명 씨’를 패러디한 시를 써 보자.

넓게생각하기

우리 동네 ○○○씨

예시 답|요즘은 여성의 사회 활동이 예전에 비해 활발해져 맞벌이 부부의 비중이 50%에 육박한다고 한다. 그렇다

면이시의구자명씨처럼직장일과가사를병행하는삶도이제는보편적인삶의모습이라고할수있을것이다.

예시 답|2-(2) 얼마 전 드라마‘사랑을 믿어요’에 나왔던‘혜진’이 떠올랐다. 혜진은 파리에서 박사 학위까지 따 온

재원이고 큰 미술관에서 부관장으로 일하는 여성이다. 하지만 시댁에는 시할머니, 시부모님, 시누이, 남편과 딸까지

4대가 모여 산다. 아침마다 식사 준비를 하고 딸아이 유치원 보낼 준비를 마치고 허둥지둥 출근했다가 다시 저녁에

허둥지둥 장을 본 후 퇴근해서 식구들 후식까지 다 챙긴 다음에야 존재감도 없이 겨우 잠자리에 드는 고단한 삶을

살고있다. 직장을다니는그녀가저녁약속이라도있으면늘눈치를보아야하고, 저녁 식사설거지를대신해주는

사람도 없는 장면들을 보면서 맞벌이 여성에게 너무나 당연하게 가사 일까지 요구하는 우리 사회에 대해 문제의식

을느꼈다.

예시답|맞벌이여성들에대한배려가필요하다. 직장에서는출퇴근시간을탄력적으로운영하거나부분근무를선

택할수있게하는것과같은제도마련이필요하다. 가정에서는가족들을위해희생하는여성들의노고를인정해주

는것이가장먼저필요할것이고여성이맡은가사부담을가족들이자발적으로덜어주려는노력이필요할것이다.

예시답|

이끌기|이 시의 소재인

‘구자명 씨’의 삶에 대한

문제의식을 사회 일반으

로 확대해 보고, 그러한

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을

함께 찾아보도록 지도한

다.

제목: 우리 동네김연우

우리동네

아니우리건물 4층에살고있는

초등학교 3학년생연우는

학교에서돌아오기무섭게

동생민우손을이끌고

수학학원으로간다.

수학학원에다녀와서는

다시은성수퍼에들러

라면이며과자를검정비닐봉지에사들고와

엄마오시기전고픈배를달랜다.

3년 전해맑게웃던유치원생연우는

이제피곤한표정으로힘없이인사하는

초등학생이되었다.

놀아줄사람없는철부지동생돌보느라

엄마손가지못해어지러운집안치우느라

연우는친구들과뛰어놀날을그리워만한다.

그러나꼭꼭닫힌문너머

낯선사람기척이라도날까싶어

연우민우는집에서도

숨죽일수밖에없다.

문제은행(쪽지시험, 형성평가) 활용

(352~369)170Ⅱ-5(2)OK 2011.11.25 4:45 AM 페이지365 mac01 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