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1-±¹³»¿øÀüÁ¤º ñ±ÔÁ¤ÃßÁøÇöȲ(±èÀ±À Ï-kins) · 1996.4 : numarc...

15
9회 원자력안전기술정보회의 원자력안전기술정보회의 원자력안전기술정보회의 원자력안전기술정보회의 국내 국내 국내 국내 원전 원전 원전 원전 정비규정 정비규정 정비규정 정비규정 추진현황 추진현황 추진현황 추진현황 2004. 4. 9 김윤 윤일 [email protected]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Upload: phamnhu

Post on 10-Jun-2018

21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제제제제9회회회회원자력안전기술정보회의원자력안전기술정보회의원자력안전기술정보회의원자력안전기술정보회의

국내국내국내국내 원전원전원전원전 정비규정정비규정정비규정정비규정

추진현황추진현황추진현황추진현황2004. 4. 9

김김김김 윤윤윤윤 일일일일[email protected]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2222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정비규정 추진현황

목목목목 차차차차

정비규정정비규정정비규정정비규정 개요개요개요개요

정비규정정비규정정비규정정비규정 연혁연혁연혁연혁((((미국미국미국미국) ) ) )

정비규정정비규정정비규정정비규정 요건요건요건요건

정비규정정비규정정비규정정비규정 이행절차이행절차이행절차이행절차

국내국내국내국내 정비규정정비규정정비규정정비규정 추진현황추진현황추진현황추진현황

국내국내국내국내 도입방안도입방안도입방안도입방안 및및및및 추진전략추진전략추진전략추진전략

현안현안현안현안 및및및및 토의사항토의사항토의사항토의사항

3333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정비규정 추진현황

정비규정정비규정정비규정정비규정 개요개요개요개요

USNRC ’88년 원전보수에 대한 정책성명 발행적절한 정비가 발전소 안전에 필수적임을 인식

미국은 ’91년 7월 10일 10 CFR 50.65 “원자력 발

전소에서의 정비효과성 감시 요건” 제정안전에 중요한 기기의 정비효과성을 감시하여 기기의 고유성능

을 유지하여 원전 이용률을 증가하고 불시정지 감소

정비규정은 최초의 위험도정보(Risk-Informed) 활용, 성능기준

(Performance-based) 규제중 하나

☞ 스페인도 ’99년부터 정비규정을 시행중

4444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정비규정 추진현황

정비규정정비규정정비규정정비규정 연혁연혁연혁연혁[미국미국미국미국]1985~’86 : Maintenance and Surveillance Program(MSP) - NUREG-1212

1988.3 : NRC Policy Statement on Maintenance of NPPs *'88 IPE(GL88-20)

1991.7 : Maintenance Rule 요건 공포 (10CFR 50.65)

" Requirements for Monitoring the Effectiveness of Maintenance at NPPs"

1991~’96 : 5-year grace period, 9 plants pilot implementation

1993.5 : 산업체 지침 NUMARC 93-01 발표

1995.6 : NRC NUREG-1526 발간 - 시범 원전 MR 운영 결과 '95. PRA policy Stat’mnt

1996.4 : NUMARC 93-01(Rev.2)발표 - NUREG 경험 보완

1996.7 : 전 원전 MR 시행

1997.3 : Reg. Guide 1.160 (Rev.2) 발행

1998.7 : 미국 전 원전 Maintenance Rule Baseline Inspection 종료 '98 RI Reg.Guides

1999.7 : Maintenance Rule 추가 개정 - 10CFR50.65 (a)(4)항 추가 '99 ROP

1999.10 : NRC NUREG-1648 발간 - 68개 원전 검사 결과 기록

2000.2 : NUMARC 93-01, 11장 추가 개정, "Assessment of Risk Resulting from

Performance of Maintenance activities "

2000.5 : Reg. Guide 1.182 발행

"Assessing and Managing Risk Before Maintenance Activities at NPPs"

5555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정비규정 추진현황

정비규정정비규정정비규정정비규정 요건요건요건요건 – 10CFR50.65

원자로 냉각재 압력경계의 건전성 확보 기능

원자로의 안전정지 및 정지상태 유지 기능

방사선의 소외 피폭선량 제한치 초과에 대한 예방 또는 완화 기능

프로그램 범위-안전관련 SSC

b(1)

MR 프로그램의 SSC 정비활동 수행 전에 위험도 증가 평가 및 관리

평가 범위는 대중의 보건과 안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SSC 로 제한

정비활동전 위험도증가 평가

a(4)

사고 혹은 과도상태 완화, 요구 혹은 EOP 에 사용되는 비안전관련 SSC

안전관련 SSC의 안전관련기능 불능을 초래하는 비안전관련 SSC

원자로 정지 혹은 안전관련 계통 작동을 초래하는 비안전관련 SSC

a(1),(2)항 관련 정비규정 프로그램 활동을 최소 매연료재장전

(24개월미만) 주기마다 평가

SSC의 이용불능도(Unavailability)와 신뢰도의 균형화

(정비전 위험도증가 효과 고려) ==> (a)(4)로 개정 (1999)

예방정비를 통해 SSC의 고유 기능이 유지되면 (a)(1)항의 감시는 불필요

SSC Performance 혹은 Condition 을 사업자가 설정한

목표(Goals)에 근거하여 감시

수립된 목표를 만족시키지 않을 때, 적절한 시정조치

요건요건요건요건 내용내용내용내용

프로그램 범위-비안전관련 SSC

주기적인 Program 평가, SSC 이용불능도와 신뢰도의 균형

성능 만족 SSC에 대

한 감시 완화

SSC의 성능감시 및

목표치와의 비교

요건요건요건요건 제목제목제목제목

b(2)

a(3)

a(2)

a(1)

항목항목항목항목

6666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정비규정 추진현황

정비규정정비규정정비규정정비규정 이행절차이행절차이행절차이행절차

정비규정/절차

적용대상 SSCs 선정

위험도 중요도 분류

성능기준 설정

(a)(1) 목표설정/감시강화

(a)(3) MR 주기적평가

(a)(2) 성능기준 감시

(a)(4) 정비전 위험도평가

만족

불만

(b)(2) 비안전관련 SSCs•사고/과도상태 완화•비상운전절차(EOP) •안전관련 기능고장 유발•원자로불시정지 유발•안전계통 작동 유발

(b)(1) 안전관련 SSCs

•원자로냉각재 압력경계•원자로 안전정지 및 유지•사고결말 예방/완화

전문가 판넬확률론적

안전성평가

계통수준•신뢰도•이용(불능)도

HSS SSCs 및S/B LSS SSCs

운전중 LSSSSCs

RFO(최대24개월)주기신뢰도와 이용불능도 균형화

원인규명 및시정조치

발전소수준•불시정지•불시출력감발

계통(계열) 및발전소 수준 감시

발전소수준 감시

SSC : Structure, System or ComponentHSS : High Safety SignificantLSS : Low Safety SignificantS/B : Standby

7777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정비규정 추진현황

국내국내국내국내 정비규정정비규정정비규정정비규정 도입도입도입도입 추진배경추진배경추진배경추진배경

가동 원전 수의 증가 및 설비의 노후화 등의 복합적인 영향으로 원전 고장·정지 발생빈도 증가추세

최근 수년간 발생한 원전정지의 70∼80%가 터빈·발전기 등 비안전계통의 고장에 기인

계획된 정비일정에 따라 예방정비를 수행하는 현 정비체계의 개선 필요

특히, 비안전관련 기기고장으로 원자로정지를 유발하는 취약설비뿐만 아니라 안전에 중요한 설비들의 고유성능을 감시하는 방안마련 필요

제22차 원자력안전위원회(’02.12.14)에서 국내 도입추진을 의결

국내 원전 특별검사(’02. 11) 결과, 주요 기기· 부품의 신뢰성 향상을 위해 “정비규정” 도입을 권고

8888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정비규정 추진현황

국내국내국내국내 정비규정정비규정정비규정정비규정 현황현황현황현황

정비규정 관련관련관련관련 연구활동연구활동연구활동연구활동1단계 : 1998 ∼ 2001

“위험도기준 규제 기술 개발” 과제 일환으로 미국 정비규정 현황,

이행방법 및 현안 검토 및 이행지침 초안 개발 연구수행 (KINS)

“신뢰도기반 안전성 평가 기술개발” 과제의 일환으로 정비규정

적용방법 및 시범적용 관련 연구수행 (KAERI)

2단계 : 2002 ∼ 2005

정비규정 이행관련 세부 규제지침(심사지침, 검사지침) 작성,

정비규정 도입 방안 수립(’03년) 등 관련 연구 수행중

한수원한수원한수원한수원㈜㈜㈜㈜ : : : : 정비규정정비규정정비규정정비규정 적용적용적용적용 검토후검토후검토후검토후2003년 10월부터 2006년까지 “표준형원전”과 “비표준형원전”을구분하여 『정비규정 적용 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 진행중

9999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정비규정 추진현황

국내국내국내국내 정비규정정비규정정비규정정비규정 도입도입도입도입 방안방안방안방안

정비규정정비규정정비규정정비규정 단계적단계적단계적단계적 도입도입도입도입

대상설비 전체에 적용하기 전에 원자로 불시정지 유발

비중이 높았던 “취약설비”를 선정하여 우선적용

취약설비에 우선적용후 전체 대상설비에 확대적용

제도화이전제도화이전제도화이전제도화이전 시범적용시범적용시범적용시범적용

시범적용을 토대로 제도화 이후 전원전 전체 대상설비에

확대 적용

운영조직 특성에 맞게 발전소(2개 호기) 단위로 적용

제도화이전에 최소 2개 발전소에 시범적용을 선행토록

하여 시행착오 최소화

10101010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정비규정 추진현황

국내국내국내국내 정비규정정비규정정비규정정비규정 도입도입도입도입 추진전략추진전략추진전략추진전략

금년중금년중금년중금년중 취약설비취약설비취약설비취약설비 선정선정선정선정 및및및및 적용적용적용적용

정비규정 기본개념만 적용

전체전체전체전체 대상설비대상설비대상설비대상설비 시범적용시범적용시범적용시범적용

노형, 이행 여건 및 안전성능지표 등을 고려하여 선정

해외해외해외해외 경험경험경험경험 적극적극적극적극 활용활용활용활용

정비규정의 국내 조기 정착을 위해 해외 유사 원전의

이행 경험을 적극 활용

국내국내국내국내 유관유관유관유관 기관간기관간기관간기관간 협조협조협조협조 필요필요필요필요

시행시기, 범위, 방법 등에 대해 사안별 구체적인 협의

취약설비 적용 및 시범적용중 도출 현안 조기 해결

11111111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정비규정 추진현황

취약설비취약설비취약설비취약설비 우선우선우선우선 적용적용적용적용 방안방안방안방안

정비규정정비규정정비규정정비규정 기본개념기본개념기본개념기본개념 적용적용적용적용설비의 성능감시 기준을 설정하고 이를 일상 점검활동(주기적 시험

이나 정비)을 통하여 감시

성능기준을 불만족한 경우 원인규명, 시정조치 그리고 성능목표를

설정하여 목표가 만족할 때까지 기기의 성능감시 강화

기기의 성능감시 강화 결과, 설정된 성능목표를 만족하면(예, 연속3

회 이상) 일상감시로 복귀

취약설비취약설비취약설비취약설비 선정선정선정선정취약설비 선정 기준 : 원전 설비중 비안전관련 구조물, 계통, 기기

(SCCs) 중에서 자신의 고장으로 인하여 원자로의 정지나 안전계통

의 작동을 유발한 설비

과거 국내․외 사고고장 자료 및 국내 원자로정지 원인에 근거하여

안전정비규정 우선적용 “취약설비”를 도출

12121212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정비규정 추진현황

취약설비취약설비취약설비취약설비 우선우선우선우선 적용적용적용적용 대상설비대상설비대상설비대상설비(안안안안)

주) # : 정기검사 대상

* : 2002년도 행정조치에 의하여 정기검사 수행

변압기(소내보조변압기, 대기/기동 변압기, 여자변압기), 보호계전기, 가스절연모선(GIB)*, 스위치야드차단기*, 제어반, 계측장치 등전원계통

전력계통

시설

급수승압펌프, 주급수펌프, 기동용급수펌프, 주급수격리밸브#, 주급수제어밸브, 주급수펌프터빈, 고압급수가열기, 계측장치 및 제어설비급수계통

주복수기, 복수펌프, 복수기진공펌프, 저압급수가열기, 복수탈염설비, 공기추출기, 밸브류, 탈기기, 탈기저장탱크, 계측장치 및 제어설비, 시료채취설비 등

복수계통

고압터빈(제어밸브, 정지밸브 포함), 저압터빈(제어밸브, 정지밸브 포함),

터빈제어계통, 터빈발전기 감시 및 보호계통, 터빈윤활유 및 밀봉유계통,

주발전기*(회전자, 고장자) 및 여자기(자동전압조정기), 발전기 냉각설비(수소냉각통, 고정자냉각, 고정자냉각수 순환펌프) 등

터빈/

발전기 계통

대기방출밸브, 주증기안전밸브#, 주증기격리밸브#, 추기계통 등주증기 계통

급수,증기 및

동력변환계통 시설

구성 기기 및 부속계통계통시설명

13131313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정비규정 추진현황

정비규정정비규정정비규정정비규정 도입도입도입도입 단계별단계별단계별단계별 추진일정추진일정추진일정추진일정(안안안안)

주석 1. 취약설비 : 국내외 원전 사고•고장 및 원자로 불시정지 유발 빈도가 높거나안전에 중요한 2차측(BOP) 설비

주석 2. 전체 대상설비 : 정비규정(10 CFR 50.65)의 적용대상, 안전에 중요한 안전관련 및 비안전관련 설비

2003 2004 2005 2006

정비규정정비규정정비규정정비규정 도입방안도입방안도입방안도입방안 수립수립수립수립

(’03.12)

규제지침규제지침규제지침규제지침 개발개발개발개발 및및및및 제도화제도화제도화제도화

(’04.1~’06.6)

정비규정정비규정정비규정정비규정 적용적용적용적용기술기술기술기술 개발개발개발개발 준비준비준비준비

- 계통 기능분석(’03.10~’04.3)

취약설비에 정비규정개념 우선적용

(’04.11~’06.12)

전원전전원전전원전전원전 취약설비취약설비취약설비취약설비1111에에에에 정비규정정비규정정비규정정비규정 적용적용적용적용

국내국내국내국내 안전안전안전안전정비규정정비규정정비규정정비규정과제과제과제과제 착수착수착수착수

(’03.10~)

사업자

사업자

사업자

사업자////

한수원

한수원

한수원

한수원㈜㈜㈜㈜

규제규제규제규제((((

전문전문전문전문))))

기관기관기관기관

시범원전

이행계획서 개발(’04.7 ~ 12)

시범원전(2개원전) 이행

(’05.1~’06.6)

발전소별 정비규정 이행계획서 개발 및 보완

(’05.1~’06.12)

이행계획서이행계획서이행계획서이행계획서 및및및및 이행결과이행결과이행결과이행결과 적합성적합성적합성적합성 검토검토검토검토////검사검사검사검사(’04.7~’06.12) ※ 주기적 검토/검사

전체전체전체전체 대상설비대상설비대상설비대상설비2222 에에에에 정비규정정비규정정비규정정비규정 적용적용적용적용

취약설비이행계획서 개발 (’04.4~10)

14141414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정비규정 추진현황

정비규정정비규정정비규정정비규정 도입도입도입도입 기대효과기대효과기대효과기대효과

원전 주요 설비의 정비효과성을 향상시켜 기기의

고유성능유지 및 원자로 불시정지와 사고 유발을

최소화

정비체계 및 규제검사에 위험중요도의 개념을 활

용함으로써 성능기반, 위험도정보활용의 기틀을

구축

기기의 성능(신뢰도, 이용불능도 등) 관련 자료의

신뢰성을 확보하여 발전소고유 PSA의 품질 향상

15151515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정비규정 추진현황

현안현안현안현안 및및및및 토의토의토의토의 사항사항사항사항

정비규정정비규정정비규정정비규정 단계적단계적단계적단계적 도입방안도입방안도입방안도입방안 관련관련관련관련

“취약설비” 선정 범위 및 우선 적용시기?

전체 대상설비 확대 적용시기?

시범적용시범적용시범적용시범적용 방안방안방안방안 관련관련관련관련

시범적용 대상(노형별), 시기 및 활용방안?

제도화제도화제도화제도화 방안방안방안방안////시기시기시기시기 관련관련관련관련

전원전 이행이전 법적 장치 마련?

☞ 국내국내국내국내 정비규정정비규정정비규정정비규정 조기조기조기조기 정착을정착을정착을정착을 위한위한위한위한 유관기관유관기관유관기관유관기관 긴밀한긴밀한긴밀한긴밀한 협조협조협조협조 필요필요필요필요

☞ 해외해외해외해외 경험경험경험경험 적극적극적극적극 활용하여활용하여활용하여활용하여 시행착오시행착오시행착오시행착오 최소화최소화최소화최소화 필요필요필요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