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18
전국 초중등 학교 내 음악교육 활성화를 위한 음악프로그램 실태 조사 연구 * « 주제어: 음악교육, 음악합주 프로그램, 예술교육 활성화

Upload: -

Post on 29-Jul-2015

37 views

Category:

Documents


9 download

TRANSCRIPT

Page 1: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12. 제12권 제4호, pp. 497-514.

전국 초중등 학교 내 음악교육 활성화를 위한 음악프로그램 실태 조사 연구*

정현주, 김수지**(이화여자대학교)

<국문초록>

최근 예술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고조되면서 공교육 내 다양한 형태와 목표

를 위한 음악교육 프로그램이 활성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 음

악교육 활성화 분야인 학생 오케스트라, 합창, 뮤지컬, 그리고 밴드에 대하여 실태

및 운영 현황을 조사하고 기초 자료를 도출하여 향후 지속적인 음악교육 프로그램의

지원과 확대를 유도하는 데에 그 목표를 두었다. 조사 결과, 현재 전국의 초·중·고등

학교가 운영하고 있는 음악프로그램으로는 밴드, 합창, 오케스트라, 뮤지컬의 순으로

밴드 프로그램이 가장 많았으며, 참여하는 학생 수는 합창, 오케스트라, 밴드, 뮤지컬

의 순으로 합창 프로그램이 가장 많았다. 또한 연도별 창단비율은 모든 음악프로그

램이 2011년에 급격한 상승률을 보이며 신설되었으며, 그 중 밴드와 합창 프로그램

이 471개로 가장 많이 신설되었고, 오케스트라(352개), 뮤지컬(108개)의 순으로 창단

되었다.

본 연구 결과 공교육 내 음악교육 프로그램이 다양화되고 그 수요가 증가해 왔으

며, 그 운영 형태가 여러 측면에서 확장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방과후 음악교육 프

로그램이 시대적 변화와 학생들의 욕구와 선호도에 따라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현장 중심의 음악교육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환경

조성과 교사 재교육 및 전문가 양성 과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주제어: 음악교육, 음악합주 프로그램, 예술교육 활성화

Ⅰ. 서 론

음악은 인간의 감정과 생각을 표현하고 전달하는 수단이자 매개로서 다양한 형태

로 일상 속에 존재한다. 공교육을 실현하고 있는 학교에서는 이러한 음악을 교과목으

* 본 연구는 2012 교육과학기술부 예술교육 정책 활성화 사업의 일환으로 연구비를 지원받아

수행하였음.

** 교신 저자([email protected])

Page 2: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2(4)498

로 지정하여, 음악적 감수성을 키우고 그 미적 자산을 확대․발전시킴으로써 성장기

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기본 소양을 기르고 있다. 음악교과는 예술적 가치를 접하고

그 미적 가치 창출을 학습하여 인성적 소양과 정서적 성장을 유도하는 교과이다. 더

나아가 음악의 생활화를 통해 그 시대의 음악문화 발전에 직접적이며 바람직한 역할

을 담당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교과라고 할 수 있다(신종만, 2006).

우리나라는 19세기 말 근대학교가 설립된 이래 대부분의 학교에서 전체학생들을

대상으로 음악수업을 실시해 왔다. 경제발전을 중시하고 과학기술교육과 산업교육에

주력한 산업화사회에서는 음악교육을 포함한 예술교육을 경시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사회 각 분야가 급변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는 다양성과 창의성, 연계성과 포괄성이

핵심 가치로 대두됨에 따라 전인교육으로서의 음악교육은 매우 중요한 의미는 갖게

된다(양나래, 2012).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따라 음악교육의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는데 반해 학교 내

음악교과의 운영은 제도적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음악교과 시수를 살펴보면 2009년

교육과정 개편에 따라 초등학교의 음악교과 이수시간은 272시간, 중학교의 음악과 배

당 시간은 136시간으로 초등학교에 비해 주 2시간에서 주 1시간으로 조정되고 선택

교육과정으로 운영되는 고등학교에서는 예술교과군 이수단위가 10단위로 음악은 5단

위로 배정되어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11). 이와 더불어 ‘학교별 수업시수 20%로 자

율적 증감운영’과 ‘집중이수제’라는 새로운 제도로 인해 개정된 교육과정은 음악교과

의 목표를 이루는데 현실적인 제약에 직면하게 되었다(김진숙, 이미숙, 2012).

이러한 음악교과 시수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최근에 대두되고 있는 학생들의 인성

문제와 학교 폭력 등 학교 내 문제해결의 새로운 대안으로 예술교육의 필요성이 강

조되면서, 다양한 음악교육 지원 사업들이 활성화되었다(교육과학기술부, 2011). 이

러한 활동은 학교 내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는데, 크게 정규 학교교육과정에서 이루어

지는 수업과 정규교육 밖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으로 나눌 수 있다. 교육과정 내의 음

악활동으로는 정규 음악수업(교과)과 그 외에 계발활동, 재량활동, 특별활동 등이 있

고, 교육과정 외 활동으로는 방과 후 음악프로그램과 동아리 활동 등이 있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정규 음악수업이 창의력의 발현이나 능동적인 표현을 독려하고 있

음에도 불구하고, 순수하게 음악이라는 고유 영역 안에서만 다루어져 왔으며 지극히

개인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음악활동이 대부분이었다는 것이다(태진미, 2010).

2010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2010. 5.25~28, 서울)에서 창의성과 인성 함

양을 위한 핵심활동의 하나인 예술교육을 활성화 하고자 하는 ‘서울 아젠다(Seoul

Agenda)를 발표하였다. 이후 학교 현장에 적합한 예술교육 프로그램 지원에 대한 관

심이 고조되었고, 각 정부부처의 정책적 지원을 기반으로 지역사회 문화기반시설과

학교 연계체제를 구축한 학교 음악프로그램이 활성화 되었다. 특히 교육과학기술부는

2010년 7월에 문화체육관광부와 함께 ‘창의성과 인성 함양을 위한 초중등 예술교육

Page 3: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전국 초중등 학교 내 음악교육 활성화를 위한 음악프로그램 실태 조사 연구 499

기본방안’을 공동발표하고, 2011년부터 전국 단위의 체계적인 오케스트라 교육을 지

원하였다(석문주 외, 2011). 학생 오케스트라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창의성 및 인성 함

양을 위한 음악 프로그램의 지원은 다각적인 측면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는 합

창, 동아리, 뮤지컬, 밴드 등 다양한 장르에서 음악을 통한 예술교육이 진행되고 있

다.

학교는 교육과정 내의 음악교과로서 뿐만 아니라, 새로운 시대의 총체적 변화와

요구에 적절하고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구체적인 방안으로서 그 가능성과 성과를 보

여주고 있다(한혜정, 2012). 서구의 여러 나라에서도 학교 음악프로그램의 가시적인

성과를 발표하였으며, 우리나라 역시 최근 10여 년간 미래형 인재양성을 위해 학교에

서 다양한 음악 프로그램을 시행해오고 있다. 미국의 경우 학교 오케스트라는 1850년

대에 가장 먼저 미국 공립학교에서 현악기와 관악기로 이루어진 학교 앙상블(school

ensemble)의 형태로 시작되었다(Gillespie & Hamann, 1998; Keene, 1982). 표준 오케

스트라 뿐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기악 합주 활동은 학생들의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참여를 유발할 뿐 아니라 솔로가 아닌 협동 작업을 통해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

기술과 사회성 기술을 증진시킬 수 있다(남혜선, 2009; 이수정, 2009; 장기범 2005; 유

희영, 2010). 학생들의 잠재된 음악 능력을 계발하고 음악적 감수성을 함양할 뿐만

아니라 진로와 연계하여 전문 음악인으로 성장하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경

제적 제약으로 인해 악기 교육이나 합주에 쉽게 참여할 수 없는 소외 계층 학생들에

게 예술교육의 균등한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정수현, 2012; Bartleet, 2012; Chong &

Kim, 2010; Evans, 2012; Whitehill, 1969).

오케스트라와는 다른 유형의 학교 합주로는 록밴드를 들 수 있다. 학교 내 밴드

활동의 형태는 기존의 음악 교육과 달리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모여서 활동하는 형태

로 전개되었다. 현재는 매스컴의 영향으로 음악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이 더욱 집중되

면서 학생들의 밴드활동 참여가 증가하고 있다(최우혁, 2012). 이에 학교에서는 여러

형태 밴드를 융통성 있게 운영함으로써 참여하는 학생들은 직접적인 음악활동을 통

해 음악적 잠재력을 계발하고, 직접 참여하지 않는 학생들은 공연 실황을 관람함으로

써 예술체험의 기회를 갖게 되었다(Gouzouasis & Henderson, 2012). 주로 중고등학

교에서 운영되며 강렬한 음악 체험을 통해 학생들의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 해소와

억압된 자기표현을 가능하게 하고 음악 창작의 희열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

(Hoffman & Carter, 2012; Martin, 2012). 청소년 시기에 인식하게 되는 지배문화에

대한 저항과 거부를 악기의 증폭된 사운드와 강한 메시지를 담은 가사 등을 통해 표

출하기도 한다. 밴드음악은 기본적으로 타인의 소리를 경청하면서 적절한 조화를 이

루어야 하기 때문에, 이를 통해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 기술과 사회성 기술을 증

진시킬 수 있다(김유정, 2012; Hoffman, 2012; Metsäpelto & Pulkkinen, 2012).

합창교육 역시 인성적인 측면이 매우 큰 음악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학생들

Page 4: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2(4)500

에게 노래하는 기술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음악의 본질을 이해하고 노래하는 즐거

움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류미해, 2009). 노래는 음악과 언어의

결합체이며 대중문화에 민감한 학생들에게 접근하기에 용이한 매체이다(김숙조,

2007). 노래를 부르는 것은 인지와 감정을 동시에 자극하고 개인의 생각과 느낌에 대

한 표현을 풍부하게 하며, 감정과 생각의 변화를 보다 구체적으로 이끌어 낸다. 특히

자신의 목소리를 직접 사용하는 노래활동은 자아를 표현하고 자아개념을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Chong, 1999). 더욱이 여러 성부들이 조화롭게 앙상블을 이루

는 합창 활동은 음악 경험의 공유를 통해 음악적인 성장뿐만 아니라 전인적인 성장

을 촉진한다(김명한 외, 2011). 또한 학교 음악 환경에서 합창은 기악 활동에 비해 학

생들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어 공교육 실현이 용이하다.

합창 활동의 교육적 가치와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개인의 다양한 음색

을 활용한 표현 활동은 긍정적인 자아상, 협동심, 배려심, 책임감 등의 향상을 가져옴

을 알 수 있다(Mursell & Glenn, 1995; Parker, 2010; Roinson & Winold, 2000). 목소

리의 직접적인 사용은 자기 내면에 대한 깊은 이해를 토대로 학생들 각자의 개별성

과 전체성의 균형적인 발달을 유도하고, 집단 활동으로서의 합창 활동은 학생들의 사

회성 발달에 도움을 준다(허은선, 2007). 더욱이 학교와 지역사회가 연계한 합창활동

은 지역사회 축제 참여, 봉사활동 등 다양한 형태로 활성화 될 수 있으며, 이는 즐거

운 학교 문화 조성과 함께 사회통합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윤성원, 2012).

마지막으로 학교 뮤지컬도 종합 예술 형태의 프로그램으로 점차 그 수요가 증가하

고 있다. 학교 뮤지컬은 경직되고 획일적인 교과서 중심의 교육 형태에서 벗어나 다

양한 장르를 통합한 종합예술로서의 뮤지컬 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풍부한 정서와 창

조성을 길러 전인적인 교육을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김영미, 2011). 학생들의 기

초생활습관의 형성, 공동체 의식 함양, 개성과 소질의 발현에 중점을 두며 예술교육

을 강조하는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문예, 국악, 교육연극과 함께 뮤지컬 활동을

교육과정의 한 영역으로 포함하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09). 학교 뮤지컬의 교육적

효용성은 참여하는 학생들의 자기표현력 향상, 타인의 이해 증진, 예술적 상상력 개

발, 문학작품의 이해력 향상, 학습에 대한 동기 유발, 타 교과와의 연계를 통한 학업

성취 효과, 제한된 환경 속에서의 문제 해결 능력 향상, 공동체 활동 체험, 긴장 해소

학습, 비판력과 집중력 신장 등에 있다(박찬수, 2011; 양종모, 2012). 이처럼 학교 현

장에서의 뮤지컬 교육은 학생들의 개성표현 및 자아실현뿐만 아니라 공동체적 인간,

창조적이고 생산적이며 건강한 인간으로의 성장을 촉진한다(남지영, 2012).

이와 같은 학교 내 다양한 형태의 음악프로그램들은 교과 과정에서의 제한적인 접

근을 벗어나 음악매체를 통한 내적 변화를 유도하고자 하는데 그 공통점이 있으며

이를 통한 집단 연주 경험은 학생들 간의 사회적 교류가 자신들의 공통관심사 안에

서 언어적, 비언어적으로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현재 방과 후 음

Page 5: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전국 초중등 학교 내 음악교육 활성화를 위한 음악프로그램 실태 조사 연구 501

악프로그램에 대한 보고들이 부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2012년 이후 정부 지원

하에 이루어지고 있는 학교 내 오케스트라, 밴드, 합창, 뮤지컬에 대한 정확한 현황에

대한 자료는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 음악프로그램의 현황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정책적으로 또 제

도적으로 보다 효율적인 음악 교육 정책에 필요한 기초자료와 사업 활성화에 필요한

근거를 마련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실시되고 있는 학교 음악

프로그램의 현황을 규명하기 위해 학교 오케스트라, 학교 밴드, 학교 합창, 학교 뮤지

컬의 시도별, 학년별, 규모별, 창단년도별 추이를 살펴보았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및 연구 절차

본 연구 대상 학교 선정을 위해 2011년 10월 교육과학기술부 창의인성교육과의 협

조 하에 16개 시도교육청에 공문이 전달되었으며, 각 교육청의 담당 장학사들은 해당

시도에 있는 전체 학교로부터 오케스트라, 밴드, 합창, 뮤지컬 프로그램에 관한 실

행 현황에 대한 정보를 취합하였다. 현황조사에 포함된 내용은 학교에서 운영중인 오

케스트라/밴드/합창/뮤지컬의 4가지 유형에 따라 1)시도 2)학년, 3)규모, 4)창단년도에

관한 정보가 수집되었다. 현재 학교에서 운영 중인 음악 합주 및 합창 프로그램은 총

4332개로 취합되었으며, 이 중 130개는 미완성이거나 정보누락으로 인해 분석에서 제

외되어서 최종 4202개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2. 자료 분석

수집된 자료는 학교에서 운영 중인 오케스트라/밴드/합창/뮤지컬의 4가지 유형의

시도별 분포, 학년별 분포, 규모별 분포, 창단년도별 추이의 4개 항목으로 나뉘어져

분석되었다. 그 중 오케스트라의 경우에는 1개 항목을 추가하여, 오케스트라 유형별

분포에 대해서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내용을 보면 첫째, 전국 학교에서 운영 중인 음악합주 프로그램의 분포를 알

아보고자 16개 시도별 분포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둘째, 각 합주 프로그램에 참여하

는 학생들의 학년별 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그리고 기타

(관내학교 및 특수학교)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기타의 경우 초중고등 학교가 1개의

프로그램으로 함께 운영되어 있기 때문에 분리되어 처리되었다. 이 항목은 학년별로

오케스트라, 밴드, 합창, 뮤지컬 프로그램의 선호가 어느 학년 군에서 높은지를 알아

Page 6: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2(4)502

보는데 필요한 자료로 활용 될 수 있다.

셋째, 규모별 분포는 해당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단원수(학생수)를 기준으로 하였

다. 오케스트라와 합창의 경우 대규모가 많으므로 10명로 한 구간으로 나누었으며,

밴드와 뮤지컬의 경우에는 5명을 한 구간으로 설정하여 분류하였다. 규모에 따른 지

역별, 학년별 분포는 음악합주 프로그램에 대한 지역별 관심과 지원 현황을 파악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넷째, 창단년도별 추이의 경우에는 년도별로 해당 프로그램들이 창단되고 있는 비

율을 보여준다. 정부지원을 기점으로 지원에 따른 합주프로그램 수의 증감을 파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시간 흐름에 따른 합주프로그램의 관심도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최근 들어 창단된 프로그램의 특성에서 반영되고 있는 학교현장의 수요 및 선호 프

로그램을 알 수 있는 자료로 활용 될 수 있다.

Ⅲ. 연구 결과

2012년 전국 초중등 공립학교에서 운영 중에 있는 오케스트라/밴드/합창/뮤지컬 음

악프로그램 총 개수는 4202개로 이번 전수조사에서 산출되었으며, 여기에는 초․중․

고등학생 총 141,362명이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 전국 음악프로그램 시도별 분포

16개 시도교육청 산하 운영 중인 학교의 음악프로그램 시도별 분포를 살펴보면

<표 1 >과 같다. 학교 오케스트라의 경우 전체 1,113개 학교 오케스트라 중 충남이

193(17.3%)로 가장 높은 수를 운영 중에 있으며, 그 다음은 경기 154개(13.8%), 경남

116개(10.4%), 대구 111개(10%)로 전국적으로 운영학교 수가 많은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적 특성에 따라 제주를 제외하면 경북 16개(1.4%), 울산 25개(2.2%), 광주 30개

(2.7%), 강원 33개(3.0%) 등이 오케스트라 운영이 상대적으로 낮음을 알 수 있다.

밴드프로그램의 경우 경남이 183개(12.6%)로 가장 많은 수의 학교가 분포되어 있으

며, 전남이 140개(9.6%), 부산이 136개(9.3%)로 그 다음 빈도로 학교 밴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합창 프로그램은 전국적으로 총 1455개에 달한다. 16개 시도교육청 중에서 경남이

183(12.6%)로 가장 높은 수를 운영하고 있으며, 그 다음은 전남 141개(9.7%), 부산

138개(9.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경북은 33개(2.3%)로 제주지역 보다 더 낮은 수

치가 나타난 지역적으로 이 분야에서 다른 지역에 비해 취약한 측면을 보였다.

뮤지컬의 경우 전국 177개 운영학교의 시도별 분포는 경기가 55개(31.1%)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나고 있으며, 서울이 28개(15.8%)로 2순위를 나타냈으며, 그 다음으

Page 7: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전국 초중등 학교 내 음악교육 활성화를 위한 음악프로그램 실태 조사 연구 503

로는 경남 17개(9.6%), 부산 15개(8.5%), 인천 13개(7.3%)로 운영학교수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1> 전국 음악프로그램 시도별 분포 단위: 개교(비율)

시도오케스트라 밴드 합창 뮤지컬

N(%) N(%) N(%) N(%)

수도권

서울 83(7.5) 132(9.1) 132(9.1) 28(15.8)

인천 40(3.6) 72(4.9) 74(5.1) 13(7.3)

경기 154(13.8) 123(8.4) 120(8.2) 55(31.1)

중부권

대전 57(5.1) 43(3.0) 42(2.9) 4(2.3)

강원 33(3.0) 85(5.8) 85(5.8) 3(1.7)

충북 38(3.4) 67(4.5) 67(4.6) 5(2.8)

충남 193(17.3) 106(7.3) 101(6.9) 7(4.0)

호남권

광주 30(2.7) 52(3.6) 52(3.6) 6(3.4)

전북 47(4.2) 128(8.8) 127(8.7) 3(1.7)

전남 57(5.1) 140(9.6) 141(9.7) 10(5.6)

제주 8(0.7) 39(2.7) 39(2.7) 0(0.0)

영남권

부산 105(9.4) 136(9.3) 138(9.5) 15(8.5)

대구 111(10.0) 75(5.1) 76(5.2) 7(4.0)

울산 25(2.2) 44(3.0) 45(3.1) 4(2.3)

경북 16(1.4) 32(2.2) 33(2.3) 0(0.0)

경남 116(10.4) 183(12.6) 183(12.6) 17(9.6)

계 1113(100.0) 1457(100.0) 1455(100.0) 177(100.0)

가. 세부 유형별 분포: 오케스트라

오케스트라의 경우 여러 형태로 구성되어 세부유형별 분포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

였다 (<표 2>, [그림 1] 참고). 전체 1113개 오케스트라에서 표준형 오케스트라가 차

지하는 비율은 758개 68.1%로 절반이 넘는다. 그 다음은 윈드 오케스트라로 129개

(11.6%), 현악 84개(7.5%)가 3순위로 나타났다. 전체에서 국악 유형의 오케스트라가

차지하는 비율은 120개(10.8%)에 이른다. 기타로 응답한 학교들의 경우, 합창이나 밴

드 등의 프로그램으로 오케스트라와 합주하는 형태이며 유형에 합주로만 표기해 놓

은 경우도 있었다.

Page 8: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2(4)504

<표 2> 학교 오케스트라 유형별 분포

유형 개수(N) 비율(%)

표준 758 68.1

윈드 129 11.6

현악 84 7.5

타악 앙상블 9 0.8

국악

관현악단 47 4.2

현악합주 21 1.9

관악합주 23 2.1

타악합주 29 2.6

기타 13 1.2

계 1113 100.0

[그림 1] 학교 오케스트라 유형별 분포

2. 전국 음악프로그램 학년별 분포

전국적으로 운영 중인 학교 내 음악프로그램들의 학년별 분포는 <표 3>와 같다.

총 1113개의 오케스트라 프로그램은 초등학교가 517개(46.5%)로 절반에 가까운 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중학교는 357개(32.1%), 고등학교 230개(20.7%), 기타학교 9개

(0.8%)로 분포되어 있다. 전국 1457개 밴드 프로그램의 학년별 분포의 경우 고등학교

가 가장 높은 순위로 710개(48.7%)를 차지하고 있으며, 중학교가 564개(38.7%), 초등

학교가 178개(12.2%)이다. 밴드 프로그램은 주로 고학년에서 더 높은 비율을 차지하

Page 9: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전국 초중등 학교 내 음악교육 활성화를 위한 음악프로그램 실태 조사 연구 505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합창 프로그램은 총 1455개로 조사되었으며 이중 절반에 가까운 709개가(48.7%)

고등학교에 있으며, 중학교 563개(38.7%), 초등학교 180개(12.4%)순으로 나타났다.

뮤지컬 프로그램의 학년별 분포를 살펴보면, 초등학교 51개(28.8%), 중학교 55개

(31.1%), 고등학교 70개(39.5%)로 고등학교에서 가장 높게 실행 중인 것으로 나타났

다. 전체적으로 오케스트라 프로그램이 초등학교에 편중되어 있는데 반해 밴드와 합

창프로그램은 고등학교에서 많이 운영되고 있으며, 뮤지컬의 경우 비교적 초․중․고

등학교의 고른 분포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표 3> 전국 음악프로그램 학년별 분포

단위: 개교(비율)

학년오케스트라 밴드 합창 뮤지컬

N(%) N(%) N(%) N(%)

초등 517(46.5) 178(12.2) 180(12.4) 51(28.8)

중등 357(32.1) 564(38.7) 563(38.7) 55(31.1)

고등 230(20.7) 710(48.7) 709(48.7) 70(39.5)

기타

(대안/특수)9(0.8) 3(2) 3(0.2) 1(6)

계 1113(100.0) 1457(100.0) 1455(100.0) 177(100.0)

3. 전국 음악프로그램 창단년도별 분포

학교에서 운영 중인 1113개의 오케스트라의 창단년도는 2011년에 352개(31.6%)가

신설되어 가장 급격한 상승률을 보였다(<표 4> 참고). 또한 그 전년도인 2010년에도

116개(10.4%)로 두 번째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이를 볼 때, 시간에 따라 학

교에서 오케스트라 프로그램이 창단되고 있는 추세임을 알 수 있다. 학교에서 운영

중인 음악프로그램 중 밴드의 경우도 다른 프로그램들과 마찬가지로 2011년에 신설

된 비율이 가장 높다. 2011년에 총 1457개 중 471개인 32.3%가 신설되었으며, 2010년

에는 187개(12.8%)가 신설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합창 프로그램 역시 다른 음악 프로그램들과 마찬가지로 2011년에 471개인

전체 32.4%가 신설되었으며, 2008년부터 높은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학교에서 운

영 중인 뮤지컬 프로그램들은 2009년에 15개(8.5%), 2010년에는 23개(13%)로 점점

증가되고 있는 분야로 산출되었다. 특히 2011년에는 108개(61.0%)가 신설되어 매우

급격하게 증가된 현상을 보였다.

Page 10: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2(4)506

<표 4> 전국 음악프로그램 창단 연도별 분포

단위: 개교(비율)

년도오케스트라 밴드 합창 뮤지컬

N(%) N(%) N(%) N(%)

1999년 이전 210(18.9) 193(13.2) 193(13.3) 6(3.4)

2000년 26(2.3) 34(2.3) 33(2.3) 2(1.1)

2001년 23(2.1) 33(2.3) 33(2.3) 1(0.6)

2002년 22(2.0) 25(1.7) 25(1.7) 1(0.6)

2003년 14(1.3) 23(1.6) 23(1.6) 0(0.0)

2004년 38(3.4) 32(2.2) 32(2.2) 1(0.6)

2005년 45(4.0) 56(3.8) 56(3.8) 3(1.7)

2006년 46(4.1) 47(3.2) 47(3.2) 2(1.1)

2007년 49(4.4) 83(5.7) 83(5.7) 8(4.5)

2008년 75(6.7) 119(8.2) 118(8.1) 7(4.0)

2009년 97(8.7) 153(10.5) 153(10.5) 15(8.5)

2010년 116(10.4) 187(12.8) 185(12.7) 23(13.0)

2011년 352(31.6) 471(32.3) 471(32.4) 108(61.0)

계 1113(100.0) 1457(100.0) 1455(100.0) 177(100.0)

4. 음악프로그램 규모별 분포

학교에서 운영 중인 오케스트라의 단원수 규모는 10명 이하에서부터 100명이 상의

단원 수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크기로 운영되고 있었으며, 그 분포는 [그림 2]와

같다. 단원수가 21명 이상 30명 이하의 구간이 19.8%인 220개로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31명 이상 40명 이하의 구간이 2순위인 209개(18.8%), 41명 이상 50

명 이하의 구간이 183개(16.4%)로 3순위, 51명 이상 60명 구간이 120개(10.8%)로 4순

위로 나타나 학교의 오케스트라 규모는 전체적으로 20명에서 60명 사이로 나타났다.

[그림 2] 학생오케스트라 규모별 분포

Page 11: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전국 초중등 학교 내 음악교육 활성화를 위한 음악프로그램 실태 조사 연구 507

전국에서 운영 중인 1,467개 밴드 프로그램의 단원수 규모는 16명 이상 20명 이하

가 418개(28.7%)를 차지하고 있으며, 11명 이상 15명 이하가 385개(26.4%)로 그 다음

으로 높게 나타났다([그림 3]참고). 이 중 가장 크게 61명 이상으로 구성된 밴드를

가진 학교가 21개(1.5%)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1,457개교 운영학교에 소속

된 학생수는 총 24,870명이며 밴드의 평균규모는 17명으로 산출되었다.

[그림 3] 학교 밴드 규모별 분포

전국 초․중․고등학교에서 운영되고 있는 합창 프로그램의 단원수의 규모를 살펴

보면, ‘31∼40명’이 28.8%로 가장 높은 구간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다음 순위가 ‘21∼

30명’의 구간으로 26.4%, ‘41∼50명’의 구간이 21.3%로 그 다음 순위를 보이고 있어

전체적으로 ‘21∼ 50명’의 규모로 운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림 4].

[그림 4] 학교 합창 규모별 분포

Page 12: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2(4)508

학교 뮤지컬 단원의 규모별 분포를 살펴보면, ‘16명 이상 20명 이하’의 구간이 51개

(28.8%)로 가장 높은 구간을 차지하고 있으며, ‘21명 이상 25명 이하’의 구간이 33개

(18.6%), ‘11명 이상 15명 이하’의 구간이 32개(18.1%)로 집계되었다. 177개교에 참여

하는 전체 학생 수는 총 4067명이며, 뮤지컬 평균 단원수는 23명인 것으로 산출되었

다 [그림 5].

[그림 5] 학교 뮤지컬 규모별 분포

IV. 결론 및 논의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시행되고 있는 방과후 음악프로그램의 현황에 대한 조사

를 통해 음악교육 활성화 정책 수립 및 추진에 필요한 기초자료와 근거를 마련하고

자 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 음악프로그램의 종류에 따른 시도별, 학년별, 규모별, 창

단년도별 추이를 살펴볼 수 있었으며, 네 가지 형태의 음악프로그램의 운영 및 개별

프로그램 규모와 운영 내용에 대한 흐름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

으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전국에서 운영 중인 음악프로그램을 비교해 본 결과, 프로그램 개수는

밴드가 가장 많았지만 개별적으로 참여 인원(평균 17명)이 적은 관계로 실제 전체 참

여 학생수는 합창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밴드의 경우 최근 신설하는 학교가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학생들의 음악 취향이나 소그룹 활동에 대한

선호를 반영하는 추이와 학년이 높아질수록 학생들의 참여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참여 학생들의 학년별 참여 음악프로그램을 살펴보면, 비교적 대규모이며 다

양한 악기를 경험할 수 있는 오케스트라의 운영이 초등학교에서 적극적으로 이루어

지고 있는 반면, 음악 또는 장르 선호나 개인별 음악성 등이 요구되는 밴드나 뮤지컬

이 고등학교에서 많이 운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학생들의 신체적, 인지적

Page 13: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전국 초중등 학교 내 음악교육 활성화를 위한 음악프로그램 실태 조사 연구 509

발달 뿐 아니라 심리적 발달의 특성을 고려한 적절한 수준의 음악활동이 학생들에게

선호됨을 알 수 있으며, 학년별 발달심리적 특징을 감안한 다양한 음악프로그램의 필

요성을 시사한다.

셋째, 분석된 자료들을 보면 음악프로그램에 대한 수요의 지속적인 증가추이를 발

견할 수 있는데, 이는 정부차원의 지원과 때를 같이하여 신설 음악프로그램의 급격한

상승률을 보이고 있다. 이 시기는 교육과정 개정 및 집중이수제로 인해 교육과정 내

음악 교육 목표 달성에 어려움이 나타남에 따라, 교과 외 시간을 활용한 방과후 음악

프로그램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학교예술교육지원이 이루어진 시기와 맞물린다. 공

교육의 특성상 제도적 차원의 지원이 학생들의 음악활동 참여기회 확대에 커다란 영

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을 뿐 아니라, 학교현장의 예술교육 수요에 맞추어 정부

차원의 예술교육 지원정책이 확대, 정착되어야 할 시사점을 제시한다.

위의 결론을 바탕으로 효율적 정책지원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 심리적 특성을 고려한 음악프로그램의 콘텐츠 개발의 필요

예술교육 지원 정책은 학생들의 음악적 잠재력과 감수성, 창의성, 사회성 등의 계

발을 가능하게 하며, 음악성 신장의 수준을 넘어 음악을 역사적, 사회적, 문화적 맥락

속에서 폭넓게 이해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한다(민경훈 외, 2010). 예술교육 지원 정

책을 중심으로 보다 다양하고 확장된 프로그램들이 학교 현장에 개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2012년부터는 주 5일제가 전면적으로 시행되면서 정규 학교수업에서 경험할

수 없는 교육 프로그램이 토요 스쿨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고 있다. 이는 곧 학교 교

과 이외의 음악 프로그램이 앞으로 더욱 활성화될 것을 의미한다.

둘째, 학생들의 문화생활 지원 강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

방과 후 음악프로그램들이 각 학교에서 학생들을 위한 문화생활로서 정착될 수 있

도록 지원해야 한다. 창의성 계발, 다양화, 특성화를 목표로 하는 교육이 중요시 되는

시기에, 방과 후 음악교육 프로그램은 사회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사회의 양

극화 완화, 예술교육에 따른 사교육비 감소를 유도할 수 있으며 학생들을 위한 방과

후 문화로 정착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다. 학교 내 자원은 물론 지역사회의 다양한

인적, 물적 인프라와의 연계는 보다 질 높고 풍부한 예술 활동을 지지해줄 수 있다.

또한, 집단 음악활동에의 참여를 통한 문화시민으로서의 사회성과 자질의 개발은 성

인으로 성장한 뒤에도 지속적인 사회적 상호작용의 밑거름이 될 뿐 아니라, 개인적

차원의 문화생활 영유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셋째, 학교 음악프로그램 환경 구축 및 전문가 연수 활성화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음악프로그램의 지속적인 확대 뿐 아니라 최근

의 급격한 증가추세는 음악프로그램에 관련된 전문 인력과 시설, 자료 등의 수요 급

증을 불러올 수 있다.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어 공교육 시스템 내에 다양한 음악프로

Page 14: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2(4)510

그램들이 자리 잡을 수 있는 제도적인 뒷받침이 요구되며, 특히 학생들 대상으로 하

는 전문적인 프로그램인 점을 감안하여 교사 재교육, 교사 연수, 예술 강사 교육 등

의 인력풀 개발과 악보 및 프로그램 콘텐츠 보급 등과 함께 학생들의 인성함양을 유

도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의 양성도 함께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다. 이와 함께, 음

악프로그램 지도자의 전문성과 자격 조건에 관한 현황 조사 등이 추후에 이루어진다

면 급증하는 강사 수요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전국 초, 중, 고등학교 대상 음악합주 실태조사를 통해 사회 변화의 흐

름에 발맞춘 교육현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었으며,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공교육

현장에 적합한 효율적인 프로그램의 구성 및 제반 환경을 구축하는데 실질적인 정보

를 제공 할 수 있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향후 각 합주 프로그램 별 실태 조사 뿐 아

니라, 합주 참여 학생들의 다양성 및 관련 성과들을 중심으로 추후 조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학생들의 음악합주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요구된다.

Page 15: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전국 초중등 학교 내 음악교육 활성화를 위한 음악프로그램 실태 조사 연구 511

참고문헌

교육과학기술부(2009). 2009개정 교육과정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과학기술

부 고시 제 2009-41호.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2011).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

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교육과학기술부.

김명환 외(2011). 합창과 인성교육: 합창을 통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교정담론,

5(2); 267-292.

김숙조(2007). 청소년들의 인성변화를 위한 합창지도 모형 개발. 경남대학교 교육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김영미(2011). 중등음악 교육에서의 음악극 활동에 대한 연구 : 협동학습 에 의한 창

의적 음악 활동. 음악교육공학, 13, 115-133.

김유정(2012). 학생 밴드족의 하위 문화적 저항.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김진숙, 이미숙(2012). ‘이수’를 중심으로 한 교과 집중이수제 분석과 발전 방안 탐색.

교육과정연구, 30(1), 125-149.

남지영(2012). 학교 뮤지컬 교육 운영 방안 연구. 음악교육공학, 14; 61-79.

남혜선(2009). 청소년 오케스트라의 합주활동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연구. 이화여자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류미해(2009). 합창교육의 단계별 학습과정 개발을 위한 질적 연구. 음악교육공학,

9, 19-33.

민경훈 외(2010). 음악교육학 총론. 서울: 학지사.

박찬수(2011). 뮤지컬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제작과정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석문주 외(2011). 학교 음악예술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초등학교와 중학교 학생들의

음악예술향수에 대한 시태 및 요구분석. 예술교육연구, 9(1); 1-22.

신종만(2006). 일반계 고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 변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양나래(2012). 포괄적인 음악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

원 석사학위 논문.

양종모(2012). 음악 단체 활동이 인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인식 조사. 음악교육연

구, 41(2); 227-255.

유희영(2010). 관현악 합주활동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교육적 효과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성원(2012). 초․중등학교 합창 교육 운영 시스템 설계. 음악교육공학, 14, 81-98.

Page 16: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2(4)512

이수정(2009). 사교육 수요와 학업 성과에 영향을 학교 특성 분석. 교육재정경제연

구, 18(4); 179-206.

장기범(2005). 오케스트라 활동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음악과비평, 4(4); 5-13.

정수현(2012).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지원하는 서울·경기 지역 학생오케스트라의 운영

실태조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우혁(2012). 학생밴드 운영매뉴얼. 학교예술교육지원센터. 미간행

태진미(2010). 문화예술교육 정책실현을 위한 학교음악교육의 개선과제. 예술교육연

구, 8(2); 65-79.

한혜정(2012). 교과 중점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현황 및 내실화 방안. 교육과

정연구, 30(1); 99-124.

허은선(2007). 바람직한 학교합창교육 및 합창단 운영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Bartleet, B. L. (2012). Building vibrant school–community music collaborations:

three case studies. Australia. British Journal of Music Education, 29(1),

45-63.

Chong, .H. J. (1999). Vocal timbre preference in children. In Phenomenon of

Singing International Symposium Proceedings Ⅱ. Memorial University

Press.

Chong, .H. J. & Kim, S. J. (2010) Education-oriented Music Therapy as an

after-school program for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The Arts in Psychotherapy, 37(3), 190-196.

Evans, C. B. (2012) A study on factors that influence instrumental music

programs in secondary schools. Master's Thesis. East Carolina University.

Gillespie, R., & Hamann, D. L. (1998). The status of orchestra programs in the

public schools.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 46(1), 75-86.

Gouzouasis, P. & Henderson, A. (2012). Secondary student perspectives on musical

and educational outcomes from participation in band festivals. Music

Education Research, 17, 1-20.

Hoffman, A. R. & Carter, B. A. (2012) Representin' and disrespectin':

African-American wind band students' meanings of a composition-based

secondary music curriculum and classroom power structures. Music

Education Research. 31, 1-16.

Keene, J. A. (1982). A history of music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Hanover,

NH: University Press of New England.

Metsäpelto, R. L. & Pulkkinen, L. (2012). Socioemotional behavior and school

Page 17: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전국 초중등 학교 내 음악교육 활성화를 위한 음악프로그램 실태 조사 연구 513

achievement in relation to extracurricular activity participation in middle

childhood. Scandinavi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56(2), 167-182.

Mursell, J. L. & Glenn. M. (1995) The Psychology of School Music Teaching. 한

국음악교재연구회 역. 음악교육심리학. 서울: 세광출판사.

Parker, E. C. (2010). Exploring student experiences of belonging within an urban

school choral ensemble: An action research study. Music Education

Research. 12(4), 339-352.

Roinson, R. & Winold A. (2000). Choral Method. 허윤 역. 합창문헌. 서울: 교보문

고.

Whitehill, C. D. (1969). Sociological conditions which contributed to the growth of

the school band movement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 17(2), 179-192.

논문 접수: 2012년 10월 24일

논문 심사: 2012년 11월 15일

게재 승인: 2012년 12월 15일

Page 18: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2(4)514

<ABSTRACT>

Anationwide survey of the music programs implemented in

public schools

Chong, Hyun Ju․Kim, Soo Ji(Ewha Womans University)

With the increased understanding of the educational and emotional power of the

arts education, various music programs are being implemented in public school

setting. This study reports on a nationwide survey of the government-supported

music programs in public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and further examined

current status of school music programs in order to formulate further strategic

direction. Target music programs analyzed in this study were student orchestra, choir,

band, and musical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Findings indicated that the

highest number of schools offered band programs followed by choir, orchestra, and

musicals sequentially. Highest number of students participated in choir, followed by

orchestra, band, and musical. As the government funding started in 2011, the number

of all four music programs was dramatically increased shown as 32.3% of new band

program and 32.4% of choir programs were established in the same year.

Overall, the results showed gradual increase of diverse music programs as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the expansion of programs with increasing number of

participating students. Results highlight clear implications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program contents to meet students’ interests and needs in public school-settings.

In addition, continued education of teachers and training of music professionals should

be considered to bring ultimate success of these music programs.

« Key words: music education, group music program, activation of arts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