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ø3i$À?Ü e/ 1 != 60 p#*e*8 ¸+¨ # #4@ l#1 &|...

38
- 79 -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 21 No. 2 (2006) pp.79~116 Korean Association of Industrial Business Administration 조직문화, 경영전략, 첨단 생산기술과 관리회계 정보간의 상호관련성 및 인과관계* ** <> 본 연구는 조직문화, 경영전략과 첨단 생산기술의 관리회계 정보특성에 대한 복합적인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상황변수들과 관리회계정보의 제공정도 간의 관련 성을 규명하였으며, 상황변수들에 적합한 관리회계정보의 제공이 더 높은 성과개선을 가져오는지 를 검정하였다. 분석결과, 관료적 문화는 전통정보의 제공정도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혁신적 지원적 문화와 최신정보간의 양의 상관관계가 유의적이었다. 경영전략 및 생 산기술과 정보 제공정도간의 관계분석에서는 차별화 전략과 첨단 생산기술이 전통 및 최신 정보 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원가전략과 관리회계정보간에는 유의적인 관계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화 방정식 모형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연구변수들 간의 인과관 (영향관계)가 검정되었다. 조직문화는 기업이 채택하는 첨단 생산기술에 양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조직문화의 경영전략에 대한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조직문화 는 관리회계정보의 제공정도에도 양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며, 첨단 생산기술 또한 관리회계정 보의 제공정도에 양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집락분석의 결과로써 상황 변수들에 적합한 관리회계정보의 제공은 기업성과 개선에 기여한다는 것도 입증되었다. 한글 색인어 : 조직문화, 관리회계정보, 첨단 생산기술, 경영전략, 전통정보, 최신정보, 기업성과 논문접수 : 2005. 9 게재확정 : 2006. 1 * 본 논문은 성곡학술문화재단의 지원으로 작성되었음. **경북대학교 경영학부 교수(E-mail : [email protected])

Upload: others

Post on 23-May-2020

6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79 -

Journal of Business ResearchVol. 21 No. 2 (2006) pp.79~116Korean Associationof Industrial Business Administration

조직문화, 경영전략, 첨단 생산기술과

관리회계 정보간의 상호관련성 및 인과관계*

최 종 민**

<요 약>

본 연구는 조직문화, 경 략과 첨단 생산기술의 리회계 정보특성에 한 복합 인 향을

실증 으로 분석하 다. 본 연구에서는 먼 , 상황변수들과 리회계정보의 제공정도 간의 련

성을 규명하 으며, 상황변수들에 합한 리회계정보의 제공이 더 높은 성과개선을 가져오는지

를 검정하 다. 분석결과, 료 문화는 통정보의 제공정도와 양의 상 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 지원 문화와 최신정보간의 양의 상 계가 유의 이었다. 경 략 생

산기술과 정보 제공정도간의 계분석에서는 차별화 략과 첨단 생산기술이 통 최신 정보

와 유의한 양의 상 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원가 략과 리회계정보간에는 유의 인

계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화 방정식 모형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연구변수들 간의 인과

계( 향 계)가 검정되었다. 조직문화는 기업이 채택하는 첨단 생산기술에 양의 유의한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조직문화의 경 략에 한 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조직문화

는 리회계정보의 제공정도에도 양의 유의 인 향을 미치며, 첨단 생산기술 한 리회계정

보의 제공정도에 양의 유의한 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집락분석의 결과로써 상황

변수들에 합한 리회계정보의 제공은 기업성과 개선에 기여한다는 것도 입증되었다.

한 색인어 : 조직문화, 리회계정보, 첨단 생산기술, 경 략, 통정보, 최신정보,

기업성과

논문 수 : 2005. 9 게재확정 : 2006. 1

* 본 논문은 성곡학술문화재단의 지원으로 작성되었음.

**경북 학교 경 학부 교수(E-mail : [email protected])

2 經 營 硏 究 第 21 卷 第 2 號

- 80 -

I. 서 론

리회계정보시스템의 설계문제는 많은 학자들이 오래 부터 연구를 하여왔다. 리회계

정보시스템은 제조기업의 생산 활동을 계획, 통제하고 평가함에 있어서 경 자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유형의 정보를 산출, 제공하는 기업 내의 핵심 정보시스템이다(Bruggeman

and Slagmulder, 1995). 그러나 리회계정보시스템이 어떤 유형의 정보를 산출할 것인지는

여러 가지 기업내외의 상황변수들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선행 연구들은 외

부환경, 기업 략, 생산기술, 조직구조, 업무특성과 정보이용자 특성 같은 상황변수들 하에

서 리회계정보의 특성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규명하 으며, 정보제공이 기업성과에 미

치는 향도 입증하 다( : Chenhall and Morris, 1986; Gul and Chia, 1994; Choe, 1998;

Sim and Killough, 1998). 여러 가지 상황변수들 하에서 기업성과 증진에 이바지할 수 있는

한 리회계정보의 유형들이 무엇인지를 선행 연구들이 실증 으로 제시하 다.

앞선 연구들에서 기업내 인 상황변수로 분류된 것이 경 략, 생산기술 는 업무특

성과 조직구조이며 정보이용자 특성은 개인수 의 상황변수로 볼 수 있다. 선행 연구들은

이러한 상황변수들과 리회계정보 특성간의 일 일 계를 규명하는데 주력하 다. 즉,

한 가지 상황변수와 특정 정보특성간의 일 일 계가 어떻게 되며, 이들간의 상호작용이

기업성과에 어떠한 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 다.

선행연구들이 한 가지 특정 상황변수와 리회계정보 특성간의 계를 규명하 다면 본

연구는 여러 가지 상황변수들간의 복합 인 상호 계가 리회계정보 특성에 미치는 향

을 실증분석하고자 한다. 상황변수들과 리회계정보 특성간의 계연구에서 다양한 상황

변수들간의 상호 계를 고려하지 않을 경우, 실증분석 결과로 나타난 특정 상황변수 한 가

지와 한 가지 정보특성간의 계는 실제와는 다를 수가 있다. 즉, 조직구조의 리회계정

보에 한 향은 조직구조 개별변수의 향이 아니라 경 략이나 조직문화가 조직구조

에 미치는 우회 인 향을 반 한 것일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경 략의 리회계정보

에 한 향도 상 변수인 조직문화가 경 략에 반 되어 나타난 것일 수도 있다. 일반

으로, 선행연구에서 일 일 계 규명에 주력하 지만 상황변수들의 리회계정보 특성

에 한 향은 여러 가지 상황변수들간의 상호 계 는 인과 계를 고려하면서 분석되

어야 한다(Ginzberg, 1980; Chenhall and Langfield-Smith, 1998a).

리회계정보시스템 산출 정보특성에 향을 미치는 상황변수로서 시스템 설계시 요

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것이 기업의 조직문화이다(Romm et al., 1991; Chow, 2002). 조직문

조직문화, 경 략, 첨단 생산기술과 리회계 정보간의 상호 련성 인과 계 3

- 81 -

화는 조직구성원들의 공유된 규범, 가치체계이다(Hofstede, 1998). 조직문화는 조직구성원

들이 어떤 상이나 상황을 해석, 평가할 경우 일반화된 해석의 틀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

서 새로이 도입되는 제도나 시스템은 조직구성원들의 공유된 해석의 틀인 조직문화에 의

해 해당 조직에 특유한 형태로 평가, 해석되게 된다. 만약, 조직문화에 합하지 않은 시스

템을 무리하게 도입할 경우, 시스템은 구성원들에게 수용되지 못하고 배척당하게 되며 시

스템도입은 실패하게 된다. 리회계정보도 해당 기업의 조직 문화 특성에 따라 더욱 선

호되고 요구되는 유형이 있다. 즉, 조직문화에 부합되는 리회계정보를 구성원들은 더욱

선호하며 잘 수용하는 경향이 있다(Tricker, 1988; Bhimani, 2003). 반 로, 해당 조직문화

에 합하지 않은 리회계정보는 구성원들이 제 로 수용하지 않으며 사용을 기피하게

된다. 따라서 조직문화도 산출 정보의 특성에 향을 미치는 요한 상황변수이다.

조직문화가 선행연구에서 상황변수로서 고려된 경우는 거의 없었다. 사실, 산출 정보특

성에 한 향요인으로서 조직문화가 일차 으로 고려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Flamholtz

and Das, 1985; Bhimani, 2003) 조직문화의 향은 제 로 규명되지 않았으며 구체 으로

연구된 경우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선행연구들의 문제 들을 보완하는 차원

에서 수행된다. 기존에 연구된 경 략과 생산기술 같은 상황변수들과 조직문화간의 상호

련성을 고려하면서 이들 상황변수들이 리회계정보 특성에 미치는 복합 인 향을 실

증 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경 략과 첨단 생산기술이 요한 상황변수라는 것은 이미 선행연구에서 규명된 사실

이다. 기업이 채택한 경 략 유형에 따라 리회계정보 특성이 달라진다는 것은 부분

으로 검증되었다. 그리고 첨단 생산기술 도입에 따른 리회계 산출정보 특성의 변화에

해서도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먼 , 경 략, 첨단 생산기술과 조직

문화 같은 개별 상황변수와 특정 정보특성간의 일 일 계부터 검정하게 된다. 그리고 구

조화 방정식 모형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조직문화를 포함한 상황변수들간의 상호 계 는

인과 계를 분석하고 리회계정보에 한 향경로를 규명하게 된다. 나아가, 여러 가지

상황변수들에 합한 리회계정보의 제공이 기업성과 개선을 가져오는지 여부도 분석, 규

명한다. 본 연구가 달성하려는 핵심 목표들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문화, 경 략과 첨단 생산기술 같은 기업내 인 상황변수들 간의 상호 계

내지는 인과 계를 규명, 악하게 된다. 둘째로, 조직 문화 특성과 리회계정보 특성간

의 일 일 계는 어떻게 되는지 실증 으로 검정한다. 즉, 특정 조직문화 차원에 합한

정보유형이 무엇인지를 실증 으로 제시한다. 셋째, 조직문화, 경 략과 첨단 생산기술의

리회계정보 특성에 한 동시 , 복합 인 향을 구조화 방정식 모형분석 기법을 이용

4 經 營 硏 究 第 21 卷 第 2 號

- 82 -

하여 규명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여러 가지 상황변수들에 합한 리회계정보의 제공이

더 높은 기업성과를 가져오는지 여부도 분석, 규명한다.

이상의 연구목표들이 달성될 경우, 연구결과는 실무 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 들을 제

시할 것으로 생각된다. 먼 , 기업의 조직문화에 부합되는 리회계정보시스템의 설계형태

는 무엇인지를 악할 수 있으며, 이것은 기업이 시스템 구축시 실제로 채택할 수 있는 설

계방안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상황변수들의 향하에서 기업성과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리회계정보시스템의 설계형태를 제안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 한다. 즉, 리

회계정보시스템 도입시 본 연구의 결과가 시스템 설계에 참고할 지침들을 제시할 것으로

단된다.

II. 리회계정보시스템 설계에 한 이론 배경

1. 상황변수와 리회계 정보특성

리회계정보시스템 설계에 한 상황변수는 기업외 인 변수로 외부환경을 들 수 있으

며, 기업내 인 변수로서 경 략, 생산기술과 조직구조가 있다. Gul and Chia(1994),

Chong and Chong(1997)과 승(1992)의 연구에서는 인지된 환경 불확실성이 높은 경우

리회계정보시스템이 넓은 범 의 정보와 요약된 정보를 제공하면 경 성과가 높아진다

는 것을 입증하 다. 그리고 신건권(1993)의 연구에서도 높은 환경 불확실성하에서 넓은

범 의 리회계정보가 제공되면 시스템 이용도와 이용자 만족도가 증 된다는 것을 검증

하 다. 넓은 범 의 정보는 외부, 비재무와 미래 지향 인 정보를 말하며, 요약된 정보는

시 별 업무 역별로 요약된 분석 인 정보를 의미한다. 불확실하고 복잡한 환경에

처하기 해 경 자는 좀더 정교하고 미래 측 인 정보를 요구하게 되며 따라서 리회

계정보시스템은 정교한 정보인 넓은 범 의 정보와 요약되고 분석 인 정보를 제공해야

된다는 것이다.

Chenhall and Morris(1986)의 연구는 인지된 환경 불확실성, 조직구조와 정보특성이라는

3변수들 간의 상호 계를 실증분석 하 다. 이들 연구에 의하면 환경 불확실성은 정보특성

인 정보 범 / 시성/요약도/통합도에 직 인 향을 미치며 조직구조를 통해 간

인 향도 미친다는 것이다. 기존 연구들의 결과로 볼 때, 환경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경우

조직구조는 유기 이 되며 이러한 유기 조직구조와 환경 불확실성이 정보특성에 향을

조직문화, 경 략, 첨단 생산기술과 리회계 정보간의 상호 련성 인과 계 5

- 83 -

미치게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높은 환경 불확실성과 유기 조직구조 하에서는 넓은 범

의 정보와 요약되고 통합된 정보가 시 제공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업이 채택한 경 략에 따라 리회계정보시스템의 특성들이 달라진다는 것을

Simons(1987)가 검증하 다. 리회계정보시스템 특성들로는 측정보, 원가통제, 보고빈

도, 산목표와 외부검색 등을 제시하 다. 그의 연구에 의하면 능동 략(prospector)을

사용하는 기업은 엄격한 산목표 설정과 측정보 제공 등에 있어서 우세하며, 방어자

략(defender)을 채택한 기업은 원가통제와 객 성과평가 등에 치 한다는 것이다. 정재

진, 권순철(2002)과 Baines and Langfield-Smith(2003)도 기업이 추구하는 략유형에 따라

필요한 리회계 기법들 는 정보들이 차이가 난다는 것을 입증하 으며, 략유형과 기

법들간의 합 계가 성과에 정 인 향을 미친다는 것을 실증 으로 보여주었다. 이들

연구에 의하면, 기업이 원가 략에 치 하는 경우 통 리회계기법이나 정보를 많

이 사용하며, 차별화 략을 추구하게 되면 최신 리회계기법과 정보( : 균형성과표, 활

동기 리, 측정보와 벤치마킹 등)를 요구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기업이 채택한 략

유형에 따른 필요한 리회계정보의 유형차이가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Ginzberg(1980)는 조직특성과 정보시스템 특성간의 합도가 시스템 성과에 미치는

향을 연구모형으로 제시하 다. 그리고 분권화, 공식화, 세분화와 통합도 같은 조직구조 변

수의 특성들이 달라짐에 따라 어떤 형태의 정보시스템이 합한지를 제안하 다. Choe

(1998)와 Mia and Chenhall(1994)은 유기 인 조직구조와 높은 업무불확실성 하에서 넓은

범 의 정보, 시성 있는 정보와 요약된 정보가 제공될 경우 성과가 개선된다는 것을 입

증하 다. 이들 연구에서 보면, 생산부서에 비해 매부서의 업무 불확실성이 더 높으므로

매 부서에 넓은 범 의 정보가 제공될 경우, 업무성과가 증 된다는 것이다. 국내 연구

에서는 이진주, 최종민(1990)과 최종민(1993)이 유기 조직구조 업무특성과 리회계정

보 특성( : 정보범 와 정보 시성)간의 합 계가 시스템 성과에 정 인 향을 미친

다는 것을 규명하 다. 일반 으로, 업무 불확실성이 높은 경우 넓은 범 의 정보제공은

효과 인 경 자 의사결정으로 연결되며, 따라서 경 자의 업무성과가 개선된다는 것을 선

행연구들이 입증한 것이다. 그리고 이들의 연구결과는 업무특성인 업무 불확실성도 정보특

성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실증 으로 보여주었다.

량생산시스템에 합한 정보를 제공해온 통 인 리회계정보시스템은 첨단 생산기

술 하에서 경 자들의 정보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한다(DeLuzio, 1993). 따라서 리회계정

보시스템은 경 자들의 다양한, 새로운 정보요구들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변화되어야 하며

첨단 생산기술의 특성에 따라 재구축 되어져야 한다. 첨단 생산기술 도입으로 인해 리회

6 經 營 硏 究 第 21 卷 第 2 號

- 84 -

계정보시스템에 일어나는 변화는 리회계정보시스템이 제공하는 정보의 특성과 내용 측

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많은 선행연구들이 첨단 생산기술과 리회계 정보특성간의 계

를 실증 으로 검증하 다. Chenhall(1997)은 사 품질 리 시스템이 도입될 경우 품질

련 성과정보의 제공이 생산성과 증진에 기여한다는 것을 실증 으로 보여주었다. 품질

련 성과정보는 운 통제와 략 통제에 활용되면서 조직학습을 유발하게 된다. 그리고

조직학습의 결과, 창출된 지식은 생산문제 해결에 즉각 으로 용되면서 성과증진에 기여

한다는 것이다. Sim and Killough(1998)도 첨단 생산기술하에서 생산성과에 한 비재무

성과정보의 정 인 향을 입증하 다. 그들은 첨단 생산기술과 비재무 성과정보간의 상

호작용이 생산성과에 미치는 정 인 향을 상보성 이론(complementarity theory)으로

설명하 다.

첨단 생산기술 도입에 따른 리회계정보의 변화를 검증한 국내 연구들로는 이 희

(1993), 유승억(1998)과 최종민, 이연희(2002)를 들 수 있다. 이 희(1993)는 제조기업의 공

장자동화 수 이 높아질수록 회계시스템이 리회계시스템 주로 바 게 된다는 것을 실

증 으로 보여주었다. 유승억(1998)은 사 품질 리시스템이 도입될 경우, 품질 련 성

과측정과 품질성과 정보의 제공이 생산성과를 개선시킨다는 것을 입증하 다. 최종민, 이

연희(2002)의 연구에서는 첨단 생산기술 하에서 비재무성과 정보를 제공하면 생산성과가

증 된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이들은 비재무성과 정보의 조직성과 개선효과를 조직학습 이

론으로 설명하 다.

지 까지 살펴본 것처럼 많은 연구자들이 리회계 정보특성에 한 상황변수들의 향

을 검증하 다. 그러나 외부환경을 제외한, 시스템 설계에 한 기업내 인 상황변수로서

일차 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것이 조직문화이다(Flamholtz, 1983; Flamholtz and Das,

1985). 조직문화는 기업의 경 략이나 조직구조에 선행하는 상황변수로서 략과 조직구

조의 결정에 향을 미친다고 본다. 그리고 새로운 생산기술의 도입에도 향을 미치는 것

이 조직문화이다. 결국, 조직문화는 리회계정보시스템 설계에 일차 인 향을 미치는

상황변수이며, 조직구조, 업무규정과 차 등 조직 반에 향을 미치게 된다.

2. 리회계정보에 한 조직문화의 향

Flamholtz(1983)는 조직문화를 조직구성원들이 공유하는 가치, 믿음과 사회 규범의 집

합체로 정의하 으며, 이러한 조직문화는 구성원들의 행동과 사고에 향을 미친다고 보았

조직문화, 경 략, 첨단 생산기술과 리회계 정보간의 상호 련성 인과 계 7

- 85 -

다. 사례연구를 통해, Markus and Pfeffer(1983)는 범 한 가치와 규범의 형태인 문화는

조직구성원들의 행동, 실무수행과 정책에 향을 미치므로 구성원들의 행동을 통제하기

해서 다양한 유형의 정보를 제공하는 리회계정보시스템의 설계는 조직문화에 합해야

된다는 것을 제시하 다. Cooper(1994)는 문화를 조직 성(inertia)의 원천으로 보았으

며, 따라서 조직문화에 부합되지 않는 정보시스템의 설계는 구성원들의 항을 야기하여

시스템 실행이 실패할 수도 있다는 주장을 하 다. Tricker(1988)는 정보를 문화 ,

즉, 문화 결정체로 보아 정보시스템 설계에 문화 차원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

을 지 하 다.

조직문화는 구성원들이 주 사물에 해 의미를 부여하는 경우 활용하게 되는 해석의

틀로 볼 수 있다(Schein, 1985). 다른 조직문화 하에서는 다른 해석의 틀이 개발되어

용되며, 따라서 문화가 다르면 동일한 정보에 해서도 완 히 다른 의미가 부여될 수

있다. 극단 인 경우, 동일한 정보에 해 어떤 문화하에서는 유용하며 선호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다른 문화하에서는 쓸모없으며 기피하는 것으로 여겨질 수도 있다. 정보에

한 이러한 상반된 해석은 조직 내에 개발되어 있는 가치체계, 즉, 조직문화를 악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일반 으로, 제공된 정보가 문화와 잘 부합되면 정 인 해석이 주

어지며 조직문화에 역행하는 경우에는 부정 인 의미나 해석이 부여되게 된다. 결국, 제공

된 정보가 구성원들에게 수용되고 극 으로 활용되기 해서는 해당 문화에 합해야

된다는 것이다.

조직문화의 리회계시스템 설계에 한 향을 실증분석한 선행연구로는 Bhimani

(2003)의 연구를 들 수 있으며, 다수 연구들이 국가문화가 리회계기법의 선택이나 리

회계정보시스템의 설계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실증 으로 제시하고 있다. Bhimani(2003)

는 새로운 리회계 기법과 정보가 기존의 조직문화에 부합되어야 성공 인 시스템 성과

를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 다. 새로운 리회계정보가 기존 조직문화에 합하지

않는 경우, 시스템 도입에 앞서서 조직문화를 바꾸어야 하며 조직문화 변경방법으로 교육,

회의, 구성원들간의 상호작용과 시스템 개발과정에서의 참여를 제시하 다.

Chow et al.(1999)는 동일 국가문화 하에서는 외국기업의 리회계시스템도 해당 국가

내 기업들(국내기업들)의 시스템과 유사 는 동일하게 된다는 것을 실증 으로 보여주었

다. Joshi(2001)와 Tsui(2001)는 문화 차이에 따라 선호하는 리회계정보와 기법이 달라

진다는 것과 경 성과에 한 문화와 정보의 상호작용 효과를 입증하 다. Joshi의 연구에

서는 문화 차이로 인해 호주 기업들에 비해 인도 기업들에 있어서 최신 리회계기법들

의 사용정도가 낮으며 도입도 천천히 이루어진다는 것이 밝 졌다. 그리고 Tsui는 국 경

8 經 營 硏 究 第 21 卷 第 2 號

- 86 -

자와 서구(카 카스) 경 자의 산참여에 한 태도를 비교하 다. 문화 차이로 인해

높은 산참여에 해 국 경 자는 부정 으로 나타났으며 서구 경 자는 정 인 태

도를 보 다. O'Connor(1995)의 연구는 국내기업과 외국기업간의 조직문화 차이가 리회

계기법의 이용도에 미치는 향을 검증하 다. O'Connor는 산 성과평가 참여에 있어

서 싱가포르 내 국내 기업들과 외국 기업들이 서로 차이가 난다는 것을 입증하 다. 싱가

포르라는 동일 국가 내에 있는 기업들이면서 차이를 보이는 이유는 외국 기업들의 경우

외국 기업의 본사가 소재하는 국가의 문화 즉, 국가문화의 향을 받기 때문이라는 것이

다.

앞선 연구들에서 나타난 것처럼, 조직 는 국가문화가 달라짐에 따라 선호하는 리회

계기법과 정보가 차이가 나며, 나아가, 리회계정보시스템의 설계도 달라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해당 기업의 조직문화를 고려하여 리회계정보가 제공되어

야 하며, 그 지 못할 경우 산출된 리회계정보가 구성원들에게 제 로 수용될 수 없음을

시사하고 있다.

3. 조직문화와 다른 상황변수들간의 상호 련성

기업의 조직구조, 경 략과 첨단 생산기술에 가장 큰 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경

요소이지만 일차 인 기업내부 요인은 해당 기업의 조직문화이다(Markus and Pfeffer,

1983; Kanungo et al., 2001). 기업이 채택하는 경 략, 조직구조와 기술은 외부환경의

상태와 한 련이 있다. 외부환경이 동태 이고 변하면 기업은 신 략, 즉, 능동

략을 선택하며 환경이 안정 이면 방어자 략을 채택하게 된다. 불확실한 환경에 처

하기 해 기업이 신 략이나 제품차별화 략을 채택하게 되면 조직구조는 경 략에

걸맞게 유기 인 조직구조로 바 어야 한다. 그러나 안정 인 환경하에서는 통 인 원

가 략이 선호되고 따라서 조직구조 자체도 기계 인 형태가 된다.

기업이 도입하는 첨단 생산기술도 외부환경 기업의 경 략과 하게 연 되어

있다. 치열한 경쟁 하에서 제조기업이 상 인 우 를 하기 해 첨단 생산기술을 도입

하게 되었으며, 첨단 생산기술의 채택은 기업의 제품차별화 략이나 신 략과 연계되어

있다(Gerwin, 1993). 그러나 기업이 채택한 략, 조직구조와 기술은 조직문화에 합하여

야 한다. 조직문화는 기업이 도입하는 략, 조직구조와 기술 같은 여러 가지 시스템들에

한 해석의 틀을 조직 구성원들에게 제공하며, 그러한 틀에 비추어 치 못하다고 단

조직문화, 경 략, 첨단 생산기술과 리회계 정보간의 상호 련성 인과 계 9

- 87 -

되는 시스템들은 도입에 실패하게 된다(Robey, 1994; Bhimani, 2003). 따라서 새로운 조직

구조나 략을 채택하기에 앞서 그러한 새로운 략과 조직구조에 합한 조직문화가 조

직내에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만약, 조직문화가 합하게 형성되어 있지 않다면 새로운

시스템 도입에 앞서서 조직문화 자체의 변화가 일어나야 한다.

Kanungo et al.(2001)은 조직 문화 특성에 따라 기업이 채택하는 정보기술 략이 달

라진다는 것을 실증분석 하 다. 이들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신 인 조직문화 하에서는

선도, 자유시장 독 정보기술 략이 선호되고, 지원 이며 료 인 조직문화 하에

서는 독 희소자원 략이 채택된다는 것이다. Pratt and Beaulieu(1992)는 회계법인

의 조직문화가 감사기술 채택에 미치는 향을 검증하 는데, 료 이며 권 인 조직문

화가 구조화된 기술채택과 련이 있음을 주장하 다. Chow et al.(1999)의 연구는 조직

문화 차이가 분권화와 활동의 조직화 같은 조직구조에 미치는 향을 검증하 다. 개인

주의 문화는 분권화에는 정 인 향을 미치지만 활동의 조직화에는 부정 인 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그러나 권 주의 문화는 분권화에는 부정 인 향을, 반 로, 활동의 조

직화에는 정 인 향을 미친다는 것을 제시하 다. 선행 연구들의 결과로 볼 때, 조직

문화는 기업 략, 조직구조와 기업이 채택하는 기술에 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 정보의 조직학습 효과와 기업성과 개선

Virany et al.(1992)는 정보제공 에서, 조직학습을 의사결정자가 정보처리와 갱신을

통해 조직의 활동과 그 결과간의 계에 한 이해를 높여 가는 과정이라고 정의하 다.

그리고 Lee et al.(1992)도 조직학습을 시스템-구조 과 해석 이라는 2가지

으로 설명하 다. 시스템-구조 은 정보의 획득과 배분에 을 두며, 해석

근법은 정보의 배분과 해석에 을 맞추고 있다. Huber(1991)는 지식 는 정보획득, 정

보배분, 정보해석과 조직 장을 조직학습의 4가지 요 구성요소(단계)로 제시하 다.

Huber가 제시한 정보획득은 필요한 정보가 얻어지는 과정이며 탐색과 수집을 필요로 한

다. 정보배분은 다른 원천의 정보들이 공유되어 새로운 해석으로 연결되는 과정이며, 정보

해석은 해당 정보에 의미가 부여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조직 장은 미래에 사용하기

해 정보가 장되는 것을 지칭한다. 따라서 Lee et al.(1992)의 조직학습에 한 들은

조직학습의 구성요소들 어느 부분에 을 두느냐에 따라 나 어지는 것이다.

여러 학자들이 조직학습에 한 다양한 정의들을 제시하고 있지만 정보 는 정보제공

10 經 營 硏 究 第 21 卷 第 2 號

- 88 -

이 조직학습의 필수요건이라는 것을 명백하게 지 하고 있다. 정보는 언(message)이나

의미의 흐름인데 기존 지식을 재구성, 변화시키거나 기존 지식에 부가될 수도 있다

(Machlup, 1983). 새로운 지식은 정보의 흐름과 제공으로 인해 창출되거나 조직화되며 학

습자 개인의 신념이나 지 모형 속에 내재하게 된다. Nonaka(1994)도 정보를 지식창출을

한 조직학습의 원재료 는 매개체로 보았다. 따라서 조직학습에 있어서 정보제공은 기

본 인 필수 단계이며, 개인은 정보를 입수, 해석하고 자신의 지 모형을 개선시킴으로써

학습하게 된다. 개인들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정보나 믿음을 서로 공유하게 되면 조직학습

으로 발 하게 되고 공유된 믿음은 조직의 집단 지 모형을 형성하게 된다.

Fiol and Lyles(1985)는 조직학습을 더 나은 지식 는 정보와 이해를 통해 행동을 개선

시키는 과정으로 정의하 는데, 조직학습이 궁극 으로는 개선된 성과로 연결될 수 있음을

지 하 다. 한, 조직학습은 조직 내에서 일어나는 문제들과 외부환경과의 계에서 발

생되는 문제 들 그리고 환경변화로 야기되는 문제들을 악인식하고 그러한 문제들을 해

결하기 한 해결책들을 모색하여 조직의 환경 응력을 증 시키는 과정으로 정의할 수

있다(Kloot, 1997). 따라서 조직학습의 최종 인 결과는 개선된 는 증 된 조직성과라 볼

수 있다.

5. 연구모형의 제시

앞 에서의 논의결과, 리회계정보 특성에 한 기업내 인 상황변수로서 조직문화,

경 략, 첨단 생산기술과 조직구조가 제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구조를 제외한 조

직문화, 경 략과 첨단 생산기술이라는 3가지 상황변수들을 연구모형에서 고려하 다.

조직구조를 제외한 이유는 조직구조가 가장 하 상황변수로서 문화, 략과 기술의 향

을 받기 때문이다. 조직구조의 리회계정보 특성에 한 향은 조직구조 자체의 향보

다 문화, 략과 기술의 향을 반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조직구조를 제외한 문

화, 략과 기술간의 상호 련성과 이들이 리회계정보 특성에 미치는 향 정보제공

을 통한 기업성과 개선을 연구모형으로 제시해 보면 다음 <그림 1>과 같다.

조직문화, 경 략, 첨단 생산기술과 리회계 정보간의 상호 련성 인과 계 11

- 89 -

조직문화

경 략

첨단

생산기술

리회계

정보기업성과

<그림 1> 본 연구의 연구모형

III. 연구가설의 설정과 연구방법

1. 조직문화의 경 략과 첨단 생산기술에 한 향

조직문화의 유형 구분은 조직문화를 어떤 수 에서 악하느냐에 따라 달라지며, 다양

한 유형들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체 인 유형 구분은 결과 혹은 직무 심 과정

종업원 심, 보수 폐쇄시스템 심 신 개방시스템 심과 실용 엄격한 통

제 심 규범 혹은 느슨한 통제 심으로 나 어진다(Hofstede, 1998). 본 연구에서는

부서나 개인수 이 아닌 기업 체 수 에서의 문화를 상으로 하며, Wallach(1983)가 제

시한 료 문화, 신 문화와 지원 문화의 3가지 조직문화 유형을 이용한다. 신

문화는 도 이며 진취 이고 강한 추진력과 결과 심 인 특징을 지닌다. 지원 문화는

계 지향 이며 력을 시하고 상호존 과 신뢰가 특징이다. 반면에, 료 문화는 명

령복종과 권 분 기, 계층 인 구조와 규정 심이 특징인 문화이다.

조직 문화 차이에 따른 기업 략 차이는 Kitchell(1995)과 Grover et al.(1998)의 연구

에서 실증 으로 제시되었다. Kitchell은 기업문화 차이에 따라 기술도입 략이 달라진다

는 것을 입증하 으며, Grover et al.은 조직문화가 투자 략에 미치는 향을 실증 으로

보여주었다. 이처럼 조직문화가 기업 략 수립과 실행에 선행한다는 것은 앞서의 연구들에

서 검증된 내용이다. 기업이 매우 안정 인 환경하에서 원가 략이나 방어자 략을 선

12 經 營 硏 究 第 21 卷 第 2 號

- 90 -

호한다면 조직문화 자체도 료 인 형태일 것이다. 그러나 불확실한 환경에 응하여 기

업이 차별화 략 는 능동 략을 선택하기 해서는 조직문화가 신 이며 력

계를 시하는 형태가 되어야 될 것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가설 1, 2와 3을 제시할 수

있다.

가설 1: 료 조직문화는 원가 략의 실행정도와 양의 상 계가 있다.

가설 2: 신 , 지원 인 조직문화는 차별화 략의 실행정도와 양의 상 계가 있다.

가설 3: 조직문화는 경 략의 실행정도에 유의 인 향을 미친다.

조직문화는 첨단 생산기술의 사용수 과 성과에 향을 미친다(Zammuto and

O'Connor, 1992). 기업의 조직문화를 구체 으로 구 하는 수단이 조직구조인데(Child,

1987), 조직문화의 첨단 생산기술 성과에 한 향은 조직구조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제

조기업내 첨단 생산기술 도입에 따른 이 을 극 화하기 해서는 조직구조가 유기 인

형태로 바 어야 되며, 조직구조 변화에 앞서서 조직문화 자체가 통제 지향 인 문화에서

유연성 지향 인 문화로 바 어져 있어야 한다(Nemetz and Fry, 1988). 조직문화가 유연

성 지향 인 문화로 변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첨단 생산기술이 도입될 경우, 조직구성원들

의 첨단 생산기술에 한 해석의 틀이 맞지 않게 되며 구성원들은 첨단 생산기술의 사용

을 거부하게 된다. 그리고 새로운 첨단 생산기술 도입 사용 자체가 도 이며 진취

인 조직문화를 요구한다. 이상의 논리에 근거하여 다음의 가설 4, 5와 6을 설정할 수 있다.

가설 4: 신 , 지원 인 조직문화는 첨단 생산기술의 도입수 과 양의 상 계가

있다.

가설 5: 료 조직문화는 첨단 생산기술의 도입수 과 음의 상 계가 있다.

가설 6: 조직문화는 첨단 생산기술의 도입수 에 유의 인 향을 미친다.

2. 조직문화, 경 략과 첨단 생산기술의 리회계정보에 한 향

리회계정보시스템이 산출하는 정보유형은 크게 통정보와 최신정보로 나 어진다

(Chenhall and Langfield-Smith, 1998a). 통정보는 산, 변동원가, 투자수익율과 수익성

분석 같은 통 인 리회계기법에 의해 산출되는 정보이며, 최신정보는 활동기 원가,

목표원가, 가치사슬분석과 제품수명주기원가 같은 첨단 는 최근에 개발된 리회계기법

이 제공하는 정보유형이다. 통정보는 개별 단 는 부서 수 으로 설정된 표 , 분산

조직문화, 경 략, 첨단 생산기술과 리회계 정보간의 상호 련성 인과 계 13

- 91 -

과 측정에 의해 경 활동들을 리하는데 을 맞추고 있다(Miller, 1992). 통정보의

기본가정은 개별 단 의 성과를 극 화하면 조직 체의 성공이 달성된다는 것이다. 따라

서 통정보는 집단 력이나 집단목표의 달성을 지원할 수 없다. 반면에, 최신정보는 경

활동들을 통제함에 있어서 활동들 는 부문들간의 계를 고려하고 있다(McNair,

1990). 최신정보의 은 개별단 가 아니며 서로 연 된 과정들과 활동들이다. 부문들간

의 복잡한 상호작용이나 력을 고려하면서 경 활동을 통제, 리하기 해서는 최신정보

가 제공되어야 한다.

신 이며 지원 인 문화 하에서는 새롭고 창조 인 사 업무가 조직 구성원들간의

력과 조화로운 계를 통해 극 으로 추진되며 수행된다. 지원 신 문화의 특징

은 고무되고 도 인 분 기와 사회 이며 가족 인 가치를 존 하는 것이다. 따라서

신 지원 인 조직문화 하에서는 최신 리회계정보가 더욱 선호되고 요구될 것이다.

료 인 문화 하에서는 개별 행동 는 부문의 실행을 통제하기 해 명령, 규제와 차가

강조된다. 료 문화가 특징인 기업은 개별 활동들의 실행과정을 명백히 하기 해 계층

이며 잘 갖추어진 명령체계를 구축해 놓고 있다. 그러므로 료 문화하에서는 통

리회계정보가 더 많이 제공되어야 한다. 이상의 논리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 7, 8과

9를 제시할 수 있다.

가설 7: 료 조직문화는 통 리회계정보의 제공정도와 양의 상 계가 있다.

가설 8: 신 , 지원 인 조직문화는 최신 리회계정보의 제공정도와 양의 상 계가

있다.

가설 9: 조직문화는 리회계정보의 제공정도에 유의 인 향을 미친다.

경 략과 리회계정보간의 계는 조직문화와 경 략간의 계에서 추론할 수 있

다. 차별화 략을 실행하기 해서는 신 이며 지원 인 문화가 요구되며 신 지원

문화 하에서는 최신정보가 제공되어야 한다. 반 로, 원가 략은 료 인 문화하에서

추구되며 료 문화는 통정보를 필요로 한다. 첨단 생산기술 도입수 과 리회계정보

간의 계도 조직문화와의 계에서 도출된다. 첨단 생산기술이 도입되기 해서는 신

이며 지원 인 문화가 사 에 조성되어야 하며 신 지원 문화는 최신정보를 요구한

다. 따라서 이러한 추론에 근거하여 다음의 가설 10, 11, 12, 13과 14를 설정한다.

가설 10: 차별화 략의 실행정도는 최신 리회계정보의 제공정도와 양의 상 계가

있다.

가설 11: 원가 략의 실행정도는 통 리회계정보의 제공정도와 양의 상 계가 있다.

14 經 營 硏 究 第 21 卷 第 2 號

- 92 -

가설 12: 경 략의 실행정도는 리회계정보의 제공정도에 유의 인 향을 미친다.

가설 13: 첨단 생산기술의 도입수 은 최신 리회계정보의 제공정도와 양의 상 계

가 있다.

가설 14: 첨단 생산기술의 도입수 은 리회계정보의 제공정도에 유의 인 향을 미

친다.

3. 리회계정보의 제공과 기업성과 개선

정보제공으로 인한 조직학습이 조직성과 증 를 가져온다는 것은 조직자원

(resource-based view)에서 설명할 수 있다. 조직자원 에서는 기업의 경쟁 이 은 기

업이 보유하고 있는 독특한 자원에서 유래하는 것으로 본다(Barney, 1991). 조직자원 에

서 보면 지식은 조직의 가장 요한 자원이며, 기업의 지속 인 경쟁 우 는 조직 특유의

지식에 의존한다는 것이다(Little et al., 2002). 즉, 지속 인 경쟁 이 을 가져다주는 것은

그 조직이 보유하고 있는 지식이며, 그러한 지식을 창출하는 조직학습은 결과 으로 조직의

성과증진에 기여하게 된다는 것이다. 조직학습은 해당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지식기반을 확

충시키게 되며, 그 결과, 기업의 문제해결 능력이 증 되고 이것은 곧바로 그 기업의 경쟁력

강화와 성과증진으로 이어지게 된다(Little et al., 2002).

따라서 해당 조직의 문화, 경 략과 기술수 에 부합되는 정보가 제공되어 구성원들

에게 극 으로 수용, 활용되면 높은 수 의 유효한 조직학습이 유발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유효한 조직학습은 기업성과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반면에, 조직문화, 략과

기술수 에 합지 못한 정보는 구성원들이 기피하거나 사용하지 않게 되며 유효한 조직

학습을 유발시키지 못한다. 결국, 조직의 상황변수들에 부 합한 정보의 제공은 기업성과

증진에 기여하지 못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논리추론에 근거하여 조직문화, 경 략과 첨

단 생산기술의 도입수 에 합한 리회계정보의 제공이 더 높은 기업성과 개선을 가져

온다는 것을 다음과 같은 가설 15로 설정할 수 있다.

가설 15: 조직문화, 경 략의 실행정도와 첨단 생산기술의 도입수 에 합한 리회

계정보의 제공정도는 기업성과를 증 시킨다.

4. 표본추출과 자료수집

조직문화, 경 략, 첨단 생산기술과 리회계 정보간의 상호 련성 인과 계 15

- 93 -

본 연구에서는 유형별 리회계정보의 제공정도를 측정하 기 때문에 제조업체들을

상으로 표본을 선정하 다. 본 연구의 모집단은 거래소 상장 코스닥 등록 제조기업들이

며, 총 1,000여개의 모집단 제조업체들로부터 500개 기업들을 무작 표본추출 하 다. 이

에서 규모가 세하다고 단되는 소기업 10여개를 제외시켜 체표본 크기는 490개 제

조기업들이 되었다. 설문은 표본추출된 제조업체를 상으로 우편조사를 실시하 다. 설문

에 한 응답자는 기업의 리회계정보 제공정도와 기업경 반에 해 충분히 악할

수 있는 회계부서 혹은 회계재무부서의 부서장을 상으로 하 다. 자료수집은 2004년 6월

부터 2004년 9월까지 약 4개월에 걸쳐서 진행되었다. 발송된 총 490부의 설문 144부가

회수되었다. 불성실한 응답이나 응답 락으로 이용이 부 합한 것과 응답자가 부서장이 아

닌 8 부를 제외한 136부의 설문이 본 연구에 이용되었다. 표본기업들의 특성을 업종별, 규

모별로 요약한 것이 <표 1>에 나타나 있다.

<표 1> 표본기업의 특성

업종 섬유나무,

종이

화학,

석유비 속

1차

기계,

기,

자자동차 합 계

표본의 수 1 3 4 13 6 30 33 46 136

종업원의 수 100명 이하 100-300명 300-500명 500-1000명1000명

이상합 계

표본의 수 18 43 25 28 22 136

5. 연구변수의 조작 정의와 측정

1) 조직문화

조직문화는 조직구성원들이 공유하는 가치, 믿음과 사회 규범의 집합체로 정의된다.

조직문화에 한 측정방법은 조직문화를 어떤 수 에서 측정하느냐에 따라 달라지며, 다양

한 측정방법들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체 인 측정차원들은 결과 혹은 직무 심 과

정 종업원 심, 보수 폐쇄시스템 심 신 개방시스템 심과 실용 엄

격한 통제 심 규범 혹은 느슨한 통제 심으로 나 어진다(Hofstede, 1998). 본 연구

에서는 부서나 개인수 이 아닌 조직수 에서의 문화를 측정하 으며, Wallach(1983)가 제

시한 료 문화, 신 문화와 지원 문화의 3가지 조직문화 유형을 이용하 다. 3가

지 유형의 조직문화를 측정하기 해 Wallach(1983)가 개발한 총 16항목의 설문문항을 사

용하 다. 16설문문항들은 다음과 같다: 험을 무릅 , 결과 심, 독창 , 고무자극, 도

16 經 營 硏 究 第 21 卷 第 2 號

- 94 -

, 추진력(이하 신 문화측정), 력 , 계 심, 자율 , 상호신뢰, 평등의식(이하 지

원 문화측정), 계층 , 차규정 심, 명령에 복종, 신 함과 권력지향(이하 료 문화

측정). 16가지 설문문항 각각에 해서 해당 기업조직에 합당한지를 ‘ 그 지 않다’에

서부터 ‘ 으로 그 다’의 리커트 7 척도로 측정하 다.

2) 경 략의 실행정도

경 략은 기업이 환경에 응하여 생존하고 경쟁에서 우 를 하기 해 채택하는

책략내지는 조직구성원들에 한 행동강령으로 볼 수 있다. 경 략의 실행정도는 유형별

로 Miller and Friesen(1986)과 Dess and Davis(1984)가 제시한 매차별화 략의 실행정

도, 제품차별화 략의 실행정도와 원가 략의 실행정도라는 3가지로 나 어진다. 매차

별화 략과 제품차별화 략은 동일한 차별화 략의 범주에 들어간다. 매차별화 략

은 상표, 고선 과 매서비스가 경쟁사에 비해 얼마나 강한지 여부를 묻는 3항목으로

측정되었으며, 제품차별화 략은 연구개발비용과 신제품개발이 경쟁사에 비해 높은지 여

부를 묻는 2항목으로 측정되었다. 원가 략은 제조원가와 제품가격이 경쟁사에 비해 어느

정도 낮은지를 묻는 2항목으로 측정되었다. 원가 략과 차별화 략은 Porter(1985)의 본원

략에 해당된다. 이러한 3가지 본원 략의 채택에 있어서 기업은 상호배타 인 입

장에 있지 않으며, 동일 기업이 3가지 략 모두에 해 높은 혹은 낮은 응답치를 나타낼

수 있다. 동일 기업이 동시에 둘이상의 본원 략을 추구할 수 있다는 것은 Chenhall

and Langfield-Smith(1998a)의 연구결과에 명확히 제시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3가지 경

략 유형은 리커트 7 척도로 측정하 다.

3) 첨단 생산기술의 도입수

첨단 생산기술은 생산에 사용되는 첨단 기계설비 컴퓨터 하드웨어와 설비의 운용을

담당하는 컴퓨터 소 트웨어로 구성되며, 첨단 자동화 생산설비를 의미한다(Harrison and

Poole, 1997). 첨단 생산기술은 생산시스템의 자동화와 한 련이 있으므로 자동화정

도로 첨단 생산기술 도입수 을 측정할 수 있다. Meredith and Hill(1987)은 자동화수 을

측정하기 한 4단계 모형을 제시하 다. 그러나 본 연구는 4단계 모형을 확장한 7단계 모

형을 개발하여 사용하 다. 우리나라 제조기업들이 사용하는 자동화 단 기계의 수는 기업

마다 상당한 차이가 있다(한국생산성 본부, 1994). 따라서 Meredith and Hill의 4단계 모형

에서 첫 단계인 ‘독립된 단 기계 단계(stand-alone stage)’를 세 가지 단계로 세분화하

다. 그리고 Meredith and Hill은 2단계인 ‘셀(Cells) 단계’를 통합정도에 따라 높은 낮은

조직문화, 경 략, 첨단 생산기술과 리회계 정보간의 상호 련성 인과 계 17

- 95 -

통합의 ‘셀’로 나 수 있다고 보았다. 본 연구에서도 ‘셀’단계를 통합정도에 따라 두 가지

단계로 세분화하 다. 따라서 7단계들은 ‘단 기계의 부분자동화’, ‘일부 단 기계의 완

자동화’, ‘다수 단 기계의 완 자동화’, ‘일부 생산라인의 자동화’, ‘다수 생산라인의 자동

화’, ‘다수 생산공정의 시스템화’와 ‘ 체 생산공정의 시스템화’로 나 어진다. 7단계에서 4

단계이상 5, 6과 7단계에 속하는 기업들의 생산기술이 상 으로 첨단화 되어 있는 것으

로 본다(최종민, 이연희, 2002). 이러한 7단계 모형에서 해당 기업이 어느 단계에 속하는지

를 질문하여 응답을 받도록 하 다.

4) 유형별 리회계정보의 제공정도

리회계정보시스템이 산출하는 정보유형은 크게 통정보와 최신정보로 나 어진다

(Chenhall and Langfield-Smith, 1998a). 유형별 리회계정보의 제공정도는 이러한 통정보와

최신정보가 기업 내에서 어느 정도 제공되고 있는지를 측정하 다. 유형별 리회계정보는

Chenhall and Langfield-Smith(1998b)가 제시한 총 19 항목들로 측정하 다. 유형별 리

회계정보 각각에 해서 제공정도를 ‘매우 낮게 제공’에서부터 ‘매우 높게 제공’의 리커트

7 척도로 측정하 다. 19 항목들은 다음과 같다: 부원가정보, 변동원가, 자본 산, CVP

분석정보, 제품수익성, 산차이분석, 투자수익률, 부서별 수익성(이하, 통정보 측정), 활

동기 원가, 목표원가, 제품수명주기원가, 장기추세/ 측, 벤치마킹정보, 활동기 경 , 가

치사슬분석, 비재무성과, 별성과, 균형성과표와 잔여이익정보(이하, 최신정보 측정). 정보

의 제공정도에 있어서 기업은 최신정보와 통정보 모두를 많이 제공할 수도 있으며 어느

한쪽은 많이 제공하면서 다른 쪽 정보는 낮게 제공할 수도 있다.

5) 기업성과

본 연구에서 기업성과는 비재무 성과치와 재무성과치 모두를 이용하여 측정하 다. 기

업의 비재무 성과와 재무성과에 한 인지 (주 ) 기업성과 측정과 함께 객 기업

재무성과도 측정하 다. 인지 기업성과는 Gupta and Govindarajan(1984)이 개발한 인지

된 경 성과 측정치를 이용하 으며, 객 기업 재무성과치로는 총자산이익율과 매출총

이익율을 사용하 다. 인지된 경 성과는 7가지 설문문항들을 사용하여 리커트 7 척도로

측정되었다. 7가지 항목들은 다음과 같다: 매출액 증 , 순이익 증 , 시장 유율 증 , 고

정자산이익율, 신제품개발, 종업원복지와 종업원사기. 총자산이익율과 매출총이익율은 기업

의 표 인 재무성과치로 간주되고 있다(Li and Ye, 1999). 총자산이익율과 매출총이익율

은 표본기업들의 2004년도 재무제표에 제시된 회계자료들을 이용하여 산정하 다.

18 經 營 硏 究 第 21 卷 第 2 號

- 96 -

IV. 분석 결과

1.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

연구변수들을 측정하는 측정치들의 신뢰성 검증을 해 Cronbach's alpha test가 실시되

었으며 분석결과, 각각의 변수에 한 측정치의 신뢰성 계수는 부분 0.6이상으로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조직문화 변수들 신 문화는 첫 번째( 험을 무릅 ), 두 번째(결

과 심) 항목이 제거된 후 신뢰성 계수가 0.79로 증 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다항목

척도들의 구성타당도 검증을 하여 변수측정 항목들에 해서 요인분석을 실시하 다. 일

반 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기 해서는 측정항목들 수의 4-5배에 해당되는 표본수가 필

요하다(Hair, 1979). 본 연구의 6가지 연구변수들을 측정하기 해 사용된 설문항목들 수는

총 49개이므로 표본수 136개는 체 항목들을 상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기에는 부족하

다. 따라서 연구변수들을 각각의 차원에 따라 3개 집단들로 나 고 집단별로 요인분석을

실시하 으며(Kim and Muller, 1981), 그 결과가 <표 2>에 제시되어 있다.

<표 2>를 보면, 경 략과 리회계정보를 제외하고는 모두 하나의 요인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나 구성타당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경 략은 3개 요인으로 나 어졌고,

리회계정보는 4개의 요인으로 나 어졌다. 그리고 <표 2>에서는 요인 재값 0.4이상의 값

만 나타내었으며, 모든 요인 재값들이 0.5이상으로서 항목들이 해당 요인에 확실히 재

되어 독립된 요인(인자)을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리회계정보의 경우, 첫 번째 요인분석에서 12번째(벤치마킹정보), 13번째( 산차이분

석), 16번째( 별성과)와 17번째(균형성과표) 항목이 2개 요인들에 복 재되어 이들을

제거하고 다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가 <표 2>에 나타나 있다. 2차 요인분석에서는

복 재되는 항목이 없었다. 요인분석 결과에서, 요인 1은 부원가정보, 변동원가, 목표원

가, 자본 산, CVP분석정보와 제품수익성 정보를 포함하여 ‘ 통 리회계정보’이다. 요인

2는 활동기 원가, 제품수명주기원가, 활동기 경 과 가치사슬분석 정보가 재되어 ‘최신

리회계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요인 3에는 장기추세/ 측, 투자수익율과 비재무성과 정

보가 포함되어 ‘ 측,성과 정보’로 이름을 붙 다. 그리고 요인 4는 부서별 수익성과 잔여

이익정보를 포함하여 ‘이익정보’로 명명하 다1). 요인 2의 최신 리회계정보가 주로 활동

1) 통정보, 최신정보, 측,성과 정보와 이익정보 각각에 한 신뢰도 분석결과, 신뢰도계수가 0.86,

0.82, 0.74와 0.72로 계산되었다.

조직문화, 경 략, 첨단 생산기술과 리회계 정보간의 상호 련성 인과 계 19

- 97 -

들 는 업무들간의 련성을 강조하는 정보라면 요인 3은 비재무, 측정보에 을 두고

있으며, 요인 4는 잔여이익과 련된 정보이다. 따라서 요인분석 결과에 따른 측,성과정

보와 이익정보는 최신 리회계정보에 속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표 2> 요인분석 결과(Varimax rotation)

항목조직문화, 기업성과

항목리회계정보

항목경 략

요인1 2 3 4 요인1 2 3 4 요인1 2 3

문화

1 0.86 1 0.85

2 0.83 2 0.70

1 0.79 3 0.70 3 0.88

2 0.69 4 0.61 4 0.56

3 0.80 5 0.74 5 0.78

4 0.66 6 0.52 6 0.88

지원

문화

7 0.56 7 0.87

8 0.85

1 0.64 9 0.74

2 0.77 10 0.78

3 0.69 11 0.70

4 0.84 14 0.65

5 0.65 15 0.73

문화

18 0.89

19 0.72

1 0.79

2 0.70

3 0.77

4 0.67

5 0.72

기업

성과

1 0.83

2 0.89

3 0.86

4 0.86

5 0.66

6 0.62

7 0.60

Eigen value 5.8 3.5 2.9 1.2 6.0 1.9 1.4 1.1 2.5 1.4 1.0

% of var. 27.7 16.8 13.6 5.9 40.4 12.6 9.4 7.1 35.4 20.0 14.4

* 요인 재값 0.4 이하는 나타내지 않음.

경 략의 요인분석 결과를 보면, 첫 번째 요인은 고선 , 연구개발과 신제품 개발을

20 經 營 硏 究 第 21 卷 第 2 號

- 98 -

포함하여 ‘제품차별화 략’이다. 두 번째 요인은 상표와 매서비스가 재되어 ‘ 매차별

화 략’을 나타낸다. 그리고 요인 3은 제조원가와 제품가격이 재되어 ‘원가 략’을 나타

낸다2).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에 따른 연구변수들에 해 기술 통계치를 계산하여 제시한

것이 <표 3>이다.

<표 3> 연구변수들에 한 기술통계량

항목 평균 앙값 표 편차 최소값 최 값

. 신 문화

.지원 문화

4.3 4.2 0.99 1.7 7.0

4.8 4.8 0.89 2.2 6.4

. 료 문화 4.6 4.8 0.89 2.4 6.8

.원가 략

.제품차별화 략

. 매차별화 략

3.9 4.0 0.93 2.0 6.0

4.0 4.0 1.0 1.3 6.3

4.5 4.5 1.14 2.0 7.0

.첨단 생산기술 3.6 4.0 1.66 1 7

.인지된 경 성과

.총자산이익율

.매출총이익율

4.7 4.8 0.93 2.0 7.0

0.05 0.04 0.10 -0.33 0.35

0.15 0.13 0.11 -0.12 1.0

. 통정보 4.7 4.6 1.01 1.1 7.0

.최신정보

. 측,성과정보

.이익정보

3.6 3.7 1.13 1.0 6.2

4.4 4.5 1.04 1.6 7.0

4.0 4.0 1.19 1.0 6.5

본 분석에 앞서서 산업유형이나 조직크기에 따라 리회계정보의 제공정도가 차이가 나

는지 여부를 검증하 다. 그 이유는 리회계정보의 제공이 상황변수인 조직문화, 첨단 생

산기술과 경 략이외에 산업유형과 조직크기에 따라 차이가 난다는 것이 입증될 경우

산업유형과 조직크기를 통제하는 분석방법을 사용하여야하기 때문이다. 산업유형별 차이검

증에서는 통정보, 최신정보, 측,성과정보와 이익정보 각각에 있어서 χ²값이 9.5

(p=0.22), 6.3(p=0.50), 9.6(p=0.21)과 8.6(p=0.27)으로서 산업유형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

났다. 그리고 조직크기에 따른 차이분석에서도 통정보, 최신정보, 측,성과정보와 이익

정보 각각에 있어서 χ²값이 7.6(p=0.102), 5.1(p=0.27), 3.9(p=0.41)와 3.9(p=0.40)로서 통정

보를 제외하고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표본기업들의 경우, 산업유형과 조직

크기에 따른 정보제공 차이가 없는 것으로 단할 수 있다.

2) 제품차별화 략, 매차별화 략과 원가 략 각각에 한 신뢰도 분석결과, 신뢰도계수가 0.71,

0.67과 0.56으로 계산되었다.

조직문화, 경 략, 첨단 생산기술과 리회계 정보간의 상호 련성 인과 계 21

- 99 -

2. 상 계 분석결과

연구변수들간의 Pearson 상 분석 결과가 <표 4>에 나타나 있다. 먼 , 조직문화와 경

략간의 상 계를 보면, 료 문화와 원가 략간에는 유의한 계가 없으며 신

문화는 제품 매차별화 략과 유의한 양의 상 계를 보 다. 그리고 지원 문화는

매차별화 략과 유의한 양의 계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가설 1은 기각되며

가설 2는 채택된다. 분석결과로 단해 보면, 우리나라 제조기업들의 경우 조직문화와 상

없이 비슷한 수 으로 원가 략을 채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우리나라 제조기

업들이 주로 추구하는 략이 체 으로 원가 략이라는 선행연구의 결과와도 일치하는

것이다. 차별화 략의 경우에는 신성이 높은 조직문화 하에서 차별화 략이 선호, 채

택된다는 것을 본 연구결과가 보여주고 있다.

첨단 생산기술은 신 문화 료 문화와 유의한 양의 상 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신 지원 문화와의 계를 설정한 가설 4는 부분 으로 지지된다. 그러나

료 문화와 첨단 생산기술간에 음의 상 계를 설정한 가설 5는 기각된다. 이러한 분석

결과로 볼 때, 신 문화와 료 문화의 수 이 높은 조직에서 첨단 생산기술을 높은

수 으로 도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료 문화와 첨단 생산기술간의 양의 계는 계

층 조직구조에 명령체계가 잘 정비되어 있고 규정과 차가 명확한 료 조직에서 첨

단 생산기술 도입이 오히려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즉, 빠른 명령체

계와 명확한 규정과 차라는 료 문화의 장 이 료 문화의 보수성과 정체성을 극

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조직문화와 리회계정보간의 계에서는 료 문화가 통정보와 유의한 양의 상

계를 나타내어 가설 7이 채택된다. 이것은 계층 조직구조에 명령체계가 잘 정비된

료 조직이 경 리의 필요에 의해 통 리회계정보를 많이 요구한다는 것을 의미

한다. 신 지원 문화는 최신정보뿐만 아니라 통정보와도 유의한 양의 상 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8도 지지된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신 이고 구성원

들간의 신뢰 계나 력체제가 시되는 조직일수록 많은 리회계정보가 제공된다는 것

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것은 신 지원 인 문화하에서 서로 연 된 업무들이 추진될 경

우 오직 최신정보만 필요한 것은 아니며 통정보도 여 히 필요하다는 것을 결과가 보여

주는 것이다.

최신정보와 차별화 략간의 계를 설정한 가설 10은 부분 으로 지지되었는데, 매

22 經 營 硏 究 第 21 卷 第 2 號

- 100 -

차별화 략은 최신정보와 최신정보의 일종인 측,성과 정보와 유의한 양의 상 계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제품차별화 략은 측,성과 정보와만 유의한 양의 상 계를 보

다. 따라서 기업이 외부환경에 응하기 해 신 인 차별화 략을 채택할 경우 최신정

보를 많이 요구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원가 략과 통정보간에는 유의한 계가 없

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11은 기각된다. 첨단 생산기술 역시 최신정보뿐만 아니라 통정보

와도 유의한 양의 상 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가설 13은 채택되게 된다.

이러한 결과는 첨단 생산기술 도입시 최신정보와 함께 통정보도 여 히 필요하다는 것

을 나타내는 것이다.

<표 4> 상황변수들 리회계정보간의 상 계(N=136)

변수신

문화

지원

문화

문화

원가

제품차별

화 략

매차별

화 략

첨단

생산기술

인지된

경 성과

총자산

이익율

매출총

이익율

통정보 0.37a 0.28a 0.29a 0.10 0.16c 0.20b 0.27a 0.31a -0.08 -0.05

최신정보 0.19b 0.21b 0.12 -0.04 0.12 0.17c 0.19b 0.31a -0.00 0.02

측,성과

정보0.27a 0.24a 0.07 0.07 0.17c 0.19b 0.34a 0.32a -0.08 0.08

이익정보 0.22b 0.15c 0.05 0.08 0.06 0.09 0.16c 0.23b 0.12 0.02

신 문화 - - - 0.09 0.26a 0.28a 0.20b - - -

지원 문화 - - - 0.08 0.10 0.14c 0.09 - - -

료 문화 - - - -0.12 0.14c 0.06 0.15c - - -

a: p≤0.01, b: p≤0.05, c: p≤0.1.

3. 인과 계( 향도) 분석

<그림 1>에서 제시한 연구변수들 간의 인과 계( 향 계)를 확인하기 해 구조화 방

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 다. 구조화 방정식 모형분석을 해서는 AMOS 4.0이 사용되었

다. 분석결과, 연구모형에 한 합도를 평가하는 χ²값이 169.7(p=0.00, df=75)이었다. χ²

값에 따른 p값은 기 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지만 많은 연구에서 이 값만을 상으로 모

형의 합성 여부를 단하지 않고 있다. 왜냐하면 표본의 수에 따라 χ²값이 민감하게 달

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이순묵, 1990). 따라서 χ²값을 자유도(degree of freedom)로 나

값을 가지고서 합성을 단할 수 있다(Arbuckle and Wothke, 1999). χ²값/75=2.26이며

조직문화, 경 략, 첨단 생산기술과 리회계 정보간의 상호 련성 인과 계 23

- 101 -

1과 3사이에 존재하는데, 1과 3사이에 존재하면 표본자료와 이론모형 간에 합성이 있다

고 단한다.

계산된 합도 지표는 GFI가 0.85이며 RMR이 0.072, AGFI가 0.80, IFI가 0.78로 나타났

다. 본 연구에서, GFI를 비롯한 합성 지수들이 0.8정도로 크게 높지는 않다. 합도 지표

들 한 표본의 수 등에 따라 향을 받기 때문에 인 기 치는 없다고 본다(조 철,

2003). 그리고 국내외 선행연구들( : Achrol and Stern, 1988; Anderson and Narus, 1990;

윤만희, 2000)에서도 보면, 0.8정도의 수 에서 어느 정도의 합성이 존재한다고 보고 인

과 계 분석결과를 타당한 것으로 인정하고 있다.

<표 5>에서 구조화 방정식 모형의 이론변수의 모수들에 한 표 화 회귀가 치(경로계

수)의 추정치를 보면, 조직문화와 첨단 생산기술간의 계에 한 경로계수가 0.24(C.R.=

2.59; p=0.01)로서 유의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조직문화와 경 략 간의 경로계

수는 0.17(C.R.=0.19; p=0.8)이며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문화와 리회계정보

간의 경로계수는 0.21(C.R.=1.85; p=0.08)로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리회계정보에 한 경

략의 경로계수는 0.06(C.R.=0.17; p=0.9)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첨단 생산기술의

리회계정보에 한 경로계수는 0.22(C.R.=2.39; p=0.02)로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리회계정보와 기업성과간의 경로계수는 0.26(C.R.=5.73; p=0.00)이었다.

분석결과에서 보면, 조직문화의 경 략에 한 향과 경 략의 리회계정보에

한 향이 비유의 이었다. 제조기업들은 특정 한 가지 략만을 추구하는 경우는 드물며

차별화 략과 원가 략을 동시에 채택하는 경우가 많다. 기업이 복수의 략을 채택하게

되면 조직문화와 특정 경 략간의 응 계나 향경로가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동일한 이유에 의해 특정 경 략의 해당 리회계정보에 한 향이 모호

해질 수도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변수와 변수간의 일 일 상호 계 향정도를 분석

할 때 나타날 수 있는 상이다. 즉, 여러 변수들이 련되어 복합 인 상호 련성을 형성

하는데 일 일 계만을 분석하게 되면 명확하게 련성이나 향정도가 나타나지 않는다

는 것이다(Drazin and Van de Ven, 1985). 결국, 이것은 해당 변수들간의 계나 향만

을 분석할 때 나타나는 문제 이며, 여러 변수들의 복합 인 상호 련성을 고려하여 분석

하기 해서는 시스템 근법을 사용하여야 하며 4 의 합도 분석에서 시스템 분석

법이 용된다.

경로계수가 유의하지 않은 조직문화와 경 략간의 경로와 경 략과 리회계정보간

의 경로를 본 연구모형에서 삭제하 다. 경 략을 삭제한 후 구조화 방정식 모형분석을

다시 실시하 다. 재실시한 분석에서는 연구모형에 한 합도를 평가하는 χ²값이 115.7

24 經 營 硏 究 第 21 卷 第 2 號

- 102 -

(p=0.00, df=55)이었다. χ²값/55=2.10이며 1과 3사이에 존재하므로 표본자료와 이론모형간

에 합성이 있다고 단된다. 그리고 계산된 합도 지표는 GFI가 0.89이며 RMR이

0.062, AGFI가 0.83, IFI가 0.81로 나타났다. 이러한 합도 수치는 조직문화, 경 략과

리회계정보 간의 향 계를 고려하여 분석한 결과와 비교해 볼 때, 다소 개선된 합도

수치이다.

<표 5> 구조화 방정식 모형분석의 경로계수(1차분석)

구분 경로도회귀가 치 표 화된

회귀가 치추정값 C.R. p 값

첨단 생산기술 <-- 조직문화 0.43 2.59 0.01 0.24

경 략 <-- 조직문화 0.01 0.19 0.8 0.17

이론변수 리회계정보 <-- 조직문화 0.28 1.85 0.08 0.21

리회계정보 <-- 첨단 생산기술 0.17 2.39 0.02 0.22

리회계정보 <-- 경 략 0.65 0.17 0.9 0.06

기업성과 <-- 리회계정보 0.37 5.73 0.00 0.26

* : 최 입력시 1로 고정시킨 모수임.

<표 6> 구조화 방정식 모형분석의 경로계수(2차분석)

구분 경로도회귀가 치 표 화된

회귀가 치추정값 C.R. p 값

첨단 생산기술 <-- 조직문화 0.41 2.52 0.02 0.24

이론변수 리회계정보 <-- 조직문화 0.31 2.33 0.02 0.23

리회계정보 <-- 첨단 생산기술 0.17 2.44 0.02 0.23

기업성과 <-- 리회계정보 0.37 5.69 0.00 0.25

신 문화 <-- 조직문화 1.00* 0.98

지원 문화 <-- 조직문화 0.49 5.48 0.00 0.56

료 문화 <-- 조직문화 0.04 0.57 0.56 0.05

첨단 생산기술 도입수 <-- 첨단 생산기술 1.00* 0.99

통정보 <-- 리회계정보 1.00* 0.91

측정변수 최신정보 <-- 리회계정보 0.70 9.25 0.00 0.70

측,성과 정보 <-- 리회계정보 0.72 11.27 0.00 0.79

이익정보 <-- 리회계정보 0.60 7.50 0.00 0.61

인지된 경 성과 <-- 기업성과 1.00* 1.93

매출총이익율 <-- 기업성과 0.00 0.29 0.77 0.07

총자산이익율 <-- 기업성과 0.12 0.29 0.77 0.07

* : 최 입력시 1로 고정시킨 모수임.

조직문화, 경 략, 첨단 생산기술과 리회계 정보간의 상호 련성 인과 계 25

- 103 -

리회계정보 각각의 유형에 한 향을 보면, 통정보에 한 경로계수는 0.91, 최신

정보는 0.70(p=0.00), 측,성과 정보에 한 경로계수가 0.79(p=0.00), 이익정보는 0.61

(p=0.00)이었다. 따라서 조직문화가 신 이고 지원 이 될수록 통정보, 최신정보, 측,

성과 정보와 이익정보가 많이 제공 된다는 것을 뒷받침해 주고 있다. 첨단 생산기술의

리회계정보에 한 경로계수를 보면, 0.23(C.R.=2.44; p=0.02)으로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

다. 이러한 결과는 첨단 생산기술 도입수 이 높아지면 많은 리회계정보가 제공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리고 리회계정보와 기업성과간의 경로계수는 0.25(C.R.=5.69;

p=0.00)로서 리회계정보를 많이 제공하는 것이 기업성과 개선에 기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경 략과 련된 가설 3과 12는 기각되며, 가설 6, 9와 14는 지지된다.

조직문화

신 문화 지원 문화

료 문화

0.98 0.56

0.05

첨단생산기술

0.24

첨단생산기술도입수

0.99

0.23리회계정보

0.23

정보

최신

정보

측,성과

정보

이익

정보

0.91 0.70

0.79 0.61

0.25기업성과

인지된

경 성과

매출총

이익율

총자산

이익율

1.93

0.07 0.07

<그림 2> 구조화 방정식 모형의 경로계수도

4. 합도 분석

본 연구에서는 조직문화, 경 략과 생산기술에 합한 리회계정보의 제공이 성과개

선을 가져오는지 여부를 검증하기 해 시스템 근법을 사용하여 합도를 분석하게

된다. 상황변수들과 리회계정보가 복합 으로 련되면서 다양한 조합들을 이루게 되며,

그러한 다양한 조합들이 기업성과에 향을 미치기 때문에 시스템 근법이 가장

한 분석법으로 생각된다. 선행 연구에서는 집락분석(cluster analysis)이 시스템 근법에

의한 합도 분석기법으로 이용되고 있다( : Chenhall and Langfield-Smith, 1998a). 따라

서 본 연구에서도 집락분석을 이용하면 상황변수들과 리회계정보의 제공 상태들에 있어

26 經 營 硏 究 第 21 卷 第 2 號

- 104 -

서 유사한 기업들을 개별 집단으로 분류하고, 집단들간에 있어서 어떠한 기업성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집락분석에서는 집단을 분류하기 한 기

으로서 조직문화, 경 략, 첨단 생산기술과 4가지 유형의 리회계정보를 이용한다.

집락분석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집단들의 최 숫자이다. 집단들의 수를 결정하는

공식 인 방법이 있지만 일반 으로 연구자의 단(heuristics)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표 7>의 거리계수를 가지고 단해 보면 128 단계와 129 단계 사이에서 거리계수가 큰

폭으로 증가하고(계수의 값이 1.2% 증가), 131 단계와 132 단계에서 다시 큰 폭 증가(계수

가 1% 증가)가 있으며 133 단계와 134 단계 사이에서 거리계수가 2% 증가하고 있다. 따라

서 집락 수는 3, 5와 8개가 되며 연구의 분석목 상 5 집단들이 타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즉, 3개 집단은 무 작으며 8 집단은 집단 수가 무 많아서 집단별 차이가 뚜렷이 나타

나지 않을 수 있으므로 5 집단이 하다는 것이다.

<표 7> 집락분석에 의한 거리계수(계층 agglomeration, Ward's method)

단계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계수 875 906 938 975 1025 1081 1143 1219 1298 1408 1722

집단의 수 11 10 9 8 7 6 5 4 3 2 1

증가율(%) 3.5 3.5 3.5 3.9 5.1 5.5 5.7 6.7 6.5 8.5 22.3

집락분석의 기 변수들인 조직문화, 경 략, 첨단 생산기술과 4가지 유형의 리회계

정보 각각에 해서 5 집단들간에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Kruskal-Wallis 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 다. 그리고 5 집단들간에 기업성과에 있어서도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Kruskal-

Wallis 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 다. <표 8>에서 보면 모든 연구변수들에 있어서 5 집단들

간에 유의 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별로 살펴보면, 집단 4의 경우 높은 신 지원 문화와 료 문화를 나타내며

첨단 생산기술 수 도 2 로 높고 각각의 경 략을 실행하는 정도도 높은 상황에서 유

형별 리회계정보의 제공정도 한 1 로 높으며 기업성과는 1 로서 가장 높은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집단 5는 높은 지원 신 문화와 낮은 첨단 생산기술 수 , 높

은 매차별화 략의 실행정도와 간 수 의 제품차별화를 실행하는 상황에서 제공되는

리회계정보는 2 는 3 로서 제공정도가 크게 높지 않으며 기업성과는 2 4 로

간이하를 나타내고 있다. 집단 3에서는 간정도의 신 지원 문화와 1 의 첨단 생

산기술 수 , 높은 원가 략 실행정도와 3 의 제품차별화 략을 실행하는 상황에서 리

조직문화, 경 략, 첨단 생산기술과 리회계 정보간의 상호 련성 인과 계 27

- 105 -

회계정보의 제공정도가 2 는 3 로서 기업성과는 간을 조 상회하며 집단 4 다음

으로 높은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집단 2는 료 문화의 등수가 2 인 료 집단이며

첨단 생산기술 수 은 간정도이고 각각의 경 략을 실행하는 정도도 2 는 3 인

상황에서 통정보나 최신정보의 제공정도가 낮으며 기업성과는 체로 간정도이다. 집

단 1의 경우, 문화 특성이 없으며 첨단 생산기술 도입수 이나 략의 실행정도도 최하

인 상황에서 리회계정보의 제공정도 한 조하며 기업성과 역시 최하 를 나타내고

있다.

<표 8> 상황변수와 정보 제공정도 차이에 따른 성과개선 차이(Kruskal-Wallis test)

항목집단 1

(n=34)

집단 2

(n=38)

집단 3

(n=30)

집단 4

(n=20)

집단 5

(n=14)χ2

신 문화 53.3(5) 59.5(4) 65.5(3) 97.6(1) 81.3(2) 19.2a

지원 문화 53.1(5) 60.8(4) 67.8(3) 80.4(2) 97.7(1) 15.5a

료 문화 49.9(5) 75.9(2) 63.0(4) 78.2(1) 73.9(3) 11.2b

첨단 생산기술 25.7(5) 69.6(3) 105.7(1) 96.6(2) 28.6(4) 96.3a

원가 략 65.6(4) 66.9(3) 74.5(1) 71.5(2) 40.0(5) 7.7c

매차별화 략 44.7(5) 65.5(3) 64.7(4) 86.2(2) 105.8(1) 29.0a

제품차별화 략 36.3(5) 80.1(2) 70.7(3) 84.8(1) 70.7(3) 31.0a

통정보 42.6(5) 49.4(4) 82.4(3) 101.7(1) 95.4(2) 48.4a

최신정보 46.1(5) 59.6(3) 57.9(4) 117.0(1) 91.3(2) 49.2a

측,성과 정보 44.2(4) 42.5(5) 93.0(2) 104.3(1) 82.2(3) 61.4a

이익정보 60.7(4) 44.6(5) 72.0(2) 113.9(1) 66.9(3) 42.2a

인지된 경 성과 44.0(5) 64.4(4) 77.9(3) 86.0(1) 78.6(2) 20.4a

총자산이익율 46.8(5) 65.8(2) 64.9(3) 75.2(1) 60.3(4) 8.3c

매출총이익율 42.5(5) 67.3(3) 67.7(2) 70.7(1) 66.2(4) 11.4b

- 수치는 Mean rank이며, ( )속의 수치값은 상 등수임.

a: p≤0.01, b: p≤0.05, c: p≤0.1.

집단 4와 집단 5를 비교해보면, 신 지원 문화 특성은 서로 비슷하며 첨단 생산기

술 수 은 집단 4가 월등히 높고 차별화 략의 실행정도 한 비슷하다고 볼 수 있지만

최신정보와 최신정보의 범주에 들어가는 측,성과정보와 이익정보의 제공정도는 집단 4가

훨씬 높다. 따라서 집단 5가 집단 4에 비해 기업성과가 조한 것은 집단 5의 문화 특성

과 경 략 실행정도에 비해 리회계정보의 제공정도가 낮은 때문인 것으로 단된다.

집단 2의 높은 료 문화특성과 제품차별화 략 실행수 에 비해 통정보의 제공정도

가 지나치게 낮으며 측,성과정보와 이익정보의 제공정도 한 최하 인 것이 집단 2의

28 經 營 硏 究 第 21 卷 第 2 號

- 106 -

기업성과를 낮춘 원인으로 생각된다. 집단 3은 문화 특성이나 경 략 실행정도에 합

하게 리회계정보가 제공되고 있지만 첨단 생산기술 수 에 비해서는 최신정보의 제공정

도가 낮다. 따라서 집단 2의 기업성과가 2 는 3 를 나타내며 집단 4 다음으로 높은

성과를 나타내는 것은 이러한 여건들을 반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집단 1에서는 모든 상

황변수들의 등수가 최하 이면서 리회계정보의 제공정도도 최하 이면 기업성과가 상

으로 조해진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지 까지의 분석결과들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들을 제시할 수 있겠다. 조직문화,

경 략과 첨단 생산기술 수 에 합하게 리회계정보가 제공되면 기업성과는 높게 개

선될 수 있다. 그러나 리회계정보가 상황변수들에 합하지 않게 낮게 제공될 경우 기업

성과는 떨어지게 된다. 한, 문화 특성이 명확치 않으며 첨단 생산기술 수 도 낮고 추

구하는 경 략도 불분명한 상황에서 리회계정보가 제 로 제공되지 않을 경우 기업성

과는 최하 로 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결론에서부터 가설 15를 채택할 수 있겠다.

V. 연구결론과 논의

조직문화는 정보시스템 설계에 있어서 가장 먼 고려되어야 하는 상황변수로서 기업이

채택한 조직구조, 경 략과 기술 등에 향을 미치게 된다. 조직 문화 특성에 따라 구

성원들이 선호하는 조직구조 형태와 합한 략과 기술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정보시스템

이 산출하는 정보의 특성 한 조직문화의 향을 받으며, 조직 문화 특성에 따라 구성

원들이 선호하는 정보의 유형과 정보의 제공정도가 존재하게 된다. 많은 선행 연구들이 조

직구조, 경 략과 기술의 정보시스템 설계, 즉, 정보유형, 정보량과 정보 제공형태 등, 에

한 향을 실증 으로 규명하 다. 그러나 정보시스템 설계에 한 최상 상황변수인

조직문화의 정보특성에 한 향은 제 로 규명된 경우가 없었다.

본 연구는 조직문화, 경 략과 첨단 생산기술의 리회계 정보특성에 한 복합 인

향을 실증 으로 분석하 다. 본 연구에서는 먼 , 상황변수들과 리회계정보의 제공정

도 간의 련성을 규명하 으며, 상황변수들에 합한 리회계정보의 제공이 더 높은 성

과개선을 가져오는지를 입증하 다. 문화 으로 합한 정보는 구성원들에게 선호되고

극 으로 활용되므로 제공정도가 높아지게 되며, 문화 으로 부 한 정보는 구성원들이

기피하며, 활용도가 떨어지게 되어 제공정도가 낮아지게 된다는 것이다. 검정결과, 료

문화는 통정보의 제공정도와 양의 상 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 지원

조직문화, 경 략, 첨단 생산기술과 리회계 정보간의 상호 련성 인과 계 29

- 107 -

문화와 최신정보간의 양의 상 계가 유의 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조직문화는 경 략

과 생산기술과도 유의한 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신 지원 문화와 차별화

략 첨단 생산기술 도입수 간에 유의 인 양의 상 계를 보 다. 경 략 생산

기술과 정보 제공정도간의 계분석에서는 차별화 략과 첨단 생산기술이 통 최신

정보와 유의한 양의 상 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원가 략과 리회계정보간에는

유의 인 계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화 방정식 모형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연구변수들 간의 인과 계(

향 계)가 검증되었다. 인과 계 분석결과, 조직문화가 정보시스템 설계의 최상 상황변

수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조직문화는 기업이 채택하는 첨단 생산기술에 양의 유의한 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조직문화의 경 략에 한 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조직문화는 리회계정보의 제공정도에도 양의 유의 인 향을 미치며, 첨단 생산기술

한 정보시스템 설계의 상황변수로서 리회계정보의 제공정도에 양의 유의한 향을 미치

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집락분석의 결과로써 상황변수들에 합한 리회계정보의 제

공은 기업성과 개선에 기여한다는 것도 입증되었으며, 이것은 정보제공이 조직학습을 유발

하여 성과개선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단할 수 있다.

결국, 신성과 지원성이 높은 조직문화 하에서는 차별화 략의 실행정도와 첨단 생산

기술의 도입수 이 높다. 따라서 요구되는 정보도 최신 리회계정보, 비재무 성과정보와

장기 추세/ 측 정보가 될 것이다. 반면에, 신성과 지원성이 낮으며 료 인 조직문화

하에서는 주로 원가 략이 선호되고 첨단 생산기술수 한 낮다. 따라서 이를 반 하여

조직은 주로 통 리회계정보와 재무 성과정보를 요구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제공되는

리회계정보의 유형과 제공정도에 해서는 조직문화의 향을 일차 으로 고려하면서,

조직 문화 특성과 함께 조직문화의 향을 받는 다른 상황변수들의 향을 한꺼번에 고

려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리회계정보시스템의 설계 근법이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들에 의하면 기업별로 나름 로의 조직문화가 있으며, 문화 특

성과 상황변수들의 상태에 따라 리회계정보의 산출, 제공이 달라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

다. 그리고 그러한 정보제공 차이에 의해 기업성과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 검정되

었다. 따라서 기업내 으로 리회계정보시스템의 설계는 해당 기업의 조직 문화 특성을

악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그리고 그러한 문화 특성에 따라 기업이 채택하고 있는

경 략, 생산기술과 조직구조가 어떻게 결정되었는가를 규명하여야 한다. 즉, 문화 요

구가 략 , 조직 구조 형태에 어떻게 반 되어 있는지를 악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조직문화는 해당 기업의 경 략, 첨단 생산기술 수 과 조직구조 같은 다른 상황변수들

30 經 營 硏 究 第 21 卷 第 2 號

- 108 -

의 특성과 합하여야 하며, 이들 간에는 상호보완 계가 존재한다고 본다.

본 연구의 결과, 리회계정보 제공에 한 조직문화의 향을 실증 으로 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기업이 새로운 리회계시스템이나 기법을 도입하려고 하는 경우, 일차

으로 검토해 볼 사항이 새로이 채택하는 기법이 해당 기업의 문화에 부합되느냐는 것이다.

조직문화에 합하지 않은 리회계기법이 무리하게 도입될 경우 조직구성원들에게 제

로 수용, 활용되지 않을 것이며, 이것은 조직자원의 낭비를 래하게 된다. 만약, 새로이

도입하는 리회계기법이 조직문화에 부합되지 않는다면 기업은 사 에 조직문화를 변경

시키는 과정을 거쳐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 과 미래 연구방향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리회계정

보에 국한되어 있다. 따라서 연구결과를 다른 유형의 경 정보에도 동일하게 용할 수 없

을 것으로 본다. 미래 연구에서는 리회계정보 이외에 다른 다양한 유형의 경 정보에

해서도 제공정도에 조직 문화 차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실증분석 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의 제공정도에 연구의 이 맞추어졌으며, 조직 문화 차이의 정보제공

시간간격이나 정보제공 체제 등에 한 향은 분석되지 않았다. 역시, 앞으로의 연구에서

여러 가지 정보특성들에 한 조직문화의 향을 실증분석해 볼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조직문화에 합한 리회계시스템의 구축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최하 상황변수인 조직구조를 연구모형에서 제외시켰다. 그리고 본 연구는

기업 체수 에서 연구변수 측정과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즉, 분석의 단 가 기업수

이라는 것이다. 조직구조가 제외된 것은 최하 상황변수라는 이유 이외에 기업 체 수

에서의 조직구조를 측정하기가 어렵다는 도 고려되었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기업 체

수 이 아닌 부서단 수 에서 해당 부서의 문화, 부서가 채택하고 있는 략, 업무특성

과 부서 조직구조간의 상호 련성이 부서 내에 제공되는 정보특성에 어떠한 향을 미치

며, 정보제공 차이가 어떠한 부서성과를 차이를 가져오는지도 실증 으로 분석, 규명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문화의 경 략에 한 향이 비유의 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

존 연구에서 주장해온 략수립과 문화 특성간의 련성을 입증하지 못한 것이며, 경

략 측정방법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단된다. 제조기업들은 특정 한 가지 략만을 추구

하는 경우는 드물며 차별화 략과 원가 략을 동시에 채택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조직

문화의 특정 략에 한 향은 제 로 검정될 수 없다고 본다. 제조기업이 여러 략들

을 동시에 채택하여 실행하여도 상 으로 을 둔 략이 있을 것이다. 따라서 경

략을 단순히 기업이 실행하는 모든 략들에 해서 측정해서는 안되며, 기업이 상 으

조직문화, 경 략, 첨단 생산기술과 리회계 정보간의 상호 련성 인과 계 31

- 109 -

로 역 을 두고 시하는 략이 무엇인지를 악하는 형태로 측정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첨단 생산기술 수 을 7단계 모형으로 측정하 다. 이러한 7단계 측정은 주

측정이 아닌 객 측정으로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주 측정으로 볼 경우, 7단계

측정은 등간척도가 아닌 서열척도로서 모수분석 기법을 용할 수 없다. 선행 연구들에서

첨단 생산기술 수 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7단계 모형을 개발하여 모수분석 기법에 사용하

여 왔지만 분석방법 용에 문제가 있다고 본다. 이러한 문제는 본 연구에서의 한계 이며

미래 연구에서는 좀 더 객 인 첨단 생산기술 측정치가 개발되어 사용되어야 할 것이다.

32 經 營 硏 究 第 21 卷 第 2 號

- 110 -

참 고 문 헌

신건권(1993), “상황변수와 리회계정보시스템 산출정보 특성간의 합도가 성과에 미치

는 향,” 서강 학교 박사학 논문.

유승억(1998), “종합 품질경 과 리회계시스템 속성의 합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향,” 경북 학교 박사학 논문.

윤만희(2000), “서비스종업원 조직시민행 의 사회 교환론 선행변수와 서비스품질에

한 연구: 종업원 분석수 ,” 경 학연구, 29, 723-748.

이순묵(1990), 공변량구조분석, 성원사.

이 희(1993), “공장자동화에 따른 원가회계시스템의 재구축을 한 연구,” 회계학연구, 16,

123-146.

이진주, 최종민(1990), “성과를 고려한 상황변수와 회계정보시스템 특성간의 계,” 경

학연구, 19, 78-103.

승(1992), “회계정보시스템의 상황요인과 실행방식 정보특성간의 합 계가 성과

에 미치는 향,” 한국과학기술원 박사학 논문.

정재진, 권순철(2002), “ 략유형, FMS수 과 리회계정보 특성의 합성이 생산성과에

미치는 향,” 회계학연구, 27, 1-26.

최종민(1993), “상황변수와 회계정보시스템의 특성, 성과간의 계연구,” 한국과학기술원

박사학 논문.

최종민, 이연희(2002), “첨단 생산기술 도입과 비재무 성과정보의 생산성 개선효과,” 경

학연구, 31, 37-62.

한국생산성 본부(1994), 우리나라 제조기업의 생산자동화 황.

Achrol, S. and W. Stern(1988), "Environmental Determinants of Decision Making

Uncertainty in Marketing Channel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5, 36-50.

Anderson, C. and A. Narus(1990), "A Model of Distributor Firm and Manufacturer

Firm Working Partnerships," Journal of Marketing, 54, 42-58.

Arbuckle, L. and W. Wothke(1999), AMOS 4.0 User's Guide, Small Waters

Corporation.

Baines, A. and K. Langfield-Smith(2003), "Antecedents to Management Accounting

Change: A Structural Equation Approach," Accounting, Organizations and Society,

조직문화, 경 략, 첨단 생산기술과 리회계 정보간의 상호 련성 인과 계 33

- 111 -

28, 675-698.

Barney, J.(1991), "Firm Resources and Sustained Competitive Advantage," Journal of

Management, 17, 99-120.

Bhimani, A.(2003), "A Study of the Emergence of Management Accounting System

Ethos and Its Influence on Perceived System Success," Accounting, Organizations

and Society, 28, 523-548.

Bruggeman, W. and R. Slagmulder(1995), "The Impact of Technological Change on

Management Accounting," Management Accounting Research, 6, 241-252.

Chenhall, R. H.(1997), "Reliance on Manufacturing Performance Measures, Total

Quality Management and Organization Performance," Management Accounting

Research, 8, 187-206.

Chenhall, R. H. and K. Langfield-Smith(1998a), "The Relationship between Strategic

Priorities, Management Techniques and Management Accounting: An Empirical

Investigation Using a System Approach," Accounting, Organizations and Society,

23(3), 243-264.

Chenhall, R. H. and K. Langfield-Smith(1998b), "Adoption and Benefits of

Management Accounting Practices: an Australian Study," Management

Accounting Research, 9, 1-19.

Chenhall, R. H. and D. Morris(1986), "The Impact of Structure, Environment and

Interdependence on the Perceived Usefulness of Management Accounting

Systems," The Accounting Review, January, 16-35.

Child, J.(1987), "Organization Design for Advanced Manufacturing Technology," in The

Human Side of Advanced Manufacturing Technology, T. D. Wall, C. W. Clegg

& N. I. Kemp(eds.), Chichester, England: Wiley, 101-133.

Choe, J.(1998), "The Effects of User Participation on the Design of Accounting

Information Systems," Information and Management, 34, 185-198.

Chong, V. K. and K. M. Chong(1997), "Strategic Choices, Environmental Uncertainty

and SBU Performance: A Note on the Intervening Role of Management

Accounting Systems," Accounting and Business Research, 27(4), 268-276.

Chow, C.(2002),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Public Accounting Firms: Evidence

from Taiwanese Local and US Affiliated Firms," Accounting, Organizations and

34 經 營 硏 究 第 21 卷 第 2 號

- 112 -

Society, 27, 347-360.

Chow, C., M. Shields and A. Wu(1999), "The Importance of National Culture in the

Design of and Preference for Management Controls for Multi-national

Operations," Accounting, Organizations and Society, 24, 441-461.

Cooper, R.(1994), "The Inertial Impact of Culture on IT Implementation," Information and

Management, 27, 17-31.

DeLuzio, M. C.(1993), “Management Accounting in a Just-In-Time Environment,"

Journal of Cost Management, Winter, 6-15.

Dess, G. and P. Davis(1984), “Porter‘s Generic Strategies as Determinants of Strategic

Group Membership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7, 467-488.

Drazin, R. and A. Van de Ven(1985), "Alternative Forms of Fit in Contingency Theory,"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30, 514-539.

Fiol, C. M. and M. A. Lyles(1985), "Organizational Learning,"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0(3), 803-813.

Flamholtz, E.(1983), "Accounting, Budgeting and Control Systems in Their

Organizational Context: Theoretical and Empirical Perspectives," Accounting,

Organization and Society, 8(2/3), 153-169.

Flamholtz, E. and T. Das(1985), "Toward an Integrative Framework of

Organizational Control," Accounting, Organization and Society, 10(1), 35-50.

Gerwin, D.(1993), "Manufacturing Flexibility: A Strategic Perspective," Management

Science, 39(4), 395-410.

Ginzberg, J.(1980), "An Organizational Contingencies View of Accounting and

Information Systems Implementation," Accounting, Organization and Society, 5(4),

69-382.

Grover, V., J. Teng and K. Fiedler(1998), "IS Investment Priorities in Contemporary

Organizations," Communications of the ACM, 41, 40-48.

Gul, F. and Y. Chia(1994), "The Effects of Management Accounting Systems,

Perceived Environmental Uncertainty and Decentralization on Managerial

Performance: A Test of Three-way Interaction," Accounting, Organization and

Society, 19(4/5), 413-426.

조직문화, 경 략, 첨단 생산기술과 리회계 정보간의 상호 련성 인과 계 35

- 113 -

Gupta, A. and V. Govindarajan(1984), "Business Unit Strategy, Managerial

Characteristics, and Business Unit Effectiveness at Strategy Implement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7, 25-41.

Hair, J.(1979), Multivariate Data Analysis, Oklahoma: Petroleum Publishing Company.

Harrison, S. P. and M. Poole(1997), "Customer-focused Manufacturing Strategy and

the Use of Operations-based Non-financial Performance Measures: A Research

Note," Accounting, Organizations and Society, 22(6), 557-572.

Hofstede, G.(1998), "Identifying Organizational Subcultures: An Empirical Approach,"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35(1), 1-12.

Huber, G. P.(1991), "Organizational Learning: The Contributing Processes and the

Literatures," Organization Science, 2, 88-115.

Joshi, P.(2001), "The International Diffusion of New Management Accounting

Practices: The Case of India," Journal of International Accounting, Auditing and

Taxation, 10(1), 85-109.

Kanungo, S., S. Sadavarti and Y. Srinivas(2001), "Relating IT Strategy and

Organizational Culture: An Empirical Study of Public Sector Units in India,"

Journal of Strategic Information Systems, 10, 29-57.

Kim, J. and C. Muller(1981), Factor Analysis: Statistical Methods and Practical

Issues, SAGE University paper 14, SAGE Publications Inc.

Kitchell, S.(1995), "Corporate Culture, Environmental Adaptation, and Innovation

Adoption: A Qualitative/Quantitative Approach,"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23(Summer), 195-205.

Kloot, L.(1997), "Organizational Learning and Management Control Systems:

Responding to Environmental Change," Management Accounting Research, 8,

47-73.

Lee, S., J. Courtney and R. O'keefe(1992), "A System for Organizational Learning

Using Cognitive Maps," OMEGA, 20(1), 23-36.

Little, S., P. Quintas and T. Ray(2002), Managing Knowledge: An Essential Reader,

London, U.K.:SAGE Publications Ltd.

Li, M. and R. Ye(1999), "Information Technology and Firm Performance: Linking

with Environmental, Strategic and Managerial Contexts," Information and

36 經 營 硏 究 第 21 卷 第 2 號

- 114 -

Management, 35, 43-51.

Machlup, F.(1983), Semantic Quirks in Studies of Information, New York: John Wiley.

Markus, L. and J. Pfeffer(1983), "Power and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ccounting and Control Systems," Accounting, Organizations and Society, 8,

205-218.

McNair, C. J.(1990), "Interdependence and Control: Traditional vs. Activity-based

Responsibility Accounting," Journal of Cost Management, Summer, 15-24.

Meredith, J. R. and M. Hill(1987), "Justifying New Manufacturing Systems: A

Managerial Approach," Sloan Management Review, Summer, 49-61.

Mia, L. and H. Chenhall(1994), "The Usefulness of Management Accounting Systems,

Functional Differentiation and Management Effectiveness," Accounting,

Organizations and Society, 19(1), 1-13.

Miller, J. A.(1992), "Designing and Implementing a New Cost Management System,"

Journal of Cost Management, Winter, 41-53.

Miller, D. and H. Friesen(1986), "Porter's Generic Strategies and Performance,"

Organization Studies, 7, 35-55.

Nemetz, L. and W. Fry(1988), "Flexible Manufacturing Organizations: Implications

for Strategy Formulation and Organization Desig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3, 627-638.

Nonaka, I.(1994), "A Dynamic Theory of Organizational Knowledge Creation,"

Organization Science, 5(1), 14-37.

O'Connor, N.(1995),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Usefulness of

Budget Participation by Singaporean-Chinese Managers," Accounting,

Organizations and Society, 20(5), 383-403.

Porter, M.(1985), Competitive Advantage, NY: Free Press.

Pratt, J. and P. Beaulieu(1992), "Organizational Culture in Public Accounting: Size,

Technology, Rank, and Functional Area," Accounting, Organizations and Society,

17, 667-684.

Robey, D.(1994), "Cultural Analysis of the Organizational Consequences of

Information Technology," Accounting, Management & Information Technology, 4,

23-37.

조직문화, 경 략, 첨단 생산기술과 리회계 정보간의 상호 련성 인과 계 37

- 115 -

Romm, T., N. Pliskin, Y. Weber and A. Lee(1991), "Identifying Organizational Cultural

Clash in MIS Implementation," Information and Management, 21, 99-109.

Schein, E. H.(1985),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San Fransisco: Jossey-Bas.

Sim, K. L. and L. N. Killough(1998), "The Performance Effects of Complementarities

between Manufacturing Practices and Management Accounting Systems,"

Journal of Management Accounting Research, 10, 325-346.

Simons, R.(1987), "Accounting Control Systems and Business Strategy: An Empirical

Analysis," Accounting, Organization and Society, 12(4), 357-374.

Tricker, R.(1988), "Information Resource Management: A Cross-cultural Perspective," 

Information and Management, 15, 37-46.

Tsui, J.(2001), "The Impact of Cult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udgetary

Participation, Management Accounting Systems, and Managerial Performance,"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ccounting, 36(2), 125-146.

Virany, B., M. L. Tushman and E. Romanelli(1992), "Executive Succession and

Organization Outcomes in Turbulent Environments: An Organization Learning

Approach," Organization Science, 3(1), 72-91.

Wallach, E.(1983),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The Cultural Match," Training and

Development Journal, February.

Zammuto, F. and J. O'Connor(1992), "Gaining Advanced Manufacturing Technologies'

Benefits: The Roles of Organization Design and Cultur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7, 701-729.

38 經 營 硏 究 第 21 卷 第 2 號

- 116 -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Culture, Strategy,

Technology and Management Accounting Information

Jong-min Choe*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organizational culture,

business strategy, advanced manufacturing technology(AMT) and the amount of

management accounting information(MAI). The results showed that bureaucratic

culture positively correlates with the amount of traditional MAI produced, and

innovative-supportive culture is positively related with advanced MAI. The

relationships among differentiation strategy, AMT and the amount of traditional

and advanced MAI were also significant and positive.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echnique,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contextual variables and types

of MAI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organizational culture and AMT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amount of MAI

produced. However, the effects of business strategy on the amount of MAI were

non-significant. Through cluster analysis, this study also demonstrated that the

amount of MAI provided that fits with conditions of contextual variables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Key Words : Organizational Culture, Management Accounting Information,

Advanced Manufacturing Technology, Business Strategy,

Traditional Information, Advanced Informati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 Professor,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Busi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