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46017 양지혜 기말과제

4
2013 학학학 학 2 학학 학학학학 학학학 학학 학학학 학학학 학학학학 학 학학학 학학학학학 학학학: 학학학학 학학학 학학학: 학학학 학학학 학학학: 학학학학학 1346017 학학학 학학학: 2013 학 12 학 12 학 목목 1. 목목목목 3 2. 목목목 목목목목 목목목 목목목목 목목 4 1

Upload: jihyeee

Post on 20-Jun-2015

225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1346017 양지혜 기말과제

2013 학년도 제 2 학기우리말과 글쓰기기말 소논문

스타의 자녀들은 왜 예능에 등장하는가

과목명: 우리말과 글쓰기교수명: 권경미 교수님

학생명: 교육공학과 1346017 양지혜제출일: 2013 년 12 월 12 일

목차

1. 시작하며 3

2. 스타의 자녀들이 예능에 나타나는 이유 4

1) 순수한 리얼리티를 추구하는 방송 트렌드 4

3. 왜 아이들의 예능에 열광하는 것인가? 5

1

Page 2: 1346017 양지혜 기말과제

1) 소통의 부재가 만든 유행 5

4. 마치며 6

5. 참고문헌 6

1. 시작하며

예능의 황금 시간이라고 할 수 있는 주말 오후 5 시~8 시. SBS 에서는 토요일에 ‘붕어빵’을 방영하고, 일요일에는 KBS 에서 ‘슈퍼맨이 돌아왔다’가, MBC 에서는 ‘아빠, 어디 가’가 방영된다. 이 세 프로그램은 모두 꾸준히 인기를 얻고 있으며, 특히 ‘슈퍼맨이 돌아왔다’는 추석 특집으로 방영했다가 사람들의 많은 인기를 얻어 정규 방송으로 편성되었다. 일요일 예능 시간대의 시청률을 보더라도, ‘아빠, 어디 가’를 방영하는 MBC 가 12.4%, ‘슈퍼맨이 돌아왔다’를 방영하는 KBS 는 12%, 그리고 아이가 등장하지 않는 예능이 방영되는 SBS 는 11.3%로 비록 근소한 차이이지만, 동시간 대 최고의 시청률을 보이고 있으며, 그 시청률은 계속해서 상승 중이다.1 이러한 프로그램들의 공통점은 모두 스타의 ‘자녀’가 등장한다는 것이다. 요즘 예능 프로그램은 스타의 자녀가 등장하는 것이 대세다. 불과 일 년 전만 하더라도 MBC 의 무한도전, SBS 의 런닝맨 등과 같이 인기 많은 스타들이 출연하여 나름의 짜여있는 각본대로 진행되는 프로그램이 인기였다.

하지만, 요즘 대세는 이미 잘 알려진 스타의 개그 또는 진행을 보는 것이 아니라, 티비에 등장하지 않던 스타의 자녀가 등장하는 프로그램들이다. 어느 순간부터 아이들은 주말 예능의 강자로 떠오르기 시작했고, 심지어 ‘아빠, 어디 가’에 나오는 윤민수의 아들 윤후는 다른 많은 예능인들을 제치고 올해의 예능인 2 위의 자리에 올라 국민들이 후를 얼마나 좋아하고 있는지 실감할 수 있었다.

이러한 아이들의 등장은 사회적으로 보았을 때 긍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다. 이 글은 ‘아빠, 어디 가’와 ‘슈퍼맨이 돌아왔다’를 대상으로 사람들이 스타의 자녀가 등장하는 프로그램에 열광하는 것에 의문을 가지고, 스타의 자녀들이 예능에 나타나는 이유를 알아본 후 이러한 프로그램이 인기를 끄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1 「지상파 - 일일시청률」, 『nielsen』, 2013. 12. 08. .<

http://www.agbnielsen.co.kr/index.asp?ref=0>. (검색일자 2013. 12. 10)2

Page 3: 1346017 양지혜 기말과제

2. 스타의 자녀들이 예능에 나타나는 이유

1) 순수한 리얼리티를 추구하는 방송 트렌드

아이들이 등장하는 프로그램의 가장 큰 특징이자 공통점은 ‘리얼리티’라는 점이다. 리얼리티 방송이란, “대본에 기반하지 않는, 멜로-드라마틱한 상황이나 유머스러운 상황을 표출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한 장르로, 전문 배우 대신 일반인을 주연으로 하는 것이 보통이며 상을 수여하는 콘테스트에서도 이따금 이루어진다.”2 요즘 예능 프로그램은 아이들이 등장하는 것이 아니더라도 ‘리얼리티’가 대세이다. 많은 예능들이 존재하는 가운데, 리얼리티 프로그램이 단연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이렇게 리얼리티 방송이 인기를 끌고 있는 시점에서 가장 재미있게 리얼리티를 이끌어갈 수 있는 ‘일반인’을 찾다 보니 그 대상이 스타의 자녀가 된 것이다. 어디로 튈지 모르는 아이들의 생각, 예측 불가능한 아이들의 상상력이 리얼리티의 재미를 한 층 더해주고 있다. 최근 공개된 ‘아빠, 어디 가’의 대본을 보면 PD 가 아빠들에게 전달하는 지령만 나와 있지 아이들의 대사나 행동에 대한 지침은 하나도 없다고 발표해 눈길을 끌었다.3

뿐만 아니라, 각박해지고 주위 사람들에게 소원해지는 21 세기의 빠른 사회 속에서 티비를 통해 보이는 아이들의 순수함도 이러한 프로그램의 인기에 한 몫 하고 있다. ‘아빠, 어디 가’와 ‘슈퍼맨이 돌아왔다’의 방영 후 인터넷 기사를 보면 아이들의 ‘동심’에 관련된 기사가 많이 나와 있다. 그 날 방송된 부분에서 아이들의 동심에 감탄하고 놀라워하는 내용이 대부분이다. 예를 들어, ‘아빠, 어디 가’에서 아빠들이 소와 이야기할 수 있다고 하니, 아이들이 그 말을 진짜 믿고 헤드셋으로 들리는 목소리를 진짜 소가 말하는 것으로 믿고 시키는 대로 하는 장면이 있었다. 아이들의 반응에 티비에 나오는 아이들의 아빠, 즉 스타들도 많이 놀랐을 뿐만 아니라 그 방송이 있고 난 후 네티즌들의 반응도 뜨거웠다.4‘슈퍼맨이 돌아왔다’에서도 타블로가 잡은 메기로 메운탕을 끓여먹자고 하자 딸 하루가 “물고기 친구를 먹으면 안 된다”고 말하는 장면에서 아이들의 순수한 동심을 느낄 수 있었다.5

이렇게, 어른들이 자신의 삶 속에서 느끼지 못했던 순수한 동심과 자연스러움을 추구하는 리얼리티의 프로그램이 결합되면서 아이들이 등장하는 예능 프로그램은 많은 사람들의 인기를 누릴 수 있었다.

3. 왜 아이들의 예능에 열광하는 것인가

1) 소통의 부재가 만든 유행

아이들이 등장하는 리얼리티 프로그램. 단순히 사람들이 리얼리티 프로그램을 좋아하고, 아이들의 순수함을 보고 싶다고 해서 인기 있는 것이 아니다. 사람들이 이러한 예능에 열광하는 이유는 바로 ‘아빠’와 아이들이 등장하기 때문이다. 만약 이러한 예능에 엄마와 아이들의 관계가 돋보였다면 이렇게 인기를 끌 수 있었을까? 아마 없었을 것이다. 아이들은 보통 아빠보다는 엄마와 보내는 시간이 더

2 위키백과. <http://ko.wikipedia.org/wiki/%EB%A6%AC%EC%96%BC%EB%A6%AC%ED

%8B%B0_%EB%B0%A9%EC%86%A1>. (검색일자 2013. 12. 10)

3 「여현전 작가 “아빠 어디가 대본 없어” 제작비화 공개」, 『강원일보』, 2013. 08. 07. <http://www.kwnews.co.kr/nview.asp?s=801&aid=213080600178>.

4 「아빠 어디가 몰래카메라, 순수한 동심에 아빠들 충격」, 『영남일보』, 2013. 09. 16. <http://www.yeongnam.com/mnews/newsview.do?mode=newsView&newskey=20130916.990011112092281>.

5 「하루 메기 사랑, 맨손으로 ‘덥석’…”물고기 친구 먹으면 안돼」, 『경기일보』, 2013. 12. 08. <http://www.kyeonggi.com/news/articleView.html?idxno=725145>.

3

Page 4: 1346017 양지혜 기말과제

많다. 그렇기에 자연스럽게 엄마를 더 편하게 대하고 소통도 많이 할 것이다. 아빠는 보통 아침 일찍 회사에 나갔다가 밤에 들어오므로 아이와 많은 시간을 보낼 수가 없다. 특히 이 프로그램에 나오는 스타들은 일하는 시간이 불규칙하기 때문에 일반인들보다 아이들과 보낼 수 있는 시간이 훨씬 적을 것이다. 방송 초기에 ‘아빠, 어디 가’에서 윤민수는 후가 어릴 때는 자신을 알아보지 못했다고 밝혀 사람들의 안타까움을 사기도 했다. 또한 다정다감해 보이지 않던 성동일도 차츰 아들과의 사이가 발전되는 모습을 보이며 시청자들에게 감동을 주기도 했다. 이렇게 가까우면서도 가깝지 않은 아빠와의 관계가 점점 발전해가는 모습을 보며 사람들은 감동을 느낀다. 같은 가족이지만 소통이 부족한 아빠와 1 박 2 일 여행을 하며, 또는 48 시간 동안 함께 보내며 아빠와 아이는 한 층 더 가까워지고, 시청자들은 그 모습을 보며 일종의 힐링을 받게 된다. 왜냐하면 시청자들도 비슷한 상황에 놓여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러한 프로그램을 통해 사람들의 공감을 이끌어냄으로써 리얼리티 프로그램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더 큰 인기를 얻을 수 있었다.즉, 이러한 아이들이 나오는 예능은 단순히 아이들과 부모와의 관계를 보여주는, 시청자들에게 단지

웃음만 주는 프로그램이 아니라 가족 안에서의 소통의 부재를 다루었기 때문에 더욱 큰 인기를 얻을 수 있었던 것이다. 단순 예능 프로그램이 아닌 ‘소외된 가족의 위치 찾기’라는 숨은 뜻을 지닌 프로그램인 것이다.

4. 마치며

이 글에서는 스타의 자녀들이 예능 프로그램에 등장하는 이유와 그런 프로그램에 사람들이 열광하는 이유를 알아보았다. 아이들의 예능 출연은 리얼리티 프로그램을 추구하는 시청자들의 요구에 반응한 것이며, 이러한 프로그램은 어른들의 순수한 동심에 대한 목마름을 해소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혹자는 스타의 자녀가 방송에 나와서 연예계 활동을 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으로 바라볼 수도 있다. 아이들이 너무 상업적으로 이용된다는 게 그 이유다. 하지만, 이런 리얼리티 프로그램을 통해 그 스타와 자녀와의 관계가 더 발전되고, 시청자들도 이러한 예능 프로그램을 보면서 재미를 얻을 뿐만 아니라 공감을 하고 힐링을 받을 수 있다면, 스타의 가족에게나, 그 방송을 보는 사람에게나 모두에게 이익이고, 사회적으로 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높게 평가할 수 있다. 앞으로도 사회의 요구에 따라 이러한 리얼리티 프로그램이 많이 생겨날 것이다. 실제로 SBS 에서도 일요일 예능에 아이가 등장하는 새로운 리얼리티를 준비 중이다. 자녀들의 리얼리티가 현재처럼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아이들 스스로에게도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으로 남기 위해서는, 앞으로 등장하는 프로그램들도 억지로 재미를 추구하기 보다는 ‘리얼리티’라는 이름에 맞게 아이들 스스로 재미를 구성할 수 있도록 독려해야 할 것이다.

5. 참고문헌

1. 「지상파 - 일일시청률」, 『nielsen』, 2013. 12. 08. .<http://www.agbnielsen.co.kr/index.asp?ref=0>. (검색일자 2013. 12. 10)2. 위키백과. <http://ko.wikipedia.org/wiki/%EB%A6%AC%EC%96%BC%EB%A6%AC%ED%8B%B0_%EB%B0%A9%EC%86%A1>. (검색일자 2013. 12. 10)3. 「여현전 작가 “아빠 어디가 대본 없어” 제작비화 공개」, 『강원일보』, 2013. 08. 07. <http://www.kwnews.co.kr/nview.asp?s=801&aid=213080600178>.4. 「아빠 어디가 몰래카메라, 순수한 동심에 아빠들 충격」, 『영남일보』, 2013. 09. 16. <http://www.yeongnam.com/mnews/newsview.do?mode=newsView&newskey=20130916.990011112092281>.5. 「하루 메기 사랑, 맨손으로 ‘덥석’…”물고기 친구 먹으면 안돼」, 『경기일보』, 2013. 12. 08. <http://www.kyeonggi.com/news/articleView.html?idxno=725145>.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