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 어거스틴 (st augustinus)

6
1 성 어거스틴(St. Augustinus) 1. 지성과 신앙의 교부로서의 성 어거스틴 “지성의 한계”와 “의 연” 관한 이기는 제1권서 브라함의 “탈 메포타미” 사건 서부터 작하였다. 헤브론서 그가 판 우물은 단한 체의 목마름 때문이 니을 것이다. “지성의 한계” 서 “의 연”을 너무나도 갈구한 나머지 그는 고도의 문화권인 갈대 우 르를 떠났던 것이다. 헤브론의 브라함의 우물은 그러한 의미서 “의 연”의 상징이을 것이다. 성 거틴이 세상 태났을 때는 그의 주변이 다금 지성의 한계 서 매우 혼 탁한 의 연이 대두된 때였다. 이러한 때 그는 지성과 을 한 몸 지닌 기독교역사 서 흔히 볼 는 독보적인 존재가 되다. 그는 한마디로 말하여 기독교의 초창기서부터 지 금까지 존경 받는 교부가 된 것이다. 교부라는 단는 “교회의 버지(Church Father)”라는 뜻인데 비단 기독교의 교회 내서 뿐만 니라 일반적인 의미의 “가르치는 버지”로서 그는 인류사 서 특유한 자리매김을 하였다. 성 거틴이 타계한 이후 1583년이란 장구한 세월이 흘렀다. 그 가 남긴 백 여 편의 책들 중서 두 가지가 인류사서 명작으로 려져 있다. 그것은 “참회록 (Confessiones)”과 “하나님의 나라(Civitate Dei)”이다. 그의 “참회록”을 읽게 되면 이미 1500여 년 전 죽다는 사람이 지금 살서 내 서 자기의 생각을 말하고 있는 것처럼 느껴진다. 이 찌 가능한 일인가? 영지주의자들이 말하는 이 완전치 못한 케노마(Kenoma)의 세상서 가장 큰 힘을 가지고 있는 것은 “죽음”이다. 죽음 서는 떤 금력도 권력도 다 무력해 질 밖 는 것이다. 히틀러의 철통 같던 백전백의 그 무력적인 권한이 지금은 디 있는가? 제정 러 때의 부호들이 유럽서 로마대 이후 가장 화려한 삶을 살다고 하는데 그들이 지금 다 디 있는가? 부귀영화, 명예, 권력 등은 우리들의 인생서는 마치도 홀로그램과도 같은 환 영(贺薀) 지나지 는다. 그러면 이러한 “죽음의 권세”를 이기 예 그리도의 부활이 려진 이후부터는 우리는 죽음 대한 공포를 더 이상 마음 두지 고 살고 있다. “사망! 너의 는 것이 디 있느냐?”고 사도바울은 말했다. 거틴이 살던 주후 3세기 때의 렉산드리는 오 늘날의 자본주의 형태와 매우 유사한 풍요로운 도로 발전되고 있다. 그러한 현세주의의 풍요 로운 삶을 사는 사람들게는 죽음이 끝이 니라 새로운 작이라고 하는 부활의 의미는 일종의 거짓 니면 사기로 여겨졌을 뿐이다. 그러한 때 거틴은 그 대는 죽은 사람이지만 분 명 오늘 이 간는 살 활동하는 인물이 된 것이다. 거틴은 43세 때 “참회록”을 기 작하였다. 그래서 4년 후 “참회록”의 집필은 13권의 책자로 묶진 채 끝나게 된다. 그의 참 회록의 집필이 끝날 당는 거틴은 히포(Hippo)의 감독이 된 때였다. 그 이후 33년 동 그는 감독의 자리를 지키면서 믿음의 떼들을 돌보면서 무려 백 여권이 넘는 작품들을 후세

Upload: 0514bach

Post on 26-Nov-2015

47 views

Category:

Documents


3 download

DESCRIPTION

성 어거스틴의 생애와 사상에 관한 간략한 소개

TRANSCRIPT

  • 1

    (St. Augustinus) 1.

    1 . . . . . . . (Church Father) . 1583 . . (Confessiones) (Civitate Dei). 1500 . ? (Kenoma) . . ? ? , , (??) . . ! ? . 3 . . . 43 . 4 13 . (Hippo) . 33

  • 2

    . . . (Te Deum Laudamus) . . . (Archaeologie des Lebensschicksals) . . . Fecicsi nos ad Te et inquietum est cor nostrum, donec resquiescat in Te. Confessiones I/2 ) . . . Cogito Ergo Sum) (Rene Descartes) . , . ? ( De Trinitate X/10) (Parmenides) . (Cogio Ergo Sum) .

    . 313 . . (Donatus Magus, 310 355AD) (, , ) . . . , , . 3 . (Ambrosius) (Plotinus) (Enneade: 6 x 9) . . (De

  • 3

    vera religion) . . . . . . . , .

    2.

    354 (Tagaste) . . 6 . . 18 (Patricius) . . . (Monica) . 10 . 300 (Zenon) (Seneca) (Epiktetus) , , . (Markus Aurelius) . , // , . . (Cicero) (Quintus Hortensius) . . . 10 . 20

  • 4

    . (Pleroma) 20 . 9 . 383 29 (Faustus von Mileve) . . . (Confession V/6 ) . (Quintus Aurelius Symmachus) . 2 (Valentinianus II) . 380 . . . . . . (Adeodatus, ) . 386 (Ambrosius) . . (Plotin) (Enneade, 6 x 9) . . , , . . . . . .

  • 5

    . (Confessiones VII/9 ) 386 8 15 . (De vita contemplative) . . . , , . . (Alypius) . . ! ! ( tolle, lege) . 13 13-14 . . . 387 4 24 , , . ! ! (Te Deum Laudamus) . (Te Deum) . (Ostia) . 65 33. . 2 . . (De magistro) . 2 . . 390 (Hippo) . (Anaba). . . (Valerius)

  • 6

    . . 396 . 430 33 . (Bischof von Hippo) . (Confessiones) 397 401 .

    . 18. . (De musica). 1 4 . , , . 2 . . (Te Deum Laudamus) . (De beata vita) 10 .

    :

    De beata vita (386), De civitate dei (413-426), De trinitate (398-417), De magistro (388), Confessiones (397-401), De vera religion (390), Soliloquia (386), De libero arbitrio (386), Contra academicos (3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