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 otad.or.kr · 1965 barthel mahoney shah,년 과 ......

77
제권제호 6 2 ISSN 1976 1090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4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Upload: vohanh

Post on 06-Sep-2018

227 views

Category:

Documents


1 download

TRANSCRIPT

제 권 제 호6 2

ISSN 1976 109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4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목 차/ /

방문재활서비스가 치매유무에 따라 노인의 일상생활동작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정기

1

집단 회상치료가 시설거주 치매노인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권미화 정다해 김수경, ,

11

개별 작업치료와 통합된 집단회상프로그램이 장기요양시설 노인의

심리적 건강과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이향숙 윤정애 노종수 차정진 강선애 강현아 김은미 박종현 이보람, , , , , , , ,

19

알츠하이머환자와 혈관성 치매환자의 를 통한 인지기능의CERAD-K

비교와 평가도구의 유용성

장종식 김수경,

31

노인의료복지시설 입소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관한 조사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용미현 차수민 양영애, ,

39

정상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와 삶의 만족도의 상관관계

이효정 양영애,

47

만성 뇌졸중 환자에서 집단교육프로그램이인지와 균형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오재원 김현주,

55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서론.Ⅰ

경제성장과 현대화로 인한 생활수준의 향상과 의료

기술의 발달 등으로 인해 평균수명의 증가가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 최근 세계적으로 가장 크게 대두가 되.

고 있는 문제가 저 출산과 고령화로 인한 노인문제가

큰 이슈가 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년 세이. 2000 65

상의 노인인구가 전체의 로 고령화 사회에 접7.2%

어들었고 년 노인인구가 로 고령사회로 진2018 14.3%

입하게 될 것이다통계청 이런 변화는 우리나( , 2011).

라만의 문제가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공통적으로 일

어나는 현상이다 그러나 우리가 이 문제의 심각성에.

대해 더 많이 생각하고 준비하고 있는 것은 다른 선

진국에 비해 노인인구의 증가속도가 더 빠르게 진행

방문재활서비스가 치매유무에 따라 노인의 일상생활동작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정기

대구보건대학교 작업치료학과

목적본 연구는 노인에서 치매유무에 따라 방문재활서비스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후 일상생활활동과 삶의

질에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는 시에 거주하는 세 이상의 노인으로 장애진단을 받은 명을 대상으로 년 월부터D 65 13 2011 5

월까지 매주 회 인 조로 방문하여 분 시간정도 프로그램을 수행하였다 참여한 장애11 1 2 2 1 30 1 .∼ ∼

인의 인지 및 치매척도를 측정하기 위해 와 로 평가하여 그룹으로 나누었다 두 그MMSE-K GDS 2 .

룹은 일상생활동작을 평가하기 위해 를 삶의 질에 척도를 측정하기 위해 를 이용하MBI , GQOL-D

여 재가방문 작업치료프로그램 수행전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작업치료 프로그램을 실시 후 두 그룹을 일상생활동작과 삶의 질의 변화에 대해 측정하였다 비치.

매노인그룹의 경우 치료 후 삶의 질 척도검사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t -5.484,= p 0.001),<

치매노인그룹의 경우 삶의 질 검사(t -18.205,= p 와 일상생활동작검사0.000) (t -3.162,< = p 0.025)<

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일상생활동작과 삶의 질 간의 상. Pearson

관계수는 으로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0.570 (p 0.05).<

결론

비치매노인그룹과 치매노인그룹의 경우 정기적인 작업치료 프로그램 수행이후 삶의 질에 향상을 보

였고 특히 치매노인그룹의 경우 일상생활동작과 삶의 질에 변화를 나타내므로 규칙적인 신체활동과

사회참여를 통해 노화와 더불어 차적으로 나타나는 치매를 예방하고 경도인지장애나 초기 치매환2

자의 경우 삶의 질 향상으로 정상적인 노후를 즐길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현재 일부지.

역에서 실시하는 재가방문재활치료사업를 좀 더 확대 실시하여 재가장애인에 삶의 질에 향상에 도

움이 되었으면 한다.

주제어 치매 방문재활서비스 작업치료 일상생활동작 삶의 질, , , ,

교신저자 김정기 접수일 년 월 일 개재승인일 년 월 일: ([email protected]) : 2012 11 10 : 2012 11 28∥ ∥

2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6 / 2

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평균수명의 증가와 더불어.

노인의 만성질환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

다 노인성 만성질환자의 경우 년에 만 천명에. 2002 49 9

서 년에 만 천명으로 급증하고 있으며 진료비2009 102 7

도 억 원에서 조 억 원으로 증가한다고 보5,813 2 4,387

고되어져 있다국민건강보험공단( , 2011).

치매는 인간이 가진 여러 가지 인지기능인 기억력,

주의집중력 언어기능 시공간 인지기능과 판단력을, ,

포함한 이마엽의 집행기능 등의 장애가 생겨 일상생

활활동과 사회활동에 어려움을 주는 것을 말한다대(

한치매학회, 2012).

또한 미국정신협회 에서 치매는 다양한 기DSM-IV ‘

억장애와 더불어 사회생활 및 직업생활에 방해를 일

으키는 인지장애가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상태로 실,

인증 실어증 이마엽 실행기능장애 시공간능력의 저, , ,

하 및 기타 인지장애 중 세가지이상의 결함을 동반하

는 것이라고 정의 되어있다 특히 치매는 년대’ . 1980

이후 역학적 연구에 의해 전 세계적으로 세 이후65

발병률이 전체 인구의 에 이른다고 하며 현재5 10% ,∼

세계치매인구가 만 명이며 특별한 대책이 마련1,800

되지 않으면 년 후에 만 명이 이룰 것 이라고25 3,400

보고하고 있다손은남과 박선희 통계청( , 2012; , 2009).

우리나라의 경우 세 이상 치매환자가 년65 2011 46

만 명에서 년에 만 명 년에 만 명9000 2020 75 , 2030 100

이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고 년마다 배씩 증가할20 2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국민건강보험공단 조명( 2011;

제 따라서 치매는 개인적인 부양과 경제적인2008).

문제와 더불어 사회적 비용 등에 문제들로 인해 크나

큰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될 것이다.

치매는앞서언급한것과같이일상생활활동의장애,

인지기능장애 정서장애가 특징적이다김지애, ( , 2008; 박

정숙 이현지와 김미은, , 2003).

치매정도가 더 심해질 경우 일상생활활동의 장애가

더 많이 나타난다김지애 유호신 또한( , 2008; , 2001).

치매환자는 일상생활활동능력저하와 더불어 인지기

능의 저하가 나타난다고 보고하고 있다김은주( 2003).

또한 치매로 인해 신체적 기능의 저하로 인한 일상생

활동의 저하와 함께 심리 정서적 문제로 불안과 우울

이 발생한다고 보고되어있다신성희 주애란과( , 2012;

박상하, 2010).

치매노인의 경우 불안과 우울이 동반하여 발생하지

만 다른 정서적 증상과 혼돈되어 정확하게 파악하기,

힘들다고 한다(Seignourel, Kunik, Snow, Wilson &

우울증을 가진 노인의 경우 불안 초조Stanley, 2008). , ,

수면장애 등과 함께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어져 있

다김성윤 서국희 등( , 2004; , 2000).

지역사회 가정방문프로그램은 병원시설에서 가정

으로 변화시킨 프로그램으로 치료의 연속성으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Evashwick & Weiss, 1987;

Steinberg, 1986).

방문재활서비스는 급성 및 만성질환으로 인해 병원

에서 급성기 치료를 종료한 이후 병세는 안정되었으

나 일상생활활동에 제한이 발생한 노인 만성질환자, ,

재가장애인 및 저소득자 등에 신체적 능력 향상 및

회복을 위해 일상생활능력을 최대한 높여주는 것이다

박흥석 등 양영애 양영애 등( , 2008; , 1997; , 2011).

방문재활서비스는 의사를 중심으로 간호사 물리치,

료사 작업치료사 등으로 구성되어 지속적으로 가정,

방문치료를 제공하는 것이다박흥석 등 양영애( , 2008; ,

우리나라의 경우 년 방문서비스 필요성에1997). 1994

따라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정간호사제도가 있지

만 재활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방문재활서비스,

는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박영주 등( , 2010;

양영애 최혜숙, 2006; , 2005).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에서 치매유무에 따

라 방문재활서비스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후 일상생활

활동과 삶의 질에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Ⅱ

연구대상과 기간1.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시 소재 보건지소에D

방문재활서비스를 받고자 등록된 장애인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관계자들의 동의와 참가의 승낙을 얻어

작업치료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작업치료프로그램.

은 년 월부터 월까지 매주 회 인 조로 방2011 5 11 1 2 1

문하여 분 시간 정도 프로그램을 수행하였다30 1 .∼

3

측정도구 및 연구방법2.

한국형 간이정신상태검사1) (Mini-Mental State

Examination-K; MMSE-K)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알려진 치매선별검사인

간이정신상태검사 를 년에 박종환과 권용(MMSE) 1989

철이 치매와 비치매군의 절단점과 진단적 타당도를

보고한 검사도구이다 이 도구는 민감도와 특이도가.

모두 이상으로 높은 수준에 이르고 점수배점에90%

따라 확정적 정상범위 확정적 치매범위 치매의심‘ ’, ‘ ’, ‘

범위로 분류되어 있다 점 이상은 확정적 정상이’ . 24 ‘ ’

며 점 이하는 확정적 치매로 구분하고 있다대한노19 ‘ (

인정신의학회 박종환과 권용철, 2007; , 1989).

2) 전반적 퇴화척도(Global Deterioration Scale;

GDS)

전반적 퇴화척도는 치매가 의심되는 환자나 치매로

진단된 환자의 임상 양상 및 심각도를 단계로 평정7

하도록 만들었다 이 도구는 라이스버그 그룹. (Reisberg

et al., 의 전반적 퇴화척도를 번안한 것이다 특1982) .

히 알쯔하이머형 치매와 다른 치매 혹은 다른 질환을

감별하고자 하였고 혈관성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한,

최근의 연구결과에서 환자의 가 그 심각도를 적87%

절하게 구분하였다(Paul et al., 2002)

이 평가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검사자간 신뢰도는

등 의연구에서 로보고되었고Gottlieb (1988) .82 Reisberg

등 의 연구에서 검사자간 한 단계 이하의(1988) GDS

차이를 보이는 정도로 일치한 경우는 로 높은 신0.95

뢰도를 보였다 또한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로 나. - 0.92

타났으며 국내의 이현종 등 의 연구에서 훈련된(2001)

검사자간의 신뢰도는 으로 매우 우수하였다0.93 1.00∼

대한노인정신의학회( , 2007).

수정된 바델지수3) (Modified Barthel Index; MBI)

이 평가도구는 일상생활동작을 평가하는 것으로

년 과 가 개발한 바델지수를1965 Barthel Mahoney Shah,

와 가 수정 보완한 것이다 일상Vanclay Cooper(1989) , .

생활동작을 개 항목개인위생 목욕하기 식사하기10 ( , , ,

용변처리 계단 오르기 옷 입기 대변조절 소변조절, , , , ,

보행 의자침대이용으로 나누고 각 항목별 단계로, / ) 5

점수화하여 총점을 점이다 수정된 바델지수의 검100 .

사재검사 신뢰도는 이며 검사자간 신뢰도는 이- .89 , .95

다(Granger, Albrecht & Hamilton, 1979)

치매노인 삶의 질 척도4) (Geriatric Quality of

Life-Dementia; GQOL-D)

이 평가도구는 신체적 건강 심리적 건강 사회적, ,

관계 환경을 측정하는 개 문항과 전반적인 건강 및, 13

삶의 만족도를 측정하는 각 개 문항 등 총 개 문항1 15

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도구의 내적일치도. (Cronbach’s

α는 이며 주 간격의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0.87 , 4 - 0.86

이다.

자료 분석방법3.

본 연구는 프로그램 을 사용하여SPSS version 17.0

전산통계 처리하였다 참여한 환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일반,

노화그룹과 치매로 진단받은 그룹의 작업치료전후의

일상생활동작과 삶의 질을 분석하기 위해 대응표본

를 하였고 일상생활동작과 삶의 질에 대한 상관t-test

분석 을 사용하였다(correlation) .

연구결과.Ⅲ

일반적인 특성1.

본 연구의 대상자는 명으로 남자 명 여13 7 (53.9%),

자 명 이고 연령은 세가 명 으로8 (46.1%) 70 74 7 (53.9%)∼

가장 많이 분포되어있다 교육은 중졸 명 고. 4 (30.8%),

졸 명 초졸 명 대졸 명 무4 (30.8%), 2 (15.4%), 2 (15.4%),

학 명 으로 나타났으며 동거인은 혼자 살거나1 (7.7%) ,

배우자와 함께 사는 세대가 명 으로 나타났다9 (69.2%) .

간병인은 배우자 명 전문간병인 명으로 를4 , 3 53.9%

차지하며 환자의 대부분 질병으로 인해 직업을 가지

지 못하고 있다 치료비부담은 절반인 명 이. 6 (46.1%)

본인이 직접 부담하고 있으며 현재 진단받은 질병이

외에도 동반하는 있는 질병이 있다고 답한 경우가 7

명으로 을 차지한다53.9% .

일반적 특성 구 분 빈 도 퍼센트(%)

나 이

세65 69∼

세70 74∼

세75 79∼

세 이상80

2

7

3

1

15.3

53.9

23.1

7.7

성 별남 자

여 자

7

6

53.9

46.1

교육수준

무 학

초 졸

중 졸

고 졸

대 졸

1

2

4

4

2

7.7

15.4

30.8

30.8

15.4

동 거 인

혼 자

배우자

배우자 자녀,

기 타

6

3

2

2

46.1

23.1

15.4

15.4

간 병 인

배우자

전문 간병인

간병인 없음

기 타

4

3

5

1

30.8

23.1

38.5

7.7

직업유무있 다

없 다

1

12

7.7

92.3

치료비부담

본 인

배우자

자 녀

기 타

6

2

2

3

46.1

15.4

15.4

23.1

동반질환있 다

없 다

7

6

53.9

46.1

표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1. (N 134)=

4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6 / 2

작업치료 프로그램이 일상생활동작과 삶의2.

질에 미치는 영향

작업치료에 참여한 대상자들은 명으로 치료시작13

전 훈련받은 치료사에 의해 전반적퇴화척도 를(GDS)

측정하여 비치매노인그룹 명과 치매노인그룹 명으7 6

로 나뉘어져 작업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비치매노인그룹의 일상생활동작과 삶의 질의1)

변화

장애를 가지고 있지만 치매로 진단받지 않은 노인

그룹에서 작업치료를 실시 후 일상생활동작과 삶의

질의 변화에 대해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와( 2)

같다 비치매노인그룹의 삶의 질 척도검사에서 치료.

후 증가하였으며(t -5.484,= p 통계학적으로0.001)<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일상생활동작의.

경우 치료 후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표( 2).

치매노인그룹의 일상생활동작과 삶의 질의 변화2)

치매를진단받은치매노인그룹에서작업치료를실시

후 일상생활동작과 삶의 질에 변화에 대해 측정하였으

며 그 결과는 표 과 같다 치매노인그룹의 삶의 질( 3) .

검사에서 치료 후 증가하였으며(t -18.205,= p 0.000)<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일상생활

동작의 경우에도 치료 후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

이를 나타내었다(t -3.162,= p 표0.025)( 3).<

치료 전

평균( ±

표준편차)

치료 후

평균( ±

표준편차)

t p

MBI48.67 ±

22.722

50.67 ±

23.585-3.162 0.025

*

GQOL-D 17.00 ± 2.000 25.33 ± 2.338 -14.940 0.000**

**p 0.01, *< p 0.05<

MBI : Modified Barthel Index

GQOL-D : Geriatric Quality of Life-Dementia

표 치매노인그룹의 일상생활동작과 삶의 질의3.

변화

치료 전

평균( ±

표준편차)

치료 전

평균( ±

표준편차)

t p

MBI 85.0 ± 14.503 86 ± 13.367 -1.528 0.177

GQOL-D 26.14 ± 3.237 32 ± 3.994 -5.484 0.002**

**p 0.01<

MBI : Modified Barthel Index

GQOL-D : Geriatric Quality of Life-Dementia

표 비치매노인그룹의 일상생활동작과 삶의 질의2.

변화

5

인지기능 일상생활동작 및 삶의 질의3. ,

상관관계

일상생활동작과 삶의 질 간의 상관계수는Pearson

으로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0.570 (p 인지기0.05).<

능과 일상생활동작 인지기능과 삶의 질 사이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표( 4).

고찰.Ⅳ

한국의 경제성장과 더불어 고령인구의 증가가 급속

도로 변화되면서 고령사회 고령화사회 및 초고령사,

회 각 단계로 변화되어가는 시간이 세계적으로 찾아

보기 힘든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런 빠른 환경변.

화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 중에 가장 두드러진 현

상은 노인성 만성질환 특히 치매환자가 점차 증가하,

고 있다는 것이다 치매는 환자자신 뿐만 아니라 가족.

들의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요인 중에 하나이다 이런.

문제는 이미 많은 나라에서 공통적으로 일어나는 현

상이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문제의 심각성이 우리의,

생각보다 빠르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런 문제에 대한

적절한 준비가 되지 않으면 한 가정과 더불어 한 사

회 한 국가의 문제로 나타날 것이 예상되기 때문이,

다 따라서 정부는 이같은 사회 환경의 변화를 대처하.

기 위하여 이미 몇몇 선진국에서는 사회보험방식 및

조세방식으로 그 재원을 마련하여 년부터 년간2005 3

시범사업을 거쳐 년 월부터 장기요양보장제도를2008 3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 제도와 더불어 최근에는.

일부 보건소에 다양한 형태의 방문재활서비스를 제공

하는 있는 현실이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도. D

시의 북구지역에 거주하면서 방문재활서비스를 받고

자 동의한 분들로 매주 약속된 시간에 시간정도 가1

정방문재활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참여한 대상자들은.

대부분 뇌졸중 등 장애를 가지고 있었으며 일부 대상

자들은 노화와 더불어 인지능력의 감소로 인해 치매

증상을 보이시는 분들도 있었다 가정방문재활서비스.

는 양영애 등 이 방문재활서비스가 고령자의 자(2011)

립을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방문서비스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한다고 주장한 것과 같이 지금까지 시

행되고 있는 방문요양 방문간호 등의 제도를 보완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성 질환의 대표질환인 치매의 경우 기억력 주,

의집중력 언어능력 등 인지기능의 저하로 인해 일상,

생활동작 정서장애와 사회생활에 지장을 주는 것을,

말하며대한치매학회 우리나라의 경우 년마( , 2012), 20

다 치매인구가 현재보다 배씩 증가하여 년에2 2030 100

만 명이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보고하고 있다국민(

건강보험공단 조명제 또한 치매는 신체기2011; 2008).

능의 장애와 더불어 심리적 정서적 문제로 우울 불안,

이 더불어 나타나 삶의 질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노인 치매환자의 경우 불안과 우울.

이 동반하여 나타난다고 한다주애란과( 박상하, 2004;

본Seignourel, Kunik, Snow, Wilson & Stanley, 2008).

연구의 결과에서도 치매로 진단된 노인의 경우 장애

를 가진 노인에 비해 일상생활동작능력도 낮게 나타

났으며김은주 김지애 박정숙 이현지와( 2003; , 2009; ,

김미은 유호신 작업치료 후 일상생활동, 2003; , 2001)

작능력이 향상되었다 또한 삶의 질 척도검사에서도.

불안과 우울로 인해 치매노인의 경우 장애노인에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조사되어 선행된 연구와 일치된 결과

를 나타내었다김진영 등 주애란과 박상하( , 2000; ,

2010; Seignourel, Kunik, Snow, Wilson & Stanley, 2008).

정상 노인의 경우도 신체활동이 연령증가에 따라 나

타나는 인지기능의 약화를 줄여주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고광욱 치매노인은 일반노( , 2003; Brinton, 1999).

인에 비해 자기관리능력이 저조하며(Teri, McCurry, &

Buchner et al., 인지기능의 저하로 인해 낙상1998) ,

골절의 위험성을 지니고 있다(Morris, Rubin, Morrris

MMSE-K MBI GQOLD

MMSE-K 1

MBI 0.297 1

GQOLD 0.152 0.570*

1

*p 0.05<

MMSE-K : Mini-Mental State Examination-K

MBI : Modified Barthel Index

GQOL-D : Geriatric Quality of Life-Demential

표 인지기능 일상생활동작 및 삶의 질의 상관4. ,

관계

6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6 / 2

인지기능의 장애는 일상생활 수행능& Mandel, 1987).

력과 밀접한 관련성을 보이며 일상생활동작기능을 저

하시킨다고 보고되어져 있다김선미 배성태 이춘우( , ,

와 조경환 또한 치매노인의 경우 균형 잡힌 식, 1998).

사의 결여로 인해 신체적인 능력을 저하시킨다고 한

다(Rolland, Rival, Pillard, Lanfont, Riviere & Albarede

et al., 본 연구의 결과에서도 장애를 가진 노인2000).

보다 치매노인의 경우 인지기능의 저하를 보이며 따

라서 일상생활동작 능력이 현저하게 감소된 것을 알

수 있다.

노인에게 신체활동은 근육뼈대계통 건강을 향상시

키고 근력을 증가시켜 일상생활의 독립성을 유지한다

고 보고되어있다고광옥 손호희 의 연구( , 2003). (2007)

에서 치매노인을 위한 운동프로그램을 통해 일상생활

동작 분석에서 와 을 이용하여 일상생활동작MBI FIM

과 균형능력이 향상되었다고 보고하였다 신체활동이.

치매노인의 일상생활능력인 과 을 향상B-ADL I-ADL

시키고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고 보고하였다조성현과(

김승준 또한 규칙적이고 체계적인 신체 움직, 2010).

임을 통해 사람의 신체와 정신기능을 향상시켜 개인

의 삶을 증진시키고 보다 나은 행동의 변화를 가져온

다고 하였다임영미 노인의 삶의 질은 인지기( , 2002).

능과 우울정도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김영숙( , 2004;

성지아 치매노인에 있어 잘 계획된 신체적 활, 2007).

동은 삶의 질을 증진시키는데 더 효과적으로 알려져

있다김춘길 송라윤 서연옥 엄영란 전경자( , 1996; , , , &

등 의 연Roberts, 1997; Pétermans, 2001). Rolland (2000)

구에서는 주 동안 규칙적 신체운동 후 치매노인5 12∼

의 인지기능이 유의하게 증가되는 것으로 보고하였

다 또한 치매노인의 인지기능장애 정도와 일상생활.

수행능력 간에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고되었다

유호신 조성현과 김승준 일상생활 수행( , 2001; , 2010).

능력이 치매노인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

소라고 한다대한치매학회 체력증진을 통해 관( , 2006).

절운동범위도 증가시키고 독립적인 생활능력을 개선

하여 치매노인에 삶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고 한다박현숙( , 2009; Colcombe & Kramer,

본 연구에서 일상생활동작과 삶의 질의 상관관2003).

계에서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이 증가할수록 비치매

노인과 치매노인의 경우도 삶의 질과 밀접한 관련되

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신체적 활동은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신체적 기능 및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는 보,

고에서 등 은 복합운동프로그램이 알츠Santana (2008)

하이머 치매노인의 근력증가 및 일상생활 수행능력도

향상시킨다고 하였다 추수경 등 은 인지기능저. (2007)

하 노인을 대상으로 주간 시행한 인지 행동프로그램6

을 시행한 결과 은 향상되었지만 기본적 일상I-ADL , 생

활기능에 유의한 차이가 없다는 연구결과와 다른 결과

를 보였다.

방문재활프로그램이 신체기능척도와 간이신체기능

평가 등이 뚜렷이 향상되었고박철우 등( , 2010; Gill et

al., 작업치료가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치매환자2002),

의 인지기능에 효과적이라는 보고(Graff et al., 2006,

와 같은 결과를 보였다 신체활동 프로그램은 여2007) .

러 연구자들에 따라 차이가 난다 김여옥 은 주. (1999) 3

회 주간 노인대상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을 때 일상생8

활능력을 분석하였고 치매노인에게 주에서 주까지3 12

보행 자전거타기 운동을 실시하였고 박래준 등, , (2000)

은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개월 동안 운동과 다양한3

인지프로그램을 통해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유의한 향

상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개월간 매주 규칙적. 7

인 작업치료프로그램을 통해 장애노인과 치매노인의

일상생활동작과 삶의 질이 향상된 결과와 일치하였

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가 너무.

적어 모든 비치매노인과 치매노인들의 일반적인 결과

라고 주장할 수는 없다고 생각된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치매를 포함한 장애를 가진

노인의 경우 정기적인 작업치료 프로그램 수행이후

삶의 질에 향상을 보였고 특히 치매를 가진 장애노인

의 경우 일상생활동작과 삶의 질에 변화를 나타내므

로 규칙적인 신체활동과 사회참여를 통해 노화와 더

불어 차적으로 나타나는 치매를 예방하고 경도인지2

장애나 초기 치매환자의 경우 삶의 질 향상으로 정상

적인 노후를 즐길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현재 일부지역에서 실시하는 재가방문재활치료사업

를 좀 더 확대 실시하여 재가장애인에 삶의 질에 향

상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7

결론.Ⅴ

본 연구는 노인에서 치매유무에 따라 방문재활서비

스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후 일상생활활동과 삶의 질

에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치매진단도구를 통해.

분류된 비치매노인그룹과 치매노인그룹으로 나누어

일정기간 규칙적으로 작업치료를 시행하여 아래와 같

이 결론을 얻었다.

비치매노인그룹은 작업치료 실시 이후 일상생활1.

동작의 경우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

었으나 삶의 질 척도검사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치매노인그룹은 작업치료를 실시 후 일상생활동2.

작과 삶의 질에 변화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미

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두 그룹에서 작업치료를 시행한 이후 일상생활3.

동작의 향상이 삶의 질에 향상에 영향을 주는 것

을 알 수 있었다.

참고문헌

고광욱. 신체활동관련 최근동향및이론(2003). . . Web

Health Research, 6, 1-33.

김정순 음악요법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우. (1998).

울에 미치는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9(2), 15-28.

국민건강보험공단. (2011). 노인성질환자 추이 분석.

김선미 배성태 이춘우 조경환 요양시설 거주, , , (1998).

자와 지역사회 노인의 인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

력비교 연구. 노인병, 1(2), 95-103.

김여옥. (1999). 스트레칭운동이 노인의 체력 일상생,

활능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서울 한양대학교: .

김영숙. (2004). 회상을 적용한 집단미술프로그램이 치

매노인의 인지기능 우울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대구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김은주 치매환자의 간호의존도 영향요인. (2003). . 대

한간호학회지, 33(6), 705-712.

김지애. (2009). 노인요양시설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일,

상생활수행능력 불안 우울에 관한 연구, , . 서울 이화:

여자대학교.

김진영 최승미 서국희 조성진 김장규 조맹제, , , , , . (2000).

한국인 우울증상표현의 횡문화적 차이 의 요- CES-D

인구조분석. 정신병리학, 9(1), 78-87.

김춘길. (1996). 운동프로그램이 양로원 노인의 체력,

자기효능 일상생활동능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

과. 서울 가톨릭대학교: .

김혜순 이여진 박광희 강운구 이병문 인지, , , , . (2010).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및 삶,

의 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8),

227-239

대한노인정신의학회. (2007). 한국형 치매평가점사. 서

울 학지사, .

대한치매학회. (2006). 치매 임상적 접근.

박래준 이현욱 김성학 치매노인을 위한 운동, , . (2000).

프로그램 적용 후 와 사이의 상관관계분MBI MMSE

석. 대한물리치료학회지, 12(2), 83-93.

박정숙 이현지 김미은 원예요법이치매노인의, , . (2003).

인지기능 자아존중감 우울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간호학회지, 17(1), 69-82.

박종환 권용철, . (1989). 노인용한국판 Mini-mental stage.

박철우 박현숙 이희연 호승희 김창오 허약, , , , . (2010).

노인을 위한 방문재활 프로그램의 장애발생예방 효

과에 대한 연구. 한국노년학, 30(4), 1293-1309.

박현숙. (2009).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일상생활능력 및,

평형성에 대한 운동프로그램의 유용성. 서울 서울산:

업대학교.

박흥석 정민예 임윤정 신상연 가정방문 작, , , . (2008).

업치료에 대한 만족도 조사.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

회, 2(1), 29-36.

성지아. (2007). 재가노인의 인지기능과 삶의 질에 관

한 연구.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

손호희. (2007). 치매노인을 위한 운동프로그램이 일상

생활동작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 대구대:

학교.

송라윤 서연욱 엄영란 전경자, , , . & Roberts, B.L. (1997).

저강도운동프로그램이입원노인의일상생활기능회

복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27(4), 807-819.

심향미 정승희 음악요법이 치매노인의 인지, . (2001).

기능 행동 정서에미치는효과, , . 성인간호학회지, 13(4),

591-600.

8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6 / 2

양영애. (1997). 가정방문 물리치료제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양영애 오영희 허진강 노인 건강 증진을 위, , . (2006).

한 가정방문 재활작업치료 제도에 관한 연구( ) . 노

인복지연구, 31, 1598-1649.

양영애 안선정 박윤희 박보라 허준 박진성등, , , , , . (2011).

방문재활서비스도입과활성화방안에관한연구. 한

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3(1), 59-70.

유호신 전국법정복지대상 노인이 일상생활 수. (2001).

행능력과 치매와의 상관관계. 대한간호학회지, 31(1),

139-149.

이윤정 김신미 신체적 활동프로그램이 치매, . (2003).

노인의 인지기능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

과. 한국노년학, 23(4), 17-31.

이현종 이현수 최성혜 남민 장순자 정한영, , , , , . (2001).

알쯔하이머형 치매 집단과 노인 우울 집단의 기억.

한국심리학회지, 20(4), 641-661.

임영미 율동적동작이치매노인의신체적기능및(2002).

정서상태에 미치는 효과. 한국노년학, 21(3), 197-211.

임혜정 김경호 김지훈 원예치료가 시설거주, , . (2008).

치매노인의 우울 대인관계 및 에 미치는 영향, ADL .

노인복지연구, 40, 125-146.

조명제등. (2008). 치매노인유병률조사 서울대학교병원.

주애란 박상하 농촌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 . (2004).

의 관계. 노인간호학회지, 6(1), 27-37.

추수경 유장학 구형모 등 인지행동프로그램이, , (2007).

인지기능 저하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일상생활, ,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과학회지, 37(7),

1049-1460.

통계청 고령자통계. (2011). .

Rolland, Y., Rival, L., Pillard, F., Lafont, C.H., Riviere,

D., Albarede. J.L., & Vellas, B. (2000). Feasibily of

regular physical exercise for patients with moderate to

severer Alzheimer disease. The Journal of Nutrition,

Health and Aging, 4(2), 109-113.

Barthel, D.W., & Mahoney, F.I. (1965). Functional evalua-

tion : the barthel index. Md State Med J., 14, 61-5.

Brinton, R.D. (1999). A women’s health issue : Alzheimer’s

disease and strategies for maintaining cognitive health.

Int J Fertil Womens Med., 44(4), 174-85.

Colcombe, S.J., Kramer, A.F. (2003). Fitness effects on

the cognitive function of older adults: a meta-analytic

study. Psychol. Sci., 14(2), 125-130.

Evashwick, C.J., & Weiss, L.J. (1987). Managing the con-

tinuum of care. An Aspen Publication. New York.

Gill, T.M., Baker, D.I., Gottschalk, M., Peduzzi, P.N.,

Allore, H., & Byers, A. (2002). A program to prevent

functional decline in physically frail. elderly persons

who live at home. N Engl J Med, 347, 1068-1074.

Gottlieb, G.L., Gur, R.E., & Gur, R.C. (1988). Reliability

of psychiatric scales in patients with dementia of the

Alzheimer type. Am J Psychiatry, 145(7), 857-60.

Graff, M.J., Vernooij-Dassen, M.J., Thijssen, M., Dekker, J.,

Hoefnagels, W.H., & Rikkert, M.G. (2006).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for patients with dementia

and their care givers: randomised controlled trial. BMJ.,

9;333(7580), 1196.

Graff, M.J., Vernooij-Dassen, M.J., Thijssen, M., Dekker,

J., Hoefnagels, W.H., & Olderikkert, M.G. (2007).

Effects of community occupational therapy on quality

of life, mood, and health status in dementia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62(9), 1002-9.

Granger, C.V., Albrecht, G.L., & Hamilton, B.B. (1979).

Outcome of comprehensive medical rehabilitation:

measurement by pulses profile and the Barthel Index.

Arch Phys Med Rehabil., 60(4), 145-54.

Morris, J.C., Rubin, E.H., Morris, E.J., & Mandel, S.A.

(1987). Senile 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 An

important risk factor for serious falls. J Gerontol, 42,

412-417.

Paul, R., Moser,D., Cohen, R., Browndyke, J., Zawacki,

T., & Gordon, N. (2002) Dementia severity and pattern

of cognitive performance in vascular dementia. Appl

Neuropsychol, 8(4), 211-7.

Pétermans, J. (2001). Physical exercise in the aged. Rev

Med Liege, 56(4), 223-7.

Reisberg, B., Ferris, S.H., de Leon, M.J., & Crook, T. (1988).

Global Deterioration Scale (GDS). Psychopharmacol

Bull, 24(4), 661-3.

9

Reisberg, B.k., Ferris, S.H., de Leon, M.J., & Crook, T.

(1982). The Global Deterioration Scale for assessment

of primary degenerative dementia. Am J Psychiatry,

139(9), 1136-9.

Rolland, Y., Rival, L., Pillard, F., Lafont, C., Rivére, D.,

Albaréde, J., & Vellas, B. (2000). Feasibility of regu-

lar physical exercise for patients with moderate to se-

vere Alzheimer disease. J Nutr Health Aging, 4(2),

109-13.

Santana-Sosa, E., Barriopedro, M.I., Lopez-Mojares, L.M.

et al., (2008). Exercise training is beneficial for

Alzheimer’s patients. Int J Sports, 29(10), 845-850.

Seignourel, P.J., Kunik, M.E., Snow, I., Wilson, N., &

Stanley, M. (2008) Anxiety in dementia; ; A critical

review. Clinical Psychology Review, 28(7), 1071-1082.

Shah, S., Vanclay, F., & Cooper, B. (1989). Improving

the sensitivity of the Barthel Index for stroke

rehabilitation. J Clin Epidemiol., 42(8), 703-9.

Steinberg, F.U. (1986). Rehabilitating the order stroke

patient what’s possible. Geriatrics, 85-97.

Teri, L., McCurry, S.M., Buchner, D.M., Logsdon, R.G.,

LaCroix, A.Z., Kukull, W.A., Barlow, W.E., & Larson,

E.B. (1998). Exercise and activity level in Alzheimer’s

disease: A potential treatment focus. J Rehabili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35(4), 411-419.

10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6 / 2

Abstract

A The Effects of Home-based Rehabilitation Services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according to Dementia

Kim Jeong-Ki,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aegu Health College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nges in activity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according to dementia after executing home-based rehabilitation service.

Methods : The study was performed on 13 subjects, who were over 65 living in D city and were diag-

nosed as handicapped. From May to November in 2011, the program was performed every

week for 30 minutes to 1 hour by visiting them once or twice every week as a team made

up of two. To measure the cognition and dementia scales of the participating handicapped,

they were divided into 2 groups using MMSE K and GDS. Two groups were tested by MBI‐

f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by GQOL D for quality of life and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home-based program were investigated.

Results : After executing the program, changes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home-based rehabilitation program were measured. The non-de-

mentia group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quality of life after the treatment(t 5.484, p=‐

0.001), and dementia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quality of life(t< =‐

18.205, p 0.000) and activitise of daily living(t 3.162, p 0.025). The Pearson correlation< = <‐

coefficient betwee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was 0.570, which means there

is positive correlation(p 0.05).<

Conclusion : The non-dementia group & dementia group showed improvement after the regular execution of

the program. In particular, the dementia group showed changes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Thus, if the elderly with light cognition disorder or early dementia have

regular physical movements and social participation, secondary dementia accompanied by age

can be prevented and they can enjoy normal life. Accordingly home-based rehabilitation serv-

ice executed in some areas only should be expanded to other areas so that it may help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disabled at home.

Keywords : Dementia, Home-based Rehabilitation Services, Occupational Therapy, Activity of Daily Living,

Quality of Life.

서론.Ⅰ

노인 인구의 증가에 따라 치매와 같은 노인성 만성

질환도 증가하는 추세이다김정순과 정정심 최( , 2005).

연옥 은 세 이상 노인의 전후가 치매로(2005) 65 10%

추정된다고 하였고 치매노인 유병률 조사에서 국내,

치매환자의 수는 약 만 명에서 년에는 만53 2025 100

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측되었다보건복지부 이( , 2008).

와 같이 우리사회의 인구 고령화에 따라 치매 노인의

수는 크게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된다변용찬( , 2009).

치매는 기억력 장애와 더불어 주의력이나 언어 및

실행능력 등의 인지기능 장애로 인해 일상생활 수행

능력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 후천적 질환이다정지(

향 치매노인들은 이러한 인지기능 장애 이외, 2005).

에 우울증상 초조행동 망상 환각 수면장애와 야간, , , ,

행동 등을 포함하는 비인지적 증상(behavioral and psy-

을 나타내는데 이러한 증상들은chological symptoms) ,

인지기능 장애와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친다조맹제와(

김진영 특히 치매노인들은 의사소통 기술과, 2006). ,

스스로 행동하는 자발성이 감소되고 정서적으로 무관

집단 회상치료가 시설거주 치매노인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권미화 정다해 김수경*, **, ***

청주시립노인전문병원*

계룡효성요양원**

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목적본 연구에서는 요양병원 및 요양원에 입소한 중증치매노인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집단 회상치료 프

로그램이 사회적 상호작용과 문제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시의 요양병원과 시의 요양원에서 총 명의 치매노인을 실험군 명 과 대조군A K 20 (10 ) (10

명 으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회상치료 프로그램은 주 회 매 회기 분씩 총 회기 적용하였고) . 3 , 50 20 ,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은 사회행동척도 를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문제행(Social Behavior Scale; SBS) ,

동은 문제행동척도 를 이용하여 중재전후에 평가(Memory & Behavior Problem Checklist; MBPC)

하였다 기술통계와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을 이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

연구결과중재 전후 대상자들의 와 점수를 비교한 결과에서 대조군에서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SBS MBPC

변화가 없었지만 중재를 적용한 실험군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

결론

이 연구결과를 통하여 시설거주 중증치매노인에게 집단 회상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을 때 사회,

적 상호작용의 향상과 문제행동 완화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시설에 거.

주하는 치매노인들에게 회상치료를 적용하여 치매노인의 사회 능력 및 행동의 개선을 기대할 수 있

을 것이다.

주제어 문제행동 사회적 상호작용 치매노인 회상치료, , ,

교신저자 김수경 접수일 년 월: ([email protected]) : 2012 11 2∥ 일 개재승인일 년 월: 2012 11 25∥ 일

12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6 / 2

심해진다(Devi & Mitchell, 2004).

그러나 치매노인들은 병이 심각하게 진행되는 후기

까지도 비교적 유머감각과 정서적인 감정을 유지하고

있다박문주 따라서 치매노인들의 감정과 존재( , 2004).

의 가치를 지지해 주고 남아있는 기능을 최대한 보존,

하면서 문제행동을 예방 또는 적절히 관리하여 삶의

질을 증진 시키는데 목표를 둔 심리사회적인 접근법·

이 권장되고 있다(Grasel, Wiltfang & Kornhuber, 2003).

치매환자를 위한 작업치료 목적은 치매환자의 심리

적 안정을 유지하고 생활에 적응하여 참여시키는 것

으로 가능한 환자의 현재 기능과 집중력 및 기억력

수준을 유지시키는 것이다 또한 환자가 신체와 정신.

건강에 효과적인 여러 활동에 참여하도록 유도하여

사회적응을 돕고 편의를 증대시켜 간병인의 부담을

줄이고 활동의 편의를 제공해야 한다이정원 정원미( , ,

이향숙 이성아와 장문영, , 2006).

치매환자의 문제행동은 행동자체에 초점을 맞추는

개별적인 접근방법이 효과적이므로 분명한 원인 없이

불안증상이 반복되면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환경제공 및 행동조절을 위해 비 약물적 치료를 먼저

시도해야 한다이동영과 김기웅 중증치매환자( , 2001).

에게는 약물 치료적 접근을 주로 하는데 치매환자의,

문제행동 증상 중 충동성과 수면장애 등은 약물치료

로서 진행을 감소시킬 수 있지만스와 사유리( , 2012;

정영조와 이승환 각성수준저하와 심혈관계 질, 2000),

환 등의 부작용의 위험이 따른다(Schneider, Dageman

이런 이유로 약물치료에 더불어 비약& Insel, 2005).

물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비 약물적 치료에 해당하는,

심리사회적 치료에는 미술치료 원예치료 음악치료, , ,

문예치료 회상치료 등이 있다조문경, ( , 2008).

그 중에서 회상치료는 치매노인의 인지장애 뿐 아

니라 발언 빈도 비언어 표현 등을 증진시키고 문제,

행동을 완화하여 정서를 안정시키고 사회적 교류를

늘려 자존감을 높이고 삶의 질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한다김영숙 장병원 일반적으로 회상이( , 2000; , 2003).

란 과거에 경험한 것에 재인 감정을 가지고 재생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과거의 일을 돌이키는 자연스,

러운 현상이다김수경 김영숙 이러한 회( , 2003; , 2000).

상의 개념은 회상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치매노인들에

게 회상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상호작용을 하기

쉽게 하는 중재 방법으로 적용된다윤지숙 회( , 2003).

상치료는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정서적 안정을 위한

접근방법으로 학력이나 증상의 심각성에 크게 구애받

지 않기 때문에 실제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실시하기,

에 적절하다전은석과 도종두( , 2004).

치매노인의 회상치료 선행 연구들을 보면 회상치,

료를 통해 치료에 대한 치매노인의 동기가 강화된다

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었다김영숙 윤지숙( , 2000; ,

장우심과 이재모 의 연구에서는 우울 및2003). (2006)

정서적 기능에 긍정적 효과가 나타났다 회상치료는.

치매환자의 우울을 감소시키고 자아 존중감과 생활만

족도를 증진시키는 효과를 보였다진복수와 전미연( ,

또한 전은석과 도종두 박문주 는2000). , (2004), (2004)

집단 회상치료를 적용하였을 때 기억력을 비롯한 인,

지능력과 일상생활능력이 향상되었고 문제행동이 완

화되는 효과가 있었다고 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선행 연구들에서 회상치료 프로그램

은 정서적 만족감을 높이고 우울감을 완화시키는 정

서적 효과는 확인되었으나 사회적 상호작용의 향상이

나 문제행동의 감소 등과 같은 행동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는 연구 결과들이 일관되게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치매환자의 실제 생활에서 간병인의 부담을

가중시키고 사회 참여를 제한시키는 사회적 상호작용

과 행동 문제들을 조절하는 회상치료의 효과를 확인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요양병원과 요양원에 입소한 중증

치매노인들을 대상으로 집단 회상치료 프로그램을 적

용하여 사회적 상호작용과 문제행동이 변화되는지 알

아보고 이를 통해 요양시설에서 치매노인에게 실시되

고 있는 회상치료의 임상적 효과에 대한 근거를 제시

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Ⅱ

연구 대상1.

본 연구는 시의 요양원과 시의 요양병원에 입소K A

한 세 이상 치매노인 중 다음과 같은 조건을 충족65 ,

하는 대상자 명을 선정하여 실시하였다20 .

13

첫째 신경정신과 전문의에 의하여 치매로 진단 받,

은 자

둘째 이전에 회상치료 프로그램의 경험이 없는 자,

셋째 의욕저하나 사회적 상호작용 저하 또는 문제,

행동을 보이는 자

넷째 의사소통이 가능한 자,

연구 설계2.

본 연구는 년 월부터 동년 월까지 짝짓기를2012 7 9

이용한 두 집단 사전사후 설계- (pretest-posttest control

로 실시되었다 시 요양원group design with matching) . K

에 입소한 치매노인 명과 시 요양병원에 입원하고10 A

있는 치매노인 명 총 여명의 치매노인을 대상으10 , 20

로 진행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을 위해 두.

시설의 대상자 명을 진단명 나이 성별 학력을 기20 , , ,

준으로 짝짓기 하여 각 실험군과 대조군에(matching) 5

명씩 배정하였다 대조군에는 공 던지기와 같은 관절.

가동범위 증진 운동과 스트레칭 등의 신체운동 프로

그램만 적용하고 실험군에는 신체운동프로그램과 함

께 집단회상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사전사후의 변화, -

를 비교하였다.

사전평가는 중재를 적용하기 전 주 이내에 실시하1

였고 실험군의 중재는 각 분씩 주 회를 주간동, 50 , 3 7

안 총 회기로 진행하였고 중재가 끝난 후 사후평가, 20

를 주간 동안 측정하였다1 .

측정 도구3.

1) 간이정신상태검사-한국판(Mini Mental

State Exam-Korean; MMSE-K)

과 에 의해 미국에서Folstein, Folstein McHugh(1975)

고안된 는 권용철과 박종한 이 한국판MMSE-K (1989)

으로 번역하여 표준화 하였다 검사 도구의 검사자간.

신뢰도는 이며 시간 장소 집중 기억 계산 언0.99 , , , , , ,

어 해석능력을 측정하는 간단한 인지 조사법인 검사,

도구이다 총 점 만점으로 문항으로 구성되어있. 30 12

으며 점 이상은 확정적 정상 점은 치매 의, 24 , 20 23∼

심 점 이하는 확정적 치매로 판별 된다 본 연구에, 19 .

서는 대상자의 인지수준을 비교하여 실험군 대조군,

을 나누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사회행동척도2) (Social Behavior Scale; SBS):

사회행동척도는 일상생활이나 치료과정 중 각 개인

이 나타내는 언어적인 면 비언어적인 행동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것은 등Trower, Bryant & Argyle(1978)

이 개발하였으며 전체 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 21

다 하위영역으로는 언어적 행동 개 문항 비언어적. 6 ,

행동 개 문항 대화내용 개 문항 등이 있다 적절한7 , 8 .

반응일 때는 점 매우 부적절한 반응일 때는 점으로5 , 1

평가하는 점 척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재전후의 비5 .

디오촬영을 통하여 대상자의 사회행동변화에 대하여

사전사후평가를 실시하였다- .

문제행동척도3) (Memory & Behavior Problem

Checklist; MBPC)

는 가 개발한 기억 및 문제행동 점검 평MBPC Zarit

가도구로 비교적 복잡하지 않은 치매환자의 증상이나

행동장애를 대상으로 총 문항의 점 척도로 치매노30 5

인의 증상이나 행동장애를 빈도 점 심각도(0 4 ), (0 4∼ ∼

점로 나누어 평가한다 이 척도는 보호자에 의해 채) .

점이 가능하며 환자의 우울증에 관한 개 항목 이상, 9 ,

행동에 관한 개 항목 기억장애에 관한 개 항목 등8 , 7

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30 .

를 문제행동 완화를 확인하기 위한 도구로 중MBPC

재 전후에 평가하였으며 빈도와 심각도의 점수를 평,

균으로 하여 점수가 낮을수록 치매 증상이 경한 것으

로 보며 도구의 신뢰도는 이다, .93 .

치료방법4.

회상치료 프로그램1)

본 연구에서 사용한 회상치료는 생애주기에 맞게

프로그램을 설계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선행연구박(

문주 윤지숙 에 근거하여 유년기 청년기, 2004; , 2003) , ,

장년기 노년기 등 생애주기에 따라 각 회기의 주제를,

구성하여 총 회기로 진행하였다 두 기관에서 각 각20 .

명씩을 선정하여 총 명의 치매노인 대상자에게10 20

주 회씩 매 회기 분씩 중재를 적용하였고 치료 프3 50 ,

로그램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표( 1).

14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6 / 2

자료 분석5.

본 연구는 을 사용하여 분석하였SPSS version 12.0

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기술통계를 사용하였다.

회상치료 프로그램 중재에 따른 각 집단의 사회적 상

호작용과 문제행동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의 유의수준.

은 로 분석하였다.05 .

연구 결과.Ⅲ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1.

대상자는 대조군의 남자 명 여자 명 실험군의 남1 , 9 ,

자 명 여자 명으로 총 명이었다 평균 연령은 대조3 , 7 20 .

군 세 실험군 세이었다 는 대조군79.90 , 81.40 . MMSE-K

점 실험군 점이었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14.60 , 14.00 .

반적 특성 및 인지기능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회기 주제 내용 준비물

1

자기소개 본인의 나이 이름 생일 고향 직업, , , , 사진 거울 신분증, ,

2 고향소개 고향의 모습이나 풍습 특산물, 사진 특산물,

3 가족소개 부모님 친지 등의 추억과 가정풍습, 사진

4 학창시절 어린 시절의 친구 학창시절의 추억,교과서 도시락, ,

사진 영상,

5 일제시대의 경험 창씨개명 일본어학습경험 등, 사진 일본어 책,

6 전쟁의 경험6.25 식량난 피난경험, 사진 영상,

7

결혼식의 추억 배우자와의 만남과 결혼식 날의 추억전통혼례사진,

혼례복

8 옛날에 입던 옷 옷감 만드는 방법 모양 관리법 등, , 사진 옛날 옷,

9 옛날에 사용하던 물건 물건 사용법과 추억을 설명하고 재연 경대 지게 참빗, ,

10 젊을 때 했던 여가나 가본 여행지 마을 청년들과 함께했던 활동 여행, 사진 새끼줄,

11 회상 중간점검 전반적인 리뷰

12

자녀들의 성장과정 자녀들의 출산과 학창시절 결혼, 아이들 사진

13 아팠을 때의 기억 민간요법 매실 액 수지침,

14 직업 활동 농사( ) 바느질 계절 별 수확작물 농사법 등, , 모종 흙 바늘, ,

15 민주화 새마을 운동& 마을에서 참여하거나 행했던 사업 대모활동, 영상

16

만나고 싶은 사람 어릴 적 친구 오래 보지 못한 친지, 사진

17 지금 좋아하거나 먹고 싶은 음식 좋아하는 이유 만드는 방법이나 재료, 음식사진

18 과거 후회되는 일 다른 사람에게 상처 준 일 다시 고치고 싶은 행동,

19 지금 가고 싶은 곳 건강하다면 가보고 싶은 장소 관광안내책자

20 회상정리 회상한 것 전체 리뷰 정리,

표 회상치료 프로그램1.

특성 구분

대조군

(N 10)=

실험군

(N 10)= χ2/t

평균 ±표준편차

성별남 명( ) 1 3

.264여 명( ) 9 7

나이 79.90 ± 9.33 81.40 ± 4.17 .150

MMSE-K 14.60 ± 3.81 14.00 ± 2.98 .622

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2.

사전평가 사후평가Z p

평균 ±표준편차

SBS

언어적

대조군 18.20 ± 4.10 18.90 ± 4.70-2.83 .005

*

실험군 19.90 ± 4.15 23.00 ± 2.94

SBS

비언어적

대조군 23.30 ± 5.91 22.70 ± 5.62-2.44 .015

*

실험군 25.50 ± 3.17 32.30 ± 4.19

SBS

대화내용

대조군 24.90 ± 5.74 25.00 ± 5.81-2.94 .003

*

실험군 27.20 ± 4.85 32.30 ± 4.52

*p 0.5<

표 사회행동 척도 점수의 변화 비교3. (SBS)

사전검사 사후검사Z p

평균 ±표준편차

MBPC

빈도

대조군48.80 ±

23.93

48.20 ±

22.98-3.28 .001

*

실험군46.30 ±

19.32

39.20 ±

16.96

MBPC

심각도

대조군48.80±2

1.84

48.40 ±

22.19-3.10 .001

*

실험군49.30 ±

19.26

45.00 ±

19.82

*p 0.5<

표 문제행동 척도 점수의 변화 비교4. (MBPC)

15

사회적 상호작용의 변화2.

대조군과 실험군의 사회행동 척도의 사전사후 평-

가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표 사회행동 척( 3). 도

의 하위항목 중 언어적인 면에서 대조군은 18.20 ± 4.10

에서 18.90 ± 로 증가는 하였고 실험군에서는4.70 , 19.90

± 에서4.15 23.00 ± 로증가하였다2.94 (Z -2.83,= p .005).=

비언어적인점수에서는대조군은 23.30 ± 에서5.91 22.70

± 로 감소하였으나 실험군에서는 에서5.62 , 25.517 32.30

± 로 증가하였다4.19 (Z -2.44,= p 대화내용에서.015).=

는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 24.90 ± 에서5.74 25.00 ± 5.81,

27.20 ± 에서4.85 32.30 ± 로 증가하였다4.52 (Z -2.94,= p

.003). 0= ± 두 집단 중 실험군에서만 유의한 차이가3.

있었다(p .05).<

문제행동의 변화3.

대조군과 실험군의 문제행동 점수의 변화를 비교한

결과는 표 와 같다 문제행동의 하위항목 중 행동( 4) .

빈도는 대조군이 48.80 ± 에서23.93 48.20 ± 실험22.98,

군은 46.30 ± 에서19.32 39.20 ± 로 감소하였다16.96 (Z

-3.28,= p 행동의 심각도에서 대조군은.001). 48.80=

± 에서21.84 48.40 ± 실험군은22.19, 49.30 ± 에서19.26

45.00 ± 로 감소하였다19.82 (Z -3.10,= p 두 집.001).=

단 모두 감소하였으나 실험군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05).<

고 찰.Ⅳ

본 연구에서는 시설에 입소한 중증치매노인을 대상

으로 집단회상치료를 적용하였을 때 사회적 상호작,

용증진과 문제행동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를 확인하기 위해 대상자를 실험군과 대조군의 두 집

단으로 나누어 생애주기에 따른 회상치료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회상치료는 대상자의 학력이나 질환의 진행정도에

구애받지 않으며 인적 물적 비용 면에서 효율적이기,

때문에 요양시설에서 적용하기 편리한 이점이 있다.

최근 회상치료는 일반노인과 우울증 환자 치매노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대상에게 적용되고 있으나 회상의

효과에 대한 여러 가지 상반된 결과들은 아직까지 논

의의 대상이 되고 있다신수연 또 현재 많은( , 2009). ,

노인전문요양시설에서 회상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지

만 그 진행방법과 프로그램이 진행자에 따라 다양하게

16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6 / 2

적용되고 있어 보다 구조화된 프로그램이 필요한 실정

이다 여러 연구자들이 각자 구성한 프로그램들로 연.

구하여 그 효과들을 입증해 왔기 때문에 본 연구도 선

행연구 프로그램을 참고로 하여 프로그램을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김영숙 박문주, ( , 2000; ,

양순미 윤지숙2004; , 2000; . 2003; Fry, 1983).

상호작용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윤지숙,

은 요양원에 입소한 치매노인 명을 대상으로(2003) 8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주간 회기에 걸쳐11 20

적용한 회상치료 프로그램이 의사소통 능력 및 사회

행동능력의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고 하였

다 그리고 신문을 활용한 회상 프로그램이 알츠하이.

머 치매노인의 언어표현 능력과 언어 이해력에 향상

을 가져 온다는 연구 결과가 있었다이성호 강수균과( ,

손은남 선행 연구와 같이 본 연구에서도 치매, 2007).

노인에게 회상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을 때 사회,

행동 척도의 하위항목 중에서 실험군의 언어적 상호

작용 항목에서 19.90 ± 에서4.15 23.00 ± 로 증가하2.94

였고 비언어적 상호작용 항목에서는, 25.50 ± 에서3.17

32.30 ± 로 증가하였으며 대화내용 항목에서는4.19

27.20 ± 에서4.85 32.30 ± 로 세 하위항목 모두 유의4.52

하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p 이는.05).<

회상치료 중재가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뒷받침한다.

또한 문제행동과 관련해서 전은석과 도종두, (2004)

는 시설에 입소한 알츠하이머형 치매노인 명을 대12

상으로 집단회상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인지능력과 기

억력 및 문제행동의 완화 일상생활기능 증진에 미치,

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 단순한 운동치료.

보다는 대화를 포함한 인지 프로그램으로 회상치료를

병행하였을 때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손미애. (2007)

의 연구에서는 병원에 입원한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두개의 기관에서 각 각 명과 명의 대상자를 실험19 21

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주 회씩 회에 걸쳐 적용한1 4

집단회상치료 프로그램이 문제행동과 우울감에 영향

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역시 환.

자의 특성에 따라 변화의 차이는 있었지만 모든 대조

군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고 회상치료를 적용한

실험군에서는 문제행동척도의 빈도 점수가 46.30 ±

에서19.32 39.20 ± 로 감소하였고 심각도는16.96 , 49.30

± 에서19.26 45.00 ± 로 감소하여 빈도와 심각도19.82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문제행동이 유의.05).<

하게 감소되었다 이는 회상치료 프로그램이 치매노.

인의 문제행동 완화에 효과가 있다는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일치된다.

그러나 일부 선행연구들에서는 회상치료가 상호작

용과 문제행동에 효과가 있지만 특정행동에만 영향을

미치며 그 효과의 지속이 미미하다고 보고하기도 한,

다 이와 같이 특정문제행동이 심각한 치매노인에게.

는 그 문제행동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것

이 바람직한 전략이라고 할 수 있겠다.

본 연구의 치매노인에게서 나타난 문제행동 유형은

무기력과 상호작용의 저하 불안으로 인한 배회와 치,

료나 간호에 대한 저항 및 공격성과 관련된 항목이

높은 빈도를 나타내어 간병인을 비롯한 보호자가 접

근하는데 많은 불편을 겪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치. ,

매노인을 돌보는 관계자들의 관찰결과 프로그램이,

끝난 후 치매노인들의 표정이 밝아졌고 자발성이 증

가하였으며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이 원만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고 이야기 하는 등의

실제적인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결과는 치매노인에게 사회성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으로 작용해서 다른 치매노인 및 프로그램진행

자와도 관계를 맺는데 도움이 되었으며 나아가서 문,

제행동을 줄이는 데도 효과적으로 작용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사회화 과정이 촉진되면 의사소통능력이.

향상되고 심리적 갈등이 해결되며 자존감이 높아지며

문제행동이 감소한다는 Marshall & Hutchinson(2001)

의 주장과 일치한다.

본 연구는 참여한 대상자의 수가 적었고 다양한 종,

류의 치매 질환 대상자가 포함되었다는 것이 제한점

으로 작용된다 그러나 이런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선.

행연구들에서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았던 회상의 효과

를 본 연구에서는 유의하게 결과가 나타났다 앞으로.

의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설계의 제한점을 개선하

고 보다 대상자 개인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하는 회상

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다수의 대상자에게 적용하

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17

결론.Ⅴ

본 연구에서는 요양병원과 시설에 입소해 있는 중

증치매노인 명을 대상으로 주 회 매 회기 분씩20 3 , 50 ,

총 회기의 회상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두 기20 .

관에서 각 각 명의 대상자를 선정하여 이를 다시10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눈 뒤 생애주기에 따른 회상

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사회적 상호작용과 문제행

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시설에 입소.

한 중증치매노인에게 집단 회상치료 프로그램을 적용

한 결과에서 실험군의 환자들이 유의하게 사회적 상

호작용이 증가하고 문제행동이 감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회상치료 프로그램은 시설 입

소 중증치매노인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증진과 문제행

동 완화에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

구는 임상에서 중증치매노인의 사회행동과 문제행동

을 위한 작업치료 프로그램으로 회상치료를 활용하는

것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였다.

참고문헌

김영숙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한 회상치료법에. (2000).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9, 95-124.

김정순 정정심 민속놀이 프로그램이 치매노, . (2005).

인의 인지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35(6), 1153-1162.

권용철 박종한 노인용 한국판, . (1989). Mini-Mental

의 표준화 연구State Examination(MMSE-K) . 한국정

신의학회지, 28, 123-135.

박문주. (2004). 회상요법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기

억 및 문제행동 증진에 미치는 영향, ADL . 대전 목:

원대학교.

변용찬 장애인 장기요양 보장제도의 필요성과. (2009).

추진방향. 보건복지포럼, 14, 87-98.

보건복지부 치매노인 유병률 조사 보건복지. (2008). .

통계포털.

손미애. (2007). 집단회상요법이 입원치매노인의 우울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춘천 강원대학교: .

스와 사유리. (2012). 치매케어를 위한 약물 가이드북.

서울 노인연구정보센터: .

신수연. (2009). 치매노인의 인지기능향상을 위한 회상

요법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대구 대구대학교: .

양순미. (2000). 치매데이케어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

한 연구. 서울 가톨릭대학교: .

윤지숙. (2003). 회상하기 과업이 치매노인의 의사소통

능력 증진에 미치는 영향. 대구 대구대학교: .

이동영 김기웅 치매에서 나타나는 초조증상, . (2001).

의 임상적 이해와 치료. 한국정신분류진단의학회,

10(2), 87-96.

이성호 강수균 손은남 신문을 활용한 회상, , . (2007).

프로그램이 알츠하이머형 치매인의 언어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언어치료연구, 16(1), 55-73.

이정원 정원미 이향숙 이성아 장문영, , , , . (2006). 노인

작업치료학. 서울 한미출판: .

장우심 이재모 집단회상요법이 치매노인의 우, . (2006).

울 삶의 질 및 사회행동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

구. 한국노인복지학회지, 34, 239-270.

전은석 도종두 회상요법이 치매노인의 인지, . (2004).

기능과 기억 및 문제행동 증진에 미치는 영, ADL

향. 보건과복지, 7, 23-36

정영조 이승환 치매의 예방과 관리, . (2000). . 인제의학,

21(1), 11-19.

정지향. (2005). 노인병학. 서울 의학출판사: .

조맹제, 김진영. (2006). 한국인 치매환자의 행동 및 심

리증상의 횡문화적 특성.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

조문경. (2008). 치매환자의 인지기능 및 행동심리증상

향상을 위한 비약물적 치료로서의 원예치료. 서울:

건국대학교.

진복수 전미연 집단회상요법이 치매노인의 심, . (2000).

리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지, 29(1),

183-194.

최연옥 (2005). 저소득층 치매노인가족의 부양부담과

서비스 욕구에 관한연구. 부산 부산대학교: .

Devi, G., & Mitchell, D. (2004). Alzheimer’s Disease.

New York: Warner Book.

Folstein, M. F., Folstein, S. E., & McHugh, P. R. (1975).

Mini-mental state: A practice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2, 189-198.

18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6 / 2

Fry, P. S. (1983). Structured and Unstructured Reminiscence

Training and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Clinical

Gerontologist, 1, 15-37.

Grasel, E., Wiltfang, J., & Kornhuber, J. (2003). Non-drug

therapies for dementia: and overview of the current

situation with regard to proof of effectiveness. Dementia

and Geriatric Cognitive Disorders, 5(3), 115-25.

Marshall, I. K., & Hutchinson, S. A. (2001). A critique

do research on the use of activities with person with

Alzheimer’s disease :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5, 488-496.

Schneider, L. S., Dagerman, K. S., & Insel, P. (2005).

Risk of death with atypical antipsychotic drug treat-

ment for dementia.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94, 1934-1943.

Trower, P., Bryant, B., & Argyle, M. (1978). Social

Skills and Mental Health. London: Mether Co.

Zarit, S. H. (1982). Memory training for severe memory

loss : Effects on senile dementia patients and their

families. The Gerontologist, 20, 649-655.

Abstract

The Effects of Group Reminiscence Program on Social Interaction and

Behavioral Problems in the Resident Elderly With Dementia

Kwon, Mi-hwa*, B.H.Sc, O.T., Jung, Da-hae**, B.H.Sc, O.T.,

Kim, Su-kyoung***, Ph.D., O.T.

*Cheong-ju Municipal Geriatric Hospital

**Kyeryong Hyosung Nursing home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onyang University

Purpose : In this study, the treatment of severe dementia elderly care in the hospital and nursing home

admission conducted by the group reminiscence therapy a positive affect on social interaction,

and behavior problems were investigated.

Methods : This study, 20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Social interaction skills were evaluated using the Social Behavior Scale(SBS), behav-

ioral problems were evaluated using the Memory & Behavior Problem Checklist(MBPC) using

was assess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Intervention results was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

Results : SBS and MBPC scores was compared with intervention before and after the subjects results

in the control group was no significant change, but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the ex-

perimental group.

Conclusion :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resident in severe dementia in the elderly group remi-

niscence therapy program when applied to the improvement of social interaction and behav-

ioral problems easing the effect was confirmed.

Key Words : Behavioral problems, Dementia, Reminiscence therapy, Social interaction.

서론.Ⅰ

현대사회의 경제발전과 의료기술의 질적 향상으로

평균수명이 연장되고 이로 인한 노인인구의 증가율,

이 높아지고 있다 실제로 우리나라는 급격한 노령사.

회로 접어들고 있으며 년에는 초고령사회에 접어2026

들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통계청 하지만 연장( , 2010).

된 수명만큼 노인들은 더 많은 만성적 질병과 장애를

동반한 채 살아가게 될 가능성이 높다(Zimmer &

이렇듯 노화에 따른 급성 및 만성 질Chappell, 1994).

병의 유병률 증가에 따라 노인재활의 역할이 확대되

고 질병이나 손상에 의한 중재 외에 조기재활에 대한,

개별 작업치료와 통합된 집단회상프로그램이 장기요양시설 노인의

심리적 건강과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이향숙 윤정애 노종수 차정진 강선애*, *, *, *, **,

강현아 김은미 박종현 이보람***, ****, *****, ******

대전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명지춘해병원 힐링스병원* , ** , *** ,

대전중앙산재병원 스마일요양병원 글로리병원 작업치료사**** , ***** , ******

목적본 연구는 개별 작업치료와 통합된 집단회상프로그램이 장기요양시설 노인의 심리적 건강과 인지능

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대상자는 장기시설 노인 중 명을 각 명씩 무작위로 실험군과 대조군에 배정하였다 실험군은18 9 . 8주

간 주 회 분씩 개인 작업치료를 실시하고 집단회상프로그램은 주 회씩 총 회 분 를1 30 , 2 16 (30 40 )∼ 실

시하였다 사전. ․사후검사는 심리적 건강상태 우울 삶의 질 를 알아보기 위해 한국형 노인우울검사( , )

와 삶의 질 척도 를 사용하였고 인지기능은 한국판 간이정신상태 판별검사(KGDS) (SF-8) , (MMSE-K)와

신경행동학적 인지상태검사 의 기억 항목을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실험군과 대조군 각각의(NCSE) .

중재 전 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윌콕슨 부호순위검정을 사용하였고 두 군 간의 중재 후 변화, , 량

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검정을 사용하였다Mann-Whitney .

연구결과

중재 전 후 비교에서 실험군은 심리적 건강상태인 우울과 삶의 질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향상되었으나 인지기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대조군은 우울과 삶의 질 인지, . ,

기능에 통계학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두 군 간의 중재 전 후 변화량의 차이비교에서는 한국판. ,

간이정신상태 판별검사 변화량에서만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변화량이 통계학적으로 유(MMSE-K)

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개별 작업치료와 통합된 집단회상 프로그램은 장기시설 노인들에게 심리적 안정과 인지기능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장기요양시설에서 개별 작업치료와 통합된 집단회상프로그램을 작.

업치료의 효과적인 방법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주제어 개별 작업치료 노인 심리적 건강 인지기능 집단회상프로그램, , , ,

교신저자 윤정애 접수일 년 월 일 개재승인일 년 월 일: ([email protected]) : 2012 11 10 : 2012 11 26∥ ∥

20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6 / 2

다양한 접근이 요구된다 사람(Clark & Siebens, 2005).

의 수명이 늘어날수록 노인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재활의 역할은 증대될 것이다최은석( , 2011).

노년기에는 신체기능 및 생리학적 변화 뿐 아니라

직장과 가정 안에서의 역할 변화로 인해 심리 및 사

회적 적응에 많은 어려움을 갖는다이장호 등( , 2009).

장기요양을 위해 입원하는 노인은 가정에서 생활하며

간병을 받는 노인에 비해 사회적 접촉의 기회가 부족

하고 가족과 이웃으로부터의 격리와 상실감을 느껴,

부정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이경자 등 정용( , 2004; ,

특히 노인의 신체기능 쇠퇴는 활동저하와 흥미2009).

를 감소시켜 대인관계나 상호작용의 심리적 위축을

가져와 노년기 우울을 초래한다정옥분( , 2008).

노인의 우울은 정신건강에 중요한 요소로서 일상생

활활동 및 기능장애 자살 위험과 사망률 증가를 가져,

오며 결과적으로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문혜경 또한 우울한 노인이 호소하는 기억감( , 2008).

퇴와 인지장애는 노년기 우울의 특징이며 신체적인,

건강상태 뿐 아니라 삶의 전반적인 측면에 영향을 준

다김성열 한정란 이러한 노화의 변화는( , 2004; , 2002).

학습과 사회생활 뿐 만 아니라 기본적인 활동에서도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이재신과 김경미 노( , 2005).

화에 따른 인지변화는 기억감소 지남력 장애 판단력, ,

감소 이해능력 감퇴 등으로 나타나며 그로 인해 역, ,

할상실과 의존감 증가 및 자존감 저하를 가져온다김(

정선 성기월 주관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 1998; , 1997).

키는 것은 노인의 주체성을 유지시켜 질적인 삶의 유

지 및 지속을 가능하게 하며 나아가 인기기능 및 행,

동을 호전시킨다김영숙과 도복늠( , 2005).

노년기의 심리학적 문제들에 대한 그 동안의 연구

에서는 성공적인 노화를 위한 회상의 중요성이 언급

되었다김남원 여인숙 정영( , 2010; , 2005; , 1994; Bulter,

1974; Cappeliez, O’Pourke & Chaudhury, 2005; Chao,

회상이란 과거 경험에 대한Cen, Liu & Clark, 2008).

사고과정을 통해 다른 사람들과 이야기하는 것으로,

치료적 중재로써의 회상은 환경의 적응에 도움이 된

다 심리 사(Cappeliez, O’Pourke & Chaudhury, 2005). ,

회적 중재로서의 회상치료는 우울에 대한 호전과 더

불어 인지기능에서 매우 효과적임을 보고하였다이은(

철 등 회상치료는 노인들의 기억과 정서를 자, 1999).

극하여 감정 행동과 신경 인지적 기능을 개선시키며,

과거 사건들 중 긍정적이고 유쾌한 경험(APA, 1997),

을 통해 재통합의 기회를 제공하여 우울과 불안을 감

소시키는 긍정적 측면이 있다김수영 진복수와( , 2001;

전미연 회상이 갖는, 2000; Haight, 1995; Rentz, 1995).

또 다른 긍정적인 측면으로는 노인들이 마음으로 죽

음을 준비할 수 있게 해주며(Cappeliez et al., 이2005),

는 회상을 통해 자신의 존재 의미를 인식하며 깨닫고,

회상이 스트레스에 적응하기 위한 기제 역할을 담당

하기 때문이다 또한 회상은 긍정적인(Kovach, 1991).

자아통합의 기회 제공과 궁극적으로 삶의 질을 향상

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김남원( , 2010;

여인숙, 2005; Chao et al., 2008).

회상 프로그램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들이 미국 영국, ,

일본을 중심으로 사회사업가 간호사 작업치료사 등 여, ,

러 전문가에 의해 사용되어져 왔으나김영숙( , 2000) 국

내 작업치료사에 의한 연구는 매우 미흡하다 또한 회.

상훈련이 대부분 집단 프로그램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노인이 갖는 개개인의 특성을 파악하지 못하거나 충,

분한 친밀감이 없는 상태에서 자신의 인생에 대한 논

점을 집단원과 나누는 것에 대하여 제한점을 갖는다

김남원( , 2010).

반면 개별 작업치료는 대상자가 어떤 과제들의 수,

행에 문제가 있는지에 대한 개인의 특성을 파악하고

치료적 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하여 클라

이언트의 능력과 동기 생활양식을 개발하고 유지하, ,

고 회복시키며 재조직하도록 돕는다 이를 바탕으로, , .

클라이언트 중심의 다양한 신체적 활동을 통해 심리적

건강과 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좀 더 편안한 감

정을 느낄 수 있으며 깊이 파묻혀있는 심층적인 문제,

를 효율적으로 쉽게 다룰 수 있다김정기 김한수와 정( ,

복희 박소연과 강대혁 정원미 이정원 이, 2008; , 2007; , ,

향숙 이성아와 장문영 따라서 노인의 개별적, , 2011). ,

특성과 심리 사회적 상태를 고려한 통합형 작업치료,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장기요양시설 노인을 위,

한 다양하고 효과적인 적용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

는 집단 회상프로그램의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별

작업치료와 통합된 형태로 연구 설계를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된 작업치료의 적용을 위해

개별 작업치료와 집단회상프로그램을 함께 실시하여

대상군 구분 빈도 명( ) %

성별

실험군남자 1 11

여자 8 89

대조군남자 0 0

여자 9 100

연령

실험군

세 세65 74∼ 2 22

세 세75 84∼ 5 56

세 이상85 2 22

대조군

세 세65 74∼ 2 22

세 세75 84∼ 5 56

세 이상85 2 22

실험군무학 5 56

초졸 이상 4 44

교육정도 대조군무학 4 44

초졸 이상 5 56

표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1. (N 18)=

변수평균 ±표준편차 카이

제곱

유의

확률실험군 대조군

KGDS 19.11 ± 3.62 18.78 ± 4.97 6.67 .76

SF-8 319.85 ± 44.21 272.59 ± 47.09 18.00 .39

MMSE-K 21.67 ± 1.73 21.67 ± 4.00 10.13 .18

NCSE 8.56 ± 4.30 6.44 ± 4.10 6.67 .46

*p .05<

표 집단 간 사전 동질성 검증2.

21

대상자들의 심리적 문제인 우울 및 삶의 질과 인지기

능의 긍정적인 효과를 비교 분석하고 장기 시설 노인,

에게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 방법.Ⅱ

연구대상 및 기간1.

본 연구는 년 월부터 년 월까지 대전광2011 4 2011 6

역시 요양원에서 입원중인 세 이상 노인 환자를E 65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대상자는 실험 참여에 동의한

노인으로 한국형노인우울검사(Korean Form of Geriatric

로Depression Scale, KGDS) 초기 평가를 시행하여 경

도이상의 우울을 나타내는 명을 무작위로 배분하여18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각 명씩 구성하였다 또한 대상9 .

자의 치매가 심한 경우 기억이나 언어 판단력 등의,

문제로 인해 자신의 우울증상을 적게 보고하거나, 자

가 설문에 부적절한 응답을 할 수 있으므로정원미 등( ,

한국형 간이 정신상태검사2008), (Mini-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MMSE-K)결과 점 이상으로 대19

상자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기간은 총 주간으로 실험군은 개8

별 작업치료와 집단회상 프로그램을 시행하였고 대,

조군은 기본적인 입원치료만 시행하였으며 실험 전 ․

후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동일하게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

성은 표 과 같다( 1) .

무작위로 구성된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실험 전 집

단 간 동질성 여부를 측정한 결과 두 집단 간의 심리

적 건강과 인지기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

었다(p 표.05)( 2).<

연구과정2.

연구절차1)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년 월부터 년 월2011 4 2011 6

까지 총 주간 실시하였다 장기요양시설인 요양원에8 .

서 입소중인 노인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명을 선정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무작18

위 배분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심리적 건강상.

태와 인지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중재 전 ․후에 한국

형 노인 우울척도(Korean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삶의질척도 한국형간Scale, KGDS), (Short Form; SF-8), 이

정신상태 판별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

그리고 신경행동학적 인지상태검사MMSE-K), (Neurobe-

havioral Cognitive Status Examination, NCSE)의 기억항목

을 검사하였다 대상자가 선호하는 것을 바. 탕으로 집단

회상프로그램을 선정하기 위해 인터뷰를 하였다.

명의 실험군에게 적용된 개별 작업치료와 통합된9

집단회상프로그램은 개별 작업치료와 그룹 작업치료

를 통합한 중재방법을 의미하며 그룹 작업치료에 집

대상자 선정(n 18)=

무작위 배분

실험군(n 9)= 대조군(n 9)=

초기 평가 : KGDS, SF-8, MMSE-K, NCSE(Memory)

집단회상프로그램 선정을 위한 인터뷰

실험군 대조군

개별 작업치료

집단회상프로그램기본적인 입원치료

주 후8

재평가 : KGDS, SF-8, MMSE-K, NCSE(Memory)

그림 대상자 선정 및 연구절차1.

22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6 / 2

단회상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대조군에게는 시설에.

서 제공되는 기본적인 입원치료만 적용되었다 대상.

자 선정과 연구절차는 그림 과 같다( 1) .

평가 도구2)

한국형 노인 우울척도(1) (Korean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KGDS)

노인의 우울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등Yesavage (1983)

이 개발한 노인우울검사(Geriatric Depression Scale;

를 정인과 곽동일 조숙행과 이현수 가 표GDS) , , (1997)

준화한 한국형 노인우울검사(Korean Form of Geriatric

를 사용하였다 한국형 노인Depression Scale; KGDS) .

우울검사는 점수가 높을수록 우울증상이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총점수가 점 사이는 경계선 수, 16 22∼

준 및 경도의 우울증 점 사이는 중도의 우울, 23 25∼

증 점 이상은 심도의 우울증으로 나타낼 수 있다, 26 .

의 계수는 반분신뢰도는 이었다정Cronbach .88, .79 (α

인과 곽동일 조숙행과 이현수, , , 1997).

삶의 질 척도(2) (Short Form; SF-8)

조사대상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하

여 미국의 에서 개발한 을, Medical Outcome Study SF-8

이용하였다 이는 전반적인 건강상태 신체적 기능. ‘ ’, ‘ ’,

신체적 역할 통증 활력 사회적 기능 정신건‘ ’, ‘ ’, ‘ ’, ‘ ’, ‘

강 정서적 역할의 개 영역을 측정하는 포괄적인’, ‘ ’ 8

건강관련 삶의 질 측정도구이다 각 영역별 검사재검. -

사 신뢰도가 이고 내용 타당도는 이.61 .72. , .70 .88∼ ∼

다김은영 신은영과 김윤미( , , 2004).

한국형 간이 정신상태 판별검사(3)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는 년 미국의 이 개발한MMSE-K 1975 Folstein MM-

를 권용철과 박종한SE(Mini-Mental State Examination)

이 우리말로 번안하여 표준화한 검사도구로 노(1989)

인이나 뇌손상 환자의 인지 손상을 판별하고 이를 정,

량적으로 평가하는데 유용한 도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지남력 점 기억등록 점 기억 회상 점 주. (10 ), (3 ), (3 ),

위 집중 및 계산능력 점 언어기능 점 이해 및 판(5 ), (7 ),

단 점으로 총 영역의 점 만점으로 구성되어있다(2 ) 7 30 .

무학인 경우 지남력 점 주의집중 및 계산에 점 언1 , 2 ,

어기능에 점씩 부여하여 각각 만점이 넘지 않는 범1

위로 가산한다권용철과 박종한 인지장애의 평( , 1989).

가기준은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절단점 을(cut-off point)

이용하여 점 이상은 정상 점은 경도 인지장24 , 18 23∼

애 점 이하는 중증 인지장애로 정의하였다오민아, 17 ( ,

신윤오 이태용과 김정선 황미구 의 연구, , 2003). (2008)

에서는 이었다Cronbach’s Alpha .86 .=

신경행동학적 인지상태검사(4) (Neurobehavioral

Cognitive Status Examination; NCSE)

신경행동학적 인지상태검사(Neurobehavioral Cognitive

Status Examination; NCSE)는 등 에 의하Kiernan (1987)

여 개발된 인지선별검사로 진행방식이 빠르고 간편하

다오제흥 유종윤과 성인영 는 가지의( , , 1996). NCSE 5

주요 인지영역들언어 구성 기억 계산 논리적 사고( , , , , )

을 독립적으로 측정하도록 하며 종합적 검사결과로,

는 가지의 일반적 요인들의식수준 주의집중력 지3 ( , ,

남력을 제시한다 검사자간 신뢰도는 이며 검사) . .90 , -

재검사의 신뢰계수가 이다정원미 최혜숙과.88 1.00 ( ,∼

박금주 본 연구에서는 인지영역 중 기억항목, 1999).

만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중재방법3)

개별 작업치료와 통합된 집단회상프로그램이란 개

변수 구분사전 사후

Z pM ± SD M ± SD

KGDS실험군 19.11 ± 3.62 13.89 ± 5.65 -2.52 .01

*

대조군 18.78 ± 4.97 18.44 ± 6.35 -.21 .83

SF-8실험군 319.85 ± 44.21 367.23 ± 49.88 -2.19 .02

*

대조군 272.59 ± 47.09 277.47 ± 40.78 -.53 .59

MMSE-K실험군 21.67±1.73 23.22 ± 4.79 -1.40 .16

대조군 21.67±4.00 19.00 ± 4.98 -1.83 .07

NCSE실험군 8.56 ± 4.30 11.44 ± 1.33 -1.61 .11

대조군 6.44 ± 4.10 7.00 ± 4.77 -.68 .50

*p .05<

표 각 군의 중재 전3. ․후 우울 삶의 질 인지기, ,

능의 차이

23

별 작업치료와 그룹 작업치료를 통합한 중재방법을

의미하며 그룹 작업치료에 집단회상프로그램을 사용

하였다.

개별 작업치료(1)

개별 작업치료는 주 동안 주 회 분씩 일대일로8 1 30

실험군에게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의미 있는 활, ,

동을 실시하였다.

신체적 활동으로는 기능증진을 주목적으로 풍선 배

드민턴 볼링 걷기 계단걷기 젠가 등을 시행하였다, , , , .

정신적 활동으로는 기억력 향상을 주목적으로 퍼즐

맞추기 고스톱 짝 맞추기 스피드 퀴즈 매화 그리기, , ,

등을 시행하였다 풍선 배드민턴 볼링 젠가 등의 활. , ,

동들은 대상자 소그룹 형태로 사회적 인지적 활동으,

로도 확대해 실시하였다 각 활동들은 개인의 능력에.

맞게 등급화 하여 수행하였으며 동기부여와 우울감,

소를 위해 흥미를 느낄 수 있는 활동들로 선별하여

적용하였다.

집단회상프로그램(2)

본 연구에 사용한 집단회상프로그램은 송예희(2008),

유봉도 등의 회상프로그(2010), Brian W. Banks(2004)

램 주제를 참고로 하고 대상자들의 개별 인터뷰를 통,

해 좋아하는 노래 놀이 음식 추억을 물건들 등을 조, , ,

사하여 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하여 재구성하였다 집, .

단회상 프로그램은 주 회씩 주간 총 회기를 프로2 8 16

그램별 분씩 적용하였다 주차별 내용은 부록30 40 . 1∼

이다.

분석 방법3.

본연구의자료처리는 통계프로그램을SPSS ver. 18.0

이용하였다 집단 간의 각 변인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기위해기술통계를실시하였다 집단간의동. 질

성 검증은 교차분석에서 카이제곱검정을 실시하였고,

전 ․후간 차이검증은 비모수 검정 중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 을 실시하였으며 중재(Wilcoxon signed ranks test) ,

후 두 군 간의 변화량 차이 검증은 검정Mann-Whitney

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분석의 유의수준은 로 설. .05

정하였다.

연구결과.Ⅲ

각 군의 중재 전 후 우울 삶의 질1. , , ,

인지기능의 차이 비교

우울에 관한 중재 전 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실험, ,

군의 는KGDS 19.11 ± 에서3.62 13.89 ± 로 감소하5.65

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 반.05).<

면 대조군은, 18.78 ± 에서4.97 18.44 ± 로 통계학적6.35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실험군은.

중재 후 우울의 감소를 보였으나 대조군은 우울의 변,

화가 없었다.

중재 후 삶의 질에 대한 변화에서는 실험군은 SF-8

의 평균점수 319.85 ± 에서44.21 367.23 ± 로 증가49.88

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p 대.05).<

조군은 272.59 ± 에서47.09 277.47 ± 로 통계적으40.78

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중재 후 실.

험군에서만 삶의 질의 향상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인지기능은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와MMSE-K NCSE

의 기억항목 평가 결과 전, ․후 검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예가 치매( 3).

예방 프로그램으로 적합한가 라는 질문에서는 적합하‘

다 매우 적합하다 순이었으며표.’ 58.9%, ‘ .’ 35.7% ( 2),

추후 수공예 프로그램에 대한 교육 참여 유무에서는

참여하겠다는 의견이 대다수를 차지하였다표( 3).

변수 구분 M ± SD U p

KGDS실험군 -5.22 ± 5.09

25.00 .17대조군 -.33 ± 6.72

SF-8실험군 47.38 ± 48.25

22.00 .10대조군 4.88 ± 40.48

MMSE-K

실험군 1.56 ± 3.43

16.00 .03*

대조군 -2.67 ± 3.67

실험군 2.67 ± 4.42

NCSE 대조군 .56 ± 2.24 30.00 .34

*p .05<

표 두 군 간의 중재전후 우울 삶의 질 인지기4. , ,

능의 변화량 차이 비교

24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6 / 2

두 군 간의 중재 전 후 우울 삶의 질2. , , ,

인지기능의 변화량 차이 비교

중재 전 후 기억항목, KGDS, SF-8, MMSE-K, NCSE

의 변화량를 구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사이에 변화량에

차이가있는지분석하였다 그결과. KGDS, SF-8, NCSE

기억항목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

러나 는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변화량에 통MMSE-K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4).

고찰.Ⅳ

본 연구는 개별 작업치료와 집단회상프로그램이 장

기요양시설 노인의 심리적 안정과 인지능력 변화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노인들.

의 심리적 문제에 효과적인 개입 기법에는 현실요법,

인지요법 등 다양한 방법들이 있으나 회상요법의 경

우 특별한 훈련이나 기술 없이 어느 누구나 노인과

함께 추억하는 활동을 통해 긍정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다박경아 그러나 국내연구에서는 개인의 특( , 2007).

성을 고려한 작업치료적인 접근의 회상프로그램이 거

의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송예희 유봉도 등(2008), (2010)

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어린 시절 추억의 놀이 가족,

생활 부모 및 형제와 살면서 행복했던 기억이나 슬픈,

기억 등으로 수정 ․보완하여 재구성한 집단회상프로

그램을 실시하였다 또한 집단프로그램에서는 개인의.

특성이나 라포 형성 및 능동적 동기를 이끄는 데 제

한이 될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개별 작업치료를 함

께 시행하였다.

집단회상프로그램은 명이 적정 인원이며 노7 10 ,∼

인의 경우 활동의 내용은 간단한 것이 유용하고 집중,

력을 유지할 수 있는 시간 분 내에 할 수 있는(20 30 )∼

것이 효과적이다신수연 정원미 등 또한( , 2009; , 2011).

집단회상프로그램의 경우 회기 이상의 충분한 기간10

동안 시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다배강대(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험군 명을 대상으로2003). 9

총 회기로 각 회기 당 프로그램 특성에 따라16 30 40∼

분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별 작업치료와 통합된 집단회상프로

그램이 시설노인의 우울과 삶의 질에서의 영향을 알

아본 결과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우울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삶의 질은 향상 된 결과를 보였다 이, .

와 같은 결과는 회상프로그램에 참여한 노인의 우울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

하게 감소되었다는 선행연구들과 일치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배강대 송예희 엄명용 정( , 2003; , 2008; , 2000;

영, 1994; Chiang et al., 노년기에2010; Parson, 1986).

는 전반적인 신체기능의 저하와 감각 지각 기억 지, , ,

능 등의 신경학적 기능약화로 무력감을 가져와 우울

을 만드는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 이렇듯 고립감과.

심리적 문제를 가진 노인을 대상으로 회상프로그램을

통해 지나온 삶을 회고하며 과거의 성공적인 경험들,

을 서로 공유하는 것은 자신감을 갖게 하고 정서반응,

에도 영향을 미쳐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보여 진다 김형선 등 은 심리. (2009) ․사회적 요소의 중

요성을 언급하며 우울은 노인의 동기를 낮추고 결과

적으로 일상생활의 독립성을 저해하고 삶에 대한 의,

존성도 높아질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노년기에는 많.

은 상실과 역할변화로 노인의 부정적 심리상태를 유

발하여 삶의 가치와 자아통합의 적응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김윤정 회상치료를 통해 노인의 생활만( , 2002),

족도를 증가시키고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다정영, ( ,

이렇듯 본 연구에서 개인별 특성을 고려한 개1994).

별 작업치료와 통합된 집단회상프로그램이 심리 ․사

회적 요소를 고려한 노인의 우울 완화에 효과적임을

25

알 수 있었다.

을 사용한 삶의 질의 평가결과에서도 실험군이SF-8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

였다 는 회상요법을 통해 걱정 두려움. Kovach(1991) , ,

의심에 관한 표현으로 외로움을 경감시켜서 기분과

자아 존중감을 높이고 삶의 만족감에도 효과적이라,

고 하였다 김영숙과 도복늠 은 회상을 적용한. (2005)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서 치매노인에게 삶의 질의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는데 황미구 는 우울이, (2008)

낮은 노인에게서 삶의 질을 예측하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실험군.

에서 프로그램 후 우울의 변화가 삶의 질에도 긍정적

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

구의 우울과 삶의 질은 프로그램 후 실험군에서 효과

적인 결과를 보인 반면 인지기능 및 기억기능에서는,

수치상 향상은 되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집단회상프로그램을 적용한 선행연구.

들을 살펴보면 프로그램 실시 후 치매노인의 인지기,

능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신수연 김영숙과( , 2009),

도복늠 도 경증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2005)

과 의 점수에서 통계적인 유의수준을 보고하MMSE-K

였다 이는 본 연구의 결과와 다른 결과로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의 가 세 이상의 고령자임을 고79% 75

려할 때 일반적으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기억력 사고, ,

및 문제해결능력 등 인지능력은 저하될 수 있음정원(

미 등 을 감안해야 한다, 2011) .

그러나 주목할 점은 실험군은 의 점수가MMSE-K

향상된 반면 대조군에서는 감소된 점수를 보였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 주간의 프로그램 진행 후 실험. 8

군과 대조군의 변화량의 차이 비교에서 에서MMSE-K

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실험,

군에서는 점수가 평균 점에서 점으MMSE-K 21.67 23.22

로 향상되었으나 대조군에서는 평균 점에서, 21.67 19

점으로 감소하였다 이를 통해 본 개별 작업치료와 집.

단회상프로그램이 인지기능을 유지하고 향상하는데

도움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의 기억. NCSE

항목에서는 통계학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임상적 의의는 작업치료프로그램이 많이

개발되어있지 않은 장기요양시설의 노인 작업치료에

서 개별 작업치료와 집단회상치료를 접목하여 치료적

효과를 극대화하였다는 점이다 개별 작업치료 시간.

에 대상자의 특성을 파악하고 개인의 부족한 신체적,

인 움직임이나 인지적 요소 일상생활 활동 의사소통, ,

능력 등으로 접근하여 대상자들이 동기부여가 된 상

태에서 집단회상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었다 또한.

개별 작업치료에서 치료사와 대상자의 일대일 치료에

서 부족한 사회성과 대인관계능력 등을 그룹 안에서

다른 대상자들에게 발표하고 의견을 나누고 서로 격

려해줌으로써 자아 존중감이 높아져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 이는 장기요양시설에서 실시할 수 있.

는 작업치료의 한 방법으로 제시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대상자는 대전광역시 요양E

원에 거주하고 있는 세 이상의 노인으로 제한되어65

장기요양시설 노인의 성향을 대표한다고 볼 수 없고,

집단회상프로그램이 끝난 후에 사후검사만을 실시하

였으므로 연구대상자들의 변화가 어느 정도 지속되는

가에 대한 추후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한 한계를 갖는

다 향후에는 일반노인뿐만 아니라 치매노인에게 개.

별 작업치료와 통합된 집단회상프로그램을 적용한 효

과에 관해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결론.Ⅴ

본 연구는 장기요양시설 노인에게 개별 작업치료와

통합된 집단회상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심리적 건강과

인지능력 변화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개별 작업치료와 통합된 집단회상.

프로그램 참여로 우울의 감소와 삶의 질이 향상되었

다 또한 프로그램 참여가 인지기능을 유지하는데 도.

움이 되었다 개별 작업치료와 통합된 집단회상프로.

그램이 장기요양시설노인의 심리적 건강과 인지능력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므로 장기요양시설에

서 개별 작업치료와 통합된 집단회상프로그램을 작업

치료의 효과적인 방법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26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6 / 2

참고문헌

권용철 박종한, . (1989). 노인용 한국판 Mini Mental

의표준화연구State Examination . 신경정신의학, 28(1),

125-135.

김남원. (2010). 회상집단 상담이 노인의 자아 통합감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서울 명지대학교: .

김성열 외래에서 쉽게 하는 노인의 인지기능. (2004).

평가. 가정의학회지, 25(11), S519-527.

김수영. (2001). 쑥향기 흡입을 병행한 집단회상요법이

노인의 통증 우울 및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효과, .

경북 계명대학교: .

김영숙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한 회상치료법에. (2000).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9, 95-124.

김영숙 도복늠 회상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 . (2005).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우울과 삶의 질,

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12(2), 483-500.

김윤정. 회상을 통한 우리나라 여자노인들의(2002).

일생과 자아 통합감. 노인복지연구, 207-232.

김은영 신은영 김윤미 뇌졸중 환자가족의 가, , . (2004).

족부담감과 건강관련 삶의 질. 한국보건간호학회지,

18(1), 5-13.

김정기 김한수 정복희 소그룹 신체활동이 치, , . (2008).

매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고령자 치매작.

업치료학회지, 2(2), 13-24.

김정선 가정노인과 양로원노인의 자아존중감. (1998). ,

일상생활활동능력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 대한간

호학회지, 28(1), 148-158.

김형선 황영옥 유재호 정진화 우희순 정희승, , , , , . (2009).

뇌졸중 환자의 우울 재활동기 일상생활동작과 삶의, ,

질 간의 상관관계.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7(3), 41-53.

문혜경. (2008). 노인전문병원 입원노인과 방문건강관

리사업 대상 재가노인의 우울 및 삶의 질 비교. 부

산 고신대학교: .

박경아. (2007). 집단회상요법이 치매질환자의 우울감

과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성에 관한 연구: 노인병

원을 중심으로.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

박소연 강대혁 근로자역할인식면담도구, (2007). (Worker

를 이용한 인간작업모델Role Interview) (Model of

의 임상적용Human Occupation) . 대한작업치료학회

지, 15(2), 1-11.

배강대. (2003). 회상기법 집단상담이 노인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경북 영남대학교: .

성기월 노인의 인지기능 자아존중감과 우울. (1997). ,

정도. 대한간호학회지, 27(1), 36-48.

송예희. (2008). 집단회상프로그램이 노인의 우울 생,

활만족도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 서울 숙명 여자대:

학교.

신수연. (2009).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회

상요법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경북 대구대학교: .

엄기매 양영애 노인활동프로그램 서울 영문, . (2004). . :

출판사

엄명용 뇌졸중 노인을 위한 회상 그룹 운영과. (2000).

평가. 한국노년학, 20(1), 21-35.

여인숙. (2005). 노년기 자아통합감 증진을 위한 이야

기치료 회상집단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경북 경북:

대학교.

오민아 신윤오 이태용 김정선 를 이, , , . (2003). MMSE

용한 도시지역 노인들의 인지기능검사 성적. 충남

의대잡지, 30(2), 101-113.

오제홍 유종윤 성인영 뇌졸중 환자에서, , . (1996). NCSE

과 기능(Neurobehavioral Cognitive Status Exmination)

적회복과의상관관계. 대한재활의학회지, 16, 118-122.

유봉도. (2010). 전통놀이 치료 레크레이션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죽음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강원 강:

원대학교.

이경자 공은숙 김남초 김주희 김춘길 송미순 안수, , , , , ,

연 이영휘 장성옥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 , . (2004).

과 기능. 노인간호학회지, 6(1), 125-133.

이은철 송정은 안석균 오병훈 이흥식 오희철 구은행, , , , , , ,

황혜숙 유계준 노인낮병원의심리사회, . (1999). 적 치

료 프로그램이 노인의 신경인지기능과 우울 증상

에 미치는 효과. 한국신경의학회, 38(5), 933-943.

이장호 강숙정 김지은 김환 서수균 손영미 신희천, , , , , , ,

여정숙 오경민 이봉건 이은경 주리애, , , , (2009). 임상

노인심리학. 서울 시그마프레스: .

이재신 김경미, . (2005). 작업치료. 서울 도서출판정담: .

정영. (1994). 회고요법이 노인의 죽음불안 자아통합감, ,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서울 가톨릭대학교: .

정옥분. (2008). 성인 ․노인심리학. 서울 학지사: .

27

정용. (2009). 음악을 활용한 집단회상프로그램이 입원

노인의 대인관계 자아존중감 우울에 미치는 효과, , .

서울 중앙대학교: .

정원미 이동영 유승호 황윤정 추일한 김슬기 김기, , , , , ,

웅 지역사회 경증 치매환자에서의 집단인. (2008).

지재활 치료효과 작업치료 치료과정모델을 중심으:

로.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6(4), 1-17.

정원미 이정원 이향숙 이성아 장문영, , , , . (2011). 노인

작업치료 이론과 적용. 서울 북샘터: .

정원미 최혜숙 박금주 뇌 손상 환자의 신경, , . (1999).

행동학적 인지상태검사 소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7(1), 1-16.

정인과 곽동일 조숙행 이현수 한국형 노인, , , . (1997).

우울검사 표준화 연구. 노인정신의학, 1(1), 61-72.

진복수, 전미연 집단회상요법이 치매노인의 심. (2000).

리적요인에미치는영향. 한국노년학, 20(1), 183-194.

최은석 노화의 생물학적 변화. (2011). . 노인재활의학

회지, 1, 1-9.

통계청. (2010). 장례인구특별추계.

한정란. (2002). 노인교육연구. 실버산업 창업입문과정

노인교육지도자양성과정 자료집- .

황미구 재가 여성노인의 우울 체질량 및 인. (2008). ,

지기능이 주관적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IADL

및 을 매개변인으로 하여ADL . 노인복지연구, 42,

407-430.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7). Practice guide-

line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Alzheimer’s dis-

ease and other dementia of later life. 15-63.

Buler, R. N., (1974). Successful aging and the role of

the life review.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22, 529-535.

Cappeliez, P., O’Pourke, N., & Chaudhury, H. (2005).

Functions of reminiscence and mental health in later

life. Aging and Mental Health, 9, 295-301.

Chao, S. Y., Chen, C. R., Liu, H. Y., & Clark, M. J

(2008). Meet the real elders: reminiscence links past

and present.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7(9),

2647-2653.

Chiang, K. J., Chu, H., Chang, G. J., Chung, M. H.,

Chen, C. H., Chiou, H. Y., & Chou, K. R. (2010).

The effects of reminiscence therapy on psychological

well-being, depression, and loneliness among the in-

stitutionalized aged.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5(4), 380-388.

Clark, G. S., & Siebens, H. G. (2005). Geriatric rehabil-

itation. In: Delisa JA eds. Physical medicine and re-

habilitation: principles and practice, 4th ed, Philade-

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531-1560.

Folstein, M. F., Folstein, S. E., & McHugh, P. P. (1975).

Mini 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2, 189-198.

Haight, B. K., Michel, Y., & Heendrix, S. (1998). Life

review: short and long term effects.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47(2), 119-142.

Kiernan, R. J., Mueller, J., & Langston, J. W, et al. (1987).

The neurobehavioral cognitive status examination: A

brief but differentiated approach to cognitive assessment.

Annals of International Medicine, 107, 481-485.

Kovach, C. (1991). Reminiscence: Exploring the origins,

processes, and consequence. Nursing Forum 26(3), 14-20.

Parson, C. L. (1986). Group reminiscence therapy and

levels of depression in the elderly. Nurse Practioner,

11(3), 68-76.

Rentz, C. A. (1995). Reminiscence: A Supportive Intervention

for the Person with Alzheimer’s Disease, Journal of

Psychological Nursing, 33(11), 15-20.

Yesavage, J. A., Brink, T. L., Rose, T. L., Lum, O.,

Huang, V., & Adey, M., et al. (198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eriatric depression screening scale: A

preliminary report.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7(1), 37-49.

Zimmer, Z., & Chappell, N. L. (1994). Mobility Restric-

tion and The Use of Devices Among Seniors. Journal of

Aging and Health, 6, 185-208.

28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6 / 2

Abstract

Effect of Individual Occupational Therapy and the Integrated Group

Reminiscence Counseling on Psychological Health and Cognitive Function of

Elderly at Care Facilities.

Lee, Hyang-Sook*, Ph.D., O.T., Yoon, Joung-Ae*, Ph.D., O.T.,

Noh, Jong-Su*, M. Sc., O.T., Cha, Jung-Jin*, M. Sc., O.T., Kang, Sun-Ae**, D.S.,

Kang, Hyun-A***, D.S., Kim, Eun-Mi****, D.S., Park, Jong-Hyun*****, D.S.,

Lee, Bo-Ram******, D.S.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aejeon Health Sciences College, **Myungji Choonhye

Hospital, ***Healings Hospital, ****Daejeon Joongang General Hospital, *****Smile Hospital,

******Glory Hospital

Purpose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dividual occupational therapy and the integrated

group reminiscence counseling on psychological health and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at

long-term care facilities.

Methods : Among the elderly at long-term care facilities, each eight people were randomly selected as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respectively. Individual occupational therapy and group remi-

niscence counseling were given to experimental group for 30minutes once a week and 30-40

minutes twice a week(total 16 times) for 8 weeks, respectively. Pre-and post-tests were per-

formed using KGDS and SF-8 for psychological health(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MMSE-K and memory item of NCSE for cognitive function, respectively. Wilcoxon sign-

ed-ranks tests was used to examine the difference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in two

groups, respectively. Mann-Whitney test was used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changes be-

tween two groups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which were psychological health after intervention, but control group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hanges of MMSE-K after the intervention between two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 Individual occupational therapy and group reminiscence counseling gave the positive impact on

psychological health and changes in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at care facilities.

Therefore, I would like to propose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 occupational therapy and in-

tegrated group reminiscence counseling as an effective method of occupational therapy.

Key words : Individual occupational therapy, Elderly, Psychological health, Cognitive function, Group remi-

niscence counseling

29

회기 주제 활동내용 목표

1오리엔테이션

및 내 별명을 불러줘

프로그램 목표 및 차례 내용 설명,╸

하기

과거 자신의 별명을 회상하며 명찰╸

만들고 설명하기

별명을 통한 과거 회상하기╸

2 보고싶다 친구야얼굴을 회상하고 점토로 표현하고, ,╸

설명하기

어릴 적보고 싶은 친구를 통한╸

회상하기

3 친구야 골목에서 모여!

어렸을 적 친구들과 함께 했던 놀이╸

를 회상하고 바람개비와 딱지를 만

들기

어렸을 적 친구들과 함께 했던╸

놀이를 통한 회상하기

4 고향의 향수를 따라서고향에 대해 회상하여 그림 그리고╸

설명하기고향을 통한 회상하기╸

5 나 이렇게 살았어∼

자신의 인생을 전반적으로 회상하╸

여 인생 곡선 그래프 그리고 설명,

하기

╸전반적인 인생을 통한 회상하기

6 나의 번18팀을 구성하여 노래를 선정하고 함╸

께 불러보기

즐겨 부르던 노래를 통한 회상╸

하기

7 참 잘 했어요과거에 자신이 가장 잘했던 일을 회╸

상하여 상장에 적어보고 설명하기

학창시절 상장 받은 일 잘하,╸

는 일을 통한 회상하기

8시집 장가,

간 날

나의 옛날 결혼식을 회상하여 콜라╸

주로 표현설명하기·옛날 결혼식을 통한 회상하기╸

9 잘난 내 자식들배우자 또는 자식과 함께 한 일을╸

회상하며 이야기 나누고 설명하기

배우자 또는 자식을 통한 회상╸

하기

10보고 싶은

내 가족

가족 을 생각하며 떠오르는 것들에‘ ’╸

대해서 마인드맵으로 표현하고 설

명하기

가족을 통한 회상하기╸

11옛 놀이-

보자기 제기

팀을 이루어서 함께 보자기로 제기╸

던지기

옛날에 즐겨 했던 놀이를 통한╸

회상하기

12옛 놀이-

큰 윷놀이

일반 윷보다 크기가 큰 윷으로 진행╸

하며 팀을 이루어 대결하기,

옛날에 즐겨 했던 놀이를 통한╸

회상하기

13옛 놀이-

투호

팀을 이루어서 콩 주머니를 던지며╸

대결하기

옛날에 즐겨 했던 놀이를 통한╸

회상하기

14옛 놀이-

윷놀이

일반 윷으로 진행하며 팀을 이루어,╸

대결하기

옛날에 즐겨 했던 놀이를 통한╸

회상하기

15 송편 만들기 명절 이야기 하며 함께 송편 만들기╸

옛날 명절에 즐겨 먹던 음식을╸

통한 회상하기

16 최고의 프로그램회기 회기의 프로그램 활동사1 15∼╸

진을 붙이고 느낀점 쓰기앞╸ 의 프로그램을 통한 회상하기

부록 집단회상프로그램 주제와 내용1.

서론.Ⅰ

세계 인구 세 이상 비율은 년 에서65 2010 7.6% 2050

년 로 증가하는데 반해 한국은 에서16.2% 11% 38.2%

로 급등하여 현재 국가들 가운데 위를 차지할, OECD 1

것으로 전망된다통계청 연령이 증가하면서 치( , 2009).

매 환자는 급속히 늘어나는데 세가 지나면 매 년65 5 마

다 두 배씩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John et al, 1987).

따라서 치매환자의 숫자도 현재의 약 만 명에서30

년에는 만 명 이상으로 급격히 늘어나 사회 경2021 60

제적으로 큰 문제를 야기할 것으로 보여 진다보( 건복

지부 통계청 치매는 기억장애와 더불어, 2008; , 2009).

언어장애 시공간장애 혹은집행기능, , (executive function)

장애 중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장애를 보이는 임상

증후군으로 이러한 장애들이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

에 지장을 주는 것으로 정의된다(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APA, 1994; DSM- ).Ⅳ

치매유형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알츠하이머 치

매는 년 알츠하이머 의사에 의해 발견된 퇴행성1907

신경 장애로 기억력 사고력 학습능력 및 판단력 등, ,

의 손상이 점진적으로 나타난다(APA, 1994; McDowell,

기억처리에 있어서 조기에 기억력이 저하되2001).

는 현상이 발생하며 해마의 손상으로 오래된 기억,

보다는 최근 기억 을(remote memory) (recent memory)

알츠하이머환자와 혈관성 치매환자의 를 통한CERAD-K

인지기능의 비교와 평가도구의 유용성

장종식 김수경*, **

대전요양병원 작업치료실*

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목적혈관성 치매환자와 알츠하이머 치매환자의 점수를 비교하여 집단 간 차이와 혈관성 치CERAD-K

매환자에게 평가의 유용성을 확인해 보고자 한다CERAD-K .

연구방법

년 월 일부터 년 월 일까지 대전충남에 소재한 개의 요양병원에 입원한 혈관성치2009 7 1 2012 10 31 · 3

매나 알츠하이머 치매로 진단받은 환자 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평가를 시행하였다 알31 CERAD-K .

츠하이머 치매와 혈관성 치매 집단을 비교하기 위해 검정 을 사용하였고 인지t- (Independent t test) ,

요인간의 상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스피어만 상관분석 을(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보스톤 이름대기 검사 단어목록 기억 단어목록회상에서 두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 (p .05).<

의 하위항목간의 상관성을 분석해 본 결과 혈관성 치매보다 알츠하이머 치매에서 보다CERAD-K

높은 상관계수가 관찰되었다(p .05).<

결론도구가 혈관성 치매환자에게 유용하게 적용될 수는 있으나 두 집단 에 인지기능의 차이CERAD-K ,

가 관찰되므로 혈관성 치매환자의 특성이 고려된 신경심리 평가집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주제어 알츠하이머 치매 혈관성 치매, , CERAD-K

교신저자 김수경 접수일 년: ([email protected]) : 2012 11∥ 월 일11 개재승인일 년 월 일: 2012 11 28∥

32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6 / 2

저장하는 기능이 저하되는 특성이 있다이광우( , 2005).

새로운 정보의 응고화에 어려움을 보이며 삽화 기억,

작업기억 이 먼저(episodic memory), (working memory)

손상된다(Mchann et al., 1984; Hodges, 2006; Welsh et

al., 1992).

두 번째로 유병율이 높은 혈관성 치매는 시공간적

기능 언어능력 기억력을 평가하는 과제에서 알츠하, ,

이머 치매 환자와 유사한 수행을 보인다고 보고되기

도 하지만한국치매학회 전두엽 기능을 필요로( , 2006),

하는 언어유창성 주의력 집행기능, , (executive function),

계획 및 조절능력에 어려움을 보이고 기억과정 중 인,

출에 장애가 두드러진다 알츠하이머(Almkvist, 1994).

치매와 달리 비교적 급작스럽게 발병하는 경우가 많고

계단식 저하 양상으로 진행된다(Groves et al., 2000).

혈관성 치매의 경우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의 인지기

능 장애와는 다른 양상을 보임에도 불구하고 적은 연,

구가 진행되는 것으로 보여 진다서연심 오혜( , 2004; 경

등, 2010).

치매환자들의 인지장애로 인해 독립적인 생활이 어

렵게 되고 보조 및 간호를 필요로 하게 되어 그에 따, ,

른 주변 사람들의 부담이 발생하게 된다(Schulz et al.,

1995; Youn et al., 치매의 특성상 가정 뿐 아니1999).

라 지역사회 내에서 치매의 예방 및 조기발견 조기,

치료 등을 통해 그 진행을 둔화 또는 호전시키고 전

체 사회 경제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므로 치매를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평가도구가 요구된다박신(

애, 2009; Green et al., 1997).

현재 우리나라에서 치매를 진단하는 도구로 CER

가 널리 적용되어지고 있고이동영AD-K ( , 2001; Lee et

al, 국제적으로 간단한 치매 선별검사2002), (screening

로 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우리나라test) MMSE .

의 경우 강연욱 등 이 번안한 와 권용철(1997) K-MMSE

과 박종한 이 번안한 를 널리 이용하고(1989) MMSE-K

있다 는 알츠하이머치매를 감별하기 위한 목적. MMSE

으로 개발 된 도구로(Folstein et al., 학력의 영향2001),

으로 인하여 더 낮은 점수를 받게 될 수 있다는 단점

이 반복적으로 제기되고 있다(Anthony et al., 1982;

Christensen & Jorm, 1992; Crum et al., 강연욱1993;

등 곽경현 등 치매환자의 선별검사도구, 1996; , 2006).

의 개발에 관한 연구에 혈관성 치매환자를 포함하였

지만 타당성 연구에서는 전체 명 중 혈관성 치매, 35

환자가 명으로 대상자가 부족하게 나타났다박신애8 ( ,

2009).

알츠하이머 치매와 혈관성 치매는 인지평가과정에

서 또는 와 같이 같은 평가도구가MMSE CERAD-K

사용되어지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를CERAD-K

이용하여 두 집단의 인지기능의 비교와 상관성을 확

인하여 집단별 차이와 치매검사도구로써의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Ⅱ

연구 대상자1.

년 월 일부터 년 월까지 대전충남에2009 7 1 2012 10 ·

소재한 개의 요양병원에 입원한 혈관성치매나 알츠3

하이머 치매로 진단받은 자를 대상으로 를CERAD-K

평가하였다.

우울증 또는 다른 주요 정신질환 물질 남용 심한,

청력이나 시력 장애가 있는 경우는 연구 대상에서 배

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선정 기준에 따라 연구 대상

자를 선정하였다.

1) 혈관성치매 또는 알츠하이머 치매로 진단받은 자

청력에 이상이 없으며 실어증이 없는 자2) ,

치료사의 평가 문항 지시를 이해할 수 있는 자3)

점 이하인 자박준혁 등4) MMSE-KC 15 ( , 2008)

연구도구2.

신경심리평가1) (The Korean Version of

Consortium to Establish a Registry of

Alzheimer's Disease; CERAD-K)

치매환자의 인지기능을 측정하기 위해 신경심리평

가 를 사용하였다 신경심리평가는 언어유(CERAD-K) .

창성 검사 보스톤 이름대기 검사 단어목, , MMSE-KC,

록기억 검사 구성행동 검사 단어목록회상 검사 단어, , ,

목록인식 검사 길 만들기 검사로 구성된다표, ( 1).

본 연구에서는 영어판 신경심리평가에 포CERAD

함된 가지 신경심리검사를 한국어로 번안하고 신뢰8

세부 항목 인지 영역

언어유창성 검사 언어 만드는 능력(generation)

보스톤 이름대기

검사(K-BTN)명명 능력(naming)

MMSE-KC 지남력 언어력 계산력 기억력, , ,

단어목록기억 검사 언어 기억력(verbal)

구성행동 검사 구성행동

단어목록회상 검사 지연 회상(delay)

단어목록재인 검사 재인 기억(recognition)

길 만들기 검사 집중 실행기능,

표 평가영역1. CERAD-K

혈관성

치매(%)

알츠하이머

치매(%)전체(%)

성별남자 7(38.9) 2(15.4) 9(29.0)

여자 11(61.1) 11(84.6) 22(71.0)

교육 년( ) 4.17 ± 4.62 0.92 ± 2.25 2.81 ± 4.09

나이 년( ) 65.77 ± 11.21 81.23 ± 5.67 72.26 ± 12.01

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2.

 알츠

하이머

혈관성

치매t p

MMSE-KC 9.85 ± 3.51 11.78 ± 2.90 -1.676 .105

언어유창성 3.85 ± 2.08 5.00 ± 2.22 -1.466 .154

보스톤이름대기 3.54 ± 1.94 5.44 ± 2.23 -2.476**

.019*

단어목록기억 2.85 ± 3.16 7.44 ± 3.79 -3.565**

.001**

구성행동 4.77 ± 2.35 5.11 ± 2.74 -.363 .719

단어목록회상 0.77 ± 1.36 1.94 ± 1.55 -2.180*

.037*

목록재인 2.08 ± 2.36 3.44 ± 2.85 -1.412 .169

구성회상 0.31 ± 0.85 0.83 ± 1.15 -1.390 .175

*p .05, **< p .01<

표 치매 진단별 인지기능의 차이3.

33

도와 타당도 평가를 거친 를 사용하여 평가CERAD-K

하였다 의 검사재검사간 신뢰도는. CERAD-K - 0.63∼

로 나타났다이동영0.87 ( , 2001).

자료 분석3.

알츠하이머 치매와 혈관성 치매 집단을 비교하기

위해 검정 을 사용하였고 각 하위t- (Independent t test) ,

평가에서 평가되는 인지 요인들의 상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스피어만 상관분석(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을analysis) 실시하였다.

결과.Ⅲ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1.

전체 대상자 중에서 남자는 명이고 여자는 명이9 22

였다 혈관성 치매는 명 알츠하이머 치매는 명으. 18 , 13

로 나타났다 혈관성 치매의 평균연령은. 65.77 ± 11.21

인데 반하여 알츠하이머 치매는 81.23 ± 로 높게 나5.67

타났다 교육연령은혈관성치매. 4.17 ± 알츠하이머4.62,

치매는 0.92 ± 로 나타났다표 길 만들기 항목의2.25 ( 2).

경우 명만이 수행하여 분석에서 제외 하였다15 .

치매 종류별 점수 비교2. CERAD-K

치매종류에 따라 인지기능을 분석한 결과 혈관성

치매집단에서 언어 유창성(p 보스톤 이름대기.01), (< p

.05), MMSE-KC(< p 단어목록기억.01), (< p 단어.01),<

목록기억(p .01),< 단어목록재인(p 에서 유의한 차.01)<

이가 나타났다 하지만 구성행동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표.05) ( 3).>

혈관성 치매환자의 인지기능 상관관계3.

혈관성 치매환자의 인지기능 간의 상관성을 알아보

기 위해 의 하위 검사 점수를 상관 분석한CERAD-K

결과에서 전반적인 인지상태를 평가하는 MMSE-KC

점수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목록재인검사 에서(r .523)=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p 표.05)( 4).<

34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6 / 2

알츠하이머 치매환자의 인지기능 상관분석4.

알츠하이머치매환자의인지기능간에상관성을알아

보기 위해 의 하위 검사 점수를 상관 분CERAD-K 석한

결과에서 전반적인 인지상태를 평가하는 MMSE-KC

점수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언어유창성(r 단어목.77),=

록기억검사 목록재인검사 에서 유의한(r .80), (r .68)= = 상

관이 나타났다(p 표.01)( 5).<

고찰.Ⅳ

본 연구에서는 알츠하이머 치매와 혈관성 치매를

비교하여 인지기능의 특징을 확인하고 의 하, CERAD-K

위항목에서 평가하는 상관성을 확인하여 혈관성 치매

환자에게 검사도구로서의유용성을 확인하고자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의 특성을 살펴보면 혈관성 치매

의 경우는 성별 분포가 비교적 균등했으나 알츠하이

머 치매에서 여성이 높게 나타났고 이결과는 기존의,

결과들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혈관(McDowell, 2001).

성 치매환자에서 교육연령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연,

령에서 알츠하이머 치매가 81.23 ± 혈관성 치매5.67,

65.77 ± 으로 교육연수에서도 알츠하이머 치매11.21 ,

0.92 ± 혈관성 치매2.25, 4.17 ± 로 차이가 보였다4.62 .

이러한 결과는 연령이 고려되어 학력이 저하된 것일

수도 있고 교육연령이 낮을수록 알츠하이머 치매환,

자의 유병율이 증가된다는 기존의 연구와 비슷한 결

과로 보여 진다(John et al., 1987).

MMSE-KC 언어유창성 보스톤이름대기 단어목록기억 구성행동 단어목록회상 목록재인 구성회상

MMSE-KC 1

언어유창성 -.29 1

보스톤이름대기 .11 -.05 1

단어목록기억 .26 .25 .29 1

구성행동 .10 -.225 .58*

.18 1

단어목록회상 .21 -.12 -.01 .44 .44 1

목록재인검사 .52*

-.08 .35 .41 .02 .17 1

구성회상 .05 .00 .36 .34 .38 .51*

.11 1

*p .05, **< p .01<

표 알츠하이머 치매환자의 인지기능 상관분석5.

MMSE-KC 언어유창성 보스톤이름대기 단어목록기억 구성행동 단어목록회상 목록재인 구성회상

MMSE-KC 1

언어유창성 -.29 1

보스톤이름대기 .11 -.05 1

단어목록기억 .26 .25 .29 1

구성행동 .10 -.225 .58*

.18 1

단어목록회상 .21 -.12 -.01 .44 .44 1

목록재인검사 .52*

-.08 .35 .41 .02 .17 1

구성회상 .05 .00 .36 .34 .38 .51*

.11 1

*p .05, **< p .01<

표 혈관성 치매환자의 인지기능 상관관계4.

35

본 연구에 사용된 의 하위항목들은 치매CERAD-K

환자들을 비롯한 기억력 저하 환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지장애를 나타내는 인지요인들로 구성되어 있다이(

동영, 2001; Lee et al., 본 연구에서는 치매 종2002).

류에 따라 하위항목의 점수의 비교와 하위CERAD-K

항목을 통해 각 진단별 인지요인 사이의 상관성을 분

석하였다.

알츠하이머 치매와 혈관성 치매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보스톤 이름대기검사 단어목록 기억 단어목록, ,

회상에서 유의한 차이가 보였다 단어목록 기억에서.

큰 차이가 보인 것은(p 알츠하이머 치매에서 최.01)<

근기억이 먼저 저하된다는 기존의 결과와 같은 결과

를 보이는 것으로 보여 진다이광우( , 2005; Mchann et

al., 1984; Hodges, 2006; Welsh et al., 유의하게1992).

차이를 보인 항목들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기억력과

관련된 항목들로이동영 혈관성 치매환자와 알( , 2001),

츠하이머 치매 간에는 언어의 생산력 최근기억 기억, ,

의 저장에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보여 진다 진단별로.

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은 본 연구의MMSE-KC

대상자 선정에 있어 를 대상자 선정에 고려MMSE-KC

했기 때문으로 두 집단의 수준이 고려하지 않은 기존,

연구의 제안이 고려되었다오혜경 언어유창성( , 2010).

에서 차이가 보이지 않은 것은 혈관성 치매환자 중

실어증인 자를 제외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보여 진다.

구성회상 역시 유의한 차이가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혈관성 환자의 신체적 장애 또는 비 우세반구 손상환

자의 공간지각 능력이 저하된다는 결과와 다른 결과

를 보여주는 결과로한태륜 등 신체적 장애 역( , 2009),

시 도형구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보여 진다.

하지만 뇌 병변에 따라서는 본 연구에서 분석되지 못

하였다.

기존의 연구를 살펴보면 서연심 의 연구에서, (2004)

는 치매환자 간 인지기능의 차이를 지능검사를Raven

통해 시공간적 능력과 추론능력을 평가하였고 안호,

영 의 연구에서는 명의 대상자를 분석하였(2010) 1639

지만 인지기능이 아닌 정신행동증상을 비교하였지만

본 연구에서는 치매진단별 인지기능의 차이를 분석하

였다.

혈관성 치매환자의 인지요인 간에 상관성을 분석해

본 결과 전반적인 인지상태를 평가하는 점MMSE-KC

수를 기준으로 보면 목록재인검사 에서 유의한(r .52)=

상관성이있는것으로나타났는데(p .05), Almkvist(1994)<

이 치매진단별 차이를 분석한 연구에서 나타난 혈관

성 치매환자들에게 인출의 문제가 나타난다는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보여 진다 하지만 혈관성 치매환자.

에게는 전반적 인지상태가 고려된 평가 도MMSE-KC

구의 결과와 다른 인지평가의 결과와의 상관성이 적

어 보이는데 이는 혈관성 치매환자들의 병소에 따라

증상이 다르게 나타난 것으로 보여 진다.

알츠하이머 치매환자의 인지요인 간에 상관성을 살

펴본 결과 점수를 기준으로 언어유창성MMSE-KC (r

단어목록기억 목록재인 로 나타.77), (r .80), (r .68)= = =

나 기억력과 관련한 인지 요인들 간에 상관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 평가도구가.01). CERAD-K<

알츠하이머 치매환자들에게 선별평가 및 진단평가의

타당도가 매우 높다고 여겨지며(Folstein& McHugh,

1975; Lee et al., 알츠하이머 치매에게는 기억력2002),

의 문제가 가장 우선시 된다고 생각되어진다 또한 전.

반적인 인지감퇴와 기억력의 감퇴는 상관성이 매우

높은 관계를 갖고 있었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충남. , ․대전

이라는 지역적 한계가 존재하였다 그와 기존의 타당.

성 연구를 넘어서는 대상자의 수를 모집하였지만 다양

한 연령과 많은 대상자 선정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

다 둘째 혈관성 치매환자와 알츠하이머 치매환자의. ,

치매 단계별 동질성 확보와 확인을 하지 못했다는 점

이다 추후에는 엄격한 동질성 확보와 치매 정도별로.

분류에 따른 차이를 비교해 보아야 할 것으로 사료된

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들은.

혈관성 치매환자에게도 평가도구가 유용하CERAD-K

게 사용될 수는 있을 것이나 더욱 정확한 혈관성 치, 매

환자의 평가를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제공하는 기초자

료를 바탕으로 한 도구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결론.Ⅴ

본 연구에서는 혈관성 치매와 알츠하이머 치매환자

를 비교하여 기억력의 특징을 확인하고 의, CERAD-K

하위항목에서 평가하는 상관성을 확인하여 혈관성 치

36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6 / 2

매환자에게 검사도구로써의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하

였다.

혈관성 치매환자와 알츠하이머 치매집단 간의 차이

를 확인한 결과 보스톤 이름대기검사 단어목록 기억, ,

단어목록회상에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혈관성.

치매환자에서 를 중심으로 다른 인지요인MMSE-KC

간의 유의한 상관성이 보여 졌으나 알츠하이머 치매,

의 상관성과 비교해 볼 때 혈관성 치매의 상관성이

보다 낮았음을 알 수 있었다.

본연구결과에의하면 혈관성치매환자에게, CERAD-K

와 가 사용될 수 있지만 더욱 정확한 평가MMSE-KC

를 위해서는 새로운 도구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보

여 지며 차후 연구에서는 많은 대상자를 치매의 단계

별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겠다.

참고문헌

강연욱 나덕렬 한승혜 치매 환자들을 대상으, , . (1997).

로 한 의 타당도 연구K-MMSE . 대한신경과학회지,

15(2), 300-307.

곽경현 현명호 유정헌 교육수준에 따른 알츠, , . (2006).

하이머형 치매 환자의 인지 부조화 사용의 차이 :

언어적 시공간적 동작적 부호화를 중심으로, , . 한국

심리학회지, 25(2), 361-379.

권용철 박종한 노인용 한국판, . (1989). Mini-Mental

의 표준화 연구 제State Examination (MMSE-K) : - 1

편 의 개발: MMSE-K - Part : Development of theⅠ

test for the Elderly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8(1), 125-135.

박신애. (2009). 문맹 노인의 치매 선별을 위한 그림 인

지 선별 검사 개발과 타당화. 서울 카톨릭대학교: .

박준혁 최진영 윤종철 이원혜 정지운 도연자 등, , , , , .

한국어판 중증 간이정신상태평가의 신뢰도(2008).

와 타당도. 대한신경정신의학회지, 47(2), 153-160.

보건복지가족부. (2008). 치매 노인 유병률 조사.

서연심. (2004). 치매유형에 따른 인지능력 비교 -Raven

지능검사를 중심으로. 천안 나사렛대학교: .

오혜경 최현주 김수진 알츠하이머병과 혈관, , . (2010).

성 치매 환자의 의미기억과 관련된 언어과제의 수

행 차이. 언어치료학회, 19(1), 73-84.

안호영. (2010). 알쯔하이머 치매와 피질하혈관 치매에

서의 신경정신학적 증상의 비교연구. 울산 울산대:

학교.

이광우. (2005). 신경과학. 서울 범문사: .

이동영. (2001). 한국판 신경심리검사집CERAD [CERAD-

의 노인 정상규준 연구K(N)] . 서울 서울대학교: .

통계청. (2009). 장래인구추계.

한국치매학회. (2006). 치매 임상적 접근. 서울 아카데:

미아.

한태륜. (2009). 재활의학. 서울 군자출판사:

Almkvist, O. (1994). Neuropsychological deficits in vascular

dementia in relation to Alzheimer’s disease: Reviewing

evidence for functional similarity or divergence. Dementia,

5(3-4), 203-209.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Diagnostic and

statistic manual of mental disorder (4th ed). Washington,

DC: USA.

Anthony, J. C., LeResche, L., Niaz, U., Von Korff,

M. R., & Folstein, M. F. (1982). Limits of the

‘Mini-Mental State’ as a screening test for dementia

and delirium among hospital patients. Psychological

Medicine, 12(2), 397-408.

Crum, R. M., Anthony, J. C., Bassett, S. S., & Folstein,

M. F. (1993). Population-based norms for the Mini-men-

tal State Examination by age and educational level.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69(18),

2386-2391.

Folstein, M. F., Folstein, S. E., & McHugh P. R. (1975).

“Mini-Mental State”-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2(3), 189-198.

Folstein, M. F., Folstein, S. E., & Fanjiang, G. (2001).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Clinical guide, Lutz,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ses.

Green, R. C., Clar, V. C., Thompson, N. J., Woodard, J.

L., & Letz, R. (1997). Early detection of Alzheimer’s

disease: Methods, makers and misgivings. Alzheimer

Disease and Associated Disorders, 11, 51-55.

37

Groves, W. C., Brandt, J., Steinberg, M., Warren, A.,

Rosenblatt, A., Baker, et al. (2000). Vascular dementia

and Alzheimer’s disease: is there a difference? A com-

parison of symptoms by duration. The Journal of neu-

ro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iences, 12(3), 305-315.

Hodges, J. R. (2006). Alzheimer’s centennial legacy :

Origins, landmarks and the current status of knowl-

edge concerning cognitive aspects. Brain, 129(11),

2811-2822.

John, A. F., Korten, A. E., & Henderson, A. S. (1987).

The prevalence of dementia : a quantitative integration

of the literature. Acta Psychiatrica Scandinavia, 76(5),

465-479.

Lee, D. Y., Lee, J, H., & Ju, Y. S. (2002). The prevalence

of dementia in older people in an urban population of

Korea : The Seoul study. Journal of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0(7), 1233-1239.

McDowell, L. (2001). Alzheimer’s disease : Insights from

epidermiology. Aging, 13(2), 143-162.

Mchann, G., Drachmann, D., & Folstein, M. (1984). Clinical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 Report of the

NINCDS-ADRDA Work Group under the auspices of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Task Force

on Alzheimer’s Disease. Neurology, 34(7), 939-944.

Schulz, R., O’Brien, A. T., Bookwala, J., & Fleissner, K.

(1995). Psychiatric and physical morbidity effects of

dementia caregiving: prevalence, correlates, and causes.

Gerontologist, 35(6), 771-791.

Welsh, K. A., Butters, N., Hughes, J., Mohs, R., &

Heyman, A. (1992). Detection and staging of dementia

in Alzheimer’s disease. Use of the neuropsychological

measures developed for the Consortium to Establish a

Registry for Alzheimer’s Disease. Archives of Neurology,

49(5), 448-452.

Youn, G. H., Knight, B. G., Jeong, H. S., & Benton, D.

(1999). Differences in familism values and caregiving

outcomes among Korean, Korean American, and

White American dementia caregivers. Psychology and

aging, 14(3), 355-364.

38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6 / 2

Abstract

A Study on The Difference of Memory by the Types of Dementia and Utility

of CERAD-K to Vascular Dementia Patients.

Jang, Jong-Sik*, M.P.H., O.T., Kim, Su-Kyoung**, Ph.D., O.T.

*Daejeon Rehabilitation Center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onyang University

Purpose : To compare the vascular dementia patients’ and Alzheimer’s patients’ CERAD-K scores in or-

der to examine the intergroup difference and the utility of CERAD-K to vascular dementia

patients.

Method :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31 patients who were hospitalized in one of the three con-

valescent hospitals located in Daejeon •Chungnam from July 1st till October 31st, 2009 and

diagnosed to have vascular dementia or Alzheimer’s. All the subjects received the Korean-edi-

tion CERAD-K assessment.

Result :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wo groups in their K-BNT, word list memory,

and word list recall(p .05).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correlation among the sub<

items of CERAD-K, a higher correlation coefficient was observed in Alzheimer’s patients than

in vascular dementia patients (p .05).<

Conclusion : It is thought that it is needed to develop an assessment tool for vascular dementia patients

since there exist correlation and als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regarding cognitive

functions.

Key Word : Alzheimer’s dementia, Vascular dementia, CERAD-K

서론.Ⅰ

의료기술의 발달 및 저출산으로 인하여 우리나라

는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다 년 세 이상 고. 2010 65

령인구 비율은 전체인구 중 였고 지속적으로11.0% ,

증가하여 년에는 로 증가할 전망이다 이런2018 14.3% .

고령화 현상으로 인하여 노년부양비가 증가하고 고령

화에 따른 의료비 등 사회적 지출도 증가하게 된다.

년 생산가능인구 세 명이 노인 명을2010 (15 64 ) 6.6 1∼

부양해야 하며 년에는 명이 노인 명을 부양해2030 3 1

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세 이상 고령자에게. , 65

지급된 의료비는 조 천억으로 전체 의료비의13 7 31.6%

를 차지하였고 이는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일 전망,

이다 년 세 이상 고령자가 가구주인 고령가. 2010 65 ‘

구의 비중은 로 앞으로 점점 더 증가하는 추세’ 17.4%

이다통계청 이와 같은 노인 단독 세대의 증가( , 2011).

와 핵가족화 및 저출산으로 인해 가족 구성원 수가

줄어들고 여성의 사회참여가 증가하여 노인 부양이

가정보다는 사회적 보호가 필요하게 되었다이무승( ,

2001). 따라서 만성질환 거동불능 치매 사고 등으로, , ,

노인의료복지시설 입소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관한 조사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용미현 차수민 양영애*, **, ***,****

인창병원 작업치료실*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재활과학과**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목적

본 연구는 부산 지역 노인의료복지시설 중 노인전문병원에 입소하고 계신 노인들을 대상으로 삶의

만족도를 알아보고 삶의 만족도와 인구사회학적 특성 시설의 전문성 일상생활동작과의 관계를 알, , ,

아보아 병원에 입소한 노인들의 삶의 만족도 개선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월 일부터 월 일까지 부산지역 노인의료복지시설 중 노인전문병원에 입소하고 계8 20 9 14

신 세 이상 인지정상 노인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은 기술통계65 117 . , T-test,

분석 상관분석을 하였다ANOVA , .

연구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삶의 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종교 외출빈도 주관적 건강상태가 삶의, ,

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개인적 특성과.

삶의 만족도와의 상관관계에서 가족교류(p 와 주관적 건강상태.01) (< p 일상생활동작.01), (< p .01)<

이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결론노인의료복지시설 입소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가족들의 지지 건강상태를 증진,

할 수 있는 프로그램 운영 일상생활동작훈련 강화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

주제어 노인의료복지시설 노인 삶의 만족도, ,

교신저자 양영애 접수일 년 월 일 개재승인일 년 월 일: ([email protected]) : 2012 11 08 : 2012 11 22∥ ∥

노인주거복지시설 노인의료복지시설

양로시설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노인복지주택 노인요양시설

노인공동생활가정 노인전문병원

표 노인복지시설1.

40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6 / 2

인하여 노인의료복지시설의 입소가 필요하게 되었다

구본용 이러한 수요의 증가로 시설의 현황을( , 2005).

살펴보면 노인의료복지시설이 년도에는 개에, 2004 382

불과하던 것이 년도에는 개로 급격히 증가2012 3,852

하였다보건복지부( , 2011).

노인복지시설은 노인과 그 대상 가족에게 필요한

자원과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건강하고 활기찬 노후

를 보낼 수 있도록 원조하는 공적사적 서비스 활동시·

설이다 노인복지시설은 노인복지법이 개정될 때마다.

점차 세분화전문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현재 노인주· .

거복지시설 노인의료복지시설 노인여가복지시설 재, , ,

가노인복지시설 노인보호전문기관 등 가지의 종류, 5

로 분류하고 있다 이는 각각 입소자의 심신 건강상태.

에 따라 양로시설과 요양시설로 구분되며 입소자의,

비용부담정도에 따라 무료시설 실버시설 유료시설로, ,

구분된다표 또한 노인주거복지시설과 노인의료복( 1).

지시설은 입소시설이고 노인여가복지시설과 재가노,

인복지시설은 이용시설이라고도 한다.

노인의료복지시설은 주거생활은 물론 보건의료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로서 노인요양시설 노인요양, ,

공동생활가정 노인전문병원으로 가지로 분류된다, 3

보건복지가족부 이 중 노인복지법 적용을 받( , 2008,).

는 노인전문병원은 주로 노인을 대상으로 의료를 행

하는 시설을 말한다 다만 관리운영에 대해서 의료법. , ·

규정을 준용하도록 하고 있다 즉 노인전문병원은 노.

인복지법상으로는 노인복지시설이며 의료법상으로는,

요양병원인 셈이다.

이와 같은 노인을 위한 시설에서 제공되고 있는 서

비스가 단순한 의식주 해결의 수준에 머물고 있어 전

문적인 서비스 즉 재활 여가 상담 등의 서비스가 제, , ,

공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즉 시설서비스가 생리. ,

적 욕구 충족을 위한 가사 등 일상생활 신변활동의

지원을 넘어 건강유지 및 치료재활 소속과 애정의 요,

구를 충족시킬 수 있고 생의 보람을 찾을 수 있게 하

며 인간관계 유지를 가능케 하여 인간의 모든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구본용( , 2005).

만족이란 어떤 것이며 어떤 때에 만족을 느끼게 되‘ ’

는지명료하게밝히는것은어려운일이다 대개 만족. ‘ ’

이라는 용어는 개인에 따라 다르므로 만족감은 개인적

인 경험이라 할 수 있다 이런 만족감은 개인의 과거와.

현재의 경험 그리고 개인의 기대에 의해 영향을 받는,

다 는 성공적인 노화란 자신의 생애를 의. Kalish(1975) ‘ ’

미 있게 받아들이고 이에 적응하여 생을 만족스럽고

행복하다고 느끼며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노후생활을

영위하는 것으로 장기간에 걸쳐 개인의 가치와 자아개

념 등에 의해 복합적으로 이루어진 개념으로 보았다.

본 연구는 부산 지역 노인의료복지시설 중 노인전

문병원에 입소하고 계신 노인들을 대상으로 삶의 만족

도를 알아보고 일반적 특성 시설의 전문성 및 일상생,

활동작과의 관계를 알아보아 병원에 입소한 노인들의

삶의 만족도 개선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Ⅱ

연구 대상1.

본 연구는 부산지역 노인전문병원에 입소한 세65

이상 노인들 중 설문참여에 동의하고 인지손상이 없,

으며 의사소통이 가능한 노인들을 대상으로 선정하,

였다 노인들이 글을 모르시거나 노화로 인한 시력의.

문제로 검사자가 설문 내용을 읽어드리고 이에 따른,

응답을 표기하였다.

연구 도구2.

본 연구를 위해 사용한 설문지는 삶의 만족도 척도,

인구사회학적 특성 개인적 특성시설의 전문성 일상, ( ,

생활동작 문항으로 이루어져있다 삶의 만족도에 관) .

한 척도는 이 개발한 삶의 만족도 척Neugarten(1961)

도 를 김현철 이LSI-Z(Life Satisfaction Index-Z) (2000)

우리말로 번안하여 사용한 도구를 이용하였다 이 도.

구는 자아성취감 문항 현실만족감 문항 자아존중6 , 5 ,

변수 구분 대상자수 명( ) 백분율(%)

성별남자 36 30.8

여자 81 69.2

연령

세65 69∼ 27 23.1

세70 74∼ 24 20.5

세75 79∼ 18 15.4

세80 84∼ 27 23.1

세85 89∼ 21 17.9

세 이상90 0 0.0

학력

무학 45 38.5

초등 33 28.2

중등 18 15.4

고등 15 12.8

대학이상 6 5.1

종교

기독교 27 23.1

천주교 9 7.7

불교 63 53.8

무교 18 15.4

배우자

유무

있다 36 30.8

없다 81 69.2

프로그램

참여 유무

참여 한다 54 46.2

참여하지

않는다63 53.8

입소기간

년 미만1 39 33.3

년1 2∼ 30 25.6

년3 4∼ 48 41.0

년 이상5 0 0.0

가족과의

교류

주 회 이상1 1 71 60.7

개월 회1 1 2∼ 30 25.6

개월 회2 1 2∼ 3 2.6

개월 회3 1 2∼ 4 3.4

개월 회6 1 2∼ 3 2.6

거의 없음 6 5.1

외출

주 회 이상1 1 12 10.3

개월 회1 1 2∼ 21 17.9

개월 회2 1 2∼ 3 2.6

개월 회3 1 2∼ 3 2.6

개월 회6 1 2∼ 6 5.1

거의 없음 72 61.5

주관적

건강상태

아주 나쁨 18 15.4

나쁨 33 28.2

보통 30 25.6

좋음 30 25.6

아주 좋음 6 5.1

표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2. (N 117)=

41

감 문항 노화에 대한 태도 문항으로 총 개 항목4 , 3 18

으로 구성되어 있다 형 점 척도로 점수가 높을. Likert 5

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긍정적인 답.

변에 점 부정적인 답변에 점으로 최소 점에서 최1 , 0 0

대 점이다 신뢰도는 였다 시설의 전문성에 관18 . 0.79 .

한 항목은 김한덕 이 사용한 문항을 인용한 것으(2011)

로 문항 점 척도이며 긍정적인 답변일수록 점수가7 5 ,

높다 최소 점에서 최대 점이다 일상생활동작검사. 0 35 .

는 를 사용하였고 점수가MBI(Modified Bathel Index)

높을수록 독립성이 증가함을 의미한다.

분석 방법3.

자료의 분석은 을 사용하였다 기술통계를SPSS 12.0 .

실시하여 대상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보았고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삶의 만족도 차이 검증을

위해 분석을 사용하였고 인구사회학적T-test, ANOVA ,

특성 시설의 전문성 일상생활동작과 삶의 만족도와의, ,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Ⅲ

연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1.

연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여자 명81

남자 명 이었고 연령은 세(69.2%), 36 (30.8%) , 65 69 ,∼

세가 명 세 명80 84 27 (23.1%), 70 74 24 (20.5%), 85∼ ∼ ∼

세 명 세 명 세 이상은89 21 (17.9%), 75 79 18 (15.4%), 90∼

명이었다 학력은 무학 명 으로 가장 많았0 . 45 (38.5%)

고 초등 중등 고등 대학 이상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 , , ,

종교는 불교 명 기독교 명 천주63 (53.8%), 27 (23.1%), 교,

무교 순으로 나타났다 배우자 없다가 명 있. 81 (69.2%),

다가 명 이었다 프로그램 참여유무에서 참여36 (30.8%) .

하지 않는다 명 참여한다 명 이었, 63 (53.8%), , 54 (46.2%)

고 입소기간은 년 명 년 미만 명, 3 4 48 (41.0%), 1 39∼

년 명 이었다 가족과의 교류는(33.3%), 1 2 30 (25.6%) .∼

일주일에 회 이상이 명 으로 가장 많았고1 71 (60.7%) , 외

출은 거의 없다가 명 으로 가장 많고 주관적 건72 (61.5) ,

강상태는 나쁨 명 보통과 좋음 명33 (28.2%), 30 (25.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표( 2).

변수 구분 평균 표준편차 t/F

성별남자 5.67 3.00 0.67

여자 5.22 3.90

연령

세65 69∼ 4.89 2.42 2.23

세70 74∼ 5.75 4.67

세75 79∼ 3.33 2.50

세80 84∼ 6.22 4.21

세85 89∼ 6.14 3.17

학력

무학 5.33 3.87 0.27

초등 5.63 4.85

중등 4.83 1.09

고등 5.80 2.40

대학이상 4.50 1.64

종교

기독교 5.11 2.90 2.84*

천주교 8.67 3.28

불교 5.14 3.81

무교 4.83 3.69

배우자

유무

있다 5.41 3.32 0.11

없다 5.33 3.79

프로그램

참여 유무

참여한다 5.44 4.07 0.23

불참한다 5.29 3.26

입소기간

년 미만1 5.46 3.89 0.02

년1 2∼ 5.30 4.48

년3 4∼ 5.31 2.85

가족과의

교류

주 회 이상1 1 5.97 3.75 0.73

개월 회1 1 2∼ 5.30 3.67

개월 회2 1 2∼ 5.00 0.00

개월 회3 1 2∼ 2.50 0.58

개월 회6 1 2∼ 1.33 1.15

거의 없음 2.50 0.55

외출빈도

주 회 이상1 1 6.25 4.52 2.53*

개월 회1 1 2∼ 5.00 4.35

개월 회2 1 2∼ 2.00 0p.00

개월 회3 1 2∼ 5.00 0.00

개월 회6 1 2∼ 5.00 1.10

거의 없음 5.50 3.52

주관적

건강상태

아주 나쁨 3.00 2.06 12.94*

나쁨 3.28 1.84

보통 6.30 3.31

좋음 7.30 4.22

아주 좋음 9.50 2.74

*P .05<

표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삶의 만족도 수준4.

42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6 / 2

대상자의 개인적 특성2.

대상자들의 시설 전문성에 대한 인식은 평균 24.20

점이었고 일상생활동작 점수는 점이었다 삶의, 72.79 .

만족도에 대한 점수는 평균이 점이었다표5.36 ( 3).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삶의 만족도3.

수준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삶의 만족도와의 차이를 분석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표 종교 외출빈도 주관적( 4). , ,

건강상태가 삶의 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련

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에 따른 삶의 만족도에.

대한 차이는 종교가 있는 사람이 없는 사람보다 만족

도가 높았고 외출빈도가 많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 ,

가 좋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았다.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개인적4.

특성과 삶의 만족도와의 상관관계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개인적 특성과 삶의 만족도

와의 상관관계에서 가족교류 와 주관적 건강(r .305)=

상태 일상생활동작 이 유의미한 상관(r .540), (r .274)= =

관계를 나타내었다표 가족교류가 많을수록 삶의( 5).

만족도가 높으면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일상, ,

생활동작이 독립적일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았다.

고 찰.Ⅳ

본 연구는 노인전문병원에 입소하고 계신 노인들을

대상으로 삶의 만족도를 알아보고 일반적 특성 시설,

의 전문성 및 일상생활동작과의 관계를 알아보아 병

변수 최소값 최대값 평균

시설 전문성 11 35 24.20

일상생활동작 23 100 72.79

삶의 만족도 0 14 5.36

표 대상자의 개인적 특성3.

43

원에 입소한 노인들의 삶의 만족도 개선에 기초자료

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삶의 만족도에 차이를 나타내는 요소들은

일반적인 특성 중 종교 외출빈도 주관적 건강상태가, ,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련을 나타내었다 종교를 살.

펴보면 종교를 가진 노인은 명 무교인 노인은, 99 , 18

명으로 대부분이 종교를 가지고 있었다 이효재. (1979)

의 종교가 있는 경우 노인의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

난다는 결과와 동일하며 이는 노인이 될수록 영적인,

심리적 안정감을 찾기 위해 종교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구본용( , 2005).

외출빈도를 살펴보면 외출빈도가 잦을수록 삶의,

만족도도 높게 나타났다 홍순혜 는 대인관계를. (1983)

통해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

고 권중돈 과 김미숙 도 사회활동이 삶의, (2000) (2000)

만족도와 관련이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외출을 통해.

사회환경과 접하고 대인관계를 가짐으로 외출이 잦을

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다고 사료된다.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노인의 건강은 생활영역에 영향을 주므로.

건강이 생활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임을

보여주며조은정 권중돈 과 김미숙( , 2002), (2000) (2000)

도 사회활동이 삶의 만족도와 관련이 있다 하였고 김

정석 과 김미숙 의 연구에서도 건강수준이(2000) (2000)

노인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제시되었다.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시설에 대한 전문성 인,

식 일상생활동작과 삶의 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알,

아본 결과 가족교류와 주관적 건강상태 일상생활동, ,

작과 가장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는 구.

본용 이 연구한 건강상태 생활기능과 만족도간(2005) ,

의 상관관계 연구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낸 것과

동일하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부산지역 내 노인전문병원

의 입소노인만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모든 노인

전문병원 입소 노인에 대하여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점

이 있다 향후 타지역을 포함하여 더 많은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며 노인의료복지시설 입소 노인의 삶의,

만족과 관련된 더 많은 요인들에 관한 연구도 필요하

리라 사료된다.

변수 성별 연령 학력 종교 입소기간배우자

유무가족교류 외출

건강

상태

참여

유무전문성

일상생활

동작

만족도

성별 1 .543**

-.678**

-.366**

-.070 .639**

.038 .201*

.352**

-.171 .162 .053 -.057

연령 1 -.519**

-.145 .005 .505**

.013 .362**

.348**

-.049 .274**

.152 .118

학력 1 .183*

.183*

-.450**

.142 -.109 -.228*

.221*

-.251**

.008 -.020

종교 1 .183*

-.366**

-.118 -.054 -.212*

.107 -.086 -.116 -.061

입소기간 1 .060 -.224*

-.317**

.070 -.217*

-.279**

.298**

-.017

배우자유무 1 .205*

.258**

.303**

-.283**

.078 .109 -.011

가족교류 1 .111 -.181 .136 .010 -.143 -.305**

외출 1 .130 -.089 .215*

-.188*

.014

건강상태 1 .038 -.068 .234*

.540**

참여유무 1 -.158 -.012 -.022

전문성 1 .016 .174

일상생활

동작

1 .274**

*P .05, **< P .01<

표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개인적 특성과 삶의 만족도와의 상관관계5.

44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6 / 2

결 론.Ⅴ

본 연구는 노인전문병원에 입소하고 계신 노인들을

대상으로 삶의 만족도를 알아보아 병원에 입소한 노

인들의 삶의 만족도 개선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노인전문병원에 입소한 인지 손상이 없는.

세 이상 노인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65 117

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별 연령 학력 종교 배우자 유무 프로그램 참여, , , , ,

유무 입소기간 가족과의 교류 외출빈도 주관적 건, , , ,

강상태와 같은 인구사회학적 특성들 중 삶의 만족도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난 것은 종교(p 외출빈도.05),<

(p 주관적 건강상태.05), (< p 였다.05) .<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삶의 만족도와의 상관관

계는가족교류(p 와주관적건강상태.01) (< p 일상.01),<

생활동작(p 이었다 가족과의 교류가 많을수록 주.01) . ,<

관적 건강상태가 좋다고 인식할 경우 일상생활활동의,

독립성이 증가할수록 삶의 만족도도 증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노인의료복지시설 입소 노

인들의 삶의 만족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가족 및 친인

척과의 교류를 증대시킬 수 있는 기회 제공 활동 프,

로그램 참여를 통한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한 긍정적

인 사고 도모 작업치료를 통한 일상생활동작 훈련 강,

화 및 참여를 발전시켜나가는 것이 중요하리라 사료

된다.

참고문헌

권중돈 조주연 위험군 노인집단의 삶의 만족, . (2000).

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보건복지관련 정책의 변

화와 노인복지 춘계학술대회.

김미숙 박민정 종교가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 (2000).

는 영향 연구. 한국노년학.

김정석 김익기 세대간 지원교환의 형태와 노, . (2000).

인들의 생활만족도. 한국노년학.

김현철. (2000). 노인의 성생활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

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 서강대학교: .

김한덕. (2011). 노인요양시설 이용자의 만족도에 영향

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 세종대학교: .

구본용. (2005). 노인의료복지시설 입소자의 생활만족

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울 가톨릭대학교: .

보건복지가족부 노인복지법. (2008). .

보건복지부 노인복지시설 현황. (2011). .

이무승. (2002). 노인복지서비스의이용과연계에관한연

구 지역사회 복지기관을 중심으로: . 서울 상지대학교: .

이효재 변하는 한국가족. (1979). . 학술저널, 15-22.

조은정 이숙현 전혜정 노인의 주간보호센터, , . (2002).

이용 만족도와 생활 만족도. 학술저널, 50, 105-122.

통계청 고령자통계. (2011). .

홍순혜. (1984). 활동이론에 따른 한국 노인의 생활만

족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서울 경희대학교: .

Kalish, R. A. (1975). Late Adulthood : Perspectives on

Human Development, Berkeley: Cole Publishing Co, 1.

Neugarten, B. L. (1961).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

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16.

45

Abstract

A Survey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n Senior Medical Welfare

Facilities: focusing on Busan Area

Yong, Mi-Hyun*, O.T., Cha, Su-Min**, M.O.T., Yang, Yeong-Ae***,****,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Inchang Hospital

**Dept. of Rehabilitation Science, Graduate School of Inje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Objective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atisfaction of the life of the old man who is in a geriatric hospi-

tal in the Busan area medical and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In addition, this study ex-

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acilities of expertis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life satisfac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dmitted to hospital Based on these.

Methods : The study period was August 20-September 14. The target is in a geriatric hospital in Busan

area and whether the normal subjects aged 65 and older, 117 people were surveyed. Analysis

of th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Results : Religion, frequency of going out, and perceived health statu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

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Family correspondence(p .01), subjective health status(p .01),< <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p .01)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life satisfaction.<

Conclusion : Family support, health promotion programs, strengthen the training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is proposed in order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the life of senior medical welfare facilities

Elders.

Key Words : Senior Medical Welfare Facilities, Elderly, Llife Satisfaction

서론.Ⅰ

현대의학과 문명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증가하고 출생률은 감소하여 전체적으로 노인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전 세계적으로 점차 높아짐에 따라

노인문제는 세기에 접어들면서 가장 중요한 문제로21

부각되고 있다 통계청에서 발표한 고령자통계. ‘ (2011)’

에 의하면 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65

비율은 로 지속적인 증가추세에 있으며 우리나11.0% ,

라는 지난 년 세 이상 인구 비율이 에서2000 65 7.2% 향

후 년에는 년에는 에도달할것2018 14.3%, 2026 20.8% 으

로 전망하고 있다 그리고 한국의 고령화는 미국 프랑. ,

스 등 기타 선진국에 비해 훨씬 빠른 속도로 진행되어

고령인구 비율이 에서 로 도달하는데 걸리는14% 20%

시간이 년에 불과하다고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우리8 .

사회의 고령화 현상에 따른 현대노인들의 생활 대부분

인 여가시간을 어떻게 보내는가가 중요한 과제이며,

의미 있는 여가활동이 현대 노년기의 생활만족도 및

삶의 질과 직결되는 중요한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노인들은 아직 여가시간이 여가활

동을 위한 시간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오히려,

무료한 시간으로 전략해 버리는 경우가 많다박장근(

등 년 한국의 고령자는 하루에 평균 시간, 2002). 2009 6

분을 교제 및 여가에 할애하며 이는 미국 시간46 , 8 19

분 영국 시간 분 네덜란드 시간 분보다 적은, 8 47 , 7 17

수준이다통계청 윤경아와 황인옥 에 의( , 2011). (2006)

하면 여가란 일로부터 해방되어 자유 휴식 즐거움, , 등

을 누릴 수 있는 여유 있는 시간을 의미하나 노년기는

퇴직 자녀들의 결혼 등으로 사회적 가정적 책임으로, ,

부터 벗어나는 시기로 다른 연령층의여가와는의미가

다르다 그리고. Havighurst(1973는 여가의 의미가 연령)

이나 성별 또는 사회계층별에 따라 다르더라도 그 본

정상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와 삶의 만족도의 상관관계

이효정 양영애*, **,***

인창병원 작업치료실* ,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정상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와 삶의 만족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정상 노인의

여가생활 참여를 도모하고 정신적 문화적 삶의 만족도 향상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

연구방법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년 월 일부터 년 월 일까지 부산 소재 노인정 정상2012 8 20 2012 8 27 S, H

노인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 특성 여가활동 삶의 만족도를 묻는 리커트68 . , , 5

점 척도의 자기 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을 이용하여 기술적 분석 상. SPSS 18.0 ,

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연구결과정상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는 삶의 만족도는 로 나타났으며 여가활동 참여와 삶의 만족3.50, 3.04 ,

도에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결론작업치료사는 정상 노인에게 여가활동 참여를 통하여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목표를 제시하는

역할을 하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정상 노인 여가활동 삶의 만족도, ,

교신저자 양영애 접수일 년 월 일 개재승인일 년 월 일: ([email protected]) : 2012 11 06 : 2012 11 20∥ ∥

구성지표 내용 문항 수

여가활동

소일 영역 3

취미 ․문화 ․운동 영역 4

우인교류 영역 4

사회단체활동 영역 4

삶의

만족도

심신적 영역 2

환경적 영역 3

사회적 영역 3

휴식적 영역 3

교육적 영역 3

계 29

표 설문지의 주요 구성지표 및 내용1.

48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6 / 2

질은 같다는 전제 아래에서 여가의 요소를 제시하였

다 그 중에서도 노인과 관련된 여가의 본질은 참여하.

는 즐거움 친구들과의 교제 새로운 경험획득 시간, , ,

보내기에 집중된다고 보았으며 여가와 관계 깊은 개,

념으로 놀이 운동 오락 여행 등을 들고 있다 또한, , , .

노년기의 여가는 노후생활에서 일어나는 인간관계의

건강상태로부터 벗어나 휴식을 구하고 자기 생활의

균형을 회복하려는 의미로써 여가가 노인들에게 필요

하다고 하였으며 문화성과 창조성을 발휘할 수 있는,

여가활동에 즐겁게 참여함으로써 젊었을 때 하지 못

한 새로운 경험에 도전을 시도하는 것이라 하였다.

여가는 복잡한 사회에서 삶의 목적이며 인간의 권

리로 인식되고 있으며 개인적 차원에서는 신체와 정,

신의 건강과 스트레스의 해소 노동의 재창도 등의 사,

회문제를 해결하고 나아가 개인적 발전이나 자아실,

현 등을 통해 노인들의 삶의 질의 향상을 볼 수 있다

원영신 여기서 삶의 만족도 개념을 처음 사용( , 2005).

한 에 의하면 삶의 만족도란 매일의 생활을Neugarten

구성하는 활동으로부터 기쁨을 느끼고 자신의 생활에

대해 책임감과 의미를 느끼며 자신의 목적을 성취했,

다고 느끼는 것이며 정적 자아상을 가지고 자신을 가,

치있다고느끼는것이며낙천적인태도와감정을유지

하는 것이라 정의하였다 는(Berice, 1961). Medley(1976)

삶의 만족도를 개인의 정신건강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

소로 파악하고 삶의 만족도의 개념을 개인의 기대수준

이 합리적으로 충족되었는가에 대한 평가로 보았다.

그리고 는 삶의 만족도를 자신의 생애를Kaplan(1975)

의미 있게 받아들이고 적어도 주요한 목표를 성취하,

였다고 느끼며 효율적으로 주위의 환경과 잘 적응해,

나가 정서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어려움을 겪지 않고도

개인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정도라 정의하였다.

이렇듯 여가활동은 개인적 측면이나 사회적 측면에

서여가는개인의삶의만족도에중요한역할을하고있

음을알수있다 그러므로본연구에서정상노인의. 여

가활동 참여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

로써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보건의료인인 작업치료사

가 노인의 신체적 건강관리와 병행하여 노인들의 여

가생활 참여를 도모하여 삶의 만족도를 높여 정신건

강의 예방과 관리를 더 강화하여 정신적 문화적 삶의,

질 개선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연구 방법.Ⅱ

연구 대상1.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노인정에 년 월S, H 2012 8 20

일부터 년 월 일까지 정상 노인 명을 대상2012 8 27 68 으

로 하였다 선별검사로 를 실시하여 점 이상이. MMSE 24

고 독립적인 평지보행이 가능한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설문지는총 부를배부하여 부회수율 를회75 75 ( ; 100%)

수하였다 회수한 설문지 중 기록이 불확실한 부를 제. 7

외한 부회수율 를최종연구대상으로하였다68 ( ; 90.67%) .

연구 도구2.

본연구는정상노인들의여가활동참여가삶의만족

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여가활동과 삶의

만족도에관한문헌들을 고찰하였으며 여가활동실태에

대한측정도구로는허준수와유수현 이개발한도(2002)

구를기초로하였으며 삶의만족도에대한측정도구, 로

는조혜숙 이수정한도구를사용하여최종설문지(2003)

를 작성하였다 도구의 내용은 여가활동 참여에 대한.

소일영역 취미, ․문화 ․운동 영역 우인교류 영역 사회, ,

단체활동 영역의 하위 영역으로 총 문항 삶의 만족15 ,

도는 심신적 영역 환경적 영역 사회적 영역 휴식적, , ,

영역 교육적 영역으로 총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14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의 구성은 표 과 같다( 1) .

변인 Cronbach’s Alpha 항목수

여가활동 실태 0.633 15

삶의 만족도 0.808 14

표 설문지 신뢰도2.

특성 구분 빈도 명( ) 백분율(%)

성별남자 20 29.41

여자 48 70.59

나이

세60 69∼ 35 51.47

세70 79∼ 23 33.82

세 이상80 10 14.71

종교있다 51 75.00

없다 17 25.00

교육수준

무학 7 10.29

초졸 12 17.65

중졸 이상 49 72.06

결혼상태무배우 21 30.88

유배우 47 69.12

가족형태

독거 18 26.47

부부 47 69.12

기타 3 4.41

생활수준

상 8 11.76

중 47 69.12

하 13 19.12

경제활동한다 26 38.24

안한다 42 61.76

주관적

건강상태

건강 18 26.47

보통 42 61.77

불건강 8 11.76

계 68 100

표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3.

변인 세부구분 평균 표준편차

여가활동

참여

소일 영역 3.10 0.89

취미 ․문화 ․운동 영역 3.59 0.74

우인교류 영역 3.48 1.02

사회단체활동 영역 3.82 0.99

전체 여가활동 참여 3.50 0.91

표 연구 대상자의 여가활동 실태4.

49

여가활동 참여는 리커트 점 척도를 사용하(Likert) 5

여 거의 매일한다 에 점 주일에 번 한다 에“ ” 5 , “1 1 2 ” 4∼

점 개월에 번 한다 에 점 개월에 번 한, “1 1 2 ” 3 , “6 1 2∼ ∼

다 에 점 거의 하지 않는다 에 점을 주어 점수가” 2 , “ ” 1

높을수록 여가활동에 많이 참여하는 것으로 해석하였

다 삶의 만족도는 리커트 점 척도를 사용하여. (Likert) 5

매우 만족한다 에 점 보통이다 에 점 전혀 그렇“ ” 5 , “ “ 3 , “

지 않다 에 점을 주어 점수가 높을수록 삶의” 1 만족도

가 놓은 것으로 해석하였다. 본연구의 Cronbach’s Alpha

계수는 정상 노인의 여가활동 실태 삶의 만족0.633,

도 으로 나타났다표0.808 ( 2).

연구 분석3.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설문지는 을 이용SPSS 18.0

하여 기술적 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

연구 결과.Ⅲ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로 살펴보았다 설문지 응답자의 성별은.

여자 군에서 명 으로 남자 군 명48 (70.59%) 20 (29.41%)

보다 많았으며 나이는 대 가 가장 많았다, 60 (51.47%) .

종교는 있다가 명 교육수준은 중졸 이상이51 (75.00%),

명 결혼 상태로는 배우자가 있다가 명49 (72.06%), 47

가족형태는 부부 형태가 명 으로(69.12%), 47 (69.12%)

응답자가 많았다 생활수준으로 중 명 하. 47 (69.12%),

명 상 명 순이었다 그리고 경제13 (19.12%), 8 (11.76%) .

활동은 안하다가 명 주관적 건강상태로는42 (61.76%),

보통이 명 으로 응답자가 많았다 분석한 결42 (61.77%) .

과는 표 과 같다( 3) .

연구 대상자의 여가활동 참여2.

연구 대상자의 여가활동 참여에 대한 총 평균점수는

3.50 ± 이었으며 소일 영역0.91 , 3.10 ± 취미0.89, ․문화 ․

운동 영역 3.59 ± 우인교류 영역0.74, 3.48 ± 사회1.02,

단체활동 영역 3.82 ± 으로 나타났다표0.99 ( 4).

변인 세부구분 평균 표준편차

삶의

만족도

심신적 영역 3.30 0.49

환경적 영역 2.90 0.55

사회적 영역 3.02 0.70

휴식적 영역 3.61 1.01

교육적 영역 2.35 1.00

전체 삶의 만족도 3.04 0.70

표 연구 대상자의 삶의 만족도5.

50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6 / 2

연구 대상자의 삶의 만족도3.

연구 대상자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총 평균점수는

3.04 ± 이었으며 심신적 영역0.70 , 3.30 ± 환경0.49,

적 영역 2.90 ± 사회적 영역0.55, 3.02 ± 휴식적0.70,

영역 3.61 ± 교육적 영역1.01, 2.35 ± 으로 나타났1.00

다표( 5).

연구 대상자의 여가활동 참여와 삶의4.

만족도 상관관계

연구 대상자의 여가활동 참여와 삶의 만족도 상관

관계를 통한 결과는 표 과 같다 여가활동 참여와( 6) .

삶의 심신적 영역 환경적 영역 사회적 영역 휴식적, , ,

영역 교육적 영역과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취미, , ․문화

․운동 영역 우인교류 영역 사회단체활동 영역과 삶, ,

의 만족도에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고찰.Ⅳ

우리나라의 매우 빠른 속도로 진행되는 고령화는

노년기의 경제적 어려움 건강문제 사회, , ․가정적 역할

상실 생활 시간적 무위고 등의 고령화 사회, ( )無爲苦

가 가지는 문제들은 보건문제를 더 가중시키고 있다.

특히 질환의 특성상 장기적인 관리를 필요로 하는 노

인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건강문제는 인류가 공동, ,

으로 해결해야 할 중요한 보건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오병훈 노년기에 도달하면 노인은 일정한 사( , 2002).

회적 가정적 역할에 있어서 자신의 역할을 추구하는,

도중에 여유 있는 시간을 갖게 되거나 일정한 역할

없이 막연하게 시간을 보내게 된다김진권 현( , 2007).

대사회의 구조가 산업화 도시화됨에 따라 많은 노인,

은 자발적 혹은 비자발적으로 노동과 사회참여의 기

회에서 이탈하게 되고 자신의 역할을 상실함으로서

전 시간을 여가로 활용해야 하는 현실에 있다 이와.

전체

여가참여

전체

삶 만족소일

취미

문화운동

우인

교류

사회단체

활동

심신

만족

환경

만족

사회

만족

휴식

만족

교육

만족

전체 여가참여 1

전체 삶 만족 .412**

1

소일 .624**

.209 1

취미문화운동 .645**

.454**

.299 1

우인교류 .705**

.364*

.397*

.184 1

사회 단체활동 .710**

.386*

.324*

.574**

.332*

1

심신만족 .493**

.751**

.415**

.310*

.312*

.366*

1

환경만족 .526**

.774**

.351*

.378*

.379*

.362*

.705**

1

사회만족 .474**

.797**

.357*

.368*

.344*

.256 .727**

.761**

1

휴식만족 .474**

.762**

.255 .473**

.234 .340*

.644**

.666**

.718**

1

교육만족 .548**

.766**

.405**

.433**

.317*

.356*

.652**

.681**

.706**

.703**

1

*P .05, **< P .01<

표 연구대상자의 여가활동 참여와 삶의 만족도 상관관계6.

51

같이 가정과 사회에서 자신의 역할이 감소되고 있는

현실에서 노인에게 여가는 매일의 생활을 얼마나 유

용하게 보내는가가 중요한 문제이다 여가활동은 생.

활에서의 만족감과 인간으로써 추구할 수 있는 행복

감과 긍정적인 사로를 할 수 있게끔 자아 존중감과

자아실현의 기회를 제공하여 소속감과 안정감을 가지

게 하고 그것을 통하여 삶에 대한 흥미를 가지고 사

회적 수용방법을 터득할 수 있게 한다(Jongbloed &

그리고 여가활동을 통하여 사회적으로Morgan, 1991).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욕구 자신이 사회의 한,

부분으로 인정받고 싶은 욕구 여가시간을 만족스러,

운 방법으로 사용하려는 욕구 정상적인 동반자 관계,

를 즐기려는 욕구 개인적으로 인정받고 싶은 욕구, ,

자기표현과 성취감의 기회를 가지려는 욕구 건강을,

유지하고 보내려고 하려는 욕구 적절한 정신적 자극,

을 가지려는 욕구 적절한 주거조건과 가족관계를 가,

지려는 욕구 정신적 만족을 얻으려는 욕구와 노인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다고 하였다장인협과 최성(

재 이렇듯 노인의 여가활동은 의료나 소득보, 2003).

장 못지않게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는 노인도.

여가활동을 즐기면서 성장 및 발달의 욕구를 추구할

권리가 있으며 우울증과 삶의 만족을 해결하는 수단,

으로 노인의 생존과 직결되는 문제이기 때문이다원(

영희, 2000).

삶의 만족은 자신의 행복에 대한 주관적 인지적 판,

단 및 평가로서 개인 생활의 포부와 목적의 조화적

만족을 의미하는 것으로 마음속에 생활의 질이 내재,

하며 특정 개인의 재산 및 하고 있는 일의 많고 적음,

에 관계없이 자신이 행복하고 만족하다고 느낀다면

그는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고 만족을 누릴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노인의 삶(Andrew & Withey, 1976).

의 만족이란 노인과 관련되어 있는 생리적 심리적, ,

사회적 조건 속에서 노인 자신이 과거 현재의 전반적,

인 생활에 대해 가지는 주관적이고 개인적인 정도라

고 할 수 있다홍순혜 따라서 삶의 만족이란( , 1984).

사람들이 살고 있는 사회적 환경과의 상호작용으로

절대적이기 보다는 주관적이고 상대적인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정상노인의 여가활동 참여와 삶의 만

족도의 상관관계를 살펴 본 결과 여가활동 참여와 삶,

의 만족도 간에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김진권.

의 은퇴노인들의 여가활동 참여가 생활만족도(2007)

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결과에서 여가활동

참여도가 많을수록 생활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

타나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함을 알 수 있다. Toseland

의 연구에서 보면 활동 경제적& Sykes(1997) (activity),

상태 건강이 노인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중에서도 여가활동이 가장 주요한 요인,

임을 시사하고 있다 이렇듯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노.

인일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면서 삶의 질과 생활

의 만족도가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노인.

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 가족의 이해와 여가활동

을 할 수 있는 다양한 능력과 기술이 필요하다는 것

을 알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여가활동에 대한 다양.

한 활성화가 필요하고 여가활동 활성화 방안에 대하

여 작업치료사가 방향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자를 부산 지역의 특정 노인정

으로 임의 표출하는데 제한이 있으며 본 연구의 범위,

가 정상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가 삶의 만족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는 것으로 여가활동 외에 정상 노인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른 변인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노인정을 이용하는 정상.

노인들만을 대상으로 하여 노인정을 이용하지 않는,

정상 노인의 연구를 하지 못한 것이 본 연구의 제한

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향후에는 이러한 제한.

점을 보완하여 정상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와 삶의 만

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과 이를 향상 시킬 수

있는 연구들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결론.Ⅴ

작업치료사는 작업치료의 한 영역인 여가활동에 대

하여 정상 노인의 여가활동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확

대시키는데 있어서 다양한 역할을 제공한다 그러므.

로 본 연구에서 정상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와 삶의

만족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고 이를 통하여 정상 노

인의 여가생활 참여를 도모하고 삶의 만족도를 높여

정신건강의 예방과 관리를 더 강화하여 정신적 문화,

적 삶의 질 개선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

52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6 / 2

다 본 연구에서 정상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와 삶의.

만족도에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

므로 작업치료사는 사회 문화적으로 여가활동 프로그

램의 다양성 노인 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 정상 노인, ,

의 여가서비스 참여를 통하여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

키는 것에 노년기의 목표를 제시하는 역할을 하기를

기대한다.

참고문헌

김진권. (2007). 은퇴노인들의 여가활동 참여가 생활만

족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서울 중앙대:

학교.

오병훈 노인정신의학개요. (2002). . 정신신경의학, 41(5),

174.

박장근 임란희 김종도 노인복지관에 거주하, , . (2002).

는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체

육학회지, 18, 587.

통계청 고령자통계 서울 통계청. (2011). 2011. : .

윤경아 황인옥 연구논문 노인생활시설의 케, . (2006). :

어리스크 매니지먼트 체계구축을 위한 탐색적 연

구. 한국노년학, 26(3), 505-520.

원영신 스포츠 마당 건강한 노년보내기. (2005). : . 스

포츠과학, 93, 86-93.

원영희. (2000). 노년학의 이해. 서울 대영문화사: .

장인협 최성재, . (2003). 노인복지학 서울 서울대학교. :

출판부.

홍순혜. (1984). 활동이론에 따른 노인의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서울 서울대학교: .

Andrew, F & Withey, S. (1976). Social indicators of well

being Ameriacans perceptions of life quality. New

York: C. V. Mosby.

Havighurst. (1973). “A Seminar Report”: Human Deve-

lopment, Societal Change and Adult Moral Character.

Religious education, 68(3), 407-410.

Medley, M. (1976). Satisfaction with life among persons

65 and older a casual model. Journal of genrontology,

31(4), 448-455.

Kaplan, M. (1975). Leisure: Theory and policy.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Jongbloed, L. & Morgan, D. (1991). An investigation of

involvement in leisure activities after a strok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5, 420-427.

53

Abstract

A Correlation Between Leisure Activities and Life Satisfactions of the Old Adults

Lee Hyo-jeong*, O.T., Yang Yeong-Ae**,***, Ph.D.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Inchang Hospital,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 correlation between leisure activities and

life satisfactions of the old adults, Leisure and promote the participation of old adults will

give help to the satisfaction of the spiritual and cultural life.

Methods :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68 old adults in S, H senior citizens’ center located in

BUSAN from 20th August 2012 to 27th August 2012. The research instrument was self ad-

ministered standardized questionnaire including general characteristics, leisure activity, life

satisfaction. For the assessment of this study,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were

made.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study are as the following.

Results : Old Adults leisure activity was 3.50, life satisfaction was 3.04. It was found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positive correlation slightly between the leisure activity and their life satisfaction.

Conclusion : Occupational therapist for old adults through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that improve the

quality of life goals and the role is expected to provide.

Key Words : Leisure Activity, Life Satisfaction, Old Adults

서론.Ⅰ

뇌졸중은 뇌혈관질환이나 심장질환 당뇨 등의 원인,

으로 뇌에 공급되는 혈류가 차단되거나 뇌 조직의 출

혈로 인하여 장애가 생기는 질병이다(Susan & Thomas,

뇌졸중의 유형은 허혈성과 출혈성으로 구분되2001).

며 이중 허혈성은 혈전이나 색전이 혈관을 차단하여,

발생하고 를 차지하며 출혈성은 뇌 조직 내 또는83% ,

지주막하 출혈로서 를 차지한다 그 중17% . 70 75%∼

는 완전히 회복되지 못하고 손상된 뇌의 부위에 따라

편마비를 비롯하여 운동장애 감각장애 보행 장애 일, , ,

상생활동작 통증 정서장애 등의 문제를 동반하게 된, ,

다(Monahan & Phipps, 2007).

뇌졸중으로 인한 대부분의 편마비 환자는 균형조절

능력이 감소하며 같은 나이의 정상인에 비해 선 자세,

에서의 자세 동요가 두 배 정도로 커지며 안정성 한,

계도 감소한다(Geiger et al., 또2001; Nicholas, 1997).

한 체중지지 를 마비측보다 비마비측 하(weight bearing)

지에 의존하게 되면서 무게중심 이 비마(center of mass)

비측 하지로 편중되어 신체가 비대칭적인 형태로 변형

돼 기립 시 균형조절이 어렵게 된다(standing) (Johannsen

et al., 2006).

뇌의 허혈성이나 출혈성 손상으로 인해 손상된 운

동기능을 회복 재습득 하기 위해서는 뇌신경의 가소,

성 변화가 필수적이며 이러한 변화는 인지기능 운동, ,

학습 등 신경계의 회복을 위해서 가장 기본이 되는

현상이다 이러한 뇌신경의 가소성을 촉진하기 위해.

서는 적절한 운동중재와 함께 시각 청각 촉각 고유, , ,

수용성 정보 등을 의미 있게 활용해야만 재활의 효율

성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이다(Kwakkel et al., 2004).

만성 뇌졸중 환자에서 집단교육프로그램이

인지와 균형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오재원 김현주*, **

하워드힐 병원 한국교통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목적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의 인지와 균형 일상생활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방법을 개발,

하고 그 효과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명의 뇌졸중 환자를 집단교육프로그램 적용군 실험군 과 일반적 재활치료 적용군 대조군 에 무작36 ( ) ( )

위로 각각 명씩 배정하여 프로그램 적용 전과 적용 주 후의 인지 균형 일상생활수행능력의 변18 6 , ,

화를 측정하여 각 군 간을 비교 분석하였다 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를 측정. MMSE-K, LOTCA

하였고 균형은 체중부하비율 을 측정하였으며 일상생활수행능력은 를 사용하여, K-BBS, (W/B) , MBI

측정하였다.

연구결과험 전 후 비교에서는 에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LOTCA K-BBS, W/B, MBI

였다 실험 군간 비교에서는 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W/B, MBI .

결론만성 뇌졸중 환자의 집단교육프로그램 치료를 실시하였을 때 에서 일반적인 재활치료만, W/B, MBI

실시한 대조군보다 능력이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주제어 뇌졸중 집단교육 인지 균형 일상생활, , , ,

교신저자 김현주 접수일 년 월 일 개재승인일 년 월 일: ([email protected]) : 2012 11 05 : 2012 11 21∥ ∥

56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6 / 2

뇌졸중 환자들이 최대의 기능적 회복을 얻고 최적

의 독립적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초기에 양질의 신경학적인 치료를 제공하여야 할 뿐

아니라 합병증의 예방과 일상생활능력의 회복을 위한

적극적인 재활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뇌졸중환자의 기능회복을 위한 초기 중재는 적절한

자세와 위치 유지 아탈구 예방 경직 감소 관절 구축, , ,

예방에 일차적인 목적을 두고(Nadeau et al., 치2004),

료방법으로는 신경 촉진기법 점진적인 근력강화 운,

동 생체되먹임 전기 자극치료, (biofeedback training),

등 다양한 치료를 시행하고 있지만(Yang et al., 2008),

이러한 치료는 치료사의 요구에 의해 시행되는 것이

므로 환자 스스로의 동기부여가 어렵고 치료에 대한,

흥미와 효과에 대한 기대치가 낮아 치료의 예후가 좋

지 않았다(Forkan et al., 2006).

최근 연구들은 기존의 일반적이고 수동적인 중재보

다 집중적이고 반복적 훈련(French et al., 2007; Liepert

et al., 현실과 관련된 훈련2000), (Nudo et al., 동1996),

기부여와 능동적 참여가 부가된 중재법(Maclean et al.,

과 강제유도 운동2000) (Page et al., 시각운동 피2005),

드백(Quaney et al., 청각운동 피드백2010), (Malcolm et

al., 과제지향훈련2009), (Michaelsen et al., 과 같2006)

은 접근법들이 뇌졸중 후 기능 증진에 좀 더 효과적이

라고 보고하고 있다.

동기부여를 위한 집단교육은 능동적 참여를 촉진하

며 뇌졸중과 같은 만성질환에 대한 관리 방법으로 후,

유증을 최소화 한다(Lorig et al., 집단운동의 효2001).

과는 근력 향상 및 신체적 기능상태가 전반적으로 향

상되어 스스로의 건강상태를 좋다고 지각하게 되고,

집단 운동 프로그램을 통해 노인 간의 상호교류로 인

한 사회적 지지로 우울 감소와 긍정적 정서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집단 교육 및 집(Jeong & Kim, 2007).

단 활동을 통해서 자신의 장애를 객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유사한 장애를 가진 다른 사람들로부터 심,

리적 동질성을 통한 내적 위안 및 안정을 취할 수도

있다 또한 집단 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상호.

협력과 경쟁을 통해 기능 회복에 주체적으로 참여하

고자 하는 긍정적인 자극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들의 결과를 토대

로 만성 뇌졸중 환자를 위한 집단교육프로그램을 고

안하였으며 그에 따른 치료적 중재가 만성 뇌졸중환

자의 인지와 균형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효

과와 신경계 재활치료 중재 방법으로 적용이 가능한

지 과학적 기초를 제공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Ⅱ

연구대상1.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위치한 병원에 입원하H

여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뇌졸중환자 중 명을 선정40

하여 명은 실험군 명은 대조군으로 무작위 배정20 , 20

하여 치료를 실시하였다 실험 기간 중 실험군에서. 2

명이 퇴원으로 제외되어 명이 참여하였고 대조군18 ,

에서는 퇴원 명 치료 불참 명 총 명이 제외되어1 , 1 2 18

명이 최종적으로 실험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 선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1) 뇌졸중으로 인하여 편마비가 된지 개월 이상6

인 자

2) 한국판간이정신상태검사점수가 점이상인자21

주 회 분씩 주간 실험에 참여 가능한 자3) 3 40 6

독립적으로 보행이 가능한 환자4)

경직정도가 단계 이하5) Modified ashworth scale 2

인 자

도수근력검사에서 하지 근력이 전반적으로 이6) F

상으로 측정된 자

하지에 정형외과적 다른 질환이 없는 자7)

본 연구에 동의한 자8)

연구도구2.

한국형 간이정신상태검사1) (Korea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는 등 이 개발한 를 한MMSE-K Folstein (1975) MMSE

국 실정에 맞게 번안한 것으로 의 문항들을 가MMSE

능한 한 그대로 번안하였으며 언어기능은예 따라 말( :

하기 한국 실정에 맞게 수정하였다 총 점 만점으) . 30

로 점수가 높을수록 인지기능이 높은 것이다.

57

로웬스타인 작업치료 인지평가2) (Lo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 LOTCA)

검사항목의 구성은 크게 개의 영역으로 구분되어4

있고 각 영역에 하위항목을 합치면 모두 개의 항목, 20

으로 구성되었다 각 영역은 지남력 지각기능 사고운. , ,

동조직력 사고조작력 영역과 그 외 관찰내용으로는,

집중능력과 총 소요 시간 검사 회기 등이 포함되어,

있다.

Factors Study group(n 18)= Control group(n 18)= X2

P

Sex

Male

Female

9(50.0%)

9(50.0%)

11(61.1%)

7(38.9%)

.450

.07

.502

.930

Affected side

Right

Left

6(33.3%)

12(66.7%)

7(38.9%)

11(61.1%)

2.786

1.82

.

095

.174

Education

High school≤

College≥

15(83.3%)

3(16.7%)

12(66.7%)

6(33.7%)

.443

.14

.161

.867

Monthly income

1 million won<

1 2 million won∼

2 3 million won∼

3 million won>

9(50.0%)

5(27.8%)

2(11.1%)

2(11.1%)

5(27.8%)

9(50.0%)

3(16.7%)

1(5.6%)

.489

.07

.09

.02

.122

.930

.912

.979

Religion

Yes

None

15(83.3%)

3(16.7%)

10(55.6%)

8(44.4%)

.070

.14

.059

.867

Caregiver

Nurse

Spouse

Children

Others

10(55.6%)

4(22.2%)

2(11.1%)

2(11.1%)

10(55.6%)

7(38.9%)

0(0.0%)

1(5.6%)

.497

2.16

.07

.09

.111

.128

.930

.912

Payer of medical expenses

Children

Spouse

Patient

13(72.2%)

3(16.7%)

2(11.1%)

8(44.4%)

9(50.0%)

1(5.6%)

.088

.05

.14

.123

.955

.867

Mean SD Mean SD t p

Age 60.33 7.23 60.67 9.00 .66 .516

Height( )㎝ 166.3 6.78 167.2 6.71 -.40 .695

Weight( )㎏ 67.00 8.80 69.89 7.51 -1.06 .297

Values are N (%) or Mean ± standard deviation

Study group : Group motivation exercise program

Control group : Physical therapy generally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ependent variables are calculated by Chi-squared test and Independent t-test Values are

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1.

58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6 / 2

한국판 버그균형 측정3) (Korean version of Berg

balance scale, K-BBS)

등 이 편마비 정적 균형 능력 손상을 평Berg (1989)

가하기 위해 만든 것으로 개 항목으로 앉기 서기14 , ,

자세 변화 개 영역을 최소 점에서 최고 점을 적용3 0 4

하여 총 점이 만점으로 되어있다 점수가 높을수록, 56 .

균형정도가 좋은 것으로 평가한다.

체중부하비율 측정4)

체중부하비율분석 장비는 알푸스(Gaitview AFA-50, ,

대한민국) 410 × 410 × 되는 크기에 개의 압3mm 2,304

력 센서를 위치시켜 정적 또는 동적인 발의 정렬상태,

체중부하비율 등이 측정된다 각 측정은 회씩 측정하. 3

여 평균을 기록하였다.

일상생활동작검사5) (Modified Barthel Index, MBI)

바텔 지수는 일상생활동작 자립도를 평가기준으로

개발한 것으로 환자의 기능 호전 변화를 반영하는데

많이 이용되고 있다(Hsueh et al., 점수가 높을2001).

수록 독립적인 일상생활이 가능함을 의미하며 점60

이하면 독립적 생활이 불가능함을 의미한다.

연구절차3.

연구 대상에게 치료적 중재를 적용하기 전에 대상

자의 일반적 특성과 체중MMSE-K, LOTCA K-BBS,

부하비율 를 측정 하였다 뇌졸중이 발병한지, MBI . 6

개월 이상 된 환자 명을 무작위로 두 군으로 나누40

어 집단교육프로그램군실험군과 일반적 재활치료군( )

대조군으로 배치하였다( ) .

실험군은 기본적인 물리치료 작업치료 언어치료를, ,

포함한 기존의 전문재활치료를 시행하고 집단교육프

로그램을 주 회 분씩 주간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3 40 6 .

대조군은 기본적인 물리치료 작업치료 언어치료를, ,

포함한 기존의 전문재활치료를 시행하고 일반적인 재

활치료를 추가적으로 주 회 분씩 주간 실시하였다3 40 6 .

실험의 진행은 연구자 인 이외에 임상경력 년차1 3

이상의 물리치료사 인과 작업치료사 인에 의해 진3 1

회차 치료 목적 치료 내용

주차1대화를 통한

동기부여 증진

자기소개 후 치료사와 환자간의 관계 형성╸

프로그램에 대한 안내로 프로그램의 목적 방법을 소개,╸

자신의 느낌 과거의 경험 미래에 대한 기대에 대해 이야기, ,╸

주차2문제제기 및

해결방안 모색

뇌졸중 후의 위험인자 관리 및 재활치료에 대한 목표 설정╸

대인관계향상을 위한 회상 및 고정관념 깨기 등의 주제별 집단상담╸

자신의 욕구와 내면의 갈등 고민 등에 대한 솔직한 대화,╸

주차3 자아존중 증진

웃음과 노래를 통해 정신적인 안정과 더불어 심신의 간접적 치유와 개선╸

긍정적 자아상과 타인과의 갈등해소를 위한 집단상담╸

스스로 의사결정의 전략 세우기╸

주차4참여자간

상호지지

공동 실행계획을 세우고 실천여부에 대해서는 다음 모임에서 목표에 비추어 토의,╸

토의를 통해 환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문제 해결방법을 선택╸

환자간 친밀감 형성을 통해 소속감과 목표의식 고취╸

주차5정서적 안정과

자신감

약속수행 다음 모임 때까지 지킬 약속을 정하고 차회 교육 내용을 미리 예고;╸

약속 수행을 하지 못한 경우 원인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해결을 위한 토의╸

스스로의 문제를 인식하고 문제해결 방안을 결정하는 능력 개발╸

주차6다짐과 각오

정하기

긴장을 이완시키고 다양한 감정표현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심신의 안정과 기분전╸

환 정서순화의 기회를 제공,

솔직한 내면적 갈등을 해결하고 집단 구성원을 통해 상호 격려와 지지,╸

함께한 환자 및 자신에게 감사의식 및 수료증 수여╸

표 집단교육프로그램2.

59

행되었다 각 실험 전 치료 방법에 대하여 교육을 진.

행하며 주 회씩 재교육을 실시하였다1 .

본 연구의 대상자는 탈락율을 고려하여 최초 실험

군 명 대조군 명이었으나 실험이 진행되는 주20 , 20 6

동안 퇴원 명 참여거부 명이 탈락하여 최종연구 대3 , 1

상자는 실험군 명 대조군 명이었다18 , 18 .

통계방법4.

본 연구의 모든 통계적 분석은 용WINDOW PASW

을 사용하였다 두 집단의 일반적 특성은 카이제18.0 .

곱 검정과 독립표본 검정을 통해 동질성을 검정하였t

다 두 집단은 에 의한 정규성 검. Kolmogorov-smimov

정을 하였다 각 군 간의 변화 자료에 대한 유의성 검.

정은 반복측정 분산분석 을(Repeated Measure ANOVA)

하였으며 자료의 모든 통계학적 유의수준, (α은) .05

이하로 하였다.

연구결과.Ⅲ

실험 후 인지에 대한 가설 검정1.

주간 실험을 통해 인지의 변화를 알아본 결과6

Factors Study group(n 18)= Control group(n 18)= F P

MMSE-K oweek

3week

6week

22.83 ± 2.04

23.06 ± 1.70

23.44 ± 1.54

21.78 ± 3.19

21.56 ± 3.22

21.83 ± 3.31

P .066 .389 1.664 .204

LOTCA oweek

3week

6week

79.78 ± 5.42

79.89 ± 5.28

81.78 ± 5.70

80.11 ± 4.78

80.22 ± 4.71

82.22 ± 5,01

P .000 .000 .089 .853

K-BBS oweek

3week

6week

32.33 ± 4.51

33.72 ± 4.07

36.28 ± 3.10

32.06 ± 5.69

32.72 ± 2.93

35.89 ± 4.09

P .000 .026 .184 .719

W/B oweek

3week

6week

15.22 ± 9.11

12.15 ± 7.04

9.48 ± 5.80

14.88 ± 6.97

13.04 ± 6.29

10.94 ± 5.45

P .000 .000 48.274 .000

MBI

oweek

3week

6week

58.28 ± 4.86

62.89 ± 4.74

72.77 ± 4,63

57.83 ± 4.81

61.83 ± 3.78

69.67 ± 4.68

P .000 .000 3.863 .026

Data Mean ± SD=

MMSE-K : Korea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LOTCA : Lo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

K-BBS : Korean version of Berg Balance Scale

W/B : affected / non affected side weight bearing rate

MBI : Modified Barthel Index

표 연구의 전후 측정값 비교3.

60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6 / 2

는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MMSE-K

변화가 없었다 는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LOTCA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그러나 두 군간 비.

교에서는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실험 후 균형에 대한 가설 검정2.

주간 실험을 통해 균형의 변화를 알아본 결과6

와 모두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통계적으로K-BBS W/B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 그러나 두 군간 비교에서는.

만이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W/B

차이를 보였다.

실험 후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대한 가설3.

검정 주간 실험을 통해 일상생활수행능력의 변화6

를 알아본 결과 는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통MBI

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 또한 두 군간 비교에.

서도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였다.

고 찰.Ⅳ

본 연구는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에게 신체

적 인지적 기능의 개선을 위한 목적으로 집단교육프,

로그램을 적용하여 만성 뇌졸중환자의 인지와 균형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변화를 알아보

고 이를 임상에 적용하고자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험 전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LOTCA K-BBS, W/B,

는 증감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실험군MBI .

과 대조군의 군간 비교에서는 만이 유의한W/B, MBI

차이를 보였다.

선행 연구에서는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재

활운동방법에 있어 적극적인 치료 참여를 유도함으로

써 치료 참여의지를 증진시킬 수 있는 적절한 인지적

중재가 필요하다고 하였다박상범과 김미현 그( , 2005).

러므로 뇌졸중환자의 재활을 할 때는 신체적인 부분의

중재와 더불어 스스로 하고자 하는 동기를 끌어올릴

수 있는 인지적인 중재가 필요하다 이와(Kweon, 2001).

같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뇌졸중환자와 가족을 위한

접근으로 기존의 보편적이고 수동적인 접근에서 탈피

하여 환자의 심리를 고려하는 사회인지적 접근을 시도

했다는 점에서 집단교육프로그램의 연구 의의가 있다.

본 연구 대상자들의 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원인으로 집단교육프로그램을 들 수 있다 집단교육프.

로그램은 발병 개월 수와 환자의 기능적 상태에 따라

차등을 주지 않았고 이는 참여자간의 정보를 공유하,

고 서로 조언하면서 상호간에 정서적 지지를 얻고 인

지적 왜곡을 수정함으로써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

로 여겨진다 이는 인지 행동적 집단 상담프로그램을.

통해 뇌졸중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긍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재활의지에 대한 강한 동기를,

유발한 이봉춘 등 의 연구 결과와 유사하다 또한(2009) .

뇌졸중환자가족 집단을 위한 집단프로그램의 효과를-

연구한 김정미 의 연구 결과와도 유사하다(2004) .

본 연구 결과에서 가장 주목할 점은 집단교육프로

그램 치료가 뇌졸중 후 환자의 대부분에서 나타나 재,

활에 악영향을 주는 인지저하 요인을 개선시키는데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궁극적으로 뇌졸중환자.

의 삶의 질을 회복하기 위한 기능적 목표인 균형과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있어서도 일대일 치료에 비해 집

단 치료가 비슷하거나 높게 나와 경제적이고 효율적

인 치료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집단교육프로그램 치료에

참여한 환자수가 많지 않아서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

이 있다는 것과 치료이외에 환자의 일상생활에 대한

통제를 하지 못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사전검사와 사.

후검사를 실시하였으나 프로그램의 장기적 효과를 확

인하는 추후검사를 실시하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집.

단 동기부여 프로그램의 보편적 효과를 검증하기 위

해서는 충분한 대상자의 선별 후 장기간에 걸친 종단

적인 사례 연구가 필요하다.

결 론.Ⅴ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서 만성 뇌졸중환자에 집단

교육프로그램 치료를 실시하였을 때 에서, W/B, MBI

61

일반적인 재활치료만 실시한 대조군보다 능력이 향상

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집단교육프,

로그램 치료가 뇌졸중환자의 정적 균형 및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증진을 위한 치료방법으로 사용이 가능함

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는 실. LOTCA K-BBS

험군과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전후

비교에서 증감 효과가 있었으므로 효율적인 집단치료

로써 경제적으로 사용이 가능할 것이라 생각된다 이.

러한 결과 집단교육프로그램 치료가 뇌졸중환자의 인

지 균형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증진을 위한 치료방,

법으로 사용이 되면 뇌졸중환자의 치료 효과와 삶의

질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이 논문은 년도 한국교통대학교 교내학술연구비의 지원을 받2012

아 수행한 연구임.

참고문헌

김정미 (2004), 뇌졸중 환자와 가족을 위한 집단치료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서울 연세대학교, , .

박상범 김미현 뇌졸중환자의 재활을 위한 인, (2005).

지적 중재전략으로서의 심상과 활동관찰 한국특수

체육학회지, 13, 109-120.

이봉춘 윤성혜 최영옥 천성문 인지행동적, , , (2009).

집단상담프로그램이 뇌졸중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

에 미치는 영향. The Korean Journal of East West

Science, 12(1), 45-59.

Berg, K., Wood-Dauphinee, S., David, G. (1989). Mea-

suring balance in the elderly ; preliminary develop-

ment of an instrument. Physiotherapy Canada, 41,

304-311.

Folstein M. F., Folstein S. E., McHugh P. R. (1975).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he clinician, J Psychiatr

Res, Vol.12, 189 198.–

Forkan, R., Pumper, B., Smyth, N., Wirkkala, H., Ciol,

M. A., & Shumway-Cook, A. (2006). Exercise adher-

ence following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 in older

adults with impaired balance. Phys Ther, 86(3), 401-410.

French, B., Thomas, L. H., Leathley, M. J., Sutton, C.

J., McAdam, J., Forster, A., et al. (2007). Repetitive

task training for improving functional ability after

strok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17(4),

98-99.

Geiger. R. A., Allen. J. B., O’Keefe. J. (2001). Balance

and mobility following stroke: effects of physical ther-

apy intervention with and without biofeed back force

plate training. Phys Ther, 81, 995-1005.

Hsueh I. P., Lee M. M., Hsieh C. L. (2001). “Psyc-

h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Barthe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dex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the Form-

osan Medical Association, 100(8), 526-532.

Jeong, S., & Kim, M. T. (2007). Effects of a theory-

driven music and movement program for stroke survi-

vors in a community setting. Applied Nursing Research,

20(3), 125-131.

Johannsen, L., Broetz, D., & Karnath, H. O. (2006). Leg

orientation as a clinical sign for pusher syndrome.

BMC Neurol, 6(30), 1-15.

Kweon, S. S. (2001). Factors affecting stroke patient’

rehabilitation motiv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Kea myung University.

Liepert. J., Bauder, H. I., Miltner, W., Taub, E., &

Weiller, C. (2000). Treatment induced cortical reorga-

nization after stroke in humans. Stroke, 31, 1210-1216.

Lorig K. R, Ritter P, Stewart A. L, et al. (2001) Chronic

disease self management program: 2-year health status

and health care utilization outcomes, Med Care, 39(11),

1217-1223.

Maclean, N., Pound, P., Wolfe, C., & Rudd, A. (2000).

Qualitative analysis of stroke patients’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Br Med J, 321(7268), 1051-1057.

Malcolm, M. P., Massie, C., & Thaut, M. (2009). Rhy-

thmic auditory motor entrainment improves hemiparetic

arm kinematics during reaching movements : apilotstudy.

Topic sin Stroke rehabilitation, 16(1), 69-79.

Michaelsen, S. M., Dannenbaum, R., & Levin, M. F.

(2006). Task specific training with trunk restrainton arm

recovery in stroke. Randomized controltrial. Stroke,

62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6 / 2

37, 186-192.

Monahan, F. D., & Phipps, W. J. (2007). Phipps’ Med-

ical-Surgical Nursing Health & Illness Perspectives

Missouri : Elsevier Mosby, (8th ed). 1428-1429.

Nadeau, S. E., Behrman, A. L., Davis, S. E., Reid, K.,

Wu, S. S., Stidham, B. S., et al(2004). Donepezil as an

adjuvant to constraint induced therapy fo upper limb

dysfunction after stroke : An exploratory randmized

clinical trial.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41(4), 525-534.

Nicholas D. S. (1997). Balance retraining after stroke

using force platform biofeedback. Phys Ther, 77, 553-8.

Nudo, R. J. (1996). Neural substrates for the effects of

rehabilitative training on motor recovery after ischemic

infarction. Science, 272, 1791-1794.

Page, S. J., Levine, P., Leonard, A. C. (2005) Modified

constraint induced movement therapy in acute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study. Neuro rehabili-

tation and neural repair, 19(1), 27-32.

Quaney. B. M., He. J., Timberlake, G., Dodd, K., &

Carr, C. (2010). Visuo motor training improves stroke

related ipsilesional upper extremity impairments. Neuro

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24(1), 52-61.

Susan, B. O., & Thomas, J. S. (2001). Physical Rehabi-

litation : Assessment and treatment. 4th ed. Philadelpia:

FA Davis.

Yang, Y. R., Tsai, M. P., Chuang, T. Y., Sung, W. H.,

& Wang, R. Y. (2008). Virtual reality-based training

improves community ambulation in individuals with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Gait Posture, 28(2),

201-206.

Abstract

The effects of group education program on cognition, balance,

and ADL in chronic stroke patients

Oh Jae-Won, P. T.*, Kim Hyun-Joo, Ph. D.**

*Dept. of Physical Therapy, Howard Hill Medical Center

**Dept. of Physical Therapy,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group education program for chronic stroke patients

and to test its effects on cognition, balance, and ADL.

Methods : 36 stroke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group education program (intervention group) or

general rehabilitation therapy program (control group). Parameters for cognition, balance, and

ADL were measured before and 6 weeks after intervention and the changes were compared

between the groups. MMSE-K, LOTCA were used to measure cognition, K-BBS and W/B for

balance, and MBI for ADL.

Results : LOTCA, K-BBS, W/B, MBI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after intervention in both group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W/B, MBI when they were compared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 : Group education program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the chronic stroke patients especially

in improving balance (W/B) and ADL (MBI).

Key Words : Stroke, Group education, Cognition, Balance, ADL

제 장 총칙1

제조 명칭1 ( )

본회는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이하 본학회 라( “ ”

한다라 칭하며 영문 표기는) , Society of Occupational

약칭 라한다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 OTAD) .

제 조 목적2 ( )

본 학회는 고령자와 치매관련 작업치료의 연구를

통하여 고령자와 치매작업치료의 학술적 발전을 도모

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 조 사무소3 ( )

본 학회의 주 사무소는 학회장이 지정한 곳에 두는

곳을 원칙으로 한다.

제 조 사업4 ( )

본 학회는 제 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의2

사업을 수행한다.

① 학술지 발간사업

② 고령자 ・치매전문작업치료사 양성교육에 관한

사업

③ 국내외 고령자 ・치매작업치료 관련 학문교류에

관한 사업

④ 기타 본회의 목적달성에 필요한 사업

제 장 회원2

제 조 구성5 ( )

학회의 회원은 정회원 명예회원으로 한다, .

제 조 회원의 자격6 ( )

본 학회의 회원 자격은 아래와 같다.

① 정회원 고령자와 치매에 관심이 있고 관련분야:

에 종사하거나 이에 상당하는 자격이 있다고

인정된 자로 학회에 가입하여 회비를 납부한자

② 명예회원 본 학회의 발전에 현저한 공로가 있:

는 개인 또는 전체

제 조 회원의 권리 의무7 ( , )

본 학회의 회원은 다음 각 호의 권리와 의무를 진다.

① 회원은 학회의 운영규정을 준수하고 학회가 정,

한 입회금 회비 기타 교육 등에 참가할 경우, ,

학회가 정하는 부담금을 납부하여야 한다.

② 회원은 본 학회가 주관하는 학술활동에 적극적

으로 참여하여야 한다.

제 조 회원의 관리8 ( )

전항의 의무를 이행한 회원은 다음 각 호의 권리를

갖는다.

① 운영규정이 정하는 바에 따라 발의권 의결권, ,

선거권 및 피선거권을 가진다.

② 운영규정 제 조의 사업수행에 참여할 권리를4

갖는다.

③ 학회가 발행하는 학회지나 각종 유인물 등을 제

공받는다.

④ 회원은 탈퇴 절차를 거쳐 탈퇴할 수 있다.

제 조 회원의 징계9 ( )

① 본 학회의 발전을 저해하는 자는 이사회의 결의

에 따라 징계를 내릴 수 있다.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정관

년 월 일2007 9 8

제 장 임원3

제 조 임원의 종류10 ( )

본 학회의 임원은 이사와 감사로 나눈다.

① 회장 인1

② 부회장 인1

③ 이사 인 이내30

④ 감사 인2

제 조 임원의 자격11 ( )

임원의 자격은 학회 정관에 의한 회원의 의무를 성

실히 이행한 자로 한다.

제 조 임원의 직무12 ( )

① 회장은 학회를 대표하고 총회 및 이사회의 의,

장이 되어 회무를 총괄한다.

② 이사는 이사회의 구성원으로서 학회의 각종 업

무를 의결 분장 운영하며 이사회 또는 회장으, ,

로부터 위임받은 업무를 수행한다.

③ 감사는 재산상황 이사회의 운영과 업무에 관한,

사항을 감사하며 부당한 점이 있을 때 이사회, ,

총회에 그 시정을 요구할 수 있다.

제 조 임원의 선임13 ( )

① 학회의 회장 감사는 총회에서 선출한다, .

② 임명직 이사는 회장의 추천에 의해 총회의 인준

을 받아야 한다.

제 조 임명직 이사의 해임14 ( )

임명직 이사가 다음 각 에 해당할 때는 총회의 의1

결을 거쳐 해임한다.

① 제 조의 규정에 의하여 징계 처분되었을 때9

② 학회의 목적에 반하는 행위를 한 때

③ 임원으로서 직무를 태만히 할 때

④ 년 기간동안 이사재임기간 중 개최되는 이사회3

임시이사회 포함에 이상 불참시 이사 재신( ) 50%

임 여부를 묻는다.

제 조 임원의 보선15 ( )

학회의 임원 중에서 결원이 발생한 경우에는 그 결

원일로부터 월 이내에 보선하여야 한다 다만 학회2 . ,

의 업무수행에 지장이 없는 경우에는 이사회의 의결

을 거쳐 차기 총회까지 그 보선을 연기할 수 있다.

제 조 임원의 임기16 ( )

① 회장 임명직 이사 감사는 각각 년으로 하며 연, , 3

임할 수 있다 다만 제 조의 규정에 의하여 보. , 15

선된임원의임기는전임자의잔여기간으로한다.

② 임원의 임기가 만료되더라도 차기임원이 선출

될 때까지는 그 직무를 계속 수행하여야 한다.

제 장 총회4

제 조 구성 및 의결정족수17 ( )

① 학회는 최고 의결기관으로 총회를 둔다.

② 총회는 정기총회와 임시총회로 구분하여 개최

한다.

③ 정기 총회는 연 회 정기학술대회 기간 중에 회1

장이 소집하고 임시총회는 정회원의 이상의, 1/3

요구가 있거나 감사의 요구에 따라 회장이 이,

를 소집한다.

④ 총회는 출석인원으로 성립되고 모든 의결은 참

석인원의 과반수로 의결한다.

제 조 총회의 의결사항18 ( )

총회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심의 의결한다.

① 학회 해산에 관한 사항

② 정관 변경에 관한 사항

③ 회장단 감사의 선출에 관한 사항,

④ 임명직 이사의 인준에 관한 사항

⑤ 예산 및 결산의 승인에 관한 사항

⑥ 주요 사업계획 승인에 관한 사항

⑦ 이사회에서 부의하는 사항

제 장 이사회5

제 조 구성 및 의결정족수19 ( )

① 학회는 회무에 관한 중요사항을 심의 의결하기

위하여 이사회를 두고 회장이 그 의장이 된다.

② 이사회는 재적이사 과반수의 출석으로 성립하

며 출석이사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

제 조 이사회의 개최20 ( )

이사회는 정기이사회 임시이사회 및 실행이사회로,

구분한다.

1) 정기이사회는 매년 회 회장이 소집하여 개최1

한다.

2) 임시이사회는 다음 각 호의 사유가 있을 때에

회장이 소집하여 개최한다.

① 회장이 이사회의 소집이 필요하다고 요구

한 때

② 재적이사 분의 이상 또는 감사가 감사결3 1

과를 보고하기 위하여 이사회의 소집을 요

구한 때

3) 이사회의 소집은 회의개최 일전에 그 회의의15

목적 의결사항 또는 보고사항 일시 및 장소 등, ,

을 기재한 서면에 의하여 각 이사 및 감사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제 조 이사회의 의결사항21 ( )

이사회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심의 의결한다.

① 총회에서 위임받는 사항

② 정관에 의하여 그 권한에 속하는 사항

③ 사업계획 수립 및 집행에 관한 사항

④ 예산 결산서 작성에 관한 사항

⑤ 총회에 부의할 안건에 관한 사항

⑥ 기타 주요 사항

제 조 실행이사회 구성 임무 및 기타사항22 ( , )

① 실행이사회 구성은 회장을 의장으로 하고 일반

이사 중에서 명이내로 선정후 학회에서 개최10

되는 모든 회의에 필수적으로 참석하여야 한다.

② 이사회의 대표로서 실행이사회에 결정된 사항

은 학회의 효율적인 운영 및 관리를 위해 이사

회에서 의결된 사항과 동일한 효력을 발휘하고

시행된다.

③ 실행이사회 개최 및 의결사항은 이사회 개최 및

의결사항과 동일하게 적용된다.

제 장 편집위원회6

제 조 구성23 ( )

① 이사회에서는 본 학회의 학회지 발간을 위하여

편집위원회를 둔다.

② 편집위원회는 편집위원장 인 편집위원 인 이1 , 5

상으로 구성한다.

③ 본 학회 편집위원의 임기는 년으로 하고 논문3 ,

의 성격에 따라 임시 위원을 선정할 수 있다.

제 조 자격24 ( )

① 편집위원장은 학회 회원 중에 회장이 추천하여

이사회에서 의결한다.

② 편집위원은 학회 회원 중에 편집위원장의 추천

을 받아 회장이 위촉한다.

제 조 임무25 ( )

① 편집위원회는 년에 회 학회지를 발간한다1 2 .

② 학회지의 발간 시기는 매년 월 일 월4 30 , 11 30

일을 원칙으로 한다.

③ 편집위원회는 논문투고 및 논문심사를 위한 규

정을 별도로 둔다.

④ 발행규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학회지 발행 업무

를 관할한다.

제 장 재정 및 회계7

제 조 재원26 ( )

학회의 재정은 다음 각 호의 수입금으로 충당한다.

① 입회비

② 회비

③ 교육비

④ 기타 수입금

제 조 자산관리 및 예산집행27 ( )

① 학회의 자산은 회장 책임 하에 금융기관에 예금

하고 관리 운영하며 승인 및 예산 규정에 따라,

집행하며 그 밖의 중요한 예산은 이사회의 의,

결에 따라 집행한다.

제 장 징계8

제 조 징계28 ( )

회원으로써 다음의 각호에 해당하는 자에 대하여는

이사회의 의결로써 경고 견책 자격정지 또는 그 이, , ,

상의 적응한 징계를 취한다.

① 본회의 명예를 훼손한 자

② 소정의 회비를 년간 체납한 자2

③ 회원으로써 부여된 의무를 태만하게 여기는 자

제 장 사무국9

제 조 사무국 및 직원28 ( )

본회의 사무를 집행하기 위해 사무국을 둘 수 있

으며 유급 또는 무급직원아르바이트 학생을 둘 수, ( )

있다.

제 장 보칙10

제조 학회해산1 ( )

본 학회를 해산하고자 할 때에는 총회에서 회원 4

분의 이상의 찬성으로 의결하여 해산한다3 .

제 조 학회 해산 시 재산처리2 ( )

본 학회가 해산할 때 잔여재산은 국가 지방자치단

체 또는 본 학회와 유사한 활동을 하고 있는 단체에

기증한다.

제 조 서면결의3 ( )

본회의 의결사항 중 정관개정에 관한 사항은 서면

결의를 할 수 없다 다만 이외의 의결사항은 서면결의.

할 수 있다.

제 조 준용4 ( )

본 정관에 규정되지 아니한 사항은 민법 중 사단법

인에 관한 규정과 보건복지부 비영리법인의 설립 및

감독에 관한 규칙을 준용한다.

부 칙

본 회칙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일반 관례에 의

한다.

본 회칙은 년 월 일부터 시행한다2007 3 1 .

본 회칙은 년 월 일부터 시행한다2007 9 8 .

본 회칙은 년 월 일부터 시행한다2008 4 24 .

본 회칙은 년 월 일부터 시행한다2011 5 1 .

일반규정.Ⅰ

본 학회지의 논문의 편집 방향은 작업치료 관련 분야의 논문을 투고 받아 전공별 심사위원들의 심사를 거쳐

게재함으로서 고령자 ・치매와 관련된 작업치료에 대한 이해를 높임과 동시에 고령자 ・치매치료분야의 학문적

연구와 새로운 이론을 점검하여 작업치료 발전에 기여코자 한다.

1. 본 학회지는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 ,

재 여부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본 학회지는 고령자 ・치매작업치료와 관련된 분야의 논문으로 한다 관련된 분야는 다음의 각호와 같다. .

① 노인관련 작업치료

② 노인관련 건강증진

③ 노인복지

④ 노인직업훈련

⑤ 일상생활환경

⑥ 인지 및 지각관련

⑦ 지역사회재활

⑧ 및 보조도구ADL

⑨ 노인주거환경

⑩ 연하장애

⑪ 교육관련

⑫ 기타 노인관련분야

3.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

할 수 없다.

4. 본 논문집은 년 회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논문의 원고는 월 일 월 일까지 고령자2 , 3 31 , 10 31 ・치매작

업치료학회 편집부에 접수되어야 하며 이때 저자점검표를 함께 제출해야 한다, .

5. 논문의 게재 여부는 위촉된 각 전공 영역 및 심사위원이 판정하되 그 내용의 보충 일부 수정 가감요구를, ,

받은 논문은 소정의 기일까지 제출되지 않으면 게재시기의 이월 또는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

6. 게재된 논문의 별쇄본 부를 기본으로 하면 별쇄본은 자비 부담으로 한다20 .

고령자・치매치료학회지 투고규정

년 월 일2007 9 8

7. 본 학술지에 투고를 원하는 제 저자 및 교신저자는 반드시 회원등록을 하여야 한다1 .

8. 회원주소 변경 시 반드시 본 학회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하지 않아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에는 착불로 재발,

송 한다.

9. 본 학회지에 게재되는 모든 원고에 대한 저작권은 고령자 ・치매전문작업치료학회가 소유한다.

투고규정.Ⅱ

1. 본 학회지는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

여부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 본 학회지의 논문 투고를 위해서는 미국심리학회 에서 발행한 규정집(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5

판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3. 제출된 원고는

⑴ 윈도우용 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하며 원고의 행 간격은 줄 간 로 하며 본문의 글자크기는 글꼴160% 10,

은 신명조 용지의 여백은 기준으로 로 작성한다, A4 3cm .

⑵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을 권장한다.

⑶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

한다.

⑷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meter .

⑸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

⑹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 8×10cm

하여야 한다.

⑺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 단 영, .( ,

문초록의 단어 수는 자 이내로 한다150 .)

⑻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 을 앞에 표기한다(family name) .

⑼ 원고의 전체 매수는 매를 초과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초과할 경우의 추가 비용은 저자가A4 15

부담한다.

4. 본문 내 문헌 인용 시에는 해당부위에 저자명과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며 어깨번호를 사용하지 않는다.

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국내문헌과 외국문헌은 와과로 연결한다2 ‘ ( ) .

인 이상의 저자인 경우 첫 인용 시에만 전체 공동저자를 표기하고 그 이후에는3 ,

제 저자명 뒤에 등 국내문헌 외국문헌을 붙인다1 ‘ ’( ), ‘et al.’( ) .

⑴ 저자명을 주어로 사용한 경우

- 저자가 인인 경우1

예 홍길동 은 은) (2006) , Kim(2000)

- 저자가 인인 경우2

예 홍길동과 장길산 은 는) (2001) , Ann & Yu(2000)

- 저자가 인인 이상인 경우3

예 장길산 등 은 등 은) (2002) , Schmeidler (1988)

⑵ 문장 끝에 표기하는 경우 여러 문헌을 동시에 인용할 경우에는 세미콜론으로 나누어 표기하며 국내문:

헌은 가나다순 외국문헌은 순으로 작성한다, ABC .

예) 라고 하였다이상호 등 정창호 홍길동과 장길산( , 2002; , 2001; , 2003; Ann & Yu, 1980; Schmeidler…

et al., 1988).

5.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제시하는 순서는 국내문헌의 경우에는 가나다 순 외국,

문헌은 순으로 한다 국내문헌을 먼저 쓰고 외국 문헌을 그 다음에 제시한다 인의 경우에는 저자명ABC . . 2

사이에 국내문헌은 와과 외국문헌은 로 연결한다 공동 저자가 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을 인‘ ( )’, ‘&’ . 6 6

까지만 나열하며 저자명 끝에 등 국내문헌 외국문헌을 붙인다 단 학술지명과 권수호수는 이탤‘ ’( ), ‘et al.’( ) . ( )

릭체로 변경하며 단행본과 학위논문의 경우 제목을 이탤릭체로 변경한다, .

(1)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 ( ). . 학술지명 권수호수, ( ), 쪽수.

예) 홍길동 장길산 정창호 이상호 뇌졸중 환자의 직업재활에서 작업환경평가, , , . (2007). (1). 고령자 ・치

매작업치료학회, 1(1), 1-12.

Clark, F. A., Parham, D., Carlson, M. E., Frank, G., Jackson, J., & Pierce, D., et al. (1991).

Occupational science: Academic innovation in the service of occupational therapy’s future. Am J Occup

Ther, 45, 300-310.

⑵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 ( ). 제목. 도시명 발행처: .

예) 홍길동 장길산, . (2002). 작업치료학. 서울 서울출판사: .

Ekman, L. L. (2002). Neurosicence: Fundamentals for rehabilitation. Philadelphia: W. B. Saunders

company.

⑶ 단행본의 장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chapter): . ( ). . , 단행본 제목개정판 쪽수 도시명( , ). :

발행처.

예) Clark, F., & Larson, E. A. (1993). Developing an academic discipline: The science of occupation. In H.

L. Hopkins & H. D. Smith (Eds.), Willard & Sparkman’s occupational therapy (8th ed., pp. 44-57).

Philadelphia: J. B. Lippincott Company.

⑷ 학위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 ( ). 제목. 도시명 발행처: .

예) 홍길동. (2007). 가상현실이 치매노인의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요인. 서울 서현대학교: .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Los

Angeles: University of California.

(5) 국내문헌과 외국문헌의 표기방식은 동일하다.

6.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

에서 편집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논문제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본 저자 점검표는 논문과 함께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다음 항목에 대하여 제출된 논문이 불완전하게 작성된,

경우 재수정이 요구됩니다.

다음의 각 항목을 확인하고 표시를 하십시오.✔

_______ 논문을 담은 인치 디스켓과 사본 부를 우편 혹은 전자메일로 보낸다3.5 1 .

_______ 원고는 윈도우용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_______ 본문의 글꼴은 신명조 크기는 줄간격은 로 작성하고 위, point 10, 160% , ․아래 ․좌 ․우의 여백은 용A4

지 기준으로 로 작성한다3cm .

표 지

표지에는 다음사항을 기록한다.

_______ 논문제목 저자명 저자소속 기관명_______ ______   

_______ 영문제목 영문 저자명 영문 학위명 영문 면허명______ ______ ______     

_______ 수정책임자의 연락처 주소 전화번호 핸드폰 팩스( , E-mail, , , )

_______ 학위논문 여부 혹은 연구비 지원기관을 기록한다.

_______ 저작권 양도에 대해 모든 저자들이 서명을 한다.

초 록

_______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 .

_______ 영문 초록의 단어수는 자 이내로 작성한다150 .

_______ 개 이상 개 이하의 주제어 를 첨부한다3 10 (Key Words) .

_______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 을 앞에 표기한다예(family name) ( : Lee, Mi-Youn).

본 문

_______ 본문의 구성은 원저인 경우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찰 결론으로 하며 종설인 경우 서론 본론, , , , , , ,

결론으로 작성한다.

_______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로 작성하며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

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_______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법을 사용한다meter .

_______ 원고는 표 그림 및 사진 등을 포함하여 전체 매 이내로 작성한다, A4 15 .

고령자・치매치료학회지 저자 점검표

년 월 일2007 9 8

_______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

_______ 본문에서의 인용문헌은 해당부위에 저자와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고 어깨번호윗첨자를 사용하지, ( )

않는다.

_______ 본문내 문헌 인용시 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국내문헌은 와과 외국문헌은 로 연결하며2 ‘ ( )’, ‘&’ ,

인 이상의 경우 두 번째 인용부터는 제 저자명 뒤에 등 국내문헌 외국문헌을 붙인다3 1 ‘ ’( ), ‘et al.’( ) .

(1) 저자명을 주어로 사용한 경우

∙저자가 인인 경우 예 홍길동 은 은1 ) (2006) , Kim(2000)

∙저자가 인인 경우 예 홍길동과 장길산 은 과 는2 ) (2001) , Ann Yu(2002)

∙저자가 인인 이상인 경우 예 장길산 등 은 등 은3 ) (2002) , Schmeidler (1988)

(2) 문장 끝에 표기하는 경우 여러 문헌을 동시에 인용할 경우에는 세미콜론으로 나누어 표기하며:

국내문헌은 가나다순 외국문헌은 순으로 작성한다, ABC .

예) 라고 하였다이상호 등 정창호 홍길동과 장길산( , 2000; , 2001; , 2003; Ann & Yu, 1980;…

Schmeidler et al., 2000).

참고문헌

_______ 모든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한다.

_______ 참고문헌의 표기방법과 구두점이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투고규정과 맞는지 확인한다.․

(1)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 ( ). . 학술지명 권수호수, ( ), 쪽수.

예) 홍길동 장길산 정창호 이상호 뇌졸중환자의직업재활에서작업환경평가, , , . (2007). (1). 고령자 ・치

매작업치료학회, 1(1), 1-12.

Clark, F. A., Parham, D., Carlson, M. E., Frank, G., Jackson, J., & Pierce, D., et al. (1991).

Occupational science: Academic innovation in the service of occupational therapy’s future. Am J

Occup Ther, 45, 300-310.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 ( ). 제목. 도시명 발행처: .

예) 홍길동 장길산, . (2002). 작업치료학. 서울 서울출판사: .

Ekman, L. L. (2002). Neurosicence: Fundamentals for rehabilitation. Philadelphia: W. B. Saunders

company.

(3) 단행본의 장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chapter): . ( ). . ,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 , ).

시명 발행처: .

예) Clark, F., & Larson, E. A. (1993). Developing an academic discipline: The science of occupation.

In H. L. Hopkins & H. D. Smith (Eds.), Willard & Sparkman’s occupational therapy (8th ed., pp.

44-57). Philadelphia: J. B. Lippincott Company.

학위논문 저자명 발행연도(4) : . ( ). 제목. 도시명 발행처: .

예) 홍길동. (2007). 가상현실이 치매노인의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요인 서울 서현대학교. : .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Los

Angeles: University of California.

국내문헌과 외국문헌의 표기방식은 동일하다(5) .

_______ 국내문헌은 가나다순으로 외국문헌인 경우에는 순으로 작성한다, ABC .

_______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 모든 저자명을 표기한다.

_______ 학술지명은 전체학술지명을 사용한다.

표를 만들 때는 선 그리기가 아닌 표 만들기 를 이용하여 한글로 작성한다_______ “ ” . 

표의 제목은 간결하고 명료해야 한다_______ . 

표에 사용된 약어는 하단에 따로 설명한다_______ . 

표는 자체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본문이나 그림의 자료를 중복 나열하지 않는다_______ , . 

본문에 제시된 표 번호와 내용을 일치시킨다_______ . 

표의 제목은 캡션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_______ . 

그 림

_______ 그림이나 사진은 인쇄과정에서 축소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명료하게 작성한다.

_______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 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번호를 쓰×10cm ,

고 위아래 표시를 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한글로 작성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단순히 제목만 쓰지 않았고 그림을 설명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_______ 그림의 제목은 캡션 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저자들는은 이상의 점검을 모두 마쳤으며 이 점검표를 원고와 함께 보냅니다( ) ( ) .

저자들는은 모두 이 논문의 작성에 구체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원고 내용에 공적인 책임을 집니다( ) ( ) .

이 논문은 이전에 출판된 적인 없으며 현재 다른 간행물에 게재할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이 논문, .

의 게재 소유에 대한 권한은 대한작업치료학회에 있습니다.

저자대표( ) 인( )

공동저자 인( )

인( )

인( )

인( )

본 저자점검표는 년 월 일부터 적용됩니다* 2007 3 1 .

본 저자점검표는 년 월 일부터 적용됩니다* 2007 9 8 .

본 학회지에 규정된 사항 외에의 것은 미국심리학회 에서 발행한 규정집*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5

판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년 월 일

고 령 자 ․ 치 매 작 업 치 료 학 회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

학 회 장 이미자 경복/ 대학교

부 회 장 김한수 대구보건/ 대학교

감 사 배주한/구미대학교 최혜숙 동남보건, / 대학교

학 술 이 사 오혜원 우석대학교 양영애인제대학교/ , /

총 무 이 사 김정기 대구보건/ 대학교

기 획 이 사 김정자/호원대학교 김행란 아주대학병원 정복희호원대학교, / , /

국 제 이 사 박소연 한서대학교 백현희 군장/ , / 대학교 이인경 성덕, / 대학교,

황기철/백석대학교 박수희 호남대학교, /

홍 보 이 사 김환중 우석대학교 양경희 경복/ , / 대학교 이선명 마산, / 대학교,

정상미/상지영서대학교 박주영 가톨릭상지, / 대학교

재 무 이 사 정현애/동신대학교 박수정 대구보건, / 대학교

정 보 이 사 채경주 경복/ 대학교 최정실 충북보건과학대학교, / ,

홍재란 광양보건/ 대학교

편집위원장 양영애 인제대학교/

편 집 위 원 감경윤 인제대학교 송영화 동남보건/ , / 대학교 오명화 동신대학교, / ,

유양숙 가톨릭대학교 이재신건양대학교 이정원여주/ , / , / 대학교,

정민예 연세대학교 최혜숙 동남보건/ , / 대학교 허진강 한림성심, / 대학교,

홍재란 광양보건/ 대학교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6 2 ISSN 1976 1090-

발행일 년 월 일/ 2012 12 14

발행인 이미자/

발행처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우 대구광역시( ) 702-722 북구 영송로 태전동15 ( )

대구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TEL: 053-320-1803

인 쇄 / 퍼시픽북스 편집부TEL: 02-2272-7177( ), FAX: 02-2272-7166

E-mail: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