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중 엽산 folic acid in pregnancy

25
박박박 박박박 Folic acid in pregnancy

Upload: mothersafe

Post on 07-May-2015

1.740 views

Category:

Documents


3 download

DESCRIPTION

마더세이프 박송미 연구원

TRANSCRIPT

Page 1: 임신 중 엽산  Folic Acid  in Pregnancy

박송미 연구원

Folic acidin pregnancy

Page 2: 임신 중 엽산  Folic Acid  in Pregnancy

목차

1. 엽산

2. 엽산의 필요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

3. 체내 엽산 부족

4. 엽산의 권장섭취량

5. 엽산의 상한섭취량

6. 결론

Page 3: 임신 중 엽산  Folic Acid  in Pregnancy

엽산

단일탄소 전이반응에 조효소 역할을 하는 비타민

1930’ Wills factor 라는 항빈혈인자로 알려짐

DNA 합성에 필요한 thymidylate 가 합성될 때 필요

퓨린합성 , 히스티딘 분해 , 세린과 글리신의 상호전환

메티오닌합성에 관여

Page 4: 임신 중 엽산  Folic Acid  in Pregnancy

엽산의 대사 경로

Page 5: 임신 중 엽산  Folic Acid  in Pregnancy

엽산

엽산 (folate) 은 프테로일글루탐산 (pteroylglutamic acid, folic acid)

그와 비슷한 활성을 가진 유도체들을 총체적으로 말함

식품과 체내에 존재하는 엽산의 주된 형태는 환원형 , 다양한 형태의 단일탄소 단위와 글루탐산이 약 1~6 개까지 추가로 연결된 프테로일폴리글루타메이트 (pteroylpolyglutamate)

엽산 보충제나 식품 중 강화된 엽산은 folic acid 의 형태

Page 6: 임신 중 엽산  Folic Acid  in Pregnancy

엽산

식품 중에 있는 폴리글루타메이트 형태의 엽산은 소장에서

γ-glutamylhydrolase(folate conjugase) 에 의해

모노글루타메이트의 형태로 전환된 후 흡수

흡수된 엽산은 5-methyl-tetrahydrofolate 의 형태로 문맥을 통해 간으로

들어가서 다시 폴리글루타메이트가 된 후 간에 저장되거나

모노글루타메이트의 형태로 혈액으로 방출되어 운반

조직으로 들어간 엽산은 다시 폴리글루타메이트의 형태로 전환된 후

조효소로 사용되거나 저장됨

Page 7: 임신 중 엽산  Folic Acid  in Pregnancy

엽산의 필요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엽산의 필요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생체이용률 , 다른 식품과의 작용 , 흡연 , 약과의 상호작용 등

엽산 보충제는 엽산이 folic acid 형태로 들어있음

보충제를 빈속에 섭취하는 경우 100% 흡수되지만 ,

보충제를 다른 음식과 함께 섭취하는 경우 약 85% 흡수됨

엽산 강화식품에도 folic acid 의 형태로 들어있으며 ,

흡수율은 약 85% 로 추정함

식품 중 자연적으로 들어있는 형태의 엽산은 약 50% 정도 흡수됨( 한국영양학회 2010)

Page 8: 임신 중 엽산  Folic Acid  in Pregnancy

식품에 첨가된 folic acid 는 식품 중의 folate 에 비해 1.7 배 이용률이 높음

이를 고려하여 식이엽산당량 (DFEs) 을 만들어 사용 Dietary Folate Equivalents(DFEs) = ug of food folate + (1.7 x ug of

folic acid)

다른 영양소의 섭취가

엽산의 필요량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는 보고는 없음

식품 중 특정 형태의 식이섬유소 , 밀겨에 있는 섬유소가 엽산의 이용률을 낮춘다고 보고된 바 있으나 , 최근 다양한 형태의 섬유소가 엽산의 생체

이용률을 낮추는 영향이 없다고 보고됨

엽산의 필요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

( 한국영양학회 2010)

Page 9: 임신 중 엽산  Folic Acid  in Pregnancy

알코올의 섭취는 엽산 흡수를 방해하고 배설을 증가시킴

흡연자의 혈액 중 엽산 농도가 비흡연자보다 낮지만 ,

필요량의 증가보다는 엽산 섭취량의 부족이 원인일 수 있음

비스테로이드계의 항소염제인 아스피린 , 이부프로펜 , 아세트아미노펜 등을 과량 복용하면 엽산 영양상태를 저하시킴

류마티스성 관절염 치료에 항엽산제인 methotrexate 를 장기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엽산 보충제가 부작용을 줄여 줄 수 있다고 보고됨

엽산의 필요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

( 한국영양학회 2010)

Page 10: 임신 중 엽산  Folic Acid  in Pregnancy

체내 엽산 부족

새로운 세포를 만들기 위해서 꼭 필요한 영양소

유아기 , 성장기 , 임신기 , 수유기에 필요량 증가

엽산 섭취량 부족 : 혈청 엽산 농도 감소

적혈구 엽산 농도 감소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 증가

거대적아구성 빈혈

위장장애( 한국영양학회 2010)

Page 11: 임신 중 엽산  Folic Acid  in Pregnancy

체내 엽산 부족

임신 초기 엽산의 부족은 태아의 신경관 형성에 장애가 생겨 신경관

손상의 기형아를 출산할 확률이 높음

이런 경우 엽산을 섭취함으로써 신경관 손상의 기형아 출산율을 낮출 수 있다는 것이 보고됨

최근에는 언청이 , 다운증후군 , 선천성 심장질환 등의

질환도 모체의 엽산 부족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어

가임기 여성의 엽산 섭취가 매우 중요

체내 엽산 부족→ 혈장 호모시스테인↑→ 심혈관질환 ( 한국영양학회 2010)

Page 12: 임신 중 엽산  Folic Acid  in Pregnancy

초기 혈청 엽산 농도와 엽산 섭취 농도에 따른태아 신경관 결손증 감소율

NJ Wald 2001)

Page 13: 임신 중 엽산  Folic Acid  in Pregnancy

체내 엽산 부족

사람의 자궁 , 기관지 , 대장 등에서 발견된 암의

전단계 세포들이 엽산 보충에 의해 정상세포로 전환되었음이 보고됨 ,

암이 이미 진행된 상태에서 많은 양의 엽산을 보충하는 것은 위험

엽산의 부족은 노인의 우울증 , 치매 , 정신질환과도 관련

( 한국영양학회 2010)

Page 14: 임신 중 엽산  Folic Acid  in Pregnancy

엽산의 권장섭취량

(1) 성인 및 노인

통제된 조건 하에서 섭취한 엽산의 양이 적절한지를 평가한 연구 결과와

그 외의 역학 자료 , 체내 엽산 pool 의 크기와 대사회전 (turnover) 을 동역학적으로 추정한

연구 , 소변으로의 엽산 대사물질의 배설량 , 심한 임상적 엽산 결핍을 치료한 연구를

종합하였을 때 평균필요량은 약 320 ugDFE/ 일이 적절

권장섭취량은 변이계수를 10% 로 가정하여 , 평균필요량의 120% 인 400 ugDFE/ 일로 설정

( 한국영양학회 2010)

Page 15: 임신 중 엽산  Folic Acid  in Pregnancy

(2) 임신 , 수유부

임신기 엽산 요구량 증가

퓨린과 피리미딘합성 , 세포분열 등과 관련된 단일탄소 전이반응 증가

태아의 성장 , 자궁의 확대 , 혈액증가 , 태반발달

임신부의 엽산 섭취량이 부적절한 경우 모체의 적혈구 엽산 농도 저하로 인해

거대적아구성 빈혈 , 유산 , 태반박리 , 저체중아 , 신경관 손상 등 태아기형을 초래

엽산의 권장섭취량

( 한국영양학회 2010)

Page 16: 임신 중 엽산  Folic Acid  in Pregnancy

미국은 보충제 투여 실험 , 대사실험 , 뇨중 엽산대사물 분석 등을 종합하여

임신부 엽산 평균필요량을 비임신여성의 평균필요량인 320 ugDFE/ 일에 200 ug 을 추가하여

520 ugDFE/ 일 , 권장섭취량은 10% 의 변이계수를 고려하여 600 ugDFE/ 일로 정함

수유부는 모유로 엽산을 분비하기 때문에 비임신 비수유 여성보다 필요량이 증가

비임신 비수유 여성의 필요량에 모유로 분비되는 양을 계산하여 130 ug/ 일을 부가

평균필요량은 450 ugDFE/ 일로 정하고 ,

권장섭취량은 10% 변이계수를 고려하여 550 ugDFE/ 일로 정함

엽산의 권장섭취량

( 한국영양학회 2010)

Page 17: 임신 중 엽산  Folic Acid  in Pregnancy

엽산이 강화되지 않은 일반 식품을 통해서 과량의 엽산 (folate) 을 섭취하였을 때

인체에 유해영향을 나타냈다는 보고는 없음

인공 합성된 엽산 (folic acid) 을 보충제나 강화식품을 통해 과량 섭취할 때

유해영향이 나타날 수 있음

엽산 (Folic acid) 은 일반적으로 치료를 목적으로 안전하게 보충할 수 있음

7 개국에서 1,817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수행된 4 mg/day 의 folic acid

보충연구에서 유해영향이 보고되지 않았으므로 , 신경관 손상아 출산의 위험이 있는 임신부가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함

엽산의 상한섭취량

( 한국영양학회 2010)

Page 18: 임신 중 엽산  Folic Acid  in Pregnancy

엽산 (Folic acid) 자체가 신경계 독성을 일으킨다는 확실한 증거는 없음

임상적인 목적으로 엽산을 보충할 때 ‘간접독성’의 위험이 있음

비타민 B12 가 결핍된 사람이 엽산을 고용량 복용할 때 비타민 B12

결핍초기에 빈혈증세가 나타나지 않아서 비타민 B12 결핍 진단 방해

→ 아급성복합척수퇴화증 (SCD) 으로 악화

엽산의 상한섭취량

( 한국영양학회 2010)

Page 19: 임신 중 엽산  Folic Acid  in Pregnancy

엽산 (folic acid) 섭취량과 비타민 B12 결핍에 의한 빈혈증세가 가려지는

유해영향 사이의 체계적인 용량 - 반응 평가를 보고한 자료는 거의 없음

관련 자료들 대부분이 악성빈혈을 치료할 목적으로 엽산을 5 mg/day

이상의 엽산보충제를 사용한 사례 보고

이와 같이 엽산 5 mg/day 또는 그 이상 수준으로 보충할 때 신경질환이

진행된다는 사례가 100 여건 이상 보고됨

엽산의 상한섭취량

( 한국영양학회 2010)

Page 20: 임신 중 엽산  Folic Acid  in Pregnancy

FDA 의 Folic Acid Subcommittee(1993) 는 엽산 보충의 유해영향 가운데 비타민 B12 결핍에 의한 빈혈 증세를 가리는 것을 가장 심각한

유해영향으로 간주 , 이를 상한섭취량 설정의 독성종말점으로 사용

미국 영양섭취기준 보고서 (1998) 에서는 엽산을 보충할 때

혈액학적 증세가 가려지는 것보다 더 심각한 유해영향은 신경증세가

진행되어 악화되는 것이므로 이를 독성종말점으로 간주

악성빈혈은 혈청 methylmalonate(MMA) 나 호모시스테인을 측정하면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고 보기 때문

엽산의 상한섭취량

( 한국영양학회 2010)

Page 21: 임신 중 엽산  Folic Acid  in Pregnancy

지금까지 보고된 자료들을 종합하면 5 mg/day 이상의 엽산을 보충하면

신경증세가 진행된다는 보고가 대부분

엽산 1 mg/day 와 5 mg/day 사이를 보충할 때는

신경증세가 진행된다는 보고가 많지 않음

따라서 엽산 5 mg/day 를 최저독성량 (LOAEL) 으로 채택

불확실계수는 5 보다 크지 않다고 판단하여 5 로 적용

최저독성량을 불확실계수로 나누어

한국인 상한섭취량을 1 mg/day 로 설정

엽산의 상한섭취량

( 한국영양학회 2010)

Page 22: 임신 중 엽산  Folic Acid  in Pregnancy

임신을 준비할 때 5 mg/day 용량의 엽산을 보충하는 것은

문제가 없음을 보고

고용량의 엽산을 복용할 시 암의 발생률이 증가한다는 보고가 있지만 몇 년에 걸쳐 장기간 복용한 경우 암 발생 위험성이 증가하였고 ,

임신 몇 개월 전부터 임신 초기까지 복용한 경우에는 해당하지 않음

한 연구에서는 직장암을 제외한 유방암 , 췌장암 , 난소암 등의 발병률을 20~30% 감소시켰음을 보고함

다른 연구에서는 유산과의 관련성도 없음을 입증

( 엽산 4mg/day 용량에서 )

엽산의 상한섭취량

(Koren G 2008)

(Villa-Nova C 2013)

Page 23: 임신 중 엽산  Folic Acid  in Pregnancy

신경관 손상아를 출산한 경험이 있는 여성 , 엽산 대사 과정에

관여하는 유전자가 일반 사람과 다른 경우 , 당뇨병이 있는 경우 ,

흡수를 잘 못하는 경우 , 항엽산제를 복용하는 경우 , 비만인 경우 ,

흡연을 하는 경우에는 5 mg/day 용량의 엽산 섭취를

권장

엽산의 상한섭취량

(Koren G. 2012)

Page 24: 임신 중 엽산  Folic Acid  in Pregnancy

임신 기간 중 섭취하는 고용량의 엽산은 문제가 없다고 보고

엽산 섭취 용량을 증가시킬수록 태아의 신경관 결손증이 감소

임신 몇 개월 전부터 임신 초기까지는 고용량으로 복용하여

태아에게 충분하게 엽산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음

결론

Page 25: 임신 중 엽산  Folic Acid  in Pregnancy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