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 역 정치치치 상상 맞맞 중중 증 · 2007-06-26 · 여론 조사에서, 국민의...

17
제 2 차대전중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둘러싸고, 서울이 일본대사관 앞에서 시리즈 소개 시리즈에서는 동아시아에서 현대의 서막이 된, 아편 1 전문 한국에서는 포괄적인 “과거의 청산”이 진행되고 있고, 대만에서는 새로운 정치 움직임이 역사를 둘러싼 논의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역사 문제가 공산당 지배의 정통성에 영향을 주는 중국은, 과거 사건을 어떻게 평가할까에 대해 더한층 민감하다. 그리고 일본에서는 군사력에 의한 침략과 지배에 대한 반성으로부터 제정된 현행 헌법을 바꾸려는 움직임이 강해지고 있다. 신 시리즈 “역사는 살아 있다 동아시아 150 년”을 시작함에 즈음하여, 동아시아 각국에서의 ‘역사’ 인식의 중요성높아지고 있는 현 상황을 비롯해, 글로벌리제이션 속에서 큰 변화를 보이기 시작한 역사 교육의 최신 사정을 보고한다. 항의 하는 한국 여성들 (2007.5.2 로이터) 전쟁(1840 )에서부터 냉전 종결까지를 대상으로, 0 테마를 선택하여, 현재와의 연관성과 <교류와 연쇄>라는 새로운 관점에서 역사를 재현합니다. 동시에, 각국의 역사 교과서를 비교하여, 역사에 관한 우리의 ‘기억’이 어떻게 만들어져 왔는지도 심도있게 살펴보고자 합니다. 1

Upload: others

Post on 26-Jun-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왜왜왜 지지지금금금 역역역사사사인인인가가가・・・ ・・・ ・・・정정정치치치 상상상황황황과과과 맞맞맞물물물려려려 중중중요요요성성성 증증증대대대

제 2 차대전중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둘러싸고, 서울이 일본대사관 앞에서

시리즈 소개

이 시리즈에서는 동아시아에서 근 ・ 현대의 서막이 된, 아편

년 1

■ 전문

한국에서는 포괄적인 “과거의 청산”이 진행되고 있고, 대만에서는 새로운 정치

움직임이 역사를 둘러싼 논의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역사 문제가 공산당 지배의

정통성에 향을 주는 중국은, 과거 사건을 어떻게 평가할까에 대해 더한층 민감하다.

그리고 일본에서는 군사력에 의한 침략과 지배에 대한 반성으로부터 제정된 현행

헌법을 바꾸려는 움직임이 강해지고 있다.

신 시리즈 “역사는 살아 있다 동아시아 150 년”을 시작함에 즈음하여, 동아시아

각국에서의 ‘역사’ 인식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현 상황을 비롯해, 글로벌리제이션

속에서 큰 변화를 보이기 시작한 역사 교육의 최신 사정을 보고한다.

항의 하는 한국 여성들 (2007.5.2 로이터)

전쟁(1840 )에서부터 냉전 종결까지를 대상으로, 0 테마를 선택하여, 현재와의

연관성과 <교류와 연쇄>라는 새로운 관점에서 역사를 재현합니다. 동시에, 각국의 역사

교과서를 비교하여, 역사에 관한 우리의 ‘기억’이 어떻게 만들어져 왔는지도 심도있게

살펴보고자 합니다.

1

공공산산당당 정정권권의의 존존립립 기기반반

전쟁을 둘러싼 역사 인식은 일본과 중국의 큰 불씨다. 한편, 중국의 경제와

사회가

전력을

재작년, 공산당이 전후 60 주년 기념 활동 시에 내린 통지이다. 공산당은

때때로 이

도한다는 것이 공산당의 입장이다.

하지만, 시장 경제의 진전과 세대 교체 등으로 사람들의 의식은 다양화되었다.

사상과 보

논문은 근대의 제 2 차 아편전쟁과 의화단사건에서, 중국 측도 지나친 대응과

국제법 위

당국 측은 “열강의 침략 죄를 뒤집고, 역사적 사실을 거역했으며, 보도 선전

규율 을

논문이라 하더라도 신문에 실리면, 정치 선전으로 간주한다는 자세이다.

역사

하지만, 이러한 공산당이 스스로 역사 인식을 조정하기도 한다. 최근, 항일

전쟁에서

중중국국

크게 변화하면서, 국내에서도 공산당의 역사관에 대한 반론이 있다. 역사를

둘러싼 내외로부터의 압력에 공산당 정권은 대결과 타협으로 대응하고 있다.

“민족이 단결한(일본군과의) 항전에서 공산당이 중심 역할을 완수한 것을

다하여 선전하라”

런 선전 활동을 한다. “침략과 봉건주의에 대항하여, 인민국가를 만들었다”는

근・현대사야말로 정권의 존립 기반이기 때문이다.

그 공적을 토대로 하여 사회주의 국가 수립을 선

근 ・ 현대의 역사 과정을 국민에게 철저히 숙지시키는 것이, 정권을 지키는 중요한

일이다.

도의 통제 하에서도 학자나 기자들이 여러 문제에 관한 독자적인 의견을

발신하고 있다. 그 중, 작년에 주요지에 게재된 역사 교과서를 둘러싼 학자의 논문이

큰 문제가 되었다.

반이 있었는데도 불구하고 교과서에서는 이들을 완전히 정당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리고 “이성에 근거하는 것이 현대화의 기본 정신이다”라며, 교과서도

냉정하고 객관적으로 기술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거역했다”라고 비난하여, 논문이 실린 특집 코너를 페쇄했다. 편집자 등은

경질되었다.

학술

당은 교육을 비판하는 것은 간과하지 않겠다는 자세를 보여 주었다.

국민당 군의 역할을 재검토한 것도 일례이다.

2

국민당은 오랜 세월 일본에 “저항하지 않았다”고 강조해 왔지만, 공적에 대해서도

, 중국의 수뇌부와 주요 미디어가 최근 들어, 평화롭게 발전한 일본의

전후사를

(이소가와 토모요시 五十川倫義)

민민주주화화 거거쳐쳐서서 과과거거 청청산산으으로로

“친일반민족행위자 재산조사위원회”. 이런 이름의 한국 정부 기관이 5 월 2 일,

다면 의아하게

하지만, 한국에서는 “친일파가 지탄을 받으면 통쾌하다”라는 국민 감정이

도 강 해를

다.

과거를 단죄하는 시도는 1948 년 한국 건국 당시에도 있었다. 이승만 대통령

의 “

이승만 정권 후의 박정희 대통령은 1965 년, 일본과 국교를 수립한다. 냉전

초점을 맞추어 평가를 끌어 올렸다. 대만과의 통일을 목표로, 현재는 대만의 야당인

국민당을 끌어 들이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평가하고 있다. 일본 측의 요구도 감안하여, 대일 관계 안정을 위해 취한

조치로 여겨진다. 근・현대사에 있어서 공산당의 평가에 크게 향을 주지 않는

범위라면, 정치적 략을 고려하여 역사 인식을 더 조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한국국

일본과의 “합방조약”(1910 년)에 서명한 당시 수상이었던 이완용 등 ‘친일파’ 자손들이

상속받은 토지를 국가 소유로 한다는, 결정을 처음으로 내렸다.

“왜 지금인가” “자손도 책임을 져야 하는가”. 일본에서 본

생각하는 사람도 적지는 않을 것이다.

지금 하다. 일본의 통치를 받았던 시대만을 추궁하는 것은 아니다. “진실・화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와, “KCIA”라 불렸던 정보 기관의 어두운 과거를 밝히는

“진상규명 발전위원회” 등, 역사를 돌아보는 작업은 전후의 독재 정권도 대상이 된

“담당 기관은 16 이고, 그 중 13 은 현 노무현 정부가 발족한 후 생겼다”고 당국자는

말한다.

직속 반민족행위 특별조사위원회”가 그것이다. 그러나 얼마 가지 않아 좌절한다.

강한 반일주의자 던 그도 건국 기초를 다지기 위해, 해방 전 일본 통치에 가담한

“친일파”의 지식과 실무 경험을 필요로 했기 때문이다.

3

하에서의 북한과의 적대 관계, 경제 발전의 필요, 독재, 민주화 탄압. 그러한 사정들이

역사의 청산을 막았다.

환경이 바뀐 것은 1990 년대에 들어와서 다. 민주화의 진행, 냉전도 막을

고,

김 삼 정권(1993~98 년)이 선구가 된다. “역사 바로 세우기”라고 주창하며,

일찌기 자

그러나 그러한 행동은 체계적이지 못했다. 역사의 재검토를 본격적으로

은 노 대통령과 그 측근들의 정치적인 신념을 반 한 것이기도 하다.

민주화 운 ,

“어디까지나 우리 민족에 의한 스스로의 역사 청산이며 반성이다”.라고,

한국 내에는 보수 세력을 공격하기 위한 정치적인 도구다라는 경계도 있다.

에,

(고스게 고이치 小菅幸一)

내렸 경제 성장으로 한국민은 여유와 자신을 가지게 되었다.

신도 탄압을 당한 군사 정권을 처단했다. 조선시대 왕궁의 정면을 가로막은

곳에 일본이 지은 조선 총독부 건물을 해체한 것은 상징적인 일이다.

‘제도화’하여, 포괄적으로 검토에 임한 것이 현재의 노무현 정부이다.

이것

동에 매진하여, 기득권 층과는 거리가 멀었다. “숨겨진 역사를 분명히 하여

시민의 입장에서 해석하고 소화해 나가고 싶다”는 강한 자각일 것이다.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위원회”의 서민교 전문위원은 의의를 말했다. 일련의 역

재검토 작업은 일본을 비롯한 다른 여러나라를 향한 것이 아니다. 다만, 과거 청산의

열기가 고양된 가운데에서 일어난, 고이즈미 수상의 야스쿠니 참배 등이 강한 반발을

불러 일으킨 것은 틀림없다.

동시 역사의 진실 찾기는 시대적인 필연이라는 견해가 많다. 노무현 정부가

아니더라도 역사청산은 이뤄졌다는 것이다. 민주화의 심화에 의한 시민의 존재감

세대 교체가 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친일파의 토지 몰수

국 정부의 “친일반민족행위자 재산조사위원회”는 5 월 2 일,

부 협력하거나

4

일합방조약에 조인한 당시 수상이었던 이완용 등, 친일파 9 명의 자손이

상속한 토지 합계 약 25 만 5 천 평방미터를 국가 소유로 한다는 결정을

내렸다. 그 토지에 대해 위원회는, 9 명이 식민지 지배에 이르는

과정에서 터 독립할 때까지, 일본에 저항 운동을 탄압하는

등의 ‘매국 행위’에 의해 축재한 것이라고 판정하 다.

높높아아지지는는 대대만만인인 의의식식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대만의 주권을 계승했다고 강조하지만, 대만에 의무를

중국과의 관계를 담당하는 대만 행정원(내각) 대륙 위원회의 젊은 관료는 단번에

이렇

관계는 이러한 과거사의 분노에서 기인한다. 더욱이 새로운 정치적

움직

년에 국민당에서 정권교체 된 민진당은 대만의 주체성을 강조하는 ‘대만

본토화’와,

인인가’에 대해

종 여론 조사에서는 1990 년대 후반부터 대만인이라는 대답이 늘고,

중국 들 선 센

덩후인(李登輝)전 총통은 1999 년에 중국과의 관계를 “특수한 나라와 나라와의

관계

대만 독립파는 “중화 민국”의 국호를 “대만국”, “대만 공화국”으로 변경할

것을

대대만만

다하지 못하고 있다. 예를 들면, 대만을 일본에 할양한 것과 1947 년 중화민국 정부에

의한 대만인 학살(2·28 사건)에 대해서 중국 정부는 대만인에게 정식 사죄도 보상도

하지 않고 있다”

게 말했다.

중국과의 대립

임이 새삼 역사에 관심을 향하게 한다.

2000

중국과의 차이를 강조하는 ‘탈 중국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대만 본연의 정체성을 생각할 때, 사람들은 ‘자신은 대만인인가, 중국

생각해 보지 않을 수 없다. 그 때, 역사가 시야에 들어 오는 것이다.

인이라는 대답은 줄어 고 있다. 작년 12 월의 정치대학 거연구 터의

조사에서는 대만인이 44%, 양쪽 모두가 45%에 비해, 중국인이라는 답은 6% 다.

대만인 의식의 고양인 것이다.

”라고 하는 “2 국론”을 제기하 다. 천수이볜(陳水扁)총통은 2002 년에 “일변

일국론”(一辺一国論)으로, 중국과 대만은 각각 다른 나라라고 주장했다. 두 중국의

맹반발을 불러왔다.

게다가,

요구하는 ‘정명(이름을 바로한다)’운동을 전개하여, “대만”이라는 호칭 사용을

요구하고 있다. 당국도 이에 응하여, 올 2 월에는 “중화우정”, “중국석유” 등의 공

기업명을 “대만우정”, “대만석유”로 바꾸었다.

5

명칭의 재검토, 대만이라는 아이덴티티의 재검토는 역사의 재검토로 연결된다.

역사

에 대해서도, 진상 규명을

대만의 장래를 결정하는 내년 봄의 총통 선거, 대만 독립의 움직임을 견제하는

중국과

(다무라 히로쯔구 田村宏嗣)

의 재검토는 역사 교육의 장에도 향을 미치고 있다.

국민당 정권 시대는 언급조차 금기 던 2·28 탄압 사건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2·28 사건은 대만 주권의 근원이다. 국민당에

의해서 왜곡되었던 사건의 진상을 밝히자”라고 하는 것은, 2·28 사건 기념기금회의

양젠롱(楊振隆)대표이다. 당국의 지원을 얻은 기금회는 2009 년 개관을 목표로

“2·28 국가기념관”을 건설 중이다.

의 관계 등, 대만 정치에서 “역사”가 가지는 의미는 크다.

2·28 사건

947 년, 중화민국 통치 하의 대만에서 일어난 주민과 정부의 충돌

인 된

1

건이다. 2 월 28 일, 암거래 담배 단속에 항의하는 주민에게 군이

발포하여, 전 지역으로 항의가 확산되었다. 정부는 탄압으로 돌아 섰다.

그로 인한 사망자는 1 만 8 천명~2 만 8 천명으로 추정된다. 대만인이

국민당과 대륙에서 온 중국 에게 반발하게 발단이 되었다.

6

개개헌헌에에 흔흔들들리리는는‘‘전전후후’

“전후 레짐으로부터의 탈각”을 내걸고, 미군 점령 하에서 만든 헌법은

바꿔야 한 )

세대 교체가 진행되어, 전쟁의 기억은 희미해져 간다. 고이즈미 준이치로 전

수상의 야

이러한 가운데, 이번달 수상을 지지하는 자민당의원 43 명이 “가치관 외교를

추진하는

하지만, 현 정권의 위험한 자세는 위안부 문제에 대한 마찰에서도 엿 볼 수

있다. 강

역사 문제는 한 나라가 일방적으로 끝내려 하여도, 그렇게 간단하게

끝나지는 않는다.

(후쿠다 히로키 福田宏樹)

일일본본

다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수상 아래, 일본은 지금 갈림길에 서 있다. 자민당은

개헌 초안 전문에서 전쟁의 반성을 지웠다. 이것은 헌법 9 조를 바꾸어 군대 보유를

명기하고, 지금까지의 전후 입장과는 분명히 선을 그음으로써, 역사 문제는 이미

끝났다는 선언을 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스쿠니 신사 참배는 중국과 한국의 맹반발을 불러 왔지만, 국내에서는 일정한

지지마저 모으게 되었다. 민주당 내에도 지지하는 세력이 있다.

의원회”를 만들었다. “자유·민주·인권·법의 지배”를 내걸고, 그러한 가치관에

맞지 않는 나라로서 중국을 지명했다. 한편, ‘기본 이념과 정치 철학’에서 양보할 수

없는 문제로, 야스쿠니 참배도 예를 들어 동지로서의 결속을 굳힌다고 말했다.

멤버로는 역사 교과서 문제 등에서 아베 씨와 보조를 같이한 의원들도 많다.

제성을 “광의인가 협의인가”로 나눈 당초 수상의 견해에 대해, 구미에서도

미디어를 중심으로 강한 비판이 일어났다. 그 대부분이 유태인 학살을 예로 든 바와

같이, 비판의 진정한 의미는 “그 시대의 정치 지도자가 부(負)의 역사를 어떻게 보려

하는가”라는 세계 공통의 과제이다.

7

변변변화화화하하하는는는 역역역사사사교교교육육육・・・ ・・・ ・・・한한한/

//중중중///대대대만만만///일일일본본본 최최최신신신 동동동향향향

8

수수업업 늘늘려려,, 동동아아시시아아 역역사사도도

동아시아에서 역사 교육을 근본적으로 바꾸려는 곳이 한국이다. 일본과 중국

의 빈번한 역사 문제를 계기로, 역사 교육을 강화하는 한편, 지금까지 “지나치게

자국 중심

립된

과목이 된

관은

“세계사의 흐름 속에서 한국사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분리된 지금까지의

상황이 비

아시아사”를 만드는 것도 획기적인 일이다.

육연 관은 “동아시아 사람들이 긴밀한 교류 관계를 가지면서 공통의 문화유산을

이루어 왔

역사 교과서에 대한

만 아니라, 중국과도 고대 국가인 고구려에 관한 논쟁이 일어나, 자국의 역사

교육에

여론 조사에서, 국민의 92%가 “일본,

역사 문제에 대해, 중장기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초·중·고등학교에서의 역사

교육을 강 야

한 것은 “일본의

문제가 제기되었을 때, 스스로의 역사 교육도 재검토하게 되었기 때문이다”(구

교육연구

한한국국

이었다”라는 비판을 받아 왔던 한국사 교육을 전면적으로 재검토한다.

지난 2 월에 발표되어 2009 년부터 순차적으로 실시되는 새 교육 과정에서

중학생과 고등학생에게 필수 던 “국사”(한국사)는 “역사”로 명칭이 바뀌고, 독

다. 각각 다른 교과서에 실려있던 한국사와 세계사의 내용이 통합된다.

교육인적자원부 소속으로, 신 과정 편성에 참가한 구난희 교육연구

정상적이었다”라고 설명했다.

고등학교 선택 과목에 새롭게 “동

구 교 구

다는 사실을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을 목표로 한다”고 말했다. 독일과 프랑스가

함께 진행한 공통의 역사 교과서 만들기가 참고가 되었다.

한국 정부가 개혁에 착수한 것은 2005 년이었다. 일본의

문제뿐 이

힘써야 할 필요를 느낀 것이 발단이다. 고등학교에서의 “역사”수업 시간은

“국사”보다 1 시간이 많은 주 3 시간이 된다.

2006 년 9 월, 한국 정부가 실시한

중국의

화해 한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역사 교육의 강화는

국민의 공동체 의식을 높인다”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88%에 달했다.

역사 교육의 강화와 더불어 ‘국수주의의 극복’을 목표로

교과서

관)라고 말한다. 하지만, 교과서의 내용에 대해서는 지금부터 생각해야 할

문제로 어디까지 실현될 수 있을지는 아직 미지수이다.

9

또한, “국사” 교과서는 정부가 저작권을 갖는 국정교과서 1 종류 밖에 없었다.

일련의 개혁과 아울러 검정화하는 안을 밝혔지만, “편향된 내용의 교과서가

나올 우려

가지

이 있다. 근본적인 개혁을 주창하는 이는 이명희 공주대 부교수등의 그룹이다.

현 정권,

의 문제점으로, 한국의 경제 발전에 대한 낮은 평가와

한 친근감을 들었다. “교과서는 특정한 가치관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역사적인

(요시자와 다쓰히코, 사쿠라이 이즈미 吉沢龍彦、桜井泉)

정부는

가 있다”는 반대 의견도 있어, 최종적인 방침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한국에서는 지금, 역사 교육의 개혁을 둘러싸고 민간 레벨에서도 여러

움직임

역사학 계의 강한 민족주의, 민중 중심 사관을 비판하며 새로운 교과서

만들기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이 부교수는 현 교과서

북한과의 강

사실 규명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고 말한다.

고구려를 둘러싼 역사 인식 문제

지, 한반도에서부터 중국 동북

지방에 걸친 지역에 존재한 고대 국가이다. 중국 정부의 연구 기관이,

20

고구려는 기원 전 1 세기부터 668 년까

02 년부터 시작한 연구 프로젝트 “동북 공정”(東北工程)을 통해 고구려를

중국의 방 정권이라고 평가하는 움직임이 보도되자, 고구려를 조선 민족의

역사로 보고 있는 한국이 강하게 반발했다. 중국이 단독으로 고구려 유적을

세계 유산에 등록 신청한 일과, 조선 민족의 성지로 여겨지는

백두산(중국명, 장백산(長白山))의 관광 개발 등이 얽혀, 한중 간의 역사

문제가 되고 있다.

10

글글로로벌벌리리제제이이션션으으로로 세세계계사사를를 충충실실히히

중국에서는 2001 년부터 대규모 교육 과정 개혁이 시작되어, 현재도 진행

이다. 역사 교육도 그 일환으로서 큰 변화를 보이고 있다.

서 자질 교육으로”라는

고, 입시 위주의 주입식 교육이 아닌 글로벌리제이션의 물결에 대응하는

인재 육성

정교과서 밖에 없던 교과서는 검정제로 바뀌었고,

용은 8 종류까지 증가했다. 교과서의 내용과 교수법을 정한 “교학 대강”은

“과정 표준”으로 정

표준 만들기에 참여한 연구자들의 소집역을 맡은 베이징사범대의

쥬한궈(朱漢国) 교수는 개혁의 배경에 대해 “중국의 입시 교육 폐해는 정말 심각하다.

이번 개혁

기를 수 있는 교육으로

다. 중국 역사 교과서(중학용)의 총 분량은 일본의 3 배 이상이지만, 내용은

상당히 엄

질 향상은 글로벌리제이션의 향으로 세계 각국이

진하고 있다. 역사 교육의 내용에 대해서는, 고등학교의 세계사를 상당히 충실히

엮었다”고

교해 보면, 자국의 근 ・ 현대사를 자세히 가르치고 있는 것이

드러진다. 과정 표준에서는 그 목적을 “민족적 자존심과 자신감을 내세우고,

애국주의

는 “중국은

중중국국

“애국주의”의 강조는 변함 없지만, “입시 교육에

슬로건을 걸

에 힘을 쏟고 있다.

일찍이 1 종류의 국

중학교

바뀌었고, 학교나 지역의 실 에 맞추어 탄력적인 운 을 할 수

있도록 했다.

과정

은 이를 시정하는데 목적이 있다”라고 설명했다.

그런 목적하에 지식 편중 교육에서 생각하는 힘을

바뀌었

선되어 있다고 한다.

쥬 교수는 “인재의 자

한다.

일본과 비

적 감정을 한층 강화하여, 중국 공산당 없이는 새로운 중국도 없다라는 도리를

알고, 중화민족 부흥을 위해 분투하는 신념을 확립한다” 고 쓰여져 있다.

중국의 역사 교육을 연구하는 게이오대학의 똰루이송(段瑞聡)준교수

11

공산당 일당 지배이므로, 공산당 지배의 정통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라도 역사 교육에

일정한 역

沢東)이 평가한 농민운동 등이 그다지 강조되지

것부

(사토 가즈오 佐藤和雄)

할이 요구된다”고 해설한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교학 대강”에 있던 “혁명 전통 교육” 이라는 말이

사라졌다는 점에 주목한다. 마오쩌둥(毛

않은 터가 “탈 이데올로기”의 진행이라고 지적한다.

12

대대만만 대대만만사사를를 독독립립

대만 독립을 지향하는 민진당 정권 아래, 대만에서도 역사 교육이 크게

전환되었다. 그 추진 역을 담당해 온 사람이 2004 년에 교육부장(교육부 장관)으로

취임한 역사학자 두쩐션(杜正勝) 씨이다. 두 씨는 “대만의 역사 교육은 정치 투쟁과

민족적 정체성으로 이어지는 것으로써, 교육 개혁 전체의 열쇠가 된다”고 설명한다.

대만에서의 교육 개혁은 리덩후인(李登輝) 전 정권(국민당) 후반인 1990 년대

중반부터 진행되어, 초・중・고교의 교과서 내용도 크게 바뀌었다.

지금까지는 ‘하나의 중국’이라는 입장에서 중국 대륙의 역사와 지리를 배우고,

학생들이 사는 대만의 역사는 그 일부로 여겨져, 아주 조금 밖에 가르칠 수 없었다.

교과서도 교육부 산하의 기관이 편집하는 표준 교과서 밖에 없었다.

대만을 주체로 하는 교육 개혁의 선구가 된 것이, 1997 년에 중학 1 년에

도입된 새로운 과목 “인식 대만”(대만을 알자)이었다. 이 과목은 역사, 지리, 사회의 3

부문으로 나누어져, 종래의 교과서에는 없었던 일본 식민 통치에 의한 대만 근대화에의

공헌과 전후 국민당에 의한 탄압(2·28 사건) 등도 자세히 다루고 있다. 두 씨는 이

“인식 대만”(사회편)의 편집 주임도 맡고 있다.

2000 년 민진당의 첸수이볜(陳水扁)정권이 탄생하면서, “인식 대만”은 5 년 간

사용된 후, 초・중학교 9 년을 일관 교육으로 한 새로운 과정의 도입으로, 이들 내용은

‘사회 역’에 포함되었다. 아울러, 자유화와 다양화를 중심으로 한 교과서제작도 민간

출판사로에 개방되어, 교육부가 심사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올해 9 월 신학기에는

새롭게 개정된 신 교과서가 등장한다.

두씨가 제창한 ‘동심원’이론이 현재 역사 교과서의 기반이 되고 있다. 가족,

고향으로부터, 대만, 중국, 세계로라는 동심원 상으로 이해를 넓혀간다. 나아가

“상금략고”(詳今略古) (지금을 자세하게, 옛날은 간략하게)라는 시간 축의 원칙도

밝혔다.

고등학교에서는 작년 신학기부터 새 역사 교과서가 사용되고 있다. 지금까지의

13

“본국사”와 “세계사”의 구분이, “대만사” “중국사” “세계사”로 바뀌었다. 고 1 의

상반기에 대만사를 배우고, 후반기에 중국사를 배운다. 두 씨는 “대만의 학생에게 있어

역사 교육의 최대의 변화”라고 평가한다.

한편, 야당인 국민당의 정치가들은 “수천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중국사가

압축되었다” “친일적이다”라고 반발하고 있어, 정치와 역사 교육이 밀접하게 얽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田村宏嗣 다무라 히로쯔구)

14

일일본본 교교육육기기본본법법 개개정정이이 전전기기로로

일본의 역사 교육도 전기를 맞이하려 하고 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수상은

지난 4 월, 국회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전후, 역사와 전통, 문화, 향토 그리고 나라에 대한 경의가, 오히려 소홀히

다루어져 왔다는 것이 나는 문제라고 본다. 이러한 문제 의식 속에서 교육기본법이

개정되었다”

작년 말, 전후 처음으로 개정된 동법은 “전통과 문화를 존중하고 나라와

향토를 사랑”하는 태도를 키울 것을 명기하 다. 이번 국회에서는 학교교육법 개정안이

성립될 전망으로, 문부과학성은 학습 지도 요령을 금년도 중에라도 개정할 생각이다.

일본의 중학교 역사 수업 시간 수는 중국이나 한국의 반 정도이다. 교과서

두께는 반에도 못 미친다. 이는 연간 총 수업 수가 적은데다가, 사회과 안에서 지리,

역사, 공민의 3 분야를 거의 균등하게 가르치기 때문이다. 게다가 고등학교에서는

필수인 세계사 과목이 ‘미 이수’로 밝혀지기도 했다.

이부키 분메(伊吹文明)문부과학 장관은 국회 심의에서, 고등학교에서 선택

과목으로 되어 있는 일본사의 필수화를 검토할 생각을 밝혔다. “역사적 사실을

가르침으로써, 나라를 사랑하는 태도가 길러진다”라고 말했다.

역사 교육의 변천에 대해, 상세한 메이지대 야마다 아키라(山田朗)교수는

“전후의 역사 교육은 전쟁 전의 반성으로부터 출발했지만, 일국주의로 회귀하려는

움직임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이를 고려한 후, 입시때문이 아니라, 아이들에게

필요한 역사 교육이란 무엇인가를 논의해야 한다”고 말한다.

(요시자와 다쓰히코 吉沢龍彦)

15

알알알력력력 극극극복복복을을을 향향향해해해 진진진행행행되되되는는는 공공공동동동 연연연구구구

역사 문제를 극복하려는 움직임도, 정부, 민간의 각 레벨에서는 이미

시작되었다.

정부 주도의 노력으로서는 작년 10 월의 일중 정상회담에서 합의된 일중 역사

공동 연구를 들 수 있다. 두번의 회합을 열어, 연구 테마를 결정했다. 근・현대는 9 개

장으로, 일청전쟁(중국에서는 갑오중일전쟁, 한국에서는 청일전쟁)과

만주사변(중국에서는 9∙18 사변) 등에 관한 역사적 사건들을 채택하여 논문을 집필한다.

내년 여름에는 공동 보고서를 공표할 예정이다.

고이즈미(小泉) 정권 시대에 시작된 한일 공동 연구는, 이미

제 1 기(2002 년~05 년)가 종료되었고. 제 2 기의 연구 위원회도 지난 4 월에 발족해, 역사

교과서에 대해서도 연구할 것에 합의했다.

단, 학술 연구에 정부가 관련되면 곤란한 일들이 생기기 마련이다.

한일 제 1 기 연구에 참가한 일본측 연구자는 “서로가 자국의 입장을 짊어지고 있는

형편이여서, 점잖게 공식적인 발언밖에 할수 없는 분위기 다”. 한국측 연구자도

“위원들은 자신이 말한 내용이 어떤 파문을 부르지 않을까하는 걱정에

압박당했다”라고 말한다. 제 2 기 멤버 선정에는 일본 측의 선출이 정부의 의도와도

관련하여 난항을 겪었다고 한다.

한편, 민간 레벨에서의 연구 교류는 시기의 흐름과 맞물려 활발한 상황으로,

어린이용 교재와 독본이 출간되는 등 결실을 보기 시작했다.

한일 간의 교사들이 공동 기획한 “마주보는 일본과 한국·조선의 역사”(아오키

서점青木書店)는 전근대편 상하 2 권이 작년에 양국에서 출판되었다. 올해 3 월에는

공통 교재 사용을 목표로, 역사학자 등이 공동 집필한 “일한 교류의 역사”(아카시

서점明石書店)도 출판되었다.

한・중・일 3 국의 연구자와 교사들이 근・현대사의 공통 교재로서 편집한

“미래를 여는 역사”(고분켄高文研)는 2005 년 출판 이래로, 일본에서 8 만부, 중국에서

11 만부, 한국에서도 5 만부가 팔렸다고 한다. 일부 학교에서는 실제로 수업에 활용하고

16

있다.

정부의 공동 연구와 민간 교류, 양쪽 다 참가하고 있는 서울시립대의 정재정

교수는 “민간 교류는 처음부터 공통의 문제 의식을 가진 사람들이 모이므로 신뢰

관계의 구축이 쉽다. 민간 교류와 정부 레벨에서의 대화를 동시에 계속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말한다.

(요시자와 다쓰히코吉沢龍彦)

*타이틀 디자인과 그래프 번역에 동아닷콤(dongA.com)에서 협력을 해주셨습니다*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