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장 근로자의 스트레스에 대한 한의계 연구경향 · 산업장 근로자의...

12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제23권 제2(201304) J Oriental Rehab Med 2013;23(2):117-128 117 수 : 2013년 3월 25일, 수정 : 2013년 4월 6일, 채택 : 2013년 4월 13일 교신저자 : 고성규, 서울시 동대문구 회기동 1번지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Tel : (02) 961-0339, Fax : (02) 966-1165, E-mail : [email protected] 산업장 근로자의 스트레스에 대한 한의계 연구경향 차윤엽고연석*이정한†⋅정원석 신병철 § 전찬용 고호연 선승호**장보형 ‡‡ 송윤경 ++ 고성규 ‡‡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교실,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교실*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교실 ,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교실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한방재활의학교실 § , 가천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세명대학교 충주한방병원 한방내과 ,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가천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교실 ++ ,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The Trends of Korean Medical Study on Stress in the Industrial Worker Yun-Yeop Cha, O.M.D., Youn-Seok Ko, O.M.D.*, Jung-Han Lee, O.M.D., Won-Suk Chung, O.M.D. Byung-Cheul Shin, O.M.D. § , Chan-Yong Jeon, O.M.D. , Ho-Yeon Go, O.M.D. , Seong-Ho Sun, O.M.D.** Bo-Hyoung Jang, M.D., Pd.D., M.P.H. ‡‡ , Yun-Kyung Song, O.M.D. ++ , Seong-Gyu Ko, M.D., Ph.D., M.P.H. ‡‡ Dept. of Rehabilitation Medicine of Korean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Sang-Ji University Dept. of Rehabilitation Medicine of Korean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Woo-Suk University* Dept. of Rehabilitation Medicine of Korean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Dept. of Rehabilitation Medicine of Korean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Dept. of Rehabilitation Medicine of School of Korea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Dep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Ga-Chon University Dept. of Internal Medicine, Korean Medical Hospital, Se-Myung University Dep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Sang-Ji University** Dept. of Rehabilitation Medicine of Korean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Ga-Chon University ++ Dep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rends of Korean medical study on stress in the industrial worker. Methods : We received numbers of the studies about stress in the industrial worker from 6 Korean web databases, using key words such as ‘Industry AND Stress’, ‘Oriental medicine AND Stress’, ‘Worker AND Stress’, ‘Workplace AND Stress’. We received 12 research papers and they were analyzed and the journals, the authors, the contents of 3 classification of those research papers. Results : Among them, we had 6 reviews of Dept. of preventive medicine and Dept. of third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and the rest of them were 6 reviews. We had 4 reviews of Korean Journal of Oriental Preventive Medical Society, 2 reviews of the Journal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2 reviews of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and so on.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reviews, we had 7 reviews of correlation of industrial worker and stress, 4 reviews of cause on the industrial worker’s stress and 1 case report. Conclusions : We reviewed the trends of Korean medical study on stress in the industrial worker. The stress in the industrial workers were related with the type of occupation, social psychology, drinking, smoking, the satisfaction of job, the harmony of organization. And we knew that the musculoskeletal pain was related to the industrial worker’s stress. In the future, abundant case studies, follow-up trials and RCTs should be done about the industrial worker’s stress. Key words : Stress, Industrial worker, Musculoskeletal

Upload: others

Post on 14-Oct-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제23권 제2호 (2013년 04월)

    J Oriental Rehab Med 2013;23(2):117-128

    117

    ■ 접 수 : 2013년 3월 25일, 수정 : 2013년 4월 6일, 채택 : 2013년 4월 13일■ 교신저자 : 고성규, 서울시 동대문구 회기동 1번지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Tel : (02) 961-0339, Fax : (02) 966-1165, E-mail : [email protected]

    산업장 근로자의 스트레스에 대한 한의계 연구경향

    차윤엽⋅고연석*⋅이정한†⋅정원석‡⋅신병철§⋅전찬용‖

    고호연¶⋅선승호**⋅장보형‡‡⋅송윤경++⋅고성규‡‡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교실,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교실*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교실†,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교실‡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한방재활의학교실§, 가천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세명대학교 충주한방병원 한방내과¶,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가천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교실++,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The Trends of Korean Medical Study on Stress

    in the Industrial Worker

    Yun-Yeop Cha, O.M.D., Youn-Seok Ko, O.M.D.*, Jung-Han Lee, O.M.D.†, Won-Suk Chung, O.M.D.‡Byung-Cheul Shin, O.M.D.§, Chan-Yong Jeon, O.M.D.‖, Ho-Yeon Go, O.M.D.¶, Seong-Ho Sun, O.M.D.**

    Bo-Hyoung Jang, M.D., Pd.D., M.P.H.‡‡, Yun-Kyung Song, O.M.D.++, Seong-Gyu Ko, M.D., Ph.D., M.P.H.‡‡

    Dept. of Rehabilitation Medicine of Korean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Sang-Ji UniversityDept. of Rehabilitation Medicine of Korean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Woo-Suk University*

    Dept. of Rehabilitation Medicine of Korean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Won-Kwang University†Dept. of Rehabilitation Medicine of Korean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Dept. of Rehabilitation Medicine of School of Korea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Dep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Ga-Chon University‖

    Dept. of Internal Medicine, Korean Medical Hospital, Se-Myung University¶Dep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Sang-Ji University**

    Dept. of Rehabilitation Medicine of Korean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Ga-Chon University++Dep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rends of Korean medical study on stress in the industrial worker.Methods : We received numbers of the studies about stress in the industrial worker from 6 Korean web databases, using key words such as ‘Industry AND Stress’, ‘Oriental medicine AND Stress’, ‘Worker AND Stress’, ‘Workplace AND Stress’. We received 12 research papers and they were analyzed and the journals, the authors, the contents of 3 classification of those research papers.Results : Among them, we had 6 reviews of Dept. of preventive medicine and Dept. of third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and the rest of them were 6 reviews. We had 4 reviews of Korean Journal of Oriental Preventive Medical Society, 2 reviews of the Journal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2 reviews of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and so on.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reviews, we had 7 reviews of correlation of industrial worker and stress, 4 reviews of cause on the industrial worker’s stress and 1 case report. Conclusions : We reviewed the trends of Korean medical study on stress in the industrial worker. The stress in the industrial workers were related with the type of occupation, social psychology, drinking, smoking, the satisfaction of job, the harmony of organization.And we knew that the musculoskeletal pain was related to the industrial worker’s stress. In the future, abundant case studies, follow-up trials and RCTs should be done about the industrial worker’s stress.

    Key words : Stress, Industrial worker, Musculoskeletal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제23권 제2호 (2013년 04월)

    118

    Ⅰ. 서 론

    스트레스는 인체의 평형을 깨뜨릴 수 있는 모

    든 외부자극을 총칭하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주어

    지는 압력에 의해 유발되는 긴장감이라 할 수 있

    으며, 외부적인 자극에 의한 유기체의 비특이적

    반응이다1).

    특히, 직무에 따른 스트레스는 개인의 정신 및

    신체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조직 차

    원에서도 효과성과 관련된 직무만족이나 조직몰

    입 등과 같은 직무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

    게 된다2).

    또한, 근로자가 보이는 스트레스 반응은 질병

    이나 기능 장애의 선행요인으로 작용하여 신체

    및 정신건강을 위협하기도 하며3), 스트레스 수준

    은 개인은 물론 집단적 특성에 따라 작용한다.

    즉, 산업장과 같은 집단사회에서의 스트레스는

    개인의 문제만이 아니며, 집단의 건강상태와 생

    산성 및 의욕을 저하시키는 중요한 인자가 되기

    도 한다4).

    한의학에서도 모든 질병의 원인을 내인, 외인,

    불내외인으로 나누며, 그 중 情志에 상한 것을

    내인이라고 하여 스트레스를 원인 중 하나로 보

    았다5).

    이러한 한의학의 심신의학적 특징은 서양의학

    에 비해 이미 구체적인 내용들을 포함하고 있으

    며, 산업보건현장에서 주로 문제시 되고 있는 직

    무스트레스에 대한 의학적 영역에서의 관리 방법

    에서도 한의학이 큰 역할을 할 수 있다6)고 한다.

    최근 산업장 근로와 관련된 법령들에 한의학

    적 역할들의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그 중요성이

    증가 되고 있는데, 2012년 10월 1일부터 산재보

    험 ‘합병증 등 예방 관리를 위한 진료인정기준’에

    한방이 포함되어 산재환자의 상병 치유 후 후유

    증으로 인한 상병 악화 및 재발을 예방하기 위해

    진찰, 검사 등 필요한 의학적 조치를 취할 수 있

    게 되었으며7), 2012년 12월 1일부터는 국민기초

    생활수급자 의료급여 1・2종 구분 기준인 근로능

    력평가용 진단서 발급이 한의사도 가능해지면서

    산업재해 및 근로능력 평가 등에 한의학의 역할

    이 점점 더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8).

    현재 한의학계에서 사업장 근로자들의 질병에

    관한 연구 등은 많이 진행되고 있으나, 근로자를

    위협하는 유해인자인 스트레스와 연관된 논문은

    크게 많지 않아, 이에 대한 최근의 연구 현황 및

    경향을 분석해보고, 이를 토대로 향후 산업현장

    에서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한의

    학의 역할 및 근거 창출을 증대하는데 도움이 되

    고자 이에 대한 서술적 문헌고찰을 진행하게 되

    었다.

    Ⅱ. 연구 방법

    1. 논문 검색

    한의계의 연구 현황을 검색하기 위해 ‘전통의

    학정보포탈(OASIS)’, ‘학술 연구 정보 서비스(RISS)’,

    ‘국회도서관’, ‘과학기술정보 통합서비스(NDSL)’,

    ‘한국학술정보(KISS)’, ‘누리미디어(DBPIA)’를 통

    해 인터넷검색을 하였으며, 검색어는 ‘산업 AND

    스트레스’, ‘한방 AND 스트레스’, ‘근로자 AND

    스트레스’, ‘사업장 AND 스트레스’를 사용하였

    다. 기간은 연구 결과물들이 많지 않아 제한을

    두지 않았고, 한의계의 연구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한의학 관련 학회지의 결과물들로 한정하였다.

  • 산업장 근로자의 스트레스에 대한 한의계 연구경향

    119

    First author(year)

    Institution of author Title Name of journal

    Woo(1996)

    9) Dept. of Oriental Neuropsychiatry, Kyungsan UniversityA Study on the stress condition of

    apprentice doctor who were in Oriental Medical Hospital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Han(2004)10)

    Dept. of Third Medicine,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of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Dept. of Oriental Medicine, Graduate school, Wonkwang University

    Evaluation of Job Type-related Life Style And Stress in the Industrial Workers

    Kor. J. Oriental Preventive Medical

    Society

    Kim(2004)

    6)

    Dep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Third Medicine,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Wonkwang University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psychosocial

    Stress of Workers in the Automobile Industry

    The Journal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Kim(2004)

    11)

    Dep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Institute of Industrial

    Ecological Sciences, University of Occupational & Environmental Health, Japan

    Third Medicine,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Wonkwang University

    Evaluation of Musculoskeletal Subjective Symptoms and Stress in the

    Industrial Workers

    Kor. J. Oriental Preventive Medical

    Society

    Kim(2010)12)

    Dep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Dept. of Third Medicine,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The Relationship between Yangseng Leve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Heat Rate Variability on Blue-Collar Workers

    The Journal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Park(2010)

    13)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gu Haany University Report on the Qi-Stasis Degree of

    Workers by D.I.T.I.The Journal of

    East-West Medicine

    Kim(2011)

    14)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A Study on Job and Stress of Staff in Clinical Research of Oriental Medicine

    J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Table Ⅰ. Authors, Organs, Subjects of 12 Published Papers, Names of Journals, Years of Issue

    2. 연구 방법

    총 12편의 논문이 검색되었으며, 게재지, 제1

    저자의 소속 등을 통해 경향을 알아보았고, 연구

    내용의 성격에 따라 산업근로와 스트레스와의 상관

    성 및 경향분석, 근로에 따른 스트레스의 원인 분

    석, 치험례 등의 세 영역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Ⅲ. 결 과

    1. 검색된 논문

    총 12편의 논문이 있었으며, 12편 중 원광대학

    교 한방예방의학교실, 원광대학교 한의학전문대

    학원 제 3의학과에서 발표한 논문이 6편, 대구한

    의대학교 한방신경정신과, 내과 등에서 발표한 논

    문이 4편, 기타 한의학연구원 및 국립의료원, 동서

    한방병원 한방신경정신과에서 2편을 발표하였다.

    게재된 학회지는 대한예방한의학회지에 4편,

    한국전통의학지에 2편,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에

    2편, 기타 사상체질의학회지, 대한한의학회지, 동의

    생리병리학회지, 동서의학에 각각 1편씩 있었다.

    년도별로는 2000년 이전에 1편이 있었으며,

    2000년 이후가 11편이 있었다(Table Ⅰ). 연구내

    용의 유형에 따라서는 산업근로와 스트레스의 상

    관성 및 경향을 분석한 논문이 7편, 산업근로에

    서 스트레스의 원인 분석한 논문이 4편, 산업근

    로로 인한 질병 치험례가 1편 있었다(Table Ⅱ).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제23권 제2호 (2013년 04월)

    120

    Seo(2007)

    15)

    Dep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Dept. of Third Medicine,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Factors Affecting Heart Rate Variability in the Industrial Workers

    J. of Medical GI-GONG

    Ahn(2007)16)

    Dep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Dept. of Third Medicine,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A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Yangseng Level and Stress in Industrial

    Workers

    Kor. J. Oriental Preventive Medical

    Society

    Park(2008)

    17) Daegu Oriental Hospital of Daegu Haany University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rinking, Smoking and Stress of

    Workers by Analyzing Heart Rate Variability

    J Korean Oriental Med

    Jang(2011)

    18)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Hospital of Oriental

    Medicine, Daegu Haany University

    Analysis about Stress Index and Resistance of Workers by Heart Rate

    Variability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Seo(2007)19)

    Dept. of Oriental Neuropsychiatry, National Medicine Center.Dept. of Oriental Internal Medicine, National Medicine Center.

    Dept of Oriental Neuropsychiatry, Dongseo Oriental Medicine Hospital

    A Case Report of a Patient with Weakness of Heart and Gall bladder

    Type Somatization disorder induced by stress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 연구내용의 성격에 따른 논문 분석

    연구의 성격에 따라 다음의 3영역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대략적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Table Ⅱ).

    First author(year)

    Character of study Data source(n) Related outcome to stress

    Woo(1996)

    9)Analysis of Relationship and trend between Industrial Workers

    and StressQuestionnaire(39) Stress condition

    Han(2004)

    10)Analysis of Relationship and trend between Industrial Workers

    and StressQuestionnaire(474) Type-related Life Style

    Kim(2004)6)

    Analysis of Relationship and trend between Industrial Workers and Stress

    Questionnaire(370) Job characteristics

    Kim(2004)

    11)Analysis of Relationship and trend between Industrial Workers

    and StressQuestionnaire(474)

    Musculoskeletal subjective symptoms

    Kim(2010)

    12)Analysis of Relationship and trend between Industrial Workers

    and StressQuestionnaire(1,870)

    Yangseng leve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Park(2010)13)

    Analysis of Relationship and trend between Industrial Workers and Stress

    Questionnaire(23,767) Stress degree

    Kim(2011)

    14)Analysis of Relationship and trend between Industrial Workers

    and StressQuestionnaire(18) Job

    Seo(2007)

    15) Analysis of Stress factor of Industrial Workers Questionnaire(491) Stress factor

    Ahn(2007)16)

    Analysis of Stress factor of Industrial Workers Questionnaire(632) Yangseng level

    Park(2008)

    17) Analysis of Stress factor of Industrial Workers Questionnaire(21,239) Drinking, Smoking

    Jang(2011)

    18) Analysis of Stress factor of Industrial Workers Questionnaire(23,767) Stress factor

    Seo(2007)19)

    Case Report of Industrial Worker by Stress Medical record(1) Korean medical therapy

    Table Ⅱ. Detailed Information for 12 Published Papers

  • 산업장 근로자의 스트레스에 대한 한의계 연구경향

    121

    1) 산업근로와 스트레스의 상관성 및 경향 분석

    산업장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스트레스와의 상

    관성이나 경향 등에 대해서 분석한 논문이 다음

    의 총 7편 있었다.

    우 등9)은 대구 시내 2개의 한방병원의 수련의

    39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척도 검사와 임의로

    만든 설문조사를 통하여 이들의 스트레스 수준,

    대인관계, 스트레스 요인, 스트레스 증상에 대해

    보고하였다. Tomas E. Staats가 제작한 스트레스

    벡터분석검사와 집단/개인 스트레스 검사를 요

    약한 7분 스트레스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각 문

    항의 점수를 모두 더한 총점을 구하여 그 총점

    을 백분율 순위로 환산하고 검사를 받은 다른

    사람의 점수와 비교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스

    트레스 척도 중에서는 신체척도, 총체적 척도,

    정신 척도, 환경 척도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여

    자 수련의들의 스트레스가 더 높게 나타났고, 환

    경스트레스는 레지던트가, 신체, 정신적 스트레

    스는 인턴에게서 더 높게 나타났다. 그 외에 대

    인관계로는 행정직원, 간호사, 상급 수련의 순으

    로 힘든 관계라고 답했으며, 이런 대인관계가 스

    트레스의 가장 큰 요인으로 분석됐다. 그 외에

    스트레스로 인한 증상들을 육체적으로는 근골격

    계, 신경계, 소화기계 순으로 나타났으며, 정신적

    으로 七情과 관련지어 스트레스로 인해 잘 화가

    난다(怒)라는 답변이 제일 많았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한 등10)은 일개 산업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474부의 설문지를 작성받아 근무형태별 생활습

    관과 스트레스의 차이를 평가하였다. 생활습관

    은 흡연, 음주, 운동, 수면, 비만도에 관한 조사

    를 하였으며, 설문을 통한 스트레스 평가는 사회심

    리적 건강측정도구(psychological wellbeing index,

    PWI)를 사용하였다. 결과 음주형태는 생산직이

    주 2~4회로 가장 많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모든 직종별로 흡연을 하지 않는 군과 운동을

    주1회 이하로 하는 군이 유의성 있게 높았으며,

    직종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의 차이로 생산직이

    사회적 역할 및 자기 신뢰도, 일반건강 및 생명

    력 요인의 문항에서 가장 점수가 높았고, 기술직

    의 경우는 우울증 요인 문항에서 다른 직종과의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통해 산업장

    근로자의 직종별 생활습관과 스트레스의 차이가

    있다고 주장을 하였다.

    김 등6)은 일개 사업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사

    회 심리적 스트레스 수준, 직무 스트레스 수준,

    직업 관련 특성, 건강관련 특성에 관한 설문지

    370부를 작성케 하였으며, 이를 통해 표준화된

    직무 스트레스 요인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직장

    인들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에 관여하는 제 변수

    들을 분석하고, 정신건강수준의 지표로서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의 수준 및 스트레스 고위험군

    의 주요특성별 분포를 파악하고, 사회 심리적 스

    트레스에 관여하는 위험요인을 사회 인구학적

    특성과 직업관련 특성, 건강관련행위, 직무 스트

    레스 요인으로 구분하여 그 관련성을 파악하였

    다. 그 결과 운동을 하지 않는 그룹이 높은 수준

    의 직무요구도를 나타냈고, 반장, 주임, 2~5년

    사이의 근무자, 비교대 그룹에서 직무 통제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높은 사

    회심리적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50

    세 이상, 중졸 이하의 교육수준, 이혼, 별거 등의

    혼인관계, 기술직 외의 업무를 보는 경우, 반장,

    주임 등의 직위, 5~10년 사이의 근무년수, 비교

    대그룹, 흡연 후 금연, 음주, 기호 식품을 적게

    섭취하는 경우를 들었다. 또한 직무요구도는 요

    구수준이 증가될 때 스트레스 수준이 통계적으

    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직무 자율성은 낮을

    수록 높은 스트레스 수준을 보였다고 하였다. 다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제23권 제2호 (2013년 04월)

    122

    중 회귀분석을 통해 직무요구도와 직무 불안정

    여부에 따른 스트레스 수준에도 유의미한 차이

    를 나타내어 작업근로자의 스트레스 수준은 직

    무요구도나 직무통제성 같은 사회 심리적 요인

    들에 더 큰 형향을 받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김 등11)은 일개 산업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건

    강검진의 과정에서 근골격계 자각 증상, 생활습

    관, 스트레스 정도에 관한 설문지를 작성케 하여

    474부를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분석 방법

    은 연구대상자 중 근골격계 통증 자각 증상이

    있는 군과 없는 군으로 나누어 특성을 교차분석

    을 하였으며, 근골격계 자각증상의 유무와 스트

    레스 정도의 차이는 PWI(psychological wellbing

    index)의 총점과 Factor1(사회적 역할 및 자기

    신뢰도 요인 14개 문항), Factor2(우울증 요인 13

    개 문항), Factor3(수면장애 및 불안 요인 10개

    문항), Factor4(일반건강 및 생명력 요인 8개 문

    항)의 영역으로 나누어 T-test로 분석하였다. 스

    트레스 정도와 일반적 특성, 생활습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ANOVA, T-test를 시행하였다.

    결과로 근골격계 자각증상이 있는 군이 없는 군

    보다 사회심리적 스트레스가 영역별로 모두 점

    수가 높게 나왔으며, 사업장에서의 근골격계 질

    환이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 밀접한 관련이 있

    다고 말하고 있다.

    김 등12)은 생산직 남성 근로자를 대상으로 사

    회인구학적 변수, 건강관련 변수, 양생수준, 건강

    관련 삶의 질에 관한 설문지 1,870부를 연구자료

    로 사용하였으며, 자율신경평가장비를 이용하여

    심박변이도를 측정하여 이들 간의 유의성을 살

    펴보았다. 그 결과 양생수준은 건강관련 삶의 질

    각 분야와 대체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 양생수준이 높을수록 건강 관련

    삶의 질도 높다라고 이야기 하고 있다. 심박변이

    도는 주로 운동양생과 활동 및 휴식양생에 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나 적절한 운동과

    휴식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며, 건전한 생활습관

    이 양생수준과 삶의 질을 높인다고 주장하였다.

    박13)은 건강검진에 응한 근로자 23,767명을 대

    상으로 설문조사와 적외선 체열검사를 시행하여

    스트레스로 인한 氣㭗의 증상이 火熱의 형태로

    나타난다고 보아 기존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전

    중혈과 관원혈의 체표온도차에 따라 氣㭗의 정

    도를 정상, 경도, 중등도의 세 등급으로 구분하

    였고, 직종, 연령, 음주, 흡연, 운동 등의 인자와

    氣㭗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결과 직종은 기

    술직이 氣㭗과의 관계가 가장 높았고, 연령이 증

    가함에 따라 氣㭗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특

    히 40대에 가장 스트레스 정도가 심한 결과를

    이야기 하였다. 음주와 氣㭗의 관계는 음주자가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중등도의 氣㭗은 오

    히려 음주자에게 더 높은 결과를 이야기하였다.

    흡연과 氣㭗의 관계는 유의성이 없었다. 운동과

    의 관계에서는 운동을 하는 군이 氣㭗의 정도가

    낮다는 결과를 보여 평소 자발적인 관리가 중요

    하다고 강조하였다.

    김 등14)은 한국한의학연구원의 다기관 협력

    과제에 참가하고 있는 전국 12개 기관 한방 임

    상시험 실무자 18명을 대상으로 직무만족, 조직

    몰입, 직무성과 및 직무스트레스를 설문을 통해

    파악하고 관계를 규명하였다. 연구대상자 수가

    적어 제한점으로 제시하였으며, 결과로는 대상

    자가 느끼는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조직몰

    입 및 직무성과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

    며, 효과적으로 이들을 개선시킬 방안을 마련해

    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2) 산업근로에서 스트레스의 원인 분석

    산업장에서의 스트레스의 원인을 분석한 논문

  • 산업장 근로자의 스트레스에 대한 한의계 연구경향

    123

    은 4편이 있었는데, 공통적으로 운동이 스트레스

    에 저항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며, 흡연과 음주

    와의 관련성도 원인으로 분석하고 있었다.

    서 등15)은 일개 제조업체의 남성 근로자를 대

    상으로 건강검진 기간에 수진자의 일반적 특성,

    질병력, 건강관련 생활습관 등에 관한 설문을 하

    였고 심박동수 변이를 측정하여, 491부의 결과를

    얻어 이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나이가 어

    릴수록, 배우자가 있는 경우, 근무기간이 짧을수

    록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이 안정되어 있는 것

    으로 나타났으며, 질병과의 관계는 질병을 가지

    고 있거나 과거에 있었던 경우 전체적인 자율신

    경계 기능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현재

    질병을 갖고 있는 경우는 교감신경보다는 부교

    감신경이 더 저하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스트

    레스로 인하여 현재 질병이 더 악화가 될 수 있

    다고 주장하였다. 흡연, 음주, 수면시간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정기적인 운동을 하

    는 경우 자율신경계의 활성화에 영향을 미친다

    는 결론을 얻었다. 따라서, 생활습관 중에서 운

    동이 근로자의 건강관리에 있어 최선의 방법이

    라고 주장하였다.

    안 등16)은 일개 사업장의 남성 근로자를 대상

    으로 한방건강검진과정에서 건강관련 생활습관

    과 양생수준에 관한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고, 심

    장박동의 변화를 통한 자율신경 균형검사를 하

    여 632례를 분석하여 근로자의 양생수준과 스트

    레스와의 관계를 보고하였다. 양생수준은 배우

    자가 있는 경우, 흡연, 음주를 하지 않는 경우,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경우, 수면시간이 충분한

    경우, 종교를 갖고 있는 경우, 월소득이 높을수

    록 양생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자율신경균형검

    사와의 관계에서는 35세이상 40세 미만에서, 경

    력이 5~10년 사이, 흡연을 하지 않는 경우, 규칙

    적인 운동을 하는 경우, 수면시간이 6~7시간 정

    도의 경우가 활성도가 가장 높았다. 양생정도와

    자율신경 균형검사와의 상관관계에서는 운동양

    생만이 자율신경활성도와 스트레스 저항도에 양

    의 관계로, 스트레스 지수와 피로도와는 음의 관

    계로 상관성을 보였다. 이를 통해 스트레스는 개

    인적 특성보다 생활습관에 더 큰 영향을 받고

    있음을 주장하였으며, 운동양생이 스트레스와의

    상관성이 나타나 운동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박 등17)은 일개 사업장 근로자 21,239명을 대

    상으로 한방건강검진에서 성별, 연령, 과거력, 음

    주력, 흡연력 등의 설문조사와 심박동변이도를

    측정하여 스트레스 지수, 스트레스 저항도, 피로

    도를 조사하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음주자가 비음주자에 비해 유병율이 높았으며,

    흡연력의 경우는 질환의 유병율이 현재흡연자,

    비흡연자, 과거흡연자의 순으로 높았다. 음주력

    의 경우 스트레스 지수, 스트레스 저항도와는 연

    관성이 없었고, 피로도와는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흡연력에 따른 스트레스 지수, 피로도에

    는 현재 흡연자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스트레스

    저항도에서는 유의하게 낮은 결과를 발표했다.

    장18)은 일개 사업장의 제조회사 근로자 23,767

    명을 대상으로 성별, 나이, 현병력, 과거력, 가족

    력, 흡연여부, 음주여부, 운동여부 등에 관한 설

    문과 심박변이도 검사를 통해 이들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근로자들의 스트레스에 대한

    한의학적인 예방 및 치료에 대한 접근에 있어

    氣㭗, 㭗症에서 나타나는 정신적, 신체적 요소를

    기본으로 하고, 업무 성격에서는 판매직 근로자

    및 생산직 근로자들, 연령대에서는 40대 근로자

    들, 성별로는 남성 근로자들의 스트레스 및 관리

    의 취약성이 나타났다. 따라서 이에 대한 근로자

    의 각 특성에 맞는 변증을 통한 한의학적 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흡연, 음주의 스트레스에

    대한 위해성과 운동의 유익성을 한의학의 양생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제23권 제2호 (2013년 04월)

    124

    의 관점에서 스트레스의 관리에 도입하자고 주

    장하였다.

    3) 산업근로로 인한 질병 치험례

    1편이 있었으며, 서 등19)은 직장생활에서의 장

    기적인 경도의 스트레스로 인해 전환장애, 공황

    장애, 불안장애의 기왕력을 가지고, 현훈, 두통,

    소기무력감 및 좌경항부강직 등 다양한 신체적

    증상을 호소하는 31세 남자 환자에 대해 心膽虛

    怯으로 변증하여 한 달 간의 입원으로 한약투여,

    침치료, Emotional Freedom Techniques를 통해

    제반 신체화 증상 및 불안감, 대인관계에서의 자

    신감 등을 호전시킨 1례를 보고하였으며, 이러한

    한의학적 치료가 직장에서의 스트레스로 인한

    질환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Ⅳ. 고찰 및 결론

    직무스트레스는 업무관련성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으로 간주되고 있다20-22)

    . 최근 코호트 연

    구들은 직무스트레스와 같은 정신사회적 요인이

    요통과 어깨부위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인자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23-26)

    .

    스트레스가 중추신경계와 자율신경계를 통해

    근골격계의 긴장을 증가시키고 염증반응을 강화

    시킨다는 근거들이 제시되어27,28)

    , 직무스트레스

    는 근골격계질환 위험요인으로 인정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직무스트레스요인 관리가 근골격계질

    환 감소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관심

    도 증가하고 있다29).

    산업현장에서의 근골격계질환(Musculoskeletal

    Disorders, MSDs)이란 반복적인 동작, 부적절한

    작업 자세, 무리한 힘의 사용, 날카로운 면과의

    신체접촉, 진동 및 온도 등의 요인에 의하여 발

    생하는 건강장해로서 목, 어깨, 허리, 상・하지의

    신경・근육 및 그 주변 신체조직 등에 나타나는

    질환을 말한다. 근골격계질환은 질병의 특성상

    조기발견, 조기치료가 늦어지면 만성화되는 경

    향이 있다30).

    이에 대한 위험요인으로는 일반적으로 물리적

    인 작업요인, 사회심리적인 요인, 개인적인 요인

    의 범주로서 설명을 하고 있다. 사회심리적인 요

    인으로는 직업의 만족정도, 근무조건의 만족정

    도, 직업의 안정성, 상사 및 동료들과의 인간관

    계, 업무적 스트레스, 기타 정신 및 심리적 상태

    가 있다31)

    .

    우리나라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은 1999년

    까지 300여명 수준에서 완만하게 상승하였으나

    2000년 이후 크게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노동부

    산업재해 통계에 따르면 2008년도 근골격계질환

    자수는 6,733명으로 전체 업무상 질병자 9,734명

    의 69.2%를 차지하고 있으며, 1998년도 6.74%에

    비해 무려 10.2배 이상 증가하였다32).

    한의학에서는 질병을 발생시키는 원인으로 七

    情이나 外氣의 변화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七

    氣, 九氣, 氣痛, 氣鬱, 氣逆등으로 나누고 이를

    스트레스에 대한 인체의 반응으로 보기도 하였다.

    素問 「陰陽應象大論」에 “喜怒傷氣, 寒暑傷形, 暴

    怒傷陰, 暴喜傷陽”이라 하여 내부의 감정이나 외

    부 환경이 모두 스트레스의 유발원인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고, 素問 「疏五過論」에서는 “嘗

    貴後賤, 名曰脫營, 嘗富後貧, 名曰失精”, “暴樂暴

    苦, 始樂後苦, 皆傷精氣”라 하여 특히 감정적 원

    인이 무엇보다도 氣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을 맺

    고 장부기능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stressor로

    작용할 수 있음을 언급하였다33).

    ≪東醫寶鑑≫34)

    腰痛門 氣腰痛 條에서도 “凡

    人失志則心血不旺不養筋脈氣滯 腰痛不能久立遠

  • 산업장 근로자의 스트레스에 대한 한의계 연구경향

    125

    行……優思傷脾則腰痛 忿怒傷肝亦作腰痛” 이라

    고 하여 정신적인 스트레스로 일어나는 요통의

    기전과 증상 및 처방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한의학계에서 사업

    장 근로자들의 질병에 관한 연구가 많이 되고

    있으나, 근로자를 위협하는 중요한 유해인자인

    스트레스와 연관된 한의학계의 논문은 크게 많

    지 않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이에 대한 연구

    현황 및 경향을 분석해보고, 이를 토대로 향후

    산업현장에서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한의학적

    인 다양한 연구와 한의학의 역할을 증대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이에 대한 서술적 문헌고찰을 진

    행하게 되었다.

    총 12편의 논문이 있었으며, 12편 중 원광대

    학교 한방예방의학교실과 원광대학교 한의학전

    문대학원 제 3의학과에서 발표한 논문이 6편으

    로 가장 많았고,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신경정신

    과, 내과 등에서 발표한 논문이 4편, 기타 한의

    학연구원 및 국립의료원, 동서한방병원 한방신

    경정신과에서 2편이 있었다.

    학회지별로는 대한예방한의학회지에 4편, 한

    국전통의학지에 2편,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에 2

    편, 기타 사상체질의학회지, 대한한의학회지, 동

    의생리병리학회지, 동서의학에 각각 1편씩 있었

    다.

    연도별로는 2000년 이전에 1편이 있었으며,

    2000년 이후가 11편이 있었다.

    내용별로는 산업근로와 스트레스의 관련성 및

    경향을 분석한 한의학계의 논문이 7편이 있었는

    데, 2000년 이전에는 우 등9)의 논문이 있었으며

    한방병원 수련의를 대상으로 스트레스 척도 검

    사 등을 통해 경향을 분석한 논문이었다. 2000년

    이후로는 한 등10)이 산업장 근로자의 직종별 생

    활습관과 스트레스가 차이가 있다는 연구 발표

    를 하였으며, 김 등6)은 작업근로자의 스트레스

    수준은 직무요구도나 직무통계성 같은 사회심리

    적 요인들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고 주장하였다.

    김 등11)은 근골격계 자각증상이 있는 군이 없는

    군보다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는

    결과를 통해 근골격계 증상과 스트레스와의 관

    련성을 한 번 더 확인해 주었다. 김 등12)은 적절

    한 운동과 휴식이 산업근로의 스트레스에 저항

    성이 있다고 발표하였고, 박 등13)은 스트레스를

    한의학의 氣㭗로 보아 氣㭗의 상태를 통해 스트

    레스를 각 요소별로 측정하여 관련성을 설명하

    였으며, 김 등14)은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조

    직몰입, 직무성과의 상관성에 대해서 피력하였

    다.

    산업근로에서 스트레스의 원인을 분석한 논문

    은 총 4편이 있었는데, 서 등15), 안 등16), 장18)의

    논문에서는 공통적으로 운동이 근로자의 건강관

    리에 최선의 방법이라고 주장하였다. 박 등17)의

    논문에서는 음주, 흡연이 스트레스의 원인이 된

    다고 이야기 하였으며, 4편 모두 심박변이도 검

    사를 통해 스트레스를 측정하였다. 이는 향 후

    스트레스 관련 임상 시험의 경우에 심박변이도

    검사를 지표로 삼을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 외 산업근로로 인한 질병 치험례로 서 등19)의 발표가 1편 있었으며, 직장생활에서의 스트

    레스로 인한 정신적인 문제 및 신체적인 증상을

    한의학적 치료로 호전시킨 증례보고의 형태였

    다.

    전체적으로 한의학적인 관점에서의 산업장근

    로와 스트레스와의 연관성을 규명한 논문은 거

    의 없었으며, 또한 나아가서 임상시험 등의 치료

    효과를 규명하는 논문은 없었다.

    2012년 10월 1일부터 산재보험 ‘합병증 등 예

    방 관리를 위한 진료인정기준’에 한방이 포함되

    어 산재환자의 상병 치유 후 후유증으로 인한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제23권 제2호 (2013년 04월)

    126

    상병 악화 및 재발을 예방하기 위해 진찰, 검사

    등 필요한 의학적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되었으

    며7), 이로 인해 한의계의 산업장 근로 관련 임상

    시험 등의 연구가 더 많이 활발해 질 것으로 생

    각된다.

    살펴본 논문들을 요약하면 한의학계의 산업장

    근로와 스트레스 관련 논문은 크게 많지 않았으

    나, 직종, 사회심리적 요인, 음주, 흡연, 직무만

    족, 조직과의 융화 등이 스트레스와 관련이 많으

    며, 이러한 경우 근골격계 증상들이 나타날 가능

    성이 많고 해결을 위한 방법으로 운동이 가장

    중요하다는 내용이 있었다. 또한 향 후 산업근로

    와 관련된 근골격계 질환과 관련된 임상시험을

    통해 치료 효과 등을 규명하는 연구가 더 필요

    할 것으로 판단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 한의약선도기술개발사

    업의 지원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임(과제고유번

    호 : B120014)

    참고문헌

    1. Choi MS, Ahn KS. Job stress and reaction

    of dental hygienist by using the job strain

    model.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2010;10(4):595-6.

    2. Tark JG, Kim HH. The Moderating Effect of

    Team Relationship Oriented Climat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 and Job

    Stress.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2010;23(3):559.

    3. Lee S. Spirituality and Stress Responses in Small

    Industry Employees. J Korean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10;19(2):220.

    4. 손병철, 전진호, 이찬희, 김대환, 이창희, 박수

    경. 사회심리적 건강측정도구를 이용한 동일

    직장 내 생산직과 사무직 근로자의 스트레스

    수준 평가. 인제의학. 1999;20(1)433-46.

    5. 문용전, 안규석, 최승훈. 동의병리학. 서울:고

    문사. 1993:23-4.

    6. 김성삼, 홍지우, 한현정, 최희석, 권소희, 정해

    경, 김삼태, 송용선, 이기남. 일부 자동차 공장

    근로자들의 직업적 특성과 사회심리적 Stress의

    상관성 연구. 한국전통의학지. 2004;14(1):1-16.

    7. 세칙 251. 합병증 등 예방관리업무처리규정.

    2012년 10월 1일 시행: http://www.kcomwel.

    or.kr/ data/rule/rule_viw.jsp?dataId=2013&page=2.

    8. 근로능력평가의 기준 등에 관한 고시 제 2012

    -151호 2012. 11. 30. 전부개정: http://lawwizice.

    tistory.com/10589.

    9. 우주영, 정대규. 대구시내 한방병원 수련의의

    스트레스 양상에 관한 조사 연구. 동의신경정

    신과학회지. 1996;7(1):65-75.

    10. 한종민, 권소희, 정해경, 강흥구, 송용선, 이

    기남. 산업장 근로자의 직종별 생활습관과

    스트레스의 평가.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04;

    8(1):47-58.

    11. 김기철, 박승정, 장두섭, 김삼태, 김유철, 권

    소희, 정해경, 송용선, 이기남. 산업장 근로

    자의 근골격계 자각증상과 스트레스의 평가.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04;8(1):19-32.

    12. 김인창, 이경준, 정대성, 최은경, 최지영, 박

    정은, 정명수, 이기남. 생산직 근로자의 양생

    수준과 건강관련 삶의 질 및 심박변이도와

    의 관계. 한국전통의학지. 2010;18(2):33-57.

    13. 박 경. 적외선 체열진단을 통한 근로자들의

    氣㭗 정도에 관한 보고. 동서의학. 2010;35(3)

  • 산업장 근로자의 스트레스에 대한 한의계 연구경향

    127

    :85-94.

    14. 김윤영, 유종향, 김호석, 김윤정, 김상혁, 이

    시우. 한방 임상연구 실무자들의 직무 및 스

    트레스에 관한 연구. 사상체질의학회지. 2011;

    23(1):98-107.

    15. 서윤희, 정채빈, 서명효, 서종훈, 유호달, 필

    감매, 이기남. 사업장 근로자의 심박동 변이

    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의료기공학회

    지. 2007;10(1);130-57.

    16. 안훈모, 김성삼, 김완겸, 유호달, 정명수, 이

    기남. 근로자의 양생수준과 스트레스와의 관

    계.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07;11(1):109-29.

    17. 박영선, 김석중, 김종대. 일개사업장 근로자

    들의 한방건강검진에서 심박동변이도측정을

    통한 음주와 흡연여부에 따른 스트레스 결

    과 분석. 대한한의학회지. 2008;29(1):134-45.

    18. 장우석. 근로자들의 스트레스에 대한 심박변

    이도 검사를 통한 분석.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1;25(4):728-33.

    19. 서주희, 강현선, 김자영, 성우용, 나유진, 김

    주원. 스트레스로 유발된 신체화장애 환자를

    心膽虛怯으로 변증한 치험 1례. 동의신경정

    신과학회지. 2007;18(3):249-60.

    20. Kang DM, Kim YK, Kim JE. Job stress and

    musculoskeletal diseases. J Korean Med

    Assoc. 2011;54(8):851-8.

    21. McFarlane AC. Stress-related musculoskeletal

    pain. Best Pract Res Clin Rheumatol. 2007;

    21(3):549-65.

    22. Kompier MAJ, van der Beek AJ. Psychosocial

    factors at work and musculoskeletal disorders.

    Scand J Work Environ Health. 2008;34(5)

    :323-5.

    23. Koh DH, Kim HR, Chang SJ, Koh SB,

    Kang SK, Won JU, Roh JH. Analysis of

    the effect of job stress on occupational

    low back pain among shipyard workers

    using survival analysi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5;17(2):95-103.

    24. Feuerstein M, Shaw WS, Nicholas RA,

    Huang GD. From confounders to suspected

    risk factors: psychosocial factors and work

    -related upper extremity disorders. 31 J

    Electromyogr Kinesiol. 2004;14:171-8.

    25. Johnston V, Jimmieson NL, Jull G, Souvlis

    T. Contribution of individual, workplace,

    psychosocial and physiological factors to

    neck pain in female office workers. Eur J

    Pain. 2009;13:985-91.

    26. Feyer A, Herbison P, Williamson A, de

    Silva I, Mandryk J, Hendrie L, Hely M.

    The role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factors in occupational low back pain: a

    prospective cohort study. Occup Environ

    Med. 2000;57:116-20.

    27. Elfering A, Grebner S, Gerber H, Semmer

    N. Workplace observation of work stressors,

    catecholamines and musculoskeletal pain

    in male employees. Scand J Work Environ

    Health. 2008;34(5):337-44.

    28. Elfering A, Grebner S, Semmer NK, Gerber

    H. Time control, catecholamines and back

    pain among young nurses. Scand J Work

    Environ Health. 2002;28(6):386-93.

    29. Joling CI, Blatter BM, Ybema JF, Bongers

    PM. Can favorable psychosocial work conditions

    and high work dedication protect against

    the occurrence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Scand J Work Environ Health.

    2008;34(5):345-55.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제23권 제2호 (2013년 04월)

    128

    30. Erdil M, Dickerson OB. Cumulative trauma

    disorders: Preven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NY:Van Nostrand Reinhold. 1997:88-9.

    31. 구인순.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 예방관리

    방법.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0:4-7.

    32. 노동부. 산업재해현황분석. 1998~2007년도.

    33. 안상우. 스트레스의 개념에 대한 한의학적 해

    석.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1997;3(1):119-51.

    34. 許浚. 東醫寶鑑. 서울:南山堂. 1991:278-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