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 문화를 통한 군 인성교육 방법에 관한...

13
차 문화를 통한 군 인성교육 방법에 관한 연구 박 미 경 * 원광대학교 한국예다학연구소 교육위원장 Study on the Method Of Military Character Education through the Tea Culture Method Park, Mi-Kyeong * Education Director of Korean Tea & Tao Research Institute, Jeonbuk 54538, Korea 목 차 . 머리말 . 차 문화와 군 인성교육의 이론적 배경 . 차 문화와 군 인성교육 내용 . 차 문화를 통한 군 인성교육 방안 . 맺음국문초록 본 논문은 차 문화의 인성 교육적 요소를 검토해 보고, 기존 프로그램을 군 실정에 맞게 인성 교육 내용을 보완, 방법을 모색해 하고자 하 였다. 또한 본 연구자는 기존 차 문화 프로그램은 자연사랑, 충효사상, 생활예절, 법률사회, 수기치인 덕목으로써 개인적, 사회적, 국가적, 자연적 영역을 모두 포함하고 있어 군 인성교육에 적합하다고 보고 차 문화의 인성교육 기본 체계도를 구성했다. 자기이해와 타인이해, 정관리, 관계 개선, 의사소통, 희망적 미래설계, 협동 활동이다. 차 문화를 통한 인성교육 방법으로는 도입(문제의식화), 인지화(가치 규범을 바르게 이해하고 잘 판단하기), 심정화(가치규범을 깊이 느끼고 의욕 하기), 행동화(가치 규범에 따르는 행동을 실제로 해보면서 익히고 실 천 성향 높이기), 정리(종합 정리와 일상에서 확대 적용 및 생활화)로 다섯 가지 과정인 교수-학습 기본 모형을 제시했다. 추후 차 문화를 통한 군 인성교육을 진행하면서 교육을 받은 집단과 받지 않은 집단의 사전사후 검사를 통한 효과 검증이 양적질적으로 다양하게 이 루어져야 한다. 주제어: 차 문화, , 인성, 인성교육, 인성교육진흥법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educational and personal elements of the tea culture and tries to find a method that can complement personal and educational contents of an existing program according to military situations. Moreover, an existing tea culture program includes all areas- individual, social, national and natural- which are virtues of natural love, loyalty and filial piety thought, life etiquette, and law societies in society that we regard as suitable education for character in the military. A basic system of character education of the tea culture was constructed: self-understanding, understanding of others, emotion management, relationship improvement, communication, promising future design, and cooperation. We suggest five courses of teaching-learning basic model as a method of character education through the tea culture: introduction (awareness of a problem), recognition (to understand and judge correctly the value norms), feelings (worth to feel deeply the norm motivation), enaction (to learn and practice the value norms while increasing tendency to try to do), and consolidation (summarizing, applying the value norms and making it a way of life) A pre-, post- inspection of a group given the education and group not given the education after doing military character education through the tea culture is suggested. Key words: tea culture, military, character, character education, character education improvement act * Corresponding Author: Park, Mi-Kyeong, E-mail: [email protected], Tel: 82-63-850-5545, Fax: 82-63-850-5369 한국예다학 제2pp.37-49

Upload: others

Post on 06-Mar-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차 문화를 통한 군 인성교육 방법에 관한 연구

    박 미 경*37)

    원광대학교 한국예다학연구소 교육위원장

    Study on the Method Of Military Character Education through the Tea Culture Method

    Park, Mi-Kyeong*

    Education Director of Korean Tea & Tao Research Institute, Jeonbuk 54538, Korea

    목 차

    Ⅰ. 머리말Ⅱ. 차 문화와 군 인성교육의 이론적 배경Ⅲ. 차 문화와 군 인성교육 내용Ⅳ. 차 문화를 통한 군 인성교육 방안Ⅴ. 맺음말 및 제언

    국문초록

    본 논문은 차 문화의 인성 교육적 요소를 검토해 보고, 기존 프로그램을 군 실정에 맞게 인성 교육 내용을 보완, 방법을 모색해 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자는 기존 차 문화 프로그램은 자연사랑, 충효사상, 생활예절, 법률사회, 수기치인 덕목으로써 개인적, 사회적, 국가적, 자연적 영역을 모두 포함하고 있어 군 인성교육에 적합하다고 보고 차 문화의 인성교육 기본 체계도를 구성했다. 자기이해와 타인이해, 감정관리, 관계 개선, 의사소통, 희망적 미래설계, 협동 활동이다. 차 문화를 통한 인성교육 방법으로는 도입(문제의식화), 인지화(가치 규범을 바르게 이해하고 잘 판단하기), 심정화(가치규범을 깊이 느끼고 의욕 하기), 행동화(가치 규범에 따르는 행동을 실제로 해보면서 익히고 실천 성향 높이기), 정리(종합 정리와 일상에서 확대 적용 및 생활화)로 다섯 가지 과정인 교수-학습 기본 모형을 제시했다. 추후 차 문화를 통한 군 인성교육을 진행하면서 교육을 받은 집단과 받지 않은 집단의 사전⋅사후 검사를 통한 효과 검증이 양적⋅질적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주제어: 차 문화, 군, 인성, 인성교육, 인성교육진흥법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educational and personal elements of the tea culture and tries to find a method that can complement personal and educational contents of an existing program according to military situations. Moreover, an existing tea culture program includes all areas- individual, social, national and natural- which are virtues of natural love, loyalty and filial piety thought, life etiquette, and law societies in society that we regard as suitable education for character in the military. A basic system of character education of the tea culture was constructed: self-understanding, understanding of others, emotion management, relationship improvement, communication, promising future design, and cooperation. We suggest five courses of teaching-learning basic model as a method of character education through the tea culture: introduction (awareness of a problem), recognition (to understand and judge correctly the value norms), feelings (worth to feel deeply the norm motivation), enaction (to learn and practice the value norms while increasing tendency to try to do), and consolidation (summarizing, applying the value norms and making it a way of life) A pre-, post- inspection of a group given the education and group not given the education after doing military character education through the tea culture is suggested.Key words: tea culture, military, character, character education, character education improvement act

    * Corresponding Author: Park, Mi-Kyeong, E-mail: [email protected], Tel: 82-63-850-5545, Fax: 82-63-850-5369

    한국예다학 제2호 pp.37-49

  • 38 ▪ 한국예다학 제2호(2016. 04)

    Ⅰ. 머리말

    군(軍)에서 발생하는 총기난사, 자살, 성폭력, 각종 폭행 사건 등 크고 작은 일들은 국민의 생명과 재산, 국가안보와 직결돼 있기 때문에 국민들에게는 초미의 관심사항이 아닐

    수 없다. 이러한 문제는 군 내부의 근무 이탈, 내무 부조리, 취약한 안보의식 초래, 정신전력의 약화로 이어져 군 기강 자체를 흔드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장병들의 의식을 개선하기 위해 효과적인 인성교육 방

    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체계적인 장병 관리를 통해 내무 생활 속에서 체험을 바탕으로 올바른 가치관을 형성하

    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군 조직의 구성원은 장교, 부사관, 병으로 뚜렷하게 신

    분이 구분되어 있고 신분과 계급에 따라 역할과 책임, 권한과 대우에 차이가 있다. 군 조직은 조직 구성원의 사회 심리적 특성상 개인의 욕구보다 조직의 욕구가 우선되며 명

    령과 통제가 일반사회보다 보편화된 탈 개인적인 조직이라

    볼 수 있다.1) 지휘관의 품성과 덕성은 결국 부대의 사기, 군기, 단결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지휘통솔자의 품성 중 다른 무엇보다 중요 시 되어야 할 특성은 솔직

    함이다. 지휘관의 올바른 품성 및 덕성은 부하들의 자발적인 임무완수를 보장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볼 때 군의 존재 의의와 목적이 전승을 위한 것인 만큼 지휘관

    의 올바른 품성 및 덕성 함양은 무형전력의 극대화를 위해

    서도 필수적인 요소라 할 수 있을 것이다.인간성 회복에 기본 바탕을 둔 인성교육은 “올바른 인성

    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으로서 올바르게 생각하고, 행동할 수 있는 성격과 종합적 인격을 함양하기 위한 심성교육”이란 뜻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인성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인간다운 품성을 형성하는 것이며 인간의

    능력을 계발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사람됨의 교

    육, 품성, 인격도야, 도덕성의 고양, 가치관의 확립, 덕성의 함양 등의 의미를 골고루 지니고 있다.

    그러므로 인성교육의 소중함을 일깨우고, 군부대의 특이성에 맞는 현대적 방식을 통한 덕성의 중요성을 상기시키

    고, 동시에 긍정적 행동을 실천에 옮기도록 지도하며, 건강한 자신과 사회를 만들기 위한 마음 자세를 갖추도록 함에

    있다. 또한 바람직한 품성과 효율적 지도방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당나라 육우(陸羽)는 그의 저서 다경(茶經)에서 다도

    의 정신은 정행검덕(精行儉德)이라고 하였다. “차의 성미는 검소한 것이다.”라고 하였으며, “차는 그 맛이 지극히 차가워서 행실이 바르고 검소한 덕망 있는 사람이 마시기

    에 가장 알맞다.”라고 함으로써 차와 사람의 성미를 동격으로 보았다. 차를 마시어 검소한 덕망을 쌓는 것이 형이상학적 측면이라면 그는 차를 도덕적인 음료로 승화시킨

    것이다.2)

    차 한 잔을 우려내기 위한 반복된 행위 즉 수행이 정신

    적 훈련단계를 거쳐 올바른 인격을 함양시키고 일상의 삶

    전체를 풍요롭게 만들 수 있음을 알 수가 있다. 다도교육이 기본 생활습관을 형성시키고, 정서를 순화시켜 올바른 가치 판단을 유도하는데 효과가 있다. 또한 예절 및 질서의 기본 생활습관 향상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또 청결, 절제하는 마음과 함께 양보하기, 협동하는 마음, 공경하는 마음, 남을 배려하는 마음을 기르는 데 훌륭한 매개체가 된다. 한 잔의 차를 통하여 자연을 받아들이고, 면밀히 자신을 알아차리는 명상을 하고, 다시를 읽으며, 음악과 그림을 감상하고, 다식을 나누고, 맑은 이야기를 나누며, 예를 갖춰 인사를 하는 과정에서 문화적 소양과 바른 인성을 함양할 수

    있을 것이다.따라서 본 연구는 군 특성을 고려한 인성교육의 내실화

    를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고 기존 프로그램을 군의 실정에

    맞는 차 문화를 통한 인성 교육적 내용을 보완하고자 그 기

    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Ⅱ. 차 문화와 군 인성교육의 이론적 배경

    1. 차 문화의 이해

    차 문화는 차와 문화의 복합개념으로 차를 문화적으로

    해석한다는 뜻이다. 문화는 인류가 모든 시대를 통하여 학습에 의해서 이루어 놓은 정신적⋅물질적인 일체의 성과를 나타내며 의식주를 비롯하여 기술, 학문, 예술, 도덕, 종교 등의 물심양면에 걸치는 생활양식과 내용을 포함한다.3) 따라서 차 문화는 차를 마시는 행위와 관련된 예법과 차의 학

    문적 성과, 자기 수련 방법으로서의 다도, 차 및 다구 그리고 차회(茶會)를 통한 인격교류로서의 인간이해 등 다양한 관점이 포함된 포괄적 개념인 것이다.

    이러한 차 문화를 활성화할 경우 여러 가지 기능을 발휘

    1) 이용일, 「부모와의 대상관계가 군생할 적응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p.8.2) 박일심, 「다도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기본생활습관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pp.27-28. 3) 김순진, 「한⋅중⋅일 차문화 교육의 비교연구-고등교육기관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p.7.

  • 박 미 경 / 차 문화를 통한 군 인성교육 방법에 관한 연구 ▪ 39

    하게 된다.4) 첫째, 정서적 기능으로 스트레스 해소와 불안정한 감정들을 진정시키고 긍정적인 경험을 할 수 있게 함으

    로서 비공식적 지식체계 개발을 위한 수단이다. 둘째, 사회적 기능으로 의사소통 및 대인 관계 적응을 위한 매개체로

    서의 역할이다. 셋째, 신체적 기능으로 행다를 통한 신체기능 증진 및 회복 효과를 얻는다. 넷째, 교육적 기능으로 인간내면의 성장 및 평생 교육 프로그램으로서의 역할 갖는다.

    차 문화에 대해서 이색(李穡 1328-1396)은 세계 최초6)

    로 다도를 유가적 치국평천하의 기존 공부로 여기어 다사

    (茶事)를 군자가 되는 실질적 수양 방법이라고 주창하였다. 유가적 다도사상인 무사(無事)는 다도의 핵심적 정신으로 생각하여 매우 중요시 하였는데 목은이 손수 차를 끊여 마

    시고 나니 ‘사무사(思無邪)’가 되고 군자의 ‘정가(正家)’를 해야 할 것이며, 그 이후에야 천하를 생각할 수 있다는 뜻이다. 이색은 무사를 다도의 핵심적 정신으로 생각하였는데, 그의 다시(茶時) ‘차 마신 후 읊음(茶後小詠)7)’을 보면 그가 50세에 차를 마신 후 쓴 것으로 다도를 통하여

    대학(大學)의 8조목에서 일컫는 바, 성의⋅정심하여 수신(修身)함으로써 결국 제가(齊家)⋅치국(治國)하여 평천하(平天下)할 수 있다는 내용을 쓴 것이다.

    다사에서 즉 손수 물을 끓여 정성스럽게 차를 우리는 과

    정에서 몸과 마음을 닦고자 했던 이색의 차 생활을 엿볼 수

    있다. 따라서 차 한 잔을 우리는 행다 과정에서도 자기 자신의 처신을 올바로 할 수 있는 수신의 훈련 도구로서의 사

    용됨을 알 수가 있다.

    2. 군 인성교육의 의미와 현황

    1) 군 인성교육의 의미

    (1) 인성에 대한 정의

    최근 인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학자들도 인성에

    대하여 다양하게 정의하고 있다.에 나타나고 있듯이 인성의 어원과 사전적 의미

    4) 박찬이, 「차 문화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정서적 안정성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여자고등학생을 중심으로」, 한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p.22.5) 김소연, 「인성 교육적 관점에서 본 기독교대학 채플에 관한 연구-채플이 인성개발에 끼친 영향 분석」, 호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pp.18-19.6) 정영선, 「이색(李穡) 다도의 문화사적(文化史的) 업적과 후대에 미친 영향」 계명대학교 차문화연구소 학술심포지엄 Vol.1, 계명대학교 차문화연구소,

    2010, pp.10-11.

    7) 小甁汲泉水 破鐺烹露芽 耳根頓淸淨 鼻觀通紫霞 俄然眼蘙消 外境無纖瑕 舌辨喉下之 肌骨正不頗 靈台方寸地 皎皎思無邪 何暇及天下 君子當正家

    인성에 대한 학자들의 정의5)

    학자 / 구분 인성의 정의

    김용래(1990) 시간과 상황에 걸쳐 지속되며 사람들을 구별해주는 특징적인 사고, 감정, 행동의 양식

    남궁달화(1999) 한 사람의 마음 바탕과 사람됨의 바탕

    이근철(1996) 사람이 지니는 총체적인 성질을 표현한 것으로 인격, 성격, 성질, 품격 등의 의미를 총괄적으로 내포

    윤운성(1998) 지⋅정⋅의를 포함하는 마음과 가치지향적인 행동을 포함하는 특정한 반응양식의 개념 이성호(1996)

    좁게는 도덕성, 사회성 및 정서감정 등을 의미하지만 그것을 좀 넓게 보면 인성은 지⋅덕⋅체 또는 지⋅정⋅의를 모두 골고루 갖춘 전 인성을 의미

    이윤옥(1998) 다른 사람에게 주는 그 사람의 전체적인 인상으로 성품, 기질, 개성, 인격 등 가치개념의 의미를 내포

    한국교육학회

    (1998)사람의 마음바탕이 어떠하며 사람 된 모습이 어떠하다는 것을 말하는 개념으로 사람의 마음과 사람됨이라는 두

    가지 요소로 이루어짐

    황의연(1992) 환경에 대응하면서 나타나게 되는 행동 등의 총합

    Sulliva(1968) 인간생활을 특징짓는 재현적, 인간 상호적 장면의 지속적 유형

    Guilford(1969)인성을 대단히 광범위한 용어로 사용하면서 인간의 모든 개인적 특성 즉 개인의 신체적 특성, 지적 특성, 흥미 등을 모두 포함

    Rogers(1977) 인성을 우리 모든 경험의 중심이 되는 자아 즉 조직된 항구적인 그리고 주관적으로 지각된 실체

    Gordon(1981) 한 개인의 진짜모습 즉 그의 활동을 지시하고 이끌어 가는 내부에 있는 그 어떤 것

    Erikson(1965) 인간은 일생동안 여러 단계의 심리사회적 위기를 당면한다고 보고 인성이란 그에 따른 결과로서 기능을 하는 것

    Kelly(1974) 개인이 자기의 생활경험으로부터 스스로 의미를 만들어 가는 자기 나름의 독특한 방법

  • 40 ▪ 한국예다학 제2호(2016. 04)

    를 종합해 볼 때 인성이란 인간이 선천적으로 가지고 태어

    나는 특성과 가정환경, 교육 환경, 사회 환경의 모든 요인에 의해 형성되는 특성을 포괄하는 개인적인 독특한 특징

    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2) 군 인성교육의 의미

    장병들의 개인주의적이고, 타산적인 성향은 군에 유입됨과 동시에 기존의 군대조직의 가치 체계가 충돌하여 장병

    들이 군 생활에 적응하는 것을 어렵게 할 뿐만 아니라 군

    내부에서 새로운 갈등을 야기하여 각종 사고의 원인이 되

    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시키는 방안이 절실한 가운데, 군 내적으로 인성교육의 필요성이 부각되는 몇 가지 요인이 있다.

    첫째, 전통적 사회구성 집단의 교육 기능 약화이다. 핵가족 속에서 부모의 권위 약화는 가정교육의 약화를 가져

    왔다. 입시위주로 전인교육의 기회를 상실하게 된 학교교육은 극심한 경쟁 구도 속에서의 뚜렷한 가치관의 부재 속에

    다중인격의 인간상을 요구하는 경향으로 사회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병영 생활에서 발생하는 사고의 예방이다. 장병들

    의 의식구조를 군이 요구하는 방향으로 집결시키기 위하여

    자기 절제와 인내심, 협동심과 전우애, 책임 의식, 충⋅효⋅예 등 인격 전반에 걸친 인성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

    셋째, 군의 무형 전력 강화이다. 무기의 성능, 인원 장비의 수량, 육체적 훈련 정도 등의 외부적 요소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정신적 역량이 반드시 요구된다.8)

    군 조직은 일반 사회와는 달리 명령과 통제가 중요시되

    고 단체생활이 강조되기 때문에 군대생활 초기에 그들은

    심리적 불안과 갈등을 겪을 가능성이 크다. 예를 들어, 병영 내에서 총기난사 사건이나 탈영병의 총기난동사건 등은

    당사자의 군대생활 부적응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이다. 군의 간부와 병사 모두가 인성교육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직위에 따른 입장이 다르기 때문에 직위에 따른 차별화

    된 인성교육 방법이 필요하다. 군에서는 국가관이나 군인정신, 군기, 단결력, 사기 등의 교육은 군 전력의 향상과 직결되는 문제로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교육은 바로 인성교육에 바탕을 두었을 때 더욱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국가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하여 인성교육이 중

    요하며 특히 군은 오히려 매우 효과적인 주체일 수 있다.

    군은 대부분의 남성 젊은이들이 거쳐 가는 필수적인 코스

    이고, 아직 젊은 나이로 교정의 여지가 적지 않으며, 집단을 이루어 생활함에 따라 교육여건도 양호하기 때문이다.9)

    이러한 군에서 인성계발 교육의 의미는 가정교육, 학교교육, 사회교육의 병리현상으로 인하여 입대 장병들의 지식경제 위주의 편협한 사고방식을 군 교육을 통해 해소시키

    는 교육적 의미를 담고 있다. 또한 인성교육도 개인의 인성함양과 더불어 군인에게 요구되는 군인정신, 사이버 교양 및 지식, 인본주의에 입각한 사람의 도리인 “효(孝)”, 남을 배려할 줄 아는 봉사정신과 준법정신을 통해 개인이 추구

    하는 가치와 집단이 지향하는 가치가 동일시 될 때 민주군

    대는 막강한 전력을 발휘할 것이다. 따라서 군 인성교육은 동료 간 이해심, 단결심, 협동심, 동료애 등을 증진시키고, 집단의 사기를 진작시키고,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질서 있는 명령체계를 세울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일어날 수 있는 사건에 대해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대책의 한 방법이

    라 할 수 있다.

    2) 군 인성교육의 현황

    (1) 군 인성교육 유형 및 방법

    한경수10)는 군 창설 이래 장병 인성교육에 대해서 고민

    하거나 획기적으로 인성교육 유형 및 방법을 개선하겠다고

    시도한 적이 없었다고 밝혔다.

    구분 유형 방법 비고

    일일

    교육

    주입식

    교안설명

    ⋅인트라넷 공지⋅일일교육 담당자 출력/발표 - 주제 : 충⋅효⋅예⋅신⋅주입식 집체교육

    매일 아침

    08:30(10분간)

    주간

    교육

    시청각

    장비활용

    ⋅주관부서 VIP 테잎 배포 - 일관제작 획일적 교육⋅VIP 시청 - 동일한 내용 반복 교육⋅소감 발표 및 토론

    매수 수요일

    13:00-15:00

    특강주입식

    연설

    ⋅전문외래강사 초빙⋅군내/외 혁신 성공자 초청⋅모범장병 성공사례⋅귀순용사 체험사례

    필요시

    군 인성교육 유형 및 방법

    8) 강명구, 「인성교육과정으로서 군 자원봉사 프로그램 활용방안-전방 사단 장병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pp.27-28.9) 박휘락, 「군 인성교육의 필요성, 범위, 추진전략」 군대 갔다 와야 사람 된다, 한기호⋅군인성교육진흥협회, 서울, 2015, p.28.

    10) 한경수, 「정보화사회의 군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pp.28-29.

  • 박 미 경 / 차 문화를 통한 군 인성교육 방법에 관한 연구 ▪ 41

    에 나타나고 있듯이 여전히 전통적인 주입식 방법으로 의존하고 있으며 획일적인 교안을 제시하고 받아

    들이게 하는 인성교육의 한계성을 보이고 성과위주의 교

    육 유형 및 방법을 지속적으로 시행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2) 군 인성교육의 현황

    군 인성교육의 실상11)은 국방정신교육원에서는 1994년도에 인성교육의 일환으로 감수성 훈련을 도입하여 지(知)⋅정(情)⋅의(意)를 다루었다. 육군의 경우 1995년부터 반기 단위 집중정신교육 시 2박3일 인성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2007년-2013년까지 전투부대는 7-16시간, 기행부대는 4-10시간 프로그램을 진행해 오다가 2013년 7월부터 “군복무가치제고프로세스”를 하달하였다. 그리고 다음 2단계(신병교육) 군 복무 동기부여 및 자대 생활 불안감 해소와 3단계(자대 복무) 군 생활 및 인생 비전 설계로 생산적 군 복무 도모, 4단계(전역 전) 군 생활 정리 및 복무 자긍심 고취 프로그램에 인성교육 내용을 다수 포함하여

    실시하였다. 그러나 2014년부터는 연간 정훈 공고 활동(정신교육) 지시에서 인성교육 내용이 삭제되고 부대별 초빙교육 내지는 지휘관 시간을 이용한 기회교육으로 전환된

    상태이다.

    구분 프로그램Ⅰ 프로그램Ⅱ 프로그램Ⅲ 프로그램Ⅳ

    명칭 나와 너활기찬

    병영생활

    행복한 나

    사랑스런

    전우

    건전한

    민주시민으

    로 가는 길

    시기

    (시간)반기

    1회(24h)반기

    1회(24h)반기

    1회(24h)반기

    1회(24h)

    군 인성교육의 4단계 프로그램

    에서 확인했듯이 국방부의 2015년 정훈⋅문화 활동 지시를 보면 인성교육의 영역이 매우 축소되어 있으

    며 사실상 주간정신교육 중 각 군 본부에 위임되어 있는 문

    화단결활동 1시간, 반기 집중 정신 교육 중 부대에 위임된 16시간이 전부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시달된 정신교육 지침이 각 부대에서 시행될 때, 상당부분 형식적으로 진행되며 참석률도 저조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데, 차별화된 교육이 아니라 획일적으로 운영되는 측면이 많기 때문이다.

    Ⅲ. 차 문화와 군 인성교육 내용

    1. 차 문화가 가지는 인성 교육적 요소

    차 문화와 연관된 개념으로는 ‘다도’와 ‘다례’의 두 가지 개념이 있다. 다례는 문자 그대로 차를 마시는 예의범절과 관계된 용어이고 다도는 예의범절뿐만 아니라 정신수양과

    인격교류의 정신적 차원까지 포함하고 있는 보다 포괄적인

    의미를 갖는다. 이러한 어휘 자체가 갖는 속성 때문에 다도는 흔히 심신을 건강하게 해주고 예의범절을 갖추게 함으

    로서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건전한 인성을 함양할 수 있

    도록 돕는 훌륭한 도구가 될 수 있다고 하겠다.인성교육은 인지적 요소와 정의적 요소를 모두 포함하

    지만 대체로 정의적 요소에 더욱 비중을 두고 사람 됨됨이, 인격, 행동, 태도, 가치관 등을 올바르게 기르기 위한 측면이 있다. 인성을 인간 본성으로 이해 할 경우, 인성교육은 본성 또는 심성을 실현하도록 촉진하는 활동 또는 과정이

    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차 문화 교육은 형식적인 내용뿐만 아니라 잠재적 내용까지 포함하여 실로 광범위하

    다고 할 수 있다. 단순히 차를 끓여 마시거나 대접하는 행위 자체보다 차를 우려마시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정신과

    신체를 단련하는데 그 중요성을 두고 있어서 물질적인 면

    과 더불어 정신⋅문화적 측면에서 예절, 도덕, 의리, 친절, 화평, 기원, 존경, 사랑, 협동, 조화, 여유, 건강, 순리, 등의 많은 덕목이 내재 되어 있다고 하였다12)

    보편적으로 차 문화 교육의 내용을 예절, 다도, 정신수양과 같은 정신적 측면과 사회 규범적 측면에 강조점을 두

    고 있다. 또한 차 의 인성 교육적 요소 중 다른 교육과 다른 특이성은 차가 가지는 약리효능이다. 차가 갖는 성분으로 정신적⋅신체적 약리효능으로 인하여 일상생활에서 오는 스트레스나 정신적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고, 정신적⋅심리적⋅안정감을 찾을 수 있어 사람의 성품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군인이 견지해야 할 가장 소중한 가치관을 군인정신 6대 덕목(명예, 충성, 진정한 용기, 필승의 신념, 임전무퇴의 기상, 애국애족)으로 정의하고 있는데 이것은 시대를 초월하여 군인으로서 견지해야 할 가장 소중한 가치관이다.(군인복무 규율) 이러한 덕목은 하루아침에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끊임없는 노력과 인내, 자신에 대한 성찰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다.13)

    이러한 인내와 성찰은 차를 통해 기다리고 자신의 내면

    11) 최명욱, 「군 인성교육의 추진체계와 구현방안」 군대 갔다 와야 사람 된다, 한기호⋅군인성교육진흥협회, 서울, 2015, pp.71-72.12) 김순진, 앞의 논문, p.36.재인용.

  • 42 ▪ 한국예다학 제2호(2016. 04)

    을 살피는 것으로 훌륭한 인성 교육적 요소라 할 수 있다. 이진수15)는 다도란 차와 더불어 심신을 수련하고 다도

    의 멋 속에 인간의 도리를 추구하는 차에 관한 전반적인 수

    련의 길로서 차와 더불어 하늘의 이치(理致)를 생각하는 구심적(求心的)인 행위이며 중용에서 말하는 ‘참이 하늘의 길이고 참을 행하는 것이 사람의 길(誠者天之道 誠之者人之道)’ 일 때에 차를 통하여 참을 행하는 모든 것을 말한다고 하였다.

    북송 제8대 휘종황제(1107∼1110)16)는 20종의 차에 관한 글 대관다론(大觀茶論)을 썼는데 전편(前篇)에 ‘차는 맑고 화합에 이르게 하고(致淸導和), 담박하고 간결함

    (沖澹簡潔)과, 높고 고요한 운치에 이르게 한다(韻高致靜)’고 하였다. 요약하면 청⋅화⋅담⋅결⋅정(淸⋅和⋅澹⋅潔⋅靜)의 다도정신17)을 강조하였는데 차 문화는 인성과 관계 계선에 대한 예의적 요소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에서 「인성교육진흥법」에 따른 차 문화의 인성적 요소를 나타내고자 하였다. 차 문화의 인성 교육적 요소는 「인성교육진흥법」의 핵심 가치⋅덕목18)과 부합되며, 군 인성교육에도 적용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차 문화 인성교육은 김태완이 이야기하는 새로운

    인성교육으로서 사회성 감성 및 도덕성의 3차원, 6역량, 6

    13) 정경찬, 「학군사관후보생의 성장환경이 인성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p.28.14) 김태완, 글로벌 시대의 교육, 학지사, 서울, 2013, p.167.15) 이진수, 차의 이해, 꼬레알리즘, 서울, 2006, pp.181-182.16) 大觀茶論, 致淸導和 則非庸人孺子可得而知矣. 澹閒潔 韻高致靜 則非遑遽之時可得而好尙矣.(尹庚爀, 增補 茶文化古典, 弘益齋, 서울,

    2005, p.213).

    17) 김명배, 중국의 다도, 명문당, 서울, 2007, p.177. 18) 「인성교육진흥법」 제2조에서는 “인성교육이란 자신의 내면을 바르고 건전하게 가꾸고 타인⋅공동체⋅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인간다운 성품

    과 역량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그 핵심 가치⋅덕목으로는 “예(禮), 효(孝), 정직, 책임, 존중, 배려, 소통, 협동”을 제

    “인성교육진흥법” 핵심 가치⋅덕목

    인성 형성의

    현실적 어려움차 문화의 인성 교육적 요소

    소통 대화할 시간과 기회가 많지 않음 다담(茶談)을 통한 청어(淸語)를 나눌 수 있도록 기회제공

    예⋅효⋅배려 전통적 가치관이 변질 됨 전통문화를 이해하고 공경심을 갖게 함존중 도덕성과 인간성 상실 감성을 되살리고 자연과 생명을 존중하는 마음을 갖게 함

    책임⋅협동 개인적이고, 공동체 의식이 상실 규범적이고, 차의 정신인 화(和)를 실천할 수 있도록 함정직 단기간의 인성적 변화가 어려움 차의 약리작용과 반복된 정신 수양의 훈련 통한 바람직한 성품을 형성

    “인성교육진흥법”에 따른 차 문화의 인성 교육적 요소

    새로운 인성교육 개념 및 요소14)

  • 박 미 경 / 차 문화를 통한 군 인성교육 방법에 관한 연구 ▪ 43

    핵심 가치를 포괄하고 있다. 에 나타나고 있듯이 도덕성에 정직, 책임 이외

    에 감성에 긍정과 자율, 그리고 사회성의 하위 요인으로 공감과 소통은 지금 세대의 인성과 가장 걸 맞는 요소들임을

    밝혔다. 충만한 감성(자신을 제어 할 수 있는 힘)을 기반으로 타인에게 공감하는 능력이 풍부하며, 그 기반을 토대로 도덕성(사회활동을 올바르게 지속하게 도와주는 힘)과 사회성(남들과 소통할 수 있는 힘) 길러지는 것이다.19) 도덕성 이외에도 사회성과 감성을 3차원으로 동등하게 무게를 두고 있으며 지금 이 시대에 필요한 인성교육이라 하겠다. 감성은 자신을 제어 할 수 있는 힘, 사회성은 남과 소통하는 힘, 도덕성은 사회활동을 올바르게 지속하게 도와주는 힘으로 차 문화의 정신을 통해 흔히 찾아 볼 수 있는 요소로 이

    와 부합된다고 할 수 있다.

    2. 차 문화의 군 인성교육 내용

    고려 때는 다방(茶房)을 두었는데 조정이나 궁중의 여러 가지 행사에서 차를 준비하여 올리고 베푸는 등의 의례

    적인 다사(茶事) 맡아 진행하는 관청이다. 다방에 소속되어 궁중 밖에서 왕족에게 차를 올리거나 준비하는 일을 위해

    다구와 짐을 나르는 군인인 다방 군사가 있었는데, 이들은 왕이 행차할 때 행로(行爐)군사와 다담(茶擔)군사로 나뉘어져 의장대 행렬에 함께 뒤따랐다. 이미 오랜 시간 군과 차 문화는 깊은 관계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신라시대의 국선(國仙) 및 화랑들과 낭도들의 유람하며 수련할 때 차를 마실 도구를 지니고 다니던 풍습에서 유래되어 제

    도화된 것으로 보인다. 차 문화 인성교육이 군인 인성교육에 좋은 요소를 갖고

    있는데, 다음과 같이 정리 할 수 있다. 첫째, 정서적 안정과 자아각성의 효과가 있다. 둘째, 바람직한 인성을 도모할 수 있다. 습득된 의식이 내면화되어 바람직한 행동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셋째, 성격장애적 경향의 감소와 예방 혹은 치료적 효과를 발휘한다. 넷째, 가족과 함께 예의를 갖추고 차의 맛과 향을 음미하며 대화를 나누는 시간을 갖도록 돕

    는다. 다섯째, 예법존중(禮法尊重), 정서함양(情緖涵養)의 측면뿐만 아니라 정신문화 계승의 의미가 크다. 여섯째, 전

    통예절을 배워 인격수양과 우리 것에 대한 자긍심을 높이

    는데 기여한다고20) 하였다.이것을 근거로 차 문화를 통한 군인 인성교육의 의의를

    살펴보면 자발적이고, 긍정적 행동(언어 및 태도 등) 변화를 촉진⋅감정⋅동기⋅무의식 등 긍정적 내면적 상태 유지, 도덕성의 발달과 성숙 및 바람직한 품성, 정서적 안정, 자기 존중감과 효능감 향상, 인성회복 및 인간관계 개선(예절), 폭력 및 문제해결 능력, 자기관리와 공동체감 형성에 도움을 준다고 할 수 있다. 차의 정신을 통한 국민정신의 향상과 일상생활 속에서 예절 바른 태도(態度)와 생활의 멋을 지향하는데 도움을 주며, 가족 간의 유대증진, 인격수양, 정서함양에도 기여함으로 사회에서 필요성이 매우 높다고 하겠다.

    기존의 차 문화를 통한 인성교육 항목 선정내용을 살펴

    보면 구영본21)은 교양교육(차의 종류별 음다법, 한국의 세시풍속, 전통 음악의 이해, 다도철학), 차 생활 교육(행다례법 실기, 차 생활 실용다법, 차문화사, 차의 종류, 차의 과학-성분과 효능), 예절교육(기본예절, 예절의 의미와 절하는 마음, 한국복식의 이해, 우리절의 종류와 실기, 현대인의 인사예절), 실기(다과 만들기, 제다, 다례실습, 차 문화 유적 기행)로 이루어졌다고 하였다.

    또 김희자22)는 차 문화사(차의 역사, 차시 감상, 차 우리기와 마시기), 다경(강독), 찻자리에서의 마음가짐과 몸가짐(구용, 구사, 걷고⋅앉고⋅서기, 차 우리기), 한복과 인사예절(고름과 대님 매기, 찻자리에 어울리는 한복, 한복 입어보기, 큰절과 평절하기), 가족과의 찻자리(가족의 의미, 바람직한 부모상, 다도예절), 차 유적지 답사(제다법, 차잎 따기, 차 만들기), 음다법의 변천(시대적 고찰, 시대별 차 우려 마시기), 전통예절과 현대예절(역사적 변천과 필요성), 연중행사와 음식(연중행사의 의미, 음식예절, 절기음식 만들기, 시식), 외국인과의 문화교류(우리의 한복, 인사, 전통음식, 다도예절, 찻자리 초대), 도예(도자기의 변천사, 차에 따른 도자기의 선택, 찻잔 만들기), 생활다례(행다법, 다구와 물의 관리, 차의 종류에 따른 차 우리기, 차 마시기)등을 들었다.

    이 밖에도 차 문화와 관련된 교육은 차 문화와 인성, 차⋅물⋅불의 조화, 선조들의 생활예절, 현대인의 예절, 미

    시하고 있으며 핵심역량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핵심 가치⋅덕목을 실행할 수 있는 지식과 공감⋅소통하는 의사소통 능력이나 갈등해결능력 등이 통합된 능력을 의미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19) 남지연, 「대학생 창의⋅인성교육으로서의 도슨트 프로그램의 교육적 의의」,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pp.19-20.20) 구영본, 「韓國 茶生活 敎育場 硏究-‘茶生活’ 法人禮를 中心으로」, 성신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p.23.21) 구영본, 위의 논문, pp.42-45.

    22) 김희자, 「인간 발달단계에 따른 다례교육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pp.48-50.

  • 44 ▪ 한국예다학 제2호(2016. 04)

    래를 위한 다담(茶談), 다과상 차리기, 전통예절, 고전(예기, 구용), 한국인의 예의 사상, 인사예절(전화예절, 바른 호칭, 대화법), 자세와 예절, 공동생활 에티켓, 국제 매너실습(악수, 명함주고 받는 법, 소개예절), 행동예절 실습, 서류 결제법, 바람직한 자기관리와 대인관계, 자기표현과 연출법(위계질서와 호감 받는 표정), 인간에 부여된 자연의 선물 등이 있다.23)

    최적의 교육과정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대상자에 관해

    충분히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최근에 정부나 학교 대상자(학습자)의 사고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인간 사고의 실제와 연령에 따른 사고가 어떻게 발달하고 변화하는지에 관

    해 충분히 이해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 Kuhn, 199124) 이것을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아래 에서 차 문화의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체계적인 내용구성, 프로그램의 운영방법, 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도출해 보고자 기본 체계도를

    23) 구영본, 위의 논문, p.45.

    24) Kuhn, D., “Education for thinking What can psychology contribute?”, In M. Schwebel, C. A. Maher, & N. S. Fagley (Eds.) Promoting cognitive growth over the life span., Hillsdale, NJ: Erlbaum., 1991.

    인성덕목 세부 인성프로그램

    자연사랑 덕목 ⋅자연사랑 실천(차와 도구-물, 불, 바람, 흙)충효사상 덕목

    ⋅충효사랑 실천 -국가관, 군인정신, 민족의식, 윗사랑⋅내림사랑(위계질서, 전우애 등)

    생활예절 덕목

    ⋅공동예절 -윤리의식, 존경, 공손한 자세, 인사법, 예절방위, 국민의례, 시민의식 -군 생활예절(단체의 특성과 목적에 부합되는 예절, 규율 등)⋅개인예절 -자기관리(마음, 표정, 몸짓, 옷차림), 언어예절, 행동예절, 음식예절⋅인간관계 & 갈등해결 -의사소통 기술, 건전한 자기표현, 친밀감, 갈등관리, 조직 갈등해결

    법률사회 덕목⋅법률사회의 예절 -이념과 권리 의무, 원칙과 법의 적용

    수기치인 덕목⋅자기 수련(자기 수련 훈련-손님맞이 행다, 말차 행다 등) -책임감, 긍정적 태도, 극기, 자기 목표, 마음공부, 자신을 사랑

    차 문화 중심의 군 인성교육 기본 체계도

    교수-학습의 기본 모형25)

    도입

    (문제의식화)

    ⋅도덕적 문제의식 갖기⋅학습동기 일으키기⋅학습문제 인식 하기

    인지화

    (가치 규범을 바르게 이해하고 잘 판단하기)

    ⋅가치 규범의 의미와 중요성 알기⋅도덕적 문제 사태에서 올바르게 사고하고 판단하기⋅학습한 가치 규범에 대한 이해와 실천 의지심화

    심정화

    (가치규범을 깊이 느끼고 의욕 하기)

    ⋅모범적인 삶의 모습을 보면서 마음을 불러일으키기⋅실제적인 실천사례를 통해 도덕적 삶을 본받고 마음 다지기⋅자기 생활을 반성하고 실천 의지 강화하기

    행동화

    (가치 규범에 따르는 행동을 실제로 해보면서 익히고 실천 성향 높이기)

    ⋅직접적인 실습과 훈련을 통해 익히기⋅가상적 상황에서의 실연을 통해 익히기⋅실제적인 실행과 체험을 통해 익히기

    정리

    (종합 정리와 일상에서 확대 적용 및 생활화)

    ⋅학습 내용상기와 정리하기⋅후속 학습과제 부여하기⋅일상생활에의 확대적용과 지속적 실천 장려하기

  • 박 미 경 / 차 문화를 통한 군 인성교육 방법에 관한 연구 ▪ 45

    구성하였다.본 연구에서 논자가 차 문화를 기반으로 한 군 인성교육

    의 내용을 구성한 것으로 개인적, 사회적, 국가적, 자연적 영역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였다. 자기이해와 타인이해, 감정관리, 관계 개선, 의사소통, 희망적 미래설계, 협동 활동이다. 이것은 군 생활 적응 향상, 소대원들의 관계 향상, 활기찬 부대생활, 전역 연계를 위한 인성교육으로까지 연계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Ⅳ. 차 문화를 통한 군 인성교육 방안

    1. 차 문화를 통한 군 인성교육의 교수-학습 모형

    지속적인 실천을 장려하는 단계인 다섯 과정 즉 인성교

    육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해보고 아래의 을 참고로 교수-학습의 방법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수업의 기본 틀은 크게 인지적 접근 부분가 정의적 접근

    부분 그리고 행동적 접근 부분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짐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설정한다. 선과 의무에 대해 바로 알고 판단하며, 적극 추구하는 마음을 지니고 실제 행동에 보고 반복하면서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측면을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방향을 취한다.

    그런데 형식상의 기본 틀은 위의 의 체계도를 기반으로 진행 하며, 실제로 이루어지는 매 수업 시간에서는 도입단계와 인지화는 곧 바로 연결되고, 정리단계는 행동화 단계와 같이 묶여서 이루어질 것이므로, 결국 한 주제를 다루는 수업은 시제로는 세 과정인 인지적 접근과정과 정의

    적 접근과정 그리고 행동적 접근과정이 중심이 되어 이루

    어질 것으로 본다. 이것을 더욱 세분화한 차 문화 인성교육 방법의 지도순

    서로는 첫 번째, 준비단계로 소요 시간 중에는 포함 되지 않지만 사전에 군인의 대상자 상황 파악, 교육에 필요한 도구나 주변 환경(차를 마심으로 물 공급가 잘되는지 등)을 체크하는 등의 지도 준비를 한다. 두 번째, 도입 단계로 의욕을 고취시키고, 교육 분위기를 조성한다. 오늘 진행될 차 문화를 통한 인성교육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공수와 배례의 전통 인사법과 함께 군 경례 법을 하고, 군인의 의욕을 환기, 상기시킨다. 세 번째, 전개 단계로 학습의 목표와 과제를 하게하고, 하고 싶게 해야 한다. 학습 목표와 과제를 파악, 해결하려는 노력, 해결하는 새로운 내용

    을 발견한다. 네 번째, 심화단계로 생각하게 하고 익숙하게 하는 것이다. 의문점을 제기, 지도화법의 구사, 해결의 방법의 형성, 해결의욕의 고취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다섯 번째, 정리 단계로 과제해결 방법의 활용, 의욕 간직, 평가 및 방향제시, 찻자리를 함께 정리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 문화를 통한 인성교육은 자

    기절제 증대, 긍정적 반응 및 사고, 스트레스와 불안감소, 주의력⋅집중력⋅정신력 증대, 자각능력 증대와 잠재능력 개발, 신체적⋅정신적⋅사회적 건강을 증대시키는 품성을 갖출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차 문화를 통한 군 인성 교육 방법은 군의 특수사항에 교육 내용을 포함한 즉 국가안

    보의식 함양, 군인정신 강화, 민주시민의식 함양을 도울 것으로 본다.

    신라의 화랑이 차를 통하여 심신을 수련했듯이 우리 군

    장병들이 차 문화를 통해 바람직한 인성을 보도하는 방법

    을 득할 수 있을 것이라고 여기고, 이러한 관점에서 전정수26)는 차 생활이 부대원의 정신전력 강화에 얼마나 효과

    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차 생활을 통해 군 장병들이 정서적 안정과 정신전력이 향상되었으며, 건전한 가치관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밝혔다. 또한 기본예절의 보완과 심신수련, 기억력 증가, 심신의 안정, 수마제거를 가져온다는 연구 결과를 얻었다.

    이상은 차 문화를 통한 인성교육 방법으로 다섯 가지 과

    정인 교수-학습 기본 모형을 제시하였으며, 이것을 기반으로 교수-학습의 실제를 아래와 같이 구성하였다.

    2. 차 문화를 통한 군 인성교육의 교수-학습 실제

    군 인성교육의 교육시스템은 교육대상,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자의 네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따라서 교육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학습활동이나 바람직한 행동발달에 도

    움을 주기 위해서는 학습자(군)에 대한 이해, 학습에 대한 이해, 교수에 대한 이해, 생활지도 및 상담에 대한 이해, 평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27)

    1) 학습 내용에 따른 실제

    본 논고에서는 프로그램개발의 범위를 프로그램 계획, 프로그램 설계, 프로그램 적용, 프로그램 평가 등을 포함하며, 여기에 하위과정들이 있다. 이러한 하위과정 속에는 다양한 조치들이 포함되어 있는데 프로그램의 기획 과정

    25) 유나나, 「인격교육을 위한 도덕교육의 방법연구-도덕과 교수 학습방법 탐구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pp.28-29, 재인용.26) 전종수, 「茶生活이 郡將兵들의 精神戰力에 미치는 효과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p.44.27) 임규혁⋅임웅, 교육심리학, 학지사, 서울, 2012, pp.30-31.

  • 46 ▪ 한국예다학 제2호(2016. 04)

    인성덕목 범위 주제 목 적 실행/평가

    수기치인마음열기

    긴장완화이완

    차를 통한 이완⋅심신 릴렉스(relax)효과정서적 안정과 학습능력 향상

    뇌신경전달 물질의 조절(균형)

    차 마시기와 접빈다례

    호흡법의 이해

    수업이후 느낌나누기

    충효사상

    수기치인

    감성조절

    긍정감성심상

    마음의 상을 활용한 심리적 긍정

    의식적 자기암시 수행

    자기관찰, 목표, 긍정적 상상, 집중효과

    차 마시기와 접빈다례

    자기암시활용

    수업이후 느낌나누기

    수기치인

    자연사랑

    자기탐색

    타인이해

    알아차림

    다심

    명상

    다양한 차와 차나무를 매개로한 명상

    긍정적 마음의 근력을 키우는 훈련

    문제해결 능력과 회복탄력성을 향상

    행복하고 의미 있는 삶의 만족

    차나무를 보고, 만지고, 바라보며 자연과 교감 수업이후 느낌나누기

    수기치인감정순화

    심신건강

    향기

    보습

    차기⋅차열⋅차수를 받아들임몸의 건강에 탁월한 효과

    정신감정에 안정적, 긍정적 영향

    차의 열기훈증법

    수업이후 느낌나누기

    충효사상

    생활예절

    인간관계

    음식예절차 음식

    차의 자연기운의 오장육부에 영향

    감사의 마음과 성취감 향상

    신체적⋅정신적⋅인지적⋅사회성 발달차 음식과 만들기

    티푸드 만들기

    수업이후 느낌나누기

    생활예절

    관계형성

    행동예절다담

    사람과 융합하게 하는 훈련(관계형성)마음이 편안하고 기운이 생김

    찻자리의 종합 예술적 흥취

    사람으로 하여금 예의롭게 하는 효과

    바람직한 대화법 익히기

    바람직한 갈등해소 방법

    수업이후 느낌나누기

    생활예절자기이해

    자기사랑미인

    자기관상법 긍정효과

    차와 교감, 사람과 교감 나누기자신감 향상과 얼굴빛이 밝아짐

    자신 신체와 마음을 면밀히 살피

    고. 사랑하기수업이후 느낌나누기

    생활예절심신단련

    자기이해

    다이

    어트

    몸과 마음의 정화

    온 몸의 탁한 기운 배출

    몸의 내기, 체취 없애며, 다이어트효과

    홍차다이어트 실천

    수업이후 느낌나누기

    자연사랑 생명사랑차나무

    원예

    정서적⋅신체적 긍정적 효과지적⋅사회적 긍정적 효과생명사랑, 자존감, 성취감 향상

    차나무 화분에 심어보기

    차나무 기르기 활동계획

    수업이후 느낌나누기

    생활예절감정표출

    자기관리다시

    다시를 통한 감정의 정화

    긍정적 자기표현

    감사한 마음 극대화

    차 마시기와 다시 감상

    긍정적 표현과 일체화

    수업이후 느낌나누기

    수기치인

    생활예절

    법률사회

    자기관리

    미래설계희망

    합리적인 사고 변화를 위한 훈련

    목표획득을 위한 긍정적 기개

    문제해결 능력 향상

    통로사고, 주도적 사고 훈련

    문제해결 방법을 모색

    도덕적 사고의 훈련

    합리적 사고의 훈련

    수업이후 느낌나누기

    수기치인

    생활예절

    심신훈련

    생활예절행다

    찻자리 예절, 다법 익히기공손한 행동과 바른 행동예절 익히기

    다법에 맞는 차 우리기

    수업이후 느낌나누기

    수기치인

    생활예절

    자연사랑

    심신훈련 제다

    찻잎을 통한 마음의 정화

    자연과 교감 나누기

    단계과정에 집중

    차 만들어 보기

    수업이후 느낌나누기

    기본 체계도를 기반 한 차 문화 인성교육의 실제

  • 박 미 경 / 차 문화를 통한 군 인성교육 방법에 관한 연구 ▪ 47

    에서 수행되어야 할 주요 단계와 교육의 실제는 위 과 같다.

    차 문화의 인성교육에서의 한 가지 예를 들면 “다시(茶詩)를 통한 자기표현” 교육은 차와 함께 긍정적인 표현을 글로 표현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최근의 성격관련 연구 성과는 성격의 5요인 모형28)이론이 대표적으로 개인 특성은 개인 간에 비교될 수 없는 특정 개인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

    한 특징으로 개인마다 초점이 다르게 조직될 수 있다고 하

    였다. 올포트(Gordon W. Allport)에 따르면 개인의 참된 성격

    은 이러한 개별적 특성을 조사할 때 나타나는 것이며, 개인의 사례사, 일기, 편지 및 개인적 기록으로 파악할 수 있다.29)고 함으로써 다시를 통한 자기표현은 병사들의 감정적 순화나 감사함을 갖는 긍정적 인성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학습 방법에 따른 실제

    지도하는 사람은 도덕적 딜레마에 대해 효과적으로 토

    론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다.30) 첫째, 구체적인 갈등 상황과 갈등 해결의 다양한 방식을 계획, 둘째, 교육의 대상자들은 타인의 역할과 관점을 생각하도록 격려, 셋째, 자신들의 선택을 논리적으로 변론할 수 있도록 함, 넷째, 찬반 토

    론을 통해 대상자들 개개인의 다른 행동과정을 분석하도록

    노력함으로써 교육의 대상자들은 실제 상황에서 그들의 도

    덕적 도식을 형성하고 스스로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발달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차 인성교육은 지식전달이 아닌 실습위주의 바른 인성형성을 위하여 탄력적 사고와 운영이

    필요하며 차 문화는 실습적인 요소로 좋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요즘 인성교육의 추세가 이론이 아니라 실제 체험위주로 몸으로 체득하게 하는 방법을 선

    호하고 있어 이에 부합된다고 하겠다.차 문화 인성교육은 대상자의 태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주로 설득기법31)을 이해하고 여기에 따른 전문적

    자질을 갖추어야 한다. 아래 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설득자, 설득 내용, 설득 대상, 설득 상황의 네 요인에 따라 설득 효과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설득기법에 관한, 아래의 내용은 태도변화에 따른 내용으로 본 연구자가 도식화 하

    였다. 대상자의 환경과 수준에 따라 구체적인 자료의 제시는

    학습자의 학습을 용이32)하게 하기 때문에 군이라고 하는

    특성을 고려한 인성교육은 군과 사회의 적절한 대처가 요

    구된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할 때 교육과정의 구성과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차 문화 교육연구가 보다 구체적으

    로 적용되어야 함은 자명한 일이다.

    28) 5인 모형은 흔히 ‘Big Five’라 부르는 것으로 성격 특성이 내향성, 성실성, 심리적 안정성, 친화성, 경험에 대한 개방성의 5요인으로 구성된다고 본다.

    29) 현성용 외, 현대 심리학 이해, 학지사, 서울, 2003, p.388.30) 임규혁⋅임웅, 앞의 책, p.76.31) 현성용 외, 위의 책, pp.441-442.

    32) 임규혁⋅임웅, 위의 책, p.73.

    설득자⋅설득대상이 설득자를 호의적으로 평가⋅설득하는 상황에 관해서 전문성, 객관성, 매력성을 갖춤

    설득 내용

    ⋅설득대상자의 기존 태도와 적당한 차이 -차이(小):설득대상은 자신의 생각과 다름없다고 생각 -차이(大)메시지 자체를 부정하게 되어 설득당하지 않음⋅논리적 설명, 객관적 통계치=이성적 내용

  • 48 ▪ 한국예다학 제2호(2016. 04)

    차 문화를 통한 인성교육의 효과는 자발적이고, 긍정적 행동(언어 및 태도 등) 변화를 촉진⋅감정⋅동기⋅무의식 등 긍정적 내면적 상태 유지, 도덕성의 발달과 성숙 및 바람직한 품성, 정서적 안정, 자기 존중감과 효능감 향상, 인성회복 및 인간관계 개선(예절), 폭력 및 문제 해결 능력, 자기관리와 공동체감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Ⅴ. 맺음말 및 제언

    현대사회의 물질적 풍요 속에서 정신적 빈곤은 인간성

    상실의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인 분위기에 따라 “인성교육진흥법”까지 만들어졌지만 인성교육의 개념과 방법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낮은 공감대와 교육에 따른

    성과를 어떻게 측정하고 도출해 낼 것인가에 대한 많은 어

    려움이 산재해 있다. 차 문화의 인성 교육적 요소가 높다는 것은 공감대를 형

    성하고는 있지만 구체적인 교육방법에 대해서는 그 한계점

    이 있다. 본 논문은 군 생활 속에서 심신을 수양하는 차 문화에 대한 습성을 익히고 문화적 소양을 길러 실천적 인성

    교육의 효과를 얻는 내실 있는 교육방법을 위한 방안을 제

    시하고자 시도하였다. “인성교육진흥법”에 따른 차 문화의 인성 교육적 요소

    는 새로운 인성교육으로서 사회성 감성 및 도덕성의 3차원, 6역량, 6핵심 가치를 포괄하고 있음을 재확인하였다. 충만한 감성(자신을 제어 할 수 있는 힘)을 기반으로 타인에게 공감하는 능력이 풍부하며, 그 기반을 토대로 도덕성(사회활동을 올바르게 지속하게 도와주는 힘)과 사회성(남들과 소통할 수 있는 힘) 길러지는 것이다. 도덕성 이외에도 사회성과 감성을 3차원으로 동등하게 무게를 두고 있으며 지금 이 시대에 필요한 인성교육이라 하겠다. 감성은 자신을 제어 할 수 있는 힘, 사회성은 남과 소통하는 힘, 도덕성은 사회활동을 올바르게 지속하게 도와주는 힘으로 차 문화의

    정신을 통해 흔히 찾아 볼 수 있는 요소로 이와 부합된다고

    할 수 있다. 차 문화의 인성 교육적 요소를 기반으로 한 인성교육 기

    본 체계도는 자연사랑, 충⋅효사상, 생활예절, 법률사회, 수기치인 덕목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이 다섯 가지 덕목은 “인성교육진흥법 시행령”에서의 핵심 가치덕목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체계도를 통하여 인성교육 방법으로써 다섯

    가지 교수-학습 기본 모형을 제시하였다. 즉 도입(문제의식화), 인지화(가치 규범을 바르게 이해하고 잘 판단하기), 심

    정화(가치규범을 깊이 느끼고 의욕 하기), 행동화(가치 규범에 따르는 행동을 실제로 해보면서 익히고 실천 성향 높

    이기), 정리(종합 정리와 일상에서 확대 적용 및 생활화)로 구분하여 진행하는 것으로 했다. 따라서 차 문화 인성교육의 지도 순서는 준비, 도입, 전개, 심화, 정리 단계 과정으로 실제 교육을 진행함에 있어서 교수-학습 기본 모형과 설득 효과를 인지하고 진행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차 문화 인성교육은 대상자의 태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설득(메시지)효과의 네 가지 요인(설득자, 내용, 대상, 상황)을 고려하여 차문화의 인성교육자로서의 전문가적 자질을 갖추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차 문화 교육이 군 인성 교육에 적용되어 올바른 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차를 우리는 과정 속에서

    습득되어지는 기다림과 자기조절의 반복적 행동을 통해 자

    기통제능력을 함양하고, 우리 문화에 대한 감성과 바른 생활을 위한 마음가짐과 몸가짐을 기르도록 지속적인 논의를

    통해 공감대를 형성하고 일상생활 속에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본 연구를 통해 추후 군 인성교육의 정의와 방향에 대한

    연구 과제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차 문화를 통한 인성교육을 실제로 진행하면서 차

    를 마시도록 한 집단과 마시지 않은 집단의 사전⋅사후 검사를 통한 효과 검증이 양적⋅질적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군 인성교육을 위한 다도 전문가를 양성하는 일이다. 다도교육을 하는 강사는 대부분 군 경험이 없어 교육을 진행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교육을 진행하는 데 차질이 없도록 군 문화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과 연구기

    회를 부여하는 등 전문가로서의 자질을 갖추어야 하겠다. 셋째, 예비군에 대한 군 인성교육도 이루어져야 한다. 이미 군대를 전역하여 사회인으로서의 역할이 크지만 잠재된 군

    인이기 때문이다. 인성교육 측면을 분석해보는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 대상자에 맞는 교육프로그램의 다양성과 교수방법이 체계화되어야 한다. 인성교육의 경우 간부와 병사들 간에 다소 차이가 있어서 다르게 검토해

    야 할 사항이 적지 않다. 따라서 주체별로 상항과 여건, 대상자의 수준을 고려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연구가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차는 상대방과 대화하는 매우 중요한 매개

    체가 될 수 있다. 일련의 문제들은 대화 및 소통의 부족에서 기인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사람은 다른 이들과 더불어 살아갈 수밖에 없는 사회적 동물이다. 그렇다면 대화를 이끌어 가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차 생활과 그로

    인한 차 문화 정신은 나 자신뿐 아니라 타인과 사회 국가

  • 박 미 경 / 차 문화를 통한 군 인성교육 방법에 관한 연구 ▪ 49

    나아가 자연까지도 그 가치관계를 확대 해 나갈 수 있고 그

    가치와 의미를 발견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를 제공할 것으

    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1. 徽宗, 大觀茶論2. 강명구, 「인성 교육과정으로서 군 자원봉사 프로그램 활용방안-

    전방 사단 장병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3. 구영본, 「韓國 茶生活 敎育場 硏究: ‘茶生活’ 法人禮를

    中心으로」, 성신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4. 김소연, 「인성교육적 관점에서 본 기독교대학 채플에 관한 연구:

    채플이 인성개발에 끼친 영향 분석」, 호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5. 김순진, 「한⋅중⋅일 차문화 교육의 비교연구: 고등교육기관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6. 김희자, 「인간 발달단계에 따른 다례교육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7. 남지연, 「대학생 창의⋅인성교육으로서의 도슨트 프로그램의 교육적 의의」,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8. 박일심, 「다도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기본생활습관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9. 박찬이, 「차 문화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정서적 안정성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여자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한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10. 유나나, 「인격교육을 위한 도덕교육의 방법연구: 도덕과 교수

    학습방법 탐구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11. 윤경혁, 增補 茶文化古典, 홍익재, 서울, 2005.12. 이용일, 「부모와의 대상관계가 군생할 적응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13. 김명배, 중국의 다도, 명문당, 서울, 2007. 14. 김태완, 글로벌 시대의 교육, 학지사, 서울, 2013.15. 이진수, 차의 이해, 꼬레알리즘, 서울, 2006.16. 임규혁⋅임웅, 교육심리학, 학지사, 서울, 2012.17. 정경찬, 「학군사관후보생의 성장환경이 인성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18. 정영선, 「李穡 다도의 文化史的 업적과 후대에 미친 영향」

    계명대학교 차문화연구소 학술심포지엄, 1호, 계명대학교 차문화연구소, 2010.

    19. 전종수, 「茶生活이 郡將兵들의 精神戰力에 미치는 효과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20. 한경수, 「정보화사회의 군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21. 현성용 외, 현대 심리학 이해, 학지사, 서울, 2003.22. Kuhn, D., “Education for thinking What can psychology

    contribute?”, In M. Schwebel, C. A. Maher, & N. S. Fagley (Eds.) Promoting cognitive growth over the life span., Hillsdale, NJ: Erlbaum., 1991.

    투 고 일 2016. 03. 22

    수 정 일 2016. 04. 18

    게 재 일 2016. 04.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