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연구 2018-12-13 · 한국문학논총...

34
12) 1. II. 1. 2. 1. 2 * ** :

Upload: others

Post on 14-Aug-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연구 2018-12-13 · 한국문학논총 제62집(2012. 12) 429-462쪽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한국문학논총 제62집 (2012. 12) 429-462쪽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연구

이미연 허승희 **

차 례

1. 서론

II. 연극텍스트로서 옛이야기의 활용

1. 옛이야기의 가치

2. 옛이야기의 연극텍스트화 과정

m.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

스트화

1. 극적 기법을 활용한 창의적 스토 리텔링

2 현대적 변용과 수용 의미

N. 결론

국문초록

<해와 달이 된 오누이>는 전 세계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수많은 구

연자들에 의해 창의적으로 전승되어 온 텍스트이다. 이와 관련한 연구는

비교문학적, 신화적, 역사학적, 정신분석학적 관점 등에서 다양하게 진행

되고 있다. 본 논문은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과정을

디루고자한다.

옛이야기의 연극텍스트화 과정은 이야기를 읽거나 듣는 차원에서 벗

어나, 행동하고 표현하고 형상화하는 활동을 통해 입체적 차원으로 이야

* 제 l저지 이미연(부산대학교 국어교육학과 시간강사)

** 교신저자 : 허승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Page 2: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연구 2018-12-13 · 한국문학논총 제62집(2012. 12) 429-462쪽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430 한국문학논총 재62집

기를 경험하는 것이다 극화 과정에서 이야기는 언어적, 비언어적 방법

으로 다양하게 탐구되며 공연실행을 통해 무대화 과정을 밟을 수도 있

다 극적 기법은 그 모든 과정을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애서는 다양한 극적 기법을 활용하여 창의적 스토리텔링으로서 <해

와 달>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특히 <해와 달>의 현대적 변용을 통해 옛이야기가 가진 상정성을 풀

어보고자 하였다 호랑이 어머니 오누이를 중심으로 한 이야기의 서사

구조가 현대와 만나는 지점에서 참여자들은 자신들이 처해있는 현실을

연극 속에 반영하였으며 실행 사례를 통해 참여자들이 자신의 삶과 이

야기를 연결시키는 접점을 읽어낼 수 있다

옛이야기의 연극텍스트화는 서사의 단순한 연극적 재연이나 모방이

아니라 연극을 통해 옛이야기를 구체적으로 ‘지금, 여기’에 현재화시킴으

로써 이야기를 정서적으로 살아내는 효과를 지닌다. 따라서 참여자들은

옛이야기를 통해 내면과 외면의 통합을 이루어내며 그것은 개인적, 사회

적 성장을 이루어낼 수 있는 계기가 된다.

주제어 :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설화, 옛이야기, 연극텍스트화, 극적 기

법 , 현대적 변용

1. 서론

옛이야기는 국가와 민족, 시대를 초월한 보편성을 기-지고 있다 어느

곳을 가나 비슷한 이야기들이 전해오고 있는 것은 이야기가 인간 삶의

모형을 반영하고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즉, 사람이 사는 콧에 이야기가

있으며 삶이란 곧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이야기 속에서 살

아가는 우리는 서사적 존재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1)

Page 3: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연구 2018-12-13 · 한국문학논총 제62집(2012. 12) 429-462쪽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연구 431

옛이야기가 어린이 교육에 있어 가지는 중요성에 대해 발터 벤야민은

최초의 진정한 이야기꾼은 옛이야기를 들려주는 이야기꾼인데 아이들은

어려움에 처했을 때 옛이야기에서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수 았으며 신

화적 세계가 창출한 두려움으로부터 옛이야기가 인간을 자유롭게 하는

해방의 기제가 될 수 있다고 보았다 2)

오랫동안 옛이야기를 힐뇨유하는 방식은 이야기꾼의 맛깔스러운 들려주

기에 있었다. 하지만 이야기를 들려주고 듣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소통과

교류에서 나아가 옛이야기의 가치를 연극이라는 매체를 통해 통합적으

로 경험하는 새로운 i5J=-유 방식은 이야기를 전승하는 창의적 스토리텔령

이 될 수 있다. 연구자가 제안하는 옛이야기의 연극텍스트화는 작가가

이야기를 각색해서 대본을 창작하고 무대화를 통해 공연예술작품으로

상연하는 활동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옛이야기의 화소를 놀이와 즉흥

의 방식으로 다양하게 탐구하는 극적 활동을 통해 이야기의 빈 공간을

상상하고 표현해내며 현재의 관점에서 이야기를 재창조하는 드라마

CDrarna)3l에 기초를 두고 있다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이하 〈해와 달>)는 몽고, 중국, 일본 등 동북

아는 물론 이야기의 화소가 전 세계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수많은 구

연자들에 의해 창의적으로 전승되어 온 텍스트이다. 이와 관련한 연구는

비교문학적, 신화적, 분석심리학적, 정신분석학적 관점 등에서 활발하게

1) 오탁번 · 이남호 r서사문학의 이해~,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9, 8쪽 2) 발터 벤야민, 반성완 역얘기꾼과 소설가」, 『발터 벤야민의 문예이론~ , 민음사,

1æ5, 186 -187쪽

3) 드라마(Drama)는 직접 참여하여 행위 하는 사람과 그 행위 하는 과정이 중요하 게 강조되는 개념으로 행하는 자의 감정과 변화의 과정에 초점을 두고 있다면,

연극(πleaσe)은 대본화 된 자료에 근거하여 행동하는 공연기술을 의미하고 최

종 산출물이나 표현물이 궁극적인 목적이 되는 행위를 의미한다, 정성희 r교육

연극의 이해~ , 연극과인간, 2roJ. 35쪽 본 논문에서는 우리가 통칭해서 부르는 연 극 속에 공연예술로서의 연극뿐만 아니라 드라마 또한 포함되어 있으며 드라마

와 연극은 직선 개념이 아니라 OJ쪽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며 서로의 영역을 넘

나들 수 있는 다각적이며 다층적인 의미의 개념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Page 4: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연구 2018-12-13 · 한국문학논총 제62집(2012. 12) 429-462쪽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432 한국문학논총 제62집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전국적으로 수많은 각편이 채콕되어 전

승되고 있는데 허성애는 설화집 소재 자료와 연구자 채록 자료를 모두

포함하여 174편의 방대한 채록본을 분석해서 일월 생성형, 수숫대 유래

형, 일월 생성과 수숫대 유래형, 자리 바꿈형 네 가지로 분류를 하고 있

다.4) <해와 달>이 전 세계적으로 비슷한 화소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손진태와 성기열은 몽고, 중국, 일본의 관련 설화 연구를 통해 설화의 전

파 경로를 밝히고자 했으며5) 이를 토대로 이지영은 동북아 지역에 전하

는 설화의 비교 연구를 통해 한국 전승본의 특정으로 이야기의 세 화소

가 되는 호랑이와 할머니(어머니)의 갈등담, 호랑이와 남매의 갈등담, 남

매일월담 사이의 관계가 밀접하지 않으며 세 삽화 사이에 다른 전승담

이 결합히-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6)

일반적으로 신화의 주인공들이 일정한 입사식을 거쳐 새로운 존재로

변모하는 $탱과 <해와 달>의 오누이가 입사식으로 여겨지는 일정한

절차를 통해 해와 달로 변모하는 OJ:상이 유사하다는 점에서 한기호는

<해와 달>의 신화적 성격을 밝히고 있으며7) 일월생성이라는 측면에서

신화적 요소가 많았던 <해와 달>이 민중들의 의식과 소망이 반영되면

서 민담적 성격이 강화되었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8) <해와 달>에 대한

4) 허성애 r<해와 달이 된 오누이〉설화 연구J , 한국교원대 석사학위 논문, 1995. 5) 손진태한국민족설화의 연구~ , 을유펀-회사, 1947 성기열한일민담의 비교 연

구J , 일조각, 1979 참조 6) 이지영 r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설화의 동북아 지역 전승 öJ:^J-과 그 특정」 , 『동

아시아고대학』 제 20집 , 동아시아고대학회 , 2009. 275-311쪽 이지영은 동북아

주변에 전하는 이야기의 특정에서 남매 일월담이 없고 적대자로 호랑이가 아닌

식인요괴(노파), 늑대, 이리 퉁이 동장하며 아이들이 남매가 아닌 아들이나 딸들

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해와 달>은 몽고에서 중국을 거쳐 한국으로 전해지고 다

시 일본으로 건너갔을 것이라고 추측한다 7) 한기호해와 달이 된 오누이 설화의 신화적 성격 연구J , 창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6

8) 박성애한국 일월설화의 연구 〈연오랑과 세오녀>와, 해와 달이 된 오누이>를

중심으로J , 선문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αR

Page 5: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연구 2018-12-13 · 한국문학논총 제62집(2012. 12) 429-462쪽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연구 433

정신분석학적 접근으로 노제운은 어머니로부터 이야기 속에 은폐된 의

미들을 풀어나가고 있으며9) 고혜경은 <해와 달>이 수많은 통과의례 중

에 자녀들이 성장하여 부모의 자식으로서가 아니라 사회의 한 구성원으

로 자신의 정체성을 전환하는 시기를 다루고 있다는1 점에서 호랑이를

통한 무의식적 통과의례가 가지는 의미를 분석하고 있다.10) 텍스트의

현대적 변용에 참고할 만한 논의로 박정서11 1 1), 이종란12)을 들 수 있는데

현실적 의미로서 설화의 상징과 은유를 풀어내어 어머니의 죽음을 민중

의 수난사로, 오누이를 통해 민중의 지혜와 용기, 소망을 보여주는 것으

로 해석하여 민담이 전래동화로 각색되면서 잃어버린 민중 지향적 의미

를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해와 달>에 대한 설화 연구의 다양한 시각을 연극텍스트

화 과정에서 수용하고 통합하며 옛이야기의 극적 변환을 탐구하는 작업

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첫째, 연극텍스트화를 통해 창의

적 스토리텔링으로서 이야기가 변화하고 새롭게 창조되는 과정을 탐구

하고자 한다. 옛이야기를 연극으로 발전시키는 과정은 서사장르를 극장

르로 변환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것은 문자텍스트로서의 이야기를 읽거

나 듣는 평면적 차원에서 스스로 이야기 속에 들어가 몸으로 행동하고

표현하고 상징화하는 입체적 차원으로의 변형을 경험하는 것이기 때문

이다.

둘째, <해와 달>의 현대적 변용을 통해 옛이야기가 가진 상징성을 풀

어보고자 한다. 호랑이, 어머니, 오누이를 중심으로 한 이야기의 서사구

조와 갈등이 현대와 만나는 지점에서 참여자들은 자신들이 처해있는 현

9) 노제운해와 달이 된 오누이」에 나타난 변형된 모성, 나르시시즘적 욕망 : 정

신분석학적 접근」 , 『어문논집』 제 47집, 민족어문학회, 2003. 289-326쪽 10) 고혜경어머니의 품을 떠니는 성장통 해님달님」, 『선녀는 왜 나무꾼을 떠났을

까J , 한겨레출판, 2CXlì. 11) 박정세 ‘해와 달이 된 오누이’ 민담에 투영된 역사적 현실과 민중의 희망J,신

학사상~ 94호, 한국신학연구소, 1993, 192 - 211쪽 12) 이종란전래동화 · 민담의 철학적 이해~ , 철학과 현실사, 2008.

Page 6: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연구 2018-12-13 · 한국문학논총 제62집(2012. 12) 429-462쪽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434 한국문학논총 제62집

실을 연극 속에 반영한다. 이를 통해 옛이야기가 오랫동안 전승되는 이

유 중 하나인 현실의 진실된 반영이라는 가치를 탐구해보고자 한다 연

극텍스트화 과정은 드라마의 주된 요소인 놀이와 즉흥에 바탕을 두고

있는데 참여자들용 자연스러운 놀이 속에서 자신이 살고 있는 세계를

투영하여 옛이야기 속 인물의 삶을 살아보는 정서적 경험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해와 달>의 연극텍스트화는 연구자가 리더가 되어 프로그램을 구성

하고 실행하는 과정을 거쳐 최근 4년 동안 다양한 참여자들을 만나왔

다 J 3) 이를 통해 도출된 사례들을 중심으로 해서 논의를 전개해나가고

자한다

1I. 연극텍스트로서 옛이야기의 활용1 4)

1. 옛이야기의 가치

본 연구에서 옛이야기는 연극텍스트화를 위한 초점을 제공하는 최초

의 단서이자 극적 활동의 전 과정을 꿰뚫는 중요한 축이 된다. 그렇다면

연극텍스트로서 옛이야기는 어떤 의미와 가치가 있는가?

첫째, 옛이야기는 삶의 진실을 내포하고 있으며 인간의 내면 문제에

대한 가르침을 통해 우리가 현실에서 겪는 어려움을 해결하속E 데 알맞

13) 2009년 연구자가 개발한 〈해와 달> 프로그램은 교사극단 ‘조명이 있는 교실’의

연극만들기 워크삽에서 최초 실행되었으며 이후 2010년 9월, 가마골 소극장에서

〈떡 하나 주변>으로 무대상연 되었다 그 후 다양한 참가지들을 대상으로 프로

그램을 실행해왔으며 2010년 -2012년 부산광역시 언어영재교육원 문학창작반에

서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l학년 학생들과 만나 6시간으로 압축된 〈해와 달>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14) 이와 관련한 상세한 논의는 연구자의 본 논문을 참조할 것. 이미연옛이야기를

활용한 연극만들기 연구-<나무꾼과 선녀〉의 실행 사례를 중심으로 J , 부산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2. 8.

Page 7: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연구 2018-12-13 · 한국문학논총 제62집(2012. 12) 429-462쪽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연구 435

은 해결책을 제시한다. 이야기 안에 우리 삶의 진실이 내포되어 있다는

것, 그렇다면 이야기는 현실의 내 문제를 진단하고 풀어줄 수 있는 열쇠

가 될 수도 있다.

베텔하임은 이와 관련하여 ‘옛이야기는 어린이들이 무의식적으로 겪

는 심각한 내면적 억압을 이해할 수 있게 해주고 어린이들이 성장하면

서 겪게 되는 심각한 내적 갈동을 소홀히 다루지 않으며, 여기에 대한

일시적이면서도 영구적인 해결책을 동시에 제공하고 있다’ 1 5)고 말한다.

옛이야기를 어린 시절부터 읽고 듣기만 해도 마음의 억압이나 내적 갈

퉁이 해소되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면 옛이야기 속의 인물이 되어 말하

고 행동하고 살아보는 경험은 그 무엇보다 옛이야기의 생명성과 진실성

을 살려내는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옛이야기의 세계에는 허구와 현실의 양극성이 존재한다. 김열규

는 구술전승문학의 향수자인 아이들이 속한 시간 자체가 허구의 시절이

라고 말한다. 소년소녀시절은 한 평생 가운데서 허구와 상상을 현실과

크게 가름하지 않고 살아가는 나이이다 그러나 그들을 위한 동화 속에

이미 현실 혹은 사실이 고개를 내밀고 있다는 것이다 1 6) 이야기 속에는

참말과 거짓말이 혼재하며 아이들에게는 참말이 거짓말의 한바다에 떨

구어진 작은 구름 그림자처럼 느껴진다는 말은 옛이야기가 가진 허구성

이 아이들로 하여금 현실의 진실을 알지 못하도록 가리거나 왜곡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의 조각이 허구를 더욱 그럴 듯하게 만들거나, 허구가

현실을 더욱 믿음성 있게 만들기 때문이다.

옛이야기가 ‘옛날’을 기본적으로 환상세계로 설정한 것은 현실세계와 동

떨어진 세계라는 것이 겉으로 분명하게 드러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것보

다 더 중요한 이유가 있다. 환상세계는 야유하고 조롱하고 비판하고 풍자하

15) Bruno Bettelheim 김옥순, 주옥 역옛이야기의 매력 I J , 시공주니어 , 1댔, 17 죠드 -, .

16) 김열규 외민담학 개론J , 일조각, 1982, 3-5쪽

Page 8: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연구 2018-12-13 · 한국문학논총 제62집(2012. 12) 429-462쪽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436 한국문학논총 제62집

여야 할 현실세계의 모순을 극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세계이기 때문이다

이야기 속의 허구세계는 그 이야기를 산출한 현실세계를 어떤 방식으로든

반영한다1 7)

옛이야기의 시공간은 현실세계를 반영하되 규정될 수가 없다. 현실세

계의 모방, 현실세계의 전복, 현실세계의 왜곡을 통해 만들어진 허구세

계가 바로 옛이야기의 환상세계이며 이 세계 안에는 현실 세계의 모순

이 담겨 있다. 이러한 옛이야기의 환상성에 내재된 현실성은 옛이야기의

현대적 변용을 통해 현실의 문제를 다루는 데 중요한 초점을 제공한다‘

연극은 허구세계의 구조적 맥락화인데 그 세계 안에서 참여지들은 항상

자신의 현실에 발을 딛고 있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옛이야기에 반영된

현실의 모순과 문제를 찾아내고 극적 활동을 통해 그 문제를 깊이 있게

탐색하는 작업은 허구와 현실의 양극성 사이에서 극적 긴장을 유지하면

서 갈둥의 해결점을 모색히는 과정이 될 수 있다.

셋째, 연극텍스트화를 통해 옛이야기를 학습히는 것은 창의적 스토리

텔링이 될 수 있다. 전통적인 스토리텔링은 지식이나 정보와 대비되는

좁은 의미의 이야기 개념, 즉 처음-중간-끝이라는 구조와 구체적 사실

이나 경험을 주된 내용으로 삼는 이야기라는 개념을 가지고 있으며 어

떤 이야기를 만들거나 이야기를 남들에게 표현, 전달하는 행위를 지칭하

는데 이는 어떤 이야기를 남에게 알려준다는 소통행위에 방점을 둔 용

어로 이해할 수 있다 18)

신화, 전설, 민담을 포함하는 설화는 원형에 가까운 스토리텔링의 양

상을 보여준다 설화의 스토리텔링은 보통 일상적인 언어로 이루어지며

구연자에게 특별히 전문적인 능력을 요구하지 않는다 그래서 누구나 구

연자가 될 수 있으며 구연 기회에서도 특별한 제한이 없다, 이러한 특성

17) 이지호 r옛이야기와 어린이 문학J , 집문당, 2α:'6, 34쪽 18) 류수열 외스토리텔링의 이해J , 글누림, 2007, 19쪽

Page 9: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연구 2018-12-13 · 한국문학논총 제62집(2012. 12) 429-462쪽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연구 437

으로 인해 전승 과정에서 나타나는 변이의 폭이 넓고 가변적인 양상을

지니게 된다 옛이야기가 수많은 각편을 가지고 있는 것은 바로 구연자

에 의한 자유로운 변이가 허용되었기 때문이다

옛이야기의 구술은 전래된 이야기라는 소재를 통하여 표준화된 주제

를, 공식화된 어귀를 이용하여 전달한다는 점에서 규칙성을 띠고 있는

반면, 이야기를 하는 상황과 환경에 따라 이야기의 내용을 맥락화하고

그 과정에서 큰 흐름에 대강 맞아떨어지기만 한다면 상황에 따라 이야

기의 빈 구멍들을 메우기도 하고 들었던 다른 이야기들을 꿰어 맞추기

도 하는 변주성을 지니고 있다 1 9) 이러한 변주성은 이야기의 연극적 탐

색에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한다. 옛이야기의 서사는 작가가 연속적

사건 속에서 일정한 요소들을 선택하고 나머지는 생략히듯이 뼈대가 되

는 사건을 중심으로 생략된 빈 곳이 많다. 이러한 서사적 틈새를 채우는

과정이 서사적 추론이며20) 연극 활동을 통해 이야기의 빈 공간을 창조

할수있다

연구자는 그동안 소리, 몸짓, 언어 등 연극적으로 탐색해 볼 수 있는

요소가 많은 이야기, 인물간의 갈등이 긴장과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이야

기, 즉흥과 상상, 창의적 변형을 통해 다층적 의미를 탐구할 수 있는 이

야기, 현재의 삶에 비추어 재 서술 되어 질 수 있는 이야기를 좋은 텍스

트의 요건으로 삼아 연극 만들기 프로그램을 개발해 왔다

이러한 조건에 비추어 볼 때 첫째, <해와 달>은 소리, 봄짓, 언어 등

연극적으로 탐색해 볼 수 있는 요소가 많은 이야기이다 호랑이가 살고

있는 산 속으로 탐험대를 조직하여 공간 탐색하기를 마임으로 실행할

수 있고 호랑이의 움직임을 l인-4인-8인 전체가 합체하여 표현할 수 있

다. 이 때 호랑이의 소리를 함께 창조해 낸다. 엄마가 호랑이에게 쫓기는

장면과 오누이가 호랑이를 피해 나무 위로 도망가는 장변 등은 음악과

19) 최예정 · 김성룡 공저스토리텔링과 내러티브~ , 글누림 , 20쪽 20) 오탁번 · 이남호, 앞의 책 , 41쪽

Page 10: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연구 2018-12-13 · 한국문학논총 제62집(2012. 12) 429-462쪽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438 한국문학논총 제62집

움직임, 조병 효과 둥을 통해 충분히 극적으로 살려낼 수 있다.

둘째, 인물 간의 갈둥상황이 적절하고, 긴장과 흥미를 불러일으키며

행동하기에 좋은 이야기이다. 갈동은 연극을 추동하는 힘이 될 수 있다.

<해와 달>은 엄마와 호랑이의 갈동담, 오누이와 호랑이의 갈퉁담이라는

분명한 갈등 구조를 가진 이야기이다. 띠라서 두 갈퉁담을 극적 기법을

통해 탐구하는 작업은 흥미로운 과정이 될 수 있다.

셋째, <해와 달>을 텍스트로 삼은 이유는 현실의 반영으로서의 초현

실적 세계이지- 환상적 세계를 구현한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살아

가고 있는 보편적 삶의 현실을 드러낸 이야기이기에 연극만들기에 참여

하는 이들은 모두 자신의 경험에 비추어 이야기를 내면화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의 현대적 변용을 통해 참여자들이 그들의 현실을 어

떻게 이야기 속 현실과 연결하는지, 옛이야기의 세상을 통해 현실의 문

제를 어떻게 극적으로 드러내는 지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2. 옛이야기의 연극텍스트화 과정

연극텍스트화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극적 시간과 공간을 살게 되는데

이때 교사가 그들을 연극 안으로 자연스럽게 데려가기 위해 사용히는

매개체 혹은 다리가 극적 기법 (conventions)2 l )이다 극적 세계를 조성하

기 위해 참여자들이 주어진 형식 안에서 새롭게 의미를 탐구할 수 있도

록 구조를 어떻게 만들어낼 것인가는 다양한 극적 기법의 선택과 적용

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기반한다

옛이야기의 연극텍스트화 과정은 창의성과 자발성, 지유로운 의사소

21) 연극에서의 의미는 배우가 일정한 시간과 공간 속에서 인간의 존재를 허구적이 고 상징적으로 활용하여 관객과 참가자 모두를 위해 만들어 가는 것이다 의미

는 소품과 조명, 그리고 음향을 상징적으로 사용할 때 강화되기도 한다 극적 기

법은 이러한 관계를 통해 다른 차원의 극적 경험을 하게 히는 일종의 모형적인

형식이다. Jonothan Neelands and Tony Go여e, 이시원 역스트럭처링 드라

마.J , 달라진 책, 2011, 11 -12쪽

Page 11: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연구 2018-12-13 · 한국문학논총 제62집(2012. 12) 429-462쪽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연구 439

통과 표현에 기초를 두고 있다. 그러므로 참여자들이 능동적인 탐구 과

정을 통해 연극의 미적 가능성과 인간 경험을 새롭게 발견하기 위한 학

습으로서의 가능성을 실험할 수 있도록 적합한 극적 기법을 통해 구조

화되어야 한다. 조나단 닐랜즈와 토니 구드는 다양한 극적 기법을 극적

정황 형성 활동, 이야기 전개 활동, 심미적 활동, 반추 활동 네 가지 특

성에 따라 분류하고 있는데22 ) 연구자 역시 연극텍스트화 과정에서 각

단계의 특성에 맞는 기볍들을 구조화하여 사용하고 있다

연극텍스트화는 대본텍스트 과정과 공연실행 과정을 포함하며 대본텍

스트 과정에서 드라마 활동을 통해 놀이와 즉흥으로 만들어진 장면들은

공연실행 과정에서 연기 연출의 요소를 통해 새롭게 통합되고 발전되어

공연으로 이어진다. 대본텍스트 과정에서의 각 단계는 다음의 세부적 활

동요소들을가진다‘

이야기 만나기는 텍스트 작업을 위한 준비 과정으로 자기 소개하기,

게임으로 옛이야기 속의 인물 만나기 줄거리로 다OJ하게 텍스트 맛보

기, 이미지 그림 그리기 등의 활동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과정은 참여자

들이 처음 만나서 몸과 마음을 열고 텍스트 속으로 들어가기 위한 워밍

업 작업이므로 신체적 리듬을 강화하기 위한 옴풀기 활동과 게임을 통

한 상상과 변형 활동, 이야기의 압축과 확장 작업을 다OJ하게 경험한다.

이야기 탐색은 핵섬단어 찾기를 통한 정서 탐구하기, 질문카드 쓰기, 이

야기를 다섯 개의 정지 장면으로 표현하기 등을 통해 텍스트를 구조화

하기 위한 제재와 주제 탐색 활동을 경험한다. 이야기 형상화는 허구적

으로 맥락화 된 구조 위에서 조밀하게 이야기를 엮어가는 극화 작업이

중심이 된다. 이야기의 주체 세우기, 이야기를 움직이는 동기나 원인 찾

기, 사건의 중심 파악하기, 연극적 요소에 대한 고민 등을 체계적으로 풀

어가는 단계이다. 서사를 중심으로 혹은 서사에서 파생되는 빈 공간의

의미를 중심으로 극적 기법을 활용하여 다양한 장면 만들기 활동을 통

22) lonothan Neelands and Tony Gocx:ie, 위의 책, 1장 참조

Page 12: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연구 2018-12-13 · 한국문학논총 제62집(2012. 12) 429-462쪽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μ0 한국문학논총 제62집

해 인물과 사건을 창조해내고 극적 갈등을 탐구한다

공연실행 과정의 각 단계는 다음의 요소를 포함한다. 극만들기에서는

드라마 활동에서 만들어진 장면들을 바탕으로 극의 플롯을 결정하고 주

제를 살릴 수 있도록 장면을 재배치한다. 장변의 추가, 삭제, 통합을 통

해 플롯에 따른 각 장면이 확정되면 내용을 대본으로 정리하고 배역을

결정하고, 무대형상화에 필요한 소품과 소도구, 의상을 제작한다.

공연 및 마무리 과정은 음악과 소품, 의상을 갖추고 무대 위에서의 자

연스러운 움직임을 찾기 위해 ‘논의-실행-재논의-재실행’을 반복하며

각 장면의 앙상블 연기와 극 전체를 반복 연습한다. 공연을 마친 후에는

소감 나누기를 통해 공연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회를 가진다.

m.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1. 극적 기법을 활용한 창의적 스토리텔링

<해와 달이 된 오누이>는 <해와 달이 된 남매>, <해와 달이 된 자

매>, <호랑이와 어머니와 어린아이>, <수수대가 빨간 유래>, <수숫대

가 빨강게 된 내력>, <해님 달님> 등의 다양한 제목으로 불리며 전국에

고루 확산되어 있는 광포설화이다. 몇 가지 화소의 탈락 여부와 전래동

화로 각색되는 과정에서 아예 잔인한 부분이 생략되거나 하는 점을 감

안하더라도 각 지역에서 채록된 각편에 큰 변이가 없이 줄거리가 다음

과 같은 일정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 옛날 어느 산골에 홀어머니와 젖먹이랑 어린 오누이가 살았다

@ 어머니는 고개 넘어 부잣집에 일하러 갔다 돌아오는 길에 호랑이를

만나서 떡, 옷, 팔, 다리를 빼앗기고 결국 잡아먹힌다.

@ 호랑이는 어머니로 변장하고 오누이가 사는 집으로 찾아간다.

Page 13: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연구 2018-12-13 · 한국문학논총 제62집(2012. 12) 429-462쪽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연구 441

@ 오누이는 호랑이의 목소리와 손이 어머니와 다르다고 문을 열어주지

않는다.

@ 호랑이는 온갖 꾀를 써서 마침내 방으로 들어가 젖먹이를 잡아먹는

다.

@ 오누이에게 던져 준 젖먹이의 손가락을 보고 오누이는 호랑이의 정

체를 알아차리고 똥마렵다는 핑계를 대고 집밖으로 도망쳐 나와 우

물가 나무 위에 올라간다.

@ 호랑이가 나무 위로 뒤쫓아 오자 오누이는 동아줄을 내려달라고 기

도하여 새 동아줄을 타고 하늘로 올라간다.

@ 호랑이는 썩은 동아줄을 타고 올라가다 떨어져 죽는다.

@ 하늘에 오른 오누이는 해와 달이 되었다.

위의 화소들 중 @의 어머니가 호랑이에게 떡(묵, 수수팔떡, 개떡, 콩

죽 동)을 빼앗기고 옷을 잃은 후 사지를 차례로 먹히고 죽게 되는 내용

과 @에서 오누이가 호랑이의 정체를 알아차리는 것이 젖먹이를 잡아먹

다 그 손가락을 던져주었기 때문이라는 점 @에서 똥마렵다는 핑계를

대고 도망치는 오누이의 지혜로움 등이 전래동화로 각색되는 과정에서

대부분의 어린이책 작가들에 의해 축소되거나 아예 사라져버린다. 이를

두고 김환희는 일제강점기에 손진태와 임석재가 채록한 거의 모든 각편

에 이 화소들이 비중 있게 실려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린이책 작가들이

다양한 각편을 제대로 읽지 않았다는 점과 교육적, 예술적인 측면에서

그 가치를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잃)

연구자가 <해와 달> 프로그램을 통해 만난 대부분의 학생들 역시 그

림책에서 생략된 위의 세 화소에 대해 모르는 경우가 많았다. 어릴 때

읽은 동화책에는 그런 내용이 없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위해

23) 김환희 r<해와 달이 된 오누이>를 통해 본 옛이야기 그림책의 딜레마」 , r옛이

야기와 어린이책~ , 창비 , 21α애, 46 -49쪽.

Page 14: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연구 2018-12-13 · 한국문학논총 제62집(2012. 12) 429-462쪽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442 한국문학논총 재62집

수많은 채록본 중에서 자료를 선택하지 않고 중심 텍스트로 위의 서사

구조를 모두 포함히고 있는 그림책24)을 활용하고자 한다. 이는 전승되

는 각편 들의 경우 사투리로 되어 있어 지역성이 두드러지거나 구연자

들에 의해 세부 이야기들이 각양각색으로 전개되고 있기 때문에 그 중

어느 한 편을 텍스트로 삼아 극화를 진행하기기- 어 렵기 때문이다. 어린

이 그림책은 가장 단순한 서시를 뼈대로 하기 때문에 서사적 추론을 통

한 상상과 변형이 얼마든지 가능하다. 연극텍스트화 과정은 창의적 스토

리텔링으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새로운 각편을 탄생시키는 작업

이 될 수 있다.

<표 1>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프로그램

목표 극적 기법 활동내용

옛이야기와 정지 동작 • 옛이야기 속의 인물 되어보기

친숙해지기 토의 • 옛이야기의 매력에 대해 이야기 니누기 이야기 ·텍스E 읽기 만나기 역할속에서

텍스트 · 줄거리 3분 안에 말하기

만나기 이야기

• 다른 입장에서 이야기 들려주기(4인l조) 들려주기

- 마을 노암V 엄마 / 오누이

정서 사운드트래킹 • 핵심 단어 찾고 즉홍 합창하기 탐구하기 이미지 만들기 · 이미지 그림 그리기

이야기 브레인스토밍 · 핵심 의문문 만들기 탐색 내용 • 전체 이야기를 나레이션이 있는 다섯 개의 l

탐구하기 정지 동작 정지장면으로 만들기(호랑이/ 엄마/ 오누 이의 관점 )

그날의이야기 · 엄마가 되어 살아보기

이야기 장면 만들기 역할놀이 • 엄마와 부잣집 마님 역할 맡기 형상화 @ 집단 즉홍 • 마을 사람들이 되어 호랑이에 관한 소문을 l

소문전달하기 만들고 서로 전달하는 즉흥

24) 김성민 글 · 그림 r해와 달이 된 오누이~ , 사계절, 2009 사계절 출판사에서 간행

한 『해와 달이 된 오누이』 그림책에는 ø,(5), @ 화소가 모두 상세하게 복원되

어 있으며 목판화로 이루어진 그림이 〈해와 달〉의 정서를 잘 살려내고 있어서

텍스트로 선정하였다.

Page 15: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연구 2018-12-13 · 한국문학논총 제62집(2012. 12) 429-462쪽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연구 443

네러티브마엄 · 호랑이가 나타난 마을 사람들이 되어서 호

랑이를 잡으러 떠나는 즉홍 공간창조하기

• 호랑이가 있는 공간 창조하기

· 호랑이의 움직임 창조하기

창의적 움직임 • l인, 4인, 8인, 전체가 모여서 호랑이 만

사운드트랙킹 들기 (천을 활용)

· 호랑이의 움직임에 맞는 소리 만들기

인불 빈의자 · 호랑이 탐구

역할놀이 · 오누이가 되어 놀이 장면 만들기 탐구하기

핫시텅 • 엄마/ 오누이 / 이웃 사람 소그룹

• 호랑이와 엄마의 쫓고 쫓기는 장면만들기 극만들기

(공간이 세 번 바뀌도록) 이야기 정면만들기 공간 창조하기

형상화 @ 움직임과 군무 · 오누이와 호랑이의 추격전

-기4、:J흐 인르1 · 이야기의 현대적 변용

연극만들기 • 이야기의 상징 풀기와 재창조

· 옛이야기를 통해 나의 현실괴 만니기

반추하기 토의 • 현대적 변용을 통한 옛이야기의 현재적 가 치 발견하기

• 극화 활동에서 나온 장면들을 차드로 만들

플롯 장면 카드 어 배열하기 배열하기 · 장면 카드를 통해 플롯 결정하기

二그 결정하기

토론 · 연극의 주제 공유하기 「

만들기 - 논의와 주제 선택

(공연 대본 토론

• 극화 활동에서 니온 대사를 중심으로 대본 실행화 정리하기 정리하기 과정) 배역

결정하기 토론 · 배역 정하기 의상,소품, 무대 만들기 • 의상, 소품, 무대 제작하기 무대 꾸미기

공연 및 · 극의 플롯에 대한 전체적인 설명, 확인

· 부분별 연습, 정리 마무리

- 소품, 의상, 음악 챙기기 (공연 공연 올리기 리허설

· 전체 장면 반복 연습 실행화 마무리 하기

· 앙상블 연기 연습 과정)

· 음악, 조명 등 무대 리허설

。연 • 공연 발표하기 • 소감 나누기

Page 16: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연구 2018-12-13 · 한국문학논총 제62집(2012. 12) 429-462쪽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때4 한국문학논총 제62집

<표 1>에서 제시한 <해와 달〉의 연극텍스트화 과정은 30시간 이상

의 활동을 토대로 한 것인다 대본텍스트회를 거쳐 무대 공연을 올릴 수

있는 공연실행화 과정으로 옮겨가는 전체 과정을 정리한 것으로 본 논

문에서는 주로 대본텍스트화 과정에서의 이야기 탐색과 형상화 활동 몇

가지를 통해 <해와 달>을 극적으로 탐구핸 방법을 논의하고자 한

다 25) 교육적 목적을 가진 청소년들과의 활동은 6-8시간을 통해 대본

텍스트화 과정의 몇 가지 활동을 선택하여 옛이야기의 서사와 갈둥 탐

구를 거쳐 이야기의 현대적 변용까지를 다루는 것이 효과적이다.

(1) 이야기 탐색

φ 질문카드 쓰고 분류하기(Br,없l1StOrrning)26)

옛이야기를 읽다보면 수많은 의문점이 꼬리를 물고 이어진다. 설화 연

구자들은 각자가 이야기에서 주목히는 바에 질문을 던지고 그 해답을

얻는 과정으로 논의를 전개해나간다. 극적 탐구 역시 참여자들이 각자

이야기와 관련하여 궁금한 점을 메모지에 한 문장씩 적은 뒤 비슷한 내

용끼리 범주를 정해 묶어본다. 그러다 보면 연극적으로 탐구하고 싶은

내용들이 구체적으로 눈에 보이게 되는 것이다 질문을 적은 카드를 호

랑이, 엄마, 오누이, 기타 등으로 분류하여 칠판에 붙인다 리더는 의문

문들을 잘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맥락을 조직하고 극적 기법을 통해 어

떻게 그 질문을 탐구할 것인지를 연구해야 한다

25) ill-l에서 사용한 자료는 2011년 8월 8일 -13일 전국교사연극모임에서 〈교사를

위한 연극만들기> 연수 프로그램으로 실행한 사례를 바탕으로 한다. 연수 참여

지는 9명(남1)이며 %시간의 프로그램을 통해 ‘호랑이가 나타났다’라는 작품을

공연하였다

26) 생각 일깨우기(Brainstonning) ’ 드라마의 소재에 대한 경험과 태도를 일깨우기

위해서 그 소재에 대해서 연상되는 단어를 말하거나 이미지, 색깔, 맛, 냉새 등

의 감각을 일깨우기, 관련된 소재에 대한 질문을 이끌어냉으로써 드라마를 시작

하기 위한 준비 작업으로 이루어진다 김순희연극 관습(Dramatic

Conventions) 소개」, 『교육연극을 활용한 통합수업연수자료집J , 한국예술종합학

교 아동청소년 예술센터, 2005, 64쪽

Page 17: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연구 2018-12-13 · 한국문학논총 제62집(2012. 12) 429-462쪽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연구 445

• 호랑이와 관련된 질문

엄마 옷이 작지 않았을까/ 호랑이는 왜 엄마를 그냥 잡아먹지 않고 떡‘

팔, 다리, 몸통 순서대로 잡아먹었나/ 호랑이는 오누이가 살고 있는 집을 어

떻게 알았을까/호랑이는 배 부르면 먹지 않는다고 하던데 왜 아이들까지 잡

아먹으려 했을까/호랑이는 떡을 먹었을까

암컷일까, 수컷일까/호랑이는 그냥 아이들을 잡아먹으면 되는데 왜 엄마

로 위장을 했을까

• 엄마와 관련된 질문

왜 산 속 깊은 곳에서 아이를 키우고 살았을까/ 호랑이와 왜 싸울 생각을

앞형을센 왜 도망가지 않았을까/오누이와 어린 젖먹이를 떼어놓고 일 나

가는 엄마의 마음은 어댔을까

왜 먼 곳에 일하러 갔을까/엄마는 죽을 때 어떤 생각을 했을까

• 오누이와관련된 질문

아이들은 왜 그렇게 쉽게 문을 열어주었을까/호랑이를 정말 엄마라고 생

각했을까/오누이가 나무에 올라갈 때 도끼를 썼을까/ 오누이는 몇 살일까/

오누이는 평소에 무엇을 하면서 놀았을까/아이들은 도망가는 것 대신 왜 기

도를 선택했을까/오누이에게 갓난아기의 존재의 의미는 무엇이었을까/동생

이 철없이 굴었을 때 오빠는 어떤 마음이었을까

• 기타 질문들 아버지는 왜 없을까/혼자서 아이들을 키우는 엄마를 도와주는 주변 사람

들은 없었나/오누이는 왜 해와 달이 되었을까/오누이가 해님 달님이 되기

전엔 해님 달님이 없었나/올라간 니무는 무슨 나무일까/동아줄은 누가 보낸

것일까/동아줄의 의미는 무엇인가

밑줄 그은 질문들은 극화 작업의 중심이 되면서 설화연구에서도 주요

한 쟁점이 되는 질문들이다. 상징적-심리학적 분석을 통해 여성성이라

는 주제에 맞추어 <해와 달>을 분석한 고혜경은 호랑이의 등장을 오누

이가 어머니라는 세계를 벗어나 아버지의 세계로 나아가는 데 있어 필

연적으로 통과해야 할 의례를 밖에서 강제적으로 가져오는 존재로 파악

Page 18: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연구 2018-12-13 · 한국문학논총 제62집(2012. 12) 429-462쪽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446 한국문학논총 제62집

한다 호랑이는 인간의 욕망에 대한 의인화이며 신화나 옛이야기에 자주

퉁정-하는 상반된 특질을 가진 트릭스터로서 찰나적 낙원과도 같은 평화

로운 오두막에 일대 혼란을 일으킴으로써 오누이기- 새로운 세상을 향해

나아가도록 만든다는 것이다. 즉 <해와 달>은 오누이가 어머니의 보호

아래에서 벗어나 호랑이에게 잡혀 먹히지 않으려는 필사적인 노력 끝에

히늘에서 빛을 발히는 해와 달로 다시 태어나게 되는 오누이의 성장담

이라는 측면에 중심을 두고 해석한다27)

일월신화c.t는 측면에서 <해와 달>의 신화적 성격 분석에 중심을 두

는 한기호는 신화의 주인공들이 입사 의례적 탄생을 통해 새로운 질서

로 다스려지는 세상의 지도자로서의 자격을 획득하는 존재의 변화를 이

루어내는 것과 마찬가지로 <해와 달>은 나이 어린 오누이로 표상되는

세계의 질서를 인식하지 못한 입사의례 이전의 불완전한 인물이 입사식

을 거쳐 새로운 질서의 상징이라 할 수 있는 해와 달이라는 존재, 즉 세

계의 질서를 인식한 존재로 거듭나는 이야기로 설명하고 있다.28)

역사-민중적 시각으로 이야기의 상징을 구체적으로 풀이하고 있는 이

종란은 <해와 달>의 변이가 거의 없디는 점에서 이야기가 특정 시기에

집중적으로 전승되었을 것이라고 전제하며 그 시기는 1911년 이전의 민

중의 경험을 토대로 구성되었다고 본다. 따라서 이 이야기는 역사적으로

일제가 조선을 침탈해 가는 과정을 그린 것이며 아버지의 부재는 백성

들을 보호해야 할 국가적 힘의 부재로, 산골 오두막에 고립무원으로 산

오누이 가족은 당시 조선의 외교적 처지의 반영으로 본다. 호랑이가 어

머니에게서 떡-팔다리-몸통을 차례로 가져가는 것은 일제의 치밀한 이

권 침탈 과정을 은유하며 오누이가 하늘에 기도를 하는 것은 당시 기독

교가 강조했던 교회와 구원의 역할과 연관지어 설명하고 있다. 즉 환란

을 당했을 때 하나님께 의지하면 살 길이 보인디는 것이다 29)

27) 고혜경, 앞의 책, 95- 110쪽

28) 한기호, 앞의 논문, 29쪽

29) 이종란, 앞의 책, 165- 181쪽

Page 19: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연구 2018-12-13 · 한국문학논총 제62집(2012. 12) 429-462쪽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연구 447

설화 연구자들의 다양한 해석을 참여자들에게 알려줄 필요는 없다. 오

히려 일반적으로 해석되고 있는 내용에 얽매이지 않고 스스로 의미를

찾아가는 과정을 창조할 수 있도록 격려하는 것이 펼요하다, 같은 질문

에서 출발하더라도 이야기를 내면화하는 해석은 매우 다르기 때문에 참

여자들은 극화과정에서 일차적으로 이야기의 시간과 공간, 인물들을 입

체화시켜서 살아있는 존재로 만들어내야 하며 그 과정을 통해 자연스럽

게 옛이야기의 세상으로 들어가게 된다. 또한 참여자를 둘러싼 현실 세

계가 품고 있는 모습을 투영하여 이야기를 새롭게 바라볼 수 있는 장치

들을 통해 인식의 확장을 가져올 수 있어야 한다.

@ 핵심 단어 찾기

이야기의 핵심을 관통하는 정서나 주제를 담고 있는 단어를 모둠원이

합의하지 않고 전지에 적어보는 활동이다 핵심단어는 이후 전개될 다양

한 극화 작업에서 방향을 잡아갈 수 있는 열쇠가 된다. 등장 인물과 관

련해서 떠오르는 단어를 통해 성격을 구축하거나 그 특성을 찾아낼 수

있다. 각자 적은 단어들 중에서 논의하여 5개의 핵심 단어를 선택한다

호랑이와 관련하여 주로 나오는 단어는 ‘끝없는 욕망, 탐욕, 진인함, 공

포, 폭력, 어리석음, 탐관오리, 거짓말’ 등이고 어머니는 ‘모성애, 희생, 슬

픔, 두려움, 고통’ 등이며, 오누이와 관련해서는 ‘지혜, 성급함, 재치’ 등으

로 나타난다 교사연수에서는 l모둠이 ‘아버지의 부재, 철없음, 왜곡, 간

절함, 범죄’를 2모둠이 ‘생사의 공포, 외로움, 자기중심적, 가족애, 긴박감’

을 선택했다.

@ 이미지 그럼 그리기

이야기를 읽거나 들으면서 느껴지는 인상적인 이미지를 구체적이거나

추상적인 그림으로 그린다 그림 속에는 다양한 의미가 함축되어 있어

이야기 극화에 대한 실마리를 주기도 하고 각자가 생각하는 텍스트의

주제를 한 눈에 보여주기도 한다. 또한 그림을 통한 이미지 만들기는 참

여자들이 자발적으로 반응하고 탐구되고 있는 아이디어의 싹을 발견하

Page 20: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연구 2018-12-13 · 한국문학논총 제62집(2012. 12) 429-462쪽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448 한국문학논총 제62집

게 한다.30 )

<표 2> 이미지 그림 그리기 활동

(2) 이야기 형상화

@ 호랑이에 대한 소문 전달하기

오누이가 도망기고 있는 모습 뒤

로 호랑이의 붉은 혀가 뒤쫓고 있거나(오누이의 모습에 그림자

를 씌워서 공포를 표현), 깊은 어 둠 숲 속에서 공포에 질려 도망

가는 어머니의 뒤에서 노려보는

호랑이의 눈을 표현하거나, 갓난 아기를 잡아먹는 호랑이의 탐욕 스러움을 표현하거나, 나무 위에 올라가 하늘에 빌고 있는 오누이

의 간절함을 표현하고 있다

호랑이가 가진 폭력성, 탐욕, 억압, 횡포, 잔인함에 대한 메타포가 형

성되는 과정을 마을에 떠도는 소문을 통해 만들어나가는 방법이다. 소문

전달하기는 옛이야기의 환상성과 비현실성을 드러내기에 유용한 극적

기법이다 <해와 달>에서는 호랑이가 나타나고 마을에 어떤 일들이 벌

어졌는지를 소문 전달하기를 통해 만들어낼 수 있다. 소문이 하나씩 건

너갈수록 커져가는 과정을 통해 옛이야기가 전승되는 과정에서 사건이

어떻게 확장되고 이야기가 보태어지는가를 경험할 수 있으며 이 후에

이야기의 공간을 창조하고 주막에서, 빨래터에서, 혼인 잔치에서 사람들

이 혹은 사물들이 말하기를 통해 소문의 내용을 장면에 활용할 수 있다.

실행 사례로 ‘내가 빨래를 하고 있는데 뒷동네에 기괴한 소문이 도는 거

30) Nancy King, 황정현 역창조적인 언어사용능력을 위한 교육연극 방법~ , 평민

시一, 2α:6, 78-79쪽

Page 21: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연구 2018-12-13 · 한국문학논총 제62집(2012. 12) 429-462쪽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연구 449

야 호랑이가 너무 굶주려서 배고파 가지고 짐승이고 뭐고 할 것 없이

다 잡아먹었대. 가뭄이 들어서 이제는 뒷마을까지 내려왔대. 글쩨 그 마

을에서 애기들만 그렇게 잡아먹는대. 호랑이가 처음 맛본 게 애기 고기

였대. 애기들 있는 집은 일도 나가지 말고 다들 지켜야 해, 그 호랑이를

잡으려고 포상금이 내걸려서 전국의 포수들이 모여 들고 있어’ 등과 같

은 소문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호랑이가 가진 의미를 확장

시켜 나간다.

@ 호랑이와 엄마의 갈등을 장변화하기

엄마가 일하러 간 집에서 떡을 얻어서 돌아오는 길에 몇 개의 고개를

넘으며 호랑이를 반복적으로 만나는 장면의 형상화이다. 극적 활동에 몇

가지 조건을 제시할 수 있다. 엄마는 세 번의 장소를 지나며 참여자들

은 엄마와 호랑이 역할을 제외하고 모두 장소를 표현해 내어야 한다. 엄

마는 호랑이를 세 번 대변하게 되면서 떡 • 팔, 다리 • 몸통 순서로 호

랑이에게 먹힌다 호랑이는 공간의 변화를 활용하여 엄마를 더욱 압박해

들어가며 엄마가 죽는 마지막 장소는 집에서 가까운 곳으로 설정한다.

활동이 끝난 후 대사를 포스트잇에 적어 전지에 붙여 대본을 채록한다.

이 활동은 공간을 상상하고 몸으로 표현해 내며 이야기를 입체적으로

형상화해내는 창의적인 활동이 될 수 있다.

• 실행 사례 : 장소는 ‘동굴→낭떠러지→집 앞 언덕’으로 변화한다.

장면 1 - 바람소리 / 웬 비가 이렇게 내리나 우리 애들이 나를 기다릴

텐데 쉬었다 가야 하나 그냥 가야 하나 / 왜 이렇게 음산해 /

어홍 / 옛다 이거나 먹어라

장면 2 - (코러스) 여기로 오면 안돼 안돼 오지 마 이걸 어쩨나 / 오지

마, 저리 7}, 오지 말란 말이야

장면 3 - 삐그덕 삐그펙 1 (코러스) 애들 엄마가 많이 늦는데? I 아이들

이 많이 기다리는데 별일 없겠지? 1 그래야지 / 저기가 우리 집인데 다리가 없어서 가지도 못하고 손이 없어 기지도 못하

Page 22: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연구 2018-12-13 · 한국문학논총 제62집(2012. 12) 429-462쪽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450 한국문학논총 제62집

고 얘들아 / (코러스 노래 ) 이거리 저거리 닷거리 천사만λ}

다반사

<사진 1> 엄마와 호랑이의 갈등 장면화

참여자들이 만들어낸 장소는 매우 다양하다. 당산나무 아래 미록부처,

개울가, 커다란 바위 와 나무들이 빽빽한 숲, 협곡과 벼랑, 빈 집과 외나

무다리, 공동묘지, 동굴 등 천과 소품을 활용하여 몸으로 배경을 만들어

내고 간교한 호랑이가 숨어서 엄마를 기다리는 장변을 표현한다.3 LJ

@ 오누이의 놀이 장면 만들기

오누이는 몇 살일까? 오누이는 평소에 무엇을 하면서 놀았을까? 동생

이 철없이 굴었을 때 오빠는 어떤 마음이었을까? 등의 질문에 대한 극

적 대답으로서의 활동이다.2인 l조 역할놀이를 활용하여 이야기 속의

31) 본 활동에 시용된 극적 기법은 ‘소그룹 연극만들기’와 ‘극적 공간 만들기’이다.

소그룹 연극만들기(Small-Group Play-Making)는 소그룹으로 나뉘어서 하나의

가상 상황을 재현하는 방식으로 즉홍을 계획하고 연습하여 다른 모둠 앞에서

발표하는 것으로 참가자들은 모둠별로 완성된 극적 서술을 만들어내기 위한 작

업을 하게 된다 Cecily O'ne비, Alan Lambert, Rosemary Linnell, Janet Warr-w∞d, %f윤석 역 r런던 교육청 교육연극수업 가이드라인.1, 달라진 책,

2W7, 137 - 142쪽

극적 공간 만들기(De미피19 the Space)는 사건이 발생한 장소를 나타내기 위해

혹은 극 중 특정 물체의 물리적인 규모를 나타내거나 사건이 발생한 장소와 집,

그리고 방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가구나 여러 가지 물체를 시용하여 마음속

으로 상상한 공간을 실재하게 만드는 것이다 Jonothan Neelands and Tony

G∞de, 앞의 책 , 24쪽

Page 23: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연구 2018-12-13 · 한국문학논총 제62집(2012. 12) 429-462쪽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연구 451

오누이가 되어서 성격을 창조해내고 상상을 통해 오누이의 일상을 복원

해낸다. 역시 몇 가지 조건을 제시하여 극적 장변을 만들어낼 수 있도록

유도한다. 갓난아기는 굳이 설정하지 않아도 되며 오빠와 여동생의 캐

릭터를 설정하고 오누이의 하루를 아침, 점심, 저녁으로 재구성한다. 세

가지의 놀이로 진짜 놀아야 하며 전래놀이를 활용한다. 하나의 놀이는

오빠 혹은 여동생에 의해 중단되고 새 놀이로 넘어가서(여동생이 떼를

쓰거나 오빠가 같이 놀기 싫어서 꾀를 내거나 하는 방식으로) 마지막 놀

이는 지친 오누이가 엄마를 기다리면서 마무리한다.

이 놀이를 통해서 참여자들은 가난한 집에 홀로 남겨진 어린 오누이

가 되어서 밤늦도록 엄마를 기다리는 경험을 하게 된다. 배가 고파서 찬

물을 마시기도 하고 풀을 뜯어서 풀죽을 쑤어서 먹다가 토하기도 하며

오빠는 투정하는 누이를 달래면서 하루를 살게 된다. 그 과정에서 참여

자들은 스스로 그 인물에 동화되어 오누이의 다양한 정서를 체험하게

된다.

• 실행 사례 : 놀이는 두꺼비 집 짓기→호랑이 놀이→숨바꼭질로 변화한다

막둥이 되게 잘 잔다. / 막둥이 자니까 밖에 나가서 놀자 / 우리 두꺼

비집 하자. 두껍아 두껍아 헌 집 줄게, 새 집 다오. / (흙집 무너뜨리며)

우리 딴 거 하자. / 우리 깃대 세우기 하자 이번에 내가 마을에 가서

배워 온 거야. 되게 재있어 / 우리 호랑이 놀이 하자 / 한 고개 넘고

아이 다리얘 두 고개 념고 아이 다리악 세 고개 념고 아이 다리야 /

호랑아 호랑아 뭐 하니? 잠잔다 세수한다 밥 먹는다 무슨 반찬 토끼

반찬 / 우리 엄마 어디쯤 오시나 마중 나갈까? 날도 저무는데 언제 오

실까7 / 배고파 / 우리 숨바꼭질 할까? 네가 먼저 숨어. 내가 찾을게 . /

꽃님이 어디 숨었나? 작아서 보이지 않네 나무 뒤에 있나? 장독대에

있나? 여기 있네. 근데 잠들었네. 집에 가서 자자‘ (업고) 엄마가 섬그늘

에 노래 / 꽃님이도 자고 애기도 자고 나는 공부나 해 볼까? 엄마 언

제 오시려나,

Page 24: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연구 2018-12-13 · 한국문학논총 제62집(2012. 12) 429-462쪽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452 한국문학논총 제62집

@ 호랑이의 움직임 탐색32)

모두가 각자 호랑이가 되어 움직임을 탐색한다 북으로 신호를 열을

세는 동안 호랑이가 되어 융직이고 다시 열 번 두드리면 4명이 모여서

움직이는 호랑이가 된다.4명에서 8명으로 마지막엔 모두 같이 합체된

거대한 호랑이의 모습이 되도록 움직인다. 호랑이의 느낌을 천과 결합하

여 표현, 한 명이 네 명의 코러스가 잡고 있는 천 속에 들어가 표현, 그

사람의 웅직임을 따라 코러스가 표현해낸다. 호랑이가 오누이를 몰아갈

때 천을 이용해서 표현 가능하며 천을 잡는 사람도 호랑이가 되어야 한

다 무대에서 조명 효과를 이용해 역동적인 모습을 표현해낼 수 있다

이 활동을 통해 긴장된 옴을 이완시키면서 창조적으로 자신의 몸을

자유롭게 열어놓고 표현하는 연습을 할 수 있다 또한 서서히 호랑이가

되는 움직임의 변회를 통해 호랑이가 가진 정서를 표현해냄으로써 그

정서를 경험해볼 수 있다.

2. 현대적 변용과 수용 의미

옛이야기는 비유와 상징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현대리는 관점에서 이

러한 비유와 상징을 풀어낸다면 옛이야기를 현실의 이야기로 다시 창조

할 수 있을 것이다 각기 다른 관점에서 이야기를 해석한다 하더라도 많

은 연구자들이 <해와 달>에서 주목하는 바는 호랑이, 엄마, 오누이의

상징성과 갈등담의 의미를 풀어내는 데 있다. 연구자 역시 연극텍스트화

를 통해 호랑이와 엄마, 오누이의 존재, 그들이 속한 세계와 공간, 그들

을 둘러싼 관계와 갈등의 진행 과정을 통해 드라마를 풀어가는 단서를

찾았고 공연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 참여자들과 함께 연극을 만들어가

32) 마임(Mimed Activity)을 활용한다. 이 기법은 대사나 생각보다는 웅직임이나 행

동 그리고 신체적 반응을 강조하는 활동이다 참여자들은 대사 즉홍에 대한 부

담감을 느끼지 않은 채 행위에 맞는 움직임올 선택하고 제스츄어를 탐구한다

행동을 묘사하기 보다는 행동을 직접 상연하며 상연 활동의 보조 장치로 언어

가 포함되기도 한다 김순희, 앞의 글, 69쪽

Page 25: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연구 2018-12-13 · 한국문학논총 제62집(2012. 12) 429-462쪽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연구 453

는 과정에서 이야기의 가치를 새롭게 수용하고 재창조할 수 있었다.

연극은 본질적으로 극적 사건과 정황에 개인의 경험을 결부시킬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하며, 토의를 거치지 않아도 행동을 통해 참가자의 말

과 행동이 실생활 경험을 여실히 드러내는 말과 행동으로 변화하도록

가능성을 열어주는 특징이 있다. 때문에 참여자들은 연극이라는 상징적

세계 안에서 역할을 수행하면서 즉흥적으로 자신들의 현실적 문제를 해

결해 나간다. 중고생 참여자들과의 작업에서 나온 사례33)를 보면 이야

기의 변용을 통한 그들의 현실을 짐작할 수가 있다 참여자들은 <해와

달>의 상정을 풀어 현대의 이야기로 만들어내었는데 즉흥극 속에서 이

야기는 어떻게 변용되었는지를 살펴보자-

사례 CD(중학생)

한 아이가 음악을 들으면서 즐겁게 노래를 따라 부르고 있다 엄마가 와

서는 시험이 얼마 남지 않았는데 공부 안하고 음악을 듣느냐고 나무라고는

휴대폰을 뺏어가 버린다. 아이는 다시 운동을 하고 있다. 엄마가 오더니 지

금 공부 안하고 운동하고 있을 때냐고 니무라고는 수학책을 주고 간다, 세

번 째 장변에서 아이는 친구와 재미있는 이야기를 하며 놀고 있다 엄마가

오더니 친구는 나중에 사귀면 된다고 하면서 친구를 보내 버리고 학원에 가

라고나무란다.

사례 (2)(중학생)

학교 앞에서 떡본이 장사를 하면서 어렵게 세 아이를 기르고 있는 엄마

가 있다. 엄마는 매일 장사를 나가면서 어린 오누이에게 젖먹이 동생을 잘

돌보라고 말한다. 어느 날, 노점상 단속이 들이 닥쳐 손수레를 부수고 엄마

는 경찰서에 끌려가서 집에 돌아오지를 못한다. 오누이는 엄마를 기다리다

가 젖먹이가 울자 이웃집을 찾아가 젖동냥을 하지만 아무도 도외주지 않는

다. 오누이는 라면을 끓여 먹으면서 울고 있는 젖먹이에게도 라면을 먹이는

바람에 기도가 막혀 아기는 죽고 만다. 다음 날, 산동네에 ‘서로 돕고 사는

33) 2011년 부산광역시 언어영재교육원 문학창작반 중동 3학년, 고등 1학년들과 작 업한 내용이다.

Page 26: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연구 2018-12-13 · 한국문학논총 제62집(2012. 12) 429-462쪽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454 한국문학논총 제62집

이웃 사람들’을 취재하는 방송을 하고 있다 이웃 사람들이 앞 다투어 서로

오누이 가정을 도오}주었다고 자랑을 하는 사이 엄미를 기다리는 오누이의

상심은 깊어간다

사례 @ (고동학생)

정치인이 시민들에게 공약을 여러 개 내걸고 자신을 밀어달라고 외친다

시민들은 세금이라는 글씨가 새겨진 종이로 만든 떡을 들고 온다 정치인이

다시 외친다. 시민들은 이번에는 권리라는 글씨가 새겨진 떡을 들고 와서

바친다. 정치인은 더욱 시민들을 몰아친다. 시민들이 지유라고 새겨진 떡을

갖다 준다 그래도 정치인은 계속 요구를 멈추지 않는다, 드디어 시민들은

춧불을 든다. 그들은 정치인을 몰아내 버린다

사례 @은 호랑이가 된 엄마가 아이에게서 처음에는 음악을, 운동을,

그리고 마지막에는 가장 소중한 친구를 뺏어간다 엄마의 욕망이 호랑이

의 탐욕과 만나는 지점에서 아이들은 현실을 매섭게 풍자한다 노제운은

<해와 달>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해석을 통해 어머니를 잡아먹은 호랑

이가 ‘호랑이 어머니’라는 허구적 인물로 재현되는 것을 호랑이가 어머

니의 옷을 입음으로써 어머니라는 기표를 획득하는 것으로 본다. 즉 거

룩한 모성의 소유자라는 어머니의 고정된 개념은 제거되고 ‘호랑이 어머

니 ’에는 선한 인물인 어머니와 젖먹이를 잔인하게 잡아먹은 악의 형상물

로서의 의미와 ‘호랑이 같은 어머니’가 됨으로써 아버지 부재리는 이야

기의 결핍 요소를 충족시키기 위한 ‘부성’적 의미가 모두 힘축되어 있다

는 것이다.영) 사례 @에서 등장하는 어머니는 오누이를 몰이붙이며 자

신의 욕망을 충족하고자 히는 호랑이 어머니의 허구적 재현을 보여준

다. 호랑이 어머니가 오누이를 쫓는 상황이 그 의도가 어떻든 청자(독

자)에게 잡아먹기 위한 것으로 비춰지듯 오늘날 자녀에 대한 부모의 과

잉 기대는 자식에게서 본질적인 즐거움과 자유를 빼앗는 억압으로 인식

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하겠다.

34) 노제운, 앞의 글, 308쪽

Page 27: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연구 2018-12-13 · 한국문학논총 제62집(2012. 12) 429-462쪽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연구 455

사례 @는 설화의 서사구조를 그대로 살려서 현대의 이야기로 만들어

내었다 일명 ‘떡복이 일가의 비극’으로 불린 위의 이야기 속 어머니는

가난하고 소외된 민중, 권력과 자본에 의해 생계마저 위협받는 서민으로

대치된다 :=l:i) 이 때 호랑이는 많은 설화 연구자들이 일반적으로 분석하

고 있는 탐욕스러운 권력의 상징, 부패한 탐관오리 등으로 참여자들에게

인식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사례 @에서 참여자들은 호랑이가 엄마에게서 떡을 빼앗는 상황을 사

회 정치적 현실로 치환시켜 상징을 풀어내고 있다 정치인의 거짓말에

속아 시민들은 세금, 권리, 자유(떡과 어머니의 신체로 대변되는 것)를

빼앗기고 나중에는 시위를 통해 시민의 권리를 되찾고자 한다. 호랑이에

게서 벗어나고자 하는 오누이의 재치는 즉흥극에서 시민들의 춧불시위

로 형상화 되었는데 이는 옛이야기의 현대적 변용을 통해 그 의미가 개

인적 현실에서 사회적 현실로 얼마든지 확장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옛이야기의 연극텍스트화의 의의는 다양한 활동 속에서 참여자들이

자신을 돌아보게 되고 연극예술을 통한 자기화의 경험을 통해 개인적,

사회적 성장을 이룬다는 데 있다 드라마 안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활동

- 글쓰기, 행위하기, 관찰하기, 말하기, 듣기, 사고하기, 상상하기, 협동하

기 등 은 개인의 내적 외적 성장과 발달을 촉진한다. 드라마를 가르치

는 장기적 목적은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과 자신이 살고 있는 세계에 대

해 이해하도록 돕는 것이고 교사가 드라마 속에서 설정한 상황 안에서

학생들은 사람들의 행동 방식을 새롭게 발견하고 이를 통해 자신들의

행동을 되돌아볼 수 있다. 신체적, 정서적, 지적인 자기화를 허구적 상황

35) <해와 달>에 등장하는 어머니(혹은 할멈)는 한결같이 ‘집이 가난해서 남으 집

방아품이나 팔어서 아이 셋을 데리고 겨우겨우 집안을 꾸려 감서 살거나’(임석

재, 한국구전설화 경기도 편) ‘집이 가난해서 놈에 집이 가서 방아품도 팔구 베

도 매주구 가우개우 살구 있다’(임석재 한국구전설화 평안북도 편)는 점에서 이

야기의 서사구조를 그대로 살린 현대적 변용에서 가난하고 힘없는 서민으로 대

체되기에 충분한 개연성을 획득한다 중학생 한 그룹은 가난한 어머니를 대변하

는 현대적 인물로 철거로 고통 받는 재개발 지역의 서민들을 설정하기도 했다

Page 28: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연구 2018-12-13 · 한국문학논총 제62집(2012. 12) 429-462쪽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456 한국문학논총 제62집

을 통해서 경험하는 것이 바로 연극적 활동인데 드라마에의 참여는 인

식(내면)과 행위(외면)의 통합적 일치를 통해 개인적이고도 사회적인 성

장을 얻게 되는 것이다. <해와 달>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활동

후기를 살펴보면 이러한 인식의 변화를 알 수 있다.

영재원에 들어온 지 얼마 되지 않아서 친구들과 어색했는데 아이들과 몸

으로 활동하고 토의하면서 친해진 것 같아 좋다 내가 호랑이도 되어보고

바람도 되어보고 하면서 이야기 속 인물의 생각을 자세히 느낄 수 있어서

너무 좋았다. (중 3 서영진)

우리가 익히 알고 있던 <해와 달이 된 오누이〉라는 이야기를 새롭게 깨

닫고 우리기- 연극으로 구성하고 더군다나 현대의 이야기로 바꿔보기도 하

면서 연극수업이 이렇게 재있다는 걸 새삼 깨달았다 (중 3 설다솜)

특히 내가 좋았던 활동은 <해와 달> 이야기를 우리 삶에 적용시켜 연극

을 만들어 본 것이다 친구들과 웃고 떠들면서도 이 이야기가 단지 옛이야

기가 아닌 현재 일어나고 있는 일임을 알았다 나도 계속되는 어른들의 압

박에 내 떡과 팔 다리 심지어 내 생명까지 빼앗기고 있는 것은 아닐까?

(중 3 유채운)

이 각박한 자기중심적인 사고만이 만연하는 사회에서 연극은 꼭 필요한

거 같다 나 자신만을 성찰하는 것이 이니라 서로 어색했던 친구들과 활동

해보면서 협력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고 1 정하린)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학생들은 옛이야기의 연극텍스트화 과정을 매우

흥미롭게 받아들였는데 다양한 활동에 참여히면서 상상력과 창의력이

발휘되고 함께 논의하고 장면을 만들어가는 과정을 통해서 사회성과 공

동체성이 높아졌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N. 결론

연극텍스트로서 옛이야기는 인간의 내면 문제에 대한 가르침을 통해

Page 29: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연구 2018-12-13 · 한국문학논총 제62집(2012. 12) 429-462쪽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연구 457

우리가 현실에서 겪는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 알맞은 해결책을 제시하며,

그 안에 허구와 현실의 양극성을 가지고 있다. 옛이야기의 매력은 우리

가 왜 오랫동안 그것을 즐기는 지 그 이유를 모르는 데에서 기인한다.

옛이야기를 말하고 들으며 성장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자신의 문제를 스

스로 이해하고 해결하는 가운데 성숙한 삶의 의미를 발견해왔으며 그것

은 다른 사람의 설명으로 얻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해와 달이 된 오누이>는 전국적 분포를 보이고 있는 이야기로 설화

연구자들의 분석관점 또한 다양하게 나타난다. 본 연구는 텍스트에 대한

극적 접근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며 다양한 참여자들과

의 연극텍스트화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에 이를 수 있었다.

첫째, 서사텍스트와 연극이라는 장르를 이어주는 다리로 극적 기법을

활용하였으며 서사적 추론을 통해 연극적으로 이야기의 빈 공간을 새롭

게 창조할 수 있었다. 옛이야기는 구술이라는 특정으후 인해 다%봐게

변주되어 왔는데 극적 활동은 옛이야기를 현대적으로 전승하는 창의적

스토리텔링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참여자들 역시 평소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한 <해와 달> 이야기를 놀이와 즉흥으로 살아봄으로써 생각지도

못한 새로운 의미를 발견해내기도 하고, 듣고 말하기에서 나아가 행위함

으로써 배움을 얻는 삶의 직접적인 연습으로서의 다양한 경험을 얻을

수 있었다고 말한다

둘째, <해와 달>의 현대적 변용을 통해 옛이야기가 가진 상정성을 풀

어낼 수 있었다, 연극텍스트화 과정을 통해 참여자들은 허구적 맥락 안

에서 호랑이와 엄마 오누이라는 인불과 그들이 겪는 갈등 상황을 탐색

하고 현실의 이야기로 재창조해냄으로써 옛이야기가 어떻게 현실의 삶

을 반영하고 매개하는 지를 체험하였다. 옛이야기와 연극은 허구세계라

는 점에서 공통적이며 연극텍스트화는 허구세계 안에 현실세계를 구축

하고 새롭게 재창조하는 과정이다 그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현실에서의

자신의 경험을 상정화하고 타인들과 상호작용함으로써 문제 해결의 열

Page 30: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연구 2018-12-13 · 한국문학논총 제62집(2012. 12) 429-462쪽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458 한국문학논총 제62집

쇠를 얻을수 있다.

옛이야기의 연극텍스트화는 서사의 단순한 연극적 재연이나 모방이

아니라 연극을 통해 옛이야기를 구체적으로 ‘지금, 여기에 현재화시킴으

로써 이야기를 정서적으로 살아내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옛이야기를 통

합적 관점으로 해석하고 연극적 구조 안에서 참여자들로 하여금 상호

협력하며 과거와 현재, 사실과 허구의 경계를 될 수 있는 한 열어 놓게

만든다. 참여자들의 삶은 옛이야기 속 세상을 만나서 내면과 외면의 통

합을 이루어내며 그것은 개인적 사회적 성장을 이루어낼 수 있는 계기

로 작용할 수 있는 것이다.

Page 31: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연구 2018-12-13 · 한국문학논총 제62집(2012. 12) 429-462쪽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연구 459

참고문헌

김기호트릭스터 그리고 성장의 매개자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호

랑이」, 『한민족어문학』 제 42호, 한민속어문학회, 2003, 289 - 315 죠으 ,

김성민 글 · 그림 ï"해와 달이 된 오누이.!l , 사계절, 2α)9.

김열규 외 ï"민담학개론.!l , 일조각, 1997.

김순희연극 관습(Dramatic Conventions) 소개」, 『교육연극을 활용한

통합수업연수자료집.!l , 한국예술종합학교 아동청소년 예술센터,

2005, 63-72쪽.

김환희 ï"옛이야기의 발견.!l , 우리교육, 2004.

- - --’ 『옛이야기와 어린이책.!l , (주)창비, 2009.

고혜경 ï"선녀는 왜 나무꾼을 떠났을까.!l , 한겨레출판, 20CX3.

노제운해와 달이 된 오누이」에 나타난 변형된 모성, 나르시시즘적 욕

망 . 정신분석학적 접근」, 『어문논집』 제 47집, 민족어문학회,

2003, 289-326쪽.

류수열 외 Ií스토리텔링의 이해.!l , 글누림, 2007

박성애한국 일윌설화의 연구 : 연오랑과 세오녀와 해와 달이 된 오누

이를 중심으로J , 선문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9

박정용설화의 전래동화 개작 양상과 문제점 연구 : <해와 달이 된 오

누이>, <콩쥐팔쥐>, <아기장수 설화>를 중심으로J , 한남대대학

원 석사학위 논문, 2005.

박정세‘해와 달이 된 오누이’ 민담에 투영된 역사적 현실과 민중의 희

망」 , 『신학사상.!l 94호, 한국신학연구소, 1996, 192 -211쪽.

성기열 Ii'한일민담의 비교 연구.!l , 일조각, 1979.

손진태 ï"한국민족설화의 연구.!l , 을유문화사, 1947.

신동흔 · 고전과 출판 연구 모임 Ii'프로이트, 심청을 만나다".!l , 웅진지식하

Page 32: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연구 2018-12-13 · 한국문학논총 제62집(2012. 12) 429-462쪽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460 한국문학논총 제62집

우스, 2010.

오탁번 · 이남호 u"서사문학의 이해.Jl ,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9.

이지영 r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설화의 동북아 지역 전승 양상과 그

특정」, 『동아시아고대학』 제 20집, 동아시아고대학회, 2009, Z75

-311쪽

정소영국어교육 :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전래동화의 설화수용의식

과 교육적 의미」 , 『새국어교육』 제 73호, 한국국어교육학회,

2000, 187-2CXì쪽.

조현설 r<해와 달이 된 오누이>형 민담의 창조신화적 성격 재론」 , 『비

교민속학』 제 33호, 비교민속학회, 2007, 107-130쪽

최예정 · 김성룡 공저 ij"스토리텔링과 내러티브.Jl , 글누림, 2005.

한기호해와 달이 된 오누이 설화의 신화적 성격 연구.J, 창원대학교 박

사학위 논문, 2000

허성애 r<해와 달이 된 오누이>설화 연구.J , 한국교원대 석사학위 논문,

1995.

황정현 1"동화 교육의 이론과 실제-교육연극을 중심으로.Jl , 박이정, 2007.

Be띠러nin, Walter 반성완 역 1"발터 벤야민의 문예이론.Jl , 민음사, 1995

Bettelheim, Bruno 김옥순, 주옥 역 1"옛이야기의 매력 I .Jl , 시공주니어,

1998.

King, Nancy 황정현 역 Jj"창조적인 언어사용능력올 위한 교육연극 방

법 .Jl , 평민사, 2000.

Nælands, Jonothan and Goode, Tony 이시 원 역 1"스트럭 처 링 드라마.Jl ,

달라진 책, 2011.

0’ne피, Cecily. Lambert, Alan. Linnell, Rosernary. Warr- wood, Janet.

양윤석역 1"런던교육청교육연극수업가이드라인.Jl, 달라진 책,

2007

Page 33: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연구 2018-12-13 · 한국문학논총 제62집(2012. 12) 429-462쪽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연구 461

<Abstract>

A Study on Making the story in the play

script of <The brother and sister who became

the sun and moon>

Lee, Mee-Yeon . HUh , Sung-Hee

<The brother and sister who becan1e the sun and moon> is one of

the popular stories for storytellers who creatively demonstrate the

anecdotes. Studies about the story have been handled by researchers

in comparative literature, myth, histoη and psychology. This w피

describe how the story has been established as an in1portant text for

the fol1owers.

Being liter혀ized and coclified means that the listener would

e)않rience the story with the 3- dimensional mechanism 바e

watching movie in an 1 -max movie theater. The process includes

lingual or non-lingual way and conversion of the story to a 미ay. The

drarnatic convention plays a role for bridging the gap between them

This w피 shed light on the way of writing and character analysis

originated from the conflicts in between, of the story for creative

storytelling with various drarnatic conventions.

In particular, the symbolism of the storγ will be told here as a more

m어em edition. The participants could e엔erience the story as real as

it gets at the point where the story meets the way of depiction about

the main characters. Also the participants could read the tipping point

for the 、Tirtual world and re떠ity by ha띠ng experiences of the

Page 34: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연구 2018-12-13 · 한국문학논총 제62집(2012. 12) 429-462쪽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462 한국문학논총 제62집

characters of their own.

Making the stαy in the play script is not just a re- write it or

mimicking but creating and giving breathe to the story as an

‘experiencing now texts'. So the participants m삶<:e solidification of i n

and outside of their own ITÚnd with the story and that will make a

progress for the individual and the society.

Key Words : Fairy tale of <The brother and sister who became the

sun and moon> , the old Korean Fairy T허e, dr않na

convention, playmaking, modemized transformation

l 논문접수 : 2012년 10월 30일 l 심사완료 2012년 11 월 12일

l 게재확정 : 2012년 11 월 1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