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325b315d2e5fc5ebbfac31302d3031395fc7d1b1b95fb3ebc0ce5fbfa9b0a1c8b0b5bf5fc3d6c1bebff ... ·...

22
통계연구(2011), 제16권 제1호, 26-47 단체참여를 통한 노인 여가활동향유 요인연구 * 김신영 1) 임창규 2) 요약 이 연구는 2008년도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 제를 규명해 보고자 한다. 첫째, 과거 연구에서 활용된 여가향유요인들을 중심으로 어떤 요인들 이 노인들의 단체참여유형들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탐색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약한 연 결망’의 개념을 조작적으로 정의하여 가설을 설정 한 다음 ‘약한 연결망’이 단체참여를 통한 여 가향유에 미치는 영향을 여가유형별로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분석결과를 요약하자면, 첫째, 이 연구의 주요 가설인 약한 연결망의 효과는 전체여가단체참여 뿐만 아니라 유형별 단체참여에 도 매우 일관되고 강건한(robust) 효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가설은 지지되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성별의 효과 역시 전체여가단체참여 뿐만 아니라 유형별 단체참 여에도 매우 일관되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성별의 경우 약한 연결망의 효과와 는 다르게 단체참여의 유형에 따라 성별로 효과가 달리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세 번째, 교육수준변수 역시 모든 유형의 여가단체참여에 일관되게 긍정적 효과를 보이고 있었으며 친목 단체참여를 제외하고 효과의 상대적 크기 또한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 응답노인의 연령은 문화단체와 봉사단체에의 참여를 제외한 다른 유형 및 총여가단체 참여정도에 긍정적 효 과를 보이고 있었다. 다섯 번째, 건강관련 변수 중에서는 건강관리상태 점수나 영양관리상태 점 수 보다는 우울정도의 부정적 효과가 더욱 강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 번째, 응답노인들의 삶의 태도와 관련된 변수 중에서는 새로운 경험을 추구하는 태도와 세대 간 조화 를 추구하는 태도가 여가단체 참여에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고 있었다. 주요용어 : 노인여가참여, 노인여가문화, 사회적 지지, 약한 연결망 1. 서론 급속한 고령화로 인하여 노인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주지하다시피 한국의 고령화는 이미 국가적 의제로 설정될 정도로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한 국의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2000년에 이미 7.2%에 이르러 U.N.이 마련한 기준에 의 한 고령화 사회(aging society)로 진입하였으며, 2018년에는 14%, 그리고 2026년에는 20.8%로 소위 초고령사회(super aged society)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통계 청, 2007). 인구고령화의 문제는 한국만의 문제는 아니다. 그러나 한국의 고령화가 심 각한 문제인 것은 첫째, 다른 선진국과 비교할 때 지나치게 빠른 속도의 고령화 진행 으로 인하여 대비할 시간을 충분히 가지지 못한다는 사실, 둘째, 이처럼 급속한 고령 화는 사회․경제적으로 큰 파급효과를 가져온다는 데 이유가 있다. 생산가능 인구의 * 이 논문은 2009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한국연 구재단-2009-기초연구과제지원사업(토대연구)-NRF-2009-322-B00013). 익명의 심사자들의 유익한 논평 에 감사드린다. 1) 주저자 및 교신저자. 한양사이버대학교, 실버산업학과 조교수. Email: [email protected] 2)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연구원. Email: [email protected]

Upload: others

Post on 27-Aug-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30325B315D2E5FC5EBBFAC31302D3031395FC7D1B1B95FB3EBC0CE5FBFA9B0A1C8B0B5BF5FC3D6C1BEBFF ... · 2011. 5. 12. · Title: 30325B315D2E5FC5EBBFAC31302D3031395FC7D1B1B95FB3EBC0CE5FBFA9B0A1C8B0B5BF5FC3D6C1BEBFF8BABB2DC0FAC0DABCF6C1A42E687770>

통계연구(2011), 제16권 제1호, 26-47

단체참여를 통한 노인 여가활동향유 요인연구*

김신영1) ․ 임창규2)

요약

이 연구는 2008년도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

제를 규명해 보고자 한다. 첫째, 과거 연구에서 활용된 여가향유요인들을 중심으로 어떤 요인들

이 노인들의 단체참여유형들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탐색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약한 연

결망’의 개념을 조작적으로 정의하여 가설을 설정 한 다음 ‘약한 연결망’이 단체참여를 통한 여

가향유에 미치는 영향을 여가유형별로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분석결과를 요약하자면, 첫째,

이 연구의 주요 가설인 약한 연결망의 효과는 전체여가단체참여 뿐만 아니라 유형별 단체참여에

도 매우 일관되고 강건한(robust) 효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가설은

지지되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성별의 효과 역시 전체여가단체참여 뿐만 아니라 유형별 단체참

여에도 매우 일관되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성별의 경우 약한 연결망의 효과와

는 다르게 단체참여의 유형에 따라 성별로 효과가 달리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세 번째,

교육수준변수 역시 모든 유형의 여가단체참여에 일관되게 긍정적 효과를 보이고 있었으며 친목

단체참여를 제외하고 효과의 상대적 크기 또한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 응답노인의

연령은 문화단체와 봉사단체에의 참여를 제외한 다른 유형 및 총여가단체 참여정도에 긍정적 효

과를 보이고 있었다. 다섯 번째, 건강관련 변수 중에서는 건강관리상태 점수나 영양관리상태 점

수 보다는 우울정도의 부정적 효과가 더욱 강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 번째,

응답노인들의 삶의 태도와 관련된 변수 중에서는 새로운 경험을 추구하는 태도와 세대 간 조화

를 추구하는 태도가 여가단체 참여에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고 있었다.

주요용어 : 노인여가참여, 노인여가문화, 사회적 지지, 약한 연결망

1. 서론

속한 고령화로 인하여 노인에 한 사회 심이 증가하고 있다. 주지하다시피

한국의 고령화는 이미 국가 의제로 설정될 정도로 심각한 수 에 이르고 있다. 한

국의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2000년에 이미 7.2%에 이르러 U.N.이 마련한 기 에 의

한 고령화 사회(aging society)로 진입하 으며, 2018년에는 14%, 그리고 2026년에는

20.8%로 소 고령사회(super aged society)로 진입할 것으로 상되고 있다(통계

청, 2007). 인구고령화의 문제는 한국만의 문제는 아니다. 그러나 한국의 고령화가 심

각한 문제인 것은 첫째, 다른 선진국과 비교할 때 지나치게 빠른 속도의 고령화 진행

으로 인하여 비할 시간을 충분히 가지지 못한다는 사실, 둘째, 이처럼 속한 고령

화는 사회․경제 으로 큰 효과를 가져온다는 데 이유가 있다. 생산가능 인구의

* 이 논문은 2009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한국연

구재단-2009-기 연구과제지원사업(토 연구)-NRF-2009-322-B00013). 익명의 심사자들의 유익한 논평

에 감사드린다.

1) 주 자 교신 자. 한양사이버 학교, 실버산업학과 조교수. Email: [email protected]

2) 고려 학교 한국사회연구소, 연구원. Email: [email protected]

Page 2: <30325B315D2E5FC5EBBFAC31302D3031395FC7D1B1B95FB3EBC0CE5FBFA9B0A1C8B0B5BF5FC3D6C1BEBFF ... · 2011. 5. 12. · Title: 30325B315D2E5FC5EBBFAC31302D3031395FC7D1B1B95FB3EBC0CE5FBFA9B0A1C8B0B5BF5FC3D6C1BEBFF8BABB2DC0FAC0DABCF6C1A42E687770>

단체참여를 통한 노인 여가활동향유 요인연구 27

감소 노동생산성 하로 인한 경제성장 둔화, 노인의료비와 국민연 여증가로

인한 공 부담 증가, 세입기반 약화로 인한 재정수지 약화, 노인부양부담에 따른 세

간 갈등의 첨 화 등은 그 몇 가지 에 불과하다.

노령인구의 증가로 인한 사회․경제 문제와 함께 심사로 떠오르고 있는 것은

증가하는 노령인구의 삶에 한 것이다. 보다 구체 으로는 노인의 신체 건강, 정신

건강, 삶의 질, 생활만족도, 노인의료 공 연 에 한 사회 학문 심

이다. 이 연구는 노령인구의 여가활동참여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경험 으로 분석

해 보고자 한다. 노인의 여가에 한 학문 심은 노인의 건강, 삶의 질, 생활만족

도에 한 연구들과 궤를 같이 한다. 왜냐하면, 노년기에는 퇴직 이후 사회경제 인

역할에서 벗어나 이로 인해 발생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됨에 따라 노년기의 여가는 일

하고 잠시 쉬는 여가라기보다는 생활 그 자체일 가능성이 크며, 따라서 여가시간을

어떻게 보내며 그에 한 만족도는 어떠한가는 노인의 삶의 질에 지 한 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한 노인들의 경우는 여가투성이의 생활을 해야 하는 상황

이기 때문에 여가 자체가 즐거움이라기보다는 무료함일 수 있고 여가의 향유라기보다

는 불가피한 여가소비에 한 강요일 가능성이 크고 이는 노인들에게 오히려 정신

․정서 고통을 안겨주는 결과를 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노년기 높은 수 의 삶의 질과 생활만족도를 한 노인여가활동의 의의와 요성

은 략 네 가지 정도로 요약 될 수 있다. 첫째, 노년기의 여가활동 참여는 인생의 마

지막 자아실 을 한 기회가 될 수 있다. 둘째, 노년기의 여가활동참여는 일상 인

활동을 계획 으로 구성하게 함으로써 노년기 건강에 기여 할 수 있다. 셋째, 노년기

여가참여 부분은 친구 는 집단속에서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정서 자원을 확보

할 수 있는 기회로 작용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노년기 여가참여는 사회참여의 계기로

작용하며 지역사회의 공동체 형성과 발 에도 정 으로 기여하게 되는 것이다.

이 연구는 2008년도 국 노인생활실태 복지욕구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규명해 보고자 한다. 첫째, 과거 연구에서 활용된 여가향유요인들을

심으로 어떤 요인들이 노인들의 단체참여를 통한 여가향유에 향을 미치는 지를

단체유형별로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약한 연결망’의 개념을 조작 으로 정의하여 가

설을 설정 한 다음 ‘약한 연결망’이 단체참여를 통한 여가향유에 미치는 향을 단체

유형별로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의 구성은 여가 노인여가에 한 이론

검토가 우선 으로 이루어 질 것이며 다음으로 ‘약한 연결망’의 효과에 한 검토

가설 설정이 이루어 질 것이다. 다음으로 자료 분석결과가 제시될 것이며 결과에

한 요약과 후속연구에 한 제안으로 을 맺고자 한다.

2. 본론

2.1 이론적 배경 및 가설

2.1.1 여가 노인여가

Page 3: <30325B315D2E5FC5EBBFAC31302D3031395FC7D1B1B95FB3EBC0CE5FBFA9B0A1C8B0B5BF5FC3D6C1BEBFF ... · 2011. 5. 12. · Title: 30325B315D2E5FC5EBBFAC31302D3031395FC7D1B1B95FB3EBC0CE5FBFA9B0A1C8B0B5BF5FC3D6C1BEBFF8BABB2DC0FAC0DABCF6C1A42E687770>

28 김신영 ․ 임창규

여가3)란 경험을 일차 목 으로 선택한 활동으로 정의된다. 여가에 한 사회과

학 개념은 여가라고 불릴 수 있는 상태의 유형에 따라 구분되고 있다. 시간으로서

여가는 생활필수활동에 필요한 시간을 제외한 것으로 흔히 ‘자유시간’으로 불리는가

하면 활동으로서 여가는 특수한 유형의 활동형태를 여가로 규정한다. 한편 마음의 상

태로서의 여가는 앞서의 활동의 형태와는 일정 무 하게 행 의 의미를 요시 한다.

이 은 여가는 형태나 시간에 의해 정의되는 것이 아니라 태도나 의식, 즉 행 자

가 특정 행 에 부여한 의미( 를 들면, 자유, 자아성취, 내 동기, 비도구성)에 의해

정의되는 것으로 보았다. 행 의 질로서 여가는 태도나 의식에 한 강조에서 한발

더 나아가 실제로 행 자의 선택에 의해 이루어지는 유희 성격의 활동을 의미한다.

해외 학자들의 여가에 한 정의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라이트빌(Brightbill,

1963)은 여가를 개개인의 단과 선택에 의해 갖게 되는 자유 재량 시간으로 정의

하고 있으며, 커(Parker, 1971)는 여기시간을 생활총시간에서 노동시간(working

time), 생리 필수시간(existence time), 노동시간 이외의 의무시간(non-working

obligation)등을 제외한 잔여시간으로 정의하고 있다. 라이트빌과 커의 여가에

한 정의와는 달리 머피(Murphy, 1975)는 여가를 개인이 자기 결정 상황 하에서 재

량껏 이용할 수 있는 시간으로 보고 있어, 시간 속성을 강조한 앞의 두 가지 정의

에 비해 자유와 재량의 의미를 강조하고 있다. 이밖에 디마즈뒤에(Dumazedier, 1967)

는 여가를 개인이 노동, 가족 그리고 사회의 의무로부터 벗어나 휴식, 기분 환, 혹은

지식의 확 , 자발 사회참여, 그리고 자유로운 창조력의 발휘를 하여 이용되는 임

의 활동의 총체로 정의하 으며, 슨(Wylson, 1980)은 여가를 활동과 기회라는 두

요소의 결합으로 인식하면서, “노동, 가족, 사회 기타 의무가 실 되고 난 후에 자

신의 의사 로 할 수 있는 활동일 뿐만 아니라 휴식, 회복, 오락, 자기실 , 정신 재

생, 지식의 향상, 기술의 개발, 사회활동의 참여를 제공해 주는 기회”로 정의하고 있

다.

지 까지 언 된 여가에 한 정의가 시간 ·활동 측면을 강조했다면 여가상태

에 한 주 정의는 철학, 심리학, 는 종교학 등의 역에서 제공되어 왔다. 고

그리스 철학자 아리스토텔 스는 여가를 ‘존재의 상태(state of being)’로 규정하

고 삶의 목 으로서 여가, 그리고 그 자체를 한 삶의 를 강조하 다. 그러므로

사색이나 지식과 계몽을 한 토론, 그리고 시민의 정치참여 행 들도 여가에 포함된

다고 보았다. 유사한 맥락에서 뉼린 (Neulinger, 1981)는 여가가 인간이 활동을 하든,

하지 않든 간에 일상생활의 기능 필요에 의한 것은 아니며 따라서 여가는 주어진

시간이나 활동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고 마음의 상태인 동시에 자유의 상태라고 주

장하 다. 달(Dahl, 1971)은 기독교 에서 오늘날 인간이 필요로 하는 여가는 단

순히 자유시간(free time)이 아니라 자유정신(free spirit)내지 자유의지(free will)이며,

우리의 바쁜 일상생활에서 오는 심리 속박으로부터 해방시켜 수 있는 신의 은총

에 한 감사의 마음과 평화의 상태임을 강조하고 있다. 여가의 질 인 측면을 강조

3) 여가의 어원은 고 그리스어인 Schole(Scole)와 라틴어인 Licere에서 찾을 수 있다. Schole는 자기 생

활공간으로 부터의 해방과 자유, 조용함, 평화, 남는 시간, 자유 시간 등을 뜻하며 Licere는 허락되다(to

be permitted), 자유롭게 되다(to be free)라는 의미로서 어 Leisure의 어원이 되기도 하 다

Page 4: <30325B315D2E5FC5EBBFAC31302D3031395FC7D1B1B95FB3EBC0CE5FBFA9B0A1C8B0B5BF5FC3D6C1BEBFF ... · 2011. 5. 12. · Title: 30325B315D2E5FC5EBBFAC31302D3031395FC7D1B1B95FB3EBC0CE5FBFA9B0A1C8B0B5BF5FC3D6C1BEBFF8BABB2DC0FAC0DABCF6C1A42E687770>

단체참여를 통한 노인 여가활동향유 요인연구 29

하는 의 정의들은 시간․활동 측면을 강조하는 양 정의들에 비해 이론 으로

진일보한 느낌은 있으나 실제 여가연구와 련하여 찰 계량화에 많은 어려움을

드러내고 있다(성 출, 2006).

여가개념의 양 ․질 정의에 한 통합은 여가시간 여가활동의 제도 성격을

강조한 카 란(Kaplan, 1960)에 의해 이루어 졌다. 카 란에 따르면 여가가 경제 으로

자유시간의 역에 속하며, 참여자에 의하여 여가로 인식되고, 잠재 으로 모든 역의

의무와 노력을 포 하여 일정한 규범과 제약을 수반하며 개인발 과 타인에게 기여하

는 자율 활동 경험으로 정의하며 여가시간과 여가활동의 제도 속성을 강조하고 있

다(장미랑, 2006: 25 재인용). 한편 인간행동의 모든 측면(노동, 놀이, 교육, 기타 사회

참여 등)에서 나타고 있는 여가행 의 포 측면을 강조한 반(Wan, 1992)은 여가

란 개인이 가정, 노동 기타 사회 의무로부터 자유로운 상태에서 휴식, 기분 환,

자기개발, 사회 참여를 이루기 하여 활동하게 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여가

란 의 네 가지 속성이 모두 히 배합된 통합 속성을 가지며 자발 이고 즐거운

것이면 모두 여가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김 득, 1997).

사회는 노인들에게 강제 는 자발 으로 노동과 사회참여의 기회로부터

이탈을 강요하고 있다. 속한 핵가족화의 진행은 노인들의 가정에서의 역할마 도

상실하게 만들었다. 이러한 상들의 결과는 노인들의 ‘ 무 많은 여가시간’ 이다. 노

인들에게 여가라고 함은 노년기의 사회 역할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갖게 되는 여유

시간 는 자신에게 부여된 일정한 역할 없이 막연하게 긴 시간을 보내는 것 등의 두

가지 측면으로 나 어 볼 수 있는데 한국의 경우 노인의 여가는 후자에 해당되는 경

우가 부분이다. 여가투성이의 생활을 해야 하는 노인의 경우 여가는 더 이상 즐거

움이 아니며 오히려 정신 ․정서 고통의 원인이 된다. 특히 한국의 노인들처럼 노

동을 시하는 세계 을 평생 지녀온 집단에게 갑자기 주어진 방 한 양의 자유시간

은 그것을 어떻게 활용할지에 한 비가 되어 있지 않은 경우 결코 즐거운 변화가

아닌 것이다.

그러나 여가활동에의 극 참여를 통하여 충족될 수 있는 노인들의 욕구는 매우

다양하다. 카 란(Kaplan, 1960)에 따르면 노인들은 첫째, 사회 으로 유용한 서비스를

계속해서 제공하고자 하는 욕구, 둘째, 사회의 한 부분으로 인정받고자 하는 욕구, 셋

째, 정상 인 동반자 계를 유지하고자 하는 욕구, 넷째, 자기표 과 성취를 통하여

한 정신 자극을 유지하고자 하는 욕구, 건강유지 보호의 욕구 등을 여가활

동에의 참여를 통해 충족시킬 수 있다. 여가 사회활동 참여가 노년기 삶에 미치는

정 효과는 활동이론(activity theory)에 의해 주장되고 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여

가참여를 통한 사회와의 지속 계의 유지는 노인들에게 새로운 역할(role)을 부여

하게 되고 따라서 노후의 삶에 한 정체성을 제공하게 된다는 것이다. 많은 국내․

외의 경험 연구들 한 노후의 여가 사회활동 참여가 개인의 환경에 한 통제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노인들의 삶의 만족도와 행복감을 증진시킴과 동시에 우울정

도나 고독감은 감소시킴을 밝히고 있다(McCullagh et al., 1988; Ruchlin et al., 1991;

Hull and Michael, 1995; Zuzanek and Smale, 1997; Fernandez- Ballesteros, 2001;

Axelsson et al., 2007; 서병숙, 1991; 김경식, 1995; 김재숙·박종·류소연·이철갑·김학렬·

Page 5: <30325B315D2E5FC5EBBFAC31302D3031395FC7D1B1B95FB3EBC0CE5FBFA9B0A1C8B0B5BF5FC3D6C1BEBFF ... · 2011. 5. 12. · Title: 30325B315D2E5FC5EBBFAC31302D3031395FC7D1B1B95FB3EBC0CE5FBFA9B0A1C8B0B5BF5FC3D6C1BEBFF8BABB2DC0FAC0DABCF6C1A42E687770>

30 김신영 ․ 임창규

김양옥, 1999; 홍우주, 1999; 한혜원, 2008; 나항진, 2004; 양순미·홍성례·옹숙자, 2004;

배소심·이 희, 2005; 이 민·신화경, 2005; 백경순·권용신 2007; 홍계희, 2007)4) .

2.1.2 노인여가활동의 유형 실태

여가활동의 유형에 해서는 많은 학자들마다 다양한 분류의 기 을 제시하고 있

다. 노인의 여가활동 유형은 개별사회의 특수성에 따라 상이한 형태로 분류되고 있으

며 재까지 다양한 기 에 의한 분류가 시도되고 있을 뿐 연구자들 사이에 공통 으

로 받아들여지는 분류체계는 없다고 할 수 있다. 련 문헌들을 통하여 여가활동의

유형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 해외학자들의 여가활동 유형에 한 논의들을 살펴

보면, 해비거스트(Havighurst, 1973)는 여가활동유형을 가사활동, 가족생활활동, 종교

활동, 정치활동, 사회활동, 우인 계, 취미·오락 활동 등으로 구분하 고, 맥 크니

(McKechnie, 1974)는 여가활동을 조작 , 공작 , 지 , 일상 , 스포츠, 매혹 스포

츠 활동 등으로 분류하 다5) (조규용, 2006 재인용). 고든(Gordon, 1976)은 20-94세

사이의 인지 , 정서 , 신체 인 면에 있어서 표 여 정도에 따라 여가활동을

감각 쾌락추구 활동, 창의 활동, 발 활동, 긴장해소 활동 등 4가지로 구분 하

다. 이소아홀라(Iso-Ahola, 1980)는 스포츠 활동, 사회활동, 공작활동 등으로 여가를

분류하 으며, 행 자의 여가형태를 기 으로 ‘하는 여가’인 능동 여가와 ‘보는 여가’

인 수동 여가로 분류하기도 하 다. 한 다카하시몬지(高橋絞士, 1984)는 단독 충

실형, 가족충실형, 우인 교류형, 독서형, 사회참여형 등으로 구분하 다.6)

한편 국내연구자들의 노인여가활동 분류를 살펴보면, 원형 (1983)은 노인의 여가

활동유형을 여가참여형태에 따라 신체활동형, 사회교제형, 취미· 술형, 교육·문화형,

여행형 등으로, 홍순혜(1984)는 활동유형에 따라 노인의 활동을 친 활동, 단체활동,

개인활동 등 세 가지로 구분하 고 세부 으로는 친 활동은 가족, 친척, 이웃과의 활

4) 부분의 연구들이 노인여가활동참여의 정 효과를 검증하고 있으나 일부 연구에서는 노인들의 여

가활동 참여가 생활만족에 미치는 정 효과를 부인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김애련, 한내창, 1997;

박충선, 1998). 이들에 따르면 노인들의 여가활동은 그들의 여러 가지 여건 때문에 활발하지 못하고 진

정한 의미에서 생활의 질을 향상시키는 해방 의미를 갖는다고 보기는 힘들다고 주장한다.

5) 조작 활동은 주로 손을 이용하여 하는 활동으로 자동차 수리, 당구, 사냥 등 도구를 가지고 하는 활

동을 의미 한다. 공작 활동은 재료를 이용하여 상을 만드는 활동으로서 요리, 의상, 디자인, 뜨개질

등을 들 수 있다. 지 활동은 활동자의 지 욕구를 해서 하는 활동으로 화 구경, 음악 감상, 독

서 등을 들 수 있다. 일상 주변에서 일어날 수 있는 활동으로서 정원 가꾸기, 일 욕, 친구 방문 등

을 들 수 있다. 스포츠 활동은 활발한 신체 활동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배드민턴, 야구, 축구, 조깅 등

이 있다. 매혹 스포츠 활동에는 인내심, 지 , 신체 활동을 요하는 것으로 양궁, 등산, 요트, 스키

등이 있다

6) 단독충실형의 노인은 미술이나 음악 감상, 서 , 사진촬 , 우표수집 등으로 시간을 보내며, 가족충실형

은 정원손질, 가옥의 미화작업, 살림용구를 수시로 옮겨 놓아 보는 일, 가족동반의 외식 는 가족단

의 소풍 등으로 시간을 보내며, 우인 교류형은 친구들과 어울리는 일에 많은 시간을 충당하는 것으로

사람들과 어울려 모임, 화나 기를 좋아하고 친구나 친척의 혼상제 등에도 극 으로 참가 하는

것이고, 독서형은 독서를 하거나 문집정리, 신문잡지 기사를 스크랩, 기사에 심을 보이고 새로운 문

헌을 수집하는 등으로 시간을 보내며, 사회참여형은 지역사회 사활동, 동창회, 향우회, 친목회 그리고

정치단체에 극 참여하는 것이라고 하 다(김경란, 2009)

Page 6: <30325B315D2E5FC5EBBFAC31302D3031395FC7D1B1B95FB3EBC0CE5FBFA9B0A1C8B0B5BF5FC3D6C1BEBFF ... · 2011. 5. 12. · Title: 30325B315D2E5FC5EBBFAC31302D3031395FC7D1B1B95FB3EBC0CE5FBFA9B0A1C8B0B5BF5FC3D6C1BEBFF8BABB2DC0FAC0DABCF6C1A42E687770>

단체참여를 통한 노인 여가활동향유 요인연구 31

동형태이고 단체활동은 종교 단체, 노인정, 노인학교, 취미단체, 운동단체, 정치단체,

지역모임, 사단체 등으로 하 다. 김 득(1997)은 노인 여가 로그램의 제공 내용

에 의거하여 신체 활동, 지 활동, 술 활동, 사교 활동, 실습활동의 다섯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 고, 김성순(1990)을 비롯한 다수의 학자들은 노인여가를 근로형, 한

가형, 사교오락형, 자기완성형, 참여활동형, 폐쇄형 등으로 분류하 다(서병숙, 1991;

김동배, 1999; 김성순, 2003; 박장근·차선동·임란희, 2008). 한, 서병숙(1992)은 노인

의 여가유형을 가족 심의 여가유형과 가정 밖에서의 여가유형으로 분류하여 가족

심의 여가유형에는 가족과의 화, 정원수 손질, TV 시청 라디오 듣기 등이 포함

되고 가정 밖에서의 여가유형에는 노인정 공원가기, 노인학교 참여, 약수터 가기

등산이나 운동, 지역사회활동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하 다(김경란, 2009: 16 재인용).

김 숙·이정연(1998)은 여덟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 고, 허 수(2002)는 노인 여가활동

유형을 여섯 가지로 분류하기도 하 다(유정숙, 2007). 이 연구에서는 개인 혹은 가족,

가까운 친구 등 비공식 인 계를 통해 여가를 즐기는 ‘개인 여가활동’보다는 단체

나 기 , 동호회 등을 통해 이루어지는 ‘사회 여가활동’을 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단체의 유형은 친목단체, 종교단체, 문화활동단체, 스포츠 단체, 시민·사회단

체, 사단체와 학습단체로 나 어 참여여부와 참여정도를 악하 다7).

2003년 1차 조사 이후 격년으로 실시된 한림고령자패 자료8)에 따르면 조사시기순

노인의 사회활동 참여율은 종교활동이 44.8%, 47.1%, 45.9%, 연고집단에의 참여가

36.2%, 33.3%, 33.3%, 문화 여가단체 참여는 12.7%, 7.0%, 8.7%, 마지막으로 시민

사회단체는 4.2%, 4.7%, 5.0%로 나타나 종교활동 연고집단에의 참여가 다른 유형

에 비해 월등하게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007년 통계청에서 실시한 조사

자료에 따르면 복응답을 허용한 상태에서 한국의 60세 이상 노인들의 여가활동참여

는 TV 비디오 시청이 58.3%, 휴식 수면 44.9%, 가사일이 32.2%인 반면 사활

동은 0.9%, 자기계발은 0.7%, 창작 취미는 1.5%로 나타나 부분의 노인들이 소극

이고 가정 내에서 이루어지는 여가활동에 참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우리나라

노인들의 여가활동참여 특성은 첫째, 성별에 따른 선호 역이 뚜렷하며, 둘째, 매스미

디어에 한 의존이 지나치게 높고, 셋째, 다양하지 못하고 획일 인 여가활동참여형

태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1.3 연구가설: 사회 지지로서 약한 연결망의 효과

일반 으로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에 가장 크게 향을 미치는 요인들로는 소득,

건강, 그리고 여가기회 환경 등이 주로 언 되지만 연구자들마다 다양한 분류기

으로 많은 여가제약 요인들을 논의하고 있다. 이소-아홀라와 맨넬(Iso-Ahola &

Mannel, 1985)은 개인 요인(여가활동에 한 개인의 능력, 성, 태도 동기의 부

7) 노인여가유형에 한 보다 자세한 정리는 김경란(2009)을 참조하기 바란다.

8) 한림고령자패 은 서울과 춘천 지역 거주 노인들을 상으로 2003년 1차 조사를 이후 2005, 2007년 2

차 3차 조사를 실시하 다. 이 조사에서는 노인의 사회활동을 4가지 유형(종교활동, 연고집단에의

참여, 문화 여가활동에 한 참여, 공공단체에 한 참여)으로 구분하여 참여여부를 질문하 다.

Page 7: <30325B315D2E5FC5EBBFAC31302D3031395FC7D1B1B95FB3EBC0CE5FBFA9B0A1C8B0B5BF5FC3D6C1BEBFF ... · 2011. 5. 12. · Title: 30325B315D2E5FC5EBBFAC31302D3031395FC7D1B1B95FB3EBC0CE5FBFA9B0A1C8B0B5BF5FC3D6C1BEBFF8BABB2DC0FAC0DABCF6C1A42E687770>

32 김신영 ․ 임창규

족), 사회문화 요인(사회 규범과 역할, 의무, 사회 상호작용의 양과 질에서의 제

약), 물리 요인( , 시간, 시설, 기회부족)등 세 가지 요인을 제시하 다. 한편, 크

로포트와 고드비(Crawford & Godbey, 1987)는 노인여가활동참여를 제약하는 장애요

인들을 내 장애(여가선호에 향을 미치는 개인의 심리 상태와 특성), 인 장애

(개인들 간 계의 특성, 상호작용상의 장애), 구조 장애(가족생활 주기, 가족의 경

제 자원, 기후환경, 취업여부, 시간)등 세 가지로 구분하 다. 국내 연구자들 역시

노인여가활동참여를 제약하는 다양한 요인들을 제시하 다. 비교 최근의 연구에서

이유리와 박미석(2006)은 시설노인에 한 연구에서 여가제약요인들을 구조 여가제

약(시설 요인/ 로그램요인), 인 여가제약( 트 부재/선호도 수 차이), 개

인내 여가제약(신체 요인/심리 요인)등 총 3개 역, 6개 요인으로 구분하여 제

시하 다.

이 연구는 최근 사회과학 반에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는 사회 지지로서 약한

연결망의 개념을 이론 분석도구로 사용하고자 한다. 사회 지지에 한 개념정의

는 학자들마다 다양하다. 사라슨과 사라슨 (Sarason & Sarason, 1984)에 따르면 사회

지지란 개인이 필요할 때 도움이나 감정이입을 제공받을 수 있다는 믿음과 그것에

한 만족감이며 지지망의 크기와 지지망에 한 만족도로 구분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여기서 지지망의 크기란 지지를 제공하는 주 사람의 숫자를 의미하며, 지지에 한

만족은 지지망의 구성원들이 제공하는 지지가 효율 이라고 지각하는 정도를 말한다.

코헨과 호버만 (Cohen and Homberman, 1983)은 사회 지지를 개인이 가진 인

계로부터 얻을 수 있는 모든 정 인 자원이라고 정의함으로서 사회 지지의 자원

화 가능성을 제시하 다.

국내 연구들에서 다루어진 사회 지지에 한 정의를 살펴보면 먼 박지원

(1986)은 사회 지지란 개인이 집단에 참여하고자 하는 욕구의 충족을 하여 타인

과 맺게 되는 상호작용의 결과를 말하며 이는 주로 가족, 직장, 그리고 지역사회에서

발생하게 된다고 주장한다. 한 가족구성원, 직장동료, 그리고 지역사회 구성원들에

의해 제공되는 계 자본으로서 사회 지지는 개인 생활사건의 부정 충격을 수

정하거나 완화, 는 재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경제외 복지자원(Non-

Economic Welfare Resource)으로서 사회 지지는9) 크게 세 가지로 분류 가능한데,

첫째는 존경, 애정, 신뢰, 심 등의 행 를 의미하는 정서 지지(Emotional

Support), 둘째는 직업의 기회를 알려주거나 직업을 구할 수 있는 방법을 가르쳐 주는

등의 정보를 통한 지지(Support via Information Sharing), 셋째는 자신의 행 에

한 평가를 한 정보를 제공하는 평가 지지(Support via Evaluation)가 그것이다.

진기남외(1995)는 사회 지지란 사람들이 사회 계를 통해 획득하는 물질 도움

과 서비스 정서 지지나 충고, 지도 칭찬 등에 한 개인 욕구의 충족정도로

정의함으로서 앞의 코헨과 호버만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사회 지지의 자원 기능을

강조하고 있다. 한편 사회 지지의 원천과 기능을 강조한 서진교(2000)의 정의에 따

르면 사회 지지란 개인 간 는 개인과 집단 간에 지속 으로 상호작용하는 사회

9) 박지원(1985)에 따르면 사회 지지는 물질 지지를 포함하나 본 연구에서는 사회 지지의 여러 유

형 가운데 비경제 자원으로서 사회 지지만을 고려하 다.

Page 8: <30325B315D2E5FC5EBBFAC31302D3031395FC7D1B1B95FB3EBC0CE5FBFA9B0A1C8B0B5BF5FC3D6C1BEBFF ... · 2011. 5. 12. · Title: 30325B315D2E5FC5EBBFAC31302D3031395FC7D1B1B95FB3EBC0CE5FBFA9B0A1C8B0B5BF5FC3D6C1BEBFF8BABB2DC0FAC0DABCF6C1A42E687770>

단체참여를 통한 노인 여가활동향유 요인연구 33

집합체에 의해 제공되며, 정서 제어력을 증진시키고 지침을 제공하며 정체감과 수

행에 한 환류를 제공하는 것이다.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이루어진 사회 지지에 한 다양한 정의를 요약해 보면,

첫째 사회 지지란 개인이 가지고 있는 인 계를 원천으로 하며, 둘째, 사회 지

지란 특히 사회 약자집단의 건강과 생활만족도를 결정하는 요한 자원이며, 셋째,

사회 지지는 다양한 하부요인으로 이해가능하며, 마지막으로 사회 지지는 구조,

거리, 빈도 등의 구조 측면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사회 지지와 사회자본의

개념 연계성은 바로 에서 제시된 사회 지지의 주요 특징들에서 악 될 수 있

다. 즉 사회 지지와 마찬가지로 사회자본에서도 역시 강조되고 있는 개념들은 “ 계

의 요성”, “연결망의 자원화” 등이며 이 연구에서는 박지원(1986)이 분류한 사회

지지 유형가운데 두 번째인, 정보를 통한 지지(Support via Information Sharing)가 노

인들의 여가활동참여에 어떠한 향을 주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보다 구체 으로 이

연구는 조사 상 노인들에 한 정보를 통한 사회 지지가 그들이 맺고 있는 약한 연

결망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는 노인들의 여가활동에 한 정보의 양을 증가시키고 따라

서 여가활동 참여에 정 효과를 미칠 수 있을 것으로 가설을 설정하고자 한다.

정보 달의 채 로서 약한 연결망의 효과는 사회자본의 유형으로서 연결망의 도구

요성에 한 논의라고 볼 수 있다. 연결망의 도구 요성을 강조하는 논의는

사회자본 이론을 통해 좀 더 체계화 될 수 있다. 콜만(Coleman, 1988)에 따르면 사회

자본은 그것의 생산 인 기능에 의해 정의되며, 개인들에게 유용한 자원이 될 수

있는 사회 계로서 1)신뢰 2)정보 통로로서 연결망 3)규범 등의 차원으로 구분될

수 있다. 신뢰는 개인의 기 와 의무가 교환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며 배반의 험을

감소하고 공동의 이익을 해 상 방이 서로 력했을 때 이익을 얻을 수 있는 가에

한 주 믿음으로 개인, 조직 등의 거래나 교환 등에서 거래비용을 낮출 수 있다.

규범은 사회나 특정한 집단, 조직에서 그 성원이 일정한 이상이나 목 을 이루기

해서 반드시 따라야 할 법칙과 원리를 말하는데 이를 통해 서로 혜택이나 제제를 가

하여 기회주의 인 행 를 처벌하고 구성원간의 조를 낳게 한다. 연결망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는 장 이 있으며 이것은 개인이나 집단 등 행 자들 간의 연결이 어

떤 형태를 가지냐에 따라 창출되는 정보의 종류가 달라진다(이재 , 2007).

연결망의 생산 효과는 그것이 갖는 정보 이득과 주 사람들을 통한 자원 동원

의 효과에서 두르러진다. 정보 이득은 연결망에 포함됨으로써 이 에 없었던 정보

를 획득하게 되는 효과를 의미하며 이러한 정보는 구성원 사이에 복되는 정보가 없

으므로 품질이 높은 정보라고 할 수 있다. 반면 자원효과는 연결망을 구성하는 행

자들 간에 긴 한 계가 구축됨으로서 정서 , 물질 지원과 아울러 조언 는 충

고 등이 지원되는 효과를 의미한다. 이러한 연결망은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

는데, 하나는 구성원간의 연결망 도가 높고 사이즈가 작은 형태를 가지는 ‘강한 연

결망’이며 다른 하나는 구성원 간의 첩 인 정도는 낮으면서 성기지만 사이즈는 큰

형태를 갖는 ‘약한 연결망’이다. 그런데 강한 연결망과 약한 연결망은 각각 동 의 앞

뒷면과도 같이 상 유형에 없는 장 을 지닌다(이재 2007).

강한 연결망은 다른 사람들과 강한 네트워크를 형성, 유지하는 사람들이 양질의

Page 9: <30325B315D2E5FC5EBBFAC31302D3031395FC7D1B1B95FB3EBC0CE5FBFA9B0A1C8B0B5BF5FC3D6C1BEBFF ... · 2011. 5. 12. · Title: 30325B315D2E5FC5EBBFAC31302D3031395FC7D1B1B95FB3EBC0CE5FBFA9B0A1C8B0B5BF5FC3D6C1BEBFF8BABB2DC0FAC0DABCF6C1A42E687770>

34 김신영 ․ 임창규

의사소통과 암묵 지식의 공유로 인해 필요한 자원들에 쉽게 근할 수 있다. 강

한 연결은 기회주의의 험을 감소시키고 외부환경의 불확실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신

뢰와 규범을 증진, 강화하는 역할을 하고 정보의 확산을 원활하게 한다(Granovetter,

1973). 즉, 강한 연결망은 마치 집단 규범의 효과와 비슷하게 구성원 간의 상호 조의

조율과 상호 통제에서 강 을 지니며 구성원들 간의 동원도 쉽고 기회주의 인 일

탈에 한 처벌도 용이하다는 이 이 있는 것이다. 반면, 구성원 각자가 주 환경의

측면에서 보면 서로 비슷한 치에 놓여 있고 따라서 비슷한 종류와 질의 정보 기

회를 공유하므로 상 으로 정보의 이득은 낮아지는 단 이 있다(이재 , 2007).

이에 반해 약한 연결망은 구성원 간의 규범 통제나 조율은 그 정도가 상 으

로 떨어지지만 신 구성원들이 서로 보다 이질 이고 다양한 정보를 가질 수 있는

치에 있으므로 보다 다양하고 빠른 정보의 획득이 용이하게 된다. 강한 연결망이

구성원 간에 기회주의 행태를 이는 효과를 갖는 반면, 개인의 창발성을 억압하고

신 아이디어의 확산을 어렵게 만드는 반 부가 있듯이 약한 연결망은 이러한

신의 차원에서 강한 연결망에 비하여 우 를 갖게 된다(이재 2007). 그 노베터

(Granovetter, 1973)는 약한 연결망의 장 을 설명하면서 강한 연결망이 통제권은 강

하지만 유용한 정보의 흐름이라는 측면에서는 단 이 될 수도 있음을 보여 다. 강한

연결망에서는 서로가 가지고 있는 정보가 첩되기 때문에 취업시장에서 신속하게 정

보를 획득하는 측면에서 어려움을 가지게 되고 결과 으로 실질 인 취업에 도움을

주는 결정 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약한 연결망에서 발생한다는 것이다. 약한 연결

망은 서로에게 강한 통제권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행 자가 소속된 집단, 내부

으로 친하고 하게 연결된 집단의 경계를 뛰어넘게 되기 때문에 ‘약한 연결망

의 강함’ 효과가 발생한다고 본다. 이 연구는 한국 노인들의 가지는 약한 연결망의 정

도가 단체참여를 통한 여가향유 정도에 미치는 효과에 주목하며 다음과 같은 가설을

제시하 다. “다른 조건들이 동일하다면 조사 상 노인들의 약한 연결망의 강도는 그

들의 총여가 유형별 여가활동참여정도에 정 향을 미칠 것이다.”

2.2 분석자료 및 결과

2.2.1 표본설계

이 연구에 사용된 2008 국 노인생활실태 복지수요조사자료는 재 우리나라

노인들의 생활실태를 조사하고 노인생활에 향을 주는 요인들을 악하여 노인 련

정책수립과 학술 연구의 기 자료를 수집하고 집계하며 분석하기 하여 기획되었

다. 조사모집단은 『2005년 인구주택 총조사』의 조사구 에서 표본조사가 실시된

10% 표본조사구에서, 기숙사, 특수 시설 조사구, 섬지역 조사구를 제외한 조사구에 거

주하는 60세 이상의 노인이며 조사구내 노인의 평균연령, 남자비율, 배우자가 있는 노

인 비율, 고졸 이상 학력소지자 비율 등을 감안한 조사구 특성자료를 활용하여 분류

한 조사구명부를 추출틀로 사용하여 표본을 확보하 다. 응답자의 사회·인구학 특성

분포는 아래와 같다.

Page 10: <30325B315D2E5FC5EBBFAC31302D3031395FC7D1B1B95FB3EBC0CE5FBFA9B0A1C8B0B5BF5FC3D6C1BEBFF ... · 2011. 5. 12. · Title: 30325B315D2E5FC5EBBFAC31302D3031395FC7D1B1B95FB3EBC0CE5FBFA9B0A1C8B0B5BF5FC3D6C1BEBFF8BABB2DC0FAC0DABCF6C1A42E687770>

단체참여를 통한 노인 여가활동향유 요인연구 35

<표 2.1> 응답자 분포

구분 빈도 %

성별남성 6,185 40.8

여성 8,961 59.2

교육수

무학 4,755 31.4

등학교 5,908 39.0

학교 1,977 13.1

고등학교 1,669 11.0

2년제/ 문 160 1.1

4년제 606 4.4

학원석사 59 .4

학원박사 12 .1

배우자동거여부

배우자 동거 9,380 61.9

배우자 비동거 5,766 38.1

동거자녀수

없음 10,820 71.4

1명 3,826 25.3

2명 428 2.8

3명 62 .4

4명이상 10 .1

가구형태*

노인독거가구 3,484 23.0

노인동거가구 6,653 43.9

자녀동거노인가구 4,256 28.1

기타가구 753 5.0

응답자 연령

60-64세 3,059 20.2

65-69세 4,031 26.6

70-74세 3,744 24.7

75-79세 2,448 16.2

80세 이상 1,864 12.3

취업여부5,204 34.4

아니오 9,942 65.6

합계 15,146 100.0

* 자녀동거노인가구는 노인+기혼자녀, 노인+기혼/미혼자녀, 노인+미혼자녀가구를 포함하며 기타

가구는 노인+부모, 노인+손자녀, 노인+친척, 노인+비 연 가구를 포함하 다.

2.2.2 조사도구 주요 변수 기술통계

이 연구에 사용된 독립변수들은 크게 사회인구학 변수, 건강 련 변수, 심리학

변수, 경제 변수, 그리고 연결망 변수로 구분할 수 있다. 사회인구학 변수는 응답

자의 ‘성별’, ‘교육수 ’, ‘배우자동거 여부’, ‘응답자 연령’, ‘동거자녀수’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건강 련 변수는 ‘평소건강상태’, ‘동년배와 비교한 건강상태’, ‘건강상태만족’ 세

Page 11: <30325B315D2E5FC5EBBFAC31302D3031395FC7D1B1B95FB3EBC0CE5FBFA9B0A1C8B0B5BF5FC3D6C1BEBFF ... · 2011. 5. 12. · Title: 30325B315D2E5FC5EBBFAC31302D3031395FC7D1B1B95FB3EBC0CE5FBFA9B0A1C8B0B5BF5FC3D6C1BEBFF8BABB2DC0FAC0DABCF6C1A42E687770>

36 김신영 ․ 임창규

변수를 재구성한 ‘건강상태 총합’, ‘ 강도 신체활동량10)’, ‘ 강도 신체활동량11)’, ‘고강

도 신체활동량12)’, ‘ 양 리상태13)’, ‘기본 일상생활수행능력14)’, 그리고 ‘도구 일상

생활수행능력15)’등이다. 심리학 변수는 ‘응답자 우울 수16)’와 자신이 어떤 유형의 노

인인가를 묻는 일곱 개 문항17)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핵심 독립변

수라고 할 수 있는 연결망변수는 ‘친한 친구․이웃수’, ‘친한 친구․이웃과 연락빈도’,

‘친한 친구․이웃과 왕래빈도’ 세 변수를 재구성하여 분석에 사용하 다.

이 연구의 종속변수인 여가활동참여는 크게 ‘여가유형별 참여’와 ‘여가참여총량’으

로 나뉜다. ‘2008 국 노인생활실태 복지수요조사’에서는 조사 상 노인들의 여가

활동을 개인 혹은 가족, 가까운 친구 등 비공식 인 계를 통해 여가를 즐기는 ‘개인

여가활동’과 단체나 기 , 동호회 등을 통해 이루어지는 ‘사회 여가활동’으로 구

분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사회 여가활동 친목단체, 종교단체, 문화활동단체,

스포츠 단체, 시민단체·사회단체, 이익단체·정치단체, 사단체와 학습단체에의 참

여여부와 참여정도를 측정하는 문항들을 재구성하여 ‘여가유형별참여정도’변수를 만들

고 유형별 참여정도변수를 재구성하여 ‘여가참여총량’변수를 분석에 사용하 다. 주요

변수들의 기술통계치는 아래와 같다.

10) 강도 신체활동이란 출퇴근, 이동, 운동을 한 천천히 걷기 등을 의미하며 강도 신체활동 실천은

강도 신체활동을 1회 30분 이상 주 5일 이상 실천한 경우를 말한다.

11) 강도 신체활동이란 몸이 조 힘들거나 숨이 약간 가쁜 정도의 신체활동(빠르게 걷기, 천천히 하

는 수 (아쿠아체조 등), 탁구, 배드민턴, 맨손체조, 스트 칭, 스, 요가, 가벼운 물건 나르기 등의 직

업활동 체육활동)을 의미하며 강도 신체활동 실천은 강도 신체활동을 1회 30분이상 주5일 이

상 실천한 경우를 말한다.

12) 고강도 신체활동이란 몸이 매우 힘들거나 숨이 많이 가쁜 격렬한 신체활동(달리기(조깅), 등산, 빠르

게 자 거 타기, 에어로빅, 빠른 수 , 축구, 넘기, 테니스, 무거운 물건 나르기 등의 직업활동 체

육활동)을 의미하며 고강도 신체활동 실천은 1회 20분이상 주3일 이상 실천한 경우를 말한다.

13) Nutrition Screening Initiative(NSI)가 개발한 ‘Determine Your Nutritional Health’ 체크리스트를 사용

하여 식습 과 생활양식, 질병상태 등을 조사하여 노인의 양 리 상태를 악하 다. 체크리스트는

10문항(질병으로 인한 음식 제한, 2회 이하의 하루 식사, 과일/채소/유제품을 거의 먹지 않음, 매일 3

잔 이상의 음주, 작의 어려움,경제 이유로 음식구입 못함, 혼자서 식사, 하루 3가지 이상의 약복

용, 체 변화, 식사 비를 혼자서 할 수 없음)으로 구성하 다. 총 수가 0-2 일 경우는 양호, 3-5

일 경우 정도 양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며 6 이상일 경우에는 양문제의 험이 높은 것으로

정한다.

14) 기본 일상생활수행능력이란 자가간호, 즉 옷입기, 목욕하기, 소변 보기, 이동하기, 식사하기, 배변

조 에 요구되는 행 로서 각 행 의 수행에 있어 독립 인 기능정도와 주어진 행 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도움의 정도와 종류에 따라 측정되며, 옷입기, 세수·양치질·머리감기, 목욕·샤워하기, 차려놓은

음식 식사하기, 일어나 방 밖으로 나오기, 화장실 사용하기, 소변 흘리지 않고 보기를 수행함에 있

어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지 않고 혼자서 수행할 수 있는 정도를 각각 측정하여 재구성하 다.

15) 도구 일상생활수행능력이란 독립 인 생활을 하는 데 있어 기본 일상생활수행능력보다 차원

이 높은 기능을 의미하며 몸단장, 집안일하기, 식사 비, 빨래, 약 챙겨먹기, 리, 가까운 거리 외

출, 상 에서 물건사기, 화 걸고 받기, 교통수단 이용하여 외출하기를 수행함에 있어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지 않고 혼자서 수행할 수 있는 정도를 각각 측정하여 재구성하 다.

16) Geriatric Depression Scale의 한국 축약형(SGDS)(15문항)을 활용하여 응답 수를 재구성하 다.

17) 변화되어 가는 노인의 이미지와 자아인식, 생활패턴을 측정하고자 새로운 경험 추구, 새로운 인간 계

추구, 세 간 조화 추구, 음 추구, 연장자 인정 추구, 노인 취 거부, 가족 계 추구, 유행과 소비

를 추구하는 태도를 5 척도(‘ 그 지 않다’ -->‘매우 그 다’)로 측정하 다.

Page 12: <30325B315D2E5FC5EBBFAC31302D3031395FC7D1B1B95FB3EBC0CE5FBFA9B0A1C8B0B5BF5FC3D6C1BEBFF ... · 2011. 5. 12. · Title: 30325B315D2E5FC5EBBFAC31302D3031395FC7D1B1B95FB3EBC0CE5FBFA9B0A1C8B0B5BF5FC3D6C1BEBFF8BABB2DC0FAC0DABCF6C1A42E687770>

단체참여를 통한 노인 여가활동향유 요인연구 37

<표 2.2> 주요 변수 기술통계치

변수 문항 수 범 평균(표 편차)

종속변수

여가활동참여총량 14 0-30 3.74(3.23)

친목단체 참여 2 0-5 1.97(1.87)

종교단체 참여 2 0-5 1.35(1.77)

문화활동단체 참여 2 0-5 .02(.31)

스포츠 단체 참여 2 0-5 .05(.42)

시민·사회단체 참여 2 0-5 .05(.42)

사단체 참여 2 0-5 .08(.52)

학습단체 참여 2 0-5 .20(.87)

주요독립변수

주관적 경제상황평가 1 1-9 2.75(1.05)

건강상태 총점 10 3-15 7.77(2.98)

우울총점 15 0-15 5.15(4.57)

노인의 유형_새로운 경험추구 1 1-9 2.71(1.15)

노인의 유형_세대간 조화추구 1 1-9 3.39(.95)

노인의 유형_젊음 추구 1 1-9 2.93(1.01)

노인의 유형_가족관계 추구 1 1-9 3.91(.96)

노인의 유형_새로운 인간관계

추구1 1-9 2.87(1.00)

노인의 유형_노인취급거부 1 1-9 3.22(1.02)

노인의 유형_유행과 소비추구 1 1-9 2.24(.90)

저강도 신체활동량 2 0-1260 275.86(257.62)

중강도 신체활동량 2 0-1260 71.31(203.66)

고강도 신체활동량 2 0-1260 25.17(113.5)

영양관리상태 10 0-17 3.45(3.29)

기본적 일상생활수행능력정도 7 0-7 .25(1.00)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정도 10 0-10 .95(2.10)

약한 연결망 정도 3 3-34 15.86(4.76)

2.2.3 여가참여요인 분석결과

단체참여를 통한 노인여가향유요인 분석결과를 통계 유의성을 보이는 변수들

심으로 살펴보았다18). 먼 응답자들의 총여가단체참여에 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

펴보았다. 사회·인구학 변수에서는 ‘성별’, ‘연령’, ‘응답자 교육수 ’, ‘취업여부’등이

통계 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다른 조건들이 동일하다면 남자노인에 비해 여자

노인이, 연령이 높을수록, 교육수 이 높을수록, 그리고 취업노인에 비해 비취업노인

일수록 총여가참여의 정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건강 련 변수에서는 ‘우울정도’,

18) 표본의 크기가 매우 큼으로 인하여(n=15,146) 통계 검정력(statistical power)과 동시에 1종오류의 가

능성 한 커짐에 따라 유의수 을 3가지 수 ( .1, .05, .01)로 구분하여 개별 변수의 유의성을 제시하

다. 효과의 통계 유의성에 한 최종 단은 독자들의 몫이며 결과에 한 해석은 통계분석결

과제시의 일반 례를 따르는 것으로 하 다.

Page 13: <30325B315D2E5FC5EBBFAC31302D3031395FC7D1B1B95FB3EBC0CE5FBFA9B0A1C8B0B5BF5FC3D6C1BEBFF ... · 2011. 5. 12. · Title: 30325B315D2E5FC5EBBFAC31302D3031395FC7D1B1B95FB3EBC0CE5FBFA9B0A1C8B0B5BF5FC3D6C1BEBFF8BABB2DC0FAC0DABCF6C1A42E687770>

38 김신영 ․ 임창규

‘ 강도신체활동’, ‘일상 생활수행능력’, ‘도구 생활수행능력’등이 통계 으로 유의하

게 나타났다. 즉, 다른 모든 조건이 동일하다면, 우울정도가 낮을수록, 강도신체활동

정도가 높을수록, 일상 도구 생활수행능력 정도가 높을수록 총여가참여의 정

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노인의 삶의 태도 련 변수 에서는 ‘새로운 경험을 추

구’, ‘세 간 조화추구’, ‘ 음 추구’, ‘가족 계 시’ 등이 통계 유의성을 나타냈었다.

그리고 재 자신의 경제상황에 해 양호하다고 생각할수록 총여가참여 정도가 증

가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핵심독립변수인 ‘약한 연결망’의 효과를

살펴 본 결과, 모형의 다른 모든 요인들을 통제한 후에도 약한 연결망의 정도는 총여

가참여 정도에 정 효과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화회귀계수를 통하

여 개별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효과의 상 크기를 비교해 본 결과, ‘교육수

(b=.16)’, ‘약한연결망(b=.15)’, ‘성별(-.13)’, ‘연령(.08)’순으로 효과의 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여가유형별로 참여요인을 살펴보았다. 첫 번째, ‘친목단체참여’의 경우 사

회인구학 변수에서는 ‘성별’, ‘연령’, ‘응답자 교육수 ’, ‘동거자녀수’등이 통계 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다른 조건들이 동일하다면 여자노인에 비해 남자노인이, 연령

이 높을수록, 교육수 이 높을수록, 그리고 동거자녀의 수가 을수록 친목단체참여의

정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건강 련 변수에서는 ‘우울정도’, ‘ 강도신체활동’, ‘고강

도신체활동’, ‘ 양 리상태’, ‘일상 생활수행능력’, ‘도구 생활수행능력’ 등이 통계

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우울정도가 낮을수록, 강도 고강도 신체활동 정도

가 높을수록, 양 리상태가 양호할수록, 일상 도구 생활수행능력 정도가 높

을수록 친목단체 참여의 정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노인의 삶의 태도 련 변수

에서는 ‘세 간 조화추구’, ‘가족 계 시’ 등이 통계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재 자신의 경제상황에 해 양호하다고 생각할수록 총여가참여정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약한 연결망’의 효과를 살펴 본 결과, 모형의 다른 모든 요인

들을 통제한 후에도 약한 연결망의 정도는 친목단체참여정도에 정 효과를 보이고

있었다. 표 화회귀계수를 통하여 개별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효과의 상 크기

를 비교해 본 결과, ‘주 경제상황(b=.16)’, ‘우울정도(b=-.10)’, ‘약한 연결망(b=.07)’,

‘ 양 리상태(b=.07)’, ‘일상 생활수행능력(.07)’순으로 효과의 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

났다.

두 번째 ‘종교단체참여의 경우’ 사회·인구학 변수에서는 ‘성별’, ‘연령’, ‘응답자 교

육수 ’, ‘동거자녀수’, ‘취업여부’등이 통계 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다른 조건들

이 동일하다면 남자노인에 비해 여자노인이, 연령이 높을수록, 교육수 이 높을수록,

그리고 동거자녀의 수가 많을수록, 취업에 비해 비취업노인일수록 종교단체참여의

정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건강 련 변수에서는 ‘우울정도’, ‘도구 생활수행능력’등

이 통계 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우울정도가 낮을수록, 도구 생활수행능력 정

도가 낮을수록 종교단체 참여의 정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친목단체참여에 비하여

건강 련 변수들의 설명력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구 생활수행능력의 부 효과

는 신체 장애가 있는 노인들이 다른 유형의 참여에 비해 종교단체참여 정도가 높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노인의 삶의 태도 련 변수 에서는 ‘세 간 조화추구’, ‘

Page 14: <30325B315D2E5FC5EBBFAC31302D3031395FC7D1B1B95FB3EBC0CE5FBFA9B0A1C8B0B5BF5FC3D6C1BEBFF ... · 2011. 5. 12. · Title: 30325B315D2E5FC5EBBFAC31302D3031395FC7D1B1B95FB3EBC0CE5FBFA9B0A1C8B0B5BF5FC3D6C1BEBFF8BABB2DC0FAC0DABCF6C1A42E687770>

단체참여를 통한 노인 여가활동향유 요인연구 39

음추구’, ‘유행과소비 시’등이 통계 유의성을 나타냈었다. ‘약한 연결망’의 효과를 살

펴 본 결과, 모형의 다른 모든 요인들을 통제한 후에도 약한 연결망의 정도는 종교단

체참여정도에 정 효과를 보이고 있었다. 표 화회귀계수를 통하여 개별변수가 종

속변수에 미치는 효과의 상 크기를 비교해 본 결과, ‘성별(b=-.26)’, ‘교육수

(b=.17)’, ‘취업여부(-.09)’, ‘우울정도(b=-.08)’, ‘약한연결망(b=.05)’순으로 효과의 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문화단체참여의 경우’ 사회·인구학 변수에서는 ‘성별’, ‘응답자 교육수

’, ‘취업여부’등이 통계 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다른 조건들이 동일하다면 남자

노인에 비해 여자노인이, 교육수 이 높을수록, 취업에 비해 비취업 노인일수록 문화

단체참여의 정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건강 련 변수에서는 ‘건강상태통합 수’만

이 통계 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다른 모든 조건들이 동일하다면 건강상태 수

가 높을수록 문화단체참여의 정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노인의 삶의 태도 련 변

수 에서는 ‘새로운 경험추구’, ‘세 간 조화추구’, ‘유행과소비 시’등이 통계 유의

성을 나타냈었다. ‘약한 연결망’의 효과를 살펴 본 결과, 모형의 다른 모든 요인들을

통제한 후에도 약한 연결망의 정도는 문화단체참여정도에 정 효과를 보이고 있었

다. 표 화회귀계수를 통하여 개별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효과의 상 크기를 비

교해 본 결과, ‘성별(b=-.60)’, ‘교육수 (b=.09)’, ‘취업여부(-.03)’, ‘건강상태 수(b=-.03)’,

‘유행과소비 시태도(b=.03)’, ‘약한 연결망(b=.02)’순으로 효과의 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

났다.

네 번째, ‘스포츠 단체참여’의 경우, 사회·인구학 변수에서는 ‘성별’, ‘연령’, ‘응

답자 교육수 ’, ‘취업여부’등이 통계 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다른 조건들이 동일

하다면 여자노인에 비해 남자노인이, 연령이 높을수록, 교육수 이 높을수록, 그리고

비취업노인에 비해 취업노인들의 친목단체참여의 정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건강

련 변수에서는 ‘ 양 리상태’만이 통계 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다른 모든 조건

들이 동일하다면 양 리상태가 양호할수록 스포츠 단체 참여의 정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노인의 삶의 태도 련 변수 에서는 ‘새로운 경험추구’, ‘세 간 조화추

구’, ‘ 음추구’, ‘가족 계 시’등이 통계 유의성을 나타냈었다. 그리고 재 자신의

경제상황에 해 양호하다고 생각할수록 스포츠 단체참여정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약한 연결망’의 효과를 살펴 본 결과, 모형의 다른 모든 요인들을

통제한 후에도 약한 연결망의 정도는 스포츠 단체참여정도에 정 효과를 보이

고 있었다. 표 화회귀계수를 통하여 개별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효과의 상 크

기를 비교해 본 결과, ‘성별(b=.07)’, ‘연령(b=.06)’, ‘교육수 (.06)’, ‘약한 연결망(b=.05)’

순으로 효과의 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 번째, ‘시민사회단체참여’의 경우, 사회·인구학 변수에서는 ‘성별’, ‘연령’, ‘응

답자 교육수 ’, ‘취업여부’등이 통계 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다른 조건들이 동일

하다면 여자노인에 비해 남자노인이, 연령이 높을수록, 교육수 이 높을수록, 그리고

비취업노인에 비해 취업노인들의 시민사회단체참여의 정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건

강 련 변수에서는 ‘ 양 리상태’만이 통계 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다른 모든

조건들이 동일하다면 양 리상태가 양호할수록 시민사회단체 참여의 정도가 높아짐

Page 15: <30325B315D2E5FC5EBBFAC31302D3031395FC7D1B1B95FB3EBC0CE5FBFA9B0A1C8B0B5BF5FC3D6C1BEBFF ... · 2011. 5. 12. · Title: 30325B315D2E5FC5EBBFAC31302D3031395FC7D1B1B95FB3EBC0CE5FBFA9B0A1C8B0B5BF5FC3D6C1BEBFF8BABB2DC0FAC0DABCF6C1A42E687770>

40 김신영 ․ 임창규

을 알 수 있다. 노인의 삶의 태도 련 변수 에서는 ‘새로운 경험추구’, ‘세 간 조화

추구’, ‘ 음추구’, ‘가족 계 시’등이 통계 유의성을 나타냈었다. 그리고 재 자신

의 경제상황에 해 양호하다고 생각할수록 시민사회단체참여정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약한 연결망’의 효과를 살펴 본 결과, 모형의 다른 모든 요인들을

통제한 후에도 약한 연결망의 정도는 시민사회단체참여정도에 정 효과를 보이고

있었다. 표 화회귀계수를 통하여 개별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효과의 상 크

기를 비교해 본 결과, ‘성별(b=.07)’, ‘연령(b=.06)’, ‘교육수 (.06)’, ‘약한 연결망(b=.05)’

순으로 효과의 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 번째, ‘ 사단체참여’의 경우, 사회·인구학 변수에서는 ‘성별’, ‘응답자 교육

수 ’, ‘취업여부’등이 통계 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다른 조건들이 동일하다면 남

자노인에 비해 여자노인이, 교육수 이 높을수록, 그리고 취업노인에 비해 비취업노인

들의 사단체참여의 정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건강 련 변수에서는 ‘건강상태통합

수’, ‘우울정도’, ‘ 양 리상태’등이 통계 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다른 모든 조

건들이 동일하다면 건강상태가 양호할수록, 우울정도가 낮을수록, 양 리상태가 양

호할수록 사단체참여의 정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노인의 삶의 태도 련 변수

에서는 ‘새로운 경험추구’, ‘세 간 조화추구’, ‘ 음추구’, ‘가족 계 시, ’새로운 만

남 시‘,’노인취 거부’등이 통계 유의성을 나타냈었다. ‘약한 연결망’의 효과를 살펴

본 결과, 모형의 다른 모든 요인들을 통제한 후에도 약한 연결망의 정도는 사단체

참여정도에 정 효과를 보이고 있었다. 표 화회귀계수를 통하여 개별변수가 종

속변수에 미치는 효과의 상 크기를 비교해 본 결과, ‘교육수 (b=.12)’, ‘ 음추구

태도(b=.05)’, ‘성별(b=.06)’, ‘세 간조화추구태도(.04)’, ‘약한 연결망(b=.04)’, ‘새로운만

남추구태도(b=.04)’순으로 효과의 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습단체참여’의 경우, 사회·인구학 변수에서는 ‘성별’, ‘배우자동거’,

‘연령’, ‘응답자 교육수 ’, ‘동거자녀수’, ‘취업여부’등이 통계 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다른 조건들이 동일하다면 남자노인에 비해 여자노인이, 배우자와 함께 살고 있을

수록, 나이가 많을수록, 교육수 이 높을수록, 동거자녀의 수가 을수록, 그리고 취업

노인에 비해 비취업노인들의 학습단체참여의 정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건강 련 변

수에서는 ‘우울정도’만이 통계 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다른 모든 조건들이 동일

하다면 우울정도가 낮을수록, 학습단체참여의 정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노인의 삶

의 태도 련 변수 에서는 ‘새로운 경험추구’, ‘세 간 조화추구’, ‘ 음추구’, ‘가족

계 시’, ‘노인취 거부’등이 통계 유의성을 나타냈었다. ‘약한연결망’의 효과를 살펴

본 결과, 모형의 다른 모든 요인들을 통제한 후에도 약한연결망의 정도는 학습단체참

여정도에 정 효과를 보이고 있었다. 표 화회귀계수를 통하여 개별변수가 종속변

수에 미치는 효과의 상 크기를 비교해 본 결과, ‘성별(b=-.07)’, ‘연령(b=.07)’, ‘약

한 연결망(b=.06)’, ‘새로운경험추구태도(.06)’, ‘취업여부(b=-.05)’순으로 효과의 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Page 16: <30325B315D2E5FC5EBBFAC31302D3031395FC7D1B1B95FB3EBC0CE5FBFA9B0A1C8B0B5BF5FC3D6C1BEBFF ... · 2011. 5. 12. · Title: 30325B315D2E5FC5EBBFAC31302D3031395FC7D1B1B95FB3EBC0CE5FBFA9B0A1C8B0B5BF5FC3D6C1BEBFF8BABB2DC0FAC0DABCF6C1A42E687770>

단체참여를 통한 노인 여가활동향유 요인연구 41<

2.3

> 단

체참

여를

통한

인여

가향

유요

변 수

총여

가참

여친

목단

체참

여종

교단

체참

여문

화단

체참

여스

포츠

단체

참여

시민

사회

단체

참여

사단

체참

여학

습단

체참

성별

-.1

3**

*(-

2.7

8).0

5*

**

(.1

8)-

.26

**

*(-

.95)

-.6

0**

*(-

.04

).0

7**

*(.

06

).0

7*

**

(.0

6)-

.04

**

*(-

.05

)-

.07*

**

(-.1

3)

배우

자동

거여

부-

.02

(-.1

1)

.00

1(.

002

)-

.02

(-.0

7)

-.0

03(-

.002

).0

01(.

001

).0

01

(.00

1)

-.0

01(

-.0

02)

-.0

2*

*(-

.04

)

연령

.08

**

*(.

04)

.04

**

*(.

01)

.03

**

*(.

01)

.009

(.0

00)

.06

**

*(.

004

).0

6**

*(.

00

4)-

.00

8(-

.00

1).0

7**

*(.

01

)

교육

수.1

6*

**

(.4

0).0

2*

(.0

3).1

7*

**

(.2

2).0

9**

*(.

02

).0

6**

*(.

02

).0

6*

**

(.0

2).1

2*

**

(.05

).0

5**

*(.

03

)

동거

자녀

총수

-.0

1(-

.08

)-

.02

*(-

.07)

.02

**

(.07

).0

0(.

00)

-.0

1(-

.01)

-.0

1(-

.01

)-

.00

5(-

.00

5)-

.03*

**

(-.0

5)

취업

여부

-.0

6*

**

(-.3

7).0

2(.

06)

-.0

9*

**

(-.3

2)-

.03*

**

(-.0

2)

.02*

**

(.0

2)

.02

**

(.02

)-

.03

**

*(-

.03

)-

.05*

**

(-.1

0)

건강

상태

통합

수-

.01

(-.0

1)

-.0

2(-

.06

)-

.01

(-.0

08

).0

3*

*(.

003

)-

.01

(-.0

01)

-.0

09

(-.0

01

).0

3**

(.0

05)

.00

1(.

000

)

우울

정도

-.1

8*

**

(-.0

8)-

.10

**

*(-

.04)

-.0

8*

**

(-.0

3).0

1(.

001

)-

.006

(-.0

01)

-.0

06

(-.0

01

)-

.02

*(-

.003

)-

.04*

**

(-.0

08)

새로

운경

험추

구.0

5*

**

(.1

4).0

2(.

03)

.00

4(.

008

).0

3*

*(.

01)

.04*

**

(.0

1)

.04

**

*(.

02)

.03*

*(.

01

).0

6**

*(.

05

)

세간

조화

추구

.06

**

*(.

22)

.02

*(.

04)

.03

**

*(.

07)

.02*

(.0

1)

.04*

**

(.0

2)

.04

**

*(.

02)

.04

**

*(.

03)

.03*

**

(.0

3)

음추

구.0

4*

**

(.1

4).0

0(.

00)

.03

**

*(.

07)

.004

(.0

01)

.03

**

(.0

1).0

3*

*(.

01)

.05

**

*(.

03)

.02*

(.0

2)

가족

계시

.05

**

*(.

17)

.04

**

*(.

08)

.01

(.02

).0

01(.

000

).0

2*

*(.

01)

.02

**

(.01

).0

2*

(.01

).0

3**

*(.

03

)

새로

운만

남추

구-

.01

(-.0

2)

-.0

2(-

.04

)-

.01

(-.0

2)

.01

(.0

05)

.006

(.0

03)

.00

6(.

003

).0

4*

**

(.02

).0

2(.

02)

노인

취거

부.0

1(.

04)

.00

(.00

)-

.00

3(-

.00

6)

.006

(.0

02)

.00

(.0

0).0

00

(.00

0)

.02*

*(.

01

).0

3**

*(.

03

)

유행

과소

비시

.02

(.09

).0

2(.

03)

.02

**

(.04

).0

3*

*(.

01)

.01

(.0

06)

-.0

1(-

.00

6)

.02(

.01

).0

04

(.00

4)

강도

신체

활동

.03

**

*(.

00)

.03

**

*(.

01)

.02

(.00

1)

.00

4(.

00)

.00

(.0

0)-

.005

(.0

00)

.01(

.00

0).0

3(.

03)

강도

신체

활동

-.0

2*

*(.

00)

-.0

04

(-.0

01

)-

.02

(-.0

1)

.02

(.0

0).0

0(.

00)

.00

6(.

000

).0

1(.0

00)

.02

(.02

)

고강

도신

체활

동.0

1(.

00)

.02

**

*(.

01)

-.0

1(.

00)

-.0

07(

.00

).0

0(.

00)

.01

5(.

000

).0

1(.0

00)

.00

7(.

000

)

양리

상태

-.0

1(-

.01

)-

.07

**

*(-

.04)

.02

(.01

)-

.00

1(.0

0)

.04

**

*(.

005

).0

4**

*(.

00

5).0

4*

**

(.0

07)

.01

(.0

00)

AD

L-

.03

**

*(-

.14)

-.0

7*

**

(-.1

7).0

04(

.01

).0

02(.

001

).0

4(.

005

).0

2(.

01)

.00

1(.0

01)

.00

5(.

000

)

IAD

L-

.06

**

*(-

.11)

-.0

3*

*(-

.03

)-

.05

**

*(-

.05)

-.0

12(

.00

2)-

.004

(-.0

09)

-.0

04

(-.0

09

)-

.00

1(-

.00

1).0

09

(.00

3)

주경

제상

황.0

4*

**

(.1

2).1

6*

**

(.0

6)-

.01

(-.0

2)

.01

(.0

0).0

2*

*(.

008

).0

2*(.

00

8)-

.00

3(-

.00

5).0

00

(.00

0)

약한

연결

망.1

5*

**

(.1

0).0

7*

**

(.1

2).0

5*

**

(.0

2).0

2*

*(.

01)

.05

**

*(.

005

).0

5**

*(.

00

5).0

4*

**

(.0

05)

.06*

**

(.0

08)

상수

(-2

.78)

(-.0

6)

(.2

37)

(-.1

9)

(-.5

9)

(-.5

95)

(-.4

63)

.-1.

087

Ad

jus

ted

R2

.13

5.0

98

.07

.08

.03

.03

.10

.08

) 호

안의

수치

는 비

표화

회귀

계수

임,

*<

.05,

**

<.0

1 ,*

** <

.001

Page 17: <30325B315D2E5FC5EBBFAC31302D3031395FC7D1B1B95FB3EBC0CE5FBFA9B0A1C8B0B5BF5FC3D6C1BEBFF ... · 2011. 5. 12. · Title: 30325B315D2E5FC5EBBFAC31302D3031395FC7D1B1B95FB3EBC0CE5FBFA9B0A1C8B0B5BF5FC3D6C1BEBFF8BABB2DC0FAC0DABCF6C1A42E687770>

42 김신영 ․ 임창규

3. 요약 및 결론

분석결과를 종합해 보자면, 첫째, 이 연구의 주요 가설인 약한 연결망의 효과는 총

여가단체참여정도 뿐만 아니라 유형별 단체참여정도에도 매우 일 되고 강건한

(robust) 효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가설은 지지되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성별의 효과역시 체여가단체참여 뿐만 아니라 유형별 단체참여에

도 매우 일 되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성별의 경우 약한 연결망의

효과와는 다르게 단체참여의 유형에 따라 성별로 효과가 달라지고 있음을 알 수 있

다. 즉, 친목단체, 스포츠 단체, 그리고 시민사회단체참여에는 남성의 효과가, 총여

가단체참여와 나머지 유형별 단체에서는 여성의 효과가 의미 있게 나타나고 있었다.

세 번째, 교육수 변수 역시 모든 유형의 여가단체참여에 일 되게 정 효과를 보

이고 있었으며 친목단체참여를 제외하고 효과의 상 크기 한 매우 큰 것으로 나

타났다. 네 번째, 응답노인의 연령은 문화단체와 사단체에의 참여를 제외한 다른 유

형 총여가단체참여정도에 정 효과를 보이고 있었다. 다섯 번째, 건강 련 변수

에서는 건강 리상태 수나 양 리상태 수 보다는 우울정도의 부정 효과가

더욱 강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 번째, 응답노인들의 삶의 태도와

련된 변수 에서는 새로운 경험을 추구하는 태도와 세 간 조화를 추구하는 태도

가 여가단체 참여에 정 효과를 나타내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응답노인들의 주

으로 단한 자신들의 경제 상황에 한 평가는 친목단체, 종교단체, 그리고 스포

르 단체에의 참여에 강한 정 효과를 보이고 있었다.

이 연구가 가지는 의의는 략 네 가지 정도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이 연구는

기존 노인여가요인 련 연구들이 주로 살펴왔던 변수들(e.g, 인구사회학 요인, 건강

요인, 심리 요인등)을 통제한 상태에서 사회 지지로서 약한 연결망의 효과를 살펴

보고자 하 다. 연결망의 개념 효과는 지 까지 사회학 역에서 주로 다루어져

왔으며 사회 지지는 사회복지학에서 주로 다루어져 온 개념임을 감안할 때 이 연구

는 사회학 개념의 사회복지 장에의 용을 시도하 다고 할 수 있다. 분석결과에

서 제시되었듯이 모든 요인들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약한 연결망의 효과는 일 되게

정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노인들이 여가활동을 즐길 수 있는

단체에의 참여에 정보 달이 매우 요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말해 다. 한 정보

달의 채 로서 이웃, 친구, 동료등과 같은 이차 인간 계의 요함 한 보여주고

있다. 앙부처나 지방자치단체의 노인여가 련 정책담당자들이 여겨 야 하는 결

과라고 할 수 있다.

두 번째, 이 연구는 노인세 의 일반 인 여가참여보다는 단체를 통한 여가참여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 다. 이와 같이 종속변수를 좀 더 명확하게 조

작 정의를 함으로써 기존의 연구들에서 노인여가에 포함되어왔던 ‘잠자기’, ‘TV시

청’, ‘산책’등 노동시간은 아니지만 극 여가참여로 보기 힘들었던 행 들을 종속변

수에서 배제할 수 있었다.

세 번째, 이 연구는 단체참여를 통한 여가활동의 유형을 구분한 후 독립 분석모

델을 제시함으로써 특정 독립변수가 어떤 유형의 여가단체참여에 유의한 향을 미치

Page 18: <30325B315D2E5FC5EBBFAC31302D3031395FC7D1B1B95FB3EBC0CE5FBFA9B0A1C8B0B5BF5FC3D6C1BEBFF ... · 2011. 5. 12. · Title: 30325B315D2E5FC5EBBFAC31302D3031395FC7D1B1B95FB3EBC0CE5FBFA9B0A1C8B0B5BF5FC3D6C1BEBFF8BABB2DC0FAC0DABCF6C1A42E687770>

단체참여를 통한 노인 여가활동향유 요인연구 43

는지를 구분하여 제시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성격의 연구결과들은 앙정부나 지방자

치단체에서 수행하고 있는 노인여가 련정책들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기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이 논문의 연구결과들이 노인들의 다양한 특성

과 욕구에 맞는 노인여가 로그램의 개발과 시설 확충 환경조성을 하여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서는 개인의 행 를 결정하는 요소 가운데 하나인 세 에 한

보다 정교한 개념 근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다시 말하면, 65세 이상의 인구

집단을 단순하게 노인세 로 단순규정 할 것이 아니라 첫째, 삶의 이벤트(e.g, 정년퇴

직, 자녀분가, 실직 등)에 생겨나는 변화를 공유하는 집단, 둘째, 특정시기의 역사

경험을 공유하는 코호트로서 세 (e.g, 단카이 세 , 쟁세 등), 마지막으로 사회

조건의 변화를 공유하는 세 (e.g, 연 제도의 변화, 경제 기, 정년제의 변화등) 집단

으로서 세 등으로 세분화 하여 그들의 행 를 이해하고 설명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

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2008 국 노인생활실태 복지수요조사’ 자료를 사용한 이 연구는

표본규모, 표본추출의 엄정함, 조사내용의 방 함 등을 고려할 때 기존의 부분 노인

련 조사연구와 비교할 때 높은 수 의 연구결과 일반화수 을 가질 것으로 생각한

다.

이 연구는 단체참여를 통한 노인들의 여가활동이라는 종속변수만을 설정 하 지

만, 분석모형에 포함된 많은 독립변수들 간에는 다양한 형태의 인과 계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한 종속변수와 독립변수간의 계도 상호 일 가능성도 존재한다. 를

들면, 노인의 교육수 은 주 경제 상황이나 건강상태에 향을 끼치게 되고

이는 사회 계망의 증가에 향을 미칠 수 있으며 우울정도와 여가단체참여간의

계는 상호 일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후의 연구에서는 본 연구를 포함한 과거의

련 연구들에서 일차 으로 유의한 계들이 검증된 변수들을 토 로 경로모형

(Path Model) 혹은 측정오차나 상호인과 계 분석 등에 더욱 용이한 선형구조 모형

(Linear Structural Model)분석 등을 통하여 좀 더 다차원 이고 다면 인 분석이 필

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age 19: <30325B315D2E5FC5EBBFAC31302D3031395FC7D1B1B95FB3EBC0CE5FBFA9B0A1C8B0B5BF5FC3D6C1BEBFF ... · 2011. 5. 12. · Title: 30325B315D2E5FC5EBBFAC31302D3031395FC7D1B1B95FB3EBC0CE5FBFA9B0A1C8B0B5BF5FC3D6C1BEBFF8BABB2DC0FAC0DABCF6C1A42E687770>

44 김신영 ․ 임창규

참고문헌

김경란 (2009). 노인의 여가활동 로그램 참여 실태와 생활만족도에 한 연구, 서울시립 학교

도시과학 학원 석사학 논문.

김경식 (1995). 도시 노인의 생활체육참여와 여가만족 생활만족의 계, 한국스포츠사회학

회지, 4, 113-138.

김 득 (1990).「 여가론」, 서울: 백산출 사

김재숙, 박종, 류소연, 이철갑, 김학렬, 김양옥 (1999). 일부 농 노인의 여가활동과

생활만족도와의 련성, 한국농 의학회지, 21(1), 131-143.

김성순 (2003).「고령사회정책론」, 서울: 홍익.

나항진 (2004). 삶의 질 향상을 한 노인 여가의 역할에 한 연구, 한국노년학, 24(1): 53-70.

박장근, 차선동, 임란희 (2008). 노인의 개벌 특성에 따른 여가만족도 분석, 한국여성체욱학회

지, 22(3), 95-104.

박지원 (1986). 사회 지지 처도 개발을 한 일 연구, 연세 학교 박사학 논문(미간

행).

배소심, 이 희 (2005). 년여성들의 여가 유형에 따른 여가만족도 차이 분석, 한국여

가 크 이션학회지, 28:181-189.

백경순, 권용신 (2007). 노년기의 경제활동과 여가활동 유형에 따른 심리 복지감 연

구, 노인복지연구, 35, 87-106.

서병숙 (1991). 노인연구, 서울:교문사.

서진교 (2000).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와 사회 지지 건강과의 계,『한국스포츠사

회학회지』, 13(1): 59-72.

성 출 (2006). 복지시설 거주 노인들의 여가활동 참여에 따른 여가만족정도가 생활만족에 미치

는 향, 조선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양순미, 홍성례, 옹숙자 (2004). 농 노인의 사회활동과 자아존 감에 한 연구, 농

사회, 14(2).

유정숙 (2007). 노인의 여가활동참여 결정요인, 북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

이 숙, 박경란 (2009). 노인의 여가제학, 여가활동참여와 생활만족도와의 계분석,

한국생활과학학회지 18권 1호, 1-12.

이유리, 박미석 (2006). 생태학 에서 본 여가제약, 여가동기, 여가참여의 계:구

조방정식 모형 구축을 해, 한국가정 리학회지, 24(1), 11-30.

이재 (2007). 시민사회와 시민 자본, 『한국이론사회학회』, 10;213~261.

이 민, 신화경 (2005). 년층의 여가활동 활성화 방안에 한 연구, 한국가정 리학

회지, 23(1): 161-182.

장미랑 (2007). 농어 노인 여가생활과 삶의 질에 한 연구, 연세 학교 행정 학원 석사학

논문.

조규용 (2006). 노인의 여가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향, 구 학교 사회복지 학원 석사

학 논문.

진기남, 조성남, 윤경아 (1995). 농 노인들의 사회 지원망에 한 만족도에 향을 미치는

Page 20: <30325B315D2E5FC5EBBFAC31302D3031395FC7D1B1B95FB3EBC0CE5FBFA9B0A1C8B0B5BF5FC3D6C1BEBFF ... · 2011. 5. 12. · Title: 30325B315D2E5FC5EBBFAC31302D3031395FC7D1B1B95FB3EBC0CE5FBFA9B0A1C8B0B5BF5FC3D6C1BEBFF8BABB2DC0FAC0DABCF6C1A42E687770>

단체참여를 통한 노인 여가활동향유 요인연구 45

요인, 한국노년학, 15(2), 1-13.

통계청 (2007). 한국의 인구변화.

한혜원 (2008). 여성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 형태가 여가 만족도에 미치는 향, 한국

여성체육학회지, 22(3) 47-58.

홍계희 (2007). 노인들이 선호하는 신체활동과 여가만족의 계, 한국여가 크 이션

학회지, 31(3), 273-284.

홍우주 (1999). 노인의 자아존 감 사회 지지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연구, 이화여

자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

Brightbill, C. (1963). The challenge of leisure. Englewood Cliffs, New Jersey:

Prentice-Hall.

Cohen, S. & Hoberman, H.M. (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Coleman, J.S. (1988). Social Capital in C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S95-S120.

Crawford, D. W., & Godbey, G. (1987). Reconceptualizing Barriers to family

leisure, Leisure Science, 9, 119-127

Dahl, G. J. (1971). Work and Leisure, New York : Christian Century Foundation.

Dumazedier, J. (1967). Toward a society of leisure, New York: The Free Press.

Dumazedier, J. (1974). Sociology of Leisure, New York : Elsevier.

E. L. Jackson & T. L. Burton(Eds.), Leisure studies: Prospects for the twenty-first

century(pp.35-51). State College, PA: Venture Publishing.

Gordon C. Gaitz, G. M. & Scott, J. (1976). Leisure and Live :Personal

expressivity across the Life span, Handbook of Aging and the Social

science, ed, R.H. Binstock and E. shands. N.Y:Van Nonstrand Co.

Granovetter, M.S. (1973). The Strength of Weak Tie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78(6):1360-1380.

Granovetter, M.S. (1974). Getting a Job: A Study of Contacts and Careers.

Havighurst, R. J. (1973). Social roles, work. leisure, and education. In C. Eisdorfer

& Lawton M. P. (Eds.), The psychology of adult development and

aging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Iso-Ahola, S. E. (1980). The Social Psychology of Leisure and Recreation.

Dubuque. IA: William C. Brown Company Publishers.

Kaplan (1960). M. Leisure in America. New York: Jonh Wiley and Sons Inc.

McKechnie, G. E. (1974). The Psychological Structure of Leisure : Past Behavior,

Journal of Leisure Research. 6 : 4-16.

Murphy, J. (1975). Recreation and leisure service. lowa: William C. Brown

Company Publishers.

Neulinger, J.(1981). An Introduction to Leisure Boston : Allyn and Bacon.

Paker, S. (1971). The future of work and leisure, London: MacGibbon and Knee.

Page 21: <30325B315D2E5FC5EBBFAC31302D3031395FC7D1B1B95FB3EBC0CE5FBFA9B0A1C8B0B5BF5FC3D6C1BEBFF ... · 2011. 5. 12. · Title: 30325B315D2E5FC5EBBFAC31302D3031395FC7D1B1B95FB3EBC0CE5FBFA9B0A1C8B0B5BF5FC3D6C1BEBFF8BABB2DC0FAC0DABCF6C1A42E687770>

46 김신영 ․ 임창규

Sarason, Irwin, G. Sarason, Barbara R. (1984). Abnormal Psychology : The

Problem of Maladaptive Behavior.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

Wan, T. T. (1992). Well-Being of the Elderly, (Howrth Pass).

Wylson, A. (1980). Design for Leisure Entertainment, Boston : Butter Worth Inc.

(2010년 12월 13일 수, 2011년 2월 24일 수정, 2011년 3월 18일 채택)

Page 22: <30325B315D2E5FC5EBBFAC31302D3031395FC7D1B1B95FB3EBC0CE5FBFA9B0A1C8B0B5BF5FC3D6C1BEBFF ... · 2011. 5. 12. · Title: 30325B315D2E5FC5EBBFAC31302D3031395FC7D1B1B95FB3EBC0CE5FBFA9B0A1C8B0B5BF5FC3D6C1BEBFF8BABB2DC0FAC0DABCF6C1A42E687770>

단체참여를 통한 노인 여가활동향유 요인연구 47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Korean Seniors'

Leisure Participation Through Group Activities

Shin Young Kim1) ․ Chang Gyu Lim2)

Abstract

This study purport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eak ties of seniors upon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to group activities. Utilizing the 2008 Survey on Lives of Seniors and Welfare

Demands in Korea, statistical analysis shows several findings. First and foremost, the effects

of weak-ties upon leisure participation levels are not only consistent among every types of

leisure participation, but also robust in terms of size effects. Therefore, the primary

hypothesis of the present study is supported. Secondly, the effects of gender are also

strongly significant among every types, but the directions of those effects turn out to be

dependent upon types of groups. Thirdly, the respondents' levels of education are also

strongly significant except the case of social gathering. Fourth, the effects of respondents'

age are significantly positive on every types of groups except cultural and community service

groups. Fifth, the effects of the level of depression seem to be relatively more important to

leisure participation, compared to other health-related variables such as health-management

score and nutrition-management score.

key words : senior leisure activity, senior leisure culture, social support,

weak ties.

1) Assistant Professor, Dept of Silver Industry, The Hanyang Cyber University of Korea. E-mail:

[email protected]

2) Researcher, Institute of Korean Society, Korea University. E-mail: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