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타이포그래피

47
한글 타이포그래피 시각영상디자인 1513717 김유정

Upload: -

Post on 18-Feb-2017

997 views

Category:

Design


1 download

TRANSCRIPT

Page 1: 한글 타이포그래피

한글 타이포그래피

시각영상디자인 1513717 김유정

Page 2: 한글 타이포그래피

Contents

1 타이포그래피?

2 한글 타이포그래피의 역사와 흐름

- 옛활자 시대와 한자 문화 시대(1443-1863)

- 새활자 시대와 일본 문화 시대(1864-1949)

- 원도 활자 시대와 서구 문화 시대 (1950-1989)

- 디지털활자 시대와 한국 문화 시대 (1990-현재)

3 한글의 조형

- 획

- 자음과 모음

4 한글 디자이너

- 한글 디자이너 최정호

- 한글 디자이너 김진평

Page 3: 한글 타이포그래피

1 타이포그래피?

Page 4: 한글 타이포그래피

1 타이포그래피?

Typography

= typos+graphein (그리스어 기원)

- typos는 ‘치다’, ‘두들기다’ 라는 뜻에서 유래되었으며,

‘새김’ 또는 ‘형태’를 의미한다.

- graphein(눈금을 새기다, 조각하다)은 ‘쓰다’를 지칭한다.

→ 타이포그래피의 개념은 ‘글자 또는 활자 쓰기’ 또는

‘글자(활자)에 의한 쓰기’ 로 해석 가능하다.

Page 5: 한글 타이포그래피

2 한글 타이포그래피의 역사와 흐름

Page 6: 한글 타이포그래피

2 한글 타이포그래피의 역사와 흐름

구분(활자체 변천 기준)

옛활자 시대 (1443~1863년)

새활자 시대 (1864~1949년)

원도활자 시대 (1950~1989년)

디지털활자 시대 (1990~)

Page 7: 한글 타이포그래피

옛활자 시대와 한자 문화 시대(1443-1863)

• 1443(훈민정음 창제) ~ 1863(철종 말년)

• 한글의 글씨체와 활자체가 동시에 변함으로써 말기까지 글씨체와 활자체 정형의 완성을 이룬 시대.

• 독창적이고 창의적으로 창제된 훈민정음은 한자의 조형감각과 대조되는 글자꼴과 표기 방법 등으로 두드러진 한글 조형 의식을 보여줌.

- ‘ 한자 문화 시대’인 이유?

: 중국에 대한 사대사상으로 배우기 쉽고 실용성 있는 한글은 창제 후에도 400여 년의 세월 동안 한문의 그림자 아래 머무름

Page 8: 한글 타이포그래피

새활자 시대와 일본 문화 시대(1864-1949)

• 1883 <한성순보> - 정부기관인 근대식 인쇄국, 박문국을 통해 일본에서 인쇄 기계와 한자 납활자 인서체를 수입하여 제작 (한자 활자로만 이루어져 있음)

• 1886 <한성주보> - 한글과 한자 혼용, 근대 인쇄술의 공식적인 도입.

• 최초의 근대식 한글 납활자

– 최지혁의 궁서체를 바탕으로 제작한 대, 중, 소 3가지 크기의 새 활자체

- 새활자 시대와 일본 문화 시대의 개막을 의미함

• 이러한 근대 인쇄술의 보급으로 납활자의 수요를 동반하고 새로운 기술 여건에 의한 새로운 한글 타이포그래피의 국면을 맞이함.

• 문제점 : 최초의 근대식 한글 납활자들이 일본 기술에 의해 일본에서 주조되어 한글의 산업화 과정에서 한글이 독자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자생력을 갖지 못하게 함.

Page 9: 한글 타이포그래피

새활자 시대와 일본 문화 시대(1864-1949)

• 일제강점기의 우리말과 우리글 말살 정책

→ 한글 활자의 폐기와 소멸, 한글꼴 발전의 암흑기

• 1945년 해방과 1950년 6.25동란

→ 연속적인 혼란의 시기로 활자 산업이 발전할 기회를 얻을 수 없었음

• 새활자 시대 : 갑오경장과 함께 서구 여러 나라의 새로운 문물과 제도가 들어오고, 일본을 통한 서구 문화의 간접적 유입과 근대 문화 형성으로, 한글 타이포그래피의 역사적 시대적 문제점의 근본 과제를 떠안게 된 불운한 시기. 한편으로는 우리말과 우리 글에 대해 자각하게 된 시기이기도 함.

Page 10: 한글 타이포그래피

원도 활자 시대와 서구 문화 시대 (1950-1989)

• 1945 해방 – 중국과 일본의 영향에서 벗어나 독립된 문화 주체가 되었다는 사실과 중국, 일본, 미국과 대등한 근대 국사로서의 출발 의미.

• 1950 – 6.25 동란 이후 일본에서 자모 조각기를 도입하여 한글 활자체의 전문인 1세대로 구분되는 박정래, 최정호의 원도에 의한 자모 조각이 이루어짐

• 1954 – 최초로 사진식자기 모리사와(MS)를 도입한 후, 샤켄(SK)사식기 등의 보급으로 활발한 한글 원도활자 시대의 서막 장식

원도활자: 손으로 직접 그린 글자를

바탕으로 만든 활자

→ 1,2의 한계점 : 모두 일본에 의한 개발과 발전

Page 11: 한글 타이포그래피

원도 활자 시대와 서구 문화 시대 (1950-1989)

• 해방 이후 미군정 시대 – 영문 알파벳의 등장

영문 알파벳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한글 문화 지배하기 시작

(사대적인 서구 문화 시대의 시작)

모든 상품들은 영자를 써야지만 뭔가 품질이 좋은 것같이 보인다든지, 상호가 영자로만 되어가는 현상이 나타난다든지, 디자인을 전공한 학생들의 작품 속에서는 영자만 쓰려고 한다든지 하는 현상이 나타났는데 그런 현상은 영자가 지니고 있는 조형 감각의 새로움 때문에 한글의 꼴을 천시하는 경향이 다분히 있었으며, 더욱이 이러한 경향은 서구 시장을 바탕으로 하는 경제 발전과 더불어 더욱 짙어졌다. ~ 실제로도 1966년도의 제1회 대한민국상공미술 전람회에 출품되었던 작품들을 보면 마치 미국의 선전 포스터 같은 인상을 줄 뿐만 아니라 한글을 아예 사용하지 않은 작품들이 대부분이고, 설사 한글을 사용했다 하더라도 다른 나라인 미국의 선전 포스터에 어색하게 끼어 있는 듯한 느낌을 주며 나그네가 주인이 되고 주인이 나그네가 된 것 같은 착각마저 들게 하고 있다.

김미진 「헤드라인을 위한 한글 문자체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1982, 20쪽

Page 12: 한글 타이포그래피

원도 활자 시대와 서구 문화 시대 (1950-1989)

• 서구 문화 시대의 영문 활자에 대한 사대사상은 심각한 한글 콤플렉스로 이어짐

(한글의 정체성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옛활자 시대 이래 계속된 사대사상의 새로운 연장)

• 1954년경부터 우리나라에 ‘그래픽 디자인’, ‘시각 언어’라는 용어 전파 시작

• 1950년대 디자인이라는 용어 사용되기 시작

1960년 이후 한국 시각 디자인의 실제적 형성

1965년경 이후 본격적 운동 시작

• 1960년 이후 산업 구조가 공업화로 전환됨에 따라 산업 디자인 캠페인 발생

→ 상공미전 개최, 디자인 계몽을 위한 출판물 간행 등의 디자인 운동

• 이 시기의 근대화된 디자인 교육과 함께 서구 문화와의 빈번한 경제적 접촉은 영문 활자의 활용을 가속하는 역할을 함

Page 13: 한글 타이포그래피

원도 활자 시대와 서구 문화 시대 (1950-1989)

• 1970년대 중반 정부의 수출 정책이 실효를 거두면서 소비자의 상품 구매 의욕 상승, 포장 디자인의 질적 향상, 광고 및 정보 전달 디자인을 위한 광고 대행사의 설립과 활동이 활발해짐.

→디자인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증대

(디자인의 세분화와 전문화 확산, 영문 활자체의 활용이 더욱 가속화됨)

• 1969 서울대학교 부속 한국 디자인센터 김영기에 의해 한글꼴에 대한 최초의 연구 시도 → 한글 기계화, 사회 능률의 재고에 따라 한글을 사용하는 대중 매체와 출판물 급증

• 한글 기계화, 사회 능률의 재고, 경제 발전에 따라 한글을 사용하는 대중 매체와 출판물이 급증하게 됨 (동시에 1970년대 초 한글 글꼴의 문제점들도 서서히 드러나기 시작)

Page 14: 한글 타이포그래피

• 1974 김진평 논문 「한글 Logotype의 기초적 조형 요소에 관한 연구」,

김홍련, 황부용, 김인철 등에 의해 한글꼴에 대한 연구와 관심 이어짐.

• 1976 <월간 디자인> 창간, 디자인학회 창립

• 1977 KSVD ‘문자의 세계’ 그룹전 개최

(한글 타이포그래피의 글자 형태로 모듈화를 시도한 첫 시도)

• 1979 ‘글꼴 모임’ 탄생

(이상철, 김진평, 안상수, 석금호 등이 구성원으로 한글꼴 연구에 박차를 가함)

원도 활자 시대와 서구 문화 시대 (1950-1989)

Page 15: 한글 타이포그래피

• 1978 황부용, 잡지 <꾸밈> 「한글의 헤드라인 시대를 열고 싶다」기고문 →당시 상황에서 시대에 부응할 수 있는 한글 타이포그래피 접근 시도를 제안 및 강조

• 1970년대 후반 컴퓨터 보급으로 인해 전산활자가 제작됨 (한글 활자체 3세대의 등장)

• 제작 도구의 새로운 전환으로 인해 1980년대 한글 활자체의 활발한 전산화 개발로 이어짐

원도 활자 시대와 서구 문화 시대 (1950-1989)

한글의 구조적인 혁명이 우리네 의식 속에 보편화되기 전까지는 현재의 상황을 극복하는 자세로써 한글 타이포그래피의 디자인에 임하고 있고, 한글 간판 환경의 조기 쇄신을 위해서라도 레터링이나 타이포그래피의 매뉴얼이 시급하며, 한글의 문자 환경은 헤드라인용 서체의 다양한 개발로 곧 화려해질 수 있다.

Page 16: 한글 타이포그래피

원도 활자 시대와 서구 문화 시대 (1950-1989)

• 원도활자 시대의 한글 활자꼴 – 전통적인 네모틀 활자체로, 기본적으로 명조체와 고딕체가 주를 이룸.

• 당시 활자체들은 새활자 시대 이래로 계속된 일본의 활자 제작 방법과 기술 의존으로 조판상 여러 가지 문제 야기됨

Page 17: 한글 타이포그래피

원도 활자 시대와 서구 문화 시대 (1950-1989)

고딕 세고딕 중고딕 태고딕 견출고딕

명조 세명조 중명조 태명조

견출명조 신명조

신신명조 순명조

Page 18: 한글 타이포그래피

원도 활자 시대와 서구 문화 시대 (1950-1989)

• 1970년대부터 한국 시각 디자인의 활동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한글 타이포그래피 재료의 심각한 빈곤현상이 나타남

• 영문 알파벳에 대한 사대주의적

생각 多

-한글 콤플렉스 현상과 원인을 통해 한글의 조형 감각 개발의 중요성

한글 타이포그래피 재료의 심각한 빈곤현상

Page 19: 한글 타이포그래피

디지털활자 시대와 한국 문화 시대 (1990-현재)

• 1990년대부터는 컴퓨터 점 폰트 활자로부터 글자의 윤곽선을 채워서 글꼴을 개발한 윤곽선 폰트 시대로, 1995년 이후는 다중 윤곽선 폰트 개발로 글자의 굵기나 방향 크기의 변형이 자유로워짐

• 점 글자(bit-map)에서 윤곽선 글자(outline)의 포스트스크립트(postscript) 출력 방식으로의 발전

• 1980년대 이후 국내에 설립된 많은 한글 폰트 업체들이 한글 활자체의 새로운 발전 암시

• 전통적인 네모틀, 새로운 탈네모틀 활자체 개발, 옛 활자꼴의 개발 활용, 서예 작품 글꼴의 실용화, 손글씨 개발 등 다양한 활자꼴 개발 시도

Page 20: 한글 타이포그래피

디지털활자 시대와 한국 문화 시대 (1990-현재)

• 문화 정체성을 통한 한국적 디자인이란? 과거 지향적이거나 국수주의적인 디자인이 아닌 국제화 시대에 우리만의 디자인 철학을 바탕으로 한 디자인 의미

• 한글 디지털 활자의 급속한 발전은 기술적 측면과 함께 활자체의 양적 증대에 크게 이바지하게 됨 (질적 측면은?)

• 시대와 함께 놀랄 만큼 빠른 발전과 성장을 가져온 우리의 활자체 개발 시장은 이제 세계화 속의 한국 문화 시대에 상응하는 창의적 개발 필요

Page 21: 한글 타이포그래피

3 한글의 조형

Page 22: 한글 타이포그래피

• 운필적 성격의 한글 바탕체의 획 구분

• 운필적 성격이 배제된 기본 조형 단위로서 한글의 획

1 가로획 2 세로획 3 삐침 4 파임 5 점 6 치침 7 고리

1 점 2 수평선 3 수직선 4 좌향 사선 5 우향 사선 6 원

Page 23: 한글 타이포그래피

자음과 모음

• 자음

: 5개의 기본 자음 ㄱ, ㄴ, ㅁ, ㅅ, ㅇ 기본 자음에 획이 추가되어 새로이 14개의 자음이 구성됨.

기본자음 유사 요소 증가에 따른 자음 이중 자음

ㄱ ㅋ ㄲ

ㄴ ㄷ ㄹ ㅌ ㄸ

ㅁ ㅂ ㅍ ㅃ

ㅅ ㅈ ㅊ ㅆ ㅉ

ㅇ ㅎ

별개 요소의 결합

ㅄ ㄵ

ㄺ ㄻ ㄼ

ㅀ ㄶ

Page 24: 한글 타이포그래피

자음과 모음

• 자음

<4가지로 정리한 유사 자음 비례> 1) a형 자음 수직형 모음과 종성 자음의 합성에서 초성 자음이며 그 위치 조건은 정방형에 가깝다. 기본형의 비례로 설정 가능.

2) b형 자음 종성 자음이 없는 수직형 모음과 합성상의 초성 자음으로 그 위치 조건은 수직적 직사각형이다.

3) c형 자음 종성 자음이 없는 수평형 모음과 합성상의 초성 자음으로 그 위치 조건은 수평적 직사각형이다.

3) d형 자음 수평적 모음과 종성 자음과 합성상의 초성 자음 및 종성 자음 그리고 수직형 모음과 종성 자음과 합성상의 종성 자음으로, 이 3개의 자음의 위치 조건에서 거의 유사하게 납작한 수평적 직사각형이다.

Page 25: 한글 타이포그래피

자음과 모음

• 자음

한글 자음의 구성 – 유사 비례 자음의 위치 조건

동일 자음의 자모 합성에 따른 위치

Page 26: 한글 타이포그래피

자음과 모음

• 모음

자모가 합성된 한 자 안에서 모음의 형태는 그 글자의 성격을 결정짓는다. 모음은 선의 성격과 함께 글자 내에 하나의 방향을 주는 것. 1. 수직형 모음 세로획이 강조되는 모음 : 아 야 어 여 이 애 얘 에 예 2. 수평형 모음 가로획이 강조되는 모음 : 오 요 우 유 으 3. 혼합형 모음 가로획과 세로획이 혼합된 모음 : 와 왜 외 워 위 의 웨

Page 27: 한글 타이포그래피

한글 디자이너

Page 28: 한글 타이포그래피

한글 디자이너 최정호

- 1916년~1988년

- 한글 타이포그래피 디자이너

- 서울 교동공립보통학교(지금의 교동초등학교)을 졸업하여 경성제일공립고등보통학교(지금의 경기고등학교) 설립

- 명조체, 고딕체 개발

- 삼화당 인쇄와 동아출판사, 그리고 대부분의 인쇄소에서 활자체를 개발

- 대한출판인쇄기념상

Page 29: 한글 타이포그래피

한글 디자이너 최정호

• 활자에서 사진식자에 이르기까지 평생을 한글 원도 설계와 연구에 몰두한 1세대 글꼴 디자이너이자 연구가

• 최정호와 같은 원도 설계자가 등장하기 이전에는 ‘손조각 활자’를 사용함

• ‘원도 활자’는 자, 컴퍼스, 가는 붓, 잉크 등과 같은 레터링 도구를 이용해 한 글자씩 설계한 원도를 바탕으로, ‘자모 조각기(matrix cutting machine)’가 활자를 깎아줌.

• 원도 활자의 도입 → 활자의 완성도는 활자를 조각하는 사람이 아닌 원도 설계자의 능력에 따라 달라지게 됨 (글꼴 디자이너 1세대)

Page 30: 한글 타이포그래피

한글 디자이너 최정호

- 최정호는 오늘날 많이 쓰이는 본문용 디지털 글꼴에 큰 영향을 끼친 인물로, 특히 명조체와 고딕체가 가장 유명.

원도 설계 중인 최정호 최정호 원도 제작 도구

Page 31: 한글 타이포그래피

한글 디자이너 최정호

<민간 최초의 원도 활자, 동아출판사체>

• 최정호의 한글 원도는 ‘동아출판사체’로부터 시작.

• (동아출판사 창립주 김상문 사장이 민간 최초로 ‘벤톤 자모 조각기’를 토입하면서 최정호에게 활자 설계를 부탁함)

• <새백과사전>, <세계문학전집> 등을 출간

• 동아 출판사 뿐만 아니라 삼화인쇄, 보진재, 금성출판사 등 다수의 출판사에서 원도 주문이 잇따르게 됨.

• [대한출판문화협회 30년사(1977)]에서 당시의 상황을 묘사,

“동아추란사의 활자 개량은 인쇄 기술 면에 큰 혁신을 가져왔고, 또 활판 인쇄계에 일대 선풍을 일켰다. 이로써 인쇄업계는 새로운 진통기가 시작됐다. 활자를 비롯한 여러 가지 시설 개혁이 시작된 것이다. 동아출판사의 독점물인 듯했던 활자 개량 사업은 순식간에 민중서관, 대한교과서, 삼화, 광명, 평화당 등 여러 업체로 퍼져, 60년대 초의 왕성한 전집물 제작을 감당할 수 있는 힘이 되었다.”

Page 32: 한글 타이포그래피

한글 디자이너 최정호

<가로쓰기 균형의 사진식자용 한글 원도>

• 일본에서 도입된 사진식자기 –원도 활자 이후 또 한 번의 새로운 바람을 일으킴

• 사진식자기는 사진기와 타자기의 원리를 응용한 것으로, 네거티브 필름 및 유리 글자판을 만든 다음 렌즈를 이용해 글자 크기를 확대 축소해서 인화하는 방식.

• 장체, 평체, 사체 등으로 변형하는 것이 자유로워 능률적이고 다양한 표현 가능.

• 일본의 사진 식자 회사 모리사와와 샤켄이 최정호에게 원도 제작 의뢰함.

Page 33: 한글 타이포그래피

한글 디자이너 최정호

<가로쓰기 균형의 사진식자용 한글 원도>

샤켄 중명조와 모리사와 중명조에서는 받침의 중심이 이전보다 가운데를 향해 이동한 것을 관찰할 수 있는데, 이는 가로쓰기 균형에 적합하도록 고심한 흔적 중 하나이다. 모리사와, 샤켄의 원도는 같은 명조체이지만 서로 다른 구조로 설계되었다. 샤켄 중명조는 비교적 속공간이 좁고 글자 줄기가 두꺼우며 붓의 부드러움이 돋보인다. 반면 모리사와 중명조는 속공간이 더 크고 글자 줄기는 가늘고 예리하며 붓의 흔적을 잘 다듬어 정제된 느낌이다.

최정호 부리 계열 비교 (위에서부터 동아출판사체, 샤켄 증명조체, 모리사와 증명조체)

Page 34: 한글 타이포그래피

한글 디자이너 최정호

<초특태고딕체 그리고 마지막 원도 최정호체>

초특태고딕체

견출고딕보다 한 단계 더 굵은 민부리 계열(sans serif) 글꼴로, 네모틀 안에서 최대한 획을 두껍게 그려야 했기 때문에 ‘ㅃ’ 등과 같이 줄기 수가 많은 경우 굵기를 가늘게 조절하여 속공간을 적절히 안배하고 지면의 농도를 맞추었다.

Page 35: 한글 타이포그래피

한글 디자이너 최정호

<초특태고딕체 그리고 마지막 원도 최정호체>

최정호체

‘최정호체’는 1978년 ‘최정호 한글 조형 원리’ 연재를 기획하던 안상수의 의뢰로 개발되었으며 최정호가 타계하기 직전인 1988년 완성되었다. 약 1,300자 남짓으로 국내에 남아 있는 그의 원도 중 가장 많은 글자 수이며, 기존의 명조체와 비교했을 때 글자의 가로 너비가 좁고 첫 닿자의 크기가 크며 글자 줄기는 조금 두껍게 설계되었다.

Page 36: 한글 타이포그래피

한글 디자이너 최정호

최정호 원도 모음 포스터 (타이포잔치 2011)

Page 37: 한글 타이포그래피

한글 디자이너 김진평

-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응용미술과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받음.

- 합동통신사 광고 기획실에서 근무했고, 한국판 [리더스 다이제스트]의 아트디렉터를 맡음.

- 1981년부터 서울여자대학교 교수로 재직.

- 1998년 49세에 죽음을 맞이함.

Page 38: 한글 타이포그래피

한글 디자이너 김진평

• 체계적인 한글디자인의 시작

-김진평이 활동했던 시기의 디자인은 대부분 대량 생산을 전재로 진행되었고, 많은 자본을 바탕으로 함.

-한글 활자는 1980년대까지 활자 도안가 또는 활자 조각가가 맡아 작업했고, 디자인을 전공한 사람은 광고나 제품에 필요한 상표와 타이틀 몇 글자를 그리는 작업을 함.

→이런 분위기 속에 김진평은 ‘한글 로고타입의 기초적 조형요소에 관한 연구’, ‘한글 타입페이스의 글자폭에 관한 연구’, ‘글자체 변형에 관한 연구’ 등의 논문과 여러 로고타입 및 제호 등의 한글 디자인 진행.

우리 디자인을 훈민정음과 한글에서 시작해야 한다고 주장.

Page 39: 한글 타이포그래피

한글 디자이너 김진평

• 한글디자인 이론의 체계

- 김진평 이전 : 이렇다 할 한글 활자의 조형 이론이 존재하지 않음.

(최정호가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글 활자의 조형을 설명한 정도와 영문 위주 레터링 소개 또는 한글 레터링의 예시를 보여주는 정도에 그침.)

- 김진평의 한글 글자꼴의 역사 정리

: 활자 제작방법과 글자꼴의 변화를 연계하여 디자이너의 관점에서 한글 글자꼴의 변화를 정리함.

Page 40: 한글 타이포그래피

한글 디자이너 김진평

<김진평 로고타입 분석>

- 한글의 조형성+새로운 방법론

김진평의 한글 로고타입에서 기본적으로 설정 응용된 한글의 기본 조형 요소 :

1) 자모 합성의 응용

2) 자음의 응용

3) 획의 응용

-> 이를 통한 활용 요소별 특성 분석

Page 41: 한글 타이포그래피

한글 디자이너 김진평

<김진평 로고타입 분석> 1) 자모 합성의 응용

일요신문 붓의 흘림체 특징을 현대적 감각으로 소화한 작픔으로, 개성있는 붓글씨의 우아한 품위를 느낄 수 있음.

워킹우먼 이응을 통한 연결 표현을 매우 세련되게 특징화 및 동질화하여 유사 요소로 잘 활용함을 보여줌.

Page 42: 한글 타이포그래피

한글 디자이너 김진평

<김진평 로고타입 분석> 1) 자모 합성의 응용

서울여자대학교 닿선의 기준선 위치 변화에 따른 자소의 크기 변화, 세련된 형태의 돌기가 특징적.

네스카페 네모틀 안에 꽉 차 보이는 두꺼운 굵기의 돋움체 양식에 날카로운 성격의 미세한 돌기 등을 통해 강하면서도 품위있는 이미지 표현.

Page 43: 한글 타이포그래피

한글 디자이너 김진평

<김진평 로고타입 분석> 2) 자음의 응용

우먼센스 획의 굵기 대비, 자모음의 형태와 돌기의 변형을 통해 개성을 부여한다. 특히 자음 ‘ㅇ’은 기존 한글 붓글씨 형태와는 다른 모양으로 균정하게 표현되었고, 모음‘ㅜ’의 멋스러운 형태 강조와 함께 적절한 기울기 형성이 동적인 이미지를 두드러지게 한다.

골드 블렌드 자음 형태에 부여된 부드러운 곡선을 통한 새로운 변화와 줄기의 우아한 돌기, 아웃라인체로 인한 흑과 백의 대비가 부드러우면서도 깔끔한 이미지로 표현되었다.

Page 44: 한글 타이포그래피

한글 디자이너 김진평

<김진평 로고타입 분석> 3) 획의 응용

버킹검 세로줄기의 돌기와 맺음에서의 기울기 처리, 가로줄기 첫 부분의 기울기 처리 등을 통해 영국 왕실 근위병의 절도 있고 부드러운 움직임과 품위 있는 분위기를 느끼게 함.

베네치아 : 환상의 섬도시 세로줄기의 돌기와 맺음, 가로줄기의 돌기 변형 등의 다른 방법을 통하여 새로고 개성 있는 이미지 표현을 보여 준다.

Page 45: 한글 타이포그래피

한글 디자이너 김진평

<김진평 로고타입 분석> 3) 획의 응용

카나리아 섬세한 돌기와 두꺼운 세로획에서의 내부 선 처리와 가는 가로줄기와의 조화로운 균형이 외곽 테두리 글자로 표현된다.

내 마음의 소년 글자의 너비를 아주 좁게 하고 기울기를 주었지만 글자 외곽 테두리 선 표현을 통해 신선한 이미지를 주었다.

Page 46: 한글 타이포그래피

<참고자료>

-<한글공감> 유정숙,김지현 지음 / 안그라픽스

-<한글 타이포그래피> 이기성 지음 / 한국학술정보

-<글짜씨>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 안그라픽스

인터넷 사이트

https://www.designdb.com/dreport/dblogViewColumn.asp?gubun=0&oDm=3&page=1&bbsPKID=21101

https://ko.wikipedia.org/wiki/%EC%B5%9C%EC%A0%95%ED%98%B8_(1916%EB%85%84)

http://www.generalgraphics.kr/archives/1482

http://m.wikitree.co.kr/main/news_view.php?id=192348

https://www.designdb.com/dreport/dblogViewColumn.asp?gubun=0&oDm=3&page=1&bbsPKID=21178

Page 47: 한글 타이포그래피

<느낀 점>

언제부턴가 나도 한글 콤플렉스를 느껴왔었던 것 같다. 한글 보다는 영어가 더 멋있어 보이고 했었는데 한글 타이포그래피의 역사에 관한 조사를 하다 보니 한글에 자부심을 가지고 연구를 해오셨던 분들에 대해 알게 되었고 지금 쓰고 있는 폰트들이 옛날에 비해 얼마나 발전된 폰트인지도 깨닫게 되었다. 또 영문은 스무개 남짓만 디자인하면 되지만, 한글은 1600개 가량이었나? 하나의 타이포를 완성하려면 엄청난 노력과 인내심이 필요한 일이기에 더 대단한 분들이라고 여겨졌다. 한글 타이포에 관한 연구가 더 많이 이루어져서 좀 더 다양하고 디자인적인 폰트들이 만들어졌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