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92
청년 사회적자본 리서치 2015 서울특별시 청년공간 무중력지대 대방동 2015 포럼 청년활동의 기초 자원 찾기 청년 X 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Upload: geum-ham

Post on 10-Feb-2017

4.000 views

Category:

Data & Analytics


8 download

TRANSCRIPT

Page 1: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청년사회적자본리서치

2015

서울특별시 청년공간

무중력지대 대방동

2015 포럼

청년활동의 기초 자원 찾기

청년 X 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Page 2: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목차

1/ 청년x기반조성

서울시 청년세대의 생활 안전망 현황 분석 및 대안 가능성

조금득┃청년연대은행 토닥 이사

2/ 청년x사회정책

기본 소득의 국내외 담론과 청년세대와의 만남

김주온┃기본소득청'소'년네트워크

3/ 청년x지역사회

사례로 만나는 지역시민 주체로서의 청년그룹의 역할과 가능성

이지윤, 김요한┃BLANK

4/ 청년x커뮤니티

서울의 청년커뮤니티 리스트 및 분야별 동료문화

오지예┃앤스페이스 공유공간 기획팀

5/ 청년x기회연결

청년세대를 위한 기회 연결자원 및 사회투자 방향

백혜리┃교육사회적협동조합 씨드콥

Page 3: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청년x기반조성

서울시 청년세대의 생활 안전망 현황 분석 및

대안 가능성

조금득

청년연대은행 토닥 이사

Page 4: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8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청년생활안정 현황 및 기반조성 방향 9

연구개요

리서치 기간

리서치 주제

리서치 방식

리서치의 필요성

기대 효과

2015년 7월 – 11월

청년 생활안정 현황 및 기반조성 방향

통계리서치/ 생활안정상담 조사

•저임금의 불안정한 일을 하는 청년들을 위한 생활안전망 부재

•생활안정이 되지 않음으로 인해 발생하는 관계 단절과 심리적 불안

•청년들의 생활안정 기반 조성의 문제는 청년 개인의 문제를 넘어 이 사회의 미래를

책임질 미래세대를 위한 투자로 심도있게 다루어져야 함

•1:1 상담을 통해 청년들의 생활안정이 심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생활안전 기반

의 필요성과 설계방향을 모색할 수 있다.

•생활안정과 미래설계와의 연관성을 파악하여 서울시 청년정책 의제로 제안할 수

있는 근거 마련

통계리서치 - 청년생활안정 현황

주거생활 불안

청년 10명 중 7명 월소득 30%이상 주거비로 지출

서울 1인 청년가구 주거빈곤율 36.3%

출처: 통계청, 서울시 청년허브(2015) 청년정책의 재구성 기획연구’에서 재인용, 민달팽이유니온 (2014)

Page 5: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10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청년생활안정 현황 및 기반조성 방향 11

명목 실업률 및 체감 실업률의 증가세 지속

청년실업률 지속적으로 상승 2010년 8.4% ->2014년 10.3%)

체감실업률 21.8%로 전 연령대에서 가장 높음

<서울 청년 고용률 실업률 동향>

<서울 청년 고용률 실업률 동향>

출처: 통계청, 서울시청년허브(2015) 청년정책의 재구성 기획연구’에서 재인용

고용상태의 악화

1년 이하 계약직 일자리 2008년 11.2% -> 2014년 19.5%

300인 이상 사업체 청년층 종사자 비중 감소

<첫 직장이 1년 이하 계약직인 청년 취업자 비중> (15세 ~ 34세)

<300인 이상 사업체 20대 청년층 종사자 비중>

출처: 통계청, 서울시청년허브(2015) 청년정책의 재구성 기획연구’에서 재인용

Page 6: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12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청년생활안정 현황 및 기반조성 방향 13

사회 밖으로 밀려나는 청년들

서울 20대 50만명의 사회 밖 청년

기준

NEET

여부

대분류

NEET(OECD 정의)

非(No) NEET

미취업자(실업자+비경제활동인구) – 학생(A)

취업자 + 학생

취업자

서울시 20대 청년(20-29세) 인구

서울시 20대 ‘사회 밖의 청년’ 인구통계 (A+B+C )

소분류 인구수

143만 7천명

50만 2천명 (34.9%)

19만 5천명 (13.6%)

124만 2천명

82만 5천명

━비정규직(불안정)

노동자 (B)23만 4천명 (16.3%)

대학생 41만 7천명

━졸업유예

(초과등록자) (C)7만 3천명 (5.1%)

출처:청년유니온 (2015)

청년부채 증가와 신용악화

20대, 30대 부채증가, 2008년 부터 지속적인 신용하락발생

<가구주 연령별 가구당 부채 보유액 및 증감률>

<연령별 평균신용등급 현황>

출처: 통계청, 2014년 한국은행 가계금융복지 조사, 통계청,

서울시청년허브(2015) 청년정책의 재구성 기획연구’에서 재인용

Page 7: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14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청년생활안정 현황 및 기반조성 방향 15

출처: 출처: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2015)

부채 부담 증가와 한계청년

연령이 높아질 수록 부채상환의 어려움

빈곤층부모의 청년의 92%가 부채상환의 부담

<현재 소득 시 학자금·주거 대출 등 빚에 대한 부담 정도>

구멍 뚫린 사회안전장치

상당 수 임시, 일용 청년 근로자의 사회보험 사각지대 발생 예상

<사회보험 가입현황>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주 1) 직장가입자만 집계하였으며 지역가입자, 수급권자, 피부양자는 제외

주 2) 공무원, 사립학교 교직원, 별정우체국 직원 등 특수직역연금 포함

단위 : %, %p, 전년동월대비 출처: 사회보험가입현황, 통계청, (2014)

Page 8: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16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청년생활안정 현황 및 기반조성 방향 17

사회복지의 사각지대

노인, 장애인, 복지시설은 지속적으로 증가. 청년시설은???

<주요 사회복지 생활시설 현황>

출처: 통계청, 2014 한국의 사회지표, (2015)

생활안정상담조사

조사결과 : 일반사항

재무상담을 통한 청년 생활실태 및 심리조사

조사개요

•공공재무컨설팅 형식으로 사례자 발굴 및 전문 재무상담 진행

1차 : 심화인터뷰

2차 : 대안제시 및 계획수립

•일시 : 2015년 9월 ~ 11월

•장소 : 서울시 청년공간 무중력지대 대방동

•심층상담 인원 : 53명 (남21명, 여32명)

•평균나이 : 27.7세 (20세 ~ 35세)

Page 9: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18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청년생활안정 현황 및 기반조성 방향 19

조사결과 : 경제적 상황 (금융자산 및 저축)

Page 10: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20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청년생활안정 현황 및 기반조성 방향 21

조사결과 : 경제적 상황 (부채보유 현황) 조사결과 : 경제적 상황 (부채발생 원인)

1위. 등록금

2위. 생활비

3위. 가족문제

4위. 부동산구입(가족포함)

5위. 기타교육비

Page 11: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22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청년생활안정 현황 및 기반조성 방향 23

조사결과 : 경제적 상황 (경제생활 현황) 조사결과 : 관계자본 형성을 위한 비용

고용상태별 주요 지출현황: 저소득일수록 엥겔지수가 높고 관계유지비가 적다.

Page 12: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24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청년생활안정 현황 및 기반조성 방향 25

조사결과 : 심리적인 특성

⓵ 부채상환

“발에 무거운 모래주머니를 차고 걷는 것처럼 하루하루가 버겁고 마음이 무겁다.”

- 부채상환을 위해 일을 쉬고 싶어도 쉬지 못하며 심리적인 압박으로 미래를 설계하기 어려움.

⓶ 고용불안

“미래 설계를 위해서는 안정적인 일을 찾아야 할 것 같은데 대부분 계약직인데다 그 일이 내가 진짜 원하는 일인지

도 모르겠다.”

- 일이 안정적이지 않으면 미래에 대한 불안감으로 미래 설계에 자신이 없고 돈 때문에 원하는 일이 아닌 일을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반복됨.

⓷ 가정상황

“아버지가 제 명의로 신용카드를 사용하셨는데 연체가 되서 제가 신용유의자가 됐어요. 답답하지만 가족이라 어쩔

수 없는 것 같고 그냥 가족의 굴레 같아요.“

- 가계부채 1200조 시대. 부모의 빚이 자녀에게 전이되고 자녀들의 명의로 금융을 이용하다 자녀가 피해를 입는 경우

가 비일비재 함. 이 경우, 해당 자녀는 미래 설계는 커녕 삶의 무력함이 가중됨

⓸ 사회적관계

“친구들 만나는 것도 좋아하고 하고 싶은 것도 많아서 동호회 활동도 해보고 싶은데 돈이 없으니까 이젠 욕구 자체

도 없어지는 것 같아요.”

- 생활이 불안정하면 사회적 관계도 위축되고 관계가 위축되면 삶이 위축됨

결론

불안정한 생활환경 속에 살고 있는 청년들의 현황을 살펴본

결과 고용 안정과 부채 비율에 따라 관계 형성의 비율도 달

라졌다. 아래 그래프에서 보이는 것처럼 고용이 불안정하고

부채금액이 커질수록 관계가 위축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고용

관계

부채

관계

Page 13: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26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청년생활안정 현황 및 기반조성 방향 27

불안정한 생활환경이청년의 미래설계에 미치는 영향

미치는 영향 : 미래를 준비하지 못하는 세대

지속적인 자산 감소, 꿈꾸는 것을 포기하게 된다.

출처: 통계청, 2014년 한국은행 가계금융복지 조사

구 분

평 균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전년차

전 체 100.0 100.0 100.0 100.0 -

가구주

연령대별

30세미만 1.1 1.0 0.9 0.7 -0.2

30~39세 13.2 13.0 13.1 12.3 -0.5

40~49세 27.6 27.7 26.7 26.2 -0.1

50~59세 30.7 30.8 32.0 32.5 0.3

60세이상 27.4 27.4 27.3 28.4 0.5

미치는 영향 : 사회불안감의 증대와 청년활력 저하

실패해도 괜찮아? 불공정, 재기불능, 승자독식

출처: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2015년 8월)

구분패자부활

지수

공정성지

청년협동

지수

사회참여

역량지수

세대

연대지수

세대

자존감지

전체 28.8 20.6 53.6 64.3 42.7 51.6

성별남자 28.3 22.4 55.7 66.3 38.4 53.9

여자 29.3 18.7 51.4 62.1 47.4 49.2

연령

19~24살 31.9 24.4 59.2 65.3 45.9 57.3

25~29살 27.1 18.2 50.8 64.4 34.9 49.8

30~34살 26.7 18.4 49.8 63.2 45.5 47.0

부모님의

경제적

지위

중산층이

상37.7 26.4 58.7 67.3 43.9 60.5

중간 층 32.7 23.6 55.9 64.9 44.2 54.9

중하 층 25.8 16.5 52.4 64.5 41.7 48,1

빈곤 층 17.2 18.6 45.4 59.1 40.0 44.4

<청년종합활력지수>

Page 14: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28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청년생활안정 현황 및 기반조성 방향 29

미치는 영향 : 외로움과 경제적 어려움

노년층 보다 높은 20대의 외로움, 고독으로 인한 자살 충동 (17.8%)

30대 경제적 어려움으로 자살충동 (47.2%)

청년 생활안정 기반조성의 필요성

출처: 통계청, 사회조사 (2014)

<자살에 대한 충동 여부 및 이유>

계 있다소계

경제적어려움

이성문제(실연등)

질환,장애

직장문제

외로움,고독

가정불화

성적,진학문제

친구불화

따돌림기타

2012년 100.0 9.1 100.0 39.5 4.2 12.1 7.1 13.0 13.6 6.3 1.4 2.9

2014년 100.0 6.8 100.0 37.4 5.4 11.1 7.8 12.7 14.0 5.6 1.6 4.5

13~19세 100.0 8.0 100.0 19.5 5.1 2.1 0.8 9.8 10.5 39.3 7.8 5.2

20~29세 100.0 7.7 100.0 22.3 8.6 7.0 19.8 17.6 10.9 5.2 1.7 6.7

30~39세 100.0 7.6 100.0 47.2 4.6 5.1 12.1 11.9 12.7 0.2 1.0 5.1

40~49세 100.0 6.1 100.0 45.6 5.6 7.2 6.4 11.5 20.9 - 0.3 2.3

50~59세 100.0 7.0 100.0 46.7 6.0 12.9 4.2 10.6 14.6 - 0.6 4.4

60세이상 100.0 5.2 100.0 34.2 2.0 32.0 0.5 14.8 13.0 - 0.1 3.5

생활안정 기반조성 방향 및 대안 사례

생활안정 기반조성 방향

생활안정

주거공간 활동공간 금융지원

생활안정기반

마련

관계형성 및

다양한 시도미래설계

미래사회의

주체로 성장

Page 15: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30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청년생활안정 현황 및 기반조성 방향 31

생활안정기반 대안사례 : 주거 안정망

청년의 주거안정을 위한 주택공급의 변화

: 서울시 협동조합형 공공임대주택 ‘이웃기웃 청년협동조합주택’

: 민간 – 민달팽이주택협동조합의 달팽이집 (관계중심 공동체 주거 모델)

생활안정기반 대안사례 : 활동공간 안정망

서울시 청년 활동공간 ‘무중력지대’ (청년들의 미래설계를 위한 베이스캠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안정적인 활동공간

을 통해 다양한 시도와 네트워킹으로 미래 설계를 위한 몸 만들기

<서울시 이웃기웃 청년주거협동조합>

무중력지대 대방동 무중력지대 G밸리

생활안정기반 대안사례 : 금융 안정망

•청년연대은행 토닥 : 청년들이 스스로 만드는 금융안정망 소액대출, 자산형성, 관계자본 형성

•동자동 사랑방마을공제협동조합 : 동자동 쪽방촌 주민들 스스로 만든 관계은행 생활안정망을 통한 자립&자활

청년연대은행 토닥 동자동 사랑방마을공제협동조합

결론

생활안정 기반조성을 위한 정책제안

§ 청년활동공간 확대

§ 청년층 주거안정을 위한 다양한 정책 개발

§ 청년층 자산형성을 위한 지원정책 확대

§ 청년부채 탕감 및 적극적인 채무조정 제도 필요

§ 청년수당, 배당을 통한 관계자본 형성 마중물 필요

Page 16: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청년x사회정책

기본 소득의 국내외 담론과 청년세대와의 만남

김주온

기본소득청'소'년네트워크

Page 17: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34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기본소득의 국내외 담론과 청년세대와의 만남 35

리서치 소개 및 목적

한국사회에 기본소득에 대한 관심과 논의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최근 경기도 성남시의 '청년배당'이 주목받기도 했으며,

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기본소득이 포스트 복지국가의 대안으로 부상하여 곳곳에서 크고 작은 단위의 실험이 진행되

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지금까지 논의된 기본소득의 역사적 배경, 정당성, 필요성을 정리하고, 넓은 범위에서 한국 사회에

주는 시사점을 짚어본다.

특히 보편성, 개별성, 무조건성을 원칙으로 매달 보장되는 현금 소득이 현재 한국의 청년들에게 사회적 자본으로서 어떤

가능성을 가질 수 있는지, 청년들이 그리는 미래와 어떻게 긴밀히 연결되는지 탐구하고 기본소득 도입의 필요성을 촉구한

다.

기본소득이란?

자산심사나 노동요구 없이!

"무조건성’, ‘보편성’을 의미한다. 자산조사를 바탕으로 빈곤층에게만 지급하는 것이 아니므로 수치심을 발생시키지 않는

다. 초과소득이 발생한다고 해서 지급이 중단되지도 않는다. 기본소득은 고용 보조금과 다르다. 현재의 노동여부 뿐만 아

니라 미래의 노동 의지와 무관하게 주어진다.

모든 사회구성원 각자에게!

기본소득은 개별적으로 모든 사회 구성원에게 균등하게 지급된다. 기존의 가부장적 생계부양자 중심의 복지와는 달리 모

든 개인에게 지급된다는 뜻으로 청소년, 청년 등 나이에 따라 차별하지 않는다.

개인이 속한 가구유형과 무관하게 지급되므로 다양한 가구 구성을 존중한다.

국가 혹은 사회 공동체가!

기본소득의 지급 주체가 반드시 국가일 필요는 없다. 가장 많은 공적 자원을 배분할 권력을 지닌 주체가 현실적으로 국가

일 수는 있지만 지급 규모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일 수도 있고, 초국가적 기구일 수도 있다. 포괄적으로는 ‘사회 공동체'가

지급한다고 이야기하는데 이는 기본소득이 주는 손과 받는 손의 위계 없이 서로가 서로를 환대하며 보장하는 소득과 같기

때문이다. 기본소득은 시혜로서가 아닌 권리로서 지급된다. 사회적 부의 형성에 모두의 기여를 인정하는 것이다.

정기적으로 지급하는 소득

‘소득’이라는 것은 현금으로, 정기적으로 지급된다는 뜻이다. 현금으로 지급하면 개개인의 선택의 자유가 늘어나고 이를

통해 개인들이 자율성과 책임감을 기르는 연습을 할 수 있다. 물론 대부분의 기본소득안들은 의료보험이나 무상교육과 같

은 현물기본소득을 대체하기보다 보충하고 있다.

자산심사나 노동요구 없이 모든 사회구성원 각자에게 국가 혹은 사회 공동체가 정기적으로 지급하는 소득

Page 18: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36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기본소득의 국내외 담론과 청년세대와의 만남 37

16세기부터 역사적 논쟁을 통해 기본소득의 개념 생성

지역과 사람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워짐. 예)최소소득, 시민소득, 존재소득…

“빈민에 대한 부조계획으로서의 최소소득 보장” (후안 루이스 비베스)

“토지는 모두의 재산!” 사유지에 대한 과세를 통해 모두에게 연금 지급 주장. 이것은 '자비'가 아니라 '권리'! (토마스

페인)

“자산심사, 노동 없이, 의회가 매년 정해진 금액을 시민에게 지급해야” (죠셉 샤를리에)

“인류의 기술이 발전할수록 생산성은 높아지는 반면 인간의 노동은 더 적게 요구된다. 따라서 노동의 대가로만 소득을

지급하게 되면 사회 구성원들의 삶을 지탱할 수 없다. 그래서 모든 개인에게 조건 없이 지급하는 기본소득이 필요하

다” (앙드레 고르)

벨기에 루뱅카톨릭대학의 세 젊은 연구자인 필립 반 빠레이스, 폴-마리 볼랑게, 필립 드페잇이 ‘보편수당’이라는 아이디어

를 발전시켜 ‘조건없는 기본소득’을 주장했고, 기본소득유럽네트워크를 설립했다. 현재 기본소득 지구 네트워크(BIEN)로

확장되었음.

필립 드페잇이 ‘보편수당’이라는 아이디어를 발전시켜 ‘조건없는 기본소득’을 주장했고, 기본소득유럽네트워크를 설립했

다. 현재 기본소득 지구 네트워크(BIEN)로 확장되었음.

최근 한국에서 기본소득에 대한관심과 논의가 증가하는 배경

2015년 오늘,

우리가 살아 나가야할 세계는 어떤 모습인가?

Page 19: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38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기본소득의 국내외 담론과 청년세대와의 만남 39

청년 Youth?

•축적되어가는 생태 문제와 빈곤의 문제를 짊어진 채 불황이 예고된 사회를 살아나가야 하는 세대

•자원의 분배가 선행되지 않고 닥친 저성장 시대에 대부분 부모의 소득으로 ‘소비'의 방식으로만 경제에 기여

할 수 있는 기묘한 신세

2016년 한국 청년들이 처한삶의 조건+ 기본소득

•노동시간 단축, 일자리 나누기 수월

•노동시간이나 노동조건에 대한 개인의 교섭력

(bargaining power) 상승

•기본적인 생존의 비용을 사회가 책임짐 -> 하고

싶은 일과 해야하는 일 사이의 간극 줄어듦

•일자리 때문에 도시에 머물러야 했던 부담이 감소

경력단절 여성들의 재취업 문턱 낮춤

•현재의 시장경제 안에서 화폐로 환산되기 어려

웠던 내용의 '일' 또는 '활동'을 그 자체로 존중하는

의미

•쉴 수 있는 자유를 보장

•암울한 지표들: 전체 노동자의 1/3에 달하는 비정

규직 노동자 수, 저임금 노동자의 비율, OECD 19개 국

중 최하위 수준의 최저임금, 주 44.6시간이라는 최고

수준의 노동시간, 높은 산재율, 낮은 노동조합 조직율.

높은 취업 경쟁률, 낮은 청년(15~29세) 고용률.

•최저임금이 낮으므로 저임금 임시직일수록 장시

간 노동해야 기본적인 생활 가능.

•무엇을 하고 있든, 안하고 있든 불안하며 임금노

동으로부터 자유로운 시간을 갖기 어려움.

•시간은 곧 돈이기에 시야를 넓히고 적성을 계발할

시간 없음.

•부와 빈곤의 대물림이 심화되며 부의 양극화 극

심. 재정적 불안정은 진로 선택의 폭을 더욱 제한함. 직

업을 통해 자아실현을 꿈꾸는 것은 허상.

2016년

일을 해도 안 해도 불행한 청년들

+ 기본소득

Page 20: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40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기본소득의 국내외 담론과 청년세대와의 만남 41

•한국에서 ‘집’이란: 근로소득보다 높은 시세 차익을

안겨주고 미래의 자녀에게 증여 할 수 있는 가장 큰 자

산. 한국의 경제발전 과정에서 부동산 시장은 폭발적

으로 팽창.

•서울에 사는 청년이 자력으로 집을 구입하기란 불가

능. 상대적으로 저렴한 월세의 경우에도 보증금 천만

원에 월세 40~50만원이 평균

•최저주거기준에 미달하는 주거형태: 전체 청년 중

약 11.8%가 국가에서 정한 최저주거기준(14제곱미

터)에 미달하는 열악한 주거 환경에서 생활.

•주거 빈곤층에 해당하는 청년들을 위한 제도나 대책

미비. 한국의 주거 보조 제도는 기존의 가족 중심 지원

을 고수.

•청년층 대상 임대 사업이 주택을 가진 베이비 부머

세대의 주요 소득원 중 하나이므로 대학가에서 임대사

업을 하는 원룸사업자들이 대학의 기숙사 건설을 적극

반대

•낮은 시급과 불안정한 노동조건 사이에서 부모의 증여

없이 자본을 마련할 길이 없는 청년들에게 남는 선택

지는 대출 뿐.

•높은 대학 진학률, 고비용의 등록금, 높은 생활비와 낮

은 임금, 고용 불안정 등 여러 요소의 연쇄 작용으로 청

년 부채 문제 심각

•장기간 빚을 갚는 경험은 청년들로 하여금 비관적인

미래 설계를 하게하고, 노동 의욕 떨어뜨림. 관계를 만

들고 유지하는 비용도 부담으로 작용

•부채를 만들 가능성 자체가 감소

•대출을 받더라도 정기적인 소득을 바탕으로 한 확실한

상환 계획을 세우고, 연체를 방지

•관계 유지 비용 부담을 줄임으로써 커뮤니티 활성화의

촉매제로 기능

2016년 2016년

집 없는 청년들 빚을 갚는 청년들

•주거비용 부담 감소

•주거비로 지출되던 비용으로 문화, 사회 생활을 즐기

거나 저축

•가격 때문에 자주 이사해야 할 일도 줄어들고, 선택할

수 있는 주거 공간의 폭도 넓어질 것

•살고 싶은 곳에 적극적으로 머무를 수 있는 거주의

자유가 실현

•전반적인 삶의 질 상승

+ 기본소득

+ 기본소득

•스스로의 삶에 어떠한 주체성도 행사할 수 없다고

느끼게 된 청년들이 죽음이라는 극단적 선택을 하는

비율인 자살률이 세계 1위 수준. 그 중 20대 사망자 중

자살자 수는 전체 사망자의 47%. 자살 충동을 느끼는

비율도 높음.

•자살 충동을 느끼는 이유: 10대-학교 성적이나 진학

문제, 2,30대-경제적 어려움.

•당사자 문제 해결을 위한 정치 참여를 할 경제적, 시간

적 여유 없음.

•청소년 참정권 제한 : 제도 정치에 참여하며 학습할 수

없고 자신과 직접 관련된 정책들에 대해 발언할 수 없

음. 청년이 된 후에도 계속해서 정치를 낯설어하는 태

도는 정치에 대한 막연한 혐오 또는 냉소와 함께 깊은

무력감으로 연결됨.

•기본소득의 운용을 통해 자율성과 책임성을 기를 수

있는 동기와 기회 제공

•거의 모든 (정치적) 권리들을 박탈당한 청소년들을

사회가 시민으로 인정한다는 의미

•사회적 안정성을 바탕으로 인간으로서의 권리, 개인으

로서의 자립에 대한 감각을 기를 수 있게 함

•자신의 삶을 기획하고, 사회에 참여할 수 있게 하는 최

소한의 수단이 조건 없이 주어짐으로써 무력감에서 벗

어나게 함

•청년 시기 ‘출발의 실패’로 인해 발생하는 장기적인 ‘상

처효과’(scar effect) 방지

2016년

유령 혹은 좀비가 된 청년들

+ 기본소득

Page 21: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42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기본소득의 국내외 담론과 청년세대와의 만남 43

‘사회적 자본’으로서 기본소득

기본소득은 관계를 회복할 수단

기본소득이 개인의 의존성을 심화시키며 자립을 저해한다는 비판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과거의 공동체 경제나 빈민들의

삶의 방식에서 발견할 수 있듯이, 우리가 살아가는 데에는 가족, 친구, 이웃과 같은 관계 안에서 현금이 관여하지 않는, 서

로에게 건강하게 의존하는 관계가 필요하다. 하지만 오늘날 가난한 이들에게는 그러한 기본적인 관계를 만들고 유지하는

비용도 부담으로 작용한다. 결혼식 축의금, 장례식 부조금 외에도 누군가와 만나서 함께 시간을 보낼 때에 드는 커피값, 밥

값, 맥주 한 잔 값이 없어 거짓말로 약속을 취소하고 집안에 고립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기본소득은 관계를 회복할 수단,

즉 누군가와 함께 보낼 시간과 나눌 음식 따위가 될 수 있다!

‘상호의존'으로 나아가는 남아공의 현금부조 사례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기본소득운동을 이끌어온 인류학자 제임스 퍼거슨은 남아공에서 현금을 지급한 사회부조 사례를

분석하며 사회정책은 의존성 그 자체를 병적인 것으로 취급해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 빈민들은 항상 의존적이었으며, 그

들은 더 가난할수록 더 의존적이 될 것이다. 현금 지급은 이들의 사회적 세계에 ‘의존성'을 새로이 도입하는 것이 아니며,

그보다는 빈자들의 삶에 덜 해악적인 의존의 관계가 뿌리내릴 수 있도록 돕는, 더 평등한 ‘상호의존'의 형태로 나아갈 수

있게 돕는다는 것이다.

여성과 기본소득

기본소득은 여성이 ‘개인'이 될 수 있는 경제적 기반을 제공함으로

써 실질적 성평등을 이룬 사회에 가까워 지도록 할 것. 기본소득은

여성 빈곤 완화를 위한 수단이자 고용, 결혼제도, 시민권 등의 영역 에

서 여성의 자유를 증진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음. 여성을 ‘무임

승차자(빨대녀)’나 ‘소비자(된장녀)’등으로 덧씌우려는 시도들을 벗어

나 자기실현의 욕심에 가득 찬 여성들을 발굴하고 드러내는데 기여할

것.

ⓒ한겨레 조승현 기자

Page 22: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44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기본소득의 국내외 담론과 청년세대와의 만남 45

국내의 기본소득

경기도 성남시 청년배당

2016년 기준 성남시에 3년 이상 거주한 만 24세

11,300명에게 1인당 연1백만원상당의 지역화폐를

113억원 지급하는 조례안을 성남시의회에 제출 전국적

으로 확대할 경우 약 6,600억원의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

“청년배당은 ‘공정한 사회’ 실현의 출발. 청년배당은 청년

고용과 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한 ‘사회적 투자’

청년문제해결을 위한 재원은 시혜적 기부가 아니라 엄정

한 조세정의를 통해 정책으로 확보해야”

ⓒ Enno Schmidt

녹색당의 기본소득 정책

•불평등과 빈곤해소, 불안으로부터의 탈피, 생태적

전환을 위해 한국사회에 기본소득을 단계적으로 도입

해 나간다.

•기본소득과 함께 최저임금 대폭 현실화, 노동시간

단축, 주거기본권 보장을 동시에 추진하여 인간다운

삶을 보장한다.

•기본소득의 재원조달에 있어서 생태위기 극복을

위한 측면을 고려하여 생태세를 도입한다.

•재정확보의 측면을 고려하여 2016년 입법화 작

업. 2017년부터 ‘기본소득세(일명 함께 살자’세) 징수,

1단계 지급 시작. 2020년 2단계 기본소득 도입이라는

일정으로 추진해 나간다.

하승수 녹색당 공동운영위원장이 펴낸

“나는 국가로부터 배당받을 권리가 있다"

녹색당 기본소득 로드맵 (월 40만원)

1단계: 조세 정상화

1) 청소년ㆍ청년, 농ㆍ어민, 장애인, 노인에게 우선 지급.

2) 보편적 생태배당 실시

•중ㆍ하위층 근로소득자의 직접적 세부담을 늘리지 않고 증세

예) 상속세 강화, 불로소득(부동산 임대소득, 개발이익, 금융소득, 주식양도소득 등)에 대한 과세 강화, 부동산 보유세 강

화, 탈세 근절, 재벌대기업과 고소득층에 대한 비과세ㆍ감면 축소, 법인세율 인상, 고소득자에 대한 소득세율 인상 등,

기후변화와 핵발전 단계적 폐지를 위한 생태세 징수

─ ‘저임금 불안정 노동이 아닌' 임금노동 일자리를 찾기 어려운 청소년, 청년들에게 기본소득 우선 보장

(만 15세- 만 29세)

─ 농산물 시장개방으로 인해 소득 부족의 어려움을 겪는 농업인에게 지급. 귀농인도 포함

실질적으로 경제활동을 통해 소득을 얻기 어려운 장애인에게 우선 지급. 장애로 인한 추가 비용은 부가급여 형식으로

지급.

─ 노인의 경우 기초연금 액수를 올리고 지급 대상을 모든 노인으로.

─ 기본소득만으로 기초생활보장선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보충급여 지급

2단계 : 보편증세

(시행성과를 바탕으로, 전연령대로

확대 추진)

─ 1단계 조세개혁 조치를 통해 얻은 신뢰를 바탕으로

이 단계에서는 과세미달자인 근로소득자나 사업소득자에 대해서도 보편

증세 (5-10% 정도의 기본소득세를 부과)

─ 중ㆍ하위 소득자의 경우 세금납부액에 비해 받는 기본소득

금액이 크게는 10배!

신뢰만 확보된다면 보편증세도 가능하다. 적게 벌면 적게 버는대로 세금

을 내고 (사회적 연대), 권리로서 기본소득을 받자

Page 23: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46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기본소득의 국내외 담론과 청년세대와의 만남 47

제주도 도민배당 제안

•사단법인 제주사회적경제네트워크 / 11월 30일 오후 7시30분 제주대 법학전문대학원 109호 강의실에서

'공유자원 활용한 도민배당(기본소득) 법제화' 세미나 개최

•제주지역에서 경제정의를 실현하고 양극화를 해소하기 위해 토지와 지하수, 바람 등 제주의 공유자원을 활용

한 도민배당을 고민

•“제주도는 공공재 개발로 인한 이익의 역외유출에 대한 논의가 많다. 공공재를 재원으로 마련한 수익금을

‘도민배당’ 형태로 지급하면 될 것”(하승수, 녹색당)

•도민배당의 재원은 자연과 환경을 포함하는 토지에서 마련되어야 한다(남기업, 토지+자유연구소)

ⓒ 기본소득청'소'년네트워크

세계의 기본소득 논의

기본소득지구네트워크 (BIEN)

1986년 유럽의 네트워크로 출범해 정기적으로 뉴스레터를 발간하고 국제대회를 조직하며 지구적 빈곤 해소를 목표로

기본소득을 알리고 기본소득 운동을 연결하는 일을 해왔다. 2004년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10차 총회를 계기로 기본소득

유럽네트워크는 기본소득지구네트워크로 확장. 23개국이 소속되어 있으며, 한국의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도 2010년에

17번째 가맹국으로 인준 받았다.

ⓒ BIEN

Page 24: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48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기본소득의 국내외 담론과 청년세대와의 만남 49

알래스카 영구기금배당

Alaska Permanent Fund

Dividend

•1976년 알래스카의 공화당 주지사 제이 해먼드(Jay

Hammond)의 주도로 '자원 고갈은 피할 수 없으므로 석

유로 얻은 수익을 미래 세대를 위해 모아두어야 한다', '이

러한 수익을 낭비할지도 모를 정치인으로부터 지켜야한

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천연자원을 공유자원으로 여겨, 공

동체가 함께 관리하는 모델을 만들었음

•석유를 포함한 주 소유의 자연 자원의 판매수익의 최소

25%를 적립

•그 결과 과거에 미국에서 가장 낮은 일인당 소득을 보여

주었던 알래스카가 현재는 미국의 주들 가운데 가장 평등

한 주에 가까워짐.

•그러나 조세를 통한 안정적인 재원 확보나 소득 보장

방식에 비해서는 안정성이 조금 떨어짐

일본의 기본소득 운동

•아베 정권 들어 개정된 공적부조public assistance 정책:

조사 강화, 처벌 강화, 가족의 부양의무 강화가 더욱 강조

•일본 오사카 시장인 극우파 하시모토 도루가 2011년 출

마 당시 내걸었던, 모든 복지제도를 부가세를 재원으로

한 우파적 기본소득으로 대체하겠다는 공약이 있었다.

•공공성 강화, 부의 재분배를 목적으로 한 기본소득제의

전국적인 담론화는 요원한 상태2014년 기본소득지구네트워크 총회 일본 세션

ⓒ 김주온

인도의 기본소득

파일럿 프로젝트

•2011년 인도 마디아프라데시주에서 여성노동자조합

(SEWA)와 유니세프가 공동으로 무조건부 현금지원 실험을 진행

함. 일하지 않아도 될 만큼 충분한 액수는 아니었지만,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크게 기여함.

•주민들의 생활 환경과 수준이 크게 변화하고 학교에 가는 아이들

이 많아졌으며, 교육이나 주거 환경 같은 인프라에 투자하는 사

람들이 많아짐.

•지금까지 시민의 자격을 얻지 못했던 여성들이 ‘개인에게

지급된다'는 기본소득의 특징 덕분에 ‘개인'으로 인정받음. 지금

까지 인도 농촌의 여성은 자신이 자신임을 증명할 수 있는 아이

디 카드나 기타 증빙 서류가 없는 경우가 많았고 기껏해야 있는

것은 워터 카드(물을 지급받기 위해 사용되는 카드) 정도였는데,

기본소득을 받기 위해 여성들은 은행에서 자신이 자신임을 증명

하고, 사회의 구성원임을 인정받은 후 계좌를 만들었음.

•음식 보조금과 같은 현물지원보다 조건없는 현금수당이

가진 장점을 확인할 수 있었음.

Page 25: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50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기본소득의 국내외 담론과 청년세대와의 만남 51

조건없는 기본소득을 위한

유럽시민발의 운동

•2014년 1월에 종료된 이 운동은 14만 명의 서명을 받

았으나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uropean Commission,

EC)가 요구하는 1백만명 이상의 서명을 모으는데는 성

공하지 못했음.

•“이 기본소득 유럽 발의안은 유럽연합의 기본소득을 향

한 유럽 운동의 시작일뿐입니다” - Klaus Sambor

•이 캠페인을 지지하는 새로운 그룹이 여러 국가들에서

만들어졌고, 현재 존재하는 기본소득 그룹들 간의 네트

워크가 꾸려지고 있음. 캠페인을 통해 기본소득에 대한

범유럽적 홍보가 이루어짐

•젊은 활동가들이 중심이 되어 다양한 소셜미디어를 활

발히 이용했으며, 콘텐츠 확산 및 서명 받음.

스위스 기본소득 국민발안

•2013년에 스위스의 “기본소득 세대Generation Basic Income” 팀이 기본소득 보장을 헌법에 명시하자는 제안을 국민

13만 명의 서명을 받아 발의하였음. 국민투표는 2016년 가을에 시행될 예정.

스위스 의회가 스위스 국민 12만명의 청원으로 기본소득

을 헌법에 명기하는 헌법 개정을 국민투표에 부치기로 결

정한 2013년 10월 4일에 베른 스위스 연방의회 앞에서 시

민단체 회원들이 스위스 인구 800만명을 상징하는 5라펜

짜리 동전 800만개를 쏟아부은 뒤 삽으로 퍼뜨리는 퍼포

먼스를 벌임.

사진 ⓒ Peter Klaunzer/EPA via Corbis

2013년에 스위스의 “기본소득 세대Generation Basic Income” 팀이 기본소

득 보장을 헌법에 명시하자는 제안을 국민 13만 명의 서명을 받아 발의하였

음. 국민투표는 2016년 가을에 시행될 예정.

핀란드의 기본소득 논의

•2006년 EuroMayDay 프레카리아트 시위: “불안정 노동자에게

넉넉한 기본소득을!”

•2011년 최소연금보장 도입으로 모든 연금생활자들이 '기본소

득'을 수령했으며, 정부는 최소실업수당을 올리고 노동 관련 부

조에서 자산조사 항목을 삭제

•이후 시민주도 기본소득 캠페인이 활발하게 이루어짐. 지속적인

경제성장과 완전고용을 전제로 설계된 복지제도가 한계에 부딪

힘에 따라 이와 다른 패러다임을 갖고 있는 기본소득의 인기가

높아짐.

•2015년 핀란드 새 정부에서 높은 실업률에 대한 대안으로 기본

소득 실험 도입을 검토하겠다고 밝혔고, 2015년 12월에 2016

년 11월까지 전국민을 대상으로 매달 800유로(대략 100만원)

기본소득 지급 계획을 세우겠다고 발표함.

브라질의 ‘시민기본소득법'

•2004년에 기본소득지구네트워크 멤버이기도 한 에두아르도

수플리시 브라질 상원의원의 주도로 브라질 시민기본소득법 제

정되었다. 브라질에 5년 이상 거주하는 외국인까지 포함되며, 아

무런 사회경제적 조건을 따지지 않는다. 국가 차원에서는 최초의

기본 소득 법제정이지만, 재원 문제로 집행되지 못하고 있음.

•그 전 단계로 ‘볼사파밀리아’(Bolsa Familia)라 불리는 가구단위

소득지원 프로그램 실시중. 볼사파밀리아프로그램이 대략 브라

질 인구의 4분의 1에 해당하는 4500만 명을 대상으로 하고 있

으며, 정책 실시 후 불평등지수(지니계수)는 2002년 0.58에서

2007년 0.55로 개선됨.

•2015년 12월부터 브라질 리우 데 자네이로 주 마리카 구에서

1년 이상 거주한 15만 명의 모든 주민에게 기본소득 지급 시작.

기본소득은 연대경제 및 소상공인들 사이에서 유통되는 "뭄부카"

라는 지역화폐로 지급

A children's book about basic income

in BrazilScanned and uploaded by Scott Santens

Page 26: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52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기본소득의 국내외 담론과 청년세대와의 만남 53

독일 & 미국 “나의 기본소득" 프로젝트

독일의 개발자 미하엘 보마이어가 2014년에 시작한 이 프로젝트는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기금을 모으고,기본소득을 받

고 싶다고 신청한 이들 중에서 추첨을 통해 1년간 기본소득을 지급한다. 기본소득을 받으면 나의 삶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개인들의 삶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고, 동시에 젊은이들을 포함해 많은 사람들에게 기본소득을 홍보했다. 2015

년 현재 24명이 기본소득을 받고 있다. 그중에는 9살 소년도 있다. 프로젝트 홈페이지(www.mein-grundeinkommen.

de)를 통해 기본소득을 받으면 어떻게 살고 싶은지 사람들의 답변을 아카이브 하고 있다. 미국에서도 2015년 11월, 독일

의 “나의 기본소득"팀과 함께 동일한 프로젝트 ‘나의 기본소득(My Basic Income)’을 런칭했다.

Still taken from My Basic Income video

결론

청년 + 기본소득 = 기본소득 세대 !

§ 저성장, 고실업 시대의 빈곤에 대한 대안

§ 다양한 상상력을 지녔으나 이를 펼칠 자원이 없는 미래세대가 삶을 지속할 수 있는 사회 실현

§ 복지 사각지대, 워크페어의 함정 없는 사회 안전망 형성

§ 생태문제 해결을 위한 실마리 제공

기본소득은 다양한 욕망을 지닌 다양한 처지의 청년들이 마음놓고 출발할 수 있게 하는 도약판이며,

기본소득을 통해 개인과 사회를 연관 짓는 다른 방식을 끌어낼 수 있다.

청년들이 주체적으로 사회적 밑천 혹은 배당으로서 기본소득을 요구하고, 기본소득 도입 이후의 삶을 상상하자!

ⓒ Enno Schmidt, 다큐멘터리 <기본소득 : 문화적 충동> 스크린샷

Page 27: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54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기본소득의 국내외 담론과 청년세대와의 만남 55

참고문헌

•강남훈 외, <기본소득 운동의 세계적 현황과 전망>,, 박종철 출판사, 2014

•김미정, 2013, “평등을 위해 기본소득 도입은 절실하다 : 여성에게 선택의 자유를", 한국여성학회 2013 추계학술대회

•바티스트 밀롱도(권효정 역), <조건없이 기본소득>, 바다출판사, 2014

•브루스 액커만 외, <분배의 재구성>, 나눔의 집, 2010

•이재명 성남시장 기자회견문, 2015.10.1

•에듀아르도 마타라쪼 수플리시 브라질 상원의원, [평등한 사회 꿈꾸는 ‘기본소득제’특별기고], 2009.4.13, 한겨레

•주온, 스밀라, 2014, “한국 청년들의 불안정한 삶과 기본소득", 기본소득지구네트워크 15회 총회 발표문

•최광은, <모두에게 기본소득을>,, 박종철 출판사, 2011

•하승수, ‘함께 살자 - 기본소득’ 실현을 위한 로드맵(안), 녹색당 정책자료집, 2015

•허완, ['핀란드 정부, 모든 국민에게 기본소득 지급!'의 실체], 2015.12.7 18:06, 허핑턴포스트코리아

•홍창빈, “제주 공유자원 활용 도민배당 법제화 세미나 개최” 2015.11.23 16:32:49 헤드라인 제주

•Brian Barry, 1996, "Real Freedom and Basic Income”, Journal of Political Philosophy,

Volume 4, Issue 3, pages 242–276

•James Ferguson, 2013, “Declarations of dependence: labour, personhood, and welfare in southern Africa”,

Journal of the Royal Anthropological Institute, Volume 19, Issue 2, pages 223–242

[웹사이트]

기본소득청'소'년네트워크 http://BIYN.kr

기본소득 뉴스 https://newsbikr.wordpress.com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http://basicincome.k

기본소득유럽네트워크 http://basicincome-europe.org

기본소득지구네트워크 http://basicincome.org

Page 28: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이지윤, 김요한

BLANK

청년x지역사회

사례로 만나는 지역시민 주체로서의

청년그룹의 역할과 가능성

Page 29: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58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청년 X 지역사회 59

연구 목차

배경_

소개_

분석_

결론

시사점

참고문헌

01 리서치 배경

02 사회적 자본

01 리서치 주제

02 리서치 목적

03 리서치 방법

04 리서치 대상

01 분석 방법

02 분석 내용

03 분석 결과

저성장 시대에 진입하며 경제성장률이 저하되고 청년

고용률이 낮아지는 등 기존의 경제성장방식이 한계에

부딛힘. 또한 저출산, 노동인구감소, 노인 인구 증가 등

의 사회문제가 대두되면서 기존의 개발방식과 저성장

에 대응하는 새로운 도시재생방식이 등장.

주민참여형 도시재생에 있어 기획자이자 매개자로서

청년의 역할이 강조됨. 지역에서 커뮤니티를 이루어내

고 지역커뮤니티를 기반으로 문화활동, 커뮤니티 비즈

니스를 시도하는 청년들 등장.

기존 인프라를 활용하면서 공동체를 유지하고

지역사회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지역의 생활

문화, 복지적 특성을 살리는 개발이 등장. 이러한

개발 방식에서는 커뮤니티안에서 주민들이 스스로

고민하고 토론하며 필요성을 찾아나가는 상향식

결정방식이 중요하므로 커뮤니티의 역할이 강조됨

배경

01. 리서치배경

Page 30: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60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청년 X 지역사회 61

02. 사회적자본

지역기반의 활동은 지역 내 네트워크 및 공공의 지원 등 유무형의 사회적 자본이 단체의 형성 및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치는

구조.

사회에서 개인적 공동체적 행동에 대한 결과로 축적되는

자원의 가치, 사회적 관계에서 형성되며 ‘네트워크’가 핵심

1. 개인이 다른 개인들과의 관계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자원

(정보, 아이디어, 지원 등)

2. 다양한 비공식 네트워크나 공식적인 시민 조직 안에서 개인

의 참여의 정도나 본질. 여기서 네트워크는 지역사회 구성원

의 상호작용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유형의 것을 의미.

정치적 조직, 사회적 조직으로서의 네트워크 포함

3. 한 개인이 권력적 지위가 있는 사람( 정치적 조직, 민간 조

직)과 연결되는 것. 지역기반의 활동은 지역 내 네트워크 및

공공의 지원 등 유무형의 사회적 자본이 단체의 형성 및 성

장에 큰 영향을 미치는 구조.

소개

01. 리서치주제

서울 지역의 3년차 지역 활동 청년단체의 사회적 관계망 형성과정 비교 분석

02. 리서치목적

•사회적자본을 통한 네트워크의 확산과 일로서의 연계 분석, 유형화

지역 기반으로 활동하는 청년단체 세팀(블랭크, 성북신나, 동네형들)의 활동을 프로젝트매핑, 네트워크 매핑 분석. 각팀

의 형성과 발전 과정에서 축적되는 사회적 관계망이 비즈니스의 확장에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시기별 네트

워크의 대상을 분석해봄으로써 각 단체의 향후 방향성 예측.

•청년 지역 커뮤니티 비지니스에 필요한 지원 및 정책에 대한 제언

청년단체와 활동가들에게 자원이 획일적으로 배분되는 현재의 지원정책에 대한 문제제기와 현업에서 실제로 활동하고

있는 청년들의 사례를 바탕으로 적합한 지원책에 대한 현장감있는 의견과 정책에 대한 아이디어 제시

•지역 커뮤니티에 새로운 청년들의 유입을 위한 위한 가이드 제시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영역에 먼저 뛰어든 선사례로써 단체의 창립부터 지금까지의 경험을 바탕으로 지역에서 청년의

역할과 가능성을 논의하고 청년으로써 지역을 대하는 태도와 마음가짐을 되짚어봄

03. 리서치방법

Page 31: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62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청년 X 지역사회 63

04. 리서치 대상 : [BLANK]

동작구 상도동 성대골 마을을 기반으로 공유공간을

운영, 기획, 설계하는 영리법인. 우리동네 생활공간

되살림을 가치로 상실된 생활공간을 되살려 관계를

회복하고, 도시와 건축, 동네와 관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확산 기대함. 지역의 유휴공간에 공유할수 있

는 생활공간을 마련하여 관계를 회복하고 도시에 새

로운 가치를 부여함

주요프로젝트

청춘플랫폼운영, 청춘캠프 운영,

무중력지대 G밸리 설계, 마을활력소 설계

맨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1. 청춘플랫폼

2. 무중력지대G밸리

3. 청춘캠프

출처: http://blankin.net

04. 리서치 대상 : [성북신나]

성북구 정릉동을 기반으로 기획/ 연구/ 교육 등 전방

위로 활동하는 협동조합. 지역 재생과 청년 일자리

생태계 복원을 위해 활동함.

주요프로젝트

아리랑시장 상가마을 활성화사업, 성북청년회,

커뮤니티매핑서비스 썸맵, 신나지

맨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1. 아리랑시장상가마을활성화사업

2. 개울장

3. 성북청년회

출처: http://sinna.us

Page 32: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64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청년 X 지역사회 65

04. 리서치 대상 : [동네형들]

강북구 수유동을 기반으로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비영리단체. 일상 속에서 문화예술을 향유

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하는 지역 내 문화 예술 교류

의 플랫폼. 청년 활동가들 중심 네트워크 형성을 통

해 문화예술 프로그램 연구 및 개발

주요프로젝트

찾아가는예술철가방, 도서관의보물상자,

위성청년들의 마을정거장, 불량식품연구소

맨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1. 찾아가는예술철가방

2. 청년약국

3. 활동가의밥상

출처: http://www.dongnebrothers.org

공통된 키워드를 공유하며, 형성부터 현재까지 네트워크 확산의 흐름이 있는 서울의 3년차 지역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청년단체

Page 33: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66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청년 X 지역사회 67

분석

01. 분석방법

01. 프로젝트 분석

단체의 형성부터 현재까지의 프로젝트를 형성기-확산기-지속기 세단계로 나누고 각

단계별로 프로젝트가 어떻게 확산되고 연결되며, 프로젝트 경험과 그로 인해 형성된

네트워크가 어떻게 다른 프로젝트로 연결되는지 프로젝트의 흐름을 분석

03. 네트워크 분석

발주기관, 협업대상, 참여단체 등 사업경험을 통해 형성되는 다양한 네트워크들을 도

식화하여 축적된 사회적 관계망의 유형과 비중을 분석

04. 사회적자본 축적 분석

단체의 형성부터 현재까지 형성된 네트워크를 유형화하고 시기별로 비중을 비교해

봄으로써 사회적자본이 축적되는 궤적과 앞으로의 방향성 비교

02. 사회적자본 형성 분석

프로젝트 매핑을 통해 분석 대상의 사회적자본(네트워크)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분

석함으로써 단체 설립 초기의 지역 진입 방법과 사회적자본 형성 유형을 비교시기별 프로젝트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각 시기의 흐름 및 전후 시기간

영향 파악. 전체적인 흐름을 통해 주요 네트워크및 프로젝트 파악

전체 프로젝트 흐름 분석

- 프로젝트 분석방법

시기별 프로젝트 분석

Page 34: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68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청년 X 지역사회 69

02-1. 프로젝트 분석 내용 : BLANK [형성기]

주요흐름

서울시 마을 만들기 공모전으로 ‘성대골 사람들’ 과 지역활동 위주의 협업 시작. 지역 내 단체 및 마을공동체지원센터 등

지원조직과의네트워크 시작

네트워크 확산계기

마을 만들기 공모전: 지역에 들어오게 된 계기이며 성대골 사람들과 관계를 맺게 된 계기로, 이후 주거환경관리사업 기초

조사, 도시재생사업 기초조사 등 공공행정과의 네트워크로도 연결됨

주요 네트워크

성대골 사람들: BLANK의 최초 네트워크. 지역에 정착하는데 큰 영향. 이후 마을기업, 청춘플랫폼, 마을축제까지 지속적인

관계를 맺고 있음

02-1. 프로젝트 분석 내용 : BLANK [확산기]

주요흐름

지역 내 공유공간 청춘 플랫폼을 기반으로 공공행정, 중간지원조직과의 협업 및 외부 설계 프로젝트가 증가하면서 지역과

의 연결망이 약화

네트워크 확산계기

청춘 플랫폼: 성대골사람들, 동작청년회 등 지역 단체와 함께 공유공간을 기획, 운영하는 과정을 통해 지역과의 연결망이

확산됨. 또한 지역에서 활동하는 청년단체로서 청년허브, 마을지원센터 등 중간지원조직과 연결되는 계기가 됨

주요 네트워크

동작구청: 주거환경관리사업, 에너지 슈퍼마켙 등 지역관련 활동으로 관계를 맺음. 이후 마을아카데미, 도시재생시범사업

기초조사, 사회적 경제자산매핑, 놀다방 페스티벌 등 다양한 협업

Page 35: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70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청년 X 지역사회 71

02-1. 프로젝트 분석 내용 : BLANK [지속기]

주요흐름

청춘 플랫폼, 청춘 캠프를 중심으로 외부사업과 연계. 무중력지대 G밸리 설계 이후 무중력지대 대방동 운영위원회 참여

및 마을활력소 설계 등 공공 주도 공유 공간 사업에 참여. 공공 기관 및 중간 지원 조직과의 지속적 협업

네트워크 확산계기

무중력지대 : 무중력지대 대방동 운영 참여 및 청년 사회적 자본 리서치 등 직접적인 협업 증가. 무중력지대 참여 경험을

바탕으로 마을활력소 프로젝트에 설계 참여

주요 네트워크

마을 공동체 지원센터 : 청춘 캠프 오픈 이후 마을로 활동가 지원, 청년 마을살이 발전소 등의 지원으로 연결

02-

1. 프

로젝

트 분

석 내

용 :

BLA

NK

[흐름

]

서울

시 마

을 만

들기

공모

전을

통해

마을

로 유

입되

어 지

역단

체 ‘

성대

골 사

람들

중심

으로

지역

활동

전개

공유

공간

청춘

플랫

폼 조

성-운

영으

중간

지원

조직

, 공

공기

관과

의 협

업,

지원

증가

. 공

유공

간 운

영 경

험과

공간

설계

기술

을 기

반으

로문

화공

간 및

공유

공간

설계

로 비

즈니

스 모

델이

형성

최근

에는

지역

관계

망을

이용

한 사

보다

는 공

공행

정기

관 중

심으

로 프

로그

운영

및 설

계 프

로젝

트가

증가

. 공간

관련

협업

기관

과 청

년 및

지역

관련

연구

사업

진행

Page 36: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72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청년 X 지역사회 73

02-2. 프로젝트 분석 내용 : 성북신나 [형성기]

주요흐름

성북문화재단 및 00은대학으로 부터 파생된 네트워크 및 프로젝트 위주 사업 진행됨. 이후 교육/지역연구 등의 외부 프로

젝트로 파생됨

네트워크 확산계기

성북문화재단, 00은대학: 형성 초기였음에도 재단 및 00은대학과의 신뢰구조를 바탕으로 다양한 사업 경험을 축적할 수

있었음

주요 네트워크

성북문화재단, 00은대학: 초기 10개의 프로젝트 중 7개의 발주처이자 연결고리. 초기 단체의 자립에 큰 영향을 미침

02-2. 프로젝트 분석 내용 : 성북신나 [확산기]

주요흐름

아리랑시장 사업 경험을 바탕으로 전통시장 활성화 사업 및 지역연구/기록 사업으로 확장. 삼미 교실에서 커뮤니티 매핑

스쿨로 이어지는 교육사업 분야는 커뮤니티 매핑 관련 사업으로 확장. 자립시기 지원을 받았던 성북문화재단/00은대학

발주 사업이 줄어들고 지역 사업 경험을 바탕으로 한 외부 프로젝트가 증가

네트워크 확산계기

아리랑시장: 기획부터 시행까지 완결된 프로젝트로서의 첫 사업. 이 경험을 바탕으로 이후 타 지역 시장활성화 사업으로

이어지고, 문화 기획/지역연구 등 성북신나의 주요 사업분야의 기초 경험이 됨

주요 네트워크

성북 마을만들기 지원센터: 아리랑시장사업에서의 네트워크 형성. 이후 커뮤니티 매핑스쿨, 성북사용설명서, 정릉 마을

학교 등 다수의 지역/교육 분야 사업의 발주처가 됨

Page 37: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74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청년 X 지역사회 75

02-2. 프로젝트 분석 내용 : 성북신나 [지속기]

주요흐름

형성기에 시장활성화, 마을미디어, 지역연구 등 다양했던 분야의 사업이 지역연구조사(매핑) / 청년 / 교육 분야로 전문화

되는 과정. 기존의 프로젝트 경험을 바탕으로 지원사업이 아닌 성북신나 자체사업이 늘어나고 있음

네트워크 확산계기

성북청년회 - 성북청년회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다양한 일들을 지역내 청년단체들과 나누고 성북신나의 사업은 더 잘할

수 있는 분야로 선택과 집중이 가능해짐

주요 네트워크

성북청년회: 성북신나 주도로 모인 성북 지역 청년 단체들의 모임. 성북신나가 가진 네트워크 자원을 이용하여 지역 청년

단체들과 각자가 잘할 수 있는 일을 나눔

02-

2. 프

로젝

트 분

석 내

용 :

성북

신나

[흐름

]

성북

문화

재단

과 0

0은

대학

창업

지원

으로

시작

. 초

기에

단 발

주 사

업 중

심으

로 프

로젝

트 경

험 및

네트

워크

축적

.

아리

랑 시

장 상

가 마

을 활

화 사

업의

경헙

으로

문화

기획

,

지역

연구

, 커

뮤니

티 매

핑 사

등 이

후 사

업의

방향

성이

정해

창업

지원

단체

의 발

주사

업 경

을 바

탕으

로 다

양한

발주

처의

시장

활성

화,

문화

기획

, 지

역연

구, 교

육사

업을

경험

사업

경험

및 전

문성

을 따

라 문

화기

획/지

역연

구조

사/청

년 분

야의

자체

사업

으로

정리

되고

있는

과정

Page 38: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76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청년 X 지역사회 77

02-3. 프로젝트 분석 내용 : 동네형들 [형성기]

주요흐름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문화예술다대기’ 프로젝트로 멤버들이 모임. 문화예술 교육 ‘그래, 놀자!’ 와 마을성년식 한사발

로 삼각산 재미난 마을과 인연을 맺으면서 지역에 들어오게 됨

네트워크 확산계기

지역특성화 문화예술 교육 ‘그래, 놀자!’: 삼각산 재미난 마을에 정착하게 되는 첫 계기이자, 지역중심 문화예술 교육의

시초

주요 네트워크

청소년 문화공동체 품, 삼각산 재미난 마을:지역 단체와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이를 계기로 삼각산 재미난

마을에 정착하게 됨

02-3. 프로젝트 분석 내용 : 동네형들 [확산기]

주요흐름

공간지원사업을 통해 삼각산재미난마을에 정착하게 되고 공간을 거점으로 다양한 프로젝트가 시작됨.

네트워크 확산계기

마을정거장: 공간이 생김으로써 공간 중심의 프로젝트가 가능해짐. 활동가의 밥상, 불량식품연구소 등 지역 활동가나

청년들이 모일 수 있는 플랫폼 역할이 시작됨

주요 네트워크

서울시 마을공동체지원센터: 공간지원사업

Page 39: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78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청년 X 지역사회 79

02-3. 프로젝트 분석 내용 : 동네형들 [지속기]

주요흐름

공간을 활용한 지역 중심의 문화예술 활동이 활발히 벌어짐. 도서관의 보물상자 프로젝트의 경험이 인문학 관련 프로그램

으로 확대

네트워크 확산계기

불량식품연구소: 문화예술에 관심있는 청년들을 조직, 동네형들이 진행중인 프로젝트에 투입, 문화예술 프로그램 기획

경험제공. 자체적 청년 플랫폼으로 기회와 경험을 공유

주요 네트워크

불량식품 연구소: 동네형들 주도의 문화예술청년 네트워크

02-

3. 프

로젝

트 분

석 내

용 :

동네

형들

[흐름

]

외부

에서

진행

하던

문화

예술

교육

컨텐

츠로

강북

구 삼

각산

재미

난 마

을과

연계

.

마을

공동

체 공

간지

원사

업 ‘위

성 청

년들

의 마

을 정

거장

’을 통

해 공

간 중

심프

로젝

트 진

행이

가능

하게

됨. 광

역적

범위

의 문

화예

술활

동 진

행과

동시

에 지

역 거

점공

간을

통해

지역

에 기

반한

다양

한 문

화 예

술 프

로그

램 및

교육

을 진

청년

약국

, 활동

가의

밥상

, 골목

드레

싱 등

외부

진행

사업

들이

지역

으로

확산

. 공간

을 통

해 모

인 사

람들

이 외

부 프

로젝

트에

참여

하기

도 하

며 지

역 청

년들

을 위

한 문

화예

술 플

랫폼

의 역

Page 40: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80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청년 X 지역사회 81

- 사회적자본 형성 분석

지역기반의 활동은 지역 내 네트워크 및 공공의 지원 등 유무형의 사회적 자본이 단체의 형성 및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치는

구조.

지역 단체 밀착형

지역 내 사회적 관계망이 없는 상태에서 지역단체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지역활동 - 자체사업 - 공공/민간 주도의 외부사업으

로 관계가 확산되고 그에 따라 프로젝트가 다양해짐

지역 재단 독립형

기존에 소속되어 있던 재단 및 단체의 창업 지원으로 활동

시작. 최초 재단의 사업 지원 및 다양한 관계망 기반으로 프로

젝트 진행하다 교육/지역연구 등 자체 사업 중심의 방향을 잡는

과정

컨텐츠 중심형

분야별 프로젝트 및 공모사업 경험이 쌓이면서 발주 기관들과

관계 형성. 공모사업이 장기 프로젝트로 확대되거나 자체 프로

젝트로 연결됨. 지역 내 거점 공간 중심으로 외부의 문화예술활

동을 지역 내에 확산함. 지역중심 문화예술 프로그램 을 통해

청년 문화예술 플랫폼으로 발전

- 네트워크 분석 방법

방사형

네트워크가 형성된 단체들을 대상으로 관계성을 중심으로 배치하여 관계가 긴밀할

수록 중심에 가까이 배치함. 각 단체의 활동 기간 동안 쌓아온 관계가 표현됨

흐름형

네트워크가 형성된 단체들을 대상으로 해당 영역에 따라 기간을 중심으로 배치함. 계

속해서 관계가 이어지는 단체와 단절된 단체의 관계가 표현됨

Page 41: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82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청년 X 지역사회 83

BLANK 네트워크 분석

누적된 사회적 관계망은 지역과 민간단체가 많으나 밀도가 높은 주요 협업대상은 공공행정기관과 둥간지원조직의 비중

이 높음

성북신나 네트워크 분석

지역과 민간의 비중이 매우 높으며 최초 창업지원을 해준 성북문화재단과 00은 대학의 밀도가 높음. 중간지원조직으로는

성북구 자체의 지원조직이 많은것이 마을만들기가 활성화된 지역의 특성을 보여줌

Page 42: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84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청년 X 지역사회 85

동네형들 네트워크 분석

문화재단 및 후원재단의 갯수가 많음. 지역에 정착하고 거점공간을 마련하면서 삼각산 재미난 마을 관련 단체와의 네트워

크 밀도가 높은 편

- 사회적자본 축적 분석

BLANK

지역단체 중심의 네트워크로 시작하여 공유공간 설계부분의 전문성이 증가하면서중간지원조직, 공공행정과의 협업이 증

가.

성북신나

소속단체의 창업지원을 중심으로 네트워크 및 프로젝트 경험이 축적됨. 역량이 커지면서 중간지원 조직과의 협업이 늘어

나고, 점점 독립적인 자체 사업의 비중이 커가는 과정을 보임

Page 43: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86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청년 X 지역사회 87

동네형들

문화예술 분야에서 문화재단, 공공행정과의 협업이 꾸준하게 이어짐. 지속가능한 활동을 위해 지역에 정착하면서 지역과

자체공간을 거점으로하는 자체활동이 늘어남

지역 또는 지원 단체 등

초기 네트워크 형성 단체

및 요인을 통해 프로젝트

및 네트워크 형성

초기 네트워크를 통한

프로젝트 경험 축적 및

새로운 네트워크 범위의

확장

축적된 네트워크와 프로

젝트 경험을 통해 사회적

관계망을 직접 조직하여

연대

03. 분석결과

사회적 관계망을 중심으로 한 사회적 자본의 축적 과정은

각 단체가 가장 잘 할수있는 일들로 사업의 영역을 좁혀나가

고 전문성을 높이는 과정으로 볼수있음. 자신들의 컨텐츠의

색깔과 질이 확고해질수록 주체적으로 활동이 가능해짐

성대골사람들

중심으로 지역 정착

초기과정의

사회적 관계망

-단체 초기 자립 과정

사회적 관계망의

역할 중요

성북문화재단, 00은 대학

지원으로 사업 경험 축적

성대골사람들

중심으로 지역 정착

청춘캠프

사회적관계망

조직 및 연대

-직접 네트워크 조직,

협업, 분업 용이

성북청년회 불량식품연구소

지역단체결합

사회적 관계망

형성 양상 및 대상

-업무분야, 활동지역,

지원사업, 대상, 시기,

자립 모델 변화에 따라

상이

재단의 창업지원 문화예술컨텐츠 중심

Page 44: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88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청년 X 지역사회 89

결론

⓵ 청년단체의 형성 및 발전 양상이 다양한 만큼 각 형태에 맞는 세분화된 지원 필요

일방적인 Top-down 방식이 아닌 청년단체의 필요성과 실행 능력에 기반한 사업 지원

⓶ 단체의 생존은 사업 분야의 전문성과 네트워크의 확보에 달려있음

‘일 경험’의 제공을 넘어 자립을 위한 적극적인 인큐베이팅 필요

⓷ 단체의 초기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지역적 네트워크가 발전과정에서 중요

지역 내에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자생할 수 있도록 지역 단위의 중간지원조직이 필요

시사점

⓵ 지역에서 관계를 대하는 청년의 태도

자신만의 확고한 컨텐츠 없이는 지역 활동이 소모적으로 끝날 가능성이 높음.

차별화 된 전문성을 바탕으로 주체적이고 대등한 관계망 형성이 필요.

⓶ 지역에서 일을 대하는 청년의 태도

활동에 있어서 단체의 성격 보다는 개인의 성향이 더 중요하기 때문에 누구와 함께 하느냐가

지역 네트워크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침. 지역 활동의 지속을 위해서는 단순히 지역을 위한 일이

아니라, 각자가 하고싶은 일을 지역의 필요와 연결하는 것이 필요.

참고문헌

•통계청 2003-2012 경제활동인구조사. 비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허브 서울청년 인포그래픽(2013)

•지구계획 초기부터 주민참여 ‘탑다운 방식 탈피’: 서울시 흑석·시흥·길음 제1종 지구단위계획(안) 마련. 나창호. 라펜트

조경 뉴스.(2011-12-15)

•디지털밸리사람들 - ‘구로는 예술대학’ 사람들: 청년-지역-세대 연결, 커뮤니티형 대학 구로 전체를 예술대학으로.

김혜진.디지털밸리뉴스. (2011-04-19)

•사회적자본 확충을 위한 자발적 참여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 박노동. 대전발전연구원 2014 (13-14p)

[웹페이지]

각 단체 홈페이지 참조

http://blankin.net

http://sinna.us

http://www.dongnebrothers.org

Page 45: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청년x커뮤니티

서울의 청년커뮤니티 리스트 및 분야별 동료문화

오지예

앤스페이스 공유공간 기획팀

Page 46: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92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커뮤니티와 동료문화 93

리서치 목적

본 리서치에서는 (1) 청년들이 활용 가능한 서울 시내 커뮤니티 공간을 조사하고 (2) 각 공간에서 구체적으로 어떠한 활동

을 통해 커뮤니티의 문화를 만들어가고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이 자료들이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사용되기를 바란다.

서울시 청년들이 자신의 주거지나 근무지 인근 커뮤니티 공간들에 대해

인식, 경험 및 활용

새롭게 커뮤니티를 만들어 보고자 하는 분,

혹은 현재 커뮤니티를 운영하고 있는 분이 프로그램 기획 및 구성 시 참고

더 많은 커뮤니티 공간들이 서로에 대해서 인지하고,

추후에 네트워킹 및 협업 기대

리서치 목차

사회적 자본이란?

사회적 자본의 등장

2007년 OECD의 자료 “What is Social Capital?”에 따르면 사회적 자본이라는 용어는 1916년 미국에서 이웃들이 함께

학교를 보호하고 감독하는 것에 대해 논한 책에서 처음 등장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후 학계를 중심으로 이에 관한 다양한

논의들이 진행되어 왔다.

01 사회적 자본이란: 사회적 자본의 개념 및 효용

02 사회적 자본의 생성: 사회적 자본과 커뮤니티

03 커뮤니티의 정의

04 청년과 커뮤니티

05 청년이 활용 가능한 서울시내 커뮤니티 공간 DB: 지역별 분류

06 서울 시내 커뮤니티 공간 DB 분포 및 지역별 특징 정리

07 커뮤니티 공간 운영 목적에 따른 분류

08 커뮤니티 공간을 통해 생성되는 협업의 종류

09 청년의 커뮤니티 공간 활용 방안 제안

10 참고자료

Page 47: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94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커뮤니티와 동료문화 95

지역사회 및 공동체에 대한 신뢰규범

•일반적 신뢰 :

가족/친구/이웃에 대한 신뢰

•공적신뢰 :

정부/공공기관에 대한 신뢰

사회활동 참여

•지역사회에서의 활동

•시민사회에서의 활동

•호혜성

•규범적 행동

•연대감

관계망 및 네트워크

•사적 연결망

•공적 연결망

이를 풀어보자면, 공동체 내의 신뢰 정도와 규범, 사회활동참여, 네트워크가 구성원들 사이에서 협력과 참여를 촉진시키

고 공동체의 이익을 추구해나가는 기반이 된다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자료

OCED. 2007. “What is Social Capital?” Human Capital: How what you know shapes your life. pp.102-105.

조권중. 2010. “서울의 사회적 자본” 『SDI 정책리포트』70: 1-25.

KBS 특별기획. 2011. “사회적 자본”

조권중. 2010. “서울의 사회적 자본” 『SDI 정책리포트』70: 1-25.

정순둘; 성민현. 2012. “연령집단별 사회적 자본과 삶의 만족도 관계비교” 『보건사회연구』 32.4: 249-272.

사회적 자본 개념 정의

학자들마다 조금씩 견해의 차이는 있지만, 기본적으로 사회적 자본이란, 집단을 형성하는 사회 구성원 사이에서 공동의

이익을 위한 협력과 참여를 창출하는 무형자산을 의미한다. 공동체 내에서 협력과 거래를 촉진시키는 총체를 사회적 자본

이라고 한다면, 이는 세부적으로 다음과 같은 요소들로 이루어져있다.

<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소>

개인적 차원

•삶의 질 향상

•기회의 확대

사회적 차원

•갈등조정 비용감소

•상호부조의 복지망 형성

•사회적 분노 감소

경제적 차원

•거래비용 감소로 효율적 자원 분배

문화적 차원

•관용과 호혜성의 가치 함양

<사회적 자본의 효용>

사회적 자본이 중요한 이유

지난 2011년 방영된 KBS 다큐멘터리 <사회적 자본>시리즈는 3편에 걸쳐 사회적 신

뢰, 소통, 협력에 대해 다루며 사회적 자본의 중요성에 대해 풀어 나간다. 그 중 1편

“모든 것을 바꾸는 한 가지-신뢰”에서는 다이아몬드를 거래하는 유대교 상인들이 복

잡한 서류나 법적인 절차를 거치지 않고도 서로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마잘 (행운

을 빕니다)’이라는 말 한마디로 거래를 성사시키는 모습을 인상적으로 그려낸다. 사

회적 자본의 구성요소인 ‘신뢰’가 온갖 절차와 검증과정에서 소요되는 비용을 줄이고

얼마나 효율적으로 시장 거래를 촉진시킬 수 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준 것이다. 이

어서 다큐멘터리에서는 사회적 자본이 늘어날 수록, 경제적, 사회적 거래가 증가하고,

사회적 갈등을 법적인 절차를 거치지 않고도 합의를 통해 해결할 수 있게 됨으로써

갈등 조정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점을 통해 사회적 자본의 효용을 설명한다.

사회적 자본의 효과

사회적 자본이 위에서 언급된 사회적, 경제적 차원에서만 유용한 것은 아니다. 공동체를 형성해 구성원 내에서 신뢰를 쌓

고 협력을 이루어내는 경험은 다양한 측면에서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우선, 개인적 차원에서 사회적 자본은 가족과 친구의 범주를 넘어선 다양한 사람들과 관계를 맺음으로써 전반적인 삶의

질을 높이고 관계자본의 활용할 수 있게 하여 개인은 여러 영역으로 기회를 확대할 수 있다. 나아가 사회적으로는 공동체

내에서 상호 부조의 복지망을 구성하고, 사회적 분노를 감소 시키고 협력을 증대시킨다. 문화적으로는 관용과 호혜성의

가치를 강조함으로써 공동체적 가치를 함양할 수 있다.

Page 48: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96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커뮤니티와 동료문화 97

사회적 자본의 생성

그렇다면 사회적 자본은 어떻게 생성이 되는가? 법 체계의 확립과 공정한 법의 집행 및 이에 대한 신뢰가 사회적 자본을

생성한다고 보는 입장 등 여러 견해가 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사회자본론에서는 네트워크와 커뮤니티를 주요 생성 메커

니즘으로 보고 있다.

사회적 자본의 특징

(1) 개인 간 관계 속에서 생성 및

유지

(2) 자본을 소유하는 주체가 개인

이 아닌 개인이 속한 집단

(3) 사회적 자본의 효능 유지를

위해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

사회적 자본 함양을 위해

중요한 요소

(1) 시민들의 자발성

(2) 사회관계 형성

(3) 지역 사회에 대한 관심

(4) 공동체 조직의 활성화

주요 메커니즘:

네트워크와 커뮤니티

사회적 자본과 커뮤니티

그런데, 사회적 자본을 형성하는 데에 있어서 커뮤니티는 어떠한 방식으로 작용할까? 우선, 커뮤니티 내에서는 구성원 간

의 소통 및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적 관계가 이루어진다. 지속적인 상호작용으로 커뮤니티 구성원들은 서로 호혜적인 관계

를 맺을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개인적, 그리고 사회적 신뢰가 쌓일 수 있고, 이렇게 형성된 사회적 연결망은 이후에 커뮤니

티 활동의 기반이 되어 또 다른 네트워크를 낳을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회적 자본을 형성하는 데에 있어서 커뮤니티가

중요한 것이다.

기본적으로 ‘네트워크’는 연결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개인적인 상호작용이나 사람들 사이의 연결 등을 의미하며 이

는 도움이 되는 연결이나 정보의 흐름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것들을 포함한다. 한편, ‘커뮤니티’는 명시적이든 암묵적이든,

혹은 집결되어 있든 분산되어 있든, 집단의 의도나 목적을 나타내는 주제에 대해 그 집단의 구성원들이 정체성을 공유하

고, 참여나 헌신을 통해 이를 더욱 발달시킨다는 특징을 지닌다. 다시 말해, 모든 네트워크가 커뮤니티인 것은 아니다. 커

뮤니티 활동은 구성원들 사이에 공유된 공간 개념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공간이 한 커뮤니티의 정체성 형성의 원천이 된

다. 그리고 이렇게 형성된 정체성이 그 커뮤니티에 대한 개인의 참여와 헌신을 만들어낸다.

커뮤니티와 네트워크

참고자료

Team BE. 2011. “Community versus Networks?” http://wenger-trayner.com/resources/communities-versus-networks

공유된 공간

정체성 공유

커뮤니티에 대한 헌신

커뮤니티네트워크

커뮤니티의 정의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기본적으로 사회적 자본을 소유하고 있는 주체는 개개인이 아닌, 개인이 속해있는 사회집단, 다시

말해 커뮤니티에 있다. 그런데 커뮤니티란 무엇이며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까? 종종 혼동되어 사용되는 개념인 네트워크

와의 비교를 통해 커뮤니티가 지닌 특징을 살펴보자.

공간을 공유

정체성을 공유

커뮤니티에 대한 헌신

Page 49: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98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커뮤니티와 동료문화 99

커뮤니티의 분류

모든 커뮤니티가 개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균일한 사회적 자본을 형성하는 것은 아니다. 서로 다른 커뮤니티마다 상이한

형태와 특징을 가진 사회적 자본을 형성한다. 그렇다면 어떠한 커뮤니티가 사회적 자본의 생성에 밀접하게 연관되어있는

가? 이를 살펴보기 위해서 2가지 기준을 가지고 커뮤니티를 분류한 표를 참고하였다.

기준1. 커뮤니티가 구성되는 원리

•귀속적: 생애의 과정을 통해 획득한 특정한 경험의 공유에 의해 집단 가입과 탈퇴가 결정. 비자발적으로 구성되며 개인

의 별도의 노력 없이도 지속된다는 특징을 지닌다.

•자발적: 당사자의 선택에 의해 집단 가입과 탈퇴가 결정. 커뮤니티 구성과 해체가개인들의 선택에 의존.

기준2.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목적

•완성적: 집단 형성의 목적이 집단의 존재 그 자체에 있는 경우

ㅡ구체적으로 명시된 목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

ㅡ개인의 심리적이고 정서적 만족과 위안, 안정을 존재 목표를 삼는 경우

•도구적: 특정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만들어진 집단.

ㅡ집단 형성 및 활동을 통해 이루고자하는 목적이 분명

ㅡ특정 목적으로 인해 개인이 참여의 동기를 제공받은 경우

이러한 기준으로 커뮤니티를 분류해보았을 때에, 종합적인 사회적 자본의 생성에 유리한 커뮤니티는 우선적으로 ‘자발적’

으로 구성이 된 것들에 해당한다. 커뮤니티 가입 및 활동에 ‘조건’이 생기면 (ex. 학연, 지연 등) 이 자체가 신뢰나 호혜성,

참여 정도에 영향을 끼칠 수 있으며 관계망 역시 ‘조건’을 중심으로 폐쇄적으로 변질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번 리서치에서는 자발적으로 구성된 커뮤니티 공간에 집중하여 리서치를 진행했다.

구성원리

귀속적 자발적

구성목적도구적

공공재(공공이익)

왕정,귀족 시민단체

집합재(사적이익) 연고집단 기업,회사

완성적 가족 취미모임 (동호회)

참고자료

류석춘·왕혜숙·박소연. 2008. “연고집단과 자발적 결사체의 신뢰 비교 연구” 『동양사회사상』 17: 203-269.

유재원. 2000. “사회자본과 자발적 결사체” 『한국정책학회보』 9.3: 23-43.

청년과 커뮤니티 : 서울시 청년 커뮤니티 활동 현황

서울 시내 커뮤니티 공간에 대한 리서치에 앞서, 서울시 청년의 사회적 자본 및 커뮤니티 활동 정도를 가늠해볼 수 있는

통계 자료를 찾아보았다. 사회적 자본 생성의 메커니즘이 커뮤니티와 이에 대한 참여에 있다고 본다면, 과연 서울시 청년

들은 얼마나 그리고 어떠한 커뮤니티를 활용하고 있는지 확인했다.

2014년 서울시 통계자료에 의하면 20대는 69.6%, 30대는 82.7%가 사회단체활동에 참여한 적이 있다. 이는 사회적 자

본의 생성이 기본적으로 커뮤니티 활동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긍정적으로 보인다. 하지만 조금 더 세부적

으로 어떠한 사회단체에서 활동하고 있는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어떠한 사회단체에서 활동하는

지에 따라 질적으로 다른 사회적 자본을 생성하기 때문이다. 또한 앞에서 살펴본 커뮤니티의 특성 상, 이러한 참여가 얼마

나 지속적이며 청년들의 삶에 얼마만큼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함께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Page 50: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100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커뮤니티와 동료문화 101

아래 자료는 2014년 서울시 2-30대 청년들이 참여하고 있는 커뮤니티의 종류를 세부적으로 조사한 통계자료이다. 이에

따르면, 2-30대가 가장 많이 참여하고 있는 커뮤니티 종류 1위는 동창회(20대: 47.6%, 30대: 60.1%)였다. 2위는 각각

인터넷 커뮤니티(19.4%)와 친목회/친목계(32.9%)였다. 이에 반해, 자원봉사단체, 시민운동단체, 각종 동호회 등에 대한

참여율은 저조했다.

이처럼 청년들의 커뮤니티 활동은 동창회나 친목계/친목회 등으로 편중되면서 지연, 학연 등의 연고에 기반한 커뮤니티

활동이 활발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 특유의 문화적인 측면을 고려하였을 때에 연고집단이 사회적 자본인 신뢰, 규범, 호혜

성 등을 증진시킨다고 보는 관점도 있다. 하지만 연고에 기반한 커뮤니티는 폐쇄적이고 배타적인 집단으로 일반적인 신뢰

형성까지 연결되지 못한다며 사회적 자본 형성에 부정적으로 기여한다고 보는 관점을 고려한다면, 동창회로 편중된 커뮤

니티 활동이 사회적 자본으로서 충분히 활용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이다.

참고자료

서울통계. 2014. “사회단체활동 참여도”

유재원. 2000. “사회자본과 자발적 결사체” 『한국정책학회보』 9.3: 23-43.

서울통계. 2014. “주말·휴일 여가활동”

서울통계. 2014. “함께 여가활동하는 사람”

이어서 서울시의 <주말/휴일 여가활동>

통계자료를 통해 사회활동이 청년들의 삶

에서 참여하는 비중을 가늠해볼 수 있었다.

2014년 통계자료를 살펴보면, 48%, 47%

에 해당하는 사람들이 여가시간을 TV 또는

비디오, 컴퓨터 게임을 하면서 보내고 있었

다. 여행, 야외 나들이, 문화 예술관람, 휴식

을 취하는 사람들도 주를 이루었지만, 사회

활동을 하는 사람들의 비율은 20대 30대

모두에서 1%에 불과했다.

20-30대 청년들이 여가시간을 보내는 방

식뿐만 아니라 함께 여가활동을 하는 사람

의 범위 역시 상당히 제한적이었다. 표에서

알 수 있듯이, 가족이나 가까운 친구와 여가

활동을 하는 사람들이 84%, 86%로 대다

수였다. 혼자서 여가활동을 즐기는 사람의

비율 역시 14%와 11%로 상당히 높았다.

반면, 동호회 활동이나 직장 동료와 보내는

경우가 3%에 불과하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서울 청년들이 함께 여가시간을 보내는

사람이 가족이나 친구 등 지극히 사적인 범

위에 머물러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물론 서울시 청년의 사회 활동과 여가 활동의 현황이 이와 같이 나타나는 원인에는 재정적 부담, 시간적 여유 부족 등 다

양한 요인들이 있을 수 있다. 그 중에서 이번 리서치에서는 청년들의 거주지 및 근무지 인근 커뮤니티 공간에 대한 인식

부족을 하나의 원인으로 가정하고 서울 시내 청년이 활용 가능한 커뮤니티 공간과 공간에서 벌어지는 네트워킹 프로그램

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였다.

청년과 커뮤니티 : 서울시 청년 여가 활동 현황

Page 51: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102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커뮤니티와 동료문화 103

이제부터 청년들이 활용할 수 있는 서울시내 커뮤니티 공간들에 대해서 본격적으로 소개를 해보고자 한다.

* 각 커뮤니티 공간의 로고, 커뮤니티•공간 소개, 미션•지향점, 네트워킹 방식 •프로그램은 공식 홈페이지, 카페, 블

로그, 페이스북 및 관련 기사를 참고하여 작성하였다.

* 네트워킹 방식 프로그램은 어떠한 방식으로 커뮤니티를 유지하고 문화를 형성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함으로 기존

에 진행되었던 행사와 현재 진행 중인 행사를 위주로 조사했다. (기획 중인 행사 등이 포함된 경우도 있다.)

서울 시내 청년 커뮤니티 공간 DB

V Mansion / 마포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여행자, 도시민, 예술가가 교류를 통한 창작의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는 게스트하우스

이자 복합문화공간

•미션/지향점

각각의 삶을 존중하고, 서로 배우며, 다양성이 공존하는 사회를 만들어 가고자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 <Cross Cultural Event>

생소하면서도 새롭고 다양한 문화권의 음악, 공연 등 문화를 즐기는 프로그램

- <Inspiring Talks>

세계 곳곳에서 창의적인 일을 하고 있는 사람과 만나 깊이 있는 나누는 프로그램

- <Local Activities>

지역 내에서 함께 자전거를 타거나, 브런치를 즐기는 등의 가볍지만 구성원 사이가 더

욱더 돈독해지는 프로그램

허그인 / 마포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카페이자 일상 속에서도 나눔이 지속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직접 기획하고 실

행해볼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

•미션/지향점

나눔을 즐기는 문화를 만드는 세계 유일의 나눔문화 플랫폼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 <나눔대학>

나눔을 실천하고 이어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워크숍. 그룹별로 나눔 프로젝트를 짜서

기간동안에 실천할 수 있도록 허그인에서 지원 및 가이드

- <허그인 네트워크>

페이스북을 통해 허그인 나눔이야기, 일상이야기라는 이름으로 공간에서 활동하고 있

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소개. 커뮤니티 형성 스토리를 게재 중

땡스북스 / 마포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지역 특성을 고려해 선별한 각 분야 주목할 만한 책과, 신뢰할 수 있는 출판사의 책을

갖춘 친근한 동네서점

•미션/지향점

홍대 앞을 좋아하는 사람들과 함께 동네 사랑방 역할을 하며 동네 사람들과 함께 성장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 책을 매개로 한 만남:

저자와의 만남 및 북클럽 진행

예) 여름밤, 함께 나누고 싶은 책 (2015년 8월) 등

- 전시 및 공연을 매개로 한 만남

예) 위즈덤하우스, <선물> 전시 이벤트 (2015년 5월) 작가와의 만남

예) ECM Travels의 저자와 함께 음악을 들으며 나눈 ECM 음감회 (2015년 5월) 등

Page 52: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104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커뮤니티와 동료문화 105

퇴근길 책 한잔 / 마포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술과 책이 있는 동네 책방. 동네 사랑방 역할을 맡고 있음

•미션/지향점

사람들이 퇴근 길에 쉬어갈 수 있는 동네 책방이자 사랑방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 <자발적 거지 모임>

경쟁적인 현실에서 벗어나 보다 여유롭고 인간다운 삶에 대해 생각하고 함께 이야기를

나누는 모임.

- <책 한 잔 상영회/음감회>

영 또는 감상. 후에 같이 이야기를 나누는 모임. 무료 입장, 음주 관람, 유료 퇴장의 컨셉

으로 진행 중

북바이북 / 마포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소설전문 동네서점이자 동네 문화활동의 거점이 되는 복합문화공간

•미션/지향점

상암동 동네서점, 술 먹는 책방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 <북바이북 책장꼬리 & 책꼬리>

북바이북과 상암동 이웃들이 책에 대한 소개글을 직접 작성하거나, 주제별 책장 소개글

등을 페이스북에 업데이트하며 소통 중.

- 드로잉 강좌, 수공예 워크숍 전시, 공연 등을 활발하게 진행 중

책방 만일 / 마포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작업실로 사용하면서 독서세미나, 책 공유하기 등의 활동을 하던 중, 동네 주민들의

관심으로 자연스럽게 책방으로 전환

•미션/지향점

"만일, 동네마다 책방이 있다면! 만일, 우리의 밥상, 일터, 소비, 사회가 변한다면!

만일, 책을 통해 다른 세계를 상상할 수 있다면”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 <읻다프로젝트 낭독회>

20-30대 번역가, 에디터, 디자이너, 영화학도 등이 주축이 되어 만들어 가는 '노동공유

형 독립출판 프로젝트'로 이와 함께 낭독회를 진행.

- 주인 없는 책방

다양한 예술팀들과 콜라보를 하면서 이벤트 형식으로 전시회, 음악회 등을 진행

일단멈춤 / 마포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여행을 주제로 한 단행본 및 독립출판물을 판매하는 소규모 책방

•미션/지향점

여행을 주제로 한 소규모 책방“Travel Book Shop in Seoul”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 여행을 테마로 한 워크샵:

예)<Book Binding Workshop>

예)<일상수집여행 나만의 꼴라주>

예) Book Talk with <두번째 퇴사> <이제 다시 시작해볼까>

예) <Travel-ZINE (나만의 여행책 만들기) 워크샵>

- 여행토크:

오키나와, 이탈리아, 스웨덴, 네팔 등 여행지를 주제로 정보를 공유하는 토크모임 진행

Page 53: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106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커뮤니티와 동료문화 107

달빛에 홀린 두더지 / 마포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인문학 협동조합 "이문회우"에서 운영하는 아카데미형 카페

•미션/지향점

문화 다양성, 인문적 삶의 의미를 스스로 실천하는 문화적 공동체를 지향하며 의미있는

소비를 모아 양질의 문화 생태계 구축을 위해 실천하는 것이 목표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 이문회우 아카데미 강좌:

서양철학, 동양철학과 관련된 전문가와 함께 다양한 강좌를 진행.

- 기타 이벤트 및 활동:

예) 조합원 내 공감나눔

예) 저자와 만나는 북콘서트

예) 부모역할교육

언뜻가게 / 마포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동네 주민들의 복합문화공간.아현동 쓰리룸(밴드 피터아저씨의 쉐어하우스이자, 동네

복합문화예술공간)의 별관 프로젝트

•미션/지향점

언뜻보면 식당 같고 언뜻보면 카페 같고 언뜻보면 미술관 같고 언뜻보면 마을회관

같은 언뜻가게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 독서모임: 독서토론 및 저자와의 대화 모임을 진행하거나 정해진 범위만큼의 책을

읽고 나누는 소모임을 구성해 서로의 의견 공유하는 방식으로 진행

- <부엌콘서트>

커뮤니티 키친활용한 활동으로 함께 저녁을 먹거나, 식사 후 콘서트를 즐기는 활동

카페 언플러그드 / 마포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카페이자 언플러그드 음악 공연장. 음악, 기타, 노래를 좋아하는 주인장들이 운영하는

오프라인 공간

•미션/지향점

대한민국의 언플러그드 문화를 주도하는 공간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 오픈마이크:

누구나 무대에서 음악공연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15분 정도의 퍼포먼스를 할 수

있는 기회 제공

- <악기를 배웁시다>

초보자를 위한 통기타, 우클레레 교실 등을 운영

오늘공작소 / 마포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지역주민과 함께하는 코워킹 스페이스이자 인문학 강의와 목공사업, 아트마켓, 주민

참여시장, 할로윈 축제, 망원 축제 등을 개최하는 커뮤니티

•미션/지향점

“내일 행복하기 위해, 오늘을 행복하게 만드는 일을 찾고 만들어 갑니다.”

지금 이 순간의 가치를 깨닫고, 이를 기반으로 우리를 위한 세상을 꿈꾸는 청년들을

위한 소셜 플랫폼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 ‘가치’ 시리즈:

가치하자: <마을담장워크숍> <엄마들을 위한 오픈키친 워크숍>

가치보자: <망원영화관>이라는 이름으로 커뮤니티 영화관 진행

가치놀자: <커뮤니티식당> 저렴한 비용으로 함께 점심 식사

- <이글루 물물교환 프로젝트>

예술가는 가지고 있는 재능을 나누고 참가자는 쓰지 않는 물건을 나누는 프로젝트

Page 54: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108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커뮤니티와 동료문화 109

살롱 드 팩토리 / 마포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카페 겸 복합문화공간. 문화 예술 커뮤니티로서 활동 시작하여 현재는 상담소, 때론

연극 무대, 세미나룸으로 이용됨

•미션/지향점

사람들 자신이 하나의 '콘텐츠'로서 대우 받는 공간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 <살롱드팩토리X인생도서관>

나와 우리를 이해하고 인생을 성찰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및 툴킷을 제공하는 인생도서

관의 아카데미 프로그램 (내 인생 라디오- 팟캐스트 만들기, - - ‘일과 삶’ 시리즈, 인생

질문 투어 프로그램)등을 진행

- 기타 활동:

취미활동 정보 플랫폼 여가상자와 함께하는 달밤요가살롱, 류이치 사카모토 소셜 프로

젝트와 함께하는 영상 감상회 등

청춘문화싸롱 / 마포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앉아서 혹 누워서 만화도 보고 때론 강연, 공연도 즐길 수 있는 만화카페이자 복합문화

공간

•미션/지향점

"문화란 이런 것입니다. 애쓰지 않아도 손 닿을 거리에 있는. 문화의 문턱을 낮춥니다.

문화 심터. 청춘문화싸롱"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 민트라디오 공개방송:

모던 음악을 추구하는 아티스트와 팬들의 교류를 연결하는 민트라디오와 함께 진행하

는 공개방송

- <모여야 비로소 말하는 것>

청년들의 이야기를 듣고 함께 청춘의 삶을 공유하고 응원하는 취지로 인터뷰를 진행.

최근에 시작된 프로젝트로 정기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고 청춘문화싸롱 온라인 커뮤

니티 내 공유

늘씨네 / 마포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평소에는 카페로 운영되는 소규모 영화 네트워크 공간. 모두를 위한 극장(단체, 이

하 모극장)과 만남 중개 사무소(단체)에서 영화 및 문화 예술을 매개로 공동체 모임의

행사 진행

•미션/지향점

소규모 공동체 영화 도서관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 <영화의 문>

영화와 관련된 다양한 문화적 욕구를 가진 시민들의 콘텐츠 기획역량 신장을 목적으로

진행되는 교육 프로그램

- <늘씨네와 벗들>

모극장이 진행하는 프로그램으로 영화를 매개로 사람들을 연결

- 작당모의자에서 진행하는 프로그램:

세대와 분야를 초월한 사람들 간의 만남을 중개하고 잘 만나는 법을 연구하는 청년 단

체 만남 중개 사무소에서 소규모 워크숍, 네트워크 파티, 소모임 등을 진행. 초보자를 위

한 통기타, 우클레레 교실 등을 운영

우리동네 나무그늘 / 마포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마포 지역 주민과 함께 하는 협동조합에서 운영하는 모두가 주인이 되어 서로 가르치

고 배우고 나누고 즐기는 주민 공간

•미션/지향점

이웃과 함께 꾸려가는 마을과 생활 속 어려움을 함께 해결하고 공감하는 문화를 나누

는 생활문화정치 공동체 지향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 주민생활강좌: 이웃과 함께 고추장/된장 담그기, 부모성장 프로젝트 등

- <밤마실 음악회>: 동네 밤마실 가듯 누구나 편하게 즐길 수 있는 음악회

- 생활상담센터:

법률/노무/재개발 등의 문제로 어려움에 처했을 때에 변호사/노무사/재개발 전문가가

상담

- <소금꽃마을 워크샵>:

마을을 살아야하는 곳에서 살고 싶은 곳으로 바꾸는 첫 과정으로 이웃과 사귀고, 이웃

에 대해 알아가고, 어떤 단체가 활동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자리. 지역 내, 소금꽃마을 네

트워크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각 단체들이 협력하고 있다.

Page 55: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110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커뮤니티와 동료문화 111

구글 캠퍼스 서울 / 강남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구글이 설립한 창업 지원 공간. 창업가들이 같이 일하고 배우고 협력할 수 있는 공간

서비스 (코워킹 스페이스, 이벤트 홀 등) 제공

•미션/지향점

“‘캠퍼스'라는 혁신가들이 와서 배우고, 아이디어를 나누고, 스타트업을 세울 수 있는

커뮤니티 허브 만들기”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 <Mentoring>

구글 직원 및 전문가, 창업가들을 만나 함께 고민을 나누고 스타트업의

성공을 위한 조언을 들을 수 있는 프로그램

- <Learn>

UX 설계, 모바일 개발 및 사업 기획, 마케팅 등 다양한 분야의 교육을 통해

스타트업의 성공을 지원

- <Connect>

창업가들에 필요한 투자자, 전문가, 동료들과 네트워킹 하는 프로그램.

- <Talks>

성공한 창업가, 업계 리더, 벤처 캐피탈, 기업인, 예술가 등 연사들을 초빙하여

경험담을 듣는 프로그램 젝트와 함께하는 영상 감상회 등

D.CAMP / 강남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20개 전국은행연합회 회원 금융기관이 세운 비영리재단이 투자에서부터 인프라 구축,

스타트업 육성까지 창업 문화 조성과 실질적 성과 도출을 위해 설립한 활동 공간

•미션/지향점

창업 생태계 활성화와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한 창업 생태계 허브 지향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 <D.Day> 스타트업 데모데이. 데모데이경쟁 PT 결과에 따라 D.CAMP입주 혜택도

제공.

- <D.Party> 100여명 이상의 참가자들과 D.Camp의 네트워크 파워를 공유하는 파티형

이벤트. 기업, 기관, 투자사 등 다양한 창업계 파트너들과 만날 수 있는 기회.

- <D.Global> 글로벌 창업 관련 컨퍼러스 또는 대회를 유치 및 진행

- <D.Cision> 창업에 관심이 있거나, 현재 창업을 준비 중인 개인이 자신의 성향에 대한

성찰해볼 수 있도록 돕는 1박 2일 워크샵

MARU 180 / 강남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교육, 투자, 네트워킹 등 창업 관련 종합 솔루션을 제공하는 오픈소스 플랫폼 및 창업

지원 공간. 각 층별로 코워킹 스페이스, 이벤트 홀 등 공간 서비스를 운영

•미션/지향점

“함께 모여 열심히 일하고, 교류하며 아산(峨山: 높은 산)의 정상에 도달하는 공간”

지향. 스타트업을 배출하고, 입주 스타트업들이 서로 배우고 교류하며 함께 성장할 수

있는 환경 조성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 이벤트홀: 데모데이(경진대회), 교육(멘토링, 세미나, 컨퍼런스 등), 네트워킹, 해커톤,

기타(설명회) 등을 개최.

- <마이크임팩트 스퀘어>

예비창업가나 신생스타트업에게 제공하는 유료 코워킹 카페이자 강연 등이 이루어지

는 복합문화공간.특히, MARU180의 파트너인 마이크임팩트스쿨은 강연을 통해 긍정

적 임팩트로 세상을 바꾸는 사회혁신 기업으로 성장. 강연 지식 사업을 개척하며 3천명

이상의 국내 최대 명사 네트워크를 구축하여100만명 이상의 대중에게 강연의 긍정적

임팩트를 전달하며 활동 중

TIPS TOWN / 강남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중소기업청이 도입한 민간투자 주도형 기술 창업 프로그램 TIPS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에 선발된 스타트업과 일부 운영사가 입주해 있는 창업 전용

공간

•미션/지향점

세계시장을 선도할 기술 아이템을 보유한 창업팀을 민간주도로 선발하여 미래유망

창업기업을 집중 육성하는 프로그램. 엔젤투자, 멘토링과 함께 R&D자금 등을 매칭

하여 지원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 정기 이벤트: [연사의 강연]과 창업과 관련 테마로 자유롭게 발표할 수 있는 [1분 발

표] , 다양한 스타트업 대표들이 서로의 정보를 공유하는 [정보발표] 및 발표팀과 멘토

단이 진행하는 [5분 IR 발표]로 구성.

- 단기 워크숍: 성공 스타트업 대표와 함께하는 마케팅, 운영 등 실전 사례를 통해 학습

하는 세미나 및 중국 진출 스타트업 및 중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사람에게 무료 중국어

기초강좌 등을 진행

Page 56: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112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커뮤니티와 동료문화 113

STARTLINE / 강남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스타트업 눈높이로 만든 스타트업 창업 공간. 코워킹존과 오피스 존, 회의실이 갖추어

져 있으며, 저렴한 가격에 코워킹 존 이용이 가능.

•미션/지향점

스타트업에게 필요한 '아이디어 보호'와 '정보 교류'를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

는 업무 공간 제공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 <청년 속풀이 프로젝트>

포틀럭파티 + 가면파티 형식으로 식사를 나누며 서로 각자의 이야기를 풀어놓고 격려

하는 모임을 조성.

- '친구들과 작당모의'할 공간 제공: 대학생들을 위한 방학 이벤트로 비어있는 시간에

10명 이내 독립 공간(회의실)을 2시간 동안 무료로 대관할 수 있는 이벤트 진행.

HIVE ARENA / 강남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스타트업 하우투컴퍼니에서 4년간의 준비를 거쳐 오픈한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개인

들을 위한 코워킹 스페이스

•미션/지향점

사람에게 필요한 성장과 변화는 코워킹을 통해 서로 조언하고 응원하는 친구를 사귀면

서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보고, “국내 최고의 코워킹 스페이스 커뮤니티와 대한민국 대표

코워킹 커뮤니티 만드는 것”

•네트쿼킹방식/프로그램 소개

- 커뮤니티 파티: 한 달에 2-3번, 멤버십(회원)을 중심으로 파티 진행

- 선배창업자와의 만남

- 해당 분야 전문가와 그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전문지식강의

- 커뮤니티 모임:2주에 한번씩 다양한 커뮤니티 모임이 열리고 있음. 예를 들어, 파트너

단체 파이썬(Python) 개발자 커뮤니티가 모임을 진행 중

오픈콘텐츠랩 / 강남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동그라미재단의 공간나눔 프로젝트로 재단의 유휴공간을 작은 조직들이 공유해서

사용하는 코워킹 스페이스이자 멤버십의 경우 대관해 사용할 수 있는 공유공간

•미션/지향점

누구나 콘텐츠를 통해 지식문화공유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와 나눔문화 커뮤니티를

지향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 오픈콘텐츠랩 멤버십 제도: 기수별로 50개의 멤버십을 모집하여 선발된 팀들이 공간

을 활용해 각자 프로젝트/프로그램을 진행. 진행된 프로젝트는 온라인을 통해 후기/

요약을 확인할 수 있다.

- 기수별로 멤버(팀) 모집하고 있으며, 공간 대관이 무료로 가능.

기수별로 멤버십 데이 등을 진행하며 멤버십 간 커뮤니티 형성을 위한 활동을 진행.

모두의 연구소 / 강남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연구실 컨셉의 코워킹 스페이스. 하고 싶은 연구주제가 있다면 누구든지 연구실을

열 수 있고, 재미있어 보이는 연구실을 찾았다면 누구나 연구실에 참여할 수 있다.

•미션/지향점

“경쟁이 아닌 상생의 힘”을 믿는 “서로 함께 연구하는 열린 연구소”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 현재 개설되어 있는 연구소: (개설되어 있는 연구실에 참여해서 다른 연구원들과 함께

할 수도, 원하는 연구실을 새로 개설할 수도, 딥러닝 연구실에 참여할 수도 있다.)

- DeepLab (딥러닝 연구실)

- VRtooN (가상현실 연구실)

- 나혼자난다 (자율주행드론 연구실)

- GrowthHUB(그로스해킹 연구실)

- 웹디자인마케팅 (웹디자인/웹마케팅 연구실)

Page 57: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114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커뮤니티와 동료문화 115

MAYISLAND / 강남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학업, 취업, 창업을 준비하는 청년들의 모임공간이자, 스터디, 디자인라이브러리, 카페

등 복합문화공간

•미션/지향점

문화예술 전반을 포함한 국내 최고 디자인 문화교류의 장이자, 도전하는 청춘들의 꿈의

과정에 보탬이 되는 국내 최고의 서비스와 모임공간 지향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 <메이아일랜드 아카데미 프로그램>

캘리그라피 교실이 진행되고 있으며, 지식과 노하우를 공유할 수 있는 활동가를 모집하

여 함께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있다.

- 스터디카페/모임을 위한 대관이 가능하고, 음료 주문 시, 라이브러리 형식의 카페

공간 제공함으로써 네트워킹의 장 마련

D-WELL / 성동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각자의 방식으로 더 나은 세상을 만들어가는 체인지 메이커들의 커뮤니티 하우스이자

이들을 위한 복합문화공간

•미션/지향점

“더 나은 세상을 꿈꾸는 사람들이, 다양한 만남에서 동질감과 소속감을 느끼고, 영감과

자극을 주고 받으며 체인지메이커로 성장”하는 것.

•네트쿼킹방식/프로그램 소개

- <디웰 프렌즈 멤버십>

디웰 하우스에 거주하고 있지 않더라도 사회 문제에 대한 관심과 이를 위해 실천하려

는 사람들을 위한 멤버십. 디웰 살롱에서 열리는 이벤트에 할인된 가격으로 참여하거

나 살롱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해볼 수 있다.

- <디웰 살롱> 사회혁신에 관심이 있는 체인지메이커들이 교류할 수 있는 커뮤니티

공간이자 디웰 자체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공간.

- <디웰 시그니쳐 프로그램> 시즌 별로 특정 사회 문제에 대해 집중적으로 다루는 프로

그램. 체인지메이커 토크쇼, 무비톡 등을 진행.

카우앤독 / 성동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사회변화를 위해 활동하는 소셜벤처와 크리에이터를 위한 코워킹 스페이스

•미션/지향점

현재 소셜 벤처에 종사하고 있거나, 스타트업을 준비중인 초기 창업자들에게 더 유용한

공간으로 이용되기를 바람.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 <쏘맨십> 사회적 가치, 소셜 벤처에 관심이 있거나 실제 종사 또는 준비하면서 코워킹

공간을 이용할 사람, 또는 프로그램에 참여할 사람을 멤버십으로 모집. 공간 이용 안내,

행사 소개 및 멤버십 간 소통이 앱을 통해 이루어진다.

- <혁신적인 수다>/<선수들의 드라마> 스타트업, 소셜벤처 설립과 운영 등 전반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관련 주제를 정하고 연사를 초청해 이야기를 나누는 형태로

진행

- 소셜벤처 데모데이 및 팝업 스토어

- <ㅋㄷㅋㄷ> 카우앤독 옥상에서 수다와 함께 진행되는 음악회

SAI / 성동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영상,사진,디자인,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아티스트(무용,음악,연극,회화 등),패션 영역

에서 활동하는 20여명의 프리에이전트들이 독립적으로 모인 아티스트들의 아지트

•미션/지향점

“다양한 분야의 크리에이터들을 통해 분야의 제한 없이 확장하여 함께 성장하고, 궁극

적으로는 새로운 컨텐츠를 생산하는 아티스트 길드” 지향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 한 달 단위로 공간 컨셉이 바뀌며, 공간 디렉터와 세트 스타일리스트에 의해 꾸며진다.

여러 아티스트들이 참여하여 미디어, 전시 등 다양한 종류의 예술을 직접 보고 경험해

볼 수 있다.

2015년 3월- 전시, 공연, 설치 작품을 한 곳에 모은 아트 페스티벌

2015년 6월 – 실내 피크닉 컨셉

2015년 7월 – 트로피컬, 휴양지를 컨셉

2015년 8월 – 빈티지한 스트릿컬쳐 컨셉

Page 58: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116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커뮤니티와 동료문화 117

소통공작소 쿱허브 / 용산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정보디자인 협동조합 아이디쿱의 사무실로 시작된 공간. 공간의 반은 공동 작업실로

사용되고 나머지 반은 누구나 와서 이용할 수 있는 디자인 카페로 운영 중

•미션/지향점

“To bring better creation. We love collaborating with you.”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 네트워킹 데이: 평소에 아이디쿱을 이용하거나 관심 있는 사람뿐만 아니라 사람들과

소통하고 싶은 사람들이 함께 저녁을 먹으며 네트워킹을 하는 시간.

- 인포그래픽&프레젠테이션 디자인 관련정보 제공: 페이스북, 블로그를 통해 관련 정보

를 수집하여 제공. 또한, 공간을 활용해서 워크샵을 진행하기도 함

열정대학 / 용산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하고 싶은 일이 모두 과목이 될 수 있는 캠퍼스 공간. 진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소셜 벤처의 사무실이자 멤버십에 가입한 멤버들의 활동 공간이다.

•미션/지향점

“대한민국 20대가 소득과 지위에 상관없이 자신의 삶을 유니크하게 살 수 있도록, 재미

를 바탕으로 다양한 활동이 가능한 공부생태계” 지향.

•네트쿼킹방식/프로그램 소개

- 나를 찾아 떠나는 여행

- (학생들이 스스로 개설하는) 선택과목

- 전공과목 (팀별 심화과정으로버킷리스트를 직업으로 연결)

- 열정특강 & 봉사활동

별도의 '교수’ 없이, 학생들이 스스로 개설과목을 열고, 독서를 바탕으로 공부한 뒤, 학

생들 스스로 자신의 분야에 전문가분들을 직접 찾아가는 방식으로 위와 같은 4 단계별

활동으로 구분. 졸업 여부 역시 본인이 선택.

해방촌4평학교 / 용산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마을에서 즐거운 일상을 이웃과 같이 만들어가고자 해방촌 1번지에 생긴 공간. 협동조

합형 마을 공방으로, 마을학교, 마을작업장, 마을연구 모임이 열리고 있다.

•미션/지향점

“일과를 마치고 돌아온 마을과 나의 공간인 집 사이에 일상을 이웃과 꾸며가는 공간”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 매월 25일 "4평학교 달력 그리는 날" : 매달 공간의 스케쥴을 짜고 커뮤니티 내에서

공유.

- <해방촌탐구생활>: (해방촌 마을학교):함께 식사 및 영화관람을 하거나, 월동준비

마을학교이라는 이름으로 지역에서 도예 수업 등, 월동 관련 활동을 기획 및 진행.

- 전시회 <해방전>: 해방70주년 기념, 해방촌에서 태어나거나 태어날 해방둥이와, 해방

촌에서 70세를 맞이한 어르신들의 이야기를 사진으로 담는 프로젝트.

- 지역 내 활동:골목 청소, 해방촌을 주제로 한 마을 작가전 등을 진행.

카페 해방촌 빈카페 / 용산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해방촌 빈집, 빈고에서 이어진 협동조합형 카페이자 술집. 이 외에도 카페 생협, 재활

용가게, 공방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 <해방촌 장터>: 매달 한번씩 주로 토요일 오후에 진행되는 소규모 마을 장터

- <변두리 영화제>: 및 다큐멘터리 상영회: 주제가 있는 영화 상영회 및 이야기 나눔

시간

- 공동체 은행 빈고와 함께하는 워크숍: 빈집에서 파생된 단체 빈고 회의, 워크숍 등을

진행

Page 59: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118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커뮤니티와 동료문화 119

테이크 아웃 드로잉 / 용산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2006년 외부의 지원으로부터 독립한, 카페이자 전시공간, 세미나 공간 등으로 운영

되는 복합문화공간

•미션/지향점

문화공간이 그 자체로 자가발전 할 수 있도록 새로운 방식의 브랜드로 성장하는 것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 <Cafe Residency>: 예술가들을 테이크아웃드로잉으로 초대해 작업을 준비하고 선보

일 기회 제공. 예술가들은 작업구상의 장이자 토론장으로 활용할 수 있고, 카페 방문자

들은 카페 레지던시에 참여하는 커피와 차를 즐기며 작가의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 <치읓>: 테이크아웃드로잉 속의 책방. 기본적으로는 책방이지만, 카페, 전시, 공연장,

모임 공간 등으로 활용된다. 이웃과 예술가를 잇는 프로젝트로 동시대 문화예술인들이

만드는 이야기를 직간접적으로 들어볼 수 있다.

스토리지북앤필름 / 용산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사진에 관심을 가지고 있던 주인장이 사진집 제작에서 시작하여 현재는 카메라와 함께

독립출판물을 다루는 서점

•미션/지향점

다양한 사람들이 만든 재미있는 창작물들을 알리고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이면서 사람들

이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공간 지향

•네트쿼킹방식/프로그램 소개

- <리틀 프레스>: 현직 독립 출판물 제작자들이 출판물 기획, 디자인, 제작, 유통의 단계

별로 각각 담당을 맡아 진행하는 워크숍.

- 문화/예술 워크숍: 드로잉, 캘리그라피 강좌 등 강사분들과 참여자가 공존할 수 있는

비용으로 진행되는 워크숍

- <언더그라운드마켓>: 소규모 독립출판물 플리마켓. 다양한 독립출판물 발행 제작자를

직접 만나 책을 구입하거나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

- <연어전>: 지금까지 진행된 워크숍으로 축적된 참가자, 강사, 제작자가 모두 함께

모여 준비하는 독립출판물 및 작품 전시회

책방이음&나와우리 / 종로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공공이익을 위해 수익금 전액을 사용하는 비영리 공익 서점. 인문사회과학서점이자

전시 및 워크숍, 모임이 열리는 복합문화공간. 비영리단체 <나와우리>에서 운영하고

있다

•미션/지향점

다른 시각, 관점, 견해를 공유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이음(異音)이기도 하며, 동네에서

또는 어떤 경계를 넘어서 사람들을 잇는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 강연/강의/세미나: 다양한 단체 및 출판사들이 주관하는 저자와의 모임이나 강연 등이

책방이음&나와우리 공간에서 열린다. 이 밖에도 강연회 등을 개최하고 있다.

- 다큐 상영회

- 책 모임: 펭귄클래식 혜화모임이 마지막 주 토요일 오후에 책방이음&나와우리 공간

에서 꾸준히 열리고 있다. 함께 책을 읽고 자유토론의 형식으로 진행된다.

더북소사이어티 / 종로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주변의 예술가, 작가들이 활동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고자 시작한 서점. 출판사

미디어버스에서 운영하고 있다.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 <Book Launch Table>:책 출판을 축하하고 저자와 함께 하는 출판기념회

- <테이블토크>: 책과 관련된 저자를 초청하거나, 이벤트로 사람들과 함께 이야기를

나눔

- <라운드테이블>: 영화를 함께 감상하거나, 주제별 관련 활동가를 초청해 이야기를

나누는 프로그램

- <리딩룸>: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읽기모임으로 강독하는 모임이 아닌 아닌 각자의

의견을 공유하는 방식으로 진행

Page 60: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120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커뮤니티와 동료문화 121

뭐든지도서관 / 종로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종로구 창신동 지역 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한 문화와 소통공간에 대한 바람으로

만들어진 공간. 문화와 소통을 위한 작은 도서관으로 무엇이든지 실험할 수 있다.

•미션/지향점

지역을 기반으로 예술, 교육 등 다양한 분야의의 사람들이 주민들과 함께 만들어 가는

커뮤니티 도서관. 동네 주민들을 중심으로 함께 삶을 나누고, 새로운 대안적 공동체 실

험 진행.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 <달고나>: 동네 엄마들이 모여서 동아리 형식으로 진행하는 책 읽기 모임. 어른들을

위한 동화책 모임으로 일주일에 한 번씩 모여 주제에 따른 동화책을 읽고 서로 이야기

를 나누고 있다.

- <달극장>: 공간 전체를 활용하여 한달에 한 번 심야극장이 되어 지역 주민들과 교류

청소년 독서토론 세미나:자유글쓰기, 책에 대한 질문, 토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선생

님의 역할은 최소한으로 하여 참여 학생들이 자유롭게 시간을 채워가는 형식으로 진행

이 된다.

한다리중개소 / 종로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지역 사회의 문제를 사회적 경제의 방식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서울시 사회적 경제

창신 숭인 협동허브. 다양한 지역 내 단체와 협력하여 행사를 기획 및 진행하고 있다.

•미션/지향점

한다리만 건너면 다 아는 사람들 사이를 연결해 우리 삶을 더 촘촘하고 풍성하게

만드는 것

•네트쿼킹방식/프로그램 소개

- <온갖 전시회>: 인근 대학교 학생들, 작가들과 함께 마을관련 작품 전시

- <골목콘서트>:동네 청소년들과 싱어송라이터, 밴드 등으로 구성된 콘서트.

- 주민토크쇼 <똑똑톡톡>: 주민이 주체가 되어 구성하는 주민토크쇼. 토크쇼 참가자인

주민들과 편하게 질의 응답하는 방식으로 진행.

- 매월 달모임: 한다리 중개소를 이용하는 사회적 경제 단체들이 모여 지난 한 달 간의

활동을 돌아보고 다음 한 달의 계획을 공유하는 네트워킹 모임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 / 종로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민간 창업 네트워크 협력을 위한 허브. 미래창조과학부가 창업 교육, 멘토링 등 지원

사업을 위해 운영하던 드림엔터에서 2015년 7월 전환되었다.

•미션/지향점

- 서울의 민간 주도의 네트워크와 서울시의 창업지원 역량을 활용하여 전국 창조경제

혁신센터와의 협력을 추진

- 민간 창업·혁신 네트워크의 자발적 협력모델 구축

- 도시 생활스타일 분야 사업화 및 글로벌 진출 지원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 아이디어 사업 지원을 위한 멘토링 및 컨설팅

- 실전 창업 지원을 위한 교육 및 워크숍

- 가치 창출을 확대할 네트워크 프로그램

종로4가 청년가게 / 종로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청년들이 기획하고 제작한 상품을 판매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주고, 종로4가 지하상

가 상권을 살리겠다는 취지로 시작된 청년허브의 프로젝트

•미션/지향점

오랜 시간 이야기를 간직해온 '종로' 지하상가에서 청년들이 '생산'의 기술을 통해 스스

로의 삶을 살아가고자.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 페이스북을 적극 활용하여, 종로4가 청년가게에서 활동하고 있는 청년 가게들과 제품

을 소개하고 서로 네트워킹 및 협력하면서 하나의 브랜드로 성장하고 있다.

- 종로4가 지하상가 20호 목화보석은 청년가게운영단이 함께하는 다양한 청년 기업들

을 발굴하고 종로4가 청년가게 운영 소식을 공유하는 거점이자 쉼터로 활용되고 있다.

Page 61: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122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커뮤니티와 동료문화 123

꿈실꿈실 / 종로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꿈을 위해 실천하는 사람들을 위한 학습카페. 와이앤하우컨설팅 회사에서 운영하고

있다.

•미션/지향점

결과가 중요시 되는 현실에서 ‘왜’에 대한 질문 없이 스펙을 쌓는 것을 지양. 개개인의

스토리가 착실하게 쌓여 꿈을 실현할 수 있도록 돕는다.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기업교육과 단순 취직이 아닌 미래 설계를 위한 취업에 관한

강의 진행:

예) 나만의 강의 컨텐츠 개발

예) 취업의 프로와 함께하는 <3프로 프로젝트>

예) 방향찾기 독서모임 <동서남BOOK>

예) 목표달성 프로젝트 플랫폼 세미나 등

- 이외에도 개인의 ‘스토리'를 나눌 수 있는 강의 진행: 여행관련 강좌, 매력어필 강좌 등

무중력지대 대방동 / 동작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서울시에서 설립한 청년공간이자 청년 활동을 지원하는 공간 및 콘텐츠 플랫폼.

특히 청년 문제 해결을 위한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미션/지향점

청년들이 자기다움을 발견하고 함께 할 동료를 만나 커뮤니티를 이루며, 생활 속에서

지속 가능한 변화를 꿈 꿀 수 있는 공간을 지향. 청년이라면 누구나 함께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네트쿼킹방식/프로그램 소개

- <서로서로 클래스>: 청년이라면 누구나 자유롭게 강좌를 개설하여 필요한 지식과

정보를 서로 공유할 수 있는 프로젝트.

- <청년 활짝 아카데미>: 분야별 전문가 또는 단체를 초청해 청년활동에 필요하고 도움

이 되는 실용적이고도 전문적인 지식 제공.

- <청년활동 씨앗사업 씨드액션>: ‘하고 싶은 일’을 직접 해보는 경험을 제공하는 청년

활동을 지원하는 사업.

- <노량진 탐사대>: 노량진 특유의 지역 청년 이슈를 청년들이 직접 발굴하고 글과 사진

등의 콘텐츠로 만드는 프로젝트.

- 청년활동 네트워크 형성: 무중력지대를 애용 하는 청년이라면 누구나 가입할 수 있는

청년활짝 멤버십. 멤버십을 대상으로 멤버십 데이 등의 모임을 꾸준히 진행하고 있다.

우나앤쿠 Una’n’Qu / 동작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대중과 예술가가 가깝게 소통할 수 있도록 돕는 복합문화예술공간. 아티스트들의 작업

실이 공간 한 켠에 자리 잡아있다.

•미션/지향점

“일상 속에서 예술을 느끼다”

굳이 도심으로 나가지 않아도 지역에서 편안하게 일상에서 문화예술을 공유하고 즐길

수 있도록 정기 공연 및 행사 기획 및 진행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 전시 및 공연

- 영화 상영회 및 영화와 관련된 행사 진행:매달 마지막 수요일 문화의 날에 무료로 영화

상영. 단순히 영화를 상영하는 것뿐만이 아니라, 그날 함께 관람하는 영화와 관련된

행사를 상영 전후에 진행하기도 한다.

- 원데이 클래스:레몬생강청, 애플 시나몬 과일청 만들기 클래스 등을 진행. 지역 주민

이라면, 참가비가 50% 할인된다고 한다.

청춘플랫폼 / 동작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지역 내 청년 모임들이 함께 공유할 수 있는 네트워크 거점 공간이자 이웃과 재능을

공유하는 문화 공간. 소셜벤처이자 건축회사 블랭크에서 설계 및 운영.

•미션/지향점

- 청년들의 네트워크 형성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

- 청년과 주민을 매개할 수단으로서 '밥'과 '청춘'이라는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일상적

프로그램 기획 및 진행

- 지역 내 커뮤니티 공간으로서 문턱을 낮추는 것이 목표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 저녁 먹고 캔들 만들기: 엄마랑 아이가 함께 만드는 소이캔들/병아리캔들

- <성대골 요리연구소>: 동네 사람들이 함께 만들어보고 싶었던 혹은 배워보고 싶었던

요리를 같이 해보는 모임.

- 하우스 맥주 만들기: 간단하게 집에서 만들어 먹을 수 있는 하우스맥주 만들기 소모임.

- <청춘만찬>: 동작구에 사는 지역 주민들을 연결하고자 기획된 프로그램. 지역 주민이

그날의 청춘만찬 호스트가 되어 자신의 추억의 요리를 소개하고 참여자와 함께 먹으며

자신의 이야기를 풀어놓고 서로 나누는 시간

Page 62: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124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커뮤니티와 동료문화 125

청춘캠프 / 동작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소셜벤처 블랭크가 운영하는 또 하나의 마을 공간. 이웃과 아이디어를 공유할 수 있는

코워킹 스페이스이자 협업공간으로 운영되고 있다.

•미션/지향점

- 청년들이 모여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프로젝트 팀을 구성하여 준비할 수 있는 베이스

캠프

- 공부방, 작업실, 서재 등을 공유해서 사용하는 공유공간 지향.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 <나만의 포토에세이 만들기>: 사진과 추억을 매개로 '이웃'과 담소도 나누고 포토북도

만드는 시간

- <마을 아카데미>: 지역 및 커뮤니티 세부적인 현안 해결을 위해 마을에서 '일'하는

청년들의 분야별 사례 공유 및 커뮤니티 비지니스의 가능성 탐색

- <청춘마켓>: 통기타 클래스, 소모임을 통해 만든 드라이 플라워, 석고방향제, 수제청

등을 선보이는 시간. 그동안 청춘플랫폼과 청춘캠프에서 진행되었던 결과물들을 마을

사람들과 공유하고 향유하는 프로그램

인문학카페 사이시옷 / 동작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지역 내에서 흩어져 있는 사람과 사람이 만나 서로를 알아가고 친해질 수 있는 마을

카페

•미션/지향점

지역 사회의 연결고리 역할

•네트쿼킹방식/프로그램 소개

- 인사이 멤버십제도: 가입비 2만원으로 6개월 동안 아메리카노 10잔을 무료로 마실 수

있으며, 인사이 프로그램 할인 등의 혜택 제공

- <인사이 박스샵(#)>: 필요 없는 물건을 팔고 사면서, 물건을 통해 사람과 사람 사이의

연결을 추구하는 프로그램.

- 인문학 강좌: 캘리그라피, 어머니 독서지도능력 기초과정, 예비CEO, 대학생들을 위한

특별 과정 등. 다양한 인문학 강좌구성.

- <동네 인문기획자 양성과정>: 일상의 인문학을 지향하며, 인문학을 매개로 지역 내

사람들간 소통과 성장을 추구하는 프로그램 기획자를 양성하는 과정.

이외에도 슬로-리딩 모임, 글쓰기 모임 등이 있다.

Urban Hybrid / 관악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지역 주민과 함께 지역의 비전과 역할을 찾아가는 퍼블릭 디벨로퍼인 어반 하이브리드

에서 운영하는 공유공간

•미션/지향점

지역주민들이 자신들의 더 나은 생활을 위해 지역사회활동을 활성화하고, 적정주택과

커뮤니티 공간을 보호, 또한 교육적 성취와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지역을

실현하는 것.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 코워킹 스페이스로 활용하거나 네트워킹 모임

- 지역 내에서 스터디 모임, 세미나, 파티 등의 용도로 공간으로 활용

- 인문학, 영어, 독서지도, 독서치료, 무료영화 상영회 등 교육적 프로그램 진행

- 주민과 함께 식사 및 이야기를 나누는 모임 진행

Ordinary Bookshop / 성북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책방 주인이 직접 고른 독립 출판서적과 일반서적을 만나볼 수 있는 동네 서점

•미션/지향점

평범한 사람들의 평범한 책을 판매하는 보통 책방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 나만의 책만들기 워크숍: 전문 편집가와 함께 나만의 책을 만드는 워크샵. 참가자는

유통과 홍보에 이르는 독립출판의 전반적인 창작과정을 경험해볼 수 있다.

- 소규모 워크숍: 우쿨렐레 배우기, 자수 워크숍 등을 진행

- <토토마켓>: 소규모 빈티지 소품 가게와 협력하여 핸드메이드 소품, 디저트, 악세사리

등을 판매.

- <성북 작은가게당>: 지역 내 소규모 가게들이 함께 모여 이벤트, 식사 등 축제를 진행.

Page 63: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126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커뮤니티와 동료문화 127

성북 예술창작터 / 성북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이야기와 꿈이 많은 성북’란 비전을 지닌 성북문화재단이 운영하는 시각예술을 기반

으로 한 예술 공간. 주로 전시나 기획전이 열리고 있다.

•미션/지향점

창의적인 신진 예술가를 발굴하고, 주민 참여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 문화 활성화 및

열린 미술문화 만들기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 전시: 기획전시, 윈도우 갤러리, 대관 전시 등으로 분류되는 다양한 전시회 개최.

- 신진작가 전시공간 지원: 성북 지역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만 45세 이하 신진작가들

에게 전시 공간 지원.

- 커뮤니티 아트: 성북구내 문화예술체육분야의 대학생들과 관내 문화 소외 아동청소년

들을 매칭하여 문예체 교육 방과 후 활동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이 외에도 성북동을

기반으로 하는 시각예술기관, 단체, 기획자, 예술가들 네트워킹 프로그램 을 운영.

동네공간 / 성북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성북구 지역 주민들을 위한 지역사회 공간. 기존에 카페로 운영되던 공간에서 현재는

여러 단체들이 함께 나누어 쓰는 코워킹 스페이스로!

•미션/지향점

활동공간이 필요한 지역 내 커뮤니티들이 필요한 공간을 스스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

도록 지원하는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

•네트쿼킹방식/프로그램 소개

- <따로 또 같이>:성북동 주거 공동체로 비혼인들의 느슨한 연대와 협동의 원칙에 기초

하여 운영되는 공동주거 모임.

- <지역어른센터>: 외롭지 않고 싶은 어른들의 센터. 어른들을 위한 놀이, 유희, 학습,

만남의 장으로 비정기적이지만 다양한 워크샵, 모임 등을 진행. 동네부엌, 저소비생활

자, 사회적 금융 스터디, 성북동 북클럽, 자급의 삶을 위한 배움 등이 진행되었다.

소셜스튜디오 공감 / 성북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KDB시니어브리지 아카데미 수료생의 공간기부로 마련되었으며, 카페 및 전시·공연·

강연 등이 가능한 복합문화공간. 사무실 및 세미나실, 테라스카페, 옥상텃밭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미션/지향점

사회적기업가, 협동조합, 마을기업, 사회적경제 협력기관 등 사회적 경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주체들이 협업하고 지역주민들과 소통할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각 요일 별로 공간에서 활동하고 있는 창업팀이 각각의 특색을 살린 콘텐츠로 프로

그램들을 진행 중.

- 창의공작소에서 진행하는 <달팽이 학교>: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자유학기제 진로

강의 및 에코창의력 점프업 강의 진행. 이외에도 북유럽 교육강의 진행.

- <자투리극장>: 지속 가능한 독립영화라는 미션을 가지고 대안영화 발굴과 공동체

상영을 통해 다양성 독립예술영화를 알리고, 지역을 기반으로 다양한 문화나눔을 실

천하고자 하는 씨네에그에서 진행하는 공동체 상영 프로젝트. 관객에게 더 가까이 다

가가 다양성 영화를 소개하고 함께 소통하고자 한다. 이외에도 성북주민이 직접 다큐

멘터리를 만들어보는 워크숍 등을 진행.

예술창작소 움: / 성북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문화 예술을 통해 지역문화를 활성화하고, 소외계층 문화복지를 지원하며 예술인 지원

사업 등을 실시하고 있는 문화예술 전문 기업 Art & Culture Story 문밖세상에서 운영

하는 문화 공간.

•미션/지향점

함께 꿈꾸고, 공유하고, 즐기고, 나눌 수 있는 진정성있는 프로그램 기획과 컨설팅으로

문화예술을 통해 더불어 살아가는 행복한 세상 만들기.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 <일곱시 예술밥상>: 요일 별로 동화쓰기, 서예, 먹그림&문인화, 드로잉&수채화 교실

등을 운영.

- 문화예술 팝업세미나: 더 많은 사람들과 문화예술 관련 지식 및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기 위해 기획된 프로그램. 원데이 클래스 형식으로 누구나 세미나를 기획

하고 진행할 수 있으며 자유롭게 참여가 가능.

Page 64: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128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커뮤니티와 동료문화 129

청년허브 / 은평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서울특별시 청년기본조례에 의해 만들어진 기관으로, 청년정책 수립을 위한 연구조사,

자료 공유 및 청년활동 지원, 교육 등을 위해 설립되었다. 이를 위한 활동들을 청년허브

공간에서 진행하고 있다.

•미션/지향점

청년의 삶에 주목하여 청년으로부터 가능성을 찾고, 청년들의 커뮤니티를 만들어 가고

자.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청년허브의 다양한 사업 중 지원사업에 해당하는 청년참은, 청년 커뮤니티 활성화를

목적으로 하는, 진입장벽이 가장 낮은 1단계 지원 사업이다. 분야에 상관없이, 최소 3

인 이상의 자발적으로 모여 활동하는 청년 커뮤니티라면 지원할 수 있으며, 선발된 커

뮤니티는 모임 비용으로 연간 최대 100만원을 지원받는다.

- <청년커뮤니티를 만나러 갑니다>: 선발된 청년참 커뮤니티 멤버들을 소개하고

인터뷰하는 형식의 소식지를 홈페이지에 게재.

- <청년참 반상회>: 청년참으로 선발된 커뮤니티들이 한 달에 한 번, 다같이 한자리에

모여서 교류하고 서로의 이야기를 나누는 장. 문화, 재능, 인연을 공유하면서 함께

공간 운영을 고민하고자 하는 ‘주인’을 모집 중.

이상한 나라의 헌책방 / 은평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기본적으로 헌책방이지만 주인장이 책을 직접 선별하고 입수한 책을 판매하고 있다.

조용하고 편안한 공간에서 음악과 함께 쉬어갈 수 있는 공간.

•미션/지향점

"삶과 쉼을 이야기하는 헌책방"

•네트쿼킹방식/프로그램 소개

- <막막한 독서모임>:독서는 따분하고, 고전은 숭고하다고 생각하는 편견을 깨고자

세계 고전을 읽는 것이 '막막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함께 모여 책을 읽는 모임.

- 공연: 이웃집 음악가에서부터 소리꾼 선생님의 공연까지 다양한 장르의 공연이 이루어

진다.

- 영화, 다큐멘터리 시사회: 고전 영화, 무성 영화 상영에서부터 다큐멘터리까지. '상업

영화'가 아닌 작품을 대상으로 소규모 상영회 진행

공간 오즈 / 은평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지역문화예술기획공간으로 지역을 기반으로 한 열린 커뮤니티 공간이자 지역 문화

예술 기획 공간. 바리에테 창의교육 연구소에서 설립하고 운영하고 있다.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 공간 오즈 바라 시민 뮤지컬단 활동: 시민예술 소극장 자선 공연을 위한 보컬 레슨,

뮤지컬 연습, 및 실제 공연을 진행. 단순히 뮤지컬 기술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뮤지컬

을 통해 삶에 대한 자세, 협동심, 소통하는 법 등을 종합적으로 배울 수 있다.

- <내 인생의 노래> 프로젝트: 연주자와 작사가, 경험 많은 공연 연출자와 함께 자작곡을

만들어 독거노인 분들을 돕는 활동 기금을 위한 마련 자선 공연에서 선보이는 프로젝트.

- 이외에도 예술과 교육 관련 공연 및 워크숍 진행

Space Teum(_틈) / 은평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지역 내 복합문화공간. 공간을 만들 때부터 함께한 은평구의 청소년들이 이제는 청년이

되어 공간관리자로서 공간을 운영하고, 청년마을연구소를 설립하여 활동하고 있다고

한다.

•미션/지향점

마을에서 활동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마을의 틈새 공간 지향.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 각종 문화 모임 활동:

예) 처음 보는 사람들과 함께 커피를 마시며 보드게임을 즐기는 활동

예) 도자기, 피규어, 은반지 만들기

예) 걱정과 고민을 손금을 통해 풀어보는 모임

예) 더 이상 입을 수 없는 옷들을 정리하여 나만의 악세사리를 만들어보는 R.C.A. 프로

그램

예) 수요영화관, 금요 심야 극장 등 다양하고 기발한 기획프로그램을 진행 중.

- 마을 공연장 불금 인디: 매주 금요일 오후7-8시에 자체적으로 공연팀을 모집해서 진행

하는 공연.

Page 65: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130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커뮤니티와 동료문화 131

동네공터 / 강북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주민 활동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지역 내에서 워크숍, 강연, 전시 등을 위한 플랫폼 역

할을 하는 공간. 청년 활동가를 중심으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협업을 추구

하는 단체 <동네형들>에서 운영하고 있다.

•미션/지향점

달성 해야 하는 특정한 목표가 없기에 활동에도 정해진 것이 없다고 한다. 그럼에도

목표라 할 수 있는 것이 있다면, 인간 누구에게나 있는 표현의 욕구를 표출할 수 있는

장을 만드는 것이라고.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 <예술 철가방>: 전문 강사 그룹이 농어촌 소재 학교 방문하여 문화 예술 교육 프로그

램을 진행. 최근에는 전국적으로 초등학교, 중학교를 방문하여 인권이라는 테마와 예술

을 접목한 프로젝트를 진행. 이는 <달리는 동네형들>이라는 이름으로 페이스북 페이

지에 스토리가 연재되고 있다.

- <골목 드레싱 프로젝트>: 아이들과 함께 마을과 놀이터, 골목을 아름답게 꾸미는

예술 프로젝트 진행.

- 공개컨퍼런스 <우물상조>: 다양한 청년 예술가들과 서로 고민을 나누고, 나아가

지속 가능한 직업으로 만들기 위해 선배 예술가들과 교류하는 시간으로 구성.

- <추리닝 브런치>: 한 달에 한 번 정도 반찬을 함께 만들고 나누거나, 식사를 하면서

지역 내 청년들과 교류하는 활동.

청춘행성 209호 / 강북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마을에서 함께 커가고 있는 청년들을 위한 공간. 마을과 청년을 매개함. 20대가 함께

모여 놀고/공부하고/영화보고/예술활동을 하는 아지트

•미션/지향점

“대학이나 여타 인문철학 아카데미에서는 배울 수 없는, 청년들이 삶에서 진짜 알고 싶

은 것들을 추려내 기획하고 알려주는 공간” 지향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 <마을청년 기타교실>: 단순히 기타를 배우는 데에서 그치지 않고, 자신의 이야기를

음악에 담아서 표현해 볼 수 있는 활동.

- <사부작 사부작>: 청춘행성 209호에서 활동하는 작은 소모임들이 서로의 활동을

공유하고 응원하는 모임

- <청춘공감>: 월 1회, 각자의 이야기와 고민을 함께 나누는 강북 청년들의 모임

이외에도 지역 활동가 선배들과의 만남 등을 진행하며 활동 중

오패산마을 건강의 집 쁘로젝트 / 강북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건강한 관계를 만드는 마을 사랑방이자, 지역의 건강생태계를 조성하는 활동을 위한 거

점 공간. 공간을 운영하고 있는 단체인 <건강의집>은 현재 건강문화사회적 협동조합

발족을 준비하고 있다.

•미션/지향점

- 커뮤니티 구성원과 지역사회에 대해 봉사

- 의료 취약 계층의 건강이라는 사회적 문제 해결

- 이웃이 함께 차를 마실 수 있는 공간

- 지역의 취약 계층을 이웃이 돌보는 형태 지향

- 지역 사회의 일자리 창출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 <일상연구소 말랑말랑>: 강북구 보건소와 청년예술가단체인 <동네형들>,

<건강의집>이 협력하여 진행하는 프로젝트. 인근에 번동 지역 아동센터에서 청소년

건강증진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진행.

- 오패산 마을축제: 벼룩시장, 건강교육 등 주민마을 행사로 진행.

- <무지개의 꿈>: 건강의집 멤버와 의대생, 치대생들이 함께 하는 '무모함을 지지하는

개성 있는 의료인의 꿈' 모임. 독서모임, 진료를 통해 지역을 알아가는 방문진료, 다양한

공모전 지원, 정책연구소나 의료 전문지에 실린 의료정책에 관한 논의 및 토의 및 지역

건강 조사 등 건강과 의료에 관련된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Page 66: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132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커뮤니티와 동료문화 133

Value Garden / 서초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인문학적 경험과 체험을 통해 공감능력이 있는 성숙한 시민으로의 성장에 기여하고자

하는 비영리 단체 <밸류가든>에서 운영하는 일상 속의 인문적 체험의 공간.

•미션/지향점

모임, 교육, 활동을 통해 나, 이웃, 나아가 새로운 세계를 만나고, 서로에게 배우며 인간

에 대한 깊은 이해를 키워갈 수 있기를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 <수요낭독회-마을에서 책 읽기>:책은 읽고 싶은데 읽을 시간이 없거나 부담되어 망설

이는 사람들이 함께 모여 소리 내어 책을 읽어 보는 시간.

- <대화의 식탁>: 한 번도 만나 본 적 없는 낯선 이들끼리 일대일 대화를 하는 자리. 진행

자나, 전체 자기소개, 소감 나누기 등의 정해진 틀 없이 준비된 간단한 다과, 차, 음악을

즐기며 온전히 대화를 즐기는 시간

- <손으로 만드는 가치>: 포도잼, 우유잼 만들기, 테이블 가드닝과 같이 직접 손으로 만

들어 보는 워크숍 진행

우리마을 카페오공 / 서초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50명의 주인장이 협동조합 정신으로 함께 운영하는 마을 카페

•미션/지향점

- 소박한 삶 속에서 협동과 나눔, 공동체적 가치를 추구

- 주거, 교육, 의료, 일자리, 먹거리 등의 과제에 대한 자급도를 높이는 활동 진행

- 일과 놀이의 통합을 지향

- 노동력을 화폐로 환산하는 임금노동에서 벗어나 필요한 만큼 받고 쓰는 모델 지향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 <심야식당>: 매주 다른 주제를 가지고 처음 보는 사람들과도 어울리며 이야기를 나누고

식사를 함께 하는 프로그램 (비정기적이지만 다른 지역의 커뮤니티 활동팀들과 교류 중)

- 재능나눔 프로그램: 프로그램 내용은 기획자에 따라서 달라지는데, 외국어 스터디,

독서대/천연수분크림/천연비누 만들기, 스윙/살사 배우기, 공감대화법 워크숍, 증명사진

찍기, 돈 사용법 등 다채로운 활동이 진행.

- 오공하우스 함께 살이 프로젝트 <가:출 (가벼울 출발)>: 최대 8명의 참가자들이 '함께

산다는 것'을 주제로 3개월간 인천에 위치한 게스트 하우스 오공하우스에서 진행되는

공동주거실험.

Open College / 서초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직장인, 대학생, 예술가 등 다양한 사람들이 자유롭게 자신의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고

함께 활동할 수 있는 오픈컬리지 멤버십 공간.

•미션/지향점

누구나 행복하게 배울 수 있는 유니버설한 배움 환경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경제력,

학력, 장애 등의 장벽 없이 함께 소통하며 배울 수 있는 세상을 지향. 실제 삶의 변화로

이어질 수 있는 가치와 변화를 원하는 사람들이 모인 곳으로 가치공유를 바탕으로, 차

이를 통해서 서로 배우고 성장하는 사람중심의 배움을 만들고자 한다.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멤버십 제도로 운영이 되며, 서류지원 및 선발과 오리엔테이션을 거쳐야 한다. 멤버십

으로 선발이 되면, 평소에 해보고 싶었던 활동들을 오픈컬리지 멤버들과 함께 언제든

지 프로젝트로 개설해 시작해 볼 수 있다. 멤버십 기간은 3개월, 6개월, 1년 단위로

나뉘며 비용 역시 기간에 따라 다르다. 멤버십 활동의 종류는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재미있는 배움:프로그래밍/디자인/역사/심리학 등

- 다양한 취미:글쓰기/드로잉/악기연주/사진/독서 등

- 새로운 경험: 연극/단편영화 촬영/공연/토크쇼 등

- 즐거운 소통: 와인파티/동네여행/음악감상 등

Page 67: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134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커뮤니티와 동료문화 135

옥상낙원 DRP / 동대문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청년허브에서 지원하는 청년 그룹 동대문 청년이 1960년대 지어진 동대문신발도매상

가 옥상의 창고공간을 임대하여 운영하는 다양한 문화적 생산을 하는 LAB-TORY

(실험) 공간

•미션/지향점

옥상의 전환적 확대 사용을 통해 지역의 문화적 생산과 다양한 전문가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코워킹 스페이스로서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 공간 코워커인 허니루트메이커스(:옥상공원 DRP에서 반려봉(벌)을 키우고 있는 커뮤

니티)와 함께 진행하는 <허니바타 꿀빵 파티> 등 다양한 행사

- <옥상낙원 불판파티>: 시니어가 5만원의 자금을 내고, 청년들이 식사를 준비하여

이루어지는 네트워킹 프로그램으로 저녁 식사를 나누면서 세대 간 교류 및 서로의 이

야기를 나누는 시간.

- 이외에도 옥상이라는 특수한 공간을 활용하여 작가, 예술가 등이 전시 및 공연을 진행.

신촌서당 / 서대문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기타로 음악을 배우고, 고전을 읽으면서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동네서당.

•미션/지향점

만남을 통해 배우는 공간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 기타레슨: 좋아하는 음악을 연주하고 노래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개별지도.

- 고전 읽기 모임: 주제/작가 별로 고전을 선정하여 특강형식으로 진행하거나 함께 읽는

모임. 별도로 청소년 고전 워밍업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 <창작자를 위한 작은 세미나>: 글, 음악, 여행을 통해 고전을 만들어낸 작가들의 작품

을 읽고 창작자로 살아가는 것에 대해 함께 고민하는 모임

- <리틀매거진>: 잡지제작 강좌로 참여자들이 서로를 알아가는 시간부터 차근차근 진행

이 된다. 신촌서당의 운영자이자 독립잡지 싱클레어 편집장인 피터가 진행한다.

엄마와 온돌방: 따뜻한 온돌방에서 일러스트레이션, 수공예 등의 워크숍 진행

숙영원 / 양천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예술을 통해 지구의 온도는 1도 낮추고 사람의 온도는 1도 올리는 실천을 해나가고자

하는 단체 <플러스마이너스일도씨>에서 운영하는 커뮤니티 카페.

•미션/지향점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누구나 편히 쉬어갈 수 있는 마을 카페로 공동체 문화를 만들

어 가고자 한다.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 청년자립실험센터<식탁의 노래>: 함께 밥 먹고 , 이야기하고, 음악을 즐기는 시간.

매 달 다른 주제를 지닌 모임으로 인디밴드의 공연을 듣거나 포트럭 파티 등의 내용으

로 구성되어 있다.

- 청년자립실험센터<테라스 마켓>: 매 달 마지막 주 토요일 진행하는 만들기, 팔기,

먹기, 마시기, 새로운 사람 사귀기를 지향하는 마켓. 마켓 내에 평소에 해보고 싶었지만

시작을 망설이던 사람들이 모여 함께 해볼 수 있는 활동도 마련되어 있다.

- 아트 프로젝트_2015 씨티 게임: 장르를 불문하고 도시와 지역, 공간, 커뮤니티에 관심

있는 참여자들이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지역의 문제를 발견하고, 이후 마을을 캔버스로

삼아 각 참여작가들이 스토리 및 작품을 만들어 나가는 프로그램.

- <모기동 마을축제>: 위치 근처 용왕산 운동장에서 진해아는 마을 축제로 벼룩시장,

아트마켓, 체험+놀이터, 이벤트, 오픈마이크, 수공예 작품 전시, 먹거리 판매 (단, 상업

적인 참여는 불가), 인디 밴드의 공연으로 구성되어 있다.

Page 68: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136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커뮤니티와 동료문화 137

동네발전소 / 양천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지역에서 사업을 하는 자영업자들과 동료 디자이너를 포함하여 신정동 일대를 마을로

만들고자 시작된 마을 카페. 지역 커뮤니티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미션/지향점

주민 간, 세대 간, 그리고 마을 내 독립 자영업자 간에 지식과 지혜를 나누며 소통의

가치를 경험하길 바라고 마을 내 독립 자영업자간 생태계 형성하고자 한다.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 <동네 야학당>: 지역 내에서 열리는 다양한 강좌. 원래는 '야학당'의 컨셉이었지만,

지역 주민과 주부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4기에는 낮시간 대에도 운영. 각 강좌는 공통적

으로 작게라도 마을에 가치를 환원한다는 나눔가치 지향적 졸업 과제를 포함한다.

- <골짜기>: 동네의 다양한 자원과 이야기를 콘텐츠로 삼아 진행되는 동네 팟캐스트

- <골판지>: 골목에 판을 벌여 지역을 살린다는 취지의 골목 축제. 플리마켓, 전시, 공연

외에도 골목 가게의 대표 메뉴들을 하나씩 맛볼 수 있는 콜라보 도시락 판매 등의 개성

있는 콘텐츠로 구성.

- (현재 준비 중) <장인가게위원회>: 마을 곳곳의 독립자영업자들을 발굴하고 경쟁력

향상 및 제휴, 협력 구축을 위한 프로그램. 현재 준비 중.

- (현재 준비 중) <MOT테이블>: 마을 청소년, 청년들이 마을 내 선배들과 함께 식사를

하며 비전을 나누는 시간. 현재 준비 중

스페이스노아 / 중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지식공유와 커뮤니티를 위한 코워킹 스페이스 공간이자 강연, 공연이 가능한 복합문화

공간.

•미션/지향점

사회혁신가의 베이스캠프로서, 사회혁신가들이 코워킹을 통해 혁신을 만들어 가는

공간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 코워킹 오피스 네트워킹 모임: 2주마다 목요일 오후에 코워킹 오피스를 함께 사용하는

코워커들이 한 자리에 모여 서로의 아이디어나 사업 아이템을 공유하면서 코워커들 사

이의 친목을 도모하는 모임. 이러한 네트워킹 모임을 통해 스타트업이나 프리랜서들에

게 새로운 사업 기회가 제공되기도

- 이외에도 개별 단체들이 다양한 콘텐츠를 가지고 스페이스 노아 공간 대관을 통해

행사, 이벤트 및 워크샵을 진행.

청년아지트 강동팟 / 강동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강동구 마을청년들의 팟팟한 삶과 일상을 공유하는 커뮤니티 공간.

•미션/지향점

마을 청년들의 활동기반을 마련하고 마을에서 활동하는 청년주체 발굴하고자 하며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획 및 진행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 웹툰 영화 만들기: 평소에 좋아하던 웹툰을 이웃이나 친구와 함께 영화로 제작해보는

프로그램.

- 공유부엌 <공식(共食)의 가치>: 매월 2,4주차에 진행되는 공유부엌 프로그램으로

함께 만든 반찬을 나누고 저녁을 같이 먹으며 네트워킹을 한다.

- <마을 건축 학교>: 마을의 커뮤니티 공간 운영자와 공간 Makers(건축가)가 공유공간

을 만드는 방법을 전수. 마을에 필요한 다양한 공간을 함께 만들어 갈 청년 인재를 키우

는 교육 프로그램.

LOE / 도봉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PC방, 학원, 노래방이 전부인 지역 청소년들에게 다양한 사람, 문화, 경험을 할 수 있도

록 기회를 제공하는 청소년 문화공간.

•미션/지향점

지역의 청소년들이 LOE를 통하여 다양한 사람, 교육, 그리고 문화를 만나 자기다운 삶

을 살 수 있도록 한다.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 LOE 아카데미: 지역 청소년들을 위한 정규 프로그램으로 요일 별로 청년 강사들과

함께 춤, 연극, 미술, 작사/작곡 등을 배울 수 있다.

- LOE 문화행사: 패션폭탄탈출하기, 학부모 교육 세미나, 콘서트 등을 진행.

- 이 외에도 L.O.E 공간을 활용해 청소년들 이 자체적으로 활동을 하거나 평소에 L.O.E를

이용하는 청소년들을 위한 소규모 프로젝트(진로 상담, 뜨개질 교실 등)가 진행 중.

Page 69: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138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커뮤니티와 동료문화 139

무중력지대 G밸리 / 금천구

•커뮤니티/공간 소개

서울시에서 설립한 청년공간이자 청년 활동을 지원하는 공간 및 콘텐츠 플랫폼. 특히나

성장하는 청년 직장인들을 위한 공간.

•미션/지향점

청년 커뮤니티 활동 지원, 역량 강화 교육, 일자리 지원 등을 통해 청년 직장인이 일하

고 싶은 일터로서의 ‘G밸리’를 지향.

•네트쿼킹 방식/프로그램 소개

- 청년직장인 커뮤니티 활성화: G밸리 청년 직장인 멤버십 G Pass제도 운영. 가입 시

특별 프로그램 참여 및 대관 신청이 가능하고 이벤트 정보, 추첨 경품 등을 받아볼 수

있다.

- <월요 브런치>: 공간 운영진들과 청년 직장인이 함께 요리하고, 먹고 나누는 프로그램.

- <G밸리 아트 유니브>: G밸리 직장인 예술 대학으로 퇴근 후 직장인들도 참여할 수

있는 문화예술강의 진행.

- <힘을 내요 스터디 파워>: 청년직장인 및 청년구직자의 스터디 그룹 활동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선정 그룹은 G밸리 공간과 활동 지원금을 지원받는다.

- <지대로 워크숍>: 청년직장인들의 역량강화를 위한 기획, 발표, PPT 제작에 관한

소규모 집중 강의.

서울 시내 커뮤니티 공간 DB 분포 및 지역별 특징 정리

앞서 조사한 총 70개, 서울시내 청년이 활용 가능한 커뮤니티 공간 DB를 바탕으로 이들의 분포를 파악하고 각 지역에서

운영 중인 커뮤니티 공간들 중 지역 별 특색이 보인 경우 이를 정리해보았다.

청년공간 1개이상

청년공간 3개이상

청년공간 6개이상

청년 문화를

같이 나누고

직접 만들어가는

커뮤니티 공간

지역 주민들과

함께 하고픈

청년들의

커뮤니티 공간

지역 주민이라는 소속감을

기저에 두고 지역 문화 활성화를

추구하는 청년들이 활용하기

좋은 커뮤니티 공간

사회혁신을 꿈꾸고

준비하는 청년들이

모이는 커뮤니티 공간

대안적인 삶을 모색하는

청년들의 커뮤니티 공간

스타트업이자 창업을

준비하는 청년들이 모이는

커뮤니티 공간

Page 70: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140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커뮤니티와 동료문화 141

커뮤니티 공간 운영 목적에 따른 분류

뚜렷한 목적을 지니고 있는 커뮤니티 공간

<Google Campus> 강남 <HIVE ARENA> 강남

<TIPS TOWN> 강남 <D.CAMP> 강남

<Startline> 강남 <MARU180> 강남

<청년허브> 은평 <책방이음> 종로

<Hug In> 마포 <밸류가든> 서초

<무중력지대> 금천 <무중력지대> 동작

사적인 이익이 우선시 되는 커뮤니티

- 공간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필요나 목적에 맞는

워크숍, 세미나 등의 프로그램

- 실용적이면서 교육적인 프로그램 위주로 구성

- 커뮤니티 내에서 서로 간에 목적달성을 위해

시너지 효과를 볼 수 있도록 네트워킹이 진행

- 공간을 운영하는 목적에 부합하는 워크숍,

세미나 형식의 프로그램이 주로 진행됨

- 개인주의적인 문화가 팽배한 현대 사회에서

공동체성 회복 자체를 공공의 이익으로 보고

이를 위한 네트워킹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경우

도 많음.

공공의 이익이 우선시 되는 커뮤니티

커뮤니티 형성과 지속 그 자체가 목적인

커뮤니티 공간의 주제별 분류

지역성을 공유하는 커뮤니티 형성

<우리동네 나무그늘> 마포 <한다리 중개소> 종로 <빈 가게> 용산<청년아지트 강동 팟> 강동 <청춘 캠프> 동작

<SPACE TEUM [_틈]> 은평

지역과 문화를 잇는 커뮤니티 형성

<우나앤쿠 Una’n’Qu > 동작 <뭐든지 도서관> 종로

<숙영원> 양천<동네공터> 강북

문화를 공유하는 커뮤니티 형성

<살롱 드 팩토리> 마포 <SAI> 성동

<퇴근 길 책 한잔> 마포 <청춘문화싸롱> 마포<일단멈춤> 마포 <이문회우> 마포

<우리마을 카페오공> 서초

Page 71: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142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커뮤니티와 동료문화 143

커뮤니티 공간을 통해 생성되는협업의 종류

커뮤니티 공간을

기반으로 한 협업

사례1. <LOE> 아카데미 운영에 참여하고 있는 <청춘여가연구소>를 비롯

한 다양한 청년 개인 및 단체들

사례2. <한다리중개소>의 공간을 활용하여 <창신은대학>의 프로그램을

진행

관심사를 기반으로 한 협업

사례1. 서울을 비롯한 전국 독립출판물 서점이 한남동 <테이크아웃드로-

잉>에서 함께 진행한 독립 출판물 전시회 <책집>

사례2. 해방촌 아티스트 오픈 스튜디오 <H.A.O>

지역을 기반으로 한 협업

사례1. 강북구: <건강의집 쁘로젝트>와 <동네형들>이 함께 진행한

지역 청소년들의 건강증진을 위한 문화예술 프로그램 <일상연구

소 말랑말랑>

사례2. 양천구: <동네발전소>의 팟캐스트에 소개된 <숙영원>

책집 H.A.O

청년의 커뮤니티 공간 활용 방안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청년이 활용할 수 있는 커뮤니티 공간은 서울 시내 다양한 지역에 분포하고 있었으며, 저마다의

특색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었다. 또한, 커뮤니티 공간 내에서 활동하는 구성원들 사이에서의 모임 활동뿐만 아니라, 관심

사와 주제를 공유하는 커뮤니티 공간 사이에서도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렇다면, 청년들은 다음

과 같은 방식으로 커뮤니티 공간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커뮤니티 공간의

콘텐츠 및

프로그램 기획자로

활동

•커뮤니티 별 홈페이지 및

SNS를 통해 정보 획득

•커뮤니티 활성화에 도움이

되는 온라인 플랫폼 활용

(ex. 집밥, 위즈돔, 온오프

믹스, 여가상자 등)

커뮤니티 공간

•커뮤니티 공간에서 주체적

으로 새로운 네트워크 형성

•커뮤니티 공간이 이미 보유

하고 있는 네트워크 활용

새로운

네트워크의

확대

커뮤니티 공간에서

진행하는

프로그램 참여자로

활동

Page 72: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144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커뮤니티와 동료문화 145

참고자료

[논문]

•류석춘·왕혜숙·박소연. 2008. “연고집단과 자발적 결사체의 신뢰 비교 연구” 『동양사회사상』 17: 203-269.

•이재열· 남은영. 2008. “한국인의 사회적 자본” 『한국사회학』 42.7: 178-214.

•유재원. 2000. “사회자본과 자발적 결사체” 『한국정책학회보』 9.3: 23-43.

•장시준. 2006. “사회자본의 개념과 교육적 시사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 자료』

•정순둘; 성민현. 2012. “연령집단별 사회적 자본과 삶의 만족도 관계비교” 『보건사회연구』 32.4: 249-272.

•조권중. 2010. “서울의 사회적 자본” 『SDI 정책리포트』70: 1-25.

•OCED. 2007. “What is Social Capital?” Human Capital: How what you know shapes your life. pp.102-105.

•Team BE. 2011. “Community versus Networks?” http://wenger-trayner.com/resources/communities-versus-networks/

[통계자료]

•서울통계. 2014. “사회단체활동 참여도”

•서울통계. 2014. “주말·휴일 여가활동”

•서울통계. 2014. “함께 여가활동하는 사람”

[영상자료]

•KBS 특별기획. 2011. “사회적 자본”

[커뮤니티정보]

본 리서치에서 정리한 70개 커뮤니티 공간과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는 각 커뮤니티 공간의 홈페이지, 카페, 블로그, Facebook을 참고하

여 정리한 것입니다.

[기타]

•고함 20. “작지만 편안하게 책 읽을 수 있는 곳” 독립출판서점 ‘스토리지북앤필름’ 강영규씨 인터뷰. 2014.

http://www.goham20.com/38164

•김하나. Hot Place - 서울 합정동 ‘더북소사이어티’(The Book Society) . 2012.

http://www.fi.co.kr/main/view.asp?SectionStr=Fashion&idx=41274&NewsDate=2012-12-10

•[마을탐방] 마을·아이·청소년·어른이 함께 만든 창신동 <뭐든지>, 놀러가시라!. 2012. http://swingboy.net/596

•북파인더. 제작자가 눈치 보지 않는 서점 #4 스토리지북앤필름 강영규 편. http://bookfinders.kr/?p=9167

•서울 사회적경제 포털. [안내] (가칭) 창신·숭의 사회적경제 허브 개소식. 2015. http://sehub.net/archives/24772

•서울시 마을공동체 종합지원센터. 2013. “20대 청년들의 진짜 삶을 찾아서 / 청춘행성 209 김동혁”

http://www.seoulmaeul.org/programs/user/board/webzin/webzin_read.asp?idx=50&cover_idx=12&corner_

idx=&searchVal=&pageno=

•열매의 소곤소곤 작은 서점 인터뷰_[001] 책방이음. 2014. http://blog.naver.com/yiyaginamu/220089833188

•[인터뷰] Topclass_놀아본 형들, 꿈꾸는 형들이 모였다. 2015.

http://www.dongnebrothers.org/#!인터뷰-Topclass놀아본-형들-꿈꾸는-형들이-모였다/cs38/55cd43170cf2ce5f89aaaabb

•[월간마을 7월] 강북구의 비상하는 청년단체를 소개합니다!.2014. http://gov.seoul.go.kr/archives/58798

•창신동 ‘뭐든지도서관’의 독서모임 ‘달고나’. 2014. http://gov.seoul.go.kr/archives/56602

•OO은 대학 연구소. 사회적경제와 주민 사이 한 다리를 놓는 – 창신숭인 “한다리중개소”. 2015.

https://oounivlab.wordpress.com/2015/11/04/%EC%B0%BD%EC%8B%A0%EC%88%AD%EC%9D%B8-%ED%95%9C%

EB%8B%A4%EB%A6%AC%EC%A4%91%EA%B0%9C%EC%86%8C/

Page 73: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청년x기회연결

청년세대를 위한 기회 연결자원 및 사회투자 방향

백혜리

교육사회적협동조합 씨드콥

Page 74: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148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청년세대를 위한 기회연결 자원 및 사회투자 방향 149

리서치 개요

배경

자본주의 경제체제에서 설 곳을 잃어가는 청년들

- 금융위기 이후 지속되는 고용없는 성장

- 고학력 인력이 넘치는 한국에서는 빠른 노동시장의 변화를

따라가지 못하는 교육현장의 경직성 때문에 노동시장의

Skill Mismatch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 청년들은 스스로 자신들이 설 곳을 만들어 가야 하는 상황

이다.

기술혁신을 통한 한계비용 제로사회의 도래

- 자본주의 시스템이 이미 정점을 지나 서서히 쇠퇴하기

시작했다는 것은 갈수록 분명해지고 있다.

자본주의는 앞으로 미래의 어느 시점까지 사회구조의 일부

로 남겠지만, 21세기 후반에도 지배적인 경제 패러다임으

로 군림하지 못할 것이라고 나는 확신한다.

- 제레미 리프킨

사회적경제의 발전 (임팩트투자의 확산)

- 사회적 경제의 발전과 함께 기존의 재무적 이익만을 노리

던 투자의 형태가 사회적 임팩트, 사회적가치를 창출하는

투자의 형태로 발전

- 사회적 경제의 3원리 (노대명 외. 2010, 173-174)

1. 사회적 목적(복합목적)

2. 사회적 자본(복합자원)

3. 사회적 소유(복합이해관계자)

목적

1. 국내 사회적경제 및 사회투자 규모 파악

2. 청년에게 기회를 연결해줄 수 있는 사회적 경제 자원 정보 수집 및 규모 파악

3. 청년기회연결자원을 위한 사회투자 전망

방법

국내 사회적경제 관련

조직 및 자원 조사

국내 사회적경제

관련 조직 및 자원

규모 및 형태 분류

결론도출 및

청년기회연결자원

사회투자전망

청년기회연결자원

규모 및 분석

Page 75: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150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청년세대를 위한 기회연결 자원 및 사회투자 방향 151

사회적 투자 개념과 생태계사회적경제의 기본개념

사회적 경제와 사회투자 개요

•자본주의 시장경제 발전으로 나타난 불평등, 빈부격차, 환경파괴 등 다양한 사회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등장

•i) 공동체 보편이익 실현 ii) 노동중심의 수익배분 iii) 민주적 참여 iv) 사회 및 생태계의 지속가능성 추구

•1800년대 초 유럽과 미국에서 협동조합, 사회적기업, 상호부조조합, 커뮤니티 비지니스 등의 형태로 등장

•한국은 1920년대 농민협동조합과 도시 빈곤층들의 두레조합의 형태로 등장

•1997년 외환위기 전후로 구조화되는 실업과 불안정 고용, 빈부격차의 심화, 낙후지역발생 등의 상황에서 사회적경제

재등장

•2007년 사회적기업 육성법 제정, 2010년 마을기업육성사업 시작, 2012년 협동조합기본법 제정 등의 제도적 환경

마련

•사회적 투자(Impact Investment) 는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업에 자본을 투입하는 개념

•사회적 투자를 제공하는 공급자그룹, 수요자 그룹, 이들의 투자행위를 활성화시키는 목적으로 존재하는 투자 매커니즘

및 정부 등이 사회적투자 생태계를 구성

•사회적투자 생태계는 일회성이 아닌 지속성 있는 투자행위가 발생하고 투자 선순환과정을 통해 스스로 규모가 확대

되는 성향이 있음

사회적경제 주체

사회적기업

현황

총 1,475개 인증

(2015.12 기준)

사회적기업진흥원

(고용노동부 사회적기업과)

지원 주체개념

[표1] 사회적 경제 주체별 개념 및 국내현황 (2015)

[그림1] 사회적 투자 생태계 개념도

[출처] p.6, 사회적가치 측정도구를 활용한 사회적기업의 자본투자 활성화 방안연구, 사회적기업진흥원 (2011)

•사회취약계층에게 사회(공공)서비스 또는 일자리 제공

•취약계층과 지역주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사회적목적

으로 추구하면서 생산, 판매, 서비스 등 영리활동을 하는

기업조직

마을기업1,249개

(2015.09 기준)

광역지원조직

(안전행정부 지역경제과)

•마을주민이 주도적으로 지역의 각종 자원을 활용한 수익

사업을 통해 지역공동체를 활성화

• 지역주민에게 소득 및 일자리를 제공하여 지역발전에

기여하는 마을 단위의 기업

협동조합8,323개

(2015.12 기준)

사회적기업진흥원

(기획재정부 형동조합운영과)

•재화 또는 용역의 구매.생산.판매.제공 등을 협동으로 운영

함으로써 조합원의 권익을 향상하고 지역사회에 공헌하고

자 하는 사업조직

자활기업 ㅡ중앙자활센터

(보건복지부 자립지원과)

•2인이상의 수급자 또는 저소득층이 상호 협력하여 조합

또는 공동사업자의 형태로 탈빈곤을위한 자활사업을 운영

하는 업체

Page 76: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152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청년세대를 위한 기회연결 자원 및 사회투자 방향 153

사회적 투자 매커니즘

[그림2] 사회적 투자 매커니즘 유형

[출처] p.114, 사회적가치 측정도구를 활용한 사회적기업의 자본투자 활성화 방안연구, 사회적기업진흥원 (2011)

[표2] 사회적 투자 생태계 구성요소별 개념

[출처] p.114, 사회적가치 측정도구를 활용한 사회적기업의 자본투자 활성화 방안연구, 사회적기업진흥원 (2011)

사회적 투자 구성요소

사회적 투자 매커니즘은 일반적으로 수익성이 낮고 리스크가 높은 저수익, 고리스크형 사회적기업에 대한 투자를 보상할

수 있는 혁신적인 투자매커니즘이 필요

소셜미션재단

사회적기업

커뮤니티

소셜투자자

개념

일반적 공익차원의 자선기부의 취지로 설립된 기관들 중, 설립취지 즉 미션영역에서 직접

적으로 사회적 투자를 수행하고 있거나 의지가 있는 재단

정부•공적자금 투자자

•공적자금의 투자는 민간의 투자를 확대하는 촉매제로 레버리지 효과가 있음

일반 투자자 자본시장에 참여하는 기관투자자, 개인투자자 및 여타 기업

사회적기업들이 재무적 투자자들이 투자할 만한 대상 즉, 수익성과 리스크 프로필을 갖춘

사회적기업 및 비영리기관

•사회적미션 영역에 직접적으로 투자하는 특화된 목적으로 설립된 사회적투자기관 및

이들이 운영하는 펀드

•일반 투자기관 중 사회적 투자를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증권사, 투자은행, 펀드 등

투자 메커니즘

•소셜펀드와 같은 사회적기업등 사회적 임팩트를 위한 독자적인 투자메커니즘

- 사회적가치창출의 평가가 반영되면서도 수익성을 추구

- 수익성이 낮고 리스크가 높은 사회적기업 투자를 보상할 수 있는 혁신적인 투자 메커

니즘이 필요

Page 77: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154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청년세대를 위한 기회연결 자원 및 사회투자 방향 155

국내 민간자본 사회적 투자 유형 [마이크로 파이낸싱]

미소금융재단

•창업및 취업지원 사업

•생활안정자금지원

•사회적기업지원사업

•전통시장소액대출지원사업

[출처] 사회적가치 측정도구를 활용한 사회적기업의 자본투자 활성화 방안연구, 사회적기업진흥원 (2011)

국내 민간자본 사회적 투자 유형

국내 사회적투자 현황과청년을 위한 기회 연결자원

마이크로 파이낸싱

•창업및 취업지원 사업

•생활안정자금지원

•사회적기업지원사업

•전통시장 소액대출

지원사업

연간사업비 규모가 작고, 기업

재단이 대다수이며, 사업내역

이 대체로 전통적인 구휼성 지

원 즉 장학금지급 및 노인, 장애

인 등 취약계층 지원중심이고,

재단이 직접 사업을 수행하는

운영방식의 특징을 갖고 있음

민관합작투자형식의

모태펀드

사회적기업 펀드 국내 대기업 및

비영리재단의 지원과 투자

Page 78: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156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청년세대를 위한 기회연결 자원 및 사회투자 방향 157

국내 민간자본 사회적 투자 유형 [사회적기업펀드 - 모태펀드]

[출처] p.29 사회적가치 측정도구를 활용한 사회적기업의 자본투자 활성화 방안연구, 사회적기업진흥원 (2011)

[출처] 사회적가치 측정도구를 활용한 사회적기업의 자본투자 활성화 방안연구, 사회적기업진흥원 (2011)

2011년 정부주도하에 42억원 규모의 사회적기업 지원을 위한 민관합작투자형식의 모태펀드 조성

국내 민간자본 사회적 투자 유형 [비영리민간재단]

•2011년 기준, 비영리 재단의 자산규모는 7조원

•총 사업비 예산규모 1조 2,360억원

•사회적기업 지원에 대한 예산구조가 매우 적은 상황

Page 79: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158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청년세대를 위한 기회연결 자원 및 사회투자 방향 159

주체별 개념

국내 민간자본 사회적 투자 규모 분석

<2011년 사회적기업 공적자금지원과 민간투자의 비교>

[출처] p.58 사회적가치 측정도구를 활용한 사회적기업의 자본투자 활성화 방안연구, 사회적기업진흥원 (2011)

9) 2011년 고용노동부 사회적기업 예산 총액 1,635억원 중 사회공헌 일자리 (20억원), 사회적기업진흥원설립운영(49억원), 청년사회적기업가육성(112억원)제외하고,

예비 사회적기업일자리 창출(745억원), 사회적기업지원(173억원, 모태펀드(25억원), 자치단체보조 사회일자리 (344억원) 및 사업개발비(165억원)을 포함한 수치 (지

자체 자체지원예산 제외)

•2011년 기준으로 집계된 사회적기업을 위한 재원은 공적자금이 민간자금의 5배 수준으로 공공사업의 성격이 강함.

•민간투자는 소수의 기업에 집중적으로 큰 금액을 투자하는 경향이 보임

•공적자금은 사회적기업 전반에 투입되고 있는 상황으로 적은 금액이 지원되어 효용성에 대한 점검이 필요

청년세대를 위한 기회연결 자원

로고

미션과 운영조직

주요사업

사회적금융을 통해 만드는

지속가능한 미래

(서울시 사회투자기금)

지속가능한

사회적기업 육성을 통한

사회통합과 삶의 질 향상

(민관 협력기관)

사회적경제 조직들의 협동화를 촉진하

는 네트워크 허브로 사회적경제의 지속

가능한 생태계조성을 위한 종합지원

소셜벤처 공간대여

소셜벤처 및 기관 정보 공유

사회적경제 인재양성

사회적경제 기업경영지원

소셜하우징 융자사업

중간지원기관 협력사업

사회적프로젝트 융자사업

사회적경제기업 융자사업

소셜벤처 경연대회

사회적기업가 육성사업(위탁)

(사회적기업 인증)

(예비사회적기업 지정)

재단법인 한국사회투자 서울특별시 사회적경제지원센터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Page 80: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160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청년세대를 위한 기회연결 자원 및 사회투자 방향 161

•사회투자를 실현하기 위해 서울시와 민간협력으로 총 1,000억원 조성

• 일자리 복지, 환경, 문화 등 취약한 사회문제 개선 및 지역발전과 시민후생에 증진하기 위 해 2013년 설립

• 투자 및 융자사업을 기반으로 한 사회적경제 활성화에 집중

한국사회투자

•사회적기업 육성법 제 20조 / 협동조합 기본법 116조 제 3항 에 근거해 설립

•지속가능한 사회적기업 육성을 통한 사회통합과 삶의 질 향상이 미션, 예비사회적기업 지정사업을 통해

사회적기업육성지원

•현재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이 인증한 사회적기업은 1,475개 (2015.12기준), 설립된 협동조합은 8,323개 지정

(2013.12기준)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 주거복지, 지역재생을 위해 건설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등이 참여하여 공공, 민간에 임대 주택을 공급할 수 있도

록 토지비, 건축비 등을 저리로 융자하는 사업

- 주거불평등 해소를 위한 대안의 하나로 적정가격에 주택

을 공급하고자 정부, 비영리기관 등이 소유 운영하는 광

범위한 의미에서의 임대주택

소셜하우징 융자사업

- 사회적임팩트를 발생시키는 일정규모 이상의 사회적 프

로젝트에 대한 지속가능성, 사업타당성, 사회적영향력

등을 검토하여 저리로 민간재원과 매칭하여 융자하는 사

사회적프로젝트

융자사업

-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돕는 사회적금융 수행기관을 육성

하기 위해 지원기관의 모금액만큼 서울시 기금을 융자하

는 매칭펀드 사업

-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등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투.융자사업

중간지원기관

협력사업

- 사회적경제기업(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 등)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고자 재무적기반조성에 필요한 자

금지원 및 경영지원 서비스를 함께 지원하는 사업

사회적경제기업

융자사업

사회적기업가 육성사업

•18개 전국 민간 위탁기관을 통해 진행중인 사업

•창업활동을 위해 필요한 공간 제공

•창업내용에 따라 2,000~4,000만원의 창업비용 지원

•멘토링 제공 (창업분야별 전문가 멘토)

•창업 및 창업이후

•데쓰밸리를 무사히 통과해 한 단계 다양하고 지속가능한

성장이 가능하도록 집중지원

소셜벤처 경연대회

•사회적기업에 대한 이해와 관심증진을 통한 인식확산 및

대국민 차원의 공감대 형성과 소셜벤처 아이디어 발굴 및

사업화 지원을 통한 혁신적인 사회적기업 모델 확산을 목적

•권역대회에서 선발된 팀들끼리 전국대회로 다시 경연하는

방식

•최대 5천만원 지원

•참가자 및 입상자에 사회적기업가육성사업에 유리한 조건

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혜택

Page 81: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162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청년세대를 위한 기회연결 자원 및 사회투자 방향 163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사회적기업가육성사업’ 위탁운영기관 (18개)

구분 기관명 주소 문의전화번호

수도권/강원 사회연대은행 서울특별시 중구 수표로 7, 7층 02-2280-3312

(사)사회적기업지원네트워크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1427, 302호 070-4365-8390

(재)함께일하는재단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정동 322-11 070-4469-1300

해누리타운 8층 소셜벤처인큐베이팅센터

(사)여성이 만드는 서울특별시 광진구 아차산로 30길 36, 02-761-1800

일과 미래 서울시동부여성발전센터 3층

(재)강원도산업경제진흥원 강원도원주시호저로47,강원도산업경제진흥원 033-749-3354

강원도사회적경제지원센터 지하109호 강원도사회적경제지원센터

대전/충청 (사)풀뿌리사람들 대전광역시 중구 대흥로 10번길 9, 2층 070-7865-5752

(사)충북시민재단 충북 청주시 흥덕구 흥덕로 159, BYC빌딩 2층 043-221-0311

충북NGO센터

대구/경북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경북 경산시 진량읍 대구대로 201, R&DB센터 053-850-4778

1214호 사회적기업지원센터

(사)시간과공간연구소 대구광역시 중구 북성로 102, 2층 070-4048-0970

부산/울산/경남 (사)사회적기업연구원 부산광역시 연제구 아시아드대로 107, 051-504-0275

부산현대주유소 2층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울산광역시 남구 대학로 93, 울산대학교 052-259-1963

사회적 기업가육성사업단 사회적기업가육성사업단 5호관 405호

광주/전라/제주 (사)광주NGO시민재단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중앙로 43, 062-381-1134

BYC빌딩 7층 광주NGO센터

전북경제통상진흥원 전북 전주시 덕진구 팔과정로 164, 063-711-2115

전북경제통상진흥원 본관 3층 순환경제지원센터

(사)제주사회적경제네트워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첨단로 213-4, 064-726-9588

제주첨단과학기술단지 스마트빌딩 410호

특화 열매나눔재단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 20길 37, 02-2665-0046

열매나눔재단빌딩 202호

사단법인 피피엘 서울특별시 마포구 삼개로 24, 용현빌딩 401호 070-4610-5683~4

에스이임파워 사회적협동조합 서울특별시 동작구 대림로 57, 거성타워 4층 070-8820-9721

(재)부산디자인센터 부산광역시해운대구센텀동로57,4층 051-790-1065

사회적기업가육성사업인큐베이팅실

Page 82: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164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청년세대를 위한 기회연결 자원 및 사회투자 방향 165

청년세대를 위한 기회연결 자원

소셜미션재단

로고

미션과

운영조직

모두에게 공평한

기회가 주어지는

사회를 만드는 네트워크

•공평한기회 공모전

•로컬챌린지 프로젝트

•연구사업

•오픈컨텐츠랩

•사회적경제 지원

•청년실업해소

•취약계층지원 /

지역사회 활성화

뷰티풀 펠로우:

사회혁신 기업가 지원사업

(사회적기업 교육사업)

(사회적기업 컨설팅)

(사회혁신기업가 포럼)

기업가정신 확산 및

청년창업지원사업

- 도전! 미래사업가

- 아산서원

- Asan Entreprenuership

Review

- 정주영창업경진대회

- 정주영엔젤투자기금

- MARU 18

------------------------

사회혁신을 통한 취약계층

지원사업

- 아산프론티어유스

- 아산프론티어펠로우십

- 아산프론티어아카데미

- 파트너십온

•H-온드림 펠로우

•H-온드림 오디션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

은 무엇이든

할 수 있다."

인류의 행복과 사회발전

청년기회

주요사업

동그라미재단 아산나눔재단 현대차정몽구재단

•세상스쿨

•사회적기업가 MBA

•세상 사회적기업

콘테스트

•적정기술 사회적기업

페스티벌

•임팩트 투자

•홍보마케팅

(온라인플랫폼 ’세상’)

스스로 만드는 행복,

함께 성장하는 행복의 가치를

통해 함께 균형있는 성장과

발전을 이루어 모두가

꿈꾸는 ‘지속가능한 행복’을

이룬다.

SK 행복나눔재단

로고

미션과

운영조직

청년기회

주요사업

•사회적기업자본운영지원

•사회적기업가 창업지원

혁신과 창의성에 기반해

저소득층의 일자리 창출 및

사회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해

나갈 사회적 기업가를

발굴, 육성

열매나눔재단

일하고 싶은 누구나 일을

통해 희망을 찾고, 행복을

찾을 수 있는 세상 만들기

함께일하는재단

아름다운 가게 인프라를

공유하며 아름다운 변화를

시민들과 함께 만들어갈

사회혁신 기업을 찾아 든

든한 길동무가 되어준다

아름다운재단

Page 83: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166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청년세대를 위한 기회연결 자원 및 사회투자 방향 167

동그라미재단

•지역현안을 비지니스라는 방식으로 풀어나가는

지역기반 성장기 기업의 역량강화를 돕는 프로젝트

•데쓰밸리를 무사히 통과해 한 단계 도양하고

지속가능한 성장이 가능하도록 집중지원

•1:1 멘토링을 통한 사업운영계획수립 및 실행지원,

총 5회에 걸친 기업운영에 필요한 교육제공, 사업현장

방문을 통한 교육과 온라인을 통한 미션

로컬 챌린지 프로젝트 [창업지원사업]

•청소년에게 기업가정신을 교육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젝트를 발굴하고 지원하는 사업

•청소년들의 가능성, 기회, 기업가정신, 꿈 등 우리가

생각하는 ‘ㄱ’을 찾기 위해 실행되는 다양한 기업가

정신 프로젝트 공모, 문제의식, 혁신적인 방법의 시도,

실행력 등을 기준으로 첫해(2013년) 14개 프로젝트

선정

•예산지원외 정기공유회를 통한 교류 및 홍보지원

• 지역현안을 비지니스라는 방식으로 풀어나가는

지역기반 성장기 기업의 역량강화를 돕는 프로젝트

• 데쓰밸리를 무사히 통과해 한 단계 도양하고

지속가능한 성장이 가능하도록 집중지원

‘ㄱ’ 찾기 프로젝트 [교육지원사업]

오픈콘텐츠랩 [창업지원사업]

아산나눔재단

•팀당 최대 300만원의 씨드머니로 9주간 시범적 사업경험

제공 및 1:1 전담 멘토링으로 타 창업경진대회와 차별화 전략

•전국 대학생 및 만 39세 이하의 일반인 예비 창업자를

대상으로 1인 ~ 6인으로 구성된 팀으로 신청하며 동일한

아이템으로 타 경진대회 수상이력이 없고 법인으로 등록되지

않은 창업팀

•수상자에는 정주영 엔젤투자기금 직접투자 검토대상이 되며

아산나눔재단 후원사업 우선 참여권 주어짐

정주영 창업경진대회

•비영리 분야에 관심있는 청년들이 NGO 실무경험을

쌓고 멘토링, 강의, 팀프로젝트 등 다양한 역량강화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지원

•사회적 문제를 발견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그 문제를

해결하고 있는 NGO 경험하면서 소셜벤처 아이디어를

얻기도 하고 사회발전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차기 사회적경제 리더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아산 프론티어 유스

•차세대 비영리 분야 리더가 될 젊은 청년들에게

1년간 해외 선진 비영리기관에서의 실무기회를 제공

•국내 비영기기관과 사회기관의 발전에 기여하는

리더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아산 프론티어 펠로우십

•스타트업이 필요로 하는 인프라와 교육, 네트워킹을

지원하는 ‘토탈 솔루션’ 창업지원공간으로 창업생태계를

만들어가는 구성원들의 협력과 소통, 동반성장 지원

•구글의 첫 아시아 캠퍼스 ‘ 캠퍼스 아시아’와 파트너십

MARU 180

Page 84: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168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청년세대를 위한 기회연결 자원 및 사회투자 방향 169

청년사회적기업가 사업으로 지난 5년간 50개 팀을 선발, 네트워킹관리를 통한 장기적 재정 및 프로그램 지원

현대차정몽구재단 열매나눔재단

•사회문제 혁신적 해결을 위한 청년사회적기업 발굴 및 육성을 목표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사회적기업가 육성사업’ 참가팀만 참가할 수 있는 점이 특이사항

•디벨로핑 15개 그룹은 시장에서 제고되기 어려우면서도 시민 생활에 영향이 큰 분야에서 기존에 없던 참신한

발상과 혁신적 융합을 바탕으로 한 제품, 서비스, 프로젝트 등의 사업

- 선발시 1~2천만원 사업비 지원 및 1:1 맞춤형 교육 및 경영개선 컨설팅 서비스 지원

•인큐베이팅 15개 그룹은 창업인큐베이팅 지원시 12개월 내 사업성공률 제고가능성이 높은 팀으로 선발

- 5천만~1억원의 사업개발비를 지원하고 1년간 심화 멘토링 및 홍보 지원

•두 그룹 모두 H-온드림 펠로우로 지속적인 후속 관리 지원

H-온드림 오디션 / H-온드림 펠로우

•사회혁신사업가의 롤모델이 되어 지속가능한

사회혁신기업을 만들어가는 것이 미션 : 제 2,3의

‘아름다운가게’를 만들어내기

•아름다운가게 인적 물적 브랜드 지원을 통한 성장

지원

•개개인의 사업에만 몰두할 수 있도록 3년간

월 150만원 생활비 지원

•각종 교육과 사회적기업 연수를 통한 역량강화

•전문가 멘토링을 통한 경영이슈 분석과 분기별

목표점검

사회적기업 자본운영지원

•지역현안을 비지니스라는 방식으로 풀어 나가는 지역기반 성장기 기업의 역량강화를 돕는 프로젝트

•데쓰밸리를 무사히 통과해 한 단계 도양하고 지속가능한 성장이 가능하도록 집중지원

사회적기업가 창업지원

Page 85: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청년세대를 위한 기회연결 자원 및 사회투자 방향

•사회가치와 혁신을 추구하며 사회문제를 비즈니스

형태로 해결하고자 하는 유망 사회적기업 및

소셜벤처를 발굴하고 선정된 기업에는 초기 사업비를

지원하고 투자 유치를 돕는 전문 엑셀러레이팅

프로그램 참여기회를 제공

•연 2회 (상/하반기) 실시

•매출이 발생하고 있는 사회적기업 및 소셜벤처 /

신규사업 혹은 사업확장을 위한 투자계획이 있는

기업 / 투자 준비를 위한 엑셀러레이팅 프로그램(IR

Camp)참가 의지가 있는 기업 / 행복나래 사회적기업

협력사 대상

세상 임팩트 투자 공모전 [사회적기업 발굴・육성・투자]

•SK가 전액 장학금을 지원하고 KAIST가 사회적기업

경영학술연구를 통해 맞춤형 커리큘럼을 개발 운영

•실제 사회적기업가 정신을 가지고 사회문제 해결에

대한 고민을 하고 있는 창업가들을 대상으로 하는 2년

전인제 MBA

•단계별 인큐베이션, 투자 및 입주공간 지원, 파일럿

테스트 및 멘토링 지원

KAIST 사회적기업가 MBA [사회적기업가 양성]

•사람-지식-자본을 효율적으로 연결하여 사회적기업

생태계가 필요로 하는지식.정보 및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웹사이트

•세상프로그램 정보, 사회적기업 관련지식, 기업정보,

기업가 프로필 등을 한곳에서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세상 온라인 플랫폼 [사회적기업 육성]

SK그룹의 사회공헌 전문재단으로 취약계층을 위한 교육문화 사업과 함께 사회적기업 관련 사업을 지원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해 ‘직접’ 설립해서 운영 (예. 행복나래, 행복한 학교재단, 행복ICT재단 등등)

•대부분의 경우는 전반적인 사회적기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기업 발굴, 육성, 투자, 교류등의 영역에서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

•앞으로 행복나눔재단은 혁신적인 사회적기업이나 사회적기업가 발굴보다는 육성에 더 집중한 프로그램을 운영해 설립

초기 고비를 넘긴 후 본격적인 생존과 성장과정에서 어려운 난관을 맞게되는 사회적기업들을 복돋아 주어 성장가치를

더욱 빛내주는 것이 목표

SK행복나눔재단

Page 86: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172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청년세대를 위한 기회연결 자원 및 사회투자 방향 173

아름다운재단

•뷰티풀 펠로우를 사회혁신사업가의 롤모델로 키워

지속가능한 사회혁신기업을 만들어가는 것이 미션 :

최종적으로 제 2,3의 ‘아름다운가게’를 만들어내기가

목표

• 아름다운가게 인적 물적 브랜드 지원을 통한 성장

지원

• 개개인의 사업에만 몰두할 수 있도록 3년간 월

150만원 생활비 지원

• 각종 교육과 사회적기업 연수를 통한 역량강화

• 전문가 멘토링을 통한 경영이슈 분석과 분기별

목표점검

• 사회경험 3년이상 (창업준비기간 제외)경력자만

신청가능

뷰티불 펠로우 [사회적기업가육성]

Page 87: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174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청년세대를 위한 기회연결 자원 및 사회투자 방향 175

청년세대를 위한 기회연결 자원

로고

미션과

운영조직

사회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사람들이

성장하는 환경을 만든다.

“모든사람들이 각자의

방식으로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세상”

루트임팩트

세상의 변화를 꿈꾸는

소셜벤처와 함께 한다.

소풍(사) 사회적기업

지원네트워크

사회혁신, 연대,

지속가능성의

작은 씨앗이 되자.

사회적기업의

창업과 성장을 돕고

착한 전문가들을

네트워크하고

사회혁신을

지원한다.

사단법인 씨즈

"빈곤과 소외가 사라지는

그 날까지 신나게 일하자."

- 일을 통한 자립 지원

- 자기 고용 일자리 확대

- 협동사회 경제 활성화

주요사업

임팩트 챌린저스:

임팩트 랩:

디웰하우스:

디웰살롱:

투자

인력운용

사업계획

전략

제휴

마케팅

소셜벤처 데모데이

•프로보노 사업

•취약계층여성

지원사업

•청소년 소셜벤처

지원사업

•창업보육사업

•지역생태계

조성사업

•교육연구

•사회적기업 및

청년 사회적기업가 육성

•시민기반 조성 및

투자자 네트워크 구축

•섹터간 자원 중개

•지역화 모델 개발

•한국형 사회적기업 모델

해외 보급

•사회적기업 실천 연구 및

발전 모델 개발

•사회적금융

(사회적경제기업융자사업)

•사회적기업 컨설팅

•부처형 예비사회적기업

지원

•서울시사회적기업

통합지원센터

•협동조합설립지원

한국마이크로크레디트

신나는 조합

루트임팩트

•인지도가 낮거나 자원이 부족해서 우수한 인력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소셜벤처들을 지원

• 사회문제 해결을 꿈꾸는 청년들이 자신의 가치관과

역량에 부합하는 소셜벤처를 찾을 수 있도록 매칭지원

• 채용 및 홍보지원, 인건비 지원, 인턴교육제공 등

사회문제를 해결할 기발한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는 청년들이 자신의 아이디어를

실험해보고 성공률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

청년 체인지메이커들이 끈끈하고 활발한 커뮤니티를 조성함으로써 개개인의

성장과 활동을 지속하도록 지원

임팩트 챌린저스

임팩트 랩 프로그램

D-WELL HOUSE

Page 88: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176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청년세대를 위한 기회연결 자원 및 사회투자 방향 177

소풍 SOcial POwer Of Networked Group

: 사회혁신기업이나 사회혁신기업이 네트워킹하며 발휘하는 사회적파급력

소풍, 작게 불어오는 산들바람이라는 의미를 보면 다양한 사회영역에서 산들산들 불어오는 바람

을 의미하기도 하고 ‘소’의 So(cial) 이 사회적 바람을 의미하기도 함

소풍이 정의하는 ‘사회혁신기업’은

1. 사회혁신을 목적으로 하는 혁신기업으로 정부나 시장이 해결하지 못하는 사회문제를 단순히 취약계층 몇명

을 고용하거나 수익금을 기부하는 형태가 아니라 시스템(체제)를 변화해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함

2.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기업의 생산, 판매, 조직 등 모든 분야에서 기존 기업과 다른 혁신적 형태여야 함 (경쟁

에서 살아남기 위한 필수요소)

사단법인 씨즈

•현장에서 뛰고 있는 전문가(멘토풀 및 외부자원연계)들의

실전경험에 기반한 경영지식과 노하우 전수를 통해, 짧은 시간

안에 사회적기업 창업자가 갖춰야 할 A부터 Z까지를 점검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다양한 경험과 지식을 보유한

선배 사회적기업가 및 벤처와의 적극적인 교류 활동을

촉진함으로써 제3의 강사 또는 Peer Mentor(또래 멘토)를 통한

상호학습(Mutual learning)여건을 조성

• [창업공간 지원] 사무공간, 회의실, 교육실, 제조실 및 사무기기

사용 무상지원(최소 12개월 / 성장 평가를 통한 연장 지원)

• [창업초기비용 지원] 사회적기업(팀)당 활동비 및 초기

창업비용 지원 최소 2,000만원 ~최대 4,000만원 한도내에서

차등 지원 (2014년 기준)

• 비니지스모델 구체화지원 - 기업 단계별 특성에 맞춘 컨설팅 /

성과측정 및 관리 (사업, 조직운영, 리더십, 회계, 행정 등)

• 네트워크 및 자원계발 연계지원

• 전문가 멘토링을 통한 경영이슈 분석과 분기별 목표점검

•해외진출사업 모색 및 해외탐방을 통해 사업아이템 확장에

관심이 있거나 사회문제에 대한 이슈와 해결방법을 찾아

사회적기업 창업을 고민하는 청년으로 만 19세~39세

청년이면 누구나 신청 가능

• 사회적기업가정신 및 사회문제해결사례 교육, 개인역량 개발

및 사업모델 발전계획수립, 해외탐방 사전스터디 및 해외 탐방

등 체계적인 프로그램 혜택

• 해외탐방, 프로젝트, 교육, 멘토링 등의 모든 비용지원은 물론

씨즈의 인적 물적 자원의 혜택을 받을 수 있음

• 모든 프로그램을 마친 후 우수활동팀에는 별도 시상

(상금 300만원)

서초 창의허브 [청년사회적기업가지원]

SEEKER:S [청년사회적기업가지원]

Page 89: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178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청년세대를 위한 기회연결 자원 및 사회투자 방향 179

•사회적경제 영역에서 활동중인 기업들의 경영환경을 개선하여

기업적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

•기업당 2% 금리로 1억원의 한도까지 3년간 대출가능

•사업타장성, 신청자금의 타당성, 대표자의 마인드 및 상환가능성

등을 선정기준으로 서울시 소재 고용노동부 인증 사회적기업 및

협동조합 (법인사업자)에 한해 가능

•심화교육, 특화교육, 특강 및 워크숍을 구성하여 예비 창업자들의 역량 강화

•상주 전문멘토인력 지원, 자체 평가시스템에 따라서 매 분기별 창업 성장 진도를 정량적으로 평가 후 맞춤형

지원

•상시 지원인력 보유로 시의 적절한 행정적 지원 및 코칭

•지속가능한 네트워킹을 위한 정부기관, 기업사회공헌, 자치구청 등과의 사업 및 자원 연계 서비스와 성공한

사회적기업 및 소셜 벤처와의 교류 확대를 통한 학습 지그리고 자체 보유한 800여명의 전문가 풀(프로보노

허브)을 통한 전문 인적 네트워크 연계

신나는조합 사회적기업지원네트워크

사회적경제기업 융자사업 창업보육사업

(관악구 청년 사회적기업 창업보육센터 위탁운영)

•사회적경제 영역에서 활동중인 기업들의 경영환경을 개선하여 기업적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

•기업당 2% 금리로 1억원의 한도까지 3년간 대출가능

•사업타장성, 신청자금의 타당성, 대표자의 마인드 및 상환가능성 등을 선정기준으로

•서울시 소재 고용노동부 인증 사회적기업 및 협동조합 (법인사업자)에 한해 가능

사회적기업 컨설팅

Page 90: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180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청년세대를 위한 기회연결 자원 및 사회투자 방향 181

단계별 청년기회자원 분포현황

해외 사회적기업 자본시장 비교분석

사회적투자 해외사례

미국

영국

캐나다

•비영리조직이 사회적가치

실현을 위해 시장에서 수익활

동을 벌이는 형태로 발전한

사회적기업 발달이 특징

•비영리조직과 영리조직의

협력관계가 증가추세로 비영리

조직들이 기업가정신, 마케팅,

벤처개념등의 도입을통한

내부 조직운영과 가치추구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

SROI 활용한 사회가치평가 등

매우 발달해 있고 안정적인

가치평가기관등을 통한 사회

투자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체제 확립

Calvert Foundation

Nonprofit Assistance Fund

Investor’s Circle

Social Capital Partners

•Adventure Capital Fund

•Bridges Community Ventures

특징 대표 융자기관대표 투자기관

Page 91: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182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청년세대를 위한 기회연결 자원 및 사회투자 방향 183

해외 소셜투자자의 자본투자 사례

- 캘버트 재단(Calvert Foundation)

사회적투자에 대한 국제사회적 움직임

- 글로벌 임팩트 인베스팅 네트워크 (Global Impact Investing Network)

<캘버트 재단의 사회적투자 생태계 및 소셜투자자의 역할>

[출처] p.84, 사회적가치 측정도구를 활용한 사회적기업의 자본투자 활성화 방안연구, 사회적기업진흥원 (2011)

설립목적

투자방식

특징

시사점

Community Investment

Note(채권) 발행을 통한

사회적기업 투자

소기업 파이낸싱 마이크로 파이낸싱

사회적기업 및

Small & Growing

Business 투자

•저개발지역에 자본유입을 최대화하여 지속가능한 사회창출

•개인 및 기관의 투자로 자금이 지역개발에 유입되고 동시에 투자자는 원금보장과 이자를 지급

받는 금융상품 개발 및 운영

•투자자는 원금보장 및 만기시 이자지급받는 구조

•대형기부재단을 통해 원금보장충당금(Security Enhancement)을 확보해 투자자 손실을 방지

•지난 15년간 투자손실은 1% 미만

•원금손실한 투자자는 없었음

•사회적채권 발행을 통한 일반개인투자자들의 소액투자 참여확대

•민간투자전문성을 갖춘 사회적투자자 양성

•사회적투자 중간기관 생태계 조성

•소셜미션재단과 사회적투자자의 연계성 강화

•온라인 소셜펀딩 사이트 도입

설립목적

투자방식

위원회(Council)를

구성하고 있는

투자자 그룹을 위한

투자 정보제공,

각종 모임 등

지원서비스

전 세계에서 운영중인

사회투자펀드현황을

검색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

(Impact Base) 운영

모범사례 발굴 및

임팩트 산업의 가능성을

알리기 위한

대외홍보활동

표준화된 사회·환경

가치 평가 척도라 할 수있

는 IRIS(Impact Reporting

& Investment Standards)

프로그램 운영

사회목적투자를 추구하는 투자자그룹 리더들이 이 시장을 보다 확대되기 위해서는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성

해야 한다는 뜻을 모아 조직된 단체로, 2009년 CGI(Clinton Global Initiative. 해결이 시급한 국제문제를 공론

화하고 구체적인 해결방안을 논의하는 장으로, 빌 클린턴의 제안에 의해 만들어짐) 연례회의를 통해 공식적

으로 출범했다. 자선단체, 금융회사, 투자기관 등 총 83개의 단체가 공동설립자로 참가했고, 현재 이 산업에

관심을 가진 기구들의 참여가 계속 늘어나고 있는 추세

1998년부터 2010년까지 설립된 총 자산 64억 달러, 51개 임팩트 투자 펀드의 순 내부투자수익률(IRR)은 연평균 6.9%이며 같은

기간 비교 가능한 사모펀드와 벤처캐피탈(VC)의 투자수익률이 연평균 8.1%로 사회적가치창출을 위해 포기해야할 투자수익률이 생각

보다 크지 않음을 시사했다고 발표

Page 92: 청년사회적사본 리서치 연구보고서 2015

184 청년X사회적자본 리서치 연구 발표회 청년세대를 위한 기회연결 자원 및 사회투자 방향 185

사회적 채권(Social Bond) 활성화

사회투자 방향에 대한 전망

사회적 채권(Social Bonds) 세가지 유형

개념

주요 발행자

및 목적

주로 비영리기관이 발행하는

채권으로 지역개발을 위한

부동산 구입, 인프라사업 또는

사회적기업 투자 등에 활용

지역기반의 뿌리가 강한

자선단체, 지역개발사업자 등

비영리기관이 사업확장을

목적으로 재원이 필요한 경우

커뮤니티채권

(Community Bonds)

정부가 채권발행을 통해

민간자본유치 및 이를 통한

사전적 사회문제해결을

수행하는 (비영리)기관 등에

투자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혁신적 민간투자 유입방식

소셜임팩트채권

(Social Impact Bonds)

재생에너지 생산을 위한

인프라 등에 투자하기 위한

목적의 채권발행의 경우로

커뮤니티 채권보다 규모가 큼

단기적으로 저리융자를 통해

에너지 사업자들이

저탄소 생산방식을 채택하도록

유도, 장기적 신재생 에너지산업을

강화하여 국가경쟁력 제고

그린채권

(Green Bonds)

사회적 가치 평가기준의 보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