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 플라톤학파의 계보

13
1 플라톤학파(Neoplatonism)의 계보 1. 플로틴 (Plotin, 205 – 270) 서문화의 요람은 고대 그리이다. 호머(Homer)와 헤지오드(Hesiod) 등의 서사 및 역사서들 이 중요한 문헌으로 려져 있으나 가장 중요한 인물은 플라톤(Platon)이다. 플라톤이 75세정도의 나이가 되을 때 리토텔레가 태났다. 그들은 서로 만나서 대화를 하든가 니면 선생 과 제자와 같은 사이는 될 가 다. 그러나 리토텔레는 플라톤이 설립한 테네 근교 의 카데미 입학할 는 있다. 리토텔레는 플라톤철학을 기반으로 하여서 자의 학 문의 체계를 확립하였다. 이 두 사람의 작품이 반세기 이후는 “플라톤학파(Neoplatonis)”이라 는 방대한 사상의 조류를 엮 나가게 되다. 플로틴(Plotin) 의하여 제창된 “플라톤학파” 는 300여년간 융성한 학풍을 이루서 중세, 근세, 현대 이르기까지 잊혀지지 니하는 매우 중요한 사상의 집대성을 말한다. 독일관념론은 칸트 – 피히테 – 링 – 헤겔 이르는 사상의 체 계를 말하는데 이것 역 플라톤학파의 재흥 지나지 는다고 하는 것이 오늘날의 대부분의 학자들의 주장이다. 칸트게서는 플라톤철학이 헤겔게서는 리토텔레의 철학이 되살나 는 것처럼 느껴진다. 플로틴게서 작된 플라톤철학의 계보를 잠 서하고자 한다. [Plotinus 235년경 30세때의 모] [로마의 황제 Gallienus 의 가족들게 강의하는 플로틴의 모] 플로틴은 평생 자 관하여 이기 한 일이 으며 생일축하도 해 본 일이 서 친구들이 나 제자들게도 출지역이나 린절 관하여 려진 바가 거의 다. 즉 자의 살온 경 위 대하여 무관 내지는 무급 했으므로 정확한 그의 생는 가 다. 다만 그의 제자 인 포르피리우(Porphyrius)가 플로틴을 만나게 된 이후부터 그 관한 이기들이 려진 것이 전부이다. 플로틴이 대략 65세까지 살는데 포르피리우가 플로틴을 게 된 것은 50세가 넘 서의 일이다. 따라서 50세 이전의 플로틴의 생 대하여서는 정확한 정보가 전해오지 니한 다. 그러나 플로틴 로 자이 떻게 하여서 공부를 하게 되으며 올바른 을 찾 많은 지역을 여행하였다고 하는 이기 서 50세 이전까지는 학 몰두하는 인생을 살으리라

Upload: 0514bach

Post on 19-Oct-2015

52 views

Category:

Documents


7 download

DESCRIPTION

고대 그리스에서 신플라톤학파의 계보는 매우 중요하다. 그것은 훗날 독일관념론의 근간을 이루게 된다.

TRANSCRIPT

  • 1

    (Neoplatonism) 1. (Plotin, 205 270) . (Homer) (Hesiod) (Platon). 75 . . . . (Neoplatonis) . (Plotin) 300 , , . . . .

    [Plotinus 235 30 ] [ Gallienus ] . . (Porphyrius) . 65 50 . 50 . 50

  • 2

    . . . 232 (27) . (Ammonius Sakka) 11 . . . 243 . . . . . . (Origenes) (Herennios). , . 254. 50 . . 20 . . 50 65 . . 6 x 9 (Enneade) . . . .

    The First Ennead [edit] 1

    I.1 [53] - "What is the Living Being and What is Man?" ? I.2 [19] - "On Virtue"

  • 3

    I.3 [20] - "On Dialectic [The Upward Way]." [ ] I.4 [46] - "On True Happiness (Well Being)" I.5 [36] - "On Whether Happiness (Well Being) Increases with Time." ? I.6 [1] - "On Beauty" I.7 [54] - "On the Primal Good and Secondary Forms of Good [Otherwise, 'On Happiness']" I.8 [51] - "On the Nature and Source of Evil" I.9 [16] - "On Dismissal"

    The Second Ennead [edit] 2

    II.1 [40] - "On Heaven" II.2 [14] - "On the Movement of Heaven" II.3 [52] - "Whether the Stars are Causes" ? II.4 [12] - "On Matter" II.5 [25] - "On Potentiality and Actuality." II.6 [17] - "On Quality or on Substance" II.7 [37] - "On Complete Transfusion" II.8 [35] - "On Sight or on how Distant Objects Appear Small." ? II.9 [33] - "Against Those That Affirm The Creator of the Kosmos and The Kosmos Itself to

    be Evil: [Generally Quoted as "Against the Gnostics"].

  • 4

    The Third Ennead [edit] 3

    III.1 [3] - "On Fate" III.2 [47] - "On Providence (1)." (1) III.3 [48] - "On Providence (2)." (2) III.4 [15] - "On our Allotted Guardian Spirit" III.5 [50] - "On Love" III.6 [26] - "On the Impassivity of the Unembodied" III.7 [45] - "On Eternity and Time" III.8 [30] - "On Nature, Contemplation and the One" , , III.9 [13] - "Detached Considerations"

    The Fourth Ennead [edit] 4

    IV.1 [21] - "On the Essence of the Soul (1)" (1) IV.2 [4] - "On the Essence of the Soul (2)" (2) IV.3 [27] - "On Problems of the Soul (1)" (1) IV.4 [28] - "On Problems of the Soul (2)" (2) IV.5 [29] - "On Problems of the Soul (3) [Also known as, "On Sight"]. (3) IV.6 [41] - "On Sense-Perception and Memory" IV.7 [2] - "On the Immortality of the Soul"

  • 5

    IV.8 [6] - "On the Soul's Descent into Body" IV.9 [8] - "Are All Souls One" ?

    The Fifth Ennead [edit] 5

    V.1 [10] - "On the Three Primary Hypostases" V.2 [11] - "On the Origin and Order of the Beings following after the First" V.3 [49] - "On the Knowing Hypostases and That Which is Beyond" V.4 [7] - "How That Which is After the First comes from the First, and on the One." V.5 [32] - "That the Intellectual Beings are not Outside the Intellect, and on the Good" V.6 [24] - "On the Fact that That Which is Beyond Being Does not Think, and on What is

    the Primary and the Secondary Thinking Principle" ? V.7 [18] - "On whether There are Ideas of Particular Beings" ? V.8 [31] - "On the Intelligible Beauty." V.9 [5] - "On Intellect, the Forms, and Being"

    The Sixth Ennead [edit] 6

    VI.1 [42] - "On the Kinds of Being (1)" (1) VI.2 [43] - "On the Kinds of Being (2)" (2) VI.3 [44] - "On the Kinds of Being (3)" (3) VI.4 [22] - "On the Presence of Being, One and the Same, Everywhere as a Whole (1)" (1)

  • 6

    VI.5 [23] - "On the Presence of Being, One and the Same, Everywhere as a Whole (2)" (2) VI.6 [34] - "On Numbers" VI.7 [38] - "How the Multiplicity of Forms Came Into Being: and on the Good" . VI.8 [39] - "On Free Will and the Will of the One" VI.9 [9] - "On the Good, or the One"

    6 x 9 () , , , , , . . . . . . . panta rhei . . . . 2. (Porphyrius, 233 305)

  • 7

    (Tyre) 233 . , , . . . . . (Marcella) . . . 60 . . . 3. (Jamblichos, 245 325) . , . . .

    10 3 .

  • 8

    . 8, 9, 10 , , . . . . . . 4. (Plutarch of Athen, 350 432) . (Proklos) . . . .

    (De Anima) . .

  • 9

    5. (Hypatia of Alexandria, 355 - 415 . (Hypatia of Alexandria). . . (Theon) , , . , . . , , .

    . . , . . .

  • 10

    . . , . . 6. (Prokos, 412 485) . , . . 19 . . . 2 (Syrianos) . 2 . . 25 50 . .

  • 11

    50 . . , , , . (Elementation theological) (Theologica Platonica) , . (Physica) (Metaphysica) . . . . . . 3 5 , . . . (Cosmos noetos) . . . . .

  • 12

    7. (Boethius, 485 526) (Boethius). . . . . 25 . . (Theoderich) (magister officiorum) . .

    . . , , . .

  • 13

    C,D,E,F,G,A,B,C . . 2 . (Consolation Philosophiae) . 4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