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연구 2020-23 - kcti.re.kr

234

Upload: others

Post on 26-Oct-2021

3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정책연구 2020-23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Future Jobs and Policy Implications for the Tourism Industry

한희정

연구책임

한희정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원

공동연구

김덕기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박가열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위원

연구개요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iii연구개요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는 현재 선도적인 경제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최근

제조업의 부진 서비스업과 중소기업의 생산성 정체 코로나19로 인한 사회

적middot경제적 위기 등에서 일자리 창출 및 고용 유지가 어려운 상황에 있음

- 일자리 창출은 지속적 성장을 도모함과 동시에 모든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의

바탕임 또한 일자리 창출은 사회안전망 강화와 선진 국가로의 도약을 위

한 중요 과제로 여겨지고 있음

한편 관광 트렌드의 변화 기술발전 미디어 플랫폼 환경 변화 온디맨드 경제

활성화 코로나19의 전 세계적 확산 등에 따라 관광산업을 둘러싼 환경 변화

가 시작되고 있음 이러한 관광산업 환경과 노동의 변화로 관광산업의 일자리

변화가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 WTO의 G20 오사카 지도자 선언에서는 관광산업의 세계 경제 성장의 중

요성을 기반으로 지속가능한 관광발전을 비롯해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

한 노력을 강조하고 있음

관광산업은 경제 활력 제고와 일자리 창출 효과가 높은 산업으로 인지되고 있

으며 관광산업 경쟁력도 미래 일자리와 필수불가결한 관계이므로 미래 일자

리 대응 전략이 필요함

- 미래 일자리는 산업 경쟁력의 기반이며 새로운 직업과 일자리는 일자리 문

제 극복을 위한 방법 중의 하나로 고려되기 때문에 새로운 직업과 일자리를

발굴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을 지속하고 있음

특히 관광산업은 인적 서비스를 바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미래 일자리는 관광

산업 내 혁신의 원동력이며 경쟁력 강화의 주요 수단이 됨 이에 관광산업 규모의

성장과 동시에 관광산업 발전 지속을 위해 미래 일자리에 대한 정책 수립이 요구됨

이에 본 연구는 관광산업 일자리를 둘러싼 환경변화를 분석하고 관광산업 미

래 일자리 유망분야를 도출하여 대응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음

iv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12 연구 범위 및 방법

가 연구 범위

본 연구는 일자리와 관련한 거시환경 변화 분석을 토대로 향후 5년간 미래

일자리 유망 분야 도출 및 정책 대응방향 제시에 목적을 두고 있음 또한 본

연구에서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는 lsquo향후 5년 내에 관광 및 연관 산업에서

생계를 꾸려 나갈 수 있는 수단으로서의 유망 직업rsquo으로 정의함

본 연구는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분석 관광산업에서의

미래 일자리 유망 분야 도출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제시를 내용적

범위로 포함함

나 연구 방법

본 연구는 관련 통계 자료 문헌 및 사례 분석 전문가 의견 조사 자문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함

2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21 관광산업 일자리 현황 및 특성

가 관광산업 일자리 현황

관광산업 인력은 공급과 수요 측면에서 볼 때 관광 및 타 분야와 관련된 정규

비정규 교육기관 및 자격제도를 통해 관광산업에 입직하고 있음

관광사업체는 2009년 이후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관

광종사원 추이도 관광사업체 종사자수 추세를 반 하듯 증가를 보이다 2018

년 하락한 것으로 나타남 관광사업체 1개소 평균 종사자는 2009년 132명에

서 2018년 80명으로 감소함

v연구개요

관광산업 업종별 고용 규모를 살펴보면 관광사업체 전체 종사자 수는 2009년

이래로 연평균 증가율이 52로 나타났으며 최근 5년간 관광사업체 종사자

수의 연평균 증가율에서 국제회의업 카지노업 관광편의시설업이 각각 -149

-48 -46로 나타남

나 관광산업 일자리 특성

1) 일반적 특성

(임시 및 일용직의 높은 비중) 관광사업체 종사자 수의 157가 임시 및 일용

근로자로 나타났으며 업종 중 유원시설업과 관광객이용시설업이 비중이 높음

(숙박업의 낮은 월평균 임금) 2020년 6월 기준 스포츠 및 오락과 숙박업의

임금 총액은 전체 산업과 문화체육관광산업의 임금 총액보다 낮게 나타남

(최근 신규 채용자 감소와 이직자 수의 중가) 관광사업체의 신규 채용자 수는

2016년 증가세를 보이다가 2018년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며 이직자 수는

2016년 이후 3만 명 이상인 것으로 나타남

(일자리 증감의 높은 비율) 숙박 및 음식점업은 신규 일자리 비율이 20이며

일자리 증감에 있어서 가장 높게 나타남

2) 관광관련 직업군 현황 및 특성

① 코로나19 후 관광 직종 종사자의 구인과 채용의 감소

관광분야와 관련해서 여행 서비스 오락시설 관련 종사자는 구인인원과 채용

인원 채용인원 계획에 있어서 2019년 상반기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② 2년 미만 경력 종사자의 미충원 발생

여행 서비스 숙박시설 서비스 오락시설 서비스 관련 미충원인원에서 대부분

2년 미만의 현장경력을 보유한 인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남 특히 여행 서비

스에서 2020년 상반기의 미충원인원은 코로나19의 여파로 크게 감소한 것으

로 나타남

vi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다 관광 일자리의 변화

관광분야 일자리는 자동화 세분화 및 특화 업무 단위의 노동계약 증가 가치

사슬의 변화 등을 통해 그 양상이 변화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 특히 기술 발전과 사회 전반에서의 기술 활용 증가에 따라 관광 업무 시

AI 빅데이터 등 기술 활용 비율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이러한 변화에 따라 관광산업에서는 데이터 분석 AI 활용 등의 기술 분야

와 판매 및 마케팅 상품 관리 브랜드 관리 등과 관련한 분야에서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반면 무인화 및 자동화로 회계 재고 관리

등의 분야는 기술로 대체될 가능성이 높아 관련 일자리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본 연구에서 실시한 향후 5년 내 관광사업체 세부업종별 일자리 전망에 대한

전문가 의견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음

- 증가가 예상되는 업종은 자동차야 장업 일반야 장업 기타유원시설업

관광순환버스업 관광펜션업 한옥체험업으로 나타났고 감소가 전망되는

업종은 여행업(일반여행업 국외여행업) 유원시설업(종합 및 일반유원시설

업) 카지노업 국제회의업 관광편의시설업(관광면세업 관광식당업 등)

관광객이용시설업(관광유람선업) 관광호텔업으로 나타남

- 증가의 원인은 코로나19로 인한 자연공간 선호 국내여행 및 지역관광 활성

화 등이며 감소의 향 요인은 코로나19로 인한 단체관광 감소 외국인 관

광객 감소 자동화 및 무인화 관광객 수요 감소 등으로 나타남

또한 관광상품과 서비스 유통이 플랫폼 기반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관광자원

도 관광의 역에서 일상의 역으로 확대되고 있음 이에 따라 관광산업 관

련 일자리도 기존 관광사업체 외에 새로운 관광 비즈니스 사업체가 출현함

vii연구개요

22 미래 일자리 환경

본 연구는 미래 일자리 환경 변화와 미래 이슈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종합

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일자리 환경 변화의 결과 요인인 경제적 요인을 제외한

사회 기술 생태 환경 및 정치(정책) 및 제도적 요인과 더불어 관광환경 요인

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음

구분 내용

사회환경 변화

- (인구구조) 세계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우리나라는 향후 50년 동안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특히 우리나라는 생산연령인구의 지속적인 감소와 고령 인구비중의 증가가 전망됨

- (여가 시간 변화) 2016년 이래로 증가하고 있으며 일을 우선시하는 사회에서 워라밸을 중

요하시는 사회로 변화하고 있음

기술환경 변화

- (해외) 최근 미래유망기술은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로봇공학 3D 프린팅 가상현실 사이버

보안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 자율주행 운송 수단으로 나타남

- (국내) 실용성에 중심을 둔 에너지 스마트 3D 지능형 자동 차세대 정보 고효율 실시

간 환경 등이 중요한 미래유망기술로 나타남

생태환경 변화

-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 코로나 바이러스의 영향으로 전세계 실업자가 증가하고 있

으며 이에 따라 관광산업을 비롯해 기업과 경제 전체에 부정적인 영향이 클 것으로 전망되

고 있음

- (기후 변화) 지구온난화로 대표되는 기후변화는 생태계의 지속 가능한 생존과 일상생활은

물론이고 우리들의 관광과 문화와 관련된 직업 활동에도 도전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음

정치middot제도

환경 변화

-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에 따른 개인 여가 시간 증가 및 장기 휴가

분위기 정착이 예상됨

- (도시재생 뉴딜 사업) 관광분야에서는 구도심이 보유한 역사 근대건축물 시장 골목 폐공

장 창고 등이 새로운 공간으로 가치를 재창출하고 있음

- (남북 관계 변화 등) 2018년 2월 북한의 평창 동계올림픽 참가를 계기로 긍정적 분위기가

조성되었으나 북한의 미사일 발사시험 대북전단 살포 문제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등

남북관계 경색이 지속되고 있음

일자리 환경

변화

- (코로나19 이전) 개인 직업관의 변화 일자리의 양극화 1인 기업의 증가 유연한 업무환경

등의 변화가 예상됨

- (코로나19 이후) 이동이 제한되면서 재택근무제 유연근무제는 확산되고 있으며 코로나19

여파로 노동시장의 위축이 장기화되고 있음

관광환경 변화

- (관광시장) 밀레니얼 Z세대 뉴시니어 등 다양한 세대가 트렌드 변화를 주도하고 방한 인바

운드 시장의 다양화와 세분화가 전망됨

- (관광산업) 플랫폼 비즈니스 AI 관광 관광공유경제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비즈니스의

성장이 전망됨

- (관광자원) 기존 관광지가 아닌 지역주민의 일상 공간으로의 관광객 수용가 증대되고 있음

- (코로나19로 인한 영향) 국내 여행 수요 및 관광안전 인식 증가 온라인 전환 가속화 및

관광인력 배치의 재정비 등의 변화가 나타남

lt표 1gt 미래 일자리 환경 변화

viii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23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가 국내 정책 동향

국내 미래 일자리 창출 정책은 ① 인구구조 변화 대응 ② 디지털 전환 대응

③ 코로나19 이후 새로운 패러다임 대응으로 구분지어 살펴볼 수 있음

구분 내용

인구구조 변화 대응

- 고령자 일자리 재취업 창업 농어촌 귀한 사회공헌 등

- 여성 일자리 출산 및 육아 일자리 양성평등 재취업 기반 확대 등

- 청년과 중장년 근로자 일자리 질 개선 생산성 향상

디지털 전환 대응

- 기존 일자리 유지 주력산업 중심 제조업 변혁(스마트화 신산업 주력산업

산업생태계 개편 정부 역할 강화(투자 혁신 지원)

- 신산업 일자리 25개 분야 100대 핵심 기술개발 투자

- 인적자원 역량 강화 교육훈련 기회 혁신선도 산업수요 대응

코로나19 이후

새로운 패러다임 대응

- 디지털 뉴딜 DNA(Data-Network-AI) 생태계 강화 교육인프라 디지털

전환 비대면 산업 육성 사회간접자본(SOC) 디지털화

- 그린 뉴딜 도시middot공간middot생활 인프라 녹색 전환 저탄소middot분산형 에니지 확산

녹색산업 혁신생태계 구축

-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middot사회안전망 확충 디지털middot그린 인재양성 등 사람투자

lt표 2gt 국내 미래 일자리 창출 정책

문화체육관광부의 관광 일자리 정책은 주로 예비 종사자와 종사원 역량 강화

에 초점을 두고 추진 중임

- 미래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관광사업 창업지원 및 벤처 육성 지원을 추진

하고 있으며 최근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관광업계 피해가 증가함에 따

라 문화체육관광부는 관광산업의 지역소비 여력 확충과 더불어 고용 유지

지원을 위해서 고용 유지 지원금 지원 요건을 완화하여 시행하고 있음

구분 내용

고용유지지원금 - 코로나19 피해기업에 대한 고용유지지원금 지원요건 완화 시행(129일~)

교육지원

- 재정비 기간 중 관광업계 종사원 교육 지원 추진

lsquo찾아가는 호텔교육(rsquo20년 신규 100개소)rsquo lsquo마이스전문가 양성 교육(300명)rsquo

lsquo유원시설 안전관리자 교육(100명)rsquo 등 조기추진(3월~)

자료 관계부처합동(20200217) 코로나19 대응 관광middot외식업 긴급 지원방안

lt표 3gt 코로나19 대응 관광산업 고용유지지원 정책

ix연구개요

나 해외 정책 동향

주요국은 관광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책으로 지역 인재 양성 관련 지원 직무

및 자격제도 현장 실습 강화 등을 추진하고 있음

미래 일자리와 관련해서는 미래 인력과 관련된 정보 제공 디지털 융합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 디지털 전환 교육 등과 관련된 정책을 추진 중임

구분 내용

일본

- 지역고용창출과 관련한 사업 추진(예 지역활성화고용창조 프로젝트)

- 지역제안형 고용창조촉진사업 가이드나 서비스 인력 등의 인력양성 및 연수 등 추진

- 중점분야고용창조사업 가이드 관광객 편의서비스 지원인력 관광안내인력 관광자원 정보수

집인력 등 지원

미국

- 미래세대 인력 및 노동시장 정보시스템 개발 관광산업 정보 수집

- 견습 프로그램 예산 증액

- 인력혁신 및 기회의 법 효과 증진

- 인력양성프로그램 평가방법 개발

- 직무능력 역량 모델 개발

캐나다

- 관광목적지 고용 프로그램

- 미래 기슬 프레임워크 도출(관광의 현재 및 미래기술 정의)

- 스마트 인증제(기준 강화를 통한 프로그램 질 개선)

- emerit 교육 프로그램 연구 설계 및 테스트

- 캐나다 여행 관광 아카데미(교육자 및 업계 파트너의 지원 및 지도)

- 레디투워크(Ready to work) 프로그램(현장 교육 강화)

- 환대 서비스 종사자 훈련 센터 운영

- 산업촉진 프로젝트 실행(디지털 융합 인력 양성 및 역량 강화 등)

호주

- 관광사업체 연계한 교육 훈련 고용 성과 등 개선 프로그램 운영

- 운영자 지원 프로그램(무료 안내서 성공사례 인적자원 관리 기타 지원 안내서) 제공

- 코로나19 이후 관광산업을 비롯한 전 산업을 대상으로 기업 및 개인근로자를 위한 지원금 제공

영국

- 견습생 제도

- 사전 인터뷰 시행 지원

- 취업 캠페인 멘토링 프로그램

- 직장 내 교육 프로그램

- 디지털 전환 정책 실시

- 새로운 자격제도 시행

lt표 4gt 관광 일자리 창출 관련 해외 정책

x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24 시사점

가 일자리의 전문화 및 세분화

우리 사회는 4차 산업혁명 저출산 및 고령화와 같은 기술 사회경제적 변화에

직면해 있으며 이에 따라 일자리 일하는 방식이 변화함

관광산업에서도 기술 기반의 사업체가 증가하고 있으며 타 분야의 융합을 통

한 일자리의 증가 관광객 수요의 다양화로 기존 관광 일자리의 전문화 및 세

분화가 나타남

나 관광산업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

4차 산업혁명으로 명명되는 시대적 전환은 기존 일자리 신산업 일자리 인적

자원 역량의 관점에서 변화를 가속화함

관광 분야에서도 AI 빅데이터 플랫폼 등의 활용이 점차 증가되고 있으며 키오

스크 등의 무인화 서비스로 인해 관련 분야의 일자리가 감소될 것으로 전망됨

디지털 전환은 국내 및 해외 일자리 정책에 있어서 중요하게 고려되며 우리나

라를 비롯한 호주 일본 국 미국 등은 기존 관광인력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

하고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고 관광과 기술이 융합된 분야의 일자리 창출을

지원하는 정책을 추진함

다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인한 관광산업 일자리 변화 발생

코로나19의 확산으로 국가 간 이동이 제한되어 관광사업체 운 과 관광산업

종사자 수에 부정적으로 향을 미침

코로나19 확산 이후 관광객이 붐비지 않는 야외 공간이 선호되고 있으며 무

인화 및 자동화 온라인 회의 진행 등 관광산업의 비대면 기술 활용이 증대됨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이 우리나라를 비롯해 추진되고 있음 우리나

라는 한국판 뉴딜 정책을 발표하고 관광산업의 고용 유지를 위해 고용유지지

원금 관광업계 종사원의 교육 지원 등 추진하고 있으며 호주는 급여 보조금

형태의 일자리 정책 추진 중임

xi연구개요

3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31 개요

선행연구 및 국내middot외 관광 트렌드 정책 자료 등을 분석하여 향후 5년간 발전

가능성이 있는 미래 일자리를 유망 분야별로 구분하고 연구진 관광 및 일자리

분야 전문가 의견 조사를 통해 유망 일자리 후보군을 도출하고 이 중 미래 유

망 관광일자리 분야를 제시함

32 관광 유망 분야와 일자리

본 연구에서 도출된 유망 일자리 분야는 다음과 같은 직무 및 역량이 필요할

것이며 디지털 융합 분야 관광 수요의 다양화에 따른 특화 및 세분화 분야

코로나 19로 인한 소규모 여행 및 여행 안전 인식 증가로 인한 분야로 구분될

수 있음

- 기술 융합으로 관광 빅데이터 분석 관광 미디어 콘텐츠 관광 플랫폼 관광

모빌리티 분야의 일자리가 유망할 것으로 전망됨

- 관광수요의 다양화로 인해 지역 전문 관광 반려동물여행 맞춤형 관광 실

버여행 등 특화 및 세분화 분야가 유망할 것으로 나타남

-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소규모 여행을 선호하고 안전에 대한 인식 제고로

인한 안전관광 분야가 유망할 것으로 나타남

유망 분야 유망 일자리 직무 및 역량

관광 빅데이터

분석

- 관광 빅데이터 분석가

처리 엔지니어

- 관광 시스템 프로그램 전문가

- 직무 관광 데이터 설계 개선 관광 관련 수집데이터

활용가능한 형태로 처리 및 분석

- 역량 관광산업 및 관광정보 이해력 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능력

관광 미디어

콘텐츠

(사진 영상)

- 관광콘텐츠크리에이터(여행

작가 여행유튜버)

- 관광 콘텐츠 기획middot제작middot유통

전문가

- 직무 관광 미디어 콘텐츠 제작 편집 관광지 홍보 등

- 역량 콘텐츠 제작 편집 기획 역량

lt표 5gt 관광 유망 분야와 일자리

xii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4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본 연구는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대응을 위해서 ① 디지털 융합 관광인력 육성

② 특화분야 관광인력 양성 기반 구축 ③ 코로나19 대응 일자리 창출 ④ 관광

미래 일자리 성장 환경 조성으로 설정하고 이를 위한 세부 정책 방향을 제시함

유망 분야 유망 일자리 직무 및 역량

관광 플랫폼

- 관광 플랫폼 디자이너

- 관광 플랫폼 코디네이터

운영자

- OTA 리스팅 전문가

- 직무 관광 플랫폼 관련 기획 개발 운영

- 역량 관광 정보 수집 및 적용 능력 매체 활용 능력

관광 플랫폼 기획력

관광 모빌리티- 관광 교통 대여업자(개인

전동 이동수단 공유차량 등)

- 직무 관광 모빌리티 수단 대여 관광지 안내 통역

서비스 제공

- 역량 언어 지역정보 제공 및 안내

지역 전문 관광

- 지역관광추진조직(DMO)

코디네이터

- 지역 관광 크리에이터

- 직무 지역과 지역민 사이 중간지원 지역 관광 콘텐츠

기획 및 제작 홍보 등

- 역량 콘텐츠 기획 역량 조정능력 리더십 친화력

반려동물동반여행 - 반려동물여행시설운영자

- 직무 반려동물여행 시설 및 서비스 제공 반려동물

여행 상품 판매 반려동물 시설 관리 등

- 역량 반려동물 및 반려동물 관련 여행에 대한 정보

이해력 대인관계능력 등

맞춤형 관광- 여행 컨셉 기획가(맞춤형

관광 컨설턴트)

- 직무 맞춤형 여행상품 상품의 기획 개발 상담업무

수행 상품화

- 역량 기획력 통찰력과 분석력 서비스 정신 친화력

소그룹 여행 - 소규모 관광 가이드

- 직무 소규모 단체 여행 상품의 기획 개발 상담업무

수행 상품화

- 역량 기획력 통찰력과 분석력 서비스 정신 친화력

여행 안전관리

- 숙박시설 방역전문가 여행지

안전관리자 익스트림 여행

안전관리자

- 직무 방역 및 소독 위험방지 사고 사례 개선 종사자

안전교육 및 훈련 등

- 역량 안전과 보안 지식 사고 처리 능력

실버여행- 실버 여행 콘텐츠 개발자

- 실버 여행 가이드

- 직무 실버여행 상품의 기획 개발 상담업무 수행

상품화

- 역량 기획력 통찰력과 분석력 서비스 정신 친화력

xiii연구개요

[그림 1]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관광산업에 있어서 디지털 역량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적 요소가 되기 때문에

정부는 디지털 분야에 대한 예비 인력 교육 기존 관광인력의 발전 가능성이

큰 디지털 융합 분야에 대한 교육 및 훈련 등을 수행할 기반을 마련해야 함

미래 관광산업 일자리를 위해서는 특화 분야의 관광인력 양성과 코로나19에

대응하는 일자리 창출을 위한 노력이 필요함

미래 관광산업 일자리가 확산되기 위해서는 미래 일자리에 대한 통계와 정보

제공 및 인력 수급 현황의 정기적 분석 등이 필요함

xv목차

목차

제1장 서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3

1 연구 배경 3

2 연구 목적 5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6

1 연구 범위 6

2 연구 방법 7

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9

제1절 관광산업 일자리 현황 및 특성 11

1 관광산업 일자리 현황 11

2 관광산업 일자리 특성 16

3 시사점 30

제2절 미래 일자리 환경 32

1 환경 분석 개요 32

2 환경 변화 33

3 시사점 52

제3절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54

1 개요 54

2 국내 정책 사례 54

3 해외 정책 사례 70

4 시사점 104

제4절 시사점 107

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1

제1절 개요 113

xvi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제2절 미래 관광 일자리 후보군 도출 114

1 환경 이슈 및 유망 분야 114

2 미래 관광 유망 일자리 후보군 117

3 미래 유망 관광 일자리 선정 결과 125

제3절 관광 유망 분야와 일자리 126

1 관광 빅데이터 분석 126

2 관광 미디어 콘텐츠 130

3 관광 플랫폼 134

4 관광 모빌리티 139

5 지역 전문 관광 141

6 반려동물동반여행 143

7 맞춤형 관광 145

8 소그룹 여행 146

9 여행 안전관리 147

10 실버 여행 149

제4절 시사점 152

제4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55

제1절 기본방향 157

제2절 정책 대응 방향 159

1 디지털 융합 관광인력 육성 159

2 특화 분야 관광인력 양성의 기반 구축 162

3 코로나19 대응 일자리 창출 167

4 관광 미래 일자리 성장환경 조성 169

제5장 결론 및 정책 제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73

참고문헌 177

ABSTRACT 187

부록 189

【부록1】 전문가 의견 조사지 191

xvii목차

표 목차

〈표 2-1〉 관광사업체 수 종사자 수 12

〈표 2-2〉 관광사업체 종사자 수(2009년-2018년) 14

〈표 2-3〉 관광사업체 1개소 평균 종사자 수(2009년-2018년) 15

〈표 2-4〉 관광사업체 고용형태별 종사자 수 16

〈표 2-5〉 최근 3년간 관광사업체 고용형태별 종사자 비율 16

〈표 2-6〉 고용형태별 종사자 수 17

〈표 2-7〉 월평균 근로실태 17

〈표 2-8〉 관광사업체 신규 채용자 수 및 이직자 추이 18

lt표 2-9gt 일자리 규모 상위 10대 산업의 일자리 증감 19

lt표 2-10gt 관광middot레저분야의 국가직무능력표준 20

〈표 2-11〉 직종별 사업체 인원 현황 21

〈표 2-12〉 기업 규모별 여행 서비스 관련 종사자 24

〈표 2-13〉 기업 규모별 숙박시설 서비스 관련 종사자 25

〈표 2-14〉 기업 규모별 오락시설 서비스 관련 종사자 26

〈표 2-15〉 직능 수준별 미충원 인원 27

lt표 2-16gt 관광 세부업종별 향후 5년 내 일자리 전망 29

〈표 2-17〉 여가활용 활동(복수응답) 35

lt표 2-18gt 사회-과학 주요 10대 이슈 39

lt표 2-19gt 주요 국가 검진건수 및 확진률 비교(0518 00시 기준) 40

lt표 2-20gt 전지구 및 한반도 연평균 CO2 농도 비교 43

lt표 2-21gt 미래 직업 변화 45

lt표 2-22gt 2020~2024 관광 트렌드 48

lt표 2-23gt 코로나19 이후의 변화 51

lt표 2-24gt 미래 일자리 환경 변화 52

lt표 2-25gt 일자리 정책 5년 로드맵 완료 현황 56

lt표 2-26gt 문재인 정부 후반기 일자리 정책 100대 과제 57

lt표 2-27gt 문재인 정부 후반기 일자리 정책 신규과제 59

xviii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lt표 2-28gt 문재인 정부 후반기 일자리 정책 보완 과제 60

lt표 2-29gt 정부의 투자전략 대상 산업 분야 65

lt표 2-30gt 한국판 뉴딜의 투자계획 및 기대 일자리 창출 효과 66

lt표 2-31gt 2018~2020년 일자리 관련 관광산업정책 68

lt표 2-32gt 코로나19 대응 관광산업 고용유지지원 정책 69

lt표 2-33gt 일자리 창출을 위한 문화체육관광부 주요사업 69

lt표 2-34gt 고이즈미 내각의 연도별 고용창출 관련 정책추진 내용 71

lt표 2-35gt 고이즈미 정권의 고용창출 정책의 특징 72

lt표 2-36gt 민주당 내각의 고용창출 관련 정책추진 내용 73

lt표 2-37gt 아베정권의 고용정책 및 성장전략의 변화 추이 74

lt표 2-38gt 아베정권의 지방창생전략 상의 고용창출 관련 내용 75

lt표 2-39gt 후생노동성 추진 고용창출사업 내의 관광분야 포함 건 수 76

lt표 2-40gt 2005년 지역제안형고용창조촉진사업에 선정된 관광분야 고용창출사업 주요 내용 77

lt표 2-41gt 2010년 중점분야고용창조사업(관광분야) 주요 내용 78

lt표 2-42gt 미국 노동부 고용 훈련 주요 프로그램 및 예산 81

lt표 2-43gt 미국 여행 및 관광 자문위원회의 주요 고용창출 정책 제안 83

lt표 2-44gt 미국 내 주요 온라인 기업 일자리 창출사례 84

lt표 2-45gt 캐나다 인력관광공사의 주요 프로그램 88

lt표 2-46gt 미래기술센터의 주요 프로젝트 90

lt표 2-47gt 호주 G20 고용 계획의 세부내용 91

lt표 2-48gt 비즈니스 기업 및 개인 근로자 지원방안 95

lt표 2-49gt 뉴딜(New Deal) 프로그램 98

lt표 2-50gt 영국 정부의 일자리 창출 법 및 제도 개선 관련 주요 정책 100

lt표 2-51gt 영국 정부의 미래 일자리 주요 정책 103

lt표 2-52gt 국내 미래 일자리 창출 정책 105

lt표 2-53gt 관광 일자리 창출 관련 해외 정책 106

lt표 3-1gt 전문가 의견 조사 개요 113

lt표 3-2gt 미래 환경 변화 주요 키워드 114

lt표 3-3gt 관광산업 주요 유망 일자리 유망 분야 116

lt표 3-4gt 관광산업 주요 유망 일자리 후보군 117

lt표 3-5gt 관광산업 주요 유망 일자리 후보군 성장가능성 조사 결과 120

lt표 3-6gt 성장가능성 기준 상위 25개 관광산업 주요 유망 일자리 122

lt표 3-7gt 미래 관광 유망 일자리 124

xix목차

lt표 3-8gt 미래 관광 분야의 유망 일자리와 주요 연관 환경 변화 125

lt표 3-9gt 빅데이터 분류 127

lt표 3-10gt 관광 빅데이터 활용 사례 128

lt표 3-11gt 관광 빅데이터 분석 분야 129

lt표 3-12gt 관광 미디어 콘텐츠 크리에이터 분야 133

lt표 3-13gt 상업적 디지털 플랫폼의 거래 대상과 유형 135

lt표 3-14gt 디지털 플랫폼 노동의 유형 137

lt표 3-15gt 관광 플랫폼 분야 138

lt표 3-16gt 관광 모빌리티 분야 140

lt표 3-17gt 지역 전문 관광 분야 142

lt표 3-18gt 반려동물여행 관련 분야 144

lt표 3-19gt 맞춤형 관광 관련 분야 146

lt표 3-20gt 소그룹 여행 관련 분야 147

lt표 3-21gt 여행 안전관리 일자리 분야 149

lt표 3-22gt 실버여행 관련 분야 151

xx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그림 목차

[그림 1-1] 연구 수행체계 8

[그림 2-1] 관광산업 인력의 공급 및 수요 11

[그림 2-2] 관광사업체 및 종사자 수 추이(2009년-2018년) 13

[그림 2-3] 관광사업체 1개소 평균 종사자 수 추이(2009년-2018년) 13

[그림 2-4] 최근 5년간 관광사업체 종사자 수 연평균 증가율 14

[그림 2-5] 최근 5년간 관광사업체 종사자 수 연평균 증가율 15

[그림 2-6] 일자리 형태별 분포 19

[그림 2-7] 여행 서비스 숙박시설 서비스 종사자의 구인 채용 미충원 인원 및

미충원율 추이 22

[그림 2-8] 오락시설 서비스 종사자의 구인 채용 미충원 인원 및 미충원율 추이 23

[그림 2-9] 채용인원 계획추이 23

[그림 2-10] 관광 분야 업무에서의 기술 활용 전망 28

[그림 2-11] 세계와 한국의 인구 추이 34

[그림 2-12] 세계와 한국의 생산연령인구(좌) 및 고령인구(우) 구성비 추이 34

[그림 2-13] 국민 여가시간 추이(좌)와 일과 가정생활의 우선도(우) 35

[그림 2-14] 해외 주요 연구기관이 발표한 지난 10년간 미래기술 동향 37

[그림 2-15] 국내 주요 연구기관이 발표한 2010년 전(좌)후(우) 미래유망기술 변화 38

[그림 2-16] 해외 주요 연구기관이 발표한 2010년 전(좌)후(우) 미래유망기술 변화 38

[그림 2-17] 광역시도 별 COVID-19 확진자 분포 41

[그림 2-18] 직업별 코로나 바이러스 위험 점수 41

[그림 2-19] 1854년~2019년 전지구 기온편차 및 2025년까지 전망치 42

[그림 2-20] 유연근무제 지원신청 추이 46

[그림 2-21] 항공 여행 관광산업에서의 주요 기술 활용률 49

[그림 2-22] 관광 환대 및 이벤트 산업 역량 모델 86

[그림 2-23] 식음료 서비스 산업 역량 모델 86

[그림 2-24] 2024년까지 산업별 고용률 변화 예측 92

[그림 2-25] 향후 5년간 주요 산업별 일자리 창출 비율 93

xxi목차

[그림 2-26] 미래 일자리 환경 및 정책사례 시사점 109

[그림 3-1] 2022년 유망 기술 비율 전망 126

[그림 3-2] 데이터 산업 시장 규모 127

[그림 3-3] 2022년 유망 기술 비율 전망 130

[그림 3-4] 유튜브 여행 관련 시청자 수(2018년) 131

[그림 3-5] 1인 미디어 동영상 생태계를 중심으로 하는 MCN 비즈니스 생태계 132

[그림 3-6] 플랫폼 관련 글로벌 기업 134

[그림 3-7] 아시아 온라인 예약 채널 136

[그림 3-8] 플랫폼의 3가지 행위자 137

[그림 3-9] 스마트 모빌리티의 개념도 139

[그림 3-10] 2013-2017년 국민여행경험률 및 이동총량 141

[그림 3-11] 반려동물 보유 가구 비중 및 반려동물 시장 규모 143

[그림 3-12] 안전 여행 가이드 중 사업주 가이드 148

[그림 3-13] 65세 이상 고령자의 여가활동(2017년) 150

[그림 3-14] 미래 관광 유망 분야 152

[그림 4-1]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158

서론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제1장

3제1장 서론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연구 배경

우리나라는 과거 산업화시대를 추격하는 경제를 넘어 선도적인 경제 기반을 구축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1997년 말 IMF 외환위기와 2007년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경제성장률 둔화와 자동화 등으로 고용률은 하락 추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에는 제조업의 부진 및 서비스업과 중소기업의 생산성 정체와 더불어 코로나

19(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COVID-19)로 인한 사회적middot경제적 위기 등으로 전

산업에서 일자리 창출은 물론 고용 유지도 어려운 상황에 놓여있다

일자리 창출은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함과 동시에 모든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의 바

탕이다 또한 일자리 창출은 사회안전망 강화와 선진 국가로의 도약을 위한 중요한

과제로 여겨지고 있다 특히 문재인 정부의 일자리 정책은 기본적으로 사람 중심의

혁신과 포용에 바탕을 두는 성장을 지향하여 인적자원개발과 지속가능발전 기반을

연계하는 일자리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인적자원개발은 그 정책의 효과가 나타나

기까지 일정시간이 소요되는 장기적 관점의 접근이 요구된다

한편 기술의 발전과 환경 변화는 관광산업을 비롯한 전 산업에서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다 관광 트렌드의 변화 기술발전 미디어 플랫폼 환경 변화 온디맨드 경제

활성화 코로나19 전 세계적 확산 등에 따라 관광산업을 둘러싼 환경 변화가 시작

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특히 일자리의 변화를 야기하고 있다 세계경제포럼은 「일자리의

미래(The Future of Job)」에서 기술 진보로 인해 2020년까지 719만개의 일자리

가 소멸하고 신규 일자리가 200만개 발생할 것이라 예측하고 있다(WEF 2018)

이처럼 관광산업 환경과 노동의 변화로 관광산업의 일자리도 변화가 가속화될 것으

로 예상되고 있다

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이에 따라 WTO의 G20 오사카 지도자 선언은 관광산업의 세계 경제 성장의 중

요성을 기반으로 지속가능한 관광발전을 비롯해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노력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UNWTO 2019) 문재인 정부에서도 고용 없는 저성장

높은 청년실업률 노동시장 격차 확대 등에서의 일자리 문제 심각성을 인지하고 일

자리 정책을 국정 우수과제로 추진하고 있다

관광산업은 경제 활력 제고와 일자리 창출 효과가 높은 산업으로 인지되고 있으

며 2019년 확대국가관광전략회의 「대한민국 관광 혁신전략」에서는 2022년 관광

산업 일자리 96만 명 창출 달성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한편 최근 2020년 6월 고용노동부에서는 신기술 분야 직무 수행을 위해 새롭게

개발된 20개의 국가직무능력표준을 고시하 다 새롭게 개발 및 고시된 국가직무능

력표준에는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융합기술의 확산 비대면 산업의 활성화 등에 대

응하는 스마트시티 스마트제조 바이오 그린에너지 지능형 네트워크 구축 데이

터산업 인공지능 정보보호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 분야의 클라우드 플랫폼 구축

수소연료전지제조 스마트공장 시스템설치 등의 직무가 포함되었다

미래 일자리는 산업 경쟁력의 기반이며 새로운 직업과 일자리는 일자리 문제 극

복을 위한 해결책이다 이를 위해 정부에서는 새로운 직업과 일자리를 발굴하고 있

다 「서비스산업 혁신 전략(20190626)」은 신규직종 육성(장애인middot반려동물 동반

여행코디네이터 전통시장 해설가 관광 스토리텔러 등) 등을 제시하고 있다

관광산업 경쟁력도 미래 일자리와 필수불가결한 관계이므로 미래 일자리 대응 전

략이 필요하다 특히 관광산업은 인적 서비스를 바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미래

일자리는 관광산업 내 혁신의 원동력이며 경쟁력 강화의 주요 수단이 된다 그리고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는 관광 노동시장 진입 인력들의 새로운 역량뿐만 아니라

현재 관광종사원들의 역량 변화 및 강화의 필요성을 제시하기 때문에 관광산업의

원동력 및 경쟁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관광산업 규모의 성장과 동시에

관광산업 발전 지속을 위한 미래 일자리에 대한 정책 수립이 요구된다

5제1장 서론

2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산업 일자리를 둘러싼 환경변화를 분석하고 관광산업 미

래 일자리 유망 분야를 도출하여 대응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연구

목적을 다음과 같이 수립하 다

첫째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유망 분야와 대응 방향 도출을 위해서 사회middot기술middot환

경middot정치적 환경 및 일자리 관광 소비자와 관광산업 환경 변화를 검토하고 국내외

일자리와 미래 일자리를 위한 정책 대응 사례를 검토하고자 한다

둘째 환경변화 분석을 기반으로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유망 분야를 도출하고자

한다

셋째 이러한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유망 분야를 바탕으로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

리와 관련한 정책적 대응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산업 일자리를 둘러싼 환경변화를 분석하고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유망분야를

도출하여 미래 일자리를 위한 대응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음

① 사회middot기술middot생태middot일자리middot관광 환경변화와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검토

②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유망 분야 도출

③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를 위한 정책적 대응 방향 제시

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1 연구 범위

가 시간적 범위

본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 다 일반적으로 미래 일자리는 5

년(예 WEF 2018) 10년(예 미래창조과학부 미래준비위원회 외 2017)의 시간적

주기를 전제로 분석된다 환경의 변화가 가속화 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일자

리와 관련한 거시환경 변화 분석을 토대로 향후 5년간 미래 일자리 전망을 도출하

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 대상적 범위

본 연구에서 대상적 범위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 다 관광산업에서의 미래 일자

리 유형은 전통적 관광사업의 역뿐만 아니라 타 분야와의 융합 새로운 역(플랫

폼 등)에서의 시간제 근로 파견 근로 프리랜서 등의 형태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

기 때문에 통계청에서 제시한 정의의 범위보다 광범위한 정의가 필요하다

일자리(Filled Job Position)의 사전적 정의는 ldquo생계를 꾸려 나갈 수 있는 수단으로

서의 직업(표준국어대사전)rdquo이며 통계청에서는 ldquo기업체(사업체)에서 임금middot비임금근로

활동을 하는 근로자가 lsquo점유한 고용위치(filled employment position)rsquordquo로 정의된다

즉 일자리는 특정 개인의 자격 능력 적성과 어떤 과업(task)의 수행에 대한 요구가

결합한 결과로 개인이 자신의 능력과 노력을 기울여 보상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의미

한다 그리고 일자리에 비해 직업(occupation)은 사회적 분화의 결과 유사한 일자리들

을 묶어 분류한 결과로 본다 일자리의 자격과 수행하는 업무의 특성에 따른 사회적 평

가와 유사한 일자리를 가진 사람들의 동류의식이 직업을 사회적 집단으로 만들게 된다

7제1장 서론

이에 본 연구에서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는 lsquo향후 5년 내에 관광 및 연관 산업에

서 생계를 꾸려 나갈 수 있는 수단으로서의 유망 분야의 일자리rsquo로 정의하고자 한다

다 내용적 범위

본 연구에서 내용적 범위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는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해서 본 연구는 기존 자료를 토대로 관광산업 일자리 현황을 분석하고 사회middot기

술middot정치 환경 관광트렌드 및 일자리 환경 변화요인을 도출하여 관광산업 일자리

환경 변화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 다 또한 본 연구는 미래 일자리 환경과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를 종합 분석하여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유망 분야를 도출하 다

두 번째로 본 연구는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유망 분야의 도출을 포함한다 본 연

구는 기존 자료를 통해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변화와 미래 일자리 유망분야를 전문

가 의견조사로 우선순위를 분석하고 미래 일자리 유망 분야 후보군을 도출하 다

도출된 후보군을 토대로 미래 유망 일자리와 미래 성장 가능성을 도출하고 미래

일자리 유망 분야를 선정하 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제시를 내용적 범위로 포

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선정된 미래 유망 일자리 분야를 바탕으로 정책 방향

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2 연구 방법

본 연구의 수행과정은 [그림 1-1]과 같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아래

와 같이 수행되었다

가 관련 통계 자료 및 문헌 분석

본 연구는 국내외 관광산업 일자리 및 타 분야 일자리 보고서 일자리 통계 등을

파악하고 진단한다

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나 사례 분석

본 연구는 국내외 일자리 관련 정책 대응 사례와 관광분야 신규 창출 일자리 관련

국내외 사례를 분석한다

다 전문가 의견 조사

본 연구는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변화 유망분야 도출 미래 유망 일자리 성장

가능성을 조사한다

라 인터뷰 및 자문

본 연구는 일자리 연구자 관광산업 전문가 등 관련 전문가 대상 인터뷰 및 자문

을 통해 미래 유망 일자리 도출과 대응 방향을 설정하고자 한다

단계 주요 내용 연구 방법

[1단계]

연구 틀

구성

제Ⅰ장 서 론

연구 배경 및 목적 연구 범위 및 방법-

[2단계]

조사

분석

제Ⅱ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관광산업 일자리 현황 및 특성

미래 일자리 환경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문헌연구

전문가 자문회의

사례조사

전문가 의견조사

[3단계]

미래

일자리

전망

제Ⅲ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유망 분야 도출 및 전망

미래 관광 일자리 후보군 도출

관광 유망 분야와 일자리

전문가의견조사

(12단계)

전문가 자문회의

[4단계]

정책 방향

도출

제Ⅳ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정책 대응 방향전문가 자문 등

제Ⅴ장 결론 및 정책 제언

[그림 1-1] 연구 수행체계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제2장

11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제1절 관광산업 일자리 현황 및 특성

1 관광산업 일자리 현황

「관광진흥법」에서 관광종사자는 제2장 제7절 관광종사원에서 규정하고 있다 구체

적으로 제38조(관광종사원의 자격 등) 제 39조(교육) 제40조(자격취소 등)는 관광종

사원의 자격 교육 지원에 대한 근거 자격의 정지 및 취소 등에 대해 규정하고 있다

이 진흥법에 규정된 관광사업체를 기준으로 관광산업 인력은 아래 그림과 같이

관광 및 타 분야와 관련된 정규비정규 교육기관 및 자격제도를 통해 관광산업에

입직하고 있다

[그림 2-1] 관광산업 인력의 공급 및 수요

자료 김덕기middot한희정(2018)

1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관광인력의 수요자는 관광사업체이며 관광인력의 공급은 크게 관광분야와 타 분

야의 입직자로 구분된다 관광분야 입직자는 관광관련 특성화 고등학교 관광관련

전문 대학교 및 대학교 등 정규교육기관 공공교육기관(한국관광공사 협회 등)과

사설교육기관(직업전문학교 등)의 비정규 교육기관에서 교육을 받은 자이다 그리

고 타 분야는 관광에서 필요한 어문 상경 등의 전공자가 일반적이다 이와 더불어

관광통역안내사 국내여행안내서 호텔경 사 컨벤션 기획사 국외여행인솔자 등

의 국가공인 및 민간 자격을 획득한 사람이 관광분야에 입직하고 있다

11 고용 규모

먼저 본 연구는 관광산업의 일자리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2018년 기준 관광사

업체 수는 33452개로 나타났으며 관광사업체 종사자 수는 총 267만명이며 여행

업(99만명)과 관광숙박업(69만명)이 전체의 632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또한 관광사업체 1개소 당 평균 종사자 수는 2018년 기준 8명으로 나타났다

(단위 개소 명)

구분관광사업체 수 종사자 수 1개소당 평균종사자 수

2016 2017 2018 2016 2017 2018 2016 2017 2018

전체 27696 33089 33452 261978 280270 267561 95 85 80

여행업 16605 19944 19039 98421 107209 99077 59 54 52

관광숙박업 1716 1843 2110 73631 71769 69926 429 389 331

관광객이용시설업 3168 3963 4323 17421 25535 23154 55 64 54

국제회의업 700 890 886 12596 12166 9100 180 137 103

카지노업 17 17 17 9115 7033 7330 5362 4137 4312

유원시설업 1782 2548 3000 23683 27561 26189 133 108 87

관광편의시설업 3708 3884 4077 27110 28998 32785 73 75 80

자료 문화체육관광부 각 년도 관광사업체기초통계조사

〈표 2-1〉 관광사업체 수 종사자 수

13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가 전체 고용 규모 추이

구체적으로 2000년 이후 관광사업체 종사자 수 추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관광사업체는 2009년 이후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관광종

사원 추이도 관광사업체 종사자수 추세를 반 하듯 증가를 보이다 2018년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2-2] 관광사업체 및 종사자 수 추이(2009년-2018년)

자료 문화체육관광부 각 년도 관광사업체기초통계조사

이러한 관광사업체의 종사자 수 감소는 관광사업체 1개소 평균 종사자 수의 하락

에서 그 원인을 찾아볼 수 있다 관광사업체 1개소 평균 종사자는 2009년 132명

에서 2018년 80명으로 감소하 다

[그림 2-3] 관광사업체 1개소 평균 종사자 수 추이(2009년-2018년)

자료 문화체육관광부 각 년도 관광사업체기초통계조사

1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나 업종별 고용 규모 추이

관광산업 업종별 고용 규모를 살펴보면 관광사업체 전체 종사자 수는 2009년 이래

로 연평균 증가율이 52로 나타났다 여행업은 2009년 약 47만명에서 2018년 99

만명으로 연평균 86의 증가를 보 으며 관광숙박업은 2009년 약 57만명에서

2018년 70만명으로 연평균 24 증가세를 보 다 관광사업체 종사자 수의 연평균

증가율이 가장 큰 업종은 관광객이용시설업과 유원시설업으로 각각 117 102 증

가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관광사업체 종사자 수의 연평균 증가율에서

국제회의업 카지노업 관광편의시설업이 각각 ndash149 -48 -46로 나타났다

(단위 만 명)

구분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연평균증가율

(09-18년)

연평균증가율

(14-18년)

전체 169 186 205 230 227 230 236 262 283 268 52 38

여행업 47 50 59 70 71 69 85 98 107 99 86 93

관광숙박업 57 60 63 71 64 67 70 74 72 70 24 09관광객

이용시설업09 10 10 12 14 11 11 17 26 23 117 214

국제회의업 09 11 13 14 14 17 15 13 14 09 05 -149

카지노업 06 07 07 07 08 09 09 09 07 07 19 -48

유원시설업 11 12 13 14 14 17 17 24 28 26 102 114관광편의

시설업31 37 37 42 42 40 28 27 29 33 06 -46

자료 문화체육관광부 각 년도 관광사업체기초통계조사

〈표 2-2〉 관광사업체 종사자 수(2009년-2018년)

[그림 2-4] 최근 5년간 관광사업체 종사자 수 연평균 증가율

자료 문화체육관광부 각 년도 관광사업체기초통계조사

15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관광사업체 1개소 평균 종사자 수는 2009년 이래로 연평균 증가율이 ndash54로 나

타났으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ndash79로 나타났다 여행업은 2009년 1개소

평균 55명에서 2018년 52명으로 연평균증가율이 ndash06로 나타났으며 관광숙박

업은 2009년 약 670명에서 2018년 331만명으로 연평균 75의 하락세를 보

다 최근 5년간 관광사업체 종사자 수의 연평균 증가율이 가장 작은 업종은 관광객

이용시설업 유원시설업 국제회의업 각각 ndash358 -258 -204로 나타났다

(단위 만 명)

구분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연평균증가율(09-18년)

연평균증가율(14-18년)

전체 132 131 127 121 123 111 99 95 85 80 -54 -79

여행업 55 54 55 56 60 54 58 59 54 52 -06 -09

관광숙박업 670 674 682 660 595 528 468 429 389 331 -75 -110

관광객

이용시설업368 326 323 337 351 318 91 55 64 54 -192 -358

국제회의업 284 304 318 280 277 256 244 180 137 103 -107 -204

카지노업 3631 4264 4327 4366 5283 5254 5540 5362 4137 4312 19 -48

유원시설업 395 381 367 370 403 287 162 133 108 87 -155 -258

관광편의

시설업123 117 116 100 96 79 57 73 75 80 -47 03

자료 문화체육관광부 각 년도 관광사업체기초통계조사

〈표 2-3〉 관광사업체 1개소 평균 종사자 수(2009년-2018년)

[그림 2-5] 최근 5년간 관광사업체 종사자 수 연평균 증가율

자료 문화체육관광부 각 년도 관광사업체기초통계조사

1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2 관광산업 일자리 특성

21 고용 형태 및 근로실태

가 임시 및 일용직의 높은 비중

관광사업체의 종사자 고용형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2018년 기준 전체 종사

자 수의 157인 42만명이 임시 및 일용근로자로 나타났으며 유원시설업(473)

과 관광객이용시설업(281)에서 그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 명 )

구 분 전체 자영업자무급가족종사자

상용근로자

임시 및 일용근로자

기타종사자

전체267561 14939 5076 200606 41992 4947

(1000) (56) (19) (750) (157) (18)

여행업 99077 4729 953 84272 7178 1945

관광숙박업 69926 1140 396 58407 9658 325

관광객이용시설업 23154 3461 1571 11430 6507 186

국제회의업 9100 60 0 7037 1352 650

카지노업 7330 0 0 6963 367 0

유원시설업 26189 2180 546 10915 12397 151

관광편의시설업 32785 3370 1610 21583 4533 1689

자료 문화체육관광부(2019a) 2018년 기준 관광사업체기초통계조사

〈표 2-4〉 관광사업체 고용형태별 종사자 수

(단위 )

구분자영업자 상용근로자 임시 및 일용근로자

2016 2017 2018 2016 2017 2018 2016 2017 2018

전체 48 49 56 742 717 750 168 190 157

여행업 45 41 48 850 838 851 62 79 72

관광숙박업 12 14 16 779 778 835 183 183 138

관광객이용시설업 148 118 149 456 438 494 300 364 281

국제회의업 02 06 07 796 858 773 198 131 149

카지노업 00 00 00 955 942 950 45 58 50

유원시설업 52 73 83 450 395 417 472 503 473

관광편의시설업 121 115 103 594 560 658 182 224 138

자료 문화체육관광부 각 년도 관광사업체기초통계조사

〈표 2-5〉 최근 3년간 관광사업체 고용형태별 종사자 비율

17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2020년 7월 기준 스포츠 및 오락과 숙박업은 전체 종사자 중 임시 및 일용근로자

수의 비중이 각각 174 128로 전체 산업의 비중인 99보다 높게 나타났다

(단위 천명 )

구분전체 종사자 상용 임시 및 일용 기타

lsquo167월 lsquo187월 lsquo207월 lsquo167월 lsquo187월 lsquo207월 lsquo167월 lsquo187월 lsquo207월 lsquo167월 lsquo187월 lsquo207월

전체 산업166472 177948 184456 139370 148794 155007 17516 18258 18219 9586 10896 11230

1000 1000 1000 837 836 840 105 103 99 58 61 61

문화체육

관광산업

7955 8740 8795 6454 7007 75 1112 1159 815 389 574 63

1000 1000 1000 811 802 09 140 133 93 02 66 72

수상운송업183 193 183 172 188 174 08 04 07 03 02 02

1000 1000 1000 940 974 951 44 21 38 16 10 11

항공운송업302 338 230 296 335 228 05 03 02 00 00 00

1000 1000 1000 980 991 991 17 09 09 00 00 00

숙박업924 953 869 788 761 734 129 179 111 07 14 25

1000 1000 1000 853 799 845 140 188 128 08 15 29

스포츠 및 오락1855 2035 2059 1036 1143 1297 577 542 359 242 35 402

1000 1000 1000 558 562 630 311 266 174 130 172 195

자료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각년도 7월 기준 문화체육관광 고용동향

〈표 2-6〉 고용형태별 종사자 수

나 숙박업의 낮은 월평균 임금

2020년 6월 기준 스포츠 및 오락과 숙박업은 임금 총액이 각각 2716천원

2331천원으로 전체 산업(3351천원)과 문화체육관광산업(3645천원)의 임금 총액

보다 낮게 나타났다

(단위 일 시간 천원 )

구분근로일수 근로시간 임금총액

lsquo166월 lsquo186월 lsquo206월 lsquo166월 lsquo186월 lsquo206월 lsquo166월 lsquo186월 lsquo206월

전체 산업 207 191 206 1743 1593 1674 3296 3518 3351

문화체육관광 산업 205 188 196 1677 1541 1594 3609 3841 3645

수상운송업 214 196 215 1746 1621 1794 4013 4064 4423

항공운송업 198 179 105 1652 1493 861 6062 6314 3800

숙박업 208 199 185 1755 1645 1513 2412 2670 2331

스포츠 및 오락 199 188 207 1637 1547 1592 2540 2871 2716

자료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각년도 7월 기준 문화체육관광 고용동향

〈표 2-7〉 월평균 근로실태

1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2020년 6월 기준 전체 산업과 문화체육관광 산업의 근로일수는 2018년 동기 대

비 증가하 으나 항공운송업과 숙박업은 각각 105일 185일로 2016년의 179

일 199일에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코로나19로 인한 국가 간 이동 제한

으로 항공운송업은 2020년 6월 근무시간이 861시간으로 2016년 2018년 동기

대비 최저로 나타났다

22 신규 채용자 및 이직자 수 추이

관광사업체의 신규 채용자 수는 2016년 증가세를 보이다가 2018년 하락하는 추

세를 보이며 이직자 수는 2016년 이후 3만 명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 명)

구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연평균증가율

신규

채용자

전체 41088 49125 43738 38662 35640 40033 41571 39447 -06

여행업 8694 11031 11274 8337 10442 13314 15492 12434 52

관광숙박업 16443 18421 11748 12612 11934 13293 15235 14419 -19

관광객이용

시설업1486 2101 2823 1996 1669 1188 2038 1988 42

국제회의업 2181 3178 3336 3320 2380 2307 2336 1260 -75

카지노업 911 1077 1105 930 1144 753 775 853 -09

유원시설업 1217 1809 2315 2265 2514 2532 2318 2158 85

관광편의

시설업10156 11508 11137 9202 5557 6646 3377 6337 -65

이직자

전체 33898 37747 30168 32080 29879 34752 33302 34567 03

여행업 6792 8128 6520 6392 7772 10581 12721 10569 65

관광숙박업 12762 15249 9467 11276 11856 12269 12598 12893 01

관광객이용

시설업1535 1549 1471 1431 1304 1030 1188 1658 11

국제회의업 1703 2612 2713 2402 1990 1726 1653 1314 -36

카지노업 881 710 859 957 1210 990 884 897 03

유원시설업 1139 1657 1677 1637 1887 2281 1698 1536 44

관광편의

시설업9086 7842 7461 7985 3860 5874 2561 5702 -64

자료 문화체육관광부 각 년도 관광사업체기초통계조사

〈표 2-8〉 관광사업체 신규 채용자 수 및 이직자 추이

19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23 일자리 증감

일자리 행정통계에서 숙박 및 음식점업은 신규 일자리 비율이 20이며 일자리

증감에 있어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4만개 이상 증가) 기업생성과 소멸에서는 도

매 및 소매업 부동산업 다음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2-6] 일자리 형태별 분포

자료 통계청(20191205) 2018년 일자리행정통계 결과 p9

(단위 만개)

산업

신규일자리 소멸일자리일자리 증감(신규-소멸)계

기업생성

사업확장

계기업소멸

사업축소

전체 297 95 201 271 78 193 26

제조업 43 10 33 49 9 40 -6

도매 및 소매업 49 17 32 41 16 26 7

건설업 34 7 27 37 5 32 -3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21 5 16 17 3 13 4

사업시설관리 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 23 7 16 26 7 19 -3

숙박 및 음식점업 31 11 20 27 10 17 4

교육 서비스업 7 2 4 7 2 5 -1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복지행정 2 0 2 1 0 1 1

운수 및 창고업 12 4 7 12 6 6 -1

부동산업 25 16 9 18 11 7 7

자료 통계청(20191205) 2018년 일자리행정통계 결과 p10

lt표 2-9gt 일자리 규모 상위 10대 산업의 일자리 증감

일자리 창출과 소멸은 대부분 사업체의 생성과 소멸 기존 사업체의 확장과 축소

와 연관이 있다(윤윤규middot고 우 2009) 일반적으로 사업체 및 일자리를 둘러싼 환

2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경변화는 자원의 재배분 과정에서 새로운 사업의 출현과 소멸을 야기하고 그 과정

에서 일자리의 재배분이 이루어진다(홍현균 2004) 따라서 일자리의 창출과 소멸

에 있어서 환경변화에 대한 파악이 필요하다

24 관광관련 직업군 현황

우리나라는 산업현장의 직무 수행 시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 등의 내용을 체계

화하고 있으며 이를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이라 한다 국가직무능력표준에서 관광middot레저분야는 여행 서비스 숙박서비스 컨벤

션 관광레저서비스로 분류되며 관련 업종과 직업 관련자격은 아래 표와 같다

소분류 직무 관련업종 직업 관련자격

여행서비스

여행상품개발

여행사업 기타여행보조 및 예약서비스업

여행사무원관광통역안내사 국내여행안내사

여행상품상담

국내여행안내 여행 및 관광통역안내원해외여행안내

항공객실서비스 항공 운송지원 서비스업 항공기 객실승무원 -

숙박서비스

숙박기획middot개발관광호텔업

숙박시설서비스원

호텔경영사 호텔관리사 호텔서비스사

객실관리

부대시설관리기타호텔업

연회관리

접객서비스 휴양콘도미니엄업

컨벤션

회의기획국제회의기획업(PCO) 컨벤션센터 PCO사업

여행사 PCO사업

국제회의기획자(PCO) 컨벤션기획사 12급

브래드관리사경영지도사

CMP(해외자격증)전시기획

전시기획업(PEO) 컨벤션센터 PEO사업

전시장치업전시기획자(PEO)

이벤트기획 이벤트기획업 이벤트기획자

관광레저서비스

카지노기획개발 카지노업개발 카지노기획가 -

카지노운영관리 카지노업 카지노딜러 -

크루즈운영관리 크루즈 운영관리업 크루즈운영관리자

호텔경영사호텔서비스사호텔관리사

관광통역안내사국외여행인솔자

유원시설운영관리 유원시설업

운영관리자

(민간)조리사 조주기능사 (국가)건축사 토목사

조경사 설비사 안전관리사 위생사 환경관리사 영양사

리조트운영관리 -

자료 국가직무능력표준 홈페이지(httpsncsgokr)

lt표 2-10gt 관광middot레저분야의 국가직무능력표준

21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이러한 직업군에 따른 변화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본 연구는 고용노동부의 직종별

사업체노동력조사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1) 2020년 1분기 5인 이상 사업체의

구인인원과 채용인원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이 각각 ndash39 -18으로 나타났다

(단위 명 p)

구분 lsquo1712 lsquo1722 lsquo1812 lsquo1822 lsquo1912 lsquo1922 lsquo2012 전년 동기대비 증감률

현원 11597743 11706956 11801155 11909596 11931506 12018829 12302576 31

구인인원 850311 720850 833758 747623 824853 672671 793093 -39

채용인원 756667 636172 744028 664179 748389 598269 733997 -19미충원인원 93644 84678 89730 83444 76464 74402 59096 -227

부족인원 286036 279539 295851 268757 235190 241402 223126 -51

채용계획인원 307577 303380 313920 294383 251012 255867 238199 -51부족률 24 23 24 22 19 20 18 -

여행

서비스

관련

종사자

현원 26420 26259 24313 24883 24878 25960 13784 -446

구인인원 1616 1288 1602 1007 1449 1069 729 -497채용인원 1548 1233 1438 825 1183 1051 729 -384

미충원인원 68 55 164 182 266 18 0 -1000

부족인원 482 904 622 517 426 147 23 -946채용계획인원 497 919 836 528 426 194 23 -946

부족률 18 33 25 20 17 06 02 -

숙박

시설

서비스

관련

종사자

현원 10023 9825 10144 8540 8707 11387 11371 -55구인인원 1387 1308 1188 1359 895 1370 921 -501

채용인원 1024 1148 1000 1148 769 1071 895 -501

미충원인원 363 160 188 211 126 299 26 -부족인원 618 345 700 1047 597 1181 132 -1000

채용계획인원 669 342 852 1230 552 1257 160 -1000

부족률 58 34 65 109 64 94 11 -

오락

시설

서비스

관련

종사자

현원 7579 8903 7123 8211 6923 6887 7915 306

구인인원 1755 2329 2288 3334 2020 2672 724 29

채용인원 1747 2290 2265 3248 2014 2641 705 164미충원인원 8 39 23 86 6 31 19 -794

부족인원 330 504 481 1714 708 1544 252 -779

채용계획인원 768 595 488 1811 671 1756 1407 -710부족률 42 54 63 173 93 183 31 -

주 1) 5인 이상 사업체를 대상으로 함

2) 구인인원 대외적인 구인활동을 통하여 구인한 인원으로 채용인원을 위해 최초 모집공고 당시에 채용하려고 했던 인원

3) 채용인원 조사기준일 이전 3개월 사이에 최종적으로 채용하기로 확정했거나 채용한 인원

4) 미충원인원 구인인원에서 채용인원을 제한 인원

5) 부족인원 조사기준일 현재 채용여부나 채용계획과 무관하게 당해 사업체의 정상적인 경영과 생산시설의 가동 고

객의 주문에 대응하기 위하여 현재보다 더 필요한 인원

6) 채용계획인원 조사기준일로부터 향후 6개월 사이에 채용할 계획이 있는 인원

자료 고용노동부(2020) 2020년 직종별 사업체노동력조사

〈표 2-11〉 직종별 사업체 인원 현황

1) 단 본 조사는 5인 이상의 사업체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해석상 유의가 필요함

2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가 코로나19 후 관광 직종 종사자의 구인과 채용의 감소

관광분야와 관련해서 여행 서비스 숙박시설 오락시설 관련 종사자는 구인인원

과 채용인원에 있어서 2019년 상반기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인인원 측면에서 여행 서비스 관련 종사자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ndash497

-501 29로 증감률이 나타나 여행과 숙박시설 서비스 관련 종사자의 구인인원

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채용인원 측면에서도 2020년 상반기는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이 여행 서비스는 ndash384 숙박시설은 ndash501로 모두 하락하 다

[그림 2-7] 여행 서비스 숙박시설 서비스 종사자의 구인 채용 미충원 인원 및 미충원율 추이

주 5인 이상 사업체를 대상으로 함

자료 고용노동부(2020) 2020년 직종별 사업체노동력조사

23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그림 2-8] 오락시설 서비스 종사자의 구인 채용 미충원 인원 및 미충원율 추이

주 5인 이상 사업체를 대상으로 함

자료 고용노동부(2020) 2020년 직종별 사업체노동력조사

채용인원 계획에 있어서도 여행 서비스와 숙박시설 기업의 2020년 상반기 수치

는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19의 여파로 인

한 채용인원 계획이 급격히 줄어 든 것을 유추할 수 있다

[그림 2-9] 채용인원 계획추이

주 5인 이상 사업체를 대상으로 함

자료 고용노동부(2020) 2020년 직종별 사업체노동력조사

2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나 코로나19 후 300인 이상 여행 서비스 기업의 구인과 채용인원의 급격한 감소

여행 서비스 기업의 규모별로 살펴보면 300인 미만의 기업과 300인 이상의 기

업 모두에서 2020년 상반기 구인인원과 채용인원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300인 이상 기업의 종사자의 감소폭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300인 이상의 기업의 구인과 채용이 2019년 상반기 대비 큰 폭으로 감소함을

의미한다 또한 미충원 인원은 300인 미만과 300인 이상의 여행 서비스 관련 기업

모두 없으며 채용계획 인원 또한 2019년 상반기 하반기와 비교했을 때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 명 p)

구분 lsquo1712 lsquo1722 lsquo1812 lsquo1822 lsquo1912 lsquo1922 lsquo2012 전년 동기대비 증감률

여행

전규모

(5인

이상)

현원 26420 26259 24313 24883 24878 25960 13784 -446구인인원 1616 1288 1602 1007 1449 1069 729 -497

채용인원 1548 1233 1438 825 1183 1051 729 -384

미충원인원 68 55 164 182 266 18 0 -1000부족인원 482 904 622 517 426 147 23 -946

채용계획인원 497 919 836 528 426 194 23 -946

부족률 18 33 25 20 17 06 02 -

300인

미만

현원 22400 22244 21216 22059 21271 22739 10487 -507

구인인원 1495 1171 1388 962 1300 1038 682 -475

채용인원 1426 1117 1237 784 1045 1023 682 -347미충원인원 69 54 151 178 255 15 0 -1000

부족인원 480 816 605 450 413 142 22 -947

채용계획인원 495 816 819 461 413 190 22 -947부족률 21 35 28 20 19 06 02 -

300인

이상

현원 4020 4015 3097 2824 3607 3221 3297 -86

구인인원 122 117 214 46 149 31 47 -685채용인원 122 117 201 42 138 28 47 -659

미충원인원 0 0 13 4 11 3 0 -1000

부족인원 2 89 16 67 13 4 1 -923채용계획인원 2 103 16 67 13 4 1 -923

부족률 00 22 05 23 04 01 00 -주 1) 5인 이상 사업체를 대상으로 함

2) 구인인원 대외적인 구인활동을 통하여 구인한 인원으로 채용인원을 위해 최초 모집공고 당시에 채용하려고 했던 인원

3) 채용인원 조사기준일 이전 3개월 사이에 최종적으로 채용하기로 확정했거나 채용한 인원

4) 미충원인원 구인인원에서 채용인원을 제한 인원

5) 부족인원 조사기준일 현재 채용여부나 채용계획과 무관하게 당해 사업체의 정상적인 경영과 생산시설의 가동 고

객의 주문에 대응하기 위하여 현재보다 더 필요한 인원

6) 채용계획인원 조사기준일로부터 향후 6개월 사이에 채용할 계획이 있는 인원

7) 여행 서비스원은 여행상품개발자 여행사무원 여행 안내원 및 해설사가 포함됨(한국고용직업분류)

자료 고용노동부(2020) 2020년 직종별 사업체노동력조사

〈표 2-12〉 기업 규모별 여행 서비스 관련 종사자

25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숙박 서비스 기업의 규모별로 살펴보면 300인 미만 기업의 구인인원 증감률은

전년 동기 ndash117로 나타난 반면 300인 이상 기업의 구인인원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채용인원은 규모에 상관없이 모두 증가하 다 향후 채용계획 인원은 여

행 서비스 기업과 유사하게 2019년 상반기와 하반기 대비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 명 p)

구분 lsquo1712 lsquo1722 lsquo1812 lsquo1822 lsquo1912 lsquo1922 lsquo2012 전년 동기대비 증감률

숙박

전규모

(5인

이상)

현원 10023 9825 10144 8540 8707 11387 11371 306

구인인원 1387 1308 1188 1359 895 1370 921 29

채용인원 1024 1148 1000 1148 769 1071 895 164

미충원인원 363 160 188 211 126 299 26 -794

부족인원 618 345 700 1047 597 1181 132 -779

채용계획인원 669 342 852 1230 552 1257 160 -710

부족률 58 34 65 109 64 94 11 -

300인

미만

현원 6633 6583 7229 5038 5103 7940 7544 478

구인인원 978 861 684 797 377 1018 333 -117

채용인원 650 751 565 681 285 754 330 158

미충원인원 328 110 119 116 92 264 3 -967

부족인원 526 207 581 251 496 411 119 -760

채용계획인원 578 205 653 392 448 474 122 -728

부족률 73 3 74 47 89 49 16 -

300인

이상

현원 3390 3243 2915 3502 3604 3447 3826 62

구인인원 410 446 504 562 519 352 588 133

채용인원 374 397 435 468 483 317 565 170

미충원인원 36 49 69 94 36 35 23 -361

부족인원 92 138 120 796 101 771 13 -871

채용계획인원 91 138 198 838 104 783 38 -635

부족률 26 41 4 185 27 183 03 -

주 1) 5인 이상 사업체를 대상으로 함

2) 구인인원 대외적인 구인활동을 통하여 구인한 인원으로 채용인원을 위해 최초 모집공고 당시에 채용하려고 했던 인원

3) 채용인원 조사기준일 이전 3개월 사이에 최종적으로 채용하기로 확정했거나 채용한 인원

4) 미충원인원 구인인원에서 채용인원을 제한 인원

5) 부족인원 조사기준일 현재 채용여부나 채용계획과 무관하게 당해 사업체의 정상적인 경영과 생산시설의 가동

고객의 주문에 대응하기 위하여 현재보다 더 필요한 인원

6) 채용계획인원 조사기준일로부터 향후 6개월 사이에 채용할 계획이 있는 인원

7) 숙박시설 서비스원은 각종 숙박시설에서 고객에게 문을 열어주며 고객을 맞이하거나 고객의 짐을 운반해 주거나

시설안내 등 숙박관련 편의서비스를 제공하며 호텔 서비스원과 그 외 숙박시설 서비스원의 세세분류로 구성됨(한

국고용직업분류)

자료 고용노동부(2020) 2020년 직종별 사업체노동력조사

〈표 2-13〉 기업 규모별 숙박시설 서비스 관련 종사자

2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오락시설 서비스 기업의 규모별로 살펴보면 2020년 상반기 구인인원과 채용인

원은 300인 미만과 300인 이상의 기업 모두 전년 동기 대비 ndash60 이상 감소한 것

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충원 인원은 300인 미만과 300인 이상의 오락시설 서비스

관련 기업 모두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 명 p)

구분 lsquo1712 lsquo1722 lsquo1812 lsquo1822 lsquo1912 lsquo1922 lsquo2012 전년 동기대비 증감률

오락

전규모

(5인

이상)

현원 7579 8903 7123 8211 6923 6887 7915 143

구인인원 1755 2329 2288 3334 2020 2672 724 -642

채용인원 1747 2290 2265 3248 2014 2641 705 -650

미충원인원 8 39 23 86 6 31 19 2167

부족인원 330 504 481 1714 708 1544 252 -644

채용계획인원 768 595 488 1811 671 1756 1407 1097

부족률 42 54 63 173 93 183 31 -667

300인

미만

현원 3973 4940 4739 5696 4445 4933 6069 365

구인인원 716 1276 1696 1975 1555 1744 564 -637

채용인원 707 1249 1680 1897 1555 1715 546 -649

미충원인원 9 27 16 78 0 29 18 18

부족인원 260 183 215 236 238 166 165 -307

채용계획인원 260 183 223 264 201 378 1323 5582

부족률 61 36 43 4 51 33 26 -490

300인

이상

현원 3607 3963 2384 2515 2478 1954 1846 -255

구인인원 1040 1053 592 1359 465 928 159 -658

채용인원 1040 1041 584 1351 459 926 159 -654

미충원인원 0 12 8 8 6 2 0 -1000

부족인원 70 321 265 1478 470 1378 87 -815

채용계획인원 508 412 265 1547 471 1378 85 -820

부족률 19 75 10 37 159 414 45 -717

주 1) 5인 이상 사업체를 대상으로 함

2) 구인인원 대외적인 구인활동을 통하여 구인한 인원으로 채용인원을 위해 최초 모집공고 당시에 채용하려고 했던 인원

3) 채용인원 조사기준일 이전 3개월 사이에 최종적으로 채용하기로 확정했거나 채용한 인원

4) 미충원인원 구인인원에서 채용인원을 제한 인원

5) 부족인원 조사기준일 현재 채용여부나 채용계획과 무관하게 당해 사업체의 정상적인 경영과 생산시설의 가동 고

객의 주문에 대응하기 위하여 현재보다 더 필요한 인원

6) 채용계획인원 조사기준일로부터 향후 6개월 사이에 채용할 계획이 있는 인원

7) 오락시설 서비스원은 오락시설에 설치된 오락용 승차기구를 운전하거나 고객에게 운전방법을 알려주며 고객에게

각종 편의를 제공하며 유원시설 및 테마파크 종사원 노래방 종사원 그 외 오락시설 종사원의 세세분류로 구성됨

(한국고용직업분류)

자료 고용노동부(2020) 2020년 직종별 사업체노동력조사

〈표 2-14〉 기업 규모별 오락시설 서비스 관련 종사자

27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다 2년 미만 경력 종사자의 미충원 발생

여행 서비스 숙박시설 서비스 오락시설 서비스 관련 미충원인원을 살펴보면 대

부분 2년 미만의 현장경력을 보유한 인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행

서비스에서 2020년 상반기의 미충원인원은 코로나19의 여파로 크게 감소한 것으

로 나타났다

(단위 명 p)

구분 lsquo1712 lsquo1722 lsquo1812 lsquo1822 lsquo1912 lsquo1922 lsquo2012

전규모

직능1수준 26168 20970 22201 21763 14166 18153 10258

직능2-1수준 32683 32167 33358 29831 27302 24320 20383

직능2-2수준 14985 14516 14225 14593 15373 14851 12203

직능3수준 13084 12278 14922 13053 16034 14754 13054

직능4수준 720 628 1097 523 1360 1229 1431

여행

서비스

관련

종사자

직능1수준 0 0 11 17 165 0 0

직능2-1수준 2 40 32 117 16 14 0

직능2-2수준 59 12 61 5 61 3 0

직능3수준 7 2 59 43 24 0 0

직능4수준 0 0 0 0 0 0 0

숙박

시설

서비스

관련

종사자

직능1수준 136 31 106 77 28 49 3

직능2-1수준 139 63 66 84 87 205 19

직능2-2수준 88 57 17 28 6 45 4

직능3수준 0 8 0 15 0 0 0

직능4수준 0 0 0 0 0 0 0

오락

시설

서비스

관련

종사자

직능1수준 0 11 6 0 1 9 19

직능2-1수준 9 27 4 78 0 18 0

직능2-2수준 0 0 6 8 5 2 0

직능3수준 0 0 6 0 0 0 0

직능4수준 0 0 0 0 0 0 0

주 1) 미충원인원 구인인원에서 채용인원을 제한 인원

2) 1수준 경력 없어도 됨 자격증 취득 수준을 요하지 않음(중졸이하 수준의 업무)

3) 2-1수준 1년 미만의 현장경력 또는 국가기술자격법상의 기능사 수준(고졸수준의 업무)

4) 2-2수준 1년-2년 미만의 현장경력 또는 국가기술자격법상의 산업기사 수준(전문대졸 수준의 업무)

5) 3수준 2년-10년 미만의 현장경력 또는 국가기술자격법상의 기사 수준(대졸석사 수준의 업무)

6) 4수준 10년 이상의 현장경력 또는 국가기술자격법상의 기술사 수준(박사 수준의 업무)

자료 고용노동부(2020) 2020년 직종별 사업체노동력조사

〈표 2-15〉 직능 수준별 미충원 인원

2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25 관광 일자리의 변화

관광분야 일자리는 자동화 세부 및 특화 업무 단위의 노동계약 증가 가치사슬의

변화 등을 통해 그 양상이 변화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WEF 2018) 특히 기술

발전과 사회 전반에서의 기술 활용이 증가됨에 따라 관광 업무 시 AI 빅데이터

등 기술 활용 비율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WEF 2018)

[그림 2-10] 관광 분야 업무에서의 기술 활용 전망

자료 WEF(2018) The Future of Jobs Report 2018 p45

이러한 변화에 따라 관광산업에서는 데이터 분석 AI 활용 등의 기술 분야와 판매

및 마케팅 상품 관리 브랜드 관리 등과 관련한 분야에서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WEF 2018) 반면 무인화 및 자동화로 회계 재고 관리 등의 분야

는 기술로 대체될 가능성이 높아 관련 일자리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WEF

2018) 특히 lsquo여행상품개발 일자리rsquo lsquo여행상품 상담 일자리rsquo lsquo여행안내 일자리rsquo

lsquo숙박기획middot개발 일자리rsquo lsquo객실관리일자리rsquo lsquo부대시설관리 일자리rsquo lsquo카지노 운 관

리 일자리rsquo lsquo크루즈운 관리 일자리rsquo lsquo유원시설운 관리 일자리rsquo 는 5년 내 감소하

면서도 기술 향도를 크게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전효재middot한희정 2018)

즉 관광산업의 미래는 기술에 대한 향이 중요하기 때문에 이러한 기술을 다룰 수

있는 디지털 능력이 관광 종사자에게 요구될 것으로 전망된다(UNWTO 2019) 따라

서 디지털 기반의 관광기업 성장은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향후 5년 내 관광사업체의 세부업종별 일자리 전망은 다음과

같다 동 전망은 관광 전문가 25인(학계 업계 연구기관 등)의 의견을 종합하여 제

29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시하 다 증가가 예상되는 업종은 자동차야 장업 일반야 장업 기타유원시설업

관광순환버스업 관광펜션업 한옥체험업으로 나타났고 이는 코로나19로 인한 자

연공간 선호 야 장 수요 증대 국내여행 증대 지역관광 활성화 등의 향으로 나

타났다

구분 업종 주요 변화 요인

증가(15 이상)

관광객

이용시설업

자동차야영장업

일반야영장업

- 코로나19로 인한 자연공간 선호

- 야영장 수요 증대

- 국내 여행 증대 등

다소 증가(5 sim 15)

유원시설업 기타유원시설업- 개인 및 소규모 관광의 증가

- 지역업체 증가 등

관광 편의시설업

관광객 이용시설업

관광순환버스업 - 대중교통 기피 지역관광 활성화 등

관광펜션업

한옥체험업

- 코로나19로 인한 안전 인식 증대

- 국내 여행 증대 가족 여행 증대 등

유지(-5 sim 5)

관광

숙박업

휴양콘도미니엄업 - 소규모 관광의 증가

- 국내 여행 증대 및 여행 트렌드 변화

- 다양한 숙박형태 선호 등

기타호텔업

관광객

이용시설업

외국인관광 도시민박업

전문 및 종합휴양업 - 대규모 관광객의 감소

여행업 국내여행업 - 코로나19로 인한 국내여행 증대

다소 감소(-15 sim -5)

관광

편의시설업

관광식당업 - 단체관광 및 대규모 관광객의 감소

관광궤도업 - 자동화 및 무인화

관광숙박업 관광호텔업 - 자동화 및 무인화

관광객

이용시설업관광유람선업

- 코로나19 이후 대규모 관광객 감소

- 자동화 및 무인화

- 관광객 수요 감소 등

감소(-15 이상)

관광

편의시설업

관광사진업 - 기기의 발달 및 업종의 축소

관광공연장업

관광유흥음식점업

- 코로나19 이후 대규모 관광객 감소

- 관광객 수요 감소 등

외국인전용유흥음식점업

관광면세업- 코로나19로 외국인 관광객 감소

관광극장유흥업 - 단체관광 및 대규모 관광객의 감소

여객자동차터미널시설업 - 자가용 이용 증가 KTX 등 교통수단

발달 등

국제회의업국제회의기획업

국제회의시설업

- 비대면 회의 행사 증가

- 코로나19 이후 국제행사 감소

카지노업 - 코로나19로 외국인 관광객 감소

유원시설업 종합 및 일반유원시설업 - 대규모 관광객의 감소

여행업일반여행업 - 코로나19

- 자동화 및 무인화 OTA 활용 증대

- 개별여행 증가 등 국외여행업

lt표 2-16gt 관광 세부업종별 향후 5년 내 일자리 전망

3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감소가 전망되는 업종은 여행업(일반여행업 국외여행업) 유원시설업(종합 및 일

반유원시설업) 카지노업 국제회의업 관광편의시설업(관광면세업 관광식당업 관

광궤도업 관광사진업 관광공연장업 관광유흥음식점업 외국인전용유흥음식점업

관광극장유흥업 여객자동차터미널시설업) 관광객이용시설업(관광유람선업) 관광

호텔업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감소는 코로나19로 인한 단체관광 감소 외국인 관광

객 감소 자동화 및 무인화 관광객 수요 감소 등의 향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술의 발전으로 관광상품과 서비스의 유통이 플랫폼 기반으로 변화하고 있

으며 관광자원도 관광의 역에서 일상의 역으로 확대되고 있다(이원희 외

2019) 이에 따라 기존 관광진흥법에 규정된 관광사업체 외에 새로운 관광 비즈니

스 사업체 출현으로도 관광산업 관련 일자리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관광산업과

관광 연관 산업에서의 새롭게 창출 될 수 있는 일자리 분야 파악이 중요하며 이러

한 부분에서의 교육 훈련 및 정책 강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3 시사점

관광산업은 인적 자원에 기반을 둔 산업으로 일자리 창출에 있어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산업으로 인식되고 있다 관광산업은 외부 환경 변화에 민감한 산업이어

서 최근 기술 발전으로 인한 급격한 산업 변화와 유행성 전염병의 발생과 확산은

관광사업체의 운 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관광산업의 일자리 특성은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먼저 고용 형태에 있어서 관광산업은 임시 및 일용직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숙박업의 경우 타 산업 대비 월평균 임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근 신규

채용자 수는 감소하고 이직자 수는 상승하 다 기업생성과 소멸에서 숙박 및 음식

점업의 비중이 높으며 일자리 증감도 높았다

또한 코로나19의 확산은 관광산업의 일자리 감소와 관광산업 변화를 통한 관광

일자리의 변화를 야기하고 있다 관광 직종 종사자의 구인과 채용이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하 으며 채용 인원 계획 또한 큰 폭으로 감소하 다 그리고 여행 서비스 숙

박시설 서비스 오락시설 서비스 관련 미충원인원을 살펴봤을 때 대부분 2년 미만

31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의 현장경력을 보유한 인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행 서비스에서의

2020년 상반기 미충원인원은 코로나19의 여파로 감소폭이 크게 나타났다

기존 관광산업인력 양성 연구에서는 미래 관광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관광산업 인력의 양성이 산업적 정책적으로 중요함을 강조하 다(김덕기middot한

희정 2018) 또한 관광사업체가 필요로 하는 정책지원 수요는 자금 지원(394)

수요확대 지원(193) 인력 지원(115)의 순으로 나타났다(류광훈middot김희수 2018)

즉 관광산업 미래인력의 양성은 관광기업 측면에서 미래 관광 경쟁력 확보의 원천

이며 관광산업의 산업 고도화를 위한 필수 요소이다

이와 더불어 환경 변화로 인해 기술 기반의 일자리 타 분야 융합을 통한 일자리

관광객 수요의 다양화로 기존 관광 일자리가 전문화middot세분화 되고 있다 4차 산업혁

명 기술의 발전으로 AI 빅데이터 플랫폼 등의 활용이 증가되고 키오스크 등의 무

인화 서비스로 인해 관련 분야의 일자리가 감소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기존

관광인력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고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는 한편 관광과 기술이

융합된 분야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향후 5년 내 관광사업체 세부업종별 일자리 전망에 대한 전

문가 의견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증가가 예상되는 업종은 자동차야 장업 일반

야 장업 기타유원시설업 관광순환버스업 관광펜션업 한옥체험업으로 나타났고

감소가 전망되는 업종은 여행업(일반여행업 국외여행업) 유원시설업(종합 및 일반

유원시설업) 카지노업 국제회의업 관광편의시설업(관광면세업 관광식당업 등)

관광객이용시설업(관광유람선업) 관광호텔업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증가 분야의

원인은 코로나19로 인한 자연공간 선호 국내여행 및 지역관광 활성화 등으로 나타

났다 감소 분야의 향 요인으로는 코로나19로 인한 단체관광 감소 외국인 관광

객 감소 자동화 및 무인화 관광객 수요 감소 등을 꼽을 수 있다

관광산업은 코로나 19로 인해 종사자가 감소하고 있고 디지털 변화 외부 환경

등으로 인한 변화의 기로에 있다 즉 현재는 일자리에 대한 정책 방향의 모색이 필

요한 시점이다 이에 이러한 관광산업의 특성과 변화를 반 한 일자리 대응 정책

모색이 필요하다

3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제2절 미래 일자리 환경

1 환경 분석 개요

미래를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사람들은 미래를 정확히 예측하여 맞고 틀리고를 따

지기 보다는 다양한 미래(Futures)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미래 구성을 목표로 한다 한편 일자리는 인간을 둘러싼 다양한 환경 요인들의

상호작용을 반 하는 현실의 거울이다 따라서 미래 일자리의 환경 변화를 살펴보

기 위해서는 이에 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일의 내용과 수행 방식에 직접적으로 향을 미치는 기술적 요인과 이를

수용하기 위한 사회적 법제 정책적 요인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박

가열 외 2019) 한편 최근 들어 코로나19와 기후 변화로 대표되는 생태 환경 요인

은 경제 사회의 발전 과정에서 미뤄둔 숙제가 아니라 생존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보장하기 위한 상수의 문제로 다뤄야 할 것이다

미래 일자리 환경 변화와 미래 이슈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종합적으로 살펴보

기 위해 통상 미래 연구자들이 미래 환경 변화를 탐색하기 위해 주로 활용하는

STEEP 모형에 기초를 두고자 한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일자리 환경 변화의 결과

요인인 경제적 요인을 제외한 사회 기술 생태 환경 및 정치(정책) 및 제도적 요인

과 더불어 관광환경 요인을 중심으로 차례대로 살펴본다 이러한 미래 일자리를 둘

러싼 환경 스캐닝을 바탕으로 관광산업의 주요 이슈를 도출하고 이를 미래 지향적

으로 해결하기 위한 현실적인 정책 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33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2 환경 변화

21 사회 환경 변화

가 인구구조의 변화

미래 일자리 변화의 사회적 요인을 살펴봄에 있어 결국 사람이 일의 세계를 구성

하므로 저출산과 고령화에 따른 인구구조 변화를 선결적으로 살펴보아야 할 것이

다 앞으로 인구구조의 축소적 변화가 기존 경제발전 모델을 전제로 한 재앙인지

아니면 기술 혁신과 산업 고도화에 적합한 적정 인구로의 수렴 과정인지에 대한 심

도 있는 논의가 앞으로 필요하다

한편 우리 사회가 발전하고 산업 구조가 고도화되면서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확대되고 있다 이는 기존의 성 역할 고정관념에 기초한 직업 활동과 가사 분담의

이분법적 접근을 흔들고 있다 다만 여성의 노동시장 진출 직종의 상당수가 대인접

촉이 요구되는 서비스직이므로 코로나19와 같은 광범위한 전염병의 창궐에 일시적

이지만 매우 심각한 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한편 정보통신기술(ICT)의 발전으로 지식의 전달과 활용 기한이 급격히 짧아지

면서 정식 교육기관에 의존한 교수학습 방식보다는 자기 주도적인 비형식 평생학습

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전에 생의 과정을 교육 노동 은퇴 후 여가의 3단계로 구분

한 분절적 모형에서 탈피하여 인생 전 과정에서 질 높은 일과 삶의 균형과 지속적

인 자기 학습을 통한 자기개발을 상호보완적으로 추구하는 모델로 변모하고 있다

세계 인구는 향후 50년 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 반면 우리나라

는 향후 10년 동안 소폭 증가하여 정점을 이루고 이후 40년 동안 지속적으로 감소

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9년 전 세계의 인구는 약 77억 명으로 이 수치는 2000년

대비 약 13배 증가한 수치이며 2067년 전 세계 인구수는 103억 8천만 명으로

전망된다 우리나라 인구는 2019년 5천 2백만 명에서 2067년에는 약 3천 9백만

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통계청 20190902)

3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그림 2-11] 세계와 한국의 인구 추이

자료 통계청(20190902) 2019년 장래인구특별추계를 반영한 세계와 한국의 인구현황 및 전망(보도자료) p1

우리나라의 생산연령인구 구성비는 1966년 이후 계속 증가하 고 2012년

734로 최고치를 보인 후 감소하여 2019년 727로 나타났다 2040년에는 생산

연령 인구가 인구의 약 절반 이상인 563 수준까지 낮아질 전망이다 한편 우리

나라의 고령인구 구성비는 1970년 31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9년 149

로 나타났으며 2067년에는 465로 전망된다

[그림 2-12] 세계와 한국의 생산연령인구(좌) 및 고령인구(우) 구성비 추이

자료 통계청(20190902) 2019년 장래인구특별추계를 반영한 세계와 한국의 인구현황 및 전망(보도자료) p2

생산연령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전체 구성비에서 50를 하회하고 있으며 기울

기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듯이 고령 인구 비중은 급격히 증가하여 13을 상회하는 2040

년 전후에는 현재의 노동연령 구조로는 감당할 수 없을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 따라서

지금부터 고령 친화형 일터 문화와 작업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선제적 준비가 요구된다

35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나 사회인식의 변화

최근 일과 삶의 균형은 사회적 공감대로 형성되고 있다(이재완middot강혜진 2018) 이

러한 일과 삶의 균형의 측면에서 여가시간은 삶의 질이 어느 정도에 도달하 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우리나라 국민의 여가시간은 2019년 기준으로 평일 54시간

휴일 35시간으로 2016년 이래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문화체육관광부 2019b)

일과 삶의 균형을 lsquo워라밸(Work-Life Balance)rsquo로 정의되며 워라밸은 일상생활

에서의 삶의 질의 중요성을 중시하는 인식을 의미한다(민경선 2018) 2019년 사회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들은 일과 가정생활을 비슷하게 여긴다는 응답이 약

442로 나타났으며 이는 2013년 이래로 계속 증가한 수치이다 또한 이 응답은

일을 우선시한다는 응답(421) 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나 우리나라가 일을 우선시

하는 사회에서 워라밸을 중요하시는 사회로 변화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림 2-13] 국민 여가시간 추이(좌)와 일과 가정생활의 우선도(우)

자료 문화체육관광부(2019b) 국민여가 활동조사 p49 자료 통계청(20191125) 2019년 사회조사 결과 p42

우리나라 사람들은 여가활용 중 관광활동에 있어서 주중보다 주말 비율이 높으

며 향후에 즐기고 싶은 여가활동으로 관광활동이 70로 가장 높게 나타나 여가시

간의 증대로 인해 관광활동 참여자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단위 )

구분 TV시청휴식활동

컴퓨터게임인터넷검색 등

취미자기개발

활동

스포츠활동

문화예술관람

사회 및기타활동

스포츠관람

관광활동

문화예술참여

기타

주중 792 690 395 236 136 110 95 45 37 29 02주말 697 689 313 186 139 195 153 49 167 24 02향후 179 275 97 467 244 389 185 108 700 107 02

자료 통계청(20191125) 통계청(20191125) 2019년 사회조사 결과

〈표 2-17〉 여가활용 활동(복수응답)

3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또한 이러한 사회 인식 변화에 따라 일자리를 선택함에 있어 좋은 일자리의 기준

중 하나가 워라밸이 가능한 곳이 되고 있다(이재완middot강혜진 2018)

22 기술 환경 변화

기술의 발전은 사람들의 일하는 내용과 방식에 직접적으로 향을 미친다 미래

기술 발굴과 관련된 방법론은 예측을 하는 목적 접근의 방식 이용하는 자료에 따

라 매우 다양하다(박가열 외 2019) Alan L Porter 등(2011)의 985172기술의 예측과

경 (Forecasting and Management of Technology)985173에 소개된 매크로 모니터

링(Macro Monitoring) 방법은 급부상하고 있는 유망한 연구 역의 도출이나 유망

기술을 발굴하는 것으로 소개되기도 하 다(손은수 외 2018)

최근 디지털 기술 혁신은 제조업의 대량 생산에 근원을 두고 있는 정형화된 업무

시간과 집중형 업무 공간의 개념을 근본적으로 바꾸고 있다 또한 단순 반복적인 작

업을 기계가 대신해줌으로써 기계와 달리 습성화에 쉽게 지루함을 느끼고 주의 집중

및 신체적 강인성에 한계를 지닌 인간이 노동시장에서 소외되는 결과를 낳았다

기술의 진보로부터 비롯된 일자리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미래

사회를 주도할 미래 유망한 기술을 꾸준히 탐색하고 수요자의 요구에 부합한 제품

과 서비스 개발이 요구된다 여기서는 사회적 요구를 반 한 유망기술의 흐름을 탐

색하고 상대적으로 적용 가능성이 제한적이더라도 관광산업에의 접목 가능성을 살

펴보고자 한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 따르면 해외 주요기관에서 발표된 미래유망기술을

연도를 기준으로 구분하고 lsquo2-모드(mode) 네트워크 분석rsquo을 실시하 다(손은수

외 2018) 그 결과 미래유망기술로 인공지능 블록체인 드론 딥 러닝 유전자 편

집 등이 부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7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그림 2-14] 해외 주요 연구기관이 발표한 지난 10년간 미래기술 동향

자료 손은수middot홍성화middot고병열(2018) 국내외 주요기관이 전망한 미래기술의 흐름 p66

한편 국내 연구기관이 제시한 2010년 전후 미래 유망기술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텍스트 마이닝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2010년 이전에는 고효율 치료 자동

복합 환경 지능형 바이오 등의 기술이 각광받은 것으로 나타났다(손은수 외

2018) 2010년 이후에는 에너지 스마트 실시간 3D 환경 지능형 자동 정보

플랫폼 등의 기술이 각광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외 연구기관에서 발표된 최근 미래유망기술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먼저 해외

의 결과는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로봇공학(robotics)

3D 프린팅(3D printing)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사이버 보안(cyber security)

블록체인(block chain) 데이터 분석(data analytics) 자율주행 운송 수단

(autonomous vehicles) 등이 중요한 미래유망기술로 나타났다 반면에 국내에서

는 일부 유사하면서도 실용성에 중심을 둔 에너지 스마트 3D 지능형 자동 차세

대 정보 고효율 실시간 환경 등이 중요한 미래유망기술로 나타났다

3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그림 2-15] 국내 주요 연구기관이 발표한 2010년 전(좌)후(우) 미래유망기술 변화

자료 손은수middot홍성화middot고병열(2018) 국내외 주요기관이 전망한 미래기술의 흐름 p54

[그림 2-16] 해외 주요 연구기관이 발표한 2010년 전(좌)후(우) 미래유망기술 변화

자료 손은수middot홍성화middot고병열(2018) 국내외 주요기관이 전망한 미래기술의 흐름 p29

디지털 혁신의 기반이 되는 정보통신기술(ICT)과 인간 사회와의 상호작용에서 필

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대립과 갈등의 본질을 이해하는 것이 미래 사회를 전망하

는 데 중요하다 이러한 디지털 기술과 사회의 관계 맥락에서 바람직한 미래를 설계

하기 위해 개인과 기업 및 나아가 국가 차원에서 먼저 고려해야 할 10대 이슈를

선정하 는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이승민 외 2017)

개인적 측면에서 디지털 혁신은 직업 구조 변화의 요인으로 고려된다 이 디지털 혁신

은 중간직과 전문직의 종말 새로운 계급의 등장 노동 구조의 변화 등을 야기하고 있다

39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다만 기술 진보에 따른 중간직 일자리의 대체나 혹은 새로운 기회의 창출은 기존

에 면허 제도를 통한 전문직 역의 배타적 역을 어떻게 조정할 것인가의 법제적

문제와 결부될 수 있을 것이다

10대 이슈 주요 내용

1 인공지능 민주화와 제국주의

- 본격적인 대중화를 열어갈 인공지능의 민주화

- 인공지능 민주화와 글로벌 기업들의 마케팅 전략

- 민주화를 바라보는 우려의 시각 제국주의와 블랙박스 사회

2 혁신의 미래 속도와 다양성

- 축적의 시간을 줄이기 위해 변화된 혁신의 방향

- 다양한 산업 부문에 ICT 기반 혁신이 발생

- 혁신과 성과 확대를 위한 인력middot조직의 변화 요구

3 산업의 미래 디지털 격변

- 디지털 DNA가 모든 산업의 DNA를 전환

- 제품middot서비스 운영 프로세스 고객경험의 디지털 전환

- 디지털 전환의 방향 속도 범위를 고려한 주체별 생존 전략

4 경제 성장의 미래 풍요와 결핍

- 저성장과 경제적 고립주의 하에 바라본 ICT

- 전통적 경제 규모지표에서 포착하기 어려운 풍요

- 새로운 기술-사회경제 연결 지표와 분배 구조 마련 필요

5 블록체인과 미래 권력

- 개인 권력을 확장시키는 블록체인의 파괴력

-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를 넘어 개인과 국가 권력을 변화

- 혁명으로의 블록체인은 시간이 필요

6 탈진실의 시대 새로운 위험

- 정보의 대량 생산과 소비 초연결이 만든 탈진실의 시대

- 증거기반 토론보다 검색기반 정보 유통에 의존한 탈진실의 위험

- 진실을 붙잡기 위한 기술적 시도와 미디어 정보 문해력

7 인터넷 발칸화와 사이버 안보

- 경계 없는 인터넷에 만들어지는 새로운 국경

- 발칸화된 사이버 공간에서 벌어지는 국가 간 경쟁

- 인공지능과 양자컴퓨터라는 새로운 안보 위험의 부상

8 중간직과 전문직의 미래 신계급

의 등장

- 중간직과 전문직의 디지털 프랜스포메이션

- 기술이 직무를 보완하는 대신 직무가 기술을 보완

- 디지털경제와 데이터경제 주체로 부상하는 새로운 계급

9 소비의 미래 생산과 경험

- 기술의 발전은 소비자의 생산 활동의 폭을 증가

- 물리적인 제품에서 서비스와 데이터 생산자로 참여

- 고정된 생산물의 소유에서 유동적 서비스 경험하는 미래

10 인간과 기계 관계의 역설

- 인간을 이해하는 기계의 일상화과 초래하는 관계의 역설

- 기계를 향해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양가감정 느끼는 인간

- 인간관계의 애착유형을 통해 기계와의 건전한 관계를 맺을 준비

자료 이승민middot정지형middot송근혜(2017) p5

lt표 2-18gt 사회-과학 주요 10대 이슈

기업 측면에서 살펴보면 글로벌 정보통신기업들이 인공지능기술을 바탕으로 신

기술을 확산시키고 있으며 전 산업에서 인공지능 플랫폼을 활용하여 시장을 확장

하고 있다 또한 기존 폐쇄형 기술의 혁신은 개방형 혁신 생태계로 변화하고 있으

4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며 학계 중심의 이론적 연구는 글로벌 기업 중심의 실제 사업(business)으로 변모

하고 있다

국가 측면에서는 디지털 기술혁명이 새로운 시대를 이끌어 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최근 전개되고 있는 코로나19와 같은 전염병의 전 세계적 창궐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예술 활동 등 다양한 방면에서 비대면 디지털 기술의 발전을 촉진

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블록체인은 중앙통제를 상대적으로 약화시킬 것으로 개인 권력을 확장시

켜 상대적으로 중앙 통제를 약화시킬 수 있을 것이라 전망된다

23 생태 환경 변화

전 세계를 공포로 내몰고 있는 코로나19는 사람과 다양한 동물에 감염될 수 있는

바이러스로서 유전자 크기 27~32kb의 RNA 바이러스를 말한다2)

2020년 5월 18일 기준 우리나라의 검사 건수는 737118건이고 이 중 11065명

(15)이 확진자로 진단되었다

국가 검사건수 확진자 건수대비 확진률

중국 NA 82954명 NA

한국 737118건 11065명 150

이탈리아 1933272건 225435명 1170

이란 NA 120198명 NA

일본 250151건 16305명 650

미국 10720185건 1486742명 1390

영국 1818712건 243695명 1340

자료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httpwwwcdcgokr)

lt표 2-19gt 주요 국가 검진건수 및 확진률 비교(0518 00시 기준)

이들 전체 확진자의 광역시도별 분포를 살펴보면 대구(621) 경북(124)이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 고 이어서 인구 비중이 높고 사회적 이동의 중심 지역인

서울(67) 경기(65) 순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2) 보건복지부 코로나19바이러스 인터넷 페이지(httpncovmohwgokrbaroViewdobrdId=4ampbrdGubun=41)

41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그림 2-17] 광역시도 별 COVID-19 확진자 분포

자료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httpwwwcdcgokr)

세계경제포럼은 직업별 코로나19에 대한 위험 점수를 미국 노동부의 ONET의

타인과의 접촉 물리적 근접성 및 질병 및 감염에의 노출 세 가지 변수를 활용해서

산출했는데 치과위생사(997점)의 위험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2-18] 직업별 코로나 바이러스 위험 점수

자료 세계경제포럼(WEF) 웹사이트(wwwweforumorgagenda202004occupations-highest-covid19-risk)

4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국제노동기구(ILO)는 이러한 코로나 바이러스의 향으로 실업자가 최소 530만

명에서 최대 2470만 명에 이를 것이라고 예상했다 실업으로 인한 소득 감소는 재

화와 용역의 소비를 감소하고 경제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 특히 저임금 노동자와

여성 이주민 등 취약 계층에게 부정적인 향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지구온난화로 대표되는 기후변화는 생태계의 지속 가능한 생존과 일상생활은

물론이고 우리들의 관광과 문화와 관련된 직업 활동에도 도전적인 문제로 대두될 수

있다 최근 세계기상기구(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WMO)에서 펴낸

lsquo2015-2019 글로벌 기후보고서(The Global Climate in 2015-2019)rsquo에 따르면 최

근 5년이 역사상 가장 더웠던 5년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산업화 이전(1850-1900년)

보다 11 상승했으며 이전 5년(rsquo11~rsquo15)보다 02 상승했다고 한다

[그림 2-19] 1854년~2019년 전지구 기온편차 및 2025년까지 전망치

주 HadCRUT GISTEMPT NOAAGlobalTemp ERA-5는 기후관련 데이터 및 기후 분석 도구를 의미함

자료 영국기상청 홈페이지(httpswwwmetofficegovukabout-uspress-officenewsweather-and-climate

2020confirmation-that-2019-concludes-warmest-decade-on-record)

한편 이산화탄소(CO2) 농도 또한 2019년 말에 410ppm에 이르거나 초과할 것

으로 예상되고 있다 우리나라 경우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최근 5년간 평균기온

은 133로 이전의 2011년부터 2015년까지 5년간보다 03 상승한 것으로 나

타나 전지구의 평균기온의 증가보다 01 큰 것으로 나타났다(기상청 2019) 또

한 이산화탄소 농도가 이전보다 높아지고 있는데 한반도의 2018년 CO2 연평균

농도는 2017년 대비 30ppm 높은 4152ppm으로 나타났고 최근 10년간 연평균

CO2 농도 증가량은 전지구의 CO2 연평균 농도인 23ppmyr 보다 다소 높은

24ppmyr로 나타났다

43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구분 전지구 한반도(안면도 관측소)

2018년 연평균 농도 4074 ppm 4152 ppm

2017년 대비 농도 증가량 24 ppm 30 ppm

최근 10년 연평균 농도 증가량

(2009년~2018년)23 ppmyr 24 ppmyr

주 전지구 CO2 농도는 미국해양대기청(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의 발표 값으로

향후 변경될 수 있음

자료 기상청(2019) 2018 지구대기 감시보고서 p28

lt표 2-20gt 전지구 및 한반도 연평균 CO2 농도 비교

이러한 지구 온난화는 사람의 기본적인 건강과 일상적인 생활은 물론이고 직업 활

동에도 전반적으로 향을 미친다 폭염 한파 가뭄 홍수에 의한 식량 감소는 양

상태의 악화를 초래하고 온열 질환과 더불어 감염병 피해도 증가하게 된다 최근 코

로나19 창궐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전염병은 이동과 대면을 통한 접객 서비스가 전

제되는 여행 관광 숙박 식음료 산업의 침체에 심각한 향을 미칠 수 있다

24 정치middot제도의 환경 변화

정치middot제도 환경 변화로는 관광과 관련해서는 여가시간의 증가 재생공간의 증가

남북 관계 및 동북아 정세 변화 등이 나타나며 이와 관련한 환경 변화로 인해 일자

리 변화도 예상되고 있다

먼저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에 따른 개인 여가 시간 증가 및 장기 휴가 분위기

정착이 예상된다 정부는 2018년 7월 휴식이 있는 삶을 보장하기 위해서 노동시간

주 최대 68시간에서 52시간으로 단축하고 특례업종을 축소하는 등 주 52시간 근무

제를 실시하 다 이는 단순히 근로시간 단축의 의미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가 여가

중심의 사회로 변화할 것을 의미한다(김희수middot정광민 2019) 즉 여가시간 증대가

여행 관광 숙박 식음료 산업의 활성화에 향을 미칠 수 있다

한편 정부에서는 도시의 물리적 환경 개선과 주민 역량 강화를 통해 도시를 종합

적으로 재생하는 도시재생 뉴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는 지자체가 주도하여주

거지의 노후화 구도심의 쇠퇴를 방지해서 도시의 경쟁력을 높이고 일자리를 창출

하는 사업이다 이 정책은 지방 중소도시의 고령화 및 전국적인 인구 감소 지역 확

4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대로 인한 지역의 일자리 감소와 건축물 노후화에 기인하고 있다 이에 국토교통부

는 lsquo도시재생 뉴딜 로드맵rsquo을 2018년 발표하고 도시공간 혁신 도시재생 경제 활성

화 주민과 지역 주도의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관광분

야에서는 구도심이 보유한 역사 근대건축물 시장 골목 폐공장 창고 등이 새로운

공간으로 가치를 재창출하고 있다(이원희 외 2019)

또 다른 변화로 남북 관계의 변화 등 국제 정세 변화에 있다 남북 관계는 국내

뿐만 아니라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 정세에도 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2018년 2월

북한의 평창 동계올림픽 참가를 계기로 남북관계가 lsquo대화와 협력rsquo 국면으로 전환되

어 남북 정상회담 3회(2018년 4 5 9월) 북미 정상회담 1회(2018년 6월) 등이

진행되어 지속가능한 남북관계 발전 한반도 신경제공동체 구현 등 대북정책을 이

행하고 비무장지대(DMZ) 국제 평화지대화 북한 개별 관광 등 추진을 위한 긍정

적 분위기가 조성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미사일 발사시

험 대북전단 살포 문제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3) 등 남북관계 경색이 지속되고

있어 한반도 정세에 있어서의 남북관계 긍정적 분위기 구축이 중요한 문제도 대두

되고 있다

25 일자리 환경 변화

가 코로나19 이전의 변화4)

우리 사회는 4차 산업혁명 저출산 및 고령화와 같은 기술 사회경제적 변화에

직면해 있으며 이에 따라 일자리 일하는 방식이 변화하고 있다

일자리 환경 변화의 측면에서 개인 직업관의 변화 일자리의 양극화 1인 기업의 증

가 유연한 업무환경 등의 변화가 예상된다(미래창조과학부 미래준비위원회 외 2017)

먼저 필요에 따른 구인middot구직을 통해 직업관이 조직 중심에서 개인 중심으로 변

화되며 프로젝트 기반의 lsquo1인 기업rsquo이 증가할 전망이다 통계청의 기업생멸행정통

계 결과 2018년 기준 종사자 수 1인 기업은 439만개이며 이는 전체 활동 기업의

3) 북한은 순항미사일 시험발사를 2020년 7월 4일 발사하였으며 남한의 탈북민단체의 대북전단 살포에 대한

북한의 비방인 2020년 대두되었으며 2020년 6월 14일 북한의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로 남북관

계는 교착상태에 있음

4) 미래창조과학부 미래준비위원회 외(2017)의 내용을 재정리함

45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789로 나타났으며 2017년 대비 269 증가 하 으며 신생기업의 경우 893

가 1인 기업으로 나타났다(통계청 20191212)

사회 환경과 기업문화의 변화에 따라 고용 환경은 불안정성이 증가하여 정규직

중심의 전통적 일자리에서 임시 및 독립적 일자리가 증가할 전망이다 또한 기술

진보로 단순 반복적 자동화되기 쉬운 중숙련 일자리의 감소하고 이에 중숙련 노동

자가 저숙련 노동자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고숙련 노동자와 저숙련 노동자의 직업과

임금의 양극화가 심화될 전망이다

자기 고용인 1인 기업은 개인 스스로 생산과 소비가 가능해짐에 따라 부상되며

SNS 미디어를 활용한 1인 인터넷 기업 플랫폼 기업의 활성화가 전망된다 또한

산업과 기술 간 융합을 통한 창의적 역량이 필요한 분야가 일자리 잠재력이 큰 산업

으로 전망된다 2018년 기준 플랫폼경제종사자 규모는 최소 47만명에서 최대 54

만명(전체 취업자의 17~20)으로 추산된다(김준 외 2018) 한편 기술 발전

으로 언제 어디서나 일할 수 있는 업무 환경이 구축되어 이에 따른 유연근무제 재

택 및 원격근무제도가 활성화될 전망이다

미래의 직업 변화는 크게 ➀ 기존 직업의 고부가가치화 ➁ 직업의 세분화 및 전

문화 ➂ 융합형 직업의 증가 ➃ 기술 기반의 신규 직업 탄생 등이 이루어질 것으

로 전망된다(미래창조과학부 미래준비위원회 외 2017)

구분 변화 내용

기존 직업의

고부가가치화

- 직업의 역할과 프로세스의 재정립으로 단순 노동력은 전문화된 서비스로 변화

(예 언론의 분야별 전문기자 등 의료서비스의 응급실 의사 암진단 의사 등)

직업의 세분화 및

전문화

- 수요의 다양화와 고품질 요구 증가로 수용자 중심의 제품과 서비스 개발 전달에 있어서

의 과정이 전문화되고 세분화 이에 따라 직업의 세분화 현상 증가

(예 로봇 엔지니어 노년 플래너 가상 레크레이션 디자이너 기후변화 전문가 등)

융합형 직업의

증가

- 다른 직무나 지식 기술과 기능이 융합한 신규 전문분야를 창출하는 과정을 통해 새로운

융합형 직업 출현 (예 테크니컬 라이터 사용자 경험 디자이너 홀로그램 전시기획가 등)

기술 기반의

신규 직업 탄생

- 과학기술 진보로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게 됨에 따라 관련 직업의 탄생 증가

(예 기계 인터페이스 전문가 저장 관리 전문가 스마트 교통 시스템 설계 엔지니어 등)

자료 미래창조과학부 미래준비위원회 외(2017)의 내용 재정리

lt표 2-21gt 미래 직업 변화

4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나 코로나19로 인한 일자리 환경 변화의 특성

코로나19로 인해 이동이 제한되면서 재택근무제 유연근무제는 확산되고 있다

우리나라 정부는 현재 유연근무제 간접노무비 지원제도(중소middot중견기업 대상 유연

근무제 사용근로자 1인당 연간 최대 520만원 지원) 재택근무 인프라 지원 사업(중

소middot중견기업 대상 인프라 구축비의 50를 2천만 원 범위에서 지원)을 시행하고 있

다(고용노동부 20200410) 코로나19가 발생한 1월부터 비교했을 때 2020년 4

월 7일까지 2602개 사업장 대상의 유연근무제 간접노무비 지원신청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유연근무제로는 재택근무(525) 시차출퇴근(411) 원격근무(13)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고용노동부 20200410) 2020년 7월 현재 코로나19 이후 대기업

중 75가 유연근무제를 확대하고 있으며 근로형태의 다변화(예 비대면middot유연근무제

등)(391) 산업구조 디지털화로 인한 일자리 감소(251) 등의 변화를 야기할 것으

로 대기업들은 전망하고 있다(한국경제연구원 20200720) 코로나19는 일자리 환경

에 있어서 근무형태의 변화를 가속화하 고 특히 유연근무제 확산을 촉진시키고 있다

[그림 2-20] 유연근무제 지원신청 추이

자료 고용노동부(20200410) 임서정 고용노동부 차관 재택근무 우수 사업장 방문하여 현장의견 청취(보도자료) p3

또한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해 코로나19로 인한 고용시장의 변화도 장기화될

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취업자 수는 2019년 9월 기준으로 2701만 명으로 전

년 동월 대비 39만 명이 감소하 으며 숙박 및 음식점업이 전년 동월 대비 ndash98

감소(약 22만 명)한 것으로 나타나 코로나19의 여파는 관광산업 고용에 향을 주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통계청 20201016)

47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26 관광 환경 변화

가 코로나19 이전의 변화5)

1) 관광시장의 변화

먼저 관광시장 측면에서는 밀레니얼 Z세대 뉴시니어 등 다양한 세대가 트렌드

변화를 주도하고 방한 인바운드 시장의 다양화와 세분화가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된

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변화는 소소한 여행 경험소비 누구나 즐기는 여행 여행

트렌드 세터 다이내믹 방한시장 관광시민 등의 키워드로 표현될 수 있다

먼저 주52시간 근무제 시행으로 일과 삶의 균형을 중시하는 인식이 확산됨에 따

라 소확행 단기 근거리 여행이 증가하고 여행의 일상화 가격대비 최대 만족을

원하고 스테이케이션 호캉스 등 다양한 여행 형태가 나타나고 있다 또한 관광객

의 관광 경험도 축적은 현지 액티비티 여행 프로그램의 인기 증가에 향을 미쳤으

며 이에 따라 액티비티 상품 플랫폼이 성장하고 있다 여행이 보편적 권리로 사람

들에게 인식되면서 사회적 취약계층 시니어 밀레니얼 가족 등을 위한 관광상품

관광 콘텐츠 등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사회 트렌드를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가

주도함에 따라 이들이 여행트렌드도 선도하고 있다 또한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

는 소셜미디어 디지털 플랫폼에서의 향력을 확대하고 그들의 개성 희소성 정

체성 등이 드러나도록 여행트렌드를 이끌고 있다

관광은 한middot중middot일 외교의 변화 남북 관계 등 외부환경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이에 따라 역동적인 양상을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환경에 대한 인

식이 사회 전반적으로 강화됨에 따라 지속가능 관점에서 관광객이 여행하는 동안

해당 지역의 시민으로서 책임감이 증가되는 관광시민의 역할을 나타내고 있으며 여

행사고 인식의 증가로 관광 안전 의식에 대한 고려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5) 관광 환경 변화는 이원희 외(2019)의 내용을 재정리하여 작성하였다

4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구분 키워드 내용

관광시장

소소한 여행 소확행

가심비 가시비

-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은 여가시간 증가와 일과 삶의 균형을 중시하는

워라밸 인식의 확산을 촉진하고 단기 근거리 여행의 지속적 성장을 야

기함

- 국민들의 여행 경험이 증가하고 일상화되면서 스테이케이션 호캉스 등

짧고 가까운 여행을 즐기는 다양한 여행 행태가 나타남

경험소비 여행

액티비티 전성시대

- 관광객의 여행경험도 증가로 단순 방문과 관람에서 기억에 남는 경험과

체험을 더 중요시함 이를 충족할 수 있는 여행지 선택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함

누구나 즐기는 여행

은퇴부터 100세까지

- 우리나라 인구구조의 변화와 삶의 질의 추구 일과 여가의 균형을 중시

등으로 인해 lsquo누구나 즐기는 여행rsquo이 새로운 트렌드임

여행 트렌드 세터

뉴 제너레이션

-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가 여행트렌드 변화를 이끌 세대로 주목받고 있음

- 국내외 관광목적지 선택에 있어서 소셜 미디어와 디지털 플랫폼의 영향

력이 증가하고 여행콘텐츠 생산middot 소비의 주도 세력인 뉴 제너레이션의

관광시장의 영향력도 증대하고 있음

다이내믹 방한시장

유동성과 다변화

- 한middot중middot일 외교 남북 관계 등이 향후 5년간 우리나라 외래관광객 유치

시장에 영향을 주며 이러한 요인들로 인한 불확실성으로 역동성이 증대

할 것임

- 또한 아세안 지역의 국가와 교류가 증대되면서 우리나라 인바운드 시장

의 다양화와 세분화될 것으로 전망됨

관광시민 여행

가치를 생각하다

- 전 세계에서 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어 관광에서도 윤리적 친환경적

여행소비의 관심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됨

- 더불어 공정관광 책임관광 등의 대두로 관광객의 방문지역에 대한 시민

으로서 의무 및 권리 증대를 의미하는 lsquo관광시민rsquo의 개념이 발생하고 있음

관광산업

모바일과 여행 플랫폼

비즈니스의 진화

- 디지털 기반의 여행 서비스 유통구조 형성으로 관광소비와 관광산업의

변화가 확산될 것으로 기대되며 여행 플랫폼은 더욱 성장할 것으로 전

망됨

빅데이터가 여는

AI 관광시대

- 빅데이터 분석기술의 발달로 관광객 편의 증진 관광산업 경영 효율성의

제고 관광 목적지 문제 해결 등이 가속화될 전망이며 산업부문에서도

기술을 활용한 혁신이 가속화되고 있음

공유 여행

공간middot이동middot경험을

잇다

- 공유경제의 전 세계적 확산에 따라 숙박 공유 모빌리티 공유 등 변화가

전망됨

- 관광객은 숙박 교통 여행상품 음식 등을 공유경제 플랫폼을 통해 이용

하며 현지에서의 lsquo진정성rsquo(authenticity) 추구 경향이 증대함

관광자원일상에서 만나는

비일상 여행

- 과거 여행 목적지 중심(예 관광명소 유적지 등)에서 지역 주민의 일상

공간으로 관광지의 공간에 대한 경계 제한이 모호해짐

- 이는 미디어와 소셜미디어 영향으로 가속화되고 있으며 뉴트로(New-

tro)의 영향으로 근대문화유산을 활용한 도시재생 콘텐츠가 인기임

자료 이원희 외(2019) 관광 트렌드 분석 및 전망 2020-2024

lt표 2-22gt 2020~2024 관광 트렌드

49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2) 관광산업의 변화

관광산업 측면에서는 플랫폼 비즈니스 AI 관광 관광공유경제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비즈니스의 성장이 전망된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변화는 모바일과 여행 플

랫폼 기반의 관광사업체의 성장 빅데이터를 활용한 AI 관광시대 공유 관광 플랫폼

의 증가 등의 키워드로 요약될 수 있다(이원희 외 2019)

먼저 관광상품 및 서비스의 유통이 플랫폼 기반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관광객의 소비 행태와 관광산업의 유통 구조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관광 플랫

폼 비즈니스는 전통적 관광산업 범위를 벗어나 새로운 비즈니스를 나타내는 관광기

업이 출현하고 있으며 창조적 융복합 관광상품 소비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디

지털 플랫폼의 증가에 따라 관광 분야에서도 현지 여행 가이드 관광활동 가이드

등 계약직이나 프리랜서 등의 형태로 경제활동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관광분야 산업의 성장요인은 모바일 인터넷의 진보 새로운 기술 활용의 증가 개

발도상국의 성장 인공지능 기술의 진보 중산층 및 교육의 확대 빅데이터 활용 가

능성 증대 새로운 업무처리의 증가 국가 경제 성장의 전환 클라우드 기술 진보

등으로 파악된다(WEF 2018)

특히 항공 여행 관광산업에서의 주요 기술 활용도는 아래와 같이 IoT 앱 및 웹

빅데이터 머신러닝 클라우드 컴퓨팅 등이 70이상 활용되고 있다(WEF 2018)

[그림 2-21] 항공 여행 관광산업에서의 주요 기술 활용률

자료 WEF(2018) p44 전효재middot한희정(2018) p22에서 재인용

5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인공지능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개인 맞춤형 여행정보

제공뿐만 아니라 관광객의 관광 콘텐츠 및 정보 소비의 변화도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관광분야에서는 챗봇을 비롯한 AI의 활용도가 증가되고 있으며 음성인식

을 활용하여 관광객 편의 제공도 증가하고 있다 현재 빅데이터의 전달 및 제공에

있어서 한계가 있으나 AI 기술의 발전으로 관광객 맞춤형 서비스 고도화 및 체험성

이 증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마지막으로 공유경제의 성장에 따라서 관광분야에서도 숙박 모빌리티 관련 공유

가 나타나고 있으며 숙박 교통 관광체험 상품 등을 공유경제 플랫폼의 관광객 이

용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3) 관광자원의 변화

관광자원 측면에서는 일상에서 만나는 비일상 여행이 주요 키워드로 고려된다 관

광객들의 여행 경험이 축적됨에 따라 관광객의 관심이 기존 관광지 관광시설 등뿐만

아니라 지역 주민의 삶을 엿볼 수 있는 마을 골목 시장 등에도 증대되고 있다 이와

함께 일정 기간 동안 여행지에서 체류하는 트렌드(예 한달살기)가 확산되고 있다 이

러한 지역 생활공간 내 관광객의 유입에 따라 지역 주민과 관광객 간의 갈등이 증가

하는 lsquo오버 투어리즘(Over Tourism)6)rsquo lsquo투어리스티피케이션(Touristification)7)rsquo

과 관련한 이슈에 대한 대응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나 코로나19 이후의 변화

최근 관광산업의 변화에 있어서 가장 큰 요인은 코로나19로 인한 변화이다 코로

나19로 인해 국가 간 지역 간 이동이 제한되면서 관광사업체의 매출이 감소하고

있다 즉 코로나 19는 관광객의 행태와 소비 변화뿐만 아니라 관광산업에도 큰

향을 미쳤고 이로 인해 관광산업 일자리에 대한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6) 오버투어리즘은 관광지역이 수용할 수 있는 수준을 넘은 관광객의 유입으로 발생하는 다양한 부작용을 포함

하는 개념으로 임대료 상승에 의한 주민들의 비자발적 이주 소음 쓰레기 등으로 인한 정주권 피해 관광지

의 지나친 혼잡 자연환경 훼손등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이원희 외 2019)

7) 투어리스티피케이션은 주로 관광지化로 번역되며 국내에서는 특정 지역에 관광객이 늘어나면서 관광지로

변해가는 현상을 통칭하는 의미로 미디어 등에서 활발하게 사용된다(박주영 2018)

51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구분 내용

국내여행 활성화- 코로나19로 인한 해외여행 제한 등 국내여행 시작 및 자동차 여행 급증

- 대도시 지역관광 비시즌 로컬여행을 통한 일상 추구

안전 여행 인식

증대

-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체류형 독립 공간 선호

-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영향으로 소규모 안전 여행 추구

- 소규모 안전 부티크 호텔 웰니스 관광 의료관광 성장

- 여행자 신뢰 회복 및 신규 안전 및 클린 라벨 부착 방문자 정보 앱 국내 관광 홍보 캠페

인 실시

- 비 혼잡 관광 목적지 및 개선된 의료 시스템을 갖춘 여행업체(여행사 숙박업 등)의 선호세

디지털 활용

가속화

- 코로나19의 영향과 산업별 해결책 모색을 위한 정보 및 데이터 교환 시스템 구축

- 코로나19로 인한 디지털 전환시점동안 온라인에서 이용 가능한 문화와 지속 가능한 관광

에 대한 프로그램 개선

- 비즈니스 미팅 휴가 및 여가활동 등 단계적 온라인 전환

인력의 재배치 - 문화관광 전문인력 배치의 유연성 제고를 위한 창의적인 고용 솔루션 개발 필요

기타- 여행제한 해제 및 기업과의 협업으로 유동성 지원 접근으로 관광시장 다변화 지원

- 기술 파트너의 플랫폼 구축과 정보공유를 위한 거버넌스 구조 강화

자료 OECD(20200602) Tourism Policy Responses to the coronavirus (COVID-19) UNWTO(2020)

Cultural tourism amp COVID19 WEF(20200715) Top factors travellers will consider before planning

their next trip WEF(20200811) How are people holidaying after COVID-19 lockdowns Forbes

(20200507) Post Coronavirus Travel How Most Americans Want To Holiday At Home FP

(20200613) The Future of Travel After the Coronavirus Pandemic Travel Weekly(20200715) In

new reality demand grows for boutique hotels wellness experiences Agoda(20200729) Agoda

shares quick ways to sustainably rediscover the world through lsquoSlow Travelrsquo 내용 재정리

lt표 2-23gt 코로나19 이후의 변화

코로나19 발생 이후 해외여행에 대한 관광객의 수요는 국내여행으로 전환되고

여행 안전에 대한 인식도 강화되고 있다 코로나19 확산 이후(2월~4월)에도 응답자

의 229가 국내여행을 경험하 고 향후 458는 국내여행을 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하 다(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200527)

코로나19로 관광행태 및 관광시장의 변화가 발생함에 따라 관광기업의 온라인

전환이 가속화되고 관광인력 배치의 유연성이 제고되는 등 관광산업의 재정비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코로나19로 관광객들은 대인 접촉이 우려되는 장소보다는

사람이 적은 지역 자가용을 이용한 여행 당일 여행을 선호하는 등 국내 여행 방식

을 변화시킨 것으로 나타났다(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200527)

5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3 시사점

본 연구는 미래 일자리 환경 변화와 미래 이슈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종합적으

로 살펴보기 위해 일자리 환경 변화의 결과 요인인 경제적 요인을 제외한 사회 기

술 생태 환경 및 정치(정책) 및 제도적 요인과 더불어 관광환경 요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구분 내용

사회환경 변화

- (인구구조) 세계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우리나라는 향후 50년 동안 감소할 것으

로 전망됨 특히 우리나라는 생산연령인구의 지속적인 감소와 고령 인구비중의 증가가

전망됨

- (여가 시간 변화) 2016년 이래로 증가하고 있으며 일을 우선시하는 사회에서 워라밸을

중요하시는 사회로 변화하고 있음

기술환경 변화

- (해외) 최근 미래유망기술은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로봇공학 3D 프린팅 가상현실 사

이버 보안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 자율주행 운송 수단으로 나타남

- (국내) 실용성에 중심을 둔 에너지 스마트 3D 지능형 자동 차세대 정보 고효율

실시간 환경 등이 중요한 미래유망기술로 나타남

생태환경 변화

-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 코로나 바이러스의 영향으로 전세계 실업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관광산업을 비롯해 기업과 경제 전체에 부정적인 영향이 클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 (기후 변화) 지구온난화로 대표되는 기후변화는 생태계의 지속 가능한 생존과 일상생활은

물론이고 우리들의 관광과 문화와 관련된 직업 활동에도 도전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음

정치middot제도 환경

변화

-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에 따른 개인 여가 시간 증가 및 장기

휴가 분위기 정착이 예상됨

- (도시재생 뉴딜 사업) 관광분야에서는 구도심이 보유한 역사 근대건축물 시장 골목

폐공장 창고 등이 새로운 공간으로 가치를 채창출하고 있음

- (남북 관계 변화 등) 2018년 2월 북한의 평창 동계올림픽 참가를 계기로 긍정적 분위

기가 조성되었으나 북한의 미사일 발사시험 대북전단 살포 문제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등 남북관계 경색이 지속되고 있음

일자리 환경 변화

- (코로나19 이전) 개인 직업관의 변화 일자리의 양극화 1인 기업의 증가 유연한 업무

환경 등의 변화가 예상됨

- (코로나19 이후) 이동이 제한되면서 재택근무제 유연근무제는 확산되고 있으며 코로

나19 여파로 노동시장의 위축이 장기화되고 있음

관광환경 변화

- (관광시장) 밀레니얼 Z세대 뉴시니어 등 다양한 세대가 트렌드 변화를 주도하고 방한

인바운드 시장의 다양화와 세분화가 전망됨

- (관광산업) 플랫폼 비즈니스 AI 관광 관광공유경제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비즈니스

의 성장이 전망됨

- (관광자원) 기존 관광지가 아닌 지역주민의 일상 공간으로의 관광객 수용가 증대되고 있음

- (코로나19로 인한 영향) 국내 여행 수요 및 관광안전 인식 증가 온라인 전환 가속화

및 관광인력 배치의 재정비 등의 변화가 나타남

lt표 2-24gt 미래 일자리 환경 변화

53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본 연구 결과 사회적으로는 인구구조와 교육구조의 변화 기술과 환경 변화는 기

술의 확산 및 친환경 인식 고조 정치 및 제도적으로는 국제 관계의 향 부처 간

융합 정책 관광과 관련해서는 기술기반의 비즈니스 창출 및 확대 관광 소비문화의

세분화 등이 주요 환경 변화로 나타났다

이러한 미래 일자리를 둘러싼 거시 환경변화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고

있다 먼저 일자리 환경이 다변화 되고 있다 인구구조의 변화 기술의 발전 코로

나19로 인한 재택 근무의 증가 플랫폼 비즈니스의 성행 등으로 일자리의 형태도

세분화 전문화 다양해지고 일하는 모습도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기술의

발전으로 기술과 융합된 일자리가 탄생되고 있다 관광분야에서 관광객 수요가 다

양해짐에 따라 관련 일자리도 전문화 세분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디지털 기반의

관광기업의 출현으로 기술역량을 보유한 사람들이 관광산업에 입직하고 있다

특히 관광산업에서는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 되면서 빅데이터 플랫폼 ARVR

등의 관광분야 활용이 증가되고 있으며 코로나19로 인해 키오스크 챗봇 화상 국

제회의 등 무인 관광서비스의 활용이 확대 적용되고 있다

최근 가장 우리 사회에 큰 향을 미친 코로나19의 확산은 관광 미래 일자리 환

경 변화에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된다 코로나19의 확산은 국가 간 지역 간 이동의

제한을 초래해 관광사업체 운 과 관광종사자의 수에 부정적 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관광사업체의 향 뿐 아니라 코로나19는 관광객이 국내 여행 수요를 촉진

하고 관광에서의 비대면 기술 활용을 증가하는 등 향을 초래했다 이러한 향에

따라 관광 일자리에 대한 불안정성이 증대하고 있다

5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제3절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1 개요

본 연구는 미래 일자리를 위한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를 위해 국내외 일자리 지원

정책 및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일자리창출을 위한 정책 및 지원사업은 매우 다양

하여 그 범위를 총괄 파악하기는 쉽지 않으며 또한 유형화하기도 쉽지 않다 이에

국내외 일자리 창출 사례 내용의 이해도 제고를 위해 일자리창출을 위한 정책 및

지원사업을 직접지원방식만이 아니라 간접지원 방식도 포함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0912)

직접지원방식에는 고용유지 및 신규고용 창출을 위한 정부의 보조금 사업 고용

창출을 위한 사회적 일자리 사업 및 창업지원 사업 등 직접적인 일자리창출을 위한

지원사업이 해당된다 간접지원방식에는 구직자들의 구직활동 강화를 위한 훈련 및

연수활동 지원 취업유도 및 고용안정을 위한 인프라 구축 등을 들 수 있다

2 국내 정책 사례

한국은 과거 산업화시대를 모방 또는 추격하는 경제에서 선도하는 경제로 가야하

는 전환기에 놓여 있다 그럼에도 1997년 말 IMF 외환위기 이후 경제성장률 둔화

와 자동화 등으로 고용률도 지속적으로 하락해 왔다 더욱이 최근에는 제조업의 부

진 서비스업과 중소기업의 생산성 정체 등으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어려운 상황

에 놓여있다 일자리 창출은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함과 동시에 모든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의 바탕이 될 뿐만 아니라 사회안전망 강화와 선진 국가로의 도약을 위한

중요한 과제이다

55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이하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주요 일자리 정책과

미래의 일자리 창출에 대해 살펴본다

21 일자리위원회의 정책 추진

문재인 정부의 일자리 정책은 기본적으로 사람 중심의 혁신과 포용에 바탕을 두는

성장을 지향한다 포용과 성장은 흔히 산업화시대에 중심이었던 경제정책을 넘어서 사

회정책도 매우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을 의미한다 경제성장을 지속하는 가운데 사회적

불평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좋은 일자리 창출이 요구된다 문재인 정부는 일자리위

원회를 설치하여 일자리 정책을 총괄하도록 하 다 일자리위원회 위원의 역할은 위원

회 운 정책 수립 일자리 중심의 정책 전환 및 유인 기제 마련 등의 세 부분이다

일자리위원회가 수립한 정책은 종합적인 정책인 lsquo일자리 정책 5년 로드맵rsquo이다

로드맵은 10대 역의 100대 세부 추진과제로 구성되어있다 이 로드맵은 문재인

정부의 국정운 5개년 계획과 일자리와 관련한 현안 과제와 중장기적으로 해결해

야 할 과제들을 종합하여 만들어졌다 문재인 정부 출범과 함께 수립된 5년 로드맵

은 일자리 인프라 구축 공공일자리 창출 민간 일자리 창출 일자리 질 개선 맞춤

형 일자리 지원 등의 5개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8)

최근 일자리위원회는 문재인 정부 후반기 일자리 정책으로 그 동안의 일자리 정

책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진단하고 새롭게 보강한 50개의 중점 추진과제와 기존의

50개 과제의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정책을 수립발표하 다9) 동 정책은 lsquo일자리를

통해 혁신적 포용국가와 노동존중의 사회 구현rsquo이라는 비전과 lsquo사람노동 중심의 전

환된 패러다임을 기반으로 2022년까지 고용률 68 고용보험 1500만 명 가입 달

성rsquo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비전과 목표는 사람이 중심이 되는 경제 실현을 지

8) 일자리 정책 5년 로드맵은 제3차 일자리 위원회에서 확정된 것으로 일자리 중심국정운영 시스템구축 12개

일자리안전망 강화 및 혁신형 인적자원 개발 10개 공공일자리 81만명 확충 관련 7개 혁신형 창업촉진

6개 산업경쟁력 재고 및 신산업서비스업 육성 19개 사회적경제 활성화 6개 지역일자리 창출 10개 비정

규직 남용 방지 및 차별 없는 일터 조성 5개 근로여건 개선 9개 청년여성신중년 등 맞춤형 일자리 지원

16개 등 총100개 과제로 구성되어있다 동 로드맵은 총괄분과를 포함하여 5개의 분과별로 분담되어 작성

되었으며 일자리 인프라 및 노동시장의 두 분과는 고용노동부 민간일자리 분과는 산업통상자원부 공공일

자리 분과는 기획재정부가 주재하였다(일자리위원회관계부처 합동 20171008)

9) 문재인 정부 후반기 일자리 정책과제는 일자리위원회와 관계부처 합동으로 작성된 것으로 제14차 일자리위

원회의 1호 의결안건으로 상정되어 확정되었다(일자리위원회관계부처 합동 20200309)

5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향하는 것이다 그리고 새롭게 보강되거나 신규로 작성된 과제는 민간의 고용창출

역량 강화 일자리 현안 대응 노동시장 주요 이슈에 선제 대응 재정투입 일자리

사업의 효과성 제고 등 네 가지를 기조로 추진될 핵심과제로 설정되고 있다

또한 전반기 로드맵과 달리 후반기 100대 과제는 미래 변화에 대비하는 추진 과

제들을 새롭게 제시하고 있다 미래에 대비하는 과제는 인적자원개발과 지속가능발

전 기반과 연계하는 일자리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다 인적자원개발과 지속가능발전

모두 장기적인 관점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정부의 넓은 정책 역과 연관되므로 이

러한 정책의 상호 의존관계를 충분히 고려해야 하는 것들이다

22 주요 정부부처의 일자리 정책 사례

정부부처의 일자리 정책은 일자리위원회가 추진하는 큰 그림에서의 하위 단위라

고 할 수 있다 문재인 정부가 계획하고 있는 후반기 일자리 정책은 일자리 정책

5년 로드맵에서 이미 추진 완료한 것을 제외하고 신규 과제와 기존 추진 과제를 보

강하여 100대 추진과제를 설정하 다

가 일자리 정책 5년 로드맵의 부처별 추진 현황

우선 일자리 정책 5년 로드맵에서 지금까지 추진 완료한 과제는 20개이다(lt표

2-25gt 참조) 대체적으로 기획재정부 행정안전부 등은 공공부문 일자리와 관련되

고 중소벤처기업부 산업통상자원부에서는 민간부문 일자리 창출과 관련된다 그

리고 고용노동부는 일자리와 연관되는 고용정책의 역에 속하는 것들이다

영역 세부과제 관련 부처

일자리 중심 국정운영

시스템 강화

1 타당성심사 시 일자리 지표 강화 고용 기재

2 예산편성시 일자리 비중 확대 중기 행안

3 고용친화적 세제 개편 기재

4 일자리 중심 정책금융지원체계 개편 금융

5 공공조달 인허가시 일자리 평가 강화 조달

6 정부업무평가 일자리 평가 비중 확대 국조

지자체 합동 평가시 일자리 평가 강화 행안

lt표 2-25gt 일자리 정책 5년 로드맵 완료 현황

57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다음 후반기 일자리 정책 추진 방향으로 제시된 100대 과제는 부처별로 고용노

동부 57개 중소벤처기업부 30개 산업통상자원부 23개 기획재정부 18개 국토부

11개 교육부와 보건복지부 각 10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8개 등이며 26개 부처청에 분담되어 있다(lt표 2-26gt 참조) 사실상 대다수 정부부처가 일자리위원회가

주도하는 정책을 추진하는 데에 참여하고 있다

영역 세부과제 관련 부처

공공기관 경영평가 일자리 반영 기재

7 일자리 추진체계 강화 행안 국조

지역 일자리 8 일자리 창출형 산업단지 구축 산업

중소벤처 일자리

9 창업기업의 안정적 성장 기반 확충 중기 조달

10 창업벤처 자금조달을 투자 중심으로 전환 중기

11 창업벤처 부담 및 규제 혁신 중기

소상공인 일자리 12 소상공인 생업안전망 확충 중기

제조업 일자리13 제조업 활력 회복 산업

14 중견기업경쟁력 강화(성장대책 수립추진) 산업 중기

공공 일자리 사업 등을

통한 고용여력 뒷받침

15 공공기관 인력충원 기재

16 정부기관 근무혁신 인사

적극적인 노동시장정책

및 고용안전망 완성17 구직촉진지원제도 개편 고용

맞춤형 지원

18 고용장려금 제도 개편 고용

19 신중년 창업 활성화 중기 고용

20 여성일자리 인프라 구축 고용 여가

자료 일자리위원회관계부처 합동(20200309) 사람중심경제를 실현할 후반기 일자리정책 추진 방향」 제14차 일자리

위원회 1호 의결안건 88-96쪽

영역 세부과제

일자리 중심 국정운영 시스템

강화

(1) 협력거버넌스 보완운영 지역혁신(고용) 중소기업지원(중기) 인재양성(교육) (2) 고용영향평가 강화(고용) (3)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혁신(고용 기재) (4) 일자리 관련 입법의 신속추진 지원(고용 법제) (5) 고용창출 우수기업 인센티브포상(고용) (6) 일자리 통계 확충(통계)

지역 일자리

(7) 상생형 지역일자리 발굴확산 추진(산업) (8) 산업단지 대개조 계획 후속조치(산업 국토) (9)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지원(고용) (10) 지역혁신성장 추진(산업) (11) 규제자유특구 확대(중기) (12) 연구개발특구 확대 및 연구소기업 육성 활성화(과기) (13) 대학의 지역혁신 역량 강화(교육) (14) 금융서비스 경쟁촉진 및 혁신인프라 구축(금융) (15) 이전공공기관 지역인재 채용 확대(국토 기재) (16) 국가혁신클러스터 육성(산업 국토) (17) 혁신도시 등 지역성장 거점 육성(국토) (18) 도시재생 일자리 창출(국토)

신산업middot서비스 일자리

(19) 혁신 신산업 분야 민간투자 촉진(과기) (20) SW혁신융합을 통한 신성장동력 창출(과기) (21) 과학기술기반 고급 일자리 창출(과기) (22) 신산업육성 및 시장창출을 위한 규제정비(국조 과기 산업 중기) (23) 지식서비스 육성 활성화(산업 특허 중기) (24) lsquo사람중심의 돌봄경제rsquo 육성 등 통합돌봄 서비스(복지) (25) 영유아 보육교육서비스(복지 교육) (26) 콘텐츠산업육성 및 문화여가서비스 확대(문체) (27) 환경서비스(환경)

lt표 2-26gt 문재인 정부 후반기 일자리 정책 100대 과제

5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영역 세부과제

중소middot벤처 일자리

(28) 스마트 대한민국 구축(중기 금융) (29) 중소기업 창업 및 성장기반 정비(중기) (30) 중소벤처기업 대상 금융연구개발기술보호판로 등 지원 확대 강화(금융 중기) (31) 세계 4대 벤처강국 구현을 위한 스케일업 강화(중기) (32) 고급인력 기술창업 활성화(중기 교육 과기) (33) 지역 중소기업의 혁신성장 촉진(중기) (34) 중소기업의 선제적인 사업구조 개선 지원(중기) (35)자발적 상생협력 문화 확산(중기)

소상공인 일자리(36) 온라인 진출 스마트화 등 혁신 지원 등(중기) (37) 지역상권 활성화(중기) (38) 소상공인 사회안전망 및 재기 지원 강화(중기)

제조업 일자리

(39) 주요 프로젝트 집중지원으로 민간투자 적기 이행 지원(산업 국토) (40) 생산성 향상 지원 신산업육성 주력산업 혁신을 통한 일자리 창출(산업 중기 복지 국토) (41) 제조 중견기업 및 소부장 집중육성을 통한 고용여력 확대(산업 기재 과기 중기) (42) 소비트렌드 변화에 따른 성장산업 발굴육성(농식품 해수) (43) 세계시장 진출 및 수출 지원 강화(산업 중기) (44) 해운조선산업 경쟁력 강화(해수 산업) (45) 외국인투자 및 유턴제도 개편(산업) (46) 방위산업 진흥(방사청)

건설 일자리(47) 건설산업 경쟁력 강화(국토) (48) 양질의 건설일자리 창출을 위한 환경조성(고용 국토)

사회적경제 일자리

(49) 인프라 고도화를 통한 사회적 경제 기업 스케일업 촉진(기재 고용 중기) (50) 사회적경제 지원체제 정비(기재 고용 행안) (51) 사회적경제 전문인력 양성 시스템 구축(기재 교육 고용) (52) 혁신형 사회적경제 모델 발굴확산(기재 교육 고용) (53) 사회서비스분야 사회적 경제 역할 강화(복지) (54) 분야별 커뮤니티 기반 일자리 창출(문체 환경 농식품 산림 해수) (55) 사회적 경제 금융접근성 제고(금융 기재) (56) 사회적가치 실현체제 구축(기재)

공공 일자리 사업 등을 통한 고용여력

뒷받침

(57) 주요 일자리 사업 조기 집행(고용 복지 행안) (58) 현장민생공무원 국가직 10만명(행안 기재) (59) 현정민생공무원 지방직 74만명(행안) (60) 사회서비스 1단계 17만명(복지) (61) 사회서비스 2단계 17만명(복지) (62) 간접고용의 직접고용 전환 등(고용 기재 인사) (63) 사회서비스 일자리(복지) (64) 노인일자리 사업 개편(복지)

공정한 노동시장 구축 및

일터 혁신

(65) 공정한 채용관행 확산(고용) (66) 공정임금체계 확립(고용) (67) 직무중심 임금체계 확산 지원(고용) (68) 공공기관 및 공무직 임근체계 개편(기재 고용) (69) 임금복지 격차 완화(고용) (70) 사회적 대화 지원 활성화(고용) (71)노동존중사회 기본계획 수립(고용) (72) 임금보장 강화(고용 국토) (73) 노동시간단축 현장 안착 및 일터 혁신(고용) (74) 산업안전 혁신(고용) (75) 고용산재보험 사각지대 해소(고용) 76(고용산재보험 보호수준 강화(고용) (77) 산업보건 사각지대 해소(고용) (78)일생활 균형 고용근로 문화 확산(고용) (79) 기간제 사용 최소화를 위한 제도 개선(고용) (80) 정규직 채용 여건조성(고용) (81) 비정규직 차별 적극적 해소(고용) (82) 사내하도급 근로자특수형태근로종사자 보호(고용) (83) 비정규직 의견 참여 통로 확대(고용)

적극적 노동시장정책 및 고용안전망 완성

(84) 적극적 노동시장정책 강화(고용 교육) (85) 공공고용서비스 혁신(고용) (86) 국민취업지원제도(고용)

맞춤형 지원

(87) 청년사업 확충(기재 고용 국조 교육 문체) (88) 공공기관 청년고용 확대(고용) (89) 청년의 해외짙울 촉진(고용 외교) (90) 청년진출 유망 신직업 발굴 및 관련 인프라 구축(고용) (91) 40대신중년 등 맞춤형 지원(기재 고용) (92) 여성(여가 고용) (93) 장애인(고용) (94) 농어촌(농식품 해수) (95) 외국인력 적정관리 체계 구축(고용)

인적자원개발 및 미래변화 대비 등

중장기 이슈에 대응

(96) 직업능력개발 강화(교육 국토 환경 고용) (97) 혁신성장을 이끌어 갈 고급융합 전문인력 양성(교육 과기 산업) (98) 국가기술자격 개편 및 역량체제 구축(고용) (99) 플랫폼경제 도래에 대한 대비(고용) (100) 저탄소경제녹색경쟁력 강화를 위한 민간투자 활성화 지원(환경 산업)

자료 일자리위원회정부부처 합동(202039) 사람중심경제를 실현할 후반기 일자리정책 추진 방향 p88-96

59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나 부처별 보완 및 신규 과제

문제인 정부 후반기 일자리 정책은 기 완료된 과제를 제외하고 20개의 신규 과제

와 30개의 기존 과제를 보강하여 10대 분야 100개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우선 신

규과제는 중소벤처기업부 소관 과제 6개 고용노동부 4개로 다수를 차지한다 산업

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농림축산식품부 등의 부처 과제는 3개이다 이러한 신규

과제는 기 완료한 과제들을 대체하는 것으로 지역과 민간부문 일자리로 일자리 창

출의 실효성을 높이려는 방향을 나아가고 있으며 동시에 고용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동정책을 강화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영역 세부과제 관련 부처

지역 일자리

1 산업단지 대개조 계획 후속 조치 산업 국토

2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지원 고용

3 대학의 지역혁신 역량 강화 교육

신산업서비스 일자리

4 지식서비스 육성강화산업 특허

중기5 사람중심의 돌봄경제 육성 등 통합 돌봄 서비스 복지

6 영유아 보육교육 서비스 복지 교육

중소벤처 일자리

7 스마트 대한민국 구축스마트 공장서비스상점 기반 조성 중기환경안전투자 지원프로그램 운영 강화 금융

8 세계 4대 벤처 강국 구현

을 위한 스케일업 강화

대규모 벤처투자 유치를 위한 환경 조성

중기유니콘 기업육성 지원체계 마련도약기업의 스케일업 집중 지원

9 중소기업의 선제적인 사업구조 개선 지원 중기

소상공인 일자리10 온라인 진출 스마트화 등 혁신 지원 중기11 지역 상권 활성화 중기

제조업 일자리

14 주요 프로젝트 집중지원으로 민간투자 적기 이행 지원 산업 국토

15 소비트렌드 변화에 따

른 성장산업 발굴육성

식품산업 농식품

수산가공업 해수

사회적경제 일자리16 분야별 커뮤니티 기반

일자리 창출

지역고유특색의 관광사업체 육성 문체생태 관광 환경

농업의 사회적 기능 확산 농식품

공동체 중심의 산림비즈니스 육성농식품 산림

해수

공공 일자리 사업 증을

통한 고용여력 뒷받침17 노인일자리 사업 개편 복지

공정한 노동시장 구축

및 일터 혁신

18 직무중심의 임금체계 확산 지원 고용19 공공기관 및 공무직 임

금체계 개편

공공기관 기재 고용

공무직 고용

적극적인 노동시장정책

및 고용안전망 완성20 국민취업지원제도 고용

자료 일자리위원회관계부처 합동(202039) 사람중심경제를 실현할 후반기 일자리정책 추진 방향 p88-96

lt표 2-27gt 문재인 정부 후반기 일자리 정책 신규과제

6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한편 lt표 2-28gt은 문재인 정부 전반기의 일자리 정책 5년 로드맵에 제시되었던

정부의 추진 과제들의 실효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보완된 과제들이다 부처별로 고

용노동부 16개 중소벤처기업부 9개 산업통상자원부 6개 교육부 5개 보건복지부

와 기재부 각 4개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보완 과제는 일자리 창출을 좋은 일자리를

만드는 데에 역점을 두는 방향으로 보완한 것이다 특히 지역과 개인의 특성을 고려

하여 인적자원의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를 줄이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청년 신중

년 여성 및 장애인 농어촌 등의 일자리와 개인이 처한 여건을 반 하고 있다 그리

고 건설 및 사회적middot경제적 분야 이외에 신산업 육성 생산성 향상 혁신성장 직업능

력개발 고급융합 인력양성 등의 보완은 포용적이면서도 좋은 일자리 창출을 지향

하는 것이다

영역 세부과제 관련 부처

일자리 중심 국정운영

시스템 강화

1 협력적 거버넌스 보완운영

지역혁신 고용

중기지원 중기

인재양성 교육

지역 일자리2 상생형 지역일자리 발굴middot선정middot지원middot확산 추진 산업

3 연구개발특구 확대 및 연구소기업 육성활성화 과기

신산업서비스 일자리

4 혁신 신산업 분야 민간투자 촉진 과기

5 신산업육성 및 시장창출을 위한 규제 정비 국조 과기 산업 중기

6 콘텐츠 산업육성 및 문화여가 서비스 확대 문체

7 환경서비스 환경

중소벤처 일자리

8 중소벤처기업 대상 금융연구개발기술보호판로 등 지원

확대 강화금융 중기

9 지역 중소기업의 혁신성장 촉진 중기

10 자발적인 상생협력 문화 확산 중기

소상공인 일자리 11 소상공인 사회안전망 및 재기 지원 강화 중기

제조업 일자리

12 생산성 향상지원 신산업육성 주력산업 혁신을 통한 일

자리 창출산업 중기 복지

13 제조 중견기업 및 소

부장 집중육성을 통

한 고용여력 확대

제조중견기업 경쟁력 강화 산업

소부장 분야 맞춤형 패키지

지원 강화기재 과기 산업

건설 일자리14 건설산업 경쟁력 강화 국토

15 양질의 건설일자리 창출을 위한 환경조성 고용 국토

lt표 2-28gt 문재인 정부 후반기 일자리 정책 보완 과제

61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23 국내 미래 일자리 창출 정책

미래의 일자리 환경은 그간 경험하고 논의해 온 것과 새롭게 출현할 것이 있다

전자는 인구구조 변화와 디지털 전환과 관련되는 것으로 그동안 많은 논의가 있어

왔다 후자는 최근에 발생한 코로나19 이후 인간의 삶의 변화에 대한 문제이다 이

들은 과거 고도성장 시대와 사뭇 다른 것으로 미래의 불확실성을 매우 높이고 있다

미래의 일자리 창출 정책은 이들의 세 가지 관점에서 정리할 수 있다

영역 세부과제 관련 부처

사회적경제 일자리

16 인프라 고도화를 통한 사회적경제 기업 스케일업 촉진 기재 고용중기

17 혁신형 사회적경제 모델 발굴확산 기재 고용 중기

18 사회서비스분야 사회적경제 역할 강화 복지

공공 일자리 사업

등을 통한 고용여력

뒷받침

19 주요 일자리 사업 조기 집행 고용 복지 행안

20 사회서비스 일자리 복지

공정한 노동시장구축

및 일터혁신21 산업보건 사각지대 해소 고용

적극적인

노동시장정책 및

고용안전망 완성

22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 강화

일자리예산 및 사업범위 지속

확대고용

일자리사업 성과중심 평가 강화 고용

신기술분야 훈련 지속 확산 교육 고용

23 공공고용서비스 혁신 고용

맞춤형 지원

24 청년 사업 확충

청년 3대 핵심 사업의 내실화

도모기재 고용 국조

청년 취업지원 및 구직 서비스

강화확대고용

콘텐츠산업 청년 취창업 지원 문체

25 40대신중년 등

맞춤형 지원

40대 기재

신중년 고용

26 여성 여가 고용

27 장애인 고용

28 농어촌농촌 일자리 창출 확대 농식품

어촌 일자리 창출력 강화 해수

29 직업능력개발 강화평생 직업교육훈련 기반 조성 교육 국토 환경 고용

기업산업 맞춤형 훈련 확산 교육

30 혁신성장을 이끌어 갈 고급융합 전문인력 양성 교육 과기 산업

자료 일자리위원회middot관계부처 합동(202039) 사람중심경제를 실현할 후반기 일자리정책 추진 방향 p88-96

6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가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

인구구조 변화는 저출산middot고령화로 인하여 고령자의 비율 증가와 함께 생산가능인

구의 규모를 빠르게 감소하는 것으로 중장기적인 인적자원 수급에 향을 미칠 전

망이다 장수사회에 노인들이 일할 기회를 창출하고 여성들의 경제활동을 촉진하

는 것은 인구의 경쟁력을 높이는 미래의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먼저 고령자를 위한 일자리이다 우리나라의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로 5060세대는 2016년 1340만 명에서 2027년까지

1667만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것은 고령자를 위한 일자리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음을 의미한다10) 노인을 위한 일자리 창출은 개별 노인들의 당면한 특

성과 여건을 고려하여 재취업 창업 농어촌 귀환 사회공헌 등 네 가지의 세부 유형

이 있다11) 신중년 재취업 정책은 고용노동부가 고용복지센터 고용센터 중장기일

자리희망센터 고령자은행센터 워크넷 등에서 취업을 지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함과

아울러 신중년 친화적인 직무개발 및 작업환경 개선을 추진하는 것이다 창업은 과

밀업종 진입을 억제하고 특화 및 비생계형 업종의 틈새시장에서 일어나도록 유도하

고 신중년의 경험 및 제조업 기반기술 청년의 아이디어middotICT 기반 신기술 결합 등

의 세대 간 융합을 지원하는 데에 초점이 있다 농어촌 귀환은 신중년들이 농어업을

미래지향적인 융middot복합 산업으로 전환하는 데 기여하고 농어촌 환경을 개선하기 위

한 정책 프로그램이다 마지막으로 신중년 사회공헌 프로그램은 고학력의 전문성을

갖춘 신중년들의 역량을 자원봉사 및 사회적 기업 경 참여 등을 통해서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이다12) 이와 같이 퇴직자들의 경험과 노하우를 활용하는 전략

은 미래의 노동력 감소에 대응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10) 우리나라의 노인 빈곤율은 OECD 국가들 중 가장 높은 반면 기초연금은 매우 취약하고(김형만middot최영섭middot노

대명 2018 49) 다수의 노인들은 일을 통하여 좋은 삶을 이어가기를 원하고 있다(관계부처 합동

201788 1)

11) 이것은 정부가 신중년이라 칭하는 5060세대를 대상으로 생애경력설계 직업교육훈련 취middot창업 및 귀농middot

귀촌 사후관리 등의 단계별 서비스 제공과 이직 및 전직 서비스 및 관련 맞춤형 직업훈련 등의 고용서비

스 또는 노후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관계부처 합동 201788 11-14 저출산middot고령사회위원회

(201812 32-34)

12) 최근 정부는 중소middot준견기업 컨설팅 중소기업 등에 재취업 교middot강사 육성 및 숙련전수 4차 산업혁명 기술

기반 숙련 축적middot전수 공공middot사회서비스에 전문성 활용 전문 봉사활동과 연계 중소기업 및 전문인력 활용

을 위한 고용서비스 퇴직 전문인력 DB 구축 등의 퇴직 전문인력 활용 방안을 구체화 하였다(관계부처

합동 2020515)

63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다음은 여성 일자리이다 여성의 일자리 창출과 일자리 질도 장수시대에 급감하

는 노동력을 확보한다는 차원에서 중요한 과제이다 하지만 여성의 경제활동참가는

성차별 출산 등으로 인한 노동시장 제약이 매우 큰데 이는 미래에 해결해야 할 사

회문제이다 여성 일자리와 관련한 정책은 출산 및 육아 일자리 차별 경력단절과

관련된다 출산과 육아와 관련한 정책은 출산 전후 휴가 확대 부부 육아휴직 확대

아이 돌봄 지원서비스 강화 등을 통하여 일과 생활의 균형을 위한 일자리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13) 일자리 차별은 오랫동안 남성 중심의 노동시장 특성에 기인하

는 것으로 최근의 양성평등의 중요성이 제기 되고 있는 현실을 반 하여 남녀 평등

한 노동환경을 마련하는 것이 요체이다14) 여성의 경력단절은 일자리와 관련해서

지역특화 통합사례 관리 경력단절 여성 DB 구축 여성가족형 사회적 기업 지원 등

재취업과 관련 일자리 기반을 확대하는 것에 초점이 있다15) 이외에도 인구구조의

변화와 관련해서 청년과 중장년 근로자들의 일자리도 매우 중요하다 이들에게는

일자리의 질을 개선함에 의해 노동시장에서 인력수급 또는 숙련의 미스매치를 해결

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울러 혁신을 통한 기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도 비록

일자리의 질과 매우 밀접하게 관련된다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하는 일자리 정책은

종합적이면서도 중장기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나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에 대응

디지털 전환은 산업의 자동화를 넘어서 생산과 소비 사람과 기계 그리고 일과

삶의 역 등의 전반에 향을 미친다 소위 4차 산업혁명으로 명명되는 이러한 시

대적 전환은 미래에 전통적인 일자리의 생존주기를 단축시키고 새로운 일자리가 등

13) 일자리 위원회가 제시한 100대 과제에서는 여성이 일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대책으로 휴가와

돌봄을 지원하는 내용이 제시되어 있고(일자리위원회middot관계부처 합동 202039 74) 저출산middot고령사회

위원회의 로드맵에서도 남성육아 확대 일-생활 확산 인센티브 휴가 등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관계부

처 합동 20181221)

14) UN에서 각국이 2030년까지 달성을 추구하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17개 중에서 우리나라의 성평

등(gender equality) 항목은 매우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UN 2020 41) OECD 국가의 평균에 훨씬

미치지 못하는 현상이 지속되고 있는 것이다(OECD 2017 43) 이것은 우리나라에서 성평등 문제는 향

후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임을 의미한다

15) 「제3차 경력단절여성등의 경제활동촉진 기본계획(2020-2024)」은 재직 여성의 경력단절 예방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 일자라지원 돌봄 전달체계 및 제도 등의 5개의 정책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관계부처

합동 20202)

6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장할 것임을 예고하는 것이다 따라서 미래 4차 산업혁명에 대비는 기존의 일자리

신산업 일자리 그리고 인적자원 역량의 세 관점에서 조망할 수 있다

첫째 기존 일자리의 유지는 제조업을 중심으로 경제의 근본을 이루는 힘을 보존

하는 것이다 정부는 주력 산업 중심 제조업의 변혁을 통하여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 다(관계부처 합동 2019619) 정부의 추진 전략

은 ① 스마트화 친환경화 융middot복합화로 산업구조 혁신 ② 신산업을 새로운 주력산

업으로 육성함과 아울러 기존 주력산업을 혁신 ③ 산업생태계를 도전과 축적 중심

으로 개편 ④ 투자와 혁신을 뒷받침 하는 정부의 역할 강화 등의 네 가지를 제시하

고 있다16) 이 중에서 도전과 축적 중심의 생태계 조성은 제조업이 필요로 하는 인

적자원을 적기에 양성middot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산업수요 기반 공학교육 혁

신 평생교육 및 재직자훈련 기회 확대 청년과 고령자를 위한 일터혁신 등이 주된

내용이다 이와 같은 정부가 제시하고 있는 제조업 르네상스는 전통적인 주력산업

과 기타 제조업이 4차 산업혁명의 물결에 순응하기 위한 혁신을 통해 일자리를 유

지middot확대하는 것과 밀접하게 관련되는 것이다

둘째 신산업 일자리는 「제7차 산업기술혁신계획」에서 구체화되고 있다17) 이

계획은 25개의 분야에 100대 핵심 기술개발에 투자를 기획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

술 투자는 도전과 축적에 의한 일자리 창출을 기대하는 것들이다 산업혁신을 선도

하는 기술개발 체계는 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드는 파괴적 기술을 도출하는

도전적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계획은 미래를 선도할 핵심기술을 장기

간에 걸쳐 개발middot축적하는 lsquo산업기술 축적 거점사업rsquo을 구상하고 있다 공공연구기관

과 대학이 핵심기술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하는 것은 고급인적자원을 활용할 기

반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도전과 축적의 전략은 혁신의 기반이 되는 인력양성

에 기반을 두고 있다 연구개발의 제도정비와 함께 산업 인공지능 산업보안 스마

16) 정부는 제조업 부활을 위한 비전으로 `세계 4대강국` 도약을 비전으로 두고 부가가치 25 신산업신품

목 16 일류기업 573개사 수출 6위 등의 목표를 설정하고 산업구조를 추격형에서 선도형으로 산업생

태계를 위험기피에서 도전과 축적으로 그리고 성장의 핵심요소로 자본에서 기술과 사람으로 패러다임

전환을 추구하고 있다(관계부처 합동 2019619 3)

17) 동 계획의 비전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글로벌 기술 강국으로 도약`을 그리고 목표는 2017년 실적에서

2023년까지 `주력산업의 세계시장 점유율 85rarr12 신산업 1위 대비 기술수준 80rarr84 GDP대

비 기업 RampD투자 비중 36rarr43 산업체 연구개발인력 비중 94rarr12 대학middot공공 기술이전율

38rarr43` 등으로 향상시키는 것에 두고 있다(산업통상자원부 20193 14) 이것은 일자리에 필요한

인력양성과 활용에 기반을 두는 것이다

65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트엔지니어링 등 신산업 분야 공학 인력양성 대학 내에 기업연구관 및 기업지원센

터 설치 등이 구체적인 내용이다

영역 산업분야

수송 전기middot수소자동차 자율주행차 친환경스마트 조선해양 플랜트 차세대항공(드론포함)

건강관리 디지털헬스케어 맞춤형 바이오 진단middot치료 스마트의료기기

생활 스마트홈 서비스로봇 웨어러블디바이스 미래형디스플레이 지능정보서비스

에너지middot환경수소에너지 재생에너지(태양광 풍력) 지능형전력시스템 에너지효율향상 청정생산

원자력 안전 및 해체

제조 첨단소재 차세대반도체 첨단 제조 공정middot장비 스마트산업기계 스마트엔지니어링 3D 프린팅

자료 산업통상자원부(20193) 제7차 산업기술혁신계획(2019-2023)

lt표 2-29gt 정부의 투자전략 대상 산업 분야

셋째 인적자원 역량은 미래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일자리위원회는 미래 사회의 트렌드에 대비하기 위하여 후반기

일자리 대책으로 사람투자를 제시하고 있다 사람투자 정책은 교육훈련 기회 혁신

선도 산업수요 대응 등의 세 역에서 10대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교육훈련은 누

구도 낙오되지 않게 하는 포용적 접근을 위한 평생교육훈련 스마트 교육훈련 학생

교육 기회 재직자 교육 등 모든 계층의 교육훈련 기회를 확장하는 데에 초점이 맞

추어져 있다 혁신선도는 미래산업 주력산업 중소기업 등의 산업의 특성에 상응하

는 인재양성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산업수요 대응은 기존의 일학습병행제 민간직

업훈련 재직자 신기술 훈련의 세 축이다 이와 같은 세 역의 총 10개 과제는 미

래에 대비하여 인적자원의 질을 제고하여 산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개인에게는

평생고용의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사람투자는 미래를 위한 혁신과 포용을

지향하는 일자리 정책의 중요한 부분이다

다 코로나19의 이후 새로운 패러다임에 대응

최근 등장한 코로나19는 인구구조 변화 및 디지털 혁명에 대응하여 패러다임 전

환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심각한 경기하강과 불확실한 미래를 야기하고 있다 한국

에서는 코로나19 대응에 최선을 다하는 성과가 있었다18) 그 결과 2020년 전반기

6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의 실질GDP는 대다수 국가에서는 하락하 지만 한국(KOR)의 하락폭은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다(OECD 2020a)

그럼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 충격에 대비한 미래의 일자리 정책은 기존의 인구

구조 및 디지털 변화에 더하여 새로운 전략을 필요로 한다 정부는 최근 코로나19

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여 한국판 뉴딜을 발표하 다

18) UN은 지속가능발전목표를 코로나19에 통제지표를 만들어 국가별로 비교한 결과에 의하면 한국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UN 2020 20)

영역 분야 과제예산(조원)

일자리(만개)

디지털

뉴딜

DNA 생태계

강화

(1) 국민생활과 밀접한 분야 데이터 구축middot개방middot활용

(2) 1middot2middot3차 전산업으로 5GmiddotAI 융합 확산

(3) 5GmiddotAI 융합 확산

(4) K-사이버 방역체계 구축

582 903

교육인프라 디지털

전환

(5) 모든 초중고에 디지털 기반 교육 인프라 조성

(6) 전국 대학middot직업훈련기관 온라인 교육 강화

비대면 산업 육성

(7) 스마트 의료 및 돌봄 인프라 구축

(8) 중소기업 원격근무 확산

(9) 소상공인 온라인 비즈니스 지원

SOC 디지털화

(10) 4대 분야 핵심 인프라 디지털 관리체계 구축

(11) 도시middot산단의 공간 디지털 혁신

(12) 스마트 물류체계 구축

그린 뉴딜

도시middot공간middot생활

인프라 녹색 전환

(13) 국민생활과 밀접한 공공시설 제로에너지화

(14) 국토middot해양middot도시의 녹색 생태계 회복

(15) 깨끗하고 안전한 물 관리체계 구축

734 659저탄소middot분산형

에너지 확산

(16) 에너지 관리 효율화 지능형 스마트 그리드 구축

(17) 신재생에너지 확산기반 구축 및 공정한 전환 지원

(18) 전기차middot수소차 등 그린 모빌리티 보급 확대

녹색산업 혁신

생태계 구축

(19) 녹색 선도 유망기업 육성 및 저탄소middot녹색산단 조성

(20) RampDmiddot금융 등 녹색혁신 기반 조성

안전망

강화

고용middot사회 안전망

(21) 전국민 대상 고용안전망 구축

(22) 함께 잘 사는 포용적 사회안전망 강화

(23) 고용보험 사각지대 생활middot고용안정 지원

(24) 고용시장 신규진입 및 전환 지원

(25) 산업안전 및 근무환경 혁신 284 339

사람투자

(26) 디지털middot그린 인재 양성

(27) 미래적응형 직업훈련 체계로 개편

(28) 농어촌middot취약계층의 디지털 접근성 강화

자료 관계부처합동(2020714)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 선도국가로 도약하는 대한민국으로 대전환

lt표 2-30gt 한국판 뉴딜의 투자계획 및 기대 일자리 창출 효과

67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정부는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수요의 급증과 함께 디지털 경제로 전환이 가속

화 저탄소middot친환경 경제에 대한 요구 증대 경제middot사회구조의 양극화 심화 등의 구조

변화가 나타날 것으로 진단하 다 이러한 코로나19로 인한 충격의 가장 큰 부분은

경제의 불확실성과 그로 인한 일자리 위축이 될 것이다 정부의 「한국판 뉴딜」에는

디지털 뉴딜 그린 뉴딜 사회안전망 강화의 세 분야에서 일자리 창출을 중요하게

포함하고 있다 디지털 뉴딜은 DNA(Data-Network-AI) 생태계 강화 교육인프

라 디지털 전환 비대면 산업 육성 사회간접자본(SOC) 디지털화 네 역에서 총사

업비 582조 원을 투입하여 903만 개의 일자리 창출을 계획하는 것이다

그린 뉴딜은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미래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lsquo도시middot공간middot생

활 인프라 녹색 전환rsquo 미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lsquo저탄소middot분산형 에니지 확산rsquo 기

후 및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lsquo녹색산업 혁신생태계 구축rsquo 등 세 역에 총

734조 원을 투자하여 일자리 659만 개를 창출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사회안전망 강화는 구조전환에 따른 불확실성에 대응하여 고용middot사회

안전망 확충에 226조 원을 그리고 디지털middot그린 인재양성 등의 사람투자에 4조 원

을 투입하여 339만 개의 일자리 창출을 도모하고 있다 종합하면 2025년까지 총

160조 원을 투입하여 190만 개의 일자리 창출을 목표하고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코로나19의 충격에 대한 대응은 경제 및 사회의 전반에 불확실성을

가중시키는 데에 대한 대응책이다 특히 비대면 경제 및 사회활동의 증가와 함께

친환경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의 일자리 정책은 디지털 혁신에 대응하면서도

동시에 사회적 안전망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24 관광산업 일자리 정책

문화체육관광부의 관광 일자리 정책은 주로 예비 종사자와 종사원 역량 강화에

초점을 두고 추진되고 있다 관광 일자리 활성화를 위해서 문화체육관광부는 관광

산업 일자리 박람회 관광일자리센터 지역관광일자리 활성화(지역관광기업지원센

터 구축 산학협력프로젝트 등) 등을 통해 관광산업 일자리 정보 교육 및 훈련 등을

제공하고 있다

6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단위 백만원)

구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관광산업

일자리

활성화 및

단체지원

(직접

일자리

정책)

- 관광전문 인력교육

(110)

- 관광전문 인력양성

(207) - 관광전문 인력양성

(947)

- 관광전문 인력양성

(1398)- 호텔아카데미 육성

지원 (438)

- 호텔아카데미 육성

지원 등 (428)

- 관광안내 인력교육

(97)- 관광통역안내사

교육 및 카지노

아카데미 (567) - 종사원 전문 역량

강화 (210)

- 종사원 전문 역량강

화 (660) 미래형

관광인재 육성(대학

대상 미래형 관광교

육기관 선정 빅데

이터 통계 연계)19)

- 관광통역안내사

교육(514)

- 카지노리조트

아카데미(53)

- 관광숙박 종사원 교

육 및 진흥지원(60)

- 관광숙박 종사원 교

육 및 진흥지원(60)

- 관광산업 종합채용

박람회 개최 등

지원 (822)

- 관광산업 종합일자

리 박람회 등(700)

- 관광산업 일자리

활성화(3900)

- 관광산업 일자리

활성화(7400)

관광사업

창업지원 및

벤처 육성

(간접

일자리

정책)

- 관광기업 발굴 및

지원 (2200)

- 관광사업 발굴 및

지원 (2090)

- 관광사업 발굴 및

지원 (3402)

- 관광사업 발굴 및

지원 (8514)

- 관광분야 중소기업

투자유치 활성화

지원 (1550)

- 관광분야 중소기업

투자유치 활성화

지원 (987)

- 관광분야 중소기업

투자유치 활성화

지원 (944)

- 관광분야 중소기업

투자유치 활성화

지원 (10750)

-

- 관광산업 종합정보

지원체계 구축

(2000)

- 관광산업 종합정보

지원체계 구축

(2400)

- 관광산업 종합정보

지원체계 구축

(2200)

- 관광기업육성펀드

(15000)

- 관광기업 육성펀드

조성 (17000)

- 관광기업 육성펀드

조성운영(13000)

- 관광기업 육성펀드

조성운영(30000)

자료  문화체육관광부 각년도 관광부문 재정집행계획

lt표 2-31gt 2018~2020년 일자리 관련 관광산업정책

또한 미래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관광사업 창업지원 및 벤처 육성 지원을 추진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2020년 기준 관광사업 발굴 및 지원(8514백만원) 관광분

야 중소기업 투자유치 활성화 지원(10750백만원) 관광산업 종합정보 지원체계 구

축(2200백만원) 관광기업 육성펀드 조성운용(30000백만원)을 하고 있다

19) 2020년 하반기에 관광 미래인재 100명(교육기관 당 33~34명)의 대학(원)생을 선발 정규 이론 교육과

산학 프로젝트를 통한 실무 중심 교육 실시 160시간 이상의 교육 교육비 전액 국비 지원(한국관광공사

20200422)

69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최근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관광업계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문화체육관광부

는 관광산업의 지역소비 여력 확충과 더불어 고용 유지 지원을 위해서 고용 유지

지원금 지원 요건을 완화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관광업계 종사원을 위한 교육 지원

을 추진하고 있다

구분 내용

고용유지지원금 - 코로나19 피해기업에 대한 고용유지지원금 지원요건 완화 시행(129일~)

교육지원

- 재정비 기간 중 관광업계 종사원 교육 지원 추진

lsquo찾아가는 호텔교육(rsquo20년 신규 100개소)rsquo lsquo마이스전문가 양성 교육(300명)rsquo

lsquo유원시설 안전관리자 교육(100명)rsquo 등 조기추진(3월~)

자료 관계부처합동(20200217) 코로나19 대응 관광middot외식업 긴급 지원방안

lt표 2-32gt 코로나19 대응 관광산업 고용유지지원 정책

문화체육관광부는 일자리 할인소비쿠폰 한국판 뉴딜사업 등의 정책 추진하고

있다 특히 문화체육관광부는 문화예술middot관광middot 화 분야 일자리를 위해 일자리 창

출을 위한 다음과 같은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사업 내용 예산(825억 원)

공연예술분야 인력지원 연극뮤지컬middot음악middot국악middot무용 분야 보조인력 288억 원

관광지 방역middot수용태세 개선 관광지 방역middot생활방역수칙 지도 354억 원

공연장 방역안전지킴이 중소규모 공연장 방역안전인력 지원 31억 원

예술자료 수집 및 디지털화 예술 관련 기록 자료 디지털화 33억 원

애니메이션 디지털 아카이빙 애니메이션 데이터 수집middot기록middot보존 등 아카이빙 39억 원

현장영화인 직업훈련 지원 영화인 직무재교육 실시 및 훈련지원금 지급 10억 원

뉴미디어 영상콘텐츠 제작 지원 영화middot방송 인력 활용 숏폼 뉴미디어 콘텐츠 제작 70억 원

자료 문화체육관광부(20200703)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문체부 3차 추경 3469억 원 확정(보도자료)

lt표 2-33gt 일자리 창출을 위한 문화체육관광부 주요사업

7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3 해외 정책 사례

31 일본

가 정책 사례 검토의 기준

2010년대 초반 아베내각 재집권 이후 코로나19 사태 이전까지 일본의 일자리수

급 현황은 전반적으로는 구직난이 아니라 구인난에 놓 고 IT 산업분야 대면서비

스 분야에 있어서는 심각한 수준이다 특히 건설업이나 생활관련 서비스업 등에서

는 구인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취업자는 감소하여 심각한 인력난을 겪

게 되었고 정보통신업 의료 및 복지 교육 서비스 분야 등에 있어서는 지속적으로

인력수요가 증가하게 되었다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는 일자리 부족으로 인한 전반적인 구직난에 직면해 있으므

로 일본사례 검토를 통해 바람직한 시사점을 얻기 위해서는 2010년대 이후만을 대

상으로 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일본에서도 구직난으로 인해

고용창출 내지 일자리창출에 대한 정책적인 관심이 컸던 2000년대 초반부터의 흐

름을 살펴보고자한다 세부적으로는 2000년대 전반의 고이즈미 내각의 일자리 정

책 2010년대 초반 민주당 내각의 일자리 정책 2010년대 초반 이후 아베내각의

일자리 정책의 세 시기로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나 2000년대 전반 고이즈미 내각의 일자리 정책

1) 경제사회적 배경

2001년 4월 고이즈미 내각 출범과 함께 사회경제 전반에 걸친 성역 없는 구조개

혁이 슬로건으로 등장하 다 1980년대의 버블경제가 1990년대 들어 붕괴되면서

2000년대에 이르기까지 일본의 장기불황이 지속되었고 이에 따라 일본경제를 부

흥시키기 위한 다양한 정책적 노력이 추진되었다(内閣府 20016) 서비스경제화의

진전 고용인력 및 고용형태의 다양화 등에의 정책적 대응이 강력하게 요구되고 경

기불황으로 구직난이 심화되어 적극적인 일자리 창출이 어느 시기보다 강력하게 요

구되었다는 점에서 현재의 우리나라 상황과 매우 유사한 시기로 볼 수 있다

71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사회적으로는 일본경제의 고도 성장기를 거치면서 인구의 대도시 집중이 심화되

었고 이로 인해 지방 공동화 지방 인구의 급격한 감소 등으로 경제적사회적 측면

에서 지역 활성화가 일본사회의 긴급한 문제로 등장하 다 더불어 1990년대 들어

출생율 감소에 따른 인구감소 사회 및 고령화 사회에 본격적으로 진입함에 따라 다

양한 사회문제에 대한 대응 필요성이 일층 강조된 시기 다

2) 일자리창출 관련 정책

고이즈미 내각은 출범 이후 경제사회 문제에의 대응전략 수립을 위한 「경제재정

운용 및 구조개혁에 관한 기본방침」을 매년 발표하 는데 그 중 고용정책과 관련된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구분 고용 관련 주요 내용

금후의 경제재정운용

및 구조개혁에 관한

기본방침 (2001)

- 적극적인 구조개혁 추진이 미치는 고용에의 영향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성장 분야

확대 촉진 원활한 노동이동 및 노동력 재배치를 위한 환경정비 추진

자발적인 능력개발 지원

파견 기간제고용 재량노동 유연 취업 등 다양한 고용형태의 취업 가능토록

제도 개선

직업상담 충실화 및 직업훈련 원활화

- 신규 성장분야를 포함한 서비스산업에서 향후 5년간 530만명 고용창출 기대

경제재정운용 및

구조개혁에 관한

기본방침(2002)

- 고령자 젊은층 여성의 사회참여 지원 확대

유기노동계약 재량노동제 노동파견법 등의 개정을 통한 고용유연화 추진

젊은층의 계약직 고용 인턴십 등 직업체험 기회 확대

- 신산업 발굴 추진

환경에너지 정보가전 브로드밴드IT 건강바이오기술 나노기술재료 등

4개 분야의 기술개발 지적재산표준화 시장화 관련 전략 추진

- 수요창조형 생활산업 창출

환경 관광 식료 문화스포츠건강 등 산업의 활성화

경제재정운용 및

구조개혁에 관한

기본방침(2003)

- 고용제도 개선 관련

성장분야인 서비스산업에서 고용기회를 창출

젊은층 여성 고령자의 능력발휘 및 활력을 활용 장애자의 고용촉진

사회봉사활동 워크쉐어링 등 다양한 고용취업기회 제공

전국 일률적인 제도에서 지역 특성 및 자주성을 활용한 고용촉진에로 전환

- 고용기회 창출 관련

서비스산업 규제개혁 공적부문의 외부위탁 인재육성 지원 관광산업 육성 등

에 의해 9개 서비스분야 대상「530만 명 고용창출 프로그램」추진

건강서비스산업 문화산업 등의 지역산업 창출

창업에 의한 취업기회 증대를 위해 벤처기업 대상의 실습 및 지식습득 강좌 지원

대학 및 기업에 의한 벤처 지원을 통해 연구개발형 벤처 창출

lt표 2-34gt 고이즈미 내각의 연도별 고용창출 관련 정책추진 내용

7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고이즈미 정권의 고용창출 정책을 정리해 보면 몇 가지 특징을 살펴볼 수 있다

우선 비정규직 고용의 원활화를 도모하여 일자리를 확대하려한 점을 들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비정규직 일자리의 확대는 확연하게 증가하 으나 고용의 질이란 측

면에서 문제점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內閣府 200311) 나아가 전반적

으로는 고용 감소가 진행되는 가운데 규제완화 분야 및 신산업분야 서비스산업 분

야 등에서의 고용창출도 증가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구분 주요 내용

1) 고용형태의 다양화를 통한

고용창출

(비정규직 고용창출 증대)

- 유기계약 및 재량노동제 관련 노동기준법 개정

- 파견노동자에 관한 규제개혁

- 시간제노동자의 처우개선 시책

- 워크쉐어링 등의 일자리나누기 시책

- 주요대상 젊은층 여성 고령자 장애인 등

2) 신규middot성장분야 육성을

통한 고용창출

- 신공공서비스 확대를 통한 고용창출

- 신규middot성장 서비스분야 육성을 통한 향후 5년간 lsquo530만명 고용창출 프로그

램rsquo을 추진

- 7개 전략산업분야를 통한 고용창출

- 대학 및 기업에 의한 벤처 지원을 통한 고용창출

3) 지역특화된 사업분야를

통한 고용 창출- 복지 간호 교육 문화 환경보호 등 종래 공공서비스로 제공되던 분야

4) 고용창출 인프라 구축

- 직업상담 및 직업훈련의 충실화 및 원활화

- 취업지원 및 취업컨설팅 민간사업자 지원

- 노동이동 및 노동력 재배치를 위한 환경정비

lt표 2-35gt 고이즈미 정권의 고용창출 정책의 특징

구분 고용 관련 주요 내용

경제재정운용 및

구조개혁에 관한

기본방침

(2004)

- 젊은층의 도전 자립 프로그램 미취업자의 근로의욕향상

- 지역주도형 고용정책 추진을 위해 지자체 제안공모에 의한 경쟁적 선별적 지원

체계 도입

- 노동이동 원활화를 위한 취직지원 민간사업자활용 확대

- 신산업 창조전략 추진

7개 전략산업분야(연료전지 정보가전 로봇 콘텐츠 건강복지 관련 기기 및

서비스 환경에너지 관련 기기 및 서비스 비즈니스 지원서비스)와 지역 활성

화 산업군의 연계 및 육성을 위해 연구개발 인재육성 규제개혁 환경정비 등

의 중점 추진

산관학연계 강화를 통한 지역자원 활용 산업클러스터 계획 지적클러스터 조성

사업 추진

자료 内閣府(20016)「今後の経済財政運営及び経済社会の構造改革に関する基本方針」 内閣府(20026)「経済財政

運営及び経済社会の構造改革に関する基本方針2002」 內閣府(20036) 経済財政運営と構造改革に関する基本

方針2003(概要) 內閣府(20046) 経済財政運営と構造改革に関する基本方針2004

73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다 2010년대 초반 고이즈미 내각의 일자리 정책

민주당 내각이 출범한 직후에도 세계 경제위기에 따른 긴급고용대책이 강력히 요

구되었는데 2009년 집권한 하토야마 내각의 고용창출 정책의 기조는 2012년 말까지

의 민주당 내각에서 유사하게 추진되었는데 주요 고용정책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구분 주요 내용

내일의 안심과

성장을 위한

긴급경제대책

(2009)

- 고용긴급대응책 강화와 함께 경제성장을 위한 고용전략도 동시에 추진

- 고용유지를 지원하기 위한 고용조정조성금의 요건 완화

- 구직 중인 빈곤층의 최우선 지원 졸업예정자의 취직활동 지원 강화

- 성장분야를 중심으로 lsquo긴급고용창조프로그램rsquo 확충 도모

중점분야의 고용창출 간호 의료 농림 환경 및 에너지 정보통신 관광 지역사회고용 등

지역사회 고용창조사업 창출 NPO나 사회적기업가 등의 창업 및 사업화를 통해 지역사

회고용을 창출

4가지 지역고용창출 사업의 유형

① 사업 및 고용 계속성을 전제로 한 사업(지방고용재생특별기금사업)

② 간호 의료 농림 환경 관광 등에서 고용기회 창출 사업(중점분야 고용창출사업)

③ 실업자가 지역기업 취직에 필요한 지식이나 기술 습득 지원 사업(지역인재육성사업)

④ 지역 특성을 살린 중점적 산업진흥 및 고용창출을 위해 사업주 및 구직자 대상 인재

육성 연수 실시 사업주 대상 사업 확대 구직자 대상 취직 촉진 도모 사업(지역고용

창조추진사업(패키지사업))

관광을 통한 고용창출 건설업 및 해운사업 성장을 통한 고용창출

- 신산업창출 분야 그린에너지 의료 복지 농림어업 6차산업화 등

자료 内閣府(200912) 明日の安心と成長のための緊急経済対策 内閣府(201012) 新成長戦略 内閣府(201211)

日本再生加速プログラム

lt표 2-36gt 민주당 내각의 고용창출 관련 정책추진 내용

라 2010년대 초반 이후 아베내각의 일자리 정책

지속적인 인구감소 동경을 대표로 하는 대도시 집중화 지방의 경제 활성화 미흡

및 노동력 부족 등은 지금까지와는 다른 차원의 대응을 요구하게 되었고 지방에서

의 고용기회 확대 및 신규창출은 다양한 지방 문제 해결의 핵심전략으로 제시되기

에 이르렀다(大和總硏 201411) 이상과 같은 사회경제적 배경 하에 다양한 고용관

련 정책이 추진되었는데 이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아베정권 들어서 발표된 정책에서 고용관련 사항은 이전 정권에 비해 약화되어

있음을 살펴볼 수 있다 이는 경제 활성화와 더불어 기존의 구직난에서 구인난으로

고용상황이 역전된데 따른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추진된 고용정책의 내용

도 고이즈미 정권에서 추진되었던 내용과 유사한 것을 볼 수 있다

7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 관심분야 강한 역점분야)

구분

아베노믹스 1기 아베노믹스 2기

일본부흥전략20132014

일본부흥 전략2015

일본부흥 전략2016

미래투자전략2017~2019

유망

산업

시장

건강middot의료middot간호

4차 산업

(IoT 인공지능 빅데이터)

이동서비스middot물류

핀테크

에너지환경

공유경제

지방

활성화

중소기업 지원

농업

관광

서비스산업

고용관련 정책

- 고용유지형에서 노동 이동 지원

형으로 정책전환

- 인재활용 대응계층 고급 해외

인재 여성 청년층

- 실천적 직업교육을 위한 고등교

육기관의 제도화

- 지방에서의 창업 기업 지원

- 지방에 경영자원의 유입 및

고용창출 도모

- 외국기업 유치

- 창업지원 기업가 교육

- 고용촉진 대상 여성 고령자

장애자 고급 해외인재

자료 みずほ総合研究所(20171221) アベノミクス5年と今後の政策課題 p5에 기초하여 추가 정리 首相官邸

(20136) 日本再興戦略 內閣官方(20176) まちひとしごと創生基本方針2017(概要版) 内閣官房(20196)

成長戦略フォローアップ

lt표 2-37gt 아베정권의 고용정책 및 성장전략의 변화 추이

이 시기 새로운 일자리창출은 전략산업으로 등장한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성장

산업 분야의 육성과 생산성혁명 지원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 다 기존의 건강middot의

료middot간호 분야나 에너지middot환경 분야에서 나아가 IoTmiddot인공지능middot빅데이터 등의 4차 산

업 분야 이동서비스 및 물류 핀테크 등과 같은 신성장산업 분야를 육성함으로써

신규 일자리창출을 도모하 다 경제를 포함한 지방 활성화의 주축은 농업middot관광middot서

비스산업에 두고 있어 이전 정권들과 유사함을 볼 수 있다

아베정권에서 적극적으로 추진되어 온 지방 활성화 정책은 lsquo로컬아베노믹스rsquo라고

도 명명되고 있어 매년 다양한 관련 정책이 제시되는 lsquo지방창생 기본방침rsquo이 발표되

어 왔다 핵심요소는 지방에서의 일자리창출 관련 내용이라고 볼 수 있는데 이를

75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살펴보면 lt표 2-38gt과 같다 지방 고용창출의 주요 대상으로는 젊은층 여성 고령

자의 취업기회를 확대시키기 위한 사업을 들 수 있으며 지역이 보유한 다양한 자원

특히 유휴자원을 활용한 사업화 및 일자리창출 사업에 역점을 두고 있다

구분지방창생 기본방침

(2015 2016)지방창생 종합전략

(2017)지방창생 종합전략

(2018)

일자리창출

대상

관련 사업

- 젊은 층의 고용창출

- 여성 취업률 증대

- 지역의 중핵기업 지원

- 지역자원을 활용한 기업화

지역상사에 의한 지역생산

품 판로확대 일본형DMO

서비스업의 생산성 향상

지역의 미래 견인사업에의

투자 촉진 등

- 지방창생의 新전개도모

- 지방 젊은층 고용창출

- 향후 5년간 30만 명 목표

- 지역자원(빈점포 유휴농

지 고민가 등)을 활용한

일자리창출

- 지역중핵기업지원

- 젊은층의 전원 회귀에 의한

창업 취업자 창출(6년간 6

만 명)

- 여성고령자 등의 활약에

의한 신규 취업발굴 (6년간

24만 명)

육성산업

- 5개 서비스업(소매업 음식업 숙박업 간호 도로화물운송

업 등)의 활성화 및 생산성 향상

관광업의 연계체계 강화 의료 간호 분야 농림수산업

성장 산업화

- 관광지개발 및 브랜딩 추진

- 농림수산업

- 공적업무의 사회적 사업화

일자리 확대

방안

- 정부관계기관의 지방 이전 기업의 지방거점 강화 및 지방인재 채용확대

- 지방대학 활성화 및 진흥

자료 首相官邸(2015) まちひとしごと創生基本方針2015 内閣官房(20176) まちひとしごと創生基本方針

2017(概要版 内閣官房(20186) まちひとしごと創生基本方針2018について

lt표 2-38gt 아베정권의 지방창생전략 상의 고용창출 관련 내용

지방 고용창출을 견인할 육성산업분야로는 서비스업이 핵심이 되고 있는데 소매

업 음식업 및 숙박업 간호 분야 화물운송업 등이며 특히 농림수산업의 6차 산업

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나아가 기존의 공적업무 역을 사회적 사업화함으로써 신

규일자리 창출을 도모하고 있다 한편 일자리의 확대를 위해 정부관계기관의 지방

이전 및 민간기업의 지방거점 강화 및 지방인재 채용확대 지방대학 활성화 및 진흥

등도 지방 고용창출을 위한 정책 내용이다

마 관광분야 일자리창출 사례

1) 일자리창출 사업 진행

국토교통성 및 관광청이 추진한 관광분야 일자리창출 정책은 사례를 찾아보기 어

려우며 대다수가 일자리창출의 주무 부처인 후생노동성이 추진하는 사업으로 진행

7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되어 왔음을 살펴볼 수 있다 특히 고이즈미 내각 이래 지역주도형 고용정책 추진을

위해 후생노동성이 공모하는 고용창출 사업에 지자체가 제안서를 제출하여 경쟁적선별적인 추진체제를 도입하게 되었는데 지역특성에 기반한 관광을 통한 고용창출

사업은 지자체들이 가장 빈번하게 제안하는 사업이 되었다

관광분야 일자리창출 사업이 포함된 후생노동성의 지역고용창출 사업은 1987년

제정된 lsquo지역고용개발촉진법rsquo에 근거하여 실시되고 있다 이 법에 기반하여 다양한

명칭의 지역고용창출 사업이 진행되어 왔는데 고이즈미 정권 이래의 주요 사업들을

살펴보면 2000년대 초중반의 지역제안형고용창조촉진사업(패키지사업) 2000년대

중후반에 추진된 지역고용창조추진사업 2010년대 초반에 추진된 중점분야고용창

조사업 2010년대 중반에 시작되어 현재까지에 이르는 실천형지역고용창조사업

2010년대 중반 이후 추진된 지역활성화고용창조프로젝트 사업 2019년 창설된 과

소지역 및 재난지역 대상의 지역고용활성화추진사업 등을 들 수 있다

위의 다양한 사업들에 지자체가 제안한 사업내용 중에는 관광분야 고용창출 사업

이 상당수 포함되어 있는데 최근에 추진된 주요 사업별 관광분야 사업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대다수의 사업들은 사업단위가 기초지자체이며 거의 절반에 가까운

사업들이 관광분야를 포함하고 있다 특히 2012년부터 추진되고 있는 실천형지역

고용창조사업의 경우는 현재까지의 9년간에 걸쳐 실시된 전체 470 건의 사업 중에

서 305 건이 관광분야 사업을 포함하고 있어 지역고용창출에 있어 관광분야의 중요

성을 극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사업명(기간) 사업단위 전체 사업수(건) 관광분야 사례 수(건)

지역제안형고용창조촉진사업

(패키지사업) (2005)

기초

지자체35 10

중점분야고용창조사업

(2010-2012)

광역기초

지자체

79

(간호 의료 관광 환경middot에너지

농림수산 지역사회고용 등)

34

실천형지역고용창조사업

(2012-현재)

기초

지자체470 305

지역활성화고용창조프로젝트

(2016-현재)

광역

지자체40 13

지역고용활성화추진사업

(2019)

기초

지자체14 4

lt표 2-39gt 후생노동성 추진 고용창출사업 내의 관광분야 포함 건 수

77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2) 관광분야 일자리창출 사업 진행

① 지역제안형고용창조촉진사업 내 주요 사례

이 사업은 2000년대 중반 후생노동성이 고용기금으로 추진한 것으로 고용기회

가 부족한 지역이 고용창조에 자발적으로 대응하려는 기초지자체가 제안한 고용기

회 창출 능력개발 구직자 대상 정보제공 및 상담 등의 사업 중에서 고용창조 효과

가 높은 사업을 선발하여 해당 지자체에 사업실시를 위탁하는 사업이다 사업 실시

를 위해서는 기초지자체가 지역 내 경제단체 등과 협의회를 구성하여 사업을 제안

하고 선정되면 사업 실시주체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며 지역 내 민간단체에 재위탁

도 가능하다 사업비는 연간 2억 엔이며 최대 3년간 계속사업으로 진행할 수 있다

2005년 추진된 이 사업에 선정된 총 35건 중에는 10건의 관광분야 고용창출사

업이 포함되었는데 그 내용을 살펴보면 아래의 lt표 2-40gt과 같다 대다수의 기초자

체가 실시한 고용창출사업에는 신규일자리를 직접 만들어 내는 사업보다는 가이드

나 서비스 인력 등의 인력양성 및 연수 등 간접사업이 주를 이루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드물게 관광상품 개발사업이나 체험형 관광비즈니스 구축 등의 직접사업이

포함되어 있다

선정 지역 관광관련 사업내용

북해도 삿포로시 - 방일외래관광객 중국어대응 인력양성 연수(인력양성)

북해도 하코다테시- 지역 관광안내 여행지원서비스 관광택시 체험형관광 서비스 등의 분야에

서 활약할 인재육성 연수(인력양성)

북해도 아사히카와시

- 관광분야 취업희망 젊은층 대상 연수

- 旭川관광포럼 개최 관광벤처비즈니스스쿨 운영

- 旭川특산 관광상품 개발사업 지원

- 관광정보발신 노하우 강좌개최

이와테현 타노하타무라- 체험형 관광비즈니스 구축사업

- 체험형관광 담당인력 양성사업 체험형관광 PR방법연수

아키타현 오가시 - 관광인재 육성사업(관광프로그램 기획입안 가능인재)

도야마현 히미시 - 관광인력의 자질향상 연수 관광정보발신 능력향상 연수

나가사키현 고토쓰시마 지구 - 프로 전문가이드 크리에이터 인스트럭터 관광리더 등의 육성 연수

가고시마현 세토우치조 - 요리사 가이드 해양가이드 등 양성

오키나와현 오키나와시 - 음악관광 진흥을 위한 관광음악문화 가이드 양성

자료 厚生労働省 地域提案型雇用創造促進事業(パッケージ事業)事例集

lt표 2-40gt 2005년 지역제안형고용창조촉진사업에 선정된 관광분야 고용창출사업 주요 내용

7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② 중점분야고용창조사업 내의 주요 사례

이 사업은 2009년 창설되어 2013년 완료까지 후생노동성이 추진한 것으로 실

업문제가 심각한 상황에서 간호 의료복지 농림 환경middot에너지 기술서비스 관광

등의 성장분야에서 새롭게 고용기회 창출과 함께 지역 요구도가 높은 인재를 육성

하여 고용과 연계시키기 위해 실시한 사업이다 지자체는 교부금에 의한 기금을 재

원으로 민간기업 NPO 사회복지법인 등에 사업을 위탁하고 위탁기관은 구직자를

새로 고용하여 사업을 추진하며 인건비 포함한 사업비는 위탁비로서 지급된다

2010년도에 추진된 중점분야사업 중에서 9건의 관광분야 사업의 주요 내용을 살

펴보면 대부분이 가이드 관광객 편의서비스 지원인력 관광안내인력 관광자원 정

보수집인력 등이 그 대상이다 그 외에 관광용 목탄자동차 운 인력 여행상품개발

인력 등의 고용창출 사업도 살펴볼 수 있다

선정 지역 관광관련 사업내용

아오모리현

하치노헤시

- 위탁기관 安藤昌益資料館を育てる会 신규고용창출 4인

- 가이드 고용 및 육성 하치노헤시 및 역사 인물인 안도 쇼에에 관한 역사문화 자원 개발

콘텐츠 제작 관련상품 개발 및 관련 연수 추진

이와테현

- 위탁기관 이와테관광협회 신규고용창출 6인

- 모리오카(盛岡)역 신간선 개찰구 부근에 관광서포터를 배치하여 관광객에게 관광정보 제공

역부근 안내 화물운반 보조 등

미야자키현

오사키시

- 위탁기관 古川商工会議所 신규고용창출 3인

- 시내 관광안내센터 설치 관광안내 및 이벤트 지원 축제 관련 자료작성의 보조업무

군마현

- 위탁기관 株式會社JampS 신규고용창출 2인

- 아카기산(赤城山)부근의 관광체험시설을 실제로 체험하고 정보를 수집축적하고 그 정보를

활용하여 赤城山의 매력을 발신

후쿠이현

아와라시

- 위탁기관 주식회사 アイメル 신규고용창출 4인

- JR아와라온천역에 화물 운반 및 장애자 보조 관광객 안내를 행하는 lsquo수하물지원대rsquo를 배치

효고현

- 위탁기관 兵庫県国際交流協会 신규고용창출 3인

- 외국인이 선호하는 兵庫県내 관광자원에 관한 정보수집 외국어(중국어한국어영어) 정보

지 작성 인터넷에 의한 정보지 게재내용 발신

야마구치현

이와쿠니시

- 위탁기관 岩国市실버인재센터 신규고용창출 3인

- 岩国市 4개 시설을 연결하는 목탄자동차를 운행 운전사 1인 가이드 2인으로 구성

나가사키현

- 위탁기관 株式会社乃村工藝社 신규고용창출 18인

- 나가사키역사문화박물관내의「龍馬伝館」을 찾아온 방문객을 대상으로 시설안내 및 나가사

키현 내의 관광지 안내

미야자키현

- 위탁기관  高千穂町観光協会 신규고용창출 10인

- 일본 神道에서 행하는 가무인 神楽(가구라)를 테마로 여행상품을 조성 대도시의 여행사들

에 판매하고 관리하는 종합활동을 추진

자료 厚生労働省 重点分野雇用創造事業

lt표 2-41gt 2010년 중점분야고용창조사업(관광분야) 주요 내용

79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3) 지역활성화고용창조프로젝트 사업 내의 주요 사례

지역활성화고용창조프로젝트 사업은 산업정책과 연계하여 안정적인 고용기회를

창출함으로써 지역의 고용안정 및 능력개발 추진 지역의 생산성 향상 및 경제적

기반 강화를 목적으로 2016년에 창설된 사업이다

이 사업은 일본의 광역지자체가 전략적 산업분야로 설정한 업종을 정하여 실시하

며 지역 내 다양한 관계자(지자체 경제단체 금융기관 교육 및 연구기관 등)로 구

성된 lsquo협의회rsquo를 설치하여 사업을 시행토록 되어 있다 실시기간은 최대 3년이며 연

간 상한 10억 엔으로 총 사업비의 8할을 보조하는 사업이다

사업이 시작된 2016년 이후 현재까지 총 40건의 사업이 선정되었는데 그 중 관

광분야 사업이 포함된 사례는 13건이다 교토부 사례는 관광분야가 사업의 단독분

야로 제시된 유일한 사례이다 사업내용을 살펴보면 크게 두 분야로 대별된다 하나

는 정규직 고용 및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에 대해 또는 사업체 내의 재직자 업무

능력 향상 등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둘째는 관광분야 취업희망자를 대상으로 취

업 정보 제공 및 업무기능 등의 교육 및 연수 등의 간접지원이 내용이다 결국 신규

고용을 창출하는 비즈니스 창업 관련 사업내용은 빠져 있음을 살펴볼 수 있다

4) 국토교통성의 사례조사에 의한 주요내용

국토교통성에서는 섬 지역을 대상을 고용창출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대다수의

사례들이 신규고용이 직접 창출되는 사업들을 추진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주요

사업 내용은 민박사업(민박 및 체험프로그램 실시 관광가이드 육성 수학여행시장

대상 민박사업 등) 체험프로그램 실시(예 어업 관련 프로그램 제공 및 캐릭터 개발

등) 지역식자재 이용 레스토랑 운 및 체험형 농장운 (예 체험형 농장 운 및

농산가공품 판매 등) 돌고래관찰관련 고용창출사업(예 돌고래 관찰과 숙박시설 연

계 등) 자연체험학습에 의한 고용 확보(예 카누체험 숲이나 해양 가이드 투어 등)

등이 있다

8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32 미국

가 노동성의 2018-22년 전략계획의 비전20)

2019년 공개된 미국 노동성의 2018-22년 전략계획의 비전은 미국 근로자들에

게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는 것이며 미션은 임금 소득자 구직자 및 퇴직자의 복지

증진 및 발전 근무조건 개선 수익성 있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 업무 관련 해택과

권리 증진이다

1) 전략 1 구직활동 지원

구직활동 지원은 구직자 인력솔루션 시스템을 구축 재향군인 구직자들에게 고용

을 유지할 수 있는 재원 및 툴 지원 장애를 동반한 구직자들의 포괄적인 고용창출과

양질의 일자리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증거기반정책(evidence-based policy) 사례

및 툴을 개발 노동시장의 활동 근로조건 및 경제상황에 따른 가격변동사항에 관한

시의적절하고 정확한 관련정보제공 및 일하는 여성의 이익을 증진시키기 위한 정책

과 계획 수립을 포함한다

2017년 트럼프 정부는 견습 프로그램의 확대 관련 행정명령을 발령하 다 주요

내용으로는 기존 견습 프로그램의 확대와 효과성 제고이다 프로그램 확대와 관련해

서는 산업계가 인정하는 견습 프로그램(Industry-Recognized Apprenticeship)의

도입이다 정부가 산업계와 노동계와의 협력을 통해 견습 프로그램을 발전시키고

기존의 정부승인정책을 제3자 또는 전문기관의 승인하는 방식으로 바꾸는 것을 골

자로 한다

또한 프로그램의 접근성 향상을 위해 취약청소년 고등학생 수감자 전과자 및

미군을 대상으로 하는 (예비)견습 프로그램을 확대하는 내용도 담고 있다 행정명령

의 또 다른 핵심내용은 효과성 제고이다 각 부처가 예산관리실에 견습 프로그램

관련 예산서를 제출할 때 프로그램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개선방안 전략을 행정과

법의 관점으로 제출해야한다 이에 따라 중복프로그램을 줄이고 선택과 집중을 높

이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20) US Department of Labor(2018) FY 2018-2022 Strategic Plan의 내용을 재정리함

81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프로그램2020년 예산(단위 천달러)

프로그램 내용

성인 대상 고용 훈련 프로그램

(Adult Employment and

Training Activities)

854649

- 견습직 프로그램 맞춤형 훈련 한시적 일자리를 포함

하여 구직자에게 경력 및 훈련 서비스 제공

18세 이상으로 저소득 저숙련자 공공지원 수령자

우선 지원

청년 대상 고용 훈련 프로그램

(Youth Activities)913130

- 개인 지도 대안적 중middot고등학교 근무 경험 업무 역량

훈련 금융 지식 대학 교육 노동 시장 정보 등 제공

14~24세로 중퇴자 노숙자 위탁 가정 출신 우선

지원

실직자 대상 고용 훈련 프로그램

(Dislocated Workers

Employment and

Training Activities)

1052053

- 구직자나 최근 실업자 대상 교육훈련 노동 시장 정보

제공 취업 상담 구직 기회 부여 교통 및 아동 돌봄

서비스 제공

18세 이상의 최근 실업자 또는 장기 실업자 우선 지원

인디언 원주민 고용 훈련

프로그램

(Indian and Native American

Programs)

55000

- 원주민 부족 부족 단체 알래스카 원주민 단체 통제

단체 및 실업자 및 저소득 아메리카 원주민 알래스카

원주민 및 하와이 원주민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체

에 양질의 고용 및 교육 서비스 제공

이주민 계절 농민 고용 훈련

프로그램

(Migrant and Seasonal

Farmworkers)

91896

- 전국적으로 운영되는 이민 및 계절 농가(MSFW)를 위

한 현지 관리 서비스 프로그램으로 11 개의 주택 보조

금 지원 프로그램 뿐 52 개의 경력 서비스 및 훈련 보

조금 지원 프로그램 포함

전과자 대상 고용 지원 프로그램

(Reentry Employment

Opportunities)

98079

- 2014년 WIOA (Workforce Innovation and

Opportunity Act) 섹션 169에 따라 연구 및 평가로

승인 된 자금을 제공하여 전과자들을 대상으로 구직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 운영

견습 프로그램

(Apprenticeship Grants)175000

- 정보 기술 고급 제조 및 의료 분야의 민간-공공 견습

파트너십에 대한 부문 별 전략 보조금 제공

Youth Build 프로그램 94534

- 이전에 고등학교를 그만 둔 위험이 있는 16-24 세 청

소년을 위한 직업 훈련 및 교육 기회를 제공하는 커뮤

니티 기반 사전 견습 프로그램

Job Corps 프로그램 3611200

- 미국 노동부에 의해 운영되는 무료 교육 및 직업 훈련

프로그램으로 16-24 세의 젊은이들이 양질의 일자리

를 얻고 독립적으로 생활 지원 프로그램

lt표 2-42gt 미국 노동부 고용 훈련 주요 프로그램 및 예산

또한 업무기반 학습 및 자격취득을 위한 기회 확대를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관련 정책들은 청년층 대상 임금을 제공하는 수요중심교

육 및 업무 기반학습을 확대하고 기업이 요구하는 기술 습득 기회를 제공함으로서

기존 근로자들의 프로그램 참여를 높이고 특히 숙련도가 낮은 개인과 고용에 대한

다양한 장벽을 가진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훈련 지원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미국 전역 또는 많은 지역에서 통용될 수 있게 기존의 자격증의 이식성을 지원한다

8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2) 전략 2 안전하고 공정한 직장 홍보

안전하고 건강한 근무조건 확보 광업종사자들의 사망 질병 및 부산 예방 및 안

전 유지 합법적 임금 및 근무조건 확보 퇴직 건강 및 기타 직장관련 해택 보장

향상 연방 계약직 직원을 위한 공정하고 다양한 직장환경 개선 노조의 재정 건전

성 투명성 및 운 민주성 확보를 추진하고 있다

3) 2전략 3 강력한 근로자 보상 및 해택 관리 프로그램 운영

질병이나 상해가 있는 종사자들에게 보상 해택 제공 및 실직근로자들에게 적시에

실업급여 지급을 지원하고 있다

나 4차 산업 관련 정책21)

캘리포니아 인력 개발 전략 계획의 비전은 상향 이동성과 공유 번 으로 인력혁

신기회법(Workforce Innovation and Opportunity Act WIOA) 하에 주위원회

가 수립한 세 가지 고용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그 첫째는 수요 중심 기술 교육 육성으로 주정부 산업 부문의 요구에 맞는 인력

및 교육 프로그램 필요 프로그램 콘텐츠를 개발 운 하여 주내 기업체의 경쟁력을

향상을 도모한다 둘째 캘리포니아 주민의 경제 지위상승 활성화로 누구나 접근할

수 있는 고용할 수 있도록 인력 및 교육 프로그램제공하고 모든 주민이 교육프로그

램의 참여할 수 있으며 적정한 소득 창출 가능을 목적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제한

된 재원의 최대 효과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조정 및 통합으로 각 올바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고객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고객을 기반으로 고객에게 올바른 서

비스를 제공하는 동시에 기술 달성을 촉진하는 것에 있다

다 관광산업 고용정책 및 사례

1) 여행 및 관광 자문위원회의 고용창출 정책

미국 여행 및 관광 자문위원회(US Travel and Tourism Advisory Board)는 상

21) California Workforce Development Board(2015) Californiarsquos Workforce Development Plan의

내용을 재정리함

83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무부 산하 자문기관으로 미국 여행 및 관광 산업에 향을 미치는 정부 정책 및 프

로그램에 대해 장관에게 제안하고 현재 및 향후 관광의 전망에 대한 조언을 제공하

며 산업 관련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논의하고 제안하기 위한 포럼을 제공한다

2019년 위원회는 다음과 같은 정책 제안을 하 다

구분 내용

미래세대 인력 및 노동

시장 정보 시스템 개발

- 현재 노동부가 개발 중인 미래세대 인력 및 노동 시장 정보 시스템 개발과 관련

협력을 통한 상무부의 적극적인 역할 기대

- 미래세대 인력 및 노동 시장 정보 시스템 2014년 노동혁신 기회 법에 근거하여

노동 관련이해관계자 (고용주 학생 근로자 인력 투자위원회 교육 및 훈련 기관)

들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결정을 돕기 위한 시스템

관광산업

정보 수집

- 상무부는 노동통계청과 협력하여 관광산업협회 및 고용주들에 대한 질적인 데이

터 수집 필요

기존의 임금 관련데이터의 부정확성은 인력개발 정책 효과성 저해

(예) 호텔업계의 최고위직들은 타 산업의 통계에 반영되어 관광산업 임금체계

가 상대적으로 저임금산업이라는 인식 부여

견습 프로그램

예산 증액

- 상무부는 관광산업의 견습 프로그램 예산 증액 및 산업계 인증 견습 프로그램의

확대 필요

- 견습 프로그램의 효과 견습 프로그램의 참가자들은 기술향상 인증획득 저이직

률 및 고용주들의 선호 증진

인력혁신 및 기회

법 효과 증진

- 상무부는 산업계와 협력하여 인력혁신 및 기회 법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장애물

제거에 대한 논의 필요

- 관광산업의 경우 기존 근로자의 숙련도 향상 및 미래 일자리 교육 프로그램과 재

원 지원 미미

- 법의 목적

(구직자 측면) 고용 정보 교육 훈련 및 지원 서비스 접근성 제고로 노동시장

진입 촉진

(고용주 측면) 글로벌 경쟁력 확보가능한 숙련된 근로자 제공

인력양성프로그램

평가방법 개발

- 상무부는 산업계가 사용할 수 있는 인력양성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평가방법을 개

발 필요

기타

- 주택부와 협력하여 계절직업이 주를 이루는 지역이나 관광지에 부담 가능한 주택

공급 지원

- 계절근로자들을 위한 이동성 자금을 지원하기 위한 연방정부 차원의 재원을 마련

및 실행

- 계절근로자들을 위한 견습 프로그램의 개발 확대 실행

자료 US Travel and Tourism Advisory Board(2019) Recommendation on Workforce Development

lt표 2-43gt 미국 여행 및 관광 자문위원회의 주요 고용창출 정책 제안

관광 산업과 관련한 고용 창출 정책에는 여행 산업 내 인력 개발 이니셔티브가 있

다 현재 미국에 관광사업 관련 학위 프로그램이 있는 대학은 500개에 이른다 이

8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학교들은 American Hotel amp Lodging Educational Institute(AHLEI)와 제휴하여

학생들의 업계 검증 커리큘럼 교육 프로그램 및 인증을 제공한다 학교와 업계 협력

의 최고 사례 중 하나는 250 개 이상의 고등 교육 기관에서 채택한 호텔 산업 분석

(CHIA)의 인증으로 Smith Travel Research과 AHLEI의 협력을 통해 개발되었다

다른 정책으로는 미국 노동자들의 대한 서약(The Pledge to Americarsquos Workers)

이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 노동자를 위한 전국위원회의 일환으로 전국의 회사

와 무역 단체에 미국 노동자에 대한 서약에 서명하도록 요청하 다 트럼프 대통령

이 행정 명령에 서명한 이후 430개 이상의 회사와 조직이 서약에 서명하여 향후

5년간 미국 학생과 근로자에게 1600만 이상의 새로운 교육 및 훈련 기회를 제공하

기로 한 서약이다 관광산업계도 이러한 서약에 약 20개회사가 참여하 다

또한 국립 식당 협회(National Restaurant Association) 교육 재단은 고등학생을

위한 2년제 음식서비스 커리큘럼 전문대학 수준의 식당 또는 호스피탈리티 경 프로

그램 전문가 개발 기회 및 장학금을 학생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American Hotel

and Lodging Educational Foundation(AHLEF)은 학교에 다니고 있지 않는 청년

실업자나 구직자들 생상으로 견습 프로그램과 무료 대학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미국의 공유경제 및 플랫폼 산업들은 초기의 전통적인 오프라인기업을 대

체하는 플랫폼기업들이 주를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전문 시장을 겨냥하여 세워지는

공유기업들과 플랫폼 기업들이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다

기업 구분 내용 (2018년 기준)

에어비앤비 숙박 및 렌트 중개업- 설립연도 2008년 매출액36억불 본사 샌프란시스코

- 종사원수 13860명(전년대비 11증가)

바카사

(Vacasa)

휴양 렌트 관리

서비스업

- 설립연도 2009년 매출액 1억1천만불 본사 포틀렌드 오레곤

- 종사원수 1628명(전년대비 24증가)

겟터라운드

(Getaround)자동차공유중개업

- 설립연도 2009년 매출액 2천만불 본사 샌프란시스코

- 종사원수 489명(전년대비 18증가)

휠즈업

(WheelsUp)

멤버십제

개인전용기임대업

- 설립연도 2013년 매출액 4억불 본사 뉴욕

- 종사원수 275명(전년대비 26증가)

트립액션

(TripActions)

비즈니스여행자대상

여행관리 솔루션

- 설립연도 2015년 매출액 4천만불

- 본사 실리콘밸리 종사원수 931명(전년대비 62증가)

lt표 2-44gt 미국 내 주요 온라인 기업 일자리 창출사례

85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2) 직무능력 역량 모델

노동부 고용 훈련청(Employment and Training Administration ETA)은 미

국 근로자에게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인력을 교육하고 훈련하기 위해 경제적으로

중요한 산업 및 제 부문에 필요한 기초 및 기술 역량의 직무능력모델을 개발하고

유지하고 있다 이 직무역량모델은 산업계 리더 교육자 경제 개발자 및 공공 인력

투자 전문가와의 협업을 통해 특정 고용주 직무역량요구 파악 역량 기반 커리큘럼

및 교육 모델 개발 업계 정의 평가 지표 기술 표준 인증 개발 경력 탐구 및 지도

를 위한 자원을 개발한다

상무부 산하 국가 여행 및 관광 사무소(National Travel and Tourism Office)

및 교육 비즈니스 및 산업의 기술 관광 전문가와 협력하여 환대 관광 및 이벤트

산업을 위한 포괄적인 역량 모델을 개발했다 이 모델은 업계 종사자에게 기초를

제공하는 지식 기술 및 능력과 주요 분야별 역량을 파악하여 개발됐다

환대 관광 및 이벤트 산업 모델은 이 분야의 모든 근로자가 필요로 하는 역량

또는 지식 기술 및 능력을 포함한다 이 모델의 목적은 환대 관광 및 이벤트 산업

은 숙박 대상 마케팅 및 관리 관광 및 여행 준비 휴양 오락 및 매력 회의 이벤트

및 전시회 관리 식음료 서비스 등의 하위 부문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아래의 그림에서 보듯이 이 모델은 여러 계층으로 구성된 피라미드 형태이다 기

초 역량의 1~3군은 대부분의 고용주가 요구하는 lsquo소프트 스킬rsquo과 업무 준비 역량으

로 구분된다

기업 구분 내용 (2018년 기준)

라이프하우스 기술기반 호텔체인- 설립연도 2017년 매출액 1천 4백만불

- 본사 뉴욕종사원수 53명(전년대비 8증가)

부킹홀딩스

(Booking

Holdings)

온라인 여행업- 설립연도 1998년 매출액 150억불 본사 노르워크 커네티컷

- 종사원수 26400명(전년대비 77증가)

익스피디아 온라인 여행업- 설립연도 1999년 매출액 120억불 본사 시애틀

- 종사원수 25400명(전년대비 37증가)

8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그림 2-22] 관광 환대 및 이벤트 산업 역량 모델

자료 미국 연방노동부 원 스톱 고용센터 홈페이지(httpswwwcareeronestoporgCompetencyModelcompetency-

modelshospitalityaspx)

호텔 분야의 레벨 5에 해당하는 직무역량은 고객안전 호텔 정책 및 실행 절차

고객만족 호텔정보시스템 산업 관련 규칙의 이해 호텔의 운 이다 목적지 마케

팅은 마케팅 기초 마케팅의 효과 마케팅 계획 홍보전략 마케팅 툴 전략적 파트

너십 고객 안전 및 여행 일정 관리 관광오퍼레이터의 이해이다 레저시설 및 매력

물(레크리에이션 놀이공원 및 관광지)의 직무역량은 고객안전 및 위기관리이다 회

의 이벤트 및 전시관리의 직무역량은 전략계획 고객안전 위기관리 재무관리 지

속가능관리 프로젝트관리 인사관리 이벤트 기획 전시계획 이벤트 운 및 등록

관리 마케팅 판매 이벤트 이벤트 장소 선정 등이다

[그림 2-23] 식음료 서비스 산업 역량 모델

자료 미국 연방노동부 원 스톱 고용센터 홈페이지(httpswwwcareeronestoporgCompetencyModelcompetency-

modelspyramid-downloadaspxindustry=food-beverage-service)

87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노동부가 운 하는 직업 정보 네트워크(wwwonetonlineorg)에는 총 10개의

관광산업과 관련된 직업프로파일이 제공된다 제공된 직업프로파일은 놀이공원 및

레크리에이션 종사원 수하물 포터 및 벨보이 컨시어지 접객 식당 라운지 및 커

피 숍 호텔 모텔 및 리조트 데스크 직원 가정부 및 청소부 예약 및 항공티켓 에이

전트 및 여행사 직원 여행 가이드 안내원 및 티켓 접수자이다

34 캐나다

가 국가 고용정책

캐나다 고용 사회 개발부(Employment and Social Development Canada)에

서는 사회 프로그램 및 서비스를 개발 관리 및 제공하는 캐나다 정부 부서이며 모든

캐나다인이 자신의 재능 기술 및 자원을 사용하여 학습 업무 및 지역 사회에 참여

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을 개발하고 있다 또한 동 부처는 캐나다인들이 학교에서

직장으로 한 직장에서 다른 직장으로 실업에서 고용으로 그리고 노동에서 퇴직으

로 삶의 전환을 돕도록 프로그램을 제공 노인 자녀가 있는 가족 및 고용 보험 수혜

자에게 소득 지원 제공 토착민 장애인 노숙자 및 최근 이민자와 같은 뚜렷한 요구

를 가진 캐나다인들에게 기회와 도움을 제공함으로써 포용적 성장을 촉진하고 있다

그리고 고용 사회 개발부는 연방 관할 구역의 노사 관계 산업 보건 및 안전 노동

기준 고용 평등 및 근로자 보상 감독 캐나다 이민 난민 및 시민권을 대신하여 제

공되는 여권 서비스 및 재향 군인 재향 군인에게 서비스와 같은 다른 부서 및 기관

을 위한 프로그램 및 서비스 제공하는 기관이다

캐나다 인력관광공사(Tourism HR Canada)는 세계 최고의 관광 인력 건설을

목표로 범 국가 조직이다 이 기구는 전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고 지속 가능한 산업

을 지원하고 역동적이고 탄력적인 인력 개발을 촉진하는 인적 자원 개발 활동을 촉

진 조정 및 가능하게 한다 캐나다 인력관광공사는 관광산업이 장단기 인적자원 문

제점들 숙련된 근로자 부족현상 관광인력의 고령화 고이직율 산업에 대한 편견

을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정부차원의 지원을 하고 있다 캐나다 인력관광공사는

emerit 관광교육브랜드를 통해 필요한 인적자원에 관한 정보 서비스 및 교육 자원

을 제공한다 위원회는 산업체 산업협회 주 및 지방정부 관광교육위원회 노조 및

8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교육계와 협력하여 사업을 실행한다 주요 목적으로는 관광산업의 고용기회를 창출

하고 구직자 근로자 운 자 및 창업자 등에게 필요한 교육 및 훈련과 현장경험

프로그램을 운 하고 교육 참가자들이 획득한 지식 기술 및 경험의 국가인증제를

운 한다 emerit은 위원회의 연방정부 운 교육훈련 브랜드이다 또한 위원회는

관광산업협회와의 협력을 통해 50개 이상의 국가직업표준을 수립하 으며 26개의

인증 프로그램을 개발 및 운 하고 있다

향후 3년간 캐나다 인력관광공사는 5개의 우선 전략을 실행하고 있다 주요 목표

는 10000개의 일자리를 채우고 개인과 기업이 번 할 수 있는 기술 또는 역량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이러한 우선순위는 캐나다 전역의 관광 이해 관계자와의 광범

위한 협의에서 비롯되며 캐나다의 목적지 지위를 높이면서 국제 방문자를 크게 늘

리려는 캐나다 정부의 목표에 대응할 수 있게 한다 관광산업의 성패는 숙련된 전문

가가 제공하는 혁신적인 경험에 달려있다

향후 3년간 캐나다 인력관광공사는 다음과 같은 주요 프로그램을 통해서 관광부

문에서 고용 창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구분 내용

관광목적지 고용

프로그램

(Destination

Employment)

- 신규 이민자가 캐나다 호텔에서 의미 있는 취업을 하도록 도와줌으로써 캐나다에

서 성공적인 미래를 건설하는 데 필요한 경험을 제공

- 난민을 포함한 신규 이민자를 통합하고 캐나다 최초의 직장 근무 경험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창출 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공

미래 기술 프레임워크

- 관광 부문에서 변화하는 업무의 성격을 다루기 위한 3년 정책

- 관광 부문을 위한 역량 프레임 워크 (포괄적이고 지속 가능한 역량과 필수 기술의

수집) 창출

- Tourism HR Canada의 국가 직업 표준군(National Occupational Standards)

의 내용과 2018 년에서 2021 년 사이에 진행될 수많은 상담 이벤트의 피드백을

활용하여 관광 분야의 현재 및 미래 기술 정의

스마트 인증제

(SMART

Accreditation

Program)

- 프로그램 개발 제공 및 개선 및 성과 측정의 모범 사례를 관광 관련 프로그램의

벤치마크로 사용할 수 있는 정의된 일련의 기준으로 변환

- 간단한 자체 평가 프로세스와 공식화 된 제 3자 검토를 통해 프로그램은 제공된

증거를 기반으로 표준화 된 프레임 워크 내에서 평가

- 기준이 충족되면 프로그램은 SMART 프로그램으로 인증 추가 기준이 충족되면

프로그램은 SMART + 프리미엄 프로그램으로 인증

emerit 교육 프로그램

연구 설계 및 테스트

- 산업 소규모 기업 교육 기관 및 대기업과 협력하여 emerit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

산업 전문가가 개발하고 검증 한 국가 직업 표준(National Occupational

Standards)은 실제 고용주가 신입 사원에서 찾는 것을 나타내고 실제 작업장

lt표 2-45gt 캐나다 인력관광공사의 주요 프로그램

89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나 산업분야 촉진 프로그램(Sectoral Initiatives Program)

산업분야 촉진 프로그램(Sectoral Initiatives Program SIP)는 부문별 노동 시

장 정보 국가 직업 표준 기술 인증 및 인증 시스템의 개발 및 배포를 지원함으로써

현재와 미래의 기술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원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의

목적은 산업계가 인적 자원 및 기술 문제를 파악하고 예측 및 해결하도록 지원하는

데 있다 SIP는 캐나다 경제의 주요 산업부문을 위한 파트너십 기반 프로젝트에 자

금을 지원한다 이러한 프로젝트는 직장 조직 고용주 협회 교육 및 훈련 기관 전

문 협회 노동조합 및 원주민 조직과 같은 업계 파트너가 개발하고 실행한다

미래기술센터는 캐나다 전역에서 생성 된 아이디어와 혁신을 연결하여 직원과 고용

구분 내용

조건과 직업에 영향을 미치는 현재 문제 반영

emerit 온라인 학습 및 통합 문서 온라인 모듈을 쉽게 관리 할 수 있도록 수십

개의 직종에 대한 교육개발하고 보다 전통적인 학습 접근 방식을 선호하는 사람

들을 위해 통합 문서 제공

emerit의 전문가 인증 emerit은 연방정부가 승인하는 전문가 인증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러한 국가인증제도를 통해 인증을 받음으로 직원들의 직업 만족도와

충성도 향상과 이직 및 교육비용 절감

캐나다 여행 관광

아카데미

(CATT)

- 교육자 및 업계 파트너의 지원과 지도를 통해 전국 고등학생들에게 실무 성공하는

데 필요한 지식 기술 및 태도를 제공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

레벨 1 프로그램 관광 산업에 대한 개요와 교육을 통한 관광경력을 쌓는데 필

요한 지식과 기술 습득 결과에 대한 소개 중심 레벨 1 인증을 통과하기 위해

관광개론 1 과목과 25시간의 자원봉사 경력 요구 자원봉사 경험은 지역 관광인

력사무소를 통해 참여가능

레벨 2 프로그램 2개의 고등학교 관광과목 수강 관광경력 워크숍 수료 100시

간 이상의 인턴십 및 SuperHostService ExcellenceServiceBest와 같은

고객 서비스 인증프로그램 수료 필요

골드레벨 프로그램 관광 경력을 준비하고 고등 교육 및 평생 학습에 필요한 기

술 개발지원 골드 레벨을 수료한 참가자들은 Tourism HR Canada에서 산업

계가 개발한 국가 직업 표준 및 필수 기술과 관련된 학습 결과를 시연 가능

레디투워크(Ready to

work) 프로그램

- emerit 국가 직업 표준에 기반한 강의실 및 작업장 교육을 통해 관광 인력으로

체계적으로 전환하는 것을 목적

사전고용 교실 훈련 강사 주도학습 모델로 경력계획 직업별 기술능력의 이론수

업이 핵심

직장내 훈련 직장트레이너로부터 직업별 훈련 멘토링과 피드백 제공

직업배치 모델 참가자에게 비숙련직업 제공

환대 서비스 종사자

훈련 센터 (HWTC)

- 환대 산업에 인재양성을 위해 해당 분야에서 구직자들에게 맞춤 교육을 제공하고

구직정보와 구직을 지원하고 캐나다 최고권위의 요리사 자격증인 Red Seal 인증

교육에 대한 지원 커리어 카운슬링 교용보험지원 등을 해당분야 실업자나 구직자

에게 제공

자료 캐나다 인력관광공사 홈페이지(httptourismhrcaabout-usstrategic-plan)

9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주가 모두 유리한 미래일자리 창출 전략이다 현재 30개의 프로젝트에 대해 자원을 지

원하고 있고 근로자가 새로운 직업에 필요한 기술을 습득하거나 다른 산업계의 구직에

필요한 기술 교육을 지원하고 있다 프로젝트의 주요 주제는 회복탄련성(resilience)과

적응성(adaptability)을 향상하기 위해 교육 및 숙련 기술 근로자에 대한 혁신적인 접

근 방식을 파악 평가 및 결과를 이해관계기관이나 산업체와 공유한다

구분 내용

AI와 기술 발전을 활용한

경제 회복

- University Health Network의 Michener Institute of Education 및

Vector Institute의 ldquo건강관리에서 인공 지능 채택 가속화rdquo는 최첨단 의료 전

문가의 기술과 사고방식을 혁신하여 AI 지원 건강 관행 조직 및 시스템을 강화

하는 지식 기술 및 기능을 갖춘 인력의 교육 훈련

만성 기술 부족에 직면 한

산업 내에서 훈련

재 숙련 및 적응

- 식품 가공 기술 ldquo식음료 가공 인력의 미래 보장rdquo은 식품 및 음료 가공 산업과

근로자들이 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테스트를 통해 필요한 기술을

교육을 통해 숙련도 제고

근로자의 역량과 탄력성을

구축하기 위한 교육 및

학습에 대한 혁신적

접근 방식

- Bow Valley College의 ldquo갭 브리징 구직자 및 고용주를 위한 학습 플랫폼 및

마켓 플레이스rdquo는 확장 가능한 인공 지능 (AI) 평가와 재교육 및 숙력도 향상을

지원하는 기술 플랫폼 개발

- 해당 직무에 대해 확장 가능한 AI 평가법을 개발하여 50개 커뮤니티 파트너

네트워크를 통해 구직자에게 제공

미래를 위한 포용적

인력개발

- Coast Salish Development Corp의 원주민 고용 허브는 BC주의 미래 인

프라 프로젝트에 대한 노동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비숙련

원주민을 대상으로 150개의 기술 평가를 제공하고 100 개의 훈련 계획을 개

발하고 100 명의 참가자에게 기술 훈련 과정을 제공하며 노동 부족에 직면

한 건설 및 인프라 프로젝트에서 80 명의 숙련 된 일자리를 제공할 예정

고용 시장 변화의

적응력 제고를 위한

중소기업의

직무기술 개발

- 퀘벡 내 8개 지역에서 평생교육 문화와 인력 기술 개발의 중중요성을 기업문화

에 적용

- 주요 목적으로는 지역 내 필요한 인력 역량 기술을 파악하고 이러한 기술의

중요성을 기업에게 전달하고 기업으로 하여금 기술개발 계획을 수립하여 혁신

적인 인력역량전략을 실행

융합

- 대학을 위한 미래 기술 혁신 네트워크(Future Skills Innovation Network

for Universities FUSION)는 보다 미래의 기술을 공식적이고 비공식적 인

교육에 통합하기 위한 교수법 평가 보다 유연한 학습 형식을 만들어 기술 습득

을 향상시켜 고용률을 향상시키고 소외된 학생들을 위한 고등 교육 후의 접근

성 및 구직률 향상을 목표로 함

디지털 역량 표준 프로젝트

- 디지털 직무역량 요구가 빠르게 변화함에 따라 대학졸업자들의 직무역량과 산

업체가 요구하는 직무 역량사이의 직능격차를 줄이기 위한 프로젝트

- 디지털 역량 혁신 기업가 정신 기술 채택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 커뮤니케이

션 창의성 및 적응성을 소프트 스킬의 결합이 포함

자료 캐나다 미래기술센터 홈페이지(httpsfsc-ccfcaengagefuture-skills-centre-announces-37-million-

investment)

lt표 2-46gt 미래기술센터의 주요 프로젝트

91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35 호주

가 전분야 일자리 정책

1) 호주 G20 고용 계획(Australiarsquos G20 Employment Plans 2017년)

고용환경 개선을 위한 정부의 중장기 계획으로서 장기 실직자에 대한 문제해결

청년층의 실업률 해소 노동력 인구비율(생산연령 인구에 대한 노동력 인구)의 증진

방안 미래 일자리 창출 지원 등을 포함한다

항목 정책 내용 정책 실행 상황 및 결과

제도 재정

인센티브

투자 및

기업활동

- 중소규모 사업체에 대한 세금 조율

- 관료주의 탈피하기 위한 규제개혁

- 시장의 생산성 및 네트워크 개선하기 위

해 인프라 구축 투자

- 2015년 5월 소규모 기업에 대한 세제 개혁 입

법화되며 약 3백만 개의 기업 혜택 수여

- 2016년 12월 정부는 비즈니스 및 지역사회에

대한 규제 부담을 58억 달러 이상 감소

- 2020년~2021년까지 700억 달러를 육상운송

인프라 투자 계획

노동시장규제- 근로자와 기업 모두의 이익을 위해 양측

의 관계 조율할 수 있는 조직위원회 설립- 2017년 5월 1일부터 운영

노동시장의

활성화 지원

- 구직자와 사업체를 위한 임금 보조금 지

원 확대

- 2017년 1월 1일부터 청년층 원주민 고령자

장기 실직자 대상으로 보조금 지원

청년 고용 - 장기간 실직상태인 청년층 지원

- PaTH 프로그램

- 학교를 갓 졸업한 학생들에게 인턴십 기회 확대

- 청년들이 학업 또는 취업을 이어갈 수 있도록

비영리기관의 모금 확대

- PaTH를 통해 교육 및 훈련 기회제공

자료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Employment(2017) Australia G20 Employment Plan 2017

lt표 2-47gt 호주 G20 고용 계획의 세부내용

2) 스타트업 지원 정책

기업가 프로그램(Entrepreneursrsquo Programme)은 다음과 같다 본 프로그램은

민간 부문의 자문단 및 협력가들의 국가 조직망(National Network)에 펀드

(Accelerating Commercialization Grant ACG) 및 엑세스(access)를 통해 기

업이 생산성과 경쟁력을 높이는데 기여한다 ACG는 스타트업 기업에게 프로젝트

비용의 최대 50를 투자하는데 적격 파트너 협력체의 경우 25만 달러 기타 다른

신청자들에게는 백만 달러 한도 내에서 지원한다 이 밖에도 기업가들에게 벤처에

대한 전문가 조언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함으로써 스타트업들이 글로벌 마켓으로 진

출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스타트업 시장에 막 진출한 신규기업들은 2년 동안 1만

9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3천 달러에서 2백5십만 달러까지 신청할 수 있다

연구개발 세금 인센티브 제도(Research and Development(RampD) Tax Incentive)

는 다음과 같다 세금 인센티브 제도는 소규모 기업들의 혁신을 장려하는 세금 상쇄

(tax offset)를 통해 모든 기업들이 시장에서 선제적으로 앞서 나가도록 돕는다

2016년 7월 1일부터 연간 매출액이 2천만 달러 미만인 기업들은 1억 달러 미만의

RampD 지출에 대해 435의 환급 가능한 세금 공제액을 청구할 수 있다

나 고용 성장률

코로나19 이후 관광객이 급격히 감소함에 따라 관광 시장의 고용율도 위축되었

는데 관광 관련 기업의 구조조정 및 인력 감원이 본격화되면서 현재까지 99000명

에서 133200명이 실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직자의 대부분은 시간제 근무 단순

업무 계약직 근무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별 고용 성장률 측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예측하고 있다 헬스케어 및 사회복

지 산업 전문직 및 과학기술 서비스 산업 교육훈련산업 건설업은 향후 5년간

(2019년~2024년) 전체 고용률의 약 621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된다 반면 농업

임업어업 제조업 정보 매체텔레커뮤니케이션(telecommunication) 산업은

향후 5년간 고용률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림 2-24] 2024년까지 산업별 고용률 변화 예측

자료 Australian Government(2020) Employment outlook to May 2024 p5

93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다 산업 및 직종별 미래 일자리 전망

호주 정부는 향후 5년간 약 19개의 산업에서 고용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는데

특히 새로 생긴 전체 일자리의 23는 헬스케어와 사회복지(최대 250300명 149)

건축(118800명 10) 교육(113000명 112) 과학기술(106600명 102)

분야가 차지할 것으로 내다봤다([그림 2-25] 참고)

[그림 2-25] 향후 5년간 주요 산업별 일자리 창출 비율

자료 Australian Government(2019) Australian Jobs 2019 p13

다음으로 숙박 및 외식 분야에서 약 9의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된

다 연령과 학력에 있어 전체 인력의 약 45가 15세에서 24세의 청년층으로 중middot고

등학교 졸업자가 전체의 절반을 차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타 산업과 비교해

채용인력의 연령대와 학력이 비교적 낮았고 주로 웨이터 바 종업원 주방장 또는

보조 일반 판매직 보조 등의 업무에서 인력을 확충할 것으로 전망된다

과학기술의 발달과 자동화의 확대로 사무직 비서 농장 관련 직종은 마이너스 고

용률을 보일 것으로 예측되는 반면 의료종사자 간병인 교육 전문직 ICT 전문가

의 경우 미래 유망직종으로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정부는 lsquo관광 고용 계획(Tourism Employment Plan TEP)rsquo을 발표했는데 지

역별 관광 및 환대산업 기업들이 인력 채용 및 유지 인력의 기술부족 문제 등에

대응할 수 있도록 고용과 관련된 실용적인 전략과 대안을 제시하 다

9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TEP는 8개 지역의 관광사업체와 연계해 교육 훈련 고용 성과 등을 개선하기

위한 관련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처음 1년간 단기 전략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워킹

그룹에 의해 계획 단계별(인력개발단계 커리어 향상 단계 고용기회 증진단계 등)

가이드라인을 설정한다 이 밖에 관광 및 환대산업 기업가를 지원하기 위해 무료

안내서(fact sheet) 성공 사례 인적자원(HR) 관리 기타 비즈니스 업무 지원 안내

서를 제공한다

라 포스트 코로나에 따른 일자리 정책

1)일자리 지키기(JobKeeper) 정책

호주 정부가 경기 부양과 고용지원의 일환으로 내놓은 lsquo일자리 지키기rsquo 정책은 총

130억 호주 달러를 지원해 향후 6개월간 고용주들을 통해 직원들에게 격주로

1500 호주 달러의 세전 급여를 지급한다(단 임시직은 1년 이상 근무조건이 붙음)

이 정책은 일종의 급여 보조금으로 약 1300억 호주 달러 규모이며 코로나 사태

로 인해 근로자의 해고나 감원을 최소화하고자 고용주와 근로자를 지원하는 정책이

다 단 연매출 10억 달러 미만인 기업 중 3월 1일 이후 매출이 30 이상 감소한

기업 연매출 10억 달러 이상인 기업은 매출이 50 이상 감소한 기업 등의 조건을

충족 시 정부의 보조금을 지원받을 수 있다

지원금은 국세청(ATO)로부터 5월 첫째부터 지급되며 날짜는 3월 1일부터 소급

적용(back-dated) 지급되며 정규직 계약직 임시직에 상관없이 12개월 이상 근

무한 주권자 시민권자 뉴질랜드 시민권자(Subclass 444 소지자)를 대상으로 지

원된다

2) 외식업 지원 정책

외식업은 호주인들이 가장 많이 종사하고 있는 업종 중 하나로 코로나19 이후

업계 실업률이 30에 달한다 시드니와 멜버른을 비롯해 주요 도시의 락다운

(Lockdown) 조치가 반복되면서 관련 산업 종사자들의 대규모 실직 사태가 발생했

다 외식업 생존위지를 위해 정부는 일자리유지 보조금제도(Job Keeper) 이외에도

임대계약 지원 기타 현금성 재정지원 등을 시행하고 있다

95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3) 사업체 및 근로자 지원방안

호주 정부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심각한 타격을 입은 경제를 회복시키기 위해

1차로 175억 호주 달러를 지원하 고 2차 경제 부양 패키지인 660억 호주 달러

규모의 추가 지원을 발표하 다 이어 지난 3월 30일에는 일자리 지키기 보조금을

지원하는 등 기업과 근로자를 위한 경제 회복 정책을 시행하 다

구분 지원내용

기업

중소기업 및

비영리단체 지원

- 최대 10만 호주 달러 지원

- 자격요건 연간 매출액 5000만 호주 달러 이하 사업체 및 비영리단체

- 사업자의 사업활동보고 시스템(BAS) 이용 금액수단 형태로 제공

- 고용주는 활동 명세서를 제공해야 하며 해당 금액은 호주 국세청에 의해 14

일내 지급

비즈니스

파산방지책

- 6개월간 채권자의 발행 법령 청구서 기준액 인상(2000 rarr 20000 호주 달

러) 법정 요구 시간 연장(21일 rarr 6개월)

- 파산한 업체 대표들은 6개월 동안 개인적인 책임으로부터 일시적 구제

- 비즈니스 과정 중 발생한 부채만 해당

중소기업

운영자금 유통

- lsquo코로나19 중소기업 보증제도(Coronavirus SME guarantee scheme)rsquo 도

입 중소기업 신규 대출 50 보증

- 총 200억 호주 달러의 규모로 새로운 단기 무담보 대출 형태로 최대 5000

만 호주 달러 매출의 중소기업까지 대출 가능

- 대출금액 업체당 최대 25만 호주 달러 상환 기간 최대 3년 초기 6개월

상황 유예

개인사업자 및

자영업자 지원- 소득이 감소한 개인 사업자 및 자영업자까지 자격 기준 확대

개인

근로자

생계 지원금

- 4월 27일부터 향후 6개월 동안 2주마다 550호주달러의 추가 수당지급

- 기존 및 신규 수령인 모두 지급

- 자격조건 lsquo구직자 보조금 청소년 수당 육아 수당 농가 수당 특별 혜택 수

혜금rsquo을 받는 자에 한해 지급

연급 조기 인출

- (201920 회계연도) 최대 1만 호주 달러 + (202021 회계연도) 추가 1만

호주달러까지 연금 조기 인출

- 조기 인출에 대해 면세 혜택 부여 및 복지수당재향 군인 연금 지불에 미영향

- 연금인출 청구 가능자 실업자 구직자 수당 육아 수당 특별 혜택 농가 수

당 수령자 2020년 1월 1일 또는 이후 해고된 개인 자영업자의 경우 비즈니

스 운영이 중단되었거나 매출의 20가 감소한 경우

lt표 2-48gt 비즈니스 기업 및 개인 근로자 지원방안

9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마 일자리 관련 프로그램

1) 청년 일자리 계획(Youth Jobs PaTH) 프로그램22)

청년 일자리 계획(Youth Jobs PaTH)은 호주 정부에서 제공하는 청년 일자리 3

단계 계획 프로그램으로서 본 프로그램은 청년 취업자에게 훈련 및 인턴십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취업 가능성을 높인다(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청년 일자리 3단계는 취업 준비 과정 인턴십 임금보조금 지급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취업준비 과정은 기술 훈련에 참여하는 과정이며 인턴십 단계는 6개월간 구직

서비스 참여자나 취업 경험자들 대상으로 4년간의 인턴십 제공과정이다 인턴십 기간

중 참여자들은 2주간 소득지원급여(200 호주 달러)를 추가 지급받는다 또한 인턴을

받는 고용주는 1000 호주달러의 선불급여를 지급 받는다 마지막 단계인 임금 보조

금 지급은기업이 고용서비스에 등록된 청년 구직자를 반년 이상 고용시 6500 호주

달러를 청년 고용을 유도하기 위한 보조금(Youth Bonus Wage Subsidies)으로

지급하며 이는 최대 1만 호주 달러까지 최대로 지원 가능하다 사업체들은 청년

구직자들 직접 고용하거나 노동력 고용 주선(Labor hire arrangement) 도제제도

또는 인턴십과 병행하는 방법 등을 선택할 수 있다

2) 청년 창업 지원

호주 정부는 2016년 12월부터 워크숍 창업 정보의 온middot오프라인 제공 창업 인

센티브 보조금 제도(New Enterprise Incentive Scheme NEIS)의 확대 장기 실

업율이 높은 지역의 창업 협력 강화 등을 실시하 다(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워크숍은 총 2주간의 기간으로 운 되며 창업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며 동 워크

샵의 참여자에게는 최대 12주간의 인턴십에 참여할 기회가 주어진다 동시에 창업

정보 사이트(SelfStart Online Hub)를 통해서 참여자들은 창업 계획 아이디어 지

역별 창업 지원 정보를 온라인으로 획득할 수 있다 창업장려정책의 하나인 NEIS

프로그램은 전국적으로 약 8600개의 일자리를 18세 이상 구직자에게 제공하고 있

으며 소규모 사업체 훈련과 멘토링 소득지원 렌트비 보조 창업 아이디어 실행을

22)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6) 호주 청년 노동시장 진입 지원정책의 변화 글로벌 사회정잭 브리프 50호

내용을 재정리함

97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위한 개인 멘토링과 지원 등을 제공하고 있다 호주 정부는 또한 청년 실업률이 높

은 지역을 창업 협력 특별 지역으로 지정해 청년 창업을 활성화할 예정이다

3) 훈련 기금(Skilling Australian Fund)

호주 정부는 직업교육훈련(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VET)을 지원

해왔으며 훈련기금(Skilling Australian Fund)을 조성해 취업 준비생의 교육 및

훈련 기회를 확대한다 이 기금은 미래성장산업 농촌 및 지방에 수요가 많은 직종

에 교육이나 훈련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프로젝트에 한해 우선적으로 제공된다 펀

딩은 2018년 7월 1일부터 4년간의 프로젝트 기반 국가 파트너십을 통해 운 된다

주정부의 자금지원으로 모금된 펀드는 호주의 미래 일자리 창출 및 생산성 향상

을 위해 수천 명의 견습생과 연수생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4) 직업 전환 지원 프로그램(Career Transition Assistance Program)23)

50세 이상 구직자를 대상으로 운 되는 단기 집중화 코스로서 전이 가능한(다른

일에서도 사용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고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해 구직자들의 적응

력과 회복력을 증진시키고자 만들어진 프로그램이다 2018년 7월 1일부터 호주 5

개 주에서 시범적으로 시행되었고 2020년 7월 전국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36 영국

가 기존 일자리 정책

미래의 관광관련 일자리 정책과 관련한 국의 사례를 검토하기 위해서 먼저 기

존 관광을 포함한 전체 일자리 지원 정책을 검토하고자 한다 본 일자리 정책은 정

책 방향에 따라 역량 강화 성장환경 조성 인프라 강화 법제도 개선 측면으로 구분

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23) 지역 정책 2030(regions 2030 - unlocking opportunity) 내의 프로그램임

9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1) 전 산업24)

① 역량 강화

국은 노동자의 역량 강화를 위해서 청년층 경력단절자들의 복귀를 위한 정책을

추진하 다 청년층을 위한 정책은 청년 고용대책(New Deal for Young People

NDYP)이 대표적이다 1997년부터 시행되기 시작한 lsquo뉴딜rsquo(New Deal 신고용 협

정)은 국의 신노동당 정부의 lsquo복지로부터 노동으로(Welfare to Work)rsquo 전략을

위해 마련되었으며 실업의 해소와 복지수급자의 근로의욕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이다

뉴딜(New Deal) 프로그램은 장기간의 청년실업자를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프로그램은 장기간 청년실업자들을 구제하기 위하여 기업을 대상으로 보조금을

지급하는 정책을 시행하 다 본 정책은 청년실업자가 선택 가능한 다양한 교육프

로그램의 제공함으로써 청년실업자의 고용가능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예를 들어 뉴딜 참가자는 교육기관이나 훈련기관에서 3개월에서 최장 12개

월까지의 기초 기술을 습득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는 2급 국가기술자격증을 취득 가

능하다 이와 관련해서도 실업급여에 해당하는 액수를 훈련수당으로 지급가능하며

임대료의 보조와 지방세 면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초창기 본 프로그램

은 Gateway Option Follow-Through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있다

구분 내용

Gateway - 근무 장벽 해소를 위해 집중적인 구직 탐색을 4개월간 하는 프로그램

Option

- 참여자가 최대 6개월 동안 고용 옵션(Employment option) 최대 12개월 동안

전일 교육 훈련(Full-Time Education and Training FTET) 자원 분야

(Voluntary sector)에서 최대 6개월까지 일하고 환경 업무 팀(Environment

Task Force)에서 최대 5개월까지 근무를 포함

Follow-Through - 3개월까지 추가 구직 지원의 기간으로 프로그램 떠나기 전까지 참여

자료 Beale et al(2008)

lt표 2-49gt 뉴딜(New Deal) 프로그램

24) Department for Work amp Pensions(2015) 2010 to 2015 government policy employment의

내용을 재정리함

99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경력 단절자를 위한 고용 정책은 리스타트 프로그램(Restart Programme)25)이

다 1986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본 프로그램은 국의 대표적인 일자리 정책 중 하

나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리스타트 프로그램(Restart Programme)을 통해서 고용

주들이 경력단절을 지니고 있는 경력자들이 직업으로 복직할 수 있는 기회를 획득

하고 있다 또한 본 프로그램은 동기부여가 이루어진 구직자들의 풀(pool)에 접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본 프로그램은 복직을 희망하는 사람들이 직장에 복귀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고 신뢰도와 산업별 새로운 지식의 습득과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기업의 입장에서는 경험 많은 인재 풀(pool)을 적극적으로

개발함으로써 이익을 얻을 수 있다

본 프로그램의 추진 목적은 우선적으로는 경력 단절을 겪고 있는 구직자들이 적극

적으로 일자리를 구하는 것을 지원함에 있다 또한 구직조건에 미충족한 사람들을 선

별적으로 구분하고 그 사람들에게 보다 더 적절한 일자리와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② 성장환경 조성

일자리 성장환경 조성을 위한 국 정책으로는 프린스 트러스트(Princersquos Trust)26)

가 있다 1976년 찰스 왕세자에 의해 설립된 프린스 트러스트는 일자리 정책과 관

련되어 다양한 종류의 구직자 고용주 그리고 창업자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

고 있다

예를 들어 만 18세 ~ 만 30세의 연령에 해당하는 창업자가 설립한 기업에게는

약 1500 파운드에서 3500 파운드에 이르는 창업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또 다른

사례는 버밍엄 도심 공항(Birmingham City Airport)의 사례27)를 찾아볼 수 있다

프린스 트러스트와 버밍엄 도심 공항이 공동으로 실직 청년들에게 자금을 지원하는

취업 전 과정을 운 하고 있다 201718년에 시행된 프로그램을 통해서 51명이 동

프로그램을 완료하고 39명의 젊은이들이 공항에서 근무할 수 있는 일자리를 제공받

았다 해당 프로그램은 숙련된 인재를 일자리로 연계하 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5) Policy Study Institute(1992) The Restart Effect Evaluation of a Labour Market Programme

for Unemployed People의 내용을 재정리함

26) 프린스 트러스트 홈페이지(wwwprinces-trustorguk)의 내용을 재정리함

27) HM Government(2018) Industrial Strategy Tourism Sector Deal의 내용을 재정리함

10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③ 일자리 인프라 강화

일자리 인프라 강화를 위한 국 정책으로는 잡센터 플러스(The Jobcentre

Plus)를 통한 정책적 지원이 있다 잡센터 플러스는 일자리 정보 및 구직 활동에

대한 지원을 주는 기관이다 2006년 설립된 잡센터 플러스는 구직을 희망하는 사람

에게 일자리 정책을 지원하는 역할을 가지고 있다 동 센터는 일할 수 있는 사람에

게는 일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도움을 주며 일할 수 없는 사람에게는 lsquo지원 서비스rsquo

를 제공하기 위한 정책을 시작하 다 또한 동 센터는 노동 서비스 제공업체 지방

당국 교육 제공업체 및 고용주들과 함께 사람들이 다시 일하도록 도울 수 있는 혁

신적인 방법의 고안하는 데 주목하 다

동 연구센터는 3가지 유형의 집중 지원을 하고 있다 첫째 잡센터의 작업 코치와

기타 현지지원의 집중적인 추가 지원을 하고 있다 둘째 지원 대상자는 3개월 동안

매일 지역 내의 잡센터에 참석하여 자신이 작성한 입사 지원서에 대해 작업 코치와

상담할 수 있다 셋째 이력서를 작성하고 수정middot보완과 관련한 지원을 하고 있어

최대 6개월간 지역 사회 내 일자리 찾기에 도움을 주고 있다 도움이 되는 업무 경

험을 얻기 위해 최대 6개월 동안 지역 사회내의 적절한 작업의 배치가 가능하다

④ 법 제도 개선

국정부는 고용을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법과 제도를 추진하고 있으며 주요 정

책과 제도는 다음 표와 같다

구분 내용

근로가정의 비과세 보육 - 근로 가정은 12세 미만 아동 1인당 최대 2000파운드까지 양육비의 20

청구 가능

65세 의무정년제의 폐지

- 2015년부터 고용평등규정(Employment Equality Regulations 2011)

을 통해서 65세 의무정년제 폐지

- 목적 사용자와 근로자에게 유연성 최대 제공의 목적으로 하나 기업 부담

감소를 통한 국가 경제성장 도모

부당해고의 구제 청구자격

연수의 2년 연장- 기존의 청구자격 연수가 1년에서 2년으로 변경

자료 고용노동부(2014) 선진국 고용정책의 일자리 창출 효과 연구

lt표 2-50gt 영국 정부의 일자리 창출 법 및 제도 개선 관련 주요 정책

101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2) 관광분야 일자리 정책

상기에서 살펴본 국 정부의 일자리 관련 정책과 더불어 관광분야에서는 아래와

같은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다음의 정책들은 주로 예비 종사들의 현장 적응 능력

강화 및 구직을 위한 기회 확대와 관련되어 있다

① 견습생 제도(Apprenticeship)28)

국 정부는 관광분야에서 더 숙련된 인력을 유치하고 유지하기 위한 노력의 일

환으로 견습생 선발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국 정부는 2025년까지 매년 3만

명의 새로운 견습생 제도의 시행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한 관광분야 및 환

대산업 분야에서의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견습생 선발 제도의 대상은 해당 분야의 일을 처음 시작하는 사람으로부터 해당

전공의 학위를 수여한 전공자에 이르기까지 다양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다양한 분

야의 경험을 가지고 있는 구직자들을 견습생으로 선발하는 것도 이 정책의 특징이다

또한 2019년 새로운 형태의 웹세미나(Webinar)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다 본

프로그램은 다양한 디지털 채널을 통한 서비스 이용자들(예 고용주 훈련 제공자

최종 평가조직 등)과의 협력을 통한 견습생 제도를 지원하고자 한다 본 프로그램에

는 서비스 개발 업데이트 견습생의 자격 사용자 및 교육 제공자에 대한 최종 평가

활동의 기록 최종 포인트 평가의 지침과 견습생 평가 서비스의 가이드에 대한 주제

를 포함한다 모든 웹세미나(Webinar) 프로그램은 전문가들에 의해 주도되어지며

참석자들은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질의응답 시간을 통해서 참여할 기회를 갖는다

또한 서비스 이용자들이 견습생 선발제도의 이용과 새로운 개발 부분에 대해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다른 정부부처 (예 교육 및 기술기금 조달청 lsquoEducation and

Skills Funding Agencyrsquo) 및 이해관계자들과의 협력을 도모하고 있다

② 사전 인터뷰 시행 지원

본 정책은 더 많은 구직을 희망하는 사람들이 관광산업 및 환대산업군에서의 고

용 기회를 얻을 수 있게 지원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보다 더 많은 사람들이 관광

28) ESFA Digital(2019) Sign up to our new apprenticeship service webinar programme의 내용

재정리함

10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및 환대산업의 직업군에서 경험한 풍부한 경험들을 새롭게 일자리를 구하고자 하는

사람들과 공유하고 나아가 그들이 경험한 것을 환대와 관광산업 분야에서 모방할

수 있도록 돕는다

③ 취업 캠페인(The MyTourismJob)29)

본 캠페인은 관광산업 분야의 다양한 일자리 소개하는 데 집중하고자 하는 정책

이며 더 많은 젊은 구직자들이 관광 환대산업군을 자신의 직업 선택군으로 생각하

도록 장려하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본 정책은 관광산업군 내에서 여러 산업체와의

협력을 기반으로 고용주 학교 및 대학 간의 관계를 중개하는 업무 중시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 정책은 디지털 시대에 걸 맞는 여러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미래 일자리 정책 중 하나이다

본 정책은 관광산업이 젊은 세대들의 직업 선택과 관련한 의사결정과정에서 향

을 미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으며 경력의 개발과 관련한 사항들이 더 잘 뒷받침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정책이라고 기대되어진다

④ 멘토링 프로그램(Mentoring programme)

본 정책은 매년 1만 명의 관광 분야 종사자들이 관광업계에서 머물 수 있도록 멘

토링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에 더하여 이들의 커리어

개발을 지원하고자 한다30) 개인별 맞춤 훈련의 제공을 통한 명확한 진로의 개발에

도움이 되는 발전적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멘토링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한 관광업

종사자들의 적절한 진로 탐색과정을 통하여 개인별 트레이닝과 진로개발의 기회들

이 제공될 것으로 기대되어 진다

⑤ 관광 산업 군 직장 내 교육 프로그램

본 정책은 관광산업 군내에서의 다양한 직업의 역할 스킬 및 위치의 측면을 고려한 구

체적인 이해의 상승효과를 위해 활용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인식되고 있다 2021년까지

해당 교육 프로그램을 받는 직원의 비율을 80에 달성하도록 하는 목표를 지니고 있다

29) DCMS(2016) Tourism Action Plan의 내용을 재정리함

30) OECD(2020c) OECD Tourism Trends and Policies 2020의 내용을 재정리함

103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⑥ 관광 및 환대산업 내의 인재 양성 파이프라인 구축을 위한 투자

국 정부는 관광 및 환대산업 내 인재 양성을 위해서 pound1000000의 투자를 시

행한다 구체적으로 본 정책은 학교 대학 고연령 근로자 lsquoJobCentre Plus(잡센터

플러스)rsquo 구직자 자선단체 등과의 상생과 협력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자 한다 특

히 상대적으로 소외되고 유능한 인재 획득에의 접근성이 떨어지는 고용인(외부 지

역 주민 포함)에 대한 지원을 강조하고 있다

나 미래 일자리 정책 사례

1) 전 산업

국 정부는 전 산업에서 미래 일자리와 관련해서 기술 및 투자환경 조성 구직 정

보 접근성 제고 노동시장 규제 장기 전략의 개발 및 시행 등 미래 일자리 환경과 인

프라를 구축하고 있으며 창작 및 디지털 분야의 투자 확대 생산의 디지털화 등 신산

업과 생산력 제고 등을 통해 일자리를 창출하고자 아래와 같은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구분 내용

유연하고 역동적인

기술 및 투자 환경의 조성

- 배경 일자리 보급의 성장에 기여하는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관점으로 시

행 및 공공과 민간 투자의 일치로 인한 효과성 보장

- 내용 광범위한 정부 주도의 기술 프로그램 및 투자와 지원을 통해 고용을

강화시킬 수 있는 규제 촉진

구직 정보 접근

권한 부여

- 직무 관련 연수와 교육제공의 정보 및 조언 접근의 권한 개인부여

- 개인 보유 기술력 투자 지원 및 확대 위해 금융 접근 용이성 지원

- 급변하는 환경에 필요한 기술을 개발하는 데 있어 민첩성과 비용의 유용성 및

효율성을 보장하기 위해 비즈니스와 교육 및 훈련 부문 간의 전략적 관계 구축

영국 내 노동시장 규제의 시행- 노동시장에서의 힘의 균형이 점점 더 고용주에게 쏠리는 현상(lsquoRace to

bottomrsquo)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노동시장 규제

장기 전략의 개발 및 시행- 영국 정부는 일관성 있는 전략의 실행 및 보급을 통해 저숙련자들의 급변하

는 노동시장에 대한 대응성 강화

창작 및 디지털 분야

투자 확대

- 배경 기술 발전에 힘입어 창작 및 디지털 분야에서의 생산성의 향상과 새로

운 비즈니스 모델을 위한 개발이 촉진될 것으로 예상

- 기술환경 변화를 통해 가상 협업(Virtual collaboration) 아웃소싱 프로젝

트의 유연한 관리 등 디지털 분야의 작업환경이 형성될 것으로 기대되어 창

작 및 디지털 분야 투자 확대 추진

생산의 디지털화

- 계속되는 산업의 디지털화(Digitalisation)로 근소화(near-shoring) 분산

(decentralised) 등 생산 방식이 변화하여 영국 내 2023년까지 10만~20

만명의 제조업 종사자의 고용증가 기대

자료 UKCES(2014) The Future of Work Jobs and Skills in 2030 RSA(2013) Making at Home Owning Aborad

lt표 2-51gt 영국 정부의 미래 일자리 주요 정책

10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2) 관광분야

① 디지털 전환 정책의 실시

문화미디어스포츠부(Department for Digital Culture Media and Sport

DCMS)는 디지털 기술을 보유한 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디지털 전략의 실시 및

제공한다(전효재middot한희정 2018) 본 부처는 디지털 캠페인을 통해서 관광분야의 다

채로움과 다양한 직업군이 있음을 구직자들에게 알리는 데 주목적을 두고 있다

② 새로운 T-레벨(New T-levels) 자격의 시행31)

2020년부터 국은 새로운 자격증명인 T-레벨이 시행되었으며 이는 기존의

국 GCSEs(중등교육자격시험)의 2년제 기술교육 프로그램의 상위등급이다 건설

디지털 교육 보육과 관련된 교육과정을 교육하게 되며 각 교육에는 3개월의 현장

직무실습이 포함되며 기존의 대입시험과정인 A-레벨 (A-level)에 준하는 진로의

교육과정이 될 것이다 2021년부터는 회계 미용 공학 혁신 산업 분야(The

creative industries)에 대한 22개의 교육과정이 추가로 실시될 예정이다

본 자격은 기업들이 기술의 교육 및 현장실습 경험이 있는 사람들이 기술의 부족

을 메꾸는 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본 자격제도는 관광 분야에 있어 관광전공자에게 최소 45일의 관광분야에서의

현장 배치의 실질화를 통해 효용가치가 높은 직업 체험을 제공하며 미래의 구직희

망 인재들이 관광산업군 및 환대산업의 역할에 대한 더 나은 기대를 지닐 수 있게

지원한다 본 자격제도는 T-레벨 자격증명을 통해서 환대산업과 관광산업의 분야에

해당하는 직업 군인 바텐더부터 세계적인 프랜차이즈 호텔의 매니저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역할과 경력을 제공하는 데 기여하고 있는 정책으로 평가받고 있다

4 시사점

우리나라는 인적자원 개발과 지속가능 발전 기반의 일자리를 정책을 추진하고 있

다 특히 문재인 정부에서는 좋은 일자리 창출을 위해 lsquo일자리위원회rsquo를 설치하여

31) BBC(20180527) First colleges to teach new vocational T-levels named의 내용을 재정리함

105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일자리 인프라 구축 공공일자리 창출 민간 일자리 창출 일자리 질 개선 맞춤형

일자리 지원 등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 미래 일자리

창출 정책은 인구구조의 변화 대응 디지털 전환 대응 코로나19 이후 새로운 패러

다임 대응에 초점을 두고 있다

구분 내용

인구구조 변화 대응

- 고령자 일자리 재취업 창업 농어촌 귀한 사회공헌 등

- 여성 일자리 출산 및 육아 일자리 양성평등 재취업 기반 확대 등

- 청년과 중장년 근로자 일자리 질 개선 생산성 향상

디지털 전환 대응

- 기존 일자리 유지 주력산업 중심 제조업 변혁(스마트화 신산업 주력산업 산업생

태계 개편 정부 역할 강화(투자 혁신 지원)

- 신산업 일자리 25개 분야 100대 핵심 기술개발 투자

- 인적자원 역량 강화 교육훈련 기회 혁신선도 산업수요 대응

코로나19 이후

새로운 패러다임 대응

- 디지털 뉴딜 DNA(Data-Network-AI) 생태계 강화 교육인프라 디지털 전

환 비대면 산업 육성 사회간접자본(SOC) 디지털화

- 그린 뉴딜 도시middot공간middot생활 인프라 녹색 전환 저탄소middot분산형 에니지 확산 녹색

산업 혁신생태계 구축

-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middot사회안전망 확충 디지털middot그린 인재양성 등 사람투자

자료 국내 주요 정부부처의 일자리 정책 참고 재작성

lt표 2-52gt 국내 미래 일자리 창출 정책

문화체육관광부의 관광 일자리 정책은 주로 예비 종사자와 종사원 역량 강화에

초점을 두고 추진 중이다 미래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관광사업 창업지원 및 벤처

육성 지원을 추진하고 있다 최근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관광업계 피해가 증가함

에 따라 문화체육관광부는 관광산업의 지역소비 여력 확충과 더불어 고용 유지 지

원을 위해서 고용 유지 지원금 지원 요건을 완화하여 시행하고 있다

일본 미국 캐나다 호주 국 등에서도 일자리에 대한 중요성에 따라 다양한

정책이 전 산업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미래 일자리와 관련하여 신규 성장

분야 육성 디지털 전환 정책 등을 통해 일자리를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신규

고용 창출이나 고용유지를 위한 지원 직접지원 사업뿐만이 아니라 구직자의 구직활

동 강화를 위한 연수 및 교육 고용지원 인프라 구축 등 간접지원방식의 정책도 추

진되고 있다

10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구분 내용

일본

- 지역고용창출과 관련한 사업 추진(예 지역활성화고용장조 프로젝트)

- 지역제안형 고용창조촉진사업 가이드나 서비스 인력 등의 인력양성 및 연수 등 추진

- 중점분야고용창조사업 가이드 관광객 편의서비스 지원인력 관광안내인력 관광자원 정보수집

인력 등 지원

미국

- 미래세대 인력 및 노동시장 정보시스템 개발 관광산업 정보 수집

- 견습 프로그램 예산 증액

- 인력혁신 및 기회의 법 효과 증진

- 인력양성프로그램 평가방법 개발

- 직무능력 역량 모델 개발

캐나다

- 관광목적지 고용 프로그램

- 미래 기슬 프레임워크 도출(관광의 현재 및 미래기술 정의)

- 스마트 인증제(기준 강화를 통한 프로그램 질 개선)

- emerit 교육 프로그램 연구 설계 및 테스트

- 캐나다 여행 관광 아카데미(교육자 및 업계 파트너의 지원 및 지도)

- 레디투워크(Ready to work) 프로그램(현장 교육 강화)

- 환대 서비스 종사자 훈련 센터 운영

- 산업촉진 프로젝트 실행(디지털 융합 인력 양성 및 역량 강화 등)

호주

- 관광사업체 연계한 교육 훈련 고용 성과 등 개선 프로그램 운영

- 운영자 지원 프로그램(무료 안내서 성공사례 인적자원 관리 기타 지원 안내서) 제공

- 코로나19 이후 관광산업을 비롯한 전산업을 대상으로 기업 및 개인근로자를 위한 지원금 제공

영국

- 견습생 제도

- 사전 인터뷰 시행 지원

- 취업 캠페인 멘토링 프로그램

- 직장 내 교육 프로그램

- 디지털 전환 정책 실시

- 새로운 자격제도 시행

lt표 2-53gt 관광 일자리 창출 관련 해외 정책

우리나라의 관광 일자리 정책은 주로 예비 종사자와 종사원 역량 강화에 초점을

두고 추진되고 있으며 관광 일자리 활성화를 위해서 관광산업 일자리 박람회 관광

일자리센터 설립middot운 지역관광일자리 활성화 사업(지역관광기업지원센터 구축

산학협력프로젝트 등) 등을 통해 관광산업 일자리 정보 교육 및 훈련 등이 추진되

고 있다

특히 미래 일자리 육성과 관련해 최근에는 미래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관광사

업 창업 및 벤처기업 육성middot지원 미래형 관광인재 육성 등을 추진하고 있다 코로나

19로 인한 관광산업 고용 위기에 대응하고자 고용유지지원금 교육지원 관광지 방

역 및 수용태세 개선관련 일자리 창출 사업 등도 추진되고 있다

107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제4절 시사점

본 연구는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을 도출하기 위해 환경변화에

따른 관광 미래 유망 일자리 분야와 국내외 일자리 창출 정책을 살펴보았다

미래 일자리 환경 측면에서는 인구구조의 변화 4차 산업혁명 기술의 발달과 활용

기후변화 코로나19 등으로 생태 및 친환경 인식과 안전 인식 증가 국내외 제도의

변화 고용 관련 가치관 및 인식의 변화 이에 따른 관광 환경의 산업적 시장적 자원

적 측면에서의 변화가 전망되었다 정책적 측면에서는 국내외 적으로 미래역량 성장

환경 조성 인프라 법제도 등과 관련한 관광 일자리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변화와 정책 사례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 다

가 일자리의 전문화 및 세분화

우리 사회는 4차 산업혁명 저출산 및 고령화와 같은 기술 사회경제적 변화에

직면해 있으며 이에 따라 일자리 일하는 방식이 변화하고 있다 직업관이 조직 중

심에서 개인 중심으로 변화되고 정규직 중심의 전통적 일자리에서 임시 및 독립적

일자리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한 프로젝트 기반의 1인기업 플랫폼 경

제 활성화에 따른 플랫폼 기반 종사자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미래의 직업은 기존 직업이 전문화된 서비스 직업으로의 변화 수요의 다양

화에 따른 직업의 전문화 및 세분화 타 직무middot지식middot기술의 융합을 통한 직업의 발

생 기술기반의 새로운 직업 탄생 등의 변화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한

코로나19로 인해 재택근무제 유연근무제의 활성화가 촉진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관광산업의 일자리에도 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관광산업에

서도 기술 기반의 사업체가 증가하고 있으며 타분야의 융합을 통한 일자리의 증가

관광객 수요의 다양화로 기존 관광 일자리의 전문화 및 세분화가 나타나고 있다

10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이에 우리나라 정부도 신산업 육성 직업능력개발 고급융합 인력양성 등의 정책

을 추진하고 있으며 일본 호주 캐나다 국 등에서도 견습 프로그램 청년 일자

리 직업 전환 지원 등 일자리 지원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나 관광산업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

디지털 전환은 산업의 자동화뿐만 아니라 생산과 소비 일과 삶의 역 등 사회

전반에 향을 미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으로 명명되는 시대적 전환은 기존 일자

리 신산업 일자리 인적자원 역량의 관점에서 변화를 가속화하고 있다

단순 반복적 직업은 자동화를 통해 기술적으로 대체되고 미래 사회를 주도한 미

래 유망 기술 발굴 및 관련 제품과 서비스 개발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관광 분야

에서도 AI 빅데이터 플랫폼 등의 활용이 점차 증가되고 있으며 키오스크 등의 무

인화 서비스로 인해 관련 분야의 일자리가 감소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전환은 국내 및 해외 일자리 정책에 있어서 중요하게 고려되며

우리나라를 비롯한 호주 일본 국 미국 등 기존 관광인력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

하고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고 관광과 기술이 융합된 분야의 일자리 창출을 지원하

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다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인한 관광산업 일자리 변화 발생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세계 국가 간 이동이 제한되었으며 국내에서는 사회적 거

리 유지가 시행되었다 이로 인해 외래관광객 유입 및 국내 해외여행객 송출이 대폭

감소하 고 관광사업체의 운 을 어렵게 만들었다 이에 관광산업 종사자 수는 크

게 감소하 다 구체적으로 2020년 1분기 여행 서비스 숙박시설 서비스의 종사자

는 전년동기 대비 감소하 으며 구인과 채용의 수도 감소하 다

또한 코로나19는 관광객의 행태 소비의 변화도 가져왔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해외여행 수요는 국내여행으로 전환되어지고 관광객의 여행 안전에 대한 인식도

강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관광객이 붐비지 않고 야외 공간이 선호되고 있으며 무

인화 및 자동화 회의산업의 비대면 기술 활용 증대 등 관광산업의 비대면 기술 활

109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용을 촉진하고 있다

이러한 관광산업과 일자리 변화의 발생은 국내 및 해외의 일자리 정책의 변화를

야기하 다 우리나라 정부는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해 디지털 뉴딜 그린 뉴딜

사회안전망 강화의 한국판 뉴딜 정책을 발표하 고 관광산업의 고용 유지를 위해

고용유지지원금 관광업계 종사원의 교육 지원 등을 추진하고 있다 호주의 경우도

급여 보조금 형태의 일자리를 지키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그림 2-26] 미래 일자리 환경 및 정책사례 시사점

구분 주요 내용 시사점

미래 일자리

환경

- (사회) 인구구조 및 교육구조의 변화

- (기술) 4차 산업혁명 기술 발달

- (생태) 코로나 19 등으로 생태 및 친환경 안전 인식

제고

- (정치 및 제도) 남북관계 도시재생 산업간 융합

- (고용) 기존 직업의 고부가치화 직업의 세분화 및

전문화 융합형 직업 증가 기술기반 신규 직업 탄생

- (관광) 관광시장(다양화 및 세분화) 관광산업(전통

적 산업에서 신규 관광 비즈니스로 전환) 관광자원

(일상공간의 관광공간화) 측면에서 변화

- 일자리 환경의 다변화

- 관광산업의 디지털

전화 가속화

-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관광산업 일자리

변화 발생

국내외

일자리

정책

- (미래 역량) 유망 분야 인력 양성 종사자 디지털

전환 자격제도의 신설

- (성장환경 조성) 신산업middot비즈니스 창출 지원

- (인프라) 일자리 수급 분석 실시 일자리 정보제공

활성화

- (법 제도) 다양한 고용 형태 지원 노동안전망 지원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제3장

113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제1절 개요

본 장은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과 관련한 부분이다 본 장은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을 위해서 크게 두 가지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 부분은 미래 일자

리 유망분야 및 유망 일자리 후보군 도출이며 두 번째 부분은 미래 일자리 예비

후보군을 바탕으로 미래 일자리를 도출하는 것이다

먼저 제 2절에서는 선행연구 및 국내middot외 관광 트렌드 정책 자료 등을 분석하여

향후 5년간 발전 가능성이 있는 미래 일자리를 유망 분야별로 구분하고 유망 일자

리 후보군을 제시하고자 한다 즉 제2절에서는 관광 일자리의 성장 가능성을 살펴

보았고 미래 일자리 환경 분석 결과와 연계해 연구진 관광 및 일자리 분야 전문가

의견 조사를 통해 유망 일자리 후보군을 도출하 다

구분 1차 2차

대상- 관광 일자리 분야 전문가 27인

관광분야 17명 일자리분야 10명

- 관광 일자리 분야 전문가 26인

관광분야 17명 일자리분야 9명

실시 시기- 20200803 ~ 20200814

- 평균 20분 소요

- 20200818 ~ 20200824

- 평균 10분 소요

조사 방법 - 온라인 설문지 자기 기입(개방형 질문) - 온라인 설문지 자기 기입

조사 내용- 관광 일자리 환경변화 및 유망 분야

- 관광 유망 미래 일자리

- 관광 미래 일자리 성장 가능성 및 시기

- 관광 미래 일자리 대응 정책 방향

lt표 3-1gt 전문가 의견 조사 개요

관광 분야 전문가는 관광학 교수 관광 사업체 관광 유관사업 연구원 관광연구

원 관광유관 협회 등이 참여하 고 일자리 분야 전문가는 직업 일자리 및 노동

관련 연구기관 소속 전문가 사회 및 미래 예측 관련 전문가 등이 참여하 다

그 후 제2절의 결과인 유망 일자리 후보군을 토대로 연구진 관광 및 일자리 분야 전문가

의견 조사를 실시하여 미래 성장가능성을 확인하 다 제3절에서는 미래 유망 관광일자리

분야를 통해 분야별 성장가능성 필요 역량 관련 일자리 관련 현 자격제도를 살펴보았다

11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제2절 미래 관광 일자리 후보군 도출

1차 전문가 의견 조사에서는 미래 환경 변화에 대한 이슈와 미래 관광 일자리 후

보군을 조사하 다 본 조사는 개방형 질문(Open-ended question)으로 조사하

다 개방형 질문으로 조사한 이유는 2장의 자료 분석 결과와 그 외의 다양한 이슈를

조사하기 위함이다

1 환경 이슈 및 유망 분야

11 미래 관광 일자리 환경 이슈 종합

자료 분석 결과와 전문가 의견조사를 통해서 43개의 미래 환경 변화 이슈를 다음

과 같이 선정하 다 각 역별로 나누어 관광 및 사회 기술 생태환경 정치 일

자리 환경 측면 전 분야에 향을 미치는 이슈를 도출하 다 본 연구는 이슈 도출

시 관광 미래 일자리와의 연결성을 중시하며 선정하 다

본 연구에서 관광 사회 기술 생태환경 정치 일자리 환경 측면의 환경 변화

요인 전문가 의견 조사 및 연구진 회의를 바탕으로 뽑은 5년 내 관광산업 주요 환

경 변화 키워드는 lt표 3-2gt와 같다

구분 주요 키워드

관광

(관광트렌드 변화)관광객 소비문화

- 가치지향 여행 소비(소확행 가심비 트렌드 확산)

- 경험소비

-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 부상(관광 정보 SNS 공유)

- 일상에서 만나는 비일상여행(생활여행 한달살기)

- 누구나 즐기는 여행(생애주기 여행 무장애 여행 등)

- 관광시민(관광객으로서의 역할 중요)

lt표 3-2gt 미래 환경 변화 주요 키워드

115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구분 주요 키워드

- 특수목적관광 또는 특별관심관광의 활성화

- 근거리 여행(이동시간 및 거리 최소화)

- 소규모 중심의 여행 활성화

- 비(무)계획 관광 소비(즉흥 여행 증가)

- 안전과 위생 강조(안전 여행지 야외형 관광 수요 증가)

- 비대면 여행 선호

- 국내 여행 소비 확대

- 스마트관광(모바일 활용)

관광산업

- 전통기업의 위축

- 플랫폼 비즈니스 공유경제 글로벌 OTA의 발전과 확산

- 비대면 관광 서비스 확산(비대면 관광기술 수요 증가)

- 스마트기술 기반의 관광활동 증가

사회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 변화)

인구구조

- 고령화 및 대규모 은퇴자 증가

- 가족 형태의 다양화(1인가구 반려동물 동반 가구 다문화)

- 생산연령 인구 감소 및 지역 인구 감소(지방소멸의 위험)

사회인식- 여가시간 증대 및 워라밸의 추구

- 안전 생명 등 본원적 가치 중시 현상 강화

교육구조 - 대학인구 감소 초중고생의 교육수요 변화 체험교육 확대

기술

(과학기술 발전)4차 산업혁명

-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 가속화 및 활용 증가(인공지능 5G 증강현

실 로봇 빅데이터 자율주행 등)

- 모바일과 여행 플랫폼 비즈니스의 진화

- 기술 도입으로 인한 무인화 자동화 확산

- 사이버 범죄 우려로 인한 개인 정보 보호 강화

- 구독 경제 활성화(정기배송 렌털진화형 모델 등)

생태환경

(환경과 에너지)

전염병

기후변화

- 친환경 관심 증가 신재생 에너지middot친환경 교통수단 활용 증가

- 재난 증가에 따른 코로나19와 같은 전염병 등 안전관리 위기관리관

심 증가

지속가능성 - 지속가능발전 투자와 활동 확대

정치

(법제도 및

정부 정책)

국제관계- 남북교류 활성화 DMZ 관광

- 코로나19로 인한 국가간 이동 제한 국제교류 이축

국내정치

정책

- 도시재생 사업 혁신 정책

- 부처별 융복합 사업 확대

- 위기관리 대응체계 구축 강조

- 지방분권 지역균형발전 등 지역정책 증가

일자리 환경

(산업특성 및

산업구조 변화)

기업문화 - 기업 직장에서 직업 매개체로의 변화 고용형태 다양화(프리랜서 증

가) 다직업 체제

고용환경

- 일자리 양극화와 데이터 기반 인적관리 강화 프리랜서 활동 플랫폼

증가(인력중개 플랫폼)

- 코로나19로 인한 관광 분야 대량해고와 실직 예상

산업구조 - 자기고용과 창조서비스업의 증가

노동환경- 언제 어디서나 일할 수 있는 유연한 업무 환경 근무시간 축소 장기

휴가 증가(워케이션)

11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12 미래 관광 일자리 유망 분야

또한 환경 변화 키워드와 관련하여 주요 유망 분야에 대해 전문가 의견조사 결과

는 다음 lt표 3-3gt과 같다 총 31개의 미래 변화와 관련한 관광산업 유망 분야가

도출되었다

구분 유망 분야 주요 변화 키워드

관광

(관광트렌드

변화)

관광객

소비문화

- 맞춤형 관광- 가치지향 여행 소비(소확행 가심비 트렌드

확산) 경험소비

- 관광시민(관광객으로서의 역할

중요)- 관광시민(관광객으로서의 역할 중요)

- 관광 미디어 콘텐츠(사진 영상)-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 부상(관광 정보

SNS 공유)

- 생활관광

- 일상에서 만나는 비일상여행(생활여행 한달

살기) 근거리 여행(이동시간 및 거리 최

소화)

- 아동관련 여행

- 취약계층 관련 여행

- 누구나 즐기는 여행(생애주기 여행 무

장애 여행 등)

- 소그룹 여행 - 소규모 중심의 여행 활성화

- 지역 전문 관광

- 지역 교류 관광 공감- 국내 여행 소비 확대

- 해양관광 레저스포츠관광

- 치유관광 웰니스 관광 의료관광

- 농촌관광 예술관광 산업관광 역

사관광

- 특수목적관광 또는 특별관심관광의

활성화

관광산업

- 관광 플랫폼 OTA 공유경제시장

발전 신 관광비즈니스 창출

- 플랫폼 비즈니스 공유경제 글로벌

OTA의 발전과 확산

- 스마트 관광

- 스마트기술 기반의 관광활동 증가 비

대면 관광 서비스 확산(비대면 관광기

술 수요 증가)

- 모바일과 여행 플랫폼 비즈니스의 진화

사회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

변화)

인구구조

- 실버관광 요양관광 - 고령화 및 대규모 은퇴자 증가

- 나홀로 여행

- 반려동물동반여행

- 가족 형태의 다양화(1인가구 반려동물

동반 가구 다문화)

교육구조 - 교육여행- 대학인구 감소 초중고생의 교육수요

변화 체험교육 확대

기술

(과학기술

발전)

4차

산업혁명

- 빅데이터 분석 및 개인화

- 가상현실 드론 영상 이용 여행 콘

텐츠

- 모빌리티

-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 가속화 및 활

용 증가(인공지능 5G 증강현실 로봇

빅데이터 자율주행 등)

lt표 3-3gt 관광산업 주요 유망 일자리 유망 분야

117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2 미래 관광 유망 일자리 후보군

21 미래 관광 유망 일자리 후보군 종합

환경 변화분석 정책 사례 조사 1차 조사 의견 연구진 회의를 통해서 본 연구는

미래 관광 유망 일자리 후보군을 lt표 3-4gt와 같이 도출하 다

구분 유망 분야 유망 일자리 후보군

관광

(관광트렌드

변화)

관광객

소비문화

- 맞춤형 관광 - 여행 컨셉 기획가(맞춤형 관광 컨설턴트)

- 관광시민(관광객으로서

의 역할 중요)- 관광운동전문가

- 관광 미디어 콘텐츠

(사진 영상)

- 관광 사진영상 작가

- 관광콘텐츠크리에이터(여행작가 여행유튜버)

- 관광 콘텐츠 기획 제작 유통 전문가

- 여행영상 편집 지도사

- 관광 콘텐츠 개발자 문화콘텐츠 전문가

- 생활관광 - 생활관광 스토리텔러

- 아동관련 여행- 아동 여행 콘텐츠 개발자

- 아동 여행 가이드

- 취약계층 관련 여행 - 여행복지사

lt표 3-4gt 관광산업 주요 유망 일자리 후보군

구분 유망 분야 주요 변화 키워드

- AI기반 로봇 활용 증가 - 기술 도입으로 인한 무인화 자동화

확산

- 관광 어트랙션 구독 서비스 제공 - 구독 경제 활성화(정기배송 렌털진화형 모

델 등)

생태환경

(환경과

에너지)

전염병

기후변화

- 생태친환경 관광- 친환경 관심 증가 신재생 에너지middot친환

경 교통수단 활용 증가

- 여행 안전관리

- 재난 증가에 따른 코로나19와 같은 전

염병 등 안전관리 위기관리관심 증가

안전과 위생 강조(안전 여행지 야외형

관광 수요 증가) 위기관리 대응체계 구

축 강조

정치

(법제도 및

정부 정책)

국제관계 - 남북관광 평화관광 - 남북교류 활성화 DMZ 관광

국내정치

정책

- 도시재생 - 도시재생 사업 혁신 정책

- 융복합 관광 한류관광 - 부처별 융복합 사업 확대

11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구분 유망 분야 유망 일자리 후보군

- 소그룹 여행 - 소규모 관광 가이드

- 소규모 단체여행 기획 및 인솔가

- 지역 전문 관광

- 현지전문 맞춤 가이드

- 지역 관광 크리에이터

- 지역관광추진조직(DMO) 코디네이터

- 지역 교류 관광 공감- 지역관광교류전문가

- 관광인문학자

- 해양관광 레저스포츠

관광

- 레포츠관광 전문 가이드

- 해양치유사 해양관관 전문가

- 캠핑 관광 - 캠핑관광 용품 대여업 운영자

- 치유관광 웰니스 관광

의료관광

- 치유관광 운영자

- 농촌 치유관광 전문가

- 의료관광 기획가

- 농촌관광- 농촌관광 전문가

- 교육농장 및 진로체험농장 전문가

- 예술관광- 예술관광기획가

- 예술관광 가이드

- 산업관광 - 산업관광기획가

- 역사관광- 역사관광기획가

- 역사관광해설가

관광산업

- 관광 플랫폼 OTA 공

유경제시장 발전 신 관

광비즈니스 창출

- OTA 리스팅 전문가

- 관광 플랫폼 코디네이터

- 관광 플랫폼 디자이너

- 관광 플랫폼 운영자

- 관광창업 전문가

- 스마트 관광 - 스마트 관광 경험 디자이너

사회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 변화)

인구구조

- 실버관광 요양관광- 실버 여행 콘텐츠 개발자

- 실버 여행 가이드

- 나홀로 여행 - 나홀로 여행 컨설턴트

- 반려동물동반여행 - 반려동물여행시설운영자

교육구조 - 교육여행- 교육(학습) 관광 기획가

- 자유학기제 진로체험 전문가

기술

(과학기술 발전)

4차

산업혁명

- 빅데이터 분석 및

개인화

- 관광 빅데이터 분석가

- 관광 빅데이터 처리 엔지니어

- 관광 시스템 프로그램 전문가

119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22 미래 관광 유망 일자리 후보군 도출

2차 의견 조사에서는 1차 의견조사에서 도출된 유망 일자리 후보군을 검증하기

위해서 미래 관광일자리로서 5년 내 성장가능성을 5점 척도로 일자리 발생 시기

를 단기(3년 이내) 중기(4년~6년) 장기(7년~10년)로 측정하 다

2차 의견 조사에서 각 일자리에 대한 성장가능성은 평균 360점으로 나타났다

미래 관광 일자리로서 성장 가능성이 높게 평가된 항목은 관광빅데이터 분야의 관

광빅데이터분석(평균 450점)으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관광콘텐츠크리에이터

(평균 446) 관광 빅데이터 처리 엔지니어(평균 446점) 관광플랫폼운 자(평균

442점) 순으로 나타났다

구분 유망 분야 유망 일자리 후보군

- 가상현실 드론 영상

이용 여행 콘텐츠- 가상현실 체험 콘텐츠 크리에이터

- 모빌리티 - 관광 교통 대여업자(개인 전동 이동수단 공유

차량 등)

- AI기반 로봇 활용 증가 - 관광 서비스 로봇 콘텐츠 개발자

- 관광 서비스 로봇 관리자

- 관광 어트랙션 구독

서비스 제공 - 관광 어트랙션 구독 기획가 및 운영자

생태환경

(환경과 에너지)

전염병

기후변화

- 생태친환경 관광- 생태관광 인솔자

- 숲 해설가

- 여행 안전관리

- 숙박시설 방역전문가

- 관광안전여행 인솔자

- 관광안전여행 컨설턴트

- 관광안전여행 기획가

정치

(법제도 및 정부

정책)

국제관계 - 남북관광 평화관광- 북한관광기획가

- 평화관광해설사

국내정치

정책

- 도시재생- 도시재생 관광기획가

- 도시재생 관광 해설가 스토리텔러

- 융복합 관광 한류관광 - 한류문화 관광 콘텐츠 기획가

기타

- 관광 고용 컨설턴트

- 우주여행 기획가

- 자원봉사여행 기획가

- 관광법규 전문가

12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유망 분야 유망 일자리 후보군성장 가능성 일자리 발생

시기평균 표준편차

맞춤형 관광- 여행 컨셉 기획가(맞춤형 관광

컨설턴트)396 066 단기

관광시민

(관광객으로서의 역할 중요)- 관광운동전문가 288 128 중기

관광 미디어 콘텐츠

(사진 영상)

- 관광 사진영상 작가 354 117 단기

- 관광콘텐츠크리에이터(여행작가 여행

유튜버)446 081 단기

- 관광 콘텐츠 기획 제작 유통 전문가 431 084 단기

- 여행영상 편집 지도사 292 098 단기

- 관광 콘텐츠 개발자 문화콘텐츠 전문가 423 065 단기

생활관광 - 생활관광 스토리텔러 335 113 단기

아동여행 관련 여행- 아동 여행 콘텐츠 개발자 350 117 단기

- 아동 여행 가이드 315 097 중기

취약계층 관련 여행 - 여행복지사 304 128 장기

소그룹 여행 - 소규모 관광 가이드 392 106 단기

- 소규모 단체여행 기획 및 인솔가 388 107 단기

지역 전문 관광

- 현지전문 맞춤 가이드 396 102 단기

- 지역 관광 크리에이터 412 102 단기

- 지역관광추진조직(DMO) 코디네이터 392 126 단기

지역 교류 관광 공감- 지역관광교류전문가 327 122 중기

- 관광인문학자 319 141 단기

해양관광 레저스포츠관광- 레포츠관광 전문 가이드 358 095 단기

- 해양치유사 해양관관 전문가 316 107 중기

캠핑 관광 - 캠핑관광 용품 대여업 운영자 408 116 단기

치유관광 웰니스 관광

의료관광

- 치유관광 운영자 373 104 중기

- 농촌 치유관광 전문가 331 123 중기

- 의료관광 기획가 342 127 단기

농촌관광- 농촌관광 전문가 281 117 단기

- 교육농장 및 진로체험농장 전문가 300 110 중기

예술관광- 예술관광기획가 346 114 중기

- 예술관광 가이드 350 117 중기

lt표 3-5gt 관광산업 주요 유망 일자리 후보군 성장가능성 조사 결과

121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유망 분야 유망 일자리 후보군성장 가능성 일자리 발생

시기평균 표준편차

산업관광 - 산업관광기획가 315 112 중기

역사관광- 역사관광기획가 319 106 단기

- 역사관광해설가 327 108 단기

관광 플랫폼 OTA

공유경제시장 발전

- OTA 리스팅 전문가 408 113 단기

- 관광 플랫폼 코디네이터 423 111 단기

- 관광 플랫폼 디자이너 427 104 단기

- 관광 플랫폼 운영자 442 099 단기

- 관광창업 전문가 320 126 중기

스마트 관광 - 스마트 관광 경험 디자이너 350 127 단기

실버관광 요양관광- 실버 여행 콘텐츠 개발자 381 117 중기

- 실버 여행 가이드 388 103 중기

나홀로 여행 - 나홀로 여행 컨설턴트 362 110 단기

반려동물동반여행 - 반려동물여행시설운영자 396 082 단기

교육여행- 교육(학습) 관광 기획가 350 110 단기

- 자유학기제 진로체험 전문가 342 095 단기

빅데이터 분석 및 개인화

- 관광 빅데이터 분석가 450 081 단기

- 관광 빅데이터 처리 엔지니어 446 081 단기

- 관광 시스템 프로그램 전문가 427 087 단기

가상현실 드론

영상 이용 여행 콘텐츠- 가상현실 체험 콘텐츠 크리에이터 412 099 중기

모빌리티 - 관광 교통 대여업자(개인 전동 이동수단

공유차량 등)423 091 단기

AI기반 로봇 활용 증가 - 관광 서비스 로봇 콘텐츠 개발자 381 102 중기

- 관광 서비스 로봇 관리자 368 118 중기

관광 어트랙션

구독 서비스 제공 - 관광 어트랙션 구독 기획가 및 운영자 358 106 중기

생태친환경 관광- 생태관광 인솔자 350 124 단기

- 숲 해설가 335 129 단기

여행 안전관리

- 숙박시설 방역전문가 388 118 단기

- 관광안전여행 인솔자 358 121 단기

- 관광안전여행 컨설턴트 362 106 단기

- 관광안전여행 기획가 377 103 단기

12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연구진은 전문가 의견조사를 통해 향후 5년 내 성장가능성을 토대로 선정된 관광

미래 유망 일자리를 점수가 높은 순으로 정리하 으며 다음 표와 같이 상위 25개

의 일자리가 나타났다

유망 분야 유망 일자리 후보군성장 가능성 일자리 발생

시기평균 표준편차

남북관광 평화관광- 북한관광기획가 281 158 중기

- 평화관광해설사 323 161 장기

도시재생- 도시재생 관광기획가 338 124 단기

- 도시재생 관광 해설가 스토리텔러 338 124 중기

융복합 관광 한류관광 - 한류문화 관광 콘텐츠 기획가 388 095 단기

기타

- 관광 고용 컨설턴트 312 111 중기

- 우주여행 기획가 265 138 장기

- 자원봉사여행 기획가 288 107 중기

- 관광법규 전문가 285 116 단기

평균 360 - -

최대값 450 - -

최소값 265 - -

유망 분야 유망 일자리 후보군성장 가능성 일자리 발생

시기평균 표준편차

빅데이터 분석 및 개인화 - 관광 빅데이터 분석가 450 081 단기

관광 미디어 콘텐츠

(사진 영상)

- 관광콘텐츠크리에이터(여행작가 여행유

튜버)446 081 단기

빅데이터 분석 및 개인화 - 관광 빅데이터 처리 엔지니어 446 081 단기

관광 플랫폼 OTA

공유경제시장 발전- 관광 플랫폼 운영자 442 099 단기

관광 미디어 콘텐츠

(사진 영상)- 관광 콘텐츠 기획 제작 유통 전문가 431 084 단기

빅데이터 분석 및 개인화 - 관광 시스템 프로그램 전문가 427 087 단기

관광 플랫폼 OTA

공유경제시장 발전- 관광 플랫폼 디자이너 427 104 단기

lt표 3-6gt 성장가능성 기준 상위 25개 관광산업 주요 유망 일자리

123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중복을 포함해서 25위까지의 일자리를 긴밀하게 연결되거나 중복성이 높은 일자

리를 분야를 기준으로 통합하여 재정리하 다 전문가 의견조사에서의 성장 가능성

을 기준으로 유망 일자리 분야가 정리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성장 가능성 순위가

낮고 생계 수단으로 지속하기 어려운 분야는 삭제하 다 유망 일자리 분야는 관광

빅데이터 분석 관광 미디어 콘텐츠 관광 플랫폼 관광모빌리티 지역전문 관광 소

그룹 여행 반려동물여행 맞춤형 관광 여행 안전관리 실버 여행 등으로 분류되었

으며 그 과정에서 8개의 일자리 후보가 제외되었다

유망 분야 유망 일자리 후보군성장 가능성 일자리 발생

시기평균 표준편차

관광 미디어 콘텐츠

(사진 영상)- 관광 콘텐츠 개발자 문화콘텐츠 전문가 423 065 단기

관광 플랫폼 OTA

공유경제시장 발전- 관광 플랫폼 코디네이터 423 111 단기

모빌리티 - 관광 교통 대여업자(개인 전동 이동수단

공유차량 등)423 091 단기

지역 전문 관광 - 지역 관광 크리에이터 412 102 단기

가상현실 드론

영상 이용 여행 콘텐츠- 가상현실 체험 콘텐츠 크리에이터 412 099 중기

캠핑 관광 - 캠핑관광용품 대여업 운영자 408 116 단기

관광 플랫폼 OTA

공유경제시장 발전- OTA 리스팅 전문가 408 113 단기

맞춤형 관광 - 여행 컨셉 기획가(맞춤형 관광 컨설턴트) 396 066 단기

반려동물동반여행 - 반려동물여행시설운영자 396 082 단기

지역 전문 관광 - 현지전문 맞춤 가이드 396 102 단기

소그룹 여행 - 소규모 관광 가이드 392 106 단기

지역 전문 관광 - 지역관광추진조직(DMO) 코디네이터 392 126 단기

소그룹 여행 - 소규모 단체여행 기획 및 인솔가 388 107 단기

실버관광 요양관광 - 실버 여행 가이드 388 103 중기

여행 안전관리 - 숙박시설 방역전문가 388 118 단기

융복합 관광 한류관광 - 한류문화 관광 콘텐츠 기획가 388 095 단기

실버관광 요양관광 - 실버 여행 콘텐츠 개발자 381 117 중기

AI기반 로봇 활용 증가 - 관광 서비스 로봇 콘텐츠 개발자 381 102 중기

12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분야 유망 일자리

관광 빅데이터 분석- 관광 빅데이터 분석가 처리 엔지니어

- 관광 시스템 프로그램 전문가

관광 미디어 콘텐츠(사진 영상)- 관광콘텐츠크리에이터(여행작가 여행유튜버)

- 관광 콘텐츠 기획 제작 유통 전문가

관광 플랫폼

- 관광 플랫폼 디자이너

- 관광 플랫폼 코디네이터 운영자

- OTA 리스팅 전문가

관광 모빌리티 - 관광 교통 대여업자(개인 전동 이동수단 공유차량 등)

지역 전문 관광- 지역관광추진조직(DMO) 코디네이터

- 지역 관광 크리에이터

반려동물동반여행 - 반려동물여행시설운영자

맞춤형 관광 - 여행 컨셉 기획가(맞춤형 관광 컨설턴트)

소그룹 여행 - 소규모 관광 가이드

- 소규모 단체여행 기획 및 인솔자

여행 안전관리 - 숙박시설 방역전문가 여행지 안전관리자 익스트림 여행 안전관리자

실버여행- 실버 여행 콘텐츠 개발자

- 실버 여행 가이드

lt표 3-7gt 미래 관광 유망 일자리

125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3 미래 유망 관광 일자리 선정 결과

선정된 미래 관광 일자리 유망 분야를 제2장 환경 변화의 트렌드와 깊게 연관되

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각 관광 일자리 별로 가장 연계성이 높은 트렌드를 제시하

면 다음과 같다

분야 유망 일자리 주요 연관 거시환경

관광 빅데이터 분석- 관광 빅데이터 분석가 처리 엔지니어

- 관광 시스템 프로그램 전문가

-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 가속화 및 활용

증가(빅데이터 등)

관광 미디어

콘텐츠(사진 영상)

- 관광콘텐츠크리에이터(여행작가 여행

유튜버)

- 관광 콘텐츠 기획 제작 유통 전문가

-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 부상

- 스마트기술 기반의 관광활동 증가

관광 플랫폼

- 관광 플랫폼 디자이너

- 관광 플랫폼 코디네이터 운영자

- OTA 리스팅 전문가

- 플랫폼 비즈니스 공유경제 글로벌 OTA

의 발전과 확산

관광 모빌리티- 관광 교통 대여업자(개인 전동 이동수단

공유차량 등)

-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 가속화 및 활용

증가

- 신재생 에너지middot친환경 교통수단 활용

증가

지역 전문 관광- 지역관광추진조직(DMO) 코디네이터

- 지역 관광 크리에이터- 국내 여행 소비 확대

반려동물동반여행 - 반려동물여행시설운영자- 가족 형태의 다양화(1인가구 반려동물

동반 가구 다문화)

맞춤형 관광 - 여행 컨셉 기획가(맞춤형 관광 컨설턴트)- 가치지향 여행 소비(소확행 가심비 트렌

드 확산) 경험소비 확산

소그룹 여행 - 소규모 관광 가이드 - 코로나19로 소규모 중심의 여행 활성화

여행 안전관리

- 숙박시설 방역전문가

- 여행지 안전관리자 익스트림 여행 안전

관리자

- 재난 증가에 따른 코로나19와 같은 전염

병 등 안전관리 위기관리관심 증가 안전

과 위생 강조(안전 여행지 야외형 관광

수요 증가) 위기관리 대응체계 구축 강조

실버여행- 실버 여행 콘텐츠 개발자

- 실버 여행 가이드- 고령화 및 대규모 은퇴자 증가

lt표 3-8gt 미래 관광 분야의 유망 일자리와 주요 연관 환경 변화

12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제3절 관광 유망 분야와 일자리

1 관광 빅데이터 분석

11 개요

빅데이터는 4차 산업혁명의 대표 기술로 인식되며 발전 가능성이 큰 분야로 인

식되고 있다 빅데이터는 ldquo대용량 데이터를 활용 분석하여 가치 있는 정보를 추출

하고 생성된 지식을 바탕으로 능동적으로 대응하거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

화 기술rdquo로 정의 된다(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 20111026)

이러한 빅데이터 분석의 기술은 디지털로 구축된 다량의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분석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기술을 의미하며 이러한 분석 기술은 기존 불가

능했던 불규칙적 엄청난 양의 데이터를 분석하기 때문에 기술과 산업의 발전에

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고려된다(김동규 외 2017 UNWTO 2019)

[그림 3-1] 2022년 유망 기술 비율 전망

자료 UNWTO(2019) p17

127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빅데이터 산업은 데이터 솔루션 데이터 구축 및 컨설팅 데이터 서비스로 구분되

며(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2019a) 2018년 국내 데이터산업의 전체 시장 규모는 약

15조원으로 전년 대비 56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한국데이터진흥원 2019b)

[그림 3-2] 데이터 산업 시장 규모

자료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2019b) 2019 데이터산업 백서 p4

대분류 중분류 세부 기술

데이터

솔루션

데이터 수집- 데이터 검색 로그 데이터 수집 웹 데이터 수집 데이터통합연계

데이터 교환개방

DBMS - RDBMS NoSQL DBMS 인메모리 DBMS 기타 DBMS

데이터 분석- 정형비정형 데이터 분석 실시간 데이터 분석 데이터 시각화 분

석 데이터(전)처리

데이터 관리- 데이터 모델링 마스터 데이터 관리 데이터 품질 관리 DB 운영

및 성능 관리

데이터 보안 - DB 보안 개인 데이터 보안

데이터 플랫폼 - 빅데이터 플랫폼 개발 및 공급

데이터 구축

및 컨설팅

데이터 구축 - DB 설계구축 데이터 이행 데이터 구축가공

데이터 컨설팅- 데이터 설계 컨설팅 데이터 품질 컨설팅 DB 성능 개선 컨설팅

데이터 거버넌스 컨설팅 데이터 분석활용 컨설팅

데이터

서비스

데이터 판매 및 중개 - 데이터 판매 데이터 신디케이션

정보 제공 - 포털정보 매개 서비스 정보 제공 서비스

데이터 분석 제공 - 소셜 데이터 분석 정보 제공 마케팅 데이터 분석 정보 제공 리스

크 데이터 분석 정보 제공 게타 데이터 분석 정보 제공

자료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2019a) 2018 데이터 산업 현황 조사

lt표 3-9gt 빅데이터 분류

12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전 세계 빅데이터 시장규모는 2018년 420억 달러를 기록하 고 2023년까지 5

년간 연평균 144의 성장세를 유지하며 770억 달러로 시장규모가 확대될 것으로

예측된다(중소벤처기업부 2020)

관광 분야에 있어서 빅데이터 기술은 관광객 이동 소비 행태 관광정보 검색 결

과 등의 분석에 이용되며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상품 추천 개인화 서비스 혼잡

도 관리 마케팅 경 전략 등에 활용 하고 있다 이러한 관광 빅데이터의 활용의

기술의 중요성 및 활용도에 따라 향후 발전 가능성이 더 높은 분야로 인식된다

구분 활용 사례

관광

트렌드 및

정보 제공

- (국내) 한국관광공사는 2020년 KT가 제공하는 관광인구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지역별 관광객

의 이동 소비 행태 분석과 여행 트렌드 도출 예정

- (국내) 제주도는 관광객의 계절별 연령별 이동 동선 등을 분석하여 개개인에게 맞는 관광지

를 추천해주는 관광객 맞춤형 서비스 추진

- (해외) 마카오관광청은 여행자의 행동 패턴을 분석해 미래 활동을 예측하고 여행자 또한 마

카오 여행지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빅데이터 기반 lsquo스마트 투어리즘 서비스rsquo를 시행 중

- (해외) 글로벌 온라인여행사 카약(KAYAK)은 빅데이터 기반 여행 서비스 플랫폼인 lsquo카약 빅

데이터 여행 가이드rsquo를 통해 여행 정보를 고객들에게 제공

- (해외) 핀란드 헬싱키 공항에서는 여객동선 빅데이터 분석으로 대기시간을 예측하고 인력을

배치

기념품- (국내) 롯데면세점은 전체 이용객의 65 이상을 차지하는 모바일 고객들을 위해 성별 나이

선호 상품 등의 빅데이터를 분석해 상품을 추천하는 서비스를 제공

관광교통

- (국내) 인천공항공사는 인천공항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여 성수기 여객 혼잡도 완화하고

고객에게 체크인 카운터와 출국장의 대기시간 및 혼잡도 실시간 안내 서비스를 제공

- (해외) 사우스웨스트 항공middot델타 항공middot유나이티드 항공 등 항공사는 승객을 대상으로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항공기 승무원과 게이트 직원들에게 고객 데이터를 제공

축제

- (국내) 진주시는 2019년 10월 개최된 남강유등축제의 성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빅데이터 분

석 진행하였으며 분석결과를 향후 개최되는 축제에 반영할 계획

- (국내) 정읍시는 2020년 2월부터 상용 빅데이터 솔루션인 KT 빅사이트를 도입해 향후 축제

의 방향성 및 홍보 방안을 마련할 계획

자료 한국콘텐츠진흥원(2020) 융복합 관광서비스 사업화지원 사업 현황분석 및 개선방향 연구

lt표 3-10gt 관광 빅데이터 활용 사례

129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12 일자리로서의 가능성

이처럼 빅데이터 기술 발전과 활용이 확산됨에 따라 빅데이터 전문가는 유망한

일자리로 고려되고 있다(김동규 외 2017 한국고용정보원 2019a) 빅데이터 분석

관련 직업으로는 데이터엔지니어(빅데이터 전 과정의 전문적 처리자 및 관리자) 데

이터사이언티스트(목적에 따라 유용한 정보를 추출하여 제품 서비스 개선 업무 담

당) 공간빅데이터분석가(기본 공간정보에 위치 정보를 결합하는 업무 분야에 종

사) 데이터시각화디자이너(빅데이터 분석 결과의 시각적 수단 전달자) 전략컨설턴

트(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기업 경 전략 수립 반 및 컨설팅하는 업무 종사) 등이

부각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김동규 외 2017) 이러한 빅데이터 관련 직무 인력은

현재 전산업으로 11만명이 있으나 향후 5년 내 추가로 2만명이 더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2019b)

관광분야에서도 빅데이터 관련 분석 분야는 일자리 증가 및 미래 역량 발전이 예

상되는 분야이다(UNWTO 2019) WEF에서 전망한 미래 일자리 와 관련한 보고

서에서 전망한 관광분야 일자리 증가에 있어서 관광 데이터 분석 및 관련 분야는

2018년 8 2022년 13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WEF 2018)

구분 내용

직무 관광 데이터 설계 개선 관광 관련 수집데이터 활용가능한 형태로 처리 및 분석

직업 관광 빅데이터 분석가 관광 빅데이터 처리 엔지니어

역량 관광산업 및 관광정보 이해력 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능력

일자리 발생 시기 단기(3년 이내)

관련 자격 정보처리기사 정보처리산업기사 정보처리기능사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lt표 3-11gt 관광 빅데이터 분석 분야

13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2 관광 미디어 콘텐츠

21 개요

미디어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방식이 기술의 변화로 인해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모바일 환경의 구축에 따라 사람들은 스마트폰 태블릿 등 다양한 기기로 유튜브 인스

타그램 페이스북 등 다양한 미디어 채널을 통해 콘텐츠를 즐기고 있다 이러한 미디어

콘텐츠 분야는 전 세계적으로 성장 중이며(연평균 성장률 43) 2023년에는 전 세계

적으로 26조 달러의 수익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삼일회계법인 2019)

미디어 시장의 성장과 함께 소비자들의 콘텐츠 소비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기업들

은 이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고 있다(삼일회계법인 2019)

[그림 3-3] 2022년 유망 기술 비율 전망

자료 삼일회계법인(2019) 2019-2023 Entertainment amp Media 산업 전망 p2

이에 따라 미디어 콘텐츠 창출 분야는 새로운 일자리 분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를 반증하듯 교육부에서 실시한 초등학생의 희망직업으로 교사(74) 경찰관

(38)에 이어 크리에이터(56)가 상위권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교육부

20191210) 콘텐츠크리에이터(미디어콘텐츠창작자)는 ldquo유튜브 등 광고기반 플랫

폼에 개인의 상 콘텐츠를 제작하여 올리고 이를 통해 수익을 창출rdquo하는 직업을

가진 사람을 의미한다(한국고용정보원 2019b)

관광 분야에서도 다양한 플랫폼을 바탕으로 국내middot외 여행 콘텐츠 활용이 활성화

되고 있다

131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미디어 활용에 있어서는 개별 플랫폼(예 프레스티지 고릴라 여행에 미치다 유

디니 등)을 활용한 홍보와 일반 미디어 플랫폼(예 유튜브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등)을 활용하거나 관련 인플러언서가 생산한 여행 콘텐츠를 공유하는 형태로 이루

어지 지고 있다

[그림 3-4] 유튜브 여행 관련 시청자 수(2018년)

자료 PIXABILITY(2018) In-Flight Viewing p5

상 미디어 관련 채널인 유튜브에서의 여행 관련 상이 2013년부터 2018년

7월까지 약 130만개 채널 1390만 상이 제작되고 있으며 총 3060억 뷰가 발

생한 것으로 나타났다(PIXABILITY 2018)

코로나19로 해외여행의 한계가 있는 상황에서도 세계 각국의 관광청에서는 미디

어를 활용한 여행 콘텐츠를 통해 관광 목적지 홍보를 지속하고 있다(예 국관광

청 한국관광공사 등)32)

22 일자리로서의 가능성

개인 미디어 콘텐츠 제작자(크리에이터)는 유튜브 아프리카TV 페이스북 등 미디

어 플랫폼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middot오디오 콘텐츠를 생성하는 사람으로 콘텐츠 제

작관련 자료조사 기획middot연출 촬 middot편집 미디어 파일 업로드 등을 행하고 있다(진로

정보망 커리어넷 홈페이지) 이러한 미디어 콘텐츠 제작자는 유튜버 트위처 인터넷

32) 한국관광공사는 동남아시아 기반 한국인 유튜버를 통해 한국 관광 홍보를 하고 있으며 영국관광청은 관광

지 배경으로 한 온라인 세미나 단체 미팅 등을 진행하고 있음(여행신문 20200824)

13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방송 진행자(BJ) 크리에이터 팟케스터 제작자 등으로 불리며 미디어 기획자 및 연

출자 시나리오 작가 상 촬 자 및 편집자 음향 편집자 번역가 등과 함께 팀을

이루어 일하거나 미디어 콘텐츠 회사(Multi Channel Network MCN)33)에 소속

되기도 한다(진로정보망 커리어넷 홈페이지)

[그림 3-5] 1인 미디어 동영상 생태계를 중심으로 하는 MCN 비즈니스 생태계

자료 한국엠씨엔협회 홈페이지(httpkmcnaorkr)

즉 크리에이터의 콘텐츠 기획관련 컨설팅 지원 자체 콘텐츠 제작 저작권 관리

국내외 유통 채널 확보를 담당하는 창작자 에이전트도 미래의 유망 직업으로 전망

되고 있다(한국고용정보원 2019) 앞서 살펴보았듯이 미디어 콘텐츠 시장의 성장

과 함께 본 콘텐츠 제작자도 증가하고 있다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이승렬 외 2018) 첫째 자율적으로 자신이 원하는 소재의 콘텐츠를 만들 수

있고 열정 재미 등의 차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 일로서 업계에 대한 전망도

긍정적이며 일에 대한 스스로의 만족도가 높은 분야에 해당한다 둘째 여행 브이

로그(Vlog) 등 일상생활이나 리뷰리액션 등은 고도의 전문성이 필요하지 않아 이러

한 콘텐츠 장르의 크리에이터가 다수 존재하며 향후 제작 노하우의 체계화와 전문

33) MCN 회사는 개인 미디어 콘텐츠 제작자를 관리하는 일종의 기획사로 여러 채널과 협력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이다(진로정보망 커리어넷 홈페이지)

133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화 역량의 강화가 필요할 것이다 셋째 직업이 아직 불안정하기 때문에 직업의 지

속가능성 측면에서의 불안감이 지속되고 있다 넷째 콘텐츠 창작 과정과 창조된 결

과물에서 성과와 보람이 크리에이터의 노력에 비해 낮아 크리에이터 활동에 대한

인식이 활동 전 대비 활동 후는 낮았다 즉 크리에이터는 자신이 하는 일의 내용과

미래 성장가능성 시간의 유연적 활용 등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이나 직업적 불안정

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관광분야에서도 미디어 콘텐츠 크리에이터 분야는 시장 규모의 성장과 함께 발전하고

있는 분야이다 미디어 플랫폼의 사용자는 국내middot외에서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개인이 제

작한 여행 콘텐츠는 새로운 방식의 마케팅 홍보 여행 정보 제공에 활용되고 있다

구분 내용

직무 관광 미디어 콘텐츠 제작 편집 관광지 홍보 등

직업 관광 콘텐츠 크리에이터 관광 콘텐츠 기획middot제작middot유통관련 전문가

역량 콘텐츠 제작 편집 기획 역량

일자리 발생 시기 단기(3년 이내)

관련 자격 -

lt표 3-12gt 관광 미디어 콘텐츠 크리에이터 분야

관광 미디어 콘텐츠 크리에이터 역시 기존 미디어 콘텐츠 제작자와 유사하게 개

인 채널을 운 하거나 MCN에 소속되어 활동하고 있으며 구독자를 확보하고 플

랫폼에서 광고를 제공하거나 관광청의 의뢰를 받아 여행지를 소개하는 등의 형태로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또한 최근 직업으로서 여행 콘텐츠 크리에이터를 하기 보다

는 취미나 부업 차원에서 이 시장에 뛰어든 사람들도 존재한다

관광산업의 경우는 지방자치단체가 관심을 많이 가지는 분야로 여행 콘텐츠 크

리에이터를 통해 알려지지 않은 명소나 카페 음식점 등도 지역의 크리에이터가 소

개하고 있다 또한 사기업에서도 여행 콘텐츠 크리에이터 관련해서 인턴십을 실시

(예 한화DREAMPLUS Travel Creator 프로그램34)) 등 관련 분야의 일자리로서

의 가능성은 높은 편이다

34) 한화DREAMPLUS Travel Creator 프로그램은 8주간의 겨울방학 기간 동안 콘텐츠 제작 전문가들이

진행하는 교육 및 멘토링 여행middot레저 분야 스타트업 대표들의 특강 국내외 여행 콘텐츠 제작 실습 및

발표 등의 프로그램 등이 포함되어 있다(매일경제 20191212)

13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3 관광 플랫폼

31 개요

기술 발전에 따라 취업형태가 다양화되면서 연결성을 바탕으로 수요와 공급을

직접 이루어지는 플랫폼이 발전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는 비즈니스 모델이 다양하게

발전하고 있다(강금봉 2019) 2018년 기준 글로벌 시가총액 상위 10개 기업 중

6개 기업이 플랫폼 관련 기업으로 나타났으며 스타트업 상위 10개 기업에서는 그

비중이 7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황혜정 20181221)

[그림 3-6] 플랫폼 관련 글로벌 기업

자료 황혜정(20181221) 탈규모 시대의 제조업 lsquo플랫폼 비즈니스rsquo로 도약한다 p1

디지털 플랫폼은 ldquo디지털화된 콘텐츠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매개체가 되는 서

비스rdquo로 정의된다(사이언스올 홈페이지) 디지털 플랫폼에서 거래되는 대상은 상품

서비스 자금 커뮤니케이션 엔터테인먼트 정보 등이 있으며 공유경제(sharing

economy) 협력경제(collaborative economy) 긱 경제(gig economy) 온디맨

드 경제(on-demand economy)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강금봉 2019)

135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이러한 디지털 플랫폼은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정보시스템 등 기술을 활용하여

발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거대 디지털 플랫폼 기업들이 등장하고 그 향력이

우리 생활 전반으로 확대되고 있다(최계 2020)

이러한 디지털 플랫폼은 검색 소셜미디어 전자상거래 앱스토어 디지털 광고

금융 교통 숙박 언론 등에서의 서비스를 제공 하고 있다

거래대상 거래 내용 주요 플랫폼 기업

상품

(goods)

물건 판매(tangible for sale) 아마존 이베이 쿠팡

대여(tangible for rent) 에어엔비

데이터 판매(intabgible for sale) 앱-스토어(App-Store)

데이터 대여(intangible for rent) 아이튠즈(iTunes) 넷플릭스(Netflix)

서비스

(디지털 노동

digital labour)

크라우드 워크(웹기반 web-based) 업워크 아마존 메커니컬 터크

긱 워크(지역 기반 location-based) 배달의 민족 부릉 요기요 등

자금

(money)크라우드펀딩(crowdfunding) 인디고고(Indiegogo)

커뮤니케이션 데이팅(dating) 틴더(Tinder)

엔터테인먼트 소셜미디어 유튜버 페이스북

정보

뉴스 구글 뉴스

서치 구글

리뷰 Yelp

자료 Schmidt(2017) 강금봉(2019)

lt표 3-13gt 상업적 디지털 플랫폼의 거래 대상과 유형

관광에서도 디지털 플랫폼의 발전으로 관광상품 구매에 있어서 OTA 등 온라인

예약 플랫폼 이용이 증가 하고 있다 아시아시장에 있어서 이러한 온라인 예약 플랫

폼은 씨트립(Ctrip) 플리기(Fliggy) 등이 있으며 세계적으로는 익스피디아 부킹

홀딩스 같은 플랫폼의 이용이 여행객 사이에서 증가하고 있다 아래 그림과 같이

아시아에서 모바일과 온라인의 예약 채널 이용이 2013년에 비해 크게 증가하고 있

다(Euromonitor International 2018)

13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그림 3-7] 아시아 온라인 예약 채널

자료 Euromonitor International(2018) Megatrends shaping the future of travel p19

32 일자리로서의 가능성

맥킨지의 보고서에 따르면 이러한 디지털 플랫폼은 2025년까지 5억 4천만 명의

일자리를 창출하며 유연근무의 확산과 장애인의 일자리 증가에 기여하고 파트타

임 근로자와 프리랜서(독립적 계약자)의 증가로 전통적인 직업 탐색과 관련한 부가

적인 비용을 감소시키며 비공식적 노동을 온라인 지불화를 통해 형식화하게 해준

다는 특징이 있다(Fidler 2016) 2018년 기준 우리나라의 플랫폼경제종사자 규모

는 최소 47만 명에서 최대 54만 명(전체 취업자의 17 ~ 20)으로 추산된다(김

준 외 2018)

플랫폼은 세 가지 측면에서의 행위자가 존재한다 그 행위자는 플랫폼 제공자 플

랫폼에 상품 및 서비스를 공급하는 독립적 계약자들 수요 측면에서 플랫폼에서의

상품과 서비스를 구매하는 플랫폼 고객이다(Schmidt 2017)

137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그림 3-8] 플랫폼의 3가지 행위자

자료 Schmidt(2017) p10

따라서 플랫폼과 관련한 일자리는 플랫폼 제공자 측면과 플랫폼 공급자 측면에서

생각해볼 수 있다 플랫폼 제공자 측면에서는 플랫폼 운 자 디자이너 코디네이터

등이 있으며 플랫폼 공급자 측면에서는 플랫폼에 참여하여 노동을 제공하는 플랫

폼 노동자의 형태가 있다

먼저 디지털 플랫폼 노동과 관련해서 운 기반이 온라인 아니면 오프라인에 기

반인지에 따라 구분된다(강금봉 2019) 그러나 이러한 디지털 플랫폼 노동은 기존

법적 기준으로 고용 형태를 명확히 규정하기가 힘들어서 노동 여건 측면에서 불안

정한 근로자가 확산되는 우려가 있으며 이에 따라 디지털 플랫폼 노동종사자를 위

한 보호에 대한 지원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운영 기반 분류 세부 분야 예시

온라인 기반

업무수행 플랫폼

온라인 인력 중개 플랫폼 - ITSW 인력 중개 고용서비스 재능마켓

디지털콘텐츠 창작 플랫폼 - 웹툰 웹소설 웹 일러스트 등 기재 및 공모형

크라우드워크(crowdwork) 플랫폼 -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등 자료 생성 업무

오프라인 기반

호출(주문)형

플랫폼

승객 운송(transportation) 플랫폼- 대리운전

- 승차공유(카풀형 학원 셔틀 공유 승합)

배달(delivery) 플랫폼- 음식 배달

- 퀵서비스 등 배달 서비스

lt표 3-14gt 디지털 플랫폼 노동의 유형

13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한편 플랫폼 노동자의 형태는 관광 분야에서 가이드 교통수단 운전자 공유숙박

운 자 등으로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의 분야로 구분할 수 없기에 공

급자 측면에서의 일자리를 유망 일자리로 고려하고자 한다

공급자 측면에서는 관광 플랫폼 운 디자인 개발과 관련한 일자리를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광 플랫폼 디자이너는 관광객 및 잠재 관광객과 플랫폼과의 상호

교환성 인터페이스 등을 디자인하고 관련 시스템을 설계하는 사람으로서 개발자

들과의 협업을 수행한다 관광 플랫폼 개발자는 관광 플랫폼 기획자 관광 플랫폼

PD 관광 웹 개발자 관광 관련 소프트웨어 개발자 등으로 불리며 관광관련 플랫폼

기획 구축 및 운 마케팅 등을 총괄하는 사람으로 관광 플랫폼 구축을 위해 플랫

폼 엔지니어 플랫폼 디자이너 플랫폼 프로그래머 등과 업무를 협의하여 업무를 추

진한다 관광 플랫폼 코디네이터는 관광 플랫폼 디자이너와 개발자의 사이에서 조율

하는 업무를 주로 담당하며 관광 플랫폼 기획(안)을 세분화하는 작업을 담당한다

구분 내용

직무 관광 플랫폼 관련 기획 개발 운영

직업 관광 플랫폼 운영자 관광 플랫폼 디자이너 관광 플랫폼 코디네이터 등

역량 관광 정보 수집 및 적용 능력 매체 활용 능력 관광 플랫폼 기획력

일자리 발생 시기 단기(3년 이내)

관련 자격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 정보처리기사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lt표 3-15gt 관광 플랫폼 분야

운영 기반 분류 세부 분야 예시

가구 및 생활 서비스(household

service amp life) 플랫폼

- 가사 서비스

- 이사

- 인테리어리모델링홈디자인

- 돌봄서비스

- 애완 케어서비스

- 세탁

- 번역

- 교육서비스11 트레이닝

자료 강금봉(2019) p178

139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4 관광 모빌리티

41 개요

기술의 발전에 따른 이동 수단의 진화에 따라 모빌리티 산업이 등장하 다 사전

적 의미로 모빌리티(mobility)는 ldquo이동성이라는 동태적 특성rdquo을 의미하며 모빌리

티 서비스는 이동수단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정의된다(이금노 2019)

모빌리티 산업은 일반적으로 인공지능 5G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기술과

융합한 차세대 교통수단으로 1인용 이동수단 자율주행차 초소형 전기차 등을 지

칭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스마트 모빌리티 마이크로모빌리티 등을 포함하는 용어

이다(한국교통연구원 2017) 이러한 모빌리티는 lsquoTaaS(Transportation as a

Service)rsquo lsquoMaaS(Mobility as a Service)rsquo 스마트 모빌리티 등으로 불리며 그 산

업은 발전하고 있다(이금노 2019) 이러한 모빌리티는 초연결 자율 주행 차량 공

유 친환경의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고태봉 2018) 우버(차량 공유) 라임(전동 킥

보드 및 자전거 공유) 등 공유 모빌리티 서비스 등이 발전하고 있다

모빌리티는 스마트 도시35)의 개념 중 하나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운송 및 교통

관련 분야와 관련이 있는 스마트 도시의 핵심 요소이다(김규남 2019 Brčić et al 2018)

[그림 3-9] 스마트 모빌리티의 개념도

자료 김규남(2019) 송승범(2020) p3 재인용

35) 스마트 도시는 도시운영의 효율성 및 대중과의 정보공유를 향상시키고 서비스 품질과 시민복지를 개선시

키기 위하여 정보통신기술 비즈니스 모델 및 솔루션을 사용하는 도시를 의미한다

14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국내 퍼스널모빌리티의 시장은 2016년 6만대로 2022년은 20만대 수준으로 추정

되고 있으며 그 종류에는 전동스케이트보드 개인 전동 이동수단 전동스쿠터 등이

있다(한국교통연구원 2017) 자동차 공유 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2015년 11억 달러

규모이며 2020년 35억 달러 2024년 65억 달러로 전망되며 한국의 자동차 공유시

장 규모는 2011년 6억 원에서 2020년 5000억 원으로 전망된다(손종구 2017)

이처럼 모빌리티 시장의 규모는 점차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며 관광 분야에서도

여행 관련 모빌리티 기업들이 등장하고 있다

42 일자리로서의 가능성

관광 분야에서도 여행 관련 모빌리티 기업들이 등장은 관광분야에서 모빌리티 관

련 일자리의 성장 가능성을 보인다 특히 스마트모빌리티는 관광지내에서의 이동

수단으로 각광을 받고 있으며 이에 따라 관련 기업들의 관광지 내 모빌리티 사업을

시작하고 있다36)

모빌리티를 비롯한 관광 교통수단은 이동을 우선시하는 기존 교통수단과 달리 관

광 정보 및 안내 제공 서비스도 제공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즉 접근성이 낮은

관광지나 혼잡한 장소 방문 시 교통수단 및 관광지 정보의 제공이 관광 모빌리티의

핵심 요소이다 이에 일반 모빌리티 대여업자와 다르게 국내외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는 기업을 가정할 때 국내 관광객보다는 국외 관광객에게 관련 정보 서비스 여행

자 보험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는 관광대여업자가 각광을 받을 것이라 전망된다

구분 내용

직무 관광 모빌리티 수단 대여 관광지 안내 통역 서비스 제공

직업 관광 교통 대여업자(개인 전동 이동수단 차량 등)

역량 언어 지역정보 제공 및 안내

일자리 발생 시기 단기(3년 이내)

관련 자격 -

lt표 3-16gt 관광 모빌리티 분야

36) 현대차는 제주도에서의 개인 전동 이동수단 및 전기자전거 플랫폼을 운영하고 대여 반납 등의 비즈니스를

하고 있다(중앙일보 20190812)

141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5 지역 전문 관광

51 개요

2018년 기준 우리나라 국민의 10명 중 9명은 국내여행을 하 으며(문화체육관

광부 2019c) 2013년에서 2017년까지 국민 여행 이동총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

다(문화체육관광부 2018a)

[그림 3-10] 2013-2017년 국민여행경험률 및 이동총량

자료 문화체육관광부(2018b) 2017 국민여행실태조사

또한 2019년 사회조사 결과를 보면 국민의 여가활용에 있어서 향후에 가장 하

고 싶은 활동은 관광활동(700)으로 나타나(통계청 20191125) 국내여행은 지

속적으로 중요한 분야이다

한편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국가 간 이동이 제한되면서 해외여행의 수요가 국내

여행의 수요로 전환되기 시작하 다(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200527) 코로나19

확산 이후인 2월에서 4월 사이 응답자의 229가 국내여행을 경험하 고 향후 국

내여행을 할 의향이 있다고 대답한 응답자가 절반을 차지하 다(한국문화관광연구

원 20200527) 이처럼 관광객의 여행욕구 해소의 수단으로 국내 여행이 각광받

고 있으며 안전을 고려하여 관광객이 적은 지역 매력적인 장소에 대한 수요가 증

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200527)

지역 전문 여행(지역 특화 여행)은 국내외 관광수요 다변화와 지역 관광의 질을 높

이기 위해 중요하다 또한 지역 관광은 국민 국내여행 유형이 개별여행 중심으로 변화

해감에 따라 관광객 유치를 위해서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문화체육관광부 2018)

이에 정부는 lsquo대한민국 테마여행rsquo lsquo산업관광 및 문화콘텐츠형 시티투어rsquo 등을 추

진하여 지역 특화 여행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다

14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52 일자리로서의 가능성

지역관광의 전문적 관리 및 경 주체의 중요성 증가와 함께 지역의 발전과 성장

을 위해 지역민이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관광의 혜택을 받는 것이 중요하게 고려된

다(문화체육관광부 2018) 지방분권 시대에 걸맞은 지역의 역량 강화 및 기반 마련

필요하다 이에 지역에서도 지역관광 전문 인력을 발굴하고 육성하기 위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예 관광두레PD) 전문 일자리의 수요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익산시는 관광전문 인력을 육성하기 위해 lsquo투어매니저rsquo 사업을 추진하

고 있다(익산열린신문 20200401) 2020년 2월 기준 관광두레와 관련해서 주

민사업체는 192개로 관련 참여 주민은 1203명으로 평균 1개소 63명의 주민이

참여하고 있다(관광두레 홈페이지) 해외의 경우 지역관광 어드바이저가 체험프로

그램 개발 주민교육 등 지역 관광과 관련한 전반적 자문활동을 수행하고 있다(예

일본 에코투어리즘 어드바이저 뉴질랜드 마오리 문화관광 멘토링 프로그램 등)

지역전문관광과 관련해서는 지역관광추진조직(DMO) 코디네이터 지역 관광 크

리에이터 관광두레PD 등의 일자리 창출이 전망된다 지역관광추진조직 코디네이

터는 지역관광추진조직과 이해관계자들 사이에서의 조율하는 업무를 주로 담당하

며 지역관광 크리에이터는 지역 기반의 콘텐츠 기획관련 컨설팅 지원 자체 콘텐

츠 제작 저작권 관리 국내외 유통 채널 확보를 담당한다 관광두레PD는 관광두레

사업과 관련하여 주민사업체 발굴과 조직화 역량 강화 창업과 경 개선 네트워크

구축 등의 지원하는 역할을 담당한다(관광두레 홈페이지)

구분 내용

직무 지역과 지역민 사이 중간지원 지역 관광 콘텐츠 기획 및 제작 홍보 등

직업 지역관광추진조직(DMO) 코디네이터 지역 관광 크리에이터 관광두레PD

역량 콘텐츠 기획 역량 조정능력 리더십 친화력

일자리 발생 시기 단기(3년 이내)

관련 자격 -

lt표 3-17gt 지역 전문 관광 분야

143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6 반려동물동반여행

61 개요

2019년 기준 반려동물을 기르고 있는 가구는 약 591만 가구로 전국 전체 가구의

약 264로 나타나 2018년 대비 약 80만 가구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농림축

산식품부 20200429) 동 조사에서 반려동물의 양육비율은 개(839) 고양이

(328) 어류 및 열대어(22) 순으로 나타났다 반려동물관련 시장 규모는 2012

년 9000억에서 2015년 1조 8000억원으로 크게 증가하 으며 2020년에는 약

5조 800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박지혜 2017) 이러한 반려동물 관련 시

장 및 산업은 펫과 경제의 합성어인 펫코노미(Petconomy)로 불리기도 한다

[그림 3-11] 반려동물 보유 가구 비중 및 반려동물 시장 규모

자료 박지혜(2017) p48 재인용

이러한 반려동물 가구의 증가 및 시장 규모 증대에 따라 반려동물 동반 여행인

펫캉스(펫+바캉스)가 새로운 여행 트렌드로 부상하 으며 이러한 반려동물 가구(펫

팸족)를 위한 전용 숙박시설(반려동물 동반 호텔) 패키지상품 등이 창출되고 있다

익스피디아에서의 20~30대 펫팸족의 60가 최근 1~2년간 여행을 반려동물과

같이 한 것으로 나타났고 반려동물 여행을 위해 전용 교통편 숙박 액티비티 등으

로 구성된 패키지여행 상품 이용의도가 약 40로 나타났다(아시아경제 2020

0827) 또한 동 조사에서 밝혀진 반려동물과의 주요 여행활동으로는 기억에 남는

사진 남기기(748) 다른 여행자의 반려동물과 어울려 놀기(429) 기내 또는 숙

14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소에서 반려동물 서비스 요청(294) 등이 나타났다 이러한 반려동물 숙소 외에도

동반 여가활동 프로그램도 생겨나고 있다 통 관광개발공사에서는 펫프렌들리 케

이블카를 운 하고 있으며 강원도 양양에는 반려견 전용 해수욕장이 운 중이다

62 일자리로서의 가능성

반련동물 관련 산업의 성장으로 2020년 직업사전에서는 반려동물과 관련한 미

용 및 관리 종사원(예 애완동물행동교정사 펫시터 등)이 직업으로 나타났다(한국

고용정보원 2019b) 앞서 살펴본 듯이 펫팸족(반려동물가구)의 증가로 인해 반려

동물 시장의 성장 가능성이 높으며 이와 관련한 반려동물 동반 숙박시설의 이용도

도 증가하고 있다

또한 반려동물과 관련된 액티비티(예 반려동물 전용 워터파크 펫 마사지 원데이

클래스 반려동물 초상화 배우기 반려동물 놀이터 이용권 등)의 상품도 더불어 개

발되고 있다

반려동물 동반 숙박시설은 비반려인 고객에 대한 배려 반려동물 여행객의 니즈

등을 고려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반려동물 동반 펜션의 경우 독채로 운 되어 다

른 숙소 이용자와 마주칠 필요가 없으며 반려동물의 소음을 막고 자유로운 활동이

가능한 자연 또는 정원 산책로 등의 환경 구축이 중요하게 인지되고 있다(투어코리

아 20190723) 이에 반려동물여행과 관련한 시설 운 자는 반려동물의 편의시

설 및 반려동물 관련 용품 등을 구축하고 관련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주변 반려

동물 여행지 및 관련 액티비티를 판매하는 등의 역할을 한다

구분 내용

직무 반려동물여행 시설 및 서비스 제공 반려동물 여행 상품 판매 반려동물 시설 관리 등

직업 반려동물여행 시설 운영자

역량 반려동물 및 반려동물 관련 여행에 대한 정보 이해력 대인관계능력 등

일자리 발생 시기 단기(3년 이내)

관련 자격 -

lt표 3-18gt 반려동물여행 관련 분야

145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7 맞춤형 관광

71 개요

최근 여행자의 다양한 수요를 반 하여 컨셉여행(테마여행 맞춤여행)이 새로운

여행 트렌드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컨셉 여행은 기존 단체관광 가이드 관광의

트렌드가 개별여행트렌드로 변화된 현상과 취향의 세분화 개인 맞춤형 서비스의

성장에 기인한다 또한 최근에는 관광객들이 여행에 있어서 작지만 확실한 행복을

추구하거나(소확행) 가격 대비 심리적 만족의 최대 추구(가심비) 등을 이루고자 하

며 기존의 일정을 소화하는 여행 보다는 자아의 가치를 창출하는 여행을 하는 경향

이 나타나고 있다(이원희 외 2019)

이에 여행에 있어서 매력 있는 숙소 독특한 체험 등을 위해 아낌없이 구매하는

트렌드가 형성되고 호캉스 등이 젊은 층에서의 새로운 여행 형태를 보이고 있다

또한 레포츠 예술 미식 뉴트로 자원봉사여행(볼런투어) 인플루언서 동행 여행

등의 컨셉 여행(테마 여행)이 젊은 층을 대상으로 확산되고 있다(이원희 외 2019)

예를 들어 2019년 피아니스트 리사이틀과 여행을 결합한 프리미엄 상품이 출시되

었고 자원봉사와 여행이 결합한 상품이 출시되기도 하 다

72 일자리로서의 가능성

맞춤형 여행 시장의 성장에 따라 관련 여행상품의 기획 개발 상담업무 수행 상

품화의 역할을 하는 여행 컨셉 기획가 또는 맞춤형 관광 컨설턴트가 유망 일자리로

나타났다 여행 컨셉 기획가(맞춤형 관광 컨설턴트)는 여행 컨셉을 기획하고 이에

따른 상품을 개발하며 고객과의 상담업무를 수행하고 관련 교통수단 경비 관광

지 숙박시설 편의성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여행상품을 계획

한다 특히 여행 컨셉 기획가는 관광여행 트렌드에 민감한 상품을 제공하고 관련

컨셉을 창출하는 등 소비자 트렌드 변화에 초점을 두고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14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구분 내용

직무 맞춤형 여행상품 상품의 기획 개발 상담업무 수행 상품화

직업 여행 컨셉 기획가(맞춤형 관광 컨설턴트)

역량 기획력 통찰력과 분석력 서비스 정신 친화력

일자리 발생 시기 단기(3년 이내)

관련 자격 -

lt표 3-19gt 맞춤형 관광 관련 분야

8 소그룹 여행

81 개요

소그룹 전용 여행은 여행 트렌드 중의 하나로 가족이나 친구들끼리 따로 즐기는

여행이다 이러한 소그룹 여행은 기존 패키지여행의 장점(편리성 전문성 안전성

등)을 극대화 하고 단점(타인과의 단체 여행 시 개인 선택의 한계 이동의 제한성

등)을 개선하기 위한 트렌드이다

2018 국민여행조사에서 전체 관광여행 중 452가 여행 인원수가 2~3명으로

나타났으며(전체 평균 49명) 특히 20대와 30대에서의 그 비율이 각각 564

578로 나타났다(문화체육관광부 2019c)

코로나19로 개별 또는 소규모 여행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Forbes 20200507) 이는 가족과의 일상이 확대됨에 따라 안전이 최대한 보장

되고 타인과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코로나19 감염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활동이

증가한 것에 기인한다

이에 따라 지자체의 여행 지원 및 마케팅 정책도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주시는 2박 3일 숙박여행의 지원금을 지원하고 있으며 충북 제천시의 경우 전세

관광택시 서비스를 운 하고 있다

82 일자리로서의 가능성

소그룹 여행 트렌드로 인한 소규모 여행 수요가 증가는 소규모 관광 가이드 소규

모 단체여행 기획 및 인솔자 등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

147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소규모 관광 가이드는 국내 및 해외 소규모 여행을 위한 여행경로 일정 등 관광

에 필요한 전반적인 안내를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소규모 단체여행 기획 및 인

솔자는 고객 맞춤형 여행상품 개발을 위해 정보를 수집하여 소규모 단체여행을 기

획하고 국내외 소규모 여행을 인솔하여 여행정보를 제공하며 관련 편의성을 제공

하는 역할을 한다

구분 내용

직무 소규모 단체 여행 상품의 기획 개발 상담업무 수행 상품화

직업 소규모 관광 가이드 소규모 단체여행 기획 및 인솔자

역량 기획력 통찰력과 분석력 서비스 정신 친화력

일자리 발생 시기 단기(3년 이내)

관련 자격 국내여행안내사 관광통역안내사

lt표 3-20gt 소그룹 여행 관련 분야

9 여행 안전관리

91 개요

여행과 관련한 안전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고 있다 자연재난(지진 태풍 홍수

등) 전염병(코로나19 메르스 등) 사건 및 사고(세월호 헝가리 다뉴브강 선박사고

여행지에서의 부상 등)에 대한 우려가 증가함에 따라 안전인식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익스트림 어드벤처 여행행태가 여행의 한 트렌드로 전망되고 있다(이원희 외

2019) 익스트림 어드벤처 여행은 산 정글 동굴 등 위험한 장소로의 여행을 하거

나 위험이 높은 액티비티를 체험하는 여행이 있다 이러한 익스트림 어드벤처 여행

의 증가는 관련 안전사고를 유발하기도 하여 여행 중 안전 인식의 중요성이 강조되

고 있다 이에 액티비티 프로그램 운 관련 안전관리 확인 및 매뉴얼 관리 방안

모색이 강조되고 있다(이원희 외 2019)

한편 코로나19로 여행에 있어서 안전인식이 중요해지고 있다(OECD2020) 이

에 따라 대인 접촉이 우려되는 장소보다는 사람이 적은 지역 자가용을 이용한 여

14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행 당일 여행으로 안전을 중요하게 고려하며 국내 여행을 하고 있다(한국문화관광

연구원 20200527)

최근 정부에서는 코로나19 생활 속 거리두기 시기에 있어서 여행 경로별 안전

여행 가이드를 발행하여 배포하고 있다 이 가이드 속에 사업주는 방역 관리자를

지정하고 사업장별 맞춤형 집단 방역 지침의 수립 등을 권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생활 방역 전문가 등이 유망 직종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림 3-12] 안전 여행 가이드 중 사업주 가이드

자료 문화관광체육부(2020) 코로나10 생활 속 거리 두기 시기 여행경로별 안전여행 가이드

92 일자리로서의 가능성

일자리위원회에서는 안전middot보건 및 비대면 분야에서 새로운 공공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하 다(YTN 20200506) 파주시의 경우 파주

관광사업체 안전관리 관련하여 파주형 희망일자리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울산시

의 경우 방역 전문가 자문단을 구성하여 코로나 19 등 간염병 대응과 유입 차단을

위한 방역 조치에 대한 자문을 제공하고 있다37)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방역 관련 직종 위기관리 전문가 등의 인

력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한국일보 20200316)38) 2018년 기준 관광사업체 수

37)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파주형 희망일자리 사업은 참여자 2329명을 모집하고(비전21뉴스 202008

26) 울산시의 경우는 방역 전문가 자문단을 운영하고 있다(울산MBC 20200219)

38) 코로나19가 유행하면서 헬스케어 방역 관련 전문가 위기 관리 전문가 등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한국일

149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는 33만개로 그 중 관광 숙박업 관광객이용시설업 유원시설업 관광편의시설은

각각 약 2천개 4천개 3천개 4천개가 있으며(문화체육관광부 2019) 이 시설을

관리할 방역 전문가 안전관리원 등의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관광숙소 방역 전문가는 관광숙소의 환경 위생 소독장비 및 약품 종류와 사용법

숙지 등 방역과 소독 관련한 업무하고 여행 안전관리원(안전관리자)는 관광지 및

관광현장 익스트림 액티비티와 관련해서여행객 위험방지에 관한 사항 사고사례

분석 및 개선 사항 종사자 안전교육 및 훈련 업무를 수행한다

구분 내용

직무 방역 및 소독 위험방지 사고 사례 개선 종사자 안전교육 및 훈련 등

직업 숙박시설 방역전문가 여행지 안전관리자 익스트림 여행 안전관리자

역량 안전과 보안 지식 사고 처리 능력

일자리 발생 시기 단기(3년 이내)

관련 자격 -

lt표 3-21gt 여행 안전관리 일자리 분야

10 실버 여행

101 개요

고령층은 인구구조의 변화 함께 중요한 소비층으로 부상하고 있다 고령인구의

수는 1970년에 비해 2019년에 5배로 증가하 으며 2067년에는 생산 연령가능 인

구의 수보다 많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통계청 2019) 특히 은퇴한 신 고령층은

경제적 시간적 여유를 확보하여 여가 및 소비에 있어서 중요한 집단으로 예상되고

있다(오훈성 2018) 고령층의 소비자의 시장 참여와 역할은 고령층 증가와 그들의

경제력에 의해 증대되고 있다 2017년 65세 이상 고령자는 향후 시간적 경제적

여유가 생긴다면 여가시간에 가장 하고 싶은 활동으로 관광활동을 선호하 으며(통

계청 20180927) 이에 따라 실버 여행이 증가 할 것으로 각 기관들은 전망하고

있다(이원희 외 2019)

보 20200316)

15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그림 3-13] 65세 이상 고령자의 여가활동(2017년)

자료 통계청(20180927) 2018 고령자 통계

실버 여행은 노년기의 관광을 의미하며 유사어로 고령 여행 시니어 여행 등이

있다 이러한 실버 여행의 성장과 함께 중년 이상을 대상으로 하는 시니어 여행 시장

으로 진입하는 기업도 발생하고 있다39) 2018년 기준 모두투어의 해외 여행상품

이용객의 185가 60세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2017년 인터파크의 60대 이상기준

모바일 예약도 2016년 대비 1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매일경제 20180312)

국내여행시 여행사 상품 구매율은 60대(45) 계층에서 높게 나타나며 여행사

상품 구매에 있어서 전체패키지 구매비율이 60대(836) 70새 이상(823)로 전

체 평균(623)보다 높게 나타났다(문화체육관광부 2019)

해외의 경우 실버여행상품은 주로 현지 가이드와 의료진을 동반한 여행객의 건강

관리를 하며 실버여행상품에 있어서 실버층의 관광 상 특성 관련 관광편의시설의

확보 실버층의 관광욕구 및 정신적 욕구를 충족하는 등의 구성이 전제되어야한다

는 특징이 있다(한국관광공사 2007)

39) 한 기업은 중년 이상 대상의 여행 브랜드를 생성하여 시니어 여행시장에 진입하였다(한국경제 20200803)

151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102 일자리로서의 가능성

실버여행시장의 성장에 따라 실버 여행상품의 출시와 실버여행 콘텐츠 개발자

실버여행 안내원 등이 유망 일자리로 나타났다 실버여행콘텐츠 개발자(실버여행상

품개발원)는 실버 여행상품을 기획 개발하며 고객과의 상담업무를 수행하고 실버

여행과 관련한 교통수단 경비 관광지 숙박시설 편의성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

고 이를 바탕으로 여행상품을 계획한다

구분 내용

직무 실버여행 상품의 기획 개발 상담업무 수행 상품화

직업 실버여행 안내원 실버여행 콘텐츠 개발자

역량 기획력 통찰력과 분석력 서비스 정신 친화력

일자리 발생 시기 중기(4년-7년)

관련 자격 -

lt표 3-22gt 실버여행 관련 분야

실버여행안내원은 여행사가 기획하고 주최하는 국내외 실버 여행을 동행하여 실

버여행객들이 쾌적한 여행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관광정보를 제공하고 여행 중

사고 발생과 관련하여 신속하게 대처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고령관광에서는 방문

지에서의 여행 편의를 위한 기능 강화가 필요하며 실버여행 안내원 및 콘텐츠 개발

자는 이에 초점을 두고 역할이 필요하다

15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제4절 시사점

본 연구는 문헌연구 전문가 의견 조사 등을 통해 향후 5년대 유망 분야와 일자리

를 도출하 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유망 일자리 분야는 디지털 융합 분야 관광 수

요의 다양화에 따른 특화 및 세분화 분야 코로나 19로 인한 소규모 여행 증가 및

여행 안전 인식 증가로 인한 분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림 3-14] 미래 관광 유망 분야

153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디지털 융합 분야가 유망 분야로 인지되고 있어 기술의 융합으로 관광 빅데이터

분석 관광 미디어 콘텐츠 관광 플랫폼 관광 모빌리티 분야의 일자리가 유망할 것

으로 전망된다 특히 기존 관광분야에서도 기술의 대체로 인한 인력 감소 분야가

예상되고 있기 때문에 감소 분야 인력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통해 신규 유망 분야의

일자리 이동을 지원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 또한 새롭게 창출되는 디지털 융

합 분야의 인력 확보를 위한 예비 인력 양성도 필요할 것이다

관광수요의 다양화로 인해 특화 및 세분화 분야가 유망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

한 분야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 미래 관광일자리에 대한 정보 제공 활성화 및 관광

트렌드 등 유망 분야에 대한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훈련 체계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특화 및 세분화 분야의 창업과 창직을 위한 활성화를 위한 정책도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소규모 여행을 선호하고 안전에 대한 인식

제고로 인한 안전관광 분야가 유망할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관광시장 변화에 대

한 창업 및 창직의 활성화 관련 일자리의 창출을 위한 역량 강화 등이 요구될 것으

로 전망 된다

관광산업 인력의 양성에서는 미래 관광환경 변화에 대한 선제적 대응이 중요하게

인지되고 있으며 관광산업 고도화를 위해서도 일자리를 위한 직접적 간접적 지원

은 중요하게 인지되고 있다

즉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와 관련하여 신규 성장 분야 육성 기술 융합 일자리

양성 및 관광인력의 디지털 역량 강화 등의 정책 추진이 중요하다

신규고용 창출이나 고용유지를 위한 지원 직접지원 사업뿐만이 아니라 구직자의

구직활동 강화를 위한 연수 및 교육 고용지원 인프라 구축 등 간접지원방식의 정책

추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제4장

157제4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제1절 기본방향

관광산업에 있어서 미래 일자리 창출은 관광산업의 성장을 위한 필수 요소이다

일반적으로 일자리 창출은 경제적 환경 기업 경쟁의 환경 노동시장의 유연성 교

육훈련 시스템 사회안정망 체계 등과 관련되어 있다 즉 미래 일자리 창출을 위해

서는 ① 지속적 경제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안정적 거시경제 환경 ② 기업의 진입과

창업을 가로막는 규제 완화와 상품시장의 독과점 축소로 대표되는 경쟁 환경 ③

탄력적 임금middot노동비용middot근로시간 조정과 고용창출을 저해하지 않는 고용보호법규로

대표되는 노동시장 유연성 ④ 양질의 인적자본 공급과 축적을 보장하는 교육훈련

시스템 ⑤ 효과적이고 적극적인 노동시장 정책과 노동시장 기능의 효율성과 양립

하는 사회안전망 체계 등이 충족되어야 한다(OECD 2004 허재준 2009)

기업의 일자리 창출이 제약되는 위기 상황에서는 정부의 임시적 일자리 공급이

효과적이지만 궁극적으로 일자리는 기업에서 창출되어야 한다 따라서 미래 일자

리 관련 정부의 역할은 공공 및 민간 투자의 효과적 투입을 지원함에 있다 또한

정부는 관광사업체의 변화한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교육과 훈련을 강화하여야

하며 미래 일자리에 대한 정보와 기술 지원을 강화해야한다 또한 관련 규제 개선

과 노동의 이동성을 지원해야 한다(UKCES 2014)

특히 국가에서는 근로자에게 필요한 분야의 기술을 제공하기 위해 생애주기에 걸

친 교육 및 훈련에 대한 기회를 제공하는 제도적 투자가 중요하다 또한 정부는 근로

자를 보호하며 효과적 교섭 시스템 마련과 일자리 기회의 균등한 제공 새로운 일자리

에 대한 효과적 의사소통 등과 관련한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OECD 2020c)

더불어 국가는 미래 일자리 관련 역량 기준 개편 혁신 기업 육성 기술middot역량의

육성과 자격화 혁신 거버넌스 체계구축 등에 투자하여야 한다(UNWTO 2019)

즉 기술 발전과 사회경제적 변화로 인해 관광산업의 일자리 변화가 예상됨에 따라

15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관광산업 기존신규 인력의 직업능력 개발 새로운 업무 방식의 전환 지원 등이 필

요하다 특히 관광의 미래 새로운 산업 서비스 등을 발굴하고 개발할 수 있도록

직업능력 양성 체계의 방향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유망 일자리 분야로 도출된 분야는 ① 디지털 융합 분야 ② 관광 수요의

다양화에 따른 특화 및 세분화 분야 ③ 코로나 19로 인한 소규모 여행 증가 및 여행

안전 인식 증가로 인한 분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관광 유망 분야와 관련하여 신규

성장 분야 육성 기술 융합 일자리 양성 및 관광인력의 디지털 역량 강화 코로나19 관련

대응 일자리 창출 미래 관광일자리 성장을 위한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창출 및 인력 양성을 위해서는 관광산업이 필요로 하는

인재를 확보하여 관광산업이 활성화 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미래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미래 관광 일자리 분야를 도출하고 미래 일자리 대응방향을 ① 디지털

융합 관광인력 육성 ② 특화분야 관광인력 양성 기반 구축 ③ 코로나19 대응 일자

리 창출 ④ 관광 미래 일자리 성장 환경 조성으로 설정하 다

[그림 4-1]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159제4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제2절 정책 대응 방향

1 디지털 융합 관광인력 육성

11 디지털 융합 관광인재 양성

가 추진 배경

관광산업의 노동 공급적 관점에서 살펴보면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는 인공

지능과 로봇 기술의 발전은 단편적 정보전달 업무를 수행하는 관광 인력을 대체할

가능성이 높고 기술 관련 분야의 신규 일자리 창출이 높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WEF 2018)

본 연구에서 파악한 관광 유망분야의 일자리도 기술 기반의 관광 빅데이터 분석

관광 콘텐츠 미디어 관광 플랫폼 관광 모빌리티 분야의 일자리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미래 디지털 융합 관광 인력 양성을 위해서는 관광산업 입직 예정자들로

하여금 경제적 효율성을 추구하는 기술적 대체를 넘어서 관광의 근원적 가치를 창

출하는 한편 디지털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개발할 수 있도록 정책적 개입

이 필요하다

나 세부 정책 방향

1) 디지털 융합형 미래 관광인력 양성과정 확대

기술과 산업의 융합은 관광산업뿐만 아니라 전체 산업의 인력 양성의 변화를 야

기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된다 디지털 융합형 관광 인재는 기술 기반과 세분화

되는 관광산업을 이끌어가며 해외 주요국 및 우리나라 정책에서도 이 분야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고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대학에서도 관광과 기술

16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을 융합하는 과정이 생기고40) 현재 문화체육관광부에서 관광산업 혁신을 주도할

미래인재 양성 교육기관을 공모로 통해 기관을 선정하여 ICT 융합형 교육프로그램

구성 양성 교육기관의 역량 지원 교육 후 취업 지원 등을 추진하고 있으나 융합

발전의 속도를 반 하여 교육 및 훈련과정의 확대 지원이 필요하다41)

본 교육 대상은 만 20세 이상의 관광전공자인 예비 인력으로 관광 및 IT 기업

관광 연관 사업체(벤처)의 참여로 개발된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을 지역 소재의 대

학에서 실시하는 형태가 필요하다 교육 방식으로는 정책의 효과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온라인 교육으로 가능한 교육 수혜자가 많은 방식으로 접근이 필요하며 교육

과정은 현재 추진하고 있는 lsquo미래인재 양성 교육기관rsquo 사업과 연계 추진한다

12 관광 종사자의 디지털 역량 강화

가 추진 배경

일터의 특성이 숙련의 생존주기를 단축시키고 있어서 학교교육에서 뿐만 아니라

일하고 있는 사람들조차도 지속적인 학습을 통하여 새로운 지식과 숙련을 습득해야

할 상황이다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기술의 발전과 고용형태의 변화는 기존의 많

은 일자리들의 소멸 주기를 단축시키고 있지만 고급 역량을 필요로 하는 일자리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일자리 환경의 빠른 변화는 일터가 요구하는 숙련

이 빠르게 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숙련의 생존주기가 크게 단축되면 인적자

원개발의 방식도 크게 바뀌어야 한다

최근 주요 관광산업 일자리의 주요 변화는 기술의 발전과 확산이다(WEF 2016

WTO 2019) 기술의 발전과 확산은 일자리 감소의 부정적 전망이 있지만 기술로

자동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부분으로 일자리의 대체가 이루어진다(WEF 2016)

특히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인한 관광기업의 경 난은 관광산업 인력의 축소를

야기하고 있으며 관광면세업 관광공연장업 관광유흥음식점업 등 관광편의시설업

카지노업 일반여행업과 국외여행업에서의 일자리 전망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40) 최근 대학에서 스마트관광 대학원 과정 스마트 투어리즘 매니지먼트 소프트웨어과정이 신설되었음

41) 2020년 하반기에 관광 미래인재 100명(교육기관 당 33~34명)의 대학(원)생을 선발 정규 이론 교육과

산학 프로젝트를 통한 실무 중심 교육 실시 160시간 이상의 교육 교육비 전액 국비 지원(한국관광공사

20200422)

161제4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있어 기존 인력의 일자리 유지를 위한 정책이 요구되고 있다

기존 관광관련 지식전달 방식의 학습에서 비판적 사고와 반성적 성찰을 할 수 있

는 학습방식의 혁신이 요구된다 관광의 미래 인적자원개발은 학습자가 주도하여

그들의 역량을 개발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하지만 기존 관광

분야의 교육훈련 및 인재양성 정책에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학습방식까지

고려하고 나아가 인적자원의 양성middot활용 이외에 사회적 역량도 포함하여 종합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즉 관광산업 종사자는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기술을 원활하게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이해력을 높일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관광 종사자에게 기존 산업에서 필요

로 한 역량과 다른 역량(예 기술 활용 소셜미디어 활용 등)을 요구하며 새로운 유

형의 직업이 창출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이러한 흐름은 적절한 직업 교육 훈

련 학습 등의 기반이 필요하다(UNWTO 2019)

따라서 관광분야 역시 디지털기반의 산업비중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여러 분

야와의 융합이 예상되므로 기존 종사자 대상의 역량강화도 필수적이며 특히 중소규

모 업체 1인 재직자를 위한 교육지원이 필요하다

나 세부 정책 방향

1) 관광인력의 디지털 및 융합 사고 교육middot훈련 실시

관광산업 종사원의 미래 대응을 위한 역량 향상은 필요한 정책 역이나 유관

협회의 교육 프로그램 지원은 미래 환경변화 대응에 있어서 한계적이다 현재 한국

여행업협회 한국호텔업협회 한국관광협회중앙회 한국MICE협회 카지노협회 등

에서 종사원을 위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나 다양한 프로그램 마련과 참여에 있어

서 한계가 존재한다(김덕기middot한희정 2018)

기술 기반의 사회 변화 대응을 위해 디지털 활용 역량을 위한 교육 및 훈련과정을

실시하고 관광 분야에 있어서 단순 기술 보유하고 있거나 로봇이 대체할 수 있는

일자리(예 관광안내원 접객원 등)에 있는 종사자 1인 재직자(1인 기업)를 대상으

로 기술기반 및 타 산업 융합관련 교육을 통해서 미래 지향적 관광산업의 일자리로

전환할 수 있도록 추진한다

16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2) 미래 관광인재 육성 기업 지정

관광 종사자의 교육 및 훈련은 해당 기업의 투자 촉진을 통해 가능하다 관광기업

종사자의 디지털 전환에 대한 투자는 관광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 할 수 있으

며 관광 종사자의 디지털에 대한 이해도 증진을 통해 디지털 기반의 관광 마케팅

활용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발굴 등을 이끈다 이에 관광기업의 디지털 전환 투자

촉진을 위해 디지털 인재 육성 관광기업을 지정하고 지정서 발급 인재 교육 및 훈

련비용의 일부 지원 미래 관광 기업으로의 인재 육성 부분에서의 우수 사례집 발간

을 통한 홍보 등을 추진한다

3) 관광기업과 디지털 기업의 매칭 지원

관광 기술인력이 부족한 관광기업의 현장 지원을 위해 디지털 기업을 매칭하여

디지털 전환이 필요하다 기존 관광기업은 디지털 전화에 대한 이해도 및 디지털

전환 속도를 따라잡기 힘들고 디지털 기업은 관광 분야에 진출할 때 관광산업의

생태계 및 관광산업의 특징에 대한 이해도가 낮아 기존 기술 활용을 관광 분야로

확대하는 것에 그치고 있다 이에 관광기업과 디지털 기업의 매칭 지원을 통해 관광

기업은 디지털 가속화 및 디지털 역량을 확보하고 디지털 기업은 관광 사업체로

변모를 추진한다

2 특화 분야 관광인력 양성의 기반 구축

21 지역기반 관광 일자리 창출

가 추진 배경

일본 사례에서 살펴보았듯이 관광분야 일자리창출사업은 지역 활성화 및 지역

고용창출의 핵심 사업으로 자리매김 되어왔으며 실제로 다양한 지자체에서 관광을

통한 지역 일자리창출 사업이 추진되어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특히

2000년대 이후의 일본의 지방 공동화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된 이래로 위에서도 살

펴볼 수 있듯이 관광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노력은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의 다양

163제4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한 정책을 통해 이루어져왔다

우리나라도 생산연령 인구의 감소와 지방 인구 소멸 등에 직면한 시점에서 지역

기반의 미래 일자리 창출은 지역의 생존과 직결되어 필요한 정책 역이다 따라서

지역단위의 관광 일자리 창출 인적자본 축적 지역의 다양한 관광 전문가 및 이해

관계자들이 참여하는 지역 협력 강화 등을 위한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특히 국내관광 활성화로 지역관광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지역

관광추진조직 코디네이터 지역 관광 크리에이터 관광두레PD 등의 일자리 창출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이에 지역 관광 전문인력 발굴 및 육성을 통한 지역관광

일자리 창출이 필요하다

나 세부 정책 방향

1) 지역특화 관광 전문가 양성

지역으로의 인력 유입 활성화와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역 관련 전문가 양성

이 필요 하며 지역특화 전문가 교육 및 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의 관광 미래

일자리 전망에서 보았듯이 관광시장의 세분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관광이 발전

될 것이며 또한 코로나19 이후 지역으로의 여행 증가(국내 여행으로의 수요 전환)

국민의 국내여행 경험 증가에 따라 지역 관광 크리에이터와 같은 일자리가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지역기반의 관광기업의 참여로 지역 특성을 반 한 관광 전문가 양성 프로

그램을 개발하여 지역의 관광산업 예비 종사자 창업(예정)자 등을 대상으로 지역

특화 관광자원 발굴 및 활용 관광상품화 지역 협동조합 연계 강화 디지털 기반

창업 관련 인재 양성 등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2) 지역관광 창업middot창직 공간 구축의 확대

지역의 미래 관광인력 양성은 지역관광의 역량과도 연계되어 있으며 지역관광과

관련한 창업 창직 활성화를 통해 지역 관광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지역의 거점별 지역관광 창업middot창직 공간을 구축하여 앞서 언급한 지역특화 교육이

이루어지고 지역의 일자리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공간 지원의 확대가 필요하다

16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22 관광 특화분야 관광인력의 능력개발 강화

가 추진 배경

현재 관광산업은 코로나19의 위기를 극복하고 관광객의 세분화 다양화된 수요

등에 대응하는 시점에 있다 관광산업은 외부 환경에 변화에 따라 빠르게 변화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변화에서 유망 분야를 주도할 수 있는 관광 인력

의 양성이 필요하다 앞서 유망분야로 살펴본 실버여행 맞춤형 관광 반려동물동반

여행 등은 인구구조의 변화 관광수요의 다변화 등에 따른 결과이다 실버 여행의

경우 패키지 여행의 주도 세력이며 맞춤형 관광은 자아가치 창출을 위해 젊은 층에

서 확산되고 있다 반려동물동반여행 시장의 경우도 반려동물인구의 증가에 따라

시장 규모가 확대될 것이라고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분야들은 관광시장 형성이 초기단계이므로 이러한 변화를 이끌어나갈 수

있는 인력을 양성하는 것은 관광산업의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는 길이다 따라서 관

광수요의 다양화 세분화되는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교육과정의 변화가 필요하다

나 세부 정책 방향

1) 미래 관광 유망분야 양성 훈련 기관 지정

관광산업의 유망분야를 선도하는 주체를 육성하기 위해서는 관련 분야에 대한 전

문성을 교육하는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에 관광학과 관련된 관광관련 정규 교

육기관(특성화고 전문대학 대학교)을 일부 선정하여 미래 관광 유망분야 양성 훈

련기관 간 협약 체결로 유망분야의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및 훈련 과정 발굴 시범

훈련프로그램 운 을 지원하는 등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본 양성 훈련 기관 지정은

훈련 프로그램 운 비 일부를 지원하는 형태로 운 이 된다 또한 동 지정 사업은

관광의 유망분야에 대한 전문성을 갖춘 인력을 양성하는 것이 목적에 있다

2) 미래 관광 유망분야 교원 교육 확대

현재 문체부에서는 관광특성화고교 교사의 역량 강화를 위한 직무 교육을 추진하

고 있다 이러한 직무 교육은 산학 네트워킹 프로그램 취업 포럼 취업 설명회 등을

165제4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내용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도 향후 유망한 분야의 직업으로 실버여행 콘텐츠

개발자 및 가이드 맞춤형 관광 컨설턴트 반려동물여행시설 운 자 관광 데이터 분

석가 관광 콘텐츠 크리에이터 등을 제시하고 있다 관광산업을 둘러싼 미래 환경의

변화는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고 이에 따라 직업의 창출과 소멸이 빠르게 변하고 있

다 이에 관광관련 정규기관의 교육도 과거나 현 상황을 반 하기에는 유망 분야의

발전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기존 관광특성화고교 뿐 아니라 관광분야 정규 교육기관

의 교원을 대상으로 관광 트렌드 및 유망 분야를 반 한 이론 및 현장 교육 등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설계되어야한다 이를 통해 관광 기업과 교

육기관과의 연계를 통해 관광산업 현장 역량을 제고하도록 진행할 필요가 있다

23 창업middot창직 활성화

가 추진 배경

관광산업 분야의 미래 일자리는 사회 기술 및 생태 환경적 요인 등 다양한 동인

들을 통해 종합적으로 향을 받아 생장하고 소멸할 것이다 특히 4차 산업혁명이

일어난 이후 실제의 다양한 산업군과 경제 그리고 사회의 모습에서 체감할 수 있는

만큼 관광 일자리 관련해서도 변화가 시작되고 있다

관광 분야에서 인공지능 및 로봇의 활용 자동화는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기도 하

지만 호텔 여행사 관광편의시설 등에서 높게 이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 이와 관

련한 일자리는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변화는 기존 관광분야에서

습득한 지식과 기술이 관광 분야 업무에 활용되지 못하게 하며 전문성을 감소시킨다

이처럼 미래 일자리는 단순히 수동적으로 예측하기보다 현실의 제약을 극복하고

우리가 선호하는 일자리를 만들기 위한 과감한 노력이 전개될 때 수반될 것이다

또한 관광산업과 관련된 체계적 연결과 교육 공연 문화 예술 산업 등 인접 산

업과의 융합을 통한 미래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창의적이고 다양한 실험들이 시

도될 수 있도록 유연한 정책적 환경이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관광 수요의 다변화에 따라 점차 세분화 되고 전문되고 있는 관광상품 및

서비스 분야의 창직과 창업을 활성화하고 이러한 창직과 창업을 통해 창출된 관광

상품과 서비스를 유통할 수 있는 기반 마련 방안이 필요하다

16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나 세부 정책 방향

1) 창직 활성화 지원 (가칭) 관광 창직 아카데미

향후 일자리와 직업은 기존의 관념과 다르게 프리랜서 1인 기업가 등이 다양한

공간에서 근무하는 형태의 일자리가 발생할 것이다 더욱이 플랫폼 기반을 둔 관광

기업이 증가함에 따라 향후 1인 기업가 프리랜서 팀 단위의 관광기업 발생할 가능

성이 높다 이러한 조직은 환경 변화에 빠르게 대응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런 상황

에서 스스로 직업을 창출하는 창직 활동이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김동규 외

2018) 이에 정부부처에서는 창직 활동을 lsquo청년취업아카데미rsquo 사업 등을 추진하여

문화 예술 콘텐츠 분야 등의 개인 직업능력 향상 및 사회적 일자리 창출을 위한

프로그램을 운 하고 있다

이에 팀 프로젝트 교육 관광 및 연관 분야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갖춘 기업

탐방 등을 연계하는 lsquo(가칭) 관광 창직 아카데미rsquo를 관광전문 인력 양성 사업으로

추진하고 대상은 관광 예비 인력이 될 수 있는 관광을 전공하는 대학(원)생 졸업(예

정)생 은퇴 및 경력 단절로 새로운 일자리가 필요한 신중년 여성 경력 단절자 관

광 분야 실업자 등을 대상으로 확대 추진한다

2) 창업 활성화 센터 (가칭) 미래 관광LAB 신설

관광 일자리는 관광 기업의 생성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새로운 관광 분야의 사업

기회들이 창업으로 연결되려면 창업과 관련한 유리한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이런

이유로 관광산업에 있어서 관광사업 발굴 및 지원을 위한 정책이 지속적으로 추진

되고 있다

이에 미래 관광기업의 창업을 활성화하고 다양한 관광상품 및 서비스를 테스트

(관련 기술 및 장비 대여)하고 공유할 수 있는 (가칭) 미래 관광LAB을 신설하고

미래 관광상품 개발 및 연구 개발을 지원한다 운 은 한국관광공사 및 지역 관광공

사에서 한다

167제4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3 코로나19 대응 일자리 창출

31 관광 안전관련 일자리 기반 구축

가 추진 배경

코로나19로 관광객의 안전 여행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방역

및 안전 등에 대한 질적 관리 측면도 안전 여행 관심 증대와 함께 관광객의 관광활

동 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다

더불어 현재 코로나19의 지속으로 관광산업 전반에 일자리의 불안정성이 증대되고

있다 일부 사업체의 경우 코로나19로 인한 경 실적 악화로 기업의 경 부담이 증

가하여 최소 인력을 제외한 직원들이 유급 또는 무급 휴직 중에 있다 또한 국내여

행안내사 국외여행인솔자 문화관광해설자 등도 코로나19로 인해 심화되는 고용 불

안정에 놓여있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안정화 대책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내국인과 외국인이 안전하게 여행할 수 있는 관광 안전관련 인력 양성은 향후 코

로나19의 종식 후에도 내국인과 외국인의 안전 여행을 위한 기반 구축이 될 것이다

나 세부 정책 방향

1) 안전관광 인력 양성

안전관광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국내여행안내사 국외여행인솔자 문화관광

해설사 등의 관광안내인력을 대상으로 안전관광을 위한 교육훈련 체계 구축이 필요

하다 이를 위해서는 관광유관협회 관광관련 교육기관 등을 관광교육훈련 기관으

로 지정하여 교육 및 훈련의 실시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이를 통해 코로나19에 따

른 관광산업의 내외국인middot업종별middot연관산업 분야별 관광 메뉴얼의 실질적 이행과 현

장 대응력 강화를 달성할 필요가 있다

2) 관광의 안전 및 위기관리의 기반 조성

안전관광 기반 조성을 위해서는 국내외 관광객의 안전에 위해를 가질 수 있는 요

소들을 미연에 방지하고 대응에 있어 신속한 관리가 필요하다 이에 정부는 여행지

16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에서의 재난 사고 MERS와 SARS 등으로 인한 질병 등의 발생 등에 따라 이에 대응

하는 매뉴얼과 가이드북을 생성하고 관광인력의 안전 교육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지속해 왔다 현재 관광산업의 가장 큰 위협요인이 된 코로나19의 발생으로 이러한

기존 여행업의 안전관리 체계를 다시 점검할 시점에 이르렀다 이에 기존의 여행업

등과 관련한 안전관리 매뉴얼 등을 재점검하고 안전위기관리 관련 중앙과 지방 민

관 협력 체계 구축을 위한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32 비대면 관련 관광비즈니스 육성

가 추진 배경

최근 관광산업은 코로나19의 발생으로 비대면 관광 문화가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비대면 기술 기반의 관광객의 관광활동과 관광경 활동이 증대하고 있다 예

를 들어 호텔 및 항공에 있어서 무인안내기를 이용하여 체크인을 하거나 국제회의

는 온라인을 기반으로 개최되고 랜선투어 등 비대면 기술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간 관광산업에서의 디지털 기술은 정보통신 기술 발전에 따라 활용되고 있으나

코로나19로 촉진된 비대면문화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관광의 확산을 가속

화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비대면 관광 기술은 앞서 관광 빅데이터 분석

관광 미디어 콘텐츠 관광 플랫폼 관광 모빌리티 분야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관광

안전관리 측면에서 활용성이 증가할 것이다 이에 비대면 관광 문화 확산에 선제적

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비대면 관광 비즈니스 육성과 이를 통한 일자리 창출을 도

모하는 정부의 정책적 개입이 필요하다

나 세부 정책 방향

1) 비대면 관광 활성화를 위한 연구개발 강화

관광산업에 있어서 비대면 서비스나 기술이 활용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정부는 비대면 관광 활성화를 위한 기반 구축을 총괄하며 연구기

관과 관광 산업계와 연계 협력을 가능하게 하는 비대면 MICE 행사 콘텐츠 개발

비대면 관광상품 구매 안내 등과 관련한 관광상품 및 서비스 개발과 콘텐츠 확산을

169제4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위한 연구개발(RampD)에 대한 재정지원이 필요하다 관광산업계에서는 코로나19와

같은 위기 시 비대면 관광상품 관광서비스의 상용화하는 역할을 하며 학계에서는

이를 위한 비대면 관광 활성화 가능에 대한 환경을 조성하는 역할을 하도록 기반을

마련한다

2) 비대면 관광비즈니스 육성을 위한 지원

비대면 관광비즈니스 육성과 자생적 생태계 기초를 세우기 위해서는 다양한 비대

면 관광비즈니스 활동과 네트워크를 위한 발굴과 지원이 필요하다 이에 관광산업

에서의 비대면 비즈니스가 활성화되기 위한 창의적 아이디어의 구현을 위한 상품화

및 활동을 위한 지원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 또한 비대면 관광으로 직면할

일자리 감소 관광객 및 관광종사자의 비대면 기술 활용의 한계 등 문제 해결을 위

한 산학연 공동 프로젝트 지원 비대면 기술 보유 업체와 관광기업간 협업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 등을 위한 지원도 필요할 것이다

4 관광 미래 일자리 성장환경 조성

41 미래 관광일자리 통계 및 정보제공 활성화

가 추진 배경

관광 미래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미래의 일자리 정보 및 수요를 알려주는 관광

일자리와 관련 인력 현황 및 일자리 수급 미래 일자리 통계 및 정보 제공 등이 필요

하다 이를 위해 국내외 관광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관광 일자리 정보를 연계하고

이를 분석해 제공하는 미래 관광 일자리 인프라 재확립이 요구된다 정량화된 정보

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관광 미래 일자리에 대한 교육 훈련 자격 정보 인재 추천

및 구직자의 역량을 매칭할 수 있도록 미래 관광 일자리 역량의 수요나 변화를 파악

가능하게 제공해야 한다

17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나 세부 정책 방향

1) 인력수요공급 통계 및 전망정보 제공

관광산업 인력의 수요와 공급에 대한 전망은 관광산업 인적자원 정책의 기초 자

료가 된다 그러나 현재 관련 기초통계의 부족의 한계로 관광산업에 필요한 인력

의 파악에 있어서 한계가 존재한다 이에 환경변화로 변화될 관광일자리 변화의 예

측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향후 관광 및 연관 분야의 일자리 통계를 생산하고 이를

정기적으로 전망하며 새로운 고용 형태(1인 기업 프리랜서 등)와 관련한 실태 조

사를 실시하여 관광산업에 소요되는 관광인력의 효과적인 정책기반을 마련할 필요

가 있다

2) 미래 관광일자리 분야의 정보 제공 강화

미래 관광 일자리에 있어서 미래 세대의 관광 분야로의 흡수가 중요하다 현재

관광일자리와 관련한 정보는 lsquo관광인rsquo 사이트에서 일자리가 필요한 기업과 지원 자

격 근무조건 등의 형태로 현재 종사자가 필요한 관광기업들의 정보만이 제공되고

있다 즉 향후 어떠한 분야가 필요하고 관광에서 어떠한 유망한 일자리가 있는지

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고 있다 정부의 진로정보 관련 정보를 다루는 웹페이지

인 lsquo진로정보망 커리어넷rsquo에서는 직업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미래 직업에 있어서

관광관련 직업은 lsquo해양 레저 전문가rsquo lsquo여행 기획자rsquo lsquo문화 콘텐츠 전문가rsquo lsquo가상현

실 전문가rsquo 등 만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어 미래 인력의 관광 분야의 일자리 파악에

있어서 한계가 존재하고 있다 이에 lsquo관광인rsquo 사이트는 채용 정보만 제공하던 기존

의 방식에서 탈피하여 관광 관련 일자리와 미래 관광 일자리에 대한 정보도 제공할

필요가 있다

42 미래 관광일자리 협의체계 구축

가 추진 배경

인구구조 변화 디지털 전환 코로나19 등은 종래와 같은 분절적인 정책의 추진

을 벗어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일자리 창출은 채용 임금 등의 노동시장 여건뿐만

171제4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아니라 기업의 조직 및 기술의 활용의 인력수요 측면과 교육 훈련 등의 공급측면이

함께 작용할 때 가능하다

따라서 정부의 일자리 정책은 융middot복합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인적자원의 특성도

고령화 성평등 일과 삶의 균형 등과 관련하여 다차원적인 접근을 필요로 한다

관광산업과 관련된 정부 부처나 조직 부문 간 상호 호혜적인 협업이 활성화되어

야 할 것이다 앞으로의 시대는 기술만 융합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과 조직의 기능적

협업과 통합이 시시각각 요구될 것이다 따라서 관광 일자리에 있어서도 미래 일자

리 관련 협력적 거버넌스 운 이 필요하며 일자리 정책에 있어서 총괄middot조정 기능의

역할 부여가 필요하다

나 세부정책 내용

미래 관광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관광산업 환경 변화 및 관광산업 여건 등을 고

려한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 이에 미래 관광 일자리 창출 및 미래 관광인력 양성 정

책의 추진에 있어 의견을 수렴하고 정책을 발굴 할 수 있는 협의 채널이 필요하다

추진 방식은 관광 및 관광 유관사업체 관광유관협회 지자체 대학 연구원 등으

로 구성한 미래 관광일자리 협의 채널을 구축하고 관광 미래 환경 변화를 반 한

교육과정 개발 및 운 관광사업체 활성화 지원 등을 모색해야한다

결론 및 정책 제언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제5장

175제5장 결론 및 정책 제언

결론 및 정책제언

관광산업을 둘러싼 환경 변화가 급격하게 이루어지면서 관광소비시장 관광산업

구조 등이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필요한 관광 인력의 분야 및 역량도 변화하고

있다 관광산업은 주요 일자리 창출 분야로 인식되고 있으며 세상의 변화에 민감한

분야이다 이에 따라 관광 분야는 주요 국가의 경제 및 고용 성장의 원동력으로 인

식되고 있으나 정책적 측면에서 저평가 되는 경우가 많다(UNWTO 2019)

본 연구는 미래 관광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도출을 위해 관광산업에 미치는 환

경변화와 국내 일자리 정책을 분석하 다 그리고 문헌연구와 전문가 의견조사 자

문회의를 통해서 미래 관광산업의 유망 분야와 일자리를 위해 필요한 정책방안을

모색하 다

2020-2024년 관광트렌드는 여행의 세분화와 전문화 관광 비즈니스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 등으로 사회적 환경 변화로 인구의 지속적 감소 고령 인구의 증가

여가의 중요성이 강조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기술 환경 변화로 4차 산업혁명

기술의 활용이 확산되고 코로나19 등의 안전위기에 대한 인식이 중요하게 될 것이

라고 전망된다 특히 기술발전과 주 52시간 근로 시행 코로나19 등으로 인한 재택

근무 유연근무제 등이 활성화 되며 프리랜서 1인 기업 등 고용 및 기업의 형태도

다양해 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환경 변화를 분석한 후 향후 5년 내 관광산업에서 유망할 분야

및 그와 관련된 일자리를 전망하 다 본 연구에서 예측된 관광산업 유망 일자리는

① 기술 관련 분야(관광 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 관광 미디어 콘텐츠 관광 플랫폼

관광 모빌리티)의 일자리 ② 관광트렌드의 세분화 및 다양화에 따른 세부 분야(지

역 전문특화 관광 실버 여행 반려동물 여행 여행 컨셉 기획)의 일자리 ③ 코로나

19 확산에 따른 안전 및 소비 트렌드 변화(소그룹 여행 여행 안전관리)에 따른 일

자리로 나타났다

17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미래의 관광인력은 관광산업 경쟁력과 발전의 핵심 요소이다 이에 따라 다양한

환경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적 접근이 시급히 이루어져

야 한다

먼저 디지털 융합 관광인력의 육성이 필요하다 전 산업에서의 디지털화로 인해

관광산업에 있어서 디지털 역량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적 요소가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디지털 분야에 대한 예비 인력 교육 기존 관광인력의 발전 가능성이

큰 디지털 융합 분야에 대한 교육 및 훈련 등을 수행할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미래 관광산업 일자리를 위해서는 특화 분야의 관광인력 양성과 코로나19에 대

응하는 일자리 창출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일자리는 산업이 성장할 때 같이 성장

하므로 관광 산업이 전문화 세분화 특화되는 흐름에 따라 이와 관련한 환경 조성

이 필요하고 새로운 분야에 대한 창업과 창직 활성화를 위한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미래 관광산업 일자리가 확산되기 위해서는 미래 일자리에 대한 통계와 정

보 제공 및 인력 수급 현황의 정기적 분석 등이 필요하다 필요한 관광 일자리에

대한 통계와 정보 제공은 구직 인력에게 필요한 정보이며 미래 일자리 인력의 수급

전망은 향후 필요한 인력 분야와 일자리 전환 정책의 기초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이

다 또한 미래 관광일자리를 위한 관middot산middot학의 끊임없는 정책적 노력과 소통이 강화

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분야와 정책대응 방향을 모색하 다 세부 정

책과제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향후 미래 일자리 분야의 규모 추정 각 정책 수단과

주체와 관련한 제시를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177참고문헌

참고문헌

∙ 강금봉(2019) 「디지털 플랫폼 노동 어디까지 와있나 ndash 현안과 보호방안」 사회적

대화 통권 10호 174-184

∙ 고용노동부(2014) 「선진국 고용정책의 일자리 창출 효과 연구」∙ 고용노동부(20200410) 임서정 고용노동부 차관 재택근무 우수 사업장 방문하여

현장의견 청취(보도자료)

∙ 고용노동통계(2020) 「2020년 상반기 직종별사업체노동력조사」

∙ 관계부처 합동(201788) 「신중년 인생 3모작 기반구축 계획」 제2차 일자리위원회

∙ 관계부처 합동(2019626) 「서비스산업 혁신 전략」 경제활력대책회의

∙ 관계부처 합동(20202) 「제3차 경력단절여성 등의 경제활동촉진 기본계획(2020~2024)」∙ 관계부처 합동(2020515) 「신중년 퇴직 전문인력 활용 방안」 제15차 일자리위원회

∙ 관계부처합동(20200217) 코로나19 대응 관광middot외식업 긴급 지원방안

∙ 관계부처 합동(2020714)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 선도국가로 도약하는 대한민국

으로 대전환」 한국판 뉴딜 대국민 보고대회(제7차 비상경제회의)

∙ 교육부(20191210) 「2019 초middot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 결과 발표」

∙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20111026) 「빅데이터를 활용한 스마트 정부 구현(안)」∙ 기상청(2019) 「2018 지구대기 감시보고서」

∙ 김규남(2019) 「스마트 시티에서 스마트 모빌리티의 역할」 글로벌리포트

∙ 김덕기middot한희정(2018) 「중장기 관광산업 전문인력 양성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 김동규middot김중진middot김한준middot최 순middot최재현(2017) 「4차 산업혁명 미래 일자리 전망」 한

국직업능력개발원

∙ 김준 middot권혜자middot최기성middot연보라middot박비곤(2018) 「플랫폼경제종사자 규모 추정과 특성

분석」 한국고용정보원

∙ 김형만middot최 섭middot노대명(2018) 「사회정책 추진체제 구축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김희수middot정광민(2019) 「노동시간 단축이 관광시장에 미치는 향과 과제」 한국문화

관광연구원

17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 농림축산식품부(20200429) 전국 591만가구에서 반려동물 856만마리 키운다

-「2019년 동물보호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결과 발표-

∙ 류광훈middot김희수(2018) 「관광산업 발전을 위한 지원체계 구축방안 연구」 한국문화관

광연구원

∙ 매일경제(20180312) [여행 알쓸신잡] 여행업계 놀라게 한 `실버세대의 힘`

∙ 매일경제(20191212) 한화 여행 콘텐츠 크리에이터 인턴십 모집다양한 혜택 제공

∙ 문화체육관광부(2018a) 「지역관광 추진조직 육성 기본계획 수립 연구」

∙ 문화체육관광부(2018b) 「2017 국민여행실태조사」 ∙ 문화체육관광부(2019a) 「2018년 기준 관광사업체기초통계조사」∙ 문화체육관광부(2019b) 「국민여가 활동조사」

∙ 문화체육관광부(2019c) 「2018 국민여행조사」 ∙ 문화체육관광부(2020) 「코로나10 생활 속 거리 두기 시기 여행경로별 안전여행 가이드」 ∙ 문화체육관광부(20200703)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문체부 3차 추경 3469억 원

확정(보도자료)

∙ 문화체육관광부 각년도 「관광사업체기초통계조사」∙ 문화체육관광부 각년도 「관광부문 재정집행계획」

∙ 미래창조과학부 미래준비위원회middotKISTEPmiddotKAIST(2017) 미래 일자리의 길을 찾다

도서출판 지식공감

∙ 민경선(2018) 「워라밸 세대의 여가와 삶의 만족도」 한국웰니스학회지 13(3) 377-388

∙ 박가열middot박성원middot이 민middot이은수(2019) 「4차산업혁명시대 미래직업능력 연구(Ⅱ)」 한국고용정보원

∙ 박주 (2018) 「오버투어리즘 현상과 대응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 박지혜(2017) 「국내 펫코노미(Pet+Economy) 시장의 현황과 시사」 산업연구원

∙ 비전21뉴스(20200826) 코로나19 극복 파주형 희망일자리 참여자 2329명 모집

∙ 산업통상자원부(20193) 「제7차 산업기술혁신계획(2019-2023)」∙ 삼일회계법인(2019) 「2019-2023 Entertainment amp Media 산업 전망」∙ 손은수middot홍성화middot고병열(2018) 「국내외 주요기관이 전망한 미래기술의 흐름」∙ 송승범(2020) 「스마트 모빌리티- 사용자 중심의 모빌리티 서비스로 패러다임 전환」∙ 송종구(2017) 「카셰어 ndash 공유경제 관심 속 시장규모 지속적 증가」 KISTI 마켓리포트

∙ 아시아경제(20200827) 반려동물과 함께 즐겨요 펫캉스 떠나는 반려인들 [김

수완의 동물리포트]

179참고문헌

∙ 여행신문(20200701) 개별middot소규모 여행 뜨자 지자체도 맞춤대응

∙ 여행신문(20200824) 11 미팅에서 진화한 관광청 온라인 마케팅

∙ 오훈성(2018) 「고령층 국내관광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 울산MBC(20200219) 울산시 방역 전문가 자문단 운

∙ 윤윤규middot고 우(2009) 「일자리 창출 및 소멸의 구조와 특징」 월간노동리뷰 9월호 15-29

∙ 이금노(2019) 「모빌리티 분야 공유서비스의 소비자문제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자원

∙ 이승렬middot이용관middot이상규(2018) 「미래의 직업 프리랜서(Ⅰ) - 1인 미디어 콘텐츠 크리에이터 -」∙ 이승민middot정지형middot송근혜(2017) 「ECosight 2017Socio-Tech 10대 전망」 한국전

자통신연구원 미래전략연구소

∙ 이원희middot박주 middot조아라(2019) 「관광 트렌드 분석 및 전망 2020-2024」 한국문화

관광연구원

∙ 이재완middot강혜진(2018) 「워라밸과 삶의 만족 세대 간 차이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

구 22(3) 267-291

∙ 익산열린신문(20200401) lsquo관광도시 익산rsquo 위해 투어매니저 떴다

∙ 일자리위원회ㆍ관계부처 합동(20171008) 「일자리정책 5년 로드맵」 제3차 일자리

위원회

∙ 일자리위원회ㆍ관계부처 합동(20200309) 「사람중심경제를 실현할 후반기 일자리

정책 추진 방향」 제14차 일자리위원회 1호 의결안건

∙ 저출산middot고령사회위원회(201812) 저출산middot고령사회 정책 로드맵

∙ 전재식 외(2019) 「일과 학습의 미래」 경제인문사회연구회

∙ 전효재middot한희정(2018)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미래 관광일자리 창출 방안 연구」 한국

문화관광연구원

∙ 중소벤처기업부(2020) 「중소기업 전략기술로드맵(빅데이터)」∙ 중앙일보(20190812) 현대차 국내 마이크로 모빌리티 사업 나선다

∙ 최계 (2020) 「디지털 플랫폼의 경제학 I 빅데이터ㆍAI 시대 디지털 시장의 경쟁

이슈」 KISDI Premium Report

∙ 통계청(20180927) 「2018 고령자 통계」 ∙ 통계청(2019) 「2019년 장래인구특별추계를 반 한 세계와 한국의 인구현황 및 전

망」 통계청(보도자료)

∙ 통계청(20190902) 2019년 장래인구특별추계를 반 한 세계와 한국의 인구현황

및 전망(보도자료)

18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 통계청(20191125) 「2019년 사회조사 결과」 ∙ 통계청(20191205) 「2018년 일자리행정통계 결과」∙ 통계청(20191212) 「2018년 기준 기업생멸행정통계 결과」

∙ 통계청(20201016) 「2020년 9월 고용동향」 ∙ 투어코리아(20190723) 반려동물 동반 가능 숙소 전국 700여 곳 3년 새 10배 증가

∙ 한국경제(20200803) 교원그롭 시니어 여행시장 진출

∙ 한국경제연구원(20200720) 코로나19로 대기업 lsquo넷 중 셋rsquo 재택ㆍ원격 등 유연근

로제 실시 중

∙ 한국고용정보원(2019a) 「2019 미래를 함께 할 새로운 직업」 ∙ 한국고용정보원(2019b) 「2020 한국직업사전」∙ 한국관광공사(2007) 「국내실버관광 활성화를 위한 2007 국내실버관광 실태조사」

∙ 한국관광공사(20200422) 관광분야 미래 인재 키울 곳 어딜까

∙ 한국교통연구원(2017) 「스마트모빌리티 브리프」 KOTI Brief 1(3)

∙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2019a) 「2018 데이터 산업 현황 조사」∙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2019b) 「2019 데이터산업 백서」

∙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각년도 7월 기준 문화체육관광 고용동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200527) 포스트 코로나 시대 안전을 담보로 한 국내관광

회복이 기대됩니다

∙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6) 「호주 청년 노동시장 진입 지원정책의 변화」 글로벌 사

회정잭 브리프 50호

∙ 한국일보(20200316) lsquo펜데믹rsquo에 뜨는 직업 있다

∙ 한국지방행정연구원(200912) 「지방자치단체의 일자리창출 역할 강화 방안」 ∙ 한국콘텐츠진흥원(2020) 「융복합 관광서비스 사업화지원 사업 현황분석 및 개선방

향 연구」

∙ 허재준(2009) 「일자리 창출 증진을 위한 방안과 과제」 서울경제

∙ 홍현균(2004) 「일자리의 창출과 소멸」 한국의 고용구조

∙ 황혜정(20181221) 「탈규모 시대의 제조업 lsquo플랫폼 비즈니스rsquo로 도약한다」 LG

경제연구원

∙ YTN(20200506) 일자리위 안전middot비대면 분야서 새로운 일자리 창출 노력

181참고문헌

∙ Agoda(20200729) Agoda shares quick ways to sustainably rediscover

the world through lsquoSlow Travelrsquo

∙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Employment(2017) Australia G20

Employment Plan 2017

∙ Australian Government(2019) Australian Jobs 2019

∙ Australian Government(2020) Employment outlook to May 2024

∙ BBC(20180527) First colleges to teach new vocational T-levels named

∙ Beale I Bloss C amp Thomas A(2005) The longer-term impact of the

New Deal for Young People Corporate Document Services

∙ Brčić D Slavulj M Šojat D amp Jurak J(2018) The role of Smart

Mobility in Smart Cities In 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ad and

Rail Infrastructure-CETRA 2018

∙ Brookfield Institute(2017) Future-proof Preparing Young Canadians for

the Future of Work

∙ California Workforce Development Board(2015) Californiarsquos Workforce

Development Plan

∙ DCMS(2016) Tourism Action Plan

∙ Department for Work amp Pensions(2015) 2010 to 2015 government policy

employment

∙ ESFA Digital(2019) Sign up to our new apprenticeship service webinar

programme

∙ Euromonitor International(2018) Megatrends shaping the future of travel

∙ Fidler D(2016) Work Interrupted The New Labor Economics of Platforms

Institute for the Future Palo Alto CA httpsworkablefuturesorg

publicationsreportswork-interruptedthe-new-labor-economics-of-platforms

∙ Forbes(20200507) Post Coronavirus Travel How Most Americans Want

To Holiday At Home

∙ FP(20200613) The Future of Travel After the Coronavirus Pandemic

∙ Gibson G OrsquoFaircheallaigh C amp MacDonald A(2008) Integrating Cultural

Impact Assessment into Development Planning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Impact Assessment Workshop) Fargo ND IAIA

∙ HM Government(2018) Industrial Strategy Tourism Sector Deal

18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 IAIA(2009) What is impact assessment Fargo ND IAIA

∙ Kevin BAuman and Cody Christensen(2018) Improving Skills Through

Americas Workforce Development System American Enterprise Institute

∙ Mackenzie Valley Review Board(2009) Status report and information

circular developing cultural impact assessment guidelines Yellowknife

Canada Mackenzie Valley Review Board

∙ OECD(2004) Job strategy

∙ OECD(2013) Local Job Creation How Employment and Training Agencies

Can Help US

∙ OECD(2017) Measuring Distance to the SDG Targets An assessment of

where OECD countries stand

∙ OECD(2020a) Employment Outlook 2020 Worker Security and the COVID-19

Crisis

∙ OECD(2020b) Good jobs all in a changing world of work

∙ OECD(2020c) OECD Tourism Trends and Policies 2020

∙ OECD(20200602) Tourism Policy Responses to the coronavirus (COVID-19)

∙ Oxford Economics(2020) The Impact of COVID 19 on the US Travel Economy

∙ PIXABILITY(2018) In-Flight Viewing

∙ Policy Study Institute(1992) The Restart Effect Evaluation of a Labour

Market Programme for Unemployed People

∙ Reed D Liu A Kleinman R Mastri A Reed D Sattar S Ziegler

J(2012) An effectiveness assessment and cost-benefit analysis of registered

apprenticeship in 10 states Oakland CA Mathematica Policy Research

∙ RSA(2013) Making at Home Owning Aborad

∙ Schmidt F A(2017) Digital labour markets in the platform economy

Friedrich-Ebert Stiftung Sokoler Alexander (2016)rsquoTegn paring lovbrud

Personer udlejer adskillige lejligheder paring Airbnbrsquo Fagbladet F 3

∙ The Conference Board of Canada(2005) The Ready-to-Work Program

Opening Doors to the Tourism Industry

∙ The Ontario Tourism Education Corporation(2013) Ontario Tourism Workforce

Development Strategy

∙ Tourism HR Canada(2018) Tourism HR Canada Strategic Plan 2019-2021

183참고문헌

∙ Travel Weekly(20200715) In new reality demand grows for boutique

hotels wellness experiences

∙ US Department of Labor(2018) FY 2018-2022 Strategic Plan

∙ UKCES(2014) The Future of Work Jobs and Skills in 2030

∙ UN(2020) Sustainaple Development Report 2020 The Sustainable Develo

pment Goals and Covid-19 - Includes the SDG Index and Dashboar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 UNWTO(2019) The Future of Work and Skills Development in Tourism

ndash Policy Paper UNWTO Madrid DOI httpsdoiorg10181119789284

421213

∙ UNWTO(2020) Cultural tourism amp COVID19

∙ US Department of Labor(2018) Recommendations to Improve the Nation

s Workforce and Labor Market Information system

∙ US Travel and Tourism Advisory Board(2019) Recommendation on Workforce

Development

∙ WEF(2018) The Future of Jobs Report 2018

∙ WEF(20200715) Top factors travellers will consider before planning

their next trip

∙ WEF(20200811) How are people holidaying after COVID-19 lockdowns

∙ WMO(2020) The Global Climate in 2015-2019

∙ みずほ総合研究所(2017)  アベノミクス5年と今後の政策課題

∙ 内閣官房(20176) まちひとしごと創生基本方針2017(概要版)

∙ 内閣官房(20186) まちひとしごと創生基本方針2018について

∙ 内閣官房(20196) 成長戦略フォローアップ

∙ 内閣府(200106) 「今後の経済財政運営及び経済社会の構造改革に関する基本方針」 につ

いて httpswww5caogojpkeizai-shimoncabinet20010626kakugikettei

pdf

∙ 内閣府(200206) 「経済財政運営及び経済社会の構造改革に関する基本方針2002」

httpswww5caogojpkeizai-shimoncabinet2002decision0625html

∙ 内閣府(200311) 構造改革評価報告書 httpswww5caogojpkeizai-shimon

minutes20031126item1pdf

18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 内閣府(200406) 経済財政運営と構造改革に関する基本方針2004 20221421610

jpkakugikettei2004040604kaikakupdf

∙ 内閣府(200912) 明日の安心と成長のための緊急経済対策 httpswwwmlitgo

jpcommon000055483pdfsearch

∙ 内閣府(201012) 新成長戦略 httpswwwkanteigojpjpsinseichousenrya

kusinseichou01pdf

∙ 内閣府(201211) 日本再生加速プログラム httpswww5caogojpkeizai1keizai

taisaku20121130_01taisakupdfsearch

∙ 大和總硏(201411) 人口減少時代の地方創生の鍵は雇用創出

∙ 首相官邸(20136) 日本再興戦略

∙ 首相官邸(2015) まちひとしごと創生基本方針2015

∙ 厚生労働省 重点分野雇用創造事業 httpswwwmhlwgojpbunyakoyou

chiiki-koyou3dljuuten_02pdf 2020613 열람

∙ 厚生労働省地域提案型雇用創造促進事業(パッケージ事業)事例集 httpswwwmhl

wgojpbunyakoyouchiiki-koyoupackage17indexhtml 2020613 열람

∙ 국가직무능력표준 홈페이지(httpsncsgokr)

∙ 관광두레 홈페이지(httpstourduremcstgokrhomehomeIndexdo)

∙ 미국 연방노동부 원 스톱 고용센터 홈페이지(httpswwwcareeronestoporgC

ompetencyModelcompetency-modelshospitalityaspx)

∙ 보건복지부 코로나19바이러스 인터넷 페이지(httpncovmohwgokrbaroVie

wdobrdId=4ampbrdGubun=41)

∙ 사이언스올 홈페이지(httpswwwscienceallcom)

∙ 세계경제포럼(WEF) 웹사이트(wwwweforumorgagenda202004occupatio

ns-highest-covid19-risk)

∙ 국 기상청 홈페이지(httpswwwmetofficegovukabout-uspress-office

newsweather-and-climate2020confirmation-that-2019-concludes-war

mest-decade-on-record)

∙ 국 프린스 트러스트 홈페이지(wwwprinces-trustorguk)

∙ 일자리위원회 홈페이지(httpwwwjobsgokr)

∙ 진로정보망 커리어넷 홈페이지(httpwwwcareergokr)

185참고문헌

∙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httpwwwcdcgokr)

∙ 캐나다 미래기술센터 홈페이지(httpsfsc-ccfcaengagefuture-skills-centre-ann

ounces-37-million-investment)

∙ 캐나다 인력관광공사 홈페이지(httptourismhrcaabout-usstrategic-plan)

∙ 한국엠씨엔협회 홈페이지(httpkmcnaorkr)

187ABSTRACT

ABSTRACT

Future Jobs and Policy Implications for the Tourism Industry

The tourism industry is based on human services and it is recognized as an

industry generating high economic vitality and job creation effects As the future

jobs in the tourism industry present the need for new competencies of manpower

entering the tourism labor market and the change and consolidation of competencies

of those who are currently engaged in the tourism industry future jobs can be a

method to fortify the driving force and competitiveness of the tourism industry

Consequently policy interest in future jobs for the growth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tourism industry is on the ris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environmental change in the tourism industry jobs draw the future job

prospect of the tourism industry and present measures to cope with future

functions

To this end this study reviewed cases to cope with social technical economic

job tourism and environmental changes as well as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licies Job shift support digital manpower cultivation and support policies for

youth employment are implemented abroad according to employment environment

diversification and digital shift acceleration Also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licies to maintain employment in the tourism industry according to the spread of

COVID-19 are promoted In reflection of the environmental change this study

presented promising fields and jobs in tourism within 5 years in the future The

top 10 promising job fields drawn in this study can be classified as follows ①

technology convergence field ② specialization and segmentation field according to

tourism demand diversification and ③ small-scale travel increase fields due to

18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increase in travel safety recognition

When synthesizing all these circumstance changes direct and indirect support

policy is needed for active coping with environmental changes fostering digital

convergence specialized fields coping with the COVID-19 and job infrastructure

reinforcement in order to nurture future tourism jobs

First it is necessary to foster digital convergence tourism manpower Due to the

digitization of the entire industry digital capabilities will not be an option but an

essential element for the tourism industry For this the government should lay a

foundation for preliminary manpower education in the digital field education and

training in the digital convergence field which has a high pot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existing tourist manpower

For future tourism industry jobs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tourism manpower

in specialized fields and to create jobs in response to the COVID-19 Jobs grow

as the industry grows Therefore according to the trend of specialization and

subdivision of the tourism industry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related

to this and to prepare a foundation for revitalization of startups and founding in

new fields

In order to increase the number of jobs in the tourism industry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statistics and information on future jobs and to regularly analyze

the supply and demand of manpower This is because the provision of statistics and

information on necessary tourism jobs is necessary information for job seekers and the

outlook for the supply and demand of future jobs provides basic information on the

field of manpower required in the future and job transition policies

In addition constant policy efforts and communication between public institutions

industries and academia for future tourism jobs should be strengthened

Keywords

Tourism Future Jobs Future Jobs Tourism Jobs Tourism Employment

부록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191부록

【부록1】 전문가 의견 조사지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1차 전문가 설문 조사

안녕하십니까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은 현재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는 향후 2021~2025년 동안 우리나라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를 위

한 정책 대응방향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이에 본 조사는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여건 및 미래 일자리 후보군을 조사하고자 합니다

귀하의 응답결과는 통계법 제33조(비밀의 보호) 제34조(통계종사자 등의

의무)에 따라 오직 연구 목적을 위해 이용됩니다 바쁘시겠지만 귀한 시간 내

주시어 답변 부탁드립니다 약 10분 정도 소요될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

문의처

회송방법

조사기관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김덕기 선임연구위원 한희정 연구원)

조사담당 한희정 연구원 ( 02-2669-8944 e-mail hjhankctirekr)

회송방법 이메일(hjhankctirekr)로 송부

설문에 응해주신 분께는 답례품을 보내드리고자 하오니 기재하여 주십시오

성명휴대폰 연락처

(모바일 상품권 발송)

소속기관 직위

19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여건

문1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방향 수립 시 관광산업 일자리를 둘러싼 환경변화

중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것은 무엇입니까(예시는 참고일 뿐 주요 환경변화

내용을 자유롭게 기술)

분야 참고 환경변화 내용

관광(관광소비 및 산업 변화)

- (관광객 소비 문화) 소확행 가심비 트렌드 확산(호캉스 스

테이케이션 등)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 부상 일상에서 만

나는 비일상여행(생활관광) 경험소비 누구나 즐기는 여행

관광시민 비대면 관광지 선호

(작성)

- (관광 산업) 여행업 변화(OTA 확산 플랫폼 비즈니스 진화

등) 숙박업 변화(공유숙박업 등) 스마트 기술 관광 접목 증

대 관광체험 영역 확산(농어촌 체험) 융복합 강화(해양관광

웰니스관광 교육관광 농촌관광 등) 비대면 기술 확산 등

(작성)

사회(인구구조 및

노동인구 변화)

- (인구구조) 생산연령인구 감소 고령화 1인 가구 증가 지

방 인구 감소로 지방소멸위험지역 증대 국가 간 이동 및 다

문화 증가

- (사회인식) 여가시간 증대 및 워라밸 추구

(작성)

기술(과학기술

발전)

-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 가속화(인공지능 5G 증강현실

로봇 빅데이터 등) 모바일과 플랫폼 비즈니스의 진화 (작성)

생태환경(환경과 에너지)

- 코로나19 전염병 등 위기관리 및 안전 관심 증가 청정 환

경 관심 증가

-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현상 및 자연현상 증가 기후변화 대

응 노력 확대 친환경 인식 제고

- 지속가능발전 투자와 활동 확대

(작성)

정치(법제도 및 정부 정책)

- 남북교류 활성화 DMZ 관광

- 도시재생 사업 혁신 정책 (작성)

일자리 환경(산업특성 및

산업구조 변화)

- (기업문화) 기업 직장에서 직업 매개체로의 변화

- (고용환경) 일자리 양극화와 데이터 기반 인적관리 강화

- (산업구조) 자기고용과 창조서비스업의 증가

- (노동환경) 언제 어디서나 일할 수 있는 유연한 업무 환경

프리랜서 증대

- (직무) 직무의 전문화 세분화 융복합화

(작성)

기타 (작성)

193부록

관광산업 유망 분야 및 유망 일자리

문2 환경변화를 바탕으로 관광 관련 유망 분야와 관련된 일자리는 무엇이라고 생

각하십니까(예시는 참고일 뿐 유망 일자리 분야 일자리를 자유롭게 기술)

구분(참고) 관광관련 유망

분야 (참고) 관광 유망 일자리

후보군(직업)관광관련유망 분야

관광 유망 일자리(직업)

관광(관광소비 및 산업 변화)

- 생활관광

- 관광 미디어 콘텐츠

- 관광플랫폼(공유숙박

OTA 여행관련 콘텐

츠 등)

- 해양관광 웰니스관

광 교육관광 농촌관

광 등

- 공정여행

- 전통시장 해설가 관광

스토리텔러 현지 전문

맞춤 가이드

- 관광 미디어 콘텐츠 크

리에이터(여행 유튜버

여행 작가 여행 인플러

언서 등)

- 공유숙박 코디네이터

공유숙소 관리 전문가

- 공정여행 기획가

(작성) (작성)

사회(인구구조 및

노동인구 변화)

- 아동 및 실버 취약계

층 관련 여행

나홀로 여행(혼행)

- 수학여행기획가 수학여

행인솔자

- 실버여행기획가 및 여행

인솔자

- 장애인middot반려동물 동반

여행 인솔자

(작성) (작성)

기술(과학기술

발전)

- 관광 빅데이터

- AI VR 5G 관련 관

광활용기술 개발 및

서비스 디자인

- 관광 서비스 로봇 기

획자

- 관광 빅데이터 분석가

- 관광 기술 경험 디자이

(작성) (작성)

생태환경(환경과 에너지)

- 재난 전염병 등 위기

관련 대응

- 생태관광 친환경 관

광 대안 관광

- 관광 안전 분석가 및 예

보관 (작성) (작성)

정치(법제도 및 정부 정책)

- 도시재생관련 관광콘

텐츠 평화관광

- 한류관광

- 평화관광해설가

- 한류관광기획가(작성) (작성)

기타 (작성) (작성)

19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2차 전문가 설문 조사

안녕하십니까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국책연구기관인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은 현재 「관광산업

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는 향후 2021~2025년 동안 우리나라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를 위

한 정책 대응방향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이에 본 조사는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에 대한 전망 및 대응방향에 대해 전문가 의견을 조사하고자 합니다

귀하의 응답결과는 통계법 제33조(비밀의 보호) 제34조(통계종사자 등의 의

무)에 따라 오직 연구 목적을 위해 이용됩니다 바쁘시겠지만 귀한 시간 내주시

어 답변 부탁드립니다 이 조사는 약 10분 정도 소요될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

문의처

회송방법

조사기관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김덕기 선임연구위원 한희정 연구원)

조사담당 한희정 연구원 ( 02-2669-8944 e-mail hjhankctirekr)

회송방법 이메일(hjhankctirekr)로 송부

설문에 응해주신 분께는 답례품을 보내드리고자 하오니 기재하여 주십시오

성명휴대폰 연락처

(모바일 상품권 발송)

소속기관 직위

195부록

관광산업 미래 유망 일자리 도출

다음은 제1차 전문가 설문 조사에서 도출된 관광산업 미래 유망일자리 후보군

입니다 각 일자리에 대해 귀하의 의견을 응답해 주시기 바랍니다

유망 분야 유망 일자리 후보군

5년 내 성장 가능성 일자리 발생 시기

낮음 harr 보통 harr 높음단기(3년 이내)

중기(4년-6년)

장기(7년

-10년)

맞춤형 관광 - 여행 컨셉 기획가(맞춤형 관광 컨설턴트)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해양관광 레저스포츠관광- 레포츠관광 전문 가이드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해양치유사 해양관광 전문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관광시민(관광객으로서의

역할 중요)- 관광운동전문가(지속가능성 관광시민관련 등)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관광 미디어 콘텐츠

(사진 영상)

- 관광 사진영상 작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관광콘텐츠크리에이터(여행작가 여행유튜버)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관광 콘텐츠 기획 제작 유통 전문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여행영상 편집 지도사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관광 콘텐츠 개발자 문화콘텐츠 전문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생활관광 - 생활관광 스토리텔러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아동- 아동 여행 콘텐츠 개발자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아동 여행 가이드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취약계층 관련 여행 - 여행복지사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지역 교류 관광 공감- 지역관광교류전문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관광인문학자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소그룹 여행 - 소규모 관광 가이드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소규모 단체여행 기획 및 인솔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캠핑 관광 - 캠핑관광 용품 대여업 운영자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지역 전문 관광

- 현지전문 맞춤 가이드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지역 관광 크리에이터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지역관광추진조직(DMO) 코디네이터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치유관광 웰니스 관광

의료관광

- 치유관광 운영자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농촌 치유관광 전문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의료관광 기획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농촌관광- 농촌관광 전문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교육농장 및 진로체험농장 전문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예술관광- 예술관광 기획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예술관광 가이드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산업관광 - 산업관광기획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역사관광- 역사관광기획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역사관광해설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19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유망 분야 유망 일자리 후보군

5년 내 성장 가능성 일자리 발생 시기

낮음 harr 보통 harr 높음단기(3년 이내)

중기(4년-6년)

장기(7년

-10년)

관광 플랫폼 OTA

공유경제시장 발전

- OTA 리스팅 전문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관광 플랫폼 코디네이터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관광 플랫폼 디자이너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관광 플랫폼 운영자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스마트 관광 - 스마트 관광 경험 디자이너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신 관광비즈니스 창출 - 관광창업 전문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실버관광 요양관광- 실버 여행 콘텐츠 개발자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실버 여행 가이드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나홀로 여행 - 나홀로 여행 컨설턴트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반려동물동반여행 - 반려동물여행 시설 운영자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교육여행- 교육(학습) 관광 기획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자유학기제 진로체험 전문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빅데이터 분석 및 개인화

- 관광 빅데이터 분석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관광 빅데이터 처리 엔지니어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관광 시스템 프로그램 전문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가상현실 드론

영상 이용 여행 콘텐츠- 가상현실 체험 콘텐츠 크리에이터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모빌리티 - 관광 교통 대여업자(전동킥보드 공유차량 등)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AI기반 로봇 활용 증가 - 관광 서비스 로봇 콘텐츠 개발자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관광 서비스 로봇 관리자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관광 어트랙션 구독

서비스 제공 - 관광 어트랙션 구독 기획가 및 운영자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생태친환경 관광- 생태관광 인솔자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숲 해설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여행 안전관리

- 숙박시설 방역전문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관광안전여행 인솔자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관광안전여행 컨설턴트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관광안전여행 기획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남북관광 평화관광- 북한관광기획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평화관광해설사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도시재생- 도시재생 관광기획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도시재생 관광해설가 스토리텔러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융복합 관광 한류관광 - 한류문화 관광 콘텐츠 기획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기타

- 관광 고용 컨설턴트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우주여행 기획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자원봉사여행 기획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관광법규 전문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197부록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방향

본 설문조사에서 제시하고 있는 대응 방향은 문헌연구 전문가자문 업계 간

담회 내부 업무협의 등을 거쳐 현재 검토 중인 방향(안)입니다 전문가 및 업계

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반영할 계획이오니 많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관광산업 미래 유망일자리 정책 대응 방향 및 대응 방안에 대해 응답해 주시기

바랍니다

정책 대응 방향정책 대응 필요성

정책 대응 방안 낮음 harr 보통 harr 높음

역량강화

관광 유망 분야 인력 양성(교육 훈련) ① ② ③ ④ ⑤

관광 종사자 역량 강화 ① ② ③ ④ ⑤

미래 일자리 국가자격제도화 ① ② ③ ④ ⑤

성장환경 조성

창업middot창직 활성화 ① ② ③ ④ ⑤

지역기반 관광 일자리 창출 ① ② ③ ④ ⑤

인프라 강화

인력수요공급 예측 강화 ① ② ③ ④ ⑤

관광 미래 일자리 협의체계 구축(관산학) ① ② ③ ④ ⑤

관광 미래 일자리 정보제공 활성화 ① ② ③ ④ ⑤

관광상품 인력 매칭 플랫폼 구축 ① ② ③ ④ ⑤

법 제도 개선

1인 기업 프리랜서 활동 지원 제도

마련① ② ③ ④ ⑤

기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19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귀하가 관광산업의 미래 관광일자리 창출과 관련하여 하시고 싶은 말씀이 있

으시면 자유롭게 기술해 주세요

설문에 응답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광산

업의

미래

일자

리 전

망과

대응

방향

」 전

문가

설문

조사

안녕

하십

니까

문화

체육

관광

부 산

하 국

책연

구기

관인

한국

문화

관광

연구

원은

현재

「관

광산

업의

미래

일자

리 전

망과

대응

방향

」을 수

행하

고 있

습니

본 연

구는

향후

202

1~20

25년

동안

우리

나라

관광

산업

의 미

래 일

자리

를 위

한 정

책 대

응방

향을

제시

하고

자 합

니다

에 본

조사

는 관

광산

업 일

자리

전망

및 대

응방

향에

대해

전문

가 의

견을

조사

하고

자 합

니다

귀하

의 응

답결

과는

통계

법 제

33조

(비밀

의 보

호) 제

34조

(통계

종사

자 등

의 의

무)에

따라

오직

연구

목적

을 위

해 이

용됩

니다

시겠

지만

한 시

간 내

주시

어 답

변 부

탁드

립니

이 조

사는

약 5

분 정

도 소

요될

예정

입니

감사

합니

문의

조사

기관

국문

화관

광연

구원

(김

덕기

선임

연구

위원

희정

연구

원)

사담

한희

정 연

구원

(

02-

2669

-89

44 e

-m

ail

hjha

nkc

tir

ekr

)

문에

응해

주신

분께

는 답

례품

을 보

내드

리고

자 하

오니

기재

하여

주십

시오

성명

휴대

폰 연

락처

(모바

일 상

품권

발송

)

소속

기관

직위

199부록

광산

업 종

사자

전망

광산

업 종

사자

수 관

련 증

감에

대해

귀하

의 의

견과

가장

가까

운 의

견을

표기

부탁

드립

니다

lt종사

자 증

감 정

도 작

성 예

시gt

+ 2

0

-

20

로 작

성 부

탁드

립니

(아래

에 제

시된

종사

자 수

(lsquo14

년-rsquo1

8년 자

료)와

코로

나 1

9로 인

한 관

광시

장 변

화도

참조

부탁

드립

니다

)

(세

계 관

광시

장)lsquo20

년 상

반기

국제

여행

수요

의 감

소로

해외

입국

자 4

억 4

천만

명 감

약 4

600

억 달

러의

수출

수익

감소

(UN

WTO

)

-

국제

관광

측면

에서

rsquo19

년 수

준으

로 회

복하

는 데

는 2

~4년

이 걸

릴 것

으로

전망

[2020년

국제

관광

객 전

망]

[2019년

대비

국제

관광

객 수

변화

]

자료

U

NW

TO(2

020)

W

orld

Tou

rism

Bar

omet

er

18(5

)

(국

내 관

광시

장 전

망)

코로

나19

의 전

세계

적 유

행으

로 국

가별

입국

금지

조치

공편

대복

감소

회적

거리

두기

실시

등 국

내관

광 시

장회

복 더

딜 예

[방한

외래

관광

객 현

황]

[2020년

주요

관광

지점

입장

객 현

황]

자료

국문

화관

광연

구원

로나

19 이

후 6

개월

화middot관

광분

야 영

문화

관광

인사

이트

20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lt주요

변화

키워

드 예

시gt

화의

주요

요인

의 예

시는

다음

과 같

습니

예시

는 참

고사

항일

주요

변화

요인

을 자

유롭

게 기

술 부

탁드

립니

구분

주요

변화

키워

드 예

시구

분주

요 변

화 키

워드

예시

관광

렌드

변화

-가

치지

향 여

행 소

비(소

확행

심비

트렌

드 확

산)

경험

소비

-관

광시

민(관

광객

으로

서의

역할

중요

)

-밀

레니

얼 세

대와

Z세

대 부

상(관

광 정

보 S

NS 공

유)

-일

상에

서 만

나는

비일

상여

행(생

활여

한달

살기

) 근

거리

여행

-누

구나

즐기

는 여

행(생

애주

기 여

무장

애 여

행 등

)

-소

규모

중심

의 여

행 활

성화

-국

내 여

행 소

비 확

-특

수목

적관

광 또

는 특

별관

심관

광의

활성

-플

랫폼

비즈

니스

유경

글로

벌 O

TA의

발전

과 확

-스

마트

기술

기반

의 관

광활

동 증

비대

면 관

광 서

비스

확산

-모

바일

과 여

행 플

랫폼

비즈

니스

의 진

사회

-고

령화

및 대

규모

은퇴

자 증

-가

족 형

태의

다양

화(1

인가

반려

동물

동반

가구

문화

)

기술

-4차

산업

혁명

관련

기술

가속

화 및

활용

증가

-기

술 도

입으

로 인

한 무

인화

동화

확산

-구

독 경

제 활

성화

(정기

배송

탈진

화형

모델

등)

생태

환경

-친

환경

관심

증가

재생

에너

지middot친

환경

교통

수단

활용

증가

-재

난 증

전염

병 확

산(코

로나

19)

등에

따른

안전

관리

기관

리관

심 증

정치

-남

북교

류 활

성화

D

MZ

관광

-도

시재

생 사

혁신

정책

처별

융복

합 사

업 확

구분

종사

자 수

(명)

종사

자 증

감 정

도(향

후 5

년간

화)

변화

의 주

요 요

인14년

15년

16년

17년

18년

연평

균증

감5년

작성

예시

( + 1

0 또

는-10

)

자동

무인

여행

일반

여행

(국내

middot외여

행업

포함

)48

371

531

6160

730

737

8369

055

93

428

(

)

국외

여행

업10

551

130

2515

517

165

6315

868

107

50

4

( )

국내

여행

업10

478

183

7122

173

168

6314

154

78

351

(

)

관광

숙박

관광

호텔

업49

782

496

1749

896

500

3548

415

-0

7-2

7

( )

기타

호텔

업3

107

346

44

196

463

25

857

172

88

5

( )

휴양

콘도

미니

엄업

145

7617

224

195

3817

102

156

541

87

4(

)

201부록

구분

종사

자 수

(명)

종사

자 증

감 정

도(향

후 5

년간

화)

변화

의 주

요 요

인14년

15년

16년

17년

18년

연평

균증

감5년

작성

예시

( 10

)

무인

및 자

동화

구구

조 변

관광

이용

시설

전문

및 종

합휴

양업

874

85

494

609

88

076

745

3-3

9

-14

8(

)

일반

야영

장업

- 

350

46

456

115

449

088

374

15

94

( )

자동

차야

영장

업98

31

232

175

72

307

255

927

0

160

3(

)

관광

유람

선업

707

568

403

568

680

-10

-3

8(

)

관광

공연

장업

232

268

8983

70-25

9

-69

8(

)

외국

인관

광 도

시민

박업

--

262

02

957

330

512

3

261

(

)

한옥

체험

업2

395

250

72

772

277

63

334

86

392

(

)

국제

회의

국제

회의

시설

업93

548

862

272

268

1-7

6

-27

2(

)

국제

회의

기획

업16

395

146

4311

974

114

448

419

-15

4

-48

6(

)

카지

노업

893

19

418

911

57

033

733

0-4

8

-17

9(

)

유원

시설

종합

및 일

반유

원시

설업

(안전

성검

사 대

상업

종)

253

2624

061

210

8918

477

157

49-11

2

-37

8(

)

기타

유원

시설

(안전

성검

사 미

대상

업종

)1

489

239

26

637

769

29

286

580

52

36

( )

관광

편의

시설

관광

유흥

음식

점업

103

712

718

417

311

4-42

4

-89

0(

)

관광

극장

유흥

업4

486

299

92

686

365

93

179

-83

-2

91

( )

국인

전용

유흥

음식

점업

253

62

565

191

71

929

162

7-10

5

-35

8(

)

관광

식당

업24

113

151

5916

846

169

8820

306

-42

-1

58

( )

관광

순환

버스

업67

177

098

510

7799

110

2

477

(

)

관광

사진

업93

7710

658

45-16

6

-51

6(

)

여객

자동

차터

미널

시설

업15

618

6062

70-18

2

-55

1(

)

관광

펜션

업1

305

122

01

096

124

11

643

59

259

(

)

관광

궤도

업1

127

148

193

243

262

-30

6

-76

8(

)

관광

면세

업1

588

231

226

579

21

215

-65

-2

35

( )

20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광산

업 미

래 일

자리

대응

방향

음은

문헌

연구

문가

자문

계 간

담회

부 업

무협

의 등

을 거

쳐 현

재 검

토 중

인 5

년간

관광

분야

유망

일자

리입

니다

일자

리에

서 필

요한

정책

대응

방안

에 대

한 의

견을

부탁

드립

니다

문가

및 업

계의

다양

한 의

견을

수렴

하여

반할

계획

이오

많은

의견

부탁

드립

니다

lt일자

리 대

응 방

향 예

시gt

량 강

예비

인력

양성

광 종

사자

역량

강화

장 환

경 조

관련

분야

창업

직 활

성화

역기

반 일

자리

창출

지원

학연

연계

실습

프로

그램

프라

강화

보제

공 활

성화

구분

유망

일자

리정

책 대

응 방

작성

예시

예비

인력

교육

및 훈

종사

자 역

량 강

일자

리 정

보제

공 등

빅데

이터

분석

관광

빅데

이터

분석

처리

엔지

니어

관광

시스

템 프

로그

램 전

문가

관광

미디

어 콘

텐츠

(사진

상)

관광

콘텐

츠크

리에

이터

(여행

작가

행유

튜버

)

관광

콘텐

츠 기

제작

통 전

문가

관광

플랫

폼관

광 플

랫폼

디자

이너

관광

플랫

폼 코

디네

이터

영자

OTA

리스

팅 전

문가

관광

모빌

리티

관광

교통

대여

업자

(개인

전동

이동

수단

유차

량 등

)

지역

전문

관광

지역

관광

추진

조직

(DM

O)

코디

네이

지역

관광

크리

에이

실버

여행

실버

여행

콘텐

츠 개

발자

실버

여행

가이

드소

그룹

여행

규모

관광

가이

반려

동물

동반

여행

반려

동물

여행

시설

운영

자스

몰럭

셔리

관광

여행

컨셉

기획

가(맞

춤형

관광

컨설

턴트

)

여행

안전

관리

숙박

시설

방역

전문

203부록

하가

관광

산업

의 미

래 관

광일

자리

창출

과 관

련하

여 하

시고

싶은

말씀

이 있

으시

면 자

유롭

게 기

술해

주세

문에

응답

해 주

셔서

감사

합니

20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집필내역

연구책임

한희정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원 제1장 제2장 일부분 제3-5장 연구총괄

공동연구

김덕기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제1장 제3장 제4장

박가열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위원 제2장 제 2절 환경변화

원고자문

오미숙 순천향대학교 교수 제2장 제 3절 일본 일자리 정책

윤아영 경희대학교 객원교수 제2장 제 3절 호주 일자리 정책

전재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선임연구위원 제2장 제 3절 국내 일자리 정책

최환석 University of Guelph 교수 제2장 제 3절 북미 일자리 정책

황주영 부산대학교 연구교수 제2장 제 3절 영국 일자리 정책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발행인 김 대 관

발행처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서울시 강서구 금낭화로 154

전화 02-2669-9800 팩스 02-2669-9880

httpwwwkctirekr

인쇄일 2020년 12월 18일

발행일 2020년 12월 18일

인쇄인 (사)한국장애인이워크협회 일자리사업장

I S B N 978-89-6035-839-3 93300

DOI httpsdoiorg1016937kctirep2020e30

연구책임

한희정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원

공동연구

김덕기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박가열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위원

연구개요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iii연구개요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는 현재 선도적인 경제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최근

제조업의 부진 서비스업과 중소기업의 생산성 정체 코로나19로 인한 사회

적middot경제적 위기 등에서 일자리 창출 및 고용 유지가 어려운 상황에 있음

- 일자리 창출은 지속적 성장을 도모함과 동시에 모든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의

바탕임 또한 일자리 창출은 사회안전망 강화와 선진 국가로의 도약을 위

한 중요 과제로 여겨지고 있음

한편 관광 트렌드의 변화 기술발전 미디어 플랫폼 환경 변화 온디맨드 경제

활성화 코로나19의 전 세계적 확산 등에 따라 관광산업을 둘러싼 환경 변화

가 시작되고 있음 이러한 관광산업 환경과 노동의 변화로 관광산업의 일자리

변화가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 WTO의 G20 오사카 지도자 선언에서는 관광산업의 세계 경제 성장의 중

요성을 기반으로 지속가능한 관광발전을 비롯해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

한 노력을 강조하고 있음

관광산업은 경제 활력 제고와 일자리 창출 효과가 높은 산업으로 인지되고 있

으며 관광산업 경쟁력도 미래 일자리와 필수불가결한 관계이므로 미래 일자

리 대응 전략이 필요함

- 미래 일자리는 산업 경쟁력의 기반이며 새로운 직업과 일자리는 일자리 문

제 극복을 위한 방법 중의 하나로 고려되기 때문에 새로운 직업과 일자리를

발굴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을 지속하고 있음

특히 관광산업은 인적 서비스를 바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미래 일자리는 관광

산업 내 혁신의 원동력이며 경쟁력 강화의 주요 수단이 됨 이에 관광산업 규모의

성장과 동시에 관광산업 발전 지속을 위해 미래 일자리에 대한 정책 수립이 요구됨

이에 본 연구는 관광산업 일자리를 둘러싼 환경변화를 분석하고 관광산업 미

래 일자리 유망분야를 도출하여 대응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음

iv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12 연구 범위 및 방법

가 연구 범위

본 연구는 일자리와 관련한 거시환경 변화 분석을 토대로 향후 5년간 미래

일자리 유망 분야 도출 및 정책 대응방향 제시에 목적을 두고 있음 또한 본

연구에서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는 lsquo향후 5년 내에 관광 및 연관 산업에서

생계를 꾸려 나갈 수 있는 수단으로서의 유망 직업rsquo으로 정의함

본 연구는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분석 관광산업에서의

미래 일자리 유망 분야 도출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제시를 내용적

범위로 포함함

나 연구 방법

본 연구는 관련 통계 자료 문헌 및 사례 분석 전문가 의견 조사 자문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함

2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21 관광산업 일자리 현황 및 특성

가 관광산업 일자리 현황

관광산업 인력은 공급과 수요 측면에서 볼 때 관광 및 타 분야와 관련된 정규

비정규 교육기관 및 자격제도를 통해 관광산업에 입직하고 있음

관광사업체는 2009년 이후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관

광종사원 추이도 관광사업체 종사자수 추세를 반 하듯 증가를 보이다 2018

년 하락한 것으로 나타남 관광사업체 1개소 평균 종사자는 2009년 132명에

서 2018년 80명으로 감소함

v연구개요

관광산업 업종별 고용 규모를 살펴보면 관광사업체 전체 종사자 수는 2009년

이래로 연평균 증가율이 52로 나타났으며 최근 5년간 관광사업체 종사자

수의 연평균 증가율에서 국제회의업 카지노업 관광편의시설업이 각각 -149

-48 -46로 나타남

나 관광산업 일자리 특성

1) 일반적 특성

(임시 및 일용직의 높은 비중) 관광사업체 종사자 수의 157가 임시 및 일용

근로자로 나타났으며 업종 중 유원시설업과 관광객이용시설업이 비중이 높음

(숙박업의 낮은 월평균 임금) 2020년 6월 기준 스포츠 및 오락과 숙박업의

임금 총액은 전체 산업과 문화체육관광산업의 임금 총액보다 낮게 나타남

(최근 신규 채용자 감소와 이직자 수의 중가) 관광사업체의 신규 채용자 수는

2016년 증가세를 보이다가 2018년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며 이직자 수는

2016년 이후 3만 명 이상인 것으로 나타남

(일자리 증감의 높은 비율) 숙박 및 음식점업은 신규 일자리 비율이 20이며

일자리 증감에 있어서 가장 높게 나타남

2) 관광관련 직업군 현황 및 특성

① 코로나19 후 관광 직종 종사자의 구인과 채용의 감소

관광분야와 관련해서 여행 서비스 오락시설 관련 종사자는 구인인원과 채용

인원 채용인원 계획에 있어서 2019년 상반기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② 2년 미만 경력 종사자의 미충원 발생

여행 서비스 숙박시설 서비스 오락시설 서비스 관련 미충원인원에서 대부분

2년 미만의 현장경력을 보유한 인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남 특히 여행 서비

스에서 2020년 상반기의 미충원인원은 코로나19의 여파로 크게 감소한 것으

로 나타남

vi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다 관광 일자리의 변화

관광분야 일자리는 자동화 세분화 및 특화 업무 단위의 노동계약 증가 가치

사슬의 변화 등을 통해 그 양상이 변화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 특히 기술 발전과 사회 전반에서의 기술 활용 증가에 따라 관광 업무 시

AI 빅데이터 등 기술 활용 비율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이러한 변화에 따라 관광산업에서는 데이터 분석 AI 활용 등의 기술 분야

와 판매 및 마케팅 상품 관리 브랜드 관리 등과 관련한 분야에서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반면 무인화 및 자동화로 회계 재고 관리

등의 분야는 기술로 대체될 가능성이 높아 관련 일자리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본 연구에서 실시한 향후 5년 내 관광사업체 세부업종별 일자리 전망에 대한

전문가 의견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음

- 증가가 예상되는 업종은 자동차야 장업 일반야 장업 기타유원시설업

관광순환버스업 관광펜션업 한옥체험업으로 나타났고 감소가 전망되는

업종은 여행업(일반여행업 국외여행업) 유원시설업(종합 및 일반유원시설

업) 카지노업 국제회의업 관광편의시설업(관광면세업 관광식당업 등)

관광객이용시설업(관광유람선업) 관광호텔업으로 나타남

- 증가의 원인은 코로나19로 인한 자연공간 선호 국내여행 및 지역관광 활성

화 등이며 감소의 향 요인은 코로나19로 인한 단체관광 감소 외국인 관

광객 감소 자동화 및 무인화 관광객 수요 감소 등으로 나타남

또한 관광상품과 서비스 유통이 플랫폼 기반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관광자원

도 관광의 역에서 일상의 역으로 확대되고 있음 이에 따라 관광산업 관

련 일자리도 기존 관광사업체 외에 새로운 관광 비즈니스 사업체가 출현함

vii연구개요

22 미래 일자리 환경

본 연구는 미래 일자리 환경 변화와 미래 이슈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종합

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일자리 환경 변화의 결과 요인인 경제적 요인을 제외한

사회 기술 생태 환경 및 정치(정책) 및 제도적 요인과 더불어 관광환경 요인

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음

구분 내용

사회환경 변화

- (인구구조) 세계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우리나라는 향후 50년 동안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특히 우리나라는 생산연령인구의 지속적인 감소와 고령 인구비중의 증가가 전망됨

- (여가 시간 변화) 2016년 이래로 증가하고 있으며 일을 우선시하는 사회에서 워라밸을 중

요하시는 사회로 변화하고 있음

기술환경 변화

- (해외) 최근 미래유망기술은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로봇공학 3D 프린팅 가상현실 사이버

보안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 자율주행 운송 수단으로 나타남

- (국내) 실용성에 중심을 둔 에너지 스마트 3D 지능형 자동 차세대 정보 고효율 실시

간 환경 등이 중요한 미래유망기술로 나타남

생태환경 변화

-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 코로나 바이러스의 영향으로 전세계 실업자가 증가하고 있

으며 이에 따라 관광산업을 비롯해 기업과 경제 전체에 부정적인 영향이 클 것으로 전망되

고 있음

- (기후 변화) 지구온난화로 대표되는 기후변화는 생태계의 지속 가능한 생존과 일상생활은

물론이고 우리들의 관광과 문화와 관련된 직업 활동에도 도전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음

정치middot제도

환경 변화

-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에 따른 개인 여가 시간 증가 및 장기 휴가

분위기 정착이 예상됨

- (도시재생 뉴딜 사업) 관광분야에서는 구도심이 보유한 역사 근대건축물 시장 골목 폐공

장 창고 등이 새로운 공간으로 가치를 재창출하고 있음

- (남북 관계 변화 등) 2018년 2월 북한의 평창 동계올림픽 참가를 계기로 긍정적 분위기가

조성되었으나 북한의 미사일 발사시험 대북전단 살포 문제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등

남북관계 경색이 지속되고 있음

일자리 환경

변화

- (코로나19 이전) 개인 직업관의 변화 일자리의 양극화 1인 기업의 증가 유연한 업무환경

등의 변화가 예상됨

- (코로나19 이후) 이동이 제한되면서 재택근무제 유연근무제는 확산되고 있으며 코로나19

여파로 노동시장의 위축이 장기화되고 있음

관광환경 변화

- (관광시장) 밀레니얼 Z세대 뉴시니어 등 다양한 세대가 트렌드 변화를 주도하고 방한 인바

운드 시장의 다양화와 세분화가 전망됨

- (관광산업) 플랫폼 비즈니스 AI 관광 관광공유경제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비즈니스의

성장이 전망됨

- (관광자원) 기존 관광지가 아닌 지역주민의 일상 공간으로의 관광객 수용가 증대되고 있음

- (코로나19로 인한 영향) 국내 여행 수요 및 관광안전 인식 증가 온라인 전환 가속화 및

관광인력 배치의 재정비 등의 변화가 나타남

lt표 1gt 미래 일자리 환경 변화

viii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23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가 국내 정책 동향

국내 미래 일자리 창출 정책은 ① 인구구조 변화 대응 ② 디지털 전환 대응

③ 코로나19 이후 새로운 패러다임 대응으로 구분지어 살펴볼 수 있음

구분 내용

인구구조 변화 대응

- 고령자 일자리 재취업 창업 농어촌 귀한 사회공헌 등

- 여성 일자리 출산 및 육아 일자리 양성평등 재취업 기반 확대 등

- 청년과 중장년 근로자 일자리 질 개선 생산성 향상

디지털 전환 대응

- 기존 일자리 유지 주력산업 중심 제조업 변혁(스마트화 신산업 주력산업

산업생태계 개편 정부 역할 강화(투자 혁신 지원)

- 신산업 일자리 25개 분야 100대 핵심 기술개발 투자

- 인적자원 역량 강화 교육훈련 기회 혁신선도 산업수요 대응

코로나19 이후

새로운 패러다임 대응

- 디지털 뉴딜 DNA(Data-Network-AI) 생태계 강화 교육인프라 디지털

전환 비대면 산업 육성 사회간접자본(SOC) 디지털화

- 그린 뉴딜 도시middot공간middot생활 인프라 녹색 전환 저탄소middot분산형 에니지 확산

녹색산업 혁신생태계 구축

-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middot사회안전망 확충 디지털middot그린 인재양성 등 사람투자

lt표 2gt 국내 미래 일자리 창출 정책

문화체육관광부의 관광 일자리 정책은 주로 예비 종사자와 종사원 역량 강화

에 초점을 두고 추진 중임

- 미래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관광사업 창업지원 및 벤처 육성 지원을 추진

하고 있으며 최근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관광업계 피해가 증가함에 따

라 문화체육관광부는 관광산업의 지역소비 여력 확충과 더불어 고용 유지

지원을 위해서 고용 유지 지원금 지원 요건을 완화하여 시행하고 있음

구분 내용

고용유지지원금 - 코로나19 피해기업에 대한 고용유지지원금 지원요건 완화 시행(129일~)

교육지원

- 재정비 기간 중 관광업계 종사원 교육 지원 추진

lsquo찾아가는 호텔교육(rsquo20년 신규 100개소)rsquo lsquo마이스전문가 양성 교육(300명)rsquo

lsquo유원시설 안전관리자 교육(100명)rsquo 등 조기추진(3월~)

자료 관계부처합동(20200217) 코로나19 대응 관광middot외식업 긴급 지원방안

lt표 3gt 코로나19 대응 관광산업 고용유지지원 정책

ix연구개요

나 해외 정책 동향

주요국은 관광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책으로 지역 인재 양성 관련 지원 직무

및 자격제도 현장 실습 강화 등을 추진하고 있음

미래 일자리와 관련해서는 미래 인력과 관련된 정보 제공 디지털 융합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 디지털 전환 교육 등과 관련된 정책을 추진 중임

구분 내용

일본

- 지역고용창출과 관련한 사업 추진(예 지역활성화고용창조 프로젝트)

- 지역제안형 고용창조촉진사업 가이드나 서비스 인력 등의 인력양성 및 연수 등 추진

- 중점분야고용창조사업 가이드 관광객 편의서비스 지원인력 관광안내인력 관광자원 정보수

집인력 등 지원

미국

- 미래세대 인력 및 노동시장 정보시스템 개발 관광산업 정보 수집

- 견습 프로그램 예산 증액

- 인력혁신 및 기회의 법 효과 증진

- 인력양성프로그램 평가방법 개발

- 직무능력 역량 모델 개발

캐나다

- 관광목적지 고용 프로그램

- 미래 기슬 프레임워크 도출(관광의 현재 및 미래기술 정의)

- 스마트 인증제(기준 강화를 통한 프로그램 질 개선)

- emerit 교육 프로그램 연구 설계 및 테스트

- 캐나다 여행 관광 아카데미(교육자 및 업계 파트너의 지원 및 지도)

- 레디투워크(Ready to work) 프로그램(현장 교육 강화)

- 환대 서비스 종사자 훈련 센터 운영

- 산업촉진 프로젝트 실행(디지털 융합 인력 양성 및 역량 강화 등)

호주

- 관광사업체 연계한 교육 훈련 고용 성과 등 개선 프로그램 운영

- 운영자 지원 프로그램(무료 안내서 성공사례 인적자원 관리 기타 지원 안내서) 제공

- 코로나19 이후 관광산업을 비롯한 전 산업을 대상으로 기업 및 개인근로자를 위한 지원금 제공

영국

- 견습생 제도

- 사전 인터뷰 시행 지원

- 취업 캠페인 멘토링 프로그램

- 직장 내 교육 프로그램

- 디지털 전환 정책 실시

- 새로운 자격제도 시행

lt표 4gt 관광 일자리 창출 관련 해외 정책

x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24 시사점

가 일자리의 전문화 및 세분화

우리 사회는 4차 산업혁명 저출산 및 고령화와 같은 기술 사회경제적 변화에

직면해 있으며 이에 따라 일자리 일하는 방식이 변화함

관광산업에서도 기술 기반의 사업체가 증가하고 있으며 타 분야의 융합을 통

한 일자리의 증가 관광객 수요의 다양화로 기존 관광 일자리의 전문화 및 세

분화가 나타남

나 관광산업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

4차 산업혁명으로 명명되는 시대적 전환은 기존 일자리 신산업 일자리 인적

자원 역량의 관점에서 변화를 가속화함

관광 분야에서도 AI 빅데이터 플랫폼 등의 활용이 점차 증가되고 있으며 키오

스크 등의 무인화 서비스로 인해 관련 분야의 일자리가 감소될 것으로 전망됨

디지털 전환은 국내 및 해외 일자리 정책에 있어서 중요하게 고려되며 우리나

라를 비롯한 호주 일본 국 미국 등은 기존 관광인력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

하고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고 관광과 기술이 융합된 분야의 일자리 창출을

지원하는 정책을 추진함

다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인한 관광산업 일자리 변화 발생

코로나19의 확산으로 국가 간 이동이 제한되어 관광사업체 운 과 관광산업

종사자 수에 부정적으로 향을 미침

코로나19 확산 이후 관광객이 붐비지 않는 야외 공간이 선호되고 있으며 무

인화 및 자동화 온라인 회의 진행 등 관광산업의 비대면 기술 활용이 증대됨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이 우리나라를 비롯해 추진되고 있음 우리나

라는 한국판 뉴딜 정책을 발표하고 관광산업의 고용 유지를 위해 고용유지지

원금 관광업계 종사원의 교육 지원 등 추진하고 있으며 호주는 급여 보조금

형태의 일자리 정책 추진 중임

xi연구개요

3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31 개요

선행연구 및 국내middot외 관광 트렌드 정책 자료 등을 분석하여 향후 5년간 발전

가능성이 있는 미래 일자리를 유망 분야별로 구분하고 연구진 관광 및 일자리

분야 전문가 의견 조사를 통해 유망 일자리 후보군을 도출하고 이 중 미래 유

망 관광일자리 분야를 제시함

32 관광 유망 분야와 일자리

본 연구에서 도출된 유망 일자리 분야는 다음과 같은 직무 및 역량이 필요할

것이며 디지털 융합 분야 관광 수요의 다양화에 따른 특화 및 세분화 분야

코로나 19로 인한 소규모 여행 및 여행 안전 인식 증가로 인한 분야로 구분될

수 있음

- 기술 융합으로 관광 빅데이터 분석 관광 미디어 콘텐츠 관광 플랫폼 관광

모빌리티 분야의 일자리가 유망할 것으로 전망됨

- 관광수요의 다양화로 인해 지역 전문 관광 반려동물여행 맞춤형 관광 실

버여행 등 특화 및 세분화 분야가 유망할 것으로 나타남

-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소규모 여행을 선호하고 안전에 대한 인식 제고로

인한 안전관광 분야가 유망할 것으로 나타남

유망 분야 유망 일자리 직무 및 역량

관광 빅데이터

분석

- 관광 빅데이터 분석가

처리 엔지니어

- 관광 시스템 프로그램 전문가

- 직무 관광 데이터 설계 개선 관광 관련 수집데이터

활용가능한 형태로 처리 및 분석

- 역량 관광산업 및 관광정보 이해력 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능력

관광 미디어

콘텐츠

(사진 영상)

- 관광콘텐츠크리에이터(여행

작가 여행유튜버)

- 관광 콘텐츠 기획middot제작middot유통

전문가

- 직무 관광 미디어 콘텐츠 제작 편집 관광지 홍보 등

- 역량 콘텐츠 제작 편집 기획 역량

lt표 5gt 관광 유망 분야와 일자리

xii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4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본 연구는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대응을 위해서 ① 디지털 융합 관광인력 육성

② 특화분야 관광인력 양성 기반 구축 ③ 코로나19 대응 일자리 창출 ④ 관광

미래 일자리 성장 환경 조성으로 설정하고 이를 위한 세부 정책 방향을 제시함

유망 분야 유망 일자리 직무 및 역량

관광 플랫폼

- 관광 플랫폼 디자이너

- 관광 플랫폼 코디네이터

운영자

- OTA 리스팅 전문가

- 직무 관광 플랫폼 관련 기획 개발 운영

- 역량 관광 정보 수집 및 적용 능력 매체 활용 능력

관광 플랫폼 기획력

관광 모빌리티- 관광 교통 대여업자(개인

전동 이동수단 공유차량 등)

- 직무 관광 모빌리티 수단 대여 관광지 안내 통역

서비스 제공

- 역량 언어 지역정보 제공 및 안내

지역 전문 관광

- 지역관광추진조직(DMO)

코디네이터

- 지역 관광 크리에이터

- 직무 지역과 지역민 사이 중간지원 지역 관광 콘텐츠

기획 및 제작 홍보 등

- 역량 콘텐츠 기획 역량 조정능력 리더십 친화력

반려동물동반여행 - 반려동물여행시설운영자

- 직무 반려동물여행 시설 및 서비스 제공 반려동물

여행 상품 판매 반려동물 시설 관리 등

- 역량 반려동물 및 반려동물 관련 여행에 대한 정보

이해력 대인관계능력 등

맞춤형 관광- 여행 컨셉 기획가(맞춤형

관광 컨설턴트)

- 직무 맞춤형 여행상품 상품의 기획 개발 상담업무

수행 상품화

- 역량 기획력 통찰력과 분석력 서비스 정신 친화력

소그룹 여행 - 소규모 관광 가이드

- 직무 소규모 단체 여행 상품의 기획 개발 상담업무

수행 상품화

- 역량 기획력 통찰력과 분석력 서비스 정신 친화력

여행 안전관리

- 숙박시설 방역전문가 여행지

안전관리자 익스트림 여행

안전관리자

- 직무 방역 및 소독 위험방지 사고 사례 개선 종사자

안전교육 및 훈련 등

- 역량 안전과 보안 지식 사고 처리 능력

실버여행- 실버 여행 콘텐츠 개발자

- 실버 여행 가이드

- 직무 실버여행 상품의 기획 개발 상담업무 수행

상품화

- 역량 기획력 통찰력과 분석력 서비스 정신 친화력

xiii연구개요

[그림 1]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관광산업에 있어서 디지털 역량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적 요소가 되기 때문에

정부는 디지털 분야에 대한 예비 인력 교육 기존 관광인력의 발전 가능성이

큰 디지털 융합 분야에 대한 교육 및 훈련 등을 수행할 기반을 마련해야 함

미래 관광산업 일자리를 위해서는 특화 분야의 관광인력 양성과 코로나19에

대응하는 일자리 창출을 위한 노력이 필요함

미래 관광산업 일자리가 확산되기 위해서는 미래 일자리에 대한 통계와 정보

제공 및 인력 수급 현황의 정기적 분석 등이 필요함

xv목차

목차

제1장 서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3

1 연구 배경 3

2 연구 목적 5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6

1 연구 범위 6

2 연구 방법 7

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9

제1절 관광산업 일자리 현황 및 특성 11

1 관광산업 일자리 현황 11

2 관광산업 일자리 특성 16

3 시사점 30

제2절 미래 일자리 환경 32

1 환경 분석 개요 32

2 환경 변화 33

3 시사점 52

제3절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54

1 개요 54

2 국내 정책 사례 54

3 해외 정책 사례 70

4 시사점 104

제4절 시사점 107

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1

제1절 개요 113

xvi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제2절 미래 관광 일자리 후보군 도출 114

1 환경 이슈 및 유망 분야 114

2 미래 관광 유망 일자리 후보군 117

3 미래 유망 관광 일자리 선정 결과 125

제3절 관광 유망 분야와 일자리 126

1 관광 빅데이터 분석 126

2 관광 미디어 콘텐츠 130

3 관광 플랫폼 134

4 관광 모빌리티 139

5 지역 전문 관광 141

6 반려동물동반여행 143

7 맞춤형 관광 145

8 소그룹 여행 146

9 여행 안전관리 147

10 실버 여행 149

제4절 시사점 152

제4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55

제1절 기본방향 157

제2절 정책 대응 방향 159

1 디지털 융합 관광인력 육성 159

2 특화 분야 관광인력 양성의 기반 구축 162

3 코로나19 대응 일자리 창출 167

4 관광 미래 일자리 성장환경 조성 169

제5장 결론 및 정책 제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73

참고문헌 177

ABSTRACT 187

부록 189

【부록1】 전문가 의견 조사지 191

xvii목차

표 목차

〈표 2-1〉 관광사업체 수 종사자 수 12

〈표 2-2〉 관광사업체 종사자 수(2009년-2018년) 14

〈표 2-3〉 관광사업체 1개소 평균 종사자 수(2009년-2018년) 15

〈표 2-4〉 관광사업체 고용형태별 종사자 수 16

〈표 2-5〉 최근 3년간 관광사업체 고용형태별 종사자 비율 16

〈표 2-6〉 고용형태별 종사자 수 17

〈표 2-7〉 월평균 근로실태 17

〈표 2-8〉 관광사업체 신규 채용자 수 및 이직자 추이 18

lt표 2-9gt 일자리 규모 상위 10대 산업의 일자리 증감 19

lt표 2-10gt 관광middot레저분야의 국가직무능력표준 20

〈표 2-11〉 직종별 사업체 인원 현황 21

〈표 2-12〉 기업 규모별 여행 서비스 관련 종사자 24

〈표 2-13〉 기업 규모별 숙박시설 서비스 관련 종사자 25

〈표 2-14〉 기업 규모별 오락시설 서비스 관련 종사자 26

〈표 2-15〉 직능 수준별 미충원 인원 27

lt표 2-16gt 관광 세부업종별 향후 5년 내 일자리 전망 29

〈표 2-17〉 여가활용 활동(복수응답) 35

lt표 2-18gt 사회-과학 주요 10대 이슈 39

lt표 2-19gt 주요 국가 검진건수 및 확진률 비교(0518 00시 기준) 40

lt표 2-20gt 전지구 및 한반도 연평균 CO2 농도 비교 43

lt표 2-21gt 미래 직업 변화 45

lt표 2-22gt 2020~2024 관광 트렌드 48

lt표 2-23gt 코로나19 이후의 변화 51

lt표 2-24gt 미래 일자리 환경 변화 52

lt표 2-25gt 일자리 정책 5년 로드맵 완료 현황 56

lt표 2-26gt 문재인 정부 후반기 일자리 정책 100대 과제 57

lt표 2-27gt 문재인 정부 후반기 일자리 정책 신규과제 59

xviii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lt표 2-28gt 문재인 정부 후반기 일자리 정책 보완 과제 60

lt표 2-29gt 정부의 투자전략 대상 산업 분야 65

lt표 2-30gt 한국판 뉴딜의 투자계획 및 기대 일자리 창출 효과 66

lt표 2-31gt 2018~2020년 일자리 관련 관광산업정책 68

lt표 2-32gt 코로나19 대응 관광산업 고용유지지원 정책 69

lt표 2-33gt 일자리 창출을 위한 문화체육관광부 주요사업 69

lt표 2-34gt 고이즈미 내각의 연도별 고용창출 관련 정책추진 내용 71

lt표 2-35gt 고이즈미 정권의 고용창출 정책의 특징 72

lt표 2-36gt 민주당 내각의 고용창출 관련 정책추진 내용 73

lt표 2-37gt 아베정권의 고용정책 및 성장전략의 변화 추이 74

lt표 2-38gt 아베정권의 지방창생전략 상의 고용창출 관련 내용 75

lt표 2-39gt 후생노동성 추진 고용창출사업 내의 관광분야 포함 건 수 76

lt표 2-40gt 2005년 지역제안형고용창조촉진사업에 선정된 관광분야 고용창출사업 주요 내용 77

lt표 2-41gt 2010년 중점분야고용창조사업(관광분야) 주요 내용 78

lt표 2-42gt 미국 노동부 고용 훈련 주요 프로그램 및 예산 81

lt표 2-43gt 미국 여행 및 관광 자문위원회의 주요 고용창출 정책 제안 83

lt표 2-44gt 미국 내 주요 온라인 기업 일자리 창출사례 84

lt표 2-45gt 캐나다 인력관광공사의 주요 프로그램 88

lt표 2-46gt 미래기술센터의 주요 프로젝트 90

lt표 2-47gt 호주 G20 고용 계획의 세부내용 91

lt표 2-48gt 비즈니스 기업 및 개인 근로자 지원방안 95

lt표 2-49gt 뉴딜(New Deal) 프로그램 98

lt표 2-50gt 영국 정부의 일자리 창출 법 및 제도 개선 관련 주요 정책 100

lt표 2-51gt 영국 정부의 미래 일자리 주요 정책 103

lt표 2-52gt 국내 미래 일자리 창출 정책 105

lt표 2-53gt 관광 일자리 창출 관련 해외 정책 106

lt표 3-1gt 전문가 의견 조사 개요 113

lt표 3-2gt 미래 환경 변화 주요 키워드 114

lt표 3-3gt 관광산업 주요 유망 일자리 유망 분야 116

lt표 3-4gt 관광산업 주요 유망 일자리 후보군 117

lt표 3-5gt 관광산업 주요 유망 일자리 후보군 성장가능성 조사 결과 120

lt표 3-6gt 성장가능성 기준 상위 25개 관광산업 주요 유망 일자리 122

lt표 3-7gt 미래 관광 유망 일자리 124

xix목차

lt표 3-8gt 미래 관광 분야의 유망 일자리와 주요 연관 환경 변화 125

lt표 3-9gt 빅데이터 분류 127

lt표 3-10gt 관광 빅데이터 활용 사례 128

lt표 3-11gt 관광 빅데이터 분석 분야 129

lt표 3-12gt 관광 미디어 콘텐츠 크리에이터 분야 133

lt표 3-13gt 상업적 디지털 플랫폼의 거래 대상과 유형 135

lt표 3-14gt 디지털 플랫폼 노동의 유형 137

lt표 3-15gt 관광 플랫폼 분야 138

lt표 3-16gt 관광 모빌리티 분야 140

lt표 3-17gt 지역 전문 관광 분야 142

lt표 3-18gt 반려동물여행 관련 분야 144

lt표 3-19gt 맞춤형 관광 관련 분야 146

lt표 3-20gt 소그룹 여행 관련 분야 147

lt표 3-21gt 여행 안전관리 일자리 분야 149

lt표 3-22gt 실버여행 관련 분야 151

xx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그림 목차

[그림 1-1] 연구 수행체계 8

[그림 2-1] 관광산업 인력의 공급 및 수요 11

[그림 2-2] 관광사업체 및 종사자 수 추이(2009년-2018년) 13

[그림 2-3] 관광사업체 1개소 평균 종사자 수 추이(2009년-2018년) 13

[그림 2-4] 최근 5년간 관광사업체 종사자 수 연평균 증가율 14

[그림 2-5] 최근 5년간 관광사업체 종사자 수 연평균 증가율 15

[그림 2-6] 일자리 형태별 분포 19

[그림 2-7] 여행 서비스 숙박시설 서비스 종사자의 구인 채용 미충원 인원 및

미충원율 추이 22

[그림 2-8] 오락시설 서비스 종사자의 구인 채용 미충원 인원 및 미충원율 추이 23

[그림 2-9] 채용인원 계획추이 23

[그림 2-10] 관광 분야 업무에서의 기술 활용 전망 28

[그림 2-11] 세계와 한국의 인구 추이 34

[그림 2-12] 세계와 한국의 생산연령인구(좌) 및 고령인구(우) 구성비 추이 34

[그림 2-13] 국민 여가시간 추이(좌)와 일과 가정생활의 우선도(우) 35

[그림 2-14] 해외 주요 연구기관이 발표한 지난 10년간 미래기술 동향 37

[그림 2-15] 국내 주요 연구기관이 발표한 2010년 전(좌)후(우) 미래유망기술 변화 38

[그림 2-16] 해외 주요 연구기관이 발표한 2010년 전(좌)후(우) 미래유망기술 변화 38

[그림 2-17] 광역시도 별 COVID-19 확진자 분포 41

[그림 2-18] 직업별 코로나 바이러스 위험 점수 41

[그림 2-19] 1854년~2019년 전지구 기온편차 및 2025년까지 전망치 42

[그림 2-20] 유연근무제 지원신청 추이 46

[그림 2-21] 항공 여행 관광산업에서의 주요 기술 활용률 49

[그림 2-22] 관광 환대 및 이벤트 산업 역량 모델 86

[그림 2-23] 식음료 서비스 산업 역량 모델 86

[그림 2-24] 2024년까지 산업별 고용률 변화 예측 92

[그림 2-25] 향후 5년간 주요 산업별 일자리 창출 비율 93

xxi목차

[그림 2-26] 미래 일자리 환경 및 정책사례 시사점 109

[그림 3-1] 2022년 유망 기술 비율 전망 126

[그림 3-2] 데이터 산업 시장 규모 127

[그림 3-3] 2022년 유망 기술 비율 전망 130

[그림 3-4] 유튜브 여행 관련 시청자 수(2018년) 131

[그림 3-5] 1인 미디어 동영상 생태계를 중심으로 하는 MCN 비즈니스 생태계 132

[그림 3-6] 플랫폼 관련 글로벌 기업 134

[그림 3-7] 아시아 온라인 예약 채널 136

[그림 3-8] 플랫폼의 3가지 행위자 137

[그림 3-9] 스마트 모빌리티의 개념도 139

[그림 3-10] 2013-2017년 국민여행경험률 및 이동총량 141

[그림 3-11] 반려동물 보유 가구 비중 및 반려동물 시장 규모 143

[그림 3-12] 안전 여행 가이드 중 사업주 가이드 148

[그림 3-13] 65세 이상 고령자의 여가활동(2017년) 150

[그림 3-14] 미래 관광 유망 분야 152

[그림 4-1]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158

서론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제1장

3제1장 서론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연구 배경

우리나라는 과거 산업화시대를 추격하는 경제를 넘어 선도적인 경제 기반을 구축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1997년 말 IMF 외환위기와 2007년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경제성장률 둔화와 자동화 등으로 고용률은 하락 추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에는 제조업의 부진 및 서비스업과 중소기업의 생산성 정체와 더불어 코로나

19(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COVID-19)로 인한 사회적middot경제적 위기 등으로 전

산업에서 일자리 창출은 물론 고용 유지도 어려운 상황에 놓여있다

일자리 창출은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함과 동시에 모든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의 바

탕이다 또한 일자리 창출은 사회안전망 강화와 선진 국가로의 도약을 위한 중요한

과제로 여겨지고 있다 특히 문재인 정부의 일자리 정책은 기본적으로 사람 중심의

혁신과 포용에 바탕을 두는 성장을 지향하여 인적자원개발과 지속가능발전 기반을

연계하는 일자리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인적자원개발은 그 정책의 효과가 나타나

기까지 일정시간이 소요되는 장기적 관점의 접근이 요구된다

한편 기술의 발전과 환경 변화는 관광산업을 비롯한 전 산업에서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다 관광 트렌드의 변화 기술발전 미디어 플랫폼 환경 변화 온디맨드 경제

활성화 코로나19 전 세계적 확산 등에 따라 관광산업을 둘러싼 환경 변화가 시작

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특히 일자리의 변화를 야기하고 있다 세계경제포럼은 「일자리의

미래(The Future of Job)」에서 기술 진보로 인해 2020년까지 719만개의 일자리

가 소멸하고 신규 일자리가 200만개 발생할 것이라 예측하고 있다(WEF 2018)

이처럼 관광산업 환경과 노동의 변화로 관광산업의 일자리도 변화가 가속화될 것으

로 예상되고 있다

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이에 따라 WTO의 G20 오사카 지도자 선언은 관광산업의 세계 경제 성장의 중

요성을 기반으로 지속가능한 관광발전을 비롯해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노력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UNWTO 2019) 문재인 정부에서도 고용 없는 저성장

높은 청년실업률 노동시장 격차 확대 등에서의 일자리 문제 심각성을 인지하고 일

자리 정책을 국정 우수과제로 추진하고 있다

관광산업은 경제 활력 제고와 일자리 창출 효과가 높은 산업으로 인지되고 있으

며 2019년 확대국가관광전략회의 「대한민국 관광 혁신전략」에서는 2022년 관광

산업 일자리 96만 명 창출 달성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한편 최근 2020년 6월 고용노동부에서는 신기술 분야 직무 수행을 위해 새롭게

개발된 20개의 국가직무능력표준을 고시하 다 새롭게 개발 및 고시된 국가직무능

력표준에는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융합기술의 확산 비대면 산업의 활성화 등에 대

응하는 스마트시티 스마트제조 바이오 그린에너지 지능형 네트워크 구축 데이

터산업 인공지능 정보보호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 분야의 클라우드 플랫폼 구축

수소연료전지제조 스마트공장 시스템설치 등의 직무가 포함되었다

미래 일자리는 산업 경쟁력의 기반이며 새로운 직업과 일자리는 일자리 문제 극

복을 위한 해결책이다 이를 위해 정부에서는 새로운 직업과 일자리를 발굴하고 있

다 「서비스산업 혁신 전략(20190626)」은 신규직종 육성(장애인middot반려동물 동반

여행코디네이터 전통시장 해설가 관광 스토리텔러 등) 등을 제시하고 있다

관광산업 경쟁력도 미래 일자리와 필수불가결한 관계이므로 미래 일자리 대응 전

략이 필요하다 특히 관광산업은 인적 서비스를 바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미래

일자리는 관광산업 내 혁신의 원동력이며 경쟁력 강화의 주요 수단이 된다 그리고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는 관광 노동시장 진입 인력들의 새로운 역량뿐만 아니라

현재 관광종사원들의 역량 변화 및 강화의 필요성을 제시하기 때문에 관광산업의

원동력 및 경쟁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관광산업 규모의 성장과 동시에

관광산업 발전 지속을 위한 미래 일자리에 대한 정책 수립이 요구된다

5제1장 서론

2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산업 일자리를 둘러싼 환경변화를 분석하고 관광산업 미

래 일자리 유망 분야를 도출하여 대응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연구

목적을 다음과 같이 수립하 다

첫째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유망 분야와 대응 방향 도출을 위해서 사회middot기술middot환

경middot정치적 환경 및 일자리 관광 소비자와 관광산업 환경 변화를 검토하고 국내외

일자리와 미래 일자리를 위한 정책 대응 사례를 검토하고자 한다

둘째 환경변화 분석을 기반으로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유망 분야를 도출하고자

한다

셋째 이러한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유망 분야를 바탕으로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

리와 관련한 정책적 대응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산업 일자리를 둘러싼 환경변화를 분석하고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유망분야를

도출하여 미래 일자리를 위한 대응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음

① 사회middot기술middot생태middot일자리middot관광 환경변화와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검토

②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유망 분야 도출

③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를 위한 정책적 대응 방향 제시

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1 연구 범위

가 시간적 범위

본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 다 일반적으로 미래 일자리는 5

년(예 WEF 2018) 10년(예 미래창조과학부 미래준비위원회 외 2017)의 시간적

주기를 전제로 분석된다 환경의 변화가 가속화 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일자

리와 관련한 거시환경 변화 분석을 토대로 향후 5년간 미래 일자리 전망을 도출하

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 대상적 범위

본 연구에서 대상적 범위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 다 관광산업에서의 미래 일자

리 유형은 전통적 관광사업의 역뿐만 아니라 타 분야와의 융합 새로운 역(플랫

폼 등)에서의 시간제 근로 파견 근로 프리랜서 등의 형태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

기 때문에 통계청에서 제시한 정의의 범위보다 광범위한 정의가 필요하다

일자리(Filled Job Position)의 사전적 정의는 ldquo생계를 꾸려 나갈 수 있는 수단으로

서의 직업(표준국어대사전)rdquo이며 통계청에서는 ldquo기업체(사업체)에서 임금middot비임금근로

활동을 하는 근로자가 lsquo점유한 고용위치(filled employment position)rsquordquo로 정의된다

즉 일자리는 특정 개인의 자격 능력 적성과 어떤 과업(task)의 수행에 대한 요구가

결합한 결과로 개인이 자신의 능력과 노력을 기울여 보상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의미

한다 그리고 일자리에 비해 직업(occupation)은 사회적 분화의 결과 유사한 일자리들

을 묶어 분류한 결과로 본다 일자리의 자격과 수행하는 업무의 특성에 따른 사회적 평

가와 유사한 일자리를 가진 사람들의 동류의식이 직업을 사회적 집단으로 만들게 된다

7제1장 서론

이에 본 연구에서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는 lsquo향후 5년 내에 관광 및 연관 산업에

서 생계를 꾸려 나갈 수 있는 수단으로서의 유망 분야의 일자리rsquo로 정의하고자 한다

다 내용적 범위

본 연구에서 내용적 범위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는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해서 본 연구는 기존 자료를 토대로 관광산업 일자리 현황을 분석하고 사회middot기

술middot정치 환경 관광트렌드 및 일자리 환경 변화요인을 도출하여 관광산업 일자리

환경 변화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 다 또한 본 연구는 미래 일자리 환경과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를 종합 분석하여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유망 분야를 도출하 다

두 번째로 본 연구는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유망 분야의 도출을 포함한다 본 연

구는 기존 자료를 통해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변화와 미래 일자리 유망분야를 전문

가 의견조사로 우선순위를 분석하고 미래 일자리 유망 분야 후보군을 도출하 다

도출된 후보군을 토대로 미래 유망 일자리와 미래 성장 가능성을 도출하고 미래

일자리 유망 분야를 선정하 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제시를 내용적 범위로 포

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선정된 미래 유망 일자리 분야를 바탕으로 정책 방향

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2 연구 방법

본 연구의 수행과정은 [그림 1-1]과 같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아래

와 같이 수행되었다

가 관련 통계 자료 및 문헌 분석

본 연구는 국내외 관광산업 일자리 및 타 분야 일자리 보고서 일자리 통계 등을

파악하고 진단한다

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나 사례 분석

본 연구는 국내외 일자리 관련 정책 대응 사례와 관광분야 신규 창출 일자리 관련

국내외 사례를 분석한다

다 전문가 의견 조사

본 연구는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변화 유망분야 도출 미래 유망 일자리 성장

가능성을 조사한다

라 인터뷰 및 자문

본 연구는 일자리 연구자 관광산업 전문가 등 관련 전문가 대상 인터뷰 및 자문

을 통해 미래 유망 일자리 도출과 대응 방향을 설정하고자 한다

단계 주요 내용 연구 방법

[1단계]

연구 틀

구성

제Ⅰ장 서 론

연구 배경 및 목적 연구 범위 및 방법-

[2단계]

조사

분석

제Ⅱ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관광산업 일자리 현황 및 특성

미래 일자리 환경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문헌연구

전문가 자문회의

사례조사

전문가 의견조사

[3단계]

미래

일자리

전망

제Ⅲ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유망 분야 도출 및 전망

미래 관광 일자리 후보군 도출

관광 유망 분야와 일자리

전문가의견조사

(12단계)

전문가 자문회의

[4단계]

정책 방향

도출

제Ⅳ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정책 대응 방향전문가 자문 등

제Ⅴ장 결론 및 정책 제언

[그림 1-1] 연구 수행체계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제2장

11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제1절 관광산업 일자리 현황 및 특성

1 관광산업 일자리 현황

「관광진흥법」에서 관광종사자는 제2장 제7절 관광종사원에서 규정하고 있다 구체

적으로 제38조(관광종사원의 자격 등) 제 39조(교육) 제40조(자격취소 등)는 관광종

사원의 자격 교육 지원에 대한 근거 자격의 정지 및 취소 등에 대해 규정하고 있다

이 진흥법에 규정된 관광사업체를 기준으로 관광산업 인력은 아래 그림과 같이

관광 및 타 분야와 관련된 정규비정규 교육기관 및 자격제도를 통해 관광산업에

입직하고 있다

[그림 2-1] 관광산업 인력의 공급 및 수요

자료 김덕기middot한희정(2018)

1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관광인력의 수요자는 관광사업체이며 관광인력의 공급은 크게 관광분야와 타 분

야의 입직자로 구분된다 관광분야 입직자는 관광관련 특성화 고등학교 관광관련

전문 대학교 및 대학교 등 정규교육기관 공공교육기관(한국관광공사 협회 등)과

사설교육기관(직업전문학교 등)의 비정규 교육기관에서 교육을 받은 자이다 그리

고 타 분야는 관광에서 필요한 어문 상경 등의 전공자가 일반적이다 이와 더불어

관광통역안내사 국내여행안내서 호텔경 사 컨벤션 기획사 국외여행인솔자 등

의 국가공인 및 민간 자격을 획득한 사람이 관광분야에 입직하고 있다

11 고용 규모

먼저 본 연구는 관광산업의 일자리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2018년 기준 관광사

업체 수는 33452개로 나타났으며 관광사업체 종사자 수는 총 267만명이며 여행

업(99만명)과 관광숙박업(69만명)이 전체의 632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또한 관광사업체 1개소 당 평균 종사자 수는 2018년 기준 8명으로 나타났다

(단위 개소 명)

구분관광사업체 수 종사자 수 1개소당 평균종사자 수

2016 2017 2018 2016 2017 2018 2016 2017 2018

전체 27696 33089 33452 261978 280270 267561 95 85 80

여행업 16605 19944 19039 98421 107209 99077 59 54 52

관광숙박업 1716 1843 2110 73631 71769 69926 429 389 331

관광객이용시설업 3168 3963 4323 17421 25535 23154 55 64 54

국제회의업 700 890 886 12596 12166 9100 180 137 103

카지노업 17 17 17 9115 7033 7330 5362 4137 4312

유원시설업 1782 2548 3000 23683 27561 26189 133 108 87

관광편의시설업 3708 3884 4077 27110 28998 32785 73 75 80

자료 문화체육관광부 각 년도 관광사업체기초통계조사

〈표 2-1〉 관광사업체 수 종사자 수

13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가 전체 고용 규모 추이

구체적으로 2000년 이후 관광사업체 종사자 수 추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관광사업체는 2009년 이후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관광종

사원 추이도 관광사업체 종사자수 추세를 반 하듯 증가를 보이다 2018년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2-2] 관광사업체 및 종사자 수 추이(2009년-2018년)

자료 문화체육관광부 각 년도 관광사업체기초통계조사

이러한 관광사업체의 종사자 수 감소는 관광사업체 1개소 평균 종사자 수의 하락

에서 그 원인을 찾아볼 수 있다 관광사업체 1개소 평균 종사자는 2009년 132명

에서 2018년 80명으로 감소하 다

[그림 2-3] 관광사업체 1개소 평균 종사자 수 추이(2009년-2018년)

자료 문화체육관광부 각 년도 관광사업체기초통계조사

1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나 업종별 고용 규모 추이

관광산업 업종별 고용 규모를 살펴보면 관광사업체 전체 종사자 수는 2009년 이래

로 연평균 증가율이 52로 나타났다 여행업은 2009년 약 47만명에서 2018년 99

만명으로 연평균 86의 증가를 보 으며 관광숙박업은 2009년 약 57만명에서

2018년 70만명으로 연평균 24 증가세를 보 다 관광사업체 종사자 수의 연평균

증가율이 가장 큰 업종은 관광객이용시설업과 유원시설업으로 각각 117 102 증

가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관광사업체 종사자 수의 연평균 증가율에서

국제회의업 카지노업 관광편의시설업이 각각 ndash149 -48 -46로 나타났다

(단위 만 명)

구분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연평균증가율

(09-18년)

연평균증가율

(14-18년)

전체 169 186 205 230 227 230 236 262 283 268 52 38

여행업 47 50 59 70 71 69 85 98 107 99 86 93

관광숙박업 57 60 63 71 64 67 70 74 72 70 24 09관광객

이용시설업09 10 10 12 14 11 11 17 26 23 117 214

국제회의업 09 11 13 14 14 17 15 13 14 09 05 -149

카지노업 06 07 07 07 08 09 09 09 07 07 19 -48

유원시설업 11 12 13 14 14 17 17 24 28 26 102 114관광편의

시설업31 37 37 42 42 40 28 27 29 33 06 -46

자료 문화체육관광부 각 년도 관광사업체기초통계조사

〈표 2-2〉 관광사업체 종사자 수(2009년-2018년)

[그림 2-4] 최근 5년간 관광사업체 종사자 수 연평균 증가율

자료 문화체육관광부 각 년도 관광사업체기초통계조사

15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관광사업체 1개소 평균 종사자 수는 2009년 이래로 연평균 증가율이 ndash54로 나

타났으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ndash79로 나타났다 여행업은 2009년 1개소

평균 55명에서 2018년 52명으로 연평균증가율이 ndash06로 나타났으며 관광숙박

업은 2009년 약 670명에서 2018년 331만명으로 연평균 75의 하락세를 보

다 최근 5년간 관광사업체 종사자 수의 연평균 증가율이 가장 작은 업종은 관광객

이용시설업 유원시설업 국제회의업 각각 ndash358 -258 -204로 나타났다

(단위 만 명)

구분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연평균증가율(09-18년)

연평균증가율(14-18년)

전체 132 131 127 121 123 111 99 95 85 80 -54 -79

여행업 55 54 55 56 60 54 58 59 54 52 -06 -09

관광숙박업 670 674 682 660 595 528 468 429 389 331 -75 -110

관광객

이용시설업368 326 323 337 351 318 91 55 64 54 -192 -358

국제회의업 284 304 318 280 277 256 244 180 137 103 -107 -204

카지노업 3631 4264 4327 4366 5283 5254 5540 5362 4137 4312 19 -48

유원시설업 395 381 367 370 403 287 162 133 108 87 -155 -258

관광편의

시설업123 117 116 100 96 79 57 73 75 80 -47 03

자료 문화체육관광부 각 년도 관광사업체기초통계조사

〈표 2-3〉 관광사업체 1개소 평균 종사자 수(2009년-2018년)

[그림 2-5] 최근 5년간 관광사업체 종사자 수 연평균 증가율

자료 문화체육관광부 각 년도 관광사업체기초통계조사

1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2 관광산업 일자리 특성

21 고용 형태 및 근로실태

가 임시 및 일용직의 높은 비중

관광사업체의 종사자 고용형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2018년 기준 전체 종사

자 수의 157인 42만명이 임시 및 일용근로자로 나타났으며 유원시설업(473)

과 관광객이용시설업(281)에서 그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 명 )

구 분 전체 자영업자무급가족종사자

상용근로자

임시 및 일용근로자

기타종사자

전체267561 14939 5076 200606 41992 4947

(1000) (56) (19) (750) (157) (18)

여행업 99077 4729 953 84272 7178 1945

관광숙박업 69926 1140 396 58407 9658 325

관광객이용시설업 23154 3461 1571 11430 6507 186

국제회의업 9100 60 0 7037 1352 650

카지노업 7330 0 0 6963 367 0

유원시설업 26189 2180 546 10915 12397 151

관광편의시설업 32785 3370 1610 21583 4533 1689

자료 문화체육관광부(2019a) 2018년 기준 관광사업체기초통계조사

〈표 2-4〉 관광사업체 고용형태별 종사자 수

(단위 )

구분자영업자 상용근로자 임시 및 일용근로자

2016 2017 2018 2016 2017 2018 2016 2017 2018

전체 48 49 56 742 717 750 168 190 157

여행업 45 41 48 850 838 851 62 79 72

관광숙박업 12 14 16 779 778 835 183 183 138

관광객이용시설업 148 118 149 456 438 494 300 364 281

국제회의업 02 06 07 796 858 773 198 131 149

카지노업 00 00 00 955 942 950 45 58 50

유원시설업 52 73 83 450 395 417 472 503 473

관광편의시설업 121 115 103 594 560 658 182 224 138

자료 문화체육관광부 각 년도 관광사업체기초통계조사

〈표 2-5〉 최근 3년간 관광사업체 고용형태별 종사자 비율

17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2020년 7월 기준 스포츠 및 오락과 숙박업은 전체 종사자 중 임시 및 일용근로자

수의 비중이 각각 174 128로 전체 산업의 비중인 99보다 높게 나타났다

(단위 천명 )

구분전체 종사자 상용 임시 및 일용 기타

lsquo167월 lsquo187월 lsquo207월 lsquo167월 lsquo187월 lsquo207월 lsquo167월 lsquo187월 lsquo207월 lsquo167월 lsquo187월 lsquo207월

전체 산업166472 177948 184456 139370 148794 155007 17516 18258 18219 9586 10896 11230

1000 1000 1000 837 836 840 105 103 99 58 61 61

문화체육

관광산업

7955 8740 8795 6454 7007 75 1112 1159 815 389 574 63

1000 1000 1000 811 802 09 140 133 93 02 66 72

수상운송업183 193 183 172 188 174 08 04 07 03 02 02

1000 1000 1000 940 974 951 44 21 38 16 10 11

항공운송업302 338 230 296 335 228 05 03 02 00 00 00

1000 1000 1000 980 991 991 17 09 09 00 00 00

숙박업924 953 869 788 761 734 129 179 111 07 14 25

1000 1000 1000 853 799 845 140 188 128 08 15 29

스포츠 및 오락1855 2035 2059 1036 1143 1297 577 542 359 242 35 402

1000 1000 1000 558 562 630 311 266 174 130 172 195

자료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각년도 7월 기준 문화체육관광 고용동향

〈표 2-6〉 고용형태별 종사자 수

나 숙박업의 낮은 월평균 임금

2020년 6월 기준 스포츠 및 오락과 숙박업은 임금 총액이 각각 2716천원

2331천원으로 전체 산업(3351천원)과 문화체육관광산업(3645천원)의 임금 총액

보다 낮게 나타났다

(단위 일 시간 천원 )

구분근로일수 근로시간 임금총액

lsquo166월 lsquo186월 lsquo206월 lsquo166월 lsquo186월 lsquo206월 lsquo166월 lsquo186월 lsquo206월

전체 산업 207 191 206 1743 1593 1674 3296 3518 3351

문화체육관광 산업 205 188 196 1677 1541 1594 3609 3841 3645

수상운송업 214 196 215 1746 1621 1794 4013 4064 4423

항공운송업 198 179 105 1652 1493 861 6062 6314 3800

숙박업 208 199 185 1755 1645 1513 2412 2670 2331

스포츠 및 오락 199 188 207 1637 1547 1592 2540 2871 2716

자료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각년도 7월 기준 문화체육관광 고용동향

〈표 2-7〉 월평균 근로실태

1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2020년 6월 기준 전체 산업과 문화체육관광 산업의 근로일수는 2018년 동기 대

비 증가하 으나 항공운송업과 숙박업은 각각 105일 185일로 2016년의 179

일 199일에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코로나19로 인한 국가 간 이동 제한

으로 항공운송업은 2020년 6월 근무시간이 861시간으로 2016년 2018년 동기

대비 최저로 나타났다

22 신규 채용자 및 이직자 수 추이

관광사업체의 신규 채용자 수는 2016년 증가세를 보이다가 2018년 하락하는 추

세를 보이며 이직자 수는 2016년 이후 3만 명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 명)

구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연평균증가율

신규

채용자

전체 41088 49125 43738 38662 35640 40033 41571 39447 -06

여행업 8694 11031 11274 8337 10442 13314 15492 12434 52

관광숙박업 16443 18421 11748 12612 11934 13293 15235 14419 -19

관광객이용

시설업1486 2101 2823 1996 1669 1188 2038 1988 42

국제회의업 2181 3178 3336 3320 2380 2307 2336 1260 -75

카지노업 911 1077 1105 930 1144 753 775 853 -09

유원시설업 1217 1809 2315 2265 2514 2532 2318 2158 85

관광편의

시설업10156 11508 11137 9202 5557 6646 3377 6337 -65

이직자

전체 33898 37747 30168 32080 29879 34752 33302 34567 03

여행업 6792 8128 6520 6392 7772 10581 12721 10569 65

관광숙박업 12762 15249 9467 11276 11856 12269 12598 12893 01

관광객이용

시설업1535 1549 1471 1431 1304 1030 1188 1658 11

국제회의업 1703 2612 2713 2402 1990 1726 1653 1314 -36

카지노업 881 710 859 957 1210 990 884 897 03

유원시설업 1139 1657 1677 1637 1887 2281 1698 1536 44

관광편의

시설업9086 7842 7461 7985 3860 5874 2561 5702 -64

자료 문화체육관광부 각 년도 관광사업체기초통계조사

〈표 2-8〉 관광사업체 신규 채용자 수 및 이직자 추이

19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23 일자리 증감

일자리 행정통계에서 숙박 및 음식점업은 신규 일자리 비율이 20이며 일자리

증감에 있어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4만개 이상 증가) 기업생성과 소멸에서는 도

매 및 소매업 부동산업 다음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2-6] 일자리 형태별 분포

자료 통계청(20191205) 2018년 일자리행정통계 결과 p9

(단위 만개)

산업

신규일자리 소멸일자리일자리 증감(신규-소멸)계

기업생성

사업확장

계기업소멸

사업축소

전체 297 95 201 271 78 193 26

제조업 43 10 33 49 9 40 -6

도매 및 소매업 49 17 32 41 16 26 7

건설업 34 7 27 37 5 32 -3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21 5 16 17 3 13 4

사업시설관리 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 23 7 16 26 7 19 -3

숙박 및 음식점업 31 11 20 27 10 17 4

교육 서비스업 7 2 4 7 2 5 -1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복지행정 2 0 2 1 0 1 1

운수 및 창고업 12 4 7 12 6 6 -1

부동산업 25 16 9 18 11 7 7

자료 통계청(20191205) 2018년 일자리행정통계 결과 p10

lt표 2-9gt 일자리 규모 상위 10대 산업의 일자리 증감

일자리 창출과 소멸은 대부분 사업체의 생성과 소멸 기존 사업체의 확장과 축소

와 연관이 있다(윤윤규middot고 우 2009) 일반적으로 사업체 및 일자리를 둘러싼 환

2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경변화는 자원의 재배분 과정에서 새로운 사업의 출현과 소멸을 야기하고 그 과정

에서 일자리의 재배분이 이루어진다(홍현균 2004) 따라서 일자리의 창출과 소멸

에 있어서 환경변화에 대한 파악이 필요하다

24 관광관련 직업군 현황

우리나라는 산업현장의 직무 수행 시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 등의 내용을 체계

화하고 있으며 이를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이라 한다 국가직무능력표준에서 관광middot레저분야는 여행 서비스 숙박서비스 컨벤

션 관광레저서비스로 분류되며 관련 업종과 직업 관련자격은 아래 표와 같다

소분류 직무 관련업종 직업 관련자격

여행서비스

여행상품개발

여행사업 기타여행보조 및 예약서비스업

여행사무원관광통역안내사 국내여행안내사

여행상품상담

국내여행안내 여행 및 관광통역안내원해외여행안내

항공객실서비스 항공 운송지원 서비스업 항공기 객실승무원 -

숙박서비스

숙박기획middot개발관광호텔업

숙박시설서비스원

호텔경영사 호텔관리사 호텔서비스사

객실관리

부대시설관리기타호텔업

연회관리

접객서비스 휴양콘도미니엄업

컨벤션

회의기획국제회의기획업(PCO) 컨벤션센터 PCO사업

여행사 PCO사업

국제회의기획자(PCO) 컨벤션기획사 12급

브래드관리사경영지도사

CMP(해외자격증)전시기획

전시기획업(PEO) 컨벤션센터 PEO사업

전시장치업전시기획자(PEO)

이벤트기획 이벤트기획업 이벤트기획자

관광레저서비스

카지노기획개발 카지노업개발 카지노기획가 -

카지노운영관리 카지노업 카지노딜러 -

크루즈운영관리 크루즈 운영관리업 크루즈운영관리자

호텔경영사호텔서비스사호텔관리사

관광통역안내사국외여행인솔자

유원시설운영관리 유원시설업

운영관리자

(민간)조리사 조주기능사 (국가)건축사 토목사

조경사 설비사 안전관리사 위생사 환경관리사 영양사

리조트운영관리 -

자료 국가직무능력표준 홈페이지(httpsncsgokr)

lt표 2-10gt 관광middot레저분야의 국가직무능력표준

21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이러한 직업군에 따른 변화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본 연구는 고용노동부의 직종별

사업체노동력조사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1) 2020년 1분기 5인 이상 사업체의

구인인원과 채용인원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이 각각 ndash39 -18으로 나타났다

(단위 명 p)

구분 lsquo1712 lsquo1722 lsquo1812 lsquo1822 lsquo1912 lsquo1922 lsquo2012 전년 동기대비 증감률

현원 11597743 11706956 11801155 11909596 11931506 12018829 12302576 31

구인인원 850311 720850 833758 747623 824853 672671 793093 -39

채용인원 756667 636172 744028 664179 748389 598269 733997 -19미충원인원 93644 84678 89730 83444 76464 74402 59096 -227

부족인원 286036 279539 295851 268757 235190 241402 223126 -51

채용계획인원 307577 303380 313920 294383 251012 255867 238199 -51부족률 24 23 24 22 19 20 18 -

여행

서비스

관련

종사자

현원 26420 26259 24313 24883 24878 25960 13784 -446

구인인원 1616 1288 1602 1007 1449 1069 729 -497채용인원 1548 1233 1438 825 1183 1051 729 -384

미충원인원 68 55 164 182 266 18 0 -1000

부족인원 482 904 622 517 426 147 23 -946채용계획인원 497 919 836 528 426 194 23 -946

부족률 18 33 25 20 17 06 02 -

숙박

시설

서비스

관련

종사자

현원 10023 9825 10144 8540 8707 11387 11371 -55구인인원 1387 1308 1188 1359 895 1370 921 -501

채용인원 1024 1148 1000 1148 769 1071 895 -501

미충원인원 363 160 188 211 126 299 26 -부족인원 618 345 700 1047 597 1181 132 -1000

채용계획인원 669 342 852 1230 552 1257 160 -1000

부족률 58 34 65 109 64 94 11 -

오락

시설

서비스

관련

종사자

현원 7579 8903 7123 8211 6923 6887 7915 306

구인인원 1755 2329 2288 3334 2020 2672 724 29

채용인원 1747 2290 2265 3248 2014 2641 705 164미충원인원 8 39 23 86 6 31 19 -794

부족인원 330 504 481 1714 708 1544 252 -779

채용계획인원 768 595 488 1811 671 1756 1407 -710부족률 42 54 63 173 93 183 31 -

주 1) 5인 이상 사업체를 대상으로 함

2) 구인인원 대외적인 구인활동을 통하여 구인한 인원으로 채용인원을 위해 최초 모집공고 당시에 채용하려고 했던 인원

3) 채용인원 조사기준일 이전 3개월 사이에 최종적으로 채용하기로 확정했거나 채용한 인원

4) 미충원인원 구인인원에서 채용인원을 제한 인원

5) 부족인원 조사기준일 현재 채용여부나 채용계획과 무관하게 당해 사업체의 정상적인 경영과 생산시설의 가동 고

객의 주문에 대응하기 위하여 현재보다 더 필요한 인원

6) 채용계획인원 조사기준일로부터 향후 6개월 사이에 채용할 계획이 있는 인원

자료 고용노동부(2020) 2020년 직종별 사업체노동력조사

〈표 2-11〉 직종별 사업체 인원 현황

1) 단 본 조사는 5인 이상의 사업체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해석상 유의가 필요함

2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가 코로나19 후 관광 직종 종사자의 구인과 채용의 감소

관광분야와 관련해서 여행 서비스 숙박시설 오락시설 관련 종사자는 구인인원

과 채용인원에 있어서 2019년 상반기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인인원 측면에서 여행 서비스 관련 종사자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ndash497

-501 29로 증감률이 나타나 여행과 숙박시설 서비스 관련 종사자의 구인인원

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채용인원 측면에서도 2020년 상반기는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이 여행 서비스는 ndash384 숙박시설은 ndash501로 모두 하락하 다

[그림 2-7] 여행 서비스 숙박시설 서비스 종사자의 구인 채용 미충원 인원 및 미충원율 추이

주 5인 이상 사업체를 대상으로 함

자료 고용노동부(2020) 2020년 직종별 사업체노동력조사

23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그림 2-8] 오락시설 서비스 종사자의 구인 채용 미충원 인원 및 미충원율 추이

주 5인 이상 사업체를 대상으로 함

자료 고용노동부(2020) 2020년 직종별 사업체노동력조사

채용인원 계획에 있어서도 여행 서비스와 숙박시설 기업의 2020년 상반기 수치

는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19의 여파로 인

한 채용인원 계획이 급격히 줄어 든 것을 유추할 수 있다

[그림 2-9] 채용인원 계획추이

주 5인 이상 사업체를 대상으로 함

자료 고용노동부(2020) 2020년 직종별 사업체노동력조사

2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나 코로나19 후 300인 이상 여행 서비스 기업의 구인과 채용인원의 급격한 감소

여행 서비스 기업의 규모별로 살펴보면 300인 미만의 기업과 300인 이상의 기

업 모두에서 2020년 상반기 구인인원과 채용인원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300인 이상 기업의 종사자의 감소폭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300인 이상의 기업의 구인과 채용이 2019년 상반기 대비 큰 폭으로 감소함을

의미한다 또한 미충원 인원은 300인 미만과 300인 이상의 여행 서비스 관련 기업

모두 없으며 채용계획 인원 또한 2019년 상반기 하반기와 비교했을 때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 명 p)

구분 lsquo1712 lsquo1722 lsquo1812 lsquo1822 lsquo1912 lsquo1922 lsquo2012 전년 동기대비 증감률

여행

전규모

(5인

이상)

현원 26420 26259 24313 24883 24878 25960 13784 -446구인인원 1616 1288 1602 1007 1449 1069 729 -497

채용인원 1548 1233 1438 825 1183 1051 729 -384

미충원인원 68 55 164 182 266 18 0 -1000부족인원 482 904 622 517 426 147 23 -946

채용계획인원 497 919 836 528 426 194 23 -946

부족률 18 33 25 20 17 06 02 -

300인

미만

현원 22400 22244 21216 22059 21271 22739 10487 -507

구인인원 1495 1171 1388 962 1300 1038 682 -475

채용인원 1426 1117 1237 784 1045 1023 682 -347미충원인원 69 54 151 178 255 15 0 -1000

부족인원 480 816 605 450 413 142 22 -947

채용계획인원 495 816 819 461 413 190 22 -947부족률 21 35 28 20 19 06 02 -

300인

이상

현원 4020 4015 3097 2824 3607 3221 3297 -86

구인인원 122 117 214 46 149 31 47 -685채용인원 122 117 201 42 138 28 47 -659

미충원인원 0 0 13 4 11 3 0 -1000

부족인원 2 89 16 67 13 4 1 -923채용계획인원 2 103 16 67 13 4 1 -923

부족률 00 22 05 23 04 01 00 -주 1) 5인 이상 사업체를 대상으로 함

2) 구인인원 대외적인 구인활동을 통하여 구인한 인원으로 채용인원을 위해 최초 모집공고 당시에 채용하려고 했던 인원

3) 채용인원 조사기준일 이전 3개월 사이에 최종적으로 채용하기로 확정했거나 채용한 인원

4) 미충원인원 구인인원에서 채용인원을 제한 인원

5) 부족인원 조사기준일 현재 채용여부나 채용계획과 무관하게 당해 사업체의 정상적인 경영과 생산시설의 가동 고

객의 주문에 대응하기 위하여 현재보다 더 필요한 인원

6) 채용계획인원 조사기준일로부터 향후 6개월 사이에 채용할 계획이 있는 인원

7) 여행 서비스원은 여행상품개발자 여행사무원 여행 안내원 및 해설사가 포함됨(한국고용직업분류)

자료 고용노동부(2020) 2020년 직종별 사업체노동력조사

〈표 2-12〉 기업 규모별 여행 서비스 관련 종사자

25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숙박 서비스 기업의 규모별로 살펴보면 300인 미만 기업의 구인인원 증감률은

전년 동기 ndash117로 나타난 반면 300인 이상 기업의 구인인원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채용인원은 규모에 상관없이 모두 증가하 다 향후 채용계획 인원은 여

행 서비스 기업과 유사하게 2019년 상반기와 하반기 대비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 명 p)

구분 lsquo1712 lsquo1722 lsquo1812 lsquo1822 lsquo1912 lsquo1922 lsquo2012 전년 동기대비 증감률

숙박

전규모

(5인

이상)

현원 10023 9825 10144 8540 8707 11387 11371 306

구인인원 1387 1308 1188 1359 895 1370 921 29

채용인원 1024 1148 1000 1148 769 1071 895 164

미충원인원 363 160 188 211 126 299 26 -794

부족인원 618 345 700 1047 597 1181 132 -779

채용계획인원 669 342 852 1230 552 1257 160 -710

부족률 58 34 65 109 64 94 11 -

300인

미만

현원 6633 6583 7229 5038 5103 7940 7544 478

구인인원 978 861 684 797 377 1018 333 -117

채용인원 650 751 565 681 285 754 330 158

미충원인원 328 110 119 116 92 264 3 -967

부족인원 526 207 581 251 496 411 119 -760

채용계획인원 578 205 653 392 448 474 122 -728

부족률 73 3 74 47 89 49 16 -

300인

이상

현원 3390 3243 2915 3502 3604 3447 3826 62

구인인원 410 446 504 562 519 352 588 133

채용인원 374 397 435 468 483 317 565 170

미충원인원 36 49 69 94 36 35 23 -361

부족인원 92 138 120 796 101 771 13 -871

채용계획인원 91 138 198 838 104 783 38 -635

부족률 26 41 4 185 27 183 03 -

주 1) 5인 이상 사업체를 대상으로 함

2) 구인인원 대외적인 구인활동을 통하여 구인한 인원으로 채용인원을 위해 최초 모집공고 당시에 채용하려고 했던 인원

3) 채용인원 조사기준일 이전 3개월 사이에 최종적으로 채용하기로 확정했거나 채용한 인원

4) 미충원인원 구인인원에서 채용인원을 제한 인원

5) 부족인원 조사기준일 현재 채용여부나 채용계획과 무관하게 당해 사업체의 정상적인 경영과 생산시설의 가동

고객의 주문에 대응하기 위하여 현재보다 더 필요한 인원

6) 채용계획인원 조사기준일로부터 향후 6개월 사이에 채용할 계획이 있는 인원

7) 숙박시설 서비스원은 각종 숙박시설에서 고객에게 문을 열어주며 고객을 맞이하거나 고객의 짐을 운반해 주거나

시설안내 등 숙박관련 편의서비스를 제공하며 호텔 서비스원과 그 외 숙박시설 서비스원의 세세분류로 구성됨(한

국고용직업분류)

자료 고용노동부(2020) 2020년 직종별 사업체노동력조사

〈표 2-13〉 기업 규모별 숙박시설 서비스 관련 종사자

2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오락시설 서비스 기업의 규모별로 살펴보면 2020년 상반기 구인인원과 채용인

원은 300인 미만과 300인 이상의 기업 모두 전년 동기 대비 ndash60 이상 감소한 것

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충원 인원은 300인 미만과 300인 이상의 오락시설 서비스

관련 기업 모두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 명 p)

구분 lsquo1712 lsquo1722 lsquo1812 lsquo1822 lsquo1912 lsquo1922 lsquo2012 전년 동기대비 증감률

오락

전규모

(5인

이상)

현원 7579 8903 7123 8211 6923 6887 7915 143

구인인원 1755 2329 2288 3334 2020 2672 724 -642

채용인원 1747 2290 2265 3248 2014 2641 705 -650

미충원인원 8 39 23 86 6 31 19 2167

부족인원 330 504 481 1714 708 1544 252 -644

채용계획인원 768 595 488 1811 671 1756 1407 1097

부족률 42 54 63 173 93 183 31 -667

300인

미만

현원 3973 4940 4739 5696 4445 4933 6069 365

구인인원 716 1276 1696 1975 1555 1744 564 -637

채용인원 707 1249 1680 1897 1555 1715 546 -649

미충원인원 9 27 16 78 0 29 18 18

부족인원 260 183 215 236 238 166 165 -307

채용계획인원 260 183 223 264 201 378 1323 5582

부족률 61 36 43 4 51 33 26 -490

300인

이상

현원 3607 3963 2384 2515 2478 1954 1846 -255

구인인원 1040 1053 592 1359 465 928 159 -658

채용인원 1040 1041 584 1351 459 926 159 -654

미충원인원 0 12 8 8 6 2 0 -1000

부족인원 70 321 265 1478 470 1378 87 -815

채용계획인원 508 412 265 1547 471 1378 85 -820

부족률 19 75 10 37 159 414 45 -717

주 1) 5인 이상 사업체를 대상으로 함

2) 구인인원 대외적인 구인활동을 통하여 구인한 인원으로 채용인원을 위해 최초 모집공고 당시에 채용하려고 했던 인원

3) 채용인원 조사기준일 이전 3개월 사이에 최종적으로 채용하기로 확정했거나 채용한 인원

4) 미충원인원 구인인원에서 채용인원을 제한 인원

5) 부족인원 조사기준일 현재 채용여부나 채용계획과 무관하게 당해 사업체의 정상적인 경영과 생산시설의 가동 고

객의 주문에 대응하기 위하여 현재보다 더 필요한 인원

6) 채용계획인원 조사기준일로부터 향후 6개월 사이에 채용할 계획이 있는 인원

7) 오락시설 서비스원은 오락시설에 설치된 오락용 승차기구를 운전하거나 고객에게 운전방법을 알려주며 고객에게

각종 편의를 제공하며 유원시설 및 테마파크 종사원 노래방 종사원 그 외 오락시설 종사원의 세세분류로 구성됨

(한국고용직업분류)

자료 고용노동부(2020) 2020년 직종별 사업체노동력조사

〈표 2-14〉 기업 규모별 오락시설 서비스 관련 종사자

27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다 2년 미만 경력 종사자의 미충원 발생

여행 서비스 숙박시설 서비스 오락시설 서비스 관련 미충원인원을 살펴보면 대

부분 2년 미만의 현장경력을 보유한 인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행

서비스에서 2020년 상반기의 미충원인원은 코로나19의 여파로 크게 감소한 것으

로 나타났다

(단위 명 p)

구분 lsquo1712 lsquo1722 lsquo1812 lsquo1822 lsquo1912 lsquo1922 lsquo2012

전규모

직능1수준 26168 20970 22201 21763 14166 18153 10258

직능2-1수준 32683 32167 33358 29831 27302 24320 20383

직능2-2수준 14985 14516 14225 14593 15373 14851 12203

직능3수준 13084 12278 14922 13053 16034 14754 13054

직능4수준 720 628 1097 523 1360 1229 1431

여행

서비스

관련

종사자

직능1수준 0 0 11 17 165 0 0

직능2-1수준 2 40 32 117 16 14 0

직능2-2수준 59 12 61 5 61 3 0

직능3수준 7 2 59 43 24 0 0

직능4수준 0 0 0 0 0 0 0

숙박

시설

서비스

관련

종사자

직능1수준 136 31 106 77 28 49 3

직능2-1수준 139 63 66 84 87 205 19

직능2-2수준 88 57 17 28 6 45 4

직능3수준 0 8 0 15 0 0 0

직능4수준 0 0 0 0 0 0 0

오락

시설

서비스

관련

종사자

직능1수준 0 11 6 0 1 9 19

직능2-1수준 9 27 4 78 0 18 0

직능2-2수준 0 0 6 8 5 2 0

직능3수준 0 0 6 0 0 0 0

직능4수준 0 0 0 0 0 0 0

주 1) 미충원인원 구인인원에서 채용인원을 제한 인원

2) 1수준 경력 없어도 됨 자격증 취득 수준을 요하지 않음(중졸이하 수준의 업무)

3) 2-1수준 1년 미만의 현장경력 또는 국가기술자격법상의 기능사 수준(고졸수준의 업무)

4) 2-2수준 1년-2년 미만의 현장경력 또는 국가기술자격법상의 산업기사 수준(전문대졸 수준의 업무)

5) 3수준 2년-10년 미만의 현장경력 또는 국가기술자격법상의 기사 수준(대졸석사 수준의 업무)

6) 4수준 10년 이상의 현장경력 또는 국가기술자격법상의 기술사 수준(박사 수준의 업무)

자료 고용노동부(2020) 2020년 직종별 사업체노동력조사

〈표 2-15〉 직능 수준별 미충원 인원

2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25 관광 일자리의 변화

관광분야 일자리는 자동화 세부 및 특화 업무 단위의 노동계약 증가 가치사슬의

변화 등을 통해 그 양상이 변화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WEF 2018) 특히 기술

발전과 사회 전반에서의 기술 활용이 증가됨에 따라 관광 업무 시 AI 빅데이터

등 기술 활용 비율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WEF 2018)

[그림 2-10] 관광 분야 업무에서의 기술 활용 전망

자료 WEF(2018) The Future of Jobs Report 2018 p45

이러한 변화에 따라 관광산업에서는 데이터 분석 AI 활용 등의 기술 분야와 판매

및 마케팅 상품 관리 브랜드 관리 등과 관련한 분야에서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WEF 2018) 반면 무인화 및 자동화로 회계 재고 관리 등의 분야

는 기술로 대체될 가능성이 높아 관련 일자리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WEF

2018) 특히 lsquo여행상품개발 일자리rsquo lsquo여행상품 상담 일자리rsquo lsquo여행안내 일자리rsquo

lsquo숙박기획middot개발 일자리rsquo lsquo객실관리일자리rsquo lsquo부대시설관리 일자리rsquo lsquo카지노 운 관

리 일자리rsquo lsquo크루즈운 관리 일자리rsquo lsquo유원시설운 관리 일자리rsquo 는 5년 내 감소하

면서도 기술 향도를 크게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전효재middot한희정 2018)

즉 관광산업의 미래는 기술에 대한 향이 중요하기 때문에 이러한 기술을 다룰 수

있는 디지털 능력이 관광 종사자에게 요구될 것으로 전망된다(UNWTO 2019) 따라

서 디지털 기반의 관광기업 성장은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향후 5년 내 관광사업체의 세부업종별 일자리 전망은 다음과

같다 동 전망은 관광 전문가 25인(학계 업계 연구기관 등)의 의견을 종합하여 제

29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시하 다 증가가 예상되는 업종은 자동차야 장업 일반야 장업 기타유원시설업

관광순환버스업 관광펜션업 한옥체험업으로 나타났고 이는 코로나19로 인한 자

연공간 선호 야 장 수요 증대 국내여행 증대 지역관광 활성화 등의 향으로 나

타났다

구분 업종 주요 변화 요인

증가(15 이상)

관광객

이용시설업

자동차야영장업

일반야영장업

- 코로나19로 인한 자연공간 선호

- 야영장 수요 증대

- 국내 여행 증대 등

다소 증가(5 sim 15)

유원시설업 기타유원시설업- 개인 및 소규모 관광의 증가

- 지역업체 증가 등

관광 편의시설업

관광객 이용시설업

관광순환버스업 - 대중교통 기피 지역관광 활성화 등

관광펜션업

한옥체험업

- 코로나19로 인한 안전 인식 증대

- 국내 여행 증대 가족 여행 증대 등

유지(-5 sim 5)

관광

숙박업

휴양콘도미니엄업 - 소규모 관광의 증가

- 국내 여행 증대 및 여행 트렌드 변화

- 다양한 숙박형태 선호 등

기타호텔업

관광객

이용시설업

외국인관광 도시민박업

전문 및 종합휴양업 - 대규모 관광객의 감소

여행업 국내여행업 - 코로나19로 인한 국내여행 증대

다소 감소(-15 sim -5)

관광

편의시설업

관광식당업 - 단체관광 및 대규모 관광객의 감소

관광궤도업 - 자동화 및 무인화

관광숙박업 관광호텔업 - 자동화 및 무인화

관광객

이용시설업관광유람선업

- 코로나19 이후 대규모 관광객 감소

- 자동화 및 무인화

- 관광객 수요 감소 등

감소(-15 이상)

관광

편의시설업

관광사진업 - 기기의 발달 및 업종의 축소

관광공연장업

관광유흥음식점업

- 코로나19 이후 대규모 관광객 감소

- 관광객 수요 감소 등

외국인전용유흥음식점업

관광면세업- 코로나19로 외국인 관광객 감소

관광극장유흥업 - 단체관광 및 대규모 관광객의 감소

여객자동차터미널시설업 - 자가용 이용 증가 KTX 등 교통수단

발달 등

국제회의업국제회의기획업

국제회의시설업

- 비대면 회의 행사 증가

- 코로나19 이후 국제행사 감소

카지노업 - 코로나19로 외국인 관광객 감소

유원시설업 종합 및 일반유원시설업 - 대규모 관광객의 감소

여행업일반여행업 - 코로나19

- 자동화 및 무인화 OTA 활용 증대

- 개별여행 증가 등 국외여행업

lt표 2-16gt 관광 세부업종별 향후 5년 내 일자리 전망

3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감소가 전망되는 업종은 여행업(일반여행업 국외여행업) 유원시설업(종합 및 일

반유원시설업) 카지노업 국제회의업 관광편의시설업(관광면세업 관광식당업 관

광궤도업 관광사진업 관광공연장업 관광유흥음식점업 외국인전용유흥음식점업

관광극장유흥업 여객자동차터미널시설업) 관광객이용시설업(관광유람선업) 관광

호텔업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감소는 코로나19로 인한 단체관광 감소 외국인 관광

객 감소 자동화 및 무인화 관광객 수요 감소 등의 향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술의 발전으로 관광상품과 서비스의 유통이 플랫폼 기반으로 변화하고 있

으며 관광자원도 관광의 역에서 일상의 역으로 확대되고 있다(이원희 외

2019) 이에 따라 기존 관광진흥법에 규정된 관광사업체 외에 새로운 관광 비즈니

스 사업체 출현으로도 관광산업 관련 일자리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관광산업과

관광 연관 산업에서의 새롭게 창출 될 수 있는 일자리 분야 파악이 중요하며 이러

한 부분에서의 교육 훈련 및 정책 강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3 시사점

관광산업은 인적 자원에 기반을 둔 산업으로 일자리 창출에 있어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산업으로 인식되고 있다 관광산업은 외부 환경 변화에 민감한 산업이어

서 최근 기술 발전으로 인한 급격한 산업 변화와 유행성 전염병의 발생과 확산은

관광사업체의 운 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관광산업의 일자리 특성은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먼저 고용 형태에 있어서 관광산업은 임시 및 일용직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숙박업의 경우 타 산업 대비 월평균 임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근 신규

채용자 수는 감소하고 이직자 수는 상승하 다 기업생성과 소멸에서 숙박 및 음식

점업의 비중이 높으며 일자리 증감도 높았다

또한 코로나19의 확산은 관광산업의 일자리 감소와 관광산업 변화를 통한 관광

일자리의 변화를 야기하고 있다 관광 직종 종사자의 구인과 채용이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하 으며 채용 인원 계획 또한 큰 폭으로 감소하 다 그리고 여행 서비스 숙

박시설 서비스 오락시설 서비스 관련 미충원인원을 살펴봤을 때 대부분 2년 미만

31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의 현장경력을 보유한 인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행 서비스에서의

2020년 상반기 미충원인원은 코로나19의 여파로 감소폭이 크게 나타났다

기존 관광산업인력 양성 연구에서는 미래 관광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관광산업 인력의 양성이 산업적 정책적으로 중요함을 강조하 다(김덕기middot한

희정 2018) 또한 관광사업체가 필요로 하는 정책지원 수요는 자금 지원(394)

수요확대 지원(193) 인력 지원(115)의 순으로 나타났다(류광훈middot김희수 2018)

즉 관광산업 미래인력의 양성은 관광기업 측면에서 미래 관광 경쟁력 확보의 원천

이며 관광산업의 산업 고도화를 위한 필수 요소이다

이와 더불어 환경 변화로 인해 기술 기반의 일자리 타 분야 융합을 통한 일자리

관광객 수요의 다양화로 기존 관광 일자리가 전문화middot세분화 되고 있다 4차 산업혁

명 기술의 발전으로 AI 빅데이터 플랫폼 등의 활용이 증가되고 키오스크 등의 무

인화 서비스로 인해 관련 분야의 일자리가 감소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기존

관광인력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고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는 한편 관광과 기술이

융합된 분야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향후 5년 내 관광사업체 세부업종별 일자리 전망에 대한 전

문가 의견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증가가 예상되는 업종은 자동차야 장업 일반

야 장업 기타유원시설업 관광순환버스업 관광펜션업 한옥체험업으로 나타났고

감소가 전망되는 업종은 여행업(일반여행업 국외여행업) 유원시설업(종합 및 일반

유원시설업) 카지노업 국제회의업 관광편의시설업(관광면세업 관광식당업 등)

관광객이용시설업(관광유람선업) 관광호텔업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증가 분야의

원인은 코로나19로 인한 자연공간 선호 국내여행 및 지역관광 활성화 등으로 나타

났다 감소 분야의 향 요인으로는 코로나19로 인한 단체관광 감소 외국인 관광

객 감소 자동화 및 무인화 관광객 수요 감소 등을 꼽을 수 있다

관광산업은 코로나 19로 인해 종사자가 감소하고 있고 디지털 변화 외부 환경

등으로 인한 변화의 기로에 있다 즉 현재는 일자리에 대한 정책 방향의 모색이 필

요한 시점이다 이에 이러한 관광산업의 특성과 변화를 반 한 일자리 대응 정책

모색이 필요하다

3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제2절 미래 일자리 환경

1 환경 분석 개요

미래를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사람들은 미래를 정확히 예측하여 맞고 틀리고를 따

지기 보다는 다양한 미래(Futures)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미래 구성을 목표로 한다 한편 일자리는 인간을 둘러싼 다양한 환경 요인들의

상호작용을 반 하는 현실의 거울이다 따라서 미래 일자리의 환경 변화를 살펴보

기 위해서는 이에 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일의 내용과 수행 방식에 직접적으로 향을 미치는 기술적 요인과 이를

수용하기 위한 사회적 법제 정책적 요인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박

가열 외 2019) 한편 최근 들어 코로나19와 기후 변화로 대표되는 생태 환경 요인

은 경제 사회의 발전 과정에서 미뤄둔 숙제가 아니라 생존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보장하기 위한 상수의 문제로 다뤄야 할 것이다

미래 일자리 환경 변화와 미래 이슈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종합적으로 살펴보

기 위해 통상 미래 연구자들이 미래 환경 변화를 탐색하기 위해 주로 활용하는

STEEP 모형에 기초를 두고자 한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일자리 환경 변화의 결과

요인인 경제적 요인을 제외한 사회 기술 생태 환경 및 정치(정책) 및 제도적 요인

과 더불어 관광환경 요인을 중심으로 차례대로 살펴본다 이러한 미래 일자리를 둘

러싼 환경 스캐닝을 바탕으로 관광산업의 주요 이슈를 도출하고 이를 미래 지향적

으로 해결하기 위한 현실적인 정책 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33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2 환경 변화

21 사회 환경 변화

가 인구구조의 변화

미래 일자리 변화의 사회적 요인을 살펴봄에 있어 결국 사람이 일의 세계를 구성

하므로 저출산과 고령화에 따른 인구구조 변화를 선결적으로 살펴보아야 할 것이

다 앞으로 인구구조의 축소적 변화가 기존 경제발전 모델을 전제로 한 재앙인지

아니면 기술 혁신과 산업 고도화에 적합한 적정 인구로의 수렴 과정인지에 대한 심

도 있는 논의가 앞으로 필요하다

한편 우리 사회가 발전하고 산업 구조가 고도화되면서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확대되고 있다 이는 기존의 성 역할 고정관념에 기초한 직업 활동과 가사 분담의

이분법적 접근을 흔들고 있다 다만 여성의 노동시장 진출 직종의 상당수가 대인접

촉이 요구되는 서비스직이므로 코로나19와 같은 광범위한 전염병의 창궐에 일시적

이지만 매우 심각한 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한편 정보통신기술(ICT)의 발전으로 지식의 전달과 활용 기한이 급격히 짧아지

면서 정식 교육기관에 의존한 교수학습 방식보다는 자기 주도적인 비형식 평생학습

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전에 생의 과정을 교육 노동 은퇴 후 여가의 3단계로 구분

한 분절적 모형에서 탈피하여 인생 전 과정에서 질 높은 일과 삶의 균형과 지속적

인 자기 학습을 통한 자기개발을 상호보완적으로 추구하는 모델로 변모하고 있다

세계 인구는 향후 50년 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 반면 우리나라

는 향후 10년 동안 소폭 증가하여 정점을 이루고 이후 40년 동안 지속적으로 감소

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9년 전 세계의 인구는 약 77억 명으로 이 수치는 2000년

대비 약 13배 증가한 수치이며 2067년 전 세계 인구수는 103억 8천만 명으로

전망된다 우리나라 인구는 2019년 5천 2백만 명에서 2067년에는 약 3천 9백만

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통계청 20190902)

3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그림 2-11] 세계와 한국의 인구 추이

자료 통계청(20190902) 2019년 장래인구특별추계를 반영한 세계와 한국의 인구현황 및 전망(보도자료) p1

우리나라의 생산연령인구 구성비는 1966년 이후 계속 증가하 고 2012년

734로 최고치를 보인 후 감소하여 2019년 727로 나타났다 2040년에는 생산

연령 인구가 인구의 약 절반 이상인 563 수준까지 낮아질 전망이다 한편 우리

나라의 고령인구 구성비는 1970년 31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9년 149

로 나타났으며 2067년에는 465로 전망된다

[그림 2-12] 세계와 한국의 생산연령인구(좌) 및 고령인구(우) 구성비 추이

자료 통계청(20190902) 2019년 장래인구특별추계를 반영한 세계와 한국의 인구현황 및 전망(보도자료) p2

생산연령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전체 구성비에서 50를 하회하고 있으며 기울

기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듯이 고령 인구 비중은 급격히 증가하여 13을 상회하는 2040

년 전후에는 현재의 노동연령 구조로는 감당할 수 없을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 따라서

지금부터 고령 친화형 일터 문화와 작업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선제적 준비가 요구된다

35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나 사회인식의 변화

최근 일과 삶의 균형은 사회적 공감대로 형성되고 있다(이재완middot강혜진 2018) 이

러한 일과 삶의 균형의 측면에서 여가시간은 삶의 질이 어느 정도에 도달하 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우리나라 국민의 여가시간은 2019년 기준으로 평일 54시간

휴일 35시간으로 2016년 이래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문화체육관광부 2019b)

일과 삶의 균형을 lsquo워라밸(Work-Life Balance)rsquo로 정의되며 워라밸은 일상생활

에서의 삶의 질의 중요성을 중시하는 인식을 의미한다(민경선 2018) 2019년 사회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들은 일과 가정생활을 비슷하게 여긴다는 응답이 약

442로 나타났으며 이는 2013년 이래로 계속 증가한 수치이다 또한 이 응답은

일을 우선시한다는 응답(421) 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나 우리나라가 일을 우선시

하는 사회에서 워라밸을 중요하시는 사회로 변화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림 2-13] 국민 여가시간 추이(좌)와 일과 가정생활의 우선도(우)

자료 문화체육관광부(2019b) 국민여가 활동조사 p49 자료 통계청(20191125) 2019년 사회조사 결과 p42

우리나라 사람들은 여가활용 중 관광활동에 있어서 주중보다 주말 비율이 높으

며 향후에 즐기고 싶은 여가활동으로 관광활동이 70로 가장 높게 나타나 여가시

간의 증대로 인해 관광활동 참여자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단위 )

구분 TV시청휴식활동

컴퓨터게임인터넷검색 등

취미자기개발

활동

스포츠활동

문화예술관람

사회 및기타활동

스포츠관람

관광활동

문화예술참여

기타

주중 792 690 395 236 136 110 95 45 37 29 02주말 697 689 313 186 139 195 153 49 167 24 02향후 179 275 97 467 244 389 185 108 700 107 02

자료 통계청(20191125) 통계청(20191125) 2019년 사회조사 결과

〈표 2-17〉 여가활용 활동(복수응답)

3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또한 이러한 사회 인식 변화에 따라 일자리를 선택함에 있어 좋은 일자리의 기준

중 하나가 워라밸이 가능한 곳이 되고 있다(이재완middot강혜진 2018)

22 기술 환경 변화

기술의 발전은 사람들의 일하는 내용과 방식에 직접적으로 향을 미친다 미래

기술 발굴과 관련된 방법론은 예측을 하는 목적 접근의 방식 이용하는 자료에 따

라 매우 다양하다(박가열 외 2019) Alan L Porter 등(2011)의 985172기술의 예측과

경 (Forecasting and Management of Technology)985173에 소개된 매크로 모니터

링(Macro Monitoring) 방법은 급부상하고 있는 유망한 연구 역의 도출이나 유망

기술을 발굴하는 것으로 소개되기도 하 다(손은수 외 2018)

최근 디지털 기술 혁신은 제조업의 대량 생산에 근원을 두고 있는 정형화된 업무

시간과 집중형 업무 공간의 개념을 근본적으로 바꾸고 있다 또한 단순 반복적인 작

업을 기계가 대신해줌으로써 기계와 달리 습성화에 쉽게 지루함을 느끼고 주의 집중

및 신체적 강인성에 한계를 지닌 인간이 노동시장에서 소외되는 결과를 낳았다

기술의 진보로부터 비롯된 일자리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미래

사회를 주도할 미래 유망한 기술을 꾸준히 탐색하고 수요자의 요구에 부합한 제품

과 서비스 개발이 요구된다 여기서는 사회적 요구를 반 한 유망기술의 흐름을 탐

색하고 상대적으로 적용 가능성이 제한적이더라도 관광산업에의 접목 가능성을 살

펴보고자 한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 따르면 해외 주요기관에서 발표된 미래유망기술을

연도를 기준으로 구분하고 lsquo2-모드(mode) 네트워크 분석rsquo을 실시하 다(손은수

외 2018) 그 결과 미래유망기술로 인공지능 블록체인 드론 딥 러닝 유전자 편

집 등이 부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7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그림 2-14] 해외 주요 연구기관이 발표한 지난 10년간 미래기술 동향

자료 손은수middot홍성화middot고병열(2018) 국내외 주요기관이 전망한 미래기술의 흐름 p66

한편 국내 연구기관이 제시한 2010년 전후 미래 유망기술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텍스트 마이닝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2010년 이전에는 고효율 치료 자동

복합 환경 지능형 바이오 등의 기술이 각광받은 것으로 나타났다(손은수 외

2018) 2010년 이후에는 에너지 스마트 실시간 3D 환경 지능형 자동 정보

플랫폼 등의 기술이 각광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외 연구기관에서 발표된 최근 미래유망기술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먼저 해외

의 결과는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로봇공학(robotics)

3D 프린팅(3D printing)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사이버 보안(cyber security)

블록체인(block chain) 데이터 분석(data analytics) 자율주행 운송 수단

(autonomous vehicles) 등이 중요한 미래유망기술로 나타났다 반면에 국내에서

는 일부 유사하면서도 실용성에 중심을 둔 에너지 스마트 3D 지능형 자동 차세

대 정보 고효율 실시간 환경 등이 중요한 미래유망기술로 나타났다

3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그림 2-15] 국내 주요 연구기관이 발표한 2010년 전(좌)후(우) 미래유망기술 변화

자료 손은수middot홍성화middot고병열(2018) 국내외 주요기관이 전망한 미래기술의 흐름 p54

[그림 2-16] 해외 주요 연구기관이 발표한 2010년 전(좌)후(우) 미래유망기술 변화

자료 손은수middot홍성화middot고병열(2018) 국내외 주요기관이 전망한 미래기술의 흐름 p29

디지털 혁신의 기반이 되는 정보통신기술(ICT)과 인간 사회와의 상호작용에서 필

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대립과 갈등의 본질을 이해하는 것이 미래 사회를 전망하

는 데 중요하다 이러한 디지털 기술과 사회의 관계 맥락에서 바람직한 미래를 설계

하기 위해 개인과 기업 및 나아가 국가 차원에서 먼저 고려해야 할 10대 이슈를

선정하 는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이승민 외 2017)

개인적 측면에서 디지털 혁신은 직업 구조 변화의 요인으로 고려된다 이 디지털 혁신

은 중간직과 전문직의 종말 새로운 계급의 등장 노동 구조의 변화 등을 야기하고 있다

39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다만 기술 진보에 따른 중간직 일자리의 대체나 혹은 새로운 기회의 창출은 기존

에 면허 제도를 통한 전문직 역의 배타적 역을 어떻게 조정할 것인가의 법제적

문제와 결부될 수 있을 것이다

10대 이슈 주요 내용

1 인공지능 민주화와 제국주의

- 본격적인 대중화를 열어갈 인공지능의 민주화

- 인공지능 민주화와 글로벌 기업들의 마케팅 전략

- 민주화를 바라보는 우려의 시각 제국주의와 블랙박스 사회

2 혁신의 미래 속도와 다양성

- 축적의 시간을 줄이기 위해 변화된 혁신의 방향

- 다양한 산업 부문에 ICT 기반 혁신이 발생

- 혁신과 성과 확대를 위한 인력middot조직의 변화 요구

3 산업의 미래 디지털 격변

- 디지털 DNA가 모든 산업의 DNA를 전환

- 제품middot서비스 운영 프로세스 고객경험의 디지털 전환

- 디지털 전환의 방향 속도 범위를 고려한 주체별 생존 전략

4 경제 성장의 미래 풍요와 결핍

- 저성장과 경제적 고립주의 하에 바라본 ICT

- 전통적 경제 규모지표에서 포착하기 어려운 풍요

- 새로운 기술-사회경제 연결 지표와 분배 구조 마련 필요

5 블록체인과 미래 권력

- 개인 권력을 확장시키는 블록체인의 파괴력

-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를 넘어 개인과 국가 권력을 변화

- 혁명으로의 블록체인은 시간이 필요

6 탈진실의 시대 새로운 위험

- 정보의 대량 생산과 소비 초연결이 만든 탈진실의 시대

- 증거기반 토론보다 검색기반 정보 유통에 의존한 탈진실의 위험

- 진실을 붙잡기 위한 기술적 시도와 미디어 정보 문해력

7 인터넷 발칸화와 사이버 안보

- 경계 없는 인터넷에 만들어지는 새로운 국경

- 발칸화된 사이버 공간에서 벌어지는 국가 간 경쟁

- 인공지능과 양자컴퓨터라는 새로운 안보 위험의 부상

8 중간직과 전문직의 미래 신계급

의 등장

- 중간직과 전문직의 디지털 프랜스포메이션

- 기술이 직무를 보완하는 대신 직무가 기술을 보완

- 디지털경제와 데이터경제 주체로 부상하는 새로운 계급

9 소비의 미래 생산과 경험

- 기술의 발전은 소비자의 생산 활동의 폭을 증가

- 물리적인 제품에서 서비스와 데이터 생산자로 참여

- 고정된 생산물의 소유에서 유동적 서비스 경험하는 미래

10 인간과 기계 관계의 역설

- 인간을 이해하는 기계의 일상화과 초래하는 관계의 역설

- 기계를 향해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양가감정 느끼는 인간

- 인간관계의 애착유형을 통해 기계와의 건전한 관계를 맺을 준비

자료 이승민middot정지형middot송근혜(2017) p5

lt표 2-18gt 사회-과학 주요 10대 이슈

기업 측면에서 살펴보면 글로벌 정보통신기업들이 인공지능기술을 바탕으로 신

기술을 확산시키고 있으며 전 산업에서 인공지능 플랫폼을 활용하여 시장을 확장

하고 있다 또한 기존 폐쇄형 기술의 혁신은 개방형 혁신 생태계로 변화하고 있으

4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며 학계 중심의 이론적 연구는 글로벌 기업 중심의 실제 사업(business)으로 변모

하고 있다

국가 측면에서는 디지털 기술혁명이 새로운 시대를 이끌어 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최근 전개되고 있는 코로나19와 같은 전염병의 전 세계적 창궐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예술 활동 등 다양한 방면에서 비대면 디지털 기술의 발전을 촉진

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블록체인은 중앙통제를 상대적으로 약화시킬 것으로 개인 권력을 확장시

켜 상대적으로 중앙 통제를 약화시킬 수 있을 것이라 전망된다

23 생태 환경 변화

전 세계를 공포로 내몰고 있는 코로나19는 사람과 다양한 동물에 감염될 수 있는

바이러스로서 유전자 크기 27~32kb의 RNA 바이러스를 말한다2)

2020년 5월 18일 기준 우리나라의 검사 건수는 737118건이고 이 중 11065명

(15)이 확진자로 진단되었다

국가 검사건수 확진자 건수대비 확진률

중국 NA 82954명 NA

한국 737118건 11065명 150

이탈리아 1933272건 225435명 1170

이란 NA 120198명 NA

일본 250151건 16305명 650

미국 10720185건 1486742명 1390

영국 1818712건 243695명 1340

자료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httpwwwcdcgokr)

lt표 2-19gt 주요 국가 검진건수 및 확진률 비교(0518 00시 기준)

이들 전체 확진자의 광역시도별 분포를 살펴보면 대구(621) 경북(124)이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 고 이어서 인구 비중이 높고 사회적 이동의 중심 지역인

서울(67) 경기(65) 순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2) 보건복지부 코로나19바이러스 인터넷 페이지(httpncovmohwgokrbaroViewdobrdId=4ampbrdGubun=41)

41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그림 2-17] 광역시도 별 COVID-19 확진자 분포

자료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httpwwwcdcgokr)

세계경제포럼은 직업별 코로나19에 대한 위험 점수를 미국 노동부의 ONET의

타인과의 접촉 물리적 근접성 및 질병 및 감염에의 노출 세 가지 변수를 활용해서

산출했는데 치과위생사(997점)의 위험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2-18] 직업별 코로나 바이러스 위험 점수

자료 세계경제포럼(WEF) 웹사이트(wwwweforumorgagenda202004occupations-highest-covid19-risk)

4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국제노동기구(ILO)는 이러한 코로나 바이러스의 향으로 실업자가 최소 530만

명에서 최대 2470만 명에 이를 것이라고 예상했다 실업으로 인한 소득 감소는 재

화와 용역의 소비를 감소하고 경제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 특히 저임금 노동자와

여성 이주민 등 취약 계층에게 부정적인 향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지구온난화로 대표되는 기후변화는 생태계의 지속 가능한 생존과 일상생활은

물론이고 우리들의 관광과 문화와 관련된 직업 활동에도 도전적인 문제로 대두될 수

있다 최근 세계기상기구(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WMO)에서 펴낸

lsquo2015-2019 글로벌 기후보고서(The Global Climate in 2015-2019)rsquo에 따르면 최

근 5년이 역사상 가장 더웠던 5년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산업화 이전(1850-1900년)

보다 11 상승했으며 이전 5년(rsquo11~rsquo15)보다 02 상승했다고 한다

[그림 2-19] 1854년~2019년 전지구 기온편차 및 2025년까지 전망치

주 HadCRUT GISTEMPT NOAAGlobalTemp ERA-5는 기후관련 데이터 및 기후 분석 도구를 의미함

자료 영국기상청 홈페이지(httpswwwmetofficegovukabout-uspress-officenewsweather-and-climate

2020confirmation-that-2019-concludes-warmest-decade-on-record)

한편 이산화탄소(CO2) 농도 또한 2019년 말에 410ppm에 이르거나 초과할 것

으로 예상되고 있다 우리나라 경우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최근 5년간 평균기온

은 133로 이전의 2011년부터 2015년까지 5년간보다 03 상승한 것으로 나

타나 전지구의 평균기온의 증가보다 01 큰 것으로 나타났다(기상청 2019) 또

한 이산화탄소 농도가 이전보다 높아지고 있는데 한반도의 2018년 CO2 연평균

농도는 2017년 대비 30ppm 높은 4152ppm으로 나타났고 최근 10년간 연평균

CO2 농도 증가량은 전지구의 CO2 연평균 농도인 23ppmyr 보다 다소 높은

24ppmyr로 나타났다

43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구분 전지구 한반도(안면도 관측소)

2018년 연평균 농도 4074 ppm 4152 ppm

2017년 대비 농도 증가량 24 ppm 30 ppm

최근 10년 연평균 농도 증가량

(2009년~2018년)23 ppmyr 24 ppmyr

주 전지구 CO2 농도는 미국해양대기청(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의 발표 값으로

향후 변경될 수 있음

자료 기상청(2019) 2018 지구대기 감시보고서 p28

lt표 2-20gt 전지구 및 한반도 연평균 CO2 농도 비교

이러한 지구 온난화는 사람의 기본적인 건강과 일상적인 생활은 물론이고 직업 활

동에도 전반적으로 향을 미친다 폭염 한파 가뭄 홍수에 의한 식량 감소는 양

상태의 악화를 초래하고 온열 질환과 더불어 감염병 피해도 증가하게 된다 최근 코

로나19 창궐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전염병은 이동과 대면을 통한 접객 서비스가 전

제되는 여행 관광 숙박 식음료 산업의 침체에 심각한 향을 미칠 수 있다

24 정치middot제도의 환경 변화

정치middot제도 환경 변화로는 관광과 관련해서는 여가시간의 증가 재생공간의 증가

남북 관계 및 동북아 정세 변화 등이 나타나며 이와 관련한 환경 변화로 인해 일자

리 변화도 예상되고 있다

먼저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에 따른 개인 여가 시간 증가 및 장기 휴가 분위기

정착이 예상된다 정부는 2018년 7월 휴식이 있는 삶을 보장하기 위해서 노동시간

주 최대 68시간에서 52시간으로 단축하고 특례업종을 축소하는 등 주 52시간 근무

제를 실시하 다 이는 단순히 근로시간 단축의 의미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가 여가

중심의 사회로 변화할 것을 의미한다(김희수middot정광민 2019) 즉 여가시간 증대가

여행 관광 숙박 식음료 산업의 활성화에 향을 미칠 수 있다

한편 정부에서는 도시의 물리적 환경 개선과 주민 역량 강화를 통해 도시를 종합

적으로 재생하는 도시재생 뉴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는 지자체가 주도하여주

거지의 노후화 구도심의 쇠퇴를 방지해서 도시의 경쟁력을 높이고 일자리를 창출

하는 사업이다 이 정책은 지방 중소도시의 고령화 및 전국적인 인구 감소 지역 확

4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대로 인한 지역의 일자리 감소와 건축물 노후화에 기인하고 있다 이에 국토교통부

는 lsquo도시재생 뉴딜 로드맵rsquo을 2018년 발표하고 도시공간 혁신 도시재생 경제 활성

화 주민과 지역 주도의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관광분

야에서는 구도심이 보유한 역사 근대건축물 시장 골목 폐공장 창고 등이 새로운

공간으로 가치를 재창출하고 있다(이원희 외 2019)

또 다른 변화로 남북 관계의 변화 등 국제 정세 변화에 있다 남북 관계는 국내

뿐만 아니라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 정세에도 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2018년 2월

북한의 평창 동계올림픽 참가를 계기로 남북관계가 lsquo대화와 협력rsquo 국면으로 전환되

어 남북 정상회담 3회(2018년 4 5 9월) 북미 정상회담 1회(2018년 6월) 등이

진행되어 지속가능한 남북관계 발전 한반도 신경제공동체 구현 등 대북정책을 이

행하고 비무장지대(DMZ) 국제 평화지대화 북한 개별 관광 등 추진을 위한 긍정

적 분위기가 조성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미사일 발사시

험 대북전단 살포 문제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3) 등 남북관계 경색이 지속되고

있어 한반도 정세에 있어서의 남북관계 긍정적 분위기 구축이 중요한 문제도 대두

되고 있다

25 일자리 환경 변화

가 코로나19 이전의 변화4)

우리 사회는 4차 산업혁명 저출산 및 고령화와 같은 기술 사회경제적 변화에

직면해 있으며 이에 따라 일자리 일하는 방식이 변화하고 있다

일자리 환경 변화의 측면에서 개인 직업관의 변화 일자리의 양극화 1인 기업의 증

가 유연한 업무환경 등의 변화가 예상된다(미래창조과학부 미래준비위원회 외 2017)

먼저 필요에 따른 구인middot구직을 통해 직업관이 조직 중심에서 개인 중심으로 변

화되며 프로젝트 기반의 lsquo1인 기업rsquo이 증가할 전망이다 통계청의 기업생멸행정통

계 결과 2018년 기준 종사자 수 1인 기업은 439만개이며 이는 전체 활동 기업의

3) 북한은 순항미사일 시험발사를 2020년 7월 4일 발사하였으며 남한의 탈북민단체의 대북전단 살포에 대한

북한의 비방인 2020년 대두되었으며 2020년 6월 14일 북한의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로 남북관

계는 교착상태에 있음

4) 미래창조과학부 미래준비위원회 외(2017)의 내용을 재정리함

45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789로 나타났으며 2017년 대비 269 증가 하 으며 신생기업의 경우 893

가 1인 기업으로 나타났다(통계청 20191212)

사회 환경과 기업문화의 변화에 따라 고용 환경은 불안정성이 증가하여 정규직

중심의 전통적 일자리에서 임시 및 독립적 일자리가 증가할 전망이다 또한 기술

진보로 단순 반복적 자동화되기 쉬운 중숙련 일자리의 감소하고 이에 중숙련 노동

자가 저숙련 노동자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고숙련 노동자와 저숙련 노동자의 직업과

임금의 양극화가 심화될 전망이다

자기 고용인 1인 기업은 개인 스스로 생산과 소비가 가능해짐에 따라 부상되며

SNS 미디어를 활용한 1인 인터넷 기업 플랫폼 기업의 활성화가 전망된다 또한

산업과 기술 간 융합을 통한 창의적 역량이 필요한 분야가 일자리 잠재력이 큰 산업

으로 전망된다 2018년 기준 플랫폼경제종사자 규모는 최소 47만명에서 최대 54

만명(전체 취업자의 17~20)으로 추산된다(김준 외 2018) 한편 기술 발전

으로 언제 어디서나 일할 수 있는 업무 환경이 구축되어 이에 따른 유연근무제 재

택 및 원격근무제도가 활성화될 전망이다

미래의 직업 변화는 크게 ➀ 기존 직업의 고부가가치화 ➁ 직업의 세분화 및 전

문화 ➂ 융합형 직업의 증가 ➃ 기술 기반의 신규 직업 탄생 등이 이루어질 것으

로 전망된다(미래창조과학부 미래준비위원회 외 2017)

구분 변화 내용

기존 직업의

고부가가치화

- 직업의 역할과 프로세스의 재정립으로 단순 노동력은 전문화된 서비스로 변화

(예 언론의 분야별 전문기자 등 의료서비스의 응급실 의사 암진단 의사 등)

직업의 세분화 및

전문화

- 수요의 다양화와 고품질 요구 증가로 수용자 중심의 제품과 서비스 개발 전달에 있어서

의 과정이 전문화되고 세분화 이에 따라 직업의 세분화 현상 증가

(예 로봇 엔지니어 노년 플래너 가상 레크레이션 디자이너 기후변화 전문가 등)

융합형 직업의

증가

- 다른 직무나 지식 기술과 기능이 융합한 신규 전문분야를 창출하는 과정을 통해 새로운

융합형 직업 출현 (예 테크니컬 라이터 사용자 경험 디자이너 홀로그램 전시기획가 등)

기술 기반의

신규 직업 탄생

- 과학기술 진보로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게 됨에 따라 관련 직업의 탄생 증가

(예 기계 인터페이스 전문가 저장 관리 전문가 스마트 교통 시스템 설계 엔지니어 등)

자료 미래창조과학부 미래준비위원회 외(2017)의 내용 재정리

lt표 2-21gt 미래 직업 변화

4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나 코로나19로 인한 일자리 환경 변화의 특성

코로나19로 인해 이동이 제한되면서 재택근무제 유연근무제는 확산되고 있다

우리나라 정부는 현재 유연근무제 간접노무비 지원제도(중소middot중견기업 대상 유연

근무제 사용근로자 1인당 연간 최대 520만원 지원) 재택근무 인프라 지원 사업(중

소middot중견기업 대상 인프라 구축비의 50를 2천만 원 범위에서 지원)을 시행하고 있

다(고용노동부 20200410) 코로나19가 발생한 1월부터 비교했을 때 2020년 4

월 7일까지 2602개 사업장 대상의 유연근무제 간접노무비 지원신청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유연근무제로는 재택근무(525) 시차출퇴근(411) 원격근무(13)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고용노동부 20200410) 2020년 7월 현재 코로나19 이후 대기업

중 75가 유연근무제를 확대하고 있으며 근로형태의 다변화(예 비대면middot유연근무제

등)(391) 산업구조 디지털화로 인한 일자리 감소(251) 등의 변화를 야기할 것으

로 대기업들은 전망하고 있다(한국경제연구원 20200720) 코로나19는 일자리 환경

에 있어서 근무형태의 변화를 가속화하 고 특히 유연근무제 확산을 촉진시키고 있다

[그림 2-20] 유연근무제 지원신청 추이

자료 고용노동부(20200410) 임서정 고용노동부 차관 재택근무 우수 사업장 방문하여 현장의견 청취(보도자료) p3

또한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해 코로나19로 인한 고용시장의 변화도 장기화될

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취업자 수는 2019년 9월 기준으로 2701만 명으로 전

년 동월 대비 39만 명이 감소하 으며 숙박 및 음식점업이 전년 동월 대비 ndash98

감소(약 22만 명)한 것으로 나타나 코로나19의 여파는 관광산업 고용에 향을 주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통계청 20201016)

47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26 관광 환경 변화

가 코로나19 이전의 변화5)

1) 관광시장의 변화

먼저 관광시장 측면에서는 밀레니얼 Z세대 뉴시니어 등 다양한 세대가 트렌드

변화를 주도하고 방한 인바운드 시장의 다양화와 세분화가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된

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변화는 소소한 여행 경험소비 누구나 즐기는 여행 여행

트렌드 세터 다이내믹 방한시장 관광시민 등의 키워드로 표현될 수 있다

먼저 주52시간 근무제 시행으로 일과 삶의 균형을 중시하는 인식이 확산됨에 따

라 소확행 단기 근거리 여행이 증가하고 여행의 일상화 가격대비 최대 만족을

원하고 스테이케이션 호캉스 등 다양한 여행 형태가 나타나고 있다 또한 관광객

의 관광 경험도 축적은 현지 액티비티 여행 프로그램의 인기 증가에 향을 미쳤으

며 이에 따라 액티비티 상품 플랫폼이 성장하고 있다 여행이 보편적 권리로 사람

들에게 인식되면서 사회적 취약계층 시니어 밀레니얼 가족 등을 위한 관광상품

관광 콘텐츠 등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사회 트렌드를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가

주도함에 따라 이들이 여행트렌드도 선도하고 있다 또한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

는 소셜미디어 디지털 플랫폼에서의 향력을 확대하고 그들의 개성 희소성 정

체성 등이 드러나도록 여행트렌드를 이끌고 있다

관광은 한middot중middot일 외교의 변화 남북 관계 등 외부환경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이에 따라 역동적인 양상을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환경에 대한 인

식이 사회 전반적으로 강화됨에 따라 지속가능 관점에서 관광객이 여행하는 동안

해당 지역의 시민으로서 책임감이 증가되는 관광시민의 역할을 나타내고 있으며 여

행사고 인식의 증가로 관광 안전 의식에 대한 고려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5) 관광 환경 변화는 이원희 외(2019)의 내용을 재정리하여 작성하였다

4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구분 키워드 내용

관광시장

소소한 여행 소확행

가심비 가시비

-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은 여가시간 증가와 일과 삶의 균형을 중시하는

워라밸 인식의 확산을 촉진하고 단기 근거리 여행의 지속적 성장을 야

기함

- 국민들의 여행 경험이 증가하고 일상화되면서 스테이케이션 호캉스 등

짧고 가까운 여행을 즐기는 다양한 여행 행태가 나타남

경험소비 여행

액티비티 전성시대

- 관광객의 여행경험도 증가로 단순 방문과 관람에서 기억에 남는 경험과

체험을 더 중요시함 이를 충족할 수 있는 여행지 선택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함

누구나 즐기는 여행

은퇴부터 100세까지

- 우리나라 인구구조의 변화와 삶의 질의 추구 일과 여가의 균형을 중시

등으로 인해 lsquo누구나 즐기는 여행rsquo이 새로운 트렌드임

여행 트렌드 세터

뉴 제너레이션

-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가 여행트렌드 변화를 이끌 세대로 주목받고 있음

- 국내외 관광목적지 선택에 있어서 소셜 미디어와 디지털 플랫폼의 영향

력이 증가하고 여행콘텐츠 생산middot 소비의 주도 세력인 뉴 제너레이션의

관광시장의 영향력도 증대하고 있음

다이내믹 방한시장

유동성과 다변화

- 한middot중middot일 외교 남북 관계 등이 향후 5년간 우리나라 외래관광객 유치

시장에 영향을 주며 이러한 요인들로 인한 불확실성으로 역동성이 증대

할 것임

- 또한 아세안 지역의 국가와 교류가 증대되면서 우리나라 인바운드 시장

의 다양화와 세분화될 것으로 전망됨

관광시민 여행

가치를 생각하다

- 전 세계에서 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어 관광에서도 윤리적 친환경적

여행소비의 관심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됨

- 더불어 공정관광 책임관광 등의 대두로 관광객의 방문지역에 대한 시민

으로서 의무 및 권리 증대를 의미하는 lsquo관광시민rsquo의 개념이 발생하고 있음

관광산업

모바일과 여행 플랫폼

비즈니스의 진화

- 디지털 기반의 여행 서비스 유통구조 형성으로 관광소비와 관광산업의

변화가 확산될 것으로 기대되며 여행 플랫폼은 더욱 성장할 것으로 전

망됨

빅데이터가 여는

AI 관광시대

- 빅데이터 분석기술의 발달로 관광객 편의 증진 관광산업 경영 효율성의

제고 관광 목적지 문제 해결 등이 가속화될 전망이며 산업부문에서도

기술을 활용한 혁신이 가속화되고 있음

공유 여행

공간middot이동middot경험을

잇다

- 공유경제의 전 세계적 확산에 따라 숙박 공유 모빌리티 공유 등 변화가

전망됨

- 관광객은 숙박 교통 여행상품 음식 등을 공유경제 플랫폼을 통해 이용

하며 현지에서의 lsquo진정성rsquo(authenticity) 추구 경향이 증대함

관광자원일상에서 만나는

비일상 여행

- 과거 여행 목적지 중심(예 관광명소 유적지 등)에서 지역 주민의 일상

공간으로 관광지의 공간에 대한 경계 제한이 모호해짐

- 이는 미디어와 소셜미디어 영향으로 가속화되고 있으며 뉴트로(New-

tro)의 영향으로 근대문화유산을 활용한 도시재생 콘텐츠가 인기임

자료 이원희 외(2019) 관광 트렌드 분석 및 전망 2020-2024

lt표 2-22gt 2020~2024 관광 트렌드

49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2) 관광산업의 변화

관광산업 측면에서는 플랫폼 비즈니스 AI 관광 관광공유경제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비즈니스의 성장이 전망된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변화는 모바일과 여행 플

랫폼 기반의 관광사업체의 성장 빅데이터를 활용한 AI 관광시대 공유 관광 플랫폼

의 증가 등의 키워드로 요약될 수 있다(이원희 외 2019)

먼저 관광상품 및 서비스의 유통이 플랫폼 기반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관광객의 소비 행태와 관광산업의 유통 구조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관광 플랫

폼 비즈니스는 전통적 관광산업 범위를 벗어나 새로운 비즈니스를 나타내는 관광기

업이 출현하고 있으며 창조적 융복합 관광상품 소비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디

지털 플랫폼의 증가에 따라 관광 분야에서도 현지 여행 가이드 관광활동 가이드

등 계약직이나 프리랜서 등의 형태로 경제활동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관광분야 산업의 성장요인은 모바일 인터넷의 진보 새로운 기술 활용의 증가 개

발도상국의 성장 인공지능 기술의 진보 중산층 및 교육의 확대 빅데이터 활용 가

능성 증대 새로운 업무처리의 증가 국가 경제 성장의 전환 클라우드 기술 진보

등으로 파악된다(WEF 2018)

특히 항공 여행 관광산업에서의 주요 기술 활용도는 아래와 같이 IoT 앱 및 웹

빅데이터 머신러닝 클라우드 컴퓨팅 등이 70이상 활용되고 있다(WEF 2018)

[그림 2-21] 항공 여행 관광산업에서의 주요 기술 활용률

자료 WEF(2018) p44 전효재middot한희정(2018) p22에서 재인용

5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인공지능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개인 맞춤형 여행정보

제공뿐만 아니라 관광객의 관광 콘텐츠 및 정보 소비의 변화도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관광분야에서는 챗봇을 비롯한 AI의 활용도가 증가되고 있으며 음성인식

을 활용하여 관광객 편의 제공도 증가하고 있다 현재 빅데이터의 전달 및 제공에

있어서 한계가 있으나 AI 기술의 발전으로 관광객 맞춤형 서비스 고도화 및 체험성

이 증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마지막으로 공유경제의 성장에 따라서 관광분야에서도 숙박 모빌리티 관련 공유

가 나타나고 있으며 숙박 교통 관광체험 상품 등을 공유경제 플랫폼의 관광객 이

용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3) 관광자원의 변화

관광자원 측면에서는 일상에서 만나는 비일상 여행이 주요 키워드로 고려된다 관

광객들의 여행 경험이 축적됨에 따라 관광객의 관심이 기존 관광지 관광시설 등뿐만

아니라 지역 주민의 삶을 엿볼 수 있는 마을 골목 시장 등에도 증대되고 있다 이와

함께 일정 기간 동안 여행지에서 체류하는 트렌드(예 한달살기)가 확산되고 있다 이

러한 지역 생활공간 내 관광객의 유입에 따라 지역 주민과 관광객 간의 갈등이 증가

하는 lsquo오버 투어리즘(Over Tourism)6)rsquo lsquo투어리스티피케이션(Touristification)7)rsquo

과 관련한 이슈에 대한 대응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나 코로나19 이후의 변화

최근 관광산업의 변화에 있어서 가장 큰 요인은 코로나19로 인한 변화이다 코로

나19로 인해 국가 간 지역 간 이동이 제한되면서 관광사업체의 매출이 감소하고

있다 즉 코로나 19는 관광객의 행태와 소비 변화뿐만 아니라 관광산업에도 큰

향을 미쳤고 이로 인해 관광산업 일자리에 대한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6) 오버투어리즘은 관광지역이 수용할 수 있는 수준을 넘은 관광객의 유입으로 발생하는 다양한 부작용을 포함

하는 개념으로 임대료 상승에 의한 주민들의 비자발적 이주 소음 쓰레기 등으로 인한 정주권 피해 관광지

의 지나친 혼잡 자연환경 훼손등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이원희 외 2019)

7) 투어리스티피케이션은 주로 관광지化로 번역되며 국내에서는 특정 지역에 관광객이 늘어나면서 관광지로

변해가는 현상을 통칭하는 의미로 미디어 등에서 활발하게 사용된다(박주영 2018)

51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구분 내용

국내여행 활성화- 코로나19로 인한 해외여행 제한 등 국내여행 시작 및 자동차 여행 급증

- 대도시 지역관광 비시즌 로컬여행을 통한 일상 추구

안전 여행 인식

증대

-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체류형 독립 공간 선호

-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영향으로 소규모 안전 여행 추구

- 소규모 안전 부티크 호텔 웰니스 관광 의료관광 성장

- 여행자 신뢰 회복 및 신규 안전 및 클린 라벨 부착 방문자 정보 앱 국내 관광 홍보 캠페

인 실시

- 비 혼잡 관광 목적지 및 개선된 의료 시스템을 갖춘 여행업체(여행사 숙박업 등)의 선호세

디지털 활용

가속화

- 코로나19의 영향과 산업별 해결책 모색을 위한 정보 및 데이터 교환 시스템 구축

- 코로나19로 인한 디지털 전환시점동안 온라인에서 이용 가능한 문화와 지속 가능한 관광

에 대한 프로그램 개선

- 비즈니스 미팅 휴가 및 여가활동 등 단계적 온라인 전환

인력의 재배치 - 문화관광 전문인력 배치의 유연성 제고를 위한 창의적인 고용 솔루션 개발 필요

기타- 여행제한 해제 및 기업과의 협업으로 유동성 지원 접근으로 관광시장 다변화 지원

- 기술 파트너의 플랫폼 구축과 정보공유를 위한 거버넌스 구조 강화

자료 OECD(20200602) Tourism Policy Responses to the coronavirus (COVID-19) UNWTO(2020)

Cultural tourism amp COVID19 WEF(20200715) Top factors travellers will consider before planning

their next trip WEF(20200811) How are people holidaying after COVID-19 lockdowns Forbes

(20200507) Post Coronavirus Travel How Most Americans Want To Holiday At Home FP

(20200613) The Future of Travel After the Coronavirus Pandemic Travel Weekly(20200715) In

new reality demand grows for boutique hotels wellness experiences Agoda(20200729) Agoda

shares quick ways to sustainably rediscover the world through lsquoSlow Travelrsquo 내용 재정리

lt표 2-23gt 코로나19 이후의 변화

코로나19 발생 이후 해외여행에 대한 관광객의 수요는 국내여행으로 전환되고

여행 안전에 대한 인식도 강화되고 있다 코로나19 확산 이후(2월~4월)에도 응답자

의 229가 국내여행을 경험하 고 향후 458는 국내여행을 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하 다(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200527)

코로나19로 관광행태 및 관광시장의 변화가 발생함에 따라 관광기업의 온라인

전환이 가속화되고 관광인력 배치의 유연성이 제고되는 등 관광산업의 재정비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코로나19로 관광객들은 대인 접촉이 우려되는 장소보다는

사람이 적은 지역 자가용을 이용한 여행 당일 여행을 선호하는 등 국내 여행 방식

을 변화시킨 것으로 나타났다(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200527)

5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3 시사점

본 연구는 미래 일자리 환경 변화와 미래 이슈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종합적으

로 살펴보기 위해 일자리 환경 변화의 결과 요인인 경제적 요인을 제외한 사회 기

술 생태 환경 및 정치(정책) 및 제도적 요인과 더불어 관광환경 요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구분 내용

사회환경 변화

- (인구구조) 세계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우리나라는 향후 50년 동안 감소할 것으

로 전망됨 특히 우리나라는 생산연령인구의 지속적인 감소와 고령 인구비중의 증가가

전망됨

- (여가 시간 변화) 2016년 이래로 증가하고 있으며 일을 우선시하는 사회에서 워라밸을

중요하시는 사회로 변화하고 있음

기술환경 변화

- (해외) 최근 미래유망기술은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로봇공학 3D 프린팅 가상현실 사

이버 보안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 자율주행 운송 수단으로 나타남

- (국내) 실용성에 중심을 둔 에너지 스마트 3D 지능형 자동 차세대 정보 고효율

실시간 환경 등이 중요한 미래유망기술로 나타남

생태환경 변화

-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 코로나 바이러스의 영향으로 전세계 실업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관광산업을 비롯해 기업과 경제 전체에 부정적인 영향이 클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 (기후 변화) 지구온난화로 대표되는 기후변화는 생태계의 지속 가능한 생존과 일상생활은

물론이고 우리들의 관광과 문화와 관련된 직업 활동에도 도전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음

정치middot제도 환경

변화

-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에 따른 개인 여가 시간 증가 및 장기

휴가 분위기 정착이 예상됨

- (도시재생 뉴딜 사업) 관광분야에서는 구도심이 보유한 역사 근대건축물 시장 골목

폐공장 창고 등이 새로운 공간으로 가치를 채창출하고 있음

- (남북 관계 변화 등) 2018년 2월 북한의 평창 동계올림픽 참가를 계기로 긍정적 분위

기가 조성되었으나 북한의 미사일 발사시험 대북전단 살포 문제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등 남북관계 경색이 지속되고 있음

일자리 환경 변화

- (코로나19 이전) 개인 직업관의 변화 일자리의 양극화 1인 기업의 증가 유연한 업무

환경 등의 변화가 예상됨

- (코로나19 이후) 이동이 제한되면서 재택근무제 유연근무제는 확산되고 있으며 코로

나19 여파로 노동시장의 위축이 장기화되고 있음

관광환경 변화

- (관광시장) 밀레니얼 Z세대 뉴시니어 등 다양한 세대가 트렌드 변화를 주도하고 방한

인바운드 시장의 다양화와 세분화가 전망됨

- (관광산업) 플랫폼 비즈니스 AI 관광 관광공유경제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비즈니스

의 성장이 전망됨

- (관광자원) 기존 관광지가 아닌 지역주민의 일상 공간으로의 관광객 수용가 증대되고 있음

- (코로나19로 인한 영향) 국내 여행 수요 및 관광안전 인식 증가 온라인 전환 가속화

및 관광인력 배치의 재정비 등의 변화가 나타남

lt표 2-24gt 미래 일자리 환경 변화

53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본 연구 결과 사회적으로는 인구구조와 교육구조의 변화 기술과 환경 변화는 기

술의 확산 및 친환경 인식 고조 정치 및 제도적으로는 국제 관계의 향 부처 간

융합 정책 관광과 관련해서는 기술기반의 비즈니스 창출 및 확대 관광 소비문화의

세분화 등이 주요 환경 변화로 나타났다

이러한 미래 일자리를 둘러싼 거시 환경변화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고

있다 먼저 일자리 환경이 다변화 되고 있다 인구구조의 변화 기술의 발전 코로

나19로 인한 재택 근무의 증가 플랫폼 비즈니스의 성행 등으로 일자리의 형태도

세분화 전문화 다양해지고 일하는 모습도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기술의

발전으로 기술과 융합된 일자리가 탄생되고 있다 관광분야에서 관광객 수요가 다

양해짐에 따라 관련 일자리도 전문화 세분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디지털 기반의

관광기업의 출현으로 기술역량을 보유한 사람들이 관광산업에 입직하고 있다

특히 관광산업에서는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 되면서 빅데이터 플랫폼 ARVR

등의 관광분야 활용이 증가되고 있으며 코로나19로 인해 키오스크 챗봇 화상 국

제회의 등 무인 관광서비스의 활용이 확대 적용되고 있다

최근 가장 우리 사회에 큰 향을 미친 코로나19의 확산은 관광 미래 일자리 환

경 변화에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된다 코로나19의 확산은 국가 간 지역 간 이동의

제한을 초래해 관광사업체 운 과 관광종사자의 수에 부정적 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관광사업체의 향 뿐 아니라 코로나19는 관광객이 국내 여행 수요를 촉진

하고 관광에서의 비대면 기술 활용을 증가하는 등 향을 초래했다 이러한 향에

따라 관광 일자리에 대한 불안정성이 증대하고 있다

5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제3절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1 개요

본 연구는 미래 일자리를 위한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를 위해 국내외 일자리 지원

정책 및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일자리창출을 위한 정책 및 지원사업은 매우 다양

하여 그 범위를 총괄 파악하기는 쉽지 않으며 또한 유형화하기도 쉽지 않다 이에

국내외 일자리 창출 사례 내용의 이해도 제고를 위해 일자리창출을 위한 정책 및

지원사업을 직접지원방식만이 아니라 간접지원 방식도 포함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0912)

직접지원방식에는 고용유지 및 신규고용 창출을 위한 정부의 보조금 사업 고용

창출을 위한 사회적 일자리 사업 및 창업지원 사업 등 직접적인 일자리창출을 위한

지원사업이 해당된다 간접지원방식에는 구직자들의 구직활동 강화를 위한 훈련 및

연수활동 지원 취업유도 및 고용안정을 위한 인프라 구축 등을 들 수 있다

2 국내 정책 사례

한국은 과거 산업화시대를 모방 또는 추격하는 경제에서 선도하는 경제로 가야하

는 전환기에 놓여 있다 그럼에도 1997년 말 IMF 외환위기 이후 경제성장률 둔화

와 자동화 등으로 고용률도 지속적으로 하락해 왔다 더욱이 최근에는 제조업의 부

진 서비스업과 중소기업의 생산성 정체 등으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어려운 상황

에 놓여있다 일자리 창출은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함과 동시에 모든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의 바탕이 될 뿐만 아니라 사회안전망 강화와 선진 국가로의 도약을 위한

중요한 과제이다

55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이하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주요 일자리 정책과

미래의 일자리 창출에 대해 살펴본다

21 일자리위원회의 정책 추진

문재인 정부의 일자리 정책은 기본적으로 사람 중심의 혁신과 포용에 바탕을 두는

성장을 지향한다 포용과 성장은 흔히 산업화시대에 중심이었던 경제정책을 넘어서 사

회정책도 매우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을 의미한다 경제성장을 지속하는 가운데 사회적

불평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좋은 일자리 창출이 요구된다 문재인 정부는 일자리위

원회를 설치하여 일자리 정책을 총괄하도록 하 다 일자리위원회 위원의 역할은 위원

회 운 정책 수립 일자리 중심의 정책 전환 및 유인 기제 마련 등의 세 부분이다

일자리위원회가 수립한 정책은 종합적인 정책인 lsquo일자리 정책 5년 로드맵rsquo이다

로드맵은 10대 역의 100대 세부 추진과제로 구성되어있다 이 로드맵은 문재인

정부의 국정운 5개년 계획과 일자리와 관련한 현안 과제와 중장기적으로 해결해

야 할 과제들을 종합하여 만들어졌다 문재인 정부 출범과 함께 수립된 5년 로드맵

은 일자리 인프라 구축 공공일자리 창출 민간 일자리 창출 일자리 질 개선 맞춤

형 일자리 지원 등의 5개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8)

최근 일자리위원회는 문재인 정부 후반기 일자리 정책으로 그 동안의 일자리 정

책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진단하고 새롭게 보강한 50개의 중점 추진과제와 기존의

50개 과제의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정책을 수립발표하 다9) 동 정책은 lsquo일자리를

통해 혁신적 포용국가와 노동존중의 사회 구현rsquo이라는 비전과 lsquo사람노동 중심의 전

환된 패러다임을 기반으로 2022년까지 고용률 68 고용보험 1500만 명 가입 달

성rsquo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비전과 목표는 사람이 중심이 되는 경제 실현을 지

8) 일자리 정책 5년 로드맵은 제3차 일자리 위원회에서 확정된 것으로 일자리 중심국정운영 시스템구축 12개

일자리안전망 강화 및 혁신형 인적자원 개발 10개 공공일자리 81만명 확충 관련 7개 혁신형 창업촉진

6개 산업경쟁력 재고 및 신산업서비스업 육성 19개 사회적경제 활성화 6개 지역일자리 창출 10개 비정

규직 남용 방지 및 차별 없는 일터 조성 5개 근로여건 개선 9개 청년여성신중년 등 맞춤형 일자리 지원

16개 등 총100개 과제로 구성되어있다 동 로드맵은 총괄분과를 포함하여 5개의 분과별로 분담되어 작성

되었으며 일자리 인프라 및 노동시장의 두 분과는 고용노동부 민간일자리 분과는 산업통상자원부 공공일

자리 분과는 기획재정부가 주재하였다(일자리위원회관계부처 합동 20171008)

9) 문재인 정부 후반기 일자리 정책과제는 일자리위원회와 관계부처 합동으로 작성된 것으로 제14차 일자리위

원회의 1호 의결안건으로 상정되어 확정되었다(일자리위원회관계부처 합동 20200309)

5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향하는 것이다 그리고 새롭게 보강되거나 신규로 작성된 과제는 민간의 고용창출

역량 강화 일자리 현안 대응 노동시장 주요 이슈에 선제 대응 재정투입 일자리

사업의 효과성 제고 등 네 가지를 기조로 추진될 핵심과제로 설정되고 있다

또한 전반기 로드맵과 달리 후반기 100대 과제는 미래 변화에 대비하는 추진 과

제들을 새롭게 제시하고 있다 미래에 대비하는 과제는 인적자원개발과 지속가능발

전 기반과 연계하는 일자리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다 인적자원개발과 지속가능발전

모두 장기적인 관점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정부의 넓은 정책 역과 연관되므로 이

러한 정책의 상호 의존관계를 충분히 고려해야 하는 것들이다

22 주요 정부부처의 일자리 정책 사례

정부부처의 일자리 정책은 일자리위원회가 추진하는 큰 그림에서의 하위 단위라

고 할 수 있다 문재인 정부가 계획하고 있는 후반기 일자리 정책은 일자리 정책

5년 로드맵에서 이미 추진 완료한 것을 제외하고 신규 과제와 기존 추진 과제를 보

강하여 100대 추진과제를 설정하 다

가 일자리 정책 5년 로드맵의 부처별 추진 현황

우선 일자리 정책 5년 로드맵에서 지금까지 추진 완료한 과제는 20개이다(lt표

2-25gt 참조) 대체적으로 기획재정부 행정안전부 등은 공공부문 일자리와 관련되

고 중소벤처기업부 산업통상자원부에서는 민간부문 일자리 창출과 관련된다 그

리고 고용노동부는 일자리와 연관되는 고용정책의 역에 속하는 것들이다

영역 세부과제 관련 부처

일자리 중심 국정운영

시스템 강화

1 타당성심사 시 일자리 지표 강화 고용 기재

2 예산편성시 일자리 비중 확대 중기 행안

3 고용친화적 세제 개편 기재

4 일자리 중심 정책금융지원체계 개편 금융

5 공공조달 인허가시 일자리 평가 강화 조달

6 정부업무평가 일자리 평가 비중 확대 국조

지자체 합동 평가시 일자리 평가 강화 행안

lt표 2-25gt 일자리 정책 5년 로드맵 완료 현황

57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다음 후반기 일자리 정책 추진 방향으로 제시된 100대 과제는 부처별로 고용노

동부 57개 중소벤처기업부 30개 산업통상자원부 23개 기획재정부 18개 국토부

11개 교육부와 보건복지부 각 10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8개 등이며 26개 부처청에 분담되어 있다(lt표 2-26gt 참조) 사실상 대다수 정부부처가 일자리위원회가

주도하는 정책을 추진하는 데에 참여하고 있다

영역 세부과제 관련 부처

공공기관 경영평가 일자리 반영 기재

7 일자리 추진체계 강화 행안 국조

지역 일자리 8 일자리 창출형 산업단지 구축 산업

중소벤처 일자리

9 창업기업의 안정적 성장 기반 확충 중기 조달

10 창업벤처 자금조달을 투자 중심으로 전환 중기

11 창업벤처 부담 및 규제 혁신 중기

소상공인 일자리 12 소상공인 생업안전망 확충 중기

제조업 일자리13 제조업 활력 회복 산업

14 중견기업경쟁력 강화(성장대책 수립추진) 산업 중기

공공 일자리 사업 등을

통한 고용여력 뒷받침

15 공공기관 인력충원 기재

16 정부기관 근무혁신 인사

적극적인 노동시장정책

및 고용안전망 완성17 구직촉진지원제도 개편 고용

맞춤형 지원

18 고용장려금 제도 개편 고용

19 신중년 창업 활성화 중기 고용

20 여성일자리 인프라 구축 고용 여가

자료 일자리위원회관계부처 합동(20200309) 사람중심경제를 실현할 후반기 일자리정책 추진 방향」 제14차 일자리

위원회 1호 의결안건 88-96쪽

영역 세부과제

일자리 중심 국정운영 시스템

강화

(1) 협력거버넌스 보완운영 지역혁신(고용) 중소기업지원(중기) 인재양성(교육) (2) 고용영향평가 강화(고용) (3)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혁신(고용 기재) (4) 일자리 관련 입법의 신속추진 지원(고용 법제) (5) 고용창출 우수기업 인센티브포상(고용) (6) 일자리 통계 확충(통계)

지역 일자리

(7) 상생형 지역일자리 발굴확산 추진(산업) (8) 산업단지 대개조 계획 후속조치(산업 국토) (9)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지원(고용) (10) 지역혁신성장 추진(산업) (11) 규제자유특구 확대(중기) (12) 연구개발특구 확대 및 연구소기업 육성 활성화(과기) (13) 대학의 지역혁신 역량 강화(교육) (14) 금융서비스 경쟁촉진 및 혁신인프라 구축(금융) (15) 이전공공기관 지역인재 채용 확대(국토 기재) (16) 국가혁신클러스터 육성(산업 국토) (17) 혁신도시 등 지역성장 거점 육성(국토) (18) 도시재생 일자리 창출(국토)

신산업middot서비스 일자리

(19) 혁신 신산업 분야 민간투자 촉진(과기) (20) SW혁신융합을 통한 신성장동력 창출(과기) (21) 과학기술기반 고급 일자리 창출(과기) (22) 신산업육성 및 시장창출을 위한 규제정비(국조 과기 산업 중기) (23) 지식서비스 육성 활성화(산업 특허 중기) (24) lsquo사람중심의 돌봄경제rsquo 육성 등 통합돌봄 서비스(복지) (25) 영유아 보육교육서비스(복지 교육) (26) 콘텐츠산업육성 및 문화여가서비스 확대(문체) (27) 환경서비스(환경)

lt표 2-26gt 문재인 정부 후반기 일자리 정책 100대 과제

5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영역 세부과제

중소middot벤처 일자리

(28) 스마트 대한민국 구축(중기 금융) (29) 중소기업 창업 및 성장기반 정비(중기) (30) 중소벤처기업 대상 금융연구개발기술보호판로 등 지원 확대 강화(금융 중기) (31) 세계 4대 벤처강국 구현을 위한 스케일업 강화(중기) (32) 고급인력 기술창업 활성화(중기 교육 과기) (33) 지역 중소기업의 혁신성장 촉진(중기) (34) 중소기업의 선제적인 사업구조 개선 지원(중기) (35)자발적 상생협력 문화 확산(중기)

소상공인 일자리(36) 온라인 진출 스마트화 등 혁신 지원 등(중기) (37) 지역상권 활성화(중기) (38) 소상공인 사회안전망 및 재기 지원 강화(중기)

제조업 일자리

(39) 주요 프로젝트 집중지원으로 민간투자 적기 이행 지원(산업 국토) (40) 생산성 향상 지원 신산업육성 주력산업 혁신을 통한 일자리 창출(산업 중기 복지 국토) (41) 제조 중견기업 및 소부장 집중육성을 통한 고용여력 확대(산업 기재 과기 중기) (42) 소비트렌드 변화에 따른 성장산업 발굴육성(농식품 해수) (43) 세계시장 진출 및 수출 지원 강화(산업 중기) (44) 해운조선산업 경쟁력 강화(해수 산업) (45) 외국인투자 및 유턴제도 개편(산업) (46) 방위산업 진흥(방사청)

건설 일자리(47) 건설산업 경쟁력 강화(국토) (48) 양질의 건설일자리 창출을 위한 환경조성(고용 국토)

사회적경제 일자리

(49) 인프라 고도화를 통한 사회적 경제 기업 스케일업 촉진(기재 고용 중기) (50) 사회적경제 지원체제 정비(기재 고용 행안) (51) 사회적경제 전문인력 양성 시스템 구축(기재 교육 고용) (52) 혁신형 사회적경제 모델 발굴확산(기재 교육 고용) (53) 사회서비스분야 사회적 경제 역할 강화(복지) (54) 분야별 커뮤니티 기반 일자리 창출(문체 환경 농식품 산림 해수) (55) 사회적 경제 금융접근성 제고(금융 기재) (56) 사회적가치 실현체제 구축(기재)

공공 일자리 사업 등을 통한 고용여력

뒷받침

(57) 주요 일자리 사업 조기 집행(고용 복지 행안) (58) 현장민생공무원 국가직 10만명(행안 기재) (59) 현정민생공무원 지방직 74만명(행안) (60) 사회서비스 1단계 17만명(복지) (61) 사회서비스 2단계 17만명(복지) (62) 간접고용의 직접고용 전환 등(고용 기재 인사) (63) 사회서비스 일자리(복지) (64) 노인일자리 사업 개편(복지)

공정한 노동시장 구축 및

일터 혁신

(65) 공정한 채용관행 확산(고용) (66) 공정임금체계 확립(고용) (67) 직무중심 임금체계 확산 지원(고용) (68) 공공기관 및 공무직 임근체계 개편(기재 고용) (69) 임금복지 격차 완화(고용) (70) 사회적 대화 지원 활성화(고용) (71)노동존중사회 기본계획 수립(고용) (72) 임금보장 강화(고용 국토) (73) 노동시간단축 현장 안착 및 일터 혁신(고용) (74) 산업안전 혁신(고용) (75) 고용산재보험 사각지대 해소(고용) 76(고용산재보험 보호수준 강화(고용) (77) 산업보건 사각지대 해소(고용) (78)일생활 균형 고용근로 문화 확산(고용) (79) 기간제 사용 최소화를 위한 제도 개선(고용) (80) 정규직 채용 여건조성(고용) (81) 비정규직 차별 적극적 해소(고용) (82) 사내하도급 근로자특수형태근로종사자 보호(고용) (83) 비정규직 의견 참여 통로 확대(고용)

적극적 노동시장정책 및 고용안전망 완성

(84) 적극적 노동시장정책 강화(고용 교육) (85) 공공고용서비스 혁신(고용) (86) 국민취업지원제도(고용)

맞춤형 지원

(87) 청년사업 확충(기재 고용 국조 교육 문체) (88) 공공기관 청년고용 확대(고용) (89) 청년의 해외짙울 촉진(고용 외교) (90) 청년진출 유망 신직업 발굴 및 관련 인프라 구축(고용) (91) 40대신중년 등 맞춤형 지원(기재 고용) (92) 여성(여가 고용) (93) 장애인(고용) (94) 농어촌(농식품 해수) (95) 외국인력 적정관리 체계 구축(고용)

인적자원개발 및 미래변화 대비 등

중장기 이슈에 대응

(96) 직업능력개발 강화(교육 국토 환경 고용) (97) 혁신성장을 이끌어 갈 고급융합 전문인력 양성(교육 과기 산업) (98) 국가기술자격 개편 및 역량체제 구축(고용) (99) 플랫폼경제 도래에 대한 대비(고용) (100) 저탄소경제녹색경쟁력 강화를 위한 민간투자 활성화 지원(환경 산업)

자료 일자리위원회정부부처 합동(202039) 사람중심경제를 실현할 후반기 일자리정책 추진 방향 p88-96

59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나 부처별 보완 및 신규 과제

문제인 정부 후반기 일자리 정책은 기 완료된 과제를 제외하고 20개의 신규 과제

와 30개의 기존 과제를 보강하여 10대 분야 100개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우선 신

규과제는 중소벤처기업부 소관 과제 6개 고용노동부 4개로 다수를 차지한다 산업

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농림축산식품부 등의 부처 과제는 3개이다 이러한 신규

과제는 기 완료한 과제들을 대체하는 것으로 지역과 민간부문 일자리로 일자리 창

출의 실효성을 높이려는 방향을 나아가고 있으며 동시에 고용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동정책을 강화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영역 세부과제 관련 부처

지역 일자리

1 산업단지 대개조 계획 후속 조치 산업 국토

2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지원 고용

3 대학의 지역혁신 역량 강화 교육

신산업서비스 일자리

4 지식서비스 육성강화산업 특허

중기5 사람중심의 돌봄경제 육성 등 통합 돌봄 서비스 복지

6 영유아 보육교육 서비스 복지 교육

중소벤처 일자리

7 스마트 대한민국 구축스마트 공장서비스상점 기반 조성 중기환경안전투자 지원프로그램 운영 강화 금융

8 세계 4대 벤처 강국 구현

을 위한 스케일업 강화

대규모 벤처투자 유치를 위한 환경 조성

중기유니콘 기업육성 지원체계 마련도약기업의 스케일업 집중 지원

9 중소기업의 선제적인 사업구조 개선 지원 중기

소상공인 일자리10 온라인 진출 스마트화 등 혁신 지원 중기11 지역 상권 활성화 중기

제조업 일자리

14 주요 프로젝트 집중지원으로 민간투자 적기 이행 지원 산업 국토

15 소비트렌드 변화에 따

른 성장산업 발굴육성

식품산업 농식품

수산가공업 해수

사회적경제 일자리16 분야별 커뮤니티 기반

일자리 창출

지역고유특색의 관광사업체 육성 문체생태 관광 환경

농업의 사회적 기능 확산 농식품

공동체 중심의 산림비즈니스 육성농식품 산림

해수

공공 일자리 사업 증을

통한 고용여력 뒷받침17 노인일자리 사업 개편 복지

공정한 노동시장 구축

및 일터 혁신

18 직무중심의 임금체계 확산 지원 고용19 공공기관 및 공무직 임

금체계 개편

공공기관 기재 고용

공무직 고용

적극적인 노동시장정책

및 고용안전망 완성20 국민취업지원제도 고용

자료 일자리위원회관계부처 합동(202039) 사람중심경제를 실현할 후반기 일자리정책 추진 방향 p88-96

lt표 2-27gt 문재인 정부 후반기 일자리 정책 신규과제

6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한편 lt표 2-28gt은 문재인 정부 전반기의 일자리 정책 5년 로드맵에 제시되었던

정부의 추진 과제들의 실효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보완된 과제들이다 부처별로 고

용노동부 16개 중소벤처기업부 9개 산업통상자원부 6개 교육부 5개 보건복지부

와 기재부 각 4개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보완 과제는 일자리 창출을 좋은 일자리를

만드는 데에 역점을 두는 방향으로 보완한 것이다 특히 지역과 개인의 특성을 고려

하여 인적자원의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를 줄이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청년 신중

년 여성 및 장애인 농어촌 등의 일자리와 개인이 처한 여건을 반 하고 있다 그리

고 건설 및 사회적middot경제적 분야 이외에 신산업 육성 생산성 향상 혁신성장 직업능

력개발 고급융합 인력양성 등의 보완은 포용적이면서도 좋은 일자리 창출을 지향

하는 것이다

영역 세부과제 관련 부처

일자리 중심 국정운영

시스템 강화

1 협력적 거버넌스 보완운영

지역혁신 고용

중기지원 중기

인재양성 교육

지역 일자리2 상생형 지역일자리 발굴middot선정middot지원middot확산 추진 산업

3 연구개발특구 확대 및 연구소기업 육성활성화 과기

신산업서비스 일자리

4 혁신 신산업 분야 민간투자 촉진 과기

5 신산업육성 및 시장창출을 위한 규제 정비 국조 과기 산업 중기

6 콘텐츠 산업육성 및 문화여가 서비스 확대 문체

7 환경서비스 환경

중소벤처 일자리

8 중소벤처기업 대상 금융연구개발기술보호판로 등 지원

확대 강화금융 중기

9 지역 중소기업의 혁신성장 촉진 중기

10 자발적인 상생협력 문화 확산 중기

소상공인 일자리 11 소상공인 사회안전망 및 재기 지원 강화 중기

제조업 일자리

12 생산성 향상지원 신산업육성 주력산업 혁신을 통한 일

자리 창출산업 중기 복지

13 제조 중견기업 및 소

부장 집중육성을 통

한 고용여력 확대

제조중견기업 경쟁력 강화 산업

소부장 분야 맞춤형 패키지

지원 강화기재 과기 산업

건설 일자리14 건설산업 경쟁력 강화 국토

15 양질의 건설일자리 창출을 위한 환경조성 고용 국토

lt표 2-28gt 문재인 정부 후반기 일자리 정책 보완 과제

61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23 국내 미래 일자리 창출 정책

미래의 일자리 환경은 그간 경험하고 논의해 온 것과 새롭게 출현할 것이 있다

전자는 인구구조 변화와 디지털 전환과 관련되는 것으로 그동안 많은 논의가 있어

왔다 후자는 최근에 발생한 코로나19 이후 인간의 삶의 변화에 대한 문제이다 이

들은 과거 고도성장 시대와 사뭇 다른 것으로 미래의 불확실성을 매우 높이고 있다

미래의 일자리 창출 정책은 이들의 세 가지 관점에서 정리할 수 있다

영역 세부과제 관련 부처

사회적경제 일자리

16 인프라 고도화를 통한 사회적경제 기업 스케일업 촉진 기재 고용중기

17 혁신형 사회적경제 모델 발굴확산 기재 고용 중기

18 사회서비스분야 사회적경제 역할 강화 복지

공공 일자리 사업

등을 통한 고용여력

뒷받침

19 주요 일자리 사업 조기 집행 고용 복지 행안

20 사회서비스 일자리 복지

공정한 노동시장구축

및 일터혁신21 산업보건 사각지대 해소 고용

적극적인

노동시장정책 및

고용안전망 완성

22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 강화

일자리예산 및 사업범위 지속

확대고용

일자리사업 성과중심 평가 강화 고용

신기술분야 훈련 지속 확산 교육 고용

23 공공고용서비스 혁신 고용

맞춤형 지원

24 청년 사업 확충

청년 3대 핵심 사업의 내실화

도모기재 고용 국조

청년 취업지원 및 구직 서비스

강화확대고용

콘텐츠산업 청년 취창업 지원 문체

25 40대신중년 등

맞춤형 지원

40대 기재

신중년 고용

26 여성 여가 고용

27 장애인 고용

28 농어촌농촌 일자리 창출 확대 농식품

어촌 일자리 창출력 강화 해수

29 직업능력개발 강화평생 직업교육훈련 기반 조성 교육 국토 환경 고용

기업산업 맞춤형 훈련 확산 교육

30 혁신성장을 이끌어 갈 고급융합 전문인력 양성 교육 과기 산업

자료 일자리위원회middot관계부처 합동(202039) 사람중심경제를 실현할 후반기 일자리정책 추진 방향 p88-96

6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가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

인구구조 변화는 저출산middot고령화로 인하여 고령자의 비율 증가와 함께 생산가능인

구의 규모를 빠르게 감소하는 것으로 중장기적인 인적자원 수급에 향을 미칠 전

망이다 장수사회에 노인들이 일할 기회를 창출하고 여성들의 경제활동을 촉진하

는 것은 인구의 경쟁력을 높이는 미래의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먼저 고령자를 위한 일자리이다 우리나라의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로 5060세대는 2016년 1340만 명에서 2027년까지

1667만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것은 고령자를 위한 일자리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음을 의미한다10) 노인을 위한 일자리 창출은 개별 노인들의 당면한 특

성과 여건을 고려하여 재취업 창업 농어촌 귀환 사회공헌 등 네 가지의 세부 유형

이 있다11) 신중년 재취업 정책은 고용노동부가 고용복지센터 고용센터 중장기일

자리희망센터 고령자은행센터 워크넷 등에서 취업을 지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함과

아울러 신중년 친화적인 직무개발 및 작업환경 개선을 추진하는 것이다 창업은 과

밀업종 진입을 억제하고 특화 및 비생계형 업종의 틈새시장에서 일어나도록 유도하

고 신중년의 경험 및 제조업 기반기술 청년의 아이디어middotICT 기반 신기술 결합 등

의 세대 간 융합을 지원하는 데에 초점이 있다 농어촌 귀환은 신중년들이 농어업을

미래지향적인 융middot복합 산업으로 전환하는 데 기여하고 농어촌 환경을 개선하기 위

한 정책 프로그램이다 마지막으로 신중년 사회공헌 프로그램은 고학력의 전문성을

갖춘 신중년들의 역량을 자원봉사 및 사회적 기업 경 참여 등을 통해서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이다12) 이와 같이 퇴직자들의 경험과 노하우를 활용하는 전략

은 미래의 노동력 감소에 대응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10) 우리나라의 노인 빈곤율은 OECD 국가들 중 가장 높은 반면 기초연금은 매우 취약하고(김형만middot최영섭middot노

대명 2018 49) 다수의 노인들은 일을 통하여 좋은 삶을 이어가기를 원하고 있다(관계부처 합동

201788 1)

11) 이것은 정부가 신중년이라 칭하는 5060세대를 대상으로 생애경력설계 직업교육훈련 취middot창업 및 귀농middot

귀촌 사후관리 등의 단계별 서비스 제공과 이직 및 전직 서비스 및 관련 맞춤형 직업훈련 등의 고용서비

스 또는 노후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관계부처 합동 201788 11-14 저출산middot고령사회위원회

(201812 32-34)

12) 최근 정부는 중소middot준견기업 컨설팅 중소기업 등에 재취업 교middot강사 육성 및 숙련전수 4차 산업혁명 기술

기반 숙련 축적middot전수 공공middot사회서비스에 전문성 활용 전문 봉사활동과 연계 중소기업 및 전문인력 활용

을 위한 고용서비스 퇴직 전문인력 DB 구축 등의 퇴직 전문인력 활용 방안을 구체화 하였다(관계부처

합동 2020515)

63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다음은 여성 일자리이다 여성의 일자리 창출과 일자리 질도 장수시대에 급감하

는 노동력을 확보한다는 차원에서 중요한 과제이다 하지만 여성의 경제활동참가는

성차별 출산 등으로 인한 노동시장 제약이 매우 큰데 이는 미래에 해결해야 할 사

회문제이다 여성 일자리와 관련한 정책은 출산 및 육아 일자리 차별 경력단절과

관련된다 출산과 육아와 관련한 정책은 출산 전후 휴가 확대 부부 육아휴직 확대

아이 돌봄 지원서비스 강화 등을 통하여 일과 생활의 균형을 위한 일자리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13) 일자리 차별은 오랫동안 남성 중심의 노동시장 특성에 기인하

는 것으로 최근의 양성평등의 중요성이 제기 되고 있는 현실을 반 하여 남녀 평등

한 노동환경을 마련하는 것이 요체이다14) 여성의 경력단절은 일자리와 관련해서

지역특화 통합사례 관리 경력단절 여성 DB 구축 여성가족형 사회적 기업 지원 등

재취업과 관련 일자리 기반을 확대하는 것에 초점이 있다15) 이외에도 인구구조의

변화와 관련해서 청년과 중장년 근로자들의 일자리도 매우 중요하다 이들에게는

일자리의 질을 개선함에 의해 노동시장에서 인력수급 또는 숙련의 미스매치를 해결

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울러 혁신을 통한 기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도 비록

일자리의 질과 매우 밀접하게 관련된다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하는 일자리 정책은

종합적이면서도 중장기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나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에 대응

디지털 전환은 산업의 자동화를 넘어서 생산과 소비 사람과 기계 그리고 일과

삶의 역 등의 전반에 향을 미친다 소위 4차 산업혁명으로 명명되는 이러한 시

대적 전환은 미래에 전통적인 일자리의 생존주기를 단축시키고 새로운 일자리가 등

13) 일자리 위원회가 제시한 100대 과제에서는 여성이 일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대책으로 휴가와

돌봄을 지원하는 내용이 제시되어 있고(일자리위원회middot관계부처 합동 202039 74) 저출산middot고령사회

위원회의 로드맵에서도 남성육아 확대 일-생활 확산 인센티브 휴가 등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관계부

처 합동 20181221)

14) UN에서 각국이 2030년까지 달성을 추구하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17개 중에서 우리나라의 성평

등(gender equality) 항목은 매우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UN 2020 41) OECD 국가의 평균에 훨씬

미치지 못하는 현상이 지속되고 있는 것이다(OECD 2017 43) 이것은 우리나라에서 성평등 문제는 향

후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임을 의미한다

15) 「제3차 경력단절여성등의 경제활동촉진 기본계획(2020-2024)」은 재직 여성의 경력단절 예방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 일자라지원 돌봄 전달체계 및 제도 등의 5개의 정책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관계부처

합동 20202)

6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장할 것임을 예고하는 것이다 따라서 미래 4차 산업혁명에 대비는 기존의 일자리

신산업 일자리 그리고 인적자원 역량의 세 관점에서 조망할 수 있다

첫째 기존 일자리의 유지는 제조업을 중심으로 경제의 근본을 이루는 힘을 보존

하는 것이다 정부는 주력 산업 중심 제조업의 변혁을 통하여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 다(관계부처 합동 2019619) 정부의 추진 전략

은 ① 스마트화 친환경화 융middot복합화로 산업구조 혁신 ② 신산업을 새로운 주력산

업으로 육성함과 아울러 기존 주력산업을 혁신 ③ 산업생태계를 도전과 축적 중심

으로 개편 ④ 투자와 혁신을 뒷받침 하는 정부의 역할 강화 등의 네 가지를 제시하

고 있다16) 이 중에서 도전과 축적 중심의 생태계 조성은 제조업이 필요로 하는 인

적자원을 적기에 양성middot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산업수요 기반 공학교육 혁

신 평생교육 및 재직자훈련 기회 확대 청년과 고령자를 위한 일터혁신 등이 주된

내용이다 이와 같은 정부가 제시하고 있는 제조업 르네상스는 전통적인 주력산업

과 기타 제조업이 4차 산업혁명의 물결에 순응하기 위한 혁신을 통해 일자리를 유

지middot확대하는 것과 밀접하게 관련되는 것이다

둘째 신산업 일자리는 「제7차 산업기술혁신계획」에서 구체화되고 있다17) 이

계획은 25개의 분야에 100대 핵심 기술개발에 투자를 기획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

술 투자는 도전과 축적에 의한 일자리 창출을 기대하는 것들이다 산업혁신을 선도

하는 기술개발 체계는 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드는 파괴적 기술을 도출하는

도전적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계획은 미래를 선도할 핵심기술을 장기

간에 걸쳐 개발middot축적하는 lsquo산업기술 축적 거점사업rsquo을 구상하고 있다 공공연구기관

과 대학이 핵심기술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하는 것은 고급인적자원을 활용할 기

반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도전과 축적의 전략은 혁신의 기반이 되는 인력양성

에 기반을 두고 있다 연구개발의 제도정비와 함께 산업 인공지능 산업보안 스마

16) 정부는 제조업 부활을 위한 비전으로 `세계 4대강국` 도약을 비전으로 두고 부가가치 25 신산업신품

목 16 일류기업 573개사 수출 6위 등의 목표를 설정하고 산업구조를 추격형에서 선도형으로 산업생

태계를 위험기피에서 도전과 축적으로 그리고 성장의 핵심요소로 자본에서 기술과 사람으로 패러다임

전환을 추구하고 있다(관계부처 합동 2019619 3)

17) 동 계획의 비전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글로벌 기술 강국으로 도약`을 그리고 목표는 2017년 실적에서

2023년까지 `주력산업의 세계시장 점유율 85rarr12 신산업 1위 대비 기술수준 80rarr84 GDP대

비 기업 RampD투자 비중 36rarr43 산업체 연구개발인력 비중 94rarr12 대학middot공공 기술이전율

38rarr43` 등으로 향상시키는 것에 두고 있다(산업통상자원부 20193 14) 이것은 일자리에 필요한

인력양성과 활용에 기반을 두는 것이다

65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트엔지니어링 등 신산업 분야 공학 인력양성 대학 내에 기업연구관 및 기업지원센

터 설치 등이 구체적인 내용이다

영역 산업분야

수송 전기middot수소자동차 자율주행차 친환경스마트 조선해양 플랜트 차세대항공(드론포함)

건강관리 디지털헬스케어 맞춤형 바이오 진단middot치료 스마트의료기기

생활 스마트홈 서비스로봇 웨어러블디바이스 미래형디스플레이 지능정보서비스

에너지middot환경수소에너지 재생에너지(태양광 풍력) 지능형전력시스템 에너지효율향상 청정생산

원자력 안전 및 해체

제조 첨단소재 차세대반도체 첨단 제조 공정middot장비 스마트산업기계 스마트엔지니어링 3D 프린팅

자료 산업통상자원부(20193) 제7차 산업기술혁신계획(2019-2023)

lt표 2-29gt 정부의 투자전략 대상 산업 분야

셋째 인적자원 역량은 미래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일자리위원회는 미래 사회의 트렌드에 대비하기 위하여 후반기

일자리 대책으로 사람투자를 제시하고 있다 사람투자 정책은 교육훈련 기회 혁신

선도 산업수요 대응 등의 세 역에서 10대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교육훈련은 누

구도 낙오되지 않게 하는 포용적 접근을 위한 평생교육훈련 스마트 교육훈련 학생

교육 기회 재직자 교육 등 모든 계층의 교육훈련 기회를 확장하는 데에 초점이 맞

추어져 있다 혁신선도는 미래산업 주력산업 중소기업 등의 산업의 특성에 상응하

는 인재양성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산업수요 대응은 기존의 일학습병행제 민간직

업훈련 재직자 신기술 훈련의 세 축이다 이와 같은 세 역의 총 10개 과제는 미

래에 대비하여 인적자원의 질을 제고하여 산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개인에게는

평생고용의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사람투자는 미래를 위한 혁신과 포용을

지향하는 일자리 정책의 중요한 부분이다

다 코로나19의 이후 새로운 패러다임에 대응

최근 등장한 코로나19는 인구구조 변화 및 디지털 혁명에 대응하여 패러다임 전

환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심각한 경기하강과 불확실한 미래를 야기하고 있다 한국

에서는 코로나19 대응에 최선을 다하는 성과가 있었다18) 그 결과 2020년 전반기

6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의 실질GDP는 대다수 국가에서는 하락하 지만 한국(KOR)의 하락폭은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다(OECD 2020a)

그럼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 충격에 대비한 미래의 일자리 정책은 기존의 인구

구조 및 디지털 변화에 더하여 새로운 전략을 필요로 한다 정부는 최근 코로나19

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여 한국판 뉴딜을 발표하 다

18) UN은 지속가능발전목표를 코로나19에 통제지표를 만들어 국가별로 비교한 결과에 의하면 한국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UN 2020 20)

영역 분야 과제예산(조원)

일자리(만개)

디지털

뉴딜

DNA 생태계

강화

(1) 국민생활과 밀접한 분야 데이터 구축middot개방middot활용

(2) 1middot2middot3차 전산업으로 5GmiddotAI 융합 확산

(3) 5GmiddotAI 융합 확산

(4) K-사이버 방역체계 구축

582 903

교육인프라 디지털

전환

(5) 모든 초중고에 디지털 기반 교육 인프라 조성

(6) 전국 대학middot직업훈련기관 온라인 교육 강화

비대면 산업 육성

(7) 스마트 의료 및 돌봄 인프라 구축

(8) 중소기업 원격근무 확산

(9) 소상공인 온라인 비즈니스 지원

SOC 디지털화

(10) 4대 분야 핵심 인프라 디지털 관리체계 구축

(11) 도시middot산단의 공간 디지털 혁신

(12) 스마트 물류체계 구축

그린 뉴딜

도시middot공간middot생활

인프라 녹색 전환

(13) 국민생활과 밀접한 공공시설 제로에너지화

(14) 국토middot해양middot도시의 녹색 생태계 회복

(15) 깨끗하고 안전한 물 관리체계 구축

734 659저탄소middot분산형

에너지 확산

(16) 에너지 관리 효율화 지능형 스마트 그리드 구축

(17) 신재생에너지 확산기반 구축 및 공정한 전환 지원

(18) 전기차middot수소차 등 그린 모빌리티 보급 확대

녹색산업 혁신

생태계 구축

(19) 녹색 선도 유망기업 육성 및 저탄소middot녹색산단 조성

(20) RampDmiddot금융 등 녹색혁신 기반 조성

안전망

강화

고용middot사회 안전망

(21) 전국민 대상 고용안전망 구축

(22) 함께 잘 사는 포용적 사회안전망 강화

(23) 고용보험 사각지대 생활middot고용안정 지원

(24) 고용시장 신규진입 및 전환 지원

(25) 산업안전 및 근무환경 혁신 284 339

사람투자

(26) 디지털middot그린 인재 양성

(27) 미래적응형 직업훈련 체계로 개편

(28) 농어촌middot취약계층의 디지털 접근성 강화

자료 관계부처합동(2020714)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 선도국가로 도약하는 대한민국으로 대전환

lt표 2-30gt 한국판 뉴딜의 투자계획 및 기대 일자리 창출 효과

67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정부는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수요의 급증과 함께 디지털 경제로 전환이 가속

화 저탄소middot친환경 경제에 대한 요구 증대 경제middot사회구조의 양극화 심화 등의 구조

변화가 나타날 것으로 진단하 다 이러한 코로나19로 인한 충격의 가장 큰 부분은

경제의 불확실성과 그로 인한 일자리 위축이 될 것이다 정부의 「한국판 뉴딜」에는

디지털 뉴딜 그린 뉴딜 사회안전망 강화의 세 분야에서 일자리 창출을 중요하게

포함하고 있다 디지털 뉴딜은 DNA(Data-Network-AI) 생태계 강화 교육인프

라 디지털 전환 비대면 산업 육성 사회간접자본(SOC) 디지털화 네 역에서 총사

업비 582조 원을 투입하여 903만 개의 일자리 창출을 계획하는 것이다

그린 뉴딜은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미래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lsquo도시middot공간middot생

활 인프라 녹색 전환rsquo 미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lsquo저탄소middot분산형 에니지 확산rsquo 기

후 및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lsquo녹색산업 혁신생태계 구축rsquo 등 세 역에 총

734조 원을 투자하여 일자리 659만 개를 창출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사회안전망 강화는 구조전환에 따른 불확실성에 대응하여 고용middot사회

안전망 확충에 226조 원을 그리고 디지털middot그린 인재양성 등의 사람투자에 4조 원

을 투입하여 339만 개의 일자리 창출을 도모하고 있다 종합하면 2025년까지 총

160조 원을 투입하여 190만 개의 일자리 창출을 목표하고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코로나19의 충격에 대한 대응은 경제 및 사회의 전반에 불확실성을

가중시키는 데에 대한 대응책이다 특히 비대면 경제 및 사회활동의 증가와 함께

친환경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의 일자리 정책은 디지털 혁신에 대응하면서도

동시에 사회적 안전망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24 관광산업 일자리 정책

문화체육관광부의 관광 일자리 정책은 주로 예비 종사자와 종사원 역량 강화에

초점을 두고 추진되고 있다 관광 일자리 활성화를 위해서 문화체육관광부는 관광

산업 일자리 박람회 관광일자리센터 지역관광일자리 활성화(지역관광기업지원센

터 구축 산학협력프로젝트 등) 등을 통해 관광산업 일자리 정보 교육 및 훈련 등을

제공하고 있다

6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단위 백만원)

구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관광산업

일자리

활성화 및

단체지원

(직접

일자리

정책)

- 관광전문 인력교육

(110)

- 관광전문 인력양성

(207) - 관광전문 인력양성

(947)

- 관광전문 인력양성

(1398)- 호텔아카데미 육성

지원 (438)

- 호텔아카데미 육성

지원 등 (428)

- 관광안내 인력교육

(97)- 관광통역안내사

교육 및 카지노

아카데미 (567) - 종사원 전문 역량

강화 (210)

- 종사원 전문 역량강

화 (660) 미래형

관광인재 육성(대학

대상 미래형 관광교

육기관 선정 빅데

이터 통계 연계)19)

- 관광통역안내사

교육(514)

- 카지노리조트

아카데미(53)

- 관광숙박 종사원 교

육 및 진흥지원(60)

- 관광숙박 종사원 교

육 및 진흥지원(60)

- 관광산업 종합채용

박람회 개최 등

지원 (822)

- 관광산업 종합일자

리 박람회 등(700)

- 관광산업 일자리

활성화(3900)

- 관광산업 일자리

활성화(7400)

관광사업

창업지원 및

벤처 육성

(간접

일자리

정책)

- 관광기업 발굴 및

지원 (2200)

- 관광사업 발굴 및

지원 (2090)

- 관광사업 발굴 및

지원 (3402)

- 관광사업 발굴 및

지원 (8514)

- 관광분야 중소기업

투자유치 활성화

지원 (1550)

- 관광분야 중소기업

투자유치 활성화

지원 (987)

- 관광분야 중소기업

투자유치 활성화

지원 (944)

- 관광분야 중소기업

투자유치 활성화

지원 (10750)

-

- 관광산업 종합정보

지원체계 구축

(2000)

- 관광산업 종합정보

지원체계 구축

(2400)

- 관광산업 종합정보

지원체계 구축

(2200)

- 관광기업육성펀드

(15000)

- 관광기업 육성펀드

조성 (17000)

- 관광기업 육성펀드

조성운영(13000)

- 관광기업 육성펀드

조성운영(30000)

자료  문화체육관광부 각년도 관광부문 재정집행계획

lt표 2-31gt 2018~2020년 일자리 관련 관광산업정책

또한 미래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관광사업 창업지원 및 벤처 육성 지원을 추진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2020년 기준 관광사업 발굴 및 지원(8514백만원) 관광분

야 중소기업 투자유치 활성화 지원(10750백만원) 관광산업 종합정보 지원체계 구

축(2200백만원) 관광기업 육성펀드 조성운용(30000백만원)을 하고 있다

19) 2020년 하반기에 관광 미래인재 100명(교육기관 당 33~34명)의 대학(원)생을 선발 정규 이론 교육과

산학 프로젝트를 통한 실무 중심 교육 실시 160시간 이상의 교육 교육비 전액 국비 지원(한국관광공사

20200422)

69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최근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관광업계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문화체육관광부

는 관광산업의 지역소비 여력 확충과 더불어 고용 유지 지원을 위해서 고용 유지

지원금 지원 요건을 완화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관광업계 종사원을 위한 교육 지원

을 추진하고 있다

구분 내용

고용유지지원금 - 코로나19 피해기업에 대한 고용유지지원금 지원요건 완화 시행(129일~)

교육지원

- 재정비 기간 중 관광업계 종사원 교육 지원 추진

lsquo찾아가는 호텔교육(rsquo20년 신규 100개소)rsquo lsquo마이스전문가 양성 교육(300명)rsquo

lsquo유원시설 안전관리자 교육(100명)rsquo 등 조기추진(3월~)

자료 관계부처합동(20200217) 코로나19 대응 관광middot외식업 긴급 지원방안

lt표 2-32gt 코로나19 대응 관광산업 고용유지지원 정책

문화체육관광부는 일자리 할인소비쿠폰 한국판 뉴딜사업 등의 정책 추진하고

있다 특히 문화체육관광부는 문화예술middot관광middot 화 분야 일자리를 위해 일자리 창

출을 위한 다음과 같은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사업 내용 예산(825억 원)

공연예술분야 인력지원 연극뮤지컬middot음악middot국악middot무용 분야 보조인력 288억 원

관광지 방역middot수용태세 개선 관광지 방역middot생활방역수칙 지도 354억 원

공연장 방역안전지킴이 중소규모 공연장 방역안전인력 지원 31억 원

예술자료 수집 및 디지털화 예술 관련 기록 자료 디지털화 33억 원

애니메이션 디지털 아카이빙 애니메이션 데이터 수집middot기록middot보존 등 아카이빙 39억 원

현장영화인 직업훈련 지원 영화인 직무재교육 실시 및 훈련지원금 지급 10억 원

뉴미디어 영상콘텐츠 제작 지원 영화middot방송 인력 활용 숏폼 뉴미디어 콘텐츠 제작 70억 원

자료 문화체육관광부(20200703)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문체부 3차 추경 3469억 원 확정(보도자료)

lt표 2-33gt 일자리 창출을 위한 문화체육관광부 주요사업

7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3 해외 정책 사례

31 일본

가 정책 사례 검토의 기준

2010년대 초반 아베내각 재집권 이후 코로나19 사태 이전까지 일본의 일자리수

급 현황은 전반적으로는 구직난이 아니라 구인난에 놓 고 IT 산업분야 대면서비

스 분야에 있어서는 심각한 수준이다 특히 건설업이나 생활관련 서비스업 등에서

는 구인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취업자는 감소하여 심각한 인력난을 겪

게 되었고 정보통신업 의료 및 복지 교육 서비스 분야 등에 있어서는 지속적으로

인력수요가 증가하게 되었다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는 일자리 부족으로 인한 전반적인 구직난에 직면해 있으므

로 일본사례 검토를 통해 바람직한 시사점을 얻기 위해서는 2010년대 이후만을 대

상으로 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일본에서도 구직난으로 인해

고용창출 내지 일자리창출에 대한 정책적인 관심이 컸던 2000년대 초반부터의 흐

름을 살펴보고자한다 세부적으로는 2000년대 전반의 고이즈미 내각의 일자리 정

책 2010년대 초반 민주당 내각의 일자리 정책 2010년대 초반 이후 아베내각의

일자리 정책의 세 시기로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나 2000년대 전반 고이즈미 내각의 일자리 정책

1) 경제사회적 배경

2001년 4월 고이즈미 내각 출범과 함께 사회경제 전반에 걸친 성역 없는 구조개

혁이 슬로건으로 등장하 다 1980년대의 버블경제가 1990년대 들어 붕괴되면서

2000년대에 이르기까지 일본의 장기불황이 지속되었고 이에 따라 일본경제를 부

흥시키기 위한 다양한 정책적 노력이 추진되었다(内閣府 20016) 서비스경제화의

진전 고용인력 및 고용형태의 다양화 등에의 정책적 대응이 강력하게 요구되고 경

기불황으로 구직난이 심화되어 적극적인 일자리 창출이 어느 시기보다 강력하게 요

구되었다는 점에서 현재의 우리나라 상황과 매우 유사한 시기로 볼 수 있다

71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사회적으로는 일본경제의 고도 성장기를 거치면서 인구의 대도시 집중이 심화되

었고 이로 인해 지방 공동화 지방 인구의 급격한 감소 등으로 경제적사회적 측면

에서 지역 활성화가 일본사회의 긴급한 문제로 등장하 다 더불어 1990년대 들어

출생율 감소에 따른 인구감소 사회 및 고령화 사회에 본격적으로 진입함에 따라 다

양한 사회문제에 대한 대응 필요성이 일층 강조된 시기 다

2) 일자리창출 관련 정책

고이즈미 내각은 출범 이후 경제사회 문제에의 대응전략 수립을 위한 「경제재정

운용 및 구조개혁에 관한 기본방침」을 매년 발표하 는데 그 중 고용정책과 관련된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구분 고용 관련 주요 내용

금후의 경제재정운용

및 구조개혁에 관한

기본방침 (2001)

- 적극적인 구조개혁 추진이 미치는 고용에의 영향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성장 분야

확대 촉진 원활한 노동이동 및 노동력 재배치를 위한 환경정비 추진

자발적인 능력개발 지원

파견 기간제고용 재량노동 유연 취업 등 다양한 고용형태의 취업 가능토록

제도 개선

직업상담 충실화 및 직업훈련 원활화

- 신규 성장분야를 포함한 서비스산업에서 향후 5년간 530만명 고용창출 기대

경제재정운용 및

구조개혁에 관한

기본방침(2002)

- 고령자 젊은층 여성의 사회참여 지원 확대

유기노동계약 재량노동제 노동파견법 등의 개정을 통한 고용유연화 추진

젊은층의 계약직 고용 인턴십 등 직업체험 기회 확대

- 신산업 발굴 추진

환경에너지 정보가전 브로드밴드IT 건강바이오기술 나노기술재료 등

4개 분야의 기술개발 지적재산표준화 시장화 관련 전략 추진

- 수요창조형 생활산업 창출

환경 관광 식료 문화스포츠건강 등 산업의 활성화

경제재정운용 및

구조개혁에 관한

기본방침(2003)

- 고용제도 개선 관련

성장분야인 서비스산업에서 고용기회를 창출

젊은층 여성 고령자의 능력발휘 및 활력을 활용 장애자의 고용촉진

사회봉사활동 워크쉐어링 등 다양한 고용취업기회 제공

전국 일률적인 제도에서 지역 특성 및 자주성을 활용한 고용촉진에로 전환

- 고용기회 창출 관련

서비스산업 규제개혁 공적부문의 외부위탁 인재육성 지원 관광산업 육성 등

에 의해 9개 서비스분야 대상「530만 명 고용창출 프로그램」추진

건강서비스산업 문화산업 등의 지역산업 창출

창업에 의한 취업기회 증대를 위해 벤처기업 대상의 실습 및 지식습득 강좌 지원

대학 및 기업에 의한 벤처 지원을 통해 연구개발형 벤처 창출

lt표 2-34gt 고이즈미 내각의 연도별 고용창출 관련 정책추진 내용

7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고이즈미 정권의 고용창출 정책을 정리해 보면 몇 가지 특징을 살펴볼 수 있다

우선 비정규직 고용의 원활화를 도모하여 일자리를 확대하려한 점을 들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비정규직 일자리의 확대는 확연하게 증가하 으나 고용의 질이란 측

면에서 문제점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內閣府 200311) 나아가 전반적

으로는 고용 감소가 진행되는 가운데 규제완화 분야 및 신산업분야 서비스산업 분

야 등에서의 고용창출도 증가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구분 주요 내용

1) 고용형태의 다양화를 통한

고용창출

(비정규직 고용창출 증대)

- 유기계약 및 재량노동제 관련 노동기준법 개정

- 파견노동자에 관한 규제개혁

- 시간제노동자의 처우개선 시책

- 워크쉐어링 등의 일자리나누기 시책

- 주요대상 젊은층 여성 고령자 장애인 등

2) 신규middot성장분야 육성을

통한 고용창출

- 신공공서비스 확대를 통한 고용창출

- 신규middot성장 서비스분야 육성을 통한 향후 5년간 lsquo530만명 고용창출 프로그

램rsquo을 추진

- 7개 전략산업분야를 통한 고용창출

- 대학 및 기업에 의한 벤처 지원을 통한 고용창출

3) 지역특화된 사업분야를

통한 고용 창출- 복지 간호 교육 문화 환경보호 등 종래 공공서비스로 제공되던 분야

4) 고용창출 인프라 구축

- 직업상담 및 직업훈련의 충실화 및 원활화

- 취업지원 및 취업컨설팅 민간사업자 지원

- 노동이동 및 노동력 재배치를 위한 환경정비

lt표 2-35gt 고이즈미 정권의 고용창출 정책의 특징

구분 고용 관련 주요 내용

경제재정운용 및

구조개혁에 관한

기본방침

(2004)

- 젊은층의 도전 자립 프로그램 미취업자의 근로의욕향상

- 지역주도형 고용정책 추진을 위해 지자체 제안공모에 의한 경쟁적 선별적 지원

체계 도입

- 노동이동 원활화를 위한 취직지원 민간사업자활용 확대

- 신산업 창조전략 추진

7개 전략산업분야(연료전지 정보가전 로봇 콘텐츠 건강복지 관련 기기 및

서비스 환경에너지 관련 기기 및 서비스 비즈니스 지원서비스)와 지역 활성

화 산업군의 연계 및 육성을 위해 연구개발 인재육성 규제개혁 환경정비 등

의 중점 추진

산관학연계 강화를 통한 지역자원 활용 산업클러스터 계획 지적클러스터 조성

사업 추진

자료 内閣府(20016)「今後の経済財政運営及び経済社会の構造改革に関する基本方針」 内閣府(20026)「経済財政

運営及び経済社会の構造改革に関する基本方針2002」 內閣府(20036) 経済財政運営と構造改革に関する基本

方針2003(概要) 內閣府(20046) 経済財政運営と構造改革に関する基本方針2004

73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다 2010년대 초반 고이즈미 내각의 일자리 정책

민주당 내각이 출범한 직후에도 세계 경제위기에 따른 긴급고용대책이 강력히 요

구되었는데 2009년 집권한 하토야마 내각의 고용창출 정책의 기조는 2012년 말까지

의 민주당 내각에서 유사하게 추진되었는데 주요 고용정책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구분 주요 내용

내일의 안심과

성장을 위한

긴급경제대책

(2009)

- 고용긴급대응책 강화와 함께 경제성장을 위한 고용전략도 동시에 추진

- 고용유지를 지원하기 위한 고용조정조성금의 요건 완화

- 구직 중인 빈곤층의 최우선 지원 졸업예정자의 취직활동 지원 강화

- 성장분야를 중심으로 lsquo긴급고용창조프로그램rsquo 확충 도모

중점분야의 고용창출 간호 의료 농림 환경 및 에너지 정보통신 관광 지역사회고용 등

지역사회 고용창조사업 창출 NPO나 사회적기업가 등의 창업 및 사업화를 통해 지역사

회고용을 창출

4가지 지역고용창출 사업의 유형

① 사업 및 고용 계속성을 전제로 한 사업(지방고용재생특별기금사업)

② 간호 의료 농림 환경 관광 등에서 고용기회 창출 사업(중점분야 고용창출사업)

③ 실업자가 지역기업 취직에 필요한 지식이나 기술 습득 지원 사업(지역인재육성사업)

④ 지역 특성을 살린 중점적 산업진흥 및 고용창출을 위해 사업주 및 구직자 대상 인재

육성 연수 실시 사업주 대상 사업 확대 구직자 대상 취직 촉진 도모 사업(지역고용

창조추진사업(패키지사업))

관광을 통한 고용창출 건설업 및 해운사업 성장을 통한 고용창출

- 신산업창출 분야 그린에너지 의료 복지 농림어업 6차산업화 등

자료 内閣府(200912) 明日の安心と成長のための緊急経済対策 内閣府(201012) 新成長戦略 内閣府(201211)

日本再生加速プログラム

lt표 2-36gt 민주당 내각의 고용창출 관련 정책추진 내용

라 2010년대 초반 이후 아베내각의 일자리 정책

지속적인 인구감소 동경을 대표로 하는 대도시 집중화 지방의 경제 활성화 미흡

및 노동력 부족 등은 지금까지와는 다른 차원의 대응을 요구하게 되었고 지방에서

의 고용기회 확대 및 신규창출은 다양한 지방 문제 해결의 핵심전략으로 제시되기

에 이르렀다(大和總硏 201411) 이상과 같은 사회경제적 배경 하에 다양한 고용관

련 정책이 추진되었는데 이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아베정권 들어서 발표된 정책에서 고용관련 사항은 이전 정권에 비해 약화되어

있음을 살펴볼 수 있다 이는 경제 활성화와 더불어 기존의 구직난에서 구인난으로

고용상황이 역전된데 따른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추진된 고용정책의 내용

도 고이즈미 정권에서 추진되었던 내용과 유사한 것을 볼 수 있다

7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 관심분야 강한 역점분야)

구분

아베노믹스 1기 아베노믹스 2기

일본부흥전략20132014

일본부흥 전략2015

일본부흥 전략2016

미래투자전략2017~2019

유망

산업

시장

건강middot의료middot간호

4차 산업

(IoT 인공지능 빅데이터)

이동서비스middot물류

핀테크

에너지환경

공유경제

지방

활성화

중소기업 지원

농업

관광

서비스산업

고용관련 정책

- 고용유지형에서 노동 이동 지원

형으로 정책전환

- 인재활용 대응계층 고급 해외

인재 여성 청년층

- 실천적 직업교육을 위한 고등교

육기관의 제도화

- 지방에서의 창업 기업 지원

- 지방에 경영자원의 유입 및

고용창출 도모

- 외국기업 유치

- 창업지원 기업가 교육

- 고용촉진 대상 여성 고령자

장애자 고급 해외인재

자료 みずほ総合研究所(20171221) アベノミクス5年と今後の政策課題 p5에 기초하여 추가 정리 首相官邸

(20136) 日本再興戦略 內閣官方(20176) まちひとしごと創生基本方針2017(概要版) 内閣官房(20196)

成長戦略フォローアップ

lt표 2-37gt 아베정권의 고용정책 및 성장전략의 변화 추이

이 시기 새로운 일자리창출은 전략산업으로 등장한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성장

산업 분야의 육성과 생산성혁명 지원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 다 기존의 건강middot의

료middot간호 분야나 에너지middot환경 분야에서 나아가 IoTmiddot인공지능middot빅데이터 등의 4차 산

업 분야 이동서비스 및 물류 핀테크 등과 같은 신성장산업 분야를 육성함으로써

신규 일자리창출을 도모하 다 경제를 포함한 지방 활성화의 주축은 농업middot관광middot서

비스산업에 두고 있어 이전 정권들과 유사함을 볼 수 있다

아베정권에서 적극적으로 추진되어 온 지방 활성화 정책은 lsquo로컬아베노믹스rsquo라고

도 명명되고 있어 매년 다양한 관련 정책이 제시되는 lsquo지방창생 기본방침rsquo이 발표되

어 왔다 핵심요소는 지방에서의 일자리창출 관련 내용이라고 볼 수 있는데 이를

75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살펴보면 lt표 2-38gt과 같다 지방 고용창출의 주요 대상으로는 젊은층 여성 고령

자의 취업기회를 확대시키기 위한 사업을 들 수 있으며 지역이 보유한 다양한 자원

특히 유휴자원을 활용한 사업화 및 일자리창출 사업에 역점을 두고 있다

구분지방창생 기본방침

(2015 2016)지방창생 종합전략

(2017)지방창생 종합전략

(2018)

일자리창출

대상

관련 사업

- 젊은 층의 고용창출

- 여성 취업률 증대

- 지역의 중핵기업 지원

- 지역자원을 활용한 기업화

지역상사에 의한 지역생산

품 판로확대 일본형DMO

서비스업의 생산성 향상

지역의 미래 견인사업에의

투자 촉진 등

- 지방창생의 新전개도모

- 지방 젊은층 고용창출

- 향후 5년간 30만 명 목표

- 지역자원(빈점포 유휴농

지 고민가 등)을 활용한

일자리창출

- 지역중핵기업지원

- 젊은층의 전원 회귀에 의한

창업 취업자 창출(6년간 6

만 명)

- 여성고령자 등의 활약에

의한 신규 취업발굴 (6년간

24만 명)

육성산업

- 5개 서비스업(소매업 음식업 숙박업 간호 도로화물운송

업 등)의 활성화 및 생산성 향상

관광업의 연계체계 강화 의료 간호 분야 농림수산업

성장 산업화

- 관광지개발 및 브랜딩 추진

- 농림수산업

- 공적업무의 사회적 사업화

일자리 확대

방안

- 정부관계기관의 지방 이전 기업의 지방거점 강화 및 지방인재 채용확대

- 지방대학 활성화 및 진흥

자료 首相官邸(2015) まちひとしごと創生基本方針2015 内閣官房(20176) まちひとしごと創生基本方針

2017(概要版 内閣官房(20186) まちひとしごと創生基本方針2018について

lt표 2-38gt 아베정권의 지방창생전략 상의 고용창출 관련 내용

지방 고용창출을 견인할 육성산업분야로는 서비스업이 핵심이 되고 있는데 소매

업 음식업 및 숙박업 간호 분야 화물운송업 등이며 특히 농림수산업의 6차 산업

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나아가 기존의 공적업무 역을 사회적 사업화함으로써 신

규일자리 창출을 도모하고 있다 한편 일자리의 확대를 위해 정부관계기관의 지방

이전 및 민간기업의 지방거점 강화 및 지방인재 채용확대 지방대학 활성화 및 진흥

등도 지방 고용창출을 위한 정책 내용이다

마 관광분야 일자리창출 사례

1) 일자리창출 사업 진행

국토교통성 및 관광청이 추진한 관광분야 일자리창출 정책은 사례를 찾아보기 어

려우며 대다수가 일자리창출의 주무 부처인 후생노동성이 추진하는 사업으로 진행

7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되어 왔음을 살펴볼 수 있다 특히 고이즈미 내각 이래 지역주도형 고용정책 추진을

위해 후생노동성이 공모하는 고용창출 사업에 지자체가 제안서를 제출하여 경쟁적선별적인 추진체제를 도입하게 되었는데 지역특성에 기반한 관광을 통한 고용창출

사업은 지자체들이 가장 빈번하게 제안하는 사업이 되었다

관광분야 일자리창출 사업이 포함된 후생노동성의 지역고용창출 사업은 1987년

제정된 lsquo지역고용개발촉진법rsquo에 근거하여 실시되고 있다 이 법에 기반하여 다양한

명칭의 지역고용창출 사업이 진행되어 왔는데 고이즈미 정권 이래의 주요 사업들을

살펴보면 2000년대 초중반의 지역제안형고용창조촉진사업(패키지사업) 2000년대

중후반에 추진된 지역고용창조추진사업 2010년대 초반에 추진된 중점분야고용창

조사업 2010년대 중반에 시작되어 현재까지에 이르는 실천형지역고용창조사업

2010년대 중반 이후 추진된 지역활성화고용창조프로젝트 사업 2019년 창설된 과

소지역 및 재난지역 대상의 지역고용활성화추진사업 등을 들 수 있다

위의 다양한 사업들에 지자체가 제안한 사업내용 중에는 관광분야 고용창출 사업

이 상당수 포함되어 있는데 최근에 추진된 주요 사업별 관광분야 사업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대다수의 사업들은 사업단위가 기초지자체이며 거의 절반에 가까운

사업들이 관광분야를 포함하고 있다 특히 2012년부터 추진되고 있는 실천형지역

고용창조사업의 경우는 현재까지의 9년간에 걸쳐 실시된 전체 470 건의 사업 중에

서 305 건이 관광분야 사업을 포함하고 있어 지역고용창출에 있어 관광분야의 중요

성을 극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사업명(기간) 사업단위 전체 사업수(건) 관광분야 사례 수(건)

지역제안형고용창조촉진사업

(패키지사업) (2005)

기초

지자체35 10

중점분야고용창조사업

(2010-2012)

광역기초

지자체

79

(간호 의료 관광 환경middot에너지

농림수산 지역사회고용 등)

34

실천형지역고용창조사업

(2012-현재)

기초

지자체470 305

지역활성화고용창조프로젝트

(2016-현재)

광역

지자체40 13

지역고용활성화추진사업

(2019)

기초

지자체14 4

lt표 2-39gt 후생노동성 추진 고용창출사업 내의 관광분야 포함 건 수

77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2) 관광분야 일자리창출 사업 진행

① 지역제안형고용창조촉진사업 내 주요 사례

이 사업은 2000년대 중반 후생노동성이 고용기금으로 추진한 것으로 고용기회

가 부족한 지역이 고용창조에 자발적으로 대응하려는 기초지자체가 제안한 고용기

회 창출 능력개발 구직자 대상 정보제공 및 상담 등의 사업 중에서 고용창조 효과

가 높은 사업을 선발하여 해당 지자체에 사업실시를 위탁하는 사업이다 사업 실시

를 위해서는 기초지자체가 지역 내 경제단체 등과 협의회를 구성하여 사업을 제안

하고 선정되면 사업 실시주체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며 지역 내 민간단체에 재위탁

도 가능하다 사업비는 연간 2억 엔이며 최대 3년간 계속사업으로 진행할 수 있다

2005년 추진된 이 사업에 선정된 총 35건 중에는 10건의 관광분야 고용창출사

업이 포함되었는데 그 내용을 살펴보면 아래의 lt표 2-40gt과 같다 대다수의 기초자

체가 실시한 고용창출사업에는 신규일자리를 직접 만들어 내는 사업보다는 가이드

나 서비스 인력 등의 인력양성 및 연수 등 간접사업이 주를 이루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드물게 관광상품 개발사업이나 체험형 관광비즈니스 구축 등의 직접사업이

포함되어 있다

선정 지역 관광관련 사업내용

북해도 삿포로시 - 방일외래관광객 중국어대응 인력양성 연수(인력양성)

북해도 하코다테시- 지역 관광안내 여행지원서비스 관광택시 체험형관광 서비스 등의 분야에

서 활약할 인재육성 연수(인력양성)

북해도 아사히카와시

- 관광분야 취업희망 젊은층 대상 연수

- 旭川관광포럼 개최 관광벤처비즈니스스쿨 운영

- 旭川특산 관광상품 개발사업 지원

- 관광정보발신 노하우 강좌개최

이와테현 타노하타무라- 체험형 관광비즈니스 구축사업

- 체험형관광 담당인력 양성사업 체험형관광 PR방법연수

아키타현 오가시 - 관광인재 육성사업(관광프로그램 기획입안 가능인재)

도야마현 히미시 - 관광인력의 자질향상 연수 관광정보발신 능력향상 연수

나가사키현 고토쓰시마 지구 - 프로 전문가이드 크리에이터 인스트럭터 관광리더 등의 육성 연수

가고시마현 세토우치조 - 요리사 가이드 해양가이드 등 양성

오키나와현 오키나와시 - 음악관광 진흥을 위한 관광음악문화 가이드 양성

자료 厚生労働省 地域提案型雇用創造促進事業(パッケージ事業)事例集

lt표 2-40gt 2005년 지역제안형고용창조촉진사업에 선정된 관광분야 고용창출사업 주요 내용

7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② 중점분야고용창조사업 내의 주요 사례

이 사업은 2009년 창설되어 2013년 완료까지 후생노동성이 추진한 것으로 실

업문제가 심각한 상황에서 간호 의료복지 농림 환경middot에너지 기술서비스 관광

등의 성장분야에서 새롭게 고용기회 창출과 함께 지역 요구도가 높은 인재를 육성

하여 고용과 연계시키기 위해 실시한 사업이다 지자체는 교부금에 의한 기금을 재

원으로 민간기업 NPO 사회복지법인 등에 사업을 위탁하고 위탁기관은 구직자를

새로 고용하여 사업을 추진하며 인건비 포함한 사업비는 위탁비로서 지급된다

2010년도에 추진된 중점분야사업 중에서 9건의 관광분야 사업의 주요 내용을 살

펴보면 대부분이 가이드 관광객 편의서비스 지원인력 관광안내인력 관광자원 정

보수집인력 등이 그 대상이다 그 외에 관광용 목탄자동차 운 인력 여행상품개발

인력 등의 고용창출 사업도 살펴볼 수 있다

선정 지역 관광관련 사업내용

아오모리현

하치노헤시

- 위탁기관 安藤昌益資料館を育てる会 신규고용창출 4인

- 가이드 고용 및 육성 하치노헤시 및 역사 인물인 안도 쇼에에 관한 역사문화 자원 개발

콘텐츠 제작 관련상품 개발 및 관련 연수 추진

이와테현

- 위탁기관 이와테관광협회 신규고용창출 6인

- 모리오카(盛岡)역 신간선 개찰구 부근에 관광서포터를 배치하여 관광객에게 관광정보 제공

역부근 안내 화물운반 보조 등

미야자키현

오사키시

- 위탁기관 古川商工会議所 신규고용창출 3인

- 시내 관광안내센터 설치 관광안내 및 이벤트 지원 축제 관련 자료작성의 보조업무

군마현

- 위탁기관 株式會社JampS 신규고용창출 2인

- 아카기산(赤城山)부근의 관광체험시설을 실제로 체험하고 정보를 수집축적하고 그 정보를

활용하여 赤城山의 매력을 발신

후쿠이현

아와라시

- 위탁기관 주식회사 アイメル 신규고용창출 4인

- JR아와라온천역에 화물 운반 및 장애자 보조 관광객 안내를 행하는 lsquo수하물지원대rsquo를 배치

효고현

- 위탁기관 兵庫県国際交流協会 신규고용창출 3인

- 외국인이 선호하는 兵庫県내 관광자원에 관한 정보수집 외국어(중국어한국어영어) 정보

지 작성 인터넷에 의한 정보지 게재내용 발신

야마구치현

이와쿠니시

- 위탁기관 岩国市실버인재센터 신규고용창출 3인

- 岩国市 4개 시설을 연결하는 목탄자동차를 운행 운전사 1인 가이드 2인으로 구성

나가사키현

- 위탁기관 株式会社乃村工藝社 신규고용창출 18인

- 나가사키역사문화박물관내의「龍馬伝館」을 찾아온 방문객을 대상으로 시설안내 및 나가사

키현 내의 관광지 안내

미야자키현

- 위탁기관  高千穂町観光協会 신규고용창출 10인

- 일본 神道에서 행하는 가무인 神楽(가구라)를 테마로 여행상품을 조성 대도시의 여행사들

에 판매하고 관리하는 종합활동을 추진

자료 厚生労働省 重点分野雇用創造事業

lt표 2-41gt 2010년 중점분야고용창조사업(관광분야) 주요 내용

79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3) 지역활성화고용창조프로젝트 사업 내의 주요 사례

지역활성화고용창조프로젝트 사업은 산업정책과 연계하여 안정적인 고용기회를

창출함으로써 지역의 고용안정 및 능력개발 추진 지역의 생산성 향상 및 경제적

기반 강화를 목적으로 2016년에 창설된 사업이다

이 사업은 일본의 광역지자체가 전략적 산업분야로 설정한 업종을 정하여 실시하

며 지역 내 다양한 관계자(지자체 경제단체 금융기관 교육 및 연구기관 등)로 구

성된 lsquo협의회rsquo를 설치하여 사업을 시행토록 되어 있다 실시기간은 최대 3년이며 연

간 상한 10억 엔으로 총 사업비의 8할을 보조하는 사업이다

사업이 시작된 2016년 이후 현재까지 총 40건의 사업이 선정되었는데 그 중 관

광분야 사업이 포함된 사례는 13건이다 교토부 사례는 관광분야가 사업의 단독분

야로 제시된 유일한 사례이다 사업내용을 살펴보면 크게 두 분야로 대별된다 하나

는 정규직 고용 및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에 대해 또는 사업체 내의 재직자 업무

능력 향상 등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둘째는 관광분야 취업희망자를 대상으로 취

업 정보 제공 및 업무기능 등의 교육 및 연수 등의 간접지원이 내용이다 결국 신규

고용을 창출하는 비즈니스 창업 관련 사업내용은 빠져 있음을 살펴볼 수 있다

4) 국토교통성의 사례조사에 의한 주요내용

국토교통성에서는 섬 지역을 대상을 고용창출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대다수의

사례들이 신규고용이 직접 창출되는 사업들을 추진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주요

사업 내용은 민박사업(민박 및 체험프로그램 실시 관광가이드 육성 수학여행시장

대상 민박사업 등) 체험프로그램 실시(예 어업 관련 프로그램 제공 및 캐릭터 개발

등) 지역식자재 이용 레스토랑 운 및 체험형 농장운 (예 체험형 농장 운 및

농산가공품 판매 등) 돌고래관찰관련 고용창출사업(예 돌고래 관찰과 숙박시설 연

계 등) 자연체험학습에 의한 고용 확보(예 카누체험 숲이나 해양 가이드 투어 등)

등이 있다

8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32 미국

가 노동성의 2018-22년 전략계획의 비전20)

2019년 공개된 미국 노동성의 2018-22년 전략계획의 비전은 미국 근로자들에

게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는 것이며 미션은 임금 소득자 구직자 및 퇴직자의 복지

증진 및 발전 근무조건 개선 수익성 있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 업무 관련 해택과

권리 증진이다

1) 전략 1 구직활동 지원

구직활동 지원은 구직자 인력솔루션 시스템을 구축 재향군인 구직자들에게 고용

을 유지할 수 있는 재원 및 툴 지원 장애를 동반한 구직자들의 포괄적인 고용창출과

양질의 일자리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증거기반정책(evidence-based policy) 사례

및 툴을 개발 노동시장의 활동 근로조건 및 경제상황에 따른 가격변동사항에 관한

시의적절하고 정확한 관련정보제공 및 일하는 여성의 이익을 증진시키기 위한 정책

과 계획 수립을 포함한다

2017년 트럼프 정부는 견습 프로그램의 확대 관련 행정명령을 발령하 다 주요

내용으로는 기존 견습 프로그램의 확대와 효과성 제고이다 프로그램 확대와 관련해

서는 산업계가 인정하는 견습 프로그램(Industry-Recognized Apprenticeship)의

도입이다 정부가 산업계와 노동계와의 협력을 통해 견습 프로그램을 발전시키고

기존의 정부승인정책을 제3자 또는 전문기관의 승인하는 방식으로 바꾸는 것을 골

자로 한다

또한 프로그램의 접근성 향상을 위해 취약청소년 고등학생 수감자 전과자 및

미군을 대상으로 하는 (예비)견습 프로그램을 확대하는 내용도 담고 있다 행정명령

의 또 다른 핵심내용은 효과성 제고이다 각 부처가 예산관리실에 견습 프로그램

관련 예산서를 제출할 때 프로그램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개선방안 전략을 행정과

법의 관점으로 제출해야한다 이에 따라 중복프로그램을 줄이고 선택과 집중을 높

이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20) US Department of Labor(2018) FY 2018-2022 Strategic Plan의 내용을 재정리함

81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프로그램2020년 예산(단위 천달러)

프로그램 내용

성인 대상 고용 훈련 프로그램

(Adult Employment and

Training Activities)

854649

- 견습직 프로그램 맞춤형 훈련 한시적 일자리를 포함

하여 구직자에게 경력 및 훈련 서비스 제공

18세 이상으로 저소득 저숙련자 공공지원 수령자

우선 지원

청년 대상 고용 훈련 프로그램

(Youth Activities)913130

- 개인 지도 대안적 중middot고등학교 근무 경험 업무 역량

훈련 금융 지식 대학 교육 노동 시장 정보 등 제공

14~24세로 중퇴자 노숙자 위탁 가정 출신 우선

지원

실직자 대상 고용 훈련 프로그램

(Dislocated Workers

Employment and

Training Activities)

1052053

- 구직자나 최근 실업자 대상 교육훈련 노동 시장 정보

제공 취업 상담 구직 기회 부여 교통 및 아동 돌봄

서비스 제공

18세 이상의 최근 실업자 또는 장기 실업자 우선 지원

인디언 원주민 고용 훈련

프로그램

(Indian and Native American

Programs)

55000

- 원주민 부족 부족 단체 알래스카 원주민 단체 통제

단체 및 실업자 및 저소득 아메리카 원주민 알래스카

원주민 및 하와이 원주민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체

에 양질의 고용 및 교육 서비스 제공

이주민 계절 농민 고용 훈련

프로그램

(Migrant and Seasonal

Farmworkers)

91896

- 전국적으로 운영되는 이민 및 계절 농가(MSFW)를 위

한 현지 관리 서비스 프로그램으로 11 개의 주택 보조

금 지원 프로그램 뿐 52 개의 경력 서비스 및 훈련 보

조금 지원 프로그램 포함

전과자 대상 고용 지원 프로그램

(Reentry Employment

Opportunities)

98079

- 2014년 WIOA (Workforce Innovation and

Opportunity Act) 섹션 169에 따라 연구 및 평가로

승인 된 자금을 제공하여 전과자들을 대상으로 구직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 운영

견습 프로그램

(Apprenticeship Grants)175000

- 정보 기술 고급 제조 및 의료 분야의 민간-공공 견습

파트너십에 대한 부문 별 전략 보조금 제공

Youth Build 프로그램 94534

- 이전에 고등학교를 그만 둔 위험이 있는 16-24 세 청

소년을 위한 직업 훈련 및 교육 기회를 제공하는 커뮤

니티 기반 사전 견습 프로그램

Job Corps 프로그램 3611200

- 미국 노동부에 의해 운영되는 무료 교육 및 직업 훈련

프로그램으로 16-24 세의 젊은이들이 양질의 일자리

를 얻고 독립적으로 생활 지원 프로그램

lt표 2-42gt 미국 노동부 고용 훈련 주요 프로그램 및 예산

또한 업무기반 학습 및 자격취득을 위한 기회 확대를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관련 정책들은 청년층 대상 임금을 제공하는 수요중심교

육 및 업무 기반학습을 확대하고 기업이 요구하는 기술 습득 기회를 제공함으로서

기존 근로자들의 프로그램 참여를 높이고 특히 숙련도가 낮은 개인과 고용에 대한

다양한 장벽을 가진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훈련 지원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미국 전역 또는 많은 지역에서 통용될 수 있게 기존의 자격증의 이식성을 지원한다

8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2) 전략 2 안전하고 공정한 직장 홍보

안전하고 건강한 근무조건 확보 광업종사자들의 사망 질병 및 부산 예방 및 안

전 유지 합법적 임금 및 근무조건 확보 퇴직 건강 및 기타 직장관련 해택 보장

향상 연방 계약직 직원을 위한 공정하고 다양한 직장환경 개선 노조의 재정 건전

성 투명성 및 운 민주성 확보를 추진하고 있다

3) 2전략 3 강력한 근로자 보상 및 해택 관리 프로그램 운영

질병이나 상해가 있는 종사자들에게 보상 해택 제공 및 실직근로자들에게 적시에

실업급여 지급을 지원하고 있다

나 4차 산업 관련 정책21)

캘리포니아 인력 개발 전략 계획의 비전은 상향 이동성과 공유 번 으로 인력혁

신기회법(Workforce Innovation and Opportunity Act WIOA) 하에 주위원회

가 수립한 세 가지 고용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그 첫째는 수요 중심 기술 교육 육성으로 주정부 산업 부문의 요구에 맞는 인력

및 교육 프로그램 필요 프로그램 콘텐츠를 개발 운 하여 주내 기업체의 경쟁력을

향상을 도모한다 둘째 캘리포니아 주민의 경제 지위상승 활성화로 누구나 접근할

수 있는 고용할 수 있도록 인력 및 교육 프로그램제공하고 모든 주민이 교육프로그

램의 참여할 수 있으며 적정한 소득 창출 가능을 목적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제한

된 재원의 최대 효과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조정 및 통합으로 각 올바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고객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고객을 기반으로 고객에게 올바른 서

비스를 제공하는 동시에 기술 달성을 촉진하는 것에 있다

다 관광산업 고용정책 및 사례

1) 여행 및 관광 자문위원회의 고용창출 정책

미국 여행 및 관광 자문위원회(US Travel and Tourism Advisory Board)는 상

21) California Workforce Development Board(2015) Californiarsquos Workforce Development Plan의

내용을 재정리함

83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무부 산하 자문기관으로 미국 여행 및 관광 산업에 향을 미치는 정부 정책 및 프

로그램에 대해 장관에게 제안하고 현재 및 향후 관광의 전망에 대한 조언을 제공하

며 산업 관련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논의하고 제안하기 위한 포럼을 제공한다

2019년 위원회는 다음과 같은 정책 제안을 하 다

구분 내용

미래세대 인력 및 노동

시장 정보 시스템 개발

- 현재 노동부가 개발 중인 미래세대 인력 및 노동 시장 정보 시스템 개발과 관련

협력을 통한 상무부의 적극적인 역할 기대

- 미래세대 인력 및 노동 시장 정보 시스템 2014년 노동혁신 기회 법에 근거하여

노동 관련이해관계자 (고용주 학생 근로자 인력 투자위원회 교육 및 훈련 기관)

들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결정을 돕기 위한 시스템

관광산업

정보 수집

- 상무부는 노동통계청과 협력하여 관광산업협회 및 고용주들에 대한 질적인 데이

터 수집 필요

기존의 임금 관련데이터의 부정확성은 인력개발 정책 효과성 저해

(예) 호텔업계의 최고위직들은 타 산업의 통계에 반영되어 관광산업 임금체계

가 상대적으로 저임금산업이라는 인식 부여

견습 프로그램

예산 증액

- 상무부는 관광산업의 견습 프로그램 예산 증액 및 산업계 인증 견습 프로그램의

확대 필요

- 견습 프로그램의 효과 견습 프로그램의 참가자들은 기술향상 인증획득 저이직

률 및 고용주들의 선호 증진

인력혁신 및 기회

법 효과 증진

- 상무부는 산업계와 협력하여 인력혁신 및 기회 법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장애물

제거에 대한 논의 필요

- 관광산업의 경우 기존 근로자의 숙련도 향상 및 미래 일자리 교육 프로그램과 재

원 지원 미미

- 법의 목적

(구직자 측면) 고용 정보 교육 훈련 및 지원 서비스 접근성 제고로 노동시장

진입 촉진

(고용주 측면) 글로벌 경쟁력 확보가능한 숙련된 근로자 제공

인력양성프로그램

평가방법 개발

- 상무부는 산업계가 사용할 수 있는 인력양성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평가방법을 개

발 필요

기타

- 주택부와 협력하여 계절직업이 주를 이루는 지역이나 관광지에 부담 가능한 주택

공급 지원

- 계절근로자들을 위한 이동성 자금을 지원하기 위한 연방정부 차원의 재원을 마련

및 실행

- 계절근로자들을 위한 견습 프로그램의 개발 확대 실행

자료 US Travel and Tourism Advisory Board(2019) Recommendation on Workforce Development

lt표 2-43gt 미국 여행 및 관광 자문위원회의 주요 고용창출 정책 제안

관광 산업과 관련한 고용 창출 정책에는 여행 산업 내 인력 개발 이니셔티브가 있

다 현재 미국에 관광사업 관련 학위 프로그램이 있는 대학은 500개에 이른다 이

8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학교들은 American Hotel amp Lodging Educational Institute(AHLEI)와 제휴하여

학생들의 업계 검증 커리큘럼 교육 프로그램 및 인증을 제공한다 학교와 업계 협력

의 최고 사례 중 하나는 250 개 이상의 고등 교육 기관에서 채택한 호텔 산업 분석

(CHIA)의 인증으로 Smith Travel Research과 AHLEI의 협력을 통해 개발되었다

다른 정책으로는 미국 노동자들의 대한 서약(The Pledge to Americarsquos Workers)

이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 노동자를 위한 전국위원회의 일환으로 전국의 회사

와 무역 단체에 미국 노동자에 대한 서약에 서명하도록 요청하 다 트럼프 대통령

이 행정 명령에 서명한 이후 430개 이상의 회사와 조직이 서약에 서명하여 향후

5년간 미국 학생과 근로자에게 1600만 이상의 새로운 교육 및 훈련 기회를 제공하

기로 한 서약이다 관광산업계도 이러한 서약에 약 20개회사가 참여하 다

또한 국립 식당 협회(National Restaurant Association) 교육 재단은 고등학생을

위한 2년제 음식서비스 커리큘럼 전문대학 수준의 식당 또는 호스피탈리티 경 프로

그램 전문가 개발 기회 및 장학금을 학생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American Hotel

and Lodging Educational Foundation(AHLEF)은 학교에 다니고 있지 않는 청년

실업자나 구직자들 생상으로 견습 프로그램과 무료 대학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미국의 공유경제 및 플랫폼 산업들은 초기의 전통적인 오프라인기업을 대

체하는 플랫폼기업들이 주를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전문 시장을 겨냥하여 세워지는

공유기업들과 플랫폼 기업들이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다

기업 구분 내용 (2018년 기준)

에어비앤비 숙박 및 렌트 중개업- 설립연도 2008년 매출액36억불 본사 샌프란시스코

- 종사원수 13860명(전년대비 11증가)

바카사

(Vacasa)

휴양 렌트 관리

서비스업

- 설립연도 2009년 매출액 1억1천만불 본사 포틀렌드 오레곤

- 종사원수 1628명(전년대비 24증가)

겟터라운드

(Getaround)자동차공유중개업

- 설립연도 2009년 매출액 2천만불 본사 샌프란시스코

- 종사원수 489명(전년대비 18증가)

휠즈업

(WheelsUp)

멤버십제

개인전용기임대업

- 설립연도 2013년 매출액 4억불 본사 뉴욕

- 종사원수 275명(전년대비 26증가)

트립액션

(TripActions)

비즈니스여행자대상

여행관리 솔루션

- 설립연도 2015년 매출액 4천만불

- 본사 실리콘밸리 종사원수 931명(전년대비 62증가)

lt표 2-44gt 미국 내 주요 온라인 기업 일자리 창출사례

85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2) 직무능력 역량 모델

노동부 고용 훈련청(Employment and Training Administration ETA)은 미

국 근로자에게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인력을 교육하고 훈련하기 위해 경제적으로

중요한 산업 및 제 부문에 필요한 기초 및 기술 역량의 직무능력모델을 개발하고

유지하고 있다 이 직무역량모델은 산업계 리더 교육자 경제 개발자 및 공공 인력

투자 전문가와의 협업을 통해 특정 고용주 직무역량요구 파악 역량 기반 커리큘럼

및 교육 모델 개발 업계 정의 평가 지표 기술 표준 인증 개발 경력 탐구 및 지도

를 위한 자원을 개발한다

상무부 산하 국가 여행 및 관광 사무소(National Travel and Tourism Office)

및 교육 비즈니스 및 산업의 기술 관광 전문가와 협력하여 환대 관광 및 이벤트

산업을 위한 포괄적인 역량 모델을 개발했다 이 모델은 업계 종사자에게 기초를

제공하는 지식 기술 및 능력과 주요 분야별 역량을 파악하여 개발됐다

환대 관광 및 이벤트 산업 모델은 이 분야의 모든 근로자가 필요로 하는 역량

또는 지식 기술 및 능력을 포함한다 이 모델의 목적은 환대 관광 및 이벤트 산업

은 숙박 대상 마케팅 및 관리 관광 및 여행 준비 휴양 오락 및 매력 회의 이벤트

및 전시회 관리 식음료 서비스 등의 하위 부문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아래의 그림에서 보듯이 이 모델은 여러 계층으로 구성된 피라미드 형태이다 기

초 역량의 1~3군은 대부분의 고용주가 요구하는 lsquo소프트 스킬rsquo과 업무 준비 역량으

로 구분된다

기업 구분 내용 (2018년 기준)

라이프하우스 기술기반 호텔체인- 설립연도 2017년 매출액 1천 4백만불

- 본사 뉴욕종사원수 53명(전년대비 8증가)

부킹홀딩스

(Booking

Holdings)

온라인 여행업- 설립연도 1998년 매출액 150억불 본사 노르워크 커네티컷

- 종사원수 26400명(전년대비 77증가)

익스피디아 온라인 여행업- 설립연도 1999년 매출액 120억불 본사 시애틀

- 종사원수 25400명(전년대비 37증가)

8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그림 2-22] 관광 환대 및 이벤트 산업 역량 모델

자료 미국 연방노동부 원 스톱 고용센터 홈페이지(httpswwwcareeronestoporgCompetencyModelcompetency-

modelshospitalityaspx)

호텔 분야의 레벨 5에 해당하는 직무역량은 고객안전 호텔 정책 및 실행 절차

고객만족 호텔정보시스템 산업 관련 규칙의 이해 호텔의 운 이다 목적지 마케

팅은 마케팅 기초 마케팅의 효과 마케팅 계획 홍보전략 마케팅 툴 전략적 파트

너십 고객 안전 및 여행 일정 관리 관광오퍼레이터의 이해이다 레저시설 및 매력

물(레크리에이션 놀이공원 및 관광지)의 직무역량은 고객안전 및 위기관리이다 회

의 이벤트 및 전시관리의 직무역량은 전략계획 고객안전 위기관리 재무관리 지

속가능관리 프로젝트관리 인사관리 이벤트 기획 전시계획 이벤트 운 및 등록

관리 마케팅 판매 이벤트 이벤트 장소 선정 등이다

[그림 2-23] 식음료 서비스 산업 역량 모델

자료 미국 연방노동부 원 스톱 고용센터 홈페이지(httpswwwcareeronestoporgCompetencyModelcompetency-

modelspyramid-downloadaspxindustry=food-beverage-service)

87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노동부가 운 하는 직업 정보 네트워크(wwwonetonlineorg)에는 총 10개의

관광산업과 관련된 직업프로파일이 제공된다 제공된 직업프로파일은 놀이공원 및

레크리에이션 종사원 수하물 포터 및 벨보이 컨시어지 접객 식당 라운지 및 커

피 숍 호텔 모텔 및 리조트 데스크 직원 가정부 및 청소부 예약 및 항공티켓 에이

전트 및 여행사 직원 여행 가이드 안내원 및 티켓 접수자이다

34 캐나다

가 국가 고용정책

캐나다 고용 사회 개발부(Employment and Social Development Canada)에

서는 사회 프로그램 및 서비스를 개발 관리 및 제공하는 캐나다 정부 부서이며 모든

캐나다인이 자신의 재능 기술 및 자원을 사용하여 학습 업무 및 지역 사회에 참여

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을 개발하고 있다 또한 동 부처는 캐나다인들이 학교에서

직장으로 한 직장에서 다른 직장으로 실업에서 고용으로 그리고 노동에서 퇴직으

로 삶의 전환을 돕도록 프로그램을 제공 노인 자녀가 있는 가족 및 고용 보험 수혜

자에게 소득 지원 제공 토착민 장애인 노숙자 및 최근 이민자와 같은 뚜렷한 요구

를 가진 캐나다인들에게 기회와 도움을 제공함으로써 포용적 성장을 촉진하고 있다

그리고 고용 사회 개발부는 연방 관할 구역의 노사 관계 산업 보건 및 안전 노동

기준 고용 평등 및 근로자 보상 감독 캐나다 이민 난민 및 시민권을 대신하여 제

공되는 여권 서비스 및 재향 군인 재향 군인에게 서비스와 같은 다른 부서 및 기관

을 위한 프로그램 및 서비스 제공하는 기관이다

캐나다 인력관광공사(Tourism HR Canada)는 세계 최고의 관광 인력 건설을

목표로 범 국가 조직이다 이 기구는 전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고 지속 가능한 산업

을 지원하고 역동적이고 탄력적인 인력 개발을 촉진하는 인적 자원 개발 활동을 촉

진 조정 및 가능하게 한다 캐나다 인력관광공사는 관광산업이 장단기 인적자원 문

제점들 숙련된 근로자 부족현상 관광인력의 고령화 고이직율 산업에 대한 편견

을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정부차원의 지원을 하고 있다 캐나다 인력관광공사는

emerit 관광교육브랜드를 통해 필요한 인적자원에 관한 정보 서비스 및 교육 자원

을 제공한다 위원회는 산업체 산업협회 주 및 지방정부 관광교육위원회 노조 및

8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교육계와 협력하여 사업을 실행한다 주요 목적으로는 관광산업의 고용기회를 창출

하고 구직자 근로자 운 자 및 창업자 등에게 필요한 교육 및 훈련과 현장경험

프로그램을 운 하고 교육 참가자들이 획득한 지식 기술 및 경험의 국가인증제를

운 한다 emerit은 위원회의 연방정부 운 교육훈련 브랜드이다 또한 위원회는

관광산업협회와의 협력을 통해 50개 이상의 국가직업표준을 수립하 으며 26개의

인증 프로그램을 개발 및 운 하고 있다

향후 3년간 캐나다 인력관광공사는 5개의 우선 전략을 실행하고 있다 주요 목표

는 10000개의 일자리를 채우고 개인과 기업이 번 할 수 있는 기술 또는 역량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이러한 우선순위는 캐나다 전역의 관광 이해 관계자와의 광범

위한 협의에서 비롯되며 캐나다의 목적지 지위를 높이면서 국제 방문자를 크게 늘

리려는 캐나다 정부의 목표에 대응할 수 있게 한다 관광산업의 성패는 숙련된 전문

가가 제공하는 혁신적인 경험에 달려있다

향후 3년간 캐나다 인력관광공사는 다음과 같은 주요 프로그램을 통해서 관광부

문에서 고용 창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구분 내용

관광목적지 고용

프로그램

(Destination

Employment)

- 신규 이민자가 캐나다 호텔에서 의미 있는 취업을 하도록 도와줌으로써 캐나다에

서 성공적인 미래를 건설하는 데 필요한 경험을 제공

- 난민을 포함한 신규 이민자를 통합하고 캐나다 최초의 직장 근무 경험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창출 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공

미래 기술 프레임워크

- 관광 부문에서 변화하는 업무의 성격을 다루기 위한 3년 정책

- 관광 부문을 위한 역량 프레임 워크 (포괄적이고 지속 가능한 역량과 필수 기술의

수집) 창출

- Tourism HR Canada의 국가 직업 표준군(National Occupational Standards)

의 내용과 2018 년에서 2021 년 사이에 진행될 수많은 상담 이벤트의 피드백을

활용하여 관광 분야의 현재 및 미래 기술 정의

스마트 인증제

(SMART

Accreditation

Program)

- 프로그램 개발 제공 및 개선 및 성과 측정의 모범 사례를 관광 관련 프로그램의

벤치마크로 사용할 수 있는 정의된 일련의 기준으로 변환

- 간단한 자체 평가 프로세스와 공식화 된 제 3자 검토를 통해 프로그램은 제공된

증거를 기반으로 표준화 된 프레임 워크 내에서 평가

- 기준이 충족되면 프로그램은 SMART 프로그램으로 인증 추가 기준이 충족되면

프로그램은 SMART + 프리미엄 프로그램으로 인증

emerit 교육 프로그램

연구 설계 및 테스트

- 산업 소규모 기업 교육 기관 및 대기업과 협력하여 emerit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

산업 전문가가 개발하고 검증 한 국가 직업 표준(National Occupational

Standards)은 실제 고용주가 신입 사원에서 찾는 것을 나타내고 실제 작업장

lt표 2-45gt 캐나다 인력관광공사의 주요 프로그램

89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나 산업분야 촉진 프로그램(Sectoral Initiatives Program)

산업분야 촉진 프로그램(Sectoral Initiatives Program SIP)는 부문별 노동 시

장 정보 국가 직업 표준 기술 인증 및 인증 시스템의 개발 및 배포를 지원함으로써

현재와 미래의 기술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원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의

목적은 산업계가 인적 자원 및 기술 문제를 파악하고 예측 및 해결하도록 지원하는

데 있다 SIP는 캐나다 경제의 주요 산업부문을 위한 파트너십 기반 프로젝트에 자

금을 지원한다 이러한 프로젝트는 직장 조직 고용주 협회 교육 및 훈련 기관 전

문 협회 노동조합 및 원주민 조직과 같은 업계 파트너가 개발하고 실행한다

미래기술센터는 캐나다 전역에서 생성 된 아이디어와 혁신을 연결하여 직원과 고용

구분 내용

조건과 직업에 영향을 미치는 현재 문제 반영

emerit 온라인 학습 및 통합 문서 온라인 모듈을 쉽게 관리 할 수 있도록 수십

개의 직종에 대한 교육개발하고 보다 전통적인 학습 접근 방식을 선호하는 사람

들을 위해 통합 문서 제공

emerit의 전문가 인증 emerit은 연방정부가 승인하는 전문가 인증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러한 국가인증제도를 통해 인증을 받음으로 직원들의 직업 만족도와

충성도 향상과 이직 및 교육비용 절감

캐나다 여행 관광

아카데미

(CATT)

- 교육자 및 업계 파트너의 지원과 지도를 통해 전국 고등학생들에게 실무 성공하는

데 필요한 지식 기술 및 태도를 제공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

레벨 1 프로그램 관광 산업에 대한 개요와 교육을 통한 관광경력을 쌓는데 필

요한 지식과 기술 습득 결과에 대한 소개 중심 레벨 1 인증을 통과하기 위해

관광개론 1 과목과 25시간의 자원봉사 경력 요구 자원봉사 경험은 지역 관광인

력사무소를 통해 참여가능

레벨 2 프로그램 2개의 고등학교 관광과목 수강 관광경력 워크숍 수료 100시

간 이상의 인턴십 및 SuperHostService ExcellenceServiceBest와 같은

고객 서비스 인증프로그램 수료 필요

골드레벨 프로그램 관광 경력을 준비하고 고등 교육 및 평생 학습에 필요한 기

술 개발지원 골드 레벨을 수료한 참가자들은 Tourism HR Canada에서 산업

계가 개발한 국가 직업 표준 및 필수 기술과 관련된 학습 결과를 시연 가능

레디투워크(Ready to

work) 프로그램

- emerit 국가 직업 표준에 기반한 강의실 및 작업장 교육을 통해 관광 인력으로

체계적으로 전환하는 것을 목적

사전고용 교실 훈련 강사 주도학습 모델로 경력계획 직업별 기술능력의 이론수

업이 핵심

직장내 훈련 직장트레이너로부터 직업별 훈련 멘토링과 피드백 제공

직업배치 모델 참가자에게 비숙련직업 제공

환대 서비스 종사자

훈련 센터 (HWTC)

- 환대 산업에 인재양성을 위해 해당 분야에서 구직자들에게 맞춤 교육을 제공하고

구직정보와 구직을 지원하고 캐나다 최고권위의 요리사 자격증인 Red Seal 인증

교육에 대한 지원 커리어 카운슬링 교용보험지원 등을 해당분야 실업자나 구직자

에게 제공

자료 캐나다 인력관광공사 홈페이지(httptourismhrcaabout-usstrategic-plan)

9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주가 모두 유리한 미래일자리 창출 전략이다 현재 30개의 프로젝트에 대해 자원을 지

원하고 있고 근로자가 새로운 직업에 필요한 기술을 습득하거나 다른 산업계의 구직에

필요한 기술 교육을 지원하고 있다 프로젝트의 주요 주제는 회복탄련성(resilience)과

적응성(adaptability)을 향상하기 위해 교육 및 숙련 기술 근로자에 대한 혁신적인 접

근 방식을 파악 평가 및 결과를 이해관계기관이나 산업체와 공유한다

구분 내용

AI와 기술 발전을 활용한

경제 회복

- University Health Network의 Michener Institute of Education 및

Vector Institute의 ldquo건강관리에서 인공 지능 채택 가속화rdquo는 최첨단 의료 전

문가의 기술과 사고방식을 혁신하여 AI 지원 건강 관행 조직 및 시스템을 강화

하는 지식 기술 및 기능을 갖춘 인력의 교육 훈련

만성 기술 부족에 직면 한

산업 내에서 훈련

재 숙련 및 적응

- 식품 가공 기술 ldquo식음료 가공 인력의 미래 보장rdquo은 식품 및 음료 가공 산업과

근로자들이 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테스트를 통해 필요한 기술을

교육을 통해 숙련도 제고

근로자의 역량과 탄력성을

구축하기 위한 교육 및

학습에 대한 혁신적

접근 방식

- Bow Valley College의 ldquo갭 브리징 구직자 및 고용주를 위한 학습 플랫폼 및

마켓 플레이스rdquo는 확장 가능한 인공 지능 (AI) 평가와 재교육 및 숙력도 향상을

지원하는 기술 플랫폼 개발

- 해당 직무에 대해 확장 가능한 AI 평가법을 개발하여 50개 커뮤니티 파트너

네트워크를 통해 구직자에게 제공

미래를 위한 포용적

인력개발

- Coast Salish Development Corp의 원주민 고용 허브는 BC주의 미래 인

프라 프로젝트에 대한 노동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비숙련

원주민을 대상으로 150개의 기술 평가를 제공하고 100 개의 훈련 계획을 개

발하고 100 명의 참가자에게 기술 훈련 과정을 제공하며 노동 부족에 직면

한 건설 및 인프라 프로젝트에서 80 명의 숙련 된 일자리를 제공할 예정

고용 시장 변화의

적응력 제고를 위한

중소기업의

직무기술 개발

- 퀘벡 내 8개 지역에서 평생교육 문화와 인력 기술 개발의 중중요성을 기업문화

에 적용

- 주요 목적으로는 지역 내 필요한 인력 역량 기술을 파악하고 이러한 기술의

중요성을 기업에게 전달하고 기업으로 하여금 기술개발 계획을 수립하여 혁신

적인 인력역량전략을 실행

융합

- 대학을 위한 미래 기술 혁신 네트워크(Future Skills Innovation Network

for Universities FUSION)는 보다 미래의 기술을 공식적이고 비공식적 인

교육에 통합하기 위한 교수법 평가 보다 유연한 학습 형식을 만들어 기술 습득

을 향상시켜 고용률을 향상시키고 소외된 학생들을 위한 고등 교육 후의 접근

성 및 구직률 향상을 목표로 함

디지털 역량 표준 프로젝트

- 디지털 직무역량 요구가 빠르게 변화함에 따라 대학졸업자들의 직무역량과 산

업체가 요구하는 직무 역량사이의 직능격차를 줄이기 위한 프로젝트

- 디지털 역량 혁신 기업가 정신 기술 채택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 커뮤니케이

션 창의성 및 적응성을 소프트 스킬의 결합이 포함

자료 캐나다 미래기술센터 홈페이지(httpsfsc-ccfcaengagefuture-skills-centre-announces-37-million-

investment)

lt표 2-46gt 미래기술센터의 주요 프로젝트

91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35 호주

가 전분야 일자리 정책

1) 호주 G20 고용 계획(Australiarsquos G20 Employment Plans 2017년)

고용환경 개선을 위한 정부의 중장기 계획으로서 장기 실직자에 대한 문제해결

청년층의 실업률 해소 노동력 인구비율(생산연령 인구에 대한 노동력 인구)의 증진

방안 미래 일자리 창출 지원 등을 포함한다

항목 정책 내용 정책 실행 상황 및 결과

제도 재정

인센티브

투자 및

기업활동

- 중소규모 사업체에 대한 세금 조율

- 관료주의 탈피하기 위한 규제개혁

- 시장의 생산성 및 네트워크 개선하기 위

해 인프라 구축 투자

- 2015년 5월 소규모 기업에 대한 세제 개혁 입

법화되며 약 3백만 개의 기업 혜택 수여

- 2016년 12월 정부는 비즈니스 및 지역사회에

대한 규제 부담을 58억 달러 이상 감소

- 2020년~2021년까지 700억 달러를 육상운송

인프라 투자 계획

노동시장규제- 근로자와 기업 모두의 이익을 위해 양측

의 관계 조율할 수 있는 조직위원회 설립- 2017년 5월 1일부터 운영

노동시장의

활성화 지원

- 구직자와 사업체를 위한 임금 보조금 지

원 확대

- 2017년 1월 1일부터 청년층 원주민 고령자

장기 실직자 대상으로 보조금 지원

청년 고용 - 장기간 실직상태인 청년층 지원

- PaTH 프로그램

- 학교를 갓 졸업한 학생들에게 인턴십 기회 확대

- 청년들이 학업 또는 취업을 이어갈 수 있도록

비영리기관의 모금 확대

- PaTH를 통해 교육 및 훈련 기회제공

자료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Employment(2017) Australia G20 Employment Plan 2017

lt표 2-47gt 호주 G20 고용 계획의 세부내용

2) 스타트업 지원 정책

기업가 프로그램(Entrepreneursrsquo Programme)은 다음과 같다 본 프로그램은

민간 부문의 자문단 및 협력가들의 국가 조직망(National Network)에 펀드

(Accelerating Commercialization Grant ACG) 및 엑세스(access)를 통해 기

업이 생산성과 경쟁력을 높이는데 기여한다 ACG는 스타트업 기업에게 프로젝트

비용의 최대 50를 투자하는데 적격 파트너 협력체의 경우 25만 달러 기타 다른

신청자들에게는 백만 달러 한도 내에서 지원한다 이 밖에도 기업가들에게 벤처에

대한 전문가 조언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함으로써 스타트업들이 글로벌 마켓으로 진

출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스타트업 시장에 막 진출한 신규기업들은 2년 동안 1만

9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3천 달러에서 2백5십만 달러까지 신청할 수 있다

연구개발 세금 인센티브 제도(Research and Development(RampD) Tax Incentive)

는 다음과 같다 세금 인센티브 제도는 소규모 기업들의 혁신을 장려하는 세금 상쇄

(tax offset)를 통해 모든 기업들이 시장에서 선제적으로 앞서 나가도록 돕는다

2016년 7월 1일부터 연간 매출액이 2천만 달러 미만인 기업들은 1억 달러 미만의

RampD 지출에 대해 435의 환급 가능한 세금 공제액을 청구할 수 있다

나 고용 성장률

코로나19 이후 관광객이 급격히 감소함에 따라 관광 시장의 고용율도 위축되었

는데 관광 관련 기업의 구조조정 및 인력 감원이 본격화되면서 현재까지 99000명

에서 133200명이 실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직자의 대부분은 시간제 근무 단순

업무 계약직 근무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별 고용 성장률 측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예측하고 있다 헬스케어 및 사회복

지 산업 전문직 및 과학기술 서비스 산업 교육훈련산업 건설업은 향후 5년간

(2019년~2024년) 전체 고용률의 약 621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된다 반면 농업

임업어업 제조업 정보 매체텔레커뮤니케이션(telecommunication) 산업은

향후 5년간 고용률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림 2-24] 2024년까지 산업별 고용률 변화 예측

자료 Australian Government(2020) Employment outlook to May 2024 p5

93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다 산업 및 직종별 미래 일자리 전망

호주 정부는 향후 5년간 약 19개의 산업에서 고용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는데

특히 새로 생긴 전체 일자리의 23는 헬스케어와 사회복지(최대 250300명 149)

건축(118800명 10) 교육(113000명 112) 과학기술(106600명 102)

분야가 차지할 것으로 내다봤다([그림 2-25] 참고)

[그림 2-25] 향후 5년간 주요 산업별 일자리 창출 비율

자료 Australian Government(2019) Australian Jobs 2019 p13

다음으로 숙박 및 외식 분야에서 약 9의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된

다 연령과 학력에 있어 전체 인력의 약 45가 15세에서 24세의 청년층으로 중middot고

등학교 졸업자가 전체의 절반을 차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타 산업과 비교해

채용인력의 연령대와 학력이 비교적 낮았고 주로 웨이터 바 종업원 주방장 또는

보조 일반 판매직 보조 등의 업무에서 인력을 확충할 것으로 전망된다

과학기술의 발달과 자동화의 확대로 사무직 비서 농장 관련 직종은 마이너스 고

용률을 보일 것으로 예측되는 반면 의료종사자 간병인 교육 전문직 ICT 전문가

의 경우 미래 유망직종으로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정부는 lsquo관광 고용 계획(Tourism Employment Plan TEP)rsquo을 발표했는데 지

역별 관광 및 환대산업 기업들이 인력 채용 및 유지 인력의 기술부족 문제 등에

대응할 수 있도록 고용과 관련된 실용적인 전략과 대안을 제시하 다

9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TEP는 8개 지역의 관광사업체와 연계해 교육 훈련 고용 성과 등을 개선하기

위한 관련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처음 1년간 단기 전략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워킹

그룹에 의해 계획 단계별(인력개발단계 커리어 향상 단계 고용기회 증진단계 등)

가이드라인을 설정한다 이 밖에 관광 및 환대산업 기업가를 지원하기 위해 무료

안내서(fact sheet) 성공 사례 인적자원(HR) 관리 기타 비즈니스 업무 지원 안내

서를 제공한다

라 포스트 코로나에 따른 일자리 정책

1)일자리 지키기(JobKeeper) 정책

호주 정부가 경기 부양과 고용지원의 일환으로 내놓은 lsquo일자리 지키기rsquo 정책은 총

130억 호주 달러를 지원해 향후 6개월간 고용주들을 통해 직원들에게 격주로

1500 호주 달러의 세전 급여를 지급한다(단 임시직은 1년 이상 근무조건이 붙음)

이 정책은 일종의 급여 보조금으로 약 1300억 호주 달러 규모이며 코로나 사태

로 인해 근로자의 해고나 감원을 최소화하고자 고용주와 근로자를 지원하는 정책이

다 단 연매출 10억 달러 미만인 기업 중 3월 1일 이후 매출이 30 이상 감소한

기업 연매출 10억 달러 이상인 기업은 매출이 50 이상 감소한 기업 등의 조건을

충족 시 정부의 보조금을 지원받을 수 있다

지원금은 국세청(ATO)로부터 5월 첫째부터 지급되며 날짜는 3월 1일부터 소급

적용(back-dated) 지급되며 정규직 계약직 임시직에 상관없이 12개월 이상 근

무한 주권자 시민권자 뉴질랜드 시민권자(Subclass 444 소지자)를 대상으로 지

원된다

2) 외식업 지원 정책

외식업은 호주인들이 가장 많이 종사하고 있는 업종 중 하나로 코로나19 이후

업계 실업률이 30에 달한다 시드니와 멜버른을 비롯해 주요 도시의 락다운

(Lockdown) 조치가 반복되면서 관련 산업 종사자들의 대규모 실직 사태가 발생했

다 외식업 생존위지를 위해 정부는 일자리유지 보조금제도(Job Keeper) 이외에도

임대계약 지원 기타 현금성 재정지원 등을 시행하고 있다

95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3) 사업체 및 근로자 지원방안

호주 정부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심각한 타격을 입은 경제를 회복시키기 위해

1차로 175억 호주 달러를 지원하 고 2차 경제 부양 패키지인 660억 호주 달러

규모의 추가 지원을 발표하 다 이어 지난 3월 30일에는 일자리 지키기 보조금을

지원하는 등 기업과 근로자를 위한 경제 회복 정책을 시행하 다

구분 지원내용

기업

중소기업 및

비영리단체 지원

- 최대 10만 호주 달러 지원

- 자격요건 연간 매출액 5000만 호주 달러 이하 사업체 및 비영리단체

- 사업자의 사업활동보고 시스템(BAS) 이용 금액수단 형태로 제공

- 고용주는 활동 명세서를 제공해야 하며 해당 금액은 호주 국세청에 의해 14

일내 지급

비즈니스

파산방지책

- 6개월간 채권자의 발행 법령 청구서 기준액 인상(2000 rarr 20000 호주 달

러) 법정 요구 시간 연장(21일 rarr 6개월)

- 파산한 업체 대표들은 6개월 동안 개인적인 책임으로부터 일시적 구제

- 비즈니스 과정 중 발생한 부채만 해당

중소기업

운영자금 유통

- lsquo코로나19 중소기업 보증제도(Coronavirus SME guarantee scheme)rsquo 도

입 중소기업 신규 대출 50 보증

- 총 200억 호주 달러의 규모로 새로운 단기 무담보 대출 형태로 최대 5000

만 호주 달러 매출의 중소기업까지 대출 가능

- 대출금액 업체당 최대 25만 호주 달러 상환 기간 최대 3년 초기 6개월

상황 유예

개인사업자 및

자영업자 지원- 소득이 감소한 개인 사업자 및 자영업자까지 자격 기준 확대

개인

근로자

생계 지원금

- 4월 27일부터 향후 6개월 동안 2주마다 550호주달러의 추가 수당지급

- 기존 및 신규 수령인 모두 지급

- 자격조건 lsquo구직자 보조금 청소년 수당 육아 수당 농가 수당 특별 혜택 수

혜금rsquo을 받는 자에 한해 지급

연급 조기 인출

- (201920 회계연도) 최대 1만 호주 달러 + (202021 회계연도) 추가 1만

호주달러까지 연금 조기 인출

- 조기 인출에 대해 면세 혜택 부여 및 복지수당재향 군인 연금 지불에 미영향

- 연금인출 청구 가능자 실업자 구직자 수당 육아 수당 특별 혜택 농가 수

당 수령자 2020년 1월 1일 또는 이후 해고된 개인 자영업자의 경우 비즈니

스 운영이 중단되었거나 매출의 20가 감소한 경우

lt표 2-48gt 비즈니스 기업 및 개인 근로자 지원방안

9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마 일자리 관련 프로그램

1) 청년 일자리 계획(Youth Jobs PaTH) 프로그램22)

청년 일자리 계획(Youth Jobs PaTH)은 호주 정부에서 제공하는 청년 일자리 3

단계 계획 프로그램으로서 본 프로그램은 청년 취업자에게 훈련 및 인턴십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취업 가능성을 높인다(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청년 일자리 3단계는 취업 준비 과정 인턴십 임금보조금 지급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취업준비 과정은 기술 훈련에 참여하는 과정이며 인턴십 단계는 6개월간 구직

서비스 참여자나 취업 경험자들 대상으로 4년간의 인턴십 제공과정이다 인턴십 기간

중 참여자들은 2주간 소득지원급여(200 호주 달러)를 추가 지급받는다 또한 인턴을

받는 고용주는 1000 호주달러의 선불급여를 지급 받는다 마지막 단계인 임금 보조

금 지급은기업이 고용서비스에 등록된 청년 구직자를 반년 이상 고용시 6500 호주

달러를 청년 고용을 유도하기 위한 보조금(Youth Bonus Wage Subsidies)으로

지급하며 이는 최대 1만 호주 달러까지 최대로 지원 가능하다 사업체들은 청년

구직자들 직접 고용하거나 노동력 고용 주선(Labor hire arrangement) 도제제도

또는 인턴십과 병행하는 방법 등을 선택할 수 있다

2) 청년 창업 지원

호주 정부는 2016년 12월부터 워크숍 창업 정보의 온middot오프라인 제공 창업 인

센티브 보조금 제도(New Enterprise Incentive Scheme NEIS)의 확대 장기 실

업율이 높은 지역의 창업 협력 강화 등을 실시하 다(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워크숍은 총 2주간의 기간으로 운 되며 창업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며 동 워크

샵의 참여자에게는 최대 12주간의 인턴십에 참여할 기회가 주어진다 동시에 창업

정보 사이트(SelfStart Online Hub)를 통해서 참여자들은 창업 계획 아이디어 지

역별 창업 지원 정보를 온라인으로 획득할 수 있다 창업장려정책의 하나인 NEIS

프로그램은 전국적으로 약 8600개의 일자리를 18세 이상 구직자에게 제공하고 있

으며 소규모 사업체 훈련과 멘토링 소득지원 렌트비 보조 창업 아이디어 실행을

22)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6) 호주 청년 노동시장 진입 지원정책의 변화 글로벌 사회정잭 브리프 50호

내용을 재정리함

97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위한 개인 멘토링과 지원 등을 제공하고 있다 호주 정부는 또한 청년 실업률이 높

은 지역을 창업 협력 특별 지역으로 지정해 청년 창업을 활성화할 예정이다

3) 훈련 기금(Skilling Australian Fund)

호주 정부는 직업교육훈련(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VET)을 지원

해왔으며 훈련기금(Skilling Australian Fund)을 조성해 취업 준비생의 교육 및

훈련 기회를 확대한다 이 기금은 미래성장산업 농촌 및 지방에 수요가 많은 직종

에 교육이나 훈련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프로젝트에 한해 우선적으로 제공된다 펀

딩은 2018년 7월 1일부터 4년간의 프로젝트 기반 국가 파트너십을 통해 운 된다

주정부의 자금지원으로 모금된 펀드는 호주의 미래 일자리 창출 및 생산성 향상

을 위해 수천 명의 견습생과 연수생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4) 직업 전환 지원 프로그램(Career Transition Assistance Program)23)

50세 이상 구직자를 대상으로 운 되는 단기 집중화 코스로서 전이 가능한(다른

일에서도 사용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고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해 구직자들의 적응

력과 회복력을 증진시키고자 만들어진 프로그램이다 2018년 7월 1일부터 호주 5

개 주에서 시범적으로 시행되었고 2020년 7월 전국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36 영국

가 기존 일자리 정책

미래의 관광관련 일자리 정책과 관련한 국의 사례를 검토하기 위해서 먼저 기

존 관광을 포함한 전체 일자리 지원 정책을 검토하고자 한다 본 일자리 정책은 정

책 방향에 따라 역량 강화 성장환경 조성 인프라 강화 법제도 개선 측면으로 구분

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23) 지역 정책 2030(regions 2030 - unlocking opportunity) 내의 프로그램임

9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1) 전 산업24)

① 역량 강화

국은 노동자의 역량 강화를 위해서 청년층 경력단절자들의 복귀를 위한 정책을

추진하 다 청년층을 위한 정책은 청년 고용대책(New Deal for Young People

NDYP)이 대표적이다 1997년부터 시행되기 시작한 lsquo뉴딜rsquo(New Deal 신고용 협

정)은 국의 신노동당 정부의 lsquo복지로부터 노동으로(Welfare to Work)rsquo 전략을

위해 마련되었으며 실업의 해소와 복지수급자의 근로의욕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이다

뉴딜(New Deal) 프로그램은 장기간의 청년실업자를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프로그램은 장기간 청년실업자들을 구제하기 위하여 기업을 대상으로 보조금을

지급하는 정책을 시행하 다 본 정책은 청년실업자가 선택 가능한 다양한 교육프

로그램의 제공함으로써 청년실업자의 고용가능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예를 들어 뉴딜 참가자는 교육기관이나 훈련기관에서 3개월에서 최장 12개

월까지의 기초 기술을 습득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는 2급 국가기술자격증을 취득 가

능하다 이와 관련해서도 실업급여에 해당하는 액수를 훈련수당으로 지급가능하며

임대료의 보조와 지방세 면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초창기 본 프로그램

은 Gateway Option Follow-Through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있다

구분 내용

Gateway - 근무 장벽 해소를 위해 집중적인 구직 탐색을 4개월간 하는 프로그램

Option

- 참여자가 최대 6개월 동안 고용 옵션(Employment option) 최대 12개월 동안

전일 교육 훈련(Full-Time Education and Training FTET) 자원 분야

(Voluntary sector)에서 최대 6개월까지 일하고 환경 업무 팀(Environment

Task Force)에서 최대 5개월까지 근무를 포함

Follow-Through - 3개월까지 추가 구직 지원의 기간으로 프로그램 떠나기 전까지 참여

자료 Beale et al(2008)

lt표 2-49gt 뉴딜(New Deal) 프로그램

24) Department for Work amp Pensions(2015) 2010 to 2015 government policy employment의

내용을 재정리함

99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경력 단절자를 위한 고용 정책은 리스타트 프로그램(Restart Programme)25)이

다 1986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본 프로그램은 국의 대표적인 일자리 정책 중 하

나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리스타트 프로그램(Restart Programme)을 통해서 고용

주들이 경력단절을 지니고 있는 경력자들이 직업으로 복직할 수 있는 기회를 획득

하고 있다 또한 본 프로그램은 동기부여가 이루어진 구직자들의 풀(pool)에 접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본 프로그램은 복직을 희망하는 사람들이 직장에 복귀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고 신뢰도와 산업별 새로운 지식의 습득과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기업의 입장에서는 경험 많은 인재 풀(pool)을 적극적으로

개발함으로써 이익을 얻을 수 있다

본 프로그램의 추진 목적은 우선적으로는 경력 단절을 겪고 있는 구직자들이 적극

적으로 일자리를 구하는 것을 지원함에 있다 또한 구직조건에 미충족한 사람들을 선

별적으로 구분하고 그 사람들에게 보다 더 적절한 일자리와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② 성장환경 조성

일자리 성장환경 조성을 위한 국 정책으로는 프린스 트러스트(Princersquos Trust)26)

가 있다 1976년 찰스 왕세자에 의해 설립된 프린스 트러스트는 일자리 정책과 관

련되어 다양한 종류의 구직자 고용주 그리고 창업자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

고 있다

예를 들어 만 18세 ~ 만 30세의 연령에 해당하는 창업자가 설립한 기업에게는

약 1500 파운드에서 3500 파운드에 이르는 창업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또 다른

사례는 버밍엄 도심 공항(Birmingham City Airport)의 사례27)를 찾아볼 수 있다

프린스 트러스트와 버밍엄 도심 공항이 공동으로 실직 청년들에게 자금을 지원하는

취업 전 과정을 운 하고 있다 201718년에 시행된 프로그램을 통해서 51명이 동

프로그램을 완료하고 39명의 젊은이들이 공항에서 근무할 수 있는 일자리를 제공받

았다 해당 프로그램은 숙련된 인재를 일자리로 연계하 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5) Policy Study Institute(1992) The Restart Effect Evaluation of a Labour Market Programme

for Unemployed People의 내용을 재정리함

26) 프린스 트러스트 홈페이지(wwwprinces-trustorguk)의 내용을 재정리함

27) HM Government(2018) Industrial Strategy Tourism Sector Deal의 내용을 재정리함

10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③ 일자리 인프라 강화

일자리 인프라 강화를 위한 국 정책으로는 잡센터 플러스(The Jobcentre

Plus)를 통한 정책적 지원이 있다 잡센터 플러스는 일자리 정보 및 구직 활동에

대한 지원을 주는 기관이다 2006년 설립된 잡센터 플러스는 구직을 희망하는 사람

에게 일자리 정책을 지원하는 역할을 가지고 있다 동 센터는 일할 수 있는 사람에

게는 일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도움을 주며 일할 수 없는 사람에게는 lsquo지원 서비스rsquo

를 제공하기 위한 정책을 시작하 다 또한 동 센터는 노동 서비스 제공업체 지방

당국 교육 제공업체 및 고용주들과 함께 사람들이 다시 일하도록 도울 수 있는 혁

신적인 방법의 고안하는 데 주목하 다

동 연구센터는 3가지 유형의 집중 지원을 하고 있다 첫째 잡센터의 작업 코치와

기타 현지지원의 집중적인 추가 지원을 하고 있다 둘째 지원 대상자는 3개월 동안

매일 지역 내의 잡센터에 참석하여 자신이 작성한 입사 지원서에 대해 작업 코치와

상담할 수 있다 셋째 이력서를 작성하고 수정middot보완과 관련한 지원을 하고 있어

최대 6개월간 지역 사회 내 일자리 찾기에 도움을 주고 있다 도움이 되는 업무 경

험을 얻기 위해 최대 6개월 동안 지역 사회내의 적절한 작업의 배치가 가능하다

④ 법 제도 개선

국정부는 고용을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법과 제도를 추진하고 있으며 주요 정

책과 제도는 다음 표와 같다

구분 내용

근로가정의 비과세 보육 - 근로 가정은 12세 미만 아동 1인당 최대 2000파운드까지 양육비의 20

청구 가능

65세 의무정년제의 폐지

- 2015년부터 고용평등규정(Employment Equality Regulations 2011)

을 통해서 65세 의무정년제 폐지

- 목적 사용자와 근로자에게 유연성 최대 제공의 목적으로 하나 기업 부담

감소를 통한 국가 경제성장 도모

부당해고의 구제 청구자격

연수의 2년 연장- 기존의 청구자격 연수가 1년에서 2년으로 변경

자료 고용노동부(2014) 선진국 고용정책의 일자리 창출 효과 연구

lt표 2-50gt 영국 정부의 일자리 창출 법 및 제도 개선 관련 주요 정책

101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2) 관광분야 일자리 정책

상기에서 살펴본 국 정부의 일자리 관련 정책과 더불어 관광분야에서는 아래와

같은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다음의 정책들은 주로 예비 종사들의 현장 적응 능력

강화 및 구직을 위한 기회 확대와 관련되어 있다

① 견습생 제도(Apprenticeship)28)

국 정부는 관광분야에서 더 숙련된 인력을 유치하고 유지하기 위한 노력의 일

환으로 견습생 선발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국 정부는 2025년까지 매년 3만

명의 새로운 견습생 제도의 시행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한 관광분야 및 환

대산업 분야에서의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견습생 선발 제도의 대상은 해당 분야의 일을 처음 시작하는 사람으로부터 해당

전공의 학위를 수여한 전공자에 이르기까지 다양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다양한 분

야의 경험을 가지고 있는 구직자들을 견습생으로 선발하는 것도 이 정책의 특징이다

또한 2019년 새로운 형태의 웹세미나(Webinar)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다 본

프로그램은 다양한 디지털 채널을 통한 서비스 이용자들(예 고용주 훈련 제공자

최종 평가조직 등)과의 협력을 통한 견습생 제도를 지원하고자 한다 본 프로그램에

는 서비스 개발 업데이트 견습생의 자격 사용자 및 교육 제공자에 대한 최종 평가

활동의 기록 최종 포인트 평가의 지침과 견습생 평가 서비스의 가이드에 대한 주제

를 포함한다 모든 웹세미나(Webinar) 프로그램은 전문가들에 의해 주도되어지며

참석자들은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질의응답 시간을 통해서 참여할 기회를 갖는다

또한 서비스 이용자들이 견습생 선발제도의 이용과 새로운 개발 부분에 대해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다른 정부부처 (예 교육 및 기술기금 조달청 lsquoEducation and

Skills Funding Agencyrsquo) 및 이해관계자들과의 협력을 도모하고 있다

② 사전 인터뷰 시행 지원

본 정책은 더 많은 구직을 희망하는 사람들이 관광산업 및 환대산업군에서의 고

용 기회를 얻을 수 있게 지원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보다 더 많은 사람들이 관광

28) ESFA Digital(2019) Sign up to our new apprenticeship service webinar programme의 내용

재정리함

10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및 환대산업의 직업군에서 경험한 풍부한 경험들을 새롭게 일자리를 구하고자 하는

사람들과 공유하고 나아가 그들이 경험한 것을 환대와 관광산업 분야에서 모방할

수 있도록 돕는다

③ 취업 캠페인(The MyTourismJob)29)

본 캠페인은 관광산업 분야의 다양한 일자리 소개하는 데 집중하고자 하는 정책

이며 더 많은 젊은 구직자들이 관광 환대산업군을 자신의 직업 선택군으로 생각하

도록 장려하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본 정책은 관광산업군 내에서 여러 산업체와의

협력을 기반으로 고용주 학교 및 대학 간의 관계를 중개하는 업무 중시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 정책은 디지털 시대에 걸 맞는 여러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미래 일자리 정책 중 하나이다

본 정책은 관광산업이 젊은 세대들의 직업 선택과 관련한 의사결정과정에서 향

을 미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으며 경력의 개발과 관련한 사항들이 더 잘 뒷받침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정책이라고 기대되어진다

④ 멘토링 프로그램(Mentoring programme)

본 정책은 매년 1만 명의 관광 분야 종사자들이 관광업계에서 머물 수 있도록 멘

토링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에 더하여 이들의 커리어

개발을 지원하고자 한다30) 개인별 맞춤 훈련의 제공을 통한 명확한 진로의 개발에

도움이 되는 발전적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멘토링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한 관광업

종사자들의 적절한 진로 탐색과정을 통하여 개인별 트레이닝과 진로개발의 기회들

이 제공될 것으로 기대되어 진다

⑤ 관광 산업 군 직장 내 교육 프로그램

본 정책은 관광산업 군내에서의 다양한 직업의 역할 스킬 및 위치의 측면을 고려한 구

체적인 이해의 상승효과를 위해 활용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인식되고 있다 2021년까지

해당 교육 프로그램을 받는 직원의 비율을 80에 달성하도록 하는 목표를 지니고 있다

29) DCMS(2016) Tourism Action Plan의 내용을 재정리함

30) OECD(2020c) OECD Tourism Trends and Policies 2020의 내용을 재정리함

103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⑥ 관광 및 환대산업 내의 인재 양성 파이프라인 구축을 위한 투자

국 정부는 관광 및 환대산업 내 인재 양성을 위해서 pound1000000의 투자를 시

행한다 구체적으로 본 정책은 학교 대학 고연령 근로자 lsquoJobCentre Plus(잡센터

플러스)rsquo 구직자 자선단체 등과의 상생과 협력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자 한다 특

히 상대적으로 소외되고 유능한 인재 획득에의 접근성이 떨어지는 고용인(외부 지

역 주민 포함)에 대한 지원을 강조하고 있다

나 미래 일자리 정책 사례

1) 전 산업

국 정부는 전 산업에서 미래 일자리와 관련해서 기술 및 투자환경 조성 구직 정

보 접근성 제고 노동시장 규제 장기 전략의 개발 및 시행 등 미래 일자리 환경과 인

프라를 구축하고 있으며 창작 및 디지털 분야의 투자 확대 생산의 디지털화 등 신산

업과 생산력 제고 등을 통해 일자리를 창출하고자 아래와 같은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구분 내용

유연하고 역동적인

기술 및 투자 환경의 조성

- 배경 일자리 보급의 성장에 기여하는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관점으로 시

행 및 공공과 민간 투자의 일치로 인한 효과성 보장

- 내용 광범위한 정부 주도의 기술 프로그램 및 투자와 지원을 통해 고용을

강화시킬 수 있는 규제 촉진

구직 정보 접근

권한 부여

- 직무 관련 연수와 교육제공의 정보 및 조언 접근의 권한 개인부여

- 개인 보유 기술력 투자 지원 및 확대 위해 금융 접근 용이성 지원

- 급변하는 환경에 필요한 기술을 개발하는 데 있어 민첩성과 비용의 유용성 및

효율성을 보장하기 위해 비즈니스와 교육 및 훈련 부문 간의 전략적 관계 구축

영국 내 노동시장 규제의 시행- 노동시장에서의 힘의 균형이 점점 더 고용주에게 쏠리는 현상(lsquoRace to

bottomrsquo)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노동시장 규제

장기 전략의 개발 및 시행- 영국 정부는 일관성 있는 전략의 실행 및 보급을 통해 저숙련자들의 급변하

는 노동시장에 대한 대응성 강화

창작 및 디지털 분야

투자 확대

- 배경 기술 발전에 힘입어 창작 및 디지털 분야에서의 생산성의 향상과 새로

운 비즈니스 모델을 위한 개발이 촉진될 것으로 예상

- 기술환경 변화를 통해 가상 협업(Virtual collaboration) 아웃소싱 프로젝

트의 유연한 관리 등 디지털 분야의 작업환경이 형성될 것으로 기대되어 창

작 및 디지털 분야 투자 확대 추진

생산의 디지털화

- 계속되는 산업의 디지털화(Digitalisation)로 근소화(near-shoring) 분산

(decentralised) 등 생산 방식이 변화하여 영국 내 2023년까지 10만~20

만명의 제조업 종사자의 고용증가 기대

자료 UKCES(2014) The Future of Work Jobs and Skills in 2030 RSA(2013) Making at Home Owning Aborad

lt표 2-51gt 영국 정부의 미래 일자리 주요 정책

10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2) 관광분야

① 디지털 전환 정책의 실시

문화미디어스포츠부(Department for Digital Culture Media and Sport

DCMS)는 디지털 기술을 보유한 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디지털 전략의 실시 및

제공한다(전효재middot한희정 2018) 본 부처는 디지털 캠페인을 통해서 관광분야의 다

채로움과 다양한 직업군이 있음을 구직자들에게 알리는 데 주목적을 두고 있다

② 새로운 T-레벨(New T-levels) 자격의 시행31)

2020년부터 국은 새로운 자격증명인 T-레벨이 시행되었으며 이는 기존의

국 GCSEs(중등교육자격시험)의 2년제 기술교육 프로그램의 상위등급이다 건설

디지털 교육 보육과 관련된 교육과정을 교육하게 되며 각 교육에는 3개월의 현장

직무실습이 포함되며 기존의 대입시험과정인 A-레벨 (A-level)에 준하는 진로의

교육과정이 될 것이다 2021년부터는 회계 미용 공학 혁신 산업 분야(The

creative industries)에 대한 22개의 교육과정이 추가로 실시될 예정이다

본 자격은 기업들이 기술의 교육 및 현장실습 경험이 있는 사람들이 기술의 부족

을 메꾸는 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본 자격제도는 관광 분야에 있어 관광전공자에게 최소 45일의 관광분야에서의

현장 배치의 실질화를 통해 효용가치가 높은 직업 체험을 제공하며 미래의 구직희

망 인재들이 관광산업군 및 환대산업의 역할에 대한 더 나은 기대를 지닐 수 있게

지원한다 본 자격제도는 T-레벨 자격증명을 통해서 환대산업과 관광산업의 분야에

해당하는 직업 군인 바텐더부터 세계적인 프랜차이즈 호텔의 매니저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역할과 경력을 제공하는 데 기여하고 있는 정책으로 평가받고 있다

4 시사점

우리나라는 인적자원 개발과 지속가능 발전 기반의 일자리를 정책을 추진하고 있

다 특히 문재인 정부에서는 좋은 일자리 창출을 위해 lsquo일자리위원회rsquo를 설치하여

31) BBC(20180527) First colleges to teach new vocational T-levels named의 내용을 재정리함

105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일자리 인프라 구축 공공일자리 창출 민간 일자리 창출 일자리 질 개선 맞춤형

일자리 지원 등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 미래 일자리

창출 정책은 인구구조의 변화 대응 디지털 전환 대응 코로나19 이후 새로운 패러

다임 대응에 초점을 두고 있다

구분 내용

인구구조 변화 대응

- 고령자 일자리 재취업 창업 농어촌 귀한 사회공헌 등

- 여성 일자리 출산 및 육아 일자리 양성평등 재취업 기반 확대 등

- 청년과 중장년 근로자 일자리 질 개선 생산성 향상

디지털 전환 대응

- 기존 일자리 유지 주력산업 중심 제조업 변혁(스마트화 신산업 주력산업 산업생

태계 개편 정부 역할 강화(투자 혁신 지원)

- 신산업 일자리 25개 분야 100대 핵심 기술개발 투자

- 인적자원 역량 강화 교육훈련 기회 혁신선도 산업수요 대응

코로나19 이후

새로운 패러다임 대응

- 디지털 뉴딜 DNA(Data-Network-AI) 생태계 강화 교육인프라 디지털 전

환 비대면 산업 육성 사회간접자본(SOC) 디지털화

- 그린 뉴딜 도시middot공간middot생활 인프라 녹색 전환 저탄소middot분산형 에니지 확산 녹색

산업 혁신생태계 구축

-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middot사회안전망 확충 디지털middot그린 인재양성 등 사람투자

자료 국내 주요 정부부처의 일자리 정책 참고 재작성

lt표 2-52gt 국내 미래 일자리 창출 정책

문화체육관광부의 관광 일자리 정책은 주로 예비 종사자와 종사원 역량 강화에

초점을 두고 추진 중이다 미래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관광사업 창업지원 및 벤처

육성 지원을 추진하고 있다 최근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관광업계 피해가 증가함

에 따라 문화체육관광부는 관광산업의 지역소비 여력 확충과 더불어 고용 유지 지

원을 위해서 고용 유지 지원금 지원 요건을 완화하여 시행하고 있다

일본 미국 캐나다 호주 국 등에서도 일자리에 대한 중요성에 따라 다양한

정책이 전 산업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미래 일자리와 관련하여 신규 성장

분야 육성 디지털 전환 정책 등을 통해 일자리를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신규

고용 창출이나 고용유지를 위한 지원 직접지원 사업뿐만이 아니라 구직자의 구직활

동 강화를 위한 연수 및 교육 고용지원 인프라 구축 등 간접지원방식의 정책도 추

진되고 있다

10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구분 내용

일본

- 지역고용창출과 관련한 사업 추진(예 지역활성화고용장조 프로젝트)

- 지역제안형 고용창조촉진사업 가이드나 서비스 인력 등의 인력양성 및 연수 등 추진

- 중점분야고용창조사업 가이드 관광객 편의서비스 지원인력 관광안내인력 관광자원 정보수집

인력 등 지원

미국

- 미래세대 인력 및 노동시장 정보시스템 개발 관광산업 정보 수집

- 견습 프로그램 예산 증액

- 인력혁신 및 기회의 법 효과 증진

- 인력양성프로그램 평가방법 개발

- 직무능력 역량 모델 개발

캐나다

- 관광목적지 고용 프로그램

- 미래 기슬 프레임워크 도출(관광의 현재 및 미래기술 정의)

- 스마트 인증제(기준 강화를 통한 프로그램 질 개선)

- emerit 교육 프로그램 연구 설계 및 테스트

- 캐나다 여행 관광 아카데미(교육자 및 업계 파트너의 지원 및 지도)

- 레디투워크(Ready to work) 프로그램(현장 교육 강화)

- 환대 서비스 종사자 훈련 센터 운영

- 산업촉진 프로젝트 실행(디지털 융합 인력 양성 및 역량 강화 등)

호주

- 관광사업체 연계한 교육 훈련 고용 성과 등 개선 프로그램 운영

- 운영자 지원 프로그램(무료 안내서 성공사례 인적자원 관리 기타 지원 안내서) 제공

- 코로나19 이후 관광산업을 비롯한 전산업을 대상으로 기업 및 개인근로자를 위한 지원금 제공

영국

- 견습생 제도

- 사전 인터뷰 시행 지원

- 취업 캠페인 멘토링 프로그램

- 직장 내 교육 프로그램

- 디지털 전환 정책 실시

- 새로운 자격제도 시행

lt표 2-53gt 관광 일자리 창출 관련 해외 정책

우리나라의 관광 일자리 정책은 주로 예비 종사자와 종사원 역량 강화에 초점을

두고 추진되고 있으며 관광 일자리 활성화를 위해서 관광산업 일자리 박람회 관광

일자리센터 설립middot운 지역관광일자리 활성화 사업(지역관광기업지원센터 구축

산학협력프로젝트 등) 등을 통해 관광산업 일자리 정보 교육 및 훈련 등이 추진되

고 있다

특히 미래 일자리 육성과 관련해 최근에는 미래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관광사

업 창업 및 벤처기업 육성middot지원 미래형 관광인재 육성 등을 추진하고 있다 코로나

19로 인한 관광산업 고용 위기에 대응하고자 고용유지지원금 교육지원 관광지 방

역 및 수용태세 개선관련 일자리 창출 사업 등도 추진되고 있다

107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제4절 시사점

본 연구는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을 도출하기 위해 환경변화에

따른 관광 미래 유망 일자리 분야와 국내외 일자리 창출 정책을 살펴보았다

미래 일자리 환경 측면에서는 인구구조의 변화 4차 산업혁명 기술의 발달과 활용

기후변화 코로나19 등으로 생태 및 친환경 인식과 안전 인식 증가 국내외 제도의

변화 고용 관련 가치관 및 인식의 변화 이에 따른 관광 환경의 산업적 시장적 자원

적 측면에서의 변화가 전망되었다 정책적 측면에서는 국내외 적으로 미래역량 성장

환경 조성 인프라 법제도 등과 관련한 관광 일자리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변화와 정책 사례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 다

가 일자리의 전문화 및 세분화

우리 사회는 4차 산업혁명 저출산 및 고령화와 같은 기술 사회경제적 변화에

직면해 있으며 이에 따라 일자리 일하는 방식이 변화하고 있다 직업관이 조직 중

심에서 개인 중심으로 변화되고 정규직 중심의 전통적 일자리에서 임시 및 독립적

일자리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한 프로젝트 기반의 1인기업 플랫폼 경

제 활성화에 따른 플랫폼 기반 종사자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미래의 직업은 기존 직업이 전문화된 서비스 직업으로의 변화 수요의 다양

화에 따른 직업의 전문화 및 세분화 타 직무middot지식middot기술의 융합을 통한 직업의 발

생 기술기반의 새로운 직업 탄생 등의 변화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한

코로나19로 인해 재택근무제 유연근무제의 활성화가 촉진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관광산업의 일자리에도 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관광산업에

서도 기술 기반의 사업체가 증가하고 있으며 타분야의 융합을 통한 일자리의 증가

관광객 수요의 다양화로 기존 관광 일자리의 전문화 및 세분화가 나타나고 있다

10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이에 우리나라 정부도 신산업 육성 직업능력개발 고급융합 인력양성 등의 정책

을 추진하고 있으며 일본 호주 캐나다 국 등에서도 견습 프로그램 청년 일자

리 직업 전환 지원 등 일자리 지원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나 관광산업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

디지털 전환은 산업의 자동화뿐만 아니라 생산과 소비 일과 삶의 역 등 사회

전반에 향을 미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으로 명명되는 시대적 전환은 기존 일자

리 신산업 일자리 인적자원 역량의 관점에서 변화를 가속화하고 있다

단순 반복적 직업은 자동화를 통해 기술적으로 대체되고 미래 사회를 주도한 미

래 유망 기술 발굴 및 관련 제품과 서비스 개발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관광 분야

에서도 AI 빅데이터 플랫폼 등의 활용이 점차 증가되고 있으며 키오스크 등의 무

인화 서비스로 인해 관련 분야의 일자리가 감소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전환은 국내 및 해외 일자리 정책에 있어서 중요하게 고려되며

우리나라를 비롯한 호주 일본 국 미국 등 기존 관광인력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

하고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고 관광과 기술이 융합된 분야의 일자리 창출을 지원하

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다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인한 관광산업 일자리 변화 발생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세계 국가 간 이동이 제한되었으며 국내에서는 사회적 거

리 유지가 시행되었다 이로 인해 외래관광객 유입 및 국내 해외여행객 송출이 대폭

감소하 고 관광사업체의 운 을 어렵게 만들었다 이에 관광산업 종사자 수는 크

게 감소하 다 구체적으로 2020년 1분기 여행 서비스 숙박시설 서비스의 종사자

는 전년동기 대비 감소하 으며 구인과 채용의 수도 감소하 다

또한 코로나19는 관광객의 행태 소비의 변화도 가져왔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해외여행 수요는 국내여행으로 전환되어지고 관광객의 여행 안전에 대한 인식도

강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관광객이 붐비지 않고 야외 공간이 선호되고 있으며 무

인화 및 자동화 회의산업의 비대면 기술 활용 증대 등 관광산업의 비대면 기술 활

109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용을 촉진하고 있다

이러한 관광산업과 일자리 변화의 발생은 국내 및 해외의 일자리 정책의 변화를

야기하 다 우리나라 정부는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해 디지털 뉴딜 그린 뉴딜

사회안전망 강화의 한국판 뉴딜 정책을 발표하 고 관광산업의 고용 유지를 위해

고용유지지원금 관광업계 종사원의 교육 지원 등을 추진하고 있다 호주의 경우도

급여 보조금 형태의 일자리를 지키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그림 2-26] 미래 일자리 환경 및 정책사례 시사점

구분 주요 내용 시사점

미래 일자리

환경

- (사회) 인구구조 및 교육구조의 변화

- (기술) 4차 산업혁명 기술 발달

- (생태) 코로나 19 등으로 생태 및 친환경 안전 인식

제고

- (정치 및 제도) 남북관계 도시재생 산업간 융합

- (고용) 기존 직업의 고부가치화 직업의 세분화 및

전문화 융합형 직업 증가 기술기반 신규 직업 탄생

- (관광) 관광시장(다양화 및 세분화) 관광산업(전통

적 산업에서 신규 관광 비즈니스로 전환) 관광자원

(일상공간의 관광공간화) 측면에서 변화

- 일자리 환경의 다변화

- 관광산업의 디지털

전화 가속화

-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관광산업 일자리

변화 발생

국내외

일자리

정책

- (미래 역량) 유망 분야 인력 양성 종사자 디지털

전환 자격제도의 신설

- (성장환경 조성) 신산업middot비즈니스 창출 지원

- (인프라) 일자리 수급 분석 실시 일자리 정보제공

활성화

- (법 제도) 다양한 고용 형태 지원 노동안전망 지원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제3장

113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제1절 개요

본 장은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과 관련한 부분이다 본 장은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을 위해서 크게 두 가지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 부분은 미래 일자

리 유망분야 및 유망 일자리 후보군 도출이며 두 번째 부분은 미래 일자리 예비

후보군을 바탕으로 미래 일자리를 도출하는 것이다

먼저 제 2절에서는 선행연구 및 국내middot외 관광 트렌드 정책 자료 등을 분석하여

향후 5년간 발전 가능성이 있는 미래 일자리를 유망 분야별로 구분하고 유망 일자

리 후보군을 제시하고자 한다 즉 제2절에서는 관광 일자리의 성장 가능성을 살펴

보았고 미래 일자리 환경 분석 결과와 연계해 연구진 관광 및 일자리 분야 전문가

의견 조사를 통해 유망 일자리 후보군을 도출하 다

구분 1차 2차

대상- 관광 일자리 분야 전문가 27인

관광분야 17명 일자리분야 10명

- 관광 일자리 분야 전문가 26인

관광분야 17명 일자리분야 9명

실시 시기- 20200803 ~ 20200814

- 평균 20분 소요

- 20200818 ~ 20200824

- 평균 10분 소요

조사 방법 - 온라인 설문지 자기 기입(개방형 질문) - 온라인 설문지 자기 기입

조사 내용- 관광 일자리 환경변화 및 유망 분야

- 관광 유망 미래 일자리

- 관광 미래 일자리 성장 가능성 및 시기

- 관광 미래 일자리 대응 정책 방향

lt표 3-1gt 전문가 의견 조사 개요

관광 분야 전문가는 관광학 교수 관광 사업체 관광 유관사업 연구원 관광연구

원 관광유관 협회 등이 참여하 고 일자리 분야 전문가는 직업 일자리 및 노동

관련 연구기관 소속 전문가 사회 및 미래 예측 관련 전문가 등이 참여하 다

그 후 제2절의 결과인 유망 일자리 후보군을 토대로 연구진 관광 및 일자리 분야 전문가

의견 조사를 실시하여 미래 성장가능성을 확인하 다 제3절에서는 미래 유망 관광일자리

분야를 통해 분야별 성장가능성 필요 역량 관련 일자리 관련 현 자격제도를 살펴보았다

11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제2절 미래 관광 일자리 후보군 도출

1차 전문가 의견 조사에서는 미래 환경 변화에 대한 이슈와 미래 관광 일자리 후

보군을 조사하 다 본 조사는 개방형 질문(Open-ended question)으로 조사하

다 개방형 질문으로 조사한 이유는 2장의 자료 분석 결과와 그 외의 다양한 이슈를

조사하기 위함이다

1 환경 이슈 및 유망 분야

11 미래 관광 일자리 환경 이슈 종합

자료 분석 결과와 전문가 의견조사를 통해서 43개의 미래 환경 변화 이슈를 다음

과 같이 선정하 다 각 역별로 나누어 관광 및 사회 기술 생태환경 정치 일

자리 환경 측면 전 분야에 향을 미치는 이슈를 도출하 다 본 연구는 이슈 도출

시 관광 미래 일자리와의 연결성을 중시하며 선정하 다

본 연구에서 관광 사회 기술 생태환경 정치 일자리 환경 측면의 환경 변화

요인 전문가 의견 조사 및 연구진 회의를 바탕으로 뽑은 5년 내 관광산업 주요 환

경 변화 키워드는 lt표 3-2gt와 같다

구분 주요 키워드

관광

(관광트렌드 변화)관광객 소비문화

- 가치지향 여행 소비(소확행 가심비 트렌드 확산)

- 경험소비

-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 부상(관광 정보 SNS 공유)

- 일상에서 만나는 비일상여행(생활여행 한달살기)

- 누구나 즐기는 여행(생애주기 여행 무장애 여행 등)

- 관광시민(관광객으로서의 역할 중요)

lt표 3-2gt 미래 환경 변화 주요 키워드

115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구분 주요 키워드

- 특수목적관광 또는 특별관심관광의 활성화

- 근거리 여행(이동시간 및 거리 최소화)

- 소규모 중심의 여행 활성화

- 비(무)계획 관광 소비(즉흥 여행 증가)

- 안전과 위생 강조(안전 여행지 야외형 관광 수요 증가)

- 비대면 여행 선호

- 국내 여행 소비 확대

- 스마트관광(모바일 활용)

관광산업

- 전통기업의 위축

- 플랫폼 비즈니스 공유경제 글로벌 OTA의 발전과 확산

- 비대면 관광 서비스 확산(비대면 관광기술 수요 증가)

- 스마트기술 기반의 관광활동 증가

사회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 변화)

인구구조

- 고령화 및 대규모 은퇴자 증가

- 가족 형태의 다양화(1인가구 반려동물 동반 가구 다문화)

- 생산연령 인구 감소 및 지역 인구 감소(지방소멸의 위험)

사회인식- 여가시간 증대 및 워라밸의 추구

- 안전 생명 등 본원적 가치 중시 현상 강화

교육구조 - 대학인구 감소 초중고생의 교육수요 변화 체험교육 확대

기술

(과학기술 발전)4차 산업혁명

-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 가속화 및 활용 증가(인공지능 5G 증강현

실 로봇 빅데이터 자율주행 등)

- 모바일과 여행 플랫폼 비즈니스의 진화

- 기술 도입으로 인한 무인화 자동화 확산

- 사이버 범죄 우려로 인한 개인 정보 보호 강화

- 구독 경제 활성화(정기배송 렌털진화형 모델 등)

생태환경

(환경과 에너지)

전염병

기후변화

- 친환경 관심 증가 신재생 에너지middot친환경 교통수단 활용 증가

- 재난 증가에 따른 코로나19와 같은 전염병 등 안전관리 위기관리관

심 증가

지속가능성 - 지속가능발전 투자와 활동 확대

정치

(법제도 및

정부 정책)

국제관계- 남북교류 활성화 DMZ 관광

- 코로나19로 인한 국가간 이동 제한 국제교류 이축

국내정치

정책

- 도시재생 사업 혁신 정책

- 부처별 융복합 사업 확대

- 위기관리 대응체계 구축 강조

- 지방분권 지역균형발전 등 지역정책 증가

일자리 환경

(산업특성 및

산업구조 변화)

기업문화 - 기업 직장에서 직업 매개체로의 변화 고용형태 다양화(프리랜서 증

가) 다직업 체제

고용환경

- 일자리 양극화와 데이터 기반 인적관리 강화 프리랜서 활동 플랫폼

증가(인력중개 플랫폼)

- 코로나19로 인한 관광 분야 대량해고와 실직 예상

산업구조 - 자기고용과 창조서비스업의 증가

노동환경- 언제 어디서나 일할 수 있는 유연한 업무 환경 근무시간 축소 장기

휴가 증가(워케이션)

11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12 미래 관광 일자리 유망 분야

또한 환경 변화 키워드와 관련하여 주요 유망 분야에 대해 전문가 의견조사 결과

는 다음 lt표 3-3gt과 같다 총 31개의 미래 변화와 관련한 관광산업 유망 분야가

도출되었다

구분 유망 분야 주요 변화 키워드

관광

(관광트렌드

변화)

관광객

소비문화

- 맞춤형 관광- 가치지향 여행 소비(소확행 가심비 트렌드

확산) 경험소비

- 관광시민(관광객으로서의 역할

중요)- 관광시민(관광객으로서의 역할 중요)

- 관광 미디어 콘텐츠(사진 영상)-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 부상(관광 정보

SNS 공유)

- 생활관광

- 일상에서 만나는 비일상여행(생활여행 한달

살기) 근거리 여행(이동시간 및 거리 최

소화)

- 아동관련 여행

- 취약계층 관련 여행

- 누구나 즐기는 여행(생애주기 여행 무

장애 여행 등)

- 소그룹 여행 - 소규모 중심의 여행 활성화

- 지역 전문 관광

- 지역 교류 관광 공감- 국내 여행 소비 확대

- 해양관광 레저스포츠관광

- 치유관광 웰니스 관광 의료관광

- 농촌관광 예술관광 산업관광 역

사관광

- 특수목적관광 또는 특별관심관광의

활성화

관광산업

- 관광 플랫폼 OTA 공유경제시장

발전 신 관광비즈니스 창출

- 플랫폼 비즈니스 공유경제 글로벌

OTA의 발전과 확산

- 스마트 관광

- 스마트기술 기반의 관광활동 증가 비

대면 관광 서비스 확산(비대면 관광기

술 수요 증가)

- 모바일과 여행 플랫폼 비즈니스의 진화

사회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

변화)

인구구조

- 실버관광 요양관광 - 고령화 및 대규모 은퇴자 증가

- 나홀로 여행

- 반려동물동반여행

- 가족 형태의 다양화(1인가구 반려동물

동반 가구 다문화)

교육구조 - 교육여행- 대학인구 감소 초중고생의 교육수요

변화 체험교육 확대

기술

(과학기술

발전)

4차

산업혁명

- 빅데이터 분석 및 개인화

- 가상현실 드론 영상 이용 여행 콘

텐츠

- 모빌리티

-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 가속화 및 활

용 증가(인공지능 5G 증강현실 로봇

빅데이터 자율주행 등)

lt표 3-3gt 관광산업 주요 유망 일자리 유망 분야

117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2 미래 관광 유망 일자리 후보군

21 미래 관광 유망 일자리 후보군 종합

환경 변화분석 정책 사례 조사 1차 조사 의견 연구진 회의를 통해서 본 연구는

미래 관광 유망 일자리 후보군을 lt표 3-4gt와 같이 도출하 다

구분 유망 분야 유망 일자리 후보군

관광

(관광트렌드

변화)

관광객

소비문화

- 맞춤형 관광 - 여행 컨셉 기획가(맞춤형 관광 컨설턴트)

- 관광시민(관광객으로서

의 역할 중요)- 관광운동전문가

- 관광 미디어 콘텐츠

(사진 영상)

- 관광 사진영상 작가

- 관광콘텐츠크리에이터(여행작가 여행유튜버)

- 관광 콘텐츠 기획 제작 유통 전문가

- 여행영상 편집 지도사

- 관광 콘텐츠 개발자 문화콘텐츠 전문가

- 생활관광 - 생활관광 스토리텔러

- 아동관련 여행- 아동 여행 콘텐츠 개발자

- 아동 여행 가이드

- 취약계층 관련 여행 - 여행복지사

lt표 3-4gt 관광산업 주요 유망 일자리 후보군

구분 유망 분야 주요 변화 키워드

- AI기반 로봇 활용 증가 - 기술 도입으로 인한 무인화 자동화

확산

- 관광 어트랙션 구독 서비스 제공 - 구독 경제 활성화(정기배송 렌털진화형 모

델 등)

생태환경

(환경과

에너지)

전염병

기후변화

- 생태친환경 관광- 친환경 관심 증가 신재생 에너지middot친환

경 교통수단 활용 증가

- 여행 안전관리

- 재난 증가에 따른 코로나19와 같은 전

염병 등 안전관리 위기관리관심 증가

안전과 위생 강조(안전 여행지 야외형

관광 수요 증가) 위기관리 대응체계 구

축 강조

정치

(법제도 및

정부 정책)

국제관계 - 남북관광 평화관광 - 남북교류 활성화 DMZ 관광

국내정치

정책

- 도시재생 - 도시재생 사업 혁신 정책

- 융복합 관광 한류관광 - 부처별 융복합 사업 확대

11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구분 유망 분야 유망 일자리 후보군

- 소그룹 여행 - 소규모 관광 가이드

- 소규모 단체여행 기획 및 인솔가

- 지역 전문 관광

- 현지전문 맞춤 가이드

- 지역 관광 크리에이터

- 지역관광추진조직(DMO) 코디네이터

- 지역 교류 관광 공감- 지역관광교류전문가

- 관광인문학자

- 해양관광 레저스포츠

관광

- 레포츠관광 전문 가이드

- 해양치유사 해양관관 전문가

- 캠핑 관광 - 캠핑관광 용품 대여업 운영자

- 치유관광 웰니스 관광

의료관광

- 치유관광 운영자

- 농촌 치유관광 전문가

- 의료관광 기획가

- 농촌관광- 농촌관광 전문가

- 교육농장 및 진로체험농장 전문가

- 예술관광- 예술관광기획가

- 예술관광 가이드

- 산업관광 - 산업관광기획가

- 역사관광- 역사관광기획가

- 역사관광해설가

관광산업

- 관광 플랫폼 OTA 공

유경제시장 발전 신 관

광비즈니스 창출

- OTA 리스팅 전문가

- 관광 플랫폼 코디네이터

- 관광 플랫폼 디자이너

- 관광 플랫폼 운영자

- 관광창업 전문가

- 스마트 관광 - 스마트 관광 경험 디자이너

사회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 변화)

인구구조

- 실버관광 요양관광- 실버 여행 콘텐츠 개발자

- 실버 여행 가이드

- 나홀로 여행 - 나홀로 여행 컨설턴트

- 반려동물동반여행 - 반려동물여행시설운영자

교육구조 - 교육여행- 교육(학습) 관광 기획가

- 자유학기제 진로체험 전문가

기술

(과학기술 발전)

4차

산업혁명

- 빅데이터 분석 및

개인화

- 관광 빅데이터 분석가

- 관광 빅데이터 처리 엔지니어

- 관광 시스템 프로그램 전문가

119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22 미래 관광 유망 일자리 후보군 도출

2차 의견 조사에서는 1차 의견조사에서 도출된 유망 일자리 후보군을 검증하기

위해서 미래 관광일자리로서 5년 내 성장가능성을 5점 척도로 일자리 발생 시기

를 단기(3년 이내) 중기(4년~6년) 장기(7년~10년)로 측정하 다

2차 의견 조사에서 각 일자리에 대한 성장가능성은 평균 360점으로 나타났다

미래 관광 일자리로서 성장 가능성이 높게 평가된 항목은 관광빅데이터 분야의 관

광빅데이터분석(평균 450점)으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관광콘텐츠크리에이터

(평균 446) 관광 빅데이터 처리 엔지니어(평균 446점) 관광플랫폼운 자(평균

442점) 순으로 나타났다

구분 유망 분야 유망 일자리 후보군

- 가상현실 드론 영상

이용 여행 콘텐츠- 가상현실 체험 콘텐츠 크리에이터

- 모빌리티 - 관광 교통 대여업자(개인 전동 이동수단 공유

차량 등)

- AI기반 로봇 활용 증가 - 관광 서비스 로봇 콘텐츠 개발자

- 관광 서비스 로봇 관리자

- 관광 어트랙션 구독

서비스 제공 - 관광 어트랙션 구독 기획가 및 운영자

생태환경

(환경과 에너지)

전염병

기후변화

- 생태친환경 관광- 생태관광 인솔자

- 숲 해설가

- 여행 안전관리

- 숙박시설 방역전문가

- 관광안전여행 인솔자

- 관광안전여행 컨설턴트

- 관광안전여행 기획가

정치

(법제도 및 정부

정책)

국제관계 - 남북관광 평화관광- 북한관광기획가

- 평화관광해설사

국내정치

정책

- 도시재생- 도시재생 관광기획가

- 도시재생 관광 해설가 스토리텔러

- 융복합 관광 한류관광 - 한류문화 관광 콘텐츠 기획가

기타

- 관광 고용 컨설턴트

- 우주여행 기획가

- 자원봉사여행 기획가

- 관광법규 전문가

12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유망 분야 유망 일자리 후보군성장 가능성 일자리 발생

시기평균 표준편차

맞춤형 관광- 여행 컨셉 기획가(맞춤형 관광

컨설턴트)396 066 단기

관광시민

(관광객으로서의 역할 중요)- 관광운동전문가 288 128 중기

관광 미디어 콘텐츠

(사진 영상)

- 관광 사진영상 작가 354 117 단기

- 관광콘텐츠크리에이터(여행작가 여행

유튜버)446 081 단기

- 관광 콘텐츠 기획 제작 유통 전문가 431 084 단기

- 여행영상 편집 지도사 292 098 단기

- 관광 콘텐츠 개발자 문화콘텐츠 전문가 423 065 단기

생활관광 - 생활관광 스토리텔러 335 113 단기

아동여행 관련 여행- 아동 여행 콘텐츠 개발자 350 117 단기

- 아동 여행 가이드 315 097 중기

취약계층 관련 여행 - 여행복지사 304 128 장기

소그룹 여행 - 소규모 관광 가이드 392 106 단기

- 소규모 단체여행 기획 및 인솔가 388 107 단기

지역 전문 관광

- 현지전문 맞춤 가이드 396 102 단기

- 지역 관광 크리에이터 412 102 단기

- 지역관광추진조직(DMO) 코디네이터 392 126 단기

지역 교류 관광 공감- 지역관광교류전문가 327 122 중기

- 관광인문학자 319 141 단기

해양관광 레저스포츠관광- 레포츠관광 전문 가이드 358 095 단기

- 해양치유사 해양관관 전문가 316 107 중기

캠핑 관광 - 캠핑관광 용품 대여업 운영자 408 116 단기

치유관광 웰니스 관광

의료관광

- 치유관광 운영자 373 104 중기

- 농촌 치유관광 전문가 331 123 중기

- 의료관광 기획가 342 127 단기

농촌관광- 농촌관광 전문가 281 117 단기

- 교육농장 및 진로체험농장 전문가 300 110 중기

예술관광- 예술관광기획가 346 114 중기

- 예술관광 가이드 350 117 중기

lt표 3-5gt 관광산업 주요 유망 일자리 후보군 성장가능성 조사 결과

121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유망 분야 유망 일자리 후보군성장 가능성 일자리 발생

시기평균 표준편차

산업관광 - 산업관광기획가 315 112 중기

역사관광- 역사관광기획가 319 106 단기

- 역사관광해설가 327 108 단기

관광 플랫폼 OTA

공유경제시장 발전

- OTA 리스팅 전문가 408 113 단기

- 관광 플랫폼 코디네이터 423 111 단기

- 관광 플랫폼 디자이너 427 104 단기

- 관광 플랫폼 운영자 442 099 단기

- 관광창업 전문가 320 126 중기

스마트 관광 - 스마트 관광 경험 디자이너 350 127 단기

실버관광 요양관광- 실버 여행 콘텐츠 개발자 381 117 중기

- 실버 여행 가이드 388 103 중기

나홀로 여행 - 나홀로 여행 컨설턴트 362 110 단기

반려동물동반여행 - 반려동물여행시설운영자 396 082 단기

교육여행- 교육(학습) 관광 기획가 350 110 단기

- 자유학기제 진로체험 전문가 342 095 단기

빅데이터 분석 및 개인화

- 관광 빅데이터 분석가 450 081 단기

- 관광 빅데이터 처리 엔지니어 446 081 단기

- 관광 시스템 프로그램 전문가 427 087 단기

가상현실 드론

영상 이용 여행 콘텐츠- 가상현실 체험 콘텐츠 크리에이터 412 099 중기

모빌리티 - 관광 교통 대여업자(개인 전동 이동수단

공유차량 등)423 091 단기

AI기반 로봇 활용 증가 - 관광 서비스 로봇 콘텐츠 개발자 381 102 중기

- 관광 서비스 로봇 관리자 368 118 중기

관광 어트랙션

구독 서비스 제공 - 관광 어트랙션 구독 기획가 및 운영자 358 106 중기

생태친환경 관광- 생태관광 인솔자 350 124 단기

- 숲 해설가 335 129 단기

여행 안전관리

- 숙박시설 방역전문가 388 118 단기

- 관광안전여행 인솔자 358 121 단기

- 관광안전여행 컨설턴트 362 106 단기

- 관광안전여행 기획가 377 103 단기

12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연구진은 전문가 의견조사를 통해 향후 5년 내 성장가능성을 토대로 선정된 관광

미래 유망 일자리를 점수가 높은 순으로 정리하 으며 다음 표와 같이 상위 25개

의 일자리가 나타났다

유망 분야 유망 일자리 후보군성장 가능성 일자리 발생

시기평균 표준편차

남북관광 평화관광- 북한관광기획가 281 158 중기

- 평화관광해설사 323 161 장기

도시재생- 도시재생 관광기획가 338 124 단기

- 도시재생 관광 해설가 스토리텔러 338 124 중기

융복합 관광 한류관광 - 한류문화 관광 콘텐츠 기획가 388 095 단기

기타

- 관광 고용 컨설턴트 312 111 중기

- 우주여행 기획가 265 138 장기

- 자원봉사여행 기획가 288 107 중기

- 관광법규 전문가 285 116 단기

평균 360 - -

최대값 450 - -

최소값 265 - -

유망 분야 유망 일자리 후보군성장 가능성 일자리 발생

시기평균 표준편차

빅데이터 분석 및 개인화 - 관광 빅데이터 분석가 450 081 단기

관광 미디어 콘텐츠

(사진 영상)

- 관광콘텐츠크리에이터(여행작가 여행유

튜버)446 081 단기

빅데이터 분석 및 개인화 - 관광 빅데이터 처리 엔지니어 446 081 단기

관광 플랫폼 OTA

공유경제시장 발전- 관광 플랫폼 운영자 442 099 단기

관광 미디어 콘텐츠

(사진 영상)- 관광 콘텐츠 기획 제작 유통 전문가 431 084 단기

빅데이터 분석 및 개인화 - 관광 시스템 프로그램 전문가 427 087 단기

관광 플랫폼 OTA

공유경제시장 발전- 관광 플랫폼 디자이너 427 104 단기

lt표 3-6gt 성장가능성 기준 상위 25개 관광산업 주요 유망 일자리

123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중복을 포함해서 25위까지의 일자리를 긴밀하게 연결되거나 중복성이 높은 일자

리를 분야를 기준으로 통합하여 재정리하 다 전문가 의견조사에서의 성장 가능성

을 기준으로 유망 일자리 분야가 정리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성장 가능성 순위가

낮고 생계 수단으로 지속하기 어려운 분야는 삭제하 다 유망 일자리 분야는 관광

빅데이터 분석 관광 미디어 콘텐츠 관광 플랫폼 관광모빌리티 지역전문 관광 소

그룹 여행 반려동물여행 맞춤형 관광 여행 안전관리 실버 여행 등으로 분류되었

으며 그 과정에서 8개의 일자리 후보가 제외되었다

유망 분야 유망 일자리 후보군성장 가능성 일자리 발생

시기평균 표준편차

관광 미디어 콘텐츠

(사진 영상)- 관광 콘텐츠 개발자 문화콘텐츠 전문가 423 065 단기

관광 플랫폼 OTA

공유경제시장 발전- 관광 플랫폼 코디네이터 423 111 단기

모빌리티 - 관광 교통 대여업자(개인 전동 이동수단

공유차량 등)423 091 단기

지역 전문 관광 - 지역 관광 크리에이터 412 102 단기

가상현실 드론

영상 이용 여행 콘텐츠- 가상현실 체험 콘텐츠 크리에이터 412 099 중기

캠핑 관광 - 캠핑관광용품 대여업 운영자 408 116 단기

관광 플랫폼 OTA

공유경제시장 발전- OTA 리스팅 전문가 408 113 단기

맞춤형 관광 - 여행 컨셉 기획가(맞춤형 관광 컨설턴트) 396 066 단기

반려동물동반여행 - 반려동물여행시설운영자 396 082 단기

지역 전문 관광 - 현지전문 맞춤 가이드 396 102 단기

소그룹 여행 - 소규모 관광 가이드 392 106 단기

지역 전문 관광 - 지역관광추진조직(DMO) 코디네이터 392 126 단기

소그룹 여행 - 소규모 단체여행 기획 및 인솔가 388 107 단기

실버관광 요양관광 - 실버 여행 가이드 388 103 중기

여행 안전관리 - 숙박시설 방역전문가 388 118 단기

융복합 관광 한류관광 - 한류문화 관광 콘텐츠 기획가 388 095 단기

실버관광 요양관광 - 실버 여행 콘텐츠 개발자 381 117 중기

AI기반 로봇 활용 증가 - 관광 서비스 로봇 콘텐츠 개발자 381 102 중기

12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분야 유망 일자리

관광 빅데이터 분석- 관광 빅데이터 분석가 처리 엔지니어

- 관광 시스템 프로그램 전문가

관광 미디어 콘텐츠(사진 영상)- 관광콘텐츠크리에이터(여행작가 여행유튜버)

- 관광 콘텐츠 기획 제작 유통 전문가

관광 플랫폼

- 관광 플랫폼 디자이너

- 관광 플랫폼 코디네이터 운영자

- OTA 리스팅 전문가

관광 모빌리티 - 관광 교통 대여업자(개인 전동 이동수단 공유차량 등)

지역 전문 관광- 지역관광추진조직(DMO) 코디네이터

- 지역 관광 크리에이터

반려동물동반여행 - 반려동물여행시설운영자

맞춤형 관광 - 여행 컨셉 기획가(맞춤형 관광 컨설턴트)

소그룹 여행 - 소규모 관광 가이드

- 소규모 단체여행 기획 및 인솔자

여행 안전관리 - 숙박시설 방역전문가 여행지 안전관리자 익스트림 여행 안전관리자

실버여행- 실버 여행 콘텐츠 개발자

- 실버 여행 가이드

lt표 3-7gt 미래 관광 유망 일자리

125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3 미래 유망 관광 일자리 선정 결과

선정된 미래 관광 일자리 유망 분야를 제2장 환경 변화의 트렌드와 깊게 연관되

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각 관광 일자리 별로 가장 연계성이 높은 트렌드를 제시하

면 다음과 같다

분야 유망 일자리 주요 연관 거시환경

관광 빅데이터 분석- 관광 빅데이터 분석가 처리 엔지니어

- 관광 시스템 프로그램 전문가

-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 가속화 및 활용

증가(빅데이터 등)

관광 미디어

콘텐츠(사진 영상)

- 관광콘텐츠크리에이터(여행작가 여행

유튜버)

- 관광 콘텐츠 기획 제작 유통 전문가

-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 부상

- 스마트기술 기반의 관광활동 증가

관광 플랫폼

- 관광 플랫폼 디자이너

- 관광 플랫폼 코디네이터 운영자

- OTA 리스팅 전문가

- 플랫폼 비즈니스 공유경제 글로벌 OTA

의 발전과 확산

관광 모빌리티- 관광 교통 대여업자(개인 전동 이동수단

공유차량 등)

-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 가속화 및 활용

증가

- 신재생 에너지middot친환경 교통수단 활용

증가

지역 전문 관광- 지역관광추진조직(DMO) 코디네이터

- 지역 관광 크리에이터- 국내 여행 소비 확대

반려동물동반여행 - 반려동물여행시설운영자- 가족 형태의 다양화(1인가구 반려동물

동반 가구 다문화)

맞춤형 관광 - 여행 컨셉 기획가(맞춤형 관광 컨설턴트)- 가치지향 여행 소비(소확행 가심비 트렌

드 확산) 경험소비 확산

소그룹 여행 - 소규모 관광 가이드 - 코로나19로 소규모 중심의 여행 활성화

여행 안전관리

- 숙박시설 방역전문가

- 여행지 안전관리자 익스트림 여행 안전

관리자

- 재난 증가에 따른 코로나19와 같은 전염

병 등 안전관리 위기관리관심 증가 안전

과 위생 강조(안전 여행지 야외형 관광

수요 증가) 위기관리 대응체계 구축 강조

실버여행- 실버 여행 콘텐츠 개발자

- 실버 여행 가이드- 고령화 및 대규모 은퇴자 증가

lt표 3-8gt 미래 관광 분야의 유망 일자리와 주요 연관 환경 변화

12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제3절 관광 유망 분야와 일자리

1 관광 빅데이터 분석

11 개요

빅데이터는 4차 산업혁명의 대표 기술로 인식되며 발전 가능성이 큰 분야로 인

식되고 있다 빅데이터는 ldquo대용량 데이터를 활용 분석하여 가치 있는 정보를 추출

하고 생성된 지식을 바탕으로 능동적으로 대응하거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

화 기술rdquo로 정의 된다(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 20111026)

이러한 빅데이터 분석의 기술은 디지털로 구축된 다량의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분석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기술을 의미하며 이러한 분석 기술은 기존 불가

능했던 불규칙적 엄청난 양의 데이터를 분석하기 때문에 기술과 산업의 발전에

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고려된다(김동규 외 2017 UNWTO 2019)

[그림 3-1] 2022년 유망 기술 비율 전망

자료 UNWTO(2019) p17

127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빅데이터 산업은 데이터 솔루션 데이터 구축 및 컨설팅 데이터 서비스로 구분되

며(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2019a) 2018년 국내 데이터산업의 전체 시장 규모는 약

15조원으로 전년 대비 56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한국데이터진흥원 2019b)

[그림 3-2] 데이터 산업 시장 규모

자료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2019b) 2019 데이터산업 백서 p4

대분류 중분류 세부 기술

데이터

솔루션

데이터 수집- 데이터 검색 로그 데이터 수집 웹 데이터 수집 데이터통합연계

데이터 교환개방

DBMS - RDBMS NoSQL DBMS 인메모리 DBMS 기타 DBMS

데이터 분석- 정형비정형 데이터 분석 실시간 데이터 분석 데이터 시각화 분

석 데이터(전)처리

데이터 관리- 데이터 모델링 마스터 데이터 관리 데이터 품질 관리 DB 운영

및 성능 관리

데이터 보안 - DB 보안 개인 데이터 보안

데이터 플랫폼 - 빅데이터 플랫폼 개발 및 공급

데이터 구축

및 컨설팅

데이터 구축 - DB 설계구축 데이터 이행 데이터 구축가공

데이터 컨설팅- 데이터 설계 컨설팅 데이터 품질 컨설팅 DB 성능 개선 컨설팅

데이터 거버넌스 컨설팅 데이터 분석활용 컨설팅

데이터

서비스

데이터 판매 및 중개 - 데이터 판매 데이터 신디케이션

정보 제공 - 포털정보 매개 서비스 정보 제공 서비스

데이터 분석 제공 - 소셜 데이터 분석 정보 제공 마케팅 데이터 분석 정보 제공 리스

크 데이터 분석 정보 제공 게타 데이터 분석 정보 제공

자료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2019a) 2018 데이터 산업 현황 조사

lt표 3-9gt 빅데이터 분류

12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전 세계 빅데이터 시장규모는 2018년 420억 달러를 기록하 고 2023년까지 5

년간 연평균 144의 성장세를 유지하며 770억 달러로 시장규모가 확대될 것으로

예측된다(중소벤처기업부 2020)

관광 분야에 있어서 빅데이터 기술은 관광객 이동 소비 행태 관광정보 검색 결

과 등의 분석에 이용되며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상품 추천 개인화 서비스 혼잡

도 관리 마케팅 경 전략 등에 활용 하고 있다 이러한 관광 빅데이터의 활용의

기술의 중요성 및 활용도에 따라 향후 발전 가능성이 더 높은 분야로 인식된다

구분 활용 사례

관광

트렌드 및

정보 제공

- (국내) 한국관광공사는 2020년 KT가 제공하는 관광인구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지역별 관광객

의 이동 소비 행태 분석과 여행 트렌드 도출 예정

- (국내) 제주도는 관광객의 계절별 연령별 이동 동선 등을 분석하여 개개인에게 맞는 관광지

를 추천해주는 관광객 맞춤형 서비스 추진

- (해외) 마카오관광청은 여행자의 행동 패턴을 분석해 미래 활동을 예측하고 여행자 또한 마

카오 여행지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빅데이터 기반 lsquo스마트 투어리즘 서비스rsquo를 시행 중

- (해외) 글로벌 온라인여행사 카약(KAYAK)은 빅데이터 기반 여행 서비스 플랫폼인 lsquo카약 빅

데이터 여행 가이드rsquo를 통해 여행 정보를 고객들에게 제공

- (해외) 핀란드 헬싱키 공항에서는 여객동선 빅데이터 분석으로 대기시간을 예측하고 인력을

배치

기념품- (국내) 롯데면세점은 전체 이용객의 65 이상을 차지하는 모바일 고객들을 위해 성별 나이

선호 상품 등의 빅데이터를 분석해 상품을 추천하는 서비스를 제공

관광교통

- (국내) 인천공항공사는 인천공항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여 성수기 여객 혼잡도 완화하고

고객에게 체크인 카운터와 출국장의 대기시간 및 혼잡도 실시간 안내 서비스를 제공

- (해외) 사우스웨스트 항공middot델타 항공middot유나이티드 항공 등 항공사는 승객을 대상으로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항공기 승무원과 게이트 직원들에게 고객 데이터를 제공

축제

- (국내) 진주시는 2019년 10월 개최된 남강유등축제의 성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빅데이터 분

석 진행하였으며 분석결과를 향후 개최되는 축제에 반영할 계획

- (국내) 정읍시는 2020년 2월부터 상용 빅데이터 솔루션인 KT 빅사이트를 도입해 향후 축제

의 방향성 및 홍보 방안을 마련할 계획

자료 한국콘텐츠진흥원(2020) 융복합 관광서비스 사업화지원 사업 현황분석 및 개선방향 연구

lt표 3-10gt 관광 빅데이터 활용 사례

129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12 일자리로서의 가능성

이처럼 빅데이터 기술 발전과 활용이 확산됨에 따라 빅데이터 전문가는 유망한

일자리로 고려되고 있다(김동규 외 2017 한국고용정보원 2019a) 빅데이터 분석

관련 직업으로는 데이터엔지니어(빅데이터 전 과정의 전문적 처리자 및 관리자) 데

이터사이언티스트(목적에 따라 유용한 정보를 추출하여 제품 서비스 개선 업무 담

당) 공간빅데이터분석가(기본 공간정보에 위치 정보를 결합하는 업무 분야에 종

사) 데이터시각화디자이너(빅데이터 분석 결과의 시각적 수단 전달자) 전략컨설턴

트(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기업 경 전략 수립 반 및 컨설팅하는 업무 종사) 등이

부각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김동규 외 2017) 이러한 빅데이터 관련 직무 인력은

현재 전산업으로 11만명이 있으나 향후 5년 내 추가로 2만명이 더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2019b)

관광분야에서도 빅데이터 관련 분석 분야는 일자리 증가 및 미래 역량 발전이 예

상되는 분야이다(UNWTO 2019) WEF에서 전망한 미래 일자리 와 관련한 보고

서에서 전망한 관광분야 일자리 증가에 있어서 관광 데이터 분석 및 관련 분야는

2018년 8 2022년 13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WEF 2018)

구분 내용

직무 관광 데이터 설계 개선 관광 관련 수집데이터 활용가능한 형태로 처리 및 분석

직업 관광 빅데이터 분석가 관광 빅데이터 처리 엔지니어

역량 관광산업 및 관광정보 이해력 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능력

일자리 발생 시기 단기(3년 이내)

관련 자격 정보처리기사 정보처리산업기사 정보처리기능사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lt표 3-11gt 관광 빅데이터 분석 분야

13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2 관광 미디어 콘텐츠

21 개요

미디어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방식이 기술의 변화로 인해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모바일 환경의 구축에 따라 사람들은 스마트폰 태블릿 등 다양한 기기로 유튜브 인스

타그램 페이스북 등 다양한 미디어 채널을 통해 콘텐츠를 즐기고 있다 이러한 미디어

콘텐츠 분야는 전 세계적으로 성장 중이며(연평균 성장률 43) 2023년에는 전 세계

적으로 26조 달러의 수익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삼일회계법인 2019)

미디어 시장의 성장과 함께 소비자들의 콘텐츠 소비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기업들

은 이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고 있다(삼일회계법인 2019)

[그림 3-3] 2022년 유망 기술 비율 전망

자료 삼일회계법인(2019) 2019-2023 Entertainment amp Media 산업 전망 p2

이에 따라 미디어 콘텐츠 창출 분야는 새로운 일자리 분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를 반증하듯 교육부에서 실시한 초등학생의 희망직업으로 교사(74) 경찰관

(38)에 이어 크리에이터(56)가 상위권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교육부

20191210) 콘텐츠크리에이터(미디어콘텐츠창작자)는 ldquo유튜브 등 광고기반 플랫

폼에 개인의 상 콘텐츠를 제작하여 올리고 이를 통해 수익을 창출rdquo하는 직업을

가진 사람을 의미한다(한국고용정보원 2019b)

관광 분야에서도 다양한 플랫폼을 바탕으로 국내middot외 여행 콘텐츠 활용이 활성화

되고 있다

131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미디어 활용에 있어서는 개별 플랫폼(예 프레스티지 고릴라 여행에 미치다 유

디니 등)을 활용한 홍보와 일반 미디어 플랫폼(예 유튜브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등)을 활용하거나 관련 인플러언서가 생산한 여행 콘텐츠를 공유하는 형태로 이루

어지 지고 있다

[그림 3-4] 유튜브 여행 관련 시청자 수(2018년)

자료 PIXABILITY(2018) In-Flight Viewing p5

상 미디어 관련 채널인 유튜브에서의 여행 관련 상이 2013년부터 2018년

7월까지 약 130만개 채널 1390만 상이 제작되고 있으며 총 3060억 뷰가 발

생한 것으로 나타났다(PIXABILITY 2018)

코로나19로 해외여행의 한계가 있는 상황에서도 세계 각국의 관광청에서는 미디

어를 활용한 여행 콘텐츠를 통해 관광 목적지 홍보를 지속하고 있다(예 국관광

청 한국관광공사 등)32)

22 일자리로서의 가능성

개인 미디어 콘텐츠 제작자(크리에이터)는 유튜브 아프리카TV 페이스북 등 미디

어 플랫폼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middot오디오 콘텐츠를 생성하는 사람으로 콘텐츠 제

작관련 자료조사 기획middot연출 촬 middot편집 미디어 파일 업로드 등을 행하고 있다(진로

정보망 커리어넷 홈페이지) 이러한 미디어 콘텐츠 제작자는 유튜버 트위처 인터넷

32) 한국관광공사는 동남아시아 기반 한국인 유튜버를 통해 한국 관광 홍보를 하고 있으며 영국관광청은 관광

지 배경으로 한 온라인 세미나 단체 미팅 등을 진행하고 있음(여행신문 20200824)

13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방송 진행자(BJ) 크리에이터 팟케스터 제작자 등으로 불리며 미디어 기획자 및 연

출자 시나리오 작가 상 촬 자 및 편집자 음향 편집자 번역가 등과 함께 팀을

이루어 일하거나 미디어 콘텐츠 회사(Multi Channel Network MCN)33)에 소속

되기도 한다(진로정보망 커리어넷 홈페이지)

[그림 3-5] 1인 미디어 동영상 생태계를 중심으로 하는 MCN 비즈니스 생태계

자료 한국엠씨엔협회 홈페이지(httpkmcnaorkr)

즉 크리에이터의 콘텐츠 기획관련 컨설팅 지원 자체 콘텐츠 제작 저작권 관리

국내외 유통 채널 확보를 담당하는 창작자 에이전트도 미래의 유망 직업으로 전망

되고 있다(한국고용정보원 2019) 앞서 살펴보았듯이 미디어 콘텐츠 시장의 성장

과 함께 본 콘텐츠 제작자도 증가하고 있다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이승렬 외 2018) 첫째 자율적으로 자신이 원하는 소재의 콘텐츠를 만들 수

있고 열정 재미 등의 차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 일로서 업계에 대한 전망도

긍정적이며 일에 대한 스스로의 만족도가 높은 분야에 해당한다 둘째 여행 브이

로그(Vlog) 등 일상생활이나 리뷰리액션 등은 고도의 전문성이 필요하지 않아 이러

한 콘텐츠 장르의 크리에이터가 다수 존재하며 향후 제작 노하우의 체계화와 전문

33) MCN 회사는 개인 미디어 콘텐츠 제작자를 관리하는 일종의 기획사로 여러 채널과 협력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이다(진로정보망 커리어넷 홈페이지)

133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화 역량의 강화가 필요할 것이다 셋째 직업이 아직 불안정하기 때문에 직업의 지

속가능성 측면에서의 불안감이 지속되고 있다 넷째 콘텐츠 창작 과정과 창조된 결

과물에서 성과와 보람이 크리에이터의 노력에 비해 낮아 크리에이터 활동에 대한

인식이 활동 전 대비 활동 후는 낮았다 즉 크리에이터는 자신이 하는 일의 내용과

미래 성장가능성 시간의 유연적 활용 등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이나 직업적 불안정

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관광분야에서도 미디어 콘텐츠 크리에이터 분야는 시장 규모의 성장과 함께 발전하고

있는 분야이다 미디어 플랫폼의 사용자는 국내middot외에서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개인이 제

작한 여행 콘텐츠는 새로운 방식의 마케팅 홍보 여행 정보 제공에 활용되고 있다

구분 내용

직무 관광 미디어 콘텐츠 제작 편집 관광지 홍보 등

직업 관광 콘텐츠 크리에이터 관광 콘텐츠 기획middot제작middot유통관련 전문가

역량 콘텐츠 제작 편집 기획 역량

일자리 발생 시기 단기(3년 이내)

관련 자격 -

lt표 3-12gt 관광 미디어 콘텐츠 크리에이터 분야

관광 미디어 콘텐츠 크리에이터 역시 기존 미디어 콘텐츠 제작자와 유사하게 개

인 채널을 운 하거나 MCN에 소속되어 활동하고 있으며 구독자를 확보하고 플

랫폼에서 광고를 제공하거나 관광청의 의뢰를 받아 여행지를 소개하는 등의 형태로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또한 최근 직업으로서 여행 콘텐츠 크리에이터를 하기 보다

는 취미나 부업 차원에서 이 시장에 뛰어든 사람들도 존재한다

관광산업의 경우는 지방자치단체가 관심을 많이 가지는 분야로 여행 콘텐츠 크

리에이터를 통해 알려지지 않은 명소나 카페 음식점 등도 지역의 크리에이터가 소

개하고 있다 또한 사기업에서도 여행 콘텐츠 크리에이터 관련해서 인턴십을 실시

(예 한화DREAMPLUS Travel Creator 프로그램34)) 등 관련 분야의 일자리로서

의 가능성은 높은 편이다

34) 한화DREAMPLUS Travel Creator 프로그램은 8주간의 겨울방학 기간 동안 콘텐츠 제작 전문가들이

진행하는 교육 및 멘토링 여행middot레저 분야 스타트업 대표들의 특강 국내외 여행 콘텐츠 제작 실습 및

발표 등의 프로그램 등이 포함되어 있다(매일경제 20191212)

13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3 관광 플랫폼

31 개요

기술 발전에 따라 취업형태가 다양화되면서 연결성을 바탕으로 수요와 공급을

직접 이루어지는 플랫폼이 발전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는 비즈니스 모델이 다양하게

발전하고 있다(강금봉 2019) 2018년 기준 글로벌 시가총액 상위 10개 기업 중

6개 기업이 플랫폼 관련 기업으로 나타났으며 스타트업 상위 10개 기업에서는 그

비중이 7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황혜정 20181221)

[그림 3-6] 플랫폼 관련 글로벌 기업

자료 황혜정(20181221) 탈규모 시대의 제조업 lsquo플랫폼 비즈니스rsquo로 도약한다 p1

디지털 플랫폼은 ldquo디지털화된 콘텐츠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매개체가 되는 서

비스rdquo로 정의된다(사이언스올 홈페이지) 디지털 플랫폼에서 거래되는 대상은 상품

서비스 자금 커뮤니케이션 엔터테인먼트 정보 등이 있으며 공유경제(sharing

economy) 협력경제(collaborative economy) 긱 경제(gig economy) 온디맨

드 경제(on-demand economy)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강금봉 2019)

135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이러한 디지털 플랫폼은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정보시스템 등 기술을 활용하여

발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거대 디지털 플랫폼 기업들이 등장하고 그 향력이

우리 생활 전반으로 확대되고 있다(최계 2020)

이러한 디지털 플랫폼은 검색 소셜미디어 전자상거래 앱스토어 디지털 광고

금융 교통 숙박 언론 등에서의 서비스를 제공 하고 있다

거래대상 거래 내용 주요 플랫폼 기업

상품

(goods)

물건 판매(tangible for sale) 아마존 이베이 쿠팡

대여(tangible for rent) 에어엔비

데이터 판매(intabgible for sale) 앱-스토어(App-Store)

데이터 대여(intangible for rent) 아이튠즈(iTunes) 넷플릭스(Netflix)

서비스

(디지털 노동

digital labour)

크라우드 워크(웹기반 web-based) 업워크 아마존 메커니컬 터크

긱 워크(지역 기반 location-based) 배달의 민족 부릉 요기요 등

자금

(money)크라우드펀딩(crowdfunding) 인디고고(Indiegogo)

커뮤니케이션 데이팅(dating) 틴더(Tinder)

엔터테인먼트 소셜미디어 유튜버 페이스북

정보

뉴스 구글 뉴스

서치 구글

리뷰 Yelp

자료 Schmidt(2017) 강금봉(2019)

lt표 3-13gt 상업적 디지털 플랫폼의 거래 대상과 유형

관광에서도 디지털 플랫폼의 발전으로 관광상품 구매에 있어서 OTA 등 온라인

예약 플랫폼 이용이 증가 하고 있다 아시아시장에 있어서 이러한 온라인 예약 플랫

폼은 씨트립(Ctrip) 플리기(Fliggy) 등이 있으며 세계적으로는 익스피디아 부킹

홀딩스 같은 플랫폼의 이용이 여행객 사이에서 증가하고 있다 아래 그림과 같이

아시아에서 모바일과 온라인의 예약 채널 이용이 2013년에 비해 크게 증가하고 있

다(Euromonitor International 2018)

13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그림 3-7] 아시아 온라인 예약 채널

자료 Euromonitor International(2018) Megatrends shaping the future of travel p19

32 일자리로서의 가능성

맥킨지의 보고서에 따르면 이러한 디지털 플랫폼은 2025년까지 5억 4천만 명의

일자리를 창출하며 유연근무의 확산과 장애인의 일자리 증가에 기여하고 파트타

임 근로자와 프리랜서(독립적 계약자)의 증가로 전통적인 직업 탐색과 관련한 부가

적인 비용을 감소시키며 비공식적 노동을 온라인 지불화를 통해 형식화하게 해준

다는 특징이 있다(Fidler 2016) 2018년 기준 우리나라의 플랫폼경제종사자 규모

는 최소 47만 명에서 최대 54만 명(전체 취업자의 17 ~ 20)으로 추산된다(김

준 외 2018)

플랫폼은 세 가지 측면에서의 행위자가 존재한다 그 행위자는 플랫폼 제공자 플

랫폼에 상품 및 서비스를 공급하는 독립적 계약자들 수요 측면에서 플랫폼에서의

상품과 서비스를 구매하는 플랫폼 고객이다(Schmidt 2017)

137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그림 3-8] 플랫폼의 3가지 행위자

자료 Schmidt(2017) p10

따라서 플랫폼과 관련한 일자리는 플랫폼 제공자 측면과 플랫폼 공급자 측면에서

생각해볼 수 있다 플랫폼 제공자 측면에서는 플랫폼 운 자 디자이너 코디네이터

등이 있으며 플랫폼 공급자 측면에서는 플랫폼에 참여하여 노동을 제공하는 플랫

폼 노동자의 형태가 있다

먼저 디지털 플랫폼 노동과 관련해서 운 기반이 온라인 아니면 오프라인에 기

반인지에 따라 구분된다(강금봉 2019) 그러나 이러한 디지털 플랫폼 노동은 기존

법적 기준으로 고용 형태를 명확히 규정하기가 힘들어서 노동 여건 측면에서 불안

정한 근로자가 확산되는 우려가 있으며 이에 따라 디지털 플랫폼 노동종사자를 위

한 보호에 대한 지원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운영 기반 분류 세부 분야 예시

온라인 기반

업무수행 플랫폼

온라인 인력 중개 플랫폼 - ITSW 인력 중개 고용서비스 재능마켓

디지털콘텐츠 창작 플랫폼 - 웹툰 웹소설 웹 일러스트 등 기재 및 공모형

크라우드워크(crowdwork) 플랫폼 -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등 자료 생성 업무

오프라인 기반

호출(주문)형

플랫폼

승객 운송(transportation) 플랫폼- 대리운전

- 승차공유(카풀형 학원 셔틀 공유 승합)

배달(delivery) 플랫폼- 음식 배달

- 퀵서비스 등 배달 서비스

lt표 3-14gt 디지털 플랫폼 노동의 유형

13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한편 플랫폼 노동자의 형태는 관광 분야에서 가이드 교통수단 운전자 공유숙박

운 자 등으로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의 분야로 구분할 수 없기에 공

급자 측면에서의 일자리를 유망 일자리로 고려하고자 한다

공급자 측면에서는 관광 플랫폼 운 디자인 개발과 관련한 일자리를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광 플랫폼 디자이너는 관광객 및 잠재 관광객과 플랫폼과의 상호

교환성 인터페이스 등을 디자인하고 관련 시스템을 설계하는 사람으로서 개발자

들과의 협업을 수행한다 관광 플랫폼 개발자는 관광 플랫폼 기획자 관광 플랫폼

PD 관광 웹 개발자 관광 관련 소프트웨어 개발자 등으로 불리며 관광관련 플랫폼

기획 구축 및 운 마케팅 등을 총괄하는 사람으로 관광 플랫폼 구축을 위해 플랫

폼 엔지니어 플랫폼 디자이너 플랫폼 프로그래머 등과 업무를 협의하여 업무를 추

진한다 관광 플랫폼 코디네이터는 관광 플랫폼 디자이너와 개발자의 사이에서 조율

하는 업무를 주로 담당하며 관광 플랫폼 기획(안)을 세분화하는 작업을 담당한다

구분 내용

직무 관광 플랫폼 관련 기획 개발 운영

직업 관광 플랫폼 운영자 관광 플랫폼 디자이너 관광 플랫폼 코디네이터 등

역량 관광 정보 수집 및 적용 능력 매체 활용 능력 관광 플랫폼 기획력

일자리 발생 시기 단기(3년 이내)

관련 자격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 정보처리기사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lt표 3-15gt 관광 플랫폼 분야

운영 기반 분류 세부 분야 예시

가구 및 생활 서비스(household

service amp life) 플랫폼

- 가사 서비스

- 이사

- 인테리어리모델링홈디자인

- 돌봄서비스

- 애완 케어서비스

- 세탁

- 번역

- 교육서비스11 트레이닝

자료 강금봉(2019) p178

139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4 관광 모빌리티

41 개요

기술의 발전에 따른 이동 수단의 진화에 따라 모빌리티 산업이 등장하 다 사전

적 의미로 모빌리티(mobility)는 ldquo이동성이라는 동태적 특성rdquo을 의미하며 모빌리

티 서비스는 이동수단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정의된다(이금노 2019)

모빌리티 산업은 일반적으로 인공지능 5G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기술과

융합한 차세대 교통수단으로 1인용 이동수단 자율주행차 초소형 전기차 등을 지

칭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스마트 모빌리티 마이크로모빌리티 등을 포함하는 용어

이다(한국교통연구원 2017) 이러한 모빌리티는 lsquoTaaS(Transportation as a

Service)rsquo lsquoMaaS(Mobility as a Service)rsquo 스마트 모빌리티 등으로 불리며 그 산

업은 발전하고 있다(이금노 2019) 이러한 모빌리티는 초연결 자율 주행 차량 공

유 친환경의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고태봉 2018) 우버(차량 공유) 라임(전동 킥

보드 및 자전거 공유) 등 공유 모빌리티 서비스 등이 발전하고 있다

모빌리티는 스마트 도시35)의 개념 중 하나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운송 및 교통

관련 분야와 관련이 있는 스마트 도시의 핵심 요소이다(김규남 2019 Brčić et al 2018)

[그림 3-9] 스마트 모빌리티의 개념도

자료 김규남(2019) 송승범(2020) p3 재인용

35) 스마트 도시는 도시운영의 효율성 및 대중과의 정보공유를 향상시키고 서비스 품질과 시민복지를 개선시

키기 위하여 정보통신기술 비즈니스 모델 및 솔루션을 사용하는 도시를 의미한다

14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국내 퍼스널모빌리티의 시장은 2016년 6만대로 2022년은 20만대 수준으로 추정

되고 있으며 그 종류에는 전동스케이트보드 개인 전동 이동수단 전동스쿠터 등이

있다(한국교통연구원 2017) 자동차 공유 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2015년 11억 달러

규모이며 2020년 35억 달러 2024년 65억 달러로 전망되며 한국의 자동차 공유시

장 규모는 2011년 6억 원에서 2020년 5000억 원으로 전망된다(손종구 2017)

이처럼 모빌리티 시장의 규모는 점차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며 관광 분야에서도

여행 관련 모빌리티 기업들이 등장하고 있다

42 일자리로서의 가능성

관광 분야에서도 여행 관련 모빌리티 기업들이 등장은 관광분야에서 모빌리티 관

련 일자리의 성장 가능성을 보인다 특히 스마트모빌리티는 관광지내에서의 이동

수단으로 각광을 받고 있으며 이에 따라 관련 기업들의 관광지 내 모빌리티 사업을

시작하고 있다36)

모빌리티를 비롯한 관광 교통수단은 이동을 우선시하는 기존 교통수단과 달리 관

광 정보 및 안내 제공 서비스도 제공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즉 접근성이 낮은

관광지나 혼잡한 장소 방문 시 교통수단 및 관광지 정보의 제공이 관광 모빌리티의

핵심 요소이다 이에 일반 모빌리티 대여업자와 다르게 국내외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는 기업을 가정할 때 국내 관광객보다는 국외 관광객에게 관련 정보 서비스 여행

자 보험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는 관광대여업자가 각광을 받을 것이라 전망된다

구분 내용

직무 관광 모빌리티 수단 대여 관광지 안내 통역 서비스 제공

직업 관광 교통 대여업자(개인 전동 이동수단 차량 등)

역량 언어 지역정보 제공 및 안내

일자리 발생 시기 단기(3년 이내)

관련 자격 -

lt표 3-16gt 관광 모빌리티 분야

36) 현대차는 제주도에서의 개인 전동 이동수단 및 전기자전거 플랫폼을 운영하고 대여 반납 등의 비즈니스를

하고 있다(중앙일보 20190812)

141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5 지역 전문 관광

51 개요

2018년 기준 우리나라 국민의 10명 중 9명은 국내여행을 하 으며(문화체육관

광부 2019c) 2013년에서 2017년까지 국민 여행 이동총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

다(문화체육관광부 2018a)

[그림 3-10] 2013-2017년 국민여행경험률 및 이동총량

자료 문화체육관광부(2018b) 2017 국민여행실태조사

또한 2019년 사회조사 결과를 보면 국민의 여가활용에 있어서 향후에 가장 하

고 싶은 활동은 관광활동(700)으로 나타나(통계청 20191125) 국내여행은 지

속적으로 중요한 분야이다

한편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국가 간 이동이 제한되면서 해외여행의 수요가 국내

여행의 수요로 전환되기 시작하 다(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200527) 코로나19

확산 이후인 2월에서 4월 사이 응답자의 229가 국내여행을 경험하 고 향후 국

내여행을 할 의향이 있다고 대답한 응답자가 절반을 차지하 다(한국문화관광연구

원 20200527) 이처럼 관광객의 여행욕구 해소의 수단으로 국내 여행이 각광받

고 있으며 안전을 고려하여 관광객이 적은 지역 매력적인 장소에 대한 수요가 증

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200527)

지역 전문 여행(지역 특화 여행)은 국내외 관광수요 다변화와 지역 관광의 질을 높

이기 위해 중요하다 또한 지역 관광은 국민 국내여행 유형이 개별여행 중심으로 변화

해감에 따라 관광객 유치를 위해서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문화체육관광부 2018)

이에 정부는 lsquo대한민국 테마여행rsquo lsquo산업관광 및 문화콘텐츠형 시티투어rsquo 등을 추

진하여 지역 특화 여행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다

14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52 일자리로서의 가능성

지역관광의 전문적 관리 및 경 주체의 중요성 증가와 함께 지역의 발전과 성장

을 위해 지역민이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관광의 혜택을 받는 것이 중요하게 고려된

다(문화체육관광부 2018) 지방분권 시대에 걸맞은 지역의 역량 강화 및 기반 마련

필요하다 이에 지역에서도 지역관광 전문 인력을 발굴하고 육성하기 위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예 관광두레PD) 전문 일자리의 수요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익산시는 관광전문 인력을 육성하기 위해 lsquo투어매니저rsquo 사업을 추진하

고 있다(익산열린신문 20200401) 2020년 2월 기준 관광두레와 관련해서 주

민사업체는 192개로 관련 참여 주민은 1203명으로 평균 1개소 63명의 주민이

참여하고 있다(관광두레 홈페이지) 해외의 경우 지역관광 어드바이저가 체험프로

그램 개발 주민교육 등 지역 관광과 관련한 전반적 자문활동을 수행하고 있다(예

일본 에코투어리즘 어드바이저 뉴질랜드 마오리 문화관광 멘토링 프로그램 등)

지역전문관광과 관련해서는 지역관광추진조직(DMO) 코디네이터 지역 관광 크

리에이터 관광두레PD 등의 일자리 창출이 전망된다 지역관광추진조직 코디네이

터는 지역관광추진조직과 이해관계자들 사이에서의 조율하는 업무를 주로 담당하

며 지역관광 크리에이터는 지역 기반의 콘텐츠 기획관련 컨설팅 지원 자체 콘텐

츠 제작 저작권 관리 국내외 유통 채널 확보를 담당한다 관광두레PD는 관광두레

사업과 관련하여 주민사업체 발굴과 조직화 역량 강화 창업과 경 개선 네트워크

구축 등의 지원하는 역할을 담당한다(관광두레 홈페이지)

구분 내용

직무 지역과 지역민 사이 중간지원 지역 관광 콘텐츠 기획 및 제작 홍보 등

직업 지역관광추진조직(DMO) 코디네이터 지역 관광 크리에이터 관광두레PD

역량 콘텐츠 기획 역량 조정능력 리더십 친화력

일자리 발생 시기 단기(3년 이내)

관련 자격 -

lt표 3-17gt 지역 전문 관광 분야

143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6 반려동물동반여행

61 개요

2019년 기준 반려동물을 기르고 있는 가구는 약 591만 가구로 전국 전체 가구의

약 264로 나타나 2018년 대비 약 80만 가구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농림축

산식품부 20200429) 동 조사에서 반려동물의 양육비율은 개(839) 고양이

(328) 어류 및 열대어(22) 순으로 나타났다 반려동물관련 시장 규모는 2012

년 9000억에서 2015년 1조 8000억원으로 크게 증가하 으며 2020년에는 약

5조 800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박지혜 2017) 이러한 반려동물 관련 시

장 및 산업은 펫과 경제의 합성어인 펫코노미(Petconomy)로 불리기도 한다

[그림 3-11] 반려동물 보유 가구 비중 및 반려동물 시장 규모

자료 박지혜(2017) p48 재인용

이러한 반려동물 가구의 증가 및 시장 규모 증대에 따라 반려동물 동반 여행인

펫캉스(펫+바캉스)가 새로운 여행 트렌드로 부상하 으며 이러한 반려동물 가구(펫

팸족)를 위한 전용 숙박시설(반려동물 동반 호텔) 패키지상품 등이 창출되고 있다

익스피디아에서의 20~30대 펫팸족의 60가 최근 1~2년간 여행을 반려동물과

같이 한 것으로 나타났고 반려동물 여행을 위해 전용 교통편 숙박 액티비티 등으

로 구성된 패키지여행 상품 이용의도가 약 40로 나타났다(아시아경제 2020

0827) 또한 동 조사에서 밝혀진 반려동물과의 주요 여행활동으로는 기억에 남는

사진 남기기(748) 다른 여행자의 반려동물과 어울려 놀기(429) 기내 또는 숙

14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소에서 반려동물 서비스 요청(294) 등이 나타났다 이러한 반려동물 숙소 외에도

동반 여가활동 프로그램도 생겨나고 있다 통 관광개발공사에서는 펫프렌들리 케

이블카를 운 하고 있으며 강원도 양양에는 반려견 전용 해수욕장이 운 중이다

62 일자리로서의 가능성

반련동물 관련 산업의 성장으로 2020년 직업사전에서는 반려동물과 관련한 미

용 및 관리 종사원(예 애완동물행동교정사 펫시터 등)이 직업으로 나타났다(한국

고용정보원 2019b) 앞서 살펴본 듯이 펫팸족(반려동물가구)의 증가로 인해 반려

동물 시장의 성장 가능성이 높으며 이와 관련한 반려동물 동반 숙박시설의 이용도

도 증가하고 있다

또한 반려동물과 관련된 액티비티(예 반려동물 전용 워터파크 펫 마사지 원데이

클래스 반려동물 초상화 배우기 반려동물 놀이터 이용권 등)의 상품도 더불어 개

발되고 있다

반려동물 동반 숙박시설은 비반려인 고객에 대한 배려 반려동물 여행객의 니즈

등을 고려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반려동물 동반 펜션의 경우 독채로 운 되어 다

른 숙소 이용자와 마주칠 필요가 없으며 반려동물의 소음을 막고 자유로운 활동이

가능한 자연 또는 정원 산책로 등의 환경 구축이 중요하게 인지되고 있다(투어코리

아 20190723) 이에 반려동물여행과 관련한 시설 운 자는 반려동물의 편의시

설 및 반려동물 관련 용품 등을 구축하고 관련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주변 반려

동물 여행지 및 관련 액티비티를 판매하는 등의 역할을 한다

구분 내용

직무 반려동물여행 시설 및 서비스 제공 반려동물 여행 상품 판매 반려동물 시설 관리 등

직업 반려동물여행 시설 운영자

역량 반려동물 및 반려동물 관련 여행에 대한 정보 이해력 대인관계능력 등

일자리 발생 시기 단기(3년 이내)

관련 자격 -

lt표 3-18gt 반려동물여행 관련 분야

145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7 맞춤형 관광

71 개요

최근 여행자의 다양한 수요를 반 하여 컨셉여행(테마여행 맞춤여행)이 새로운

여행 트렌드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컨셉 여행은 기존 단체관광 가이드 관광의

트렌드가 개별여행트렌드로 변화된 현상과 취향의 세분화 개인 맞춤형 서비스의

성장에 기인한다 또한 최근에는 관광객들이 여행에 있어서 작지만 확실한 행복을

추구하거나(소확행) 가격 대비 심리적 만족의 최대 추구(가심비) 등을 이루고자 하

며 기존의 일정을 소화하는 여행 보다는 자아의 가치를 창출하는 여행을 하는 경향

이 나타나고 있다(이원희 외 2019)

이에 여행에 있어서 매력 있는 숙소 독특한 체험 등을 위해 아낌없이 구매하는

트렌드가 형성되고 호캉스 등이 젊은 층에서의 새로운 여행 형태를 보이고 있다

또한 레포츠 예술 미식 뉴트로 자원봉사여행(볼런투어) 인플루언서 동행 여행

등의 컨셉 여행(테마 여행)이 젊은 층을 대상으로 확산되고 있다(이원희 외 2019)

예를 들어 2019년 피아니스트 리사이틀과 여행을 결합한 프리미엄 상품이 출시되

었고 자원봉사와 여행이 결합한 상품이 출시되기도 하 다

72 일자리로서의 가능성

맞춤형 여행 시장의 성장에 따라 관련 여행상품의 기획 개발 상담업무 수행 상

품화의 역할을 하는 여행 컨셉 기획가 또는 맞춤형 관광 컨설턴트가 유망 일자리로

나타났다 여행 컨셉 기획가(맞춤형 관광 컨설턴트)는 여행 컨셉을 기획하고 이에

따른 상품을 개발하며 고객과의 상담업무를 수행하고 관련 교통수단 경비 관광

지 숙박시설 편의성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여행상품을 계획

한다 특히 여행 컨셉 기획가는 관광여행 트렌드에 민감한 상품을 제공하고 관련

컨셉을 창출하는 등 소비자 트렌드 변화에 초점을 두고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14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구분 내용

직무 맞춤형 여행상품 상품의 기획 개발 상담업무 수행 상품화

직업 여행 컨셉 기획가(맞춤형 관광 컨설턴트)

역량 기획력 통찰력과 분석력 서비스 정신 친화력

일자리 발생 시기 단기(3년 이내)

관련 자격 -

lt표 3-19gt 맞춤형 관광 관련 분야

8 소그룹 여행

81 개요

소그룹 전용 여행은 여행 트렌드 중의 하나로 가족이나 친구들끼리 따로 즐기는

여행이다 이러한 소그룹 여행은 기존 패키지여행의 장점(편리성 전문성 안전성

등)을 극대화 하고 단점(타인과의 단체 여행 시 개인 선택의 한계 이동의 제한성

등)을 개선하기 위한 트렌드이다

2018 국민여행조사에서 전체 관광여행 중 452가 여행 인원수가 2~3명으로

나타났으며(전체 평균 49명) 특히 20대와 30대에서의 그 비율이 각각 564

578로 나타났다(문화체육관광부 2019c)

코로나19로 개별 또는 소규모 여행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Forbes 20200507) 이는 가족과의 일상이 확대됨에 따라 안전이 최대한 보장

되고 타인과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코로나19 감염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활동이

증가한 것에 기인한다

이에 따라 지자체의 여행 지원 및 마케팅 정책도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주시는 2박 3일 숙박여행의 지원금을 지원하고 있으며 충북 제천시의 경우 전세

관광택시 서비스를 운 하고 있다

82 일자리로서의 가능성

소그룹 여행 트렌드로 인한 소규모 여행 수요가 증가는 소규모 관광 가이드 소규

모 단체여행 기획 및 인솔자 등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

147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소규모 관광 가이드는 국내 및 해외 소규모 여행을 위한 여행경로 일정 등 관광

에 필요한 전반적인 안내를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소규모 단체여행 기획 및 인

솔자는 고객 맞춤형 여행상품 개발을 위해 정보를 수집하여 소규모 단체여행을 기

획하고 국내외 소규모 여행을 인솔하여 여행정보를 제공하며 관련 편의성을 제공

하는 역할을 한다

구분 내용

직무 소규모 단체 여행 상품의 기획 개발 상담업무 수행 상품화

직업 소규모 관광 가이드 소규모 단체여행 기획 및 인솔자

역량 기획력 통찰력과 분석력 서비스 정신 친화력

일자리 발생 시기 단기(3년 이내)

관련 자격 국내여행안내사 관광통역안내사

lt표 3-20gt 소그룹 여행 관련 분야

9 여행 안전관리

91 개요

여행과 관련한 안전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고 있다 자연재난(지진 태풍 홍수

등) 전염병(코로나19 메르스 등) 사건 및 사고(세월호 헝가리 다뉴브강 선박사고

여행지에서의 부상 등)에 대한 우려가 증가함에 따라 안전인식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익스트림 어드벤처 여행행태가 여행의 한 트렌드로 전망되고 있다(이원희 외

2019) 익스트림 어드벤처 여행은 산 정글 동굴 등 위험한 장소로의 여행을 하거

나 위험이 높은 액티비티를 체험하는 여행이 있다 이러한 익스트림 어드벤처 여행

의 증가는 관련 안전사고를 유발하기도 하여 여행 중 안전 인식의 중요성이 강조되

고 있다 이에 액티비티 프로그램 운 관련 안전관리 확인 및 매뉴얼 관리 방안

모색이 강조되고 있다(이원희 외 2019)

한편 코로나19로 여행에 있어서 안전인식이 중요해지고 있다(OECD2020) 이

에 따라 대인 접촉이 우려되는 장소보다는 사람이 적은 지역 자가용을 이용한 여

14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행 당일 여행으로 안전을 중요하게 고려하며 국내 여행을 하고 있다(한국문화관광

연구원 20200527)

최근 정부에서는 코로나19 생활 속 거리두기 시기에 있어서 여행 경로별 안전

여행 가이드를 발행하여 배포하고 있다 이 가이드 속에 사업주는 방역 관리자를

지정하고 사업장별 맞춤형 집단 방역 지침의 수립 등을 권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생활 방역 전문가 등이 유망 직종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림 3-12] 안전 여행 가이드 중 사업주 가이드

자료 문화관광체육부(2020) 코로나10 생활 속 거리 두기 시기 여행경로별 안전여행 가이드

92 일자리로서의 가능성

일자리위원회에서는 안전middot보건 및 비대면 분야에서 새로운 공공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하 다(YTN 20200506) 파주시의 경우 파주

관광사업체 안전관리 관련하여 파주형 희망일자리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울산시

의 경우 방역 전문가 자문단을 구성하여 코로나 19 등 간염병 대응과 유입 차단을

위한 방역 조치에 대한 자문을 제공하고 있다37)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방역 관련 직종 위기관리 전문가 등의 인

력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한국일보 20200316)38) 2018년 기준 관광사업체 수

37)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파주형 희망일자리 사업은 참여자 2329명을 모집하고(비전21뉴스 202008

26) 울산시의 경우는 방역 전문가 자문단을 운영하고 있다(울산MBC 20200219)

38) 코로나19가 유행하면서 헬스케어 방역 관련 전문가 위기 관리 전문가 등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한국일

149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는 33만개로 그 중 관광 숙박업 관광객이용시설업 유원시설업 관광편의시설은

각각 약 2천개 4천개 3천개 4천개가 있으며(문화체육관광부 2019) 이 시설을

관리할 방역 전문가 안전관리원 등의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관광숙소 방역 전문가는 관광숙소의 환경 위생 소독장비 및 약품 종류와 사용법

숙지 등 방역과 소독 관련한 업무하고 여행 안전관리원(안전관리자)는 관광지 및

관광현장 익스트림 액티비티와 관련해서여행객 위험방지에 관한 사항 사고사례

분석 및 개선 사항 종사자 안전교육 및 훈련 업무를 수행한다

구분 내용

직무 방역 및 소독 위험방지 사고 사례 개선 종사자 안전교육 및 훈련 등

직업 숙박시설 방역전문가 여행지 안전관리자 익스트림 여행 안전관리자

역량 안전과 보안 지식 사고 처리 능력

일자리 발생 시기 단기(3년 이내)

관련 자격 -

lt표 3-21gt 여행 안전관리 일자리 분야

10 실버 여행

101 개요

고령층은 인구구조의 변화 함께 중요한 소비층으로 부상하고 있다 고령인구의

수는 1970년에 비해 2019년에 5배로 증가하 으며 2067년에는 생산 연령가능 인

구의 수보다 많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통계청 2019) 특히 은퇴한 신 고령층은

경제적 시간적 여유를 확보하여 여가 및 소비에 있어서 중요한 집단으로 예상되고

있다(오훈성 2018) 고령층의 소비자의 시장 참여와 역할은 고령층 증가와 그들의

경제력에 의해 증대되고 있다 2017년 65세 이상 고령자는 향후 시간적 경제적

여유가 생긴다면 여가시간에 가장 하고 싶은 활동으로 관광활동을 선호하 으며(통

계청 20180927) 이에 따라 실버 여행이 증가 할 것으로 각 기관들은 전망하고

있다(이원희 외 2019)

보 20200316)

15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그림 3-13] 65세 이상 고령자의 여가활동(2017년)

자료 통계청(20180927) 2018 고령자 통계

실버 여행은 노년기의 관광을 의미하며 유사어로 고령 여행 시니어 여행 등이

있다 이러한 실버 여행의 성장과 함께 중년 이상을 대상으로 하는 시니어 여행 시장

으로 진입하는 기업도 발생하고 있다39) 2018년 기준 모두투어의 해외 여행상품

이용객의 185가 60세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2017년 인터파크의 60대 이상기준

모바일 예약도 2016년 대비 1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매일경제 20180312)

국내여행시 여행사 상품 구매율은 60대(45) 계층에서 높게 나타나며 여행사

상품 구매에 있어서 전체패키지 구매비율이 60대(836) 70새 이상(823)로 전

체 평균(623)보다 높게 나타났다(문화체육관광부 2019)

해외의 경우 실버여행상품은 주로 현지 가이드와 의료진을 동반한 여행객의 건강

관리를 하며 실버여행상품에 있어서 실버층의 관광 상 특성 관련 관광편의시설의

확보 실버층의 관광욕구 및 정신적 욕구를 충족하는 등의 구성이 전제되어야한다

는 특징이 있다(한국관광공사 2007)

39) 한 기업은 중년 이상 대상의 여행 브랜드를 생성하여 시니어 여행시장에 진입하였다(한국경제 20200803)

151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102 일자리로서의 가능성

실버여행시장의 성장에 따라 실버 여행상품의 출시와 실버여행 콘텐츠 개발자

실버여행 안내원 등이 유망 일자리로 나타났다 실버여행콘텐츠 개발자(실버여행상

품개발원)는 실버 여행상품을 기획 개발하며 고객과의 상담업무를 수행하고 실버

여행과 관련한 교통수단 경비 관광지 숙박시설 편의성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

고 이를 바탕으로 여행상품을 계획한다

구분 내용

직무 실버여행 상품의 기획 개발 상담업무 수행 상품화

직업 실버여행 안내원 실버여행 콘텐츠 개발자

역량 기획력 통찰력과 분석력 서비스 정신 친화력

일자리 발생 시기 중기(4년-7년)

관련 자격 -

lt표 3-22gt 실버여행 관련 분야

실버여행안내원은 여행사가 기획하고 주최하는 국내외 실버 여행을 동행하여 실

버여행객들이 쾌적한 여행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관광정보를 제공하고 여행 중

사고 발생과 관련하여 신속하게 대처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고령관광에서는 방문

지에서의 여행 편의를 위한 기능 강화가 필요하며 실버여행 안내원 및 콘텐츠 개발

자는 이에 초점을 두고 역할이 필요하다

15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제4절 시사점

본 연구는 문헌연구 전문가 의견 조사 등을 통해 향후 5년대 유망 분야와 일자리

를 도출하 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유망 일자리 분야는 디지털 융합 분야 관광 수

요의 다양화에 따른 특화 및 세분화 분야 코로나 19로 인한 소규모 여행 증가 및

여행 안전 인식 증가로 인한 분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림 3-14] 미래 관광 유망 분야

153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디지털 융합 분야가 유망 분야로 인지되고 있어 기술의 융합으로 관광 빅데이터

분석 관광 미디어 콘텐츠 관광 플랫폼 관광 모빌리티 분야의 일자리가 유망할 것

으로 전망된다 특히 기존 관광분야에서도 기술의 대체로 인한 인력 감소 분야가

예상되고 있기 때문에 감소 분야 인력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통해 신규 유망 분야의

일자리 이동을 지원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 또한 새롭게 창출되는 디지털 융

합 분야의 인력 확보를 위한 예비 인력 양성도 필요할 것이다

관광수요의 다양화로 인해 특화 및 세분화 분야가 유망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

한 분야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 미래 관광일자리에 대한 정보 제공 활성화 및 관광

트렌드 등 유망 분야에 대한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훈련 체계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특화 및 세분화 분야의 창업과 창직을 위한 활성화를 위한 정책도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소규모 여행을 선호하고 안전에 대한 인식

제고로 인한 안전관광 분야가 유망할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관광시장 변화에 대

한 창업 및 창직의 활성화 관련 일자리의 창출을 위한 역량 강화 등이 요구될 것으

로 전망 된다

관광산업 인력의 양성에서는 미래 관광환경 변화에 대한 선제적 대응이 중요하게

인지되고 있으며 관광산업 고도화를 위해서도 일자리를 위한 직접적 간접적 지원

은 중요하게 인지되고 있다

즉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와 관련하여 신규 성장 분야 육성 기술 융합 일자리

양성 및 관광인력의 디지털 역량 강화 등의 정책 추진이 중요하다

신규고용 창출이나 고용유지를 위한 지원 직접지원 사업뿐만이 아니라 구직자의

구직활동 강화를 위한 연수 및 교육 고용지원 인프라 구축 등 간접지원방식의 정책

추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제4장

157제4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제1절 기본방향

관광산업에 있어서 미래 일자리 창출은 관광산업의 성장을 위한 필수 요소이다

일반적으로 일자리 창출은 경제적 환경 기업 경쟁의 환경 노동시장의 유연성 교

육훈련 시스템 사회안정망 체계 등과 관련되어 있다 즉 미래 일자리 창출을 위해

서는 ① 지속적 경제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안정적 거시경제 환경 ② 기업의 진입과

창업을 가로막는 규제 완화와 상품시장의 독과점 축소로 대표되는 경쟁 환경 ③

탄력적 임금middot노동비용middot근로시간 조정과 고용창출을 저해하지 않는 고용보호법규로

대표되는 노동시장 유연성 ④ 양질의 인적자본 공급과 축적을 보장하는 교육훈련

시스템 ⑤ 효과적이고 적극적인 노동시장 정책과 노동시장 기능의 효율성과 양립

하는 사회안전망 체계 등이 충족되어야 한다(OECD 2004 허재준 2009)

기업의 일자리 창출이 제약되는 위기 상황에서는 정부의 임시적 일자리 공급이

효과적이지만 궁극적으로 일자리는 기업에서 창출되어야 한다 따라서 미래 일자

리 관련 정부의 역할은 공공 및 민간 투자의 효과적 투입을 지원함에 있다 또한

정부는 관광사업체의 변화한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교육과 훈련을 강화하여야

하며 미래 일자리에 대한 정보와 기술 지원을 강화해야한다 또한 관련 규제 개선

과 노동의 이동성을 지원해야 한다(UKCES 2014)

특히 국가에서는 근로자에게 필요한 분야의 기술을 제공하기 위해 생애주기에 걸

친 교육 및 훈련에 대한 기회를 제공하는 제도적 투자가 중요하다 또한 정부는 근로

자를 보호하며 효과적 교섭 시스템 마련과 일자리 기회의 균등한 제공 새로운 일자리

에 대한 효과적 의사소통 등과 관련한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OECD 2020c)

더불어 국가는 미래 일자리 관련 역량 기준 개편 혁신 기업 육성 기술middot역량의

육성과 자격화 혁신 거버넌스 체계구축 등에 투자하여야 한다(UNWTO 2019)

즉 기술 발전과 사회경제적 변화로 인해 관광산업의 일자리 변화가 예상됨에 따라

15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관광산업 기존신규 인력의 직업능력 개발 새로운 업무 방식의 전환 지원 등이 필

요하다 특히 관광의 미래 새로운 산업 서비스 등을 발굴하고 개발할 수 있도록

직업능력 양성 체계의 방향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유망 일자리 분야로 도출된 분야는 ① 디지털 융합 분야 ② 관광 수요의

다양화에 따른 특화 및 세분화 분야 ③ 코로나 19로 인한 소규모 여행 증가 및 여행

안전 인식 증가로 인한 분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관광 유망 분야와 관련하여 신규

성장 분야 육성 기술 융합 일자리 양성 및 관광인력의 디지털 역량 강화 코로나19 관련

대응 일자리 창출 미래 관광일자리 성장을 위한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창출 및 인력 양성을 위해서는 관광산업이 필요로 하는

인재를 확보하여 관광산업이 활성화 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미래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미래 관광 일자리 분야를 도출하고 미래 일자리 대응방향을 ① 디지털

융합 관광인력 육성 ② 특화분야 관광인력 양성 기반 구축 ③ 코로나19 대응 일자

리 창출 ④ 관광 미래 일자리 성장 환경 조성으로 설정하 다

[그림 4-1]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159제4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제2절 정책 대응 방향

1 디지털 융합 관광인력 육성

11 디지털 융합 관광인재 양성

가 추진 배경

관광산업의 노동 공급적 관점에서 살펴보면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는 인공

지능과 로봇 기술의 발전은 단편적 정보전달 업무를 수행하는 관광 인력을 대체할

가능성이 높고 기술 관련 분야의 신규 일자리 창출이 높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WEF 2018)

본 연구에서 파악한 관광 유망분야의 일자리도 기술 기반의 관광 빅데이터 분석

관광 콘텐츠 미디어 관광 플랫폼 관광 모빌리티 분야의 일자리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미래 디지털 융합 관광 인력 양성을 위해서는 관광산업 입직 예정자들로

하여금 경제적 효율성을 추구하는 기술적 대체를 넘어서 관광의 근원적 가치를 창

출하는 한편 디지털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개발할 수 있도록 정책적 개입

이 필요하다

나 세부 정책 방향

1) 디지털 융합형 미래 관광인력 양성과정 확대

기술과 산업의 융합은 관광산업뿐만 아니라 전체 산업의 인력 양성의 변화를 야

기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된다 디지털 융합형 관광 인재는 기술 기반과 세분화

되는 관광산업을 이끌어가며 해외 주요국 및 우리나라 정책에서도 이 분야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고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대학에서도 관광과 기술

16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을 융합하는 과정이 생기고40) 현재 문화체육관광부에서 관광산업 혁신을 주도할

미래인재 양성 교육기관을 공모로 통해 기관을 선정하여 ICT 융합형 교육프로그램

구성 양성 교육기관의 역량 지원 교육 후 취업 지원 등을 추진하고 있으나 융합

발전의 속도를 반 하여 교육 및 훈련과정의 확대 지원이 필요하다41)

본 교육 대상은 만 20세 이상의 관광전공자인 예비 인력으로 관광 및 IT 기업

관광 연관 사업체(벤처)의 참여로 개발된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을 지역 소재의 대

학에서 실시하는 형태가 필요하다 교육 방식으로는 정책의 효과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온라인 교육으로 가능한 교육 수혜자가 많은 방식으로 접근이 필요하며 교육

과정은 현재 추진하고 있는 lsquo미래인재 양성 교육기관rsquo 사업과 연계 추진한다

12 관광 종사자의 디지털 역량 강화

가 추진 배경

일터의 특성이 숙련의 생존주기를 단축시키고 있어서 학교교육에서 뿐만 아니라

일하고 있는 사람들조차도 지속적인 학습을 통하여 새로운 지식과 숙련을 습득해야

할 상황이다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기술의 발전과 고용형태의 변화는 기존의 많

은 일자리들의 소멸 주기를 단축시키고 있지만 고급 역량을 필요로 하는 일자리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일자리 환경의 빠른 변화는 일터가 요구하는 숙련

이 빠르게 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숙련의 생존주기가 크게 단축되면 인적자

원개발의 방식도 크게 바뀌어야 한다

최근 주요 관광산업 일자리의 주요 변화는 기술의 발전과 확산이다(WEF 2016

WTO 2019) 기술의 발전과 확산은 일자리 감소의 부정적 전망이 있지만 기술로

자동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부분으로 일자리의 대체가 이루어진다(WEF 2016)

특히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인한 관광기업의 경 난은 관광산업 인력의 축소를

야기하고 있으며 관광면세업 관광공연장업 관광유흥음식점업 등 관광편의시설업

카지노업 일반여행업과 국외여행업에서의 일자리 전망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40) 최근 대학에서 스마트관광 대학원 과정 스마트 투어리즘 매니지먼트 소프트웨어과정이 신설되었음

41) 2020년 하반기에 관광 미래인재 100명(교육기관 당 33~34명)의 대학(원)생을 선발 정규 이론 교육과

산학 프로젝트를 통한 실무 중심 교육 실시 160시간 이상의 교육 교육비 전액 국비 지원(한국관광공사

20200422)

161제4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있어 기존 인력의 일자리 유지를 위한 정책이 요구되고 있다

기존 관광관련 지식전달 방식의 학습에서 비판적 사고와 반성적 성찰을 할 수 있

는 학습방식의 혁신이 요구된다 관광의 미래 인적자원개발은 학습자가 주도하여

그들의 역량을 개발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하지만 기존 관광

분야의 교육훈련 및 인재양성 정책에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학습방식까지

고려하고 나아가 인적자원의 양성middot활용 이외에 사회적 역량도 포함하여 종합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즉 관광산업 종사자는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기술을 원활하게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이해력을 높일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관광 종사자에게 기존 산업에서 필요

로 한 역량과 다른 역량(예 기술 활용 소셜미디어 활용 등)을 요구하며 새로운 유

형의 직업이 창출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이러한 흐름은 적절한 직업 교육 훈

련 학습 등의 기반이 필요하다(UNWTO 2019)

따라서 관광분야 역시 디지털기반의 산업비중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여러 분

야와의 융합이 예상되므로 기존 종사자 대상의 역량강화도 필수적이며 특히 중소규

모 업체 1인 재직자를 위한 교육지원이 필요하다

나 세부 정책 방향

1) 관광인력의 디지털 및 융합 사고 교육middot훈련 실시

관광산업 종사원의 미래 대응을 위한 역량 향상은 필요한 정책 역이나 유관

협회의 교육 프로그램 지원은 미래 환경변화 대응에 있어서 한계적이다 현재 한국

여행업협회 한국호텔업협회 한국관광협회중앙회 한국MICE협회 카지노협회 등

에서 종사원을 위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나 다양한 프로그램 마련과 참여에 있어

서 한계가 존재한다(김덕기middot한희정 2018)

기술 기반의 사회 변화 대응을 위해 디지털 활용 역량을 위한 교육 및 훈련과정을

실시하고 관광 분야에 있어서 단순 기술 보유하고 있거나 로봇이 대체할 수 있는

일자리(예 관광안내원 접객원 등)에 있는 종사자 1인 재직자(1인 기업)를 대상으

로 기술기반 및 타 산업 융합관련 교육을 통해서 미래 지향적 관광산업의 일자리로

전환할 수 있도록 추진한다

16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2) 미래 관광인재 육성 기업 지정

관광 종사자의 교육 및 훈련은 해당 기업의 투자 촉진을 통해 가능하다 관광기업

종사자의 디지털 전환에 대한 투자는 관광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 할 수 있으

며 관광 종사자의 디지털에 대한 이해도 증진을 통해 디지털 기반의 관광 마케팅

활용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발굴 등을 이끈다 이에 관광기업의 디지털 전환 투자

촉진을 위해 디지털 인재 육성 관광기업을 지정하고 지정서 발급 인재 교육 및 훈

련비용의 일부 지원 미래 관광 기업으로의 인재 육성 부분에서의 우수 사례집 발간

을 통한 홍보 등을 추진한다

3) 관광기업과 디지털 기업의 매칭 지원

관광 기술인력이 부족한 관광기업의 현장 지원을 위해 디지털 기업을 매칭하여

디지털 전환이 필요하다 기존 관광기업은 디지털 전화에 대한 이해도 및 디지털

전환 속도를 따라잡기 힘들고 디지털 기업은 관광 분야에 진출할 때 관광산업의

생태계 및 관광산업의 특징에 대한 이해도가 낮아 기존 기술 활용을 관광 분야로

확대하는 것에 그치고 있다 이에 관광기업과 디지털 기업의 매칭 지원을 통해 관광

기업은 디지털 가속화 및 디지털 역량을 확보하고 디지털 기업은 관광 사업체로

변모를 추진한다

2 특화 분야 관광인력 양성의 기반 구축

21 지역기반 관광 일자리 창출

가 추진 배경

일본 사례에서 살펴보았듯이 관광분야 일자리창출사업은 지역 활성화 및 지역

고용창출의 핵심 사업으로 자리매김 되어왔으며 실제로 다양한 지자체에서 관광을

통한 지역 일자리창출 사업이 추진되어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특히

2000년대 이후의 일본의 지방 공동화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된 이래로 위에서도 살

펴볼 수 있듯이 관광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노력은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의 다양

163제4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한 정책을 통해 이루어져왔다

우리나라도 생산연령 인구의 감소와 지방 인구 소멸 등에 직면한 시점에서 지역

기반의 미래 일자리 창출은 지역의 생존과 직결되어 필요한 정책 역이다 따라서

지역단위의 관광 일자리 창출 인적자본 축적 지역의 다양한 관광 전문가 및 이해

관계자들이 참여하는 지역 협력 강화 등을 위한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특히 국내관광 활성화로 지역관광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지역

관광추진조직 코디네이터 지역 관광 크리에이터 관광두레PD 등의 일자리 창출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이에 지역 관광 전문인력 발굴 및 육성을 통한 지역관광

일자리 창출이 필요하다

나 세부 정책 방향

1) 지역특화 관광 전문가 양성

지역으로의 인력 유입 활성화와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역 관련 전문가 양성

이 필요 하며 지역특화 전문가 교육 및 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의 관광 미래

일자리 전망에서 보았듯이 관광시장의 세분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관광이 발전

될 것이며 또한 코로나19 이후 지역으로의 여행 증가(국내 여행으로의 수요 전환)

국민의 국내여행 경험 증가에 따라 지역 관광 크리에이터와 같은 일자리가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지역기반의 관광기업의 참여로 지역 특성을 반 한 관광 전문가 양성 프로

그램을 개발하여 지역의 관광산업 예비 종사자 창업(예정)자 등을 대상으로 지역

특화 관광자원 발굴 및 활용 관광상품화 지역 협동조합 연계 강화 디지털 기반

창업 관련 인재 양성 등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2) 지역관광 창업middot창직 공간 구축의 확대

지역의 미래 관광인력 양성은 지역관광의 역량과도 연계되어 있으며 지역관광과

관련한 창업 창직 활성화를 통해 지역 관광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지역의 거점별 지역관광 창업middot창직 공간을 구축하여 앞서 언급한 지역특화 교육이

이루어지고 지역의 일자리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공간 지원의 확대가 필요하다

16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22 관광 특화분야 관광인력의 능력개발 강화

가 추진 배경

현재 관광산업은 코로나19의 위기를 극복하고 관광객의 세분화 다양화된 수요

등에 대응하는 시점에 있다 관광산업은 외부 환경에 변화에 따라 빠르게 변화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변화에서 유망 분야를 주도할 수 있는 관광 인력

의 양성이 필요하다 앞서 유망분야로 살펴본 실버여행 맞춤형 관광 반려동물동반

여행 등은 인구구조의 변화 관광수요의 다변화 등에 따른 결과이다 실버 여행의

경우 패키지 여행의 주도 세력이며 맞춤형 관광은 자아가치 창출을 위해 젊은 층에

서 확산되고 있다 반려동물동반여행 시장의 경우도 반려동물인구의 증가에 따라

시장 규모가 확대될 것이라고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분야들은 관광시장 형성이 초기단계이므로 이러한 변화를 이끌어나갈 수

있는 인력을 양성하는 것은 관광산업의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는 길이다 따라서 관

광수요의 다양화 세분화되는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교육과정의 변화가 필요하다

나 세부 정책 방향

1) 미래 관광 유망분야 양성 훈련 기관 지정

관광산업의 유망분야를 선도하는 주체를 육성하기 위해서는 관련 분야에 대한 전

문성을 교육하는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에 관광학과 관련된 관광관련 정규 교

육기관(특성화고 전문대학 대학교)을 일부 선정하여 미래 관광 유망분야 양성 훈

련기관 간 협약 체결로 유망분야의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및 훈련 과정 발굴 시범

훈련프로그램 운 을 지원하는 등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본 양성 훈련 기관 지정은

훈련 프로그램 운 비 일부를 지원하는 형태로 운 이 된다 또한 동 지정 사업은

관광의 유망분야에 대한 전문성을 갖춘 인력을 양성하는 것이 목적에 있다

2) 미래 관광 유망분야 교원 교육 확대

현재 문체부에서는 관광특성화고교 교사의 역량 강화를 위한 직무 교육을 추진하

고 있다 이러한 직무 교육은 산학 네트워킹 프로그램 취업 포럼 취업 설명회 등을

165제4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내용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도 향후 유망한 분야의 직업으로 실버여행 콘텐츠

개발자 및 가이드 맞춤형 관광 컨설턴트 반려동물여행시설 운 자 관광 데이터 분

석가 관광 콘텐츠 크리에이터 등을 제시하고 있다 관광산업을 둘러싼 미래 환경의

변화는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고 이에 따라 직업의 창출과 소멸이 빠르게 변하고 있

다 이에 관광관련 정규기관의 교육도 과거나 현 상황을 반 하기에는 유망 분야의

발전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기존 관광특성화고교 뿐 아니라 관광분야 정규 교육기관

의 교원을 대상으로 관광 트렌드 및 유망 분야를 반 한 이론 및 현장 교육 등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설계되어야한다 이를 통해 관광 기업과 교

육기관과의 연계를 통해 관광산업 현장 역량을 제고하도록 진행할 필요가 있다

23 창업middot창직 활성화

가 추진 배경

관광산업 분야의 미래 일자리는 사회 기술 및 생태 환경적 요인 등 다양한 동인

들을 통해 종합적으로 향을 받아 생장하고 소멸할 것이다 특히 4차 산업혁명이

일어난 이후 실제의 다양한 산업군과 경제 그리고 사회의 모습에서 체감할 수 있는

만큼 관광 일자리 관련해서도 변화가 시작되고 있다

관광 분야에서 인공지능 및 로봇의 활용 자동화는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기도 하

지만 호텔 여행사 관광편의시설 등에서 높게 이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 이와 관

련한 일자리는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변화는 기존 관광분야에서

습득한 지식과 기술이 관광 분야 업무에 활용되지 못하게 하며 전문성을 감소시킨다

이처럼 미래 일자리는 단순히 수동적으로 예측하기보다 현실의 제약을 극복하고

우리가 선호하는 일자리를 만들기 위한 과감한 노력이 전개될 때 수반될 것이다

또한 관광산업과 관련된 체계적 연결과 교육 공연 문화 예술 산업 등 인접 산

업과의 융합을 통한 미래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창의적이고 다양한 실험들이 시

도될 수 있도록 유연한 정책적 환경이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관광 수요의 다변화에 따라 점차 세분화 되고 전문되고 있는 관광상품 및

서비스 분야의 창직과 창업을 활성화하고 이러한 창직과 창업을 통해 창출된 관광

상품과 서비스를 유통할 수 있는 기반 마련 방안이 필요하다

16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나 세부 정책 방향

1) 창직 활성화 지원 (가칭) 관광 창직 아카데미

향후 일자리와 직업은 기존의 관념과 다르게 프리랜서 1인 기업가 등이 다양한

공간에서 근무하는 형태의 일자리가 발생할 것이다 더욱이 플랫폼 기반을 둔 관광

기업이 증가함에 따라 향후 1인 기업가 프리랜서 팀 단위의 관광기업 발생할 가능

성이 높다 이러한 조직은 환경 변화에 빠르게 대응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런 상황

에서 스스로 직업을 창출하는 창직 활동이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김동규 외

2018) 이에 정부부처에서는 창직 활동을 lsquo청년취업아카데미rsquo 사업 등을 추진하여

문화 예술 콘텐츠 분야 등의 개인 직업능력 향상 및 사회적 일자리 창출을 위한

프로그램을 운 하고 있다

이에 팀 프로젝트 교육 관광 및 연관 분야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갖춘 기업

탐방 등을 연계하는 lsquo(가칭) 관광 창직 아카데미rsquo를 관광전문 인력 양성 사업으로

추진하고 대상은 관광 예비 인력이 될 수 있는 관광을 전공하는 대학(원)생 졸업(예

정)생 은퇴 및 경력 단절로 새로운 일자리가 필요한 신중년 여성 경력 단절자 관

광 분야 실업자 등을 대상으로 확대 추진한다

2) 창업 활성화 센터 (가칭) 미래 관광LAB 신설

관광 일자리는 관광 기업의 생성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새로운 관광 분야의 사업

기회들이 창업으로 연결되려면 창업과 관련한 유리한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이런

이유로 관광산업에 있어서 관광사업 발굴 및 지원을 위한 정책이 지속적으로 추진

되고 있다

이에 미래 관광기업의 창업을 활성화하고 다양한 관광상품 및 서비스를 테스트

(관련 기술 및 장비 대여)하고 공유할 수 있는 (가칭) 미래 관광LAB을 신설하고

미래 관광상품 개발 및 연구 개발을 지원한다 운 은 한국관광공사 및 지역 관광공

사에서 한다

167제4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3 코로나19 대응 일자리 창출

31 관광 안전관련 일자리 기반 구축

가 추진 배경

코로나19로 관광객의 안전 여행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방역

및 안전 등에 대한 질적 관리 측면도 안전 여행 관심 증대와 함께 관광객의 관광활

동 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다

더불어 현재 코로나19의 지속으로 관광산업 전반에 일자리의 불안정성이 증대되고

있다 일부 사업체의 경우 코로나19로 인한 경 실적 악화로 기업의 경 부담이 증

가하여 최소 인력을 제외한 직원들이 유급 또는 무급 휴직 중에 있다 또한 국내여

행안내사 국외여행인솔자 문화관광해설자 등도 코로나19로 인해 심화되는 고용 불

안정에 놓여있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안정화 대책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내국인과 외국인이 안전하게 여행할 수 있는 관광 안전관련 인력 양성은 향후 코

로나19의 종식 후에도 내국인과 외국인의 안전 여행을 위한 기반 구축이 될 것이다

나 세부 정책 방향

1) 안전관광 인력 양성

안전관광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국내여행안내사 국외여행인솔자 문화관광

해설사 등의 관광안내인력을 대상으로 안전관광을 위한 교육훈련 체계 구축이 필요

하다 이를 위해서는 관광유관협회 관광관련 교육기관 등을 관광교육훈련 기관으

로 지정하여 교육 및 훈련의 실시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이를 통해 코로나19에 따

른 관광산업의 내외국인middot업종별middot연관산업 분야별 관광 메뉴얼의 실질적 이행과 현

장 대응력 강화를 달성할 필요가 있다

2) 관광의 안전 및 위기관리의 기반 조성

안전관광 기반 조성을 위해서는 국내외 관광객의 안전에 위해를 가질 수 있는 요

소들을 미연에 방지하고 대응에 있어 신속한 관리가 필요하다 이에 정부는 여행지

16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에서의 재난 사고 MERS와 SARS 등으로 인한 질병 등의 발생 등에 따라 이에 대응

하는 매뉴얼과 가이드북을 생성하고 관광인력의 안전 교육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지속해 왔다 현재 관광산업의 가장 큰 위협요인이 된 코로나19의 발생으로 이러한

기존 여행업의 안전관리 체계를 다시 점검할 시점에 이르렀다 이에 기존의 여행업

등과 관련한 안전관리 매뉴얼 등을 재점검하고 안전위기관리 관련 중앙과 지방 민

관 협력 체계 구축을 위한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32 비대면 관련 관광비즈니스 육성

가 추진 배경

최근 관광산업은 코로나19의 발생으로 비대면 관광 문화가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비대면 기술 기반의 관광객의 관광활동과 관광경 활동이 증대하고 있다 예

를 들어 호텔 및 항공에 있어서 무인안내기를 이용하여 체크인을 하거나 국제회의

는 온라인을 기반으로 개최되고 랜선투어 등 비대면 기술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간 관광산업에서의 디지털 기술은 정보통신 기술 발전에 따라 활용되고 있으나

코로나19로 촉진된 비대면문화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관광의 확산을 가속

화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비대면 관광 기술은 앞서 관광 빅데이터 분석

관광 미디어 콘텐츠 관광 플랫폼 관광 모빌리티 분야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관광

안전관리 측면에서 활용성이 증가할 것이다 이에 비대면 관광 문화 확산에 선제적

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비대면 관광 비즈니스 육성과 이를 통한 일자리 창출을 도

모하는 정부의 정책적 개입이 필요하다

나 세부 정책 방향

1) 비대면 관광 활성화를 위한 연구개발 강화

관광산업에 있어서 비대면 서비스나 기술이 활용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정부는 비대면 관광 활성화를 위한 기반 구축을 총괄하며 연구기

관과 관광 산업계와 연계 협력을 가능하게 하는 비대면 MICE 행사 콘텐츠 개발

비대면 관광상품 구매 안내 등과 관련한 관광상품 및 서비스 개발과 콘텐츠 확산을

169제4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위한 연구개발(RampD)에 대한 재정지원이 필요하다 관광산업계에서는 코로나19와

같은 위기 시 비대면 관광상품 관광서비스의 상용화하는 역할을 하며 학계에서는

이를 위한 비대면 관광 활성화 가능에 대한 환경을 조성하는 역할을 하도록 기반을

마련한다

2) 비대면 관광비즈니스 육성을 위한 지원

비대면 관광비즈니스 육성과 자생적 생태계 기초를 세우기 위해서는 다양한 비대

면 관광비즈니스 활동과 네트워크를 위한 발굴과 지원이 필요하다 이에 관광산업

에서의 비대면 비즈니스가 활성화되기 위한 창의적 아이디어의 구현을 위한 상품화

및 활동을 위한 지원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 또한 비대면 관광으로 직면할

일자리 감소 관광객 및 관광종사자의 비대면 기술 활용의 한계 등 문제 해결을 위

한 산학연 공동 프로젝트 지원 비대면 기술 보유 업체와 관광기업간 협업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 등을 위한 지원도 필요할 것이다

4 관광 미래 일자리 성장환경 조성

41 미래 관광일자리 통계 및 정보제공 활성화

가 추진 배경

관광 미래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미래의 일자리 정보 및 수요를 알려주는 관광

일자리와 관련 인력 현황 및 일자리 수급 미래 일자리 통계 및 정보 제공 등이 필요

하다 이를 위해 국내외 관광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관광 일자리 정보를 연계하고

이를 분석해 제공하는 미래 관광 일자리 인프라 재확립이 요구된다 정량화된 정보

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관광 미래 일자리에 대한 교육 훈련 자격 정보 인재 추천

및 구직자의 역량을 매칭할 수 있도록 미래 관광 일자리 역량의 수요나 변화를 파악

가능하게 제공해야 한다

17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나 세부 정책 방향

1) 인력수요공급 통계 및 전망정보 제공

관광산업 인력의 수요와 공급에 대한 전망은 관광산업 인적자원 정책의 기초 자

료가 된다 그러나 현재 관련 기초통계의 부족의 한계로 관광산업에 필요한 인력

의 파악에 있어서 한계가 존재한다 이에 환경변화로 변화될 관광일자리 변화의 예

측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향후 관광 및 연관 분야의 일자리 통계를 생산하고 이를

정기적으로 전망하며 새로운 고용 형태(1인 기업 프리랜서 등)와 관련한 실태 조

사를 실시하여 관광산업에 소요되는 관광인력의 효과적인 정책기반을 마련할 필요

가 있다

2) 미래 관광일자리 분야의 정보 제공 강화

미래 관광 일자리에 있어서 미래 세대의 관광 분야로의 흡수가 중요하다 현재

관광일자리와 관련한 정보는 lsquo관광인rsquo 사이트에서 일자리가 필요한 기업과 지원 자

격 근무조건 등의 형태로 현재 종사자가 필요한 관광기업들의 정보만이 제공되고

있다 즉 향후 어떠한 분야가 필요하고 관광에서 어떠한 유망한 일자리가 있는지

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고 있다 정부의 진로정보 관련 정보를 다루는 웹페이지

인 lsquo진로정보망 커리어넷rsquo에서는 직업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미래 직업에 있어서

관광관련 직업은 lsquo해양 레저 전문가rsquo lsquo여행 기획자rsquo lsquo문화 콘텐츠 전문가rsquo lsquo가상현

실 전문가rsquo 등 만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어 미래 인력의 관광 분야의 일자리 파악에

있어서 한계가 존재하고 있다 이에 lsquo관광인rsquo 사이트는 채용 정보만 제공하던 기존

의 방식에서 탈피하여 관광 관련 일자리와 미래 관광 일자리에 대한 정보도 제공할

필요가 있다

42 미래 관광일자리 협의체계 구축

가 추진 배경

인구구조 변화 디지털 전환 코로나19 등은 종래와 같은 분절적인 정책의 추진

을 벗어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일자리 창출은 채용 임금 등의 노동시장 여건뿐만

171제4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아니라 기업의 조직 및 기술의 활용의 인력수요 측면과 교육 훈련 등의 공급측면이

함께 작용할 때 가능하다

따라서 정부의 일자리 정책은 융middot복합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인적자원의 특성도

고령화 성평등 일과 삶의 균형 등과 관련하여 다차원적인 접근을 필요로 한다

관광산업과 관련된 정부 부처나 조직 부문 간 상호 호혜적인 협업이 활성화되어

야 할 것이다 앞으로의 시대는 기술만 융합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과 조직의 기능적

협업과 통합이 시시각각 요구될 것이다 따라서 관광 일자리에 있어서도 미래 일자

리 관련 협력적 거버넌스 운 이 필요하며 일자리 정책에 있어서 총괄middot조정 기능의

역할 부여가 필요하다

나 세부정책 내용

미래 관광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관광산업 환경 변화 및 관광산업 여건 등을 고

려한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 이에 미래 관광 일자리 창출 및 미래 관광인력 양성 정

책의 추진에 있어 의견을 수렴하고 정책을 발굴 할 수 있는 협의 채널이 필요하다

추진 방식은 관광 및 관광 유관사업체 관광유관협회 지자체 대학 연구원 등으

로 구성한 미래 관광일자리 협의 채널을 구축하고 관광 미래 환경 변화를 반 한

교육과정 개발 및 운 관광사업체 활성화 지원 등을 모색해야한다

결론 및 정책 제언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제5장

175제5장 결론 및 정책 제언

결론 및 정책제언

관광산업을 둘러싼 환경 변화가 급격하게 이루어지면서 관광소비시장 관광산업

구조 등이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필요한 관광 인력의 분야 및 역량도 변화하고

있다 관광산업은 주요 일자리 창출 분야로 인식되고 있으며 세상의 변화에 민감한

분야이다 이에 따라 관광 분야는 주요 국가의 경제 및 고용 성장의 원동력으로 인

식되고 있으나 정책적 측면에서 저평가 되는 경우가 많다(UNWTO 2019)

본 연구는 미래 관광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도출을 위해 관광산업에 미치는 환

경변화와 국내 일자리 정책을 분석하 다 그리고 문헌연구와 전문가 의견조사 자

문회의를 통해서 미래 관광산업의 유망 분야와 일자리를 위해 필요한 정책방안을

모색하 다

2020-2024년 관광트렌드는 여행의 세분화와 전문화 관광 비즈니스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 등으로 사회적 환경 변화로 인구의 지속적 감소 고령 인구의 증가

여가의 중요성이 강조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기술 환경 변화로 4차 산업혁명

기술의 활용이 확산되고 코로나19 등의 안전위기에 대한 인식이 중요하게 될 것이

라고 전망된다 특히 기술발전과 주 52시간 근로 시행 코로나19 등으로 인한 재택

근무 유연근무제 등이 활성화 되며 프리랜서 1인 기업 등 고용 및 기업의 형태도

다양해 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환경 변화를 분석한 후 향후 5년 내 관광산업에서 유망할 분야

및 그와 관련된 일자리를 전망하 다 본 연구에서 예측된 관광산업 유망 일자리는

① 기술 관련 분야(관광 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 관광 미디어 콘텐츠 관광 플랫폼

관광 모빌리티)의 일자리 ② 관광트렌드의 세분화 및 다양화에 따른 세부 분야(지

역 전문특화 관광 실버 여행 반려동물 여행 여행 컨셉 기획)의 일자리 ③ 코로나

19 확산에 따른 안전 및 소비 트렌드 변화(소그룹 여행 여행 안전관리)에 따른 일

자리로 나타났다

17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미래의 관광인력은 관광산업 경쟁력과 발전의 핵심 요소이다 이에 따라 다양한

환경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적 접근이 시급히 이루어져

야 한다

먼저 디지털 융합 관광인력의 육성이 필요하다 전 산업에서의 디지털화로 인해

관광산업에 있어서 디지털 역량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적 요소가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디지털 분야에 대한 예비 인력 교육 기존 관광인력의 발전 가능성이

큰 디지털 융합 분야에 대한 교육 및 훈련 등을 수행할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미래 관광산업 일자리를 위해서는 특화 분야의 관광인력 양성과 코로나19에 대

응하는 일자리 창출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일자리는 산업이 성장할 때 같이 성장

하므로 관광 산업이 전문화 세분화 특화되는 흐름에 따라 이와 관련한 환경 조성

이 필요하고 새로운 분야에 대한 창업과 창직 활성화를 위한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미래 관광산업 일자리가 확산되기 위해서는 미래 일자리에 대한 통계와 정

보 제공 및 인력 수급 현황의 정기적 분석 등이 필요하다 필요한 관광 일자리에

대한 통계와 정보 제공은 구직 인력에게 필요한 정보이며 미래 일자리 인력의 수급

전망은 향후 필요한 인력 분야와 일자리 전환 정책의 기초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이

다 또한 미래 관광일자리를 위한 관middot산middot학의 끊임없는 정책적 노력과 소통이 강화

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분야와 정책대응 방향을 모색하 다 세부 정

책과제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향후 미래 일자리 분야의 규모 추정 각 정책 수단과

주체와 관련한 제시를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177참고문헌

참고문헌

∙ 강금봉(2019) 「디지털 플랫폼 노동 어디까지 와있나 ndash 현안과 보호방안」 사회적

대화 통권 10호 174-184

∙ 고용노동부(2014) 「선진국 고용정책의 일자리 창출 효과 연구」∙ 고용노동부(20200410) 임서정 고용노동부 차관 재택근무 우수 사업장 방문하여

현장의견 청취(보도자료)

∙ 고용노동통계(2020) 「2020년 상반기 직종별사업체노동력조사」

∙ 관계부처 합동(201788) 「신중년 인생 3모작 기반구축 계획」 제2차 일자리위원회

∙ 관계부처 합동(2019626) 「서비스산업 혁신 전략」 경제활력대책회의

∙ 관계부처 합동(20202) 「제3차 경력단절여성 등의 경제활동촉진 기본계획(2020~2024)」∙ 관계부처 합동(2020515) 「신중년 퇴직 전문인력 활용 방안」 제15차 일자리위원회

∙ 관계부처합동(20200217) 코로나19 대응 관광middot외식업 긴급 지원방안

∙ 관계부처 합동(2020714)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 선도국가로 도약하는 대한민국

으로 대전환」 한국판 뉴딜 대국민 보고대회(제7차 비상경제회의)

∙ 교육부(20191210) 「2019 초middot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 결과 발표」

∙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20111026) 「빅데이터를 활용한 스마트 정부 구현(안)」∙ 기상청(2019) 「2018 지구대기 감시보고서」

∙ 김규남(2019) 「스마트 시티에서 스마트 모빌리티의 역할」 글로벌리포트

∙ 김덕기middot한희정(2018) 「중장기 관광산업 전문인력 양성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 김동규middot김중진middot김한준middot최 순middot최재현(2017) 「4차 산업혁명 미래 일자리 전망」 한

국직업능력개발원

∙ 김준 middot권혜자middot최기성middot연보라middot박비곤(2018) 「플랫폼경제종사자 규모 추정과 특성

분석」 한국고용정보원

∙ 김형만middot최 섭middot노대명(2018) 「사회정책 추진체제 구축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김희수middot정광민(2019) 「노동시간 단축이 관광시장에 미치는 향과 과제」 한국문화

관광연구원

17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 농림축산식품부(20200429) 전국 591만가구에서 반려동물 856만마리 키운다

-「2019년 동물보호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결과 발표-

∙ 류광훈middot김희수(2018) 「관광산업 발전을 위한 지원체계 구축방안 연구」 한국문화관

광연구원

∙ 매일경제(20180312) [여행 알쓸신잡] 여행업계 놀라게 한 `실버세대의 힘`

∙ 매일경제(20191212) 한화 여행 콘텐츠 크리에이터 인턴십 모집다양한 혜택 제공

∙ 문화체육관광부(2018a) 「지역관광 추진조직 육성 기본계획 수립 연구」

∙ 문화체육관광부(2018b) 「2017 국민여행실태조사」 ∙ 문화체육관광부(2019a) 「2018년 기준 관광사업체기초통계조사」∙ 문화체육관광부(2019b) 「국민여가 활동조사」

∙ 문화체육관광부(2019c) 「2018 국민여행조사」 ∙ 문화체육관광부(2020) 「코로나10 생활 속 거리 두기 시기 여행경로별 안전여행 가이드」 ∙ 문화체육관광부(20200703)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문체부 3차 추경 3469억 원

확정(보도자료)

∙ 문화체육관광부 각년도 「관광사업체기초통계조사」∙ 문화체육관광부 각년도 「관광부문 재정집행계획」

∙ 미래창조과학부 미래준비위원회middotKISTEPmiddotKAIST(2017) 미래 일자리의 길을 찾다

도서출판 지식공감

∙ 민경선(2018) 「워라밸 세대의 여가와 삶의 만족도」 한국웰니스학회지 13(3) 377-388

∙ 박가열middot박성원middot이 민middot이은수(2019) 「4차산업혁명시대 미래직업능력 연구(Ⅱ)」 한국고용정보원

∙ 박주 (2018) 「오버투어리즘 현상과 대응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 박지혜(2017) 「국내 펫코노미(Pet+Economy) 시장의 현황과 시사」 산업연구원

∙ 비전21뉴스(20200826) 코로나19 극복 파주형 희망일자리 참여자 2329명 모집

∙ 산업통상자원부(20193) 「제7차 산업기술혁신계획(2019-2023)」∙ 삼일회계법인(2019) 「2019-2023 Entertainment amp Media 산업 전망」∙ 손은수middot홍성화middot고병열(2018) 「국내외 주요기관이 전망한 미래기술의 흐름」∙ 송승범(2020) 「스마트 모빌리티- 사용자 중심의 모빌리티 서비스로 패러다임 전환」∙ 송종구(2017) 「카셰어 ndash 공유경제 관심 속 시장규모 지속적 증가」 KISTI 마켓리포트

∙ 아시아경제(20200827) 반려동물과 함께 즐겨요 펫캉스 떠나는 반려인들 [김

수완의 동물리포트]

179참고문헌

∙ 여행신문(20200701) 개별middot소규모 여행 뜨자 지자체도 맞춤대응

∙ 여행신문(20200824) 11 미팅에서 진화한 관광청 온라인 마케팅

∙ 오훈성(2018) 「고령층 국내관광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 울산MBC(20200219) 울산시 방역 전문가 자문단 운

∙ 윤윤규middot고 우(2009) 「일자리 창출 및 소멸의 구조와 특징」 월간노동리뷰 9월호 15-29

∙ 이금노(2019) 「모빌리티 분야 공유서비스의 소비자문제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자원

∙ 이승렬middot이용관middot이상규(2018) 「미래의 직업 프리랜서(Ⅰ) - 1인 미디어 콘텐츠 크리에이터 -」∙ 이승민middot정지형middot송근혜(2017) 「ECosight 2017Socio-Tech 10대 전망」 한국전

자통신연구원 미래전략연구소

∙ 이원희middot박주 middot조아라(2019) 「관광 트렌드 분석 및 전망 2020-2024」 한국문화

관광연구원

∙ 이재완middot강혜진(2018) 「워라밸과 삶의 만족 세대 간 차이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

구 22(3) 267-291

∙ 익산열린신문(20200401) lsquo관광도시 익산rsquo 위해 투어매니저 떴다

∙ 일자리위원회ㆍ관계부처 합동(20171008) 「일자리정책 5년 로드맵」 제3차 일자리

위원회

∙ 일자리위원회ㆍ관계부처 합동(20200309) 「사람중심경제를 실현할 후반기 일자리

정책 추진 방향」 제14차 일자리위원회 1호 의결안건

∙ 저출산middot고령사회위원회(201812) 저출산middot고령사회 정책 로드맵

∙ 전재식 외(2019) 「일과 학습의 미래」 경제인문사회연구회

∙ 전효재middot한희정(2018)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미래 관광일자리 창출 방안 연구」 한국

문화관광연구원

∙ 중소벤처기업부(2020) 「중소기업 전략기술로드맵(빅데이터)」∙ 중앙일보(20190812) 현대차 국내 마이크로 모빌리티 사업 나선다

∙ 최계 (2020) 「디지털 플랫폼의 경제학 I 빅데이터ㆍAI 시대 디지털 시장의 경쟁

이슈」 KISDI Premium Report

∙ 통계청(20180927) 「2018 고령자 통계」 ∙ 통계청(2019) 「2019년 장래인구특별추계를 반 한 세계와 한국의 인구현황 및 전

망」 통계청(보도자료)

∙ 통계청(20190902) 2019년 장래인구특별추계를 반 한 세계와 한국의 인구현황

및 전망(보도자료)

18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 통계청(20191125) 「2019년 사회조사 결과」 ∙ 통계청(20191205) 「2018년 일자리행정통계 결과」∙ 통계청(20191212) 「2018년 기준 기업생멸행정통계 결과」

∙ 통계청(20201016) 「2020년 9월 고용동향」 ∙ 투어코리아(20190723) 반려동물 동반 가능 숙소 전국 700여 곳 3년 새 10배 증가

∙ 한국경제(20200803) 교원그롭 시니어 여행시장 진출

∙ 한국경제연구원(20200720) 코로나19로 대기업 lsquo넷 중 셋rsquo 재택ㆍ원격 등 유연근

로제 실시 중

∙ 한국고용정보원(2019a) 「2019 미래를 함께 할 새로운 직업」 ∙ 한국고용정보원(2019b) 「2020 한국직업사전」∙ 한국관광공사(2007) 「국내실버관광 활성화를 위한 2007 국내실버관광 실태조사」

∙ 한국관광공사(20200422) 관광분야 미래 인재 키울 곳 어딜까

∙ 한국교통연구원(2017) 「스마트모빌리티 브리프」 KOTI Brief 1(3)

∙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2019a) 「2018 데이터 산업 현황 조사」∙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2019b) 「2019 데이터산업 백서」

∙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각년도 7월 기준 문화체육관광 고용동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200527) 포스트 코로나 시대 안전을 담보로 한 국내관광

회복이 기대됩니다

∙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6) 「호주 청년 노동시장 진입 지원정책의 변화」 글로벌 사

회정잭 브리프 50호

∙ 한국일보(20200316) lsquo펜데믹rsquo에 뜨는 직업 있다

∙ 한국지방행정연구원(200912) 「지방자치단체의 일자리창출 역할 강화 방안」 ∙ 한국콘텐츠진흥원(2020) 「융복합 관광서비스 사업화지원 사업 현황분석 및 개선방

향 연구」

∙ 허재준(2009) 「일자리 창출 증진을 위한 방안과 과제」 서울경제

∙ 홍현균(2004) 「일자리의 창출과 소멸」 한국의 고용구조

∙ 황혜정(20181221) 「탈규모 시대의 제조업 lsquo플랫폼 비즈니스rsquo로 도약한다」 LG

경제연구원

∙ YTN(20200506) 일자리위 안전middot비대면 분야서 새로운 일자리 창출 노력

181참고문헌

∙ Agoda(20200729) Agoda shares quick ways to sustainably rediscover

the world through lsquoSlow Travelrsquo

∙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Employment(2017) Australia G20

Employment Plan 2017

∙ Australian Government(2019) Australian Jobs 2019

∙ Australian Government(2020) Employment outlook to May 2024

∙ BBC(20180527) First colleges to teach new vocational T-levels named

∙ Beale I Bloss C amp Thomas A(2005) The longer-term impact of the

New Deal for Young People Corporate Document Services

∙ Brčić D Slavulj M Šojat D amp Jurak J(2018) The role of Smart

Mobility in Smart Cities In 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ad and

Rail Infrastructure-CETRA 2018

∙ Brookfield Institute(2017) Future-proof Preparing Young Canadians for

the Future of Work

∙ California Workforce Development Board(2015) Californiarsquos Workforce

Development Plan

∙ DCMS(2016) Tourism Action Plan

∙ Department for Work amp Pensions(2015) 2010 to 2015 government policy

employment

∙ ESFA Digital(2019) Sign up to our new apprenticeship service webinar

programme

∙ Euromonitor International(2018) Megatrends shaping the future of travel

∙ Fidler D(2016) Work Interrupted The New Labor Economics of Platforms

Institute for the Future Palo Alto CA httpsworkablefuturesorg

publicationsreportswork-interruptedthe-new-labor-economics-of-platforms

∙ Forbes(20200507) Post Coronavirus Travel How Most Americans Want

To Holiday At Home

∙ FP(20200613) The Future of Travel After the Coronavirus Pandemic

∙ Gibson G OrsquoFaircheallaigh C amp MacDonald A(2008) Integrating Cultural

Impact Assessment into Development Planning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Impact Assessment Workshop) Fargo ND IAIA

∙ HM Government(2018) Industrial Strategy Tourism Sector Deal

18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 IAIA(2009) What is impact assessment Fargo ND IAIA

∙ Kevin BAuman and Cody Christensen(2018) Improving Skills Through

Americas Workforce Development System American Enterprise Institute

∙ Mackenzie Valley Review Board(2009) Status report and information

circular developing cultural impact assessment guidelines Yellowknife

Canada Mackenzie Valley Review Board

∙ OECD(2004) Job strategy

∙ OECD(2013) Local Job Creation How Employment and Training Agencies

Can Help US

∙ OECD(2017) Measuring Distance to the SDG Targets An assessment of

where OECD countries stand

∙ OECD(2020a) Employment Outlook 2020 Worker Security and the COVID-19

Crisis

∙ OECD(2020b) Good jobs all in a changing world of work

∙ OECD(2020c) OECD Tourism Trends and Policies 2020

∙ OECD(20200602) Tourism Policy Responses to the coronavirus (COVID-19)

∙ Oxford Economics(2020) The Impact of COVID 19 on the US Travel Economy

∙ PIXABILITY(2018) In-Flight Viewing

∙ Policy Study Institute(1992) The Restart Effect Evaluation of a Labour

Market Programme for Unemployed People

∙ Reed D Liu A Kleinman R Mastri A Reed D Sattar S Ziegler

J(2012) An effectiveness assessment and cost-benefit analysis of registered

apprenticeship in 10 states Oakland CA Mathematica Policy Research

∙ RSA(2013) Making at Home Owning Aborad

∙ Schmidt F A(2017) Digital labour markets in the platform economy

Friedrich-Ebert Stiftung Sokoler Alexander (2016)rsquoTegn paring lovbrud

Personer udlejer adskillige lejligheder paring Airbnbrsquo Fagbladet F 3

∙ The Conference Board of Canada(2005) The Ready-to-Work Program

Opening Doors to the Tourism Industry

∙ The Ontario Tourism Education Corporation(2013) Ontario Tourism Workforce

Development Strategy

∙ Tourism HR Canada(2018) Tourism HR Canada Strategic Plan 2019-2021

183참고문헌

∙ Travel Weekly(20200715) In new reality demand grows for boutique

hotels wellness experiences

∙ US Department of Labor(2018) FY 2018-2022 Strategic Plan

∙ UKCES(2014) The Future of Work Jobs and Skills in 2030

∙ UN(2020) Sustainaple Development Report 2020 The Sustainable Develo

pment Goals and Covid-19 - Includes the SDG Index and Dashboar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 UNWTO(2019) The Future of Work and Skills Development in Tourism

ndash Policy Paper UNWTO Madrid DOI httpsdoiorg10181119789284

421213

∙ UNWTO(2020) Cultural tourism amp COVID19

∙ US Department of Labor(2018) Recommendations to Improve the Nation

s Workforce and Labor Market Information system

∙ US Travel and Tourism Advisory Board(2019) Recommendation on Workforce

Development

∙ WEF(2018) The Future of Jobs Report 2018

∙ WEF(20200715) Top factors travellers will consider before planning

their next trip

∙ WEF(20200811) How are people holidaying after COVID-19 lockdowns

∙ WMO(2020) The Global Climate in 2015-2019

∙ みずほ総合研究所(2017)  アベノミクス5年と今後の政策課題

∙ 内閣官房(20176) まちひとしごと創生基本方針2017(概要版)

∙ 内閣官房(20186) まちひとしごと創生基本方針2018について

∙ 内閣官房(20196) 成長戦略フォローアップ

∙ 内閣府(200106) 「今後の経済財政運営及び経済社会の構造改革に関する基本方針」 につ

いて httpswww5caogojpkeizai-shimoncabinet20010626kakugikettei

pdf

∙ 内閣府(200206) 「経済財政運営及び経済社会の構造改革に関する基本方針2002」

httpswww5caogojpkeizai-shimoncabinet2002decision0625html

∙ 内閣府(200311) 構造改革評価報告書 httpswww5caogojpkeizai-shimon

minutes20031126item1pdf

18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 内閣府(200406) 経済財政運営と構造改革に関する基本方針2004 20221421610

jpkakugikettei2004040604kaikakupdf

∙ 内閣府(200912) 明日の安心と成長のための緊急経済対策 httpswwwmlitgo

jpcommon000055483pdfsearch

∙ 内閣府(201012) 新成長戦略 httpswwwkanteigojpjpsinseichousenrya

kusinseichou01pdf

∙ 内閣府(201211) 日本再生加速プログラム httpswww5caogojpkeizai1keizai

taisaku20121130_01taisakupdfsearch

∙ 大和總硏(201411) 人口減少時代の地方創生の鍵は雇用創出

∙ 首相官邸(20136) 日本再興戦略

∙ 首相官邸(2015) まちひとしごと創生基本方針2015

∙ 厚生労働省 重点分野雇用創造事業 httpswwwmhlwgojpbunyakoyou

chiiki-koyou3dljuuten_02pdf 2020613 열람

∙ 厚生労働省地域提案型雇用創造促進事業(パッケージ事業)事例集 httpswwwmhl

wgojpbunyakoyouchiiki-koyoupackage17indexhtml 2020613 열람

∙ 국가직무능력표준 홈페이지(httpsncsgokr)

∙ 관광두레 홈페이지(httpstourduremcstgokrhomehomeIndexdo)

∙ 미국 연방노동부 원 스톱 고용센터 홈페이지(httpswwwcareeronestoporgC

ompetencyModelcompetency-modelshospitalityaspx)

∙ 보건복지부 코로나19바이러스 인터넷 페이지(httpncovmohwgokrbaroVie

wdobrdId=4ampbrdGubun=41)

∙ 사이언스올 홈페이지(httpswwwscienceallcom)

∙ 세계경제포럼(WEF) 웹사이트(wwwweforumorgagenda202004occupatio

ns-highest-covid19-risk)

∙ 국 기상청 홈페이지(httpswwwmetofficegovukabout-uspress-office

newsweather-and-climate2020confirmation-that-2019-concludes-war

mest-decade-on-record)

∙ 국 프린스 트러스트 홈페이지(wwwprinces-trustorguk)

∙ 일자리위원회 홈페이지(httpwwwjobsgokr)

∙ 진로정보망 커리어넷 홈페이지(httpwwwcareergokr)

185참고문헌

∙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httpwwwcdcgokr)

∙ 캐나다 미래기술센터 홈페이지(httpsfsc-ccfcaengagefuture-skills-centre-ann

ounces-37-million-investment)

∙ 캐나다 인력관광공사 홈페이지(httptourismhrcaabout-usstrategic-plan)

∙ 한국엠씨엔협회 홈페이지(httpkmcnaorkr)

187ABSTRACT

ABSTRACT

Future Jobs and Policy Implications for the Tourism Industry

The tourism industry is based on human services and it is recognized as an

industry generating high economic vitality and job creation effects As the future

jobs in the tourism industry present the need for new competencies of manpower

entering the tourism labor market and the change and consolidation of competencies

of those who are currently engaged in the tourism industry future jobs can be a

method to fortify the driving force and competitiveness of the tourism industry

Consequently policy interest in future jobs for the growth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tourism industry is on the ris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environmental change in the tourism industry jobs draw the future job

prospect of the tourism industry and present measures to cope with future

functions

To this end this study reviewed cases to cope with social technical economic

job tourism and environmental changes as well as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licies Job shift support digital manpower cultivation and support policies for

youth employment are implemented abroad according to employment environment

diversification and digital shift acceleration Also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licies to maintain employment in the tourism industry according to the spread of

COVID-19 are promoted In reflection of the environmental change this study

presented promising fields and jobs in tourism within 5 years in the future The

top 10 promising job fields drawn in this study can be classified as follows ①

technology convergence field ② specialization and segmentation field according to

tourism demand diversification and ③ small-scale travel increase fields due to

18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increase in travel safety recognition

When synthesizing all these circumstance changes direct and indirect support

policy is needed for active coping with environmental changes fostering digital

convergence specialized fields coping with the COVID-19 and job infrastructure

reinforcement in order to nurture future tourism jobs

First it is necessary to foster digital convergence tourism manpower Due to the

digitization of the entire industry digital capabilities will not be an option but an

essential element for the tourism industry For this the government should lay a

foundation for preliminary manpower education in the digital field education and

training in the digital convergence field which has a high pot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existing tourist manpower

For future tourism industry jobs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tourism manpower

in specialized fields and to create jobs in response to the COVID-19 Jobs grow

as the industry grows Therefore according to the trend of specialization and

subdivision of the tourism industry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related

to this and to prepare a foundation for revitalization of startups and founding in

new fields

In order to increase the number of jobs in the tourism industry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statistics and information on future jobs and to regularly analyze

the supply and demand of manpower This is because the provision of statistics and

information on necessary tourism jobs is necessary information for job seekers and the

outlook for the supply and demand of future jobs provides basic information on the

field of manpower required in the future and job transition policies

In addition constant policy efforts and communication between public institutions

industries and academia for future tourism jobs should be strengthened

Keywords

Tourism Future Jobs Future Jobs Tourism Jobs Tourism Employment

부록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191부록

【부록1】 전문가 의견 조사지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1차 전문가 설문 조사

안녕하십니까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은 현재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는 향후 2021~2025년 동안 우리나라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를 위

한 정책 대응방향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이에 본 조사는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여건 및 미래 일자리 후보군을 조사하고자 합니다

귀하의 응답결과는 통계법 제33조(비밀의 보호) 제34조(통계종사자 등의

의무)에 따라 오직 연구 목적을 위해 이용됩니다 바쁘시겠지만 귀한 시간 내

주시어 답변 부탁드립니다 약 10분 정도 소요될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

문의처

회송방법

조사기관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김덕기 선임연구위원 한희정 연구원)

조사담당 한희정 연구원 ( 02-2669-8944 e-mail hjhankctirekr)

회송방법 이메일(hjhankctirekr)로 송부

설문에 응해주신 분께는 답례품을 보내드리고자 하오니 기재하여 주십시오

성명휴대폰 연락처

(모바일 상품권 발송)

소속기관 직위

19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여건

문1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방향 수립 시 관광산업 일자리를 둘러싼 환경변화

중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것은 무엇입니까(예시는 참고일 뿐 주요 환경변화

내용을 자유롭게 기술)

분야 참고 환경변화 내용

관광(관광소비 및 산업 변화)

- (관광객 소비 문화) 소확행 가심비 트렌드 확산(호캉스 스

테이케이션 등)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 부상 일상에서 만

나는 비일상여행(생활관광) 경험소비 누구나 즐기는 여행

관광시민 비대면 관광지 선호

(작성)

- (관광 산업) 여행업 변화(OTA 확산 플랫폼 비즈니스 진화

등) 숙박업 변화(공유숙박업 등) 스마트 기술 관광 접목 증

대 관광체험 영역 확산(농어촌 체험) 융복합 강화(해양관광

웰니스관광 교육관광 농촌관광 등) 비대면 기술 확산 등

(작성)

사회(인구구조 및

노동인구 변화)

- (인구구조) 생산연령인구 감소 고령화 1인 가구 증가 지

방 인구 감소로 지방소멸위험지역 증대 국가 간 이동 및 다

문화 증가

- (사회인식) 여가시간 증대 및 워라밸 추구

(작성)

기술(과학기술

발전)

-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 가속화(인공지능 5G 증강현실

로봇 빅데이터 등) 모바일과 플랫폼 비즈니스의 진화 (작성)

생태환경(환경과 에너지)

- 코로나19 전염병 등 위기관리 및 안전 관심 증가 청정 환

경 관심 증가

-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현상 및 자연현상 증가 기후변화 대

응 노력 확대 친환경 인식 제고

- 지속가능발전 투자와 활동 확대

(작성)

정치(법제도 및 정부 정책)

- 남북교류 활성화 DMZ 관광

- 도시재생 사업 혁신 정책 (작성)

일자리 환경(산업특성 및

산업구조 변화)

- (기업문화) 기업 직장에서 직업 매개체로의 변화

- (고용환경) 일자리 양극화와 데이터 기반 인적관리 강화

- (산업구조) 자기고용과 창조서비스업의 증가

- (노동환경) 언제 어디서나 일할 수 있는 유연한 업무 환경

프리랜서 증대

- (직무) 직무의 전문화 세분화 융복합화

(작성)

기타 (작성)

193부록

관광산업 유망 분야 및 유망 일자리

문2 환경변화를 바탕으로 관광 관련 유망 분야와 관련된 일자리는 무엇이라고 생

각하십니까(예시는 참고일 뿐 유망 일자리 분야 일자리를 자유롭게 기술)

구분(참고) 관광관련 유망

분야 (참고) 관광 유망 일자리

후보군(직업)관광관련유망 분야

관광 유망 일자리(직업)

관광(관광소비 및 산업 변화)

- 생활관광

- 관광 미디어 콘텐츠

- 관광플랫폼(공유숙박

OTA 여행관련 콘텐

츠 등)

- 해양관광 웰니스관

광 교육관광 농촌관

광 등

- 공정여행

- 전통시장 해설가 관광

스토리텔러 현지 전문

맞춤 가이드

- 관광 미디어 콘텐츠 크

리에이터(여행 유튜버

여행 작가 여행 인플러

언서 등)

- 공유숙박 코디네이터

공유숙소 관리 전문가

- 공정여행 기획가

(작성) (작성)

사회(인구구조 및

노동인구 변화)

- 아동 및 실버 취약계

층 관련 여행

나홀로 여행(혼행)

- 수학여행기획가 수학여

행인솔자

- 실버여행기획가 및 여행

인솔자

- 장애인middot반려동물 동반

여행 인솔자

(작성) (작성)

기술(과학기술

발전)

- 관광 빅데이터

- AI VR 5G 관련 관

광활용기술 개발 및

서비스 디자인

- 관광 서비스 로봇 기

획자

- 관광 빅데이터 분석가

- 관광 기술 경험 디자이

(작성) (작성)

생태환경(환경과 에너지)

- 재난 전염병 등 위기

관련 대응

- 생태관광 친환경 관

광 대안 관광

- 관광 안전 분석가 및 예

보관 (작성) (작성)

정치(법제도 및 정부 정책)

- 도시재생관련 관광콘

텐츠 평화관광

- 한류관광

- 평화관광해설가

- 한류관광기획가(작성) (작성)

기타 (작성) (작성)

19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2차 전문가 설문 조사

안녕하십니까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국책연구기관인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은 현재 「관광산업

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는 향후 2021~2025년 동안 우리나라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를 위

한 정책 대응방향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이에 본 조사는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에 대한 전망 및 대응방향에 대해 전문가 의견을 조사하고자 합니다

귀하의 응답결과는 통계법 제33조(비밀의 보호) 제34조(통계종사자 등의 의

무)에 따라 오직 연구 목적을 위해 이용됩니다 바쁘시겠지만 귀한 시간 내주시

어 답변 부탁드립니다 이 조사는 약 10분 정도 소요될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

문의처

회송방법

조사기관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김덕기 선임연구위원 한희정 연구원)

조사담당 한희정 연구원 ( 02-2669-8944 e-mail hjhankctirekr)

회송방법 이메일(hjhankctirekr)로 송부

설문에 응해주신 분께는 답례품을 보내드리고자 하오니 기재하여 주십시오

성명휴대폰 연락처

(모바일 상품권 발송)

소속기관 직위

195부록

관광산업 미래 유망 일자리 도출

다음은 제1차 전문가 설문 조사에서 도출된 관광산업 미래 유망일자리 후보군

입니다 각 일자리에 대해 귀하의 의견을 응답해 주시기 바랍니다

유망 분야 유망 일자리 후보군

5년 내 성장 가능성 일자리 발생 시기

낮음 harr 보통 harr 높음단기(3년 이내)

중기(4년-6년)

장기(7년

-10년)

맞춤형 관광 - 여행 컨셉 기획가(맞춤형 관광 컨설턴트)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해양관광 레저스포츠관광- 레포츠관광 전문 가이드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해양치유사 해양관광 전문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관광시민(관광객으로서의

역할 중요)- 관광운동전문가(지속가능성 관광시민관련 등)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관광 미디어 콘텐츠

(사진 영상)

- 관광 사진영상 작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관광콘텐츠크리에이터(여행작가 여행유튜버)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관광 콘텐츠 기획 제작 유통 전문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여행영상 편집 지도사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관광 콘텐츠 개발자 문화콘텐츠 전문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생활관광 - 생활관광 스토리텔러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아동- 아동 여행 콘텐츠 개발자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아동 여행 가이드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취약계층 관련 여행 - 여행복지사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지역 교류 관광 공감- 지역관광교류전문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관광인문학자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소그룹 여행 - 소규모 관광 가이드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소규모 단체여행 기획 및 인솔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캠핑 관광 - 캠핑관광 용품 대여업 운영자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지역 전문 관광

- 현지전문 맞춤 가이드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지역 관광 크리에이터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지역관광추진조직(DMO) 코디네이터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치유관광 웰니스 관광

의료관광

- 치유관광 운영자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농촌 치유관광 전문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의료관광 기획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농촌관광- 농촌관광 전문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교육농장 및 진로체험농장 전문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예술관광- 예술관광 기획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예술관광 가이드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산업관광 - 산업관광기획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역사관광- 역사관광기획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역사관광해설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19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유망 분야 유망 일자리 후보군

5년 내 성장 가능성 일자리 발생 시기

낮음 harr 보통 harr 높음단기(3년 이내)

중기(4년-6년)

장기(7년

-10년)

관광 플랫폼 OTA

공유경제시장 발전

- OTA 리스팅 전문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관광 플랫폼 코디네이터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관광 플랫폼 디자이너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관광 플랫폼 운영자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스마트 관광 - 스마트 관광 경험 디자이너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신 관광비즈니스 창출 - 관광창업 전문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실버관광 요양관광- 실버 여행 콘텐츠 개발자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실버 여행 가이드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나홀로 여행 - 나홀로 여행 컨설턴트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반려동물동반여행 - 반려동물여행 시설 운영자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교육여행- 교육(학습) 관광 기획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자유학기제 진로체험 전문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빅데이터 분석 및 개인화

- 관광 빅데이터 분석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관광 빅데이터 처리 엔지니어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관광 시스템 프로그램 전문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가상현실 드론

영상 이용 여행 콘텐츠- 가상현실 체험 콘텐츠 크리에이터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모빌리티 - 관광 교통 대여업자(전동킥보드 공유차량 등)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AI기반 로봇 활용 증가 - 관광 서비스 로봇 콘텐츠 개발자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관광 서비스 로봇 관리자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관광 어트랙션 구독

서비스 제공 - 관광 어트랙션 구독 기획가 및 운영자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생태친환경 관광- 생태관광 인솔자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숲 해설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여행 안전관리

- 숙박시설 방역전문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관광안전여행 인솔자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관광안전여행 컨설턴트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관광안전여행 기획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남북관광 평화관광- 북한관광기획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평화관광해설사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도시재생- 도시재생 관광기획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도시재생 관광해설가 스토리텔러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융복합 관광 한류관광 - 한류문화 관광 콘텐츠 기획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기타

- 관광 고용 컨설턴트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우주여행 기획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자원봉사여행 기획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관광법규 전문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197부록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방향

본 설문조사에서 제시하고 있는 대응 방향은 문헌연구 전문가자문 업계 간

담회 내부 업무협의 등을 거쳐 현재 검토 중인 방향(안)입니다 전문가 및 업계

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반영할 계획이오니 많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관광산업 미래 유망일자리 정책 대응 방향 및 대응 방안에 대해 응답해 주시기

바랍니다

정책 대응 방향정책 대응 필요성

정책 대응 방안 낮음 harr 보통 harr 높음

역량강화

관광 유망 분야 인력 양성(교육 훈련) ① ② ③ ④ ⑤

관광 종사자 역량 강화 ① ② ③ ④ ⑤

미래 일자리 국가자격제도화 ① ② ③ ④ ⑤

성장환경 조성

창업middot창직 활성화 ① ② ③ ④ ⑤

지역기반 관광 일자리 창출 ① ② ③ ④ ⑤

인프라 강화

인력수요공급 예측 강화 ① ② ③ ④ ⑤

관광 미래 일자리 협의체계 구축(관산학) ① ② ③ ④ ⑤

관광 미래 일자리 정보제공 활성화 ① ② ③ ④ ⑤

관광상품 인력 매칭 플랫폼 구축 ① ② ③ ④ ⑤

법 제도 개선

1인 기업 프리랜서 활동 지원 제도

마련① ② ③ ④ ⑤

기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19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귀하가 관광산업의 미래 관광일자리 창출과 관련하여 하시고 싶은 말씀이 있

으시면 자유롭게 기술해 주세요

설문에 응답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광산

업의

미래

일자

리 전

망과

대응

방향

」 전

문가

설문

조사

안녕

하십

니까

문화

체육

관광

부 산

하 국

책연

구기

관인

한국

문화

관광

연구

원은

현재

「관

광산

업의

미래

일자

리 전

망과

대응

방향

」을 수

행하

고 있

습니

본 연

구는

향후

202

1~20

25년

동안

우리

나라

관광

산업

의 미

래 일

자리

를 위

한 정

책 대

응방

향을

제시

하고

자 합

니다

에 본

조사

는 관

광산

업 일

자리

전망

및 대

응방

향에

대해

전문

가 의

견을

조사

하고

자 합

니다

귀하

의 응

답결

과는

통계

법 제

33조

(비밀

의 보

호) 제

34조

(통계

종사

자 등

의 의

무)에

따라

오직

연구

목적

을 위

해 이

용됩

니다

시겠

지만

한 시

간 내

주시

어 답

변 부

탁드

립니

이 조

사는

약 5

분 정

도 소

요될

예정

입니

감사

합니

문의

조사

기관

국문

화관

광연

구원

(김

덕기

선임

연구

위원

희정

연구

원)

사담

한희

정 연

구원

(

02-

2669

-89

44 e

-m

ail

hjha

nkc

tir

ekr

)

문에

응해

주신

분께

는 답

례품

을 보

내드

리고

자 하

오니

기재

하여

주십

시오

성명

휴대

폰 연

락처

(모바

일 상

품권

발송

)

소속

기관

직위

199부록

광산

업 종

사자

전망

광산

업 종

사자

수 관

련 증

감에

대해

귀하

의 의

견과

가장

가까

운 의

견을

표기

부탁

드립

니다

lt종사

자 증

감 정

도 작

성 예

시gt

+ 2

0

-

20

로 작

성 부

탁드

립니

(아래

에 제

시된

종사

자 수

(lsquo14

년-rsquo1

8년 자

료)와

코로

나 1

9로 인

한 관

광시

장 변

화도

참조

부탁

드립

니다

)

(세

계 관

광시

장)lsquo20

년 상

반기

국제

여행

수요

의 감

소로

해외

입국

자 4

억 4

천만

명 감

약 4

600

억 달

러의

수출

수익

감소

(UN

WTO

)

-

국제

관광

측면

에서

rsquo19

년 수

준으

로 회

복하

는 데

는 2

~4년

이 걸

릴 것

으로

전망

[2020년

국제

관광

객 전

망]

[2019년

대비

국제

관광

객 수

변화

]

자료

U

NW

TO(2

020)

W

orld

Tou

rism

Bar

omet

er

18(5

)

(국

내 관

광시

장 전

망)

코로

나19

의 전

세계

적 유

행으

로 국

가별

입국

금지

조치

공편

대복

감소

회적

거리

두기

실시

등 국

내관

광 시

장회

복 더

딜 예

[방한

외래

관광

객 현

황]

[2020년

주요

관광

지점

입장

객 현

황]

자료

국문

화관

광연

구원

로나

19 이

후 6

개월

화middot관

광분

야 영

문화

관광

인사

이트

20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lt주요

변화

키워

드 예

시gt

화의

주요

요인

의 예

시는

다음

과 같

습니

예시

는 참

고사

항일

주요

변화

요인

을 자

유롭

게 기

술 부

탁드

립니

구분

주요

변화

키워

드 예

시구

분주

요 변

화 키

워드

예시

관광

렌드

변화

-가

치지

향 여

행 소

비(소

확행

심비

트렌

드 확

산)

경험

소비

-관

광시

민(관

광객

으로

서의

역할

중요

)

-밀

레니

얼 세

대와

Z세

대 부

상(관

광 정

보 S

NS 공

유)

-일

상에

서 만

나는

비일

상여

행(생

활여

한달

살기

) 근

거리

여행

-누

구나

즐기

는 여

행(생

애주

기 여

무장

애 여

행 등

)

-소

규모

중심

의 여

행 활

성화

-국

내 여

행 소

비 확

-특

수목

적관

광 또

는 특

별관

심관

광의

활성

-플

랫폼

비즈

니스

유경

글로

벌 O

TA의

발전

과 확

-스

마트

기술

기반

의 관

광활

동 증

비대

면 관

광 서

비스

확산

-모

바일

과 여

행 플

랫폼

비즈

니스

의 진

사회

-고

령화

및 대

규모

은퇴

자 증

-가

족 형

태의

다양

화(1

인가

반려

동물

동반

가구

문화

)

기술

-4차

산업

혁명

관련

기술

가속

화 및

활용

증가

-기

술 도

입으

로 인

한 무

인화

동화

확산

-구

독 경

제 활

성화

(정기

배송

탈진

화형

모델

등)

생태

환경

-친

환경

관심

증가

재생

에너

지middot친

환경

교통

수단

활용

증가

-재

난 증

전염

병 확

산(코

로나

19)

등에

따른

안전

관리

기관

리관

심 증

정치

-남

북교

류 활

성화

D

MZ

관광

-도

시재

생 사

혁신

정책

처별

융복

합 사

업 확

구분

종사

자 수

(명)

종사

자 증

감 정

도(향

후 5

년간

화)

변화

의 주

요 요

인14년

15년

16년

17년

18년

연평

균증

감5년

작성

예시

( + 1

0 또

는-10

)

자동

무인

여행

일반

여행

(국내

middot외여

행업

포함

)48

371

531

6160

730

737

8369

055

93

428

(

)

국외

여행

업10

551

130

2515

517

165

6315

868

107

50

4

( )

국내

여행

업10

478

183

7122

173

168

6314

154

78

351

(

)

관광

숙박

관광

호텔

업49

782

496

1749

896

500

3548

415

-0

7-2

7

( )

기타

호텔

업3

107

346

44

196

463

25

857

172

88

5

( )

휴양

콘도

미니

엄업

145

7617

224

195

3817

102

156

541

87

4(

)

201부록

구분

종사

자 수

(명)

종사

자 증

감 정

도(향

후 5

년간

화)

변화

의 주

요 요

인14년

15년

16년

17년

18년

연평

균증

감5년

작성

예시

( 10

)

무인

및 자

동화

구구

조 변

관광

이용

시설

전문

및 종

합휴

양업

874

85

494

609

88

076

745

3-3

9

-14

8(

)

일반

야영

장업

- 

350

46

456

115

449

088

374

15

94

( )

자동

차야

영장

업98

31

232

175

72

307

255

927

0

160

3(

)

관광

유람

선업

707

568

403

568

680

-10

-3

8(

)

관광

공연

장업

232

268

8983

70-25

9

-69

8(

)

외국

인관

광 도

시민

박업

--

262

02

957

330

512

3

261

(

)

한옥

체험

업2

395

250

72

772

277

63

334

86

392

(

)

국제

회의

국제

회의

시설

업93

548

862

272

268

1-7

6

-27

2(

)

국제

회의

기획

업16

395

146

4311

974

114

448

419

-15

4

-48

6(

)

카지

노업

893

19

418

911

57

033

733

0-4

8

-17

9(

)

유원

시설

종합

및 일

반유

원시

설업

(안전

성검

사 대

상업

종)

253

2624

061

210

8918

477

157

49-11

2

-37

8(

)

기타

유원

시설

(안전

성검

사 미

대상

업종

)1

489

239

26

637

769

29

286

580

52

36

( )

관광

편의

시설

관광

유흥

음식

점업

103

712

718

417

311

4-42

4

-89

0(

)

관광

극장

유흥

업4

486

299

92

686

365

93

179

-83

-2

91

( )

국인

전용

유흥

음식

점업

253

62

565

191

71

929

162

7-10

5

-35

8(

)

관광

식당

업24

113

151

5916

846

169

8820

306

-42

-1

58

( )

관광

순환

버스

업67

177

098

510

7799

110

2

477

(

)

관광

사진

업93

7710

658

45-16

6

-51

6(

)

여객

자동

차터

미널

시설

업15

618

6062

70-18

2

-55

1(

)

관광

펜션

업1

305

122

01

096

124

11

643

59

259

(

)

관광

궤도

업1

127

148

193

243

262

-30

6

-76

8(

)

관광

면세

업1

588

231

226

579

21

215

-65

-2

35

( )

20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광산

업 미

래 일

자리

대응

방향

음은

문헌

연구

문가

자문

계 간

담회

부 업

무협

의 등

을 거

쳐 현

재 검

토 중

인 5

년간

관광

분야

유망

일자

리입

니다

일자

리에

서 필

요한

정책

대응

방안

에 대

한 의

견을

부탁

드립

니다

문가

및 업

계의

다양

한 의

견을

수렴

하여

반할

계획

이오

많은

의견

부탁

드립

니다

lt일자

리 대

응 방

향 예

시gt

량 강

예비

인력

양성

광 종

사자

역량

강화

장 환

경 조

관련

분야

창업

직 활

성화

역기

반 일

자리

창출

지원

학연

연계

실습

프로

그램

프라

강화

보제

공 활

성화

구분

유망

일자

리정

책 대

응 방

작성

예시

예비

인력

교육

및 훈

종사

자 역

량 강

일자

리 정

보제

공 등

빅데

이터

분석

관광

빅데

이터

분석

처리

엔지

니어

관광

시스

템 프

로그

램 전

문가

관광

미디

어 콘

텐츠

(사진

상)

관광

콘텐

츠크

리에

이터

(여행

작가

행유

튜버

)

관광

콘텐

츠 기

제작

통 전

문가

관광

플랫

폼관

광 플

랫폼

디자

이너

관광

플랫

폼 코

디네

이터

영자

OTA

리스

팅 전

문가

관광

모빌

리티

관광

교통

대여

업자

(개인

전동

이동

수단

유차

량 등

)

지역

전문

관광

지역

관광

추진

조직

(DM

O)

코디

네이

지역

관광

크리

에이

실버

여행

실버

여행

콘텐

츠 개

발자

실버

여행

가이

드소

그룹

여행

규모

관광

가이

반려

동물

동반

여행

반려

동물

여행

시설

운영

자스

몰럭

셔리

관광

여행

컨셉

기획

가(맞

춤형

관광

컨설

턴트

)

여행

안전

관리

숙박

시설

방역

전문

203부록

하가

관광

산업

의 미

래 관

광일

자리

창출

과 관

련하

여 하

시고

싶은

말씀

이 있

으시

면 자

유롭

게 기

술해

주세

문에

응답

해 주

셔서

감사

합니

20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집필내역

연구책임

한희정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원 제1장 제2장 일부분 제3-5장 연구총괄

공동연구

김덕기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제1장 제3장 제4장

박가열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위원 제2장 제 2절 환경변화

원고자문

오미숙 순천향대학교 교수 제2장 제 3절 일본 일자리 정책

윤아영 경희대학교 객원교수 제2장 제 3절 호주 일자리 정책

전재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선임연구위원 제2장 제 3절 국내 일자리 정책

최환석 University of Guelph 교수 제2장 제 3절 북미 일자리 정책

황주영 부산대학교 연구교수 제2장 제 3절 영국 일자리 정책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발행인 김 대 관

발행처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서울시 강서구 금낭화로 154

전화 02-2669-9800 팩스 02-2669-9880

httpwwwkctirekr

인쇄일 2020년 12월 18일

발행일 2020년 12월 18일

인쇄인 (사)한국장애인이워크협회 일자리사업장

I S B N 978-89-6035-839-3 93300

DOI httpsdoiorg1016937kctirep2020e30

연구개요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iii연구개요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는 현재 선도적인 경제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최근

제조업의 부진 서비스업과 중소기업의 생산성 정체 코로나19로 인한 사회

적middot경제적 위기 등에서 일자리 창출 및 고용 유지가 어려운 상황에 있음

- 일자리 창출은 지속적 성장을 도모함과 동시에 모든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의

바탕임 또한 일자리 창출은 사회안전망 강화와 선진 국가로의 도약을 위

한 중요 과제로 여겨지고 있음

한편 관광 트렌드의 변화 기술발전 미디어 플랫폼 환경 변화 온디맨드 경제

활성화 코로나19의 전 세계적 확산 등에 따라 관광산업을 둘러싼 환경 변화

가 시작되고 있음 이러한 관광산업 환경과 노동의 변화로 관광산업의 일자리

변화가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 WTO의 G20 오사카 지도자 선언에서는 관광산업의 세계 경제 성장의 중

요성을 기반으로 지속가능한 관광발전을 비롯해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

한 노력을 강조하고 있음

관광산업은 경제 활력 제고와 일자리 창출 효과가 높은 산업으로 인지되고 있

으며 관광산업 경쟁력도 미래 일자리와 필수불가결한 관계이므로 미래 일자

리 대응 전략이 필요함

- 미래 일자리는 산업 경쟁력의 기반이며 새로운 직업과 일자리는 일자리 문

제 극복을 위한 방법 중의 하나로 고려되기 때문에 새로운 직업과 일자리를

발굴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을 지속하고 있음

특히 관광산업은 인적 서비스를 바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미래 일자리는 관광

산업 내 혁신의 원동력이며 경쟁력 강화의 주요 수단이 됨 이에 관광산업 규모의

성장과 동시에 관광산업 발전 지속을 위해 미래 일자리에 대한 정책 수립이 요구됨

이에 본 연구는 관광산업 일자리를 둘러싼 환경변화를 분석하고 관광산업 미

래 일자리 유망분야를 도출하여 대응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음

iv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12 연구 범위 및 방법

가 연구 범위

본 연구는 일자리와 관련한 거시환경 변화 분석을 토대로 향후 5년간 미래

일자리 유망 분야 도출 및 정책 대응방향 제시에 목적을 두고 있음 또한 본

연구에서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는 lsquo향후 5년 내에 관광 및 연관 산업에서

생계를 꾸려 나갈 수 있는 수단으로서의 유망 직업rsquo으로 정의함

본 연구는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분석 관광산업에서의

미래 일자리 유망 분야 도출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제시를 내용적

범위로 포함함

나 연구 방법

본 연구는 관련 통계 자료 문헌 및 사례 분석 전문가 의견 조사 자문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함

2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21 관광산업 일자리 현황 및 특성

가 관광산업 일자리 현황

관광산업 인력은 공급과 수요 측면에서 볼 때 관광 및 타 분야와 관련된 정규

비정규 교육기관 및 자격제도를 통해 관광산업에 입직하고 있음

관광사업체는 2009년 이후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관

광종사원 추이도 관광사업체 종사자수 추세를 반 하듯 증가를 보이다 2018

년 하락한 것으로 나타남 관광사업체 1개소 평균 종사자는 2009년 132명에

서 2018년 80명으로 감소함

v연구개요

관광산업 업종별 고용 규모를 살펴보면 관광사업체 전체 종사자 수는 2009년

이래로 연평균 증가율이 52로 나타났으며 최근 5년간 관광사업체 종사자

수의 연평균 증가율에서 국제회의업 카지노업 관광편의시설업이 각각 -149

-48 -46로 나타남

나 관광산업 일자리 특성

1) 일반적 특성

(임시 및 일용직의 높은 비중) 관광사업체 종사자 수의 157가 임시 및 일용

근로자로 나타났으며 업종 중 유원시설업과 관광객이용시설업이 비중이 높음

(숙박업의 낮은 월평균 임금) 2020년 6월 기준 스포츠 및 오락과 숙박업의

임금 총액은 전체 산업과 문화체육관광산업의 임금 총액보다 낮게 나타남

(최근 신규 채용자 감소와 이직자 수의 중가) 관광사업체의 신규 채용자 수는

2016년 증가세를 보이다가 2018년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며 이직자 수는

2016년 이후 3만 명 이상인 것으로 나타남

(일자리 증감의 높은 비율) 숙박 및 음식점업은 신규 일자리 비율이 20이며

일자리 증감에 있어서 가장 높게 나타남

2) 관광관련 직업군 현황 및 특성

① 코로나19 후 관광 직종 종사자의 구인과 채용의 감소

관광분야와 관련해서 여행 서비스 오락시설 관련 종사자는 구인인원과 채용

인원 채용인원 계획에 있어서 2019년 상반기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② 2년 미만 경력 종사자의 미충원 발생

여행 서비스 숙박시설 서비스 오락시설 서비스 관련 미충원인원에서 대부분

2년 미만의 현장경력을 보유한 인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남 특히 여행 서비

스에서 2020년 상반기의 미충원인원은 코로나19의 여파로 크게 감소한 것으

로 나타남

vi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다 관광 일자리의 변화

관광분야 일자리는 자동화 세분화 및 특화 업무 단위의 노동계약 증가 가치

사슬의 변화 등을 통해 그 양상이 변화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 특히 기술 발전과 사회 전반에서의 기술 활용 증가에 따라 관광 업무 시

AI 빅데이터 등 기술 활용 비율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이러한 변화에 따라 관광산업에서는 데이터 분석 AI 활용 등의 기술 분야

와 판매 및 마케팅 상품 관리 브랜드 관리 등과 관련한 분야에서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반면 무인화 및 자동화로 회계 재고 관리

등의 분야는 기술로 대체될 가능성이 높아 관련 일자리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본 연구에서 실시한 향후 5년 내 관광사업체 세부업종별 일자리 전망에 대한

전문가 의견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음

- 증가가 예상되는 업종은 자동차야 장업 일반야 장업 기타유원시설업

관광순환버스업 관광펜션업 한옥체험업으로 나타났고 감소가 전망되는

업종은 여행업(일반여행업 국외여행업) 유원시설업(종합 및 일반유원시설

업) 카지노업 국제회의업 관광편의시설업(관광면세업 관광식당업 등)

관광객이용시설업(관광유람선업) 관광호텔업으로 나타남

- 증가의 원인은 코로나19로 인한 자연공간 선호 국내여행 및 지역관광 활성

화 등이며 감소의 향 요인은 코로나19로 인한 단체관광 감소 외국인 관

광객 감소 자동화 및 무인화 관광객 수요 감소 등으로 나타남

또한 관광상품과 서비스 유통이 플랫폼 기반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관광자원

도 관광의 역에서 일상의 역으로 확대되고 있음 이에 따라 관광산업 관

련 일자리도 기존 관광사업체 외에 새로운 관광 비즈니스 사업체가 출현함

vii연구개요

22 미래 일자리 환경

본 연구는 미래 일자리 환경 변화와 미래 이슈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종합

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일자리 환경 변화의 결과 요인인 경제적 요인을 제외한

사회 기술 생태 환경 및 정치(정책) 및 제도적 요인과 더불어 관광환경 요인

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음

구분 내용

사회환경 변화

- (인구구조) 세계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우리나라는 향후 50년 동안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특히 우리나라는 생산연령인구의 지속적인 감소와 고령 인구비중의 증가가 전망됨

- (여가 시간 변화) 2016년 이래로 증가하고 있으며 일을 우선시하는 사회에서 워라밸을 중

요하시는 사회로 변화하고 있음

기술환경 변화

- (해외) 최근 미래유망기술은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로봇공학 3D 프린팅 가상현실 사이버

보안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 자율주행 운송 수단으로 나타남

- (국내) 실용성에 중심을 둔 에너지 스마트 3D 지능형 자동 차세대 정보 고효율 실시

간 환경 등이 중요한 미래유망기술로 나타남

생태환경 변화

-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 코로나 바이러스의 영향으로 전세계 실업자가 증가하고 있

으며 이에 따라 관광산업을 비롯해 기업과 경제 전체에 부정적인 영향이 클 것으로 전망되

고 있음

- (기후 변화) 지구온난화로 대표되는 기후변화는 생태계의 지속 가능한 생존과 일상생활은

물론이고 우리들의 관광과 문화와 관련된 직업 활동에도 도전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음

정치middot제도

환경 변화

-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에 따른 개인 여가 시간 증가 및 장기 휴가

분위기 정착이 예상됨

- (도시재생 뉴딜 사업) 관광분야에서는 구도심이 보유한 역사 근대건축물 시장 골목 폐공

장 창고 등이 새로운 공간으로 가치를 재창출하고 있음

- (남북 관계 변화 등) 2018년 2월 북한의 평창 동계올림픽 참가를 계기로 긍정적 분위기가

조성되었으나 북한의 미사일 발사시험 대북전단 살포 문제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등

남북관계 경색이 지속되고 있음

일자리 환경

변화

- (코로나19 이전) 개인 직업관의 변화 일자리의 양극화 1인 기업의 증가 유연한 업무환경

등의 변화가 예상됨

- (코로나19 이후) 이동이 제한되면서 재택근무제 유연근무제는 확산되고 있으며 코로나19

여파로 노동시장의 위축이 장기화되고 있음

관광환경 변화

- (관광시장) 밀레니얼 Z세대 뉴시니어 등 다양한 세대가 트렌드 변화를 주도하고 방한 인바

운드 시장의 다양화와 세분화가 전망됨

- (관광산업) 플랫폼 비즈니스 AI 관광 관광공유경제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비즈니스의

성장이 전망됨

- (관광자원) 기존 관광지가 아닌 지역주민의 일상 공간으로의 관광객 수용가 증대되고 있음

- (코로나19로 인한 영향) 국내 여행 수요 및 관광안전 인식 증가 온라인 전환 가속화 및

관광인력 배치의 재정비 등의 변화가 나타남

lt표 1gt 미래 일자리 환경 변화

viii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23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가 국내 정책 동향

국내 미래 일자리 창출 정책은 ① 인구구조 변화 대응 ② 디지털 전환 대응

③ 코로나19 이후 새로운 패러다임 대응으로 구분지어 살펴볼 수 있음

구분 내용

인구구조 변화 대응

- 고령자 일자리 재취업 창업 농어촌 귀한 사회공헌 등

- 여성 일자리 출산 및 육아 일자리 양성평등 재취업 기반 확대 등

- 청년과 중장년 근로자 일자리 질 개선 생산성 향상

디지털 전환 대응

- 기존 일자리 유지 주력산업 중심 제조업 변혁(스마트화 신산업 주력산업

산업생태계 개편 정부 역할 강화(투자 혁신 지원)

- 신산업 일자리 25개 분야 100대 핵심 기술개발 투자

- 인적자원 역량 강화 교육훈련 기회 혁신선도 산업수요 대응

코로나19 이후

새로운 패러다임 대응

- 디지털 뉴딜 DNA(Data-Network-AI) 생태계 강화 교육인프라 디지털

전환 비대면 산업 육성 사회간접자본(SOC) 디지털화

- 그린 뉴딜 도시middot공간middot생활 인프라 녹색 전환 저탄소middot분산형 에니지 확산

녹색산업 혁신생태계 구축

-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middot사회안전망 확충 디지털middot그린 인재양성 등 사람투자

lt표 2gt 국내 미래 일자리 창출 정책

문화체육관광부의 관광 일자리 정책은 주로 예비 종사자와 종사원 역량 강화

에 초점을 두고 추진 중임

- 미래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관광사업 창업지원 및 벤처 육성 지원을 추진

하고 있으며 최근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관광업계 피해가 증가함에 따

라 문화체육관광부는 관광산업의 지역소비 여력 확충과 더불어 고용 유지

지원을 위해서 고용 유지 지원금 지원 요건을 완화하여 시행하고 있음

구분 내용

고용유지지원금 - 코로나19 피해기업에 대한 고용유지지원금 지원요건 완화 시행(129일~)

교육지원

- 재정비 기간 중 관광업계 종사원 교육 지원 추진

lsquo찾아가는 호텔교육(rsquo20년 신규 100개소)rsquo lsquo마이스전문가 양성 교육(300명)rsquo

lsquo유원시설 안전관리자 교육(100명)rsquo 등 조기추진(3월~)

자료 관계부처합동(20200217) 코로나19 대응 관광middot외식업 긴급 지원방안

lt표 3gt 코로나19 대응 관광산업 고용유지지원 정책

ix연구개요

나 해외 정책 동향

주요국은 관광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책으로 지역 인재 양성 관련 지원 직무

및 자격제도 현장 실습 강화 등을 추진하고 있음

미래 일자리와 관련해서는 미래 인력과 관련된 정보 제공 디지털 융합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 디지털 전환 교육 등과 관련된 정책을 추진 중임

구분 내용

일본

- 지역고용창출과 관련한 사업 추진(예 지역활성화고용창조 프로젝트)

- 지역제안형 고용창조촉진사업 가이드나 서비스 인력 등의 인력양성 및 연수 등 추진

- 중점분야고용창조사업 가이드 관광객 편의서비스 지원인력 관광안내인력 관광자원 정보수

집인력 등 지원

미국

- 미래세대 인력 및 노동시장 정보시스템 개발 관광산업 정보 수집

- 견습 프로그램 예산 증액

- 인력혁신 및 기회의 법 효과 증진

- 인력양성프로그램 평가방법 개발

- 직무능력 역량 모델 개발

캐나다

- 관광목적지 고용 프로그램

- 미래 기슬 프레임워크 도출(관광의 현재 및 미래기술 정의)

- 스마트 인증제(기준 강화를 통한 프로그램 질 개선)

- emerit 교육 프로그램 연구 설계 및 테스트

- 캐나다 여행 관광 아카데미(교육자 및 업계 파트너의 지원 및 지도)

- 레디투워크(Ready to work) 프로그램(현장 교육 강화)

- 환대 서비스 종사자 훈련 센터 운영

- 산업촉진 프로젝트 실행(디지털 융합 인력 양성 및 역량 강화 등)

호주

- 관광사업체 연계한 교육 훈련 고용 성과 등 개선 프로그램 운영

- 운영자 지원 프로그램(무료 안내서 성공사례 인적자원 관리 기타 지원 안내서) 제공

- 코로나19 이후 관광산업을 비롯한 전 산업을 대상으로 기업 및 개인근로자를 위한 지원금 제공

영국

- 견습생 제도

- 사전 인터뷰 시행 지원

- 취업 캠페인 멘토링 프로그램

- 직장 내 교육 프로그램

- 디지털 전환 정책 실시

- 새로운 자격제도 시행

lt표 4gt 관광 일자리 창출 관련 해외 정책

x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24 시사점

가 일자리의 전문화 및 세분화

우리 사회는 4차 산업혁명 저출산 및 고령화와 같은 기술 사회경제적 변화에

직면해 있으며 이에 따라 일자리 일하는 방식이 변화함

관광산업에서도 기술 기반의 사업체가 증가하고 있으며 타 분야의 융합을 통

한 일자리의 증가 관광객 수요의 다양화로 기존 관광 일자리의 전문화 및 세

분화가 나타남

나 관광산업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

4차 산업혁명으로 명명되는 시대적 전환은 기존 일자리 신산업 일자리 인적

자원 역량의 관점에서 변화를 가속화함

관광 분야에서도 AI 빅데이터 플랫폼 등의 활용이 점차 증가되고 있으며 키오

스크 등의 무인화 서비스로 인해 관련 분야의 일자리가 감소될 것으로 전망됨

디지털 전환은 국내 및 해외 일자리 정책에 있어서 중요하게 고려되며 우리나

라를 비롯한 호주 일본 국 미국 등은 기존 관광인력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

하고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고 관광과 기술이 융합된 분야의 일자리 창출을

지원하는 정책을 추진함

다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인한 관광산업 일자리 변화 발생

코로나19의 확산으로 국가 간 이동이 제한되어 관광사업체 운 과 관광산업

종사자 수에 부정적으로 향을 미침

코로나19 확산 이후 관광객이 붐비지 않는 야외 공간이 선호되고 있으며 무

인화 및 자동화 온라인 회의 진행 등 관광산업의 비대면 기술 활용이 증대됨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이 우리나라를 비롯해 추진되고 있음 우리나

라는 한국판 뉴딜 정책을 발표하고 관광산업의 고용 유지를 위해 고용유지지

원금 관광업계 종사원의 교육 지원 등 추진하고 있으며 호주는 급여 보조금

형태의 일자리 정책 추진 중임

xi연구개요

3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31 개요

선행연구 및 국내middot외 관광 트렌드 정책 자료 등을 분석하여 향후 5년간 발전

가능성이 있는 미래 일자리를 유망 분야별로 구분하고 연구진 관광 및 일자리

분야 전문가 의견 조사를 통해 유망 일자리 후보군을 도출하고 이 중 미래 유

망 관광일자리 분야를 제시함

32 관광 유망 분야와 일자리

본 연구에서 도출된 유망 일자리 분야는 다음과 같은 직무 및 역량이 필요할

것이며 디지털 융합 분야 관광 수요의 다양화에 따른 특화 및 세분화 분야

코로나 19로 인한 소규모 여행 및 여행 안전 인식 증가로 인한 분야로 구분될

수 있음

- 기술 융합으로 관광 빅데이터 분석 관광 미디어 콘텐츠 관광 플랫폼 관광

모빌리티 분야의 일자리가 유망할 것으로 전망됨

- 관광수요의 다양화로 인해 지역 전문 관광 반려동물여행 맞춤형 관광 실

버여행 등 특화 및 세분화 분야가 유망할 것으로 나타남

-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소규모 여행을 선호하고 안전에 대한 인식 제고로

인한 안전관광 분야가 유망할 것으로 나타남

유망 분야 유망 일자리 직무 및 역량

관광 빅데이터

분석

- 관광 빅데이터 분석가

처리 엔지니어

- 관광 시스템 프로그램 전문가

- 직무 관광 데이터 설계 개선 관광 관련 수집데이터

활용가능한 형태로 처리 및 분석

- 역량 관광산업 및 관광정보 이해력 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능력

관광 미디어

콘텐츠

(사진 영상)

- 관광콘텐츠크리에이터(여행

작가 여행유튜버)

- 관광 콘텐츠 기획middot제작middot유통

전문가

- 직무 관광 미디어 콘텐츠 제작 편집 관광지 홍보 등

- 역량 콘텐츠 제작 편집 기획 역량

lt표 5gt 관광 유망 분야와 일자리

xii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4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본 연구는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대응을 위해서 ① 디지털 융합 관광인력 육성

② 특화분야 관광인력 양성 기반 구축 ③ 코로나19 대응 일자리 창출 ④ 관광

미래 일자리 성장 환경 조성으로 설정하고 이를 위한 세부 정책 방향을 제시함

유망 분야 유망 일자리 직무 및 역량

관광 플랫폼

- 관광 플랫폼 디자이너

- 관광 플랫폼 코디네이터

운영자

- OTA 리스팅 전문가

- 직무 관광 플랫폼 관련 기획 개발 운영

- 역량 관광 정보 수집 및 적용 능력 매체 활용 능력

관광 플랫폼 기획력

관광 모빌리티- 관광 교통 대여업자(개인

전동 이동수단 공유차량 등)

- 직무 관광 모빌리티 수단 대여 관광지 안내 통역

서비스 제공

- 역량 언어 지역정보 제공 및 안내

지역 전문 관광

- 지역관광추진조직(DMO)

코디네이터

- 지역 관광 크리에이터

- 직무 지역과 지역민 사이 중간지원 지역 관광 콘텐츠

기획 및 제작 홍보 등

- 역량 콘텐츠 기획 역량 조정능력 리더십 친화력

반려동물동반여행 - 반려동물여행시설운영자

- 직무 반려동물여행 시설 및 서비스 제공 반려동물

여행 상품 판매 반려동물 시설 관리 등

- 역량 반려동물 및 반려동물 관련 여행에 대한 정보

이해력 대인관계능력 등

맞춤형 관광- 여행 컨셉 기획가(맞춤형

관광 컨설턴트)

- 직무 맞춤형 여행상품 상품의 기획 개발 상담업무

수행 상품화

- 역량 기획력 통찰력과 분석력 서비스 정신 친화력

소그룹 여행 - 소규모 관광 가이드

- 직무 소규모 단체 여행 상품의 기획 개발 상담업무

수행 상품화

- 역량 기획력 통찰력과 분석력 서비스 정신 친화력

여행 안전관리

- 숙박시설 방역전문가 여행지

안전관리자 익스트림 여행

안전관리자

- 직무 방역 및 소독 위험방지 사고 사례 개선 종사자

안전교육 및 훈련 등

- 역량 안전과 보안 지식 사고 처리 능력

실버여행- 실버 여행 콘텐츠 개발자

- 실버 여행 가이드

- 직무 실버여행 상품의 기획 개발 상담업무 수행

상품화

- 역량 기획력 통찰력과 분석력 서비스 정신 친화력

xiii연구개요

[그림 1]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관광산업에 있어서 디지털 역량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적 요소가 되기 때문에

정부는 디지털 분야에 대한 예비 인력 교육 기존 관광인력의 발전 가능성이

큰 디지털 융합 분야에 대한 교육 및 훈련 등을 수행할 기반을 마련해야 함

미래 관광산업 일자리를 위해서는 특화 분야의 관광인력 양성과 코로나19에

대응하는 일자리 창출을 위한 노력이 필요함

미래 관광산업 일자리가 확산되기 위해서는 미래 일자리에 대한 통계와 정보

제공 및 인력 수급 현황의 정기적 분석 등이 필요함

xv목차

목차

제1장 서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3

1 연구 배경 3

2 연구 목적 5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6

1 연구 범위 6

2 연구 방법 7

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9

제1절 관광산업 일자리 현황 및 특성 11

1 관광산업 일자리 현황 11

2 관광산업 일자리 특성 16

3 시사점 30

제2절 미래 일자리 환경 32

1 환경 분석 개요 32

2 환경 변화 33

3 시사점 52

제3절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54

1 개요 54

2 국내 정책 사례 54

3 해외 정책 사례 70

4 시사점 104

제4절 시사점 107

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1

제1절 개요 113

xvi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제2절 미래 관광 일자리 후보군 도출 114

1 환경 이슈 및 유망 분야 114

2 미래 관광 유망 일자리 후보군 117

3 미래 유망 관광 일자리 선정 결과 125

제3절 관광 유망 분야와 일자리 126

1 관광 빅데이터 분석 126

2 관광 미디어 콘텐츠 130

3 관광 플랫폼 134

4 관광 모빌리티 139

5 지역 전문 관광 141

6 반려동물동반여행 143

7 맞춤형 관광 145

8 소그룹 여행 146

9 여행 안전관리 147

10 실버 여행 149

제4절 시사점 152

제4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55

제1절 기본방향 157

제2절 정책 대응 방향 159

1 디지털 융합 관광인력 육성 159

2 특화 분야 관광인력 양성의 기반 구축 162

3 코로나19 대응 일자리 창출 167

4 관광 미래 일자리 성장환경 조성 169

제5장 결론 및 정책 제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73

참고문헌 177

ABSTRACT 187

부록 189

【부록1】 전문가 의견 조사지 191

xvii목차

표 목차

〈표 2-1〉 관광사업체 수 종사자 수 12

〈표 2-2〉 관광사업체 종사자 수(2009년-2018년) 14

〈표 2-3〉 관광사업체 1개소 평균 종사자 수(2009년-2018년) 15

〈표 2-4〉 관광사업체 고용형태별 종사자 수 16

〈표 2-5〉 최근 3년간 관광사업체 고용형태별 종사자 비율 16

〈표 2-6〉 고용형태별 종사자 수 17

〈표 2-7〉 월평균 근로실태 17

〈표 2-8〉 관광사업체 신규 채용자 수 및 이직자 추이 18

lt표 2-9gt 일자리 규모 상위 10대 산업의 일자리 증감 19

lt표 2-10gt 관광middot레저분야의 국가직무능력표준 20

〈표 2-11〉 직종별 사업체 인원 현황 21

〈표 2-12〉 기업 규모별 여행 서비스 관련 종사자 24

〈표 2-13〉 기업 규모별 숙박시설 서비스 관련 종사자 25

〈표 2-14〉 기업 규모별 오락시설 서비스 관련 종사자 26

〈표 2-15〉 직능 수준별 미충원 인원 27

lt표 2-16gt 관광 세부업종별 향후 5년 내 일자리 전망 29

〈표 2-17〉 여가활용 활동(복수응답) 35

lt표 2-18gt 사회-과학 주요 10대 이슈 39

lt표 2-19gt 주요 국가 검진건수 및 확진률 비교(0518 00시 기준) 40

lt표 2-20gt 전지구 및 한반도 연평균 CO2 농도 비교 43

lt표 2-21gt 미래 직업 변화 45

lt표 2-22gt 2020~2024 관광 트렌드 48

lt표 2-23gt 코로나19 이후의 변화 51

lt표 2-24gt 미래 일자리 환경 변화 52

lt표 2-25gt 일자리 정책 5년 로드맵 완료 현황 56

lt표 2-26gt 문재인 정부 후반기 일자리 정책 100대 과제 57

lt표 2-27gt 문재인 정부 후반기 일자리 정책 신규과제 59

xviii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lt표 2-28gt 문재인 정부 후반기 일자리 정책 보완 과제 60

lt표 2-29gt 정부의 투자전략 대상 산업 분야 65

lt표 2-30gt 한국판 뉴딜의 투자계획 및 기대 일자리 창출 효과 66

lt표 2-31gt 2018~2020년 일자리 관련 관광산업정책 68

lt표 2-32gt 코로나19 대응 관광산업 고용유지지원 정책 69

lt표 2-33gt 일자리 창출을 위한 문화체육관광부 주요사업 69

lt표 2-34gt 고이즈미 내각의 연도별 고용창출 관련 정책추진 내용 71

lt표 2-35gt 고이즈미 정권의 고용창출 정책의 특징 72

lt표 2-36gt 민주당 내각의 고용창출 관련 정책추진 내용 73

lt표 2-37gt 아베정권의 고용정책 및 성장전략의 변화 추이 74

lt표 2-38gt 아베정권의 지방창생전략 상의 고용창출 관련 내용 75

lt표 2-39gt 후생노동성 추진 고용창출사업 내의 관광분야 포함 건 수 76

lt표 2-40gt 2005년 지역제안형고용창조촉진사업에 선정된 관광분야 고용창출사업 주요 내용 77

lt표 2-41gt 2010년 중점분야고용창조사업(관광분야) 주요 내용 78

lt표 2-42gt 미국 노동부 고용 훈련 주요 프로그램 및 예산 81

lt표 2-43gt 미국 여행 및 관광 자문위원회의 주요 고용창출 정책 제안 83

lt표 2-44gt 미국 내 주요 온라인 기업 일자리 창출사례 84

lt표 2-45gt 캐나다 인력관광공사의 주요 프로그램 88

lt표 2-46gt 미래기술센터의 주요 프로젝트 90

lt표 2-47gt 호주 G20 고용 계획의 세부내용 91

lt표 2-48gt 비즈니스 기업 및 개인 근로자 지원방안 95

lt표 2-49gt 뉴딜(New Deal) 프로그램 98

lt표 2-50gt 영국 정부의 일자리 창출 법 및 제도 개선 관련 주요 정책 100

lt표 2-51gt 영국 정부의 미래 일자리 주요 정책 103

lt표 2-52gt 국내 미래 일자리 창출 정책 105

lt표 2-53gt 관광 일자리 창출 관련 해외 정책 106

lt표 3-1gt 전문가 의견 조사 개요 113

lt표 3-2gt 미래 환경 변화 주요 키워드 114

lt표 3-3gt 관광산업 주요 유망 일자리 유망 분야 116

lt표 3-4gt 관광산업 주요 유망 일자리 후보군 117

lt표 3-5gt 관광산업 주요 유망 일자리 후보군 성장가능성 조사 결과 120

lt표 3-6gt 성장가능성 기준 상위 25개 관광산업 주요 유망 일자리 122

lt표 3-7gt 미래 관광 유망 일자리 124

xix목차

lt표 3-8gt 미래 관광 분야의 유망 일자리와 주요 연관 환경 변화 125

lt표 3-9gt 빅데이터 분류 127

lt표 3-10gt 관광 빅데이터 활용 사례 128

lt표 3-11gt 관광 빅데이터 분석 분야 129

lt표 3-12gt 관광 미디어 콘텐츠 크리에이터 분야 133

lt표 3-13gt 상업적 디지털 플랫폼의 거래 대상과 유형 135

lt표 3-14gt 디지털 플랫폼 노동의 유형 137

lt표 3-15gt 관광 플랫폼 분야 138

lt표 3-16gt 관광 모빌리티 분야 140

lt표 3-17gt 지역 전문 관광 분야 142

lt표 3-18gt 반려동물여행 관련 분야 144

lt표 3-19gt 맞춤형 관광 관련 분야 146

lt표 3-20gt 소그룹 여행 관련 분야 147

lt표 3-21gt 여행 안전관리 일자리 분야 149

lt표 3-22gt 실버여행 관련 분야 151

xx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그림 목차

[그림 1-1] 연구 수행체계 8

[그림 2-1] 관광산업 인력의 공급 및 수요 11

[그림 2-2] 관광사업체 및 종사자 수 추이(2009년-2018년) 13

[그림 2-3] 관광사업체 1개소 평균 종사자 수 추이(2009년-2018년) 13

[그림 2-4] 최근 5년간 관광사업체 종사자 수 연평균 증가율 14

[그림 2-5] 최근 5년간 관광사업체 종사자 수 연평균 증가율 15

[그림 2-6] 일자리 형태별 분포 19

[그림 2-7] 여행 서비스 숙박시설 서비스 종사자의 구인 채용 미충원 인원 및

미충원율 추이 22

[그림 2-8] 오락시설 서비스 종사자의 구인 채용 미충원 인원 및 미충원율 추이 23

[그림 2-9] 채용인원 계획추이 23

[그림 2-10] 관광 분야 업무에서의 기술 활용 전망 28

[그림 2-11] 세계와 한국의 인구 추이 34

[그림 2-12] 세계와 한국의 생산연령인구(좌) 및 고령인구(우) 구성비 추이 34

[그림 2-13] 국민 여가시간 추이(좌)와 일과 가정생활의 우선도(우) 35

[그림 2-14] 해외 주요 연구기관이 발표한 지난 10년간 미래기술 동향 37

[그림 2-15] 국내 주요 연구기관이 발표한 2010년 전(좌)후(우) 미래유망기술 변화 38

[그림 2-16] 해외 주요 연구기관이 발표한 2010년 전(좌)후(우) 미래유망기술 변화 38

[그림 2-17] 광역시도 별 COVID-19 확진자 분포 41

[그림 2-18] 직업별 코로나 바이러스 위험 점수 41

[그림 2-19] 1854년~2019년 전지구 기온편차 및 2025년까지 전망치 42

[그림 2-20] 유연근무제 지원신청 추이 46

[그림 2-21] 항공 여행 관광산업에서의 주요 기술 활용률 49

[그림 2-22] 관광 환대 및 이벤트 산업 역량 모델 86

[그림 2-23] 식음료 서비스 산업 역량 모델 86

[그림 2-24] 2024년까지 산업별 고용률 변화 예측 92

[그림 2-25] 향후 5년간 주요 산업별 일자리 창출 비율 93

xxi목차

[그림 2-26] 미래 일자리 환경 및 정책사례 시사점 109

[그림 3-1] 2022년 유망 기술 비율 전망 126

[그림 3-2] 데이터 산업 시장 규모 127

[그림 3-3] 2022년 유망 기술 비율 전망 130

[그림 3-4] 유튜브 여행 관련 시청자 수(2018년) 131

[그림 3-5] 1인 미디어 동영상 생태계를 중심으로 하는 MCN 비즈니스 생태계 132

[그림 3-6] 플랫폼 관련 글로벌 기업 134

[그림 3-7] 아시아 온라인 예약 채널 136

[그림 3-8] 플랫폼의 3가지 행위자 137

[그림 3-9] 스마트 모빌리티의 개념도 139

[그림 3-10] 2013-2017년 국민여행경험률 및 이동총량 141

[그림 3-11] 반려동물 보유 가구 비중 및 반려동물 시장 규모 143

[그림 3-12] 안전 여행 가이드 중 사업주 가이드 148

[그림 3-13] 65세 이상 고령자의 여가활동(2017년) 150

[그림 3-14] 미래 관광 유망 분야 152

[그림 4-1]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158

서론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제1장

3제1장 서론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연구 배경

우리나라는 과거 산업화시대를 추격하는 경제를 넘어 선도적인 경제 기반을 구축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1997년 말 IMF 외환위기와 2007년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경제성장률 둔화와 자동화 등으로 고용률은 하락 추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에는 제조업의 부진 및 서비스업과 중소기업의 생산성 정체와 더불어 코로나

19(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COVID-19)로 인한 사회적middot경제적 위기 등으로 전

산업에서 일자리 창출은 물론 고용 유지도 어려운 상황에 놓여있다

일자리 창출은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함과 동시에 모든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의 바

탕이다 또한 일자리 창출은 사회안전망 강화와 선진 국가로의 도약을 위한 중요한

과제로 여겨지고 있다 특히 문재인 정부의 일자리 정책은 기본적으로 사람 중심의

혁신과 포용에 바탕을 두는 성장을 지향하여 인적자원개발과 지속가능발전 기반을

연계하는 일자리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인적자원개발은 그 정책의 효과가 나타나

기까지 일정시간이 소요되는 장기적 관점의 접근이 요구된다

한편 기술의 발전과 환경 변화는 관광산업을 비롯한 전 산업에서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다 관광 트렌드의 변화 기술발전 미디어 플랫폼 환경 변화 온디맨드 경제

활성화 코로나19 전 세계적 확산 등에 따라 관광산업을 둘러싼 환경 변화가 시작

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특히 일자리의 변화를 야기하고 있다 세계경제포럼은 「일자리의

미래(The Future of Job)」에서 기술 진보로 인해 2020년까지 719만개의 일자리

가 소멸하고 신규 일자리가 200만개 발생할 것이라 예측하고 있다(WEF 2018)

이처럼 관광산업 환경과 노동의 변화로 관광산업의 일자리도 변화가 가속화될 것으

로 예상되고 있다

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이에 따라 WTO의 G20 오사카 지도자 선언은 관광산업의 세계 경제 성장의 중

요성을 기반으로 지속가능한 관광발전을 비롯해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노력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UNWTO 2019) 문재인 정부에서도 고용 없는 저성장

높은 청년실업률 노동시장 격차 확대 등에서의 일자리 문제 심각성을 인지하고 일

자리 정책을 국정 우수과제로 추진하고 있다

관광산업은 경제 활력 제고와 일자리 창출 효과가 높은 산업으로 인지되고 있으

며 2019년 확대국가관광전략회의 「대한민국 관광 혁신전략」에서는 2022년 관광

산업 일자리 96만 명 창출 달성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한편 최근 2020년 6월 고용노동부에서는 신기술 분야 직무 수행을 위해 새롭게

개발된 20개의 국가직무능력표준을 고시하 다 새롭게 개발 및 고시된 국가직무능

력표준에는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융합기술의 확산 비대면 산업의 활성화 등에 대

응하는 스마트시티 스마트제조 바이오 그린에너지 지능형 네트워크 구축 데이

터산업 인공지능 정보보호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 분야의 클라우드 플랫폼 구축

수소연료전지제조 스마트공장 시스템설치 등의 직무가 포함되었다

미래 일자리는 산업 경쟁력의 기반이며 새로운 직업과 일자리는 일자리 문제 극

복을 위한 해결책이다 이를 위해 정부에서는 새로운 직업과 일자리를 발굴하고 있

다 「서비스산업 혁신 전략(20190626)」은 신규직종 육성(장애인middot반려동물 동반

여행코디네이터 전통시장 해설가 관광 스토리텔러 등) 등을 제시하고 있다

관광산업 경쟁력도 미래 일자리와 필수불가결한 관계이므로 미래 일자리 대응 전

략이 필요하다 특히 관광산업은 인적 서비스를 바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미래

일자리는 관광산업 내 혁신의 원동력이며 경쟁력 강화의 주요 수단이 된다 그리고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는 관광 노동시장 진입 인력들의 새로운 역량뿐만 아니라

현재 관광종사원들의 역량 변화 및 강화의 필요성을 제시하기 때문에 관광산업의

원동력 및 경쟁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관광산업 규모의 성장과 동시에

관광산업 발전 지속을 위한 미래 일자리에 대한 정책 수립이 요구된다

5제1장 서론

2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산업 일자리를 둘러싼 환경변화를 분석하고 관광산업 미

래 일자리 유망 분야를 도출하여 대응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연구

목적을 다음과 같이 수립하 다

첫째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유망 분야와 대응 방향 도출을 위해서 사회middot기술middot환

경middot정치적 환경 및 일자리 관광 소비자와 관광산업 환경 변화를 검토하고 국내외

일자리와 미래 일자리를 위한 정책 대응 사례를 검토하고자 한다

둘째 환경변화 분석을 기반으로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유망 분야를 도출하고자

한다

셋째 이러한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유망 분야를 바탕으로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

리와 관련한 정책적 대응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산업 일자리를 둘러싼 환경변화를 분석하고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유망분야를

도출하여 미래 일자리를 위한 대응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음

① 사회middot기술middot생태middot일자리middot관광 환경변화와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검토

②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유망 분야 도출

③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를 위한 정책적 대응 방향 제시

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1 연구 범위

가 시간적 범위

본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 다 일반적으로 미래 일자리는 5

년(예 WEF 2018) 10년(예 미래창조과학부 미래준비위원회 외 2017)의 시간적

주기를 전제로 분석된다 환경의 변화가 가속화 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일자

리와 관련한 거시환경 변화 분석을 토대로 향후 5년간 미래 일자리 전망을 도출하

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 대상적 범위

본 연구에서 대상적 범위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 다 관광산업에서의 미래 일자

리 유형은 전통적 관광사업의 역뿐만 아니라 타 분야와의 융합 새로운 역(플랫

폼 등)에서의 시간제 근로 파견 근로 프리랜서 등의 형태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

기 때문에 통계청에서 제시한 정의의 범위보다 광범위한 정의가 필요하다

일자리(Filled Job Position)의 사전적 정의는 ldquo생계를 꾸려 나갈 수 있는 수단으로

서의 직업(표준국어대사전)rdquo이며 통계청에서는 ldquo기업체(사업체)에서 임금middot비임금근로

활동을 하는 근로자가 lsquo점유한 고용위치(filled employment position)rsquordquo로 정의된다

즉 일자리는 특정 개인의 자격 능력 적성과 어떤 과업(task)의 수행에 대한 요구가

결합한 결과로 개인이 자신의 능력과 노력을 기울여 보상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의미

한다 그리고 일자리에 비해 직업(occupation)은 사회적 분화의 결과 유사한 일자리들

을 묶어 분류한 결과로 본다 일자리의 자격과 수행하는 업무의 특성에 따른 사회적 평

가와 유사한 일자리를 가진 사람들의 동류의식이 직업을 사회적 집단으로 만들게 된다

7제1장 서론

이에 본 연구에서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는 lsquo향후 5년 내에 관광 및 연관 산업에

서 생계를 꾸려 나갈 수 있는 수단으로서의 유망 분야의 일자리rsquo로 정의하고자 한다

다 내용적 범위

본 연구에서 내용적 범위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는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해서 본 연구는 기존 자료를 토대로 관광산업 일자리 현황을 분석하고 사회middot기

술middot정치 환경 관광트렌드 및 일자리 환경 변화요인을 도출하여 관광산업 일자리

환경 변화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 다 또한 본 연구는 미래 일자리 환경과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를 종합 분석하여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유망 분야를 도출하 다

두 번째로 본 연구는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유망 분야의 도출을 포함한다 본 연

구는 기존 자료를 통해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변화와 미래 일자리 유망분야를 전문

가 의견조사로 우선순위를 분석하고 미래 일자리 유망 분야 후보군을 도출하 다

도출된 후보군을 토대로 미래 유망 일자리와 미래 성장 가능성을 도출하고 미래

일자리 유망 분야를 선정하 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제시를 내용적 범위로 포

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선정된 미래 유망 일자리 분야를 바탕으로 정책 방향

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2 연구 방법

본 연구의 수행과정은 [그림 1-1]과 같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아래

와 같이 수행되었다

가 관련 통계 자료 및 문헌 분석

본 연구는 국내외 관광산업 일자리 및 타 분야 일자리 보고서 일자리 통계 등을

파악하고 진단한다

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나 사례 분석

본 연구는 국내외 일자리 관련 정책 대응 사례와 관광분야 신규 창출 일자리 관련

국내외 사례를 분석한다

다 전문가 의견 조사

본 연구는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변화 유망분야 도출 미래 유망 일자리 성장

가능성을 조사한다

라 인터뷰 및 자문

본 연구는 일자리 연구자 관광산업 전문가 등 관련 전문가 대상 인터뷰 및 자문

을 통해 미래 유망 일자리 도출과 대응 방향을 설정하고자 한다

단계 주요 내용 연구 방법

[1단계]

연구 틀

구성

제Ⅰ장 서 론

연구 배경 및 목적 연구 범위 및 방법-

[2단계]

조사

분석

제Ⅱ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관광산업 일자리 현황 및 특성

미래 일자리 환경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문헌연구

전문가 자문회의

사례조사

전문가 의견조사

[3단계]

미래

일자리

전망

제Ⅲ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유망 분야 도출 및 전망

미래 관광 일자리 후보군 도출

관광 유망 분야와 일자리

전문가의견조사

(12단계)

전문가 자문회의

[4단계]

정책 방향

도출

제Ⅳ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정책 대응 방향전문가 자문 등

제Ⅴ장 결론 및 정책 제언

[그림 1-1] 연구 수행체계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제2장

11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제1절 관광산업 일자리 현황 및 특성

1 관광산업 일자리 현황

「관광진흥법」에서 관광종사자는 제2장 제7절 관광종사원에서 규정하고 있다 구체

적으로 제38조(관광종사원의 자격 등) 제 39조(교육) 제40조(자격취소 등)는 관광종

사원의 자격 교육 지원에 대한 근거 자격의 정지 및 취소 등에 대해 규정하고 있다

이 진흥법에 규정된 관광사업체를 기준으로 관광산업 인력은 아래 그림과 같이

관광 및 타 분야와 관련된 정규비정규 교육기관 및 자격제도를 통해 관광산업에

입직하고 있다

[그림 2-1] 관광산업 인력의 공급 및 수요

자료 김덕기middot한희정(2018)

1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관광인력의 수요자는 관광사업체이며 관광인력의 공급은 크게 관광분야와 타 분

야의 입직자로 구분된다 관광분야 입직자는 관광관련 특성화 고등학교 관광관련

전문 대학교 및 대학교 등 정규교육기관 공공교육기관(한국관광공사 협회 등)과

사설교육기관(직업전문학교 등)의 비정규 교육기관에서 교육을 받은 자이다 그리

고 타 분야는 관광에서 필요한 어문 상경 등의 전공자가 일반적이다 이와 더불어

관광통역안내사 국내여행안내서 호텔경 사 컨벤션 기획사 국외여행인솔자 등

의 국가공인 및 민간 자격을 획득한 사람이 관광분야에 입직하고 있다

11 고용 규모

먼저 본 연구는 관광산업의 일자리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2018년 기준 관광사

업체 수는 33452개로 나타났으며 관광사업체 종사자 수는 총 267만명이며 여행

업(99만명)과 관광숙박업(69만명)이 전체의 632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또한 관광사업체 1개소 당 평균 종사자 수는 2018년 기준 8명으로 나타났다

(단위 개소 명)

구분관광사업체 수 종사자 수 1개소당 평균종사자 수

2016 2017 2018 2016 2017 2018 2016 2017 2018

전체 27696 33089 33452 261978 280270 267561 95 85 80

여행업 16605 19944 19039 98421 107209 99077 59 54 52

관광숙박업 1716 1843 2110 73631 71769 69926 429 389 331

관광객이용시설업 3168 3963 4323 17421 25535 23154 55 64 54

국제회의업 700 890 886 12596 12166 9100 180 137 103

카지노업 17 17 17 9115 7033 7330 5362 4137 4312

유원시설업 1782 2548 3000 23683 27561 26189 133 108 87

관광편의시설업 3708 3884 4077 27110 28998 32785 73 75 80

자료 문화체육관광부 각 년도 관광사업체기초통계조사

〈표 2-1〉 관광사업체 수 종사자 수

13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가 전체 고용 규모 추이

구체적으로 2000년 이후 관광사업체 종사자 수 추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관광사업체는 2009년 이후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관광종

사원 추이도 관광사업체 종사자수 추세를 반 하듯 증가를 보이다 2018년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2-2] 관광사업체 및 종사자 수 추이(2009년-2018년)

자료 문화체육관광부 각 년도 관광사업체기초통계조사

이러한 관광사업체의 종사자 수 감소는 관광사업체 1개소 평균 종사자 수의 하락

에서 그 원인을 찾아볼 수 있다 관광사업체 1개소 평균 종사자는 2009년 132명

에서 2018년 80명으로 감소하 다

[그림 2-3] 관광사업체 1개소 평균 종사자 수 추이(2009년-2018년)

자료 문화체육관광부 각 년도 관광사업체기초통계조사

1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나 업종별 고용 규모 추이

관광산업 업종별 고용 규모를 살펴보면 관광사업체 전체 종사자 수는 2009년 이래

로 연평균 증가율이 52로 나타났다 여행업은 2009년 약 47만명에서 2018년 99

만명으로 연평균 86의 증가를 보 으며 관광숙박업은 2009년 약 57만명에서

2018년 70만명으로 연평균 24 증가세를 보 다 관광사업체 종사자 수의 연평균

증가율이 가장 큰 업종은 관광객이용시설업과 유원시설업으로 각각 117 102 증

가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관광사업체 종사자 수의 연평균 증가율에서

국제회의업 카지노업 관광편의시설업이 각각 ndash149 -48 -46로 나타났다

(단위 만 명)

구분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연평균증가율

(09-18년)

연평균증가율

(14-18년)

전체 169 186 205 230 227 230 236 262 283 268 52 38

여행업 47 50 59 70 71 69 85 98 107 99 86 93

관광숙박업 57 60 63 71 64 67 70 74 72 70 24 09관광객

이용시설업09 10 10 12 14 11 11 17 26 23 117 214

국제회의업 09 11 13 14 14 17 15 13 14 09 05 -149

카지노업 06 07 07 07 08 09 09 09 07 07 19 -48

유원시설업 11 12 13 14 14 17 17 24 28 26 102 114관광편의

시설업31 37 37 42 42 40 28 27 29 33 06 -46

자료 문화체육관광부 각 년도 관광사업체기초통계조사

〈표 2-2〉 관광사업체 종사자 수(2009년-2018년)

[그림 2-4] 최근 5년간 관광사업체 종사자 수 연평균 증가율

자료 문화체육관광부 각 년도 관광사업체기초통계조사

15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관광사업체 1개소 평균 종사자 수는 2009년 이래로 연평균 증가율이 ndash54로 나

타났으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ndash79로 나타났다 여행업은 2009년 1개소

평균 55명에서 2018년 52명으로 연평균증가율이 ndash06로 나타났으며 관광숙박

업은 2009년 약 670명에서 2018년 331만명으로 연평균 75의 하락세를 보

다 최근 5년간 관광사업체 종사자 수의 연평균 증가율이 가장 작은 업종은 관광객

이용시설업 유원시설업 국제회의업 각각 ndash358 -258 -204로 나타났다

(단위 만 명)

구분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연평균증가율(09-18년)

연평균증가율(14-18년)

전체 132 131 127 121 123 111 99 95 85 80 -54 -79

여행업 55 54 55 56 60 54 58 59 54 52 -06 -09

관광숙박업 670 674 682 660 595 528 468 429 389 331 -75 -110

관광객

이용시설업368 326 323 337 351 318 91 55 64 54 -192 -358

국제회의업 284 304 318 280 277 256 244 180 137 103 -107 -204

카지노업 3631 4264 4327 4366 5283 5254 5540 5362 4137 4312 19 -48

유원시설업 395 381 367 370 403 287 162 133 108 87 -155 -258

관광편의

시설업123 117 116 100 96 79 57 73 75 80 -47 03

자료 문화체육관광부 각 년도 관광사업체기초통계조사

〈표 2-3〉 관광사업체 1개소 평균 종사자 수(2009년-2018년)

[그림 2-5] 최근 5년간 관광사업체 종사자 수 연평균 증가율

자료 문화체육관광부 각 년도 관광사업체기초통계조사

1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2 관광산업 일자리 특성

21 고용 형태 및 근로실태

가 임시 및 일용직의 높은 비중

관광사업체의 종사자 고용형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2018년 기준 전체 종사

자 수의 157인 42만명이 임시 및 일용근로자로 나타났으며 유원시설업(473)

과 관광객이용시설업(281)에서 그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 명 )

구 분 전체 자영업자무급가족종사자

상용근로자

임시 및 일용근로자

기타종사자

전체267561 14939 5076 200606 41992 4947

(1000) (56) (19) (750) (157) (18)

여행업 99077 4729 953 84272 7178 1945

관광숙박업 69926 1140 396 58407 9658 325

관광객이용시설업 23154 3461 1571 11430 6507 186

국제회의업 9100 60 0 7037 1352 650

카지노업 7330 0 0 6963 367 0

유원시설업 26189 2180 546 10915 12397 151

관광편의시설업 32785 3370 1610 21583 4533 1689

자료 문화체육관광부(2019a) 2018년 기준 관광사업체기초통계조사

〈표 2-4〉 관광사업체 고용형태별 종사자 수

(단위 )

구분자영업자 상용근로자 임시 및 일용근로자

2016 2017 2018 2016 2017 2018 2016 2017 2018

전체 48 49 56 742 717 750 168 190 157

여행업 45 41 48 850 838 851 62 79 72

관광숙박업 12 14 16 779 778 835 183 183 138

관광객이용시설업 148 118 149 456 438 494 300 364 281

국제회의업 02 06 07 796 858 773 198 131 149

카지노업 00 00 00 955 942 950 45 58 50

유원시설업 52 73 83 450 395 417 472 503 473

관광편의시설업 121 115 103 594 560 658 182 224 138

자료 문화체육관광부 각 년도 관광사업체기초통계조사

〈표 2-5〉 최근 3년간 관광사업체 고용형태별 종사자 비율

17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2020년 7월 기준 스포츠 및 오락과 숙박업은 전체 종사자 중 임시 및 일용근로자

수의 비중이 각각 174 128로 전체 산업의 비중인 99보다 높게 나타났다

(단위 천명 )

구분전체 종사자 상용 임시 및 일용 기타

lsquo167월 lsquo187월 lsquo207월 lsquo167월 lsquo187월 lsquo207월 lsquo167월 lsquo187월 lsquo207월 lsquo167월 lsquo187월 lsquo207월

전체 산업166472 177948 184456 139370 148794 155007 17516 18258 18219 9586 10896 11230

1000 1000 1000 837 836 840 105 103 99 58 61 61

문화체육

관광산업

7955 8740 8795 6454 7007 75 1112 1159 815 389 574 63

1000 1000 1000 811 802 09 140 133 93 02 66 72

수상운송업183 193 183 172 188 174 08 04 07 03 02 02

1000 1000 1000 940 974 951 44 21 38 16 10 11

항공운송업302 338 230 296 335 228 05 03 02 00 00 00

1000 1000 1000 980 991 991 17 09 09 00 00 00

숙박업924 953 869 788 761 734 129 179 111 07 14 25

1000 1000 1000 853 799 845 140 188 128 08 15 29

스포츠 및 오락1855 2035 2059 1036 1143 1297 577 542 359 242 35 402

1000 1000 1000 558 562 630 311 266 174 130 172 195

자료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각년도 7월 기준 문화체육관광 고용동향

〈표 2-6〉 고용형태별 종사자 수

나 숙박업의 낮은 월평균 임금

2020년 6월 기준 스포츠 및 오락과 숙박업은 임금 총액이 각각 2716천원

2331천원으로 전체 산업(3351천원)과 문화체육관광산업(3645천원)의 임금 총액

보다 낮게 나타났다

(단위 일 시간 천원 )

구분근로일수 근로시간 임금총액

lsquo166월 lsquo186월 lsquo206월 lsquo166월 lsquo186월 lsquo206월 lsquo166월 lsquo186월 lsquo206월

전체 산업 207 191 206 1743 1593 1674 3296 3518 3351

문화체육관광 산업 205 188 196 1677 1541 1594 3609 3841 3645

수상운송업 214 196 215 1746 1621 1794 4013 4064 4423

항공운송업 198 179 105 1652 1493 861 6062 6314 3800

숙박업 208 199 185 1755 1645 1513 2412 2670 2331

스포츠 및 오락 199 188 207 1637 1547 1592 2540 2871 2716

자료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각년도 7월 기준 문화체육관광 고용동향

〈표 2-7〉 월평균 근로실태

1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2020년 6월 기준 전체 산업과 문화체육관광 산업의 근로일수는 2018년 동기 대

비 증가하 으나 항공운송업과 숙박업은 각각 105일 185일로 2016년의 179

일 199일에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코로나19로 인한 국가 간 이동 제한

으로 항공운송업은 2020년 6월 근무시간이 861시간으로 2016년 2018년 동기

대비 최저로 나타났다

22 신규 채용자 및 이직자 수 추이

관광사업체의 신규 채용자 수는 2016년 증가세를 보이다가 2018년 하락하는 추

세를 보이며 이직자 수는 2016년 이후 3만 명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 명)

구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연평균증가율

신규

채용자

전체 41088 49125 43738 38662 35640 40033 41571 39447 -06

여행업 8694 11031 11274 8337 10442 13314 15492 12434 52

관광숙박업 16443 18421 11748 12612 11934 13293 15235 14419 -19

관광객이용

시설업1486 2101 2823 1996 1669 1188 2038 1988 42

국제회의업 2181 3178 3336 3320 2380 2307 2336 1260 -75

카지노업 911 1077 1105 930 1144 753 775 853 -09

유원시설업 1217 1809 2315 2265 2514 2532 2318 2158 85

관광편의

시설업10156 11508 11137 9202 5557 6646 3377 6337 -65

이직자

전체 33898 37747 30168 32080 29879 34752 33302 34567 03

여행업 6792 8128 6520 6392 7772 10581 12721 10569 65

관광숙박업 12762 15249 9467 11276 11856 12269 12598 12893 01

관광객이용

시설업1535 1549 1471 1431 1304 1030 1188 1658 11

국제회의업 1703 2612 2713 2402 1990 1726 1653 1314 -36

카지노업 881 710 859 957 1210 990 884 897 03

유원시설업 1139 1657 1677 1637 1887 2281 1698 1536 44

관광편의

시설업9086 7842 7461 7985 3860 5874 2561 5702 -64

자료 문화체육관광부 각 년도 관광사업체기초통계조사

〈표 2-8〉 관광사업체 신규 채용자 수 및 이직자 추이

19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23 일자리 증감

일자리 행정통계에서 숙박 및 음식점업은 신규 일자리 비율이 20이며 일자리

증감에 있어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4만개 이상 증가) 기업생성과 소멸에서는 도

매 및 소매업 부동산업 다음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2-6] 일자리 형태별 분포

자료 통계청(20191205) 2018년 일자리행정통계 결과 p9

(단위 만개)

산업

신규일자리 소멸일자리일자리 증감(신규-소멸)계

기업생성

사업확장

계기업소멸

사업축소

전체 297 95 201 271 78 193 26

제조업 43 10 33 49 9 40 -6

도매 및 소매업 49 17 32 41 16 26 7

건설업 34 7 27 37 5 32 -3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21 5 16 17 3 13 4

사업시설관리 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 23 7 16 26 7 19 -3

숙박 및 음식점업 31 11 20 27 10 17 4

교육 서비스업 7 2 4 7 2 5 -1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복지행정 2 0 2 1 0 1 1

운수 및 창고업 12 4 7 12 6 6 -1

부동산업 25 16 9 18 11 7 7

자료 통계청(20191205) 2018년 일자리행정통계 결과 p10

lt표 2-9gt 일자리 규모 상위 10대 산업의 일자리 증감

일자리 창출과 소멸은 대부분 사업체의 생성과 소멸 기존 사업체의 확장과 축소

와 연관이 있다(윤윤규middot고 우 2009) 일반적으로 사업체 및 일자리를 둘러싼 환

2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경변화는 자원의 재배분 과정에서 새로운 사업의 출현과 소멸을 야기하고 그 과정

에서 일자리의 재배분이 이루어진다(홍현균 2004) 따라서 일자리의 창출과 소멸

에 있어서 환경변화에 대한 파악이 필요하다

24 관광관련 직업군 현황

우리나라는 산업현장의 직무 수행 시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 등의 내용을 체계

화하고 있으며 이를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이라 한다 국가직무능력표준에서 관광middot레저분야는 여행 서비스 숙박서비스 컨벤

션 관광레저서비스로 분류되며 관련 업종과 직업 관련자격은 아래 표와 같다

소분류 직무 관련업종 직업 관련자격

여행서비스

여행상품개발

여행사업 기타여행보조 및 예약서비스업

여행사무원관광통역안내사 국내여행안내사

여행상품상담

국내여행안내 여행 및 관광통역안내원해외여행안내

항공객실서비스 항공 운송지원 서비스업 항공기 객실승무원 -

숙박서비스

숙박기획middot개발관광호텔업

숙박시설서비스원

호텔경영사 호텔관리사 호텔서비스사

객실관리

부대시설관리기타호텔업

연회관리

접객서비스 휴양콘도미니엄업

컨벤션

회의기획국제회의기획업(PCO) 컨벤션센터 PCO사업

여행사 PCO사업

국제회의기획자(PCO) 컨벤션기획사 12급

브래드관리사경영지도사

CMP(해외자격증)전시기획

전시기획업(PEO) 컨벤션센터 PEO사업

전시장치업전시기획자(PEO)

이벤트기획 이벤트기획업 이벤트기획자

관광레저서비스

카지노기획개발 카지노업개발 카지노기획가 -

카지노운영관리 카지노업 카지노딜러 -

크루즈운영관리 크루즈 운영관리업 크루즈운영관리자

호텔경영사호텔서비스사호텔관리사

관광통역안내사국외여행인솔자

유원시설운영관리 유원시설업

운영관리자

(민간)조리사 조주기능사 (국가)건축사 토목사

조경사 설비사 안전관리사 위생사 환경관리사 영양사

리조트운영관리 -

자료 국가직무능력표준 홈페이지(httpsncsgokr)

lt표 2-10gt 관광middot레저분야의 국가직무능력표준

21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이러한 직업군에 따른 변화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본 연구는 고용노동부의 직종별

사업체노동력조사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1) 2020년 1분기 5인 이상 사업체의

구인인원과 채용인원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이 각각 ndash39 -18으로 나타났다

(단위 명 p)

구분 lsquo1712 lsquo1722 lsquo1812 lsquo1822 lsquo1912 lsquo1922 lsquo2012 전년 동기대비 증감률

현원 11597743 11706956 11801155 11909596 11931506 12018829 12302576 31

구인인원 850311 720850 833758 747623 824853 672671 793093 -39

채용인원 756667 636172 744028 664179 748389 598269 733997 -19미충원인원 93644 84678 89730 83444 76464 74402 59096 -227

부족인원 286036 279539 295851 268757 235190 241402 223126 -51

채용계획인원 307577 303380 313920 294383 251012 255867 238199 -51부족률 24 23 24 22 19 20 18 -

여행

서비스

관련

종사자

현원 26420 26259 24313 24883 24878 25960 13784 -446

구인인원 1616 1288 1602 1007 1449 1069 729 -497채용인원 1548 1233 1438 825 1183 1051 729 -384

미충원인원 68 55 164 182 266 18 0 -1000

부족인원 482 904 622 517 426 147 23 -946채용계획인원 497 919 836 528 426 194 23 -946

부족률 18 33 25 20 17 06 02 -

숙박

시설

서비스

관련

종사자

현원 10023 9825 10144 8540 8707 11387 11371 -55구인인원 1387 1308 1188 1359 895 1370 921 -501

채용인원 1024 1148 1000 1148 769 1071 895 -501

미충원인원 363 160 188 211 126 299 26 -부족인원 618 345 700 1047 597 1181 132 -1000

채용계획인원 669 342 852 1230 552 1257 160 -1000

부족률 58 34 65 109 64 94 11 -

오락

시설

서비스

관련

종사자

현원 7579 8903 7123 8211 6923 6887 7915 306

구인인원 1755 2329 2288 3334 2020 2672 724 29

채용인원 1747 2290 2265 3248 2014 2641 705 164미충원인원 8 39 23 86 6 31 19 -794

부족인원 330 504 481 1714 708 1544 252 -779

채용계획인원 768 595 488 1811 671 1756 1407 -710부족률 42 54 63 173 93 183 31 -

주 1) 5인 이상 사업체를 대상으로 함

2) 구인인원 대외적인 구인활동을 통하여 구인한 인원으로 채용인원을 위해 최초 모집공고 당시에 채용하려고 했던 인원

3) 채용인원 조사기준일 이전 3개월 사이에 최종적으로 채용하기로 확정했거나 채용한 인원

4) 미충원인원 구인인원에서 채용인원을 제한 인원

5) 부족인원 조사기준일 현재 채용여부나 채용계획과 무관하게 당해 사업체의 정상적인 경영과 생산시설의 가동 고

객의 주문에 대응하기 위하여 현재보다 더 필요한 인원

6) 채용계획인원 조사기준일로부터 향후 6개월 사이에 채용할 계획이 있는 인원

자료 고용노동부(2020) 2020년 직종별 사업체노동력조사

〈표 2-11〉 직종별 사업체 인원 현황

1) 단 본 조사는 5인 이상의 사업체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해석상 유의가 필요함

2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가 코로나19 후 관광 직종 종사자의 구인과 채용의 감소

관광분야와 관련해서 여행 서비스 숙박시설 오락시설 관련 종사자는 구인인원

과 채용인원에 있어서 2019년 상반기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인인원 측면에서 여행 서비스 관련 종사자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ndash497

-501 29로 증감률이 나타나 여행과 숙박시설 서비스 관련 종사자의 구인인원

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채용인원 측면에서도 2020년 상반기는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이 여행 서비스는 ndash384 숙박시설은 ndash501로 모두 하락하 다

[그림 2-7] 여행 서비스 숙박시설 서비스 종사자의 구인 채용 미충원 인원 및 미충원율 추이

주 5인 이상 사업체를 대상으로 함

자료 고용노동부(2020) 2020년 직종별 사업체노동력조사

23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그림 2-8] 오락시설 서비스 종사자의 구인 채용 미충원 인원 및 미충원율 추이

주 5인 이상 사업체를 대상으로 함

자료 고용노동부(2020) 2020년 직종별 사업체노동력조사

채용인원 계획에 있어서도 여행 서비스와 숙박시설 기업의 2020년 상반기 수치

는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19의 여파로 인

한 채용인원 계획이 급격히 줄어 든 것을 유추할 수 있다

[그림 2-9] 채용인원 계획추이

주 5인 이상 사업체를 대상으로 함

자료 고용노동부(2020) 2020년 직종별 사업체노동력조사

2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나 코로나19 후 300인 이상 여행 서비스 기업의 구인과 채용인원의 급격한 감소

여행 서비스 기업의 규모별로 살펴보면 300인 미만의 기업과 300인 이상의 기

업 모두에서 2020년 상반기 구인인원과 채용인원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300인 이상 기업의 종사자의 감소폭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300인 이상의 기업의 구인과 채용이 2019년 상반기 대비 큰 폭으로 감소함을

의미한다 또한 미충원 인원은 300인 미만과 300인 이상의 여행 서비스 관련 기업

모두 없으며 채용계획 인원 또한 2019년 상반기 하반기와 비교했을 때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 명 p)

구분 lsquo1712 lsquo1722 lsquo1812 lsquo1822 lsquo1912 lsquo1922 lsquo2012 전년 동기대비 증감률

여행

전규모

(5인

이상)

현원 26420 26259 24313 24883 24878 25960 13784 -446구인인원 1616 1288 1602 1007 1449 1069 729 -497

채용인원 1548 1233 1438 825 1183 1051 729 -384

미충원인원 68 55 164 182 266 18 0 -1000부족인원 482 904 622 517 426 147 23 -946

채용계획인원 497 919 836 528 426 194 23 -946

부족률 18 33 25 20 17 06 02 -

300인

미만

현원 22400 22244 21216 22059 21271 22739 10487 -507

구인인원 1495 1171 1388 962 1300 1038 682 -475

채용인원 1426 1117 1237 784 1045 1023 682 -347미충원인원 69 54 151 178 255 15 0 -1000

부족인원 480 816 605 450 413 142 22 -947

채용계획인원 495 816 819 461 413 190 22 -947부족률 21 35 28 20 19 06 02 -

300인

이상

현원 4020 4015 3097 2824 3607 3221 3297 -86

구인인원 122 117 214 46 149 31 47 -685채용인원 122 117 201 42 138 28 47 -659

미충원인원 0 0 13 4 11 3 0 -1000

부족인원 2 89 16 67 13 4 1 -923채용계획인원 2 103 16 67 13 4 1 -923

부족률 00 22 05 23 04 01 00 -주 1) 5인 이상 사업체를 대상으로 함

2) 구인인원 대외적인 구인활동을 통하여 구인한 인원으로 채용인원을 위해 최초 모집공고 당시에 채용하려고 했던 인원

3) 채용인원 조사기준일 이전 3개월 사이에 최종적으로 채용하기로 확정했거나 채용한 인원

4) 미충원인원 구인인원에서 채용인원을 제한 인원

5) 부족인원 조사기준일 현재 채용여부나 채용계획과 무관하게 당해 사업체의 정상적인 경영과 생산시설의 가동 고

객의 주문에 대응하기 위하여 현재보다 더 필요한 인원

6) 채용계획인원 조사기준일로부터 향후 6개월 사이에 채용할 계획이 있는 인원

7) 여행 서비스원은 여행상품개발자 여행사무원 여행 안내원 및 해설사가 포함됨(한국고용직업분류)

자료 고용노동부(2020) 2020년 직종별 사업체노동력조사

〈표 2-12〉 기업 규모별 여행 서비스 관련 종사자

25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숙박 서비스 기업의 규모별로 살펴보면 300인 미만 기업의 구인인원 증감률은

전년 동기 ndash117로 나타난 반면 300인 이상 기업의 구인인원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채용인원은 규모에 상관없이 모두 증가하 다 향후 채용계획 인원은 여

행 서비스 기업과 유사하게 2019년 상반기와 하반기 대비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 명 p)

구분 lsquo1712 lsquo1722 lsquo1812 lsquo1822 lsquo1912 lsquo1922 lsquo2012 전년 동기대비 증감률

숙박

전규모

(5인

이상)

현원 10023 9825 10144 8540 8707 11387 11371 306

구인인원 1387 1308 1188 1359 895 1370 921 29

채용인원 1024 1148 1000 1148 769 1071 895 164

미충원인원 363 160 188 211 126 299 26 -794

부족인원 618 345 700 1047 597 1181 132 -779

채용계획인원 669 342 852 1230 552 1257 160 -710

부족률 58 34 65 109 64 94 11 -

300인

미만

현원 6633 6583 7229 5038 5103 7940 7544 478

구인인원 978 861 684 797 377 1018 333 -117

채용인원 650 751 565 681 285 754 330 158

미충원인원 328 110 119 116 92 264 3 -967

부족인원 526 207 581 251 496 411 119 -760

채용계획인원 578 205 653 392 448 474 122 -728

부족률 73 3 74 47 89 49 16 -

300인

이상

현원 3390 3243 2915 3502 3604 3447 3826 62

구인인원 410 446 504 562 519 352 588 133

채용인원 374 397 435 468 483 317 565 170

미충원인원 36 49 69 94 36 35 23 -361

부족인원 92 138 120 796 101 771 13 -871

채용계획인원 91 138 198 838 104 783 38 -635

부족률 26 41 4 185 27 183 03 -

주 1) 5인 이상 사업체를 대상으로 함

2) 구인인원 대외적인 구인활동을 통하여 구인한 인원으로 채용인원을 위해 최초 모집공고 당시에 채용하려고 했던 인원

3) 채용인원 조사기준일 이전 3개월 사이에 최종적으로 채용하기로 확정했거나 채용한 인원

4) 미충원인원 구인인원에서 채용인원을 제한 인원

5) 부족인원 조사기준일 현재 채용여부나 채용계획과 무관하게 당해 사업체의 정상적인 경영과 생산시설의 가동

고객의 주문에 대응하기 위하여 현재보다 더 필요한 인원

6) 채용계획인원 조사기준일로부터 향후 6개월 사이에 채용할 계획이 있는 인원

7) 숙박시설 서비스원은 각종 숙박시설에서 고객에게 문을 열어주며 고객을 맞이하거나 고객의 짐을 운반해 주거나

시설안내 등 숙박관련 편의서비스를 제공하며 호텔 서비스원과 그 외 숙박시설 서비스원의 세세분류로 구성됨(한

국고용직업분류)

자료 고용노동부(2020) 2020년 직종별 사업체노동력조사

〈표 2-13〉 기업 규모별 숙박시설 서비스 관련 종사자

2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오락시설 서비스 기업의 규모별로 살펴보면 2020년 상반기 구인인원과 채용인

원은 300인 미만과 300인 이상의 기업 모두 전년 동기 대비 ndash60 이상 감소한 것

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충원 인원은 300인 미만과 300인 이상의 오락시설 서비스

관련 기업 모두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 명 p)

구분 lsquo1712 lsquo1722 lsquo1812 lsquo1822 lsquo1912 lsquo1922 lsquo2012 전년 동기대비 증감률

오락

전규모

(5인

이상)

현원 7579 8903 7123 8211 6923 6887 7915 143

구인인원 1755 2329 2288 3334 2020 2672 724 -642

채용인원 1747 2290 2265 3248 2014 2641 705 -650

미충원인원 8 39 23 86 6 31 19 2167

부족인원 330 504 481 1714 708 1544 252 -644

채용계획인원 768 595 488 1811 671 1756 1407 1097

부족률 42 54 63 173 93 183 31 -667

300인

미만

현원 3973 4940 4739 5696 4445 4933 6069 365

구인인원 716 1276 1696 1975 1555 1744 564 -637

채용인원 707 1249 1680 1897 1555 1715 546 -649

미충원인원 9 27 16 78 0 29 18 18

부족인원 260 183 215 236 238 166 165 -307

채용계획인원 260 183 223 264 201 378 1323 5582

부족률 61 36 43 4 51 33 26 -490

300인

이상

현원 3607 3963 2384 2515 2478 1954 1846 -255

구인인원 1040 1053 592 1359 465 928 159 -658

채용인원 1040 1041 584 1351 459 926 159 -654

미충원인원 0 12 8 8 6 2 0 -1000

부족인원 70 321 265 1478 470 1378 87 -815

채용계획인원 508 412 265 1547 471 1378 85 -820

부족률 19 75 10 37 159 414 45 -717

주 1) 5인 이상 사업체를 대상으로 함

2) 구인인원 대외적인 구인활동을 통하여 구인한 인원으로 채용인원을 위해 최초 모집공고 당시에 채용하려고 했던 인원

3) 채용인원 조사기준일 이전 3개월 사이에 최종적으로 채용하기로 확정했거나 채용한 인원

4) 미충원인원 구인인원에서 채용인원을 제한 인원

5) 부족인원 조사기준일 현재 채용여부나 채용계획과 무관하게 당해 사업체의 정상적인 경영과 생산시설의 가동 고

객의 주문에 대응하기 위하여 현재보다 더 필요한 인원

6) 채용계획인원 조사기준일로부터 향후 6개월 사이에 채용할 계획이 있는 인원

7) 오락시설 서비스원은 오락시설에 설치된 오락용 승차기구를 운전하거나 고객에게 운전방법을 알려주며 고객에게

각종 편의를 제공하며 유원시설 및 테마파크 종사원 노래방 종사원 그 외 오락시설 종사원의 세세분류로 구성됨

(한국고용직업분류)

자료 고용노동부(2020) 2020년 직종별 사업체노동력조사

〈표 2-14〉 기업 규모별 오락시설 서비스 관련 종사자

27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다 2년 미만 경력 종사자의 미충원 발생

여행 서비스 숙박시설 서비스 오락시설 서비스 관련 미충원인원을 살펴보면 대

부분 2년 미만의 현장경력을 보유한 인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행

서비스에서 2020년 상반기의 미충원인원은 코로나19의 여파로 크게 감소한 것으

로 나타났다

(단위 명 p)

구분 lsquo1712 lsquo1722 lsquo1812 lsquo1822 lsquo1912 lsquo1922 lsquo2012

전규모

직능1수준 26168 20970 22201 21763 14166 18153 10258

직능2-1수준 32683 32167 33358 29831 27302 24320 20383

직능2-2수준 14985 14516 14225 14593 15373 14851 12203

직능3수준 13084 12278 14922 13053 16034 14754 13054

직능4수준 720 628 1097 523 1360 1229 1431

여행

서비스

관련

종사자

직능1수준 0 0 11 17 165 0 0

직능2-1수준 2 40 32 117 16 14 0

직능2-2수준 59 12 61 5 61 3 0

직능3수준 7 2 59 43 24 0 0

직능4수준 0 0 0 0 0 0 0

숙박

시설

서비스

관련

종사자

직능1수준 136 31 106 77 28 49 3

직능2-1수준 139 63 66 84 87 205 19

직능2-2수준 88 57 17 28 6 45 4

직능3수준 0 8 0 15 0 0 0

직능4수준 0 0 0 0 0 0 0

오락

시설

서비스

관련

종사자

직능1수준 0 11 6 0 1 9 19

직능2-1수준 9 27 4 78 0 18 0

직능2-2수준 0 0 6 8 5 2 0

직능3수준 0 0 6 0 0 0 0

직능4수준 0 0 0 0 0 0 0

주 1) 미충원인원 구인인원에서 채용인원을 제한 인원

2) 1수준 경력 없어도 됨 자격증 취득 수준을 요하지 않음(중졸이하 수준의 업무)

3) 2-1수준 1년 미만의 현장경력 또는 국가기술자격법상의 기능사 수준(고졸수준의 업무)

4) 2-2수준 1년-2년 미만의 현장경력 또는 국가기술자격법상의 산업기사 수준(전문대졸 수준의 업무)

5) 3수준 2년-10년 미만의 현장경력 또는 국가기술자격법상의 기사 수준(대졸석사 수준의 업무)

6) 4수준 10년 이상의 현장경력 또는 국가기술자격법상의 기술사 수준(박사 수준의 업무)

자료 고용노동부(2020) 2020년 직종별 사업체노동력조사

〈표 2-15〉 직능 수준별 미충원 인원

2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25 관광 일자리의 변화

관광분야 일자리는 자동화 세부 및 특화 업무 단위의 노동계약 증가 가치사슬의

변화 등을 통해 그 양상이 변화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WEF 2018) 특히 기술

발전과 사회 전반에서의 기술 활용이 증가됨에 따라 관광 업무 시 AI 빅데이터

등 기술 활용 비율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WEF 2018)

[그림 2-10] 관광 분야 업무에서의 기술 활용 전망

자료 WEF(2018) The Future of Jobs Report 2018 p45

이러한 변화에 따라 관광산업에서는 데이터 분석 AI 활용 등의 기술 분야와 판매

및 마케팅 상품 관리 브랜드 관리 등과 관련한 분야에서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WEF 2018) 반면 무인화 및 자동화로 회계 재고 관리 등의 분야

는 기술로 대체될 가능성이 높아 관련 일자리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WEF

2018) 특히 lsquo여행상품개발 일자리rsquo lsquo여행상품 상담 일자리rsquo lsquo여행안내 일자리rsquo

lsquo숙박기획middot개발 일자리rsquo lsquo객실관리일자리rsquo lsquo부대시설관리 일자리rsquo lsquo카지노 운 관

리 일자리rsquo lsquo크루즈운 관리 일자리rsquo lsquo유원시설운 관리 일자리rsquo 는 5년 내 감소하

면서도 기술 향도를 크게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전효재middot한희정 2018)

즉 관광산업의 미래는 기술에 대한 향이 중요하기 때문에 이러한 기술을 다룰 수

있는 디지털 능력이 관광 종사자에게 요구될 것으로 전망된다(UNWTO 2019) 따라

서 디지털 기반의 관광기업 성장은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향후 5년 내 관광사업체의 세부업종별 일자리 전망은 다음과

같다 동 전망은 관광 전문가 25인(학계 업계 연구기관 등)의 의견을 종합하여 제

29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시하 다 증가가 예상되는 업종은 자동차야 장업 일반야 장업 기타유원시설업

관광순환버스업 관광펜션업 한옥체험업으로 나타났고 이는 코로나19로 인한 자

연공간 선호 야 장 수요 증대 국내여행 증대 지역관광 활성화 등의 향으로 나

타났다

구분 업종 주요 변화 요인

증가(15 이상)

관광객

이용시설업

자동차야영장업

일반야영장업

- 코로나19로 인한 자연공간 선호

- 야영장 수요 증대

- 국내 여행 증대 등

다소 증가(5 sim 15)

유원시설업 기타유원시설업- 개인 및 소규모 관광의 증가

- 지역업체 증가 등

관광 편의시설업

관광객 이용시설업

관광순환버스업 - 대중교통 기피 지역관광 활성화 등

관광펜션업

한옥체험업

- 코로나19로 인한 안전 인식 증대

- 국내 여행 증대 가족 여행 증대 등

유지(-5 sim 5)

관광

숙박업

휴양콘도미니엄업 - 소규모 관광의 증가

- 국내 여행 증대 및 여행 트렌드 변화

- 다양한 숙박형태 선호 등

기타호텔업

관광객

이용시설업

외국인관광 도시민박업

전문 및 종합휴양업 - 대규모 관광객의 감소

여행업 국내여행업 - 코로나19로 인한 국내여행 증대

다소 감소(-15 sim -5)

관광

편의시설업

관광식당업 - 단체관광 및 대규모 관광객의 감소

관광궤도업 - 자동화 및 무인화

관광숙박업 관광호텔업 - 자동화 및 무인화

관광객

이용시설업관광유람선업

- 코로나19 이후 대규모 관광객 감소

- 자동화 및 무인화

- 관광객 수요 감소 등

감소(-15 이상)

관광

편의시설업

관광사진업 - 기기의 발달 및 업종의 축소

관광공연장업

관광유흥음식점업

- 코로나19 이후 대규모 관광객 감소

- 관광객 수요 감소 등

외국인전용유흥음식점업

관광면세업- 코로나19로 외국인 관광객 감소

관광극장유흥업 - 단체관광 및 대규모 관광객의 감소

여객자동차터미널시설업 - 자가용 이용 증가 KTX 등 교통수단

발달 등

국제회의업국제회의기획업

국제회의시설업

- 비대면 회의 행사 증가

- 코로나19 이후 국제행사 감소

카지노업 - 코로나19로 외국인 관광객 감소

유원시설업 종합 및 일반유원시설업 - 대규모 관광객의 감소

여행업일반여행업 - 코로나19

- 자동화 및 무인화 OTA 활용 증대

- 개별여행 증가 등 국외여행업

lt표 2-16gt 관광 세부업종별 향후 5년 내 일자리 전망

3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감소가 전망되는 업종은 여행업(일반여행업 국외여행업) 유원시설업(종합 및 일

반유원시설업) 카지노업 국제회의업 관광편의시설업(관광면세업 관광식당업 관

광궤도업 관광사진업 관광공연장업 관광유흥음식점업 외국인전용유흥음식점업

관광극장유흥업 여객자동차터미널시설업) 관광객이용시설업(관광유람선업) 관광

호텔업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감소는 코로나19로 인한 단체관광 감소 외국인 관광

객 감소 자동화 및 무인화 관광객 수요 감소 등의 향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술의 발전으로 관광상품과 서비스의 유통이 플랫폼 기반으로 변화하고 있

으며 관광자원도 관광의 역에서 일상의 역으로 확대되고 있다(이원희 외

2019) 이에 따라 기존 관광진흥법에 규정된 관광사업체 외에 새로운 관광 비즈니

스 사업체 출현으로도 관광산업 관련 일자리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관광산업과

관광 연관 산업에서의 새롭게 창출 될 수 있는 일자리 분야 파악이 중요하며 이러

한 부분에서의 교육 훈련 및 정책 강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3 시사점

관광산업은 인적 자원에 기반을 둔 산업으로 일자리 창출에 있어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산업으로 인식되고 있다 관광산업은 외부 환경 변화에 민감한 산업이어

서 최근 기술 발전으로 인한 급격한 산업 변화와 유행성 전염병의 발생과 확산은

관광사업체의 운 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관광산업의 일자리 특성은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먼저 고용 형태에 있어서 관광산업은 임시 및 일용직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숙박업의 경우 타 산업 대비 월평균 임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근 신규

채용자 수는 감소하고 이직자 수는 상승하 다 기업생성과 소멸에서 숙박 및 음식

점업의 비중이 높으며 일자리 증감도 높았다

또한 코로나19의 확산은 관광산업의 일자리 감소와 관광산업 변화를 통한 관광

일자리의 변화를 야기하고 있다 관광 직종 종사자의 구인과 채용이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하 으며 채용 인원 계획 또한 큰 폭으로 감소하 다 그리고 여행 서비스 숙

박시설 서비스 오락시설 서비스 관련 미충원인원을 살펴봤을 때 대부분 2년 미만

31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의 현장경력을 보유한 인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행 서비스에서의

2020년 상반기 미충원인원은 코로나19의 여파로 감소폭이 크게 나타났다

기존 관광산업인력 양성 연구에서는 미래 관광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관광산업 인력의 양성이 산업적 정책적으로 중요함을 강조하 다(김덕기middot한

희정 2018) 또한 관광사업체가 필요로 하는 정책지원 수요는 자금 지원(394)

수요확대 지원(193) 인력 지원(115)의 순으로 나타났다(류광훈middot김희수 2018)

즉 관광산업 미래인력의 양성은 관광기업 측면에서 미래 관광 경쟁력 확보의 원천

이며 관광산업의 산업 고도화를 위한 필수 요소이다

이와 더불어 환경 변화로 인해 기술 기반의 일자리 타 분야 융합을 통한 일자리

관광객 수요의 다양화로 기존 관광 일자리가 전문화middot세분화 되고 있다 4차 산업혁

명 기술의 발전으로 AI 빅데이터 플랫폼 등의 활용이 증가되고 키오스크 등의 무

인화 서비스로 인해 관련 분야의 일자리가 감소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기존

관광인력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고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는 한편 관광과 기술이

융합된 분야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향후 5년 내 관광사업체 세부업종별 일자리 전망에 대한 전

문가 의견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증가가 예상되는 업종은 자동차야 장업 일반

야 장업 기타유원시설업 관광순환버스업 관광펜션업 한옥체험업으로 나타났고

감소가 전망되는 업종은 여행업(일반여행업 국외여행업) 유원시설업(종합 및 일반

유원시설업) 카지노업 국제회의업 관광편의시설업(관광면세업 관광식당업 등)

관광객이용시설업(관광유람선업) 관광호텔업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증가 분야의

원인은 코로나19로 인한 자연공간 선호 국내여행 및 지역관광 활성화 등으로 나타

났다 감소 분야의 향 요인으로는 코로나19로 인한 단체관광 감소 외국인 관광

객 감소 자동화 및 무인화 관광객 수요 감소 등을 꼽을 수 있다

관광산업은 코로나 19로 인해 종사자가 감소하고 있고 디지털 변화 외부 환경

등으로 인한 변화의 기로에 있다 즉 현재는 일자리에 대한 정책 방향의 모색이 필

요한 시점이다 이에 이러한 관광산업의 특성과 변화를 반 한 일자리 대응 정책

모색이 필요하다

3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제2절 미래 일자리 환경

1 환경 분석 개요

미래를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사람들은 미래를 정확히 예측하여 맞고 틀리고를 따

지기 보다는 다양한 미래(Futures)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미래 구성을 목표로 한다 한편 일자리는 인간을 둘러싼 다양한 환경 요인들의

상호작용을 반 하는 현실의 거울이다 따라서 미래 일자리의 환경 변화를 살펴보

기 위해서는 이에 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일의 내용과 수행 방식에 직접적으로 향을 미치는 기술적 요인과 이를

수용하기 위한 사회적 법제 정책적 요인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박

가열 외 2019) 한편 최근 들어 코로나19와 기후 변화로 대표되는 생태 환경 요인

은 경제 사회의 발전 과정에서 미뤄둔 숙제가 아니라 생존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보장하기 위한 상수의 문제로 다뤄야 할 것이다

미래 일자리 환경 변화와 미래 이슈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종합적으로 살펴보

기 위해 통상 미래 연구자들이 미래 환경 변화를 탐색하기 위해 주로 활용하는

STEEP 모형에 기초를 두고자 한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일자리 환경 변화의 결과

요인인 경제적 요인을 제외한 사회 기술 생태 환경 및 정치(정책) 및 제도적 요인

과 더불어 관광환경 요인을 중심으로 차례대로 살펴본다 이러한 미래 일자리를 둘

러싼 환경 스캐닝을 바탕으로 관광산업의 주요 이슈를 도출하고 이를 미래 지향적

으로 해결하기 위한 현실적인 정책 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33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2 환경 변화

21 사회 환경 변화

가 인구구조의 변화

미래 일자리 변화의 사회적 요인을 살펴봄에 있어 결국 사람이 일의 세계를 구성

하므로 저출산과 고령화에 따른 인구구조 변화를 선결적으로 살펴보아야 할 것이

다 앞으로 인구구조의 축소적 변화가 기존 경제발전 모델을 전제로 한 재앙인지

아니면 기술 혁신과 산업 고도화에 적합한 적정 인구로의 수렴 과정인지에 대한 심

도 있는 논의가 앞으로 필요하다

한편 우리 사회가 발전하고 산업 구조가 고도화되면서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확대되고 있다 이는 기존의 성 역할 고정관념에 기초한 직업 활동과 가사 분담의

이분법적 접근을 흔들고 있다 다만 여성의 노동시장 진출 직종의 상당수가 대인접

촉이 요구되는 서비스직이므로 코로나19와 같은 광범위한 전염병의 창궐에 일시적

이지만 매우 심각한 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한편 정보통신기술(ICT)의 발전으로 지식의 전달과 활용 기한이 급격히 짧아지

면서 정식 교육기관에 의존한 교수학습 방식보다는 자기 주도적인 비형식 평생학습

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전에 생의 과정을 교육 노동 은퇴 후 여가의 3단계로 구분

한 분절적 모형에서 탈피하여 인생 전 과정에서 질 높은 일과 삶의 균형과 지속적

인 자기 학습을 통한 자기개발을 상호보완적으로 추구하는 모델로 변모하고 있다

세계 인구는 향후 50년 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 반면 우리나라

는 향후 10년 동안 소폭 증가하여 정점을 이루고 이후 40년 동안 지속적으로 감소

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9년 전 세계의 인구는 약 77억 명으로 이 수치는 2000년

대비 약 13배 증가한 수치이며 2067년 전 세계 인구수는 103억 8천만 명으로

전망된다 우리나라 인구는 2019년 5천 2백만 명에서 2067년에는 약 3천 9백만

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통계청 20190902)

3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그림 2-11] 세계와 한국의 인구 추이

자료 통계청(20190902) 2019년 장래인구특별추계를 반영한 세계와 한국의 인구현황 및 전망(보도자료) p1

우리나라의 생산연령인구 구성비는 1966년 이후 계속 증가하 고 2012년

734로 최고치를 보인 후 감소하여 2019년 727로 나타났다 2040년에는 생산

연령 인구가 인구의 약 절반 이상인 563 수준까지 낮아질 전망이다 한편 우리

나라의 고령인구 구성비는 1970년 31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9년 149

로 나타났으며 2067년에는 465로 전망된다

[그림 2-12] 세계와 한국의 생산연령인구(좌) 및 고령인구(우) 구성비 추이

자료 통계청(20190902) 2019년 장래인구특별추계를 반영한 세계와 한국의 인구현황 및 전망(보도자료) p2

생산연령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전체 구성비에서 50를 하회하고 있으며 기울

기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듯이 고령 인구 비중은 급격히 증가하여 13을 상회하는 2040

년 전후에는 현재의 노동연령 구조로는 감당할 수 없을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 따라서

지금부터 고령 친화형 일터 문화와 작업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선제적 준비가 요구된다

35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나 사회인식의 변화

최근 일과 삶의 균형은 사회적 공감대로 형성되고 있다(이재완middot강혜진 2018) 이

러한 일과 삶의 균형의 측면에서 여가시간은 삶의 질이 어느 정도에 도달하 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우리나라 국민의 여가시간은 2019년 기준으로 평일 54시간

휴일 35시간으로 2016년 이래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문화체육관광부 2019b)

일과 삶의 균형을 lsquo워라밸(Work-Life Balance)rsquo로 정의되며 워라밸은 일상생활

에서의 삶의 질의 중요성을 중시하는 인식을 의미한다(민경선 2018) 2019년 사회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들은 일과 가정생활을 비슷하게 여긴다는 응답이 약

442로 나타났으며 이는 2013년 이래로 계속 증가한 수치이다 또한 이 응답은

일을 우선시한다는 응답(421) 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나 우리나라가 일을 우선시

하는 사회에서 워라밸을 중요하시는 사회로 변화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림 2-13] 국민 여가시간 추이(좌)와 일과 가정생활의 우선도(우)

자료 문화체육관광부(2019b) 국민여가 활동조사 p49 자료 통계청(20191125) 2019년 사회조사 결과 p42

우리나라 사람들은 여가활용 중 관광활동에 있어서 주중보다 주말 비율이 높으

며 향후에 즐기고 싶은 여가활동으로 관광활동이 70로 가장 높게 나타나 여가시

간의 증대로 인해 관광활동 참여자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단위 )

구분 TV시청휴식활동

컴퓨터게임인터넷검색 등

취미자기개발

활동

스포츠활동

문화예술관람

사회 및기타활동

스포츠관람

관광활동

문화예술참여

기타

주중 792 690 395 236 136 110 95 45 37 29 02주말 697 689 313 186 139 195 153 49 167 24 02향후 179 275 97 467 244 389 185 108 700 107 02

자료 통계청(20191125) 통계청(20191125) 2019년 사회조사 결과

〈표 2-17〉 여가활용 활동(복수응답)

3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또한 이러한 사회 인식 변화에 따라 일자리를 선택함에 있어 좋은 일자리의 기준

중 하나가 워라밸이 가능한 곳이 되고 있다(이재완middot강혜진 2018)

22 기술 환경 변화

기술의 발전은 사람들의 일하는 내용과 방식에 직접적으로 향을 미친다 미래

기술 발굴과 관련된 방법론은 예측을 하는 목적 접근의 방식 이용하는 자료에 따

라 매우 다양하다(박가열 외 2019) Alan L Porter 등(2011)의 985172기술의 예측과

경 (Forecasting and Management of Technology)985173에 소개된 매크로 모니터

링(Macro Monitoring) 방법은 급부상하고 있는 유망한 연구 역의 도출이나 유망

기술을 발굴하는 것으로 소개되기도 하 다(손은수 외 2018)

최근 디지털 기술 혁신은 제조업의 대량 생산에 근원을 두고 있는 정형화된 업무

시간과 집중형 업무 공간의 개념을 근본적으로 바꾸고 있다 또한 단순 반복적인 작

업을 기계가 대신해줌으로써 기계와 달리 습성화에 쉽게 지루함을 느끼고 주의 집중

및 신체적 강인성에 한계를 지닌 인간이 노동시장에서 소외되는 결과를 낳았다

기술의 진보로부터 비롯된 일자리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미래

사회를 주도할 미래 유망한 기술을 꾸준히 탐색하고 수요자의 요구에 부합한 제품

과 서비스 개발이 요구된다 여기서는 사회적 요구를 반 한 유망기술의 흐름을 탐

색하고 상대적으로 적용 가능성이 제한적이더라도 관광산업에의 접목 가능성을 살

펴보고자 한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 따르면 해외 주요기관에서 발표된 미래유망기술을

연도를 기준으로 구분하고 lsquo2-모드(mode) 네트워크 분석rsquo을 실시하 다(손은수

외 2018) 그 결과 미래유망기술로 인공지능 블록체인 드론 딥 러닝 유전자 편

집 등이 부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7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그림 2-14] 해외 주요 연구기관이 발표한 지난 10년간 미래기술 동향

자료 손은수middot홍성화middot고병열(2018) 국내외 주요기관이 전망한 미래기술의 흐름 p66

한편 국내 연구기관이 제시한 2010년 전후 미래 유망기술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텍스트 마이닝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2010년 이전에는 고효율 치료 자동

복합 환경 지능형 바이오 등의 기술이 각광받은 것으로 나타났다(손은수 외

2018) 2010년 이후에는 에너지 스마트 실시간 3D 환경 지능형 자동 정보

플랫폼 등의 기술이 각광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외 연구기관에서 발표된 최근 미래유망기술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먼저 해외

의 결과는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로봇공학(robotics)

3D 프린팅(3D printing)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사이버 보안(cyber security)

블록체인(block chain) 데이터 분석(data analytics) 자율주행 운송 수단

(autonomous vehicles) 등이 중요한 미래유망기술로 나타났다 반면에 국내에서

는 일부 유사하면서도 실용성에 중심을 둔 에너지 스마트 3D 지능형 자동 차세

대 정보 고효율 실시간 환경 등이 중요한 미래유망기술로 나타났다

3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그림 2-15] 국내 주요 연구기관이 발표한 2010년 전(좌)후(우) 미래유망기술 변화

자료 손은수middot홍성화middot고병열(2018) 국내외 주요기관이 전망한 미래기술의 흐름 p54

[그림 2-16] 해외 주요 연구기관이 발표한 2010년 전(좌)후(우) 미래유망기술 변화

자료 손은수middot홍성화middot고병열(2018) 국내외 주요기관이 전망한 미래기술의 흐름 p29

디지털 혁신의 기반이 되는 정보통신기술(ICT)과 인간 사회와의 상호작용에서 필

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대립과 갈등의 본질을 이해하는 것이 미래 사회를 전망하

는 데 중요하다 이러한 디지털 기술과 사회의 관계 맥락에서 바람직한 미래를 설계

하기 위해 개인과 기업 및 나아가 국가 차원에서 먼저 고려해야 할 10대 이슈를

선정하 는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이승민 외 2017)

개인적 측면에서 디지털 혁신은 직업 구조 변화의 요인으로 고려된다 이 디지털 혁신

은 중간직과 전문직의 종말 새로운 계급의 등장 노동 구조의 변화 등을 야기하고 있다

39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다만 기술 진보에 따른 중간직 일자리의 대체나 혹은 새로운 기회의 창출은 기존

에 면허 제도를 통한 전문직 역의 배타적 역을 어떻게 조정할 것인가의 법제적

문제와 결부될 수 있을 것이다

10대 이슈 주요 내용

1 인공지능 민주화와 제국주의

- 본격적인 대중화를 열어갈 인공지능의 민주화

- 인공지능 민주화와 글로벌 기업들의 마케팅 전략

- 민주화를 바라보는 우려의 시각 제국주의와 블랙박스 사회

2 혁신의 미래 속도와 다양성

- 축적의 시간을 줄이기 위해 변화된 혁신의 방향

- 다양한 산업 부문에 ICT 기반 혁신이 발생

- 혁신과 성과 확대를 위한 인력middot조직의 변화 요구

3 산업의 미래 디지털 격변

- 디지털 DNA가 모든 산업의 DNA를 전환

- 제품middot서비스 운영 프로세스 고객경험의 디지털 전환

- 디지털 전환의 방향 속도 범위를 고려한 주체별 생존 전략

4 경제 성장의 미래 풍요와 결핍

- 저성장과 경제적 고립주의 하에 바라본 ICT

- 전통적 경제 규모지표에서 포착하기 어려운 풍요

- 새로운 기술-사회경제 연결 지표와 분배 구조 마련 필요

5 블록체인과 미래 권력

- 개인 권력을 확장시키는 블록체인의 파괴력

-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를 넘어 개인과 국가 권력을 변화

- 혁명으로의 블록체인은 시간이 필요

6 탈진실의 시대 새로운 위험

- 정보의 대량 생산과 소비 초연결이 만든 탈진실의 시대

- 증거기반 토론보다 검색기반 정보 유통에 의존한 탈진실의 위험

- 진실을 붙잡기 위한 기술적 시도와 미디어 정보 문해력

7 인터넷 발칸화와 사이버 안보

- 경계 없는 인터넷에 만들어지는 새로운 국경

- 발칸화된 사이버 공간에서 벌어지는 국가 간 경쟁

- 인공지능과 양자컴퓨터라는 새로운 안보 위험의 부상

8 중간직과 전문직의 미래 신계급

의 등장

- 중간직과 전문직의 디지털 프랜스포메이션

- 기술이 직무를 보완하는 대신 직무가 기술을 보완

- 디지털경제와 데이터경제 주체로 부상하는 새로운 계급

9 소비의 미래 생산과 경험

- 기술의 발전은 소비자의 생산 활동의 폭을 증가

- 물리적인 제품에서 서비스와 데이터 생산자로 참여

- 고정된 생산물의 소유에서 유동적 서비스 경험하는 미래

10 인간과 기계 관계의 역설

- 인간을 이해하는 기계의 일상화과 초래하는 관계의 역설

- 기계를 향해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양가감정 느끼는 인간

- 인간관계의 애착유형을 통해 기계와의 건전한 관계를 맺을 준비

자료 이승민middot정지형middot송근혜(2017) p5

lt표 2-18gt 사회-과학 주요 10대 이슈

기업 측면에서 살펴보면 글로벌 정보통신기업들이 인공지능기술을 바탕으로 신

기술을 확산시키고 있으며 전 산업에서 인공지능 플랫폼을 활용하여 시장을 확장

하고 있다 또한 기존 폐쇄형 기술의 혁신은 개방형 혁신 생태계로 변화하고 있으

4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며 학계 중심의 이론적 연구는 글로벌 기업 중심의 실제 사업(business)으로 변모

하고 있다

국가 측면에서는 디지털 기술혁명이 새로운 시대를 이끌어 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최근 전개되고 있는 코로나19와 같은 전염병의 전 세계적 창궐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예술 활동 등 다양한 방면에서 비대면 디지털 기술의 발전을 촉진

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블록체인은 중앙통제를 상대적으로 약화시킬 것으로 개인 권력을 확장시

켜 상대적으로 중앙 통제를 약화시킬 수 있을 것이라 전망된다

23 생태 환경 변화

전 세계를 공포로 내몰고 있는 코로나19는 사람과 다양한 동물에 감염될 수 있는

바이러스로서 유전자 크기 27~32kb의 RNA 바이러스를 말한다2)

2020년 5월 18일 기준 우리나라의 검사 건수는 737118건이고 이 중 11065명

(15)이 확진자로 진단되었다

국가 검사건수 확진자 건수대비 확진률

중국 NA 82954명 NA

한국 737118건 11065명 150

이탈리아 1933272건 225435명 1170

이란 NA 120198명 NA

일본 250151건 16305명 650

미국 10720185건 1486742명 1390

영국 1818712건 243695명 1340

자료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httpwwwcdcgokr)

lt표 2-19gt 주요 국가 검진건수 및 확진률 비교(0518 00시 기준)

이들 전체 확진자의 광역시도별 분포를 살펴보면 대구(621) 경북(124)이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 고 이어서 인구 비중이 높고 사회적 이동의 중심 지역인

서울(67) 경기(65) 순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2) 보건복지부 코로나19바이러스 인터넷 페이지(httpncovmohwgokrbaroViewdobrdId=4ampbrdGubun=41)

41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그림 2-17] 광역시도 별 COVID-19 확진자 분포

자료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httpwwwcdcgokr)

세계경제포럼은 직업별 코로나19에 대한 위험 점수를 미국 노동부의 ONET의

타인과의 접촉 물리적 근접성 및 질병 및 감염에의 노출 세 가지 변수를 활용해서

산출했는데 치과위생사(997점)의 위험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2-18] 직업별 코로나 바이러스 위험 점수

자료 세계경제포럼(WEF) 웹사이트(wwwweforumorgagenda202004occupations-highest-covid19-risk)

4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국제노동기구(ILO)는 이러한 코로나 바이러스의 향으로 실업자가 최소 530만

명에서 최대 2470만 명에 이를 것이라고 예상했다 실업으로 인한 소득 감소는 재

화와 용역의 소비를 감소하고 경제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 특히 저임금 노동자와

여성 이주민 등 취약 계층에게 부정적인 향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지구온난화로 대표되는 기후변화는 생태계의 지속 가능한 생존과 일상생활은

물론이고 우리들의 관광과 문화와 관련된 직업 활동에도 도전적인 문제로 대두될 수

있다 최근 세계기상기구(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WMO)에서 펴낸

lsquo2015-2019 글로벌 기후보고서(The Global Climate in 2015-2019)rsquo에 따르면 최

근 5년이 역사상 가장 더웠던 5년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산업화 이전(1850-1900년)

보다 11 상승했으며 이전 5년(rsquo11~rsquo15)보다 02 상승했다고 한다

[그림 2-19] 1854년~2019년 전지구 기온편차 및 2025년까지 전망치

주 HadCRUT GISTEMPT NOAAGlobalTemp ERA-5는 기후관련 데이터 및 기후 분석 도구를 의미함

자료 영국기상청 홈페이지(httpswwwmetofficegovukabout-uspress-officenewsweather-and-climate

2020confirmation-that-2019-concludes-warmest-decade-on-record)

한편 이산화탄소(CO2) 농도 또한 2019년 말에 410ppm에 이르거나 초과할 것

으로 예상되고 있다 우리나라 경우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최근 5년간 평균기온

은 133로 이전의 2011년부터 2015년까지 5년간보다 03 상승한 것으로 나

타나 전지구의 평균기온의 증가보다 01 큰 것으로 나타났다(기상청 2019) 또

한 이산화탄소 농도가 이전보다 높아지고 있는데 한반도의 2018년 CO2 연평균

농도는 2017년 대비 30ppm 높은 4152ppm으로 나타났고 최근 10년간 연평균

CO2 농도 증가량은 전지구의 CO2 연평균 농도인 23ppmyr 보다 다소 높은

24ppmyr로 나타났다

43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구분 전지구 한반도(안면도 관측소)

2018년 연평균 농도 4074 ppm 4152 ppm

2017년 대비 농도 증가량 24 ppm 30 ppm

최근 10년 연평균 농도 증가량

(2009년~2018년)23 ppmyr 24 ppmyr

주 전지구 CO2 농도는 미국해양대기청(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의 발표 값으로

향후 변경될 수 있음

자료 기상청(2019) 2018 지구대기 감시보고서 p28

lt표 2-20gt 전지구 및 한반도 연평균 CO2 농도 비교

이러한 지구 온난화는 사람의 기본적인 건강과 일상적인 생활은 물론이고 직업 활

동에도 전반적으로 향을 미친다 폭염 한파 가뭄 홍수에 의한 식량 감소는 양

상태의 악화를 초래하고 온열 질환과 더불어 감염병 피해도 증가하게 된다 최근 코

로나19 창궐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전염병은 이동과 대면을 통한 접객 서비스가 전

제되는 여행 관광 숙박 식음료 산업의 침체에 심각한 향을 미칠 수 있다

24 정치middot제도의 환경 변화

정치middot제도 환경 변화로는 관광과 관련해서는 여가시간의 증가 재생공간의 증가

남북 관계 및 동북아 정세 변화 등이 나타나며 이와 관련한 환경 변화로 인해 일자

리 변화도 예상되고 있다

먼저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에 따른 개인 여가 시간 증가 및 장기 휴가 분위기

정착이 예상된다 정부는 2018년 7월 휴식이 있는 삶을 보장하기 위해서 노동시간

주 최대 68시간에서 52시간으로 단축하고 특례업종을 축소하는 등 주 52시간 근무

제를 실시하 다 이는 단순히 근로시간 단축의 의미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가 여가

중심의 사회로 변화할 것을 의미한다(김희수middot정광민 2019) 즉 여가시간 증대가

여행 관광 숙박 식음료 산업의 활성화에 향을 미칠 수 있다

한편 정부에서는 도시의 물리적 환경 개선과 주민 역량 강화를 통해 도시를 종합

적으로 재생하는 도시재생 뉴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는 지자체가 주도하여주

거지의 노후화 구도심의 쇠퇴를 방지해서 도시의 경쟁력을 높이고 일자리를 창출

하는 사업이다 이 정책은 지방 중소도시의 고령화 및 전국적인 인구 감소 지역 확

4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대로 인한 지역의 일자리 감소와 건축물 노후화에 기인하고 있다 이에 국토교통부

는 lsquo도시재생 뉴딜 로드맵rsquo을 2018년 발표하고 도시공간 혁신 도시재생 경제 활성

화 주민과 지역 주도의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관광분

야에서는 구도심이 보유한 역사 근대건축물 시장 골목 폐공장 창고 등이 새로운

공간으로 가치를 재창출하고 있다(이원희 외 2019)

또 다른 변화로 남북 관계의 변화 등 국제 정세 변화에 있다 남북 관계는 국내

뿐만 아니라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 정세에도 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2018년 2월

북한의 평창 동계올림픽 참가를 계기로 남북관계가 lsquo대화와 협력rsquo 국면으로 전환되

어 남북 정상회담 3회(2018년 4 5 9월) 북미 정상회담 1회(2018년 6월) 등이

진행되어 지속가능한 남북관계 발전 한반도 신경제공동체 구현 등 대북정책을 이

행하고 비무장지대(DMZ) 국제 평화지대화 북한 개별 관광 등 추진을 위한 긍정

적 분위기가 조성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미사일 발사시

험 대북전단 살포 문제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3) 등 남북관계 경색이 지속되고

있어 한반도 정세에 있어서의 남북관계 긍정적 분위기 구축이 중요한 문제도 대두

되고 있다

25 일자리 환경 변화

가 코로나19 이전의 변화4)

우리 사회는 4차 산업혁명 저출산 및 고령화와 같은 기술 사회경제적 변화에

직면해 있으며 이에 따라 일자리 일하는 방식이 변화하고 있다

일자리 환경 변화의 측면에서 개인 직업관의 변화 일자리의 양극화 1인 기업의 증

가 유연한 업무환경 등의 변화가 예상된다(미래창조과학부 미래준비위원회 외 2017)

먼저 필요에 따른 구인middot구직을 통해 직업관이 조직 중심에서 개인 중심으로 변

화되며 프로젝트 기반의 lsquo1인 기업rsquo이 증가할 전망이다 통계청의 기업생멸행정통

계 결과 2018년 기준 종사자 수 1인 기업은 439만개이며 이는 전체 활동 기업의

3) 북한은 순항미사일 시험발사를 2020년 7월 4일 발사하였으며 남한의 탈북민단체의 대북전단 살포에 대한

북한의 비방인 2020년 대두되었으며 2020년 6월 14일 북한의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로 남북관

계는 교착상태에 있음

4) 미래창조과학부 미래준비위원회 외(2017)의 내용을 재정리함

45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789로 나타났으며 2017년 대비 269 증가 하 으며 신생기업의 경우 893

가 1인 기업으로 나타났다(통계청 20191212)

사회 환경과 기업문화의 변화에 따라 고용 환경은 불안정성이 증가하여 정규직

중심의 전통적 일자리에서 임시 및 독립적 일자리가 증가할 전망이다 또한 기술

진보로 단순 반복적 자동화되기 쉬운 중숙련 일자리의 감소하고 이에 중숙련 노동

자가 저숙련 노동자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고숙련 노동자와 저숙련 노동자의 직업과

임금의 양극화가 심화될 전망이다

자기 고용인 1인 기업은 개인 스스로 생산과 소비가 가능해짐에 따라 부상되며

SNS 미디어를 활용한 1인 인터넷 기업 플랫폼 기업의 활성화가 전망된다 또한

산업과 기술 간 융합을 통한 창의적 역량이 필요한 분야가 일자리 잠재력이 큰 산업

으로 전망된다 2018년 기준 플랫폼경제종사자 규모는 최소 47만명에서 최대 54

만명(전체 취업자의 17~20)으로 추산된다(김준 외 2018) 한편 기술 발전

으로 언제 어디서나 일할 수 있는 업무 환경이 구축되어 이에 따른 유연근무제 재

택 및 원격근무제도가 활성화될 전망이다

미래의 직업 변화는 크게 ➀ 기존 직업의 고부가가치화 ➁ 직업의 세분화 및 전

문화 ➂ 융합형 직업의 증가 ➃ 기술 기반의 신규 직업 탄생 등이 이루어질 것으

로 전망된다(미래창조과학부 미래준비위원회 외 2017)

구분 변화 내용

기존 직업의

고부가가치화

- 직업의 역할과 프로세스의 재정립으로 단순 노동력은 전문화된 서비스로 변화

(예 언론의 분야별 전문기자 등 의료서비스의 응급실 의사 암진단 의사 등)

직업의 세분화 및

전문화

- 수요의 다양화와 고품질 요구 증가로 수용자 중심의 제품과 서비스 개발 전달에 있어서

의 과정이 전문화되고 세분화 이에 따라 직업의 세분화 현상 증가

(예 로봇 엔지니어 노년 플래너 가상 레크레이션 디자이너 기후변화 전문가 등)

융합형 직업의

증가

- 다른 직무나 지식 기술과 기능이 융합한 신규 전문분야를 창출하는 과정을 통해 새로운

융합형 직업 출현 (예 테크니컬 라이터 사용자 경험 디자이너 홀로그램 전시기획가 등)

기술 기반의

신규 직업 탄생

- 과학기술 진보로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게 됨에 따라 관련 직업의 탄생 증가

(예 기계 인터페이스 전문가 저장 관리 전문가 스마트 교통 시스템 설계 엔지니어 등)

자료 미래창조과학부 미래준비위원회 외(2017)의 내용 재정리

lt표 2-21gt 미래 직업 변화

4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나 코로나19로 인한 일자리 환경 변화의 특성

코로나19로 인해 이동이 제한되면서 재택근무제 유연근무제는 확산되고 있다

우리나라 정부는 현재 유연근무제 간접노무비 지원제도(중소middot중견기업 대상 유연

근무제 사용근로자 1인당 연간 최대 520만원 지원) 재택근무 인프라 지원 사업(중

소middot중견기업 대상 인프라 구축비의 50를 2천만 원 범위에서 지원)을 시행하고 있

다(고용노동부 20200410) 코로나19가 발생한 1월부터 비교했을 때 2020년 4

월 7일까지 2602개 사업장 대상의 유연근무제 간접노무비 지원신청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유연근무제로는 재택근무(525) 시차출퇴근(411) 원격근무(13)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고용노동부 20200410) 2020년 7월 현재 코로나19 이후 대기업

중 75가 유연근무제를 확대하고 있으며 근로형태의 다변화(예 비대면middot유연근무제

등)(391) 산업구조 디지털화로 인한 일자리 감소(251) 등의 변화를 야기할 것으

로 대기업들은 전망하고 있다(한국경제연구원 20200720) 코로나19는 일자리 환경

에 있어서 근무형태의 변화를 가속화하 고 특히 유연근무제 확산을 촉진시키고 있다

[그림 2-20] 유연근무제 지원신청 추이

자료 고용노동부(20200410) 임서정 고용노동부 차관 재택근무 우수 사업장 방문하여 현장의견 청취(보도자료) p3

또한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해 코로나19로 인한 고용시장의 변화도 장기화될

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취업자 수는 2019년 9월 기준으로 2701만 명으로 전

년 동월 대비 39만 명이 감소하 으며 숙박 및 음식점업이 전년 동월 대비 ndash98

감소(약 22만 명)한 것으로 나타나 코로나19의 여파는 관광산업 고용에 향을 주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통계청 20201016)

47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26 관광 환경 변화

가 코로나19 이전의 변화5)

1) 관광시장의 변화

먼저 관광시장 측면에서는 밀레니얼 Z세대 뉴시니어 등 다양한 세대가 트렌드

변화를 주도하고 방한 인바운드 시장의 다양화와 세분화가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된

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변화는 소소한 여행 경험소비 누구나 즐기는 여행 여행

트렌드 세터 다이내믹 방한시장 관광시민 등의 키워드로 표현될 수 있다

먼저 주52시간 근무제 시행으로 일과 삶의 균형을 중시하는 인식이 확산됨에 따

라 소확행 단기 근거리 여행이 증가하고 여행의 일상화 가격대비 최대 만족을

원하고 스테이케이션 호캉스 등 다양한 여행 형태가 나타나고 있다 또한 관광객

의 관광 경험도 축적은 현지 액티비티 여행 프로그램의 인기 증가에 향을 미쳤으

며 이에 따라 액티비티 상품 플랫폼이 성장하고 있다 여행이 보편적 권리로 사람

들에게 인식되면서 사회적 취약계층 시니어 밀레니얼 가족 등을 위한 관광상품

관광 콘텐츠 등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사회 트렌드를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가

주도함에 따라 이들이 여행트렌드도 선도하고 있다 또한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

는 소셜미디어 디지털 플랫폼에서의 향력을 확대하고 그들의 개성 희소성 정

체성 등이 드러나도록 여행트렌드를 이끌고 있다

관광은 한middot중middot일 외교의 변화 남북 관계 등 외부환경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이에 따라 역동적인 양상을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환경에 대한 인

식이 사회 전반적으로 강화됨에 따라 지속가능 관점에서 관광객이 여행하는 동안

해당 지역의 시민으로서 책임감이 증가되는 관광시민의 역할을 나타내고 있으며 여

행사고 인식의 증가로 관광 안전 의식에 대한 고려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5) 관광 환경 변화는 이원희 외(2019)의 내용을 재정리하여 작성하였다

4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구분 키워드 내용

관광시장

소소한 여행 소확행

가심비 가시비

-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은 여가시간 증가와 일과 삶의 균형을 중시하는

워라밸 인식의 확산을 촉진하고 단기 근거리 여행의 지속적 성장을 야

기함

- 국민들의 여행 경험이 증가하고 일상화되면서 스테이케이션 호캉스 등

짧고 가까운 여행을 즐기는 다양한 여행 행태가 나타남

경험소비 여행

액티비티 전성시대

- 관광객의 여행경험도 증가로 단순 방문과 관람에서 기억에 남는 경험과

체험을 더 중요시함 이를 충족할 수 있는 여행지 선택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함

누구나 즐기는 여행

은퇴부터 100세까지

- 우리나라 인구구조의 변화와 삶의 질의 추구 일과 여가의 균형을 중시

등으로 인해 lsquo누구나 즐기는 여행rsquo이 새로운 트렌드임

여행 트렌드 세터

뉴 제너레이션

-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가 여행트렌드 변화를 이끌 세대로 주목받고 있음

- 국내외 관광목적지 선택에 있어서 소셜 미디어와 디지털 플랫폼의 영향

력이 증가하고 여행콘텐츠 생산middot 소비의 주도 세력인 뉴 제너레이션의

관광시장의 영향력도 증대하고 있음

다이내믹 방한시장

유동성과 다변화

- 한middot중middot일 외교 남북 관계 등이 향후 5년간 우리나라 외래관광객 유치

시장에 영향을 주며 이러한 요인들로 인한 불확실성으로 역동성이 증대

할 것임

- 또한 아세안 지역의 국가와 교류가 증대되면서 우리나라 인바운드 시장

의 다양화와 세분화될 것으로 전망됨

관광시민 여행

가치를 생각하다

- 전 세계에서 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어 관광에서도 윤리적 친환경적

여행소비의 관심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됨

- 더불어 공정관광 책임관광 등의 대두로 관광객의 방문지역에 대한 시민

으로서 의무 및 권리 증대를 의미하는 lsquo관광시민rsquo의 개념이 발생하고 있음

관광산업

모바일과 여행 플랫폼

비즈니스의 진화

- 디지털 기반의 여행 서비스 유통구조 형성으로 관광소비와 관광산업의

변화가 확산될 것으로 기대되며 여행 플랫폼은 더욱 성장할 것으로 전

망됨

빅데이터가 여는

AI 관광시대

- 빅데이터 분석기술의 발달로 관광객 편의 증진 관광산업 경영 효율성의

제고 관광 목적지 문제 해결 등이 가속화될 전망이며 산업부문에서도

기술을 활용한 혁신이 가속화되고 있음

공유 여행

공간middot이동middot경험을

잇다

- 공유경제의 전 세계적 확산에 따라 숙박 공유 모빌리티 공유 등 변화가

전망됨

- 관광객은 숙박 교통 여행상품 음식 등을 공유경제 플랫폼을 통해 이용

하며 현지에서의 lsquo진정성rsquo(authenticity) 추구 경향이 증대함

관광자원일상에서 만나는

비일상 여행

- 과거 여행 목적지 중심(예 관광명소 유적지 등)에서 지역 주민의 일상

공간으로 관광지의 공간에 대한 경계 제한이 모호해짐

- 이는 미디어와 소셜미디어 영향으로 가속화되고 있으며 뉴트로(New-

tro)의 영향으로 근대문화유산을 활용한 도시재생 콘텐츠가 인기임

자료 이원희 외(2019) 관광 트렌드 분석 및 전망 2020-2024

lt표 2-22gt 2020~2024 관광 트렌드

49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2) 관광산업의 변화

관광산업 측면에서는 플랫폼 비즈니스 AI 관광 관광공유경제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비즈니스의 성장이 전망된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변화는 모바일과 여행 플

랫폼 기반의 관광사업체의 성장 빅데이터를 활용한 AI 관광시대 공유 관광 플랫폼

의 증가 등의 키워드로 요약될 수 있다(이원희 외 2019)

먼저 관광상품 및 서비스의 유통이 플랫폼 기반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관광객의 소비 행태와 관광산업의 유통 구조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관광 플랫

폼 비즈니스는 전통적 관광산업 범위를 벗어나 새로운 비즈니스를 나타내는 관광기

업이 출현하고 있으며 창조적 융복합 관광상품 소비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디

지털 플랫폼의 증가에 따라 관광 분야에서도 현지 여행 가이드 관광활동 가이드

등 계약직이나 프리랜서 등의 형태로 경제활동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관광분야 산업의 성장요인은 모바일 인터넷의 진보 새로운 기술 활용의 증가 개

발도상국의 성장 인공지능 기술의 진보 중산층 및 교육의 확대 빅데이터 활용 가

능성 증대 새로운 업무처리의 증가 국가 경제 성장의 전환 클라우드 기술 진보

등으로 파악된다(WEF 2018)

특히 항공 여행 관광산업에서의 주요 기술 활용도는 아래와 같이 IoT 앱 및 웹

빅데이터 머신러닝 클라우드 컴퓨팅 등이 70이상 활용되고 있다(WEF 2018)

[그림 2-21] 항공 여행 관광산업에서의 주요 기술 활용률

자료 WEF(2018) p44 전효재middot한희정(2018) p22에서 재인용

5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인공지능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개인 맞춤형 여행정보

제공뿐만 아니라 관광객의 관광 콘텐츠 및 정보 소비의 변화도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관광분야에서는 챗봇을 비롯한 AI의 활용도가 증가되고 있으며 음성인식

을 활용하여 관광객 편의 제공도 증가하고 있다 현재 빅데이터의 전달 및 제공에

있어서 한계가 있으나 AI 기술의 발전으로 관광객 맞춤형 서비스 고도화 및 체험성

이 증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마지막으로 공유경제의 성장에 따라서 관광분야에서도 숙박 모빌리티 관련 공유

가 나타나고 있으며 숙박 교통 관광체험 상품 등을 공유경제 플랫폼의 관광객 이

용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3) 관광자원의 변화

관광자원 측면에서는 일상에서 만나는 비일상 여행이 주요 키워드로 고려된다 관

광객들의 여행 경험이 축적됨에 따라 관광객의 관심이 기존 관광지 관광시설 등뿐만

아니라 지역 주민의 삶을 엿볼 수 있는 마을 골목 시장 등에도 증대되고 있다 이와

함께 일정 기간 동안 여행지에서 체류하는 트렌드(예 한달살기)가 확산되고 있다 이

러한 지역 생활공간 내 관광객의 유입에 따라 지역 주민과 관광객 간의 갈등이 증가

하는 lsquo오버 투어리즘(Over Tourism)6)rsquo lsquo투어리스티피케이션(Touristification)7)rsquo

과 관련한 이슈에 대한 대응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나 코로나19 이후의 변화

최근 관광산업의 변화에 있어서 가장 큰 요인은 코로나19로 인한 변화이다 코로

나19로 인해 국가 간 지역 간 이동이 제한되면서 관광사업체의 매출이 감소하고

있다 즉 코로나 19는 관광객의 행태와 소비 변화뿐만 아니라 관광산업에도 큰

향을 미쳤고 이로 인해 관광산업 일자리에 대한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6) 오버투어리즘은 관광지역이 수용할 수 있는 수준을 넘은 관광객의 유입으로 발생하는 다양한 부작용을 포함

하는 개념으로 임대료 상승에 의한 주민들의 비자발적 이주 소음 쓰레기 등으로 인한 정주권 피해 관광지

의 지나친 혼잡 자연환경 훼손등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이원희 외 2019)

7) 투어리스티피케이션은 주로 관광지化로 번역되며 국내에서는 특정 지역에 관광객이 늘어나면서 관광지로

변해가는 현상을 통칭하는 의미로 미디어 등에서 활발하게 사용된다(박주영 2018)

51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구분 내용

국내여행 활성화- 코로나19로 인한 해외여행 제한 등 국내여행 시작 및 자동차 여행 급증

- 대도시 지역관광 비시즌 로컬여행을 통한 일상 추구

안전 여행 인식

증대

-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체류형 독립 공간 선호

-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영향으로 소규모 안전 여행 추구

- 소규모 안전 부티크 호텔 웰니스 관광 의료관광 성장

- 여행자 신뢰 회복 및 신규 안전 및 클린 라벨 부착 방문자 정보 앱 국내 관광 홍보 캠페

인 실시

- 비 혼잡 관광 목적지 및 개선된 의료 시스템을 갖춘 여행업체(여행사 숙박업 등)의 선호세

디지털 활용

가속화

- 코로나19의 영향과 산업별 해결책 모색을 위한 정보 및 데이터 교환 시스템 구축

- 코로나19로 인한 디지털 전환시점동안 온라인에서 이용 가능한 문화와 지속 가능한 관광

에 대한 프로그램 개선

- 비즈니스 미팅 휴가 및 여가활동 등 단계적 온라인 전환

인력의 재배치 - 문화관광 전문인력 배치의 유연성 제고를 위한 창의적인 고용 솔루션 개발 필요

기타- 여행제한 해제 및 기업과의 협업으로 유동성 지원 접근으로 관광시장 다변화 지원

- 기술 파트너의 플랫폼 구축과 정보공유를 위한 거버넌스 구조 강화

자료 OECD(20200602) Tourism Policy Responses to the coronavirus (COVID-19) UNWTO(2020)

Cultural tourism amp COVID19 WEF(20200715) Top factors travellers will consider before planning

their next trip WEF(20200811) How are people holidaying after COVID-19 lockdowns Forbes

(20200507) Post Coronavirus Travel How Most Americans Want To Holiday At Home FP

(20200613) The Future of Travel After the Coronavirus Pandemic Travel Weekly(20200715) In

new reality demand grows for boutique hotels wellness experiences Agoda(20200729) Agoda

shares quick ways to sustainably rediscover the world through lsquoSlow Travelrsquo 내용 재정리

lt표 2-23gt 코로나19 이후의 변화

코로나19 발생 이후 해외여행에 대한 관광객의 수요는 국내여행으로 전환되고

여행 안전에 대한 인식도 강화되고 있다 코로나19 확산 이후(2월~4월)에도 응답자

의 229가 국내여행을 경험하 고 향후 458는 국내여행을 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하 다(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200527)

코로나19로 관광행태 및 관광시장의 변화가 발생함에 따라 관광기업의 온라인

전환이 가속화되고 관광인력 배치의 유연성이 제고되는 등 관광산업의 재정비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코로나19로 관광객들은 대인 접촉이 우려되는 장소보다는

사람이 적은 지역 자가용을 이용한 여행 당일 여행을 선호하는 등 국내 여행 방식

을 변화시킨 것으로 나타났다(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200527)

5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3 시사점

본 연구는 미래 일자리 환경 변화와 미래 이슈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종합적으

로 살펴보기 위해 일자리 환경 변화의 결과 요인인 경제적 요인을 제외한 사회 기

술 생태 환경 및 정치(정책) 및 제도적 요인과 더불어 관광환경 요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구분 내용

사회환경 변화

- (인구구조) 세계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우리나라는 향후 50년 동안 감소할 것으

로 전망됨 특히 우리나라는 생산연령인구의 지속적인 감소와 고령 인구비중의 증가가

전망됨

- (여가 시간 변화) 2016년 이래로 증가하고 있으며 일을 우선시하는 사회에서 워라밸을

중요하시는 사회로 변화하고 있음

기술환경 변화

- (해외) 최근 미래유망기술은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로봇공학 3D 프린팅 가상현실 사

이버 보안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 자율주행 운송 수단으로 나타남

- (국내) 실용성에 중심을 둔 에너지 스마트 3D 지능형 자동 차세대 정보 고효율

실시간 환경 등이 중요한 미래유망기술로 나타남

생태환경 변화

-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 코로나 바이러스의 영향으로 전세계 실업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관광산업을 비롯해 기업과 경제 전체에 부정적인 영향이 클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 (기후 변화) 지구온난화로 대표되는 기후변화는 생태계의 지속 가능한 생존과 일상생활은

물론이고 우리들의 관광과 문화와 관련된 직업 활동에도 도전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음

정치middot제도 환경

변화

-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에 따른 개인 여가 시간 증가 및 장기

휴가 분위기 정착이 예상됨

- (도시재생 뉴딜 사업) 관광분야에서는 구도심이 보유한 역사 근대건축물 시장 골목

폐공장 창고 등이 새로운 공간으로 가치를 채창출하고 있음

- (남북 관계 변화 등) 2018년 2월 북한의 평창 동계올림픽 참가를 계기로 긍정적 분위

기가 조성되었으나 북한의 미사일 발사시험 대북전단 살포 문제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등 남북관계 경색이 지속되고 있음

일자리 환경 변화

- (코로나19 이전) 개인 직업관의 변화 일자리의 양극화 1인 기업의 증가 유연한 업무

환경 등의 변화가 예상됨

- (코로나19 이후) 이동이 제한되면서 재택근무제 유연근무제는 확산되고 있으며 코로

나19 여파로 노동시장의 위축이 장기화되고 있음

관광환경 변화

- (관광시장) 밀레니얼 Z세대 뉴시니어 등 다양한 세대가 트렌드 변화를 주도하고 방한

인바운드 시장의 다양화와 세분화가 전망됨

- (관광산업) 플랫폼 비즈니스 AI 관광 관광공유경제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비즈니스

의 성장이 전망됨

- (관광자원) 기존 관광지가 아닌 지역주민의 일상 공간으로의 관광객 수용가 증대되고 있음

- (코로나19로 인한 영향) 국내 여행 수요 및 관광안전 인식 증가 온라인 전환 가속화

및 관광인력 배치의 재정비 등의 변화가 나타남

lt표 2-24gt 미래 일자리 환경 변화

53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본 연구 결과 사회적으로는 인구구조와 교육구조의 변화 기술과 환경 변화는 기

술의 확산 및 친환경 인식 고조 정치 및 제도적으로는 국제 관계의 향 부처 간

융합 정책 관광과 관련해서는 기술기반의 비즈니스 창출 및 확대 관광 소비문화의

세분화 등이 주요 환경 변화로 나타났다

이러한 미래 일자리를 둘러싼 거시 환경변화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고

있다 먼저 일자리 환경이 다변화 되고 있다 인구구조의 변화 기술의 발전 코로

나19로 인한 재택 근무의 증가 플랫폼 비즈니스의 성행 등으로 일자리의 형태도

세분화 전문화 다양해지고 일하는 모습도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기술의

발전으로 기술과 융합된 일자리가 탄생되고 있다 관광분야에서 관광객 수요가 다

양해짐에 따라 관련 일자리도 전문화 세분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디지털 기반의

관광기업의 출현으로 기술역량을 보유한 사람들이 관광산업에 입직하고 있다

특히 관광산업에서는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 되면서 빅데이터 플랫폼 ARVR

등의 관광분야 활용이 증가되고 있으며 코로나19로 인해 키오스크 챗봇 화상 국

제회의 등 무인 관광서비스의 활용이 확대 적용되고 있다

최근 가장 우리 사회에 큰 향을 미친 코로나19의 확산은 관광 미래 일자리 환

경 변화에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된다 코로나19의 확산은 국가 간 지역 간 이동의

제한을 초래해 관광사업체 운 과 관광종사자의 수에 부정적 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관광사업체의 향 뿐 아니라 코로나19는 관광객이 국내 여행 수요를 촉진

하고 관광에서의 비대면 기술 활용을 증가하는 등 향을 초래했다 이러한 향에

따라 관광 일자리에 대한 불안정성이 증대하고 있다

5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제3절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1 개요

본 연구는 미래 일자리를 위한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를 위해 국내외 일자리 지원

정책 및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일자리창출을 위한 정책 및 지원사업은 매우 다양

하여 그 범위를 총괄 파악하기는 쉽지 않으며 또한 유형화하기도 쉽지 않다 이에

국내외 일자리 창출 사례 내용의 이해도 제고를 위해 일자리창출을 위한 정책 및

지원사업을 직접지원방식만이 아니라 간접지원 방식도 포함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0912)

직접지원방식에는 고용유지 및 신규고용 창출을 위한 정부의 보조금 사업 고용

창출을 위한 사회적 일자리 사업 및 창업지원 사업 등 직접적인 일자리창출을 위한

지원사업이 해당된다 간접지원방식에는 구직자들의 구직활동 강화를 위한 훈련 및

연수활동 지원 취업유도 및 고용안정을 위한 인프라 구축 등을 들 수 있다

2 국내 정책 사례

한국은 과거 산업화시대를 모방 또는 추격하는 경제에서 선도하는 경제로 가야하

는 전환기에 놓여 있다 그럼에도 1997년 말 IMF 외환위기 이후 경제성장률 둔화

와 자동화 등으로 고용률도 지속적으로 하락해 왔다 더욱이 최근에는 제조업의 부

진 서비스업과 중소기업의 생산성 정체 등으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어려운 상황

에 놓여있다 일자리 창출은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함과 동시에 모든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의 바탕이 될 뿐만 아니라 사회안전망 강화와 선진 국가로의 도약을 위한

중요한 과제이다

55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이하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주요 일자리 정책과

미래의 일자리 창출에 대해 살펴본다

21 일자리위원회의 정책 추진

문재인 정부의 일자리 정책은 기본적으로 사람 중심의 혁신과 포용에 바탕을 두는

성장을 지향한다 포용과 성장은 흔히 산업화시대에 중심이었던 경제정책을 넘어서 사

회정책도 매우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을 의미한다 경제성장을 지속하는 가운데 사회적

불평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좋은 일자리 창출이 요구된다 문재인 정부는 일자리위

원회를 설치하여 일자리 정책을 총괄하도록 하 다 일자리위원회 위원의 역할은 위원

회 운 정책 수립 일자리 중심의 정책 전환 및 유인 기제 마련 등의 세 부분이다

일자리위원회가 수립한 정책은 종합적인 정책인 lsquo일자리 정책 5년 로드맵rsquo이다

로드맵은 10대 역의 100대 세부 추진과제로 구성되어있다 이 로드맵은 문재인

정부의 국정운 5개년 계획과 일자리와 관련한 현안 과제와 중장기적으로 해결해

야 할 과제들을 종합하여 만들어졌다 문재인 정부 출범과 함께 수립된 5년 로드맵

은 일자리 인프라 구축 공공일자리 창출 민간 일자리 창출 일자리 질 개선 맞춤

형 일자리 지원 등의 5개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8)

최근 일자리위원회는 문재인 정부 후반기 일자리 정책으로 그 동안의 일자리 정

책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진단하고 새롭게 보강한 50개의 중점 추진과제와 기존의

50개 과제의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정책을 수립발표하 다9) 동 정책은 lsquo일자리를

통해 혁신적 포용국가와 노동존중의 사회 구현rsquo이라는 비전과 lsquo사람노동 중심의 전

환된 패러다임을 기반으로 2022년까지 고용률 68 고용보험 1500만 명 가입 달

성rsquo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비전과 목표는 사람이 중심이 되는 경제 실현을 지

8) 일자리 정책 5년 로드맵은 제3차 일자리 위원회에서 확정된 것으로 일자리 중심국정운영 시스템구축 12개

일자리안전망 강화 및 혁신형 인적자원 개발 10개 공공일자리 81만명 확충 관련 7개 혁신형 창업촉진

6개 산업경쟁력 재고 및 신산업서비스업 육성 19개 사회적경제 활성화 6개 지역일자리 창출 10개 비정

규직 남용 방지 및 차별 없는 일터 조성 5개 근로여건 개선 9개 청년여성신중년 등 맞춤형 일자리 지원

16개 등 총100개 과제로 구성되어있다 동 로드맵은 총괄분과를 포함하여 5개의 분과별로 분담되어 작성

되었으며 일자리 인프라 및 노동시장의 두 분과는 고용노동부 민간일자리 분과는 산업통상자원부 공공일

자리 분과는 기획재정부가 주재하였다(일자리위원회관계부처 합동 20171008)

9) 문재인 정부 후반기 일자리 정책과제는 일자리위원회와 관계부처 합동으로 작성된 것으로 제14차 일자리위

원회의 1호 의결안건으로 상정되어 확정되었다(일자리위원회관계부처 합동 20200309)

5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향하는 것이다 그리고 새롭게 보강되거나 신규로 작성된 과제는 민간의 고용창출

역량 강화 일자리 현안 대응 노동시장 주요 이슈에 선제 대응 재정투입 일자리

사업의 효과성 제고 등 네 가지를 기조로 추진될 핵심과제로 설정되고 있다

또한 전반기 로드맵과 달리 후반기 100대 과제는 미래 변화에 대비하는 추진 과

제들을 새롭게 제시하고 있다 미래에 대비하는 과제는 인적자원개발과 지속가능발

전 기반과 연계하는 일자리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다 인적자원개발과 지속가능발전

모두 장기적인 관점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정부의 넓은 정책 역과 연관되므로 이

러한 정책의 상호 의존관계를 충분히 고려해야 하는 것들이다

22 주요 정부부처의 일자리 정책 사례

정부부처의 일자리 정책은 일자리위원회가 추진하는 큰 그림에서의 하위 단위라

고 할 수 있다 문재인 정부가 계획하고 있는 후반기 일자리 정책은 일자리 정책

5년 로드맵에서 이미 추진 완료한 것을 제외하고 신규 과제와 기존 추진 과제를 보

강하여 100대 추진과제를 설정하 다

가 일자리 정책 5년 로드맵의 부처별 추진 현황

우선 일자리 정책 5년 로드맵에서 지금까지 추진 완료한 과제는 20개이다(lt표

2-25gt 참조) 대체적으로 기획재정부 행정안전부 등은 공공부문 일자리와 관련되

고 중소벤처기업부 산업통상자원부에서는 민간부문 일자리 창출과 관련된다 그

리고 고용노동부는 일자리와 연관되는 고용정책의 역에 속하는 것들이다

영역 세부과제 관련 부처

일자리 중심 국정운영

시스템 강화

1 타당성심사 시 일자리 지표 강화 고용 기재

2 예산편성시 일자리 비중 확대 중기 행안

3 고용친화적 세제 개편 기재

4 일자리 중심 정책금융지원체계 개편 금융

5 공공조달 인허가시 일자리 평가 강화 조달

6 정부업무평가 일자리 평가 비중 확대 국조

지자체 합동 평가시 일자리 평가 강화 행안

lt표 2-25gt 일자리 정책 5년 로드맵 완료 현황

57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다음 후반기 일자리 정책 추진 방향으로 제시된 100대 과제는 부처별로 고용노

동부 57개 중소벤처기업부 30개 산업통상자원부 23개 기획재정부 18개 국토부

11개 교육부와 보건복지부 각 10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8개 등이며 26개 부처청에 분담되어 있다(lt표 2-26gt 참조) 사실상 대다수 정부부처가 일자리위원회가

주도하는 정책을 추진하는 데에 참여하고 있다

영역 세부과제 관련 부처

공공기관 경영평가 일자리 반영 기재

7 일자리 추진체계 강화 행안 국조

지역 일자리 8 일자리 창출형 산업단지 구축 산업

중소벤처 일자리

9 창업기업의 안정적 성장 기반 확충 중기 조달

10 창업벤처 자금조달을 투자 중심으로 전환 중기

11 창업벤처 부담 및 규제 혁신 중기

소상공인 일자리 12 소상공인 생업안전망 확충 중기

제조업 일자리13 제조업 활력 회복 산업

14 중견기업경쟁력 강화(성장대책 수립추진) 산업 중기

공공 일자리 사업 등을

통한 고용여력 뒷받침

15 공공기관 인력충원 기재

16 정부기관 근무혁신 인사

적극적인 노동시장정책

및 고용안전망 완성17 구직촉진지원제도 개편 고용

맞춤형 지원

18 고용장려금 제도 개편 고용

19 신중년 창업 활성화 중기 고용

20 여성일자리 인프라 구축 고용 여가

자료 일자리위원회관계부처 합동(20200309) 사람중심경제를 실현할 후반기 일자리정책 추진 방향」 제14차 일자리

위원회 1호 의결안건 88-96쪽

영역 세부과제

일자리 중심 국정운영 시스템

강화

(1) 협력거버넌스 보완운영 지역혁신(고용) 중소기업지원(중기) 인재양성(교육) (2) 고용영향평가 강화(고용) (3)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혁신(고용 기재) (4) 일자리 관련 입법의 신속추진 지원(고용 법제) (5) 고용창출 우수기업 인센티브포상(고용) (6) 일자리 통계 확충(통계)

지역 일자리

(7) 상생형 지역일자리 발굴확산 추진(산업) (8) 산업단지 대개조 계획 후속조치(산업 국토) (9)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지원(고용) (10) 지역혁신성장 추진(산업) (11) 규제자유특구 확대(중기) (12) 연구개발특구 확대 및 연구소기업 육성 활성화(과기) (13) 대학의 지역혁신 역량 강화(교육) (14) 금융서비스 경쟁촉진 및 혁신인프라 구축(금융) (15) 이전공공기관 지역인재 채용 확대(국토 기재) (16) 국가혁신클러스터 육성(산업 국토) (17) 혁신도시 등 지역성장 거점 육성(국토) (18) 도시재생 일자리 창출(국토)

신산업middot서비스 일자리

(19) 혁신 신산업 분야 민간투자 촉진(과기) (20) SW혁신융합을 통한 신성장동력 창출(과기) (21) 과학기술기반 고급 일자리 창출(과기) (22) 신산업육성 및 시장창출을 위한 규제정비(국조 과기 산업 중기) (23) 지식서비스 육성 활성화(산업 특허 중기) (24) lsquo사람중심의 돌봄경제rsquo 육성 등 통합돌봄 서비스(복지) (25) 영유아 보육교육서비스(복지 교육) (26) 콘텐츠산업육성 및 문화여가서비스 확대(문체) (27) 환경서비스(환경)

lt표 2-26gt 문재인 정부 후반기 일자리 정책 100대 과제

5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영역 세부과제

중소middot벤처 일자리

(28) 스마트 대한민국 구축(중기 금융) (29) 중소기업 창업 및 성장기반 정비(중기) (30) 중소벤처기업 대상 금융연구개발기술보호판로 등 지원 확대 강화(금융 중기) (31) 세계 4대 벤처강국 구현을 위한 스케일업 강화(중기) (32) 고급인력 기술창업 활성화(중기 교육 과기) (33) 지역 중소기업의 혁신성장 촉진(중기) (34) 중소기업의 선제적인 사업구조 개선 지원(중기) (35)자발적 상생협력 문화 확산(중기)

소상공인 일자리(36) 온라인 진출 스마트화 등 혁신 지원 등(중기) (37) 지역상권 활성화(중기) (38) 소상공인 사회안전망 및 재기 지원 강화(중기)

제조업 일자리

(39) 주요 프로젝트 집중지원으로 민간투자 적기 이행 지원(산업 국토) (40) 생산성 향상 지원 신산업육성 주력산업 혁신을 통한 일자리 창출(산업 중기 복지 국토) (41) 제조 중견기업 및 소부장 집중육성을 통한 고용여력 확대(산업 기재 과기 중기) (42) 소비트렌드 변화에 따른 성장산업 발굴육성(농식품 해수) (43) 세계시장 진출 및 수출 지원 강화(산업 중기) (44) 해운조선산업 경쟁력 강화(해수 산업) (45) 외국인투자 및 유턴제도 개편(산업) (46) 방위산업 진흥(방사청)

건설 일자리(47) 건설산업 경쟁력 강화(국토) (48) 양질의 건설일자리 창출을 위한 환경조성(고용 국토)

사회적경제 일자리

(49) 인프라 고도화를 통한 사회적 경제 기업 스케일업 촉진(기재 고용 중기) (50) 사회적경제 지원체제 정비(기재 고용 행안) (51) 사회적경제 전문인력 양성 시스템 구축(기재 교육 고용) (52) 혁신형 사회적경제 모델 발굴확산(기재 교육 고용) (53) 사회서비스분야 사회적 경제 역할 강화(복지) (54) 분야별 커뮤니티 기반 일자리 창출(문체 환경 농식품 산림 해수) (55) 사회적 경제 금융접근성 제고(금융 기재) (56) 사회적가치 실현체제 구축(기재)

공공 일자리 사업 등을 통한 고용여력

뒷받침

(57) 주요 일자리 사업 조기 집행(고용 복지 행안) (58) 현장민생공무원 국가직 10만명(행안 기재) (59) 현정민생공무원 지방직 74만명(행안) (60) 사회서비스 1단계 17만명(복지) (61) 사회서비스 2단계 17만명(복지) (62) 간접고용의 직접고용 전환 등(고용 기재 인사) (63) 사회서비스 일자리(복지) (64) 노인일자리 사업 개편(복지)

공정한 노동시장 구축 및

일터 혁신

(65) 공정한 채용관행 확산(고용) (66) 공정임금체계 확립(고용) (67) 직무중심 임금체계 확산 지원(고용) (68) 공공기관 및 공무직 임근체계 개편(기재 고용) (69) 임금복지 격차 완화(고용) (70) 사회적 대화 지원 활성화(고용) (71)노동존중사회 기본계획 수립(고용) (72) 임금보장 강화(고용 국토) (73) 노동시간단축 현장 안착 및 일터 혁신(고용) (74) 산업안전 혁신(고용) (75) 고용산재보험 사각지대 해소(고용) 76(고용산재보험 보호수준 강화(고용) (77) 산업보건 사각지대 해소(고용) (78)일생활 균형 고용근로 문화 확산(고용) (79) 기간제 사용 최소화를 위한 제도 개선(고용) (80) 정규직 채용 여건조성(고용) (81) 비정규직 차별 적극적 해소(고용) (82) 사내하도급 근로자특수형태근로종사자 보호(고용) (83) 비정규직 의견 참여 통로 확대(고용)

적극적 노동시장정책 및 고용안전망 완성

(84) 적극적 노동시장정책 강화(고용 교육) (85) 공공고용서비스 혁신(고용) (86) 국민취업지원제도(고용)

맞춤형 지원

(87) 청년사업 확충(기재 고용 국조 교육 문체) (88) 공공기관 청년고용 확대(고용) (89) 청년의 해외짙울 촉진(고용 외교) (90) 청년진출 유망 신직업 발굴 및 관련 인프라 구축(고용) (91) 40대신중년 등 맞춤형 지원(기재 고용) (92) 여성(여가 고용) (93) 장애인(고용) (94) 농어촌(농식품 해수) (95) 외국인력 적정관리 체계 구축(고용)

인적자원개발 및 미래변화 대비 등

중장기 이슈에 대응

(96) 직업능력개발 강화(교육 국토 환경 고용) (97) 혁신성장을 이끌어 갈 고급융합 전문인력 양성(교육 과기 산업) (98) 국가기술자격 개편 및 역량체제 구축(고용) (99) 플랫폼경제 도래에 대한 대비(고용) (100) 저탄소경제녹색경쟁력 강화를 위한 민간투자 활성화 지원(환경 산업)

자료 일자리위원회정부부처 합동(202039) 사람중심경제를 실현할 후반기 일자리정책 추진 방향 p88-96

59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나 부처별 보완 및 신규 과제

문제인 정부 후반기 일자리 정책은 기 완료된 과제를 제외하고 20개의 신규 과제

와 30개의 기존 과제를 보강하여 10대 분야 100개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우선 신

규과제는 중소벤처기업부 소관 과제 6개 고용노동부 4개로 다수를 차지한다 산업

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농림축산식품부 등의 부처 과제는 3개이다 이러한 신규

과제는 기 완료한 과제들을 대체하는 것으로 지역과 민간부문 일자리로 일자리 창

출의 실효성을 높이려는 방향을 나아가고 있으며 동시에 고용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동정책을 강화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영역 세부과제 관련 부처

지역 일자리

1 산업단지 대개조 계획 후속 조치 산업 국토

2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지원 고용

3 대학의 지역혁신 역량 강화 교육

신산업서비스 일자리

4 지식서비스 육성강화산업 특허

중기5 사람중심의 돌봄경제 육성 등 통합 돌봄 서비스 복지

6 영유아 보육교육 서비스 복지 교육

중소벤처 일자리

7 스마트 대한민국 구축스마트 공장서비스상점 기반 조성 중기환경안전투자 지원프로그램 운영 강화 금융

8 세계 4대 벤처 강국 구현

을 위한 스케일업 강화

대규모 벤처투자 유치를 위한 환경 조성

중기유니콘 기업육성 지원체계 마련도약기업의 스케일업 집중 지원

9 중소기업의 선제적인 사업구조 개선 지원 중기

소상공인 일자리10 온라인 진출 스마트화 등 혁신 지원 중기11 지역 상권 활성화 중기

제조업 일자리

14 주요 프로젝트 집중지원으로 민간투자 적기 이행 지원 산업 국토

15 소비트렌드 변화에 따

른 성장산업 발굴육성

식품산업 농식품

수산가공업 해수

사회적경제 일자리16 분야별 커뮤니티 기반

일자리 창출

지역고유특색의 관광사업체 육성 문체생태 관광 환경

농업의 사회적 기능 확산 농식품

공동체 중심의 산림비즈니스 육성농식품 산림

해수

공공 일자리 사업 증을

통한 고용여력 뒷받침17 노인일자리 사업 개편 복지

공정한 노동시장 구축

및 일터 혁신

18 직무중심의 임금체계 확산 지원 고용19 공공기관 및 공무직 임

금체계 개편

공공기관 기재 고용

공무직 고용

적극적인 노동시장정책

및 고용안전망 완성20 국민취업지원제도 고용

자료 일자리위원회관계부처 합동(202039) 사람중심경제를 실현할 후반기 일자리정책 추진 방향 p88-96

lt표 2-27gt 문재인 정부 후반기 일자리 정책 신규과제

6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한편 lt표 2-28gt은 문재인 정부 전반기의 일자리 정책 5년 로드맵에 제시되었던

정부의 추진 과제들의 실효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보완된 과제들이다 부처별로 고

용노동부 16개 중소벤처기업부 9개 산업통상자원부 6개 교육부 5개 보건복지부

와 기재부 각 4개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보완 과제는 일자리 창출을 좋은 일자리를

만드는 데에 역점을 두는 방향으로 보완한 것이다 특히 지역과 개인의 특성을 고려

하여 인적자원의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를 줄이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청년 신중

년 여성 및 장애인 농어촌 등의 일자리와 개인이 처한 여건을 반 하고 있다 그리

고 건설 및 사회적middot경제적 분야 이외에 신산업 육성 생산성 향상 혁신성장 직업능

력개발 고급융합 인력양성 등의 보완은 포용적이면서도 좋은 일자리 창출을 지향

하는 것이다

영역 세부과제 관련 부처

일자리 중심 국정운영

시스템 강화

1 협력적 거버넌스 보완운영

지역혁신 고용

중기지원 중기

인재양성 교육

지역 일자리2 상생형 지역일자리 발굴middot선정middot지원middot확산 추진 산업

3 연구개발특구 확대 및 연구소기업 육성활성화 과기

신산업서비스 일자리

4 혁신 신산업 분야 민간투자 촉진 과기

5 신산업육성 및 시장창출을 위한 규제 정비 국조 과기 산업 중기

6 콘텐츠 산업육성 및 문화여가 서비스 확대 문체

7 환경서비스 환경

중소벤처 일자리

8 중소벤처기업 대상 금융연구개발기술보호판로 등 지원

확대 강화금융 중기

9 지역 중소기업의 혁신성장 촉진 중기

10 자발적인 상생협력 문화 확산 중기

소상공인 일자리 11 소상공인 사회안전망 및 재기 지원 강화 중기

제조업 일자리

12 생산성 향상지원 신산업육성 주력산업 혁신을 통한 일

자리 창출산업 중기 복지

13 제조 중견기업 및 소

부장 집중육성을 통

한 고용여력 확대

제조중견기업 경쟁력 강화 산업

소부장 분야 맞춤형 패키지

지원 강화기재 과기 산업

건설 일자리14 건설산업 경쟁력 강화 국토

15 양질의 건설일자리 창출을 위한 환경조성 고용 국토

lt표 2-28gt 문재인 정부 후반기 일자리 정책 보완 과제

61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23 국내 미래 일자리 창출 정책

미래의 일자리 환경은 그간 경험하고 논의해 온 것과 새롭게 출현할 것이 있다

전자는 인구구조 변화와 디지털 전환과 관련되는 것으로 그동안 많은 논의가 있어

왔다 후자는 최근에 발생한 코로나19 이후 인간의 삶의 변화에 대한 문제이다 이

들은 과거 고도성장 시대와 사뭇 다른 것으로 미래의 불확실성을 매우 높이고 있다

미래의 일자리 창출 정책은 이들의 세 가지 관점에서 정리할 수 있다

영역 세부과제 관련 부처

사회적경제 일자리

16 인프라 고도화를 통한 사회적경제 기업 스케일업 촉진 기재 고용중기

17 혁신형 사회적경제 모델 발굴확산 기재 고용 중기

18 사회서비스분야 사회적경제 역할 강화 복지

공공 일자리 사업

등을 통한 고용여력

뒷받침

19 주요 일자리 사업 조기 집행 고용 복지 행안

20 사회서비스 일자리 복지

공정한 노동시장구축

및 일터혁신21 산업보건 사각지대 해소 고용

적극적인

노동시장정책 및

고용안전망 완성

22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 강화

일자리예산 및 사업범위 지속

확대고용

일자리사업 성과중심 평가 강화 고용

신기술분야 훈련 지속 확산 교육 고용

23 공공고용서비스 혁신 고용

맞춤형 지원

24 청년 사업 확충

청년 3대 핵심 사업의 내실화

도모기재 고용 국조

청년 취업지원 및 구직 서비스

강화확대고용

콘텐츠산업 청년 취창업 지원 문체

25 40대신중년 등

맞춤형 지원

40대 기재

신중년 고용

26 여성 여가 고용

27 장애인 고용

28 농어촌농촌 일자리 창출 확대 농식품

어촌 일자리 창출력 강화 해수

29 직업능력개발 강화평생 직업교육훈련 기반 조성 교육 국토 환경 고용

기업산업 맞춤형 훈련 확산 교육

30 혁신성장을 이끌어 갈 고급융합 전문인력 양성 교육 과기 산업

자료 일자리위원회middot관계부처 합동(202039) 사람중심경제를 실현할 후반기 일자리정책 추진 방향 p88-96

6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가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

인구구조 변화는 저출산middot고령화로 인하여 고령자의 비율 증가와 함께 생산가능인

구의 규모를 빠르게 감소하는 것으로 중장기적인 인적자원 수급에 향을 미칠 전

망이다 장수사회에 노인들이 일할 기회를 창출하고 여성들의 경제활동을 촉진하

는 것은 인구의 경쟁력을 높이는 미래의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먼저 고령자를 위한 일자리이다 우리나라의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로 5060세대는 2016년 1340만 명에서 2027년까지

1667만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것은 고령자를 위한 일자리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음을 의미한다10) 노인을 위한 일자리 창출은 개별 노인들의 당면한 특

성과 여건을 고려하여 재취업 창업 농어촌 귀환 사회공헌 등 네 가지의 세부 유형

이 있다11) 신중년 재취업 정책은 고용노동부가 고용복지센터 고용센터 중장기일

자리희망센터 고령자은행센터 워크넷 등에서 취업을 지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함과

아울러 신중년 친화적인 직무개발 및 작업환경 개선을 추진하는 것이다 창업은 과

밀업종 진입을 억제하고 특화 및 비생계형 업종의 틈새시장에서 일어나도록 유도하

고 신중년의 경험 및 제조업 기반기술 청년의 아이디어middotICT 기반 신기술 결합 등

의 세대 간 융합을 지원하는 데에 초점이 있다 농어촌 귀환은 신중년들이 농어업을

미래지향적인 융middot복합 산업으로 전환하는 데 기여하고 농어촌 환경을 개선하기 위

한 정책 프로그램이다 마지막으로 신중년 사회공헌 프로그램은 고학력의 전문성을

갖춘 신중년들의 역량을 자원봉사 및 사회적 기업 경 참여 등을 통해서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이다12) 이와 같이 퇴직자들의 경험과 노하우를 활용하는 전략

은 미래의 노동력 감소에 대응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10) 우리나라의 노인 빈곤율은 OECD 국가들 중 가장 높은 반면 기초연금은 매우 취약하고(김형만middot최영섭middot노

대명 2018 49) 다수의 노인들은 일을 통하여 좋은 삶을 이어가기를 원하고 있다(관계부처 합동

201788 1)

11) 이것은 정부가 신중년이라 칭하는 5060세대를 대상으로 생애경력설계 직업교육훈련 취middot창업 및 귀농middot

귀촌 사후관리 등의 단계별 서비스 제공과 이직 및 전직 서비스 및 관련 맞춤형 직업훈련 등의 고용서비

스 또는 노후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관계부처 합동 201788 11-14 저출산middot고령사회위원회

(201812 32-34)

12) 최근 정부는 중소middot준견기업 컨설팅 중소기업 등에 재취업 교middot강사 육성 및 숙련전수 4차 산업혁명 기술

기반 숙련 축적middot전수 공공middot사회서비스에 전문성 활용 전문 봉사활동과 연계 중소기업 및 전문인력 활용

을 위한 고용서비스 퇴직 전문인력 DB 구축 등의 퇴직 전문인력 활용 방안을 구체화 하였다(관계부처

합동 2020515)

63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다음은 여성 일자리이다 여성의 일자리 창출과 일자리 질도 장수시대에 급감하

는 노동력을 확보한다는 차원에서 중요한 과제이다 하지만 여성의 경제활동참가는

성차별 출산 등으로 인한 노동시장 제약이 매우 큰데 이는 미래에 해결해야 할 사

회문제이다 여성 일자리와 관련한 정책은 출산 및 육아 일자리 차별 경력단절과

관련된다 출산과 육아와 관련한 정책은 출산 전후 휴가 확대 부부 육아휴직 확대

아이 돌봄 지원서비스 강화 등을 통하여 일과 생활의 균형을 위한 일자리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13) 일자리 차별은 오랫동안 남성 중심의 노동시장 특성에 기인하

는 것으로 최근의 양성평등의 중요성이 제기 되고 있는 현실을 반 하여 남녀 평등

한 노동환경을 마련하는 것이 요체이다14) 여성의 경력단절은 일자리와 관련해서

지역특화 통합사례 관리 경력단절 여성 DB 구축 여성가족형 사회적 기업 지원 등

재취업과 관련 일자리 기반을 확대하는 것에 초점이 있다15) 이외에도 인구구조의

변화와 관련해서 청년과 중장년 근로자들의 일자리도 매우 중요하다 이들에게는

일자리의 질을 개선함에 의해 노동시장에서 인력수급 또는 숙련의 미스매치를 해결

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울러 혁신을 통한 기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도 비록

일자리의 질과 매우 밀접하게 관련된다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하는 일자리 정책은

종합적이면서도 중장기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나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에 대응

디지털 전환은 산업의 자동화를 넘어서 생산과 소비 사람과 기계 그리고 일과

삶의 역 등의 전반에 향을 미친다 소위 4차 산업혁명으로 명명되는 이러한 시

대적 전환은 미래에 전통적인 일자리의 생존주기를 단축시키고 새로운 일자리가 등

13) 일자리 위원회가 제시한 100대 과제에서는 여성이 일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대책으로 휴가와

돌봄을 지원하는 내용이 제시되어 있고(일자리위원회middot관계부처 합동 202039 74) 저출산middot고령사회

위원회의 로드맵에서도 남성육아 확대 일-생활 확산 인센티브 휴가 등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관계부

처 합동 20181221)

14) UN에서 각국이 2030년까지 달성을 추구하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17개 중에서 우리나라의 성평

등(gender equality) 항목은 매우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UN 2020 41) OECD 국가의 평균에 훨씬

미치지 못하는 현상이 지속되고 있는 것이다(OECD 2017 43) 이것은 우리나라에서 성평등 문제는 향

후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임을 의미한다

15) 「제3차 경력단절여성등의 경제활동촉진 기본계획(2020-2024)」은 재직 여성의 경력단절 예방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 일자라지원 돌봄 전달체계 및 제도 등의 5개의 정책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관계부처

합동 20202)

6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장할 것임을 예고하는 것이다 따라서 미래 4차 산업혁명에 대비는 기존의 일자리

신산업 일자리 그리고 인적자원 역량의 세 관점에서 조망할 수 있다

첫째 기존 일자리의 유지는 제조업을 중심으로 경제의 근본을 이루는 힘을 보존

하는 것이다 정부는 주력 산업 중심 제조업의 변혁을 통하여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 다(관계부처 합동 2019619) 정부의 추진 전략

은 ① 스마트화 친환경화 융middot복합화로 산업구조 혁신 ② 신산업을 새로운 주력산

업으로 육성함과 아울러 기존 주력산업을 혁신 ③ 산업생태계를 도전과 축적 중심

으로 개편 ④ 투자와 혁신을 뒷받침 하는 정부의 역할 강화 등의 네 가지를 제시하

고 있다16) 이 중에서 도전과 축적 중심의 생태계 조성은 제조업이 필요로 하는 인

적자원을 적기에 양성middot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산업수요 기반 공학교육 혁

신 평생교육 및 재직자훈련 기회 확대 청년과 고령자를 위한 일터혁신 등이 주된

내용이다 이와 같은 정부가 제시하고 있는 제조업 르네상스는 전통적인 주력산업

과 기타 제조업이 4차 산업혁명의 물결에 순응하기 위한 혁신을 통해 일자리를 유

지middot확대하는 것과 밀접하게 관련되는 것이다

둘째 신산업 일자리는 「제7차 산업기술혁신계획」에서 구체화되고 있다17) 이

계획은 25개의 분야에 100대 핵심 기술개발에 투자를 기획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

술 투자는 도전과 축적에 의한 일자리 창출을 기대하는 것들이다 산업혁신을 선도

하는 기술개발 체계는 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드는 파괴적 기술을 도출하는

도전적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계획은 미래를 선도할 핵심기술을 장기

간에 걸쳐 개발middot축적하는 lsquo산업기술 축적 거점사업rsquo을 구상하고 있다 공공연구기관

과 대학이 핵심기술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하는 것은 고급인적자원을 활용할 기

반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도전과 축적의 전략은 혁신의 기반이 되는 인력양성

에 기반을 두고 있다 연구개발의 제도정비와 함께 산업 인공지능 산업보안 스마

16) 정부는 제조업 부활을 위한 비전으로 `세계 4대강국` 도약을 비전으로 두고 부가가치 25 신산업신품

목 16 일류기업 573개사 수출 6위 등의 목표를 설정하고 산업구조를 추격형에서 선도형으로 산업생

태계를 위험기피에서 도전과 축적으로 그리고 성장의 핵심요소로 자본에서 기술과 사람으로 패러다임

전환을 추구하고 있다(관계부처 합동 2019619 3)

17) 동 계획의 비전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글로벌 기술 강국으로 도약`을 그리고 목표는 2017년 실적에서

2023년까지 `주력산업의 세계시장 점유율 85rarr12 신산업 1위 대비 기술수준 80rarr84 GDP대

비 기업 RampD투자 비중 36rarr43 산업체 연구개발인력 비중 94rarr12 대학middot공공 기술이전율

38rarr43` 등으로 향상시키는 것에 두고 있다(산업통상자원부 20193 14) 이것은 일자리에 필요한

인력양성과 활용에 기반을 두는 것이다

65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트엔지니어링 등 신산업 분야 공학 인력양성 대학 내에 기업연구관 및 기업지원센

터 설치 등이 구체적인 내용이다

영역 산업분야

수송 전기middot수소자동차 자율주행차 친환경스마트 조선해양 플랜트 차세대항공(드론포함)

건강관리 디지털헬스케어 맞춤형 바이오 진단middot치료 스마트의료기기

생활 스마트홈 서비스로봇 웨어러블디바이스 미래형디스플레이 지능정보서비스

에너지middot환경수소에너지 재생에너지(태양광 풍력) 지능형전력시스템 에너지효율향상 청정생산

원자력 안전 및 해체

제조 첨단소재 차세대반도체 첨단 제조 공정middot장비 스마트산업기계 스마트엔지니어링 3D 프린팅

자료 산업통상자원부(20193) 제7차 산업기술혁신계획(2019-2023)

lt표 2-29gt 정부의 투자전략 대상 산업 분야

셋째 인적자원 역량은 미래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일자리위원회는 미래 사회의 트렌드에 대비하기 위하여 후반기

일자리 대책으로 사람투자를 제시하고 있다 사람투자 정책은 교육훈련 기회 혁신

선도 산업수요 대응 등의 세 역에서 10대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교육훈련은 누

구도 낙오되지 않게 하는 포용적 접근을 위한 평생교육훈련 스마트 교육훈련 학생

교육 기회 재직자 교육 등 모든 계층의 교육훈련 기회를 확장하는 데에 초점이 맞

추어져 있다 혁신선도는 미래산업 주력산업 중소기업 등의 산업의 특성에 상응하

는 인재양성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산업수요 대응은 기존의 일학습병행제 민간직

업훈련 재직자 신기술 훈련의 세 축이다 이와 같은 세 역의 총 10개 과제는 미

래에 대비하여 인적자원의 질을 제고하여 산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개인에게는

평생고용의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사람투자는 미래를 위한 혁신과 포용을

지향하는 일자리 정책의 중요한 부분이다

다 코로나19의 이후 새로운 패러다임에 대응

최근 등장한 코로나19는 인구구조 변화 및 디지털 혁명에 대응하여 패러다임 전

환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심각한 경기하강과 불확실한 미래를 야기하고 있다 한국

에서는 코로나19 대응에 최선을 다하는 성과가 있었다18) 그 결과 2020년 전반기

6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의 실질GDP는 대다수 국가에서는 하락하 지만 한국(KOR)의 하락폭은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다(OECD 2020a)

그럼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 충격에 대비한 미래의 일자리 정책은 기존의 인구

구조 및 디지털 변화에 더하여 새로운 전략을 필요로 한다 정부는 최근 코로나19

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여 한국판 뉴딜을 발표하 다

18) UN은 지속가능발전목표를 코로나19에 통제지표를 만들어 국가별로 비교한 결과에 의하면 한국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UN 2020 20)

영역 분야 과제예산(조원)

일자리(만개)

디지털

뉴딜

DNA 생태계

강화

(1) 국민생활과 밀접한 분야 데이터 구축middot개방middot활용

(2) 1middot2middot3차 전산업으로 5GmiddotAI 융합 확산

(3) 5GmiddotAI 융합 확산

(4) K-사이버 방역체계 구축

582 903

교육인프라 디지털

전환

(5) 모든 초중고에 디지털 기반 교육 인프라 조성

(6) 전국 대학middot직업훈련기관 온라인 교육 강화

비대면 산업 육성

(7) 스마트 의료 및 돌봄 인프라 구축

(8) 중소기업 원격근무 확산

(9) 소상공인 온라인 비즈니스 지원

SOC 디지털화

(10) 4대 분야 핵심 인프라 디지털 관리체계 구축

(11) 도시middot산단의 공간 디지털 혁신

(12) 스마트 물류체계 구축

그린 뉴딜

도시middot공간middot생활

인프라 녹색 전환

(13) 국민생활과 밀접한 공공시설 제로에너지화

(14) 국토middot해양middot도시의 녹색 생태계 회복

(15) 깨끗하고 안전한 물 관리체계 구축

734 659저탄소middot분산형

에너지 확산

(16) 에너지 관리 효율화 지능형 스마트 그리드 구축

(17) 신재생에너지 확산기반 구축 및 공정한 전환 지원

(18) 전기차middot수소차 등 그린 모빌리티 보급 확대

녹색산업 혁신

생태계 구축

(19) 녹색 선도 유망기업 육성 및 저탄소middot녹색산단 조성

(20) RampDmiddot금융 등 녹색혁신 기반 조성

안전망

강화

고용middot사회 안전망

(21) 전국민 대상 고용안전망 구축

(22) 함께 잘 사는 포용적 사회안전망 강화

(23) 고용보험 사각지대 생활middot고용안정 지원

(24) 고용시장 신규진입 및 전환 지원

(25) 산업안전 및 근무환경 혁신 284 339

사람투자

(26) 디지털middot그린 인재 양성

(27) 미래적응형 직업훈련 체계로 개편

(28) 농어촌middot취약계층의 디지털 접근성 강화

자료 관계부처합동(2020714)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 선도국가로 도약하는 대한민국으로 대전환

lt표 2-30gt 한국판 뉴딜의 투자계획 및 기대 일자리 창출 효과

67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정부는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수요의 급증과 함께 디지털 경제로 전환이 가속

화 저탄소middot친환경 경제에 대한 요구 증대 경제middot사회구조의 양극화 심화 등의 구조

변화가 나타날 것으로 진단하 다 이러한 코로나19로 인한 충격의 가장 큰 부분은

경제의 불확실성과 그로 인한 일자리 위축이 될 것이다 정부의 「한국판 뉴딜」에는

디지털 뉴딜 그린 뉴딜 사회안전망 강화의 세 분야에서 일자리 창출을 중요하게

포함하고 있다 디지털 뉴딜은 DNA(Data-Network-AI) 생태계 강화 교육인프

라 디지털 전환 비대면 산업 육성 사회간접자본(SOC) 디지털화 네 역에서 총사

업비 582조 원을 투입하여 903만 개의 일자리 창출을 계획하는 것이다

그린 뉴딜은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미래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lsquo도시middot공간middot생

활 인프라 녹색 전환rsquo 미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lsquo저탄소middot분산형 에니지 확산rsquo 기

후 및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lsquo녹색산업 혁신생태계 구축rsquo 등 세 역에 총

734조 원을 투자하여 일자리 659만 개를 창출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사회안전망 강화는 구조전환에 따른 불확실성에 대응하여 고용middot사회

안전망 확충에 226조 원을 그리고 디지털middot그린 인재양성 등의 사람투자에 4조 원

을 투입하여 339만 개의 일자리 창출을 도모하고 있다 종합하면 2025년까지 총

160조 원을 투입하여 190만 개의 일자리 창출을 목표하고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코로나19의 충격에 대한 대응은 경제 및 사회의 전반에 불확실성을

가중시키는 데에 대한 대응책이다 특히 비대면 경제 및 사회활동의 증가와 함께

친환경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의 일자리 정책은 디지털 혁신에 대응하면서도

동시에 사회적 안전망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24 관광산업 일자리 정책

문화체육관광부의 관광 일자리 정책은 주로 예비 종사자와 종사원 역량 강화에

초점을 두고 추진되고 있다 관광 일자리 활성화를 위해서 문화체육관광부는 관광

산업 일자리 박람회 관광일자리센터 지역관광일자리 활성화(지역관광기업지원센

터 구축 산학협력프로젝트 등) 등을 통해 관광산업 일자리 정보 교육 및 훈련 등을

제공하고 있다

6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단위 백만원)

구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관광산업

일자리

활성화 및

단체지원

(직접

일자리

정책)

- 관광전문 인력교육

(110)

- 관광전문 인력양성

(207) - 관광전문 인력양성

(947)

- 관광전문 인력양성

(1398)- 호텔아카데미 육성

지원 (438)

- 호텔아카데미 육성

지원 등 (428)

- 관광안내 인력교육

(97)- 관광통역안내사

교육 및 카지노

아카데미 (567) - 종사원 전문 역량

강화 (210)

- 종사원 전문 역량강

화 (660) 미래형

관광인재 육성(대학

대상 미래형 관광교

육기관 선정 빅데

이터 통계 연계)19)

- 관광통역안내사

교육(514)

- 카지노리조트

아카데미(53)

- 관광숙박 종사원 교

육 및 진흥지원(60)

- 관광숙박 종사원 교

육 및 진흥지원(60)

- 관광산업 종합채용

박람회 개최 등

지원 (822)

- 관광산업 종합일자

리 박람회 등(700)

- 관광산업 일자리

활성화(3900)

- 관광산업 일자리

활성화(7400)

관광사업

창업지원 및

벤처 육성

(간접

일자리

정책)

- 관광기업 발굴 및

지원 (2200)

- 관광사업 발굴 및

지원 (2090)

- 관광사업 발굴 및

지원 (3402)

- 관광사업 발굴 및

지원 (8514)

- 관광분야 중소기업

투자유치 활성화

지원 (1550)

- 관광분야 중소기업

투자유치 활성화

지원 (987)

- 관광분야 중소기업

투자유치 활성화

지원 (944)

- 관광분야 중소기업

투자유치 활성화

지원 (10750)

-

- 관광산업 종합정보

지원체계 구축

(2000)

- 관광산업 종합정보

지원체계 구축

(2400)

- 관광산업 종합정보

지원체계 구축

(2200)

- 관광기업육성펀드

(15000)

- 관광기업 육성펀드

조성 (17000)

- 관광기업 육성펀드

조성운영(13000)

- 관광기업 육성펀드

조성운영(30000)

자료  문화체육관광부 각년도 관광부문 재정집행계획

lt표 2-31gt 2018~2020년 일자리 관련 관광산업정책

또한 미래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관광사업 창업지원 및 벤처 육성 지원을 추진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2020년 기준 관광사업 발굴 및 지원(8514백만원) 관광분

야 중소기업 투자유치 활성화 지원(10750백만원) 관광산업 종합정보 지원체계 구

축(2200백만원) 관광기업 육성펀드 조성운용(30000백만원)을 하고 있다

19) 2020년 하반기에 관광 미래인재 100명(교육기관 당 33~34명)의 대학(원)생을 선발 정규 이론 교육과

산학 프로젝트를 통한 실무 중심 교육 실시 160시간 이상의 교육 교육비 전액 국비 지원(한국관광공사

20200422)

69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최근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관광업계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문화체육관광부

는 관광산업의 지역소비 여력 확충과 더불어 고용 유지 지원을 위해서 고용 유지

지원금 지원 요건을 완화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관광업계 종사원을 위한 교육 지원

을 추진하고 있다

구분 내용

고용유지지원금 - 코로나19 피해기업에 대한 고용유지지원금 지원요건 완화 시행(129일~)

교육지원

- 재정비 기간 중 관광업계 종사원 교육 지원 추진

lsquo찾아가는 호텔교육(rsquo20년 신규 100개소)rsquo lsquo마이스전문가 양성 교육(300명)rsquo

lsquo유원시설 안전관리자 교육(100명)rsquo 등 조기추진(3월~)

자료 관계부처합동(20200217) 코로나19 대응 관광middot외식업 긴급 지원방안

lt표 2-32gt 코로나19 대응 관광산업 고용유지지원 정책

문화체육관광부는 일자리 할인소비쿠폰 한국판 뉴딜사업 등의 정책 추진하고

있다 특히 문화체육관광부는 문화예술middot관광middot 화 분야 일자리를 위해 일자리 창

출을 위한 다음과 같은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사업 내용 예산(825억 원)

공연예술분야 인력지원 연극뮤지컬middot음악middot국악middot무용 분야 보조인력 288억 원

관광지 방역middot수용태세 개선 관광지 방역middot생활방역수칙 지도 354억 원

공연장 방역안전지킴이 중소규모 공연장 방역안전인력 지원 31억 원

예술자료 수집 및 디지털화 예술 관련 기록 자료 디지털화 33억 원

애니메이션 디지털 아카이빙 애니메이션 데이터 수집middot기록middot보존 등 아카이빙 39억 원

현장영화인 직업훈련 지원 영화인 직무재교육 실시 및 훈련지원금 지급 10억 원

뉴미디어 영상콘텐츠 제작 지원 영화middot방송 인력 활용 숏폼 뉴미디어 콘텐츠 제작 70억 원

자료 문화체육관광부(20200703)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문체부 3차 추경 3469억 원 확정(보도자료)

lt표 2-33gt 일자리 창출을 위한 문화체육관광부 주요사업

7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3 해외 정책 사례

31 일본

가 정책 사례 검토의 기준

2010년대 초반 아베내각 재집권 이후 코로나19 사태 이전까지 일본의 일자리수

급 현황은 전반적으로는 구직난이 아니라 구인난에 놓 고 IT 산업분야 대면서비

스 분야에 있어서는 심각한 수준이다 특히 건설업이나 생활관련 서비스업 등에서

는 구인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취업자는 감소하여 심각한 인력난을 겪

게 되었고 정보통신업 의료 및 복지 교육 서비스 분야 등에 있어서는 지속적으로

인력수요가 증가하게 되었다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는 일자리 부족으로 인한 전반적인 구직난에 직면해 있으므

로 일본사례 검토를 통해 바람직한 시사점을 얻기 위해서는 2010년대 이후만을 대

상으로 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일본에서도 구직난으로 인해

고용창출 내지 일자리창출에 대한 정책적인 관심이 컸던 2000년대 초반부터의 흐

름을 살펴보고자한다 세부적으로는 2000년대 전반의 고이즈미 내각의 일자리 정

책 2010년대 초반 민주당 내각의 일자리 정책 2010년대 초반 이후 아베내각의

일자리 정책의 세 시기로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나 2000년대 전반 고이즈미 내각의 일자리 정책

1) 경제사회적 배경

2001년 4월 고이즈미 내각 출범과 함께 사회경제 전반에 걸친 성역 없는 구조개

혁이 슬로건으로 등장하 다 1980년대의 버블경제가 1990년대 들어 붕괴되면서

2000년대에 이르기까지 일본의 장기불황이 지속되었고 이에 따라 일본경제를 부

흥시키기 위한 다양한 정책적 노력이 추진되었다(内閣府 20016) 서비스경제화의

진전 고용인력 및 고용형태의 다양화 등에의 정책적 대응이 강력하게 요구되고 경

기불황으로 구직난이 심화되어 적극적인 일자리 창출이 어느 시기보다 강력하게 요

구되었다는 점에서 현재의 우리나라 상황과 매우 유사한 시기로 볼 수 있다

71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사회적으로는 일본경제의 고도 성장기를 거치면서 인구의 대도시 집중이 심화되

었고 이로 인해 지방 공동화 지방 인구의 급격한 감소 등으로 경제적사회적 측면

에서 지역 활성화가 일본사회의 긴급한 문제로 등장하 다 더불어 1990년대 들어

출생율 감소에 따른 인구감소 사회 및 고령화 사회에 본격적으로 진입함에 따라 다

양한 사회문제에 대한 대응 필요성이 일층 강조된 시기 다

2) 일자리창출 관련 정책

고이즈미 내각은 출범 이후 경제사회 문제에의 대응전략 수립을 위한 「경제재정

운용 및 구조개혁에 관한 기본방침」을 매년 발표하 는데 그 중 고용정책과 관련된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구분 고용 관련 주요 내용

금후의 경제재정운용

및 구조개혁에 관한

기본방침 (2001)

- 적극적인 구조개혁 추진이 미치는 고용에의 영향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성장 분야

확대 촉진 원활한 노동이동 및 노동력 재배치를 위한 환경정비 추진

자발적인 능력개발 지원

파견 기간제고용 재량노동 유연 취업 등 다양한 고용형태의 취업 가능토록

제도 개선

직업상담 충실화 및 직업훈련 원활화

- 신규 성장분야를 포함한 서비스산업에서 향후 5년간 530만명 고용창출 기대

경제재정운용 및

구조개혁에 관한

기본방침(2002)

- 고령자 젊은층 여성의 사회참여 지원 확대

유기노동계약 재량노동제 노동파견법 등의 개정을 통한 고용유연화 추진

젊은층의 계약직 고용 인턴십 등 직업체험 기회 확대

- 신산업 발굴 추진

환경에너지 정보가전 브로드밴드IT 건강바이오기술 나노기술재료 등

4개 분야의 기술개발 지적재산표준화 시장화 관련 전략 추진

- 수요창조형 생활산업 창출

환경 관광 식료 문화스포츠건강 등 산업의 활성화

경제재정운용 및

구조개혁에 관한

기본방침(2003)

- 고용제도 개선 관련

성장분야인 서비스산업에서 고용기회를 창출

젊은층 여성 고령자의 능력발휘 및 활력을 활용 장애자의 고용촉진

사회봉사활동 워크쉐어링 등 다양한 고용취업기회 제공

전국 일률적인 제도에서 지역 특성 및 자주성을 활용한 고용촉진에로 전환

- 고용기회 창출 관련

서비스산업 규제개혁 공적부문의 외부위탁 인재육성 지원 관광산업 육성 등

에 의해 9개 서비스분야 대상「530만 명 고용창출 프로그램」추진

건강서비스산업 문화산업 등의 지역산업 창출

창업에 의한 취업기회 증대를 위해 벤처기업 대상의 실습 및 지식습득 강좌 지원

대학 및 기업에 의한 벤처 지원을 통해 연구개발형 벤처 창출

lt표 2-34gt 고이즈미 내각의 연도별 고용창출 관련 정책추진 내용

7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고이즈미 정권의 고용창출 정책을 정리해 보면 몇 가지 특징을 살펴볼 수 있다

우선 비정규직 고용의 원활화를 도모하여 일자리를 확대하려한 점을 들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비정규직 일자리의 확대는 확연하게 증가하 으나 고용의 질이란 측

면에서 문제점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內閣府 200311) 나아가 전반적

으로는 고용 감소가 진행되는 가운데 규제완화 분야 및 신산업분야 서비스산업 분

야 등에서의 고용창출도 증가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구분 주요 내용

1) 고용형태의 다양화를 통한

고용창출

(비정규직 고용창출 증대)

- 유기계약 및 재량노동제 관련 노동기준법 개정

- 파견노동자에 관한 규제개혁

- 시간제노동자의 처우개선 시책

- 워크쉐어링 등의 일자리나누기 시책

- 주요대상 젊은층 여성 고령자 장애인 등

2) 신규middot성장분야 육성을

통한 고용창출

- 신공공서비스 확대를 통한 고용창출

- 신규middot성장 서비스분야 육성을 통한 향후 5년간 lsquo530만명 고용창출 프로그

램rsquo을 추진

- 7개 전략산업분야를 통한 고용창출

- 대학 및 기업에 의한 벤처 지원을 통한 고용창출

3) 지역특화된 사업분야를

통한 고용 창출- 복지 간호 교육 문화 환경보호 등 종래 공공서비스로 제공되던 분야

4) 고용창출 인프라 구축

- 직업상담 및 직업훈련의 충실화 및 원활화

- 취업지원 및 취업컨설팅 민간사업자 지원

- 노동이동 및 노동력 재배치를 위한 환경정비

lt표 2-35gt 고이즈미 정권의 고용창출 정책의 특징

구분 고용 관련 주요 내용

경제재정운용 및

구조개혁에 관한

기본방침

(2004)

- 젊은층의 도전 자립 프로그램 미취업자의 근로의욕향상

- 지역주도형 고용정책 추진을 위해 지자체 제안공모에 의한 경쟁적 선별적 지원

체계 도입

- 노동이동 원활화를 위한 취직지원 민간사업자활용 확대

- 신산업 창조전략 추진

7개 전략산업분야(연료전지 정보가전 로봇 콘텐츠 건강복지 관련 기기 및

서비스 환경에너지 관련 기기 및 서비스 비즈니스 지원서비스)와 지역 활성

화 산업군의 연계 및 육성을 위해 연구개발 인재육성 규제개혁 환경정비 등

의 중점 추진

산관학연계 강화를 통한 지역자원 활용 산업클러스터 계획 지적클러스터 조성

사업 추진

자료 内閣府(20016)「今後の経済財政運営及び経済社会の構造改革に関する基本方針」 内閣府(20026)「経済財政

運営及び経済社会の構造改革に関する基本方針2002」 內閣府(20036) 経済財政運営と構造改革に関する基本

方針2003(概要) 內閣府(20046) 経済財政運営と構造改革に関する基本方針2004

73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다 2010년대 초반 고이즈미 내각의 일자리 정책

민주당 내각이 출범한 직후에도 세계 경제위기에 따른 긴급고용대책이 강력히 요

구되었는데 2009년 집권한 하토야마 내각의 고용창출 정책의 기조는 2012년 말까지

의 민주당 내각에서 유사하게 추진되었는데 주요 고용정책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구분 주요 내용

내일의 안심과

성장을 위한

긴급경제대책

(2009)

- 고용긴급대응책 강화와 함께 경제성장을 위한 고용전략도 동시에 추진

- 고용유지를 지원하기 위한 고용조정조성금의 요건 완화

- 구직 중인 빈곤층의 최우선 지원 졸업예정자의 취직활동 지원 강화

- 성장분야를 중심으로 lsquo긴급고용창조프로그램rsquo 확충 도모

중점분야의 고용창출 간호 의료 농림 환경 및 에너지 정보통신 관광 지역사회고용 등

지역사회 고용창조사업 창출 NPO나 사회적기업가 등의 창업 및 사업화를 통해 지역사

회고용을 창출

4가지 지역고용창출 사업의 유형

① 사업 및 고용 계속성을 전제로 한 사업(지방고용재생특별기금사업)

② 간호 의료 농림 환경 관광 등에서 고용기회 창출 사업(중점분야 고용창출사업)

③ 실업자가 지역기업 취직에 필요한 지식이나 기술 습득 지원 사업(지역인재육성사업)

④ 지역 특성을 살린 중점적 산업진흥 및 고용창출을 위해 사업주 및 구직자 대상 인재

육성 연수 실시 사업주 대상 사업 확대 구직자 대상 취직 촉진 도모 사업(지역고용

창조추진사업(패키지사업))

관광을 통한 고용창출 건설업 및 해운사업 성장을 통한 고용창출

- 신산업창출 분야 그린에너지 의료 복지 농림어업 6차산업화 등

자료 内閣府(200912) 明日の安心と成長のための緊急経済対策 内閣府(201012) 新成長戦略 内閣府(201211)

日本再生加速プログラム

lt표 2-36gt 민주당 내각의 고용창출 관련 정책추진 내용

라 2010년대 초반 이후 아베내각의 일자리 정책

지속적인 인구감소 동경을 대표로 하는 대도시 집중화 지방의 경제 활성화 미흡

및 노동력 부족 등은 지금까지와는 다른 차원의 대응을 요구하게 되었고 지방에서

의 고용기회 확대 및 신규창출은 다양한 지방 문제 해결의 핵심전략으로 제시되기

에 이르렀다(大和總硏 201411) 이상과 같은 사회경제적 배경 하에 다양한 고용관

련 정책이 추진되었는데 이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아베정권 들어서 발표된 정책에서 고용관련 사항은 이전 정권에 비해 약화되어

있음을 살펴볼 수 있다 이는 경제 활성화와 더불어 기존의 구직난에서 구인난으로

고용상황이 역전된데 따른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추진된 고용정책의 내용

도 고이즈미 정권에서 추진되었던 내용과 유사한 것을 볼 수 있다

7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 관심분야 강한 역점분야)

구분

아베노믹스 1기 아베노믹스 2기

일본부흥전략20132014

일본부흥 전략2015

일본부흥 전략2016

미래투자전략2017~2019

유망

산업

시장

건강middot의료middot간호

4차 산업

(IoT 인공지능 빅데이터)

이동서비스middot물류

핀테크

에너지환경

공유경제

지방

활성화

중소기업 지원

농업

관광

서비스산업

고용관련 정책

- 고용유지형에서 노동 이동 지원

형으로 정책전환

- 인재활용 대응계층 고급 해외

인재 여성 청년층

- 실천적 직업교육을 위한 고등교

육기관의 제도화

- 지방에서의 창업 기업 지원

- 지방에 경영자원의 유입 및

고용창출 도모

- 외국기업 유치

- 창업지원 기업가 교육

- 고용촉진 대상 여성 고령자

장애자 고급 해외인재

자료 みずほ総合研究所(20171221) アベノミクス5年と今後の政策課題 p5에 기초하여 추가 정리 首相官邸

(20136) 日本再興戦略 內閣官方(20176) まちひとしごと創生基本方針2017(概要版) 内閣官房(20196)

成長戦略フォローアップ

lt표 2-37gt 아베정권의 고용정책 및 성장전략의 변화 추이

이 시기 새로운 일자리창출은 전략산업으로 등장한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성장

산업 분야의 육성과 생산성혁명 지원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 다 기존의 건강middot의

료middot간호 분야나 에너지middot환경 분야에서 나아가 IoTmiddot인공지능middot빅데이터 등의 4차 산

업 분야 이동서비스 및 물류 핀테크 등과 같은 신성장산업 분야를 육성함으로써

신규 일자리창출을 도모하 다 경제를 포함한 지방 활성화의 주축은 농업middot관광middot서

비스산업에 두고 있어 이전 정권들과 유사함을 볼 수 있다

아베정권에서 적극적으로 추진되어 온 지방 활성화 정책은 lsquo로컬아베노믹스rsquo라고

도 명명되고 있어 매년 다양한 관련 정책이 제시되는 lsquo지방창생 기본방침rsquo이 발표되

어 왔다 핵심요소는 지방에서의 일자리창출 관련 내용이라고 볼 수 있는데 이를

75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살펴보면 lt표 2-38gt과 같다 지방 고용창출의 주요 대상으로는 젊은층 여성 고령

자의 취업기회를 확대시키기 위한 사업을 들 수 있으며 지역이 보유한 다양한 자원

특히 유휴자원을 활용한 사업화 및 일자리창출 사업에 역점을 두고 있다

구분지방창생 기본방침

(2015 2016)지방창생 종합전략

(2017)지방창생 종합전략

(2018)

일자리창출

대상

관련 사업

- 젊은 층의 고용창출

- 여성 취업률 증대

- 지역의 중핵기업 지원

- 지역자원을 활용한 기업화

지역상사에 의한 지역생산

품 판로확대 일본형DMO

서비스업의 생산성 향상

지역의 미래 견인사업에의

투자 촉진 등

- 지방창생의 新전개도모

- 지방 젊은층 고용창출

- 향후 5년간 30만 명 목표

- 지역자원(빈점포 유휴농

지 고민가 등)을 활용한

일자리창출

- 지역중핵기업지원

- 젊은층의 전원 회귀에 의한

창업 취업자 창출(6년간 6

만 명)

- 여성고령자 등의 활약에

의한 신규 취업발굴 (6년간

24만 명)

육성산업

- 5개 서비스업(소매업 음식업 숙박업 간호 도로화물운송

업 등)의 활성화 및 생산성 향상

관광업의 연계체계 강화 의료 간호 분야 농림수산업

성장 산업화

- 관광지개발 및 브랜딩 추진

- 농림수산업

- 공적업무의 사회적 사업화

일자리 확대

방안

- 정부관계기관의 지방 이전 기업의 지방거점 강화 및 지방인재 채용확대

- 지방대학 활성화 및 진흥

자료 首相官邸(2015) まちひとしごと創生基本方針2015 内閣官房(20176) まちひとしごと創生基本方針

2017(概要版 内閣官房(20186) まちひとしごと創生基本方針2018について

lt표 2-38gt 아베정권의 지방창생전략 상의 고용창출 관련 내용

지방 고용창출을 견인할 육성산업분야로는 서비스업이 핵심이 되고 있는데 소매

업 음식업 및 숙박업 간호 분야 화물운송업 등이며 특히 농림수산업의 6차 산업

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나아가 기존의 공적업무 역을 사회적 사업화함으로써 신

규일자리 창출을 도모하고 있다 한편 일자리의 확대를 위해 정부관계기관의 지방

이전 및 민간기업의 지방거점 강화 및 지방인재 채용확대 지방대학 활성화 및 진흥

등도 지방 고용창출을 위한 정책 내용이다

마 관광분야 일자리창출 사례

1) 일자리창출 사업 진행

국토교통성 및 관광청이 추진한 관광분야 일자리창출 정책은 사례를 찾아보기 어

려우며 대다수가 일자리창출의 주무 부처인 후생노동성이 추진하는 사업으로 진행

7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되어 왔음을 살펴볼 수 있다 특히 고이즈미 내각 이래 지역주도형 고용정책 추진을

위해 후생노동성이 공모하는 고용창출 사업에 지자체가 제안서를 제출하여 경쟁적선별적인 추진체제를 도입하게 되었는데 지역특성에 기반한 관광을 통한 고용창출

사업은 지자체들이 가장 빈번하게 제안하는 사업이 되었다

관광분야 일자리창출 사업이 포함된 후생노동성의 지역고용창출 사업은 1987년

제정된 lsquo지역고용개발촉진법rsquo에 근거하여 실시되고 있다 이 법에 기반하여 다양한

명칭의 지역고용창출 사업이 진행되어 왔는데 고이즈미 정권 이래의 주요 사업들을

살펴보면 2000년대 초중반의 지역제안형고용창조촉진사업(패키지사업) 2000년대

중후반에 추진된 지역고용창조추진사업 2010년대 초반에 추진된 중점분야고용창

조사업 2010년대 중반에 시작되어 현재까지에 이르는 실천형지역고용창조사업

2010년대 중반 이후 추진된 지역활성화고용창조프로젝트 사업 2019년 창설된 과

소지역 및 재난지역 대상의 지역고용활성화추진사업 등을 들 수 있다

위의 다양한 사업들에 지자체가 제안한 사업내용 중에는 관광분야 고용창출 사업

이 상당수 포함되어 있는데 최근에 추진된 주요 사업별 관광분야 사업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대다수의 사업들은 사업단위가 기초지자체이며 거의 절반에 가까운

사업들이 관광분야를 포함하고 있다 특히 2012년부터 추진되고 있는 실천형지역

고용창조사업의 경우는 현재까지의 9년간에 걸쳐 실시된 전체 470 건의 사업 중에

서 305 건이 관광분야 사업을 포함하고 있어 지역고용창출에 있어 관광분야의 중요

성을 극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사업명(기간) 사업단위 전체 사업수(건) 관광분야 사례 수(건)

지역제안형고용창조촉진사업

(패키지사업) (2005)

기초

지자체35 10

중점분야고용창조사업

(2010-2012)

광역기초

지자체

79

(간호 의료 관광 환경middot에너지

농림수산 지역사회고용 등)

34

실천형지역고용창조사업

(2012-현재)

기초

지자체470 305

지역활성화고용창조프로젝트

(2016-현재)

광역

지자체40 13

지역고용활성화추진사업

(2019)

기초

지자체14 4

lt표 2-39gt 후생노동성 추진 고용창출사업 내의 관광분야 포함 건 수

77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2) 관광분야 일자리창출 사업 진행

① 지역제안형고용창조촉진사업 내 주요 사례

이 사업은 2000년대 중반 후생노동성이 고용기금으로 추진한 것으로 고용기회

가 부족한 지역이 고용창조에 자발적으로 대응하려는 기초지자체가 제안한 고용기

회 창출 능력개발 구직자 대상 정보제공 및 상담 등의 사업 중에서 고용창조 효과

가 높은 사업을 선발하여 해당 지자체에 사업실시를 위탁하는 사업이다 사업 실시

를 위해서는 기초지자체가 지역 내 경제단체 등과 협의회를 구성하여 사업을 제안

하고 선정되면 사업 실시주체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며 지역 내 민간단체에 재위탁

도 가능하다 사업비는 연간 2억 엔이며 최대 3년간 계속사업으로 진행할 수 있다

2005년 추진된 이 사업에 선정된 총 35건 중에는 10건의 관광분야 고용창출사

업이 포함되었는데 그 내용을 살펴보면 아래의 lt표 2-40gt과 같다 대다수의 기초자

체가 실시한 고용창출사업에는 신규일자리를 직접 만들어 내는 사업보다는 가이드

나 서비스 인력 등의 인력양성 및 연수 등 간접사업이 주를 이루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드물게 관광상품 개발사업이나 체험형 관광비즈니스 구축 등의 직접사업이

포함되어 있다

선정 지역 관광관련 사업내용

북해도 삿포로시 - 방일외래관광객 중국어대응 인력양성 연수(인력양성)

북해도 하코다테시- 지역 관광안내 여행지원서비스 관광택시 체험형관광 서비스 등의 분야에

서 활약할 인재육성 연수(인력양성)

북해도 아사히카와시

- 관광분야 취업희망 젊은층 대상 연수

- 旭川관광포럼 개최 관광벤처비즈니스스쿨 운영

- 旭川특산 관광상품 개발사업 지원

- 관광정보발신 노하우 강좌개최

이와테현 타노하타무라- 체험형 관광비즈니스 구축사업

- 체험형관광 담당인력 양성사업 체험형관광 PR방법연수

아키타현 오가시 - 관광인재 육성사업(관광프로그램 기획입안 가능인재)

도야마현 히미시 - 관광인력의 자질향상 연수 관광정보발신 능력향상 연수

나가사키현 고토쓰시마 지구 - 프로 전문가이드 크리에이터 인스트럭터 관광리더 등의 육성 연수

가고시마현 세토우치조 - 요리사 가이드 해양가이드 등 양성

오키나와현 오키나와시 - 음악관광 진흥을 위한 관광음악문화 가이드 양성

자료 厚生労働省 地域提案型雇用創造促進事業(パッケージ事業)事例集

lt표 2-40gt 2005년 지역제안형고용창조촉진사업에 선정된 관광분야 고용창출사업 주요 내용

7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② 중점분야고용창조사업 내의 주요 사례

이 사업은 2009년 창설되어 2013년 완료까지 후생노동성이 추진한 것으로 실

업문제가 심각한 상황에서 간호 의료복지 농림 환경middot에너지 기술서비스 관광

등의 성장분야에서 새롭게 고용기회 창출과 함께 지역 요구도가 높은 인재를 육성

하여 고용과 연계시키기 위해 실시한 사업이다 지자체는 교부금에 의한 기금을 재

원으로 민간기업 NPO 사회복지법인 등에 사업을 위탁하고 위탁기관은 구직자를

새로 고용하여 사업을 추진하며 인건비 포함한 사업비는 위탁비로서 지급된다

2010년도에 추진된 중점분야사업 중에서 9건의 관광분야 사업의 주요 내용을 살

펴보면 대부분이 가이드 관광객 편의서비스 지원인력 관광안내인력 관광자원 정

보수집인력 등이 그 대상이다 그 외에 관광용 목탄자동차 운 인력 여행상품개발

인력 등의 고용창출 사업도 살펴볼 수 있다

선정 지역 관광관련 사업내용

아오모리현

하치노헤시

- 위탁기관 安藤昌益資料館を育てる会 신규고용창출 4인

- 가이드 고용 및 육성 하치노헤시 및 역사 인물인 안도 쇼에에 관한 역사문화 자원 개발

콘텐츠 제작 관련상품 개발 및 관련 연수 추진

이와테현

- 위탁기관 이와테관광협회 신규고용창출 6인

- 모리오카(盛岡)역 신간선 개찰구 부근에 관광서포터를 배치하여 관광객에게 관광정보 제공

역부근 안내 화물운반 보조 등

미야자키현

오사키시

- 위탁기관 古川商工会議所 신규고용창출 3인

- 시내 관광안내센터 설치 관광안내 및 이벤트 지원 축제 관련 자료작성의 보조업무

군마현

- 위탁기관 株式會社JampS 신규고용창출 2인

- 아카기산(赤城山)부근의 관광체험시설을 실제로 체험하고 정보를 수집축적하고 그 정보를

활용하여 赤城山의 매력을 발신

후쿠이현

아와라시

- 위탁기관 주식회사 アイメル 신규고용창출 4인

- JR아와라온천역에 화물 운반 및 장애자 보조 관광객 안내를 행하는 lsquo수하물지원대rsquo를 배치

효고현

- 위탁기관 兵庫県国際交流協会 신규고용창출 3인

- 외국인이 선호하는 兵庫県내 관광자원에 관한 정보수집 외국어(중국어한국어영어) 정보

지 작성 인터넷에 의한 정보지 게재내용 발신

야마구치현

이와쿠니시

- 위탁기관 岩国市실버인재센터 신규고용창출 3인

- 岩国市 4개 시설을 연결하는 목탄자동차를 운행 운전사 1인 가이드 2인으로 구성

나가사키현

- 위탁기관 株式会社乃村工藝社 신규고용창출 18인

- 나가사키역사문화박물관내의「龍馬伝館」을 찾아온 방문객을 대상으로 시설안내 및 나가사

키현 내의 관광지 안내

미야자키현

- 위탁기관  高千穂町観光協会 신규고용창출 10인

- 일본 神道에서 행하는 가무인 神楽(가구라)를 테마로 여행상품을 조성 대도시의 여행사들

에 판매하고 관리하는 종합활동을 추진

자료 厚生労働省 重点分野雇用創造事業

lt표 2-41gt 2010년 중점분야고용창조사업(관광분야) 주요 내용

79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3) 지역활성화고용창조프로젝트 사업 내의 주요 사례

지역활성화고용창조프로젝트 사업은 산업정책과 연계하여 안정적인 고용기회를

창출함으로써 지역의 고용안정 및 능력개발 추진 지역의 생산성 향상 및 경제적

기반 강화를 목적으로 2016년에 창설된 사업이다

이 사업은 일본의 광역지자체가 전략적 산업분야로 설정한 업종을 정하여 실시하

며 지역 내 다양한 관계자(지자체 경제단체 금융기관 교육 및 연구기관 등)로 구

성된 lsquo협의회rsquo를 설치하여 사업을 시행토록 되어 있다 실시기간은 최대 3년이며 연

간 상한 10억 엔으로 총 사업비의 8할을 보조하는 사업이다

사업이 시작된 2016년 이후 현재까지 총 40건의 사업이 선정되었는데 그 중 관

광분야 사업이 포함된 사례는 13건이다 교토부 사례는 관광분야가 사업의 단독분

야로 제시된 유일한 사례이다 사업내용을 살펴보면 크게 두 분야로 대별된다 하나

는 정규직 고용 및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에 대해 또는 사업체 내의 재직자 업무

능력 향상 등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둘째는 관광분야 취업희망자를 대상으로 취

업 정보 제공 및 업무기능 등의 교육 및 연수 등의 간접지원이 내용이다 결국 신규

고용을 창출하는 비즈니스 창업 관련 사업내용은 빠져 있음을 살펴볼 수 있다

4) 국토교통성의 사례조사에 의한 주요내용

국토교통성에서는 섬 지역을 대상을 고용창출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대다수의

사례들이 신규고용이 직접 창출되는 사업들을 추진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주요

사업 내용은 민박사업(민박 및 체험프로그램 실시 관광가이드 육성 수학여행시장

대상 민박사업 등) 체험프로그램 실시(예 어업 관련 프로그램 제공 및 캐릭터 개발

등) 지역식자재 이용 레스토랑 운 및 체험형 농장운 (예 체험형 농장 운 및

농산가공품 판매 등) 돌고래관찰관련 고용창출사업(예 돌고래 관찰과 숙박시설 연

계 등) 자연체험학습에 의한 고용 확보(예 카누체험 숲이나 해양 가이드 투어 등)

등이 있다

8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32 미국

가 노동성의 2018-22년 전략계획의 비전20)

2019년 공개된 미국 노동성의 2018-22년 전략계획의 비전은 미국 근로자들에

게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는 것이며 미션은 임금 소득자 구직자 및 퇴직자의 복지

증진 및 발전 근무조건 개선 수익성 있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 업무 관련 해택과

권리 증진이다

1) 전략 1 구직활동 지원

구직활동 지원은 구직자 인력솔루션 시스템을 구축 재향군인 구직자들에게 고용

을 유지할 수 있는 재원 및 툴 지원 장애를 동반한 구직자들의 포괄적인 고용창출과

양질의 일자리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증거기반정책(evidence-based policy) 사례

및 툴을 개발 노동시장의 활동 근로조건 및 경제상황에 따른 가격변동사항에 관한

시의적절하고 정확한 관련정보제공 및 일하는 여성의 이익을 증진시키기 위한 정책

과 계획 수립을 포함한다

2017년 트럼프 정부는 견습 프로그램의 확대 관련 행정명령을 발령하 다 주요

내용으로는 기존 견습 프로그램의 확대와 효과성 제고이다 프로그램 확대와 관련해

서는 산업계가 인정하는 견습 프로그램(Industry-Recognized Apprenticeship)의

도입이다 정부가 산업계와 노동계와의 협력을 통해 견습 프로그램을 발전시키고

기존의 정부승인정책을 제3자 또는 전문기관의 승인하는 방식으로 바꾸는 것을 골

자로 한다

또한 프로그램의 접근성 향상을 위해 취약청소년 고등학생 수감자 전과자 및

미군을 대상으로 하는 (예비)견습 프로그램을 확대하는 내용도 담고 있다 행정명령

의 또 다른 핵심내용은 효과성 제고이다 각 부처가 예산관리실에 견습 프로그램

관련 예산서를 제출할 때 프로그램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개선방안 전략을 행정과

법의 관점으로 제출해야한다 이에 따라 중복프로그램을 줄이고 선택과 집중을 높

이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20) US Department of Labor(2018) FY 2018-2022 Strategic Plan의 내용을 재정리함

81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프로그램2020년 예산(단위 천달러)

프로그램 내용

성인 대상 고용 훈련 프로그램

(Adult Employment and

Training Activities)

854649

- 견습직 프로그램 맞춤형 훈련 한시적 일자리를 포함

하여 구직자에게 경력 및 훈련 서비스 제공

18세 이상으로 저소득 저숙련자 공공지원 수령자

우선 지원

청년 대상 고용 훈련 프로그램

(Youth Activities)913130

- 개인 지도 대안적 중middot고등학교 근무 경험 업무 역량

훈련 금융 지식 대학 교육 노동 시장 정보 등 제공

14~24세로 중퇴자 노숙자 위탁 가정 출신 우선

지원

실직자 대상 고용 훈련 프로그램

(Dislocated Workers

Employment and

Training Activities)

1052053

- 구직자나 최근 실업자 대상 교육훈련 노동 시장 정보

제공 취업 상담 구직 기회 부여 교통 및 아동 돌봄

서비스 제공

18세 이상의 최근 실업자 또는 장기 실업자 우선 지원

인디언 원주민 고용 훈련

프로그램

(Indian and Native American

Programs)

55000

- 원주민 부족 부족 단체 알래스카 원주민 단체 통제

단체 및 실업자 및 저소득 아메리카 원주민 알래스카

원주민 및 하와이 원주민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체

에 양질의 고용 및 교육 서비스 제공

이주민 계절 농민 고용 훈련

프로그램

(Migrant and Seasonal

Farmworkers)

91896

- 전국적으로 운영되는 이민 및 계절 농가(MSFW)를 위

한 현지 관리 서비스 프로그램으로 11 개의 주택 보조

금 지원 프로그램 뿐 52 개의 경력 서비스 및 훈련 보

조금 지원 프로그램 포함

전과자 대상 고용 지원 프로그램

(Reentry Employment

Opportunities)

98079

- 2014년 WIOA (Workforce Innovation and

Opportunity Act) 섹션 169에 따라 연구 및 평가로

승인 된 자금을 제공하여 전과자들을 대상으로 구직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 운영

견습 프로그램

(Apprenticeship Grants)175000

- 정보 기술 고급 제조 및 의료 분야의 민간-공공 견습

파트너십에 대한 부문 별 전략 보조금 제공

Youth Build 프로그램 94534

- 이전에 고등학교를 그만 둔 위험이 있는 16-24 세 청

소년을 위한 직업 훈련 및 교육 기회를 제공하는 커뮤

니티 기반 사전 견습 프로그램

Job Corps 프로그램 3611200

- 미국 노동부에 의해 운영되는 무료 교육 및 직업 훈련

프로그램으로 16-24 세의 젊은이들이 양질의 일자리

를 얻고 독립적으로 생활 지원 프로그램

lt표 2-42gt 미국 노동부 고용 훈련 주요 프로그램 및 예산

또한 업무기반 학습 및 자격취득을 위한 기회 확대를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관련 정책들은 청년층 대상 임금을 제공하는 수요중심교

육 및 업무 기반학습을 확대하고 기업이 요구하는 기술 습득 기회를 제공함으로서

기존 근로자들의 프로그램 참여를 높이고 특히 숙련도가 낮은 개인과 고용에 대한

다양한 장벽을 가진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훈련 지원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미국 전역 또는 많은 지역에서 통용될 수 있게 기존의 자격증의 이식성을 지원한다

8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2) 전략 2 안전하고 공정한 직장 홍보

안전하고 건강한 근무조건 확보 광업종사자들의 사망 질병 및 부산 예방 및 안

전 유지 합법적 임금 및 근무조건 확보 퇴직 건강 및 기타 직장관련 해택 보장

향상 연방 계약직 직원을 위한 공정하고 다양한 직장환경 개선 노조의 재정 건전

성 투명성 및 운 민주성 확보를 추진하고 있다

3) 2전략 3 강력한 근로자 보상 및 해택 관리 프로그램 운영

질병이나 상해가 있는 종사자들에게 보상 해택 제공 및 실직근로자들에게 적시에

실업급여 지급을 지원하고 있다

나 4차 산업 관련 정책21)

캘리포니아 인력 개발 전략 계획의 비전은 상향 이동성과 공유 번 으로 인력혁

신기회법(Workforce Innovation and Opportunity Act WIOA) 하에 주위원회

가 수립한 세 가지 고용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그 첫째는 수요 중심 기술 교육 육성으로 주정부 산업 부문의 요구에 맞는 인력

및 교육 프로그램 필요 프로그램 콘텐츠를 개발 운 하여 주내 기업체의 경쟁력을

향상을 도모한다 둘째 캘리포니아 주민의 경제 지위상승 활성화로 누구나 접근할

수 있는 고용할 수 있도록 인력 및 교육 프로그램제공하고 모든 주민이 교육프로그

램의 참여할 수 있으며 적정한 소득 창출 가능을 목적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제한

된 재원의 최대 효과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조정 및 통합으로 각 올바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고객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고객을 기반으로 고객에게 올바른 서

비스를 제공하는 동시에 기술 달성을 촉진하는 것에 있다

다 관광산업 고용정책 및 사례

1) 여행 및 관광 자문위원회의 고용창출 정책

미국 여행 및 관광 자문위원회(US Travel and Tourism Advisory Board)는 상

21) California Workforce Development Board(2015) Californiarsquos Workforce Development Plan의

내용을 재정리함

83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무부 산하 자문기관으로 미국 여행 및 관광 산업에 향을 미치는 정부 정책 및 프

로그램에 대해 장관에게 제안하고 현재 및 향후 관광의 전망에 대한 조언을 제공하

며 산업 관련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논의하고 제안하기 위한 포럼을 제공한다

2019년 위원회는 다음과 같은 정책 제안을 하 다

구분 내용

미래세대 인력 및 노동

시장 정보 시스템 개발

- 현재 노동부가 개발 중인 미래세대 인력 및 노동 시장 정보 시스템 개발과 관련

협력을 통한 상무부의 적극적인 역할 기대

- 미래세대 인력 및 노동 시장 정보 시스템 2014년 노동혁신 기회 법에 근거하여

노동 관련이해관계자 (고용주 학생 근로자 인력 투자위원회 교육 및 훈련 기관)

들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결정을 돕기 위한 시스템

관광산업

정보 수집

- 상무부는 노동통계청과 협력하여 관광산업협회 및 고용주들에 대한 질적인 데이

터 수집 필요

기존의 임금 관련데이터의 부정확성은 인력개발 정책 효과성 저해

(예) 호텔업계의 최고위직들은 타 산업의 통계에 반영되어 관광산업 임금체계

가 상대적으로 저임금산업이라는 인식 부여

견습 프로그램

예산 증액

- 상무부는 관광산업의 견습 프로그램 예산 증액 및 산업계 인증 견습 프로그램의

확대 필요

- 견습 프로그램의 효과 견습 프로그램의 참가자들은 기술향상 인증획득 저이직

률 및 고용주들의 선호 증진

인력혁신 및 기회

법 효과 증진

- 상무부는 산업계와 협력하여 인력혁신 및 기회 법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장애물

제거에 대한 논의 필요

- 관광산업의 경우 기존 근로자의 숙련도 향상 및 미래 일자리 교육 프로그램과 재

원 지원 미미

- 법의 목적

(구직자 측면) 고용 정보 교육 훈련 및 지원 서비스 접근성 제고로 노동시장

진입 촉진

(고용주 측면) 글로벌 경쟁력 확보가능한 숙련된 근로자 제공

인력양성프로그램

평가방법 개발

- 상무부는 산업계가 사용할 수 있는 인력양성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평가방법을 개

발 필요

기타

- 주택부와 협력하여 계절직업이 주를 이루는 지역이나 관광지에 부담 가능한 주택

공급 지원

- 계절근로자들을 위한 이동성 자금을 지원하기 위한 연방정부 차원의 재원을 마련

및 실행

- 계절근로자들을 위한 견습 프로그램의 개발 확대 실행

자료 US Travel and Tourism Advisory Board(2019) Recommendation on Workforce Development

lt표 2-43gt 미국 여행 및 관광 자문위원회의 주요 고용창출 정책 제안

관광 산업과 관련한 고용 창출 정책에는 여행 산업 내 인력 개발 이니셔티브가 있

다 현재 미국에 관광사업 관련 학위 프로그램이 있는 대학은 500개에 이른다 이

8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학교들은 American Hotel amp Lodging Educational Institute(AHLEI)와 제휴하여

학생들의 업계 검증 커리큘럼 교육 프로그램 및 인증을 제공한다 학교와 업계 협력

의 최고 사례 중 하나는 250 개 이상의 고등 교육 기관에서 채택한 호텔 산업 분석

(CHIA)의 인증으로 Smith Travel Research과 AHLEI의 협력을 통해 개발되었다

다른 정책으로는 미국 노동자들의 대한 서약(The Pledge to Americarsquos Workers)

이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 노동자를 위한 전국위원회의 일환으로 전국의 회사

와 무역 단체에 미국 노동자에 대한 서약에 서명하도록 요청하 다 트럼프 대통령

이 행정 명령에 서명한 이후 430개 이상의 회사와 조직이 서약에 서명하여 향후

5년간 미국 학생과 근로자에게 1600만 이상의 새로운 교육 및 훈련 기회를 제공하

기로 한 서약이다 관광산업계도 이러한 서약에 약 20개회사가 참여하 다

또한 국립 식당 협회(National Restaurant Association) 교육 재단은 고등학생을

위한 2년제 음식서비스 커리큘럼 전문대학 수준의 식당 또는 호스피탈리티 경 프로

그램 전문가 개발 기회 및 장학금을 학생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American Hotel

and Lodging Educational Foundation(AHLEF)은 학교에 다니고 있지 않는 청년

실업자나 구직자들 생상으로 견습 프로그램과 무료 대학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미국의 공유경제 및 플랫폼 산업들은 초기의 전통적인 오프라인기업을 대

체하는 플랫폼기업들이 주를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전문 시장을 겨냥하여 세워지는

공유기업들과 플랫폼 기업들이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다

기업 구분 내용 (2018년 기준)

에어비앤비 숙박 및 렌트 중개업- 설립연도 2008년 매출액36억불 본사 샌프란시스코

- 종사원수 13860명(전년대비 11증가)

바카사

(Vacasa)

휴양 렌트 관리

서비스업

- 설립연도 2009년 매출액 1억1천만불 본사 포틀렌드 오레곤

- 종사원수 1628명(전년대비 24증가)

겟터라운드

(Getaround)자동차공유중개업

- 설립연도 2009년 매출액 2천만불 본사 샌프란시스코

- 종사원수 489명(전년대비 18증가)

휠즈업

(WheelsUp)

멤버십제

개인전용기임대업

- 설립연도 2013년 매출액 4억불 본사 뉴욕

- 종사원수 275명(전년대비 26증가)

트립액션

(TripActions)

비즈니스여행자대상

여행관리 솔루션

- 설립연도 2015년 매출액 4천만불

- 본사 실리콘밸리 종사원수 931명(전년대비 62증가)

lt표 2-44gt 미국 내 주요 온라인 기업 일자리 창출사례

85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2) 직무능력 역량 모델

노동부 고용 훈련청(Employment and Training Administration ETA)은 미

국 근로자에게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인력을 교육하고 훈련하기 위해 경제적으로

중요한 산업 및 제 부문에 필요한 기초 및 기술 역량의 직무능력모델을 개발하고

유지하고 있다 이 직무역량모델은 산업계 리더 교육자 경제 개발자 및 공공 인력

투자 전문가와의 협업을 통해 특정 고용주 직무역량요구 파악 역량 기반 커리큘럼

및 교육 모델 개발 업계 정의 평가 지표 기술 표준 인증 개발 경력 탐구 및 지도

를 위한 자원을 개발한다

상무부 산하 국가 여행 및 관광 사무소(National Travel and Tourism Office)

및 교육 비즈니스 및 산업의 기술 관광 전문가와 협력하여 환대 관광 및 이벤트

산업을 위한 포괄적인 역량 모델을 개발했다 이 모델은 업계 종사자에게 기초를

제공하는 지식 기술 및 능력과 주요 분야별 역량을 파악하여 개발됐다

환대 관광 및 이벤트 산업 모델은 이 분야의 모든 근로자가 필요로 하는 역량

또는 지식 기술 및 능력을 포함한다 이 모델의 목적은 환대 관광 및 이벤트 산업

은 숙박 대상 마케팅 및 관리 관광 및 여행 준비 휴양 오락 및 매력 회의 이벤트

및 전시회 관리 식음료 서비스 등의 하위 부문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아래의 그림에서 보듯이 이 모델은 여러 계층으로 구성된 피라미드 형태이다 기

초 역량의 1~3군은 대부분의 고용주가 요구하는 lsquo소프트 스킬rsquo과 업무 준비 역량으

로 구분된다

기업 구분 내용 (2018년 기준)

라이프하우스 기술기반 호텔체인- 설립연도 2017년 매출액 1천 4백만불

- 본사 뉴욕종사원수 53명(전년대비 8증가)

부킹홀딩스

(Booking

Holdings)

온라인 여행업- 설립연도 1998년 매출액 150억불 본사 노르워크 커네티컷

- 종사원수 26400명(전년대비 77증가)

익스피디아 온라인 여행업- 설립연도 1999년 매출액 120억불 본사 시애틀

- 종사원수 25400명(전년대비 37증가)

8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그림 2-22] 관광 환대 및 이벤트 산업 역량 모델

자료 미국 연방노동부 원 스톱 고용센터 홈페이지(httpswwwcareeronestoporgCompetencyModelcompetency-

modelshospitalityaspx)

호텔 분야의 레벨 5에 해당하는 직무역량은 고객안전 호텔 정책 및 실행 절차

고객만족 호텔정보시스템 산업 관련 규칙의 이해 호텔의 운 이다 목적지 마케

팅은 마케팅 기초 마케팅의 효과 마케팅 계획 홍보전략 마케팅 툴 전략적 파트

너십 고객 안전 및 여행 일정 관리 관광오퍼레이터의 이해이다 레저시설 및 매력

물(레크리에이션 놀이공원 및 관광지)의 직무역량은 고객안전 및 위기관리이다 회

의 이벤트 및 전시관리의 직무역량은 전략계획 고객안전 위기관리 재무관리 지

속가능관리 프로젝트관리 인사관리 이벤트 기획 전시계획 이벤트 운 및 등록

관리 마케팅 판매 이벤트 이벤트 장소 선정 등이다

[그림 2-23] 식음료 서비스 산업 역량 모델

자료 미국 연방노동부 원 스톱 고용센터 홈페이지(httpswwwcareeronestoporgCompetencyModelcompetency-

modelspyramid-downloadaspxindustry=food-beverage-service)

87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노동부가 운 하는 직업 정보 네트워크(wwwonetonlineorg)에는 총 10개의

관광산업과 관련된 직업프로파일이 제공된다 제공된 직업프로파일은 놀이공원 및

레크리에이션 종사원 수하물 포터 및 벨보이 컨시어지 접객 식당 라운지 및 커

피 숍 호텔 모텔 및 리조트 데스크 직원 가정부 및 청소부 예약 및 항공티켓 에이

전트 및 여행사 직원 여행 가이드 안내원 및 티켓 접수자이다

34 캐나다

가 국가 고용정책

캐나다 고용 사회 개발부(Employment and Social Development Canada)에

서는 사회 프로그램 및 서비스를 개발 관리 및 제공하는 캐나다 정부 부서이며 모든

캐나다인이 자신의 재능 기술 및 자원을 사용하여 학습 업무 및 지역 사회에 참여

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을 개발하고 있다 또한 동 부처는 캐나다인들이 학교에서

직장으로 한 직장에서 다른 직장으로 실업에서 고용으로 그리고 노동에서 퇴직으

로 삶의 전환을 돕도록 프로그램을 제공 노인 자녀가 있는 가족 및 고용 보험 수혜

자에게 소득 지원 제공 토착민 장애인 노숙자 및 최근 이민자와 같은 뚜렷한 요구

를 가진 캐나다인들에게 기회와 도움을 제공함으로써 포용적 성장을 촉진하고 있다

그리고 고용 사회 개발부는 연방 관할 구역의 노사 관계 산업 보건 및 안전 노동

기준 고용 평등 및 근로자 보상 감독 캐나다 이민 난민 및 시민권을 대신하여 제

공되는 여권 서비스 및 재향 군인 재향 군인에게 서비스와 같은 다른 부서 및 기관

을 위한 프로그램 및 서비스 제공하는 기관이다

캐나다 인력관광공사(Tourism HR Canada)는 세계 최고의 관광 인력 건설을

목표로 범 국가 조직이다 이 기구는 전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고 지속 가능한 산업

을 지원하고 역동적이고 탄력적인 인력 개발을 촉진하는 인적 자원 개발 활동을 촉

진 조정 및 가능하게 한다 캐나다 인력관광공사는 관광산업이 장단기 인적자원 문

제점들 숙련된 근로자 부족현상 관광인력의 고령화 고이직율 산업에 대한 편견

을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정부차원의 지원을 하고 있다 캐나다 인력관광공사는

emerit 관광교육브랜드를 통해 필요한 인적자원에 관한 정보 서비스 및 교육 자원

을 제공한다 위원회는 산업체 산업협회 주 및 지방정부 관광교육위원회 노조 및

8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교육계와 협력하여 사업을 실행한다 주요 목적으로는 관광산업의 고용기회를 창출

하고 구직자 근로자 운 자 및 창업자 등에게 필요한 교육 및 훈련과 현장경험

프로그램을 운 하고 교육 참가자들이 획득한 지식 기술 및 경험의 국가인증제를

운 한다 emerit은 위원회의 연방정부 운 교육훈련 브랜드이다 또한 위원회는

관광산업협회와의 협력을 통해 50개 이상의 국가직업표준을 수립하 으며 26개의

인증 프로그램을 개발 및 운 하고 있다

향후 3년간 캐나다 인력관광공사는 5개의 우선 전략을 실행하고 있다 주요 목표

는 10000개의 일자리를 채우고 개인과 기업이 번 할 수 있는 기술 또는 역량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이러한 우선순위는 캐나다 전역의 관광 이해 관계자와의 광범

위한 협의에서 비롯되며 캐나다의 목적지 지위를 높이면서 국제 방문자를 크게 늘

리려는 캐나다 정부의 목표에 대응할 수 있게 한다 관광산업의 성패는 숙련된 전문

가가 제공하는 혁신적인 경험에 달려있다

향후 3년간 캐나다 인력관광공사는 다음과 같은 주요 프로그램을 통해서 관광부

문에서 고용 창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구분 내용

관광목적지 고용

프로그램

(Destination

Employment)

- 신규 이민자가 캐나다 호텔에서 의미 있는 취업을 하도록 도와줌으로써 캐나다에

서 성공적인 미래를 건설하는 데 필요한 경험을 제공

- 난민을 포함한 신규 이민자를 통합하고 캐나다 최초의 직장 근무 경험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창출 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공

미래 기술 프레임워크

- 관광 부문에서 변화하는 업무의 성격을 다루기 위한 3년 정책

- 관광 부문을 위한 역량 프레임 워크 (포괄적이고 지속 가능한 역량과 필수 기술의

수집) 창출

- Tourism HR Canada의 국가 직업 표준군(National Occupational Standards)

의 내용과 2018 년에서 2021 년 사이에 진행될 수많은 상담 이벤트의 피드백을

활용하여 관광 분야의 현재 및 미래 기술 정의

스마트 인증제

(SMART

Accreditation

Program)

- 프로그램 개발 제공 및 개선 및 성과 측정의 모범 사례를 관광 관련 프로그램의

벤치마크로 사용할 수 있는 정의된 일련의 기준으로 변환

- 간단한 자체 평가 프로세스와 공식화 된 제 3자 검토를 통해 프로그램은 제공된

증거를 기반으로 표준화 된 프레임 워크 내에서 평가

- 기준이 충족되면 프로그램은 SMART 프로그램으로 인증 추가 기준이 충족되면

프로그램은 SMART + 프리미엄 프로그램으로 인증

emerit 교육 프로그램

연구 설계 및 테스트

- 산업 소규모 기업 교육 기관 및 대기업과 협력하여 emerit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

산업 전문가가 개발하고 검증 한 국가 직업 표준(National Occupational

Standards)은 실제 고용주가 신입 사원에서 찾는 것을 나타내고 실제 작업장

lt표 2-45gt 캐나다 인력관광공사의 주요 프로그램

89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나 산업분야 촉진 프로그램(Sectoral Initiatives Program)

산업분야 촉진 프로그램(Sectoral Initiatives Program SIP)는 부문별 노동 시

장 정보 국가 직업 표준 기술 인증 및 인증 시스템의 개발 및 배포를 지원함으로써

현재와 미래의 기술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원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의

목적은 산업계가 인적 자원 및 기술 문제를 파악하고 예측 및 해결하도록 지원하는

데 있다 SIP는 캐나다 경제의 주요 산업부문을 위한 파트너십 기반 프로젝트에 자

금을 지원한다 이러한 프로젝트는 직장 조직 고용주 협회 교육 및 훈련 기관 전

문 협회 노동조합 및 원주민 조직과 같은 업계 파트너가 개발하고 실행한다

미래기술센터는 캐나다 전역에서 생성 된 아이디어와 혁신을 연결하여 직원과 고용

구분 내용

조건과 직업에 영향을 미치는 현재 문제 반영

emerit 온라인 학습 및 통합 문서 온라인 모듈을 쉽게 관리 할 수 있도록 수십

개의 직종에 대한 교육개발하고 보다 전통적인 학습 접근 방식을 선호하는 사람

들을 위해 통합 문서 제공

emerit의 전문가 인증 emerit은 연방정부가 승인하는 전문가 인증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러한 국가인증제도를 통해 인증을 받음으로 직원들의 직업 만족도와

충성도 향상과 이직 및 교육비용 절감

캐나다 여행 관광

아카데미

(CATT)

- 교육자 및 업계 파트너의 지원과 지도를 통해 전국 고등학생들에게 실무 성공하는

데 필요한 지식 기술 및 태도를 제공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

레벨 1 프로그램 관광 산업에 대한 개요와 교육을 통한 관광경력을 쌓는데 필

요한 지식과 기술 습득 결과에 대한 소개 중심 레벨 1 인증을 통과하기 위해

관광개론 1 과목과 25시간의 자원봉사 경력 요구 자원봉사 경험은 지역 관광인

력사무소를 통해 참여가능

레벨 2 프로그램 2개의 고등학교 관광과목 수강 관광경력 워크숍 수료 100시

간 이상의 인턴십 및 SuperHostService ExcellenceServiceBest와 같은

고객 서비스 인증프로그램 수료 필요

골드레벨 프로그램 관광 경력을 준비하고 고등 교육 및 평생 학습에 필요한 기

술 개발지원 골드 레벨을 수료한 참가자들은 Tourism HR Canada에서 산업

계가 개발한 국가 직업 표준 및 필수 기술과 관련된 학습 결과를 시연 가능

레디투워크(Ready to

work) 프로그램

- emerit 국가 직업 표준에 기반한 강의실 및 작업장 교육을 통해 관광 인력으로

체계적으로 전환하는 것을 목적

사전고용 교실 훈련 강사 주도학습 모델로 경력계획 직업별 기술능력의 이론수

업이 핵심

직장내 훈련 직장트레이너로부터 직업별 훈련 멘토링과 피드백 제공

직업배치 모델 참가자에게 비숙련직업 제공

환대 서비스 종사자

훈련 센터 (HWTC)

- 환대 산업에 인재양성을 위해 해당 분야에서 구직자들에게 맞춤 교육을 제공하고

구직정보와 구직을 지원하고 캐나다 최고권위의 요리사 자격증인 Red Seal 인증

교육에 대한 지원 커리어 카운슬링 교용보험지원 등을 해당분야 실업자나 구직자

에게 제공

자료 캐나다 인력관광공사 홈페이지(httptourismhrcaabout-usstrategic-plan)

9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주가 모두 유리한 미래일자리 창출 전략이다 현재 30개의 프로젝트에 대해 자원을 지

원하고 있고 근로자가 새로운 직업에 필요한 기술을 습득하거나 다른 산업계의 구직에

필요한 기술 교육을 지원하고 있다 프로젝트의 주요 주제는 회복탄련성(resilience)과

적응성(adaptability)을 향상하기 위해 교육 및 숙련 기술 근로자에 대한 혁신적인 접

근 방식을 파악 평가 및 결과를 이해관계기관이나 산업체와 공유한다

구분 내용

AI와 기술 발전을 활용한

경제 회복

- University Health Network의 Michener Institute of Education 및

Vector Institute의 ldquo건강관리에서 인공 지능 채택 가속화rdquo는 최첨단 의료 전

문가의 기술과 사고방식을 혁신하여 AI 지원 건강 관행 조직 및 시스템을 강화

하는 지식 기술 및 기능을 갖춘 인력의 교육 훈련

만성 기술 부족에 직면 한

산업 내에서 훈련

재 숙련 및 적응

- 식품 가공 기술 ldquo식음료 가공 인력의 미래 보장rdquo은 식품 및 음료 가공 산업과

근로자들이 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테스트를 통해 필요한 기술을

교육을 통해 숙련도 제고

근로자의 역량과 탄력성을

구축하기 위한 교육 및

학습에 대한 혁신적

접근 방식

- Bow Valley College의 ldquo갭 브리징 구직자 및 고용주를 위한 학습 플랫폼 및

마켓 플레이스rdquo는 확장 가능한 인공 지능 (AI) 평가와 재교육 및 숙력도 향상을

지원하는 기술 플랫폼 개발

- 해당 직무에 대해 확장 가능한 AI 평가법을 개발하여 50개 커뮤니티 파트너

네트워크를 통해 구직자에게 제공

미래를 위한 포용적

인력개발

- Coast Salish Development Corp의 원주민 고용 허브는 BC주의 미래 인

프라 프로젝트에 대한 노동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비숙련

원주민을 대상으로 150개의 기술 평가를 제공하고 100 개의 훈련 계획을 개

발하고 100 명의 참가자에게 기술 훈련 과정을 제공하며 노동 부족에 직면

한 건설 및 인프라 프로젝트에서 80 명의 숙련 된 일자리를 제공할 예정

고용 시장 변화의

적응력 제고를 위한

중소기업의

직무기술 개발

- 퀘벡 내 8개 지역에서 평생교육 문화와 인력 기술 개발의 중중요성을 기업문화

에 적용

- 주요 목적으로는 지역 내 필요한 인력 역량 기술을 파악하고 이러한 기술의

중요성을 기업에게 전달하고 기업으로 하여금 기술개발 계획을 수립하여 혁신

적인 인력역량전략을 실행

융합

- 대학을 위한 미래 기술 혁신 네트워크(Future Skills Innovation Network

for Universities FUSION)는 보다 미래의 기술을 공식적이고 비공식적 인

교육에 통합하기 위한 교수법 평가 보다 유연한 학습 형식을 만들어 기술 습득

을 향상시켜 고용률을 향상시키고 소외된 학생들을 위한 고등 교육 후의 접근

성 및 구직률 향상을 목표로 함

디지털 역량 표준 프로젝트

- 디지털 직무역량 요구가 빠르게 변화함에 따라 대학졸업자들의 직무역량과 산

업체가 요구하는 직무 역량사이의 직능격차를 줄이기 위한 프로젝트

- 디지털 역량 혁신 기업가 정신 기술 채택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 커뮤니케이

션 창의성 및 적응성을 소프트 스킬의 결합이 포함

자료 캐나다 미래기술센터 홈페이지(httpsfsc-ccfcaengagefuture-skills-centre-announces-37-million-

investment)

lt표 2-46gt 미래기술센터의 주요 프로젝트

91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35 호주

가 전분야 일자리 정책

1) 호주 G20 고용 계획(Australiarsquos G20 Employment Plans 2017년)

고용환경 개선을 위한 정부의 중장기 계획으로서 장기 실직자에 대한 문제해결

청년층의 실업률 해소 노동력 인구비율(생산연령 인구에 대한 노동력 인구)의 증진

방안 미래 일자리 창출 지원 등을 포함한다

항목 정책 내용 정책 실행 상황 및 결과

제도 재정

인센티브

투자 및

기업활동

- 중소규모 사업체에 대한 세금 조율

- 관료주의 탈피하기 위한 규제개혁

- 시장의 생산성 및 네트워크 개선하기 위

해 인프라 구축 투자

- 2015년 5월 소규모 기업에 대한 세제 개혁 입

법화되며 약 3백만 개의 기업 혜택 수여

- 2016년 12월 정부는 비즈니스 및 지역사회에

대한 규제 부담을 58억 달러 이상 감소

- 2020년~2021년까지 700억 달러를 육상운송

인프라 투자 계획

노동시장규제- 근로자와 기업 모두의 이익을 위해 양측

의 관계 조율할 수 있는 조직위원회 설립- 2017년 5월 1일부터 운영

노동시장의

활성화 지원

- 구직자와 사업체를 위한 임금 보조금 지

원 확대

- 2017년 1월 1일부터 청년층 원주민 고령자

장기 실직자 대상으로 보조금 지원

청년 고용 - 장기간 실직상태인 청년층 지원

- PaTH 프로그램

- 학교를 갓 졸업한 학생들에게 인턴십 기회 확대

- 청년들이 학업 또는 취업을 이어갈 수 있도록

비영리기관의 모금 확대

- PaTH를 통해 교육 및 훈련 기회제공

자료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Employment(2017) Australia G20 Employment Plan 2017

lt표 2-47gt 호주 G20 고용 계획의 세부내용

2) 스타트업 지원 정책

기업가 프로그램(Entrepreneursrsquo Programme)은 다음과 같다 본 프로그램은

민간 부문의 자문단 및 협력가들의 국가 조직망(National Network)에 펀드

(Accelerating Commercialization Grant ACG) 및 엑세스(access)를 통해 기

업이 생산성과 경쟁력을 높이는데 기여한다 ACG는 스타트업 기업에게 프로젝트

비용의 최대 50를 투자하는데 적격 파트너 협력체의 경우 25만 달러 기타 다른

신청자들에게는 백만 달러 한도 내에서 지원한다 이 밖에도 기업가들에게 벤처에

대한 전문가 조언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함으로써 스타트업들이 글로벌 마켓으로 진

출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스타트업 시장에 막 진출한 신규기업들은 2년 동안 1만

9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3천 달러에서 2백5십만 달러까지 신청할 수 있다

연구개발 세금 인센티브 제도(Research and Development(RampD) Tax Incentive)

는 다음과 같다 세금 인센티브 제도는 소규모 기업들의 혁신을 장려하는 세금 상쇄

(tax offset)를 통해 모든 기업들이 시장에서 선제적으로 앞서 나가도록 돕는다

2016년 7월 1일부터 연간 매출액이 2천만 달러 미만인 기업들은 1억 달러 미만의

RampD 지출에 대해 435의 환급 가능한 세금 공제액을 청구할 수 있다

나 고용 성장률

코로나19 이후 관광객이 급격히 감소함에 따라 관광 시장의 고용율도 위축되었

는데 관광 관련 기업의 구조조정 및 인력 감원이 본격화되면서 현재까지 99000명

에서 133200명이 실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직자의 대부분은 시간제 근무 단순

업무 계약직 근무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별 고용 성장률 측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예측하고 있다 헬스케어 및 사회복

지 산업 전문직 및 과학기술 서비스 산업 교육훈련산업 건설업은 향후 5년간

(2019년~2024년) 전체 고용률의 약 621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된다 반면 농업

임업어업 제조업 정보 매체텔레커뮤니케이션(telecommunication) 산업은

향후 5년간 고용률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림 2-24] 2024년까지 산업별 고용률 변화 예측

자료 Australian Government(2020) Employment outlook to May 2024 p5

93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다 산업 및 직종별 미래 일자리 전망

호주 정부는 향후 5년간 약 19개의 산업에서 고용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는데

특히 새로 생긴 전체 일자리의 23는 헬스케어와 사회복지(최대 250300명 149)

건축(118800명 10) 교육(113000명 112) 과학기술(106600명 102)

분야가 차지할 것으로 내다봤다([그림 2-25] 참고)

[그림 2-25] 향후 5년간 주요 산업별 일자리 창출 비율

자료 Australian Government(2019) Australian Jobs 2019 p13

다음으로 숙박 및 외식 분야에서 약 9의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된

다 연령과 학력에 있어 전체 인력의 약 45가 15세에서 24세의 청년층으로 중middot고

등학교 졸업자가 전체의 절반을 차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타 산업과 비교해

채용인력의 연령대와 학력이 비교적 낮았고 주로 웨이터 바 종업원 주방장 또는

보조 일반 판매직 보조 등의 업무에서 인력을 확충할 것으로 전망된다

과학기술의 발달과 자동화의 확대로 사무직 비서 농장 관련 직종은 마이너스 고

용률을 보일 것으로 예측되는 반면 의료종사자 간병인 교육 전문직 ICT 전문가

의 경우 미래 유망직종으로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정부는 lsquo관광 고용 계획(Tourism Employment Plan TEP)rsquo을 발표했는데 지

역별 관광 및 환대산업 기업들이 인력 채용 및 유지 인력의 기술부족 문제 등에

대응할 수 있도록 고용과 관련된 실용적인 전략과 대안을 제시하 다

9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TEP는 8개 지역의 관광사업체와 연계해 교육 훈련 고용 성과 등을 개선하기

위한 관련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처음 1년간 단기 전략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워킹

그룹에 의해 계획 단계별(인력개발단계 커리어 향상 단계 고용기회 증진단계 등)

가이드라인을 설정한다 이 밖에 관광 및 환대산업 기업가를 지원하기 위해 무료

안내서(fact sheet) 성공 사례 인적자원(HR) 관리 기타 비즈니스 업무 지원 안내

서를 제공한다

라 포스트 코로나에 따른 일자리 정책

1)일자리 지키기(JobKeeper) 정책

호주 정부가 경기 부양과 고용지원의 일환으로 내놓은 lsquo일자리 지키기rsquo 정책은 총

130억 호주 달러를 지원해 향후 6개월간 고용주들을 통해 직원들에게 격주로

1500 호주 달러의 세전 급여를 지급한다(단 임시직은 1년 이상 근무조건이 붙음)

이 정책은 일종의 급여 보조금으로 약 1300억 호주 달러 규모이며 코로나 사태

로 인해 근로자의 해고나 감원을 최소화하고자 고용주와 근로자를 지원하는 정책이

다 단 연매출 10억 달러 미만인 기업 중 3월 1일 이후 매출이 30 이상 감소한

기업 연매출 10억 달러 이상인 기업은 매출이 50 이상 감소한 기업 등의 조건을

충족 시 정부의 보조금을 지원받을 수 있다

지원금은 국세청(ATO)로부터 5월 첫째부터 지급되며 날짜는 3월 1일부터 소급

적용(back-dated) 지급되며 정규직 계약직 임시직에 상관없이 12개월 이상 근

무한 주권자 시민권자 뉴질랜드 시민권자(Subclass 444 소지자)를 대상으로 지

원된다

2) 외식업 지원 정책

외식업은 호주인들이 가장 많이 종사하고 있는 업종 중 하나로 코로나19 이후

업계 실업률이 30에 달한다 시드니와 멜버른을 비롯해 주요 도시의 락다운

(Lockdown) 조치가 반복되면서 관련 산업 종사자들의 대규모 실직 사태가 발생했

다 외식업 생존위지를 위해 정부는 일자리유지 보조금제도(Job Keeper) 이외에도

임대계약 지원 기타 현금성 재정지원 등을 시행하고 있다

95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3) 사업체 및 근로자 지원방안

호주 정부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심각한 타격을 입은 경제를 회복시키기 위해

1차로 175억 호주 달러를 지원하 고 2차 경제 부양 패키지인 660억 호주 달러

규모의 추가 지원을 발표하 다 이어 지난 3월 30일에는 일자리 지키기 보조금을

지원하는 등 기업과 근로자를 위한 경제 회복 정책을 시행하 다

구분 지원내용

기업

중소기업 및

비영리단체 지원

- 최대 10만 호주 달러 지원

- 자격요건 연간 매출액 5000만 호주 달러 이하 사업체 및 비영리단체

- 사업자의 사업활동보고 시스템(BAS) 이용 금액수단 형태로 제공

- 고용주는 활동 명세서를 제공해야 하며 해당 금액은 호주 국세청에 의해 14

일내 지급

비즈니스

파산방지책

- 6개월간 채권자의 발행 법령 청구서 기준액 인상(2000 rarr 20000 호주 달

러) 법정 요구 시간 연장(21일 rarr 6개월)

- 파산한 업체 대표들은 6개월 동안 개인적인 책임으로부터 일시적 구제

- 비즈니스 과정 중 발생한 부채만 해당

중소기업

운영자금 유통

- lsquo코로나19 중소기업 보증제도(Coronavirus SME guarantee scheme)rsquo 도

입 중소기업 신규 대출 50 보증

- 총 200억 호주 달러의 규모로 새로운 단기 무담보 대출 형태로 최대 5000

만 호주 달러 매출의 중소기업까지 대출 가능

- 대출금액 업체당 최대 25만 호주 달러 상환 기간 최대 3년 초기 6개월

상황 유예

개인사업자 및

자영업자 지원- 소득이 감소한 개인 사업자 및 자영업자까지 자격 기준 확대

개인

근로자

생계 지원금

- 4월 27일부터 향후 6개월 동안 2주마다 550호주달러의 추가 수당지급

- 기존 및 신규 수령인 모두 지급

- 자격조건 lsquo구직자 보조금 청소년 수당 육아 수당 농가 수당 특별 혜택 수

혜금rsquo을 받는 자에 한해 지급

연급 조기 인출

- (201920 회계연도) 최대 1만 호주 달러 + (202021 회계연도) 추가 1만

호주달러까지 연금 조기 인출

- 조기 인출에 대해 면세 혜택 부여 및 복지수당재향 군인 연금 지불에 미영향

- 연금인출 청구 가능자 실업자 구직자 수당 육아 수당 특별 혜택 농가 수

당 수령자 2020년 1월 1일 또는 이후 해고된 개인 자영업자의 경우 비즈니

스 운영이 중단되었거나 매출의 20가 감소한 경우

lt표 2-48gt 비즈니스 기업 및 개인 근로자 지원방안

9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마 일자리 관련 프로그램

1) 청년 일자리 계획(Youth Jobs PaTH) 프로그램22)

청년 일자리 계획(Youth Jobs PaTH)은 호주 정부에서 제공하는 청년 일자리 3

단계 계획 프로그램으로서 본 프로그램은 청년 취업자에게 훈련 및 인턴십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취업 가능성을 높인다(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청년 일자리 3단계는 취업 준비 과정 인턴십 임금보조금 지급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취업준비 과정은 기술 훈련에 참여하는 과정이며 인턴십 단계는 6개월간 구직

서비스 참여자나 취업 경험자들 대상으로 4년간의 인턴십 제공과정이다 인턴십 기간

중 참여자들은 2주간 소득지원급여(200 호주 달러)를 추가 지급받는다 또한 인턴을

받는 고용주는 1000 호주달러의 선불급여를 지급 받는다 마지막 단계인 임금 보조

금 지급은기업이 고용서비스에 등록된 청년 구직자를 반년 이상 고용시 6500 호주

달러를 청년 고용을 유도하기 위한 보조금(Youth Bonus Wage Subsidies)으로

지급하며 이는 최대 1만 호주 달러까지 최대로 지원 가능하다 사업체들은 청년

구직자들 직접 고용하거나 노동력 고용 주선(Labor hire arrangement) 도제제도

또는 인턴십과 병행하는 방법 등을 선택할 수 있다

2) 청년 창업 지원

호주 정부는 2016년 12월부터 워크숍 창업 정보의 온middot오프라인 제공 창업 인

센티브 보조금 제도(New Enterprise Incentive Scheme NEIS)의 확대 장기 실

업율이 높은 지역의 창업 협력 강화 등을 실시하 다(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워크숍은 총 2주간의 기간으로 운 되며 창업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며 동 워크

샵의 참여자에게는 최대 12주간의 인턴십에 참여할 기회가 주어진다 동시에 창업

정보 사이트(SelfStart Online Hub)를 통해서 참여자들은 창업 계획 아이디어 지

역별 창업 지원 정보를 온라인으로 획득할 수 있다 창업장려정책의 하나인 NEIS

프로그램은 전국적으로 약 8600개의 일자리를 18세 이상 구직자에게 제공하고 있

으며 소규모 사업체 훈련과 멘토링 소득지원 렌트비 보조 창업 아이디어 실행을

22)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6) 호주 청년 노동시장 진입 지원정책의 변화 글로벌 사회정잭 브리프 50호

내용을 재정리함

97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위한 개인 멘토링과 지원 등을 제공하고 있다 호주 정부는 또한 청년 실업률이 높

은 지역을 창업 협력 특별 지역으로 지정해 청년 창업을 활성화할 예정이다

3) 훈련 기금(Skilling Australian Fund)

호주 정부는 직업교육훈련(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VET)을 지원

해왔으며 훈련기금(Skilling Australian Fund)을 조성해 취업 준비생의 교육 및

훈련 기회를 확대한다 이 기금은 미래성장산업 농촌 및 지방에 수요가 많은 직종

에 교육이나 훈련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프로젝트에 한해 우선적으로 제공된다 펀

딩은 2018년 7월 1일부터 4년간의 프로젝트 기반 국가 파트너십을 통해 운 된다

주정부의 자금지원으로 모금된 펀드는 호주의 미래 일자리 창출 및 생산성 향상

을 위해 수천 명의 견습생과 연수생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4) 직업 전환 지원 프로그램(Career Transition Assistance Program)23)

50세 이상 구직자를 대상으로 운 되는 단기 집중화 코스로서 전이 가능한(다른

일에서도 사용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고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해 구직자들의 적응

력과 회복력을 증진시키고자 만들어진 프로그램이다 2018년 7월 1일부터 호주 5

개 주에서 시범적으로 시행되었고 2020년 7월 전국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36 영국

가 기존 일자리 정책

미래의 관광관련 일자리 정책과 관련한 국의 사례를 검토하기 위해서 먼저 기

존 관광을 포함한 전체 일자리 지원 정책을 검토하고자 한다 본 일자리 정책은 정

책 방향에 따라 역량 강화 성장환경 조성 인프라 강화 법제도 개선 측면으로 구분

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23) 지역 정책 2030(regions 2030 - unlocking opportunity) 내의 프로그램임

9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1) 전 산업24)

① 역량 강화

국은 노동자의 역량 강화를 위해서 청년층 경력단절자들의 복귀를 위한 정책을

추진하 다 청년층을 위한 정책은 청년 고용대책(New Deal for Young People

NDYP)이 대표적이다 1997년부터 시행되기 시작한 lsquo뉴딜rsquo(New Deal 신고용 협

정)은 국의 신노동당 정부의 lsquo복지로부터 노동으로(Welfare to Work)rsquo 전략을

위해 마련되었으며 실업의 해소와 복지수급자의 근로의욕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이다

뉴딜(New Deal) 프로그램은 장기간의 청년실업자를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프로그램은 장기간 청년실업자들을 구제하기 위하여 기업을 대상으로 보조금을

지급하는 정책을 시행하 다 본 정책은 청년실업자가 선택 가능한 다양한 교육프

로그램의 제공함으로써 청년실업자의 고용가능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예를 들어 뉴딜 참가자는 교육기관이나 훈련기관에서 3개월에서 최장 12개

월까지의 기초 기술을 습득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는 2급 국가기술자격증을 취득 가

능하다 이와 관련해서도 실업급여에 해당하는 액수를 훈련수당으로 지급가능하며

임대료의 보조와 지방세 면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초창기 본 프로그램

은 Gateway Option Follow-Through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있다

구분 내용

Gateway - 근무 장벽 해소를 위해 집중적인 구직 탐색을 4개월간 하는 프로그램

Option

- 참여자가 최대 6개월 동안 고용 옵션(Employment option) 최대 12개월 동안

전일 교육 훈련(Full-Time Education and Training FTET) 자원 분야

(Voluntary sector)에서 최대 6개월까지 일하고 환경 업무 팀(Environment

Task Force)에서 최대 5개월까지 근무를 포함

Follow-Through - 3개월까지 추가 구직 지원의 기간으로 프로그램 떠나기 전까지 참여

자료 Beale et al(2008)

lt표 2-49gt 뉴딜(New Deal) 프로그램

24) Department for Work amp Pensions(2015) 2010 to 2015 government policy employment의

내용을 재정리함

99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경력 단절자를 위한 고용 정책은 리스타트 프로그램(Restart Programme)25)이

다 1986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본 프로그램은 국의 대표적인 일자리 정책 중 하

나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리스타트 프로그램(Restart Programme)을 통해서 고용

주들이 경력단절을 지니고 있는 경력자들이 직업으로 복직할 수 있는 기회를 획득

하고 있다 또한 본 프로그램은 동기부여가 이루어진 구직자들의 풀(pool)에 접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본 프로그램은 복직을 희망하는 사람들이 직장에 복귀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고 신뢰도와 산업별 새로운 지식의 습득과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기업의 입장에서는 경험 많은 인재 풀(pool)을 적극적으로

개발함으로써 이익을 얻을 수 있다

본 프로그램의 추진 목적은 우선적으로는 경력 단절을 겪고 있는 구직자들이 적극

적으로 일자리를 구하는 것을 지원함에 있다 또한 구직조건에 미충족한 사람들을 선

별적으로 구분하고 그 사람들에게 보다 더 적절한 일자리와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② 성장환경 조성

일자리 성장환경 조성을 위한 국 정책으로는 프린스 트러스트(Princersquos Trust)26)

가 있다 1976년 찰스 왕세자에 의해 설립된 프린스 트러스트는 일자리 정책과 관

련되어 다양한 종류의 구직자 고용주 그리고 창업자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

고 있다

예를 들어 만 18세 ~ 만 30세의 연령에 해당하는 창업자가 설립한 기업에게는

약 1500 파운드에서 3500 파운드에 이르는 창업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또 다른

사례는 버밍엄 도심 공항(Birmingham City Airport)의 사례27)를 찾아볼 수 있다

프린스 트러스트와 버밍엄 도심 공항이 공동으로 실직 청년들에게 자금을 지원하는

취업 전 과정을 운 하고 있다 201718년에 시행된 프로그램을 통해서 51명이 동

프로그램을 완료하고 39명의 젊은이들이 공항에서 근무할 수 있는 일자리를 제공받

았다 해당 프로그램은 숙련된 인재를 일자리로 연계하 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5) Policy Study Institute(1992) The Restart Effect Evaluation of a Labour Market Programme

for Unemployed People의 내용을 재정리함

26) 프린스 트러스트 홈페이지(wwwprinces-trustorguk)의 내용을 재정리함

27) HM Government(2018) Industrial Strategy Tourism Sector Deal의 내용을 재정리함

10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③ 일자리 인프라 강화

일자리 인프라 강화를 위한 국 정책으로는 잡센터 플러스(The Jobcentre

Plus)를 통한 정책적 지원이 있다 잡센터 플러스는 일자리 정보 및 구직 활동에

대한 지원을 주는 기관이다 2006년 설립된 잡센터 플러스는 구직을 희망하는 사람

에게 일자리 정책을 지원하는 역할을 가지고 있다 동 센터는 일할 수 있는 사람에

게는 일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도움을 주며 일할 수 없는 사람에게는 lsquo지원 서비스rsquo

를 제공하기 위한 정책을 시작하 다 또한 동 센터는 노동 서비스 제공업체 지방

당국 교육 제공업체 및 고용주들과 함께 사람들이 다시 일하도록 도울 수 있는 혁

신적인 방법의 고안하는 데 주목하 다

동 연구센터는 3가지 유형의 집중 지원을 하고 있다 첫째 잡센터의 작업 코치와

기타 현지지원의 집중적인 추가 지원을 하고 있다 둘째 지원 대상자는 3개월 동안

매일 지역 내의 잡센터에 참석하여 자신이 작성한 입사 지원서에 대해 작업 코치와

상담할 수 있다 셋째 이력서를 작성하고 수정middot보완과 관련한 지원을 하고 있어

최대 6개월간 지역 사회 내 일자리 찾기에 도움을 주고 있다 도움이 되는 업무 경

험을 얻기 위해 최대 6개월 동안 지역 사회내의 적절한 작업의 배치가 가능하다

④ 법 제도 개선

국정부는 고용을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법과 제도를 추진하고 있으며 주요 정

책과 제도는 다음 표와 같다

구분 내용

근로가정의 비과세 보육 - 근로 가정은 12세 미만 아동 1인당 최대 2000파운드까지 양육비의 20

청구 가능

65세 의무정년제의 폐지

- 2015년부터 고용평등규정(Employment Equality Regulations 2011)

을 통해서 65세 의무정년제 폐지

- 목적 사용자와 근로자에게 유연성 최대 제공의 목적으로 하나 기업 부담

감소를 통한 국가 경제성장 도모

부당해고의 구제 청구자격

연수의 2년 연장- 기존의 청구자격 연수가 1년에서 2년으로 변경

자료 고용노동부(2014) 선진국 고용정책의 일자리 창출 효과 연구

lt표 2-50gt 영국 정부의 일자리 창출 법 및 제도 개선 관련 주요 정책

101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2) 관광분야 일자리 정책

상기에서 살펴본 국 정부의 일자리 관련 정책과 더불어 관광분야에서는 아래와

같은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다음의 정책들은 주로 예비 종사들의 현장 적응 능력

강화 및 구직을 위한 기회 확대와 관련되어 있다

① 견습생 제도(Apprenticeship)28)

국 정부는 관광분야에서 더 숙련된 인력을 유치하고 유지하기 위한 노력의 일

환으로 견습생 선발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국 정부는 2025년까지 매년 3만

명의 새로운 견습생 제도의 시행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한 관광분야 및 환

대산업 분야에서의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견습생 선발 제도의 대상은 해당 분야의 일을 처음 시작하는 사람으로부터 해당

전공의 학위를 수여한 전공자에 이르기까지 다양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다양한 분

야의 경험을 가지고 있는 구직자들을 견습생으로 선발하는 것도 이 정책의 특징이다

또한 2019년 새로운 형태의 웹세미나(Webinar)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다 본

프로그램은 다양한 디지털 채널을 통한 서비스 이용자들(예 고용주 훈련 제공자

최종 평가조직 등)과의 협력을 통한 견습생 제도를 지원하고자 한다 본 프로그램에

는 서비스 개발 업데이트 견습생의 자격 사용자 및 교육 제공자에 대한 최종 평가

활동의 기록 최종 포인트 평가의 지침과 견습생 평가 서비스의 가이드에 대한 주제

를 포함한다 모든 웹세미나(Webinar) 프로그램은 전문가들에 의해 주도되어지며

참석자들은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질의응답 시간을 통해서 참여할 기회를 갖는다

또한 서비스 이용자들이 견습생 선발제도의 이용과 새로운 개발 부분에 대해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다른 정부부처 (예 교육 및 기술기금 조달청 lsquoEducation and

Skills Funding Agencyrsquo) 및 이해관계자들과의 협력을 도모하고 있다

② 사전 인터뷰 시행 지원

본 정책은 더 많은 구직을 희망하는 사람들이 관광산업 및 환대산업군에서의 고

용 기회를 얻을 수 있게 지원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보다 더 많은 사람들이 관광

28) ESFA Digital(2019) Sign up to our new apprenticeship service webinar programme의 내용

재정리함

10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및 환대산업의 직업군에서 경험한 풍부한 경험들을 새롭게 일자리를 구하고자 하는

사람들과 공유하고 나아가 그들이 경험한 것을 환대와 관광산업 분야에서 모방할

수 있도록 돕는다

③ 취업 캠페인(The MyTourismJob)29)

본 캠페인은 관광산업 분야의 다양한 일자리 소개하는 데 집중하고자 하는 정책

이며 더 많은 젊은 구직자들이 관광 환대산업군을 자신의 직업 선택군으로 생각하

도록 장려하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본 정책은 관광산업군 내에서 여러 산업체와의

협력을 기반으로 고용주 학교 및 대학 간의 관계를 중개하는 업무 중시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 정책은 디지털 시대에 걸 맞는 여러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미래 일자리 정책 중 하나이다

본 정책은 관광산업이 젊은 세대들의 직업 선택과 관련한 의사결정과정에서 향

을 미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으며 경력의 개발과 관련한 사항들이 더 잘 뒷받침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정책이라고 기대되어진다

④ 멘토링 프로그램(Mentoring programme)

본 정책은 매년 1만 명의 관광 분야 종사자들이 관광업계에서 머물 수 있도록 멘

토링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에 더하여 이들의 커리어

개발을 지원하고자 한다30) 개인별 맞춤 훈련의 제공을 통한 명확한 진로의 개발에

도움이 되는 발전적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멘토링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한 관광업

종사자들의 적절한 진로 탐색과정을 통하여 개인별 트레이닝과 진로개발의 기회들

이 제공될 것으로 기대되어 진다

⑤ 관광 산업 군 직장 내 교육 프로그램

본 정책은 관광산업 군내에서의 다양한 직업의 역할 스킬 및 위치의 측면을 고려한 구

체적인 이해의 상승효과를 위해 활용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인식되고 있다 2021년까지

해당 교육 프로그램을 받는 직원의 비율을 80에 달성하도록 하는 목표를 지니고 있다

29) DCMS(2016) Tourism Action Plan의 내용을 재정리함

30) OECD(2020c) OECD Tourism Trends and Policies 2020의 내용을 재정리함

103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⑥ 관광 및 환대산업 내의 인재 양성 파이프라인 구축을 위한 투자

국 정부는 관광 및 환대산업 내 인재 양성을 위해서 pound1000000의 투자를 시

행한다 구체적으로 본 정책은 학교 대학 고연령 근로자 lsquoJobCentre Plus(잡센터

플러스)rsquo 구직자 자선단체 등과의 상생과 협력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자 한다 특

히 상대적으로 소외되고 유능한 인재 획득에의 접근성이 떨어지는 고용인(외부 지

역 주민 포함)에 대한 지원을 강조하고 있다

나 미래 일자리 정책 사례

1) 전 산업

국 정부는 전 산업에서 미래 일자리와 관련해서 기술 및 투자환경 조성 구직 정

보 접근성 제고 노동시장 규제 장기 전략의 개발 및 시행 등 미래 일자리 환경과 인

프라를 구축하고 있으며 창작 및 디지털 분야의 투자 확대 생산의 디지털화 등 신산

업과 생산력 제고 등을 통해 일자리를 창출하고자 아래와 같은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구분 내용

유연하고 역동적인

기술 및 투자 환경의 조성

- 배경 일자리 보급의 성장에 기여하는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관점으로 시

행 및 공공과 민간 투자의 일치로 인한 효과성 보장

- 내용 광범위한 정부 주도의 기술 프로그램 및 투자와 지원을 통해 고용을

강화시킬 수 있는 규제 촉진

구직 정보 접근

권한 부여

- 직무 관련 연수와 교육제공의 정보 및 조언 접근의 권한 개인부여

- 개인 보유 기술력 투자 지원 및 확대 위해 금융 접근 용이성 지원

- 급변하는 환경에 필요한 기술을 개발하는 데 있어 민첩성과 비용의 유용성 및

효율성을 보장하기 위해 비즈니스와 교육 및 훈련 부문 간의 전략적 관계 구축

영국 내 노동시장 규제의 시행- 노동시장에서의 힘의 균형이 점점 더 고용주에게 쏠리는 현상(lsquoRace to

bottomrsquo)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노동시장 규제

장기 전략의 개발 및 시행- 영국 정부는 일관성 있는 전략의 실행 및 보급을 통해 저숙련자들의 급변하

는 노동시장에 대한 대응성 강화

창작 및 디지털 분야

투자 확대

- 배경 기술 발전에 힘입어 창작 및 디지털 분야에서의 생산성의 향상과 새로

운 비즈니스 모델을 위한 개발이 촉진될 것으로 예상

- 기술환경 변화를 통해 가상 협업(Virtual collaboration) 아웃소싱 프로젝

트의 유연한 관리 등 디지털 분야의 작업환경이 형성될 것으로 기대되어 창

작 및 디지털 분야 투자 확대 추진

생산의 디지털화

- 계속되는 산업의 디지털화(Digitalisation)로 근소화(near-shoring) 분산

(decentralised) 등 생산 방식이 변화하여 영국 내 2023년까지 10만~20

만명의 제조업 종사자의 고용증가 기대

자료 UKCES(2014) The Future of Work Jobs and Skills in 2030 RSA(2013) Making at Home Owning Aborad

lt표 2-51gt 영국 정부의 미래 일자리 주요 정책

10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2) 관광분야

① 디지털 전환 정책의 실시

문화미디어스포츠부(Department for Digital Culture Media and Sport

DCMS)는 디지털 기술을 보유한 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디지털 전략의 실시 및

제공한다(전효재middot한희정 2018) 본 부처는 디지털 캠페인을 통해서 관광분야의 다

채로움과 다양한 직업군이 있음을 구직자들에게 알리는 데 주목적을 두고 있다

② 새로운 T-레벨(New T-levels) 자격의 시행31)

2020년부터 국은 새로운 자격증명인 T-레벨이 시행되었으며 이는 기존의

국 GCSEs(중등교육자격시험)의 2년제 기술교육 프로그램의 상위등급이다 건설

디지털 교육 보육과 관련된 교육과정을 교육하게 되며 각 교육에는 3개월의 현장

직무실습이 포함되며 기존의 대입시험과정인 A-레벨 (A-level)에 준하는 진로의

교육과정이 될 것이다 2021년부터는 회계 미용 공학 혁신 산업 분야(The

creative industries)에 대한 22개의 교육과정이 추가로 실시될 예정이다

본 자격은 기업들이 기술의 교육 및 현장실습 경험이 있는 사람들이 기술의 부족

을 메꾸는 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본 자격제도는 관광 분야에 있어 관광전공자에게 최소 45일의 관광분야에서의

현장 배치의 실질화를 통해 효용가치가 높은 직업 체험을 제공하며 미래의 구직희

망 인재들이 관광산업군 및 환대산업의 역할에 대한 더 나은 기대를 지닐 수 있게

지원한다 본 자격제도는 T-레벨 자격증명을 통해서 환대산업과 관광산업의 분야에

해당하는 직업 군인 바텐더부터 세계적인 프랜차이즈 호텔의 매니저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역할과 경력을 제공하는 데 기여하고 있는 정책으로 평가받고 있다

4 시사점

우리나라는 인적자원 개발과 지속가능 발전 기반의 일자리를 정책을 추진하고 있

다 특히 문재인 정부에서는 좋은 일자리 창출을 위해 lsquo일자리위원회rsquo를 설치하여

31) BBC(20180527) First colleges to teach new vocational T-levels named의 내용을 재정리함

105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일자리 인프라 구축 공공일자리 창출 민간 일자리 창출 일자리 질 개선 맞춤형

일자리 지원 등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 미래 일자리

창출 정책은 인구구조의 변화 대응 디지털 전환 대응 코로나19 이후 새로운 패러

다임 대응에 초점을 두고 있다

구분 내용

인구구조 변화 대응

- 고령자 일자리 재취업 창업 농어촌 귀한 사회공헌 등

- 여성 일자리 출산 및 육아 일자리 양성평등 재취업 기반 확대 등

- 청년과 중장년 근로자 일자리 질 개선 생산성 향상

디지털 전환 대응

- 기존 일자리 유지 주력산업 중심 제조업 변혁(스마트화 신산업 주력산업 산업생

태계 개편 정부 역할 강화(투자 혁신 지원)

- 신산업 일자리 25개 분야 100대 핵심 기술개발 투자

- 인적자원 역량 강화 교육훈련 기회 혁신선도 산업수요 대응

코로나19 이후

새로운 패러다임 대응

- 디지털 뉴딜 DNA(Data-Network-AI) 생태계 강화 교육인프라 디지털 전

환 비대면 산업 육성 사회간접자본(SOC) 디지털화

- 그린 뉴딜 도시middot공간middot생활 인프라 녹색 전환 저탄소middot분산형 에니지 확산 녹색

산업 혁신생태계 구축

-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middot사회안전망 확충 디지털middot그린 인재양성 등 사람투자

자료 국내 주요 정부부처의 일자리 정책 참고 재작성

lt표 2-52gt 국내 미래 일자리 창출 정책

문화체육관광부의 관광 일자리 정책은 주로 예비 종사자와 종사원 역량 강화에

초점을 두고 추진 중이다 미래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관광사업 창업지원 및 벤처

육성 지원을 추진하고 있다 최근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관광업계 피해가 증가함

에 따라 문화체육관광부는 관광산업의 지역소비 여력 확충과 더불어 고용 유지 지

원을 위해서 고용 유지 지원금 지원 요건을 완화하여 시행하고 있다

일본 미국 캐나다 호주 국 등에서도 일자리에 대한 중요성에 따라 다양한

정책이 전 산업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미래 일자리와 관련하여 신규 성장

분야 육성 디지털 전환 정책 등을 통해 일자리를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신규

고용 창출이나 고용유지를 위한 지원 직접지원 사업뿐만이 아니라 구직자의 구직활

동 강화를 위한 연수 및 교육 고용지원 인프라 구축 등 간접지원방식의 정책도 추

진되고 있다

10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구분 내용

일본

- 지역고용창출과 관련한 사업 추진(예 지역활성화고용장조 프로젝트)

- 지역제안형 고용창조촉진사업 가이드나 서비스 인력 등의 인력양성 및 연수 등 추진

- 중점분야고용창조사업 가이드 관광객 편의서비스 지원인력 관광안내인력 관광자원 정보수집

인력 등 지원

미국

- 미래세대 인력 및 노동시장 정보시스템 개발 관광산업 정보 수집

- 견습 프로그램 예산 증액

- 인력혁신 및 기회의 법 효과 증진

- 인력양성프로그램 평가방법 개발

- 직무능력 역량 모델 개발

캐나다

- 관광목적지 고용 프로그램

- 미래 기슬 프레임워크 도출(관광의 현재 및 미래기술 정의)

- 스마트 인증제(기준 강화를 통한 프로그램 질 개선)

- emerit 교육 프로그램 연구 설계 및 테스트

- 캐나다 여행 관광 아카데미(교육자 및 업계 파트너의 지원 및 지도)

- 레디투워크(Ready to work) 프로그램(현장 교육 강화)

- 환대 서비스 종사자 훈련 센터 운영

- 산업촉진 프로젝트 실행(디지털 융합 인력 양성 및 역량 강화 등)

호주

- 관광사업체 연계한 교육 훈련 고용 성과 등 개선 프로그램 운영

- 운영자 지원 프로그램(무료 안내서 성공사례 인적자원 관리 기타 지원 안내서) 제공

- 코로나19 이후 관광산업을 비롯한 전산업을 대상으로 기업 및 개인근로자를 위한 지원금 제공

영국

- 견습생 제도

- 사전 인터뷰 시행 지원

- 취업 캠페인 멘토링 프로그램

- 직장 내 교육 프로그램

- 디지털 전환 정책 실시

- 새로운 자격제도 시행

lt표 2-53gt 관광 일자리 창출 관련 해외 정책

우리나라의 관광 일자리 정책은 주로 예비 종사자와 종사원 역량 강화에 초점을

두고 추진되고 있으며 관광 일자리 활성화를 위해서 관광산업 일자리 박람회 관광

일자리센터 설립middot운 지역관광일자리 활성화 사업(지역관광기업지원센터 구축

산학협력프로젝트 등) 등을 통해 관광산업 일자리 정보 교육 및 훈련 등이 추진되

고 있다

특히 미래 일자리 육성과 관련해 최근에는 미래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관광사

업 창업 및 벤처기업 육성middot지원 미래형 관광인재 육성 등을 추진하고 있다 코로나

19로 인한 관광산업 고용 위기에 대응하고자 고용유지지원금 교육지원 관광지 방

역 및 수용태세 개선관련 일자리 창출 사업 등도 추진되고 있다

107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제4절 시사점

본 연구는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을 도출하기 위해 환경변화에

따른 관광 미래 유망 일자리 분야와 국내외 일자리 창출 정책을 살펴보았다

미래 일자리 환경 측면에서는 인구구조의 변화 4차 산업혁명 기술의 발달과 활용

기후변화 코로나19 등으로 생태 및 친환경 인식과 안전 인식 증가 국내외 제도의

변화 고용 관련 가치관 및 인식의 변화 이에 따른 관광 환경의 산업적 시장적 자원

적 측면에서의 변화가 전망되었다 정책적 측면에서는 국내외 적으로 미래역량 성장

환경 조성 인프라 법제도 등과 관련한 관광 일자리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변화와 정책 사례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 다

가 일자리의 전문화 및 세분화

우리 사회는 4차 산업혁명 저출산 및 고령화와 같은 기술 사회경제적 변화에

직면해 있으며 이에 따라 일자리 일하는 방식이 변화하고 있다 직업관이 조직 중

심에서 개인 중심으로 변화되고 정규직 중심의 전통적 일자리에서 임시 및 독립적

일자리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한 프로젝트 기반의 1인기업 플랫폼 경

제 활성화에 따른 플랫폼 기반 종사자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미래의 직업은 기존 직업이 전문화된 서비스 직업으로의 변화 수요의 다양

화에 따른 직업의 전문화 및 세분화 타 직무middot지식middot기술의 융합을 통한 직업의 발

생 기술기반의 새로운 직업 탄생 등의 변화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한

코로나19로 인해 재택근무제 유연근무제의 활성화가 촉진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관광산업의 일자리에도 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관광산업에

서도 기술 기반의 사업체가 증가하고 있으며 타분야의 융합을 통한 일자리의 증가

관광객 수요의 다양화로 기존 관광 일자리의 전문화 및 세분화가 나타나고 있다

10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이에 우리나라 정부도 신산업 육성 직업능력개발 고급융합 인력양성 등의 정책

을 추진하고 있으며 일본 호주 캐나다 국 등에서도 견습 프로그램 청년 일자

리 직업 전환 지원 등 일자리 지원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나 관광산업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

디지털 전환은 산업의 자동화뿐만 아니라 생산과 소비 일과 삶의 역 등 사회

전반에 향을 미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으로 명명되는 시대적 전환은 기존 일자

리 신산업 일자리 인적자원 역량의 관점에서 변화를 가속화하고 있다

단순 반복적 직업은 자동화를 통해 기술적으로 대체되고 미래 사회를 주도한 미

래 유망 기술 발굴 및 관련 제품과 서비스 개발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관광 분야

에서도 AI 빅데이터 플랫폼 등의 활용이 점차 증가되고 있으며 키오스크 등의 무

인화 서비스로 인해 관련 분야의 일자리가 감소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전환은 국내 및 해외 일자리 정책에 있어서 중요하게 고려되며

우리나라를 비롯한 호주 일본 국 미국 등 기존 관광인력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

하고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고 관광과 기술이 융합된 분야의 일자리 창출을 지원하

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다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인한 관광산업 일자리 변화 발생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세계 국가 간 이동이 제한되었으며 국내에서는 사회적 거

리 유지가 시행되었다 이로 인해 외래관광객 유입 및 국내 해외여행객 송출이 대폭

감소하 고 관광사업체의 운 을 어렵게 만들었다 이에 관광산업 종사자 수는 크

게 감소하 다 구체적으로 2020년 1분기 여행 서비스 숙박시설 서비스의 종사자

는 전년동기 대비 감소하 으며 구인과 채용의 수도 감소하 다

또한 코로나19는 관광객의 행태 소비의 변화도 가져왔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해외여행 수요는 국내여행으로 전환되어지고 관광객의 여행 안전에 대한 인식도

강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관광객이 붐비지 않고 야외 공간이 선호되고 있으며 무

인화 및 자동화 회의산업의 비대면 기술 활용 증대 등 관광산업의 비대면 기술 활

109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용을 촉진하고 있다

이러한 관광산업과 일자리 변화의 발생은 국내 및 해외의 일자리 정책의 변화를

야기하 다 우리나라 정부는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해 디지털 뉴딜 그린 뉴딜

사회안전망 강화의 한국판 뉴딜 정책을 발표하 고 관광산업의 고용 유지를 위해

고용유지지원금 관광업계 종사원의 교육 지원 등을 추진하고 있다 호주의 경우도

급여 보조금 형태의 일자리를 지키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그림 2-26] 미래 일자리 환경 및 정책사례 시사점

구분 주요 내용 시사점

미래 일자리

환경

- (사회) 인구구조 및 교육구조의 변화

- (기술) 4차 산업혁명 기술 발달

- (생태) 코로나 19 등으로 생태 및 친환경 안전 인식

제고

- (정치 및 제도) 남북관계 도시재생 산업간 융합

- (고용) 기존 직업의 고부가치화 직업의 세분화 및

전문화 융합형 직업 증가 기술기반 신규 직업 탄생

- (관광) 관광시장(다양화 및 세분화) 관광산업(전통

적 산업에서 신규 관광 비즈니스로 전환) 관광자원

(일상공간의 관광공간화) 측면에서 변화

- 일자리 환경의 다변화

- 관광산업의 디지털

전화 가속화

-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관광산업 일자리

변화 발생

국내외

일자리

정책

- (미래 역량) 유망 분야 인력 양성 종사자 디지털

전환 자격제도의 신설

- (성장환경 조성) 신산업middot비즈니스 창출 지원

- (인프라) 일자리 수급 분석 실시 일자리 정보제공

활성화

- (법 제도) 다양한 고용 형태 지원 노동안전망 지원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제3장

113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제1절 개요

본 장은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과 관련한 부분이다 본 장은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을 위해서 크게 두 가지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 부분은 미래 일자

리 유망분야 및 유망 일자리 후보군 도출이며 두 번째 부분은 미래 일자리 예비

후보군을 바탕으로 미래 일자리를 도출하는 것이다

먼저 제 2절에서는 선행연구 및 국내middot외 관광 트렌드 정책 자료 등을 분석하여

향후 5년간 발전 가능성이 있는 미래 일자리를 유망 분야별로 구분하고 유망 일자

리 후보군을 제시하고자 한다 즉 제2절에서는 관광 일자리의 성장 가능성을 살펴

보았고 미래 일자리 환경 분석 결과와 연계해 연구진 관광 및 일자리 분야 전문가

의견 조사를 통해 유망 일자리 후보군을 도출하 다

구분 1차 2차

대상- 관광 일자리 분야 전문가 27인

관광분야 17명 일자리분야 10명

- 관광 일자리 분야 전문가 26인

관광분야 17명 일자리분야 9명

실시 시기- 20200803 ~ 20200814

- 평균 20분 소요

- 20200818 ~ 20200824

- 평균 10분 소요

조사 방법 - 온라인 설문지 자기 기입(개방형 질문) - 온라인 설문지 자기 기입

조사 내용- 관광 일자리 환경변화 및 유망 분야

- 관광 유망 미래 일자리

- 관광 미래 일자리 성장 가능성 및 시기

- 관광 미래 일자리 대응 정책 방향

lt표 3-1gt 전문가 의견 조사 개요

관광 분야 전문가는 관광학 교수 관광 사업체 관광 유관사업 연구원 관광연구

원 관광유관 협회 등이 참여하 고 일자리 분야 전문가는 직업 일자리 및 노동

관련 연구기관 소속 전문가 사회 및 미래 예측 관련 전문가 등이 참여하 다

그 후 제2절의 결과인 유망 일자리 후보군을 토대로 연구진 관광 및 일자리 분야 전문가

의견 조사를 실시하여 미래 성장가능성을 확인하 다 제3절에서는 미래 유망 관광일자리

분야를 통해 분야별 성장가능성 필요 역량 관련 일자리 관련 현 자격제도를 살펴보았다

11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제2절 미래 관광 일자리 후보군 도출

1차 전문가 의견 조사에서는 미래 환경 변화에 대한 이슈와 미래 관광 일자리 후

보군을 조사하 다 본 조사는 개방형 질문(Open-ended question)으로 조사하

다 개방형 질문으로 조사한 이유는 2장의 자료 분석 결과와 그 외의 다양한 이슈를

조사하기 위함이다

1 환경 이슈 및 유망 분야

11 미래 관광 일자리 환경 이슈 종합

자료 분석 결과와 전문가 의견조사를 통해서 43개의 미래 환경 변화 이슈를 다음

과 같이 선정하 다 각 역별로 나누어 관광 및 사회 기술 생태환경 정치 일

자리 환경 측면 전 분야에 향을 미치는 이슈를 도출하 다 본 연구는 이슈 도출

시 관광 미래 일자리와의 연결성을 중시하며 선정하 다

본 연구에서 관광 사회 기술 생태환경 정치 일자리 환경 측면의 환경 변화

요인 전문가 의견 조사 및 연구진 회의를 바탕으로 뽑은 5년 내 관광산업 주요 환

경 변화 키워드는 lt표 3-2gt와 같다

구분 주요 키워드

관광

(관광트렌드 변화)관광객 소비문화

- 가치지향 여행 소비(소확행 가심비 트렌드 확산)

- 경험소비

-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 부상(관광 정보 SNS 공유)

- 일상에서 만나는 비일상여행(생활여행 한달살기)

- 누구나 즐기는 여행(생애주기 여행 무장애 여행 등)

- 관광시민(관광객으로서의 역할 중요)

lt표 3-2gt 미래 환경 변화 주요 키워드

115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구분 주요 키워드

- 특수목적관광 또는 특별관심관광의 활성화

- 근거리 여행(이동시간 및 거리 최소화)

- 소규모 중심의 여행 활성화

- 비(무)계획 관광 소비(즉흥 여행 증가)

- 안전과 위생 강조(안전 여행지 야외형 관광 수요 증가)

- 비대면 여행 선호

- 국내 여행 소비 확대

- 스마트관광(모바일 활용)

관광산업

- 전통기업의 위축

- 플랫폼 비즈니스 공유경제 글로벌 OTA의 발전과 확산

- 비대면 관광 서비스 확산(비대면 관광기술 수요 증가)

- 스마트기술 기반의 관광활동 증가

사회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 변화)

인구구조

- 고령화 및 대규모 은퇴자 증가

- 가족 형태의 다양화(1인가구 반려동물 동반 가구 다문화)

- 생산연령 인구 감소 및 지역 인구 감소(지방소멸의 위험)

사회인식- 여가시간 증대 및 워라밸의 추구

- 안전 생명 등 본원적 가치 중시 현상 강화

교육구조 - 대학인구 감소 초중고생의 교육수요 변화 체험교육 확대

기술

(과학기술 발전)4차 산업혁명

-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 가속화 및 활용 증가(인공지능 5G 증강현

실 로봇 빅데이터 자율주행 등)

- 모바일과 여행 플랫폼 비즈니스의 진화

- 기술 도입으로 인한 무인화 자동화 확산

- 사이버 범죄 우려로 인한 개인 정보 보호 강화

- 구독 경제 활성화(정기배송 렌털진화형 모델 등)

생태환경

(환경과 에너지)

전염병

기후변화

- 친환경 관심 증가 신재생 에너지middot친환경 교통수단 활용 증가

- 재난 증가에 따른 코로나19와 같은 전염병 등 안전관리 위기관리관

심 증가

지속가능성 - 지속가능발전 투자와 활동 확대

정치

(법제도 및

정부 정책)

국제관계- 남북교류 활성화 DMZ 관광

- 코로나19로 인한 국가간 이동 제한 국제교류 이축

국내정치

정책

- 도시재생 사업 혁신 정책

- 부처별 융복합 사업 확대

- 위기관리 대응체계 구축 강조

- 지방분권 지역균형발전 등 지역정책 증가

일자리 환경

(산업특성 및

산업구조 변화)

기업문화 - 기업 직장에서 직업 매개체로의 변화 고용형태 다양화(프리랜서 증

가) 다직업 체제

고용환경

- 일자리 양극화와 데이터 기반 인적관리 강화 프리랜서 활동 플랫폼

증가(인력중개 플랫폼)

- 코로나19로 인한 관광 분야 대량해고와 실직 예상

산업구조 - 자기고용과 창조서비스업의 증가

노동환경- 언제 어디서나 일할 수 있는 유연한 업무 환경 근무시간 축소 장기

휴가 증가(워케이션)

11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12 미래 관광 일자리 유망 분야

또한 환경 변화 키워드와 관련하여 주요 유망 분야에 대해 전문가 의견조사 결과

는 다음 lt표 3-3gt과 같다 총 31개의 미래 변화와 관련한 관광산업 유망 분야가

도출되었다

구분 유망 분야 주요 변화 키워드

관광

(관광트렌드

변화)

관광객

소비문화

- 맞춤형 관광- 가치지향 여행 소비(소확행 가심비 트렌드

확산) 경험소비

- 관광시민(관광객으로서의 역할

중요)- 관광시민(관광객으로서의 역할 중요)

- 관광 미디어 콘텐츠(사진 영상)-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 부상(관광 정보

SNS 공유)

- 생활관광

- 일상에서 만나는 비일상여행(생활여행 한달

살기) 근거리 여행(이동시간 및 거리 최

소화)

- 아동관련 여행

- 취약계층 관련 여행

- 누구나 즐기는 여행(생애주기 여행 무

장애 여행 등)

- 소그룹 여행 - 소규모 중심의 여행 활성화

- 지역 전문 관광

- 지역 교류 관광 공감- 국내 여행 소비 확대

- 해양관광 레저스포츠관광

- 치유관광 웰니스 관광 의료관광

- 농촌관광 예술관광 산업관광 역

사관광

- 특수목적관광 또는 특별관심관광의

활성화

관광산업

- 관광 플랫폼 OTA 공유경제시장

발전 신 관광비즈니스 창출

- 플랫폼 비즈니스 공유경제 글로벌

OTA의 발전과 확산

- 스마트 관광

- 스마트기술 기반의 관광활동 증가 비

대면 관광 서비스 확산(비대면 관광기

술 수요 증가)

- 모바일과 여행 플랫폼 비즈니스의 진화

사회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

변화)

인구구조

- 실버관광 요양관광 - 고령화 및 대규모 은퇴자 증가

- 나홀로 여행

- 반려동물동반여행

- 가족 형태의 다양화(1인가구 반려동물

동반 가구 다문화)

교육구조 - 교육여행- 대학인구 감소 초중고생의 교육수요

변화 체험교육 확대

기술

(과학기술

발전)

4차

산업혁명

- 빅데이터 분석 및 개인화

- 가상현실 드론 영상 이용 여행 콘

텐츠

- 모빌리티

-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 가속화 및 활

용 증가(인공지능 5G 증강현실 로봇

빅데이터 자율주행 등)

lt표 3-3gt 관광산업 주요 유망 일자리 유망 분야

117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2 미래 관광 유망 일자리 후보군

21 미래 관광 유망 일자리 후보군 종합

환경 변화분석 정책 사례 조사 1차 조사 의견 연구진 회의를 통해서 본 연구는

미래 관광 유망 일자리 후보군을 lt표 3-4gt와 같이 도출하 다

구분 유망 분야 유망 일자리 후보군

관광

(관광트렌드

변화)

관광객

소비문화

- 맞춤형 관광 - 여행 컨셉 기획가(맞춤형 관광 컨설턴트)

- 관광시민(관광객으로서

의 역할 중요)- 관광운동전문가

- 관광 미디어 콘텐츠

(사진 영상)

- 관광 사진영상 작가

- 관광콘텐츠크리에이터(여행작가 여행유튜버)

- 관광 콘텐츠 기획 제작 유통 전문가

- 여행영상 편집 지도사

- 관광 콘텐츠 개발자 문화콘텐츠 전문가

- 생활관광 - 생활관광 스토리텔러

- 아동관련 여행- 아동 여행 콘텐츠 개발자

- 아동 여행 가이드

- 취약계층 관련 여행 - 여행복지사

lt표 3-4gt 관광산업 주요 유망 일자리 후보군

구분 유망 분야 주요 변화 키워드

- AI기반 로봇 활용 증가 - 기술 도입으로 인한 무인화 자동화

확산

- 관광 어트랙션 구독 서비스 제공 - 구독 경제 활성화(정기배송 렌털진화형 모

델 등)

생태환경

(환경과

에너지)

전염병

기후변화

- 생태친환경 관광- 친환경 관심 증가 신재생 에너지middot친환

경 교통수단 활용 증가

- 여행 안전관리

- 재난 증가에 따른 코로나19와 같은 전

염병 등 안전관리 위기관리관심 증가

안전과 위생 강조(안전 여행지 야외형

관광 수요 증가) 위기관리 대응체계 구

축 강조

정치

(법제도 및

정부 정책)

국제관계 - 남북관광 평화관광 - 남북교류 활성화 DMZ 관광

국내정치

정책

- 도시재생 - 도시재생 사업 혁신 정책

- 융복합 관광 한류관광 - 부처별 융복합 사업 확대

11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구분 유망 분야 유망 일자리 후보군

- 소그룹 여행 - 소규모 관광 가이드

- 소규모 단체여행 기획 및 인솔가

- 지역 전문 관광

- 현지전문 맞춤 가이드

- 지역 관광 크리에이터

- 지역관광추진조직(DMO) 코디네이터

- 지역 교류 관광 공감- 지역관광교류전문가

- 관광인문학자

- 해양관광 레저스포츠

관광

- 레포츠관광 전문 가이드

- 해양치유사 해양관관 전문가

- 캠핑 관광 - 캠핑관광 용품 대여업 운영자

- 치유관광 웰니스 관광

의료관광

- 치유관광 운영자

- 농촌 치유관광 전문가

- 의료관광 기획가

- 농촌관광- 농촌관광 전문가

- 교육농장 및 진로체험농장 전문가

- 예술관광- 예술관광기획가

- 예술관광 가이드

- 산업관광 - 산업관광기획가

- 역사관광- 역사관광기획가

- 역사관광해설가

관광산업

- 관광 플랫폼 OTA 공

유경제시장 발전 신 관

광비즈니스 창출

- OTA 리스팅 전문가

- 관광 플랫폼 코디네이터

- 관광 플랫폼 디자이너

- 관광 플랫폼 운영자

- 관광창업 전문가

- 스마트 관광 - 스마트 관광 경험 디자이너

사회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 변화)

인구구조

- 실버관광 요양관광- 실버 여행 콘텐츠 개발자

- 실버 여행 가이드

- 나홀로 여행 - 나홀로 여행 컨설턴트

- 반려동물동반여행 - 반려동물여행시설운영자

교육구조 - 교육여행- 교육(학습) 관광 기획가

- 자유학기제 진로체험 전문가

기술

(과학기술 발전)

4차

산업혁명

- 빅데이터 분석 및

개인화

- 관광 빅데이터 분석가

- 관광 빅데이터 처리 엔지니어

- 관광 시스템 프로그램 전문가

119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22 미래 관광 유망 일자리 후보군 도출

2차 의견 조사에서는 1차 의견조사에서 도출된 유망 일자리 후보군을 검증하기

위해서 미래 관광일자리로서 5년 내 성장가능성을 5점 척도로 일자리 발생 시기

를 단기(3년 이내) 중기(4년~6년) 장기(7년~10년)로 측정하 다

2차 의견 조사에서 각 일자리에 대한 성장가능성은 평균 360점으로 나타났다

미래 관광 일자리로서 성장 가능성이 높게 평가된 항목은 관광빅데이터 분야의 관

광빅데이터분석(평균 450점)으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관광콘텐츠크리에이터

(평균 446) 관광 빅데이터 처리 엔지니어(평균 446점) 관광플랫폼운 자(평균

442점) 순으로 나타났다

구분 유망 분야 유망 일자리 후보군

- 가상현실 드론 영상

이용 여행 콘텐츠- 가상현실 체험 콘텐츠 크리에이터

- 모빌리티 - 관광 교통 대여업자(개인 전동 이동수단 공유

차량 등)

- AI기반 로봇 활용 증가 - 관광 서비스 로봇 콘텐츠 개발자

- 관광 서비스 로봇 관리자

- 관광 어트랙션 구독

서비스 제공 - 관광 어트랙션 구독 기획가 및 운영자

생태환경

(환경과 에너지)

전염병

기후변화

- 생태친환경 관광- 생태관광 인솔자

- 숲 해설가

- 여행 안전관리

- 숙박시설 방역전문가

- 관광안전여행 인솔자

- 관광안전여행 컨설턴트

- 관광안전여행 기획가

정치

(법제도 및 정부

정책)

국제관계 - 남북관광 평화관광- 북한관광기획가

- 평화관광해설사

국내정치

정책

- 도시재생- 도시재생 관광기획가

- 도시재생 관광 해설가 스토리텔러

- 융복합 관광 한류관광 - 한류문화 관광 콘텐츠 기획가

기타

- 관광 고용 컨설턴트

- 우주여행 기획가

- 자원봉사여행 기획가

- 관광법규 전문가

12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유망 분야 유망 일자리 후보군성장 가능성 일자리 발생

시기평균 표준편차

맞춤형 관광- 여행 컨셉 기획가(맞춤형 관광

컨설턴트)396 066 단기

관광시민

(관광객으로서의 역할 중요)- 관광운동전문가 288 128 중기

관광 미디어 콘텐츠

(사진 영상)

- 관광 사진영상 작가 354 117 단기

- 관광콘텐츠크리에이터(여행작가 여행

유튜버)446 081 단기

- 관광 콘텐츠 기획 제작 유통 전문가 431 084 단기

- 여행영상 편집 지도사 292 098 단기

- 관광 콘텐츠 개발자 문화콘텐츠 전문가 423 065 단기

생활관광 - 생활관광 스토리텔러 335 113 단기

아동여행 관련 여행- 아동 여행 콘텐츠 개발자 350 117 단기

- 아동 여행 가이드 315 097 중기

취약계층 관련 여행 - 여행복지사 304 128 장기

소그룹 여행 - 소규모 관광 가이드 392 106 단기

- 소규모 단체여행 기획 및 인솔가 388 107 단기

지역 전문 관광

- 현지전문 맞춤 가이드 396 102 단기

- 지역 관광 크리에이터 412 102 단기

- 지역관광추진조직(DMO) 코디네이터 392 126 단기

지역 교류 관광 공감- 지역관광교류전문가 327 122 중기

- 관광인문학자 319 141 단기

해양관광 레저스포츠관광- 레포츠관광 전문 가이드 358 095 단기

- 해양치유사 해양관관 전문가 316 107 중기

캠핑 관광 - 캠핑관광 용품 대여업 운영자 408 116 단기

치유관광 웰니스 관광

의료관광

- 치유관광 운영자 373 104 중기

- 농촌 치유관광 전문가 331 123 중기

- 의료관광 기획가 342 127 단기

농촌관광- 농촌관광 전문가 281 117 단기

- 교육농장 및 진로체험농장 전문가 300 110 중기

예술관광- 예술관광기획가 346 114 중기

- 예술관광 가이드 350 117 중기

lt표 3-5gt 관광산업 주요 유망 일자리 후보군 성장가능성 조사 결과

121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유망 분야 유망 일자리 후보군성장 가능성 일자리 발생

시기평균 표준편차

산업관광 - 산업관광기획가 315 112 중기

역사관광- 역사관광기획가 319 106 단기

- 역사관광해설가 327 108 단기

관광 플랫폼 OTA

공유경제시장 발전

- OTA 리스팅 전문가 408 113 단기

- 관광 플랫폼 코디네이터 423 111 단기

- 관광 플랫폼 디자이너 427 104 단기

- 관광 플랫폼 운영자 442 099 단기

- 관광창업 전문가 320 126 중기

스마트 관광 - 스마트 관광 경험 디자이너 350 127 단기

실버관광 요양관광- 실버 여행 콘텐츠 개발자 381 117 중기

- 실버 여행 가이드 388 103 중기

나홀로 여행 - 나홀로 여행 컨설턴트 362 110 단기

반려동물동반여행 - 반려동물여행시설운영자 396 082 단기

교육여행- 교육(학습) 관광 기획가 350 110 단기

- 자유학기제 진로체험 전문가 342 095 단기

빅데이터 분석 및 개인화

- 관광 빅데이터 분석가 450 081 단기

- 관광 빅데이터 처리 엔지니어 446 081 단기

- 관광 시스템 프로그램 전문가 427 087 단기

가상현실 드론

영상 이용 여행 콘텐츠- 가상현실 체험 콘텐츠 크리에이터 412 099 중기

모빌리티 - 관광 교통 대여업자(개인 전동 이동수단

공유차량 등)423 091 단기

AI기반 로봇 활용 증가 - 관광 서비스 로봇 콘텐츠 개발자 381 102 중기

- 관광 서비스 로봇 관리자 368 118 중기

관광 어트랙션

구독 서비스 제공 - 관광 어트랙션 구독 기획가 및 운영자 358 106 중기

생태친환경 관광- 생태관광 인솔자 350 124 단기

- 숲 해설가 335 129 단기

여행 안전관리

- 숙박시설 방역전문가 388 118 단기

- 관광안전여행 인솔자 358 121 단기

- 관광안전여행 컨설턴트 362 106 단기

- 관광안전여행 기획가 377 103 단기

12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연구진은 전문가 의견조사를 통해 향후 5년 내 성장가능성을 토대로 선정된 관광

미래 유망 일자리를 점수가 높은 순으로 정리하 으며 다음 표와 같이 상위 25개

의 일자리가 나타났다

유망 분야 유망 일자리 후보군성장 가능성 일자리 발생

시기평균 표준편차

남북관광 평화관광- 북한관광기획가 281 158 중기

- 평화관광해설사 323 161 장기

도시재생- 도시재생 관광기획가 338 124 단기

- 도시재생 관광 해설가 스토리텔러 338 124 중기

융복합 관광 한류관광 - 한류문화 관광 콘텐츠 기획가 388 095 단기

기타

- 관광 고용 컨설턴트 312 111 중기

- 우주여행 기획가 265 138 장기

- 자원봉사여행 기획가 288 107 중기

- 관광법규 전문가 285 116 단기

평균 360 - -

최대값 450 - -

최소값 265 - -

유망 분야 유망 일자리 후보군성장 가능성 일자리 발생

시기평균 표준편차

빅데이터 분석 및 개인화 - 관광 빅데이터 분석가 450 081 단기

관광 미디어 콘텐츠

(사진 영상)

- 관광콘텐츠크리에이터(여행작가 여행유

튜버)446 081 단기

빅데이터 분석 및 개인화 - 관광 빅데이터 처리 엔지니어 446 081 단기

관광 플랫폼 OTA

공유경제시장 발전- 관광 플랫폼 운영자 442 099 단기

관광 미디어 콘텐츠

(사진 영상)- 관광 콘텐츠 기획 제작 유통 전문가 431 084 단기

빅데이터 분석 및 개인화 - 관광 시스템 프로그램 전문가 427 087 단기

관광 플랫폼 OTA

공유경제시장 발전- 관광 플랫폼 디자이너 427 104 단기

lt표 3-6gt 성장가능성 기준 상위 25개 관광산업 주요 유망 일자리

123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중복을 포함해서 25위까지의 일자리를 긴밀하게 연결되거나 중복성이 높은 일자

리를 분야를 기준으로 통합하여 재정리하 다 전문가 의견조사에서의 성장 가능성

을 기준으로 유망 일자리 분야가 정리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성장 가능성 순위가

낮고 생계 수단으로 지속하기 어려운 분야는 삭제하 다 유망 일자리 분야는 관광

빅데이터 분석 관광 미디어 콘텐츠 관광 플랫폼 관광모빌리티 지역전문 관광 소

그룹 여행 반려동물여행 맞춤형 관광 여행 안전관리 실버 여행 등으로 분류되었

으며 그 과정에서 8개의 일자리 후보가 제외되었다

유망 분야 유망 일자리 후보군성장 가능성 일자리 발생

시기평균 표준편차

관광 미디어 콘텐츠

(사진 영상)- 관광 콘텐츠 개발자 문화콘텐츠 전문가 423 065 단기

관광 플랫폼 OTA

공유경제시장 발전- 관광 플랫폼 코디네이터 423 111 단기

모빌리티 - 관광 교통 대여업자(개인 전동 이동수단

공유차량 등)423 091 단기

지역 전문 관광 - 지역 관광 크리에이터 412 102 단기

가상현실 드론

영상 이용 여행 콘텐츠- 가상현실 체험 콘텐츠 크리에이터 412 099 중기

캠핑 관광 - 캠핑관광용품 대여업 운영자 408 116 단기

관광 플랫폼 OTA

공유경제시장 발전- OTA 리스팅 전문가 408 113 단기

맞춤형 관광 - 여행 컨셉 기획가(맞춤형 관광 컨설턴트) 396 066 단기

반려동물동반여행 - 반려동물여행시설운영자 396 082 단기

지역 전문 관광 - 현지전문 맞춤 가이드 396 102 단기

소그룹 여행 - 소규모 관광 가이드 392 106 단기

지역 전문 관광 - 지역관광추진조직(DMO) 코디네이터 392 126 단기

소그룹 여행 - 소규모 단체여행 기획 및 인솔가 388 107 단기

실버관광 요양관광 - 실버 여행 가이드 388 103 중기

여행 안전관리 - 숙박시설 방역전문가 388 118 단기

융복합 관광 한류관광 - 한류문화 관광 콘텐츠 기획가 388 095 단기

실버관광 요양관광 - 실버 여행 콘텐츠 개발자 381 117 중기

AI기반 로봇 활용 증가 - 관광 서비스 로봇 콘텐츠 개발자 381 102 중기

12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분야 유망 일자리

관광 빅데이터 분석- 관광 빅데이터 분석가 처리 엔지니어

- 관광 시스템 프로그램 전문가

관광 미디어 콘텐츠(사진 영상)- 관광콘텐츠크리에이터(여행작가 여행유튜버)

- 관광 콘텐츠 기획 제작 유통 전문가

관광 플랫폼

- 관광 플랫폼 디자이너

- 관광 플랫폼 코디네이터 운영자

- OTA 리스팅 전문가

관광 모빌리티 - 관광 교통 대여업자(개인 전동 이동수단 공유차량 등)

지역 전문 관광- 지역관광추진조직(DMO) 코디네이터

- 지역 관광 크리에이터

반려동물동반여행 - 반려동물여행시설운영자

맞춤형 관광 - 여행 컨셉 기획가(맞춤형 관광 컨설턴트)

소그룹 여행 - 소규모 관광 가이드

- 소규모 단체여행 기획 및 인솔자

여행 안전관리 - 숙박시설 방역전문가 여행지 안전관리자 익스트림 여행 안전관리자

실버여행- 실버 여행 콘텐츠 개발자

- 실버 여행 가이드

lt표 3-7gt 미래 관광 유망 일자리

125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3 미래 유망 관광 일자리 선정 결과

선정된 미래 관광 일자리 유망 분야를 제2장 환경 변화의 트렌드와 깊게 연관되

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각 관광 일자리 별로 가장 연계성이 높은 트렌드를 제시하

면 다음과 같다

분야 유망 일자리 주요 연관 거시환경

관광 빅데이터 분석- 관광 빅데이터 분석가 처리 엔지니어

- 관광 시스템 프로그램 전문가

-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 가속화 및 활용

증가(빅데이터 등)

관광 미디어

콘텐츠(사진 영상)

- 관광콘텐츠크리에이터(여행작가 여행

유튜버)

- 관광 콘텐츠 기획 제작 유통 전문가

-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 부상

- 스마트기술 기반의 관광활동 증가

관광 플랫폼

- 관광 플랫폼 디자이너

- 관광 플랫폼 코디네이터 운영자

- OTA 리스팅 전문가

- 플랫폼 비즈니스 공유경제 글로벌 OTA

의 발전과 확산

관광 모빌리티- 관광 교통 대여업자(개인 전동 이동수단

공유차량 등)

-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 가속화 및 활용

증가

- 신재생 에너지middot친환경 교통수단 활용

증가

지역 전문 관광- 지역관광추진조직(DMO) 코디네이터

- 지역 관광 크리에이터- 국내 여행 소비 확대

반려동물동반여행 - 반려동물여행시설운영자- 가족 형태의 다양화(1인가구 반려동물

동반 가구 다문화)

맞춤형 관광 - 여행 컨셉 기획가(맞춤형 관광 컨설턴트)- 가치지향 여행 소비(소확행 가심비 트렌

드 확산) 경험소비 확산

소그룹 여행 - 소규모 관광 가이드 - 코로나19로 소규모 중심의 여행 활성화

여행 안전관리

- 숙박시설 방역전문가

- 여행지 안전관리자 익스트림 여행 안전

관리자

- 재난 증가에 따른 코로나19와 같은 전염

병 등 안전관리 위기관리관심 증가 안전

과 위생 강조(안전 여행지 야외형 관광

수요 증가) 위기관리 대응체계 구축 강조

실버여행- 실버 여행 콘텐츠 개발자

- 실버 여행 가이드- 고령화 및 대규모 은퇴자 증가

lt표 3-8gt 미래 관광 분야의 유망 일자리와 주요 연관 환경 변화

12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제3절 관광 유망 분야와 일자리

1 관광 빅데이터 분석

11 개요

빅데이터는 4차 산업혁명의 대표 기술로 인식되며 발전 가능성이 큰 분야로 인

식되고 있다 빅데이터는 ldquo대용량 데이터를 활용 분석하여 가치 있는 정보를 추출

하고 생성된 지식을 바탕으로 능동적으로 대응하거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

화 기술rdquo로 정의 된다(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 20111026)

이러한 빅데이터 분석의 기술은 디지털로 구축된 다량의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분석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기술을 의미하며 이러한 분석 기술은 기존 불가

능했던 불규칙적 엄청난 양의 데이터를 분석하기 때문에 기술과 산업의 발전에

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고려된다(김동규 외 2017 UNWTO 2019)

[그림 3-1] 2022년 유망 기술 비율 전망

자료 UNWTO(2019) p17

127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빅데이터 산업은 데이터 솔루션 데이터 구축 및 컨설팅 데이터 서비스로 구분되

며(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2019a) 2018년 국내 데이터산업의 전체 시장 규모는 약

15조원으로 전년 대비 56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한국데이터진흥원 2019b)

[그림 3-2] 데이터 산업 시장 규모

자료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2019b) 2019 데이터산업 백서 p4

대분류 중분류 세부 기술

데이터

솔루션

데이터 수집- 데이터 검색 로그 데이터 수집 웹 데이터 수집 데이터통합연계

데이터 교환개방

DBMS - RDBMS NoSQL DBMS 인메모리 DBMS 기타 DBMS

데이터 분석- 정형비정형 데이터 분석 실시간 데이터 분석 데이터 시각화 분

석 데이터(전)처리

데이터 관리- 데이터 모델링 마스터 데이터 관리 데이터 품질 관리 DB 운영

및 성능 관리

데이터 보안 - DB 보안 개인 데이터 보안

데이터 플랫폼 - 빅데이터 플랫폼 개발 및 공급

데이터 구축

및 컨설팅

데이터 구축 - DB 설계구축 데이터 이행 데이터 구축가공

데이터 컨설팅- 데이터 설계 컨설팅 데이터 품질 컨설팅 DB 성능 개선 컨설팅

데이터 거버넌스 컨설팅 데이터 분석활용 컨설팅

데이터

서비스

데이터 판매 및 중개 - 데이터 판매 데이터 신디케이션

정보 제공 - 포털정보 매개 서비스 정보 제공 서비스

데이터 분석 제공 - 소셜 데이터 분석 정보 제공 마케팅 데이터 분석 정보 제공 리스

크 데이터 분석 정보 제공 게타 데이터 분석 정보 제공

자료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2019a) 2018 데이터 산업 현황 조사

lt표 3-9gt 빅데이터 분류

12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전 세계 빅데이터 시장규모는 2018년 420억 달러를 기록하 고 2023년까지 5

년간 연평균 144의 성장세를 유지하며 770억 달러로 시장규모가 확대될 것으로

예측된다(중소벤처기업부 2020)

관광 분야에 있어서 빅데이터 기술은 관광객 이동 소비 행태 관광정보 검색 결

과 등의 분석에 이용되며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상품 추천 개인화 서비스 혼잡

도 관리 마케팅 경 전략 등에 활용 하고 있다 이러한 관광 빅데이터의 활용의

기술의 중요성 및 활용도에 따라 향후 발전 가능성이 더 높은 분야로 인식된다

구분 활용 사례

관광

트렌드 및

정보 제공

- (국내) 한국관광공사는 2020년 KT가 제공하는 관광인구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지역별 관광객

의 이동 소비 행태 분석과 여행 트렌드 도출 예정

- (국내) 제주도는 관광객의 계절별 연령별 이동 동선 등을 분석하여 개개인에게 맞는 관광지

를 추천해주는 관광객 맞춤형 서비스 추진

- (해외) 마카오관광청은 여행자의 행동 패턴을 분석해 미래 활동을 예측하고 여행자 또한 마

카오 여행지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빅데이터 기반 lsquo스마트 투어리즘 서비스rsquo를 시행 중

- (해외) 글로벌 온라인여행사 카약(KAYAK)은 빅데이터 기반 여행 서비스 플랫폼인 lsquo카약 빅

데이터 여행 가이드rsquo를 통해 여행 정보를 고객들에게 제공

- (해외) 핀란드 헬싱키 공항에서는 여객동선 빅데이터 분석으로 대기시간을 예측하고 인력을

배치

기념품- (국내) 롯데면세점은 전체 이용객의 65 이상을 차지하는 모바일 고객들을 위해 성별 나이

선호 상품 등의 빅데이터를 분석해 상품을 추천하는 서비스를 제공

관광교통

- (국내) 인천공항공사는 인천공항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여 성수기 여객 혼잡도 완화하고

고객에게 체크인 카운터와 출국장의 대기시간 및 혼잡도 실시간 안내 서비스를 제공

- (해외) 사우스웨스트 항공middot델타 항공middot유나이티드 항공 등 항공사는 승객을 대상으로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항공기 승무원과 게이트 직원들에게 고객 데이터를 제공

축제

- (국내) 진주시는 2019년 10월 개최된 남강유등축제의 성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빅데이터 분

석 진행하였으며 분석결과를 향후 개최되는 축제에 반영할 계획

- (국내) 정읍시는 2020년 2월부터 상용 빅데이터 솔루션인 KT 빅사이트를 도입해 향후 축제

의 방향성 및 홍보 방안을 마련할 계획

자료 한국콘텐츠진흥원(2020) 융복합 관광서비스 사업화지원 사업 현황분석 및 개선방향 연구

lt표 3-10gt 관광 빅데이터 활용 사례

129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12 일자리로서의 가능성

이처럼 빅데이터 기술 발전과 활용이 확산됨에 따라 빅데이터 전문가는 유망한

일자리로 고려되고 있다(김동규 외 2017 한국고용정보원 2019a) 빅데이터 분석

관련 직업으로는 데이터엔지니어(빅데이터 전 과정의 전문적 처리자 및 관리자) 데

이터사이언티스트(목적에 따라 유용한 정보를 추출하여 제품 서비스 개선 업무 담

당) 공간빅데이터분석가(기본 공간정보에 위치 정보를 결합하는 업무 분야에 종

사) 데이터시각화디자이너(빅데이터 분석 결과의 시각적 수단 전달자) 전략컨설턴

트(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기업 경 전략 수립 반 및 컨설팅하는 업무 종사) 등이

부각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김동규 외 2017) 이러한 빅데이터 관련 직무 인력은

현재 전산업으로 11만명이 있으나 향후 5년 내 추가로 2만명이 더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2019b)

관광분야에서도 빅데이터 관련 분석 분야는 일자리 증가 및 미래 역량 발전이 예

상되는 분야이다(UNWTO 2019) WEF에서 전망한 미래 일자리 와 관련한 보고

서에서 전망한 관광분야 일자리 증가에 있어서 관광 데이터 분석 및 관련 분야는

2018년 8 2022년 13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WEF 2018)

구분 내용

직무 관광 데이터 설계 개선 관광 관련 수집데이터 활용가능한 형태로 처리 및 분석

직업 관광 빅데이터 분석가 관광 빅데이터 처리 엔지니어

역량 관광산업 및 관광정보 이해력 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능력

일자리 발생 시기 단기(3년 이내)

관련 자격 정보처리기사 정보처리산업기사 정보처리기능사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lt표 3-11gt 관광 빅데이터 분석 분야

13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2 관광 미디어 콘텐츠

21 개요

미디어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방식이 기술의 변화로 인해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모바일 환경의 구축에 따라 사람들은 스마트폰 태블릿 등 다양한 기기로 유튜브 인스

타그램 페이스북 등 다양한 미디어 채널을 통해 콘텐츠를 즐기고 있다 이러한 미디어

콘텐츠 분야는 전 세계적으로 성장 중이며(연평균 성장률 43) 2023년에는 전 세계

적으로 26조 달러의 수익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삼일회계법인 2019)

미디어 시장의 성장과 함께 소비자들의 콘텐츠 소비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기업들

은 이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고 있다(삼일회계법인 2019)

[그림 3-3] 2022년 유망 기술 비율 전망

자료 삼일회계법인(2019) 2019-2023 Entertainment amp Media 산업 전망 p2

이에 따라 미디어 콘텐츠 창출 분야는 새로운 일자리 분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를 반증하듯 교육부에서 실시한 초등학생의 희망직업으로 교사(74) 경찰관

(38)에 이어 크리에이터(56)가 상위권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교육부

20191210) 콘텐츠크리에이터(미디어콘텐츠창작자)는 ldquo유튜브 등 광고기반 플랫

폼에 개인의 상 콘텐츠를 제작하여 올리고 이를 통해 수익을 창출rdquo하는 직업을

가진 사람을 의미한다(한국고용정보원 2019b)

관광 분야에서도 다양한 플랫폼을 바탕으로 국내middot외 여행 콘텐츠 활용이 활성화

되고 있다

131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미디어 활용에 있어서는 개별 플랫폼(예 프레스티지 고릴라 여행에 미치다 유

디니 등)을 활용한 홍보와 일반 미디어 플랫폼(예 유튜브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등)을 활용하거나 관련 인플러언서가 생산한 여행 콘텐츠를 공유하는 형태로 이루

어지 지고 있다

[그림 3-4] 유튜브 여행 관련 시청자 수(2018년)

자료 PIXABILITY(2018) In-Flight Viewing p5

상 미디어 관련 채널인 유튜브에서의 여행 관련 상이 2013년부터 2018년

7월까지 약 130만개 채널 1390만 상이 제작되고 있으며 총 3060억 뷰가 발

생한 것으로 나타났다(PIXABILITY 2018)

코로나19로 해외여행의 한계가 있는 상황에서도 세계 각국의 관광청에서는 미디

어를 활용한 여행 콘텐츠를 통해 관광 목적지 홍보를 지속하고 있다(예 국관광

청 한국관광공사 등)32)

22 일자리로서의 가능성

개인 미디어 콘텐츠 제작자(크리에이터)는 유튜브 아프리카TV 페이스북 등 미디

어 플랫폼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middot오디오 콘텐츠를 생성하는 사람으로 콘텐츠 제

작관련 자료조사 기획middot연출 촬 middot편집 미디어 파일 업로드 등을 행하고 있다(진로

정보망 커리어넷 홈페이지) 이러한 미디어 콘텐츠 제작자는 유튜버 트위처 인터넷

32) 한국관광공사는 동남아시아 기반 한국인 유튜버를 통해 한국 관광 홍보를 하고 있으며 영국관광청은 관광

지 배경으로 한 온라인 세미나 단체 미팅 등을 진행하고 있음(여행신문 20200824)

13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방송 진행자(BJ) 크리에이터 팟케스터 제작자 등으로 불리며 미디어 기획자 및 연

출자 시나리오 작가 상 촬 자 및 편집자 음향 편집자 번역가 등과 함께 팀을

이루어 일하거나 미디어 콘텐츠 회사(Multi Channel Network MCN)33)에 소속

되기도 한다(진로정보망 커리어넷 홈페이지)

[그림 3-5] 1인 미디어 동영상 생태계를 중심으로 하는 MCN 비즈니스 생태계

자료 한국엠씨엔협회 홈페이지(httpkmcnaorkr)

즉 크리에이터의 콘텐츠 기획관련 컨설팅 지원 자체 콘텐츠 제작 저작권 관리

국내외 유통 채널 확보를 담당하는 창작자 에이전트도 미래의 유망 직업으로 전망

되고 있다(한국고용정보원 2019) 앞서 살펴보았듯이 미디어 콘텐츠 시장의 성장

과 함께 본 콘텐츠 제작자도 증가하고 있다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이승렬 외 2018) 첫째 자율적으로 자신이 원하는 소재의 콘텐츠를 만들 수

있고 열정 재미 등의 차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 일로서 업계에 대한 전망도

긍정적이며 일에 대한 스스로의 만족도가 높은 분야에 해당한다 둘째 여행 브이

로그(Vlog) 등 일상생활이나 리뷰리액션 등은 고도의 전문성이 필요하지 않아 이러

한 콘텐츠 장르의 크리에이터가 다수 존재하며 향후 제작 노하우의 체계화와 전문

33) MCN 회사는 개인 미디어 콘텐츠 제작자를 관리하는 일종의 기획사로 여러 채널과 협력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이다(진로정보망 커리어넷 홈페이지)

133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화 역량의 강화가 필요할 것이다 셋째 직업이 아직 불안정하기 때문에 직업의 지

속가능성 측면에서의 불안감이 지속되고 있다 넷째 콘텐츠 창작 과정과 창조된 결

과물에서 성과와 보람이 크리에이터의 노력에 비해 낮아 크리에이터 활동에 대한

인식이 활동 전 대비 활동 후는 낮았다 즉 크리에이터는 자신이 하는 일의 내용과

미래 성장가능성 시간의 유연적 활용 등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이나 직업적 불안정

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관광분야에서도 미디어 콘텐츠 크리에이터 분야는 시장 규모의 성장과 함께 발전하고

있는 분야이다 미디어 플랫폼의 사용자는 국내middot외에서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개인이 제

작한 여행 콘텐츠는 새로운 방식의 마케팅 홍보 여행 정보 제공에 활용되고 있다

구분 내용

직무 관광 미디어 콘텐츠 제작 편집 관광지 홍보 등

직업 관광 콘텐츠 크리에이터 관광 콘텐츠 기획middot제작middot유통관련 전문가

역량 콘텐츠 제작 편집 기획 역량

일자리 발생 시기 단기(3년 이내)

관련 자격 -

lt표 3-12gt 관광 미디어 콘텐츠 크리에이터 분야

관광 미디어 콘텐츠 크리에이터 역시 기존 미디어 콘텐츠 제작자와 유사하게 개

인 채널을 운 하거나 MCN에 소속되어 활동하고 있으며 구독자를 확보하고 플

랫폼에서 광고를 제공하거나 관광청의 의뢰를 받아 여행지를 소개하는 등의 형태로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또한 최근 직업으로서 여행 콘텐츠 크리에이터를 하기 보다

는 취미나 부업 차원에서 이 시장에 뛰어든 사람들도 존재한다

관광산업의 경우는 지방자치단체가 관심을 많이 가지는 분야로 여행 콘텐츠 크

리에이터를 통해 알려지지 않은 명소나 카페 음식점 등도 지역의 크리에이터가 소

개하고 있다 또한 사기업에서도 여행 콘텐츠 크리에이터 관련해서 인턴십을 실시

(예 한화DREAMPLUS Travel Creator 프로그램34)) 등 관련 분야의 일자리로서

의 가능성은 높은 편이다

34) 한화DREAMPLUS Travel Creator 프로그램은 8주간의 겨울방학 기간 동안 콘텐츠 제작 전문가들이

진행하는 교육 및 멘토링 여행middot레저 분야 스타트업 대표들의 특강 국내외 여행 콘텐츠 제작 실습 및

발표 등의 프로그램 등이 포함되어 있다(매일경제 20191212)

13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3 관광 플랫폼

31 개요

기술 발전에 따라 취업형태가 다양화되면서 연결성을 바탕으로 수요와 공급을

직접 이루어지는 플랫폼이 발전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는 비즈니스 모델이 다양하게

발전하고 있다(강금봉 2019) 2018년 기준 글로벌 시가총액 상위 10개 기업 중

6개 기업이 플랫폼 관련 기업으로 나타났으며 스타트업 상위 10개 기업에서는 그

비중이 7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황혜정 20181221)

[그림 3-6] 플랫폼 관련 글로벌 기업

자료 황혜정(20181221) 탈규모 시대의 제조업 lsquo플랫폼 비즈니스rsquo로 도약한다 p1

디지털 플랫폼은 ldquo디지털화된 콘텐츠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매개체가 되는 서

비스rdquo로 정의된다(사이언스올 홈페이지) 디지털 플랫폼에서 거래되는 대상은 상품

서비스 자금 커뮤니케이션 엔터테인먼트 정보 등이 있으며 공유경제(sharing

economy) 협력경제(collaborative economy) 긱 경제(gig economy) 온디맨

드 경제(on-demand economy)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강금봉 2019)

135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이러한 디지털 플랫폼은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정보시스템 등 기술을 활용하여

발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거대 디지털 플랫폼 기업들이 등장하고 그 향력이

우리 생활 전반으로 확대되고 있다(최계 2020)

이러한 디지털 플랫폼은 검색 소셜미디어 전자상거래 앱스토어 디지털 광고

금융 교통 숙박 언론 등에서의 서비스를 제공 하고 있다

거래대상 거래 내용 주요 플랫폼 기업

상품

(goods)

물건 판매(tangible for sale) 아마존 이베이 쿠팡

대여(tangible for rent) 에어엔비

데이터 판매(intabgible for sale) 앱-스토어(App-Store)

데이터 대여(intangible for rent) 아이튠즈(iTunes) 넷플릭스(Netflix)

서비스

(디지털 노동

digital labour)

크라우드 워크(웹기반 web-based) 업워크 아마존 메커니컬 터크

긱 워크(지역 기반 location-based) 배달의 민족 부릉 요기요 등

자금

(money)크라우드펀딩(crowdfunding) 인디고고(Indiegogo)

커뮤니케이션 데이팅(dating) 틴더(Tinder)

엔터테인먼트 소셜미디어 유튜버 페이스북

정보

뉴스 구글 뉴스

서치 구글

리뷰 Yelp

자료 Schmidt(2017) 강금봉(2019)

lt표 3-13gt 상업적 디지털 플랫폼의 거래 대상과 유형

관광에서도 디지털 플랫폼의 발전으로 관광상품 구매에 있어서 OTA 등 온라인

예약 플랫폼 이용이 증가 하고 있다 아시아시장에 있어서 이러한 온라인 예약 플랫

폼은 씨트립(Ctrip) 플리기(Fliggy) 등이 있으며 세계적으로는 익스피디아 부킹

홀딩스 같은 플랫폼의 이용이 여행객 사이에서 증가하고 있다 아래 그림과 같이

아시아에서 모바일과 온라인의 예약 채널 이용이 2013년에 비해 크게 증가하고 있

다(Euromonitor International 2018)

13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그림 3-7] 아시아 온라인 예약 채널

자료 Euromonitor International(2018) Megatrends shaping the future of travel p19

32 일자리로서의 가능성

맥킨지의 보고서에 따르면 이러한 디지털 플랫폼은 2025년까지 5억 4천만 명의

일자리를 창출하며 유연근무의 확산과 장애인의 일자리 증가에 기여하고 파트타

임 근로자와 프리랜서(독립적 계약자)의 증가로 전통적인 직업 탐색과 관련한 부가

적인 비용을 감소시키며 비공식적 노동을 온라인 지불화를 통해 형식화하게 해준

다는 특징이 있다(Fidler 2016) 2018년 기준 우리나라의 플랫폼경제종사자 규모

는 최소 47만 명에서 최대 54만 명(전체 취업자의 17 ~ 20)으로 추산된다(김

준 외 2018)

플랫폼은 세 가지 측면에서의 행위자가 존재한다 그 행위자는 플랫폼 제공자 플

랫폼에 상품 및 서비스를 공급하는 독립적 계약자들 수요 측면에서 플랫폼에서의

상품과 서비스를 구매하는 플랫폼 고객이다(Schmidt 2017)

137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그림 3-8] 플랫폼의 3가지 행위자

자료 Schmidt(2017) p10

따라서 플랫폼과 관련한 일자리는 플랫폼 제공자 측면과 플랫폼 공급자 측면에서

생각해볼 수 있다 플랫폼 제공자 측면에서는 플랫폼 운 자 디자이너 코디네이터

등이 있으며 플랫폼 공급자 측면에서는 플랫폼에 참여하여 노동을 제공하는 플랫

폼 노동자의 형태가 있다

먼저 디지털 플랫폼 노동과 관련해서 운 기반이 온라인 아니면 오프라인에 기

반인지에 따라 구분된다(강금봉 2019) 그러나 이러한 디지털 플랫폼 노동은 기존

법적 기준으로 고용 형태를 명확히 규정하기가 힘들어서 노동 여건 측면에서 불안

정한 근로자가 확산되는 우려가 있으며 이에 따라 디지털 플랫폼 노동종사자를 위

한 보호에 대한 지원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운영 기반 분류 세부 분야 예시

온라인 기반

업무수행 플랫폼

온라인 인력 중개 플랫폼 - ITSW 인력 중개 고용서비스 재능마켓

디지털콘텐츠 창작 플랫폼 - 웹툰 웹소설 웹 일러스트 등 기재 및 공모형

크라우드워크(crowdwork) 플랫폼 -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등 자료 생성 업무

오프라인 기반

호출(주문)형

플랫폼

승객 운송(transportation) 플랫폼- 대리운전

- 승차공유(카풀형 학원 셔틀 공유 승합)

배달(delivery) 플랫폼- 음식 배달

- 퀵서비스 등 배달 서비스

lt표 3-14gt 디지털 플랫폼 노동의 유형

13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한편 플랫폼 노동자의 형태는 관광 분야에서 가이드 교통수단 운전자 공유숙박

운 자 등으로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의 분야로 구분할 수 없기에 공

급자 측면에서의 일자리를 유망 일자리로 고려하고자 한다

공급자 측면에서는 관광 플랫폼 운 디자인 개발과 관련한 일자리를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광 플랫폼 디자이너는 관광객 및 잠재 관광객과 플랫폼과의 상호

교환성 인터페이스 등을 디자인하고 관련 시스템을 설계하는 사람으로서 개발자

들과의 협업을 수행한다 관광 플랫폼 개발자는 관광 플랫폼 기획자 관광 플랫폼

PD 관광 웹 개발자 관광 관련 소프트웨어 개발자 등으로 불리며 관광관련 플랫폼

기획 구축 및 운 마케팅 등을 총괄하는 사람으로 관광 플랫폼 구축을 위해 플랫

폼 엔지니어 플랫폼 디자이너 플랫폼 프로그래머 등과 업무를 협의하여 업무를 추

진한다 관광 플랫폼 코디네이터는 관광 플랫폼 디자이너와 개발자의 사이에서 조율

하는 업무를 주로 담당하며 관광 플랫폼 기획(안)을 세분화하는 작업을 담당한다

구분 내용

직무 관광 플랫폼 관련 기획 개발 운영

직업 관광 플랫폼 운영자 관광 플랫폼 디자이너 관광 플랫폼 코디네이터 등

역량 관광 정보 수집 및 적용 능력 매체 활용 능력 관광 플랫폼 기획력

일자리 발생 시기 단기(3년 이내)

관련 자격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 정보처리기사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lt표 3-15gt 관광 플랫폼 분야

운영 기반 분류 세부 분야 예시

가구 및 생활 서비스(household

service amp life) 플랫폼

- 가사 서비스

- 이사

- 인테리어리모델링홈디자인

- 돌봄서비스

- 애완 케어서비스

- 세탁

- 번역

- 교육서비스11 트레이닝

자료 강금봉(2019) p178

139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4 관광 모빌리티

41 개요

기술의 발전에 따른 이동 수단의 진화에 따라 모빌리티 산업이 등장하 다 사전

적 의미로 모빌리티(mobility)는 ldquo이동성이라는 동태적 특성rdquo을 의미하며 모빌리

티 서비스는 이동수단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정의된다(이금노 2019)

모빌리티 산업은 일반적으로 인공지능 5G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기술과

융합한 차세대 교통수단으로 1인용 이동수단 자율주행차 초소형 전기차 등을 지

칭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스마트 모빌리티 마이크로모빌리티 등을 포함하는 용어

이다(한국교통연구원 2017) 이러한 모빌리티는 lsquoTaaS(Transportation as a

Service)rsquo lsquoMaaS(Mobility as a Service)rsquo 스마트 모빌리티 등으로 불리며 그 산

업은 발전하고 있다(이금노 2019) 이러한 모빌리티는 초연결 자율 주행 차량 공

유 친환경의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고태봉 2018) 우버(차량 공유) 라임(전동 킥

보드 및 자전거 공유) 등 공유 모빌리티 서비스 등이 발전하고 있다

모빌리티는 스마트 도시35)의 개념 중 하나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운송 및 교통

관련 분야와 관련이 있는 스마트 도시의 핵심 요소이다(김규남 2019 Brčić et al 2018)

[그림 3-9] 스마트 모빌리티의 개념도

자료 김규남(2019) 송승범(2020) p3 재인용

35) 스마트 도시는 도시운영의 효율성 및 대중과의 정보공유를 향상시키고 서비스 품질과 시민복지를 개선시

키기 위하여 정보통신기술 비즈니스 모델 및 솔루션을 사용하는 도시를 의미한다

14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국내 퍼스널모빌리티의 시장은 2016년 6만대로 2022년은 20만대 수준으로 추정

되고 있으며 그 종류에는 전동스케이트보드 개인 전동 이동수단 전동스쿠터 등이

있다(한국교통연구원 2017) 자동차 공유 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2015년 11억 달러

규모이며 2020년 35억 달러 2024년 65억 달러로 전망되며 한국의 자동차 공유시

장 규모는 2011년 6억 원에서 2020년 5000억 원으로 전망된다(손종구 2017)

이처럼 모빌리티 시장의 규모는 점차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며 관광 분야에서도

여행 관련 모빌리티 기업들이 등장하고 있다

42 일자리로서의 가능성

관광 분야에서도 여행 관련 모빌리티 기업들이 등장은 관광분야에서 모빌리티 관

련 일자리의 성장 가능성을 보인다 특히 스마트모빌리티는 관광지내에서의 이동

수단으로 각광을 받고 있으며 이에 따라 관련 기업들의 관광지 내 모빌리티 사업을

시작하고 있다36)

모빌리티를 비롯한 관광 교통수단은 이동을 우선시하는 기존 교통수단과 달리 관

광 정보 및 안내 제공 서비스도 제공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즉 접근성이 낮은

관광지나 혼잡한 장소 방문 시 교통수단 및 관광지 정보의 제공이 관광 모빌리티의

핵심 요소이다 이에 일반 모빌리티 대여업자와 다르게 국내외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는 기업을 가정할 때 국내 관광객보다는 국외 관광객에게 관련 정보 서비스 여행

자 보험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는 관광대여업자가 각광을 받을 것이라 전망된다

구분 내용

직무 관광 모빌리티 수단 대여 관광지 안내 통역 서비스 제공

직업 관광 교통 대여업자(개인 전동 이동수단 차량 등)

역량 언어 지역정보 제공 및 안내

일자리 발생 시기 단기(3년 이내)

관련 자격 -

lt표 3-16gt 관광 모빌리티 분야

36) 현대차는 제주도에서의 개인 전동 이동수단 및 전기자전거 플랫폼을 운영하고 대여 반납 등의 비즈니스를

하고 있다(중앙일보 20190812)

141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5 지역 전문 관광

51 개요

2018년 기준 우리나라 국민의 10명 중 9명은 국내여행을 하 으며(문화체육관

광부 2019c) 2013년에서 2017년까지 국민 여행 이동총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

다(문화체육관광부 2018a)

[그림 3-10] 2013-2017년 국민여행경험률 및 이동총량

자료 문화체육관광부(2018b) 2017 국민여행실태조사

또한 2019년 사회조사 결과를 보면 국민의 여가활용에 있어서 향후에 가장 하

고 싶은 활동은 관광활동(700)으로 나타나(통계청 20191125) 국내여행은 지

속적으로 중요한 분야이다

한편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국가 간 이동이 제한되면서 해외여행의 수요가 국내

여행의 수요로 전환되기 시작하 다(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200527) 코로나19

확산 이후인 2월에서 4월 사이 응답자의 229가 국내여행을 경험하 고 향후 국

내여행을 할 의향이 있다고 대답한 응답자가 절반을 차지하 다(한국문화관광연구

원 20200527) 이처럼 관광객의 여행욕구 해소의 수단으로 국내 여행이 각광받

고 있으며 안전을 고려하여 관광객이 적은 지역 매력적인 장소에 대한 수요가 증

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200527)

지역 전문 여행(지역 특화 여행)은 국내외 관광수요 다변화와 지역 관광의 질을 높

이기 위해 중요하다 또한 지역 관광은 국민 국내여행 유형이 개별여행 중심으로 변화

해감에 따라 관광객 유치를 위해서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문화체육관광부 2018)

이에 정부는 lsquo대한민국 테마여행rsquo lsquo산업관광 및 문화콘텐츠형 시티투어rsquo 등을 추

진하여 지역 특화 여행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다

14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52 일자리로서의 가능성

지역관광의 전문적 관리 및 경 주체의 중요성 증가와 함께 지역의 발전과 성장

을 위해 지역민이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관광의 혜택을 받는 것이 중요하게 고려된

다(문화체육관광부 2018) 지방분권 시대에 걸맞은 지역의 역량 강화 및 기반 마련

필요하다 이에 지역에서도 지역관광 전문 인력을 발굴하고 육성하기 위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예 관광두레PD) 전문 일자리의 수요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익산시는 관광전문 인력을 육성하기 위해 lsquo투어매니저rsquo 사업을 추진하

고 있다(익산열린신문 20200401) 2020년 2월 기준 관광두레와 관련해서 주

민사업체는 192개로 관련 참여 주민은 1203명으로 평균 1개소 63명의 주민이

참여하고 있다(관광두레 홈페이지) 해외의 경우 지역관광 어드바이저가 체험프로

그램 개발 주민교육 등 지역 관광과 관련한 전반적 자문활동을 수행하고 있다(예

일본 에코투어리즘 어드바이저 뉴질랜드 마오리 문화관광 멘토링 프로그램 등)

지역전문관광과 관련해서는 지역관광추진조직(DMO) 코디네이터 지역 관광 크

리에이터 관광두레PD 등의 일자리 창출이 전망된다 지역관광추진조직 코디네이

터는 지역관광추진조직과 이해관계자들 사이에서의 조율하는 업무를 주로 담당하

며 지역관광 크리에이터는 지역 기반의 콘텐츠 기획관련 컨설팅 지원 자체 콘텐

츠 제작 저작권 관리 국내외 유통 채널 확보를 담당한다 관광두레PD는 관광두레

사업과 관련하여 주민사업체 발굴과 조직화 역량 강화 창업과 경 개선 네트워크

구축 등의 지원하는 역할을 담당한다(관광두레 홈페이지)

구분 내용

직무 지역과 지역민 사이 중간지원 지역 관광 콘텐츠 기획 및 제작 홍보 등

직업 지역관광추진조직(DMO) 코디네이터 지역 관광 크리에이터 관광두레PD

역량 콘텐츠 기획 역량 조정능력 리더십 친화력

일자리 발생 시기 단기(3년 이내)

관련 자격 -

lt표 3-17gt 지역 전문 관광 분야

143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6 반려동물동반여행

61 개요

2019년 기준 반려동물을 기르고 있는 가구는 약 591만 가구로 전국 전체 가구의

약 264로 나타나 2018년 대비 약 80만 가구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농림축

산식품부 20200429) 동 조사에서 반려동물의 양육비율은 개(839) 고양이

(328) 어류 및 열대어(22) 순으로 나타났다 반려동물관련 시장 규모는 2012

년 9000억에서 2015년 1조 8000억원으로 크게 증가하 으며 2020년에는 약

5조 800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박지혜 2017) 이러한 반려동물 관련 시

장 및 산업은 펫과 경제의 합성어인 펫코노미(Petconomy)로 불리기도 한다

[그림 3-11] 반려동물 보유 가구 비중 및 반려동물 시장 규모

자료 박지혜(2017) p48 재인용

이러한 반려동물 가구의 증가 및 시장 규모 증대에 따라 반려동물 동반 여행인

펫캉스(펫+바캉스)가 새로운 여행 트렌드로 부상하 으며 이러한 반려동물 가구(펫

팸족)를 위한 전용 숙박시설(반려동물 동반 호텔) 패키지상품 등이 창출되고 있다

익스피디아에서의 20~30대 펫팸족의 60가 최근 1~2년간 여행을 반려동물과

같이 한 것으로 나타났고 반려동물 여행을 위해 전용 교통편 숙박 액티비티 등으

로 구성된 패키지여행 상품 이용의도가 약 40로 나타났다(아시아경제 2020

0827) 또한 동 조사에서 밝혀진 반려동물과의 주요 여행활동으로는 기억에 남는

사진 남기기(748) 다른 여행자의 반려동물과 어울려 놀기(429) 기내 또는 숙

14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소에서 반려동물 서비스 요청(294) 등이 나타났다 이러한 반려동물 숙소 외에도

동반 여가활동 프로그램도 생겨나고 있다 통 관광개발공사에서는 펫프렌들리 케

이블카를 운 하고 있으며 강원도 양양에는 반려견 전용 해수욕장이 운 중이다

62 일자리로서의 가능성

반련동물 관련 산업의 성장으로 2020년 직업사전에서는 반려동물과 관련한 미

용 및 관리 종사원(예 애완동물행동교정사 펫시터 등)이 직업으로 나타났다(한국

고용정보원 2019b) 앞서 살펴본 듯이 펫팸족(반려동물가구)의 증가로 인해 반려

동물 시장의 성장 가능성이 높으며 이와 관련한 반려동물 동반 숙박시설의 이용도

도 증가하고 있다

또한 반려동물과 관련된 액티비티(예 반려동물 전용 워터파크 펫 마사지 원데이

클래스 반려동물 초상화 배우기 반려동물 놀이터 이용권 등)의 상품도 더불어 개

발되고 있다

반려동물 동반 숙박시설은 비반려인 고객에 대한 배려 반려동물 여행객의 니즈

등을 고려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반려동물 동반 펜션의 경우 독채로 운 되어 다

른 숙소 이용자와 마주칠 필요가 없으며 반려동물의 소음을 막고 자유로운 활동이

가능한 자연 또는 정원 산책로 등의 환경 구축이 중요하게 인지되고 있다(투어코리

아 20190723) 이에 반려동물여행과 관련한 시설 운 자는 반려동물의 편의시

설 및 반려동물 관련 용품 등을 구축하고 관련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주변 반려

동물 여행지 및 관련 액티비티를 판매하는 등의 역할을 한다

구분 내용

직무 반려동물여행 시설 및 서비스 제공 반려동물 여행 상품 판매 반려동물 시설 관리 등

직업 반려동물여행 시설 운영자

역량 반려동물 및 반려동물 관련 여행에 대한 정보 이해력 대인관계능력 등

일자리 발생 시기 단기(3년 이내)

관련 자격 -

lt표 3-18gt 반려동물여행 관련 분야

145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7 맞춤형 관광

71 개요

최근 여행자의 다양한 수요를 반 하여 컨셉여행(테마여행 맞춤여행)이 새로운

여행 트렌드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컨셉 여행은 기존 단체관광 가이드 관광의

트렌드가 개별여행트렌드로 변화된 현상과 취향의 세분화 개인 맞춤형 서비스의

성장에 기인한다 또한 최근에는 관광객들이 여행에 있어서 작지만 확실한 행복을

추구하거나(소확행) 가격 대비 심리적 만족의 최대 추구(가심비) 등을 이루고자 하

며 기존의 일정을 소화하는 여행 보다는 자아의 가치를 창출하는 여행을 하는 경향

이 나타나고 있다(이원희 외 2019)

이에 여행에 있어서 매력 있는 숙소 독특한 체험 등을 위해 아낌없이 구매하는

트렌드가 형성되고 호캉스 등이 젊은 층에서의 새로운 여행 형태를 보이고 있다

또한 레포츠 예술 미식 뉴트로 자원봉사여행(볼런투어) 인플루언서 동행 여행

등의 컨셉 여행(테마 여행)이 젊은 층을 대상으로 확산되고 있다(이원희 외 2019)

예를 들어 2019년 피아니스트 리사이틀과 여행을 결합한 프리미엄 상품이 출시되

었고 자원봉사와 여행이 결합한 상품이 출시되기도 하 다

72 일자리로서의 가능성

맞춤형 여행 시장의 성장에 따라 관련 여행상품의 기획 개발 상담업무 수행 상

품화의 역할을 하는 여행 컨셉 기획가 또는 맞춤형 관광 컨설턴트가 유망 일자리로

나타났다 여행 컨셉 기획가(맞춤형 관광 컨설턴트)는 여행 컨셉을 기획하고 이에

따른 상품을 개발하며 고객과의 상담업무를 수행하고 관련 교통수단 경비 관광

지 숙박시설 편의성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여행상품을 계획

한다 특히 여행 컨셉 기획가는 관광여행 트렌드에 민감한 상품을 제공하고 관련

컨셉을 창출하는 등 소비자 트렌드 변화에 초점을 두고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14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구분 내용

직무 맞춤형 여행상품 상품의 기획 개발 상담업무 수행 상품화

직업 여행 컨셉 기획가(맞춤형 관광 컨설턴트)

역량 기획력 통찰력과 분석력 서비스 정신 친화력

일자리 발생 시기 단기(3년 이내)

관련 자격 -

lt표 3-19gt 맞춤형 관광 관련 분야

8 소그룹 여행

81 개요

소그룹 전용 여행은 여행 트렌드 중의 하나로 가족이나 친구들끼리 따로 즐기는

여행이다 이러한 소그룹 여행은 기존 패키지여행의 장점(편리성 전문성 안전성

등)을 극대화 하고 단점(타인과의 단체 여행 시 개인 선택의 한계 이동의 제한성

등)을 개선하기 위한 트렌드이다

2018 국민여행조사에서 전체 관광여행 중 452가 여행 인원수가 2~3명으로

나타났으며(전체 평균 49명) 특히 20대와 30대에서의 그 비율이 각각 564

578로 나타났다(문화체육관광부 2019c)

코로나19로 개별 또는 소규모 여행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Forbes 20200507) 이는 가족과의 일상이 확대됨에 따라 안전이 최대한 보장

되고 타인과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코로나19 감염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활동이

증가한 것에 기인한다

이에 따라 지자체의 여행 지원 및 마케팅 정책도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주시는 2박 3일 숙박여행의 지원금을 지원하고 있으며 충북 제천시의 경우 전세

관광택시 서비스를 운 하고 있다

82 일자리로서의 가능성

소그룹 여행 트렌드로 인한 소규모 여행 수요가 증가는 소규모 관광 가이드 소규

모 단체여행 기획 및 인솔자 등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

147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소규모 관광 가이드는 국내 및 해외 소규모 여행을 위한 여행경로 일정 등 관광

에 필요한 전반적인 안내를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소규모 단체여행 기획 및 인

솔자는 고객 맞춤형 여행상품 개발을 위해 정보를 수집하여 소규모 단체여행을 기

획하고 국내외 소규모 여행을 인솔하여 여행정보를 제공하며 관련 편의성을 제공

하는 역할을 한다

구분 내용

직무 소규모 단체 여행 상품의 기획 개발 상담업무 수행 상품화

직업 소규모 관광 가이드 소규모 단체여행 기획 및 인솔자

역량 기획력 통찰력과 분석력 서비스 정신 친화력

일자리 발생 시기 단기(3년 이내)

관련 자격 국내여행안내사 관광통역안내사

lt표 3-20gt 소그룹 여행 관련 분야

9 여행 안전관리

91 개요

여행과 관련한 안전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고 있다 자연재난(지진 태풍 홍수

등) 전염병(코로나19 메르스 등) 사건 및 사고(세월호 헝가리 다뉴브강 선박사고

여행지에서의 부상 등)에 대한 우려가 증가함에 따라 안전인식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익스트림 어드벤처 여행행태가 여행의 한 트렌드로 전망되고 있다(이원희 외

2019) 익스트림 어드벤처 여행은 산 정글 동굴 등 위험한 장소로의 여행을 하거

나 위험이 높은 액티비티를 체험하는 여행이 있다 이러한 익스트림 어드벤처 여행

의 증가는 관련 안전사고를 유발하기도 하여 여행 중 안전 인식의 중요성이 강조되

고 있다 이에 액티비티 프로그램 운 관련 안전관리 확인 및 매뉴얼 관리 방안

모색이 강조되고 있다(이원희 외 2019)

한편 코로나19로 여행에 있어서 안전인식이 중요해지고 있다(OECD2020) 이

에 따라 대인 접촉이 우려되는 장소보다는 사람이 적은 지역 자가용을 이용한 여

14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행 당일 여행으로 안전을 중요하게 고려하며 국내 여행을 하고 있다(한국문화관광

연구원 20200527)

최근 정부에서는 코로나19 생활 속 거리두기 시기에 있어서 여행 경로별 안전

여행 가이드를 발행하여 배포하고 있다 이 가이드 속에 사업주는 방역 관리자를

지정하고 사업장별 맞춤형 집단 방역 지침의 수립 등을 권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생활 방역 전문가 등이 유망 직종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림 3-12] 안전 여행 가이드 중 사업주 가이드

자료 문화관광체육부(2020) 코로나10 생활 속 거리 두기 시기 여행경로별 안전여행 가이드

92 일자리로서의 가능성

일자리위원회에서는 안전middot보건 및 비대면 분야에서 새로운 공공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하 다(YTN 20200506) 파주시의 경우 파주

관광사업체 안전관리 관련하여 파주형 희망일자리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울산시

의 경우 방역 전문가 자문단을 구성하여 코로나 19 등 간염병 대응과 유입 차단을

위한 방역 조치에 대한 자문을 제공하고 있다37)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방역 관련 직종 위기관리 전문가 등의 인

력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한국일보 20200316)38) 2018년 기준 관광사업체 수

37)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파주형 희망일자리 사업은 참여자 2329명을 모집하고(비전21뉴스 202008

26) 울산시의 경우는 방역 전문가 자문단을 운영하고 있다(울산MBC 20200219)

38) 코로나19가 유행하면서 헬스케어 방역 관련 전문가 위기 관리 전문가 등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한국일

149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는 33만개로 그 중 관광 숙박업 관광객이용시설업 유원시설업 관광편의시설은

각각 약 2천개 4천개 3천개 4천개가 있으며(문화체육관광부 2019) 이 시설을

관리할 방역 전문가 안전관리원 등의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관광숙소 방역 전문가는 관광숙소의 환경 위생 소독장비 및 약품 종류와 사용법

숙지 등 방역과 소독 관련한 업무하고 여행 안전관리원(안전관리자)는 관광지 및

관광현장 익스트림 액티비티와 관련해서여행객 위험방지에 관한 사항 사고사례

분석 및 개선 사항 종사자 안전교육 및 훈련 업무를 수행한다

구분 내용

직무 방역 및 소독 위험방지 사고 사례 개선 종사자 안전교육 및 훈련 등

직업 숙박시설 방역전문가 여행지 안전관리자 익스트림 여행 안전관리자

역량 안전과 보안 지식 사고 처리 능력

일자리 발생 시기 단기(3년 이내)

관련 자격 -

lt표 3-21gt 여행 안전관리 일자리 분야

10 실버 여행

101 개요

고령층은 인구구조의 변화 함께 중요한 소비층으로 부상하고 있다 고령인구의

수는 1970년에 비해 2019년에 5배로 증가하 으며 2067년에는 생산 연령가능 인

구의 수보다 많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통계청 2019) 특히 은퇴한 신 고령층은

경제적 시간적 여유를 확보하여 여가 및 소비에 있어서 중요한 집단으로 예상되고

있다(오훈성 2018) 고령층의 소비자의 시장 참여와 역할은 고령층 증가와 그들의

경제력에 의해 증대되고 있다 2017년 65세 이상 고령자는 향후 시간적 경제적

여유가 생긴다면 여가시간에 가장 하고 싶은 활동으로 관광활동을 선호하 으며(통

계청 20180927) 이에 따라 실버 여행이 증가 할 것으로 각 기관들은 전망하고

있다(이원희 외 2019)

보 20200316)

15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그림 3-13] 65세 이상 고령자의 여가활동(2017년)

자료 통계청(20180927) 2018 고령자 통계

실버 여행은 노년기의 관광을 의미하며 유사어로 고령 여행 시니어 여행 등이

있다 이러한 실버 여행의 성장과 함께 중년 이상을 대상으로 하는 시니어 여행 시장

으로 진입하는 기업도 발생하고 있다39) 2018년 기준 모두투어의 해외 여행상품

이용객의 185가 60세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2017년 인터파크의 60대 이상기준

모바일 예약도 2016년 대비 1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매일경제 20180312)

국내여행시 여행사 상품 구매율은 60대(45) 계층에서 높게 나타나며 여행사

상품 구매에 있어서 전체패키지 구매비율이 60대(836) 70새 이상(823)로 전

체 평균(623)보다 높게 나타났다(문화체육관광부 2019)

해외의 경우 실버여행상품은 주로 현지 가이드와 의료진을 동반한 여행객의 건강

관리를 하며 실버여행상품에 있어서 실버층의 관광 상 특성 관련 관광편의시설의

확보 실버층의 관광욕구 및 정신적 욕구를 충족하는 등의 구성이 전제되어야한다

는 특징이 있다(한국관광공사 2007)

39) 한 기업은 중년 이상 대상의 여행 브랜드를 생성하여 시니어 여행시장에 진입하였다(한국경제 20200803)

151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102 일자리로서의 가능성

실버여행시장의 성장에 따라 실버 여행상품의 출시와 실버여행 콘텐츠 개발자

실버여행 안내원 등이 유망 일자리로 나타났다 실버여행콘텐츠 개발자(실버여행상

품개발원)는 실버 여행상품을 기획 개발하며 고객과의 상담업무를 수행하고 실버

여행과 관련한 교통수단 경비 관광지 숙박시설 편의성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

고 이를 바탕으로 여행상품을 계획한다

구분 내용

직무 실버여행 상품의 기획 개발 상담업무 수행 상품화

직업 실버여행 안내원 실버여행 콘텐츠 개발자

역량 기획력 통찰력과 분석력 서비스 정신 친화력

일자리 발생 시기 중기(4년-7년)

관련 자격 -

lt표 3-22gt 실버여행 관련 분야

실버여행안내원은 여행사가 기획하고 주최하는 국내외 실버 여행을 동행하여 실

버여행객들이 쾌적한 여행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관광정보를 제공하고 여행 중

사고 발생과 관련하여 신속하게 대처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고령관광에서는 방문

지에서의 여행 편의를 위한 기능 강화가 필요하며 실버여행 안내원 및 콘텐츠 개발

자는 이에 초점을 두고 역할이 필요하다

15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제4절 시사점

본 연구는 문헌연구 전문가 의견 조사 등을 통해 향후 5년대 유망 분야와 일자리

를 도출하 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유망 일자리 분야는 디지털 융합 분야 관광 수

요의 다양화에 따른 특화 및 세분화 분야 코로나 19로 인한 소규모 여행 증가 및

여행 안전 인식 증가로 인한 분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림 3-14] 미래 관광 유망 분야

153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디지털 융합 분야가 유망 분야로 인지되고 있어 기술의 융합으로 관광 빅데이터

분석 관광 미디어 콘텐츠 관광 플랫폼 관광 모빌리티 분야의 일자리가 유망할 것

으로 전망된다 특히 기존 관광분야에서도 기술의 대체로 인한 인력 감소 분야가

예상되고 있기 때문에 감소 분야 인력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통해 신규 유망 분야의

일자리 이동을 지원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 또한 새롭게 창출되는 디지털 융

합 분야의 인력 확보를 위한 예비 인력 양성도 필요할 것이다

관광수요의 다양화로 인해 특화 및 세분화 분야가 유망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

한 분야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 미래 관광일자리에 대한 정보 제공 활성화 및 관광

트렌드 등 유망 분야에 대한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훈련 체계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특화 및 세분화 분야의 창업과 창직을 위한 활성화를 위한 정책도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소규모 여행을 선호하고 안전에 대한 인식

제고로 인한 안전관광 분야가 유망할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관광시장 변화에 대

한 창업 및 창직의 활성화 관련 일자리의 창출을 위한 역량 강화 등이 요구될 것으

로 전망 된다

관광산업 인력의 양성에서는 미래 관광환경 변화에 대한 선제적 대응이 중요하게

인지되고 있으며 관광산업 고도화를 위해서도 일자리를 위한 직접적 간접적 지원

은 중요하게 인지되고 있다

즉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와 관련하여 신규 성장 분야 육성 기술 융합 일자리

양성 및 관광인력의 디지털 역량 강화 등의 정책 추진이 중요하다

신규고용 창출이나 고용유지를 위한 지원 직접지원 사업뿐만이 아니라 구직자의

구직활동 강화를 위한 연수 및 교육 고용지원 인프라 구축 등 간접지원방식의 정책

추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제4장

157제4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제1절 기본방향

관광산업에 있어서 미래 일자리 창출은 관광산업의 성장을 위한 필수 요소이다

일반적으로 일자리 창출은 경제적 환경 기업 경쟁의 환경 노동시장의 유연성 교

육훈련 시스템 사회안정망 체계 등과 관련되어 있다 즉 미래 일자리 창출을 위해

서는 ① 지속적 경제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안정적 거시경제 환경 ② 기업의 진입과

창업을 가로막는 규제 완화와 상품시장의 독과점 축소로 대표되는 경쟁 환경 ③

탄력적 임금middot노동비용middot근로시간 조정과 고용창출을 저해하지 않는 고용보호법규로

대표되는 노동시장 유연성 ④ 양질의 인적자본 공급과 축적을 보장하는 교육훈련

시스템 ⑤ 효과적이고 적극적인 노동시장 정책과 노동시장 기능의 효율성과 양립

하는 사회안전망 체계 등이 충족되어야 한다(OECD 2004 허재준 2009)

기업의 일자리 창출이 제약되는 위기 상황에서는 정부의 임시적 일자리 공급이

효과적이지만 궁극적으로 일자리는 기업에서 창출되어야 한다 따라서 미래 일자

리 관련 정부의 역할은 공공 및 민간 투자의 효과적 투입을 지원함에 있다 또한

정부는 관광사업체의 변화한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교육과 훈련을 강화하여야

하며 미래 일자리에 대한 정보와 기술 지원을 강화해야한다 또한 관련 규제 개선

과 노동의 이동성을 지원해야 한다(UKCES 2014)

특히 국가에서는 근로자에게 필요한 분야의 기술을 제공하기 위해 생애주기에 걸

친 교육 및 훈련에 대한 기회를 제공하는 제도적 투자가 중요하다 또한 정부는 근로

자를 보호하며 효과적 교섭 시스템 마련과 일자리 기회의 균등한 제공 새로운 일자리

에 대한 효과적 의사소통 등과 관련한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OECD 2020c)

더불어 국가는 미래 일자리 관련 역량 기준 개편 혁신 기업 육성 기술middot역량의

육성과 자격화 혁신 거버넌스 체계구축 등에 투자하여야 한다(UNWTO 2019)

즉 기술 발전과 사회경제적 변화로 인해 관광산업의 일자리 변화가 예상됨에 따라

15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관광산업 기존신규 인력의 직업능력 개발 새로운 업무 방식의 전환 지원 등이 필

요하다 특히 관광의 미래 새로운 산업 서비스 등을 발굴하고 개발할 수 있도록

직업능력 양성 체계의 방향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유망 일자리 분야로 도출된 분야는 ① 디지털 융합 분야 ② 관광 수요의

다양화에 따른 특화 및 세분화 분야 ③ 코로나 19로 인한 소규모 여행 증가 및 여행

안전 인식 증가로 인한 분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관광 유망 분야와 관련하여 신규

성장 분야 육성 기술 융합 일자리 양성 및 관광인력의 디지털 역량 강화 코로나19 관련

대응 일자리 창출 미래 관광일자리 성장을 위한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창출 및 인력 양성을 위해서는 관광산업이 필요로 하는

인재를 확보하여 관광산업이 활성화 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미래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미래 관광 일자리 분야를 도출하고 미래 일자리 대응방향을 ① 디지털

융합 관광인력 육성 ② 특화분야 관광인력 양성 기반 구축 ③ 코로나19 대응 일자

리 창출 ④ 관광 미래 일자리 성장 환경 조성으로 설정하 다

[그림 4-1]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159제4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제2절 정책 대응 방향

1 디지털 융합 관광인력 육성

11 디지털 융합 관광인재 양성

가 추진 배경

관광산업의 노동 공급적 관점에서 살펴보면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는 인공

지능과 로봇 기술의 발전은 단편적 정보전달 업무를 수행하는 관광 인력을 대체할

가능성이 높고 기술 관련 분야의 신규 일자리 창출이 높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WEF 2018)

본 연구에서 파악한 관광 유망분야의 일자리도 기술 기반의 관광 빅데이터 분석

관광 콘텐츠 미디어 관광 플랫폼 관광 모빌리티 분야의 일자리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미래 디지털 융합 관광 인력 양성을 위해서는 관광산업 입직 예정자들로

하여금 경제적 효율성을 추구하는 기술적 대체를 넘어서 관광의 근원적 가치를 창

출하는 한편 디지털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개발할 수 있도록 정책적 개입

이 필요하다

나 세부 정책 방향

1) 디지털 융합형 미래 관광인력 양성과정 확대

기술과 산업의 융합은 관광산업뿐만 아니라 전체 산업의 인력 양성의 변화를 야

기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된다 디지털 융합형 관광 인재는 기술 기반과 세분화

되는 관광산업을 이끌어가며 해외 주요국 및 우리나라 정책에서도 이 분야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고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대학에서도 관광과 기술

16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을 융합하는 과정이 생기고40) 현재 문화체육관광부에서 관광산업 혁신을 주도할

미래인재 양성 교육기관을 공모로 통해 기관을 선정하여 ICT 융합형 교육프로그램

구성 양성 교육기관의 역량 지원 교육 후 취업 지원 등을 추진하고 있으나 융합

발전의 속도를 반 하여 교육 및 훈련과정의 확대 지원이 필요하다41)

본 교육 대상은 만 20세 이상의 관광전공자인 예비 인력으로 관광 및 IT 기업

관광 연관 사업체(벤처)의 참여로 개발된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을 지역 소재의 대

학에서 실시하는 형태가 필요하다 교육 방식으로는 정책의 효과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온라인 교육으로 가능한 교육 수혜자가 많은 방식으로 접근이 필요하며 교육

과정은 현재 추진하고 있는 lsquo미래인재 양성 교육기관rsquo 사업과 연계 추진한다

12 관광 종사자의 디지털 역량 강화

가 추진 배경

일터의 특성이 숙련의 생존주기를 단축시키고 있어서 학교교육에서 뿐만 아니라

일하고 있는 사람들조차도 지속적인 학습을 통하여 새로운 지식과 숙련을 습득해야

할 상황이다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기술의 발전과 고용형태의 변화는 기존의 많

은 일자리들의 소멸 주기를 단축시키고 있지만 고급 역량을 필요로 하는 일자리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일자리 환경의 빠른 변화는 일터가 요구하는 숙련

이 빠르게 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숙련의 생존주기가 크게 단축되면 인적자

원개발의 방식도 크게 바뀌어야 한다

최근 주요 관광산업 일자리의 주요 변화는 기술의 발전과 확산이다(WEF 2016

WTO 2019) 기술의 발전과 확산은 일자리 감소의 부정적 전망이 있지만 기술로

자동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부분으로 일자리의 대체가 이루어진다(WEF 2016)

특히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인한 관광기업의 경 난은 관광산업 인력의 축소를

야기하고 있으며 관광면세업 관광공연장업 관광유흥음식점업 등 관광편의시설업

카지노업 일반여행업과 국외여행업에서의 일자리 전망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40) 최근 대학에서 스마트관광 대학원 과정 스마트 투어리즘 매니지먼트 소프트웨어과정이 신설되었음

41) 2020년 하반기에 관광 미래인재 100명(교육기관 당 33~34명)의 대학(원)생을 선발 정규 이론 교육과

산학 프로젝트를 통한 실무 중심 교육 실시 160시간 이상의 교육 교육비 전액 국비 지원(한국관광공사

20200422)

161제4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있어 기존 인력의 일자리 유지를 위한 정책이 요구되고 있다

기존 관광관련 지식전달 방식의 학습에서 비판적 사고와 반성적 성찰을 할 수 있

는 학습방식의 혁신이 요구된다 관광의 미래 인적자원개발은 학습자가 주도하여

그들의 역량을 개발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하지만 기존 관광

분야의 교육훈련 및 인재양성 정책에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학습방식까지

고려하고 나아가 인적자원의 양성middot활용 이외에 사회적 역량도 포함하여 종합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즉 관광산업 종사자는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기술을 원활하게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이해력을 높일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관광 종사자에게 기존 산업에서 필요

로 한 역량과 다른 역량(예 기술 활용 소셜미디어 활용 등)을 요구하며 새로운 유

형의 직업이 창출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이러한 흐름은 적절한 직업 교육 훈

련 학습 등의 기반이 필요하다(UNWTO 2019)

따라서 관광분야 역시 디지털기반의 산업비중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여러 분

야와의 융합이 예상되므로 기존 종사자 대상의 역량강화도 필수적이며 특히 중소규

모 업체 1인 재직자를 위한 교육지원이 필요하다

나 세부 정책 방향

1) 관광인력의 디지털 및 융합 사고 교육middot훈련 실시

관광산업 종사원의 미래 대응을 위한 역량 향상은 필요한 정책 역이나 유관

협회의 교육 프로그램 지원은 미래 환경변화 대응에 있어서 한계적이다 현재 한국

여행업협회 한국호텔업협회 한국관광협회중앙회 한국MICE협회 카지노협회 등

에서 종사원을 위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나 다양한 프로그램 마련과 참여에 있어

서 한계가 존재한다(김덕기middot한희정 2018)

기술 기반의 사회 변화 대응을 위해 디지털 활용 역량을 위한 교육 및 훈련과정을

실시하고 관광 분야에 있어서 단순 기술 보유하고 있거나 로봇이 대체할 수 있는

일자리(예 관광안내원 접객원 등)에 있는 종사자 1인 재직자(1인 기업)를 대상으

로 기술기반 및 타 산업 융합관련 교육을 통해서 미래 지향적 관광산업의 일자리로

전환할 수 있도록 추진한다

16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2) 미래 관광인재 육성 기업 지정

관광 종사자의 교육 및 훈련은 해당 기업의 투자 촉진을 통해 가능하다 관광기업

종사자의 디지털 전환에 대한 투자는 관광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 할 수 있으

며 관광 종사자의 디지털에 대한 이해도 증진을 통해 디지털 기반의 관광 마케팅

활용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발굴 등을 이끈다 이에 관광기업의 디지털 전환 투자

촉진을 위해 디지털 인재 육성 관광기업을 지정하고 지정서 발급 인재 교육 및 훈

련비용의 일부 지원 미래 관광 기업으로의 인재 육성 부분에서의 우수 사례집 발간

을 통한 홍보 등을 추진한다

3) 관광기업과 디지털 기업의 매칭 지원

관광 기술인력이 부족한 관광기업의 현장 지원을 위해 디지털 기업을 매칭하여

디지털 전환이 필요하다 기존 관광기업은 디지털 전화에 대한 이해도 및 디지털

전환 속도를 따라잡기 힘들고 디지털 기업은 관광 분야에 진출할 때 관광산업의

생태계 및 관광산업의 특징에 대한 이해도가 낮아 기존 기술 활용을 관광 분야로

확대하는 것에 그치고 있다 이에 관광기업과 디지털 기업의 매칭 지원을 통해 관광

기업은 디지털 가속화 및 디지털 역량을 확보하고 디지털 기업은 관광 사업체로

변모를 추진한다

2 특화 분야 관광인력 양성의 기반 구축

21 지역기반 관광 일자리 창출

가 추진 배경

일본 사례에서 살펴보았듯이 관광분야 일자리창출사업은 지역 활성화 및 지역

고용창출의 핵심 사업으로 자리매김 되어왔으며 실제로 다양한 지자체에서 관광을

통한 지역 일자리창출 사업이 추진되어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특히

2000년대 이후의 일본의 지방 공동화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된 이래로 위에서도 살

펴볼 수 있듯이 관광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노력은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의 다양

163제4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한 정책을 통해 이루어져왔다

우리나라도 생산연령 인구의 감소와 지방 인구 소멸 등에 직면한 시점에서 지역

기반의 미래 일자리 창출은 지역의 생존과 직결되어 필요한 정책 역이다 따라서

지역단위의 관광 일자리 창출 인적자본 축적 지역의 다양한 관광 전문가 및 이해

관계자들이 참여하는 지역 협력 강화 등을 위한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특히 국내관광 활성화로 지역관광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지역

관광추진조직 코디네이터 지역 관광 크리에이터 관광두레PD 등의 일자리 창출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이에 지역 관광 전문인력 발굴 및 육성을 통한 지역관광

일자리 창출이 필요하다

나 세부 정책 방향

1) 지역특화 관광 전문가 양성

지역으로의 인력 유입 활성화와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역 관련 전문가 양성

이 필요 하며 지역특화 전문가 교육 및 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의 관광 미래

일자리 전망에서 보았듯이 관광시장의 세분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관광이 발전

될 것이며 또한 코로나19 이후 지역으로의 여행 증가(국내 여행으로의 수요 전환)

국민의 국내여행 경험 증가에 따라 지역 관광 크리에이터와 같은 일자리가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지역기반의 관광기업의 참여로 지역 특성을 반 한 관광 전문가 양성 프로

그램을 개발하여 지역의 관광산업 예비 종사자 창업(예정)자 등을 대상으로 지역

특화 관광자원 발굴 및 활용 관광상품화 지역 협동조합 연계 강화 디지털 기반

창업 관련 인재 양성 등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2) 지역관광 창업middot창직 공간 구축의 확대

지역의 미래 관광인력 양성은 지역관광의 역량과도 연계되어 있으며 지역관광과

관련한 창업 창직 활성화를 통해 지역 관광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지역의 거점별 지역관광 창업middot창직 공간을 구축하여 앞서 언급한 지역특화 교육이

이루어지고 지역의 일자리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공간 지원의 확대가 필요하다

16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22 관광 특화분야 관광인력의 능력개발 강화

가 추진 배경

현재 관광산업은 코로나19의 위기를 극복하고 관광객의 세분화 다양화된 수요

등에 대응하는 시점에 있다 관광산업은 외부 환경에 변화에 따라 빠르게 변화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변화에서 유망 분야를 주도할 수 있는 관광 인력

의 양성이 필요하다 앞서 유망분야로 살펴본 실버여행 맞춤형 관광 반려동물동반

여행 등은 인구구조의 변화 관광수요의 다변화 등에 따른 결과이다 실버 여행의

경우 패키지 여행의 주도 세력이며 맞춤형 관광은 자아가치 창출을 위해 젊은 층에

서 확산되고 있다 반려동물동반여행 시장의 경우도 반려동물인구의 증가에 따라

시장 규모가 확대될 것이라고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분야들은 관광시장 형성이 초기단계이므로 이러한 변화를 이끌어나갈 수

있는 인력을 양성하는 것은 관광산업의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는 길이다 따라서 관

광수요의 다양화 세분화되는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교육과정의 변화가 필요하다

나 세부 정책 방향

1) 미래 관광 유망분야 양성 훈련 기관 지정

관광산업의 유망분야를 선도하는 주체를 육성하기 위해서는 관련 분야에 대한 전

문성을 교육하는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에 관광학과 관련된 관광관련 정규 교

육기관(특성화고 전문대학 대학교)을 일부 선정하여 미래 관광 유망분야 양성 훈

련기관 간 협약 체결로 유망분야의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및 훈련 과정 발굴 시범

훈련프로그램 운 을 지원하는 등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본 양성 훈련 기관 지정은

훈련 프로그램 운 비 일부를 지원하는 형태로 운 이 된다 또한 동 지정 사업은

관광의 유망분야에 대한 전문성을 갖춘 인력을 양성하는 것이 목적에 있다

2) 미래 관광 유망분야 교원 교육 확대

현재 문체부에서는 관광특성화고교 교사의 역량 강화를 위한 직무 교육을 추진하

고 있다 이러한 직무 교육은 산학 네트워킹 프로그램 취업 포럼 취업 설명회 등을

165제4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내용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도 향후 유망한 분야의 직업으로 실버여행 콘텐츠

개발자 및 가이드 맞춤형 관광 컨설턴트 반려동물여행시설 운 자 관광 데이터 분

석가 관광 콘텐츠 크리에이터 등을 제시하고 있다 관광산업을 둘러싼 미래 환경의

변화는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고 이에 따라 직업의 창출과 소멸이 빠르게 변하고 있

다 이에 관광관련 정규기관의 교육도 과거나 현 상황을 반 하기에는 유망 분야의

발전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기존 관광특성화고교 뿐 아니라 관광분야 정규 교육기관

의 교원을 대상으로 관광 트렌드 및 유망 분야를 반 한 이론 및 현장 교육 등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설계되어야한다 이를 통해 관광 기업과 교

육기관과의 연계를 통해 관광산업 현장 역량을 제고하도록 진행할 필요가 있다

23 창업middot창직 활성화

가 추진 배경

관광산업 분야의 미래 일자리는 사회 기술 및 생태 환경적 요인 등 다양한 동인

들을 통해 종합적으로 향을 받아 생장하고 소멸할 것이다 특히 4차 산업혁명이

일어난 이후 실제의 다양한 산업군과 경제 그리고 사회의 모습에서 체감할 수 있는

만큼 관광 일자리 관련해서도 변화가 시작되고 있다

관광 분야에서 인공지능 및 로봇의 활용 자동화는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기도 하

지만 호텔 여행사 관광편의시설 등에서 높게 이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 이와 관

련한 일자리는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변화는 기존 관광분야에서

습득한 지식과 기술이 관광 분야 업무에 활용되지 못하게 하며 전문성을 감소시킨다

이처럼 미래 일자리는 단순히 수동적으로 예측하기보다 현실의 제약을 극복하고

우리가 선호하는 일자리를 만들기 위한 과감한 노력이 전개될 때 수반될 것이다

또한 관광산업과 관련된 체계적 연결과 교육 공연 문화 예술 산업 등 인접 산

업과의 융합을 통한 미래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창의적이고 다양한 실험들이 시

도될 수 있도록 유연한 정책적 환경이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관광 수요의 다변화에 따라 점차 세분화 되고 전문되고 있는 관광상품 및

서비스 분야의 창직과 창업을 활성화하고 이러한 창직과 창업을 통해 창출된 관광

상품과 서비스를 유통할 수 있는 기반 마련 방안이 필요하다

16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나 세부 정책 방향

1) 창직 활성화 지원 (가칭) 관광 창직 아카데미

향후 일자리와 직업은 기존의 관념과 다르게 프리랜서 1인 기업가 등이 다양한

공간에서 근무하는 형태의 일자리가 발생할 것이다 더욱이 플랫폼 기반을 둔 관광

기업이 증가함에 따라 향후 1인 기업가 프리랜서 팀 단위의 관광기업 발생할 가능

성이 높다 이러한 조직은 환경 변화에 빠르게 대응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런 상황

에서 스스로 직업을 창출하는 창직 활동이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김동규 외

2018) 이에 정부부처에서는 창직 활동을 lsquo청년취업아카데미rsquo 사업 등을 추진하여

문화 예술 콘텐츠 분야 등의 개인 직업능력 향상 및 사회적 일자리 창출을 위한

프로그램을 운 하고 있다

이에 팀 프로젝트 교육 관광 및 연관 분야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갖춘 기업

탐방 등을 연계하는 lsquo(가칭) 관광 창직 아카데미rsquo를 관광전문 인력 양성 사업으로

추진하고 대상은 관광 예비 인력이 될 수 있는 관광을 전공하는 대학(원)생 졸업(예

정)생 은퇴 및 경력 단절로 새로운 일자리가 필요한 신중년 여성 경력 단절자 관

광 분야 실업자 등을 대상으로 확대 추진한다

2) 창업 활성화 센터 (가칭) 미래 관광LAB 신설

관광 일자리는 관광 기업의 생성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새로운 관광 분야의 사업

기회들이 창업으로 연결되려면 창업과 관련한 유리한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이런

이유로 관광산업에 있어서 관광사업 발굴 및 지원을 위한 정책이 지속적으로 추진

되고 있다

이에 미래 관광기업의 창업을 활성화하고 다양한 관광상품 및 서비스를 테스트

(관련 기술 및 장비 대여)하고 공유할 수 있는 (가칭) 미래 관광LAB을 신설하고

미래 관광상품 개발 및 연구 개발을 지원한다 운 은 한국관광공사 및 지역 관광공

사에서 한다

167제4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3 코로나19 대응 일자리 창출

31 관광 안전관련 일자리 기반 구축

가 추진 배경

코로나19로 관광객의 안전 여행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방역

및 안전 등에 대한 질적 관리 측면도 안전 여행 관심 증대와 함께 관광객의 관광활

동 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다

더불어 현재 코로나19의 지속으로 관광산업 전반에 일자리의 불안정성이 증대되고

있다 일부 사업체의 경우 코로나19로 인한 경 실적 악화로 기업의 경 부담이 증

가하여 최소 인력을 제외한 직원들이 유급 또는 무급 휴직 중에 있다 또한 국내여

행안내사 국외여행인솔자 문화관광해설자 등도 코로나19로 인해 심화되는 고용 불

안정에 놓여있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안정화 대책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내국인과 외국인이 안전하게 여행할 수 있는 관광 안전관련 인력 양성은 향후 코

로나19의 종식 후에도 내국인과 외국인의 안전 여행을 위한 기반 구축이 될 것이다

나 세부 정책 방향

1) 안전관광 인력 양성

안전관광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국내여행안내사 국외여행인솔자 문화관광

해설사 등의 관광안내인력을 대상으로 안전관광을 위한 교육훈련 체계 구축이 필요

하다 이를 위해서는 관광유관협회 관광관련 교육기관 등을 관광교육훈련 기관으

로 지정하여 교육 및 훈련의 실시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이를 통해 코로나19에 따

른 관광산업의 내외국인middot업종별middot연관산업 분야별 관광 메뉴얼의 실질적 이행과 현

장 대응력 강화를 달성할 필요가 있다

2) 관광의 안전 및 위기관리의 기반 조성

안전관광 기반 조성을 위해서는 국내외 관광객의 안전에 위해를 가질 수 있는 요

소들을 미연에 방지하고 대응에 있어 신속한 관리가 필요하다 이에 정부는 여행지

16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에서의 재난 사고 MERS와 SARS 등으로 인한 질병 등의 발생 등에 따라 이에 대응

하는 매뉴얼과 가이드북을 생성하고 관광인력의 안전 교육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지속해 왔다 현재 관광산업의 가장 큰 위협요인이 된 코로나19의 발생으로 이러한

기존 여행업의 안전관리 체계를 다시 점검할 시점에 이르렀다 이에 기존의 여행업

등과 관련한 안전관리 매뉴얼 등을 재점검하고 안전위기관리 관련 중앙과 지방 민

관 협력 체계 구축을 위한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32 비대면 관련 관광비즈니스 육성

가 추진 배경

최근 관광산업은 코로나19의 발생으로 비대면 관광 문화가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비대면 기술 기반의 관광객의 관광활동과 관광경 활동이 증대하고 있다 예

를 들어 호텔 및 항공에 있어서 무인안내기를 이용하여 체크인을 하거나 국제회의

는 온라인을 기반으로 개최되고 랜선투어 등 비대면 기술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간 관광산업에서의 디지털 기술은 정보통신 기술 발전에 따라 활용되고 있으나

코로나19로 촉진된 비대면문화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관광의 확산을 가속

화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비대면 관광 기술은 앞서 관광 빅데이터 분석

관광 미디어 콘텐츠 관광 플랫폼 관광 모빌리티 분야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관광

안전관리 측면에서 활용성이 증가할 것이다 이에 비대면 관광 문화 확산에 선제적

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비대면 관광 비즈니스 육성과 이를 통한 일자리 창출을 도

모하는 정부의 정책적 개입이 필요하다

나 세부 정책 방향

1) 비대면 관광 활성화를 위한 연구개발 강화

관광산업에 있어서 비대면 서비스나 기술이 활용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정부는 비대면 관광 활성화를 위한 기반 구축을 총괄하며 연구기

관과 관광 산업계와 연계 협력을 가능하게 하는 비대면 MICE 행사 콘텐츠 개발

비대면 관광상품 구매 안내 등과 관련한 관광상품 및 서비스 개발과 콘텐츠 확산을

169제4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위한 연구개발(RampD)에 대한 재정지원이 필요하다 관광산업계에서는 코로나19와

같은 위기 시 비대면 관광상품 관광서비스의 상용화하는 역할을 하며 학계에서는

이를 위한 비대면 관광 활성화 가능에 대한 환경을 조성하는 역할을 하도록 기반을

마련한다

2) 비대면 관광비즈니스 육성을 위한 지원

비대면 관광비즈니스 육성과 자생적 생태계 기초를 세우기 위해서는 다양한 비대

면 관광비즈니스 활동과 네트워크를 위한 발굴과 지원이 필요하다 이에 관광산업

에서의 비대면 비즈니스가 활성화되기 위한 창의적 아이디어의 구현을 위한 상품화

및 활동을 위한 지원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 또한 비대면 관광으로 직면할

일자리 감소 관광객 및 관광종사자의 비대면 기술 활용의 한계 등 문제 해결을 위

한 산학연 공동 프로젝트 지원 비대면 기술 보유 업체와 관광기업간 협업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 등을 위한 지원도 필요할 것이다

4 관광 미래 일자리 성장환경 조성

41 미래 관광일자리 통계 및 정보제공 활성화

가 추진 배경

관광 미래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미래의 일자리 정보 및 수요를 알려주는 관광

일자리와 관련 인력 현황 및 일자리 수급 미래 일자리 통계 및 정보 제공 등이 필요

하다 이를 위해 국내외 관광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관광 일자리 정보를 연계하고

이를 분석해 제공하는 미래 관광 일자리 인프라 재확립이 요구된다 정량화된 정보

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관광 미래 일자리에 대한 교육 훈련 자격 정보 인재 추천

및 구직자의 역량을 매칭할 수 있도록 미래 관광 일자리 역량의 수요나 변화를 파악

가능하게 제공해야 한다

17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나 세부 정책 방향

1) 인력수요공급 통계 및 전망정보 제공

관광산업 인력의 수요와 공급에 대한 전망은 관광산업 인적자원 정책의 기초 자

료가 된다 그러나 현재 관련 기초통계의 부족의 한계로 관광산업에 필요한 인력

의 파악에 있어서 한계가 존재한다 이에 환경변화로 변화될 관광일자리 변화의 예

측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향후 관광 및 연관 분야의 일자리 통계를 생산하고 이를

정기적으로 전망하며 새로운 고용 형태(1인 기업 프리랜서 등)와 관련한 실태 조

사를 실시하여 관광산업에 소요되는 관광인력의 효과적인 정책기반을 마련할 필요

가 있다

2) 미래 관광일자리 분야의 정보 제공 강화

미래 관광 일자리에 있어서 미래 세대의 관광 분야로의 흡수가 중요하다 현재

관광일자리와 관련한 정보는 lsquo관광인rsquo 사이트에서 일자리가 필요한 기업과 지원 자

격 근무조건 등의 형태로 현재 종사자가 필요한 관광기업들의 정보만이 제공되고

있다 즉 향후 어떠한 분야가 필요하고 관광에서 어떠한 유망한 일자리가 있는지

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고 있다 정부의 진로정보 관련 정보를 다루는 웹페이지

인 lsquo진로정보망 커리어넷rsquo에서는 직업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미래 직업에 있어서

관광관련 직업은 lsquo해양 레저 전문가rsquo lsquo여행 기획자rsquo lsquo문화 콘텐츠 전문가rsquo lsquo가상현

실 전문가rsquo 등 만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어 미래 인력의 관광 분야의 일자리 파악에

있어서 한계가 존재하고 있다 이에 lsquo관광인rsquo 사이트는 채용 정보만 제공하던 기존

의 방식에서 탈피하여 관광 관련 일자리와 미래 관광 일자리에 대한 정보도 제공할

필요가 있다

42 미래 관광일자리 협의체계 구축

가 추진 배경

인구구조 변화 디지털 전환 코로나19 등은 종래와 같은 분절적인 정책의 추진

을 벗어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일자리 창출은 채용 임금 등의 노동시장 여건뿐만

171제4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아니라 기업의 조직 및 기술의 활용의 인력수요 측면과 교육 훈련 등의 공급측면이

함께 작용할 때 가능하다

따라서 정부의 일자리 정책은 융middot복합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인적자원의 특성도

고령화 성평등 일과 삶의 균형 등과 관련하여 다차원적인 접근을 필요로 한다

관광산업과 관련된 정부 부처나 조직 부문 간 상호 호혜적인 협업이 활성화되어

야 할 것이다 앞으로의 시대는 기술만 융합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과 조직의 기능적

협업과 통합이 시시각각 요구될 것이다 따라서 관광 일자리에 있어서도 미래 일자

리 관련 협력적 거버넌스 운 이 필요하며 일자리 정책에 있어서 총괄middot조정 기능의

역할 부여가 필요하다

나 세부정책 내용

미래 관광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관광산업 환경 변화 및 관광산업 여건 등을 고

려한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 이에 미래 관광 일자리 창출 및 미래 관광인력 양성 정

책의 추진에 있어 의견을 수렴하고 정책을 발굴 할 수 있는 협의 채널이 필요하다

추진 방식은 관광 및 관광 유관사업체 관광유관협회 지자체 대학 연구원 등으

로 구성한 미래 관광일자리 협의 채널을 구축하고 관광 미래 환경 변화를 반 한

교육과정 개발 및 운 관광사업체 활성화 지원 등을 모색해야한다

결론 및 정책 제언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제5장

175제5장 결론 및 정책 제언

결론 및 정책제언

관광산업을 둘러싼 환경 변화가 급격하게 이루어지면서 관광소비시장 관광산업

구조 등이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필요한 관광 인력의 분야 및 역량도 변화하고

있다 관광산업은 주요 일자리 창출 분야로 인식되고 있으며 세상의 변화에 민감한

분야이다 이에 따라 관광 분야는 주요 국가의 경제 및 고용 성장의 원동력으로 인

식되고 있으나 정책적 측면에서 저평가 되는 경우가 많다(UNWTO 2019)

본 연구는 미래 관광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도출을 위해 관광산업에 미치는 환

경변화와 국내 일자리 정책을 분석하 다 그리고 문헌연구와 전문가 의견조사 자

문회의를 통해서 미래 관광산업의 유망 분야와 일자리를 위해 필요한 정책방안을

모색하 다

2020-2024년 관광트렌드는 여행의 세분화와 전문화 관광 비즈니스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 등으로 사회적 환경 변화로 인구의 지속적 감소 고령 인구의 증가

여가의 중요성이 강조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기술 환경 변화로 4차 산업혁명

기술의 활용이 확산되고 코로나19 등의 안전위기에 대한 인식이 중요하게 될 것이

라고 전망된다 특히 기술발전과 주 52시간 근로 시행 코로나19 등으로 인한 재택

근무 유연근무제 등이 활성화 되며 프리랜서 1인 기업 등 고용 및 기업의 형태도

다양해 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환경 변화를 분석한 후 향후 5년 내 관광산업에서 유망할 분야

및 그와 관련된 일자리를 전망하 다 본 연구에서 예측된 관광산업 유망 일자리는

① 기술 관련 분야(관광 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 관광 미디어 콘텐츠 관광 플랫폼

관광 모빌리티)의 일자리 ② 관광트렌드의 세분화 및 다양화에 따른 세부 분야(지

역 전문특화 관광 실버 여행 반려동물 여행 여행 컨셉 기획)의 일자리 ③ 코로나

19 확산에 따른 안전 및 소비 트렌드 변화(소그룹 여행 여행 안전관리)에 따른 일

자리로 나타났다

17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미래의 관광인력은 관광산업 경쟁력과 발전의 핵심 요소이다 이에 따라 다양한

환경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적 접근이 시급히 이루어져

야 한다

먼저 디지털 융합 관광인력의 육성이 필요하다 전 산업에서의 디지털화로 인해

관광산업에 있어서 디지털 역량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적 요소가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디지털 분야에 대한 예비 인력 교육 기존 관광인력의 발전 가능성이

큰 디지털 융합 분야에 대한 교육 및 훈련 등을 수행할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미래 관광산업 일자리를 위해서는 특화 분야의 관광인력 양성과 코로나19에 대

응하는 일자리 창출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일자리는 산업이 성장할 때 같이 성장

하므로 관광 산업이 전문화 세분화 특화되는 흐름에 따라 이와 관련한 환경 조성

이 필요하고 새로운 분야에 대한 창업과 창직 활성화를 위한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미래 관광산업 일자리가 확산되기 위해서는 미래 일자리에 대한 통계와 정

보 제공 및 인력 수급 현황의 정기적 분석 등이 필요하다 필요한 관광 일자리에

대한 통계와 정보 제공은 구직 인력에게 필요한 정보이며 미래 일자리 인력의 수급

전망은 향후 필요한 인력 분야와 일자리 전환 정책의 기초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이

다 또한 미래 관광일자리를 위한 관middot산middot학의 끊임없는 정책적 노력과 소통이 강화

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분야와 정책대응 방향을 모색하 다 세부 정

책과제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향후 미래 일자리 분야의 규모 추정 각 정책 수단과

주체와 관련한 제시를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177참고문헌

참고문헌

∙ 강금봉(2019) 「디지털 플랫폼 노동 어디까지 와있나 ndash 현안과 보호방안」 사회적

대화 통권 10호 174-184

∙ 고용노동부(2014) 「선진국 고용정책의 일자리 창출 효과 연구」∙ 고용노동부(20200410) 임서정 고용노동부 차관 재택근무 우수 사업장 방문하여

현장의견 청취(보도자료)

∙ 고용노동통계(2020) 「2020년 상반기 직종별사업체노동력조사」

∙ 관계부처 합동(201788) 「신중년 인생 3모작 기반구축 계획」 제2차 일자리위원회

∙ 관계부처 합동(2019626) 「서비스산업 혁신 전략」 경제활력대책회의

∙ 관계부처 합동(20202) 「제3차 경력단절여성 등의 경제활동촉진 기본계획(2020~2024)」∙ 관계부처 합동(2020515) 「신중년 퇴직 전문인력 활용 방안」 제15차 일자리위원회

∙ 관계부처합동(20200217) 코로나19 대응 관광middot외식업 긴급 지원방안

∙ 관계부처 합동(2020714)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 선도국가로 도약하는 대한민국

으로 대전환」 한국판 뉴딜 대국민 보고대회(제7차 비상경제회의)

∙ 교육부(20191210) 「2019 초middot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 결과 발표」

∙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20111026) 「빅데이터를 활용한 스마트 정부 구현(안)」∙ 기상청(2019) 「2018 지구대기 감시보고서」

∙ 김규남(2019) 「스마트 시티에서 스마트 모빌리티의 역할」 글로벌리포트

∙ 김덕기middot한희정(2018) 「중장기 관광산업 전문인력 양성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 김동규middot김중진middot김한준middot최 순middot최재현(2017) 「4차 산업혁명 미래 일자리 전망」 한

국직업능력개발원

∙ 김준 middot권혜자middot최기성middot연보라middot박비곤(2018) 「플랫폼경제종사자 규모 추정과 특성

분석」 한국고용정보원

∙ 김형만middot최 섭middot노대명(2018) 「사회정책 추진체제 구축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김희수middot정광민(2019) 「노동시간 단축이 관광시장에 미치는 향과 과제」 한국문화

관광연구원

17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 농림축산식품부(20200429) 전국 591만가구에서 반려동물 856만마리 키운다

-「2019년 동물보호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결과 발표-

∙ 류광훈middot김희수(2018) 「관광산업 발전을 위한 지원체계 구축방안 연구」 한국문화관

광연구원

∙ 매일경제(20180312) [여행 알쓸신잡] 여행업계 놀라게 한 `실버세대의 힘`

∙ 매일경제(20191212) 한화 여행 콘텐츠 크리에이터 인턴십 모집다양한 혜택 제공

∙ 문화체육관광부(2018a) 「지역관광 추진조직 육성 기본계획 수립 연구」

∙ 문화체육관광부(2018b) 「2017 국민여행실태조사」 ∙ 문화체육관광부(2019a) 「2018년 기준 관광사업체기초통계조사」∙ 문화체육관광부(2019b) 「국민여가 활동조사」

∙ 문화체육관광부(2019c) 「2018 국민여행조사」 ∙ 문화체육관광부(2020) 「코로나10 생활 속 거리 두기 시기 여행경로별 안전여행 가이드」 ∙ 문화체육관광부(20200703)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문체부 3차 추경 3469억 원

확정(보도자료)

∙ 문화체육관광부 각년도 「관광사업체기초통계조사」∙ 문화체육관광부 각년도 「관광부문 재정집행계획」

∙ 미래창조과학부 미래준비위원회middotKISTEPmiddotKAIST(2017) 미래 일자리의 길을 찾다

도서출판 지식공감

∙ 민경선(2018) 「워라밸 세대의 여가와 삶의 만족도」 한국웰니스학회지 13(3) 377-388

∙ 박가열middot박성원middot이 민middot이은수(2019) 「4차산업혁명시대 미래직업능력 연구(Ⅱ)」 한국고용정보원

∙ 박주 (2018) 「오버투어리즘 현상과 대응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 박지혜(2017) 「국내 펫코노미(Pet+Economy) 시장의 현황과 시사」 산업연구원

∙ 비전21뉴스(20200826) 코로나19 극복 파주형 희망일자리 참여자 2329명 모집

∙ 산업통상자원부(20193) 「제7차 산업기술혁신계획(2019-2023)」∙ 삼일회계법인(2019) 「2019-2023 Entertainment amp Media 산업 전망」∙ 손은수middot홍성화middot고병열(2018) 「국내외 주요기관이 전망한 미래기술의 흐름」∙ 송승범(2020) 「스마트 모빌리티- 사용자 중심의 모빌리티 서비스로 패러다임 전환」∙ 송종구(2017) 「카셰어 ndash 공유경제 관심 속 시장규모 지속적 증가」 KISTI 마켓리포트

∙ 아시아경제(20200827) 반려동물과 함께 즐겨요 펫캉스 떠나는 반려인들 [김

수완의 동물리포트]

179참고문헌

∙ 여행신문(20200701) 개별middot소규모 여행 뜨자 지자체도 맞춤대응

∙ 여행신문(20200824) 11 미팅에서 진화한 관광청 온라인 마케팅

∙ 오훈성(2018) 「고령층 국내관광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 울산MBC(20200219) 울산시 방역 전문가 자문단 운

∙ 윤윤규middot고 우(2009) 「일자리 창출 및 소멸의 구조와 특징」 월간노동리뷰 9월호 15-29

∙ 이금노(2019) 「모빌리티 분야 공유서비스의 소비자문제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자원

∙ 이승렬middot이용관middot이상규(2018) 「미래의 직업 프리랜서(Ⅰ) - 1인 미디어 콘텐츠 크리에이터 -」∙ 이승민middot정지형middot송근혜(2017) 「ECosight 2017Socio-Tech 10대 전망」 한국전

자통신연구원 미래전략연구소

∙ 이원희middot박주 middot조아라(2019) 「관광 트렌드 분석 및 전망 2020-2024」 한국문화

관광연구원

∙ 이재완middot강혜진(2018) 「워라밸과 삶의 만족 세대 간 차이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

구 22(3) 267-291

∙ 익산열린신문(20200401) lsquo관광도시 익산rsquo 위해 투어매니저 떴다

∙ 일자리위원회ㆍ관계부처 합동(20171008) 「일자리정책 5년 로드맵」 제3차 일자리

위원회

∙ 일자리위원회ㆍ관계부처 합동(20200309) 「사람중심경제를 실현할 후반기 일자리

정책 추진 방향」 제14차 일자리위원회 1호 의결안건

∙ 저출산middot고령사회위원회(201812) 저출산middot고령사회 정책 로드맵

∙ 전재식 외(2019) 「일과 학습의 미래」 경제인문사회연구회

∙ 전효재middot한희정(2018)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미래 관광일자리 창출 방안 연구」 한국

문화관광연구원

∙ 중소벤처기업부(2020) 「중소기업 전략기술로드맵(빅데이터)」∙ 중앙일보(20190812) 현대차 국내 마이크로 모빌리티 사업 나선다

∙ 최계 (2020) 「디지털 플랫폼의 경제학 I 빅데이터ㆍAI 시대 디지털 시장의 경쟁

이슈」 KISDI Premium Report

∙ 통계청(20180927) 「2018 고령자 통계」 ∙ 통계청(2019) 「2019년 장래인구특별추계를 반 한 세계와 한국의 인구현황 및 전

망」 통계청(보도자료)

∙ 통계청(20190902) 2019년 장래인구특별추계를 반 한 세계와 한국의 인구현황

및 전망(보도자료)

18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 통계청(20191125) 「2019년 사회조사 결과」 ∙ 통계청(20191205) 「2018년 일자리행정통계 결과」∙ 통계청(20191212) 「2018년 기준 기업생멸행정통계 결과」

∙ 통계청(20201016) 「2020년 9월 고용동향」 ∙ 투어코리아(20190723) 반려동물 동반 가능 숙소 전국 700여 곳 3년 새 10배 증가

∙ 한국경제(20200803) 교원그롭 시니어 여행시장 진출

∙ 한국경제연구원(20200720) 코로나19로 대기업 lsquo넷 중 셋rsquo 재택ㆍ원격 등 유연근

로제 실시 중

∙ 한국고용정보원(2019a) 「2019 미래를 함께 할 새로운 직업」 ∙ 한국고용정보원(2019b) 「2020 한국직업사전」∙ 한국관광공사(2007) 「국내실버관광 활성화를 위한 2007 국내실버관광 실태조사」

∙ 한국관광공사(20200422) 관광분야 미래 인재 키울 곳 어딜까

∙ 한국교통연구원(2017) 「스마트모빌리티 브리프」 KOTI Brief 1(3)

∙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2019a) 「2018 데이터 산업 현황 조사」∙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2019b) 「2019 데이터산업 백서」

∙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각년도 7월 기준 문화체육관광 고용동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200527) 포스트 코로나 시대 안전을 담보로 한 국내관광

회복이 기대됩니다

∙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6) 「호주 청년 노동시장 진입 지원정책의 변화」 글로벌 사

회정잭 브리프 50호

∙ 한국일보(20200316) lsquo펜데믹rsquo에 뜨는 직업 있다

∙ 한국지방행정연구원(200912) 「지방자치단체의 일자리창출 역할 강화 방안」 ∙ 한국콘텐츠진흥원(2020) 「융복합 관광서비스 사업화지원 사업 현황분석 및 개선방

향 연구」

∙ 허재준(2009) 「일자리 창출 증진을 위한 방안과 과제」 서울경제

∙ 홍현균(2004) 「일자리의 창출과 소멸」 한국의 고용구조

∙ 황혜정(20181221) 「탈규모 시대의 제조업 lsquo플랫폼 비즈니스rsquo로 도약한다」 LG

경제연구원

∙ YTN(20200506) 일자리위 안전middot비대면 분야서 새로운 일자리 창출 노력

181참고문헌

∙ Agoda(20200729) Agoda shares quick ways to sustainably rediscover

the world through lsquoSlow Travelrsquo

∙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Employment(2017) Australia G20

Employment Plan 2017

∙ Australian Government(2019) Australian Jobs 2019

∙ Australian Government(2020) Employment outlook to May 2024

∙ BBC(20180527) First colleges to teach new vocational T-levels named

∙ Beale I Bloss C amp Thomas A(2005) The longer-term impact of the

New Deal for Young People Corporate Document Services

∙ Brčić D Slavulj M Šojat D amp Jurak J(2018) The role of Smart

Mobility in Smart Cities In 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ad and

Rail Infrastructure-CETRA 2018

∙ Brookfield Institute(2017) Future-proof Preparing Young Canadians for

the Future of Work

∙ California Workforce Development Board(2015) Californiarsquos Workforce

Development Plan

∙ DCMS(2016) Tourism Action Plan

∙ Department for Work amp Pensions(2015) 2010 to 2015 government policy

employment

∙ ESFA Digital(2019) Sign up to our new apprenticeship service webinar

programme

∙ Euromonitor International(2018) Megatrends shaping the future of travel

∙ Fidler D(2016) Work Interrupted The New Labor Economics of Platforms

Institute for the Future Palo Alto CA httpsworkablefuturesorg

publicationsreportswork-interruptedthe-new-labor-economics-of-platforms

∙ Forbes(20200507) Post Coronavirus Travel How Most Americans Want

To Holiday At Home

∙ FP(20200613) The Future of Travel After the Coronavirus Pandemic

∙ Gibson G OrsquoFaircheallaigh C amp MacDonald A(2008) Integrating Cultural

Impact Assessment into Development Planning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Impact Assessment Workshop) Fargo ND IAIA

∙ HM Government(2018) Industrial Strategy Tourism Sector Deal

18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 IAIA(2009) What is impact assessment Fargo ND IAIA

∙ Kevin BAuman and Cody Christensen(2018) Improving Skills Through

Americas Workforce Development System American Enterprise Institute

∙ Mackenzie Valley Review Board(2009) Status report and information

circular developing cultural impact assessment guidelines Yellowknife

Canada Mackenzie Valley Review Board

∙ OECD(2004) Job strategy

∙ OECD(2013) Local Job Creation How Employment and Training Agencies

Can Help US

∙ OECD(2017) Measuring Distance to the SDG Targets An assessment of

where OECD countries stand

∙ OECD(2020a) Employment Outlook 2020 Worker Security and the COVID-19

Crisis

∙ OECD(2020b) Good jobs all in a changing world of work

∙ OECD(2020c) OECD Tourism Trends and Policies 2020

∙ OECD(20200602) Tourism Policy Responses to the coronavirus (COVID-19)

∙ Oxford Economics(2020) The Impact of COVID 19 on the US Travel Economy

∙ PIXABILITY(2018) In-Flight Viewing

∙ Policy Study Institute(1992) The Restart Effect Evaluation of a Labour

Market Programme for Unemployed People

∙ Reed D Liu A Kleinman R Mastri A Reed D Sattar S Ziegler

J(2012) An effectiveness assessment and cost-benefit analysis of registered

apprenticeship in 10 states Oakland CA Mathematica Policy Research

∙ RSA(2013) Making at Home Owning Aborad

∙ Schmidt F A(2017) Digital labour markets in the platform economy

Friedrich-Ebert Stiftung Sokoler Alexander (2016)rsquoTegn paring lovbrud

Personer udlejer adskillige lejligheder paring Airbnbrsquo Fagbladet F 3

∙ The Conference Board of Canada(2005) The Ready-to-Work Program

Opening Doors to the Tourism Industry

∙ The Ontario Tourism Education Corporation(2013) Ontario Tourism Workforce

Development Strategy

∙ Tourism HR Canada(2018) Tourism HR Canada Strategic Plan 2019-2021

183참고문헌

∙ Travel Weekly(20200715) In new reality demand grows for boutique

hotels wellness experiences

∙ US Department of Labor(2018) FY 2018-2022 Strategic Plan

∙ UKCES(2014) The Future of Work Jobs and Skills in 2030

∙ UN(2020) Sustainaple Development Report 2020 The Sustainable Develo

pment Goals and Covid-19 - Includes the SDG Index and Dashboar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 UNWTO(2019) The Future of Work and Skills Development in Tourism

ndash Policy Paper UNWTO Madrid DOI httpsdoiorg10181119789284

421213

∙ UNWTO(2020) Cultural tourism amp COVID19

∙ US Department of Labor(2018) Recommendations to Improve the Nation

s Workforce and Labor Market Information system

∙ US Travel and Tourism Advisory Board(2019) Recommendation on Workforce

Development

∙ WEF(2018) The Future of Jobs Report 2018

∙ WEF(20200715) Top factors travellers will consider before planning

their next trip

∙ WEF(20200811) How are people holidaying after COVID-19 lockdowns

∙ WMO(2020) The Global Climate in 2015-2019

∙ みずほ総合研究所(2017)  アベノミクス5年と今後の政策課題

∙ 内閣官房(20176) まちひとしごと創生基本方針2017(概要版)

∙ 内閣官房(20186) まちひとしごと創生基本方針2018について

∙ 内閣官房(20196) 成長戦略フォローアップ

∙ 内閣府(200106) 「今後の経済財政運営及び経済社会の構造改革に関する基本方針」 につ

いて httpswww5caogojpkeizai-shimoncabinet20010626kakugikettei

pdf

∙ 内閣府(200206) 「経済財政運営及び経済社会の構造改革に関する基本方針2002」

httpswww5caogojpkeizai-shimoncabinet2002decision0625html

∙ 内閣府(200311) 構造改革評価報告書 httpswww5caogojpkeizai-shimon

minutes20031126item1pdf

18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 内閣府(200406) 経済財政運営と構造改革に関する基本方針2004 20221421610

jpkakugikettei2004040604kaikakupdf

∙ 内閣府(200912) 明日の安心と成長のための緊急経済対策 httpswwwmlitgo

jpcommon000055483pdfsearch

∙ 内閣府(201012) 新成長戦略 httpswwwkanteigojpjpsinseichousenrya

kusinseichou01pdf

∙ 内閣府(201211) 日本再生加速プログラム httpswww5caogojpkeizai1keizai

taisaku20121130_01taisakupdfsearch

∙ 大和總硏(201411) 人口減少時代の地方創生の鍵は雇用創出

∙ 首相官邸(20136) 日本再興戦略

∙ 首相官邸(2015) まちひとしごと創生基本方針2015

∙ 厚生労働省 重点分野雇用創造事業 httpswwwmhlwgojpbunyakoyou

chiiki-koyou3dljuuten_02pdf 2020613 열람

∙ 厚生労働省地域提案型雇用創造促進事業(パッケージ事業)事例集 httpswwwmhl

wgojpbunyakoyouchiiki-koyoupackage17indexhtml 2020613 열람

∙ 국가직무능력표준 홈페이지(httpsncsgokr)

∙ 관광두레 홈페이지(httpstourduremcstgokrhomehomeIndexdo)

∙ 미국 연방노동부 원 스톱 고용센터 홈페이지(httpswwwcareeronestoporgC

ompetencyModelcompetency-modelshospitalityaspx)

∙ 보건복지부 코로나19바이러스 인터넷 페이지(httpncovmohwgokrbaroVie

wdobrdId=4ampbrdGubun=41)

∙ 사이언스올 홈페이지(httpswwwscienceallcom)

∙ 세계경제포럼(WEF) 웹사이트(wwwweforumorgagenda202004occupatio

ns-highest-covid19-risk)

∙ 국 기상청 홈페이지(httpswwwmetofficegovukabout-uspress-office

newsweather-and-climate2020confirmation-that-2019-concludes-war

mest-decade-on-record)

∙ 국 프린스 트러스트 홈페이지(wwwprinces-trustorguk)

∙ 일자리위원회 홈페이지(httpwwwjobsgokr)

∙ 진로정보망 커리어넷 홈페이지(httpwwwcareergokr)

185참고문헌

∙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httpwwwcdcgokr)

∙ 캐나다 미래기술센터 홈페이지(httpsfsc-ccfcaengagefuture-skills-centre-ann

ounces-37-million-investment)

∙ 캐나다 인력관광공사 홈페이지(httptourismhrcaabout-usstrategic-plan)

∙ 한국엠씨엔협회 홈페이지(httpkmcnaorkr)

187ABSTRACT

ABSTRACT

Future Jobs and Policy Implications for the Tourism Industry

The tourism industry is based on human services and it is recognized as an

industry generating high economic vitality and job creation effects As the future

jobs in the tourism industry present the need for new competencies of manpower

entering the tourism labor market and the change and consolidation of competencies

of those who are currently engaged in the tourism industry future jobs can be a

method to fortify the driving force and competitiveness of the tourism industry

Consequently policy interest in future jobs for the growth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tourism industry is on the ris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environmental change in the tourism industry jobs draw the future job

prospect of the tourism industry and present measures to cope with future

functions

To this end this study reviewed cases to cope with social technical economic

job tourism and environmental changes as well as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licies Job shift support digital manpower cultivation and support policies for

youth employment are implemented abroad according to employment environment

diversification and digital shift acceleration Also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licies to maintain employment in the tourism industry according to the spread of

COVID-19 are promoted In reflection of the environmental change this study

presented promising fields and jobs in tourism within 5 years in the future The

top 10 promising job fields drawn in this study can be classified as follows ①

technology convergence field ② specialization and segmentation field according to

tourism demand diversification and ③ small-scale travel increase fields due to

18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increase in travel safety recognition

When synthesizing all these circumstance changes direct and indirect support

policy is needed for active coping with environmental changes fostering digital

convergence specialized fields coping with the COVID-19 and job infrastructure

reinforcement in order to nurture future tourism jobs

First it is necessary to foster digital convergence tourism manpower Due to the

digitization of the entire industry digital capabilities will not be an option but an

essential element for the tourism industry For this the government should lay a

foundation for preliminary manpower education in the digital field education and

training in the digital convergence field which has a high pot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existing tourist manpower

For future tourism industry jobs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tourism manpower

in specialized fields and to create jobs in response to the COVID-19 Jobs grow

as the industry grows Therefore according to the trend of specialization and

subdivision of the tourism industry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related

to this and to prepare a foundation for revitalization of startups and founding in

new fields

In order to increase the number of jobs in the tourism industry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statistics and information on future jobs and to regularly analyze

the supply and demand of manpower This is because the provision of statistics and

information on necessary tourism jobs is necessary information for job seekers and the

outlook for the supply and demand of future jobs provides basic information on the

field of manpower required in the future and job transition policies

In addition constant policy efforts and communication between public institutions

industries and academia for future tourism jobs should be strengthened

Keywords

Tourism Future Jobs Future Jobs Tourism Jobs Tourism Employment

부록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191부록

【부록1】 전문가 의견 조사지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1차 전문가 설문 조사

안녕하십니까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은 현재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는 향후 2021~2025년 동안 우리나라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를 위

한 정책 대응방향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이에 본 조사는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여건 및 미래 일자리 후보군을 조사하고자 합니다

귀하의 응답결과는 통계법 제33조(비밀의 보호) 제34조(통계종사자 등의

의무)에 따라 오직 연구 목적을 위해 이용됩니다 바쁘시겠지만 귀한 시간 내

주시어 답변 부탁드립니다 약 10분 정도 소요될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

문의처

회송방법

조사기관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김덕기 선임연구위원 한희정 연구원)

조사담당 한희정 연구원 ( 02-2669-8944 e-mail hjhankctirekr)

회송방법 이메일(hjhankctirekr)로 송부

설문에 응해주신 분께는 답례품을 보내드리고자 하오니 기재하여 주십시오

성명휴대폰 연락처

(모바일 상품권 발송)

소속기관 직위

19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여건

문1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방향 수립 시 관광산업 일자리를 둘러싼 환경변화

중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것은 무엇입니까(예시는 참고일 뿐 주요 환경변화

내용을 자유롭게 기술)

분야 참고 환경변화 내용

관광(관광소비 및 산업 변화)

- (관광객 소비 문화) 소확행 가심비 트렌드 확산(호캉스 스

테이케이션 등)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 부상 일상에서 만

나는 비일상여행(생활관광) 경험소비 누구나 즐기는 여행

관광시민 비대면 관광지 선호

(작성)

- (관광 산업) 여행업 변화(OTA 확산 플랫폼 비즈니스 진화

등) 숙박업 변화(공유숙박업 등) 스마트 기술 관광 접목 증

대 관광체험 영역 확산(농어촌 체험) 융복합 강화(해양관광

웰니스관광 교육관광 농촌관광 등) 비대면 기술 확산 등

(작성)

사회(인구구조 및

노동인구 변화)

- (인구구조) 생산연령인구 감소 고령화 1인 가구 증가 지

방 인구 감소로 지방소멸위험지역 증대 국가 간 이동 및 다

문화 증가

- (사회인식) 여가시간 증대 및 워라밸 추구

(작성)

기술(과학기술

발전)

-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 가속화(인공지능 5G 증강현실

로봇 빅데이터 등) 모바일과 플랫폼 비즈니스의 진화 (작성)

생태환경(환경과 에너지)

- 코로나19 전염병 등 위기관리 및 안전 관심 증가 청정 환

경 관심 증가

-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현상 및 자연현상 증가 기후변화 대

응 노력 확대 친환경 인식 제고

- 지속가능발전 투자와 활동 확대

(작성)

정치(법제도 및 정부 정책)

- 남북교류 활성화 DMZ 관광

- 도시재생 사업 혁신 정책 (작성)

일자리 환경(산업특성 및

산업구조 변화)

- (기업문화) 기업 직장에서 직업 매개체로의 변화

- (고용환경) 일자리 양극화와 데이터 기반 인적관리 강화

- (산업구조) 자기고용과 창조서비스업의 증가

- (노동환경) 언제 어디서나 일할 수 있는 유연한 업무 환경

프리랜서 증대

- (직무) 직무의 전문화 세분화 융복합화

(작성)

기타 (작성)

193부록

관광산업 유망 분야 및 유망 일자리

문2 환경변화를 바탕으로 관광 관련 유망 분야와 관련된 일자리는 무엇이라고 생

각하십니까(예시는 참고일 뿐 유망 일자리 분야 일자리를 자유롭게 기술)

구분(참고) 관광관련 유망

분야 (참고) 관광 유망 일자리

후보군(직업)관광관련유망 분야

관광 유망 일자리(직업)

관광(관광소비 및 산업 변화)

- 생활관광

- 관광 미디어 콘텐츠

- 관광플랫폼(공유숙박

OTA 여행관련 콘텐

츠 등)

- 해양관광 웰니스관

광 교육관광 농촌관

광 등

- 공정여행

- 전통시장 해설가 관광

스토리텔러 현지 전문

맞춤 가이드

- 관광 미디어 콘텐츠 크

리에이터(여행 유튜버

여행 작가 여행 인플러

언서 등)

- 공유숙박 코디네이터

공유숙소 관리 전문가

- 공정여행 기획가

(작성) (작성)

사회(인구구조 및

노동인구 변화)

- 아동 및 실버 취약계

층 관련 여행

나홀로 여행(혼행)

- 수학여행기획가 수학여

행인솔자

- 실버여행기획가 및 여행

인솔자

- 장애인middot반려동물 동반

여행 인솔자

(작성) (작성)

기술(과학기술

발전)

- 관광 빅데이터

- AI VR 5G 관련 관

광활용기술 개발 및

서비스 디자인

- 관광 서비스 로봇 기

획자

- 관광 빅데이터 분석가

- 관광 기술 경험 디자이

(작성) (작성)

생태환경(환경과 에너지)

- 재난 전염병 등 위기

관련 대응

- 생태관광 친환경 관

광 대안 관광

- 관광 안전 분석가 및 예

보관 (작성) (작성)

정치(법제도 및 정부 정책)

- 도시재생관련 관광콘

텐츠 평화관광

- 한류관광

- 평화관광해설가

- 한류관광기획가(작성) (작성)

기타 (작성) (작성)

19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2차 전문가 설문 조사

안녕하십니까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국책연구기관인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은 현재 「관광산업

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는 향후 2021~2025년 동안 우리나라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를 위

한 정책 대응방향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이에 본 조사는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에 대한 전망 및 대응방향에 대해 전문가 의견을 조사하고자 합니다

귀하의 응답결과는 통계법 제33조(비밀의 보호) 제34조(통계종사자 등의 의

무)에 따라 오직 연구 목적을 위해 이용됩니다 바쁘시겠지만 귀한 시간 내주시

어 답변 부탁드립니다 이 조사는 약 10분 정도 소요될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

문의처

회송방법

조사기관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김덕기 선임연구위원 한희정 연구원)

조사담당 한희정 연구원 ( 02-2669-8944 e-mail hjhankctirekr)

회송방법 이메일(hjhankctirekr)로 송부

설문에 응해주신 분께는 답례품을 보내드리고자 하오니 기재하여 주십시오

성명휴대폰 연락처

(모바일 상품권 발송)

소속기관 직위

195부록

관광산업 미래 유망 일자리 도출

다음은 제1차 전문가 설문 조사에서 도출된 관광산업 미래 유망일자리 후보군

입니다 각 일자리에 대해 귀하의 의견을 응답해 주시기 바랍니다

유망 분야 유망 일자리 후보군

5년 내 성장 가능성 일자리 발생 시기

낮음 harr 보통 harr 높음단기(3년 이내)

중기(4년-6년)

장기(7년

-10년)

맞춤형 관광 - 여행 컨셉 기획가(맞춤형 관광 컨설턴트)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해양관광 레저스포츠관광- 레포츠관광 전문 가이드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해양치유사 해양관광 전문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관광시민(관광객으로서의

역할 중요)- 관광운동전문가(지속가능성 관광시민관련 등)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관광 미디어 콘텐츠

(사진 영상)

- 관광 사진영상 작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관광콘텐츠크리에이터(여행작가 여행유튜버)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관광 콘텐츠 기획 제작 유통 전문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여행영상 편집 지도사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관광 콘텐츠 개발자 문화콘텐츠 전문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생활관광 - 생활관광 스토리텔러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아동- 아동 여행 콘텐츠 개발자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아동 여행 가이드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취약계층 관련 여행 - 여행복지사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지역 교류 관광 공감- 지역관광교류전문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관광인문학자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소그룹 여행 - 소규모 관광 가이드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소규모 단체여행 기획 및 인솔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캠핑 관광 - 캠핑관광 용품 대여업 운영자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지역 전문 관광

- 현지전문 맞춤 가이드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지역 관광 크리에이터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지역관광추진조직(DMO) 코디네이터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치유관광 웰니스 관광

의료관광

- 치유관광 운영자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농촌 치유관광 전문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의료관광 기획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농촌관광- 농촌관광 전문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교육농장 및 진로체험농장 전문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예술관광- 예술관광 기획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예술관광 가이드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산업관광 - 산업관광기획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역사관광- 역사관광기획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역사관광해설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19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유망 분야 유망 일자리 후보군

5년 내 성장 가능성 일자리 발생 시기

낮음 harr 보통 harr 높음단기(3년 이내)

중기(4년-6년)

장기(7년

-10년)

관광 플랫폼 OTA

공유경제시장 발전

- OTA 리스팅 전문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관광 플랫폼 코디네이터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관광 플랫폼 디자이너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관광 플랫폼 운영자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스마트 관광 - 스마트 관광 경험 디자이너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신 관광비즈니스 창출 - 관광창업 전문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실버관광 요양관광- 실버 여행 콘텐츠 개발자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실버 여행 가이드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나홀로 여행 - 나홀로 여행 컨설턴트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반려동물동반여행 - 반려동물여행 시설 운영자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교육여행- 교육(학습) 관광 기획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자유학기제 진로체험 전문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빅데이터 분석 및 개인화

- 관광 빅데이터 분석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관광 빅데이터 처리 엔지니어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관광 시스템 프로그램 전문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가상현실 드론

영상 이용 여행 콘텐츠- 가상현실 체험 콘텐츠 크리에이터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모빌리티 - 관광 교통 대여업자(전동킥보드 공유차량 등)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AI기반 로봇 활용 증가 - 관광 서비스 로봇 콘텐츠 개발자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관광 서비스 로봇 관리자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관광 어트랙션 구독

서비스 제공 - 관광 어트랙션 구독 기획가 및 운영자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생태친환경 관광- 생태관광 인솔자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숲 해설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여행 안전관리

- 숙박시설 방역전문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관광안전여행 인솔자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관광안전여행 컨설턴트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관광안전여행 기획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남북관광 평화관광- 북한관광기획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평화관광해설사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도시재생- 도시재생 관광기획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도시재생 관광해설가 스토리텔러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융복합 관광 한류관광 - 한류문화 관광 콘텐츠 기획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기타

- 관광 고용 컨설턴트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우주여행 기획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자원봉사여행 기획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관광법규 전문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197부록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방향

본 설문조사에서 제시하고 있는 대응 방향은 문헌연구 전문가자문 업계 간

담회 내부 업무협의 등을 거쳐 현재 검토 중인 방향(안)입니다 전문가 및 업계

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반영할 계획이오니 많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관광산업 미래 유망일자리 정책 대응 방향 및 대응 방안에 대해 응답해 주시기

바랍니다

정책 대응 방향정책 대응 필요성

정책 대응 방안 낮음 harr 보통 harr 높음

역량강화

관광 유망 분야 인력 양성(교육 훈련) ① ② ③ ④ ⑤

관광 종사자 역량 강화 ① ② ③ ④ ⑤

미래 일자리 국가자격제도화 ① ② ③ ④ ⑤

성장환경 조성

창업middot창직 활성화 ① ② ③ ④ ⑤

지역기반 관광 일자리 창출 ① ② ③ ④ ⑤

인프라 강화

인력수요공급 예측 강화 ① ② ③ ④ ⑤

관광 미래 일자리 협의체계 구축(관산학) ① ② ③ ④ ⑤

관광 미래 일자리 정보제공 활성화 ① ② ③ ④ ⑤

관광상품 인력 매칭 플랫폼 구축 ① ② ③ ④ ⑤

법 제도 개선

1인 기업 프리랜서 활동 지원 제도

마련① ② ③ ④ ⑤

기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19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귀하가 관광산업의 미래 관광일자리 창출과 관련하여 하시고 싶은 말씀이 있

으시면 자유롭게 기술해 주세요

설문에 응답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광산

업의

미래

일자

리 전

망과

대응

방향

」 전

문가

설문

조사

안녕

하십

니까

문화

체육

관광

부 산

하 국

책연

구기

관인

한국

문화

관광

연구

원은

현재

「관

광산

업의

미래

일자

리 전

망과

대응

방향

」을 수

행하

고 있

습니

본 연

구는

향후

202

1~20

25년

동안

우리

나라

관광

산업

의 미

래 일

자리

를 위

한 정

책 대

응방

향을

제시

하고

자 합

니다

에 본

조사

는 관

광산

업 일

자리

전망

및 대

응방

향에

대해

전문

가 의

견을

조사

하고

자 합

니다

귀하

의 응

답결

과는

통계

법 제

33조

(비밀

의 보

호) 제

34조

(통계

종사

자 등

의 의

무)에

따라

오직

연구

목적

을 위

해 이

용됩

니다

시겠

지만

한 시

간 내

주시

어 답

변 부

탁드

립니

이 조

사는

약 5

분 정

도 소

요될

예정

입니

감사

합니

문의

조사

기관

국문

화관

광연

구원

(김

덕기

선임

연구

위원

희정

연구

원)

사담

한희

정 연

구원

(

02-

2669

-89

44 e

-m

ail

hjha

nkc

tir

ekr

)

문에

응해

주신

분께

는 답

례품

을 보

내드

리고

자 하

오니

기재

하여

주십

시오

성명

휴대

폰 연

락처

(모바

일 상

품권

발송

)

소속

기관

직위

199부록

광산

업 종

사자

전망

광산

업 종

사자

수 관

련 증

감에

대해

귀하

의 의

견과

가장

가까

운 의

견을

표기

부탁

드립

니다

lt종사

자 증

감 정

도 작

성 예

시gt

+ 2

0

-

20

로 작

성 부

탁드

립니

(아래

에 제

시된

종사

자 수

(lsquo14

년-rsquo1

8년 자

료)와

코로

나 1

9로 인

한 관

광시

장 변

화도

참조

부탁

드립

니다

)

(세

계 관

광시

장)lsquo20

년 상

반기

국제

여행

수요

의 감

소로

해외

입국

자 4

억 4

천만

명 감

약 4

600

억 달

러의

수출

수익

감소

(UN

WTO

)

-

국제

관광

측면

에서

rsquo19

년 수

준으

로 회

복하

는 데

는 2

~4년

이 걸

릴 것

으로

전망

[2020년

국제

관광

객 전

망]

[2019년

대비

국제

관광

객 수

변화

]

자료

U

NW

TO(2

020)

W

orld

Tou

rism

Bar

omet

er

18(5

)

(국

내 관

광시

장 전

망)

코로

나19

의 전

세계

적 유

행으

로 국

가별

입국

금지

조치

공편

대복

감소

회적

거리

두기

실시

등 국

내관

광 시

장회

복 더

딜 예

[방한

외래

관광

객 현

황]

[2020년

주요

관광

지점

입장

객 현

황]

자료

국문

화관

광연

구원

로나

19 이

후 6

개월

화middot관

광분

야 영

문화

관광

인사

이트

20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lt주요

변화

키워

드 예

시gt

화의

주요

요인

의 예

시는

다음

과 같

습니

예시

는 참

고사

항일

주요

변화

요인

을 자

유롭

게 기

술 부

탁드

립니

구분

주요

변화

키워

드 예

시구

분주

요 변

화 키

워드

예시

관광

렌드

변화

-가

치지

향 여

행 소

비(소

확행

심비

트렌

드 확

산)

경험

소비

-관

광시

민(관

광객

으로

서의

역할

중요

)

-밀

레니

얼 세

대와

Z세

대 부

상(관

광 정

보 S

NS 공

유)

-일

상에

서 만

나는

비일

상여

행(생

활여

한달

살기

) 근

거리

여행

-누

구나

즐기

는 여

행(생

애주

기 여

무장

애 여

행 등

)

-소

규모

중심

의 여

행 활

성화

-국

내 여

행 소

비 확

-특

수목

적관

광 또

는 특

별관

심관

광의

활성

-플

랫폼

비즈

니스

유경

글로

벌 O

TA의

발전

과 확

-스

마트

기술

기반

의 관

광활

동 증

비대

면 관

광 서

비스

확산

-모

바일

과 여

행 플

랫폼

비즈

니스

의 진

사회

-고

령화

및 대

규모

은퇴

자 증

-가

족 형

태의

다양

화(1

인가

반려

동물

동반

가구

문화

)

기술

-4차

산업

혁명

관련

기술

가속

화 및

활용

증가

-기

술 도

입으

로 인

한 무

인화

동화

확산

-구

독 경

제 활

성화

(정기

배송

탈진

화형

모델

등)

생태

환경

-친

환경

관심

증가

재생

에너

지middot친

환경

교통

수단

활용

증가

-재

난 증

전염

병 확

산(코

로나

19)

등에

따른

안전

관리

기관

리관

심 증

정치

-남

북교

류 활

성화

D

MZ

관광

-도

시재

생 사

혁신

정책

처별

융복

합 사

업 확

구분

종사

자 수

(명)

종사

자 증

감 정

도(향

후 5

년간

화)

변화

의 주

요 요

인14년

15년

16년

17년

18년

연평

균증

감5년

작성

예시

( + 1

0 또

는-10

)

자동

무인

여행

일반

여행

(국내

middot외여

행업

포함

)48

371

531

6160

730

737

8369

055

93

428

(

)

국외

여행

업10

551

130

2515

517

165

6315

868

107

50

4

( )

국내

여행

업10

478

183

7122

173

168

6314

154

78

351

(

)

관광

숙박

관광

호텔

업49

782

496

1749

896

500

3548

415

-0

7-2

7

( )

기타

호텔

업3

107

346

44

196

463

25

857

172

88

5

( )

휴양

콘도

미니

엄업

145

7617

224

195

3817

102

156

541

87

4(

)

201부록

구분

종사

자 수

(명)

종사

자 증

감 정

도(향

후 5

년간

화)

변화

의 주

요 요

인14년

15년

16년

17년

18년

연평

균증

감5년

작성

예시

( 10

)

무인

및 자

동화

구구

조 변

관광

이용

시설

전문

및 종

합휴

양업

874

85

494

609

88

076

745

3-3

9

-14

8(

)

일반

야영

장업

- 

350

46

456

115

449

088

374

15

94

( )

자동

차야

영장

업98

31

232

175

72

307

255

927

0

160

3(

)

관광

유람

선업

707

568

403

568

680

-10

-3

8(

)

관광

공연

장업

232

268

8983

70-25

9

-69

8(

)

외국

인관

광 도

시민

박업

--

262

02

957

330

512

3

261

(

)

한옥

체험

업2

395

250

72

772

277

63

334

86

392

(

)

국제

회의

국제

회의

시설

업93

548

862

272

268

1-7

6

-27

2(

)

국제

회의

기획

업16

395

146

4311

974

114

448

419

-15

4

-48

6(

)

카지

노업

893

19

418

911

57

033

733

0-4

8

-17

9(

)

유원

시설

종합

및 일

반유

원시

설업

(안전

성검

사 대

상업

종)

253

2624

061

210

8918

477

157

49-11

2

-37

8(

)

기타

유원

시설

(안전

성검

사 미

대상

업종

)1

489

239

26

637

769

29

286

580

52

36

( )

관광

편의

시설

관광

유흥

음식

점업

103

712

718

417

311

4-42

4

-89

0(

)

관광

극장

유흥

업4

486

299

92

686

365

93

179

-83

-2

91

( )

국인

전용

유흥

음식

점업

253

62

565

191

71

929

162

7-10

5

-35

8(

)

관광

식당

업24

113

151

5916

846

169

8820

306

-42

-1

58

( )

관광

순환

버스

업67

177

098

510

7799

110

2

477

(

)

관광

사진

업93

7710

658

45-16

6

-51

6(

)

여객

자동

차터

미널

시설

업15

618

6062

70-18

2

-55

1(

)

관광

펜션

업1

305

122

01

096

124

11

643

59

259

(

)

관광

궤도

업1

127

148

193

243

262

-30

6

-76

8(

)

관광

면세

업1

588

231

226

579

21

215

-65

-2

35

( )

20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광산

업 미

래 일

자리

대응

방향

음은

문헌

연구

문가

자문

계 간

담회

부 업

무협

의 등

을 거

쳐 현

재 검

토 중

인 5

년간

관광

분야

유망

일자

리입

니다

일자

리에

서 필

요한

정책

대응

방안

에 대

한 의

견을

부탁

드립

니다

문가

및 업

계의

다양

한 의

견을

수렴

하여

반할

계획

이오

많은

의견

부탁

드립

니다

lt일자

리 대

응 방

향 예

시gt

량 강

예비

인력

양성

광 종

사자

역량

강화

장 환

경 조

관련

분야

창업

직 활

성화

역기

반 일

자리

창출

지원

학연

연계

실습

프로

그램

프라

강화

보제

공 활

성화

구분

유망

일자

리정

책 대

응 방

작성

예시

예비

인력

교육

및 훈

종사

자 역

량 강

일자

리 정

보제

공 등

빅데

이터

분석

관광

빅데

이터

분석

처리

엔지

니어

관광

시스

템 프

로그

램 전

문가

관광

미디

어 콘

텐츠

(사진

상)

관광

콘텐

츠크

리에

이터

(여행

작가

행유

튜버

)

관광

콘텐

츠 기

제작

통 전

문가

관광

플랫

폼관

광 플

랫폼

디자

이너

관광

플랫

폼 코

디네

이터

영자

OTA

리스

팅 전

문가

관광

모빌

리티

관광

교통

대여

업자

(개인

전동

이동

수단

유차

량 등

)

지역

전문

관광

지역

관광

추진

조직

(DM

O)

코디

네이

지역

관광

크리

에이

실버

여행

실버

여행

콘텐

츠 개

발자

실버

여행

가이

드소

그룹

여행

규모

관광

가이

반려

동물

동반

여행

반려

동물

여행

시설

운영

자스

몰럭

셔리

관광

여행

컨셉

기획

가(맞

춤형

관광

컨설

턴트

)

여행

안전

관리

숙박

시설

방역

전문

203부록

하가

관광

산업

의 미

래 관

광일

자리

창출

과 관

련하

여 하

시고

싶은

말씀

이 있

으시

면 자

유롭

게 기

술해

주세

문에

응답

해 주

셔서

감사

합니

20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집필내역

연구책임

한희정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원 제1장 제2장 일부분 제3-5장 연구총괄

공동연구

김덕기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제1장 제3장 제4장

박가열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위원 제2장 제 2절 환경변화

원고자문

오미숙 순천향대학교 교수 제2장 제 3절 일본 일자리 정책

윤아영 경희대학교 객원교수 제2장 제 3절 호주 일자리 정책

전재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선임연구위원 제2장 제 3절 국내 일자리 정책

최환석 University of Guelph 교수 제2장 제 3절 북미 일자리 정책

황주영 부산대학교 연구교수 제2장 제 3절 영국 일자리 정책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발행인 김 대 관

발행처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서울시 강서구 금낭화로 154

전화 02-2669-9800 팩스 02-2669-9880

httpwwwkctirekr

인쇄일 2020년 12월 18일

발행일 2020년 12월 18일

인쇄인 (사)한국장애인이워크협회 일자리사업장

I S B N 978-89-6035-839-3 93300

DOI httpsdoiorg1016937kctirep2020e30

iii연구개요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는 현재 선도적인 경제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최근

제조업의 부진 서비스업과 중소기업의 생산성 정체 코로나19로 인한 사회

적middot경제적 위기 등에서 일자리 창출 및 고용 유지가 어려운 상황에 있음

- 일자리 창출은 지속적 성장을 도모함과 동시에 모든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의

바탕임 또한 일자리 창출은 사회안전망 강화와 선진 국가로의 도약을 위

한 중요 과제로 여겨지고 있음

한편 관광 트렌드의 변화 기술발전 미디어 플랫폼 환경 변화 온디맨드 경제

활성화 코로나19의 전 세계적 확산 등에 따라 관광산업을 둘러싼 환경 변화

가 시작되고 있음 이러한 관광산업 환경과 노동의 변화로 관광산업의 일자리

변화가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 WTO의 G20 오사카 지도자 선언에서는 관광산업의 세계 경제 성장의 중

요성을 기반으로 지속가능한 관광발전을 비롯해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

한 노력을 강조하고 있음

관광산업은 경제 활력 제고와 일자리 창출 효과가 높은 산업으로 인지되고 있

으며 관광산업 경쟁력도 미래 일자리와 필수불가결한 관계이므로 미래 일자

리 대응 전략이 필요함

- 미래 일자리는 산업 경쟁력의 기반이며 새로운 직업과 일자리는 일자리 문

제 극복을 위한 방법 중의 하나로 고려되기 때문에 새로운 직업과 일자리를

발굴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을 지속하고 있음

특히 관광산업은 인적 서비스를 바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미래 일자리는 관광

산업 내 혁신의 원동력이며 경쟁력 강화의 주요 수단이 됨 이에 관광산업 규모의

성장과 동시에 관광산업 발전 지속을 위해 미래 일자리에 대한 정책 수립이 요구됨

이에 본 연구는 관광산업 일자리를 둘러싼 환경변화를 분석하고 관광산업 미

래 일자리 유망분야를 도출하여 대응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음

iv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12 연구 범위 및 방법

가 연구 범위

본 연구는 일자리와 관련한 거시환경 변화 분석을 토대로 향후 5년간 미래

일자리 유망 분야 도출 및 정책 대응방향 제시에 목적을 두고 있음 또한 본

연구에서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는 lsquo향후 5년 내에 관광 및 연관 산업에서

생계를 꾸려 나갈 수 있는 수단으로서의 유망 직업rsquo으로 정의함

본 연구는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분석 관광산업에서의

미래 일자리 유망 분야 도출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제시를 내용적

범위로 포함함

나 연구 방법

본 연구는 관련 통계 자료 문헌 및 사례 분석 전문가 의견 조사 자문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함

2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21 관광산업 일자리 현황 및 특성

가 관광산업 일자리 현황

관광산업 인력은 공급과 수요 측면에서 볼 때 관광 및 타 분야와 관련된 정규

비정규 교육기관 및 자격제도를 통해 관광산업에 입직하고 있음

관광사업체는 2009년 이후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관

광종사원 추이도 관광사업체 종사자수 추세를 반 하듯 증가를 보이다 2018

년 하락한 것으로 나타남 관광사업체 1개소 평균 종사자는 2009년 132명에

서 2018년 80명으로 감소함

v연구개요

관광산업 업종별 고용 규모를 살펴보면 관광사업체 전체 종사자 수는 2009년

이래로 연평균 증가율이 52로 나타났으며 최근 5년간 관광사업체 종사자

수의 연평균 증가율에서 국제회의업 카지노업 관광편의시설업이 각각 -149

-48 -46로 나타남

나 관광산업 일자리 특성

1) 일반적 특성

(임시 및 일용직의 높은 비중) 관광사업체 종사자 수의 157가 임시 및 일용

근로자로 나타났으며 업종 중 유원시설업과 관광객이용시설업이 비중이 높음

(숙박업의 낮은 월평균 임금) 2020년 6월 기준 스포츠 및 오락과 숙박업의

임금 총액은 전체 산업과 문화체육관광산업의 임금 총액보다 낮게 나타남

(최근 신규 채용자 감소와 이직자 수의 중가) 관광사업체의 신규 채용자 수는

2016년 증가세를 보이다가 2018년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며 이직자 수는

2016년 이후 3만 명 이상인 것으로 나타남

(일자리 증감의 높은 비율) 숙박 및 음식점업은 신규 일자리 비율이 20이며

일자리 증감에 있어서 가장 높게 나타남

2) 관광관련 직업군 현황 및 특성

① 코로나19 후 관광 직종 종사자의 구인과 채용의 감소

관광분야와 관련해서 여행 서비스 오락시설 관련 종사자는 구인인원과 채용

인원 채용인원 계획에 있어서 2019년 상반기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② 2년 미만 경력 종사자의 미충원 발생

여행 서비스 숙박시설 서비스 오락시설 서비스 관련 미충원인원에서 대부분

2년 미만의 현장경력을 보유한 인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남 특히 여행 서비

스에서 2020년 상반기의 미충원인원은 코로나19의 여파로 크게 감소한 것으

로 나타남

vi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다 관광 일자리의 변화

관광분야 일자리는 자동화 세분화 및 특화 업무 단위의 노동계약 증가 가치

사슬의 변화 등을 통해 그 양상이 변화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 특히 기술 발전과 사회 전반에서의 기술 활용 증가에 따라 관광 업무 시

AI 빅데이터 등 기술 활용 비율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이러한 변화에 따라 관광산업에서는 데이터 분석 AI 활용 등의 기술 분야

와 판매 및 마케팅 상품 관리 브랜드 관리 등과 관련한 분야에서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반면 무인화 및 자동화로 회계 재고 관리

등의 분야는 기술로 대체될 가능성이 높아 관련 일자리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본 연구에서 실시한 향후 5년 내 관광사업체 세부업종별 일자리 전망에 대한

전문가 의견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음

- 증가가 예상되는 업종은 자동차야 장업 일반야 장업 기타유원시설업

관광순환버스업 관광펜션업 한옥체험업으로 나타났고 감소가 전망되는

업종은 여행업(일반여행업 국외여행업) 유원시설업(종합 및 일반유원시설

업) 카지노업 국제회의업 관광편의시설업(관광면세업 관광식당업 등)

관광객이용시설업(관광유람선업) 관광호텔업으로 나타남

- 증가의 원인은 코로나19로 인한 자연공간 선호 국내여행 및 지역관광 활성

화 등이며 감소의 향 요인은 코로나19로 인한 단체관광 감소 외국인 관

광객 감소 자동화 및 무인화 관광객 수요 감소 등으로 나타남

또한 관광상품과 서비스 유통이 플랫폼 기반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관광자원

도 관광의 역에서 일상의 역으로 확대되고 있음 이에 따라 관광산업 관

련 일자리도 기존 관광사업체 외에 새로운 관광 비즈니스 사업체가 출현함

vii연구개요

22 미래 일자리 환경

본 연구는 미래 일자리 환경 변화와 미래 이슈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종합

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일자리 환경 변화의 결과 요인인 경제적 요인을 제외한

사회 기술 생태 환경 및 정치(정책) 및 제도적 요인과 더불어 관광환경 요인

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음

구분 내용

사회환경 변화

- (인구구조) 세계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우리나라는 향후 50년 동안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특히 우리나라는 생산연령인구의 지속적인 감소와 고령 인구비중의 증가가 전망됨

- (여가 시간 변화) 2016년 이래로 증가하고 있으며 일을 우선시하는 사회에서 워라밸을 중

요하시는 사회로 변화하고 있음

기술환경 변화

- (해외) 최근 미래유망기술은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로봇공학 3D 프린팅 가상현실 사이버

보안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 자율주행 운송 수단으로 나타남

- (국내) 실용성에 중심을 둔 에너지 스마트 3D 지능형 자동 차세대 정보 고효율 실시

간 환경 등이 중요한 미래유망기술로 나타남

생태환경 변화

-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 코로나 바이러스의 영향으로 전세계 실업자가 증가하고 있

으며 이에 따라 관광산업을 비롯해 기업과 경제 전체에 부정적인 영향이 클 것으로 전망되

고 있음

- (기후 변화) 지구온난화로 대표되는 기후변화는 생태계의 지속 가능한 생존과 일상생활은

물론이고 우리들의 관광과 문화와 관련된 직업 활동에도 도전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음

정치middot제도

환경 변화

-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에 따른 개인 여가 시간 증가 및 장기 휴가

분위기 정착이 예상됨

- (도시재생 뉴딜 사업) 관광분야에서는 구도심이 보유한 역사 근대건축물 시장 골목 폐공

장 창고 등이 새로운 공간으로 가치를 재창출하고 있음

- (남북 관계 변화 등) 2018년 2월 북한의 평창 동계올림픽 참가를 계기로 긍정적 분위기가

조성되었으나 북한의 미사일 발사시험 대북전단 살포 문제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등

남북관계 경색이 지속되고 있음

일자리 환경

변화

- (코로나19 이전) 개인 직업관의 변화 일자리의 양극화 1인 기업의 증가 유연한 업무환경

등의 변화가 예상됨

- (코로나19 이후) 이동이 제한되면서 재택근무제 유연근무제는 확산되고 있으며 코로나19

여파로 노동시장의 위축이 장기화되고 있음

관광환경 변화

- (관광시장) 밀레니얼 Z세대 뉴시니어 등 다양한 세대가 트렌드 변화를 주도하고 방한 인바

운드 시장의 다양화와 세분화가 전망됨

- (관광산업) 플랫폼 비즈니스 AI 관광 관광공유경제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비즈니스의

성장이 전망됨

- (관광자원) 기존 관광지가 아닌 지역주민의 일상 공간으로의 관광객 수용가 증대되고 있음

- (코로나19로 인한 영향) 국내 여행 수요 및 관광안전 인식 증가 온라인 전환 가속화 및

관광인력 배치의 재정비 등의 변화가 나타남

lt표 1gt 미래 일자리 환경 변화

viii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23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가 국내 정책 동향

국내 미래 일자리 창출 정책은 ① 인구구조 변화 대응 ② 디지털 전환 대응

③ 코로나19 이후 새로운 패러다임 대응으로 구분지어 살펴볼 수 있음

구분 내용

인구구조 변화 대응

- 고령자 일자리 재취업 창업 농어촌 귀한 사회공헌 등

- 여성 일자리 출산 및 육아 일자리 양성평등 재취업 기반 확대 등

- 청년과 중장년 근로자 일자리 질 개선 생산성 향상

디지털 전환 대응

- 기존 일자리 유지 주력산업 중심 제조업 변혁(스마트화 신산업 주력산업

산업생태계 개편 정부 역할 강화(투자 혁신 지원)

- 신산업 일자리 25개 분야 100대 핵심 기술개발 투자

- 인적자원 역량 강화 교육훈련 기회 혁신선도 산업수요 대응

코로나19 이후

새로운 패러다임 대응

- 디지털 뉴딜 DNA(Data-Network-AI) 생태계 강화 교육인프라 디지털

전환 비대면 산업 육성 사회간접자본(SOC) 디지털화

- 그린 뉴딜 도시middot공간middot생활 인프라 녹색 전환 저탄소middot분산형 에니지 확산

녹색산업 혁신생태계 구축

-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middot사회안전망 확충 디지털middot그린 인재양성 등 사람투자

lt표 2gt 국내 미래 일자리 창출 정책

문화체육관광부의 관광 일자리 정책은 주로 예비 종사자와 종사원 역량 강화

에 초점을 두고 추진 중임

- 미래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관광사업 창업지원 및 벤처 육성 지원을 추진

하고 있으며 최근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관광업계 피해가 증가함에 따

라 문화체육관광부는 관광산업의 지역소비 여력 확충과 더불어 고용 유지

지원을 위해서 고용 유지 지원금 지원 요건을 완화하여 시행하고 있음

구분 내용

고용유지지원금 - 코로나19 피해기업에 대한 고용유지지원금 지원요건 완화 시행(129일~)

교육지원

- 재정비 기간 중 관광업계 종사원 교육 지원 추진

lsquo찾아가는 호텔교육(rsquo20년 신규 100개소)rsquo lsquo마이스전문가 양성 교육(300명)rsquo

lsquo유원시설 안전관리자 교육(100명)rsquo 등 조기추진(3월~)

자료 관계부처합동(20200217) 코로나19 대응 관광middot외식업 긴급 지원방안

lt표 3gt 코로나19 대응 관광산업 고용유지지원 정책

ix연구개요

나 해외 정책 동향

주요국은 관광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책으로 지역 인재 양성 관련 지원 직무

및 자격제도 현장 실습 강화 등을 추진하고 있음

미래 일자리와 관련해서는 미래 인력과 관련된 정보 제공 디지털 융합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 디지털 전환 교육 등과 관련된 정책을 추진 중임

구분 내용

일본

- 지역고용창출과 관련한 사업 추진(예 지역활성화고용창조 프로젝트)

- 지역제안형 고용창조촉진사업 가이드나 서비스 인력 등의 인력양성 및 연수 등 추진

- 중점분야고용창조사업 가이드 관광객 편의서비스 지원인력 관광안내인력 관광자원 정보수

집인력 등 지원

미국

- 미래세대 인력 및 노동시장 정보시스템 개발 관광산업 정보 수집

- 견습 프로그램 예산 증액

- 인력혁신 및 기회의 법 효과 증진

- 인력양성프로그램 평가방법 개발

- 직무능력 역량 모델 개발

캐나다

- 관광목적지 고용 프로그램

- 미래 기슬 프레임워크 도출(관광의 현재 및 미래기술 정의)

- 스마트 인증제(기준 강화를 통한 프로그램 질 개선)

- emerit 교육 프로그램 연구 설계 및 테스트

- 캐나다 여행 관광 아카데미(교육자 및 업계 파트너의 지원 및 지도)

- 레디투워크(Ready to work) 프로그램(현장 교육 강화)

- 환대 서비스 종사자 훈련 센터 운영

- 산업촉진 프로젝트 실행(디지털 융합 인력 양성 및 역량 강화 등)

호주

- 관광사업체 연계한 교육 훈련 고용 성과 등 개선 프로그램 운영

- 운영자 지원 프로그램(무료 안내서 성공사례 인적자원 관리 기타 지원 안내서) 제공

- 코로나19 이후 관광산업을 비롯한 전 산업을 대상으로 기업 및 개인근로자를 위한 지원금 제공

영국

- 견습생 제도

- 사전 인터뷰 시행 지원

- 취업 캠페인 멘토링 프로그램

- 직장 내 교육 프로그램

- 디지털 전환 정책 실시

- 새로운 자격제도 시행

lt표 4gt 관광 일자리 창출 관련 해외 정책

x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24 시사점

가 일자리의 전문화 및 세분화

우리 사회는 4차 산업혁명 저출산 및 고령화와 같은 기술 사회경제적 변화에

직면해 있으며 이에 따라 일자리 일하는 방식이 변화함

관광산업에서도 기술 기반의 사업체가 증가하고 있으며 타 분야의 융합을 통

한 일자리의 증가 관광객 수요의 다양화로 기존 관광 일자리의 전문화 및 세

분화가 나타남

나 관광산업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

4차 산업혁명으로 명명되는 시대적 전환은 기존 일자리 신산업 일자리 인적

자원 역량의 관점에서 변화를 가속화함

관광 분야에서도 AI 빅데이터 플랫폼 등의 활용이 점차 증가되고 있으며 키오

스크 등의 무인화 서비스로 인해 관련 분야의 일자리가 감소될 것으로 전망됨

디지털 전환은 국내 및 해외 일자리 정책에 있어서 중요하게 고려되며 우리나

라를 비롯한 호주 일본 국 미국 등은 기존 관광인력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

하고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고 관광과 기술이 융합된 분야의 일자리 창출을

지원하는 정책을 추진함

다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인한 관광산업 일자리 변화 발생

코로나19의 확산으로 국가 간 이동이 제한되어 관광사업체 운 과 관광산업

종사자 수에 부정적으로 향을 미침

코로나19 확산 이후 관광객이 붐비지 않는 야외 공간이 선호되고 있으며 무

인화 및 자동화 온라인 회의 진행 등 관광산업의 비대면 기술 활용이 증대됨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이 우리나라를 비롯해 추진되고 있음 우리나

라는 한국판 뉴딜 정책을 발표하고 관광산업의 고용 유지를 위해 고용유지지

원금 관광업계 종사원의 교육 지원 등 추진하고 있으며 호주는 급여 보조금

형태의 일자리 정책 추진 중임

xi연구개요

3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31 개요

선행연구 및 국내middot외 관광 트렌드 정책 자료 등을 분석하여 향후 5년간 발전

가능성이 있는 미래 일자리를 유망 분야별로 구분하고 연구진 관광 및 일자리

분야 전문가 의견 조사를 통해 유망 일자리 후보군을 도출하고 이 중 미래 유

망 관광일자리 분야를 제시함

32 관광 유망 분야와 일자리

본 연구에서 도출된 유망 일자리 분야는 다음과 같은 직무 및 역량이 필요할

것이며 디지털 융합 분야 관광 수요의 다양화에 따른 특화 및 세분화 분야

코로나 19로 인한 소규모 여행 및 여행 안전 인식 증가로 인한 분야로 구분될

수 있음

- 기술 융합으로 관광 빅데이터 분석 관광 미디어 콘텐츠 관광 플랫폼 관광

모빌리티 분야의 일자리가 유망할 것으로 전망됨

- 관광수요의 다양화로 인해 지역 전문 관광 반려동물여행 맞춤형 관광 실

버여행 등 특화 및 세분화 분야가 유망할 것으로 나타남

-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소규모 여행을 선호하고 안전에 대한 인식 제고로

인한 안전관광 분야가 유망할 것으로 나타남

유망 분야 유망 일자리 직무 및 역량

관광 빅데이터

분석

- 관광 빅데이터 분석가

처리 엔지니어

- 관광 시스템 프로그램 전문가

- 직무 관광 데이터 설계 개선 관광 관련 수집데이터

활용가능한 형태로 처리 및 분석

- 역량 관광산업 및 관광정보 이해력 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능력

관광 미디어

콘텐츠

(사진 영상)

- 관광콘텐츠크리에이터(여행

작가 여행유튜버)

- 관광 콘텐츠 기획middot제작middot유통

전문가

- 직무 관광 미디어 콘텐츠 제작 편집 관광지 홍보 등

- 역량 콘텐츠 제작 편집 기획 역량

lt표 5gt 관광 유망 분야와 일자리

xii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4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본 연구는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대응을 위해서 ① 디지털 융합 관광인력 육성

② 특화분야 관광인력 양성 기반 구축 ③ 코로나19 대응 일자리 창출 ④ 관광

미래 일자리 성장 환경 조성으로 설정하고 이를 위한 세부 정책 방향을 제시함

유망 분야 유망 일자리 직무 및 역량

관광 플랫폼

- 관광 플랫폼 디자이너

- 관광 플랫폼 코디네이터

운영자

- OTA 리스팅 전문가

- 직무 관광 플랫폼 관련 기획 개발 운영

- 역량 관광 정보 수집 및 적용 능력 매체 활용 능력

관광 플랫폼 기획력

관광 모빌리티- 관광 교통 대여업자(개인

전동 이동수단 공유차량 등)

- 직무 관광 모빌리티 수단 대여 관광지 안내 통역

서비스 제공

- 역량 언어 지역정보 제공 및 안내

지역 전문 관광

- 지역관광추진조직(DMO)

코디네이터

- 지역 관광 크리에이터

- 직무 지역과 지역민 사이 중간지원 지역 관광 콘텐츠

기획 및 제작 홍보 등

- 역량 콘텐츠 기획 역량 조정능력 리더십 친화력

반려동물동반여행 - 반려동물여행시설운영자

- 직무 반려동물여행 시설 및 서비스 제공 반려동물

여행 상품 판매 반려동물 시설 관리 등

- 역량 반려동물 및 반려동물 관련 여행에 대한 정보

이해력 대인관계능력 등

맞춤형 관광- 여행 컨셉 기획가(맞춤형

관광 컨설턴트)

- 직무 맞춤형 여행상품 상품의 기획 개발 상담업무

수행 상품화

- 역량 기획력 통찰력과 분석력 서비스 정신 친화력

소그룹 여행 - 소규모 관광 가이드

- 직무 소규모 단체 여행 상품의 기획 개발 상담업무

수행 상품화

- 역량 기획력 통찰력과 분석력 서비스 정신 친화력

여행 안전관리

- 숙박시설 방역전문가 여행지

안전관리자 익스트림 여행

안전관리자

- 직무 방역 및 소독 위험방지 사고 사례 개선 종사자

안전교육 및 훈련 등

- 역량 안전과 보안 지식 사고 처리 능력

실버여행- 실버 여행 콘텐츠 개발자

- 실버 여행 가이드

- 직무 실버여행 상품의 기획 개발 상담업무 수행

상품화

- 역량 기획력 통찰력과 분석력 서비스 정신 친화력

xiii연구개요

[그림 1]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관광산업에 있어서 디지털 역량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적 요소가 되기 때문에

정부는 디지털 분야에 대한 예비 인력 교육 기존 관광인력의 발전 가능성이

큰 디지털 융합 분야에 대한 교육 및 훈련 등을 수행할 기반을 마련해야 함

미래 관광산업 일자리를 위해서는 특화 분야의 관광인력 양성과 코로나19에

대응하는 일자리 창출을 위한 노력이 필요함

미래 관광산업 일자리가 확산되기 위해서는 미래 일자리에 대한 통계와 정보

제공 및 인력 수급 현황의 정기적 분석 등이 필요함

xv목차

목차

제1장 서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3

1 연구 배경 3

2 연구 목적 5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6

1 연구 범위 6

2 연구 방법 7

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9

제1절 관광산업 일자리 현황 및 특성 11

1 관광산업 일자리 현황 11

2 관광산업 일자리 특성 16

3 시사점 30

제2절 미래 일자리 환경 32

1 환경 분석 개요 32

2 환경 변화 33

3 시사점 52

제3절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54

1 개요 54

2 국내 정책 사례 54

3 해외 정책 사례 70

4 시사점 104

제4절 시사점 107

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1

제1절 개요 113

xvi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제2절 미래 관광 일자리 후보군 도출 114

1 환경 이슈 및 유망 분야 114

2 미래 관광 유망 일자리 후보군 117

3 미래 유망 관광 일자리 선정 결과 125

제3절 관광 유망 분야와 일자리 126

1 관광 빅데이터 분석 126

2 관광 미디어 콘텐츠 130

3 관광 플랫폼 134

4 관광 모빌리티 139

5 지역 전문 관광 141

6 반려동물동반여행 143

7 맞춤형 관광 145

8 소그룹 여행 146

9 여행 안전관리 147

10 실버 여행 149

제4절 시사점 152

제4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55

제1절 기본방향 157

제2절 정책 대응 방향 159

1 디지털 융합 관광인력 육성 159

2 특화 분야 관광인력 양성의 기반 구축 162

3 코로나19 대응 일자리 창출 167

4 관광 미래 일자리 성장환경 조성 169

제5장 결론 및 정책 제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73

참고문헌 177

ABSTRACT 187

부록 189

【부록1】 전문가 의견 조사지 191

xvii목차

표 목차

〈표 2-1〉 관광사업체 수 종사자 수 12

〈표 2-2〉 관광사업체 종사자 수(2009년-2018년) 14

〈표 2-3〉 관광사업체 1개소 평균 종사자 수(2009년-2018년) 15

〈표 2-4〉 관광사업체 고용형태별 종사자 수 16

〈표 2-5〉 최근 3년간 관광사업체 고용형태별 종사자 비율 16

〈표 2-6〉 고용형태별 종사자 수 17

〈표 2-7〉 월평균 근로실태 17

〈표 2-8〉 관광사업체 신규 채용자 수 및 이직자 추이 18

lt표 2-9gt 일자리 규모 상위 10대 산업의 일자리 증감 19

lt표 2-10gt 관광middot레저분야의 국가직무능력표준 20

〈표 2-11〉 직종별 사업체 인원 현황 21

〈표 2-12〉 기업 규모별 여행 서비스 관련 종사자 24

〈표 2-13〉 기업 규모별 숙박시설 서비스 관련 종사자 25

〈표 2-14〉 기업 규모별 오락시설 서비스 관련 종사자 26

〈표 2-15〉 직능 수준별 미충원 인원 27

lt표 2-16gt 관광 세부업종별 향후 5년 내 일자리 전망 29

〈표 2-17〉 여가활용 활동(복수응답) 35

lt표 2-18gt 사회-과학 주요 10대 이슈 39

lt표 2-19gt 주요 국가 검진건수 및 확진률 비교(0518 00시 기준) 40

lt표 2-20gt 전지구 및 한반도 연평균 CO2 농도 비교 43

lt표 2-21gt 미래 직업 변화 45

lt표 2-22gt 2020~2024 관광 트렌드 48

lt표 2-23gt 코로나19 이후의 변화 51

lt표 2-24gt 미래 일자리 환경 변화 52

lt표 2-25gt 일자리 정책 5년 로드맵 완료 현황 56

lt표 2-26gt 문재인 정부 후반기 일자리 정책 100대 과제 57

lt표 2-27gt 문재인 정부 후반기 일자리 정책 신규과제 59

xviii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lt표 2-28gt 문재인 정부 후반기 일자리 정책 보완 과제 60

lt표 2-29gt 정부의 투자전략 대상 산업 분야 65

lt표 2-30gt 한국판 뉴딜의 투자계획 및 기대 일자리 창출 효과 66

lt표 2-31gt 2018~2020년 일자리 관련 관광산업정책 68

lt표 2-32gt 코로나19 대응 관광산업 고용유지지원 정책 69

lt표 2-33gt 일자리 창출을 위한 문화체육관광부 주요사업 69

lt표 2-34gt 고이즈미 내각의 연도별 고용창출 관련 정책추진 내용 71

lt표 2-35gt 고이즈미 정권의 고용창출 정책의 특징 72

lt표 2-36gt 민주당 내각의 고용창출 관련 정책추진 내용 73

lt표 2-37gt 아베정권의 고용정책 및 성장전략의 변화 추이 74

lt표 2-38gt 아베정권의 지방창생전략 상의 고용창출 관련 내용 75

lt표 2-39gt 후생노동성 추진 고용창출사업 내의 관광분야 포함 건 수 76

lt표 2-40gt 2005년 지역제안형고용창조촉진사업에 선정된 관광분야 고용창출사업 주요 내용 77

lt표 2-41gt 2010년 중점분야고용창조사업(관광분야) 주요 내용 78

lt표 2-42gt 미국 노동부 고용 훈련 주요 프로그램 및 예산 81

lt표 2-43gt 미국 여행 및 관광 자문위원회의 주요 고용창출 정책 제안 83

lt표 2-44gt 미국 내 주요 온라인 기업 일자리 창출사례 84

lt표 2-45gt 캐나다 인력관광공사의 주요 프로그램 88

lt표 2-46gt 미래기술센터의 주요 프로젝트 90

lt표 2-47gt 호주 G20 고용 계획의 세부내용 91

lt표 2-48gt 비즈니스 기업 및 개인 근로자 지원방안 95

lt표 2-49gt 뉴딜(New Deal) 프로그램 98

lt표 2-50gt 영국 정부의 일자리 창출 법 및 제도 개선 관련 주요 정책 100

lt표 2-51gt 영국 정부의 미래 일자리 주요 정책 103

lt표 2-52gt 국내 미래 일자리 창출 정책 105

lt표 2-53gt 관광 일자리 창출 관련 해외 정책 106

lt표 3-1gt 전문가 의견 조사 개요 113

lt표 3-2gt 미래 환경 변화 주요 키워드 114

lt표 3-3gt 관광산업 주요 유망 일자리 유망 분야 116

lt표 3-4gt 관광산업 주요 유망 일자리 후보군 117

lt표 3-5gt 관광산업 주요 유망 일자리 후보군 성장가능성 조사 결과 120

lt표 3-6gt 성장가능성 기준 상위 25개 관광산업 주요 유망 일자리 122

lt표 3-7gt 미래 관광 유망 일자리 124

xix목차

lt표 3-8gt 미래 관광 분야의 유망 일자리와 주요 연관 환경 변화 125

lt표 3-9gt 빅데이터 분류 127

lt표 3-10gt 관광 빅데이터 활용 사례 128

lt표 3-11gt 관광 빅데이터 분석 분야 129

lt표 3-12gt 관광 미디어 콘텐츠 크리에이터 분야 133

lt표 3-13gt 상업적 디지털 플랫폼의 거래 대상과 유형 135

lt표 3-14gt 디지털 플랫폼 노동의 유형 137

lt표 3-15gt 관광 플랫폼 분야 138

lt표 3-16gt 관광 모빌리티 분야 140

lt표 3-17gt 지역 전문 관광 분야 142

lt표 3-18gt 반려동물여행 관련 분야 144

lt표 3-19gt 맞춤형 관광 관련 분야 146

lt표 3-20gt 소그룹 여행 관련 분야 147

lt표 3-21gt 여행 안전관리 일자리 분야 149

lt표 3-22gt 실버여행 관련 분야 151

xx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그림 목차

[그림 1-1] 연구 수행체계 8

[그림 2-1] 관광산업 인력의 공급 및 수요 11

[그림 2-2] 관광사업체 및 종사자 수 추이(2009년-2018년) 13

[그림 2-3] 관광사업체 1개소 평균 종사자 수 추이(2009년-2018년) 13

[그림 2-4] 최근 5년간 관광사업체 종사자 수 연평균 증가율 14

[그림 2-5] 최근 5년간 관광사업체 종사자 수 연평균 증가율 15

[그림 2-6] 일자리 형태별 분포 19

[그림 2-7] 여행 서비스 숙박시설 서비스 종사자의 구인 채용 미충원 인원 및

미충원율 추이 22

[그림 2-8] 오락시설 서비스 종사자의 구인 채용 미충원 인원 및 미충원율 추이 23

[그림 2-9] 채용인원 계획추이 23

[그림 2-10] 관광 분야 업무에서의 기술 활용 전망 28

[그림 2-11] 세계와 한국의 인구 추이 34

[그림 2-12] 세계와 한국의 생산연령인구(좌) 및 고령인구(우) 구성비 추이 34

[그림 2-13] 국민 여가시간 추이(좌)와 일과 가정생활의 우선도(우) 35

[그림 2-14] 해외 주요 연구기관이 발표한 지난 10년간 미래기술 동향 37

[그림 2-15] 국내 주요 연구기관이 발표한 2010년 전(좌)후(우) 미래유망기술 변화 38

[그림 2-16] 해외 주요 연구기관이 발표한 2010년 전(좌)후(우) 미래유망기술 변화 38

[그림 2-17] 광역시도 별 COVID-19 확진자 분포 41

[그림 2-18] 직업별 코로나 바이러스 위험 점수 41

[그림 2-19] 1854년~2019년 전지구 기온편차 및 2025년까지 전망치 42

[그림 2-20] 유연근무제 지원신청 추이 46

[그림 2-21] 항공 여행 관광산업에서의 주요 기술 활용률 49

[그림 2-22] 관광 환대 및 이벤트 산업 역량 모델 86

[그림 2-23] 식음료 서비스 산업 역량 모델 86

[그림 2-24] 2024년까지 산업별 고용률 변화 예측 92

[그림 2-25] 향후 5년간 주요 산업별 일자리 창출 비율 93

xxi목차

[그림 2-26] 미래 일자리 환경 및 정책사례 시사점 109

[그림 3-1] 2022년 유망 기술 비율 전망 126

[그림 3-2] 데이터 산업 시장 규모 127

[그림 3-3] 2022년 유망 기술 비율 전망 130

[그림 3-4] 유튜브 여행 관련 시청자 수(2018년) 131

[그림 3-5] 1인 미디어 동영상 생태계를 중심으로 하는 MCN 비즈니스 생태계 132

[그림 3-6] 플랫폼 관련 글로벌 기업 134

[그림 3-7] 아시아 온라인 예약 채널 136

[그림 3-8] 플랫폼의 3가지 행위자 137

[그림 3-9] 스마트 모빌리티의 개념도 139

[그림 3-10] 2013-2017년 국민여행경험률 및 이동총량 141

[그림 3-11] 반려동물 보유 가구 비중 및 반려동물 시장 규모 143

[그림 3-12] 안전 여행 가이드 중 사업주 가이드 148

[그림 3-13] 65세 이상 고령자의 여가활동(2017년) 150

[그림 3-14] 미래 관광 유망 분야 152

[그림 4-1]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158

서론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제1장

3제1장 서론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연구 배경

우리나라는 과거 산업화시대를 추격하는 경제를 넘어 선도적인 경제 기반을 구축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1997년 말 IMF 외환위기와 2007년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경제성장률 둔화와 자동화 등으로 고용률은 하락 추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에는 제조업의 부진 및 서비스업과 중소기업의 생산성 정체와 더불어 코로나

19(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COVID-19)로 인한 사회적middot경제적 위기 등으로 전

산업에서 일자리 창출은 물론 고용 유지도 어려운 상황에 놓여있다

일자리 창출은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함과 동시에 모든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의 바

탕이다 또한 일자리 창출은 사회안전망 강화와 선진 국가로의 도약을 위한 중요한

과제로 여겨지고 있다 특히 문재인 정부의 일자리 정책은 기본적으로 사람 중심의

혁신과 포용에 바탕을 두는 성장을 지향하여 인적자원개발과 지속가능발전 기반을

연계하는 일자리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인적자원개발은 그 정책의 효과가 나타나

기까지 일정시간이 소요되는 장기적 관점의 접근이 요구된다

한편 기술의 발전과 환경 변화는 관광산업을 비롯한 전 산업에서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다 관광 트렌드의 변화 기술발전 미디어 플랫폼 환경 변화 온디맨드 경제

활성화 코로나19 전 세계적 확산 등에 따라 관광산업을 둘러싼 환경 변화가 시작

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특히 일자리의 변화를 야기하고 있다 세계경제포럼은 「일자리의

미래(The Future of Job)」에서 기술 진보로 인해 2020년까지 719만개의 일자리

가 소멸하고 신규 일자리가 200만개 발생할 것이라 예측하고 있다(WEF 2018)

이처럼 관광산업 환경과 노동의 변화로 관광산업의 일자리도 변화가 가속화될 것으

로 예상되고 있다

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이에 따라 WTO의 G20 오사카 지도자 선언은 관광산업의 세계 경제 성장의 중

요성을 기반으로 지속가능한 관광발전을 비롯해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노력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UNWTO 2019) 문재인 정부에서도 고용 없는 저성장

높은 청년실업률 노동시장 격차 확대 등에서의 일자리 문제 심각성을 인지하고 일

자리 정책을 국정 우수과제로 추진하고 있다

관광산업은 경제 활력 제고와 일자리 창출 효과가 높은 산업으로 인지되고 있으

며 2019년 확대국가관광전략회의 「대한민국 관광 혁신전략」에서는 2022년 관광

산업 일자리 96만 명 창출 달성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한편 최근 2020년 6월 고용노동부에서는 신기술 분야 직무 수행을 위해 새롭게

개발된 20개의 국가직무능력표준을 고시하 다 새롭게 개발 및 고시된 국가직무능

력표준에는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융합기술의 확산 비대면 산업의 활성화 등에 대

응하는 스마트시티 스마트제조 바이오 그린에너지 지능형 네트워크 구축 데이

터산업 인공지능 정보보호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 분야의 클라우드 플랫폼 구축

수소연료전지제조 스마트공장 시스템설치 등의 직무가 포함되었다

미래 일자리는 산업 경쟁력의 기반이며 새로운 직업과 일자리는 일자리 문제 극

복을 위한 해결책이다 이를 위해 정부에서는 새로운 직업과 일자리를 발굴하고 있

다 「서비스산업 혁신 전략(20190626)」은 신규직종 육성(장애인middot반려동물 동반

여행코디네이터 전통시장 해설가 관광 스토리텔러 등) 등을 제시하고 있다

관광산업 경쟁력도 미래 일자리와 필수불가결한 관계이므로 미래 일자리 대응 전

략이 필요하다 특히 관광산업은 인적 서비스를 바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미래

일자리는 관광산업 내 혁신의 원동력이며 경쟁력 강화의 주요 수단이 된다 그리고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는 관광 노동시장 진입 인력들의 새로운 역량뿐만 아니라

현재 관광종사원들의 역량 변화 및 강화의 필요성을 제시하기 때문에 관광산업의

원동력 및 경쟁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관광산업 규모의 성장과 동시에

관광산업 발전 지속을 위한 미래 일자리에 대한 정책 수립이 요구된다

5제1장 서론

2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산업 일자리를 둘러싼 환경변화를 분석하고 관광산업 미

래 일자리 유망 분야를 도출하여 대응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연구

목적을 다음과 같이 수립하 다

첫째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유망 분야와 대응 방향 도출을 위해서 사회middot기술middot환

경middot정치적 환경 및 일자리 관광 소비자와 관광산업 환경 변화를 검토하고 국내외

일자리와 미래 일자리를 위한 정책 대응 사례를 검토하고자 한다

둘째 환경변화 분석을 기반으로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유망 분야를 도출하고자

한다

셋째 이러한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유망 분야를 바탕으로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

리와 관련한 정책적 대응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산업 일자리를 둘러싼 환경변화를 분석하고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유망분야를

도출하여 미래 일자리를 위한 대응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음

① 사회middot기술middot생태middot일자리middot관광 환경변화와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검토

②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유망 분야 도출

③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를 위한 정책적 대응 방향 제시

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1 연구 범위

가 시간적 범위

본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 다 일반적으로 미래 일자리는 5

년(예 WEF 2018) 10년(예 미래창조과학부 미래준비위원회 외 2017)의 시간적

주기를 전제로 분석된다 환경의 변화가 가속화 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일자

리와 관련한 거시환경 변화 분석을 토대로 향후 5년간 미래 일자리 전망을 도출하

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 대상적 범위

본 연구에서 대상적 범위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 다 관광산업에서의 미래 일자

리 유형은 전통적 관광사업의 역뿐만 아니라 타 분야와의 융합 새로운 역(플랫

폼 등)에서의 시간제 근로 파견 근로 프리랜서 등의 형태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

기 때문에 통계청에서 제시한 정의의 범위보다 광범위한 정의가 필요하다

일자리(Filled Job Position)의 사전적 정의는 ldquo생계를 꾸려 나갈 수 있는 수단으로

서의 직업(표준국어대사전)rdquo이며 통계청에서는 ldquo기업체(사업체)에서 임금middot비임금근로

활동을 하는 근로자가 lsquo점유한 고용위치(filled employment position)rsquordquo로 정의된다

즉 일자리는 특정 개인의 자격 능력 적성과 어떤 과업(task)의 수행에 대한 요구가

결합한 결과로 개인이 자신의 능력과 노력을 기울여 보상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의미

한다 그리고 일자리에 비해 직업(occupation)은 사회적 분화의 결과 유사한 일자리들

을 묶어 분류한 결과로 본다 일자리의 자격과 수행하는 업무의 특성에 따른 사회적 평

가와 유사한 일자리를 가진 사람들의 동류의식이 직업을 사회적 집단으로 만들게 된다

7제1장 서론

이에 본 연구에서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는 lsquo향후 5년 내에 관광 및 연관 산업에

서 생계를 꾸려 나갈 수 있는 수단으로서의 유망 분야의 일자리rsquo로 정의하고자 한다

다 내용적 범위

본 연구에서 내용적 범위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는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해서 본 연구는 기존 자료를 토대로 관광산업 일자리 현황을 분석하고 사회middot기

술middot정치 환경 관광트렌드 및 일자리 환경 변화요인을 도출하여 관광산업 일자리

환경 변화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 다 또한 본 연구는 미래 일자리 환경과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를 종합 분석하여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유망 분야를 도출하 다

두 번째로 본 연구는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유망 분야의 도출을 포함한다 본 연

구는 기존 자료를 통해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변화와 미래 일자리 유망분야를 전문

가 의견조사로 우선순위를 분석하고 미래 일자리 유망 분야 후보군을 도출하 다

도출된 후보군을 토대로 미래 유망 일자리와 미래 성장 가능성을 도출하고 미래

일자리 유망 분야를 선정하 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제시를 내용적 범위로 포

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선정된 미래 유망 일자리 분야를 바탕으로 정책 방향

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2 연구 방법

본 연구의 수행과정은 [그림 1-1]과 같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아래

와 같이 수행되었다

가 관련 통계 자료 및 문헌 분석

본 연구는 국내외 관광산업 일자리 및 타 분야 일자리 보고서 일자리 통계 등을

파악하고 진단한다

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나 사례 분석

본 연구는 국내외 일자리 관련 정책 대응 사례와 관광분야 신규 창출 일자리 관련

국내외 사례를 분석한다

다 전문가 의견 조사

본 연구는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변화 유망분야 도출 미래 유망 일자리 성장

가능성을 조사한다

라 인터뷰 및 자문

본 연구는 일자리 연구자 관광산업 전문가 등 관련 전문가 대상 인터뷰 및 자문

을 통해 미래 유망 일자리 도출과 대응 방향을 설정하고자 한다

단계 주요 내용 연구 방법

[1단계]

연구 틀

구성

제Ⅰ장 서 론

연구 배경 및 목적 연구 범위 및 방법-

[2단계]

조사

분석

제Ⅱ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관광산업 일자리 현황 및 특성

미래 일자리 환경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문헌연구

전문가 자문회의

사례조사

전문가 의견조사

[3단계]

미래

일자리

전망

제Ⅲ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유망 분야 도출 및 전망

미래 관광 일자리 후보군 도출

관광 유망 분야와 일자리

전문가의견조사

(12단계)

전문가 자문회의

[4단계]

정책 방향

도출

제Ⅳ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정책 대응 방향전문가 자문 등

제Ⅴ장 결론 및 정책 제언

[그림 1-1] 연구 수행체계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제2장

11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제1절 관광산업 일자리 현황 및 특성

1 관광산업 일자리 현황

「관광진흥법」에서 관광종사자는 제2장 제7절 관광종사원에서 규정하고 있다 구체

적으로 제38조(관광종사원의 자격 등) 제 39조(교육) 제40조(자격취소 등)는 관광종

사원의 자격 교육 지원에 대한 근거 자격의 정지 및 취소 등에 대해 규정하고 있다

이 진흥법에 규정된 관광사업체를 기준으로 관광산업 인력은 아래 그림과 같이

관광 및 타 분야와 관련된 정규비정규 교육기관 및 자격제도를 통해 관광산업에

입직하고 있다

[그림 2-1] 관광산업 인력의 공급 및 수요

자료 김덕기middot한희정(2018)

1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관광인력의 수요자는 관광사업체이며 관광인력의 공급은 크게 관광분야와 타 분

야의 입직자로 구분된다 관광분야 입직자는 관광관련 특성화 고등학교 관광관련

전문 대학교 및 대학교 등 정규교육기관 공공교육기관(한국관광공사 협회 등)과

사설교육기관(직업전문학교 등)의 비정규 교육기관에서 교육을 받은 자이다 그리

고 타 분야는 관광에서 필요한 어문 상경 등의 전공자가 일반적이다 이와 더불어

관광통역안내사 국내여행안내서 호텔경 사 컨벤션 기획사 국외여행인솔자 등

의 국가공인 및 민간 자격을 획득한 사람이 관광분야에 입직하고 있다

11 고용 규모

먼저 본 연구는 관광산업의 일자리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2018년 기준 관광사

업체 수는 33452개로 나타났으며 관광사업체 종사자 수는 총 267만명이며 여행

업(99만명)과 관광숙박업(69만명)이 전체의 632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또한 관광사업체 1개소 당 평균 종사자 수는 2018년 기준 8명으로 나타났다

(단위 개소 명)

구분관광사업체 수 종사자 수 1개소당 평균종사자 수

2016 2017 2018 2016 2017 2018 2016 2017 2018

전체 27696 33089 33452 261978 280270 267561 95 85 80

여행업 16605 19944 19039 98421 107209 99077 59 54 52

관광숙박업 1716 1843 2110 73631 71769 69926 429 389 331

관광객이용시설업 3168 3963 4323 17421 25535 23154 55 64 54

국제회의업 700 890 886 12596 12166 9100 180 137 103

카지노업 17 17 17 9115 7033 7330 5362 4137 4312

유원시설업 1782 2548 3000 23683 27561 26189 133 108 87

관광편의시설업 3708 3884 4077 27110 28998 32785 73 75 80

자료 문화체육관광부 각 년도 관광사업체기초통계조사

〈표 2-1〉 관광사업체 수 종사자 수

13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가 전체 고용 규모 추이

구체적으로 2000년 이후 관광사업체 종사자 수 추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관광사업체는 2009년 이후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관광종

사원 추이도 관광사업체 종사자수 추세를 반 하듯 증가를 보이다 2018년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2-2] 관광사업체 및 종사자 수 추이(2009년-2018년)

자료 문화체육관광부 각 년도 관광사업체기초통계조사

이러한 관광사업체의 종사자 수 감소는 관광사업체 1개소 평균 종사자 수의 하락

에서 그 원인을 찾아볼 수 있다 관광사업체 1개소 평균 종사자는 2009년 132명

에서 2018년 80명으로 감소하 다

[그림 2-3] 관광사업체 1개소 평균 종사자 수 추이(2009년-2018년)

자료 문화체육관광부 각 년도 관광사업체기초통계조사

1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나 업종별 고용 규모 추이

관광산업 업종별 고용 규모를 살펴보면 관광사업체 전체 종사자 수는 2009년 이래

로 연평균 증가율이 52로 나타났다 여행업은 2009년 약 47만명에서 2018년 99

만명으로 연평균 86의 증가를 보 으며 관광숙박업은 2009년 약 57만명에서

2018년 70만명으로 연평균 24 증가세를 보 다 관광사업체 종사자 수의 연평균

증가율이 가장 큰 업종은 관광객이용시설업과 유원시설업으로 각각 117 102 증

가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관광사업체 종사자 수의 연평균 증가율에서

국제회의업 카지노업 관광편의시설업이 각각 ndash149 -48 -46로 나타났다

(단위 만 명)

구분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연평균증가율

(09-18년)

연평균증가율

(14-18년)

전체 169 186 205 230 227 230 236 262 283 268 52 38

여행업 47 50 59 70 71 69 85 98 107 99 86 93

관광숙박업 57 60 63 71 64 67 70 74 72 70 24 09관광객

이용시설업09 10 10 12 14 11 11 17 26 23 117 214

국제회의업 09 11 13 14 14 17 15 13 14 09 05 -149

카지노업 06 07 07 07 08 09 09 09 07 07 19 -48

유원시설업 11 12 13 14 14 17 17 24 28 26 102 114관광편의

시설업31 37 37 42 42 40 28 27 29 33 06 -46

자료 문화체육관광부 각 년도 관광사업체기초통계조사

〈표 2-2〉 관광사업체 종사자 수(2009년-2018년)

[그림 2-4] 최근 5년간 관광사업체 종사자 수 연평균 증가율

자료 문화체육관광부 각 년도 관광사업체기초통계조사

15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관광사업체 1개소 평균 종사자 수는 2009년 이래로 연평균 증가율이 ndash54로 나

타났으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ndash79로 나타났다 여행업은 2009년 1개소

평균 55명에서 2018년 52명으로 연평균증가율이 ndash06로 나타났으며 관광숙박

업은 2009년 약 670명에서 2018년 331만명으로 연평균 75의 하락세를 보

다 최근 5년간 관광사업체 종사자 수의 연평균 증가율이 가장 작은 업종은 관광객

이용시설업 유원시설업 국제회의업 각각 ndash358 -258 -204로 나타났다

(단위 만 명)

구분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연평균증가율(09-18년)

연평균증가율(14-18년)

전체 132 131 127 121 123 111 99 95 85 80 -54 -79

여행업 55 54 55 56 60 54 58 59 54 52 -06 -09

관광숙박업 670 674 682 660 595 528 468 429 389 331 -75 -110

관광객

이용시설업368 326 323 337 351 318 91 55 64 54 -192 -358

국제회의업 284 304 318 280 277 256 244 180 137 103 -107 -204

카지노업 3631 4264 4327 4366 5283 5254 5540 5362 4137 4312 19 -48

유원시설업 395 381 367 370 403 287 162 133 108 87 -155 -258

관광편의

시설업123 117 116 100 96 79 57 73 75 80 -47 03

자료 문화체육관광부 각 년도 관광사업체기초통계조사

〈표 2-3〉 관광사업체 1개소 평균 종사자 수(2009년-2018년)

[그림 2-5] 최근 5년간 관광사업체 종사자 수 연평균 증가율

자료 문화체육관광부 각 년도 관광사업체기초통계조사

1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2 관광산업 일자리 특성

21 고용 형태 및 근로실태

가 임시 및 일용직의 높은 비중

관광사업체의 종사자 고용형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2018년 기준 전체 종사

자 수의 157인 42만명이 임시 및 일용근로자로 나타났으며 유원시설업(473)

과 관광객이용시설업(281)에서 그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 명 )

구 분 전체 자영업자무급가족종사자

상용근로자

임시 및 일용근로자

기타종사자

전체267561 14939 5076 200606 41992 4947

(1000) (56) (19) (750) (157) (18)

여행업 99077 4729 953 84272 7178 1945

관광숙박업 69926 1140 396 58407 9658 325

관광객이용시설업 23154 3461 1571 11430 6507 186

국제회의업 9100 60 0 7037 1352 650

카지노업 7330 0 0 6963 367 0

유원시설업 26189 2180 546 10915 12397 151

관광편의시설업 32785 3370 1610 21583 4533 1689

자료 문화체육관광부(2019a) 2018년 기준 관광사업체기초통계조사

〈표 2-4〉 관광사업체 고용형태별 종사자 수

(단위 )

구분자영업자 상용근로자 임시 및 일용근로자

2016 2017 2018 2016 2017 2018 2016 2017 2018

전체 48 49 56 742 717 750 168 190 157

여행업 45 41 48 850 838 851 62 79 72

관광숙박업 12 14 16 779 778 835 183 183 138

관광객이용시설업 148 118 149 456 438 494 300 364 281

국제회의업 02 06 07 796 858 773 198 131 149

카지노업 00 00 00 955 942 950 45 58 50

유원시설업 52 73 83 450 395 417 472 503 473

관광편의시설업 121 115 103 594 560 658 182 224 138

자료 문화체육관광부 각 년도 관광사업체기초통계조사

〈표 2-5〉 최근 3년간 관광사업체 고용형태별 종사자 비율

17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2020년 7월 기준 스포츠 및 오락과 숙박업은 전체 종사자 중 임시 및 일용근로자

수의 비중이 각각 174 128로 전체 산업의 비중인 99보다 높게 나타났다

(단위 천명 )

구분전체 종사자 상용 임시 및 일용 기타

lsquo167월 lsquo187월 lsquo207월 lsquo167월 lsquo187월 lsquo207월 lsquo167월 lsquo187월 lsquo207월 lsquo167월 lsquo187월 lsquo207월

전체 산업166472 177948 184456 139370 148794 155007 17516 18258 18219 9586 10896 11230

1000 1000 1000 837 836 840 105 103 99 58 61 61

문화체육

관광산업

7955 8740 8795 6454 7007 75 1112 1159 815 389 574 63

1000 1000 1000 811 802 09 140 133 93 02 66 72

수상운송업183 193 183 172 188 174 08 04 07 03 02 02

1000 1000 1000 940 974 951 44 21 38 16 10 11

항공운송업302 338 230 296 335 228 05 03 02 00 00 00

1000 1000 1000 980 991 991 17 09 09 00 00 00

숙박업924 953 869 788 761 734 129 179 111 07 14 25

1000 1000 1000 853 799 845 140 188 128 08 15 29

스포츠 및 오락1855 2035 2059 1036 1143 1297 577 542 359 242 35 402

1000 1000 1000 558 562 630 311 266 174 130 172 195

자료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각년도 7월 기준 문화체육관광 고용동향

〈표 2-6〉 고용형태별 종사자 수

나 숙박업의 낮은 월평균 임금

2020년 6월 기준 스포츠 및 오락과 숙박업은 임금 총액이 각각 2716천원

2331천원으로 전체 산업(3351천원)과 문화체육관광산업(3645천원)의 임금 총액

보다 낮게 나타났다

(단위 일 시간 천원 )

구분근로일수 근로시간 임금총액

lsquo166월 lsquo186월 lsquo206월 lsquo166월 lsquo186월 lsquo206월 lsquo166월 lsquo186월 lsquo206월

전체 산업 207 191 206 1743 1593 1674 3296 3518 3351

문화체육관광 산업 205 188 196 1677 1541 1594 3609 3841 3645

수상운송업 214 196 215 1746 1621 1794 4013 4064 4423

항공운송업 198 179 105 1652 1493 861 6062 6314 3800

숙박업 208 199 185 1755 1645 1513 2412 2670 2331

스포츠 및 오락 199 188 207 1637 1547 1592 2540 2871 2716

자료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각년도 7월 기준 문화체육관광 고용동향

〈표 2-7〉 월평균 근로실태

1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2020년 6월 기준 전체 산업과 문화체육관광 산업의 근로일수는 2018년 동기 대

비 증가하 으나 항공운송업과 숙박업은 각각 105일 185일로 2016년의 179

일 199일에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코로나19로 인한 국가 간 이동 제한

으로 항공운송업은 2020년 6월 근무시간이 861시간으로 2016년 2018년 동기

대비 최저로 나타났다

22 신규 채용자 및 이직자 수 추이

관광사업체의 신규 채용자 수는 2016년 증가세를 보이다가 2018년 하락하는 추

세를 보이며 이직자 수는 2016년 이후 3만 명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 명)

구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연평균증가율

신규

채용자

전체 41088 49125 43738 38662 35640 40033 41571 39447 -06

여행업 8694 11031 11274 8337 10442 13314 15492 12434 52

관광숙박업 16443 18421 11748 12612 11934 13293 15235 14419 -19

관광객이용

시설업1486 2101 2823 1996 1669 1188 2038 1988 42

국제회의업 2181 3178 3336 3320 2380 2307 2336 1260 -75

카지노업 911 1077 1105 930 1144 753 775 853 -09

유원시설업 1217 1809 2315 2265 2514 2532 2318 2158 85

관광편의

시설업10156 11508 11137 9202 5557 6646 3377 6337 -65

이직자

전체 33898 37747 30168 32080 29879 34752 33302 34567 03

여행업 6792 8128 6520 6392 7772 10581 12721 10569 65

관광숙박업 12762 15249 9467 11276 11856 12269 12598 12893 01

관광객이용

시설업1535 1549 1471 1431 1304 1030 1188 1658 11

국제회의업 1703 2612 2713 2402 1990 1726 1653 1314 -36

카지노업 881 710 859 957 1210 990 884 897 03

유원시설업 1139 1657 1677 1637 1887 2281 1698 1536 44

관광편의

시설업9086 7842 7461 7985 3860 5874 2561 5702 -64

자료 문화체육관광부 각 년도 관광사업체기초통계조사

〈표 2-8〉 관광사업체 신규 채용자 수 및 이직자 추이

19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23 일자리 증감

일자리 행정통계에서 숙박 및 음식점업은 신규 일자리 비율이 20이며 일자리

증감에 있어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4만개 이상 증가) 기업생성과 소멸에서는 도

매 및 소매업 부동산업 다음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2-6] 일자리 형태별 분포

자료 통계청(20191205) 2018년 일자리행정통계 결과 p9

(단위 만개)

산업

신규일자리 소멸일자리일자리 증감(신규-소멸)계

기업생성

사업확장

계기업소멸

사업축소

전체 297 95 201 271 78 193 26

제조업 43 10 33 49 9 40 -6

도매 및 소매업 49 17 32 41 16 26 7

건설업 34 7 27 37 5 32 -3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21 5 16 17 3 13 4

사업시설관리 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 23 7 16 26 7 19 -3

숙박 및 음식점업 31 11 20 27 10 17 4

교육 서비스업 7 2 4 7 2 5 -1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복지행정 2 0 2 1 0 1 1

운수 및 창고업 12 4 7 12 6 6 -1

부동산업 25 16 9 18 11 7 7

자료 통계청(20191205) 2018년 일자리행정통계 결과 p10

lt표 2-9gt 일자리 규모 상위 10대 산업의 일자리 증감

일자리 창출과 소멸은 대부분 사업체의 생성과 소멸 기존 사업체의 확장과 축소

와 연관이 있다(윤윤규middot고 우 2009) 일반적으로 사업체 및 일자리를 둘러싼 환

2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경변화는 자원의 재배분 과정에서 새로운 사업의 출현과 소멸을 야기하고 그 과정

에서 일자리의 재배분이 이루어진다(홍현균 2004) 따라서 일자리의 창출과 소멸

에 있어서 환경변화에 대한 파악이 필요하다

24 관광관련 직업군 현황

우리나라는 산업현장의 직무 수행 시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 등의 내용을 체계

화하고 있으며 이를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이라 한다 국가직무능력표준에서 관광middot레저분야는 여행 서비스 숙박서비스 컨벤

션 관광레저서비스로 분류되며 관련 업종과 직업 관련자격은 아래 표와 같다

소분류 직무 관련업종 직업 관련자격

여행서비스

여행상품개발

여행사업 기타여행보조 및 예약서비스업

여행사무원관광통역안내사 국내여행안내사

여행상품상담

국내여행안내 여행 및 관광통역안내원해외여행안내

항공객실서비스 항공 운송지원 서비스업 항공기 객실승무원 -

숙박서비스

숙박기획middot개발관광호텔업

숙박시설서비스원

호텔경영사 호텔관리사 호텔서비스사

객실관리

부대시설관리기타호텔업

연회관리

접객서비스 휴양콘도미니엄업

컨벤션

회의기획국제회의기획업(PCO) 컨벤션센터 PCO사업

여행사 PCO사업

국제회의기획자(PCO) 컨벤션기획사 12급

브래드관리사경영지도사

CMP(해외자격증)전시기획

전시기획업(PEO) 컨벤션센터 PEO사업

전시장치업전시기획자(PEO)

이벤트기획 이벤트기획업 이벤트기획자

관광레저서비스

카지노기획개발 카지노업개발 카지노기획가 -

카지노운영관리 카지노업 카지노딜러 -

크루즈운영관리 크루즈 운영관리업 크루즈운영관리자

호텔경영사호텔서비스사호텔관리사

관광통역안내사국외여행인솔자

유원시설운영관리 유원시설업

운영관리자

(민간)조리사 조주기능사 (국가)건축사 토목사

조경사 설비사 안전관리사 위생사 환경관리사 영양사

리조트운영관리 -

자료 국가직무능력표준 홈페이지(httpsncsgokr)

lt표 2-10gt 관광middot레저분야의 국가직무능력표준

21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이러한 직업군에 따른 변화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본 연구는 고용노동부의 직종별

사업체노동력조사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1) 2020년 1분기 5인 이상 사업체의

구인인원과 채용인원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이 각각 ndash39 -18으로 나타났다

(단위 명 p)

구분 lsquo1712 lsquo1722 lsquo1812 lsquo1822 lsquo1912 lsquo1922 lsquo2012 전년 동기대비 증감률

현원 11597743 11706956 11801155 11909596 11931506 12018829 12302576 31

구인인원 850311 720850 833758 747623 824853 672671 793093 -39

채용인원 756667 636172 744028 664179 748389 598269 733997 -19미충원인원 93644 84678 89730 83444 76464 74402 59096 -227

부족인원 286036 279539 295851 268757 235190 241402 223126 -51

채용계획인원 307577 303380 313920 294383 251012 255867 238199 -51부족률 24 23 24 22 19 20 18 -

여행

서비스

관련

종사자

현원 26420 26259 24313 24883 24878 25960 13784 -446

구인인원 1616 1288 1602 1007 1449 1069 729 -497채용인원 1548 1233 1438 825 1183 1051 729 -384

미충원인원 68 55 164 182 266 18 0 -1000

부족인원 482 904 622 517 426 147 23 -946채용계획인원 497 919 836 528 426 194 23 -946

부족률 18 33 25 20 17 06 02 -

숙박

시설

서비스

관련

종사자

현원 10023 9825 10144 8540 8707 11387 11371 -55구인인원 1387 1308 1188 1359 895 1370 921 -501

채용인원 1024 1148 1000 1148 769 1071 895 -501

미충원인원 363 160 188 211 126 299 26 -부족인원 618 345 700 1047 597 1181 132 -1000

채용계획인원 669 342 852 1230 552 1257 160 -1000

부족률 58 34 65 109 64 94 11 -

오락

시설

서비스

관련

종사자

현원 7579 8903 7123 8211 6923 6887 7915 306

구인인원 1755 2329 2288 3334 2020 2672 724 29

채용인원 1747 2290 2265 3248 2014 2641 705 164미충원인원 8 39 23 86 6 31 19 -794

부족인원 330 504 481 1714 708 1544 252 -779

채용계획인원 768 595 488 1811 671 1756 1407 -710부족률 42 54 63 173 93 183 31 -

주 1) 5인 이상 사업체를 대상으로 함

2) 구인인원 대외적인 구인활동을 통하여 구인한 인원으로 채용인원을 위해 최초 모집공고 당시에 채용하려고 했던 인원

3) 채용인원 조사기준일 이전 3개월 사이에 최종적으로 채용하기로 확정했거나 채용한 인원

4) 미충원인원 구인인원에서 채용인원을 제한 인원

5) 부족인원 조사기준일 현재 채용여부나 채용계획과 무관하게 당해 사업체의 정상적인 경영과 생산시설의 가동 고

객의 주문에 대응하기 위하여 현재보다 더 필요한 인원

6) 채용계획인원 조사기준일로부터 향후 6개월 사이에 채용할 계획이 있는 인원

자료 고용노동부(2020) 2020년 직종별 사업체노동력조사

〈표 2-11〉 직종별 사업체 인원 현황

1) 단 본 조사는 5인 이상의 사업체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해석상 유의가 필요함

2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가 코로나19 후 관광 직종 종사자의 구인과 채용의 감소

관광분야와 관련해서 여행 서비스 숙박시설 오락시설 관련 종사자는 구인인원

과 채용인원에 있어서 2019년 상반기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인인원 측면에서 여행 서비스 관련 종사자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ndash497

-501 29로 증감률이 나타나 여행과 숙박시설 서비스 관련 종사자의 구인인원

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채용인원 측면에서도 2020년 상반기는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이 여행 서비스는 ndash384 숙박시설은 ndash501로 모두 하락하 다

[그림 2-7] 여행 서비스 숙박시설 서비스 종사자의 구인 채용 미충원 인원 및 미충원율 추이

주 5인 이상 사업체를 대상으로 함

자료 고용노동부(2020) 2020년 직종별 사업체노동력조사

23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그림 2-8] 오락시설 서비스 종사자의 구인 채용 미충원 인원 및 미충원율 추이

주 5인 이상 사업체를 대상으로 함

자료 고용노동부(2020) 2020년 직종별 사업체노동력조사

채용인원 계획에 있어서도 여행 서비스와 숙박시설 기업의 2020년 상반기 수치

는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19의 여파로 인

한 채용인원 계획이 급격히 줄어 든 것을 유추할 수 있다

[그림 2-9] 채용인원 계획추이

주 5인 이상 사업체를 대상으로 함

자료 고용노동부(2020) 2020년 직종별 사업체노동력조사

2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나 코로나19 후 300인 이상 여행 서비스 기업의 구인과 채용인원의 급격한 감소

여행 서비스 기업의 규모별로 살펴보면 300인 미만의 기업과 300인 이상의 기

업 모두에서 2020년 상반기 구인인원과 채용인원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300인 이상 기업의 종사자의 감소폭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300인 이상의 기업의 구인과 채용이 2019년 상반기 대비 큰 폭으로 감소함을

의미한다 또한 미충원 인원은 300인 미만과 300인 이상의 여행 서비스 관련 기업

모두 없으며 채용계획 인원 또한 2019년 상반기 하반기와 비교했을 때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 명 p)

구분 lsquo1712 lsquo1722 lsquo1812 lsquo1822 lsquo1912 lsquo1922 lsquo2012 전년 동기대비 증감률

여행

전규모

(5인

이상)

현원 26420 26259 24313 24883 24878 25960 13784 -446구인인원 1616 1288 1602 1007 1449 1069 729 -497

채용인원 1548 1233 1438 825 1183 1051 729 -384

미충원인원 68 55 164 182 266 18 0 -1000부족인원 482 904 622 517 426 147 23 -946

채용계획인원 497 919 836 528 426 194 23 -946

부족률 18 33 25 20 17 06 02 -

300인

미만

현원 22400 22244 21216 22059 21271 22739 10487 -507

구인인원 1495 1171 1388 962 1300 1038 682 -475

채용인원 1426 1117 1237 784 1045 1023 682 -347미충원인원 69 54 151 178 255 15 0 -1000

부족인원 480 816 605 450 413 142 22 -947

채용계획인원 495 816 819 461 413 190 22 -947부족률 21 35 28 20 19 06 02 -

300인

이상

현원 4020 4015 3097 2824 3607 3221 3297 -86

구인인원 122 117 214 46 149 31 47 -685채용인원 122 117 201 42 138 28 47 -659

미충원인원 0 0 13 4 11 3 0 -1000

부족인원 2 89 16 67 13 4 1 -923채용계획인원 2 103 16 67 13 4 1 -923

부족률 00 22 05 23 04 01 00 -주 1) 5인 이상 사업체를 대상으로 함

2) 구인인원 대외적인 구인활동을 통하여 구인한 인원으로 채용인원을 위해 최초 모집공고 당시에 채용하려고 했던 인원

3) 채용인원 조사기준일 이전 3개월 사이에 최종적으로 채용하기로 확정했거나 채용한 인원

4) 미충원인원 구인인원에서 채용인원을 제한 인원

5) 부족인원 조사기준일 현재 채용여부나 채용계획과 무관하게 당해 사업체의 정상적인 경영과 생산시설의 가동 고

객의 주문에 대응하기 위하여 현재보다 더 필요한 인원

6) 채용계획인원 조사기준일로부터 향후 6개월 사이에 채용할 계획이 있는 인원

7) 여행 서비스원은 여행상품개발자 여행사무원 여행 안내원 및 해설사가 포함됨(한국고용직업분류)

자료 고용노동부(2020) 2020년 직종별 사업체노동력조사

〈표 2-12〉 기업 규모별 여행 서비스 관련 종사자

25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숙박 서비스 기업의 규모별로 살펴보면 300인 미만 기업의 구인인원 증감률은

전년 동기 ndash117로 나타난 반면 300인 이상 기업의 구인인원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채용인원은 규모에 상관없이 모두 증가하 다 향후 채용계획 인원은 여

행 서비스 기업과 유사하게 2019년 상반기와 하반기 대비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 명 p)

구분 lsquo1712 lsquo1722 lsquo1812 lsquo1822 lsquo1912 lsquo1922 lsquo2012 전년 동기대비 증감률

숙박

전규모

(5인

이상)

현원 10023 9825 10144 8540 8707 11387 11371 306

구인인원 1387 1308 1188 1359 895 1370 921 29

채용인원 1024 1148 1000 1148 769 1071 895 164

미충원인원 363 160 188 211 126 299 26 -794

부족인원 618 345 700 1047 597 1181 132 -779

채용계획인원 669 342 852 1230 552 1257 160 -710

부족률 58 34 65 109 64 94 11 -

300인

미만

현원 6633 6583 7229 5038 5103 7940 7544 478

구인인원 978 861 684 797 377 1018 333 -117

채용인원 650 751 565 681 285 754 330 158

미충원인원 328 110 119 116 92 264 3 -967

부족인원 526 207 581 251 496 411 119 -760

채용계획인원 578 205 653 392 448 474 122 -728

부족률 73 3 74 47 89 49 16 -

300인

이상

현원 3390 3243 2915 3502 3604 3447 3826 62

구인인원 410 446 504 562 519 352 588 133

채용인원 374 397 435 468 483 317 565 170

미충원인원 36 49 69 94 36 35 23 -361

부족인원 92 138 120 796 101 771 13 -871

채용계획인원 91 138 198 838 104 783 38 -635

부족률 26 41 4 185 27 183 03 -

주 1) 5인 이상 사업체를 대상으로 함

2) 구인인원 대외적인 구인활동을 통하여 구인한 인원으로 채용인원을 위해 최초 모집공고 당시에 채용하려고 했던 인원

3) 채용인원 조사기준일 이전 3개월 사이에 최종적으로 채용하기로 확정했거나 채용한 인원

4) 미충원인원 구인인원에서 채용인원을 제한 인원

5) 부족인원 조사기준일 현재 채용여부나 채용계획과 무관하게 당해 사업체의 정상적인 경영과 생산시설의 가동

고객의 주문에 대응하기 위하여 현재보다 더 필요한 인원

6) 채용계획인원 조사기준일로부터 향후 6개월 사이에 채용할 계획이 있는 인원

7) 숙박시설 서비스원은 각종 숙박시설에서 고객에게 문을 열어주며 고객을 맞이하거나 고객의 짐을 운반해 주거나

시설안내 등 숙박관련 편의서비스를 제공하며 호텔 서비스원과 그 외 숙박시설 서비스원의 세세분류로 구성됨(한

국고용직업분류)

자료 고용노동부(2020) 2020년 직종별 사업체노동력조사

〈표 2-13〉 기업 규모별 숙박시설 서비스 관련 종사자

2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오락시설 서비스 기업의 규모별로 살펴보면 2020년 상반기 구인인원과 채용인

원은 300인 미만과 300인 이상의 기업 모두 전년 동기 대비 ndash60 이상 감소한 것

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충원 인원은 300인 미만과 300인 이상의 오락시설 서비스

관련 기업 모두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 명 p)

구분 lsquo1712 lsquo1722 lsquo1812 lsquo1822 lsquo1912 lsquo1922 lsquo2012 전년 동기대비 증감률

오락

전규모

(5인

이상)

현원 7579 8903 7123 8211 6923 6887 7915 143

구인인원 1755 2329 2288 3334 2020 2672 724 -642

채용인원 1747 2290 2265 3248 2014 2641 705 -650

미충원인원 8 39 23 86 6 31 19 2167

부족인원 330 504 481 1714 708 1544 252 -644

채용계획인원 768 595 488 1811 671 1756 1407 1097

부족률 42 54 63 173 93 183 31 -667

300인

미만

현원 3973 4940 4739 5696 4445 4933 6069 365

구인인원 716 1276 1696 1975 1555 1744 564 -637

채용인원 707 1249 1680 1897 1555 1715 546 -649

미충원인원 9 27 16 78 0 29 18 18

부족인원 260 183 215 236 238 166 165 -307

채용계획인원 260 183 223 264 201 378 1323 5582

부족률 61 36 43 4 51 33 26 -490

300인

이상

현원 3607 3963 2384 2515 2478 1954 1846 -255

구인인원 1040 1053 592 1359 465 928 159 -658

채용인원 1040 1041 584 1351 459 926 159 -654

미충원인원 0 12 8 8 6 2 0 -1000

부족인원 70 321 265 1478 470 1378 87 -815

채용계획인원 508 412 265 1547 471 1378 85 -820

부족률 19 75 10 37 159 414 45 -717

주 1) 5인 이상 사업체를 대상으로 함

2) 구인인원 대외적인 구인활동을 통하여 구인한 인원으로 채용인원을 위해 최초 모집공고 당시에 채용하려고 했던 인원

3) 채용인원 조사기준일 이전 3개월 사이에 최종적으로 채용하기로 확정했거나 채용한 인원

4) 미충원인원 구인인원에서 채용인원을 제한 인원

5) 부족인원 조사기준일 현재 채용여부나 채용계획과 무관하게 당해 사업체의 정상적인 경영과 생산시설의 가동 고

객의 주문에 대응하기 위하여 현재보다 더 필요한 인원

6) 채용계획인원 조사기준일로부터 향후 6개월 사이에 채용할 계획이 있는 인원

7) 오락시설 서비스원은 오락시설에 설치된 오락용 승차기구를 운전하거나 고객에게 운전방법을 알려주며 고객에게

각종 편의를 제공하며 유원시설 및 테마파크 종사원 노래방 종사원 그 외 오락시설 종사원의 세세분류로 구성됨

(한국고용직업분류)

자료 고용노동부(2020) 2020년 직종별 사업체노동력조사

〈표 2-14〉 기업 규모별 오락시설 서비스 관련 종사자

27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다 2년 미만 경력 종사자의 미충원 발생

여행 서비스 숙박시설 서비스 오락시설 서비스 관련 미충원인원을 살펴보면 대

부분 2년 미만의 현장경력을 보유한 인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행

서비스에서 2020년 상반기의 미충원인원은 코로나19의 여파로 크게 감소한 것으

로 나타났다

(단위 명 p)

구분 lsquo1712 lsquo1722 lsquo1812 lsquo1822 lsquo1912 lsquo1922 lsquo2012

전규모

직능1수준 26168 20970 22201 21763 14166 18153 10258

직능2-1수준 32683 32167 33358 29831 27302 24320 20383

직능2-2수준 14985 14516 14225 14593 15373 14851 12203

직능3수준 13084 12278 14922 13053 16034 14754 13054

직능4수준 720 628 1097 523 1360 1229 1431

여행

서비스

관련

종사자

직능1수준 0 0 11 17 165 0 0

직능2-1수준 2 40 32 117 16 14 0

직능2-2수준 59 12 61 5 61 3 0

직능3수준 7 2 59 43 24 0 0

직능4수준 0 0 0 0 0 0 0

숙박

시설

서비스

관련

종사자

직능1수준 136 31 106 77 28 49 3

직능2-1수준 139 63 66 84 87 205 19

직능2-2수준 88 57 17 28 6 45 4

직능3수준 0 8 0 15 0 0 0

직능4수준 0 0 0 0 0 0 0

오락

시설

서비스

관련

종사자

직능1수준 0 11 6 0 1 9 19

직능2-1수준 9 27 4 78 0 18 0

직능2-2수준 0 0 6 8 5 2 0

직능3수준 0 0 6 0 0 0 0

직능4수준 0 0 0 0 0 0 0

주 1) 미충원인원 구인인원에서 채용인원을 제한 인원

2) 1수준 경력 없어도 됨 자격증 취득 수준을 요하지 않음(중졸이하 수준의 업무)

3) 2-1수준 1년 미만의 현장경력 또는 국가기술자격법상의 기능사 수준(고졸수준의 업무)

4) 2-2수준 1년-2년 미만의 현장경력 또는 국가기술자격법상의 산업기사 수준(전문대졸 수준의 업무)

5) 3수준 2년-10년 미만의 현장경력 또는 국가기술자격법상의 기사 수준(대졸석사 수준의 업무)

6) 4수준 10년 이상의 현장경력 또는 국가기술자격법상의 기술사 수준(박사 수준의 업무)

자료 고용노동부(2020) 2020년 직종별 사업체노동력조사

〈표 2-15〉 직능 수준별 미충원 인원

2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25 관광 일자리의 변화

관광분야 일자리는 자동화 세부 및 특화 업무 단위의 노동계약 증가 가치사슬의

변화 등을 통해 그 양상이 변화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WEF 2018) 특히 기술

발전과 사회 전반에서의 기술 활용이 증가됨에 따라 관광 업무 시 AI 빅데이터

등 기술 활용 비율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WEF 2018)

[그림 2-10] 관광 분야 업무에서의 기술 활용 전망

자료 WEF(2018) The Future of Jobs Report 2018 p45

이러한 변화에 따라 관광산업에서는 데이터 분석 AI 활용 등의 기술 분야와 판매

및 마케팅 상품 관리 브랜드 관리 등과 관련한 분야에서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WEF 2018) 반면 무인화 및 자동화로 회계 재고 관리 등의 분야

는 기술로 대체될 가능성이 높아 관련 일자리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WEF

2018) 특히 lsquo여행상품개발 일자리rsquo lsquo여행상품 상담 일자리rsquo lsquo여행안내 일자리rsquo

lsquo숙박기획middot개발 일자리rsquo lsquo객실관리일자리rsquo lsquo부대시설관리 일자리rsquo lsquo카지노 운 관

리 일자리rsquo lsquo크루즈운 관리 일자리rsquo lsquo유원시설운 관리 일자리rsquo 는 5년 내 감소하

면서도 기술 향도를 크게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전효재middot한희정 2018)

즉 관광산업의 미래는 기술에 대한 향이 중요하기 때문에 이러한 기술을 다룰 수

있는 디지털 능력이 관광 종사자에게 요구될 것으로 전망된다(UNWTO 2019) 따라

서 디지털 기반의 관광기업 성장은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향후 5년 내 관광사업체의 세부업종별 일자리 전망은 다음과

같다 동 전망은 관광 전문가 25인(학계 업계 연구기관 등)의 의견을 종합하여 제

29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시하 다 증가가 예상되는 업종은 자동차야 장업 일반야 장업 기타유원시설업

관광순환버스업 관광펜션업 한옥체험업으로 나타났고 이는 코로나19로 인한 자

연공간 선호 야 장 수요 증대 국내여행 증대 지역관광 활성화 등의 향으로 나

타났다

구분 업종 주요 변화 요인

증가(15 이상)

관광객

이용시설업

자동차야영장업

일반야영장업

- 코로나19로 인한 자연공간 선호

- 야영장 수요 증대

- 국내 여행 증대 등

다소 증가(5 sim 15)

유원시설업 기타유원시설업- 개인 및 소규모 관광의 증가

- 지역업체 증가 등

관광 편의시설업

관광객 이용시설업

관광순환버스업 - 대중교통 기피 지역관광 활성화 등

관광펜션업

한옥체험업

- 코로나19로 인한 안전 인식 증대

- 국내 여행 증대 가족 여행 증대 등

유지(-5 sim 5)

관광

숙박업

휴양콘도미니엄업 - 소규모 관광의 증가

- 국내 여행 증대 및 여행 트렌드 변화

- 다양한 숙박형태 선호 등

기타호텔업

관광객

이용시설업

외국인관광 도시민박업

전문 및 종합휴양업 - 대규모 관광객의 감소

여행업 국내여행업 - 코로나19로 인한 국내여행 증대

다소 감소(-15 sim -5)

관광

편의시설업

관광식당업 - 단체관광 및 대규모 관광객의 감소

관광궤도업 - 자동화 및 무인화

관광숙박업 관광호텔업 - 자동화 및 무인화

관광객

이용시설업관광유람선업

- 코로나19 이후 대규모 관광객 감소

- 자동화 및 무인화

- 관광객 수요 감소 등

감소(-15 이상)

관광

편의시설업

관광사진업 - 기기의 발달 및 업종의 축소

관광공연장업

관광유흥음식점업

- 코로나19 이후 대규모 관광객 감소

- 관광객 수요 감소 등

외국인전용유흥음식점업

관광면세업- 코로나19로 외국인 관광객 감소

관광극장유흥업 - 단체관광 및 대규모 관광객의 감소

여객자동차터미널시설업 - 자가용 이용 증가 KTX 등 교통수단

발달 등

국제회의업국제회의기획업

국제회의시설업

- 비대면 회의 행사 증가

- 코로나19 이후 국제행사 감소

카지노업 - 코로나19로 외국인 관광객 감소

유원시설업 종합 및 일반유원시설업 - 대규모 관광객의 감소

여행업일반여행업 - 코로나19

- 자동화 및 무인화 OTA 활용 증대

- 개별여행 증가 등 국외여행업

lt표 2-16gt 관광 세부업종별 향후 5년 내 일자리 전망

3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감소가 전망되는 업종은 여행업(일반여행업 국외여행업) 유원시설업(종합 및 일

반유원시설업) 카지노업 국제회의업 관광편의시설업(관광면세업 관광식당업 관

광궤도업 관광사진업 관광공연장업 관광유흥음식점업 외국인전용유흥음식점업

관광극장유흥업 여객자동차터미널시설업) 관광객이용시설업(관광유람선업) 관광

호텔업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감소는 코로나19로 인한 단체관광 감소 외국인 관광

객 감소 자동화 및 무인화 관광객 수요 감소 등의 향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술의 발전으로 관광상품과 서비스의 유통이 플랫폼 기반으로 변화하고 있

으며 관광자원도 관광의 역에서 일상의 역으로 확대되고 있다(이원희 외

2019) 이에 따라 기존 관광진흥법에 규정된 관광사업체 외에 새로운 관광 비즈니

스 사업체 출현으로도 관광산업 관련 일자리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관광산업과

관광 연관 산업에서의 새롭게 창출 될 수 있는 일자리 분야 파악이 중요하며 이러

한 부분에서의 교육 훈련 및 정책 강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3 시사점

관광산업은 인적 자원에 기반을 둔 산업으로 일자리 창출에 있어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산업으로 인식되고 있다 관광산업은 외부 환경 변화에 민감한 산업이어

서 최근 기술 발전으로 인한 급격한 산업 변화와 유행성 전염병의 발생과 확산은

관광사업체의 운 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관광산업의 일자리 특성은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먼저 고용 형태에 있어서 관광산업은 임시 및 일용직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숙박업의 경우 타 산업 대비 월평균 임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근 신규

채용자 수는 감소하고 이직자 수는 상승하 다 기업생성과 소멸에서 숙박 및 음식

점업의 비중이 높으며 일자리 증감도 높았다

또한 코로나19의 확산은 관광산업의 일자리 감소와 관광산업 변화를 통한 관광

일자리의 변화를 야기하고 있다 관광 직종 종사자의 구인과 채용이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하 으며 채용 인원 계획 또한 큰 폭으로 감소하 다 그리고 여행 서비스 숙

박시설 서비스 오락시설 서비스 관련 미충원인원을 살펴봤을 때 대부분 2년 미만

31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의 현장경력을 보유한 인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행 서비스에서의

2020년 상반기 미충원인원은 코로나19의 여파로 감소폭이 크게 나타났다

기존 관광산업인력 양성 연구에서는 미래 관광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관광산업 인력의 양성이 산업적 정책적으로 중요함을 강조하 다(김덕기middot한

희정 2018) 또한 관광사업체가 필요로 하는 정책지원 수요는 자금 지원(394)

수요확대 지원(193) 인력 지원(115)의 순으로 나타났다(류광훈middot김희수 2018)

즉 관광산업 미래인력의 양성은 관광기업 측면에서 미래 관광 경쟁력 확보의 원천

이며 관광산업의 산업 고도화를 위한 필수 요소이다

이와 더불어 환경 변화로 인해 기술 기반의 일자리 타 분야 융합을 통한 일자리

관광객 수요의 다양화로 기존 관광 일자리가 전문화middot세분화 되고 있다 4차 산업혁

명 기술의 발전으로 AI 빅데이터 플랫폼 등의 활용이 증가되고 키오스크 등의 무

인화 서비스로 인해 관련 분야의 일자리가 감소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기존

관광인력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고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는 한편 관광과 기술이

융합된 분야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향후 5년 내 관광사업체 세부업종별 일자리 전망에 대한 전

문가 의견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증가가 예상되는 업종은 자동차야 장업 일반

야 장업 기타유원시설업 관광순환버스업 관광펜션업 한옥체험업으로 나타났고

감소가 전망되는 업종은 여행업(일반여행업 국외여행업) 유원시설업(종합 및 일반

유원시설업) 카지노업 국제회의업 관광편의시설업(관광면세업 관광식당업 등)

관광객이용시설업(관광유람선업) 관광호텔업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증가 분야의

원인은 코로나19로 인한 자연공간 선호 국내여행 및 지역관광 활성화 등으로 나타

났다 감소 분야의 향 요인으로는 코로나19로 인한 단체관광 감소 외국인 관광

객 감소 자동화 및 무인화 관광객 수요 감소 등을 꼽을 수 있다

관광산업은 코로나 19로 인해 종사자가 감소하고 있고 디지털 변화 외부 환경

등으로 인한 변화의 기로에 있다 즉 현재는 일자리에 대한 정책 방향의 모색이 필

요한 시점이다 이에 이러한 관광산업의 특성과 변화를 반 한 일자리 대응 정책

모색이 필요하다

3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제2절 미래 일자리 환경

1 환경 분석 개요

미래를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사람들은 미래를 정확히 예측하여 맞고 틀리고를 따

지기 보다는 다양한 미래(Futures)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미래 구성을 목표로 한다 한편 일자리는 인간을 둘러싼 다양한 환경 요인들의

상호작용을 반 하는 현실의 거울이다 따라서 미래 일자리의 환경 변화를 살펴보

기 위해서는 이에 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일의 내용과 수행 방식에 직접적으로 향을 미치는 기술적 요인과 이를

수용하기 위한 사회적 법제 정책적 요인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박

가열 외 2019) 한편 최근 들어 코로나19와 기후 변화로 대표되는 생태 환경 요인

은 경제 사회의 발전 과정에서 미뤄둔 숙제가 아니라 생존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보장하기 위한 상수의 문제로 다뤄야 할 것이다

미래 일자리 환경 변화와 미래 이슈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종합적으로 살펴보

기 위해 통상 미래 연구자들이 미래 환경 변화를 탐색하기 위해 주로 활용하는

STEEP 모형에 기초를 두고자 한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일자리 환경 변화의 결과

요인인 경제적 요인을 제외한 사회 기술 생태 환경 및 정치(정책) 및 제도적 요인

과 더불어 관광환경 요인을 중심으로 차례대로 살펴본다 이러한 미래 일자리를 둘

러싼 환경 스캐닝을 바탕으로 관광산업의 주요 이슈를 도출하고 이를 미래 지향적

으로 해결하기 위한 현실적인 정책 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33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2 환경 변화

21 사회 환경 변화

가 인구구조의 변화

미래 일자리 변화의 사회적 요인을 살펴봄에 있어 결국 사람이 일의 세계를 구성

하므로 저출산과 고령화에 따른 인구구조 변화를 선결적으로 살펴보아야 할 것이

다 앞으로 인구구조의 축소적 변화가 기존 경제발전 모델을 전제로 한 재앙인지

아니면 기술 혁신과 산업 고도화에 적합한 적정 인구로의 수렴 과정인지에 대한 심

도 있는 논의가 앞으로 필요하다

한편 우리 사회가 발전하고 산업 구조가 고도화되면서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확대되고 있다 이는 기존의 성 역할 고정관념에 기초한 직업 활동과 가사 분담의

이분법적 접근을 흔들고 있다 다만 여성의 노동시장 진출 직종의 상당수가 대인접

촉이 요구되는 서비스직이므로 코로나19와 같은 광범위한 전염병의 창궐에 일시적

이지만 매우 심각한 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한편 정보통신기술(ICT)의 발전으로 지식의 전달과 활용 기한이 급격히 짧아지

면서 정식 교육기관에 의존한 교수학습 방식보다는 자기 주도적인 비형식 평생학습

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전에 생의 과정을 교육 노동 은퇴 후 여가의 3단계로 구분

한 분절적 모형에서 탈피하여 인생 전 과정에서 질 높은 일과 삶의 균형과 지속적

인 자기 학습을 통한 자기개발을 상호보완적으로 추구하는 모델로 변모하고 있다

세계 인구는 향후 50년 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 반면 우리나라

는 향후 10년 동안 소폭 증가하여 정점을 이루고 이후 40년 동안 지속적으로 감소

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9년 전 세계의 인구는 약 77억 명으로 이 수치는 2000년

대비 약 13배 증가한 수치이며 2067년 전 세계 인구수는 103억 8천만 명으로

전망된다 우리나라 인구는 2019년 5천 2백만 명에서 2067년에는 약 3천 9백만

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통계청 20190902)

3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그림 2-11] 세계와 한국의 인구 추이

자료 통계청(20190902) 2019년 장래인구특별추계를 반영한 세계와 한국의 인구현황 및 전망(보도자료) p1

우리나라의 생산연령인구 구성비는 1966년 이후 계속 증가하 고 2012년

734로 최고치를 보인 후 감소하여 2019년 727로 나타났다 2040년에는 생산

연령 인구가 인구의 약 절반 이상인 563 수준까지 낮아질 전망이다 한편 우리

나라의 고령인구 구성비는 1970년 31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9년 149

로 나타났으며 2067년에는 465로 전망된다

[그림 2-12] 세계와 한국의 생산연령인구(좌) 및 고령인구(우) 구성비 추이

자료 통계청(20190902) 2019년 장래인구특별추계를 반영한 세계와 한국의 인구현황 및 전망(보도자료) p2

생산연령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전체 구성비에서 50를 하회하고 있으며 기울

기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듯이 고령 인구 비중은 급격히 증가하여 13을 상회하는 2040

년 전후에는 현재의 노동연령 구조로는 감당할 수 없을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 따라서

지금부터 고령 친화형 일터 문화와 작업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선제적 준비가 요구된다

35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나 사회인식의 변화

최근 일과 삶의 균형은 사회적 공감대로 형성되고 있다(이재완middot강혜진 2018) 이

러한 일과 삶의 균형의 측면에서 여가시간은 삶의 질이 어느 정도에 도달하 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우리나라 국민의 여가시간은 2019년 기준으로 평일 54시간

휴일 35시간으로 2016년 이래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문화체육관광부 2019b)

일과 삶의 균형을 lsquo워라밸(Work-Life Balance)rsquo로 정의되며 워라밸은 일상생활

에서의 삶의 질의 중요성을 중시하는 인식을 의미한다(민경선 2018) 2019년 사회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들은 일과 가정생활을 비슷하게 여긴다는 응답이 약

442로 나타났으며 이는 2013년 이래로 계속 증가한 수치이다 또한 이 응답은

일을 우선시한다는 응답(421) 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나 우리나라가 일을 우선시

하는 사회에서 워라밸을 중요하시는 사회로 변화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림 2-13] 국민 여가시간 추이(좌)와 일과 가정생활의 우선도(우)

자료 문화체육관광부(2019b) 국민여가 활동조사 p49 자료 통계청(20191125) 2019년 사회조사 결과 p42

우리나라 사람들은 여가활용 중 관광활동에 있어서 주중보다 주말 비율이 높으

며 향후에 즐기고 싶은 여가활동으로 관광활동이 70로 가장 높게 나타나 여가시

간의 증대로 인해 관광활동 참여자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단위 )

구분 TV시청휴식활동

컴퓨터게임인터넷검색 등

취미자기개발

활동

스포츠활동

문화예술관람

사회 및기타활동

스포츠관람

관광활동

문화예술참여

기타

주중 792 690 395 236 136 110 95 45 37 29 02주말 697 689 313 186 139 195 153 49 167 24 02향후 179 275 97 467 244 389 185 108 700 107 02

자료 통계청(20191125) 통계청(20191125) 2019년 사회조사 결과

〈표 2-17〉 여가활용 활동(복수응답)

3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또한 이러한 사회 인식 변화에 따라 일자리를 선택함에 있어 좋은 일자리의 기준

중 하나가 워라밸이 가능한 곳이 되고 있다(이재완middot강혜진 2018)

22 기술 환경 변화

기술의 발전은 사람들의 일하는 내용과 방식에 직접적으로 향을 미친다 미래

기술 발굴과 관련된 방법론은 예측을 하는 목적 접근의 방식 이용하는 자료에 따

라 매우 다양하다(박가열 외 2019) Alan L Porter 등(2011)의 985172기술의 예측과

경 (Forecasting and Management of Technology)985173에 소개된 매크로 모니터

링(Macro Monitoring) 방법은 급부상하고 있는 유망한 연구 역의 도출이나 유망

기술을 발굴하는 것으로 소개되기도 하 다(손은수 외 2018)

최근 디지털 기술 혁신은 제조업의 대량 생산에 근원을 두고 있는 정형화된 업무

시간과 집중형 업무 공간의 개념을 근본적으로 바꾸고 있다 또한 단순 반복적인 작

업을 기계가 대신해줌으로써 기계와 달리 습성화에 쉽게 지루함을 느끼고 주의 집중

및 신체적 강인성에 한계를 지닌 인간이 노동시장에서 소외되는 결과를 낳았다

기술의 진보로부터 비롯된 일자리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미래

사회를 주도할 미래 유망한 기술을 꾸준히 탐색하고 수요자의 요구에 부합한 제품

과 서비스 개발이 요구된다 여기서는 사회적 요구를 반 한 유망기술의 흐름을 탐

색하고 상대적으로 적용 가능성이 제한적이더라도 관광산업에의 접목 가능성을 살

펴보고자 한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 따르면 해외 주요기관에서 발표된 미래유망기술을

연도를 기준으로 구분하고 lsquo2-모드(mode) 네트워크 분석rsquo을 실시하 다(손은수

외 2018) 그 결과 미래유망기술로 인공지능 블록체인 드론 딥 러닝 유전자 편

집 등이 부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7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그림 2-14] 해외 주요 연구기관이 발표한 지난 10년간 미래기술 동향

자료 손은수middot홍성화middot고병열(2018) 국내외 주요기관이 전망한 미래기술의 흐름 p66

한편 국내 연구기관이 제시한 2010년 전후 미래 유망기술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텍스트 마이닝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2010년 이전에는 고효율 치료 자동

복합 환경 지능형 바이오 등의 기술이 각광받은 것으로 나타났다(손은수 외

2018) 2010년 이후에는 에너지 스마트 실시간 3D 환경 지능형 자동 정보

플랫폼 등의 기술이 각광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외 연구기관에서 발표된 최근 미래유망기술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먼저 해외

의 결과는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로봇공학(robotics)

3D 프린팅(3D printing)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사이버 보안(cyber security)

블록체인(block chain) 데이터 분석(data analytics) 자율주행 운송 수단

(autonomous vehicles) 등이 중요한 미래유망기술로 나타났다 반면에 국내에서

는 일부 유사하면서도 실용성에 중심을 둔 에너지 스마트 3D 지능형 자동 차세

대 정보 고효율 실시간 환경 등이 중요한 미래유망기술로 나타났다

3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그림 2-15] 국내 주요 연구기관이 발표한 2010년 전(좌)후(우) 미래유망기술 변화

자료 손은수middot홍성화middot고병열(2018) 국내외 주요기관이 전망한 미래기술의 흐름 p54

[그림 2-16] 해외 주요 연구기관이 발표한 2010년 전(좌)후(우) 미래유망기술 변화

자료 손은수middot홍성화middot고병열(2018) 국내외 주요기관이 전망한 미래기술의 흐름 p29

디지털 혁신의 기반이 되는 정보통신기술(ICT)과 인간 사회와의 상호작용에서 필

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대립과 갈등의 본질을 이해하는 것이 미래 사회를 전망하

는 데 중요하다 이러한 디지털 기술과 사회의 관계 맥락에서 바람직한 미래를 설계

하기 위해 개인과 기업 및 나아가 국가 차원에서 먼저 고려해야 할 10대 이슈를

선정하 는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이승민 외 2017)

개인적 측면에서 디지털 혁신은 직업 구조 변화의 요인으로 고려된다 이 디지털 혁신

은 중간직과 전문직의 종말 새로운 계급의 등장 노동 구조의 변화 등을 야기하고 있다

39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다만 기술 진보에 따른 중간직 일자리의 대체나 혹은 새로운 기회의 창출은 기존

에 면허 제도를 통한 전문직 역의 배타적 역을 어떻게 조정할 것인가의 법제적

문제와 결부될 수 있을 것이다

10대 이슈 주요 내용

1 인공지능 민주화와 제국주의

- 본격적인 대중화를 열어갈 인공지능의 민주화

- 인공지능 민주화와 글로벌 기업들의 마케팅 전략

- 민주화를 바라보는 우려의 시각 제국주의와 블랙박스 사회

2 혁신의 미래 속도와 다양성

- 축적의 시간을 줄이기 위해 변화된 혁신의 방향

- 다양한 산업 부문에 ICT 기반 혁신이 발생

- 혁신과 성과 확대를 위한 인력middot조직의 변화 요구

3 산업의 미래 디지털 격변

- 디지털 DNA가 모든 산업의 DNA를 전환

- 제품middot서비스 운영 프로세스 고객경험의 디지털 전환

- 디지털 전환의 방향 속도 범위를 고려한 주체별 생존 전략

4 경제 성장의 미래 풍요와 결핍

- 저성장과 경제적 고립주의 하에 바라본 ICT

- 전통적 경제 규모지표에서 포착하기 어려운 풍요

- 새로운 기술-사회경제 연결 지표와 분배 구조 마련 필요

5 블록체인과 미래 권력

- 개인 권력을 확장시키는 블록체인의 파괴력

-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를 넘어 개인과 국가 권력을 변화

- 혁명으로의 블록체인은 시간이 필요

6 탈진실의 시대 새로운 위험

- 정보의 대량 생산과 소비 초연결이 만든 탈진실의 시대

- 증거기반 토론보다 검색기반 정보 유통에 의존한 탈진실의 위험

- 진실을 붙잡기 위한 기술적 시도와 미디어 정보 문해력

7 인터넷 발칸화와 사이버 안보

- 경계 없는 인터넷에 만들어지는 새로운 국경

- 발칸화된 사이버 공간에서 벌어지는 국가 간 경쟁

- 인공지능과 양자컴퓨터라는 새로운 안보 위험의 부상

8 중간직과 전문직의 미래 신계급

의 등장

- 중간직과 전문직의 디지털 프랜스포메이션

- 기술이 직무를 보완하는 대신 직무가 기술을 보완

- 디지털경제와 데이터경제 주체로 부상하는 새로운 계급

9 소비의 미래 생산과 경험

- 기술의 발전은 소비자의 생산 활동의 폭을 증가

- 물리적인 제품에서 서비스와 데이터 생산자로 참여

- 고정된 생산물의 소유에서 유동적 서비스 경험하는 미래

10 인간과 기계 관계의 역설

- 인간을 이해하는 기계의 일상화과 초래하는 관계의 역설

- 기계를 향해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양가감정 느끼는 인간

- 인간관계의 애착유형을 통해 기계와의 건전한 관계를 맺을 준비

자료 이승민middot정지형middot송근혜(2017) p5

lt표 2-18gt 사회-과학 주요 10대 이슈

기업 측면에서 살펴보면 글로벌 정보통신기업들이 인공지능기술을 바탕으로 신

기술을 확산시키고 있으며 전 산업에서 인공지능 플랫폼을 활용하여 시장을 확장

하고 있다 또한 기존 폐쇄형 기술의 혁신은 개방형 혁신 생태계로 변화하고 있으

4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며 학계 중심의 이론적 연구는 글로벌 기업 중심의 실제 사업(business)으로 변모

하고 있다

국가 측면에서는 디지털 기술혁명이 새로운 시대를 이끌어 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최근 전개되고 있는 코로나19와 같은 전염병의 전 세계적 창궐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예술 활동 등 다양한 방면에서 비대면 디지털 기술의 발전을 촉진

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블록체인은 중앙통제를 상대적으로 약화시킬 것으로 개인 권력을 확장시

켜 상대적으로 중앙 통제를 약화시킬 수 있을 것이라 전망된다

23 생태 환경 변화

전 세계를 공포로 내몰고 있는 코로나19는 사람과 다양한 동물에 감염될 수 있는

바이러스로서 유전자 크기 27~32kb의 RNA 바이러스를 말한다2)

2020년 5월 18일 기준 우리나라의 검사 건수는 737118건이고 이 중 11065명

(15)이 확진자로 진단되었다

국가 검사건수 확진자 건수대비 확진률

중국 NA 82954명 NA

한국 737118건 11065명 150

이탈리아 1933272건 225435명 1170

이란 NA 120198명 NA

일본 250151건 16305명 650

미국 10720185건 1486742명 1390

영국 1818712건 243695명 1340

자료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httpwwwcdcgokr)

lt표 2-19gt 주요 국가 검진건수 및 확진률 비교(0518 00시 기준)

이들 전체 확진자의 광역시도별 분포를 살펴보면 대구(621) 경북(124)이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 고 이어서 인구 비중이 높고 사회적 이동의 중심 지역인

서울(67) 경기(65) 순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2) 보건복지부 코로나19바이러스 인터넷 페이지(httpncovmohwgokrbaroViewdobrdId=4ampbrdGubun=41)

41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그림 2-17] 광역시도 별 COVID-19 확진자 분포

자료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httpwwwcdcgokr)

세계경제포럼은 직업별 코로나19에 대한 위험 점수를 미국 노동부의 ONET의

타인과의 접촉 물리적 근접성 및 질병 및 감염에의 노출 세 가지 변수를 활용해서

산출했는데 치과위생사(997점)의 위험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2-18] 직업별 코로나 바이러스 위험 점수

자료 세계경제포럼(WEF) 웹사이트(wwwweforumorgagenda202004occupations-highest-covid19-risk)

4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국제노동기구(ILO)는 이러한 코로나 바이러스의 향으로 실업자가 최소 530만

명에서 최대 2470만 명에 이를 것이라고 예상했다 실업으로 인한 소득 감소는 재

화와 용역의 소비를 감소하고 경제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 특히 저임금 노동자와

여성 이주민 등 취약 계층에게 부정적인 향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지구온난화로 대표되는 기후변화는 생태계의 지속 가능한 생존과 일상생활은

물론이고 우리들의 관광과 문화와 관련된 직업 활동에도 도전적인 문제로 대두될 수

있다 최근 세계기상기구(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WMO)에서 펴낸

lsquo2015-2019 글로벌 기후보고서(The Global Climate in 2015-2019)rsquo에 따르면 최

근 5년이 역사상 가장 더웠던 5년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산업화 이전(1850-1900년)

보다 11 상승했으며 이전 5년(rsquo11~rsquo15)보다 02 상승했다고 한다

[그림 2-19] 1854년~2019년 전지구 기온편차 및 2025년까지 전망치

주 HadCRUT GISTEMPT NOAAGlobalTemp ERA-5는 기후관련 데이터 및 기후 분석 도구를 의미함

자료 영국기상청 홈페이지(httpswwwmetofficegovukabout-uspress-officenewsweather-and-climate

2020confirmation-that-2019-concludes-warmest-decade-on-record)

한편 이산화탄소(CO2) 농도 또한 2019년 말에 410ppm에 이르거나 초과할 것

으로 예상되고 있다 우리나라 경우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최근 5년간 평균기온

은 133로 이전의 2011년부터 2015년까지 5년간보다 03 상승한 것으로 나

타나 전지구의 평균기온의 증가보다 01 큰 것으로 나타났다(기상청 2019) 또

한 이산화탄소 농도가 이전보다 높아지고 있는데 한반도의 2018년 CO2 연평균

농도는 2017년 대비 30ppm 높은 4152ppm으로 나타났고 최근 10년간 연평균

CO2 농도 증가량은 전지구의 CO2 연평균 농도인 23ppmyr 보다 다소 높은

24ppmyr로 나타났다

43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구분 전지구 한반도(안면도 관측소)

2018년 연평균 농도 4074 ppm 4152 ppm

2017년 대비 농도 증가량 24 ppm 30 ppm

최근 10년 연평균 농도 증가량

(2009년~2018년)23 ppmyr 24 ppmyr

주 전지구 CO2 농도는 미국해양대기청(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의 발표 값으로

향후 변경될 수 있음

자료 기상청(2019) 2018 지구대기 감시보고서 p28

lt표 2-20gt 전지구 및 한반도 연평균 CO2 농도 비교

이러한 지구 온난화는 사람의 기본적인 건강과 일상적인 생활은 물론이고 직업 활

동에도 전반적으로 향을 미친다 폭염 한파 가뭄 홍수에 의한 식량 감소는 양

상태의 악화를 초래하고 온열 질환과 더불어 감염병 피해도 증가하게 된다 최근 코

로나19 창궐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전염병은 이동과 대면을 통한 접객 서비스가 전

제되는 여행 관광 숙박 식음료 산업의 침체에 심각한 향을 미칠 수 있다

24 정치middot제도의 환경 변화

정치middot제도 환경 변화로는 관광과 관련해서는 여가시간의 증가 재생공간의 증가

남북 관계 및 동북아 정세 변화 등이 나타나며 이와 관련한 환경 변화로 인해 일자

리 변화도 예상되고 있다

먼저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에 따른 개인 여가 시간 증가 및 장기 휴가 분위기

정착이 예상된다 정부는 2018년 7월 휴식이 있는 삶을 보장하기 위해서 노동시간

주 최대 68시간에서 52시간으로 단축하고 특례업종을 축소하는 등 주 52시간 근무

제를 실시하 다 이는 단순히 근로시간 단축의 의미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가 여가

중심의 사회로 변화할 것을 의미한다(김희수middot정광민 2019) 즉 여가시간 증대가

여행 관광 숙박 식음료 산업의 활성화에 향을 미칠 수 있다

한편 정부에서는 도시의 물리적 환경 개선과 주민 역량 강화를 통해 도시를 종합

적으로 재생하는 도시재생 뉴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는 지자체가 주도하여주

거지의 노후화 구도심의 쇠퇴를 방지해서 도시의 경쟁력을 높이고 일자리를 창출

하는 사업이다 이 정책은 지방 중소도시의 고령화 및 전국적인 인구 감소 지역 확

4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대로 인한 지역의 일자리 감소와 건축물 노후화에 기인하고 있다 이에 국토교통부

는 lsquo도시재생 뉴딜 로드맵rsquo을 2018년 발표하고 도시공간 혁신 도시재생 경제 활성

화 주민과 지역 주도의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관광분

야에서는 구도심이 보유한 역사 근대건축물 시장 골목 폐공장 창고 등이 새로운

공간으로 가치를 재창출하고 있다(이원희 외 2019)

또 다른 변화로 남북 관계의 변화 등 국제 정세 변화에 있다 남북 관계는 국내

뿐만 아니라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 정세에도 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2018년 2월

북한의 평창 동계올림픽 참가를 계기로 남북관계가 lsquo대화와 협력rsquo 국면으로 전환되

어 남북 정상회담 3회(2018년 4 5 9월) 북미 정상회담 1회(2018년 6월) 등이

진행되어 지속가능한 남북관계 발전 한반도 신경제공동체 구현 등 대북정책을 이

행하고 비무장지대(DMZ) 국제 평화지대화 북한 개별 관광 등 추진을 위한 긍정

적 분위기가 조성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미사일 발사시

험 대북전단 살포 문제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3) 등 남북관계 경색이 지속되고

있어 한반도 정세에 있어서의 남북관계 긍정적 분위기 구축이 중요한 문제도 대두

되고 있다

25 일자리 환경 변화

가 코로나19 이전의 변화4)

우리 사회는 4차 산업혁명 저출산 및 고령화와 같은 기술 사회경제적 변화에

직면해 있으며 이에 따라 일자리 일하는 방식이 변화하고 있다

일자리 환경 변화의 측면에서 개인 직업관의 변화 일자리의 양극화 1인 기업의 증

가 유연한 업무환경 등의 변화가 예상된다(미래창조과학부 미래준비위원회 외 2017)

먼저 필요에 따른 구인middot구직을 통해 직업관이 조직 중심에서 개인 중심으로 변

화되며 프로젝트 기반의 lsquo1인 기업rsquo이 증가할 전망이다 통계청의 기업생멸행정통

계 결과 2018년 기준 종사자 수 1인 기업은 439만개이며 이는 전체 활동 기업의

3) 북한은 순항미사일 시험발사를 2020년 7월 4일 발사하였으며 남한의 탈북민단체의 대북전단 살포에 대한

북한의 비방인 2020년 대두되었으며 2020년 6월 14일 북한의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로 남북관

계는 교착상태에 있음

4) 미래창조과학부 미래준비위원회 외(2017)의 내용을 재정리함

45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789로 나타났으며 2017년 대비 269 증가 하 으며 신생기업의 경우 893

가 1인 기업으로 나타났다(통계청 20191212)

사회 환경과 기업문화의 변화에 따라 고용 환경은 불안정성이 증가하여 정규직

중심의 전통적 일자리에서 임시 및 독립적 일자리가 증가할 전망이다 또한 기술

진보로 단순 반복적 자동화되기 쉬운 중숙련 일자리의 감소하고 이에 중숙련 노동

자가 저숙련 노동자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고숙련 노동자와 저숙련 노동자의 직업과

임금의 양극화가 심화될 전망이다

자기 고용인 1인 기업은 개인 스스로 생산과 소비가 가능해짐에 따라 부상되며

SNS 미디어를 활용한 1인 인터넷 기업 플랫폼 기업의 활성화가 전망된다 또한

산업과 기술 간 융합을 통한 창의적 역량이 필요한 분야가 일자리 잠재력이 큰 산업

으로 전망된다 2018년 기준 플랫폼경제종사자 규모는 최소 47만명에서 최대 54

만명(전체 취업자의 17~20)으로 추산된다(김준 외 2018) 한편 기술 발전

으로 언제 어디서나 일할 수 있는 업무 환경이 구축되어 이에 따른 유연근무제 재

택 및 원격근무제도가 활성화될 전망이다

미래의 직업 변화는 크게 ➀ 기존 직업의 고부가가치화 ➁ 직업의 세분화 및 전

문화 ➂ 융합형 직업의 증가 ➃ 기술 기반의 신규 직업 탄생 등이 이루어질 것으

로 전망된다(미래창조과학부 미래준비위원회 외 2017)

구분 변화 내용

기존 직업의

고부가가치화

- 직업의 역할과 프로세스의 재정립으로 단순 노동력은 전문화된 서비스로 변화

(예 언론의 분야별 전문기자 등 의료서비스의 응급실 의사 암진단 의사 등)

직업의 세분화 및

전문화

- 수요의 다양화와 고품질 요구 증가로 수용자 중심의 제품과 서비스 개발 전달에 있어서

의 과정이 전문화되고 세분화 이에 따라 직업의 세분화 현상 증가

(예 로봇 엔지니어 노년 플래너 가상 레크레이션 디자이너 기후변화 전문가 등)

융합형 직업의

증가

- 다른 직무나 지식 기술과 기능이 융합한 신규 전문분야를 창출하는 과정을 통해 새로운

융합형 직업 출현 (예 테크니컬 라이터 사용자 경험 디자이너 홀로그램 전시기획가 등)

기술 기반의

신규 직업 탄생

- 과학기술 진보로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게 됨에 따라 관련 직업의 탄생 증가

(예 기계 인터페이스 전문가 저장 관리 전문가 스마트 교통 시스템 설계 엔지니어 등)

자료 미래창조과학부 미래준비위원회 외(2017)의 내용 재정리

lt표 2-21gt 미래 직업 변화

4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나 코로나19로 인한 일자리 환경 변화의 특성

코로나19로 인해 이동이 제한되면서 재택근무제 유연근무제는 확산되고 있다

우리나라 정부는 현재 유연근무제 간접노무비 지원제도(중소middot중견기업 대상 유연

근무제 사용근로자 1인당 연간 최대 520만원 지원) 재택근무 인프라 지원 사업(중

소middot중견기업 대상 인프라 구축비의 50를 2천만 원 범위에서 지원)을 시행하고 있

다(고용노동부 20200410) 코로나19가 발생한 1월부터 비교했을 때 2020년 4

월 7일까지 2602개 사업장 대상의 유연근무제 간접노무비 지원신청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유연근무제로는 재택근무(525) 시차출퇴근(411) 원격근무(13)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고용노동부 20200410) 2020년 7월 현재 코로나19 이후 대기업

중 75가 유연근무제를 확대하고 있으며 근로형태의 다변화(예 비대면middot유연근무제

등)(391) 산업구조 디지털화로 인한 일자리 감소(251) 등의 변화를 야기할 것으

로 대기업들은 전망하고 있다(한국경제연구원 20200720) 코로나19는 일자리 환경

에 있어서 근무형태의 변화를 가속화하 고 특히 유연근무제 확산을 촉진시키고 있다

[그림 2-20] 유연근무제 지원신청 추이

자료 고용노동부(20200410) 임서정 고용노동부 차관 재택근무 우수 사업장 방문하여 현장의견 청취(보도자료) p3

또한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해 코로나19로 인한 고용시장의 변화도 장기화될

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취업자 수는 2019년 9월 기준으로 2701만 명으로 전

년 동월 대비 39만 명이 감소하 으며 숙박 및 음식점업이 전년 동월 대비 ndash98

감소(약 22만 명)한 것으로 나타나 코로나19의 여파는 관광산업 고용에 향을 주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통계청 20201016)

47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26 관광 환경 변화

가 코로나19 이전의 변화5)

1) 관광시장의 변화

먼저 관광시장 측면에서는 밀레니얼 Z세대 뉴시니어 등 다양한 세대가 트렌드

변화를 주도하고 방한 인바운드 시장의 다양화와 세분화가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된

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변화는 소소한 여행 경험소비 누구나 즐기는 여행 여행

트렌드 세터 다이내믹 방한시장 관광시민 등의 키워드로 표현될 수 있다

먼저 주52시간 근무제 시행으로 일과 삶의 균형을 중시하는 인식이 확산됨에 따

라 소확행 단기 근거리 여행이 증가하고 여행의 일상화 가격대비 최대 만족을

원하고 스테이케이션 호캉스 등 다양한 여행 형태가 나타나고 있다 또한 관광객

의 관광 경험도 축적은 현지 액티비티 여행 프로그램의 인기 증가에 향을 미쳤으

며 이에 따라 액티비티 상품 플랫폼이 성장하고 있다 여행이 보편적 권리로 사람

들에게 인식되면서 사회적 취약계층 시니어 밀레니얼 가족 등을 위한 관광상품

관광 콘텐츠 등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사회 트렌드를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가

주도함에 따라 이들이 여행트렌드도 선도하고 있다 또한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

는 소셜미디어 디지털 플랫폼에서의 향력을 확대하고 그들의 개성 희소성 정

체성 등이 드러나도록 여행트렌드를 이끌고 있다

관광은 한middot중middot일 외교의 변화 남북 관계 등 외부환경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이에 따라 역동적인 양상을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환경에 대한 인

식이 사회 전반적으로 강화됨에 따라 지속가능 관점에서 관광객이 여행하는 동안

해당 지역의 시민으로서 책임감이 증가되는 관광시민의 역할을 나타내고 있으며 여

행사고 인식의 증가로 관광 안전 의식에 대한 고려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5) 관광 환경 변화는 이원희 외(2019)의 내용을 재정리하여 작성하였다

4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구분 키워드 내용

관광시장

소소한 여행 소확행

가심비 가시비

-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은 여가시간 증가와 일과 삶의 균형을 중시하는

워라밸 인식의 확산을 촉진하고 단기 근거리 여행의 지속적 성장을 야

기함

- 국민들의 여행 경험이 증가하고 일상화되면서 스테이케이션 호캉스 등

짧고 가까운 여행을 즐기는 다양한 여행 행태가 나타남

경험소비 여행

액티비티 전성시대

- 관광객의 여행경험도 증가로 단순 방문과 관람에서 기억에 남는 경험과

체험을 더 중요시함 이를 충족할 수 있는 여행지 선택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함

누구나 즐기는 여행

은퇴부터 100세까지

- 우리나라 인구구조의 변화와 삶의 질의 추구 일과 여가의 균형을 중시

등으로 인해 lsquo누구나 즐기는 여행rsquo이 새로운 트렌드임

여행 트렌드 세터

뉴 제너레이션

-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가 여행트렌드 변화를 이끌 세대로 주목받고 있음

- 국내외 관광목적지 선택에 있어서 소셜 미디어와 디지털 플랫폼의 영향

력이 증가하고 여행콘텐츠 생산middot 소비의 주도 세력인 뉴 제너레이션의

관광시장의 영향력도 증대하고 있음

다이내믹 방한시장

유동성과 다변화

- 한middot중middot일 외교 남북 관계 등이 향후 5년간 우리나라 외래관광객 유치

시장에 영향을 주며 이러한 요인들로 인한 불확실성으로 역동성이 증대

할 것임

- 또한 아세안 지역의 국가와 교류가 증대되면서 우리나라 인바운드 시장

의 다양화와 세분화될 것으로 전망됨

관광시민 여행

가치를 생각하다

- 전 세계에서 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어 관광에서도 윤리적 친환경적

여행소비의 관심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됨

- 더불어 공정관광 책임관광 등의 대두로 관광객의 방문지역에 대한 시민

으로서 의무 및 권리 증대를 의미하는 lsquo관광시민rsquo의 개념이 발생하고 있음

관광산업

모바일과 여행 플랫폼

비즈니스의 진화

- 디지털 기반의 여행 서비스 유통구조 형성으로 관광소비와 관광산업의

변화가 확산될 것으로 기대되며 여행 플랫폼은 더욱 성장할 것으로 전

망됨

빅데이터가 여는

AI 관광시대

- 빅데이터 분석기술의 발달로 관광객 편의 증진 관광산업 경영 효율성의

제고 관광 목적지 문제 해결 등이 가속화될 전망이며 산업부문에서도

기술을 활용한 혁신이 가속화되고 있음

공유 여행

공간middot이동middot경험을

잇다

- 공유경제의 전 세계적 확산에 따라 숙박 공유 모빌리티 공유 등 변화가

전망됨

- 관광객은 숙박 교통 여행상품 음식 등을 공유경제 플랫폼을 통해 이용

하며 현지에서의 lsquo진정성rsquo(authenticity) 추구 경향이 증대함

관광자원일상에서 만나는

비일상 여행

- 과거 여행 목적지 중심(예 관광명소 유적지 등)에서 지역 주민의 일상

공간으로 관광지의 공간에 대한 경계 제한이 모호해짐

- 이는 미디어와 소셜미디어 영향으로 가속화되고 있으며 뉴트로(New-

tro)의 영향으로 근대문화유산을 활용한 도시재생 콘텐츠가 인기임

자료 이원희 외(2019) 관광 트렌드 분석 및 전망 2020-2024

lt표 2-22gt 2020~2024 관광 트렌드

49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2) 관광산업의 변화

관광산업 측면에서는 플랫폼 비즈니스 AI 관광 관광공유경제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비즈니스의 성장이 전망된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변화는 모바일과 여행 플

랫폼 기반의 관광사업체의 성장 빅데이터를 활용한 AI 관광시대 공유 관광 플랫폼

의 증가 등의 키워드로 요약될 수 있다(이원희 외 2019)

먼저 관광상품 및 서비스의 유통이 플랫폼 기반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관광객의 소비 행태와 관광산업의 유통 구조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관광 플랫

폼 비즈니스는 전통적 관광산업 범위를 벗어나 새로운 비즈니스를 나타내는 관광기

업이 출현하고 있으며 창조적 융복합 관광상품 소비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디

지털 플랫폼의 증가에 따라 관광 분야에서도 현지 여행 가이드 관광활동 가이드

등 계약직이나 프리랜서 등의 형태로 경제활동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관광분야 산업의 성장요인은 모바일 인터넷의 진보 새로운 기술 활용의 증가 개

발도상국의 성장 인공지능 기술의 진보 중산층 및 교육의 확대 빅데이터 활용 가

능성 증대 새로운 업무처리의 증가 국가 경제 성장의 전환 클라우드 기술 진보

등으로 파악된다(WEF 2018)

특히 항공 여행 관광산업에서의 주요 기술 활용도는 아래와 같이 IoT 앱 및 웹

빅데이터 머신러닝 클라우드 컴퓨팅 등이 70이상 활용되고 있다(WEF 2018)

[그림 2-21] 항공 여행 관광산업에서의 주요 기술 활용률

자료 WEF(2018) p44 전효재middot한희정(2018) p22에서 재인용

5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인공지능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개인 맞춤형 여행정보

제공뿐만 아니라 관광객의 관광 콘텐츠 및 정보 소비의 변화도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관광분야에서는 챗봇을 비롯한 AI의 활용도가 증가되고 있으며 음성인식

을 활용하여 관광객 편의 제공도 증가하고 있다 현재 빅데이터의 전달 및 제공에

있어서 한계가 있으나 AI 기술의 발전으로 관광객 맞춤형 서비스 고도화 및 체험성

이 증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마지막으로 공유경제의 성장에 따라서 관광분야에서도 숙박 모빌리티 관련 공유

가 나타나고 있으며 숙박 교통 관광체험 상품 등을 공유경제 플랫폼의 관광객 이

용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3) 관광자원의 변화

관광자원 측면에서는 일상에서 만나는 비일상 여행이 주요 키워드로 고려된다 관

광객들의 여행 경험이 축적됨에 따라 관광객의 관심이 기존 관광지 관광시설 등뿐만

아니라 지역 주민의 삶을 엿볼 수 있는 마을 골목 시장 등에도 증대되고 있다 이와

함께 일정 기간 동안 여행지에서 체류하는 트렌드(예 한달살기)가 확산되고 있다 이

러한 지역 생활공간 내 관광객의 유입에 따라 지역 주민과 관광객 간의 갈등이 증가

하는 lsquo오버 투어리즘(Over Tourism)6)rsquo lsquo투어리스티피케이션(Touristification)7)rsquo

과 관련한 이슈에 대한 대응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나 코로나19 이후의 변화

최근 관광산업의 변화에 있어서 가장 큰 요인은 코로나19로 인한 변화이다 코로

나19로 인해 국가 간 지역 간 이동이 제한되면서 관광사업체의 매출이 감소하고

있다 즉 코로나 19는 관광객의 행태와 소비 변화뿐만 아니라 관광산업에도 큰

향을 미쳤고 이로 인해 관광산업 일자리에 대한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6) 오버투어리즘은 관광지역이 수용할 수 있는 수준을 넘은 관광객의 유입으로 발생하는 다양한 부작용을 포함

하는 개념으로 임대료 상승에 의한 주민들의 비자발적 이주 소음 쓰레기 등으로 인한 정주권 피해 관광지

의 지나친 혼잡 자연환경 훼손등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이원희 외 2019)

7) 투어리스티피케이션은 주로 관광지化로 번역되며 국내에서는 특정 지역에 관광객이 늘어나면서 관광지로

변해가는 현상을 통칭하는 의미로 미디어 등에서 활발하게 사용된다(박주영 2018)

51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구분 내용

국내여행 활성화- 코로나19로 인한 해외여행 제한 등 국내여행 시작 및 자동차 여행 급증

- 대도시 지역관광 비시즌 로컬여행을 통한 일상 추구

안전 여행 인식

증대

-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체류형 독립 공간 선호

-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영향으로 소규모 안전 여행 추구

- 소규모 안전 부티크 호텔 웰니스 관광 의료관광 성장

- 여행자 신뢰 회복 및 신규 안전 및 클린 라벨 부착 방문자 정보 앱 국내 관광 홍보 캠페

인 실시

- 비 혼잡 관광 목적지 및 개선된 의료 시스템을 갖춘 여행업체(여행사 숙박업 등)의 선호세

디지털 활용

가속화

- 코로나19의 영향과 산업별 해결책 모색을 위한 정보 및 데이터 교환 시스템 구축

- 코로나19로 인한 디지털 전환시점동안 온라인에서 이용 가능한 문화와 지속 가능한 관광

에 대한 프로그램 개선

- 비즈니스 미팅 휴가 및 여가활동 등 단계적 온라인 전환

인력의 재배치 - 문화관광 전문인력 배치의 유연성 제고를 위한 창의적인 고용 솔루션 개발 필요

기타- 여행제한 해제 및 기업과의 협업으로 유동성 지원 접근으로 관광시장 다변화 지원

- 기술 파트너의 플랫폼 구축과 정보공유를 위한 거버넌스 구조 강화

자료 OECD(20200602) Tourism Policy Responses to the coronavirus (COVID-19) UNWTO(2020)

Cultural tourism amp COVID19 WEF(20200715) Top factors travellers will consider before planning

their next trip WEF(20200811) How are people holidaying after COVID-19 lockdowns Forbes

(20200507) Post Coronavirus Travel How Most Americans Want To Holiday At Home FP

(20200613) The Future of Travel After the Coronavirus Pandemic Travel Weekly(20200715) In

new reality demand grows for boutique hotels wellness experiences Agoda(20200729) Agoda

shares quick ways to sustainably rediscover the world through lsquoSlow Travelrsquo 내용 재정리

lt표 2-23gt 코로나19 이후의 변화

코로나19 발생 이후 해외여행에 대한 관광객의 수요는 국내여행으로 전환되고

여행 안전에 대한 인식도 강화되고 있다 코로나19 확산 이후(2월~4월)에도 응답자

의 229가 국내여행을 경험하 고 향후 458는 국내여행을 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하 다(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200527)

코로나19로 관광행태 및 관광시장의 변화가 발생함에 따라 관광기업의 온라인

전환이 가속화되고 관광인력 배치의 유연성이 제고되는 등 관광산업의 재정비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코로나19로 관광객들은 대인 접촉이 우려되는 장소보다는

사람이 적은 지역 자가용을 이용한 여행 당일 여행을 선호하는 등 국내 여행 방식

을 변화시킨 것으로 나타났다(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200527)

5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3 시사점

본 연구는 미래 일자리 환경 변화와 미래 이슈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종합적으

로 살펴보기 위해 일자리 환경 변화의 결과 요인인 경제적 요인을 제외한 사회 기

술 생태 환경 및 정치(정책) 및 제도적 요인과 더불어 관광환경 요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구분 내용

사회환경 변화

- (인구구조) 세계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우리나라는 향후 50년 동안 감소할 것으

로 전망됨 특히 우리나라는 생산연령인구의 지속적인 감소와 고령 인구비중의 증가가

전망됨

- (여가 시간 변화) 2016년 이래로 증가하고 있으며 일을 우선시하는 사회에서 워라밸을

중요하시는 사회로 변화하고 있음

기술환경 변화

- (해외) 최근 미래유망기술은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로봇공학 3D 프린팅 가상현실 사

이버 보안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 자율주행 운송 수단으로 나타남

- (국내) 실용성에 중심을 둔 에너지 스마트 3D 지능형 자동 차세대 정보 고효율

실시간 환경 등이 중요한 미래유망기술로 나타남

생태환경 변화

-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 코로나 바이러스의 영향으로 전세계 실업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관광산업을 비롯해 기업과 경제 전체에 부정적인 영향이 클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 (기후 변화) 지구온난화로 대표되는 기후변화는 생태계의 지속 가능한 생존과 일상생활은

물론이고 우리들의 관광과 문화와 관련된 직업 활동에도 도전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음

정치middot제도 환경

변화

-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에 따른 개인 여가 시간 증가 및 장기

휴가 분위기 정착이 예상됨

- (도시재생 뉴딜 사업) 관광분야에서는 구도심이 보유한 역사 근대건축물 시장 골목

폐공장 창고 등이 새로운 공간으로 가치를 채창출하고 있음

- (남북 관계 변화 등) 2018년 2월 북한의 평창 동계올림픽 참가를 계기로 긍정적 분위

기가 조성되었으나 북한의 미사일 발사시험 대북전단 살포 문제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등 남북관계 경색이 지속되고 있음

일자리 환경 변화

- (코로나19 이전) 개인 직업관의 변화 일자리의 양극화 1인 기업의 증가 유연한 업무

환경 등의 변화가 예상됨

- (코로나19 이후) 이동이 제한되면서 재택근무제 유연근무제는 확산되고 있으며 코로

나19 여파로 노동시장의 위축이 장기화되고 있음

관광환경 변화

- (관광시장) 밀레니얼 Z세대 뉴시니어 등 다양한 세대가 트렌드 변화를 주도하고 방한

인바운드 시장의 다양화와 세분화가 전망됨

- (관광산업) 플랫폼 비즈니스 AI 관광 관광공유경제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비즈니스

의 성장이 전망됨

- (관광자원) 기존 관광지가 아닌 지역주민의 일상 공간으로의 관광객 수용가 증대되고 있음

- (코로나19로 인한 영향) 국내 여행 수요 및 관광안전 인식 증가 온라인 전환 가속화

및 관광인력 배치의 재정비 등의 변화가 나타남

lt표 2-24gt 미래 일자리 환경 변화

53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본 연구 결과 사회적으로는 인구구조와 교육구조의 변화 기술과 환경 변화는 기

술의 확산 및 친환경 인식 고조 정치 및 제도적으로는 국제 관계의 향 부처 간

융합 정책 관광과 관련해서는 기술기반의 비즈니스 창출 및 확대 관광 소비문화의

세분화 등이 주요 환경 변화로 나타났다

이러한 미래 일자리를 둘러싼 거시 환경변화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고

있다 먼저 일자리 환경이 다변화 되고 있다 인구구조의 변화 기술의 발전 코로

나19로 인한 재택 근무의 증가 플랫폼 비즈니스의 성행 등으로 일자리의 형태도

세분화 전문화 다양해지고 일하는 모습도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기술의

발전으로 기술과 융합된 일자리가 탄생되고 있다 관광분야에서 관광객 수요가 다

양해짐에 따라 관련 일자리도 전문화 세분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디지털 기반의

관광기업의 출현으로 기술역량을 보유한 사람들이 관광산업에 입직하고 있다

특히 관광산업에서는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 되면서 빅데이터 플랫폼 ARVR

등의 관광분야 활용이 증가되고 있으며 코로나19로 인해 키오스크 챗봇 화상 국

제회의 등 무인 관광서비스의 활용이 확대 적용되고 있다

최근 가장 우리 사회에 큰 향을 미친 코로나19의 확산은 관광 미래 일자리 환

경 변화에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된다 코로나19의 확산은 국가 간 지역 간 이동의

제한을 초래해 관광사업체 운 과 관광종사자의 수에 부정적 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관광사업체의 향 뿐 아니라 코로나19는 관광객이 국내 여행 수요를 촉진

하고 관광에서의 비대면 기술 활용을 증가하는 등 향을 초래했다 이러한 향에

따라 관광 일자리에 대한 불안정성이 증대하고 있다

5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제3절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1 개요

본 연구는 미래 일자리를 위한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를 위해 국내외 일자리 지원

정책 및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일자리창출을 위한 정책 및 지원사업은 매우 다양

하여 그 범위를 총괄 파악하기는 쉽지 않으며 또한 유형화하기도 쉽지 않다 이에

국내외 일자리 창출 사례 내용의 이해도 제고를 위해 일자리창출을 위한 정책 및

지원사업을 직접지원방식만이 아니라 간접지원 방식도 포함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0912)

직접지원방식에는 고용유지 및 신규고용 창출을 위한 정부의 보조금 사업 고용

창출을 위한 사회적 일자리 사업 및 창업지원 사업 등 직접적인 일자리창출을 위한

지원사업이 해당된다 간접지원방식에는 구직자들의 구직활동 강화를 위한 훈련 및

연수활동 지원 취업유도 및 고용안정을 위한 인프라 구축 등을 들 수 있다

2 국내 정책 사례

한국은 과거 산업화시대를 모방 또는 추격하는 경제에서 선도하는 경제로 가야하

는 전환기에 놓여 있다 그럼에도 1997년 말 IMF 외환위기 이후 경제성장률 둔화

와 자동화 등으로 고용률도 지속적으로 하락해 왔다 더욱이 최근에는 제조업의 부

진 서비스업과 중소기업의 생산성 정체 등으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어려운 상황

에 놓여있다 일자리 창출은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함과 동시에 모든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의 바탕이 될 뿐만 아니라 사회안전망 강화와 선진 국가로의 도약을 위한

중요한 과제이다

55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이하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주요 일자리 정책과

미래의 일자리 창출에 대해 살펴본다

21 일자리위원회의 정책 추진

문재인 정부의 일자리 정책은 기본적으로 사람 중심의 혁신과 포용에 바탕을 두는

성장을 지향한다 포용과 성장은 흔히 산업화시대에 중심이었던 경제정책을 넘어서 사

회정책도 매우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을 의미한다 경제성장을 지속하는 가운데 사회적

불평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좋은 일자리 창출이 요구된다 문재인 정부는 일자리위

원회를 설치하여 일자리 정책을 총괄하도록 하 다 일자리위원회 위원의 역할은 위원

회 운 정책 수립 일자리 중심의 정책 전환 및 유인 기제 마련 등의 세 부분이다

일자리위원회가 수립한 정책은 종합적인 정책인 lsquo일자리 정책 5년 로드맵rsquo이다

로드맵은 10대 역의 100대 세부 추진과제로 구성되어있다 이 로드맵은 문재인

정부의 국정운 5개년 계획과 일자리와 관련한 현안 과제와 중장기적으로 해결해

야 할 과제들을 종합하여 만들어졌다 문재인 정부 출범과 함께 수립된 5년 로드맵

은 일자리 인프라 구축 공공일자리 창출 민간 일자리 창출 일자리 질 개선 맞춤

형 일자리 지원 등의 5개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8)

최근 일자리위원회는 문재인 정부 후반기 일자리 정책으로 그 동안의 일자리 정

책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진단하고 새롭게 보강한 50개의 중점 추진과제와 기존의

50개 과제의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정책을 수립발표하 다9) 동 정책은 lsquo일자리를

통해 혁신적 포용국가와 노동존중의 사회 구현rsquo이라는 비전과 lsquo사람노동 중심의 전

환된 패러다임을 기반으로 2022년까지 고용률 68 고용보험 1500만 명 가입 달

성rsquo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비전과 목표는 사람이 중심이 되는 경제 실현을 지

8) 일자리 정책 5년 로드맵은 제3차 일자리 위원회에서 확정된 것으로 일자리 중심국정운영 시스템구축 12개

일자리안전망 강화 및 혁신형 인적자원 개발 10개 공공일자리 81만명 확충 관련 7개 혁신형 창업촉진

6개 산업경쟁력 재고 및 신산업서비스업 육성 19개 사회적경제 활성화 6개 지역일자리 창출 10개 비정

규직 남용 방지 및 차별 없는 일터 조성 5개 근로여건 개선 9개 청년여성신중년 등 맞춤형 일자리 지원

16개 등 총100개 과제로 구성되어있다 동 로드맵은 총괄분과를 포함하여 5개의 분과별로 분담되어 작성

되었으며 일자리 인프라 및 노동시장의 두 분과는 고용노동부 민간일자리 분과는 산업통상자원부 공공일

자리 분과는 기획재정부가 주재하였다(일자리위원회관계부처 합동 20171008)

9) 문재인 정부 후반기 일자리 정책과제는 일자리위원회와 관계부처 합동으로 작성된 것으로 제14차 일자리위

원회의 1호 의결안건으로 상정되어 확정되었다(일자리위원회관계부처 합동 20200309)

5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향하는 것이다 그리고 새롭게 보강되거나 신규로 작성된 과제는 민간의 고용창출

역량 강화 일자리 현안 대응 노동시장 주요 이슈에 선제 대응 재정투입 일자리

사업의 효과성 제고 등 네 가지를 기조로 추진될 핵심과제로 설정되고 있다

또한 전반기 로드맵과 달리 후반기 100대 과제는 미래 변화에 대비하는 추진 과

제들을 새롭게 제시하고 있다 미래에 대비하는 과제는 인적자원개발과 지속가능발

전 기반과 연계하는 일자리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다 인적자원개발과 지속가능발전

모두 장기적인 관점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정부의 넓은 정책 역과 연관되므로 이

러한 정책의 상호 의존관계를 충분히 고려해야 하는 것들이다

22 주요 정부부처의 일자리 정책 사례

정부부처의 일자리 정책은 일자리위원회가 추진하는 큰 그림에서의 하위 단위라

고 할 수 있다 문재인 정부가 계획하고 있는 후반기 일자리 정책은 일자리 정책

5년 로드맵에서 이미 추진 완료한 것을 제외하고 신규 과제와 기존 추진 과제를 보

강하여 100대 추진과제를 설정하 다

가 일자리 정책 5년 로드맵의 부처별 추진 현황

우선 일자리 정책 5년 로드맵에서 지금까지 추진 완료한 과제는 20개이다(lt표

2-25gt 참조) 대체적으로 기획재정부 행정안전부 등은 공공부문 일자리와 관련되

고 중소벤처기업부 산업통상자원부에서는 민간부문 일자리 창출과 관련된다 그

리고 고용노동부는 일자리와 연관되는 고용정책의 역에 속하는 것들이다

영역 세부과제 관련 부처

일자리 중심 국정운영

시스템 강화

1 타당성심사 시 일자리 지표 강화 고용 기재

2 예산편성시 일자리 비중 확대 중기 행안

3 고용친화적 세제 개편 기재

4 일자리 중심 정책금융지원체계 개편 금융

5 공공조달 인허가시 일자리 평가 강화 조달

6 정부업무평가 일자리 평가 비중 확대 국조

지자체 합동 평가시 일자리 평가 강화 행안

lt표 2-25gt 일자리 정책 5년 로드맵 완료 현황

57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다음 후반기 일자리 정책 추진 방향으로 제시된 100대 과제는 부처별로 고용노

동부 57개 중소벤처기업부 30개 산업통상자원부 23개 기획재정부 18개 국토부

11개 교육부와 보건복지부 각 10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8개 등이며 26개 부처청에 분담되어 있다(lt표 2-26gt 참조) 사실상 대다수 정부부처가 일자리위원회가

주도하는 정책을 추진하는 데에 참여하고 있다

영역 세부과제 관련 부처

공공기관 경영평가 일자리 반영 기재

7 일자리 추진체계 강화 행안 국조

지역 일자리 8 일자리 창출형 산업단지 구축 산업

중소벤처 일자리

9 창업기업의 안정적 성장 기반 확충 중기 조달

10 창업벤처 자금조달을 투자 중심으로 전환 중기

11 창업벤처 부담 및 규제 혁신 중기

소상공인 일자리 12 소상공인 생업안전망 확충 중기

제조업 일자리13 제조업 활력 회복 산업

14 중견기업경쟁력 강화(성장대책 수립추진) 산업 중기

공공 일자리 사업 등을

통한 고용여력 뒷받침

15 공공기관 인력충원 기재

16 정부기관 근무혁신 인사

적극적인 노동시장정책

및 고용안전망 완성17 구직촉진지원제도 개편 고용

맞춤형 지원

18 고용장려금 제도 개편 고용

19 신중년 창업 활성화 중기 고용

20 여성일자리 인프라 구축 고용 여가

자료 일자리위원회관계부처 합동(20200309) 사람중심경제를 실현할 후반기 일자리정책 추진 방향」 제14차 일자리

위원회 1호 의결안건 88-96쪽

영역 세부과제

일자리 중심 국정운영 시스템

강화

(1) 협력거버넌스 보완운영 지역혁신(고용) 중소기업지원(중기) 인재양성(교육) (2) 고용영향평가 강화(고용) (3)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혁신(고용 기재) (4) 일자리 관련 입법의 신속추진 지원(고용 법제) (5) 고용창출 우수기업 인센티브포상(고용) (6) 일자리 통계 확충(통계)

지역 일자리

(7) 상생형 지역일자리 발굴확산 추진(산업) (8) 산업단지 대개조 계획 후속조치(산업 국토) (9)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지원(고용) (10) 지역혁신성장 추진(산업) (11) 규제자유특구 확대(중기) (12) 연구개발특구 확대 및 연구소기업 육성 활성화(과기) (13) 대학의 지역혁신 역량 강화(교육) (14) 금융서비스 경쟁촉진 및 혁신인프라 구축(금융) (15) 이전공공기관 지역인재 채용 확대(국토 기재) (16) 국가혁신클러스터 육성(산업 국토) (17) 혁신도시 등 지역성장 거점 육성(국토) (18) 도시재생 일자리 창출(국토)

신산업middot서비스 일자리

(19) 혁신 신산업 분야 민간투자 촉진(과기) (20) SW혁신융합을 통한 신성장동력 창출(과기) (21) 과학기술기반 고급 일자리 창출(과기) (22) 신산업육성 및 시장창출을 위한 규제정비(국조 과기 산업 중기) (23) 지식서비스 육성 활성화(산업 특허 중기) (24) lsquo사람중심의 돌봄경제rsquo 육성 등 통합돌봄 서비스(복지) (25) 영유아 보육교육서비스(복지 교육) (26) 콘텐츠산업육성 및 문화여가서비스 확대(문체) (27) 환경서비스(환경)

lt표 2-26gt 문재인 정부 후반기 일자리 정책 100대 과제

5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영역 세부과제

중소middot벤처 일자리

(28) 스마트 대한민국 구축(중기 금융) (29) 중소기업 창업 및 성장기반 정비(중기) (30) 중소벤처기업 대상 금융연구개발기술보호판로 등 지원 확대 강화(금융 중기) (31) 세계 4대 벤처강국 구현을 위한 스케일업 강화(중기) (32) 고급인력 기술창업 활성화(중기 교육 과기) (33) 지역 중소기업의 혁신성장 촉진(중기) (34) 중소기업의 선제적인 사업구조 개선 지원(중기) (35)자발적 상생협력 문화 확산(중기)

소상공인 일자리(36) 온라인 진출 스마트화 등 혁신 지원 등(중기) (37) 지역상권 활성화(중기) (38) 소상공인 사회안전망 및 재기 지원 강화(중기)

제조업 일자리

(39) 주요 프로젝트 집중지원으로 민간투자 적기 이행 지원(산업 국토) (40) 생산성 향상 지원 신산업육성 주력산업 혁신을 통한 일자리 창출(산업 중기 복지 국토) (41) 제조 중견기업 및 소부장 집중육성을 통한 고용여력 확대(산업 기재 과기 중기) (42) 소비트렌드 변화에 따른 성장산업 발굴육성(농식품 해수) (43) 세계시장 진출 및 수출 지원 강화(산업 중기) (44) 해운조선산업 경쟁력 강화(해수 산업) (45) 외국인투자 및 유턴제도 개편(산업) (46) 방위산업 진흥(방사청)

건설 일자리(47) 건설산업 경쟁력 강화(국토) (48) 양질의 건설일자리 창출을 위한 환경조성(고용 국토)

사회적경제 일자리

(49) 인프라 고도화를 통한 사회적 경제 기업 스케일업 촉진(기재 고용 중기) (50) 사회적경제 지원체제 정비(기재 고용 행안) (51) 사회적경제 전문인력 양성 시스템 구축(기재 교육 고용) (52) 혁신형 사회적경제 모델 발굴확산(기재 교육 고용) (53) 사회서비스분야 사회적 경제 역할 강화(복지) (54) 분야별 커뮤니티 기반 일자리 창출(문체 환경 농식품 산림 해수) (55) 사회적 경제 금융접근성 제고(금융 기재) (56) 사회적가치 실현체제 구축(기재)

공공 일자리 사업 등을 통한 고용여력

뒷받침

(57) 주요 일자리 사업 조기 집행(고용 복지 행안) (58) 현장민생공무원 국가직 10만명(행안 기재) (59) 현정민생공무원 지방직 74만명(행안) (60) 사회서비스 1단계 17만명(복지) (61) 사회서비스 2단계 17만명(복지) (62) 간접고용의 직접고용 전환 등(고용 기재 인사) (63) 사회서비스 일자리(복지) (64) 노인일자리 사업 개편(복지)

공정한 노동시장 구축 및

일터 혁신

(65) 공정한 채용관행 확산(고용) (66) 공정임금체계 확립(고용) (67) 직무중심 임금체계 확산 지원(고용) (68) 공공기관 및 공무직 임근체계 개편(기재 고용) (69) 임금복지 격차 완화(고용) (70) 사회적 대화 지원 활성화(고용) (71)노동존중사회 기본계획 수립(고용) (72) 임금보장 강화(고용 국토) (73) 노동시간단축 현장 안착 및 일터 혁신(고용) (74) 산업안전 혁신(고용) (75) 고용산재보험 사각지대 해소(고용) 76(고용산재보험 보호수준 강화(고용) (77) 산업보건 사각지대 해소(고용) (78)일생활 균형 고용근로 문화 확산(고용) (79) 기간제 사용 최소화를 위한 제도 개선(고용) (80) 정규직 채용 여건조성(고용) (81) 비정규직 차별 적극적 해소(고용) (82) 사내하도급 근로자특수형태근로종사자 보호(고용) (83) 비정규직 의견 참여 통로 확대(고용)

적극적 노동시장정책 및 고용안전망 완성

(84) 적극적 노동시장정책 강화(고용 교육) (85) 공공고용서비스 혁신(고용) (86) 국민취업지원제도(고용)

맞춤형 지원

(87) 청년사업 확충(기재 고용 국조 교육 문체) (88) 공공기관 청년고용 확대(고용) (89) 청년의 해외짙울 촉진(고용 외교) (90) 청년진출 유망 신직업 발굴 및 관련 인프라 구축(고용) (91) 40대신중년 등 맞춤형 지원(기재 고용) (92) 여성(여가 고용) (93) 장애인(고용) (94) 농어촌(농식품 해수) (95) 외국인력 적정관리 체계 구축(고용)

인적자원개발 및 미래변화 대비 등

중장기 이슈에 대응

(96) 직업능력개발 강화(교육 국토 환경 고용) (97) 혁신성장을 이끌어 갈 고급융합 전문인력 양성(교육 과기 산업) (98) 국가기술자격 개편 및 역량체제 구축(고용) (99) 플랫폼경제 도래에 대한 대비(고용) (100) 저탄소경제녹색경쟁력 강화를 위한 민간투자 활성화 지원(환경 산업)

자료 일자리위원회정부부처 합동(202039) 사람중심경제를 실현할 후반기 일자리정책 추진 방향 p88-96

59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나 부처별 보완 및 신규 과제

문제인 정부 후반기 일자리 정책은 기 완료된 과제를 제외하고 20개의 신규 과제

와 30개의 기존 과제를 보강하여 10대 분야 100개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우선 신

규과제는 중소벤처기업부 소관 과제 6개 고용노동부 4개로 다수를 차지한다 산업

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농림축산식품부 등의 부처 과제는 3개이다 이러한 신규

과제는 기 완료한 과제들을 대체하는 것으로 지역과 민간부문 일자리로 일자리 창

출의 실효성을 높이려는 방향을 나아가고 있으며 동시에 고용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동정책을 강화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영역 세부과제 관련 부처

지역 일자리

1 산업단지 대개조 계획 후속 조치 산업 국토

2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지원 고용

3 대학의 지역혁신 역량 강화 교육

신산업서비스 일자리

4 지식서비스 육성강화산업 특허

중기5 사람중심의 돌봄경제 육성 등 통합 돌봄 서비스 복지

6 영유아 보육교육 서비스 복지 교육

중소벤처 일자리

7 스마트 대한민국 구축스마트 공장서비스상점 기반 조성 중기환경안전투자 지원프로그램 운영 강화 금융

8 세계 4대 벤처 강국 구현

을 위한 스케일업 강화

대규모 벤처투자 유치를 위한 환경 조성

중기유니콘 기업육성 지원체계 마련도약기업의 스케일업 집중 지원

9 중소기업의 선제적인 사업구조 개선 지원 중기

소상공인 일자리10 온라인 진출 스마트화 등 혁신 지원 중기11 지역 상권 활성화 중기

제조업 일자리

14 주요 프로젝트 집중지원으로 민간투자 적기 이행 지원 산업 국토

15 소비트렌드 변화에 따

른 성장산업 발굴육성

식품산업 농식품

수산가공업 해수

사회적경제 일자리16 분야별 커뮤니티 기반

일자리 창출

지역고유특색의 관광사업체 육성 문체생태 관광 환경

농업의 사회적 기능 확산 농식품

공동체 중심의 산림비즈니스 육성농식품 산림

해수

공공 일자리 사업 증을

통한 고용여력 뒷받침17 노인일자리 사업 개편 복지

공정한 노동시장 구축

및 일터 혁신

18 직무중심의 임금체계 확산 지원 고용19 공공기관 및 공무직 임

금체계 개편

공공기관 기재 고용

공무직 고용

적극적인 노동시장정책

및 고용안전망 완성20 국민취업지원제도 고용

자료 일자리위원회관계부처 합동(202039) 사람중심경제를 실현할 후반기 일자리정책 추진 방향 p88-96

lt표 2-27gt 문재인 정부 후반기 일자리 정책 신규과제

6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한편 lt표 2-28gt은 문재인 정부 전반기의 일자리 정책 5년 로드맵에 제시되었던

정부의 추진 과제들의 실효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보완된 과제들이다 부처별로 고

용노동부 16개 중소벤처기업부 9개 산업통상자원부 6개 교육부 5개 보건복지부

와 기재부 각 4개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보완 과제는 일자리 창출을 좋은 일자리를

만드는 데에 역점을 두는 방향으로 보완한 것이다 특히 지역과 개인의 특성을 고려

하여 인적자원의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를 줄이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청년 신중

년 여성 및 장애인 농어촌 등의 일자리와 개인이 처한 여건을 반 하고 있다 그리

고 건설 및 사회적middot경제적 분야 이외에 신산업 육성 생산성 향상 혁신성장 직업능

력개발 고급융합 인력양성 등의 보완은 포용적이면서도 좋은 일자리 창출을 지향

하는 것이다

영역 세부과제 관련 부처

일자리 중심 국정운영

시스템 강화

1 협력적 거버넌스 보완운영

지역혁신 고용

중기지원 중기

인재양성 교육

지역 일자리2 상생형 지역일자리 발굴middot선정middot지원middot확산 추진 산업

3 연구개발특구 확대 및 연구소기업 육성활성화 과기

신산업서비스 일자리

4 혁신 신산업 분야 민간투자 촉진 과기

5 신산업육성 및 시장창출을 위한 규제 정비 국조 과기 산업 중기

6 콘텐츠 산업육성 및 문화여가 서비스 확대 문체

7 환경서비스 환경

중소벤처 일자리

8 중소벤처기업 대상 금융연구개발기술보호판로 등 지원

확대 강화금융 중기

9 지역 중소기업의 혁신성장 촉진 중기

10 자발적인 상생협력 문화 확산 중기

소상공인 일자리 11 소상공인 사회안전망 및 재기 지원 강화 중기

제조업 일자리

12 생산성 향상지원 신산업육성 주력산업 혁신을 통한 일

자리 창출산업 중기 복지

13 제조 중견기업 및 소

부장 집중육성을 통

한 고용여력 확대

제조중견기업 경쟁력 강화 산업

소부장 분야 맞춤형 패키지

지원 강화기재 과기 산업

건설 일자리14 건설산업 경쟁력 강화 국토

15 양질의 건설일자리 창출을 위한 환경조성 고용 국토

lt표 2-28gt 문재인 정부 후반기 일자리 정책 보완 과제

61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23 국내 미래 일자리 창출 정책

미래의 일자리 환경은 그간 경험하고 논의해 온 것과 새롭게 출현할 것이 있다

전자는 인구구조 변화와 디지털 전환과 관련되는 것으로 그동안 많은 논의가 있어

왔다 후자는 최근에 발생한 코로나19 이후 인간의 삶의 변화에 대한 문제이다 이

들은 과거 고도성장 시대와 사뭇 다른 것으로 미래의 불확실성을 매우 높이고 있다

미래의 일자리 창출 정책은 이들의 세 가지 관점에서 정리할 수 있다

영역 세부과제 관련 부처

사회적경제 일자리

16 인프라 고도화를 통한 사회적경제 기업 스케일업 촉진 기재 고용중기

17 혁신형 사회적경제 모델 발굴확산 기재 고용 중기

18 사회서비스분야 사회적경제 역할 강화 복지

공공 일자리 사업

등을 통한 고용여력

뒷받침

19 주요 일자리 사업 조기 집행 고용 복지 행안

20 사회서비스 일자리 복지

공정한 노동시장구축

및 일터혁신21 산업보건 사각지대 해소 고용

적극적인

노동시장정책 및

고용안전망 완성

22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 강화

일자리예산 및 사업범위 지속

확대고용

일자리사업 성과중심 평가 강화 고용

신기술분야 훈련 지속 확산 교육 고용

23 공공고용서비스 혁신 고용

맞춤형 지원

24 청년 사업 확충

청년 3대 핵심 사업의 내실화

도모기재 고용 국조

청년 취업지원 및 구직 서비스

강화확대고용

콘텐츠산업 청년 취창업 지원 문체

25 40대신중년 등

맞춤형 지원

40대 기재

신중년 고용

26 여성 여가 고용

27 장애인 고용

28 농어촌농촌 일자리 창출 확대 농식품

어촌 일자리 창출력 강화 해수

29 직업능력개발 강화평생 직업교육훈련 기반 조성 교육 국토 환경 고용

기업산업 맞춤형 훈련 확산 교육

30 혁신성장을 이끌어 갈 고급융합 전문인력 양성 교육 과기 산업

자료 일자리위원회middot관계부처 합동(202039) 사람중심경제를 실현할 후반기 일자리정책 추진 방향 p88-96

6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가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

인구구조 변화는 저출산middot고령화로 인하여 고령자의 비율 증가와 함께 생산가능인

구의 규모를 빠르게 감소하는 것으로 중장기적인 인적자원 수급에 향을 미칠 전

망이다 장수사회에 노인들이 일할 기회를 창출하고 여성들의 경제활동을 촉진하

는 것은 인구의 경쟁력을 높이는 미래의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먼저 고령자를 위한 일자리이다 우리나라의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로 5060세대는 2016년 1340만 명에서 2027년까지

1667만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것은 고령자를 위한 일자리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음을 의미한다10) 노인을 위한 일자리 창출은 개별 노인들의 당면한 특

성과 여건을 고려하여 재취업 창업 농어촌 귀환 사회공헌 등 네 가지의 세부 유형

이 있다11) 신중년 재취업 정책은 고용노동부가 고용복지센터 고용센터 중장기일

자리희망센터 고령자은행센터 워크넷 등에서 취업을 지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함과

아울러 신중년 친화적인 직무개발 및 작업환경 개선을 추진하는 것이다 창업은 과

밀업종 진입을 억제하고 특화 및 비생계형 업종의 틈새시장에서 일어나도록 유도하

고 신중년의 경험 및 제조업 기반기술 청년의 아이디어middotICT 기반 신기술 결합 등

의 세대 간 융합을 지원하는 데에 초점이 있다 농어촌 귀환은 신중년들이 농어업을

미래지향적인 융middot복합 산업으로 전환하는 데 기여하고 농어촌 환경을 개선하기 위

한 정책 프로그램이다 마지막으로 신중년 사회공헌 프로그램은 고학력의 전문성을

갖춘 신중년들의 역량을 자원봉사 및 사회적 기업 경 참여 등을 통해서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이다12) 이와 같이 퇴직자들의 경험과 노하우를 활용하는 전략

은 미래의 노동력 감소에 대응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10) 우리나라의 노인 빈곤율은 OECD 국가들 중 가장 높은 반면 기초연금은 매우 취약하고(김형만middot최영섭middot노

대명 2018 49) 다수의 노인들은 일을 통하여 좋은 삶을 이어가기를 원하고 있다(관계부처 합동

201788 1)

11) 이것은 정부가 신중년이라 칭하는 5060세대를 대상으로 생애경력설계 직업교육훈련 취middot창업 및 귀농middot

귀촌 사후관리 등의 단계별 서비스 제공과 이직 및 전직 서비스 및 관련 맞춤형 직업훈련 등의 고용서비

스 또는 노후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관계부처 합동 201788 11-14 저출산middot고령사회위원회

(201812 32-34)

12) 최근 정부는 중소middot준견기업 컨설팅 중소기업 등에 재취업 교middot강사 육성 및 숙련전수 4차 산업혁명 기술

기반 숙련 축적middot전수 공공middot사회서비스에 전문성 활용 전문 봉사활동과 연계 중소기업 및 전문인력 활용

을 위한 고용서비스 퇴직 전문인력 DB 구축 등의 퇴직 전문인력 활용 방안을 구체화 하였다(관계부처

합동 2020515)

63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다음은 여성 일자리이다 여성의 일자리 창출과 일자리 질도 장수시대에 급감하

는 노동력을 확보한다는 차원에서 중요한 과제이다 하지만 여성의 경제활동참가는

성차별 출산 등으로 인한 노동시장 제약이 매우 큰데 이는 미래에 해결해야 할 사

회문제이다 여성 일자리와 관련한 정책은 출산 및 육아 일자리 차별 경력단절과

관련된다 출산과 육아와 관련한 정책은 출산 전후 휴가 확대 부부 육아휴직 확대

아이 돌봄 지원서비스 강화 등을 통하여 일과 생활의 균형을 위한 일자리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13) 일자리 차별은 오랫동안 남성 중심의 노동시장 특성에 기인하

는 것으로 최근의 양성평등의 중요성이 제기 되고 있는 현실을 반 하여 남녀 평등

한 노동환경을 마련하는 것이 요체이다14) 여성의 경력단절은 일자리와 관련해서

지역특화 통합사례 관리 경력단절 여성 DB 구축 여성가족형 사회적 기업 지원 등

재취업과 관련 일자리 기반을 확대하는 것에 초점이 있다15) 이외에도 인구구조의

변화와 관련해서 청년과 중장년 근로자들의 일자리도 매우 중요하다 이들에게는

일자리의 질을 개선함에 의해 노동시장에서 인력수급 또는 숙련의 미스매치를 해결

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울러 혁신을 통한 기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도 비록

일자리의 질과 매우 밀접하게 관련된다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하는 일자리 정책은

종합적이면서도 중장기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나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에 대응

디지털 전환은 산업의 자동화를 넘어서 생산과 소비 사람과 기계 그리고 일과

삶의 역 등의 전반에 향을 미친다 소위 4차 산업혁명으로 명명되는 이러한 시

대적 전환은 미래에 전통적인 일자리의 생존주기를 단축시키고 새로운 일자리가 등

13) 일자리 위원회가 제시한 100대 과제에서는 여성이 일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대책으로 휴가와

돌봄을 지원하는 내용이 제시되어 있고(일자리위원회middot관계부처 합동 202039 74) 저출산middot고령사회

위원회의 로드맵에서도 남성육아 확대 일-생활 확산 인센티브 휴가 등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관계부

처 합동 20181221)

14) UN에서 각국이 2030년까지 달성을 추구하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17개 중에서 우리나라의 성평

등(gender equality) 항목은 매우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UN 2020 41) OECD 국가의 평균에 훨씬

미치지 못하는 현상이 지속되고 있는 것이다(OECD 2017 43) 이것은 우리나라에서 성평등 문제는 향

후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임을 의미한다

15) 「제3차 경력단절여성등의 경제활동촉진 기본계획(2020-2024)」은 재직 여성의 경력단절 예방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 일자라지원 돌봄 전달체계 및 제도 등의 5개의 정책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관계부처

합동 20202)

6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장할 것임을 예고하는 것이다 따라서 미래 4차 산업혁명에 대비는 기존의 일자리

신산업 일자리 그리고 인적자원 역량의 세 관점에서 조망할 수 있다

첫째 기존 일자리의 유지는 제조업을 중심으로 경제의 근본을 이루는 힘을 보존

하는 것이다 정부는 주력 산업 중심 제조업의 변혁을 통하여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 다(관계부처 합동 2019619) 정부의 추진 전략

은 ① 스마트화 친환경화 융middot복합화로 산업구조 혁신 ② 신산업을 새로운 주력산

업으로 육성함과 아울러 기존 주력산업을 혁신 ③ 산업생태계를 도전과 축적 중심

으로 개편 ④ 투자와 혁신을 뒷받침 하는 정부의 역할 강화 등의 네 가지를 제시하

고 있다16) 이 중에서 도전과 축적 중심의 생태계 조성은 제조업이 필요로 하는 인

적자원을 적기에 양성middot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산업수요 기반 공학교육 혁

신 평생교육 및 재직자훈련 기회 확대 청년과 고령자를 위한 일터혁신 등이 주된

내용이다 이와 같은 정부가 제시하고 있는 제조업 르네상스는 전통적인 주력산업

과 기타 제조업이 4차 산업혁명의 물결에 순응하기 위한 혁신을 통해 일자리를 유

지middot확대하는 것과 밀접하게 관련되는 것이다

둘째 신산업 일자리는 「제7차 산업기술혁신계획」에서 구체화되고 있다17) 이

계획은 25개의 분야에 100대 핵심 기술개발에 투자를 기획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

술 투자는 도전과 축적에 의한 일자리 창출을 기대하는 것들이다 산업혁신을 선도

하는 기술개발 체계는 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드는 파괴적 기술을 도출하는

도전적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계획은 미래를 선도할 핵심기술을 장기

간에 걸쳐 개발middot축적하는 lsquo산업기술 축적 거점사업rsquo을 구상하고 있다 공공연구기관

과 대학이 핵심기술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하는 것은 고급인적자원을 활용할 기

반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도전과 축적의 전략은 혁신의 기반이 되는 인력양성

에 기반을 두고 있다 연구개발의 제도정비와 함께 산업 인공지능 산업보안 스마

16) 정부는 제조업 부활을 위한 비전으로 `세계 4대강국` 도약을 비전으로 두고 부가가치 25 신산업신품

목 16 일류기업 573개사 수출 6위 등의 목표를 설정하고 산업구조를 추격형에서 선도형으로 산업생

태계를 위험기피에서 도전과 축적으로 그리고 성장의 핵심요소로 자본에서 기술과 사람으로 패러다임

전환을 추구하고 있다(관계부처 합동 2019619 3)

17) 동 계획의 비전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글로벌 기술 강국으로 도약`을 그리고 목표는 2017년 실적에서

2023년까지 `주력산업의 세계시장 점유율 85rarr12 신산업 1위 대비 기술수준 80rarr84 GDP대

비 기업 RampD투자 비중 36rarr43 산업체 연구개발인력 비중 94rarr12 대학middot공공 기술이전율

38rarr43` 등으로 향상시키는 것에 두고 있다(산업통상자원부 20193 14) 이것은 일자리에 필요한

인력양성과 활용에 기반을 두는 것이다

65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트엔지니어링 등 신산업 분야 공학 인력양성 대학 내에 기업연구관 및 기업지원센

터 설치 등이 구체적인 내용이다

영역 산업분야

수송 전기middot수소자동차 자율주행차 친환경스마트 조선해양 플랜트 차세대항공(드론포함)

건강관리 디지털헬스케어 맞춤형 바이오 진단middot치료 스마트의료기기

생활 스마트홈 서비스로봇 웨어러블디바이스 미래형디스플레이 지능정보서비스

에너지middot환경수소에너지 재생에너지(태양광 풍력) 지능형전력시스템 에너지효율향상 청정생산

원자력 안전 및 해체

제조 첨단소재 차세대반도체 첨단 제조 공정middot장비 스마트산업기계 스마트엔지니어링 3D 프린팅

자료 산업통상자원부(20193) 제7차 산업기술혁신계획(2019-2023)

lt표 2-29gt 정부의 투자전략 대상 산업 분야

셋째 인적자원 역량은 미래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일자리위원회는 미래 사회의 트렌드에 대비하기 위하여 후반기

일자리 대책으로 사람투자를 제시하고 있다 사람투자 정책은 교육훈련 기회 혁신

선도 산업수요 대응 등의 세 역에서 10대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교육훈련은 누

구도 낙오되지 않게 하는 포용적 접근을 위한 평생교육훈련 스마트 교육훈련 학생

교육 기회 재직자 교육 등 모든 계층의 교육훈련 기회를 확장하는 데에 초점이 맞

추어져 있다 혁신선도는 미래산업 주력산업 중소기업 등의 산업의 특성에 상응하

는 인재양성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산업수요 대응은 기존의 일학습병행제 민간직

업훈련 재직자 신기술 훈련의 세 축이다 이와 같은 세 역의 총 10개 과제는 미

래에 대비하여 인적자원의 질을 제고하여 산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개인에게는

평생고용의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사람투자는 미래를 위한 혁신과 포용을

지향하는 일자리 정책의 중요한 부분이다

다 코로나19의 이후 새로운 패러다임에 대응

최근 등장한 코로나19는 인구구조 변화 및 디지털 혁명에 대응하여 패러다임 전

환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심각한 경기하강과 불확실한 미래를 야기하고 있다 한국

에서는 코로나19 대응에 최선을 다하는 성과가 있었다18) 그 결과 2020년 전반기

6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의 실질GDP는 대다수 국가에서는 하락하 지만 한국(KOR)의 하락폭은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다(OECD 2020a)

그럼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 충격에 대비한 미래의 일자리 정책은 기존의 인구

구조 및 디지털 변화에 더하여 새로운 전략을 필요로 한다 정부는 최근 코로나19

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여 한국판 뉴딜을 발표하 다

18) UN은 지속가능발전목표를 코로나19에 통제지표를 만들어 국가별로 비교한 결과에 의하면 한국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UN 2020 20)

영역 분야 과제예산(조원)

일자리(만개)

디지털

뉴딜

DNA 생태계

강화

(1) 국민생활과 밀접한 분야 데이터 구축middot개방middot활용

(2) 1middot2middot3차 전산업으로 5GmiddotAI 융합 확산

(3) 5GmiddotAI 융합 확산

(4) K-사이버 방역체계 구축

582 903

교육인프라 디지털

전환

(5) 모든 초중고에 디지털 기반 교육 인프라 조성

(6) 전국 대학middot직업훈련기관 온라인 교육 강화

비대면 산업 육성

(7) 스마트 의료 및 돌봄 인프라 구축

(8) 중소기업 원격근무 확산

(9) 소상공인 온라인 비즈니스 지원

SOC 디지털화

(10) 4대 분야 핵심 인프라 디지털 관리체계 구축

(11) 도시middot산단의 공간 디지털 혁신

(12) 스마트 물류체계 구축

그린 뉴딜

도시middot공간middot생활

인프라 녹색 전환

(13) 국민생활과 밀접한 공공시설 제로에너지화

(14) 국토middot해양middot도시의 녹색 생태계 회복

(15) 깨끗하고 안전한 물 관리체계 구축

734 659저탄소middot분산형

에너지 확산

(16) 에너지 관리 효율화 지능형 스마트 그리드 구축

(17) 신재생에너지 확산기반 구축 및 공정한 전환 지원

(18) 전기차middot수소차 등 그린 모빌리티 보급 확대

녹색산업 혁신

생태계 구축

(19) 녹색 선도 유망기업 육성 및 저탄소middot녹색산단 조성

(20) RampDmiddot금융 등 녹색혁신 기반 조성

안전망

강화

고용middot사회 안전망

(21) 전국민 대상 고용안전망 구축

(22) 함께 잘 사는 포용적 사회안전망 강화

(23) 고용보험 사각지대 생활middot고용안정 지원

(24) 고용시장 신규진입 및 전환 지원

(25) 산업안전 및 근무환경 혁신 284 339

사람투자

(26) 디지털middot그린 인재 양성

(27) 미래적응형 직업훈련 체계로 개편

(28) 농어촌middot취약계층의 디지털 접근성 강화

자료 관계부처합동(2020714)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 선도국가로 도약하는 대한민국으로 대전환

lt표 2-30gt 한국판 뉴딜의 투자계획 및 기대 일자리 창출 효과

67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정부는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수요의 급증과 함께 디지털 경제로 전환이 가속

화 저탄소middot친환경 경제에 대한 요구 증대 경제middot사회구조의 양극화 심화 등의 구조

변화가 나타날 것으로 진단하 다 이러한 코로나19로 인한 충격의 가장 큰 부분은

경제의 불확실성과 그로 인한 일자리 위축이 될 것이다 정부의 「한국판 뉴딜」에는

디지털 뉴딜 그린 뉴딜 사회안전망 강화의 세 분야에서 일자리 창출을 중요하게

포함하고 있다 디지털 뉴딜은 DNA(Data-Network-AI) 생태계 강화 교육인프

라 디지털 전환 비대면 산업 육성 사회간접자본(SOC) 디지털화 네 역에서 총사

업비 582조 원을 투입하여 903만 개의 일자리 창출을 계획하는 것이다

그린 뉴딜은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미래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lsquo도시middot공간middot생

활 인프라 녹색 전환rsquo 미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lsquo저탄소middot분산형 에니지 확산rsquo 기

후 및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lsquo녹색산업 혁신생태계 구축rsquo 등 세 역에 총

734조 원을 투자하여 일자리 659만 개를 창출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사회안전망 강화는 구조전환에 따른 불확실성에 대응하여 고용middot사회

안전망 확충에 226조 원을 그리고 디지털middot그린 인재양성 등의 사람투자에 4조 원

을 투입하여 339만 개의 일자리 창출을 도모하고 있다 종합하면 2025년까지 총

160조 원을 투입하여 190만 개의 일자리 창출을 목표하고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코로나19의 충격에 대한 대응은 경제 및 사회의 전반에 불확실성을

가중시키는 데에 대한 대응책이다 특히 비대면 경제 및 사회활동의 증가와 함께

친환경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의 일자리 정책은 디지털 혁신에 대응하면서도

동시에 사회적 안전망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24 관광산업 일자리 정책

문화체육관광부의 관광 일자리 정책은 주로 예비 종사자와 종사원 역량 강화에

초점을 두고 추진되고 있다 관광 일자리 활성화를 위해서 문화체육관광부는 관광

산업 일자리 박람회 관광일자리센터 지역관광일자리 활성화(지역관광기업지원센

터 구축 산학협력프로젝트 등) 등을 통해 관광산업 일자리 정보 교육 및 훈련 등을

제공하고 있다

6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단위 백만원)

구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관광산업

일자리

활성화 및

단체지원

(직접

일자리

정책)

- 관광전문 인력교육

(110)

- 관광전문 인력양성

(207) - 관광전문 인력양성

(947)

- 관광전문 인력양성

(1398)- 호텔아카데미 육성

지원 (438)

- 호텔아카데미 육성

지원 등 (428)

- 관광안내 인력교육

(97)- 관광통역안내사

교육 및 카지노

아카데미 (567) - 종사원 전문 역량

강화 (210)

- 종사원 전문 역량강

화 (660) 미래형

관광인재 육성(대학

대상 미래형 관광교

육기관 선정 빅데

이터 통계 연계)19)

- 관광통역안내사

교육(514)

- 카지노리조트

아카데미(53)

- 관광숙박 종사원 교

육 및 진흥지원(60)

- 관광숙박 종사원 교

육 및 진흥지원(60)

- 관광산업 종합채용

박람회 개최 등

지원 (822)

- 관광산업 종합일자

리 박람회 등(700)

- 관광산업 일자리

활성화(3900)

- 관광산업 일자리

활성화(7400)

관광사업

창업지원 및

벤처 육성

(간접

일자리

정책)

- 관광기업 발굴 및

지원 (2200)

- 관광사업 발굴 및

지원 (2090)

- 관광사업 발굴 및

지원 (3402)

- 관광사업 발굴 및

지원 (8514)

- 관광분야 중소기업

투자유치 활성화

지원 (1550)

- 관광분야 중소기업

투자유치 활성화

지원 (987)

- 관광분야 중소기업

투자유치 활성화

지원 (944)

- 관광분야 중소기업

투자유치 활성화

지원 (10750)

-

- 관광산업 종합정보

지원체계 구축

(2000)

- 관광산업 종합정보

지원체계 구축

(2400)

- 관광산업 종합정보

지원체계 구축

(2200)

- 관광기업육성펀드

(15000)

- 관광기업 육성펀드

조성 (17000)

- 관광기업 육성펀드

조성운영(13000)

- 관광기업 육성펀드

조성운영(30000)

자료  문화체육관광부 각년도 관광부문 재정집행계획

lt표 2-31gt 2018~2020년 일자리 관련 관광산업정책

또한 미래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관광사업 창업지원 및 벤처 육성 지원을 추진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2020년 기준 관광사업 발굴 및 지원(8514백만원) 관광분

야 중소기업 투자유치 활성화 지원(10750백만원) 관광산업 종합정보 지원체계 구

축(2200백만원) 관광기업 육성펀드 조성운용(30000백만원)을 하고 있다

19) 2020년 하반기에 관광 미래인재 100명(교육기관 당 33~34명)의 대학(원)생을 선발 정규 이론 교육과

산학 프로젝트를 통한 실무 중심 교육 실시 160시간 이상의 교육 교육비 전액 국비 지원(한국관광공사

20200422)

69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최근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관광업계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문화체육관광부

는 관광산업의 지역소비 여력 확충과 더불어 고용 유지 지원을 위해서 고용 유지

지원금 지원 요건을 완화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관광업계 종사원을 위한 교육 지원

을 추진하고 있다

구분 내용

고용유지지원금 - 코로나19 피해기업에 대한 고용유지지원금 지원요건 완화 시행(129일~)

교육지원

- 재정비 기간 중 관광업계 종사원 교육 지원 추진

lsquo찾아가는 호텔교육(rsquo20년 신규 100개소)rsquo lsquo마이스전문가 양성 교육(300명)rsquo

lsquo유원시설 안전관리자 교육(100명)rsquo 등 조기추진(3월~)

자료 관계부처합동(20200217) 코로나19 대응 관광middot외식업 긴급 지원방안

lt표 2-32gt 코로나19 대응 관광산업 고용유지지원 정책

문화체육관광부는 일자리 할인소비쿠폰 한국판 뉴딜사업 등의 정책 추진하고

있다 특히 문화체육관광부는 문화예술middot관광middot 화 분야 일자리를 위해 일자리 창

출을 위한 다음과 같은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사업 내용 예산(825억 원)

공연예술분야 인력지원 연극뮤지컬middot음악middot국악middot무용 분야 보조인력 288억 원

관광지 방역middot수용태세 개선 관광지 방역middot생활방역수칙 지도 354억 원

공연장 방역안전지킴이 중소규모 공연장 방역안전인력 지원 31억 원

예술자료 수집 및 디지털화 예술 관련 기록 자료 디지털화 33억 원

애니메이션 디지털 아카이빙 애니메이션 데이터 수집middot기록middot보존 등 아카이빙 39억 원

현장영화인 직업훈련 지원 영화인 직무재교육 실시 및 훈련지원금 지급 10억 원

뉴미디어 영상콘텐츠 제작 지원 영화middot방송 인력 활용 숏폼 뉴미디어 콘텐츠 제작 70억 원

자료 문화체육관광부(20200703)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문체부 3차 추경 3469억 원 확정(보도자료)

lt표 2-33gt 일자리 창출을 위한 문화체육관광부 주요사업

7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3 해외 정책 사례

31 일본

가 정책 사례 검토의 기준

2010년대 초반 아베내각 재집권 이후 코로나19 사태 이전까지 일본의 일자리수

급 현황은 전반적으로는 구직난이 아니라 구인난에 놓 고 IT 산업분야 대면서비

스 분야에 있어서는 심각한 수준이다 특히 건설업이나 생활관련 서비스업 등에서

는 구인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취업자는 감소하여 심각한 인력난을 겪

게 되었고 정보통신업 의료 및 복지 교육 서비스 분야 등에 있어서는 지속적으로

인력수요가 증가하게 되었다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는 일자리 부족으로 인한 전반적인 구직난에 직면해 있으므

로 일본사례 검토를 통해 바람직한 시사점을 얻기 위해서는 2010년대 이후만을 대

상으로 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일본에서도 구직난으로 인해

고용창출 내지 일자리창출에 대한 정책적인 관심이 컸던 2000년대 초반부터의 흐

름을 살펴보고자한다 세부적으로는 2000년대 전반의 고이즈미 내각의 일자리 정

책 2010년대 초반 민주당 내각의 일자리 정책 2010년대 초반 이후 아베내각의

일자리 정책의 세 시기로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나 2000년대 전반 고이즈미 내각의 일자리 정책

1) 경제사회적 배경

2001년 4월 고이즈미 내각 출범과 함께 사회경제 전반에 걸친 성역 없는 구조개

혁이 슬로건으로 등장하 다 1980년대의 버블경제가 1990년대 들어 붕괴되면서

2000년대에 이르기까지 일본의 장기불황이 지속되었고 이에 따라 일본경제를 부

흥시키기 위한 다양한 정책적 노력이 추진되었다(内閣府 20016) 서비스경제화의

진전 고용인력 및 고용형태의 다양화 등에의 정책적 대응이 강력하게 요구되고 경

기불황으로 구직난이 심화되어 적극적인 일자리 창출이 어느 시기보다 강력하게 요

구되었다는 점에서 현재의 우리나라 상황과 매우 유사한 시기로 볼 수 있다

71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사회적으로는 일본경제의 고도 성장기를 거치면서 인구의 대도시 집중이 심화되

었고 이로 인해 지방 공동화 지방 인구의 급격한 감소 등으로 경제적사회적 측면

에서 지역 활성화가 일본사회의 긴급한 문제로 등장하 다 더불어 1990년대 들어

출생율 감소에 따른 인구감소 사회 및 고령화 사회에 본격적으로 진입함에 따라 다

양한 사회문제에 대한 대응 필요성이 일층 강조된 시기 다

2) 일자리창출 관련 정책

고이즈미 내각은 출범 이후 경제사회 문제에의 대응전략 수립을 위한 「경제재정

운용 및 구조개혁에 관한 기본방침」을 매년 발표하 는데 그 중 고용정책과 관련된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구분 고용 관련 주요 내용

금후의 경제재정운용

및 구조개혁에 관한

기본방침 (2001)

- 적극적인 구조개혁 추진이 미치는 고용에의 영향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성장 분야

확대 촉진 원활한 노동이동 및 노동력 재배치를 위한 환경정비 추진

자발적인 능력개발 지원

파견 기간제고용 재량노동 유연 취업 등 다양한 고용형태의 취업 가능토록

제도 개선

직업상담 충실화 및 직업훈련 원활화

- 신규 성장분야를 포함한 서비스산업에서 향후 5년간 530만명 고용창출 기대

경제재정운용 및

구조개혁에 관한

기본방침(2002)

- 고령자 젊은층 여성의 사회참여 지원 확대

유기노동계약 재량노동제 노동파견법 등의 개정을 통한 고용유연화 추진

젊은층의 계약직 고용 인턴십 등 직업체험 기회 확대

- 신산업 발굴 추진

환경에너지 정보가전 브로드밴드IT 건강바이오기술 나노기술재료 등

4개 분야의 기술개발 지적재산표준화 시장화 관련 전략 추진

- 수요창조형 생활산업 창출

환경 관광 식료 문화스포츠건강 등 산업의 활성화

경제재정운용 및

구조개혁에 관한

기본방침(2003)

- 고용제도 개선 관련

성장분야인 서비스산업에서 고용기회를 창출

젊은층 여성 고령자의 능력발휘 및 활력을 활용 장애자의 고용촉진

사회봉사활동 워크쉐어링 등 다양한 고용취업기회 제공

전국 일률적인 제도에서 지역 특성 및 자주성을 활용한 고용촉진에로 전환

- 고용기회 창출 관련

서비스산업 규제개혁 공적부문의 외부위탁 인재육성 지원 관광산업 육성 등

에 의해 9개 서비스분야 대상「530만 명 고용창출 프로그램」추진

건강서비스산업 문화산업 등의 지역산업 창출

창업에 의한 취업기회 증대를 위해 벤처기업 대상의 실습 및 지식습득 강좌 지원

대학 및 기업에 의한 벤처 지원을 통해 연구개발형 벤처 창출

lt표 2-34gt 고이즈미 내각의 연도별 고용창출 관련 정책추진 내용

7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고이즈미 정권의 고용창출 정책을 정리해 보면 몇 가지 특징을 살펴볼 수 있다

우선 비정규직 고용의 원활화를 도모하여 일자리를 확대하려한 점을 들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비정규직 일자리의 확대는 확연하게 증가하 으나 고용의 질이란 측

면에서 문제점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內閣府 200311) 나아가 전반적

으로는 고용 감소가 진행되는 가운데 규제완화 분야 및 신산업분야 서비스산업 분

야 등에서의 고용창출도 증가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구분 주요 내용

1) 고용형태의 다양화를 통한

고용창출

(비정규직 고용창출 증대)

- 유기계약 및 재량노동제 관련 노동기준법 개정

- 파견노동자에 관한 규제개혁

- 시간제노동자의 처우개선 시책

- 워크쉐어링 등의 일자리나누기 시책

- 주요대상 젊은층 여성 고령자 장애인 등

2) 신규middot성장분야 육성을

통한 고용창출

- 신공공서비스 확대를 통한 고용창출

- 신규middot성장 서비스분야 육성을 통한 향후 5년간 lsquo530만명 고용창출 프로그

램rsquo을 추진

- 7개 전략산업분야를 통한 고용창출

- 대학 및 기업에 의한 벤처 지원을 통한 고용창출

3) 지역특화된 사업분야를

통한 고용 창출- 복지 간호 교육 문화 환경보호 등 종래 공공서비스로 제공되던 분야

4) 고용창출 인프라 구축

- 직업상담 및 직업훈련의 충실화 및 원활화

- 취업지원 및 취업컨설팅 민간사업자 지원

- 노동이동 및 노동력 재배치를 위한 환경정비

lt표 2-35gt 고이즈미 정권의 고용창출 정책의 특징

구분 고용 관련 주요 내용

경제재정운용 및

구조개혁에 관한

기본방침

(2004)

- 젊은층의 도전 자립 프로그램 미취업자의 근로의욕향상

- 지역주도형 고용정책 추진을 위해 지자체 제안공모에 의한 경쟁적 선별적 지원

체계 도입

- 노동이동 원활화를 위한 취직지원 민간사업자활용 확대

- 신산업 창조전략 추진

7개 전략산업분야(연료전지 정보가전 로봇 콘텐츠 건강복지 관련 기기 및

서비스 환경에너지 관련 기기 및 서비스 비즈니스 지원서비스)와 지역 활성

화 산업군의 연계 및 육성을 위해 연구개발 인재육성 규제개혁 환경정비 등

의 중점 추진

산관학연계 강화를 통한 지역자원 활용 산업클러스터 계획 지적클러스터 조성

사업 추진

자료 内閣府(20016)「今後の経済財政運営及び経済社会の構造改革に関する基本方針」 内閣府(20026)「経済財政

運営及び経済社会の構造改革に関する基本方針2002」 內閣府(20036) 経済財政運営と構造改革に関する基本

方針2003(概要) 內閣府(20046) 経済財政運営と構造改革に関する基本方針2004

73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다 2010년대 초반 고이즈미 내각의 일자리 정책

민주당 내각이 출범한 직후에도 세계 경제위기에 따른 긴급고용대책이 강력히 요

구되었는데 2009년 집권한 하토야마 내각의 고용창출 정책의 기조는 2012년 말까지

의 민주당 내각에서 유사하게 추진되었는데 주요 고용정책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구분 주요 내용

내일의 안심과

성장을 위한

긴급경제대책

(2009)

- 고용긴급대응책 강화와 함께 경제성장을 위한 고용전략도 동시에 추진

- 고용유지를 지원하기 위한 고용조정조성금의 요건 완화

- 구직 중인 빈곤층의 최우선 지원 졸업예정자의 취직활동 지원 강화

- 성장분야를 중심으로 lsquo긴급고용창조프로그램rsquo 확충 도모

중점분야의 고용창출 간호 의료 농림 환경 및 에너지 정보통신 관광 지역사회고용 등

지역사회 고용창조사업 창출 NPO나 사회적기업가 등의 창업 및 사업화를 통해 지역사

회고용을 창출

4가지 지역고용창출 사업의 유형

① 사업 및 고용 계속성을 전제로 한 사업(지방고용재생특별기금사업)

② 간호 의료 농림 환경 관광 등에서 고용기회 창출 사업(중점분야 고용창출사업)

③ 실업자가 지역기업 취직에 필요한 지식이나 기술 습득 지원 사업(지역인재육성사업)

④ 지역 특성을 살린 중점적 산업진흥 및 고용창출을 위해 사업주 및 구직자 대상 인재

육성 연수 실시 사업주 대상 사업 확대 구직자 대상 취직 촉진 도모 사업(지역고용

창조추진사업(패키지사업))

관광을 통한 고용창출 건설업 및 해운사업 성장을 통한 고용창출

- 신산업창출 분야 그린에너지 의료 복지 농림어업 6차산업화 등

자료 内閣府(200912) 明日の安心と成長のための緊急経済対策 内閣府(201012) 新成長戦略 内閣府(201211)

日本再生加速プログラム

lt표 2-36gt 민주당 내각의 고용창출 관련 정책추진 내용

라 2010년대 초반 이후 아베내각의 일자리 정책

지속적인 인구감소 동경을 대표로 하는 대도시 집중화 지방의 경제 활성화 미흡

및 노동력 부족 등은 지금까지와는 다른 차원의 대응을 요구하게 되었고 지방에서

의 고용기회 확대 및 신규창출은 다양한 지방 문제 해결의 핵심전략으로 제시되기

에 이르렀다(大和總硏 201411) 이상과 같은 사회경제적 배경 하에 다양한 고용관

련 정책이 추진되었는데 이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아베정권 들어서 발표된 정책에서 고용관련 사항은 이전 정권에 비해 약화되어

있음을 살펴볼 수 있다 이는 경제 활성화와 더불어 기존의 구직난에서 구인난으로

고용상황이 역전된데 따른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추진된 고용정책의 내용

도 고이즈미 정권에서 추진되었던 내용과 유사한 것을 볼 수 있다

7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 관심분야 강한 역점분야)

구분

아베노믹스 1기 아베노믹스 2기

일본부흥전략20132014

일본부흥 전략2015

일본부흥 전략2016

미래투자전략2017~2019

유망

산업

시장

건강middot의료middot간호

4차 산업

(IoT 인공지능 빅데이터)

이동서비스middot물류

핀테크

에너지환경

공유경제

지방

활성화

중소기업 지원

농업

관광

서비스산업

고용관련 정책

- 고용유지형에서 노동 이동 지원

형으로 정책전환

- 인재활용 대응계층 고급 해외

인재 여성 청년층

- 실천적 직업교육을 위한 고등교

육기관의 제도화

- 지방에서의 창업 기업 지원

- 지방에 경영자원의 유입 및

고용창출 도모

- 외국기업 유치

- 창업지원 기업가 교육

- 고용촉진 대상 여성 고령자

장애자 고급 해외인재

자료 みずほ総合研究所(20171221) アベノミクス5年と今後の政策課題 p5에 기초하여 추가 정리 首相官邸

(20136) 日本再興戦略 內閣官方(20176) まちひとしごと創生基本方針2017(概要版) 内閣官房(20196)

成長戦略フォローアップ

lt표 2-37gt 아베정권의 고용정책 및 성장전략의 변화 추이

이 시기 새로운 일자리창출은 전략산업으로 등장한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성장

산업 분야의 육성과 생산성혁명 지원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 다 기존의 건강middot의

료middot간호 분야나 에너지middot환경 분야에서 나아가 IoTmiddot인공지능middot빅데이터 등의 4차 산

업 분야 이동서비스 및 물류 핀테크 등과 같은 신성장산업 분야를 육성함으로써

신규 일자리창출을 도모하 다 경제를 포함한 지방 활성화의 주축은 농업middot관광middot서

비스산업에 두고 있어 이전 정권들과 유사함을 볼 수 있다

아베정권에서 적극적으로 추진되어 온 지방 활성화 정책은 lsquo로컬아베노믹스rsquo라고

도 명명되고 있어 매년 다양한 관련 정책이 제시되는 lsquo지방창생 기본방침rsquo이 발표되

어 왔다 핵심요소는 지방에서의 일자리창출 관련 내용이라고 볼 수 있는데 이를

75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살펴보면 lt표 2-38gt과 같다 지방 고용창출의 주요 대상으로는 젊은층 여성 고령

자의 취업기회를 확대시키기 위한 사업을 들 수 있으며 지역이 보유한 다양한 자원

특히 유휴자원을 활용한 사업화 및 일자리창출 사업에 역점을 두고 있다

구분지방창생 기본방침

(2015 2016)지방창생 종합전략

(2017)지방창생 종합전략

(2018)

일자리창출

대상

관련 사업

- 젊은 층의 고용창출

- 여성 취업률 증대

- 지역의 중핵기업 지원

- 지역자원을 활용한 기업화

지역상사에 의한 지역생산

품 판로확대 일본형DMO

서비스업의 생산성 향상

지역의 미래 견인사업에의

투자 촉진 등

- 지방창생의 新전개도모

- 지방 젊은층 고용창출

- 향후 5년간 30만 명 목표

- 지역자원(빈점포 유휴농

지 고민가 등)을 활용한

일자리창출

- 지역중핵기업지원

- 젊은층의 전원 회귀에 의한

창업 취업자 창출(6년간 6

만 명)

- 여성고령자 등의 활약에

의한 신규 취업발굴 (6년간

24만 명)

육성산업

- 5개 서비스업(소매업 음식업 숙박업 간호 도로화물운송

업 등)의 활성화 및 생산성 향상

관광업의 연계체계 강화 의료 간호 분야 농림수산업

성장 산업화

- 관광지개발 및 브랜딩 추진

- 농림수산업

- 공적업무의 사회적 사업화

일자리 확대

방안

- 정부관계기관의 지방 이전 기업의 지방거점 강화 및 지방인재 채용확대

- 지방대학 활성화 및 진흥

자료 首相官邸(2015) まちひとしごと創生基本方針2015 内閣官房(20176) まちひとしごと創生基本方針

2017(概要版 内閣官房(20186) まちひとしごと創生基本方針2018について

lt표 2-38gt 아베정권의 지방창생전략 상의 고용창출 관련 내용

지방 고용창출을 견인할 육성산업분야로는 서비스업이 핵심이 되고 있는데 소매

업 음식업 및 숙박업 간호 분야 화물운송업 등이며 특히 농림수산업의 6차 산업

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나아가 기존의 공적업무 역을 사회적 사업화함으로써 신

규일자리 창출을 도모하고 있다 한편 일자리의 확대를 위해 정부관계기관의 지방

이전 및 민간기업의 지방거점 강화 및 지방인재 채용확대 지방대학 활성화 및 진흥

등도 지방 고용창출을 위한 정책 내용이다

마 관광분야 일자리창출 사례

1) 일자리창출 사업 진행

국토교통성 및 관광청이 추진한 관광분야 일자리창출 정책은 사례를 찾아보기 어

려우며 대다수가 일자리창출의 주무 부처인 후생노동성이 추진하는 사업으로 진행

7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되어 왔음을 살펴볼 수 있다 특히 고이즈미 내각 이래 지역주도형 고용정책 추진을

위해 후생노동성이 공모하는 고용창출 사업에 지자체가 제안서를 제출하여 경쟁적선별적인 추진체제를 도입하게 되었는데 지역특성에 기반한 관광을 통한 고용창출

사업은 지자체들이 가장 빈번하게 제안하는 사업이 되었다

관광분야 일자리창출 사업이 포함된 후생노동성의 지역고용창출 사업은 1987년

제정된 lsquo지역고용개발촉진법rsquo에 근거하여 실시되고 있다 이 법에 기반하여 다양한

명칭의 지역고용창출 사업이 진행되어 왔는데 고이즈미 정권 이래의 주요 사업들을

살펴보면 2000년대 초중반의 지역제안형고용창조촉진사업(패키지사업) 2000년대

중후반에 추진된 지역고용창조추진사업 2010년대 초반에 추진된 중점분야고용창

조사업 2010년대 중반에 시작되어 현재까지에 이르는 실천형지역고용창조사업

2010년대 중반 이후 추진된 지역활성화고용창조프로젝트 사업 2019년 창설된 과

소지역 및 재난지역 대상의 지역고용활성화추진사업 등을 들 수 있다

위의 다양한 사업들에 지자체가 제안한 사업내용 중에는 관광분야 고용창출 사업

이 상당수 포함되어 있는데 최근에 추진된 주요 사업별 관광분야 사업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대다수의 사업들은 사업단위가 기초지자체이며 거의 절반에 가까운

사업들이 관광분야를 포함하고 있다 특히 2012년부터 추진되고 있는 실천형지역

고용창조사업의 경우는 현재까지의 9년간에 걸쳐 실시된 전체 470 건의 사업 중에

서 305 건이 관광분야 사업을 포함하고 있어 지역고용창출에 있어 관광분야의 중요

성을 극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사업명(기간) 사업단위 전체 사업수(건) 관광분야 사례 수(건)

지역제안형고용창조촉진사업

(패키지사업) (2005)

기초

지자체35 10

중점분야고용창조사업

(2010-2012)

광역기초

지자체

79

(간호 의료 관광 환경middot에너지

농림수산 지역사회고용 등)

34

실천형지역고용창조사업

(2012-현재)

기초

지자체470 305

지역활성화고용창조프로젝트

(2016-현재)

광역

지자체40 13

지역고용활성화추진사업

(2019)

기초

지자체14 4

lt표 2-39gt 후생노동성 추진 고용창출사업 내의 관광분야 포함 건 수

77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2) 관광분야 일자리창출 사업 진행

① 지역제안형고용창조촉진사업 내 주요 사례

이 사업은 2000년대 중반 후생노동성이 고용기금으로 추진한 것으로 고용기회

가 부족한 지역이 고용창조에 자발적으로 대응하려는 기초지자체가 제안한 고용기

회 창출 능력개발 구직자 대상 정보제공 및 상담 등의 사업 중에서 고용창조 효과

가 높은 사업을 선발하여 해당 지자체에 사업실시를 위탁하는 사업이다 사업 실시

를 위해서는 기초지자체가 지역 내 경제단체 등과 협의회를 구성하여 사업을 제안

하고 선정되면 사업 실시주체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며 지역 내 민간단체에 재위탁

도 가능하다 사업비는 연간 2억 엔이며 최대 3년간 계속사업으로 진행할 수 있다

2005년 추진된 이 사업에 선정된 총 35건 중에는 10건의 관광분야 고용창출사

업이 포함되었는데 그 내용을 살펴보면 아래의 lt표 2-40gt과 같다 대다수의 기초자

체가 실시한 고용창출사업에는 신규일자리를 직접 만들어 내는 사업보다는 가이드

나 서비스 인력 등의 인력양성 및 연수 등 간접사업이 주를 이루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드물게 관광상품 개발사업이나 체험형 관광비즈니스 구축 등의 직접사업이

포함되어 있다

선정 지역 관광관련 사업내용

북해도 삿포로시 - 방일외래관광객 중국어대응 인력양성 연수(인력양성)

북해도 하코다테시- 지역 관광안내 여행지원서비스 관광택시 체험형관광 서비스 등의 분야에

서 활약할 인재육성 연수(인력양성)

북해도 아사히카와시

- 관광분야 취업희망 젊은층 대상 연수

- 旭川관광포럼 개최 관광벤처비즈니스스쿨 운영

- 旭川특산 관광상품 개발사업 지원

- 관광정보발신 노하우 강좌개최

이와테현 타노하타무라- 체험형 관광비즈니스 구축사업

- 체험형관광 담당인력 양성사업 체험형관광 PR방법연수

아키타현 오가시 - 관광인재 육성사업(관광프로그램 기획입안 가능인재)

도야마현 히미시 - 관광인력의 자질향상 연수 관광정보발신 능력향상 연수

나가사키현 고토쓰시마 지구 - 프로 전문가이드 크리에이터 인스트럭터 관광리더 등의 육성 연수

가고시마현 세토우치조 - 요리사 가이드 해양가이드 등 양성

오키나와현 오키나와시 - 음악관광 진흥을 위한 관광음악문화 가이드 양성

자료 厚生労働省 地域提案型雇用創造促進事業(パッケージ事業)事例集

lt표 2-40gt 2005년 지역제안형고용창조촉진사업에 선정된 관광분야 고용창출사업 주요 내용

7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② 중점분야고용창조사업 내의 주요 사례

이 사업은 2009년 창설되어 2013년 완료까지 후생노동성이 추진한 것으로 실

업문제가 심각한 상황에서 간호 의료복지 농림 환경middot에너지 기술서비스 관광

등의 성장분야에서 새롭게 고용기회 창출과 함께 지역 요구도가 높은 인재를 육성

하여 고용과 연계시키기 위해 실시한 사업이다 지자체는 교부금에 의한 기금을 재

원으로 민간기업 NPO 사회복지법인 등에 사업을 위탁하고 위탁기관은 구직자를

새로 고용하여 사업을 추진하며 인건비 포함한 사업비는 위탁비로서 지급된다

2010년도에 추진된 중점분야사업 중에서 9건의 관광분야 사업의 주요 내용을 살

펴보면 대부분이 가이드 관광객 편의서비스 지원인력 관광안내인력 관광자원 정

보수집인력 등이 그 대상이다 그 외에 관광용 목탄자동차 운 인력 여행상품개발

인력 등의 고용창출 사업도 살펴볼 수 있다

선정 지역 관광관련 사업내용

아오모리현

하치노헤시

- 위탁기관 安藤昌益資料館を育てる会 신규고용창출 4인

- 가이드 고용 및 육성 하치노헤시 및 역사 인물인 안도 쇼에에 관한 역사문화 자원 개발

콘텐츠 제작 관련상품 개발 및 관련 연수 추진

이와테현

- 위탁기관 이와테관광협회 신규고용창출 6인

- 모리오카(盛岡)역 신간선 개찰구 부근에 관광서포터를 배치하여 관광객에게 관광정보 제공

역부근 안내 화물운반 보조 등

미야자키현

오사키시

- 위탁기관 古川商工会議所 신규고용창출 3인

- 시내 관광안내센터 설치 관광안내 및 이벤트 지원 축제 관련 자료작성의 보조업무

군마현

- 위탁기관 株式會社JampS 신규고용창출 2인

- 아카기산(赤城山)부근의 관광체험시설을 실제로 체험하고 정보를 수집축적하고 그 정보를

활용하여 赤城山의 매력을 발신

후쿠이현

아와라시

- 위탁기관 주식회사 アイメル 신규고용창출 4인

- JR아와라온천역에 화물 운반 및 장애자 보조 관광객 안내를 행하는 lsquo수하물지원대rsquo를 배치

효고현

- 위탁기관 兵庫県国際交流協会 신규고용창출 3인

- 외국인이 선호하는 兵庫県내 관광자원에 관한 정보수집 외국어(중국어한국어영어) 정보

지 작성 인터넷에 의한 정보지 게재내용 발신

야마구치현

이와쿠니시

- 위탁기관 岩国市실버인재센터 신규고용창출 3인

- 岩国市 4개 시설을 연결하는 목탄자동차를 운행 운전사 1인 가이드 2인으로 구성

나가사키현

- 위탁기관 株式会社乃村工藝社 신규고용창출 18인

- 나가사키역사문화박물관내의「龍馬伝館」을 찾아온 방문객을 대상으로 시설안내 및 나가사

키현 내의 관광지 안내

미야자키현

- 위탁기관  高千穂町観光協会 신규고용창출 10인

- 일본 神道에서 행하는 가무인 神楽(가구라)를 테마로 여행상품을 조성 대도시의 여행사들

에 판매하고 관리하는 종합활동을 추진

자료 厚生労働省 重点分野雇用創造事業

lt표 2-41gt 2010년 중점분야고용창조사업(관광분야) 주요 내용

79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3) 지역활성화고용창조프로젝트 사업 내의 주요 사례

지역활성화고용창조프로젝트 사업은 산업정책과 연계하여 안정적인 고용기회를

창출함으로써 지역의 고용안정 및 능력개발 추진 지역의 생산성 향상 및 경제적

기반 강화를 목적으로 2016년에 창설된 사업이다

이 사업은 일본의 광역지자체가 전략적 산업분야로 설정한 업종을 정하여 실시하

며 지역 내 다양한 관계자(지자체 경제단체 금융기관 교육 및 연구기관 등)로 구

성된 lsquo협의회rsquo를 설치하여 사업을 시행토록 되어 있다 실시기간은 최대 3년이며 연

간 상한 10억 엔으로 총 사업비의 8할을 보조하는 사업이다

사업이 시작된 2016년 이후 현재까지 총 40건의 사업이 선정되었는데 그 중 관

광분야 사업이 포함된 사례는 13건이다 교토부 사례는 관광분야가 사업의 단독분

야로 제시된 유일한 사례이다 사업내용을 살펴보면 크게 두 분야로 대별된다 하나

는 정규직 고용 및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에 대해 또는 사업체 내의 재직자 업무

능력 향상 등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둘째는 관광분야 취업희망자를 대상으로 취

업 정보 제공 및 업무기능 등의 교육 및 연수 등의 간접지원이 내용이다 결국 신규

고용을 창출하는 비즈니스 창업 관련 사업내용은 빠져 있음을 살펴볼 수 있다

4) 국토교통성의 사례조사에 의한 주요내용

국토교통성에서는 섬 지역을 대상을 고용창출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대다수의

사례들이 신규고용이 직접 창출되는 사업들을 추진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주요

사업 내용은 민박사업(민박 및 체험프로그램 실시 관광가이드 육성 수학여행시장

대상 민박사업 등) 체험프로그램 실시(예 어업 관련 프로그램 제공 및 캐릭터 개발

등) 지역식자재 이용 레스토랑 운 및 체험형 농장운 (예 체험형 농장 운 및

농산가공품 판매 등) 돌고래관찰관련 고용창출사업(예 돌고래 관찰과 숙박시설 연

계 등) 자연체험학습에 의한 고용 확보(예 카누체험 숲이나 해양 가이드 투어 등)

등이 있다

8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32 미국

가 노동성의 2018-22년 전략계획의 비전20)

2019년 공개된 미국 노동성의 2018-22년 전략계획의 비전은 미국 근로자들에

게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는 것이며 미션은 임금 소득자 구직자 및 퇴직자의 복지

증진 및 발전 근무조건 개선 수익성 있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 업무 관련 해택과

권리 증진이다

1) 전략 1 구직활동 지원

구직활동 지원은 구직자 인력솔루션 시스템을 구축 재향군인 구직자들에게 고용

을 유지할 수 있는 재원 및 툴 지원 장애를 동반한 구직자들의 포괄적인 고용창출과

양질의 일자리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증거기반정책(evidence-based policy) 사례

및 툴을 개발 노동시장의 활동 근로조건 및 경제상황에 따른 가격변동사항에 관한

시의적절하고 정확한 관련정보제공 및 일하는 여성의 이익을 증진시키기 위한 정책

과 계획 수립을 포함한다

2017년 트럼프 정부는 견습 프로그램의 확대 관련 행정명령을 발령하 다 주요

내용으로는 기존 견습 프로그램의 확대와 효과성 제고이다 프로그램 확대와 관련해

서는 산업계가 인정하는 견습 프로그램(Industry-Recognized Apprenticeship)의

도입이다 정부가 산업계와 노동계와의 협력을 통해 견습 프로그램을 발전시키고

기존의 정부승인정책을 제3자 또는 전문기관의 승인하는 방식으로 바꾸는 것을 골

자로 한다

또한 프로그램의 접근성 향상을 위해 취약청소년 고등학생 수감자 전과자 및

미군을 대상으로 하는 (예비)견습 프로그램을 확대하는 내용도 담고 있다 행정명령

의 또 다른 핵심내용은 효과성 제고이다 각 부처가 예산관리실에 견습 프로그램

관련 예산서를 제출할 때 프로그램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개선방안 전략을 행정과

법의 관점으로 제출해야한다 이에 따라 중복프로그램을 줄이고 선택과 집중을 높

이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20) US Department of Labor(2018) FY 2018-2022 Strategic Plan의 내용을 재정리함

81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프로그램2020년 예산(단위 천달러)

프로그램 내용

성인 대상 고용 훈련 프로그램

(Adult Employment and

Training Activities)

854649

- 견습직 프로그램 맞춤형 훈련 한시적 일자리를 포함

하여 구직자에게 경력 및 훈련 서비스 제공

18세 이상으로 저소득 저숙련자 공공지원 수령자

우선 지원

청년 대상 고용 훈련 프로그램

(Youth Activities)913130

- 개인 지도 대안적 중middot고등학교 근무 경험 업무 역량

훈련 금융 지식 대학 교육 노동 시장 정보 등 제공

14~24세로 중퇴자 노숙자 위탁 가정 출신 우선

지원

실직자 대상 고용 훈련 프로그램

(Dislocated Workers

Employment and

Training Activities)

1052053

- 구직자나 최근 실업자 대상 교육훈련 노동 시장 정보

제공 취업 상담 구직 기회 부여 교통 및 아동 돌봄

서비스 제공

18세 이상의 최근 실업자 또는 장기 실업자 우선 지원

인디언 원주민 고용 훈련

프로그램

(Indian and Native American

Programs)

55000

- 원주민 부족 부족 단체 알래스카 원주민 단체 통제

단체 및 실업자 및 저소득 아메리카 원주민 알래스카

원주민 및 하와이 원주민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체

에 양질의 고용 및 교육 서비스 제공

이주민 계절 농민 고용 훈련

프로그램

(Migrant and Seasonal

Farmworkers)

91896

- 전국적으로 운영되는 이민 및 계절 농가(MSFW)를 위

한 현지 관리 서비스 프로그램으로 11 개의 주택 보조

금 지원 프로그램 뿐 52 개의 경력 서비스 및 훈련 보

조금 지원 프로그램 포함

전과자 대상 고용 지원 프로그램

(Reentry Employment

Opportunities)

98079

- 2014년 WIOA (Workforce Innovation and

Opportunity Act) 섹션 169에 따라 연구 및 평가로

승인 된 자금을 제공하여 전과자들을 대상으로 구직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 운영

견습 프로그램

(Apprenticeship Grants)175000

- 정보 기술 고급 제조 및 의료 분야의 민간-공공 견습

파트너십에 대한 부문 별 전략 보조금 제공

Youth Build 프로그램 94534

- 이전에 고등학교를 그만 둔 위험이 있는 16-24 세 청

소년을 위한 직업 훈련 및 교육 기회를 제공하는 커뮤

니티 기반 사전 견습 프로그램

Job Corps 프로그램 3611200

- 미국 노동부에 의해 운영되는 무료 교육 및 직업 훈련

프로그램으로 16-24 세의 젊은이들이 양질의 일자리

를 얻고 독립적으로 생활 지원 프로그램

lt표 2-42gt 미국 노동부 고용 훈련 주요 프로그램 및 예산

또한 업무기반 학습 및 자격취득을 위한 기회 확대를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관련 정책들은 청년층 대상 임금을 제공하는 수요중심교

육 및 업무 기반학습을 확대하고 기업이 요구하는 기술 습득 기회를 제공함으로서

기존 근로자들의 프로그램 참여를 높이고 특히 숙련도가 낮은 개인과 고용에 대한

다양한 장벽을 가진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훈련 지원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미국 전역 또는 많은 지역에서 통용될 수 있게 기존의 자격증의 이식성을 지원한다

8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2) 전략 2 안전하고 공정한 직장 홍보

안전하고 건강한 근무조건 확보 광업종사자들의 사망 질병 및 부산 예방 및 안

전 유지 합법적 임금 및 근무조건 확보 퇴직 건강 및 기타 직장관련 해택 보장

향상 연방 계약직 직원을 위한 공정하고 다양한 직장환경 개선 노조의 재정 건전

성 투명성 및 운 민주성 확보를 추진하고 있다

3) 2전략 3 강력한 근로자 보상 및 해택 관리 프로그램 운영

질병이나 상해가 있는 종사자들에게 보상 해택 제공 및 실직근로자들에게 적시에

실업급여 지급을 지원하고 있다

나 4차 산업 관련 정책21)

캘리포니아 인력 개발 전략 계획의 비전은 상향 이동성과 공유 번 으로 인력혁

신기회법(Workforce Innovation and Opportunity Act WIOA) 하에 주위원회

가 수립한 세 가지 고용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그 첫째는 수요 중심 기술 교육 육성으로 주정부 산업 부문의 요구에 맞는 인력

및 교육 프로그램 필요 프로그램 콘텐츠를 개발 운 하여 주내 기업체의 경쟁력을

향상을 도모한다 둘째 캘리포니아 주민의 경제 지위상승 활성화로 누구나 접근할

수 있는 고용할 수 있도록 인력 및 교육 프로그램제공하고 모든 주민이 교육프로그

램의 참여할 수 있으며 적정한 소득 창출 가능을 목적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제한

된 재원의 최대 효과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조정 및 통합으로 각 올바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고객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고객을 기반으로 고객에게 올바른 서

비스를 제공하는 동시에 기술 달성을 촉진하는 것에 있다

다 관광산업 고용정책 및 사례

1) 여행 및 관광 자문위원회의 고용창출 정책

미국 여행 및 관광 자문위원회(US Travel and Tourism Advisory Board)는 상

21) California Workforce Development Board(2015) Californiarsquos Workforce Development Plan의

내용을 재정리함

83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무부 산하 자문기관으로 미국 여행 및 관광 산업에 향을 미치는 정부 정책 및 프

로그램에 대해 장관에게 제안하고 현재 및 향후 관광의 전망에 대한 조언을 제공하

며 산업 관련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논의하고 제안하기 위한 포럼을 제공한다

2019년 위원회는 다음과 같은 정책 제안을 하 다

구분 내용

미래세대 인력 및 노동

시장 정보 시스템 개발

- 현재 노동부가 개발 중인 미래세대 인력 및 노동 시장 정보 시스템 개발과 관련

협력을 통한 상무부의 적극적인 역할 기대

- 미래세대 인력 및 노동 시장 정보 시스템 2014년 노동혁신 기회 법에 근거하여

노동 관련이해관계자 (고용주 학생 근로자 인력 투자위원회 교육 및 훈련 기관)

들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결정을 돕기 위한 시스템

관광산업

정보 수집

- 상무부는 노동통계청과 협력하여 관광산업협회 및 고용주들에 대한 질적인 데이

터 수집 필요

기존의 임금 관련데이터의 부정확성은 인력개발 정책 효과성 저해

(예) 호텔업계의 최고위직들은 타 산업의 통계에 반영되어 관광산업 임금체계

가 상대적으로 저임금산업이라는 인식 부여

견습 프로그램

예산 증액

- 상무부는 관광산업의 견습 프로그램 예산 증액 및 산업계 인증 견습 프로그램의

확대 필요

- 견습 프로그램의 효과 견습 프로그램의 참가자들은 기술향상 인증획득 저이직

률 및 고용주들의 선호 증진

인력혁신 및 기회

법 효과 증진

- 상무부는 산업계와 협력하여 인력혁신 및 기회 법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장애물

제거에 대한 논의 필요

- 관광산업의 경우 기존 근로자의 숙련도 향상 및 미래 일자리 교육 프로그램과 재

원 지원 미미

- 법의 목적

(구직자 측면) 고용 정보 교육 훈련 및 지원 서비스 접근성 제고로 노동시장

진입 촉진

(고용주 측면) 글로벌 경쟁력 확보가능한 숙련된 근로자 제공

인력양성프로그램

평가방법 개발

- 상무부는 산업계가 사용할 수 있는 인력양성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평가방법을 개

발 필요

기타

- 주택부와 협력하여 계절직업이 주를 이루는 지역이나 관광지에 부담 가능한 주택

공급 지원

- 계절근로자들을 위한 이동성 자금을 지원하기 위한 연방정부 차원의 재원을 마련

및 실행

- 계절근로자들을 위한 견습 프로그램의 개발 확대 실행

자료 US Travel and Tourism Advisory Board(2019) Recommendation on Workforce Development

lt표 2-43gt 미국 여행 및 관광 자문위원회의 주요 고용창출 정책 제안

관광 산업과 관련한 고용 창출 정책에는 여행 산업 내 인력 개발 이니셔티브가 있

다 현재 미국에 관광사업 관련 학위 프로그램이 있는 대학은 500개에 이른다 이

8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학교들은 American Hotel amp Lodging Educational Institute(AHLEI)와 제휴하여

학생들의 업계 검증 커리큘럼 교육 프로그램 및 인증을 제공한다 학교와 업계 협력

의 최고 사례 중 하나는 250 개 이상의 고등 교육 기관에서 채택한 호텔 산업 분석

(CHIA)의 인증으로 Smith Travel Research과 AHLEI의 협력을 통해 개발되었다

다른 정책으로는 미국 노동자들의 대한 서약(The Pledge to Americarsquos Workers)

이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 노동자를 위한 전국위원회의 일환으로 전국의 회사

와 무역 단체에 미국 노동자에 대한 서약에 서명하도록 요청하 다 트럼프 대통령

이 행정 명령에 서명한 이후 430개 이상의 회사와 조직이 서약에 서명하여 향후

5년간 미국 학생과 근로자에게 1600만 이상의 새로운 교육 및 훈련 기회를 제공하

기로 한 서약이다 관광산업계도 이러한 서약에 약 20개회사가 참여하 다

또한 국립 식당 협회(National Restaurant Association) 교육 재단은 고등학생을

위한 2년제 음식서비스 커리큘럼 전문대학 수준의 식당 또는 호스피탈리티 경 프로

그램 전문가 개발 기회 및 장학금을 학생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American Hotel

and Lodging Educational Foundation(AHLEF)은 학교에 다니고 있지 않는 청년

실업자나 구직자들 생상으로 견습 프로그램과 무료 대학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미국의 공유경제 및 플랫폼 산업들은 초기의 전통적인 오프라인기업을 대

체하는 플랫폼기업들이 주를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전문 시장을 겨냥하여 세워지는

공유기업들과 플랫폼 기업들이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다

기업 구분 내용 (2018년 기준)

에어비앤비 숙박 및 렌트 중개업- 설립연도 2008년 매출액36억불 본사 샌프란시스코

- 종사원수 13860명(전년대비 11증가)

바카사

(Vacasa)

휴양 렌트 관리

서비스업

- 설립연도 2009년 매출액 1억1천만불 본사 포틀렌드 오레곤

- 종사원수 1628명(전년대비 24증가)

겟터라운드

(Getaround)자동차공유중개업

- 설립연도 2009년 매출액 2천만불 본사 샌프란시스코

- 종사원수 489명(전년대비 18증가)

휠즈업

(WheelsUp)

멤버십제

개인전용기임대업

- 설립연도 2013년 매출액 4억불 본사 뉴욕

- 종사원수 275명(전년대비 26증가)

트립액션

(TripActions)

비즈니스여행자대상

여행관리 솔루션

- 설립연도 2015년 매출액 4천만불

- 본사 실리콘밸리 종사원수 931명(전년대비 62증가)

lt표 2-44gt 미국 내 주요 온라인 기업 일자리 창출사례

85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2) 직무능력 역량 모델

노동부 고용 훈련청(Employment and Training Administration ETA)은 미

국 근로자에게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인력을 교육하고 훈련하기 위해 경제적으로

중요한 산업 및 제 부문에 필요한 기초 및 기술 역량의 직무능력모델을 개발하고

유지하고 있다 이 직무역량모델은 산업계 리더 교육자 경제 개발자 및 공공 인력

투자 전문가와의 협업을 통해 특정 고용주 직무역량요구 파악 역량 기반 커리큘럼

및 교육 모델 개발 업계 정의 평가 지표 기술 표준 인증 개발 경력 탐구 및 지도

를 위한 자원을 개발한다

상무부 산하 국가 여행 및 관광 사무소(National Travel and Tourism Office)

및 교육 비즈니스 및 산업의 기술 관광 전문가와 협력하여 환대 관광 및 이벤트

산업을 위한 포괄적인 역량 모델을 개발했다 이 모델은 업계 종사자에게 기초를

제공하는 지식 기술 및 능력과 주요 분야별 역량을 파악하여 개발됐다

환대 관광 및 이벤트 산업 모델은 이 분야의 모든 근로자가 필요로 하는 역량

또는 지식 기술 및 능력을 포함한다 이 모델의 목적은 환대 관광 및 이벤트 산업

은 숙박 대상 마케팅 및 관리 관광 및 여행 준비 휴양 오락 및 매력 회의 이벤트

및 전시회 관리 식음료 서비스 등의 하위 부문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아래의 그림에서 보듯이 이 모델은 여러 계층으로 구성된 피라미드 형태이다 기

초 역량의 1~3군은 대부분의 고용주가 요구하는 lsquo소프트 스킬rsquo과 업무 준비 역량으

로 구분된다

기업 구분 내용 (2018년 기준)

라이프하우스 기술기반 호텔체인- 설립연도 2017년 매출액 1천 4백만불

- 본사 뉴욕종사원수 53명(전년대비 8증가)

부킹홀딩스

(Booking

Holdings)

온라인 여행업- 설립연도 1998년 매출액 150억불 본사 노르워크 커네티컷

- 종사원수 26400명(전년대비 77증가)

익스피디아 온라인 여행업- 설립연도 1999년 매출액 120억불 본사 시애틀

- 종사원수 25400명(전년대비 37증가)

8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그림 2-22] 관광 환대 및 이벤트 산업 역량 모델

자료 미국 연방노동부 원 스톱 고용센터 홈페이지(httpswwwcareeronestoporgCompetencyModelcompetency-

modelshospitalityaspx)

호텔 분야의 레벨 5에 해당하는 직무역량은 고객안전 호텔 정책 및 실행 절차

고객만족 호텔정보시스템 산업 관련 규칙의 이해 호텔의 운 이다 목적지 마케

팅은 마케팅 기초 마케팅의 효과 마케팅 계획 홍보전략 마케팅 툴 전략적 파트

너십 고객 안전 및 여행 일정 관리 관광오퍼레이터의 이해이다 레저시설 및 매력

물(레크리에이션 놀이공원 및 관광지)의 직무역량은 고객안전 및 위기관리이다 회

의 이벤트 및 전시관리의 직무역량은 전략계획 고객안전 위기관리 재무관리 지

속가능관리 프로젝트관리 인사관리 이벤트 기획 전시계획 이벤트 운 및 등록

관리 마케팅 판매 이벤트 이벤트 장소 선정 등이다

[그림 2-23] 식음료 서비스 산업 역량 모델

자료 미국 연방노동부 원 스톱 고용센터 홈페이지(httpswwwcareeronestoporgCompetencyModelcompetency-

modelspyramid-downloadaspxindustry=food-beverage-service)

87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노동부가 운 하는 직업 정보 네트워크(wwwonetonlineorg)에는 총 10개의

관광산업과 관련된 직업프로파일이 제공된다 제공된 직업프로파일은 놀이공원 및

레크리에이션 종사원 수하물 포터 및 벨보이 컨시어지 접객 식당 라운지 및 커

피 숍 호텔 모텔 및 리조트 데스크 직원 가정부 및 청소부 예약 및 항공티켓 에이

전트 및 여행사 직원 여행 가이드 안내원 및 티켓 접수자이다

34 캐나다

가 국가 고용정책

캐나다 고용 사회 개발부(Employment and Social Development Canada)에

서는 사회 프로그램 및 서비스를 개발 관리 및 제공하는 캐나다 정부 부서이며 모든

캐나다인이 자신의 재능 기술 및 자원을 사용하여 학습 업무 및 지역 사회에 참여

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을 개발하고 있다 또한 동 부처는 캐나다인들이 학교에서

직장으로 한 직장에서 다른 직장으로 실업에서 고용으로 그리고 노동에서 퇴직으

로 삶의 전환을 돕도록 프로그램을 제공 노인 자녀가 있는 가족 및 고용 보험 수혜

자에게 소득 지원 제공 토착민 장애인 노숙자 및 최근 이민자와 같은 뚜렷한 요구

를 가진 캐나다인들에게 기회와 도움을 제공함으로써 포용적 성장을 촉진하고 있다

그리고 고용 사회 개발부는 연방 관할 구역의 노사 관계 산업 보건 및 안전 노동

기준 고용 평등 및 근로자 보상 감독 캐나다 이민 난민 및 시민권을 대신하여 제

공되는 여권 서비스 및 재향 군인 재향 군인에게 서비스와 같은 다른 부서 및 기관

을 위한 프로그램 및 서비스 제공하는 기관이다

캐나다 인력관광공사(Tourism HR Canada)는 세계 최고의 관광 인력 건설을

목표로 범 국가 조직이다 이 기구는 전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고 지속 가능한 산업

을 지원하고 역동적이고 탄력적인 인력 개발을 촉진하는 인적 자원 개발 활동을 촉

진 조정 및 가능하게 한다 캐나다 인력관광공사는 관광산업이 장단기 인적자원 문

제점들 숙련된 근로자 부족현상 관광인력의 고령화 고이직율 산업에 대한 편견

을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정부차원의 지원을 하고 있다 캐나다 인력관광공사는

emerit 관광교육브랜드를 통해 필요한 인적자원에 관한 정보 서비스 및 교육 자원

을 제공한다 위원회는 산업체 산업협회 주 및 지방정부 관광교육위원회 노조 및

8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교육계와 협력하여 사업을 실행한다 주요 목적으로는 관광산업의 고용기회를 창출

하고 구직자 근로자 운 자 및 창업자 등에게 필요한 교육 및 훈련과 현장경험

프로그램을 운 하고 교육 참가자들이 획득한 지식 기술 및 경험의 국가인증제를

운 한다 emerit은 위원회의 연방정부 운 교육훈련 브랜드이다 또한 위원회는

관광산업협회와의 협력을 통해 50개 이상의 국가직업표준을 수립하 으며 26개의

인증 프로그램을 개발 및 운 하고 있다

향후 3년간 캐나다 인력관광공사는 5개의 우선 전략을 실행하고 있다 주요 목표

는 10000개의 일자리를 채우고 개인과 기업이 번 할 수 있는 기술 또는 역량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이러한 우선순위는 캐나다 전역의 관광 이해 관계자와의 광범

위한 협의에서 비롯되며 캐나다의 목적지 지위를 높이면서 국제 방문자를 크게 늘

리려는 캐나다 정부의 목표에 대응할 수 있게 한다 관광산업의 성패는 숙련된 전문

가가 제공하는 혁신적인 경험에 달려있다

향후 3년간 캐나다 인력관광공사는 다음과 같은 주요 프로그램을 통해서 관광부

문에서 고용 창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구분 내용

관광목적지 고용

프로그램

(Destination

Employment)

- 신규 이민자가 캐나다 호텔에서 의미 있는 취업을 하도록 도와줌으로써 캐나다에

서 성공적인 미래를 건설하는 데 필요한 경험을 제공

- 난민을 포함한 신규 이민자를 통합하고 캐나다 최초의 직장 근무 경험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창출 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공

미래 기술 프레임워크

- 관광 부문에서 변화하는 업무의 성격을 다루기 위한 3년 정책

- 관광 부문을 위한 역량 프레임 워크 (포괄적이고 지속 가능한 역량과 필수 기술의

수집) 창출

- Tourism HR Canada의 국가 직업 표준군(National Occupational Standards)

의 내용과 2018 년에서 2021 년 사이에 진행될 수많은 상담 이벤트의 피드백을

활용하여 관광 분야의 현재 및 미래 기술 정의

스마트 인증제

(SMART

Accreditation

Program)

- 프로그램 개발 제공 및 개선 및 성과 측정의 모범 사례를 관광 관련 프로그램의

벤치마크로 사용할 수 있는 정의된 일련의 기준으로 변환

- 간단한 자체 평가 프로세스와 공식화 된 제 3자 검토를 통해 프로그램은 제공된

증거를 기반으로 표준화 된 프레임 워크 내에서 평가

- 기준이 충족되면 프로그램은 SMART 프로그램으로 인증 추가 기준이 충족되면

프로그램은 SMART + 프리미엄 프로그램으로 인증

emerit 교육 프로그램

연구 설계 및 테스트

- 산업 소규모 기업 교육 기관 및 대기업과 협력하여 emerit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

산업 전문가가 개발하고 검증 한 국가 직업 표준(National Occupational

Standards)은 실제 고용주가 신입 사원에서 찾는 것을 나타내고 실제 작업장

lt표 2-45gt 캐나다 인력관광공사의 주요 프로그램

89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나 산업분야 촉진 프로그램(Sectoral Initiatives Program)

산업분야 촉진 프로그램(Sectoral Initiatives Program SIP)는 부문별 노동 시

장 정보 국가 직업 표준 기술 인증 및 인증 시스템의 개발 및 배포를 지원함으로써

현재와 미래의 기술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원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의

목적은 산업계가 인적 자원 및 기술 문제를 파악하고 예측 및 해결하도록 지원하는

데 있다 SIP는 캐나다 경제의 주요 산업부문을 위한 파트너십 기반 프로젝트에 자

금을 지원한다 이러한 프로젝트는 직장 조직 고용주 협회 교육 및 훈련 기관 전

문 협회 노동조합 및 원주민 조직과 같은 업계 파트너가 개발하고 실행한다

미래기술센터는 캐나다 전역에서 생성 된 아이디어와 혁신을 연결하여 직원과 고용

구분 내용

조건과 직업에 영향을 미치는 현재 문제 반영

emerit 온라인 학습 및 통합 문서 온라인 모듈을 쉽게 관리 할 수 있도록 수십

개의 직종에 대한 교육개발하고 보다 전통적인 학습 접근 방식을 선호하는 사람

들을 위해 통합 문서 제공

emerit의 전문가 인증 emerit은 연방정부가 승인하는 전문가 인증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러한 국가인증제도를 통해 인증을 받음으로 직원들의 직업 만족도와

충성도 향상과 이직 및 교육비용 절감

캐나다 여행 관광

아카데미

(CATT)

- 교육자 및 업계 파트너의 지원과 지도를 통해 전국 고등학생들에게 실무 성공하는

데 필요한 지식 기술 및 태도를 제공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

레벨 1 프로그램 관광 산업에 대한 개요와 교육을 통한 관광경력을 쌓는데 필

요한 지식과 기술 습득 결과에 대한 소개 중심 레벨 1 인증을 통과하기 위해

관광개론 1 과목과 25시간의 자원봉사 경력 요구 자원봉사 경험은 지역 관광인

력사무소를 통해 참여가능

레벨 2 프로그램 2개의 고등학교 관광과목 수강 관광경력 워크숍 수료 100시

간 이상의 인턴십 및 SuperHostService ExcellenceServiceBest와 같은

고객 서비스 인증프로그램 수료 필요

골드레벨 프로그램 관광 경력을 준비하고 고등 교육 및 평생 학습에 필요한 기

술 개발지원 골드 레벨을 수료한 참가자들은 Tourism HR Canada에서 산업

계가 개발한 국가 직업 표준 및 필수 기술과 관련된 학습 결과를 시연 가능

레디투워크(Ready to

work) 프로그램

- emerit 국가 직업 표준에 기반한 강의실 및 작업장 교육을 통해 관광 인력으로

체계적으로 전환하는 것을 목적

사전고용 교실 훈련 강사 주도학습 모델로 경력계획 직업별 기술능력의 이론수

업이 핵심

직장내 훈련 직장트레이너로부터 직업별 훈련 멘토링과 피드백 제공

직업배치 모델 참가자에게 비숙련직업 제공

환대 서비스 종사자

훈련 센터 (HWTC)

- 환대 산업에 인재양성을 위해 해당 분야에서 구직자들에게 맞춤 교육을 제공하고

구직정보와 구직을 지원하고 캐나다 최고권위의 요리사 자격증인 Red Seal 인증

교육에 대한 지원 커리어 카운슬링 교용보험지원 등을 해당분야 실업자나 구직자

에게 제공

자료 캐나다 인력관광공사 홈페이지(httptourismhrcaabout-usstrategic-plan)

9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주가 모두 유리한 미래일자리 창출 전략이다 현재 30개의 프로젝트에 대해 자원을 지

원하고 있고 근로자가 새로운 직업에 필요한 기술을 습득하거나 다른 산업계의 구직에

필요한 기술 교육을 지원하고 있다 프로젝트의 주요 주제는 회복탄련성(resilience)과

적응성(adaptability)을 향상하기 위해 교육 및 숙련 기술 근로자에 대한 혁신적인 접

근 방식을 파악 평가 및 결과를 이해관계기관이나 산업체와 공유한다

구분 내용

AI와 기술 발전을 활용한

경제 회복

- University Health Network의 Michener Institute of Education 및

Vector Institute의 ldquo건강관리에서 인공 지능 채택 가속화rdquo는 최첨단 의료 전

문가의 기술과 사고방식을 혁신하여 AI 지원 건강 관행 조직 및 시스템을 강화

하는 지식 기술 및 기능을 갖춘 인력의 교육 훈련

만성 기술 부족에 직면 한

산업 내에서 훈련

재 숙련 및 적응

- 식품 가공 기술 ldquo식음료 가공 인력의 미래 보장rdquo은 식품 및 음료 가공 산업과

근로자들이 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테스트를 통해 필요한 기술을

교육을 통해 숙련도 제고

근로자의 역량과 탄력성을

구축하기 위한 교육 및

학습에 대한 혁신적

접근 방식

- Bow Valley College의 ldquo갭 브리징 구직자 및 고용주를 위한 학습 플랫폼 및

마켓 플레이스rdquo는 확장 가능한 인공 지능 (AI) 평가와 재교육 및 숙력도 향상을

지원하는 기술 플랫폼 개발

- 해당 직무에 대해 확장 가능한 AI 평가법을 개발하여 50개 커뮤니티 파트너

네트워크를 통해 구직자에게 제공

미래를 위한 포용적

인력개발

- Coast Salish Development Corp의 원주민 고용 허브는 BC주의 미래 인

프라 프로젝트에 대한 노동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비숙련

원주민을 대상으로 150개의 기술 평가를 제공하고 100 개의 훈련 계획을 개

발하고 100 명의 참가자에게 기술 훈련 과정을 제공하며 노동 부족에 직면

한 건설 및 인프라 프로젝트에서 80 명의 숙련 된 일자리를 제공할 예정

고용 시장 변화의

적응력 제고를 위한

중소기업의

직무기술 개발

- 퀘벡 내 8개 지역에서 평생교육 문화와 인력 기술 개발의 중중요성을 기업문화

에 적용

- 주요 목적으로는 지역 내 필요한 인력 역량 기술을 파악하고 이러한 기술의

중요성을 기업에게 전달하고 기업으로 하여금 기술개발 계획을 수립하여 혁신

적인 인력역량전략을 실행

융합

- 대학을 위한 미래 기술 혁신 네트워크(Future Skills Innovation Network

for Universities FUSION)는 보다 미래의 기술을 공식적이고 비공식적 인

교육에 통합하기 위한 교수법 평가 보다 유연한 학습 형식을 만들어 기술 습득

을 향상시켜 고용률을 향상시키고 소외된 학생들을 위한 고등 교육 후의 접근

성 및 구직률 향상을 목표로 함

디지털 역량 표준 프로젝트

- 디지털 직무역량 요구가 빠르게 변화함에 따라 대학졸업자들의 직무역량과 산

업체가 요구하는 직무 역량사이의 직능격차를 줄이기 위한 프로젝트

- 디지털 역량 혁신 기업가 정신 기술 채택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 커뮤니케이

션 창의성 및 적응성을 소프트 스킬의 결합이 포함

자료 캐나다 미래기술센터 홈페이지(httpsfsc-ccfcaengagefuture-skills-centre-announces-37-million-

investment)

lt표 2-46gt 미래기술센터의 주요 프로젝트

91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35 호주

가 전분야 일자리 정책

1) 호주 G20 고용 계획(Australiarsquos G20 Employment Plans 2017년)

고용환경 개선을 위한 정부의 중장기 계획으로서 장기 실직자에 대한 문제해결

청년층의 실업률 해소 노동력 인구비율(생산연령 인구에 대한 노동력 인구)의 증진

방안 미래 일자리 창출 지원 등을 포함한다

항목 정책 내용 정책 실행 상황 및 결과

제도 재정

인센티브

투자 및

기업활동

- 중소규모 사업체에 대한 세금 조율

- 관료주의 탈피하기 위한 규제개혁

- 시장의 생산성 및 네트워크 개선하기 위

해 인프라 구축 투자

- 2015년 5월 소규모 기업에 대한 세제 개혁 입

법화되며 약 3백만 개의 기업 혜택 수여

- 2016년 12월 정부는 비즈니스 및 지역사회에

대한 규제 부담을 58억 달러 이상 감소

- 2020년~2021년까지 700억 달러를 육상운송

인프라 투자 계획

노동시장규제- 근로자와 기업 모두의 이익을 위해 양측

의 관계 조율할 수 있는 조직위원회 설립- 2017년 5월 1일부터 운영

노동시장의

활성화 지원

- 구직자와 사업체를 위한 임금 보조금 지

원 확대

- 2017년 1월 1일부터 청년층 원주민 고령자

장기 실직자 대상으로 보조금 지원

청년 고용 - 장기간 실직상태인 청년층 지원

- PaTH 프로그램

- 학교를 갓 졸업한 학생들에게 인턴십 기회 확대

- 청년들이 학업 또는 취업을 이어갈 수 있도록

비영리기관의 모금 확대

- PaTH를 통해 교육 및 훈련 기회제공

자료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Employment(2017) Australia G20 Employment Plan 2017

lt표 2-47gt 호주 G20 고용 계획의 세부내용

2) 스타트업 지원 정책

기업가 프로그램(Entrepreneursrsquo Programme)은 다음과 같다 본 프로그램은

민간 부문의 자문단 및 협력가들의 국가 조직망(National Network)에 펀드

(Accelerating Commercialization Grant ACG) 및 엑세스(access)를 통해 기

업이 생산성과 경쟁력을 높이는데 기여한다 ACG는 스타트업 기업에게 프로젝트

비용의 최대 50를 투자하는데 적격 파트너 협력체의 경우 25만 달러 기타 다른

신청자들에게는 백만 달러 한도 내에서 지원한다 이 밖에도 기업가들에게 벤처에

대한 전문가 조언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함으로써 스타트업들이 글로벌 마켓으로 진

출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스타트업 시장에 막 진출한 신규기업들은 2년 동안 1만

9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3천 달러에서 2백5십만 달러까지 신청할 수 있다

연구개발 세금 인센티브 제도(Research and Development(RampD) Tax Incentive)

는 다음과 같다 세금 인센티브 제도는 소규모 기업들의 혁신을 장려하는 세금 상쇄

(tax offset)를 통해 모든 기업들이 시장에서 선제적으로 앞서 나가도록 돕는다

2016년 7월 1일부터 연간 매출액이 2천만 달러 미만인 기업들은 1억 달러 미만의

RampD 지출에 대해 435의 환급 가능한 세금 공제액을 청구할 수 있다

나 고용 성장률

코로나19 이후 관광객이 급격히 감소함에 따라 관광 시장의 고용율도 위축되었

는데 관광 관련 기업의 구조조정 및 인력 감원이 본격화되면서 현재까지 99000명

에서 133200명이 실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직자의 대부분은 시간제 근무 단순

업무 계약직 근무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별 고용 성장률 측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예측하고 있다 헬스케어 및 사회복

지 산업 전문직 및 과학기술 서비스 산업 교육훈련산업 건설업은 향후 5년간

(2019년~2024년) 전체 고용률의 약 621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된다 반면 농업

임업어업 제조업 정보 매체텔레커뮤니케이션(telecommunication) 산업은

향후 5년간 고용률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림 2-24] 2024년까지 산업별 고용률 변화 예측

자료 Australian Government(2020) Employment outlook to May 2024 p5

93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다 산업 및 직종별 미래 일자리 전망

호주 정부는 향후 5년간 약 19개의 산업에서 고용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는데

특히 새로 생긴 전체 일자리의 23는 헬스케어와 사회복지(최대 250300명 149)

건축(118800명 10) 교육(113000명 112) 과학기술(106600명 102)

분야가 차지할 것으로 내다봤다([그림 2-25] 참고)

[그림 2-25] 향후 5년간 주요 산업별 일자리 창출 비율

자료 Australian Government(2019) Australian Jobs 2019 p13

다음으로 숙박 및 외식 분야에서 약 9의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된

다 연령과 학력에 있어 전체 인력의 약 45가 15세에서 24세의 청년층으로 중middot고

등학교 졸업자가 전체의 절반을 차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타 산업과 비교해

채용인력의 연령대와 학력이 비교적 낮았고 주로 웨이터 바 종업원 주방장 또는

보조 일반 판매직 보조 등의 업무에서 인력을 확충할 것으로 전망된다

과학기술의 발달과 자동화의 확대로 사무직 비서 농장 관련 직종은 마이너스 고

용률을 보일 것으로 예측되는 반면 의료종사자 간병인 교육 전문직 ICT 전문가

의 경우 미래 유망직종으로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정부는 lsquo관광 고용 계획(Tourism Employment Plan TEP)rsquo을 발표했는데 지

역별 관광 및 환대산업 기업들이 인력 채용 및 유지 인력의 기술부족 문제 등에

대응할 수 있도록 고용과 관련된 실용적인 전략과 대안을 제시하 다

9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TEP는 8개 지역의 관광사업체와 연계해 교육 훈련 고용 성과 등을 개선하기

위한 관련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처음 1년간 단기 전략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워킹

그룹에 의해 계획 단계별(인력개발단계 커리어 향상 단계 고용기회 증진단계 등)

가이드라인을 설정한다 이 밖에 관광 및 환대산업 기업가를 지원하기 위해 무료

안내서(fact sheet) 성공 사례 인적자원(HR) 관리 기타 비즈니스 업무 지원 안내

서를 제공한다

라 포스트 코로나에 따른 일자리 정책

1)일자리 지키기(JobKeeper) 정책

호주 정부가 경기 부양과 고용지원의 일환으로 내놓은 lsquo일자리 지키기rsquo 정책은 총

130억 호주 달러를 지원해 향후 6개월간 고용주들을 통해 직원들에게 격주로

1500 호주 달러의 세전 급여를 지급한다(단 임시직은 1년 이상 근무조건이 붙음)

이 정책은 일종의 급여 보조금으로 약 1300억 호주 달러 규모이며 코로나 사태

로 인해 근로자의 해고나 감원을 최소화하고자 고용주와 근로자를 지원하는 정책이

다 단 연매출 10억 달러 미만인 기업 중 3월 1일 이후 매출이 30 이상 감소한

기업 연매출 10억 달러 이상인 기업은 매출이 50 이상 감소한 기업 등의 조건을

충족 시 정부의 보조금을 지원받을 수 있다

지원금은 국세청(ATO)로부터 5월 첫째부터 지급되며 날짜는 3월 1일부터 소급

적용(back-dated) 지급되며 정규직 계약직 임시직에 상관없이 12개월 이상 근

무한 주권자 시민권자 뉴질랜드 시민권자(Subclass 444 소지자)를 대상으로 지

원된다

2) 외식업 지원 정책

외식업은 호주인들이 가장 많이 종사하고 있는 업종 중 하나로 코로나19 이후

업계 실업률이 30에 달한다 시드니와 멜버른을 비롯해 주요 도시의 락다운

(Lockdown) 조치가 반복되면서 관련 산업 종사자들의 대규모 실직 사태가 발생했

다 외식업 생존위지를 위해 정부는 일자리유지 보조금제도(Job Keeper) 이외에도

임대계약 지원 기타 현금성 재정지원 등을 시행하고 있다

95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3) 사업체 및 근로자 지원방안

호주 정부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심각한 타격을 입은 경제를 회복시키기 위해

1차로 175억 호주 달러를 지원하 고 2차 경제 부양 패키지인 660억 호주 달러

규모의 추가 지원을 발표하 다 이어 지난 3월 30일에는 일자리 지키기 보조금을

지원하는 등 기업과 근로자를 위한 경제 회복 정책을 시행하 다

구분 지원내용

기업

중소기업 및

비영리단체 지원

- 최대 10만 호주 달러 지원

- 자격요건 연간 매출액 5000만 호주 달러 이하 사업체 및 비영리단체

- 사업자의 사업활동보고 시스템(BAS) 이용 금액수단 형태로 제공

- 고용주는 활동 명세서를 제공해야 하며 해당 금액은 호주 국세청에 의해 14

일내 지급

비즈니스

파산방지책

- 6개월간 채권자의 발행 법령 청구서 기준액 인상(2000 rarr 20000 호주 달

러) 법정 요구 시간 연장(21일 rarr 6개월)

- 파산한 업체 대표들은 6개월 동안 개인적인 책임으로부터 일시적 구제

- 비즈니스 과정 중 발생한 부채만 해당

중소기업

운영자금 유통

- lsquo코로나19 중소기업 보증제도(Coronavirus SME guarantee scheme)rsquo 도

입 중소기업 신규 대출 50 보증

- 총 200억 호주 달러의 규모로 새로운 단기 무담보 대출 형태로 최대 5000

만 호주 달러 매출의 중소기업까지 대출 가능

- 대출금액 업체당 최대 25만 호주 달러 상환 기간 최대 3년 초기 6개월

상황 유예

개인사업자 및

자영업자 지원- 소득이 감소한 개인 사업자 및 자영업자까지 자격 기준 확대

개인

근로자

생계 지원금

- 4월 27일부터 향후 6개월 동안 2주마다 550호주달러의 추가 수당지급

- 기존 및 신규 수령인 모두 지급

- 자격조건 lsquo구직자 보조금 청소년 수당 육아 수당 농가 수당 특별 혜택 수

혜금rsquo을 받는 자에 한해 지급

연급 조기 인출

- (201920 회계연도) 최대 1만 호주 달러 + (202021 회계연도) 추가 1만

호주달러까지 연금 조기 인출

- 조기 인출에 대해 면세 혜택 부여 및 복지수당재향 군인 연금 지불에 미영향

- 연금인출 청구 가능자 실업자 구직자 수당 육아 수당 특별 혜택 농가 수

당 수령자 2020년 1월 1일 또는 이후 해고된 개인 자영업자의 경우 비즈니

스 운영이 중단되었거나 매출의 20가 감소한 경우

lt표 2-48gt 비즈니스 기업 및 개인 근로자 지원방안

9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마 일자리 관련 프로그램

1) 청년 일자리 계획(Youth Jobs PaTH) 프로그램22)

청년 일자리 계획(Youth Jobs PaTH)은 호주 정부에서 제공하는 청년 일자리 3

단계 계획 프로그램으로서 본 프로그램은 청년 취업자에게 훈련 및 인턴십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취업 가능성을 높인다(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청년 일자리 3단계는 취업 준비 과정 인턴십 임금보조금 지급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취업준비 과정은 기술 훈련에 참여하는 과정이며 인턴십 단계는 6개월간 구직

서비스 참여자나 취업 경험자들 대상으로 4년간의 인턴십 제공과정이다 인턴십 기간

중 참여자들은 2주간 소득지원급여(200 호주 달러)를 추가 지급받는다 또한 인턴을

받는 고용주는 1000 호주달러의 선불급여를 지급 받는다 마지막 단계인 임금 보조

금 지급은기업이 고용서비스에 등록된 청년 구직자를 반년 이상 고용시 6500 호주

달러를 청년 고용을 유도하기 위한 보조금(Youth Bonus Wage Subsidies)으로

지급하며 이는 최대 1만 호주 달러까지 최대로 지원 가능하다 사업체들은 청년

구직자들 직접 고용하거나 노동력 고용 주선(Labor hire arrangement) 도제제도

또는 인턴십과 병행하는 방법 등을 선택할 수 있다

2) 청년 창업 지원

호주 정부는 2016년 12월부터 워크숍 창업 정보의 온middot오프라인 제공 창업 인

센티브 보조금 제도(New Enterprise Incentive Scheme NEIS)의 확대 장기 실

업율이 높은 지역의 창업 협력 강화 등을 실시하 다(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워크숍은 총 2주간의 기간으로 운 되며 창업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며 동 워크

샵의 참여자에게는 최대 12주간의 인턴십에 참여할 기회가 주어진다 동시에 창업

정보 사이트(SelfStart Online Hub)를 통해서 참여자들은 창업 계획 아이디어 지

역별 창업 지원 정보를 온라인으로 획득할 수 있다 창업장려정책의 하나인 NEIS

프로그램은 전국적으로 약 8600개의 일자리를 18세 이상 구직자에게 제공하고 있

으며 소규모 사업체 훈련과 멘토링 소득지원 렌트비 보조 창업 아이디어 실행을

22)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6) 호주 청년 노동시장 진입 지원정책의 변화 글로벌 사회정잭 브리프 50호

내용을 재정리함

97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위한 개인 멘토링과 지원 등을 제공하고 있다 호주 정부는 또한 청년 실업률이 높

은 지역을 창업 협력 특별 지역으로 지정해 청년 창업을 활성화할 예정이다

3) 훈련 기금(Skilling Australian Fund)

호주 정부는 직업교육훈련(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VET)을 지원

해왔으며 훈련기금(Skilling Australian Fund)을 조성해 취업 준비생의 교육 및

훈련 기회를 확대한다 이 기금은 미래성장산업 농촌 및 지방에 수요가 많은 직종

에 교육이나 훈련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프로젝트에 한해 우선적으로 제공된다 펀

딩은 2018년 7월 1일부터 4년간의 프로젝트 기반 국가 파트너십을 통해 운 된다

주정부의 자금지원으로 모금된 펀드는 호주의 미래 일자리 창출 및 생산성 향상

을 위해 수천 명의 견습생과 연수생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4) 직업 전환 지원 프로그램(Career Transition Assistance Program)23)

50세 이상 구직자를 대상으로 운 되는 단기 집중화 코스로서 전이 가능한(다른

일에서도 사용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고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해 구직자들의 적응

력과 회복력을 증진시키고자 만들어진 프로그램이다 2018년 7월 1일부터 호주 5

개 주에서 시범적으로 시행되었고 2020년 7월 전국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36 영국

가 기존 일자리 정책

미래의 관광관련 일자리 정책과 관련한 국의 사례를 검토하기 위해서 먼저 기

존 관광을 포함한 전체 일자리 지원 정책을 검토하고자 한다 본 일자리 정책은 정

책 방향에 따라 역량 강화 성장환경 조성 인프라 강화 법제도 개선 측면으로 구분

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23) 지역 정책 2030(regions 2030 - unlocking opportunity) 내의 프로그램임

9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1) 전 산업24)

① 역량 강화

국은 노동자의 역량 강화를 위해서 청년층 경력단절자들의 복귀를 위한 정책을

추진하 다 청년층을 위한 정책은 청년 고용대책(New Deal for Young People

NDYP)이 대표적이다 1997년부터 시행되기 시작한 lsquo뉴딜rsquo(New Deal 신고용 협

정)은 국의 신노동당 정부의 lsquo복지로부터 노동으로(Welfare to Work)rsquo 전략을

위해 마련되었으며 실업의 해소와 복지수급자의 근로의욕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이다

뉴딜(New Deal) 프로그램은 장기간의 청년실업자를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프로그램은 장기간 청년실업자들을 구제하기 위하여 기업을 대상으로 보조금을

지급하는 정책을 시행하 다 본 정책은 청년실업자가 선택 가능한 다양한 교육프

로그램의 제공함으로써 청년실업자의 고용가능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예를 들어 뉴딜 참가자는 교육기관이나 훈련기관에서 3개월에서 최장 12개

월까지의 기초 기술을 습득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는 2급 국가기술자격증을 취득 가

능하다 이와 관련해서도 실업급여에 해당하는 액수를 훈련수당으로 지급가능하며

임대료의 보조와 지방세 면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초창기 본 프로그램

은 Gateway Option Follow-Through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있다

구분 내용

Gateway - 근무 장벽 해소를 위해 집중적인 구직 탐색을 4개월간 하는 프로그램

Option

- 참여자가 최대 6개월 동안 고용 옵션(Employment option) 최대 12개월 동안

전일 교육 훈련(Full-Time Education and Training FTET) 자원 분야

(Voluntary sector)에서 최대 6개월까지 일하고 환경 업무 팀(Environment

Task Force)에서 최대 5개월까지 근무를 포함

Follow-Through - 3개월까지 추가 구직 지원의 기간으로 프로그램 떠나기 전까지 참여

자료 Beale et al(2008)

lt표 2-49gt 뉴딜(New Deal) 프로그램

24) Department for Work amp Pensions(2015) 2010 to 2015 government policy employment의

내용을 재정리함

99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경력 단절자를 위한 고용 정책은 리스타트 프로그램(Restart Programme)25)이

다 1986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본 프로그램은 국의 대표적인 일자리 정책 중 하

나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리스타트 프로그램(Restart Programme)을 통해서 고용

주들이 경력단절을 지니고 있는 경력자들이 직업으로 복직할 수 있는 기회를 획득

하고 있다 또한 본 프로그램은 동기부여가 이루어진 구직자들의 풀(pool)에 접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본 프로그램은 복직을 희망하는 사람들이 직장에 복귀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고 신뢰도와 산업별 새로운 지식의 습득과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기업의 입장에서는 경험 많은 인재 풀(pool)을 적극적으로

개발함으로써 이익을 얻을 수 있다

본 프로그램의 추진 목적은 우선적으로는 경력 단절을 겪고 있는 구직자들이 적극

적으로 일자리를 구하는 것을 지원함에 있다 또한 구직조건에 미충족한 사람들을 선

별적으로 구분하고 그 사람들에게 보다 더 적절한 일자리와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② 성장환경 조성

일자리 성장환경 조성을 위한 국 정책으로는 프린스 트러스트(Princersquos Trust)26)

가 있다 1976년 찰스 왕세자에 의해 설립된 프린스 트러스트는 일자리 정책과 관

련되어 다양한 종류의 구직자 고용주 그리고 창업자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

고 있다

예를 들어 만 18세 ~ 만 30세의 연령에 해당하는 창업자가 설립한 기업에게는

약 1500 파운드에서 3500 파운드에 이르는 창업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또 다른

사례는 버밍엄 도심 공항(Birmingham City Airport)의 사례27)를 찾아볼 수 있다

프린스 트러스트와 버밍엄 도심 공항이 공동으로 실직 청년들에게 자금을 지원하는

취업 전 과정을 운 하고 있다 201718년에 시행된 프로그램을 통해서 51명이 동

프로그램을 완료하고 39명의 젊은이들이 공항에서 근무할 수 있는 일자리를 제공받

았다 해당 프로그램은 숙련된 인재를 일자리로 연계하 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5) Policy Study Institute(1992) The Restart Effect Evaluation of a Labour Market Programme

for Unemployed People의 내용을 재정리함

26) 프린스 트러스트 홈페이지(wwwprinces-trustorguk)의 내용을 재정리함

27) HM Government(2018) Industrial Strategy Tourism Sector Deal의 내용을 재정리함

10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③ 일자리 인프라 강화

일자리 인프라 강화를 위한 국 정책으로는 잡센터 플러스(The Jobcentre

Plus)를 통한 정책적 지원이 있다 잡센터 플러스는 일자리 정보 및 구직 활동에

대한 지원을 주는 기관이다 2006년 설립된 잡센터 플러스는 구직을 희망하는 사람

에게 일자리 정책을 지원하는 역할을 가지고 있다 동 센터는 일할 수 있는 사람에

게는 일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도움을 주며 일할 수 없는 사람에게는 lsquo지원 서비스rsquo

를 제공하기 위한 정책을 시작하 다 또한 동 센터는 노동 서비스 제공업체 지방

당국 교육 제공업체 및 고용주들과 함께 사람들이 다시 일하도록 도울 수 있는 혁

신적인 방법의 고안하는 데 주목하 다

동 연구센터는 3가지 유형의 집중 지원을 하고 있다 첫째 잡센터의 작업 코치와

기타 현지지원의 집중적인 추가 지원을 하고 있다 둘째 지원 대상자는 3개월 동안

매일 지역 내의 잡센터에 참석하여 자신이 작성한 입사 지원서에 대해 작업 코치와

상담할 수 있다 셋째 이력서를 작성하고 수정middot보완과 관련한 지원을 하고 있어

최대 6개월간 지역 사회 내 일자리 찾기에 도움을 주고 있다 도움이 되는 업무 경

험을 얻기 위해 최대 6개월 동안 지역 사회내의 적절한 작업의 배치가 가능하다

④ 법 제도 개선

국정부는 고용을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법과 제도를 추진하고 있으며 주요 정

책과 제도는 다음 표와 같다

구분 내용

근로가정의 비과세 보육 - 근로 가정은 12세 미만 아동 1인당 최대 2000파운드까지 양육비의 20

청구 가능

65세 의무정년제의 폐지

- 2015년부터 고용평등규정(Employment Equality Regulations 2011)

을 통해서 65세 의무정년제 폐지

- 목적 사용자와 근로자에게 유연성 최대 제공의 목적으로 하나 기업 부담

감소를 통한 국가 경제성장 도모

부당해고의 구제 청구자격

연수의 2년 연장- 기존의 청구자격 연수가 1년에서 2년으로 변경

자료 고용노동부(2014) 선진국 고용정책의 일자리 창출 효과 연구

lt표 2-50gt 영국 정부의 일자리 창출 법 및 제도 개선 관련 주요 정책

101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2) 관광분야 일자리 정책

상기에서 살펴본 국 정부의 일자리 관련 정책과 더불어 관광분야에서는 아래와

같은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다음의 정책들은 주로 예비 종사들의 현장 적응 능력

강화 및 구직을 위한 기회 확대와 관련되어 있다

① 견습생 제도(Apprenticeship)28)

국 정부는 관광분야에서 더 숙련된 인력을 유치하고 유지하기 위한 노력의 일

환으로 견습생 선발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국 정부는 2025년까지 매년 3만

명의 새로운 견습생 제도의 시행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한 관광분야 및 환

대산업 분야에서의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견습생 선발 제도의 대상은 해당 분야의 일을 처음 시작하는 사람으로부터 해당

전공의 학위를 수여한 전공자에 이르기까지 다양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다양한 분

야의 경험을 가지고 있는 구직자들을 견습생으로 선발하는 것도 이 정책의 특징이다

또한 2019년 새로운 형태의 웹세미나(Webinar)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다 본

프로그램은 다양한 디지털 채널을 통한 서비스 이용자들(예 고용주 훈련 제공자

최종 평가조직 등)과의 협력을 통한 견습생 제도를 지원하고자 한다 본 프로그램에

는 서비스 개발 업데이트 견습생의 자격 사용자 및 교육 제공자에 대한 최종 평가

활동의 기록 최종 포인트 평가의 지침과 견습생 평가 서비스의 가이드에 대한 주제

를 포함한다 모든 웹세미나(Webinar) 프로그램은 전문가들에 의해 주도되어지며

참석자들은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질의응답 시간을 통해서 참여할 기회를 갖는다

또한 서비스 이용자들이 견습생 선발제도의 이용과 새로운 개발 부분에 대해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다른 정부부처 (예 교육 및 기술기금 조달청 lsquoEducation and

Skills Funding Agencyrsquo) 및 이해관계자들과의 협력을 도모하고 있다

② 사전 인터뷰 시행 지원

본 정책은 더 많은 구직을 희망하는 사람들이 관광산업 및 환대산업군에서의 고

용 기회를 얻을 수 있게 지원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보다 더 많은 사람들이 관광

28) ESFA Digital(2019) Sign up to our new apprenticeship service webinar programme의 내용

재정리함

10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및 환대산업의 직업군에서 경험한 풍부한 경험들을 새롭게 일자리를 구하고자 하는

사람들과 공유하고 나아가 그들이 경험한 것을 환대와 관광산업 분야에서 모방할

수 있도록 돕는다

③ 취업 캠페인(The MyTourismJob)29)

본 캠페인은 관광산업 분야의 다양한 일자리 소개하는 데 집중하고자 하는 정책

이며 더 많은 젊은 구직자들이 관광 환대산업군을 자신의 직업 선택군으로 생각하

도록 장려하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본 정책은 관광산업군 내에서 여러 산업체와의

협력을 기반으로 고용주 학교 및 대학 간의 관계를 중개하는 업무 중시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 정책은 디지털 시대에 걸 맞는 여러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미래 일자리 정책 중 하나이다

본 정책은 관광산업이 젊은 세대들의 직업 선택과 관련한 의사결정과정에서 향

을 미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으며 경력의 개발과 관련한 사항들이 더 잘 뒷받침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정책이라고 기대되어진다

④ 멘토링 프로그램(Mentoring programme)

본 정책은 매년 1만 명의 관광 분야 종사자들이 관광업계에서 머물 수 있도록 멘

토링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에 더하여 이들의 커리어

개발을 지원하고자 한다30) 개인별 맞춤 훈련의 제공을 통한 명확한 진로의 개발에

도움이 되는 발전적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멘토링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한 관광업

종사자들의 적절한 진로 탐색과정을 통하여 개인별 트레이닝과 진로개발의 기회들

이 제공될 것으로 기대되어 진다

⑤ 관광 산업 군 직장 내 교육 프로그램

본 정책은 관광산업 군내에서의 다양한 직업의 역할 스킬 및 위치의 측면을 고려한 구

체적인 이해의 상승효과를 위해 활용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인식되고 있다 2021년까지

해당 교육 프로그램을 받는 직원의 비율을 80에 달성하도록 하는 목표를 지니고 있다

29) DCMS(2016) Tourism Action Plan의 내용을 재정리함

30) OECD(2020c) OECD Tourism Trends and Policies 2020의 내용을 재정리함

103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⑥ 관광 및 환대산업 내의 인재 양성 파이프라인 구축을 위한 투자

국 정부는 관광 및 환대산업 내 인재 양성을 위해서 pound1000000의 투자를 시

행한다 구체적으로 본 정책은 학교 대학 고연령 근로자 lsquoJobCentre Plus(잡센터

플러스)rsquo 구직자 자선단체 등과의 상생과 협력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자 한다 특

히 상대적으로 소외되고 유능한 인재 획득에의 접근성이 떨어지는 고용인(외부 지

역 주민 포함)에 대한 지원을 강조하고 있다

나 미래 일자리 정책 사례

1) 전 산업

국 정부는 전 산업에서 미래 일자리와 관련해서 기술 및 투자환경 조성 구직 정

보 접근성 제고 노동시장 규제 장기 전략의 개발 및 시행 등 미래 일자리 환경과 인

프라를 구축하고 있으며 창작 및 디지털 분야의 투자 확대 생산의 디지털화 등 신산

업과 생산력 제고 등을 통해 일자리를 창출하고자 아래와 같은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구분 내용

유연하고 역동적인

기술 및 투자 환경의 조성

- 배경 일자리 보급의 성장에 기여하는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관점으로 시

행 및 공공과 민간 투자의 일치로 인한 효과성 보장

- 내용 광범위한 정부 주도의 기술 프로그램 및 투자와 지원을 통해 고용을

강화시킬 수 있는 규제 촉진

구직 정보 접근

권한 부여

- 직무 관련 연수와 교육제공의 정보 및 조언 접근의 권한 개인부여

- 개인 보유 기술력 투자 지원 및 확대 위해 금융 접근 용이성 지원

- 급변하는 환경에 필요한 기술을 개발하는 데 있어 민첩성과 비용의 유용성 및

효율성을 보장하기 위해 비즈니스와 교육 및 훈련 부문 간의 전략적 관계 구축

영국 내 노동시장 규제의 시행- 노동시장에서의 힘의 균형이 점점 더 고용주에게 쏠리는 현상(lsquoRace to

bottomrsquo)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노동시장 규제

장기 전략의 개발 및 시행- 영국 정부는 일관성 있는 전략의 실행 및 보급을 통해 저숙련자들의 급변하

는 노동시장에 대한 대응성 강화

창작 및 디지털 분야

투자 확대

- 배경 기술 발전에 힘입어 창작 및 디지털 분야에서의 생산성의 향상과 새로

운 비즈니스 모델을 위한 개발이 촉진될 것으로 예상

- 기술환경 변화를 통해 가상 협업(Virtual collaboration) 아웃소싱 프로젝

트의 유연한 관리 등 디지털 분야의 작업환경이 형성될 것으로 기대되어 창

작 및 디지털 분야 투자 확대 추진

생산의 디지털화

- 계속되는 산업의 디지털화(Digitalisation)로 근소화(near-shoring) 분산

(decentralised) 등 생산 방식이 변화하여 영국 내 2023년까지 10만~20

만명의 제조업 종사자의 고용증가 기대

자료 UKCES(2014) The Future of Work Jobs and Skills in 2030 RSA(2013) Making at Home Owning Aborad

lt표 2-51gt 영국 정부의 미래 일자리 주요 정책

10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2) 관광분야

① 디지털 전환 정책의 실시

문화미디어스포츠부(Department for Digital Culture Media and Sport

DCMS)는 디지털 기술을 보유한 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디지털 전략의 실시 및

제공한다(전효재middot한희정 2018) 본 부처는 디지털 캠페인을 통해서 관광분야의 다

채로움과 다양한 직업군이 있음을 구직자들에게 알리는 데 주목적을 두고 있다

② 새로운 T-레벨(New T-levels) 자격의 시행31)

2020년부터 국은 새로운 자격증명인 T-레벨이 시행되었으며 이는 기존의

국 GCSEs(중등교육자격시험)의 2년제 기술교육 프로그램의 상위등급이다 건설

디지털 교육 보육과 관련된 교육과정을 교육하게 되며 각 교육에는 3개월의 현장

직무실습이 포함되며 기존의 대입시험과정인 A-레벨 (A-level)에 준하는 진로의

교육과정이 될 것이다 2021년부터는 회계 미용 공학 혁신 산업 분야(The

creative industries)에 대한 22개의 교육과정이 추가로 실시될 예정이다

본 자격은 기업들이 기술의 교육 및 현장실습 경험이 있는 사람들이 기술의 부족

을 메꾸는 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본 자격제도는 관광 분야에 있어 관광전공자에게 최소 45일의 관광분야에서의

현장 배치의 실질화를 통해 효용가치가 높은 직업 체험을 제공하며 미래의 구직희

망 인재들이 관광산업군 및 환대산업의 역할에 대한 더 나은 기대를 지닐 수 있게

지원한다 본 자격제도는 T-레벨 자격증명을 통해서 환대산업과 관광산업의 분야에

해당하는 직업 군인 바텐더부터 세계적인 프랜차이즈 호텔의 매니저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역할과 경력을 제공하는 데 기여하고 있는 정책으로 평가받고 있다

4 시사점

우리나라는 인적자원 개발과 지속가능 발전 기반의 일자리를 정책을 추진하고 있

다 특히 문재인 정부에서는 좋은 일자리 창출을 위해 lsquo일자리위원회rsquo를 설치하여

31) BBC(20180527) First colleges to teach new vocational T-levels named의 내용을 재정리함

105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일자리 인프라 구축 공공일자리 창출 민간 일자리 창출 일자리 질 개선 맞춤형

일자리 지원 등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 미래 일자리

창출 정책은 인구구조의 변화 대응 디지털 전환 대응 코로나19 이후 새로운 패러

다임 대응에 초점을 두고 있다

구분 내용

인구구조 변화 대응

- 고령자 일자리 재취업 창업 농어촌 귀한 사회공헌 등

- 여성 일자리 출산 및 육아 일자리 양성평등 재취업 기반 확대 등

- 청년과 중장년 근로자 일자리 질 개선 생산성 향상

디지털 전환 대응

- 기존 일자리 유지 주력산업 중심 제조업 변혁(스마트화 신산업 주력산업 산업생

태계 개편 정부 역할 강화(투자 혁신 지원)

- 신산업 일자리 25개 분야 100대 핵심 기술개발 투자

- 인적자원 역량 강화 교육훈련 기회 혁신선도 산업수요 대응

코로나19 이후

새로운 패러다임 대응

- 디지털 뉴딜 DNA(Data-Network-AI) 생태계 강화 교육인프라 디지털 전

환 비대면 산업 육성 사회간접자본(SOC) 디지털화

- 그린 뉴딜 도시middot공간middot생활 인프라 녹색 전환 저탄소middot분산형 에니지 확산 녹색

산업 혁신생태계 구축

-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middot사회안전망 확충 디지털middot그린 인재양성 등 사람투자

자료 국내 주요 정부부처의 일자리 정책 참고 재작성

lt표 2-52gt 국내 미래 일자리 창출 정책

문화체육관광부의 관광 일자리 정책은 주로 예비 종사자와 종사원 역량 강화에

초점을 두고 추진 중이다 미래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관광사업 창업지원 및 벤처

육성 지원을 추진하고 있다 최근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관광업계 피해가 증가함

에 따라 문화체육관광부는 관광산업의 지역소비 여력 확충과 더불어 고용 유지 지

원을 위해서 고용 유지 지원금 지원 요건을 완화하여 시행하고 있다

일본 미국 캐나다 호주 국 등에서도 일자리에 대한 중요성에 따라 다양한

정책이 전 산업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미래 일자리와 관련하여 신규 성장

분야 육성 디지털 전환 정책 등을 통해 일자리를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신규

고용 창출이나 고용유지를 위한 지원 직접지원 사업뿐만이 아니라 구직자의 구직활

동 강화를 위한 연수 및 교육 고용지원 인프라 구축 등 간접지원방식의 정책도 추

진되고 있다

10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구분 내용

일본

- 지역고용창출과 관련한 사업 추진(예 지역활성화고용장조 프로젝트)

- 지역제안형 고용창조촉진사업 가이드나 서비스 인력 등의 인력양성 및 연수 등 추진

- 중점분야고용창조사업 가이드 관광객 편의서비스 지원인력 관광안내인력 관광자원 정보수집

인력 등 지원

미국

- 미래세대 인력 및 노동시장 정보시스템 개발 관광산업 정보 수집

- 견습 프로그램 예산 증액

- 인력혁신 및 기회의 법 효과 증진

- 인력양성프로그램 평가방법 개발

- 직무능력 역량 모델 개발

캐나다

- 관광목적지 고용 프로그램

- 미래 기슬 프레임워크 도출(관광의 현재 및 미래기술 정의)

- 스마트 인증제(기준 강화를 통한 프로그램 질 개선)

- emerit 교육 프로그램 연구 설계 및 테스트

- 캐나다 여행 관광 아카데미(교육자 및 업계 파트너의 지원 및 지도)

- 레디투워크(Ready to work) 프로그램(현장 교육 강화)

- 환대 서비스 종사자 훈련 센터 운영

- 산업촉진 프로젝트 실행(디지털 융합 인력 양성 및 역량 강화 등)

호주

- 관광사업체 연계한 교육 훈련 고용 성과 등 개선 프로그램 운영

- 운영자 지원 프로그램(무료 안내서 성공사례 인적자원 관리 기타 지원 안내서) 제공

- 코로나19 이후 관광산업을 비롯한 전산업을 대상으로 기업 및 개인근로자를 위한 지원금 제공

영국

- 견습생 제도

- 사전 인터뷰 시행 지원

- 취업 캠페인 멘토링 프로그램

- 직장 내 교육 프로그램

- 디지털 전환 정책 실시

- 새로운 자격제도 시행

lt표 2-53gt 관광 일자리 창출 관련 해외 정책

우리나라의 관광 일자리 정책은 주로 예비 종사자와 종사원 역량 강화에 초점을

두고 추진되고 있으며 관광 일자리 활성화를 위해서 관광산업 일자리 박람회 관광

일자리센터 설립middot운 지역관광일자리 활성화 사업(지역관광기업지원센터 구축

산학협력프로젝트 등) 등을 통해 관광산업 일자리 정보 교육 및 훈련 등이 추진되

고 있다

특히 미래 일자리 육성과 관련해 최근에는 미래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관광사

업 창업 및 벤처기업 육성middot지원 미래형 관광인재 육성 등을 추진하고 있다 코로나

19로 인한 관광산업 고용 위기에 대응하고자 고용유지지원금 교육지원 관광지 방

역 및 수용태세 개선관련 일자리 창출 사업 등도 추진되고 있다

107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제4절 시사점

본 연구는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을 도출하기 위해 환경변화에

따른 관광 미래 유망 일자리 분야와 국내외 일자리 창출 정책을 살펴보았다

미래 일자리 환경 측면에서는 인구구조의 변화 4차 산업혁명 기술의 발달과 활용

기후변화 코로나19 등으로 생태 및 친환경 인식과 안전 인식 증가 국내외 제도의

변화 고용 관련 가치관 및 인식의 변화 이에 따른 관광 환경의 산업적 시장적 자원

적 측면에서의 변화가 전망되었다 정책적 측면에서는 국내외 적으로 미래역량 성장

환경 조성 인프라 법제도 등과 관련한 관광 일자리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변화와 정책 사례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 다

가 일자리의 전문화 및 세분화

우리 사회는 4차 산업혁명 저출산 및 고령화와 같은 기술 사회경제적 변화에

직면해 있으며 이에 따라 일자리 일하는 방식이 변화하고 있다 직업관이 조직 중

심에서 개인 중심으로 변화되고 정규직 중심의 전통적 일자리에서 임시 및 독립적

일자리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한 프로젝트 기반의 1인기업 플랫폼 경

제 활성화에 따른 플랫폼 기반 종사자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미래의 직업은 기존 직업이 전문화된 서비스 직업으로의 변화 수요의 다양

화에 따른 직업의 전문화 및 세분화 타 직무middot지식middot기술의 융합을 통한 직업의 발

생 기술기반의 새로운 직업 탄생 등의 변화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한

코로나19로 인해 재택근무제 유연근무제의 활성화가 촉진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관광산업의 일자리에도 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관광산업에

서도 기술 기반의 사업체가 증가하고 있으며 타분야의 융합을 통한 일자리의 증가

관광객 수요의 다양화로 기존 관광 일자리의 전문화 및 세분화가 나타나고 있다

10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이에 우리나라 정부도 신산업 육성 직업능력개발 고급융합 인력양성 등의 정책

을 추진하고 있으며 일본 호주 캐나다 국 등에서도 견습 프로그램 청년 일자

리 직업 전환 지원 등 일자리 지원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나 관광산업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

디지털 전환은 산업의 자동화뿐만 아니라 생산과 소비 일과 삶의 역 등 사회

전반에 향을 미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으로 명명되는 시대적 전환은 기존 일자

리 신산업 일자리 인적자원 역량의 관점에서 변화를 가속화하고 있다

단순 반복적 직업은 자동화를 통해 기술적으로 대체되고 미래 사회를 주도한 미

래 유망 기술 발굴 및 관련 제품과 서비스 개발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관광 분야

에서도 AI 빅데이터 플랫폼 등의 활용이 점차 증가되고 있으며 키오스크 등의 무

인화 서비스로 인해 관련 분야의 일자리가 감소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전환은 국내 및 해외 일자리 정책에 있어서 중요하게 고려되며

우리나라를 비롯한 호주 일본 국 미국 등 기존 관광인력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

하고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고 관광과 기술이 융합된 분야의 일자리 창출을 지원하

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다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인한 관광산업 일자리 변화 발생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세계 국가 간 이동이 제한되었으며 국내에서는 사회적 거

리 유지가 시행되었다 이로 인해 외래관광객 유입 및 국내 해외여행객 송출이 대폭

감소하 고 관광사업체의 운 을 어렵게 만들었다 이에 관광산업 종사자 수는 크

게 감소하 다 구체적으로 2020년 1분기 여행 서비스 숙박시설 서비스의 종사자

는 전년동기 대비 감소하 으며 구인과 채용의 수도 감소하 다

또한 코로나19는 관광객의 행태 소비의 변화도 가져왔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해외여행 수요는 국내여행으로 전환되어지고 관광객의 여행 안전에 대한 인식도

강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관광객이 붐비지 않고 야외 공간이 선호되고 있으며 무

인화 및 자동화 회의산업의 비대면 기술 활용 증대 등 관광산업의 비대면 기술 활

109제2장 미래 일자리 환경 및 국내외 정책 대응 사례

용을 촉진하고 있다

이러한 관광산업과 일자리 변화의 발생은 국내 및 해외의 일자리 정책의 변화를

야기하 다 우리나라 정부는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해 디지털 뉴딜 그린 뉴딜

사회안전망 강화의 한국판 뉴딜 정책을 발표하 고 관광산업의 고용 유지를 위해

고용유지지원금 관광업계 종사원의 교육 지원 등을 추진하고 있다 호주의 경우도

급여 보조금 형태의 일자리를 지키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그림 2-26] 미래 일자리 환경 및 정책사례 시사점

구분 주요 내용 시사점

미래 일자리

환경

- (사회) 인구구조 및 교육구조의 변화

- (기술) 4차 산업혁명 기술 발달

- (생태) 코로나 19 등으로 생태 및 친환경 안전 인식

제고

- (정치 및 제도) 남북관계 도시재생 산업간 융합

- (고용) 기존 직업의 고부가치화 직업의 세분화 및

전문화 융합형 직업 증가 기술기반 신규 직업 탄생

- (관광) 관광시장(다양화 및 세분화) 관광산업(전통

적 산업에서 신규 관광 비즈니스로 전환) 관광자원

(일상공간의 관광공간화) 측면에서 변화

- 일자리 환경의 다변화

- 관광산업의 디지털

전화 가속화

-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관광산업 일자리

변화 발생

국내외

일자리

정책

- (미래 역량) 유망 분야 인력 양성 종사자 디지털

전환 자격제도의 신설

- (성장환경 조성) 신산업middot비즈니스 창출 지원

- (인프라) 일자리 수급 분석 실시 일자리 정보제공

활성화

- (법 제도) 다양한 고용 형태 지원 노동안전망 지원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제3장

113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제1절 개요

본 장은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과 관련한 부분이다 본 장은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을 위해서 크게 두 가지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 부분은 미래 일자

리 유망분야 및 유망 일자리 후보군 도출이며 두 번째 부분은 미래 일자리 예비

후보군을 바탕으로 미래 일자리를 도출하는 것이다

먼저 제 2절에서는 선행연구 및 국내middot외 관광 트렌드 정책 자료 등을 분석하여

향후 5년간 발전 가능성이 있는 미래 일자리를 유망 분야별로 구분하고 유망 일자

리 후보군을 제시하고자 한다 즉 제2절에서는 관광 일자리의 성장 가능성을 살펴

보았고 미래 일자리 환경 분석 결과와 연계해 연구진 관광 및 일자리 분야 전문가

의견 조사를 통해 유망 일자리 후보군을 도출하 다

구분 1차 2차

대상- 관광 일자리 분야 전문가 27인

관광분야 17명 일자리분야 10명

- 관광 일자리 분야 전문가 26인

관광분야 17명 일자리분야 9명

실시 시기- 20200803 ~ 20200814

- 평균 20분 소요

- 20200818 ~ 20200824

- 평균 10분 소요

조사 방법 - 온라인 설문지 자기 기입(개방형 질문) - 온라인 설문지 자기 기입

조사 내용- 관광 일자리 환경변화 및 유망 분야

- 관광 유망 미래 일자리

- 관광 미래 일자리 성장 가능성 및 시기

- 관광 미래 일자리 대응 정책 방향

lt표 3-1gt 전문가 의견 조사 개요

관광 분야 전문가는 관광학 교수 관광 사업체 관광 유관사업 연구원 관광연구

원 관광유관 협회 등이 참여하 고 일자리 분야 전문가는 직업 일자리 및 노동

관련 연구기관 소속 전문가 사회 및 미래 예측 관련 전문가 등이 참여하 다

그 후 제2절의 결과인 유망 일자리 후보군을 토대로 연구진 관광 및 일자리 분야 전문가

의견 조사를 실시하여 미래 성장가능성을 확인하 다 제3절에서는 미래 유망 관광일자리

분야를 통해 분야별 성장가능성 필요 역량 관련 일자리 관련 현 자격제도를 살펴보았다

11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제2절 미래 관광 일자리 후보군 도출

1차 전문가 의견 조사에서는 미래 환경 변화에 대한 이슈와 미래 관광 일자리 후

보군을 조사하 다 본 조사는 개방형 질문(Open-ended question)으로 조사하

다 개방형 질문으로 조사한 이유는 2장의 자료 분석 결과와 그 외의 다양한 이슈를

조사하기 위함이다

1 환경 이슈 및 유망 분야

11 미래 관광 일자리 환경 이슈 종합

자료 분석 결과와 전문가 의견조사를 통해서 43개의 미래 환경 변화 이슈를 다음

과 같이 선정하 다 각 역별로 나누어 관광 및 사회 기술 생태환경 정치 일

자리 환경 측면 전 분야에 향을 미치는 이슈를 도출하 다 본 연구는 이슈 도출

시 관광 미래 일자리와의 연결성을 중시하며 선정하 다

본 연구에서 관광 사회 기술 생태환경 정치 일자리 환경 측면의 환경 변화

요인 전문가 의견 조사 및 연구진 회의를 바탕으로 뽑은 5년 내 관광산업 주요 환

경 변화 키워드는 lt표 3-2gt와 같다

구분 주요 키워드

관광

(관광트렌드 변화)관광객 소비문화

- 가치지향 여행 소비(소확행 가심비 트렌드 확산)

- 경험소비

-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 부상(관광 정보 SNS 공유)

- 일상에서 만나는 비일상여행(생활여행 한달살기)

- 누구나 즐기는 여행(생애주기 여행 무장애 여행 등)

- 관광시민(관광객으로서의 역할 중요)

lt표 3-2gt 미래 환경 변화 주요 키워드

115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구분 주요 키워드

- 특수목적관광 또는 특별관심관광의 활성화

- 근거리 여행(이동시간 및 거리 최소화)

- 소규모 중심의 여행 활성화

- 비(무)계획 관광 소비(즉흥 여행 증가)

- 안전과 위생 강조(안전 여행지 야외형 관광 수요 증가)

- 비대면 여행 선호

- 국내 여행 소비 확대

- 스마트관광(모바일 활용)

관광산업

- 전통기업의 위축

- 플랫폼 비즈니스 공유경제 글로벌 OTA의 발전과 확산

- 비대면 관광 서비스 확산(비대면 관광기술 수요 증가)

- 스마트기술 기반의 관광활동 증가

사회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 변화)

인구구조

- 고령화 및 대규모 은퇴자 증가

- 가족 형태의 다양화(1인가구 반려동물 동반 가구 다문화)

- 생산연령 인구 감소 및 지역 인구 감소(지방소멸의 위험)

사회인식- 여가시간 증대 및 워라밸의 추구

- 안전 생명 등 본원적 가치 중시 현상 강화

교육구조 - 대학인구 감소 초중고생의 교육수요 변화 체험교육 확대

기술

(과학기술 발전)4차 산업혁명

-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 가속화 및 활용 증가(인공지능 5G 증강현

실 로봇 빅데이터 자율주행 등)

- 모바일과 여행 플랫폼 비즈니스의 진화

- 기술 도입으로 인한 무인화 자동화 확산

- 사이버 범죄 우려로 인한 개인 정보 보호 강화

- 구독 경제 활성화(정기배송 렌털진화형 모델 등)

생태환경

(환경과 에너지)

전염병

기후변화

- 친환경 관심 증가 신재생 에너지middot친환경 교통수단 활용 증가

- 재난 증가에 따른 코로나19와 같은 전염병 등 안전관리 위기관리관

심 증가

지속가능성 - 지속가능발전 투자와 활동 확대

정치

(법제도 및

정부 정책)

국제관계- 남북교류 활성화 DMZ 관광

- 코로나19로 인한 국가간 이동 제한 국제교류 이축

국내정치

정책

- 도시재생 사업 혁신 정책

- 부처별 융복합 사업 확대

- 위기관리 대응체계 구축 강조

- 지방분권 지역균형발전 등 지역정책 증가

일자리 환경

(산업특성 및

산업구조 변화)

기업문화 - 기업 직장에서 직업 매개체로의 변화 고용형태 다양화(프리랜서 증

가) 다직업 체제

고용환경

- 일자리 양극화와 데이터 기반 인적관리 강화 프리랜서 활동 플랫폼

증가(인력중개 플랫폼)

- 코로나19로 인한 관광 분야 대량해고와 실직 예상

산업구조 - 자기고용과 창조서비스업의 증가

노동환경- 언제 어디서나 일할 수 있는 유연한 업무 환경 근무시간 축소 장기

휴가 증가(워케이션)

11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12 미래 관광 일자리 유망 분야

또한 환경 변화 키워드와 관련하여 주요 유망 분야에 대해 전문가 의견조사 결과

는 다음 lt표 3-3gt과 같다 총 31개의 미래 변화와 관련한 관광산업 유망 분야가

도출되었다

구분 유망 분야 주요 변화 키워드

관광

(관광트렌드

변화)

관광객

소비문화

- 맞춤형 관광- 가치지향 여행 소비(소확행 가심비 트렌드

확산) 경험소비

- 관광시민(관광객으로서의 역할

중요)- 관광시민(관광객으로서의 역할 중요)

- 관광 미디어 콘텐츠(사진 영상)-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 부상(관광 정보

SNS 공유)

- 생활관광

- 일상에서 만나는 비일상여행(생활여행 한달

살기) 근거리 여행(이동시간 및 거리 최

소화)

- 아동관련 여행

- 취약계층 관련 여행

- 누구나 즐기는 여행(생애주기 여행 무

장애 여행 등)

- 소그룹 여행 - 소규모 중심의 여행 활성화

- 지역 전문 관광

- 지역 교류 관광 공감- 국내 여행 소비 확대

- 해양관광 레저스포츠관광

- 치유관광 웰니스 관광 의료관광

- 농촌관광 예술관광 산업관광 역

사관광

- 특수목적관광 또는 특별관심관광의

활성화

관광산업

- 관광 플랫폼 OTA 공유경제시장

발전 신 관광비즈니스 창출

- 플랫폼 비즈니스 공유경제 글로벌

OTA의 발전과 확산

- 스마트 관광

- 스마트기술 기반의 관광활동 증가 비

대면 관광 서비스 확산(비대면 관광기

술 수요 증가)

- 모바일과 여행 플랫폼 비즈니스의 진화

사회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

변화)

인구구조

- 실버관광 요양관광 - 고령화 및 대규모 은퇴자 증가

- 나홀로 여행

- 반려동물동반여행

- 가족 형태의 다양화(1인가구 반려동물

동반 가구 다문화)

교육구조 - 교육여행- 대학인구 감소 초중고생의 교육수요

변화 체험교육 확대

기술

(과학기술

발전)

4차

산업혁명

- 빅데이터 분석 및 개인화

- 가상현실 드론 영상 이용 여행 콘

텐츠

- 모빌리티

-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 가속화 및 활

용 증가(인공지능 5G 증강현실 로봇

빅데이터 자율주행 등)

lt표 3-3gt 관광산업 주요 유망 일자리 유망 분야

117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2 미래 관광 유망 일자리 후보군

21 미래 관광 유망 일자리 후보군 종합

환경 변화분석 정책 사례 조사 1차 조사 의견 연구진 회의를 통해서 본 연구는

미래 관광 유망 일자리 후보군을 lt표 3-4gt와 같이 도출하 다

구분 유망 분야 유망 일자리 후보군

관광

(관광트렌드

변화)

관광객

소비문화

- 맞춤형 관광 - 여행 컨셉 기획가(맞춤형 관광 컨설턴트)

- 관광시민(관광객으로서

의 역할 중요)- 관광운동전문가

- 관광 미디어 콘텐츠

(사진 영상)

- 관광 사진영상 작가

- 관광콘텐츠크리에이터(여행작가 여행유튜버)

- 관광 콘텐츠 기획 제작 유통 전문가

- 여행영상 편집 지도사

- 관광 콘텐츠 개발자 문화콘텐츠 전문가

- 생활관광 - 생활관광 스토리텔러

- 아동관련 여행- 아동 여행 콘텐츠 개발자

- 아동 여행 가이드

- 취약계층 관련 여행 - 여행복지사

lt표 3-4gt 관광산업 주요 유망 일자리 후보군

구분 유망 분야 주요 변화 키워드

- AI기반 로봇 활용 증가 - 기술 도입으로 인한 무인화 자동화

확산

- 관광 어트랙션 구독 서비스 제공 - 구독 경제 활성화(정기배송 렌털진화형 모

델 등)

생태환경

(환경과

에너지)

전염병

기후변화

- 생태친환경 관광- 친환경 관심 증가 신재생 에너지middot친환

경 교통수단 활용 증가

- 여행 안전관리

- 재난 증가에 따른 코로나19와 같은 전

염병 등 안전관리 위기관리관심 증가

안전과 위생 강조(안전 여행지 야외형

관광 수요 증가) 위기관리 대응체계 구

축 강조

정치

(법제도 및

정부 정책)

국제관계 - 남북관광 평화관광 - 남북교류 활성화 DMZ 관광

국내정치

정책

- 도시재생 - 도시재생 사업 혁신 정책

- 융복합 관광 한류관광 - 부처별 융복합 사업 확대

11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구분 유망 분야 유망 일자리 후보군

- 소그룹 여행 - 소규모 관광 가이드

- 소규모 단체여행 기획 및 인솔가

- 지역 전문 관광

- 현지전문 맞춤 가이드

- 지역 관광 크리에이터

- 지역관광추진조직(DMO) 코디네이터

- 지역 교류 관광 공감- 지역관광교류전문가

- 관광인문학자

- 해양관광 레저스포츠

관광

- 레포츠관광 전문 가이드

- 해양치유사 해양관관 전문가

- 캠핑 관광 - 캠핑관광 용품 대여업 운영자

- 치유관광 웰니스 관광

의료관광

- 치유관광 운영자

- 농촌 치유관광 전문가

- 의료관광 기획가

- 농촌관광- 농촌관광 전문가

- 교육농장 및 진로체험농장 전문가

- 예술관광- 예술관광기획가

- 예술관광 가이드

- 산업관광 - 산업관광기획가

- 역사관광- 역사관광기획가

- 역사관광해설가

관광산업

- 관광 플랫폼 OTA 공

유경제시장 발전 신 관

광비즈니스 창출

- OTA 리스팅 전문가

- 관광 플랫폼 코디네이터

- 관광 플랫폼 디자이너

- 관광 플랫폼 운영자

- 관광창업 전문가

- 스마트 관광 - 스마트 관광 경험 디자이너

사회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 변화)

인구구조

- 실버관광 요양관광- 실버 여행 콘텐츠 개발자

- 실버 여행 가이드

- 나홀로 여행 - 나홀로 여행 컨설턴트

- 반려동물동반여행 - 반려동물여행시설운영자

교육구조 - 교육여행- 교육(학습) 관광 기획가

- 자유학기제 진로체험 전문가

기술

(과학기술 발전)

4차

산업혁명

- 빅데이터 분석 및

개인화

- 관광 빅데이터 분석가

- 관광 빅데이터 처리 엔지니어

- 관광 시스템 프로그램 전문가

119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22 미래 관광 유망 일자리 후보군 도출

2차 의견 조사에서는 1차 의견조사에서 도출된 유망 일자리 후보군을 검증하기

위해서 미래 관광일자리로서 5년 내 성장가능성을 5점 척도로 일자리 발생 시기

를 단기(3년 이내) 중기(4년~6년) 장기(7년~10년)로 측정하 다

2차 의견 조사에서 각 일자리에 대한 성장가능성은 평균 360점으로 나타났다

미래 관광 일자리로서 성장 가능성이 높게 평가된 항목은 관광빅데이터 분야의 관

광빅데이터분석(평균 450점)으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관광콘텐츠크리에이터

(평균 446) 관광 빅데이터 처리 엔지니어(평균 446점) 관광플랫폼운 자(평균

442점) 순으로 나타났다

구분 유망 분야 유망 일자리 후보군

- 가상현실 드론 영상

이용 여행 콘텐츠- 가상현실 체험 콘텐츠 크리에이터

- 모빌리티 - 관광 교통 대여업자(개인 전동 이동수단 공유

차량 등)

- AI기반 로봇 활용 증가 - 관광 서비스 로봇 콘텐츠 개발자

- 관광 서비스 로봇 관리자

- 관광 어트랙션 구독

서비스 제공 - 관광 어트랙션 구독 기획가 및 운영자

생태환경

(환경과 에너지)

전염병

기후변화

- 생태친환경 관광- 생태관광 인솔자

- 숲 해설가

- 여행 안전관리

- 숙박시설 방역전문가

- 관광안전여행 인솔자

- 관광안전여행 컨설턴트

- 관광안전여행 기획가

정치

(법제도 및 정부

정책)

국제관계 - 남북관광 평화관광- 북한관광기획가

- 평화관광해설사

국내정치

정책

- 도시재생- 도시재생 관광기획가

- 도시재생 관광 해설가 스토리텔러

- 융복합 관광 한류관광 - 한류문화 관광 콘텐츠 기획가

기타

- 관광 고용 컨설턴트

- 우주여행 기획가

- 자원봉사여행 기획가

- 관광법규 전문가

12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유망 분야 유망 일자리 후보군성장 가능성 일자리 발생

시기평균 표준편차

맞춤형 관광- 여행 컨셉 기획가(맞춤형 관광

컨설턴트)396 066 단기

관광시민

(관광객으로서의 역할 중요)- 관광운동전문가 288 128 중기

관광 미디어 콘텐츠

(사진 영상)

- 관광 사진영상 작가 354 117 단기

- 관광콘텐츠크리에이터(여행작가 여행

유튜버)446 081 단기

- 관광 콘텐츠 기획 제작 유통 전문가 431 084 단기

- 여행영상 편집 지도사 292 098 단기

- 관광 콘텐츠 개발자 문화콘텐츠 전문가 423 065 단기

생활관광 - 생활관광 스토리텔러 335 113 단기

아동여행 관련 여행- 아동 여행 콘텐츠 개발자 350 117 단기

- 아동 여행 가이드 315 097 중기

취약계층 관련 여행 - 여행복지사 304 128 장기

소그룹 여행 - 소규모 관광 가이드 392 106 단기

- 소규모 단체여행 기획 및 인솔가 388 107 단기

지역 전문 관광

- 현지전문 맞춤 가이드 396 102 단기

- 지역 관광 크리에이터 412 102 단기

- 지역관광추진조직(DMO) 코디네이터 392 126 단기

지역 교류 관광 공감- 지역관광교류전문가 327 122 중기

- 관광인문학자 319 141 단기

해양관광 레저스포츠관광- 레포츠관광 전문 가이드 358 095 단기

- 해양치유사 해양관관 전문가 316 107 중기

캠핑 관광 - 캠핑관광 용품 대여업 운영자 408 116 단기

치유관광 웰니스 관광

의료관광

- 치유관광 운영자 373 104 중기

- 농촌 치유관광 전문가 331 123 중기

- 의료관광 기획가 342 127 단기

농촌관광- 농촌관광 전문가 281 117 단기

- 교육농장 및 진로체험농장 전문가 300 110 중기

예술관광- 예술관광기획가 346 114 중기

- 예술관광 가이드 350 117 중기

lt표 3-5gt 관광산업 주요 유망 일자리 후보군 성장가능성 조사 결과

121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유망 분야 유망 일자리 후보군성장 가능성 일자리 발생

시기평균 표준편차

산업관광 - 산업관광기획가 315 112 중기

역사관광- 역사관광기획가 319 106 단기

- 역사관광해설가 327 108 단기

관광 플랫폼 OTA

공유경제시장 발전

- OTA 리스팅 전문가 408 113 단기

- 관광 플랫폼 코디네이터 423 111 단기

- 관광 플랫폼 디자이너 427 104 단기

- 관광 플랫폼 운영자 442 099 단기

- 관광창업 전문가 320 126 중기

스마트 관광 - 스마트 관광 경험 디자이너 350 127 단기

실버관광 요양관광- 실버 여행 콘텐츠 개발자 381 117 중기

- 실버 여행 가이드 388 103 중기

나홀로 여행 - 나홀로 여행 컨설턴트 362 110 단기

반려동물동반여행 - 반려동물여행시설운영자 396 082 단기

교육여행- 교육(학습) 관광 기획가 350 110 단기

- 자유학기제 진로체험 전문가 342 095 단기

빅데이터 분석 및 개인화

- 관광 빅데이터 분석가 450 081 단기

- 관광 빅데이터 처리 엔지니어 446 081 단기

- 관광 시스템 프로그램 전문가 427 087 단기

가상현실 드론

영상 이용 여행 콘텐츠- 가상현실 체험 콘텐츠 크리에이터 412 099 중기

모빌리티 - 관광 교통 대여업자(개인 전동 이동수단

공유차량 등)423 091 단기

AI기반 로봇 활용 증가 - 관광 서비스 로봇 콘텐츠 개발자 381 102 중기

- 관광 서비스 로봇 관리자 368 118 중기

관광 어트랙션

구독 서비스 제공 - 관광 어트랙션 구독 기획가 및 운영자 358 106 중기

생태친환경 관광- 생태관광 인솔자 350 124 단기

- 숲 해설가 335 129 단기

여행 안전관리

- 숙박시설 방역전문가 388 118 단기

- 관광안전여행 인솔자 358 121 단기

- 관광안전여행 컨설턴트 362 106 단기

- 관광안전여행 기획가 377 103 단기

12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연구진은 전문가 의견조사를 통해 향후 5년 내 성장가능성을 토대로 선정된 관광

미래 유망 일자리를 점수가 높은 순으로 정리하 으며 다음 표와 같이 상위 25개

의 일자리가 나타났다

유망 분야 유망 일자리 후보군성장 가능성 일자리 발생

시기평균 표준편차

남북관광 평화관광- 북한관광기획가 281 158 중기

- 평화관광해설사 323 161 장기

도시재생- 도시재생 관광기획가 338 124 단기

- 도시재생 관광 해설가 스토리텔러 338 124 중기

융복합 관광 한류관광 - 한류문화 관광 콘텐츠 기획가 388 095 단기

기타

- 관광 고용 컨설턴트 312 111 중기

- 우주여행 기획가 265 138 장기

- 자원봉사여행 기획가 288 107 중기

- 관광법규 전문가 285 116 단기

평균 360 - -

최대값 450 - -

최소값 265 - -

유망 분야 유망 일자리 후보군성장 가능성 일자리 발생

시기평균 표준편차

빅데이터 분석 및 개인화 - 관광 빅데이터 분석가 450 081 단기

관광 미디어 콘텐츠

(사진 영상)

- 관광콘텐츠크리에이터(여행작가 여행유

튜버)446 081 단기

빅데이터 분석 및 개인화 - 관광 빅데이터 처리 엔지니어 446 081 단기

관광 플랫폼 OTA

공유경제시장 발전- 관광 플랫폼 운영자 442 099 단기

관광 미디어 콘텐츠

(사진 영상)- 관광 콘텐츠 기획 제작 유통 전문가 431 084 단기

빅데이터 분석 및 개인화 - 관광 시스템 프로그램 전문가 427 087 단기

관광 플랫폼 OTA

공유경제시장 발전- 관광 플랫폼 디자이너 427 104 단기

lt표 3-6gt 성장가능성 기준 상위 25개 관광산업 주요 유망 일자리

123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중복을 포함해서 25위까지의 일자리를 긴밀하게 연결되거나 중복성이 높은 일자

리를 분야를 기준으로 통합하여 재정리하 다 전문가 의견조사에서의 성장 가능성

을 기준으로 유망 일자리 분야가 정리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성장 가능성 순위가

낮고 생계 수단으로 지속하기 어려운 분야는 삭제하 다 유망 일자리 분야는 관광

빅데이터 분석 관광 미디어 콘텐츠 관광 플랫폼 관광모빌리티 지역전문 관광 소

그룹 여행 반려동물여행 맞춤형 관광 여행 안전관리 실버 여행 등으로 분류되었

으며 그 과정에서 8개의 일자리 후보가 제외되었다

유망 분야 유망 일자리 후보군성장 가능성 일자리 발생

시기평균 표준편차

관광 미디어 콘텐츠

(사진 영상)- 관광 콘텐츠 개발자 문화콘텐츠 전문가 423 065 단기

관광 플랫폼 OTA

공유경제시장 발전- 관광 플랫폼 코디네이터 423 111 단기

모빌리티 - 관광 교통 대여업자(개인 전동 이동수단

공유차량 등)423 091 단기

지역 전문 관광 - 지역 관광 크리에이터 412 102 단기

가상현실 드론

영상 이용 여행 콘텐츠- 가상현실 체험 콘텐츠 크리에이터 412 099 중기

캠핑 관광 - 캠핑관광용품 대여업 운영자 408 116 단기

관광 플랫폼 OTA

공유경제시장 발전- OTA 리스팅 전문가 408 113 단기

맞춤형 관광 - 여행 컨셉 기획가(맞춤형 관광 컨설턴트) 396 066 단기

반려동물동반여행 - 반려동물여행시설운영자 396 082 단기

지역 전문 관광 - 현지전문 맞춤 가이드 396 102 단기

소그룹 여행 - 소규모 관광 가이드 392 106 단기

지역 전문 관광 - 지역관광추진조직(DMO) 코디네이터 392 126 단기

소그룹 여행 - 소규모 단체여행 기획 및 인솔가 388 107 단기

실버관광 요양관광 - 실버 여행 가이드 388 103 중기

여행 안전관리 - 숙박시설 방역전문가 388 118 단기

융복합 관광 한류관광 - 한류문화 관광 콘텐츠 기획가 388 095 단기

실버관광 요양관광 - 실버 여행 콘텐츠 개발자 381 117 중기

AI기반 로봇 활용 증가 - 관광 서비스 로봇 콘텐츠 개발자 381 102 중기

12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분야 유망 일자리

관광 빅데이터 분석- 관광 빅데이터 분석가 처리 엔지니어

- 관광 시스템 프로그램 전문가

관광 미디어 콘텐츠(사진 영상)- 관광콘텐츠크리에이터(여행작가 여행유튜버)

- 관광 콘텐츠 기획 제작 유통 전문가

관광 플랫폼

- 관광 플랫폼 디자이너

- 관광 플랫폼 코디네이터 운영자

- OTA 리스팅 전문가

관광 모빌리티 - 관광 교통 대여업자(개인 전동 이동수단 공유차량 등)

지역 전문 관광- 지역관광추진조직(DMO) 코디네이터

- 지역 관광 크리에이터

반려동물동반여행 - 반려동물여행시설운영자

맞춤형 관광 - 여행 컨셉 기획가(맞춤형 관광 컨설턴트)

소그룹 여행 - 소규모 관광 가이드

- 소규모 단체여행 기획 및 인솔자

여행 안전관리 - 숙박시설 방역전문가 여행지 안전관리자 익스트림 여행 안전관리자

실버여행- 실버 여행 콘텐츠 개발자

- 실버 여행 가이드

lt표 3-7gt 미래 관광 유망 일자리

125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3 미래 유망 관광 일자리 선정 결과

선정된 미래 관광 일자리 유망 분야를 제2장 환경 변화의 트렌드와 깊게 연관되

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각 관광 일자리 별로 가장 연계성이 높은 트렌드를 제시하

면 다음과 같다

분야 유망 일자리 주요 연관 거시환경

관광 빅데이터 분석- 관광 빅데이터 분석가 처리 엔지니어

- 관광 시스템 프로그램 전문가

-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 가속화 및 활용

증가(빅데이터 등)

관광 미디어

콘텐츠(사진 영상)

- 관광콘텐츠크리에이터(여행작가 여행

유튜버)

- 관광 콘텐츠 기획 제작 유통 전문가

-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 부상

- 스마트기술 기반의 관광활동 증가

관광 플랫폼

- 관광 플랫폼 디자이너

- 관광 플랫폼 코디네이터 운영자

- OTA 리스팅 전문가

- 플랫폼 비즈니스 공유경제 글로벌 OTA

의 발전과 확산

관광 모빌리티- 관광 교통 대여업자(개인 전동 이동수단

공유차량 등)

-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 가속화 및 활용

증가

- 신재생 에너지middot친환경 교통수단 활용

증가

지역 전문 관광- 지역관광추진조직(DMO) 코디네이터

- 지역 관광 크리에이터- 국내 여행 소비 확대

반려동물동반여행 - 반려동물여행시설운영자- 가족 형태의 다양화(1인가구 반려동물

동반 가구 다문화)

맞춤형 관광 - 여행 컨셉 기획가(맞춤형 관광 컨설턴트)- 가치지향 여행 소비(소확행 가심비 트렌

드 확산) 경험소비 확산

소그룹 여행 - 소규모 관광 가이드 - 코로나19로 소규모 중심의 여행 활성화

여행 안전관리

- 숙박시설 방역전문가

- 여행지 안전관리자 익스트림 여행 안전

관리자

- 재난 증가에 따른 코로나19와 같은 전염

병 등 안전관리 위기관리관심 증가 안전

과 위생 강조(안전 여행지 야외형 관광

수요 증가) 위기관리 대응체계 구축 강조

실버여행- 실버 여행 콘텐츠 개발자

- 실버 여행 가이드- 고령화 및 대규모 은퇴자 증가

lt표 3-8gt 미래 관광 분야의 유망 일자리와 주요 연관 환경 변화

12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제3절 관광 유망 분야와 일자리

1 관광 빅데이터 분석

11 개요

빅데이터는 4차 산업혁명의 대표 기술로 인식되며 발전 가능성이 큰 분야로 인

식되고 있다 빅데이터는 ldquo대용량 데이터를 활용 분석하여 가치 있는 정보를 추출

하고 생성된 지식을 바탕으로 능동적으로 대응하거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

화 기술rdquo로 정의 된다(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 20111026)

이러한 빅데이터 분석의 기술은 디지털로 구축된 다량의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분석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기술을 의미하며 이러한 분석 기술은 기존 불가

능했던 불규칙적 엄청난 양의 데이터를 분석하기 때문에 기술과 산업의 발전에

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고려된다(김동규 외 2017 UNWTO 2019)

[그림 3-1] 2022년 유망 기술 비율 전망

자료 UNWTO(2019) p17

127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빅데이터 산업은 데이터 솔루션 데이터 구축 및 컨설팅 데이터 서비스로 구분되

며(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2019a) 2018년 국내 데이터산업의 전체 시장 규모는 약

15조원으로 전년 대비 56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한국데이터진흥원 2019b)

[그림 3-2] 데이터 산업 시장 규모

자료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2019b) 2019 데이터산업 백서 p4

대분류 중분류 세부 기술

데이터

솔루션

데이터 수집- 데이터 검색 로그 데이터 수집 웹 데이터 수집 데이터통합연계

데이터 교환개방

DBMS - RDBMS NoSQL DBMS 인메모리 DBMS 기타 DBMS

데이터 분석- 정형비정형 데이터 분석 실시간 데이터 분석 데이터 시각화 분

석 데이터(전)처리

데이터 관리- 데이터 모델링 마스터 데이터 관리 데이터 품질 관리 DB 운영

및 성능 관리

데이터 보안 - DB 보안 개인 데이터 보안

데이터 플랫폼 - 빅데이터 플랫폼 개발 및 공급

데이터 구축

및 컨설팅

데이터 구축 - DB 설계구축 데이터 이행 데이터 구축가공

데이터 컨설팅- 데이터 설계 컨설팅 데이터 품질 컨설팅 DB 성능 개선 컨설팅

데이터 거버넌스 컨설팅 데이터 분석활용 컨설팅

데이터

서비스

데이터 판매 및 중개 - 데이터 판매 데이터 신디케이션

정보 제공 - 포털정보 매개 서비스 정보 제공 서비스

데이터 분석 제공 - 소셜 데이터 분석 정보 제공 마케팅 데이터 분석 정보 제공 리스

크 데이터 분석 정보 제공 게타 데이터 분석 정보 제공

자료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2019a) 2018 데이터 산업 현황 조사

lt표 3-9gt 빅데이터 분류

12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전 세계 빅데이터 시장규모는 2018년 420억 달러를 기록하 고 2023년까지 5

년간 연평균 144의 성장세를 유지하며 770억 달러로 시장규모가 확대될 것으로

예측된다(중소벤처기업부 2020)

관광 분야에 있어서 빅데이터 기술은 관광객 이동 소비 행태 관광정보 검색 결

과 등의 분석에 이용되며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상품 추천 개인화 서비스 혼잡

도 관리 마케팅 경 전략 등에 활용 하고 있다 이러한 관광 빅데이터의 활용의

기술의 중요성 및 활용도에 따라 향후 발전 가능성이 더 높은 분야로 인식된다

구분 활용 사례

관광

트렌드 및

정보 제공

- (국내) 한국관광공사는 2020년 KT가 제공하는 관광인구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지역별 관광객

의 이동 소비 행태 분석과 여행 트렌드 도출 예정

- (국내) 제주도는 관광객의 계절별 연령별 이동 동선 등을 분석하여 개개인에게 맞는 관광지

를 추천해주는 관광객 맞춤형 서비스 추진

- (해외) 마카오관광청은 여행자의 행동 패턴을 분석해 미래 활동을 예측하고 여행자 또한 마

카오 여행지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빅데이터 기반 lsquo스마트 투어리즘 서비스rsquo를 시행 중

- (해외) 글로벌 온라인여행사 카약(KAYAK)은 빅데이터 기반 여행 서비스 플랫폼인 lsquo카약 빅

데이터 여행 가이드rsquo를 통해 여행 정보를 고객들에게 제공

- (해외) 핀란드 헬싱키 공항에서는 여객동선 빅데이터 분석으로 대기시간을 예측하고 인력을

배치

기념품- (국내) 롯데면세점은 전체 이용객의 65 이상을 차지하는 모바일 고객들을 위해 성별 나이

선호 상품 등의 빅데이터를 분석해 상품을 추천하는 서비스를 제공

관광교통

- (국내) 인천공항공사는 인천공항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여 성수기 여객 혼잡도 완화하고

고객에게 체크인 카운터와 출국장의 대기시간 및 혼잡도 실시간 안내 서비스를 제공

- (해외) 사우스웨스트 항공middot델타 항공middot유나이티드 항공 등 항공사는 승객을 대상으로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항공기 승무원과 게이트 직원들에게 고객 데이터를 제공

축제

- (국내) 진주시는 2019년 10월 개최된 남강유등축제의 성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빅데이터 분

석 진행하였으며 분석결과를 향후 개최되는 축제에 반영할 계획

- (국내) 정읍시는 2020년 2월부터 상용 빅데이터 솔루션인 KT 빅사이트를 도입해 향후 축제

의 방향성 및 홍보 방안을 마련할 계획

자료 한국콘텐츠진흥원(2020) 융복합 관광서비스 사업화지원 사업 현황분석 및 개선방향 연구

lt표 3-10gt 관광 빅데이터 활용 사례

129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12 일자리로서의 가능성

이처럼 빅데이터 기술 발전과 활용이 확산됨에 따라 빅데이터 전문가는 유망한

일자리로 고려되고 있다(김동규 외 2017 한국고용정보원 2019a) 빅데이터 분석

관련 직업으로는 데이터엔지니어(빅데이터 전 과정의 전문적 처리자 및 관리자) 데

이터사이언티스트(목적에 따라 유용한 정보를 추출하여 제품 서비스 개선 업무 담

당) 공간빅데이터분석가(기본 공간정보에 위치 정보를 결합하는 업무 분야에 종

사) 데이터시각화디자이너(빅데이터 분석 결과의 시각적 수단 전달자) 전략컨설턴

트(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기업 경 전략 수립 반 및 컨설팅하는 업무 종사) 등이

부각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김동규 외 2017) 이러한 빅데이터 관련 직무 인력은

현재 전산업으로 11만명이 있으나 향후 5년 내 추가로 2만명이 더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2019b)

관광분야에서도 빅데이터 관련 분석 분야는 일자리 증가 및 미래 역량 발전이 예

상되는 분야이다(UNWTO 2019) WEF에서 전망한 미래 일자리 와 관련한 보고

서에서 전망한 관광분야 일자리 증가에 있어서 관광 데이터 분석 및 관련 분야는

2018년 8 2022년 13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WEF 2018)

구분 내용

직무 관광 데이터 설계 개선 관광 관련 수집데이터 활용가능한 형태로 처리 및 분석

직업 관광 빅데이터 분석가 관광 빅데이터 처리 엔지니어

역량 관광산업 및 관광정보 이해력 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능력

일자리 발생 시기 단기(3년 이내)

관련 자격 정보처리기사 정보처리산업기사 정보처리기능사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lt표 3-11gt 관광 빅데이터 분석 분야

13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2 관광 미디어 콘텐츠

21 개요

미디어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방식이 기술의 변화로 인해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모바일 환경의 구축에 따라 사람들은 스마트폰 태블릿 등 다양한 기기로 유튜브 인스

타그램 페이스북 등 다양한 미디어 채널을 통해 콘텐츠를 즐기고 있다 이러한 미디어

콘텐츠 분야는 전 세계적으로 성장 중이며(연평균 성장률 43) 2023년에는 전 세계

적으로 26조 달러의 수익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삼일회계법인 2019)

미디어 시장의 성장과 함께 소비자들의 콘텐츠 소비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기업들

은 이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고 있다(삼일회계법인 2019)

[그림 3-3] 2022년 유망 기술 비율 전망

자료 삼일회계법인(2019) 2019-2023 Entertainment amp Media 산업 전망 p2

이에 따라 미디어 콘텐츠 창출 분야는 새로운 일자리 분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를 반증하듯 교육부에서 실시한 초등학생의 희망직업으로 교사(74) 경찰관

(38)에 이어 크리에이터(56)가 상위권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교육부

20191210) 콘텐츠크리에이터(미디어콘텐츠창작자)는 ldquo유튜브 등 광고기반 플랫

폼에 개인의 상 콘텐츠를 제작하여 올리고 이를 통해 수익을 창출rdquo하는 직업을

가진 사람을 의미한다(한국고용정보원 2019b)

관광 분야에서도 다양한 플랫폼을 바탕으로 국내middot외 여행 콘텐츠 활용이 활성화

되고 있다

131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미디어 활용에 있어서는 개별 플랫폼(예 프레스티지 고릴라 여행에 미치다 유

디니 등)을 활용한 홍보와 일반 미디어 플랫폼(예 유튜브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등)을 활용하거나 관련 인플러언서가 생산한 여행 콘텐츠를 공유하는 형태로 이루

어지 지고 있다

[그림 3-4] 유튜브 여행 관련 시청자 수(2018년)

자료 PIXABILITY(2018) In-Flight Viewing p5

상 미디어 관련 채널인 유튜브에서의 여행 관련 상이 2013년부터 2018년

7월까지 약 130만개 채널 1390만 상이 제작되고 있으며 총 3060억 뷰가 발

생한 것으로 나타났다(PIXABILITY 2018)

코로나19로 해외여행의 한계가 있는 상황에서도 세계 각국의 관광청에서는 미디

어를 활용한 여행 콘텐츠를 통해 관광 목적지 홍보를 지속하고 있다(예 국관광

청 한국관광공사 등)32)

22 일자리로서의 가능성

개인 미디어 콘텐츠 제작자(크리에이터)는 유튜브 아프리카TV 페이스북 등 미디

어 플랫폼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middot오디오 콘텐츠를 생성하는 사람으로 콘텐츠 제

작관련 자료조사 기획middot연출 촬 middot편집 미디어 파일 업로드 등을 행하고 있다(진로

정보망 커리어넷 홈페이지) 이러한 미디어 콘텐츠 제작자는 유튜버 트위처 인터넷

32) 한국관광공사는 동남아시아 기반 한국인 유튜버를 통해 한국 관광 홍보를 하고 있으며 영국관광청은 관광

지 배경으로 한 온라인 세미나 단체 미팅 등을 진행하고 있음(여행신문 20200824)

13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방송 진행자(BJ) 크리에이터 팟케스터 제작자 등으로 불리며 미디어 기획자 및 연

출자 시나리오 작가 상 촬 자 및 편집자 음향 편집자 번역가 등과 함께 팀을

이루어 일하거나 미디어 콘텐츠 회사(Multi Channel Network MCN)33)에 소속

되기도 한다(진로정보망 커리어넷 홈페이지)

[그림 3-5] 1인 미디어 동영상 생태계를 중심으로 하는 MCN 비즈니스 생태계

자료 한국엠씨엔협회 홈페이지(httpkmcnaorkr)

즉 크리에이터의 콘텐츠 기획관련 컨설팅 지원 자체 콘텐츠 제작 저작권 관리

국내외 유통 채널 확보를 담당하는 창작자 에이전트도 미래의 유망 직업으로 전망

되고 있다(한국고용정보원 2019) 앞서 살펴보았듯이 미디어 콘텐츠 시장의 성장

과 함께 본 콘텐츠 제작자도 증가하고 있다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이승렬 외 2018) 첫째 자율적으로 자신이 원하는 소재의 콘텐츠를 만들 수

있고 열정 재미 등의 차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 일로서 업계에 대한 전망도

긍정적이며 일에 대한 스스로의 만족도가 높은 분야에 해당한다 둘째 여행 브이

로그(Vlog) 등 일상생활이나 리뷰리액션 등은 고도의 전문성이 필요하지 않아 이러

한 콘텐츠 장르의 크리에이터가 다수 존재하며 향후 제작 노하우의 체계화와 전문

33) MCN 회사는 개인 미디어 콘텐츠 제작자를 관리하는 일종의 기획사로 여러 채널과 협력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이다(진로정보망 커리어넷 홈페이지)

133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화 역량의 강화가 필요할 것이다 셋째 직업이 아직 불안정하기 때문에 직업의 지

속가능성 측면에서의 불안감이 지속되고 있다 넷째 콘텐츠 창작 과정과 창조된 결

과물에서 성과와 보람이 크리에이터의 노력에 비해 낮아 크리에이터 활동에 대한

인식이 활동 전 대비 활동 후는 낮았다 즉 크리에이터는 자신이 하는 일의 내용과

미래 성장가능성 시간의 유연적 활용 등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이나 직업적 불안정

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관광분야에서도 미디어 콘텐츠 크리에이터 분야는 시장 규모의 성장과 함께 발전하고

있는 분야이다 미디어 플랫폼의 사용자는 국내middot외에서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개인이 제

작한 여행 콘텐츠는 새로운 방식의 마케팅 홍보 여행 정보 제공에 활용되고 있다

구분 내용

직무 관광 미디어 콘텐츠 제작 편집 관광지 홍보 등

직업 관광 콘텐츠 크리에이터 관광 콘텐츠 기획middot제작middot유통관련 전문가

역량 콘텐츠 제작 편집 기획 역량

일자리 발생 시기 단기(3년 이내)

관련 자격 -

lt표 3-12gt 관광 미디어 콘텐츠 크리에이터 분야

관광 미디어 콘텐츠 크리에이터 역시 기존 미디어 콘텐츠 제작자와 유사하게 개

인 채널을 운 하거나 MCN에 소속되어 활동하고 있으며 구독자를 확보하고 플

랫폼에서 광고를 제공하거나 관광청의 의뢰를 받아 여행지를 소개하는 등의 형태로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또한 최근 직업으로서 여행 콘텐츠 크리에이터를 하기 보다

는 취미나 부업 차원에서 이 시장에 뛰어든 사람들도 존재한다

관광산업의 경우는 지방자치단체가 관심을 많이 가지는 분야로 여행 콘텐츠 크

리에이터를 통해 알려지지 않은 명소나 카페 음식점 등도 지역의 크리에이터가 소

개하고 있다 또한 사기업에서도 여행 콘텐츠 크리에이터 관련해서 인턴십을 실시

(예 한화DREAMPLUS Travel Creator 프로그램34)) 등 관련 분야의 일자리로서

의 가능성은 높은 편이다

34) 한화DREAMPLUS Travel Creator 프로그램은 8주간의 겨울방학 기간 동안 콘텐츠 제작 전문가들이

진행하는 교육 및 멘토링 여행middot레저 분야 스타트업 대표들의 특강 국내외 여행 콘텐츠 제작 실습 및

발표 등의 프로그램 등이 포함되어 있다(매일경제 20191212)

13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3 관광 플랫폼

31 개요

기술 발전에 따라 취업형태가 다양화되면서 연결성을 바탕으로 수요와 공급을

직접 이루어지는 플랫폼이 발전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는 비즈니스 모델이 다양하게

발전하고 있다(강금봉 2019) 2018년 기준 글로벌 시가총액 상위 10개 기업 중

6개 기업이 플랫폼 관련 기업으로 나타났으며 스타트업 상위 10개 기업에서는 그

비중이 7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황혜정 20181221)

[그림 3-6] 플랫폼 관련 글로벌 기업

자료 황혜정(20181221) 탈규모 시대의 제조업 lsquo플랫폼 비즈니스rsquo로 도약한다 p1

디지털 플랫폼은 ldquo디지털화된 콘텐츠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매개체가 되는 서

비스rdquo로 정의된다(사이언스올 홈페이지) 디지털 플랫폼에서 거래되는 대상은 상품

서비스 자금 커뮤니케이션 엔터테인먼트 정보 등이 있으며 공유경제(sharing

economy) 협력경제(collaborative economy) 긱 경제(gig economy) 온디맨

드 경제(on-demand economy)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강금봉 2019)

135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이러한 디지털 플랫폼은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정보시스템 등 기술을 활용하여

발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거대 디지털 플랫폼 기업들이 등장하고 그 향력이

우리 생활 전반으로 확대되고 있다(최계 2020)

이러한 디지털 플랫폼은 검색 소셜미디어 전자상거래 앱스토어 디지털 광고

금융 교통 숙박 언론 등에서의 서비스를 제공 하고 있다

거래대상 거래 내용 주요 플랫폼 기업

상품

(goods)

물건 판매(tangible for sale) 아마존 이베이 쿠팡

대여(tangible for rent) 에어엔비

데이터 판매(intabgible for sale) 앱-스토어(App-Store)

데이터 대여(intangible for rent) 아이튠즈(iTunes) 넷플릭스(Netflix)

서비스

(디지털 노동

digital labour)

크라우드 워크(웹기반 web-based) 업워크 아마존 메커니컬 터크

긱 워크(지역 기반 location-based) 배달의 민족 부릉 요기요 등

자금

(money)크라우드펀딩(crowdfunding) 인디고고(Indiegogo)

커뮤니케이션 데이팅(dating) 틴더(Tinder)

엔터테인먼트 소셜미디어 유튜버 페이스북

정보

뉴스 구글 뉴스

서치 구글

리뷰 Yelp

자료 Schmidt(2017) 강금봉(2019)

lt표 3-13gt 상업적 디지털 플랫폼의 거래 대상과 유형

관광에서도 디지털 플랫폼의 발전으로 관광상품 구매에 있어서 OTA 등 온라인

예약 플랫폼 이용이 증가 하고 있다 아시아시장에 있어서 이러한 온라인 예약 플랫

폼은 씨트립(Ctrip) 플리기(Fliggy) 등이 있으며 세계적으로는 익스피디아 부킹

홀딩스 같은 플랫폼의 이용이 여행객 사이에서 증가하고 있다 아래 그림과 같이

아시아에서 모바일과 온라인의 예약 채널 이용이 2013년에 비해 크게 증가하고 있

다(Euromonitor International 2018)

13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그림 3-7] 아시아 온라인 예약 채널

자료 Euromonitor International(2018) Megatrends shaping the future of travel p19

32 일자리로서의 가능성

맥킨지의 보고서에 따르면 이러한 디지털 플랫폼은 2025년까지 5억 4천만 명의

일자리를 창출하며 유연근무의 확산과 장애인의 일자리 증가에 기여하고 파트타

임 근로자와 프리랜서(독립적 계약자)의 증가로 전통적인 직업 탐색과 관련한 부가

적인 비용을 감소시키며 비공식적 노동을 온라인 지불화를 통해 형식화하게 해준

다는 특징이 있다(Fidler 2016) 2018년 기준 우리나라의 플랫폼경제종사자 규모

는 최소 47만 명에서 최대 54만 명(전체 취업자의 17 ~ 20)으로 추산된다(김

준 외 2018)

플랫폼은 세 가지 측면에서의 행위자가 존재한다 그 행위자는 플랫폼 제공자 플

랫폼에 상품 및 서비스를 공급하는 독립적 계약자들 수요 측면에서 플랫폼에서의

상품과 서비스를 구매하는 플랫폼 고객이다(Schmidt 2017)

137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그림 3-8] 플랫폼의 3가지 행위자

자료 Schmidt(2017) p10

따라서 플랫폼과 관련한 일자리는 플랫폼 제공자 측면과 플랫폼 공급자 측면에서

생각해볼 수 있다 플랫폼 제공자 측면에서는 플랫폼 운 자 디자이너 코디네이터

등이 있으며 플랫폼 공급자 측면에서는 플랫폼에 참여하여 노동을 제공하는 플랫

폼 노동자의 형태가 있다

먼저 디지털 플랫폼 노동과 관련해서 운 기반이 온라인 아니면 오프라인에 기

반인지에 따라 구분된다(강금봉 2019) 그러나 이러한 디지털 플랫폼 노동은 기존

법적 기준으로 고용 형태를 명확히 규정하기가 힘들어서 노동 여건 측면에서 불안

정한 근로자가 확산되는 우려가 있으며 이에 따라 디지털 플랫폼 노동종사자를 위

한 보호에 대한 지원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운영 기반 분류 세부 분야 예시

온라인 기반

업무수행 플랫폼

온라인 인력 중개 플랫폼 - ITSW 인력 중개 고용서비스 재능마켓

디지털콘텐츠 창작 플랫폼 - 웹툰 웹소설 웹 일러스트 등 기재 및 공모형

크라우드워크(crowdwork) 플랫폼 -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등 자료 생성 업무

오프라인 기반

호출(주문)형

플랫폼

승객 운송(transportation) 플랫폼- 대리운전

- 승차공유(카풀형 학원 셔틀 공유 승합)

배달(delivery) 플랫폼- 음식 배달

- 퀵서비스 등 배달 서비스

lt표 3-14gt 디지털 플랫폼 노동의 유형

13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한편 플랫폼 노동자의 형태는 관광 분야에서 가이드 교통수단 운전자 공유숙박

운 자 등으로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의 분야로 구분할 수 없기에 공

급자 측면에서의 일자리를 유망 일자리로 고려하고자 한다

공급자 측면에서는 관광 플랫폼 운 디자인 개발과 관련한 일자리를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광 플랫폼 디자이너는 관광객 및 잠재 관광객과 플랫폼과의 상호

교환성 인터페이스 등을 디자인하고 관련 시스템을 설계하는 사람으로서 개발자

들과의 협업을 수행한다 관광 플랫폼 개발자는 관광 플랫폼 기획자 관광 플랫폼

PD 관광 웹 개발자 관광 관련 소프트웨어 개발자 등으로 불리며 관광관련 플랫폼

기획 구축 및 운 마케팅 등을 총괄하는 사람으로 관광 플랫폼 구축을 위해 플랫

폼 엔지니어 플랫폼 디자이너 플랫폼 프로그래머 등과 업무를 협의하여 업무를 추

진한다 관광 플랫폼 코디네이터는 관광 플랫폼 디자이너와 개발자의 사이에서 조율

하는 업무를 주로 담당하며 관광 플랫폼 기획(안)을 세분화하는 작업을 담당한다

구분 내용

직무 관광 플랫폼 관련 기획 개발 운영

직업 관광 플랫폼 운영자 관광 플랫폼 디자이너 관광 플랫폼 코디네이터 등

역량 관광 정보 수집 및 적용 능력 매체 활용 능력 관광 플랫폼 기획력

일자리 발생 시기 단기(3년 이내)

관련 자격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 정보처리기사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lt표 3-15gt 관광 플랫폼 분야

운영 기반 분류 세부 분야 예시

가구 및 생활 서비스(household

service amp life) 플랫폼

- 가사 서비스

- 이사

- 인테리어리모델링홈디자인

- 돌봄서비스

- 애완 케어서비스

- 세탁

- 번역

- 교육서비스11 트레이닝

자료 강금봉(2019) p178

139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4 관광 모빌리티

41 개요

기술의 발전에 따른 이동 수단의 진화에 따라 모빌리티 산업이 등장하 다 사전

적 의미로 모빌리티(mobility)는 ldquo이동성이라는 동태적 특성rdquo을 의미하며 모빌리

티 서비스는 이동수단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정의된다(이금노 2019)

모빌리티 산업은 일반적으로 인공지능 5G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기술과

융합한 차세대 교통수단으로 1인용 이동수단 자율주행차 초소형 전기차 등을 지

칭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스마트 모빌리티 마이크로모빌리티 등을 포함하는 용어

이다(한국교통연구원 2017) 이러한 모빌리티는 lsquoTaaS(Transportation as a

Service)rsquo lsquoMaaS(Mobility as a Service)rsquo 스마트 모빌리티 등으로 불리며 그 산

업은 발전하고 있다(이금노 2019) 이러한 모빌리티는 초연결 자율 주행 차량 공

유 친환경의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고태봉 2018) 우버(차량 공유) 라임(전동 킥

보드 및 자전거 공유) 등 공유 모빌리티 서비스 등이 발전하고 있다

모빌리티는 스마트 도시35)의 개념 중 하나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운송 및 교통

관련 분야와 관련이 있는 스마트 도시의 핵심 요소이다(김규남 2019 Brčić et al 2018)

[그림 3-9] 스마트 모빌리티의 개념도

자료 김규남(2019) 송승범(2020) p3 재인용

35) 스마트 도시는 도시운영의 효율성 및 대중과의 정보공유를 향상시키고 서비스 품질과 시민복지를 개선시

키기 위하여 정보통신기술 비즈니스 모델 및 솔루션을 사용하는 도시를 의미한다

14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국내 퍼스널모빌리티의 시장은 2016년 6만대로 2022년은 20만대 수준으로 추정

되고 있으며 그 종류에는 전동스케이트보드 개인 전동 이동수단 전동스쿠터 등이

있다(한국교통연구원 2017) 자동차 공유 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2015년 11억 달러

규모이며 2020년 35억 달러 2024년 65억 달러로 전망되며 한국의 자동차 공유시

장 규모는 2011년 6억 원에서 2020년 5000억 원으로 전망된다(손종구 2017)

이처럼 모빌리티 시장의 규모는 점차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며 관광 분야에서도

여행 관련 모빌리티 기업들이 등장하고 있다

42 일자리로서의 가능성

관광 분야에서도 여행 관련 모빌리티 기업들이 등장은 관광분야에서 모빌리티 관

련 일자리의 성장 가능성을 보인다 특히 스마트모빌리티는 관광지내에서의 이동

수단으로 각광을 받고 있으며 이에 따라 관련 기업들의 관광지 내 모빌리티 사업을

시작하고 있다36)

모빌리티를 비롯한 관광 교통수단은 이동을 우선시하는 기존 교통수단과 달리 관

광 정보 및 안내 제공 서비스도 제공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즉 접근성이 낮은

관광지나 혼잡한 장소 방문 시 교통수단 및 관광지 정보의 제공이 관광 모빌리티의

핵심 요소이다 이에 일반 모빌리티 대여업자와 다르게 국내외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는 기업을 가정할 때 국내 관광객보다는 국외 관광객에게 관련 정보 서비스 여행

자 보험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는 관광대여업자가 각광을 받을 것이라 전망된다

구분 내용

직무 관광 모빌리티 수단 대여 관광지 안내 통역 서비스 제공

직업 관광 교통 대여업자(개인 전동 이동수단 차량 등)

역량 언어 지역정보 제공 및 안내

일자리 발생 시기 단기(3년 이내)

관련 자격 -

lt표 3-16gt 관광 모빌리티 분야

36) 현대차는 제주도에서의 개인 전동 이동수단 및 전기자전거 플랫폼을 운영하고 대여 반납 등의 비즈니스를

하고 있다(중앙일보 20190812)

141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5 지역 전문 관광

51 개요

2018년 기준 우리나라 국민의 10명 중 9명은 국내여행을 하 으며(문화체육관

광부 2019c) 2013년에서 2017년까지 국민 여행 이동총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

다(문화체육관광부 2018a)

[그림 3-10] 2013-2017년 국민여행경험률 및 이동총량

자료 문화체육관광부(2018b) 2017 국민여행실태조사

또한 2019년 사회조사 결과를 보면 국민의 여가활용에 있어서 향후에 가장 하

고 싶은 활동은 관광활동(700)으로 나타나(통계청 20191125) 국내여행은 지

속적으로 중요한 분야이다

한편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국가 간 이동이 제한되면서 해외여행의 수요가 국내

여행의 수요로 전환되기 시작하 다(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200527) 코로나19

확산 이후인 2월에서 4월 사이 응답자의 229가 국내여행을 경험하 고 향후 국

내여행을 할 의향이 있다고 대답한 응답자가 절반을 차지하 다(한국문화관광연구

원 20200527) 이처럼 관광객의 여행욕구 해소의 수단으로 국내 여행이 각광받

고 있으며 안전을 고려하여 관광객이 적은 지역 매력적인 장소에 대한 수요가 증

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200527)

지역 전문 여행(지역 특화 여행)은 국내외 관광수요 다변화와 지역 관광의 질을 높

이기 위해 중요하다 또한 지역 관광은 국민 국내여행 유형이 개별여행 중심으로 변화

해감에 따라 관광객 유치를 위해서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문화체육관광부 2018)

이에 정부는 lsquo대한민국 테마여행rsquo lsquo산업관광 및 문화콘텐츠형 시티투어rsquo 등을 추

진하여 지역 특화 여행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다

14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52 일자리로서의 가능성

지역관광의 전문적 관리 및 경 주체의 중요성 증가와 함께 지역의 발전과 성장

을 위해 지역민이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관광의 혜택을 받는 것이 중요하게 고려된

다(문화체육관광부 2018) 지방분권 시대에 걸맞은 지역의 역량 강화 및 기반 마련

필요하다 이에 지역에서도 지역관광 전문 인력을 발굴하고 육성하기 위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예 관광두레PD) 전문 일자리의 수요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익산시는 관광전문 인력을 육성하기 위해 lsquo투어매니저rsquo 사업을 추진하

고 있다(익산열린신문 20200401) 2020년 2월 기준 관광두레와 관련해서 주

민사업체는 192개로 관련 참여 주민은 1203명으로 평균 1개소 63명의 주민이

참여하고 있다(관광두레 홈페이지) 해외의 경우 지역관광 어드바이저가 체험프로

그램 개발 주민교육 등 지역 관광과 관련한 전반적 자문활동을 수행하고 있다(예

일본 에코투어리즘 어드바이저 뉴질랜드 마오리 문화관광 멘토링 프로그램 등)

지역전문관광과 관련해서는 지역관광추진조직(DMO) 코디네이터 지역 관광 크

리에이터 관광두레PD 등의 일자리 창출이 전망된다 지역관광추진조직 코디네이

터는 지역관광추진조직과 이해관계자들 사이에서의 조율하는 업무를 주로 담당하

며 지역관광 크리에이터는 지역 기반의 콘텐츠 기획관련 컨설팅 지원 자체 콘텐

츠 제작 저작권 관리 국내외 유통 채널 확보를 담당한다 관광두레PD는 관광두레

사업과 관련하여 주민사업체 발굴과 조직화 역량 강화 창업과 경 개선 네트워크

구축 등의 지원하는 역할을 담당한다(관광두레 홈페이지)

구분 내용

직무 지역과 지역민 사이 중간지원 지역 관광 콘텐츠 기획 및 제작 홍보 등

직업 지역관광추진조직(DMO) 코디네이터 지역 관광 크리에이터 관광두레PD

역량 콘텐츠 기획 역량 조정능력 리더십 친화력

일자리 발생 시기 단기(3년 이내)

관련 자격 -

lt표 3-17gt 지역 전문 관광 분야

143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6 반려동물동반여행

61 개요

2019년 기준 반려동물을 기르고 있는 가구는 약 591만 가구로 전국 전체 가구의

약 264로 나타나 2018년 대비 약 80만 가구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농림축

산식품부 20200429) 동 조사에서 반려동물의 양육비율은 개(839) 고양이

(328) 어류 및 열대어(22) 순으로 나타났다 반려동물관련 시장 규모는 2012

년 9000억에서 2015년 1조 8000억원으로 크게 증가하 으며 2020년에는 약

5조 800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박지혜 2017) 이러한 반려동물 관련 시

장 및 산업은 펫과 경제의 합성어인 펫코노미(Petconomy)로 불리기도 한다

[그림 3-11] 반려동물 보유 가구 비중 및 반려동물 시장 규모

자료 박지혜(2017) p48 재인용

이러한 반려동물 가구의 증가 및 시장 규모 증대에 따라 반려동물 동반 여행인

펫캉스(펫+바캉스)가 새로운 여행 트렌드로 부상하 으며 이러한 반려동물 가구(펫

팸족)를 위한 전용 숙박시설(반려동물 동반 호텔) 패키지상품 등이 창출되고 있다

익스피디아에서의 20~30대 펫팸족의 60가 최근 1~2년간 여행을 반려동물과

같이 한 것으로 나타났고 반려동물 여행을 위해 전용 교통편 숙박 액티비티 등으

로 구성된 패키지여행 상품 이용의도가 약 40로 나타났다(아시아경제 2020

0827) 또한 동 조사에서 밝혀진 반려동물과의 주요 여행활동으로는 기억에 남는

사진 남기기(748) 다른 여행자의 반려동물과 어울려 놀기(429) 기내 또는 숙

14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소에서 반려동물 서비스 요청(294) 등이 나타났다 이러한 반려동물 숙소 외에도

동반 여가활동 프로그램도 생겨나고 있다 통 관광개발공사에서는 펫프렌들리 케

이블카를 운 하고 있으며 강원도 양양에는 반려견 전용 해수욕장이 운 중이다

62 일자리로서의 가능성

반련동물 관련 산업의 성장으로 2020년 직업사전에서는 반려동물과 관련한 미

용 및 관리 종사원(예 애완동물행동교정사 펫시터 등)이 직업으로 나타났다(한국

고용정보원 2019b) 앞서 살펴본 듯이 펫팸족(반려동물가구)의 증가로 인해 반려

동물 시장의 성장 가능성이 높으며 이와 관련한 반려동물 동반 숙박시설의 이용도

도 증가하고 있다

또한 반려동물과 관련된 액티비티(예 반려동물 전용 워터파크 펫 마사지 원데이

클래스 반려동물 초상화 배우기 반려동물 놀이터 이용권 등)의 상품도 더불어 개

발되고 있다

반려동물 동반 숙박시설은 비반려인 고객에 대한 배려 반려동물 여행객의 니즈

등을 고려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반려동물 동반 펜션의 경우 독채로 운 되어 다

른 숙소 이용자와 마주칠 필요가 없으며 반려동물의 소음을 막고 자유로운 활동이

가능한 자연 또는 정원 산책로 등의 환경 구축이 중요하게 인지되고 있다(투어코리

아 20190723) 이에 반려동물여행과 관련한 시설 운 자는 반려동물의 편의시

설 및 반려동물 관련 용품 등을 구축하고 관련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주변 반려

동물 여행지 및 관련 액티비티를 판매하는 등의 역할을 한다

구분 내용

직무 반려동물여행 시설 및 서비스 제공 반려동물 여행 상품 판매 반려동물 시설 관리 등

직업 반려동물여행 시설 운영자

역량 반려동물 및 반려동물 관련 여행에 대한 정보 이해력 대인관계능력 등

일자리 발생 시기 단기(3년 이내)

관련 자격 -

lt표 3-18gt 반려동물여행 관련 분야

145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7 맞춤형 관광

71 개요

최근 여행자의 다양한 수요를 반 하여 컨셉여행(테마여행 맞춤여행)이 새로운

여행 트렌드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컨셉 여행은 기존 단체관광 가이드 관광의

트렌드가 개별여행트렌드로 변화된 현상과 취향의 세분화 개인 맞춤형 서비스의

성장에 기인한다 또한 최근에는 관광객들이 여행에 있어서 작지만 확실한 행복을

추구하거나(소확행) 가격 대비 심리적 만족의 최대 추구(가심비) 등을 이루고자 하

며 기존의 일정을 소화하는 여행 보다는 자아의 가치를 창출하는 여행을 하는 경향

이 나타나고 있다(이원희 외 2019)

이에 여행에 있어서 매력 있는 숙소 독특한 체험 등을 위해 아낌없이 구매하는

트렌드가 형성되고 호캉스 등이 젊은 층에서의 새로운 여행 형태를 보이고 있다

또한 레포츠 예술 미식 뉴트로 자원봉사여행(볼런투어) 인플루언서 동행 여행

등의 컨셉 여행(테마 여행)이 젊은 층을 대상으로 확산되고 있다(이원희 외 2019)

예를 들어 2019년 피아니스트 리사이틀과 여행을 결합한 프리미엄 상품이 출시되

었고 자원봉사와 여행이 결합한 상품이 출시되기도 하 다

72 일자리로서의 가능성

맞춤형 여행 시장의 성장에 따라 관련 여행상품의 기획 개발 상담업무 수행 상

품화의 역할을 하는 여행 컨셉 기획가 또는 맞춤형 관광 컨설턴트가 유망 일자리로

나타났다 여행 컨셉 기획가(맞춤형 관광 컨설턴트)는 여행 컨셉을 기획하고 이에

따른 상품을 개발하며 고객과의 상담업무를 수행하고 관련 교통수단 경비 관광

지 숙박시설 편의성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여행상품을 계획

한다 특히 여행 컨셉 기획가는 관광여행 트렌드에 민감한 상품을 제공하고 관련

컨셉을 창출하는 등 소비자 트렌드 변화에 초점을 두고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14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구분 내용

직무 맞춤형 여행상품 상품의 기획 개발 상담업무 수행 상품화

직업 여행 컨셉 기획가(맞춤형 관광 컨설턴트)

역량 기획력 통찰력과 분석력 서비스 정신 친화력

일자리 발생 시기 단기(3년 이내)

관련 자격 -

lt표 3-19gt 맞춤형 관광 관련 분야

8 소그룹 여행

81 개요

소그룹 전용 여행은 여행 트렌드 중의 하나로 가족이나 친구들끼리 따로 즐기는

여행이다 이러한 소그룹 여행은 기존 패키지여행의 장점(편리성 전문성 안전성

등)을 극대화 하고 단점(타인과의 단체 여행 시 개인 선택의 한계 이동의 제한성

등)을 개선하기 위한 트렌드이다

2018 국민여행조사에서 전체 관광여행 중 452가 여행 인원수가 2~3명으로

나타났으며(전체 평균 49명) 특히 20대와 30대에서의 그 비율이 각각 564

578로 나타났다(문화체육관광부 2019c)

코로나19로 개별 또는 소규모 여행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Forbes 20200507) 이는 가족과의 일상이 확대됨에 따라 안전이 최대한 보장

되고 타인과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코로나19 감염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활동이

증가한 것에 기인한다

이에 따라 지자체의 여행 지원 및 마케팅 정책도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주시는 2박 3일 숙박여행의 지원금을 지원하고 있으며 충북 제천시의 경우 전세

관광택시 서비스를 운 하고 있다

82 일자리로서의 가능성

소그룹 여행 트렌드로 인한 소규모 여행 수요가 증가는 소규모 관광 가이드 소규

모 단체여행 기획 및 인솔자 등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

147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소규모 관광 가이드는 국내 및 해외 소규모 여행을 위한 여행경로 일정 등 관광

에 필요한 전반적인 안내를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소규모 단체여행 기획 및 인

솔자는 고객 맞춤형 여행상품 개발을 위해 정보를 수집하여 소규모 단체여행을 기

획하고 국내외 소규모 여행을 인솔하여 여행정보를 제공하며 관련 편의성을 제공

하는 역할을 한다

구분 내용

직무 소규모 단체 여행 상품의 기획 개발 상담업무 수행 상품화

직업 소규모 관광 가이드 소규모 단체여행 기획 및 인솔자

역량 기획력 통찰력과 분석력 서비스 정신 친화력

일자리 발생 시기 단기(3년 이내)

관련 자격 국내여행안내사 관광통역안내사

lt표 3-20gt 소그룹 여행 관련 분야

9 여행 안전관리

91 개요

여행과 관련한 안전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고 있다 자연재난(지진 태풍 홍수

등) 전염병(코로나19 메르스 등) 사건 및 사고(세월호 헝가리 다뉴브강 선박사고

여행지에서의 부상 등)에 대한 우려가 증가함에 따라 안전인식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익스트림 어드벤처 여행행태가 여행의 한 트렌드로 전망되고 있다(이원희 외

2019) 익스트림 어드벤처 여행은 산 정글 동굴 등 위험한 장소로의 여행을 하거

나 위험이 높은 액티비티를 체험하는 여행이 있다 이러한 익스트림 어드벤처 여행

의 증가는 관련 안전사고를 유발하기도 하여 여행 중 안전 인식의 중요성이 강조되

고 있다 이에 액티비티 프로그램 운 관련 안전관리 확인 및 매뉴얼 관리 방안

모색이 강조되고 있다(이원희 외 2019)

한편 코로나19로 여행에 있어서 안전인식이 중요해지고 있다(OECD2020) 이

에 따라 대인 접촉이 우려되는 장소보다는 사람이 적은 지역 자가용을 이용한 여

14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행 당일 여행으로 안전을 중요하게 고려하며 국내 여행을 하고 있다(한국문화관광

연구원 20200527)

최근 정부에서는 코로나19 생활 속 거리두기 시기에 있어서 여행 경로별 안전

여행 가이드를 발행하여 배포하고 있다 이 가이드 속에 사업주는 방역 관리자를

지정하고 사업장별 맞춤형 집단 방역 지침의 수립 등을 권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생활 방역 전문가 등이 유망 직종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림 3-12] 안전 여행 가이드 중 사업주 가이드

자료 문화관광체육부(2020) 코로나10 생활 속 거리 두기 시기 여행경로별 안전여행 가이드

92 일자리로서의 가능성

일자리위원회에서는 안전middot보건 및 비대면 분야에서 새로운 공공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하 다(YTN 20200506) 파주시의 경우 파주

관광사업체 안전관리 관련하여 파주형 희망일자리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울산시

의 경우 방역 전문가 자문단을 구성하여 코로나 19 등 간염병 대응과 유입 차단을

위한 방역 조치에 대한 자문을 제공하고 있다37)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방역 관련 직종 위기관리 전문가 등의 인

력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한국일보 20200316)38) 2018년 기준 관광사업체 수

37)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파주형 희망일자리 사업은 참여자 2329명을 모집하고(비전21뉴스 202008

26) 울산시의 경우는 방역 전문가 자문단을 운영하고 있다(울산MBC 20200219)

38) 코로나19가 유행하면서 헬스케어 방역 관련 전문가 위기 관리 전문가 등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한국일

149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는 33만개로 그 중 관광 숙박업 관광객이용시설업 유원시설업 관광편의시설은

각각 약 2천개 4천개 3천개 4천개가 있으며(문화체육관광부 2019) 이 시설을

관리할 방역 전문가 안전관리원 등의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관광숙소 방역 전문가는 관광숙소의 환경 위생 소독장비 및 약품 종류와 사용법

숙지 등 방역과 소독 관련한 업무하고 여행 안전관리원(안전관리자)는 관광지 및

관광현장 익스트림 액티비티와 관련해서여행객 위험방지에 관한 사항 사고사례

분석 및 개선 사항 종사자 안전교육 및 훈련 업무를 수행한다

구분 내용

직무 방역 및 소독 위험방지 사고 사례 개선 종사자 안전교육 및 훈련 등

직업 숙박시설 방역전문가 여행지 안전관리자 익스트림 여행 안전관리자

역량 안전과 보안 지식 사고 처리 능력

일자리 발생 시기 단기(3년 이내)

관련 자격 -

lt표 3-21gt 여행 안전관리 일자리 분야

10 실버 여행

101 개요

고령층은 인구구조의 변화 함께 중요한 소비층으로 부상하고 있다 고령인구의

수는 1970년에 비해 2019년에 5배로 증가하 으며 2067년에는 생산 연령가능 인

구의 수보다 많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통계청 2019) 특히 은퇴한 신 고령층은

경제적 시간적 여유를 확보하여 여가 및 소비에 있어서 중요한 집단으로 예상되고

있다(오훈성 2018) 고령층의 소비자의 시장 참여와 역할은 고령층 증가와 그들의

경제력에 의해 증대되고 있다 2017년 65세 이상 고령자는 향후 시간적 경제적

여유가 생긴다면 여가시간에 가장 하고 싶은 활동으로 관광활동을 선호하 으며(통

계청 20180927) 이에 따라 실버 여행이 증가 할 것으로 각 기관들은 전망하고

있다(이원희 외 2019)

보 20200316)

15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그림 3-13] 65세 이상 고령자의 여가활동(2017년)

자료 통계청(20180927) 2018 고령자 통계

실버 여행은 노년기의 관광을 의미하며 유사어로 고령 여행 시니어 여행 등이

있다 이러한 실버 여행의 성장과 함께 중년 이상을 대상으로 하는 시니어 여행 시장

으로 진입하는 기업도 발생하고 있다39) 2018년 기준 모두투어의 해외 여행상품

이용객의 185가 60세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2017년 인터파크의 60대 이상기준

모바일 예약도 2016년 대비 1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매일경제 20180312)

국내여행시 여행사 상품 구매율은 60대(45) 계층에서 높게 나타나며 여행사

상품 구매에 있어서 전체패키지 구매비율이 60대(836) 70새 이상(823)로 전

체 평균(623)보다 높게 나타났다(문화체육관광부 2019)

해외의 경우 실버여행상품은 주로 현지 가이드와 의료진을 동반한 여행객의 건강

관리를 하며 실버여행상품에 있어서 실버층의 관광 상 특성 관련 관광편의시설의

확보 실버층의 관광욕구 및 정신적 욕구를 충족하는 등의 구성이 전제되어야한다

는 특징이 있다(한국관광공사 2007)

39) 한 기업은 중년 이상 대상의 여행 브랜드를 생성하여 시니어 여행시장에 진입하였다(한국경제 20200803)

151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102 일자리로서의 가능성

실버여행시장의 성장에 따라 실버 여행상품의 출시와 실버여행 콘텐츠 개발자

실버여행 안내원 등이 유망 일자리로 나타났다 실버여행콘텐츠 개발자(실버여행상

품개발원)는 실버 여행상품을 기획 개발하며 고객과의 상담업무를 수행하고 실버

여행과 관련한 교통수단 경비 관광지 숙박시설 편의성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

고 이를 바탕으로 여행상품을 계획한다

구분 내용

직무 실버여행 상품의 기획 개발 상담업무 수행 상품화

직업 실버여행 안내원 실버여행 콘텐츠 개발자

역량 기획력 통찰력과 분석력 서비스 정신 친화력

일자리 발생 시기 중기(4년-7년)

관련 자격 -

lt표 3-22gt 실버여행 관련 분야

실버여행안내원은 여행사가 기획하고 주최하는 국내외 실버 여행을 동행하여 실

버여행객들이 쾌적한 여행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관광정보를 제공하고 여행 중

사고 발생과 관련하여 신속하게 대처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고령관광에서는 방문

지에서의 여행 편의를 위한 기능 강화가 필요하며 실버여행 안내원 및 콘텐츠 개발

자는 이에 초점을 두고 역할이 필요하다

15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제4절 시사점

본 연구는 문헌연구 전문가 의견 조사 등을 통해 향후 5년대 유망 분야와 일자리

를 도출하 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유망 일자리 분야는 디지털 융합 분야 관광 수

요의 다양화에 따른 특화 및 세분화 분야 코로나 19로 인한 소규모 여행 증가 및

여행 안전 인식 증가로 인한 분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림 3-14] 미래 관광 유망 분야

153제3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도출 및 전망

디지털 융합 분야가 유망 분야로 인지되고 있어 기술의 융합으로 관광 빅데이터

분석 관광 미디어 콘텐츠 관광 플랫폼 관광 모빌리티 분야의 일자리가 유망할 것

으로 전망된다 특히 기존 관광분야에서도 기술의 대체로 인한 인력 감소 분야가

예상되고 있기 때문에 감소 분야 인력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통해 신규 유망 분야의

일자리 이동을 지원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 또한 새롭게 창출되는 디지털 융

합 분야의 인력 확보를 위한 예비 인력 양성도 필요할 것이다

관광수요의 다양화로 인해 특화 및 세분화 분야가 유망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

한 분야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 미래 관광일자리에 대한 정보 제공 활성화 및 관광

트렌드 등 유망 분야에 대한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훈련 체계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특화 및 세분화 분야의 창업과 창직을 위한 활성화를 위한 정책도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소규모 여행을 선호하고 안전에 대한 인식

제고로 인한 안전관광 분야가 유망할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관광시장 변화에 대

한 창업 및 창직의 활성화 관련 일자리의 창출을 위한 역량 강화 등이 요구될 것으

로 전망 된다

관광산업 인력의 양성에서는 미래 관광환경 변화에 대한 선제적 대응이 중요하게

인지되고 있으며 관광산업 고도화를 위해서도 일자리를 위한 직접적 간접적 지원

은 중요하게 인지되고 있다

즉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와 관련하여 신규 성장 분야 육성 기술 융합 일자리

양성 및 관광인력의 디지털 역량 강화 등의 정책 추진이 중요하다

신규고용 창출이나 고용유지를 위한 지원 직접지원 사업뿐만이 아니라 구직자의

구직활동 강화를 위한 연수 및 교육 고용지원 인프라 구축 등 간접지원방식의 정책

추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제4장

157제4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제1절 기본방향

관광산업에 있어서 미래 일자리 창출은 관광산업의 성장을 위한 필수 요소이다

일반적으로 일자리 창출은 경제적 환경 기업 경쟁의 환경 노동시장의 유연성 교

육훈련 시스템 사회안정망 체계 등과 관련되어 있다 즉 미래 일자리 창출을 위해

서는 ① 지속적 경제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안정적 거시경제 환경 ② 기업의 진입과

창업을 가로막는 규제 완화와 상품시장의 독과점 축소로 대표되는 경쟁 환경 ③

탄력적 임금middot노동비용middot근로시간 조정과 고용창출을 저해하지 않는 고용보호법규로

대표되는 노동시장 유연성 ④ 양질의 인적자본 공급과 축적을 보장하는 교육훈련

시스템 ⑤ 효과적이고 적극적인 노동시장 정책과 노동시장 기능의 효율성과 양립

하는 사회안전망 체계 등이 충족되어야 한다(OECD 2004 허재준 2009)

기업의 일자리 창출이 제약되는 위기 상황에서는 정부의 임시적 일자리 공급이

효과적이지만 궁극적으로 일자리는 기업에서 창출되어야 한다 따라서 미래 일자

리 관련 정부의 역할은 공공 및 민간 투자의 효과적 투입을 지원함에 있다 또한

정부는 관광사업체의 변화한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교육과 훈련을 강화하여야

하며 미래 일자리에 대한 정보와 기술 지원을 강화해야한다 또한 관련 규제 개선

과 노동의 이동성을 지원해야 한다(UKCES 2014)

특히 국가에서는 근로자에게 필요한 분야의 기술을 제공하기 위해 생애주기에 걸

친 교육 및 훈련에 대한 기회를 제공하는 제도적 투자가 중요하다 또한 정부는 근로

자를 보호하며 효과적 교섭 시스템 마련과 일자리 기회의 균등한 제공 새로운 일자리

에 대한 효과적 의사소통 등과 관련한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OECD 2020c)

더불어 국가는 미래 일자리 관련 역량 기준 개편 혁신 기업 육성 기술middot역량의

육성과 자격화 혁신 거버넌스 체계구축 등에 투자하여야 한다(UNWTO 2019)

즉 기술 발전과 사회경제적 변화로 인해 관광산업의 일자리 변화가 예상됨에 따라

15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관광산업 기존신규 인력의 직업능력 개발 새로운 업무 방식의 전환 지원 등이 필

요하다 특히 관광의 미래 새로운 산업 서비스 등을 발굴하고 개발할 수 있도록

직업능력 양성 체계의 방향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유망 일자리 분야로 도출된 분야는 ① 디지털 융합 분야 ② 관광 수요의

다양화에 따른 특화 및 세분화 분야 ③ 코로나 19로 인한 소규모 여행 증가 및 여행

안전 인식 증가로 인한 분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관광 유망 분야와 관련하여 신규

성장 분야 육성 기술 융합 일자리 양성 및 관광인력의 디지털 역량 강화 코로나19 관련

대응 일자리 창출 미래 관광일자리 성장을 위한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창출 및 인력 양성을 위해서는 관광산업이 필요로 하는

인재를 확보하여 관광산업이 활성화 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미래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미래 관광 일자리 분야를 도출하고 미래 일자리 대응방향을 ① 디지털

융합 관광인력 육성 ② 특화분야 관광인력 양성 기반 구축 ③ 코로나19 대응 일자

리 창출 ④ 관광 미래 일자리 성장 환경 조성으로 설정하 다

[그림 4-1]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159제4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제2절 정책 대응 방향

1 디지털 융합 관광인력 육성

11 디지털 융합 관광인재 양성

가 추진 배경

관광산업의 노동 공급적 관점에서 살펴보면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는 인공

지능과 로봇 기술의 발전은 단편적 정보전달 업무를 수행하는 관광 인력을 대체할

가능성이 높고 기술 관련 분야의 신규 일자리 창출이 높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WEF 2018)

본 연구에서 파악한 관광 유망분야의 일자리도 기술 기반의 관광 빅데이터 분석

관광 콘텐츠 미디어 관광 플랫폼 관광 모빌리티 분야의 일자리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미래 디지털 융합 관광 인력 양성을 위해서는 관광산업 입직 예정자들로

하여금 경제적 효율성을 추구하는 기술적 대체를 넘어서 관광의 근원적 가치를 창

출하는 한편 디지털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개발할 수 있도록 정책적 개입

이 필요하다

나 세부 정책 방향

1) 디지털 융합형 미래 관광인력 양성과정 확대

기술과 산업의 융합은 관광산업뿐만 아니라 전체 산업의 인력 양성의 변화를 야

기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된다 디지털 융합형 관광 인재는 기술 기반과 세분화

되는 관광산업을 이끌어가며 해외 주요국 및 우리나라 정책에서도 이 분야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고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대학에서도 관광과 기술

16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을 융합하는 과정이 생기고40) 현재 문화체육관광부에서 관광산업 혁신을 주도할

미래인재 양성 교육기관을 공모로 통해 기관을 선정하여 ICT 융합형 교육프로그램

구성 양성 교육기관의 역량 지원 교육 후 취업 지원 등을 추진하고 있으나 융합

발전의 속도를 반 하여 교육 및 훈련과정의 확대 지원이 필요하다41)

본 교육 대상은 만 20세 이상의 관광전공자인 예비 인력으로 관광 및 IT 기업

관광 연관 사업체(벤처)의 참여로 개발된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을 지역 소재의 대

학에서 실시하는 형태가 필요하다 교육 방식으로는 정책의 효과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온라인 교육으로 가능한 교육 수혜자가 많은 방식으로 접근이 필요하며 교육

과정은 현재 추진하고 있는 lsquo미래인재 양성 교육기관rsquo 사업과 연계 추진한다

12 관광 종사자의 디지털 역량 강화

가 추진 배경

일터의 특성이 숙련의 생존주기를 단축시키고 있어서 학교교육에서 뿐만 아니라

일하고 있는 사람들조차도 지속적인 학습을 통하여 새로운 지식과 숙련을 습득해야

할 상황이다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기술의 발전과 고용형태의 변화는 기존의 많

은 일자리들의 소멸 주기를 단축시키고 있지만 고급 역량을 필요로 하는 일자리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일자리 환경의 빠른 변화는 일터가 요구하는 숙련

이 빠르게 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숙련의 생존주기가 크게 단축되면 인적자

원개발의 방식도 크게 바뀌어야 한다

최근 주요 관광산업 일자리의 주요 변화는 기술의 발전과 확산이다(WEF 2016

WTO 2019) 기술의 발전과 확산은 일자리 감소의 부정적 전망이 있지만 기술로

자동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부분으로 일자리의 대체가 이루어진다(WEF 2016)

특히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인한 관광기업의 경 난은 관광산업 인력의 축소를

야기하고 있으며 관광면세업 관광공연장업 관광유흥음식점업 등 관광편의시설업

카지노업 일반여행업과 국외여행업에서의 일자리 전망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40) 최근 대학에서 스마트관광 대학원 과정 스마트 투어리즘 매니지먼트 소프트웨어과정이 신설되었음

41) 2020년 하반기에 관광 미래인재 100명(교육기관 당 33~34명)의 대학(원)생을 선발 정규 이론 교육과

산학 프로젝트를 통한 실무 중심 교육 실시 160시간 이상의 교육 교육비 전액 국비 지원(한국관광공사

20200422)

161제4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있어 기존 인력의 일자리 유지를 위한 정책이 요구되고 있다

기존 관광관련 지식전달 방식의 학습에서 비판적 사고와 반성적 성찰을 할 수 있

는 학습방식의 혁신이 요구된다 관광의 미래 인적자원개발은 학습자가 주도하여

그들의 역량을 개발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하지만 기존 관광

분야의 교육훈련 및 인재양성 정책에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학습방식까지

고려하고 나아가 인적자원의 양성middot활용 이외에 사회적 역량도 포함하여 종합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즉 관광산업 종사자는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기술을 원활하게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이해력을 높일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관광 종사자에게 기존 산업에서 필요

로 한 역량과 다른 역량(예 기술 활용 소셜미디어 활용 등)을 요구하며 새로운 유

형의 직업이 창출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이러한 흐름은 적절한 직업 교육 훈

련 학습 등의 기반이 필요하다(UNWTO 2019)

따라서 관광분야 역시 디지털기반의 산업비중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여러 분

야와의 융합이 예상되므로 기존 종사자 대상의 역량강화도 필수적이며 특히 중소규

모 업체 1인 재직자를 위한 교육지원이 필요하다

나 세부 정책 방향

1) 관광인력의 디지털 및 융합 사고 교육middot훈련 실시

관광산업 종사원의 미래 대응을 위한 역량 향상은 필요한 정책 역이나 유관

협회의 교육 프로그램 지원은 미래 환경변화 대응에 있어서 한계적이다 현재 한국

여행업협회 한국호텔업협회 한국관광협회중앙회 한국MICE협회 카지노협회 등

에서 종사원을 위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나 다양한 프로그램 마련과 참여에 있어

서 한계가 존재한다(김덕기middot한희정 2018)

기술 기반의 사회 변화 대응을 위해 디지털 활용 역량을 위한 교육 및 훈련과정을

실시하고 관광 분야에 있어서 단순 기술 보유하고 있거나 로봇이 대체할 수 있는

일자리(예 관광안내원 접객원 등)에 있는 종사자 1인 재직자(1인 기업)를 대상으

로 기술기반 및 타 산업 융합관련 교육을 통해서 미래 지향적 관광산업의 일자리로

전환할 수 있도록 추진한다

16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2) 미래 관광인재 육성 기업 지정

관광 종사자의 교육 및 훈련은 해당 기업의 투자 촉진을 통해 가능하다 관광기업

종사자의 디지털 전환에 대한 투자는 관광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 할 수 있으

며 관광 종사자의 디지털에 대한 이해도 증진을 통해 디지털 기반의 관광 마케팅

활용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발굴 등을 이끈다 이에 관광기업의 디지털 전환 투자

촉진을 위해 디지털 인재 육성 관광기업을 지정하고 지정서 발급 인재 교육 및 훈

련비용의 일부 지원 미래 관광 기업으로의 인재 육성 부분에서의 우수 사례집 발간

을 통한 홍보 등을 추진한다

3) 관광기업과 디지털 기업의 매칭 지원

관광 기술인력이 부족한 관광기업의 현장 지원을 위해 디지털 기업을 매칭하여

디지털 전환이 필요하다 기존 관광기업은 디지털 전화에 대한 이해도 및 디지털

전환 속도를 따라잡기 힘들고 디지털 기업은 관광 분야에 진출할 때 관광산업의

생태계 및 관광산업의 특징에 대한 이해도가 낮아 기존 기술 활용을 관광 분야로

확대하는 것에 그치고 있다 이에 관광기업과 디지털 기업의 매칭 지원을 통해 관광

기업은 디지털 가속화 및 디지털 역량을 확보하고 디지털 기업은 관광 사업체로

변모를 추진한다

2 특화 분야 관광인력 양성의 기반 구축

21 지역기반 관광 일자리 창출

가 추진 배경

일본 사례에서 살펴보았듯이 관광분야 일자리창출사업은 지역 활성화 및 지역

고용창출의 핵심 사업으로 자리매김 되어왔으며 실제로 다양한 지자체에서 관광을

통한 지역 일자리창출 사업이 추진되어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특히

2000년대 이후의 일본의 지방 공동화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된 이래로 위에서도 살

펴볼 수 있듯이 관광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노력은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의 다양

163제4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한 정책을 통해 이루어져왔다

우리나라도 생산연령 인구의 감소와 지방 인구 소멸 등에 직면한 시점에서 지역

기반의 미래 일자리 창출은 지역의 생존과 직결되어 필요한 정책 역이다 따라서

지역단위의 관광 일자리 창출 인적자본 축적 지역의 다양한 관광 전문가 및 이해

관계자들이 참여하는 지역 협력 강화 등을 위한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특히 국내관광 활성화로 지역관광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지역

관광추진조직 코디네이터 지역 관광 크리에이터 관광두레PD 등의 일자리 창출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이에 지역 관광 전문인력 발굴 및 육성을 통한 지역관광

일자리 창출이 필요하다

나 세부 정책 방향

1) 지역특화 관광 전문가 양성

지역으로의 인력 유입 활성화와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역 관련 전문가 양성

이 필요 하며 지역특화 전문가 교육 및 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의 관광 미래

일자리 전망에서 보았듯이 관광시장의 세분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관광이 발전

될 것이며 또한 코로나19 이후 지역으로의 여행 증가(국내 여행으로의 수요 전환)

국민의 국내여행 경험 증가에 따라 지역 관광 크리에이터와 같은 일자리가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지역기반의 관광기업의 참여로 지역 특성을 반 한 관광 전문가 양성 프로

그램을 개발하여 지역의 관광산업 예비 종사자 창업(예정)자 등을 대상으로 지역

특화 관광자원 발굴 및 활용 관광상품화 지역 협동조합 연계 강화 디지털 기반

창업 관련 인재 양성 등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2) 지역관광 창업middot창직 공간 구축의 확대

지역의 미래 관광인력 양성은 지역관광의 역량과도 연계되어 있으며 지역관광과

관련한 창업 창직 활성화를 통해 지역 관광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지역의 거점별 지역관광 창업middot창직 공간을 구축하여 앞서 언급한 지역특화 교육이

이루어지고 지역의 일자리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공간 지원의 확대가 필요하다

16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22 관광 특화분야 관광인력의 능력개발 강화

가 추진 배경

현재 관광산업은 코로나19의 위기를 극복하고 관광객의 세분화 다양화된 수요

등에 대응하는 시점에 있다 관광산업은 외부 환경에 변화에 따라 빠르게 변화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변화에서 유망 분야를 주도할 수 있는 관광 인력

의 양성이 필요하다 앞서 유망분야로 살펴본 실버여행 맞춤형 관광 반려동물동반

여행 등은 인구구조의 변화 관광수요의 다변화 등에 따른 결과이다 실버 여행의

경우 패키지 여행의 주도 세력이며 맞춤형 관광은 자아가치 창출을 위해 젊은 층에

서 확산되고 있다 반려동물동반여행 시장의 경우도 반려동물인구의 증가에 따라

시장 규모가 확대될 것이라고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분야들은 관광시장 형성이 초기단계이므로 이러한 변화를 이끌어나갈 수

있는 인력을 양성하는 것은 관광산업의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는 길이다 따라서 관

광수요의 다양화 세분화되는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교육과정의 변화가 필요하다

나 세부 정책 방향

1) 미래 관광 유망분야 양성 훈련 기관 지정

관광산업의 유망분야를 선도하는 주체를 육성하기 위해서는 관련 분야에 대한 전

문성을 교육하는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에 관광학과 관련된 관광관련 정규 교

육기관(특성화고 전문대학 대학교)을 일부 선정하여 미래 관광 유망분야 양성 훈

련기관 간 협약 체결로 유망분야의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및 훈련 과정 발굴 시범

훈련프로그램 운 을 지원하는 등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본 양성 훈련 기관 지정은

훈련 프로그램 운 비 일부를 지원하는 형태로 운 이 된다 또한 동 지정 사업은

관광의 유망분야에 대한 전문성을 갖춘 인력을 양성하는 것이 목적에 있다

2) 미래 관광 유망분야 교원 교육 확대

현재 문체부에서는 관광특성화고교 교사의 역량 강화를 위한 직무 교육을 추진하

고 있다 이러한 직무 교육은 산학 네트워킹 프로그램 취업 포럼 취업 설명회 등을

165제4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내용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도 향후 유망한 분야의 직업으로 실버여행 콘텐츠

개발자 및 가이드 맞춤형 관광 컨설턴트 반려동물여행시설 운 자 관광 데이터 분

석가 관광 콘텐츠 크리에이터 등을 제시하고 있다 관광산업을 둘러싼 미래 환경의

변화는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고 이에 따라 직업의 창출과 소멸이 빠르게 변하고 있

다 이에 관광관련 정규기관의 교육도 과거나 현 상황을 반 하기에는 유망 분야의

발전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기존 관광특성화고교 뿐 아니라 관광분야 정규 교육기관

의 교원을 대상으로 관광 트렌드 및 유망 분야를 반 한 이론 및 현장 교육 등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설계되어야한다 이를 통해 관광 기업과 교

육기관과의 연계를 통해 관광산업 현장 역량을 제고하도록 진행할 필요가 있다

23 창업middot창직 활성화

가 추진 배경

관광산업 분야의 미래 일자리는 사회 기술 및 생태 환경적 요인 등 다양한 동인

들을 통해 종합적으로 향을 받아 생장하고 소멸할 것이다 특히 4차 산업혁명이

일어난 이후 실제의 다양한 산업군과 경제 그리고 사회의 모습에서 체감할 수 있는

만큼 관광 일자리 관련해서도 변화가 시작되고 있다

관광 분야에서 인공지능 및 로봇의 활용 자동화는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기도 하

지만 호텔 여행사 관광편의시설 등에서 높게 이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 이와 관

련한 일자리는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변화는 기존 관광분야에서

습득한 지식과 기술이 관광 분야 업무에 활용되지 못하게 하며 전문성을 감소시킨다

이처럼 미래 일자리는 단순히 수동적으로 예측하기보다 현실의 제약을 극복하고

우리가 선호하는 일자리를 만들기 위한 과감한 노력이 전개될 때 수반될 것이다

또한 관광산업과 관련된 체계적 연결과 교육 공연 문화 예술 산업 등 인접 산

업과의 융합을 통한 미래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창의적이고 다양한 실험들이 시

도될 수 있도록 유연한 정책적 환경이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관광 수요의 다변화에 따라 점차 세분화 되고 전문되고 있는 관광상품 및

서비스 분야의 창직과 창업을 활성화하고 이러한 창직과 창업을 통해 창출된 관광

상품과 서비스를 유통할 수 있는 기반 마련 방안이 필요하다

16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나 세부 정책 방향

1) 창직 활성화 지원 (가칭) 관광 창직 아카데미

향후 일자리와 직업은 기존의 관념과 다르게 프리랜서 1인 기업가 등이 다양한

공간에서 근무하는 형태의 일자리가 발생할 것이다 더욱이 플랫폼 기반을 둔 관광

기업이 증가함에 따라 향후 1인 기업가 프리랜서 팀 단위의 관광기업 발생할 가능

성이 높다 이러한 조직은 환경 변화에 빠르게 대응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런 상황

에서 스스로 직업을 창출하는 창직 활동이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김동규 외

2018) 이에 정부부처에서는 창직 활동을 lsquo청년취업아카데미rsquo 사업 등을 추진하여

문화 예술 콘텐츠 분야 등의 개인 직업능력 향상 및 사회적 일자리 창출을 위한

프로그램을 운 하고 있다

이에 팀 프로젝트 교육 관광 및 연관 분야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갖춘 기업

탐방 등을 연계하는 lsquo(가칭) 관광 창직 아카데미rsquo를 관광전문 인력 양성 사업으로

추진하고 대상은 관광 예비 인력이 될 수 있는 관광을 전공하는 대학(원)생 졸업(예

정)생 은퇴 및 경력 단절로 새로운 일자리가 필요한 신중년 여성 경력 단절자 관

광 분야 실업자 등을 대상으로 확대 추진한다

2) 창업 활성화 센터 (가칭) 미래 관광LAB 신설

관광 일자리는 관광 기업의 생성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새로운 관광 분야의 사업

기회들이 창업으로 연결되려면 창업과 관련한 유리한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이런

이유로 관광산업에 있어서 관광사업 발굴 및 지원을 위한 정책이 지속적으로 추진

되고 있다

이에 미래 관광기업의 창업을 활성화하고 다양한 관광상품 및 서비스를 테스트

(관련 기술 및 장비 대여)하고 공유할 수 있는 (가칭) 미래 관광LAB을 신설하고

미래 관광상품 개발 및 연구 개발을 지원한다 운 은 한국관광공사 및 지역 관광공

사에서 한다

167제4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3 코로나19 대응 일자리 창출

31 관광 안전관련 일자리 기반 구축

가 추진 배경

코로나19로 관광객의 안전 여행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방역

및 안전 등에 대한 질적 관리 측면도 안전 여행 관심 증대와 함께 관광객의 관광활

동 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다

더불어 현재 코로나19의 지속으로 관광산업 전반에 일자리의 불안정성이 증대되고

있다 일부 사업체의 경우 코로나19로 인한 경 실적 악화로 기업의 경 부담이 증

가하여 최소 인력을 제외한 직원들이 유급 또는 무급 휴직 중에 있다 또한 국내여

행안내사 국외여행인솔자 문화관광해설자 등도 코로나19로 인해 심화되는 고용 불

안정에 놓여있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안정화 대책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내국인과 외국인이 안전하게 여행할 수 있는 관광 안전관련 인력 양성은 향후 코

로나19의 종식 후에도 내국인과 외국인의 안전 여행을 위한 기반 구축이 될 것이다

나 세부 정책 방향

1) 안전관광 인력 양성

안전관광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국내여행안내사 국외여행인솔자 문화관광

해설사 등의 관광안내인력을 대상으로 안전관광을 위한 교육훈련 체계 구축이 필요

하다 이를 위해서는 관광유관협회 관광관련 교육기관 등을 관광교육훈련 기관으

로 지정하여 교육 및 훈련의 실시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이를 통해 코로나19에 따

른 관광산업의 내외국인middot업종별middot연관산업 분야별 관광 메뉴얼의 실질적 이행과 현

장 대응력 강화를 달성할 필요가 있다

2) 관광의 안전 및 위기관리의 기반 조성

안전관광 기반 조성을 위해서는 국내외 관광객의 안전에 위해를 가질 수 있는 요

소들을 미연에 방지하고 대응에 있어 신속한 관리가 필요하다 이에 정부는 여행지

16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에서의 재난 사고 MERS와 SARS 등으로 인한 질병 등의 발생 등에 따라 이에 대응

하는 매뉴얼과 가이드북을 생성하고 관광인력의 안전 교육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지속해 왔다 현재 관광산업의 가장 큰 위협요인이 된 코로나19의 발생으로 이러한

기존 여행업의 안전관리 체계를 다시 점검할 시점에 이르렀다 이에 기존의 여행업

등과 관련한 안전관리 매뉴얼 등을 재점검하고 안전위기관리 관련 중앙과 지방 민

관 협력 체계 구축을 위한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32 비대면 관련 관광비즈니스 육성

가 추진 배경

최근 관광산업은 코로나19의 발생으로 비대면 관광 문화가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비대면 기술 기반의 관광객의 관광활동과 관광경 활동이 증대하고 있다 예

를 들어 호텔 및 항공에 있어서 무인안내기를 이용하여 체크인을 하거나 국제회의

는 온라인을 기반으로 개최되고 랜선투어 등 비대면 기술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간 관광산업에서의 디지털 기술은 정보통신 기술 발전에 따라 활용되고 있으나

코로나19로 촉진된 비대면문화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관광의 확산을 가속

화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비대면 관광 기술은 앞서 관광 빅데이터 분석

관광 미디어 콘텐츠 관광 플랫폼 관광 모빌리티 분야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관광

안전관리 측면에서 활용성이 증가할 것이다 이에 비대면 관광 문화 확산에 선제적

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비대면 관광 비즈니스 육성과 이를 통한 일자리 창출을 도

모하는 정부의 정책적 개입이 필요하다

나 세부 정책 방향

1) 비대면 관광 활성화를 위한 연구개발 강화

관광산업에 있어서 비대면 서비스나 기술이 활용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정부는 비대면 관광 활성화를 위한 기반 구축을 총괄하며 연구기

관과 관광 산업계와 연계 협력을 가능하게 하는 비대면 MICE 행사 콘텐츠 개발

비대면 관광상품 구매 안내 등과 관련한 관광상품 및 서비스 개발과 콘텐츠 확산을

169제4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위한 연구개발(RampD)에 대한 재정지원이 필요하다 관광산업계에서는 코로나19와

같은 위기 시 비대면 관광상품 관광서비스의 상용화하는 역할을 하며 학계에서는

이를 위한 비대면 관광 활성화 가능에 대한 환경을 조성하는 역할을 하도록 기반을

마련한다

2) 비대면 관광비즈니스 육성을 위한 지원

비대면 관광비즈니스 육성과 자생적 생태계 기초를 세우기 위해서는 다양한 비대

면 관광비즈니스 활동과 네트워크를 위한 발굴과 지원이 필요하다 이에 관광산업

에서의 비대면 비즈니스가 활성화되기 위한 창의적 아이디어의 구현을 위한 상품화

및 활동을 위한 지원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 또한 비대면 관광으로 직면할

일자리 감소 관광객 및 관광종사자의 비대면 기술 활용의 한계 등 문제 해결을 위

한 산학연 공동 프로젝트 지원 비대면 기술 보유 업체와 관광기업간 협업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 등을 위한 지원도 필요할 것이다

4 관광 미래 일자리 성장환경 조성

41 미래 관광일자리 통계 및 정보제공 활성화

가 추진 배경

관광 미래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미래의 일자리 정보 및 수요를 알려주는 관광

일자리와 관련 인력 현황 및 일자리 수급 미래 일자리 통계 및 정보 제공 등이 필요

하다 이를 위해 국내외 관광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관광 일자리 정보를 연계하고

이를 분석해 제공하는 미래 관광 일자리 인프라 재확립이 요구된다 정량화된 정보

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관광 미래 일자리에 대한 교육 훈련 자격 정보 인재 추천

및 구직자의 역량을 매칭할 수 있도록 미래 관광 일자리 역량의 수요나 변화를 파악

가능하게 제공해야 한다

17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나 세부 정책 방향

1) 인력수요공급 통계 및 전망정보 제공

관광산업 인력의 수요와 공급에 대한 전망은 관광산업 인적자원 정책의 기초 자

료가 된다 그러나 현재 관련 기초통계의 부족의 한계로 관광산업에 필요한 인력

의 파악에 있어서 한계가 존재한다 이에 환경변화로 변화될 관광일자리 변화의 예

측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향후 관광 및 연관 분야의 일자리 통계를 생산하고 이를

정기적으로 전망하며 새로운 고용 형태(1인 기업 프리랜서 등)와 관련한 실태 조

사를 실시하여 관광산업에 소요되는 관광인력의 효과적인 정책기반을 마련할 필요

가 있다

2) 미래 관광일자리 분야의 정보 제공 강화

미래 관광 일자리에 있어서 미래 세대의 관광 분야로의 흡수가 중요하다 현재

관광일자리와 관련한 정보는 lsquo관광인rsquo 사이트에서 일자리가 필요한 기업과 지원 자

격 근무조건 등의 형태로 현재 종사자가 필요한 관광기업들의 정보만이 제공되고

있다 즉 향후 어떠한 분야가 필요하고 관광에서 어떠한 유망한 일자리가 있는지

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고 있다 정부의 진로정보 관련 정보를 다루는 웹페이지

인 lsquo진로정보망 커리어넷rsquo에서는 직업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미래 직업에 있어서

관광관련 직업은 lsquo해양 레저 전문가rsquo lsquo여행 기획자rsquo lsquo문화 콘텐츠 전문가rsquo lsquo가상현

실 전문가rsquo 등 만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어 미래 인력의 관광 분야의 일자리 파악에

있어서 한계가 존재하고 있다 이에 lsquo관광인rsquo 사이트는 채용 정보만 제공하던 기존

의 방식에서 탈피하여 관광 관련 일자리와 미래 관광 일자리에 대한 정보도 제공할

필요가 있다

42 미래 관광일자리 협의체계 구축

가 추진 배경

인구구조 변화 디지털 전환 코로나19 등은 종래와 같은 분절적인 정책의 추진

을 벗어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일자리 창출은 채용 임금 등의 노동시장 여건뿐만

171제4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 방향

아니라 기업의 조직 및 기술의 활용의 인력수요 측면과 교육 훈련 등의 공급측면이

함께 작용할 때 가능하다

따라서 정부의 일자리 정책은 융middot복합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인적자원의 특성도

고령화 성평등 일과 삶의 균형 등과 관련하여 다차원적인 접근을 필요로 한다

관광산업과 관련된 정부 부처나 조직 부문 간 상호 호혜적인 협업이 활성화되어

야 할 것이다 앞으로의 시대는 기술만 융합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과 조직의 기능적

협업과 통합이 시시각각 요구될 것이다 따라서 관광 일자리에 있어서도 미래 일자

리 관련 협력적 거버넌스 운 이 필요하며 일자리 정책에 있어서 총괄middot조정 기능의

역할 부여가 필요하다

나 세부정책 내용

미래 관광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관광산업 환경 변화 및 관광산업 여건 등을 고

려한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 이에 미래 관광 일자리 창출 및 미래 관광인력 양성 정

책의 추진에 있어 의견을 수렴하고 정책을 발굴 할 수 있는 협의 채널이 필요하다

추진 방식은 관광 및 관광 유관사업체 관광유관협회 지자체 대학 연구원 등으

로 구성한 미래 관광일자리 협의 채널을 구축하고 관광 미래 환경 변화를 반 한

교육과정 개발 및 운 관광사업체 활성화 지원 등을 모색해야한다

결론 및 정책 제언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제5장

175제5장 결론 및 정책 제언

결론 및 정책제언

관광산업을 둘러싼 환경 변화가 급격하게 이루어지면서 관광소비시장 관광산업

구조 등이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필요한 관광 인력의 분야 및 역량도 변화하고

있다 관광산업은 주요 일자리 창출 분야로 인식되고 있으며 세상의 변화에 민감한

분야이다 이에 따라 관광 분야는 주요 국가의 경제 및 고용 성장의 원동력으로 인

식되고 있으나 정책적 측면에서 저평가 되는 경우가 많다(UNWTO 2019)

본 연구는 미래 관광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도출을 위해 관광산업에 미치는 환

경변화와 국내 일자리 정책을 분석하 다 그리고 문헌연구와 전문가 의견조사 자

문회의를 통해서 미래 관광산업의 유망 분야와 일자리를 위해 필요한 정책방안을

모색하 다

2020-2024년 관광트렌드는 여행의 세분화와 전문화 관광 비즈니스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 등으로 사회적 환경 변화로 인구의 지속적 감소 고령 인구의 증가

여가의 중요성이 강조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기술 환경 변화로 4차 산업혁명

기술의 활용이 확산되고 코로나19 등의 안전위기에 대한 인식이 중요하게 될 것이

라고 전망된다 특히 기술발전과 주 52시간 근로 시행 코로나19 등으로 인한 재택

근무 유연근무제 등이 활성화 되며 프리랜서 1인 기업 등 고용 및 기업의 형태도

다양해 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환경 변화를 분석한 후 향후 5년 내 관광산업에서 유망할 분야

및 그와 관련된 일자리를 전망하 다 본 연구에서 예측된 관광산업 유망 일자리는

① 기술 관련 분야(관광 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 관광 미디어 콘텐츠 관광 플랫폼

관광 모빌리티)의 일자리 ② 관광트렌드의 세분화 및 다양화에 따른 세부 분야(지

역 전문특화 관광 실버 여행 반려동물 여행 여행 컨셉 기획)의 일자리 ③ 코로나

19 확산에 따른 안전 및 소비 트렌드 변화(소그룹 여행 여행 안전관리)에 따른 일

자리로 나타났다

17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미래의 관광인력은 관광산업 경쟁력과 발전의 핵심 요소이다 이에 따라 다양한

환경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적 접근이 시급히 이루어져

야 한다

먼저 디지털 융합 관광인력의 육성이 필요하다 전 산업에서의 디지털화로 인해

관광산업에 있어서 디지털 역량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적 요소가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디지털 분야에 대한 예비 인력 교육 기존 관광인력의 발전 가능성이

큰 디지털 융합 분야에 대한 교육 및 훈련 등을 수행할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미래 관광산업 일자리를 위해서는 특화 분야의 관광인력 양성과 코로나19에 대

응하는 일자리 창출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일자리는 산업이 성장할 때 같이 성장

하므로 관광 산업이 전문화 세분화 특화되는 흐름에 따라 이와 관련한 환경 조성

이 필요하고 새로운 분야에 대한 창업과 창직 활성화를 위한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미래 관광산업 일자리가 확산되기 위해서는 미래 일자리에 대한 통계와 정

보 제공 및 인력 수급 현황의 정기적 분석 등이 필요하다 필요한 관광 일자리에

대한 통계와 정보 제공은 구직 인력에게 필요한 정보이며 미래 일자리 인력의 수급

전망은 향후 필요한 인력 분야와 일자리 전환 정책의 기초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이

다 또한 미래 관광일자리를 위한 관middot산middot학의 끊임없는 정책적 노력과 소통이 강화

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분야와 정책대응 방향을 모색하 다 세부 정

책과제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향후 미래 일자리 분야의 규모 추정 각 정책 수단과

주체와 관련한 제시를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177참고문헌

참고문헌

∙ 강금봉(2019) 「디지털 플랫폼 노동 어디까지 와있나 ndash 현안과 보호방안」 사회적

대화 통권 10호 174-184

∙ 고용노동부(2014) 「선진국 고용정책의 일자리 창출 효과 연구」∙ 고용노동부(20200410) 임서정 고용노동부 차관 재택근무 우수 사업장 방문하여

현장의견 청취(보도자료)

∙ 고용노동통계(2020) 「2020년 상반기 직종별사업체노동력조사」

∙ 관계부처 합동(201788) 「신중년 인생 3모작 기반구축 계획」 제2차 일자리위원회

∙ 관계부처 합동(2019626) 「서비스산업 혁신 전략」 경제활력대책회의

∙ 관계부처 합동(20202) 「제3차 경력단절여성 등의 경제활동촉진 기본계획(2020~2024)」∙ 관계부처 합동(2020515) 「신중년 퇴직 전문인력 활용 방안」 제15차 일자리위원회

∙ 관계부처합동(20200217) 코로나19 대응 관광middot외식업 긴급 지원방안

∙ 관계부처 합동(2020714)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 선도국가로 도약하는 대한민국

으로 대전환」 한국판 뉴딜 대국민 보고대회(제7차 비상경제회의)

∙ 교육부(20191210) 「2019 초middot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 결과 발표」

∙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20111026) 「빅데이터를 활용한 스마트 정부 구현(안)」∙ 기상청(2019) 「2018 지구대기 감시보고서」

∙ 김규남(2019) 「스마트 시티에서 스마트 모빌리티의 역할」 글로벌리포트

∙ 김덕기middot한희정(2018) 「중장기 관광산업 전문인력 양성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 김동규middot김중진middot김한준middot최 순middot최재현(2017) 「4차 산업혁명 미래 일자리 전망」 한

국직업능력개발원

∙ 김준 middot권혜자middot최기성middot연보라middot박비곤(2018) 「플랫폼경제종사자 규모 추정과 특성

분석」 한국고용정보원

∙ 김형만middot최 섭middot노대명(2018) 「사회정책 추진체제 구축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김희수middot정광민(2019) 「노동시간 단축이 관광시장에 미치는 향과 과제」 한국문화

관광연구원

17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 농림축산식품부(20200429) 전국 591만가구에서 반려동물 856만마리 키운다

-「2019년 동물보호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결과 발표-

∙ 류광훈middot김희수(2018) 「관광산업 발전을 위한 지원체계 구축방안 연구」 한국문화관

광연구원

∙ 매일경제(20180312) [여행 알쓸신잡] 여행업계 놀라게 한 `실버세대의 힘`

∙ 매일경제(20191212) 한화 여행 콘텐츠 크리에이터 인턴십 모집다양한 혜택 제공

∙ 문화체육관광부(2018a) 「지역관광 추진조직 육성 기본계획 수립 연구」

∙ 문화체육관광부(2018b) 「2017 국민여행실태조사」 ∙ 문화체육관광부(2019a) 「2018년 기준 관광사업체기초통계조사」∙ 문화체육관광부(2019b) 「국민여가 활동조사」

∙ 문화체육관광부(2019c) 「2018 국민여행조사」 ∙ 문화체육관광부(2020) 「코로나10 생활 속 거리 두기 시기 여행경로별 안전여행 가이드」 ∙ 문화체육관광부(20200703)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문체부 3차 추경 3469억 원

확정(보도자료)

∙ 문화체육관광부 각년도 「관광사업체기초통계조사」∙ 문화체육관광부 각년도 「관광부문 재정집행계획」

∙ 미래창조과학부 미래준비위원회middotKISTEPmiddotKAIST(2017) 미래 일자리의 길을 찾다

도서출판 지식공감

∙ 민경선(2018) 「워라밸 세대의 여가와 삶의 만족도」 한국웰니스학회지 13(3) 377-388

∙ 박가열middot박성원middot이 민middot이은수(2019) 「4차산업혁명시대 미래직업능력 연구(Ⅱ)」 한국고용정보원

∙ 박주 (2018) 「오버투어리즘 현상과 대응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 박지혜(2017) 「국내 펫코노미(Pet+Economy) 시장의 현황과 시사」 산업연구원

∙ 비전21뉴스(20200826) 코로나19 극복 파주형 희망일자리 참여자 2329명 모집

∙ 산업통상자원부(20193) 「제7차 산업기술혁신계획(2019-2023)」∙ 삼일회계법인(2019) 「2019-2023 Entertainment amp Media 산업 전망」∙ 손은수middot홍성화middot고병열(2018) 「국내외 주요기관이 전망한 미래기술의 흐름」∙ 송승범(2020) 「스마트 모빌리티- 사용자 중심의 모빌리티 서비스로 패러다임 전환」∙ 송종구(2017) 「카셰어 ndash 공유경제 관심 속 시장규모 지속적 증가」 KISTI 마켓리포트

∙ 아시아경제(20200827) 반려동물과 함께 즐겨요 펫캉스 떠나는 반려인들 [김

수완의 동물리포트]

179참고문헌

∙ 여행신문(20200701) 개별middot소규모 여행 뜨자 지자체도 맞춤대응

∙ 여행신문(20200824) 11 미팅에서 진화한 관광청 온라인 마케팅

∙ 오훈성(2018) 「고령층 국내관광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 울산MBC(20200219) 울산시 방역 전문가 자문단 운

∙ 윤윤규middot고 우(2009) 「일자리 창출 및 소멸의 구조와 특징」 월간노동리뷰 9월호 15-29

∙ 이금노(2019) 「모빌리티 분야 공유서비스의 소비자문제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자원

∙ 이승렬middot이용관middot이상규(2018) 「미래의 직업 프리랜서(Ⅰ) - 1인 미디어 콘텐츠 크리에이터 -」∙ 이승민middot정지형middot송근혜(2017) 「ECosight 2017Socio-Tech 10대 전망」 한국전

자통신연구원 미래전략연구소

∙ 이원희middot박주 middot조아라(2019) 「관광 트렌드 분석 및 전망 2020-2024」 한국문화

관광연구원

∙ 이재완middot강혜진(2018) 「워라밸과 삶의 만족 세대 간 차이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

구 22(3) 267-291

∙ 익산열린신문(20200401) lsquo관광도시 익산rsquo 위해 투어매니저 떴다

∙ 일자리위원회ㆍ관계부처 합동(20171008) 「일자리정책 5년 로드맵」 제3차 일자리

위원회

∙ 일자리위원회ㆍ관계부처 합동(20200309) 「사람중심경제를 실현할 후반기 일자리

정책 추진 방향」 제14차 일자리위원회 1호 의결안건

∙ 저출산middot고령사회위원회(201812) 저출산middot고령사회 정책 로드맵

∙ 전재식 외(2019) 「일과 학습의 미래」 경제인문사회연구회

∙ 전효재middot한희정(2018)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미래 관광일자리 창출 방안 연구」 한국

문화관광연구원

∙ 중소벤처기업부(2020) 「중소기업 전략기술로드맵(빅데이터)」∙ 중앙일보(20190812) 현대차 국내 마이크로 모빌리티 사업 나선다

∙ 최계 (2020) 「디지털 플랫폼의 경제학 I 빅데이터ㆍAI 시대 디지털 시장의 경쟁

이슈」 KISDI Premium Report

∙ 통계청(20180927) 「2018 고령자 통계」 ∙ 통계청(2019) 「2019년 장래인구특별추계를 반 한 세계와 한국의 인구현황 및 전

망」 통계청(보도자료)

∙ 통계청(20190902) 2019년 장래인구특별추계를 반 한 세계와 한국의 인구현황

및 전망(보도자료)

18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 통계청(20191125) 「2019년 사회조사 결과」 ∙ 통계청(20191205) 「2018년 일자리행정통계 결과」∙ 통계청(20191212) 「2018년 기준 기업생멸행정통계 결과」

∙ 통계청(20201016) 「2020년 9월 고용동향」 ∙ 투어코리아(20190723) 반려동물 동반 가능 숙소 전국 700여 곳 3년 새 10배 증가

∙ 한국경제(20200803) 교원그롭 시니어 여행시장 진출

∙ 한국경제연구원(20200720) 코로나19로 대기업 lsquo넷 중 셋rsquo 재택ㆍ원격 등 유연근

로제 실시 중

∙ 한국고용정보원(2019a) 「2019 미래를 함께 할 새로운 직업」 ∙ 한국고용정보원(2019b) 「2020 한국직업사전」∙ 한국관광공사(2007) 「국내실버관광 활성화를 위한 2007 국내실버관광 실태조사」

∙ 한국관광공사(20200422) 관광분야 미래 인재 키울 곳 어딜까

∙ 한국교통연구원(2017) 「스마트모빌리티 브리프」 KOTI Brief 1(3)

∙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2019a) 「2018 데이터 산업 현황 조사」∙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2019b) 「2019 데이터산업 백서」

∙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각년도 7월 기준 문화체육관광 고용동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200527) 포스트 코로나 시대 안전을 담보로 한 국내관광

회복이 기대됩니다

∙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6) 「호주 청년 노동시장 진입 지원정책의 변화」 글로벌 사

회정잭 브리프 50호

∙ 한국일보(20200316) lsquo펜데믹rsquo에 뜨는 직업 있다

∙ 한국지방행정연구원(200912) 「지방자치단체의 일자리창출 역할 강화 방안」 ∙ 한국콘텐츠진흥원(2020) 「융복합 관광서비스 사업화지원 사업 현황분석 및 개선방

향 연구」

∙ 허재준(2009) 「일자리 창출 증진을 위한 방안과 과제」 서울경제

∙ 홍현균(2004) 「일자리의 창출과 소멸」 한국의 고용구조

∙ 황혜정(20181221) 「탈규모 시대의 제조업 lsquo플랫폼 비즈니스rsquo로 도약한다」 LG

경제연구원

∙ YTN(20200506) 일자리위 안전middot비대면 분야서 새로운 일자리 창출 노력

181참고문헌

∙ Agoda(20200729) Agoda shares quick ways to sustainably rediscover

the world through lsquoSlow Travelrsquo

∙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Employment(2017) Australia G20

Employment Plan 2017

∙ Australian Government(2019) Australian Jobs 2019

∙ Australian Government(2020) Employment outlook to May 2024

∙ BBC(20180527) First colleges to teach new vocational T-levels named

∙ Beale I Bloss C amp Thomas A(2005) The longer-term impact of the

New Deal for Young People Corporate Document Services

∙ Brčić D Slavulj M Šojat D amp Jurak J(2018) The role of Smart

Mobility in Smart Cities In 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ad and

Rail Infrastructure-CETRA 2018

∙ Brookfield Institute(2017) Future-proof Preparing Young Canadians for

the Future of Work

∙ California Workforce Development Board(2015) Californiarsquos Workforce

Development Plan

∙ DCMS(2016) Tourism Action Plan

∙ Department for Work amp Pensions(2015) 2010 to 2015 government policy

employment

∙ ESFA Digital(2019) Sign up to our new apprenticeship service webinar

programme

∙ Euromonitor International(2018) Megatrends shaping the future of travel

∙ Fidler D(2016) Work Interrupted The New Labor Economics of Platforms

Institute for the Future Palo Alto CA httpsworkablefuturesorg

publicationsreportswork-interruptedthe-new-labor-economics-of-platforms

∙ Forbes(20200507) Post Coronavirus Travel How Most Americans Want

To Holiday At Home

∙ FP(20200613) The Future of Travel After the Coronavirus Pandemic

∙ Gibson G OrsquoFaircheallaigh C amp MacDonald A(2008) Integrating Cultural

Impact Assessment into Development Planning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Impact Assessment Workshop) Fargo ND IAIA

∙ HM Government(2018) Industrial Strategy Tourism Sector Deal

18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 IAIA(2009) What is impact assessment Fargo ND IAIA

∙ Kevin BAuman and Cody Christensen(2018) Improving Skills Through

Americas Workforce Development System American Enterprise Institute

∙ Mackenzie Valley Review Board(2009) Status report and information

circular developing cultural impact assessment guidelines Yellowknife

Canada Mackenzie Valley Review Board

∙ OECD(2004) Job strategy

∙ OECD(2013) Local Job Creation How Employment and Training Agencies

Can Help US

∙ OECD(2017) Measuring Distance to the SDG Targets An assessment of

where OECD countries stand

∙ OECD(2020a) Employment Outlook 2020 Worker Security and the COVID-19

Crisis

∙ OECD(2020b) Good jobs all in a changing world of work

∙ OECD(2020c) OECD Tourism Trends and Policies 2020

∙ OECD(20200602) Tourism Policy Responses to the coronavirus (COVID-19)

∙ Oxford Economics(2020) The Impact of COVID 19 on the US Travel Economy

∙ PIXABILITY(2018) In-Flight Viewing

∙ Policy Study Institute(1992) The Restart Effect Evaluation of a Labour

Market Programme for Unemployed People

∙ Reed D Liu A Kleinman R Mastri A Reed D Sattar S Ziegler

J(2012) An effectiveness assessment and cost-benefit analysis of registered

apprenticeship in 10 states Oakland CA Mathematica Policy Research

∙ RSA(2013) Making at Home Owning Aborad

∙ Schmidt F A(2017) Digital labour markets in the platform economy

Friedrich-Ebert Stiftung Sokoler Alexander (2016)rsquoTegn paring lovbrud

Personer udlejer adskillige lejligheder paring Airbnbrsquo Fagbladet F 3

∙ The Conference Board of Canada(2005) The Ready-to-Work Program

Opening Doors to the Tourism Industry

∙ The Ontario Tourism Education Corporation(2013) Ontario Tourism Workforce

Development Strategy

∙ Tourism HR Canada(2018) Tourism HR Canada Strategic Plan 2019-2021

183참고문헌

∙ Travel Weekly(20200715) In new reality demand grows for boutique

hotels wellness experiences

∙ US Department of Labor(2018) FY 2018-2022 Strategic Plan

∙ UKCES(2014) The Future of Work Jobs and Skills in 2030

∙ UN(2020) Sustainaple Development Report 2020 The Sustainable Develo

pment Goals and Covid-19 - Includes the SDG Index and Dashboar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 UNWTO(2019) The Future of Work and Skills Development in Tourism

ndash Policy Paper UNWTO Madrid DOI httpsdoiorg10181119789284

421213

∙ UNWTO(2020) Cultural tourism amp COVID19

∙ US Department of Labor(2018) Recommendations to Improve the Nation

s Workforce and Labor Market Information system

∙ US Travel and Tourism Advisory Board(2019) Recommendation on Workforce

Development

∙ WEF(2018) The Future of Jobs Report 2018

∙ WEF(20200715) Top factors travellers will consider before planning

their next trip

∙ WEF(20200811) How are people holidaying after COVID-19 lockdowns

∙ WMO(2020) The Global Climate in 2015-2019

∙ みずほ総合研究所(2017)  アベノミクス5年と今後の政策課題

∙ 内閣官房(20176) まちひとしごと創生基本方針2017(概要版)

∙ 内閣官房(20186) まちひとしごと創生基本方針2018について

∙ 内閣官房(20196) 成長戦略フォローアップ

∙ 内閣府(200106) 「今後の経済財政運営及び経済社会の構造改革に関する基本方針」 につ

いて httpswww5caogojpkeizai-shimoncabinet20010626kakugikettei

pdf

∙ 内閣府(200206) 「経済財政運営及び経済社会の構造改革に関する基本方針2002」

httpswww5caogojpkeizai-shimoncabinet2002decision0625html

∙ 内閣府(200311) 構造改革評価報告書 httpswww5caogojpkeizai-shimon

minutes20031126item1pdf

18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 内閣府(200406) 経済財政運営と構造改革に関する基本方針2004 20221421610

jpkakugikettei2004040604kaikakupdf

∙ 内閣府(200912) 明日の安心と成長のための緊急経済対策 httpswwwmlitgo

jpcommon000055483pdfsearch

∙ 内閣府(201012) 新成長戦略 httpswwwkanteigojpjpsinseichousenrya

kusinseichou01pdf

∙ 内閣府(201211) 日本再生加速プログラム httpswww5caogojpkeizai1keizai

taisaku20121130_01taisakupdfsearch

∙ 大和總硏(201411) 人口減少時代の地方創生の鍵は雇用創出

∙ 首相官邸(20136) 日本再興戦略

∙ 首相官邸(2015) まちひとしごと創生基本方針2015

∙ 厚生労働省 重点分野雇用創造事業 httpswwwmhlwgojpbunyakoyou

chiiki-koyou3dljuuten_02pdf 2020613 열람

∙ 厚生労働省地域提案型雇用創造促進事業(パッケージ事業)事例集 httpswwwmhl

wgojpbunyakoyouchiiki-koyoupackage17indexhtml 2020613 열람

∙ 국가직무능력표준 홈페이지(httpsncsgokr)

∙ 관광두레 홈페이지(httpstourduremcstgokrhomehomeIndexdo)

∙ 미국 연방노동부 원 스톱 고용센터 홈페이지(httpswwwcareeronestoporgC

ompetencyModelcompetency-modelshospitalityaspx)

∙ 보건복지부 코로나19바이러스 인터넷 페이지(httpncovmohwgokrbaroVie

wdobrdId=4ampbrdGubun=41)

∙ 사이언스올 홈페이지(httpswwwscienceallcom)

∙ 세계경제포럼(WEF) 웹사이트(wwwweforumorgagenda202004occupatio

ns-highest-covid19-risk)

∙ 국 기상청 홈페이지(httpswwwmetofficegovukabout-uspress-office

newsweather-and-climate2020confirmation-that-2019-concludes-war

mest-decade-on-record)

∙ 국 프린스 트러스트 홈페이지(wwwprinces-trustorguk)

∙ 일자리위원회 홈페이지(httpwwwjobsgokr)

∙ 진로정보망 커리어넷 홈페이지(httpwwwcareergokr)

185참고문헌

∙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httpwwwcdcgokr)

∙ 캐나다 미래기술센터 홈페이지(httpsfsc-ccfcaengagefuture-skills-centre-ann

ounces-37-million-investment)

∙ 캐나다 인력관광공사 홈페이지(httptourismhrcaabout-usstrategic-plan)

∙ 한국엠씨엔협회 홈페이지(httpkmcnaorkr)

187ABSTRACT

ABSTRACT

Future Jobs and Policy Implications for the Tourism Industry

The tourism industry is based on human services and it is recognized as an

industry generating high economic vitality and job creation effects As the future

jobs in the tourism industry present the need for new competencies of manpower

entering the tourism labor market and the change and consolidation of competencies

of those who are currently engaged in the tourism industry future jobs can be a

method to fortify the driving force and competitiveness of the tourism industry

Consequently policy interest in future jobs for the growth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tourism industry is on the ris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environmental change in the tourism industry jobs draw the future job

prospect of the tourism industry and present measures to cope with future

functions

To this end this study reviewed cases to cope with social technical economic

job tourism and environmental changes as well as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licies Job shift support digital manpower cultivation and support policies for

youth employment are implemented abroad according to employment environment

diversification and digital shift acceleration Also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licies to maintain employment in the tourism industry according to the spread of

COVID-19 are promoted In reflection of the environmental change this study

presented promising fields and jobs in tourism within 5 years in the future The

top 10 promising job fields drawn in this study can be classified as follows ①

technology convergence field ② specialization and segmentation field according to

tourism demand diversification and ③ small-scale travel increase fields due to

18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increase in travel safety recognition

When synthesizing all these circumstance changes direct and indirect support

policy is needed for active coping with environmental changes fostering digital

convergence specialized fields coping with the COVID-19 and job infrastructure

reinforcement in order to nurture future tourism jobs

First it is necessary to foster digital convergence tourism manpower Due to the

digitization of the entire industry digital capabilities will not be an option but an

essential element for the tourism industry For this the government should lay a

foundation for preliminary manpower education in the digital field education and

training in the digital convergence field which has a high pot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existing tourist manpower

For future tourism industry jobs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tourism manpower

in specialized fields and to create jobs in response to the COVID-19 Jobs grow

as the industry grows Therefore according to the trend of specialization and

subdivision of the tourism industry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related

to this and to prepare a foundation for revitalization of startups and founding in

new fields

In order to increase the number of jobs in the tourism industry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statistics and information on future jobs and to regularly analyze

the supply and demand of manpower This is because the provision of statistics and

information on necessary tourism jobs is necessary information for job seekers and the

outlook for the supply and demand of future jobs provides basic information on the

field of manpower required in the future and job transition policies

In addition constant policy efforts and communication between public institutions

industries and academia for future tourism jobs should be strengthened

Keywords

Tourism Future Jobs Future Jobs Tourism Jobs Tourism Employment

부록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191부록

【부록1】 전문가 의견 조사지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1차 전문가 설문 조사

안녕하십니까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은 현재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는 향후 2021~2025년 동안 우리나라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를 위

한 정책 대응방향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이에 본 조사는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여건 및 미래 일자리 후보군을 조사하고자 합니다

귀하의 응답결과는 통계법 제33조(비밀의 보호) 제34조(통계종사자 등의

의무)에 따라 오직 연구 목적을 위해 이용됩니다 바쁘시겠지만 귀한 시간 내

주시어 답변 부탁드립니다 약 10분 정도 소요될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

문의처

회송방법

조사기관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김덕기 선임연구위원 한희정 연구원)

조사담당 한희정 연구원 ( 02-2669-8944 e-mail hjhankctirekr)

회송방법 이메일(hjhankctirekr)로 송부

설문에 응해주신 분께는 답례품을 보내드리고자 하오니 기재하여 주십시오

성명휴대폰 연락처

(모바일 상품권 발송)

소속기관 직위

19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여건

문1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방향 수립 시 관광산업 일자리를 둘러싼 환경변화

중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것은 무엇입니까(예시는 참고일 뿐 주요 환경변화

내용을 자유롭게 기술)

분야 참고 환경변화 내용

관광(관광소비 및 산업 변화)

- (관광객 소비 문화) 소확행 가심비 트렌드 확산(호캉스 스

테이케이션 등)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 부상 일상에서 만

나는 비일상여행(생활관광) 경험소비 누구나 즐기는 여행

관광시민 비대면 관광지 선호

(작성)

- (관광 산업) 여행업 변화(OTA 확산 플랫폼 비즈니스 진화

등) 숙박업 변화(공유숙박업 등) 스마트 기술 관광 접목 증

대 관광체험 영역 확산(농어촌 체험) 융복합 강화(해양관광

웰니스관광 교육관광 농촌관광 등) 비대면 기술 확산 등

(작성)

사회(인구구조 및

노동인구 변화)

- (인구구조) 생산연령인구 감소 고령화 1인 가구 증가 지

방 인구 감소로 지방소멸위험지역 증대 국가 간 이동 및 다

문화 증가

- (사회인식) 여가시간 증대 및 워라밸 추구

(작성)

기술(과학기술

발전)

-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 가속화(인공지능 5G 증강현실

로봇 빅데이터 등) 모바일과 플랫폼 비즈니스의 진화 (작성)

생태환경(환경과 에너지)

- 코로나19 전염병 등 위기관리 및 안전 관심 증가 청정 환

경 관심 증가

-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현상 및 자연현상 증가 기후변화 대

응 노력 확대 친환경 인식 제고

- 지속가능발전 투자와 활동 확대

(작성)

정치(법제도 및 정부 정책)

- 남북교류 활성화 DMZ 관광

- 도시재생 사업 혁신 정책 (작성)

일자리 환경(산업특성 및

산업구조 변화)

- (기업문화) 기업 직장에서 직업 매개체로의 변화

- (고용환경) 일자리 양극화와 데이터 기반 인적관리 강화

- (산업구조) 자기고용과 창조서비스업의 증가

- (노동환경) 언제 어디서나 일할 수 있는 유연한 업무 환경

프리랜서 증대

- (직무) 직무의 전문화 세분화 융복합화

(작성)

기타 (작성)

193부록

관광산업 유망 분야 및 유망 일자리

문2 환경변화를 바탕으로 관광 관련 유망 분야와 관련된 일자리는 무엇이라고 생

각하십니까(예시는 참고일 뿐 유망 일자리 분야 일자리를 자유롭게 기술)

구분(참고) 관광관련 유망

분야 (참고) 관광 유망 일자리

후보군(직업)관광관련유망 분야

관광 유망 일자리(직업)

관광(관광소비 및 산업 변화)

- 생활관광

- 관광 미디어 콘텐츠

- 관광플랫폼(공유숙박

OTA 여행관련 콘텐

츠 등)

- 해양관광 웰니스관

광 교육관광 농촌관

광 등

- 공정여행

- 전통시장 해설가 관광

스토리텔러 현지 전문

맞춤 가이드

- 관광 미디어 콘텐츠 크

리에이터(여행 유튜버

여행 작가 여행 인플러

언서 등)

- 공유숙박 코디네이터

공유숙소 관리 전문가

- 공정여행 기획가

(작성) (작성)

사회(인구구조 및

노동인구 변화)

- 아동 및 실버 취약계

층 관련 여행

나홀로 여행(혼행)

- 수학여행기획가 수학여

행인솔자

- 실버여행기획가 및 여행

인솔자

- 장애인middot반려동물 동반

여행 인솔자

(작성) (작성)

기술(과학기술

발전)

- 관광 빅데이터

- AI VR 5G 관련 관

광활용기술 개발 및

서비스 디자인

- 관광 서비스 로봇 기

획자

- 관광 빅데이터 분석가

- 관광 기술 경험 디자이

(작성) (작성)

생태환경(환경과 에너지)

- 재난 전염병 등 위기

관련 대응

- 생태관광 친환경 관

광 대안 관광

- 관광 안전 분석가 및 예

보관 (작성) (작성)

정치(법제도 및 정부 정책)

- 도시재생관련 관광콘

텐츠 평화관광

- 한류관광

- 평화관광해설가

- 한류관광기획가(작성) (작성)

기타 (작성) (작성)

19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2차 전문가 설문 조사

안녕하십니까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국책연구기관인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은 현재 「관광산업

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는 향후 2021~2025년 동안 우리나라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를 위

한 정책 대응방향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이에 본 조사는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에 대한 전망 및 대응방향에 대해 전문가 의견을 조사하고자 합니다

귀하의 응답결과는 통계법 제33조(비밀의 보호) 제34조(통계종사자 등의 의

무)에 따라 오직 연구 목적을 위해 이용됩니다 바쁘시겠지만 귀한 시간 내주시

어 답변 부탁드립니다 이 조사는 약 10분 정도 소요될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

문의처

회송방법

조사기관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김덕기 선임연구위원 한희정 연구원)

조사담당 한희정 연구원 ( 02-2669-8944 e-mail hjhankctirekr)

회송방법 이메일(hjhankctirekr)로 송부

설문에 응해주신 분께는 답례품을 보내드리고자 하오니 기재하여 주십시오

성명휴대폰 연락처

(모바일 상품권 발송)

소속기관 직위

195부록

관광산업 미래 유망 일자리 도출

다음은 제1차 전문가 설문 조사에서 도출된 관광산업 미래 유망일자리 후보군

입니다 각 일자리에 대해 귀하의 의견을 응답해 주시기 바랍니다

유망 분야 유망 일자리 후보군

5년 내 성장 가능성 일자리 발생 시기

낮음 harr 보통 harr 높음단기(3년 이내)

중기(4년-6년)

장기(7년

-10년)

맞춤형 관광 - 여행 컨셉 기획가(맞춤형 관광 컨설턴트)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해양관광 레저스포츠관광- 레포츠관광 전문 가이드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해양치유사 해양관광 전문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관광시민(관광객으로서의

역할 중요)- 관광운동전문가(지속가능성 관광시민관련 등)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관광 미디어 콘텐츠

(사진 영상)

- 관광 사진영상 작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관광콘텐츠크리에이터(여행작가 여행유튜버)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관광 콘텐츠 기획 제작 유통 전문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여행영상 편집 지도사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관광 콘텐츠 개발자 문화콘텐츠 전문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생활관광 - 생활관광 스토리텔러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아동- 아동 여행 콘텐츠 개발자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아동 여행 가이드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취약계층 관련 여행 - 여행복지사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지역 교류 관광 공감- 지역관광교류전문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관광인문학자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소그룹 여행 - 소규모 관광 가이드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소규모 단체여행 기획 및 인솔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캠핑 관광 - 캠핑관광 용품 대여업 운영자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지역 전문 관광

- 현지전문 맞춤 가이드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지역 관광 크리에이터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지역관광추진조직(DMO) 코디네이터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치유관광 웰니스 관광

의료관광

- 치유관광 운영자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농촌 치유관광 전문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의료관광 기획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농촌관광- 농촌관광 전문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교육농장 및 진로체험농장 전문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예술관광- 예술관광 기획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예술관광 가이드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산업관광 - 산업관광기획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역사관광- 역사관광기획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역사관광해설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196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유망 분야 유망 일자리 후보군

5년 내 성장 가능성 일자리 발생 시기

낮음 harr 보통 harr 높음단기(3년 이내)

중기(4년-6년)

장기(7년

-10년)

관광 플랫폼 OTA

공유경제시장 발전

- OTA 리스팅 전문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관광 플랫폼 코디네이터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관광 플랫폼 디자이너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관광 플랫폼 운영자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스마트 관광 - 스마트 관광 경험 디자이너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신 관광비즈니스 창출 - 관광창업 전문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실버관광 요양관광- 실버 여행 콘텐츠 개발자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실버 여행 가이드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나홀로 여행 - 나홀로 여행 컨설턴트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반려동물동반여행 - 반려동물여행 시설 운영자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교육여행- 교육(학습) 관광 기획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자유학기제 진로체험 전문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빅데이터 분석 및 개인화

- 관광 빅데이터 분석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관광 빅데이터 처리 엔지니어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관광 시스템 프로그램 전문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가상현실 드론

영상 이용 여행 콘텐츠- 가상현실 체험 콘텐츠 크리에이터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모빌리티 - 관광 교통 대여업자(전동킥보드 공유차량 등)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AI기반 로봇 활용 증가 - 관광 서비스 로봇 콘텐츠 개발자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관광 서비스 로봇 관리자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관광 어트랙션 구독

서비스 제공 - 관광 어트랙션 구독 기획가 및 운영자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생태친환경 관광- 생태관광 인솔자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숲 해설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여행 안전관리

- 숙박시설 방역전문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관광안전여행 인솔자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관광안전여행 컨설턴트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관광안전여행 기획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남북관광 평화관광- 북한관광기획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평화관광해설사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도시재생- 도시재생 관광기획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도시재생 관광해설가 스토리텔러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융복합 관광 한류관광 - 한류문화 관광 콘텐츠 기획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기타

- 관광 고용 컨설턴트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우주여행 기획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자원봉사여행 기획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 관광법규 전문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197부록

관광산업 미래 일자리 대응방향

본 설문조사에서 제시하고 있는 대응 방향은 문헌연구 전문가자문 업계 간

담회 내부 업무협의 등을 거쳐 현재 검토 중인 방향(안)입니다 전문가 및 업계

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반영할 계획이오니 많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관광산업 미래 유망일자리 정책 대응 방향 및 대응 방안에 대해 응답해 주시기

바랍니다

정책 대응 방향정책 대응 필요성

정책 대응 방안 낮음 harr 보통 harr 높음

역량강화

관광 유망 분야 인력 양성(교육 훈련) ① ② ③ ④ ⑤

관광 종사자 역량 강화 ① ② ③ ④ ⑤

미래 일자리 국가자격제도화 ① ② ③ ④ ⑤

성장환경 조성

창업middot창직 활성화 ① ② ③ ④ ⑤

지역기반 관광 일자리 창출 ① ② ③ ④ ⑤

인프라 강화

인력수요공급 예측 강화 ① ② ③ ④ ⑤

관광 미래 일자리 협의체계 구축(관산학) ① ② ③ ④ ⑤

관광 미래 일자리 정보제공 활성화 ① ② ③ ④ ⑤

관광상품 인력 매칭 플랫폼 구축 ① ② ③ ④ ⑤

법 제도 개선

1인 기업 프리랜서 활동 지원 제도

마련① ② ③ ④ ⑤

기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198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귀하가 관광산업의 미래 관광일자리 창출과 관련하여 하시고 싶은 말씀이 있

으시면 자유롭게 기술해 주세요

설문에 응답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광산

업의

미래

일자

리 전

망과

대응

방향

」 전

문가

설문

조사

안녕

하십

니까

문화

체육

관광

부 산

하 국

책연

구기

관인

한국

문화

관광

연구

원은

현재

「관

광산

업의

미래

일자

리 전

망과

대응

방향

」을 수

행하

고 있

습니

본 연

구는

향후

202

1~20

25년

동안

우리

나라

관광

산업

의 미

래 일

자리

를 위

한 정

책 대

응방

향을

제시

하고

자 합

니다

에 본

조사

는 관

광산

업 일

자리

전망

및 대

응방

향에

대해

전문

가 의

견을

조사

하고

자 합

니다

귀하

의 응

답결

과는

통계

법 제

33조

(비밀

의 보

호) 제

34조

(통계

종사

자 등

의 의

무)에

따라

오직

연구

목적

을 위

해 이

용됩

니다

시겠

지만

한 시

간 내

주시

어 답

변 부

탁드

립니

이 조

사는

약 5

분 정

도 소

요될

예정

입니

감사

합니

문의

조사

기관

국문

화관

광연

구원

(김

덕기

선임

연구

위원

희정

연구

원)

사담

한희

정 연

구원

(

02-

2669

-89

44 e

-m

ail

hjha

nkc

tir

ekr

)

문에

응해

주신

분께

는 답

례품

을 보

내드

리고

자 하

오니

기재

하여

주십

시오

성명

휴대

폰 연

락처

(모바

일 상

품권

발송

)

소속

기관

직위

199부록

광산

업 종

사자

전망

광산

업 종

사자

수 관

련 증

감에

대해

귀하

의 의

견과

가장

가까

운 의

견을

표기

부탁

드립

니다

lt종사

자 증

감 정

도 작

성 예

시gt

+ 2

0

-

20

로 작

성 부

탁드

립니

(아래

에 제

시된

종사

자 수

(lsquo14

년-rsquo1

8년 자

료)와

코로

나 1

9로 인

한 관

광시

장 변

화도

참조

부탁

드립

니다

)

(세

계 관

광시

장)lsquo20

년 상

반기

국제

여행

수요

의 감

소로

해외

입국

자 4

억 4

천만

명 감

약 4

600

억 달

러의

수출

수익

감소

(UN

WTO

)

-

국제

관광

측면

에서

rsquo19

년 수

준으

로 회

복하

는 데

는 2

~4년

이 걸

릴 것

으로

전망

[2020년

국제

관광

객 전

망]

[2019년

대비

국제

관광

객 수

변화

]

자료

U

NW

TO(2

020)

W

orld

Tou

rism

Bar

omet

er

18(5

)

(국

내 관

광시

장 전

망)

코로

나19

의 전

세계

적 유

행으

로 국

가별

입국

금지

조치

공편

대복

감소

회적

거리

두기

실시

등 국

내관

광 시

장회

복 더

딜 예

[방한

외래

관광

객 현

황]

[2020년

주요

관광

지점

입장

객 현

황]

자료

국문

화관

광연

구원

로나

19 이

후 6

개월

화middot관

광분

야 영

문화

관광

인사

이트

200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lt주요

변화

키워

드 예

시gt

화의

주요

요인

의 예

시는

다음

과 같

습니

예시

는 참

고사

항일

주요

변화

요인

을 자

유롭

게 기

술 부

탁드

립니

구분

주요

변화

키워

드 예

시구

분주

요 변

화 키

워드

예시

관광

렌드

변화

-가

치지

향 여

행 소

비(소

확행

심비

트렌

드 확

산)

경험

소비

-관

광시

민(관

광객

으로

서의

역할

중요

)

-밀

레니

얼 세

대와

Z세

대 부

상(관

광 정

보 S

NS 공

유)

-일

상에

서 만

나는

비일

상여

행(생

활여

한달

살기

) 근

거리

여행

-누

구나

즐기

는 여

행(생

애주

기 여

무장

애 여

행 등

)

-소

규모

중심

의 여

행 활

성화

-국

내 여

행 소

비 확

-특

수목

적관

광 또

는 특

별관

심관

광의

활성

-플

랫폼

비즈

니스

유경

글로

벌 O

TA의

발전

과 확

-스

마트

기술

기반

의 관

광활

동 증

비대

면 관

광 서

비스

확산

-모

바일

과 여

행 플

랫폼

비즈

니스

의 진

사회

-고

령화

및 대

규모

은퇴

자 증

-가

족 형

태의

다양

화(1

인가

반려

동물

동반

가구

문화

)

기술

-4차

산업

혁명

관련

기술

가속

화 및

활용

증가

-기

술 도

입으

로 인

한 무

인화

동화

확산

-구

독 경

제 활

성화

(정기

배송

탈진

화형

모델

등)

생태

환경

-친

환경

관심

증가

재생

에너

지middot친

환경

교통

수단

활용

증가

-재

난 증

전염

병 확

산(코

로나

19)

등에

따른

안전

관리

기관

리관

심 증

정치

-남

북교

류 활

성화

D

MZ

관광

-도

시재

생 사

혁신

정책

처별

융복

합 사

업 확

구분

종사

자 수

(명)

종사

자 증

감 정

도(향

후 5

년간

화)

변화

의 주

요 요

인14년

15년

16년

17년

18년

연평

균증

감5년

작성

예시

( + 1

0 또

는-10

)

자동

무인

여행

일반

여행

(국내

middot외여

행업

포함

)48

371

531

6160

730

737

8369

055

93

428

(

)

국외

여행

업10

551

130

2515

517

165

6315

868

107

50

4

( )

국내

여행

업10

478

183

7122

173

168

6314

154

78

351

(

)

관광

숙박

관광

호텔

업49

782

496

1749

896

500

3548

415

-0

7-2

7

( )

기타

호텔

업3

107

346

44

196

463

25

857

172

88

5

( )

휴양

콘도

미니

엄업

145

7617

224

195

3817

102

156

541

87

4(

)

201부록

구분

종사

자 수

(명)

종사

자 증

감 정

도(향

후 5

년간

화)

변화

의 주

요 요

인14년

15년

16년

17년

18년

연평

균증

감5년

작성

예시

( 10

)

무인

및 자

동화

구구

조 변

관광

이용

시설

전문

및 종

합휴

양업

874

85

494

609

88

076

745

3-3

9

-14

8(

)

일반

야영

장업

- 

350

46

456

115

449

088

374

15

94

( )

자동

차야

영장

업98

31

232

175

72

307

255

927

0

160

3(

)

관광

유람

선업

707

568

403

568

680

-10

-3

8(

)

관광

공연

장업

232

268

8983

70-25

9

-69

8(

)

외국

인관

광 도

시민

박업

--

262

02

957

330

512

3

261

(

)

한옥

체험

업2

395

250

72

772

277

63

334

86

392

(

)

국제

회의

국제

회의

시설

업93

548

862

272

268

1-7

6

-27

2(

)

국제

회의

기획

업16

395

146

4311

974

114

448

419

-15

4

-48

6(

)

카지

노업

893

19

418

911

57

033

733

0-4

8

-17

9(

)

유원

시설

종합

및 일

반유

원시

설업

(안전

성검

사 대

상업

종)

253

2624

061

210

8918

477

157

49-11

2

-37

8(

)

기타

유원

시설

(안전

성검

사 미

대상

업종

)1

489

239

26

637

769

29

286

580

52

36

( )

관광

편의

시설

관광

유흥

음식

점업

103

712

718

417

311

4-42

4

-89

0(

)

관광

극장

유흥

업4

486

299

92

686

365

93

179

-83

-2

91

( )

국인

전용

유흥

음식

점업

253

62

565

191

71

929

162

7-10

5

-35

8(

)

관광

식당

업24

113

151

5916

846

169

8820

306

-42

-1

58

( )

관광

순환

버스

업67

177

098

510

7799

110

2

477

(

)

관광

사진

업93

7710

658

45-16

6

-51

6(

)

여객

자동

차터

미널

시설

업15

618

6062

70-18

2

-55

1(

)

관광

펜션

업1

305

122

01

096

124

11

643

59

259

(

)

관광

궤도

업1

127

148

193

243

262

-30

6

-76

8(

)

관광

면세

업1

588

231

226

579

21

215

-65

-2

35

( )

202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광산

업 미

래 일

자리

대응

방향

음은

문헌

연구

문가

자문

계 간

담회

부 업

무협

의 등

을 거

쳐 현

재 검

토 중

인 5

년간

관광

분야

유망

일자

리입

니다

일자

리에

서 필

요한

정책

대응

방안

에 대

한 의

견을

부탁

드립

니다

문가

및 업

계의

다양

한 의

견을

수렴

하여

반할

계획

이오

많은

의견

부탁

드립

니다

lt일자

리 대

응 방

향 예

시gt

량 강

예비

인력

양성

광 종

사자

역량

강화

장 환

경 조

관련

분야

창업

직 활

성화

역기

반 일

자리

창출

지원

학연

연계

실습

프로

그램

프라

강화

보제

공 활

성화

구분

유망

일자

리정

책 대

응 방

작성

예시

예비

인력

교육

및 훈

종사

자 역

량 강

일자

리 정

보제

공 등

빅데

이터

분석

관광

빅데

이터

분석

처리

엔지

니어

관광

시스

템 프

로그

램 전

문가

관광

미디

어 콘

텐츠

(사진

상)

관광

콘텐

츠크

리에

이터

(여행

작가

행유

튜버

)

관광

콘텐

츠 기

제작

통 전

문가

관광

플랫

폼관

광 플

랫폼

디자

이너

관광

플랫

폼 코

디네

이터

영자

OTA

리스

팅 전

문가

관광

모빌

리티

관광

교통

대여

업자

(개인

전동

이동

수단

유차

량 등

)

지역

전문

관광

지역

관광

추진

조직

(DM

O)

코디

네이

지역

관광

크리

에이

실버

여행

실버

여행

콘텐

츠 개

발자

실버

여행

가이

드소

그룹

여행

규모

관광

가이

반려

동물

동반

여행

반려

동물

여행

시설

운영

자스

몰럭

셔리

관광

여행

컨셉

기획

가(맞

춤형

관광

컨설

턴트

)

여행

안전

관리

숙박

시설

방역

전문

203부록

하가

관광

산업

의 미

래 관

광일

자리

창출

과 관

련하

여 하

시고

싶은

말씀

이 있

으시

면 자

유롭

게 기

술해

주세

문에

응답

해 주

셔서

감사

합니

204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집필내역

연구책임

한희정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원 제1장 제2장 일부분 제3-5장 연구총괄

공동연구

김덕기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제1장 제3장 제4장

박가열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위원 제2장 제 2절 환경변화

원고자문

오미숙 순천향대학교 교수 제2장 제 3절 일본 일자리 정책

윤아영 경희대학교 객원교수 제2장 제 3절 호주 일자리 정책

전재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선임연구위원 제2장 제 3절 국내 일자리 정책

최환석 University of Guelph 교수 제2장 제 3절 북미 일자리 정책

황주영 부산대학교 연구교수 제2장 제 3절 영국 일자리 정책

관광산업의 미래 일자리 전망과 대응방향

발행인 김 대 관

발행처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서울시 강서구 금낭화로 154

전화 02-2669-9800 팩스 02-2669-9880

httpwwwkctirekr

인쇄일 2020년 12월 18일

발행일 2020년 12월 18일

인쇄인 (사)한국장애인이워크협회 일자리사업장

I S B N 978-89-6035-839-3 93300

DOI httpsdoiorg1016937kctirep2020e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