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115
역사한국어통합교육시범반 | 역사문화통합교육시범반 2013 역사교육 교육안 초등부 | 중고등부 역사교육위원회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Upload: the-united-korean-school-of-southern-new-jersey

Post on 08-Mar-2016

221 views

Category:

Documents


5 download

DESCRIPTION

 

TRANSCRIPT

Page 1: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역 사 한 국 어 통 합 교 육 시 범 반 | 역 사 문 화 통 합 교 육 시 범 반

2013

역사교육 교육안 초등부 | 중고등부

역사교육위원회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Page 2: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1

Page 3: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2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Korean School of Southern New Jersey

홈페이지: http://kssnj.org/

발 행 일: 2013 년 5 월

발 행 인: 김정숙

편 집 인: 정안젤라

Copyright © 2013 KSSNJ | Korean School of Southern New Jersey

Page 4: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3

목 차

한국인의 지혜와 박애주의

컴퓨터활용수업 준비 ................................................................................................................................................................................................... 5

조선시대 신분제도 ........................................................................................................................................................................................................ 7

조선시대 신분제도 II ................................................................................................................................................................................................ 10

참고자료: 미국의 시각에서 본 한국의 노비......................................................................................................................................... 14

세종대왕 .......................................................................................................................................................................................................................... 15

학생작품: 조선시대의 신분 중 하나를 선택하여 그 당시라 가정하고 쓴 일기 ................................................................ 19

세종대왕 II ..................................................................................................................................................................................................................... 21

학생작품: “~테니, ~거라”를 사용한 문형이 포함된 일기 .............................................................................................................. 23

조선시대 총정리 .......................................................................................................................................................................................................... 25

학생작품: 조선시대에 대한 학습 내용 중 가장 기억에 남는 것 .............................................................................................. 26

자주 독립 정신

일제강점기 ...................................................................................................................................................................................................................... 31

삼일운동의 정신 .......................................................................................................................................................................................................... 33

시나리오: 자랑스런 한국인 ............................................................................................................................................................................ 33

자랑스런 한국인 공연 (2013. 3. 5 남부뉴저지한인회 주최 삼일절 기념행사) ..................................................................... 35

지도자 정신 (리더십) ................................................................................................................................................................................................ 36

역사적 인물 백범 김구 ............................................................................................................................................................................................ 39

학습자료: 백범김구 요약본 ............................................................................................................................................................................ 41

나의 소원 ........................................................................................................................................................................................................................ 42

학습자료: 백범일지 – 나의 소원 中에서 ............................................................................................................................................... 44

20 세기 전반기 ............................................................................................................................................................................................................. 45

학습자료: 20 세기 인물과 관련된 설명을 서로 연결하기 ............................................................................................................. 46

학습자료: 동시대 한국 및 세계의 역사적 사건 매핑 ...................................................................................................................... 47

참고자료: 간디가 마틴루터킹 목사에게 미친 영향 (Asia Society) ............................................................................................ 48

작문: 백범 김구 독서감상문 읽고 이해하기 I ........................................................................................................................................... 50

학습자료: 백범일지 독서감상문대회 2013 년 응모작 (한성민) ................................................................................................... 51

학습자료: 백범일지 독서감상문대회 2012 년 최우수상 수상작 (윤도일) .............................................................................. 53

작문: 백범 김구 독서감상문 읽고 이해하기 II ......................................................................................................................................... 55

Page 5: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4

위기 극복의 정신

가계도, 한국전쟁 ......................................................................................................................................................................................................... 56

한국전쟁 .......................................................................................................................................................................................................................... 58

교사의 글: 6.25 한국동란: 아버지 진짜야? ........................................................................................................................................... 61

수필 .................................................................................................................................................................................................................................... 62

참고자료: 수필이란 ............................................................................................................................................................................................ 64

교사의 글: 어른이 되어 다시 듣는 한국전쟁 ...................................................................................................................................... 65

학생작품: 한국전쟁 특강을 듣고 ................................................................................................................................................................ 66

개척 정신ㆍ도전 정신

미주이민사 도입 일일교사의 체험기 ................................................................................................................................................................ 70

참고자료: 미주한인역사 교수 학습자료 (제 1 장 한인 이민의 첫번째 물결) ........................................................................ 71

미주이민사의 시작 ..................................................................................................................................................................................................... 76

미주이민 당시의 어려움 ......................................................................................................................................................................................... 77

참고자료: 미주한인역사 교수 학습자료 (제 2 장 사진 신부와 한인 동포들의 독립운동) ............................................... 78

미주이민사 동영상 만들기 ..................................................................................................................................................................................... 83

학생작품 (미주이민사 동영상) ....................................................................................................................................................................... 84

참고자료: 미주한인역사 교수 학습자료 (제 3 장 한국전쟁과 제 2 차 이민 물결) ............................................................... 85

시각장애인으로 미국 백악관 차관보까지 오른 강영우 박사 .............................................................................................................. 90

학습자료: 강영우 박사의 일생 ....................................................................................................................................................................... 91

세계 속의 한국과 미래

한국을 찾아라............................................................................................................................................................................................................... 96

한국의 상징 ................................................................................................................................................................................................................... 99

한국사 개요 ................................................................................................................................................................................................................. 101

세계사의 주요사건과 한국역사의 연관성 .................................................................................................................................................... 103

학생 작품 - 18C 산업혁명, 늦은 개방에 따른 한국사흐름 (강지민, 한예진) .......................................................................... 106

한국의 지리적 환경과 문화 배경 ..................................................................................................................................................................... 108

중국의 동북공정과 우리의 대처 ....................................................................................................................................................................... 109

역사의 시대적 흐름을 이해 ................................................................................................................................................................................ 110

해방과 남북분단, 대한민국, 미국 속의 한국인 ......................................................................................................................................... 112

Page 6: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5

컴퓨터활용수업 준비

1. 기본 개념 (Fundamental Concepts)

한글 자판의 구성을 이해한다.

자음과 모음의 위치를 알아 키보드를 보지 않고 타이핑을 할 수 있다.

컴퓨터 활용 수업에 대한 준비를 한다.

2. 탐구 주제 (Essential Questions, 학생들이 탐구할 의미 있는 핵심 개념에 관한 질문)

키보드에서 자음과 모음은 서로 어떻게 다르게 위치하고 있는가?

한글 타이핑과 영문 타이핑의 다른 점은 무엇인가?

3. 교과 내용 (content, 학생들이 배워야 할 내용, 교수/학습 내용)

한글 자판을 보고 각 자음과 모음이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 파악한다.

각 자모음에 대해 어느 손가락을 이용하여 타이핑해야 하는지 이해한다.

4. 학습능력 (Skills, 학생들이 행동으로 보일 수 있는 능력)

교사가 읽어주는 단어를 들은 후 키보드를 보지 않고 칠 수 있다.

5. 학습평가 방법: (Type, Description, Materials, Tests and Rubric)

n/a

6. 교수/학습 활동(Instructional Strategies and Activities, 흥미를 유발하는 재미있는 학습 방법)

http://www.tajamaster.com/ 을 이용, 타이핑 게임을 통해 학생들이 흥미를 가지고 자모음의

위치를 기억할 수 있도록 돕는다.

7. 개인지도 방법 (Differentiated Instruction, 학습에서 뒤지는 학생들을 개인 지도 하는 방법)

상급 수준 학생: 문장을 연습하도록 한다.

하급 수준 학생: 한글 자판을 보면서 하나씩 그 위치를 외우도록 한다.

8. 학습 자료 (Resources and Materials, 복사 첨부하시면 좋습니다.)

한글 자판 프린트물

Page 7: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6

9. 다음주 숙제:

가계도 (family tree) 템플릿 완성하여 선생님께 이메일 보내기. [email protected]

역사적 사건에 대한 경험, 이야기는 다른 페이지에 자세하게 적으면 좋다.

Page 8: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7

조선시대 신분제도

1. 기본 개념 (Fundamental Concepts)

조선시대의 동서양 시대적 배경을 안다.

조선시대의 신분 제도와 각 계층의 생활 모습을 이해하고 관련 단어를 익힌다.

2. 탐구 주제 (Essential Questions, 학생들이 탐구할 의미 있는 핵심 개념에 관한 질문)

조선시대와 같은 시기에 서양에서는 어떤 일이 있었는가?

조선시대 각 신분 계층의 생활은 어떻게 다른가?

3. 교과 내용 (content, 학생들이 배워야 할 내용, 교수/학습 내용)

USC 한국학 교수 David C. Kang의 조선시대와 그 이전의 동양과 서양의 시대적 배경 강의

듣기

세기/초/말 이라는 단어로 시대를 표현

조선시대 사회계층 및 그 이미지

4. 학습능력 (Skills, 학생들이 행동으로 보일 수 있는 능력)

조선시대를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수업을 듣기 전과 비교하여 알게 된 내용을 한국어로 말할

수 있다.

5. 학습평가 방법: (Type, Description, Materials, Tests and Rubric)

숙제발표

o 발표 자세: 눈맞춤, 명확한 발음, 적절한 속도, 현장감

o 발표 내용: 자신의 생각이 들어 있는가? 대화체가 있는가? 주제에 집중하는가?

6. 교수/학습 활동(Instructional Strategies and Activities, 흥미를 유발하는 재미있는 학습 방법)

숙제(수필)를 발표한다. 학생이 발표한 후 피드백을 준다. 함께 교정 연습을 해 본다. (30 분)

o 한 학생 글에서 한 부분을 예로 들어 함께 교정을 해 본다. 주제에 집중하지 못하는

글을 주제에 집중하도록, 재미가 없는 글은 재미 요소를 생각해보도록 한다.

o 시작한지 30 분이 되면 더 이상하지 말고 12 시에 다시 하는 것으로 한다.

USC 한국학 교수 David C. Kang의 강의 시청 및 의견 나누기 (20분)

http://youtu.be/6wLUNYnRvyo

조선시대와 동서양의 시대적 배경

o 대한민국의 위치를 확인한다.

o 대한민국이 지리적으로 왜 중요한가? 국경을 넘어 바로 러시아와 중국이 있다.

일본은 배로 50마일이면 갈 수 있는 가까운 곳에 있다. 3만 미군이 남한에 배치되어

있다.

o 유럽 이야기: 100년 전쟁, 7년 전쟁 등 끊임 없는 전쟁으로 계속되었다. 지도를

보면 1300년대, 1800년대의 많은 유럽의 나라들이 지금은 없다. 현재 유럽 국가들은

Page 9: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8

최신의 나라들이라고 할 수 있다.

o 일본, 중국, 한국, 베트남 주요 네 나라들은 오래도록 그 상태 그대로를 유지해왔다.

o 삼국시대에 백제는 일본과, 신라는 당나라와 연합하여 전쟁을 하였고, 통일신라

시대로 이어졌다. 15세기 조선시대의 나라 모습이 기본적으로 지금의 한반도와 같다.

o Formal inequality, informal equality (동양) vs. Formal equality, informal inequality

(서양)

o 중국과 주변국가는 평등하지 않았다. 한국은 중국으로부터 문명을 받아들였고,

중국의 왕은 황제로, 조선의 왕은 임금으로 칭하였다. 중국은 1단계부터 시작한다면

조선의 가장 높은 단계는 3단계였다.

o 높은 지위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시험을 보았다. 오늘날 교육열이 높은 이유는

이때로부터 기인한다.

o 1592년 임진왜란은 일본이 중국을 공격하기 위해 한국을 먼저 공격한 사건이었다.

일본 200,000명의 왜군이 700척의 배로 공격, 조선 60,000명의 병사로 수비하였고

이순신이 거북선으로 군수 차단, 중국이 100,000명의 지원군을 보내와 승리함.

o 1588년 유럽에서는 스페인 무적함대 (Spanish Armada)가 “Greatest military force in

Renaissance Europe”이라 칭하여졌다. 30,000명의 군사로 공격하였으나 영국의

20,000명의 군사에 패배하였다.

o 여기서 동아시아의 전쟁은 유럽 전쟁과 비교하여 보았을 때 5배에서 10배 규모의

크기였다는 것이다. 동아시아는 싸우면 싸우는 것이었고, 전쟁의 규모가 유럽이

생각하기 어려운 정도의 큰 규모였던 것이다. 그런데 세 나라가 함께 엮인 전쟁은

통일신라시대 직전의 전쟁 이후 12세기 동안 (668년~1894년) 이 임진왜란 한

번이었다.

o 반면 유럽에서는 1300년~1900년 사이에 프랑스와 영국 간에는 43번의 전쟁이

있었다.

새 단어 익히기: ‘세기, 초, 말’을 이용하여 시대를 표현하기 (20 분)

o 슬라이드에 나오는 년도를 보고 몇 세기인지, “초”인지 “말”인지를 맞추는 퀴즈를

한다.

o 연습

1392 년 (조선건국) => 14 세기 말

1910 년 (국권피탈) => 20 세기 초

1592 년 (임진왜란) => 16 세기 말

1894 년 (중일전쟁) => 19 세기 말

1950 년 (한국전쟁) => 20 세기

2012 년 (현재) => 21 세기 초

o 퀴즈: 조선시대는 언제였습니까? 14 세기 말 ~ 20 세기 초 (1392 년부터

1910 년까지)

랩탑에서 MS 워드를 이용하여 (랩탑 없는 학생은 공책에) 수필 최종본을 완성한다. (12:00-

12:30)

Page 10: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9

o 워드에 사진 넣기

o 제목과 이름 삽입하기

7. 개인지도 방법 (Differentiated Instruction, 학습에서 뒤지는 학생들을 개인 지도 하는 방법)

자신의 글을 수정할 때 교사가 손을 드는 학생에게 가서 도와준다.

보조교사는 컴퓨터 기능을 도와준다.

8. 학습 자료 (Resources and Materials, 복사 첨부하시면 좋습니다.)

<참고자료 1> 조선시대의 신분제도

<참고자료 2> Korean Nobi in American Mirror: Yi Dynasty Coerced Labor in Comparison to the

Slavery in the Antebellum Southern United States

9. 숙제:

한국전쟁에 대한 수필을 인터넷에서 찾은 사진과 함께 MS 워드에 편집하여 교사에게 최종본을

이메일로 보낸다.

([email protected])

Page 11: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10

조선시대 신분제도 II

1. 기본 개념 (Fundamental Concepts)

조선시대의 신분 제도와 각 계층의 생활 모습을 이해하고 관련 단어를 익힌다.

2. 탐구 주제 (Essential Questions, 학생들이 탐구할 의미 있는 핵심 개념에 관한 질문)

조선시대 각 신분 계층의 생활은 어떻게 다른가?

조선의 노비와 미국의 노예는 어떻게 다른가?

3. 교과 내용 (content, 학생들이 배워야 할 내용, 교수/학습 내용)

조선시대 각 계층의 이미지를 보면서 계층 간의 차이를 이해한다.

정치 경제적 문제로 계층 간 이동할 수 있었음을 이해한다.

인도의 카스트 제도를 소개한다.

미국 노예제도의 시작과 그들의 삶을 배운다.

조선 노비와 미국 노예의 차이점을 발견한다.

4. 학습능력 (Skills, 학생들이 행동으로 보일 수 있는 능력)

조선시대를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수업을 듣기 전과 비교하여 알게 된 내용을 한국어로 말할

수 있다.

5. 학습평가 방법: (Type, Description, Materials, Tests and Rubric)

금일 평가 없음.

6. 교수/학습 활동(Instructional Strategies and Activities, 흥미를 유발하는 재미있는 학습 방법)

조선시대 사회계층 이해하기. (30 분)

Page 12: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11

양천제 => 반상제

o 양반: Confucian scholars

o 중인: middle people: petty bureaucrats, skilled workers (doctors, artists, etc.)

o 상민: common people: farmers, laborers, fishermen, merchants, etc.

o 천민: slaves, butchers, monk, etc.

단어 / 문장 연습하기 (20 분)

o 시대: time, era

Page 13: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12

o 신분: position, status

o 제도: system

o 양반 / 중인 / 상민 / 천민

o 조선시대에는 양반, 주인, 상민, 천민의 네 가지 신분이 있었습니다.

인도의 카스트 제도를 소개한다. (10 분)

미국의 노예제도에 대해 알고 있는 대로 말해보고, 당시 미국의 노예들은 조선시대 노비들과

어떤 점이 같고 어떤 점이 다른지 이야기 해 본다. (30 분)

7. 개인지도 방법 (Differentiated Instruction, 학습에서 뒤지는 학생들을 개인 지도 하는 방법)

n/a

8. 학습 자료 (Resources and Materials, 복사 첨부하시면 좋습니다.)

Page 14: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13

<참고자료 1> 조선시대의 신분제도

<참고자료 2> Korean Nobi in American Mirror: Yi Dynasty Coerced Labor in Comparison to the

Slavery in the Antebellum Southern United States

9. 숙제:

한국전쟁에 대한 수필을 인터넷에서 찾은 사진과 함께 MS 워드에 편집하여 교사에게 최종본을

이메일로 보낸다.

([email protected])

Page 15: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14

참고자료: 미국의 시각에서 본 한국의 노비

http://ideas.repec.org/p/snu/ioerwp/no26.html

Korean Nobi in American Mirror: Yi Dynasty Coerced Labor in Comparison to the Slavery in

the Antebellum Southern United States

Young-hoon Rhee ([email protected])

Donghyu Yang ([email protected])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ritically respond to the recent research trends in the United States which

define the nobi in the Korean history as slaves and Koryo and Choson as slave societies.

Our comparative study of the nobi system in the 15-17th century Choson and the black slavery in the

American South has found several common features in the two institutions: both nobi and slaves

comprised one third of the respective population; both were personal property of their masters and

subjects of purchase, sale, and inheritance; most black slaves and some nobi were worked, fed, and clothed

by their masters.

We also found major differences. Although the average size of nobi-holding by the Choson yangban

(ruling class) was smaller than that of slave-holding by American planters, there were cases of ultra-

large-scale ownership by royal families and bureaucrats, very rare in the Unites States. The bigger the

ownership size, the larger the share of independent peasant nobi, who were in possession of property rights,

legal entities and civil rights. We also see cri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cultural aspects.

Black slaves remained isolated from the free people to the last, both because of their 'intrusive' origin that

they were recruited from the alien land, and because of religious and secular prejudices nested toward their

unerasable skin color. In the case of Choson nobi, collective memories about their 'extrusive' origins were

very obscure, and most importantly, they were fused with freemen other than yangban without clear

dividing line. These differences strongly influenced the process of their liberation. While in the United

States, the moral and religious crusades which saw black slaves as owners of pure soul played effective

roles, there was no substantial change in the perception of human nature in Choson, where the changes in

the political landscape - the decline of yangban society which had counterbalanced the power of king -

assumed a key factor. All thes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considered, we come to the conclusion that

generally speaking, it is inappropriate to call nobi in Choson slaves.

Page 16: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15

세종대왕

1. 기본 개념 (Fundamental Concepts)

세종대왕의 백성을 향한 사랑의 마음을 느낀다.

세종대왕과 관련된 이야기를 읽고 이해한다.

MS 파워포인트 ‘Smart Art’로 전환

2. 탐구 주제 (Essential Questions, 학생들이 탐구할 의미 있는 핵심 개념에 관한 질문)

세종대왕이 백성을 사랑했다는 사실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3. 교과 내용 (content, 학생들이 배워야 할 내용, 교수/학습 내용)

세종대왕 스무고개

세종대왕에 대한 동영상

세종대왕의 일화

4. 학습능력 (Skills, 학생들이 행동으로 보일 수 있는 능력)

세종대왕의 동영상을 보고 가장 기억에 남은 부분을 글로 쓸 수 있다.

5. 학습평가 방법: (Type, Description, Materials, Tests and Rubric)

금일 평가 없음.

6. 교수/학습 활동(Instructional Strategies and Activities, 흥미를 유발하는 재미있는 학습 방법)

세종대왕 스무고개 (30분)

1) 교사는 <사랑, 셋째, 공부, 조선, 과학, 훈민정음, 한글, 왕>의 순서로 준비된 파워포인트

슬라이드를 한 장씩 넘기며 각 단어에 대한 뜻을 묻는다.

2) 여덟 개의 단어를 모두 물은 후에 “지금까지 한 단어는 모두 ‘어떤 사람’과 관련된

단어들이에요. 그 ‘어떤 사람’은 누구일까요?” 라는 질문을 던진다.

Page 17: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16

3) 세종대왕이라는 답이 나오면 “왜 그렇게 생각했어요?”하고 묻는다. 학생들의 대답을 듣는다.

답을 들으면서 학생이 왜 그렇게 답했을까를 생각하고 일리가 있으면 동의해준다.

4) 위에서 언급되지 않았던 단어에 대해 설명해준다.

- 사랑: 한자가 너무 어려워 일반 백성은 일상 생활하기도 바쁘고 고단하여 글을 배울 수

없었던 것을 안타깝게 생각한 세종대왕은 한글을 창제하였다.

- 셋째: 세종대왕은 조선 3 대왕인 태종의 셋째 아들이다. 이성계 가계도를 보여주면서

태종의 세 아들 중 셋째 충령대군이 나중에 세종대왕이 되었음을 알려준다.

** 여기서 파워포인트의 홈 > 단락 > SmartArt 로 변환 의

기능에 대해 설명해주고, 위의 표를 어떻게 만들었는지 재연한다.

- 네 번째: 태조 이성계의 여덟 명의 아들 이름을 하나씩 읽어준다.

태조 이성계가 조선 초대 임금이었고, 그 아들 중 둘째와 다섯째가

각각 2 대 정종, 3 대 태종이었다. 태조 > 정종 > 태종 > 세종 > 문종

> 단종 > 세조의 조선 임금 순서를 “태정태세문단세”로 외워보게 한다.

Page 18: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17

- 공부: 세종대왕은 조선시대 27 명의 국왕 중 가장 열심히 공부한 왕이었다.

- 조선: 세종대왕은 조선시대의 왕이다.

- 과학: 세종대왕은 해시계, 물시계, 측우기, 혼천의 등을 만들어 과학의 발전에 크게

공헌하였다.

- 훈민정음: 세종대왕이 만든 한글의 이름이 훈민정음이다.

- 한글: 어리석은 백성을 위해 세종대왕이 만든 글자이다.

- 왕: 세종대왕은 조선의 제 4 대 왕이다.

세종대왕의 일화 읽기 (30분)

한 남자가 울고 있었다. 그 때, 길을 가던 사람이 이 남자를 보고 가까이 갔다.

“너는 웬일로 큰 길에서 울고 있느냐?”

“억울한 일이 있어 울고 있습니다.”

“그래, 네 억울한 일이 무엇이냐?”

이 남자는 어느 부잣집 하인이었다. 그런데 그의 아들이 어느 날 주인에게 매를 맞아 죽었다.

“너의 억울함을 풀어 줄 테니 염려 말고 집으로 돌아가 기다리고 있거라.”

이 사람이 바로 조선의 제 4 대 임금인 세종대왕이었다.

슬라이드에 위의 문장을 띄워놓고 한 사람씩 읽힌다. 다 읽으면 전체 학생들이 한 목소리로 다시

읽도록 시킨다. 대화체는 정말 말하는 것처럼 읽도록 당부한다. 마지막 인용문은 자신이

세종대왕이라고 생각하고 읽도록 한다.

슬라이드 스피드 퀴즈를 통해 아래의 새로 나온 단어들의 뜻을 익힌다.

가까이: nearby, close

웬일: what brings

억울한: unfair

하인: servant

주인: the owner

매: rod

맞다: be hit, be beaten

풀다: untie

염려하다: worry

문장을 암기하고 문형을 익힌다. (30분)

암기할 문장:

“너의 억울함을 풀어 줄 테니 염려 말고 집으로 돌아가 기다리고 있거라.”

Page 19: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18

교사는 학생들이 다 함께 위의 문장을 세 번 읽도록 하고 외우게 한다.

‘~거라’ 체는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무엇인가를 시킬 때 쓰는 말임을 알려준다.

~테니 ~고 있거라 의 형태와 아래의 단어들을 이용하여 짧은 글짓기를 해 본다:

요리, 공부 엄마가 맛있는 요리를 해 줄 테니, 공부하고 있거라.

회사, 할머니 말씀 아빠가 회사 다녀올 테니, 할머니 말씀 잘 듣고 있거라.

늦다, 자다 늦을 테니, 자고 있거라.

7. 개인지도 방법 (Differentiated Instruction, 학습에서 뒤지는 학생들을 개인 지도 하는 방법)

8. 학습 자료 (Resources and Materials, 복사 첨부하시면 좋습니다.)

<참고자료 1> 고급반 교안 세종대왕 (재미있는 한국어 6 학년 교과서 13 과)

https://docs.google.com/viewer?a=v&q=cache:seJkEKIX-

gEJ:www.ilovekorean.net/attachments/article/217/%25EC%2584%25B8%25EC%25A2%2585%25EB%258C%2580%25EC%2599%2595%25201988-

10.pdf+&hl=ko&gl=us&pid=bl&srcid=ADGEESh39TPEJWnDBS8jk2k3px-

awZotoSqGZtoNpRRdJ4GEPJGSuuaJZULqlIksVn1lTQVGK5WKeMpMvEmFnISIrwWa09X3eZ0bf7dNN0bNpxYzEMnRcjjsr7Y7VmeSFKfASufXETDk&sig=AHIEtbS

mq5EoKv0cO3nG0pFtYljIiOVh0Q

9. 숙제:

조선시대 신분 중 하나를 선택하여 그 당시 사람이라고 가정하고 일기를 써서 이메일로 교사에게

제출한다.

조선초기 7 대 임금을 PPT 의 SmartArt Graphic 을 사용하여 표기 후 이메일로 교사에게 제출한다.

([email protected])

Page 20: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19

학생작품: 조선시대의 신분 중 하나를 선택하여 그 당시라 가정하고 쓴 일기

상민

김 수 진 10/25/12

‘’아,내가왜이렇게 살아야데?’’

‘’맨날일 하니까 다리도 아프고 목도아프고, 몸이 다쑤시고있어.’’

‘’아이구언재 제발 언재 내가 이힘든 세상이업고 좋은세상이 올수있을까요.’’

‘’하나님 제발 조은대 보내주시옵소서!’’

‘’제발 내소원을 바다주시옵소서!’’

‘’제발 들어주세요!’’

‘’하나님은 도와주신다고 말씁하셨자나요!’’

‘’제발!’’

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

윤도웅

양반(兩班)

양반(兩班)은 조선 시대 최상급의 사회계급으로

사(士)·농(農)·공(工)·상(商) 중 사족(士族)에해당한다. 이는

또한

조선에서정치에참여할수있는관료와관료가될수있는잠재적자격을가진가문, 그리

사림(士林)이라불렸던학자계층까지포함하는조선왕조특유의사회계급이다. 본디,

문관과무관을지칭하는관료적의미였으나, 반상제가확립되어가면서 신분상의

의미로 변화하였다. 양반은 토지와 노비를 많이 소유하고 과거, 음서, 천거 등을

통하여 국가의 고위 관직을 독점하였다. 양반은 경제적으로는 지주층이며

정치적으로는 관료층으로서, 생산에는 종사하지 않고 오직 현직 또는 예비

관료로 활동하거나 유학자로서의 소양과 자질을 닦는 데 힘썼다.

Page 21: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20

오늘은 과거 시험날인데 잘해야할텐데…. 못하면내안애가처다보지도안할탠대….. 노력해서 잘하자. 파이팅!

천민

최예영

천민들은 아무것도 없습니다.

그리고 천민들은 가난합니다.

홍유민

양반의 아내: 누구를 보낼거에요?

양반: 좋은 생각있소?

양반의 아내: 예리를 보내죠. 그 늙은이가 좋아서 돈을 많이 줄거에요.

양반:좋아요. 예리 야! 이리와라!

예리: 네.

양반의 아내: 김영감한테 시집가라.

예리: 내.

Part 2

예리가 부모님께 인사하고 떠난다.

예리 어머니: 내 불상한 내아이.저렇게 어리고 예쁜데 영감한테 시집가다니…

(예리어머니가 운다.)

홍재민 10/25/12

천민

천민 1: 양반이 하루종일 일을 시켜서 너무 피곤해.

천민 2: 우리 양반은 날 때렸어.

천민 1:왜 때렸어?

천민 2:잘못도 안했는데…

천민 1:나도 양반이었으면 좋겠다. 일도 안해도되고…

천민 2:나도 양반이면 좋겠어. 매 안맞아도 되고…

둘 다 한숨을 쉰다.

Page 22: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21

세종대왕 II

1. 기본 개념 (Fundamental Concepts)

세종대왕의 백성을 향한 사랑의 마음을 느낀다.

세종대왕과 관련된 이야기를 읽고 이해한다.

2. 탐구 주제 (Essential Questions, 학생들이 탐구할 의미 있는 핵심 개념에 관한 질문)

세종대왕이 백성을 사랑했다는 사실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3. 교과 내용 (content, 학생들이 배워야 할 내용, 교수/학습 내용)

세종대왕에 대한 동영상

세종대왕의 일화

4. 학습능력 (Skills, 학생들이 행동으로 보일 수 있는 능력)

세종대왕의 동영상을 보고 가장 기억에 남은 부분을 글로 쓸 수 있다.

세종대왕의 일화를 번역할 수 있다.

세종대왕의 특징을 파악하고 서구의 특정 인물과 비교할 수 있다.

5. 학습평가 방법: (Type, Description, Materials, Tests and Rubric)

숙제 점검

6. 교수/학습 활동(Instructional Strategies and Activities, 흥미를 유발하는 재미있는 학습 방법)

학생 한 명 한 명의 숙제를 빔 프로젝트를 통해 함께 점검하면서 맞춤법을 점검한다.

틀리게 쓴 것이 있으면 학생들과 함께 수정한다. 특별히 창의적으로 잘 한 학생 숙제의

장점을 공유하고 다른 학생들도 동기부여를 해 준다. (20분)

세종대왕에 대한 동영상 시청 및 토론 학습 (40분) http://www.youtube.com/watch?v=WsKMLqaF_E0&feature=share&list=PL8C95B651C0C622E1

동영상을 시청하면서 새롭게 알게 된 내용을 다섯 가지씩 적도록 한다.

세종대왕의 특징을 이야기 해 보고 세종과 비슷한 특징을 가진 미국/서양의 인물을

생각해본다. 비교되는 서양의 인물은 다양할 수 있다. 학생들이 말하는 인물들에 대해서

간략하게 함께 구글 검색하여 요약 정도만 해 준다. 상세한 내용은 숙제로 한다. (숙제:

세종대왕과 비슷한 특징을 가진 미국/서양의 인물을 한 명 골라 어떤 점이 유사한지

파워포인트에 작성하여 교사에게 이메일로 제출한다.)

- 링컨

- 레오나르도 다빈치

- 뉴튼

- 처칠

Page 23: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22

세종대왕의 특징은 아래를 포함하여 학생들의 대답을 들으면 정리해준다

- 과학, 경제, 국방, 예술, 문화 등 모든 분야에 걸쳐 찬란한 업적을 남김

- 신분에 관계 없이 인재 등용

- 학문에 힘씀

- 대화하는 리더십

-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이 기본

세종대왕의 일화 공동 번역 (30분)

① 지난 시간에 전체적으로 단어의 뜻을 이해하고, 설명을 듣고 난 후이므로 학생들이

내용을 이해할 것이다. 내용 상기를 위해 모두 함께 지난 시간 배웠던 단어를

복습한다.

② 두 명 혹은 세 명 씩 그룹을 아홉 그룹을 만들어 위의 아홉 문장을

파워포인트에서 번역하게 한다.

③ 다 되었으면 교사는 한 팀씩 번역한 내용을 발표하게 하고, 그것을 들으면서

타이핑을 해 준다. 교사의 랩탑은 빔프로젝터로 모든 학생들에게 보여야 한다.

④ 한 명은 한국어를 읽고 한 명은 그것을 들으면서 영어로 순차/통시 통역하는

연습을 시킨다. 다시 순서를 바꾸어 영어를 읽고, 그것을 들으면서 한국어로

순차/동시 통역을 하게 한다. 이 과정을 마치면 역할을 바꾸어 한국어를 했던

사람은 영어를, 영어를 했던 사람은 한국어를 한다.

⑤ 이 과정이 끝나면 모든 그룹이 순차적으로 나와 맡은 문장을 발표하고 순차

통역을 한다. 시간의 여유가 있으면 순차/동시 통역을 모두 시킨다.

7. 개인지도 방법 (Differentiated Instruction, 학습에서 뒤지는 학생들을 개인 지도 하는 방법)

컴퓨터 작업 시 손을 드는 학생들을 개별 지도한다.

Page 24: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23

8. 학습 자료 (Resources and Materials, 복사 첨부하시면 좋습니다.)

9. 숙제:

“~테니, ~거라”를 사용하여 일기를 쓴 후 교사에게 이메일로 제출한다. ([email protected])

*********************************

학생작품: “~테니, ~거라”를 사용한 문형이 포함된 일기

윤도웅 10/31/12

오늘 우리가 나뭇잎을 쓸었어. 왜냐고? 잘 들어

엄마: 아그들아 밥을 만들 테니 나뭇잎을 좀 치워 줘라

나: 왜요?

엄마: 플리즈

나: 오케이

엄마: 땡큐

나: 엄마도 도와야죠

엄마: 그냥 너희들만 해

나: 네……

그래서 우리가 나갔어. 그런데 나뭇잎이 너무 많은 거야! 그리고 지금 일곱 시야! 아이고 왜

이런 꼴을 당해야 하는데? 라고 생각하고 있었어. 갑자기 (빵빠랑!) 형들이 와서 나를

도와줬어. 완전히 천사가 내려와서 나를 도와주는 느낌이었어. 그래서 빨리 했어. 완전 재미있는

날이 됐어. ^ ^

윤도영 일기

난 오늘 태풍 때문에 학교도 쉬었다. 난 어젯밤에 엄마가 학교 안 간다고 했을 때 너무 기뻐했다. 하지만

지금 보니까 별로 재미 없다. 난 게임 이라도 할 줄 알았다. 하지만 엄마가 하는 말은” 엄만 회사 갔다 올

Page 25: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24

테니까 게임 하지 말고 이모 말 잘 듣고 있어라. ”였다. 난 그때부터 내 하루가 망가질 거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이모는 하는 말이” 12 시 까지만 게임 해라. ”였다. 이모가 그 문장을 말했을 때는 8 시 였다. 난

이렇게 생각했다. ‘이모는 지금이 몇 시 인줄 아나?’ 난 그렇게 생각 했지만 너무 기뻤다.

일기

2012.11.2 최예영

나는 놀다가 방을 치우려 했다. 그런데 힘드니까 “엄마가 나중에 도와줄 테니 걱정 말고 밥 먼저 먹고

있거라.” 라고 말씀 하셨다.

채시인

이번주에 허리케인 샌디가 왔어요. 바람이 많이 불었어요. 비도 많이 왔어요. 무서웠어요. 전기가 나갈까봐

걱정이 되어 엄마께서 말씀하셨어요. “나는 음식을 준비 할테니 초와 손전등을 준비 하거라.” 다

준비해놓았는데 전기가 안나갔어요. 감사했어요. 전기가 나간 곳에 빨리 전기가 들어왔으면 좋겠어요.

Page 26: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25

조선시대 총정리

1. 기본 개념 (Fundamental Concepts)

조선시대에 대해 배운 내용을 복습하고 새로 나왔던 단어들을 연습한다.

2. 탐구 주제 (Essential Questions, 학생들이 탐구할 의미 있는 핵심 개념에 관한 질문)

전반적으로 조선시대의 특징을 이해하는가?

3. 교과 내용 (content, 학생들이 배워야 할 내용, 교수/학습 내용)

숙제 점검하면서 맞춤법을 배운다.

조선시대 학습자료 전체

4. 학습능력 (Skills, 학생들이 행동으로 보일 수 있는 능력)

조선시대를 배우면서 익힌 단어들의 뜻을 영어로 말할 수 있다.

조선시대에 관하여 배웠던 기본 내용에 대한 질문에 답할 수 있다.

5. 학습평가 방법: (Type, Description, Materials, Tests and Rubric)

숙제 점검

6. 교수/학습 활동(Instructional Strategies and Activities, 흥미를 유발하는 재미있는 학습 방법)

과제 점검 및 컴퓨터 기능 설명 (30분)

학생 한 명 한 명의 숙제를 빔 프로젝트를 통해 함께 점검하면서 맞춤법을 점검한다.

틀리게 쓴 것이 있으면 학생들과 함께 수정한다. 특별히 창의적으로 잘 한 학생 숙제의

장점을 공유하고 다른 학생들도 동기부여를 해 준다. 과제에서 요구한 1) 배운 것 2) 느낌

3)계획을 잘 표현한 학생의 작품을 다 함께 공유하면서 글의 자연스러운 흐름이 무엇인지를

생각해보도록 한다. 급우의 작품을 소리 내어 함께 읽어본다.

(처음으로 숙제를 제출한 학생들을 특별히 격려해준다.)

조선시대에 관하여 배운 단어와 내용을 복습 (30분)

조선시대에 관한 모든 PPT 학습자료를 통합하여 순서대로 보여주면서 복습을 한다. 단어가

나오면 그 뜻을 영어로 답하게 한다. 조선의 시작인 1392년보다 1세기 후 1492년에

콜럼버스의 신대륙 발견이 있었고, 조선 초기 7대 왕의 순서를 다시 기억하고, 양반, 중인,

상민, 천민의 신분제도를 복습하면서 인도의 카스트제도, 미국의 노예제도도 언급한다.

세종대왕과 한글창제를 돌아보며 10개의 모음과 14개의 자음으로 이루어져 어떤 소리도

표기가 거의 가능한 한글의 우수성을 다시 살핀다.

Page 27: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26

7. 개인지도 방법 (Differentiated Instruction, 학습에서 뒤지는 학생들을 개인 지도 하는 방법)

컴퓨터 작업 시 손을 드는 학생들을 개별 지도한다.

8. 학습 자료 (Resources and Materials, 복사 첨부하시면 좋습니다.)

9. 숙제:

조선시대의 내용 중 기억에 남는 것을 일기로 써 온다. 숙제는 워드나 파워포인트에 하여

교사에게 이메일로 제출한다.

([email protected])

학생작품: 조선시대에 대한 학습 내용 중 가장 기억에 남는 것

김경진

나는 이순신 장군이 거북선을 만들었다는 것을 배웠다.

이 순신 장군은 일본의 침입으로부터 조선을 보호했다고 한다.

이 순신 장군이 한국 사람이라는 것이 나는 자랑 스럽다.

나도 이 순신 장군 처럼 남 을 보호 하는 사람이 되고 싶다.

Page 28: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27

김민진

세종대왕은 한글을 만들었어요.

세종대왕은 세간 기계도 만들었어요.

세종대왕은 설립 구호 프로그램을 세종과 쉴 곳과 음식을 제공 센터를 열었습니다.

세종 공부하는 시간을 헌신할 젊은 학자를 격려.

김수진

올해는 세종대왕에 대해서 공부를 했습니다.

세종대왕은 다들 똑같은 권리를 갖기를 바랬서요.

세종대왕은 사람을 도아주었어요.

내마음속에서 세종대왕은너무나 종경스러운 사람입니다.

다른킹보다좋아요.

킹새종은 사람들아픈겄을 아라요.그래서 킹새종은 자신이 해야할일을 생각했습니다.

나는 킹새종을 미안하게생각합니다.

킹새종은 매일 한글글시를 만들었습니다.

킹새종은 한글글시를 매일만드시느라고 눈이나빠지고 이섰습니다.

킹새종은 많은사람들을 편안하게 살수있께 만들어주기 위해서입니다.

나의계획은 아픈사람들을 고쳐줄수 이도록 공부를 열심이 해서 의사가돼겠습니다. 내가이생각 한대로

이루어 질수있도록 주님도와주세요.

하나님 사랑합니다!

I love you!

김 주연 11/30/12

내가 정한 주제는 세종대왕입니다.

한 가지 이유는 세종대왕이 한글을 만들었기 때문입니다.

또 그는 물시계와 같은 발명품을 많이 만들었습니다.

가난한 사람이 훌륭하게 되도록 도와주었 습니다.

나도 나중에 커서 발명품도 만들고 가난한사람도 돕겠 습니다.

김지원

The Joseon Dynasty was a Korean state founded by Taejo Yi Seong-gye that lasted for

approximately five centuries. It was founded following the aftermath of the overthrow of the Goryeo

Dynasty in what is today the city of Kaesong. Early on, Korea was retitled and the capital was relocated

to modern-day Seoul. The kingdom’s northernmost borders were expanded to the natural boundaries at

Page 29: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28

the Amnok and Duman rivers through the subjugation of the Jurchens. Joseon was the last dynasty of

Korean history and the longest-ruling Confucian dynasty.

I feel that the Joseon Dynasty is too violent and not good because in the late 14th century, the nearly 500

year-old Goryeo Dynasty established by Wang Geon in 918 was tottering, its foundations collapsing from

years of war and de facto occupation from the disintegrating Mongol Empire. Following the wake of the

Ming Dynasty, the royal court in Goryeo split into two conflicting factions: the group led by General Yi

(supporting the Ming Dynasty) and the camp led by General Choe (standing by the Yuan Dynasty). When

a Ming messenger came to Goryeo in 1388 (the 14th year of King U) to demand the return of a significant

portion of Goryeo’s northern territory, General Choe seized the chance to argue for the attack of the

Liaodong Peninsula (Goryeo claimed to be the successor of the ancient kingdom of Goguryeo; as such,

restoring Manchuria as part of Korean territory was part of its foreign policy throughout its history).Yi

was chosen to lead the attack; however, he revolted and swept back to Gaegyeong and initiated a coup

d'état, overthrowing King U in favor of his son, King Chang (1388). He later killed King U and his son

after a failed restoration and forcibly placed a royal named Yi on the throne (he became King Gongyang).

In 1392, Yi eliminated Jeong Mong-ju, highly respected leader of a group loyal to Goryeo dynasty, and

dethroned King Gongyang, exiling him to Wonju, and before he ascended the throne. The Goryeo Dynasty

had come to an end after almost 500 years of rule.

After reading about the Joseon Dynasty, I think that the Joseon Dynasty is very complicated and has some

events that are interesting. This passage from the Joseon Dynasty is very complicating to me:

In 1863 King Gojong took the throne. His father, Regent Heungseon Daewongun, ruled for him until

Gojong reached adulthood. During the mid 1860s the Regent was the main proponent of isolationism and

the instrument of the persecution of native and foreign Catholics, a policy that led directly to the French

Campaign against Korea, 1866. The early years of his rule also witnessed a large effort to restore the

largely dilapidated Gyeongbok Palace, the seat of royal authority. During Heungseon Daewongun's reign,

factional politics and power wielded by the Andong Kim clan completely disappeared. In 1871, U.S. and

Korean forces clashed in a U.S. attempt at "gunboat diplomacy" following on the General Sherman incident

of 1866.

This passage is very interesting to me: Throughout Korean history, there were frequent pirates attacks on

both the sea and land. The only purpose for the Koreans running a navy was to secure the maritime trade

against the Wokou pirates. The Korean navy repelled the pirates by using an advanced form of gunpowder

technologies (i.e. cannons, fire arrows in form of Singijeon deployed by Hwacha, etc.).During the Japanese

invasions of Korea (1592–1598), Japanese warlord Toyotomi Hideyoshi, plotting the conquest of Ming

China with Portuguese guns, invaded Korea with his daimyō and their troops in 1592 and 1597, intending

to use Korea as a stepping stone. Factional division in the Joseon court, inability to assess Japanese military

capability, and failed attempts at diplomacy led to poor preparation on Joseon's part. The use of European

firearms by the Japanese left most of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occupied within months,

with both Hanseong (present-day Seoul) and Pyongyang captured.

The Joseon Dynasty

Page 30: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29

손성민

amy chosun memory

Yangban

Amy Son

What I remembered about Yangban is that Chosun Dynasty had lots of slaves. Because Chosun had so

much yangban so the slaves got mad so they protest. I think it is the wrong thing to do because people

should have equal rights. If I were Chosun I would let them free and have there own rights in my house

like a family.

신준용 11-30-12

이순신 장군는

거북선을 만들었습니다.

거북선은 일본과의 전쟁을 위해 만들었습니다.

이순신 장군은 전쟁에서 준비를 잘한거 같습니다.

나도 준비를 잘해야겠습니다.

윤도영

숙제

난 한글학교 에서 조선시대 애 대해서 배웠다. 그중에서 재일 많이 생각나는 것은 새종대왕이 한글을

만들을 때였다. 새종대왕이 한글을 안 만들었으면 지금도 80,000 자가 넘는 한자를 아직도 쓰고 있을거다.

학교를 16 년만 다니고 8 만자를 왜우면 사람이 아니다. 쵀소한 40 년은 학교를 다녀야 왜울수 있을거다.

거희 평균 사람 반 인생을 차지한다. 난 40 년 동안 학교를 다니고 싶지 안다. 난 그래서 새종대왕이

한글을 만들은개 재일 생각난다.

윤도웅

세종대왕이 가장생각이 난다.

세종대왕 은 조선시대의 네번째 왕이었다. 세종대왕은 모두 공평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세종대왕이

능력있는 노비 한테도 양반될 기회를 줬다. 상대방의 의견을 잘들었다. 세종대왕이 “한글”을 만들었다.

세종대왕이 진짜 유명하다. 미국에서도 세종대왕이 유명하다. 세종대왕이 한국/미국 역사에 있다.

진짜 유명한 왕이 있어서 좋다. 왜냐하면 한글이 발명이 안됐다면, 아침부터 저녁가지 한자를 배웠을거다.

이제 한국말이 있으니까 진짜 빨리 배울수도있다. “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 가 자음이고,

“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가 모음이다. 대 한자는 80,000 개가 있어서 너무 힘들었을거다.

누군가 한글 아니면 한자를 배울거야?라고 물어봤으면 이렇게 대답할거다. 24 하고 80,000 비교를 해봐.

어떤거를 선택 할거야? 나는 24 개를 선택할거야. 너희들도 24 선택했지? 그거봐 한글이 더 쉬울거야.

장온유

Homework

Anna Chang,

Page 31: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30

What I remember the most is when King sejong made Korean. I learned that Chinese was a little confusing

so King sejong made Korean. I think that it was very smart to make a language because if Chinese is hard I

would want a new language.

2012 년 11 월 30 일

채시인

세종대왕

세종대왕은 백성들을 사랑해서 한글을 만들었어요. 한글은 자음 14 개, 모음

10 개로 이루어진 글자로 매우 과학적인 언어입니다. 그는 과학을 좋아해서 해시계,

물시계, 측우기, 혼천의 등 많은 발명품을 만들었어요.

세종대왕에 대해 배운후에 나는 기뻤어요. 어려운 한자대신에 한글을 사용하게

되어서 다행이라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나는 한글공부를 더 열심히 할거예요.

나는 수학을 좋아해요. 그러나 가끔 어려운 문제를 만나면 포기하고 싶기도 해요.

하지만 세종대왕은 힘들어도 한글 만드는것을 포기하지 않은 것처럼 나도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해야겠다고 다짐했어요.

홍유민

한글학교에서 조선왕조에대해서 배웠다. 제일 흥미러운 사람은 세종대왕 이었다. 세종대왕은 한글을

창조했고, 영어처럼 언어를 만들었고, 자기 백성들을 사랑했다. 천민도 관직에 오를수있었다. 그런데,

장영실같은 사람만 오를수있었다. 장영실은, 물시계 , 해시계 등 만들었다.

이제부터 한글학교에서 더열심이 해야갰다.

조선왕조

홍재민

한글학교에서 조선왕조를 배윘다.제일 재밌었던 것은 거북선이었다. 토요토미 히데요시 일본군이 조선을

처들어와서 한국을 정복하려고했다. 거북선은 용 모양의 머리와 입에서 대포를

발사하는 배다.

내가 거북선을 좋아했던 이유는 이순신장군이 거북선을 만들어 일본을 이겼기

때문이다.

한글학교에서 좀더 열심히 참여하고, 한국책도 열심히 읽갰다.

Page 32: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31

일제강점기

1. 기본 개념 (Fundamental Concepts)

우리나라의 국권 피탈 기간을 되돌아 보면서 백범 김구 시대의 배경과 나라 잃은 설움에

대해 이해한다.

2. 탐구 주제 (Essential Questions, 학생들이 탐구할 의미 있는 핵심 개념에 관한 질문)

한국은 다른 나라로부터 지배를 받은 적이 있습니다. 어느 나라가 한국을 지배했을까요?

Korea had been occupied by other country. Which country was it?

한국은 얼마나 오랜 기간 동안 식민지 생활을 했을까요? 언제부터 언제까지였나요?

How long was the occupation period? Since when to when?

내 마음대로 무엇을 할 수 없다는 건 어떤 느낌일까요?

What would be the feeling that I have limitation to do what I want to do?

3. 교과 내용 (content, 학생들이 배워야 할 내용, 교수/학습 내용)

일제 강점기에 대한 동영상을 시청하고 주권을 잃는다는 의미를 생각해 본다.

4. 학습능력 (Skills, 학생들이 행동으로 보일 수 있는 능력)

동영상 시청 후 보기 전과 비교하여 새롭게 알게 된 것을 표현한다.

5. 학습평가 방법: (Type, Description, Materials, Tests and Rubric)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수 있는가?

6. 교수/학습 활동(Instructional Strategies and Activities, 흥미를 유발하는 재미있는 학습 방법)

동영상 시청

다음의 사이트(사이버 외교 사절단 반크에서 제작한 역사채널)에서 영어로 된 일제강점기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에 대한 비디오 파일을

http://www.youtube.com/watch?v=c7WJEN6vUlk 시청하여 그 시대적 배경을 이해한다.

같은 내용의 한국어 자료는 http://www.youtube.com/watch?v=A15TTheW1nM 에

있으므로 교사는 두 언어 버전을 모두 미리 본 후 아이들이 혹시라도 할 수 있는 질문들에

대해 미리 대비한다. 대상에 따라 조금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앞 뒤 부분의 내용은

생략하고 4분26초(1910년)부터 9분 45초까지 방영하는 것이 좋다.

시청각 자료 감상 이후 어떤 느낌인지 다시 질문을 해 본다:

(질문)

이 영상을 보기 전에는 몰랐던 것을 새롭게 알게 된 것이 있다면 어떤 것인가요?

What are those you are newly aware after you watch this video clip?

Page 33: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32

가장 기억에 남는 장면은 무엇인가요?

What would be your most memorable scene?

역사 왜곡, 창씨개명, 한국어 사용 금지, 일본군으로 징병됨, 위안부, 생체실험, 일본왕숭배,

문화재약탈, 문인과 예술인들의 탄압 등 주권을 빼앗겼기 때문에 겪어야 했던 슬픈 역사를

상기한다.

Let us remember Korea has gone through all the grief during the colonial period such as

Korean history distortion, Korean name change to Japanese name, not allowed to use Korean

language, drafted to Japanese army, comfort women, human medical experiment, serve

Japanese king as god, stolen cultural properties, suppression of intellectuals and artists.

7. 개인지도 방법 (Differentiated Instruction, 학습에서 뒤지는 학생들을 개인 지도 하는 방법)

n/a

8. 학습 자료 (Resources and Materials, 복사 첨부하시면 좋습니다.)

http://www.youtube.com/watch?v=c7WJEN6vUlk

9. 숙제:

n/a

Page 34: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33

삼일운동의 정신

1. 기본 개념 (Fundamental Concepts)

일제강점기 때의 삼일운동을 연극으로 재연하면서 그 정신을 익힌다.

2. 탐구 주제 (Essential Questions, 학생들이 탐구할 의미 있는 핵심 개념에 관한 질문)

정의롭지 않은 것에 대해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

3. 교과 내용 (content, 학생들이 배워야 할 내용, 교수/학습 내용)

연극 ‘자랑스런 한국인’의 시나리오 내용을 학습한다.

4. 학습능력 (Skills, 학생들이 행동으로 보일 수 있는 능력)

시나리오를 외워 연극으로 표현할 수 있다.

5. 학습평가 방법: (Type, Description, Materials, Tests and Rubric)

연극을 공연한다.

6. 교수/학습 활동(Instructional Strategies and Activities, 흥미를 유발하는 재미있는 학습 방법)

시나리오: 자랑스런 한국인

등장인물 : 선생님, 학생 1,2,3, 옛날학생 1,2, 일본순사 1,2,3, 군중들

1 막

남부뉴저지 한국학교 역사 강의실이다. 선생님이 근대사 중 삼일운동에 대하여 설명을 하고

있다. 학생들은 자유롭게 설명을 듣고 있다.

선생님: 너희들 삼일절 이란 말을 들어 본적 있니?

학생 1: 무슨 절을 하는 건가요? (절하는 시늉을 한다)

학생 2: 무슨 기념일인데… 잘은 모르겠어요 (머리를 긁적인다)

선생님: 옛날에 우리나라가 일본에게 강제로 점령되었던 시절이 있었단다. 미국도 처음에는

영국의 식민지였던 거 잘 알지?

학생 3: 맞아요. 미국이 영국으로부터 독립하기 위해 전쟁도 했잖아요

선생님: 삼일절은 우리나라 방방곡곡에서 독립만세가 울려 퍼진 날이란다.

학생 1: 선생님 근데 독립이 머에요?

선생님: (머리를 흔들며) 독립이란 말이야(고개를 들면서 하늘을 쳐다본다)

불이 꺼진다.

Page 35: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34

2 막

학생들이 유인물을 뿌리고 있다. ‘동포여러분, 우리나라는 독립해야 합니다’ 를 외치면서

유인물을 뿌린다. 사람들이 모이면서 고개를 끄덕이며 유인물을 주워서 본다. 한 학생이

나서서 외친다.

옛날학생 1: 여러분, 동포 여러분, 우리나라는 자주 대한민국 입니다. 일본의 식민지가

아닙니다. 자 우리모두 대한 독립 만세를 외칩시다.

군중들 : 나갑시다. 나갑시다.

일본순사 1: 이런 조센징들, 다 잡아 쳐 넣어

일본순사 2: 조센징들, 감히 어디서 독립이야

일본순사 3: (학생을 잡으려 다가가서 멱살을 잡는다)따라와 조센징.

옛날학생 2: (손을 뿌리치며) 나를 잡아가도 우리나라의 정신은 잡아갈 수 없다. 여러분

대한독립 만세를 외칩시다. 대한독립 만세… (삼일절 노래 작게 들린다. 군중들과 함께

대한독립 만세를 외치면서 앞으로 나아간다. 일본순사들 뒷걸음 치며 겁에 질린다)

일본순사 2: 조센징들, 더 이상 다가오면 발포하겠다

일본순사 3: 쏜~다

총소리 들리면서 쓰러진다. 불이 꺼진다

불이 꺼지면서 삼일절 노래 커지면서 대한독립만세 영상이 나간다(30 초)

3 막

선생님: (하늘을 쳐다보고 있다가 천천히 학생들을 보면서) 이제 알겠니? 목숨을 버리면서

까지 지켜 내었던 소중한 것을?

학생 1: 아 독립! 이제 알겠어요. 저는 정말 소중한 나라의 자손이네요

학생 2: 삼일절은 지금의 한국이 있게 해준 날입니다.

학생 3: 선생님, 저도 선조들처럼 자신 있게 나가고 싶어요.

선생님: (‘아름다운 나라’나온다) 너희는 자랑스런 한국인, 코리안 아메리칸 임을 잊지 말거라.

가슴을 펴고 나가거라. 삼일절 대한민국의 후예들아

Page 36: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35

연극 연습 과정

자랑스런 한국인 공연 (2013. 3. 5 남부뉴저지한인회 주최 삼일절 기념행사)

Page 37: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36

지도자 정신 (리더십)

1. 기본 개념 (Fundamental Concepts)

• 지도자로서의 덕목과 자질은 어떤 것이 있는지 스스로 도출해 본다.

• 지도자 덕목과 자질에 대한 단어를 학습한다.

2. 탐구 주제 (Essential Questions, 학생들이 탐구할 의미 있는 핵심 개념에 관한 질문)

• 우리 반에서 리더는 누구인가요? Who are the leaders in our classroom?

• 그 사람들은 어떤 역할을 하지요? What roles do they play?

• 왜 그 사람들을 리더로 선택했나요? Why were they selected as leaders?

3. 교과 내용 (content, 학생들이 배워야 할 내용, 교수/학습 내용)

• 평상시의 관계를 통해 지도자란 어떤 자질을 갖춰야 하는지 스스로 알아내 본다.

4. 학습능력 (Skills, 학생들이 행동으로 보일 수 있는 능력)

• 지도자 덕목과 자질에 관한 단어를 이해하고 암기한다.

5. 학습평가 방법: (Type, Description, Materials, Tests and Rubric)

• n/a

6. 교수/학습 활동(Instructional Strategies and Activities, 흥미를 유발하는 재미있는 학습 방법)

• 진행: 학생들은 또래집단에서 어느 학생이 리더로서 어울리는지 나름대로 판단한다. 백범

김구의 활동이 영향력 있는 활동이 될 수 있었던 이유 중 중요한 한가지가 바로 그의

리더십이다. 리더십에 필요한 성격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학급 내에서 평상시의 생활

속에서 파악한 것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수업에 흥미를 더 할 수 있도록 한다. 그 후 백범

김구의 리더십을 볼 수 있는 활동을 함께 찾는다.

• 학습자료를 한 장씩 학생들에게 나누어주고 우리 반에서 리더라고 생각되는 학생 두 명의

이름과 그 이유를 쓰게 하여 학생들이 보는 리더의 성격을 도출한다.

(질문)

• 우리 반에서 리더는 누구인가요? Who are the leaders in our classroom?

• 그 사람들은 어떤 역할을 하지요? What roles do they play?

• 왜 그 사람들을 리더로 선택했나요? Why were they selected as leaders?

정직 (honesty), 능숙 (competent), 진보 (forward-looking), 격려하는 (inspiring), 총명한

Page 38: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37

(intelligent), 공정한 (fair-minded), 마음이 넓은 (broad-minded), 용기 있는 (courageous),

곧은 (straight-forward), 창의적인 (imaginative)과 같은 단어들이 대표적 리더십의 자질

이다. 이 외에도 학생들의 자유로운 생각과 경험에 의한 단어가 나올 수 있다.

학생들이 작성을 마치면 모두 모아 어느 학생이 리더로 가장 많이 적혔는지 보드에 집계한다.

이 때 학생들은 어떤 친구가 많이 나왔는지 관심이 높아질 것이다. 학생들이 말한 리더의

자질들을 카테고리화 하여 분류, 정리해 놓고 추후 역사 인물의 리더십과의 연결 시 이를

사용한다.

7. 개인지도 방법 (Differentiated Instruction, 학습에서 뒤지는 학생들을 개인 지도 하는 방법)

n/a

8. 학습 자료 (Resources and Materials, 복사 첨부하시면 좋습니다.)

The leaders in our classroom are _________________ and

_________________________. They are leaders becaus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Page 39: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38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9. 숙제:

오늘 배운 단어들을 활용하여 일기를 써 온다.

10. 참고자료

Page 40: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39

역사적 인물 백범 김구

1. 기본 개념 (Fundamental Concepts)

• 백범 김구를 소개하고 그의 전반적 활동에 대해 이해한다.

2. 탐구 주제 (Essential Questions, 학생들이 탐구할 의미 있는 핵심 개념에 관한 질문)

• 김구가 누구일까요? Who is Kim Koo?

• 언제 태어났을까요? When was he born?

• 어떤 일들을 했을까요? What did he do?

3. 교과 내용 (content, 학생들이 배워야 할 내용, 교수/학습 내용)

• 백범 김구 기념관 홈페이지 http://www.kimkoomuseum.org/en/kimkoo01.html 에서

발췌한 학습자료 2 백범 김구 요약본을 읽고 김구의 활동을 이해한다.

• 백범일지에 나오는 일화들을 소개한다.

4. 학습능력 (Skills, 학생들이 행동으로 보일 수 있는 능력)

• 역사 인물에 관한 글을 소리 내어 읽을 수 있다.

• 읽으면서 그 내용을 이해하고, 교사의 질문에 답할 수 있다.

5. 학습평가 방법: (Type, Description, Materials, Tests and Rubric)

• n/a

6. 교수/학습 활동(Instructional Strategies and Activities, 흥미를 유발하는 재미있는 학습 방법)

진행: 학생들이 백범 김구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 있는지 조사해 본다.

(질문)

• 김구라고 하는 사람의 이름을 들어본 적 있는 학생은 손을 들어보세요. Raise your hand if

any of you ever heard the name Kim Koo.

• 선생님이 김구에 대해 간략하게 요약된 프린트 물을 나눠줄 거에요. 김구가 누구일까요?

언제 태어났을까요? 어떤 일들을 했을까요? 이런 질문들에 대답할 수 있도록 잘

읽어보세요. I’ll let you read a handout telling about Kim Koo. Who is Kim Koo? When

was he born? What did he do? Read it carefully to answer such questions.

백범 김구 기념관 홈페이지http://www.kimkoomuseum.org/en/kimkoo01.html 에서 발췌한 학습자료

백범 김구 요약본을 나누어 주고, 읽을 시간을 5분에서 10분 정도 준다. 자기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정보에 강조표시나 밑줄을 치도록 한다. 시간이 충분할 경우 내용을 파악하지 못하는 학생들을 위해

Page 41: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40

발음이 좋은 학생 네 명 정도를 골라 한 문단씩 대표로 읽도록 한다.

백범 김구에 대한 요약본이 학생들 입장에서는 그다지 흥미롭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아이들이

요약본을 다 읽은 후, 쉽게 읽는 백범일지에 나오는 일화들을 이야기 해 주면서 흥미를 계속 유지한다.

• 백범 김구는 감옥에서 그의 원래 이름 김창수에서 김구로 이름을 바꾸고 호를 백범이라 하였다.

그 이름이 상징하는 바는 일본 국적의 기록에서부터 탈피함이며, 호가 의미하는 바는 “보통

사람”으로 모든 평범한 한국 사람이 대한민국의 독립을 위해 싸우기를 바라는 마음에서였다. In

prison, Kim changed his name from Kim Changsoo (김창수) to Kim Koo (김구) and adopted the

pen name of Baekbeom (백범, 白凡). Kim stated in his biography that the change of his name

symbolized breaking free from Japanese nationality records and that he chose the pen name

Baekbeom, which means "ordinary person", hoping every ordinary Korean person would fight for

the independence of Korea.

• 둘째 아들을 낳은 김구의 아내가 몸이 회복되기도 전에 2층에서 세숫대야를 들고 아래층으로

내려가다 발을 헛디뎌 층계에서 굴러 떨어진 것이 화근이 되어 늑막염이 폐병이 되어 고생하다

죽게 된 이야기를 들려 준다. Kim Koo’s wife delivered her second son Kim Shin. When she

happened to move a bucket of water from the second floor to the first floor, she just fell down.

Due to this accident, she got to suffer from pneumonia. It became to be tuberculosis, and she

died because of it.

• 상해에서 극도로 어렵게 살았던 김구 가족은 어머님이 집 뒤쪽 쓰레기통에 버려진 배추 껍데기를

먹을만한 것만 골라 소금물에 담가 두었다가 반찬으로 만들어 먹었다는 이야기도 해 준다. 먹을

것 걱정하지 않는 우리는 얼마나 행복한 것인지도 다시 한 번 나눈다. When Kim Koo’s family

lived in Shanghai, China, they were almost starving. Kim Koo’s mother even looked for any

eatable part of trashed Chinese cabbage from the trashcan so that she could wash them out to

preserve them in the salt water. She made side dish with them. How blessed are we as we don’t

have to worry about what to eat every day?

학생들의 이해도 점검을 위해 질문을 한다.

(질문)

• 김구에 대해 알게 된 것 한 가지씩만 말해보세요. Tell one thing you came to know about Kim

Koo this time.

7. 개인지도 방법 (Differentiated Instruction, 학습에서 뒤지는 학생들을 개인 지도 하는 방법)

n/a

Page 42: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41

8. 학습 자료 (Resources and Materials, 복사 첨부하시면 좋습니다.)

학습자료: 백범김구 요약본

9. 숙제:

오늘 나누어 준 학습자료의 백범 김구에 대한 내용 중 하나의 주제를 선정하여 그에 대해 조사한

것을 교사에게 이메일로 제출한다.

Kim Koo was born in 1876 in Haeju, Hwanghae-do. He learned the Chinese classics at a

traditional community school. As a commander of the Donghak PeasantsArmy of Hwanghae-

do, he led the troops to bring down Haeju Fortress in 1894. When the attempts of the Donghak

Peasants Movement failed, he joined the Righteous Army Corps. In 1896 he killed a Japanese

lieutenant, Tsuchida, in order to revenge the murder of the Queen Myeongseong (1895). He

was imprisoned and sentenced to death.

Kim Koo studied western books while in prison. After escaping from prison, he became a

Buddhist monk. However, in 1899, he returned to normal life, where he started educational

activities and built several schools in Hwanghae-do. In 1907 he joined Sinminhoe (New

People's Association), an underground independence organization working to restore national

supreme power. His high visibility as the organization's secretary general led to a second term

of imprisonment in 1911. After being released from prison in 1915 he launched a rural

enlightenment drive.

When Korea's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started in 1919, Kim Koo moved to

Shanghai, China. As the Premier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KPG), he tried to

make the KPG lively in the difficult times. He organized the Korean Patriotic Corps (KPC) in

1931. In the following year he led the struggle for independence with those of Yi Bong-chang

and Yun Bong-gil, which generated a great response inside and outside Korea and energized

the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In 1940 he settled in Chongqing, China. As Premier of

the KPG, he organized the Korean Independence Army and carried out full-scale anti-Japanese

movements to accelerate national independence.

With the liberation of Korea, Kim Koo returned home from China in 1945. He carried out an

anti-trusteeship movement against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In 1948, leading

the drive for unification, he opposed South Korea's general election because of its exclusion of

North Korea. In the course of his activities for South-North unification, he was assassinated on

June 26, 1949, by the powers blocking national unification.

Page 43: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42

나의 소원

1. 기본 개념 (Fundamental Concepts)

• 독립, 소원이라는 단어를 이해하고 쓸 수 있다.

2. 탐구 주제 (Essential Questions, 학생들이 탐구할 의미 있는 핵심 개념에 관한 질문)

• 나의 소원을 읽을 수 있는가?

• 나의 소원에 나오는 단어들의 뜻을 아는가?

• 나의 소원의 내용을 이해하는가?

3. 교과 내용 (content, 학생들이 배워야 할 내용, 교수/학습 내용)

• 지난 시간 학생들이 백범 김구의 요약 본 중에 좀 더 조사하고 싶은 주제들을 선정하였다.

자신이 선정한 주제에 대해 조사한 것을 발표하고, 다른 친구들의 내용도 진지하게 들으면서

백범과 그 시대적 배경에 대해 이해한다.

4. 학습능력 (Skills, 학생들이 행동으로 보일 수 있는 능력)

• 읽기, 쓰기

5. 학습평가 방법: (Type, Description, Materials, Tests and Rubric)

• n/a

6. 교수/학습 활동(Instructional Strategies and Activities, 흥미를 유발하는 재미있는 학습 방법)

• 진행: 일상 생활 한국어로서는 사용빈도가 그리 높은 편은 아니겠으나, 한국의 역사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는 ‘독립’이라는 단어와 백범 김구의 ‘나의 소원’에서 ‘소원’이라는 단어를 배우고 써

본다. 독립과 같은 의미인 ‘광복’의 한자어도 접하고, 8월 15일을 광복절로 기념하는 것도 알려

준다.

• 학습자료 1을 각 한 장씩 학생들에게 나누어주고 ‘나의 소원’에 나오는 단어들을 보고 영어로 그

의미를 이해한다. 빈 칸에 해당 단어를 쓰면서 철자를 익힌다.

• 학습자료 2는 ‘나의 소원’ 첫 부분이다. 아래의 영어 버전을 참고하면서 ‘소원’과 ‘독립’을 빈

칸에 넣어보는 연습을 한다.

• 받아쓰기 퀴즈, 배운 단어를 사용하여 짧은 문장 만들기 연습을 해 보고 발표한다.

7. 개인지도 방법 (Differentiated Instruction, 학습에서 뒤지는 학생들을 개인 지도 하는 방법) n/a

Page 44: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43

8. 숙제: 오늘 배운 ‘나의 소원’내용을 써 온다. 외울 수 있는 학생은 외워온다.

<학습자료>

단어 익히기

Copy the Korean words in the blank table.

나의 my

소원 wish

대한 Korea

독립 independence

우리 we / our

나라 country

자주 self-reliant

자주 often

서슴지

않다

do not

hesitate

무엇 what

물음 question

대답 answer

광복 Restoration of light

(independence)

광복절 Independence

Day

Page 45: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44

학습자료: 백범일지 – 나의 소원 中에서

다음 에 들어 갈 알맞은 단어를 아래 <보기>에서 골라 쓰시오.

If God asked me what my wish was, I would reply unhesitatingly,

"Korean independence."

If He asked me what my next wish was, I would again answer,

"Our nation's independence."

If He asked me the same question for the third time, I would reply in an even louder voice,

"My wish is our Great Korean Nation's Complete Independence."

한국어 http://www.kimkoo.or.kr/02diary/sub.asp?pagecode=m02s02t01

영어 http://www.kimkoomuseum.org/en/kimkoo02_1.html

<보기> 소원, 독립

Page 46: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45

20 세기 전반기

1. 기본 개념 (Fundamental Concepts)

• 백범 김구의 생존 기간에 있었던 한국의 시대적 사건 및 세계의 주요 사건들을 이해한다

• 백범 김구와 동시대 인물들인 간디, 마틴루터킹, 히틀러에 대해 알고, 공통점, 차이점을

생각해본다.

2. 탐구 주제 (Essential Questions, 학생들이 탐구할 의미 있는 핵심 개념에 관한 질문)

• 백범김구의 동시대 인물들에 대해 알고 있는가? 어떠한 인물들인가?

• 당시 국외에서는 어떠한 사건들이 있었는가?

3. 교과 내용 (content, 학생들이 배워야 할 내용, 교수/학습 내용)

• 백범 김구를 이해하는 동시에 더욱 넓은 시야로 한국의 시대적 사건 및 세계의 주요 사건들,

동시대 다른 나라의 인물들을 함께 익혀 동서양의 전체적 흐름을 파악한다.

4. 학습능력 (Skills, 학생들이 행동으로 보일 수 있는 능력)

• 읽기, 쓰기

5. 학습평가 방법: (Type, Description, Materials, Tests and Rubric)

• n/a

6. 교수/학습 활동(Instructional Strategies and Activities, 흥미를 유발하는 재미있는 학습 방법)

• 진행: 같은 시대 다른 나라들에는 어떠한 인물들이 있었는지를 파악해본다. 아래 네 사람의

이름을 차례로 불러보며, 해당 인물의 이름을 들어본 적이 있는 사람은 손을 들어보라고 한다.

손을 든 학생들에게 그 사람에 대해 어떤 것을 알고 있는지를 묻는다. 학생이 하는 말에 오류가

있을 때에는 정정해 준다. (학습자료 사용)

김구 金九, 1876년 8월 29일~ 1949년 6월 26일

마틴루터킹 Martin Luther King, Jr. (1929년 1월 15일 – 1968년 4월 4일)

간디(1869년10월2일 ~ 1948년1월30일)

아돌프 히틀러Adolf Hitler (1889년 4월 20일 ~ 1945년 4월 30일)

7. 개인지도 방법 (Differentiated Instruction, 학습에서 뒤지는 학생들을 개인 지도 하는 방법)

n/a

Page 47: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46

학습자료: 20 세기 인물과 관련된 설명을 서로 연결하기

Martin Luther King, Jr. (January 15, 1929 – April 4, 1968) was an

American clergyman, activist, and prominent leader in the African

American civil rights movement. He is best known for being an

iconic figure in the advancement of civil rights in the United States

and around the world, using nonviolent methods following the

teachings of Mahatma Gandhi. King is often presented as a

heroic leader in the history of modern American liberalism. King

delivered his "I Have a Dream" speech.

Adolf Hitler (20 April 1889 – 30 April 1945) was an Austrian-born

German politician and the leader of the National Socialist German

Workers Party, commonly known as the Nazi Party. He was

Chancellor of Germany from 1933 to 1945. Hitler is most

remembered for his central leadership role in the rise of fascism in

Europe, World War II and the Holocaust. Nazi forces engaged in

numerous violent acts during the war, including the systematic

murder of as many as 17 million civilians, including an estimated

six million Jews.

Kim Koo (also known by his pen name Baekbeom, August 29,

1876 – June 26, 1949), the sixth and later the last president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a Korean

politician, educator, leader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gainst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that lasted from 1910 to

1945, and reunification activist who had struggled for the

independent reunification of Korea since its national division in

1945.

Mohandas Karamchand Gandhi (2 October 1869 – 30 January

1948) was a pre-eminent political and ideological leader of India

during the Indian independence movement. This is defined as

resistance to tyranny through mass civil resistance. His

philosophy was firmly founded upon nonviolence. His

philosophy and leadership helped India gain independence and

inspired movements for civil rights and freedom across the world.

Gandhi is often referred to as Mahatma or "Great Soul", an

honorific first applied to him by Rabindranath Tagore).

Page 48: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47

백범 김구 마틴루터 킹 마하트마 간디

생존 기간 1876 - 1949 1929 - 1968 1869 - 1948

죽음 암살 암살 암살

업적 독립운동 흑인인권운동 독립운동

명언 / 연설 나의 소원 I have a dream I object to violence

학습자료: 동시대 한국 및 세계의 역사적 사건 매핑

Year Korean Issue World Issue Kim

Koo

Mart

in L

uth

er

Kin

g, Jr.

Gandhi

Adolf H

itle

r

Year

1869

1869

1876

1876

1889

1889

1910 국권피탈 (Korea under Japanese rule)

1910

1914 WW I (1914 ~ 1918)

1914

1919 3.1 운동,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March 1st Movement,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1919

1929 대공황 the Great Depression 1929

1931 일본의 만주점령 Manchurian Incident 1931

1933 뉴딜 정책 New Deal 1933

1937 일본의 중국 대규모 침공 1937

1938 한글교육 금지 Forbidden Korean Education

1938

1939 WW II (1939~1945) 1939

1940 한국 광복군 결성 Korean Liberation Army

1940

1941 일본의 진주만 공격 Attack on Pearl

Harbor 1941

1942 조선 어학회 Korean Language Association 1942

1945 8.15 광복 8.15 Korean independence 1945

1948 대한민국 정부수립 Established

Government of South Korea

1948

1949 김구 암살 Kim Koo assassinated

1949

1950 6.25 전쟁 Korean War

1950

1953 휴전 Armistice

1953

1968 1968

Page 49: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48

8. 숙제:

오늘 배운 네 명의 인물에 대해 영어로 일기를 쓰고, 그것을 한국어로 번역해 온다.

9. 참고자료

마하트마 간디: http://www.youtube.com/watch?v=mVwCeGxTN-A

마틴루터 킹: http://www.youtube.com/watch?v=3ank52Zi_S0

http://asiasociety.org/files/gandhi-king.pdf

참고자료: 간디가 마틴루터킹 목사에게 미친 영향 (ASIA SOCIETY)

Source 2: Gandhi’s Influence on Dr. Martin Luther King

When King arrived one cold day in New Delhi, as a guest of the Government of India, his first

words were a tribute to Gandhi. “To other countries,” King said, “I may go as a tourist, but to

India I come as a pilgrim. This is because India means to me Mahatma Gandhi, a truly great man

of the age.”

King heard of Gandhi from Dr. Mordecai Johnson, President of Howard University, who had

returned from a visit to India and was speaking at Philadelphia. Even prior to that, King had

learnt of Gandhi’s philosophy of nonviolence in a course offered by Professor George W. Davis,

but then it had not struck fire.

Professor Davis had lectured on Gandhi’s concept of Satyagraha (civil disobedience) and his

students had questioned him spiritedly on Gandhi’s beliefs. But in Dr. Johnson’s presentation,

according to King’s biographer, “Gandhi’s spiritual leadership and pacifist techniques attained an

immediate and luminescent dimension.”

“His message was so profound and electrifying that I left the meeting and bought half a dozen

books on Gandhi’s life and works,” King later admitted.

In a letter to the Advertise, a writer, Miss Juliette Morgan, described the boycott and related it to

Gandhi’s “Salt March” as an archetypal example of noncooperation, in the first public words on

the relevance of Gandhi to Black America.

“Not since the first battle of the Marne,” wrote Miss Morgan, barely after the beginning of the

bus boycott, “has the taxi been put to as good use as it has been this week in Montgomery.

However, the spirit animating our Negro citizens as they ride the taxis or walk from the heart of

Cloverdale to Mobile Road has been more like that of Gandhi than of the ‘Taxicab army’ that

Page 50: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49

saved Paris.” During that historic bus boycott and after, Gandhi became to King the measuring

rod of his own social philosophy. Especially after a three-day visit to Montgomery of the

Gandhian disciple and scholar Ranganath Diwakar, the idea occurred to King, that he, too, must

set an example of physical suffering.

Till then, King’s agony had been intellectual and psychological. After the visit of Mr. Diwaker, as

Mrs. Coretta King later said, “we began to think more deeply about the whole philosophy of

non-violence. We talked about how superficial and shallow our knowledge of the whole thing

was.”

Following his near fatal stabbing in Harlem, says his biographer David L. Lewis, “King pondered

the relevance of Gandhi to the American dilemma” and decided to accept a year-old invitation

to visit India, land of Gandhi. It was there, in 1959, that King met many old disciples of Gandhi

and studied at first hand the Gandhian techniques of non-violent non-cooperation. He also met

Prime

Minister Jawaharlal Nehru who explained to him that untouchability was punishable by

imprisonment under the Indian constitution. Furthermore, in the case of the University admission,

government institutions were required by law to give preference to the depressed segments of

society.

Prof. Reddick who was accompanying King then asked if this was not discrimination. “Well, it

may be,” he was told, “but this is our way of atoning for the centuries of injustice we have

inflicted upon these people.” Nehru’s words made a profound impression on King.

The Indian visit undoubtedly quickened King’s formulation of a programme of governmentally

promoted compensatory treatment for American blacks.

King would again visit foreign countries on several occasions, but for him, the Indian trip was a

unique spiritual catharsis. Prof. Reddick observed the change in King. The visit to India, to King,

had made the difference between an emotionally based intellectual conviction that non-violence

was a superior and practical philosophy and certitude founded upon empirical and generalized

observation of this philosophy in daily operation. King himself said: “I left India more convinced

than ever before that non-violent resistance is the most potent weapon available to oppressed

people in their struggle for freedom. It was a marvelous thing to see the results of a non-violent

campaign.”

Darshan. (New York: Consulate General of India)

Page 51: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50

작문: 백범 김구 독서감상문 읽고 이해하기 I

1. 기본 개념 (Fundamental Concepts)

• 다른 사람의 글을 읽고 교정할 수 있다.

2. 탐구 주제 (Essential Questions, 학생들이 탐구할 의미 있는 핵심 개념에 관한 질문)

• 문맥을 이해하는가?

• 문법의 오류를 찾을 수 있는가?

3. 교과 내용 (content, 학생들이 배워야 할 내용, 교수/학습 내용)

• 선배가 쓴 백범일지 독서감상문을 읽고 그 내용을 이해한다.

• 더 좋은 표현이 있는지 생각해본다.

• 문장을 번역한다.

4. 학습능력 (Skills, 학생들이 행동으로 보일 수 있는 능력)

• 읽기, 쓰기

5. 학습평가 방법: (Type, Description, Materials, Tests and Rubric)

• n/a

6. 교수/학습 활동(Instructional Strategies and Activities, 흥미를 유발하는 재미있는 학습 방법)

1) 한 사람씩 돌아가며 한 문장씩 읽는다.

2) 모두 읽고 나서 읽은 내용 중 생각나는 대로 영어로 말해보게 한다. (다섯 명 혹은 그 이상)

3) 첫번째 문단을 다시 읽으면서 단어의 뜻을 암기한다.

단어: 부르다 (call), 불리다 (be named), 태어나다 (be born), 한학 (Chinese literature), 배우다

(learn), 존경하다 (respect), 바로 (just), 신앙 (faith), 중요하다 (important), 나라 (country),

섬기다 (serve), 조국 (motherland)

4) 문법:

‘불리다’는 ‘부르다’의 피동사이다.

‘바로’ – 거짓이나 꾸밈없이 있는 그대로

5) 번역: 두 명씩 팀을 만들어 한 문장씩 번역을 해 보고 다른 팀의 번역과 비교해본다.

7. 개인지도 방법 (Differentiated Instruction, 학습에서 뒤지는 학생들을 개인 지도 하는 방법)

n/a

Page 52: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51

학습자료: 백범일지 독서감상문대회 2013 년 응모작 (한성민)

⇒ 백범 선생님은 어렸을 때 창암, 창수, 그리고 김구 라고 불렸습니다. 1876 년 8 월 29 일에 태어났고,

아홉 살 때 혼자서 한학을 배웠습니다. 저는 백범 선생님을 존경합니다. 왜냐하면 저에게 가르쳐 주신

것이 많습니다. 그것은 바로 공부를 열심히 해야 하고, 신앙이 중요하고, 나라를 온 마음으로 섬겨야

하며, 조국을 자랑스러워해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김구 선생님은 공부할 기회가 없었지만 공부를 너무 하고 싶어서 혼자서 공부를 했습니다. 어렸을 때

가난해서 제대로 배울 수가 없었습니다. 학교에 다닌 적은 있었는데, 학교가 문을 닫게 돼서 배운 것이

적었습니다. 그래서 책을 읽으면서 혼자 공부했습니다. 배우는 것은 즐거운 것이었습니다. 배운 후에는

다른 사람들을 교육하셨습니다. 김구 선생님은 자신처럼 학교에 가지 못하는 어린이들을, 감옥에 있을

때는 다른 죄수들을 가르치셨습니다. 교육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 주신 분입니다. 저는 다른 아이들처럼

공부하기 싫고 그냥 놀고 싶을 때가 종종 있는데, 김구 선생님은 저에게 지금 배울 수 있다는 것이

얼마나 소중하고 중요한 것인지를 알게 해 주셨습니다.

김구 선생님이 크리스천이 되기 전에는 다른 종교들을 따르기도 했습니다. 자신이 가진 믿음대로

철저하게 생활했습니다. 좋은 일이 일어나면 하나님께 영광을 돌렸습니다. 종교가 중요한 것임을

보여주셨습니다. 모든 것이 하나님 때문에 일어나는 것으로 감사했고, 항상 기뻐해야 한다는 것을 가르쳐

주셨습니다. 신앙은 부끄러운 것이 아니고 자랑스럽게 생각해야 하는 것이라고 가르치셨습니다. 저는 이

책을 읽은 후 기독교인으로서의 제 모습이 부끄러웠습니다. 저는 목사님 아들입니다. 하지만 지금까지 제

믿음을 나타내지 못했습니다. 지금부터는 김구 선생님처럼 저의 믿음을 나타내고 싶습니다.

우리가 속한 국가는 우리가 살수 있는 땅을 제공해줄 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로부터 간섭을 받지 않도록

국민을 지켜줍니다. 나라를 지키려면 나라를 위해 봉사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백범 선생님은 한국을

언제나 자랑스러워 하셨습니다. 일본이 한국을 지배할 때 선생님의 마음은 고통스러웠습니다. 그는

무엇을 해야 되는지 깨달았고, 사람들을 모아서 무엇을 해야 할지를 설득했습니다. 독립운동이 시작될 때,

그는 독립운동의 지도자들 중 한 명이 되었고,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대통령이 되었습니다. 조국을 위해

섬기는 것이 자랑스러운 것임을 행동으로 보여주었고, 모든 사람이 그렇게 해야 한다는 것을

Page 53: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52

알려주었습니다. 나중에 저도, 제가 할 수 있는 만큼 우리나라에 도움을 주는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

미국뿐만 아니라 나의 뿌리인 한국에도 도움을 주는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 저는 아직 어리지만, 백범

선생님처럼 나라를 위해 봉사하고 싶습니다.

일본에 있는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폭탄이 터지고 일본이 항복할 때, 한국 사람들은 다시 독립국가가

된 것을 기뻐했습니다. 백범 선생님도 우리의 조국이 다시 독립이 된 것을 누구보다 기뻐하셨을 것입니다.

몇 십 년이 지난 지금의 한국 사람들도 그 분이 그토록 사랑하셨던 대한민국을 사랑하고 자랑스러워

합니다. 이제 다른 나라에 살고 있는 한국 사람들도 K-POP, 싸이, 그리고 삼성과 엘지 같은 회사들

때문에 한국인이라는 사실을 뿌듯하게 생각합니다. 그러나 그런 것만 자랑스러워해서는 안될 것입니다.

우리는 대한민국 자체를 자랑스러워 하고 한국인이라는 것을 자랑스러워해야 합니다. 한국이 좋은 일이나

큰 일을 할 때, 저는 친구들에게 이렇게 말합니다. “이 대한민국이 바로 나의 뿌리가 되는 나라야.” 저는

한국인이라는 것이 자랑스럽고 앞으로도 계속 그럴 것입니다.

저는 원래 김구 선생님을 잘 몰랐습니다. 하지만 ‘김구 아름다운 나라를 꿈꾸다’를 읽고 나서는 제가

가장 존경하는 인물 중 한 분이 되었습니다. 어려움을 많이 겪었지만, 끝까지 노력해서 원하시는 것들을

이루었습니다. 이제 김구 선생님은 이 세상에 더 이상 안 계시지만, 많은 사람들은 책을 통해 그 분이

가르치고자 하셨던 생각을 배울 수가 있습니다. 제가 크면 김구 선생님처럼 포기하지 않고 끊임없이

노력하여 훌륭한 테니스 선수가 되고 싶습니다. 테니스를 아주 잘 치는, 나라를 대표하는 선수가 되고

싶습니다. 그리고 사람들에게 제 이야기와 백범 김구선생님의 이야기를 함께 들려주고 싶습니다. 제가

힘들 때마다 김구 선생님이 가르쳐 주신 불굴의 정신을 생각하면서 참고 버텼기 때문에 꿈을 이룰 수

있었다고 말입니다.

Page 54: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53

학습자료: 백범일지 독서감상문대회 2012 년 최우수상 수상작 (윤도일)

⇒ 백범 할아버지, 안녕하세요. 저는 노스베일이라는 아주 조그마한 마을에 사는 윤도일이라고 해요.

이번에 미국에서 독후감 쓰기 대회를 계기로 할아버지에 대해서 읽게 되었어요. 저는 솔직히 대회를

참석하기 전까지만 해도 일등상 상금 500 달러가 탐나서 참가한 것이었는데, 책을 읽고 나니까 우리나라에

대한 애국심이 조금이나마 느껴지더라고요. 책이 아주 쉽지만 감동을 많이 주었고, 우리나라가 오늘날의

대한민국이 되기 위해서는 많은 사람들의 희생이 필요했었다는 것도 알았고, 그분들에 대한 존경심도

느낄 수 있었어요.

백범 할아버지, 할아버지가 언젠가는 우리나라가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나라가 되기를 원하셨다고 하신

말씀 있잖아요. 그 말을 듣고 저는 감동을 아주 많이 받았어요. 그러나 아름다운 나라가 되기 위해선

우리의 문화를 잊어버리지 말고, 문화를 더욱 더 발전시켜야 한다는 말씀도 하셨잖아요. 그런데,

우리나라의 한 부분이기도 한 저희 코리안 아메리칸, 특히 2 세들이 우리 문화에 대해서 잘 모르거든요.

솔직히 말해 저도 미국에 온지 자그마치 4 년이라는 긴 세월이 흘러서 한국말이 이제는 잘 마음대로

나오지 않을 때가 있어요. 그것도 따지고 보면 그렇게 될 수 밖에 없는 이유가 있기는 해요. 미국에서

쓰는 한국말이라곤 집에서, 그것도 부모님과 대화할 때만 영어와 같이 섞어서 써 가지고 그런 것 같아요.

4 년 전까지만 해도 들리던 언어라곤 한국말 하나뿐이던 내가 하루 하루 조금씩 바뀌어 간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었나 봐요. 그 때는 내가 이렇게 되리라는 상상조차 못했었는데…… 어떤 면으로 보면

창피하기도 해요. 엄마가 항상 한국말을 쓰라고, 그러지 않으면 잊어버린다고 하실 때마다 자신감 있게

그런 걱정은 하지 말라고 했던 제가 너무 무책임했던 것을 이 책을 읽으면서 느끼기도 했어요.

백범 할아버지, 할아버지는 독립 정부의 문지기가 되기를 원하신 적도 있잖아요. 저는 그 사실을 알고

감동을 많이 받았어요. 처음에는 왜 가장 낮은 문지기가 되고 싶어 하실까 궁금하기도 했었는데, 우리

나라를 위해서라면 어떤 일이든 하실 수 있다는 마음을 가지고 계셨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어요. 항상

우리나라를 위한 애국심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저한테는 쉬운 일이 아니거든요. 맨날 집에서만큼은

한국말을 하라고 하는 엄마의 말씀을 계속해서 반복적으로 듣다 보면 약간의 거부감마저 생기기도 하고,

왜 그렇게까지 엄격해야 할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하고…… 그냥 완벽한 이곳의 사람이 되고 싶기도

했어요. 제가 전에 살았던 곳에서는 친구들이 자꾸만 ‘칭크’ 아니면 ‘아시안’이라고 놀려서 제가

Page 55: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54

한국인이라는 것을 숨기고 싶었고, 무언가 원망스럽고 알 수 없는 화가 쌓이는 것을 느꼈어요. 그러나,

책을 읽고 나니 더 이상 그럴 수 없게 되더라고요. 중국인들이 버린 채소더미 속에서 괜찮은 것을 골라

먹으면서까지 우리나라의 독립에 대한 집념을 버리지 않으셨던 것에 비해선 저의 고통은 아무것도 아닌,

작은 모래알 같다는 것을 알았어요. 내 자신이 순간적으로 아주 작게 느껴지기도 했어요.

백범 할아버지, 할아버지는 “지금 저 왜놈들은 이미 집어 삼킨 우리나라를 소화 시키려고 밤을 새우는데,

나라를 구하겠다는 나는 나라를 위해 밤을 새워 일한 적이 몇 번이나 있었던가”라고 말씀하신 것

기억나시죠? 그 말씀 한마디가 이 책에서 저에게 가장 인상 깊었던 부분 중에 하나였던 것 같아요.

가혹한 고문 때문에 분노가 느껴지는 것이 아니라, 그보다 더한 부끄러움 때문에 우셨다는 것이 정말

감동적이었어요. 저는 저 자신을 위해 운 적은 수없이 많지만 나라를 위해선 눈도 깜짝하지 않았던 저

자신이 한심해지는 것을 느꼈어요. 그러나 할아버지도 어린 시절에는 저와 다를 바 없는 개구쟁이였다는

것, 때로는 아버지의 수저를 팔아 엿을 사먹었던 적도 있었고, 그로 인해 흠씬 매질까지 당한, 정말

영웅과는 먼 거리를 둔 어린 아이였다는 이야기를 생각하면서 저도 백범 할아버지처럼 될 수 있다는

용기를 얻었어요.

백범 할아버지, 35 년 동안의 세뇌 속에서도 할아버지를 비롯한 우리 조상님들이 목숨을 바쳐 한 평생을

때로는 거지처럼, 때로는 배신을 당하면서, 때로는 사랑하는 사람들을 잃어가면서까지 자기 혼자만의

이득이 아닌 우리 모두의 행복과 아름다운 나라를 위해 지켜주신 문화라는 선물에 대해서 감사하고

싶어요. 저는 어떻게 하면 조금이라도 할아버지를 더 닮아갈 수 있을까 하고 생각을 해 보았어요. 아주

작은 실천부터 하겠어요. 예를 들면, 집안에서 부모님이나 동생들과 계속 한국말로 대화를 해서 한국어와

영어를 둘 다 잘 할 수 있도록 하겠어요. 일기를 쓰면서 나의 언어로 백범 일지와 같은 의미 있는 글을

남김으로써 조금 더 나은 나를 만들어 가기 위해 노력하고, 한국학교도 적극적으로 참여해서 우리나라가

어떤 나라인지 사람들에게 정확하게 알릴 수 있는 제가 되고 싶어요.

할아버지 듣고 계시죠? 백범 할아버지, 감사해요!

Page 56: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55

작문: 백범 김구 독서감상문 읽고 이해하기 II

1. 기본 개념 (Fundamental Concepts)

• 다른 사람의 글을 읽고 교정할 수 있다. (두번째 시간)

2. 탐구 주제 (Essential Questions, 학생들이 탐구할 의미 있는 핵심 개념에 관한 질문)

• 문맥을 이해하는가?

• 문법의 오류를 찾을 수 있는가?

3. 교과 내용 (content, 학생들이 배워야 할 내용, 교수/학습 내용)

• 선배가 쓴 백범일지 독서감상문을 읽고 그 내용을 이해한다.

• 더 좋은 표현이 있는지 생각해본다.

• 문장을 번역한다.

4. 학습능력 (Skills, 학생들이 행동으로 보일 수 있는 능력)

• 읽기, 쓰기

5. 학습평가 방법: (Type, Description, Materials, Tests and Rubric)

• n/a

6. 교수/학습 활동(Instructional Strategies and Activities, 흥미를 유발하는 재미있는 학습 방법)

1) 한 사람씩 돌아가며 한 문장씩 읽는다.

2) 모두 읽고 나서 읽은 내용 중 생각나는 대로 영어로 말해보게 한다. (다섯 명 혹은 그 이상)

3) 첫번째 문단을 다시 읽으면서 단어의 뜻을 암기한다.

단어: 기회 (chance), 가난하다 (poor), 제대로 (properly), 다니다 (go everyday), 적 (time),

적다 (little), 작다 (small), 후 (after), 전 (before), 교육 (education), 감옥 (jail), 죄수 (prisoner),

분 (person), 보여주다 (show), 종종 (often), 소중하다 (precious)

4) 번역: 두 명씩 팀을 만들어 한 문장씩 번역을 해 보고 다른 팀의 번역과 비교해본다.

Page 57: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56

가계도, 한국전쟁

1. 기본 개념 (Fundamental Concepts)

한국전쟁의 이미

파워포인트의 쓰임 이해

2. 탐구 주제 (Essential Questions, 학생들이 탐구할 의미 있는 핵심 개념에 관한 질문)

조부모 시대의 역사적 사건인 한국전쟁의 배경과 내용을 이해하는가?

파워포인트가 무엇이고 언제 사용하는가?

3. 교과 내용 (content, 학생들이 배워야 할 내용, 교수/학습 내용)

한국전쟁이 일어났던 배경(냉전시대)을 이해하고 전쟁의 참혹함을 생각해 본다.

한국전쟁의 진행 및 휴전 과정을 이해한다.

한국전쟁 직후 미국에 이민을 왔던 한인들의 복합성과 특수한 상황을 이해한다.

4. 학습능력 (Skills, 학생들이 행동으로 보일 수 있는 능력)

“한국전쟁”이라는 단어를 보고 자신이 이해한 내용을 한국어로 말할 수 있다.

한국전쟁과 관련된 단어의 뜻을 영어로 말할 수 있다.

5. 학습평가 방법: (Type, Description, Materials, Tests and Rubric)

한국전쟁을 이해하는 대로 발표한다

단어 시험

6. 교수/학습 활동(Instructional Strategies and Activities, 흥미를 유발하는 재미있는 학습 방법)

숙제의 가계도를 보며 몇 몇 학생의 조부모 출생 년도를 물어본다. 조부모의 출생 전후로

중요한 역사적 사건이 있었음을 알려주며 그것이 무엇인지 맞춰보게 한다. (5 분)

한국전쟁 동영상 상영한다 (15 분)

PPT 수업자료로 수업을 진행한다. (15 분)

Page 58: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57

새로 나온 단어의 뜻을 설명해 주고 각자의 랩탑을 이용하여 다섯 번씩 타이핑하게 한다.

(15 분)

한국어 영어

전쟁 War

한국, 대한민국 Korea

국토 Territory

분단 Division

침략 Invasion

미군 American soldier

신부 Bride

고아 Orphan

이민 Immigration

법안 Bill

통과 Passing

입양 adoption

가량, ~여 Around, about

아내 wife

휴전 Armistice

단어를 이용한 준비된 문장들을 읽고 그 뜻을 이해하고, 한 문장씩 외운다. 외운 문장을

타이핑 한다. (30 분)

o 한국은 국토가 분단되었다.

o 1950 년에 한국전쟁이 일어났다.

o 북한이 남한을 침략하였다.

o 1945 년 전쟁 신부 법안이 통과되면서 6 천여 명의 한국 여성들이 미군의 아내로

이민을 왔다.

o 5 천명 가량의 한국전쟁 고아들이 입양되었다.

오늘 배운 내용 중에 새롭게 알게 된 점과 자신의 생각을 발표하는 시간을 갖는다. 원하는

학생 순으로 시키되 없으면 교사가 잘 할 수 있는 학생을 시킨다. (10 분)

7. 개인지도 방법 (Differentiated Instruction, 학습에서 뒤지는 학생들을 개인 지도 하는 방법)

n/a

8. 학습 자료 (Resources and Materials, 복사 첨부하시면 좋습니다.)

첨부자료 참고

9. 숙제:

수업시간에 배운 문장들를 다섯 번씩 타이핑하고, 가계도 (family tree) 템플릿 숙제를

파워포인트에 옮겨서 교사에게 이메일을 보낸다.

Page 59: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58

한국전쟁

1. 기본 개념 (Fundamental Concepts)

한국전쟁 경험자와 함께하는 시간을 통해 생생한 증언을 듣고 이해한다.

MS 워드를 사용하여 한국전쟁 관련 문장을 타이핑 해 본다.

2. 탐구 주제 (Essential Questions, 학생들이 탐구할 의미 있는 핵심 개념에 관한 질문)

전쟁 경험자의 이야기를 듣고 이해하는가?

본인이 이해한 내용 중 궁금한 점을 질문할 수 있는가?

3. 교과 내용 (content, 학생들이 배워야 할 내용, 교수/학습 내용)

한국전쟁이 일어났던 배경(냉전시대)을 이해하고 전쟁의 참혹함을 생각해 본다.

전쟁 경험자의 증언을 듣고 가족을 전쟁터로 보내야 하는 마음을 헤아려 본다.

현재 우리의 환경이 얼마나 축복받은 것인지를 이해한다.

4. 학습능력 (Skills, 학생들이 행동으로 보일 수 있는 능력)

한국전쟁 경험자의 이야기를 듣고 이해할 수 있다.

5. 학습평가 방법: (Type, Description, Materials, Tests and Rubric)

평가 없음

6. 교수/학습 활동(Instructional Strategies and Activities, 흥미를 유발하는 재미있는 학습 방법)

지난 시간에 배웠던 한국전쟁에 관해 기억하는 대로 한국어로 말하게 한다. (10 분)

실제 한국전쟁을 경험했던 김치경 교감선생님을 소개하고 특강 시간을 갖는다. 첨부 특강

원고 참조 (45 분)

보조자료인 아래 PPT 수업자료를 활용한다

http://photo.donga.com/usr/dongafile/view.php?r_from_topcode=200901070001

Page 60: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59

Page 61: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60

오늘 들은 특강 내용 중에 새롭게 알게 된 점과 자신의 생각을 발표하는 시간을 갖는다.

원하는 학생 순으로 시키되 없으면 교사가 잘 할 수 있는 학생을 시킨다. (15 분)

아래 단어를 복습하고 타이핑 해 본다. (15 분)

한국어 영어

전쟁 War

한국, 대한민국 Korea

국토 Territory

분단 Division

침략 Invasion

미군 American soldier

신부 Bride

고아 Orphan

이민 Immigration

법안 Bill

통과 Passing

입양 adoption

가량, ~여 Around, about

아내 wife

휴전 Armistice

7. 개인지도 방법 (Differentiated Instruction, 학습에서 뒤지는 학생들을 개인 지도 하는 방법)

n/a

8. 학습 자료 (Resources and Materials, 복사 첨부하시면 좋습니다.)

첨부자료 참고

9. 숙제: 오늘 수업에 관한 일기를 써 온다 (10 문장 이상)

Page 62: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61

<참고자료 첨부>

교사의 글: 6.25 한국동란: 아버지 진짜야?

본교 교감 김치경 박사

1940-1945 WWII 가 끝나서 3년 후 1948년에 북한 공산 주의 정부는 반정부 투혈 혁명을 일으키기 위하여 남한에

발치산 부대를 침투시킨다. 나는 13세의 중학생이었는데, 제주도에서 10만 이상이 살상당하는 비참한 동족살인을

목격했다.

다시 2년도 못되어 1950년에는 북한 공산당 주석 김일성이 6월 25일 남한을 침략하다. 나는 아직도 15세

중학생이었지 만 나의 형은 17세 고등학생이었다. 전쟁이 일어 났으니까 고등학생은 모두가 지원해서 국토를

방위해야 한다고 해서 우리 고등학교 형들이 모두 지원하고 해병대 대원이 된다.

이들은 다음날 부산으로 떠나고 다음 날 LSD 상륙 선에서 처음으로 총 쏘는 법을 배워 인천상륙 작전에 투입된다.

(맥카더 장군의 성공적인 인천 상륙작전 slide show를 보여 줌)

인천 상륙작전 후 나의 고향 한림에서는 제주시에서 오는 버스 정거장에 어머니들이 기다리고 있었다. 혹시 자기

아들이 관에 담겨 돌아 오는가 하고….

나도 우리 집 앞에서 멀리 보이는 버스 정거장을 쳐다보다가 하얀 관이 우리 집 쪽으로 오지 않으면 마음 놓고

집으로 돌아와 저녁을 먹었다.

1953년 전쟁은 끝 났으나 그 이전 붙어 비극은 계속되었다. 수천 명의 고아들이 제주도로 보내졌다.

나는 고등학교 학생이었는데 우리 학교를 전부 고아들에게 주어야 했다. 우리는 최소한 부모와 집이 있었으니까.

그래서 나는 천막을 친 교실에서 고등학교 교육을 받았다. 그러나 불평하지 않았다.

고아들은 미군들이 공수해주는 미국음식으로 호식하는데 나는 굶으므로 고생했다. 차라리 고아가 되고 싶기도 했다.

1953년 정전이 되고, 반 이상 형들이 살아 돌아오지 못했는데…… 3년 만에 나의 형은 기적적으로 살아서 돌아 왔다.

거기다 미 해병대 가죽군화를 선물로 갖고 왔다. 나는 너무나 좋아서 아끼고 쓰다가 아버지와 꿩 사냥을 가면서

처음으로 가죽 구두를 신었다. 그런데 구두가 너무 젖어서 말리느라고 화로 위에 걸쳐 놓았다가 태워 버리고 말았다.

어머님이 날 리를 피셨는데, 아버지는 나를 집 밖으로 슬쩍 붙들고 나와서 하시는 말씀이 “야, 공부 잘 해서 이다음에

큰 다음에 가죽 구두 또 한 켤레 사면 되지!” 그래서 나는 “아버지 진짜야?” 라고 반문했다.

Page 63: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62

수필

1. 기본 개념 (Fundamental Concepts)

한국전쟁 관련 단어와 문장을 익힌다.

자신의 글을 발표한다.

수필의 형식에 대해 이해한다.

2. 탐구 주제 (Essential Questions, 학생들이 탐구할 의미 있는 핵심 개념에 관한 질문)

전쟁 관련 단어와 문장을 이해하고 쓸 수 있는가?

자신의 일기를 수필로 발전시킬 수 있는가?

3. 교과 내용 (content, 학생들이 배워야 할 내용, 교수/학습 내용)

일상 생활 단어가 아닌 전쟁 관련 단어들을 숙지한다.

그 단어들이 문장 안에서 어떻게 쓰이는지 배운다.

수필을 이해한다.

다른 급우의 발표를 듣고 자신의 글을 재구성 해 본다.

4. 학습능력 (Skills, 학생들이 행동으로 보일 수 있는 능력)

자신의 글을 세 단락 이상으로 구성한다.

5. 학습평가 방법: (Type, Description, Materials, Tests and Rubric)

숙제발표

o 발표 자세: 눈맞춤, 명확한 발음, 적절한 속도, 현장감

o 발표 내용: 자신의 생각이 들어 있는가? 대화체가 있는가? 주제에 집중하는가?

6. 교수/학습 활동(Instructional Strategies and Activities, 흥미를 유발하는 재미있는 학습 방법)

퀴즈 (20 분)

o 한국전쟁의 인물들을 맞춰본다.

o 최근 학습한 한국전쟁에 관련하여 새롭게 배웠던 단어들을 스피드 퀴즈 형식으로

복습한다.

o 문장을 외워본다.

Page 64: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63

한국전쟁에 관하여 써 온 글을 발표하는 시간을 갖는다. 이 때 교사가 쓴 글(첨부)은 교사가

발표한다. 각 발표가 끝나면 피드백을 주는 시간을 갖는다. (20 분)

수필의 이해 – 수필(essay)에 대해 서로 아는 대로 이야기 해 보고 요점을 정리한다. (10 분)

한 학생의 글을 보며 함께 수정해 본다. (20 분)

랩탑에서 MS 워드를 이용하여 (랩탑 없는 학생은 공책에) 자신의 글을 발전시킨다. (20 분)

7. 개인지도 방법 (Differentiated Instruction, 학습에서 뒤지는 학생들을 개인 지도 하는 방법)

자신의 글을 수정할 때 교사가 손을 드는 학생에게 가서 도와준다.

보조교사는 컴퓨터 기능을 도와준다.

8. 학습 자료 (Resources and Materials, 복사 첨부하시면 좋습니다.)

참고자료 1 수필이란

참고자료 2 교사의 글: 어른이 되어 다시 듣는 한국 전쟁

9. 숙제:

지난 주에 쓴 글을 좀 더 길게 발전시켜 하나의 수필로 완성한다. MS 워드에서 작성하여 교사에게

이메일 전송한다. ([email protected])

Page 65: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64

참고자료: 수필이란

http://www.supil.com/essaylove/essaylove1.htm

수필: < 隨 : 따를 수, 筆 : 붓 필 >의 한자어를 풀이해 본다면 "붓 가는 대로 쓰는 글"이라고 풀이

된다. 곧 수필의 언어적인 특성은 일정한 형식에 구애 받지 않는 자유로운 글이며 개성이 있는 글이며,

인생과 자연에 대한 체험을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쓴 산문문학의 한 갈래라고 할 수 있다

수필의 개성

수필은 자기 표현의 문학이다. 수필은 지은이의 개성이 잘 드러나는 글이다. 시, 소설, 희곡에는

지은이의 사상이나 인생관이 작접 드러나지 않지만, 수필에는 지은이의 성품, 취미, 생각이나 말투,

생활태도 등이 직접 드러난다.

그러므로 수필은 대체로 1 인칭인 '나'로 서술된다. 이때의 '나'는 지은이다. 수필은 지은이는 자신의

경험을 통하여 알 게 된 것 생각한 것, 바라는 것 등을 담담하게 쓰게 된다. 곧, 지은이는 자신만의

경험을 토대로하여 세상을 바라보고 해석하는 태도, 그리고 그것을 서술하는 표현방법 등을 통하여

개성을 드러낸다. 따라서 수필에는 일상생활 속의 사소한 일에서도 남다른 의미를 발견해 내는 지은이

만의 개성적인 안목과 감각이 자연스럽게 드러난다.

우리가 과일을 깨물면 그 과일 특유의 맛을 알 수 있듯이, 수필을 읽으면 지은이만의 개성을 엿볼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수필에 드러난 지은이의 생각이나 느낌, 독특한 안목을 자신의 그것과 견주어

봄으로써 삶에 대한 시야를 넓혀 나갈 수 있다.

수필과 Essay

흔히 수필을 서양의 essay 의 번역어로 생각하나 동양에서는 일찍부터 써왔다. 중국 남송 때 홍매의

'용재수필(74 권 5 집)'의 서문에 '나는 버릇이 게을러 책을 많이 읽지 못하였으나 뜻하는 바를 따라

앞뒤를 가리지 않고 써 두었으므로 수필이라고 한다'라는 말이 보이고, 한국에서는 연암 박지원의 연경

기행문 '열하일기'에 '일신수필'이라는 것이 처음으로 보인다.

프랑스어의 에세(essai)는 '시도' 또는 '시험'의 뜻을 가지고 있는데 이 말은 '계량(計量)하다'

'음미(吟味)하다'의 뜻을 가진 라틴어 '엑시게레(exigere)'에 그 어원이 있다. 영어의 essay 는 프랑스어의

essai 에서 온 말이다. 에세라는 말을 작품 제목으로 처음 쓴 사람은 프랑스의 몽테뉴이며 그의

'수상록'(1580)은 에세라는 제목을 붙인 서책으로서는 서양 최초의 저서이다.

그러나, 어원으로 볼 때, 동서양의 수필의 개념은 거의 일치한다.

Page 66: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65

교사의 글: 어른이 되어 다시 듣는 한국전쟁

<참고자료 2> 교사의 글

2012. 9. 22 정안젤라

지난 주에 한국전쟁에 대한 내용으로 수업을 하였고, 오늘 우리 반은 한국전쟁을 경험하셨던 김치경 교감선생님을

모시고 살아있는 이야기를 들었다.

“저는 아직도 똑똑하게 기억하고 있습니다.”

전쟁 당시 열 다섯 살이었던 교감선생님은 열 일곱 살의 친형을 전쟁터로 보내기 전날 밤 하염없이 울기만 하셨던

어머님을 생생하게 기억하고 계셨고, 어머님의 그 슬픔은 어린 교감선생님에게도 전달되어 잠을 도저히 이룰 수가

없었다고 말씀하셨다. 어린 고등학생이었던 교감선생님의 형은 생전 처음 총 쏘는 법을 배운 후 인천상륙작전에

투입되었고, 맥아더장군이 이끄는 인천상륙작전은 성공리에 이루어졌다. 교감 선생님은 전쟁 당시의 자료사진들을 한

장 한 장 넘기며 설명해 주셨고, 스무 명이 넘는 우리 반 아이들은 초롱초롱한 눈동자를 교감선생님께 향한 채 한

시간이라는 긴 시간을 집중하는 능력을 보여주었다.

특강 시간에 교사로서 함께 들으며 느낀 것은 아무리 훌륭한 강의자료로 수업을 할 지라도 역사적 사건을 직접

목격하고 체험한 분의 살아있는 이야기만큼 훌륭한 것은 없다는 점이었다. 전쟁터에 보낸 형이 돌아오기를 기다리는

가족들은 하루 하루 하얀 천 덮인 관이 동네에 올 때마다 ‘제발 우리 집으로 오는 것이 아니기를…’ 하는 마음으로

가슴 졸이며 그 광경을 보셨다고 할 때, 그 마음을 조금이나마 느낄 수가 있었다.

이제 겨우 열 일곱의 어린 나이에 죽을지도 모르는 곳으로 향해 갔던 그 형의 뒷모습에 온 가족 무너지는 그 마음을

헤아려본다. “응애~”하고 내 배에서 태어난 아들을 애지중지 고생하며 다 키워 놓고 나서는, 전쟁터에 내보내야만

했던 그 어머니의 마음은 어땠을까. 교감 선생님의 형은 다행히도 살아서 돌아왔지만, 다른 집으로 향했던 그 하얀

관에 담겼던 이들 어머님들의 갈기갈기 찢어진 마음을 그 누가 조금이라도 위로해 줄 수 있었겠는가.

매주 한국학교 학생들을 가르치는 이곳에서 매주 오히려 내 자신이 배우고 성장하고 있음을 느낀다. 어린 시절

학교에서 그린 6.25 포스터나 글짓기를 통해 생각해 보았던 한국전쟁, 지금 어른이 되어서 다시 보고 생각하니

감사할 따름이다. 전쟁을 겪지 않은 것이 감사하고, 전쟁 후 아무것도 남지 않았던 나라 대한민국이 이제는 전 세계에

문화 강국으로 영향력을 끼치고 있다는 것이 자랑스럽고 감사하다. 한국전쟁이 일어난 지 62 년이 지난 오늘날

느끼는 이 자랑스러움을, 지금으로부터 62 년 후쯤에는 나의 자손들이 더 크게 느낄 수 있도록 오늘도 한국학교에서

열심히 가르치며 배우련다.

Page 67: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66

학생작품: 한국전쟁 특강을 듣고

김민진

저는 교감선생님 에게서 모르는것 많이 알았어요. 나는 교장선생님 형이 전쟁에서 싸웠어요.북한에서

남한에 쳐들어왔다는 것을 알았어요.전쟁에서 엄마들이 많이 죽어서 고아들이 미국에 많이 입양된 것을

알았어요.나는 정말 슬프고 무서웠어요. 그런데재미있는 얘기도있었어요. 교감선생님이 진흙에서

축구하다가 신발이 벗겨졌던 얘긴 정말웃겼어요.

김수진

선생님 이야기

나는 오늘 머을배웠는 지아라요. 오늘은 한국전쟁을 배웠어요.

엄아들은다죽구 애기들만남겨줬어서요.나는 그아기 이럿케

생각합니다’’아…내가이사람이면 어떴게될까요’’.그래서

내가좀생각해습니다.선생님이우리반 친구들에게

한국전쟁이야기를해주어습니다.그래서 나는생각했어요.다시는그런전쟁이

이러나지안키를바랍니다.

한국전쟁

김주연 9.23.2012

내가 김 치경 교감 선생님께 배운 것은 한국전쟁 입니다.

그때 많은 고등학생들은 전쟁에 나갔고 교감 선생님 형도 전쟁에 나갔습니다.

전쟁으로 사람들이 많이 죽었습니다.

그리고 많은 고아가 생겼습니다.

삼년동안 한국전쟁 있었습니다.

미국에서 군인들이 한국에 왔습니다.

맥아더장군이 기습공격을 했습니다.

워싱턴에 한국전쟁 기념비가 있습니다.

전쟁이 끝나고 휴전선이생겼습니다.

Page 68: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67

김지원 2012,9,22

김치경 교감 선생님께서 말씀해 주신 한국 전쟁에 관한 이야기는 슬픈 이야기 였습니다.

김치경 교감 선생님은 한국전쟁 일어났을때 아주 어린소년 이었습니다. 어린소년은 가족과 함께

작은 섬에 살고있었습니다. 전쟁이 일어났을때 간이 대피소에서 살었습니다. 학교도 문을 닫어서

갈 수 없었습니다. 사람들은 무서웠습니다. 많은 젊은 남자들은 전쟁터로 끌려 갔습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은 다치고 죽었습니다. 그리고 가족들과 이웃들은 많이 울고 슬펐습니다.

김치경 교감 선생님 형도 전쟁에 참여 했습니다. 다행이도 전쟁에 참여했던 형은 살아서

돌아왔습니다.

내게는 오빠가 있습니다. 오빠와 나는 자주 싸웁니다. 그래서 엄마에게 자주

야단을 맞습니다. 오빠 때문에 야단을 맞는 것 같아서 오빠가 밉습니다. 그런데 가끔 오빠가

집에 늦게오거나 여행으로 집에 오지 않을때 오빠가 보고싶습니다. 그리고 기다리게 됩니다.

오빠와 나는 즐거웠던 기억도 많지만 싸운기억들이 더 많습니다. 그러나 그런 오빠가 전쟁으로

인해 우리 가족과 함께 있을수 없다는 것은 생각 하기 싫습니다. 가족과 함께 살수 없게

하는 전쟁은 정말 싫습니다. 한국전쟁으로 인해 한국은 남한과 북한이 나뉘어서 살아야하는

분단국가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전쟁은 다시는 일어나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서하영

나는 교감선생님의 허리띠 이야기가 재미있어요.

왜나하면,교감선생님어머니가 얘기 했듯이 허리띠가 형에게 행운을 가져다 줘서 살아 남은 것 같아요.

윤도영

난 한국학교 갓을 때 한국 전쟁에 대해서 배웠다. 한국전쟁을 겪어본 사람이 우리 학교에 있었다. 그

사람은 교감 선생님 이었다.전쟁터에 나가지는 않았다. 교감 선생님의 형이 나갔다. 그 밤 애는 선생님이

못 잤다고 들었다. 내 형이 전쟁터에 나갔다면 난 울었을 거다.왜냐하면 전쟁이 끝나고 나서 시체로만

돌아올 수도 있으니까. 하지만 교감 선생님의 형은 무사히 돌아왔다. 난 그게 정말 다행 이라고 생각한다.

맥아더 장군이 없었다면 아마도 우리 나라에 남은 땅은 부산박애 없었을 거다. 만약에 그랬다면 지금

사는 우리도 아주 허무한 인생을 가졌을 거다.생각만 해도 무섭다. 그런데 북한은 자유가 없어서 지금도

그러게 살고 있다.그 사람 들은 밥도 잘 못 먹고 물도 잘 못 마시는데 맨날 일만 한다. 그러면 언젠간

사람이 한 명씩 죽을 것 아닌가? 난 여기에 사는 것만 을로도 다행인겄 갔다.

Page 69: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68

한국전쟁

윤도웅 9/25/12

내가 한국전쟁 에 있었다면 무섭다고 생각했을 거다. 삼 년

동안 죽이고 주기며 많은 사람들의 가족들 하고 친구들이다 걱정하고

있는데 죽으면 너무 슬퍼할 거다. 미국

군대가 우리나라를 도와줬다. 미국이

없었으면 우리나라가 북한 에게 뺏겼을

텐데.... 이재는 우리가 안전하니까 좋다.

나는 한글학교 에 간다. 우리 교감 선생님이 한국전쟁 때 살아계셨다.

한국전쟁 때 교감선생님의 형이 전쟁터에서 싸우셨다.

한국전쟁 동안 엄마 아빠 들이

죽어갔다. 많은 고아들이 비행기를 타고

우리나라에 왔다. 그 고아들은 학교에서 쉬어야

했다. 그런 고아들이 너희에 할아버지들 일수

있다. 북한 하고 미국/남한이 싸우고 있었는데

갑자기 중국이 처 들어왔다. 중국 군대를 죽이고 죽이는데 계속 왔다.

많은 사람들의 목숨이 희생 되었다.

어떤 장군이 있었는데 이름은

장군 맥 아터 라고 하는 유명한 장군이

있었다. 장군 맥 아터 는 미국의 4 별

장군이다. 장군 맥 아터 는 인천 상륙

작전을 만든 사람이다. 장군 맥 아터

가 그 작전이 성공해서 다른 장군하고

웃었다.그리고 장군답게 전쟁터 에갔다.

훌륭한 장군이었다.

한국전쟁은 절대 잊혀지지 않을 것이다. Washington D.C. 에서도 전쟁 기념관 이 있다.

한국전쟁

2012 년 10 월 5 일 채시인

한국학교에서 한국전쟁에 대한 슬라이드를 봤어요. 교감 선생님께서 경험한 전쟁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주셨어요. 교감 선생님께서 경험한 전쟁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주셨어요. 교감 선생님께서 경험한 전쟁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주셨어요. 2,000,000 명의 사람들이 죽임을 당했다는 이야기를 듣고 잔인하다고

Page 70: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69

생각했어요. 너무 슬펐어요. 전쟁에 먹을 것이 없어서 배가 고팠는데 나는 지금 맛있는 음식이 있어서

감사해요.

교감 선생님께서 이야기도 해주셨어요. 교감 선생님 형이 전쟁에 가야 했대요. 어머님께서 너무 슬퍼서

허리띠를 만들어 주셨어요. 전쟁에 나가기 전에 허리띠를 차면 허리띠가 형을 보호해줄 거라고

말씀해주셨어요. 마침내 형은 가죽 부츠를 신고 집에 돌아왔고 가죽 부츠를 교감 선생님에게 주었어요.

만약에 우리 형이 전쟁에 나간다면 너무 슬플 거에요. 아직도 전쟁이 끝난 게 아니래요. 휴전 중이에요.

빨리 통일이 되어서 다시는 전쟁이 일어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어요.

2012.9.22 최예영

김치경 선생님이 형에 대해서 한국 전쟁을 이야기를 들려 줬어요.

먼저, 김치경 선생님 형이 한국전쟁에 갔습니다.

그 밤에 김치경의 엄마가 못 자서 김치경의 마음을 슬프게 만들었어요.

그래서 김치경의 엄마가 이 벨트를 만들고, 김치경 형의 몸에 묶어서, 김치경 형이 다시 한국전쟁에

돌아갔어요. 그리고, 한국전쟁 다 끝날때 김치경의 형이 안 죽었다.

홍유민

사람들이 너무 많이 (전쟁) 에서 죽었다.김치경 선생님이 애기해준 이야기가 마음속에 깊이 남았다.

선생님의 형이 전쟁에가서 너무 슬펐다고 하셨습니다.

우리 할아버지도 그때 살았다고한다. 그래서 할아버지는, 부산으로 피난을 하섰다고한다. 그와주에,

할아버지 2 동생들이 죽었다고한다. 내동이 죽었다고하면, 나는 많이 슬펐을거다. 우리나라에서, 다시는

전쟁이나지 않게 하고십다.

홍재민

전쟁은 너무 많은 사잠들이 죽어서 슬프다. 1950 년 6 윌 25 일 발생한 한국전쟁에서도 삼백만명이상

죽었다고 한다.

엄마에게 한국전쟁에 관한 이야기를 여쭤봤다. 우리 할아버지께서 6.25 때 할아버지부모님을 따라

서울에서 부산으로 피난갔던 이야 기를 들려주셨다.그와중에 할아버지의 두 동생들이 죽었다고한다. 만약

내동생이 죽었다면 얼마나 슬플까!

더이상 서로를 죽이는 전쟁이 한국에서 일어나지않았으면 좋겠다.

Page 71: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70

미주이민사 도입 일일교사의 체험기

1. 기본 개념 (Fundamental Concepts)

미주이민사의 준비 과정으로 일일교사를 통해 이민에 관한 이야기를 듣는다.

2. 탐구 주제 (Essential Questions, 학생들이 탐구할 의미 있는 핵심 개념에 관한 질문)

현재 살고 있는 환경과 전혀 다른 곳으로 이사를 간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

3. 교과 내용 (content, 학생들이 배워야 할 내용, 교수/학습 내용)

일일교사의 발표

4. 학습능력 (Skills, 학생들이 행동으로 보일 수 있는 능력)

일일교사의 이민생활을 듣고 자신이 궁금해 하는 부분을 물을 수 있는가?

5. 학습평가 방법: (Type, Description, Materials, Tests and Rubric)

숙제 점검

6. 교수/학습 활동(Instructional Strategies and Activities, 흥미를 유발하는 재미있는 학습 방법)

“나의 이민 경험담”장홍석 (장온유 아버님) 일일교사

중학교 때, 영어도 잘 하지 못하였을 때 부모님과 함께 전혀 새로운 나라 미국으로 이민을

오게 된 학부모의 이야기를 들으며 내가 태어나고 자란 땅을 떠나 미지의 땅으로 간다는 것이

얼마나 큰 개척정신을 요구하는 것인지를 느끼도록 한다.

일일교사와 함께하는 Q&A 세션

일일교사의 체험담을 듣고 궁금한 것을 모두 물어보는 시간을 갖는다. 이 때 학생들이 어떤

질문을 하는지 잘 파악하고 필요하면 기록을 하여 추후 미주이민사 수업 시 참고하도록 한다.

(15 분)

7. 개인지도 방법 (Differentiated Instruction, 학습에서 뒤지는 학생들을 개인 지도 하는 방법)

컴퓨터 작업 시 손을 드는 학생들을 개별 지도한다.

8. 학습 자료 (Resources and Materials, 복사 첨부하시면 좋습니다.)

9. 숙제:

n/a

Page 72: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71

<참고자료 첨부>

http://kecla.org/data/immigresource/Korean%20American%20History%20(Korean).pdf

참고자료: 미주한인역사 교수 학습자료 (제 1 장 한인 이민의 첫번째 물결)

수업 목표:

1. 초기 한인 이민의 원인을 파악

2. 하와이 플랜테이션에서 일했던 초기 한인 이민 선구자들의 역경을 이해

3. 미국사 교과서들이 한인 이민자들을 다루지 않는 점에 대한 비판적인 사고 촉진 시간: 1시간

배경:

미주 한인의 역사는 미국 학생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분야이다. 학생들에게 지금까지 자라면서 혹은 학교에

다니면서 미주 한인 역사에 대해 배운 적이 있느냐고 질문하면 대부분의 대답은 “그렇지 않다”이다. 하지만 한인

이민자들의 경험은, 비록 그것이 미국사 교과서들에서 제대로 다루어지지 않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결코 부정될 수는

없다. 다른 아시안계 이민자들과 마찬가지로 한인 이민자들은 미국의 과거와 현재를 만드는 데 능동적으로

참여해왔다.

한국은 이웃 국가들로부터 침략을 경험하면서 17세기 이후 외국의 영향을 잘 받아들이지 않았다. 1592년과 1597년

두 차례에 걸친 일본의 침략과 1627년과 1636년의 만주족 침략으로 말미암아 한반도는 황폐화되었으며 이후 한국은

250년 이상 동안 중국을 제외한 외부와의 접촉을 피하면서 “은둔의 왕국”으로 일컬어졌다. 하지만 1875년 일본 선박

운요호가 강화도 수병들에 의해 퇴각당하는 사건을 계기로 한국은 1876년 일본과 강화도조약에 서명하면서 외국과의

불리한 외교 관계를 받아들일 수밖에 없게 된다.

강화도조약으로 일본은 한국의 교역권을 차지했다. 강화도조약은 한국이 그동안 스스로에게 부과해왔던 고립을

끝내면서 궁극적으로 서구 열강들과 맺게 되는 불평등 조약의 시초가 되었다. 한반도에 외국인들이 들어오면서

국토는 전쟁터로 변했으며 청일전쟁(1894-95년)과 러일전쟁(1904-05년)을 겪게 된다. 두 차례에 걸친 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한국을 보호국으로 공식 선언했다.

이러한 사회경제적 위기의 시기에 미국의 프로테스탄트 의료 선교사이자 외교관인 호레이스 알렌은 고종에게

한인들의 하와이 이주를 허락하도록 설득했다. 당시 한국은 1900년대 초반부터 시작된 기근과 가뭄 등의 대규모 자연

재해로 말미암아 수많은 농부들의 삶이 황폐해진 상황이었는데, 이는 알렌이 고종을 설득하는 데 있어 유리한

배경으로 작용했다. 수입과 식량의 주요 원천을 잃은 농부들은 일자리를 구하기 위해 평양과 인천 등지의 항구

도시로 이주했으며 알렌은 이들 농부들에게 하와이 플랜테이션에서 일할 것을 추천했다. 하지만 선교사들(예컨대, the

Rev. George H. Jones, Dr. and Mrs. H. G. Underwood, and the Rev. Henry G. Appenzeller)이 자신들의 신도들에게

하와이, 즉 “기회로 가득찬 그리스도의 나라”로 갈 것을 적극적으로 설득할 때까지 실질적으로 고국을 떠날 생각을 한

농부들은 극소수에 불과했다.

Page 73: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72

Horace N. Allen (Photo from the Presbyterian Historical Society)

당시 신문들의 광고는 하와이에서의 삶을 크게 부각시켰다. 가난과 정치적 불안정에 허덕이던 한인들은 무료 주택,

좋은 임금, 의료 서비스 등을 약속했던 신문 광고들에 끌리기 마련이었다. 하와이에 대한 묘사 가운데는 “천국의 섬”

이라는 문구가 있었는데 이는 보다 많은 한인들이 고국을 떠나 하와이 플랜테이션에서 일하도록 유도했다. 한인들은

인력 모집책인 데이비드 데쉴러가 인천에 설립한 데쉴러 은행으로부터 돈을 빌리기도 했다. 하와이 사탕수수

플랜테이션 협회의 자본금으로만 설립된 데쉴러 은행은 한인들이 플랜테이션에 도착하여 일을 시작하면 이들이 받는

월급에서 빚을 갚는 용도로 일정액을 공제하겠다는 조건으로 100달러씩을 교통비로 빌려주었다. 선교사들과

모집책들의 적극적인 노력의 결과 다양한 배경의 한인들(전직 군인, 농부, 정부 관리, 장인, 노동자)이 하와이로

이주했다.

당시 한인들보다 먼저 하와이로 이주하여 플랜테이션에서 일하고 있던 일본인 노동자들은 낮은 임금과 열악한 노동

환경에 맞서 노동 쟁의를 벌이고 있었다. 통계에 의하면 1900년부터 1905년 사이에 일본인 노동자들은 34회의

파업을 단행한 바 있다. 따라서 농장주들은 하와이 전체 플랜테이션 노동력의 2/3 정도를 차지하고 있던 일본인

노동자들의 반란을 억누르기 위해 “다른 어떤 동양인들보다 순종적이며 고용주를 존경한다”고 알려진 한인

노동자들을 모집하는 데 커다란 관심을 보이게 됐다.

S.S. Gaelic (Photo from www.koamhistory.com)

Page 74: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73

1883년과 1902년 사이 미국에 왔던 한인들은 극소수로서 대부분은 외교관, 학생, 상인들이었다. 총 102명의 한인들을

태운 미국 상선 갤릭호가 호놀롤루 항구에 도착한 뒤에야 한인 이민자들의 숫자는 크게 증가하기 시작했다. 한인

이민자들은 하와이로 건너오기 전까지는 대부분 도시에서 살았다. 하와이에 도착한 최초의 한인 이민자들은 또한

대부분 독신 남성들이었으며 열에 아홉은 남자일 정도로 남녀 성비가 크게 균형을 잃었다. 선교사들이 한인들의

모집에 주력한 결과 1903년에서 1905년 사이에 미국에 온 한인들의 40퍼센트는 기독교 신자들이었다.

1903년부터 1905년까지 7천여 명의 한인들이 하와이로 이주했다. 하지만 1905년 을사조약이라고 알려진 제2차

한일협약이 한국과 일본 사이에 강제로 체결되면서 이민의 문호는 닫히고 말았다. 당시 일본 정부는 하와이 자국

노동자들을 한인 노동자들과의 경쟁으로부터 보호하고 미국에서 한인들이 펼치는 독립운동을 막기 위한 목적으로

비자 발급을 중단시켰다.

Easurk Emsen Charr‟s Korean passport (Photo from the photographic collection of the Korean American Archive,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Page 75: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74

한인 이민 선구자들의 하와이 생활은 매우 고달팠다. 그들은 시끄러운 사이렌 소리를 들으면서 아침 일찍 잠에서

깨어나 하루에 대략 10시간 가까이 노동하고 월급으로 고작 16달러를 받았다. 한인 노동자들은 목에 번호표를 걸친

채 하루 종일 허리조차 제대로 펼 수 없을 정도로 일했다. 사탕수수를 자르는 일은 힘든 일이었기에 한인 이민

노동자들의 손은 물집 투성이로 변하여 심하게 갈라지기도 했다. 열 살이라는 어린 나이에 하와이로 이민을 왔던

차의석은 훗날 자서전인 The Golden Mountain에서 다음과 같이 회상한다.

어른 크기만한 곡괭이가 내게 주어졌다. 나는 그 커다란 곡괭이로 가지를 자르고 뿌리를 파야 했다. 그 곡괭이는 너무

크고 무거웠으며 내 손은 너무 작고 여렸다. 얼마 지나지 않아 내 두 손바닥에는 물집이 잡혔으며 피가 흐르고

말았다.

사탕수수 플랜테이션에서는 루나(luna)라고 불렸던 감독관이 말을 타고 돌아다니면서 노동자들을 감시했다. 이들

감독관들은 일하지 않고 있는 노동자들을 발견하면 종종 채찍질을 하기도 했다. 남자들과 나란히 캠프에서 일했던

여자들은 더욱 형편없는 임금을 받아야만 했다. 어떤 여자들은 캠프에서 빨래를 하거나 옷과 음식을 만들기도 했다.

역사학자인 로널드 타카키에 의하면 “그들의 손목은 거친 노란 비누를 사용해서 부풀어 올라 피부가 벗겨져 있었다.”

Bronze of a Korean woman of Koloa plantation in Hawaii by Jan Gordon Fisher in 1985 (Photo from the Historical

Marker Database)

하와이로 이주한 한인 가운데 대략 1천여 명은 1904년과 1907년 사이에 보다 더 좋은 기회를 찾아 미국의 다른

곳으로 떠났다. 예컨대, 몇몇 한인들은 유타, 콜로라도, 와이오밍 등지의 광산으로 이동하였고 일부는 알래스카까지

이주하여 연어잡이 수산회사에서 일을 했다. 한인들은 또한 애리조나와 캘리포니아에 정착하여 철도 건설에

참여하기도 했다. 그렇지만 미 본토에 있는 한인들의 규모는 상대적으로 작아 한인들만의 독자적인 커뮤니티를

만들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수업 순서 모형:

1. 학생들에게 학교에서 미주 한인 역사에 대해 배울 기회가 있었는지 질문한다. 미주 한인 역사(Korean American

history)는 세계사 수업 시간에 배우는 한국사와 다르다는 것을 강조한다. 대부분의 경우 미주 한인 역사를 배웠다고

답하는 학생들은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학생들이 받았던 미국사 수업은 미주 한인 역사를 다루지 않기 때문이다.

2. 초기 한인 역사에 대해 토론한다. 학생들이 고학년이면 위에서 제시한 배경 부분을 복사하여 나눠 준다. 하지만

Page 76: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75

학생들이 저학년일 경우 이를 단순화시켜 이야기를 구성하는 데 이용한다.

3. 학생들에게 왜 한인들이 미국으로의 이민을 결심하게 되었는지 질문한다. 누가 그리고 어떤 상황이 이민을

촉진했는가? 기독교는 어떤 역할을 했나? 하와이 플랜테이션에서의 노동 환경은 어떠했나?

4. 학생들이 초기 한인 이민자들과 비슷한 상황에 놓일 경우 다르게 행동할지의 여부를 질문한다. 학생들이 이 질문에

대해 생각한 다음 최소한 5분 내지는 10분 가량의 시간 동안 동료들과 토론할 수 있도록 한다.

5. 학생들이 전보를 이용해 초기 한인 이민자들과 소통할 수 있는 상황을 상상하도록 한다. 한인 이민 선구자들이

해야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을 조언하는 전보를 학생들에게 작성하도록 한다.

6. 전보 메세지의 뒷장에 수신인들이 학생들의 조언에 어떻게 대응하는지 적도록 한다.

7. 메세지를 다 작성한 후에는 학생들이 답으로 적은 것들을 다른 학생들과 공유하도록 한다. 초기 한인 이민자가

조언을 잘 들으려 하지 않는다고 답을 한 학생이 있으면 메세지를 다시 한번 다듬도록 하고 그들의 이민 결정이

얼마나 어려운 일이었는지를 한번 더 강조한다.

참고문헌

1. Charr, Easurk Emsen (1961). Golden Mountain. Boston: Forum Publishing Company.

2. Choy, Bong-Youn (1979). Koreans in America. Chicago: Nelson-Hall.

3. Kim, Ronyoung (1986). Clay Walls. Seatt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4. Kwon, Ho-Youn, Kim, Kwang Chung, and Warner, R. Stephen (2001). Korean Americans and Their Religions:

Pilgrims and Missionaries from a Different Shore. University Park, PA: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5. Patterson, Wayne (2000). The Ilse: First-Generation Korean Immigrants in Hawaii, 1903-1973.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and Center for Korean Studies.

6. Patterson, Wayne (1988). The Korean Frontier in America: Immigration to Hawaii, 1896-1910.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7. Takaki, Ronald (1998). Strangers from a Different Shore. Boston: Little, Brown and Company.

Page 77: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76

미주이민사의 시작

1. 기본 개념 (Fundamental Concepts)

일제 강점기를 맞게 된 원인, 독립운동의 배경과 미주 이민사의 시작을 이해 할 수 있다

2. 탐구 주제 (Essential Questions, 학생들이 탐구할 의미 있는 핵심 개념에 관한 질문)

일제 강점기를 맞게 된 원인은? 산업혁명과 늦은 개화, 쇄국정책

일본의 수탈에 어떻게 대응 하였는가?

미주 이민사는 언제, 왜,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3. 교과 내용 (content, 학생들이 배워야 할 내용, 교수/학습 내용)

일제강점기의 시작과 원인

주된 수탈의 원인(1,2 차 세계대전) 독립운동의 시작

최초 미주 이민지 하와이 본토 진출의 역사적 배경

4. 학습능력 (Skills, 학생들이 행동으로 보일 수 있는 능력)

시대적 흐름 하에서 일제강점기를 맞게 된 원인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시대적 흐름을 놓친 교훈에 대하여 발표할 수 있다

왜 미주 이민사가 시작되었는지 설명 할 수 있다

5. 학습평가 방법: (Type, Description, Materials, Tests and Rubric)

반에서 조사한 내용을 함께 리뷰하며 몰랐던 부분을 이해한다.

6. 교수/학습 활동(Instructional Strategies and Activities, 흥미를 유발하는 재미있는 학습 방법)

• 일제강점기의 시작과 원인 – Japanese occupation period 동영상 시청

• 시대적 흐름을 이해 연표 확인

7. 개인지도 방법 (Differentiated Instruction, 학습에서 뒤지는 학생들을 개인 지도 하는 방법)

관련사항 질문하기.

8. 학습 자료 (Resources and Materials, 복사 첨부하시면 좋습니다.)

9. 숙제: 없음

10. 참고자료: 코리안 아메리칸의 발자취, 재미한인학교협의회, 2002

연도 중국 세계사 주요사건 미국사 주요사건

BC 2333~BC108 춘추전국, 진나라알렉산더 동방원정,

그리스

고구려 BC37~668

백제 BC18~660

신라 BC57~668

통일신라 668~935

발해 698~926 프랑크왕국통일

892~936

918~1392 송, 금(여진), 원(몽고)

1392~1897 명, 청

1492콜럼버스,

1642청교도혁명,

1776 미국독립선언,

1861 남북전쟁

1897~1910 청 1871 한국에 통상요구

1910~1945 중화민국1914 1차세계대전,

1939 2차2차 세계대전에 연합국으로 참전

1945 중국

한, 남북조, 수, 당

로마(동,서)

프랑크, 게르만

신성로마제국

1096 십자군전쟁

1517종교개혁, 18C

산업혁명

일제강점기

대한민국

고조선

국가

삼국시대

남북국시대

후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

대한제국

Page 78: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77

미주이민 당시의 어려움

1. 기본 개념 (Fundamental Concepts)

미주이민사에 대해 조사하기

2. 탐구 주제 (Essential Questions, 학생들이 탐구할 의미 있는 핵심 개념에 관한 질문)

한국인들이 어떻게 미국으로 이민을 오게 되었는가?

초기 미주 이민 당시의 고충은 무엇이었는가?

3. 교과 내용 (content, 학생들이 배워야 할 내용, 교수/학습 내용)

미주 이미 초기에 대한 내용을 조사하고 이를 정리하여 워드에 써서 제출한다.

4. 학습능력 (Skills, 학생들이 행동으로 보일 수 있는 능력)

초기 미주 이민사에 대해 이해한다.

5. 학습평가 방법: (Type, Description, Materials, Tests and Rubric)

반에서 조사한 내용을 함께 리뷰하며 몰랐던 부분을 이해한다.

6. 교수/학습 활동(Instructional Strategies and Activities, 흥미를 유발하는 재미있는 학습 방법)

과제 점검 (10 분)

한 명 한 명의 숙제를 모니터에서 함께 보면서 자기가 조사한 내용과 다른 점은 무엇이 있는지

점검해 본다.

7. 개인지도 방법 (Differentiated Instruction, 학습에서 뒤지는 학생들을 개인 지도 하는 방법)

컴퓨터 작업 시 손을 드는 학생들을 개별 지도한다.

8. 학습 자료 (Resources and Materials, 복사 첨부하시면 좋습니다.)

9. 숙제:

미주이민사에 대해 중요한 문장 10 개와 관련 있는 이미지들을 모아온다.

Page 79: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78

참고자료: 미주한인역사 교수 학습자료 (제 2 장 사진 신부와 한인 동포들의 독립운동)

<참고자료 첨부>

http://kecla.org/data/immigresource/Korean%20American%20History%20(Korean).pdf

수업 목표:

1. 사진 신부 이민의 역사적 배경을 이해

2. 일제 강점기 미국에서 활동했던 독립운동가들의 역할에 대한 비판적 사고 시간: 1시간-1시간 30분

배경:

인도계 및 필리핀계 미국인들과 마찬가지로 미주 한인들은 고국에서의 식민주의 뿐만 아니라 미국의 인종주의적

법으로 인해 수많은 고통을 겪었다. 예를 들어 한인 이민자들은 인종주의적인 법 때문에 집을 렌트하는 데도

어려움이 있었으며 당시에는 귀화 자격이 없는 외국인으로 분류되고 있었기에 “미국 시민으로 귀화할 수 없는 자는

토지를 소유하거나 3년 이상 리스하는 것을 금지”하는 1913년 캘리포니아 외국인 토지법이 통과된 이후에는 토지를

가질 수도 없었다. 게다가 한인들은 공공 여가 시설과 레스토랑 서비스도 누릴 수 없었다. 훗날 서울대학교 총장을

역임한 장리욱 박사는 자신이 당한 인종차별 경험을 다음과 같이 회상한다.

점심을 먹기 위해 레스토랑에 들어가 앉았죠. 그 레스토랑 안에는 손님도 그다지 많지 않았어요. 그런데 종업원이

제가 앉은 테이블에 오질 않더군요. 한참이 지난 후에 젊은 종업원 한 명이 제게 오더니 낮은 목소리로 이렇게

말하더군요. “우리는 당신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습니다. 우리가 동양인들에게 점심 식사를 서비스하기 시작하면

백인들이 이곳을 찾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죠.”

그렇지만 한인들은 강한 민족 단결의식을 지니고 있었는데 이러한 점은 고국에서의 반(反)식민주의 투쟁으로부터

연원한 것임과 동시에 한인 이민자들을 다른 이민자들로부터 구별시켜주는 것이기도 했다. 대부분의 초기 한인

이민자들은 고국에 대해 지대한 관심을 지니고 있었다. 최봉윤의 설명에 의하면 한인 이민자들은 항상 스스로를

“일시적인 체류객”으로 생각했으며 많은 시간과 열정을 고국의 독립운동에 헌신했다.

대부분의 한인들은 1902년과 1905년 사이에 이민을 떠났다. 이러한 공식적인 이민기 이후 한인들의 미국 이민은

금지당하게 된다. 일본 정부는 한인 이민자들이 하와이 플랜테이션에 있던 자국 노동자들의 권리에 방해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으며 나아가 한인들이 미국에서 반일 활동에 참여할 것이라고 믿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한인 여성들은 사진 신부 자격으로 미국에 입국할 수 있었다.

당시 미국법은 인종간 결혼을 금지했으며 그 결과 미국으로 이주한 한인 총각들은 배우자를 찾는 데 어려움이 많았다.

이는 결국 하와이 초기 한인 이민자들의 90퍼센트는 남성이라는 극심한 성비 파괴로 귀결되었다. 사진 신부는 미국에

오고자 하는 한국의 여성들에게 한인 이민 남성들의 사진을 보여주고 미국으로 건너와 사진 속의 남자와 결혼하도록

하는 관행으로부터 비롯되었다. 소냐 신 선우에 따르면 일본 정부측은 이러한 사진 신부 관행을 한인 이민자들의

정치적 열정을 억누를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으로 간주했다. 사진 신부 입장에서 보자면 이 관행은 전통적인 유교

사회가 부과하던 젠더 역할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Page 80: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79

Korean picture brides (Photo from the Honolulu Advertiser)

사진 신부의 미국 이민은 1910년 한일합방과 함께 시작되었다. 한일합방 이후 한국인들은 일본의 식민지 국민으로

간주되었는데 사진 신부들은 이러한 식민지 국민이라는 자격으로 1907년에 미국과 일본이 체결한 신사협정의 조항,

즉 일본 이민자의 아내와 자녀들에게 미국 이민을 허락한다는 조항을 이용하여 미국에 이민을 올 수 있었다. 그 결과

1910년부터 모든 아시안들의 미국 이민이 금지되었던 1924년까지 9백여 명 이상의 사진 신부들이 하와이에 왔으며

1백여 명 이상은 미국 본토로 가서 한인 이민 남성들과 결혼하였다.

대부분의 사진 신부들은 남편보다 훨씬 어렸다. 사실상 많은 수의 한인 이민 남성들은 자신들이 하와이에 처음

도착했을 때 찍은 사진을 한국에 보냈다. 따라서 사진 속의 인물은 훨씬 젊어 보이기 마련이었다. 사진 신부였던 애나

최씨는 결혼할 당시 15세였다. 그녀는 남편을 처음 만났을 때를 이렇게 회상하며 씁쓸해했다. “약혼자를 처음 만났을

때 저는 제 눈을 의심했어요...그이는 흰머리가 많았고 사진 속의 남자와 조금도 닮지 않았더라구요. 그이는 당시 마흔

여섯살이었어요.” 많은 수의 사진 신부들이 남편에게 실망했지만 대부분의 경우에는 미국에 남기로 결심했다.

왜냐하면 비록 나이가 든 신랑일지라도 그들과의 결혼을 거절한다는 것은 본국으로 돌아가야만 함을 의미했기

때문이었다. 사진 신부였던 다른 한 여인은 이렇게 말한다. “저는 팔일 동안 울었어요. 방에서 나오지도 않았죠.

그러다가 저는 만약 결혼을 하지 않는다면 배를 타고 한국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죠. 그래서 아홉 번째

되던 날 방에서 나와 결국 그이와 결혼했어요. 하지만 전 석 달 동안 그이와 말도 안 했답니다.”

Page 81: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80

사진 신부들이 미국으로 와서 한인 남성들과 결혼하면서 비로소 미국에 한인커뮤니티가 형성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대부분의 한인 이민자들은 미국에서 돈을 번 뒤 고국으로 돌아갈 계획을 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1910년 한국이

일본에 합병됐다는 소식을 접했을 때 이들 한인 이민자들은 언젠가 돌아가기만을 손꼽아 기다렸던 고국이 없어진

사실을 매우 슬퍼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슬픔과 비애는 한인들이 민족 단결의식을 키우도록 도왔다. 한인들은 미국에서 일본의 식민주의에

저항하는 독립운동에 참여했다. 그들은 조국을 사랑하는 마음에서 애국 자금을 마련해 고국에 보냈으며 미국에 정치

조직과 군사 학교를 건설하기도 했다. 요컨대 한인 이민자들은 “고국이 없어지면서 과거에 묶이고 말았다.” 일레인

김이 말하듯이 한인 이민자들은 “낮에는 농부, 웨이터, 하인으로 일했지만 밤에는 모두 독립 운동가들이 되었다.”

“Protesters against Japan trade” (Photo from the photographic collection of the Korean American Archive,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상당수의 한인들은 일제 식민주의로부터 독립을 쟁취하기 위해 교육에 매달리기도 했다. 그 결과 한인 이민자들의

문맹율은 1920년까지 미국 내 아시안들 가운데 가장 낮았다. 한인들은 또한 미국에서 태어난 자녀들에게 한국의

역사와 언어를 가르치기 위해 학교를 세우기도 했다. 언어가 민족 정체성의 근간임을 인식한 한인들은 새크라멘토,

샌프란시스코, 디누바, 리들리, 델라노, 스탁턴, 맨테카, 리버사이드, 클레어몬트, 업랜드, 로스앤젤레스 등의 지역에

한글 학교를 설립했다. 목사를 비롯해 많은 수의 한인 이민자들이 교사로 봉사했으며 이들은 성경과 한글 신문을

Page 82: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81

교재로 사용했다.

학교에서 교회의 영향력은 널리 퍼졌다. 1918년까지 하와이에서는 39개의 교회가 이민자 자녀들에게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가르쳤다. 1920년에는 대략 8백여 명의 한인들이 한글 학교에 다녔으며 이 수치는 하와이 공립학교에 등록한

한인들의 숫자보다 많은 것이었다. 한글 학교에 대한 한인들의 열의는 한인 교회들이 갖고 있는 조직력 뿐만 아니라

일본제국주의에 맞서는 한인들의 커다란 애국심을 잘 보여주었다.

교회는 한인 이민자들의 독립운동을 위한 중요한 공간이기도 했다. 교회는 한인 이민자들이 모여 정치 활동을 벌이는

회합 장소였다. 당시 활동가들 가운데는 안창호, 이승만, 박용만, 서재필과 같이 미국에서의 독립운동을 이끌었던 중요

인물들도 포함된다. 이들은 모두 한인 이민자들이 단결하여 고국에 대한 충성을 보일 필요가 있다고 믿었으나 서로

상이한 전망을 지니고 있었으며 그 결과 자신들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전술도 각각 달랐다. 박용만은 군사적

접근을 주장했으며 일본에 맞서 젊은이들을 무장시키기 위해 군사 학교을 추진했다. 이승만과 서재필은 독립을

쟁취하기 위한 방도로 외교와 홍보를 강조했지만 안창호는 교육의 힘에 주목했다. 특히 안창호는 한인 이민자들의

문화적 갱생과 애국적 리더십의 형성에 힘을 쏟았다. 훗날 안창호는 학교를 설립했으며 상해 임시정부에서 노동국

총판을 맡기도 했다.

Chang Ho Ahn (below center) and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in Shanghai (Photo from www.dosan.org)

Page 83: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82

강제로 고국과 단절된 한인 이민자들은 종종 일본인으로 오해를 받기도 했는데 이럴 때마다 한인들은 일본인들과

자신들을 분명히 구별해줄 것을 요구했다. 예를 들어 이광손이라는 한인은 일본인과 한인을 구별하지 못하는 그녀의

역사 교사에게 화를 내며 이렇게 말했다. “어떻게 선생님은 한국인이 누구인지도 모르시죠? 역사 선생님 맞나요?”

1908년에 일어난 한 사건은 한인들이 고국에 대해 지니고 있는 애국심을 잘 보여준다. 일본 정부가 고용한 미국인

스티븐스는 일본의 지배로 인해 식민지 한국인들이 혜택을 입고 있으며 한국인들은 자치를 하기에 적합하지 않다는

내용의 발언을 공개적으로 한 바 있다. 스티븐스의 발언이 San Francisco Chronicle 신문에 기사화되자 이에 분노한

한인 이민자들은 스티븐스에게 일본 제국주의를 정당화한 것에 대한 공식적인 사과를 요청했다. 이러한 요구가

거절되자 한인들은 스티븐스에게 항의했는데 당시 이들 가운데 한 명이었던 장인환은 권총을 꺼내 그를 사살했다.

이를 이유로 장인환은 결국 체포되었으나 법정에서 그는 스티븐스를 “한국을 배반한 자”로 규탄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배반자를 죽였다는 이유로 죽는다는 것은 영광이다. 나는 우리 민족을 위해 이 일을 했을 뿐이다.” 많은

수의 한인들이 장인환의 석방을 위해 모여들었고 기부금을 내기도 했다. 비록 장인환을 구하려는 한인들의 노력은

실패하여 그는 샌 퀸틴 주립 형무소에 25년 동안 수감된다는 평결을 받았지만 장인환은 한인 이민 커뮤니티에

영웅으로 남게 됐다.

수업 순서 모형:

1. 초기 한인 이민에 대한 지난 시간 수업의 내용을 짧고 재미있게 복습하면서 시작한다. 예를 들어 학생들에게

하와이 노동 환경은 어떠했으며 왜 한인들이 하와이 플랜테이션으로 이주하기를 결심했는지 질문한다. 상당수의

한인들은 하와이에 머물지 않고 돈을 번 뒤 고국으로 돌아갈 계획이었음을 강조한다.

2. 배경 정보를 이용하여 일제 식민통치 시기 한인들의 생활상이 어떠했을까에 대해 토론한다.

3. 사진 신부라는 관행을 소개하고 왜 그들이 일본 여권을 지니고 하와이로 이민왔는지 설명한다.

4. 고국이 일본 식민지가 되었다는 것을 알았을 때 한인들이 어떤 생각을 했을지 질문한다. 생각할 시간을 5분 내지는

10분 정도 주고 답을 적도록 한다.

5. 학생들이 답을 적은 다음에 옆 자리 학생과 서로 공유하도록 한다. 몇몇 학생들을 뽑아 반 전체 학생들에게

자신들의 답을 발표하도록 한다.

6. 전체 학생들을 소그룹으로 나눈다. 그룹당 대략 네 명의 학생이 적합하다. 배경 정보를 이용하여 학생들에게

독립운동가들(이승만, 안창호, 박용만, 서재필)에 대한 다양한 설명들을 제공한다. 또한 학생들에게 포스터 크기의

종이를 나누어 주면서 이들 독립운동가들을 설명하는 개요를 작성하도록 한다.

7. 각각 그룹의 대표를 선출하도록 하여 이들 대표들이 전체 학생들을 상대로 개요를 발표하도록 한다.

8. 발표가 끝나면 위의 활동가들이 독립을 쟁취하기 위해 택한 접근들에 대해 토론한다.

참고문헌

1. Chan, Sucheng (1991). Asian Americans: An Interpretive History. Boston: Twayne Publishers.

2. Chang, Edward T. (1995). Following the Footsteps of Korean Americans. Cerritos, CA: Pacific Institute for

Peacemaking.

3. Jo, Moon H. (1999). Korean Immigrants and the Challenge of Adjustment. Westport, CT: Greenwood Press.

4. Kim, Lili M. (2003). “Redefining the Boundaries of Traditional Gender Roles: Korean Picture Brides, Pioneer

Korean Immigrant Women, and Their Benevolent Nationalism in Hawaii.” In Shirley Hune and Gail M. Nomura

(Eds.), Asian/Pacific Islander American Women: A Historical Anthology. NY: New York University Press.

5. Patterson, Wayne (2000). The Ilse: First-Generation Korean Immigrants in Hawaii, 1903-1973.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and Center for Korean Studies.

6. Sunoo, Sonia Shinn (2002). Korean Picture Brides, 1903-1920: A Collection of Oral Histories. Philadelphia: Xlibris.

7. Takaki, Ronald (1998). Strangers from a Different Shore. Boston: Little, Brown and Company.

Page 84: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83

미주이민사 동영상 만들기

1. 기본 개념 (Fundamental Concepts)

미주이민사의 내용으로 동영상 학습자료를 만들어 본다.

2. 탐구 주제 (Essential Questions, 학생들이 탐구할 의미 있는 핵심 개념에 관한 질문)

Windows Live Movie Maker 의 역할은 무엇인가?

이미지와 동영상, 음악, 자막을 서로 편집하여 어떻게 내가 원하는 하나의 동영상으로 만들

수 있는가?

3. 교과 내용 (content, 학생들이 배워야 할 내용, 교수/학습 내용)

Windows Live Movie Maker 편집하기

4. 학습능력 (Skills, 학생들이 행동으로 보일 수 있는 능력)

Windows Live Movie Maker 를 사용할 수 있다.

동영상 파일을 만들 수 있다.

5. 학습평가 방법: (Type, Description, Materials, Tests and Rubric)

자신만의 동영상을 만들어 제출한다.

6. 교수/학습 활동(Instructional Strategies and Activities, 흥미를 유발하는 재미있는 학습 방법)

과제 점검 (10 분) 숙제를 점검한다.

Windows Live Movie Maker 기초 기능을 설명한다 (1 시간 20 분)

지난 주 숙제를 통해 준비한 자료들을 이용하여 자신만의 동영상을 만들어본다. (30 분)

7. 개인지도 방법 (Differentiated Instruction, 학습에서 뒤지는 학생들을 개인 지도 하는 방법)

컴퓨터 작업 시 손을 드는 학생들을 개별 지도한다.

8. 학습 자료 (Resources and Materials, 복사 첨부하시면 좋습니다.)

9. 숙제:

미주이민사에 대한 동영상을 만들어 온다.

([email protected])

Page 85: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84

학생작품 (미주이민사 동영상)

윤도영

http://www.youtube.com/watch?v=ZappPRsUvKA&fe

ature=share&list=UUF_hOAzeGT0_5q0IYTlfP0g

윤도웅

http://youtu.be/4NuGt-mZ4eA

김수진, 김민진, 김하은

http://www.youtube.com/watch?v=QKUFW0rDGlc&

feature=share&list=UUF_hOAzeGT0_5q0IYTlfP0g

장온유

http://youtu.be/i3E8-EguKIA

Page 86: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85

참고자료: 미주한인역사 교수 학습자료 (제 3 장 한국전쟁과 제 2 차 이민 물결)

<참고자료 첨부>

http://kecla.org/data/immigresource/Korean%20American%20History%20(Korean).pdf

수업 목표:

1. 한국전쟁의 결과에 대한 토론을 촉진 To encourage debate on the consequences of the Korean War

2. 한국전쟁 직후 미국에 이민을 왔던 한인들의 복합성과 특수한 상황에 관한 이해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complexity and unusual circumstances of the Korean Americans who immigrated to the United States immediately

after the Korean War

시간: 1시간-1시간 30분

배경:

Liberation of Korea from Japanese colonial rule

(Photo from the Organization of Korean Historians)

1945년 한국은 마침내 일본으로부터 독립을 쟁취했다. 하지만 주권 국가를 이루려는 한국의 소망은 냉전으로부터

점차 위협을 받게 된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소련과 미국의 갈등은 한반도를 1950년 6월 25일부터 정전협정이

이루어진 1953년 7월 27일까지 전쟁터로 탈바꿈시켰다. 한국인들은 한국전쟁을 보통 육이오(6월 25일)라고 부른다.

왜냐하면 이 날은 북한군이 위도 38도 분계선, 즉 1945년 포츠담 회의에서 미군측이 남한과 북한 사이에 설정한

경계선을 넘은 날이기 때문이다.

한국전쟁은 많은 수의 한국인들에게 파괴적인 결과를 안겨주었다. 램지 림에 따르면, 3년 동안의 전쟁에서 3백만 명에

달하는 민간인들이 목숨을 잃었으며 대략 2백만 명의 군인이 전투 과정에서 죽거나 크게 부상을 입었다. 전쟁으로

말미암아 한반도는 비무장지대를 경계로 다시 둘로 분리되었으며 그 결과 수많은 가족들이 생이별을 겪을 수밖에

없었다. 한국적십자의 보고에 의하면 이산 가족의 숫자는 1천만 명에 달하고 있다.

Page 87: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86

엄청난 사망자 숫자와 한국인들이 겪어야만 했던 끔찍함에도 불구하고 미국인들에게 한국전쟁은 제2차 세계대전의

승리와 베트남 전쟁의 패배에 의해 가려진 “잊혀진 전쟁”으로 남아 있다.

Korean refugees in P„ohang on August 12, 1950 (Photo from Harry S. Truman Library and Museum Photograph

Database)

한국전쟁으로 수많은 미군이 남한에 주둔하였다. 연구에 의하면 한국전쟁에 참전한 미군의 숫자는 3십3만 명에

달했다. 이들 가운데 7만 명은 1953년 10월 1일 체결된 한미상호방호조약에 따라 남한에 주둔하게 되었다. 미군의

주둔은 한국인의 삶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특히 미군 기지에 고용되었거나 그 주변에서 일하던 여성들에게 미군

주둔은 가장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한국 여성들은 미군 기지에서 통역관, 사무원, 리셉셔니스트, 캐시어, 요리사,

웨이트리스 등으로 일했다. 여성들은 미군 기지 밖에 있는 바와 클럽 같은 곳에서 일하기도 했다. 이들 여성들에게

미군은 물질적 풍요라는 이상을 표상했다. 한국 여성들은 또한 미군과의 결혼을 한국 사회의 가부장제를 벗어나는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했다. 1945년 전쟁 신부 법안이 통과되면서 미군의 아내들은 쿼터의 제한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미국으로 이민을 올 수 있었다. 약 6천여 명의 한국 여성들이 미군의 아내 자격으로 이민을 왔으며 이는

1950년에서 1964년 사이 전체 한인 이민자들의 40퍼센트를 차지하는 규모였다. 이러한 이민 물결을 제2차 이민

물결이라고 부른다. 미군의 아내로 이민을 온 한국 여성들의 숫자는 1970년대와 1980년대 각각 약 4만 명씩을

기록하며 정점에 달했다.

이들은 미국에 도착한 이후 자신들의 커뮤니티를 형성하기 시작했다. 한국인들은 미군의 한인 아내를 매춘부와

연관시켰으며 이러한 오명의 결과 이들은 한인 커뮤니티에서 배척의 대상이 되었다. 미군의 한인 아내는 또한

인종주의와 문화적 고립으로 말미암아 미국 주류 사회에 완벽하게 섞이지도 못했다. 한인 아내를 둔 남편들은 아내가

아시안 여성들에 대한 오리엔탈리즘적인 특색들, 즉 “유순하고 복종적이며 가정적인” 특색들을 지니고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들 여성들은 자녀들을 한국어와 영어를 사용하고 양쪽의 문화에 익숙한 아이들로 키우고자 했지만

이른바 정상적인 미국식으로 키워야만 한다는 압력도 많이 받았다. 그렇지만 이들은 자신들이 형성한 커뮤니티

안에서는 그들만의 고유한 어려움을 함께 나눌 수 있었다.

Page 88: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87

Young Ja Wike (left) on a documentary film And Thereafter: A Korean “War Bride” in an Alien Land (2004)

directed by Hosup Lee (Photo from KoreAm Journal)

Adopted Korean War orphan, Kang Koo Ri in 1956 (Photo from Time magazine)

비슷한 시기에 미국에 이민을 온 한인으로는 전쟁 고아 혹은 혼혈 아이들이 있었다. 한국전쟁의 결과 수많은

아이들이 고아가 되었으며 몇몇 부모들은 극심한 어려움과 가난 때문에 아이들을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 많은 수의

부모들은 미국이 자녀들에게 더 좋은 기회를 주리라 믿었기에 고통스러웠지만 입양을 선택했다. 대략 5천 명 가량의

아이들이 입양되었으며 이들 가운데는 여자 아이들이 훨씬 더 많았다. 미군의 아내로 이민을 왔던 한인 여성들과

한인 입양 여자 아이들은 1950년대와 1960년대 한인 이민자들의 70퍼센트 가량을 차지했다.

입양된 한인 아이들은 대부분 백인 중산층 지역에서 성장했으며 한인들과 접촉할 기회를 갖지 못했다. 한인 아이들을

입양한 부모들은 아이들에게 한국 문화를 가르치기 보다는 미국 주류 사회에 동화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고 믿었다.

그 결과 상당수의 입양 한인들은 자신들의 유산과 문화에 대해 배울 기회가 없이 성장했다. 하지만 입양 한인들은

최근 자신들이 겪었던 고립과 차별에 대해 말하기 시작했다. 그들은 또한 여러 후원 단체들(the Korean American

Adoptee and Adoptive Family Network, the Adopted Korean Connection, the Boston Korean Adoptees, the Korean

Adoptees of Hawaii 등등)을 만들면서 독립적이지만 공통적인 자신들만의 정체성을 형성하기 시작했다.

Page 89: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88

마지막으로 한국전쟁이 가져온 또 하나의 결과는 고등교육을 받은 한인들의 미국 이민이었다. 미국의 문화적

지배로부터 영향을 받은 약 6천여 명 가량의 한국 학생들이 1945년과 1965년 사이에 보다 수준 높은 교육을 받기

위해 미국에 들어왔다. 이들 가운데 몇몇 학생들은 학위를 마친 뒤에 한국으로 돌아갔지만 대부분은 미국에 머물면서

영주권을 받았으며 일부는 미국 시민으로 귀화했다.

수업 순서 모형:

1. 칠판에 “한국전쟁”이라는 단어를 쓰고 학생들에게 어떤 생각이 나는지 질문한다. 이것은 한국전쟁에 대한 학생들의

사전 지식을 가늠하는 방법이다. 만약 학생들이 한국전쟁에 대해 잘 모르고 있으면 한국전쟁은 제2차 세계대전과

베트남 전쟁에 가려져 미국인들에게 “잊혀진 전쟁”으로 간주되고 있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2. 한국전쟁이 한국인들에게, 특히 전쟁 고아와 미군의 아내가 된 사람들에게 어떤 결과를 미쳤는지 토론한다.

3. 토론을 마친 뒤에 학생들을 교실의 한 쪽 끝으로 이동시킨다. 교사는 아래 내용을 하나씩 읽는다. 교사가 한

문장을 읽으면 학생들은 각각 “찬성” “반대”라고 적힌 교실 벽면으로 이동한다. 각각의 문장을 천천히 읽고 필요한

경우 되풀이하여 설명한다.

한국은 평화를 위해 전쟁을 해야만 했다.

Koreans had to fight the war in order to bring peace.

미군 주둔은 한국인들에게 커다란 축복이었다.

The presence of American military personnel was a great blessing for people in Korea.

미군의 도움이 없었다면 한국은 근대화되지 못했을 것이다.

If not for the help of American soldiers, Korea would not have modernized.

한인 입양 아이들은 운이 좋아 미국에 새로운 가정을 찾게 되었다.

Korean adoptees were fortunate to find a new home in America.

미군의 한인 아내들은 남편과 함께 미국으로 건너오기 위해 커다란 결심을 했다.

Military brides made a great decision to immigrate to the United States with their American husbands.

한국전쟁에서 미군이 없었다면 내가 현재 미국에서 누리고 있는 삶은 불가능했을 것이다.

If not for the presence of the United States during the Korean War, I would not enjoy the life I have in America

today.

소련과 미국 사이에 갈등이 없었다면 한국은 둘로 갈라지지 않았을 것이다.

Korea would not have been divided into two nations if the conflict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did not exist.

4. 위의 모든 문장을 읽고 학생들이 자신들의 이데올로기에 따라 구분된 다음에는 학생들에게 선택의 이유를 묻는다. After each statement is read and once students are divided along the ideological lines, ask students why they have

chosen one side over the other.

5. 각각의 진술문에 대해 학생들은 중간 지대를 택하거나 “아마도”라고 대답할 수 없다. 모든 학생들은 어느 한

쪽만을 택해야 하며 자신의 선택에 대해 이유를 설명해야 한다. 시간 절약을 위해 두세 명의 학생이 양측을 대표하여

Page 90: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89

발언하도록 한다.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교사는 학생들을 지명하도록 한다. 교사는 학생들에게 모든 대화는

존중받아야 하며 공평하고 불필요한 갈등이 없어야 함을 분명히 알려준다. 교사는 비판적인 사고 능력을 길러주기

위해 일부러 학생들의 생각에 대해 반대 의견을 말할 수 있다. 간혹 갈등이 격화될 경우 교사는 학생들에게

교실에서의 행위가 개인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고 다시 한번 강조한다.

6. 모든 활동이 종료되면 교사는 그로부터 도출된 공통적인 생각들에 대해 토론하도록 한다. 이상의 활동은 반대를

격려하기 위함이 아니라 학생들로 하여금 상반되는 개인 견해에도 불구하고 공통의 이해관계들이 존재함을 깨닫도록

돕는 것이다. 예컨대, 학생들은 전쟁은 최후의 수단이어야 하고 미국의 군사적 개입이 언제나 정당화되는 것은

아니라는 생각에 동의할 수도 있다.

참고문헌

1. Chan, Sucheng (1991). Asian Americans: An Interpretive History. Boston: Twayne Publishers.

2. Kim, Bok-Lim C. (1977). “Asian Wives of U.S. Servicemen: Women in Shadows.” Amerasia Journal, 4(1), 91-115.

3. Lee, Daniel Booduck (1990). “Marital Adjustment between Korean Women and American Servicemen.” In Hyung

Chan Kim and Eun Ho Lee (Eds.), Koreans in America: Dreams and Realities. Seoul: Institute of Korean Studies.

4. Liem, Ramsay (2005). “Creating Still Present Pasts: Korean Americans and the „Forgotten War.‟” In Ramsey Liem

and Seung-Hee Jeon (Eds.), Still Present Pasts: Korean Americans and the “Forgotten War.” Chestnut Hill, Mass.: Still

Present Pasts.

5. Paik, Sook Ja, and Kim, Dong Soo (1998). “Revisioning of Family Reunions: A Case of Korean American Women

and Their Families Separated by War.” In Young I. Song and Alice Moon (Eds.), Korean American Women: From

Tradition to Modern Feminism. Westport, CT: Praeger.

6. Yoon, In-Jin (2005). “Korean Diaspora.” In Melvin Ember, Carol R. Ember, and Ian Skoggard (Eds.), Encyclopedia

of Diasporas: Immigrant and Refugee Culture around the World. NY: Springer.

7. Yoon, In-Jin (1997). On My Own: Korean Businesses and Race Relations in America.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8. Yuh, Ji-Yeon (2003). “Imagined Community: Sisterhood and Resistance among Korean Military Brides in America,

1950-1996.” In Shirley Hune and Gail M. Nomura (Eds.), Asian/Pacific Islander American Women: A Historical

Anthology. NY: New York University Press.

Page 91: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90

시각장애인으로 미국 백악관 차관보까지 오른 강영우 박사

1. 기본 개념 (Fundamental Concepts)

• 미국에 이민 온 이민 1 세 강영우 박사의 일생을 학습한 후, 장애를 이기고 미래를 위해

도전할 수 있는 원동력은 무엇인지 이해한다.

2. 탐구 주제 (Essential Questions, 학생들이 탐구할 의미 있는 핵심 개념에 관한 질문)

• 눈이 보이지 않는다는 것은 어떤 어려움을 의미하는가?

• 어려움이 왔을 때 어떤 자세를 가져야 미래를 위해 도전할 수 있는가?

3. 교과 내용 (content, 학생들이 배워야 할 내용, 교수/학습 내용)

• 학생들에게 눈을 감으라고 한다. 교사는 펜을 잡는다. 학생들에게 교사의 손에 무엇이

있는지 맞춰보라고 묻는다. 눈을 뜨게 한 후 같은 내용을 반복한다.

• “눈이 안보인다면 어떤 불편함이 있을까요?” 질문을 하고 학생들이 생각하는 다양한

불편함에 대한 대답을 듣는다.

• 강영우 박사의 큰 아들 진석군이 어렸을 때 “우리 아빠는 운전도 못해요, 야구도 못해요,

그리고 자전거 타는 것도 못 가르쳐줘요.”라고 사람들에게 말하는 것을 듣고, 강영우 박사는

아들과 함께 잠자리 교육을 하였다. 불을 끄고 침대에 누운 아들에게 그는 이렇게 말했다.

“맹인인 아빠가 눈뜬 엄마보다 더 잘할 수 있는 것도 있단다.” “아빠 그게 뭐야” “눈뜬

엄마는 불을 끄면 너한테 그림동화도 못 읽어주지?” “하지만 아빠는 이렇게 불을 끄고도

어둠속에서 (점자로) 성경 이야기를 들려줄 수 있잖니.” “어 정말이네~. 아빠, 아빠가 눈 뜬

사람보다 더 잘하는 것이 있구나.” (자서전 ‘원동력’에서. 2011년 두란노 서원 출판)

• “어떤 상황에 처했을 때 한 사람은 못하는 것을 생각하고, 다른 한 사람은 잘 하는 것을

생각한다면 어떤 사람이 성공할까요?”

고난과 역경을 받아들이는 자세에 따라

그 사람의 미래가 완전히 달라질 수

있음을 이야기 해 본다.

• 강박사에게는 시각 장애가 장애가

아니었다. 재미동포로서는 최초로

미국백악관 국가장애위원회

정책차관보까지 지냈음을 알려준다.

• 강영우 박사에게는 부인 석은옥 여사가

있었다. 이와 같이 다른 사람에게 좋은

영향력을 끼칠 수 있는 사람이 된다는

것이 얼마나 큰 의미가 있는지도 함께

나누어 본다.

4. 학습능력 (Skills, 학생들이 행동으로 보일 수 있는 능력)

• 자신이 처한 어려움과 강영우 박사의 어려움을 비교해보며 극복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는다.

Page 92: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91

5. 학습평가 방법: (Type, Description, Materials, Tests and Rubric)

• n/a

6. 교수/학습 활동(Instructional Strategies and Activities, 흥미를 유발하는 재미있는 학습 방법)

• 2011 09 30 온양한올고등학교 학교공개 강영우 박사 주제강연 동영상 시청

http://youtu.be/c1UTaUUOaP4

7. 개인지도 방법 (Differentiated Instruction, 학습에서 뒤지는 학생들을 개인 지도 하는 방법)

8. 숙제:

현재 내가 감사하는 것들 10 가지 써 오기.

학습자료: 강영우 박사의 일생

http://www.gospelherald.com/article/ministries/27088/never-never-never-give-up-a-seminar-

hosted-by-blind-scholar-dr-young-woo-kang.htm

“Never, Never, Never Give Up” – A Seminar Hosted by Blind Scholar Dr. Young-Woo Kang

Joanna Wong

Gospel Herald Reporter

Wed, May, 25 2005 05:58 AM PT

Introduction of Dr. Kang

Dr. Young-Woo Kang is an influential and well-respected professional

educator. Even though he is blind and disabled, he has received the Asian

American Society Outstanding Contribution and Achievement Award in

2001. His determination to turn weaknesses into assets throughout his life

has help forg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lives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throughout the world. Dr. Kang also raised his two sons to

receive PhDs. He was the first blind person to receive PhD in Korea, and

he has published many books that were widely read and very well-

received. Not only was he invited by many Korean and overseas churches,

schools, and societal organizations to speak, he was nominated by

President Bush to be the chairman of the United States National Council

on Disability, an independent federal agency which makes recommendations to the President and

Congress on issues affecting 54 million Americans with disabilities, and the senate has passed the

nomination in 2001.

Changing attitudes can change your life

Page 93: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92

Using the example of educating his two sons, Dr. Kang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n affective

education. “When my older son was three years old, he prayed wishing that his dad can see, so his

dad can teach him how to ride a bicycle, play baseball….in his heart, he has a very pessimistic outlook

towards those with disabilities. He treated people with disabilities as useless. He felt that his dad

cannot do this, nor do that. Anyways, he cannot do anything.”

Dr. Kang was determined to change his son’s viewpoint towards the disabled, because he does not

want his son to grow up thinking that his dad’s disability is something to be ashamed of.

“Because I wanted to change his viewpoint, so I told him that even though Dad cannot see, but there

are things that I am better at than those that can see. For example, Mom cannot read anymore once

the light is closed, and she cannot read the bible to you, but Dad can.”

After saying this, Dr. Kang’s son’s thoughts changed, for his son started seeing that there are some

things that his father does better than others. Ten years later, when the older son was about to take

the Harvard entrance exam, he picked the topic “The Most Unforgettible Thing in His Life.” Dr. Kang

said, “My son wrote about the story of how his father read a picture book to him.” He wrote, “Even

though my father cannot see, but he has a pair of eyes that can see the future and life. It is not I who

lead him because I can see, but rather it is my dad who lead my life even though he cannot see. I

learned how to use my dad’s viewpoint to view the world, so I am grateful to have a father who is

blind.”

Dr. Kang’s son was accepted by Harvard University. The registration office contacted Dr. Kang saying

that he will be proud of his son. In actuality, there are many students who had higher scores than his

son, but they were not accepted, because Harvard University grades upon a standard not solely based

on IQ or academic grades; they like people with a clear direction and positive attitudes and

perspectives. As a result, Dr. Kang’s son was accepted.

Faith helped him find the meaning of his life.

In middle school, Dr. Kang lost his eye sight in a sports injury. Within the first four year after he lost

his eye sight, he lost three relatives. He lost his father, mother, and sister. He said, “I have lost the

meaning to continue living.” In the hospital, he has thought about committing suicide, because he

does not have any hope in living. He felt he is the failure of life.

But faith has become his greatest source of strength. Dr. Kang said, “Faith plays a very important part

of finding out the meaning of life. When I was 17-years-old, I started attending a middle school for

the blind. At that time, I self-pitied a lot, but I found the meaning of life through faith. I thought that

even though I am living very sadly, I will glorify God after 10 to 20 years.”

Page 94: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93

Follow us

Thus, he set a life goal of 30 years, and he told himself that no matter what kind of obstacle or

difficulties he may experience, he will work hard to reach that goal. Afterwards, he started to write

books, and these books are published in different languages. The United States President was touched

by the books that he wrote, so he invited Dr. Kang to speak at the White House. Later, he became a

very famous public speaker and author.

Dr. Kang encouraged everyone, “I hope everyone can find the meaning of their lives. Our lives are

very precious. If everyone believes that when you seek, then your life will change. After we set the

goals in our lives, even when there are times of despair and difficulties, and times where we want to

give up, we must find that source of strength. And that source of strength comes from faith. In faith,

there is nothing impossible.”

In conclusion, Dr. Kang stated three points for the seminar:

1. To change everyone’s mindset and attitude.

2. To have clear goals and dreams.

3. Never, never, never give up.

[세계인 한국인] 美 부시 정부 백악관 정책차관보 지낸 시각장애인 姜永祐 박사

어둠속에서 점자로 동화 읽어준 아들도 代를 이어 백악관 근무

http://monthly.chosun.com/client/news/viw.asp?nNewsNumb=200912100023&ctcd=E&cpage=1

강 박사는 가난과 장애의 벽을 딛고 미국 주류사회에서 성공한 韓人(한인) 1 세대다. 1944 년 경기도

양평에서 태어난 그는 어린 시절 아버지를 여의었고, 덕수중 1 학년 때 축구공에 맞아 두 눈이

실명됐다.

뒤이어 어머니와 생계를 맡았던 누나가 세상을 떠나는 바람에 소년 家長(가장)이 됐다. 당시

18 세이던 강 박사는 서울 맹학교로, 13 세이던 남동생은 철물점 직원으로, 9 세이던 여동생은

보육원으로 뿔뿔이 흩어졌다.

서울 맹학교 시절 만난 지금의 부인 石銀玉(석은옥)씨는 암흑천지에 놓인 그를 구원한 등불이요

지팡이였다. 강 박사는 부인 석은옥씨를 서울맹학교 1 학년 때 만났다. 당시 숙명여대 1 학년에 재학

중이던 석씨는 걸스카우트 단원으로 시각장애인인 그를 돕기 위해 서울맹학교를 방문했다가, 그게

인연이 돼 평생 반려자가 됐다.

Page 95: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94

두 사람은 1972 년 결혼했는데, 석씨의 가족들이 정상인인 무남독녀 외동딸이 시각장애인과

결혼하는 것을 심하게 반대하는 바람에 어렵게 결혼했다고 한다.

그는 부인 석씨의 헌신적인 사랑과 내조로 1972 년 연세대 교육학과를 차석으로 졸업했다. 이해에

국제로터리재단의 장학금을 받고 渡美(도미), 피츠버그대에서 3 년 8 개월 만에 석·박사(교육학

전공·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백악관 국가장애위원회 정책차관보에 발탁

이후 노스이스턴 일리노이대 교수와 인디애나주정부 특수교육국장으로 근무하는 한편 유엔

세계장애위원회 부의장으로 활동했다. 2001 년에는 부시 정권 1 기 출범과 함께 미국 백악관

국가장애위원회 정책차관보에 발탁돼 5400 만 미국 장애인들의 인권과 복지 향상을 위해 많은 일을

했다. 그 공로로 버지니아주 인권위원회 선정 ‘올해의 인권상’(2006), 미국 루스벨트재단 선정

‘127 인의 공로자’(2006), 자랑스러운 연세인상(2007), 피츠버그대 선정 ‘올해의 자랑스러운

동문상’(2008), 국제로터리재단 선정 ‘올해의 지구촌 인권 박애상’ 등을 수상했다.

그의 인생 이야기는 <빛은 내 가슴에>와 <어둠을 밝히는 한 쌍의 촛불> 등의 저서와 이를

영상으로 옮긴 드라마 <눈 먼 새의 노래>와 영화 <빛은 내 가슴에>를 통해 세상에 알려졌다. <빛은

내 가슴에>는 1987 년 영문으로 출간됐는데, 아버지 부시는 대통령 재임 시절인 1990 년 이 책을

읽고 이런 내용의 편지를 강 박사에게 보냈다고 한다.

<당신의 감동적인 삶의 스토리에는 문화와 언어를 초월해 존재하는 인간의 고귀한 가치들, 즉 신앙,

결심과 의지, 끈기, 긍휼히 여기는 마음 등이 담겨 있습니다. 인생에 등을 돌려야 할 절망과 좌절

속에서도 끝까지 하나님을 의지하고 포기하지 않고 노력한 숭고한 신앙과 불굴의 의지는 장애인이든

비장애인이든 모두에게 감동을 주고 귀감이 됩니다.>

아버지 부시는 드라마 <눈 먼 새의 노래> 에필로그 부분에 출연해 강 박사의 삶에 존경심을

표하기도 했다. 아버지 부시와의 인연은 아들 부시로 이어졌고, 백악관 입성의 토대가 됐다.

강영우 박사는 백악관에서 나온 후 더욱 분주한 나날을 보내고 있다. 현재 국제교육재활교류재단

회장과 유엔 세계장애인위원회 부위원장, 루스벨트재단 고문 등으로 활동하며 세계 각지의

교육기관과 단체로부터 들어오는 초청강연을 소화하고 있다. 또 케네디 가문과 루스벨트 대통령

후손들을 한국에 초청해 장애 관련 국제 세미나를 열기도 했다.

강 박사에게 두 아들 眞石(진석·미국명 폴 강)씨와 진영씨의 근황을 물으니 한참 동안 두 아들

내외에 대한 자랑이 이어진다.

장남 진석씨는 명문 필립스아카데미(엑서터)와 하버드의대를 졸업한 후 조지타운대 교수 겸 안과

전문의로 활동하고 있다. 진석씨는 하버드의대에서 동기생으로 만난 산부인과 전문의 에이미 씨와

결혼해 세 자녀를 두었다. 강 박사는 “아들은 안과 분야에서, 며느리는 산부인과 분야에서

Page 96: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95

<워싱터니언>誌(지)가 선정하는 2008 년도 ‘톱닥터스’에 선정됐으며 2010 년에는 최연소 워싱턴

수도권 안과 학회장으로 봉사할 예정”이라고 한다.

최연소 백악관 특별보좌관에 임명된 차남

65 세 생일을 맞은 지난 1 월 16 일 온

가족이 모여 생일 파티를 열었다.

차남 강진영씨가 백악관 특별보좌관에

임명된 직후라 생일 파티는 워싱턴

주재 외신기자들의 기자회견장이 됐다.

차남 진영씨는 필립스아카데미

(앤도버)와 시카고대 졸업 후 듀크대

로스쿨에서 법학박사 학위와 변호사

자격증을 취득했다. 이후 7 년 동안

연방 상원 본회의장 수석 법률

보좌관으로 일했고, 3 년 연속 미 의회

전용 신문인 <더 힐>의 최우수 보좌관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진영씨 역시 시카고 대학 시절 만난 동기생 엘리자베스 씨와 결혼했다.

중국계 미국인인 엘리자베스 씨는 시카고대학을 거쳐 하버드대 로스쿨과 조지타운대 로스쿨을

졸업했다. 현재는 조지타운대 로스쿨에서 가족 폭력법 전문 교수로 美(미) 전국 항소 법원 판사들을

교육하고 있다. 둘 사이에 아직 자녀는 없다.

강 박사는 차남 진영씨 덕분에 지난 7 월 백악관에서 있었던 장애인 민권법 서명 19 주년 행사에

초대됐다. 그는 이 행사에서 진영씨의 주선으로 데이비드 패터슨 뉴욕주지사를 만났다. 패터슨

주지사는 뉴욕 브루클린 출신의 흑인으로 미국 역사상 첫 시각장애인 주지사가 된 인물이다.

Page 97: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96

한국을 찾아라

1. 기본 개념 (Fundamental Concepts)

• 대한민국의 위치와 행정구역에 대해 이해한다.

2. 탐구 주제 (Essential Questions, 학생들이 탐구할 의미 있는 핵심 개념에 관한 질문)

• 대한민국의 위치는 어디인가?

• 행정구역은 크게 어떻게 나누어져있는가?

3. 교과 내용 (content, 학생들이 배워야 할 내용, 교수/학습 내용)

• 한국의 지도를 세계 지도 안에서 찾고 그 위치를 안다.

• 한국의 행정구역과 주요 섬을 이해한다.

4. 학습능력 (Skills, 학생들이 행동으로 보일 수 있는 능력)

• 한국의 지도를 보고 각 “도”의 이름을 써 넣는다.

5. 학습평가 방법: (Type, Description, Materials, Tests and Rubric)

• 백지도와 ‘도’의 명칭을 서로 연결한다.

6. 교수/학습 활동(Instructional Strategies and Activities, 흥미를 유발하는 재미있는 학습 방법)

대한민국의 지도를 보며 질문을 한다. 울릉도, 독도 제주도에 대해서도 물어보는 시간을 갖는다.

“대한민국을 줄여서 다른 말로 무엇이라고 할까요?”

한국: 대한민국

“우리가 왜 미국에 살고 있는 사람들인데 한국에 대해서 배워야 할까요?”

학생들의 여러 대답이 나올 수 있다. 미국에 사는 한국시민이든, 미국시민이든, 우리의 뿌리는 한국이기

때문에 뿌리에 대해 알아야 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식물도 뿌리가 있어야 꽃을 피우듯이 뿌리에 대해

알지 못하고 산다는 것은 꽃병의 꽃과 같다.

“그런데 왜 다른 나라 사람들은 대한민국을 “Korea”라고 할까요?

여기서 시대별 한국의 국명을 점검한다. 고조선, 삼국시대, 통일신라와 발해, 고려, 조선, 대한민국으로

오면서 고려시대에 외국인들이 “고려”를 발음하기가 어려워 Korea로 발음을 했음을 알린다.

세계지도에서 미국과 한국을 보여주고 두 나라의 위치를 파악하게 한다.

Page 98: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97

서울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도선과 같은 위치에 있는 미국의 주요 도시들을 보여준다.

Page 99: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98

한국의 행정구영 ‘도’의 명칭과 위치를 지도를 보면서 알려준다. 백지도를 학생들에게 나누어 주고 빈

칸에 맞는 도의 이름을 찾아서 넣게 한다..

7. 개인지도 방법 (Differentiated Instruction, 학습에서 뒤지는 학생들을 개인 지도 하는 방법)

n/a

8. 숙제: 오늘 배운 도의 위치와 명칭을 외워온다.

<학습자료>: 재외한국학교를 위한 한국역사문화 한국을 찾아라 ( 한국을 찾아라)

Page 100: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99

한국의 상징

1. 기본 개념 (Fundamental Concepts)

• 대한민국의 상징에 대해 이해한다.

2. 탐구 주제 (Essential Questions, 학생들이 탐구할 의미 있는 핵심 개념에 관한 질문)

• 대한민국을 상징하는 태극기, 애국가, 무궁화에 대해 정확하게 알고 있는가?

• 애국가를 외우고, 가사의 뜻은 무엇인가?

3. 교과 내용 (content, 학생들이 배워야 할 내용, 교수/학습 내용)

태극기

• 태극의 빨강과 파란색이 어디에 위치하는지 파악한다.

• 평화(바탕)· 창조(태극)· 광명(이/감)·무궁(건/곤)

• 나라의 기쁜 날 (국경일)

삼일절(Independence Movement Day) (3.1)

제헌절(Constitutional Day) (7.17)

광복절(Independence Day) (8.15)

개천절(The National Foundation Day) (10.3)

• 나라의 슬픈 날

현충일(Memorial Day) (6.6)

애국가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 만세

무궁화 삼천리 화려 강산

대한 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

남산 위에 저 소나무 철갑을 두른 듯

바람서리 불변함은 우리 기상일세

무궁화 삼천리 화려 강산

대한 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

가을 하늘 공활 한데 높고 구름 없이

밝은 달은 우리가슴 일편 단심일세

무궁화 삼천리 화려 강산

대한 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

이 기상과 이 맘으로 정성을 다하여

Page 101: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100

괴로우나 즐거우나 나라 사랑하세

무궁화 삼천리 화려 강산

대한 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

무궁화

4. 학습능력 (Skills, 학생들이 행동으로 보일 수 있는 능력)

• 태극기의 태극과 괘의 위치를 안다.

• 애국가 가사를 외우고 부를 수 있다.

5. 학습평가 방법: (Type, Description, Materials, Tests and Rubric)

• 애국가를 외워서 부른다.

• 여러 국기 중에서 정확한 태극기를 고른다.

6. 교수/학습 활동(Instructional Strategies and Activities, 흥미를 유발하는 재미있는 학습 방법)

• 오늘날의 태극기를 보여주고 옛날의 태극기를 보여준 후 다른 점을 말하게 한다.

• 태극기를 언제 다는지, 그 날들의 의미도 함께 되새긴다.

• 애국가를 들으면서 함께 불러본다.

• 무궁화 사진을 보고 무궁화 노래를 들어본다.

7. 숙제: 애국가 1 절을 영어로 번역해 온다.

<학습자료>재외한국학교를 위한 한국역사문화 한국을 찾아라 (태극기, 애국가, 무궁화)

Page 102: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101

한국사 개요

1. 기본 개념 (Fundamental Concepts)

• 한국역사개요를 이해 할 수 있다

2. 탐구 주제 (Essential Questions, 학생들이 탐구할 의미 있는 핵심 개념에 관한 질문)

• 우리나라는 몇 년의 역사를 가진 나라인가?

• 우리나라 반만년 역사에 어떤 나라들이 순서대로 있었는가?

3. 교과 내용 (content, 학생들이 배워야 할 내용, 교수/학습 내용)

• 한국사 연대표 및 역사의 길이

• 각 나라의 특징

• 개국인물 이해

4. 학습능력 (Skills, 학생들이 행동으로 보일 수 있는 능력)

• 오래된 나라의 이름을 듣고 대략의 시대를 파악한다.

5. 학습평가 방법: (Type, Description, Materials, Tests and Rubric)

• n/a

6. 교수/학습 활동(Instructional Strategies and Activities, 흥미를 유발하는 재미있는 학습 방법)

• 연도 별 국가의 변천사를 파악한다.

국가 연도 세운사람

고조선

BC2333~BC108 단군

삼국시대 고구려 BC37~668 주몽(고주몽)

백제 BC18~660 온조

신라 BC57~668 박혁거세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668~935

발해 698~926 대조영

후삼국시대

892~936

고려시대

918~1392 왕건

조선

1392~1897 이성계

대한제국

1897~1910

일제강점기

1910~1945

대한민국

1945

Page 103: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102

• 각 나라별 크기와 모양을 지도를 보면서 익힌다.

7. 숙제: 관심 있는 세계사 주요 사건을 한국사 연대표와 비교하여 한가지씩 조사해 온다

<참고자료> 재외한국학교를 위한 한국역사문화 한국을 찾아라 (한국사의 시대적 개관)

고조선 고구려 통일신라와 발해

고려 조선

Page 104: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103

세계사의 주요사건과 한국역사의 연관성

1. 기본 개념 (Fundamental Concepts)

• 한국역사개요에 맞춘 동시대의 세계사, 미국사의 주요 사건 등을 비교하며 한국역사개요를

확실히 이해할 수 있다

• 한국사의 흐름을 알고 각 시대별로 세계사에 위치하는 시간을 파악한다.

2. 탐구 주제 (Essential Questions, 학생들이 탐구할 의미 있는 핵심 개념에 관한 질문)

• 한국사의 흐름에 따른 중국사의 흐름은 어떠한가?

• 한국의 국가들이 변해감에 따라 중국, 세계, 미국은 어떤 나라와 사건들이 있었는가?

3. 교과 내용 (content, 학생들이 배워야 할 내용, 교수/학습 내용)

• 한국사. 중국사 연대표(나라 대 나라의 역학관계 이해)

• 한국사, 세계사 연대표(주요사건위주)

• 한국사, 미국사 연대표(주요사건위주)

4. 학습능력 (Skills, 학생들이 행동으로 보일 수 있는 능력)

• 동시대의 역사적 사건 말하기

• 같은 시대에 존재했던 국가명들과 다른 하나의 국가명이 섞여 있을 경우 골라낼 수 있다.

5. 학습평가 방법: (Type, Description, Materials, Tests and Rubric)

• n/a

6. 교수/학습 활동(Instructional Strategies and Activities, 흥미를 유발하는 재미있는 학습 방법)

Page 105: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104

• 이웃나라 중국의 연대기 중 관심이 가는 국가들을 골라본다. (삼국지 나라들, 고려 말의 명,

조선 초의 청)

Page 106: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105

• 한국, 중국, 세계, 미국사 연대기를 함께 놓고 어떤 사건들에 관심이 가는지 이야기해 보면서

대략의 시대적 흐름을 파악한다.

7. 개인지도 방법 (Differentiated Instruction, 학습에서 뒤지는 학생들을 개인 지도 하는 방법)

n/a

8. 숙제

18C 산업혁명, 늦은 개방에 따른 한국사흐름에 대하여 에세이 제출

<참고자료>

한국사, 중국사, 미국사, 세계사 연대기표

연도 중국 세계사 주요사건 미국사 주요사건

BC 2333~BC108 춘추전국, 진나라알렉산더 동방원정,

그리스

고구려 BC37~668

백제 BC18~660

신라 BC57~668

통일신라 668~935

발해 698~926 프랑크왕국통일

892~936

918~1392 송, 금(여진), 원(몽고)

1392~1897 명, 청

1492콜럼버스,

1642청교도혁명,

1776 미국독립선언,

1861 남북전쟁

1897~1910 청 1871 한국에 통상요구

1910~1945 중화민국1914 1차세계대전,

1939 2차2차 세계대전에 연합국으로 참전

1945 중국대한민국

고조선

국가

삼국시대

남북국시대

후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

대한제국

한, 남북조, 수, 당

로마(동,서)

프랑크, 게르만

신성로마제국

1096 십자군전쟁

1517종교개혁, 18C

산업혁명

일제강점기

Page 107: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106

학생 작품 - 18C 산 업 혁명 , 늦 은 개방 에 따 른 한국 사 흐 름 (강 지민 , 한예 진 )

Page 108: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107

Page 109: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108

한국의 지리적 환경과 문화 배경

1. 기본 개념 (Fundamental Concepts)

• 한국의 지리적 환경과 이에 따른 문화 배경에 대하여 이해하고 주변 강대국과의 관계성을

이해한다

2. 탐구 주제 (Essential Questions, 학생들이 탐구할 의미 있는 핵심 개념에 관한 질문)

• 우리나라는 어떤 지리적 환경이었는가?

• 왜 공동체 중심의 사회였는가?

• 주변국들의 역사와 우리나라의 관계는 어떠했는가?

3. 교과 내용 (content, 학생들이 배워야 할 내용, 교수/학습 내용)

• 반도, 국토의 70%가 산, 사계절 목축업보다는 농업이 발달

• 공동체 중심 사회 대가족, 노동력의 집중 필요

• 주변의 강대국 중국, 러시아, 일본, 미국

4. 학습능력 (Skills, 학생들이 행동으로 보일 수 있는 능력)

• 한국인의 문화적인 특성에 대하여 이해하고 말 할 수 있다

• 외교의 중요성에 대하여 우리나라의 예를 들어 말 할 수 있다

5. 학습평가 방법: (Type, Description, Materials, Tests and Rubric)

• n/a

6. 교수/학습 활동(Instructional Strategies and Activities,

흥미를 유발하는 재미있는 학습 방법)

• Korean Geography 동영상 시청

(Original source – YouTube

http://youtu.be/gSIO88WTLTw)

• Korean culture with the Yoo's Family in the

traditional Korean House 동영상 시청 (Original

source - YouTube: http://youtu.be/8jGoJno7esU)

Page 110: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109

중국의 동북공정과 우리의 대처

1. 기본 개념 (Fundamental Concepts)

• 고구려, 발해사를 이해하고 중국의 동북공정의 문제점 및 대응방안을 논의 할 수 있다

2. 탐구 주제 (Essential Questions, 학생들이 탐구할 의미 있는 핵심 개념에 관한 질문)

• 왜 중국은 고구려, 발해사를 중국의 역사라고 우기는가?

• 동북공정의 왜곡된 내용이 무엇이고 우리는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

3. 교과 내용 (content, 학생들이 배워야 할 내용, 교수/학습 내용)

• 한국사. 중국사 연대표에 따른 동시대의 고구려, 발해사와 중국사

• 동북공정의 문제점 역사왜곡

• 중국의 역사왜곡의 의도 한반도 통일 이후 고구려, 발해 영토였던 간도, 나아가

북한지방에 대한 영유권 주장

4. 학습능력 (Skills, 학생들이 행동으로 보일 수 있는 능력)

• 고구려사, 발해사가 갖는 의의에 대하여 말 할 수 있다

• 대응 방안에 대하여 논의 할 수 있다

5. 학습평가 방법: (Type, Description, Materials, Tests and Rubric)

• n/a

6. 교수/학습 활동(Instructional Strategies and Activities, 흥미를 유발하는

재미있는 학습 방법)

• 동북공정이란 무엇인가? 동영상 시청

(http://youtu.be/uhQ5mjUALTc)

• 동북공정의 문제점 동영상 시청

(http://youtu.be/MwamwPsq2D0)

7. 개인지도 방법 (Differentiated Instruction, 학습에서 뒤지는 학생들을 개인

지도 하는 방법)

n/a

8. 숙제:

중국동북공정에 따른 우리의 대응자세 에세이

9. 참고자료

Page 111: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110

역사의 시대적 흐름을 이해

1. 기본 개념 (Fundamental Concepts)

• 개화기 대원군의 쇄국정책과 시대흐름을 놓친 교훈에 대하여 논의 할 수 있다

2. 탐구 주제 (Essential Questions, 학생들이 탐구할 의미 있는 핵심 개념에 관한 질문)

• 대원군은 왜 쇄국정책을 고집했는가?

• 동시대의 미국, 일본, 유럽, 중국은 어떤 상황이었는가?

• 시대적 흐름이 왜 중요한가?

3. 교과 내용 (content, 학생들이 배워야 할 내용, 교수/학습 내용)

• 대원군의 통상수교 거부 정책과 양요등 전반적인 개화기 시대의 사건

• 동시대의 미국, 일본, 유럽, 중국의 대표적인 사건들

• 강화도조약의 채결과 시대적 흐름

4. 학습능력 (Skills, 학생들이 행동으로 보일 수 있는 능력)

• 시대적 흐름을 놓친 정책이 주는 교훈을 말 할 수 있다

• 외교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 할 수 있다

5. 학습평가 방법: (Type, Description, Materials, Tests and Rubric)

• n/a

6. 교수/학습 활동(Instructional Strategies and Activities, 흥미를 유발하는 재미있는 학습 방법)

• 대원군의 통상수교 거부와 사건들 동영상 시청

http://youtu.be/L_xMVpFta-o

Page 112: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111

• 시대적 흐름을 이해 연표 확인

7. 개인지도 방법 (Differentiated Instruction, 학습에서 뒤지는 학생들을 개인 지도 하는 방법)

관련 사항 질문하기 사탕이나 초컬릿등 작은 보상으로 참여 유도

8. 숙제:

n/a

연도 중국 세계사 주요사건 미국사 주요사건

BC 2333~BC108 춘추전국, 진나라알렉산더 동방원정,

그리스

고구려 BC37~668

백제 BC18~660

신라 BC57~668

통일신라 668~935

발해 698~926 프랑크왕국통일

892~936

918~1392 송, 금(여진), 원(몽고)

1392~1897 명, 청

1492콜럼버스,

1642청교도혁명,

1776 미국독립선언,

1861 남북전쟁

1897~1910 청 1871 한국에 통상요구

1910~1945 중화민국1914 1차세계대전,

1939 2차2차 세계대전에 연합국으로 참전

1945 중국

한, 남북조, 수, 당

로마(동,서)

프랑크, 게르만

신성로마제국

1096 십자군전쟁

1517종교개혁, 18C

산업혁명

일제강점기

대한민국

고조선

국가

삼국시대

남북국시대

후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

대한제국

Page 113: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112

해방과 남북분단, 대한민국, 미국 속의 한국인

1. 기본 개념 (Fundamental Concepts)

• 남북 분단을 맞게 된 원인, 대한민국의 경제발전과 민주주의의 발전, 미주 한국인의 발전사를

연결하여 이해 할 수 있다

2. 탐구 주제 (Essential Questions, 학생들이 탐구할 의미 있는 핵심 개념에 관한 질문)

• 해방 이후 왜 남북으로 분단이 되었는가?

• 대한민국의 경제는 어떻게 발전되었는가? 민주주의는 어떻게 정착되었는가?

• 왜 한국인들은 미국으로 이민을 왔고 어떻게 발전해 왔는가?

3. 교과 내용 (content, 학생들이 배워야 할 내용, 교수/학습 내용)

• 해방 이후 소련과 미국의 진출, 38 선 분단 이후 남, 북 정부 수립

• 대한민국의 각종 경제지표 순위 (대한민국의 국제순위, 위키피디아), 민주주의의 발전

• 하와이 이민(1902~5), 일제치하 이민(신부들, 지식인들), 한국전쟁 이후 이민과 재미

한국인의 발전

4. 학습능력 (Skills, 학생들이 행동으로 보일 수 있는 능력)

• 남북 분단의 원인에 대하여 설명 할 수 있다

• 대한민국 경제의 규모와 민주주의의 발전에 대하여 설명 할 수 있다

• 미주 이민사 흐름 전반에 관하여 설명 할 수 있다

5. 학습평가 방법: (Type, Description, Materials, Tests and Rubric)

• 질의 응답

6. 교수/학습 활동(Instructional Strategies and Activities, 흥미를 유발하는 재미있는 학습 방법)

• 양쪽 정부수립 이후 한국전쟁의 시작 – 동영상 시청

Page 114: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113

• 대한민국의 국제순위 퀴즈 순위표

7. 개인지도 방법 (Differentiated Instruction, 학습에서 뒤지는 학생들을 개인 지도 하는 방법)

관련 사항 질문하기 사탕이나 초컬릿등 작은 보상으로 참여 유도

8. 숙제: 없음

9. 참고자료: 코리안 아메리칸의 발자취, 재미한인학교협의회, 2002

평가기관 항목 순위 조사 시기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 노동 생산성 57개국 중 1위 2009년

Clarkson PLC 사 조선산업 경쟁력 15개국 중 1위 2008년

옥스퍼드대학교, 오비에도 대학교 초고속 인터넷 품질 66개국 중 1위 2009년

뉴스위크 경제 경쟁력 100개국 중 3위 2010년

통계청(OECD국가들 중) 전자제품 생산 30개국 중 4위 2009년

통계청(OECD국가들 중) 자동차 생산량 30개국 중 5위 2009년

세계은행 GDP 186개국 중 15위 2009년

국제 통화 기금 국내총생산 227개국 중 15위 2009년

세계 경제 포럼(WEF) 국가경쟁력 133개국 중 19위 2009년

국제통화기금 1인당 국민소득 209개국 중 48위 2009년

미국CIA 월드팩트북 인구증가율 237개국 중 179위 2010년

Page 115: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역사한국어통합교육 교육안 2012-2013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