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기술과 사회 2011강의노트2

7
2. 연극공연론 소셜 미디어의 관점에서 돌아본 Eving Goffman의 연극론(Dramaturgy) “JAQUES. All the world's a stage, And all the men and women merely players; They have their exits and their entrances; And one man in his time plays many parts, His acts being seven ages. At first the infant,…(Shakespeare, in As You Like It).”

Upload: young-min-yun

Post on 21-Jul-2015

764 views

Category:

Documents


9 download

TRANSCRIPT

Page 1: 정보기술과 사회 2011강의노트2

2. 연극공연론

소셜 미디어의 관점에서 돌아본 Eving

Goffman의 연극론(Dramaturgy)

“JAQUES.

All the world's a stage,

And all the men and women merely players;

They have their exits and their entrances;

And one man in his time plays many parts,

His acts being seven ages. At first the infant,…(Shakespeare, in As You Like It).”

Page 2: 정보기술과 사회 2011강의노트2

2-1. 상황정의, 배역, 연기

사람들의 공개적 만남은 “하나의 무대 위에서 벌어지는연극공연(theatrical performance)”이라는 비유.

고프먼은 Shakespeare처럼 그냥 비유에서 끝내지 않고연극공연의 주요한 요소들을 분석도구로 사용.

그 공연에서 개인은 공연자(performer)이며, 배역(character)이고, 관객(audience)

무대 위에서 공연자는 자신이 맡은 배역을 살려내기 위해최선을 다함. 배역을 제대로 연기하는 것은 공연자 자신을 위해서도 최선

배역이란 게 곧 사회적으로 요구된 역할. W. I. Thomas의용어를 빌리면, 하나의 공간에 모인 사람들은 집단적으로 ‘상황정의(definition of the situation)’를 하고 그 상황정의로부터 기대되는 행동, 혹은 그 상황정의에 부합한행동을 하게 된다는 것. 적어도 특정 상황에서 사회적으로 기대되는 행동을 한다는 말. 그것이 도덕적 행위인지아닌지는 별개의 문제.

가장 중요한 이유는 수용(acceptance).

Page 3: 정보기술과 사회 2011강의노트2

2-2. 전면, 극적 각색, 이상화, 허위표현. 신

비화

고프먼은 연극공연의 요소들-전면

(front)(setting, appearance, manner), 극적 각색

(dramatization), 이상화(idealization), 허위표현

(misrepresentation), 신비화(mystification) 등-이 특

정 상황에서의 인간관계 분석에 유용하다고 주장.

무대 위에서는 극적 표현이 용인되고, 사회가 바람직

하게 생각하는 모습으로 자신을 표현하며, 때로 사실

이 왜곡되어 제시되고, 또한 공연자들은 관객들과 얼

마간 거리를 유지하는 신비주의를 사용. 고프먼은 이

러한 연극적 요소들이 일상에서의 면대면 상황을 분

석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고 봄.

Page 4: 정보기술과 사회 2011강의노트2

2-3. 인상관리: 개인적 혹은 집단적

고프먼은 공연자들의 „인상관리(impression management)‟를 연극의 중요한 요소로 간주. 그에의하면 인상관리는 공연자로서의 자아(self)만이 아니라 배역으로서의 자아를 완성시키는 행동.

더구나 인상관리가 개인적 차원에서만이 아니라 집단적 차원에서 이루어짐. 공연이 진행되는 동안 공연자들이 개별적으로 자신의 이미지를 관리하지만, 공연팀 전체적으로도 이미지를 관리한다는 것. 공연에서 연기되는 배역과 공연자의 이미지가 서로 충돌하여 공연이 망가지지 않도록 함.

고프먼은 “인상관리를 관찰할 수 있는 가장 재미있는기회 중의 하나는, 공연자가 후면영역을 떠나 청중들이 있는 장소에 들어설 때나, 혹은 공연자가 그곳으로부터 되돌아 올 때인데, 이 기간 동안에 공연자가어떤 특성은 취하고, 어떤 특성은 버리는 것을 살펴볼 수 있다”고 지적(121).

Page 5: 정보기술과 사회 2011강의노트2

2-4. 팀공연, 연출가의 역할

1인극도 있지만 연극공연은 팀을 이루어 수행된다. 저서에서고프먼이 „팀(Teams)‟에 한 장(chapter)를 할애하여 논의하고있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함. 사실 연극은 1인극인 경우마저도적지 않은 스텝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근본적으로 팀공연(team performance). 팀에는 연출가도 있고, 배역도 있으며, 각종 스텝들도 있음.

고프먼에게 연극공연은 팀에 의해 상황정의가 내려지고 그 상황정의가 견지되는 활동. 상황정의는 상황의 성격에 관한 집단적인 동의(collective agreement). 어느 순간 어떤 공간에 모인사람들이 그 상황의 성격이 어떤 것인지에 대한 공감이 이루어지고, 사람들은 그 상황에서 어떤 행동 혹은 어떤 말이 적절한지를 판단하고 상황에 부합하게 행동(말)한다는 것. 그리고 행동(혹은 발언)의 방식과 내용은 당시 상황에서 주어진 역할과배역에 따라 다르게 됨. 그런 의미에서 team play고, team performance.

고프먼은 특별히 연출가의 역할을 언급. 연출가는 공연을 총감독하며 역할과 배역을 지정하고 각 배역이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의 위치도 지정해 줌. 그리고 그는 팀구성원들이 상황정의에 따

Page 6: 정보기술과 사회 2011강의노트2

2-5. 무대 전면과 후면, 공식적 스타일과 비공식

적 스타일의 타협

무대 전면(front stage)과 무대 후면(backstage)의 구분. 그것을 전면 영역(front region)과 후면 영역(back region)이라고 부르기도 함. 실제로 연극공연에서 무대 전면과무대 후면에서 공연자들의 행동은 크게 다름. 공연을 성공시키기 위해서는 무대 전면만 관객에게 공개되어야 함. 관객의 무대 후면 출입은 엄격히 통제되어야 함. 때로는계획적으로 관객에게 무대의 일부가 공개되기도 함.

고프먼은 사람들의 일상생활의 행동에서도 무대 전면과후면 같은 구분이 존재한다고 주장. 무대 전면에서는 공식적이고 인위적인 행동이 일어나고, 무대 후면에서는 비공식적이고 자연스런 행동이 일어난다고. 사람들이 무대전면에서는 합규범적이고, 조심스럽고 선택적인 행동을한다는 것.

그러나 그는 “생활의 즐거운 상호적 인간관계는 무대 후면에, 잘난 척하고 권위를 보이는 것은 무대 전면 활동에지정되어 있다고 가정해서는 안된다”고 강조(132). 고프먼은 “구체적 상황에서의 행위가 항상 공식적 스타일과비공식적 스타일 사이의 타협이라는 사실을 강조하고 싶다”고 함(129).

Page 7: 정보기술과 사회 2011강의노트2

2-6. 비밀 유지

끝으로 고프먼의 “비밀의 유지”에 관한 논의.

그는 연극공연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팀이 팀의 비밀

을 지킬 수 있어야 하고, 팀의 비밀이 지켜지도록 해

야만 한다”고 역설(141).

그는 비밀을 몇 가지 유형으로 나눔

폭로될 경우 관객 앞에서 유지하고자 하는 자아 이미지

가 완전히 망가져 버리는 „암흑적 비밀(dark secret)‟

공연의 효과를 확보하기 위해 지켜져야 하는 „전략적 비

밀(strategic secret)‟

비밀을 소유한 개인을 한 집단의 성원으로 표시해주

고, 집단의 고유성을 느끼게 해주는 „내면적 비밀(inside

secret)‟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