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라이드 1file.konyang.ac.kr/www/prof_board/data\10… · ppt file · web view ·...

35
심심심심심 CPR 1심 송송송 , 송송송 , 송송송 , 송송송 , 송송송 , 송송송 , 송송송

Upload: nguyenque

Post on 19-Apr-2018

243 views

Category:

Documents


12 download

TRANSCRIPT

심폐소생술CPR

1 조송현준 , 강성미 , 강진주 , 김미나 , 김영화 , 김은경 , 김은혜

1. 심폐소생술의 개요

2. 기본 심폐소생술 ( 소아 )

3. 기본 심폐소생술 ( 성인 )

4. AED

차례

심폐소생술은 미국의 SAFAR 재단에서 처음 수행 1962 년 Anne 이라는 여성이 첫 소생자 1966 년 미국심장학회 (AHA) 중심으로 지침 마련 1992 년 과학적 근거 지침 마련위해 ILCOT 결성 국제적 합의를 통해 매 5 년마다 국제지침 발표 현재의 심장압박대 구조호흡의 비율 30:2 2010 년 하반기 개정 예정

1. 심폐소생술의 개요

0 심폐정지 중에 필수 장기로의 산소 및 혈액 공급을 유지 0 조직손상을 최소화하고 기능을 최대한 유지하는 것

0 자발적 순환 및 자발적 호흡을 회복하기 위함

1. 심폐소생술의 개요

1) 심폐소생술의 목적

1. 심폐소생술의 개요

1) 심폐소생술의 목적

0-4 분 : CPR 실시시 뇌손상 희박

4-6 분 : 뇌손상 가능성이 있다

6-10 분 : 뇌손상이 확실해 진다

10 분 이상 : 심한 뇌손상이나 뇌사로 진행이 명백해진다

CPR 의 성공은 얼마나 빠른 시간내에

시작하느냐에 달려있다

0 46

10

1. 심폐소생술의 개요

1) 심폐소생술의 목적

100 97 9075

50

25

00

20

40

60

80

100

정지 1분 2분 3분 4분 5분 8-10분

호흡정지 후 응급처치 실시 시간대별 소생율

Chain of Survival 생존의 연쇄고리 1. 심폐소생술의 개요

Early Access : 조기 접근 및 연락 Early CPR : 조기 심폐소생술 Early Defibrillation : 조기 제세동 Early Advaced Care : 조기 전문 치료

2) 심폐소생술의 유형

1. 심폐소생술의 개요

1) 기본 심폐소생술 (BLS, Basic life Support)

2) 전문 심폐소생술 (ATLS,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1) 기본 심폐소생술

A CB

D Defrbrillation

1. 의식확인

괜찮아요 ?

2. 119 에 연락

3. 자세 교정 척추유지

4. 기도개방 턱들기 이물 제거

5. 호흡확인 기도유지상태

6. 흉부압박 및 인공호흡 ( 30:2 ) 연속동작으로 5 회 1 주기

정확한 압박 자세

30 회 압박 실시 2 회 인공호흡 4-5Cm 깊이로 압박 분당 100 회 속도 5 주기 실시

양팔을 곧게 폄

손꿈치 이용

7. 호흡 및 맥박 재확인

2) 고급 심폐소생술

Airway 기관내 삽관

Breathing 폐환기를 확인하고 , 양압호흡

Circulation IV 경로를 확보하고 , 수액과 약물

투여 감시 장비를 부착하고 흉부압박을 계속

Differential Diagnosis 심폐정지의 원인 찾기

소아 기본 심폐소생술 소아는 호흡정지나 쇼크로 인한 심폐정지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도움요청보다는 심폐소생술을 우선으로 실시한다 .

1 분간 심폐소생술의식확인 심폐소생술도움요청

1 2 3 4

소아 기본 심폐소생술

1. 반응 확인 어깨 또는 발바닥을 가볍게 치거나

크게 소리쳐 반응을 확인한다 .

소아 기본 심폐소생술2. 기도유지 두부후굴 하악거상법 (head tilt & chin lift) 10 초 이내에 호흡유무를 확인한다 . 호흡이 없는 경우 : 2 회의 구조호흡 시행 . (bag-valve-mask, 구강 대 구강 인공호흡 ) 호흡횟수 분당 20 회 호기시간 1-1.5 초 호기 : 흡기 = 50:50

* 두부 , 목 손상시 하악견인법 (jaw-thrust )

소아 기본 심폐소생술

* 이물질에 의한 기도폐쇄의 경우 5 back blows 5 chest trusts

1 세이상의경우 Heimlich

소아 기본 심폐소생술

3. 순환상태 확인 심박동음 확인 , 상완동맥 촉지 (10 초 이내 )PR 60 회 /min 이하시 심폐소생술 시행 .

흉부압박점 : 흉골의 하부 1/2 지점 압박깊이 흉곽이 1/3 정도 눌리도록 ( 소아 : 한손을 이용 . 2.5-3.5cm 영아 : 인지와 중지 이용 . 약 2cm 압박 ) 압박속도 100 회 /분 압박주기 압박 : 이완 = 50:50

소아 기본 심폐소생술

4. 구조호흡 : 흉부압박 = 30 : 2 1 분간의 심폐소생술이 끝난 후 도움을 요청한다 .

5. 전문 심폐소생술 의료진이 현장에 도착함과 동시에 이와 같은 기본 심폐소생술에서 전문 심폐소생술로 진행한다 .

성인 기본 심폐소생술

갑작스런 심정지 환자를 발견 • 연락을 하고 AED 를 가져와 CPR 을 시작 . 반응이 없는 경우 ( 질식이나 익수와 같은 경우 ) 2 분 CPR 을 수행한 후 연락을 하고 AED 를 가져옴

1 인 구조자인 경우 : 심장압박과 구조호흡 30 : 2 를 유지 적어도 2 분 이내에 5 주기를 할 수 있어야 함 .

성인 기본 심폐소생술

2 인의 구조자인 경우 : CPR 을 수행 기관지 삽관 형태인 경우 : 심장압박 주기와 상관없이 분당 10 회 정도 ambu-

Bagging 을 시도 심장압박을 담당한 경우 : 계속하여 분당 100 회 정도 압박을 시도

성인 기본 심폐소생술

환자에게 접근 . “ 여보세요 , 괜찮으세요 ?” 라고 질문하면서 환자의 한 쪽 어깨를 살짝 두드려 환자의 의식상태를 확인한다 .

반응이 없으면 도움을 요청한다 . 두부후굴 하악거상법을 이용하여 기도유지하고 , 구강 내에 이물질이 있는 경우 : 환자를 옆으로 돌려서 이물질을 제거한다 . 기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환자의 호흡을 확인 :10 초 동안 환자의 흉곽의 움직임을 보고 , 숨결을 듣고 느낀다 .

성인 기본 심폐소생술

자발호흡이 없으면▶경구기도 삽입▶ 포켓마스크 이용해 구조호흡-> 기도 유지 상태 (흡기시행 ): 흡기시 기압 빠르고 세면 공기팽만 , 위 내용물 역류 , 흡인 위험▶ 경동맥 촉지 -10 분 이내 맥박 유무 확인

▶ 호흡횟수 분당 : 12 회 호기시간 : 1.5~2 초 호기 : 흡기 = 50 : 50

성인 기본 심폐소생술

맥박 촉진 없으면

▶ 흉부압박 시행▶ 곧바로 제세동기 시행-> 심실세동 (VF) 무맥성 심실빈맥 (VT)

-압박지점 : 흉골체부 하부 1/2 지점- 압박깊이 : 흉골의 하부 1/3 이 눌 리도록 (4-5cm)- 압박속도 :100 회 /분 (5 회 /3 초 )- 압박주기 ( 압박 : 이완 ) =50 : 50

1. AED 적용

0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자동제세동기

0 비의료인까지 사용자 확대

0 생존 , 뇌손상 예방의 중요 인자

0 일반응급처치에 포함

0 낮은 전압으로 효과를 얻음 (Biphasic)

2. 국내외의 AED #1한국의 AED

서울역에서 본 자동제세동기 (AED)

2. 국내외의 AED #2일본의 AED – 1/2

공중전화 옆에 위치한 AED

AED 의 위치를 표시한 표시판

일본의 아주 작은 역에 위치한 AED

2. 국내외의 AED #3

또다른 일본의 작은역의 물품 판매소 옆의 AED

일본 국립현대 미술관 , 층층이 비치된 AED( 한국어로도 표기되어 있음 )

일본의 AED – 2/2

3. AED 사용방법 #1

3. AED 사용방법 #2